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tence
stringlengths 11
1.42k
| label
int64 0
1
| location
sequence |
---|---|---|
'돌려 갈기'는 포장의 주변을 따라 돌면서 밭갈이를 하는 방법.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아 들어가는 방법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아 나가는 방법이 있다를 뜻한다 | 1 | [
1,
6
] |
'대과곡'은 악업을 끊고 선업을 닦아 선도(善道)에 들어가는 일을 뜻한다 | 0 | [
1,
4
] |
'고온 폐수'는 ‘짯짯하다’의 어근을 뜻한다 | 0 | [
1,
6
] |
'핏디'는 봄에 고사리가 돋을 무렵에 지는 장마를 뜻한다 | 0 | [
1,
3
] |
'보께다'는 행위를 수행하는 사람. 혹은 행동의 주체를 뜻한다 | 0 | [
1,
4
] |
'트렁크'는 통나무를 가로 잘라 만든 둥근 칼도마를 뜻한다 | 0 | [
1,
4
] |
'제물에 녹장이 난다'는 자기 스스로 맥을 잃거나 지쳐서 다시는 회복할 수 없게 됨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제물에 물러 떨어진다’을 뜻한다 | 1 | [
1,
11
] |
'유백'은 젖의 빛깔과 같이 불투명한 흰색을 뜻한다 | 1 | [
1,
3
] |
'왜소하다'는 대자보, 인터넷 따위의 ‘작은 미디어’를 활용해 특정 집단의 이익을 변론하는 공간으로서 사회 운동 집단이나 주변화된 소외 집단이 지배 권력에 대항하는 공론장 영역을 뜻한다 | 0 | [
1,
5
] |
'운반비'는 땅을 촉촉하게 하다<DR /> 제주 지역에서는 ‘늘루다’로도 적는다를 뜻한다 | 0 | [
1,
4
] |
'인준하다'는 입법부가 법률에 지정된 공무원의 임명과 행정부의 행정 행위를 인정하다를 뜻한다 | 1 | [
1,
5
] |
'안하무인격'은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는 모양을 뜻한다 | 1 | [
1,
6
] |
'고삐다리'는 물과 함께 아이오딘을 카드뮴에 작용시켜 얻는 판 모양의 무색 결정. 광택이 있고, 오랜 시간 빛에 쪼이면 누렇게 변한다. 화학식은 CdI<sub>2</sub>을 뜻한다 | 0 | [
1,
5
] |
'모사 전보'는 팩시밀리로 송수신하도록 된 전보를 뜻한다 | 1 | [
1,
6
] |
'린 보디 룩'은 세망내피 계통 또는 단핵 식세포계에 속한 세포에서 기원한 종양을 뜻한다 | 0 | [
1,
7
] |
'링크 운동'은 몇 개의 쇠사슬 고리의 연결을 조합하여 생기는 구조를 뜻한다 | 1 | [
1,
6
] |
'정부 시범 사업'은 잎을 식용하는 채소. 배추, 시금치, 근대 따위가 있다를 뜻한다 | 0 | [
1,
9
] |
'밑동 매설'은 ‘공상 과학 소설’의 북한어를 뜻한다 | 0 | [
1,
6
] |
'콩알주사'는 자격 취득이나 등록을 할 때 해당 기관에 납부하는 요금을 뜻한다 | 0 | [
1,
5
] |
'인간 시스템 공학'은 교통 카드를 넣어 보관하는 작은 갑을 뜻한다 | 0 | [
1,
10
] |
'리버스 아플리케'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이. 송지면의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의 산지와 동쪽의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북서쪽은 바다와 접해 있으며, 원래는 섬이었으나, 방조제가 축조되면서 동쪽이 육지와 연결되었다. 북서쪽에 대평산, 남쪽에 통일산이 솟아 있으며, 주민 대부분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동쪽으로 77번 국도가 남북으로 지난다를 뜻한다 | 0 | [
1,
9
] |
'와류 제어기 장치'는 엔진에서 공기를 추출하여 공기 흐름이 분리될 수 있는 항공기 표면에 분사하여 공기 흐름의 기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양력 감소를 조절하는 장치를 뜻한다 | 1 | [
1,
10
] |
'암슬러 면적계'는 진언종에서, 교도(敎徒)들이 아침마다 절에 가서 기도하고 참배하는 일을 뜻한다 | 0 | [
1,
8
] |
'투자 자산 회전율'은 투자 자산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출액을 투자 자산으로 나눈 값을 뜻한다 | 1 | [
1,
10
] |
'듀란 듀란'은 발의 뒤쪽 발바닥과 발목 사이의 불룩한 부분을 뜻한다 | 0 | [
1,
6
] |
'압점'은 사형에 처함을 뜻한다 | 0 | [
1,
3
] |
'추계 법정 축적'은 ‘왕겨’의 방언을 뜻한다 | 0 | [
1,
9
] |
'따근히'는 그다지 심하지 않게 조금 따갑게 더운 정도로를 뜻한다 | 1 | [
1,
4
] |
'등강기'는 암벽 등반 또는 인공 등반에서, 고정된 로프를 타고 오를 때 <FL>프루지크 매듭</FL>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장비. <FL>프루지크 매듭</FL>보다 안전하고 빠르며 피로가 덜하다. 배낭을 끌어 올리거나 신속하게 등반할 때 유용하며, 추락자를 고정하거나 부상자를 구조할 때에도 사용된다를 뜻한다 | 1 | [
1,
4
] |
'퍼블릭 코스'는 회원이 아닌 일반 사람도 이용할 수 있는 골프장을 뜻한다 | 1 | [
1,
7
] |
'편파하다'는 ‘괜찮다’의 방언을 뜻한다 | 0 | [
1,
5
] |
'그룹장'은 기관이나 조직에서 한 그룹을 맡아 다스리는 사람을 뜻한다 | 1 | [
1,
4
] |
'미국 국방 에너지 지원 본부'는 중국에서 생산함. 또는 그런 물건을 뜻한다 | 0 | [
1,
16
] |
'력진하다'는 잇몸에 생긴 병이나 상처 따위를 치료하기 위해 먹거나 바르는 약을 뜻한다 | 0 | [
1,
5
] |
'타태하다'는 열심히 하려는 마음이 없고 게으르다를 뜻한다 | 1 | [
1,
5
] |
'결채하다'는 임금이 행차하거나 중국의 칙사가 지나갈 때, 이를 환영하는 뜻으로 여러 빛깔이 있는 실, 종이, 헝겊 따위를 문이나 지붕, 다리, 길에 내다 걸어 장식하다를 뜻한다 | 1 | [
1,
5
] |
'우두약'은 두창에 걸린 소에서 뽑아낸 유백색의 우장(牛漿). 한때 천연두 백신의 원료로 썼다를 뜻한다 | 1 | [
1,
4
] |
'룩셈부르크 협약'은 유럽 공동체의 특허에 관하여 1975년 12월 15일에 룩셈부르크에서 서명한 협약. 유럽 특허청에 출원하여 심사를 통해 부여받은 특허는 유럽 공동체 전역에 유효하다는 단일 특허권이 설정되었으나, 일부 국가의 비준 실패로 발효되지 못하고 있다를 뜻한다 | 1 | [
1,
9
] |
'기전'은 인터넷을 하지 않을 경우 행동이 조절되지 않고 금단 증상을 보이며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뜻한다 | 0 | [
1,
3
] |
'콩딸개'는 오직 부처님과 부처님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깨달음의 경지는 오직 부처만이 알며 인위(因位)의 보살 따위는 알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뜻한다 | 0 | [
1,
4
] |
'육상 경기'는 달리기, 뛰기, 던지기를 기본 동작으로 하여 육상에서 행하여지는 각종 경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트랙 경기, 필드 경기, 마라톤 따위가 있다를 뜻한다 | 1 | [
1,
6
] |
'웹 마케팅'은 인터넷의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마케팅을 뜻한다 | 1 | [
1,
6
] |
'제덕동'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동. 진해구의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으로 바다에 접해 있다. 천자봉 공원 묘원과 골프장 등이 들어서 있고, 문화재로 ‘창원 진해 제포 진성(昌原鎭海薺浦鎭城)’이 있다를 뜻한다 | 1 | [
1,
4
] |
'입술 형태 자질'은 스스로 최선을 다해 일을 헤아려. 또는 헤아릴 수 있을 때까지를 뜻한다 | 0 | [
1,
9
] |
'재가'는 집에 있으면서 승려처럼 도를 닦음. 또는 그런 사람을 뜻한다 | 1 | [
1,
3
] |
'제키다'는 ‘젖다’의 사동사를 뜻한다 | 1 | [
1,
4
] |
'인터페이스 명세'는 어떤 시스템이나 시스템의 요소에 대한 기능과 요구 사항을 자세히 기술한 설명을 뜻한다 | 1 | [
1,
9
] |
'보호금'은 법이 정한 사회 질서에 대한 책임. 보통의 책임 개념을 넘어서 고의나 과실이 없더라도 일정한 배상 책임을 부과하거나 책임 무능력자에게도 일정한 법적 처우를 할 때에 법적 책임을 인정한다를 뜻한다 | 0 | [
1,
4
] |
'료외'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제삼자의 에너지 사용 시설에 투자한 후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액으로 투자비를 회수하는 기업을 뜻한다 | 0 | [
1,
3
] |
'시버리다'는 심사의 대가로 받는 돈을 뜻한다 | 0 | [
1,
5
] |
'녹음 편집 방식'은 총에 꽂는 창을 뜻한다 | 0 | [
1,
9
] |
'울수'는 어떤 범위나 대열 따위에서 떨어져 나오거나 떨어져 나가다를 뜻한다 | 0 | [
1,
3
] |
'잡기장'은 한자의 사성(四聲)을 나타내기 위하여 글자의 네 귀퉁이에 붙이는 반권점(半圈點)을 뜻한다 | 0 | [
1,
4
] |
'배랍다'는 ‘건구 온도계’의 북한어를 뜻한다 | 0 | [
1,
4
] |
'기송하다'는 무술을 하는 데 쓰임. 또는 그런 물건을 뜻한다 | 0 | [
1,
5
] |
'얼기설설하다'는 진균류에서 어느 한 가지 종의 분생 포자의 크기가 명확하게 다를 때, 더 작은 것. 대개 단일 세포로 되어 있으며 모양은 구형, 난형, 조롱박형, 방망이형이 있다를 뜻한다 | 0 | [
1,
7
] |
'례배일'은 정신적인 원인으로 기혈이 잘 돌지 못하여 허리가 아픈 병을 뜻한다 | 0 | [
1,
4
] |
'쉬포리'는 문장의 재료를 시간적ㆍ공간적 순서를 밟지 아니하고 항목별ㆍ단위별로 나열하여 서술함. 또는 그런 구성 방식을 뜻한다 | 0 | [
1,
4
] |
'발꿈치를 물다'는 은혜를 베풀어 준 상대에게 해를 입히다. <동의 관용구> ‘발뒤축을 물다’을 뜻한다 | 1 | [
1,
8
] |
'부르르하다'는 공역 이외의 여러 가지 부역을 뜻한다 | 0 | [
1,
6
] |
'풍병'은 ‘나병’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을 뜻한다 | 1 | [
1,
3
] |
'깎이비얄'은 ‘비탈’의 방언을 뜻한다 | 1 | [
1,
5
] |
'꺾임선'은 ‘꺾은선’의 북한어를 뜻한다 | 1 | [
1,
4
] |
'인쇄 배선판 접속기'는 전하의 형태로 자료가 저장되는 기억 장치를 뜻한다 | 0 | [
1,
11
] |
'경여갑당'은 신라 때에 둔 삼십구 여갑당의 하나. 왕경(王京)을 방어하는 일을 맡아 하던 군대이다를 뜻한다 | 1 | [
1,
5
] |
'디듬독'은 귓구멍의 바깥쪽으로 열려 있는 곳을 뜻한다 | 0 | [
1,
4
] |
'알록시프린'은 ‘토리 세동정맥 연결’의 ‘토리’에서 나가는 ‘세정맥’의 부분을 뜻한다 | 0 | [
1,
6
] |
'큰산금발이끼'는 돈을 받고 몸을 팔다를 뜻한다 | 0 | [
1,
7
] |
'전용물 소권'은 계약에 따른 급부가 계약 상대방 외에 제삼자의 이득으로 된 경우에 급부를 한 계약 당사자 일방이 직접 제삼자에게 부당 이득 반환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 1 | [
1,
7
] |
'유서하다'는 너그럽게 용서하다를 뜻한다 | 1 | [
1,
5
] |
'오류 계수'는 ‘북새통’의 북한어를 뜻한다 | 0 | [
1,
6
] |
'출산 능력'은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 1 | [
1,
6
] |
'창주'는 ‘반벙어리’의 방언을 뜻한다 | 0 | [
1,
3
] |
'대추'는 독맥(督脈)에 속하는 혈(穴) 이름. 제7목뼈와 제1등뼈의 극상 돌기 사이에 있다를 뜻한다 | 1 | [
1,
3
] |
'발광형'은 빛을 내는 유형. 또는 그러한 형식을 뜻한다 | 1 | [
1,
4
] |
'긴 엄지 폄근 힘줄집'은 발목의 앞을 가로지르는 긴 엄지 폄근 힘줄을 둘러싸는 힘줄집, 또는 손목의 등 쪽 면을 지나가는 긴 엄지 폄근 힘줄을 둘러싸는 힘줄집. 영어에서는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을 라틴어로 구별하여 쓰지만, 한국어에서는 용어를 간략하게 사용하기 위해 혼동이 없으면 손가락, 발가락을 생략하여 쓸 수 있게 하였다를 뜻한다 | 1 | [
1,
12
] |
'맞걸다'는 ‘손톱’의 방언을 뜻한다 | 0 | [
1,
4
] |
'법무사'는 대문의 문짝을 뜻한다 | 0 | [
1,
4
] |
'쇄국'은 다른 나라와의 통상과 교역을 금지함을 뜻한다 | 1 | [
1,
3
] |
'여과기'는 액체에서 고체 성분을 걸러 내는 데 쓰는 기구를 뜻한다 | 1 | [
1,
4
] |
'요진'은 중국의 오호 십육국 가운데, 384년에 강족(羌族)의 추장 요장(姚萇)이 장안(長安)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417년에 동진(東晉)의 장군 유유(劉裕)에게 멸망하였다를 뜻한다 | 1 | [
1,
3
] |
'보강 전선'은 ‘모가지’의 방언을 뜻한다 | 0 | [
1,
6
] |
'물리치다'는 적(敵)이나 잡귀 따위를 쳐서 물러가게 하다를 뜻한다 | 1 | [
1,
5
] |
'오예륜'은 ‘오염테’의 북한어. ‘더러운고리’로 다듬음을 뜻한다 | 1 | [
1,
4
] |
'어청'은 조선 시대에 둔 오군영의 하나. 인조 1년(1623)에 처음 설치하였고, 경상도ㆍ전라도ㆍ충청도ㆍ강원도ㆍ경기도ㆍ황해도의 육도에서 뽑힌 군사가 서울에 배치되었다. 고종 때 장어영에 합쳐지기도 하였고, 별영ㆍ총어영 따위로 고쳤다가 갑오개혁 때 없앴다를 뜻한다 | 1 | [
1,
3
] |
'관세 미지급 인도 가격'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물품을 인도하는 지점까지 들어간 비용 가운데 관세를 제외한 모든 비용이 포함된 가격을 뜻한다 | 1 | [
1,
13
] |
'납작납작하다'는 여럿이 다 판판하고 얇으면서 좀 넓다를 뜻한다 | 1 | [
1,
7
] |
'냉장 기기'는 식품이나 약품 따위를 신선하게 보관하거나 차게 하는 기구나 기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뜻한다 | 1 | [
1,
6
] |
'록실'은 ‘철까닥대다’의 준말을 뜻한다 | 0 | [
1,
3
] |
'지평 초등학교'는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1932년에 개교한 ‘지제 공립 보통학교’가 그 전신으로, 1941년에 ‘지제 공립 국민학교’로, 1996년에 ‘지제 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08년에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를 뜻한다 | 1 | [
1,
8
] |
'전극 간 직접 정전 용량'은 걸음 수를 측정하는 기계.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자동적으로 계기에 나타내 준다를 뜻한다 | 0 | [
1,
14
] |
'목록 요소 타입'은 심장의 심방과 심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을 뜻한다 | 0 | [
1,
9
] |
'다리이'는 ‘가공 의치’의 북한어를 뜻한다 | 1 | [
1,
4
] |
'발헤엄'은 알이 들어 배가 부른 생선을 뜻한다 | 0 | [
1,
4
] |
'우로빌린뇨증'은 귀의 가운데 안쪽에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 달팽이관ㆍ안뜰ㆍ반고리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막의 진동을 신경에 전달하는 구실을 한다를 뜻한다 | 0 | [
1,
7
] |
'폐스레'는 ‘두엄’의 방언을 뜻한다 | 0 | [
1,
4
] |
'직접 공시'는 자유롭게 돌 수 있게 만들어진 가느다란 영구 자석. 자기장의 방향과 나란히 서기 때문에 자기장의 방향을 알 수 있다를 뜻한다 | 0 | [
1,
6
] |
'구조적 자료형'은 원래 글자를 문질러 지우고, 새로 글자를 써넣어 변조한 문서. 조선 시대에는 공문서를 위조한 죄가 클 때에는 참대시로 처벌하였다를 뜻한다 | 0 | [
1,
8
] |
'제관'은 가루나 덩어리 상태의 고체 폐기물을 원기둥 모양으로 성형하여 균일하게 만드는 일을 뜻한다 | 0 | [
1,
3
] |
'인계 기능'은 특정 레이더에 나타난 목표 항공기에 관계되는 자료를 이양, 인계 및 철회하는 기능. 항공기가 관제사의 공역으로 들어와서 항공기를 식별한 관제사로부터 인접 관제사로 관제를 전환하기 위해 필요하다를 뜻한다 | 1 | [
1,
6
] |
Subsets and Spl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