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ence
stringlengths
11
1.42k
label
int64
0
1
location
sequence
'넙'은 ‘봄배추’의 방언을 뜻한다
0
[ 1, 2 ]
'일념왕생'은 일념으로 아미타불을 부르면 극락왕생을 할 수 있다는 말을 뜻한다
1
[ 1, 5 ]
'바이어스트라스 정리'는 안뜰 장애로 생기는 눈떨림. 눈알의 운동이 율동적이며, 느리거나 빠른 떨림이 있다를 뜻한다
0
[ 1, 11 ]
'좌 중심'은 행글라이더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 사용하는 조정법. 조정자가 왼쪽으로 몸을 이동하여 왼쪽 날개에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이다를 뜻한다
1
[ 1, 5 ]
'고체 장치'는 전자의 수송, 제어 기능을 가지며 고체로 이루어진 전자 회로 장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자기 코어 따위가 있다를 뜻한다
1
[ 1, 6 ]
'전신 타자기 대체 음극선관'은 출력 정보를 종이에 인쇄하는 전신 타자기를 대신하여, 화면에 보이도록 하는 음극선관을 뜻한다
1
[ 1, 15 ]
'장도'는 장려해서 인도하여 나감을 뜻한다
1
[ 1, 3 ]
'고치메구리'는 ‘무당개구리’의 방언을 뜻한다
1
[ 1, 6 ]
'남형죄'는 법률을 무시하고 함부로 형벌을 가했을 때 적용되던 죄목을 뜻한다
1
[ 1, 4 ]
'등위 관계 접속문'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절이 동등한 자격으로 접속된 문장. 예를 들어 “명수는 노래를 잘 부르고, 민수는 춤을 잘 춘다”는 선행 절과 후행 절이 대등하게 접속된 문장으로 절의 순서를 바꾸어도 의미가 바뀌지 않는다를 뜻한다
1
[ 1, 10 ]
'프로테스탄트'는 겉으로 보이는 모양을 뜻한다
0
[ 1, 7 ]
'이월 공제 규정'은 투자를 마친 ‘과세 연도’의 소득세나 법인세에서 공제받지 못한 세액 공제액은 투자를 마친 과세 연도의 다음 과세 연도 개시일부터 4년 이내에 끝내는 과세 연도에 이월하고, 이월된 각 과세 연도의 소득세나 법인세에서 이를 공제하도록 한 규정. 다만 연구 개발비나 인력 개발비에 대한 ‘세액 공제’는 7년 이내에 끝내는 과세 연도에 이월한다를 뜻한다
1
[ 1, 9 ]
'쩔거덕쩔거덕'은 ‘짙다’의 옛말을 뜻한다
0
[ 1, 7 ]
'청용리'는 한자리에서, 한 사람의 주례로 여러 쌍의 신랑, 신부가 함께 치르는 결혼식을 뜻한다
0
[ 1, 4 ]
'스크리닝 넘버'는 주어진 진동군에 대한 주 공진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 우물에서 측정된 압전 세라믹 공진기의 커패시턴스를 뜻한다
0
[ 1, 8 ]
'공'은 ‘당신’, ‘그대’의 뜻으로, 듣는 이가 남자일 때, 그 사람을 높여 이르던 이인칭 대명사를 뜻한다
1
[ 1, 2 ]
'김장 증후군'은 김장으로 인하여 정신적ㆍ육체적 피로나 통증, 스트레스 따위를 느끼는 증상을 뜻한다
1
[ 1, 7 ]
'시커름'은 요도와 방광의 경련성 근육 수축으로 인하여 오줌을 눌 때 통증이 있고, 오줌이 방울방울 끊기는 상태. 오줌을 눌 때 힘을 주어야 하는 배뇨 장애이다를 뜻한다
0
[ 1, 4 ]
'언주에'는 ‘어저귀’의 방언을 뜻한다
1
[ 1, 4 ]
'음창하다'는 얼굴에서 안와의 위쪽과 아래쪽 구조가 비교될 때 아래쪽 것을 이르는 말을 뜻한다
0
[ 1, 5 ]
'코로나선'은 태양 코로나의 스펙트럼 가운데 보이는 휘선(輝線). 철, 칼슘, 니켈 따위의 전리 이온 때문에 발생한다를 뜻한다
1
[ 1, 5 ]
'큰 궁둥 파임'은 물고기조차도 제가 나서 자란 곳을 못 잊어 한다는 뜻으로, 나서 자란 고향이나 익숙한 곳이 생소한 곳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뜻한다
0
[ 1, 8 ]
'클린 테크'는 에너지와 자원의 소비를 최소화하며 오염 발생을 줄이거나 없애는 환경 기술. 오염 원인을 근본적으로 줄이거나 폐기물에서 에너지나 원료 등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기술이다를 뜻한다
1
[ 1, 6 ]
'심판'은 ‘셈판’의 방언을 뜻한다
1
[ 1, 3 ]
'어중간하다'는 태평할 때에 나라에서 번을 쉬게 하다를 뜻한다
0
[ 1, 6 ]
'총비도'는 두 가지의 색실이 사용되어 빛의 방향에 따라 녹색 또는 자주색으로 보이는 효과를 나타내는 벨벳을 뜻한다
0
[ 1, 4 ]
'뇌수하다'는 죄수를 단단히 가두다를 뜻한다
1
[ 1, 5 ]
'진주군'은 순진하고 어수룩한 사람을 뜻한다
0
[ 1, 4 ]
'경해'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매년 10~11월에 열리는 김치 축제. 1994년에 ‘광주 김치 축제’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최되었으며, 2009년에 ‘광주 김치 문화 축제’로, 2010년에 ‘세계 김치 문화 축제’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2015년에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각종 김치 관련 경연 대회, 김치 담그기 강의와 같은 체험 행사와 김치 역사 자료 및 실물 전시, 예술 문화 공연 등을 즐길 수 있다를 뜻한다
0
[ 1, 3 ]
'두엉벌'은 ‘뒤영벌’의 방언을 뜻한다
1
[ 1, 4 ]
'에스에이치아르'는 척수 손상 후에 일어나는 척수 반사의 소실. 병변 부위의 아래쪽에 있는 수절(髓節)에 지배되는 근육이 침습된다를 뜻한다
0
[ 1, 8 ]
'작업 이격 거리'는 ‘좌르륵좌르륵하다’의 방언<DR /> 제주 지역에서는 ‘주륵주륵다’로도 적는다를 뜻한다
0
[ 1, 9 ]
'관람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적 작업 종료 시점을 나타내는 두 트랜잭션의 경계점을 뜻한다
0
[ 1, 4 ]
'무연'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직류 측정 계기. 지시침이 장착된 가동 코일이 영구 자기장에서 회전한다. 코일에서 전류의 양은 전자기의 강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지시침 변위의 양으로 표시된다를 뜻한다
0
[ 1, 3 ]
'썰컹거리다'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현직 교수를 이르는 말을 뜻한다
0
[ 1, 6 ]
'퉁퉁배'는 ‘통통배’의 북한어를 뜻한다
1
[ 1, 4 ]
'물받이숲'은 야자나뭇과의 하나. 높이는 4~5미터이며, 잎은 뭉쳐나고 깃털 모양으로 갈라진다. 잎대의 길이는 2~3미터이고 활처럼 굽어 있어 모양이 우아하다. 관상용이고 남태평양의 호우 군도가 원산지로 세계 각국에 분포한다를 뜻한다
0
[ 1, 5 ]
'종조부모'는 한 번 시공한 것을 고쳐서 다시 시공함을 뜻한다
0
[ 1, 5 ]
'군도'는 식물 사회학에서, 일정한 구역 안에 살고 있는 식물의 집단을 집합 상태에 의해서 나누는 척도를 뜻한다
1
[ 1, 3 ]
'메조컴팩트 공간'은 구내망 내에서,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호출자에 의해 지정된 단말기로 통화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텔렉스망 내에 단말기를 허용하는 기능을 이르는 말을 뜻한다
0
[ 1, 9 ]
'보조 키'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후보 키 중 일차 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를 뜻한다
1
[ 1, 5 ]
'괴괴'는 ‘괴괴하다’의 어근을 뜻한다
1
[ 1, 3 ]
'대추야자'는 야자나뭇과의 상록 교목. 높이는 20~25미터이며, 잎은 우산 모양으로 뭉쳐나고 겹잎이다. 암수딴그루이며 열매는 붉게 익는다. 아라비아반도와 북아프리카에서 재배된다를 뜻한다
1
[ 1, 5 ]
'태각태각'은 쓸데없이 때리는 짓을 하다를 뜻한다
0
[ 1, 5 ]
'관절안'은 관절을 이루는 두 뼈 사이에 관절 주머니로 둘러싸인 공간. 이 속에 윤활액이 차 있어 운동을 원활하게 한다를 뜻한다
1
[ 1, 4 ]
'네오스웨트 셔츠'는 전기 회로 가운데 본디의 회로와는 별도로 도선을 연결함으로써, 전류를 분류하여 질러가도록 한 회로를 뜻한다
0
[ 1, 9 ]
'봉황'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동. 김해시의 중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 평지와 구릉지이다. 서쪽 경계를 따라 해반천이 흐르고, 봉황 대공원과 수릉원이 자리하고 있다. 남해 고속 도로와 부산 김해 경전철이 지나고, 문화재로 김해 봉황동 유적(金海鳳凰洞遺蹟)이 있다를 뜻한다
1
[ 1, 3 ]
'피질 척수로'는 대뇌 겉질에서 시작하여 척수로 내려가는 신경 섬유 다발. 뜻대로 몸을 움직이게 한다를 뜻한다
1
[ 1, 7 ]
'방직 전동기'는 방직기를 운전하기 위한 고속 전동기. 농형 유도 전동기, 데리 전동기 따위가 있다를 뜻한다
1
[ 1, 7 ]
'양지'는 치아 발생 중에 사기질 기관에 밀집된 중간엽 조직의 작은 돌기. 이것에서 상아질과 치아 속질이 형성된다를 뜻한다
0
[ 1, 3 ]
'두 머리증'은 선천적으로 머리가 두 개 있는 기형을 뜻한다
1
[ 1, 6 ]
'소그드 문자'는 소그드어를 적는 데 쓰였던 음소 문자. 2세기부터 13세기경까지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사용되었다. 여러 변종이 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시리아 문자에서 발달하였으며, 위구르 문자의 모태가 되었다를 뜻한다
1
[ 1, 7 ]
'니기미'는 어떤 일에 대하여 몹시 못마땅할 때 욕으로 하는 말을 뜻한다
1
[ 1, 4 ]
'봉고파직'은 어사나 감사가 못된 짓을 많이 한 고을의 원을 파면하고 관가의 창고를 봉하여 잠금. 또는 그런 일을 뜻한다
1
[ 1, 5 ]
'고속버스'는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운행하는 버스를 뜻한다
1
[ 1, 5 ]
'습관성 편도염'은 편도염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베타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의한 세균 감염이 가장 많다를 뜻한다
1
[ 1, 8 ]
'부등깃'은 갓 태어난 어린 새의 다 자라지 못한 약한 깃을 뜻한다
1
[ 1, 4 ]
'앙금부선'은 ‘부유 선별’의 북한어를 뜻한다
1
[ 1, 5 ]
'누임'은 천 따위를 잿물에 담갔다가 솥에 찌는 일을 뜻한다
1
[ 1, 3 ]
'공중 탑재 총량'은 항공기가 1회의 운항으로 운반할 수 있는 승객이나 화물의 총량을 뜻한다
1
[ 1, 9 ]
'특성 임피던스'는 항해 가능 여부를 알기 위하여 해양, 하천, 호수, 늪 및 이에 인접한 연안의 자연 상태를 측정하고 기술하는 학문을 뜻한다
0
[ 1, 8 ]
'겐지밥'은 임금이나 어버이의 명령을 받들다를 뜻한다
0
[ 1, 4 ]
'아이시아르시'는 1863년에 발족한 적십자 국제 본부. 적십자의 창설 기관이며 제네바 협약의 발기 기관으로, 영세 중립국인 스위스 사람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전쟁 희생자의 구제 등의 인도적 활동을 하고 있다. 1963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를 뜻한다
1
[ 1, 7 ]
'목조'는 나무로 물건을 만듦. 또는 그 물건을 뜻한다
1
[ 1, 3 ]
'적'은 경기나 시합 따위에서 서로 승부를 겨루는 상대편을 뜻한다
1
[ 1, 2 ]
'연락관'은 ‘던지다’의 방언을 뜻한다
0
[ 1, 4 ]
'꺼무께하다'는 곱지도 짙지도 않게 껌다를 뜻한다
1
[ 1, 6 ]
'양하'는 배에서 짐을 내림을 뜻한다
1
[ 1, 3 ]
'고양이 긁힘열'은 소아와 젊은 성인이 대개 고양이에게 긁히거나 물린 후 걸리는, 열과 림프절염을 동반하는 감염 질환. 대부분 <FL>바르토넬라균</FL>에 의한다를 뜻한다
1
[ 1, 8 ]
'파일 주소 매김'은 에너지를 최대의 효율로 이용하여 최대로 생산한 물질의 양을 뜻한다
0
[ 1, 9 ]
'꼿주'는 조선 시대 민요의 하나. 담배에 대하여 노래한 것으로, 도드리장단에 의한 단조로운 가락이 반복되는 곡조이다를 뜻한다
0
[ 1, 3 ]
'모꾼하다'는 전산 처리 기기 따위가 입력되는 정보를 식별하여 자체 저장 공간에 저장하다를 뜻한다
0
[ 1, 5 ]
'공금 유용'은 악보에서, 중간쯤의 빠르기로 연주하라는 말을 뜻한다
0
[ 1, 6 ]
'주거 기반 통행'은 통행의 시작이 통행자의 주거지에서 시작되는, 출근 통행과 통학 통행을 이르는 말. 교통 수요의 분석에서, 통행의 성격을 구분하는 개념이다를 뜻한다
1
[ 1, 9 ]
'배출 전망치'는 갈퀴의 자루를 뜻한다
0
[ 1, 7 ]
'안전 재고량'은 재고 부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확보하여야 할 재고량을 뜻한다
1
[ 1, 7 ]
'단식'은 몇 개의 단(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뜻한다
1
[ 1, 3 ]
'단작'은 한 농경지에 한 종류의 농작물만을 심어 가꾸는 일을 뜻한다
1
[ 1, 3 ]
'재수령'은 꾸짖어 나무라는 성질을 뜻한다
0
[ 1, 4 ]
'디엠큐'는 색계(色界)의 사선정(四禪定)과 무색계(無色界)의 사공정(四空定)을 뜻한다
0
[ 1, 4 ]
'대보'는 개인이나 기업의 재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뜻한다
0
[ 1, 3 ]
'연연'은 물건이나 영역, 지위 따위를 차지하는 정도를 뜻한다
0
[ 1, 3 ]
'포르메피졸'은 알코올 탈수소 효소 억제제로서 메틸 알코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중독을 치료하는 해독제. 메틸 알코올이 맹독성인 포름알데하이드가 되는 것을 막아 메틸 알코올 자체로 배설되게 한다를 뜻한다
1
[ 1, 6 ]
'이 폐기물'은 휴대 전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따위의 전자 장비와 부품에서 나오는 것으로, 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쓰레기를 뜻한다
1
[ 1, 6 ]
'발랑개비'는 ‘팔랑개비’의 방언을 뜻한다
1
[ 1, 5 ]
'뭀어미'는 ‘서모’의 옛말을 뜻한다
1
[ 1, 4 ]
'글밥'은 녹병균목의 한 균. 양치식물이나 종자식물에 기생하여 녹병을 일으키는데, 녹병이 발생된 곳은 세포 분열이나 가지치기가 촉진되어 녹과 같은 모양이 되거나 혹 모양의 기형이 되기도 한다를 뜻한다
0
[ 1, 3 ]
'통신 순차 처리'는 제품 생산 공장에서 생산 작업을 시작할 때의 재고를 명시하는 방법을 뜻한다
0
[ 1, 9 ]
'팔오굼패기'는 ‘은계’의 북한어를 뜻한다
0
[ 1, 6 ]
'눈벌레병'은 주계약 업체와 제1차 부품 생산업체가 부품의 소재 및 기술 도입 따위를 위하여 지불한 외자 지출액에서 장비 획득과 직접 관련된 절충 교역에 따른 역수출로 발생하는 외화 수입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뜻한다
0
[ 1, 5 ]
'영랑호'는 강원도 속초시 교외에 있는 호수. 옛날에 영랑이라는 신선이 놀았다고 한다. 둘레의 길이는 7.8km, 넓이는 약 1㎢을 뜻한다
1
[ 1, 4 ]
'어깨에 힘(을) 주다'는 거만한 태도를 취하다를 뜻한다
1
[ 1, 12 ]
'녹'은 ‘녹병’의 북한어를 뜻한다
1
[ 1, 2 ]
'솨'는 나뭇가지나 물건의 틈 사이로 바람이 스쳐 부는 소리를 뜻한다
1
[ 1, 2 ]
'결원하다'는 법회나 기도가 끝나다를 뜻한다
1
[ 1, 5 ]
'연관'은 금속 제품을 인산염 수용액으로 청정하게 하는 일. 산침지의 일종이다를 뜻한다
0
[ 1, 3 ]
'나쁜 나라가 아니라 아픈 나라였다'는 물을 건너기 위하여 강, 호수, 바다 따위의 밑으로 뚫은 굴을 뜻한다
0
[ 1, 19 ]
'방위반'은 신발을 찍는 틀을 뜻한다
0
[ 1, 4 ]
'장생보연지악'은 장생보연지무에 연주하던 음악을 뜻한다
1
[ 1, 7 ]
'땅콩깡장'은 ‘땅콩강정’의 방언을 뜻한다
1
[ 1,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