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ry
sequencelengths 1
38
| context
stringlengths 46
3.52k
| refs
stringclasses 5
values |
---|---|---|
[
"이치범 환경장관이 전방위 환경외교를 펼친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가 열린곳은 어디야",
"어디에서 지속가능발전 WSSD가 개최돼 이치범 환경장관이 전방위 환경외교를 펼쳤지"
] | 이치범 환경장관, 전방위 환경외교 펼쳐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WSSD)
□ 개요
○ 기간 및 장소 : 2002.8.26~9.4 (정상회의: 9.2~9.4)남아공 요하네스버그
○ 목적
- 1992년 UNCED 이후 지속가능발전 추진성과 평가
- 21세기 지구촌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계획 마련
○ 회의 결과
- 요하네스버그선언과 이행계획(JPoI) 채택
* JPoI : Johannesburg Plan of Implementation
【요하네스버그선언】
○ 자연자원 기반의 보전․관리(환경), 소비·생산패턴 변경(경제), 빈곤퇴치(사회)가 지속가능발전의 필수 요건이며, 목표임을 인식
○ 빈부격차·환경악화 해소, 세계화 대처, 성평등, ODA 목표달성 노력, 관리체제(governance) 개선 등 향후 해결과제들에 대한 실천의지 표명
【이행계획(JPoI】
○ 빈곤퇴치, 소비․생산, 자연자원 보전․관리, 세계화, 건강, 이행수단(무역․재정), 제도적인 체제 강화 등 총 11개 장에 걸쳐 향후 10~20년간 국내외적으로 취하여야 할 조치 제시
- 2005년까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전략 수립·이행 요구 | admin |
[
"제2차 한미 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가 개최되는 곳은 어디지",
"어디에서 제2차 한미 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가 열리지"
] | 제2차 한미 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 10.4일(수) 워싱턴 D.C.에서 개최
□ 산업통상자원부와 美 USTR(무역대표부)는 제2차 한미 FTA 공동 위원회 특별회기를 오는 10.4일(수) 워싱턴 D.C.에서 개최할 예정임
□ 산업통상자원부는 9.21(한국시간 기준) 워싱턴 D.C.에서 제2차 공동 위원회 특별회기 개최를 제안하는 서한을 미측에 발송한 바 있으며,
ㅇ 양국간 실무 협의를 거쳐 개최 일시를 10.4일(수)로 확정한 것임
※ 수석대표 및 의제는 양측 협의中 | admin |
[
"2016년 6월에 현대엘리베이터가 협력업체와 함께 무엇을 설립해 근로 복지재원을 적립했어",
"현대엘리베이터는 협력업체와 함께 2016년 6월에 근로 복지재원을 모으는 무엇을 세웠을까"
] | “한국형 공유자본주의”를 통한 대중소기업 상생 모색
Ⅱ. 대중소기업 상생정책의 성과와 한계
국내 일부 대기업, 자발적으로 상생모델 실험
일부 대기업은 협력업체 근로자를 위한 출연 및 이익공유제 실시
○ 근래에 대기업 성장의 과실이 협력업체뿐만 아니라 관련 종사자들에게 나눠질 수 있는 상생모델의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음
- 2017년 9월 SK 이노베이션은 노사가 임금인상률을 물가에 연동하기로 합의하며, 기본급 1%는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위한 기부금으로 출연 결정
- 2016년 6월에 현대엘리베이터에서는 협력업체와 힘을 모아 근로복지재원을 적립하는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설립하였으며, 해당 기금은 소속 근로자 자녀들의 학비 지원, 근로자 주택구입자금 보조, 재난구호금 등에 지급
○ 민간과 지자체에서 자발적으로 임직원 이익공유제(profit-sharing) 등의 상생모델을 실험하는 사례도 등장
- 2015년 3월, KSS 해운은 매년 임직원에게 지급하던 600% 상여금 중 400%를 기본급으로 하고, 나머지 200%는 임직원 이익공유제 재원으로 전환
- 2016년 이마트는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상생형 점포이자 노브랜드 매장, 카페, 장난감 도서관 등이 입점한 ‘노브랜드 당진 상생스토어’를 개설하여 유통업계의 상생모델로 주목받음 | admin |
[
"어떤 직업이 시민정보대학 1,521명의 학생들 중 435명으로 가장 많았지",
"시민정보대학 1,521명의 수강생들 중 435명으로 가장 많은 직업이 뭐야"
] | 제주시 시민정보대학 지역의 대표 정보화 교육장으로 자리매김!
전년대비 연령대 인원
수강생 1,0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수강생들의 직업을 보면
※ 전체 수강생은 1,521명 중 1,064명 설문조사에 응함, 457명은 설문 미 참여
시민정보대학 수강생들의 직업은 주부가 435명(41%)로 가장 많았으며, 자영업 169명(16%), 직장인 109명(10%), 1차(농·수·축산업)산업 분야 67명(6%), 기타 263명(25%), 무응답 21명(2%) 등으로 나타나 전업주부들이 정보습득을 위한 웹서핑 및 취업을 위한 수단으로 정보화 교육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직장인들 또한 전체 이수자의 10%를 점하고 있었으며, 실무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파워포인트 및 엑셀2007을 활용한 업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화 교육이 직장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시민정보대학 교육과정 이수 현황에 있어서는 첫수강이 422명(40%)을 점하여 정보화 교육을 배우고자 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지난 1년간 시민정보대학 정보화교육 과정을 2~5회 이수하신 분들도 414명(39%)
을 차지했으며, 6~10회가 136명(13%), 10회 이상이 69명(6%)을 점해 교육과정에 대한 호응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현재 수강하고 있는 강좌를 기준으로 시민정보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6개의 교육 강좌를 수개월간 이수하면서 인터넷 및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답했다. | admin |
[
"어떤 평가 내용을 기준으로 2017 대한민국 기술대상 포상이 결정되니",
"2017 산업기술진흥 유공 포상의 기술개발 영역의 평가 기준은 뭐야",
"2017 산업기술진흥 유공을 선정할 때 기술개발 영역에서는 무엇을 척도로 삼아 평가했니",
"2017 대한민국 기술대상 포상의 평가 기준 내용은 뭐야"
] | 2017 산업기술진흥 유공 및 대한민국 기술대상 포상 신청 공고<br>3 평가기준 및 선정절차<br>□ 주요 평가기준 <table><tbody><tr><td>포상부문</td><td colspan='2'>평가 기준 </td></tr><tr><td rowspan='4'>산업기술진흥 유공</td><td>기술개발</td><td>수공기간, 기술의 독창성/난이도, 산업경쟁력 강화 등</td></tr><tr><td>기술진흥</td><td>수공기간, 기술진흥성과, 제도 개선, 정부정책 부합 등</td></tr><tr><td>기술사업화</td><td>수공기간, 기술이전·거래를 통한 기술사업화 및 기술확산 기여도 등</td></tr><tr><td>신기술실용화</td><td>수공기간, 실용화 기술의 독창성/난이도, 수요창출 및 시장개척 기여도 등</td></tr><tr><td>대한민국 기술대상</td><td colspan='2'>- 기술 독창성, 난이도, 확장성, 산업재산권 등<br>- 기술개발 역량(R&D체계), 사업화(기반구축, 사업성 등) 등 </td></tr></tbody></table> | admin |
[
"비즈니스 아이디어 산업 발전 방안으로 무엇이 모델 개발 단계의 BI 코칭 프로그램일까",
"비즈니스 아이디어 산업 발전 대책으로 모델 개발 단계의 BI 코칭 프로그램은 뭐야",
"BI 발견 스킬 훈련을 가상회사 직원이 되어 하는 코칭 프로그램의 단계는 뭘까"
] | '비즈니스 아이디어' 산업 발전 대책 (案)<br>Ⅴ. BI 산업 창출을 위한 세부 실천 방안<br> 전략 1 BI 사업화 전문회사 육성<br> 2. BI 사업화 지원 서비스 제공<br>□ (역량확충) 비즈니스 아이디어의 발굴부터 평가·BM 개발, 사업화에 이르는 체계적인 교육과정(BI 코칭 프로그램)을 마련 <table><tbody><tr><td>단계</td><td>BI 코칭 프로그램</td></tr><tr><td> 발굴 방법</td><td> 개념을 이해하고 가상회사 직원이 되어 BI 발굴 스킬 훈련</td></tr><tr><td> Idea 평가</td><td> 성공 가능성이 높은 Idea 선별력 제고 훈련</td></tr><tr><td> 모델 개발</td><td> 아이디어를 BM 모델로 설계토록 방법론 코칭</td></tr><tr><td> 모델 평가</td><td>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성공가능성 평가력 제고 훈련</td></tr><tr><td> 실행 전략</td><td> BM를 사업화 세부 실행계획 수립토록 코칭</td></tr></tbody></table> | admin |
[
"국립공원의 다목적위치표지판에 QR코드를 장착하는 건 언제부터일까",
"언제부터 국립공원의 다목적위치표지판에 QR코드를 부착하지",
"국립공원의 다목적위치표지판을 활용한 구조요청은 2010년에 몇 건이었니",
"국립공원 내 다목적위치표지판은 현재위치와 무엇을 표기한 안내판이야",
"2010년에 국립공원의 다목적위치표지판을 이용한 구조요청은 몇 건이었어"
] | 국립공원 산행할 때 다목적위치표지판 기억하세요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산불, 불법행위, 조난 등 긴급신고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전국 국립공원에 설치·운영 중인「다목적위치표지판」에 QR코드를 부착하여 다양한 탐방정보까지 함께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 국립공원 내 다목적위치표지판은 현재위치와 신고 연락처를 표기한 안내판으로 탐방로 갈림길 등 주요지점에 약 500m 간격으로 총 2,272개가 설치되어 있다.
○ 공단에 따르면 2010년 한 해에만 다목적위치표지판을 이용한 구조요청이 243건이나 되었고 이를 통해 403명을 구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목적위치표지판을 통한 탐방문의도 3,083건이나 되었다.
□ 2011년부터는 다목적위치표지판에 QR코드를 부착해 스마트폰 이용자라면 탐방코스, 탐방거리, 탐방시간, 주변교통, 편의시설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국립공원관리공단 *** 재난안전부장은 “국립공원을 산행할 때는 탐방로에 다목적표지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것만 알고 있어도 긴급한 상황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며 “QR코드의 도입으로 다양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게 된 만큼 가을 산행길에 다목적 위치표지판을 기억하고 활용한다면 더욱 안전하고 즐거운 산행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은 11월 중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난 신고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 스마트폰 조난신고 서비스는 효과적인 조난객 구조를 위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으로 탐방객이 국립공원 산행 중 통제구역이나 위험지역에 접근했을 때 자동으로 알려주는 한편 조난시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구조 활동이 가능하다. | admin |
[
"서울대학교는 2013년도에 어떤 과제를 진행하니",
"경기대학교는 2014년도에 어떤 과제를 수행할까"
] | 과학기술 적용과 확산으로 녹조로부터 안전한 식수, 적조로부터 안전한 양식장
과학기술기반 적조 대응 현장 시연 및 연구 성과 주요 내용
연구성과 등 소개
② 육상 양식장 배출수 처리 시스템
□ 과제 개요
ㅇ 주관기관 : 경기대학교
ㅇ 기간 / 연구비 : 2013.10월 ~ 2018.7월 / 21.2억원
□ 주요 성과
ㅇ 육상 가두리 양식장 배출수 처리 시스템 개발 및 실증(500t 규모)
- 고효율 질소·인 제거 균주 개발(KGN1, KGP1) 및 이를 이용한 육상 양식장 오염해수 정화 시스템 개발 및 실증
ㅇ 해양수산부 해양 분야 신기술(NET) 인증 획득(2016.9월)
③ 코클로디니움 적조 조기예보 시범사업
□ 과제 개요
ㅇ 주관기관 : 서울대학교
ㅇ 기간 / 연구비 : 2014. ~ 2015. / 10억원
□ 주요 연구결과
ㅇ (적조 발생 원인) 외부 바다에서 유입되는 저층수(고염, 고영양)의 적조 발생(코클로디늄 등 원인)영향 규명
ㅇ (적조 사멸 요인) 강우 후 연안에 영양염류 농도 증가 시 코클로디늄의 경쟁자인 규조류의 번성으로 코클로디늄 사멸 현상 확인 | admin |
[
"어떻게 서비스 표준을 개발하겠다고 산업부는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통해 밝혔어",
"산업부가 발표한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 따르면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 표준을 개발하고자 하지"
] | 산업부,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9~2023)' 발표<br>「플랫폼」,「표준화」,「실증」 위주로 기반구축 방식 전환<br>□(표준화)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전략적 표준화를 위해 10대 표준화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 300종, 국가표준 300종 개발을 추진한다.<br>* 자율차전기차, 에너지(수소), 지능형로봇, 스마트제조, 바이오헬스, 드론, 스마트시티, 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팜<br>ㅇ 또한, 10대 표준화 분야에 대해서 시스템표준, 데이터표준, 서비스표준, 안전·신뢰성표준, 상호운용성표준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한다.<br> <table><tbody><tr><td>구분</td><td>주요 내용</td><td>표준화 추진 사례(분야)</td></tr><tr><td>시스템 표준 </td><td>‣ 개별기술이 복합된 시스템 표준 개발</td><td>‣ 디지털 노인 홈케어 시스템(바이오·헬스)</td></tr><tr><td>데이터 표준 </td><td>‣ 데이터 구축 초기분야는 데이터 포멧을 표준화하고, 상이한 포맷으로 대량 데이터가 구축된 분야는 공통 데이터 표준모델 마련 </td><td>‣ 공유가능한 위치기반 데이터베이스-데이터구조<br>(자율·주행차)</td></tr><tr><td>서비스 표준 </td><td>‣ 반부패 경영, 접근성 등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서비스 산업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개발</td><td>‣ 장애인, 고령자의 가전제품 입력·개폐장치 등 접근성 설계(접근성) </td></tr><tr><td>안전·신뢰성 표준</td><td>‣ AI 기반 드론, 로봇의 상용화가 급진전 됨에 따라 안전성·신뢰성 평가표준 개발</td><td>‣ 수소 충전기기에 대한 안전성 평가(수소에너지)</td></tr><tr><td>상호운용성 표준</td><td>‣ 이종 기기·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개발 및 실증 추진 </td><td>‣ 충전기와 차량 간 통신에서 PLC 적용(전기차)</td></tr></tbody></table> | admin |
[
"언제부터 산업폐수 배출수의 총질소 규제가 확대 시행되었지",
"어느 기관이 반도체 산업폐수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N.P.F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고 공표했지",
"산업폐수 배출수의 총질소 규제가 확대 실시된 게 언제부터야",
"반도체 산업폐수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N.P.F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고 발표한 기관이 어디야"
] | 반도체 산업폐수 정화 신기술 개발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에서는 “반도체 산업폐수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N․P․F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동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 성진엔지니어링(주) *** 박사팀과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이상일 교수팀이 공동으로 개발한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부(장관 이만의)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추진하는 차세대 핵심환경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충청북도 청주시 공단에 위치한 반도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적용하여 장기간 처리 시설 운전을 통해 우수하고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달성하였다.
□ 반도체 산업폐수는 고농도 N․P․F 및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현실적인 질소제거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2003년 1월부터 배출수의 총질소(T-N) 규제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최종 배출수의 총 질소를 60 mg/L(or 30 mg/L) 이하로 관리해야 하는 업체에서는 총 질소 처리설비에 투자 또는 고농도 폐액을 수집 후 위탁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 또한, 2008년에 총질소 규제가 40mg/L, 2012년 20mg/L 등으로 강화된 것을 감안하면 지속적으로 관련규제가 강화될 전망이다.
○ 불소 역시 현재 15mg/L(일부지역 3mg/L) 규제로 인한 환경비용(폐수 및 위탁처리) 증가로 관련 업계의 원가 경쟁력을 크게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 이번에 개발한 고농도 N․P․F(질소․인․불소) 동시제거 시설은 기존 시설에 비해 콤팩트한 구성을 자랑하며, 폐수 처리시간이 짧아 현장 시공성 및 공간 활용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 admin |
[
"전자정부지원사업 결과보고서를 인터넷에 전면 공개한 곳이 어디지",
"어디에서 전자정부지원사업 결과보고서를 인터넷에 전체 공개했어"
] | 전자정부지원사업, 중소기업에 맞춤 정보 제공한다 - 2016 전자정부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인터넷에 전면 공개 -
□ 그 동안 중소 IT기업들은 정보화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관련 자료를 기관들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것이 큰 부담이었다.
○ 앞으로는 행정자치부가 전자정부지원사업 결과보고서를 전면 공개하면서 인터넷으로 사업개요부터 개발내용, 시스템구성, 법·제도 등 관련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올해에는 총 32개 사업, 1,263억 원 규모로 전자정부지원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새로이 지원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업체들의 노력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dmin |
[
"어떤 시범단지가 기계기술과 IT 접목 과제를 주로 수행하고 있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에서 의료기기 특화업종으로 연구인프라 확충을 추진하는 시범단지는 어디야",
"창원 시범단지는 제1회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에서 어떤 업종을 특색으로 하지"
] | 제1회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날 개최<br>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 개요 및 추진 현황<br>□ 사업 내용<br> ㅇ 사업기간 : 2005년~2008년(4년간)<br> ㅇ 사 업 비 : 2006년도 462.5억원(2005년 297억원)<br> ㅇ 시범단지별 특화업종 및 주요 추진과제 <table><tbody><tr><td>시범단지</td><td>특화업종</td><td>주요 추진과제</td></tr><tr><td>창원</td><td>기계</td><td>기계기술과 IT 접목, 창업기업 입지공간 확충</td></tr><tr><td>구미</td><td>전자</td><td>핵심부품개발, 연구·지원공간 확충</td></tr><tr><td>울산</td><td>자동차</td><td>부품의 모듈화, 연구기관 유치</td></tr><tr><td>반월·시화</td><td>부품소재</td><td>제품 구조고도화, 기술개발, 인프라정비·입지공간 창출</td></tr><tr><td>광주</td><td>광(光)산업</td><td>선도기업 유치, 맞춤형 기술인력양성, 산학협력활성화</td></tr><tr><td>원주</td><td>의료기기</td><td>연구인프라 확충, 선도기업 유치, 법·제도개선</td></tr><tr><td>군산</td><td>기계·자동차</td><td>기업유치, 연구 인프라 확충, 광역적 네트워크</td></tr></tbody></table> | admin |
[
"신호대기시 자동변속기어를 어디에 두면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이 줄고 연료가 절약되니",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의 감소와 연료를 절감을 위해 신호대기 시 자동변속기어는 어디에 둘까"
] | 신호대기시 자동변속 기어를 중립으로 놓으세요◇ 자동변속기어를 중립(N단)으로 놓으면 운행(D단)에 놓을때 보다 온실가스 18~39%, 대기오염물질 34~40% 줄어들고, 연료는 18~38% 절약
□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 연구사)에서는 자동변속기 자동차가 신호대기나 정체시 차량이 정지해 있을때 변속기를 중립(N단)에 두면 운행위치(D단)에 둘 때 보다 차종에 따라 온실가스 18~39%, 대기오염물질 34~40% 적게 배출되고 연료는 18~38% 절약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 D(Drive): 엔진과 구동축에 동력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N(Neutral) : 동력이 끊어진 공회전 상태
○ 자동차를 이용하여 출·퇴근시 신호대기는 30초에서 3분 정도를 하며 정체구간에서는 5분 이상 차가 멈춰 있는 경우가 있는데 하루에 보통 2분씩 5회 정도(왕복 10회)로 보고 이때마다 변속기를 D단 대신 N단으로 놓으면
- 휘발유 승용차 1대당 온실가스 128.4g, 대기오염물질 0.085g 적게 배출하며, 연료는 0.055L 절약할 수 있으며
- 이를 휘발유승용차중 자동변속기 장착한 766만대에 적용하면 온실가스 982.9톤, 대기오염물질 651kg 적게 배출하며, 연료는 421.2kL 절약이 가능하다
○ 또한 경유승용차는 온실가스 39%, 대기오염물질 40% 정도 줄이고 연료는 무려 38%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 경유승용차 1대당 온실가스 387.6g, 대기오염물질 3.25g 적게 배출하며, 연료는 0.14L 절약할 수 있으며
- 이를 경유승용차중 자동변속기 장착한 226만대에 적용하면 온실가스 876.4톤, 대기오염물질 7.4톤 줄이고, 연료는 316.6kL 절약이 기대된다 | admin |
[
"코로나19 상황에 고향이나 친지를 방문하면 어떤 방법으로 반가움을 표현하는 게 바람직할까",
"코로나19 상황에서 고향이나 친지를 방문한 경우 반가움의 표현은 어떻게 하면 좋은가"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정례브리핑)
○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이동하는 교통수단이나 각종 실내 장소별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달라고 강조하였다.
- 이동할 때는 ▲ 가급적 개인차량을 이용하고, ▲ 대중교통수단 등의 온라인예매나 모바일체크인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며, ▲ 필요한 간식 등은 미리 준비해 휴게소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에서는 최소 한도로 머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 고향·친지를 방문해서는 ▲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방역 수칙을 철저히 (특히 어르신 등을 만날 때는 더욱) 준수하고, ▲ 식사 시에도 대화는 자제하고 식사 전·후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며, ▲ 차례 등 제례 참석 인원은 최소화, ▲ 반가움은 악수·포옹보다는 목례로 표현해 달라고 당부했다. | admin |
[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와 증명서를 언제부터 발급받을 수 있어"
] | 농관원, 농업경영체 증명서 등 무인민원발급서비스 시행
- 10월 14일부터 전국 4,100여대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발급 가능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원장 노수현, 이하 ‘농관원)은 10월 14일부터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전국의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및 증명서를 농업인이 편리하게 발급받을 수 있도록 무인민원발급서비스를 제공한다.
❍ 그동안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나 「농업경영체 증명서」는 농업경영체 등록 온라인서비스(www.agrix.go.kr)에 접속하여 발급받거나, 콜센터(1644-8778) 또는 농관원 지원·사무소에 전화하여 원하는 곳에서 팩스로 발급받을 수 있었다.
❍ 그러나 인터넷 이용이나 팩스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부득이 인근 농관원 지원 또는 사무소를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농관원은 행정안전부, 한국지역정보 개발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과 협업을 통해 기관 간 연계시스템을 구축하고, 농업인이 자주 이용하는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와 증명서를 무인민원발급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게 되었다.
| admin |
[
"국방.군사에 관한 연구 및 시험 시설 설치를 위한 국방.군사시설 사업계획은 어떤 절차에 의해 승인받았어",
"어떤 절차로 국방.군사에 관한 연구 및 시험 시설 설비를 위한 국방.군사시설 사업계획을 허가받았지"
] | 초음속 슬레드 시험장 건설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요약문)
1.5 계획의 적정성
가. 상위 계획 및 관련계획과의 연계성
◦본 사업계획은 「국방․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나목에 따른 “국방․군사에 관한 연구 및 시험 시설” 설치를 위한 국방․군사시설 사업계획으로, 첨단무기의 지상 시험 평가 능력을 확충하기 위한 연구 및 시험시설 조성 사업임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과의 연관성 검토 결과, 본 사업계획은 2011년 8월에 「2013~2017 국방중기계획(안)」 제출하여 2013년 4월 기본계획 집행계획 승인을 받은 사업에 해당함
◦계획대상지가 위치한 포천시 도시기본계획 및 중장기 발전계획은 본 사업과 관련성이 없으며, 각종 관광레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포천시 창수면, 영북면 일대에 병영체험 관광지 조성 및 영평천 관광자원화 계획이 있으나, 본 사업지구가 위치한 지역(창수면 고소성리 일원)은 군사시설보호구역 및 민간인 출입 통제구역으로 포천시 관광개발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됨 | admin |
[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어떤 연계방안을 이용해 전시회 참가에 필요한 한국관을 설치하기로 했을까",
"대중소기업 해외 동반진출 전략으로 무엇을 대기업 전시관에 공동설립하니",
"코트라에서 중소기업지원정책으로 대기업 네트워크를 통한 바이어 발굴 및 검증 등을 진행하는 사업은 뭐지",
"대중소기업 해외 동반진출 전략으로 대기업 전시관에 무엇을 공동설치하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대기업 네트워크를 통한 바이어 발굴 및 검증 등 코트라에서 추진하는 사업은 뭐야",
"전시회 참가시 한국관 설치에 대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연계방안이 뭐지"
] | 대중소기업 해외 동반진출 전략<br>Ⅳ. 추진방안<br>전략 3 정책간 연계강화를 통한 동반진출 활성화<br>3-1 중소기업지원정책과 연계강화<br>□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수행시 대기업과 협력 확대(코트라)<br>ㅇ 코트라의 주요사업에 대기업 네트워크, 브랜드 인지도, 물적·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중소기업 지원 강화 <table><tbody><tr><td>코트라 사업</td><td>대기업 연계방안(안)</td></tr><tr><td>사절단 파견 상담회 개최 </td><td>▪대기업 네트워크를 통한 바이어 발굴 및 검증<br>▪대기업 네임밸류를 활용한 면담주선 및 참석지원<br>▪대기업 주도의 특화분야 사절단 활성화 등 </td></tr><tr><td>전시회 참가</td><td>▪협력업체 참여경비 지원, 대기업 명칭 후원<br>▪한국관 설치에 대기업, 중소기업 공동부스 설치<br>▪대기업 전시관에 협력업체 홍보관 공동설치 </td></tr><tr><td>지사화 수출인큐베이터 공동물류센터 </td><td>▪대기업 해외지사 사무공관·물류공간 공동 활용<br>▪대기업 무역상사·물류회사가 사업에 직접 참여<br>▪입주기업 현지 마케팅 측면지원 등 </td></tr></tbody></table> | admin |
[
"착용형 스마트기기가 분야 전체 출원 1위인 기업은 어디야",
"어떤 기업이 착용형 스마트기기 부문에서 전체 1위인 걸까"
] | 미래성장동력 나갈 길, 특허에서 찾다. - 미래부‧특허청, 미래성장동력 분야 특허분석 결과 발표
미래성장동력 13대 분야별 특허분석 결과
□5 착용형 스마트기기
◦ (한국 수준) 최근 특허출원의 증가세가 커지고 있는 분야로서 한국은 출원규모가 미국의 80.2%에 이르고 인용횟수와 주요국 특허확보 역시 미국의 40.1%와 34.6% 수준으로 강점을 보이고 있다.
* 구간별 출원 추이 : (02~05) 1,447건 → (06~09) 1,606건 → (10~13) 2,424건
◦ (세부기술) ‘처리 기술’(반도체 소자 및 설계, 초경량 지능형 SW 등)은 최근 출원이 집중*되며, 삼성전자, 삼성전기, 인터플렉스 등 국내기업이 기술개발을 주도**하 고 있다.
* 분야내 최근 4년 출원점유율 1위(25.5%) ** 한국의 출원점유율 1위(32.8%)
◦ (주요 출원인) 삼성전자가 분야 전체 출원 1위이나, 미국의 스타트업 기업(AliphCom, BodyMedia 등)이 급성장하는 추세로서 향후 관련 기업의 기술개발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admin |
[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중 수출경험 부족한 기업이 시장개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뭐야",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중 어떤 프로그램이 수출경험 부족한 기업이 시장을 개척하도록 도움을 주지"
] | 정부,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발표<br>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br>조선연관업종 충격완화 Action-Plan<br>Ⅲ-3 지역경제 위기대응 추진체계 구축<br>㉯ 신규 수요 창출 부문<br> 공공발주, 해외진출 등 대체 수요처 발굴 <table><tbody><tr><td>프로그램</td><td>지원내용</td></tr><tr><td>①공공조달 참여 기회 확대 (조달청) </td><td>▪위기업종 관련 기자재 구매시, 특별지역내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우대요건 적용 * 조달참여 기업에 대한 실적제한 요건 완화 </td></tr><tr><td>②틈새시장 개척 (산업부) </td><td>▪중소형 조선사의 특화선종 주력 및 특수선 등 새로운 분야 개척 지원 → 특별지역내 기업 우선 선정·지원</td></tr><tr><td>③수출기업 지원 및 종합컨설팅 (산업부) </td><td>▪수출경험 부족한 기업에 대한 시장개척, 해외인증 등 1:1 맞춤 밀착지원<br>▪내수기업 수출기업화 23개 프로그램과 연동·지원 </td></tr></tbody></table> | admin |
[
"어떤 방식으로 환경부의 알면 사랑한다, 우리 들꽃이야기 행사가 개최되니",
"환경부의 알면 사랑한다, 우리들꽃이야기 행사는 어떤 방식으로 열리니"
] | 국립생태원, ‘알면 사랑한다, 우리들꽃이야기’ 개최
□ 환경부(장관 윤성규)와 국립생태원(원장 ***)은 우리나라 야생화를 주제로 4월 15일부터 5월 22일까지 봄 특별행사인 ‘알면 사랑한다, 우리들꽃이야기’를 충남 서천군 국립생태원 야외공간에서 개최한다.
○ 올해 개원 3년차를 맞는 국립생태원은 매년 봄철이 되면 야생화를 주제로 특별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 올해 행사는 자연물을 이용한 체험프로그램, 석회암지대 식물생태 전시, 청소년 대상 참여형 공모전인 우리들꽃 포토에세이 등 야생화를 주제로 국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생태문화 체험행사로 열린다. | admin |
[
"총 몇 팀을 선발하여 초기자금, 입주공간, 창업 비자지원을 할 예정이야",
"초기 자금, 입주 공간, 창업 비자지원 등을 지원받을 스타트업의 선발 인원은 총 몇 팀이니"
] | 스타트업, 창업 준비 단계부터 글로벌 진출 적극 지원 - ‘본 글로벌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방안’발표 -
본 글로벌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안)
Ⅱ 주요 추진성과
ICT분야 해외 우수 스타트업 협력기반 구축
ㅇ ICT 기업이 밀집된 판교에 세계 최고수준의 글로벌 창업‧혁신거점으로 조성한 ‘스타트업 캠퍼스’ 개소(’16.3.)
* 국내 최대 보육공간(200개 이상), ICBM(IoT‧Cloud‧Big data‧Mobile) 관련지원기관, 경기 혁신센터, 국내외 액셀러레이터, 글로벌기업(SAP) 등을 집적
ㅇ ICT분야의 글로벌 창업, 현지 법률자문부터 투자까지 애로사항을 한 번에 지원하는 K-ICT 본투글로벌센터 설립‧운영(’13.9.~)
* 투자유치 133.2백만불, 해외사업계약 198건, 해외 특허출원 358건 등(’15.12. 기준)
글로벌 플랫폼에 기반한 성과 창출 가시화
ㅇ ’13년 이후 벤처기업의 수출 및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혁신센터 보육기업의 해외수출도 증가**
* 벤처기업 총수출/비중(억달러, %) : (’13)152/2.7 → (’14)167/2.9 → (’15)171/3.3
** 혁신센터 수출기업수/수출규모 : (’15)36개사/254.5억원 → (’16.5월말)54개사/659.9억원
ㅇ ‘K-Startup 그랜드 챌린지*’ 지원서 접수 결과, 전 세계 124개국에서 2,439개팀**이 참가를 신청하여 약 60:1의 경쟁률을 기록
* 한국 및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전세계 유망 스타트업 중 최종 20팀을 선발하여 초기 자금(총 10억원), 입주 공간, 창업비자 지원 등을 지원
** 세계적 스타트업 프로그램인 美 매스챌린지(1,700팀), 佛 프렌치테크 티켓(1,372팀) 등의 금년 지원팀 수보다 높은 수준으로, 첫해로서는 매우 성공적인 출발
⇒ 글로벌 진출 지원을 위해 그 간 구축해온 기본적인 인프라를 기반으로 세부 전략과 지원 프로그램을 고도화할 필요 | admin |
[
"환경부는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된 집비둘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어떻게 했어",
"어떤 방법으로 환경부에서는 유해야생동물로 정해진 집비둘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 | 집비둘기에게 먹이주면 안돼요!
□ 환경부는 유해야생동물로 지정(2009. 6. 1)된 집비둘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유해 집비둘기 관리대책’을 마련하여 지자체 등과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이번 대책에서는 집비둘기의 서식지 유형과 서식지별 개체수, 주요먹이 공급원 및 피해유형 등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개체수별 관리기준 등을 마련하며,
○ 집비둘기의 서식지 특성에 따라 인위적 먹이주기 및 먹이판매금지, 알․둥지 제거 등을 통한 개체수 조절방법과 접근예방 및 퇴치장비 설치 등의 물리적 방법을 병행 추진하게 된다.
□ 먼저, 서식지 조사는 지자체장 등이 집비둘기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공원, 주택가, 문화재 등의 서식지별 개체수, 자연적․인위적 제공 등 먹이공급원, 심미적․위생적․경제적 피해유형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 동 조사결과에 따라 개체수 등을 기준으로 관리단계를 구분하여 관리방법을 달리 적용하게 되는데, Ⅰ단계는 개체수 모니터링을, Ⅱ단계는 Ⅰ단계 외에 피해상황 모니터링을, Ⅲ단계는 Ⅰ․Ⅱ단계 외에 피해복구 등의 단계별 조치를 이행하게 된다.
※ 단계별 개체수(마리) : Ⅰ단계(50~100), Ⅱ단계(100~500), Ⅲ단계(500 초과) | admin |
[
"새로 도입되는 신화학물질 관리 정책에서는 무엇이 함유된 제품의 수입을 규제하니",
"신화학물질 관리 정책이 새로 시작되면서 수입이 규제되는 것은 무엇이 포함된 제품이야"
] | 선진국 환경규제 관련 민관공동 대응기구 구성키로- 제 3회 환경분야 민관합동포럼 개최 -
향후 선진국 주요 환경규제 전망
다. EU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EURO II, III, IV)
□ 주요 내용
◦ ‘00.1월부터 도입된 EURO III는 EURO II 보다 각종 기준치를 20~40% 정도 강화
◦ ‘05년부터 적용예정인 EURO IV는 CO, HC, NOx 등의 각 기준치가 EURO III 보다 50% 수준으로 강화
◦ 자동차 배기가스 감소를 위해 연료의 유황성분 저감
- EURO III에서는 150ppm, EURO IV에서는 50ppm으로 강화
라. REACH (신화학물질관리정책; Registration, Eva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 최종소비자에 대한 화학물질 정보제공 미흡 및 문제발생시 인과 관계 입증 곤란 등 현 화학물질 제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개별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40 여개 화학물질 관련 규정의 통합관리를 위해 “신화학물질 관리 정책”이 ‘05~'06년경부터 도입될 예정
□ 주요 내용
◦ 미확인 화학물질 함유 제품의 수입규제
- EU내 미등록 물질이 함유된 수입품의 당해 물질에 대한 정보 제공 의무 부과
◦ 유기오염물질(POPs) 사용 규제
- UNEP 지정 12개 유기오염 물질에 대한 규제 강화
◦ 화학물질의 유통과정상의 정보제고 강화
- 최초 생산․수입 단계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취급업자의 정보 제공 의무 강화
- 최초 용도에서 변경된 목적으로 사용시 취급업자의 시험 및 위험 평가 의무 | admin |
[
"행정안전부는 어떻게 지진 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안전의식을 높이려고 하니",
"행정안전부는 지진 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안전의식을 어떻게 제고하려고 해"
] | 행안부 「지진안전 교육 ‧ 훈련 우수사례 공모전」개최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지진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안전 의식을 높이기 위해 6월 1일(화)부터 7월 30일(금)까지 「지진안전 교육 훈련 우수사례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지진안전 공모전은 2018년 웹툰 공모전을 시작으로 2019~2020년 UCC*공모전으로 개최되었으며, 올해로 4회째를 맞았다.
* User Created Contents의 줄임말로, 동영상 이미지 콘텐츠 등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저작물
○ 올해 공모전은 가정, 직장, 학교, 병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지진안전 교육·훈련이 어떻게 진행되고 체험했는지 수기형식의 공모를 통해 지진안전 의식을 제고 할 계획이다.
□ 응모주제는 지진발생에 대비하여 모범적이고 효과적인 지진안전 교육 훈련이 이루어진 혁신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 특히, ▲ 지진 체험 교육을 통해 올바른 행동요령을 알게 되었거나홍보한 사례, ▲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안전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진 훈련을 추진한 사례, ▲ 지진에 대한 관심을 갖고 교육 참여를 통해 행동요령 인지도가 높아진 사례 등 다양한 이야기를 A4용지 5매 이내로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 admin |
[
"안문협의 안전 문화 4대 테마 중 비상구 확인하기를 실천과제로 하는 분야는 뭐야",
"비상구 확인하기의 실행을 목표로 하는 어떤 분야가 안문협 주최의 안전 문화 4대 테마에 속해 있니"
] | 생활도로에서 시속 30km 이하로 운전해요 !<br>안문협의 안전문화 로고 및 실천과제<br>□ 안전문화 4대 테마 9개 실천과제 <table><tbody><tr><td>분야</td><td>슬로건</td><td>실천운동 과제 </td></tr><tr><td rowspan='3'>사회안전</td><td rowspan='3'>안심 사회(Safe Society)</td><td>우리동네 안심마을 만들기 </td></tr><tr><td>클린 인터넷(폭력․음란물 NO)</td></tr><tr><td>불량식품 안 사먹고 안 만들기 </td></tr><tr><td rowspan='2'>생활안전</td><td rowspan='2'>안심 생활(Safe Life)</td><td>1가정 1안전요원 </td></tr><tr><td>비상구 확인하기 </td></tr><tr><td rowspan='2'>교통안전</td><td rowspan='2'>안심 운전(Safe Traffic)</td><td>보행자 배려 운전하기</td></tr><tr><td>생활도로 30km/h 이하 서행하기 </td></tr><tr><td rowspan='2'>산업안전</td><td rowspan='2'>안심 일터(Safe Work)</td><td>작업 전후 안전점검 습관화 </td></tr><tr><td>작업장 안전보호구 착용 생활화 </td></tr></tbody></table> | admin |
[
"2021년도 산업단지 대개조 선정 지역 계획에서 경상남도는 어떻게 일자리를 창출하지",
"노동자의 일과 생활이 양립되는 환경 조성을 위해 어떻게 산단의 공간이 개선되었니",
"근로자의 일과 생활이 양립되는 환경 조성을 위해 산단의 공간을 어떻게 개선하였지",
"경상남도는 2021년도 산업단지 대개조 선정 지역 계획에서 어떻게 고용을 창출하니"
] | 경기·경남·부산·울산·전북 5개 지역 산단 대개조 지역 예비선정…일자리 5.5만명 창출
2021년 산업단지 대개조 선정 지역 계획 요약
2 경상남도
1. 혁신계획 개요
○ (주력업종) 기계산업
○ (비전) 미래모빌리티산업 육성을 위한 스마트·혁신·사람 중심의 클러스터 조성
○ (목표) 생산액 5.1조원 증대, 신규창업 207개, 고용 1.3만명 창출
○ (신청 사업) 총 51개 사업
○ (추진체계) 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 확대 개편, 시·군 참여 및 혁신기관 파견
2. 지역여건
○ 세계 생산네트워크 재편 및 신흥국의 제조업 성장, 수송기계 내수·수출 감소에 따라 기업 경영악화 등 경남 기계산업 위축 심화
- 2019년 제조업은 수송기계·기계산업 생산액 감소로 2014년 대비 10조원 급감
3. 혁신계획 구성
○ 스마트 제조혁신으로 일자리 창출
- (핵심부품 개발 및 사업 다각화 지원 인프라 확충) 핵심부품 개발로 기업 자생력 향상, R&D지원, 기술강소기업 발굴하여 사업다각화 촉진
- (미래 유망산업 육성 및 창업공간 조성)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의 거점 확보, 융복합 혁신지원시설 구축을 통한 창업 활성화 기여
○ 근로자 중심의 산단 공간 혁신
- (근로자 일‧생활 양립 환경조성) 통근버스, 기숙사운영 등 근로자 보육인프라 확충으로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근로자 만족도 제고
- (근로자 역량향상 교육훈련 강화) 교육‧훈련 프로그램 확대로 근로자 역량 향상 기회 확대하고 필요인력 공급 및 취업 촉진
| admin |
[
"나라일터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무지원단장 모집은 어디 홈페이지에서 진행되지",
"안전행정부 사무지원단 단장을 공개모집하는 곳은 어디야"
] | 미래창조과학부 전문계약직 공개모집 - 창조경제 구현에 일조할 유능한 인재를 찾습니다.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무지원단 단장(전문계약직공무원 ‘가’급)을 공개모집한다고 밝혔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 사무지원단장은 자문회의 관련 운영규정 제·개정, 자문회의 등 운영지원, 과학기술 연구조사사업 관리,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동향 분석, 과학기술관련 국정과제 추진상황 점검, 자문회의 사무지원단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2013. 10. 11.부터 2013. 10. 17.까지이며, 응시자에 대하여는 서류심사 및 면접시험을 거쳐 해당 직위의 적격자를 선발할 예정이다. 면접시험에서는 전문지식과 그 응용능력, 인성·공직관 등을 평가하게 된다.
□ 2013년 11월 중 임용예정이며, 응시자격 요건 등 상세한 사항은 미래창조과학부 운영지원과 인사팀(☎************,2147)으로 문의하거나 미래창조과학부 홈페이지(http://www.msip.go.kr) 및 안전행정부 나라일터 홈페이지(http://gojobs.mospa.go.kr)를 참조하면 된다. | admin |
[
"녹색펀드의 만기는 몇 년 이상이야",
"1인당 녹색펀드의 가입한도는 얼마야",
"배당소득 비과세와 같은 세제지원을 해주는 투자명은 뭐야",
"어떤 것에 투자를 하면 배당소득 비과세 세제지원을 받을 수 있어",
"1인당 얼마의 한도가 녹색펀드에 적용되었어",
"몇 년 이상을 넣어야 녹색펀드의 기한이 끝나"
] | 녹색산업 성장을 위한 녹색인증제, 今日부터 시행<br>녹색인증제 운영방안<br>Ⅰ. 추진 경위<br>2 추진 경과<br>□「녹색인증 도입방안」발표 (2009.9월, 제22차 위기관리대책회의)<br> ◦ 녹색기술‧사업과 관련 지원대상․범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민간투자를 유인<br> ◦ 정부인증 녹색사업 또는 녹색(기술)전문기업에 투자하는 녹색펀드, 녹색예금, 녹색채권에 세제지원 (2010.2.18) <table><tbody><tr><td> </td><td>녹색펀드</td><td>녹색예금</td><td>녹색채권</td></tr><tr><td>세제지원 내용</td><td>배당소득 비과세</td><td>이자소득 비과세</td><td>이자소득 비과세</td></tr><tr><td>가입한도</td><td>1인당 3천만원</td><td>1인당 2천만원</td><td>1인당 3천만원</td></tr><tr><td>만기</td><td>3년 이상</td><td>3년 이상</td><td>3년 이상</td></tr></tbody></table> | admin |
[
"여름휴가지 어촌체험마을 중 은점 마을은 어떤 체험들을 제공하지",
"어떤 체험들을 여름휴가지 어촌체험마을 중 은점 마을에서 경험할 수 있어"
] | ‘쉼·맛·멋’이 있는 여름 휴가지로 어촌체험마을 10선<br>국내 여름휴가지 어촌체험마을 현황(10선) <table><tbody><tr><td>지역</td><td>마을명</td><td>체험 종류</td><td>연락처</td></tr><tr><td>울산 동구 </td><td>주전</td><td>해녀체험, 맨손잡이체험, 투명카누체험</td><td>***-***-****</td></tr><tr><td>경기 안산 </td><td>종현</td><td>독살체험, 식물화분만들기, 해양관광열차 </td><td>***-***-****</td></tr><tr><td>강원 속초 </td><td>장사</td><td>오징어 맨손잡기, 오징어 해부, 먹물 글씨쓰기 </td><td>***-***-****</td></tr><tr><td>강원 양양 </td><td>수산</td><td>투명카누체험, 요트승선체험, 배낚시체험,</td><td>***-***-****</td></tr><tr><td>전북 군산 </td><td>신시도</td><td>감성돔바다낚시, 갯벌체험, 개막이(진행할때만) </td><td>***-***-****</td></tr><tr><td>전북 고창 </td><td>장호</td><td>조개캐기체험, 정치망, 갯벌레포츠</td><td>***-***-****</td></tr><tr><td>전남 고흥 </td><td>안남</td><td>바지락캐기, 뻘배 타기, 지층단층체험, 물로켓발사하기</td><td>***-***-****</td></tr><tr><td>전남 무안 </td><td>송계</td><td>갯벌체험, 갯바위낚시체험, 어장체험 </td><td>***-***-****</td></tr><tr><td>경남 남해 </td><td>은점</td><td>바나나보트, 바이퍼, 플라이피쉬, 제트스키, 프리다이빙</td><td>***-***-****</td></tr><tr><td>경남 사천 </td><td>대포</td><td>해상돔 하우스 체험, 어/패류 채취, 전어잡이 등</td><td>***-***-****</td></tr></tbody></table> | admin |
[
"개인정보보호법 몇 조에 의해 일반 개인정보는 수집목적외 제3자 제공시 별도의 동의가 요구될까",
"일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 몇 조에 의해 수집 목적외 제3자 제공시 별도의 동의가 필요하지"
] | 금융소비자 개인정보 보호, 한층 강화된다! <br>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br>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주요내용<br>□ 기본 원칙<br>○ 개인정보보호에 관하여 신용정보법 등 금융관계 법령에서 특별히 규정하는 사항에 대하여는 해당 법률을 적용하고, <br>‣ 별도로 규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개인정보보호법을 적용<br>□ 처리 단계별 준수사항<br>※ 개인신용정보 : 거래 상대방 신용도 판단에 필요한 정보(신용정보법 우선 적용)<br>※ 일반 개인정보 : 신용도 판단과 무관한 정보로서 개인에 관한 정보(개인정보보호법 적용) <table><tbody><tr><td>구분</td><td>개인신용정보</td><td>일반 개인정보</td></tr><tr><td>수집·이용</td><td>O 신용정보법 제15조, 제16조, <br>(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4호)<br>- 계약 체결·이행 및 거래 상대방 신용도 판단에 불필요한 정보는 정보주체 동의 필요 </td><td>O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br>- 부가서비스 제공, 상품 홍보 및 구매권유 등은 동의를 받아 수집 </td></tr><tr><td>제공</td><td>O 신용정보법 제32조, 제34조<br>- 신용정보법에서 정하는 예외적 사유에 따라 제공(본인 동의, 영업양도 등) </td><td>O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br>- 수집 목적외 제3자 제공시 별도 동의 또는 법률상 근거 필요 </td></tr><tr><td>고유식별정보 및 민감정보</td><td>O 신용정보법 제15~16조, 제32~34조<br>(인정보보호법 제23조, 제24조)<br>- 신용도 판단에 무관한 정보 수집 금지<br>- 금융실명법 등 관계법령에서 구체적으로 정하는 경우 동의 없이 처리 가능 </td><td>O 개인정보보호법 제23조, 제24조<br>- 법령에서 구체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한 정보주체 동의 필요 </td></tr><tr><td>위탁</td><td>O 신용정보법 제17조 일정한 자격을 갖추는 자에게 위탁, 금감원 보고 및 공시 등 </td><td>O 개인정보보호법 제26조<br>- 안전성 확보조치 사항 등 포함한 문서로 위탁, 관리감독 책임, 위탁사항 공개, </td></tr><tr><td rowspan='2'>안전한 관리</td><td>O 신용정보법 제19조,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br>※ 세부 조치사항은 가이드라인 참조 </td><td>O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br>※ 세부 조치사항은 가이드라인 참조 </td></tr><tr><td colspan='2'>주민등록번호 등은 암호화 또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통해 안전하게 보관</td></tr><tr><td>보관 및 파기</td><td colspan='2'>O 신용정보법 제18조제2항 및 개인정보보호법 제21조<br>- 보유기간 불분명한 개인정보의 경우에는 고객분쟁 대응, 금융당국의 검사· 감독 수감을 위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즉시 파기 </td></tr><tr><td>열람 및 정정·삭제 등</td><td>O 신용정보법 제37조, 제38조<br>※ 세부 조치사항은 가이드라인 참조 </td><td>O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br>※ 세부 조치사항은 가이드라인 참조 </td></tr><tr><td>유출, 침해 대응</td><td colspan='2'>O 개인정보보호법 제34조<br>- 개인별 유출사실 통지, 1만건 이상 유출시 안전행정부 또는 전문기관(KISA)에 신고(금융사고에 해당될 경우 금융위 및 금감원 보고 병행) </td></tr></tbody></table> | admin |
[
"중소기업은 2014년 11월에 무엇의 지원 제외업종 분석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니",
"창업지원 업종을 확대하기 위해 무슨 시행령으로 부동산업이 창업지원 업종으로 규정됐어",
"무엇이 46개 업종으로 한정됐으나 개인 서비스업이 추가로 지원대상에 포함됐니",
"벤처확인 신청 가능 업종을 확대하기 위해 호텔 서비스업을 벤처확인 업종에 추가한 시행령은 무엇이지"
] |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추진방안
Ⅲ. 주요 개선과제
1. 창업 걸림돌 해소
진입 확대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상 창업지원 업종 확대
◦ (현행) 중소기업 창업지원법 에서는 ‘금융 및 보험업’ 등 7개 업종을 창업지원 제외 업종*으로 규정
*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숙박 및 음식점업(호텔, 콘도 제외), 무도장 운영업, 골프장 및 스키장운영업, 기타 개인 서비스업 등
◦ (개선) 여가관련 서비스업(예술, 스포츠 등) 등을 창업지원 업종에 추가
* 업종분석을 위한 연구 용역 착수 중(2014.2)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시행령」개정 (2014.8)
□ 벤처확인 신청 가능 업종 확대
◦ (현행) ‘여관업‘ 등 46개 업종*에 대하여는 벤처확인 대상에서 제외
* 숙박 및 음식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오락업, 이미용업 등
◦ (개선) 창조관광산업 등을 벤처확인 업종에 추가(연구용역 착수 2014.3)
▶ 「벤처기업 확인요령 개정(2014.6)
□ 1인창조기업 육성법 의 대상업종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
◦ (현행) ‘1인창조기업’을 ‘소프트웨어 개발업’ 등 434개 업종으로 한정하고 있어 신수종 업종에 대하여는 신속히 지원하는데 한계
◦ (개선) 지원 대상 업종 규정을 네거티브로 전환하고 보건·의료, 교육,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의 업종을 지원대상에 포함
* 지원 제외업종 분석을 위한 연구용역 착수(2014.3월)
▶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2014.11) | admin |
[
"2015년 한국-이스라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서 단기연구개발과제는 언제까지 지원해줄까",
"2015년 한국-이스라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서 타당성검토과제의 내용은 뭐니",
"단기연구개발과제의 지원은 2015년 한국-이스라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에서 언제까지 해주니"
] | 산업부, 한국-이스라엘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2015년도 상반기 신규과제 공고<br>□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2. 8.까지 한국-이스라엘 산업연구개발재단 사무소에 이스라엘 기업과 공동으로 영문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br> ㅇ 접수한 사업계획서는 현장방문 등 양국의 기술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한국-이스라엘 산업연구개발재단 이사회(2015. 5. 예정)에서 최종 지원 여부가 결정한다. <br> ㅇ 단, 조기 사업화가 가능한 연구개발과제인 소형과제와 연구개발·사업화 적합성을 검증하는 타당성 과제는 연중 수시로 접수할 수 있다. <table><tbody><tr><td>지원유형</td><td> 정부지원금<br>(양국 합계) </td><td>민간부담금 </td><td>지원기간</td><td>과제내용</td></tr><tr><td>소형과제 (Mini-Scale Project)</td><td>최대 미국 달러 100,000</td><td>정부지원금의 50%</td><td>1년 이내</td><td>사업화가 가능한 단기연구개발과제</td></tr><tr><td>타당성검토과제(Feasibility study Project)</td><td>최대 미국 달러 30,000</td><td>정부지원금의 50% </td><td>3개월 이내</td><td>기술적합성, 사업화 가능성 조사 과제</td></tr></tbody></table> <과제별 지원규모 및 지원기간> | admin |
[
"EBS 활용 교육콘텐츠 제작 사업의 예산은 얼마야",
"얼마의 금액이 EBS 활용 교육콘텐츠 제작 사업에 투자될까"
] | 17천여 편의 온라인 콘텐츠와 인공지능(AI) 학습 지원으로 수준별 자기주도적 학습 서비스 강화<br>ㅇ 또한, EBS 고교강의에서 제공하던 고등학생 대상의 기존 인공지능(AI) 학습진단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한편, 초·중학생용 서비스도 새롭게 구축하여 22년 3월부터 제공할 예정이다.<br> <table><tbody><tr><td>구분</td><td>EBS 활용 교육콘텐츠 제작</td><td>인공지능(AI) 활용 학습진단시스템 구축</td></tr><tr><td>사업목적</td><td>① 유아부터 고등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수준별 강의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격차 완화<br>② 개발된 콘텐츠는 교사가 수업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수‧학습 변화 지원 </td><td>학습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학습진단시스템을 구축(고도화)하여 학습격차 완화 및 자기주도학습지원</td></tr><tr><td>사업내용</td><td>수준별 자기주도 학습콘텐츠 개발(유·초·중·고등학생용 1만 7천여 편)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다양화(실감형, 클립형) 및 교육현장의 콘텐츠 활용도 제고취약계층 지원 강화(관리형 시범서비스, 장애 학생 강좌지원 확대)</td><td>산학 연계를 통해 학습분석 기술 고도화학습분석 정보를 학생, 교사, 시도교육청별로 필요한 형태로 가공하여 전달고교 학습분석의 주요서비스를 초·중학생까지 확대 서비스사전진단, 오답노트, 온라인클래스와 연계한 교사 지원 서비스 신규 개발</td></tr><tr><td>예산</td><td> 343억 5백만 원</td><td>83억 2천5백만 원</td></tr></tbody></table> <교육부-EBS 콘텐츠 및 인공지능 시스템 추진 사업 주요 내용> | admin |
[
"5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연구개발 기획기능의 기본으로 어떻게 활용할 예정이야",
"어떻게 5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연구개발 기획기능의 기본으로 활용할 계획이니"
] | 국가 산업기술정책의 5년 大計,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 수립 본격 착수 - 산업생태계 중심의 산업기술혁신체계로 再정립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윤상직)는 ‘창조경제 시대’를 활짝 열기위한 산업기술개발의 핵심전략인「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14~2018년)」을 수립하기 위해 작업반 전체 Kick-off 회의를 2013.5.30(목) 16시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함
ㅇ 동 회의에는 산업기술혁신계획 수립에 참여하는 産學硏官의 산업 기술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하여 혁신계획 방향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각 분과별 작업 방향 및 향후 추진 일정에 대해 논의함
□ 산업기술혁신계획은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5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추진해야 하는 법정계획으로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2013년말까지 수립해야 함
* 제5차 산업기술혁신계획(2009~2013)은 2009년에 수립되었으며, 2013년 종료 예정
ㅇ 동 계획은 5년간의 산업기술 R&D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으로 미래 기술개발전략과 그에 따른 R&D투자방향, 산업기술혁신 기반 전반의 정책을 담게 될 것임
- 이를 위해 ‘①기술개발, ②기술사업화, ③기술인프라, ④글로벌기술협력, ⑤평가관리체계, ⑥지역 기술기반, ⑦기술인재양성, ⑧기술문화확산’ 등 8개 분과작업반을 구성하여 작업을 진행할 계획임
ㅇ 특히, 금번 제6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바탕으로 매년 ‘산업기술 R&D 로드맵’을 수립하여, R&D 과제를 기획함으로써 동 계획은 산업기술 R&D 기획기능의 기본으로 활용할 계획임
ㅇ 또한, 동 계획이 상위 기본계획인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기조를 같이하고 ‘산업융합발전기본계획’, ‘부품소재발전기본계획’ 등 부내 타 기본계획과 상호 연계되도록 하여, 산업기술 R&D정책 방향 설정의 일관성 및 효율성을 제고해나갈 것임 | admin |
[
"보건의료계 및 축산 분야와 일반 국민 등 846명이 참여하여 무엇을 선포하였니",
"어떤 포럼이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를 위하여 개최되니",
"국가와 일반 국민의 항생제 처방지침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위해 무엇을 선포했어",
"질병관리본부는 항생제 내성 발현을 미리 억제하기 위해 의사 250명이 참여하는 어떤 포럼을 추진하고 있지"
] | 항생제 내성 예방, 우리 모두 함께 해요! - 슈퍼박테리아, 공포에서 극복의 대상으로 전환하는 장을 열다 -
□ 이번 행사에서는 보건의료계 및 축·수산 분야와 일반 국민 등 총 250여 명이 참여하여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을 선포한다.
○ 의사와 일반 국민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각 분야별 실천수칙을 다짐하게 된다.
○ 특히 의사 대상의 인식도 조사는 이번이 처음으로 총 864명이 참여하였는데,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환자가 요구하는 비율(3.33, 5점 척도), 감기 등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항생제를 처방하는 비율(4.36, 10점 척도)이 높게 나타났다.
- 일반인 대상 설문에서도 ‘항생제가 감기에 도움이 된다(56.4%)’, ‘항생제 복용기간을 지키지 않고 임의로 중단한다(67.5%)’, 그리고 ‘감기로 진료받을 때 항생제 처방을 요구한 적이 있다(3.5%)’로 나타나 항생제 사용에 대한 인식개선이 우선 과제임을 보여주었다.
☞ 붙임2 참고
○ 기념행사 후 진행되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재조명하는 ‘항생제 내성 포럼’을 통해 국가 대책의 실행 경과를 점검하고 보건의료 및 축·수산 현장의 시각으로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 붙임3과 붙임4 참고
- 항생제 내성 포럼은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의 원활한 이행을 목표로 전문적 지식에 기반한 정책 제안을 논의하는 자리로서, 지난 4월 제1차 포럼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다.
- 이번 포럼에서는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 항생제 내성균 확산 차단 및 농·축·수산, 식품, 환경을 포괄한 원헬스(One-Health) 접근전략에 대한 토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 질병관리본부는 항생제 내성 발현을 미리 억제하기 위해 표준 항생제 처방지침 개발 및 확산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발생한 내성균 확산 차단을 위한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강화 전략도 펼치고 있다.
| admin |
[
"한국과 정책분야 협력범위를 확대, 강화하기로 하는 협력의향서를 체결한 국가가 뭐야",
"어느 국가에서 한국과 정책분야 협력범위를 확대, 강화하기 위해서 협력의향서를 맺었지"
] | 노르딕 국가와 지역사회통합돌봄 정책협력 강화한다
□ 보건복지부 대표단(단장: 배병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3일(화) 스웨덴 보건사회부 레나 할례그렌(Lena Hallegren) 장관을 만나 지역사회 통합돌봄 및 복지기술 등 정책분야 협력범위를 확대·강화하기로 하는 협력의향서(Letter of Intent, LOI)를 체결하였다.
- 스웨덴과는 2013년 보건복지 분야 협력양해각서 체결 이후, 저출산‧고령화, 치매전략과 노인 및 아동정책 관련 정기적으로 공동토론회(포럼)를 개최해온 바 있으나, 지역사회 중심 통합돌봄에 관한 논의를 본격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한-스웨덴 공동포럼 주제: (2012) 저출산·고령화, 치매전략과 노인복지, (2013) 저출산·고령화, 치매, (2015) 아동복지
○ 이어 4일(수)에는 덴마크 보건부에서 페어 오켈스(Per Okkels) 차관과 만나 복지기술 분야 양국간 교류협력 확대를 주 내용으로 기존 양해각서를 확대·강화하는 의향서에 서명하였다.
- 보건복지부는 덴마크가 최근 노인 등 대상 커뮤니티케어의 하나로 복지기술 육성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는 데에 주목하고, 지난 5월 덴마크 프레데릭 왕세자(HRH Crown Prince Frederik) 방한 시 보건의료 정책포럼을 통해 상호협력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11월 보건복지부에서 열린 한-덴마크 보건복지 정책세미나를 계기로 상호협력 확대방향을 실무논의한 바 있다.
○ 이번 상호의향서 체결을 토대로, 한-스웨덴 및 한-덴마크간 정책협의 정례화 등 방안을 구체화하여, 이르면 내년 양국 장관간 양해각서(MOU)를 개정할 계획이다. | admin |
[
"향토문화재 제13호인 강릉김씨 묘역은 어느 소재지에 있어",
"어느 장소에 향토문화재 제13호인 강름김씨 묘역이 있지"
] | 1. 고시명 : 연천군 향토문화재 지정<br>2. 대상 문화재 <br> 가. 지정 내용 <table><tbody><tr><td>종별</td><td>지정 번호</td><td>명칭</td><td>수량</td><td>소재지</td><td>소유자<br>(관리자) </td><td>비고</td></tr><tr><td>향토문화재</td><td>제13호</td><td>강릉김씨 묘역<br>(김양남 묘 추가) </td><td>묘6기</td><td>전곡읍 고능리 산 77</td><td>**<br>(***) </td><td>김양남묘 1기 추가</td></tr><tr><td>향토문화재</td><td>제18호</td><td>전 기황후 릉 터<br>(傳 奇皇后 陵 터) </td><td> </td><td>연천읍 상리 산145</td><td>***<br>(행주기씨) </td><td> </td></tr><tr><td>향토문화재</td><td>제19호</td><td>이진무 묘<br>(李晉茂 墓) </td><td>묘1기</td><td>군남면 왕림리 산38</td><td>전주이씨종중</td><td> </td></tr><tr><td>향토문화재</td><td>제20호</td><td>권희 묘<br>(權憘 墓) </td><td>묘1기</td><td>백학면 두현리 산167</td><td>안동권씨 종친회</td><td> </td></tr></tbody></table> | admin |
[
"무엇이 기초과학연구역량을 키워 국가 신성장 동력을 만들기 위한 것이야",
"기초과학연구역량을 키워 나라의 신성장 동력을 만들기 위한 것은 무엇이지",
"어느 부에서 IBS내 200억원 규모로 과학도서관을 만들어 세우고 300억원을 사이언스센터에 투자했지",
"IBS내 200억원 규모로 과학도서관을 건립하고 300억원을 사이언스센터에 투자한 곳은 어디니",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제8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개최한 날짜는 언제야",
"어느 부서가 제8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열였니",
"제8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개최한 부서는 어디일까",
"언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제8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열었니"
] | 과학벨트추진 걸림돌 제거, 기초연구전념 토대 마련 - 제8회 과학벨트위원회에서 기본계획 변경(안) 등 심의‧확정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8월 26일(수) 제8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위원장 미래부장관)를 개최하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기본계획 변경(안)」등을 심의·확정하였다.
ㅇ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는 기초과학연구역량을 키워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 기초과학연구원(이하, ‘IBS’) 건립 등 기초과학 분야 중요 내용을 과학벨트 기본계획에 담아 추진해 오고 있다.
□ 이번 기본계획 변경은 기획재정부의 과학벨트 사업에 대한 적정성 검토 결과와 과학벨트법 개정 내용 등을 반영하는 한편, 그 동안 과학벨트 추진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IBS 부지매입 문제의 후속 조치가 최근 마무리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었다.
ㅇ IBS 부지문제는 2013년 대전시가 엑스포공원 일부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미래부는 사이언스센터 조성에 500억 원을 부담하기로 한 양해각서(MOU)의 이행방안*에 대해 합의(2015.6.16)함으로써 해결되었다.
* 미래부는 IBS내 200억원 규모로 과학도서관을 건립하고, 300억원을 특구진흥재단을 통해 사이언스센터에 투자 등 | admin |
[
"2021년 제18회 쟁점백제사 기획회의에서 전북대학교 교수가 맡은 담당은 뭐야",
"전북대학교 교수가 2021년 제18회 쟁점백제사 기획회의에서 무엇을 할 예정이니"
] | 2021년 제18회 쟁점백제사 기획회의 개최계획<br>Ⅰ회의 개요<br>일 시 : 2021. 4. 2.(금) 14:00∼16:00<br>장 소 : 한성백제박물관 회의실<br>회의참석위원 : 총 5인 (좌장1, 발표2, 토론2) <table><tbody><tr><td>성명</td><td>전공</td><td>소속 및 직위</td><td>담당</td></tr><tr><td>***</td><td>고대사(백제고고학)</td><td>서울대학교 교수</td><td>좌장</td></tr><tr><td>***</td><td>고대사(백제사)</td><td>공주대학교 교수</td><td>발표</td></tr><tr><td>***</td><td>고고학(마한·백제)</td><td>전북대학교 교수</td><td>발표</td></tr><tr><td>***</td><td>고대사(백제사)</td><td>고려대학교 교수</td><td>토론</td></tr><tr><td>***</td><td>고대사(백제사)</td><td>성균관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td><td>토론</td></tr></tbody></table> | admin |
[
"무엇이 3D업종 건설 근로자 고령화의 원인일까",
"3D업종 건설 근로자 고령화의 이유는 무엇이야"
] | 2021년 주요사업(핵심) 상수도공사 전문근로자 교육이수제 운영
Ⅰ 추진배경
3D업종 건설 근로자의 고령화 및 전문근로자 부족
○ 청년세대의 3D업종 기피, 건설현장 고용불안 ⇒ 건설근로자 고령화 심화
○ 상수도공사 전문근로자 도급방식의 구두 전수 및 기술교육과정 부족 등으로 숙련된 전문근로자 부족 ⇒ 품질 저하 개연성 존재
상수도 현장 내 안전 불감증 상존
○ 상수도공사 체계화된 안전교육 미 구축 등 현장 종사자의 안전의식 결여
○ 도심지 내 단기간 소규모공사로 인한 안전사고 대비시스템 미비 등 안전사고 노출
○ 중대재해처벌법 사회적 대두 ⇒ 건설현장 선제적 조치 필요(안전사고 방지교육)
상수도공사 전문근로자 현장교육(기술+안전) 도입 필요
| admin |
[
"2006년 6월 16일 환경보전협회의 주최로 열린 행사는 뭐야",
"2006년 6월 15일에 열린 어떤 행사에 아시아 국가 환경공무원 21명이 초청됐지"
] | 환경신기술 ․ 해외바이어 한자리에… 제28회 국제환경기술전 6월 13일 코엑스 개막 !
제28회 국제환경기술전(ENVEX2006) 개최 계획
Ⅴ. 부대행사
1. 국제환경기술세미나
- 주최: 환경보전협회 - 후원: 환경부
- 일시:2006년 6월 14일(수) ~ 15일(목) - 장소: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310호
□ 2006년 6월 14일(수) / 발표내용 : 대기, 폐기물, 수질, 기타분야
2. 해외 환경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11개국 70여명)
- 일시 : 2006. 6. 14 (수)
- 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320, 321호
- 초청국(11개국 70여명) :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폴란드, 헝가리, 체코,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불가리아 등
- 주최 : 환경보전협회 / KOTRA
3. 환경기술사업 성과세미나 발표회
- 일시 : 2006. 6. 13 (화) ~ 16 (금)
- 장소 : 코엑스 태평양홀내(한국환경기술진흥원관)
- 주최 : 한국환경기술진흥원
4. 기술이전 설명회
- 일시 : 2006. 6. 16(금)
- 장소 : 코엑스 태평양홀내(한국환경기술진흥원관)
- 주최 : 한국환경기술진흥원
5. 중국환경전문가 초청 세미나
- 일시 : 2006. 6. 13 (화)
- 장소 : 코엑스 태평양홀내(한국환경기술진흥원관)
- 주최 : 한국환경기술진흥원
6. 수질오염총량제에 따른 기술세미나
- 일시 : 2006. 6. 14 (수)
- 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311호
- 주최 : (사)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7. 하수처리장 운영 지자체 회의
- 일시 : 2006. 6. 14 (수)
- 장소 : 코엑스 장보고홀 334호
- 주최 : 환경부 생활하수과
8. 실내환경기술포럼
- 일시 : 2006. 6. 15 (목)
- 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센터 320호
- 주최 : 에코뉴스
9. 아시아 국가 환경공무원 초청 (21명)
- 일시 : 2006. 6. 16 (금)
- 장소 : 코엑스 태평양홀내
- 초청국(15개국/21명) :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LAO PDR, 말레이시아, 몽골리아, 미얀마, 필리핀, 러시아, 스리랑카, 우주베키스탄, 베트남
- 주최 : 국립환경인력개발원 | admin |
[
"정부농업계 협력으로 취약계층에 한우곰탕을 기부한 생산자단체는 어디야",
"어떤 생산자단체에서 정부농업계 협력으로 취약계층에 한우곰탕을 전달하였지"
] | 정부농업계 협력으로 취약계층에 쌀·채소 등 신선식품 기부 <br>농식품 품목별 기부 참여 단체 현황 <table><tbody><tr><td rowspan='2'>구분</td><td rowspan='2'>생산자단체 </td><td rowspan='2'>기부물품 </td><td colspan='2'>기부물량 </td></tr><tr><td>2017.2(MOU체결) </td><td>2017. 예상</td></tr><tr><td>1</td><td>한국쌀전업농 중앙연협회</td><td>쌀</td><td>1톤</td><td>연간 3톤공급과잉 시 추가</td></tr><tr><td>2</td><td>농협RPC 운영전국협의회</td><td>쌀</td><td>1톤</td><td>-</td></tr><tr><td>3</td><td>농협 통합RPC운영협의회</td><td>쌀</td><td>4톤</td><td>-</td></tr><tr><td>4</td><td>라이스프라자 영농조합법인</td><td>쌀</td><td>2톤</td><td>-</td></tr><tr><td>5</td><td>한국과수농협연합회</td><td>사과, 배 등</td><td>1.4톤</td><td>연간 1.6톤(페스티벌, 경진대회)</td></tr><tr><td>6</td><td>(사)한국파프리카 자조회</td><td>파프리카</td><td>-</td><td>공급과잉 시(200톤)</td></tr><tr><td>7</td><td>(사)한국토마토 대표조직</td><td>토마토</td><td>-</td><td>공급과잉 시 (13톤)</td></tr><tr><td>8</td><td>(사)전국수박생산자 연합회</td><td>수박</td><td>-</td><td>공급과잉 시(5톤)</td></tr><tr><td>9</td><td>아이쿱</td><td>쌀, 라면</td><td>500만원상당</td><td>연간 1,000만원상당</td></tr><tr><td>10</td><td>(사)국산밀산업협회</td><td>우리밀가공제품</td><td>1,000만원상당</td><td>연간 1,000만원상당</td></tr><tr><td>11</td><td>전국한우협회 </td><td>한우곰탕</td><td>500만원상당</td><td>국거리용 고기40kg / 연2회</td></tr><tr><td>12</td><td>(사)한국육가공협회</td><td>육가공품</td><td>400만원상당</td><td>연간 650만원 상당(페스티벌, 경진대회) </td></tr><tr><td>13</td><td>유가공 협회</td><td>유제품</td><td>1.1톤</td><td>연간 244톤</td></tr><tr><td>14</td><td>한국버섯생산자연합회</td><td>버섯</td><td>100만원상당</td><td>연간 500만원 상당</td></tr><tr><td>15</td><td>aT</td><td>건고추</td><td>-</td><td>연간 264톤</td></tr><tr><td colspan='3'>합 계</td><td>5,000만원</td><td>약 40억원</td></tr></tbody></table> | admin |
[
"대일 투자유치 사절단 구성 중 정부로 구분된 기관은 뭐야",
"정부로 구분된 조직으로 대일 투자유치 사절단에 구성된 곳은 어디니"
] | 민·관합동 투자유치 설명회 및 무역·투자 상담회 개최<br>대일 투자유치 사절단 구성 <table><tbody><tr><td>구분</td><td>기관(업종)</td></tr><tr><td>정부(1)</td><td> 산업자원부</td></tr><tr><td>지자체(7)</td><td> 충북, 충남, 경기, 전북, 전남, 경남, 구미</td></tr><tr><td>지원기관(3)</td><td> KOTRA, 전자부품연구원, 노무라연구소</td></tr><tr><td>수요대기업<br>(13) </td><td> 현대자동차, 르노삼성,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삼성SDI, LG필립스LCD,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종합기계, 삼호중공업, LG화학, 동부제강, 동진세미켐</td></tr><tr><td>중소벤처<br>(25) </td><td> K9(FLip-Chip), QoSBA(System 장비), XTM(위폐감별), 포모컴(휴대폰 설계), 핑거시스템(i-Pen), SEKONIX(렌즈), EPIXON(DC Moter), 미디어포드(Voice XML), 컴섹(전화기), TBK전자(휴대폰), 디스플레이테크(카메라), SET(램프), XEline(PLC), 경원엔터프라이즈(세탁기), SY하이테크(터치펜), 은성산업(콘덴서), LG Cable(Cable), Hansung Elcomtec(센서), Interphos(인터넷 전화), Magicyura(세라믹), Jueuntec(비디오폰), Netpia(인터넷), Samick Tech(기계부품), Samshin Innotec(헤드셋), SFA Engineering(LCD)</td></tr></tbody></table> | admin |
[
"누가 교통약자 이동시설 설치등에 관한 교육기능을 맡게되니",
"교통약자 이동시설 설치 등에 대한 교육기능을 누가 담당하는거야"
] | 교통약자시설 설치․관리 교육, 해당 지자체가 맡는다- 개정 법률안 입법예고…수요에 맞는 교육으로 운영 효율화 -
□ 국토해양부(장관 : 정종환)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시설 설치 등에 관한 교육 기능을 지자체에 이양하고,
ㅇ 지방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수립의 중복성을 없애는 등 제도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정비하고자 「교통 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개정안을 입법예고(2011.2.16)한다고 밝혔다.
* 교통약자 :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이동에 불편을 느끼는 자
□ 금번에 개정되는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교통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통약자 이동시설 설치 등에 대한 교육기능을 지방자치단체장에 이양하여,
ㅇ 교통약자관련 교육 체계를 명확하게 하고 교육계획부터 운영까지 일관성 있도록 하였다.
* 교통사업자 : 여객자동차, 도시철도, 항공, 해운 등 교통수단을 운행․운항하거나 여객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
** 교육(대상 : 신규 사업자) : 1년 이내, 1회, 4시간 교육
②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에서 정하고 있는 지방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계획 내용이 다른 교통 관련 계획에 반영하여 수립된 경우에는 국토해양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해당 지방계획을 따로 수립하지 않을 수 있도록 개선하여,
ㅇ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되는 교통관련 계획간의 중복성을 줄이고 연계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③ 저상버스의 표준모델 개발을 촉진하고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표준모델 기준 및 이를 고시할 수 있는 근거를 신설하였다 | admin |
[
"도시지역의 지진재해에 대한 균형 잡힌 도시방재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기술은 뭐야",
"무슨 기술이 도시지역의 지진재해에 대한 균형 잡힌 도시방재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니",
"지진위험지도 작성에 필요한 6가지 분석인자를 활용해 동별 지진 취약지역을 도출한 도시는 어디야",
"지진위험지도 작성에 필요한 6가지 분석인자를 이용해 어느 도시의 동별 지진 취약지역을 찾았니"
] | 지진에 대비한 경기도 내진대책과 정책개선
제1장 서론
4. 지진 취약지역에 관한 연구
***외3(2015)의 연구에서는 재해에 대한 위험을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재해에 어떻게 노출되어 있는지, 얼마나 취약하고,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게 되는데 이에 더하여 단순한 구조물의 피해가 아니라 재해에 대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하여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2016)의 연구에서는 구축된 지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들을 활용한 공간구역화 지도를 지역 지진대책에서 활용하기 위해 제시하였고, 인천 행정 단위별로 부지주기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반지진공학적 취약부지의 평가를 통해 해안 대도시에서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017)의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라이프라인 시설물(전력, 통신, 상하수도, 가스, 냉방 등)의 지진방재 성능평가를 위하여 지진 취약도 분석을 수행하고, 도시지역의 지진재해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개발된 지진재해위험도 평가 기법은 전국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도시지역의 지진재해에 대한 균형 잡힌 도시방재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지진재해위험도 평가기술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2017)의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지진위험지도 작성에 필요한 6가지 분석인자(지진발생분포, 노후건축물, 경사도, 위험물질, 인구밀도, 단층대)를 활용하여 울산광역시의 동별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admin |
[
"행정자치부는 지방규제개혁 유공자로 몇 명을 선정하여 포상하는가",
"행정자치부는 몇 명의 지방규제개혁 유공자를 선택해서 상을 주니"
] | 국민 추천으로 지방규제개혁 유공자 뽑는다 - 행자부, 12. 15까지 후보자 접수, 훈․포장 등 35명 포상 -
□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지역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법령․자치법규 등에 숨어 있는 규제를 개혁하고 인․허가 행태를 모범적으로 개선한 지방규제개혁 유공자에 대해 정부 포상을 추진한다.
○ 포상 대상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지방공기업 임직원, 유관기관 임직원, 국민 등 규제개혁에 공헌한 사람은 누구나 해당된다.
□ 특히, 올해는 적극적인 규제개혁을 유도하기 위해 ‘기관 추천’ 뿐 아니라, ‘자가 추천’을 도입하고, 공적기간도 최근 3년간으로 확대했다.
○ ‘기관 추천’은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공기업 등 기관장이 추천하는자로서, 기업 등 수혜자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규제개혁 유공자에 대한 기관 추천을 요청할 수도 있다.
○ ‘자가 추천’은 본인이 자신의 공적 내용을 작성하여 행정자치부(지방규제혁신과)에 오는 15일까지 직접 추천서를 제출하면 된다.
□ 추천된 후보자에 대해서는 현지 실사 및 공개검증을 거쳐 내년 초 최종 35명을 선정하고 포상(훈장 4, 포장 6, 대통령표창 15, 총리표창 10)할 계획이다.
○ 심덕섭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실장은 “앞으로도 지역현장에서 적극행정을 통해 기업의 규제애로를 해소한 공무원 및 빛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국민 생활불편 규제 해결에 기여한 공무원과 국민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격려함으로써 지방규제 혁신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admin |
[
"국고보조사업 운용을 효율적으로 하려고 지방의 의견 수렵없이 추진하던 사업이 어떻게 바뀌지",
"국고보조사업 운용의 효율화를 위해 지방의 의견수렴이 없는 사업 추진은 어떻게 개선되지"
] | 지방재정 더 효율적이고 더 투명하게 바꾼다<br>제도개선으로 달라지는 내용<br>환경변화를 반영한 재정제도 정비<br>국고보조사업 운용의 효율화 <table><tbody><tr><td colspan='2'>구분</td><td>현행</td><td>개선</td></tr><tr><td rowspan='3'>국고보조사업정비</td><td>유사・중복사업 정비</td><td>・ 사업의 과다‧중복 및 지방부담 가중</td><td>・ 유사‧중복, 불필요한 사업 일괄 정비</td></tr><tr><td>국가최저수준 복지사업 협력강화</td><td>・ 국가최저수준 복지사업의 보조율 기준 부재</td><td>・ 보조율 기준 마련</td></tr><tr><td>의무성 국고보조사업 기준보조율</td><td>・ 보조율의 기준과 원칙 부재</td><td>・ 중앙-지방간 재원분담기준 정립</td></tr><tr><td>지방재정부담심의위원회강화</td><td>대규모 신규 국고보조사업 지방비 부담 적정성</td><td>・ 지방의 의견수렴 없는 사업 추진</td><td>・ 대규모 보조사업 신설시 지방의견 수렴 절차 제도화</td></tr><tr><td rowspan='2'>dBrain과e-호조</td><td>국고보조사업 이력관리</td><td rowspan='2'>・ 시스템을 통한 국고보조사업 관리 미흡</td><td>・ 시스템을 통한 정확한 통계 관리 가능</td></tr><tr><td>국고보조사업 교부・집행실적 이력관리</td><td>・ 교부‧집행률 제고 및 대국민 공개를 통해 투명성 강화</td></tr></tbody></table> | admin |
[
"레이저 다이오드를 주생산품으로 삼는 곳은 어디야"
] | 벤처·창업 ! 미래 성장동력 !「2011 대한민국 벤처·창업대전」10월 5일 개막<br>2011 벤처·창업대전 포상 규모 및 대상자 주요 명단<br>□ 주요 포상대상자 명단(국무총리 표창 이상) <table><tbody><tr><td>순</td><td colspan='2'>훈 격</td><td>회 사 명</td><td>대표자</td><td>주생산품</td></tr><tr><td>1</td><td rowspan='3'>산업 훈장<br>(3) </td><td>동탑</td><td>(주)사파이어테크놀로지</td><td>***</td><td>LED기판용 사파이어</td></tr><tr><td>2</td><td>철탑</td><td>주식회사 스틸플라워</td><td>***</td><td>후육강관</td></tr><tr><td>3</td><td>석탑</td><td>주식회사 코디에스</td><td>***</td><td>전기차용 충전기</td></tr><tr><td>4</td><td colspan='2' rowspan='2'>산업포장<br>(2) </td><td>주식회사 이포넷</td><td>***</td><td>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 </td></tr><tr><td>5</td><td>(주)엘엠에스</td><td>***</td><td>LCD핵심부품<br>(Prism sheet) </td></tr><tr><td>6</td><td colspan='2' rowspan='7'>대통령표창<br>(7) </td><td>(주)코난테크놀로지</td><td>***</td><td>검색 솔루션 소프트웨어</td></tr><tr><td>7</td><td>(주)큐에스아이</td><td>***</td><td>레이저 다이오드</td></tr><tr><td>8</td><td>(주)디지캡</td><td>***</td><td>지상파 DMB CAS 기술</td></tr><tr><td>9</td><td>(주)모든넷</td><td>***</td><td>전자칠판,소프트웨어</td></tr><tr><td>10</td><td>주식회사아진엑스텍</td><td>***</td><td>전자부품(모터제어전용칩 등)</td></tr><tr><td>11</td><td>(주)건양아이티티</td><td>***</td><td>자동차 내장재 생산용 기계</td></tr><tr><td>12</td><td>플러스 기술㈜</td><td>***</td><td>IP공유기 검출 기술</td></tr><tr><td>13</td><td colspan='2' rowspan='10'>국무총리 표창(10) </td><td>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td><td>***</td><td>IMS 전문 업체</td></tr><tr><td>14</td><td>(주)톱텍</td><td>***</td><td>태양광 장비</td></tr><tr><td>15</td><td>에이에스피반도체㈜</td><td>***</td><td>메모리 및 조명</td></tr><tr><td>16</td><td>(주)유아이</td><td>***</td><td>마그네틱/광학매체</td></tr><tr><td>17</td><td>(주)세우테크</td><td>***</td><td>미니프린터</td></tr><tr><td>18</td><td>(주)이즈미디어</td><td>***</td><td>CCM 검사 소프트웨어</td></tr><tr><td>19</td><td>한국프라임제약(주)</td><td>***</td><td>의약품</td></tr><tr><td>20</td><td>(주)다이아벨</td><td>***</td><td>휴대폰용 부품</td></tr><tr><td>21</td><td>메디포스트㈜</td><td>***</td><td>줄기세포 치료제</td></tr><tr><td>22</td><td>주식회사 케이엠</td><td>***</td><td>의료용 피복</td></tr></tbody></table> <벤처기업인> | admin |
[
"환경부는 정수기의 안전관리 강화대책으로 어떤 방법을 실시하니"
] | 정수기 안심사용 위해 안전관리 강화한다
□ 정수기 안심사용을 위한 안전관리 강화대책이 마련된다.
□ 환경부(장관 조경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정수기 위생문제’(세균, 이물질 검출)와 ‘복합형 정수기의 관리체계 부재’ 등에 대해 실태조사와 전문가 검토,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정수기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대책을 내년 2월까지 마련한다고 밝혔다.
※ 최근 탐사보도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 중인 정수기의 위생관리 미흡으로 저수조내 이물질 덩어리가 검출되는 등의 문제 제기
○ 이번에 마련할 안전관리 강화대책은 정부, 제조․판매사 등의 소관대책과 소비자단체․전문가 등의 의견을 총망라하여,
○ 정수기 생산단계부터 사후관리까지 소비자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진단한 개선대책이 마련될 예정이다.
□ 환경부는 이를 위해 이달 말에 전문가, 소비자단체, 업계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정수기 안전관리 개선 대책반(T/F)’을 발족한다.
○ ‘정수기 안전관리 개선 대책반(T/F)’은 제도개선, 정수기 위생관리 개선, 소비자 권익보호 등 3개 분과 총 18명으로 구성하여 대책 마련까지 약 5개월(2016.10~2017.2)간 운영된다.
○ 정수기 사후 위생관리 체계 강화, 정수기 부가기능 관리 사각지대 해소방안, 정수기 품질검사체계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며,
○ 또한 실태조사는 사용 중인 정수기의 구조 및 위생관리 실태, 제조․판매사의 사후관리체계 등에 대해 표본조사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admin |
[
"고흥군에 있는 섬 중 풍화된 화강암으로 생성된 돔과 토르가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는 곳이 어디지",
"풍화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돔과 토르가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는 고흥군의 섬이 어디일까"
] | 고흥군 57개 무인도서 자연환경 조사결과 발표
□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고윤화)은 2008년 고흥군 57개 무인도서에 대한 자연환경조사 결과 수달, 구렁이 등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6종과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를 발견하였다.
※ 동조사는「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06년부터 ’14년까지 매년 57개 도서를 선정, 지형․경관, 식생 등 7개분야에 대한 조사를 수행.
□ 조사 결과, 거금도 주변의 형제도와 준도는 구실잣밤나무군락과 후박나무군락 등과 같은 상록활엽수림이 잘 보존되어 있고, 파도에 의해 생성된 씨아치(Sea Arch), 염풍화혈과 같은 다양한 미지형이 수려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어 보존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씨아치: 파랑의 침식으로 아치(arch) 모양으로 뚫린 해안침식지형
※ 염풍화혈: 염분이 높은 물과 접촉하여 형성된 풍화혈
□ 특히 외해(外海)에 위치하고 있는 무학도는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성된 큰 규모의 돔과 토르 및 해식애(바다절벽)가 후박나무-참식나무 군락과 어우러져 매우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 또한 멸종위기종인 매와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며, 남서해안의 대표적인 해조류 식생군락이 잘 보존되어 있었다.
※ 돔: 지표에 돌출된 바위 봉우리
※ 토르: 수직 및 수평 절리(바위의 갈라진 틈)가 발달한 돌출 암괴
□ 무인도서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해조류를 조사한 결과 희귀 해조류인 뜸부기가 여러 섬에서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기존의 남서해안조사에서는 극히 드물게 보고된 남방계 해조류 옥덩굴이 일부도서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무인도서의 자연성 및 생물다양성이 뛰어나거나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희귀종이 서식하는 등 생태적 보존가치가 높은 도서를 특정도서로 추가 지정하여 보존할 계획이다.
※ 2008년 12월 말 현재, 독도 등 162개 도서가 특정도서로 지정. | admin |
[
"안전행정부가 무엇을 실시함으로써 감사 및 반부패 활동분야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니",
"2012년도에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공직자들에게 실시한 교육은 뭐야"
] | “안전행정부, 대한민국 공직자 청렴 선도해야”
안행부, 이성보 국민권익위원장 초빙 간부 대상 특강
□ “새로운 대한민국은 비정상을 정상화하는 데서 시작하며, 공직자들의 높은 청렴성의 기반 위에서 실현된다”
○ 안전행정부(장관 유정복)는 9월 4일(수) 이성보 국민권익위원장을 초청하여 ‘신뢰받은 정부, 깨끗한 공직사회를 위한 공직자로서의 청렴자세’라는 주제로 특강을 실시했다.
□ 그간 안전행정부는 관행적인 공직비리 및 구조적 부조리에 대한 개선노력과 지속적인 반부패 의지로 2012년도 감사 및 반부패 활동분야에 대한 3개 기관(국무총리실, 감사원, 국민권익위원회) 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지만,
○ 공직자의 청렴을 선도하는 부처로서 공직자의 청렴문화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안전행정부 고위직 공무원의 청렴 솔선수범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중앙부처 처음으로 실․국장, 과장 등 간부급 공무원(192명)을 대상으로 하는 고위공무원 청렴교육을 실시하였다.
□ 이날 특강에서 이성보 위원장은 공직자에게 요구되는 청렴수준과「부정청탁 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 방지법」제정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은 비정상적 관행을 정상으로 바로잡는 데서 시작하며, 공직자들의 높은 청렴성의 기반 위에서 실현된다”고 하면서, 공직자의 청렴한 자세를 당부하였다. | admin |
[
"어디가 2017년 행정서비스 공동생산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회에서 사회혁신 분야의 대상으로 뽑혔니",
"2017년 행정서비스 공동생산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회에서 일반협업 부문에 몇 건이 응모됐니",
"2017년 행정서비스 공동생산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회에서 몇 건이 일반협업 분야에 모집됐어",
"2017년 행정서비스 공동생산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회에서 사회혁신 부문의 대상으로 선정된 곳은 어디야"
] | 주민과 함께 만들어 더 빛나는 행정서비스 - ‘2017년 행정서비스 공동생산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회’ 개최 -
□ 주민이 직접 지역의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만들어서 민 관이 함께 실행하는 행정서비스 성공사례가 한 자리에 모인다.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017년 행정서비스 공동생산 우수사례 시상 및 발표회’를 27일 여수세계박람회장에서 개최한다.
□ 행정안전부는 주민참여형 민 관 공동생산을 통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사회혁신 확산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이 행사를 개최해오고 있으며,
○ 올해는 ‘일반협업’ 부문에 81건, ‘사회혁신’ 부문에 70건 등 총 151건이 응모하여, 전문가 심사를 통해 부문별 대상 및 최우수, 우수사례 등 12건을 선정하였다.
○ 일반협업 부문에서는 경기 남양주시의 「내 삶을 바꾸는 주민참여 플랫폼, “현답토론회”」가 대상, 경기 용인시의 「용인시 희망도서 바로대출제」가 최우수를, 서울 중구, 경기 오산시, 경기 파주시, 전남 순천시의 사례가 우수로 선정되었으며,
○ 사회혁신 부문에서는 서울 금천구의 「기초자치단체 최초의 개방형 청년 활동공간 ‘청춘삘딩’」이 대상, 전라남도의「전국 최초 100원 택시 전시군 확대 운영」이 최우수를, 광주 광산구, 대구광역시, 서울 성동구, 충북 제천시의 사례가 우수로 선정되었다.
□ 이번 행사는「제5회 대한민국 지방자치박람회」(2017.10.26~10.29, 여수세계박람회장)와 연계하여 개최되는 행사로, 이번에 선정된 우수사례의 주요 내용과 성과 등은 박람회장 내 ’지방자치정책홍보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은 시상식에서 “관 혼자서는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문제를 주민과 지역단체, 사회적기업 등 민간이 주도하고 관이 지원하여 해결하는 공동생산이 확산되고 있다.”라면서,
○ “이를 위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과 주민참여를 활성화하고 지역공동체 육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 admin |
[
"환경부는 고시 개정안을 마련하기 위해 어떤 절차를 거쳤니",
"어떤 절차가 고시 개정안을 만들기 위해 수행되었을까"
] | 안전확인 대상 생활화학제품 고시 개정 행정예고
□ 환경부는 이번 개정안을 위해 2018년부터 국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기반 마련 연구* 및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비관리 생활화학제품 안전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등을 추진한 바 있다.
* 생활화학제품 내 미세플라스틱 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기반 마련(2018년 6월~2019년 1월)
** 비관리제품 위해성평가 및 안전관리방안 마련 연구(2018년 6월∼2019년 2월)
○ 환경부는 그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검토와 산업계, 시민단체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이번 고시 개정안을 마련했다. | admin |
[
"과학기술 50년과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기술인의 긍지를 높이기 위한 행사를 추진한 기관이 어디야",
"시대별 정책-대표기술대표인물에 관련한 성공스토리의 내용인 어떤 책이 미래창조과학부를 통해 발간되니",
"미래창조과학부는 시대별 정책-대표기술대표인물을 연계한 성공스토리를 구성하는 어떤 책을 발간하지",
"전국에 방송되는 TV 프로그램 중 과학기술 50년을 맞이한 4월 과학의 달 첫 행사로 무엇이 방영되지",
"어떤 행정기관에서 과학기술 50년과 4우러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기술인의 긍지를 높이는 행사를 개최했니",
"과학기술 50년을 맞이하여 4월 과학의 달 첫 행사로 어떤 TV 프로그램이 전국에 방송되니"
] | 과학기술 50년,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전국 과학문화행사 풍성 -「KBS 열린음악회」, 「4월 과학문화제」, 「과학기술인 걷기축제」 등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과학기술 50년과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기술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고 과학기술인의 긍지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를 추진한다.
□ 과학기술 50년을 맞아, 과학 기술 및 정책 분야별 성과를 조명하고 미래 비전을 정립하기 위한 「과학기술 50년 대토론회 시리즈」 를 추진하고, 올해로 20주년을 맞는 「대한민국 과학창의축전」(8월)도 확대하여 개최할 예정이다.
※ 기초연구분야(3-5월), R&D제도(7월), IBS(7월-11월), 글로벌기후기술, 바이오(11월) 등
ㅇ 지난 50년 간 과학기술 주요 정책성과를 총정리하고, 시대별 ‘정책-대표기술대표인물’을 연계한 성공스토리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과학기술의 역사를 정리한 「과학기술 50년사」도 발간한다.
□ 4월 과학의 달 첫 행사로 과학기술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고 과학기술인의 노고를 격려하며 그 의미를 국민과 함께하는 과학기술 50년 기념 「KBS열린음악회」가 4.3(일)에 전국에 방송된다.
□ 국립과천과학관 등 전국 5개 과학관에서 동시 개최하는 「4월 과학문화제」는 4월 2일(토) 오전 11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3일까지 2일간 다양한 행사로 진행된다.
ㅇ 과학기술 50년, 4월 과학의 달을 맞이하여 “4월에 떠나는 가족과학여행”이라는 주제로 사이언스북콘서트, 드론체험, 사이언스매직쇼 등 쉽고 흥미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각 지역에서 국민들이 즐길 수 있도록 추진하고,
ㅇ 성인을 포함한 전 국민의 과학 창작‧문화 활동 지원사업인 「우리동네 과학 클럽」의 전국 발대식이 열린다. | admin |
[
"미래해양도시 부산 해커톤 대회에서 청세 팀에게 주어진 상금은 얼마일까",
"어떤 팀이 미래해양도시 부산 해커톤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지",
"미래해양도시 부산 해커톤 대회에서 청세 팀이 얼마의 상금을 받았지",
"미래해양도시 부산 해커톤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팀의 이름은 뭐야"
] | 미래해양도시 부산 해커톤 대회 최종 수상자 명단<br>○ 대회 수상작 및 팀 현황 <table><tbody><tr><td>구분</td><td>수상작명</td><td>팀명</td><td>비고</td></tr><tr><td>대상</td><td>○ 건강하고 활기찬 ‘wellness’ 부산을 그리는 ICT 활용 걷기 APP 아이디어 </td><td>청세</td><td>부산광역시장상 상금 200만원 </td></tr><tr><td rowspan='2'>최우수상</td><td>○ ShipSat</td><td>Ship Observer</td><td>부산TP원장상 상금 100만원 </td></tr><tr><td>○ 부산 해양 관광지 무인 드론 촬영 서비스</td><td>동백꽃</td><td>부산TP원장상 상금 100만원 </td></tr><tr><td rowspan='2'>우수상</td><td>○ 위성기반 해양 산출물 시각화</td><td>P.D.S</td><td>동아사이언스대표상 상금 50만원 </td></tr><tr><td>○ 부산 관광 외국인을 위한 SNS 기반 관광 정보 지원 플랫폼 </td><td>관광하면 부산!</td><td>동아사이언스대표상 상금 50만원 </td></tr></tbody></table> | admin |
[
"환경공단은 누구를 기간제 근로자로 전환할 예정이야",
"환경공단은 70여 명의 누구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확정했지",
"환경부는 무엇에 한해서만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구성하려 하지",
"한국환경공단은 기간제 근로자 몇 명을 용역직원으로 전환하기로 확정했어",
"몇 명의 용역직원을 한국환경공단이 기간제 근로자로 전환하고자 할까"
] | 한국환경공단, 기간제 근로자 243명 정규직 전환
□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은 공단 본사 및 지역본부에서 지속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기간제 근로자 243명의 정규직 전환을 2월 1일부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 환경공단은 이번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위해 지난해 7월에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필기시험, 면접전형 등 신입직원 채용에 준하는 절차를 밟았다.
○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는 노무사, 변호사, 교수, 노동조합 관계자 등 외부위원과 환경공단 경영기획본부장 등 내부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3차례의 공정한 심의를 거쳐 전환대상과 채용방법 등을 확정했다.
□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은 고용불안 해소와 더불어 자기경영 혁신비, 선택적 복지비 등의 혜택을 정규직 직원과 동일하게 받는다.
○ 환경공단은 정규직 전환에서 더 나아가 체계적인 인사관리와 지속적인 처우개선으로 정규직 전환자들이 조직에 신속히 융화되고 사기가 진작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환경공단은 앞으로 지속적인 업무가 신설되는 경우나 결원 시에는 정규직만 채용할 예정이다. 다만 환경시설 설치공사, 단기적 행사 등 기한이 명확한 사업에 한해서만 ‘비정규직 사전심사제’를 통해 비정규직을 채용할 계획이다.
○ 그간 환경공단 수도권지역 본부에서 1년 6개월 가량 근무하다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된 *** 사원은 “일자리에 대한 걱정이 컸는데 이제 직장 생활이 안정돼 마음이 놓인다”라면서, “좋은 기회가 주어진 만큼 업무에 보다 책임을 갖고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환경공단은 청소직, 시설관리직, 콜센터 상담원 등 70여 명의 용역직원에 대해서도 ‘정규직 전환 심의위원회’를 통해 올해 상반기 중에 정규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 ***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과 차별 철폐, 신규 일자리 창출은 공공기관이 마땅히 맡아야할 소임”이라며 “공공과 민간의 환경 분야에서 많은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공단이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admin |
[
"경주 삼릉길에서 어떻게 하면 천년고도 신라의 역사 문화를 만날 수 있을까",
"천년고도 신라의 역사문화를 접하기 위해 경주 삼릉길에서 어떻게 해야하니"
] | 추석연휴, 가족과 함께하는 국립공원 탐방명소 5곳
□ 가을바람을 따라 쉽고 가볍게 걸을 수 있는 탐방 명소 나머지 3곳은 ▲내장산 비자나무길 ▲경주 삼릉길 ▲월출산 기찬묏길이다.
○ 가을 산으로 잘 알려져 있는 내장산은 단풍뿐만 아니라 푸른 기운이 느껴지는 울창한 비자림도 대표 경관이다. 쌍계루 누정의 멋스러운 풍광과 비자나무의 천연 숲을 걷다보면 가을이 왔음을 느낄 수 있다.
○ 경주 삼릉길은 소나무숲을 걷다보면 천년고도 신라의 역사 문화를 만날 수 있으며, 왕이 행차했던 월정교와 황리단길도 함께 탐방이 가능하다.
○ 호남의 소금강이라 알려진 월출산 기찬묏길은 이름처럼 월출산의 좋은 기(氣)를 느끼며 걷는 쾌적한 건강길로 인근의 왕인박사 유적지역에서 역사문화 탐방도 할 수 있다.
□ ***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복지처장은 “가족과 함께 국립공원 탐방명소에서 풍요로운 추석을 보내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admin |
[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상권을 살리고 공동체 의식을 높이기 위해 어떤 상품권을 발행하니"
] | 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의 쟁점과 과제
Ⅰ. 지역화폐의 다양성
국내에서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상품권 형태의 지역화폐 도입 증가
○ 전통적인 지역화폐의 형태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지역상품권 흐름 역시 지역화폐 활동이 가지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
- 지방정부의 전통적인 경기부양 정책과 상당히 다른 접근법을 취하고있다는 점에서 지역화폐 활동의 의의를 평가할 수 있음(문진수, 2014)
○ 2016년 말 기준으로 56개의 지역상품권이 운영 중에 있으며, 2018년에는 64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상품권을 운영할 예정(행정안전부, 2017)
- 행정안전부가 도입하여 운영하는 고향사랑 상품권은 ‘지역상권 활성화 및 공동체 강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자체의 행정구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을 의미
- 2006년 20억 원 규모로 시작된 성남시의 성남사랑상품권 발행액은 2017년 260억 원 규모로 증가하였으며, 가맹점 역시 7,769개소로 크게 증가(경기일보, 2018.03.21.)
- 광역차원에서 강원도에서는 「강원상품권 발행 및 운용 조례」를 제정하여 지역자금의 원외유출을 방지하고 역내 순환을 촉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지역상품권 정책을 2017년부터 추진 | admin |
[
"그린스타트 녹색생활 우수단체 및 개인에 대한 시상식은 어느 장소에서 열릴 예정이니",
"환경부와 그린스타트 네트워크가 전파할 예정인 것은 무엇 줄이기 실천운동일까",
"환경부와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무엇 줄이기 실천운동을 전파할 계획이지",
"어느 장소에서 그린스타트 녹색생활 우수단체 및 개인에 대한 시상식이 개최될 계획이야"
] | ❚시민자전거 “누비자” 녹색생활 대상으로 선정❚
□ 이번에 선정된 우수단체 및 개인에 대하여는 1 월 24일(화) 송파구 올림픽 홀에서 예정된 녹색생활 한마음대회에서 시상할 예정이며,
○ 공모전에 제출된 사례는 그린스타트 녹색생활 우수사례집 발간 및 홈페이지 게재 등으로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 한편, 환경부와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는 앞으로도 그린스타트! 녹색은 생활이다슬로건 하에 온실가스 줄이기 실천운동을 전국에 구성된 그린스타트 네트워크와 함께 전개하는 동시에 전국의 우수사례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널리 전파할 계획이다.
○ 녹색생활 우수사례 발굴과 확산은 11월 중순 결정되는 국가 온실가스 중기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특히 가정, 교통, 상업 등 비산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admin |
[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한 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찾아간 건 경기도 분당에 있는 어디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한 날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어디를 방문했지"
] | 유영민 장관, 5G 서비스 개시 현황 점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개시일인 12월 1일(토) 오전 유영민 장관이 경기 분당에 위치한 SK텔레콤 인프라관리센터를 방문해 5G 망구축ㆍ운용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들을 격려했다고 밝혔다.
□ 먼저 유영민 장관은 당초 계획대로 오늘 이통3사가 동시에 5G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된 점에 대해 감사를 표하면서 차질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24시간 빈틈없이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들의 노고를 격려하였다.
ㅇ 아울러, 5G 망구축ㆍ운용 상황을 점검하고 5G 서비스 개시 현황을 살펴보았다.
□ 유영민 장관은 “우리가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앞서 5G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게 된 것은 현장에서 묵묵히 노력해 준 여러분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면서,
ㅇ “앞으로도 정부와 민간이 합심하여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5G 서비스를 제공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 아울러, “최근 발생한 통신구 화재 사고에서 보듯 5G 기반 초연결시대에는 통신 인프라의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ㅇ “국민께서 안심하고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라고 강조하였다. | admin |
[
"무엇이 높은 경우 유전자형의 다양성이 낮으며 유전적 건강성이 낮게 나타나니",
"어느 요인이 높은 경우에 유전자형이 다양하지 않고유전적 건강성이 낮게 나타나지"
] | 민물고기 11종 유전자 분석…동자개 등 6종 수계별 특성 뒤섞여
질의응답
1. 유전적 특성이란?
ㅇ 동일 한 종이라 할지라도 형태적으로는 같으나 조상에 따라 유전되는 유전자형은 개인 또는 가계별로 차이가 있는데 이것을 유전다양성 또는 유전적 특성이라 합니다. 즉 유전적 특성은 동일한 종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유전자형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동일 종 내 집단을 기준으로 유전적 특성을 판단하여 유전적 건강성을 평가하기도 합니다. 유전자형의 다양성이 낮은 경우는 근친교배율이 높은 경우 주로 나타나며, 이 경우 질병이나 환경변화 등에 더 민감하고 대응력이 낮아서 집단 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유전적 건강성이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유전자형의 다양성 높은 경우 더 건강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dmin |
[
"2021년도 건축위원회 개편 계획에 따르면 위촉된 누구에 대해 청렴서약서가 작성되어야 해",
"위촉된 누구에 대한 청렴서약서가 2021년도 건축위원회 개편 계획에 의해 만들어져야하니"
] | 『2021년도 건축위원회 개편 계획』
6 위원 선정 기준
위원응모 자격
❍ 도시계획 및 건축 등 응모분야에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 해당분야 교수(조교수 이상), 건축사, 기술사 등 전문가
위원선정방법
❍ 관계공무원 및 학식이 풍부한 전문가 등으로 '위원 선정 심사위원회'를 구성, 심사하여 선정 후 위촉
- 중복위촉 제한(타 지자체간 3개, 타 위원회 간 5개)
- 직업군(교수, 연구원, 시민단체, 건축사 등)의 다양화
위원의 청렴성 강화
❍ 뇌물수수, 개발정보 유출 등 부패행위에 대한 과거전력이 있는 경우 참여 배제
❍ 위촉 후 부패행위 관련된 경우 위촉 자동취소 동의서 징구
❍ 위촉된 민간위원에 대해 청렴서약서 작성 | admin |
[
"2019년 어린이 미술학교 고학년반에서 3월 26일 화요일에 하는 1기 주제는 뭐지",
"2019년 3월 26일 화요일에 진행되는 어린이 미술학교프로그램 고학년반 1기의 주제가 뭐야"
] | 2019 어린이 미술학교 운영안내<br><2019 어린이 미술학교 프로그램 세부안내><br>■ 고학년반<br> <table><tbody><tr><td>구분</td><td>주제 / 내용</td><td>강의기간</td><td>신청일자</td></tr><tr><td>1기</td><td>바다 속 세상 1. 계란판 문어 2. 털실 물고기 3. 파도를 넘어서 4. 비닐고래 구출작전 5. 바위 거북이 </td><td>4월 6일 ~ 5월 11일<br>(4. 6/4. 13/4. 20/4. 27/5. 11) </td><td>3월 26일(화)</td></tr><tr><td>2기</td><td>숲속 탐험 공작대 1. 뛰어보자 펄쩍 2. 찌그러진 깡통의 변신 3. 투명액자(숲속 풍경) 4. 거미집 짓기 5. 나무동물들 </td><td>5월 18일 ~ 6월 15일<br>(5. 18/5. 25/6. 1/6. 8/6. 15) </td><td>5월 7일(화)</td></tr><tr><td>3기</td><td>하늘을 날다 1. 파닥파닥 새 2. 빛과 움직임 3. 움직이는 그림(모션픽쳐) 4. 하늘을 담다 5. 바람아 어디 가니 </td><td>6월 22일 ~ 7월 20일<br>(6. 22/6. 29/7. 6/7. 13/7. 20) </td><td>6월 11일(화)</td></tr><tr><td>4기</td><td>바다 속 세상 1. 계란판 문어 2. 털실 물고기 3. 파도를 넘어서 4. 비닐고래 구출작전 5. 바위 거북이 </td><td>8월 31일 ~ 10월 5일<br>(8. 31/9. 7/9. 21/9. 28/10. 5) </td><td>8월 20일(화)</td></tr><tr><td>5기</td><td>숲속 탐험 공작대 1. 뛰어보자 펄쩍 2. 찌그러진 깡통의 변신 3. 투명액자(숲속 풍경) 4. 거미집 짓기 5. 나무동물들 </td><td>10월 12일 ~ 11월 9일<br>(10. 12/10. 19/10. 26/11. 2/11. 9) </td><td>10월 1일(화)</td></tr><tr><td>6기</td><td>하늘을 날다 1. 파닥파닥 새 2. 빛과 움직임 3. 움직이는 그림(모션픽쳐) 4. 하늘을 담다 5. 바람아 어디 가니 </td><td>11월 16일 ~ 12월 14일<br>(11. 16/11. 23/11. 30/12. 7 /12. 14) </td><td>11월 5일(화)</td></tr></tbody></table> | admin |
[
"다문화 가정의 경우 언제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보육료를 전부 지원해",
"언제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다문화 가정의 경우 보육료를 전액 지원하지"
] | 2011년 새롭게 달라지는 출산∙육아 지원
2.다문화 가정 영유아 보육료 지원
2011년도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다문화 가정의 경우 보육료를 전액 지원합니다.
3.농어업인 가정 영유아 양육비 지원 농지 소유면적 5ha미만 농가의 농어업인으로서 농외 소득이 연간 4,000만원미만(1자녀 가구기준)이며, 만 5세이하 및 취학을 유예한 만 6세이하의 자녀를 둔 경우 보육 시설 이용 유무에 따라 양육비를 차등 지원합니다.
2자녀 가구기준 : 4,400만원미만
3자녀 가구기준 : 4,800만원미만
4자녀 가구기준 : 5,200만원미만
보육시설을 이용할 경우 : 정부 보육료 지원단가의 70%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 현행 정부 보육료 지원단가의 35%에서 2012년 60%까지 지원 확대 | admin |
[
"환경부가 정한 중규모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일 처리용량 기준은 무엇이니",
"2008년에 중규모 공공 폐수처리 시설에 설치하여 2009년 10월 1일부터 가동되는 것은 무엇이니",
"하루에 몇 톤의 양을 처리하는 공공 하수처리시설이 환경부가 구분하는 중규모에 해당할까",
"일반 사업장에서 수질 TMS 사용으로 약품 투입량 등의 에너지 비용 절감 이외 기대되는 효과는 무엇이니",
"무엇이 2008년에 중간 규모 공공 하수처리장에서 설치돼 2009년 10월 1일부터 활용될까",
"수질 TMS는 민간사업장에서 약품 사용량과 같은 에너지 비용 감축 및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지"
] | 중규모 공공하‧폐수처리시설 수질원격감시체계 본격가동◇ 대규모 공공처리시설 75개소 및 1종 폐수배출사업장 115개소에 이어 2009.10월부터 중규모 공공처리시설 143개소도 수질TMS 본격 가동
□ 환경부는 2008년도 중규모 공공하‧폐수처리시설에 구축한 수질 원격감시체계(Tele-Monitoring System) 143개소를 2009.10.1일부터 본격가동한다고 밝혔다.
○ 중규모 공공처리시설은 일 처리용량 1만톤 이상 10만톤 미만 공공 하수처리시설과 1만톤 미만 폐수종말처리시설에 해당된다. 현재, 대규모 공공하‧폐수처리시설 75개소와 민간배출사업장인 1종 사업장 115개소에 대해서는 각각 4월, 7월부터 본격 가동 중에 있다.
□ 수질TMS는 방류수질과 유량의 실시간 자동측정자료로 수질기준 초과여부 확인, 배출부과금 산정 등 행정적 활용 목적 이외에도,
○ TMS 운영 사업장에서는 최적 공정관리 및 개선 유도, 약품투입량, 에너지비용 절감 등의 수단으로 활용되며,
○ 예‧경보 발령을 통한 주요하천의 수질오염사고 사전예방 및 사고발생시 하천 등 공공수역의 수질자동측정망과 연계하여 신속한 대응 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수질TMS는 2010년까지 공공 하‧폐수처리시설 및 일반배출사업장 600여개소에 확대 설치‧운영되며,
○ 향후 TMS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우수운영사례 공모전 개최를 통해, 우수사례 발표 및 유‧무형의 효과‧편익을 적극 발굴하고 홍보하여 나갈 방침이다. | admin |
[
"안전관리헌장 선포 8주년 및 제200차 안전점검의 날을 맞이하여 개최한 기념식을 주관한 곳은 어디야",
"어디가 제200차 안전점검의 날 및 안전관리헌장 선포 8주년을 맞이하여 연 기념식을 관장했니"
] | “대한민국 안전, 우리가 선도한다!” - 안전관리헌장 선포 8주년 기념식, 안전문화 우수사례 발표대회 개최 -
□ 각계 각층의 안전 활동가 300여명이 한 자리에 모여 안전문화 정착을 통한 안전사회 구현에 뜻을 모았다.
○ 행정안전부는 11월 5일(월) 오후 2시 인천 부평구 소재 산업안전보건 교육원에서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민간단체 등 안전 관계자가 참가한 가운데 ‘안전관리헌장 선포 8주년’ 및 ‘제200차 안전점검의 날’을 맞이하여 기념식을 개최했다.
※ 주최 : 행정안전부·안전보건공단·현대자동차, 주관 : 안전생활실천연합
□ 기념식에서는 안전관리헌장 선포, ‘위기탈출 사고포착 앱’ 시연등 안전실천 퍼포먼스가 이루어졌고 안전문화유공 일반시민․공무원 29명에게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 행정안전부장관 표창의 영예가 주어졌다.
○ 부대행사로는 안전활동 우수사례를 공유·확산하기 위해 안전한 학교 만들기, 자전거 안전교육이나 참여형 안전 캠페인처럼 현장에서 이뤄지고 있는 사례 위주로 ‘2012년도 안전문화 우수사례 발표대회’가 안전보건공단 현대자동차와 공동주최로 진행되었다.
○ 발표된 우수사례는 교육, 공공, 자원봉사(NGO), 민간기업 4개 부문 총 12건으로 ‘영유아·어린이·성인을 위한 새로운 자전거 안전문화 교육’,‘워킹스쿨버스 운영사업’,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프로그램’ 등 어린이 안전 및 생활안전 강화 등 현장에서 다양하게 실천중인 것들이다. | admin |
[
"2019 농촌교육농장 교육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농장은 어디니",
"어느 지역에 소재한 두리버섯농원이 2019 농촌교육농장 교육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했지",
"2019 농촌교육농장 교육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우수상을 받은 두리버섯농원은 어느 지역에 있니",
"어느 농장이 2019 농촌교육농장 교육프로그램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어"
] | 농업기술원 육성 농촌교육농장 ‘전국 농촌교육농장 교육프로그램 경진 대상’서 대상과 장려상 수상<br>2019 농촌교육농장 교육프로그램 경진대회 심사결과<br>□ 심사결과 <br> ❍ 선정 및 수상 : 9개소 <table><tbody><tr><td colspan='2'>훈격</td><td>지역</td><td>농장명</td></tr><tr><td>대상</td><td>농촌진흥청장</td><td>제주 </td><td>초록꿈</td></tr><tr><td>최우수상</td><td>한국농어촌공사 사장</td><td>충북</td><td>송영희전통담금</td></tr><tr><td>최우수상</td><td>한국농어촌공사 사장</td><td>경기</td><td>다과록</td></tr><tr><td>우수상</td><td>농협중앙회장 </td><td>전남</td><td>지리산과하나되기</td></tr><tr><td>우수상</td><td>농협중앙회장 </td><td>인천</td><td>두리버섯농원</td></tr><tr><td>장려상</td><td>한국교육농장협회장</td><td>충남 </td><td>종이 그림</td></tr><tr><td>장려상</td><td>한국교육농장협회장</td><td>경남</td><td>청아생태농장</td></tr><tr><td>장려상</td><td>한국교육농장협회장</td><td>제주 </td><td>사월의 꿩</td></tr><tr><td>장려상</td><td>한국교육농장협회장</td><td>강원 </td><td>금돈돼지문화원</td></tr></tbody></table> | admin |
[
"언제 대덕연구개발특구 2단계 개발사업지구로 최초 지정 공표되었을까",
"대덕연구개발특구 2단계 개발사업지구로 최초 지정 고시는 언제 되었지"
] | 「과학벨트 신동 ․둔곡 거점지구 개발계획 변경」승인․ 고시
□ 아울러, 신동지구에 위치할 과학벨트 핵심 대형 기초연구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이번에 확정된 부지 규모․형상에 맞추어 건립사업을 본격화해 나갈 예정이다.
o 현재 중이온가속기 부대시설 건립을 위한 현상설계 공모(2014.8.8~11.10)가 진행중으로 설계업체가 선정되는 오는 11월말부터가속장치제작․성능시험과 연계하여 기본설계에 착수할 예정이며,
* 중이온가속기 장치설계(TDR : Technical Design Report)는 완료(2013.9)
→ 현재 초전도 가속관 등 시제품 제작·성능 시험중
o 중이온가속기 부지사용이 가능한 2016년 하반기 부대 건물 시공과 장치구축을 동시에 착공하여 2021년까지 최종 완공시킬 예정이다.
□ 한편, 이번에 개발계획이 변경된 신동․둔곡지구는 2009. 7월 대덕연구개발특구 2단계 개발사업지구로 최초 지정․고시되었다가, 2011.5월 과학벨트 특별법에 따라 전국 132개 시․군을 대상으로 부지조사 및 선정평가를 거쳐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최종 확정된 지역이다.
o 2012. 11월 개발 계획이 수립․고시되었으나 중이온가속기 부지매입비분담문제로 2년간 사업이 지연되다가, 2013년 7월 미래부-대전시업무협정을 통해 사업이 정상화 된 바 있다. | admin |
[
"현행 시도별 의료급여비 분담 방식 중 서울시 의료급여비를 국비에서 몇 퍼센트 분담해",
"현행 시도별 의료급여비 분담 방식 중 국비에서 몇 퍼센트를 서울시 의료급여비에 부담할까"
]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시행 1주년 평가<br>Ⅲ. 분야별 성과와 과제<br>2. 의료급여<br> 3) 개선방안<br> □ 단기적으로 예산운용에 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진료비 심사 및 실사 강화와 남수진 환자 관리를 강화함<br> ◦ 2001년중 진료비 급증 원인에 대한 철저한 정밀 실태조사로 단기 및 중장기 개선방안의 타당성과 근거마련<br> ◦ 의료보호 전담실사반을 구성하여 과잉진료 및 불필요한 장기입원이 의심되는 진료기관에 대한 현지 정밀 심사를 강화<br> - 고액진료비, 장기입원 청구권에 대한 집중관리<br> ◦ 1~2년내에 의료기관별, 의사개인별, 환자별 진료내역 DB를 구축하여 의료기관과 환자의 진료행위를 체계적으로 관리<br> ※ 미국의 Medicare 및 Medicaid에서 시행하는 과학적 진료비 감시시스템 및 의료부정 방지대책 정밀 검토 후 도입가능성 판단<br> - 심사평가원에서 진료내역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의료기관별「적정진료 관리지표」를 개발 공표하고, 관리지표에서 적정성이 문제되는 상위의료기관을 공개하고 집중 관리(제왕절개 분만율의 공개 효과 참조)<br> ◦ 남수진이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시·군·구 공무원, 보건소 인력 및 전담공무원 등에 의해 면담․실사하는 사례관리(Case Management) 시범사업을 실시<br> - 농어촌과 영구임대주택 단지 선정 시범사업 진행<br> ◦ 진료비 적체 해소를 위해 진료비 지급기관인 공단의 예측가능한 행정 필요(내규 마련). <br> ◦ 지자체 재정상태에 따른 국고보조율 세분화 검토. 서울시 및 광역자치단체의 구에서 의료급여비 부담하도록 법 개정 필요(지방재정법 개정 사항)<br> - 일선 차지구에서는 구의 비용 부담이 없어 의료급여 환자관리 및 급여비 관리에 대한 유인이 없음.<br> ※ 현행 시도별 의료급여비 분담 방식 <table><tbody><tr><td rowspan='2'> </td><td colspan='2'>서울시</td><td colspan='2'>광역자치단체</td><td colspan='3'>도</td></tr><tr><td>시청</td><td>자치구</td><td>도청</td><td>자치구</td><td>도청</td><td>시</td><td>군</td></tr><tr><td>지방비</td><td>50%</td><td>없음</td><td>20</td><td>없음</td><td>14%-16%</td><td>6%</td><td>4%</td></tr><tr><td>국비</td><td colspan='2'>50%</td><td colspan='2'>80%</td><td colspan='3'>80%</td></tr><tr><td>합계</td><td colspan='2'>100%</td><td colspan='2'>100%</td><td colspan='3'>100%</td></tr></tbody></table> ※ 현행 시도별 의료급여비 분담 방식 | admin |
[
"대한민국은 한국-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 협정에 따라 수입품목 중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 관세를 폐지할까",
"한국-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 협정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수입품목 중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 관세를 철폐하지",
"인도네시아는 한국-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 협정에 따라 수입품목 중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 관세를 폐지해"
] | 한-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실질 타결”
1. 한국-인도네시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실질타결 공식 선언
【 한-인니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주요 내용 】
상품 시장개방 : 우리나라는 수입품목 중 95.5%, 수입액 중 97.3%에 해당하는 관세를 철폐하였으며, 인니는 각각 93.0%, 97.0% 관세를 철폐하는 등 양국은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에 합의함
※ 전체 수준: (우리) (기존) 품목수 90.2%, 수입액 93.6% → (현재) 95.5%, 97.3%
(인니) (기존) 품목수 80.1%, 수입액 88.5% → (현재) 93.0%, 97.0%
- 인니가 특정 세부품목에 사용하는 면세제도의 효과까지 포함한 수치
ㅇ 주요 열연강판(5%), 냉연강판(5-15%), 도금강판(5-15%), 합성수지(5%), 자동차 및 부품(5%) 등 수출 금액이 큰 우리 주력 품목에 대해 관세철폐 등을 통해 인니 시장 수출여건을 개선하였음
- 특히 자동차 강판 용도로 쓰이는 철강제품(냉연·도금·열연 등), 자동차 부품(트랜스미션(5%), 선루프(5%) 등), 합성수지 등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발효 시부터 즉시 무관세 적용 예정
- 아울러, 인니측은 섬유(면사(5%) 등), 기계부품(베어링(5%) 등) 기술력이 필요한 중소기업 품목도 상당수 즉시철폐로 시장 개방 | admin |
[
"2008년 이후 실행되어 영세 자영업자를 위해 대폭 확대된 것은 무엇일까",
"영세 자영업자들을 위해 2008년 이후에 대폭 확대된것은 뭐야"
] | 2008년이후 본격 시행된 영세 자영업자 등을 위한 특례보증, 2009년말까지 약 68만명이 수혜받을 전망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특례보증 대폭 확대되었다】
□ 중소기업청이 7월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② (특례보증 건수) 특히, 수혜를 받는 소상공인의 지원건수를 보면 더욱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다. 2007년말 4만건에 불과하던 것이 2009년말 68만건까지 이를 전망이며, 특례보증을 통해 지원한 건수가 상반기 중에 이미 전체 지원건수 49만건중63%인 31만건을 넘어섰다. 참고로 2007년에는 전체건수의 21%, 2008년에는43%였던 반면, 2009년말에는 70%까지 이를 전망이다.
□ 이와 같이 특례보증의 규모와 건수가 대폭 확대된 것은,
ㅇ 2008년도부터 실시된 신용등급 6-8등급의 자영업자특례보증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과, 금년부터 이를 9-10등급 자영업자와 노점상 등 무등록사업자에게 확대한 점, 우유배달업 등 일부독립 개인용역사업자에게도 특례보증을 확대한데 기인한다.
| admin |
[
"한국민들의 체감이 높은 태양광 대여 사업의 경우 2015년 처음으로 적용한 곳은 어디야",
"2015년 한국민들의 체감이 높은 태양광 대여 사업을 처음으로 사용한 곳은 어디지"
] | 新기후체제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 발표
□ 특히, 이날 토론회에서는 기후변화 위기를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정부의 중장기 정책방향을 담은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이 발표되었다.
< 그간의 에너지 신산업>
□ 정부는 그간의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작년부터 유망 8대 사업을 발굴하고, 금년 4월에는 구체적인 이행 계획을 수립하여, 제도 개선, 민간주도형 신사업 창출 등을 통해 총 1조원 규모의 기업 투자를 견인하였으며, 최근에는 가시적인 성과도 도출하였다.
ㅇ 송전 사업자의 ESS 투자 규제를 완화하여, 대규모 ESS 투자를 견인하였으며, 에너지 자립섬 등 대형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에너지 분야에 대한 신규 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하였다.
ㅇ 아울러, 국민 체감이 높은 ‘태양광 대여 사업’의 경우에는 올해에 처음으로 아파트도 적용하였으며, 금년까지 총 10,000가구(2014~2015)로 보급이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된다.
ㅇ 또한, 수요자원 거래시장은 개설후 1년만에 발전소 5기 규모에 해당되는 수요자원(네가와트 발전, 244만kW)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약 1,000억원 시장을 창출하였다. | admin |
[
"무엇이 2016 행복학습매니저 육성과정의 7회차 수업 주제야"
] | □ 2016 행복학습매니저 양성과정 <br> <table><tbody><tr><td>회차</td><td>강의주제</td><td>강의 내용</td><td>비고</td></tr><tr><td>1회차 8/29(월) </td><td>개강식 및 오리엔테이션, 평생학습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td><td>-평생학습에 대한 이해<br>-우리나라 평생교육 정책 이해 </td><td>***(제주평생교육진흥원 교육지원팀장)</td></tr><tr><td>2회차 8/30(화) </td><td>행복학습센터 중심의 학습마을 사례 연구 </td><td>-다른 지역 행복학습센터 운영 사례와 활성화 전략 탐구</td><td>***(한국평생교육포럼 회장)</td></tr><tr><td>3회차 9/5(월) </td><td>행복학습센터와 행복학습매니저 역할 이해하기</td><td>-행복학습센터 등장 배경 <br>-행복학습매니저 역할 </td><td>***((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회장)</td></tr><tr><td>4회차 9/6(화) </td><td>제주 지역사회 이해와 제주의 현재와 미래, 함께 나누기 </td><td>-지역사회, 마을의 기본 개념<br>-제주지역의 역사와 문화, 공동체 이해 </td><td>***(제주곶자왈도립공원 관리소장/(사)제주환경교육센터 이사)</td></tr><tr><td>5회차 9/12(월) </td><td>학습자 요구조사와 결과 활용 </td><td>-학습자 Needs파악을 위한 조사 방법<br>-개인면담 및 상담 실습<br>-요구조사 결과 분석 </td><td>***(부산평생교육진흥원 책임연구원)</td></tr><tr><td>6회차 9/13(화) </td><td>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td><td>-프로그램 개발 절차<br>-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실습 </td><td>***(한국평생교육포럼 회장)</td></tr><tr><td>7회차 9/19(월) </td><td>마을 자원 찾기와 주민 참여 기획</td><td>-마을 내 학습자원 찾기<br>-주민 참여 기획으로 마을 내 의제 찾기 </td><td>***(제주곶자왈도립공원 관리소장 /(사)제주환경교육센터 이사)</td></tr><tr><td>8회차 9/20(화) </td><td>성인학습자의 이해와 학습 상담</td><td>-성인학습자의 이해<br>-학습자의 지속 참여를 돕는 학습 상담 </td><td>***(서울 생명의 전화 평생교육실장)</td></tr><tr><td>9회차 9/26(월) </td><td>학습동아리의 이해 및 운영</td><td>-학습동아리 개념 및 운영 이해 <br>-학습동아리 활성화 전략 </td><td>***(제주평생교육진흥원 교육지원팀장)</td></tr><tr><td>10회차 9/27(화) </td><td>행복학습센터 운영 관리하기 </td><td>-다양한 홍보방법<br>-학습자 관리 방법<br>-프로그램․사업 운영 실무관리 및 성과 관리 </td><td>***(前은평구평생학습관 관장)</td></tr><tr><td>11회차 10/4(화) </td><td>평생교육 네트워크 구축 이해 및 성공 전략 </td><td>-지역 평생교육 기관 탐색 및 기관별 기능과 역할 이해<br>-행복학습센터의 확장과 네트워크 확산을 위한 연계 협력 방안 도출 </td><td>***(한국평생교육포럼 회장)</td></tr><tr><td>12회차 10/10(월) </td><td>마을공동체에서의 조직 관리와 갈등 관리 </td><td>-마을공동체 운영 Know-How<br>-주민과의 소통 및 갈등관리 방법 </td><td>***(에듀플랜 대표)</td></tr><tr><td>13회차 10/11(화) </td><td>행복학습매니저 비전 세우기 워크숍</td><td>-행복학습매니저의 역할 인식과 자세 갖추기 <br>-행복학습매니저의 비전 세우기 </td><td>***((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회장)</td></tr><tr><td>14회차 10/17(월) </td><td>행복학습센터 운영 및 매니저 활동계획 수립 워크숍</td><td>-효과적인 행복학습센터 운영 방법 익히기<br>-행복학습센터 운영 및 활동 계획 수립 </td><td>***((사)한국평생교육사협회 회장)</td></tr><tr><td>15회차 10/18(화) </td><td>행복학습매니저 사명서 작성하기, 수료식</td><td>-행복학습매니저 역할 재인식<br>-행복학습매니저 사명서 작성 및 발표 </td><td>***(에듀플랜 대표)</td></tr></tbody></table> | admin |
[
"몇 개 회사가 2014년 동반성장지수 대상 기업 중 상호출자제한대기업으로 추가되었어",
"2014년 동반성장지수 대상 기업 중 새롭게 포함된 상호출자제한대기업은 몇 개야"
] | 동반위, 201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 134개사 발표<br>□ 동반성장위원회는 제28차 동반성장위원회를 개최하여 201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 134개를 확정하였음<br> ○ 평가대상기업은 매출액 순위 450대 기업을 대상으로 “동반성장지수의 산정 및 공표에 관한 운영기준(이하 ‘운영기준’, 2013.12.10제정)”을 적용하여 선정하였으며,<br> - 동반성장 문화 확산을 위하여 중견기업 및 1차 협력사 비율을 확대하였음<br> * 중견기업 비율 : 2012년도(0%) → 2013년도(20개사/108개사, 19%) → 2014년도 (40개사/134개사, 30%) <table><tbody><tr><td>연도</td><td colspan='2'>구분</td><td>기업수(社)</td><td>비고</td></tr><tr><td rowspan='3'>2013년도</td><td rowspan='3'>평가</td><td>상호출자제한대기업</td><td>88</td><td>대한전선, STX조선해양 유예</td></tr><tr><td>非상호출자제한대기업</td><td>20</td><td>중견기업 12개사, 1차 협력사 8개사 </td></tr><tr><td>계</td><td>108</td><td> </td></tr><tr><td rowspan='5'> 2014년도 </td><td rowspan='2'>추가</td><td>상호출자제한대기업</td><td>8</td><td> </td></tr><tr><td>非상호출자제한대기업</td><td>20</td><td>중견기업 14개사, 1차 협력사 6개사 </td></tr><tr><td>제외</td><td>상호출자제한대기업</td><td>1</td><td> 제일모직 (삼성SDI에 흡수합병) </td></tr><tr><td>유예</td><td>상호출자제한대기업</td><td>1</td><td> STX중공업(자본잠식) <br>* 대한전선, STX조선해양 유예 연장 </td></tr><tr><td colspan='2'>계</td><td>134</td><td>상호 94개사,<br>*非상호 40개사 </td></tr></tbody></table> <동반성장지수 대상 기업 총괄표> | admin |
[
"RFID IoT World Congress 2013에서 IoT 등을 세계 전문가들 간 정보교류를 어떻게 하니",
"RFID IoT World Congress 2013에서 IoT 등을 세계 전문가들 간 정보를 어떻게 교환할까"
] | "RFID/IoT World Congress 2013" 개최 23일 부터 코엑스, 사물인터넷기반 ICT융복합 촉진으로 창조경제 실현
【국제 컨퍼런스 : Coex 4층 컨퍼런스룸】
□ 24일 개최되는 국제 컨퍼런스는 RFID/USN기반의 글로벌 IT 융합과 빅데이터 동향 등에 대해 4개 세션, 14개 주제로 발표가 진행된다.
ㅇ 기조연설은 미국 오라클社의 Geoffrey Morton Vice President가 IoT 도입을 통한 기업의 변화와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다.
ㅇ 이외에도 국내 IoT 정책과 국제 표준동향, M2M/IoT 업종별 사업동향 및 활성화 이슈, RFID&NFC 동향과 이슈, 빅데이터 동향과 마케팅 활용사례 등을 발표함으로써 RFID, IoT, 빅데이터 이슈에 대해 세계 각국 전문가들 간 최신 동향과 정보를 교류할 예정이다. | admin |
[
"한국 외 기업 인수, 합병 추진 역량을 갖춘 기업들이 마련해야 할 보완대책이 뭐야",
"무엇을 갖추어 기업들이 한국 외 기업 인수, 합병을 위해 역량을 키워야 해",
"2014년 중소, 중견기업의 전체 해외투자 중에서 무엇의 비중이 증가했니",
"2014년 중소, 중견기업은 어떤 형태의 해외투자비중을 늘리고 있어"
] | 국내 중견기업이 폭스바겐의 협력사가 된 비결은? 해외 M&A에 주목! - 글로벌 M&A센터 설립 1주년 성과보고 대회 개최 -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M&A 활성화 보완대책
Ⅰ. 추진 배경
□ (최근의 기회요인) 그러나, 최근 해외 M&A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경제여건도 유리하여 M&A 활성화의 모멘텀이 조성
ㅇ 중소․중견기업의 전체 해외투자 중, M&A 비중이 증가
* 중소기업의 M&A형 해외투자비중(%):(2000)3.2→(2005)9.7→(2010)12.4 →(2012)18.4
ㅇ 원화 강세와 높은 외환보유고*, 세계 경기회복 지연으로 유럽 등에서 알짜매물 증가** 등 기회 요인이 풍부
* 원/달러 환율(원):1,072(2014.3.3), 외환보유고(억달러): 3,376(2014.1월 기준)
** (獨) Siemens, REW 자회사 부분 매각계획, (伊) 유력 패션브랜드 등
⇨ 해외 M&A를 추진할 역량을 갖춘 기업들이 지금의 호기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해외 M&A 활성화」지원의 전기를 마련할 필요 | admin |
[
"78퍼센트에 해당하는 어떤 사업체가 10개 이상의 농수산물을 구매하니",
"2009년 식품산업 분야별 현황조사에서 80퍼센트 이상 외식업체에 몇 개 이상의 농수산물이 판매되고 있었어",
"2009년 식품산업 분야별 현황조사에서 제조업의 농수산물 구매량이 외식업에 비해 약 얼마나 많은 규모니",
"외식업보다 제조업의 농수산물 구매량이 2009년 식품산업 분야별 현황조사에서 약 얼마나 컸어",
"80퍼센트에 해당하는 어떤 업체가 5개 미만의 원료 농수산물을 취급해",
"제조업의 농수산물 구매단가가 유통업에 비해 얼마나 낮니",
"외식업의 농수산물 구매량이 제조업에 비해 얼마큼 많아"
] | 국내 농수산식품 원료구매 현황 한 눈에 - ‘2009년 식품산업 분야별 현황조사’ 자료집 발간 -
「2009년 식품산업 분야별 현황조사」결과 요약
Ⅱ. 주요내용
1. 산업 주체별 농수산물 구매행태
◇ 식품산업 주체별 평균 원료 농수산물의 구매 품목수는 식품제조업 3.3개, 유통업 7.0개, 외식업 17.3개
○ 외식업은 80% 이상이 10개 이상 농수산물을 구매
- 식품제조업(이하 제조업)은 78%에 해당하는 업체가 5개미만의 원료 농수산물을 취급, 유통업은 4개미만 및 5개~9개 업체가 78%차지
◇ 구매량은 유통업, 제조업, 외식업 순이나, 주요 품목의 구매 단가는 외식업, 유통업, 제조업 순으로 나타남
○ 제조업의 농수산물 구매량은 11백만톤 수준으로 다품목을 소비하는 외식업(3.4백만톤)에 비해 약 3.1배 많은 규모
○ 전체 구매금액은 제조업과 외식업이 각각 14조원, 13조원으로 비슷한 수준
○ 주요 공통 주 구매품목의 조사결과 구매단가는 외식업, 유통업, 제조업 순서로 제조업이 가장 낮음 | admin |
[
"온새미로 도서관 도서 원화 전시 프로그램은 자연과 무엇을 소재로 한 도서를 전시하는 거야",
"우당도서관 독서의달 행사 중 하나인 꼼지락 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장소는 어디야",
"무엇과 자연을 소재로 한 책을 전시하는 것이 온새미로 도서관 도서 원화 전시 프로그램이니",
"우당도서관의 꼼지락 독서는 어린이 몇 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야",
"어느 곳에서 우당도서관 독서의달 행사 가운데 하나인 꼼지락 독서 프로그램이 시행되니",
"몇 명의 어린이를 상대로 실시되는 프로그램이 우당도서관의 꼼지락 독서니"
] | 우당도서관, 9월 독서의달 행사 풍성<br>○ 우당도서관 독서의달 행사 <table><tbody><tr><td>구분</td><td>프로그램명</td><td>일시</td><td>대상</td><td>내용</td><td>장소</td></tr><tr><td>1</td><td>꼼지락 독서</td><td>9. 1~30 10:00~17:00</td><td>어린이 200명</td><td>도서관에서 책을 읽은 어린이이게 동화 미니어처 만들기 체험</td><td>어린이자료실</td></tr><tr><td>2</td><td>가을독서 퀴즈대회</td><td>퀴즈응모 :9. 1~25 당첨발표 : 9.28</td><td>도서관이용자 150명</td><td>독서퀴즈참여 후 당첨자에게 상품 증정</td><td>소강당</td></tr><tr><td>3</td><td>작가와 함께 북토크</td><td>9. 24 (토) 14:00~16:00</td><td>도서관이용자 200명</td><td>책 읽는 제주시 2016 선정도서 <두근두근내인생> 김애란 작가</td><td>소강당</td></tr><tr><td>4</td><td>책보에코가방</td><td>9. 24 (토) 11:00~14:00</td><td>도서관이용자 200명</td><td>환경사랑 에코가방 디자인 체험행사</td><td>로비라운지</td></tr><tr><td>5</td><td>달달한 독서</td><td>9. 24 (토) 14:00~16:00</td><td>도서관이용자 1,000명</td><td>우당도서관에서 가을책읽기와 제주전통 오메기떡 나눔</td><td>소강당 로비라운지</td></tr><tr><td>6</td><td>소설, 영화와 만나다</td><td>9. 28 (수) 19:00~21:00</td><td>도서관이용자</td><td>영화 : 냉정과 열정 사이<br>(도서 냉정과 열정 사이’ 에쿠니 가오리 저)</td><td>소강당</td></tr><tr><td>7</td><td>책두배로데이</td><td>9. 28 (수) 09:00~22:00</td><td>자료실이용자</td><td>도서대출권수 확대운영 (대출권수 5권 →10권)</td><td>문헌정보실 어린이자료실</td></tr><tr><td>8</td><td>온새미로 도서관 도서 원화 전시</td><td>9. 1 ~ 29</td><td>도서관이용자</td><td>자연과 환경을 소재로한 도서 전시</td><td>로비라운지</td></tr><tr><td>9</td><td>도서관과 함께하는 좋은 영화 상영</td><td>9. 3 ~ 25(토,일) 15:00~17:00</td><td>도서관이용자</td><td><열두살 샘> 등 8작품</td><td>디지털자료실</td></tr><tr><td>10</td><td>사서가 추천하는 책!책!책!</td><td>9. 1 ~ 30</td><td>도서관이용자 1,000명</td><td>사서가 추천하는 계층별 도서목록 배부</td><td>문헌정보실 어린이자료실</td></tr></tbody></table> | admin |
[
"휴대폰 부문에서의 한국의 수출 호조로 휴대폰 부품 수출 대상이 월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나라는 어디니",
"삼성전자에서 만든 갤럭시S5가 시중에 나오기 전 예약판매로 수출이 늘어난 나라는 어디지",
"삼성전자 갤럭시S5의 출시를 앞두고 예약판매를 진행하자 어느 나라의 수출이 증가했어",
"한국의 수출 호조로 인해 어느 나라를 상대로 휴대폰 부품 수출이 월간 사상 높은 기록을 세웠지"
] | 1/4분기 ICT수출 역대 최대, 첫 400억불 달성 - 신흥국 및 주요 교역국 수출 호조로 수출 증가율 지속 상승 -
동향 세부자료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휴대폰(부분품 포함)
▶ 3월 휴대폰 수출은 부분품 수출 호조 및 ‘갤럭시S5’ 효과로 전년 동월대비 30.3% 증가한 24억불 기록
◦ 스마트폰(11.7억불, 29.0%) 수출은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지난 1월이후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수출 증가 기록
※ 삼성전자의 ‘갤럭시S5’가 4.11일 150개국에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LG전자는 전략 제품군인 G시리즈와 보급형 L시리즈로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전망
- 부분품(12.1억불, 37.2%) 수출은 해외거점에서의 보급형 스마트폰 생산 확대와 맞물려 1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
※ 삼성전자는 베트남 박닝성 옌퐁공단(연산 1.5억대 규모)에 이어 20억 달러를 투자해 베트남 제 2공장(연산 1.2억대 규모로 추산)을 건립했으며, 올해 3월부터 본격적으로 스마트폰 생산 시작
◦ (지역별) 미국(7.3억불, 55.2%)은 ‘갤럭시S5’ 출시를 앞두고(예약판매 돌입) 수출이 증가한 반면, EU(2.7억불, △11.9%)․일본(0.6억불, △25.1%) 등은 부진
- 중국(홍콩 포함, 7.0억불, 15.5%↑)․베트남(2.3억불, 119.0%↑)․브라질(1.0억불, 14.1%↑)․인도(0.7억불, 472.8%↑) 등 해외 생산거점 수출은 호조세
※ 對베트남 휴대폰(부품) 수출은 국내 업체의 휴대폰 생산 확대와 맞물려 월간 기준 사상 최고치 기록 | admin |
[
"어느 기관에서 자동차 종합전산 시스템을 통해 타이어 소음 시험 결과를 국민에게 알려줄까",
"자동차 종합전산 시스템을 통해 타이어 소음 시험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하는 기관은 어디지",
"한국환경공단에서 타이어의 소음 시험 결과를 어느 시스템을 통해 공개하니",
"한국환경공단에서 어느 시스템을 통해 타이어의 소음시험의 결과를 알려줄까"
] | 저소음 타이어 보급으로 도로소음 줄인다
국내 타이어 소음 관리제도 추진방안
□ 저소음 타이어 보급을 위한 타이어소음성능표시제도
○ (제도개요) 교통소음 등 도로변 소음의 근원적 저감을 위해 제조․수입사가 타이어의 소음성능을 제품에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여 일정기준 이하의 저소음 타이어만 보급될 수 있도록 유도
- EU의 관리기준·시험법을 적용하고, 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타이어는 시장에서 퇴출시키고 제조․수입사에 대한 벌칙과 과징금 부과
○ (적용기준) 타이어 제조·수입사의 타이어 생산여건, 기술적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 EU의 타이어 소음기준인 “EU 강화기준”을 적용
- 국내 타이어 소음도 조사결과, EU 최초기준은 이미 달성하였고, 국내제조사들 모두 현재 EU 강화기준에 적합한 타이어를 생산하여 EU에 수출하고 있으므로 제도 도입에 따른 기술적인 장애 없음
- EU의 기준은 UN 등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이므로 자동차의 관리기준과 관련한 국제조화(각 나라간 제도장벽 제거)도 가능
○ (적용대상․시기) 타이어 제조사 및 자동차 제작사의 준비기간, 타이어제작여건 등을 고려하여 관리대상 차량과 타이어를 단계적으로 적용
- ’19년부터 승용차(C1) 신차의 타이어를 시작으로 ‘21년 소형 상용차(C2), ’26년 중대형 상용차(C3) 등으로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28년까지 모든 종류의 자동차 타이어를 대상으로 적용
- 신차개발과 연계되어 타이어가 설계․개발되는 업계 현실을 감안, 적용시기를 자동차 종류별(C1, C2, C3) 로도 각각 신차 출고용 → 운행차 교체용 → 소매점 재고 타이어의 순으로 순차 적용
○ (인증방법) 제조사 자기인증 절차를 준용, 자체 시험결과를 인정하여 타이어 제조사의 자체 시험성적으로 타이어 소음 기준적합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되, 전문시험기관에서 사후 확인(EU와 동일)
○ (소음도 표시) 제조․수입사가 시험성적 결과를 정해진 표시방법으로 제품에 라벨링하여 타이어 소음성능을 표시하고,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자사홈페이지나 제품 카탈로그 등에도 안내
○ (사후관리) 전문시험기관(한국환경공단)은 매년 적용대상 타이어의 일정수량을 샘플링하여 표시된 소음도의 적합성에 대해 사후관리 실시
- 소음시험 결과는 한국환경공단의 ‘자동차종합전산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국민에게 공개 | admin |
[
"얼마가 한국형 FIT의 고정금액일까",
"한국형 FIT의 산정된 고정가격은 얼마지"
] |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를 위한 한국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본격 시행!<br>□ 한국형 발전차액지원제도(FIT)는 별도의 입찰경쟁 없이 산정된 고정가격으로 신청 접수된 모든 계약에 대해 6개 공급의무사와 계약을 체결한다는 점에서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익성과 절차적 편의성 향상이 기대된다. <table><tbody><tr><td>구분</td><td>장기고정가격 입찰계약</td><td>한국형 FIT</td></tr><tr><td>참여대상</td><td>제한없음</td><td>30kW 미만 : 제한없음 100kW 미만 : 농축산어민 및 협동조합 </td></tr><tr><td>계약기간</td><td>20년</td><td>20년</td></tr><tr><td>입찰여부</td><td>입찰 참여 (경쟁방식)</td><td>별도입찰 없음</td></tr><tr><td>고정가격<br>(SMP+1REC) </td><td>180,030원<br>(2018년 상반기 입찰 낙찰평균가) </td><td>189,175원<br>(2018년 한국형FIT 매입가격) </td></tr><tr><td>구매물량</td><td>연 500MW 내외</td><td>제한없음</td></tr><tr><td>신청기간</td><td>연 2회</td><td>연중</td></tr></tbody></table> < 장기고정가격 입찰계약 및 한국형 FIT 제도 비교 > | admin |
[
"액비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몇 개월 이상 가축분뇨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조를 의무적으로 만들어야 하니",
"액비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가축분뇨를 몇 개월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저장조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해"
] | 환경규제, 4대 분야 86개 과제 대폭 정비
2. 주요 규제개혁과제 설명 자료
26-4. 액비화시설 설치시 가축분뇨 저장기간 완화
□ 현황
- 액비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가축분뇨를 6개월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저장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규정
□ 그간 제기된 문제점
- 당초 혐기성 시설을 근거로 도입되었으나 현재 대부분 농가는 호기성 처리시설을 운영하여 액비 부숙기간이 단축되었으며, 살포시기 또한 우기 등을 제외하고는 연중 살포 가능
* 최근 고속발효기 등 가축분뇨 처리기술의 발달로 2~3개월 이내 완전 부숙가능한 시설 보급
- 기술발전 및 시설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규정으로 축산농가 부담 가중
□ 개선방향 및 추진내용
- 호기성 액비화 시설인 경우에는 액비 저장기간 완화(6 → 4개월)
- 돈사내 가축분뇨 저장조(2개월), 액비화시설 저장조(2개월), 액비화 처리 후 살포전 저장조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저장기간 완화
□ 추진계획
-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09.6)
[기대효과]
- 축산 농가의 경제적 부담 완화 및 액비 생산․이용 활성화 | admin |
[
"프로그램 창의성을 기준으로 어떤 항목이 2016년도 생생문화재 사업을 통해 평가받아",
"2016년도 생생문화재 사업에서 프로그램 창의성을 평가지표로 하는 항목은 뭐야"
] | 2016년도 생생문화재 사업 공모 계획(안)<br>사업지원 및 관리<br>□ 사업성과 지도점검 및 평가<br>ㅇ 객관적·전문적 지도·점검·평가를 위해 전문기관 선정 시행<br>- 전문가 현장평가(50%) + 일반모니터링(25%) + 관람객 만족도(25%)<br>- 전문가 현장평가 : 사전 수행단체와 일정협의 후 방문점검 및 평가<br>- 일반모니터링 : 사전예고 없이 사업장을 방문하여 사업계획 내용과 현장이행 사항 비교검토<br>- 관람객 만족도조사 : 사업별 표본 50명 이상 설문조사 실시<br>ㅇ 평가지표 구성 <table><tbody><tr><td>구분</td><td>항목</td><td>평가지표</td><td>비고</td></tr><tr><td rowspan='2'>계획</td><td rowspan='2'>사업계획 적정성</td><td>사업목적과의 부합성</td><td> </td></tr><tr><td>사업계획의 적정성</td><td> </td></tr><tr><td rowspan='5'>현장 운영 </td><td rowspan='2'>프로그램 완성도</td><td>프로그램 창의성</td><td> </td></tr><tr><td>수요자 및 문화재 특성 반영도</td><td> </td></tr><tr><td rowspan='2'>운영 및 관리 효율성</td><td>예산운영의 적절성 안전관리의 체계성 운영인력의 합리성 </td><td rowspan='2'> </td></tr><tr><td>관람편의제공 홍보노력도</td></tr><tr><td>교류·협력 밀착성</td><td>지역과의 공동체 형성도 지역협업 관계망 형성도 </td><td> </td></tr><tr><td rowspan='4'>실적</td><td rowspan='2'>관람객 변화성</td><td>관람객 만족도</td><td rowspan='2'> </td></tr><tr><td>문화재 인식도</td></tr><tr><td rowspan='2'>수행단체의 노력도</td><td>계획 대비 목표달성도</td><td rowspan='2'> </td></tr><tr><td>사업참여 성실도</td></tr><tr><td rowspan='3'>성과</td><td rowspan='2'>지역 활성화 기여도</td><td>지역문화 향유기회 확대</td><td rowspan='2'> </td></tr><tr><td>지역의 편익성</td></tr><tr><td>지속성</td><td>지속 가능성</td><td> </td></tr></tbody></table> | admin |
[
"프랑스 사노피사에게 얼마의 대가를 수령하고 주식회사 한미약품은 기술을 이전했을까",
"주식회사 한미약품이 프랑스 사노피사에 기술을 이전하고 받은 대가가 얼마야"
] | 「2016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 지속형 당뇨병 치료제 개발 등 우수성과 100선 및 기술이전․사업화․창업 우수기관 10선 선정․표창 -
□ 올해는, 정부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개발과제(총 54,000여 개)중 각 부․처․청으로부터 추천받은 620여 건의 후보 과제에 대해 산․학․연 전문가들이 과학기술 개발효과*와 창조경제 실현효과** 등의 기준으로 심사하여 우수성과 100선과 기술이전·사업화·창업 우수 기관 10선 등 총 110선을 선정하였다.
* 기술개발 목표 달성도, 기술수준 향상 효과, 기술개발 촉진 효과
** 경제 활성화 효과, 산업간 융합 효과, 창조경제 기반 효과 등
ㅇ 이들 중 7개 분야* 14개의 최우수성과를 선정하였으며, 최우수성과연구자(기관)에게는 미래부 장관표창을 수여하였다.
* 기계·소재 분과 19개, 생명·해양 분과 22개, 에너지·환경 분과 19개, 정보·전자 분과 20개, 융합기술 분과 11개, 순수기초·인프라 분과 9개, 기술이전․사업화․창업 분과 10개
ㅇ 최우수성과로 선정된 사례 중에는 당뇨병 투여 횟수를 획기적으로 감축(매일 → 주1회~월1회)하고 프랑스 사노피사에 총 4.8조원에 기술 이전한 한미약품(주)의 ‘차세대 장기 지속형 당뇨 신약 치료제 개발’ 성과도 포함되었다. | admin |
[
"5세대 이동통신 주파수가 효율적으로 배분되게 하기 위해 경매 과정을 적정하게 운영하겠다고 밝힌 부처가 어디야",
"어떤 기관에서 5세대 이동통신 주파수가 효과적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경매 과정을 알맞게 운용하겠다고 말했니"
] | 과기정통부, 5세대(5G) 이동통신 주파수 할당 공고 - 6월 4일까지 할당 신청 접수, 6월 15일 경매 시행
ㅇ (망 구축 의무) 3.5㎓ 대역은 기준 기지국 수를 15만국으로 하고 3년 15%, 5년 30%, 28㎓ 대역은 기준 장비 수를 10만대로 하고 3년 15% 구축 의무를 부여했다
- 추가적으로,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5세대 시장에서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기준 기지국에 신고 대상 스몰셀 기지국 및 중계기도 포함하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스몰셀 등 중소기업 특화 제품에 대한 지원방안을 통신사와 협의하여 주파수 이용계획서에 포함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ㅇ (주파수 이용기간) 3.5㎓ 대역은 2018.12.1일부터 10년, 28㎓ 대역은 2018.12.1일부터 5년으로 정했다.
- 3GPP 장비/단말 시험인증 표준이 2018년 하반기 제정 예정임에 따라,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 소요기간을 감안하였다.
□ 과기정통부는 “적정한 경쟁을 통해 주파수가 효율적으로 배분되게 하면서도, 지나친 과열경쟁은 발생하지 않도록 경매 과정을 적정하게 운영하겠다.”라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 유영민 장관은 “정부가 5세대 상용화에 대비하여 필수 설비 공동활용 방안을 도출하고, 5세대 주파수를 여러 차례 나누어 공급하지 않고 공급 가능한 최대 대역폭을 한꺼번에 공급하는 등 통신사업자들의 5세대 투자비 부담을 완화한 것도, 우리 기업들이 5세대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었다.”라고 하면서,
ㅇ “이번 주파수 공급을 시작으로 우리나라가 5세대 이동통신 시대, 4차 산업혁명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하는데 모든 경제주체가 매진해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하였다.
ㅇ 또한, 5세대 시장을 선도하여 창출하는 새로운 서비스의 혜택을 우리 국민, 통신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것이 궁극적인 정책목표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하였다.
□ 공고 전문은 과기정통부 누리집(www.ms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admin |
[
"사회 각 분야의 종이문서 사용 관행을 혁파하고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과기정통부가 어떻게 했을까",
"과기정통부는 ICT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다양한 신기술을 수용하도록 어떻게 했어",
"ICT 환경 변화에 대처하여 과기정통부는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다양한 신기술을 받아들이도록 어떻게 했을까",
"과기정통부는 사회 각 분야의 종이문서 이용 관행을 혁파하고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어떻게 했지"
] |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로 종이없는 사회 전환 촉진 - 열 번째 4차공감, 전자문서 분야 현장 소통 간담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 김용수 차관은 7월 4일
전자문서중계자로 최근에 지정된 카카오페이(판교) 업무 현장을 방문하여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ㅇ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를 공유하고 혁신성장을 가속화하기위하여 ICT 산업계와의 구체적인 현장소통을 통해 정책 방안을 만들어 나가는「4차 공감*」행사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 클라우드, 지능형 IoT, O2O 스타트업 분야 등 2차관 주재 현장간담회 9회 개최
□ 과기정통부는 사회 각 분야의 종이문서 이용 관행을 혁파하고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2021년 전자문서 이용률 70% 달성을 목표로「종이없는 사회 실현을 위한 기본계획」수립(2017.12월)하고
ㅇ 1,400여개 개별 법령에서 요구하는 서면, 문서 등을 종이문서로만 해석하는 관행을 개선하고자 전자문서의 효력 명확화를 주요 골자로 하는 전자문서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2017.12월)한 바 있다.
ㅇ 또한, ICT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블록체인, 모바일 등 다양한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법 상 전자문서센터․중계자 제도도 개선해 오고 있다.
ㅇ 최근에는 국민들이 친숙하게 이용하는 모바일메신저,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 전자문서중계자(카카오페이, KT)가 지정되었다. | admin |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온라인 학습 돌봄 및 지원을 위해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10층에서 열리는 행사는 무엇이니",
"보건복지부가 예산 지원 및 홍보를 맡고 있는 학대피해아동쉼터 지원을 위한 행사는 무엇이야"
] | 지역아동센터·학대피해아동쉼터 아동의 학습 돌봄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 함께 합니다.
업무 협약식 개최(안)
□ 행사 개요
○ (행사명) 「생명숲 꿈이룸 지원사업」 업무협약(MOU)
○ (일시․장소) 2018. 10. 15(월) 15:00, 세종청사 10동(5층)
○ (참석) 복지부,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등 6명
- (복지부) 차관, 인구아동정책관, 아동권리과장 등 3명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 등 2명
-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단장 1명
「생명숲 꿈 이룸 지원사업」 추진계획
□ 목적
○ 지역아동센터와 학대피해아동쉼터 아동에게 온라인 학습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아동의 자기 주도 학습 역량 강화
□ 사업 개요
○ (지원대상) 지역아동센터 및 학대피해아동쉼터를 이용 중인 초등 1-3학년 한부모, 조손, 다문화 가정의 아동 1,000명
○ (지원내용)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 이용권, 학습기기(태블릿pc), 학습 공간 조성 및 기자재(책상·의자) 설치 등(10억원 투입)
□ 주체별 역할
○ (보건복지부) 사업 운영계획 마련 등 사업 총괄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예산 지원 및 홍보 등
○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지역아동센터 공모 및 선정, 홍보 등 | admin |
[
"새로운 암세포 사멸 전략으로 RIP3을 이용할 때 무슨 제한이 있을까",
"RIP3을 새로운 암세포 사멸 전략으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이유는 뭐니"
] | 암세포를 죽게하는 핵심 단백질 발현 성공
□ 암세포는 죽지 않으려는 특성이 강해, 치료 시 환자가 다량의 항암제와 방사선에 노출되면서 건강을 위협 받는다. 만약 적은 양의 항암제에도 암세포가 반응하여 죽도록 유도할 수 있다면, 항암치료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ㅇ 국내 연구팀이 새로운 세포사멸 프로그램(네크롭토시스*)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암세포의 항암제 반응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네크롭토시스(Necroptosis) : RIP1, RIP3, MLKL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세포사멸 프로그램
ㅇ 해결의 열쇠는 네크롭토시스를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RIP3**)에 있었다. 그동안 RIP3는 고체형태의 암에서 현저히 감소되어 새로운 암세포 사멸 전략으로 활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 RIP3 : 네크롭토시스 조절의 핵심 단백질로 세린 트레오닌 인산화 효소 | admin |
[
"세계 보건안보를 위해 구성된 장관급회의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글로벌 보건안보를 위한 장관급회의에서 논의가 이뤄지니"
] | 전 세계와 지속가능한 감염병 대응방안을 논의하다<br>□ (명칭) 글로벌 보건안보 구상(Global Health Security Agenda)<br>□ (정의) WHO의 국제보건규약(IHR, Internaional Health Regulation)과 같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보건안보 분야 핵심역량을 각국의 시스템 내에 갖추도록 상호 협력‧지원하는 체계 <br>□ (배경) 신종감염병(Ebola, MERS 등)의 유행, 항생제 내성균 및 생물테러 등 생물학적 위협(Biological threat)이 개별국가의 보건이슈를 너머 전세계적 안보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국제공조 필요성 증대 <br>□ (설립) 미국 주도로 전세계 29개국과 다수 국제기구(WHO, OIE 등)가 참여하여 2014.2월 출범 <br>□ (구성) 회의는 고위급 회의, 선도그룹 회의, 행동계획으로 구분 <table><tbody><tr><td>구분</td><td>주요내용</td><td>개최횟수</td></tr><tr><td>장관급회의(Ministerial Meeting)</td><td>▪회원국 전체 참석 ▪GHSA의 비전‧아젠다 등 논의 </td><td>▪연 1회 </td></tr><tr><td>선도그룹 회의 (Steering Group Meeting)</td><td>▪선도그룹(10개국) 참석 ▪GHSA의 운영‧행동계획 진행상황 조정‧평가</td><td>▪연 3~4회 ▪WHO 이사회‧총회, GHSA 고위급회의 일정에 맞춰 개최</td></tr><tr><td>행동계획(Action Package)</td><td>▪회원국 전체 참석 ▪신종감염병 유행, 항생제 내성균, 생물테러 관련 예방‧탐지‧대응에 관한 구체적인 협력 논의</td><td>▪연 10회 내외 </td></tr></tbody></table> | admin |
[
"언제 정부합동은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공표했을까"
] | 화학사고 즉시 대응에 민간 전문가 힘 합친다
□ 이번에 환경부와 협약을 맺은 대한화학회는 화학분야 국내 최고의 전문가 단체로 7,000여명의 회원을 두고, 공업·물리·유기 화학 등 전공별 13개 분과회와 전국 12개 지부를 갖추고 있다.
○ 화학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정부의 현장수습조정관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사고현장에서 직접 또는 정부의 사고대응 전용망 등을 통해 대응기관에 화학물질 정보 및 적정 대응 방법을 지원한다.
□ 이번 대한화학회와의 협약은 지난 7월 5일 정부합동으로 발표된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후속조치의 일환이다.
○ 대책에서 정부는 화학사고에 즉시 대응하기 위해 지역별 민간 전문가와 사고대응 핫라인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그간 정부는 화학사고 발생시 소방·군·지자체 등 대응인력을 조정하고, 전문적 대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환경부 지방(유역)환경청 소속의 수습조정관을 현장으로 파견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산업단지는 지방(유역)환경청으로부터 1시간 이상 떨어져 있어, 초동대응을 위한 정보제공이 지연될 우려가 있었다. | admin |
[
"정보보호에 재능이 있는 학생들을 발굴하여 화이트해커로 양성할 거니"
] | 차세대 보안리더(BoB) 제7기 발대식 개최 - 정보보호 분야를 선도할 최고수준의 화이트해커 160명 양성
제7기 차세대 보안리더(BoB) 발대식 개요
□ 개요
ㅇ 차세대 보안리더(Best of the Best) 7기 발대식 개최
< 차세대 보안리더(BoB) 양성 프로그램 >
◆ (사업개요) 정보보호에 재능이 검증된 청년층(고등·대학·대학원생) 인재를 발굴하여 정보보호 분야를 선도할 리더급 화이트해커로 양성
◆ (교육과정) (1단계)공통·전공트랙, (2단계)팀 프로젝트, (3단계)분야별 심화과정 등
- 취약점 분석, 디지털 포렌식, 정보보안컨설팅, 보안제품개발 등 분야별 도제식 교육
□ 발대식 계획
ㅇ 주최/주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기술연구원(KITRI)
ㅇ 일시/장소 : 7. 3.(화) 17:00~19:00/지밸리컨벤션(구로디지털단지)
ㅇ 주요참석자 : 과기정통부, 국회의원, BoB 7기 교육생(160명) 등 | admin |
[
"특허청은 어떤 계획을 가지고 특허관점의 미래에 전망있는 기술을 발표할까",
"특허청은 특허관점의 미래 유망기술을 발표해서 어떻게 할 계획이니"
] | 특허청, R&D 기관에 맞춤형 특허분석 지원한다. - 전 산업분야 4천여개 핵심기술별 구축된 특허분석 정보 활용 -
특허청(청장 최동규)은 국가 특허전략 청사진 사업을 통해 구축한 18대 산업분야 3,941개 핵심기술에 대한 240만 건의 유효특허를 활용하여 정부·기업·대학·연구소 등의 R&D 계획 수립, 방향설정, 과제 발굴에 필요한 맞춤형 특허분석을 지원한다고 11일 밝혔다.
국가 특허전략 청사진 사업은 전문가들의 직관이나 경험에만 의존하여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하는 관행을 개선코자 추진된 사업으로, 2억 5천만 건의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먹거리 기술을 찾는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2대 산업분야 총 130개의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하였다. 금년에도 6대 산업분야를 추진하고 연말에 특허관점의 미래 유망기술을 발표하여 정부와 민간 R&D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 admin |
[
"미래부는 출연연구기관 평가 개선방안으로 연구기관의 혁신역량을 강화하도록 어떤 방법을 계획하고 있니",
"출연연구기관 평가 향상을 위해서 미래부는 연구기관의 혁신역량을 강화 하도록 어떤 방법을 계획하고 있지"
] | 연구기관 평가, 기관 임무에 따라 맞춤형으로 바뀐다 미래부, 출연연구기관 평가 개선방안 마련 위한 공청회 개최
□ 또한, 미래부는 기관평가 실시 시기와 주기를 기관장 임기와 연계하여 조정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o 신임 기관장은 취임 이후 해당 임기동안 기관 경영의 청사진이 담긴 경영계획을 수립하여 이사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기관평가는 기관장이 제출한 경영계획을 기준으로 목표와 임무달성 여부를 점검 및 확인하는 방식으로 실시하게 된다.
o 특히, 기관장 임기 종료 6개월 이전에 연구기관의 경영실적과 연구 성과 전반에 대한 종합평가가 실시되며, 이때의 종합평가 결과는 기관장의 연임 판단의 주요 자료로 활용된다.
□ 아울러, 미래부는 기관평가를 통해서 선순환적 연구생태계 조성을 유도하고, 나아가 연구기관의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련된 평가항목을 추가할 계획이다.
o 창조경제 지원을 위해 일자리창출, 기술사업화 및 산학연 협동·융합 연구실적을 평가에 반영하고,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단기 계약직 축소, 여성과학기술인 지원,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등에 대한 연구기관 차원의 이행 노력도 평가항목으로 포함된다. | admin |
[
"수입의존형 SoC 중 세계시장규모가 24억불에 해당하는 품목은 어떤 거야",
"수입의존형 SoC 중 이미지센서는 왜 수입에 크게 기대고 있니",
"수입의존형 SoC 중 어떤 품목이 세계시장규모가 24억불에 달하니",
"수입의존형 SoC 중 이미지센서의 수입의존 이유는 뭐야"
] | 반도체,‘창조경제를 이끌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br>□ 동 전략 中 주요 정책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③ (수입의존형 SoC 국산화) 수입 규모가 크고 국내 기술개발 가능성이 높은 주요 SoC의 국산화율 제고를 위해 팹리스-수요기업 간 공동개발과제 (가칭 ‘K-chip’ 프로젝트) 추진<br> ㅇ 모바일, 가전 등 주요 분야별로 세트기업의 수요를 반영하여 대상 SoC를 발굴·개발함으로써 중소 팹리스 기업의 미래 먹거리 확보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시스템반도체 수입액 절감 유도 <table><tbody><tr><td>품목</td><td>세계시장 규모 </td><td>수입액</td><td>선도기업</td><td>국내 팹리스 점유율(%) </td><td>수입의존 이유</td><td>적용분야</td></tr><tr><td>RFIC</td><td>62억불</td><td>16억불</td><td>skyworks, RF Micro Device </td><td>0</td><td>상용화기술 부족</td><td>모바일</td></tr><tr><td>DTV 멀티미디어칩</td><td>24억불</td><td>16억불</td><td>MediaTek</td><td>0</td><td>가격경쟁력 부족</td><td>DTV</td></tr><tr><td>이미지센서</td><td>112억불</td><td>10억불</td><td>소니, 도시바</td><td>10%</td><td>상용화기술 부족</td><td>자동차, 모바일 </td></tr><tr><td>가전용 MCU</td><td>23억불</td><td>9.0억불</td><td>르네사스, 도시바 </td><td>5%</td><td>가격경쟁력 부족</td><td>가전</td></tr></tbody></table> < 개발대상 SoC(예시) > | admin |
[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의 제1선택 상업 정보 수험표의 답안지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니",
"어떻게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의 제1선택 상업 정보 수험표의 답안지를 표기해야 할까"
] | ‘수험생 유의사항’꼭 읽어보세요<br>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유의사항<br>아. 직업탐구 영역은 선택과목내 출제과목을 기준으로 “2과목 선택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한다. 즉, 첫 번째 시간에는 “선택과목①”, 두 번째 시간에는 “선택과목②” 순서로 각각 30분씩 시험을 보며, 답안지에도 선택과목 순서(①,②)와 일치되도록 제1선택, 제2선택 순서로 답란을 표기하여야 한다. <table><tbody><tr><td>수험표</td><td>답안지</td></tr><tr><td> 제1선택 상업 정보①</td><td>“제1선택”에 상업 정보① 과목의 답을 표기하여야 함.</td></tr><tr><td> 제2선택 상업 정보②</td><td>“제2선택”에 상업 정보② 과목의 답을 표기하여야 함.</td></tr></tbody></table> <직업탐구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작성 예시> | admin |
[
"한국에서 영화 제작 시 얼마 정도의 프리프로덕션 기간을 거쳐 작품을 준비하니",
"한국에서 영화 제작 시 프리프로덕션의 평균 기간을 얼마나 가지고 작품을 준비할까"
] | 쉽게 찾아보는 중국과 영화 제작하기
4장 중국에서 영화 제작하기(제작-배급시스템)
24 중국에서 영화 제작 시 프리프로덕션-프로덕션포스트프로덕션의 각각 평균기간은 어떻게 되고 한국에서의 관행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작품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프리프로덕션의 경우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편입니다. 한국의 경우 보통 3~4개월 정도의 프리프로덕션 기간을 갖고작품을 준비합니다. 특히 이때 장소 헌팅이 매우 중요한데 중국의 경우 한국에 비해 장소 헌팅을 준비하고 확정하는 과정이 짧은 편입니다. 일반적으로촬영 시점보다 일찍 장소를 확정해주는 곳을 구하기 힘들고 심지어는 확정되었다고 생각된 장소가 여러 가지 사정으로 취소, 변경되는 일이 자주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촬영 한 달 전부터 집중해서 장소 헌팅이 이루어지거나 촬영 중에 장소 헌팅을 병행하는 편입니다. 또한 중국의 경우 대부분 스태프들이 여러 지역에서 합류하기 때문에 숙소에 머물며 함께 프리프로덕션을 합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출퇴근을 하는 한국 상황과 매우 다릅니다. 게다가 한국보다 각 파트의스태프들의 인원수도 더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찍 스태프들을 합류시키면 여러 가지 비용이 늘어나다 보니 스태프들 합류 시점을 늦추기 위해서도 프리프로덕션 기간을 짧게 가져가는 편이기도 합니다. | admin |
[
"글로벌 창의 콘텐츠 공모전에서 1, 2차 심사는 어떻게 진행되지",
"1, 2차 심사는 글로벌 창의 콘텐츠 공모전에서 어떤 방법으로 시행될까"
] | 모여라! 세계로 나아갈 콘텐츠 전사들이여! - 미래부,‘글로벌 창의콘텐츠’공모 -
‘글로벌 창의 콘텐츠’공모 계획
□ 공모전 개요
o 운영방법 : 1차 심사를 통해 50명의 창작자를 선발하고, 2차 심사를 거쳐 최종 10명 선발
- 1, 2차 심사는 참여도(‘좋아요’클릭수)와 전문가 심사를 합산하여 진행
- 1, 2차에서 제출된 50명의 동영상은 ’TV창조채널’을 통해 유통 및 송출
o 시상자 혜택
- 최종 10인 : ’TV창조채널’ 운영위원 활동 및 사업화 맞춤 네트워킹 제공
- 총 상금 7천5백만원(제작지원 2천5백만원 포함)
* 1차(50명) : 상금(50만원), 제작지원(50만원이내) / 2차(10명) : 1등 1천만원 등 2천5백만원 | admin |
[
"전국 대학생 정보통신방송 토론대회를 미래창조과학부 단독으로 진행하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전국 대학생 정보통신방송 토론대회를 여니"
] | 전국 대학(원)생 정보통신방송(ICT) 토론대회 개최 - 2013. 9. 24(화)부터 참가 신청서 접수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꿈과 끼를 갖춘 글로벌 창의인재를 양성하고, 미래의 주역인 대학(원)생들의 ICT 현안에 대한 참신한 의견을 듣기 위해 '전국 대학(원)생 정보통신방송(ICT) 토론대회‘를 개최한다.
□ 이번 토론대회의 논제는 2가지로 구성된다.
○ 먼저, 예선(에세이 심사) 및 8강 주제는 최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인터넷 중독’ 과 관련하여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이며,
※ 예선을 제외한 8강부터는 주제토론으로 진행
○ 4강 및 결승에서는 참가자 간 열띤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찬반이 대립하는 주제인 ‘ICT는 창조성을 키우는가, 약화시키는가’에 대해 논하게 된다. | admin |
[
"산업통상자원부는 어떻게 1,300만 킬로와트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를 확충할 예정이지",
"산업통상자원부는 1,300만 킬로와트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를 어떻게 확충할 계획이야"
] | 2020년까지 에너지신산업에 총 42조원 투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7월 5일(화)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에너지미래전략위원회 출범식 을 개최하고,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을 발표
< 행사 개요 >
◈ 일시/장소 : 2016.7.5(화) 07:30∼09:00(조찬), 더 플라자 호텔(서울)
◈ 참석자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에너지미래전략위원회 위원, 에너지규제개혁협의체 위원장, 에너지 신산업 관련 기업 및 기업 등
◈ 주요내용 :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 발표, 자유토론 등
1. 신재생 등 에너지신산업에 2020년까지 총 42조원을 투자한다
ㅇ (신재생) 우선 신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2020년까지 총 30조원을 투자(2016~2020년) 석탄화력(500MW) 26기(13GW)에 해당하는 1,300만kW 규모의 신재생 발전소가 대대적으로 확충된다.
- 이를 위해 2018년부터 발전소가 생산한 전력중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신재생공급의무화 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상의 신재생공급의무비율을 당초 계획보다 0.5%p~1.0%p 상향조정*한다.
* 공급의무비율(당초 → 확대, %): (2018) 4.5 → 5.0, (2019) 5.0 → 6.0, (2020) 6.0 → 7.0
- 이에 따라 2018년 신재생 공급 의무비율은 2018년 기준 당초 4.5%에서 5.0%로 상향 조정되고 2020년 기준으로는 6.0%에서 7.0%로 확대된다. 이러한 의무비율 상향으로 인해 신재생 발전설비에 8.5조원이 추가로 투자되고 석탄화력 약 6기에 해당하는 300만kW규모의 신재생발전소가 설치된다. | admin |
[
"글로벌포럼2016에는 총 몇 개국의 장차관급 인사가 참여했어",
"총 몇 개국의 장차관급 인사가 글로벌포럼2016에 참석했니"
] | ‘정부3.0 국민체험마당․글로벌포럼’국내외 큰 관심 속 성황리 종료 - 국내외 관람객 및 국제기구 고위인사, 해외 장차관 등 참여해 정부3.0 세계에 전파
□ 글로벌 포럼에 참석한 국외 인사들과 외신기자들도 체험마당을 찾아 대표적인 정부3.0 서비스를 직접 체험했다.
○ 주한 파나마 대사 ** *****(***** *********)는 “중앙부처의 주요정책부터 지자체의 특색 있는 콘텐츠가 모두 한자리에 모여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인상 깊다.”라고 말했으며,
○ 더뉴타임즈(러시아) 기자 *** *(***** **)는 “정부3.0 우수사례 경진대회 등 다양한 행사와 콘텐츠가 많아 짧은 취재 기간이 아쉬울 정도”라고 소감을 전했다.
□ ‘정부3.0 글로벌포럼2016’은 ‘정부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의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차장을 포함하여, * ** *** 프랑스 국가개혁부 장관, *** *** 인도네시아 행정개혁부 장관 등 총 75개국 17명의 장차관급 인사가 참여하여 정부혁신에 관한 주요 이슈를 논의하고, 공감대를 형성했다.
○ ** *****(**** *******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차장은 기조연설에서 세계화와 네트워크화, 국민기대 상승, 신기술 출현, 당면 문제의 다양성 증가 등 공공 부문에서 변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들을 제시하고,
○ 국민과 민간 부문의 다양한 기대, 정책 과제의 복잡성 및 생산성 향상 요구 등에 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으로써 정부혁신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 admin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