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classes 501
values | description
stringclasses 28
values | license
dict | text
stringlengths 60
188k
| meta
dict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동ᄒᆞ시ᄂᆞᆫ가자ᄉᆡ 공ᄌᆞ손ᄌᆞ라 ᄅᆞᆯ오ᄃᆡ동호시의일을다ᄉᆞ리ᄆᆡ황둔 홍황셰계에준ᄉᆡᆨᄒᆞ단말이라 ᄒᆞᆫᄯᆡ를이어아람다오
며조흔것슬버리고졍신을드리우고ᄌᆞᆷᄌᆞᆷᄒᆞ야팔장지르나아홉집 텬해라 이흐름을이으니 교회흐르단말이라 잇ᄯᆡ를
당ᄒᆞ야금치무리를이뤼고ᄃᆡ와나모가잘ᄌᆞ라고그노ᄅᆡ즐거우되곡죄업ᄉᆞ며긍우룸이셜흐나소ᄅᆡ업ᄉᆞ니ᄃᆡ지지극히
다스린셰상이라십칠셰를젼ᄒᆞ다 皇軍氏又曰雕光氏春秋命歴序曰皇軍氏之世也
|
{
"page": 5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在而不治官天地府寓物害乎無假是故死生同兆而不可相陵傅七世 황담시ᄂᆞᆫᄯᅩᄀᆞᆯ온ᄃᆡ광시라ᄒᆞ니츈츄명력셔 ᄎᆡᆨ일홈
이라 에갈오ᄃᆡ황담시의셰샹에위에잇스되다ᄉᆞ리지아니ᄒᆞ고텬디로벼슬을ᄉᆞᆷ고만물로마을을ᄉᆞᆷ으니ᄒᆡᄒᆞ기어려온
지라이런고로ᄉᆡᄉᆡᆼ에터를ᄀᆞᆺ치ᄒᆞ되가히능ᄒᆞᆯ치못ᄒᆞᆯ지라칠셰를젼ᄒᆞ다 啓統氏傅三世啓統路史曰大道似不肖厨德咅不足韜
|
{
"page": 5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光晦迹自翳其身而不知其啓統氏之謂乎 계통시ᄂᆞᆫ삼셰를젼ᄒᆞ다로ᄉᆞ ᄎᆡᆨ일홈이라 에ᄀᆞᆯ오ᄃᆡ큰도ᄂᆞᆫ불초ᄒᆞᆷᄀᆞᆺ고셩ᄒᆞᆫ덕은부족ᄒᆞᆷ갓ᄐᆞ야빗츨가리우며ᄌᆞ최ᄅᆖᆯ어둡게ᄒᆞ야스ᄉᆞ로그믐을가리우되아지못ᄒᆞᆷ은그계통시를이름인져ᄒᆞ니라
吉夷氏傳四世 길이시ᄂᆞᆫᄉᆞ셰를젼ᄒᆞ다 几蕖氏亢倉子曰几蕖氏之在天下也不治而不亂
|
{
"page": 5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顊居鷇飲而不求不譽命之曰知生之民 궤거시ᄂᆞᆫ항챵ᄌᆞ ᄎᆡᆨ일홈이라 에ᄀᆞᆯ오되궤거시텬하에이ᄉᆞᆷᄋᆡ다ᄉᆞ리징아니ᄒᆞ여
도어즈럽지아니ᄒᆞ며뫼츠라기쳐로거ᄒᆞ며ᄉᆡ삿기쳐로마시고구ᄒᆞ도아니ᄒᆞ며길히도아니ᄒᆞ니명ᄒᆞ야ᄀᆞᆯ오되살도리를
아ᄂᆞᆫᄇᆡᆨ셩이라ᄒᆞ니라 稀韋氏傳四世 희위시ᄂᆞᆫᄉᆞ셰를젼ᄒᆞ다 有巢氏太古之民穴居野處搏生咀華舆物相友後
|
{
"page": 5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世人民機智而物始爲敵爪牙角毒槩不足以敵禽獸有聖者作構木爲巢教民居之以避其害號曰有巢氏之民又號大巢氏
傳二世 유소시ᄂᆞᆫ태고ᄯᆡᄇᆡᆨ셩이굴에거ᄒᆞ고둘에쳐ᄒᆞ며즘ᄉᆡᆼ을잡아먹고ᄭᅩᆺ출너흐러즘ᄉᆡᆼ으로더브러벗ᄒᆞ더니후셰에
인민이거로ᄒᆞ고지혜나니즘ᄉᆡᆼ이비로소ᄃᆡ젹ᄒᆞ되 즘ᄉᆡᆼ이ᄒᆡᄒᆞ단말이라 발톱과이와ᄲᅮᆯ의독ᄒᆞᆷ을ᄉᆞᄅᆞᆷ이즘ᄉᆡᆼ을익의지
못ᄒᆞ더니셩인이이셔징으ᄆᆡ나모를얼거깃드림을
|
{
"page": 5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슈인시ᄂᆞᆫ유소시로브터ᄇᆡᆨ셩을가ᄅᆞᆺ쳐깃드려거ᄒᆞ나오히려익혀먹을쥴을모르더니셩인이이셔지으시ᄆᆡ셩신을보고
오ᄒᆡᆼ을ᄉᆞᆯ펴공듕에불이잇셔나모에다흐면ᄇᆞᆰ을줄알고이에나모를ᄯᅮᆯ어불을내여ᄇᆡᆨ셩을ᄑᆡᆼ임ᄒᆞ기로ᄡᅥᄀᆞᄅᆞ치니ᄇᆡᆨ셩이
리로이너긴고로일홈ᄒᆞ야슈인시라ᄒᆞ다ᄯᆡ에글월이업거ᄂᆞᆯ슈인시비로소노ᄆᆡᆺᄂᆞᆫ졍ᄉᆞ를지으며조명젼ᄒᆞᄂᆞᆫ집을셰우고
일듕에져ᄌᆡ를ᄒᆞ야교역ᄒᆞᄂᆞᆫ도
|
{
"page": 6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를이르히니인졍이ᄡᅥ이륀그로ᄶᅳ일홈ᄒᆞ야슈황이라ᄒᆞ다네좁ᄂᆞᆫ신하이시니줄은명유와필흑과셩박과운구라ᄉᆞ셰를젼
ᄒᆞ다 庸成氏羣王之山平阿無隘四微中縄庸成氏之庅守先王之冊府也傳六世 용셩시ᄂᆞᆫ군옥의뫼평ᄒᆞᆫ언덕이막히임이
업고네녁흐로통ᄒᆞ고가온ᄃᆡ곳으니용셩시의직킌바션왕의ᄎᆡᆨᄡᆞ은마을이라팔셰를젼ᄒᆞ다 禪通紀
|
{
"page": 6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山川掌指而剏文字文字成天爲両粟鬼爲夜哭居陽武而葬利鄕 ᄉᆞ황시챵뎨ᄂᆞᆫ일홈은힐이니ᄇᆞᆰ은덕이잇셔나ᄆᆡ능히글
을ᄡᅳ더니밋ᄌᆞ라ᄆᆡ양허의뫼에올나현호 ᄯᅡ일홈이라 락슈가을임ᄒᆞ니신령ᄒᆞᆫ거북이굴을지되붉은겁풀에푸른문이라
창뎨바라드ᄃᆡ여텬지의변홈을궁진이ᄒᆞ고우러러규셩 별일홈이라 의둥굴며굽은형셰를보고구푸려거북의문처와ᄉᆡ
깃과산쳔과손가락을ᄉᆞᆲ혀글월을창지
|
{
"page": 6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ᄒᆞ니글월이이뤼ᄆᆡ하ᄂᆞᆯ이위ᄒᆞ야곡식을비로나리우시고귀신이밤에울더라양무ᄯᅡ에거ᄒᆞ고리향에장ᄉᆞᄒᆞ다
柏皇氏 中央氏 大庭氏 栗陸氏 昆連氏 ᄇᆡᆨ황시 듕앙시 ᄃᆡ졍시 률뉵시 곤련시 軒轅氏作于空桑之北紹物開智見轉蓬
而制秉車横木爲軒直木爲轅故號軒轅氏 헌원시ᄂᆞᆫ공샹 ᄯᅡ일홈이라 의북편에이러나만물을이어지혜열니여쑥이구울
물보고슈레를지어
|
{
"page": 6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에우ᄂᆞᆫᄉᆡ를듯고ᄡᅥ풍류와노ᄅᆡ를만드러신명을화ᄒᆞ고인셩을합ᄒᆞ게ᄒᆞ다불로ᄡᅥ고화를베프니ᄯᅩ흔젹뎨라일홈ᄒᆞᆫ고로
후셰에화관 불가ᄋᆞᄆᆞ는벼슬이라 이인ᄒᆞ야일홈을삼으니라회ᄯᅡ에도읍ᄒᆞ다 昊英氏 有巢氏 朱襄氏 隂康氏 無懷氏
太昊 伏羲氏 女皇氏 炎帝神農氏 호영시 유소시 쥬양시 음강시 무회시 ᄐᆡ호복희시 녀황시 염뎨신룡시
按禅通紀斥十九氏其軒轅祝融或當在太昊
|
{
"page": 6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前餘合繋太昊之後也 안ᄎᆞᆯᄒᆞ야보니션통긔물읫십구시에그헌원과츅룡은혹맛당이ᄐᆡ호의젼에잇고나마는합당이
ᄐᆡ호의후에ᄆᆡ힐지니라 疏仡紀 소흘긔 疏以知遠仡以審箭仁義道德之丽用也其世則自黃帝以訖于周 셩긔물먼듸를
알고마ᄎᆞᆷ을결단을삷
|
{
"page": 6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ᄒᆞ고진에도읍ᄒᆞ다ᄇᆡᆨ셩을가ᄅᆞ쳐산양질ᄒᆞ며고기를잡게ᄒᆞ고즘ᄉᆡᆼ을길너포쥬 부억이라 에ᄎᆡ운고로ᄯᅩ포희시라ᄒᆞ다
팔과를긋고셔계 글월이라 를짓고륙갑과ᄎᆡᆨ력을짓고 갑과인에이러나간과지가셔로ᄇᆡ합ᄒᆞ야십이신을만드니륙갑에
텬듸두룬지라ᄒᆡ를일로ᄡᅥ긔록ᄒᆞ야어즈럽지아니ᄒᆞ고달을일로긔록ᄒᆞ야밧고이지아니ᄒᆞ고쥬야를일로기록ᄒᆞ야계한
을알고동셔남북을일의혹지아니ᄒᆞ니라 가ᄎᆔ 혼인의례라 를짓고룡으로ᄡᅥ벼슬을긔록ᄒᆞ고 쥬양을비룡시를삼아셔
계를짓고호영으로잠룡시를삼아갑력을짓고ᄃᆡ졍으로거룡시를삼아집을다ᄉᆞ리고혼돈으로강룡시를삼아ᄇᆡᆨ셩의ᄒᆡ되
ᄂᆞᆫ거슬졔ᄒᆞ고 즘ᄉᆡᆼ을모라업셰단말
|
{
"page": 7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부 공공시ᄂᆞᆫᄐᆡ호시쥭으ᄆᆡ공공시ᄀᆞᆯ온강희라ᄒᆞᄂᆞᆫᄌᆡ털몸이오붉은터럭이오지혜를맛져스ᄉᆞ로신통하다ᄒᆞ야
비로소텬샹 하늘ᄯᅥᆺ덧ᄒᆞᆫ듸라 을어즈러이고긔ᄌᆔᄯᅡ흘도젹ᄒᆞ야보젼ᄒᆞ야스ᄉᆞ못ᄒᆞ되슈덕이라ᄒᆞ야이에물로ᄡᅥ벼슬을
긔록ᄒᆞ고담락 황음ᄒᆞ단말이라 ᄒᆞᆷ을조하ᄒᆞ야그몸울음일히가질ᄇᆡᆨ쳔 셰샹물이라 을막아놉흔ᄃᆡ를문읏더리고
나즌ᄃᆡ를메워쳔하를ᄒᆡ코져ᄒᆞ니황텬이복을쥬지아니ᄒᆞ시고셔민이돕
|
{
"page": 7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이물듕히ᄒᆞ니이신ᄆᆡ 신통ᄒᆞᆫ듕ᄆᆡ니라 된지라처회쥭으ᄆᆡ공공시작난ᄒᆞ야큰물을쏫아텬하를ᄒᆡᄒᆞ게ᄒᆞ거ᄂᆞᆯ녀쎠그신
통ᄒᆞᆫ힘을불여공공시로더브러결워ᄆᆞᆺᄎᆞᆷ내공공시를멸ᄒᆞ고ᄡᅥ텬하를다ᄉᆞ려듕황의뫼에로읍ᄒᆞ니이녀황이된지라다ᄉᆞ
린지ᄇᆡᆨ삼십ᄒᆡ에쥭다 柏皇氏之在世也爲而不有應而不求居于皇亻之山 ᄇᆡᆨ황시의셰상에이스ᄆᆡᄒᆞ여도두지아니ᄒᆞ고
공을
|
{
"page": 7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ᄌᆞ랑치아니ᄒᆞ단말이라 응ᄒᆞ야도구치아니ᄒᆞ더라 황인의뫼 뫼일홈이라 에거ᄒᆞ다 中央氏亦曰中皇氏 듕앙시ᄂᆞᆫᄯᅩ
ᄀᆞᆯ온듕황시라 大庭氏之膺籙也三辰豊輝五凰粟色都于曲阜故魯有大庭氏之庫亦曰朱湏氏 ᄃᆡ졍시의록을바르ᄆᆡ
인군의텬록이라 삼신 일월과셩신이라 이빗치풍성ᄒᆞ고다ᄉᆞᆺ봉이빗치긔이ᄒᆞ더라곡부에도읍ᄒᆞᆫ고로노나라에대졍
시의고이잇다
|
{
"page": 7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ᄯᅩᄀᆞᆯ온쥬슈시라ᄒᆞ다 栗陸氏之爲政敖愎自用民始携叛其臣東里子諌而被殺天下盖貮栗陸遂亡 륙률시의졍ᄉᆞᄒᆞᄆᆡ거
으ᄒᆞ고퍅ᄒᆞ야스ᄉᆞ로ᄡᅳ니 졔ᄆᆞᄋᆞᆷᄃᆡ로ᄒᆞ단말이라 ᄇᆡᆨ셩이비로소휴이 ᄆᆞᄋᆞᆷ이ᄀᆞᆯ단말이라 ᄒᆞ야반ᄒᆞ거늘그신하동리
ᄌᆡ간ᄒᆞ다가죽이믈입으니텬ᄒᆡ더욱휴이ᄒᆞᆫ지라률륙이드ᄃᆡ여망ᄒᆞ다 驪連氏亦曰昆連氏 녀련시ᄂᆞᆫᄯᅩᄒᆞᆫᄀᆞᆯ온곤련시라
ᄒᆞ다
|
{
"page": 7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고졔력이면치고목말으면마시며곱프면먹고착ᄒᆞᆫ일도모로고몹슬일도모르더라
尊廬氏一作廬之立收也官天也府萬物莗天下之故而世用寕治居山强基之陽
존려시 혼란에로라ᄒᆞ니라 의졍ᄉᆞ를셰우ᄆᆡ텬디로벼슬을삼으며만물로마을을삼고텬하의지난이을곳쳐셰상이ᄡᅥ
편안이다ᄉᆞ리라강ᄃᆡ ᄯᅡ일홈이라 의남편에거ᄒᆞ다
吴英氏之居位也人民少而草木鳥獣繁盖衣薪之
|
{
"page": 7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ᄂᆞᆯ셩인이깃드려거ᄒᆞᆷ을가ᄅᆞ치샤ᄉᆞᄅᆞᆷ이편안ᄒᆞᆷ을엉ᄵᅠ어더니밋그오ᄅᆡᄆᆡ나모엥쳐ᄒᆞᆷᄋᆡ너머지ᄂᆞᆫ지라셩인이ᄯᅩ가라쳐
나모를셰워집을지으며나모를엿거사리문을만들고흙을ᄇᆞ르며ᄯᅱ를엿거덥히그화를면ᄒᆞ게ᄒᆞ니그유소시의교화를
곳친고로ᄯᅩᄒᆞᆫ유소시라일홈ᄒᆞ니이ᄀᆞᆯ온고황이니ᄃᆡ지집을비로소지은ᄉᆞᄅᆞᆷ이라 朱襄氏之世恒風振蕩果木不實朱襄
命士逹作
|
{
"page": 8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天常六曰逹帝切七曰依地德八曰総萬物之極是謂廣樂 갈텬시의ᄃᆡ에말아니ᄒᆞ야도밋부며가ᄅᆞ치지아니ᄒᆞ야도ᄒᆡᆼᄒᆞ
고탕탕 큰모양이라 ᄒᆞ야능히일홈ᄒᆞᆯ길업ᄉᆞ되풍죽이ᄡᅥ희희 슌후ᄒᆞᆫ모양이라 ᄒᆞ더라그풍류를지으ᄆᆡ세ᄉᆞᄅᆞᆷ이쇠ᄭᅩ
리를잡고발을구울너여ᄃᆞᆲ곡조를노ᄅᆡᄒᆞ니쳣ᄌᆡᄂᆞᆫᄀᆞᆯ온ᄌᆡ민 ᄇᆡᆨ셩을싯단말이라 이오둘ᄌᆡᄂᆞᆫᄀᆞᆯ온현조 졔비라 요셋ᄌᆡ
ᄂᆞᆫᄀᆞᆯ온슈초목 초목이일위단말이라
|
{
"page": 8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이요넷ᄌᆡ는 ᄀᆞᆯ온분오곡 오곡을ᄯᅥᆯ치단말이라 이요다ᄉᆞᆺᄌᆡ는ᄀᆞᆯ온근텬샹 텬샹을삼가단말이니텬샹은인륜오샹이라
이요여ᄉᆞᆺᄌᆡ는ᄀᆞᆯ온달뎨공 인군의공화를통달ᄒᆞ단말이라 이요일곱ᄌᆡ는ᄀᆞᆯ온의디덕 ᄯᅡ의덕을의지ᄒᆞ단말이라 이요
여덟ᄌᆡ는ᄀᆞᆯ온츙만물지극 만물의극진ᄒᆞ물거ᄂᆞ리단말이라 일온광아깅라 너른풍류란말이라
隂康氏之時水瀆不疏隂凝而易閟人欝于内榺理滞著多重膇隂康思丽以利其関節乃制舞奆治于辛原
|
{
"page": 8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음강의ᄯᆡ에슈록이 큰물이니하슈와강슈와회슈와졔ᄉᆔᄉᆞ독이라 소통치못ᄒᆞ야 하ᄅᆔ막히여셰상에물이만탄말이라
음긔얼의여막히이기치우니ᄉᆞᄅᆞᆷ이답답ᄒᆞ야쥬리 ᄉᆞᄅᆞᆷ의죄부간ᄯᅡᆷ긍기란말이라 옹쳬ᄒᆞ야듕퇴 슈죵다리병이라
의병이만커ᄂᆞᆯ음강이그관졀 ᄉᆞᄅᆞᆷ의ᄉᆞ지에마듸라 을통리ᄒᆞ기를ᄉᆡᆼ각ᄒᆞ야이에춤츄기를지으니라화원 ᄯᅡ일홈이라
에 다ᄉᆞ리다 無懷氏之撫世也其民甘食而樂居慌土而重生形有動作心無好惡雞犬之音相聞民至老死不相往來
命之曰無懷氏之民
|
{
"page": 8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무회시의셰상을다ᄉᆞ리ᄆᆡ그ᄇᆡᆨ셔이음식을ᄃᆞᆯ게너겨살기를즐기고ᄯᅡ흘ᄉᆡᆼ각ᄒᆞ며 사는ᄯᅡ이라 ᄉᆡᆼᄋᆡ를듕히너기며그
몸은동작ᄒᆞᆷ이스나ᄆᆞᄋᆞᆷ에죠하홈과뮈여홈이업ᄂᆞᆫ지라계견의소ᄅᆡ셔ᄅᆞ들니되ᄇᆡᆨ셔잉늙도록셔ᄅᆞ왕ᄂᆡ치아니ᄒᆞ니
명ᄒᆞ야ᄀᆞᆯ오ᄃᆡ무회시의ᄇᆡᆨ셩이라ᄒᆞ다 世傳伏羲氏民之後斤十五氏爲天子而後神農氏作令按易繋辭曰庖犧氏洖而
神農氏作則相傳者不足信矣况太昊命官而十五氏多預焉則是
|
{
"page": 8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皆佐伏羲爲治之臣明矣豈當其時各君一方以埋民如後世諸佚之國耶 셰샹이젼ᄒᆞᄃᆡ복희시의후에물읫십오시텬ᄌᆞ된
후에신룡시지엇다ᄒᆞ되이졔쥬역계ᄉᆞ를보니ᄀᆞᆯ오ᄃᆡ포희시쥭으ᄆᆡ신룡시지엇다ᄒᆞᆫ즉셔로젼ᄒᆞᄂᆞᆫ말을쥭히밋지못ᄒᆞᆯ
거시오허물며ᄐᆡ호시의벼슬을명ᄒᆞᄆᆡ십오시만히ᄎᆞᆷ예ᄒᆞ니 ᄇᆡᆨ황호영과혼돈쥬양의물이다ᄐᆡ호의신하라 이ᄂᆞᆫ다복희
를조아라ᄉᆞ리ᄂᆞᆫ신하란말이ᄇᆞᆰ은지라엇
|
{
"page": 8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爲大火夏官爲鶮火秋官爲西火冬官爲北火中官爲中火 在位百四十年傳八帝 염뎨신롱시ᄂᆞᆫ강셩이니소젼의인군이유
교시의ᄯᅡᆯ을ᄎᆔᄒᆞ니ᄀᆞᆯ온녀동이니쥬시ᄉᆞ라두아들을나으ᄆᆡ맛은ᄀᆞᆯ온셕년이니화양에노라가신룡을보아낫코강슈의셔
길은고로셩을강이라ᄒᆞ고화덕을ᄡᅥ복희시를ᄃᆡᄒᆞ야텬하를다ᄉᆞ린고로ᄀᆞᆯ온염뎨라ᄒᆞ고그이러나ᄆᆡ렬산에근본ᄒᆞᆫ고로
ᄯᅩ열삭시라일홈ᄒᆞ고ᄯᅩᄀᆞᆯ온련
|
{
"page": 8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산시라ᄒᆞ고그쳐읍ᄋᆡ이ᄯᅡ에나라ᄒᆞ괴미어기ᄯᅡ에나라ᄒᆞ니합ᄒᆞ야일커른고로ᄯᅩ이기시라일홈ᄒᆞ다진에도읍ᄒᆞ얏더니
곡부에옴다쳐음으로오곡을심우고일ᄇᆡᆨ가지풀을맛보고 의약을만드니라 비로소일즁에져ᄌᆡ를ᄒᆞ고불로ᄡᅥ벼슬을긔
록ᄒᆞ다 츈관은ᄃᆡ화요하관은슌화요츄관은셔화요동관은북화요듕관은듕화라 ᄌᆡ위ᄇᆡᆨᄉᆞ십년이라 여ᄃᆞᆲ인군을젼ᄒᆞ다
帝蝗魁神農氏納莾水氏之女曰聼訸生蝗魁嗣爲炎帝在位八十年
|
{
"page": 8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뎨림괴ᄂᆞᆫ신룡시망슈시의ᄯᆞᆯ을ᄎᆔᄒᆞ니ᄀᆞᆯ온쳥발 일홈이라 이니림괴를나아이어염뎨되니ᄌᆡ위팔십년이라 帝氶蝗魁之
子在位六十年 뎨승은림괴의아들이니ᄌᆡ위뉵십년이라 帝明氶之子在位四十九年 뎨명은승의아들이니ᄌᆡ위ᄉᆞ십구년
이라 帝宜明氶之子在位四十五年 뎨의는명의아들이니ᄌᆡ위ᄉᆞ십오년이라
|
{
"page": 9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諸侏歸之帝之五十五年諸侏尊軒轅爲天子降封帝于洛神農氏遂亡 뎨유망은리의증손이오졀결의손ᄌᆡ오극의아들이
니공샹 ᄯᅡ일홈이라 에거ᄒᆞ야졍ᄉᆞ를급박이ᄒᆞ야ᄉᆞᄅᆞᆷ을타고그ᄂᆡᆯᄂᆡᆷ을ᄡᆞ와보니이에졔ᄒᆔ휴이 두ᄆᆞᄋᆞᆷ주단말이라
ᄒᆞᄂᆞᆫ지라그신하치위작난ᄒᆞ거ᄂᆞᆯ뎨탁록에죄ᄒᆞ얏더니유웅국인군공손헌원이실로셩덕이계신지라졔ᄒᆔ도라가더니
뎨의오십오년에졔휘헌원을놉혀텬ᄌᆞᄅᆞᆯ삼고뎨를
|
{
"page": 9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를도아오곡을심엇더니후셰에졔ᄉᆞᄒᆞ야직을삼으니 사직곡식가ᄋᆞᄆᆞ는귀신이라 아들이셔ᄀᆞᆯ온겹갑이니혹일ᄒᆞᄃᆡ
염뎨를잇다ᄒᆞ니라 O뎨리의손ᄌᆞ희 졀경의버긔아들이라 긔를ᄂᆞᆺ고긔츅륭을나으니황뎨의ᄉᆞ도 벼슬일홈이라 되고
츅륭이슬효를나코슬ᄒᆈ구룡을나으니뎐욱의후토 ᄯᅡ흘가아마ᄂᆞᆫ벼슬이라 되여능히구쥬를평ᄒᆞ야토디의맛당홈을
분변ᄒᆞ얍서ᄇᆡᆨ셩을ᄀᆞᄅᆞ치니후셰에졔ᄉᆞᄒᆞ야사 사직에ᄯᅡ홀가ᄋᆞ마ᄂᆞᆫ귀신이라 에ᄶᆞᆨ
|
{
"page": 9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헌원이라일홈ᄒᆞ다뎨나ᄆᆡ신령ᄒᆞ고약ᄒᆞ야실졔능히말ᄒᆞ고어려셔슌ᄌᆡ 민쳡ᄒᆞ고뎡졔ᄒᆞ단말이라 ᄒᆞ고ᄌᆞ라ᄆᆡ돈후ᄒᆞ
고민쳡ᄒᆞ고이뤼ᄆᆡ 덕이이뤼단말이라 총명ᄒᆞ다유웅에나라ᄒᆞᆫ고로유웅시라ᄒᆞ고희슈에ᄌᆞ란고로ᄯᅩ희롱셩을삼다
신룡시쇠ᄒᆞᄆᆡ뎨덕을낙고군ᄉᆞ를ᄯᅥᆯ쳐염뎨유망을더브러판쳔들에ᄡᆞ와세번ᄡᆞ으ᄆᆡᄯᅳᆺ을엇고 이긔단말이라 치우를
탁록 ᄯᅡ일홈이라 에버히니졔후놉혀황뎨를삼아신룡시를ᄃᆡᄒᆞ야텬하를다ᄉᆞ리다 토덕으로
|
{
"page": 9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왕ᄒᆞᆫ고로황뎨라일홈ᄒᆞ다 구름으로ᄡᅥ벼슬을긔록ᄒᆞ고 쳥운시ᄂᆞᆫ츈관이오진운시ᄂᆞᆫ하관이요ᄇᆡᆨ운시ᄂᆞᆫ츄관이오흑운
시ᄂᆞᆫ동관이오황운시ᄂᆞᆫ듕관이라 여ᄉᆞᆺ졍승을셰우고 풍후와ᄐᆡ샹과사룡과츅룡과ᄃᆡ봉과후포오ᄯᅩ샹션과ᄃᆡ홍을드러
ᄡᅥᄇᆡᆨ셩을다ᄉᆞ리다 하ᄂᆞᆯ졈치ᄂᆞᆫ벼슬을셰우고ᄃᆡ요를명ᄒᆞ야갑ᄌᆞ를짓고 즉위팔년이라 용셩을명ᄒᆞ야개텬 후셰에흔
텬의ᄀᆞᆺ토미니듀텬의형샹을보는것시라 을만들고예슈를명ᄒᆞ야혬을짓고녕륜을명ᄒᆞ야률을짓고 십이률이라 영원을
명ꥷᆞ야열두종을짓고 십이률을마초는북이라 ᄃᆡ용으ퟝ명ᄒᆞ야함지악 풍류일홈
|
{
"page": 9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을짓고면류관을짓고의샹 우의ᄂᆞᆫ유시오아ᄅᆡᄂᆞᆫ치마ᄒᆞ야텬디의졍ᄉᆡᆨ을본바드니라 을짓고긔용 그릇시라 을짓고ᄇᆡ
와슈릐를짓고합궁 궁실의졔조를널녀합궁을지어상뎨ᄭᅴ졔ᄉᆞᄒᆞ고일만신령을ᄃᆡ졉ᄒᆞ고졍죠를졔ᄒᆞ니라 을짓고화폐
보화와폐ᄇᆡᆨ이라 를짓고ᄂᆡ경 손문이니의셔라 을짓고원비셔릉시를명ᄒᆞ야ᄇᆡᆨ셩을누에침을ᄀᆞᄅᆞ치고둘을그어고울울
난ᄒᆞ며ᄯᅡ흘경리 ᄯᅡ흘긋단말이라 ᄒᆞ야졍젼법을베풀고굴일 죽지평최니아랑ᄒᆞᄂᆞᆫᄉᆞᄅᆞᆷ이드러오면가라치니라 이ᄯᅳᆯ
에나고봉황이집에길드리고긔린이동산에노더
|
{
"page": 10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라ᄌᆡ위ᄇᆡᆨ년에형산남편에붕ᄒᆞ시니ᄉᆔᄇᆡᆨ십일셰라뎨의아들이십ᄉᆞ인에그셩엇은이가십ᄉᆞ인이라난화열두셩 긔셩과
ᄉᆞ셩과등셩과잠셩과임셩과슌셩과희셩과길셩과션셩과의셩과두희시와두유시라 이되엿더니밋유우시텬하를두ᄆᆡ
뎨의ᄌᆞ손을봉ᄒᆞ야후와ᄇᆡᆨ이된ᄌᆡ열아홉이러라 五帝紀 오뎨긔 少昊金天氏名摯姓巳黃帝之子玄囂也母曰嫘祖
|
{
"page": 10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아들현효라모ᄂᆞᆫᄀᆞᆯ온나조 즉셔등시라 니큰별이무지지ᄀᆞ치화뎌 물일홈이라 에흐름을보고뎨를나으니황뎨ᄯᆡ에
나려강슈에거ᄒᆞ야궁샹시라일홈ᄒᆞ고쳥양에나라ᄒᆞᆫ고로인ᄒᆞ야쳥양시랑일홈ᄒᆞ고금덕으로ᄡᅥ왕ᄒᆞᆫ고로드ᄃᆡ여금텬
시라일홈ᄒᆞ고능히ᄐᆡ호의법을닥근고로소호라ᄒᆞ다 혹일호ᄃᆡ황뎨의아들쳥이이쳥양시니우류시의ᄯᆞᆯ황아를ᄎᆔᄒᆞ야
지를하슈ᄀᆞ에나앗다ᄒᆞ니라 곡부에도읍ᄒᆞ고시로ᄡᅥ벼슬을긔록ᄒᆞ고 봉됴시ᄂᆞᆫ력졍이오현됴시ᄂᆞᆫ
|
{
"page": 10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ᄉᆞ분ᄒᆞᄂᆞᆫᄌᆡ오 츈츄분을가ᄋᆞ말단말이라 ᄇᆡᆨ포시ᄂᆞᆫᄉᆞ지ᄒᆞᄂᆞᆫᄌᆡ오 동하지를가ᄋᆞ말단말이라 쳥포시ᄂᆞᆫᄉᆞ계ᄒᆞᄂᆞᆫᄌᆡ오
계칩이니봄응ꥤᅡᄋᆞ말단말이라 단포시ᄂᆞᆫᄉᆞ폐ᄒᆞᄂᆞᆫᄌᆡ오 가을을가아말단말이라 츅구시ᄂᆞᆫᄉᆞ도오 ᄇᆡᆨ셩가라치ᄂᆞᆫ벼슬
이라 져구시ᄂᆞᆫᄉᆞ마오 군ᄉᆞ를가ᄋᆞ말단말이라 시구시ᄂᆞᆫᄉᆞ공이오 ᄯᅡ흘가ᄋᆞ말단말이라 샹구시ᄂᆞᆫᄉᆞ구오 형벌가ᄋᆞ
ᄆᆞᄂᆞᆫ벼슬이라 실구시ᄂᆞᆫᄉᆞ치니 일을가ᄋᆞᄆᆞᄂᆞᆫ벼슬이라 다ᄉᆞᆺ비둘기ᄂᆞᆫᄇᆡᆨ셩을모로ᄂᆞᆫ벼슬이오다숫ᄭᅯᆼ으로아홉공졍
을삼으니 공장ᄎᆞ지ᄒᆞ는벼슬이라 긔용을리로이ᄒᆞ고도량을바르게ᄒᆞ야ᄇᆡᆨ셩을편히ᄒᆞ는ᄌᆡ오아홉호 서일홈이라
로아홉롱졍을삼아ᄇᆡᆨ셩을막아음난ᄒᆞᆷ이업게ᄒᆞᄂᆞᆫᄌᆡ라 ᄃᆡ연악을짓다 풍류일홈이니즉구연악이라 ᄌᆡ위팔십ᄉᆞ년에
ᄉᆔᄇᆡᆨ셰오운양에장ᄉᆞᄒᆞᆫ고로후셰에ᄯᅩᄀᆞᆯ온운양시라ᄒᆞ니라 顓珼高陽氏姬姓祖曰黃帝父曰昌意昌意娶蜀山之女曰昌僕 一作景福 是爲女樞感瑶光之星貫月
|
{
"page": 10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고뎨를약슈에나으니나히십셰에소호를돕고나이이십에뎨위를쥬ᄒᆞ야슈덕을금텬시를이으니쳐음에고양에나라ᄒᆞᆫ
고로고양시라일홈ᄒᆞ다 혹일호ᄃᆡ챵의챵복을ᄎᆔᄒᆞ야건황을낫코건황이모가에장가드니ᄀᆞᆯ온녀ᄎᆔ니실로뎐욱을낫타
ᄒᆞ니라 뎨구에도읍ᄒᆞ고다ᄉᆞᆺ벼ᄉᆞᆯ을명ᄒᆞ고구망은목졍이오육슈는금졍이오현명은슈졍이오구룡은토졍이오츅룡은
화졍이라 두ᄑᆈ건인ᄒᆞᆫ줄로 북두ᄀᆞ뢰인방을 력원을삼고 ᄎᆡᆨ력에읏듬이니ᄆᆡᆼ츈으로원ᄋힵᆯ을삼단말이라 승운악 풍류
일홈이라 을짓다ᄌᆡ위칠십팔년에ᄉᆔ구십일셰라
|
{
"page": 10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홈ᄒᆞ다구소악 풍류일홈이니죽륙영악이라 을짓다ᄌᆡ위칠십년에ᄉᆔ일ᄇᆡᆨ오셰라 附帝摯嚳之子母娵訾氏常儀嗣位九年
荒滛無度不修善政諸侯廢之而尊堯爲天子 부뎨지ᄂᆞᆫ뎨곡의아들이니모는추ᄌᆞ시샹의라위를이언지구년에황음ᄒᆞ야
법되업고션졍을닥지아니ᄒᆞ니졔휘폐ᄒᆞ고요를놉혀텬ᄌᆞ를삼다 帝堯陶唐氏伊祈姓帝嚳之子摯之弟母陳鋒氏
|
{
"page": 10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텬ᄌᆞ를삼으니원년갑진에년이이십에셔화덕으로왕ᄒᆞ고평양에도읍ᄒᆞ다그어질미하늘ᄀᆞᆺ고그지혜귀신ᄀᆞᆺ타야나아감
을ᄂᆞᆯ가치ᄒᆞ고 ᄇᆡᆨ셩이겨울볏ᄀᆞ치ᄉᆞ랑ᄒᆞ단말이라 바라믈구름ᄀᆞ치ᄒᆞ더라ᄃᆡ장악 풍류일홈이라 을짓다이십팔년에
ᄋᆈ슌이어질무로ᄡᅥᄒᆞ야곰셥위 텬ᄌᆞ의일을셥힁ᄒᆞ단말이라 ᄒᆞ얏더니ᄯᅩ이십팔년에ᄋᆈ붕ᄒᆞ시니ᄌᆡ위공구십팔년에ᄉᆔ
일ᄇᆡᆨ십팔셰라 帝舜有虞氏姚姓其先出顓珼瞽瞍之子母曰握登
|
{
"page": 11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라ᄒᆞ다효졔의도리를극진히ᄒᆞ야력산에밧갈으시고뢰ᄐᆡᆨ에고기잡으시고하빈에질것구으시더니ᄋᆈ이에슌으ퟝ불너
위를사양ᄒᆞ시다슌이셥위ᄒᆞ신지이십팔년에ᄋᆈ붕ᄒᆞ시니슌이위를하남에피ᄒᆞ신ᄃᆡ 요의아들단쥬를피ᄒᆞ시니라 텬하에표근ᄒᆞ고구가ᄒᆞ고옥승ᄒᆞᄂᆞᆫᄌᆡ 포희ᄒᆞ야뵈고노ᄅᆡᄒᆞ야ᄉᆡᆼ각ᄒᆞ고옥승결단ᄒᆞ단말이라 요의아들의게도라가지가지아니ᄒᆞ고슌의게도라오거ᄂᆞᆯ슌이드듸여텬ᄌᆞ위에ᄂᆞᆼ가유우시라일홈ᄒᆞ고토덕으로왕ᄒᆞ고
|
{
"page": 11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16.173705",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djvu&oldid=328875"
}
|
포판에도읍ᄒᆞ고구관 우는ᄇᆡᆨ규으기ᄂᆞᆫ후직이오셜은ᄉᆞ도오고은ᄂᆞᆫᄉᆞᄉᆞ오수는공공이오익은우졍이오ᄇᆡᆨ이는질죵
이오기는뎐악이오륭은납언이라 명ᄒᆞ고남풍시를노ᄅᆡᄒᆞ고구쇼악 풍류일홈이라 을일흐이다뎨남으로슌수ᄒᆞ샤
챵오산들에붕ᄒᆞ시니ᄌᆡ위오십삼년에ᄉᆔ일ᄇᆡᆨ셰라
|
{
"page": 11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間擧一至萬如示諸掌苟能通此其求驅法九歸之
法自解矣
대져 산법은 복희 비로소 팔과를 그으시고 쥬공이 구쟝을 펴 지으시므로 【구쟝은 산법 아홉 쟝이니 예ᄉᆔ 비로소 만들고 쥬공이 쥬례를 뎡ᄒᆞ시ᄆᆡ 그 법을 ᄡᅳ시니라】 현원 익고【ᄌᆞ셰치 아니ᄒᆞ다】에 이르히 지혜 ᄀᆞᄂᆞᆫ 풀을 ᄡᆞ으니 그 ᄯᅳᆺ이 깁허 가히 찻기 어려우니 쵸학ᄒᆞᄂᆞᆫ 재 죠슈ᄒᆞᆯ 길이 업ᄂᆞᆫ지라 그가 감ᄒᆞ며 인졀ᄒᆞ며 승졔ᄒᆞᄂᆞᆫ 법이 【가감과 인졀과 승졔ᄂᆞᆫ 다 산법이니 이 아ᄅᆡ 뵈라】 우흐로 셩젼【별 방위라】을 혜아리며 아ᄅᆡ로
|
{
"page": 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디리를 마련ᄒᆞ야 커도 거두지 못ᄒᆞ미 업ᄉᆞ며 간으러도 둘우지 못ᄒᆞ미 업고 그 ᄉᆞ이에 곡식과 포ᄇᆡᆨ의 ᄆᆡ〻ᄒᆞᆷ과 부물을 균슈ᄒᆞ며 【부셰를 고로 밧단 말이라】 갓지 아니ᄒᆞᆷ이 업고 츅젹【곡식 ᄡᆞ탄 말이라】을 갓추ᄆᆡ 쳔심과 광원【너르고 머단 말이라】과 고후【놉고 둣텁단 말이라】 쟝단을 죵횡ᄒᆞᄂᆞᆫ ᄉᆞ이에 혜아리ᄆᆡ ᄒᆞᆫ나흐로 만에 이르히 손바닥을 뵈ᄂᆞᆫ 듯ᄒᆞ니 진실로 이를 통ᄒᆞ면 그 구구법【ᄌᆞ셰치 아니하다】과 구귀법은 졀로 알리라
金蟬脫殼 【卽 加一除原】
|
{
"page": 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夫金蟬脫殼者不用歸除減法只以此術代之但布
算未免繫終不若歸除減法之竗其習雖難其用則
簡易也從首位美起以除一加原反原
대져 금션탈각은 귀졔ᄒᆞ야 감ᄒᆞᄂᆞᆫ 법을 ᄡᅳ지 아니ᄒᆞ고 이 슐로 ᄃᆡᄒᆡᆼᄒᆞ니 다만 산을 펴ᄆᆡ 종을 ᄆᆡ믈 면치 못ᄒᆞ니 귀졔로 감ᄒᆞᄂᆞᆫ 법의 묘홈만 갓지 못ᄒᆞ고 그 이기미 비록 어려우나 그 ᄡᅳ임은 간편ᄒᆞ야 ᄉᆔ운지라 슈위【쳐음 놋ᄂᆞᆫ 위라】를 좃ᄎᆞ 셰어 이러나 ᄒᆞ나를 졔ᄒᆞ야 원을 더ᄒᆞ야 원에 도라가게 ᄒᆞᄂᆞ니
|
{
"page": 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ᄃᆡ답ᄒᆞ야 ᄀᆞᆯ오ᄃᆡ ᄆᆡ 호에 ᄡᆞᆯ이 이십ᄉᆞ셕 일두 이승이니 법이 ᄡᆞᆯ 이ᄇᆡᆨ륙십오셕 삼두 이승을 좌편에 두어 실을 삼고 ᄯᅡ로 십일 호를 두어 원슈를 삼아 우편 아ᄅᆡ 버리다
合問先於實上首位隔前一位加一數却於二百上
除一十又于六十上除一如此再加除一次
합문이 몬져 실샹 슈위 【합문은 뭇ᄂᆞᆫ 말에 합ᄒᆞ단 말이오 실샹은 실 노흔 우히란 말이오 슈위ᄂᆞᆫ 쳐음 노은 자리란 말이라】 ᄋᆞᆲ헤 ᄒᆞᆫ 위를 격ᄒᆞ야 ᄒᆞᆫ 슈를 더 노코 문득 이ᄇᆡᆨ 우희 열을 졔ᄒᆞ며 ᄯᅩ 륙십 우
|
{
"page": 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희 ᄒᆞᆫ나를 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일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ᄂᆞ니라 【가령 이ᄇᆡᆨ륙십오셕 삼두 이승을 노으면 이ᄇᆡᆨ이 슈위 된지라 이ᄇᆡᆨ 우희 ᄋᆞᆲ흐로 나가 ᄒᆞᆫ나를 더 노코 이ᄇᆡᆨ에 ᄒᆞᆫ나 졔ᄒᆞ고 륙십에 ᄒᆞᆫ나 졔하야 ᄎᆞ〻 법ᄃᆡ로 더ᄒᆞ고 졔ᄒᆞ다】
又于實上次位隔前一位加一却於四上除一十又
於五上除一如此再加除三次
ᄯᅩ 실샹 버금 위에 ᄋᆞᆲ ᄒᆞᆫ 위를 격ᄒᆞ야 ᄒᆞᆫ나를 더 노코 문득 넷 우희 열을 졔ᄒᆞ며 ᄯᅩ 다ᄉᆞᆺ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삼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ᄂᆞ니라
又于實上第三位隔前一位加一却於一位上除一
|
{
"page": 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又於三上除一盡
ᄯᅩ 실샹 졔삼 위 ᄋᆞᆲ ᄒᆞᆫ 위를 격ᄒᆞ야 ᄒᆞᆫ나를 더 노코 문득 ᄒᆞᆫ나 우희 열을 졔ᄒᆞ고 ᄯᅩ 솃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면 다 ᄒᆞᄂᆞ니라
又于實上第四位隔一位加却于二上除一十又於
二上除一如此再加除一次恰盡
ᄯᅩ 실샹 졔ᄉᆞ 위에 ᄒᆞᆫ 위를 격ᄒᆞ야 더ᄒᆞ고 문득 둘 우희 열을 졔ᄒᆞ고 ᄯᅩ 둘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일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면 다 ᄒᆞᄂᆞ니라
|
{
"page": 1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還原卽除一加原法曰先從末位二升上除一下隔
位加一十一如此再加除一次一斗上除一下隔位
加一十
환원은 즉 졔일가원이니 법에 ᄀᆞᆯ온 몬져 ᄭᅳᆺ 위 이승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고 아ᄅᆡ 격위【이승 노은 아ᄅᆡ ᄒᆞᆫ 쟈리를 격ᄒᆞ야 노탄 말이니 승으로 두와 셕에 올으히 다 이갓다】에 열ᄒᆞᆫ나를 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일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며 일두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고 아ᄅᆡ 격위에 열ᄒᆞᆫ나를 더ᄒᆞᄂᆞ니라 【환원은 이ᄇᆡᆨ륙십오셕 삼두 이승을 이십ᄉᆞ셕 일두 이승을 난혼 후에 도로 이ᄇᆡᆨ륙십오셕 삼두 이
|
{
"page": 1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이졔 은 일ᄇᆡᆨ륙십량이 〻시ᄆᆡ ᄡᆞᆯ 이ᄇᆡᆨ오십셕을 ᄉᆞ랴 ᄒᆞ면 ᄆᆡ 미 일셕에 은이 약간고
答曰每石該銀六錢四分法曰置総銀一百六十兩
于左爲實另置米二百五十石爲原數于右
답왈 ᄆᆡ 셕에 은이 륙젼 ᄉᆞ분이니 법에 ᄀᆞᆯ온 은 일ᄇᆡᆨ륙십량을 좌편에 두어 실을 삼고 ᄯᅡ로 ᄡᆞᆯ 이ᄇᆡᆨ오십셕을 두어 우편에 원슈를 삼다
先于實上首位再加一却於寶上隔位除二五如此
再加除五次
|
{
"page": 1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몬져 실샹 슈위에 다시 ᄒᆞᆫ나를 더ᄒᆞ고 문득 실샹 격위에 이오를 졔ᄒᆞᄂᆞ니【스물 다ᄉᆞᆺ식 졔ᄒᆞ단 말이라】 이갓치 다시 오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ᄂᆞ니라
又于實上次位前隔位加一數却于寶上除二五如
此再加除三次恰盡合問
ᄯᅩ 실샹 ᄎᆞ위 ᄋᆞᆲ 격위에 ᄒᆞᆫ나를 더ᄒᆞ고 문득 실샹에 이오를 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삼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면 다ᄒᆞ야 합문ᄒᆞᄂᆞ니라
還原同前法曰先于左實末位四分上除一下隔位
|
{
"page": 1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加二五如此再除加三次
환원은 젼과 갓ᄐᆞ니【우희 ᄡᆞᆯ 환원ᄒᆞᄂᆞᆫ 법과 갓다】 법에 ᄀᆞᆯ온 몬져 좌실【좌편에 버린 실위라】 ᄭᅳᆺ 위 ᄉᆞ 분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고 아ᄅᆡ 격위에 이오를 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삼ᄎᆞ를 졔ᄒᆞ고 더ᄒᆞᄂᆞ니라
又于六錢上除一下隔位加二五如此再除加五次
恰盡
ᄯᅩ 륙젼 우희 ᄒᆞᆫ나를 졔ᄒᆞ고 아ᄅᆡ 격위에 이오를 더ᄒᆞᄂᆞ니 이갓치 다시 오ᄎᆞ를 더ᄒᆞ고 졔ᄒᆞ면 다
|
{
"page": 1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曰進一除一二至于幾千幾百幾十幾人進除殆盡
是矣今略設譬喩于後學者式樣之
대져 금션탈각은 일홈이 ᄀᆞᆯ온 쥰ᄌᆞ법【미렬ᄒᆞᆫ ᄉᆞᄅᆞᆷ이 ᄇᆡ힐 법이라】이니 그 실은 쳥ᄇᆡᆨ【명ᄇᆡᆨᄒᆞ야 알기 쉽단 말이라】ᄒᆞ나 다만 공부를 탐각【공뷔 더 드단 말이라】ᄒᆞᄂᆞ니 만일 ᄉᆞᄅᆞᆷ이 우로ᄒᆞ야 귀졔법을 ᄡᅳ지 못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이 법을 ᄡᅳ면 알기 ᄉᆔ우니 가령 물을 난흐ᄆᆡ 다소를 불구ᄒᆞ고 난호ᄂᆞᆫ 물을 위에 두어 노코 문득 몃 ᄉᆞᄅᆞᆷ 슈를 후위에 두어 다만 ᄒᆞᆫ 번 진ᄒᆞ고 ᄒᆞᆫ번 졔ᄒᆞ야 일 ᄒᆞᆫ
|
{
"page": 1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위에 진졔ᄒᆞᆷ을 다ᄒᆞ거든 ᄯᅩ 버금 위를 좃ᄎᆞ 진ᄒᆞ야 졔ᄒᆞ고 버금 위에 진졔ᄒᆞᆷ을 다 ᄒᆞ거든 ᄯᅩ 아ᄅᆡ 버금 위에 진ᄒᆞ야 졔ᄒᆞ고 말위에 이르히 진졔ᄒᆞᆷ을 맛츠면 바야흐로 이 ᄉᆔ라 마련ᄒᆞ야 슈목을 부르ᄂᆞ니 가령 두 ᄉᆞ람이 난호거든 ᄀᆞᆯ온 ᄒᆞᆫ나를 진ᄒᆞ야 둘을 졔ᄒᆞ다 ᄒᆞ고 셰 ᄉᆞᄅᆞᆷ이 난호거든 ᄀᆞᆯ온 ᄒᆞᆫ나를 진ᄒᆞ야 세흘 졔ᄒᆞ다 ᄒᆞ고 열 ᄉᆞᄅᆞᆷ인즉 ᄀᆞᆯ온 ᄒᆞᆫ나를 진ᄒᆞ야 ᄒᆞᆫ나를 졔ᄒᆞ다 ᄒᆞ고 열두 ᄉᆞᄅᆞᆷ인즉 ᄀᆞᆯ온 ᄒᆞᆫ나를 진ᄒᆞ야 일과 이를 졔ᄒᆞ다 ᄒᆞ야
|
{
"page": 1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몃 쳔과 몃 ᄇᆡᆨ과 몃 열과 몃 ᄉᆞᄅᆞᆷ에 이르히 진졔ᄒᆞ야 다ᄒᆞᆷ을 이 금션탈각이라 ᄒᆞ니 이졔 약간 ᄒᆞᆫ 비유를 후에 베프러 ᄇᆡ히ᄂᆞᆫ 쟈로 법밧게 ᄒᆞ노라
|
{
"page": 1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격뎡잉샤계ᄒᆞ니 구〻샹인샹하견이라 우십슈시샤격샹이오 봉단즉향하증션이라 슈거단ᄌᆞ쟉셩슈ᄒᆞ고 유십환당챤향젼이라 산쟈죵ᄉᆞ능쵹류면 리호ᄉᆞ홀불챠언이라 슈를 인승【인과 승은 다 슈법이라】을 ᄃᆡᄒᆞᄆᆡ 법이 다시 긔이ᄒᆞ니 포디금을 쳡경편이라 일홈ᄒᆞ다 실을 두ᄆᆡ 몬져 빗긴 웃 위에 당ᄒᆞ고 다만 법은 우편 가에 더ᄒᆞ도다 【실은 원슈오 법은 영슈니 은으로 ᄡᆞᆯ갑슬 마련ᄒᆞ면 ᄡᆞᆯ이 실이오 은이 영이라】 종횡ᄒᆞᆫ 격이 뎡ᄒᆞᄆᆡ 인ᄒᆞ야 샤계를 ᄒᆞ니 【종횡은 그은 줄이오 샤계ᄂᆞᆫ 줄 그은 안에 빗그은 줄이라】 구〻를
|
{
"page": 2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셔로 인ᄒᆞ야 샹하로 잇그도다 열을 맛나ᄆᆡ 샤격 우희 베풀고 【열은 빗그은 우희 ᄡᅳ다】 ᄒᆞᆫ나를 맛나ᄆᆡ 하층에 베프도다 【ᄒᆞᆫ나으로 아홉에 이르히 하층에 ᄡᅳ다】 ᄒᆞᆫ나를 셰어 셩슈를 짓ᄂᆞ니 열이어든 나아가 ᄋᆞᆲ헤 향ᄒᆞᄂᆞ니 【가령 십리면 일분이 되ᄂᆞᆫ지라 분간에 올리고 십분이면 일젼이 되ᄂᆞᆫ지라 젼간에 울리다】 산ᄒᆞᄂᆞᆫ 재 이를 좃ᄎᆞ 능히 류로 미뤼면 리와 호와 ᄉᆞ와 홀이 틀리지 아니ᄒᆞᄂᆞ니라
此法算糧最捷法置糧數從左至右列于圖上爲實
以每石徵銀則例于石下與糧數相呼因之因畢從
|
{
"page": 2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인 아ᄅᆡ ᄡᅳ고 만일 십슈나 혹 이십이나 삼십이나 ᄉᆞ십이 잇거든 즉 ᄋᆞᆲ희 빗기 글인 격ᄌᆞ 우희 ᄡᅳ 령슈를 만드ᄂᆞ니 량식 혜ᄂᆞᆫ 법이 이에 죠흐미 업ᄂᆞᆫ지라 그나마 군슈【군랑이라】에 물가를 혜아라거나 관민에 젼디【밧과 ᄯᅡ이라】와 산당【뫼와 못이라】을 혜거나 미ᄆᆡᆨ【ᄡᆞᆯ과 보리라】을 난하 환원ᄒᆞ거나 젼디를 혜아리ᄆᆡ 다만 이 인ᄒᆞ야 승ᄒᆞ면 다 이갓ᄐᆞ니라
假如有民米四十六石七斗九升三合六勺每石徵
銀五錢六分三厘四毫六絲問其銀若干
|
{
"page": 2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가령 쌀이 ᄉᆞ십륙셕 칠두 구승 삼합 륙쟉【쟉은 근ᄅᆡ 일은 바 샤이니 십쟉이 일합이 되다】이 〻시ᄆᆡ 〻 셕에 은 오젼 륙분 삼리【십리 일분이 되다】 ᄉᆞ호【십ᄉᆡ 일회 되다】 륙ᄉᆞ【십홀이 일ᄉᆡ 되다】를 불으면 은이 약간고
答曰共該銀二十六兩三錢六分六厘三毫二絲一
忽八微五纖六塵
답왈 공 은이 〻십륙량 삼젼 륙분 륙리 삼호 이ᄉᆞ 일홀【십홀이 일ᄉᆡ 되다】 팔미【십미 일홀이 되다】 오셤【십셤이 일미 되다】 륙진【십진이 일셤이 되다】이라
|
{
"page": 2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斜格上層書三下層書五至于六勺六絲一一呼溱
峆爲銀二十六兩三錢六分六厘三毫二絲一忽
八微五纖六塵其餘皆倣此
도식이 물읫 여ᄉᆞᆺ 줄 다ᄉᆞᆺ 층에 사이에 격【빗그은 줄이라】을 그으니 아홉부터ᄂᆞᆫ 하격【아ᄅᆡ 간이라】에 ᄡᅳ고 열은 영ᄉᆔ 된지라 샹격에 ᄡᅳ고 하격에 혬을 모도아 열이 차거든 샹격에 권ᄌᆞ를 도려 ᄡᅳ 표ᄒᆞ야 혬을 모도아 혜ᄂᆞ니라 【만일 리를 ᄡᆞ아 열이든 샹격에 권ᄌᆞ를 도려 ᄒᆞᆫ분으로 혜고 분을 ᄡᆞ아 열이 되거든 샹격에 권ᄌᆞ를 도려 ᄒᆞᆫ돈으로 혜다】 우미
|
{
"page": 2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ᄉᆞ십륙셕 칠두 구승 삼합 륙작을 도식 우희 우편으로 좃ᄎᆞ 빗기 ᄡᅳ고 은 오젼 륙분 삼리 ᄉᆞ호 륙ᄉᆞ를 도식 겻헤 좌편으로 나리 ᄡᅳ고 ᄡᆞᆯ에 ᄉᆞ십과 은에 오젼을 맛초아 불으면 ᄉᆞ오 이십이 되ᄂᆞᆫ지라 도식 우편 졔일항 샤격 샹층에 이 ᄌᆞ를 ᄡᅥ 표ᄒᆞ고【덜쳐 ᄡᅳᄂᆞᆫ 고로 이십을 이 ᄌᆞ만 ᄡᅳ다】 다시 륙셕과 오젼을 마초아 불으면 오륙 삼십이 되ᄂᆞᆫ지라 졔 이항 샤격 샹층에 삼 ᄌᆞ를 ᄡᅳ고 다시 칠두와 오젼을 마쵸아 불으면 오칠 삼십오 되ᄂᆞᆫ지라 졔
|
{
"page": 2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삼항 샤격 샹충에 삼 ᄌᆞ를 ᄡᅳ고 하층에 오 ᄌᆞ를 ᄡᅳᄂᆞ니 륙작과 륙ᄉᆞ에 이르히 낫〻치 불너 마초면 은이 〻십륙량 삼젼 륙분 륙리 삼호 이ᄉᆞ 일홀 팔미 오셤 륙진이 되ᄂᆞ니 그 나마도 다 이갓다
假如有民米二十三石四升六合八勺每石徵銀六
錢四厘八絲
가령 ᄡᆞᆯ이 이십삼셕 ᄉᆞ승 륙합 팔작을 ᄆᆡ 셕에 은 륙젼 ᄉᆞ리 팔ᄉᆞ를 불으면
|
{
"page": 3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鋪地錦指明圖式
포디금지명도식
米二十 三石 四升 六合 八勺
銀一十 一/二 一/八 〇/〇 二/四 三/六 四/八 六錢
三兩 /〇 〇/〇 〇/〇
九錢 /八 一/二 一/六 二/四 三/二 四厘
二分 〇/
二厘 一/六 二/四 三/二 四/八 六/四 八絲
一毫 一絲 九微 四纖 四塵
미 이십삼셕 ᄉᆞ승 륙합 팔작을 ᄆᆡ 셕에 은 륙젼 ᄉᆞ리 팔ᄉᆞ로 마련ᄒᆞ면 은이 일십삼량 구젼 이분 이리 일호 일ᄉᆞ 구미 ᄉᆞ셤 ᄉᆞ진이 되다
|
{
"page": 3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온ᄃᆡ 위를 뎡ᄒᆞᄆᆡ 법이 긔이ᄒᆞ니 인을 좃ᄎᆞ 쥬인을 삼아 이 근긔로다가 승ᄒᆞᄆᆡ 슌슈ᄒᆞ야 도로 도라오고 【슌슈ᄂᆞᆫ 인묘진ᄉᆞ로 혜고 역슈ᄂᆞᆫ 슐유신으로 혜라】 감ᄒᆞ야 졔ᄒᆞ면 역슈ᄒᆞ야 슌으로 다시 도라오도다 쇼승졔와 대승졔에다 슌슈ᄒᆞ고 대승과 쇼슈【젹은 혬이라】에 ᄯᅩᄒᆞᆫ 갓치 ᄒᆞ도다 승졔의 대쇼에 슐을 ᄯᅡ라 변화ᄒᆞ니 리와 호와 ᄉᆞ와 홀이 틀리지 아니ᄒᆞ도다
掌中定位因乘訣
쟝즁뎡위인승결 【쟝즁에 위ᄅᆞᆯ 뎡ᄒᆞ야 인승ᄒᆞᄂᆞᆫ 법이라】
|
{
"page": 3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假如有田三百一十二畝每畝科糧四升乘畢莫動
先從寅上起百畝以卯得十畝以辰得一畝就以畝
變升復回卯上得斗以寅爲石又約法實首位相呼
成石者再加一位得十二石四斗八升
가령 밧치 삼ᄇᆡᆨ일십이ᄆᆈ 이셔 ᄆᆡ 묘에 량식 ᄉᆞ승을 마련ᄒᆞᆯ야 ᄒᆞ면 승ᄒᆞᆷ을 맛츠ᄆᆡ 몬져 인【좌슈 식지 쳣 마듸에 인을 안치고 둘ᄌᆡ 마듸에 묘ᄅᆞᆯ 안쳐 ᄎᆞᄎᆞ 방위ᄅᆞᆯ 뎡ᄒᆞ라】을 좃ᄎᆞ ᄇᆡᆨ묘ᄅᆞᆯ 이르히고 묘에 십묘ᄅᆞᆯ 엇고 진에 일묘ᄅᆞᆯ 엇ᄂᆞ니 진에 일묘로ᄡᅥ 승을 변ᄒᆞ고 ᄃᆞ시 묘샹에 말을 엇고
|
{
"page": 3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ᄇᆡᆨ 보여든 활 일 보로 쟝 이쳔 보ᄅᆞᆯ 만들고 십 보로 만 보ᄅᆞᆯ 만들고 ᄇᆡᆨ 보로 십만 보ᄅᆞᆯ 만들며 ᄯᅩ 약법이 실슈 위에 서로 불러 열을 만들고 ᄃᆞ시 일위ᄅᆞᆯ 더ᄒᆞ면 일만 보ᄅᆞᆯ ᄡᆞ아 엇ᄂᆞ니라 【이 조목은 긔 해 업ᄉᆞ니 ᄌᆞ시치 아니ᄒᆞ다】
掌中定位歸除有二條
쟝즁 뎡위에 귀졔ᄒᆞᆷ이 두 죠목이 잇다
假如有米四百石每米二石五斗糶銀一兩或云每
銀一兩糶米二石五斗無異以總米爲實以每兩價
二石五斗爲法除之得數莫動却從寅上起百石以
|
{
"page": 3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卯上得十石以辰上得石就以石變兩逆回卯上得
十兩寅上得百兩又約實首乃是四數也法首三數
也此爲滿法不湏逢位卽曰百兩
가령 ᄡᆞᆯ이 ᄉᆞᄇᆡᆨ셕이 이서ᄆᆡ 미 이셕 오두ᄅᆞᆯ 은 일량에 팔면 【혹은 일오ᄃᆡ ᄆᆡ 은 일량에 쌀 이셕 오두를 사다 ᄒᆞ니 갓튼 말이라】 ᄡᆞᆯ로 ᄡᅥ 실을 삼고 ᄆᆡ 량 갑에 이셕 오두로 법을 삼아 졔ᄒᆞ야 슈ᄅᆞᆯ 어드ᄆᆡ 동치 말고 【혬을 동치 아니탄 말이라】 문득 인에 ᄇᆡᆨ셕을 이릐히고 묘에 십셕을 엇고 진에 셕을 어드며 나아가 셕으로 ᄡᅥ 량을 변ᄒᆞ며 묘로 거스
|
{
"page": 3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也法首乃是四數也所謂實不滿法者再退一位爲
分之數也故曰每石該銀七分五里
가령 ᄡᆞᆯ이 ᄉᆞᄇᆡᆨ셕이 이시ᄆᆡ 은 삼십 량으로 사랴 ᄒᆞ면 ᄆᆡ 셕에 은이 약간고 법에 ᄀᆞᆯ온 이ᄂᆞᆫ 물이 잇고 갑시 이시니 일온 바 ᄆᆡ 셕은 ᄡᆞᆯ로ᄡᅥ 법을 삼고 은으로ᄡᅥ 실을 삼아 법으로 졔ᄒᆞ야 슈ᄅᆞᆯ 엇거든 동치 말고 몬져 인샹에 ᄡᆞᆯ ᄉᆞᄇᆡᆨ셕을 이릐히고 묘으로 십셕을 삼고 진으로 일셕을 삼고 셕으로 ᄡᅥ 은 삼십량을 변ᄒᆞ고 ᄃᆞ시 묘에 량을 엇고 인에 젼
|
{
"page": 4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을 어드며 ᄯᅩ 약법이 실슈ᄂᆞᆫ 이에 삼ᄉᆔ오 법슈ᄂᆞᆫ 이에 ᄉᆞᄉᆔ니 일온 바 실이 법에 차지 못ᄒᆞᆫ지라 ᄃᆞ시 일위ᄅᆞᆯ 물러가 분에 혬을 ᄒᆞᄂᆞᆫ 고로 ᄀᆞᆯ온 ᄆᆡ 셕에 은이 칠분 오리라
綿紗求布法
면사구포법 【면사로 뵈를 마련ᄒᆞᄂᆞᆫ 법이니 면사ᄂᆞᆫ 뵈 ᄶᆞᄂᆞᆫ 실이라】
今有綿紗一百一十三斤一十二兩假如每紗一斤
一十二兩織布一疋每疋計長三丈問該丈疋若干
이졔 면샤 일ᄇᆡᆨ일십삼근 일십이량이 이시ᄆᆡ 가
|
{
"page": 4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더ᄒᆞ야 일쳔팔ᄇᆡᆨ이십량을 만들어 위에 둔 외에 ᄆᆡ 포 일 필에 즁이 일근 십이량으로 이십팔량을 만들고 졀법【둘에 ᄭᅥᆨᄂᆞᆫ 법이니 ᄯᅩᄒᆞᆫ 혬에 ᄡᅳᄂᆞᆫ 법이라】을 ᄡᅥ ᄉᆞ와 칠로 각 한 번을 귀ᄒᆞ야 필슈ᄅᆞᆯ 보고 ᄯᅩ ᄆᆡ 쳑에 삼 쟝으로 승ᄒᆞᆫ즉 쟝슈ᄅᆞᆯ 보ᄂᆞ니라
生肉求熟法
ᄉᆡᆼ육구슉법 【ᄉᆡᆼ육으로 슉육을 마련ᄒᆞᄂᆞᆫ 법이라】
今有生猪肉五十八斤半者熟每斤折四兩問熟肉
若干
|
{
"page": 4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二兩乘之得花一萬一百九十九兩二錢却以兩
求斤法合問
답왈 면홰 모도 륙ᄇᆡᆨ삼십칠근 칠량 이젼이니 법에 ᄀᆞᆯ온 은 륙량 칠젼 일분을 위에 노코 문득 면화 갑 구근 반에 륙을 더ᄒᆞ야 일ᄇᆡᆨ오십이량을 만들고 승ᄒᆞ면 면화 일만구십구량 이젼을 어드리니 문득 량으로ᄡᅥ 근법을 구ᄒᆞ면 문ᄂᆞᆫᄃᆡ 합ᄒᆞ다
|
{
"page": 4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되고 십리 일분이 되고 십분이 일촌이 되고 십촌이 일쳑이 되고 십쳑이 일쟝이 되고 ᄉᆞ쟝이 일필이 되고 오쟝이 일단이 되다
斤秤物輕重之法謂之衡起于黍黍者輕之末
也
근으로 물의 경즁을 다ᄂᆞᆫ 법을 형【져울이라】이라 ᄒᆞ니 셔【기쟝이라】에 이러나니 셔ᄂᆞᆫ 가븨온ᄃᆡ ᄭᅳᆺ치라
十黍爲一絫 十絫爲一銖 十六銖爲一分 十
|
{
"page": 4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四分爲一兩 十六兩爲一斤 十五斤爲一秤
三十斤爲一勻 四勻爲一石
십셰 일루 되고 십뤼 일슈 되고 십륙ᄉᆔ 일분이 되고 십ᄉᆞ분이 일량이 되고 십륙량이 일근이 되고 십오근이 일칭【졍울이라】이 되고{{SIC|삽|삼]}십근이 일근이 되고 ᄉᆞ근이 일셕이 되다
斛粟數名多少之法謂之量起于粟之一粒
곡에 속【죱ᄡᆞᆯ이라】을 마련ᄒᆞᄂᆞᆫ 슈명의 다쇼ᄒᆞᆫ 법을 량이라 ᄒᆞ니 쇽 일 닙에 이러나다【곡은 십뒤 드니 셕과 갓다】
|
{
"page": 5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寸爲一尺 五尺爲一步 濶一百步長二百四
十步爲一畝 今以百畝爲一頃 三百六十步爲
一里計一百八十丈約人行一千步也
십촌이 일쳑이 되고 오쳑이 일보 되고 활이 일ᄇᆡᆨ뵈오 쟝이 이ᄇᆡᆨᄉᆞ십뵈 일ᄆᆈ 되니 이졔 ᄇᆡᆨ묘로 일경을 삼다 삼ᄇᆡᆨ륙십뵈 일리 되니 혜건ᄃᆡ 일ᄇᆡᆨ팔십쟝에 ᄉᆞᄅᆞᆷ의 거름으로 일쳔 보라
産數
산슈
|
{
"page": 5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십이 십이 되고 십십이 ᄇᆡᆨ이 되고 십ᄇᆡᆨ이 쳔이 되고 십쳔이 만이 되고 십만이 억이 되고 십억이 됴 되고 십ᄃᆈ 경이 되고 십경이 ᄒᆡ 되고 십ᄒᆡ ᄌᆞ 되고 십ᄌᆡ 양이 되고 십양이 구 되고 십귀 간이 되고 십간이 졍이 되고 십졍이 ᄌᆡ 되고 십ᄌᆡ 극이 되다
小數
쇼슈 【젹은 혬이라】
十厘爲分 十毫爲厘 十絲爲毫 十忽爲絲
|
{
"page": 5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十微爲忽 十纖爲微 十抄爲纖 十塵爲抄
十埃爲塵
십리 분이 되고 십회 리 되고 십ᄉᆡ 호 되고 십홀이 ᄉᆞ 되고 십미 홀이 되고 십셤이 미 되고 십ᄎᆈ 셤이 되고 십진이 쵸 되고 십ᄋᆡ 진이 되다
已上大小之數湏有此名亦難知用也
이샹 대쇼의 ᄉᆔ이 일홈이 이시나 ᄯᅩᄒᆞᆫ 아라 ᄡᅳ기 어려우니라
|
{
"page": 5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箕盤定式
산반뎡식
書一二三四以上二銖上梁以
下五銖下梁白圈已上已下黑
圈未上未下一上一二上二一
上一下六二上一下七皆倣此
일이삼ᄉᆞ ᄡᅳᆫ 우희 두 낫츤 샹량이오 배 아ᄅᆡ 다ᄉᆞᆺ 낫츤 하량이오 흰 권ᄌᆞᄂᆞᆫ 이믜 샹ᄒᆞ며 이믜 하ᄒᆞᆫ 낫치오 검은 권ᄌᆞᄂᆞᆫ 샹ᄒᆞ지 아니ᄒᆞ며 하ᄒᆞ지 아니ᄒᆞᆫ 낫치오 일이 샹ᄒᆞ면 일이오 이 샹ᄒᆞ며 이오 일이 샹ᄒᆞ고 일이 하ᄒᆞ면 륙이오 이 샹ᄒᆞ고 일이 하ᄒᆞ면 칠이니 다 이갓다
|
{
"page": 5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몸으로 보아 좌우를 난호ᄃᆡ 우으로 ᄋᆞᆲ훌 삼고 좌우로 뒤를 삼으며 젼으로 샹을 삼고 후으로 하를 삼으며 젼위에 일 ᄉᆔ 후위에 십 슈를 당ᄒᆞᄂᆞ니 고로 일은 바 아홉을 맛나면 열로 도라오고 열이 물너가면 아홉으로 도라오다 ᄒᆞ니라
上法口訣
샹법구결 【샹ᄒᆞᄂᆞᆫ 법에 가결이라】
一上一 一下五除四 如本位下五子俱已在位
今又要上一字則下面無一可上故上面下一子作
|
{
"page": 6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五復於下面去四字故上得一子下還存一子共是
六數
일은 일이 샹ᄒᆞ고 일은 하오에 ᄉᆞ를 졔ᄒᆞᄂᆞ니 가령 본위【일이면 일이 본위오 이면 이 본위라】에 하오 ᄌᆡ 【하층에 다ᄉᆞᆺ 낫치라】 다 위에 잇거ᄂᆞᆯ 이졔 ᄯᅩ 일ᄌᆞ를 올리고져 ᄒᆞᆯᄯᅵᆫᄃᆡ 하면【하층이라】에 한나도 올릴 길이 업ᄂᆞᆫ 고로 샹면에 하일ᄌᆞ【샹층 두 낫 즁에 아ᄅᆡ 낫치라】로 오슈를 짓고 다시 하면에 ᄉᆞᄌᆞ를 업시 ᄒᆞᄂᆞ니 샹에 일ᄌᆞ를 엇고 하에 일ᄌᆞ를 두어 륙ᄉᆔ 되다
|
{
"page": 6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退九進一十 如本位十字已滿在位又要加一
子則無一可加故於本位退去九子却於上位還一
子當下位十字却止存一字作算
일은 퇴구진일ᄒᆞ면 십이니 가령 본위에 십ᄌᆡ 이믜 차ᄭᅥᄂᆞᆯ ᄯᅩ 일ᄌᆞ를 더ᄒᆞ고져 ᄒᆞᆯ딘ᄃᆡ ᄒᆞᆫ나도 가히 올릴 길이 업ᄂᆞᆫ 고로 본위에 구ᄌᆞ를 퇴ᄒᆞ고 문득 샹위에 일ᄌᆞ를 환【환은 도로 나리우단 말이라】ᄒᆞ야 하위에 십ᄌᆞ를 당ᄒᆞ고 문득 다만 일ᄌᆞ만 두어 혬를 ᄒᆞ다
二十二 二下五除三 如本位要上二子而下梁
|
{
"page": 62,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只實得二數也其餘二四五六七八九十法俱倣此
推
이ᄂᆞᆫ 퇴팔진일ᄒᆞ면 십이니 가령 본위 샹하에 십ᄌᆡ 이믜 찬 지라 이ᄌᆞ를 올리고져 ᄒᆞ나 가히 올릴 것시 업ᄉᆞᆫ즉 샹하에 팔ᄌᆞ를 퇴ᄒᆞ고 젼위에 문득 일ᄌᆞ를 진ᄒᆞ야 십을 지으ᄆᆡ 실은 다만 이슈를 엇ᄂᆞ니 이ᄉᆞ오륙칠팔구십 이 법이 다 이갓치 미위ᄂᆞ니라
退法口訣
|
{
"page": 6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퇴법구결
一退一 一退十還九 如本位上下俱無子若要
退一無一可退故於前位退一是十復於下還九故
止退得一數也
일은 일을 퇴ᄒᆞ고 일은 퇴십환구ᄒᆞᄂᆞ니 가령 본위 샹하에 다 일ᄌᆡ 업ᄂᆞᆫ지라 만일 일ᄌᆞ를 퇴ᄒᆞ고져 ᄒᆞ나 퇴ᄒᆞᆯ 것이 업ᄂᆞᆫ 고로 젼위【샹층이라】에 일을 진ᄒᆞᄆᆡ 이십이 되고 다시 아ᄅᆡ 구를 환ᄒᆞᆫ 고로 다만 일슈를 퇴ᄒᆞᄂᆞ니라
|
{
"page": 6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구〻 팔십일 춍독 【구〻법을 총론ᄒᆞᆷ이니 젼 산반에 글인 규식이 즉 쳐음으로 일 젼ᄒᆞᄂᆞᆫ 법이라】
一轉
일젼 【산반에 혬을 ᄒᆞᆫ번 구울리단 말이라】
一上一 二上二 三上三 四上四 五上五
六上六 七上七 八上八 九上九
일을 샹ᄒᆞ면 일이오 이를 샹ᄒᆞ면 이오 삼을 샹ᄒᆞ면 샴이오 ᄉᆞ를 샹ᄒᆞ면 ᄉᆞ이오 오를 샹ᄒᆞ면 오이오 륙을 샹ᄒᆞ면 륙이오 칠을 샹ᄒᆞ
|
{
"page": 6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면 칠이오 팔을 샹ᄒᆞ면 팔이오 구를 샹ᄒᆞ면 구이라 【산반에 아ᄅᆡ층 다ᄉᆞᆺ 낫에 ᄒᆞᆫ나를 올니면 일이오 둘을 올리면 둘이오 륙에 이르러ᄂᆞᆫ 아ᄅᆡ층 ᄒᆞᆫ 낫를 올리고 웃층 ᄒᆞᆫ나를 나리우며 칠은 아ᄅᆡ층 둘을 올리고 웃층 ᄒᆞᆫ나를 나리우ᄂᆞ니 팔구도 다 이갓다】
二轉
이젼
九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退三進一十
六上一退四進一十 五退五進一十 四下五
除一 三下五除二 二上二 一上一
|
{
"page": 6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구에 퇴일진일ᄒᆞ며 십이오 【퇴ᄂᆞᆫ 아ᄅᆡ로 나려 가미오 진은 우희 올나 가미니 하층에 넷슬 올리고 샹층에 ᄒᆞᆫ나를 나리우면 귀 되ᄂᆞ니 십을 만들야 ᄒᆞ면 본위에 구슈를 퇴ᄒᆞ고 샹층에 ᄒᆞᆫ나만 진ᄒᆞ야 열을 당ᄒᆞ게 ᄒᆞ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퇴ᄂᆞᆫ 즉 팔슈오 진은 상층에 ᄒᆞᆫ나를 진ᄒᆞ다】 칠에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은 일이샹ᄒᆞ니 【하층에 일ᄌᆞ를 올려 륙이 되다】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하층 오슈라】에 일을 졔ᄒᆞ고 삼은 하오에 이를 졔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
{
"page": 6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三轉
삼젼
一上一 二下五除三 三上三 四退六進一十
五還五 六還六 七上二退五進一十 八
退二進一十 九退一進一十
일은 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하오에 삼을 졔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ᄉᆞ에 퇴륙진일ᄒᆞ면 십이오 오ᄂᆞᆫ 도로 오이오 륙은 도로 륙이오 칠은 이 샹ᄒᆞ니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은 퇴이진
|
{
"page": 7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일ᄒᆞ면 십이오 구ᄂᆞᆫ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四轉
ᄉᆞ젼
九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退三進一十
六還六 五退五進一十 四下五除一 三上
三 二上二 一上一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에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은 도로 륙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륙
|
{
"page": 7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십이오 삼은 하오에 일을 졔ᄒᆞ고 ᄉᆞ에 퇴륙진일ᄒᆞ면 십이오 오ᄂᆞᆫ 도로 오이오 륙은 일을 샹ᄒᆞ니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은 도로 칠이오 팔은 삼이 샹ᄒᆞ니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六轉
륙젼
九上四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退三進
一十 六退四進一十 五退五進一十 四下五
|
{
"page": 7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除一 三退七進一十 二上二 一上一
구ᄂᆞᆫ ᄉᆞ을 샹ᄒᆞ니 퇴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에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에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에 일을 졔ᄒᆞ고 삼에 퇴칠진일ᄒᆞ면 십이오 이ᄂᆞᆫ 이을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七轉
칠젼
|
{
"page": 7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一上一 二下五除三 三上三 四退六進一十
五還五 六退四進一十 七上二退三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九退一進一十
일은 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하오에 삼을 졔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ᄉᆞ에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ᄂᆞᆫ 도로 오이오 륙에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은 이을 샹ᄒᆞ니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라
|
{
"page": 75,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八轉
팔젼
九退一進一十 八退二進一十 七上二退三進
一十 六上一退四進一十 五退五進一十 四
下五除一 三下五除二 二上二 一上一
구에 퇴일진일ᄒᆞ면 십이오 팔에 퇴이진일ᄒᆞ면 십이오 칠은 이을 샹ᄒᆞ니 퇴삼진일ᄒᆞ면 십이오 륙은 일을 샹ᄒᆞ니 퇴ᄉᆞ진일ᄒᆞ면 십이오 오에 퇴오진일ᄒᆞ면 십이오 ᄉᆞᄂᆞᆫ 하오에 일
|
{
"page": 7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을 졔ᄒᆞ고 삼은 하오에 이를 졔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일은 일을 샹ᄒᆞ다
九轉
구젼
一上一 二上二 三上三 四上四 五工五
六上六 七上七 八上八 九退一進一十
일은 일을 샹ᄒᆞ고 이ᄂᆞᆫ 이를 샹ᄒᆞ고 삼은 삼을 샹ᄒᆞ고 ᄉᆞᄂᆞᆫ ᄉᆞ를 샹ᄒᆞ고 오ᄂᆞᆫ 오를 샹ᄒᆞ고 륙은 륙을 샹ᄒᆞ고 칠은 칠을 샹ᄒᆞ고
|
{
"page": 77,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己俱要少者呼多者在下也【數必以九者蔡西山曰數窮於
九九者究也至十則又爲一矣】
물읫 구귀법은 불과 슈를 난홈이라 근본 귀ᄒᆞᆫ ᄉᆔ로 【귀ᄂᆞᆫ 도로 보ᄂᆡ단 말이라】 샹위에 잇ᄂᆞᆫ 쟈를 불러 져근 쟈로 아ᄅᆡ 두고 이 인법은 불과 슈를 갓치 ᄒᆞᆷ이니 다 져근 쟈로 만흔 쟈를 불러 아ᄅᆡ 두ᄂᆞ니라 【슈를 반다시 구로 ᄡᅥ 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채셔산이 일오ᄃᆡ ᄉᆔ 아홉에 궁ᄒᆞ니 아홉이란 말은 맛단 말이니 열에 일은 즉 다시 ᄒᆞᆫ나이 되다 ᄒᆞ다】
|
{
"page": 81,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이 되ᄂᆞ니 그 나마도 다 이ᄀᆞᆺ다】 이ᄅᆞᆯ 만나면 일십에 나아가고 【두 ᄉᆞᄅᆞᆷ이 둘을 난호면 각 ᄒᆞᆫ낫식이니 이젼이면 일젼식이 되고 이분이면 일분식이 되야 다 셩슈로 난호ᄂᆞᆫ 고로 봉이진일십이라 ᄒᆞ다】 ᄉᆞᄅᆞᆯ 만나면 이십에 나아가고 륙을 만나면 삼십에 나아가고 팔을 만나면 ᄉᆞ십에 나아가다
가령 두 ᄉᆞᄅᆞᆷ이 은 일젼을 난호면 각 오분을 엇ᄂᆞᆫ 고로 이일쳠작오라 ᄒᆞ고 두 ᄉᆞᄅᆞᆷ이 은 이젼을 난호면 각 일젼을 엇ᄂᆞᆫ 고로 봉이진일십이라 ᄒᆞ고 만일 두 ᄉᆞᄅᆞᆷ이 은 삼젼을 난호면
|
{
"page": 8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혬에 너어 모도 혜ᄂᆞᆫ 고로 ᄉᆞ일이십이라 ᄒᆞ다 【둘식 난호다가 이 분이 남단 말이라】 만일 네 ᄉᆞᄅᆞᆷ이 은 삼젼을 난호면 각 칠분 오리니 몬져 이젼 팔분으로 ᄡᅥ 난아 각 칠분을 엇고 그 나마 이분은 쳠ᄒᆞ야 오를 만드ᄂᆞᆫ 고로 ᄉᆞ이쳠작오라 ᄒᆞ니 만일 후위에 다른 혬 낫치 잇거든 그 혬을 모도아 불너 더ᄒᆞᄂᆞ니라 【ᄉᆞ삼칠십이ᄂᆞᆫ 가령 네 ᄉᆞᄅᆞᆷ이 은 삼젼을 난호면 ᄉᆞ칠이십팔이오 이분이 남ᄂᆞᆫ 고로 ᄉᆞ삼칠십이라 ᄒᆞ다】
五歸
|
{
"page": 89,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분으로 ᄡᅥ 난아 각 일분을 엇고 다시 ᄉᆞ분이 남은즉 후위에 더ᄒᆞ야 혬을 모도ᄂᆞᆫ 고로 륙일하가ᄉᆞ라 ᄒᆞ고 여ᄉᆞᆺ ᄉᆞᄅᆞᆷ이 은 이젼을 난호면 삼륙이 십팔이 된지라 각 삼분을 엇고 여ᄉᆔ 이분이 되ᄂᆞᆫ 고로 본위에 삼십을 짓고 【혬이 열이 ᄎᆞᆫ 후에 성ᄉᆔ 되야 상위에 올나가ᄂᆞᆫ 고로 십이라 ᄒᆞ다】 하위에 이ᄅᆞᆯ 더ᄒᆞ야 ᄡᅥ 혬이 모도이믈 기다리ᄂᆞᆫ 고로 륙이삼십이라 ᄒᆞ니 그 나마도 다 이ᄀᆞᆺ다
七歸
|
{
"page": 93,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ᄅᆞᆯ 가ᄒᆞ고 팔이에 아ᄅᆡ ᄉᆞᄅᆞᆯ 가ᄒᆞ고 팔삼에 아ᄅᆡ 륙을 ᄒᆞ고 팔ᄉᆞ에 쳠ᄒᆞ야 오ᄅᆞᆯ 짓고 팔오에 륙십이오 팔륙에 칠십ᄉᆞ오 팔칠에 팔십륙이오 팔을 맛나면 일십에 진ᄒᆞ다
九歸
구귀
九一下加一 九二下加二 九三下加三 九四
下加四 九五下加五 九六下加六 九七下加
七 九八下加八 逢九進一十
|
{
"page": 9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九因歌訣
구인가결
一因
일인
一一如一 【如一個一只是一個故云一一如一】
일〻여일 【가령 ᄒᆞᆫ낫 ᄒᆞᆫ나이면 다만 ᄒᆞᆫ낫친 고로 일오ᄃᆡ 일〻여일이라 ᄒᆞ니 여일은 ᄒᆞᆫ나 갓틈이니 즉 ᄒᆞᆫ나이라】
二因
이인
|
{
"page": 9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六
일ᄉᆞ여ᄉᆞ 이ᄉᆞ여팔 삼ᄉᆞ일십이 ᄉᆞ〻일십륙
五因
오인
一五如五 二五一十 三五一十五 四五二十
五五二十五
일오여오 이오일십 삼오일십오 ᄉᆞ오이십 오〻이십오
|
{
"page": 100,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삼십륙 오구ᄉᆞ십오 륙구오십ᄉᆞ 칠구륙십삼 팔구칠십이 구〻팔십일 【승졔에 가감ᄒᆞᄆᆡ 다 이 슈와 갓다】
|
{
"page": 104,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混歸法歌訣
혼귀법가결
混歸法者與歸除同前人用定身除名爲減
法惟恐人心不明遇行數多者往往差錯故
立此
혼귀법은 귀졔로 더부려 갓트니 젼 ᄉᆞᄅᆞᆷ이 뎡신졔명【신은 원슈오 명은 느러간 슈니 신을 뎡ᄒᆞ고 명을 졔ᄒᆞ단 말이라】으로 ᄡᅥ 감법을 삼으니 오직 인심이 ᄇᆞᆰ지 못ᄒᆞ야 ᄒᆡᆼᄉᆔ 만흐물 맛나면 왕〻히
|
{
"page": 106,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ᄉᆞ진ᄉᆞ십 봉오진오십 봉륙진륙십 봉칠진칠십 봉팔진팔십 봉구진구십 견일무졔쟉구일 【일을 보ᄆᆡ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구일을 만드ᄂᆞ니 본위에 구를 만들고 하위에 일을 더 노아 졔ᄒᆞᄂᆞᆫ 법이라 일에 다시 우ᄉᆔ 업ᄂᆞᆫ 고로 일을 열에 풀어 노은 후에 졔ᄒᆞᄂᆞ니 우ᄉᆔ 젹고 아ᄅᆡ 만흐면 ᄒᆞᆫ 위를 틀고 ᄡᅳᄂᆞᆫ 법이니 아ᄅᆡ와 우에 ᄒᆞᆫ낫치 다 셰워 노이면 우와 아ᄅᆡ 다 ᄒᆞᆫ낫치어ᄂᆞᆯ 아ᄅᆡ 낫츨 틀어 뉘어 노으면 웃 낫치 즉 열이 되ᄂᆞ니라】 무졔긔일잉환일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일을 일희어 인ᄒᆞ야 일을 나리우ᄂᆞ니 가령 하층에 팔이오 샹층에 일이라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샹층에 일을 열에 풀에 샹층 위에 구를 노코 샹층 하위에 일을 놋ᄂᆞ니 오히려 졔ᄒᆞᆯ 것시 업거든 구를 련ᄒᆞ야 일로 풀어 하위에 나리워 다ᄉᆞᆺ에 차ᄆᆡ 오팔ᄉᆞ십으로 졔ᄒᆞᄂᆞ니 이어든
|
{
"page": 108,
"year": null
}
|
만보전서언해 권10
|
{{만보전서언해 색인}}
|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
견이무졔작구이ᄒᆞ고 삼이어든 견삼무졔작구삼이니 아ᄅᆡ 다 이갓다】
견일무졔작구일과 무졔긔일잉환일 이 두 글구ᄂᆞᆫ 귀졔법에 귀ᄒᆞᆯ ᄉᆔ 이시나 졔ᄒᆞᆯ ᄉᆔ 업거든 일을 일희여 【샹층에 혬을 하위로 나리우믈 일으히다 ᄒᆞ다】 원슈로 가져 ᄡᅳ단 말과 갓트니 이 법이 일을 긔ᄒᆞ야 일에 환ᄒᆞ고 이를 긔ᄒᆞ야 이에 환ᄒᆞ고 삼을 긔ᄒᆞ야 삼에 환ᄒᆞᄂᆞ니 이 나마도 다 이갓다
|
{
"page": 109,
"year": null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