title
stringclasses 632
values | description
stringclasses 29
values | license
dict | text
stringlengths 0
425k
| meta
dict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算細數長短之法謂之度起於忽忽者蠶高爲絲
出絲也若有若無
산으로 가늘게 쟝단을 혜ᄂᆞᆫ 법을 도라 ᄒᆞ니 홀에 이러나니 홀은 누에 실을 만드러 ᄂᆡ미니 잇ᄂᆞᆫ 듯ᄒᆞ고 업ᄂᆞᆫ 듯ᄒᆞ다
十忽爲一絲 十絲爲一毫 十毫爲一厘 十厘
爲一分 十分爲一寸 十寸爲一尺 十尺成一
丈 四丈成一疋 五丈爲一端
십홀이 일ᄉᆞ 되고 십ᄉᆡ 일호 되고 십회 일리
|
{
"page": 4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되고 십리 일분이 되고 십분이 일촌이 되고 십촌이 일쳑이 되고 십쳑이 일쟝이 되고 ᄉᆞ쟝이 일필이 되고 오쟝이 일단이 되다
斤秤物輕重之法謂之衡起于黍黍者輕之末
也
근으로 물의 경즁을 다ᄂᆞᆫ 법을 형【져울이라】이라 ᄒᆞ니 셔【기쟝이라】에 이러나니 셔ᄂᆞᆫ 가븨온ᄃᆡ ᄭᅳᆺ치라
十黍爲一絫 十絫爲一銖 十六銖爲一分 十
|
{
"page": 4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四分爲一兩 十六兩爲一斤 十五斤爲一秤
三十斤爲一勻 四勻爲一石
십셰 일루 되고 십뤼 일슈 되고 십륙ᄉᆔ 일분이 되고 십ᄉᆞ분이 일량이 되고 십륙량이 일근이 되고 십오근이 일칭【졍울이라】이 되고{{SIC|삽|삼]}십근이 일근이 되고 ᄉᆞ근이 일셕이 되다
斛粟數名多少之法謂之量起于粟之一粒
곡에 속【죱ᄡᆞᆯ이라】을 마련ᄒᆞᄂᆞᆫ 슈명의 다쇼ᄒᆞᆫ 법을 량이라 ᄒᆞ니 쇽 일 닙에 이러나다【곡은 십뒤 드니 셕과 갓다】
|
{
"page": 5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六粟爲一圭 十圭爲一撮 十撮爲一抄 十抄
爲一勺 十勺爲一合 十合爲一升 十升爲一
斗 十斗爲一石
륙쇽이 일규 되고 십ᄀᆔ 일촬이 되고 십촬이 일초 되고 일최 일작이 되고 십작이 일합이 되고 십합이 일승이 되고 십승이 일두 되고 십뒤 일셕이 되다
田畝數 【附里數】
뎐묘슈 【부리슈 ○ 밧이랑과 도리슈라】
|
{
"page": 5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寸爲一尺 五尺爲一步 濶一百步長二百四
十步爲一畝 今以百畝爲一頃 三百六十步爲
一里計一百八十丈約人行一千步也
십촌이 일쳑이 되고 오쳑이 일보 되고 활이 일ᄇᆡᆨ뵈오 쟝이 이ᄇᆡᆨᄉᆞ십뵈 일ᄆᆈ 되니 이졔 ᄇᆡᆨ묘로 일경을 삼다 삼ᄇᆡᆨ륙십뵈 일리 되니 혜건ᄃᆡ 일ᄇᆡᆨ팔십쟝에 ᄉᆞᄅᆞᆷ의 거름으로 일쳔 보라
産數
산슈
|
{
"page": 5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忽爲一絲 十絲爲一毫 十毫爲一厘 十厘
爲一分 十分爲一畝 十畝爲一頃
십홀이 일ᄉᆞ 되고 십ᄉᆡ 일호 되고 십회 일리 되고 십리 일분이 되고 십분이 일묘 되고 십묘 일경이 되다
鈔數
쵸슈 【쵸ᄂᆞᆫ 젼화ᄅᆞᆯ 쵸라 ᄒᆞ다】
一文至十文 十文至百文 百文爲一貫 五貫
爲一錠
|
{
"page": 5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문으로 십문에 이르고 십문으로 ᄇᆡᆨ문에 이르고 ᄇᆡᆨ문이 일관이 되고 오관이 일뎡이 되다
大數
대슈 【큰 혬이라】
一十爲十 十十爲百 十百爲千 十千爲萬
十萬爲億 十億爲兆 十兆爲京 十京爲垓
十垓爲秭 十秭爲穰 十穰爲溝 十溝爲澗
十澗爲正 十正爲載 十載爲極
|
{
"page": 5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십이 십이 되고 십십이 ᄇᆡᆨ이 되고 십ᄇᆡᆨ이 쳔이 되고 십쳔이 만이 되고 십만이 억이 되고 십억이 됴 되고 십ᄃᆈ 경이 되고 십경이 ᄒᆡ 되고 십ᄒᆡ ᄌᆞ 되고 십ᄌᆡ 양이 되고 십양이 구 되고 십귀 간이 되고 십간이 졍이 되고 십졍이 ᄌᆡ 되고 십ᄌᆡ 극이 되다
小數
쇼슈 【젹은 혬이라】
十厘爲分 十毫爲厘 十絲爲毫 十忽爲絲
|
{
"page": 5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微爲忽 十纖爲微 十抄爲纖 十塵爲抄
十埃爲塵
십리 분이 되고 십회 리 되고 십ᄉᆡ 호 되고 십홀이 ᄉᆞ 되고 십미 홀이 되고 십셤이 미 되고 십ᄎᆈ 셤이 되고 십진이 쵸 되고 십ᄋᆡ 진이 되다
已上大小之數湏有此名亦難知用也
이샹 대쇼의 ᄉᆔ이 일홈이 이시나 ᄯᅩᄒᆞᆫ 아라 ᄡᅳ기 어려우니라
|
{
"page": 5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箕盤定式
산반뎡식
書一二三四以上二銖上梁以
下五銖下梁白圈已上已下黑
圈未上未下一上一二上二一
上一下六二上一下七皆倣此
일이삼ᄉᆞ ᄡᅳᆫ 우희 두 낫츤 샹량이오 배 아ᄅᆡ 다ᄉᆞᆺ 낫츤 하량이오 흰 권ᄌᆞᄂᆞᆫ 이믜 샹ᄒᆞ며 이믜 하ᄒᆞᆫ 낫치오 검은 권ᄌᆞᄂᆞᆫ 샹ᄒᆞ지 아니ᄒᆞ며 하ᄒᆞ지 아니ᄒᆞᆫ 낫치오 일이 샹ᄒᆞ면 일이오 이 샹ᄒᆞ며 이오 일이 샹ᄒᆞ고 일이 하ᄒᆞ면 륙이오 이 샹ᄒᆞ고 일이 하ᄒᆞ면 칠이니 다 이갓다
|
{
"page": 5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凡算盤每一行七銖中隔梁上面二銖每一銖當
下梁五銖梁下五銖一銖只是一數其盤放於人
位前以人身配之分其左右以右位爲前以左位
爲後前位爲上後位爲下[若]前位一銖則當後位
十銖故云逢九還十退十還九之說
물읫 산반이 ᄆᆡ 일항에 칠슈오 【ᄒᆞᆫ 낫츨 슈라 ᄒᆞ다】 가온ᄃᆡ 량이 격ᄒᆞ니 샹면 이슈ᄂᆞᆫ ᄆᆡ 일슈에 아ᄅᆡ 량 오슈ᄅᆞᆯ 당ᄒᆞ고 량 아ᄅᆡ 오 슈ᄂᆞᆫ 일슈를 다만 ᄒᆞᆫ나으로 혜니 그 반을 ᄉᆞᄅᆞᆷ의 ᄋᆞᆲ헤 노코 ᄉᆞᄅᆞᆷ의
|
{
"page": 5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몸으로 보아 좌우를 난호ᄃᆡ 우으로 ᄋᆞᆲ훌 삼고 좌우로 뒤를 삼으며 젼으로 샹을 삼고 후으로 하를 삼으며 젼위에 일 ᄉᆔ 후위에 십 슈를 당ᄒᆞᄂᆞ니 고로 일은 바 아홉을 맛나면 열로 도라오고 열이 물너가면 아홉으로 도라오다 ᄒᆞ니라
上法口訣
샹법구결 【샹ᄒᆞᄂᆞᆫ 법에 가결이라】
一上一 一下五除四 如本位下五子俱已在位
今又要上一字則下面無一可上故上面下一子作
|
{
"page": 6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五復於下面去四字故上得一子下還存一子共是
六數
일은 일이 샹ᄒᆞ고 일은 하오에 ᄉᆞ를 졔ᄒᆞᄂᆞ니 가령 본위【일이면 일이 본위오 이면 이 본위라】에 하오 ᄌᆡ 【하층에 다ᄉᆞᆺ 낫치라】 다 위에 잇거ᄂᆞᆯ 이졔 ᄯᅩ 일ᄌᆞ를 올리고져 ᄒᆞᆯᄯᅵᆫᄃᆡ 하면【하층이라】에 한나도 올릴 길이 업ᄂᆞᆫ 고로 샹면에 하일ᄌᆞ【샹층 두 낫 즁에 아ᄅᆡ 낫치라】로 오슈를 짓고 다시 하면에 ᄉᆞᄌᆞ를 업시 ᄒᆞᄂᆞ니 샹에 일ᄌᆞ를 엇고 하에 일ᄌᆞ를 두어 륙ᄉᆔ 되다
|
{
"page": 6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退九進一十 如本位十字已滿在位又要加一
子則無一可加故於本位退去九子却於上位還一
子當下位十字却止存一字作算
일은 퇴구진일ᄒᆞ면 십이니 가령 본위에 십ᄌᆡ 이믜 차ᄭᅥᄂᆞᆯ ᄯᅩ 일ᄌᆞ를 더ᄒᆞ고져 ᄒᆞᆯ딘ᄃᆡ ᄒᆞᆫ나도 가히 올릴 길이 업ᄂᆞᆫ 고로 본위에 구ᄌᆞ를 퇴ᄒᆞ고 문득 샹위에 일ᄌᆞ를 환【환은 도로 나리우단 말이라】ᄒᆞ야 하위에 십ᄌᆞ를 당ᄒᆞ고 문득 다만 일ᄌᆞ만 두어 혬를 ᄒᆞ다
二十二 二下五除三 如本位要上二子而下梁
|
{
"page": 6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五子俱已在位則無子可上故於上梁下一子作五
復於下面除退三子則上下共得三子作七數算
이ᄂᆞᆫ 이샹ᄒᆞ고 이ᄂᆞᆫ 하오에 삼을 졔ᄒᆞᄂᆞ니 가령 본위에 이ᄌᆞ를 올리고져 ᄒᆞ나 하량에 오ᄌᆡ 이믜 다 위에 이ᄉᆞᆫ즉 가히 올릴 것시 업ᄂᆞᆫ 고로 샹량에 하 일ᄌᆞ로 오를 짓고 다시 하면에 삼ᄌᆞ를 퇴ᄒᆞᆫ즉 샹하에 공이 삼ᄌᆞ니 칠슈를 지어 혜ᄂᆞ니라
二退八進一十 如本位上下十字已滿若要上二
子無二可上則上下共退去八子前位却進一子作十
|
{
"page": 6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只實得二數也其餘二四五六七八九十法俱倣此
推
이ᄂᆞᆫ 퇴팔진일ᄒᆞ면 십이니 가령 본위 샹하에 십ᄌᆡ 이믜 찬 지라 이ᄌᆞ를 올리고져 ᄒᆞ나 가히 올릴 것시 업ᄉᆞᆫ즉 샹하에 팔ᄌᆞ를 퇴ᄒᆞ고 젼위에 문득 일ᄌᆞ를 진ᄒᆞ야 십을 지으ᄆᆡ 실은 다만 이슈를 엇ᄂᆞ니 이ᄉᆞ오륙칠팔구십 이 법이 다 이갓치 미위ᄂᆞ니라
退法口訣
|
{
"page": 6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퇴법구결
一退一 一退十還九 如本位上下俱無子若要
退一無一可退故於前位退一是十復於下還九故
止退得一數也
일은 일을 퇴ᄒᆞ고 일은 퇴십환구ᄒᆞᄂᆞ니 가령 본위 샹하에 다 일ᄌᆡ 업ᄂᆞᆫ지라 만일 일ᄌᆞ를 퇴ᄒᆞ고져 ᄒᆞ나 퇴ᄒᆞᆯ 것이 업ᄂᆞᆫ 고로 젼위【샹층이라】에 일을 진ᄒᆞᄆᆡ 이십이 되고 다시 아ᄅᆡ 구를 환ᄒᆞᆫ 고로 다만 일슈를 퇴ᄒᆞᄂᆞ니라
|
{
"page": 6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上四退五 如本位梁上有子梁下無子故梁上
退一是五復於下梁補上四子故上得一子其餘二
三四五六七八九退法倣此推
일은 ᄉᆞ를 샹ᄒᆞ고 오를 퇴ᄒᆞᄂᆞ니 가령 본위 량샹에 ᄌᆡ 잇고 량하에 ᄌᆡ 업거든 량샹에 일을 퇴ᄒᆞ면 오이라 다시 하량에 ᄉᆞᄌᆞ를 올리ᄂᆞᆫ 고로 샹에 일ᄌᆞ를 엇ᄂᆞ니 이삼ᄉᆞ오륙칠팔구에 퇴법이라 이갓치 밀위ᄂᆞ니라
九〻 八十一總讀 【前盤式中是初上一轉】
|
{
"page": 6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구〻 팔십일 춍독 【구〻법을 총론ᄒᆞᆷ이니 젼 산반에 글인 규식이 즉 쳐음으로 일 젼ᄒᆞᄂᆞᆫ 법이라】
一轉
일젼 【산반에 혬을 ᄒᆞᆫ번 구울리단 말이라】
一上一 二上二 三上三 四上四 五上五
六上六 七上七 八上八 九上九
일을 샹ᄒᆞ면 일이오 이를 샹ᄒᆞ면 이오 삼을 샹ᄒᆞ면 샴이오 ᄉᆞ를 샹ᄒᆞ면 ᄉᆞ이오 오를 샹ᄒᆞ면 오이오 륙을 샹ᄒᆞ면 륙이오 칠을 샹ᄒᆞ
|
{
"page": 6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면 칠이오 팔을 샹ᄒᆞ면 팔이오 구를 샹ᄒᆞ면 구이라 【산반에 아ᄅᆡ층 다ᄉᆞᆺ 낫에 ᄒᆞᆫ나를 올니면 일이오 둘을 올리면 둘이오 륙에 이르러ᄂᆞᆫ 아ᄅᆡ층 ᄒᆞᆫ 낫를 올리고 웃층 ᄒᆞᆫ나를 나리우며 칠은 아ᄅᆡ층 둘을 올리고 웃층 ᄒᆞᆫ나를 나리우ᄂᆞ니 팔구도 다 이갓다】
二轉
이젼
九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退三進一十
六上一退四進一十 五退五進一十 四下五
除一 三下五除二 二上二 一上一
|
{
"page": 6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구에 퇴일진일ᄒᆞ며 십이오 【퇴ᄂᆞᆫ 아ᄅᆡ로 나려 가미오 진은 우희 올나 가미니 하층에 넷슬 올리고 샹층에 ᄒᆞᆫ나를 나리우면 귀 되ᄂᆞ니 십을 만들야 ᄒᆞ면 본위에 구슈를 퇴ᄒᆞ고 샹층에 ᄒᆞᆫ나만 진ᄒᆞ야 열을 당ᄒᆞ게 ᄒᆞ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퇴ᄂᆞᆫ 즉 팔슈오 진은 상층에 ᄒᆞᆫ나를 진ᄒᆞ다】 칠에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은 일이샹ᄒᆞ니 【하층에 일ᄌᆞ를 올려 륙이 되다】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하층 오슈라】에 일을 졔ᄒᆞ고 삼은 하오에 이를 졔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
{
"page": 6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三轉
삼젼
一上一 二下五除三 三上三 四退六進一十
五還五 六還六 七上二退五進一十 八
退二進一十 九退一進一十
일은 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하오에 삼을 졔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ᄉᆞ에 퇴륙진일ᄒᆞ면 십이오 오ᄂᆞᆫ 도로 오이오 륙은 도로 륙이오 칠은 이 샹ᄒᆞ니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은 퇴이진
|
{
"page": 7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ᄒᆞ면 십이오 구ᄂᆞᆫ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四轉
ᄉᆞ젼
九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退三進一十
六還六 五退五進一十 四下五除一 三上
三 二上二 一上一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에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은 도로 륙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륙
|
{
"page": 7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은 도로 륙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에 일을 졔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五轉
오젼
一下五除四 二退八進一十 三下五除二 四
退六進一十 五還五 六上一退四進一十 七
還七 八上三退二進一十 九退一進一十
일은 하오에 ᄉᆞ를 졔ᄒᆞ고 이에 퇴팔진일ᄒᆞ면
|
{
"page": 7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십이오 삼은 하오에 일을 졔ᄒᆞ고 ᄉᆞ에 퇴륙진일ᄒᆞ면 십이오 오ᄂᆞᆫ 도로 오이오 륙은 일을 샹ᄒᆞ니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은 도로 칠이오 팔은 삼이 샹ᄒᆞ니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六轉
륙젼
九上四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退三進
一十 六退四進一十 五退五進一十 四下五
|
{
"page": 7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除一 三退七進一十 二上二 一上一
구ᄂᆞᆫ ᄉᆞ을 샹ᄒᆞ니 퇴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에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에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에 일을 졔ᄒᆞ고 삼에 퇴칠진일ᄒᆞ면 십이오 이ᄂᆞᆫ 이을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七轉
칠젼
|
{
"page": 7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上一 二下五除三 三上三 四退六進一十
五還五 六退四進一十 七上二退三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九退一進一十
일은 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하오에 삼을 졔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ᄉᆞ에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ᄂᆞᆫ 도로 오이오 륙에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은 이을 샹ᄒᆞ니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
{
"page": 7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八轉
팔젼
九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上二退三進
一十 六上一退四進一十 五退五進一十 四
下五除一 三下五除二 二上二 一上一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은 이을 샹ᄒᆞ니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은 일을 샹ᄒᆞ니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에 일
|
{
"page": 7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을 졔ᄒᆞ고 삼은 하오에 이를 졔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九轉
구젼
一上一 二上二 三上三 四上四 五工五
六上六 七上七 八上八 九退一進一十
일은 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ᄉᆞᄂᆞᆫ ᄉᆞ를 샹ᄒᆞ고 오ᄂᆞᆫ 오를 샹ᄒᆞ고 륙은 륙을 샹ᄒᆞ고 칠은 칠을 샹ᄒᆞ고
|
{
"page": 7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팔은 팔을 샹ᄒᆞ고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
{
"page": 7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九歸歌訣
구귀가결
此歸因二歌乃算法之宗學者宜熟讀不可
放過
이 귀법과 인법 두 가결은 이에 산법의 조종이니 ᄇᆡ히ᄂᆞᆫ 쟤 맛당이 슉독ᄒᆞ야 방과치 못ᄒᆞᆯ디니라
凡九歸法者不過分數也務要以本歸之數
呼在上者以少者在下此因法不過類數而
|
{
"page": 8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己俱要少者呼多者在下也【數必以九者蔡西山曰數窮於
九九者究也至十則又爲一矣】
물읫 구귀법은 불과 슈를 난홈이라 근본 귀ᄒᆞᆫ ᄉᆔ로 【귀ᄂᆞᆫ 도로 보ᄂᆡ단 말이라】 샹위에 잇ᄂᆞᆫ 쟈를 불러 져근 쟈로 아ᄅᆡ 두고 이 인법은 불과 슈를 갓치 ᄒᆞᆷ이니 다 져근 쟈로 만흔 쟈를 불러 아ᄅᆡ 두ᄂᆞ니라 【슈를 반다시 구로 ᄡᅥ 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채셔산이 일오ᄃᆡ ᄉᆔ 아홉에 궁ᄒᆞ니 아홉이란 말은 맛단 말이니 열에 일은 즉 다시 ᄒᆞᆫ나이 되다 ᄒᆞ다】
|
{
"page": 8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歸
일귀
一歸不須歸其法故不立 【凡物無多無寡俱是一
人者故不必立法】
일귀ᄂᆞᆫ 모롬즉이 귀ᄒᆞᆯ 거시니 업슬ᄉᆡ 그 법을 짐즛 세우지 아니ᄒᆞ노라 【믈읫 물이 다과 업시 다ᄒᆞᆫ ᄉᆞᄅᆞᆷ인 고로 법을 세우지 아니ᄒᆞ다】
二歸
二一添作五 逢二進一十 逢四進二十 逢六
進三十 逢八進四十
|
{
"page": 8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假如二人分銀一錢各得五分故曰二一添作五
二人分銀二錢各得一錢故曰逢二進一十如二
人分銀三錢則先除逢二進一十餘一則曰二一
添作五其餘倣此
이일쳠작오 봉이진일십 봉ᄉᆞ진이십 봉뉵진삼십 봉팔진ᄉᆞ십 ○ 이 일에 쳠ᄒᆞ야 오ᄅᆞᆯ 짓고 【이ᄂᆞᆫ 난호ᄂᆞᆫ ᄉᆞᄅᆞᆷ이오 일은 난호ᄂᆞᆫ 물이니 ᄒᆞ나ᄅᆞᆯ 둘에 만드러 난호랴 ᄒᆞ면 난홀 길이 업ᄂᆞᆫ 고로 ᄒᆞ나ᄅᆞᆯ 열을 만드러 둘에 난호면 ᄒᆞᆫ ᄉᆞᄅᆞᆷ의게 다ᄉᆞᆺ식이 되니 가령 일분이면 십리를 만드러 둘에 난호ᄆᆡ 오리식 되고 일젼이면 십분를 만드러 둘에 난호면 오분식
|
{
"page": 8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이 되ᄂᆞ니 그 나마도 다 이ᄀᆞᆺ다】 이ᄅᆞᆯ 만나면 일십에 나아가고 【두 ᄉᆞᄅᆞᆷ이 둘을 난호면 각 ᄒᆞᆫ낫식이니 이젼이면 일젼식이 되고 이분이면 일분식이 되야 다 셩슈로 난호ᄂᆞᆫ 고로 봉이진일십이라 ᄒᆞ다】 ᄉᆞᄅᆞᆯ 만나면 이십에 나아가고 륙을 만나면 삼십에 나아가고 팔을 만나면 ᄉᆞ십에 나아가다
가령 두 ᄉᆞᄅᆞᆷ이 은 일젼을 난호면 각 오분을 엇ᄂᆞᆫ 고로 이일쳠작오라 ᄒᆞ고 두 ᄉᆞᄅᆞᆷ이 은 이젼을 난호면 각 일젼을 엇ᄂᆞᆫ 고로 봉이진일십이라 ᄒᆞ고 만일 두 ᄉᆞᄅᆞᆷ이 은 삼젼을 난호면
|
{
"page": 8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몬져 봉이진일십을 졔ᄒᆞ고 ᄒᆞ나히 남은즉 이일쳠작오라 ᄒᆞ니 그 나마도 이갓다
三歸
삼귀
三一三十一 三二三十二 逢三進一十 逢六
進二十 逢九進三十
如三人分銀一錢各該三分三厘三毫先以九分
分之各得三分其餘一分撞凑在後數摠算故
四三一三十一
|
{
"page": 8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삼일삼십일 삼이삼십이 봉삼진일십 봉륙진이십 봉구진삼십 ○ 삼일이면 삼십십일이오 삼이면 삼십이오 삼을 맛나면 일십에 나아가고 륙을 맛나면 이십에 나아가고 구를 맛나면 삼십에 나아가다
만일 세 ᄉᆞᄅᆞᆷ이 은 일젼을 난호면 각 삼분 삼리 삼호ᄅᆞᆯ 엇ᄂᆞ니 몬져 구분으로 난화 각 삼분을 엇고 그 일분을 후혬 안에 너어 모도 혜ᄂᆞᆫ 고로 삼일삼십일이라 ᄒᆞ다 【셋식 난호다가
|
{
"page": 8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분이 남단 말이라】
四歸
ᄉᆞ귀
四一二十二 四二添作五 四三七十二 逢四
進一十 逢八進二十
如四人分銀一錢各得二分五厘先以八分分而
各收二分其餘二分歸不了者又搭在後數摠算
故曰四一二十二如四人分銀三錢各該七分五
厘先以二錢八分分之各得七分其餘二分則添
|
{
"page": 8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作五是也若後位有子則溱基數見子呼添是也
ᄉᆞ일이십이 ᄉᆞ이쳠작오 ᄉᆞ삼칠십이 봉ᄉᆞ진일십 봉팔진이십 ○ ᄉᆞ일에 이십이오 ᄉᆞ이에 쳠ᄒᆞ야 오ᄅᆞᆯ 짓고 ᄉᆞ삼에 칠십이오 ᄉᆞᄅᆞᆯ 맛나면 일십에 진ᄒᆞ고 팔을 맛나면 이십에 진ᄒᆞ다
만일 네 ᄉᆞᄅᆞᆷ이 은 일젼을 난호면 각 이젼 오리ᄅᆞᆯ 엇ᄂᆞ니 몬져 팔분으로 ᄡᅥ 난화 각 이분을 엇고 그 나마 난호믈 맛지 못ᄒᆞᆫ 이분을 ᄯᅩ 후
|
{
"page": 8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혬에 너어 모도 혜ᄂᆞᆫ 고로 ᄉᆞ일이십이라 ᄒᆞ다 【둘식 난호다가 이 분이 남단 말이라】 만일 네 ᄉᆞᄅᆞᆷ이 은 삼젼을 난호면 각 칠분 오리니 몬져 이젼 팔분으로 ᄡᅥ 난아 각 칠분을 엇고 그 나마 이분은 쳠ᄒᆞ야 오를 만드ᄂᆞᆫ 고로 ᄉᆞ이쳠작오라 ᄒᆞ니 만일 후위에 다른 혬 낫치 잇거든 그 혬을 모도아 불너 더ᄒᆞᄂᆞ니라 【ᄉᆞ삼칠십이ᄂᆞᆫ 가령 네 ᄉᆞᄅᆞᆷ이 은 삼젼을 난호면 ᄉᆞ칠이십팔이오 이분이 남ᄂᆞᆫ 고로 ᄉᆞ삼칠십이라 ᄒᆞ다】
五歸
|
{
"page": 8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오귀
五一倍作二 五二倍作四 五三倍作六 五四
倍作八 逢五進一十
就身加一倍如五人分銀一錢各得二分故曰五
一培作二
오일ᄇᆡ작이 오이ᄇᆡ작ᄉᆞ 오삼ᄇᆡ작륙 오ᄉᆞᄇᆡ작팔 봉오진일십 ○ 오일에 ᄇᆡᄒᆞ야 이ᄅᆞᆯ 짓고 오ᄉᆞ에 ᄇᆡᄒᆞ야 팔을 짓고 오ᄅᆞᆯ 맛나면 일십에 나아가다
|
{
"page": 9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신에 나아가 【신은 즉 원ᄉᆔ니 오일이면 오 인이 영이오 일이 실ᄉᆔ라】 일 ᄇᆡᄅᆞᆯ 더ᄒᆞᄂᆞ니 가령 오 인이 은 일젼을 난호면 각 이분을 엇ᄂᆞ니 그런 고로 오일ᄇᆡ작이라 ᄒᆞ다
六歸
륙귀
六一下加四 六二三十二 六三添作五 六四
六十四 六五八十二 逢六進一十
如六人分銀一錢先以六分〻之各得一分更餘
四分則加于後位湊算故曰六一下加四六人分
|
{
"page": 9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銀二錢則三六爲十八各得三分餘數爲二分故
本位作三十下位加二以待湊算故曰六二三十
二其餘倣此
륙일하가ᄉᆞ 륙이삼십이 륙삼쳠작오 륙ᄉᆞ륙십ᄉᆞ 륙오팔십이 봉륙진일십 ○ 륙일에 하에 ᄉᆞᄅᆞᆯ 더ᄒᆞ고 륙이에 삼십이오 륙삼에 쳠ᄒᆞ야 오ᄅᆞᆯ 짓고 륙ᄉᆞ에 륙십ᄉᆞ오 륙오에 팔십이오 륙을 맛나면 일십에 나아가다
만일 여ᄉᆞᆺ ᄉᆞᄅᆞᆷ이 은 일젼을 난호면 몬져 륙
|
{
"page": 9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분으로 ᄡᅥ 난아 각 일분을 엇고 다시 ᄉᆞ분이 남은즉 후위에 더ᄒᆞ야 혬을 모도ᄂᆞᆫ 고로 륙일하가ᄉᆞ라 ᄒᆞ고 여ᄉᆞᆺ ᄉᆞᄅᆞᆷ이 은 이젼을 난호면 삼륙이 십팔이 된지라 각 삼분을 엇고 여ᄉᆔ 이분이 되ᄂᆞᆫ 고로 본위에 삼십을 짓고 【혬이 열이 ᄎᆞᆫ 후에 성ᄉᆔ 되야 상위에 올나가ᄂᆞᆫ 고로 십이라 ᄒᆞ다】 하위에 이ᄅᆞᆯ 더ᄒᆞ야 ᄡᅥ 혬이 모도이믈 기다리ᄂᆞᆫ 고로 륙이삼십이라 ᄒᆞ니 그 나마도 다 이ᄀᆞᆺ다
七歸
|
{
"page": 9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칠귀
七一下加三 七二下加六 七三四十二 七四
五十五 七五七十一 七六八十四 逢七進一
十
칠일하가삼 칠이하가륙 칠삼ᄉᆞ십이 칠ᄉᆞ오십오 칠오칠십일 칠륙팔십ᄉᆞ 봉칠진일십 ○ 칠일에 아ᄅᆡ 삼을 가ᄒᆞ고 칠이에 아ᄅᆡ 륙을 가ᄒᆞ고 칠삼에 ᄉᆞ십이오 칠ᄉᆞ에 오십오이오 칠오에 칠십이오 칠륙에 팔십
|
{
"page": 9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ᄉᆞ오 칠을 맛나면 일십에 진ᄒᆞ다
八歸
팔귀
八一下加二 八二下加四 八三下加六 八四
添作五 八五六十二 二 八六七十四 八七八十
六 逢八進一十
팔일하가이 팔이하가ᄉᆞ 팔삼하가륙 팔ᄉᆞ쳠작오 팔오륙십이 팔륙칠십ᄉᆞ 팔칠팔십륙 봉팔진일십 ○ 팔일에 아ᄅᆡ 이
|
{
"page": 9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ᄅᆞᆯ 가ᄒᆞ고 팔이에 아ᄅᆡ ᄉᆞᄅᆞᆯ 가ᄒᆞ고 팔삼에 아ᄅᆡ 륙을 ᄒᆞ고 팔ᄉᆞ에 쳠ᄒᆞ야 오ᄅᆞᆯ 짓고 팔오에 륙십이오 팔륙에 칠십ᄉᆞ오 팔칠에 팔십륙이오 팔을 맛나면 일십에 진ᄒᆞ다
九歸
구귀
九一下加一 九二下加二 九三下加三 九四
下加四 九五下加五 九六下加六 九七下加
七 九八下加八 逢九進一十
|
{
"page": 9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구일하가일 구이하가이 구삼하가삼 구ᄉᆞ하가ᄉᆞ 구오하가오 구륙하가륙 구칠하가칠 구팔하가팔 봉구진일십 ○ 구일에 아ᄅᆡ 일을 더ᄒᆞ고 구이에 아ᄅᆡ 이ᄅᆞᆯ 더ᄒᆞ고 구삼에 아ᄅᆡ 삼을 더ᄒᆞ고 구오에 아ᄅᆡ 오ᄅᆞᆯ 더ᄒᆞ고 구륙에 아ᄅᆡ 륙을 더ᄒᆞ고 구칠에 아ᄅᆡ 칠을 더ᄒᆞ고 구팔에 아ᄅᆡ 팔을 더ᄒᆞ고 구ᄅᆞᆯ 맛나면 일십에 진ᄒᆞ다
|
{
"page": 9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九因歌訣
구인가결
一因
일인
一一如一 【如一個一只是一個故云一一如一】
일〻여일 【가령 ᄒᆞᆫ낫 ᄒᆞᆫ나이면 다만 ᄒᆞᆫ낫친 고로 일오ᄃᆡ 일〻여일이라 ᄒᆞ니 여일은 ᄒᆞᆫ나 갓틈이니 즉 ᄒᆞᆫ나이라】
二因
이인
|
{
"page": 9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二如二 二二如四
일이여이 이이여ᄉᆞ
三因
삼인
一三如三 二三如六 三三如九
일삼여삼 이삼여륙 삼〻여구
四因
ᄉᆞ인
一四如四 二四如八 三四一十二 四四一十
|
{
"page": 9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六
일ᄉᆞ여ᄉᆞ 이ᄉᆞ여팔 삼ᄉᆞ일십이 ᄉᆞ〻일십륙
五因
오인
一五如五 二五一十 三五一十五 四五二十
五五二十五
일오여오 이오일십 삼오일십오 ᄉᆞ오이십 오〻이십오
|
{
"page": 10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六因
륙인
一六如六 二六一十二 三六一十八 四六二
十四 五六共三十 六六三十六
일륙여륙 이륙일십이 삼륙일십팔 ᄉᆞ륙이십ᄉᆞ 오륙공삼십 륙〻삼십륙
七因
칠인
一七如七 二七一十四 三七二十一 四七二
|
{
"page": 10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八 五七三十五 六七四十二 七七四十九
일칠여칠 이칠일십ᄉᆞ 삼칠이십일 ᄉᆞ칠이십팔 오칠삼십오 륙칠ᄉᆞ십이 칠〻ᄉᆞ십구
八因
팔인
一八如八 二八一十六 三八二十四 四八三
十二 五八共四十 六八四十八 七八五十六
八八六十四
|
{
"page": 10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팔여팔 이팔일십륙 삼팔이십ᄉᆞ ᄉᆞ팔삼십이 오팔공ᄉᆞ십 륙팔ᄉᆞ십팔 칠팔오십륙 팔〻륙십ᄉᆞ
九因
구인
一九如九 二九一十八 三九二十七 四九三
十六 五九四十五 六九五十四 七九六十三
八九七十二 九九八十一 【乘除加減俱同此數】
일구여구 이구일십팔 삼구이십칠 ᄉᆞ구
|
{
"page": 10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삼십륙 오구ᄉᆞ십오 륙구오십ᄉᆞ 칠구륙십삼 팔구칠십이 구〻팔십일 【승졔에 가감ᄒᆞᄆᆡ 다 이 슈와 갓다】
|
{
"page": 10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混歸法歌訣
혼귀법가결
混歸法者與歸除同前人用定身除名爲減
法惟恐人心不明遇行數多者往往差錯故
立此
혼귀법은 귀졔로 더부려 갓트니 젼 ᄉᆞᄅᆞᆷ이 뎡신졔명【신은 원슈오 명은 느러간 슈니 신을 뎡ᄒᆞ고 명을 졔ᄒᆞ단 말이라】으로 ᄡᅥ 감법을 삼으니 오직 인심이 ᄇᆞᆰ지 못ᄒᆞ야 ᄒᆡᆼᄉᆔ 만흐물 맛나면 왕〻히
|
{
"page": 10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그릇칠가 져허ᄒᆞᆫ 고로 이 법을 셰우다
逢一進一十 逢二進二十 逢三進三十 逢四
進四十 逢五進五十 逢六進六十 逢七進七
十 逢八進八十 逢九進九十 見一無除作九
一 無除起一仍還一
見一無除作九一無除起一仍還一此二句與歸
除上云有歸若是無除數起一還將原數施理同
也此法起一還一起二還二起三還三餘倣此
봉일진일십 봉이진이십 봉삼진삼집 봉
|
{
"page": 10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ᄉᆞ진ᄉᆞ십 봉오진오십 봉륙진륙십 봉칠진칠십 봉팔진팔십 봉구진구십 견일무졔쟉구일 【일을 보ᄆᆡ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구일을 만드ᄂᆞ니 본위에 구를 만들고 하위에 일을 더 노아 졔ᄒᆞᄂᆞᆫ 법이라 일에 다시 우ᄉᆔ 업ᄂᆞᆫ 고로 일을 열에 풀어 노은 후에 졔ᄒᆞᄂᆞ니 우ᄉᆔ 젹고 아ᄅᆡ 만흐면 ᄒᆞᆫ 위를 틀고 ᄡᅳᄂᆞᆫ 법이니 아ᄅᆡ와 우에 ᄒᆞᆫ낫치 다 셰워 노이면 우와 아ᄅᆡ 다 ᄒᆞᆫ낫치어ᄂᆞᆯ 아ᄅᆡ 낫츨 틀어 뉘어 노으면 웃 낫치 즉 열이 되ᄂᆞ니라】 무졔긔일잉환일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일을 일희어 인ᄒᆞ야 일을 나리우ᄂᆞ니 가령 하층에 팔이오 샹층에 일이라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샹층에 일을 열에 풀에 샹층 위에 구를 노코 샹층 하위에 일을 놋ᄂᆞ니 오히려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구를 련ᄒᆞ야 일로 풀어 하위에 나리워 다ᄉᆞᆺ에 차ᄆᆡ 오팔ᄉᆞ십으로 졔ᄒᆞᄂᆞ니 이어든
|
{
"page": 10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견이무졔작구이ᄒᆞ고 삼이어든 견삼무졔작구삼이니 아ᄅᆡ 다 이갓다】
견일무졔작구일과 무졔긔일잉환일 이 두 글구ᄂᆞᆫ 귀졔법에 귀ᄒᆞᆯ ᄉᆔ 이시나 졔ᄒᆞᆯ ᄉᆔ 업거든 일을 일희여 【샹층에 혬을 하위로 나리우믈 일으히다 ᄒᆞ다】 원슈로 가져 ᄡᅳ단 말과 갓트니 이 법이 일을 긔ᄒᆞ야 일에 환ᄒᆞ고 이를 긔ᄒᆞ야 이에 환ᄒᆞ고 삼을 긔ᄒᆞ야 삼에 환ᄒᆞᄂᆞ니 이 나마도 다 이갓다
|
{
"page": 10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乘法歌訣
승법가결
乘法者卽是因法但獨有行乘者名曰因法
遇行數多者名曰乘法也
승법이 즉 인법이다 다만 홀로 잇ᄂᆞᆫ 줄에 승ᄒᆞ면 【쥴이 ᄒᆞᆫ 쥴이오 여러 줄이 아니라】 인법이라 ᄒᆞ고 ᄒᆡᆼᄉᆔ 안흐를 맛나면 승법이라 ᄒᆞ다
下乘之法此爲眞位數先將第二因三四五來乘遍
了先將本位破其身
|
{
"page": 11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乘法不將後位幾行但從第二位上挨身乘起是
也【位數先將第二因】却將後面或三或五不拘看幾位俱
要位上乘過一遍完【三四五來乘遍了】後却將頭一位破
其本身破此一位又乘次位但位位倶要照□乘
過如此便是乘法【却將本位破其身】
하승지법ᄎᆞ위진ᄒᆞ니 위슈션쟝졔이인이라 삼ᄉᆞ오ᄅᆡ승변료애 각쟝본위파기신이라 ○ 승을 두ᄂᆞᆫ 법이 〻 참이 되니 위슈를 몬져 졔이 위로부터 인ᄒᆞ도다 삼ᄉᆞ오로 오ᄆᆡ 승ᄒᆞᆷ을 두루 ᄒᆞ고 문득 본위
|
{
"page": 11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를 가져 그 신을 ᄭᅵ치도다 【본위ᄂᆞᆫ 슈위오 신은 원ᄉᆔ라】
승ᄒᆞᄂᆞᆫ 법이 후위에 몃 줄을 가지〻 아니ᄒᆞ고 다만 졔이 위로 좃ᄎᆞ 신【원ᄉᆔ라】을 밀위여 승ᄒᆞ야 이러나고 【위슈션쟝졔이인이라】 문득 후면에 혹 삼이나 혹 오이나 구ᄋᆡᄒᆞ지 아니ᄒᆞ고 몃 위인고 보아 위마다 〻 승ᄒᆞ야 ᄒᆞᆫ 번을 맛고 【삼ᄉᆞ오ᄅᆡ승변료라】 후에 문득 머리 ᄒᆞᆫ 위를 가져 그 본신을 ᄭᆡ치ᄂᆞ니 이 ᄒᆞᆫ 위를 ᄭᆡ치거든 ᄯᅩ 버금 위로 승호ᄃᆡ 다만 위마다 이 모양으로 승ᄒᆞ야 가ᄂᆞ니 이갓트면 문득 이
|
{
"page": 11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승법이라 【각쟝본위좌기신이라 ○ 졔이 위로부터 승ᄒᆞ야 졔일 위에 원슈를 ᄭᆡ쳐 뎡ᄒᆞ야 가ᄂᆞ니 졔이 위를 맛거든 졔삼 위를 승ᄒᆞ고 졔삼 위를 맛거든 졔ᄉᆞ 위를 승ᄒᆞᄂᆞ니 아ᄅᆡ 다 이갓다】
|
{
"page": 11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歸除歌法
귀졔가법
惟有歸除法更奇將身歸了次除之有歸若是無除
數起一還將元數施若遇本歸歸不得撞歸之法切
莫遲有人識得中間意算法雖深可盡知
將身歸了次除之先將本身【原數也】用歸法其餘不
拘幾行只是除 有歸若是無除數起一還將元
數施元者首也如首位有歸而後位無子可除則
於前位起一還元若二歸則起一還二三歸則起
|
{
"page": 11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還三四歸則起一還四五歸則起一還五其餘
倣此 還元 務要只還歸數不可還除數還後要
照數除之 若遇本歸歸不得撞歸之法切莫遲
若用二歸則用見二無除作九二四歸則用見四
無除作九四其餘皆傲此其法只依歸數爲主其
還要依數除之若遇無除則又起一還將原數施
若還原數已後仍要照數除之則有子可除其理
最明譬如銀二兩零二十二人分之用二歸二除
前位若呼逢二進一十後位該呼一二除二若後
|
{
"page": 11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位無二可除則曰見二無除作九二撞歸後呼二
九除一十八却方■有子可除也
유유귀졔법ᄀᆡᆼ긔ᄒᆞ니 장신귀료ᄎᆞ졔지라 유귀약시무졔슈면 긔일환쟝원슈시라 약우본귀귀불득인ᄃᆡ 당귀지법절막지라 유인식득즁간의면 산법슈심가진지라 ○ 오직 귀졔 이서 법이 ᄃᆞ시 긔이ᄒᆞ니 신을 가져 귀ᄒᆞ고 ᄎᆞ례로 졔ᄒᆞ도다 귀ᄒᆞᆯ 거슨 이시나 졔ᄒᆞᆯ ᄉᆔ 업거든 일을 이릐여 원슈로 가져 베프도다 만일 본귀【이귀면 이이 본귀오 삼귀면 삼이 본귀라】ᄅᆞᆯ
|
{
"page": 11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맛나ᄆᆡ 귀ᄒᆞᆯ 길이 업거든 당귀ᄒᆞᄂᆞᆫ 법을 더듸게 말라 【당귀ᄂᆞᆫ ᄭᆡ쳐 귀ᄒᆞᄂᆞᆫ 법이니 견일무졔작구일과 무졔긔일잉황일이 다 당귀법이니 일을 ᄭᆡ쳐 십으로 푸러 쓰ᄂᆞᆫ 법이라】 ᄉᆞᄅᆞᆷ이 이서 듕간 ᄯᅳᆺ을 아라 어드면 산법이 비록 깁흐나 가히 다 알리라
쟝신귀료ᄎᆞ졔지ᄂᆞᆫ 몬져 본신【원ᄉᆔ라】을 가져 귀법을 ᄡᅳ고 그 나마ᄂᆞᆫ 몃 줄을 불구ᄒᆞ고 다만 이졔ᄒᆞ다 유귀약시무졔슈 긔일환쟝원슈시ᄂᆞᆫ 원은 읏듬이니 만일 읏듬 위에 귀ᄒᆞᆯ 거시 잇고 후에 낫【혬 낫치라】치 졔ᄒᆞᆯ 거시 업거든 젼위에
|
{
"page": 11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을 긔ᄒᆞ야 【우흐로 아레 나려가믈 긔라 ᄒᆞ다】 원에 도라오고 【젼위에 일을 나리워 원슈ᄅᆞᆯ 만드단 말이라】 만일 이귀면 이을 귀ᄒᆞ야 이에 도라오고 삼귀면 일을 긔ᄒᆞ야 삼에 도라오고 ᄉᆞ귀면 일을 긔ᄒᆞ야 ᄉᆞ에 도라오고 오귀면 일을 긔ᄒᆞ야 오에 도라오ᄂᆞ니 【이귀면 이 분 일로 귀ᄒᆞᄂᆞᆫ 고로 긔일환원ᄒᆞᄆᆡ 샹위에 일을 가져 하위에ᄂᆞᆫ 이로 노코 삼귀면 삼분 일로 귀ᄒᆞᄂᆞᆫ 고로 샹위에 일을 가져 하위에 삼으로 노타】 그 나마도 다 이갓트나 다만 환원ᄒᆞᄆᆡ 귀ᄒᆞᄂᆞᆫ 슈만 환ᄒᆞ고 졔ᄒᆞᄂᆞᆫ 슈ᄂᆞᆫ 환ᄒᆞ지 못ᄒᆞ며 환ᄒᆞᆫ 후에 죠슈ᄒᆞ야 졔ᄒᆞᄂᆞ니
|
{
"page": 11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라 약우본귀귀불득 당귀지법결막지ᄂᆞᆫ 만일 이귀면 견일무졔쟉구이ᄅᆞᆯ ᄡᅳ고 ᄉᆞ귀면 견ᄉᆞ무졔쟉구ᄉᆞᄅᆞᆯ ᄡᅳᄂᆞ니 그 나마도 다 이ᄀᆞᆺ튼지라 그 법이 다만 귀ᄒᆞᄂᆞᆫ 슈로 위쥬ᄒᆞ야 그 환ᄒᆞᄆᆡ 의슈ᄒᆞ야 졔ᄒᆞ고 만일 졔ᄒᆞᆯ 거시 업거든 ᄯᅩ 일을 긔ᄒᆞ야 원슈로 가져 베프ᄂᆞ니 만일 원슈ᄅᆞᆯ 환ᄒᆞᆫ 후에ᄂᆞᆫ 죠슈ᄒᆞ야 졔ᄒᆞᆫ즉 낫【혬 낫치라】치 이서 가히 졔ᄒᆞ야 그리 십히 ᄇᆞᆰ으니 비컨ᄃᆡ 은 이량 령을 이십이 인이 난호면 이 귀로ᄡᅥ 이로
|
{
"page": 11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졔ᄒᆞᄂᆞ니 젼위에 만일 봉이진일십을 불으면 후위에 맛당이 일이ᄅᆞᆯ 불러 이ᄅᆞᆯ 졔ᄒᆞ리니 만일 후위에 이ᄅᆞᆯ 졔ᄒᆞᆯ 거시 업슨즉 ᄀᆞᆯ온 견이무졔작구이라 ᄒᆞ야 ᄭᆡ쳐 귀ᄒᆞᆫ 후에 이구ᄅᆞᆯ 불러 일십팔을 졔ᄒᆞ면 문득 ᄇᆡ아흐로 낫치 제ᄒᆞᆯ 거시 잇ᄂᆞ니라
二歸 二人分用二歸
이귀 두 ᄉᆞᄅᆞᆷ이 난호ᄆᆡ 이귀ᄅᆞᆯ ᄡᅳ다
九 二一添作五
|
{
"page": 12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逢八進四十
八 逢八進四十
七 二一添作五
逢六進三十
六 逢六進三十
五 二一添作五
逢四進二十
四 逢四進二十
三 二一忝作五
|
{
"page": 12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逢二進一十
二 逢二進一十
一 二一添作五
假如銀一百二十三兩四錢五分六厘七毫八絲九
忽○每人該銀六十一兩七錢二分八厘三毫九絲
四忽五微【首一位二一添作五二位逢二進一十三位逢二進一十二一添作五依此算去】
구 이일쳠작오 【일이 둘이면 본위에 더 노아 오ᄅᆞᆯ 만드다】
봉팔진ᄉᆞ십 【팔을 맛나면 ᄉᆞ십을 만들어 샹위로 보ᄂᆡ다】
팔 봉팔진ᄉᆞ십
|
{
"page": 12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칠 이일쳠작오
봉륙진삼십
륙 봉륙진삼십
오 이일쳠작오
봉ᄉᆞ진이십
ᄉᆞ 봉ᄉᆞ진이십
삼 이일쳠작오
봉이진일십
이 봉이진일십
|
{
"page": 12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 이일쳠작오
가령 은이 일ᄇᆡᆨ이십삼량 ᄉᆞ젼 오분 륙리 칠호 팔ᄉᆞ 구홀을 두ᄉᆞᄅᆞᆷ이 난흐면 ᄆᆡ 인에 륙십일량 칠젼 이분 팔리 삼호 구ᄉᆞ ᄉᆞ홀 오미라 【처음 일ᄇᆡᆨ 위에 이일쳠작오ᄒᆞ고 둘ᄌᆡ 이십 위에 봉이진일십ᄒᆞ고 셋ᄌᆡ 삼 량에 봉이진일십ᄒᆞ고 이일쳠작오ᄒᆞ야 이ᄃᆡ로 ᄎᆞᄎᆞ 두어가다】
二因還原
이인환원
五 二五一十 【本位去四存一】
|
{
"page": 12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四 二四如八 【下位加八本位俱去】
九 二九一十八 【下位加八本位去八存一】
三 二三如六 【下位加六本位俱去】
八 二八一十六 【下位加六本位去七存一】
二 二四如八 【下位加四本位俱去】
七 二七一十四 【下位加四本位去六存一】
一 二一如二 【下位加二本位俱去】
六 二六一十二 【下位加二本位去五存一】
銀一百二十三兩四錢五分六厘七亳八絲九
|
{
"page": 12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忽二人分之該銀六十一兩七錢二分八厘三
亳九絲四忽五微以二因還原首位是六十以
二六十二下位加二本位去五存一依此算去
卽合原數
오 이오일십 【본위에 ᄉᆞᄅᆞᆯ 업시코 일을 두다】
ᄉᆞ 이ᄉᆞ여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구 이구일십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팔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삼 이삼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팔 이팔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칠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
{
"page": 12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이 이ᄉᆞ여팔 【하위에 ᄉᆞ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칠 이칠일십ᄉᆞ 【하위에 ᄉᆞ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륙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일 이일여이 【하위에 이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륙 이륙일십이 【하위에 이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오ᄅᆞᆯ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은 일ᄇᆡᆨ이십삼량 ᄉᆞ젼 오분 륙리 칠호 팔ᄉᆞ 구홀을 두 ᄉᆞᄅᆞᆷ이 난호면 은이 륙십일량 칠젼 이분 팔리 삼호 구ᄉᆞ ᄉᆞ홀 오미니 이 인으로ᄡᅥ 환원ᄒᆞᄆᆡ 슈위 륙십이라 이륙십이로 ᄡᅥ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ᄒᆞ
|
{
"page": 12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고 일을 두ᄂᆞ니 이귀로 두면 즉 원슈에 합ᄒᆞᄂᆞ니라
三歸
삼귀
九 逢九進三十
八 逢九進三十 【三下五除二】
七 三一三十一
逢六進二十
六 逢六進二十
|
{
"page": 12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五 逢六進二十
四 三一三十一
逢三進一十
三 逢三進一十
二 逢三進一十
一 三一三十一
三人分銀數同前○每人分得銀四十一兩一錢
五分二厘二毫六絲三忽
구 봉구진삼십
|
{
"page": 12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팔 봉구진삼십 【삼하오졔일】
칠 삼일삼십일
봉륙진이십
륙 봉륙진이십
오 봉륙진이십
ᄉᆞ 삼일삼십일
봉삼진일십
삼 봉삼진일십
이 봉삼진일십
|
{
"page": 13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 삼일삼십일
삼인이 은을 난호ᄆᆡ 슈ᄂᆞᆫ 젼과 갓다 ○ ᄆᆡ 인에 은이 ᄉᆞ십일량 일젼 오분 이리 이호 륙ᄉᆞ 삼홀이라
三因還原
삼인환원
空 【九下空】
三 三三如九 【下位加九本位俱去】
六 三六一十八 【下位加八本位去五存一】
|
{
"page": 13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二 二三如六 【下位加六本位俱去】
二 二三如六 【下位加六本位俱去】
五 三五一十五 【下位加五本位去四存一】
一 一三如三 【下位加三本位俱去】
一 一三如三 【下位加三本位俱去】
四 三四一十二 【下位加二本位去三存一】
공 【아홉 아ᄅᆡ 븨단 말이라】
삼 삼〻여구 【하위에 구를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륙 삼륙일십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
{
"page": 13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이 이삼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이 이삼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오 삼오일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일 일삼여삼 【하위에 삼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일 일삼여삼 【하위에 삼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ᄉᆞ 삼ᄉᆞ일십이 【하위에 둘을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四歸
사귀
九 逢八進二十 【下位有四一二十二四二添作五】
|
{
"page": 13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八 四二添作五
逢八進二十
七 四三七十二
逢四進一十
六 逢八進二十
五 四一二十二
逢四進一十
四 四二添作五
逢四進一十
|
{
"page": 13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三 四三七十二 【二下五除三】
二 逢四進一十
一 四一二十二
假如銀一百二十三兩四錢五分六厘七亳八絲
九忽○每人該銀三十兩零八錢六分四厘一毫
九絲七忽二微五塵
구 봉팔진이십 【하위에 ᄉᆞ일이십이와 또 ᄉᆞ이쳠작의 잇다】
팔 ᄉᆞ이쳠쟉오
봉팔진이십
|
{
"page": 13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칠 ᄉᆞ삼칠십이
봉ᄉᆞ진일십
륙 봉팔진이십
오 ᄉᆞ일이십이
봉ᄉᆞ진일십
ᄉᆞ ᄉᆞ이쳠쟉오
봉ᄉᆞ진일십
삼 ᄉᆞ삼칠십이 【이하오졔삼】
이 봉ᄉᆞ진일십
|
{
"page": 13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 ᄉᆞ일이십이
가령 은 일ᄇᆡᆨ이십삼량 ᄉᆞ젼 오분 륙리 칠호 팔ᄉᆞ 구홀이면 ○ ᄆᆡ 인에 은 이삼십량 령팔젼 륙분 ᄉᆞ리 일호 구ᄉᆞ 칠홀 이미 오진이라
四因還原
ᄉᆞ인환원
二 二四如八 【下位有四五二十八退二進一十】
七 四七二十八 【下位加八本位去五存二】
九 四九三十六 【下位加六本位去六存三】
|
{
"page": 13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 一四如四 【下位加四本位俱去】
四 四四一十六 【下位加六本位去三存一】
六 四六二十四 【下位加四本位去四存二】
八 四八三十二 【下位加二本位去五存三】
空 【二位下空】
三 三四一十二 【下位加二本位去二存一】
이 이ᄉᆞ여팔 【하위에 ᄉᆞ오이십에 팔에 이를 퇴ᄒᆞ고 일십에 진ᄒᆞ다】
칠 ᄉᆞ칠이십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이를 두다】
구 ᄉᆞ구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륙을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
{
"page": 13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 일ᄉᆞ여ᄉᆞ 【하위에 ᄉᆞ를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ᄉᆞ ᄉᆞ〻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륙 ᄉᆞ륙이십ᄉᆞ 【하위에 ᄉᆞ를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업시 ᄒᆞ고 이를 두다】
팔 ᄉᆞ팔삼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공 【이 위 아ᄅᆡ 븨다】
삼 삼ᄉᆞ일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五歸
오귀
九 五四倍作八
|
{
"page": 13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逢五進一十
八 五三倍作六
逢五進一十
七 五二倍作四
逢五進一十
六 五一倍作二
逢五進一十
五 逢五進一十
四 五四倍作八
|
{
"page": 14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三 五三倍作六
二 五二倍作四
一 五一倍作二
五人分銀數同前○每人該銀二十四兩六錢九
分一厘三毫五絲七忽八微
구 오ᄉᆞᄇᆡ쟉팔
봉오진일십
팔 오삼ᄇᆡᆨ쟉륙
봉오진일십
|
{
"page": 14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칠 오이ᄇᆡ쟉ᄉᆞ
봉오진일십
륙 오일ᄇᆡ쟉이
봉오진일십
오 봉오진일십
ᄉᆞ 오ᄉᆞᄇᆡ쟉팔
삼 오삼ᄇᆡ쟉륙
이 오이ᄇᆡ쟉ᄉᆞ
일 오일ᄇᆡ쟉이
|
{
"page": 14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오인이 은을 난호ᄆᆡ 슈ᄂᆞᆫ 젼과 갓다 ○ ᄆᆡ 인에 은이 〻십ᄉᆞ량 륙젼 구분 일리 삼호 오ᄉᆞ 칠홀 팔미라
五因還原
오인환원
八 五八得四十 【四上存一去五】
七 五七三十五 【下位加五本位去四存三】
五 五五二十五 【下位加五本位去三存二】
三 三五一十五 【下位加五本位去二存一】
|
{
"page": 14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 一五如五 【下位加五本位俱去】
九 五九四十五 【下位加五本位去五存四】
六 五六得三十 【本位去三存三】
四 五四得二十 【本位去二存二】
二 二五得一十 【本位去一存一】
팔 오팔득ᄉᆞ십 【ᄉᆞ 샹에 일을 두고 오를 업시 ᄒᆞ다】
칠 오칠삼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오 오오이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이를 두다】
삼 삼오일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
{
"page": 14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 일오여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구 오구ᄉᆞ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 ᄒᆞ고 ᄉᆞ를 두다】
륙 오륙득삼십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ᄉᆞ 오ᄉᆞ득이십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이를 두다】
이 이오득일십 【본위에 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六歸
륙귀
九 六三添作五
逢六進一十
|
{
"page": 14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 六一下加四
假如銀一千二百三十四兩五錢六分七厘八毫
九絲○每人該銀二百零五兩七錢六分一厘三
亳一絲五忽
구 륙삼쳠쟉오
봉륙진일십
팔 봉이팔진이십 【ᄉᆞ하오졔일】
칠 륙일하가ᄉᆞ
봉륙진일십
|
{
"page": 14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륙 봉륙진일십
오 륙삼쳠쟉오
봉륙진일십
ᄉᆞ 륙ᄉᆞ륙십ᄉᆞ
삼 륙삼쳠쟉오
이 봉륙진일십 【ᄉᆞ하오졔일】
일 륙일하가ᄉᆞ
가령 은 일쳔이ᄇᆡᆨ삼십ᄉᆞ량 오젼 륙분 칠리 팔호 구ᄉᆞ면 ○ ᄆᆡ 인에 은이 〻ᄇᆡᆨ령오량 칠젼 륙
|
{
"page": 14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분 일리 삼호 일ᄉᆞ 오홀이라
六因還原
륙인환원
五 五六得三十 【本位去二存三】
一 一六如六 【下位加六本位俱去】
三 三六一十八 【下位加八本位去二存一】
一 一六如六 【下位加六本位俱去】
六 六六三十六 【下位加六本位去三存三】
七 六七四十二 【下位加二本位去三存四】
|
{
"page": 14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五 五六類三十 【本位去二存三】
空 【二位下空】
二 二六一十二 【下位加二本位去一存一】
오 오륙삼십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일 일륙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삼 삼륙일십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이을 업시고 일을 두다】
일 일륙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륙 륙륙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칠 륙칠ᄉᆞ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ᄉᆞ를 두다】
|
{
"page": 15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오 오륙류삼십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공 【이 위 아ᄅᆡ 븨다】
이 이륙일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七歸
칠귀
九 逢二七進二十
八 七二下加六
逢七進一十
七 七五七十一
|
{
"page": 151,
"year": null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