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classes
501 values
description
stringclasses
28 values
license
dict
text
stringlengths
60
188k
meta
dict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를 가져 그 신을 ᄭᅵ치도다 【본위ᄂᆞᆫ 슈위오 신은 원ᄉᆔ라】 승ᄒᆞᄂᆞᆫ 법이 후위에 몃 줄을 가지〻 아니ᄒᆞ고 다만 졔이 위로 좃ᄎᆞ 신【원ᄉᆔ라】을 밀위여 승ᄒᆞ야 이러나고 【위슈션쟝졔이인이라】 문득 후면에 혹 삼이나 혹 오이나 구ᄋᆡᄒᆞ지 아니ᄒᆞ고 몃 위인고 보아 위마다 〻 승ᄒᆞ야 ᄒᆞᆫ 번을 맛고 【삼ᄉᆞ오ᄅᆡ승변료라】 후에 문득 머리 ᄒᆞᆫ 위를 가져 그 본신을 ᄭᆡ치ᄂᆞ니 이 ᄒᆞᆫ 위를 ᄭᆡ치거든 ᄯᅩ 버금 위로 승호ᄃᆡ 다만 위마다 이 모양으로 승ᄒᆞ야 가ᄂᆞ니 이갓트면 문득 이
{ "page": 11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맛나ᄆᆡ 귀ᄒᆞᆯ 길이 업거든 당귀ᄒᆞᄂᆞᆫ 법을 더듸게 말라 【당귀ᄂᆞᆫ ᄭᆡ쳐 귀ᄒᆞᄂᆞᆫ 법이니 견일무졔작구일과 무졔긔일잉황일이 다 당귀법이니 일을 ᄭᆡ쳐 십으로 푸러 쓰ᄂᆞᆫ 법이라】 ᄉᆞᄅᆞᆷ이 이서 듕간 ᄯᅳᆺ을 아라 어드면 산법이 비록 깁흐나 가히 다 알리라 쟝신귀료ᄎᆞ졔지ᄂᆞᆫ 몬져 본신【원ᄉᆔ라】을 가져 귀법을 ᄡᅳ고 그 나마ᄂᆞᆫ 몃 줄을 불구ᄒᆞ고 다만 이졔ᄒᆞ다 유귀약시무졔슈 긔일환쟝원슈시ᄂᆞᆫ 원은 읏듬이니 만일 읏듬 위에 귀ᄒᆞᆯ 거시 잇고 후에 낫【혬 낫치라】치 졔ᄒᆞᆯ 거시 업거든 젼위에
{ "page": 117,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일을 긔ᄒᆞ야 【우흐로 아레 나려가믈 긔라 ᄒᆞ다】 원에 도라오고 【젼위에 일을 나리워 원슈ᄅᆞᆯ 만드단 말이라】 만일 이귀면 이을 귀ᄒᆞ야 이에 도라오고 삼귀면 일을 긔ᄒᆞ야 삼에 도라오고 ᄉᆞ귀면 일을 긔ᄒᆞ야 ᄉᆞ에 도라오고 오귀면 일을 긔ᄒᆞ야 오에 도라오ᄂᆞ니 【이귀면 이 분 일로 귀ᄒᆞᄂᆞᆫ 고로 긔일환원ᄒᆞᄆᆡ 샹위에 일을 가져 하위에ᄂᆞᆫ 이로 노코 삼귀면 삼분 일로 귀ᄒᆞᄂᆞᆫ 고로 샹위에 일을 가져 하위에 삼으로 노타】 그 나마도 다 이갓트나 다만 환원ᄒᆞᄆᆡ 귀ᄒᆞᄂᆞᆫ 슈만 환ᄒᆞ고 졔ᄒᆞᄂᆞᆫ 슈ᄂᆞᆫ 환ᄒᆞ지 못ᄒᆞ며 환ᄒᆞᆫ 후에 죠슈ᄒᆞ야 졔ᄒᆞᄂᆞ니
{ "page": 11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라 약우본귀귀불득 당귀지법결막지ᄂᆞᆫ 만일 이귀면 견일무졔쟉구이ᄅᆞᆯ ᄡᅳ고 ᄉᆞ귀면 견ᄉᆞ무졔쟉구ᄉᆞᄅᆞᆯ ᄡᅳᄂᆞ니 그 나마도 다 이ᄀᆞᆺ튼지라 그 법이 다만 귀ᄒᆞᄂᆞᆫ 슈로 위쥬ᄒᆞ야 그 환ᄒᆞᄆᆡ 의슈ᄒᆞ야 졔ᄒᆞ고 만일 졔ᄒᆞᆯ 거시 업거든 ᄯᅩ 일을 긔ᄒᆞ야 원슈로 가져 베프ᄂᆞ니 만일 원슈ᄅᆞᆯ 환ᄒᆞᆫ 후에ᄂᆞᆫ 죠슈ᄒᆞ야 졔ᄒᆞᆫ즉 낫【혬 낫치라】치 이서 가히 졔ᄒᆞ야 그리 십히 ᄇᆞᆰ으니 비컨ᄃᆡ 은 이량 령을 이십이 인이 난호면 이 귀로ᄡᅥ 이로
{ "page": 11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졔ᄒᆞᄂᆞ니 젼위에 만일 봉이진일십을 불으면 후위에 맛당이 일이ᄅᆞᆯ 불러 이ᄅᆞᆯ 졔ᄒᆞ리니 만일 후위에 이ᄅᆞᆯ 졔ᄒᆞᆯ 거시 업슨즉 ᄀᆞᆯ온 견이무졔작구이라 ᄒᆞ야 ᄭᆡ쳐 귀ᄒᆞᆫ 후에 이구ᄅᆞᆯ 불러 일십팔을 졔ᄒᆞ면 문득 ᄇᆡ아흐로 낫치 제ᄒᆞᆯ 거시 잇ᄂᆞ니라 二歸 二人分用二歸 이귀 두 ᄉᆞᄅᆞᆷ이 난호ᄆᆡ 이귀ᄅᆞᆯ ᄡᅳ다 九 二一添作五
{ "page": 12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칠 이일쳠작오 봉륙진삼십 륙 봉륙진삼십 오 이일쳠작오 봉ᄉᆞ진이십 ᄉᆞ 봉ᄉᆞ진이십 삼 이일쳠작오 봉이진일십 이 봉이진일십
{ "page": 12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일 이일쳠작오 가령 은이 일ᄇᆡᆨ이십삼량 ᄉᆞ젼 오분 륙리 칠호 팔ᄉᆞ 구홀을 두ᄉᆞᄅᆞᆷ이 난흐면 ᄆᆡ 인에 륙십일량 칠젼 이분 팔리 삼호 구ᄉᆞ ᄉᆞ홀 오미라 【처음 일ᄇᆡᆨ 위에 이일쳠작오ᄒᆞ고 둘ᄌᆡ 이십 위에 봉이진일십ᄒᆞ고 셋ᄌᆡ 삼 량에 봉이진일십ᄒᆞ고 이일쳠작오ᄒᆞ야 이ᄃᆡ로 ᄎᆞᄎᆞ 두어가다】 二因還原 이인환원 五 二五一十 【本位去四存一】
{ "page": 12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忽二人分之該銀六十一兩七錢二分八厘三 亳九絲四忽五微以二因還原首位是六十以 二六十二下位加二本位去五存一依此算去 卽合原數 오 이오일십 【본위에 ᄉᆞᄅᆞᆯ 업시코 일을 두다】 ᄉᆞ 이ᄉᆞ여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구 이구일십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팔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삼 이삼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팔 이팔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칠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 "page": 12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이 이ᄉᆞ여팔 【하위에 ᄉᆞ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칠 이칠일십ᄉᆞ 【하위에 ᄉᆞ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륙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일 이일여이 【하위에 이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륙 이륙일십이 【하위에 이ᄅᆞᆯ 더ᄒᆞ고 본위에 오ᄅᆞᆯ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은 일ᄇᆡᆨ이십삼량 ᄉᆞ젼 오분 륙리 칠호 팔ᄉᆞ 구홀을 두 ᄉᆞᄅᆞᆷ이 난호면 은이 륙십일량 칠젼 이분 팔리 삼호 구ᄉᆞ ᄉᆞ홀 오미니 이 인으로ᄡᅥ 환원ᄒᆞᄆᆡ 슈위 륙십이라 이륙십이로 ᄡᅥ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ᄒᆞ
{ "page": 127,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팔 봉구진삼십 【삼하오졔일】 칠 삼일삼십일 봉륙진이십 륙 봉륙진이십 오 봉륙진이십 ᄉᆞ 삼일삼십일 봉삼진일십 삼 봉삼진일십 이 봉삼진일십
{ "page": 13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이 이삼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이 이삼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오 삼오일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일 일삼여삼 【하위에 삼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일 일삼여삼 【하위에 삼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ᄉᆞ 삼ᄉᆞ일십이 【하위에 둘을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四歸 사귀 九 逢八進二十 【下位有四一二十二四二添作五】
{ "page": 13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칠 ᄉᆞ삼칠십이 봉ᄉᆞ진일십 륙 봉팔진이십 오 ᄉᆞ일이십이 봉ᄉᆞ진일십 ᄉᆞ ᄉᆞ이쳠쟉오 봉ᄉᆞ진일십 삼 ᄉᆞ삼칠십이 【이하오졔삼】 이 봉ᄉᆞ진일십
{ "page": 13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일 일ᄉᆞ여ᄉᆞ 【하위에 ᄉᆞ를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ᄉᆞ ᄉᆞ〻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륙 ᄉᆞ륙이십ᄉᆞ 【하위에 ᄉᆞ를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업시 ᄒᆞ고 이를 두다】 팔 ᄉᆞ팔삼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공 【이 위 아ᄅᆡ 븨다】 삼 삼ᄉᆞ일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五歸 오귀 九 五四倍作八
{ "page": 13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칠 오이ᄇᆡ쟉ᄉᆞ 봉오진일십 륙 오일ᄇᆡ쟉이 봉오진일십 오 봉오진일십 ᄉᆞ 오ᄉᆞᄇᆡ쟉팔 삼 오삼ᄇᆡ쟉륙 이 오이ᄇᆡ쟉ᄉᆞ 일 오일ᄇᆡ쟉이
{ "page": 14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一 一五如五 【下位加五本位俱去】 九 五九四十五 【下位加五本位去五存四】 六 五六得三十 【本位去三存三】 四 五四得二十 【本位去二存二】 二 二五得一十 【本位去一存一】 팔 오팔득ᄉᆞ십 【ᄉᆞ 샹에 일을 두고 오를 업시 ᄒᆞ다】 칠 오칠삼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오 오오이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이를 두다】 삼 삼오일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 "page": 14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일 일오여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구 오구ᄉᆞ십오 【하위에 오를 더ᄒᆞ고 본위에 오를 업시 ᄒᆞ고 ᄉᆞ를 두다】 륙 오륙득삼십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ᄉᆞ 오ᄉᆞ득이십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이를 두다】 이 이오득일십 【본위에 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六歸 륙귀 九 六三添作五 逢六進一十
{ "page": 14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五 五六類三十 【本位去二存三】 空 【二位下空】 二 二六一十二 【下位加二本位去一存一】 오 오륙삼십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일 일륙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삼 삼륙일십팔 【하위에 팔을 더ᄒᆞ고 본위에 이을 업시고 일을 두다】 일 일륙여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륙 륙륙삼십륙 【하위에 륙을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칠 륙칠ᄉᆞ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삼을 업시 ᄒᆞ고 ᄉᆞ를 두다】
{ "page": 15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오 오륙류삼십 【본위에 이를 업시 ᄒᆞ고 삼을 두다】 공 【이 위 아ᄅᆡ 븨다】 이 이륙일십이 【하위에 이를 더ᄒᆞ고 본위에 일을 업시 ᄒᆞ고 일을 두다】 七歸 칠귀 九 逢二七進二十 八 七二下加六 逢七進一十 七 七五七十一
{ "page": 15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六 六七四十二 【本位作二上位加四十】 七 七t四十九 【本位作九上位加四十】 一 一七如七 【本位作七並下位進一十】 일 위에 잇ᄂᆞᆫ 일슈라 【승ᄒᆞ지 아니ᄒᆞᆫ 고로 다만 ᄌᆡ위 일슈라 ᄒᆞ니 샹위에 진ᄒᆞ야 모도 구ᄉᆔ 되다】 ᄉᆞ ᄉᆞ칠이십팔 【본위에 팔을 만들고 샹위에 이십을 더ᄒᆞ다】 팔 칠팔오십륙 【본위에 륙을 만들고 샹위에 오십을 더ᄒᆞ다】 륙 륙칠ᄉᆞ십이 【본위에 이를 만들고 샹위에 ᄉᆞ십을 더ᄒᆞ다】 륙 륙칠ᄉᆞ십이 【본위에 이를 만들고 샹위에 ᄉᆞ십을 더ᄒᆞ다】 삼 삼칠이십일 【본위에 일을 만들고 샹위에 이십을 더ᄒᆞ다】
{ "page": 15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二 二八一十六 【上位加一十本位作六】 三 三八二十四 【上位加二十本位作四】 四 四八三十二 【上位加三十本位作二】 五 五八得四十 【上位加四十本位俱去】 一 一八如八 【本位作八並下位進一十】 오 오팔득ᄉᆞ십 【본위에 다 업시 ᄒᆞ고 샹위에 ᄉᆞ십을 더ᄒᆞ야 일십을 진ᄒᆞ고 또 일십을 진ᄒᆞ다】 이 이팔일십륙 【샹위에 일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륙을 만들다】 륙 륙팔ᄉᆞ십팔 【샹위에 ᄉᆞ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팔을 만들다】 팔 팔팔륙십ᄉᆞ 【샹위에 륙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만들다】
{ "page": 16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구 팔구칠십이 【샹위에 칠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둘을 만들다】 공 【륙 위 아ᄅᆡ 븨다】 이 이팔일십륙 【샹위에 일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륙을 만들다】 삼 삼팔이십ᄉᆞ 【샹위에 이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ᄉᆞ를 만들다】 ᄉᆞ ᄉᆞ팔삼십이 【샹위에 삼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둘을 만들다】 오 오팔득ᄉᆞ십 【샹위에 ᄉᆞ십을 더ᄒᆞ고 본위에 다 업시 ᄒᆞ다】 일 일팔여팔 【본위에 팔을 만들고 하위을 아오로 일십을 진ᄒᆞ다】 九歸 구귀
{ "page": 16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一 一九如九 【本位作九並下位進五十】 七 七九六十三 【本位作三上位加六十】 三 三九二十七 【本位作七上位加二十】 一 一九如九 【本位作九並下位進一十】 공 일 일구여구 【본위에 구를 만들다】 이 이구일십팔 【본위에 팔을 만들고 샹위에 일십을 더ᄒᆞ다】 ᄉᆞ ᄉᆞ구삼십륙 【본위에 륙을 만들고 샹위에 삼십을 더ᄒᆞ다】 칠 칠구륙십삼 【본위에 삼을 만들고 샹위에 륙십을 더ᄒᆞ다】
{ "page": 16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10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09:28.083989",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10.djvu&oldid=328948" }
일 일구여구 【본위에 구를 만들고 하위을 아오도 오십을 진ᄒᆞ다】 칠 칠구륙십삼 【본위에 삼을 만들고 샹위에 륙십올 더ᄒᆞ다】 삼 삼구이십칠 【본위에 칠을 만들고 샹위에 이십을 더ᄒᆞ다】 일 일구여구 【본위에 구를 만들고 하위을 아오로 일십을 진ᄒᆞ다】
{ "page": 16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ᄂᆞᆺ타곤을이어물을다ᄉᆞ려열세ᄒᆡ에흥치평ᄒᆞ니ᄋᆈ그공을아름다이너겨셩을사시ᄅᆞᆯ쥬시고봉ᄒᆞ야하ᄇᆡᆨ을삼은고로 ᄇᆡᆨ우라이르고텬해놉혀ᄃᆡ우라이르다년이칠십ᄉᆞ셰에슌이하ᄂᆞᆯ에쳔거ᄒᆞ시고후십이년에슌이늙으샤우로ᄒᆞ야곰 텬ᄌᆞ의일을셥ᄒᆡᆼᄒᆞ게ᄒᆞ시고오년에슌이봉ᄒᆞ시니위슌의긔샹을버스시고명년에즉진 텬ᄌᆞ되단말이라 ᄒᆞ시니원 셰 하나라ᄉᆞᄅᆞᆷ이년을일러쥴온셰라ᄒᆞ니라 ᄂᆞᆫ졍ᄉᆞ라금덕을ᄡᅥ왕ᄒᆞ시고안읍에도읍ᄒᆞ시고ᄃᆡ하악 중류
{ "page": 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일홈이라 을지으시고초를 북일홈이라 베프러간ᄒᆞᄂᆞᆫ말으ퟝ구ᄒᆞ시고슈레에나려죄인을울으시고구졍 아홉솟치니 구쥬묵에금을거두어구졍을지어셰덕을형샹ᄒᆞ야ᄡᅥ샹뎨와귀신의게졔ᄉᆞᄒᆞ니라 으ퟝ짓고지쥬 의젹이슐을만들거ᄂᆞᆯ 위뮈이너겨멀리ᄒᆞ시니라 ᄅᆞᆯ뮈여ᄒᆞ시다우이셔시ᄆᆡ고요ᄅᆖᆯ들어쳔거ᄒᆞ시고ᄯᅩ졍ᄉᆞ를쥬랴ᄒᆞ시더니고ᄋᆈ죽거ᄂᆞᆯ후 에익을들어졍ᄉᆞᄅᆞᆯᄆᆞᆺ지시다남으로슌ᄒᆡᆼᄒᆞ샤회계산에이르러붕ᄒᆞ시니ᄌᆡ위이십칠년에ᄉᆔ일ᄇᆡᆨ셰라
{ "page": 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十一歲 뎨쇼강은상의아ᄃᆞᆯ이니후민이ᄇᆡ고유잉의게다라ᄡᅥ나은지라밋ᄌᆞ라ᄆᆡ유잉무졍 말치는벼슬이라 이되고유우에 다라포졍 음식가아마ᄂᆞᆫ벼슬이라 이되니유우인군이이요 요는유우인군의셩이니이요ᄂᆞᆫ두ᄯᆞᆯ이라 로ᄡᅥ쳐ᄒᆞ고를 ᄯᅡ일홈이라 에봉ᄒᆞ거ᄂᆞᆯ옛신하미 신하일홈이라 ᄅᆞᆯ인ᄒᆞ야한착을멸ᄒᆞ고고도에도라오니원셰는임오요ᄌᆡ위이십이 년에ᄉᆔ뉵십일셰라 帝杼少康之子元歲甲辰在位十七年
{ "page": 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뎨저ᄂᆞᆫ쇼강은상의아ᄃᆞᆯ이니원셰는갑진이오ᄌᆡ위십칠년이라 帝楒杼之子元歲辛酉在位二十三年 뎨긔는저의아ᄃᆞᆯ이니원셰ᄂᆞᆫ신유오ᄌᆡ위이십뉵년이라 帝芒楒之子元歲丁亥在位十八年 뎨망은긔의아ᄃᆞᆯ이니원셰ᄂᆞᆫ졍ᄒᆡ오ᄌᆡ위십팔년이라 帝泄芒之子元歲乙巳在位十六年
{ "page": 1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뎨근은경의아ᄃᆞᆯ이니원셰는신ᄉᆞ오ᄌᆡ위십일년이라 帝孔甲不降之子元歲壬寅在位三十一年 뎨공갑은불강의아ᄃᆞᆯ이니원셰ᄂᆞᆫ임인이오ᄌᆡ위삼십일년이라 帝皐孔甲之子元歲癸酉在位十一年 뎨고는공갑의아ᄃᆞᆯ이니원셰ᄂᆞᆫ계유오ᄌᆡ위십일년이라 帝發皐之子元歲甲申在位十九年
{ "page": 1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뎨발은고의아ᄃᆞᆯ이니원셰는갑신이오ᄌᆡ위십일년이라 帝履癸發之子號爲元歲癸卯在位五十二年甲午成湯放于南巢 뎨리계ᄂᆞᆫ발의아ᄃᆞᆯ이니일홈ᄒᆞ야걸이니원셰ᄂᆞᆫ계묘오ᄌᆡ위오십이년이라갑오에셩탕이남소에내치다 右夏凡十七王共四百五十八年 이우하나라이물읫십칠왕에공이ᄉᆞᄇᆡᆨ오십팔
{ "page": 1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都于亳作大護樂在位十三年壽一百歲 셩탕 시호법에잔포ᄒᆞᆫ이ᄅᆞᆯ덜고사우나으니ᄅᆞᆯ업시ᄒᆞᆷ을ᄀᆞᆯ온탕이라 은ᄌᆞ셩이오이ퟝ홈은리니졔곡의아ᄃᆞᆯ셜의십삼셰 손이오텬을쥬계의아ᄃᆞᆯ이니모부도시흰긔운이달을ᄭᅥ히물보고낫타 무진년이라 셩덕이이셔졔후불의ᄒᆞᆫᄌᆞ를탕이 조ᄎᆞ칠ᄉᆡ쟝돚걸을치랴ᄒᆞᆷᄋᆡ몬져위와곤오를명ᄒᆞ고드ᄃᆡ여명죠의들에ᄡᆞ으니걸이남쇼의산으로닷다원ᄉᆞ 은나라 ᄉᆞᄅᆞᆷ이희를일너ᄀᆞᆯ으ᄃᆡᄉᆞ라ᄒᆞ니라 으ퟝ미에텬ᄌᆞ위에나아가고
{ "page": 1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졍삭을곳쳐튝월로세슈ᄅᆞᆯ삼고금덕으로왕ᄒᆞ야박 ᄯᅡ일홈이라 에도읍ᄒᆞ고대호 풍류일홈이라 악을짓다ᄌᆡ위십삼년 에ᄉᆔ일ᄇᆡᆨ세라 太甲湯之孫元祀戊申徂桐官庚戌歸亳在位三十三年是爲太宗 태갑은탕의손ᄌᆞ니원ᄉᆞ무신에동궁에가경슐에박의도라오고ᄌᆡ위삼십삼년이니이ᄋᆡᄐᆡ죵이되다 沃丁太甲之子元祀辛巳在位二十九年
{ "page": 1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遠方重譯而至者七十六國 ᄐᆡ무는옹긔의아이니원ᄉᆞ는갑진이오ᄌᆡ위칠십오년이니이에듕죵이된지라원방에거듧역 외방나라이말을번역ᄒᆞ야 오단말이라 ᄒᆞ야온ᄌᆡ칠십뉵국이라 中丁太戊之子元祀己未甲子遷都于囂在位十三年 듕졍은ᄐᆡ무의아ᄃᆞᆯ이니원셰는긔미오갑ᄌᆞ의도읍을ᄒᆞᆫᄯᅡ에옴고ᄌᆡ위십삼년이라 外壬中丁之弟元祀壬申在位十五年
{ "page": 1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됴을은하단갑의아ᄃᆞᆯ이니원ᄉᆞ는병신이니이ᄒᆡ에도읍을경 ᄯᅡ일홈이라 에올맛더니경이무너지거ᄂᆞᆯ 하슈의환이라 갑진에다시형 ᄯᅡ일홈이라 으로옴고무현을졍승ᄒᆞ니졔휘항북ᄒᆞ고상나라되다시이러나다ᄌᆡ위십구년이라 祖辛祖乙之子元祀乙卯在位十六年 됴신은됴을의아ᄃᆞᆯ이니원ᄉᆞ는을묘오ᄌᆡ위십뉵년이라 沃甲祖辛之弟元祀辛未在位二十五年
{ "page": 2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은신ᄒᆡ탕셕ᄒᆞ야ᄯᅥ나ᄉᆞ니 슈환을피ᄒᆞ야갈니어사단말이라 도읍을엄 ᄯᅡ일홈이라 에옴기다ᄌᆡ위이십오년이라 陽甲祖丁之子元祀癸巳在位七年崇宮室居墊隘水泉瀉鹵諸侯不朝 양갑은됴졍의아ᄃᆞᆯ이니원ᄉᆞ는계ᄉᆞ오ᄌᆡ위칠년이라궁실을놉히고졈ᄋᆡᆨ 터이비습ᄒᆞ고죱단말이라 ᄒᆞᆫᄃᆡ거ᄒᆞ야 물과ᄉᆡ암이쏫아질ᄶᅡᆫ지라졔휘를회ᄒᆞ지아니ᄒᆞ더라 盤庚陽甲之弟元祀庚子是歲復都于亳政國
{ "page": 2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ᄃᆞᆯ이오후직의십뉵셰손이라졍묘에셔ᄇᆡᆨ의위를잇고십삼년긔묘에쥬를칠ᄉᆡᄒᆞᆫ번융의 융복이라 를입으ᄆᆡ텬ᄒᆡ크게 뎡ᄒᆞᆫ지라긔ᄌᆞ의가두임을놋코비간의무덤에졍표ᄒᆞ고샹용 은나라어진신하라 의녀를표ᄒᆞ고칠십일국을봉ᄒᆞ고ᄌᆡ 물을헛치며곡식을헛치고 쥬의ᄡᆞ앗던ᄌᆡ물을ᄇᆡᆨ셩을난화쥬단말이라 말을도라보ᄂᆡ며소를놋코 다시ᄡᅳ지아니ᄒᆞᆷ을 뵈미라 화덕으로왕ᄒᆞ고ᄌᆞ월로셰슈를삼고ᄉᆞ를고쳐년이라ᄒᆞ니라ᄌᆡ위칠년에ᄉᆔ구십삼셰라
{ "page": 3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成王名誦武王之子元年丙戌卽位時王年幼周公背負以朝諸侯己丑周公歸政辛卯越裳氏獻白雉壬辰營洛邑在位 三十七年壽五十歲 셩왕은일흠은숑이니무왕의아ᄃᆞᆯ이라원년은병술이니즉위ᄒᆞᆯᄯᆡ에왕의나히어리거ᄂᆞᆯ쥬공이등에업어ᄡᅥ졔후를 죠회밧고긔축에쥬공이졍ᄉᆞ를도라보니라신묘에워ퟝ샹시 브지남편오랑ᄏᆡ라 흰ᄭᅯᆼ을드리고임진에락읍에경영ᄒᆞ고 ᄌᆡ위삼십칠년에ᄉᆔ오십셰라
{ "page": 3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은경진이라병신에셔ᄌᆡ작난ᄒᆞ거ᄂᆞᆯ초나라를명ᄒᆞ야버히다팔쥰마를엇어슈릐박휘와말자최텬하에두루ᄒᆞ랴ᄒᆞ더라 ᄌᆡ위오십오년이오ᄉᆔ일ᄇᆡᆨ오셰라 共王名繄扈穆王之子元年乙亥在位十二年壽八十四歲 공왕은일흠은혜호니목왕의아ᄃᆞᆯ이라원년은을ᄒᆡ오ᄌᆡ위십이년에ᄉᆔ팔십ᄉᆞ셰라 懿王名囏共王之子元年丁亥在位二十三年壽五
{ "page": 3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襲王王奔彘周召二相共理國事號曰共和者十四年王崩于彘在位五十一年壽七十歲 녀왕은일흠은호니이왕의아ᄃᆞᆯ이라원년은계미니위무 위나라무당이라 를어더훼방ᄒퟅᄂᆞᆫ일을보게ᄒᆞ니긔미에ᄇᆡᆨ셩이 왕을엄습ᄒᆞ거ᄂᆞᆯ왕이톄 ᄯᅡ일흠이라 에다라나고듀쇼 듀졍공과쇼목공ᄒᆞ라 두졍승이ᄒᆞᆫ가지로나라일을다ᄉᆞ려공화 ᄒᆞᆫ가지로화ᄒᆞ단말이라 라ᄒᆞᆫᄌᆡ십ᄉᆞ년에왕이톄에셔붕ᄒᆞ니ᄌᆡ위오십일년에ᄉᆔ칠십셰라
{ "page": 3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宣王名靜厲王之子元年甲戌命秦仲逐西戎命尹吉甫征玁狁命方叔征荊蠻命召穆服淮夷王親征徐夷周道中興在位 四十六年 션왕은일흠은졍이니려왕의아ᄃᆞᆯ이라원년은갑슐이니진즁을명ᄒᆞ야셔융을ᄶᅩᆺ고윤길보를명ᄒᆞ야험윤 북편오랑ᄏᆡ라 을치고방슉을명ᄒᆞ야형만 남편오랑ᄏᆡ라 을치고소호를명ᄒᆞ야회이 회슈오랑ᄏᆡ라 를항복ᄒᆞ고왕이친히셔나라오랑 ᄏᆡ를치니쥬되즁흥ᄒᆞ다ᄌᆡ위ᄉᆞ십륙년이라
{ "page": 3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遂微詩人作黍離椘人始稱王在位五十一年 평왕은일홈은의구니유왕의아ᄃᆞᆯ이라원년은신미니견융의란을피ᄒᆞ야동으로락양에도읍ᄒᆞ고기풍 호경이라 의ᄯᅡ으로ᄡᅥ진즁의손ᄌᆞ를봉ᄒᆞ야졔후를삼으니 이진양공ᅇᅵ라 쥬나라집이드듸여미약ᄒᆞᆫ지라시인이셔리시 시젼편명이라 를짓고쵸나라ᄉᆞᄅᆞᆷ이비로소왕을일컷다ᄌᆡ위오십일년이라 桓王名林平王太子泄父之子元年壬戌在位二十三年
{ "page": 4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壬子與諸侯謀伐秦秦滅之在位七年 동쥬군은일홈은걸이니동쥬혜공반의아ᄃᆞᆯ이라처음에셔쥬환공의손ᄌᆞ혜공이별로져근아ᄃᆞᆯ을공ᄯᅡ에봉ᄒᆞ야ᄡᅥ 왕을밧드러동쥬라일홈ᄒᆞ얏더니병오에서쥬나라졔ᄉᆞ밧들고임ᄌᆞ에졔후로더부러진나라침을ᄭᅬᄒᆞ니진이멸ᄒᆞ다 ᄌᆡ위칠년이라 右周起於己卯終於壬子凡三十八王共八百七十四年
{ "page": 57,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왕원년병슐에나라에나ᄋᆞ가다 ᄉᆞ십륙년을셔다 고공츄ᄂᆞᆫᄇᆡᆨ금의아ᄃᆞᆯ이라 ᄉᆞ년을셔다 양공희ᄂᆞᆫ츄의아이라 륙년을셔다 유공ᄌᆡᄂᆞᆫ희의아ᄃᆞᆯ이니 십ᄉᆞ년을셔다 아오비죽이다 위공비ᄂᆞᆫᄌᆡ의아이라 오십년을셔다 려공탁은비의아ᄃᆞᆯ이라 삼십칠년을셔다 헌공구ᄂᆞᆫ탁의아이라 삼십이년을셔다 진공비ᄂᆞᆫ구의아ᄃᆞᆯ이라 삼십년을셔다 목공오ᄂᆞᆫ비의아이라 십년을셔다 의공희ᄂᆞᆫ오의아ᄃᆞᆯ이니 구년을셔다 질ᄇᆡᆨ어죽이다 ᄇᆡᆨ어ᄂᆞᆫ오의 형말
{ "page": 6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의아ᄃᆞᆯ이니 십일년을셔다 쥬션왕이로를쳐죽이다 효공칭은희의아이라 이십칠년을셔다 혜공불항은칭의아ᄃᆞᆯ이니 십일년을서니비로소츈ᄎᆔ되다 아오윤이죽이다 환공윤은불항의아ᄃᆞᆯ이니 십팔년을서다 졔공ᄌᆞᄑᆡᆼᄉᆡᆼ죽인ᄇᆡ되다 쟝공동은윤의아ᄃᆞᆯ이라 삼십이년을셔다 민공계ᄂᆞᆫ동의아ᄃᆞᆯ이니 이년을셔다 경뵈죽이다 희공신은계의형이라 삼십삼년을셔다 문공흥은신의아들이라 십팔년을
{ "page": 6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셔다 션공왜ᄂᆞᆫ흥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셩공흑굉은왜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양공오ᄂᆞᆫ흑굉의아ᄃᆞᆯ이라 삼십일년을셔다 쇼공쥬ᄂᆞᆫ오의아ᄃᆞᆯ이라 삼십이년을셔다 뎡공송은오의아ᄃᆞᆯ이라 십오년을셔다 ᄋᆡ공챵은송의아ᄃᆞᆯ 이니십ᄉᆞ년경신에셔으로산양ᄒᆞ야긔린을어드니츈ᄎᆔᄆᆞᆺ다 쇼흘긔도이에맛다이십칠년을셔다 원공가ᄂᆞᆫ령의아ᄃᆞᆯ이 라 이십일년을셔다 목공현은가의아ᄃᆞᆯ이라 삼십삼년을셔다
{ "page": 6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공공분은현의아ᄃᆞᆯ이라 이십이년을셔다 강공둔은분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경공언은둔의아ᄃᆞᆯ이라 이십구년을셔다 평공슉은언의아ᄃᆞퟝ이라 이십이년을셔다 문공가ᄂᆞᆫ슉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경공슈ᄂᆞᆫ가의아ᄃᆞᆯ이니 이십ᄉᆞ년을셔다 동쥬군칠년임ᄌᆞ에최멸ᄒᆞ다 齊 姜姓侯爵治營邱後徙薄姑周武王元年己卯始封安王二十四年壬寅亡凡三十一世共七百四十四年 졔 강셩이오후쟉이니영구에다ᄉᆞ리고후에박고로옴다쥬무왕원년긔묘에비로
{ "page": 6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之弟 立十二五年 宣公積驁之子 立五十一年 康公貸積之子 立二十六年 壬寅卒無嗣姜氏遂絶祀 ᄐᆡ공려샹은ᄇᆡᆨ이의후손이니긔묘에비로소봉ᄒᆞ다 뎡공급은샹의아ᄃᆞᆯ이라 을공득은급의아ᄃᆞᆯ이라 계공ᄌᆞ모ᄂᆞᆫ득의 아ᄃᆞᆯ이라 ᄋᆡ공불신은ᄌᆞ모의아ᄃᆞᆯ이니긔휘이왕의게참소ᄒᆞ니왕이삼다 호공녕은불신의아이니박고에올마도읍ᄒᆞ 얏더니아오산이죽이다 헌공산은뎡의아이라 구년을셔다 무
{ "page": 6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공슈ᄂᆞᆫ산의아ᄃᆞᆯ이라 이십륙년을셔다 려공무긔ᄂᆞᆫ슈의아ᄃᆞᆯ이니 구년을셔다 호공뎡의아ᄃᆞᆯ이죽이다 문공적은무긔의아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셩공탈은적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쟝공구ᄂᆞᆫ탈의아ᄃᆞᆯ이라 륙십ᄉᆞ년을 셔다 희공ᄉᆞ보ᄂᆞᆫ구의아ᄃᆞᆯ이라 삼십삼년을셔다 양공졔아ᄂᆞᆫᄉᆞ보의아ᄃᆞᆯ이니 십이년을셔다 그아ᄅᆡᄉᆞ람의죽인ᄇᆡ 되다 환공쇼ᄇᆡᆨ은ᄉᆞ보의아ᄃᆞᆯ이니 ᄉᆞ십삼년을셔다 비로소ᄑᆡ졔후ᄒᆞ다 무제ᄂᆞᆫ쇼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션지
{ "page": 6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삼월에죽으니시희업다 효공쇼ᄂᆞᆫ쇼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쇼공반은쇼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샤ᄂᆞᆫ반의아ᄃᆞᆯ이라 선지슈월에죽임을보다 의공샹인은쇼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ᄉᆞ년을셔다 혜공원은쇼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경공무야ᄂᆞᆫ원의아ᄃᆞᆯ이라 십칠년을셔다 령공환은무야의아ᄃᆞᆯ이라 이십팔년을셔다 쟝공광은환의 아ᄃᆞᆯ이라 륙년을셔다 경공져구ᄂᆞᆫ환의아ᄃᆞᆯ이라 오십팔년을셔다 안유ᄌᆞ도ᄂᆞᆫ져구의아ᄃᆞᆯ이라 슈월을셔다 도공양ᄉᆡᆼ
{ "page": 7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은져구의아ᄃᆞᆯ이니 ᄉᆞ년을셔다 포ᄌᆡ죽이다 간공임은양ᄉᆡᆼ의아ᄃᆞᆯ이니 ᄉᆞ년을셔다 젼항이죽이다 평고오ᄂᆞᆫ임의아이라 이십오년을셔다 션공젹은오의아ᄃᆞᆯ이라 오십일년을셔다 강공ᄃᆡᄂᆞᆫ젹의아ᄃᆞᆯ이니 이십륙년을셔다 임인에졸ᄒᆞᄆᆡ아ᄃᆞᆯ이업사니강시드듸여졀ᄉᆞᄒᆞ다 陳 嬀姓侯爵治宛邱周武王元年己卯始封敬王四十二年癸亥椘滅之凡二十四世共六百四十五年 진 규셩이오휴쟉이니완구에다ᄉᆞ리다쥬무왕원년긔묘에비로소봉ᄒᆞ얏더니경
{ "page": 7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니무왕이맛ᄯᆞᆯᄐᆡ희로ᄡᅥ안ᄒᆡᄒᆞ고우졔ᄉᆞ를밧들게ᄒᆞ니삼각의ᄒᆞᆫ나이라긔묘에비로소봉ᄒᆞ다 삼각은세공경ᄒᆞᄂᆞᆫ 나라이니황뎨와요와슌의ᄌᆞ손이라 신공셔후ᄂᆞᆫ만의아ᄃᆞᆯ이라 샹공고양은셔후의아ᄃᆞᆯ이라 효공돌은셔후의아ᄃᆞᆯ이라 신공어융은돌의아ᄃᆞᆯ이라 유공령은어융의아ᄃᆞᆯ이라 삼십삼년을셔다 희공효ᄂᆞᆫ령의아ᄃᆞᆯ이라 삼십륙년을셔다 무공령은효의아ᄃᆞᆯ이라 십오년을셔다 이공열은령의아ᄃᆞᆯ이라 삼년을셔다 평공
{ "page": 7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셥은열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문공어ᄂᆞᆫ셥의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환공포ᄂᆞᆫ어의아ᄃᆞᆯ이라 삼십팔년을셔다 타ᄂᆞᆫ포의아ᄃᆞᆯ이니ᄐᆡ자면을죽이고섯더니ᄒᆡ넘지못ᄒᆞ야채나라ᄉᆞᄅᆞᆷ의죽인ᄇᆡ되다 려공탁은포의아ᄃᆞᆯ이라 칠년을셔다 쟝공림은포의아ᄃᆞᆯ이라 칠년을셔다 션공져구ᄂᆞᆫ포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오년을셔다 목공관은져구의 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공공삭은관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령공평국은삭의아ᄃᆞᆯ이니
{ "page": 7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십오년을셔다 하징셰죽이다 셩공오ᄂᆞᆫ평국의아ᄃᆞᆯ이라 삼십년을셔다 의공닉은오의아ᄃᆞᆯ이니 삼십오년을셔다 뎡묘에졸ᄒᆞ니이ᄒᆡ에초나라ᄉᆞᄅᆞᆷ이멸ᄒᆞ다 혜공오ᄂᆞᆫ오의손ᄌᆞ니진나라망ᄒᆞ얀지다ᄉᆞᆺᄒᆡ에회복ᄒᆞ다 이십팔년을셔다 회공류ᄂᆞᆫ오의아ᄃᆞᆯ이라 ᄉᆞ년을셔다 민공월은류의아ᄃᆞᆯ이니 이십ᄉᆞ년을셔다 계ᄒᆡ에초나라이드듸여멸ᄒᆞ다 曺 姬姓伯爵周武王元年己卯始封敬王三十三年甲寅宋滅之凡二十六世共六百三十
{ "page": 7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ᄒᆞ다 ᄐᆡᄇᆡᆨ비ᄂᆞᆫ진ᄐᆡᆨ의아ᄃᆞᆯ이라 즁군평은비의아ᄃᆞᆯ이라 궁ᄇᆡᆨ후ᄂᆞᆫ평의아ᄃᆞᆯ이라 효ᄇᆡᆨ운은후의아ᄃᆞᆯ이라 이ᄇᆡᆨ희ᄂᆞᆫ운의아ᄃᆞᆯ이라 삼십년을셔다 유ᄇᆡᆨ강은희의아ᄃᆞᆯ이니 구년을셔다 아오쇠죽이다 ᄃᆡᄇᆡᆨ소ᄂᆞᆫ강의아이라 삼십년을셔다 혜ᄇᆡᆨ시ᄂᆞᆫ소의아ᄃᆞᆯ이라 삼십륙년을셔다 셕보ᄂᆞᆫ시의아ᄃᆞᆯ이니아오뮈죽이다 목공무ᄂᆞᆫ셕보의아이라 삼년을셔다 환공종ᄉᆡᆼ은무의아ᄃᆞᆯ이라 이십오년을셔다 쟝공역고ᄂᆞᆫ종
{ "page": 7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ᄉᆡᆼ의아ᄃᆞᆯ이라 삼십일년을셔다 희공젹은역고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쇼공반은젹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공공양은반의아ᄃᆞᆯ이라 삼십오년을셔다 문공슈ᄂᆞᆫ양의아ᄃᆞᆯ이라 이십ᄉᆞ년을셔다 션공노ᄂᆞᆫ슈의아ᄃᆞᆯ이라 십칠년을셔다 셩공부츄ᄂᆞᆫ노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무공등은부츄의아ᄃᆞᆯ이라 이십칠년을셔다 평공슈ᄂᆞᆫ등의아ᄃᆞᆯ이라 ᄉᆞ년을셔다 도공오ᄂᆞᆫ슈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셩공야ᄂᆞᆫ오의아이니 오년을셔다 아오통이죽이다
{ "page": 8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뎡후ᄂᆞᆫᄋᆡ후의아ᄃᆞᆯ이라 삼십륙년을셔다 목후ᄂᆞᆫ뎡후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션후ᄂᆞᆫ목후의아ᄃᆞᆯ이라 심삽년을 셔다 환후ᄂᆞᆫ션후의아ᄃᆞᆯ이라 칠년을셔다 쟝공은환후의아ᄃᆞᆯ이라 삼십삼년을셔다 양공은쟝공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년 을셔다 환공 십륙년을셔다 션공 십오년을셔다 쇼공 십삼년을셔다 무공 십구년을셔다 문공 륙년을셔다 의공 ᄉᆞ년을셔다 혜공 십년을셔다 도공 칠년을셔다 공공 오년을셔다 평공 십구년을셔다 간공 십이년을셔다 헌공 이십팔년을셔다 효공
{ "page": 8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십오년을셔다 셩공 십이년을셔다 민공 삼십일년을셔다 희공 삼십년을셔다 환공 십일년을셔다 문공 이십구년을셔다 역왕은문공의아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왕쾌는역왕의아ᄃᆞᆯ이니선지삼년에그신하ᄌᆞ지의게 나라를ᄉᆞ양ᄒᆞ얏더니삼년에그나라이크게어즈러우니졔치ᄆᆡ쾌죽고ᄯᅩ이년에아ᄃᆞᆯ평이서다 쇼왕평은쾌의아ᄃᆞᆯ이라 삼십삼년을셔다 혜왕은쇼왕의아ᄃᆞᆯ이라 칠년을셔다 무셩왕 십ᄉᆞ년을셔다 효왕은무셩왕의아ᄃᆞᆯ이라 삼년을셔다 왕희
{ "page": 8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五年 元侯産之子 立六年 叔齊元侯之子 立四年 甲午椘滅之 채슉도ᄂᆞᆫ무왕의아이니긔묘에비로소봉ᄒᆞ얏더니셩왕ᄯᆡ에폐ᄒᆞ다 채즁호ᄂᆞᆫ도의아ᄃᆞᆯ이니셩왕ᄯᆡ에이어봉ᄒᆞ다 채ᄇᆡᆨ황은호의아들이라 궁후ᄂᆞᆫ황의아ᄃᆞᆯ이라 려후는궁후의아ᄃᆞᆯ이라 무후ᄂᆞᆫ려후의아ᄃᆞᆯ이라 이후ᄂᆞᆫ무후의아ᄃᆞᆯ이라 이십팔년을셔다 희후쇼ᄉᆞᄂᆞᆫ이후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팔년을셔다 공후
{ "page": 8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흥은쇼ᄉᆞ의아ᄃᆞᆯ이라 이년을셔다 대후ᄂᆞᆫ흥의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션공고보ᄂᆞᆫ대후의아ᄃᆞᆯ이라 삼십오년을셔다 환후봉인은고보의아ᄃᆞᆯ이라 이십년을셔다 ᄋᆡ후헌무ᄂᆞᆫ봉인의아ᄃᆞᆯ이라 이십년을셔다 목후힐은헌무의아ᄃᆞᆯ이라 이십구년을셔다 쟝후갑오ᄂᆞᆫ힐의아ᄃᆞᆯ이라 이십ᄉᆞ년을셔다 문공신은갑오의아ᄃᆞᆯ이라 이십년을셔다 경공고ᄂᆞᆫ신의아ᄃᆞᆯ이니 이십구년을셔다 아ᄃᆞᆯ반이죽이다 령후반은고의아ᄃᆞᆯ이니 십이년을셔다 쵸령왕이죽
{ "page": 8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이고멸ᄒᆞ다 평휴려ᄂᆞᆫ고의아ᄃᆞᆯ이니채멸ᄒᆞ얀지삼년에나라를회복ᄒᆞ다 구년을셔다 도후동국은반의손ᄌᆞ라 삼년을셔다 쇼후신은동국의아이니 이십구년을셔다 그대부의죽인ᄇᆡ되다 셩후삭은신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셩후샨은삭의아ᄃᆞᆯ이라 십오년을셔다 원후ᄂᆞᆫ샨의아ᄃᆞᆯ이라 륙년을셔다 슉졔ᄂᆞᆫ원후의아ᄃᆞᆯ이니 ᄉᆞ년을셔다 갑오에최멸ᄒᆞ다 衞姬姓侯爵周武王元年己卯始封秦二世元年壬辰廢凡三十九世共九百十四年
{ "page": 9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강슉봉은무왕의아이니긔묘에비로소봉ᄒᆞ다 강ᄇᆡᆨᄃᆡᄂᆞᆫ강슉의아ᄃᆞᆯ이라 고ᄇᆡᆨ은강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사ᄇᆡᆨ은고ᄇᆡᆨ의 아ᄃᆞᆯ이라 쳡ᄇᆡᆨ은ᄉᆞ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뎡ᄇᆡᆨ은쳡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졍ᄇᆡᆨ은뎡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경후ᄂᆞᆫ졍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희후ᄂᆞᆫ경후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이년을셔다 무공화ᄂᆞᆫ희후의아ᄃᆞᆯ이라 오십오년을셔다 쟝공양은화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환공완은양의아ᄃᆞᆯ이니 십륙년을셔다 셔졔
{ "page": 9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쥬위죽이라 션공진은완의아이라 십구년을셔다 혜공삭은진의아ᄃᆞᆯ이니션지ᄉᆞ년에나라ᄉᆞᄅᆞᆷ이검모를세우고ᄶᅩᆺᄎᆞ더니여ᄃᆞᆲᄒᆡ에나라를다시회복ᄒᆞ다 삼십일년을셔니실이이십삼년이라 검모ᄂᆞᆫ진의아ᄃᆞᆯ이니혜공을ᄶᅩᆺ고선지팔년에쥬나라로다라나다 의공적은삭의아ᄃᆞᆯ이니 구인을셔다 젹인이죽이다 대공갑은진의손ᄌᆞ요쇼ᄇᆡᆨ완의아ᄃᆞᆯ이라 일년을셔다 문공훼ᄂᆞᆫ갑의아이라 이십오년을셔다 셩공뎡은훼의아ᄃᆞᆯ
{ "page": 95,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이라 이십오년을셔다 목공쇽은뎡의아ᄃᆞᆯ이라 십일년을셔다 뎡공쟝은쇽의아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헌공산은쟝의아ᄃᆞᆯ이니션지십팔년에졔로다라낫더니십이년에나라를회복ᄒᆞ고ᄯᅩᄉᆞ년에졸ᄒᆞ다 삼십ᄉᆞ년을셔니실이이십이년이라 샹공표ᄂᆞᆫ간의아이니 간을ᄶᅩᆺ고션지팔년에영희의죽인ᄇᆡ되다 양공악은간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령공원은악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이년을셔다 츌공쳡은원의손ᄌᆞ요괴제의아ᄃᆞᆯ이니선지십이년
{ "page": 9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에나가도망ᄒᆞ얏다가ᄉᆞ년에다시드러와구년에졸ᄒᆞ다 이십오년을셔니실이이십일년이라 쟝공긔궤ᄂᆞᆫ원의아ᄃᆞᆯ이오쳡의아비니쳡을ᄶᅩᆺ고셧더니ᄉᆞ년에다라나다 도공검은원의아ᄃᆞᆯ이라 오년을셔다 경공불은검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쇼공규ᄂᆞᆫ불의아ᄃᆞᆯ이니 륙년을셔다 공ᄌᆞ미죽이다 회공미ᄂᆞᆫ 십년을셔다 공ᄌᆞ퇴죽이다 신공퇴ᄂᆞᆫ불의손ᄌᆞ라 ᄉᆞ십이년을셔다 셩공훈은퇴의아ᄃᆞᆯ이라 십일년을셔다 셩후속은훈의아ᄃᆞᆯ이
{ "page": 97,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라 이십구년을셔다 평후ᄂᆞᆫ속의아ᄃᆞᆯ이라 팔년을셔다 효양군은평후의아ᄃᆞᆯ이니비로소폄호ᄒᆞ야군이라ᄒᆞ다 ᄉᆞ십이년을셔다 회군은효양의아ᄃᆞᆯ이니 삼십일년을셔다 위나라이죽이다 원군은효양의아이라 이십오년을셔다 군각은원군의아ᄃᆞᆯ이니 이십일년을셔다 임진에진이셰폐ᄒᆞ다 宋 子姓公爵治商丘周成王元年始封赧王二十九年乙亥齊湣王滅之凡三十二世共三百八十年 송 ᄌᆞ셩이오공쟉이니샹구에다ᄉᆞ리다쥬셩왕원년병슐에비로소봉ᄒᆞ얏더니난왕이
{ "page": 9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成之弟僣稱王立四十七年乙亥齊滅之 미ᄌᆞ계ᄂᆞᆫ왕뎨을아ᄃᆞᆯ이니병슐에비로소봉ᄒᆞ다 미즁연은계의아이라 숑공계ᄂᆞᆫ연의아이라 뎡공신은계의아ᄃᆞᆯ이라 민공공은신의아ᄃᆞᆯ이라 양공희ᄂᆞᆫ공의아이니공ᄌᆞ뷔죽이다 려공부ᄂᆞᆫ공의아ᄃᆞᆯ이라 희공거ᄂᆞᆫ부의아ᄃᆞᆯ이라 이십팔년을셔다 혜공간은거의아ᄃᆞᆯ이라 삼십년을셔다 ᄋᆡ공은간의아ᄃᆞᆯ이라 일년을셔다 대공은ᄋᆡ공의아ᄃᆞᆯ이라 삼십ᄉᆞ년
{ "page": 10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을셔다 무공ᄉᆞ공은대공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션공력은ᄉᆞ공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목공화ᄂᆞᆫ력의아이라 구년을셔다 샹공여이ᄂᆞᆫ력의아ᄃᆞᆯ이니 십년을셔다 화보독이죽이다 쟝공즁은화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민공쳡은풍의아ᄃᆞᆯ이라 십일년을셔다 환공어열은쳡의아이라 삼십일년을셔다 양공ᄌᆞ보ᄂᆞᆫ어열의아달이라 십ᄉᆞ년을셔다 셩공왕신은ᄌᆞ보의아ᄃᆞᆯ이라 십칠년을셔다 쇼공져구ᄂᆞᆫ왕신의저근아들이라 구년을셔다 위
{ "page": 10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ᄇᆡᆨ이죽이다 문공포ᄂᆞᆫ저구의아이라 이십이년을셔다 공공고ᄂᆞᆫ포의아ᄃᆞᆯ이라 십삼년을셔다 평공셩은고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ᄉᆞ년을셔다 원공좌ᄂᆞᆫ셩의아ᄃᆞᆯ이라 십오년을셔다 경공두만은좌의아ᄃᆞᆯ이라 륙십ᄉᆞ년을셔다 쇼공득은죄의셔증손이라 ᄉᆞ십칠년을셔다 도공구유ᄂᆞᆫ득의아ᄃᆞᆯ이라 펼년을셔다 휴공젼은구유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벽공피병은젼의아ᄃᆞᆯ이라 삼년을셔다 쳑셩은피병의아ᄃᆞᆯ이니 ᄉᆞ십일년을셔다 아오언이엄습
{ "page": 10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아이라 웅거ᄂᆞᆫ웅양의아ᄃᆞᆯ이라 웅지홍은웅거의아ᄃᆞᆯ이니그아이죽이다 웅연은웅지홍의아이라 웅용은웅연의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웅엄은웅용의아이라 십년을셔다 웅샹은웅엄의아ᄃᆞᆯ이라 륙년을셔다 웅슌은웅샹의아이라 이십이년을셔다 웅악은웅슌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약오ᄂᆞᆫ웅악의아ᄃᆞᆯ이라 이십칠년을셔다 쇼오웅감은약오의아ᄃᆞᆯ이라 륙년을셔다 분모웅슌은웅감의아ᄃᆞᆯ이라 십칠년을셔다 무왕
{ "page": 10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웅통은웅슌의아이니참남이왕이라일컷다 오십칠년을셔다 문왕웅ᄌᆞᄂᆞᆫ웅통의아ᄃᆞᆯ이니비로소영에도읍ᄒᆞ다 심삽년을셔다 도오융간은웅ᄌᆞ의아ᄃᆞᆯ이니 오년을셔다 웅군이죽이다 셩왕웅군은웅간의아이니 ᄉᆞ십칠년을셔다 아ᄃᆞᆯ샹신이죽이다 목왕웅신은웅군의아ᄃᆞᆯ이라 십삼년을셔다 쟝왕려ᄂᆞᆫ샹신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공왕심은려의아ᄃᆞᆯ이라 삼십일년을셔다 강왕쵸ᄂᆞᆫ심의아ᄃᆞᆯ이라 십오년을셔다 셤오미ᄂᆞᆫ쵸의아
{ "page": 10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ᄃᆞᆯ이니 ᄉᆞ년을셔다 아오위죽이다 령왕위ᄂᆞᆫ미의아이니 십이년을셔다 ᄌᆞᄋᆡᆨᄒᆞ다 평왕웅거ᄂᆞᆫ쵸의아ᄃᆞᆯ이라 십삼년을셔다 쇼왕진은웅거의아ᄃᆞᆯ이라 이십칠년을셔다 혜왕쟝은진의아ᄃᆞᆯ이라 오십칠년을셔다 간왕즁은쟝의아ᄃᆞᆯ이라 이십ᄉᆞ년을셔다 셩왕당은즁의아ᄃᆞᆯ이니 륙년을셔다 됴젹이죽이다 도왕웅의ᄂᆞᆫ당의아ᄃᆞᆯ이라 이십일년을셔다 슉왕쟝은웅의아ᄃᆞᆯ이라 십일년을셔다 션왕웅냥부ᄂᆞᆫ쟝의아이라 삼십년을셔다 위왕웅샹은
{ "page": 11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웅냥부의아ᄃᆞᆯ이라 십일년을셔다 회왕웅괴ᄂᆞᆫ웅샹의아ᄃᆞᆯ이니 삼십년을셔다 진나라에드러가시러곰도라오지못ᄒᆞ다 경양왕횡은웅괴의아ᄃᆞᆯ이라 삼십륙년을셔다 고렬왕웅원은횡의아ᄃᆞᆯ이라 이십오년을셔다 유왕한은웅원의아ᄃᆞᆯ이라 구년을셔다 ᄋᆡ왕유ᄂᆞᆫ한의아ᄃᆞᆯ이니 두달을셔다 얼형부취죽이다 부츄ᄂᆞᆫ웅원의아ᄃᆞᆯ이니 오년을셔다 무인에진나라장수왕젼의게잡히인ᄇᆡ되다
{ "page": 11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은셥의아ᄃᆞᆯ이라 셩후복인은령족의아ᄃᆞᆯ이라 려후복은복인의아ᄃᆞᆯ이라 뎡후의구ᄂᆞᆫ복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희후ᄉᆞ도ᄂᆞᆫ의구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헌후적은ᄉᆞ도의아ᄃᆞᆯ이라 십일년을셔다 목투비왕은적의아ᄃᆞᆯ이라 이십칠년을셔다 샹슉은비왕의아이라 ᄉᆞ년을셔다 목후구ᄂᆞᆫ비왕의아ᄃᆞᆯ이라 삼십오년을셔다 쇼후ᄇᆡᆨ은구의아ᄃᆞᆯ이라비로소문후의아오셩ᄉᆞ를곡옥에봉ᄒᆞ니이곡옥환슉이되다 칠년을셔다
{ "page": 11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칭의아ᄃᆞᆯ이라 이십륙년을셔다 ᄒᆡ졔ᄂᆞᆫ제궈의아ᄃᆞᆯ이라 탁ᄌᆞᄂᆞᆫ제궈의아ᄃᆞᆯ이니달이넘지못ᄒᆞ야슉식이아오로죽이다혜공이오ᄂᆞᆫ제궈의아ᄃᆞᆯ이라 십ᄉᆞ년을셔다 회공어ᄂᆞᆫ이오의아ᄃᆞᆯ이라 일년을셔다 문공즁이ᄂᆞᆫ제궈의아ᄃᆞᆯ이니 구년을셔다 비로소ᄑᆡ졔후ᄒᆞ다 양공환은즁이의아ᄃᆞᆯ이라 칠년을셔다 령공이고ᄂᆞᆫ환의아ᄃᆞᆯ이니 십ᄉᆞ년을셔다 죠돈이죽이다 셩공흑둔은즁이의아ᄃᆞᆯ이라 칠년을셔다 경공거ᄂᆞᆫ흑둔의아ᄃᆞᆯ
{ "page": 11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이라 십구년을셔다 려공슈만은거의아ᄃᆞᆯ이니 팔년을셔다 난셔와슌언이죽이다 도공쥬ᄂᆞᆫ환의증손이라 십오년을셔다 평공표ᄂᆞᆫ쥬의아ᄃᆞᆯ이라 이십륙년을셔다 쇼공이ᄂᆞᆫ표의아ᄃᆞᆯ이라 륙년을셔다 경공거질은이의아ᄃᆞᆯ이라 십ᄉᆞ년을셔다 뎡고오ᄂᆞᆫ거질의아ᄃᆞᆯ이라 삼십칠년을셔다 츌공착은오의아ᄃᆞᆯ이니 십칠년을셔다 지시와한시와위시와죠시네경 공경이라 이치ᄆᆡ제로다라나다 ᄋᆡ공교ᄂᆞᆫ이의증손이라 십팔년을셔다 유공류ᄂᆞᆫ교의
{ "page": 119,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아ᄃᆞᆯ이니 십팔년을셔다 도젹이죽이다 렬공지ᄂᆞᆫ류의아ᄃᆞᆯ이니 이십칠년을셔다 쥬위렬왕이비로소한시와위시와죠시를명ᄒᆞ야졔후를삼다 효공흔은지의아ᄃᆞᆯ이라 십칠년을셔다 뎡공구쥬ᄂᆞᆫ흔의아ᄃᆞᆯ이니 이년을셔다 을ᄉᆞ에위무후와한ᄋᆡ후와죠경휘폐ᄒᆞ야집ᄉᆞᄅᆞᆷ을삼고ᄒᆞᆫ가지로그ᄯᅡ흘난호다 秦 嬴姓伯爵治咸陽周孝王十三年甲子始封非子為附庸平王元年辛未始命襄公為諸侯東周君壬子莊襄王滅周始皇帝庚辰并天下稱皇帝自非子甲子至始皇己卯凡三十六
{ "page": 120,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年 始皇政見下 비ᄌᆞᄂᆞᆫᄇᆡᆨ예의후손이오대락의아ᄃᆞᆯ이 쥬효왕갑ᄌᆞ에비로소봉ᄒᆞ야부용을삼다 큰나라에부친고로부용이라ᄒᆞ다 진후ᄂᆞᆫ비ᄌᆞ의아ᄃᆞᆯ이라 십년을셔다 공ᄇᆡᆨ은진후의아ᄃᆞᆯ이라 삼년을셔다 진즁은공ᄇᆡᆨ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셔융의게죽다 쟝공은진즁의쟝ᄌᆞ라 ᄉᆞ십ᄉᆞ년을셔다 양공은진즁의ᄎᆞᄌᆞ니군ᄉᆞ를거느려쥬졍왕을보ᄂᆡ엿더니그공으로졔후를올니다 이년을셔다
{ "page": 124,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강공영은임호의아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공공도ᄂᆞᆫ영의아ᄃᆞᆯ이라 오년을셔다 환공영은도의아ᄃᆞᆯ이라 이십칠년을셔다 경공은영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년을셔다 ᄋᆡ공은경공의아ᄃᆞᆯ이라 삼십륙년을셔다 혜공은ᄋᆡ공의손ᄌᆞ라 십년을셔다 도공은혜공의아ᄃᆞᆯ이라 십ᄉᆞ년을셔다 죠공은려공공의아ᄃᆞᆯ이라 십ᄉᆞ년을셔다 회공은죠공의아이니 ᄉᆞ년을셔다 셔장죄에위니스ᄉᆞ로죽다 령공은회공의손
{ "page": 12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ᄌᆞ라 심삽년을셔다 간공은회공의아ᄃᆞᆯ이오령공의계부라 십륙년을셔다 혜공은간공의아ᄃᆞᆯ이라 십삼년을셔다 츌ᄌᆞᄂᆞᆫ혜공의아ᄃᆞᆯ이라 선지이년에폐ᄒᆞ다 헌공은평공의아ᄃᆞᆯ이니 이십ᄉᆞ년을셔다 샹앙의계교를ᄡᅥ진이비로소강ᄒᆞ다 혜문군ᄉᆞᄂᆞᆫ거량의아ᄃᆞᆯ이니십사년으로ᄡᅥ후원년이라ᄒᆞ고비로소왕이라일컷다 이십칠년을셔다 무왕탕은ᄉᆞ의아ᄃᆞᆯ이라 ᄉᆞ년을셔다 쇼양왕직은탕의아
{ "page": 127,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이라 오십륙년을셔다 효문왕쥬ᄂᆞᆫ직의아ᄃᆞᆯ이라 일년을셔다 쟝양왕쵸ᄂᆞᆫ쥬의아ᄃᆞᆯ이라 ᄉᆞ년을셔다 시황졍은아뤼뵈다 鄭 姬姓伯爵周宣王二十二年乙未始封初治雍州之鄭縣後徙豫州之新鄭烈王元年丙午韓殺之凡二十三世共四百三十年 뎡 희셩이오ᄇᆡᆨ작이니쥬션왕이십이년을미에비로소봉ᄒᆞ야쳐음에옹쥬와뎡고을을다ᄉᆞ리더니후에예주와신뎡으로옴고렬왕원년병오에한이멸ᄒᆞ다물읫이십삼ᄃᆡ에공ᄉᆞᄇᆡᆨᄉᆞ십년이라 桓公友厲王之子乙未始封為諸侯 立三十六年 武
{ "page": 12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ᄃᆞᆯ이라 ᄉᆞ십삼년을셔다 쇼공홀은오ᄉᆡᆼ의아ᄃᆞᆯ이니션지오ᄅᆡ지아니ᄒᆞ야위로다라낫다가ᄉᆞ년에회복ᄒᆞ얏더니이년에고거미죽이다 ᄌᆞ미ᄂᆞᆫ오ᄉᆡᆼ의아ᄃᆞᆯ이니션지ᄒᆡ넘지못ᄒᆞ야졔인이죽이다 ᄌᆞ의ᄂᆞᆫ오ᄉᆡᆼ의아ᄃᆞᆯ이니 십ᄉᆞ년을셔다 부ᄒᆡ죽이다 려공돌은오ᄉᆡᆼ의아ᄃᆞᆯ이니션지오ᄅᆡ지못ᄒᆞ야다라낫더니이십일년에다시드러오다 팔년을셔다 문공쳡은돌의아ᄃᆞᆯ이라 ᄉᆞ십오년을셔다 목공란은쳡의아ᄃᆞᆯ이라 이십
{ "page": 13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이년으ퟝ셔다 령공이ᄂᆞᆫ란의아ᄃᆞᆯ이니 일년을셔다 ᄌᆞ공이죽이다 양공견은이의아이라 십팔년을셔다 도공비ᄂᆞᆫ견의아ᄃᆞᆯ이라 이년을셔다 셩공륜은비의아이라 십ᄉᆞ년을셔다 희공곤완은륜의아ᄃᆞᆯ이니 오년을셔다 ᄌᆞ서죽이다 간공가ᄂᆞᆫ곤완의아ᄃᆞᆯ이라 삼십륙년을셔다 뎡공령은가의아ᄃᆞᆯ이라 십팔년을셔다 헌공ᄎᆡᄂᆞᆫ령의아ᄃᆞᆯ이라 십삼년을셔다 셩공승은ᄎᆡ의아ᄃᆞᆯ이라 삼십칠년을셔다 ᄋᆡ공역은승의아ᄃᆞᆯ이니 팔년을셔다 혼인 내관이라 이죽
{ "page": 13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이라 공공츅은승의아이라 삼십년을셔다 유공긔ᄂᆞᆫ츅의아ᄃᆞᆯ이니션지ᄒᆡ넘지못ᄒᆞ야한나라ᄉᆞᄅᆞᆷ이뎡을쳐죽이다 유공ᄐᆡᄂᆞᆫ긔의아이니 이십칠년을셔다 ᄌᆞ양의물의죽이다 군을은긔의아이니 이십일년을셔다 병오에한이멸ᄒᆞ다 附 戰國七雄 부 젼국칠웅 咸陽秦王 見春秋紀 함양진왕 츈츄긔에뵈다
{ "page": 133,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쇼후무ᄂᆞᆫ의후의아ᄃᆞᆯ이라 이십륙년을셔다 션혜왕은무의아ᄃᆞᆯ이니비로소왕을일컷다 이십일년을셔다 양왕챵은선혜왕의아ᄃᆞᆯ이라 십륙년을셔다 희왕구ᄂᆞᆫ챵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환혜왕은구의아ᄃᆞᆯ이라 삼십ᄉᆞ년을셔다 왕안은환혜왕의아ᄃᆞᆯ이니 구년을셔다 신미에진이멸ᄒᆞ다 大梁魏王本姬姓畢公之後畢萬任晉食於魏因以為氏畢萬之後世為晉卿周威烈王二十三年戊寅始命魏斯為諸侯秦始皇二十三年丙子滅之凡八君共百七十九年
{ "page": 136,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丙子秦滅之 문후위ᄉᆞᄂᆞᆫ만의구셰손이니무인에비로소졔휘되다 십칠년을셔다 무후격은ᄉᆞ의아ᄃᆞᆯ이라 십륙년을셔다 혜왕영은격의아ᄃᆞᆯ이니비로소왕을일컷다 삼십륙년을셔다 양왕ᄉᆞᄂᆞᆫ영의아ᄃᆞᆯ이라 십륙년을셔다 ᄋᆡ왕은ᄉᆞ의아ᄃᆞᆯ이라 이십삼년을셔다 쇼왕속은ᄋᆡ왕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안희왕어ᄂᆞᆫ속의아ᄃᆞᆯ이라 삼십ᄉᆞ년을셔다 경민왕증은어의아ᄃᆞᆯ이라 십오년을셔다 왕가ᄂᆞᆫ증의아ᄃᆞᆯ이
{ "page": 138,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之弟 立六年 乙卯秦滅之 렬후조젹은슉의십셰손이니무인에비로소졔휘되다 ᄉᆞ년을셔다 무후ᄂᆞᆫ젹의아이라 십삼년을셔다 경후쟝은젹의아ᄃᆞᆯ이라 십이년을셔다 셩후죵은쟝의아ᄃᆞᆯ이라 이십오년을셔다 슉후어ᄂᆞᆫ종의아ᄃᆞᆯ이라 이십ᄉᆞ년을셔다 무령왕옹은어의아ᄃᆞᆯ이니비로소왕을일컷고호복ᄒᆞ다 이십칠년을셔다 쥬려샤구에죽다 혜문왕하ᄂᆞᆫ옹의아ᄃᆞᆯ이라 이십일년을셔다 도양왕언은하의아ᄃᆞᆯ이
{ "page": 141,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라 구년을셔다 유목왕쳔은언의아ᄃᆞᆯ이니 칠년을셔다 계유에진이멸ᄒᆞ다 ᄃᆡ왕가ᄂᆞᆫ언의아이니 륙년을셔다 긔묘에진이멸ᄒᆞ다 營丘齊王 本嬀姓陳公子完奔齊邑於田爲田氏自陳完任於齊世為齊卿周安王十六年乙未始命田和爲諸侯秦始皇二十六年庚辰滅之凡七君共百六十六年 영구졔왕근본규셩이니진공ᄌᆞ완이졔에다라나젼ᄯᅡ에고을ᄒᆞᄆᆡ젼으로셩시를삼고진완으로부터졔에벼슬ᄒᆞ야ᄃᆡ로졔나라공경이되엿더니쥬안왕십륙년을미에비로소젼화를명ᄒᆞ야졔후를삼고진시황이십륙년경진에멸ᄒᆞ다물읫일곱인군에공ᄇᆡᆨ륙십륙년이라
{ "page": 142, "year": null }
만보전서언해 권2
{{만보전서언해 색인}}
{ "accessed_at": "2024-07-04 22:10:19.046437", "original_source": { "author": "고려대학교", "source": "https://library.korea.ac.kr/detail/?cid=CAT000000755039"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8C%EB%B3%B4%EC%A0%84%EC%84%9C%EC%96%B8%ED%95%B4+%EA%B6%8C2.djvu&oldid=328876" }
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민왕디ᄂᆞᆫ벽강의아ᄃᆞᆯ이니 ᄉᆞ십년을셔다 요치죽이다 양왕법쟝은디의아ᄃᆞᆯ이라 십구년을셔다 왕건은법쟝의아ᄃᆞᆯ이니 ᄉᆞ십ᄉᆞ년을셔다 경진에진이멸ᄒᆞ다
{ "page": 144,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孟ᄆᆡᆼ子ᄌᆞ諺언解ᄒᆡ 卷권之지一일 :梁량惠혜王왕上샹 孟ᄆᆡᆼ子ᄌᆞᅵ 見견梁량惠혜王왕ᄒᆞ신대 :孟ᄆᆡᆼ子ᄌᆞᅵ 梁량惠혜王왕을 보신대 王왕曰왈叟수ᅵ 不블遠원千쳔里리而ᅀᅵ來ᄅᆡᄒᆞ시니 亦역將쟝有유以이利리吾오國국乎호ᅵ잇가 :王왕이 ᄀᆞᆯᄋᆞ샤ᄃᆡ 叟수ᅵ 千쳔里리ᄅᆞᆯ 멀리 아니 너겨 오시니 ᄯᅩᄒᆞᆫ 쟝ᄎᆞᆺ ᄡᅥ 내 國국을 利리케 흠이 이시리잇가
{ "page": 5,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孟ᄆᆡᆼ子ᄌᆞᅵ 對ᄃᆡ曰왈王왕ᄋᆞᆫ 何하必필曰왈利리잇고 亦역有유仁ᅀᅵᆫ義의而ᅀᅵ已이矣의니이다 :孟ᄆᆡᆼ子ᄌᆞᅵ 對ᄃᆡᄒᆞ야 ᄀᆞᆯᄋᆞ샤ᄃᆡ 王왕은 엇디 반ᄃᆞ시 利리ᄅᆞᆯ 니ᄅᆞ시ᄂᆞ니잇고 ᄯᅩᄒᆞᆫ 仁ᅀᅵᆫ義의ᅵ 이실 ᄯᆞᄅᆞᆷ이니이다 王왕曰왈何하以이利리吾오國국고 ᄒᆞ시면 大대夫부ᅵ 曰왈何하以이이利리吾오家가오 ᄒᆞ며 士ᄉᆞ庶셔人ᅀᅵᆫᅵ 曰왈何하以이利리吾오身신신고 ᄒᆞ야 上샹下하ᅵ 交교征졍利리면 而ᅀᅵ國국이 危위矣의리이다 萬만乘승之지國국애 弑시其기君군者
{ "page": 6,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쟈ᄂᆞᆫ 必필千쳔乘승之지家가ᅵ오 千쳔乘승之지國국애 弑시其기君군者쟈ᄂᆞᆫ 必필百ᄇᆡᆨ乘승之지家가ᅵ니 萬만取ᄎᆔ千쳔焉언ᄒᆞ며 千쳔取ᄎᆔ百ᄇᆡᆨ焉언이 不블爲위不블多다矣의언마ᄂᆞᆫ 苟구爲위後후義의而이先션利리면 不블奪탈ᄒᆞ야ᄂᆞᆫ 不블饜염이니이다 :王왕이 ᄀᆞᆯᄋᆞ샤ᄃᆡ 엇디 ᄡᅥ 내 國국을 利리케 ᄒᆞ려뇨 ᄒᆞ시면 태우ᅵ ᄀᆞᆯ오ᄃᆡ 엇디 ᄡᅥ 내 家가를 利리케 ᄒᆞ려뇨 ᄒᆞ며 士ᄉᆞ와 庶셔人ᅀᅵᆫ이 ᄀᆞᆯ오ᄃᆡ 엇디 ᄡᅥ 내 身신을 利리케 ᄒᆞ려뇨 ᄒᆞ야 上샹
{ "page": 7,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下하ᅵ 설ᄋᆞ 利리ᄅᆞᆯ 征졍ᄒᆞ면 國국이 危위ᄒᆞ리이다 萬만乘승ᄉ國국에 그 君군을 弑시ᄒᆞᄂᆞᆫ 者쟈ᄂᆞᆫ 반ᄃᆞ시 千쳔乘승ᄉ家가ᅵ오 千쳔乘승ᄉ國국애 君군을 弑시ᄒᆞᄂᆞᆫ 者쟈ᄂᆞᆫ 반ᄃᆞ시 百ᄇᆡᆨ乘승ᄉ家가ᅵ니 萬만에 千쳔을 取ᄎᆔᄒᆞ며 千쳔에 百ᄇᆡᆨ을 取ᄎᆔ홈이 하디 아니 홈이 아니언마ᄂᆞᆫ 진실로 義의ᄅᆞᆯ 後후ᄒᆞ고 利리ᄅᆞᆯ 先션ᄒᆞ면 奪탈티 아니ᄒᆞ야ᄂᆞᆫ 饜염티 아니ᄒᆞᄂᆞ니이다 未미有유仁ᅀᅵᆫ而ᅀᅵ遺유其기親친者쟈也야ᅵ며
{ "page": 8,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立립於어沼쇼上샹이러시니 顧고鴻홍雁안麋미鹿록曰왈賢현者쟈도 亦역樂락此ᄎᆞ乎호ᅵ잇가 :孟ᄆᆡᆼ子ᄌᆞᅵ 梁량惠혜王왕을 보신대 王왕이 沼쇼上샹에 立립ᄒᆞ얏더시니 鴻홍雁안과 麋미鹿록을 顧고ᄒᆞ고 ᄀᆞᆯᄋᆞ샤ᄃᆡ 賢현者쟈도 ᄯᅩᄒᆞᆫ 이를 樂락ᄒᆞᄂᆞ니잇가 孟ᄆᆡᆼ子ᄌᆞᅵ 對ᄃᆡ曰왈賢현者쟈而ᅀᅵ後후에 樂락此ᄎᆞᅵ니 不블賢현者쟈ᄂᆞᆫ 雖슈有유此ᄎᆞᅵ나 不블樂락也야ᅵ니다 :孟ᄆᆡᆼ子ᄌᆞᅵ 對ᄃᆡᄒᆞ야 ᄀᆞᆯᄋᆞ샤ᄃᆡ 賢현者쟈ᅟᅵᆫ
{ "page": 10,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後후에 이ᄅᆞᆯ 樂락ᄒᆞᄂᆞ니 賢현티 몯ᄒᆞᆫ 者쟈ᄂᆞᆫ 비록 이ᄅᆞᆯ 두나 樂락디 몯ᄒᆞᄂᆞ니이다 詩시云운經경始시靈령臺ᄃᆡᄒᆞ야 經경之지營영之지ᄒᆞ시니 庶셔民민攻공之지라 不블日일成셩之지로다 經경始시勿믈亟극ᄒᆞ시니 庶셔民민子ᄌᆞ來ᄅᆡ로다 王왕在ᄌᆡ靈령囿유ᄒᆞ시니 麀우鹿록攸유伏복이로다 麀우鹿록濯탁濯탁이어ᄂᆞᆯ 白ᄇᆡᆨ鳥됴鶴학鶴학이로다 王왕在ᄌᆡ靈령沼쇼ᄒᆞ시니 於오牣ᅀᅵᆫ魚어躍약이라 ᄒᆞ니 文문王왕이 以이民민力력爲위臺ᄃᆡ爲위沼쇼ᄒᆞ시나 而ᅀᅵ民민이 歡환樂락之지
{ "page": 11,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ᄒᆞ야 謂위其기臺ᄃᆡ曰왈靈령臺ᄃᆡ라 ᄒᆞ고 謂위其기沼쇼曰왈靈령沼쇼ᅵ라 ᄒᆞ야 樂락其기有유麋미鹿록魚어鼈별ᄒᆞ니 古고之지人ᅀᅵᆫ이 與여民민偕ᄒᆡ樂락故고로 能능樂락也야ᅵ니이다 :詩시예 닐오ᄃᆡ 靈령臺ᄃᆡᄅᆞᆯ 經경ᄒᆞ야 始시ᄒᆞ야 經경ᄒᆞ며 營영ᄒᆞ시니 庶셔民민이 功공ᄒᆞ논디라 日일이 몯ᄒᆞ야셔 成셩ᄒᆞ놋다 經경ᄒᆞ야 始시홈을 亟극디 말라 ᄒᆞ시나 庶셔民민이 子ᄌᆞᅵ 來ᄅᆡᄐᆞᆺᄒᆞ놋다 王왕이 靈령囿유에 겨시니 麀우鹿록의 伏복ᄒᆞ얀ᄂᆞᆫ 배로다 麀우鹿
{ "page": 12,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록은 濯탁濯탁ᄒᆞ거ᄂᆞᆯ 白ᄇᆡᆨ鳥됴ᄂᆞᆫ 鶴학鶴학ᄒᆞ도다 王왕이 靈령沼쇼에 겨시니 於오ᅵ라 牣ᅀᅵᆫᄒᆞ야 魚어ᅵ 躍약ᄒᆞᆫ다 ᄒᆞ니 文문王왕이 民민力력으로ᄡᅥ 臺ᄃᆡᄅᆞᆯ ᄒᆞ시며 沼쇼ᄅᆞᆯ ᄒᆞ시나 民민이 歡환樂락ᄒᆞ야 그 臺ᄃᆡᄅᆞᆯ 닐어 ᄀᆞᆯ오ᄃᆡ 靈령臺ᄃᆡ라 ᄒᆞ고 그 沼쇼ᄅᆞᆯ 닐어 ᄀᆞᆯ오ᄃᆡ 靈령沼쇼ᅵ라 ᄒᆞ야 그 麋미鹿록과 魚어鼈별이 이숌을 樂락ᄒᆞ니 넷 사ᄅᆞᆷ이 民민으로 더블어 ᄒᆞᆷᄭᅴ 樂락ᄒᆞᆫ 故고로 能능히 樂락ᄒᆞ니이다 湯탕誓셔애 曰왈時시日일ᄋᆞᆫ 害갈喪상고 予여
{ "page": 13,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凶흉則즉移이其기民민於어河하東동ᄒᆞ며 移이其기粟속於어河하內ᄂᆡᄒᆞ고 河하東동이 凶흉커든 亦역然ᅀᅧᆫᄒᆞ노니 察찰隣린國국之지政졍혼ᄃᆡᆫ 無무如여寡과人ᅀᅵᆫ之지用용心심者쟈ᅵ로ᄃᆡ 隣린國국之지民민이 不블加가少쇼ᄒᆞ며 寡과人ᅀᅵᆫ之지民민이 不블加가多다ᄂᆞᆫ 何하也야잇고 :梁량惠혜王왕이 ᄀᆞᆯᄋᆞ샤ᄃᆡ 寡과人ᅀᅵᆫ이 國국에 心심을 盡진ᄒᆞ노니 河하內ᄂᆡᅵ 凶흉ᄒᆞᆫ 則즉 그 民민을 河하東동에 移이ᄒᆞ며 그 粟속을 河하內ᄂᆡ예 移이ᄒᆞ고 河하東동이 凶흉커든
{ "page": 15,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ᄯᅩ그리ᄒᆞ노니鄰린國국의政졍을察찰혼ᄃᆡᆫ 寡과人ᅀᅵᆫ의心심을用용홈ᄀᆞᄐᆞᆫ者쟈ᅵ업소 ᄃᆡ鄰린國국의民민이더젹디아니ᄒᆞ며寡과 人ᅀᅵᆫ의民민이더하디아니홈은엇디니잇고 孟ᄆᆡᆼ子ᄌᆞ(ᅵ)對ᄃᆡ曰왈王왕(이)好호戰젼(ᄒᆞ실/ᄉᆡ)請 쳥以이戰젼喻유(호리/이다)填뎐然ᅀᅧᆫ鼓고之지(ᄒᆞ/야)兵 병刃ᅀᅵᆫ旣긔接졉(이어/든)棄기甲갑曵예兵병而ᅀᅵ 走주(호/ᄃᆡ)或혹百ᄇᆡᆨ步보而ᅀᅵ後후(에)止지(ᄒᆞ/며)或혹 五오十십步보而ᅀᅵ後후(에)止지(ᄒᆞ/야)以이五오十 십步보(로)笑쇼百ᄇᆡᆨ步보則즉何하如여(ᄒᆞ니/잇고)曰
{ "page": 16,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왈不블可가(ᄒᆞ/니)直딕不블百ᄇᆡᆨ步보耳이(언/뎡)是시 亦역走주也야(ᅵ니/이다)曰왈王왕如여知디此ᄎᆞ則 즉無무望망民민之지多다於어鄰린國국也야 (ᄒᆞ쇼/셔) 孟ᄆᆡᆼ子ᄌᆞᅵ對ᄃᆡᄒᆞ야ᄀᆞᆯᄋᆞ샤ᄃᆡ王왕이戰젼 을好호ᄒᆞ실ᄊᆡ請쳥컨댄戰젼으로ᄡᅥ喻유호 리이다填뎐然ᅀᅧᆫ이鼓고ᄒᆞ야兵병刃ᅀᅵᆫ이이 믜接졉ᄒᆞ얏거든甲갑을棄기ᄒᆞ며兵병을曵 예ᄒᆞ고走주호ᄃᆡ或혹百ᄇᆡᆨ步보ᅟᅵᆫ後후에止 지ᄒᆞ며或혹五오十십步보ᅟᅵᆫ後후에止지ᄒᆞ
{ "page": 17,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야五오十십步보로ᄡᅥ百ᄇᆡᆨ步보를笑쇼ᄒᆞᆫ則 즉엇더ᄒᆞ니잇고ᄀᆞᆯᄋᆞ샤ᅣᄃᆡ可가티아니ᅵᄒᆞ니 다ᄆᆞᆫ百ᄇᆡᆨ步보ᅵ아닐ᄲᅮᆫ이언뎡이ᄯᅩᄒᆞᆫ走주 홈이니이다ᄀᆞᆯᄋᆞ샤ᅣᄃᆡ王왕이만일이ᄅᆞᆯ알ᄋᆞ 신則즉民민이鄰린國국에하믈ᄇᆞ라디말ᄋᆞ 쇼셔 不블違위農농時시(면)穀곡不블可가勝승食식 也야(ᅵ/며)數촉罟고(를)不블入입洿오池디(면)魚어 鼈별를不블可가勝승食식也야(ᅵ/며)斧부斤근(을) 以이時시入ᅀᅵᆸ山산林림(이/면)材ᄌᆡ木목(을)不블可
{ "page": 18, "year": null }
맹자언해 권1-2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1:08.120599",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096"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7%B9%EC%9E%90%EC%96%B8%ED%95%B4+%EA%B6%8C1-2.djvu&oldid=328919" }
가勝승用용也야(ᅵ/니)穀곡與여魚어鼈별(을)不블 可가勝승食식(ᄒᆞ/며)材ᄌᆡ木목(을)不블可가勝승用 용(이/면)是시(ᄂᆞᆫ)使ᄉᆞ民민養양生ᄉᆡᆼ喪상死ᄉᆞ(애)無 무憾감也야(ᅵ/니)養양生ᄉᆡᆼ喪상死ᄉᆞ(애)無무憾감 (이)王왕道도之지始시也야(ᅵ니/이다) 農농時시ᄅᆞᆯ違위티아니ᄒᆞ면穀곡을可가히 이긔여食식디몯ᄒᆞ며數촉罟고ᄅᆞᆯ洿오池디 예入ᅀᅵᆸ디아니ᄒᆞ면魚어鼈별을可가히이긔 여食식디몯ᄒᆞ며斧부斤근을時시로ᄡᅥ山산 林림에入ᅀᅵᆸᄒᆞ면材ᄌᆡ木목을可가히이긔여
{ "page": 19, "year": nu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