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13
957k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시 정보
|이름=트롬쇠
|정식표기=Tromsø
|한자=
|현지명=
|그림=Tromsø view.jpg
|시기=
|휘장=Tromsø komm.svg
|지도=
|위치지도=노르웨이
|나라={{국기나라|노르웨이}}
|행정구역=[[트롬쇠위아섬]]
|지역=[[트롬스주]]
|인구=72,066
|인구년도=2012
|인구밀도=27.9
|해발=
|면적=2,520.11
|위도=69.40
|경도=18.56
|시간대=UTC+1
|웹사이트=[http://tromso.kommune.no/ tromso.kommune.no]
}}
'''트롬쇠'''(Tromsø)는 [[노르웨이]] 북부 [[트롬스주]](Troms) 에 위치한 도시이다. [[2012년]] 현재 72,066 명의 주민이 있다. 트롬쇠 시의 면적은 도심 바깥의 넓은 지역까지 포함해서 2558 km<sup>2</sup>이다.
트롬쇠는 노르웨이에서 일곱 번째로 큰 도시로 [[북극권]] [[트롬쇠위아섬]](Tromsøy)에 위치해 있다(북위 69° 40' 33", 동경 18° 55' 10"). 세계에서 최북단에 있는 [[대학교]]인 [[트롬쇠 대학교]]가 있어 세계 최북단의 대학 도시로 알려져 있다.
== 역사 ==
트롬쇠는 [[1250년]] 세워져 [[1794년]] 도시 헌장을 받았다. [[19세기]] 후반에는 북극해의 주요 무역 기지가 되어 많은 북극 탐험대가 이곳으로부터 출발했다.
1940년 4월 9일에 나치스 독일군이 노르웨이를 침공하여 노르웨이 남부가 점령되자 트롬쇠는 1940년 5월부터 6월 7일에 국왕과 정부가 강제로 나라를 떠나기 전 까지 노르웨이의 수도였다.
오늘날 트롬쇠는 의료산업 관련 소프트웨어와 원격치료 관련 프로그램의 분야에서 국제적인 기지로 부상하고 있다.
== 문화 ==
노르웨이 리그에 참가하는 [[축구]] 구단으로 트롬쇠 I.L.과 트롬쇠 U.I.L.이 있다.
수많은 북극 탐험대들이 트롬쇠를 출발지로 삼아 '북극의 관문'이라고도 한다. 트롬쇠 주민들이 터득한 북극의 조건에 대한 실제 지식은 [[로알 아문센]](Roald Amundsen), [[움베르토 노빌레]](Umberto Nobile), [[프리티오프 난센]](Fridtjof Nansen) 등 여러 탐험가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이들은 대원들을 트롬쇠에서 모집하기도 했다.
북극권에 위치한 관계로 [[5월 21일]]부터 [[7월 23일]]까지는 해가 지지 않는다([[백야 현상]]). 매년 6월에 백야 마라톤을 개최한다. 최근에는 1월에 북극야 하프 마라톤을 개최하기 시작했다.
트롬쇠에서 발행되는 [[신문]]으로는 '블라데 트롬쇠(Bladet Tromsø)'와 '노르뤼스(Nordlys)'가 있다.
== 백야 ==
{{참고|노르카프}}
[[하지]] 때에 이곳 트롬쇠 지역에서도 [[백야]] 관측이 가능하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hieFRBYa7Eg&index=26&list=LLUydD79LG-JMPc8Lj5ngZMA IN THE LAND OF THE MIDNIGHT SUN 4K - EPISODE 1 : THE ROUNDTRIP] 2016. 8. 17.</ref>. [[저녁]] 무렵 [[태양]]이 서쪽으로 점점 높이가 낮아지다가 [[자정]] 때에는 [[태양]]이 [[북쪽]]의 낮은 하늘을 거쳐서 북동쪽으로 떠오른다.
== 인구 ==
{{Historical populations|align=none
|1951|10940
|1960|12283
|1970|38094
|1980|45833
|1990|50548
|2000|59145
|2010|67305
|2020|76974
|2022|77544
|footnote=Source: [https://www.ssb.no/en/statbank/table/05212/tableViewLayout1/ Statistics Norway]<br />
The municipalities of [[Hillesøy]], [[Tromsøysund]] and most of<br /> [[Ullsfjord]] were merged with Tromsø 1 January 1964.
}}
== 기후 ==
{{Weather box <!--Infobox begins-->
|metric first= 1
|single line= 1
|location= Tromsø, Norway 1981 - 2010, sunshine 1961 - 1990, extremes 1920 - present (100 m)
<!--Record high temperatures-->
|Jan record high C= 8.4
|Feb record high C= 8.2
|Mar record high C= 9.1
|Apr record high C= 17
|May record high C= 26.6
|Jun record high C= 29.5
|Jul record high C= 30.2
|Aug record high C= 28.4
|Sep record high C= 22.4
|Oct record high C= 18.6
|Nov record high C= 11.9
|Dec record high C= 9.7
|year record high C= 30.2
<!--Average high temperatures-->
|Jan high C= -1.3
|Feb high C= -1.4
|Mar high C= 0.2
|Apr high C= 3.5
|May high C= 8.2
|Jun high C= 12.7
|Jul high C= 15.8
|Aug high C= 14.5
|Sep high C= 10.0
|Oct high C= 5.0
|Nov high C= 1.3
|Dec high C= -0.5
|year high C= 5.7
<!--Mean daily temperature-->
|Jan mean C= -3.5
|Feb mean C= -3.7
|Mar mean C= -2.2
|Apr mean C= 0.9
|May mean C= 5.3
|Jun mean C= 9.4
|Jul mean C= 12.4
|Aug mean C= 11.3
|Sep mean C= 7.4
|Oct mean C= 2.9
|Nov mean C= -0.7
|Dec mean C= -2.6
|year mean C= 3.1
<!--Average low temperatures-->
|Jan low C= -5.6
|Feb low C= -5.9
|Mar low C= -4.6
|Apr low C= -1.8
|May low C= 2.3
|Jun low C= 6.1
|Jul low C= 8.9
|Aug low C= 8.0
|Sep low C= 4.8
|Oct low C= 0.8
|Nov low C= -2.6
|Dec low C= -4.8
|year low C= 0.5
<!--Record low temperatures-->
|Jan record low C= -18.3
|Feb record low C= -18.4
|Mar record low C= -17.0
|Apr record low C= -14.3
|May record low C= -6.6
|Jun record low C= -2.5
|Jul record low C= 0.7
|Aug record low C= 1.1
|Sep record low C= -4.3
|Oct record low C= -9.6
|Nov record low C= -14.2
|Dec record low C= -16.8
|year record low C=
<!--Total Precipitation, this should include rain and snow.-->
<!--IMPORTANT: use mm or cm but NOT both!-->
|precipitation colour = green
|Jan precipitation mm= 112.4
|Feb precipitation mm= 95.4
|Mar precipitation mm= 71.7
|Apr precipitation mm= 66.1
|May precipitation mm= 57.4
|Jun precipitation mm= 54.1
|Jul precipitation mm= 77.8
|Aug precipitation mm= 86.6
|Sep precipitation mm= 110.9
|Oct precipitation mm= 135.9
|Nov precipitation mm= 98.3
|Dec precipitation mm= 112.3
|year precipitation mm= 1080.8
<!--Average number of precipitation days-->
|unit precipitation days= 1 mm
|Jan precipitation days= 15.4
|Feb precipitation days= 12.9
|Mar precipitation days= 11.4
|Apr precipitation days= 11.6
|May precipitation days= 11.1
|Jun precipitation days= 10.3
|Jul precipitation days= 12.8
|Aug precipitation days= 12.6
|Sep precipitation days= 14.9
|Oct precipitation days= 17.7
|Nov precipitation days= 13.5
|Dec precipitation days= 15.6
|year precipitation days= 160.1
<!--Average monthly sunshine hours, monthly totals are preferred, and will produce colours, but percentages are accepted.-->
|Jan sun= 3
|Feb sun= 32
|Mar sun= 112
|Apr sun= 160
|May sun= 218
|Jun sun= 221
|Jul sun= 205
|Aug sun= 167
|Sep sun= 92
|Oct sun= 49
|Nov sun= 6
|Dec sun= 0
|year sun= 1265
<!--Mandatory fields, source-->
|source 1=<ref name="eklima">{{웹 인용 |url=http://sharki.oslo.dnmi.no/portal/page?_pageid=73,39035,73_39049&_dad=portal&_schema=PORTAL |제목=Norwegian Meteorological Institute's eklima site |확인날짜=2019-03-1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30111955/http://sharki.oslo.dnmi.no/portal/page?_pageid=73,39035,73_39049&_dad=portal&_schema=PORTAL |보존날짜=2016-11-30 |url-status=dead }}</ref>
|date=August 2011
|source 2 = The Weather Network<ref>{{웹 인용
| url = http://www.theweathernetwork.com/statistics/c00008
| title = Climate Statistics for Tromsø, Norway (1961-1990)
| date = November 2011
| 확인날짜 = 2018-11-17
| archive-date = 2013-01-05
| archive-url = https://archive.today/20130105154713/http://www.theweathernetwork.com/statistics/c00008
| url-status =
}}</ref>
source 3 = Meteorologisk institutt<ref>{{웹 인용|url = http://www.yr.no/place/Norway/Troms/Troms%C3%B8/Troms%C3%B8_observation_site/statistics.html|title = Tromsø (Troms)|date = June 2013|확인날짜 = 2018-11-17|archive-date = 2018-12-14|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181214124022/http://www.yr.no/place/Norway/Troms/Troms%C3%B8/Troms%C3%B8_observation_site/statistics.html|url-status = }}</ref>
source 4 = Météo climat stats<ref>{{웹 인용|url=http://meteo-climat-bzh.dyndns.org/listenormale-1981-2010-2-p159.php|title=Moyennes 1981-2010 Norvége|language=fr|accessdate=11 January 2017}}</ref>
}}
== 인물 ==
트롬쇠 출신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바이오스피어]](Biosphere)의 게이르 옌센(Geir Jenssen)
* 작가 및 철학가 [[페테르 베셀 삽페]](Peter Wessel Zapffe)
* 영화감독 [[에리크 숄비에르그]](Erik Skjoldbjaerg)
* 조각가 [[요르겐 드레위에르]](Jorgen Dreyer)
* 미국의 변호사, 민주당 국회의원 [[아이나 호이달]](Einar Hoidale)
* 대중음악 가수 [[레네 말린]](Lene Marlin)
* 일렉트로닉 음악 그룹 [[로익솝]](Röyksopp)의 [[스베인 베르게]](Svein Berge)와 [[토르비에른 브룬틀란]](Torbjørn Brundtland)
[[파일:Tromso overview.jpg|섬네일|왼쪽|트롬쇠 전경]]
== 자매결연도시 ==
* [[케미 (도시)|케미]] ({{국기나라|핀란드}}, [[1940년]])
* [[룰레오]] ({{국기나라|스웨덴}}, [[1950년]])
* [[링쾨빙]] ({{국기나라|덴마크}}, [[1950년]])
* [[그림스비]] ({{국기나라|영국}}, [[1961년]])
* [[푸네]] ({{국기나라|인도}}, [[1966년]])
* [[앵커리지]], ({{국기나라|미국}}, [[1969년]])
* [[자그레브]] ({{국기나라|크로아티아}}, [[1971년]])
* [[무르만스크]] ({{국기나라|러시아}}, [[1972년]])
* [[케찰테낭고]] ({{국기나라|과테말라}}, [[1999년]])
* [[가자 지구]] ({{국기나라|팔레스타인}}, [[2001년]])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언어링크|no|en}} [https://web.archive.org/web/20051215131632/http://www.tromso2018.no/index.gan 공식 홈페이지]
{{전거 통제}}
[[분류:트롬쇠| ]]
[[분류:노르웨이의 도시]]
[[분류:노르웨이의 항구 도시]]
[[분류:노르웨이의 스키장]]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Lene Marlin guitar (cropped).jpg|thumb]]
'''레네 말린 페데르센'''(Lene Marlin Pedersen, [[1980년]] [[8월 17일]] 태어남)은 '''레네 말린'''(Lene Marlin)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노르웨이]]의 가수이다. 노르웨이 북부의 [[트롬쇠]] 출신이다.
[[1998년]] 〈언포기버블 시너(Unforgivable Sinner)〉라는 곡을 싱글로 내 데뷔한데 이어 1집 《플레잉 마이 게임(Playing My Game)》을 냈다. [[1999년]] MTV 유럽 시상식에서 북유럽 최고 그룹/가수상을 수상했다. [[2003년]]에는 2집 《어나더 데이(Another Day)》를, [[2005년]]에는 3집 《로스트 인 어 모먼트(Lost in a Moment)》를 냈다.
== 음반 목록 ==
* 《플레잉 마이 게임(Playing My Game)》 (1998년)
* 《어나더 데이(Another Day)》 (2003년)
* 《로스트 인 어 모먼트(Lost in a Moment)》 (2005년)
* 《트위스트 더 트루쓰(Twist the truth)》 (2009년)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s://web.archive.org/web/20040317075812/http://www.lene-marlin.no/ 팬 페이지(영어)]
{{전거 통제}}
[[분류:1980년 출생|말린, 레네]]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노르웨이의 가수|말린, 레네]]
[[분류:트롬쇠 출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톨스토이}}
{{작가 정보
|이름 = <!--위키데이터 값 불러오기-->값찾기
|원어이름 = {{lang|ru|Лев Толстой}}
|그림 = 값찾기
|그림크기 =
|설명 = [[1908년]]의 톨스토이
|출생명 =
|출생일 = 값찾기
|출생지 = [[러시아 제국]] [[툴라현]] [[야스나야 폴랴나]]
|사망일 = 값찾기
|사망지 = [[러시아 제국]] [[d:Q4071563|아스타포보]]
|필명 =
|별칭 =
|직업 = 값찾기
|언어 =값찾기
|국적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러시아]]
|학력 = [[카잔 연방 대학교|카잔 제국 대학교]]
|활동 기간 = [[1847년]] - [[1910년]]
|등단시기 =
|등단작 =
|장르 =
|주제 =
|사조 = 값찾기
|주요 작품 = 값찾기
|수상 = 값찾기
|스승 = 값찾기
|제가 = 값찾기
|배우자 = 값찾기
|부모 = 값찾기
|형제 = 값찾기
|동거인 = 값찾기
|자녀 = 값찾기
|친척 =값찾기
|영향 받은 인물 = 값찾기
|영향 준 인물 =
|서명 = 값찾기
|웹사이트 =
|묘소 = 값찾기
|묘비 = 값찾기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백작'''({{llang|ru|Граф Лев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 {{소리|Ru-Lev Nikolayevich Tolstoy.ogg}}, <small>문자 개혁 이전:</small> {{lang|ru|Левъ Николаевичъ Толстой}}, {{llang|en|Leo Tolstoy}}, {{문화어|레브 똘스또이}}, [[1828년]] [[9월 9일]] ~ [[1910년]] [[11월 20일]])은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시인]], 개혁가, 사상가이다. [[사실주의 문학]]의 대가였으며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전쟁과 평화]]》(1869년), 《[[안나 카레니나]]》(1877년)가 그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러시아 문학]]과 정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 생애 ==
톨스토이는 [[1828년]] [[9월 9일]]에 [[러시아]] 남부 [[툴라 (러시아)|툴라]] 근처의 [[야스나야 폴랴나]]에서 태어났다. 니콜라이 일리치 톨스토이 백작과 마리야 톨스타야 백작부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집에서 자랐다. [[카잔 연방 대학교|카잔 대학교]] 법학과에 다니다가 중퇴했는데 그 이유는 인간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생각을 억압하는 대학교 교육 방식에 실망을 느껴서라고 한다.<ref name="웅진위인전기">웅진위인전기 외국편-《톨스토이》/김명수 지음/최달수 삽화/웅진출판</ref> 그는 부모의 유산 가운데 자신의 몫이 된 야스나야 폴랴나로 돌아간다. 영지에서 농노들을 대상으로 일종의 계몽 실험을 벌이던 톨스토이는 1848년에 다시 고향을 떠난다.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그는 방탕한 생활에 빠져 빚을 많이 졌다.(급기야 1855년에는 도박 빚 때문에 야스야냐 폴랴나의 저택을 매각하고 말았다.) 그러다 1910년 11월 7일,그는 어느 간이역에서 "진리를 영원히 사랑한다...."라는 말을 남기고 죽었다.
젊은 시절의 톨스토이는 이상주의자인 동시에 쾌락주의자였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이다. 톨스토이의 주요 작품으로는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등의 장편 소설과 《이반 일리치의 죽음》, 《[[바보 이반]]》 등의 중편 소설이 잘 알려져 있다.
== 작품세계 ==
=== 리얼리즘 ===
톨스토이는 ‘인간의 심리 분석’과 ‘개인과 역사 사이의 모순 분석’을 통하여 최상의 리얼리즘을 성취해 냈다. 이 작가는 일상의 형식적인 것을 부정하고 인간의 거짓, 허위, 가식, 기만을 벗겨내고자 했다. “톨스토이 이전에는 진정한 농민의 모습이란 없었다”는 레닌의 말처럼, 톨스토이는 [[러시아 제국]]에서 혁명이 준비되고 있던 시기를 적확(的確)하게 묘사하면서, 그의 문학과 사상을 사회혁명에 용해시켰다. 나아가서 전 인류의 예술적 발전을 한 걸음 진전시키는 데 그의 문학과 사상이 큰 역할을 담당했다.
=== 두 개의 톨스토이 ===
톨스토이의 작품에는 ‘삶을 사랑하는 톨스토이’와 ‘청교도적 설교자로서의 톨스토이’라는 ‘두 얼굴의 톨스토이’가 있다. 톨스토이의 세계에서는 두 얼굴을 가진 분열된 자아가 계속해서 서로 싸운다. 후기로 갈수록 톨스토이는 ‘삶을 사랑하는 시인’에서 ‘인생의 교사’이자 ‘삶의 재판관’이 되기를 갈망했다. 하지만 그에게는 두 얼굴을 가진 분열된 자아가 계속해서 서로 싸우는 그의 세계를 이원론적으로만 볼 수도 있지만, 주제적으로 긴밀하게 얽혀 있는 전일성이 드러난 세계로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가·사상가로서 톨스토이를 이분법적 사고로 나누지 말고, 영적인 탐구심에 기초한 도덕적 태도의 통일성에 기초해서 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그의 창작 세계의 전일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구원 ===
톨스토이는 삶과 죽음, 육체와 정신, 사랑과 진리에 대한 관념들을 일반적·보편적 형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그리고 그는 예술가이자 인생의 교사로서 이런 관념들에 대한 해답을 인류에게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톨스토이의 예술 세계에서는 자족적 관념이 만들어내는 자기 완결적 순환 구조를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다. 톨스토이는 자신의 관념을 통하여 그리고 그 관념의 실천을 통하여 절대적 자각자로서의 자기완성에 이르고자 하고, 자기 구원과 인간 구원에 도달하고자 했다.
== 활동 ==
=== 비판적 지식인 ===
그 자신은 [[백작]]의 지위를 가진 [[귀족]]이었으나, 《[[바보이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등의 집필을 통해 러시아 귀족들이 너무 많은 재산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민중들이 가난하게 살고 있음을 비판하는 문학 활동을 하여, 러시아 귀족들의 압력으로《참회록》과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의 [[출판]] 금지를 당했다. 하지만 독자들은 필사본이나 등사본으로 [[책]]을 만들어서 몰래 읽었고, 유럽, 미국, 아시아에 있는 출판사들이 그의 작품을 출판하여 외국에서는 그의 작품이 유명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민중]]들에게 무관심한 [[교회]]([[러시아 정교회]])를 비판하여 [[교회]]로부터 미움을 받고 [[1901년]] [[러시아 정교회]]의 교리감독기관인 종무원으로부터 파문당했을 정도로 톨스토이는 교회와 사회에 대해 비판적인 지식인으로 활약하였다.
=== 행동하는 지식인 ===
톨스토이는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내용은 몸으로 실천하는 지식인이어서, 귀족들의 방해로 폐교되기는 했지만 [[1860년]] 고향 툴라에서 농민학교를 운영하여, 부모의 강요로 [[아동노동]]을 하는 게 전부였던 농민의 자녀들이 [[학교]]에서 공부도 하고 재미있게 놀기도 하게 해주었다. 당시 부모들은 처음에는 일할 사람이 없어질 것을 걱정하여 자녀들이 [[학교]]에 가는 것을 싫어했지만, 톨스토이가 진심으로 농민들을 사랑한다는 것을 알고는 아이들을 기꺼이 학교에 보냈다. 농민학교는 자유로웠는데, 이는 [[자유]]로운 [[교육]]을 통해서 진짜 교육이 진행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1871년]]에는 직접 [[교과서]]를 쓰기도 했는데, 농민과 귀족이 [[평등]]하게 교육받도록 한 내용 때문에 자기들보다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농민을 멸시하는 귀족들은 농민들과 평등한 교육을 받을 수 없다며 거센 반발을 일으켰지만, 자신들도 배울 수 있다는 사실에 감동한 농민들에게는 칭찬을 들었다.
=== 기독교 신앙 ===
톨스토이가 1894년에 저술한 <하나님 나라는 당신 안에 있다>에서 그는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것을 돕는 일이다.
그리고 이는 우리 개개인의 진실에 대한 깨달음과 선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했다. 이처럼 기독교 신앙은 그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이었다. 또한 그는 죽기 전 며칠 전인 1910년 11월 1일 자신의 딸 사샤에게 보내는 편지에 "하나님은 한계가 없으시다. 모든 사람들은 그를 부분적으로 이해할 뿐이다. 진리는 오직 하나님께만 존재한다..."고 말했다. (“God is the limitless All of which man realises himself to be a limited part. The truth exists only in God…”)
또한 그는 [[기독교]]의 영성은 하나님을 공경하고, 가난한 사람과 죄인들까지 모두 사랑하며, [[폭력]]을 사용하지 말라는 [[복음서]]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라고 이해하였다. 실제로 그의 단편소설인 《사랑이 있는 곳에는 하나님도 있다》는 가난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것이라는 [[마태복음서]] 25장 40절의 가르침에 뿌리를 두고 있다. 또한 《불을 놓아두면 끄지 못한다》라는 단편소설은 폭력은 문제를 더 심하게 만들 뿐,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또한 [[기독교 평화주의]]와 [[기독교 아나키즘]]의 대표적 인물이기도 하다. 톨스토이는 또한 그의 생애 마지막때 [[지공주의]]를 강력하게 지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읽고 점차 금욕적 도덕론자로 변해 갔다. <[[톨스토이 참회록]]>의 6장에서 그는 쇼펜하우어의 글을 인용하면서 완전한 자기 부인이야말로 상대적인 무익함을 야기할 수 있다라고 설명한다.
=== 극작가로서의 활동 ===
톨스토이는 [[1850년대]]에 이미 [[이반 투르게네프]]나 [[알렉산드르 오스트롭스키]]의 영향을 받아 극작을 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을 [[서양 근대 연극|근대 연극사]]에서 유명하게 한 것은 주로 <어둠의 힘>(1886), <교육의 열매>(1891), <산송장>(1911) 등의 작품이라 하겠다. <어둠의 힘>은 실화에 의거해 러시아 농민의 음산한 생활을 그린 것으로 자연주의 희곡으로 뛰어난 작품이며 러시아에서는 상연이 금지되어 [[프랑스]]에서 초연했다. <교육의 열매>는 시골 귀족의 무의미한 생활을 풍자한 것. <산송장>은 기독교적 자기 희생과 결혼법의 문제를 다룬 희곡으로 유럽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그리고 소설 <[[안나 카레니나]]>와 <부활>은 '모스크바 예술극단'이 각색, 상연한 바 있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ref>
== 톨스토이에게 영향을 준 서적들<ref>{{웹 인용|url=https://www.openculture.com/2014/07/leo-tolstoy-creates-a-list-of-the-50-books-that-influenced-him-most-1891.html|제목=Leo Tolstoy Creates a List of the 50+ Books That Influenced Him Most (1891) Open Culture|언어=en-US|확인날짜=2023-01-24}}</ref> ==
톨스토이는 그의 나이 63세였던 [[1891년]]에 자신에게 영향을 주었던 책들을 공개하였다.
=== 생후 14세까지 ===
* [[구약성경]] [[창세기]] 중 요셉이야기
* [[천일야화]] 중 40인의 도적
* 작은 검정 암탉 - 안토니 포고렐스키
* 빌리나 (11세기 - 16세기 러시아 영웅 서사시)
*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시: 나폴레옹
=== 14세에서 20세 ===
* [[마태오의 복음서]]
* Stern's Sentimental Journey
* [[고백록 (루소)]]
* [[에밀 (책)]]
* Nouvelle Héloise
*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Yevgeny Onegin
* [[프리드리히 실러]]의 Die Rāuber
* [[니콜라이 고골]]의 Overcoat, The Two Ivansm Nevsky Prospect
* Viy [ [[니콜라이 고골]]의 이야기 )
* [[죽은 영혼]]
* [[스포츠맨의 스케치]]
* [[데이비드 코퍼필드 (소설)]]
=== 20세에서 35세까지 ===
* [[헤르만과 도로테아]]
* [[파리의 노트르담]]
* [[오디세이아]], [[일리아스]]
=== 35에서 50세까지 ===
* [[레 미제라블]]
* [[조지 엘리엇]]의 소설
=== 50세에서 63세까지 ===
* 헬라어로 된 복음서
* 히브리어로 된 창세기
* 헨리조지의 진보와 빈곤
* [[기독교의 본질]]
* [[팡세]]
* [[공자]]의 책
* [[도덕경]]
== 평가 ==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톨스토이보다 30년 먼저 생을 마감하였으며 톨스토이의 작품에 경의를 표하며 매우 기뻐했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는 <전쟁과 평화>에 대해 " 매우 훌륭한 예술가이며 심리학자로다" 라며 극찬하였다.
* [[안톤 체호프]]는 톨스토이를 직접 자주 방문하였으며 "문학계에 톨스토이가 있을 때 작가가 되는 것은 쉽고 즐거운 일이다. 당신이 비록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했을지라도 전혀 걱정하지 말라. 왜냐하면 톨스토이가 문학에 투자했던 모든 희망과 열정을 정당화하기 때문이다." 라고 하였다.
* [[아서 코난 도일]]은 "나는 그의 부지런함과 엄청난 자세함에 매혹되지만, 그의 구성의 느슨함에는 끌리지 않는다." 라고 비평하였다.
* [[버지니아 울프]]는 톨스토이가 "모든 소설가 중에 가장 위대하다"라고 극찬하였다.
* [[제임스 조이스]]는 "톨스토이는 전혀 무료하거나, 바보같거나, 지루하거나, 잘난 척하거나, 연기하는 척하지 않는다." 라고 극찬하였다.
* [[토마스 만]]은 " 그는 순진무구한 예술가이며 자연과 같이 예술 작업을 하지 않는다"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바보이반의 죽음>과 <안나 카레니나>는 극찬하였지만 <전쟁과 평화>의 명성은 의아해 했으며, <부활>은 차갑게 비판하였다.
* [[해럴드 블룸]]은 <하지 무라트>야 말로 그의 개인적인 소설에서의 시금석으로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이야기라고 평하였다.
== 주요 저서 ==
=== 소설 ===
* [[전쟁과 평화]]
* [[안나 카레니나]]
* [[부활 (소설)]]
* 카자크인들
* [[하지 무라트]]
* [[바보 이반]]
* 이반 일리치의 죽음
=== 비소설 ===
* [[톨스토이 참회록]]
=== 예술과 문학에 관하여 ===
* [[예술이란 무엇인가?]]
== 같이 보기 ==
* [[톨스토이 운동]]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전쟁과 평화 (2016년 드라마)]]
== 각주 ==
{{각주}}
== 참고 자료 ==
{{지만지|제목=하지 무라트|주소=http://zmanz.blogi.kr/entry/0202}}
{{지만지|제목=홀스토메르/무엇때문에?|주소=http://zmanz.blogi.kr/748}}
== 외부 링크 ==
{{위키인용집}}
{{위키문헌|저자: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위키공용분류}}
* {{네이버캐스트|3247}}
* {{언어링크|en}} [http://www.ltolstoy.com/ Leo Tolstoy]
* {{월드캣 아이디|lccn-n79-68416}}
* {{구텐베르크 저자|Leo+Tolstoy}}
{{레프 톨스토이}}
{{전거 통제}}
{{기본정렬:톨스토이, 레프}}
[[분류:레프 톨스토이| ]]
[[분류:1828년 출생]]
[[분류:1910년 사망]]
[[분류:러시아의 소설가]]
[[분류:러시아의 반전 운동가]]
[[분류:러시아의 아나키스트]]
[[분류:폐렴으로 죽은 사람]]
[[분류:러시아의 에스페란티스토]]
[[분류:러시아의 동방 정교도]]
[[분류:러시아의 수필가]]
[[분류:러시아의 일기 작가]]
[[분류:러시아의 오피니언 저널리스트]]
[[분류:러시아의 기독교 평화주의자]]
[[분류:러시아의 크림 전쟁 참전 군인]]
[[분류:기독교 아나키스트]]
[[분류:불간섭주의]]
[[분류:지공주의자]]
[[분류:러시아 정교회에서 파문된 사람]]
[[분류:도덕철학자]]
[[분류:19세기 수필가]]
[[분류:20세기 수필가]]
[[분류:톨스토이주의자|*]]
[[분류:신흥 종교 창시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이름 = 게오르크 페르디난트 루트비히 필리프 칸토르
|원어이름 = {{lang|de|Georg Ferdinand Ludwig Philipp Cantor}}
|그림 = Georg Cantor2.jpg
|그림 크기 = 220px
|태어난 날 = {{출생일|1845|3|3}} ([[율리우스력]] [[2월 19일]])
|태어난 곳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죽은 날 = {{사망일과 나이|1918|1|6|1845|3|3}}
|죽은 곳 = [[독일 제국]] [[할레]]
|국적 = [[독일]]
|분야 = [[수학]]
|소속 =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출신 대학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br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지도교수 = [[에른스트 쿠머]]<br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주요 업적 = [[칸토어의 정리]]<br />[[하이네-칸토어 정리]]<br />[[칸토어 역설]]<br />[[대각선 논법]]<br />[[기수 (수학)|기수]]와 [[순서수]]<br />[[칸토어 집합]]<br />[[칸토어-벤딕손 정리]]<br />[[유도 집합]]<br />[[칸토어-르베그 정리]]
|수상 = [[실베스터 메달]](1904)
}}
'''게오르크 페르디난트 루트비히 필리프 칸토어'''({{llang|de|Georg Ferdinand Ludwig Philipp Cantor}} {{IPA|[ˈɡeɔʁk ˈfɛʁdinant ˈluːtvɪç ˈfɪlɪp ˈkantɔʁ]}}, [[1845년]] [[3월 3일]] ~ [[1918년]] [[1월 6일]])는 [[러시아]]에서 태어난 [[독일]]의 [[수학자]]이다. [[무한 집합]]에 대한 연구로 현대 수학의 기반이 되는 기초적 [[집합론]]을 창시하였다.
== 생애 ==
=== 유년 ===
[[파일:Georg_Cantor3.jpg|섬네일|왼쪽|200px|젊은 시기의 칸토어]]
1845년 3월 3일 ([[율리우스력]] 2월 19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독일인]] 가족에게 태어났다. 칸토어는 6명의 자녀 가운데 맏이었다. 아버지는 주식 투자가였고, 외할아버지 프란츠 뵘({{llang|de|Franz Böhm}})은 러시아 제국 오케스트라의 단원이었다.
칸토어 가족은 1856년 칸토어가 11세 되었을 때 아버지의 병으로 인하여 러시아의 겨울을 피해 [[독일]] [[비스바덴]]으로 이사하였고, 그 뒤 곧 다시 [[프랑크푸르트]]로 이사하였다.
칸토어는 1860년 [[다름슈타트]] 고등학교({{llang|de|Realschule}})를 졸업하였고, 1862년에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 입학하였다. 1863년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로 전학하여 [[레오폴트 크로네커]]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에른스트 쿠머]] 등의 강의를 수강하였다. 1866년 여름은 [[괴팅겐 대학교]]에서 보냈다. 1867년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수론]]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69년에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하빌리타치온]]을 수여받았고, 연구원({{llang|de|Privatdocent}})이 되었다.
=== 성년 ===
1872년에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조교수가 되었고, 1874년에 발리 구트만(Vally Guttmann)과 결혼하여 총 6명의 자녀를 두었다. 1879년에 34세의 나이에 정교수로 승진하였다.
칸토어는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로 이전하려 하였으나, 베를린의 [[레오폴트 크로네커]]는 칸토어를 매우 싫어하였으므로 이는 무산되었다. 크로네커는 수학의 [[구성주의 (수학)|구성주의]]를 지향하였는데, 칸토어의 [[집합론]]은 구성주의와 철학적으로 정반대되었기 때문이었다.
1881년에 칸토어는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교수직을 [[리하르트 데데킨트]]에게 수여하려 하였으나 데데킨트는 이를 거부하였다. 이후 칸토어와 데데킨트는 1882년에 모든 서신을 중단하게 되었다. 칸토어는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와도 서신을 교환하였으나, 미타그레플레르는 1885년에 칸토어의 논문의 철학적 함의에 반감을 표의하였고, 이 때문에 칸토어와 미타그레플레르와의 관계 또한 중단되었다.
=== 말년과 사망 ===
칸토어는 1884년에 여러 수학자들과 비판을 주고받다가 깊은 우울증 증세를 보여 병원에 입원하였는데, 퇴원한 뒤 칸토어는 수학을 기피하고 철학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문학에 광적인 관심을 보였다. 그는 특히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들이 사실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이라는 가설에 매우 집착하였으며 수시로 관련 연구에 몰두하였다. 이후 회복한 칸토어는 1891년에 [[대각선 논법]]을 발표하기도 하였으나 신경증은 계속하여 재발하였고 1899년과 1903년에 다시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할레 대학교는 칸토어가 정신병원에 입퇴원을 반복하는 와중에도 교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그의 병은 특히 말년에 심해져 여러 망상적인 주제에 집착하기에 이르렀는데, 그는 스스로를 신성한 임무를 가진 자로 여기고 (실제로 크로네커에게 공격받은 전력이 있지만) 다른 학자들이 자신을 중상모략하고 있다며 이상행동을 보이기도 했다. 1904년 [[쾨니그 줄러]]에 의해 칸토어의 집합론의 핵심 개념이었던 [[정렬 정리]]의 "반증"이 발표되자 (이후 오류가 발견되었지만) 칸토어는 큰 충격을 받아 '신의 존재를 의심'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칸토어는 이후 매 2~3년마다 입원을 반복하였다.
결국 1913년에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은퇴한 칸토어는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시기 동안 궁핍과 영양 부족에 시달렸다. 1917년에 마지막으로 [[할레]]의 정신병원에 입원한 칸토어는 계속해서 아내에게 퇴원시켜 줄 것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다가 1918년 1월 6일 심장마비로 병원 내에서 사망하였다. 그의 묘비에는 "수학의 본질은 그것이 갖는 자유로움에 있다(Das Wesen der Mathematik liegt in ihrer Freiheit)"는 그가 언급한 말이 쓰여 있다.
== 주요 업적 ==
[[파일:Diagonal_argument_2.svg|섬네일|오른쪽|250px|실수의 개수가 자연수의 개수보다 많음을 증명한 [[대각선 논법]]]]
칸토어는 [[무한]]에 대한 생각을 바탕으로 [[집합론]]의 기초를 세우는 데에 있어서 매우 큰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된다. 그는 집합 사이의 [[일대일 대응]]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집합의 크기]]에 대한 연구로 [[무한 집합]]과 [[정렬 집합]]을 정의하였다.
칸토어는 무한 집합끼리도 그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고 [[대각선 논법]]을 통해 자연수보다 실수의 개수가 더 많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칸토어의 정리]]는 집합과 [[멱집합]] 사이에 일대일대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무한의 무한성"의 존재를 암시한다. [[초한수]]에 관한 칸토어의 이론은 당대 유명한 수학자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으나, 현대의 대다수 수학자들은 그의 초한수에 대한 결과를 받아들이며 칸토어의 이론은 현대의 수학기초론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다비트 힐베르트]]는 "아무도 우리를 칸토어가 만들어낸 낙원에서 쫓아낼 수 없다"(Aus dem Paradies, das Cantor uns geschaffen, soll uns niemand vertreiben können.)고 표현하기도 했다.<ref>"Über das Unendliche" (무한에 관하여), Mathematische Annalen 95, (1926)</ref>
그는 [[연속체 가설]]을 고안하여 직관적으로 참이라 믿고 수년 간 그 증명에 힘을 쏟기도 했으나 성공하지는 못했다. 이후 연속체가설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 체계에서 반증과 증명이 불가능하여 독립적임이 각각 [[쿠르트 괴델]]과 [[폴 코언]]에 의해 증명되었다.
== 주요 저서 ==
* {{인용|surname=Cantor|given=Georg|year=1874|url=http://gdz.sub.uni-goettingen.de/download/PPN243919689_0077/PPN243919689_0077___LOG_0014.pdf|title=Ueber eine Eigenschaft des Inbegriffes aller reellen algebraischen Zahlen|journal=[[크렐레지|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volume=1874|issue=77|pages=258–262|doi=10.1515/crll.1874.77.258}}
* {{인용| last = Cantor | first = Georg | title = Ein Beitrag zur Mannigfaltigkeitslehre | journal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 volume = 1878 | issue = 84 | pages = 242–258 | url = http://www.digizeitschriften.de/dms/img/?PID=GDZPPN002156806 | year = 1878| doi = 10.1515/crll.1878.84.242 }}.
* {{저널 인용| author=Georg Cantor | title=Ueber unendliche, lineare Punktmannichfaltigkeiten (1) | journal=Mathematische Annalen | volume=15 | issue=1 | pages=1–7 | url=http://gdz.sub.uni-goettingen.de/dms/load/img/?PPN=PPN235181684_0015&DMDID=DMDLOG_0004 | year=1879 | doi=10.1007/bf01444101| ref={{harvid|Cantor|1879}} }}
* {{저널 인용| author=Georg Cantor | title=Ueber unendliche, lineare Punktmannichfaltigkeiten (2) | journal=Mathematische Annalen | volume=17 | issue=3 | pages=355–358 | url=http://gdz.sub.uni-goettingen.de/dms/load/img/?PPN=PPN235181684_0017&DMDID=DMDLOG_0043 | year=1880 | doi=10.1007/bf01446232}}
* {{저널 인용| author=Georg Cantor | title=Ueber unendliche, lineare Punktmannichfaltigkeiten (3) | journal=Mathematische Annalen | volume=20 | issue=1 | pages=113–121 | url=http://gdz.sub.uni-goettingen.de/dms/load/img/?PPN=PPN235181684_0020&DMDID=DMDLOG_0015 | year=1882 | doi=10.1007/bf01443330}}
* {{저널 인용| author=Georg Cantor | title=Ueber unendliche, lineare Punktmannichfaltigkeiten (4) | journal=Mathematische Annalen | volume=21 | issue=1 | pages=51–58 | url=http://gdz.sub.uni-goettingen.de/dms/load/img/?PPN=PPN235181684_0021&DMDID=DMDLOG_0008 | year=1883 | doi=10.1007/bf01442612}}
* {{저널 인용| author=Georg Cantor | title=Ueber unendliche, lineare Punktmannichfaltigkeiten (5) | journal=Mathematische Annalen | volume=21 | issue=4 | pages=545–591 | url=http://gdz.sub.uni-goettingen.de/dms/load/img/?PPN=PPN235181684_0021&DMDID=DMDLOG_0051 | year=1883 | doi=10.1007/bf01446819 | ref={{harvid|Cantor|1883}} }} Published separately as: ''Grundlagen einer allgemeinen Mannigfaltigkeitslehre''.
* {{저널 인용| author=Georg Cantor | title=Ueber eine elementare Frage der Mannigfaltigkeitslehre | journal=Jahresbericht der Deutschen Mathematiker-Vereinigung | volume=1 | pages=75–78 | year=1891 |url=http://gdz.sub.uni-goettingen.de/pdfcache/PPN37721857X_0001/PPN37721857X_0001___LOG_0029.pdf}}
* {{저널 인용|ref=harv |surname=Cantor |given=Georg |year=1895 |url=http://gdz-lucene.tc.sub.uni-goettingen.de/gcs/gcs?&&action=pdf&metsFile=PPN235181684_0046&divID=LOG_0044&pagesize=original&pdfTitlePage=http://gdz.sub.uni-goettingen.de/dms/load/pdftitle/?metsFile=PPN235181684_0046%7C&targetFileName=PPN235181684_0046_LOG_0044.pdf& |title=Beiträge zur Begründung der transfiniten Mengenlehre (1) |journal=Mathematische Annalen |volume=46 |issue=4 |pages=481–512 |doi=10.1007/bf02124929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23224341/http://gdz-lucene.tc.sub.uni-goettingen.de/gcs/gcs?&&action=pdf&metsFile=PPN235181684_0046&divID=LOG_0044&pagesize=original&pdfTitlePage=http%3A%2F%2Fgdz.sub.uni-goettingen.de%2Fdms%2Fload%2Fpdftitle%2F%3FmetsFile%3DPPN235181684_0046%7C&targetFileName=PPN235181684_0046_LOG_0044.pdf& |archivedate=April 23, 2014 }}
* {{저널 인용|ref=harv|surname=Cantor|given=Georg|year=1897|title=Beiträge zur Begründung der transfiniten Mengenlehre (2)|journal=Mathematische Annalen|volume=49|issue=2|pages=207–246|doi=10.1007/bf01444205 |url=http://gdz.sub.uni-goettingen.de/index.php?id=11&PPN=PPN235181684_0049&DMDID=DMDLOG_0024&L=1}}
* {{인용|surname=Cantor |given=Georg |year=1932 |url=http://gdz.sub.uni-goettingen.de/index.php?id=11&PPN=PPN237853094&DMDID=DMDLOG_0001&L=1 |title=Gesammelte Abhandlungen mathematischen und philosophischen inhalts |editor=[[에른스트 체르멜로|Ernst Zermelo]] |publisher=Springer |location=Berlin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203234213/http://gdz.sub.uni-goettingen.de/index.php?id=11&PPN=PPN237853094&DMDID=DMDLOG_0001&L=1 |archivedate=February 3, 2014 |df=mdy-all }}. Almost everything that Cantor wrote. Includes excerpts of his correspondence with [[리하르트 데데킨트|Dedekind]] (p. 443–451) and [[아브라함 프렝켈|Fraenkel's]] Cantor biography (p. 452–483) in the appendix.
== 참고 문헌 ==
* {{저널 인용|성=Dauben |jstor=2708842 |given= Joseph W.|날짜=1977-01|title=Georg Cantor and Pope Leo XIII: Mathematics, Theology, and the Infinite|journal=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issn=0022-5037|volume=38|number=1|pages=85–108|언어=en}}
* {{서적 인용|성=Dauben|이름= Joseph W.|날짜=1979|title=Georg Cantor: his mathematics and philosophy of the infinite|place=Boston|publisher=Harvard University Press|isbn=978-0-691-02447-9|언어=en}}
* {{저널 인용|성=Dauben|이름=Joseph W.|제목=Georg Cantor and the battle for transfinite set theory|날짜=2004|저널=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Christians in the Mathematical Sciences|url=http://www.acmsonline.org/journal/2004/Dauben93.htm|권=2004|언어=en|확인날짜=2015-01-0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108022603/http://www.acmsonline.org/journal/2004/Dauben93.htm#|보존날짜=2015-01-08|url-status=dead}}
* {{저널 인용|이름=Ivor|성=Grattan-Guinness|날짜=1971|title=Towards a Biography of Georg Cantor|doi=10.1080/00033797100203837|journal=Annals of Science|volume=27|pages=345–391|언어=en}}
* {{서적 인용|성=Purkert|이름=Walter|공저자=Hans Joachim Ilgauds|날짜=1985|title=Georg Cantor: 1845 – 1918|publisher=Birkhäuser|isbn=978-3-0348-7412-0|doi=10.1007/978-3-0348-7411-3|총서=Vita Mathematica|권=1|언어=de}}
* {{서적 인용|이름=Christian|성=Tapp|url=http://www.steiner-verlag.de/titel/54670.html|제목=Kardinalität und Kardinäle. Wissenschaftshistorische Aufarbeitung der Korrespondenz zwischen Georg Cantor und katholischen Theologen seiner Zeit|위치=[[슈투트가르트]]|출판사=Franz Steiner Verlag|날짜=2005|isbn=978-3-515-08620-2 |총서=Boethius|권=53|issn=0523-8226 |언어=de}}
== 같이 보기 ==
* [[알레프 수]]
* [[연속체 가설]]
* [[초한수]]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Georg Cantor}}
{{위키인용집}}
* {{맥튜터|id=Cantor|title=Georg Ferdinand Ludwig Philipp Cantor
|date=1998-10}}
* {{수학계보|id=29561|title=Georg Ferdinand Ludwig Philipp Cantor}}
{{프랙탈}}
{{전거 통제}}
{{기본정렬:칸토어, 게오르크}}
[[분류:게오르크 칸토어| ]]
[[분류:1845년 출생]]
[[분류:1918년 사망]]
[[분류:19세기 수학자]]
[[분류:19세기 철학자]]
[[분류:20세기 수학자]]
[[분류:20세기 철학자]]
[[분류:독일의 논리학자]]
[[분류:독일의 수학자]]
[[분류:러시아의 수학자]]
[[분류:러시아의 논리학자]]
[[분류:집합론자]]
[[분류: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동문]]
[[분류: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동문]]
[[분류:발트 독일인]]
[[분류:유대계 독일인]]
[[분류:유대계 러시아인]]
[[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학자 정보
|이름 =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고틀로프 프레게
|원어이름 = {{Lang|de|Friedrich Ludwig Gottlob Frege}}
|그림 = Young frege.jpg
|그림 설명 = 프레게 (1879년 경 사진)
|출생일 = {{출생일|1848|11|8}}
|출생지 = [[스웨덴-노르웨이]] (오늘날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비스마르]]({{Llang|de|Wismar}})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25|7|26|1848|11|8}}
|사망지 = [[바이마르 공화국]]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바트클라이넨]]({{Llang|de|Bad Kleinen}})
|출신 대학 = [[예나 대학교]]<br />[[괴팅겐 대학교]]
| 소속_기관 =[[예나 대학교]]
| 지도_학생 =
| 유명_제자 =
| 주요_관심 =
| 주요_저작 =
| 주요_개념 =[[술어 논리]]<br />[[프레게의 정리]]<br />[[뜻과 지시체]]
|분야 = [[수리논리학]], [[분석철학]]
|| 지도_교수 = 에른스트 크리스티안 율리우스 셰링({{Llang|de|Ernst Christian Julius Schering}})<br />[[알프레트 클렙슈]]
}}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고틀로프 프레게'''({{Llang|de|Friedrich Ludwig Gottlob Frege}} {{IPA|[ˈɡɔtloːp ˈfreːɡə]}}, [[1848년]] [[11월 8일]] ~ [[1925년]] [[7월 26일]])는 [[독일]]의 [[수리논리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근대 [[수리철학]]과 [[분석철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 생애 ==
1848년 11월 8일에, 당시 공식적으로 [[스웨덴-노르웨이]] 제국에 속해 있었지만 [[독일]] 통치 아래 있던 도시 [[비스마르]]({{Llang|de|Wismar}})에서 태어났다.<ref>비스마르는 1908년에 공식적으로 [[메클렌부르크]]에 반환되었다.</ref> 비스마르의 [[김나지움]]을 1869년에 졸업하였고, 김나지움의 교사 구스타프 아돌프 레오 작세({{Llang|de|Gustav Adolf Leo Sachse}})는 프레게의 수학적 재능을 알아보고 [[예나 대학교]]에 입학할 것을 권고하였다.
프레게는 1869년에 예나 대학교에 입학하여 4학기를 공부하였고, 1871년에 [[괴팅겐 대학교]]로 전학하여 1873년 12월에 [[사영기하학]]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1874년에 예나 대학교에서 [[하빌리타치온]]을 마치고, [[예나]]에서 수학 개인 강사로 일했다. 1887년 3월 14일에 마르가레테 카타리나 소피아 아나 리제베르크({{Llang|de|Margarete Katharina Sophia Anna Lieseberg}}, 1856년 2월 15일 ~ 1904년 6월 25일)와 결혼하였다.
1879년에 예나 대학교의 조교수({{Llang|de|Ausserordentlicher Professor}})로 임용되었다. 1879년에 《개념 표기법: 순수 사고의 산술적 형식 언어의 모형》({{Llang|de|Begriffsschrift, eine der arithmetischen nachgebildete Formelsprache des reinen Denkens}})을 출판하였고, 이 책에서 [[술어 논리]]를 최초로 도입하였다. 1884년에는 《산술의 기초: 수의 개념의 수리논리학적 탐구》({{Llang|de|Die Grundlagen der Arithmetik: eine logisch-mathematische Untersuchung über den Begriff der Zahl}})를 출판하여 수의 개념의 심리주의적 정의를 비판하였다.
1893년에 《개념 표기법으로부터 유도된 산술의 기본 법칙》({{Llang|de|Grundgesetze der Arithmetik, begriffsschriftlich abgeleitet}}) 1권을 출판하였고, 1896년에 [[예나 대학교]]의 정교수({{Llang|de|Ordentlicher Honorarprofessor}})로 승진하였다. 1903년에 《산술의 기본 법칙》2권을 출판하였다.
1917년 또는 1918년에 예나 대학교에서 은퇴하였다. 이후 발견된 당시의 일기에서 그는 의회민주주의를 비판하고 [[아돌프 히틀러]]를 칭송하는 등 파시즘 성향을 드러냈으나 실제로는 많은 유대인들과 가까이 지냈다. 1925년 7월 26일에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작은 마을 [[바트클라이넨]]({{Llang|de|Bad Kleinen}})에서 사망하였다.
== 업적 ==
=== 《개념 표기법》 ===
[[파일:Begriffsschrift Titel.png|섬네일|오른쪽|《개념 표기법》 표지]]
1879년에 출판된 책 《개념 표기법: 순수 사고의 산술적 형식 언어의 모형》({{Llang|de|Begriffsschrift, eine der arithmetischen nachgebildete Formelsprache des reinen Denkens}})에서 프레게는 기존에 알려진 [[명제 논리]]를 [[술어 논리]]로 확장하였고, 명제 논리와 술어 논리를 표현하는 형식적 언어를 고안하였다. 프레게의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tyle="margin:0.5em auto;"
|-
! scope="col" | 개념
! scope="col" | 《개념 표기법》 표기
! scope="col" | 현대 표기
|-
|| [[부정]]
|style="text-align:center;"|[[파일:Begriffsschrift connective1.svg|60px]]
|style="text-align:center;"|<math>\lnot A</math>
|-
|| [[함의]]
|style="text-align:center;"|[[파일:Begriffsschrift connective2.svg|80px]]
|style="text-align:center;"|<math>B\implies A</math>
|-
|| 전칭 기호
|style="text-align:center;"|[[파일:Begriffsschrift Quantifier1.png]]
|style="text-align:center;"|<math>\forall x\colon F(x)</math>
|-
|| 존재 기호
|style="text-align:center;"|[[파일:Begriffsschrift Quantifier3.png]]
|style="text-align:center;"|<math>\exists x\colon F(x)</math>
|-
|| [[동치]]
|style="text-align:center;"|<math>A\equiv B</math>
|style="text-align:center;"|<math>A\iff B</math>
|}
[[버트런드 러셀]]의 [[기술 이론]](theory of description)과 버트런드 러셀과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의 《[[수학 원리]]》의 중요한 핵심이 되는 [[양화]](quantification)가 바로 술어논리를 표현하기 위하여 고안한 프레게의 개념이다. 그의 업적은 당시에는 거의 인정받지 않았으나, 그의 생각에 영향을 받은 [[주세페 페아노]], 버트런드 러셀 등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에드문트 후설]]도 프레게의 영향을 받았다.
=== 《산술의 기본 법칙》 ===
프레게는 수학이 논리학으로 귀결될 수 있다는 [[논리주의]]의 초기 주창자 중에 하나였다. 프레게는 1884년에 출판된 《산술의 기초: 수의 개념의 수리논리학적 탐구》({{Llang|de|Die Grundlagen der Arithmetik: eine logisch-mathematische Untersuchung über den Begriff der Zahl}})에서 기존의 심리주의적 수의 개념을 비판하였고, 수의 개념이 종합적({{Lang|en|synthetic}}) 개념이 아니라 해석적({{Lang|en|analytic}}) 개념이라고 주장하였다.
《개념 표기법으로부터 유도된 산술의 기본 법칙》({{Llang|de|Grundgesetze der Arithmetik, begriffsschriftlich abgeleitet}}, 1권 1893년, 2권 1903년)에서 프레게는 논리학으로부터 산술을 유도하려고 시도하였다. 1판이 출판된 뒤 버트런드 러셀은 프레게의 공리계가 [[러셀의 역설]]을 함의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프레게는 이미 완성된 2권에 이 역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실토하는 부록을 추가하였다.
=== 언어철학 ===
프레게는 [[언어철학]]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고, 특히 [[고유명사]]의 [[뜻과 지시체]]({{Llang|de|Sinn und Bedeutung}}) 사이의 차이에 관해 논의하였다.
== 주요 저서 ==
* {{서적 인용|제목=[[:commons:File:Begriffsschrift.djvu|Begriffsschrift, eine der arithmetischen nachgebildete Formelsprache des reinen Denkens]]|위치=Halle |출판사=Louis Nebert|날짜=1879 |jfm= 11.0048.02|언어=de}}
** 《개념 표기법: 순수 사고의 산술적 형식 언어의 모형》
* {{서적 인용|제목=Die Grundlagen der Arithmetik: eine logisch-mathematische Untersuchung über den Begriff der Zahl|위치=Breslau|날짜=1884 |언어=de}}
** 《산술의 기초: 수의 개념의 수리논리학적 탐구》
* {{서적 인용|제목=Funktion und Begriff|날짜=1891|저널=Vortrag, gehalten in der Sitzung vom 9. Januar 1891 der Jenaischen Gesellschaft für Medizin und Naturwissenschaft, Jena, 1891|jfm=23.0053.01|언어=de}}
** 〈함수와 개념〉
* {{저널 인용|제목=[[:commons:File:Über Sinn und Bedeutung.djvu|Über Sinn und Bedeutung]]|저널=Zeitschrift für Philosophie und philosophische Kritik|날짜=1892|권=100|쪽=25-50 |언어=de}}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eonardowhee&logNo=100061349726&parentCategoryNo=24&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뜻과 지시체에 관하여]〉
* {{저널 인용|제목=Über Begriff und Gegenstand|저널=Vierteljahresschrift für wissenschaftliche Philosophie|권=16|날짜=1892|쪽=192-205 |언어=de}}
** 〈개념과 대상에 관하여〉
* {{서적 인용|제목=[[:commons:File:Grundgesetze der Arithmetik.djvu|Grundgesetze der Arithmetik, begriffsschriftlich abgeleitet, Band I]]|위치=Jena|출판사=Verlag Hermann Pohle|날짜=1893|jfm=25.0101.02|언어=de}}
* {{서적 인용|제목=Grundgesetze der Arithmetik, begriffsschriftlich abgeleitet, Band II|위치=Jena|출판사=Verlag Hermann Pohle|날짜=1903|jfm=34.0071.05|언어=de}}
** 《개념 표기법으로부터 유도된 산술의 기본 법칙》 (총 2권)
* {{저널 인용|제목=Über die Grundlagen der Geometrie|저널=Jahresbericht der deutschen Mathematiker-Vereinigung|권=12|날짜=1903|쪽=368–375|jfm=34.0525.02|언어=de}}
** 〈기하학의 기초에 관하여〉
* {{서적 인용|장=Was ist eine Funktion?|제목=Festschrift Ludwig Boltzmann gewidmet zum sechzigsten Geburtstage, 20. Feb. 1904|편집자=S. Meyer|위치=Leipzig|날짜=1904|쪽= 656–666 |jfm=35.0977.01|언어=de}}
** 〈함수란 무엇인가?〉
* {{저널 인용|제목=Der Gedanke. Eine logische Untersuchung|저널=Beiträge zur Philosophie des deutschen Idealismus|권=1|날짜=1918|쪽=58-77|언어=de}}
** 〈사고: 논리적 연구〉
* {{저널 인용|제목=Die Verneinung|저널=Beiträge zur Philosophie des deutschen Idealismus|권=1|날짜=1918|쪽=143-157|언어=de}}
** 〈부정〉
* {{저널 인용|제목=Gedankengefüge|저널=Beiträge zur Philosophie des deutschen Idealismus|권=3|쪽=36–51|날짜=1923|언어=de}}
** 〈복합 사고〉
마지막 3편의 논문은 합쳐 《논리 연구》({{Llang|de|Logische Untersuchungen}})라는 제목으로 출판한 계획이었으나, 프레게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다.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 [http://philinst.snu.ac.kr/bbs/download.php?bo_table=supplement&wr_id=40&no=0 프레게 『산수의 기초』 / 최훈]{{깨진 링크|url=http://philinst.snu.ac.kr/bbs/download.php?bo_table=supplement&wr_id=40&no=0 }} pdf
* {{서적 인용|성=케니|이름=안토니|제목=프레게: 현대 분석철학의 창시자에 대한 소개|기타=최원배 역|출판사=서광사|날짜=2002|언어=ko}}
** {{서적 인용|성=Kenny|이름=Anthony|날짜=1995|제목=Frege: an introduction to the founder of modern analytic philosophy|출판사=Penguin Books|언어=en}}
* {{서적 인용|성=Baker|이름=Gordon|저자2=P.M.S. Hacker|날짜=1984|제목=Frege: logical excavations|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언어=en}}
* {{서적 인용|성=Currie|이름=Gregory|날짜=1982|제목=Frege: an introduction to his philosophy|출판사=Harvester Press|언어=en}}
* {{서적 인용|성=Dummett|이름=Michael|날짜=1993-01|제목=Frege: philosophy of language|판=2|url=http://www.hup.harvard.edu/catalog.php?isbn=9780674319318|isbn=978-067431931-8|출판사=Harvard University Press|언어=en}}
* {{서적 인용|성=Dummett|이름=Michael|날짜=1981|제목=The interpretation of Frege’s philosophy|출판사=Harvard University Press|언어=en}}
* {{서적 인용|성=Dummett|이름=Michael|날짜=1995|제목=Frege: philosophy of mathematics|url=http://www.hup.harvard.edu/catalog.php?isbn=9780674319363|isbn=9780674319363|출판사=Harvard University Press|언어=en|확인날짜=2014-11-2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044005/http://www.hup.harvard.edu/catalog.php?isbn=9780674319363|보존날짜=2015-09-24|url-status=dead}}
* {{서적 인용|성=Heck|이름=Richard G., Jr.|날짜=2011-12-15|제목=Frege’s theorem|url=https://global.oup.com/academic/product/freges-theorem-9780199695645?cc=us&lang=en&|isbn=978-019969564-5|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언어=en}}
* {{서적 인용|성=Rosado Haddock|이름=Guillermo E.|날짜=2006|제목=A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Gottlob Frege|출판사=Ashgate Publishing|언어=en}}
* {{서적 인용|성=Sluga|이름=Hans|날짜=1980|제목=Gottlob Frege|출판사=Routledge|언어=en}}
* {{서적 인용|성=Weiner|이름=Joan|날짜=1990|제목=Frege in perspective|출판사=Cornell University Press|언어=en}}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Gottlob Frege}}
* {{브리태니커|b24p0080b}}
* {{두피디아|101013000786282}}
* {{네이버캐스트|4185}}
* {{웹 인용|url=http://plato.stanford.edu/entries/frege/|제목=Gottlob Frege|웹사이트=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이름=Edward|성=Zalta|날짜=2012-10-22|언어=en}}
* {{웹 인용|url=http://plato.stanford.edu/entries/frege-theorem/|제목=Frege's Theorem and Foundations for Arithmetic|웹사이트=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이름=Edward|성=Zalta|날짜=2013-07-05|언어=en}}
* {{웹 인용|url=http://www.iep.utm.edu/frege/|제목=Gottlob Frege (1848—1925)|이름=Kevin C.|성=Klement|웹사이트=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언어=en}}
* {{웹 인용|url=http://www.iep.utm.edu/freg-lan/|제목=Gottlob Frege: Language|이름=Dorothea|성=Lotter|웹사이트=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언어=en}}
* {{맥튜터|id=Frege|title=Friedrich Ludwig Gottlob Frege}}
* {{수학계보|id=46166|title=Gottlob Friedrich Ludwig Frege}}
{{분석 철학}}
{{전거 통제}}
{{기본정렬:프레게,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고틀로프}}
[[분류:1848년 출생]]
[[분류:1925년 사망]]
[[분류:19세기 철학자]]
[[분류:20세기 철학자]]
[[분류:독일의 철학자]]
[[분류:독일의 수학자]]
[[분류:독일의 논리학자]]
[[분류:19세기 수학자]]
[[분류:20세기 수학자]]
[[분류:예나 대학교 동문]]
[[분류:버트런드 러셀]]
[[분류:형이상학자]]
[[분류:과학철학자]]
[[분류:수리철학자]]
[[분류:언어적 전회]]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영화인 정보
| 이름 = 앨프리드 히치콕<br />{{lang|en|Alfred Hitchcock}}
| 사진 = Hitchcock, Alfred 02.jpg
| 사진크기 = 220px
| 사진설명 = 1960년대의 히치콕
| 출생일 = {{출생일|1899|8|13}}
| 출생지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잉글랜드]] [[런던]]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80|4|29|1899|8|13}}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벨에어 (로스앤젤레스)|벨에어]]
| 본명 = 앨프리드 조지프 히치콕<br />{{lang|en|Alfred Joseph Hitchcock}}
| 다른이름 = 히치 ({{lang|en|Hitch}}), 서스펜스의 대가
| 국적 = [[미국]] <br> [[영국]]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
| 활동기간 = [[1919년]] ~ [[1980년]]
| 종교 = 기독교
| 부모 =
| 형제자매 =
| 배우자 = 앨마 리빌 (1926 ~ 1980)
| 자녀 = 팻 히치콕 (1929 ~ 2021)
| 소속사 =
| 수상 = [[골든 글로브상]], [[아카데미상]] 등
| 웹사이트 =
| 서명 = Alfred Hitchcock Signature.svg
}}
'''앨프리드 조지프 히치콕 경'''({{Llang|en|Sir Alfred Joseph Hitchcock, [[대영 제국 훈장|KBE]]}}, [[통용 표기]]: 알프레드 히치콕, [[1899년]] [[8월 13일]] ~ [[1980년]] [[4월 29일]])은 [[영국]]과 [[미국]]의 [[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영화 제작자]]이다. ‘[[서스펜스]]의 대가’라는 칭송을 받고 있으며, 그의 영화는 공포 영화 장르가 많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죄 없는 사람들이 자신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휘말리면서 벌어지는 일을 담고 있으며, 이런 영화는 사소한 실수가 불러일으키는 것을 일깨우게 한다. 그는 감독 외에도 제작, 각본, 편집, 미술에 능하였다. 최초의 스타 감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현기증 (1958년 영화)|현기증]]》, 《[[싸이코 (1960년 영화)|싸이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이창 (영화)|이창]]》, 《[[오명 (1946년 영화)|오명]]》 등이 있다. 대부분의 그의 대표작들은 [[아카데미상]]을 한 번도 받지 못하였으며 그의 작품들 중에 [[아카데미 작품상|작품상]]을 받은 작품은 《[[레베카 (1940년 영화)|레베카]]》가 유일하다.
== 생애 ==
=== 성장 과정 ===
히치콕은 [[1899년]] 농산물 가게를 운영하는 부부의 막내아들로 [[런던]]의 [[레이턴스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윌리엄(William)은 어부 출신의 야채상인 조지프(Joseph)와 일용직 노동자의 딸 앤 머호니(Anne Mahoney)의 9남매의 자식들 중 한 명이었고 어머니 에마(Emma)는 경찰관 존 웰런(John Whelan)의 딸이었다. 히치콕은 [[1910년]]부터 스탬퍼드힐에 있는 [[예수회]] 소속 성 이그나티우스 학교에 다니게 되었는데, 이 학교의 엄격한 규율과 그에 따른 [[체벌]]은 10대 시절의 히치콕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1913년]] 학교를 마친 히치콕이 아직 뚜렷한 진로를 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아버지 윌리엄이 [[1914년]] [[신장염]]으로 사망했다. 히치콕은 전신회사에서 기술자로 일하게 되었으나 이 직업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상관의 도움으로 광고부로 이직한 히치콕은 [[영화]]와 문학에 심취했다. 주로 영국 [[추리물|탐정소설]]을 읽었지만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에 매료되어, 훗날 자신이 공포영화를 만들게 된 것은 포의 작품을 읽었기 때문이라고 술회했다.<ref>베른하르트 옌드리케, 《앨프레드 히치콕》, 한길사, 1997, p.35</ref>
=== 영화계 입문 ===
히치콕은 영화사에서 자막을 도안하는 일을 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하였고, 그곳에서 영화 제작 기술을 익혔다. [[1922년]] 히치콕은 시모어 힉스(Seymour Hicks)와 함께 공동으로 영화 《[[Always Tell Your Wife|항상 부인에게 얘기하세요]]》(Always Tell Your Wife)를 감독했고, 본격적으로 영화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첫 작품<ref>《항상 부인에게 얘기하세요》는 히치콕의 감독 데뷔작이지만 공동감독이었다</ref> 《[[프리주어 가든|기쁨의 정원]]》(The Pleasure Garden)과 두 번째 영화 《[[마운틴 이글]]》(The Mountain Eagle)은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평범한 일상 속에 갑작스럽게 악이 침투한다는 히치콕 특유의 설정을 바탕으로 한 세 번째 영화 《[[하숙인 (1927년 영화)|하숙인]]》(The Lodger)에 이르러서 히치콕은 자신의 독특한 연출 스타일을 탄생시켰다.<ref>같은 책, p.66</ref>
영국 영화계에서 주목받는 신인 감독으로 자리잡은 히치콕은 [[1926년]] [[1월 2일]] 영화 편집자 앨마 리빌({{lang|en|Alma Reville}})과 결혼했고, 브리티시 인터내셔널 픽처스(British International Pictures)에 스카웃되었다. 이 회사에서 만든 첫 번째 영화 《[[링 (1927년 영화)|링]]》(The Ring)은 문학 작품을 원작으로 하는 이전의 영화들과는 달리, 히치콕과 엘리엇 스태너드({{lang|en|Eliot Stannard}})가 시나리오를 집필했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실험적인 기법이 도입되었다. 《링》은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나 흥행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후 유성영화의 시대가 열리면서 히치콕은 연극 대본을 원작으로 하는 자신의 영화 《[[협박 (1929년 영화)|협박]]》(Blackmail)에서 부분적으로 소리를 집어넣었고, 이 영화는 평단과 관객 양쪽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히치콕은 영화제작사 측의 '무대에서 성공을 거둔 연극작품을 영화화하려는 경향'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ref>같은 책, p.107</ref> 부인 앨머와 밸 밸런타인({{lang|en|Val Valertine}})이 공동으로 시나리오를 집필한 《[[리치 앤 스트레인지|부자와 이방인]]》(Rich and Strange)과 히치콕 본인이 제작한 영화 《캠버 경의 여인들》(Lord Camber's Ladies)의 연이은 실패로 히치콕은 브리티시 인터내셔널 픽처스와 결별했다.
=== 범죄 스릴러 ===
고먼트 브리티시(Gaumont-British) 사와 재계약한 히치콕은 자신이 바라던 오리지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일련의 범죄 스릴러 영화를 제작할 수 있었다. 《[[나는 비밀을 알고 있다 (1934년)|나는 비밀을 알고 있다]]》(The Man Who Knew Too Much), 《[[39 계단 (1935년 영화)|39계단]]》, 《[[비밀 첩보원 (영화)|비밀 첩보원]]》(Secret Agent), 《[[사보타주 (1936년 영화)|사보타주]]》(Sabotage), 《[[젊음과 순수]]》(Young And Innocent) 등 히치콕의 영국에서 만든 영화 중 대표작들이 이 시기에 발표되었다.
=== 미국 진출 ===
30년대 후반 히치콕은 미국 진출을 결정지었고, [[1938년]] 7월 오래전부터 알던 사이인 미국의 제작자 마이런 셀즈닉(Myron Selznick)의 동생 [[데이비드 O. 셀즈닉]]과 계약했다. 감독들에게 일일이 세세한 부분까지 지시를 내리는 셀즈닉과의 공동 작업은 곧 갈등을 불러일으켰다.<ref>같은 책, p.137</ref>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치콕의 할리우드에서의 첫 영화 《[[레베카 (1940년 영화)|레베카]]》는 [[아카데미상]] 작품상, 촬영상을 받으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히치콕은 자신의 장기인 서스펜스 영화 《[[의혹 (1941년 영화)|의혹]]》(Suspicion), 《[[의혹의 그림자]]》 외에도 코미디 《[[스미스 부부]]》(Mr. & Mrs. Smith), 첩보 영화 《[[파괴 공작원]]》(Saboteur) 등 제작자 측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영화를 만들었다. 《[[패러딘 부인의 사랑]]》(The Paradine Case)을 끝으로 히치콕은 셀즈윅을 떠났다.
=== 영화사 설립 ===
제작자로부터 독립해 자신의 영화 제작사 [[트랜스애틀랜틱 픽처스]](Transatlantic Pictures)를 세운 히치콕은 첫 컬러 영화 《[[로프 (영화)|로프]]》(Rope)를 발표했고, 이어서 《[[염소자리 아래서]]》(Under Capricorn)를 만들었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영화사는 문을 닫았고 인기 배우를 기용하여 제작한 다음 작품 《[[무대 공포증 (1950년 영화)|무대 공포증]]》(Stage Fright)도 실패했다. 그러나 이 시기의 히치콕은 주식과 부동산 투자, 각종 방송과 강의에 출연함으로써 부와 명성을 누리고 있었다.<ref>같은 책, p.175</ref>
히치콕은 신인 작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의 판권을 사들여 영화 《[[열차 안의 낯선 자들 (영화)|열차 안의 낯선 자들]]》을 만들어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즈음부터 히치콕은 《[[다이얼 M을 돌려라]]》, 《[[이창 (영화)|이창]]》, 《[[현기증 (1958년 영화)|현기증]]》,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싸이코 (1960년 영화)|싸이코]]》, 《[[새 (영화)|새]]》 등 그의 대표작들을 발표했다. 이후에 발표한 《[[찢어진 커튼]]》(Torn Curtain), 《[[토파즈 (1969년 영화)|토파즈]]》(Topaz)는 이전만큼의 좋은 결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히치콕은 일흔을 넘긴 나이에 다시 메가폰을 잡고 [[1972년]] 《[[프렌지]]》(Frenzy)를 발표해 흥행했다.
평소 과체중에 음주가 잦았던 히치콕은 점차 건강이 악화되었고, 자신의 마지막 영화 《[[가족 음모]]》(Family Plot)를 발표했다. 그는 차기작을 준비할 생각이었으나 더 이상 기력이 남아있지 않다는 이유로 영화감독에서 은퇴했다. [[1980년]] [[4월 16일]] 미국 영화연구소 시상식에서 한 연설이 그가 마지막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장면이었다. 같은 해 [[4월 29일]] 히치콕은 [[로스앤젤레스]]의 자택에서 사망했다.향년 80세.유해는 화장 후 태평양 바닷가에 뿌려졌다.
== 영화 기법 ==
=== 맥거핀 ===
히치콕의 영화에는 [[맥거핀]]이라는 요소가 자주 등장한다. 맥거핀이란 영화의 플롯 진행에 있어서 특정한 내용이나 인물에 관해 관객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내용상 무언가 중요한것임을 암시하지만 실상은 플롯의 진행에 있어 아무런 관련성도 없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히치콕은 맥거핀을 관객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트뤼포는 히치콕에서 맥거핀에 대해 질문했고 이에 대해 히치콕이 든 예는 오명에서의 와인병이었다. 히치콕은 맥거핀이란 관객과 등장인물들의 관심을 끄는 그 무엇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나레이터인 감독의 관심 밖에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와인병에 든 우라늄 가루’는 원자폭탄을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설명을 덧붙인다. 맥거핀에 대한 일화로 히치콕은 트뤼포에게 《오명》(Notorious)의 일화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히치콕은 제작자들을 상대로 맥거핀이 되는 우라늄 가루에 대해 설득하기가 정말 쉽지 않았다고 성토했다. 프로듀서들은 원자폭탄을 만드는 물질이 왜 사랑이야기에 들어가야 하는지 전혀 납득하지 못했다. 결국 《오명》의 시나리오는 대부분의 프로듀서들로부터 거절됐고 히치콕은 이 영화의 제작과 맥거핀을 고집하기 위해 스스로 나서서 제작비를 충원했다. 맥거핀에 대한 히치콕의 신념은 확고했다. 맥거핀은 관객이 중심이 되는 히치콕의 영화에서 관객을 통제하는 장치였다. 따라서 극의 서스펜스를 위해서 맥거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 영화에서 첩보활동을 위해 나치 비밀조직의 수장 알렉스 세바스찬과 결혼까지 불사한 알리시아는 안주인으로서 세바스찬의 집으로 들어가 살게 된다. 그녀는 저택의 거실 장식장에 있던 와인병 하나를 두고 나치 조직원들끼리 냉랭한 기류가 형성되는 것을 눈치챈다. 이 와인병은 그들 사이에서도 일급비밀인 중대한 것으로 보인다.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데블린은 알리시아와 함께 와인창고로 들어가기로 한다. 그는 알리시아에게 세바스찬이 결혼 축하파티를 열도록 청하라고 종용한다. 파티 당일, 세바스찬의 결혼기념 파티에 초대되어 온 데블린은 알리시아와 함께 지하창고에 잠입해 와인병을 찾는다. 그는 실수로 와인병 하나를 깨뜨리고 안에 들어있던 검은 색 모래입자들은 바닥에 쏟아진다. 숨막힐 듯 조여오는 서스펜스의 순간. 두 사람이 우라늄 가루와 병조각의 흔적을 치우는 동안 세바스찬은 하인을 데리고 파티에 쓸 술을 가지러 지하창고로 내려간다. 이 일로 세바스찬은 알리시아가 나치조직의 비밀을 캐기 위해 위장 결혼한 미국의스파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는 어머니에게 아내의 처분을 두고 의논하고 결국 두 사람은 작당해서 알리시아를 독살하기로 한다.
이렇게 검은색 가루가 든 와인병은 사건이 진행되는 모터의 역할을 한다. 관객에게 관심사는 데블린과 알리시아의 불가능해보이는 사랑의 감정이 어떻게 될 것인가에 있다. 관객은 와인병에 호기심을 기울이게 되고 나중에 와인병이 깨져 버리면서 사건은 더 발전하지만, 중요한 점은 관객은 더 이상 와인병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게 된다. 와인병은 깨어져 관심을 끈 순간, 그것으로 본래 임무를 완수한 것이다. ‘원자폭탄을 제조하는 데 꼭 필요한 우라늄 입자가 든 와인병’ 은 나치의 구체적인 계획과 미국의 첩보활동이라는 서브 테마에 관심을 두게 유도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와인병은 이야기를 진전시키고 중간에 사라져버리는 맥거핀이라 할 수 있다.
1958년에 만들어져 큰 성공을 거둔 작품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에서 맥거핀은 두 가지가 있다. 그것들은 관객과 등장인물들의 주의를 끄는 사람과 사물로 나타난다. 주인공 로저 O. 쏜힐(캐리 그란트)은 악당들로부터 아무 잘못없이 캐플란으로 오인이 되어버린다. 쏜힐은 캐플란이 과연 누구인가를 알아내기 위해 유엔빌딩으로 가게 된다. 그러나 그는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살인누명까지 쓰게 되고 도주자 신분으로 전락하고 만다. 그는 미국을 횡단하며 갖은 모험을 겪게 된다. 그런데 쏜힐의 도주라는 사건의 발단이 되는 ‘캐플란’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다. 조직내에서 일명 ‘교수’라 불리는 CIA 요원은 회의중 반담이라는 악당의 조직에 잠입시킨 요원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지어낸 인물이라고 말한다.
이렇게 캐플란이 맥거핀이었다는 사실은 영화 시작 45분이 경과한 후 간단하게 밝혀진다. 관객은 이러한 사실을 전혀 모르는 쏜힐이 캐플란을 만나기 위해 기차에 오르는 모습을 보고 서스펜스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기차안에서 만난 이브 캔달이라는 묘령의 여인의 도움을 받아 경찰과 반담무리들의 눈을 속인다. 이브는 쏜힐에게 캐플란의 전언이라면서 황야 한 가운데로 가서 기다리라고 한다. 그러면 캐플란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한다. 물론, 캐플란을 쏜힐은 결코 만날 수 없다.
이 영화에서 사용된 또 하나의 맥거핀은 손에 들 수 있는 작은 고대 조각상이다. 이것은 이브가 반담으로부터 필사적으로 빼앗아서 도주하는 물건으로 나온다. 하지만 반담이 경매장에서 낙찰받은 고가의 유물로만 나올 뿐, 구체적으로는 언급되지 않는다. 러쉬모어산으로 도주한 이브와 쏜힐은 생명이 위태로운 순간까지도 조각상을 악당들에게 넘겨 주지 않으려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조각상이 땅에 떨어져 산산조각이 나는 순간 관객은 그 안에 마이크로 필름조각이 들어있는 것을 보지만 그것은 잠시 화면에 잡힐 뿐이다.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그것이 기밀정보를 담은 것이라는 암시에 그칠 뿐 그 내용에 대해서 히치콕은 영화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다. 쏜힐은 이브를, 이브는 이 조각상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건다는 사실 자체는 서스펜스를 낚는 미끼에 불과했기 때문이다.<ref>[http://www.bandinlunis.com/front/product/detailProduct.do?prodId=3726019 《히치콕에게 묻고싶은 것들》, 파리 씨네마 J], 끌레르 출판사, 2014년, P. 45-50</ref>
=== 카메오 출연 ===
히치콕의 영화는 또한 감독 자신이 영화 속 어딘가에 모습을 드러내는 것으로 유명하며, 그것을 찾는 것 또한 한 재미가 된다. 영화의 등장방법은 지나가는 행인등이나 때로는 영화속 신문기사에 등장하기도 한다.
== 작품 목록 ==
{{본문|앨프리드 히치콕의 작품 목록}}
== TV드라마 사회 ==
히치콕 감독은 《히치콕 극장》시리즈({{lang|en|Alfred Hitchcock Present}}, 1955년-1961년)의 사회,작품의 원작과 주제선정,감수를 맡았는데, 이 프로그램은 [[1958년]] 그 해의 최고 방송 시리즈로서 [[골든 글로브상]]을 받았다.<ref>같은 책, p.223</ref> 후에 드라마의 인기가 높아지자 1961년부터 방영 시간이 30분에서 한시간으로 늘어났다. 제목도 《Alfred Hitchcock Hour》로 바뀌었다.<ref>《알프레드 히치콕 미스터리 매거진》(한국어판)서문, 해난터, 1997년, p.6</ref> 영화업계가 새로운 매체인 TV와의 경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을 때, 히치콕은 TV시리즈에 출연함으로써 자신의 인기를 높였고 이름을 알렸다.<ref>베른하르트 옌드리케, 《앨프레드 히치콕》, 한길사, 1997, p.225</ref>
== 추리소설 잡지 창간 ==
히치콕 감독은 [[1956년]] [[12월]] 추리소설 잡지 《앨프리드 히치콕 미스터리 매거진》({{lang|en|''Alfred Hitchcock Mystery''}})를 창간하였다(실제로 히치콕 감독은 잡지의 편집 등에 일절 관여하지 않았으며 단순히 이름과 초상권을 대여해준 것 뿐이었지만 이 잡지로 인해 그는 연간 10만 달러의 수입을 올렸다).<ref>Spoto, Donald(1999). ''The Dark Side of Genius: The Life of Alfred Hitchcock.'' Da Capo. p.422</ref><ref>Joh Russell Taylor, ''Hitch. The Life and Work of Alfred Hitchcock'', New York, 1978, p.273</ref> 초기에는 콘텐츠가 평범해서 금방 사라질 것으로 보았으나, 우수작가들의 참여로 콘텐츠의 수준이 높아지고, 대중들에게 작품성을 인정받으면서 꾸준히 간행되고 있다.
[[1997년]]에는 코지(Cozy)장르(한정된 공간에서 범죄가 벌어지는 설정의 [[미국]] [[추리물|추리소설]]장르, [[하드보일드]]에 상대되는 용어)의 《누가 머피 부인의 차우더에 독을 넣었는가?》({{lang|en|''Who Put The Poison In Mrs.Murphy's Chowder?''}})를 선보이기도 했다.<ref>《알프레드 히치콕 미스터리 매거진》(한국어판)작품해설, 해난터, 1997년, p.229</ref>
== 서훈 ==
* 1980년 [[대영 제국 훈장|대영 제국 훈장 2등급]](KBE, 작위급 훈장)<ref>{{저널 인용 |성= |이름= |날짜=1979-12-28 |제목=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80 New Year Honours |번역제목= |url=https://www.thegazette.co.uk/London/issue/48041/supplement/6 |언어=en |저널=The Gazette |위치=런던 |출판사= |호=48041 |쪽=6 |확인날짜=2016-11-06 }}</ref><ref group="주">사망 이전 1980년 신년 서훈({{lang|en|1980 New Year Honours}})으로 발표된 것으로, 추서에 해당하지 않는다. 대영 제국 훈장은 생존자에게만 주어진다.</ref><ref group="주">앨프리드 히치콕은 [[1956년]]에 [[미국]] [[시민권]]자가 되었지만, 1980년 당시까지 [[영국]] 시민권을 포기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영국의 훈장을 정식으로 받는 데에 절차상 문제되는 점은 없었다.</ref>
== 주해 ==
<references group="주" />
== 같이 보기 ==
* [[앨프리드 히치콕의 카메오 목록]]
== 참고 문헌 ==
=== 각주 ===
{{각주}}
=== 참고 자료 ===
* [[프랑수아 트뤼포]], 《히치콕과의 대화》
* 베른하르트 옌드리케, 《앨프레드 히치콕》, 한길사, 1997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Alfred Hitchcock}}
{{포털|영화}}
* {{언어링크|en}} {{공식 웹사이트|http://alfred-hitchcock.com/}}
* {{IMDb 이름|0000033|앨프리드 히치콕}}
* {{findagrave|486}}
* {{IMDb 이름|0000033}}
* {{올무비 이름|94487}}
* {{Tcmdb 이름|87065}}
* {{Tv.com 인물|id=38751}}
* {{스크린온라인 이름|id=446568}}
{{히치콕 영화}}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감독}}
{{전거 통제}}
{{기본정렬:히치콕, 앨프리드}}
[[분류:앨프리드 히치콕| ]]
[[분류:1899년 출생]]
[[분류:1980년 사망]]
[[분류:20세기 잉글랜드 사람]]
[[분류:20세기 미국 사람]]
[[분류:잉글랜드의 영화 감독]]
[[분류:미국의 영화 감독]]
[[분류:아카데미 어빙 탤버그 상 수상자]]
[[분류:골든 글로브상 세실 B. 데밀상 수상자]]
[[분류:미국 감독 조합상 수상자]]
[[분류:대영제국 훈장 사령관 기사]]
[[분류:미국으로 귀화한 사람]]
[[분류:런던 출신]]
[[분류:에식스주 출신]]
[[분류:런던 대학교 동문]]
[[분류:아일랜드계 잉글랜드인]]
[[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
[[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
[[분류:미국에 거주한 잉글랜드인]]
[[분류:잉글랜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스탈린}}
{{공직자 정보
| 이름 = 이오시프 스탈린
| 원래 이름 = {{lang|ru|Иосиф Сталин}}<br />{{lang|ka|იოსებ სტალინი}}
| 그림 = StalinCropped1943(b).jpg
| 그림설명 =
| 국가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전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 직책 = [[소련 공산당 서기장|서기장]]
| 임기 = 1922년 4월 3일 ~ 1952년 10월 16일
| 전임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책임서기]] 직함)
| 후임 = [[니키타 흐루쇼프]](제1서기 직함)
| 국가2 = 소련
| 직책2 = [[소련 각료평의회|국무회의]] [[소련의 정부수반|의장]]
| 임기2 = 1941년 5월 6일 ~ 1953년 3월 5일
| 전임2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후임2 = [[게오르기 말렌코프]]
| 대통령2 = {{접이식 목록|제목=[[소련의 국가원수|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의장]]|
* [[미하일 칼리닌]](1938년-1946년)
* [[니콜라이 시베르니크]](1946년-1953년)
}}
| 국가3 = 소련
| 직책3 = [[소련의 국방상|군무상]]
| 임기3 = 1946년 3월 15일-1947년 3월 3일
| 전임3 = 이오시프 스탈린(군무인민위원)
| 후임3 = [[니콜라이 불가닌]]
| 총리3 = 이오시프 스탈린
| 대통령3 =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 국가4 = 소련
| 직책4 = [[소련의 국방상|군무인민위원]]
| 임기4 = 1946년 2월 25일-1946년 3월 15일
| 전임4 = 이오시프 스탈린(국방인민위원)<br />[[니콜라이 쿠즈네초프]](해군인민위원)
| 후임4 = 이오시프 스탈린(군무장관)
| 총리4 = 이오시프 스탈린
| 대통령4 = [[미하일 칼리닌]]
| 국가5 = 소련
| 직책5 = [[소련의 국방상|국방인민위원]]
| 임기5 = 1941년 7월 19일-1946년 2월 25일
| 전임5 = [[세묜 티모셴코]]
| 후임5 = 이오시프 스탈린(군무인민위원)
| 총리5 = {{접이식 목록|제목=[[인민위원평의회]] [[소련의 정부수반|의장]] |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1930년-1941년)
* 이오시프 스탈린(1941년-1946년)
}}
| 대통령5 = [[미하일 칼리닌]]
| 출생일 = {{출생일|1878|12|18}}
| 출생지 = [[러시아제국]] [[고리 (조지아)|그루지야 인민자치 식민지]]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53|3|5|1878|12|18}}
| 사망지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쿤체보]](현재 [[러시아]] [[모스크바|모스크바 시]] [[자파드니 구]] [[쿤체보]])
| 거주지 =
| 정당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1901년-1903년)<br/>[[볼셰비키|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1903년-1918년)<br/>[[볼셰비키|러시아 공산당 볼셰비키]](1918년-1925년)<br/>[[볼셰비키|전연방 공산당 볼셰비키]](1925년-1952년)<br/>[[소련 공산당|소비에트 연방 공산당]](1952년-1953년)
| 내각 =
| 소속 집단 =
| 배우자 = [[에카테리나 스바니제]](1906-07)<br />[[나데즈다 알릴루예바]](1919-32)
| 자녀 = [[야코프 주가시빌리]]<br />[[바실리 스탈린]]<br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 학력 =
| 칭호 =
| 종교 = [[국가 무신론]]
| 서명 = Stalin Signature.svg
| 웹사이트 = <!-- 이하 군경력 변수는 변수 중 하나 이상이 채워져야 화면에 나타남 -->
| 복무 = 소련
| 복무기간 = 1941년 ~ 1953년
| 소속 = [[붉은 군대]]
| 별명 = 코바<br />(Коба)<br />조지아의 인간 백정<br />(Georgia's Human butcher)<br />강철의 대원수<br />(generalissimo of steel)
| 계급 = [[소비에트 연방원수]]
| 지휘 = 전군(최고사령관)
| 근무 =
| 참전 = [[적백내전]]<br />[[제2차 세계 대전]]
| 서훈 = [[#서훈]]
}}
'''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스탈린'''({{llang|ru|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Ста́лин}} {{소리|Ru-Stalin.ogg}}, {{llang|ka|იოსებ სტალინი}}, [[1878년]] [[12월 18일]] ~ [[1953년]] [[3월 5일]])은 [[러시아]]의 정치가, [[공산주의]] [[혁명가]], [[노동운동가]]이자 [[소비에트 연방]]의 [[군인]], [[정치인]], [[작가]], [[시인]], [[언론인]]이다.
스탈린은 1923년 4월 30일부터 1924년 1월 21일까지 [[소비에트 연방]] [[블라디미르 레닌|레닌]] 시대의 제2인자 겸 실권자였으며 1924년 1월 21일부터 1953년 3월 5일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최고 권력자였다.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조지아]] 출신으로 [[정교회]] 성직자를 꿈꿨으나, [[혁명적 사회주의|사회주의 혁명]] 사상에 감화되어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고<ref name="soso1">[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5070052 독재자 스탈린도 사랑에 울었다] 동아일보 2007-05-07</ref> 정치권에 투신하였다.
1924년 4월 3일부터 1953년 3월 5일까지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 원수로 군림했다. 1941년 5월 6일부터 1945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총리]]를 지내고 그해 재선되었으며, 1941년 7월 19일부터 1947년 3월 3일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국방상을 겸하였다. 1945년 6월 27일부터 1953년 3월 5일까지는 [[소련군]] [[대원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인 1939년에는 [[나치 독일]]과의 [[독소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독일이 1941년 침공하여 발발한 [[독소전쟁]] 초기에는 제대로 된 군사정책을 발휘하지 못하여<ref>{{웹 인용 |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7513&yy=2011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4-01-18 |archive-date=2015-09-24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044452/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7513&yy=2011 |url-status= }}</ref><ref>{{웹 인용 |url=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7088&yy=2012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4-01-18 |archive-date=2015-09-24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4042412/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7088&yy=2012 |url-status= }}</ref> 수도인 [[모스크바]]까지 위협받았으나, [[모스크바 공방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를 계기로 전세를 역전시켜, 결국 나치 독일군의 항복과 함께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이 되었다.
정치적으로는 철저한 정적 숙청과 동지들마저 반혁명 혐의로 숙청하여 그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경제발전과 계속된 승전 등의 성과를 바탕으로 철저히 우상화되었으나 죽음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에 의해 강력한 비판을 받고 격하당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을 해체할 당시, 정치와 경제를 동시에 개혁한 실수로 인하여 국민들의 삶이 어려워지고 국가 위상이 곤두박질침에 따라 [[신스탈린주의|스탈린을 그리워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집권 이전에는 '선생님'이라는 애칭이 있었으나, 집권기간 중 스탈린은 '만능의 천재', '빛나는 태양', '삶의 지주', '위대한 조직자', '위대한 지도자', '위대한 선생이며 친구'로써 찬양을 받았고, 한때는 [[러시아 정교회]]의 부[[주교]]로부터 공공연히 '우리의 아버지'로도 불렸다. 사후에는 독재자로 재평가받고 '조지아의 인간 백정'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그의 수많은 가명 중 하나인 '스탈린'이라는 가명은 '강철'을 뜻하며, [[트빌리시]] 신학교 시절의 [[필명]]으로 쓰던 것이 굳어져서 본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스탈린의 출생명은 [[조지아어]]로 '''이오세브 베사리오니스 제 주가슈빌리'''({{llang|ka|იოსებ ბესარიონის ძე ჯუღაშვილი}}, {{llang|ru|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Джугашви́ли|이오시프 비사리오노비치 주가시빌리}})이며, '''소소'''({{llang|ka|სოსო}})는 그의 애칭이었다.<ref name="soso1"/>
== 생애 ==
=== 어린 시절 ===
==== 출생과 가정 배경 ====
[[파일:Stalin 1894.jpg|섬네일|왼쪽|150px|1894년의 어린 스탈린]]
15살
스탈린은 1878년 12월 18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이던 [[조지아]]의 [[고리 (조지아)|고리]]에서 구두 제화공과 신기료 장사를 하던 아버지 베사리온 주가슈빌리({{llang|ka|ბესარიონ ჯუღაშვილი}})와 재봉사이던 어머니 에카테리네 겔라제({{llang|ka|ეკატერინე გელაძე}})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스탈린 전기의 저자인 로버트 서비스에 따르면 1938년 소련에서 출판 된 스탈린 전기는 그의 생애를 1879년 12월 21일로 표기해 놓고 있으나, 그가 그루지야에 가서 지역 교구의 문서를 확인해 본 결과 그의 출생일은 1878년 12월 18일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알콜중독자에 술주정꾼인 아버지 베사리온을 두었던 그는 어린 시절 무자비한 구타, 폭행을 겪으며 자랐다.<ref name="daum1">[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3s0731b 다음 백과사전]</ref>
아버지 베사리온은 불같은 성격이었으며 경제적으로 무능력하였다. 베사리온은 구두 장사가 잘되지 않자 알콜중독에 걸려 계속 가족들에게 폭력을 휘둘렀다. 어머니 에카테리네는 아버지 베사리온에게 수시로 폭행당했는데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두들겨 맞는 것을 보고 분개한 스탈린은 아버지에게 대들며 칼을 던졌다고 딸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스베틀라나]]에게 말한 적이 있다.{{출처|날짜=2016-03-10}}이후 아버지의 보복을 두려워 겁을 먹었던 스탈린은 아버지의 화가 풀릴 때까지 이웃집에서 머물렀다.
==== 유년기 ====
7살(1886)에 그는 [[천연두]]에 걸려 사경을 헤매기도 했으나 기적적으로 살아났다. 그러나 천연두를 손과 바늘로 짠 탓에 그의 얼굴은 곰보가 되었다. 후에 소련의 사진들은 스탈린의 천연두 자국을 모두 편집, 삭제하였다.
기억력이 좋고 영민했던 그는 독서와 역사에 관심이 많았다. 체력이 강했다 하나 약체에 발육부진이었다는 주장도 있다. 엄청난 의지력을 가졌던 그는 일찍부터 본심을 감추고 때를 기다리는 법을 터득했다. 또한 피의 복수를 하는 캅카스인의 전통대로 자기를 모욕한 자들에 대한 장기적인 복수를 꾀하는 데 있어 아무에게도 꺾이지 않을 집념을 키워 나갔다.<ref name="daum1"/> 아버지를 경멸하고 증오했던 그는 주변의 친구들과도 원만하게 어울리지 못했다. 오직 독서만이 그의 외로움을 달래는 길이었는데, 독실한 [[러시아 정교회]] 신자였던 어머니는 아들이 성직자가 되기를 간절히 바랐다. 신앙심 깊고 영리한 스탈린은 어머니의 기대와 바람대로 10살(1889) 때 [[교회]] [[소학교]]에 입학했다.
==== 학창 시절 ====
===== 교회소학교 시절 =====
스탈린은 일찍부터 어려운 환경에서 생활하였다. 1888년(9살) 그는 [[교회]] [[소학교]]를 다니기 시작했는데, 구두공장에 취직한 아버지가 어린 스탈린을 강제로 구두공장에 취직시켜 돈을 벌게 하였다. 어머니는 지역 유지들을 찾아다니며 호소하여 구두 공장에 찾아가 아들을 되찾아왔다. 어머니의 기대와 노력 덕에 스탈린은 성직자 교육을 계속 받을 수 있었다.
당시 러시아 교회 학교들은 조지아 민족들에게 러시아인이 되는 교육을 강요하였다. 스탈린은 교육 과정과 수업 내용에 대해 강한 반발과 교사들, 제도에 대한 반항심을 갖게 되었다. 12살(1891)에 2마리의 말이 이끄는 마차에 치이는 교통사고를 당하였다. 병원에 입원하였으나, 이후 스탈린은 왼쪽 팔이 영구히 불구가 되었고, 청년기 때는 병역도 면제될 정도였다. 발육부진으로 키는 160cm를 약간 넘었다. 스탈린은 고리 시내에 있는 교회학교에서 [[러시아어]]를 배웠고<ref name="daum1"/> 외부에서는 러시아어를 사용했다. 그의 러시아어는 약간 불완전하여 항상 후음성의 [[조지아어]] 액센트가 섞여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집에서는 조지아어만을 사용하였다. 1894년(15살) 초 스탈린은 최고 성적으로 종교학교를 졸업하였다.
===== 티플리스 신학교 시절 =====
1894년 15살에 그는 장학금을 받고 [[조지아]]의 [[트빌리시]]에 소재한 [[트빌리시 신학교]]에 입학하였다.<ref name="daum1"/> [[트빌리시 신학교]]는 [[조지아 정교회]]에서 운영하는 [[신학교]]였다. 트빌리시 신학교에서 스탈린은 성직자 교과목 외에 [[문학]]과 [[역사]], [[라틴어]], [[수학]], [[그리스어]] 등 폭넓은 교육을 받았고, 성적은 우수하였다. 트빌리시 신학교 1학년 재학 중 스탈린은 지역 [[신문]]에 시를 발표했는데, [[그루지아]] 문인들과 지역 유지들을 감동시켜 격찬을 받았다. 그가 시에서 다룬 주제는 대지와 자연, 민족정신 등이었다.
신학교 2학년 이후 그는 조지아를 지배하고 있는 러시아에 반감을 가지고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 [[러시아]]인을 만드는 교육을 강요하는 스승들과 마찰이 잦았다. 하지만 [[카를 마르크스]], [[플레하노프]], [[블라디미르 레닌]] 등의 공산주의 서적을 접하면서 종교와 민족보다는 [[마르크스주의]]를 중시하게 되었다. 동시에 [[제국주의]]와 종교적 질서에 대한 혁명을 꿈꾸게 되었다. 가정 환경이 어려웠음에도 재학 중 성적이 우수하여 장학금을 받았다.
신학교 성적은 좋은 편이었으나, 재학 중 그는 국제 [[공산주의]]의 최고 이론가인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등이 쓴 저서와 다른 금서들을 비밀리에 탐독하다가<ref name="daum1"/> 신학교에서 그는 불량 학생으로 낙인찍혔고 비밀 결사조직인 '메사메 다시({{llang|ka|მესამე დასი}})'에 가담하기도 했다. 신학교 졸업 전 해인 1899년 말 스탈린은 기말고사 시험을 치지 않았다는 이유로 [[티플리스 신학교]]에서 퇴학당했다. 당시 신학교의 문서에는 그가 수업료를 낼 수 없어서 퇴학당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ref>그가 집권한 뒤 기록을 말소시켰을 가능성도 존재한다.</ref> 일설에는 그가 [[마르크스주의]]에서 세계를 다르게 해석하는 방식을 발견하여 미련 없이 성직자의 길을 포기하고 혁명가가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혁명 활동을 하다가 퇴학 처분을 당하였으나, 아들을 끔찍하게 사랑했던 그의 어머니는 아들의 몸이 쇠약해져 중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ref name="daum1"/>
신앙심이 깊었던 그의 어머니는 아들이 사제가 되기를 바랐으나 혁명가가 되기로 결심한 그는 어머니의 뜻을 저버렸다. 신학교를 떠난 직후 스탈린은 [[레닌]]의 저작과 관련 서적들을 폭넓게 읽었고 [[마르크스주의]] 혁명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리고 그 지역의 홍길동 같은 존재인 코바란 별명을 사용하면서 유명한 조폭이 되어 소도시들의 지하세계를 장악했다.<ref>{{서적 인용|url=https://www.amazon.com/Young-Stalin-Simon-Sebag-Montefiore/dp/1400096138|제목=Young Stalin|성=Montefiore|이름=Simon Sebag|날짜=2008-10-14|판=Reprint edition|출판사=Vintage|언어=English|isbn=978-1-4000-9613-8}}</ref>
==== 노동활동과 혁명에 투신 ====
[[파일:Shtal20.JPG|섬네일|왼쪽|150px|20대 초반의 스탈린]]
1899년 12월 스탈린은 트빌리시 천문대에 채용되어 천문대 서기로 수개월간 근무했다.<ref name="daum1"/> 트빌리시 천문대의 공무원은 그가 [[정치]] 이외의 분야에서 월급을 받고 일한 유일한 직업이라 한다. 그가 육체 노동은 전혀 한 적이 없다<ref name="daum1"/>는 주장도 있다. [[조지아]]의 유대인 재벌인 [[로스차일드]] 일가가 소유한 정유공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기도 했다. 1900년(21세) 지하 정치운동에 가담하고, 지하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1900년부터 [[노동운동]]가로 활동하며 그는 캅카스 지방의 주요 공단 지대에서 노동자의 시위와 파업을 선동했으며, 탁월한 언변으로 [[노동자]]들을 시위에 앞세웠다. 하지만 스탈린 자신이 직접 나서기보다는 [[노동자]]들을 시위에 앞세워 경찰과 유혈 충돌을 벌이게 하는 데 지나치게 열성을 보이면서 동료 [[공산주의]] 혁명가들로부터 반감을 사기도 했다.<ref name="daum1"/> 그는 인간을 도구로 이용하려 든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제국 정부의 탄압으로 이러한 비난은 조직 내부의 단결을 저해한다는 논리로 대응한다.
[[파일:Ekaterina Svanidze.jpg|섬네일|오른쪽|180px|첫 부인 [[에카테리네 스바니제]]<br />(그녀가 당국의 극심한 탄압과 가난 속에 최후를 맞이하면서 스탈린은 한층 냉혹하게 변한다.)]]
이후 스탈린은 [[마르크스주의]] 혁명당인 [[러시아 사회민주당]]에 입당하였고, 그가 존경하고 탐독하던 [[블라디미르 레닌]]을 만났다.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당]]이 [[멘셰비키]]파와 [[볼셰비키]]파로 분당하게 되자, 스탈린은 보다 혁명운동에 보다 적극적이고 공격적이었던 [[볼셰비키]]에 가담했다. 이후 [[러시아]] 제국의 비밀경찰의 요주의 인물이 되었다.
1902년 4월(23세)부터 1903년 3월(24세)까지 스탈린은 혁명 활동을 하다가 7번 체포되어 투옥과 추방을 되풀이했다. 1902년에서 1903년 무렵 연인 [[에카테리네 스바니제]]({{llang|ka|ეკატერინე სვანიძე}})를 만났는데, 스바니제는 러시아 육군 군복제조사 미싱공으로 일하였다. 시짓기와 작문 재주가 탁월했던 스탈린은 연인에게 잘 보이려고 노래를 부르고 시도 읊었다고 한다. 1903년 [[레닌]]이 이끌던 [[볼셰비키]]당에 정식으로 입당했고, 곧 차르의 비밀경찰의 추격을 받았다.
=== 혁명활동 ===
==== 볼셰비키 지도자 ====
1903년말 스탈린은 [[캅카스]] 지역 [[볼셰비키]]의 주요 인물이 되었으며, 전업혁명가로서 여러 비합법적인 혁명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런 활동에는 파업 선동, 정부 비판, 사회 부조리 지적, 민병 조직, 민중 선동뿐 아니라 자금확보를 위한 은행강도, 반대파 요인 암살, 테러, 몸값 납치 같은 일도 포함되어 있었다. 1905년 [[핀란드]] [[탐페레]]에서 열린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정책 결정 회의에 참석하였고, 이후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정책 결정 회의에는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참석했지만 회의에서 강한 인상을 남기지는 못했다. 그러나 1905년 무렵 스탈린은 [[조지아]] [[볼셰비키]]의 지도자가 되었다. [[조지아]] [[볼셰비키]]의 지도자가 된 그는 열정적으로 글을 쓰고, 논쟁하고, 각종 시민사회 단체들을 조직하였다.
1905년 그는 동료에게 은신처를 알아봐 달라고 부탁했고 거기에서 첫사랑 [[에카테리네 스바니제]](애칭은 카토)를 다시 만났다.<ref name="soso1"/> 1906년 [[스톡홀름]] 회의에 참석했다.
스바니제와의 꾸준한 교제 결과 스바니제의 마음을 움직여 1906년 7월 스탈린은 [[예카테리나 스바니제|스바니제]]와 결혼하였고, 후에 아들 야코프를 얻었다. 신혼여행도 없고 미래도 불투명했지만 마냥 행복했다. 스탈린의 한 [[혁명]] 동료는 신혼 초기의 스탈린에 대해 “혁명에만 몰두하던 그가 아내에게만은 부드럽고 세심하다는 사실에 놀라곤 했다”고 회고했다.<ref name="soso1"/> 그러나 가난과 외로움으로 고생했던 [[예카테리나 스바니제|예카테리나]]는 결국 병이 들어 사망했다.<ref name="soso1"/> 아내 카토가 고생하며 늘 그가 경찰에 붙잡히지 않기만 기도한 것을 전해들은 그는 크게 상심하였다. 그는 "첫 아내의 죽음 이후로 나는 모든 인간성을 버렸다."란 말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곧 1907년 스탈린은 [[런던]]에서 열린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정책 결정 회의에 참석했다.
==== 조직 확장 노력 ====
그는 볼셰비키 조직 확장을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다. 이른 새벽부터 자정까지 인쇄물과 홍보 팜플렛을 다량으로 인쇄하여 도심에 뿌리고, 각지를 다니며 홍보와 연설, 강연 등을 통해 볼셰비키가 민중을 구제하기 위한 집단임을 선전했다. 이는 비가 오거나, 대량 폭설로 교통이 막히는 것에 아랑곳하지 않고 러시아 각지를 순행하는 것으로 열성을 드러냈다. 그러나 선전, 홍보 등으로 인력과 조직을 끌어모으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1907년 6월 25일([[음력]]으로는 6월 12일) 스탈린은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티플리스 시내에서 대규모의 [[수송]]방해작전을 획책<ref name="soso1"/><ref name="daum1"/> 하는 데 기여했다. 은행 강탈은 성공하여 대량의 [[현금]]을 확보했고, 며칠 뒤 가족을 이끌고 [[아제르바이잔]] [[바쿠]]로 피신했다.<ref name="soso1"/>
[[파일:Joseph Stalin 1910 mug shot profile.jpg|섬네일|오른쪽|120px|체포 후 교도소에서 촬영한 사진<br />(그러나 그는 기적적으로 여러 번 탈출에 성공한다.)]]
1903년부터 그가 [[시베리아]]로 망명하던 1913년까지 스탈린은 볼셰비키 세력 확장을 위해 노력했다.<ref name="ch1">찰스 필립스 외, 20세기에 우리에겐 무슨 일이 있었나? (홍정민 역, 출판사 좋은책만들기, 2000) 190쪽</ref> 전국에 지하당을 조직하고 당의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담한 강도 행각도 서슴지 않았다.<ref name="ch1"/> 계속 성공에 성공을 거듭한 스탈린의 은행강도 행각은 농촌과 중소 도시 은행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 등의 대도심의 대형 은행과 현금 수송 차량까지도 성공적으로 탈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탈린은 여러 번 체포되었는데, 그때마다 탈출에 성공해 전제 러시아의 비밀경찰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사기도 했다.<ref name="ch1"/> 호송 차량에서 뛰어내려 도망치기도 했고, 경찰과 격투를 벌여 때려눕히고 도주하기도 했다. 스탈린의 현상금을 내걸은 포스터가 걸리기도 했지만 역시 그는 체포되지 않고 각처를 은신해 다녔다.
==== 첫 아내와 사별, 성격의 변화 ====
첫 아내 [[에카테리네 스바니제|스바니제]]와의 비극적인 사별은 스탈린의 냉혹하고 난폭한 성격을 한층 더 강화시켰으리라 추정된다. 그러나 [[러시아 사회민주당|사회민주당]]이 [[정치 자금]] 확보를 위한 [[은행]] 강도를 금지하자, 스탈린은 이에 항의하여 잠시 사임하였다. 이후 현금수송차에 대한 대규모 강탈을 지휘하였는데, 이때 40여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스탈린은 다시 [[바쿠]]로 도피했는데, 여기서 1908년 12월 부인 스바니제가 [[발진티푸스]]에 걸려 사망하였다.
냉혹한 혁명가가 되기 전 그는 매력적이고 유머 감각이 뛰어난 청년이었다.<ref name="soso1"/> 에카테리네 스바니제에게 잘 보이려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불렀고 시도 읊었다. 바보 연기로 주변을 웃기기도 했다.<ref name="soso1"/>
결혼한 지 16개월 만에 아내 스바니제가 트빌리시에서 [[발진티푸스]]로 숨지고 말았다. 아내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스탈린은 급히 아내에게 달려왔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숨을 거뒀다. 스탈린은 아내의 눈을 감겨준 뒤 끌어안고 오열하다가 결국 실신했다.<ref name="soso1"/> 그는 직접 관을 준비해 아내의 장례를 치렀다. 어머니 겔라제의 일기에는 스탈린은 아내의 장례식이 있던 날 그 자리에서 오열하다 실신했다고 한다. 첫 아내인 스바니제의 비극적인 죽음은 스탈린의 냉혹한 성격을 더욱 강화시켰다. 스탈린은 술에 취하면 곧잘 병중인 스바니제를 돌보지 못했다는 자책감과 아내의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한 회한을 동료들에게 곧잘 털어놓기도 했다. 그녀가 죽자 스탈린은 심히 오열했는데 어머니 겔라제 역시 그가 그렇게 슬퍼하는 것은 처음이었다는 내용을 자신의 일기에 기록해두기도 했다.
스바니제가 남긴 유일한 혈육인 야코프는 1920년대 말 자살을 시도하다 실패했는데, 스탈린은 그를 약골이라고 부르면서 경멸하였다. 스바니제를 잃고, 바쿠에서 체류하며 스탈린은 [[아제르바이잔]]인과 [[페르시아]]인 [[무슬림]], 수백명의 [[흑인]]들까지 포섭, [[게릴라]] 단체를 조직하여 [[파르티잔 운동]]을 시작했고, 노동자 파업과 각종 집회, 선전 선동을 기획하였으며 많은 수의 [[러시아]] [[차르]]의 지지자들을 살해하는 등 파르티잔 활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몸값 납치, 강도, '보호료' 뜯기, 위조 화폐 제작 등의 범죄적인 활동으로 자금을 확보하였다.
==== 체포와 피신, 언론 활동 ====
[[파일:Stalin's Mug Shot.jpg|섬네일|260px|오른쪽|1911년 스탈린.]]
스탈린은 결국 경찰에 체포되어 [[시베리아]]에 7번이나 추방되지만 마지막 세 번을 제외하면 그때마다 탈출하였다. 그러나 그가 받은 형량 선고가 가벼운 데다가 번번이 쉽게 은신하고 도피했기 때문에, 동료 [[공산주의]]혁명가들로부터 '[[러시아 제국|제국]]경찰의 보수를 받는 프락치'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기도 했다. 1912년 2월 당시 [[러시아]] 국외에 체류중이던 [[레닌]]이 멘셰비키파와 최종적으로 결별한 [[볼셰비키|볼셰비키당]]을 조직하면서, 제1차 중앙위원회에 그를 신입 위원으로 선출하였다. [[볼셰비키|볼셰비키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그는 볼셰비키당 내에서 주목받게 되었다.
1912년 4월 스탈린은 풀려나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와서 잡지 [[프라우다]]를 창간하였다. 평소 과묵하고 그다지 말주변이 없는 스탈린은 당의 공식 신문인 [[프라우다]]의 초대 편집장이 되었다.<ref name="ch1"/> 이때부터 '강철의 인간'이라는 뜻인 "스탈린" {스탈(стал)은 러시아어로 강철을 뜻한다. [[쿠르스크 전투]]에서의 반격 암호로 쓰이기도 했다.}이라는 가명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 이름으로 당의 출판물에 기고하고, 언론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제국 경찰의 체포령이 떨어졌을 때 기민한 피신과 체포 뒤에도 성공적으로 탈출하는 것에 대한 당내 첩자 의혹, 제국 비밀경찰 의혹은 계속되었다. 하지만 이런 의혹 속에서도 [[레닌]]은 1912년 스탈린을 [[볼셰비키]] 중앙위원회에서 활동하도록 승격시켰다.<ref name="ch1"/> 레닌의 전폭적인 지지와 후원의 후광 덕에 스탈린에 대한 각종 의혹은 해소되거나 서서히 묻혀져갔다. 그러나 뒤에 레닌은 임종 직전 자신의 스탈린 후원을 크게 후회하였다 한다.
스탈린은 [[프라우다]]를 간행하면서 각종 학술 용어 보다는 지역과 하층민들이 두루 읽을 수 있도록 비전문 용어와 지역지부에서 간행되는 신문에는 지역 방언의 활용 등을 시도한다. 그리고 그의 마케팅 효과는 성공을 거두어 [[프라우다]]의 구독, 배달은 [[타타르]]와 중앙아시아까지 확장된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스탈린은 징병대상자가 되지만, 12세 때 당한 교통사고로 인한 왼쪽 팔의 장애 때문에 [[병역]] 면제되었다.
=== 정치 활동 ===
==== 망명과 귀국 ====
[[파일:Stalin in exile 1915.jpg|섬네일|오른쪽|120px|이오시프 스탈린(1915년 무렵)]]
{{본문|러시아 2월 혁명}}
1913년 스탈린은 [[시베리아]]로 망명하였으며, 이후 각지를 전전했다. 이 기간 중 그는 황실과 귀족에 대한 적개심과 원한을 키워나갔다.
1917년 3월 [[니콜라이 2세]]가 제위에서 퇴위된 후에야 러시아로 돌아올 수 있었다.<ref name="ch1"/>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2월 혁명]]이 벌어져 제정이 무너지고 [[케렌스키]]의 [[러시아 임시정부|임시정부]]가 출범하였다. 당시 스탈린은 차르 [[니콜라이 2세]]를 비롯한 황제의 가족은 물론 황족들을 사형에 처해야 된다고 주장하였다. 차르와 그 가족의 처형에는 일부 공감하였으나, 귀족과 황족까지 처형하는 것을 놓고는 [[케렌스키]]의 [[러시아 임시정부|임시정부]], 그리고 볼셰비키에서 조차 그의 주장을 받아들이기를 망설이며 주저하였다.
3월 초 스탈린은 처음에는 [[케렌스키]]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에서 이를 반대하는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와 [[알렉산드르 실랴프니코프]]를 [[프라우다]]의 편집에서 추방하였다. 그러나 곧 4월의 당 회의에서 [[레닌]]의 견해를 듣고 그의 '4월 테제'를 재빨리 지지하였고, 입장을 바꾸어 [[임시정부]]를 전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볼셰비키]] 당원 중 앞장서서 혁명으로서 임시정부를 접수하고 [[공산주의]] 정부를 세우자고 주장하였으나, [[블라디미르 레닌]]은 아직 때가 아니라며 서서히 장악하자며 만류하였다.
==== 10월 혁명과 공산주의 국가 수립 ====
{{공산주의}}
1917년 4월에 스탈린은 [[볼셰비키]] 중앙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때 [[임시정부]]에 의해 체포령이 내린 [[레닌]]이 해외로 도피하는 것을 돕기도 하고, 유혈극을 피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 포위된 볼셰비키 당원들에게 항복할 것을 명령하기도 했다. [[레닌]]은 [[핀란드]]로 피신시키고 스탈린은 혁명의 혼란기에 일시적으로 숨어 있었다. 1917년 3월 25일<ref>[[율리우스력]]으로는 3월 12일</ref> [[시베리아]]에서 [[페트로그라드]]로 온 스탈린은 [[프라우다]]의 편집 책임을 다시 맡았다.
스탈린은 [[레닌]]이 없는 [[볼셰비키]] 당을 지도하면서 위태로운 순간을 넘겼으며, 불안정한 권력을 승계한 중산층 자유주의자들의 임시정부에 볼셰비키가 협조할 것을 주장했다.<ref name="daum1"/> 그러나 [[레닌]]의 영향을 받아 스탈린은 임시정부에 대한 협조적 의사를 번복, 볼셰비키당이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해야 한다는 보다 호전적인 생각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한편 스탈린은 제정의 압력을 피해 [[핀란드]]에 출국중이었던 [[블라디미르 레닌|레닌]]의 귀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결국 돌아오게 하였다.
한편 10월 임시정부는 [[독일]]군이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위협하자 체포되었던 [[볼셰비키]] 당원을 석방시켜 방위전에 참가시키려고 하였다. [[볼셰비키]]는 이를 이용하여 임시정부를 전복할 혁명을 꾸몄다. [[레닌]], [[레프 트로츠키]], 스탈린을 비롯한 [[볼셰비키]] 중앙위원회는 스모르니 [[학원]]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를 가결하였고 11월 7일([[율리우스력]]으로는 10월 25일) [[케렌스키]]가 전선을 방문한 틈을 이용하여 실행에 옮겼다.([[10월 혁명]]) 이는 별다른 희생 없이 성공했고, 11월 8일 [[임시정부]] 각료들은 모두 체포되었다.
1917년 11월 당시, [[11월 혁명]]이 일어났을 때 스탈린은 열성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레프 트로츠키]]의 역할만큼 눈에 띄지 못했다. [[레프 트로츠키|트로츠키]]는 이후 그의 최대 라이벌로 성장했다.
==== 내전 기간 중(1917-1919) ====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집권한 직후, 스탈린은 인민위원회 내무인민위원([[내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17년 인민위원회 인종문제담당 인민위원(인종문제담당 장관)을 겸임하였다. 곧 볼셰비키에 반대하는 세력([[하얀 군대]])이 일어나 [[러시아 내전]]이 개시되었다. 레닌은 5명으로 구성된 [[볼셰비키당]] [[정치]]국을 신설하였으며, 여기에는 스탈린과 [[트로츠키]]가 포함되어 있었다. 레닌은 스탈린을 볼가 강변의 [[볼고그라드|차리친]] 시의 수비를 위해 보냈고, 1918년 5월 차리친에 도착했다. 스탈린은 [[붉은 군대]]의 유력 지휘관이었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와 [[세묜 부됸니]]와 친구가 되어 군사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스탈린은 당시 [[국방부|국방인민위원]]을 맡아 붉은 군대를 총지휘하고 있던 [[레프 트로츠키|트로츠키]]의 정책에 자주 반대했다. 내전 중 스탈린을 포함한 붉은 군대 지도자들은 승리를 위해 잔인한 수단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래서 소작농을 협박하여 식량을 강탈하는가 하면 식량징발에 반발하는 마을을 불태우도록 했고, 서부 전선에서의 대량 탈영을 막기 위해 탈영자들을 공개처형할 것을 명령하기도 했다.
1919년 스탈린은 국가정보통제담당 인민위원(보안담당 장관)에 임명되어, 인종 문제 담당 인민위원과 국가 정보 통제 담당 인민위원을 겸임하였다. 그해 스탈린은 옛 공산당 동료의 딸인 [[나데즈다 알릴루예바]]({{llang|ru|Наде́жда Серге́евна Аллилу́ева}}, Nadezhda Alliluyeva)와 재혼했다. 시를 짓는 재주가 있던 그는 평소 냉정한 합리주의자였으나 나데즈다 알릴루예바와 연애하면서 갑자기 낭만주의자, 낙천주의자로 변신하여 동료들을 어리둥절하게 했는데, 스탈린은 크렘린에 있는 작은 아파트에 신혼살림을 차렸다.
==== 소련-폴란드 전쟁(1920-1921) ====
[[소련]] 내전이 마무리될 무렵, 볼세비키는 당시 [[러시아 제국]]에서 독립한 [[폴란드]]와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폴란드-소비에트 연방 전쟁]]) 스탈린은 남부 전선의 사령관으로서 폴란드의 도시인 리보프를 향한 공세를 명령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레닌과 트로츠키는 더 북쪽에 있는 [[바르샤바]]를 공격하려고 하였다.
트로츠키는 [[바르샤바 전투]]에서 폴란드 지휘관 [[부아디스와프 시코르스키]]의 군대와 교전했다. 그러나 리보프에 있던 스탈린은 트로츠키를 지원하는 것을 거부했다. 결과적으로 트로츠키와 스탈린 모두 후퇴하여 리보프와 바르샤바는 모두 점령하지 못했고, 스탈린은 비판에 직면하였다. 스탈린은 1920년 8월 [[모스크바]]로 돌아와 자신을 변호하고 군사지휘를 사임하였다. 9월 22일 제9차 당대회에서 트로츠키는 공개적으로 스탈린을 비판하였다. 1923년 인종문제담당 인민위원직과 국가통제인민위원직을 사퇴했다.
후에 스탈린은 1920년의 실패를 가져온 이들에게 철저히 복수했다. 그리하여 후에 자신을 비판한 [[트로츠키]]를 암살하고 1939년 나치와의 협정을 통한 [[폴란드 침공]]으로 르보프를 소련영토로 만들고 그때 포로로 잡은 폴란드 군 장교들을 대규모로 처형하였다.([[카틴 숲의 학살]]). 후에 연합국의 수뇌부가 모인 [[얄타 회담]]에서도 리보프는 전후에도 반드시 소련영토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전위대를 잘 조직했던 그는 [[트로츠키]]와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등 사적인 조직 업무에 관심이 없는 라이벌들의 헛점을 공격하며 당내 입지를 굳혀 나갔다.
1921년부터 [[소련]]의 국가 원수인 [[레닌]]이 병석에 누워서 통치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스탈린은 정책을 추진하면서 병든 레닌의 의사를 무시하고 능멸하였다. 레닌은 죽기 1년 전 스탈린을 서기장직에서 해임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유언'을 썼는데, 이는 [[레닌]] 사망 직후와 스탈린 자신의 사망 직후에 스탈린을 비판하기 위한 자료로 널리 선전되었다.{{출처|날짜=2016-03-10}}
==== 집권 기간 ====
{{마르크스-레닌주의}}
===== 소련 공산당 서기장 =====
[[파일:Stalin portrait 1937.jpg|섬네일|왼쪽|140px|스탈린 초상화(1937년작)]]
스탈린의 [[폭력]]적 정치수단, 지나친 [[러시아주의]] 그리고 [[관료주의]]적 성향은 스승인 [[레닌]]에 의해 비판받기도 하였다. 레닌은 특히 그의 유명한 유언장에서 "스탈린에 최고 지도자 자리를 주지 말라."고 할 정도로 후계자로 지명하지 않았으나, 1924년에 이르러 이미 거의 모든 내부 정치 조직체는 스탈린의 지배권하에 들어갔다. '레닌의 유언'문서는 [[레닌]]이 친필로 직접 작성한 것이라 스탈린의 당내 지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지만, 스탈린은 용의주도함 때문에 레닌의 유언을 은폐하고 그가 살아 있는 동안 평가절하시킬 수 있었다. 1920년대 말에 스탈린은 레닌 이후 [[소련 공산당]]의 두뇌로써, 국제 [[공산주의]] [[혁명]]을 주장하던 [[레온 트로츠키]]와의 권력투쟁에서 승리했다.
1924년 1월 21일 [[레닌]]이 죽은 후 스탈린은 그를 성대한 장례식을 치른 뒤 준(準)[[비잔틴]]식으로 우상화했다.<ref name="daum1"/> [[레닌주의]]의 대제사장이 된 스탈린은 경쟁자들을 축출한 후 최고권력자로서의 입지를 굳혔고, 자신의 우상화도 함께 추진했다. 1925년 차리친 시를 스탈린그라드(지금의 볼고그라드)로 개명하였다.
경쟁자 이전에 견해가 달랐던 [[트로츠키]]와는 수시로 충돌했는데, 국적과 국경을 초월한 국제 노동자, 무산자 연대를 통해 전 세계의 [[공산주의]]화를 이룩해야 [[공산주의]]를 유지할 수 있다는 [[트로츠키]]의 '영구혁명론'에 맞서 그는 [[소련]] 단독으로도 공산주의 국가를 건설할 수 있고, 한 국가를 공산주의화 시킨다는 일국공산주의론을 확립했다.([[스탈린주의]] 참조) 권력투쟁 과정에서 스탈린의 용의주도함과 치밀함을 간파하지 못한 [[트로츠키]]는 망명하였다.
한편 이론가 [[빅토르 세르주]]는 강화되어 가는 스탈린의 독재를 비난했다. 빅토르 세르주는 스탈린주의자들로부터 트로츠키파로 분류되기도 했다. 1928년 강화돼가는 스탈린의 독재를 비판한 이론가 [[빅토르 세르주]]를 공산당에서 출당하고 5년 뒤에는 투옥시켰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6&aid=0000004402 ‘실패한 혁명가’를 읽는다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 집권과 군부 장악 =====
[[파일:Leon trotsky.jpg|섬네일|왼쪽|140px|동지이자 경쟁자인 [[레프 트로츠키]]<br />(그러나 1921년 이후 그의 정적이자 라이벌로 변한다.)]]
집권 직후 스탈린이 집단화와 산업화, 중공업을 통한 경제발전을 선언하자 소비에트 연방 사회 일각에서 반발이 일어났다. 우파 자본주의 세력은 [[레닌]]의 죽음으로 혼란해진 틈을 타 공산주의 정권을 타도할 계획을 세운다. 정보원들을 통해 자본주의 세력의 움직임을 간파한 그는 우파 인사들의 집회장소를 급습하여 체포, 숙청한다. 또한 1924년부터 [[레닌]]의 유지 계승, [[트로츠키]]파 지지자에 의한 스탈린 암살 비밀조직들이 비밀리에 조직됐다가 적발되면서 스탈린의 의심과 분노는 한층 극에 달하게 된다.
1925년 이후부터 반대파 인사에 대한 가혹한 숙청이 계속되었고, 1930년 이후에는 그의 반대파는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 또한 그는 [[소련]]군 내부의 장군급 인사를 단행한 뒤, 군 장군을 숙청한다. 특히 1937년 6월까지 비밀재판을 통해 [[투하체프스키]]와 [[스베친]], [[트리안다필로프]]를 비롯한 그의 동료들은 스탈린 체제에 위협하는 인물로 인식되어 숙청되었다. 이들은 모두 소련군의 군사전략가들이었는데, 이들의 숙청과 동시에 스탈린은 작전술에 대한 연구를 금지시켰다. 이들 소련군 초기 군사연구가들의 작전술은 스탈린이 죽고난 뒤에야 재개된다. 장군들을 숙청, 처형시킨 후 스탈린에게 충성을 맹세한 새로운 장교들을 장군으로 승진 발탁한다.
[[투하체프스키]]와 [[스베친]], [[트리안다필로프]]와 그의 동료들 등 소련군 초기 핵심 군사이론가들에 대한 처형과 숙청, 장군들에 대한 숙청 등은 그들이 만들고 연구했던 보고서와 군사이론서들까지도 반민중적 불온사상으로 규정되어 금서가 되었으며, 그들의 이론들은 토론과 적용조차 금지되었다. 그러나 핀란드 침공작전의 실패와 2차 대전 초기의 독일의 기습공격과 [[모스크바]]까지 패퇴하는 참담한 결과를 불러온다. 이들의 이론을 활용하지 못한 점이 패퇴의 원인이라는 견해가 나타나면서 기갑, 기계화 부대를 통한 작전술 이론의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었으나 스탈린의 연구 금지와 의심으로 아무도 공식적으로는 이를 언급하지 못했다.
그는 중견 장교들과도 꾸준히 면담했는데, 이는 그들을 통해 장군들을 감시하기 위해서였다. 1938년까지 대략 2백만 명 정도를 숙청했고, 이 중 20만 명 정도는 해외 유학파, 당 중앙위원과 현역, 예비역 군 장군, 기술관리들을 포함한 고급인력들이었다. 이후 그는 내부에서 적을 만들고 그 적을 숙청하여 권력을 공고히하고 측근과 군부의 충성심을 유도했다.
===== 경제 개발 정책 =====
1928년 스탈린은 시장경제를 부분 수용했던 [[레닌]]의 준 자본주의적인 신경제정책을 버리고, 국가가 직접 기간산업을 관리하는 국영산업화 정책을 채택<ref name="daum1"/> 하여 일련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 추진했다.<ref>이는 후에 [[중화인민공화국]]의 [[마오쩌둥]]에게 영향을 미쳤다. [[이승만]]은 1958년에 추진된 경제개발 3개년 계획이 스탈린이 추진한 경제개발 계획과 유사하다며 거부하였으나, 미국의 원조가 끊기면서 식량과 경제사정이 악화되자 어쩔 수 없이 경제개발계획을 수용했다.</ref> 기간 산업을 국영화함과 동시에 경제 정책을 국가 주도로 통제하는 형태로 경제 정책을 추진해 나갔다.
스탈린은 농민들을 도시로 강제 이주시켰는데, 도시로 떠나지 않던 농촌의 약 2,500만 세대가 2, 3년 내로 집단농장이나 국영농장에서 집단 생활을 하도록 강요당하였다. 이에 필사적으로 반발 저항하던 농민들은 [[소련군]]과 비밀경찰로부터 공격을 받고<ref name="daum1"/> 체포, 사살되었다. '쿨라크'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이들, 스탈린의 경제개발 정책에 비협조적이던 농민들은 집회·시위를 벌였으나 경찰과 군대에 의해 체포되어 도시로 강제추방되거나 총살당하였으며, 일부는 수감자의 폭증으로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던 집단수용소에 수감되어 극심한 악조건 속에서 강제노동했다.
[[파일:Joseph Stalin and Maxim Gorky, 1931.jpg|섬네일|오른쪽|180px|작가 [[막심 고리키]]와 함께(1931년)]]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레닌의 [[신경제 정책]]을 5개년 경제 개발 계획으로 대체해 산업화와 특히 농업 생산물의 [[공동생산 체제]]를 도입함으로써, 후에 [[공산주의]]의 한 취약점으로 꼽히게 되는 강제 노동 생산 즉, 생산성 없는 경제 활동의 첫 장을 열었다. 그러나 강제 산업화와 노동 생산은 제정 러시아 사회에서 가난과 억압을 받던 러시아 [[민중]]들에게 옛 소련의 산업화를 통한 부강한 나라 건설이라는 희망을 주었기 때문에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편 1932년 혁명 기념 만찬에 참석했다가 만취 상태로 공개 석상의 여러 사람 앞에서 후처 [[나데즈다 알릴루예바]]에게 폭언을 퍼부었다. 모멸감을 느낀 나데즈다는 바로 파티장을 뛰쳐나갔고, 그날 밤 스탈린의 인간적인 결점과 정치적 실패를 비판하는 서신을 남기고 자살했다. 두 번째 아내의 자살 이후 스탈린은 신혼 살림을 차렸던 아파트를 떠나, 크렘린의 다른 아파트로 이사했다. 그리고 다시는 그들이 함께 살았던 곳을 찾지 않았다고 한다. 나데즈다의 자살로 충격을 받은 그는 정치국 회의에서 정치국 위원직을 사퇴하려 했으나 정치국 위원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의 만류로 번복하였다. 그러나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화되고 격무에 시달리자 그는 자신의 아들들에게 폭력과 폭언을 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었고, 여성들을 가까이하기도 했다. 반면에 그의 딸 스베틀라나에게는 아들들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의 편애를 하게 된다.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그는 당시 [[소련]] 국내 생산품의 사용을 유도하였고, 수입품 억제와 함께 수출산업 육성과 자국제품 수출 증대에 힘썼다. 그러나 [[산업화]] 과정에서 엄청난 실패와 기계 고장 등의 부작용들도 수반되었으며, 이는 반대파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고, 각종 시위에 직면하기도 했다. 스탈린은 반발을 무마하고자 강경 진압을 하는 한편, 회사 간부·산업 관리인들을 비판, 규탄하고 그들의 경영 잘못으로 몰아 여론재판에 계속 회부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ref name="daum1"/> 피고들은 겁에 질려 허위자백을 하고 희생됨으로써 그의 경제실책으로 야기된 재앙을 대신 짊어지는 희생양이 되었다.<ref name="daum1"/>
그러나 스탈린의 경제정책은 상당부분 효과를 거두어 수출력과 생산력을 향상시켰다. 1928년에서 194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강철은 5배, 전력은 8배, 시멘트는 2배, 석탄은 4배, 석유는 3배로 생산고가 늘어났고 철도를 포함한 수송수단은 4배로 늘어났다. 즉, 스탈린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들은 농업 중심의 후진국을 급속도로 근대화·산업화·도시화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며, 그는 [[소련]] 국내외에서 폭넓게 인정받았다. 스탈린의 잠재적 경쟁자이자 동지였던 [[아돌프 히틀러]]에게, 그리고 [[허버트 조지 웰스]], [[조지 버나드 쇼]] 등 유명 작가들과 예술인, 당대의 열광적인 외국인 목격자들에게도 널리 인정받았다.<ref name="daum1"/> 뿐만 아니라 스탈린은 경제정책과 동시에 교육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는데, 90% 이상이나 되던 소련의 문맹률이 교육 정책을 통하여 1%까지 감소하였고, 또 다른 지식층을 양성하였다.
한편 스탈린은 예술 공연에도 정책적으로 개입하였다. 1934년 1월 <레이디 맥베스>가 [[소련]]에 상륙, 초연과 함께 흥행을 거두었다.<ref name="uua1">[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62062 스탈린이 죽인 <레이디 맥베스>, 한국에 오다 - 오마이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스탈린은 1936년 <레이디 맥베스>를 직접 보러 극장을 찾았다가, 레이디 맥베스 관람 중 극중 노골적인 성적 묘사와 치정 살인 부분이 나오자 이를 불쾌히 여겨 1막이 끝나자 역정을 내면서 자리를 떴다.<ref name="uua1"/> 며칠 뒤 [[소련]]의 최대 일간언론이자 당의 충실한 기관지인 <프라우다>에는 쇼스타코비치의 오페라를 강하게 비난하는 글이 실렸고<ref name="uua1"/>, <레이디 맥베스>는 [[소련]]이 붕괴될 때까지 상영금지조치되었다.
===== 반 혁명 재판과 권력 강화(1936 ~ 1939) =====
[[파일:Execute 346 Berias letter to Politburo.jpg|섬네일|왼쪽|170px|[[베리야]]가 스탈린에게 보낸 편지(1940)]]
그러나 성급한 [[산업화]]는 [[농업]]과 [[환경]]을 파괴하여 [[홀로도모르]]와 같은 재앙을 불렀고, 집단농장화로 성과 없는 농업생산에 회의적이던 농민들의 생산물 수는 감소했고, [[우크라이나]]에는 대기근이 발생하여 식량사정을 악화시켰다.
하지만 스탈린은 기근 지역에 급송해야 할 식량을 계속 수출했다. 이 때문에 당과 군대 내에서 정치적 반대파가 많아졌다. 이때 대중적 인기를 가지고 있었던 [[레닌그라드]]시 지구당의 당서기였던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당하자, 이를 트로츠키의 음모로 선전하였고, 이른바 [[트로츠키주의]]자를 뿌리뽑는다는 명목하에 스탈린에게 도전했거나 도전할만한 자들에 대한 [[대숙청]]이 시작되었다.
스탈린이 이의 배후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는데, 1956년 제20차 공산당 전당대회에서 흐루쇼프 당 제1서기가 스탈린 격하연설 도중 '스탈린 자신이 숙청을 단행하기 위해 조작한 것이었다'고 암시한 바 있다.<ref name="daum1"/> 이 숙청 작업을 담당한 곳은 [[내무인민위원회]](NKVD)였으며, 당내는 물론 군부나 심지어는 내무인민위원회 내부에서도 숙청작업이 광범위하게 실시되었다. 군부에서는 [[미하일 투하체프스키]] 원수를 비롯한 여러명의 장군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http://www.konas.net/article/article.asp?idx=7200 코나스넷<!-- 봇이 붙인 제목 -->]</ref>
[[파일:Sergei Kirov and Joseph Stalin, 1934.jpg|섬네일|오른쪽|스탈린과 [[세르게이 키로프]](1934년)]]
1934년 12월 1일 스탈린에 맞먹을 만큼의 권력을 가졌던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당했는데, 키로프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그의 권력과 인기가 높아짐을 두려워한 스탈린의 사주한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되자 이에 연루된 암살자 [[레오니드 니콜라예프]]와 옛 혁명 주역이던 [[지노비예프]], [[카메네프]]가 체포되어 고문당한 뒤, 재판정에 끌려나와 허위자백을 하고 사형 선고를 받은 후 총살당했다.
1934년 제17차 당 대회에서 뽑힌 중앙 위원과 후보 위원 139명 중 98명을 처형했고 17명을 강제 수용소로 쫓아냈으며 제17차 당 대회 대의원 1961명 중 무려 1108명을 체포해 감옥에 가두었다.
1937년 1월과 1938년 3월 또다시 대규모의 마녀재판을 감행했는데<ref name="daum1"/> 트로츠키를 따르던 31명의 사람을 처형하고 심지어 1936년과 1938년에는 이전에 숙청을 지휘했던 전직 내무인민위원장인 [[겐리흐 야고다]]와 [[니콜라이 예조프]]가 도리어 반혁명분자로 몰려 처형되기도 하였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어떤 이는 그가 자신을 암살하면 회고록을 폭로하겠다고 꾸준히 협박하여 스탈린의 정적숙청의 칼날을 피해갔다.
1937년 6월 한 달에만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를 포함해 8명의 장군을 간첩 혐의로 처형한 것을 비롯해 육군 원수, 군 사령관, 군단장, 사단장, 여단장 등 1500명을 처형했는데 이 수가 붉은 군대 간부 최고 군사회의 멤버의 75%에 달했으며 원수 5명 중 4명, 군사령관 15명 중 13명, 군단장급 85명 중 62명, 사단장급 195명 중 110명, 여단장급 406명 중 220명, 연대장급 고급 장교 중 70% 이상이 숙청당했다. 대숙청은 점점 절정으로 치달아 1938년 [[바실리 블류헤르]]과 [[니콜라이 부하린]], [[야코프 페테르스]], 1939년 [[알렉산드르 예고로프]]와 [[카를 라데크]], 1940년 [[알리 쇼겐추코프]]와 [[니콜라이 예조프]], 1950년 [[그리고리 쿨리크]] 등까지 강타했다.
[[파일:Bucharin.bra.jpg|섬네일|오른쪽|160px|[[니콜라이 부하린]]]]
특히 스탈린의 혁명동지이기도 했던 [[니콜라이 부하린]](Nikolaj Bukharin)의 경우 130개 항목의 죄명으로 법정에 기소당했는데, 이는 고문에 의한 자백들이었다. [[니콜라이 부하린|부하린]]은 '고난받는 인민대중의 생활과는 동떨어진 자본주의적, 퇴폐적인 생활을 향유한 부도덕한 이중인격의 가식적인 인물이었고 사치를 일삼았다는 분위기를 풍긴다'는 이유로 스탈린에 의해 고소당하였다.
이외에도 시인 [[안나 아흐마토바]]는 초기 작품 《저녁(ВЕЧЕР)》(1912), 《Anno Domini MCMXXI》(1922) 등으로 당국으로부터 부르주아적이란 비판을 받고 활동을 거의 중단당했다. 196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던 [[레프 란다우]]는 [[UPTI 사건]]으로 조사받은 뒤 모스크바를 탈출했으나 1938년 5월 27일 구속되어 내무인민위원회에 유형당했다. 이후 1939년 5월 29일 동료 [[표트르 카피차]]의 도움으로 석방되었다.
1990년대 이후 서방의 학자들은 대숙청의 진상을 밝혀냈다. 1936년부터 1938년까지 스탈린의 대숙청으로 희생된 사람들은 NKVD의 문서에 따르면 감옥에서 처형된 사람이 68만 명이 넘었다. 당시 굴라그 수용소에 수감된 이들의 숫자는 1937년 1월 1일 80만 명에서 1939년1월 1일에는 130만 명으로, 2년간 50만명이 증가했으며,굴라그 죄수의 40%는 ‘반혁명’ 범죄로 기소됐고, 22%는 ‘사회적으로 해롭거나 위험한 분자’로 분류됐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일반 범죄자였다고 한다.<ref>러시아 혁명 1917-1938 p.295</ref>
1939년 열린 제18차 당대회에 참석, 그는 사회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이행에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였다.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가 팽창하면서 위협을 느낀 그는 서방국가들과 반(反) 히틀러 동맹을 결성하려고 시도했으나 결국 거절당했다. 스탈린은 1939년 8월 [[히틀러]]와 동맹조약을 체결했다.
유럽 대륙을 전전하다가 1937년 [[멕시코]]로 망명한 [[레프 트로츠키]]는 스탈린의 독재성과 [[레닌]]의 유언을 들어 그를 비판했는데, 이것이 국제 공산주의자 사이에서 자신의 반대 여론으로 확장될 것을 두려워한 [[멕시코]]에 자객을 보내 [[트로츠키]]의 암살을 계획했다. [[트로츠키]] 암살 계획은 성공하여 1940년 8월 20일 트로츠키는 [[멕시코 시티]] 남부 코요아칸의 자택에서 스탈린이 보낸 자객 라몬 메르카데르에 의해<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050712065727284&p=yonhap <해외화제> 혁명가 트로츠키 암살도구 처분 논란] 연합뉴스 2005년 7월 12일자</ref> 암살당했다. 이는 스탈린 사후 1972년 트로츠키의 암살(The Assassination Of Trotsky)이라는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소련 총리(1941~1945) =====
{{본문|독소전쟁}}
[[파일:Bundesarchiv Bild 183-H27337, Moskau, Stalin und Ribbentrop im Kreml.jpg|섬네일|오른쪽|200px|1939년, 스탈린과 독일 외무장관 [[리벤트로프]]]]
[[파일:Bundesarchiv Bild 183-H1216-0500-002, Adolf Hitler.jpg|섬네일|왼쪽|180px|[[아돌프 히틀러]]]]
1939년 8월 스탈린과 조약을 체결한 것으로 용기를 얻은 [[나치 독일|독일]]의 [[히틀러]]는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다. 새로 동맹국이 되기는 했지만 스탈린은 결코 믿을 수 없는 국가였던 [[나치 독일|독일]]이 서방국가들과 교전하고 있는 동안 소련 내의 산업화를 추진하는 한편 서부전선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나갔다. 이후 [[폴란드 제2공화국|폴란드]] 동부와 [[발트3국]], [[루마니아 왕국|루마니아]]의 일부를 병합하여 편입시켰다.<ref name="daum1"/> 한편으로는 [[핀란드]]를 공격하여 승리하면서, [[핀란드]]에 영토 할양을 강요하기도 했다. 1941년 5월 스탈린은 독일이 소련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스스로 [[소비에트 연방]] 인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1941년 [[소비에트 연방]]의 서기장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연방]]의 [[총리]]를 겸했다. 이 해에 동방으로 팽창하려던 [[나치 독일]]의 [[히틀러]]와 전쟁하게 되었다.
그러나 소련의 핀란드 침공(겨울전쟁)의 경우 초기에 소련은 핀란드에게 최대한 양보를 하는 입장을 보였다. 초기에는 소련이 핀란드에게 상호원조협정 체결을 제안했다. 그에 대한 핀란드의 거부 이후 소련은 핀란드 국경선을 이동하여 2배 정도 규모의 영토를 교환하여 해군기지 설치를 위한 땅을 임대해달라는 역제안까지 했으나 핀란드는 이 제안까지도 거부했다. 이렇게 해서 겨울전쟁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스탈린 전기를 집필한 스티븐 코트킨(Stephen Kotkin)은 《스탈린, 히틀러를 기다리다 1929-1941(Stalin Waiting For Hitler 1929-1941》에서 핀란드 침공이 ‘도덕적으로는 옳았지만’ ‘지정학적으로는 잘못되었고’, 협상과 타협에 대한 스탈린의 의지를 더 진지하게 받아들였어야 했던 핀란드인들에 의해 이 전쟁이 ‘막아질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파일:JStalin Secretary general CCCP 1942.jpg|섬네일|오른쪽|160px|이오시프 스탈린(1942년)]]
1940년 [[라트비아]]·[[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 등 북유럽 3국이 소비에트연방 편입 문제를 놓고 국민투표를 했다. 그런데 투표 하루 전에 만장일치라는 투표 결과였다.<ref name="ja1">[https://archive.today/20130426205452/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0&Total_ID=3721405 이훈범의 시시각각-북한의 기적] 중앙일보 2009.08.11</ref> 이는 분명한 조작이었지만, 당시 영국을 비롯한 연합국은 소련을 끌어들이기 위해 이를 거절했다. 소련 국내에서는 이를 '전 인민의 위대한 지도자' 스탈린이나 행할 수 있는 기적으로 받아들여져 대대적으로 홍보되었다. 발트 3국의 소련 합병은 얄타 회담 이후 더욱 분명하게 정해졌으며, 이후 1991년 무너질 때까지 소련의 영토로써 인정된다. 현재 발트 3국은 소련의 합병이 분명한 "불법"이라고 주장하면서 소련에 속해있던 시기를 '강제 점령기'로 규정하고 있다.
[[파일:Matsuoka signs the Soviet–Japanese Neutrality Pact-1.jpg|섬네일|왼쪽|190px|일소 중립 조약에 서명하는 [[일본 제국]] [[외무대신]] [[마쓰오카 요스케]]와 지켜보는 스탈린,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뒷줄 가운데)]]
1941년 4월 13일 스탈린은 [[일본 제국|일본]]의 [[외무대신]] [[마쓰오카 요스케]]와도 소-일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 독소 전쟁 =====
1941년 6월 22일 [[아돌프 히틀러|히틀러]]가 정당한 이유 없이 소련을 기습 공격한 이후 독일군은 소련 영토 깊숙이 파죽지세로 밀고 들어왔다.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 대략 1200대 이상이나 되는 소련군 항공기가 지상에서 파괴되었고, 수십만명의 소련군이 독일군의 포로로 붙잡혔다. 신뢰하지는 않았으나 독-소 불가침 조약에 입각하여 영국을 굴복하기 전에는 소련을 침략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던 이오시프 스탈린은 [[아돌프 히틀러|히틀러]]의 기습공격에 충격을 받았고 공황상태에 빠졌다. [[흐루쇼프]]는 그가 한동안 무력증에 빠졌음을 증언했으나, 스탈린은 바로 기력을 회복하고 스스로 [[소련군]] 최고사령관이 되고, [[소비에트 연방]]의 [[국방위원회]]위원장에 취임하였다. 1941년 [[겨울]] [[독일]]군이 소련 국경을 깊숙히 쳐들어와 [[모스크바]]를 위협하였으나, 그는 피신권고를 물리치고 수도 [[모스크바]]에 머무르면서 일대 반격을 위한 준비작업을 지시했다. 1941년 7월 19일 [[소비에트 연방]]의 [[인민위원회]] 국방담당 인민위원에 취임했다.
1941년 [[독소 전쟁]] 발발을 틈타 [[체첸]]인들이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반(反)소련 게릴라 활동을 벌이기 시작하여 큰 피해를 입히게 되었다. 1941년 11월 7일 이오시프 스탈린은 모스크바에서 [[10월 혁명|러시아 혁명]] 기념 퍼레이드를 그대로 진행했고, 독일군이 모스크바 외곽까지 들어왔음에도 크렘린을 끝까지 사수했다. 산업화 시기 중공업 위주의 성장을 했던 스탈린의 소련은 독소전쟁이 터지자 탱크와 비행기를 비롯한 군수문자를 초고속으로 대량생산해냈다. 1941년 7월부터 11월까지 총 1523개 공장(이 가운데 군수 공장이 1360개)이 볼가 강 유역과 시베리아 그리고 중앙아시아로 이전했고, 여기에는 총 150만 대의 철도 차량이 동원되었다. 중공업 시설 대규모의 이전과 재조직은 인내력과 조직력의 측면에서 놀라운 성과였다.<ref>독소전쟁사 p.105~106을 참조</ref>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기습공격으로 미국이 연합군 편에 서게 되자 미국의 수많은 물자가 소련으로 들어가게 됐고, 소련은 미국으로부터 받은 물자를 아주 유용하게 사용했다. 모스크바 공방전 승리 이후 소련군은 1942년 겨울의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1943년 [[여름]]의 [[쿠르스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스탈린이 총지휘하는 소련군은 [[독일]]군과 맞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대세는 역전되어 쿠르스크 전투 이후의 독일군은 반격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후퇴하게 되었다. 1943년 12월 [[이란]]의 수도인 [[테헤란]]에서 개최한 [[프랭클린 루스벨트]]·[[윈스턴 처칠|처칠]] 등 연합국 수뇌들의 회담에 참석하였다. 1944년 여름 영미 연합군이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성공한 이후 스탈린이 총 지휘하는 소련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이라 하여 동부전선 전역에서 독일군을 격퇴시켰다.
===== 2차 대전 후반 =====
[[체첸]]의 반발이 가라앉자, 스탈린은 체첸의 독립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1944년 봄, 비밀리에 [[체첸]]인들을 전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주 과정에서 반발하는 자는 사살했고, 체첸인구의 10%가 강제 이주 당시 사망했다고 한다. 타인을 신뢰하지 않던 그는 몇번의 쿠테타 이후 동료들을 믿지 못했고, 특히 [[군대]]를 불신하여 장군을 다수 죽였으며, 이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군이 고전하는 원인이 되었다고도 한다. 전쟁 초기에 그는 [[아돌프 히틀러]]처럼 군사 업무에 수시로 관여하고 전화를 이용한 부적절한 지령으로 [[군사]]업무에 간섭하다가, 점차 군사적인 결정을 현지의 지휘관들에게 위임하였다.
===== 2차 대전 종전 =====
[[파일:Yalta summit 1945 with Churchill, Roosevelt, Stalin.jpg|섬네일|260px|오른쪽|1945년 2월, 얄타 회담.]]
1945년 [[루스벨트]], [[처칠]]과 함께 [[얄타 회담]]을 추진했다. 스탈린은 이 회담에서 대단한 협상가로서 이 외국 정치가들의 의중을 파악하고 협상했는데, 그의 우수한 협상 기술을 당시 [[영국]]의 [[외무부|외무부 장관]] [[앤소니 이든|이든]]이 칭찬하기도 했다. 1945년 8월 연합군 측의 승리로 [[독소 전쟁]]의 최종 승리는 당연 스탈린의 차지가 되었다. [[일본]]의 항복 직전 8월 초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도움 요청으로 [[일본]]의 식민지에도 소련군을 파견했다. 그러나 10여 일 만에 [[일본]]은 항복했고, 스탈린은 아시아에서도 [[소련]]의 몫을 요구하였다. 국제사회는 [[일본]]과의 전쟁에서 소련의 성과가 없다고 주장했으나 스탈린은 소련군 부상자와 사망자가 수천 명임을 들어 대가를 요구하였다. 1945년 [[소비에트 연방]]의 총리에 재선출되었다. 1945년 6월 27일에는 [[붉은 군대|소련군]] [[대원수]]에 취임하여 소련군의 최고사령관이 되었다.
[[파일:L_to_R,_British_Prime_Minister_Winston_Churchill,_President_Harry_S._Truman,_and_Soviet_leader_Josef_Stalin_in_the..._-_NARA_-_198958.jpg|섬네일|180px|왼쪽|1945년 7월 25일. 포츠담 회담.]]
1945년 여름 [[미국]]으로부터 연합군 파병에 동참을 제안받자 그는 수락하였다. 뒤에 미국 내부에서는 그를 끌어들인 것에 부정적인 여론이 조성되었고, 8월 15일 일본 항복 직후, 미국은 소련군이 2차 대전 종결에 끼친 영향이 없다고 비난하게 되었다. 그러나 스탈린은 7월과 8월에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2천여 명의 병력 손실을 예로 들며 소련군 역시 2차 대전 해결에 기여했음을 강변했다. 1946년 2월 25일 [[소련]] [[인민위원회]] 국방담당위원직에 [[세묜 티모셴코]]를 임명했고, 1947년 3월 3일에는 자신이 겸하던 국방부장관직에 [[니콜라이 불가닌]]을 임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되자 그는 [[스탈린 평화상]]을 제정하여 외국의 국가 원수와 및 내빈에게 수여했다.
==== 생애 후반 ====
===== 종전 직후 =====
1946년 이후 스탈린은 [[김일성]]과 [[박헌영]]을 수시로 소환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자격을 심사했다. 최종 결론은 [[김일성]]이었다. 또한 스탈린은 이 무렵부터 [[아돌프 히틀러]]가 숨어서 자신을 암살하려 한다고 생각하여 1950년까지 [[히틀러]]를 잡아내서 죽이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히틀러는 이미 자살하고 없었지만, 스탈린의 이 명령을 어길 수 없었던 [[NKVD]]는 히틀러를 찾아내 죽이기 위해 [[아르헨티나]]까지 찾아가기도 했다. 한편 1945년과 1948년 그는 노벨평화상 후보로 확정된 일도 있었다.
[[파일:EasternBloc BasicMembersOnly.svg|섬네일|200px|오른쪽|1989년까지의 동유럽내 공산권 국가.]]
1947년 북유럽 3국에서 개최된 최고 소비에트 선거에서 스탈린은 140%의 득표율을 얻었다.<ref name="ja1"/> 민망했던 선거당국은 선거 다음 날 스탈린에 대한 열렬한 지지를 표명하려고 이웃 선거구 유권자들이 투표에 참여했기 때문<ref name="ja1"/>이라는 해명을 내놓았다.
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고슬라비아]]는 계속 간섭거부를 추진했고, 1948년 [[유고슬라비아]]는 티토주의를 표방하며 소련 진영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스탈린이 주도하는 단일체로서의 세계공산주의, 일국공산주의 정책에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소비에트 연방]] 내 다른 14개의 피지배 국가들이 [[티토주의]]의 선례에 따라 분리 독립운동을 하는 것을 염려한 그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비에트 연방]] 내 각국(각공화국)에서 여론 재판이 일어나도록 배후 조종하고, 1930년대 소련의 대숙청 때와 같은 조작을 하여 공산 위성국 지도자들이 스스로 티토주의자임을 자백하게 만들어 다수의 위성국 지도자들을 재판에 회부하여 처형시켰다.
경공업의 생산력 증대 외에 그는 [[물리학자]]들에 대한 지원을 늘렸다. 과학원의 우주 탐사 프로젝트를 수립 계획하고 적극 관심을 갖고 지원하였으나, 우주선의 발사는 그의 생전에는 볼 수 없었다. 비록 스탈린의 생전에는 우주 탐사를 볼 수 없었으나,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llang|ru|Спутник}}) 1호를 발사했다. [[반공주의]]자이며 그를 심히 경멸하였던 [[교황 비오 12세|비오 12세]]는 친서를 써서 특사편에 보내 핵 전쟁만은 중단해 달라고 간청하였다.
==== 전후재건 ====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소련은 경제적으로 많은 타격을 받았다. 2500~2700만 이상의 인명손실을 감당했던 소련의 전쟁 피해는 참혹했다. 독소전쟁 기간 동안 무려 2500만 명의 인구가 살 집을 잃었고, 1700여 도시와 소읍, 7만 이상의 촌락, 3만 2000개의 공장, 6만 5000km의 철도, 약 10만의 콜호스와 소프호스가 파괴 또는 소실됐고, 5천 개에 가까운 국영농장이 나치독일군에게 약탈당한 상태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이 받은 피해를 금액으로 환산하자면 총 2조 6천억 루블이나 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동맹관계는 깨졌고, 그들은 서로 경쟁하게 되었다. 따라서 미국과 서방은 소련의 전후재건을 돕지 않았었다. 전쟁이 끝나고 난 이후 소련은 전후 재건에 나섰다. 제4차 5개년계획 마지막 연도인 1950년에는 공업 생산고가 전쟁 전인 1940년 수준을 73%나 상회할 만큼 빠른 경제회복과 성장을 보였다. 경제개발 2년차인 1947년 소련의 경제는 빠르게 회복되었고, 그 결과 외국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도 자체생산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으며, 다소 뒤진 소비재 부문도 꾸준히 성장하여 1947년 전시에 시행되던 배급제가 폐지됐다. 배급제 폐지에 있어서 소련은 영국보다 7년이나 더 앞섰다.
1946년부터 1955년까지 두 차례 5개년 계획기간에 소련의 공업생산은 서방측의 계산으로도 연평균 12~14%의 고도성장을 기록했는데, 이는 서방세계의 성장속도를 두 배 이상 뛰어넘는 수치였다. 당시 전력생산도 크게 늘었는데, 1954년에는 세계최초의 원자력 발전소가 세워지고, 세계 최대의 쿠이비셰프 수력발전소를 비롯해 수천 개의 발전소가 건설되어, 모든 산업에 충분한 전기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됐다.
===== 한국 전쟁 개입 =====
{{참고|한국전쟁}}
1949년 3월 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은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스탈린과 회담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일성은 [[대한민국]]에 대한 무력침공과 통일에 관해 소련 지도부의 의견을 문의하였다. 스탈린은 인민군이 대한민국 군사력에 대해 절대적인 우위를 확보하지 못하는 한 공격해서는 안된다고 답변하고 대한민국에 미군이 아직 주둔하고 있음(소련군은 1948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철수)과 미-소간 38선 분할에 관한 합의를 상기시켰다. 또한 스탈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한민국에 대한 공세적 군사활동은 대한민국의 북진 침략을 물리치는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ref name=hani1>{{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100289104003&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1&officeId=00028&pageNo=4&printNo=1959&publishType=00010 |제목 =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1> |출판사 =한겨레신문 |날짜 = 1994-07-21 |쪽 = 5 |인용문 = <!-- ◇ 대남공격 제의 △ 49.8.27= 슈티코프 대사는 8월12~14일 면담내용을 스탈린에게 보고하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북한의 대남공격이 불가하다고 결론을 내림. 1. 현재 한반도에는 두 나라가 존재하며 그중 남한은 미국 및 기타 국가에 의해 승인됨. 북의 공격시 미국은 남쪽을 무기탄약 공급뿐 아니라 일본군의 파견을 통해 지원할 가능성이 있음. 2. 북의 대남공격은 미국이 대소련 모함∙선전에 이용할 수 있음. 3. 정치적 측면에서 북의 공격은 남북한 인민 대다수의 지지를 얻을 수 있으나 군사적 측면에서 북은 아직 남에 대해 압도적 군사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 4. 남한은 이미 상당수 강한 군대와 경찰력을 창설하였음.(슈티코프는 김일성이 제의한 강원도 지역의 '해방구역' 창설계획에는 찬성하고 또한 인민군에 의한 옹진점령계획도 군사적으로 타당하다고 보고했으나 남한의 반격시 이 작전이 지구전이 돼버릴 수 있다고 언급)-->}}</ref>
1950년 1월 17일 [[박헌영]]의 관저에서 열린 만찬에서 김일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소련 대사 [[스티코프]]에게 침남(侵南)문제를 다시 제기하고 이를 논의하기 위하여 스탈린과의 면담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이 대화에서 김일성은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한 다음에는 [[대한민국]](남조선)을 해방시킬 차례라고 강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기강이 세워진 우수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김일성은 이전에도 그러했던 것처럼 [[대한민국]]의 선제공격에 대한 반격만을 승인한 1949년 3월의 스탈린의 결정에 불만을 토로했다.<ref>김영호,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38쪽. <!--“이 대화에서 김일성은 중국혁명이 성공한 다음에는 남한을 해방시킬 차례라고 강조하고 북한은 우수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김일성은 이전에도 그랬던 것처럼 남한의 선제공격에 대한 반격만을 승인한 1949년 3월 스탈린의 결정에 불만을 토로했다.”--></ref><ref>{{웹 인용 |url=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6/24/2118018.html |제목=Kbs News<!-- 봇이 따온 제목 --> |확인날짜=2010-06-2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08172301/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6/24/2118018.html |보존날짜=2018-03-08 |url-status=dead }}</ref>
<ref name=hani2 >{{뉴스 인용 |url= https://www.hani.co.kr/arti/legacy/legacy_general/PRINT/304633.html |제목=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2> |출판사= 한겨레신문 |날짜= 1994-07-22 |쪽= 5 |인용문= <!-- ◇ 김일성의 통일전쟁 제의 △ 1950.1.19.=슈티코프 대사는 1월 17일 박헌영 관저에서 열린 리셉션에서 북한 지도부와의 대화내용을 소련 외무성에 보고. 이 리셉션에서 김일성은 “인민의 열망을 저버리지 않아야 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밤에 잠이 안 온다”면서 “통일이 늦어지면 남한 인민은 대단히 실망할 것”이라고 언급. 북한쪽은 49년 3월 스탈린이 남한의 공격에 대한 반격만을 승인했지만 이승만이 공격을 늦추고 있어 반격 시행의 기회가 없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현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김일성이 스탈린과의 면담을 희망. 소련 외교관들이 이에 관해 대화를 회피하자 김일성은 슈티코프에게 자산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재차 반복. “스탈린과 만나 남조선의 상황과 남진공격 문제를 토의하고 싶다. 이번에 만날 수가 없으면 마오쩌둥이 모스크바에서 모든 문제에 관해 지시를 받아올 것이므로 모스크바에서 돌아올 때 그와 만나겠다. 왜 나의 옹진작전을 허락안해주는가. 총공격으로 넘어가면 며칠후에는 서울에 들어갈 수 있다. 스탈린의 조언을 듣고 싶다.”--> |확인날짜= 2022-02-01 |archive-date= 2022-02-01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220201041640/https://www.hani.co.kr/arti/legacy/legacy_general/PRINT/304633.html |url-status= }}</ref>
1월 30일, 스탈린은 서명한 전보를 평양으로 타전했다. 전문에서 스탈린은 김일성의 불만은 이해가 되나 '큰일'에 관해 치밀한 준비를 해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나친 모험을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스탈린은 김일성을 접견해 이 문제를 논의할 준비가 돼 있으며 그를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ref name=hani2 /><!-- ◇ 스탈린의 개전 동의... △1.30 = 스탈린이 서명한 전보를 평양으로 타전. 전문에는 김일성의 불만은 이해가 되나 '큰일'에 관해 치밀한 준비를 해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나친 모험을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고 언급됨. 스탈린은 김일성을 접견해 이 문제를 논의할 준비가 돼 있으며 그를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밝힘. -->
4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스탈린과 김일성 간의 회담에서 스탈린은 국제환경이 유리하게 변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통일과업을 개시하는 데 동의하였다. 다만, 이 문제의 최종결정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공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만일 중공쪽의 의견이 부정적이면 새로운 협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결정을 연기하기로 합의하였다.<ref name=hani2 /><!-- ◇ 김일성-스탈린 회담 △ 4.? = 모스크바 회담에서 스탈린은 국제환경이 유리하게 변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북한이 통일과업을 개시하는 데 동의, 이 문제의 최종결정은 중국과 북조선에 의해 공동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만일 중국쪽의 의견이 부정적이면 새로운 협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결정을 연기하기로 합의. -->
5월 14일 스탈린은 [[마오쩌둥]]에게 보낸 특별전문에서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통일에 착수하자는 조선사람들의 제청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는 중공과 조선이 공동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이고 중국동지들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검토할 때까지 연기되어야 한다.”고 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300289104008&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3&officeId=00028&pageNo=4&printNo=1961&publishType=00010 |제목 = 러시아 ‘한국전쟁 관련 외교문서’<3> |출판사 =한겨레신문 |날짜 = 1994-07-23 |쪽 = 5 |인용문 = <!-- ◇ 대남 공격계획 수립 △ 5.29=김일성은 슈티코프에게 4월 모스크바회담시 합의된 무기와 기술이 이미 대부분 북한에 도착했음을 통보. 김일성은 새로 창설된 사단들이 6월말까지 준비 완료될 것이라고 말함.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북한군 참모장이 바실리예프 장군과 함께 마련한 남침공격 계획을 북한지도부가 승인. 군조직 문제는 6월 1일까지 끝내기로 함. 북한군은 6월까지 완전한 전투준비 태세를 갖추게 됨. 김일성은 6월말 이후는 북한군의 전투준비에 관한 정보가 남쪽에 입수될 수 있으며 7월에는 장마가 시작된다는 점을 지적. 6월8~10일께 집결지역으로의 병력이동을 시작할 것임. 김일성과 면담 뒤 슈티코프는 바실리예프 장군 및 포스트니코프 장군과 의견을 교환. 그들은 7월에 공격을 시작하는 것이 가장 시의적절하나 일기관계로 6월로 변경할 수 밖에 없다고 함.”-->}}</ref>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생하자 스탈린은 처음에는 [[김일성]]의 침남을 반대했다.<ref>{{웹 인용 |url=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6/24/2118018.html |제목=Kbs News<!-- 봇이 따온 제목 --> |확인날짜=2010-06-2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80308172301/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6/24/2118018.html |보존날짜=2018-03-08 |url-status=dead }}</ref> 1949년 갑자기 [[대한민국]]에서 주한미군이 철수한 것을 언급하며 혹시 모를 [[미국]]과 [[자본주의]] 진영의 함정이라는 것이 그의 이유였다.
그러나 무려 48회에 달하는 거절에도 불구하고 김일성이 끝까지 남침을 고집한 탓에 스탈린이 이를 허락했는데<ref name="kath">[https://www.wilsoncenter.org/sites/default/files/CWIHPBulletin3.pdf Kathryn Weathersby, “New Findings on the Korean War”] Cold War International History Project Bulletin, 3 (Fall 1993), p.14 : This was Kim Il Sung’s war; he gained Stalin’s reluctant approval only after persistent appeals (48 telegrams!).</ref> 그렇게 발발한 [[한국 전쟁]]은 성과 없이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스탈린은 공식적으로는 [[한국 전쟁]] 관여를 부인하였지만 포스트 냉전 시대 연구에 의하면 [[김일성]]이 [[한국 전쟁]]을 감행하게 된 배경에는 스탈린의 명시적 허가와 지원이 있었다고 본다. 다만 김일성이 스탈린에게 남침 허가를 무려 48번이나 시도했다는 점으로 미뤄보면 스탈린이 김일성에게 침남을 지시한 입장은 아니고 김일성이 침남하겠다는 고집을 꺾지 못해서 마지못해 허락한 것이라고 봐야 옳다. 김일성이 침남을 끈질기게 고집했을 때 스탈린은 애초에 김일성과 박헌영이 아닌 다른 사람을 통제관으로 임명했어야 했다는 것을 깨닫고 김일성에게 한반도 북부의 통치를 책임지게 한 것을 크게 후회했으나 때는 늦었다. 김일성이 파견되자마자 한반도 북부지역에 자신만의 왕국을 건설한 이후였기 때문이였다.
한국 전쟁 중에 뇌졸중으로 쓰러진 적이 있었던 그는 뇌질환과 중풍 증세로 손과 발을 쓰는 것이 다소 부자연스럽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병세가 깊어지고 체력이 소모되었음을 알고는 누군가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의심과 망상증세가 한층 강화되었다. 모스크바와 소련의 대도시에는 오직 스탈린 자신만이 리모콘과 장비로 열 수 있는 건물이 건립되었는데, 그 건물들에는 같은 모양의 방이 여러 개가 있어 아무도 스탈린을 쉽게 찾기 어려운 구조였다. 또한 그는 비행기와 헬리콥터에 탑승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장거리 여행도 열차로 했다.
==== 말년과 독살설 ====
[[파일:Stalin 1945.jpg|섬네일|왼쪽|140px|이오시프 스탈린(1945년)]]
1953년 3월 1일 스탈린은 [[공산당]] 간부인 [[니키타 흐루쇼프]] 등 [[공산당]] 정치국원 4명과 만찬을 하던 도중에 쓰러졌다. 스탈린은 자신을 암살한 거라 염려하여 자신의 비밀별장에 데려다 달라고 명한다. 그리고 별장에 도착한 뒤 그는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고 4일 만인 3월 5일 숨졌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3월 4일에는 별장의 비밀 방에서 식사를 시켰으나, 그 날의 식사는 먹지 않고 첫 번째 비밀 방에 방치해두었다. 그의 정확한 사망 시간은 알 수 없다.
집권기간 동안 사적으로 뇌물을 받거나 축재를 하지 않았다. 비교적 청렴한 생활과 종교를 부정하는 다른 [[공산주의]]자들과는 달리 [[러시아 정교회]]에 호의적이었다는 점 역시 그의 정적들로부터 그에 대한 비판을 신중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죽기 직전, 스탈린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폭로하거나 암살할 것을 우려하여 자신의 주치의들을 숙청하였다. 이 때문에 주치의들이 체포, 고문 등으로 끌려가면서 스탈린 자신이 발작을 일으켰는데도 손을 쓸 수 없었다는 주장도 있다. 공식 발표된 스탈린의 사망 원인은 [[뇌졸중]]이었다. 그러나 세간에는 독살됐다는 소문이 확산되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일설에는 목이 졸려 죽었다는 주장도 있으나 확인된 것은 없다.
사망 장소는 자신의 관저였는데, 그곳의 위치는 자신을 암살할 것을 우려한 스탈린이 찾지 못하도록 깊숙하고 복잡한 곳에 위치한 숲속에 별장을 지은데다가 주택도 암살방지를 위해 미로처럼 복잡한 형태로 되어 경비원들조차 스탈린의 위치를 전혀 몰랐기 때문에 병원에 옮길 수 있는 시간이 없었다. 결국 사망 후 3일이 지난 3월 8일에 식사담당 파출부에 의해 발견되었다.
=== 사후 ===
[[파일:Bjust Stalina.PNG|섬네일|오른쪽|160px|스탈린 흉상]]
1953년 스탈린이 죽자 [[김일성]]은 장문의 애도문을 [[소련]]에 보냈다. 사후 시신은 미이라화되어 [[레닌]] 묘 옆에서 보존되다가 [[니키타 흐루쇼프]] 집권시에 화장되어 크렘린 벽묘지에 묻혔다.
스탈린은 사후 1956년 초 제20차 [[소련공산당]] 전당대회에서 [[니키타 흐루쇼프|흐루쇼프]]에 의해 비판받은 뒤 격하당하였다. 이후 스탈린의 동상, 흉상, 초상화, 비석 등 각종 기념물들은 철거되어 사라졌다. 스탈린을 기념하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서 [[스탈린그라드]]가 됐던 [[차리친 시]]는 1962년 이후 [[볼고그라드]](Volgograd)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흐루쇼프의 ‘스탈린비판’은 복잡한 반응을 일으켜 '중 ·소논쟁', '헝가리사건' 등과 [[소련]]-[[중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에 금이 가는 등의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니키타 흐루쇼프|흐루쇼프]]가 실각하면서 스탈린 격하논쟁은 주춤해지다가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스탈린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는 영웅에서 독재자로 격하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러시아]]와 독립국가 연합 14개국의 경제 사정이 악화되면서 경제발전과 부국강병을 달성한 스탈린에 대한 향수가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
스탈린은 [[조지아]] 출신이었지만 [[러시아]]에서도 그에 대한 존경심은 각별하였다. 2008년 8월 러-조지아 전쟁 당시 러시아군이 스탈린의 고향인 조지아에 진입했을 때 다른 시설은 무수히 파괴됐지만 스탈린의 생가와 스탈린 박물관은 손상되지 않았다.
==== 암살 의혹 ====
1990년대 초 [[소련]]이 붕괴되고 여러 소련 내 기밀문서들이 비밀 해제되자 [[라브렌티 베리야]]가 독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2000년대 이후 [[소련]]사 연구자들 중 스탈린 전문가들은 스탈린의 독살설을 다시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 2003년 3월 5일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의 역사학자 [[블라디미르 나우모프]]와 [[미국]] [[예일대학]]의 [[소련]]연구가인 [[조나단 브렌트]]는 공동저서 '스탈린의 마지막 범죄'에서 독살설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나우모프와 브렌트에 의하면 스탈린 독살의 용의자로 공산당 정치국원이었던 라브렌티 베리야를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스탈린 사망 후 베리야는 "내가 그를 해치우고 모든 사람을 구했다"며 자랑한 내용을 [[니키타 흐루쇼프]] 회고록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들었다. 이 책은 정치국원 4명이 모두 공모했을 수도 있다고 덧붙이고 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1953년 스탈린 사망 당시 의료진의 보고서 초안에는 스탈린이 숨지기 전 광범위한 위장 출혈을 보였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3개월 뒤 공개된 공식 보고서에는 병명에 관련된 내용이 삭제되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당시 크렘린에서 근무하던 경비병 한 명도 베리야로부터 병세에 대해 함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증언하였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스탈린의 음식에 과다 복용할 경우 장기출혈을 일으킬 수 있는 항응혈제 '와파린'이 섞여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ref name="%EC%BD%94%EB%82%98%EC%8A%A41"/> 한편 독살설 외에 침실에서 목졸려 죽었다는 설도 있다.{{출처|날짜=2009-02-11}} [[니키타 흐루쇼프|흐루쇼프]]는 [[베리야]]가 그를 암살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평가와 비판 ==
=== 긍정적 평가 ===
스탈린의 치하에서 [[소비에트 연방]]은 농업국에서 영국에 이은 세계 2위의 공업국으로 탈바꿈했고, 결과적으로 이는 소련이 독일침략 전쟁에서 승리하고 전후 초강대국으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모스크바 사수 및 연합국 지위 획득 역시 그의 치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독소 전쟁]]에서 초반의 패배에 큰 책임이 있긴 하지만, 모스크바 전투나 스탈린그라드 전투 그리고 쿠르스크 전투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정치적, 군사적인 정책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여 제2차 세계대전에서 소련이 승리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 또한 서방 연합국과의 흥정을 통해 중앙유럽에 대한 소련의 영향권을 확인함으로써 전후 미국과 함께 소련이 초강대국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하였다.
경제적으로는 국가 중심의 통제 경제와 중소 수공업을 양성하면서 대량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련의 경제를 살린 인물로 평가된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레닌주의]]를 더욱 구체화했으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교리적인 혁명이론으로 전개하였다. 소련은 물론 다른 국가의 사회주의자들은 주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스탈린적 해석을 학습하였고, 이를 혁명의 전략전술로 논리로 삼았다. 스탈린의 생전에 편찬된 《[[볼셰비키당사]]》의 제4장 〈[[DIAMAT|변증법적유물론과 사적유물론]]〉은 스탈린주의의 핵심적문서임과 함께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로동당]] 정권의 [[주체사상]]의 핵심적 사상적 토대가 되기도 하였다.
[[베트남]]의 [[호찌민]]은 그를 "세계혁명의 총사령관"이라 불렀다. 그는 "세계 혁명의 총사령관 스탈린, 아시아 혁명의 총사령관 마오쩌둥"이라 했다.<ref>북한 정권 탄생의 진실(시모토마이 노부오 저, 이혁재 역, 기파랑, 2006) 32페이지</ref>
한편 무모하게 추진해서 막대한 사상자를 내기는 했지만, 스탈린이 인민의 희생을 수반하여 강력하게 밀어붙인 기간산업의 국영화로 [[소련]] 국내의 경제적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산업화 정책으로 농업이 주류이던 소련을 산업화했으며 소련의 산업화를 완성시켜 [[독일]]에 반격할 수 있는 전력을 마련했다는 평가도 있다.
[[소련 해체]] 이후에도 현재 러시아에서는 그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부정적 평가보다 높으며<ref>[http://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6/02/11/AR2006021100845.html Why Russia Still Loves Stalin - washingtonpost.com<!-- 봇이 따온 제목 -->]</ref> 그의 고향 [[조지아]]에서도 국가적, 민족적 영웅으로 칭송된다. 조지아의 역사 교과서는 스탈린을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즘을 종식시키고 소련을 초강대국으로 만든 인물"로 기술하고 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0/02/2008100200022.html 스탈린 닮아서 행복한 사나이] 조선일보 2008.10.02자</ref>
일부 러시아 국민들 중에는 스탈린을 생각하면서 피와 편집증, 잔혹함이 아니라 승리와 힘, 무사무욕, 국가의 존재이유를 떠올린다.<ref name="%EB%82%B4%EC%9D%BC0901">[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47494&sid=E&tid=3 스탈린 러시아인들의 영원한 우상]{{깨진 링크|url=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447494&sid=E&tid=3 }} 내일신문 2009-01-14일자</ref> 또한 러시아의 청년 층 중 일부는 스탈린을 나치를 물리친 강력한 군주로도 기억된다.<ref name="%EB%82%B4%EC%9D%BC0901"/>
1991년 소련을 해체할 때 경제만을 먼저 개혁했었어야 했는데 정치개혁과 경제개혁을 동시에 것때문에 [[러시아]]의 경제사정이 악화되면서 스탈린을 그리워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고르바초프]]나 [[보리스 옐친]]의 무능력한 지도력으로인해 스탈린에 대한 국민들의 향수 여론이 더커졌다. 2000년대 이후에는 모스크바를 사수한 전쟁 영웅, 산업화를 통해 [[소련]]의 국가적 기틀을 마련한 영웅으로 재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스탈린의 재평가를 놓고 그의 인권 탄압과 정적 숙청에 관련된 비판과 잡음도 있었지만 2019년 러시아에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의 70%가 이오시프 스탈린을 가장 존경하는 인물로 꼽았다. 2위가 레닌, 3위가 현 푸틴대통령이다.<ref>[http://www.idcommunism.com/2019/04/anticommunism-fails-70-of-russians-have-positive-view-on-joseph-stalin.html?fbclid=IwAR0QocRoQcQgtTAT9zsFyAmJhOCKrqNfFQm_89kEgoT6x9y382_RlAHUwBo2018|Anti Communism Fails: 70% of Russians have a positive opinion on Joseph Stalin]</ref>
==== 러시아의 영웅 논란 ====
또 스탈린은 [[조지아]]인임에도 2008년 5월의 한 온라인 투표에서 '위대한 러시아인' 3위에 올랐다.<ref name="%EB%82%B4%EC%9D%BC0901"/><ref name="mm1">[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10091758211&code=970205 “스탈린시대 러시아는 존중받았다”] 경향신문</ref> '러시아를 상징하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러시아 국영 TV채널 '로시아' 방송은 2008년 5월 [[러시아 역사연구소]]와 함께 '이미아 로시아'(러시아의 이름)라는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영국 BBC 방송의 ‘위대한 영국인’이란 프로그램을 본뜬 것으로 러시아인들의 민족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제작됐다.<ref name="%EB%82%B4%EC%9D%BC0901"/> 경제 사정의 악화와 중산층 붕괴 등으로 흉흉해진 민심을 다잡고자 로시아 방송과 역사문제연구소는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으며, 다양한 각계 각층의 인사들의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
대러시아사에서 러시아를 상징하는 인물을 찾는 이 프로젝트의 첫 단계에서 인터넷과 문자메시지, 전화 투표로 다양한 시대의 인물 500명이 선정됐다. 두 번째 투표 단계에서 50명으로 대상의 폭이 한층 좁아졌다. 9월 최종 결선 진출자 12명이 선정되면서 인기투표와 토론은 한층 치열해졌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12명의 심사위원단이 구성됐고 각 심사위원은 12명의 인물 중 1명을 맡아 해당 인물을 대변했다. 프로그램은 12월 28일 최종 결과 발표와 함께 막을 내렸다. 1위는 알렉산드르 네브스키 왕자, 2위는 표트르 스톨리핀 총리, 3위는 스탈린이 차지했다.
근대 100년 역사에서 존경받는 인물 1위에는 스탈린, 2위는 레닌, 3위는 푸틴대통령을 꼽았다.<ref name="%EB%82%B4%EC%9D%BC0901"/>
역사학자 엘레나 얌폴스카이아는 스탈린이 러시아인의 3대 영웅의 하나로 꼽힌 것은 "[[민주주의]]의 이름하에 자행돼 온 자본가들의 독재와 물질만능주의에 따른 정신적 피폐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불만과 회의를 여실히 보여준다"고 평가했다.<ref name="%EB%82%B4%EC%9D%BC0901"/> 그에 의하면 "(러시아) 사람들은 스탈린을 생각하면서 피와 편집증, 잔혹함이 아니라 승리와 영광, 무사무욕, 민족의 존재이유를 떠올린다"고 지적했다.<ref name="%EB%82%B4%EC%9D%BC0901"/> 스탈린은 [[러시아]] 등 구 독립국가연합의 젊은이들이 열광적으로 존경하는 인물의 하나이기도 하다. 젊은 세대들이 스탈린을 독일을 물리친 강력한 서기장으로 기억하고 있는 점도 스탈린이 영웅대접을 받는 이유다.<ref name="%EB%82%B4%EC%9D%BC0901"/> 이에 대해 결론적으로 스탈린 이후 민주주의 정부는 국민들에게 만족감보다는 사회주의에 대한 향수가 계속되고 국민 영웅으로 여겨질 정도까지 불만을 가중시켜온 셈이라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러시아인들의 스탈린에 대한 존경심은 2008년 8월 [[남오세티야 전쟁 (2008년)|남오세티야 전쟁]]에서도 증명됐다. 러시아군이 스탈린의 고향인 조지아를 침략했을 때 다른 시설은 무수히 파괴됐지만 스탈린 박물관은 손상되지 않았다.<ref name="%EB%82%B4%EC%9D%BC0901"/>
=== 부정적 평가 ===
집권 과정, 집권 이후에 많은 정적을 무자비하게 숙청한 것으로 악명을 떨쳤고 비판을 받았다. 또한 정치적으로는 [[독재자]] 또는 살인마라는 비판도 있다. 그런데 사실 스탈린은 집권 전에는 가장 위험하지 않게 보였던 인물로서 당시 인민들의 특성상 스탈린과 같은 지도자들이 출현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인 점도 있었다. 실제로 대놓고 위험한 인민들이 집권한 나라들에서도 많은 비극이 일어났으며 그 반대도 비슷했다.
나오미 울프는 스탈린이 [[아돌프 히틀러|히틀러]]를 연구했다고 하였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81221154355 프레시안<!-- 봇이 붙인 제목 -->)</ref> 스탈린은 생전에도 [[제4인터내셔널]]의 [[트로츠키주의]]자들과 다른 공산주의자들에게 그 [[관료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소련을 관료국가로 만들었다"면서 강도높게 비판받았으며, 사후에는 생전에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벌인 숙청들로 거세게 비판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공범이라는 시각도 있다. [[러시아]]의 언론 [[노바야 가제타]]는 지난달 스탈린의 손자로부터 피소됐다는 사실을 공표한 뒤 사설을 통해 "진실은 가끔 위험한 것"이라며 "무시한다고 책임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범죄를 숨기는 것은 공범이다. 스탈린은 2차대전 초기 히틀러가 저지른 범죄의 공범자였다"고 지적했다.<ref name="%EC%97%B0%ED%95%A91">(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2916179 스탈린 손자, 조부 명예훼손 소송 패소) 2009-10-14</ref> 비정상적으로 타인의 고통을 즐기는 새디스트였고 [[롤리타]] 콤플렉스라는 비판도 있다.
== 의혹과 논란 ==
[[파일:Joseph Stalin with daughter Svetlana, 1935.jpg|섬네일|오른쪽|160px|딸 [[스베틀라나 이오시포브나 알릴루예바|스베틀라나]]와 함께]]
성적으로 [[롤리타 콤플렉스]] 취향으로 어린이를 좋아했다는 설도 있다. 그의 딸 [[스베틀라나 이오시포브나 알릴루예바]]가 남긴 회고에 의하면 스탈린은 사망 직전 병적으로 소년들, 소녀들의 사진을 수집했다고 한다. 한편 [[프랭클린 루즈벨트]]가 급사하자 암살 배후로 지목, [[얄타 회담]]에서 [[프랭클린 루즈벨트|루즈벨트]]에게 독이 든 차를 먹였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 마리아 유디나 ===
스탈린은 개인적으로 [[마리아 유디나]]라는 [[피아니스트]]를 사랑하였다. 그러나 [[마리아 유디나|유디나]]는 그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다. [[마리아 유디나|유디나]]는 [[레닌]] 이후 정권을 잡은 독재자 스탈린의 예술인들에 대한 억압정책에도 꿋꿋하게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고 쇼스타코비치를 비롯한 동료 예술인들을 변호하는데 앞장섰다.<ref name="ydna1">(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280&aid=0000000156 마리아 유디나, 스탈린이 사랑한 피아니스트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반체제 인사들을 옹호하는 등 [[마리아 유디나]]의 이런 태도를 스탈린이 가만 두고 있을 리가 없지만 유디나에겐 극히, 정말 극히 예외적으로 강제수용소에는 보내지 않고 그가 지속적인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었다. 그 이유는 스탈린이 유디나의 연주를 매우 좋아했기 때문이었다.<ref name="ydna1"/> 이에 대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유디나가 연주하는 모차르트(확실히 모르겠지만 피아노 협주곡 23번일 것이다.)의 방송실황을 듣고 있던 스탈린이 그의 연주에 매우 감동하여 당장 녹음 테이프를 구해오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만큼 스탈린이 유디나를 좋아했고 존경하였기에 [[마리아 유디나|유디나]]에 대해서는 최대한 배려를 해주었다는 이야기다.<ref name="ydna1"/>
[[마리아 유디나|유디나]]는 스탈린에게 정면도전도 불사했던 몇 안 되는 용감했던 예술가 중의 하나였으며 이에 [[국립 음악원]] 교수직에서도 해직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그만큼의 전설적인 피아니스트치고는 지나치게 적은 수의 음반만을 남긴 것으로 보아, 그의 연주와 녹음 활동에 정치적 압박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ref name="ydna1"/>는 시각이 있다. 스탈린이 [[마리아 유디나|유디나]]를 배려한 것에 대해서도 [[볼세비키 혁명]] 당시부터 있었던 [[마리아 유디나|유디나]]의 혁명 과정에서의 업적들과 그의 대중적인 인기, 위치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함부로 건드렸다가는 더 큰 반발이 있을 것이란 점을 인식한 정치적 계산이 있었을 것<ref name="ydna1"/>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 개인 숭배화 ===
[[파일:Генштаб.jpg|섬네일|오른쪽|120px|스탈린 메달]]
[[파일:Goristatue.JPG|섬네일|오른쪽|200px]]
집권기간 중 스탈린은 우상화를 추진해 나갔다. 스스로 '만능의 천재', '빛나는 태양', '삶의 지주', '위대한 선생이며 친구'로서 찬양을 받았고, [[러시아 정교회]] 부주교로부터 공공연히 '우리의 아버지'로 찬양받았다. 스탈린의 초상화나 동상이 소련 내 곳곳에 걸리거나 세워졌고, 스탈린 개인에 대한 숭배가 만연했다. 한편 [[스탈린 평화상]]을 제정하여 고위 정치인에게 수여하기도 했다.
각지에 세워진 스탈린의 동상과 휘호, 상징물은 [[니키타 흐루쇼프]]의 재임기간과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재임기간 중 철거되었다.
===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 ===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는 모든 종교는 탄압의 대상이었지만, 1941년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스탈린은 자신을 포함한 [[소련]] 인민들의 대다수가 비공식적으로 믿고 있던 정교회를 이용해, 민족주의를 불러 일으키기 위해 [[러시아 정교회|정교회]]를 부흥시켰다. 그리하여 [[정교회]]의 [[총주교]]가 [[크렘린]]을 방문하기도 했으며, 1925년 이래 선출되지 않았던 [[모스크바]] 총주교직이 스탈린의 제안으로 다시 선출되기도 하였다. 또한 스탈린의 명령으로 [[크리스마스]]나 [[부활절]]과 같은 [[교회력]]도 부활되었고, 혁명 후 폐쇄되었던 수많은 정교회 성당이나 [[수도원]]의 문이 다시 열렸다. 이 때문에 어떤 러시아 정교회는 스탈린을 [[정교회]]를 부활시킨 은혜로운 자로 생각하고 있다.<ref>[http://russian-victuries.ru]{{깨진 링크|url=http://russian-victuries.ru/}}</ref>
그리하여 최근에 정교회의 일부 성직자들에 의해 공산주의자였던 스탈린을 시성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종교를 부정하는 공산주의자를 인정할 수 없다는 반대파가 반발하고 있다.<ref>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4&sid2=233&oid=023&aid=0002008451 '성자(聖者)'가 된 독재자 스탈린?]</ref>
=== 아시아 민족 강제 이주 ===
소련은 [[일본]]의 국력이 강해지자 일본 민족과 비슷해 보이는 황인종을 강제 이주시켰다. 일본의 도움으로 [[만주국]]이 독립하자 본래 만주 민족의 땅인 [[연해주]]에 대한 영토 반환 분쟁을 대비해 1937년부터 시베리아, 연해주 등에 살고 있던 모든 황인종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다. 이 강제 이주로 수많은 동양인들이 희생되었으나, 소련은 시베리아와 연해주, 사할린 섬 등에 대한 영유권을 공고히하여 중국, 일본, 한국과의 영토 분쟁을 피할 수 있었다.
=== 한국 전쟁 ===
1953년 3월 6일, 스탈린이 사망한 다음 날 저녁 공산군들은 모든 전선에서 불꽃과 신호탄을 하늘에 올렸으며 각 병사는 스탈린에 대한 고별인사로 동시에 공중을 향하여 조총 사격을 하였다.<ref>전쟁기념사업회, 《한국전쟁사 제1권》(행림출판, 1992) 436쪽.</ref> 스탈린의 사망은 동서해빙과 외부 세계에 대한 소련 지도층의 새로운 접근 방식과 태도 변화를 초래했다.
[[김일성]]은 대한민국에서 미국이 손을 떼고 일본으로 철수할 것이라는 자신의 예상과는 달리 미국이 진심으로 전쟁을 시작하자 전황을 엄청나게 불리한 상황에 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이 소식을 접한 김일성은 드디어 전쟁 종결과 평화 달성의 주도권을 잡을 시기가 왔다며 좋아했다.<ref>이동현, 〈정전협정 50년:52년 수풍댐 폭격맞자 북지도부 '공황'〉,《중앙일보》(2003.7.25.)</ref> 스탈린은 전쟁을 종결하자고 하였으나, 김일성이 자신의 경고를 듣지 않자 지원을 감소시켰다. 또한 [[김일성]]이 자신의 통제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고 확신하여 경계하게 된다.
1953년 3월 19일 스탈린은 [[소련]] 각료회의에서 [[한국 전쟁]]을 계속 수행하는 것은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이익에 배치된다며 이른 시일 내에 정전협상을 마무리지을 것을 결정했다.
=== 학살 논란 ===
1940년에 발생한 [[폴란드]] [[카틴 숲의 학살]]의 배후는 스탈린이 지시했지만, 스탈린을 영웅시하는 기류가 확산됨에 따라 학살에 스탈린은 연관이 없다는 견해가 [[러시아]]의 좌파계열 학자들로부터 제기되고 있었다. 2009년 [[러시아]] 언론 [[노바야 가제타]]는 스탈린이 학살을 지시했을 것이라는 내용의 보도를 내보냈다. 2009년 4월 스탈린의 손자 [[예브게니 주가슈빌리]]는 스탈린이 폴란드 장교 수천 명의 학살을 직접 지시했다는 [[노바야 가제타]]의 보도에 대해<ref name="%ED%8C%A8%EC%86%8C1">(http://www.ytn.co.kr/_ln/0104_200910141115273355 24 HOUR NEWS CHANNEL ::::: YTN(와이티엔)<!-- 봇이 따온 제목 -->)</ref> 스탈린에 대한 명예훼손으로 [[러시아]] 검찰에 고소<ref name="%ED%8C%A8%EC%86%8C1" />, 기사 철회와 함께 천만 루블, 우리 돈으로 4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ref name="%ED%8C%A8%EC%86%8C1"/>
[[파일:Grutas Stalin.jpg|섬네일|180px|왼쪽|스탈린 동상]]
[[러시아]]의 우익 성향 언론 [[노바야 가제타]]는 2009년 4월 기밀해제된 서류 중에서 자료들을 발췌, 4월 22일 “최근 기밀해제된 서류에서 스탈린이 소련 자국민과 외국인 수천명에 대한 살생부에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스탈린이 민간인 처형을 직접 지시했다는 내용의 보도를 내보냈고<ref name="mm1"/>, 스탈린의 개인 서명이 담긴 처형허가증을 발견해 기사화했다.<ref name="%EC%84%B8%EA%B3%841">(http://www.segye.com/Articles/NEWS/INTERNATIONAL/Article.asp?aid=20091009001557&subctg1=&subctg2= 스탈린 손자 “할아버지는 처형 명령 내린 적 없다”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일보<!-- 봇이 따온 제목 -->)</ref> 주가슈빌리의 변호인인 유리 무킨은 이날 법정에서 “스탈린은 많은 사람들에게 정직하고 공정한 지도자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주가슈빌리 본인은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다. 노바야 가제타 측 변호인인 젠리 레즈니크는 “스탈린이 수만 명의 사람을 죽인 것은 널리 인정된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스탈린 명예훼손 재판은 [[러시아]] 및 구 [[소비에트 연방]] 국가에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법정은 관객들로 가득찼고, 법정 밖에는 스탈린의 지지하는 진보성향의 사람들 모여들었다<ref name="mm1"/> [[모스크바]] 법정 밖에서 스탈린 지지 집회를 벌이던 한 여성은 “스탈린 시대에 이 나라는 존경받았다”면서 “지금 우리는 가난뱅이지만 당시에는 다른 국가들의 두려움의 대상이었다”고 말했다.<ref name="mm1"/> [[러시아]] 내 우익성향 단체들은 이번 소송을 공산주의의 향수에 젖은 좌익들이 역사상 가장 잔혹한 독재자를 호의적으로 그려내려는 섬뜩한 시도라고 비판했다. 2008년의 구 [[소련]] 내 한 [[초등학교]]의 [[역사]] 교과서는 스탈린이 2차 세계대전에서 러시아의 승리를 이뤄냈다면서 그를 “유능한 지도자”라고 기술했다.<ref name="mm1"/>
모스크바의 한 지하철 역에 스탈린의 업적을 기념하는 동판이 등장했다. [[BBC]]는 러시아가 소련 시절의 공포를 직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f name="mm1"/> [[러시아]]의 인권운동단체 '메모리얼'의 역사학자인 니키타 페트로프는 “스탈린의 손자가 소송을 제기한 이유는 스탈린에 대한 명예회복 시도”라며 “이는 과거를 (자기들에게 유리하게) 수정하겠다는 것”이라며<ref name="mm1"/> 스탈린 명예훼손 소송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예브게니 주가슈빌리]]는 노바야 가제타의 보도에 대해 “이 문서 자체가 거짓”이라며 날조 의혹을 제기하였고, “스탈린은 직접적으로 누구에 대해서도 처형을 명령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ref name="%EC%84%B8%EA%B3%841"/> [[예브게니 주가슈빌리]]는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2009년 10월 [[모스크바]] 법원은 스탈린의 [[폴란드]] [[장교]] 학살설을 보도한 [[노바야 가제타]]의 무죄판결을 내렸고 예브게니 주가슈빌리는 패소하였다.<ref name="%ED%8C%A8%EC%86%8C1"/>
=== 기타 의혹 ===
[[블라디미르 레닌|레닌]]이나 [[레프 트로츠키|트로츠키]] 등의 주변에 자신의 정보원을 심고 이들로부터 정보를 빼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 기타 ==
[[파일:Stalin's Boots.jpg|섬네일|왼쪽|140px|스탈린의 구두(동상)]]
[[파일:Stalin Hitler.png|섬네일|140px|오른쪽|적대적 동지인 [[아돌프 히틀러|히틀러]]와 함께]]
1917년 12월에 창설된 체카(Cheka, 반혁명 태업단속 비상위원회)를 개조하여 특무기관인 [[국가보안위원회]](KGB, Komitet Gosudarstvennoy Bezopasnosti)를 조직했다. 그는 국가보안위원회(KGB)를 특무기관이자 친위조직으로 활용했다.
고소 공포증이 있던 그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탑승을 꺼렸다. 추락사고를 가장한 암살을 염려한 그는 고층 건물에 오르기도 꺼렸고, 장거리 여행도 주로 [[열차]]를 이용했다. 그의 총리 관저에는 비슷한 모양의 방을 3, 4개 이상 더 만들고, 내부에서 리모콘으로 작동하게 되는 자동문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
업무 평가에 있어서 그는 치밀하고 꼼꼼하여 그는 수많은 인민위원회 위원들과 장관들로부터 수많은 서류를 일일이 직접 보고받았다. 각부 장관들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고 결재하고 계산하며 업무를 추진했다. 작고 왜소하고 약한 체구에도 과중한 격무를 무난히 소화하였으며 새벽 3시~4시까지 정무를 보고도, 아침에 일찍 일어나 정무를 주관했다.
일설에는 그가 오전 10시~11시 무렵에 늦게 일어났다는 주장도 있다.{{출처|날짜=2010-02-28}}
스탈린은 독서를 좋아하여 업무가 없는 때는 독서로 소일했다. [[마르크스]], [[엥겔스]], [[헤겔]] 등의 유물론과 자본론, 변증법은 물론 [[찰스 다윈]]과 [[헉슬리]]의 적자 생존론,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등의 내용을 거의 대부분 이해, 암기하고 있었고, [[베른슈타인]]을 개량주의 타협론이라 비판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 붉은 군대의 중전차 IS-2호는 그의 이름을 따서 스탈린 호라고 지어졌다. 후에 그는 [[바트당]]을 조직한 [[사담 후세인]], [[중화인민공화국]]의 [[마오쩌둥]], [[리비아]]의 [[카다피]]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 사생활 ==
=== 성격 ===
스탈린은 성격이 치밀하여 꼼꼼하고 메모하기를 좋아하였으며 기억력이 비상하였다. 그러나 그의 부정적인 인격은 자아도취에 빠졌고 무자비한 면모를 보였다. 1945년 5월 7일 [[독소 전쟁]]에서 최종 승리를 거둔 뒤에 스탈린 우상화가 만연하였고, 공공기관이나 광장, 거리 등에 그를 찬양하는 기념물과 작품이 조성되었다. 1949년에는 그가 [[베를린]]을 정벌한 뒤 세계 시민의 환호를 받으며 비행기로 베를린에 도착하는 영화가 상영되기도 했다. 그는 어린이의 사진을 유난히 좋아하였고, 딸 스베틀라나는 이를 기록에 남기기도 했다.
=== 알코올 중독증 ===
어떤 역사학자들은 그가 수많은 사람들을 암살시킨 정신질환적 증세의 배후에는 그가 가진 알코올 중독증이었다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스탈린은 음주 연회를 자주 열어 병나발을 불 정도로 애주가였다고 한다.<ref>{{웹 인용|url=https://lordsofthedrinks.com/2014/03/18/jozef-stalin-paranoid-dictator-mass-murderer-but-a-great-drinker/|제목=Jozef Stalin, paranoid dictator, mass murderer but a great drinker|날짜=2014-03-18|언어=en|확인날짜=2020-07-23}}</ref>
== 이오시프 스탈린의 건강 ==
=== 스탈린의 지병 ===
이오시프 스탈린은 선천적으로 약한 몸임에도 과음하는 주당이요, 담배를 달고 사는 지독한 골초였다. 이로 인해 말년에는 고질병인 뇌질환과 고혈압 그리고 심장병으로 고생하다가 숨을 거두었다. 폐쇄적이고 고지식한 성격을 가진 스탈린은 결국 1952년에서야 의사들의 조언을 받아드려 금연을 하고 한증막 방문도 포기했다.
그와 별개로 스탈린은 일중독자로서 20시간 정도를 업무를 보고 4시간을 취침하는 악습관이 있었다. 이에 대해 스탈린의 주치의이자 심장외과의사인 블라디미르 니키티치 비노그라도프는 자신의 돌보고 업무량을 줄이라고 권고했으나 스탈린의 조급하고, 편집증적이며, 감정기복이 극심한 성격 때문에 되려 오해를 사 큰 고초를 겪기도 했다.
=== 스탈린의 정신건강 ===
스탈린 사후 정신과 의사들과 심리학자 그리고 일부 정치학자들은 그가 정신병을 앓았다는 근거 자료를 수차례 공개하거나 소련 당국에 알렸다.
이들은 입을 모아서 스탈린이 [[편집증]], 극심한 [[열등감]], [[우울증]], [[과대망상]], [[반사회적 인격장애]]등 다양한 정신병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일련의 주장들은 1991년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지금까지 다양한 찬양반론과 논쟁에 휩사이며, 스탈린의 정신이상설에 대한 진위여부는 아직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다.
== 문화에 나타난 스탈린 ==
생전의 스탈린은 구세주와 영웅으로 묘사됐는데 사후에는 의심 많고 잔인한 독재자로서 많이 표현된다. 소련 시기에 씐 소설에서 스탈린은 대부분 간접으로 묘사된다.(예: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등) 스탈린의 사망 이후 그는 독재자, 특히 공산주의 독재자로서 묘사되었고 소련을 다루는 많은 소설에서 그려졌다. 1949년에 발표된, 그의 [[독소전쟁]] 승리를 과장해 확대한 선전영화 〈베를린 함락〉(Падение Берлина)에서 그는 베를린을 함락하고서 [[비행기]]로 베를린에 도착해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전 세계 인민들에게 환영받는다는 설정으로 막을 내린다.
2009년 스탈린이 인민군 특수부대를 구성하여 [[화성]]에서 온 외계인을 대적한다는 게임 〈스탈린 대 화성인〉(Stalin VS martians)이 출시되기도 했다. 그 밖에 게임 〈커맨드 앤 컨커〉(Command & Conquer)에도 등장한다.
== 가계 ==
그의 아들 중 소련군 대위로 복무하던 야코프 주가시빌리가 [[독일]]군에 붙잡혔고, 독일은 스탈린그라드에서 포로로 잡힌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원수와 포로교환을 추진했으나, 스탈린은 "많은 아들들이 포로수용소에서 생을 마감해야 했지만 그들을 살리기 위해 파울루스와 포로교환을 추진하야 한다는 주장은 없었다. 그들이 야코프보다 못난 점이 무엇인가?"<ref>{{harvnb|Montefiore|2003|p=454}}</ref>며 요구를 거절하였다고 한다. 할아버지: [[바노 주가슈빌리]](Vano Djughashvili)
* 아버지: [[이오시프 비사리오니스제 주가슈빌리]](Joseph Besarion Vanovis Jughashvili, 1850년 - 1909년 8월 25일)
* 외조부: [[기리히 겔라제]](Glakh Geladze)
* 외조모: [[멜라니아]](Melania)
* 어머니: [[케테반 겔라제]](Ketevan Geladze, 1858년 2월 5일 ~ 1937년 6월 4일)
** 형: [[미하일 주가슈빌리]](1876년 ~ ?)
** 형: [[게오르규 주가슈빌리]](1877년 ~ ?)
* [[에카테리나 스바니제]](Ekaterina Svanidze, 1885년 ~ 1907년)
** 아들: [[야코프 주가시빌리 스탈린]](1907년 ~ 1943년, 전사)
*** 손자: [[예브게니 주가슈빌리 스탈린]]<ref name="%EC%97%B0%ED%95%A91"/>(1936년 ~ 2016년)
* [[나데즈다 알릴루예바]](Nadezhda Alliluyeva, 1901년] ~ 1932년)
** 아들: [[바실리 스탈린]](1921년 ~ 1962년)
** 딸: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ref>스베틀라나 이오시포브나 알릴루예바</ref>(Svetlana Iosifovna Alliluyeva 혹은 Svetlana stalina, 1926년 2월 28일 ~ 2011년 11월 22일, 1967년 3월 [[미국]]으로 망명)
** 사위: [[모로조프]](1945년 이혼<ref>[[유대인]]으로 스베틀라나의 첫 남편, 외손자가 태어났으나 스탈린은 끝까지 그와 외손자를 미워했고 인정하지 않았다.</ref>)
** 사위: [[유리 주다노프]], [[안드레이 주다노프]]의 아들<ref>스베틀라나는 스탈린의 뜻에 의해 안드레이 주다노프의 아들 유리와 재혼했으나, 이들은 원만하지 못했고,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이혼했다.</ref>
== 서훈 ==
{{소비에트 연방영웅}} {{사회주의 노동영웅}} {{소련 원수대성장|육군}}<br />
{{승리훈장}} {{적기훈장}} {{적기훈장}} {{적기훈장}} [[파일:20 years saf rib.png|x20px|link=노동자 농민의 붉은 군대 XX년 기념장]] {{레닌 훈장}} {{레닌 훈장}} {{레닌 훈장}} {{수보로프 훈장|1}} [[파일:Ribbon bar for the medal for the Defense of Moscow.png|x20px|link=모스크바 방어전 기장]] [[파일:Order of Glory Ribbon Bar.png|x20px|link=대조국전쟁 대독 승리 기장]] [[파일:Victoryjapan rib.png|x20px|link=대일 승리 기장]] [[파일:800thMoscowRibbon.png|x20px|link=모스크바 800주년 기장]] {{적성훈장}} {{적성훈장}} {{적성훈장}} [[파일:Czechoslovak War Cross 1939-1945 Ribbon.png|x20px|link=체코슬로바키아 전쟁십자장]] [[파일:Czechoslovak War Cross 1939-1945 Ribbon.png|x20px|link=체코슬로바키아 전쟁십자장]] [[파일:Czechoslovak War Cross 1939-1945 Ribbon.png|x20px|link=체코슬로바키아 전쟁십자장]] [[파일:Order of the White Lion.svg|x20px|link=백사자 훈장]] [[파일:Order of the White Lion.svg|x20px|link=백사자 훈장]] [[파일:OrdenSuheBator.png|x20px|link=수흐바타르 훈장]] [[파일:OrdenSuheBator.png|x20px|link=수흐바타르 훈장]]
{{col-end}}
== 같이 보기 ==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 [[공산주의]]
* [[소련]]
* [[블라디미르 레닌]]
* [[독소 불가침 조약]]
* [[아돌프 히틀러]]
== 각주 ==
{{각주|2}}
== 저서 ==
* 《스탈린선집 (1905-1931)》
* 《레닌주의의 기초 레닌주의의 제문제》
== 관련 서적 ==
* {{인용|last=Montefiore|first=Simon Sebag|author-link=Simon Sebag Montefiore|title=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year=2003|publisher=Phoenix|location=London|isbn=978-0-7538-1766-7}}
* 이오시프 스탈린, 《스탈린선집 (1905-1931)》(J.V.스탈린, 전진, 1990)
* 이오시프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 레닌주의의 제문제(두레문고 4)》(스탈린, 윤시인 역, 두레, 1990)
*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나의 아버지 스탈린-위대한 생애(위대한 생애)》(스베틀라나, 민병산 역, 일신서적출판사, 1993) : 딸 스베틀라나가 쓴 일대기
*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 《스탈린의 딸-스베틀라나의 고백》(스베틀라나, 정연권 역, 대문출판사, 1966)
* 존 루카치, 《히틀러와 스탈린의 선택 1941년 6월》(존 루카치, 이종인 역, 책과함께, 2006)
* 리처드 오버리,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RUSSIA'S WAR)》(리처드 오버리, 류한수 역, 지식의풍경, 2003)
* 로버트 서비스, 《스탈린 강철 권력-문제적 인간(문제적 인간)》(로버트 서비스, 윤길순 역, 교양인, 2007)<ref>2010년에 '스탈린 공포의 정치학, 권력의 심리학'이라는 부제목을 달고 재출간되었다.</ref>
* E. H. 카, 《나폴레옹에서 스탈린까지》(E. H. 카, 최영보 역, [[고려대학교]]출판부, 1991)
* 로버트 대니엘스, 《스탈린 혁명》(로버트 대니엘스, 석영중 역, 신서원, 1997)
* 헤다 가자, 《인물로 읽는 세계사 2:스탈린》(헤다 가자, 김기연 역, 대현출판사, 1993)
* 사이먼 시백 몬티피오리, 《젊은 스탈린》(사이먼 시백 몬티피오리, 김병화 역, 시공사, 2015)
* 올레그 흘레브뉴크, 《스탈린 독재자의 새로운 얼굴》(올레그 흘레브뉴크, 유나영 역, 류한수 감수, 삼인, 2017)
== 외부 링크 ==
{{위키공용|Иосиф Виссарионович Сталин}}
{{위키인용집}}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884&path=|183|194|&leafId=230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이오시프 스탈린]
* [https://web.archive.org/web/20070313003616/http://www.documen.tv/asset/Staline_film.html Documentary 52': Staline par Staline]
* [https://web.archive.org/web/20070930235808/http://uporter.sbs.co.kr/nsTheme/goThemeSeriesView.action?newsId=38620 스탈린의 한인강제이주에 대한 서울방송 유포터 전상중님의 취재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2/01/2008120101869.html '성자(聖者)'가 된 독재자 스탈린?]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86759 가장 파괴적인 두 독재자, 히틀러 대 스탈린 - 오마이뉴스]
* [http://www.hani.co.kr/section-001048000/2004/11/001048000200411012038390.html 스탈린 앞의 김일성과 박헌영 - 한겨레신문] {{웨이백|url=http://www.hani.co.kr/section-001048000/2004/11/001048000200411012038390.html |date=20120113124607 }}
{{전임후임
|전임자 = (책임서기 직함)[[뱌체슬라프 몰로토프]]
|후임자 = (제1서기 직함)[[니키타 흐루쇼프]]
|대수 = 1
|직책 = [[소련 공산당|전연방 공산당]] [[소련 공산당 서기장|중앙위원회 서기장]]
|임기 = [[파일:КПСС.svg|가운데|x30px]]1922년 4월 3일 ~ 1952년 10월 1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후임자 = (폐지)
|대수 = 4
|직책 = [[인민위원평의회]] [[소련의 정부수반|의장]]
|임기 = [[파일:Coat of arms of the Soviet Union (1923–1936).svg|가운데|x30px]]1941년 5월 6일 ~ 1946년 3월 1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게오르기 말렌코프]]
|대수 = 1
|직책 = [[소련 각료평의회|국무회의]] [[소련의 정부수반|의장]]
|임기 = [[파일:Coat of arms of the Soviet Union (1946-1956).svg|가운데|x30px]]1946년 3월 15일 ~ 1953년 3월 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세묜 티모셴코]]
|후임자 = (군무인민위원)이오시프 스탈린
|대수 = 3
|직책 = [[소련]]의 [[소련의 국방상|국방인민위원]]
|임기 = [[파일:State Emblem of the Soviet Union.svg|가운데|30px]]1941년 7월 19일 ~ 1946년 2월 2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국방인민위원)이오시프 스탈린
|후임자 = (군무성 장관)이오시프 스탈린
|대수 = 1
|직책 = [[소련]]의 [[소련의 국방상|군무인민위원]]
|임기 = [[파일:State Emblem of the Soviet Union.svg|가운데|30px]]1946년 2월 25일 ~ 1946년 3월 1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군무인민위원)이오시프 스탈린
|후임자 = [[니콜라이 불가닌]]
|대수 = 1
|직책 = [[소련]]의 [[소련의 국방상|군무성 장관]]
|임기 = [[파일:Coat of arms of the Soviet Union (1946-1956).svg|가운데|30px]]1946년 3월 15일 ~ 1947년 3월 3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아돌프 히틀러]]
|후임자 = [[윈스턴 처칠]]
|대수 = 13
|직책 = [[타임 올해의 인물]]
|임기 = [[파일:Time Magazine logo.svg|가운데|x30px]]1939년
}}
{{전임후임
|전임자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후임자 = [[조지 마셜]]
|대수 = 16
|직책 = [[타임 올해의 인물]]
|임기 = [[파일:Time Magazine logo.svg|가운데|x30px]]1942년
}}
{{소련 지도부}}
{{러시아의 정부수반}}
{{소련의 국방상}}
{{러시아 혁명}}
{{공산주의 꼬리말}}
{{타임 올해의 인물}}
{{냉전의 인물들}}
{{한국 전쟁 지휘관}}
{{전거 통제}}
{{기본정렬:스탈린, 이오시프}}
[[분류:이오시프 스탈린| ]]
[[분류:1879년 출생]]
[[분류:1953년 사망]]
[[분류:러시아 제국 사람]]
[[분류:러시아의 정치인]]
[[분류:러시아의 시인]]
[[분류:러시아의 작가]]
[[분류:소련의 공산주의자]]
[[분류:마르크스-레닌주의]]
[[분류:스탈린주의]]
[[분류:반수정주의자]]
[[분류:고참 볼셰비키]]
[[분류:러시아의 혁명가]]
[[분류:러시아 내전 관련자]]
[[분류:사상가]]
[[분류:조지아의 시인]]
[[분류:러시아의 언론인]]
[[분류:소비에트 연방원수]]
[[분류:조지아의 정치인]]
[[분류: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분류:소련의 국방상]]
[[분류:소련의 시인]]
[[분류:반기독교주의자]]
[[분류:러시아의 무신론자]]
[[분류:러시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분류:조지아계 러시아인]]
[[분류:이란계 러시아인]]
[[분류:이란계 조지아인]]
[[분류:스탈린가]]
[[분류:한국 전쟁 관련자]]
[[분류:의문사한 사람]]
[[분류:블라디미르 레닌]]
[[분류:대량 살인자]]
[[분류:대숙청 가해자]]
[[분류:코민테른 관련자]]
[[분류: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분류:적기훈장 수훈자]]
[[분류:적성훈장 수훈자]]
[[분류:레닌 훈장 수훈자]]
[[분류:타임 올해의 인물]]
[[분류:19세기 조지아 사람]]
[[분류:20세기 조지아 사람]]
[[분류:조지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분류:러시아의 공산주의자]]
[[분류:러시아 혁명 관련자]]
[[분류:소련의 군사점령]]
[[분류: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분류:고리 출신]]
[[분류:소련의 반시온주의]]
[[분류:조지아의 무신론자]]
[[분류:러시아화]]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골트바흐의 추측'''(Goldbach's conjecture)은 오래전부터 알려진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개의 [[소수 (수론)|소수]](Prime number)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소수를 두 번 사용하는 것은 허용한다.<ref name=MathWorldConj>{{매스월드|title=Goldbach Conjecture|urlname=GoldbachConjecture}}</ref>
== 기원 ==
1742년 6월 7일에 프로이센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트바흐]](Christian Goldbach)는 [[레온하르트 오일러]]에게 편지를 보내 다음과 같은 추측을 제안하였다.<ref>''Correspondance mathématique et physique de quelques célèbres géomètres du XVIIIème siècle'' (Band 1), St.-Pétersbourg 1843, [https://books.google.com/books?id=OGMSAAAAIAAJ&pg=PA125 pp. 125–129]</ref>
{{인용문|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한 모든 정수는, 모든 항이 1이 될 때까지 원하는 만큼 얼마든지 많은 개수의 소수의 합으로 분해할 수 있다.}}
그는 편지의 말미에 다음과 같은 두 번째 추측을 했다.
{{인용문|2보다 큰 모든 정수는 세 개의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
그는 1을 소수로 취급했지만 후에 이 개념은 폐기되었다. 이 두 추측은 동치이지만 당시에 이슈가 되지는 못했다. 골트바흐의 마지막 문장은 오늘날의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인용문|5보다 큰 모든 정수는 세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
오일러는 1742년 6월 30일에 답장을 보내 골트바흐와 한 예전의 대화를 떠올리면서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바뀌었다.
{{인용문|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
이것은 골트바흐의 원래 추측을 포함한다. 모든 짝수가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면, 홀수의 경우 3을 더하면 되고, 짝수의 경우는 2를 더하면 세 소수의 합으로도 표현가능해지기 때문이다.
== 골트바흐의 추측의 종류 ==
위 추측을 '''강한 골트바흐의 추측'''(strong Goldbach conjecture)이라고 부르고 최초에 골트바흐가 제시했던 '5보다 큰 모든 정수는 세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는 주장은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weak Goldbach conjecture)이라고 불린다. 강한 골트바흐의 추측이 참이라면,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은 당연히 참이 된다. 강한 골든바흐의 추측을 짝수 골트바흐 추측(even number Goldbach conjecture), 약한 골든바흐의 추측을 홀수 골트바흐 추측(odd number Goldbach conjecture)이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 골트바흐 숫자 ==
[[파일:Goldbach partitions of the even integers from 4 to 50 rev4b.svg|오른쪽|500px]]
예를 들어, 50까지의 짝수는
:4 = 2+2
:6 = 3+3
:8 = 3+5
:10 = 3+7 = 5+5
:12 = 5+7
:14 = 3+11 = 7+7
:16 = 3+13 = 5+11
:18 = 5+13 = 7+11
:20 = 3+17 = 7+13
:22 = 3+19 = 5+17 = 11+11
:24 = 5+19 = 7+17 = 11+13
:26 = 3+23 = 7+19 = 13+13
:28 = 5+23 = 11+17
:30 = 7+23 = 11+19 = 13+17
:32 = 3+29 = 13+19
:34 = 3+31 = 5+29 = 11+23 = 17+17
:36 = 5+31 = 7+29 = 13+23 = 17+19
:38 = 7+31 = 19+19
:40 = 3+37 = 11+29 = 17+23
:42 = 5+37 = 11+31 = 13+29 = 19+23
:44 = 3+41 = 7+37 = 13+31
:46 = 3+43 = 5+41 = 17+29 = 23+23
:48 = 5+43 = 7+41 = 11+37 = 17+31 = 19+29
:50 = 3+47 = 7+43 = 13+37 = 19+31
위와 같이, 두 개의 소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짝수에서 가능한지는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 확인된 수치적 결과 ==
[[파일:Goldbach-1000.png|섬네일|오른쪽|288px|짝수 n을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 (4 ≤ n ≤ 1,000)]]
[[파일:Goldbach-1000000.png|섬네일|오른쪽|288px|짝수 n을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의 수 (4 ≤ n ≤ 1,000,000)]]
컴퓨터로 직접 계산하여 짝수가 두 소수의 합인지 확인하는 시도가 예전부터 있었다. T. Oliveirae Silva는 <math>10^{18}</math> 이하에서 골트바흐의 추측이 참임을 확인했다.
골트바흐의 추측은 반드시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소수 한 쌍의 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고, 같은 두 수를 쓸 수도 있다.
== 최근의 결과 ==
* 1930년 러시아 수학자 Lev Schnirelmann은 4보다 큰 모든 짝수는 20개 이하의 소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함을 증명했다. 20이라는 수치는 수학자들이 계속 줄여왔고, 2013년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이 증명됨으로써 4까지 줄어들었다.
* 1937년 러시아 수학자 Vinogradov는 매우 놀라운 결과를 발표했는데, 충분히 큰 수 이상의 홀수에 대해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이 참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여기서 충분히 큰 수는 <math>3^{3^{15}}</math> 이었는데, 이후 중국 수학자 첸([[천징룬]])과 왕에 의해 이 값은 <math>3.33\times 10^{43000}</math>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남은 결과를 직접 확인하기에는 여전히 큰 수이다.
* 1975년 미국 수학자 휴 몽고메리 (Hugh Montgomery)와 영국 수학자 로버트 찰스 본(Robert Charles Vaughan)은 "대부분"의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함을 증명했다. 즉,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지 않은 짝수 개수의 비율의 극한값이 영에 수렴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었다.
* 2013년 Harald Helfgott은 위의 충분히 큰 수 이하의 홀수들에 대해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이 참임을 증명하였고, 따라서 약한 골트바흐의 추측은 참임이 증명되었다.<ref name="Helfgott 2013">{{ArXiv 인용|eprint=1305.2897 |title = Major arcs for Goldbach's theorem|last = Helfgott|first = H.A. |class=math.NT |year=2013}}</ref><ref name="Helfgott 2012">{{ArXiv 인용|eprint=1205.5252 |title = Minor arcs for Goldbach's problem |last = Helfgott|first = H.A.|class=math.NT |year=2012}}</ref>
== 쌍둥이 소수 추측과의 관계 ==
[[쌍둥이 소수 추측]] (twin prime conjecture)과 골트바흐의 추측은 구조적으로 유사성이 있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math>p</math>와 <math>p+2</math>가 모두 소수인 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math>k(k+2)</math>가 정확히 두 개의 소인수를 가지는 수가 무한히 많다는 추측이다. 골트바흐 추측은 4이상의 모든 짝수에 대해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는 것, 다시 말해서, 모든 4 이상의 짝수 <math>n</math>에 대해 <math>k(n-k)</math>가 두 개의 소인수를 가지는 1과 <math>n-1</math> 사이의 k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추측이다. 이러한 구조적 유사성 때문에 두 추측은 같이 다루어져 왔으며, 지금까지 검증된 수치적 자료들도 이를 뒷받침 하는 듯 보인다.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매스월드|id=GoldbachConjecture|title=Goldbach Conjecture}}
* {{웹 인용|제목=소수의 아름다움|저자=양재현|url=http://math.inha.ac.kr/~jhyang/paper/Eprimeb.pdf|확인날짜=2013-12-25|archive-date=2013-12-25|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25183641/http://math.inha.ac.kr/~jhyang/paper/Eprimeb.pdf}}
== 같이 보기 ==
* [[수학의 미해결 문제]]
* [[천의 정리]]
* [[리만 제타 함수]]
* [[디리클레 급수]]
* [[오일러의 곱셈 공식]]
{{소수}}
{{전거 통제}}
[[분류:수론]]
[[분류:소수에 관한 추측]]
[[분류:힐베르트 문제]]
[[분류:수론의 미해결 문제]]
[[분류:해석적 수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영화제 정보
| 이름 = 칸 영화제
| 영어명 = Cannes Film Festival
| 현지명 = Festival de Cannes
| 약자표기 =
| 그림 = Patchwork-Cannes-2.jpg
| 그림크기 = 250px
| 그림설명 =
| 개막작 =
| 폐막작 =
| 장소 =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알프마리팀주]] [[칸 (도시)|칸]]
| 설립일 = 1946년 9월 20일
| 수상자 =
| 상 =
| 영화 =
| 감독 =
| 연출자 =
| 대본 =
| 주연 =
| 주최 =
| 조직위원장 =
| 집행위원장 =
| 출품작수 =
| 축제기간 = 매년 5월
| 언어 = 국제
| 웹사이트 = {{url|http://www.festival-cannes.fr}}
}}
'''칸 영화제'''({{llang|en|Cannes Film Festival}}, {{llang|fr|Festival de Cannes}})는 세계 3대 국제 영화제 중 하나로서 국제 영화계의 '메카'로 통한다. [[1946년]] [[9월 20일]] ~ [[10월 5일]] 처음으로 개최된 이래, [[프랑스]] 남부 [[칸 (프랑스)|칸]]에서 보통 매년 5월에 열린다. 수상 부문은 황금종려상, 감독상, 각본상, 남·여자배우상 등이 있다. [[영화제]]의 작품의 특성은 [[영화 감독|영화감독]]의 재능과 실험성에 초점을 두어 대중성과 작품성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2014년 7월 1일, 프랑스의 유로 TV 방송국 [[카날 플러스]]의 공동설립자이자 전 회장인 피에르 레스퀴르가 집행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또, 이사회는 질 제이콥스를 명예 집행위원장으로 임명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hollywoodreporter.com/news/cannes-film-festival-names-president-670706 |제목=Cannes Film Festival Names Pierre Lescure President |저자= |날짜=2014-01-14 |웹사이트= |출판사=[[더 할리우드 리포터]] |확인날짜= |언어=영어 }}</ref><ref>{{웹 인용 |url=http://www.festival-cannes.com/en/article/60485.html |제목=Pierre Lescure elected President of the Festival de Cannes |저자= |날짜=2014-01-14 |웹사이트= |출판사=Festival de Cannes |확인날짜= |언어=영어 |archive-date=2016-03-2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26193148/http://www.festival-cannes.fr/en/article/60485.html |url-status=dead }}</ref>
== 개요 ==
[[베를린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와 함께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병설되어 있는 국제 전시장도 MIFED, American Film Market와 대등한 세계 3대 시장으로 손꼽힌다. 전시장에는 800개사, 수천명의 영화 제작자(프로듀서), 바이어, 배우 등이 모여, 세계 각국에서 모이는 영화배급사에 신작 영화를 파는 프로모션의 장소가 되고 있다. 특히, 세계 3대 영화제와 세계 3대 시장이 동시에 개최되는 것은 칸느 뿐이기 때문에 전 세계 언론매체로부터 엄청난 주목을 받고 있으며, 매회 전 세계에서 수많은 배우, 영화 제작자가 참석한다.
개최 기간 동안 주전시장을 시작으로 각 영화관에서 영화가 상영되고, 전시회는 각 제작사의 부스에 설명회 파티가 열린다. 앞으로 개봉되는 영화는 물론, 예고편 밖에 할 수 없는 영화와 아직 대본조차 할 수 없는 기획 단계의 [[영화]]까지 판매된다. 이 시장은 앞으로의 블록버스터 영화를 예측하고 구매를 결정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 역사 ==
1930년대 후반,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부의 개입으로 정치색을 강화했던 《[[베네치아 영화제]]》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스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최된 것이 이 칸 영화제의 시작이다. 1939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중단되었다. 종전 후 1946년 정식으로 시작되게 된다.
그러나 1948년부터 1950년까지는 예산 문제로 개최되지 않았고, 1951년에 다시 개최되었다. 이때부터 팔레 데 페스티발(Palais des Festivals et des Congrès)이 대회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1968년에는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에서 [[프랑스 5월 혁명|5월 혁명]]이 일어나 [[루이 말]], [[프랑수아 트뤼포]], [[클로드 베리]], [[진 가브리엘 아루비콧코]], [[클로드 를루슈]], [[로만 폴란스키]], [[장뤼크 고다르]]의 요청으로 영화제가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 프로그램 ==
칸 영화제에는 여러 섹션이 존재한다.
* '''공식 섹션''' - 영화제의 주요 행사
** 경쟁부문 - 20여편의 초정작이 황금종려상을 두고 경쟁한다. 뤼미에르 극장(Théâtre Lumière)에서 상영된다.
** [[주목할만한 시선]] - 다양한 지역과 [[문화]]의 독창적이고 색다른 20편이 출품된다. 경쟁부문에 오르지 못한 영화가 초청된다. 드뷔시 극장(Salle Debussy)에서 상영된다.
** 비경쟁부문 - 경쟁부문과 같이 뤼미에르 극장에서 상영되지만 상을 놓고 경쟁은 하지 않는다.
** 특별상영
** 시네파운데이션 - 학생 작품이 초청된다.
** [[단편 영화|단편영화]] - 경쟁부문과 마찬가지로 상을 놓고 경쟁한다. 대상작품은 단편작품이다.
* '''병행 섹션''' - 비경쟁 프로그램으로 영화의 다른 측면을 발견하기 위해 만들어짐
** 칸 클래식
** [[황금 카메라|황금카메라]]
* '''그 외 섹션''' - 영화제 기간 동안 외부 단체들이 제작
** 감독주간
** 국제비평가주간
* '''행사'''
** Marché du Film - 필름마켓
== 상 ==
[[파일:Palmed'or.jpg|섬네일|1979년 칸 영화제에서 《[[지옥의 묵시록]]》에게 시상된 황금종려상]]
최고상은 《[[황금 종려상]]》(Palme d'Or, Golden Palm)라고 하며, 20개 내외의 후보작 중에서 선정된다. 두 개 이상의 작품이 선정된 해도 있다. 처음에는 최고상을 "GP"(Grand Prix du Festival International du Film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라고 했었는데, 1955년에 트로피 모양을 딴 "황금 종려"를 정식 명칭으로 "그랑프리" 상으로 삼았다. 1965년 최고 상품의 정식 명칭을 "GP"로 변경했다가, 1975년 다시 "황금 종려"라고 변경했다. 오랫동안 칸느에서 "그랑프리"는 최고상의 정식 명칭 또는 별칭이었지만, 1990년 심사위원 특별상(Grand Prix Spécial du Jury)에 "그랑프리"라는 이름을 사용하여 혼란을 초래했다.
심사 위원은 유명 영화인과 문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문별로 심사 위원들이 다르다.
*; 경쟁부문
** [[황금종려상]] (Palme d'Or / Golden Palm) : 최우수 작품상
** [[그랑프리 (칸 영화제)#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Grand Prix / Grand Prize of the Festival) : 2등 작품상
** [[심사위원상 (칸 영화제)|심사위원상]] (Prix du Jury / Jury Prize) : 3등 작품상
** 감독상 (Prix de la mise en scène / Best Director)
** 남자배우상 (Prix d'interprétation masculine / Best Actor): 주, 조연을 구분 짓지 않으며 영화 내 모든 출연진이 수상 자격이 있다. 남성 출연진 전체에게도 수상 가능하다.
** 여자배우상 (Prix d'interprétation féminine / Best Actress): 주, 조연을 구분 짓지 않으며 영화 내 모든 출연진이 수상 자격이 있다. 여성 출연진 전체에게도 수상 가능하다.
** 각본상 (Prix du scénario / Best Screenplay)
*; 단편 경쟁부문
** 단편 [[황금종려상]] (Palme d'Or du court métrage / Best Short Film)
*; [[주목할 만한 시선]]
** 대상 (Prix Un Certain Regard)
** 심사위원상
** 감독상
** 배우상
** 각본상
* FIPRESCI상 : 국제영화비평가연맹에서 시상
* 황금카메라상 : 최고의 데뷔 영화
* 시네파운데이션상 : 학생 영화
* [[퀴어종려상]]
* 유럽영화상
* 벌칸상
* [[개종려상]]
* [[트로페 쇼파르]]
== 한국어 영화 수상 목록 ==
{| class="wikitable"
|-
! 연도 !! 작품 !! 감독 !! 부문 !! 상
|-
| 1999년 || 《[[소풍 (1999년 영화)|소풍]]》 || [[송일곤]] || 단편 경쟁부문 || 심사위원대상
|-
| 2002년 || 《'''[[취화선]]'''》 || [[임권택]] || 경쟁부문 || '''감독상'''
|-
| 2004년 || 《'''[[올드보이]]'''》 || [[박찬욱]] || 경쟁부문 || '''심사위원대상'''
|-
| rowspan=2| 2005년 || 《[[주먹이 운다]]》 || [[류승완]] || 감독 주간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 《망종》 || [[장률]] || 비평가 주간 || 프랑스독립영화배급협회(ACID)상
|-
| rowspan=2| 2007년 || 《'''[[밀양 (영화)|밀양]]'''》 || [[이창동]] || 경쟁부문 || '''여우주연상 ([[전도연]])'''
|-
| 《만남》 || 홍성훈 || 시네파운데이션 || 3등상
|-
| 2008년 || 《스탑》 || 박재옥 || 시네파운데이션 || 3등상
|-
| rowspan=2| 2009년 || 《'''[[박쥐 (2009년 영화)|박쥐]]'''》 || [[박찬욱]] || 경쟁부문 || '''심사위원상'''
|-
| 《남매의 집》 || [[조성희 (영화 감독)|조성희]] || 시네파운데이션 || 3등상
|-
| rowspan=2| 2010년 || 《[[시 (영화)|시]]》 || [[이창동]] || 경쟁부문 || 각본상
|-
| 《[[하하하]]》 || [[홍상수]] || 주목할만한 시선 || 대상
|-
| rowspan=2| 2011년 || 《[[아리랑 (2011년 영화)|아리랑]]》 || [[김기덕 (1960년)|김기덕]] || 주목할만한 시선 || 대상
|-
| 《야간비행》 || 손태겸 || 시네파운데이션 || 3등상
|-
| 2013년 || 《[[세이프 (2013년 영화)|세이프]]》 || 문병곤 || 단편 경쟁부문 || 황금종려상
|-
| 2016년 || 《[[아가씨 (영화)|아가씨]]》 || [[박찬욱]] || 경쟁부문 || 벌칸상 ([[류성희]] 미술감독)
|-
| rowspan=2| 2018년 || rowspan=2| 《[[버닝 (2018년 영화)|버닝]]》 || rowspan=2| [[이창동]] || rowspan=2| 경쟁부문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 벌칸상 (신점희 미술감독)
|-
| 2019년 || 《'''[[기생충 (영화)|기생충]]'''》 ||[[봉준호]]|| 경쟁부문 || '''[[황금종려상]]'''
|-
| rowspan=2| 2022년 || 《[[헤어질 결심]]》 || [[박찬욱]] || 경쟁부분 || '''감독상'''
|-
| 《[[브로커 (영화)|브로커]]》 || [[고레에다 히로카즈]] || 경쟁부분 || '''남우주연상 ([[송강호]])'''
|-
|2023년
|《홀》
|황혜인
|시네파운데이션
|2등상
|}
== 같이 보기 ==
* [[베니스 영화제]]
* [[베를린 영화제]]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언어링크|en|zh|fr|ar|es|pt|ja|ru}} {{공식 웹사이트}}
* [https://web.archive.org/web/20070707125318/https://www.marchedufilm.com/ 칸 영화제 마켓]
* {{언어링크|en}} [https://www.imdb.com/event/ev0000147/ 칸 영화제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칸 영화제}}
{{영화상}}
{{전거 통제}}
[[분류:칸 영화제| ]]
[[분류:1939년 설립]]
[[분류:프랑스의 영화제]]
[[분류:5월의 행사]]
[[분류: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분류:국제 영화제]]
[[분류:알프마리팀주의 관광지]]
[[분류:1939년 시작된 영화제]]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2-2-25}}
{{노래 정보
| 곡명 = 인터내셔널가<br /><small>L'Internationale([[프랑스어]])<br />Интернационал([[러시아어]])<br />The Internationale([[영어]])<br />Die Internationale([[독일어]])<br />国际歌([[중국어]])<br />인터나쇼날([[문화어]])</small>
| 그림 = L'Internationale.jpg
| 설명 = 1871년 [[프랑스어]]로 작곡된 인터내셔널가의 악보
| 나라 = {{ES}}
| 음악가 =
| 음반 =
| 발매일 =
| 포맷 =
| 녹음 =
| 녹음실 =
| 장르 =
| 길이 =
| 작사·작곡 =
| 작사가 = [[외젠 포티에]]
| 작곡가 = [[피에르 드 게테르]]
| 프로듀서 =
| 레이블 = {{접이식 목록
|제목 = 관련 이데올로기
|[[사회주의]]<br />[[공산주의]]<br />[[마르크스주의]]<br />[[레닌주의]]<br />[[스탈린주의]]<br />[[트로츠키주의]]<br />[[마오주의]]<br />[[덩샤오핑주의]]<br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시진핑주의]]<br />[[주체사상]]<br />[[좌파공산주의]]<br />[[유럽공산주의]]<br />[[사회민주주의]]<br />[[민주사회주의]]<br />[[급진자유주의]]<br />[[반군국주의]]<br />[[반제국주의]]<br />[[아나키즘]]<br />[[국제주의]]<br />[[세계주의]]<br />[[반국민주의]]<br />[[생디칼리슴]]<br />[[혁명|혁명주의]]<br />[[무신론|무신론주의]]<br />[[페미니즘]](일부)<br />[[생태주의]](일부)<br />[[기독교 사회주의]](일부 급진파)<br />[[해방신학]](일부 극좌파)<br />[[슈트라서주의]]}}
}}
[[파일:Internationalen-menander.jpg|섬네일|오른쪽|스웨덴어로 된 인터내셔널가]]
'''인터내셔널가'''({{llang|en|The Internationale|디 인터내셔널}}, {{llang|fr|L'Internationale|랭테르나시오날}}, {{llang|ru|Интернациона́л|인테르나치오날}}, {{zh|s=国际歌}}, {{문화어|인터나쇼날}}), 또는 '''국제가'''(國際歌)는 노동자 해방과 사회적 평등을 담고 있는 [[민중가요]]이다.
== 역사 ==
[[파일:L'Internationale_(2e_version).jpg|섬네일|왼쪽|1895년 제작된 인터내셔널가 포스터]]
[[프랑스어]] 원 가사는 [[외젠 포티에]]에 의해 [[1871년]] [[파리코뮌]]이 시기에 쓰여졌고 [[피에르 드 게테르]]가 [[1888년]]에 곡을 붙였다. 참고로 작사자인 외젠 포티에는 철도 노동자였고, 피에르 드 게테르는 가구세공인으로, 작사자와 작곡자 모두 노동자 출신이다.
프랑스 국가(國歌)인 [[라 마르세예즈]]가 '[[프랑스 혁명]]' 이후 면면히 계승되어온 '[[자코뱅파|자코뱅식]] 애국주의' 전통을 상징한다면, 인터내셔널가는 자코뱅주의와 더불어 [[프랑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쳐온 '[[사회주의]] 전통을 상징하는 노래'로 애창된다. 인터내셔널가가 처음 유래되어 만들어진 [[파리 코뮌]]은 급진적인 자코뱅주의와 사회주의가 결합된 정치 운동이었다.
인터내셔널가는 전 세계로 퍼져나가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된 노래 중 하나이며, [[러시아어]]판은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 (노래)|국가]]이자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당가로 채택되어 [[1922년]]부터 [[1944년]]까지 쓰였다. [[1943년]]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서기장인 [[이오시프 스탈린]]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코민테른]]을 해체하면서 새 당가와 국가를 채택하게 되었는데 [[1944년]] 이후에는 인터내셔널가 대신 [[소비에트 연방 찬가]]로 대체되었다.
여기서 '인터내셔널'은 단순히 '국제적'이라는 뜻이 아닌, 사회주의자들의 국제기구인 [[제1인터내셔널]]을 의미한다.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겪으면서 [[소비에트 연방]]의 [[공산주의]]와 서유럽의 공상주의가 갈라선 이후로는 [[제2인터내셔널|인터내셔널]]은 무의미해졌지만, 인터내셔널가는 [[소련 공산당]]과 [[코민테른]]에 의해 전승되어 오늘날까지 각국 공산당의 당가로 불리고 있다.
원곡은 [[프랑스어]]이지만, [[러시아 혁명]] 이후 수십 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언어별로 다양한 가사가 존재한다.
== 번안 ==
=== 한국의 인터내셔널가 ===
한국에는 [[일제강점기]] 1920년대때 [[조선공산당]]이 인터내셔널가를 일역한 일본의 '국제가'를 조선어로 직역, 번역되어 불린 것이 시초다. 이 가사는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인터나쇼날', '국제가', '국제공산당가'라는 제목으로 불리고 있으며, 주로 의전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좌익과 연관된 모든 것들이 금기시되어 인터내셔널가 또한 잊혀졌다. 그러다가 1980년대 민중음악 활동가들이 외국에서 악보를 다시 들여오며 복원되었다.{{출처|날짜=2012-2-25}} 그 뒤에 전노협(전국노동조합협의회)시기 노동운동 노래패를 통해 현재 대한민국에서 부르는 인터내셔널가 가사가 확립되었다. 그래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터내셔널가 가사는 서로 다르다.
==가사==
===프랑스어===
{{듣기
| filename = The Internationale (French Version).flac
| title = L'Internationale
| description = 인터내셔널가 (프랑스어)
|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프랑스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Debout les damnés de la terre
:Debout les forçats de la faim
:La raison tonne en son cratère,
:C'est l'éruption de la fin.
:Du passé, faisons table rase,
:Foule esclave debout debout
:Le monde va changer de base
:Nous ne sommes rien, soyons tout
:'''후렴'''
:C'est la lutte finale,
:Groupons-nous, et demain
:L'Internationale,
:Sera le genre humain.
:C'est la lutte finale,
:Groupons-nous, et demain
:L'Internationale,
:Sera le genre humain.
:'''2절'''
:Il n'est pas de sauveurs suprêmes,
:Ni dieu, ni César, ni tribun,
:Producteurs, sauvons-nous nous-mêmes
:Décrétons le salut commun
:Pour que le voleur rende gorge,
:Pour tirer l'esprit du cachot,
:Soufflons nous-mêmes notre forge,
:Battons le fer quand il est chaud
(후렴 반복)
:'''3절'''
:L'État comprime et la loi triche,
:L'impôt saigne le malheureux,
:Nul devoir ne s'impose au riche,
:Le droit du pauvre est un mot creux,
:C'est assez languir en tutelle,
:L'Égalité veut d'autres lois
:Pas de droits sans devoirs, dit-elle,
:Égaux, pas de devoirs sans droits
(후렴 반복)
:'''4절'''
:Hideux dans leur apothéose,
:Les rois de la mine et du rail
:Ont-ils jamais fait autre chose
:Que dévaliser le travail?
:Dans les coffres-forts de la bande,
:Ce qu'il a créé s'est fondu,
:En décrétant qu'on le lui rende,
:Le peuple ne veut que son dû.
(후렴 반복)
:'''5절'''
:Les rois nous saoulaient de fumée,
:Paix entre nous, guerre aux tyrans
:Appliquons la grève aux armées,
:Crosse en l'air et rompons les rangs
:S'ils s'obstinent ces cannibales,
:A faire de nous des héros,
:Ils sauront bientôt que nos balles
:Sont pour nos propres généraux
(후렴 반복)
:'''6'''
:Ouvriers, paysans, nous sommes,
:Le grand parti des travailleurs,
:La terre n'appartient qu'aux hommes,
:L'oisif ira loger ailleurs.
:Combien de nos chairs se repaissent
:Mais si les corbeaux, les vautours,
:Un de ces matins disparaissent,
:Le soleil brillera toujours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아
:일어나라, 굶주림의 노예들아
:이성의 불길이 분화구에서 타오르니
:이것은 마지막 외침이 되리라
:과거는 깨끗한 판으로 덮일지니
:억압받은 민중들아, 일어나라, 일어나라
:세상은 바야흐로 밑바닥부터 뒤바뀌고
:아무것도 아니었던 우리들이 전부가 되리라
::'''후렴'''
::이것은 최후의 투쟁이니
::모두 단결하라, 그리고 내일
::인터내셔널은
::인류의 미래가 되리라
::이것은 최후의 투쟁이니
::모두 단결하라, 그리고 내일
::인터내셔널은
::인류의 미래가 되리라
:'''2절'''
:어디에도 위대하신 구원자는 없노라
:신도, 황제도, 달변가도
:노동자들아, 우리들 스스로를 구하고
:공동체의 구원을 선언하라
:그리하여 강도들의 탐욕을 환원하고
:감옥에 갇힌 영혼들을 해방시키리라
:우리네 대장간에서 달구어진
:강철이 아직 뜨거울 때 두드리자
(후렴 반복)
:'''3절'''
:국가는 억압하고 법은 기만하며
:세금은 불행한 이들의 피를 빨아먹는다
:부자들에게는 어떠한 의무도 부과되지 않고
:약자의 권리는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하다
:이미 감시와 탄압으로 쇠약해진
:평등의 정신은 새로운 법을 갈망하니
:의무 없는 권리 없다는 그녀의 말처럼
:권리 없이는 의무도 존재하지 않노라
(후렴 반복)
:'''4절'''
:거짓된 신화 속에 감추어진
:광산과 철도의 지배자들
:그들이 노동의 결실을 훔치는 것 외에
:대체 무슨 일을 하였단 말인가?
:강도들의 금고 속에서
:그것이 녹은 채로 만들어졌으니
:이제 그들에게 반환을 명령하면
:인민의 빛을 되찾게 되리라
(후렴 반복)
:'''5절'''
:위정자들이 우리를 중독시키니
:우리들에게는 평화를, 폭군들에게는 전쟁을
:노동자들은 파업에 돌입하고
:전투를 개시하여 계급을 타파하자
:저항한다면, 이들 야만인들은
:우리들을 영웅으로 만들게 되리라
:그들은 곧 우리 충성의 대상은
:우리들 스스로임을 알게 되리라
(후렴 반복)
:'''6절'''
:직공들, 농부들, 우리들은
:위대한 노동자의 당이다
:지구는 오직 인간의 소유이고
:무위도식하는 자들을 위한 공간은 없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했는가
:하지만 만일 그 까마귀떼와 독수리떼들이
:아침의 어느 날 사라진다면
:태양이 영원토록 밝게 비추리라
(후렴 반복)
|}
===러시아어===
{{듣기
| filename = Internationale-ru.ogg
| title = Интернационал
| description = 인터내셔널가 (러시아어)
|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러시아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Вставай, проклятьем заклейменный,
:Весь мир голодных и рабов
:Кипит наш разум возмущенный
:И в смертный бой вести готов.
:Весь мир насилья мы разрушим
:До основанья, а затем
:Мы наш, мы новый мир построим,
:Кто был ничем, тот станет всем.
::'''후렴'''
::Это есть наш последний
::И решительный бой,
::С Интернационалом
::Воспрянет род людской
::Это есть наш последний
::И решительный бой,
::С Интернационалом
::Воспрянет род людской
:'''2절'''
:Никто не даст нам избавленья —
:Ни бог, ни царь и не герой.
:Добьемся мы освобожденья
:Своею собственной рукой.
:Чтоб свергнуть гнет рукой умелой,
:Отвоевать свое добро,
:Вздувайте горн и куйте смело,
:Пока железо горячо.
(후렴 반복)
:'''3절'''
:Лишь мы, работники всемирной
:Великой армии труда,
:Владеть землей имеем право,
:Но паразиты никогда.
:И если гром великий грянет
:Над сворой псов и палачей,
:Для нас все так же солнце станет
:Сиять огнем своих лучей.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저주받을 낙인이 찍힌
:전세계의 굶주린 이들과 노예들이여!
:격분한 우리의 정신이 끓어올라
:생사를 건 투쟁으로 인도할 각오가 되었노라
:전 세계의 강압을, 우리는
:뿌리채 뽑으리라 그 후에
:우리는, 우리는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리라
:아무것도 아니었던 우리가 세상 전부가 되리라
::'''후렴'''
::이는 우리 최후의
::그리고 결정적인 쟁투이니
::인터내셔널과 함께
::인류는 되살아나리라
::이는 우리 최후의
::그리고 결정적인 쟁투이니
::인터내셔널과 함께
::인류는 되살아나리라
:'''2절'''
:그 누구도 우리에게 자유를 주지 못한다
:신도, 차르도, 영웅도
:우리는 자유를 쟁취하리라
:바로 우리는 자신의 손으로
:압제에서 당당히 벗어나자
:행복을 쟁취하기 위해
:화로에 바람을 당기고 맹렬히 단련하라
:쇠가 아직 뜨거울 때에
(후렴 반복)
:'''3절'''
:오직 우리 전 세계의 노동자
:위대한 노동의 군대만이
:땅을 소유할 권리를 가지노라
:허나 기생충들에게는 결코 없으리
:그리고 만일 엄청난 우뢰가
:망나니들과 그들의 개에게 떨어진다면
:태양은 영원히 우리를 위하여
:자신의 빛을 강렬히 내리쬘 것이다
(후렴 반복)
|}
===독일어===
{{듣기
|파일이름 = Internationale-de.ogg
|제목 = Die Internationale
|설명 = 인터내셔널가 (독일어)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독일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Wacht auf, Verdammte dieser Erde,
:die stets man noch zum Hungern zwingt!
:Das Recht wie Glut im Kraterherde
:nun mit Macht zum Durchbruch dringt.
:Reinen Tisch macht mit dem Bedränger!
:Heer der Sklaven, wache auf!
:Ein Nichts zu sein, tragt es nicht länger
:Alles zu werden, strömt zuhauf!
::'''후렴'''
::Völker, hört die Signale!
::Auf, zum letzten Gefecht!
::Die Internationale
::erkämpft das Menschenrecht.
::Völker, hört die Signale!
::Auf, zum letzten Gefecht!
::Die Internationale
::erkämpft das Menschenrecht.
:'''2절'''
:Es rettet uns kein höh'res Wesen,
:kein Gott, kein Kaiser, noch Tribun
:Uns aus dem Elend zu erlösen
:können wir nur selber tun!
:Leeres Wort: des Armen Rechte,
:Leeres Wort: des Reichen Pflicht!
:Unmündig nennt man uns und Knechte,
:duldet die Schmach nun länger nicht!
(후렴 반복)
:'''3절'''
:In Stadt und Land, ihr Arbeitsleute,
:wir sind die stärkste der Partei'n!
:Die Müßiggänger schiebt beiseite!
:Diese Welt muss unser sein;
:Unser Blut sei nicht mehr der Raben,
:Nicht der mächt'gen Geier Fraß!
:Erst wenn wir sie vertrieben haben
:dann scheint die Sonn' ohn' Unterlass!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이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이여
:대지는 사람들을 늘 배고픔으로 몰아넣는다{{refn|group=주|직역하자면 '사람들을 늘 배고픔에 허덕이게 하는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이여, 일어나라!' 정도가 되겠지만, 두 문장으로 나누는 관계로 이렇게 해석한다.}}
:정의는 분화구의 불꽃처럼
:힘차게 변혁으로 나아간다
:압제자들을 몰아내라
:노예들의 군대여, 깨어나라
:무엇도 아님은 더 이상 견딜 수 없으니
:모든 것의 가능성이 쏟아지네{{refn|group=주|alles werden 은 흔히 "Du kannst alles werden - 너는 뭐든지 될 수 있어" 와 같은 용법으로 사용되며, 앞 행의 nichts sein 과 대비되는 표현이다.}}
::'''후렴'''
::민중이여, 신호를 들어라
::가자, 마지막 전투로
::인터내셔널은
::인간의 권리를 위해 싸우네
::민중이여, 신호를 들어라
::가자, 마지막 전투로
::인터내셔널은
::인간의 권리를 위해 싸우네
:'''2절'''
:높으신 이들은 우리를 구원하지 않는다
:신도, 황제도, 그리고 정치가도{{refn|group=주|원어 Tribun은 고대 로마의 [[호민관]]에서 딴 명칭으로, 의역하면 궤변가, 달변가 등이 된다. 프랑스어 원곡에도 이 표현이 있다.}}
:우리를 고난에서 구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만이 할 수 있다
:가난한 자의 권리라 함은 빈말이고
:부유한 자의 의무 또한 빈말이라네
:우리를 미숙하고 천하게 이르는
:불명예를 더는 참을 수 없네
(후렴 반복)
:'''3절'''
:도시와 시골에서, 그대 노동자여
:우리는 가장 강력한 집단이네
:저 게으른 이들을 밀어내라
:이 세상은 우리의 것이어야 하네
:우리의 피는 더는 갈망하지 않으며
:또한 위용찬 독수리의 먹이가 아니리
:우리가 그들을 몰아내고 나서야만
:그때야 태양이 끊임없이 빛나리라
(후렴 반복)
|}
===영어===
====영국====
<hr />
'''고전 영국 버전'''
{{듣기
|파일이름 = The Internationale English Version - The International song.ogg
|제목 = The Internationale
|설명 = 인터내셔널가 (영어/영국어)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영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Arise, ye workers from your slumber,
:Arise, ye prisoners of want.
:For reason in revolt now thunders,
:and at last ends the age of cant!
:Away with all your superstitions,
:Servile masses, arise, arise!
:We'll change henceforth the old tradition,
:And spurn the dust to win the prize!
::'''후렴'''
::So comrades, come rally,
::And the last fight let us face.
::The Internationale,
::Unites the human race.
::So comrades, come rally,
::And the last fight let us face.
::The Internationale,
::Unites the human race.
:'''2절'''
:No more deluded by reaction,
:On tyrants only we'll make war!
:The soldiers too will take strike action,
:They'll break ranks and fight no more!
:And if those cannibals keep trying,
:To sacrifice us to their pride,
:They soon shall hear the bullets flying,
:We'll shoot the generals on our own side.
(후렴 반복)
:'''3절'''
:No saviour from on high delivers,
:No faith have we in prince or peer.
:Our own right hand the chains must shiver,
:Chains of hatred, greed and fear.
:E'er the thieves will out with their booty,
:And to all give a happier lot.
:Each at his forge must do their duty,
:And we'll strike the iron while it's hot.
|
:'''1절'''
:일어나라 잠에서 깨어난 노동자들이여
:일어나라 욕망의 포로들이여
:지금 천둥처럼 반란이 일어나는 이유는
:위선의 시대를 마침내 끝내기 위함이니
:모든 미신을 없애라
:노예 민중들이여, 일어나라, 일어나라
:우리는 이제부터 오랜 전통을 바꾸고
:먼지를 쓸어버린 뒤 승리를 쟁취할 것이다
::'''후렴'''
::그러니 동지들이여, 모여라
::그리고 마지막 싸움에서 맞서자
::인터내셔날가는
::인류를 하나로 묶는다
::그러니 동지들이여, 모여라
::그리고 마지막 싸움에서 맞서자
::인터내셔날가는
::인류를 하나로 묶는다
:'''2절'''
:더 이상 반동에게 속지 말고
:폭군들에게 전쟁을 일으켜라
:군인들 또한 동조할 것이니
:그들은 대열을 깨고 더 이상 싸우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 식인종들이 계속 시도한다면
:우리를 그들의 자존심에 희생시키기 위해
:그들은 곧 총알이 날아다니는 소리를 들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쪽에 있는 장군들을 쏠 것이다
(후렴 반복)
:'''3절'''
:그 어느 높은 이라도 구원하지 못한다
:우리는 왕자나 그와 동등한 이들에 대한 믿음이 없다
:우리 오른손의 사슬은 떨릴 것이다
:증오, 탐욕, 두려움의 사슬
:도둑들이 약탈품을 가지고 나올때까지
:사랑과 생명을 절대 잊지 말자
:그리고 모두에게 더 행복한 삶을 줄 것이다
:각자는 대장간에서 의무를 다해야 하며
:그리고 우리는 뜨거울 때 철을 두드릴 것이다
(후렴 반복)
|}
<hr />
'''1990년 개사 버전'''
{{듣기
|파일이름 = The Internationale(English)(Lyrics).ogg
|제목 = The Internationale
|설명 = 인터내셔널가 (영어/영국어)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영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Stand up, all victims of oppression,
:For the tyrants fear your might!
:Don't cling so hard to your possessions,
:For you have nothing if you have no rights!
:Let racist ignorance be ended,
:For respect makes the empires fall!
:Freedom is merely privilege extended,
:Unless enjoyed by one and all!
::'''후렴'''
::So come brothers and sisters,
::For the struggle carries on.
::The Internationale,
::Unites the world in song.
::So comrades, come rally,
::For this is the time and place!
::The international ideal,
::Unites the human race.
:'''2절'''
:Let no one build walls to divide us,
:Walls of hatred nor walls of stone.
:Come greet the dawn and stand beside us,
:We'll live together or we'll die alone.
:In our world poisoned by exploitation,
:Those who have taken, now they must give!
:And end the vanity of nations,
:We've but one Earth on which to live.
(후렴 반복)
:'''3절'''
:And so begins the final drama,
:In the streets and in the fields.
:We stand unbowed before their armour,
:We defy their guns and shields!
:When we fight, provoked by their aggression,
:Let us be inspired by life and love.
:For though they offer us concessions,
:Change will not come from above!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모든 억압의 피해자들이여
:폭군들이 너희의 힘을 두려워하리라
:소유에 매달리지 마라
:권리 없이는 아무것도 없으니
:인종주의자들의 무지를 끝내자
:존중이야말로 제국을 무너뜨릴지니
:자유란 단지 특권의 연장일뿐
:모두가 누릴 수 없다면 말이다
::'''후렴'''
::그러니 오라, 형제 자매들이여
::투쟁을 계속하자
::인터내셔널가는
::노래로서 세계를 하나로 묶으리라
::그러니 동지들이여, 와서 연대하라
::지금 여기에 투쟁의 때가 왔나니
::인터내셔널의 이념이
::인류를 하나 되게 하리라
:'''2절'''
:그 누구도 우리를 갈라놓는 벽을 짓지 못하게 하자
:증오의 벽은 물론, 돌로 만든 벽까지도
:터 오르는 새벽동을 맞아 함께 서자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나니
:착취로 병든 이 세상에서
:빼앗기만 하던 자들은, 이제 내어놓을 때이다
:그리고 허황된 국가를 끝내자
:우리가 살아갈 지구는 하나뿐이니
(후렴 반복)
:'''3절'''
:마침내 최후의 막이 올랐다
:들판에서, 그리고 거리에서
:우리는 그들의 갑주 앞에 굽히지 아니하며
:그들의 총과 방패 앞에 당당히 맞서리라
:허나 그들의 도발에 넘어가 우리가 싸우게 될 때
:사랑과 생명을 절대 잊지 말자
:설령 그들이 협상을 제안하더라도
:위로부터의 변화는 결코 오지 않는다
(후렴 반복)
|}
====미국====
{{듣기
|파일이름 = "The Internationale" audio, sung at the Socialism 2013 Conference in Chicago.ogg
|제목 = The Internationale
|설명 = 인터내셔널가 (영어/미국어). 유튜브에 [https://www.youtube.com/watch?v=VUw_aaBjCpE 1933년 미국 공산당 버전]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영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Arise, ye prisoners of starvation!
:Arise, ye wretched of the earth!
:For justice thunders condemnation:
:A better world's in birth!
:No more tradition's chains shall bind us;
:Arise, ye slaves, no more in thrall!
:The earth shall rise on new foundations:
:We have been nought, we shall be all!
::'''후렴'''
::'Tis the final conflict;
::Let each stand in his place.
::The International working class
::Shall be the human race!
::'Tis the final conflict;
::Let each stand in their place.
::The International working class
::Shall be the human race!
:'''2절'''
:We want no condescending saviors
:To rule us from a judgment hall;
:We workers ask not for their favors;
:Let us consult for all.
:To make the thief disgorge his booty
:To free the spirit from its cell,
:We must ourselves decide our duty,
:We must decide, and do it well.
(후렴 반복)
:'''3절'''
:Toilers from shops and fields united,
:The union we of all who work:
:The earth belongs to us, the workers,
:No room here for the shirk.
:How many on our flesh have fattened!
:But if the noisome birds of prey
:Shall vanish from the sky some morning,
:The blessed sunlight still will stay.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굶주림의 노예들이여
:일어나라, 대지의 가련한 자들이여
:정의의 번개가 심판을 한다면
:더 나은 세상이 되리라
:더 이상 전통의 사슬이 우리를 묶지 못할 것이니
:노예들이여 일어나라, 더 이상 노예가 아니다
:새로운 기반의 세계가 시작될 것이다
:우리에겐 아무것도 없었지만, 우리는 모든 것이 되리라
::'''후렴'''
::이것은 최후의 투쟁이니
::각자 자신의 자리를 지키자
::인터내셔널 노동자 계급은
::인류가 될 것이다
::이것은 최후의 투쟁이니
::각자 자신의 자리를 지키자
::인터내셔널 노동자 계급은
::인류가 될 것이다
:'''2절'''
:우리는 거들먹거리는 구원자를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법정에서 우리를 지배할 것이니
:우리 노동자들은 그들에게 호의를 바라지 않는다
:우리 함께 협의하자
:도둑이 그의 전리품을 토해내기 위해서
:감옥에서 영혼을 해방시키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 의무를 결정해야 한다
:우리는 결정하고, 그것을 잘 지킨다
(후렴 반복)
:'''3절'''
:상점과 들판의 노동자들이 단결하여
:그것은 일하는 모든 자들의 연맹이니라
:대지는 우리, 노동자들의 것이고
:게으른 자들을 위한 자리는 없다
:우리들 중 몇이나 살을 불렸던가
:허나 만약 맹금류들의 역겨움이
:어느 아침 하늘에서 사라질 것이라면
:신성한 햇볕이 계속 내리쬘 것이다
(후렴 반복)
|}
===중국어===
{{듣기
|파일이름 = Internationale-cmn (英特纳雄耐尔).ogg
|제목 = 国际歌
|설명 = 인터내셔널가 (중국어)
|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0%;"| <big>'''중국어(간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0%;"| <big>'''중국어(번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40%;"|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起来,饥寒交迫的奴隶!
:起来,全世界受苦的人!
:满腔的热血已经沸腾,
:要为真理而斗争!
:旧世界打个落花流水,
:奴隶们,起来,起来!
:不要说我们一无所有,
:我们要做天下的主人!
::'''후렴'''
::这是最后的斗争,
::团结起来到明天,
::英特纳雄耐尔{{refn|group=주|인터내셔널'을 소리나는 그대로 한자로 옮긴 것이다. '잉터나숑나이얼'이라 읽는다. 원 가사에 등장한 '제1인터내셔널'의 원래 의미를 살리자면 '国际工人协会'('국제공인협회'), 또는 중국어로 인터내셔널을 지칭하는 '국제'('国际')로 옮기는 게 맞으며, 중국에서는 인터내셔널을 직역하여 '국제'라 쓴다. 다만 이것을 그대로 번역하면 음을 너무 길게 끌어야 해서 음악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번안자가 그냥 원어대로 "잉터나숑나이얼"라고 옮긴 것으로 보인다.}}
::就一定要实现。
::这是最后的斗争,
::团结起来到明天,
::英特纳雄耐尔
::就一定要实现。
:'''2절'''
:从来就没有什么救世主,
:也不靠神仙皇帝。
:要创造人类的幸福,
:全靠我们自己!
:我们要夺回劳动果实,
:让思想冲破牢笼!
:快把那炉火烧得通红,
:趁热打铁才能成功!
(후렴 반복)
:'''3절'''
:是谁创造了人类世界?
:是我们劳动群众。
:一切归劳动者所有,
:哪能容的寄生虫!
:最可恨那些毒蛇猛兽,
:吃尽了我们的血肉。
:一旦把他们消灭干净,
:鲜红的太阳照遍全球!
(후렴 반복)
|
:'''1절'''
: 起來,飢寒交迫的奴隸!
:起來,全世界受苦的人!
:滿腔的熱血已經沸騰,
:要為真理而鬥爭!
:舊世界打個落花流水,
:奴隸們,起來,起來!
:不要說我們一無所有,
:我們要做天下的主人!
::'''후렴'''
::這是最後的鬥爭,
::團結起來到明天,
::英特納雄耐爾{{refn|group=주|간체와 마찬가지로 원음을 그대로 썼다.}}
::就一定要實現。
::這是最後的鬥爭,
::團結起來到明天,
::英特納雄耐爾
::就一定要實現。
:'''2절'''
:從來就沒有什麼救世主,
:也不靠神仙皇帝。
:要創造人類的幸福,
:全靠我們自己!
:我們要奪回勞動果實,
:讓思想衝破牢籠!
:快把那爐火燒得通紅,
:趁热打铁才能成功!
(후렴 반복)
:'''3절'''
:是誰創造了人類世界?
:是我們勞動群衆。
:一切歸勞動者所有,
:哪能容的寄生蟲!
:最可恨那些毒蛇猛獸,
:吃盡了我們的血肉。
:一旦把他們消滅乾淨,
:鮮紅的太陽照遍全球!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굶주림과 추위에 고통받는 노예들이여
:일어나라, 전세계의 고통받는 자들이여
:가슴 가득 찬 피가 끓어올라
:진리를 위해 투쟁할 때가 되었네
:구세계는 낙화유수처럼 부서질 것이니
:노예들이여 일어나라, 일어나라
:우리에게 아무것도 없다고 하지말라
:우리가 반드시 천하의 주인이 되리라
::'''후렴'''
::이는 최후의 투쟁이니
::단결해 일어나 내일에 이르면
::인터내셔널은
::반드시 실현될 것이라네
::이는 최후의 투쟁이니
::단결해 일어나 내일에 이르면
::인터내셔널은
::반드시 실현될 것이라네
:'''2절'''
:여태껏 어떠한 구세주는 없었으며
:신선과 황제에 기대서도 안된다
:인류의 행복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을 의지해야 하네
:우리는 노동의 과실을 되찾을 것이고
:사상을 자유롭게 하리
:빨리 용광로의 불꽃이 붉게 타오르게 하라
:쇠가 아직 뜨거울 때에 이룰 것이라네
(후렴 반복)
:'''3절'''
:인류의 세계를 만든 자가 누구인가
:바로 우리, 노동 군중이다
:모든 것은 노동자들의 것이니
:기생충들은 결코 함께할 수 없으리
:가장 혐오스러운 독사들과 흉악한 짐승들은
:우리의 피와 살을 뜯어먹으니
:그들을 모두 소멸시키면
:붉은 태양이 전세계를 비추리라
(후렴 반복)
|}
===스페인어===
====스페인====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스페인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Arriba, parias de la Tierra!
:¡En pie, famélica legión!
:Atruena la razón en marcha:
:es el fin de la opresión.
:Del pasado hay que hacer añicos.
:¡Legión esclava en pie a vencer!
:El mundo va a cambiar de base.
:Los nada de hoy todo han de ser.
::'''후렴'''
::Agrupémonos todos
::en la lucha final.
::El género humano
::es la internacional.
::Agrupémonos todos
::en la lucha final.
::El género humano
::es la internacional.
:'''2절'''
:Ni en dioses, reyes ni tribunos,
:está el supremo salvador.
:Nosotros mismos realicemos
:el esfuerzo redentor.
:Para hacer que el tirano caiga
:y el mundo esclavo liberar
:soplemos la potente fragua
:que el hombre libre ha de forjar.
(후렴 반복)
:'''3절'''
:La ley nos burla y el Estado
:oprime y sangra al productor;
:nos da derechos irrisorios,
:no hay deberes del señor.
:Basta ya de tutela odiosa,
:que la igualdad ley ha de ser:
:"No más deberes sin derechos,
: ningún derecho sin deber".
(후렴 반복)
|
:'''1절'''
:전진하라, 대지의 천민들아
:일어나라, 기아의 군단이여
:진군하는 이성의 굉음은
:바로 억압의 끝이로다
:조각나 있었던 어제에서
:노예의 군단은 일어나 승리하리라
:세상은 뿌리부터 바뀔 것이고
:오늘 아무것도 아니던 게 모든 것이 되리라
::'''후렴'''
::모두 모여라
::최후의 투쟁에
::인류의 미래는
::바로 인터내셔널이다
::모두 모여라
::최후의 투쟁에
::인류의 미래는
::바로 인터내셔널이다
:'''2절'''
:신도, 왕들도, 판관들도
:우리를 구원하지는 못하리라
:우리를 구원하는 힘은
:오직 우리 자신의 노력 뿐
:폭군을 무너뜨리고
:세상의 노예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신 인류를 다져 만들어 나갈
:강력한 용광로에 바람을 불자
(후렴 반복)
:'''3절'''
:법은 우리를 농간하고
:국가는 우리를 억압하네
:되도 않는 농담을 권리라고 던져주고
:지주들은 아무런 의무도 지지 않네
:이 가증스런 비호를 끝내고
:새로운 법을 써 내려가니
:"권리보다 많은 의무란 없고
: 의무없는 권리란 없다"
(후렴 반복)
|}
====멕시코====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스페인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Arriba, victimas hambrientas,
:Arriba todos a luchar!,
:Por la justicia proletaria
:Nuevo mundo nace ya.
:Destrocemos todas las cadenas
:De esclavitud tradicional,
:Y quienes nunca fueron nada,
:¡Dueños del mundo hoy serán!
::'''후렴'''
::¡A la lucha proletarios,
::Al combate final!
::¡Y se alcen los pueblos
::Por la Internacional!
::¡A la lucha proletarios,
::Al combate final!
::¡Y se alcen los pueblos con valor
::Por la Internacional!
:'''2절'''
:Ya no queremos salvadores
:Que sirvan solo al capital,
:En adelante los obreros
:Impondrán su voluntad.
:Al burgués quitemos lo robado
:Y todos juntos libres ya,
:Por el deber decidiremos
:Y cada quien lo cumplirá.
(후렴 반복)
|
:'''1절'''
:전진하라, 굶주림의 희생자들아
:모두 일어나 싸워라
:프롤레타리아의 정의를 위해
:새로운 세상이 시작된다
:우리는 모든 사슬을 깨부순다
:전통적인 노예제라는 것의
:아무것도 아닌 존재였던 이들은
:오늘날 세계의 주인이 되리라
::'''후렴'''
::프롤레타리아의 투쟁을 향해서
::마지막 결전을 향해서
::그리고 인민들은 일어선다
::인터내셔널을 위하여
::프롤레타리아의 투쟁을 향해서
::마지막 결전을 향해서
::그리고 인민들은 용기를 가지고 일어선다
::인터내셔널을 위하여
:'''2절'''
:우리는 더 이상 구원자를 바라지 않는다
:그들은 오직 자본에만 봉사한다
:이제부터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의지를 강요할 것이다
:부르주아에게서 훔친 물건을 치워라
:그리고 이제 모두가 자유로워졌다
:우리의 의무는 우리가 결정할 것이며
:모두가 그것을 이행할 것이다
(후렴 반복)
|}
<hr />
====쿠바, 콜롬비아====
{{듣기
|파일이름 = Internationale-es.ogg|The [[Spanish language|Spanish]] version
|제목 = La Internacional
|설명 = 인터내셔널가 (스페인어/쿠바어/콜롬비아어)
|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스페인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Arriba los pobres del mundo
:¡En pie los esclavos sin pan
:¡Y gritemos todos unidos,
:¡Viva la Internacional!
:Removamos todas las trabas
:que oprimen al proletário,
:cambiemos al mundo de fase
:hundiendo al imperio burgués.
::'''후렴'''
::¡Agrupémonos todos,
::En la lucha final!
::¡Y se alcen los pueblos
::Por la Internacional!
::¡Agrupémonos todos,
::En la lucha final!
::¡Y se alcen los pueblos
::Por la Internacional!
:'''2절'''
:No más salvadores supremos,
:Ni césar, ni burgués, ni dios;
:Que nisotros mismos haremos
:Nuestra propia redención.
:Lo que quieren los proletarios,
:El disfrute de su bien
:Tenemos que ser los obreros
:Los que quiemos el tren
(후렴 반복)
:'''3절'''
:El día que el triunfo alcancemos
:Ni esclavos ni dueños habrá.
:Los odios que al mundo envenenan
:Al punto se extinguirán.
:El hombre del hombre es hermano
:Cese la desigualdad
:la Tierra será el paraíso,
:Bello de la humanidad
(후렴 반복)
|
:'''1절'''
:전진하라, 세상의 빈자들이여
:일어서라, 빵이 없는 노예들이여
:"인터내셔널 만세"라는 외침을
:모두 함께 들어올리자
:프롤레타리아를 억압하는
:모든 장애물들을 없애고
:세상을 뿌리부터 바꾸며
:제국주의 부르주아들을 쫒아내버리자
::'''후렴'''
::모두 모여라,
::최후의 투쟁에서
::그리고 인민들은 일어선다
::인터내셔널을 위해
::모두 모여라,
::최후의 투쟁에서
::그리고 인민들은 일어선다
::인터내셔널을 위해
:'''2절'''
:우리를 구원해줄 높은 이는 더 이상 없다
:황제도, 부르주아도, 신도
:우리 스스로가 해야할 일은
:우리 자신의 구원이다
:프롤레타리아 인민들이 원하는 것은
:그들 재산의 향유이다
:우리는 기차를 안내하는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
(후렴 반복)
:'''3절'''
:우리가 승리하는 날에는
:노예도 주인도 없을 터이니
:세상을 병들게 하는 증오는
:모두 씨가 마를 것이다
:인간과 인간은 곧 형제이니
:가질 권리 또한 같으며
:대지는 곧 낙원이자
:모든 인류의 조국이 될 것이다
(후렴 반복)
|}
<hr />
====페루====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스페인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Arriba los pobres del mundo
:En pie los esclavos sin pan
:¡Y gritemos todos unidos,
:¡Viva la Internacional!
:Removamos todas las trabas
:Que impiden nuestro bien,
:Cambiemos el mundo de fase
:hundiendo al imperio burgués.
::'''후렴'''
::Agrupémonos todos,
::En la lucha final!
::¡Y se alcen los pueblos
::por la Internacional!
::Agrupémonos todos
::En la lucha final!
::¡Y se alcen los pueblos con valor
::Por la Internacional!
:'''2절'''
:El día que el triunfo alcancemos
:ni esclavos ni dueños habrán,
:La tierra será el paraiso
:De toda la Humanidad.
:Que la tierra de todos sus frutos
:Y la dicha en nuesto hogar,
:El trabajo es el sosten que a todos
:De la abundacia hara gozar.
(후렴 반복)
|
:'''1절'''
:전진하라, 세상의 빈자들이여
:일어서라, 빵이 없는 노예들이여
:"인터내셔널 만세"라는 외침을
:모두 함께 들어올리자
:우리의 이익을 방해하는
:모든 장애물들을 없애버리자
:위선된 세계를 바꾸어버리자
:제국주의 부르주아들을 쫒아내버리자
::'''후렴'''
::모두 함께 힘을 모으자
::최후의 결전에서
::그리고 국민들은 일어선다
::인터내셔널을 위하여
::모두 함께 힘을 모으자
::최후의 결전에서
::그리고 국민들은 용기를 가지고 일어선다
::인터내셔널을 위하여
:'''2절'''
:승리를 이루는 날에
:노예도 없고 주인도 없을 것이며
:대지는 모든 인류의
:낙원이 될 것이다
:땅에서 나는 모든 과실과
:그리고 우리 가정에서의 행복
:노동은 모든 사람들을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풍요로움은 당신을 즐겁게 할 것이다
(후렴 반복)
|}
<hr />
====아르헨티나====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스페인어 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번역'''</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De pie, malditos de la Tierra!
:¡Alzad, esclavos del dolor!
:El genio truena en la montaña,
:¡Y en su antorcha, la erupción.
:El pasado todo arrasemos,
:¡Turba esclava, de pie, de pie!
:El mundo cambiara de bases,
:Hoy nada sois, todo seréis.
::'''후렴'''
::En la lucha postrera,
::Nuestra unión triunfara.
::La Internacional
::Será la humanidad.
::¡En la lucha postrera,
::Nuestra unión triunfara!
::¡Y la Internacional
::Será la humanidad!
(후렴 반복)
|
:'''1절'''
:일어나라,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아
:깨어나라, 고통의 노예들이여
:천재는 산에서 천둥 소리를 내고
:그 횃불 속에서 폭발이 일어난다
:과거를 부숴버려라
:혼란스러운 노예들이여, 일어나라, 일어나라
:세상의 근본을 바꿀 것이니
:오늘 아무것도 아닌 게 모든 것이 되리라
::'''후렴'''
::최후의 투쟁에서
::우리의 단결이 승리할 것이며
::인터내셔널은
::인류가 될 것이다
::최후의 투쟁에서
::우리의 단결이 승리할 것이며
::그리고 '인터내셔널'은
::인류가 될 것이다
|}
===한국어===
====1984년 ver.====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굶주림과 추위 속에
:우리는 울었다
:이제는 분화구의 불길처럼
:힘차게 타온다
:깨어라 노예의 주인
:압제자를 물리치자
:어떠한 낡은 껍데기도
:우리를 막지 못해
::'''후렴 1'''
::모두 모여 함께
::전진 또 전진
::민중이여 정의의
::깃발 아래 서자
::최후 순간까지
::투쟁을 위하여
::자유와 평등 그 길로
::힘차게 나가자
|
:'''2절'''
:어떠한 높으신 양반
:고귀한 이념도
:허공에 헤메이는 십자가도
:우릴 구원 못하네
:우리 것을 되찾는 것은
:오직 우리의 손
:가난한 자의 권리
:모두가 거짓 동정들
::'''후렴 2'''
::배부른 자의 의무
::모두 다 개소리
::우리는 벙어리로
::종으로 볼렸다
::이 더러운 모욕을
::더는 참을 수 없네
::노예의 사슬 끊고서
::해방으로 가자
|
:'''3절'''
:억세고 못박혀 굳은 두손
:우리의 무기다
:나약한 지배자의 근성
:모두 쓸어버리자
:자유와 평등이 넘치는
:이 세계는 우리의 것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새 세상은 오리라
::'''후렴 3'''
::죽어간 동지의
::피를 간직하자
::온갖 껍데기를
::이 땅에 없앨 때
::우리의 태양은
::지평선에 떠온다
::동지여 그날을
::위해 전진 또 전진
|}
====1989년 ver.====
{{듣기
|파일이름 = 청년좌파 2014년 총회 인터내셔널 (오디오).opus
|제목 = <인터내셔널가>
|설명 = 인터내셔널가 (한국어)
|pos = center
}}
{|
! style="text-align:left; width:35%;"| <big>'''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5%;"| <big></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깨어라 노동자의 군대{{refn|group=주|"연대"라고도 한다.}}
:굴레를 벗어 던져라
:정의는 분화구의 불길처럼
:힘차게 타온다
:대지의 저주받은 땅에
:새 세계를 펼칠 때
:어떠한 낡은 쇠사슬도
:우리를 막지 못해
::'''후렴'''
::들어라 최후 결전
::투쟁의 외침을
::민중이여 해방의
::깃발 아래 서자
::역사의 참된 주인
::승리를 위하여
::인터내셔널 깃발 아래
::전진 또 전진{{refn|group=주|"참 자유 평등 그 길로 힘차게 나가자"라고도 한다.}}
|
:'''2절'''
:어떠한 높으신 양반
:고귀한 이념도
:허공에 매인 십자가도
:우릴 구원 못하네
:우리 것을 되찾는 것은
:강철 같은 우리 손
:노예의 쇠사슬을 끊어 내고
:해방으로 나가자
::'''후렴'''
::들어라 최후 결전
::투쟁의 외침을
::민중이여 해방의
::깃발 아래 서자
::역사의 참된 주인
::승리를 위하여
::인터내셔널 깃발 아래
::전진 또 전진
|
:'''3절'''
:억세고 못박혀 굳은 두 손
:우리의 무기다
:나약한 노예의 근성
:모두 쓸어버리자
:무너진 폐허의 땅에
:평등의 꽃 피울 때
:우리의 붉은 새 태양은
:지평선에 떠온다
::'''후렴'''
::들어라 최후 결전
::투쟁의 외침을
::민중이여 해방의
::깃발 아래 서자
::역사의 참된 주인
::승리를 위하여
::인터내셔널 깃발 아래
::전진 또 전진
|}
===문화어===
{|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가사'''</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style="text-align:left; width:33%;"| <big></big> <br /><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 valign=top
|
:'''1절'''
:일어나라 저주로 인맞은
:주리고 종된 자 세계
:우리의 피가 끓어넘쳐
:결사전을 하게 하네
:억제의 세상 뿌리빼고
:새 세계를 세우자
:짓밟혀 천대받은 자
:모든 것의 주인이 되리
::'''후렴 '''
::이는 우리 마지막
::판가림싸움이니
::인터나쇼날로
::인류가 떨치리
::이는 우리 마지막
::판가림싸움이니
::인터나쇼날로
::인류가 떨치리
|
:'''2절'''
:하느님도 임금도 영웅도
:우리를 구제 못하라
:우리는 다만 제 손으로
:해방을 가져오리라
:거세인 솜씨로 압박 부시고
:제것을 찾자면
:풀무를 불며 용감히
:두드려라 쇠가 단김에
::'''후렴 '''
::이는 우리 마지막
::판가림싸움이니
::인터나쇼날로
::인류가 떨치리
::이는 우리 마지막
::판가림싸움이니
::인터나쇼날로
::인류가 떨치리
|
:'''3절'''
:우리는 오직 전세계의
:위대한 로력의 군대
:땅덩어리는 우리의 것이니
:기생충에게는 없으리
:개무리와 도살자에게는
:큰 벼락 쏟아져도
:우리의 머리 우에는
:찬란한 태양이 비치리
::'''후렴 '''
::이는 우리 마지막
::판가림싸움이니
::인터나쇼날로
::인류가 떨치리
::이는 우리 마지막
::판가림싸움이니
::인터나쇼날로
::인류가 떨치리
|}
==기타 언어==
<gallery>
Интернационалът - The Internationale (Bulgarian).flac|[[불가리아어]] ver.
Internationale-ind.ogg|[[인도네시아어]] ver.
Internationale-it.ogg|[[이탈리아어]] ver.
Internationale-ka.ogg|[[조지아어]] ver.
Internationale-lt.ogg|[[리투아니아어]] ver.
Internationale-lv.ogg|[[라트비아어]] ver.
Internationale-ne (अन्तर्राष्ट्रिय).oga|[[네팔어]] ver.
Internationale-uk.ogg|[[우크라이나어]] ver.
Internationale-Vi.ogg|[[베트남어]] ver.
La Internacio en Esperanto (audio only).ogg|[[에스페란토]] ver.
The Internationale (Tangut).ogg|[[서하어]] ver.
Internationale orchestral arrangement.ogg|인터내셔널가1(가사 없이)
The Internationale.ogg|인터내셔널가2(가사 없이)
| pos = center
</gallery>
== 역사 속의 인터내셔널가 ==
{{인용문|Когда он сочинял свою первую песнь, число социалистов рабочих измерялось, самое большее, десятками. Историческую песнь Евгения Потье знают теперь десятки миллионов пролетариев.<br />그가 이 곡을 지었을 때 사회주의 노동자는 기껏해야 10명이었다. 그의 역사적인 노래는 지금 1천만 [[프롤레타리아]]가 부른다.|[[블라디미르 레닌]], 1913년 1월 3일 [[프라우다]] 제2호에 기고한 사설 "[[외젠 포티에|예브게니 포티예]]: 서거 25주기를 기념하며(ЕВГЕНИЙ ПОТЬЕ: К 25-ЛЕТИЮ ЕГО СМЕРТИ)"의 마지막 문장.<ref>{{웹 인용 |제목=Ленин В.И.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Том 22 ЕВГЕНИЙ ПОТЬЕ |url=https://leninism.su/works/60-tom-22/2502-evgenij-pote.html |웹사이트=leninism.su |확인날짜=2024-10-02 |언어=러시아어}}</ref><ref>{{웹 인용 |제목=V. I. Lenin - 1913 - EUGÈNE POTTIER - THE 25TH ANNIVERSARY OF HIS DEATH |url=https://www.marxists.org/archive/lenin/works/1913/jan/03a.htm |웹사이트=marxists.org |확인날짜=2024-10-02 |언어=영어}}</ref>}}
{{인용문|"Aufstehen! Das Ist die Internationale!"<br />"기립하시오! 이것이 바로 인터내셔널이오!"|[[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시 中}}
== 같이 보기 ==
* [[민중가요]]
* [[파리코뮌]]
* [[사회주의]]
* [[코민테른]]
== 각주 ==
===설명주===
{{각주|group=주}}
===인용주===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위키문헌|인터내셔널}}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47&aid=0001941648 혁명을 꿈꾸는 자여, 이 노래를 부르라!]
* [http://ens.vop.co.kr/A00000358986.html 음악으로 읽어보는 혁명의 역사]{{깨진 링크|url=http://ens.vop.co.kr/A00000358986.html }}
* [https://web.archive.org/web/20041001024440/http://www.skazka.no/anthems/internationale-collection.html 여러 언어로 된 인터내셔널(MP3 형식)]
* [https://www.marxists.org/history/ussr/sounds/mp3/international.mp3 MP3파일]
* [http://www.sovmusic.ru/english/index.php 소련 등 제2세계 노래 모음 사이트. 영문 및 가사 지원]
{{사회주의 꼬리말}}
{{공산주의 꼬리말}}
{{소련의 공화국의 국가}}
{{전거 통제}}
[[분류:1871년 노래]]
[[분류:사회주의 상징]]
[[분류:소련의 상징]]
[[분류:옛 국가]]
[[분류:국제주의]]
[[분류:노동가요]]
[[분류:다언어 노래]]
[[분류:제1인터내셔널]]
[[분류:파리 코뮌]]
[[분류:공산주의 상징]]
[[분류:반파시즘을 소재로 한 작품]]
[[분류:스페인 내전을 소재로 한 작품]] |
'''톨스토이'''(Толсто́й, Tolstoy/Tolstoi)는 러시아의 성씨이다.
== 인명 ==
* [[드미트리 안드레예비치 톨스토이]](1823 - 1889) - 러시아의 정치가
* [[레프 톨스토이]](1828 - 1910) - 러시아의 작가, 사상가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1883 - 1945) - 러시아의 소설가
* [[알렉세이 콘스탄티노비치 톨스토이]](1817 - 1875) - 러시아의 시인, 극작가, 소설가
* [[표트르 톨스토이]](1645 - 1729) - 러시아의 외교관, 정치인
* [[빅토리아 톨스토이]]: 스웨덴의 가수
== 기타 ==
* [[톨스토이 운동]]: 제정 말기의 러시아에서 일어난, 종교적이고 윤리적인 사회운동
== 같이 보기 ==
* {{in title|톨스토이}}
{{동음이의|인명}}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이름 = 에르되시 팔
|원어이름 = {{llang|hu|Erdős Pál}}
|그림 = Erdos head budapest fall 1992.jpg
|그림 크기 = 200px
|그림 설명 = 에르되시 팔(1992년 가을에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난 날 = {{출생일|1913|3|26}}
|태어난 곳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
|죽은 날 = {{사망일과 나이|1996|9|20|1913|3|26}}
|죽은 곳 = [[폴란드]] [[바르샤바]]
|분야 = [[수학]]
|소속 = [[맨체스터 대학교]]<br /> [[프린스턴 대학교]]<br /> [[퍼듀 대학교]]<br /> [[노터데임 대학교]]
|출신 대학 =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지도교수 = [[페예르 리포트]]({{llang|hu|Fejér Lipót}})
|주요 업적 = [[램지 이론]] <br /> [[해바라기 (수학)|해바라기]] <br /> [[약콤팩트 기수]] <br /> [[라도 그래프]] <br /> [[불가촉 수]] <br /> [[세메레디의 정리]]의 추측
|수상 = [[울프 수학상]](1983/84)<br /> AMS Cole Prize
}}
{{헝가리 이름|에르되시|팔}}
'''에르되시 팔'''({{llang|hu|Erdős Pál}}, {{IPA-all|ˈɛrdøːʃ ˈpaːl}}, {{llang|en|Paul Erdős|폴 어도스}} (책 《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에서 "폴 에어디쉬"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1913년]] [[3월 26일]]~[[1996년]] [[9월 20일]])은 [[헝가리]]의 [[수학자]]이다. 그는 [[이산수학]], [[정수론]], [[조합론]], [[그래프 이론]] 등의 분야에서 방대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이산수학 분야에서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고 제시하여 오늘날까지도 큰 영향력을 남기고 있다.
에르되시는 생애 동안 1,500편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수학 논문을 저술하였다. 또한 [[에르되시 수]]라는 상징적인 용어에서 볼 수 있듯, 에르되시는 공동 연구를 즐겨 수백 명의 다른 수학자들과 만나 함께 논문을 쓰던 사교적인 수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세계 곳곳을 떠돌아다니면서 평생을 수학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1996년 심장마비로 사망하기 몇 시간 전까지 바르샤바의 학술회의에서 문제를 풀고 있었다.
== 생애 ==
=== 유년 ===
에르되시는 1913년 3월 26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다페스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에르되시의 아버지 에르되시 러요시({{lang|hu|Erdős Lajos}})와 어머니 어너({{llang|hu|Anna}}) 둘 다 고등학교 수학 교사였다. 아버지의 성은 원래 엥글렌데르({{llang|hu|Engländer}})였는데, "에르되시"로 개명하였다. 에르되시는 누나가 둘 있었으나 그가 태어나기 전에 [[성홍열]]로 죽어서, 외동아들로 자랐다.
1914년에 아버지 에르되시 러요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공격해 온 [[러시아 제국]] 군대에 포로로 잡혀가 6년 동안 [[시베리아]]에서 [[전쟁 포로]]로 있었다. 에르되시의 어머니는 남편과 두 딸을 잃은 후 에르되시에 극도로 집착해, 에르되시는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가정 교사의 교육을 받았다. 집에 혼자 남겨지는 일이 잦던 에르되시는 수학 서적을 읽으며 스스로 공부했고, 4살 때에 혼자서 이미 알려져 있던 [[소수 (수론)|소수]]의 몇몇 성질을 발견해 냈다고 한다. 1920년에야 풀려나 집으로 돌아온 아버지는 이후 아들에게 수학과 영어를 가르쳤는데, 이때 에르되시가 익힌 영어의 독특한 억양은 생애 동안 사라지지 않았다.
당시 [[헝가리]]의 [[유대인]] 대학 입학 제한에도 불구하고, 에르되시는 국가 시험 수상을 이유로 1930년에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다. 1934년 21세의 나이에 [[페예르 리포트]]({{llang|hu|Fejér Lipót}}) 아래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 성년 ===
1934년에 에르되시는 헝가리의 [[반유대주의]] 정책을 피하여 영국 [[맨체스터]]에 연구직을 얻어 망명하였다. (에르되시의 아버지와 두 명의 삼촌은 [[홀로코스트]] 동안 처형당했다.) [[1938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자리를 얻었지만, 종신 재직권을 수여받지 못했다. 이 무렵부터 그는 그의 삶을 특징짓는 떠돌이 연구 생활을 시작하였다.
에르되시에 대한 기록은 그가 순진하고 아이같은 독특한 성품의 소유자였다고 말한다. 일례로, 1941년 그는 다른 수학자와 열띤 토론을 하다가 [[미국]] [[롱아일랜드]]의 군사 통신 시설을 모르고 지나쳤는데, 이들은 스파이 혐의로 붙잡히고 이 사건은 [[연방수사국]]의 기록 파일에 올려졌다. 또한 그는 어떤 직장에서도 오래 일하지 않고 수시로 각지를 떠돌아다녔는데, 그의 명성과 천재성으로 어느 대학에서든 따뜻한 환대를 받았다. 그는 누구든지 그의 마음에 드는 주제를 가진 수학자라면 함께 논문을 썼고, 결과적으로 그는 거의 1500개의 공동 논문을 쓴, 역사상 공동연구를 가장 많이 한 수학자가 되었다. 그와 공동 저자로 묶인 수학자들이 너무도 많아 이러한 관계를 정리한 [[에르되시 수]]라는 말까지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에르되시는 혼자서는 논문을 거의 내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누구보다도 수학을 ‘사회적 활동’으로 만든 수학자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초, 에르되시의 [[연방수사국]] 기록은 그가 [[매카시즘|매카시 수사]]의 주목을 받게 하였다. 이 때문에 에르되시는 갑자기 미국행 귀국 비자를 거부당했고, 이후 10년 동안 많은 시간을 [[이스라엘]]에서 지내는 수 밖에 없었다. [[1960년대]] 초 그는 다시 미국에 들어갈 수 있도록 수차례 청원을 내서, 1963년 11월에 다시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었다.
에르되시는 죽음을 표현할 때 "떠난다"는 말을 썼고 "죽는다"란 말은 수학을 그만두는 것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했다. 그는 아이들을 [[엡실론]](epsilon, [[수론]]에서 [[무한소]]를 의미함)이라고 불렀고 아이들을 좋아했다.<ref name=":3"/> 그는 1983년/1984년 5만 [[미국 달러]] 상금의 [[울프 수학상]] 등 많은 상들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단촐하게 살았으며 재산을 학생들을 돕거나 문제 풀이 상금으로 내거는 데에 쓰고는 했다.
1971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 그는 암페타민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하루 최대 4-5시간밖에 자지 않고 극도로 오랜 시간 연구를 계속한 것으로 유명하다.{{출처|날짜=2022-09-05}} 1979년에 이를 걱정한 에르되시의 친구 [[로널드 그레이엄]]이 그에게 한 달 동안 약을 먹지 않고 버티면 500[[미국 달러|달러]]를 주겠다고 제안하였다. 에르되시는 이 내기를 이겼지만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동안 연구를 제대로 할 수 없었고, "이 바보같은 내기 때문에 인류의 수학 발전이 한 달 늦춰졌다"고 불평했다.<ref>Hill, J. [http://www.untruth.org/~josh/math/Paul%20Erd%F6s%20bio-rev2.pdf Paul Erdos, Mathematical Genius, Human (In That Order)]</ref> 내기가 끝난 직후 에르되시는 다시 [[리탈린]]과 [[암페타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ref name=":3">{{서적 인용|last=Paul |first=Hoffman |title=The Man Who Loved Only Numbers |url=https://archive.nytimes.com/www.nytimes.com/books/first/h/hoffman-man.html |chapter=1. The Story of Paul Erdös and the Search for Mathematical Truth |access-date=2022-05-04|work=archive.nytimes.com}}</ref>
이후 30년간, 에르되시는 "공식적으로" [[이스라엘]]과 [[미국]], [[영국]]의 몇 대학에 자리를 갖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그는 어느 한 곳에도 머무르지 않고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대학들을 전전하며 방랑자로 생활하였다.
=== 말년 ===
에르되시는 말년까지 활발한 연구 활동을 계속하였다. 1996년 9월 20일에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학회가 끝난 몇 시간 후 [[심근 경색]]으로 인하여 8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에르되시는 평생 독신이었으며 자녀를 두지 않았다.<ref>{{저널 인용| last1 = Baker | first1 = A. | last2 = Bollobas | first2 = B. | author-link2 = Béla Bollobás| doi = 10.1098/rsbm.1999.0011 | title = Paul Erdős 26 March 1913 – 20 September 1996: Elected For.Mem.R.S. 1989 | journal =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 volume = 45 | pages = 147–164 | year = 1999 | doi-access = free }}</ref>
에르되시는 [[부다페스트]]의 코즈머 가(街) [[유대인]] [[공동 묘지]]({{llang|hu|Kozma utcai izraelita temető}})에서 부모 옆에 매장되었다. 그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농담이 적혀 있다.
{{인용문2|드디어 점점 더 멍청해지지 않게 되었군.<br />{{lang|hu|Végre nem butulok tovább.}}<ref name=":3"/>}}
== 업적 ==
[[파일:Paul_Erdos_with_Terence_Tao.jpg|[[애들레이드 대학교]] 1985년 에르되시 팔과 [[테렌스 타오]] |200px|섬네일]]
에르되시의 수학적 업적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그 양도 많다. 기본적으로 그는 이론이나 틀을 짜는 수학자가 아닌, 특별히 어렵다고 여겨지는 문제들의 해결사였다. 그는 특히 [[조합론]], [[그래프 이론]], [[수론]] 분야의 문제들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단지 문제를 푸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아름답고 기초적인 풀이를 얻고자 했다. 증명은 결과가 왜 참인지에 대한 직관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 그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수순으로 이루어져 통찰력에 도움이 되지 않은 증명은 의미가 적다고 생각했다.
에르되시의 증명의 특징은 복잡한 문제를 아름답고 시각적인 방법으로 푼다는 점이다. 그는 1951년 수론 분야의 여러 논문으로 [[미국 수학회]]에서 수여하는 콜 상({{llang|en|Cole Prize}})을 수상했다.
== 어록 ==
에르되시는 항상 재치있는 어구들을 만들었는데 그 중 유명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인용문2|다른 지붕, 다른 증명<br />(Another roof, another proof)<ref>또 다른 지붕이란, 또 다른 장소를 의미한다.</ref>}}
{{인용문2|수학자는 커피를 정리로 바꾸는 기계다.<br />(A mathematician is a machine for turning coffee into theorems)<ref>이 어구는 사실 에르되시의 동료 [[레니 얼프레드]](Rényi Alfréd)가 한 말이나, 에르되시가 한 말로 종종 오인되곤 한다고 한다.</ref><ref>{{웹 인용|title=Biography of Alfréd Rényi |authors=J.J. O'Connor and E.F. Robertson |url=https://mathshistory.st-andrews.ac.uk/Biographies/Renyi/|access-date=2022-05-04|website=Maths History |date=December 2008 |language=en}}</ref>}}
{{인용문2|내 뇌는 열려있다
(My brain is open)}}
에르되시는 [[수학의 미학|수학적으로 아름다운 증명]]을 볼 때마다 “'''그 책'''에 있는 증명이군!(This one's from ''The Book''!)”이라고 말하곤 했는데, ‘그 책’이란 신이 수학 정리에 대한 가장 명쾌하고 최적인 증명을 써 둔 상상 속의 책이다. (에르되시의 전기의 번역본에서 ‘신의 책’으로 번역되기도 한다.<ref>{{서적 인용|제목=우리 수학자 모두는 약간 미친 겁니다|이름=폴|성=호프만|기타=신현용 역|출판사=승산|날짜=1999|isbn=9788988907009}}</ref>) 1985년에 그는 한 강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용문2|신은 믿을 필요가 없지만, 그 ‘책’은 믿어야 한다.<br />(You don't have to believe in God, but you should believe in The Book.)}}
{{인용문2|적시에 적절한 장소에 있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 적절한 시간에는 열린 마음도 가져야합니다.<br />It is not enough to be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You should also have an open mind at the right time.<ref>My Brain Is Open : The Mathematical Journeys of Paul Erdos (1998) by Bruce Schechter, p. 99</ref>}}
== 같이 보기 ==
* [[약콤팩트 기수]]
* [[라도 그래프]]
* [[불가촉 수]]
* [[램지 이론]]
* [[해바라기 (수학)|해바라기]]
* [[세메레디의 정리]]의 추측
* [[에르되시-보와인 상수]]
* [[에르되시 추측]]
* [[에르되시 수]]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뉴스 인용|제목="수학의 성직자" 에르되시|출판사=전북도민일보|저자=김인수|날짜=2011-10-17|url=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3363}}
* {{MacTutor Biography|id=Erdos|date=2000-01}}
* {{MathGenealogy|id=19470}}
{{전거 통제}}
[[분류:에르되시 팔| ]]
[[분류:1913년 출생]]
[[분류:1996년 사망]]
[[분류:20세기 수학자]]
[[분류:헝가리의 수학자]]
[[분류:헝가리의 무신론자]]
[[분류:울프 수학상 수상자]]
[[분류:부다페스트 출신]]
[[분류:조합론자]]
[[분류:그래프 이론가]]
[[분류: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분류:퍼듀 대학교 교수]]
[[분류: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분류:헝가리 유대인]]
[[분류: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분류: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 동문]]
[[분류:수론학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9-04-08}}
{{전쟁 정보
|분쟁 = 베저위붕 작전
|전체 = [[노르웨이 전역]], [[북극해 전역]]
|그림 = Operation Weserübung.jpg
|그림크기 = 320px
|설명 =
|날짜 = 1940년 4월 9일 - 6월 10일
|장소 = 덴마크, 노르웨이 해안 6개 도시
|결과 = 독일의 승리
|교전국1 = {{국기나라|나치 독일}}
|교전국2 = {{국기나라|노르웨이}} <br />
{{국기나라|덴마크}} <br />
{{국기나라|영국}} <br />
{{국기나라|프랑스}} <br />
{{국기그림|폴란드|1928}} [[폴란드 서부군]]
|지휘관1 = {{국기그림|나치 독일}} [[에리히 레더]]<br />
{{국기그림|나치 독일}} [[레온하르트 카우피스츠]]<br />
{{국기그림|나치 독일}}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br />
{{국기그림|나치 독일}} [[에두아드 디에틀]]<br />
{{국기그림|나치 독일}} [[한스 제이슬러]]<br />
{{국기그림|나치 독일}} [[알프레드 잘바츠터]]
|지휘관2 = {{국기그림|노르웨이}} [[호콘 7세]]<br />
{{국기그림|노르웨이}} [[크리스티안 로케]]<br />
{{국기그림|노르웨이}} [[오토 루게]]<br />
{{국기그림|덴마크}} [[크리스티안 10세]] <br/ >
{{국기그림|영국}} [[아드리안 카턴 데 비아르|아드리안 카턴]] <br/ >
{{국기그림|영국}} [[버나드 파게트]]
|병력1 = 100,000명
|병력2 = 86,000명
|사상자1 =
|사상자2 =
}}
{{제2차 세계 대전 스칸디나비아 전역}}
'''베저위붕 작전'''({{llang|de|Unternehmen Weserübung}}) 또는 '''베저 작전'''은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칸디나비아]]의 [[중립국]]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공한 작전이다. 암호명 "베저위붕"은 [[독일어]]로 "[[베저강]] 훈련"을 뜻한다.
1940년 4월 9일 새벽, 독일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침략하였다. 나치는 [[프랑스]]와 [[영국]]이 이들 국가와 손을 잡거나 점령하여 독일을 공격하는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는 실제로 공공연하게 논의되고 있었다)을 세우는 것에 대한 대비라며 침략을 정당화했다. 이들이 도착하자마자 두 나라 주재 독일 대사들이 양국 정부에 독일군이 영국과 프랑스의 침략 야욕으로부터 양국의 중립을 보호하기 위해 왔다고 통보했다.{{출처|날짜=2019-04-08}}
== 독일의 덴마크 침공 ==
덴마크는 독일의 입장에서 볼 때 전략적으로 그리 중요한 곳은 아니었다. 노르웨이에 대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징검다리였으며 독일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얼마만큼 관리가 필요했다는 것뿐이었다. 덴마크는 작고 평지로 이루어져 독일군의 작전 수행에는 딱 알맞은 곳이었다. 그럼에도 새벽 초 덴마크군 몇몇 연대가 독일군에 대해 저항을 하여 열 명 정도가 목숨을 잃었다.
덴마크 정부는 순식간에 내정에 간섭받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항복하였다. 사실 독일 대사가 덴마크 정부를 찾아와 독일군의 진주를 허락하라고 요구하기도 전에 이미 독일군은 국경을 넘은 상태였다. 하지만, 덴마크가 별다른 저항없이 순순히 항복한 관계로, 1943년 여름까지는 독일 점령은 매우 관대했다. 그리하여 덴마크의 [[유대인]]들에 대한 체포와 추방도 지연이 되어 그들은 거의 모두 [[스웨덴]]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덴마크에서 추방된 유대인의 수는 500명을 넘지 않고 50명 미만이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당시 덴마크의 왕이었던 [[크리스티안 10세]]는 매일 [[코펜하겐]]을 국왕의 정복을 입고 산책하면서 침묵으로 항의했다고 한다.{{출처|날짜=2019-04-08}}
== 같이 보기 ==
* [[노르웨이의 저항운동]]
* [[비드쿤 크비슬링]]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131015025325/http://www.milhist.dk/besattelsen/9april/9april.html A detailed article about the German invasion of Denmark]
* {{언어링크|en}} [http://www.nuav.net/weserubung2.html A short introduction to the German invasion of Norway]
{{2차대전 서부전선}}
{{제2차 세계 대전}}
{{전거 통제}}
[[분류: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분류:서유럽 전구 (제2차 세계 대전)]]
[[분류:독일이 참가한 전투]]
[[분류:노르웨이의 역사]]
[[분류:1940년 4월]]
[[분류:1940년 5월]]
[[분류:1940년 6월]]
[[분류:1940년 덴마크]]
[[분류:1940년 노르웨이]]
[[분류:1940년 전투]]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Flag of Kenya.svg|섬네일|right|300px|케냐의 국기 (비율 2:3)]]
'''[[케냐]]의 국기'''는 [[1963년]] [[12월 12일]] 독립과 동시에 지정되었다. 국기의 디자인은 케냐의 독립 운동을 주도한 케냐의 정치 단체인 [[케냐 아프리카 민족동맹]](Kenya African National Union)의 기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이다.
검은색, 빨간색, 초록색 가로 줄무늬 사이에 얇은 하얀색 가로 줄무늬 2개가 그려져 있으며 국기 가운데에는 [[마사이족]]의 [[방패]]와 [[창]]이 그려져 있다. 검정, 빨강, 녹색은 각각 흑인, 피, 자연을 상징하는 [[범아프리카색]]이다. 흰색은 평화를 뜻하며, 마사이족의 방패와 창은 자유의 수호를 나타낸다.
== 규격과 색상 ==
케냐의 국기 규격과 색상은 다음과 같다.
[[파일:Flag of Kenya (construction sheet).png|섬네일|center|350px|케냐의 국기|대체글=]]
{| class="wikitable plainrowheaders" style="width:50%; text-align:center;"
|-
! scope="col" width=10%| 색상
! scope="col" style="background:#000000; color:#fff;" width=20%| 검정
! scope="col" style="background:#BB0000; color:#fff;" width=20%| 빨강
! scope="col" style="background:#006600; color:#fff;" width=20%| 초록
! scope="col" style="background:#FFFFFF" width=20%| 하양
|-
| scope="row" | [[RGB]] || 0–0–0<br />(#000000) || 187–0–0<br />(#BB0000) || 0–102–0<br />(#006600) || 255–255–255<br />(#FFFFFF)
|}
== 여러 가지 기 ==
<gallery>
파일:Flag of the Kenya Defence Forces.svg|군기
파일:Flag of the Kenyan Army.svg|육군기
파일:Naval Ensign of Kenya.svg|해군기
파일:Presidential Colour of the Kenyan Navy.svg|대통령 전용 해군기
파일:Air Force Ensign of Kenya.svg|공군기
파일:First presidential standard of Kenya.svg|독립 초기의 대통령기
파일:Kenya presidential standard JOMO KENYATTA.svg|[[조모 케냐타]] 대통령 시대에 사용된 케냐의 대통령기
파일:Kenya presidential standard DANIEL ARAP MOI.svg|[[대니얼 아랍 모이]] 대통령 시대에 사용된 케냐의 대통령기
파일:Kenya presidential standard MWAI KIBAKI.svg|[[음와이 키바키]] 대통령 시대에 사용된 케냐의 대통령기
파일:Kenya_presidential_standard_UHURU_KENYATTA.svg|[[우후루 케냐타]] 대통령 시대에 사용된 케냐의 대통령기
파일:Kenya presidential standard William Ruto.svg|[[윌리엄 루토]] 대통령 시대에 사용된 현행 케냐의 대통령기
</gallery>
== 과거의 기 ==
<gallery>
파일:Flag of the Witu Protectorate (1893-1920).svg|[[위투 보호령]]의 기 ([[1893년]] [[7월 31일]] ~ [[1920년]])
파일:Flag of Kenya (1895–1921).svg|[[영국령 동아프리카]] 시대의 기 ([[1895년]] ~ [[1921년]])
파일:Flag of Kenya (1921–1963).svg|영국령 케냐의 기 ([[1921년]] ~ [[1963년]])
</gallery>
{{아프리카의 국기}}
{{토막글|기}}
[[분류:케냐의 상징|국기]]
[[분류:국기]]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양자역학}}
'''밀도범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은 물질, 분자 내부에 전자가 들어있는 모양과 그 에너지를 [[양자역학]]으로 계산하기 위한 이론의 하나이다. 이를 통해 어떤 분자가 세상에 존재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 특정 분자의 모양과 성질 등등을 예측할 수 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과학 계산들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양자역학]] 계산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상사 구조를 갖는 다체 문제에 어디든 적용할 수 있으므로, 최근 전자구조와 별 상관 없는 많은 [[통계물리학]]에 사용되기도 하다.
== 역사 ==
[[엔리코 페르미]]가 기본적인 이론을 도입하였다. [[월터 콘]]({{lang|en|Walter Kohn}}) 등이 이를 개량하고 발전시켰다.<ref name="HohenbergKohn1964">{{저널 인용|저자=P. Hohenberg, W. Kohn|제목=Inhomogeneous Electron Gas|저널=Phys. Review|권=136|호=3B|쪽=B864–B871|연도=1964|doi=10.1103/PhysRev.136.B864}}</ref><ref name="KohnSham1965">{{저널 인용|저자=W. Kohn, L.J. Sham|제목=Self-Consistent Equations Including Exchange and Correlation Effects|저널=Physical Review|권=140|호=4A|쪽=A1133–A1138|연도=1965|doi=10.1103/PhysRev.140.A1133}}</ref> 콘은 이 공로로 199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 개론 ==
물질의 성질을 공부하려면 {많은 원자핵}+{많은 전자}문제, 즉 다체 물제를 풀어야 한다. 그러나, 단순한 원자가 아닌 복잡한 분자(혹은 고체 등)에 대한 문제를 풀기는 이론상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므로 몇 개의 근사 방법이 필요하다. 첫 번째 근사는 [[보른-오펜하이머 근사]](Born-Oppenheimer approximation)로 전자보다 수천배 이상 무거운 핵을 고정된 것으로 보고 핵에 의한 [[전기장]] 안에서 전자의 운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즉, 많은 전자로 이루어진 시스템 문제를 푼다는 것이다.
밀도범함수이론에서는 많은 전자 문제를 단순히 전자들의 파동함수들대신 전자 밀도함수로 대체함으로 손쉽게 계산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공간상의 어떤 점에 전자가 있을 때 이 전자가 느끼는 퍼텐셜은 다른 모든 곳에서 오는 것을 밀도함수를 통한 '''평균장'''으로 볼 수 있다.(Mean Field Theory/Approximation).
이때 전자의 밀도 함수는 전자의 [[파동 함수]]들을 절댓값을 구해 제곱해서 채워진 준위까지 더해준 것으로 정의된다.
:<math>\rho(\vec{x})=\sum_{i \in {\rm OCC}} |\psi_i(\vec{x})|^2</math>
밀도범함수의 출발은 원자핵+전자 시스템을 풀기위해 시작됐지만 이론상 많은 동일한 형태의 입자/장 상호작용을 하는 다체 문제면 적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전위 ==
이상의 논의로부터, 시스템의 전위는
* 외부 요인에 의한 퍼텐셜(주로 원자핵 또는 이온이 전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술한다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원자핵+전자로 해서 모든 전자를 고려한다면 ''온전자(all electron)계산'' 이온+전자(보통 가전자)로 고려한 경우는 ''가짜 퍼텐셜(pseudopotential)계산''이 해당된다.) <math>V_{{\rm ext}}</math>,
* 전자들끼리의 정전기적 상호작용(''하트리 퍼텐셜''이라 한다.),
:<math>V_H(\vec{x})=\int d^3 x' \frac{\rho(\vec{x}')}{|\vec{x}-\vec{x}'|}</math>
* 전자를 서로 교환했을 때 (순전히 [[양자 역학]]에서만) 나타나는 ''교환-상관(exchange-correlation) 퍼텐셜''이 있다. <math>V_{{\rm xc}}</math>
으로 나타난다.
이 중 마지막에 교환-상관 퍼텐셜은 아무도 정확히 어떤형태를 가지는지 모르고 보통의 경우 양자몬테카를로 계산값과 장론의 결과를 근사적으로 잘 맞추는 형태로 시도하게 된다.
그리고 국소 전자 밀도에만 의존하는 교환-상관 퍼텐셜 [[범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국소 밀도 근사(local density approximation)라고 하고, 선형 근사를 쓰게 되면 일반화된 기울기 근사(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이라고 한다. 많은 경우 국소 밀도 근사만으로 [[계 (물리학)|계]]를 잘 설명할 수 있지만, 전하 이동이 큰 계에서는 잘 맞지 않는다.
기술적으로, 공간상의 어떤 점에서 함수 값을 구할 때 모든공간의 정보를 필요로한 경우 이를 ''논로컬(non-local)''하다고 말하고 해당점의 정보만 필요한 경우를 '''국소적'''({{lang|en|local}})이라고 한다. 위의 퍼텐셜에서는 외부요인에 의한 퍼텐셜은 local혹은 non-local할 수 있고, 하트리 퍼텐셜은 확실히 non-local하며, local density approximation을 사용했을때는 교환-상관 퍼텐셜은 local하고 generalized gradient approximation을 사용했을 경우, 즉, 1차미분 기여도를 포함했을 때에는 semi-local하다고 한다.
== 수학 ==
[[피에르 호헨버그|호헨버그]](Hohenberg) 와 콘(Kohn)의 정리<ref name="HohenbergKohn1964" />:
# [[해밀토니언]]이 주어지면 [[파동함수]]를 구할 수 있고 [[파동함수]]에서 밀도함수를 구할 수 있는데 ('''이론상''') 밀도함수에서 [[파동함수]]를 구할 수도 있다. 즉, [[파동 함수]]와 밀도 함수는 [[일대일 대응]]하고, [[파동 함수]]와 [[해밀토니언]]또한 일대일 대응한다. 결국 밀도 함수와 [[해밀토니언]]은 일대일 대응한다. (invertibility) : 계산 과정에서, [[해밀토니안]], [[파동함수]], 밀도함수는 같은 대상을 표현한 서로 다른 표현 방식에 지나지 않을 뿐, 같은 것이다.
# [[변분 원리]]를 이용해서 '''정확한''' 바닥상태 에너지를 계산 할 수 있다.
# 외부에서 오는 퍼텐셜을 뺀 나머지는 언제나 같다. (universality)
콘-[[샴쩌루|샴]](Kohn-Sham) 정리:<ref name="KohnSham1965" />
정확한 [[바닥 상태]] 밀도 함수는 콘-샴 방정식이라고 하는 [[슈뢰딩거 방정식]]과 흡사한 방정식을 풀면 구할 수 있다.
:<math>H \psi(\vec{x}) = E \psi(\vec{x})</math>
여기에서 [[해밀토니언 (양자역학)|해밀토니언]] <math>H</math>는
:<math>
H = -\frac{\hbar^2}{2m}\nabla^2 + V_{{\rm ext}} (\vec{x}) + V_{{\rm H}} (\vec{x}) + V_{{\rm xc}} (\vec{x})
</math>
여기서 <math>m</math>은 전자 질량이다.
== 푸는 법 ==
정리하면
# 전자 밀도를 구하기 위해 전자의 [[파동 함수]]들을 이용하고
# 전자 밀도를 이용해 퍼텐셜을 계산한다.
# 주어진 퍼텐셜로부터 콘-샴 방정식을 푼다. 풀이 결과는 전자의 파동 함수이다.
보통 계산을 위해서는 처음에 [[밀접 결합 근사]] 등으로 "적당히" 파동 함수를 근사하고 1, 2, 3의 과정을 거치면 처음에 대입한 파동 함수보다 더 나은 파동 함수를 얻는다. 다시 이것을 초기 예상값으로 하여 재계산을 거듭한다. 실제에서는 적당히 (상당히 보수적으로) 이전 단계의 초기 예상값과 계산 결과값을 잘 섞어서 초기 예상값으로 사용한다. 즉 self-consistent 방법으로 풀이한다.
== 쉬운 설명 ==
전자들이 돌아 다니는 분자들에서 전자들이 얼마나 불안하고 빨리 돌아다니고 있는지 그 에너지를 구하려면 양자 역학적으로 묘사해야 된다고 한다. 그런데 하나 이해하고 계산하려고 해도 머리가 지끈거리는 양자 역학 계산을 수십 개 수백 개 전자에 대해 하려 한다면(아주 단순한 분자인 부탄 가스 분자 2개만 있어도 전자 숫자가 백개에 이른다.) 그것은 너무나 긴 시간을 소모하는 일이다.
그래서 고안된 방법 중 하나는 전자 하나 하나의 움직임을 쫓아가지 말고 전자 무더기를 한 덩어리로 따져 보는 것이다. 전자가 자주 출몰하는 지역에는 덩어리가 많이 쏠려 있고, 전자가 덜 출몰하는 지역에는 덩어리가 조금밖에 없는 울퉁불퉁한 도넛의 모양으로 전자들을 그려본다. 전자 하나 하나를 따지지 않고, 도넛으로 된 전자 덩어리만 생각해도 에너지를 구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다. 도넛으로 된 전자 덩어리의 모양과 에너지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수식이 KS 방정식이다.
* 자체-일관성 장(Self-consistent field) 방법
이 전자 덩어리의 모양을 구하는 방법인 Hartree-Fock의 자체-일관성 장(SCF; self-consistent field)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무렇게 도넛을 만들어 놓고 방정식(전자들이 만족해야 할 조건식)을 얼마나 만족시키는지 계산해 본다. 실제 전자의 식과 많이 다른 값이 나온다면 도넛의 어떤 부분을 수정하여 모양을 조금씩 바꾼다. 잘 바꾸었다면, 이전보다는 더 실제와 근사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조건식이 상당히 잘 맞을 때까지 바꾸어 나가면, 우리가 원하는 전자 덩어리 모양과 제법 비슷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 교환 에너지(Exchange energy)
밀도범함수론에서 가장 신경 쓸 필요가 있는 교환 에너지(exchange energy)를 구하는 범함수란,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한다. 왼쪽에 있는 전자 하나가 발에 땀나게 오른쪽으로 뛰어가고, 오른쪽에 있는 전자 하나가 열심히 뛰어서 왼쪽으로 가서 두 전자가 자리를 살짝 바꾼 경우를 따져 보자.
두 전자는 열심히 뛰어다녔음에도 불구하고, 두 전자가 정확히 자리를 바꾸기만 한 경우에는, 전자가 분명히 많이 움직여서 에너지를 갖고 있었다고는 하지만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던 것이고, 이것은 양자 역학에서는 전자가 움직이지 않았다는 말과 다를바 없게(!) 평가되어야 한다. 즉 이런 "자리만 바꾸기"가 많이 일어난다면, 움직였다고 한들 움직이지 않은 것이나 다를바 없는 것들이 많았으므로, 실제 에너지는 더 낮아져야만 한다. (양자 역학적으로, 그런 것은 움직인 것이 아니다.)
밀도범함수 이론은 전자들이 선풍기의 날개나 헬리콥터 날개처럼 매우 빨리 돌아다녀서 멀리서 보면 마치 덩어리처럼 보인다는 식으로 전자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끼리 자리만 바꾼 경우에는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치는 것을 따로 계산해 주어야 한다. 이런 자리만 바꾼 경우가 얼마나 있는지를 도넛의 모양을 대강 보고 짐작해 주어야 하며, 이 짐작을 하는 방법이 바로, "교환 에너지 범함수"라는 것이다. 실제로는 코릴레이션(상관성) 에너지 라는 것도 동시에 고려해 주므로, 교환 코릴레이션(상관성) (exchange correlation) 범함수라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좋은 교환 코릴레이션 범함수를 구하는 방법은 딱히 정해져 있지 않다. 대강 만들어내는 것이고, 기존의 방법들에서 나온 결과를 참조시켜 작동하도록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B3LYP라는 범함수가 대체로 모든 경우에 큰 오류가 없다고 평가받고 있다.
== 소프트웨어 ==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고 백 번 보는 것보다 한 번 해 보는 게 좋다는 말이 있듯이 밀도범함수이론을 컴퓨터에서 돌려 볼 수 있다. 여기에는 대개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 혼자서 또는 팀을 짜서 구현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남이 짜 놓은 것을 가져다가 '''잘''' 쓰면 된다.
후자의 경우를 먼저 살펴 보면 [https://web.archive.org/web/20160328052610/http://electronicstructure.org/software.asp ElectronicStructure.org/software] 에 자유 소프트웨어를 구할 수 있는 다수의 링크가 있다. (화학쪽 소프트웨어로는 NWChem<ref>{{웹 인용 |url=http://www.emsl.pnl.gov/docs/nwchem/nwchem.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05-12-05 |archive-date=2005-11-24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51124202354/http://www.emsl.pnl.gov/docs/nwchem/nwchem.html |url-status= }}</ref>과 GAMESS<ref>{{웹 인용 |url=http://www.msg.ameslab.gov/GAMESS/GAMESS.html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05-12-0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0622210215/http://www.msg.ameslab.gov/GAMESS/GAMESS.html |보존날짜=2006-06-22 |url-status=dead }}</ref> 가 있다.)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기본적으로 [[운영 체제]]는 [[유닉스]]나 [[리눅스]]로 가정하고 있고, 다른 많은 과학 소프트웨어 배포본이 그렇듯이 [[포트란]] 소스가 있고 이걸 컴파일해서 쓰는 형태이다. 꼭 그렇지는 않지만 상용 [[포트란]] 컴파일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분명히, [[BLAS]]나 [[LAPACK]] 같은 수학 라이브러리가 필요할텐데 [http://www.netlib.org netlib]에서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돌리기 위해서는 작은 문제가 아니라면 슈퍼 컴퓨터나 [[리눅스]] 클러스터가 필요하다. 이는 다란 메모리가 필요하고 따라서 받아들이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에 N 순의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면 O(N^3)만큼의 시간이 필요하다. 소스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쉽지는 않겠지만 읽는 것으로는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
다음에 전자의 경우를 살펴 보겠다. 구현하는 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기저 (선형대수학)|기저]]를 결정하는 일이다. (기저는 [[힐베르트 공간]]을 생성하는 완전한 세트이기 때문에 기저가 바뀌면 representation, 쉽게 말해서 수식이 바뀌기 때문이다.) 흔히 쓰이는 기저집합은 평면파(plane wave)와 local orbital (가우시안을 사용한다 해서 가우시안-Gaussian-이라고 하는 유명한 소프트웨어가 있음.)가 있다. 그 다음 결정할 일은 all electron을 할 건지 pseudopotential을 쓸 것인지 또 교환상관 퍼텐셜은 어떤 것을 쓸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제 굵은 가지는 결정되었고 세부 사항으로 어떤 플랫폼에서 돌릴 것인지 어떤 수학 라이브러리를 쓸 것인지 결정하고 코드를 쓰면 되겠다. (숙련된 프로그래머라면 대략 몇 달 만에 겨우 돌아가는 코드를 짤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그 코드가 쓸만하게 될 때까지는 수년~수십 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된다.)
== 같이 보기 ==
* [[바탕 함수 집합]]
* [[분자]]
* [[분자 모델링]]
* [[양자화학]]
== 각주 ==
{{각주}}
* {{서적 인용|저자=Eberhard Engel, Reiner M. Dreizler|제목=Density Functional Theory: An Advanced Course|출판사=Springer-Verlag|연도=2011|ISBN=978-3-642-14089-1|doi=10.1007/978-3-642-14090-7}}
* {{서적 인용|저자=R.G. Parr, W. Yang, Y. Weitao|제목=Density-Functional Theory of Atoms and Molecules|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ISBN=0-19-509276-7|연도=1994}}
* {{저널 인용|저널=Reviews of Modern Physics|권=61|쪽=689–746|연도=1989|호=3|제목=The density functional formalism, its applications and prospects|저자=R. O. Jones, O. Gunnarsson|doi=10.1103/RevModPhys.61.689}}
* {{저널 인용|저널=Brazilian Journal of Physics|권=36|호=4A|연도=2006|월=12|doi=10.1590/S0103-97332006000700035|쪽=1318–1343|제목=A bird's-eye view of density-functional theory|이름=Klaus|성=Capelle|arxiv=cond-mat/0211443}}
== 외부 링크 ==
* {{언어링크|en}} [http://www.nobel.se/chemistry/laureates/1998/kohn-autobio.html 월터 콘의 자기 소개 글]
{{전거 통제}}
[[분류:양자역학]]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영화인 정보
| 이름 = 이소룡
| 원어명 = 李小龍<br/>Bruce Lee
| 본명 = 영문(英文): Lee Jun Fan(브루스 전 팬 리) <br /> 한자(漢字): 李振藩(리전판, 이진번)
| 사진 = Bruce Lee 1973.jpg
| 사진설명 = 이소룡 (1973년)
| 출생일 = {{출생일|1940|11|27}}
| 출생지 = 미국 [[샌프란시스코]]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73|7|20|1940|11|27}}
| 사망지 = 영국령 홍콩 [[주룽탕]]
| 국적 = {{국기|미국}}, {{국기|중국}}
| 다른이름 = 李源鑫, 李元鑒, 李鑫, 李敏, 新李海泉, 小李海泉, 李龍, 細鳳
| 직업 = 영화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각본가
| 활동기간 = 1941년 ~ 1973년
| 소속사 =
| 학력 = [[워싱턴 대학교]] 철학과 중퇴
| 부모 = 아버지: [[리하이취안|이해찬]](李海泉)<br />어머니: {{임시링크|그레이스 호,하애유|en|Grace Ho}}(何愛瑜)
| 형제자매 = 3남 2녀 중 차남(넷째) 누나 : 이추봉, 이추원<br />형 : {{임시링크|이충침|en|Peter Lee Jung-sum}}(李忠琛)<br/>남동생 [[리전후이|로버트 리전후이]](李振輝)
| 배우자 = [[린다 C. 에머리]]
| 자녀 = [[브랜던 리|브랜든 리]](李國豪)<br />[[섀넌 리]](李香凝)
| 수상 =
| 웹사이트 = https://brucelee.com/
| 서명 = Signature of Bruce Lee.svg
}}
'''이소룡'''({{llang|en|Bruce Lee}}, {{zh|t=李小龍|s=李小龙|h=리샤오룽|p=Lǐ Xiǎolóng}}, {{본명|이진번}}, {{zh|t=李振藩|p=Lǐ Zhènfān|h=리전판}}, [[1940년]] [[11월 27일]]~[[1973년]] [[7월 20일]])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태생의 [[중국계 미국인]] 무술 [[배우]]이자, [[무술가]], [[영화 감독]], [[각본가]]이며, [[절권도]]의 창시자이자 [[20세기]]를 통틀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던 무술가이자 문화적 아이콘으로 평가된다. 그는 [[영화배우]]인 [[브랜든 리]]와 [[섀넌 리]]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출생했지만 [[홍콩]]에서 성장했다. 그가 홍콩과 [[할리우드]]에서 제작한 [[영화]]는 기존 홍콩 [[무술]] [[영화]]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지금도 홍콩 액션 스타 계보의 원조격으로 평가받는다. 그가 제작한 영화는 이후 홍콩 뿐 아니라 세계 무술 영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 생애 ==
[[파일:Bruce Lee with his parents 1940s.jpg|250px|섬네일|어머니(하애유)와 이소룡, 아버지(이해천) (1940년)]]
[[1940년]] [[11월 27일]]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의 중국 병원에서 태어났다.<ref>{{웹 인용 |url=http://www.bruceleefoundation.com/BruceLeeBio.pdf# |제목=브루스 리 재단 |확인날짜=2008-06-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528032355/http://www.bruceleefoundation.com/BruceLeeBio.pdf# |보존날짜=2008-05-28 |url-status=dead }}</ref> 그의 아버지 [[리하이취안]](李海泉,이해천, 1901년~1965년)은 [[중국인]]이었으며, 신자였던 어머니 {{임시링크|그레이스 호,|en|Grace Ho}}(何愛瑜,하애유, 1907년~1996년)는 중국인과 영국계 백인의 혼혈이다.<ref>{{웹 인용|last=Russo |first=Charles |title=Was Bruce Lee of English descent? Just ask his mother |url=https://www.vice.com/en/article/mgzve4/was-bruce-lee-of-english-descent |access-date=18 May 2016 |website=Vice}}</ref> 이소룡이 생후 3개월이었을 때 부모와 홍콩으로 돌아갔다.
=== 엽문을 스승으로 섬김 ===
[[파일:The age of 18 Bruce Lee and Ye Wen.jpg|250px|섬네일|[[엽문]]과 이소룡 (1958년)]]
이소룡은 홍콩에서 무용을 떨치던 그의 스승인 [[엽문]]을 [[wikt:사사|사사]](師事)하여 [[영춘권]]을 배웠고, [[공력권]], [[홍가권]], [[권투]], [[펜싱]] 등을 배웠다. 아울러 한국인 태권도 고수 [[이준구 (무도인)|이준구]] 사범과 교류하면서 태권도의 발차기를 배워 자신의 절권도를 정립하는데 도움을 받았다.
=== 미국행 ===
이소룡의 신변을 걱정하던 부모는 이소룡을 미국으로 보내 자신들의 오랜 친구와 지내게 하기로 결심했다. 이소룡은 단돈 $100을 지니고 미국으로 향했다.<ref name="autogenerated2">{{웹 인용|url=http://www.bruceleefoundation.com/BruceLeeBio.pdf#|제목=보관된 사본|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528032355/http://www.bruceleefoundation.com/BruceLeeBio.pdf#|보존날짜=2008-05-28|url-status=dead|확인날짜=2008-06-09}}</ref> 샌프란시스코에서 잠시 지낸 후 이소룡은 [[시애틀]]로 옮겨 역시 아버지의 친구였던 [[루비 초우]](Ruby Chow) 밑에서 일하게 된다. 1959년 이소룡은 [[시애틀]]에서 [[에디슨 기술 고등학교]](Edison Technical School)를 졸업했다. 그는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 진학하여 [[철학]], [[연극]], [[심리학]] 등을 공부한다.<ref>[http://www.washington.edu/alumni/columns/dec99/j_o.html 100 Alumni of the Century, J-O<!-- 봇이 따온 제목 -->]</ref> 1964년에 결혼하게 되는 미래의 배우자 [[린다 에머리]]를 만난 것도 바로 워싱턴 대학에서다.
=== 결혼 ===
[[파일:Bruce Lee - son.jpg|250px|섬네일|이소룡, 아들 [[브랜던 리|브랜든 리]] (1966년)]]
그는 린다 에머리와의 사이에서 [[브랜던 리]](1965년~1993년)와 [[섀넌 리]](1969년~) 두 자녀를 두었다. 영화 배우가 되었던 [[브랜든 리]]는 1993년 영화 《[[크로우]]》를 촬영 도중 총기 오발 사고로 사망했으며, 섀넌 리는 1990년대에 몇몇 저예산 영화에 출연하였다.
=== 이름 ===
이소룡이 출생했을 때 붙여진 광동식 이름은 진번(振藩)이었다. 그가 태어나자 메리 글러버 박사가 '브루스(Bruce)'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는데, 당시 그의 어머니는 영어 이름을 준비해 놓지 않은 상태여서 그 이름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소룡의 영어 이름은 그가 라사이 칼리지(La Salle College)에 입학하기까지는 가족들 사이에서 불리지 않았다.
=== 경찰 연행 사건 ===
이소룡이 19살이던 1959년 4월에 싸움에 휘말려, 상대방을 크게 다치게 하여 경찰에 연행되었다.
== 연기 경력 ==
=== 아역출연 ===
이소룡의 아버지는 유명한 광둥 [[경극]] 배우였으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주 어린 나이부터 [[영화]]를 접하게 되었고, 생후 3개월에 《금문녀》라는 영화로 데뷔하였다. 그가 18세가 되었을 때 이미 그는 스무 편의 영화에 출연한 상태였다.
=== 텔레비전 시리즈 출연 ===
미국에 체류하던 시절인 1958년에서 1964년까지 그는 오직 무술만을 연마하며 영화계와는 떨어져 지냈다. 하지만 1964년 롱비치 가라데 토너먼트에서 이소룡이 보인 고도의 무술 시범은 당시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무술가였던 [[윌리엄 도지어]](William Dozier)의 눈에 띄게 된다.<ref>{{웹 인용 |url=http://www.bruceandbrandon.info/bruce/career/TV/green/main.html?reload_coolmenus#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08-06-0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214202519/http://www.bruceandbrandon.info/bruce/career/TV/green/main.html?reload_coolmenus# |보존날짜=2008-02-14 |url-status=dead }}</ref> 도지어는 곧 이소룡을 불러 오디션을 치르는데 그의 전광석화 같은 동작은 제작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결국 TV 시리즈 《[[그린 호넷]]》(''The Green Hornet'')에서 [[밴 윌리엄스]](Van Williams)와 더불어 가토(Kato) 역을 맡게 된다. 이 시리즈는 1966년부터 1967년까지 한 시즌만을 상영하고 종료되었다.
=== 말로우 ===
1969년 이소룡은 처음으로 미국 영화 《[[말로우]]》(''Marlowe'')에 출연하였다. 그는 폭력배로 출연하여 사립 탐정인 [[필립 말로우]]([[제임스 가너]] 분)를 위협하는 역할을 맡았는데, 말로우를 걷어 차려다 건물 옥상에서 떨어져 죽는 역을 연기했다.
=== 롱 스트리트 ===
1971년 이소룡은 TV 드라마 《롱스트리트》(''Longstreet'')에 4개의 에피소드에 걸쳐 무술 선생으로 출연하게 된다. 이후 이소룡은 자신의 아이디어로 《''The Warrior''》라는 시리즈를 제안하게 되는데, 일설에 의하면 이소룡의 이 아이디어는 《쿵후》(''Kung Fu'')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고 하는데,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워너 브러더스는 이소룡의 노력에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 미국 서부를 배경으로 [[소림사]] 무술가의 역할은 무술가가 아닌 [[데이비드 캐러딘]]에게 주어진다. 그 이유는 당시 중국인이 주인공으로 출연하는 작품은 미국 대중이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라고 한다.
=== 홍콩 골든 하베스트에서의 활동 ===
미국 상영물에서 자신의 조연적 역할에 만족하지 못한 이소룡은 홍콩으로 돌아가는데, [[오렌지 스카이 골든 하베스트|골든 하베스트]] (Golden Harvest) 대표 [[추문회]](鄒文懷; Raymond Chow)로부터 영화 출연 계약을 제시 받게 된다. 이소룡은 1971년 개봉작 《[[당산대형]]》(唐山大兄; ''The Big Boss'')에서 첫 주연을 맡는데, 이 영화는 [[아시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순식간에 그를 스타덤에 올려놓는다. 이후 그는 다시 두 개의 성공작을 찍게 되는데, 바로 《[[정무문 (1972년 영화)|정무문]]》과 《[[맹룡과강]]》이다. 특히 《맹룡과강》에서는 그가 극작가, 감독, 주연, 그리고 무술 안무까지 총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1964년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에서의 시범을 통해 그는 가라데 챔피언이었던 [[척 노리스]]를 만났었다. 이 인연을 계기로 《맹룡과강》에서 [[로마]], [[콜로세움]]의 최후 결투 씬으로 그를 출연시키게 된다.
==== 용쟁호투 ====
1973년 이소룡은 골든 하베스트사와 [[워너 브러더스]]사의 최초의 공동 제작 작품인 《[[용쟁호투]]》의 주연을 맡게 된다. 이 영화로 인해 이소룡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큰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이소룡은 이 때 알게 된 당시 엑스트라 배우인 [[청룽]](성룡)을 후원해 준다. 하지만 이 작품의 촬영이 종료되고 몇 달 후, 그리고 불과 개봉 3주 전에 이소룡은 갑작스레 사망하고 만다. 《용쟁호투》는 그해 최고 수입을 올린 영화가 되었고 이소룡을 무술의 전설로 남기게 된다. 《용쟁호투》의 제작비는 1973년 당시 US$ 850,000였다.<ref>물가 인상 고려시 2007년의 US$ 400만</ref> 지금까지 《용쟁호투》는 전 세계에서 2억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ref>{{웹 인용 |url=http://www.time.com/time/time100/heroes/profile/lee03.html |제목=The 2010 TIME 100 - TIME<!-- 봇이 따온 제목 --> |확인날짜=2008-06-09 |archive-date=2009-04-30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430190704/http://www.time.com/time/time100/heroes/profile/lee03.html |url-status=dead }}</ref> 더군다나 《용쟁호투》라는 영화를 모티브로 해서 《[[더블 드래곤]]》이라는 비디오 게임도 만들어졌다.
《용쟁호투》의 감독인 [[로버트 클라우스]](Robert Clouse)는 이소룡이 각본을 쓰고 연출하려다 못다 끝낸 《[[사망유희]]》를 완성시키려 시도했다. 이소룡은 이미 《사망유희》를 위해 40분 이상의 촬영을 마친 상태였다. 로버트 클라우스는 1978년 새로운 줄거리와 캐스팅을 가지고 대역과 이소룡의 다른 영화 장면을 사용하여 완성시킨다. 하지만 이 짜깁기 영화는 이소룡이 찍은 40분 중 15분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이 영화에서 빠진 나머지 촬영분은 22년 후 발견되어 다큐멘터리 《''[[:en:Bruce Lee: A Warrior's Journey|이소룡: 전사의 일대기]]''》에서 공개되었다.
== 척 노리스와의 인연 ==
[[196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롱비치]]에서 있었던 무술 시범을 관람하기 위해 이소룡이 나타났는데 그 곳에서 무술 시범을 하는 [[척 노리스]]를 만났다. 이소룡은 노리스의 무술 시범에 감탄하여 자신이 출연하는 영화에 같이 출연하자는 제의를 했고 노리스는 이를 흔쾌히 응했다. 이 후 두사람은 절친이 되었으며 노리스는 이소룡의 영화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두 사람은 1940년 생 동갑내기였기 때문에 마음이 잘 통했다. 때문에 영화를 촬영할 때 호흡을 맞추기도 쉬웠다고 한다.
== 성룡과의 인연 ==
영화 《[[용쟁호투]]》에서 이소룡은 많은 적들을 차례로 때려눕히게 되어 있었다. 당시 [[성룡]]은 엑스트라였으며 영화 용쟁호투가 액션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스턴트맨을 별로 사용하지 않아 엑스트라가 스턴트까지 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성룡은 이소룡에게 맨 마지막으로 매를 맞고 쓰러지는 역할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이소룡은 성룡을 잘못 때려 크게 다치게 했다. 너무나 미안해 했던 이소룡은 성룡에게 여러 번에 걸쳐 사과를 되풀이했다. 그 이후 이소룡은 너무나 미안한 마음이 들어 성룡을 연기자로서 대성시키는 계기를 만들어줬다고 한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0101224 성룡, "이소룡한테 도움 많이 받았다" 고백]</ref> 그래서 성룡은 이소룡을 잊을 수 없는 은인 중의 은인이라 회고했다. 물론 이소룡 입장에선 얼굴 좀 익은 귀여운 엑스트라 중 한명이였겠지만, 당시 무명이던 성룡 입장에선 이런 인연이 각별하게 와닿았을듯 하다.
== 죽음 ==
이소룡의 죽음은 1973년 5월 10일의 사건에서 어느 정도 예견되었다. 이소룡은 골든 하베스트 스튜디오에서 《[[용쟁호투]]》 더빙 작업 도중 갑자기 쓰러지게 된다. 전신 발작과 [[뇌부종]]으로 그는 긴급히 홍콩 침례교회 병원(Hong Kong Baptist Hostpital)에 실려가는데 의사들은 [[마니톨]](Mannitol)을 투여하여 그를 살릴 수 있었다. 이 증상들은 이후 그가 사망한 날 다시 나타나게 된다.<ref name="Thomas 1994">Thomas, Bruce. (1994). 《''Bruce Lee: Fighting Spirit: a Biography''》. Berkeley, California: Frog. Ltd.</ref>
1973년 7월 20일 홍콩, 이소룡은 [[제임스 본드]]였던 [[조지 라젠비]]와의 저녁 약속을 앞두고 있었다. 이소룡은 그와 이후에 영화를 제작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소룡의 배우자인 린다에 의하면 이소룡은 골든 하베스트사 제작자인 레이먼드 초우와 2시에 만나 《[[사망유희]]》 제작에 대해 의논하였다. 레이먼드 초우와 이소룡은 4시까지 함께 있다가, 이소룡의 친구이자 [[중화민국|대만]] 여배우였던 [[베티 팅 페이]](Betty Ting Pei)의 아파트로 운전하여 갔으며, 세 사람은 페이의 집에서 극본을 검토했다. 초우는 저녁 식사 약속을 위해 떠났다.
잠시 후, 이소룡은 두통을 호소했고, 팅 페이는 [[아스피린]]과 근이완제가 포함되어 있는 [[이쿠아제식]](Equagesic)이라는 [[진통제]]를 건네줬다. 오후 7시 30분 경, 이소룡은 잠이 들었다.
이소룡이 약속된 저녁 식사에 나타나지 않자, 초우는 팅 페이의 아파트로 돌아왔지만 이소룡은 깨어나지 않았다. 의사를 불러 10분간 소생을 시도한 후 실패하자 이소룡은 구급차에 실려 퀸 엘리자베스 병원(Queen Elizabeth Hospital)로 후송된다. 하지만 병원에 도착했을 때 그는 이미 숨져 있었다. 외상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그의 뇌는 크게 부어올라 있었다.(1400에서 1575그램으로). 이소룡은 겨우 향년 33세였다.
==== 부검 ====
부검 결과 체내에 이쿠아제식과 미량의 [[대마초]] 성분이 검출되었다. [[2005년]] [[10월 15일]] 인터뷰에서 초우는 이소룡이 Equagesic의 근육 이완제 - 진통제에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성분인 - 에 예민 반응을 일으켜 사망했다고 설명했다. 이소룡의 공식 사인은 '과실사(death by misadventure)'로 발표되었다.
하지만 이소룡이 처음 쓰러졌을 때 그를 치료한 랭퍼드(Langford) 박사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ref name="Thomas 1994"/>
{{인용문2|나는 이소룡의 죽음이 대마초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내 추측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이쿠아제식은 이소룡의 죽음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본다.}}
10만건 이상의 부검의 경력을 가진 R. D. 티어(R. D. Teare) 교수는 이소룡의 죽음 건에 배치된 최고의 권위자였다. 그는 대마 성분의 검출은 우연에 불과하며 그것이 이소룡의 죽음을 야기했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무책임하고 비이성적"이라고 덧붙였다. 그의 결론은 성분에 대한 과민 반응에 의한 뇌부종으로 인한 사망이었다.<ref name="Thomas 1994"/> [[피터 우 박사]](Dr. Peter Wu)의 초기 소견은 이소룡의 사인은 [[대마초|대마]]와 이쿠아제식 둘 다에 의해서라는 것이었지만, 이후 그는 대마에 의한 사망이라는 소견에는 무리가 있다고 입장을 바꿨다.<ref name="Thomas 1994"/>
그럼에도 여전히 그의 사망 원인을 두고 왈가왈부가 이어지는 것은 그만큼 이소룡이란 대스타가 젊은 나이에 요절한 것이 안타까운 팬들이 많다는 방증일지도 모른다.
=== 장례 ===
이소룡 사후 그의 아내 린다는 시애틀로 돌아와 [[레이크 뷰 공원묘지]](Lakeview Cemetery) 276번에 안장했다.<ref>[http://www.allbrucelee.com/article/bruce_lee_grave_site.htm Bruce Lee Grave Site<!-- 봇이 따온 제목 -->]</ref>. [[스티브 맥퀸]], [[척 노리스]] 등이 운구를 맡았다.
이소룡의 전설적인 위치, 젊은 나이에 괴이한 죽음을 맞이했다는 사실은 그의 사인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삼합회]]에 의한 살해, 그리고 그의 가족이 저주를 받았다는 저주론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저주론"<ref>[[2007년]] [[7월 1일]] [[MBC TV|MBC]]의 <[[신비한TV 서프라이즈]]>의 익스트림 서프라이즈에서도 이 이소룡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한 바 있다.</ref>은 20년후 그의 아들 [[브랜던 리|브랜든 리]]마저 28세의 나이에 영화 《[[크로우]]》 촬영 도중 총기오발사고로 죽음을 맞이함으로써 더욱 널리 퍼지고 있다. 크로우는 그의 아버지 이소룡의 마지막 영화였던 《[[사망유희]]》와 마찬가지로 브랜든 리의 사후에 개봉되었고 컬트의 지위를 얻게 된다. 브랜든 리는 그의 아버지 곁에 묻히게 된다.
== 기타 ==
이소룡의 [[근육]]은 벌크(크기)는 떨어지는 대신 극단적으로 데피(밀도)가 발달한 몸매를 가졌었다. 특히 보디빌더들도 감탄할 정도로 벌크 대비 넓은 '''광배근'''은 지금도 회자되는 부분. 밑가슴의 질감도 대단하다.
[[성룡]], [[홍금보]] 등과 함께 영화사 [[오렌지 스카이 골든 하베스트|골든 하베스트]] 소속 [[배우]] 중 하나인 그가 찍은 작품으로는 《[[당산대형]]》, 《[[정무문 (1972년 영화)|정무문]]》, 《[[맹룡과강]]》, 《[[용쟁호투]]》, 《[[사망유희]]》 등이 있다.
[[헐리웃]] 배우 [[샤론 테이트]]가 살아생전 그녀의 무술 과외 선생이었다. 그 때문에 [[찰스 맨슨]]의 일당 중 [[수전 앳킨스]] 등 4명이 [[로만 폴란스키]]의 집을 습격해 [[샤론 테이트]] 등 여러 명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소룡이 용의선상에 오르기도 했으나 진범인 [[수전 앳킨스]] 등 4명 모두 체포당해서 용의선상에서 벗어났다.
《사망유희》는 제작 도중 이소룡이 사망하여 한국 출신인 [[김태정]]을 대역으로 하여 완성되었다.
이소룡의 마지막 기획 작품은 후에 왕우가 타이틀롤을 맡은 《직도황룡(直搗黃龍;The Man from Hong Kong/ 한국개봉명: 스카이하이)》이다. 골든 하베스트와 호주의 합작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사망유희 제작 후 이소룡의 차기작으로 예정되었었다. 이소룡의 죽음으로 왕우가 대신 주연을 하였으며 제임스 본드 배우로 당시 유명했던 [[조지 레이전비]]가 출연한다.
미국의 연예 전문 잡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인터넷 판에서 보도한 '탁월한 액션 배우 25명'에서 11위를 차지했다.<ref>[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327885 브루스 윌리스 '죽지 않아'…최고 액션 배우 등극, SBS 뉴스 2007년 10월 25일 보도]</ref><ref>[http://www.kbs.co.kr/1tv/sisa/science/vod/1490584_19853.html KBS 과학 카페 - 이소룡, 절대 근육의 비밀!]</ref><ref>[http://www.kbs.co.kr/1tv/sisa/science/vod/1492336_19853.html KBS 과학 카페 - 이소룡, 최강 격투의 비밀!]</ref><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11270012 책갈피 속의 오늘 1940년 리샤오룽 출생, 동아일보]</ref>
아들 '이국호'는 대가 단절되었지만 딸 '이향응'은 슬하에 '렌 키슬러(2003년~)'라는 딸을 두었다. 렌 키슬러는 이소룡의 외손녀이다.
== 유행어 ==
* '''아뵤~''' - 이소룡이 극중에서 싸울 때 엄지손가락으로 코를 쓸며 외치는 소리. 이 특유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는지 지금까지도 패러디가 이어지고 있다.
이소룡의 괴조음을 표현한 '아뵤'의 유래는 한국의 70년대 이소룡 만화를 그린 '지철'이라는 화백의 만화에 처음 등장한다.
== 패러디 ==
* 여러 게임에서 이소룡을 패러디한 흔적을 볼 수 있는데 이소룡을 패러디하여 탄생된 캐릭터들은 다음과 같다.
** [[켄시로]] - 북두의 권
** [[마샬 로우]], [[포레스트 로우]] - 철권
** [[드래곤 킴]] - 월드 히어로즈
** [[페이롱]] - 스트리트 파이터
** [[쟌리]] - 데드 오어 얼라이브
** [[리우 캉]] - 모탈 컴뱃
** [[우롱]] - 이얼쿵푸의 아케이드 판 주인공
** [[블루스]] - 이얼쿵푸의 아케이드 판 최종 상대
** [[리]] - 이얼쿵푸의 MSX 판, 패미콤 판 주인공
** [[진]] - 마샬 챔피언
* 그외
** [[DC 인사이드]] 등에서 굴다리 밑과 10초 얘기를 하는 [[싱하형]]이라는 인물
** [[짜장소녀 뿌까]]에 등장하는 캐릭터인 아뵤
** [[신의탑]]에 등장하는 캐릭터인 이수
** 하루마키 류 (이대룡) - [[괴짜 가족]](원제: 우라야스 철근 가족)에 등장하는 담임 선생, 원래부터 어릴 적의 모범생이었다가 UFO에 납치당하고 두뇌개조 수술을 당하면서 바보로 전락당하고 말았기 때문에 무술 실력이 없다.
** 아케이드 게임 [[더블 드래곤]] - [[테크노스 저팬]]이 제작했던 액션 게임, 등장하는 적들의 일부는 [[용쟁호투]]에 등장하는 적들의 이름을 따다 붙였으며 이소룡의 용쟁호투를 모티브로 만든 게임이 더블 드래곤이다.
== 이소룡을 연기한 배우 ==
* [[브루스 라이]] - [[1976년]] 영화 《[[굿바이 브루스 리]]》에서 이소룡 역.
* [[여소룡]] - [[1980년]] 영화 《[[브루스 리의 클론들]]》에서 이소룡 역.
* [[하종도]] - [[1976년]] 영화 《[[BRUCE LEE THE MAN, THE MYTH]]》 이소룡 역.
* [[김태정 (1957년)|김태정]] - [[1985년]] 영화 《[[특명 어벤저]]》에서 주인공 [[커트 맥키니]]를 지도하는 이소룡의 유령 역.
* [[거룡]] - [[1977년]] 영화 《[[최후의 정무문]]》에서 역.
* [[진국곤]] - '''이소룡 전문 배우.''' [[2008년]] 중국 드라마 《[[이소룡 전기]]》, [[2010년]] 중국 영화, 엽문4 《[[절권지혼]]》<ref>이소룡이 [[종합격투기]] 선수가 된다는 내용이다.</ref>
* [[제이슨 스콧 리]] - [[1993년]] 영화 [[드래곤]]에서 이소룡 역.
* [[장대언]] - [[2008년]] 영화 [[엽문 2]]에서 소년 이소룡 역.
* [[마이크 모]] - [[2019년]]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에서 [[샤론 테이트]]의 과외 선생인 이소룡 역.
== 같이 보기 ==
* [[한국이소룡기념사업회]]
* [[절권도]]
* [[쌍절곤]]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Bruce_Lee}}
{{위키인용집|zh:李小龍|이소룡}}
{{포털|중국|영화}}
* [https://web.archive.org/web/20071017030522/http://www.bruceleefoundation.com/index1200.html 이소룡] - 공식 홈페이지
* [http://cafe.naver.com/bruceleekorea 한국이소룡기념사업회]
* [http://navercast.naver.com/worldcelebrity/history/8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이소룡]
* {{Hkmdb name|1919|Bruce Lee}}
* {{IMDb 이름|0000045|Bruce Lee}}
* {{올무비 이름|41139|Bruce Lee}}
* {{로튼 토마토 사람|bruce_lee|Bruce Lee}}
* [http://www.jkd.gr/brucelee.html Sijo Bruce Lee]
* [https://web.archive.org/web/20100111080057/http://edu.emtain.tv/playlist/show/1209 Bruce Lee Interview]
* [https://web.archive.org/web/20100326001210/http://www.lightapixel.com/Bruce_Lee Light a Pixel - The Digital Memorial: Bruce Lee]
{{브루스 리}}
{{전거 통제}}
[[분류:이소룡| ]]
[[분류:절권도인]]
[[분류:1940년 출생]]
[[분류:1973년 사망]]
[[분류:샌프란시스코 출신 배우]]
[[분류: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
[[분류:홍콩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분류: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분류: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
[[분류:홍콩의 스턴트 배우]]
[[분류:홍콩의 영화 감독]]
[[분류:홍콩의 영화 각본가]]
[[분류:홍콩의 영화 제작자]]
[[분류:미국의 무술가]]
[[분류:워싱턴 대학교 동문]]
[[분류:중국계 미국인]]
[[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
[[분류:잉글랜드계 홍콩인]]
[[분류:중국의 무신론자]]
[[분류:미국의 무신론자]]
[[분류:의문사한 사람]]
[[분류:약물에 의해 죽은 사람]]
[[분류:20세기 미국 사람]]
[[분류:20세기 홍콩 사람]]
[[분류:무술 유파 창시자]]
[[분류:미국에서 홍콩으로 이민간 사람]]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이동보호|크기=작게}}
{{원소 정보/나트륨}}
'''나트륨'''({{llang|de|Natrium|나트리움}}, {{문화어|나트리움}}, {{llang|ja|ナトリウム|나토리우무}}) 또는 '''소듐'''<ref>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r.kr/?act=&vid=&mid=cheminfo&wordfield=eng&word=sodium</ref>({{llang|en|sodium|소디엄}}, {{IPA-en|soʊdiəm|US}}, {{IPA-en|səʊdiəm|UK}})은 [[알칼리 금속]]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Na'''(←{{llang|la|Natrium|나트리움}})이고 [[원자 번호]]는 11, [[원자량]]은 22.9898 g/mol이다. 자연상태로는 생성되지 않으며, 화합물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다.
== 명칭 ==
"나트륨"이란 이름은 이집트의 소다 광산이 있는 [[와디 엘 나트룬|나트론]](Natron)에서 유래했다. "소듐"이란 이름은 아라비아어의 [[소다]](Soda)에서 유래하였으며, 1807년에 영국의 [[험프리 데이비]]가 [[수산화 나트륨|수산화나트륨]]을 전기분해하여 발견하였다.
한국에서는 [[대한화학회]]가 정한 학술어로서 소듐을 우선 사용하되 나트륨도 함께 사용한다.
== 성질 ==
[[파일:Natrium.jpg|섬네일|왼쪽|[[등유]]([[파라핀]] 오일)에 잠긴 나트륨 덩어리.]]
=== 물리적 성질 ===
무르고 금속 광택이 있는 금속으로 노란 불꽃을 내며 산화된다. 나이프로 몹시 쉽게 잘리며 잘린 단면은 즉시 산화되어 흰색의 산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으로 덮인다.
=== 화학적 성질 ===
반응성이 강하여 공기중에 보관할 수 없고 좌측 그림과 같이 보관하여야 한다. 공업용 나트륨의 경우 큰 주괴 형태로 운송되고 거래되기도 한다. 알칼리 금속 중에서는 반응성이 아주 큰 편은 아니기에 겉에 [[등유|케로센]]을 발라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다. 순도 높은 나트륨 금속은 진공이나 [[아르곤]] 대기 하에서 보관해야만 한다. 연성과 전성이 크기에 포일 형태로 쉽게 제조할 수 있으나 대기와 접촉시 급속히 산화하며 때때로 불이 붙기 때문에 거의 생산하지 않는다.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이소프로판올]] 등과 온순한게 반응하여 알콕사이드(alkoxide) 화합물을 생성한다. 습기 높은 공기 중에서는 생성된 [[수산화 나트륨]] 탓에 수증기를 빨아들이며 때때로 폭발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단열하여도 어느 순간 갑자기 폭발할 수 있다. 건조한 대기 하에서는 어느 정도 안정한 편이다. 소량의 물과 반응시키면 쉽게 불이 붙는다. 다량의 물과는 수산화나트륨을 생성하고 수소를 방출하며 격렬히 반응하다 불타는 용융된 나트륨 방울을 튀기며 폭발한다. 폭발의 원인은 쿨롱폭발로 알려져 있다. 강력하고 값싼 [[환원제]]로 유기화학에서 종종 사용된다. 다른 금속들을 소량 환원하는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주기 1족의 알칼리 금속으로 1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1가 양이온이 되기 쉽다.
=== 나트륨의 특성 ===
[[지구 지각 내 원소 함량]]에서 6번째에 속하지만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화학식으로 나타낼수 있으며, 홑원소 물질로는 존재하지 않고 대부분 [[장석]]이나 [[염화 나트륨]]과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
== 생산 ==
[[암염]]이나 [[소다회]], 또는 바닷물에서 전기분해로 얻는다. 나트륨 금속의 가격은 알칼리 금속중에서 가장 낮기 때문에 유용한 환원제로 종종 선택된다. 공업용 나트륨은 주로 주괴(ingot) 형태로 만든다.
== 나트륨 화합물 ==
=== 소금 ===
소금(염화 나트륨, NaCl)의 구성 요소로서 주로 바닷물 속에 용해되어 있으며 일부는 암염 등의 형태로 육지 및 지하에도 존재한다. 해수의 염류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ref name="완자">{{서적 인용|저자= 김봉래 외 2 |제목= 완자 화학 Ⅰ(1권)|날짜= 2006-07-01 |판= 초판 |출판사= 비유와상징|쪽= 29}}</ref>
=== 탄산나트륨 ===
[[탄산 나트륨]](Na<sub>2</sub>CO<sub>3</sub>)은 [[화합물|무기화합물]]의 한 종류로, 탄산과 수산화 나트륨의 염이다. 유리에 주로 포함되어 있어 빛의 통과시,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기타 화합물 ===
NaOH(수산화 나트륨, [[가성소다]]), NaNO<sub>3</sub>([[질산 나트륨]]), Na<sub>2</sub>S([[황화 나트륨]]), Na<sub>2</sub>SO<sub>4</sub>([[황산 나트륨]]) 등이 있다. 이들 나트륨 [[이온]](Na<sup>+</sup>)이 포함된 염들은 물에 잘 녹는다.<ref name="완자"/>
== 용도 ==
=== 생물 ===
액체나 세포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보존하고, 나트륨 이온은 [[칼륨]] 이온과 함께 신경 내부에서 신호의 전달에 사용된다. 이러한 생리적인 메카니즘의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 내에서의 [[나트륨-칼륨 펌프]]는 물질대사에 매우 중요하다.
== 같이 보기 ==
* [[포타슘]]
* [[알케인]]
* [[알켄]]
* [[알카인]]
* [[망가니즈]]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natrium}}
* [https://www.ebricmall.com/search/searchResult/sodium 나트륨 종류] {{웨이백|url=https://www.ebricmall.com/search/searchResult.hs?keyword=sodium |date=20220207024442 }}
* {{네이버캐스트|6517}}
* {{언어링크|en}} [http://www.webelements.com/sodium/ 나트륨 - WebElements.com]
{{원소 주기율표}}
{{알칼리 금속}}
{{전거 통제}}
[[분류:나트륨| ]]
[[분류:알칼리 금속]]
[[분류:화학 원소]]
[[분류:환원제]]
[[분류:전형 원소]]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디지털 방송|디지털 신호의 압축 및 변조를 이용한 텔레비전 방송|디지털 신호를 이용한 방송}}
{{디지털 영상 방송 표준}}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DTV''')은 기존의 텔레비전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했던 것에 반해,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동영상과 소리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을 말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되고 [[변조]]된 데이터를 이용하므로, 디지털 텔레비전용으로 설계된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박스]]를 통해서만 시청할 수 있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기존의 텔레비전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가지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채널이 차지하는 [[대역폭]]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멀티캐스팅(한 채널에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방송하는 기능), [[EPG|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대화형 텔레비전]] 등의 특수한 서비스들도 가능하다.
디지털 텔레비전은 [[아날로그 텔레비전]]보다 나은 수준의 화질과 음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이므로 아날로그 텔레비전이나 영화 필름에서 나타나지 않는 화질상의 문제점들을 개선할 여지가 많이 남아있다. 이것은 현재 사용되는 대역폭 및 ([[MPEG-2]]와 같은) 압축 알고리즘의 제한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지만, 16/35mm 필름과 같은 원본 영상과 세밀하게 비교해 보지 않는 이상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정도는 아니다.
== 개요 ==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아날로그 TV]]와 같은 대역폭 (6 MHz 혹은 7 MHz)에서 더 많은 채널을 수신하고 HD급 고화질 방송을 볼 수 있다.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가 가지고 있던 "고스트 현상" 이나 "스노우 노이즈", 그리고 오디오의 고정 노이즈와 같은 증상을 제거하여 깨끗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수신율이 낮은 곳에서는 [[MPEG]] 압축 방식에 의해 "블로킹" 과 같은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아날로그 TV]]에서는 약간의 노이즈와 함께 시청이 가능했던 방송들을 전혀 시청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방송사에서 결정한 기술적인 표준에 정의된 철학과 오류 정정 수준에 따라 디지털 TV는 완벽하게 동작하거나 전혀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다.
HD급 디지털 TV로의 전환 과정에서 화면의 [[가로세로비 (영상)|가로세로비]] 형식을 4:3에서 16:9 로 전환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TV 화면의 형식이 [[영화]]나 사람의 시각에 더 가까워지게 되었다. 기존의 화면에서는 "[[레터박스 (영상 기술)|레터박스]]" 라고 하여 4:3 형식의 화면의 위아래에 검은 띠를 넣어서 화면의 [[가로세로비 (영상)|가로세로비]]를 16:9 로 맞추었다.
== 디지털 방송 시장 ==
=== 지상파 ===
{{본문|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파일:Digital broadcast standards.svg|섬네일|400px|전 세계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 표준 현황]]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은 2000년대 이후에 전 세계적으로 단계적으로 상용화되었다.
* 정부에서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 중의 하나로 간주하여 세계적인 "디지털 혁명"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으며, 기존의 TV에서 사용하던 주파수 대역을 다른 통신 수단을 위해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디지털 위성파 텔레비전과 디지털 케이블 텔레비전 또는 PVR 이나 VOD 와 같은 다른 디지털 영상물 배포 기술과 경쟁할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시청자들과 더욱 긴밀하게 상호작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 장비 생산업체에서는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위해 먼저 [[셋톱박스]](set-top box)를 판매하고 있으며, 지금은 텔레비전과 [[셋톱박스]]가 합쳐진 일체형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시청자들은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을 기존의 안테나에서 더 많은 프로그램이나 고화질의 방송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은 많은 채널을 한정된 공간에 넣어야 해서 많은 기계로 거쳐서 직접 안테나로 받아서 보는 것보다 화질이 떨어질 수 있다. 직접 안테나로 받아서 보는 것이 제일 깨끗하다.
=== 위성파 ===
디지털 텔레비전은 이미 가능한 대역폭 내에서 수많은 채널을 서비스하고 있는 위성파 텔레비전 시장에서 살아 남았다. [[미국]]과 [[영국]]의 디지털 위성파 텔레비전의 사업 모델은 [[케이블 텔레비전|케이블 TV]]와 유사하다. 디지털 위성파 텔레비전 사업자들은 pay-TV 와 같이 많은 수의 채널들을 패키지로 묶어 서비스하려는 경향이 있다. 위성 방송은 지상파 방송에 비해 더 넓은 RF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채널의 수와 고화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 케이블 ===
이미 기존의 아날로그 케이블 [[셋톱박스]]가 공급된 곳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셋톱박스]]의 교체가 필요하다. 사용자 입장에서 주된 이점으로는 단순히 화질이 좋아진 것과 채널이 늘어난 것이지만, (케이블 사업자가 [[셋톱박스]] 하드웨어와 미들웨어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것에 따라)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다. 종종 부가 정보가 포함된 (일주일 단위의) TV 가이드를 보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예약한 뒤 시간을 알려 주거나, 부모가 아이들이 볼 방송의 등급을 제한하는 등의 기능이 포함되기도 한다. 케이블 사업자들은 또한 디지털로 방송되는 영상물을 DES 와 같은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더 나은 등급 제한 기능을 제공하거나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하기도 한다.
더 진보된 케이블 네트워크에서는 상호대화형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TV 용 [[셋톱박스]]에서 사업자 측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넘겨주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웹 형식의 상호대화형 서비스([[주문형 비디오|VOD]] (Video-on-Demand), 게임, 투표 ...)를 제공할 수 있다.
== 기술사항 ==
=== 방송 형식 ===
모든 디지털 방송은 표준 해상도 텔레비전(SDTV)과 고해상도 텔레비전(HDTV)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초기의 SDTV 텔레비전 방송 표준은 아날로그였으며, 디지털 SDTV 텔레비전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의 호환성을 위해 그 구조를 사용한다.
== 국가별 도입현황 ==
=== 아날로그 종료 연대표 ===
[[파일:Worldmap digital television transition.svg|섬네일|오른쪽|400px|디지털 전환 진행 중인 전 세계 지도 (2019년 1월 1일 기준)
{{범례|#f00000|전환 완료}}
{{범례|#ff9619|고출력 방송국은 전환 완료, 저출력 방송국은 아직 완료되지 않음}}
{{범례|#fc0|전환이 진행 중, 아날로그와 디지털 송출}}
{{범례|#0c0|전환이 시작되지 않음, 아날로그만 송출}}
{{범례|#00f|전환 계획이 없음, 아날로그만 송출}}
{{범례|#b9b9b9|정보 없음}}]]
[[파일:Apagon analogico.jpg|섬네일|오른쪽|200px|스페인에서 아날로그 종료 안내문]]
* '''2006년''': [[룩셈부르크]]([[지상파]]), [[네덜란드]]
* '''2007년''': [[안도라]], [[핀란드]], [[스웨덴]], [[스위스]]
* '''2008년''': [[독일]]
* '''2009년''': [[덴마크]], [[노르웨이]], [[미국]] (전출력 중계소)
* '''2010년''': [[벨기에]], [[크로아티아]], [[에스토니아]], [[건지섬]], [[저지섬]], [[라트비아]], [[룩셈부르크]]([[케이블]], [[위성]]), [[산마리노]], [[슬로베니아]], [[스페인]], [[영국]]([[웨일스]])
* '''2011년''': [[오스트리아]], [[캐나다]], [[키프로스]], [[프랑스]], [[이스라엘]], [[일본]](특별 재난 지역을 선언한 [[후쿠시마현]], [[이와테현]], [[미야기현]]은 제외), [[몰타]], [[모나코]], [[터키]], [[영국]]([[스코틀랜드]])
* '''2012년''': [[체코]], [[지브롤터]],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후쿠시마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리투아니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오만]], [[아랍에미리트]], [[요르단]], [[이집트]], [[바레인]], [[이라크]], [[쿠웨이트]], [[레바논]], [[시리아]], [[예멘]],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중화민국]], [[영국]]([[잉글랜드]], [[북아일랜드]])
* '''2013년''': [[오스트레일리아]], [[아제르바이잔]], [[불가리아]], [[헝가리]], [[마케도니아]], [[모리셔스]], [[뉴질랜드]], [[폴란드]], [[짐바브웨]]
* '''2014년''': [[세르비아]], [[아이슬란드]], [[나미비아]], [[알제리]]
* '''2015년''': [[벨라루스]], [[브루나이]], [[그리스]], [[인도]], [[이란]], [[모로코]] (UHF 대역), [[멕시코]], [[몰도바]], [[루마니아]] (UHF 대역), [[르완다]], [[터키]], [[케냐]], [[우간다]], [[가나]]
* '''2016년''': [[버뮤다]], [[브라질]]([[연방구 (브라질)|연방구]], [[고이아스주]] 리오베르데), [[몽골]], [[우크라이나]], [[칠레]], [[중화인민공화국]]([[중국중앙텔레비전]]), [[부룬디]]
* '''2017년''':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주]], [[상파울루주]] 같은 일부 대도시), [[필리핀]] (라이트 네트워크), [[스리랑카]], [[루마니아]] (2단계), [[독일]]
* '''2018년''': [[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주]], [[상파울루주]]를 포함한 모든 대도시), [[엘살바도르]], [[루마니아]] (VHF 대역), [[태국]],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 '''2019년''': [[러시아]], [[볼리비아]], [[싱가포르]], [[인도]] (1단계), [[말레이시아]],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 [[페루]] ([[리마]], [[카야오]]), [[스리랑카]], [[코스타리카]]
* '''2020년''': [[브라질]](전 지역), [[중화인민공화국]] (상업 방송), [[모로코]] (VHF 대역), [[파나마]], [[홍콩]], [[인도네시아]], [[태국]] (채널 3), [[파라과이]], [[베네수엘라]], [[몰도바]] (나머지), [[수단]], [[코트디부아르]]
* '''2021년''': [[도미니카 공화국]], [[미국]] (저출력 중계소), [[인도]] (2단계),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 '''2022년''': [[캐나다]] (나머지 지역), [[엘살바도르]]
* '''2023년''': [[쿠바]], [[필리핀]] (나머지 지역), [[인도]] (마지막 단계), [[페루]] (나머지 지역)
* '''2024년''' 이후 : [[베트남]]
* 아직 정확히 알 수 없음 : [[남아프리카공화국]], [[우루과이]]
* 종료 계획 없음 : [[라오스]], 일부 아프리카 국가
=== 대한민국 ===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본문|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위성 방송
디지털 위성 방송으로는 대한민국의 유일 유료 위성 방송사인 [[KT스카이라이프]]가 서비스를 하고 있다. [[H.264]]방식을 이용해 여러 개의 채널에서 HD급 화질로 방송하고 있지만 대다수는 SD로 방송되고 있다. 산간 도서 지역의 난시청 해소를 위한 [[무궁화 3호|무궁화 위성 3호]]와 [[무궁화 5호|무궁화 위성 5호]]의 무료수신일 경우 KBS1을 제외한 전 채널이 SD로 공급되고 있으며 일부 채널에 대한 HD전환은 현재 논의 중 이긴 하나 결정된 바가 없다.
;케이블 방송
케이블 사업자도 [[OpenCable]]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하고 있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사업자로는 [[CJ헬로비전]], [[티브로드|(옛Qrix)]], [[HCN (방송)|HCN]], [[딜라이브|딜라이브 (구:C&M)]], [[CMB (방송사)|CMB]], [[티브로드]], [[딜라이브|딜라이브 (구:GS)]] 등이 있다. 이 역시도 소수의 채널을 HD로 방송하나 대다수의 채널은 SD로 방송된다. 참고로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2012년 12월 31일에 종료돼도 케이블의 아날로그 방송은 2015년부터는 아날로그 송출을 중단하고 (DTV에서) 디지털로 송출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IPTV
[[IPTV]]로는 [[KT]]의 [[올레 TV]], [[SK브로드밴드]]의 [[B TV]], [[LG유플러스]]의 [[U+ TV]] 사업자 방송들이 있으며 이들 모두 디지털로 방송 중이며 각 [[셋톱박스]]를 이용해 해상도를 정할 수 있다. ([[ATV]]: [[480i]], [[SDTV]]: [[480p]], [[HDTV]]: [[720p]], Full HDTV: [[1080i]]를 권장한다.)
=== 일본 ===
[[파일:Analog television ends operations in the country of Japan.jpg|섬네일|200px|일본에서 아날로그 종료 안내문]]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줄여서 ''''지데지''''(地デジ)라고 부르는 일본에서는 [[2011년]] [[7월 24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완전 종료되고 [[ISDB]]방식의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체제로 완전 전환되었다.
일본 최초의 디지털 TV 방송으로 기록된 [[1996년]]에 CS방송 [[스카이 퍼펙TV]]와 [[2000년]]에 BS 디지털 방송에 뒤이은 쾌거라고 볼 수 있다. 사실 일본은 [[1989년]]에 [[NHK]]가 BS방송을 활용한 [[아날로그]] [[하이비전]]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디지털 HD방송에게 시장을 선점당하는 시행착오를 경험한 바 있다.
먼저 1단계는 NHK가 BS 방송 중 일부를 활용하여 하루에 1시간 정도의 실험적인 하이비전 방송을 시도하였다. 2단계에는 NHK와 6개 민방이 연합하여, 하루에 8시간 동안 하이비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이후 17시간으로 1일 방송시간이 확대하였다. 3단계에는 [[NHK]]와 6개 민방이 중심이 되어 디지털 BS방송을 시작하였고, [[2003년]] [[12월]]부터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를 개시하였지만, 프로그램의 경우 [[프라임 타임]]에 [[NHK]]는 90% 이상이 '''HD'''로 제작되었고, 민영 방송사들의 약 50%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2006년]] 말까지 전국 디지털 TV 방송이 서비스를 완성하였으며, 그 뒤에 [[2011년]] [[7월 24일]]에 디지털 TV 방송을 전환하였다. 단, 도호쿠 지방 3개 현([[이와테현]]·[[미야기현]]·[[후쿠시마현]] 등)의 경우 지진 해일의 여파로, 아날로그 송출 중단 시기가 [[2012년]] [[3월 31일]]로 순연되었다.
=== 영국 ===
[[영국]]엔 세가지 형태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있다. 그 세가지는 다음과 같다. [[스카이 UK]](Sky UK)로 불리는 '''[[BSkyB|영국 Sky 방송]]'''이 제공하는 위성방송, [[버진 미디어]](Virgin Media; 예전의 텔레웨스트와 NTL)가 제공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프리뷰 (영국)|프리뷰(Freeview)]]로 불리는 무료 공중파 지상파 방송서비스이다.
최초로 출범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인 ONdigital (후엔 ITV Digital로 불림)은 실패하고 방송사는 파산했다.
2002년 프리뷰(Freeview)가 ITV Digital을 대체했다. 프리뷰는 동일한 [[DVB-T]]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오류 정정 수준을 크게 높여서 전 사업자를 파산으로 몰고간 수신률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또한 유료 방송서비스를 기조로 하는 대신, 프리뷰는 기존의 5개 아날로그 무료 공중파와 새로운 20개 디지털 채널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모든 서비스는 SD급으로 전송되고 있다. 정부는 2010년까지 아날로그 방송을 중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미국 ===
2009년 6월 12일부터 전국에서 소출력 방송사를 제외한 모든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중단되었으며 미국 국민들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같은 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쿠폰을 받기도 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첫 번째로 디지털 전환을 완료한 국가로 기존의 아날로그 브라운관 텔레비전 보유자들의 대한 처우도 원만하게 해결되며 이러한 과정은 대한민국의 디지털 전환의 모델이기도 하다.
=== 캐나다 ===
[[캐나다 방송통신위원회]](CRTC)는 미국과 동일한 디지털 표준을 채택했으나,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 일자를 정하지 않고, 시장에 의한 자연스러운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2009년 9월 현재 캐나다 방송사들이 디지털 방송 송출을 확대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큰 도시들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으나, 그 외에서는 디지털 방송이 되지 않는 이유는 [[:en:Simultaneous substitution|미국 방송 대체]]가 바로 그 이유다. 미국 방송 대체란, 캐나다 방송국이 동시간대의 미국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재송출하는 것이다. 그래서 2011년 8월 11일에 (극한 지역 제외) 아날로그 방송 송출을 끝낸다. 2009년 1월 현재 [[토론토]]에서는 아날로그로 방송하는 모든 방송사들([[TV온타리오|TV Ontario]] 제외, 하지만 디지털 방송이 예정됨)이 디지털로도 방송하고 있다. [[밴쿠버]]에서는 거의 모든 방송사들이 디지털로 방송하고 있다. 그 외 [[몬트리올]], [[오타와]] 등에서는 CBC가 디지털로 방송하고 있다. [[캘거리]]에서는 [[:en:CICT-TV|Global]]과 [[:en:CFCN-TV|CTV]]가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에드먼턴]]에서는 [[:en:CITV-TV|Global]]이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2009년 9월 현재 전체적으로 밴쿠버, 토론토, 캘거리에서만 대형 방송사들이 디지털 방송을 하고 있다. 또한 토론토, 밴쿠버와 같은 미국 국경과 가까운 도시에서는 미국에서 송출되는 디지털이나 아날로그 방송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2012년 5월 31일까지 극한 지역과 모든 지역의 방송사들이 아날로그 방송 송출을 완전히 종료 후 완전 디지털화를 완료화였다.{{출처|날짜=2014-04-12}}
=== 오스트레일리아 ===
모든 대도시의 텔레비전 방송국과 지역 방송국은 현재 아날로그 PAL G/K방식과 디지털 [[DVB-T]] 방식으로 동시송출하고 있다. SD급이 가장 일반적인 해상도이다. 법적으로 모든 방송은 100% SD급으로 송출되어야 하며, 이 중 일주일에 20시간 이상은 HD 해상도로 동시 송출하여야 한다.
[[상업방송]]의 다채널 방송은 몇몇을 제외하고는 (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방송이 시간관계상 계속될 수 없으면, 부가채널로 중계되며, 원 채널은 정규방송을 내보낸다.)중지되면, 금지되어 있다. 스페셜 방송 서비스사([[스페셜 브로드캐스팅 서비스|SBS]])는 부가채널(월드 뉴스 채널)을 갖고 있으며, 호주 방송 회사([[오스트레일리아 방송 협회|ABC]])도 2003년까지 [[ABC 키즈]]와 [[Fly TV]] 채널을 갖고 있었다.
정보방송을 하기 위해선 방송사는 해당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03년 12월 호주 최초의 디지털 전용 방송사가 탄생했다. [[태스매니아]] 디지털 텔레비전국은 [[네트워크 텐]]의 태스매니아 지부로 시작되었다. 이 채널의 도입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여타지역과는 달리 호버트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2008년(이 시한은 재고될 것이다.)까지 모든 방송사가 디지털 방송만 하도록 요구했으며, 현재 아날로그 텔레비전 주파수는 다른 목적으로 쓰이도록 비워졌다. 2007년까지는 더 이상의 무료 공중파 방송은 허가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이 두 시한은 2005년 재고되었다.
=== 핀란드 ===
현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아냘란코스키]](Anjalankoski) 등의 모든 지역의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 가시청권에서 볼 수 있다. 또한 [[바사 (핀란드)|바사]](Vaasa) 지역의 방송국은 핀란드 방송 회사([[YLE]]) 채널을 방송하고 있다. 또한 대도시에 위치한 다수의 케이블 회사가 기본방송과 유로방송을 디지털로 서비스하고 있다. [[YLE TV1]], [[YLE TV2]], [[MTV3]], [[Neolonen]]으로 구성된 기본 채널에 더하여, 24시간 뉴스 채널, 스포츠 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이 모든 채널을 무료다. 그러나 새로 생기는 채널 중에 유료채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2007년 9월 1일, 아날로그 방송 송출은 중지되었다.<ref>[http://www.digitv.fi Digitv.fi - Development of digital tv in Finland] {{웨이백|url=http://www.digitv.fi/ |date=20201023210437 }}. Coverage, digital teletext demos. ([http://www.digitv.fi/digiProEtusivu.asp?path=9;1826 English version] {{웨이백|url=http://www.digitv.fi/digiProEtusivu.asp?path=9;1826 |date=20040410085030 }})</ref>
=== 독일 ===
2003년 두 단계를 거쳐서 [[베를린]]과 그 주변 [[브란덴부르크]] 지역의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DVB-T]] 형식의 디지털 방송으로 바뀌었으며 2008년 11월 25일 디지털 전환이 완료되었다.
2000년대 초부터 독일의 30여개 이상의 텔레비전 방송사들은 위성신호를 아날로그와 디지털([[DVB-S]] 방식)로 송출했다. 2003년에 디지털로만 송출하는 방송은 독일 유일의 유료방송인 프리미어(Premiere)였으며, 프리미어 방송은 너무 이르게 디지털 방송에 암호를 걸어 소유권을 보호하려 했기 때문에 심각한 금전적 위기를 겪었다.
케이블 방송은 아직도 프리미어([[DVB-C]] 방식)와 아날로그 밴드를 얻지 못한 몇 군소업체를 제외한 대부분이 아날로그 형태이다. 이런 상황은 이전까지 독점권을 가지고 있었던 도이체 텔레콤이 기반시설을 매우 천천히 매각하였으며, 매입사가 케이블 방송에 새로운 투자를 거의 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 같이 보기 ==
*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 [[ATSC]]
* [[디지털 라디오]]
* [[셋톱박스]]
* [[통합 서비스 디지털 방송]]
* [[SBTVD]]
* [[단일 칩 시스템]]
* [[쌍방향 텔레비전]]
* [[고선명 텔레비전]]
* [[DVB-T]]
== 각주 ==
<references />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110420114552/http://www.digitaltelevision.gov.uk/ 디지털텔레비전 영국 정부 웹사이트]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050113090915/http://www.dba.org.au/ 디지털 방송 호주]
* {{언어링크|en}} [http://www.atsc.org ATSC]
{{비디오 포맷}}
{{전기 통신}}
{{전거 통제}}
[[분류:디지털 텔레비전| ]]
[[분류:디지털 기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9}}
{{기년법|1999}}
{{요즘 화제 년월|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일]] - [[유로]]화 도입.
* [[2월 11일]] - [[이스라엘]] [[헤즈볼라]] 거점 폭격.
* [[2월 12일]] - [[미국 상원]]이 [[빌 클린턴]] 대통령 탄핵안을 부결시키다.
* [[2월 12일]] - 복제 [[소]] [[영롱이]]가 탄생.
* [[3월 12일]] - 헝가리와 폴란드가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가입함.
* [[3월 24일]] - [[코소보 전쟁]] 발발. (~ [[6월 10일]])
* [[4월 15일]] - [[대한항공 6316편 추락 사고]]가 일어남.
* [[4월 19일]] - [[영국]]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가 한국 방문.
* [[4월 30일]] - 캄보디아가 [[ASEAN]]의 10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5월 11일]] - [[MBC]] 본사에서 [[문화방송 주조정실 점거 사건|주조정실 난입]] 방송사고 발생.
* [[5월 20일]] - 대구광역시 [[효목동]]에서 대구 황산테러 발생.
* [[6월 1일]] - [[아메리칸 항공 1420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11명 사망, 110명 부상.
* [[6월 15일]] - 서해에서 남북 경비정 간에 총격전이 벌어지다([[제1연평해전|서해 교전, 제1연평해전]]).
* [[6월 30일]] -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화성군]] 소재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건]]으로 유치원생 19명과 인솔교사 및 강사 4명 등 23명이 숨지고 5명이 부상당함.
* [[7월 20일]] - 전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주석]] [[장쩌민]]이 중국에 있는 수백만 명의 [[파룬궁]] 수련생들을 탄압하다.
* [[7월 31일]] - 미국 달 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 달에 충돌.
* [[8월 4일]] - 치사율 80% [[에볼라 바이러스]] 독일에서 첫 출현.
* [[8월 9일]] - 일본참의원, [[기미가요]]와 [[히노마루]](일장기)를 국가와 국기로 정하는 법안 가결.
* [[8월 10일]] - 네덜란드, 세계 최초로 [[안락사]] 인정 법안 마련.
* [[8월 11일]] - 20세기 최후 [[개기 일식]] 진행.
* [[8월 17일]] - 터키에 진도 7.8의 강진 발생, 3만여 명 매몰.
* [[8월 19일]]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서 수만 명의 시민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사임을 요구하며 시위.
* [[8월 26일]] - [[대한민국]] 대우 채권금융기관, [[대우그룹]] 12개 계열사 워크아웃 결정.
* [[8월 28일]] - 러시아 유인 [[우주정거장]] [[미르|미르 호]], 13년 만에 공식 활동 종료.
* [[8월 30일]] - [[동티모르]]에서 [[인도네시아]]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투표가 [[유엔]] 감시하에 실시되다.
* [[9월 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해 [[북방한계선]](NLL) 무효 주장하며 새로운 [[해상군사분계선]] 일방 획정.
** 대한민국 [[김종필]] 국무총리와 일본 [[오부치 게이조]] 총리와 회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문제관련 한미일3국 공조협력체제 유지 합의
* [[9월 10일]] - 대한민국, 일본 대중문화 2차 개방 발표.
* [[9월 14일]] - [[나우루]], [[키리바시]], [[통가]], 유엔 가입
* [[9월 16일]] - 대한민국, [[동티모르]] 파병 결정
* [[9월 21일]] - [[대만]], [[921 대지진]] 발생
* [[9월 24일]] - 대한민국,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비준
* [[9월 29일]] - 미국 [[AP 통신사|AP]],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노근리 사건|노근리 양민 학살사건]] 첫 보도.
* [[10월 4일]] - 대한민국 월성3호기 원자로 누설로 작업자 22명 방사능 피폭
* [[10월 16일]] - 대한민국이 [[상록수 부대]]를 동티모르에 파병하다. 이날 파병된 병력은 선발대 160명이다.
* [[10월 30일]]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소재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가 발생하여 중고생을 비롯한 52명이 숨지고 71명이 부상당함.
* [[10월 31일]] - [[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가 일어나다.
* [[11월 6일]] - 오스트레일리아, 군주제 폐지안을 부결시키다.
* [[11월 26일]]
::* 인도네시아군의 암본 충돌 개입으로 29명 사망, 120명 부상자 발생
::* UN, [[동티모르]] 저항군의 보안군 전환 교육을 실시
* [[12월 20일]] - [[마카오]]가 [[포르투갈]]에서 [[중국]]으로 반환했다.
* [[12월 22일]] -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가 일어남.
* [[12월 31일]]
::* [[보리스 옐친]]이 [[러시아]] [[대통령]]을 퇴임하다.
::* 전 세계가 [[2000년|새천년]]을 준비하다.
::* 일부에선 이 날을 20세기의 마지막 날로 착각하기도 하는데, 20세기 마지막날은 [[2000년]] [[12월 31일]]이다. 다만 [[1990년대]]의 마지막날은 이 날이 맞다.
== 문화 ==
* [[1월 1일]] - [[SBS 러브FM]]이 FM 방송으로 개국.
* [[1월 4일]]
** 지상파채널인 [[KBS 2TV]], [[MBC TV]], [[SBS TV]] 3개 채널을 오후 방송시간을 17시에서 16시로 변경이 되었다.
** 운전면허학과시험 점수 이상을(1종:80점 이상, 2종:70점) 1종은 70점 이상, 2종은 60점이상으로 변경되었다.
* [[1월 13일]] - 그룹 [[God (음악 그룹)|God]]가 활동을 시작하였다.
* [[1월 30일]] ~ [[2월 6일]] -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춘천시]] 일원에서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제4회 강원 동계 아시안게임]] 개최되었다.
* [[2월 3일]] - [[SBS TV]]에서 [[웨딩피치]]를 방영을 하다.
* [[3월 16일]] - 삼성전자, 세계 최초로 256M D램 양산체체 돌입.ㆍ
* [[3월 20일]] - [[SBS]] 프로덕션 홍진경의 글자+숫자놀이가 출시되다.
* [[4월 15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비스토|비스토]], [[기아 카스타|카스타]] 출시.
* [[4월 20일]] - 8시 40분경, [[이순신]]과 부친 [[이정 (1511년)|이정]], 아내 상주방씨의 묘지에 대한 봉분보수작업을 벌이던 중 칼과 쇠말뚝 발견.
* [[4월 22일]] - [[SBS TV]]에서 [[웨딩피치]]를 종영을 하다.
* [[4월 28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에쿠스|에쿠스]] 출시.
* [[4월 30일]] -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운전면허학과시험이 40문제에서 50문제로 바뀐다고 했고, 운전면허학과시험을 10문제를 늘려서 사지선다형 50문제(1종:70점 이상, 2종:60점 이상)로 변경되었다.
* [[5월 2일]] - [[긴급구조 119]]를 [[KBS 2TV]]에서 마지막 방송을 했고, 99년 봄 개편에 따라 [[긴급구조 119]]가 [[KBS 1TV]]의 채널로 변경이 되었다.
* [[5월 5일]] - 핑클의 나비나비 동요축제가 출시되다.
* [[5월 9일]] - [[긴급구조 119]]가 [[KBS 1TV]]의 채널에서 방송을 오후 18시부터 30분간 방송을 했다.
* [[5월 22일]] - [[SBS]] 프로덕션 최수종의 IQ체조가 출시되다.
* [[6월 2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카렌스|카렌스]] 출시.
* [[6월 8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베르나|베르나]] 출시.(시판은 [[6월 9일|같은 달 9일]])
* [[6월 19일]] - 이탈리아의 [[토리노]]가 [[2006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
* [[6월 25일]] - [[마이클 잭슨]]이 한국에서 '마이클과 친구들' 자선 공연 개최.
* [[6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호포]] ~ [[서면역|서면]] 구간 개통.
* [[7월 2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잠실]]~[[암사역|암사]] 구간이 개통되다.
* [[7월 5일]] - [[여의도공원]]이 개장하다.
* [[7월 14일]] -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및 [[대전교통방송|TBN 대전교통방송]] 개국.
* [[7월 15일]] - [[SBS]] 프로덕션 김현주의 신나는 리듬여행가 출시되다.
* [[7월 30일]]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및 [[대구교통방송|TBN 대구교통방송]] 개국.
* [[8월 12일]] - [[아리랑국제방송]] 해외방송 개국.
* [[8월 24일]] - 제3대 [[천주교 청주교구|천주교 청주교구장]] [[장봉훈]] 주교의 주교 서품식 및 교구장 착좌미사가 거행되다.
* [[8월 25일]] - [[대한민국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이동전화 가입자 2천만 명(국민 2.3명당 1대꼴) 돌파 발표.
* [[8월 27일]] - 미국 [[마이클 존슨 (육상 선수)|마이클 존슨]], 11년 만에 남자 육상400m에서 세계신기록(43초18) 수립.
* [[9월 4일]]
** [[무궁화 3호]] 발사.
** [[한국방송공사]]의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 [[개그콘서트]] 첫방송.
* [[9월 6일]] -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개통.
* [[9월 12일]] - [[세레나 윌리엄스]], 흑인 여성으로 41년 만에 US오픈테니스 첫 우승.
* [[9월 13일]] - [[대한민국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불법 감청에 대한 처벌 강화를 내용으로 한 '전기통신 감청 관련 현황 및 대책' 발표.
* [[9월 18일]] - 일본, [[신칸센 0계 전동차|신칸센 0계]]가 [[도쿄역|도쿄]]발 [[나고야역|나고야]]행 고다마 473호를 마지막으로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완전히 은퇴.
* [[9월 21일]] - 최초의 [[한문]] 소설 《[[금오신화]]》 최고 목판본 중국서 발견.
* [[9월 29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마라톤]] 선수 정성옥, 스페인 [[세비야]] 열린 7회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우승.
* [[10월 1일]]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개항.
* [[10월 6일]]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됨([[박촌역|박촌]] ~ [[동막역|동막]]).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정현 (1980년)|이정현]]이 1집 [[Let's Go to My Star]] 발매 후 데뷔. [[와 (이정현의 노래)|와]], [[바꿔]] 등으로 흥행.
* [[10월 10일]] - [[KBS 1TV]]에서 [[긴급구조 119]]를 종영을 하다.
* [[10월 15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트라제 XG|트라제 XG]] 출시.(시판은 [[10월 18일|같은 달 18일]])
* [[10월 22일]] - [[KBS 2TV]]의 금요 시추에이션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시즌 1)'이 첫방송을 개시하다.
* [[11월 8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리오|리오]] 출시.(시판은 [[11월 10일|같은 달 10일]])
* [[11월 15일]] - [[KBS 2TV]]의 채널이 오전 방송종료 시간을 11시에서 12시로 변경을 하다.
* [[11월 17일]] - [[대한민국]], 200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11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철교 구간([[합정역|합정]]~[[당산역|당산]])이 재개통.
* [[11월 23일]] - 대우자동차(현 [[한국GM]])에서 [[대우 매그너스|매그너스]] 출시.(시판은 [[12월 2일]])
* [[12월 7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귤현역]]이 개통.
== 탄생 ==
{{분류 참고|1999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유진]].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잔루카 스카마카]].
* [[1월 2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정희지]].
* [[1월 3일]] - 스페인의 가수 [[아마이아 로메로]].
* [[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봉재현]]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대한민국의 가수 [[김뮤즈]].
**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영 선수 [[잭 스터블레티쿡]].
** 쿠바의 레슬링 선수 [[가브리엘 로시요]].
* [[1월 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루트 (프로게이머)|루트]].
* [[1월 6일]]
** 러시아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옐레나 라디오노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엄원상]].
* [[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준.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여름 (1999년)|여름]] ([[우주소녀]]).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메이슨 마운트]].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보승]].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신민준]].
** 대한민국의 가수 [[유용하]].
** 대한민국의 배우 [[양현모 (배우)|양현모]].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래퍼 [[양홍원]].
** 대한민국의 가수 [[혜주 (가수)|혜주]].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율리]].
** 대한민국의 가수 [[킴학스]].
* [[1월 14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데클런 라이스]].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이메르송 로얄]].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오세훈 (축구 선수)|오세훈]].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조영재 (사격 선수)|조영재]].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쿠인]].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 (1999년)|김민]].
** 미국의 배우 [[캐런 브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대원 (1999년)|김대원]].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시은 (1999년)|김시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태준 (축구 선수)|박태준]].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유튜브 [[뽀구미]].
* [[1월 22일]]
** 캐나다의 래퍼 [[데이지 (가수)|데이지]] ([[모모랜드]]).
** 아르메니아의 레슬링 선수 [[말하스 아모얀]].
* [[1월 24일]]
** 인도네시아의 싱어송라이터, 음악프로듀서 [[니키 (가수)|니키]].
** 프랑스의 유도 선수 [[시린 부클리]].
* [[1월 25일]]
** 중국의 가수 [[루카스 (가수)|루카스]] ([[NCT (음악 그룹)|NCT]], [[WayV]]).
** 대한민국의 성악가 [[정승원 (성악가)|정승원]].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모델 [[이진이]].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혜성 (야구 선수)|김혜성]].
** 이탈리아의 수영 선수 [[니콜로 마르티넨기]].
* [[1월 28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아베 히로키]].
** 대한민국의 가수 [[다은]].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태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설현준]].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장환.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로치 (프로게이머)|로치]].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강지연.
* [[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도아 (1999년)|벨라]] ([[앨리스 (음악 그룹)|앨리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윤 (야구 선수)|김성윤]].
* [[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가현 ([[드림캐쳐 (음악 그룹)|드림캐쳐]]).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지범]] ([[골든차일드]]).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천우주]].
** 일본의 가수, 배우 [[하시모토 칸나]].
** 대한민국의 유튜버 카운터 (팀샐러드).
* [[2월 4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지스 (프로게이머)|이지스]].
* [[2월 5일]]
** 중국의 가수, 무용가, 배우 [[진쯔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영욱 (축구 선수)|조영욱]].
* [[2월 7일]] - 일본의 배우 [[마츠모토 타마키]].
* [[2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승호 (1999년)|이승호]].
* [[2월 9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왕만위]].
** 대한민국의 가수 산하.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립 (가수)|김립]] ([[이달의 소녀]]).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디노 (가수)|디노]]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우.
* [[2월 15일]] - 일본의 가수 [[오가타 하루나]].
* [[2월 16일]] - 일본의 가수 [[오기노 유카]].
* [[2월 17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테니스 선수 [[앨릭스 디미노어]].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찬의]].
** 대한민국의 성악가 [[이승민 (성악가)|이승민]].
** 독일의 배우 [[레아 판아켄]].
* [[2월 21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미모리 마사키]].
** 태국의 배우 [[메타윈 오파이암카천]].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예하나]] ([[프리스틴]]).
** 대한민국의 모델 [[최미나수]].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현 (1999년)|김동현]]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준하 (축구 선수)|박준하]].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방송인 [[김민지 (1999년)|김민지]].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시훈 (야구 선수)|김시훈]].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라키 (가수)|라키]] ([[아스트로 (음악 그룹)|아스트로]]).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잔루이지 돈나룸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수종 (야구 선수)|박수종]].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성빈 (야구 선수)|윤성빈]].
** 자메이카의 육상 선수 [[로제이 스토나]].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스키점프 선수 [[박규림]].
** 대한민국의 국악인 이지현. (~[[2023년]])
* [[2월 28일]] - 슬로베니아의 농구 선수 [[루카 돈치치]].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비디디 (프로게이머)|비디디]].
* [[3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원희]].
* [[3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보라 (1999년)|보라]] ([[체리블렛]]).
** 대한민국의 가수 [[세림]].
* [[3월 4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변하율]].
* [[3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수민]].
** 대한민국의 가수 [[예리 (가수)|예리]] ([[레드벨벳 (음악 그룹)|레드벨벳]]).
** 대한민국의 래퍼 [[옌자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고재현 (축구 선수)|고재현]].
* [[3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현우 (1999년 3월)|김현우]].
* [[3월 8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최예림.
* [[3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학년]]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보이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정훈 (축구 선수)|최정훈]].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야 (가수)|로야]].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리안]].
* [[3월 12일]] - 일본의 가수 [[오다 사쿠라]].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음악프로듀서 [[RUQOA]].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성준]].
* [[3월 16일]] - 일본의 가수 [[유 (가수)|유]] ([[온앤오프]]).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방송인 [[조명섭]].
** 대한민국의 스켈레톤 선수 [[정승기]].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정 (가수)|수정]].
** 프랑스의 배우 [[노에이 아비타]].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디오구 달로]].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수환 (1999년)|정수환]].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준 (1999년)|이정준]].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윤오]].
** 대한민국의 가수 [[윤호 (가수)|윤호]] ([[에이티즈]]).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정진희]].
** 타지키스탄의 유도 선수 [[소몬 마흐마드베코프]].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지희]].
** 중국의 배우, 모델 [[송웨이롱]].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방재민]].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주향]].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철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오정환 (야구 선수)|오정환]].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이수민 (1999년)|이수민]].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윤 ([[굿데이 (음악 그룹)|굿데이]]).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상우]].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아.
* [[4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소피]].
* [[4월 3일]]
** 대한민국의 래퍼 [[최하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윤종진]].
** 일본의 배우 [[아사카와 나나]].
* [[4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경서 (가수)|경서]].
** 일본의 배우, 전 가수 [[니시노 미키]].
* [[4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수빈 (가수)|정수빈]] ([[빅톤 (음악 그룹)|빅톤]]).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장민희]].
* [[4월 6일]] - 대한민국의 래퍼 [[김농밀]].
* [[4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시아지우]].
* [[4월 9일]]
** 잉글랜드의 배우 [[아이작 헴프스테드라이트]].
** 프랑스의 배우 [[아나마리아 바르톨로메이]].
** 미국의 래퍼 [[릴 나즈 엑스]].
** 대한민국의 성우 [[채림 (성우)|채림]].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이준]].
* [[4월 13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셰퍼 언드라시]].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 (야구 선수)|김민]].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의현]].
** 키르기스스탄의 레슬링 선수 [[아크졸 마흐무도프]].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경 (가수)|서경]] ([[공원소녀]]).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윤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준 (축구 선수)|최준]].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수 (배우)|김희수]].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윤제]].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현]].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현석 (가수)|최현석]].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한주엽]].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래퍼 [[채영 (가수)|채영]] ([[트와이스]]).
** 일본의 배우 [[모로호시 스미레]].
**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우 (가수)|김태우]] ([[원더나인]]).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윤희준.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카린.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승준.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루민취안]].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치훈]] ([[TO1|티오원]]).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세윤 (1999년)|김세윤]].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차영현]].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천소윤]].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가수 [[강태우 (가수)|강태우]] ([[더 맨 블랙]]).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웅.
* [[5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SOFKINNE]].
* [[5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수현 (1999년)|이수현]] ([[악동뮤지션]]).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나은 (가수)|이나은]] ([[에이프릴 (음악 그룹)|에이프릴]]).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저스틴 클라위버르트]].
**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네이선 첸]].
* [[5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시 (가수)|로시]].
** 대한민국의 가수 [[남동현 (가수)|남동현]].
* [[5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사야 (가수)|사야]].
** 일본의 가수 [[사토 마사키]].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코디 학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규 (야구 선수)|김민규]].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나연 (치어리더)|김나연]].
** 대한민국의 가수 [[모리 (가수)|모리]].
** 일본의 축구 선수 [[사카구치 쇼이]].
* [[5월 8일]]
** 브라질의 체조 선수 [[헤베카 안드라지]].
** 대한민국의 가수 가을.
* [[5월 9일]] - 일본의 가수, 배우 [[오하시 노조미]].
* [[5월 11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사브리나 카펜터]].
** 대한민국의 래퍼 [[휘영]] ([[SF9]]).
**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 [[임애지]].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박민지 (배구 선수)|박민지]].
* [[5월 13일]] - 이스라엘의 리듬체조 선수 [[리노이 아슈람]].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영 (1999년)|다영]] ([[우주소녀]]).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정우 (야구 선수)|김정우]].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박소연.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승준 (바둑 기사)|이승준]].
** 중화인민공화국의 체조 선수 [[친하이양]].
* [[5월 18일]] - 벨기에의 가수 [[라우라 옴룹]].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효주.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현우.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연]] ([[프리스틴]]).
** 일본의 야구 선수 [[기요미야 고타로]].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이아 (음악 그룹)|은채]] ([[다이아 (음악 그룹)|다이아]]).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재희 (아나운서)|정재희]].
** 대한민국의 암벽등반 선수 [[신은철 (암벽등반 선수)|신은철]].
** 미국 출신 프랑스의 모델, 배우 [[릴리로즈 뎁]].
* [[5월 28일]]
** 미국의 배우 [[캐머런 보이스]]. (~[[2019년]])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기인 (프로게이머)|기인]].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곽빈]].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박지훈 (가수)|박지훈]].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커버 (프로게이머)|커버]].
* [[5월 30일]]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디 은케티아]].
**중국의 레이싱 드라이버 [[저우관위]].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캐슬제이]] ([[MCND]]).
=== 6월 ===
* [[6월 1일]]
** 미국의 유튜버 [[테크노블레이드]]. (~[[2022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동희 (1999년)|한동희]].
* [[6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현 (1999년)|김소현]].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훈 (1999년생 프로게이머)|훈]].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조연주 (치어리더)|조연주]].
* [[6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드.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예지 (축구 선수)|김예지]].
* [[6월 10일]] - 미국의 농구 선수 [[키아나 스미스]].
* [[6월 11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카이 하베르츠]].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희 (1999년)|김동희]].
* [[6월 14일]]
** 대만의 가수 [[쯔위]] ([[트와이스]]).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민석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김민석]].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유신 (1999년)|김유신]].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더쇼 MC [[여상 (가수)|강여상]] ([[에이티즈]]).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민선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김민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홍현석]].
** 중국 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쉬후이 (축구 선수)|쉬후이]].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현서.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린]] ([[오마이걸]]).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지원 (치어리더)|이지원]].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지.
* [[6월 24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다르윈 누녜스]].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 [[신시아 (프로듀서)|신시아]].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게구리]].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규은]].
* [[6월 28일]]
** 체코의 테니스 선수 [[마르케타 본드로우쇼바]].
** 대한민국의 가수 백지.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서명진]].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혜림]].
=== 7월 ===
* [[7월 1일]] - 중국의 배우 [[린먀오커]].
* [[7월 2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니콜로 차니올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지강]].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은 (1999년)|이지은]].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강민 (1999년)|김강민]].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이예지]].
* [[7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혜원]] ([[아이즈원]]).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황대헌]].
** 대한민국의 유튜버 [[김예빈]].
* [[7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혜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전사민]].
* [[7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연미]].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클리드]].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무사 디아비]].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산 (가수)|산]] ([[에이티즈]]).
* [[7월 11일]] - 태국의 가수, 배우, 모델 [[까오칭천]].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브]].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김지유 (쇼트트랙 선수)|김지유]]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백미카엘]].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너구리 (프로게이머)|너구리]].
* [[7월 18일]] - 미국의 가수 [[윌리 스펜스]]. (~[[2022년]])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김소혜]] ([[아이오아이]]).
* [[7월 20일]] - 미국의 래퍼 [[팝 스모크]]. (~[[2020년]])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동혁]].
* [[7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민성준 (축구 선수)|민성준]].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성호.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유진 (1999년)|오유진]].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당구 선수 김예은.
* [[7월 27일]] - 미국의 펜싱 선수 [[닉 잇킨]].
* [[7월 28일]] - 미국의 래퍼 [[글로릴라]].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백호 (야구 선수)|강백호]] ([[kt위즈]]).
* [[7월 30일]] - 미국의 배우 [[조이 킹]].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주찬]] ([[골든차일드]]).
=== 8월 ===
* [[8월 2일]]
** 캐나다의 가수 [[마크 (1999년)|마크]] ([[NCT (음악 그룹)|NCT]]).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경민 (1999년)|박경민]].
* [[8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연정 (1999년)|연정]] ([[우주소녀]]).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브라힘 디아스]].
* [[8월 4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다혜 (치어리더)|이다혜]].
* [[8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시현 (1999년)|시현]] ([[에버글로우]]).
* [[8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은준|최은준]] ([[AIMERS]], 前 [[스펙트럼 (스펙트럼]]).
** 대한민국의 성우 [[손정민 (성우)|손정민]].
* [[8월 8일]] - 중국의 가수 [[샤오쥔 (1999년)|샤오쥔]] ([[WayV]]).
* [[8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형섭]].
** 대한민국의 가수 [[민기 (가수)|민기]] ([[에이티즈]]).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장혜린]].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창빈 (가수)|창빈]] ([[스트레이 키즈]]).
** 대한민국의 래퍼 [[애쉬 아일랜드]].
* [[8월 12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마테이스 더 리흐트]].
** 대한민국의 가수 [[김민석 (1999년)|김민석]].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혜원.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프란 가르시아]].
** 미국의 배우 [[개릿 라이언]].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안소현.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김민지 (컬링 선수)|김민지]].
** 대한민국의 가수 유림.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지안]].
** 대한민국의 래퍼 [[애쉬 아일랜드]]
** 튀르키예의 태권도 선수 [[하칸 레치베르]].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이 (가수)|주이]] ([[모모랜드]]).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우영 (야구 선수)|정우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상헌 (1999년)|이상헌]].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성웅 (야구 선수)|박성웅]].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 윌록]].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박채원.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병웅]].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타잔 (프로게이머)|타잔]].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훈.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홍은]].
** 대한민국의 가수 이재학.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채정 ([[앨리스 (음악 그룹)|앨리스]]).
** 대한민국의 가수 [[서성혁]]. ([[TAN (음악 그룹)|TAN]])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우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상민 (1999년)|이상민]].
=== 9월 ===
* [[9월 2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에르난지스 호드리게스 다 시우바]].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고은]] ([[퍼플키스]]).
** 인도네시아의 래퍼 [[리치 브라이언]].
** 대한민국의 래퍼 [[칠린호미]].
* [[9월 4일]] - 대한민국의 래퍼 [[시월 (래퍼)|시월]].
* [[9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민 (가수)|강민]].
* [[9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서연 (1999년)|박서연]].
* [[9월 7일]] - 캐나다의 배우, 성우, 가수 [[미셸 크레버]].
* [[9월 9일]]
** 일본의 성우 [[아이자와 사야]].
** 대한민국의 가수 [[문수아]] ([[Billlie|빌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전진우 (축구 선수)|전진우]].
** 대한민국의 성우 [[손정민 (성우)|손정민]].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래퍼 클라우디베이.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광연]].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송민규 (1999년)|송민규]].
** 중국의 가수, 첼리스트 [[런인펑]].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연준 (가수)|연준]]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페드로 포로]].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빛]].
** 일본의 성우 [[요시나가 타쿠토]].
* [[9월 15일]] - 일본의 가수 [[오오와다 나나]].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아리]].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지한 (배구 선수)|김지한]].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지소]].
** 대한민국의 배우 [[조유정 (배우)|조유정]].
** 잉글랜드의 배우 [[대니얼 허틀스톤]].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서연 (배우)|김서연]].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우영 (1999년)|정우영]].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창연]].
** 대한민국의 가수 유하.
** 중국의 가수, 배우 [[왕쥔카이]].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유정 (배우)|김유정]].
** 대한민국의 가수 [[김요한 (가수)|김요한]] ([[위아이]]).
* [[9월 23일]] - 중국의 가수 [[우기]] ([[(여자)아이들]]).
* [[9월 24일]] - 일본의 배우 [[나가노 메이]].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인 (가수)|아인]] ([[모모랜드]]).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현 (1999년)|김진현]].
** 중국의 가수 [[헨드리 (1999년)|헨드리]] ([[WayV]]).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예나]].
** 키르기스스탄의 레슬링 선수 [[졸라만 샤르셴베코프]].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니은.
** 대한민국의 가수 [[리온 (가수)|리온]].
** 프랑스의 유도 선수 [[로만 디코]].
=== 10월 ===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정은]].
* [[10월 5일]]
** 투르크메니스탄의 역도 선수 [[폴리나 구리예바]].
** 대한민국의 가수 지현.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모델 겸 배우 [[남규희 (배우)|남규희]].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자전거 경기 선수 [[김유로]].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박주희.
* [[10월 8일]] - 일본의 배우 [[쿠도 미오]].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골퍼 [[이가영]].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은샘]].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정.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우다비]].
** 대한민국의 가수 [[밍기뉴]].
** 중국의 가수 [[예즈언]].
* [[10월 14일]]
** 잉글랜드의 배우 [[대니얼 로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상준 (축구 선수)|이상준]].
** 중화인민공화국의 테니스 선수 [[우이빙]].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양연제]] ([[엘리스 (음악 그룹)|엘리스]]).
** 웨일스의 축구 선수 [[벤 우드번]].
** 대한민국의 가수 혜성 (ELRIS).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민 (1999년)|제이민]] ([[BAE173]]).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배진수 (축구 선수)|배진수]].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신유정.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민호]].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모델 왕세빈 ([[왕석현]]의 누나).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요.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소현]].
** 대한민국의 가수 [[츄 (가수)|츄]] ([[이달의 소녀]]).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서.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해나.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아.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병헌 (1999년)|이병헌]].
* [[10월 27일]]
** 일본의 가수, 아이돌 [[쿠도 하루카 (가수)|쿠도 하루가]].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권세현 (수영 선수)|권세현]].
* [[10월 28일]]
** 일본의 배우 [[요시카와 아이]].
** 일본의 배우 [[쇼지 코헤이]].
** 대한민국의 가수 [[나히 (가수)|나히]]. (~[[2023년]])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보니.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커즈]].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건호.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우진]] ([[AB6IX]]).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형준 (1999년)|김형준]].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Julie]].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경 (1999년)|유경]] ([[앨리스 (음악 그룹)|엘리스]]).
* [[11월 6일]] - 미국의 수영 선수 [[로버트 핑크 (수영 선수)|로버트 핑크]].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히피쿤다]].
* [[11월 9일]]
** 키르기스탄의 레슬링 선수 [[메림 주마나자로바]].
** 대한민국의 가수 [[수담]].
* [[11월 10일]]
** 미국의 배우 [[키어넌 십카]].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주앙 펠릭스]].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더샤이]].
** 대한민국의 배우 [[로몬]].
** 중국의 가수 [[푸쓰차오]].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유정 (가수)|최유정]] ([[위키미키]]).
** 중국의 가수, 무용가 [[션샤오팅]].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민 (1999년)|김정민]].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즈 프로게이머 [[박성호 (프로게이머)|박성호]].
** 일본의 성우 [[토미타 미유]].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배민서]].
* [[11월 19일]]
**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박준영 (프로게이머)|박준영]].
* [[11월 22일]] - 웨일스의 축구 선수 [[매슈 스미스]].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천재인]].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라원.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영 (가수)|우영]].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븐.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5kid]].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리.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재찬]].
=== 12월 ===
* [[12월 2일]] - 케냐의 육상 선수 [[켈빈 킵툼]]. (~[[2024년]])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미나]] ([[구구단 (음악 그룹)|구구단]]).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도연 (가수)|김도연]] ([[위키미키]]).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타히트 총]].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해리]].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한결]] ([[H&D]]).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이현 (1999년)|조이현]].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리스 제임스]].
** 대한민국의 유튜버, 인터넷 방송인 [[장지수 (인터넷 방송인)|장지수]].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성준 (1999년)|김성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성 (1999년)|김진성]].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소연 (1999년)|박소연]].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타나 (프로게이머)|타나]].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노준현]].
* [[12월 14일]]
** 미국의 배우 [[칼리 스콧 콜린스]].
** 대한민국의 유튜버 덕개.
** 대한민국의 배우 [[안은호]].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윤서빈]].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박은진 (배구 선수)|박은진]].
* [[12월 16일]]
** 미국의 배우 [[브라이스 로빈슨]].
** 일본의 아이돌 [[사카모토 마시로]].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직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정승하]].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류찬열]].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시우 (남자 배우)|이시우]].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김예진 (쇼트트랙 선수)|김예진]].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보름별]].
* [[12월 22일]] - 일본의 성우 [[구스노키 토모리]].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니]].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진수화]].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민재 (1999년)|강민재]].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황휘연]].
* [[12월 30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장클레르 토디보]].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희 (1999년)|소희]] ([[엘리스 (음악 그룹)|엘리스]]).
=== 미상 ===
* 대한민국의 범죄자 [[정유정 (범죄인)|정유정]].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신규리]].
== 사망 ==
[[파일:Hussein of Jordan 1997.jpg|섬네일|120px|후세인 1세]]
[[파일:DiMaggio cropped.jpg|섬네일|120px|조 디마지오]]
[[파일:JFKJr2.jpg|섬네일|120px|존 F. 케네디 주니어]]
[[파일:Hassan II addresses the crowd at Andrews Air Force Base, USA (cropped).jpg|섬네일|120px|하산 2세]]
{{분류 참고|1999년 사망}}
=== 1월 ===
* [[1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 [[엄요섭]]. (1916년~)
* [[1월 2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가 [[백인준 (작가)|백인준]]. (1920년~)
=== 2월 ===
* [[2월 5일]] - 미국의 계량 경제학자 [[바실리 레온티예프]]. (1905년~)
* [[2월 7일]] - 요르단의 국왕 [[후세인 1세]]. (1935년~)
=== 3월 ===
* [[3월 7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스탠리 큐브릭]]. (1928년~)
* [[3월 8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조 디마지오]]. (1914년~)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경옥]]. (1907년~)
* [[3월 11일]] - 일본의 만화가 [[다다 가오루]]. (1960년~)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계훈제]]. (1921년~)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유광준]]. (1932년~)
=== 4월 ===
* [[4월 13일]] - 일본의 수영 선수 [[기요카와 마사지]]. (1913년~)
* [[4월 16일]] - 일본의 야구 선수, 평론가 [[벳토 가오루]]. (1920년~)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서익원]]. (1940년~)
* [[4월 28일]] - 미국의 영화배우 [[로리 칼혼]]. (1922년~)
=== 5월 ===
* [[5월 23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오언 하트]]. (1965년~)
=== 6월 ===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상진 (1977년)|김상진]]. (1977년~)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학원인 [[안현필]]. (1913년~)
=== 7월 ===
* [[7월 16일]]
** 미국의 정치인 [[존 F. 케네디 주니어]]. (1960년~)
** 미국의 패션가 [[캐롤린 베셋케네디]]. (1966년~)
* [[7월 21일]] - 영국, 미국의 광고인 [[데이비드 오길비]]. (1911년~)
* [[7월 23일]] - 모로코의 국왕 [[하산 2세]]. (1929년~)
* [[7월 29일]] - 우크라이나의 오페라 가수 [[아나톨리 솔로비야넨코]]. (1932년~)
=== 8월 ===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목회자 [[곽규석]]. (1928년~)
=== 9월 ===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신윤기]]. (1957년~)
* [[9월 13일]] -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벤저민 블룸]]. (1913년~)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허정구]]. (1911년~)
=== 10월 ===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농구코치 [[김현준 (농구인)|김현준]]. (1960년~)
* [[10월 3일]] - 일본의 기업인 [[모리타 아키오]]. (1921년~)
* [[10월 4일]] - 프랑스의 화가 [[베르나르 뷔페]]. (1928년~)
* [[10월 9일]] - 미국의 재즈연주가 [[밀트 잭슨]]. (1923년~)
* [[10월 11일]] - 네덜란드의 동화작가 [[레오 리오니]]. (1910년~)
* [[10월 12일]] - 미국의 농구 선수 [[윌트 체임벌린]]. (1936년~)
* [[10월 19일]] - 영국의 행정가 [[로버트 블랙]] (1906년~)
=== 11월 ===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성찬 (배우)|김성찬]]. (1954년~)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최무룡]]. (1928년~)
* [[11월 16일]] - 미국의 미생물학자 [[다니엘 네이선스]]. (1928년~)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류찬우]]. (1923년~)
=== 12월 ===
* [[12월 18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로베르 브레송]]. (1901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로버트 먼델]]
* '''문학상''': [[귄터 그라스]]
* '''물리학상''': 헤라드뒤스 엇호프트,마르티뉘스 J. G. 벨트만
* '''생리학 및 의학상''': 권터 블로벨
* '''평화상''': [[국경없는 의사회]]
* '''화학상''': 아흐메드 H. 즈웨일
== 71회 [[아카데미상]] 수상 ==
* '''작품상''': 셰익스피어 인 러브
* '''감독상''': [[스티븐 스필버그]]([[라이언 일병 구하기]])
* '''남우주연상''': [[로베르토 베니니]]([[인생은 아름다워]])
* '''여우주연상''': [[귀네스 팰트로]]([[셰익스피어 인 러브]])
* '''남우조연상''': [[제임스 코번]]([[애플리케이션]])
* '''여우조연상''': [[주디 덴치]]([[셰익스피어 인 러브]])
== 달력 ==
{{연간달력|1999}}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병인]] || 대 || [[2월 16일]] ||[[기해]]
|-
| [[음력 2월|2월]] || [[정묘]] || 소 || [[3월 18일]] || [[기사 (간지)|기사]]
|-
| [[음력 3월|3월]] || [[무진]] || 소 || [[4월 16일]] || [[무술 (간지)|무술]]
|-
| [[음력 4월|4월]] || [[기사 (간지)|기사]] || 대 || [[5월 15일]] || [[정묘]]
|-
| [[음력 5월|5월]] || [[경오]] || 소 || [[6월 14일]] || [[정유 (간지)|정유]]
|-
| [[음력 6월|6월]] || [[신미 (간지)|신미]] || 소 || [[7월 13일]] || [[병인]]
|-
| [[음력 7월|7월]] || [[임신 (간지)|임신]] || 대 || [[8월 11일]] || [[을미]]
|-
| [[음력 8월|8월]] || [[계유]] || 소 || [[9월 10일]] || [[을축]]
|-
| [[음력 9월|9월]] || [[갑술]] || 대 || [[10월 9일]] || [[갑오]]
|-
| [[음력 10월|10월]] || [[을해]] || 대 || [[11월 8일]] || [[갑자]]
|-
| [[음력 11월|11월]] || [[병자]] || 대 || [[12월 8일]] || [[갑오]]
|-
| [[음력 12월|12월]] || [[정축]] || 소 || [[2000년]] [[1월 7일]] || [[갑자]]
|}
{{전거 통제}}
[[분류:1999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중립 필요|날짜=2013-6-1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량 살상 무기}}
{{대량살상무기}}
{{핵무기}}
[[파일: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 North Korea Victory Day-2013 01.jpg|thumb]]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의 大量殺傷武器, {{llang|en|North Korea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면서 국제 문제로 대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보통 '''북핵 문제'''(北核問題)라고 약칭한다. 넓은 범위에서 핵무기 뿐만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한 생화학 무기도 이 문제에 포함된다.
== 핵무기 ==
=== 경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 확산 금지 조약]]에 1985년에 가입했으나 완전한 사찰을 막아 핵개발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 [[황장엽]] 조선노동당 전 비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96년에 파키스탄과 협정을 맺고 우라늄235로 핵무기를 만드는 제조기술을 넘겨받은 뒤 본격적으로 핵무기를 만들기 시작했다"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3년께 연료봉 1800개 중 절반을 재처리했다"고 말했다. 지하 핵실험 준비가 1993년 당시에 완료됐다고 주장했다.
1992년 4월 24일,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동방연구소의 겐나디 추프린 부소장은 시사주간지 모스크바 뉴스 최신호에 기고한 글에서, 최근 기밀해제된 KGB 보고서에서, 소련은 1990년대 초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폭탄을 개발한 것으로 파악했으며, 이를 묵인해왔다고 한다.<ref>北韓 플루토늄 不法매입, 연합뉴스, 1992-04-24</ref>
[[황장엽]]은 1997년 망명 직후 인터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상식화되어 있고 지난 85년 소련 측이 핵개발을 문제 삼자 [[조선노동당]]에서 이를 묵살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계획이 이미 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됐음을 밝혔다.<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7/1985969_19482.html 북한 핵무기 보유 상식화] 1997.7.10 mbc뉴스</ref>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71100209106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7-11&officeId=00020&pageNo=6&printNo=23590&publishType=00010 黃長燁(황장엽)—金德弘(김덕홍) 진술내용 北(북)주민"굶어죽느니 차라리 전쟁을] 1997.7.11 동아일보</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71100329103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7-11&officeId=00032&pageNo=3&printNo=16156&publishType=00010 김정일 남침 후 통일 대통령 야욕 ] 1997.7.11 경향신문</ref> 1985년 당시 소련측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개발을 문제삼은 이 내용은 지난 1994년 러시아 관계자들에게도 나온 이야기였다. 1994년 러시아 국가안보 연구소 블라디미르 쿠마초프 고문에 의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그들 미사일의 사정거리를 늘리기 위해 독자적으로 완성한 발사 차량을 가지고 있으며 소련도 85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음을 알았고 그로 인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던 핵전문가들을 본국으로 송환했다"고 밝혔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21500329101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2-15&officeId=00032&pageNo=1&printNo=15001&publishType=00010 북한은 이미 핵실험 완료] 1994.2.15 경향신문</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21500289102009&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4-02-15&officeId=00028&pageNo=2&printNo=1815&publishType=00010 북한에 핵탄두 보유] 1994.2.16 한겨레신문</ref>
[[1994년]] [[7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이미 [[핵무기]]를 5개나 보유하고 있으며 핵무기를 5개나 더 개발한 뒤 이를 국제사회에 발표하고 미국에 알릴 예정이라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탈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 교원 강명도씨와 김일성대학 상급교원 조명철씨가 귀순기자회견에서 밝혀 큰 충격을 안겼다.
그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탄두개발과 함께 핵탄두를 탑재할 로켓개발에 열중하고 양산체제로 들어갈 것이며 심각한 경제난과 식량난을 타개할 방법은 핵무기의 완성뿐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핵무기 5개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충분하지 않으며 공개될 경우 국제적 압력으로 더 이상의 핵개발이 불가능해질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4/1934545_19434.html 강명도.조명철 귀순, 북한 핵탄두 5개 보유하고 있다고 밝혀 충격] 1994.7.27 mbc뉴스</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권력 3위인 강성산 정무원총리의 사위인 강명도씨는 김정일 체제에 대한 학자적인 반감이 귀순동기라고 밝혔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800329101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8&officeId=00032&pageNo=1&printNo=15154&publishType=00010 북한 핵무기 5개 보유] 1994.7.28 경향신문</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800209101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8&officeId=00020&pageNo=1&printNo=22583&publishType=00010 북한 핵무기 5개 보유하고 있다] 1994.7.28 동아일보</ref>
이러한 강씨의 회견에서 국내 언론들은 믿을 수 없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900099102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9&officeId=00009&pageNo=2&printNo=8828&publishType=00010 믿기 어렵겠지만 신중한 확인 필요] 1994.7.29 매일경제뉴스</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5개나 보유한 것이 가능한가<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900329103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9&officeId=00032&pageNo=3&printNo=15155&publishType=00010 북한 핵무기 5개 보유 가능한가 ] 1994.7.29 경향신문</ref>라는 반응을 보였고 미국과 일본도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4/1934634_19434.html 미국과 일본 IAEA, 강명도씨의 회견 내용에 당혹]1994.7.27 mbc뉴스</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2900329104012&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4-07-29&officeId=00032&pageNo=4&printNo=15155&publishType=00010 북한 핵무기 보유 해외반응] 1994.7.29 경향신문</ref>
당시 월리엄 페리 미국 국방장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무기를 1개~2개즈음 보유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발표하고<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4/1934636_19434.html 페리 국방장관 발언] 1994.7.30 mbc뉴스</ref> 미국 PBS와의 인터뷰에서도 이같이 밝혔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73000209101008&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7-30&officeId=00020&pageNo=1&printNo=22585&publishType=00010 북한 핵무기 1-2개가량 보유 추정되] 1994.7.30 동아일보</ref>
당시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개발에 대해서 미국 정부는 아주 단호하고도 강경한 입장을 취하겠다고 경고하면서 결코 묵인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이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무기를 손에 쥐면 이를 써버릴 위험이 높은 정권이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은 엄청난 악몽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클린턴 대통령은 머지않아 이란과 이라크가 핵 개발에 성공해 미국에 대항할 것이라는 느낌을 갖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이 최악의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개발의 가능성만 보이더라도 곧 일본이 재무장을 하게 돼 이 지역의 안정이 크게 위험해 지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3/1757126_19418.html 미국 클린턴 대통령, 북한의 핵개발 강력 경고] 1993.7.3 mbc 뉴스</ref> [[클린턴]]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을 개발해 사용하려 한다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후가 될 것이다"라며 강력 경고했다.<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3/1757392_19418.html 클린턴 대통령 북한 핵개발 경고 발언] 1993.7.10 mbc뉴스</ref>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 확산 금지 조약]]을 탈퇴할 것이라 공언하는데, 이를 1차 북핵 위기라고 부른다. 이 위기는 1994년 북미 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는 대가로 미국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핵무기를 이용한 공격을 하지 않는 공식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하며, 북미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고, 핵발전소의 대체수단인 [[경수로]] 발전소 제공 하며, 핵발전소를 중지하는 조건으로 대체 에너지인 중유를 제공 한다는 조건의 [[제네바 합의]]로 잠정 해소 되었다.
그러나, [[미국 공화당]]은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합의는 [[공산국가]]와의 회의책이라며 반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경수로]] 발전소 지원을 위한 자금 지원을 [[미국 의회]]는 불허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pbs.org/wgbh/pages/frontline/shows/kim/interviews/gallucci.html |title=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obert gallucci |publisher=PBS |date= |accessdate=2009-06-09|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090528211359/http://www.pbs.org/wgbh/pages/frontline/shows/kim/interviews/gallucci.html| archivedate= 28 May 2009 <!--DASHBot-->| url-status= live}}</ref> 제네바 합의의 핵심 이행 사항인 경수로 발전소 걸설 지연에 대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지속 항의를 하였다. 당시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낸 미국 [[클린턴]] 행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경수로 프로젝트가 마쳐 지기 전에 붕괴 될 것을 예상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권이 붕괴전까지 핵 개발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합의를 하였다고 실토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s://www.washingtonpost.com/wp-dyn/content/article/2005/07/12/AR2005071200220.html |title=South Korea Offers To Supply Energy if North Gives Up Arms |publisher=Washingtonpost.com |date=2005-07-13 |accessdate=2009-06-09 | first=Glenn | last=Kessler}}</ref> 미국이 경수로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지 않았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원자로 가동을 8년 간을 중지할 수 있었으며, 2002년 영변 원자로 재가동과 다음 해 [[핵 확산 금지 조약]]의 탈퇴로 제네바 합의는 파기되고 2차 북핵 위기를 맞는다..이후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국제사회의 비난과 제재에도 독자적으로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2006년 10월 9일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의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핵 실험]]이 성공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국 지질조사국]]과 일본 지진 당국은 [[릭터 규모|리히터 규모]] 4.2의 지진을 검출하여 북의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2007년]] [[2월 13일]] [[6자 회담|6자회담]]이 진행되어 '2.13합의'가 맺어졌다. 합의 주요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시설 폐쇄, 핵 불능화, 핵사찰 수용, 및 중유 100만톤 상당의 에너지 지원 등이었다. 이로 인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영변의 원자력 발전 냉각탑을 폭파하였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2.13 합의사항은 이행 시한을 넘기고 지켜지지 않았다.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러차례 핵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명박 정부 시기, 박근혜 대통령 임기 초인 2013년에 1차례, 이어서 2016년에 무려 2차례나 진행하였다. 특히, 2016년에는 수소탄 실험 성공 발표에 이어서, 관측하는 기관에 따라 20kt ~ 30Kt까지 추정되는 강력한 핵 실험을 진행하였다.
<nowiki>*</nowiki> 2006년 10월 9일, 1Kt 이하, 초보적 수준의 핵 기폭 장치 실험
<nowiki>*</nowiki> 2009년 5월 29일, 5~10Kt 추정, 핵분열 이용 핵무기 실험
<nowiki>*</nowiki> 2013년 2월 12일, 10~15Kt, 고농축 우라늄 사용 실험
<nowiki>*</nowiki> 2016년 1월 6일, 10~15K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
<nowiki>*</nowiki> 2016년 9월 9일, 15~20Kt 이상유 완성 주장
<nowiki>*</nowiki> 2017년 9월 3일, 102kt~1.5Mt, ICBM 탑재용 수소탄 시험 성공 주장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핵탄두를 탑재할 가능성을 내비쳐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2015년부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SLBM)에 핵탄두가 탑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이유를 경제지원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 대미 수교 협상용으로 보는 시각, 또는 미국을 위협하여 [[한미동맹]]을 폐기하게 만들고 [[주한미군]]을 철수시킴으로써 한반도 [[적화통일]]을 달성하기 위함이라는 시각이 있다.
=== 핵물질 밀수 ===
1992년 4월 2일, 러시아 시사주간지 코메트산트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CIS에서 핵개발에 사용되는 56kg의 플루토늄을 밀반출해갔다는 정보를 방사능물질 전문 밀매업자로부터 직접 입수했다.<ref>北韓 플루토늄 不法매입, 연합뉴스, 1992-04-24</ref> 러시아 [[해외정보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92년에 옛 소련으로부터 핵무기 60개를 생산할 수 있는 56∼200kg의 플루토늄을 밀반입했다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1994년 8월 26일, 독일 수사당국이 지난 5월 플루토늄-239를 숨겨 갖고있다 붙잡힌 무기밀매상 아돌프 예클레에 대한 집중수사를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연계를 보여주는 위임장 등 관련 증거서류를 찾아냈다. 예클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무기급 핵물질 구입을 위해 1억 달러까지 처리할 수 있는 전권 위임장을 소지하고 있었다.<ref>북한, 독일서 핵물질 구입시도 증거 드러나, 연합뉴스, 1994-08-27</ref> 1994년 기준으로, 플루토늄 1kg 당 암시장 거래가가 25만∼30만 달러를 호가하고 있다. 1억 달러면 플루토늄 400kg을 살 수 있다.
199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플루토늄 밀반입 계획은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성은행]]이 유럽의 한 은행계좌를 통해 독일의 중개상에게 보내는 5,000만 달러 송금 명세서가 미국 정보당국에 확인됨으로써 밝혀졌다.
2005년 3월에 김명철이라는 조총련 출신의 사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자가 1980년대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플루토늄을 300kg정도 보유하였다고 주장했다.<ref>북, 수입플루토늄으로 핵무기 제조, 연합뉴스, 2005-03-02</ref>
2017년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플루토늄 보유량은 50kg 정도로 밝혀졌다.<ref>북한 플루토늄 50여kg 보유, 핵폭탄 10개 제조 분량, rfa, 2017-01-17</ref>
=== 핵물질 생산능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무기급 플루토늄 또는 [[농축 우라늄|무기급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 시설 및 추후 예상되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영변 IRT-2000]] - [[경수로]], 전기출력 8MWe, 매년 4 kg의 플루토늄 생산가능
*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 - [[흑연감속로]], 전기출력 5MWe, 매년 5 kg 플루토늄 생산가능
* [[영변 30메가와트 원자로]] - [[경수로]], 전기출력 30MWe, 매년 15 kg의 플루토늄 생산가능, 시험가동중
* [[영변 우라늄 농축 공장]] - [[P2]]형 [[원심분리기]] 4,000개, 매년 80 kg 고농축 우라늄 생산가능
* 영변 50메가와트 원자로 - [[흑연감속로]], 전기출력 50MWe, 매년 50 kg 플루토늄 생산가능, 추가 건설기간 15개월 예상<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328845 “北 플루토늄 폭탄 매년 1개씩 완성…]</ref>
* 태천 200메가와트 원자로 - [[흑연감속로]], 전기출력 200MWe, 매년 200 kg 플루토늄 생산가능, 추가 건설기간 15개월 예상
2013년 기준으로 서방의 전문가들이 고려하는 핵물질 생산시설은 위의 6기이다. 모두 완공되었을 경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매년 274 kg의 플루토늄과 80 kg의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할 것으로 추정된다.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참고로 1945년 히로시마에 투하된 20kt급 원폭]] 1기를 생산하는데 드는 핵물질의 양은 플루토늄 3-6kg, 고농축 우라늄 5-16kg정도이다.
2014년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백서|국방백서는]] 자체 생산한 플루토늄 40여 kg을 보유했다고 추정한다. 현재는 50kg으로 늘었다고 추정된다.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에서 매년 플루토늄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론보도가 자주 바뀌었다. 초기에는 매우 대량의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하다가, 2016년에는 고작 5 kg을 생산할 수 있다는 보도의 흐름이다. 그러나 어떤 보도에서 핵전문가는, 1년간 원전을 가동해 폐연료봉 8천개를 재처리하면, "아무리 적어도 최소한" 핵폭탄 하나는 분명히 만든다는 뉘앙스로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핵폭탄 하나에 5-7 kg 정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른 보도들의 5 kg 추출론은 이 보도가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즉 과학적으로 정밀하게 계산하여 추측한 "최대" 생산량이 아니라, 아무리 적어도 최소한 핵폭탄 한발은 만들지 않겠느냐는 전문가의 말을 와전하여, 최대한 5 kg 추출이 가능하다고 보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NRDC]]는 고급기술일 경우 플루토늄 1 kg이면 핵출력 1 kt인 핵분열탄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ref>Thomas Cochran, The Amount of Plutonium and Highly Enriched Uranium Needed for Pure Fission Nuclear Weapons, Natural Resources Defence Council(NRDC), 1994</ref> [[AGM-69 SRAM]]의 [[W69]] 핵탄두는 핵분열탄시 17 kt, 핵융합탄시 210 kt으로 12.35배 핵출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즉, 고급기술일 경우 플루토늄 1 kg이면 핵출력 1 kt인 핵분열탄을 만들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핵출력 12.35 kt 수소폭탄을 만들 수 있다.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위협감소국]](DTRA)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0kt급 핵폭탄을 [[서울]]에 투하할 경우 최소 18만 명의 사망자와 16만 명의 부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ref>日히로시마 원폭보다 위력 작은 소형급, 2006-10-10</ref>
=== 플루토늄 보유량 ===
1992년 4월 러시아 시사주간지 [[코메트산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CIS]]에서 핵개발에 사용되는 56kg의 [[플루토늄|플루토늄을]] [[밀수|밀반출해갔다는]] 정보를 밀매업자로부터 직접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미사일|핵미사일]] 분해 작업을 하는 일부 러시아 장교들이 [[방사능 오염|방사능 물질을]] kg당 5만 루블에 밀매하고 있으며, 밀수출업자들은 이를 해외에서 kg당 75만달러에 되판다. 고철을 실은 차량과 철도편으로 수송되고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최근 2개월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국경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들어간 플루토늄은 56kg에 이르고 있다고 보도했다.<ref>북,플루토늄 밀반입/CIS서 최근 두달새 56kg/러시아지 보도, 동아일보, 1992-04-25</ref>
2005년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지난 2003년에 4,600여개의 폐연료봉을 재처리해 20~24kg의 플루토늄을 추출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f>“북, 우라늄농축 성공 못한듯 플루토늄은 20~24㎏ 추가추출”국정원 국회정보위에 보고, 한겨레, 2005.02.25</ref> 8,000개 재처리시 41kg라는 의미이다.
2006년 국정원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폐연료봉 2,500개를 재처리했을 경우 추출가능한 플루토늄 량이 25∼30㎏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ref>국정원의 '북한 핵보유'평가 / 폐연료봉 800개중 2500개 재처리, 문화일보, 2005.02.16</ref> 8,000개 재처리시 96kg이란 의미이다.
2003년 합참 전략기획본부의 신재곤 전략분석과장(육군 대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방사화학실험실을 가동해 제네바 합의 이후 보관중인 폐연료봉 8,000개(50t)를 재처리한다면 4∼5개월 안에 핵무기 3∼5개 제조분량의 고순도 플루토늄 24∼32kg을 추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ref>“北, 10년간 우라늄탄 개발 심혈”…합참간부 첫 공개, 국민일보, 2003.07.07</ref>
2016년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가 완전히 가동되면 해마다 6kg의 플루토늄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ref>한국 정부, 북한 플루토늄 재처리 움직임에 "심각한 우려", VOA, 2016.06.08</ref>
2016년 [[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통상 5MW 원자로에 연료봉 8,000개가 들어가니까 많이 처리하면 (매년) 플루토늄을 10 kg까지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f>美 "北, 플루토늄 생산 재개"…정부 "한미간 긴밀 공조", 매일경제, 2016-06-08</ref>
2016년 8월 22일, 미국 [[ISIS]]는 [[IAEA]] 보고서 등을 인용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16년 올해 재처리를 통해 추출한 플루토늄의 양을 5.5∼8㎏으로 추정했다.<ref>"북 영변 핵단지 플루토늄 추출작업 종료된 듯" 미 ISIS, 뉴시스, 2016-09-21</ref>
===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 ===
2001년 8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카자흐스탄]] [[우스티 카메노고르스크]]의 우브 공장과 [[세미팔라틴스크]]의 아크좌일라우 공장 등지에서 제조한 고농축우라늄 32㎏을 수입했다.<ref>北, 카자흐서 우라늄 극비 구입, 동아일보, 2002-11-08</ref>
1994년 이후 매년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로부터 핵물질과 핵기술을 수입했으며, 2002년까지 핵무기 10개 분량의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수입했다. 세계일보가 카자흐스탄 고위 관계자로부터 러시아어로 된 A4용지 4쪽의 극비 보고서를 단독 입수했으며, 우즈베키스탄 주재 한국 대사관을 통해 한국과 미국 정부에도 전달되었다.<ref>北, 카자흐서 우라늄 극비반입, 세계일보, 2002-11-08</ref><ref>'北, 核물질 구매보고서' 충격 / "작년에만 우라늄 32kg 반입", 세계일보, 2002-11-08</ref> 당시에는 HEU 25 kg이 20 kt 핵폭탄 한발로 계산했기 때문에, HEU 250 kg으로 추정된다.
2017년 7월, 미국 국방정보국([[DIA]])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고농축우라늄(HEU) 758 kg과 플루토늄 54 kg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ref>미 국방정보국 "북, 핵무기 60개 만들 고농축우라늄 보유", 중앙일보, 2017-08-09</ref>
=== 소형화 기술 ===
미국 [[국방정보국]](DIA) 국장은, 핵 무기를 500㎏ 이하로 소형화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포동 2호]] 미사일에 핵 탄두를 탑재할 능력을 갖춰 미국 본토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1&article_id=0000107818§ion_id=110&menu_id=110|제목=<포럼>`北 핵능력` 과소평가 말아야|출판사=문화일보|날짜=2005-05-24|확인날짜=2006-03-0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41015081851/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보존날짜=2004-10-15|url-status=dead}}</ref>
[[2003년]] 리비아가 비핵화를 선언하면서, 중국어로 된 소형 핵탄두 설계도가 발견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중국산 소형 핵탄두 설계도를 입수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리비아 관리들은 미국 조사관들에게 국제 핵무기 암시장의 일원인 중개상으로부터 5,000만 달러를 주고 이 중국어로 된 소형 핵탄두 설계도를 구입했다고 밝혔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0&aid=0000001147]</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탄두 소형화가 상당히 진전되고 있는 게 아니라 이미 소형 핵탄두를 만든 상태라는 의견도 있다.
=== 투발 체계 ===
핵 개발 초기 단계에 이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70mm 장사정포(사정거리 53km), FROG-5/7 지대지 로켓(사정거리 55-70km), SCUD-B/C형 미사일(사정거리 300-500km), 노동, 대포동 미사일(사정거리 1,300km 이상)과 각종 폭격기 등의 다양한 잠재적 핵 투발수단을 보유한 상태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433159 <北핵실험> 軍, 핵전 대비태세 점검 착수] 연합뉴스 2006-10-11</ref> 이에 더 나아가 수 차례의 인공위성 발사 시험을 통해 대륙간 탄도 미사일인 [[KN-08]](화성 12호)의 성능 개량을 추진해왔다.
Mars-12는 2017년 5월 14일 시험되었으며, 2111.5km의 정점을 가지며 787km 떨어진 곳에 상륙했다.<ref>http://www.usfk.mil/Media/Press-Releases/Article/1182085/us-pacific-command-detects-tracks-north-korean-missile-launch/</ref>2017년 9월 15일 시험에서 3,700km의 비행 거리를 보였습니다.<ref>2017년 9월 15일 시험에서 3700km의 비행 거리를 보였습니다.</ref>
잠수함은 발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 북극성 1 호는 2016년 8월 24일 높은 각도로 550km 떨어진 곳에서 착륙했다.<ref>https://www.reuters.com/article/us-northkorea-missiles-idUSKCN10Y2B0</ref><ref>http://english.yonhapnews.co.kr/national/2016/08/24/35/0301000000AEN20160824009552315F.html</ref><ref>http://allthingsnuclear.org/dwright/range-of-the-north-korean-kn-11-sub-launched-missile</ref>
2017년 7월 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 화성-14형 발사에 성공하였다고 발표하였다.<ref name=20170704test>{{뉴스 인용 |title=北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4형 발사 성공" 발표(종합)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7/04/0200000000AKR20170704143853014.HTML |work=연합뉴스 |date=2017-07-04}}</ref> 이 날 시험 발사는 최대 고각발사 체제로 진행되었고, 미사일은 정점고도 2,802km를 찍고 933km를 비행하였다고 알려졌다.<ref name=20170704test/>또 다른 미사일 시험은 2017년 7월 28일에 수행되었다.이 미사일은 3,700km의 최고점을 갖고 998km에 상륙했다.<ref>https://www.defense.gov/News/Article/Article/1261474/pentagon-spokesman-comments-on-north-korean-missile-launch/</ref><ref>https://www.inverse.com/article/34804-north-korea-missile-test-night-launch</ref> 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은 북아메리카 본토를 공격할 수 있다.<ref>https://missilethreat.csis.org/missile/hwasong-14/</ref>
그리고 [[2017년]] [[11월 29일]] 새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사정거리 13,000km에 달하는 [[화성 15호]] 미사일을 발사하여 [[미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2018년 2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건군절 열병식에서 [[화성 14호]]과 [[화성 15호]] 미사일을 등장시켜 미국에 대한 타격 위협능력을 보여주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6&aid=0010543675 北 건군절 열병식…화성-14,15형 등장] 2018.2.9 KBS뉴스</ref>
===보유량===
2004년 10월, 미 [[랜드 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박사는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최근 발간한 영문저널 'The Korea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04년 가을호에 기고한 연구보고서에서 [[러시아 해외정보국]] 보고서를 인용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2년 옛소련으로부터 핵무기 60개를 생산할 수 있는 56∼200㎏가량의 플루토늄을 밀반입했다고 밝혔다.<ref>"북, 군장비로 탐지힘든 화학물질 보유", 연합뉴스, 2004.10.06.</ref>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플루토늄 5 kg 이면 100 kt 수소폭탄 한 발을 제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 계산이면, 플루토늄 200 kg이면 100 kt 수소폭탄 40발이다.
구소련으로부터 밀반입한 것을 제외하고, 한국 정부는 2016년 말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농축우라늄(HEU) 보유량을 758㎏, 플루토늄 보유량을 54㎏으로 추정했다. 최대 60기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이다.<ref>"北 홍수로 구룡강 범람, 영변 핵단지 피해본 듯" 38노스, 위성사진 공개, 중앙일보, 2020.08.13.</ref>
그러나, 정부나 언론의 핵무기 수량은 계산방법에 있어서 문제가 좀 있다. 구소련 밀반입 200 kg을 더하면, 플루토늄 254 kg이다. 서균렬 교수의 5 kg으로 100 kt 수소폭탄 한발을 고려하면, 플루토늄 254 kg으로 100 kt 수소폭탄 50발을 만들 수 있다. HEU는 보통 플루토늄 보다 2배 정도 더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HEU 758 kg이면 100 kt 수소폭탄 75발이다. 따라서 2016년 한국 정부가 평가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HEU, 플루토늄 보유량이면, 100 kt 수소폭탄 125발이라고 계산할 수 있다.
2015년 2월 25일, 미국 존스홉킨슨대 초빙연구원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 교수는 2015년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한 핵무기 규모가 10~16개에 달한다는 전제하에, 2020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개발 예측 경로를 저성장·중간성장·고성장 시나리오로 나눠 예측했다.
*저성장: 2020년까지 평균 폭발력 10kt, 핵무기 20개
*중간성장: 2020년까지 평균 폭발력 10~20kt, 핵무기 50개
*고성장: 2020년까지 평균 폭발력 20kt 이상, 핵무기 100개
2020년 7월 30일, 미국과 러시아가 합의한 새로운 핵무기 계산 모델이 나왔다. 세계 안보 전문 월간지 [[제인스 인텔리전스 리뷰]](JIR) 최신호에 실릴 예정인 새로운 핵무기 계산법은 미국 전 에너지부 핵무기 엔지니어 [[로버트 켈리]]와 러시아의 핵물리학자 [[비탈리 페드첸코]]가 설계했다. 이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고농축 우라늄을 수소폭탄 제조에 쓰고 있다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가진 핵무기는 10~20개 정도일 것"이라고 했다. 이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이 추정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보유 핵탄두 60개의 3분의 1 이하다.
2020년 8월 18일, 미국 국방부 육군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술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는 20∼60개며, 매년 6개를 새로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올해 안에 핵무기를 최대 100개까지 보유할 수 있다는 보고도 나왔다고 덧붙였다. 조엘 위트 교수의 2015년 보고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 화학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과 러시아 다음으로 대규모의 화학 무기를 보유한 세계 3위의 화학 무기 국가이며,
<ref>{{웹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25/2017022500201.html?Dep0=twitter&d=2017022500201|제목=北은 세계 3위 화학무기 강국… "VX스커드 1발 서울 떨어지면 12만명 살상 (유용원 군사 세계)|출판사=조선 일보|날짜=2017-02-25|확인날짜=2017-08-12|archive-date=2017-08-12|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812060317/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25/2017022500201.html?Dep0=twitter&d=2017022500201|url-status=dead}}</ref> 살상 무기인 신경 작용제 VX를 포함하여 최소한 2,500 ~ 5,000 톤의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etnews.com/20170224000309 |제목= VX 신경 작용제등 北은 최대 5000 톤의 화학 무기 보유 |출판사= 전자 신문 |날짜=2017-02-24}}</ref>
{| class="wikitable"
|-
!생화학 무기 종류
! 화학 비축량
|-
| Phosgene || 파악 불가
|-
| Diphosgene || 파악 불가
|-
| Mustard || 1,000t 이상
|-
| Lewisite || 파악 불가
|-
| Phosgene oxime || 파악 불가
|-
| Sarin (GB) || 1,000t 이상
|-
| Tabun (GA) || 파악 불가
|-
| Soman (GD) || 파악 불가
|-
| Adamsite (DM) || 파악 불가
|-
| VX || 145t 이상
|}
== 생물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탄저균]], [[장티푸스]], [[이질]], [[콜레라]], [[페스트]], [[브루셀라증]], [[야토병]], [[발진티푸스]], [[천연두]], [[유행성출혈열]], [[황열병]], [[보툴리눔 독소]], [[트리코테신|황우 독소]] 등 13종의 균체를 10여개 시설에서 최대 5,000톤가량 보유하고 있다.
[[탄저균]] 100 kg을 대도시 상공 위로 저공비행하면서 살포하면 100~300만 명이 사망할 수 있으며, 이는 1메가톤(Mt)의 [[수소폭탄]]에 맞먹는 살상 규모이다.<ref>“탄저균 100㎏ 살포시 최대 300만명 사망”주한미군 탄저균 실험 왜했나 의구심 증폭, 국민일보, 2015-05-28</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4년부터 [[미생물연구소]]를 설립운영하면서 탄저균, 천연두, 페스트, 콜레라, 보툴리늄 독소는 무기화가 완료되었으며, 실제 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생물학무기는 [[탄저병]]과 [[천연두]]로 알려졌다. 미국 [[랜드연구소]] [[브루스 베넷]] 박사는 "맑은 밤 30km<sup>2</sup> 면적인 서울 지역에 탄저균 10kg을 살포했을 경우 최고 90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고 본다.<ref>北 화학무기 1000톤, 한반도 4천만 살상 가능, 뉴스한국, 2010-10-14</ref>
== 중국의 역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미사일 개발에는 중국이 매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1991년 7월 북조선이 중국 [[감숙성]] [[은천 미사일 기지]]에서 사정거리 800km의 중거리 다탄두([[MIRV]]) 탄도 미사일을 시험발사하는데 성공했다. 중국의 원조로 개발한 것으로서, 발사시설은 중국이 대여했다. 북조선은 1988년 이후 90명의 과학자를 은천 핵로켓기지에 파견, 중국으로부터 핵실험 기술 및 미사일발사 기술을 배웠다. 미사일 실험을 성공한 것으로 보아 핵실험 기술 습득도 완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거리 미사일 개발을 위해 230명의 육해공군 무기 전문가들을 중국 [[랴오둥반도|요동반도]] [[다롄]]에 있는 [[다롄 해군 기지]]에 파견해 연수중이라고 일본 월간 [[센타쿠]]지가 1991년 12월 6일 보도했다.<ref>북한,중국서 다탄두미사일 실험/사정 8백km 중거리용, 서울신문, 1991-12-07</ref>
1992년 4월 러시아 시사주간지 [[코메트산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CIS]]에서 핵개발에 사용되는 56kg의 [[플루토늄|플루토늄을]] [[밀수|밀반출해갔다는]] 정보를 밀매업자로부터 직접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미사일|핵미사일]] 분해 작업을 하는 일부 러시아 장교들이 [[방사능 오염|방사능 물질을]] kg당 5만 루블에 밀매하고 있으며, 밀수출업자들은 이를 해외에서 kg당 75만달러에 되판다. 고철을 실은 차량과 철도편으로 수송되고 있으며, 이런 방식으로 최근 2개월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국경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들어간 플루토늄은 56kg에 이르고 있다고 보도했다.<ref>북,플루토늄 밀반입/CIS서 최근 두달새 56kg/러시아지 보도, 동아일보, 1992-04-25</ref>
북조선은 그동안 [[리비아]]에서 발견된 중국 [[DF-2]] 핵미사일의 핵탄두 설계도를 입수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대니 B. 스틸먼]]은 저서 The Nuclear Express에서, ‘중국의 친구들’이 북조선은 중국의 CHIC-4 설계도를 개량한 것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하였다고 소개하였다.<ref>[조갑제 칼럼]모든게 명백해졌다, 中-北 짜고치는 사기쇼!, 뉴데일리, 2010.11.29</ref> 중국 [[DF-2]] 핵미사일의 CHIC-4 핵탄두는 폭발력 12 kT, 무게 1,500 kg이다.
[[신의주]]와 [[단둥]]은 [[압록강 철교]]로 이어져 있는데, 이 다리를 통해 트럭으로 수많은 미사일 부품, 핵무기 부품이 수출입 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리팡웨이 ===
[[리팡웨이]]는 1972년생 중국인 비밀무기상이다. FBI 홈페이지에 500만 달러의 현상수배범으로 올라와 있다. 미국은 중국에 리팡웨이 신병인도를 요청했지만 중국이 거부했다. [[이란국방산업기구]](DIO), 방산기업인 [[샤히드 헤마트 산업그룹]](SHIG), 샤히드 바게리 산업그룹(SBIG)에 첨단 무기 부품을 수출했다.
단순한 무기중개상이 아니라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같은 첨단 미사일 부품들을 직접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다롄]]에 본사를 둔 [[림트]](LIMMT)라는 회사가 12개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이란에 최첨단 미사일 부품과 핵개발 부품을 판매중인데, [[로버트 아인혼]] 전 미 국무부 비확산·군축담당 차관보가 "칸 박사 다음가는 거물"이라고 말한다.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1990년대 이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핵개발 부품을 판매했다.
리팡웨이는 이란에만 최첨단 미사일 부품과 핵개발 부품을 판매하고 있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관련되어 있다는 명백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상당히 의심받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북한제재위원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은 2012년 6월 공개한 보고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법 화물이 중국 다롄항으로 운반돼 다른 배에 옮겨 실린 뒤 이란으로 이동한다고 지적했다. 다롄은 리팡웨이의 본거지이다.
리팡웨이의 조부가 한국전쟁 당시 인민해방군 대령으로 참전했다고 한다. 고위 장교의 자손들이 계속 관련 공직에 채용되는게 전세계의 일반적인 관행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리팡웨이가 [[중국 국가안전부]]의 비밀요원일 수도 있다는 추측을 하게 한다.
이런 리팡웨이의 장기간의 대규모 무기 밀매와, 미국 정부의 신병인도 요청 거부 등은, 중국 정부가 이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개발과 핵개발 지원과 관련되어 있다는 의심을 하기에 가능한 정황 증거들로 여겨진다.<ref>[안보] 중국 비밀무기상 리팡웨이를 잡아라, 주간동아, 2016-02-24</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무수단 미사일]] 19발을 다렌항에서 이란 화물선으로 환적하는 방식으로, 이란에 수출했다.
2018년 5월, [[북미 정상회담]] 직전에, 김정은이 다롄을 방문,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김정은이 리팡웨이를 직접 만나야 할 만큼 중요한 무기밀매 계약을 하러 갔다는 것을 충분히 의심할 수 있다.
== 국제적 대응 ==
2017년 9월 9일, 독일 [[앙겔라 메르켈]] 수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문제 해결에 이란식의 타결을 제안하며 유럽의 국가 중 독일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ref>{{웹 인용 | 제목=Merkel offers German role in Iran-style nuclear talks with North Korea | url=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7/sep/10/merkel-backs-iran-style-diplomatic-solution-for-north-korea |출판사=theguardian |날짜=2017년 9월 10일 |확인날짜=2018년 2월 19일}}</ref>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헨리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과 2017년 10월 10일 백악관에서 중국과 협상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책을 논의하였으며, 제임스 메티스 미국 국방장관과 항공모함 준비 상태 확인과 휴전선 인근의 서울 시민의 인명살상을 최소화하는 군사적 옵션도 논의하였다.
== 연표 ==
* [[1953년]] 3월 소련과 원자력 평화적 이용 협정 체결<ref>{{웹 인용|url=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430754|제목=<北핵실험> 북핵관련 주요일지|출판사=연합뉴스|날짜=2006-10-09}}</ref>
* [[1962년]] [[녕변 원자력 연구소|영변 원자력 연구소]] 설치
* [[1963년]] 6월 소형 연구용 원자로(IRT-2000)를 소련에서 도입
* [[1974년]] 9월 [[국제 원자력 기구]](IAEA) 가입
* [[1985년]] [[핵 확산 금지 조약]](NPT)에 가입
* [[1991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이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에 합의
* [[1992년]] IAEA와 원자력 설비시설의 감찰에 관한 특별조약 체결
* 1992년 4월 24일, 최근 기밀해제된 KGB 보고서, 소련은 1990년대 초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폭탄을 개발한 것으로 파악했으며 이를 묵인해왔다.
* [[1993년]] [[IAEA]]의 영변 원자력 발전소 감찰 요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으로부터 거부
* [[1993년]] [[3월 12일]] [[한미연합훈련|한미연합군사훈련]] 재개를 이유로 [[NPT]] 탈퇴 선언. [[1차 북핵위기]]
* 1994년 7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폭탄 5개를 보유중이라고 [[김일성 대학교]] [[조명철]] 교수가 귀순 기자회견
* [[1994년]] [[제네바 합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간에 [[핵무기]] 개발에 관한 특별계약)
* [[1995년]] 국제 원자력 기구측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협정 재시도
* [[1997년]] 국제 원자력 기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협조부실에 비판
* [[2000년]] 미국의 핵무기 전문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하 원자력 시설 감찰 결과 핵무기 생산에 필요한 시설이 없음 보고
* [[2002년]] 핵무기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 이에 따라 미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석유원조 중지시킴. [[2차 북핵위기]]
* [[2003년]] [[NPT]]에서 탈퇴
* [[2004년]] 중국의 중재로 6개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미국]], [[러시아]], [[일본]]) [[6자 회담|핵무기 분쟁 회담]].
* [[2005년]] [[2월 10일]] [[핵무기]] 보유 선언
* [[2005년]] [[9월 19일]] [[6자회담]]에서 [[9.19 공동성명]] 채택
* [[2005년]] 방코델타아시아(BDA)를 이용한 [[미합중국]]의 대북 금융제재
* [[2006년]] [[7월 5일]] [[대포동 2호]] 미사일 발사
* [[2006년]] [[10월 9일]]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1차 핵 실험]]을 강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핵 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날 오전 10시35분께 [[함경북도]] [[화대리]] 지역에서 [[진도 (지진)|진도]] 3.58에서 3.7 규모의 [[지진파]]를 감지했다고 밝혔다.
* [[2007년]] [[2월 13일]] [[2.13 합의]]
* [[2008년]] 8월 영변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 폭파
* [[2008년]] 8월 플루토늄 양 불일치 논란, 핵불능화 철회
* [[2009년]] [[5월 25일]]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2차 핵 실험]]을 강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날 오전 9시 54분,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핵 실험을 실시한 후, 같은 날 12시에 조선중앙통신사 보도를 통해 핵 실험을 성공적으로 보도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날 단거리 미사일 3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 [[2011년]] 12월 북미 잠정합의
*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 [[2012년]] 3월 [[은하 3호]] 미사일 발사
* 2013년 2월 -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3차 핵 실험]] 강행
* [[2016년]] [[1월 6일]]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4차 핵 실험]] 강행
* [[2016년]] 2월 [[광명성 4호]] 미사일 발사
* [[2016년]] [[9월 9일]] [[201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5차 핵 실험]] 강행
* [[2017년]] [[9월 3일]]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6차 핵 실험]] 강행
* [[2018년]] [[4월 21일]] 핵-미사일 실험 중단 및 핵 실험장 폐기 선언
== 같이 보기 ==
* [[풍계리 핵 실험장]]
* [[6자 회담]]
* [[그랜드바겐]]
* [[한국전쟁]]
* [[한국휴전협정]]
* [[북미평화협정]]
* [[한국의 재통일]]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2016년 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201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KN 미사일 시리즈]]
* [[이란의 대량 살상무기]]
* [[이란 핵협정 프레임 워크]] (이란 비핵화 협상을 위한 예비 기본 협정)
* [[포괄적 공동행동계획]] (이란 비핵화를 위한 이란에 대한 인류 최초의 비핵화 협정)
* [[이란의 핵프로그램에 대한 시각]] - (이란의 핵 개발의 정당성에 대한 이란과 국제적인 시각)
* [[이란 핵협정의 협상 과정]]- (1년 6개월에 걸친 이란 비핵화를 위한 핵협정 과정)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https://web.archive.org/web/20040402090647/http://cns.miis.edu/research/korea/ CNS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무기 분쟁에 관한 분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제}}
[[분류:나라별 대량살상무기]]
[[분류:북핵문제| ]]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분류:남북 관계]]
[[분류:핵무기 개발 계획]]
[[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2-5-11}}
[[파일:NPT parties.svg|섬네일|450px|국가별 조약인준
{{범례|#5050ff|핵보유를 인정하는 국가1}}
{{범례|#000080|핵보유를 인정하는 국가2}}
{{범례|#00aa00|핵 확산 금지에 찬성하는 국가1}}
{{범례|#008000|핵 확산 금지에 찬성하는 국가2}}
{{범례|#FFA500|탈퇴 국가}}
{{범례|#ff1111|조약 비준을 하지 않은 국가}}
{{범례|#eeee00|중화민국 - 사유로 인한 미가입}}]]
'''핵무기의 비확산에 관한 조약'''(核武器-非擴散-關-條約,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약칭 '''핵확산방지조약'''(核擴散防止條約, Non-Proliferation Treaty - '''NPT''', {{문화어|핵무기 전파 방지 조약}}(核武器 傳播 防止 條約))은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은 나라가 핵무기를 갖는 것과 [[핵무기 보유국]]이 비보유국에 핵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약으로, 핵확산 금지 조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상세 ==
=== 핵무기 개발과 핵군축 ===
[[1966년]] 후반부터 미·소의 타협이 진전되어 [[1967년]] 초에는 미·소 간에 기본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미·소 초안의 심의를 맡았던 제네바 군축위원회에서는 비핵보유국이 특히 비판적이었다. 그들은 문제점으로 핵의 평화적 이용도 금지된다는 것, 핵보유국의 핵군축의무가 명기되어 있지 않다는 것, 비핵보유국의 핵활동에 대한 사찰이 내정간섭 수준이라는 것, 비핵보유국은 아무런 안전보장도 받을 수 없다는 것, 기한이 너무 길다는 것 등을 지적하였다. 미국과 소련 그리고 비핵보유국가의 논쟁은 1968년 6월 19일 미, 영, 소 3국이 '적극적 안전보장'을 유엔안보리에 제출, 발표함으로써 NPT의 구성이 완료가 되었다.
=== 핵확산금지 조약 결의 채택 ===
그러나 미·소 양국은 약자인 이들 비핵보유국에게 조약을 강요한 면이 없지 않다. 그 결과 [[1969년]] [[6월 12일]] [[유엔 총회]]는 95:4, 기권 13으로 이 조약의 지지 결의를 채택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un.org/en/conferences/npt2020/background|제목=Background|성=Nations|이름=United|언어=en|확인날짜=2024-07-27}}</ref> 핵무기 보유국인 서명국 전부와 나머지 40개국의 비준을 필요로 하는 이 조약의 발효는 미·소의 비준서 기탁이 끝난 1970년 3월 5일 이루어졌다.<ref>{{웹 인용|url=https://disarmament.unoda.org/wmd/nuclear/npt/|제목=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 UNODA|언어=en-US|확인날짜=2024-07-27}}</ref> 2010년 6월 현재 가맹국은 미국·러시아·중국·영국·프랑스 등 핵보유국을 비롯한 189개국이다. 조약은 매 5년마다 핵확산금지조약의 평가회의를 통해 재검토된다. 본디, 핵 확산 금지 조약은 25년 기한이었으나 1995년 5월 11일, 뉴욕에서의 평가회의에서 서명국이 합의하여 조약을 조건없이 무기한 연장하기로 결정했다.<ref>{{웹 인용|url=https://www.archives.go.kr/next/new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10249&pageFlag=&sitePage=|제목=국가기록원>기록물열람>통합검색>국정분야주제별검색>분야별주제검색|확인날짜=2024-07-27}}</ref>
== 구성 ==
NPT는 서문과 11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1. 핵의 비확산 2. 핵무기 군비 축소 3. 핵 기술의 평화적 사용'''의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NPT의 조약의 목적은 핵을 보유하지 않은 국가들의 핵 보유를 막고, 핵 보유국 내에서는 핵무기 증가, 핵무기 기술발전, 핵실험 등을 방지하며,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추진하기 위해 체결된 것이다. [[대한민국]]은 [[1975년]] [[4월 23일]] 86번째 정식 비준국이 되었고<ref>{{저널 인용|제목=박정희 정부의 NPT 가입 요인 분석|성=주경민|url=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42149|날짜=2018-02|언어=ko}}</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85년]] [[12월 12일]]에 가입을 했으나, [[1993년]] [[3월 12일]] 탈퇴를 선언하였다. 그러나 규약에 따라 탈퇴 선언 발효에 필요한 3개월이 지나기 직전인 1993년 6월 11일 조미공동성명에 따라 탈퇴를 일방적으로 유보하였다. 이후 2차 북핵위기가 가열되던 2003년 1월 10일에 유보하였던 탈퇴 선언을 재발효하여 NPT에서 탈퇴하였다.
== 조약의 한계 ==
NPT는 조약당사국을 핵국가와 비핵국가로 구분하며, 비핵국가에 대해 어떤 경우에도 핵무기를 제조, 획득, 관리하거나 이양받을 수 없도록 규정하는 반면, 핵국가에 대해서는 핵무기 이양이나 개발 지원만을 금지할 뿐이다. 핵군축에 관한 조치나 조약에 대해서도 아무런 성과가 없으며, 핵확산금지나 핵무기의 완전한 부재도 전혀 실현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NPT는 핵보유 국가가 비핵국가의 핵무장을 막기 위한 정책 위에 기초하고 있으며, 불평등조약이라는 것은 모든 가입국에게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러한 불평등 조약이 체결된 것은 어떤 경우에든 핵확산을 막음으로써 인류와 지구의 공멸을 피해야 한다는 일부 시민단체의 주장을 이용해 핵 강대국들이 억지로 조약을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핵국가들 사이에서는 핵보유국들이 핵무기 감축을 전혀 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이 잠재되어 있다. 게다가 조약의 비당사국들은 오히려 NPT의 틈새를 이용하여 핵국가와 비핵국가 사이에서 이익을 추구해왔으며 핵개발에 앞장서 왔다. 인도와 파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그 어떠한 눈치도 보지 않고 마음껏 핵실험을 하여 핵무기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스라엘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외에도 이란, 태국, 브라질, 독일 등은 핵개발 의혹을 받고 있다.
NPT는 핵국가와 비핵국가 간의 차별적 구도 위에 세워진 조약이다. 핵확산을 막기 위해 비핵국가들은 핵무기 개발이나 획득이 절대 금지되고 안전조치제도에 의한 사찰을 받아야 하는 반면, 핵국가들은 단지 점진적인 핵무기 감축에 노력하는 것만이 요구되고 있다. 대다수 비핵국가들은 이 조약에서 요구하는 대로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고 평화적 핵활동에만 전념하고 있으나 핵국가들은 안전조치라는 명목으로 비핵국가들의 모든 연구 활동을 감시하는 한편, 자국들이 보유한 핵 무기의 감축을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도 기울이지 않고 있다.
== 조약의 탈퇴 ==
조약의 제 10조 1항을 보면, '각 당사국은 당사국의 주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본 조약상의 문제에 관련되는 비상사태가 자국의 지상이익을 위태롭게 하고 있음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조약으로부터 탈퇴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ref>{{웹 인용|url=https://www.peoplepower21.org/peace/566908|제목=[자료] 핵무기확산방지조약(NPT) (국문/영문)|웹사이트=참여연대|확인날짜=2024-07-27}}</ref> 각 당사국은 동 탈퇴 통고를 3개월 전에 모든 조약 당사국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행한다. 동 통고에는 동 국가의 지상이익을 위태롭게 하고 있는 것으로 그 국가가 간주하는 비상사태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 가입국 ==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가입돼 있으나 핵보유국인 [[프랑스]]와 [[중국]]은 미·소 위주의 성격에 반발해 최초에는 가입하지 않았다가 [[1992년]]이 돼서야 가입했으며,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쿠바]] 등이 미가입국으로 남아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3년]] 3월과 [[2003년]] 1월 탈퇴를 선언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010917584568475|제목=[밀물썰물] 북한 NPT 탈퇴 20년|성[email protected]|이름=강병균 논설위원|언어=ko|확인날짜=2024-07-27}}</ref> [[국제 원자력 기구]] (IAEA)는 이 조약에 가입된 비핵무장 국가만을 대상으로 원자력시설 감시를 정기 및 수시로 실시하고 있다.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 [[포괄적 핵 실험 금지 조약]]
* [[핵무기 보유국]]
* [[핵무기금지조약]](TPNW)
{{위키문헌|핵무기의 비확산에 관한 조약}}
== 각주 ==
{{각주}}
{{냉전}}
{{전거 통제}}
[[분류:북핵문제]]
[[분류:1970년]]
[[분류:냉전기의 조약]]
[[분류:핵무기]]
[[분류:반핵무기 운동]]
[[분류:1968년 체결된 조약]]
[[분류:1970년 발효된 조약]]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학문 정보
|학문명 = 분류학
|그림 = Taxonomic hierarchy.sv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다른 이름 =
|연구 분야 =
|학문 분야 =
|주요 개념 =
|파생 분야 =
|창시자 =
|창시 시기 =
|관련 직업 =
}}
'''분류학'''(分類學, {{llang|en|taxonomy}}) 또는 '''생물분류학'''(生物分類學)은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계통과 종속을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정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분류학이 추구하는 목적은 크게 다음과 같이 간추려 볼 수 있다.
* 지구상에 현존하는 모든 생물체를 대상으로 한다.
* 이 모든 생물체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하여 그들의 계보역사의 재구성.
* 생물체에 관한 진화과정 및 관련학의 도움을 빌어 그의 원인추적.
* 관련 학문, 예컨대 [[생지질학]], [[생화학]]에 필요한 정보 제공.
* 생물학 관련 세부 분야, 예컨대 [[생물환경학]], [[유전학]]의 조직 혹은 분류체계 설정.
* 위의 분류체계 설정을 통하여 실제 생태계에서 필요로 하는 설계에 기여.
== 분류학의 유래 ==
오늘날 알려지고 남겨진 문헌을 근거로 할 때 생물 분류학의 기원은 기원전 4세기의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스승인 [[플라톤]]의 "둘로 나누기 방법"(Dihairesis)을 처음으로 동물의 분류에 사용하였는데 이를테면 동물을 온혈 - 냉혈동물로 나누고 여기서 온혈동물을 다시 깃털을 가진 동물과 깃털이 없는 동물 등으로 나누어 동물학을 미흡하나마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인 [[테오프라스토스]]는 이와 같은 분류 방법을 식물계에 확장 응용하였으며, 이 분류방법은 그가 이끄는 [[페리파테토스학파]]에 의해 계속 연구 발전되었다. 약 2300년 전에 세워진 이와 같은 분류방법은 놀랍게도 18세기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 없이 그대로 쓰였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생물분류법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에 의해서 비로소 커다란 혁신을 하게 되었다. 이후 몇몇 국제 학술회의를 거쳐 린네에 의해 체계화되고 정의된 분류법을 바탕으로 오늘날 국제 학술상 통일적으로 쓰이고 있는 생물분류법이 정립되었다.
== 린네의 분류법 ==
[[파일:BIO20.jpg|right]]
린네가 착안한 분류법의 핵심은 생물의 종과 속을 구분함과 더불어 이들의 소속관계를 체계적으로 밝히는 데에 있으며, 형식상 다음과 같은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 종의 이름은 [[라틴어]]로 쓴다.
* 종의 이름 뒤에는 종의 특징을 12단어 이내로 간추려 기재한다.
== 같이 보기 ==
* [[생물 분류]]
* [[분류군]]
* [[존재론]]
* [[계통분류학]]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https://web.archive.org/web/20090524144249/http://www.iczn.org/iczn/index.jsp 국제 동물명 규약](ICZN,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
* [http://www.ncbi.nlm.nih.gov/Taxonomy/ 국제 식물명 규약] (ICBN,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생물학 분야}}
{{생물학}}
{{전거 통제}}
{{토막글|생물학}}
[[분류:분류학|*]]
[[분류:생물학]]
[[분류:생물 분류]]
[[분류:생물의 명명법]]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임베디드 오픈타입'''(Embedded OpenType, EOT) [[글꼴]]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웹 페이지]]에 임베디드 글꼴로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한 [[오픈타입]] 글꼴의 축소형이다. 확장자는 ".eot"이다.
== 웹 임베디드 폰트 툴 ==
'''웹 임베디드 폰트 툴'''(Web Embedded Fonts Tool, WEFT)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동적 웹 글꼴 유틸리티이다.
WEFT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웹 페이지와 연결된 동적 글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대부분의 글꼴을 WEFT를 사용해서 첨부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글꼴들은 디자이너에 의해서 첨부할 수 없음으로 디자인되기도 한다. 또한 문제가 있는 글꼴들은 사용할 수 없다. 비영어권 웹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고, 한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외의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글꼴을 볼 수 없다.
== 같이 보기 ==
* [[오픈타입]]
== 외부 링크 ==
* [http://www.microsoft.com/typography/WEFT.mspx WEFT 홈페이지]
{{토막글|컴퓨터 과학}}
[[분류:글꼴 포맷]]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2||스포츠로서의 수영|수영 (스포츠)}}
[[파일:40. Schwimmzonen- und Mastersmeeting Enns 2017 100m Brust Herren USC Traun-9897.jpg|섬네일|300px|수영하는 사람]]
'''수영'''(水泳, {{llang|en|swimming}}) 또는 '''헤엄'''({{문화어|헤염}})은 [[팔]], [[다리 (해부학)|다리]]를 움직여 수면 또는 수중을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스포츠]] 경기 종목뿐만 아니라, [[물놀이]]나 [[다이빙]] 등의 행위를 총칭하는 말로서 흔히 사용된다. 물 속에 떠 있으면서 여러 가지 동작으로 물을 헤치고 나아가는 동작으로서 수영은 원시 시대부터 교통 수단의 하나로 실시되었고, 그 후에 전투나 직업과 연관되어 발달하던 것이 19세기에는 경영(競泳)을 중심으로 성행되었다. 1900년대 초에는 크롤 수영법도 고안되었다.<ref>{{글로벌2|제목=수영의 개요}}</ref>
수영은 일반적으로 레크리에이션<ref>{{서적 인용|last=Katz|first=Jane|제목=Your Water Workout|publisher=Broadway Books|year=2003|edition=First|isbn=0-7679-1482-1}}</ref>, 건강<ref>{{서적 인용 |last= Cooper |first= Kenneth H. |제목= Aerobics |url=http://books.google.com/books?id=_k-TTEFQTkkC |edition= revised, reissue |year= 1983 |origyear= 1968 |publisher= [[Bantam Books]] |isbn= 0553274473}}</ref>, [[수영 경기|경영]], 직업(군사, 프로스포츠), 여행, 생존 등이 있으며 위해 물이나 기타 액체를 통해 사람이 스스로 추진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운동은 팔다리와 신체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통해 달성되어 방향성 움직임을 가져오는 유체역학적 추진력을 얻는다. 인간은 생존 반응으로 물 속에서 숨을 참을 수 있고 태어난 지 몇 주 안에 기본적인 기관차 수영을 할 수 있다. 수영에는 체력, 기술, 적절한 기술이 필요하다.
수영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물 속에서 움직이는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이자 경쟁 스포츠이다. 심혈관 건강 강화, 근력 강화, 유연성 증가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모든 연령층과 체력 수준의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수영은 지속적으로 최고의 공공 레크리에이션 활동 중 하나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수영 강습이 교육 커리큘럼의 필수 부분이다. 공식 스포츠로서 수영은 모든 현대 하계 올림픽을 포함하여 다양한 지역, 국내 및 국제 대회에 참가한다.
수영에는 몸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스트로크라고 알려진 반복적인 동작이 포함된다. 프리스타일이라고도 알려진 프론트 크롤링은 네 가지 주요 영법 중 가장 빠른 영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훈련과 같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 다른 영법도 연습된다.
수영에는 주로 수영이 이루어지는 수중 환경으로 인해 특정 위험이 따른다. 예를 들어, 수영자는 익사로 인한 사망의 잠재적 원인인 공황과 피로로 인해 무력화될 수 있다. 감염이나 적대적인 수생 동물에 대한 노출로 인해 다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인명 구조원을 고용하여 조난 징후에 대해 경계를 유지한다.
수영하는 사람들은 흔히 특수 수영복을 입지만, 지역 문화에 따라 일부 수영하는 사람은 알몸으로 수영하거나 평상복을 입을 수도 있다. 또한 수영 경험이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영 고글, 부양 장치, 수영 핀, 스노클 등의 다양한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 기법 ==
{{본문|영법}}
수영은 다음의 종류를 포함한다.
* [[자유형 (수영)|자유형]]
* [[크롤]]
* [[배영]]
* [[평영]]
* [[접영]]
수영은 '영법'으로 알려진 다양한 스타일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경쟁 수영에서 유형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물 속에서 추진하기 위해 정의된 스트로크를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훈련받지 않은 수영인은 네발 달린 동물이 수영하는 것과 유사한 팔과 다리 움직임의 '[[개헤엄]]'을 사용할 수 있다.
경기 및 레크리에이션 수영에서는 네 가지 주요 영법, 즉 프론트 크롤링, 자유형, 평영, 배영, 접영이 사용된다. 유럽의 수영 경기는 18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주로 평영을 사용했는데, 이는 현재의 평영 팔과 접영의 다리로 시작되었다. 1873년 존 아서 트루젠(John Arthur Trudgen)이 서양 수영 대회에 트루젠을 도입했다. 접영은 193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1953년에 별도의 스타일로 받아들여질 때까지 평영의 변형으로 간주되었다. 접영은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어려운 영법으로 간주되지만 전반적인 토닝과 신체 구축에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가장 많은 칼로리를 소모하며 정기적으로 연습할 경우 두 번째로 빠른 영법이 될 수 있다.
비경쟁 수영에는 측영을 포함한 몇 가지 수영 영법이 있다. 19세기 말 [[횡영]]은 한쪽 팔을 먼저 물 위로 올린 다음 다른 쪽 팔, 그리고 차례로 각각 물 위로 올리는 방식으로 이러한 패턴을 바꾸었다. 그것은 여전히 인명 구조 및 레크리에이션 수영에 사용된다.
다른 영법은 훈련, 학교수업, 구조 등 특별한 이유 때문에 존재하며, 운동을 위해 팔이나 다리만으로 수영하는 등 특정 신체 부위를 분리하기 위해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영법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다. 더 힘들거나 절단 장애인이나 마비 환자에게는 더 어렵다.
== 경기 규칙 ==
* [[자유형 (수영) |자유형]]: 50m, 100m, 200m, 400m, 800m, 1500m
* [[평영]]: 50m,100m, 200m
* [[접영]]: 50m, 100m, 200m
* [[배영]]: 50m, 100m, 200m
* [[혼영|개인혼영]]: 200m, 400m
* [[계영]]: 400m, 800m
* [[혼계영]]: 4명이 각 100m씩 배영, 평영, 버터플라이, 자유형의 순으로 한다.
경영의 출발시에는 3회 이상 혼자서 플라잉하면 실격된다. 폭 2m의 자기 코스에서 나가거나 다른 선수를 방해하면 실격된다. 턴하는 곳에서는 한 손 혹은 두 손이 벽에 닿아야 한다. 예선 기록이 가장 빠른 선수는 가운데 레인을 배정받는다. 수영법이나 턴하는 방식이 규정에 어긋나면 실격 된다.<ref>{{글로벌2|제목=경기 종류 및 규칙}}</ref>
== 역사 ==
수영은 선사시대부터 기록되어 왔으며 수영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약 7,000년 전 [[석기 시대]]의 동굴 벽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록의 경우 기원전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기록으로는 [[길가메시 서사시]],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성경]](에스겔 47:5, 사도행전 27:42, 이사야 25:11), [[베오울프]] 등이 포함된다. 경기로 실시된 것은 19세기 영국에서이다. 1896년 제1회 근대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실시되었다. 한국의 경우 1916년에 수영 강습회가 개최되었고, 1929년에는 제1회 전조선수영대회가 열렸다. 1970년 제6회 아시아경기대회에서 조오련 선수가 금메달 2개를 따내 '아시아의 물개'라고 불리며 일대 금자탑을 세우기도 하였다. 아직 세계 무대에서는 성과가 좋지 않으나, 아시아 무대에서는 일본·중국에 이어 좋은 성적을 올려 왔다. 1986년 아시아경기대회에서 금메달 2개, 1990년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 1994년 대회 금메달 2개, 동메달 2개 1998년 대회 은메달 2개, 동메달 7개, 2002년 대회 금메달 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였다.<ref>{{글로벌2|제목=수영의 역사}}</ref>
== 같이 보기 ==
* {{임시링크|테리 래플린|en|Terry Laughlin}} - 'TI 수영'(Total Immersion Swimming) 창시자
== 외부 링크 ==
* [http://www.swimmingstrokes.info Swimmingstrokes.info] {{웨이백|url=http://www.swimmingstrokes.info/ |date=20131230221759 }}, Overview of 150 historical and less known swimming-strokes
* [http://www.fina.org 국제수영연맹]
* [https://www.korswim.co.kr/ 대한수영연맹]
== 각주 ==
<references/>
{{위키공용분류|Swimming}}
{{전거 통제}}
{{토막글|수영}}
[[분류:수영]]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알찬 글}}
{{다른 뜻|로마 (동음이의)}}
{{고대 로마 표}}
{{고대 로마의 정치}}
'''고대 로마'''({{llang|en|Ancient Rome}})는 기원전 [[8세기]]경 [[이탈리아]] 중부의 작은 마을에서 시작해 [[지중해]]를 아우르는 거대한 [[제국]]을 이룬 고대 [[문명]]으로 고대 그리스, 오리엔트, [[셈족]], 서유럽 [[켈트족|켈트]], [[게르만족|게르만]] 등 문화의 용광로였다.<ref name="dud8"/> 고대 로마의 문화, 법, 군사 체제는 [[서구권|서구 유럽]], [[동구권]]을 막론하고 [[현대사|현대 사회]]의 [[법]], [[정치]], [[전쟁]], [[예술]], [[문학]], [[건축]], [[기술]], [[언어]] 분야의 기틀이 됐다.
고대 로마는 수백 년 동안 확장을 거듭하며 [[로마 왕국|왕정]]에서 [[로마 공화정|과두 공화정]]으로, 또 점차 [[로마 제국|제정]]으로 변모했다. 기원전 7세기경 로마는 지역 중심지로 번영하던 [[도시 국가]]로 왕정 체제였다. 기원전 509년에는 [[로마 왕국|왕정]]이 무너지고 귀족과 평민 계급이 [[로마 공화국|공화정]]을 세웠다. 로마인들은 평민과 귀족 간에 200여 년 이상 투쟁과 타협을 반복하며 로마 특유의 [[과두정]] 체제를 점진적으로 이루었다. 내부의 신분 투쟁 가운데도 [[로마 공화정|로마]]는 외적들을 복속시키며 마침내 기원전 272년경 [[게누아]](제노바)에서 [[이탈리아]] 최남단까지 거대한 동맹 체제를 수립했다. 로마는 거기에 그치지 않고 150여 년간 여러 정복 전쟁을 통해 [[갈리아]], [[고대 카르타고|카르타고]] 등을 정복하고 [[지중해]] 전역을 제패했다
로마 제정은 기원전 2세기 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씨를 뿌리고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제정 초기의 로마 제국은 '[[팍스 로마나]]'로 불리는 태평성대를 구가하며 [[라틴어]] 문학 등 그레코-로만 문화의 전성기를 이뤘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98년~117년)에 로마 제국은 북으로는 [[스코틀랜드]]에서 남으로는 아프리카 [[수단]]까지, 서로는 포르투갈의 대서양 연안에서 동으로는 [[카프카스]] 지방까지 최대 판도를 이룩했다. 오늘날 면적으로 환산하면 현재 [[미국]] 면적의 2/3에 달하고 [[인구]]도 현 미국의 절반에 약간 안되는 정도로 추산된다.<ref name="dud8">R.더들리, p.8.</ref>
로마 제국은 [[기독교]] 공인 후 교황 선출 문제를 기화로 [[서로마 제국|서로마]], [[동로마 제국|동로마]]로 분할됐으며 이민족의 침략으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서기 5세기 경 서로마 제국은 멸망 후 게르만족의 여러 독립 국가로 갈라져 [[프랑크 왕국]], [[신성 로마 제국]] 등 로마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여타 서유럽의 정치 세력들이 나타난다. 한편 동로마 제국은 1453년 [[오스만 제국]]에 멸망한다.
== 역사적 배경 ==
[[파일:Roman Republic Empire map.gif|250px|섬네일|left|'''로마 통치 하의 지역'''<br />
{{범례|#C46C5C|[[로마 공화정]]}}
{{범례|#a6a|[[로마 제정]]}}
{{범례|#48a|[[서로마 제국]]}}
{{범례|#bc4|[[동로마 제국|동로마 제국]]}}]]
기원전 약 10세기를 전후로 하여,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정착하여 살던 여러 부족은 약 200~300년에 걸쳐 서로 교류하거나 전쟁을 벌였으며 융화와 추방을 반복했다. 고대 로마 문명의 초기 역사는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고 있다.
기원전 8세기경 [[라티움]]에는 라티움인들이 정착해 살고 있었다. 이 땅은 [[테베레강|티베리스강]] 이남 중부 이탈리아 서해안에 자리 잡아 물이 넉넉하고 비옥한 평야였다. 이들은 후기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 시대에 [[인도-유럽어]]족이 이탈리아반도 곳곳에 흩어질 때 형성된 일개 [[이탈리아어파]] 집단이었다.<ref>M.하이켈하임, p.32.</ref> 이들은 분명 농경과 목축으로 먹고살았고, 손으로 짠 투박한 옷을 입었으며, 손으로 조야한 도자기를 만들어 썼다. 이들의 집은 화로와 대문만 있는 원형 나무 오두막이었다. 몇몇 보석 장신구와 청동 혹은 철 연장을 제외하면 이들은 해외에서 물건을 수입해서 쓴 적이 거의 없었던 것 같다.<ref>M.하이켈하임, pp.60~61.</ref>
고대 로마의 역사가들은 기원전 753년 [[로마]]라는 이름의 도시가 [[로물루스]]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쓰고 있다. 그러나 로마의 기원 전설은 거의 대부분 비역사적 허구이므로, 지리적 혹은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검증이 필요하다. 기원전 750년경에는 팔라티누스 언덕을 비롯한 로마의 여러 언덕에 농촌 촌락이 들어섰는데, 이들 산지 촌락들은 저마다 독특한 방언과 관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ref>M.하이켈하임, pp.61~62.</ref>
이탈리아의 대다수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미개한 상태였는데, 이곳에 복합 문명이 발달하게끔 깊은 영향을 준 두 집단이 있다. 하나는 라티움에서 테베레강을 건너 에트루리아에 정착한 [[에트루리아]]인들이었고, 다른 한 집단은 기원전 8세기 중엽에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마그나 그라이키아]])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이었다. 이들은 이후 이탈리아를 통일할 도시 로마의 발전에 있어 각별히 중요한 민족이었다.<ref>M.하이켈하임, p.34.</ref>
== 역사 ==
=== 왕정 시대 ===
{{본문|로마 왕국}}
[[파일:She-wolf suckles Romulus and Remus.jpg|섬네일|[[카피톨리나 늑대상]]. 전설에서는 암늑대의 젖을 먹고 자란 [[로물루스와 레무스]]가 로마의 시조라고 전한다.]]
왕정 시대(BCE 753~BCE 508)는 로마의 건국에서 공화정 수립 이전까지다. 로마는 [[기원전 753년]] [[4월 21일]]<ref>{{서적 인용|인용문=[[안치오]](안티움)에서 발견된 라틴 달력에 보면 4월 21일에 ‘팔레스의 축제 시작 - 로마 창건(Paralia-Roma Condita)’이라고 씌여있다. 4월 21일은 지금까지도 [[로마]] 시의 창건일로 경축되고 있다.|제목=앞의 책|저자=R. 더들리|쪽=p.8}}</ref>에 [[로물루스]]가 세운 것으로 후대에 전해진다. 이 날짜는 BCE 1세기 말 로마 역사가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가 설정한 것으로, 오직 고대 로마의 신화들과 전설들을 연구하여 도출한 것이다. 현대 학자들은 로마에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살기 시작한 것은 BCE 75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확증하고 있다.<ref>M.하이켈하임, p.55.</ref>
BCE 7세기 말 [[에트루리아]]인들은 이 지역에 귀족·왕족 계급을 이루어 피지배층을 정치적으로 다스린 것으로 보인다. 에트루리아인들은 BCE 6세기 말,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오만한 타르퀴니우스)를 마지막으로 로마 귀족들에 밀려 이곳의 지배권을 잃었다. 그의 아들 섹스투스 타르퀴니우스가 로마의 귀족 여성 [[루크레티아]]를 성폭행하면서 촉발된 사건이었다.<ref name=":0">{{서적 인용|제목=복스 포폴리|성=피터 존스|날짜=2022|출판사=교유서가}}</ref> 이 일을 계기로 라티움족과 사비니족이 협력하여 왕정을 폐지하고, 권력 집중을 억제하는 [[공화정]] 체제를 세웠다.<ref>''Ancient Rome and the Roman Empire'' by Michael Kerrigan. [[Dorling Kindersley]], London: 2001. {{ISBN|0-7894-8153-7}}. page 12.</ref>
=== 공화정 시대 ===
{{본문|로마 공화정}}
[[에트루리아]]가 [[캄파니아]]에서 패배한 후, 라티움인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게다가 산지 종족들이 라티움(latium)을 침공하는 등 몇 차례 걸친 군사적 패배로 로마에 사회·정치적 위기가 일어나면서 왕정이 몰락했다.<ref name="hp108">M.하이켈하임, p.108.</ref> 그러나 여러 학자들은 연대 목록(fasti)에 기록된 BCE 509~507년을 왕정 몰락의 시점으로 본다.<ref name="hp108"/>
공화정은 수백 년에 걸쳐 서서히 발전했다. 초기에는 군사 위원회(military tribune)에 의한 공동 통치 형태였다가 [[독재관]]을 자주 선출하는 문제가 생기자 2명의 [[집정관]] 제도로 바꾸었다. 로마의 정체는 견제와 균형, 권력 분점으로 구성된다.
가장 중요한 정무관은 두 [[집정관]]으로 군사 통솔권인 명령권(imperium)을 통해 집행 권력을 함께 행사했다.<ref>애드킨스, 1998년. pp.41-42.</ref> 집정관직은 오랜 기간의 실험과 발전을 거친뒤에야 비로소 정착된 것으로 보이며, BCE 5세기 중엽에는 공화정의 고위 정무관직을 집정관이라 하였다.<ref>M. 하이켈하임, pp.108~109.</ref>
집정관은 원래 [[로마의 귀족|귀족]]들의 자문 회의였던 [[원로원]]과 협조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원로원은 양적으로 확대되었다.<ref>[http://www.wsu.edu/~dee/ROME/REPUBLIC.HTM 로마: 로마 공화정] {{웨이백|url=http://www.wsu.edu/~dee/ROME/REPUBLIC.HTM |date=20110514025151 }} 리차드 후커(Richard Hooker)가 씀. 워싱턴 주립 대학. 1999년 6월 6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원로원은 로마의 최고 부족장들로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초기에는 왕의 조언자였고, 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원로원을 구성했다. 이들은 집정관 같은 선출직 관리들의 자문 기관이었다. [[티투스 리비우스|리비우스]]에 따르면, 이들은 처음에는 평민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로원과 평민의 완전한 정치적 통합이 이루어졌다.<ref name=":0" />
공화정의 다른 정무관으로는 [[법무관]], [[조영관]], [[재무관]]이 있었다.<ref name="Lacus">[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econdary/SMIGRA*/Magistratus.html 마기스트라투스(Magistratus)] 조지 롱, M.A. 《그리스와 로마 고대 역사 사전》(''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723-724쪽, 윌리엄 스미스, D.C.L., LL.D. 존 머레이가 출판함, 런던, 1875. 웹사이트 기록 2006년 12월 8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정무관직은 원래 귀족 출신으로 제한되었으나, 나중에는 [[로마의 평민|평민]]에게도 개방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Livy II</ref> 공화정의 민회로는 [[로마 왕정|왕정 시대]]에 기원을 두며, 전쟁과 화의 여부를 결정하고 요직 관리를 선출하는 [[켄투리아회]](''comitia centuriata''), 하위직 주요 관리를 선출하는 [[트리부스회]](''comitia tributa'')가 있었다.<ref>애드킨스, 1998년. p.39.</ref> 나중엔 모든 로마인에게 적용되는 법을 제정할 수 있었다.<ref name=":0" />
BCE 5세기경부터 로마는 점차 에트루리아 등 [[이탈리아반도]]의 다른 나라를 정복하기 시작했다.<ref>헤이우드, 1971년. pp.350-358.</ref> 그중 베이 점령은 라티움 밖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징표가 되었고, 그 이후 로마는 남진과 북진을 거듭하며 이탈리아 내에서 팽창을 거듭한다. 이후 [[삼니움인]]의 캄파니아 침입에 개입하여 3차 [[삼니움 전쟁]]을 치렀다. 여기서 승리한 로마는 중부 이탈리아의 패자가 된다.
이탈리아 반도 통일을 앞두고 로마의 지배권에 마지막 도전장을 던진 세력은 그리스 식민시 [[타란토|타렌툼]]이었다. BCE 281년 타렌툼은 그리스 서북부에 있던 [[에페이로스의 피로스]]를 끌어들여 로마의 팽창을 저지하기 위한 전쟁을 벌였다. 피로스는 일부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으나,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많은 승리([[피로스의 승리]])였기에 "승리가 이런 것이라면 누가 이기고 싶겠는가?"라는 말을 남기고, 그리스로 돌아갔다. 남은 타렌툼은 멸망을 피할 수 없었다.<ref>[http://www.livius.org/ps-pz/pyrrhus/pyrrhus02.html 에페이로스의 왕 피로스 (2)] {{웨이백|url=http://www.livius.org/ps-pz/pyrrhus/pyrrhus02.html |date=20160414161122 }} 와 [http://www.livius.org/ps-pz/pyrrhus/pyrrhus03.html 에페이로스의 왕 피로스 (3)] {{웨이백|url=http://www.livius.org/ps-pz/pyrrhus/pyrrhus03.html |date=20160303193524 }} 요나 렌더링(Jona Lendering). Livius.org. 확인일자 2007년 3월 21일.</ref><ref>헤이우드, 1971년. pp.357-358.</ref> BCE 270년까지 로마는 정복을 통해 전략 요충지에 [[로마의 식민시|로마의 식민지]]를 건설하여 이탈리아 전역을 장악하고, 안정적 지배권을 확립했다.<ref>헤이우드, 1971년. p.351.</ref> BCE 1세기에는 라틴어가 이탈리아 본토 전역에서 공통어가 되었다.<ref name=":0" />
BCE 3세기 후반. 로마는 3차에 걸쳐 [[포에니 전쟁]](BCE 264~BCE 146)에서 카르타고와 격돌했다. 초기에 카르타고와 로마는 동맹 및 협력 관계를 맺어 해상 무역이나 시칠리아 등지에서 에트루리아나 그리스가 개입하는 것을 공동으로 저지했다. 그러나 동지중해 지역 패권을 놓고 두 세력은 결국 충돌을 피할 수 없었다.
1, 2차 포에니 전쟁에서는 초반에 카르타고가 우세했으나 결국 로마가 승리하면서 로마는 이 전쟁에서 처음으로 해외 영토인 [[시칠리아]], [[사르데냐]], [[에스파냐]] 등을 확보한다. 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을 무찌른 직후가 로마 공화정의 전성기를 이룬다. 로마는 한니발을 상대하면서 동원한 대규모 시민군을 상비군으로 전환한 후, BCE 229년 [[아드리아해]]에서 로마의 해상 운송을 방해하던 서쪽의 [[발칸반도|발칸 반도]]를 침공했다. BCE 219년 일단락된 이 지역 정복은 후에 마케도니아를 정복할 때 결정적 역할을 했다.<ref name=":0" />
후에 3차 포에니 전쟁에서는 카르타고가 로마와 맺은 협약을 위반해 로마가 카르타고를 침공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카르타고]]는 완전히 멸망하여 폐허가 되고, 로마는 서지중해의 패권을 거머쥐었다.<ref>헤이우드, 1971년. pp.376-393.</ref><ref>[http://www.wsu.edu/~dee/ROME/PUNICWAR.HTM 로마: 포에니 전쟁] 리차드 후커 씀. 워싱턴 주립 대학. 1999년 6월 6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2일.</ref>
이후 약 200년 동안 로마의 침략 행위는 멈추지 않고 이어졌다. BCE 2세기, 로마는 [[마케도니아 왕국]]와 [[셀레우코스 왕국]]을 물리치면서 [[지중해]] 세계를 제패했다.<ref name="Bagnall">Bagnall 1990</ref><ref>[http://www.wsu.edu/~dee/ROME/CONQHELL.HTM 로마: 헬레니즘 제국을 정복] {{웨이백|url=http://www.wsu.edu/~dee/ROME/CONQHELL.HTM |date=20110501115720 }} 리차드 후커, 워싱턴 주립대학, 기록일자 1999년 6월 6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2일.</ref>
해외 팽창은 내분을 불렀다. 원로원 의원은 [[로마 속주]]의 부를 통해 부유해졌지만, 주로 소농 출신의 병사들은 고향을 오래 떠나있었기에 자기 땅을 지키지 못했고, 임금 노동 대신 외국 [[노예]]에 크게 의존하는 [[라티푼디움|대농장]]이 발달했다.<ref>다이커, 2001년. pp.136-137.</ref><ref>[http://web.ics.purdue.edu/~rauhn/fall_of_republic.htm 로마 공화정의 몰락, 기원전 133-27년]. Purdue University.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전리품 수입 덕분에 새로 확보한 속주에서 상업이 발달했고, 세금 징수 할당 제도로 신흥 상인 계급인 [[기사 (군사)|기사 계급]]은 경제적 이익을 거머쥘 기회를 얻었다.<ref name="Liviuseques">[http://www.livius.org/ei-er/eques/eques.html Eques (기사)] {{웨이백|url=http://www.livius.org/ei-er/eques/eques.html |date=20140807190312 }} 요나 렌더링(Jona Lendering). Livius.org.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클라우디우스 법]](lex Claudia)으로 원로원 의원의 상업 행위가 금지되면서 이론상 원로원에 진출할 수 있던 기사 계급은 정치 권력에 심각한 제약을 받았다.<ref name="autogenerated2">a</ref><ref>애드킨스, 1998년. p.38.</ref>
원로원은 끊임없이 정쟁을 일삼아 계속 토지 개혁에 발목을 잡았고, 기사 계급의 정치 발언권 확대를 거부했다. 원로원 정적들끼리 도시 실업자 출신의 폭력 조직을 조종해 완력으로 유권자를 위협했다. 이런 상황은 BCE 2세기 말 평민에게 주로 귀족이 소유한 토지를 재분배하려는 토지 개혁 입법을 시도한 [[그라쿠스 형제]] 시대에 극에 달했다. 두 형제는 결국 살해당했는데, 원로원은 이 일로 불만을 품은 평민과 기사 계급을 달래고자 그라쿠스 형제가 추진한 개혁을 일부 통과시켰다.
이탈리아 동맹국에 로마 시민권 확대를 거부하면서 BCE 91년에서 BCE 88년까지 3년 동안 [[동맹국 전쟁]]이 일어났다.<ref>더랜트, 1944년. pp.120-122.</ref>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군제 개혁으로 병사들이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잃고 점차 사병화(私兵化)되었고, 유력한 장군이 국가와 원로원을 장악한다.<ref>[http://faculty.vassar.edu/jolott/old_courses/republic1998/marius/effects.htm 토지 요구 거부의 지속적인 효과] {{웨이백|url=http://faculty.vassar.edu/jolott/old_courses/republic1998/marius/effects.htm# |date=20081007060536 }}. 확인일자 2007년 3월 23일.</ref> 마리우스와 그의 부하 [[술라]]는 내전을 벌였으며, 술라가 BCE 82년 콜리네 문에서 압승을 거두고, 결국 BCE 81년~BCE 79년에 술라가 독재 권력을 휘둘렀다.<ref name="Scullard1">스컬라드 1982년, chapters I-IV</ref> 술라는 무너져 가던 공화정을 부흥시키려 개혁을 하고, 독재관에 취임한 지 2년 만에 자진 퇴임한다. 그러나 술라가 죽으면서 로마는 다시 혼란에 휩싸인다.
BCE 1세기 중반, [[마리우스]]의 처조카인 [[율리우스 카이사르]], [[술라]]의 부하인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크라수스]] 세 사람이 [[제1차 삼두정치]]를 이루어 공화국을 농단했다. 이후 BCE 53년, [[파르티아]]와 벌인 [[카르하이 전투]]에서 크라수스가 전사하면서 삼두정치는 카이사르와 원로원파로 돌아선 폼페이우스로 나뉘어 전개된다.
BCE 58년부터 7년에 걸쳐 갈리아를 정복한 후([[갈리아 전쟁]]) 원로원과 대립하던 카이사르는 BCE 49년 [[루비콘강]]을 건너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원로원파 군대와 내전을 일으킨다([[카이사르의 내전]]). [[기원전 48년|BCE 48년]], z카이사르는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를 상대로 압승을 거두고, [[탑수스 전투]]와 [[문다 전투]]에서 그 잔당을 격파했다. 결국 카이사르는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로마의 종신 독재관이 되어 각종 개혁을 실시했다.<ref name="Scullard2">스컬라드 1982년, chapters VI-VII</ref>
BCE 44년 카이사르는 독재 의혹을 받다가 공화제 헌정을 복원하려는 정적([[브루투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등)에 암살당한다. 그러나 카이사르의 암살자들은 정권을 잡지 못했고, 카이사르의 후계자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수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의 [[제2차 삼두정치]]를 이루며 권력을 잡는다.<ref>[http://www.bbc.co.uk/history/historic_figures/caesar_julius.shtml 율리우스 카이사르 (BCE100 - BC44)]. [http://bbc.co.uk]. 확인일자 2007년 3월 21일.</ref><ref>[http://www.roman-emperors.org/auggie.htm 아우구스투스 (BC 31 - CE 14)] 가렛 G. 페이간.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2004년 7월 5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1일.</ref> 그러나 이 정치적 동맹은 권력 투쟁으로 기운다. 레피두스는 추방되며,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하며, BCE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를 격퇴하여 로마의 유일 지배자가 되었다.<ref name="Scullard3">스컬라드 1982년, chapter VIII</ref>
=== 제정 시대 ===
{{본문|로마 제국}}
==== 원수정 시대 ====
내전에서 승리한 옥타비아누스는 [[아우구스투스]]의 칭호를 받고 거의 절대적인 권력을 잡았지만, 공화정을 가장했다. 이때의 통치체제를 [[원수정|원수정(Principatus)]]이라 하며(사실상 제정이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을 [[프린켑스]](제1의 시민)라 칭한다(이렇게 아우구스투스가 독재관을 거부하는 등 조심스럽게 행동한 것은 양아버지였던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암살 때문이기도 하다).<ref>[http://www.bbc.co.uk/history/historic_figures/augustus.shtml 아우구스투스 (BC.63 - AD14)], [[BBC Online|bbc.co.uk]]. 확인일자 2007년 3월 12일</ref>
아우구스투스의 후계자 [[티베리우스]]는 심각한 반대 없이 권좌에 올라 아우구스투스에 이어 본격적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를 이루었고, 이 왕조는 티베리우스 사후 [[칼리굴라]]와 [[클라우디우스]]의 치세를 거쳐 기원후 68년 [[네로]]가 자살할 때까지 이어진다. 이후 1년간 로마는 내전상태에 돌입하면서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가 즉위한다. 후에 시리아 주둔군 사령관이었던 베스파시아누스가 자기 군단의 지지를 받아 로마에 입성하여 비텔리우스를 살해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플라비우스 왕조]]의 시대를 개창한다.<ref>다이커, 2001년. p.140.</ref> 제정 시대에도 영토 확장은 이어졌으며 안정을 유지했지만,<ref>[http://www.metmuseum.org/toah/hd/jucl/hd_jucl.htm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BC 27 - AD 68)]. 메트로폴리탄 예술 박물관, 그리스와 로마 예술 부서, 2000년 10월, 확인일자 2007년 3월 18일.</ref> 흔히 저열하고 타락했다고 평가받는 황제도 몇몇 있었다(가령 혹자는 [[칼리굴라]]를 정신이상자로 보기도 하며(즉위 후 얼마지나지 않아 정신병이 걸려 폭정을 일삼았다). 네로는 국가 정사보다 개인 관심사에 더 몰두하며 잔인했다는 평판을 받는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서 [[네로]]에 대해서는 역사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ref>[http://www.roman-emperors.org/nero.htm 네로 (54-68 AD)] 허버트 W. 베나리오(Herbert W. Benario) 씀.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2006년11월 10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18일</ref>) 그리고 [[플라비우스 왕조]]가 뒤를 잇는다.(AD 69 - AD 96)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ref name="suetonius">수에토니우스</ref>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암살이후에 로마 번영의 시작을 알린 오현제 시대([[네르바]],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치세에 제국은 영토나 경제ㆍ문화면에서 정점을 이루었다.<ref>[http://www.unrv.com/early-empire/five-good-emperors.php 오현제], UNRV 역사, 확인일자 2007년 3월 12일.</ref>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는 대략 80년간 지속되면서 이시기에 로마는 대내외적으로 안정을 이루었고, [[로마의 평화]](팍스 로마나) 시대에 제국은 번영했다.<ref>O'Connell, 1989. page 81.</ref><ref>[http://www.historyguide.org/ancient/lecture12b.html 강의 12: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와 팍스 로마나] 스티븐 크레이스, 역사 안내, 기록일자 2006년 2월 28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1일.</ref> [[트라야누스]] 재위시에는 [[다키아]](오늘날의 [[루마니아]])의 정복과, 파르티아와의 전쟁을 통하여 제국의 영토는 최대가 되며, 그 지배 지역이 650만km<sup>2</sup>에 이르렀다.<ref name="Atlas">Scarre 1995</ref> 트라야누스 사후 즉위한 하드리아누스는 정복전쟁을 중단하고 제국을 순찰하면서 국경 수비를 강화하는데 힘쓴다.
[[파일:Roman Empire Map.png|섬네일|left|300px|기원후 117년 [[트라야누스]] 시대의 로마 제국 최대 판도.]]
==== 3세기의 위기 ====
{{본문|군인 황제 시대}}
193년에서 235년 사이는 [[세베루스 황조|세베루스 왕조]]의 치세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붕괴 이후 혼란기를 수습하기는 하였지만 [[카라칼라]]나 [[헬리오가발루스|엘라가발루스]] 같은 포악하거나 무능한 지배자가 나타나기도 했고,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근위대장]] [[마크리누스]] 같은 찬탈자도 나타났다.<ref>헤이우드, 1971년. pp.589-592.</ref> 235년에는 [[알렉산데르 세베루스]]가 암살 되었고, [[막시미누스 트락스]] 부터 [[카리누스]]까지 [[프라이토리아니|근위대]]와 군대가 제위 계승에 영향력을 더욱 행사하였다.거기다 외부에서는 게르만족과 [[사산조 페르시아]]가 침입해오며, 260년에는 황제 [[발레리아누스]]가 [[샤한샤]] [[샤푸르 1세]]가 이끄는 사산조 페르시아 군대에 포로로 잡히고, 비슷한 시기 [[갈리아]], [[히스파니아]], [[브리타니아]] 지역에서는 [[포스투무스]]가 [[갈리아 제국]]을 세웠으며, 또 동방 시리아, 이집트에서는 [[제노비아]]가 팔미라 제국을 세워 황제를 칭하며 제국이 3개로 분열되는 로마 제국 역사상 최악의 위기를 맞이 하였다. 하지만 [[갈리에누스]],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황제의 노력과 그리고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이들을 완전히 토벌하여 다시 하나가 되었다. 한편 역사학자들은 이 혼란스러운 시기를 ‘[[군인 황제 시대|3세기의 위기(Crisis of the Third Cry)]]’라는 혼란기(약 50년간 20~30여명의 황제가 교체되었다.)로 부른다.<ref>[http://history.boisestate.edu/westciv/empire/15.shtml 3세기의 위기 (235-285)] {{웨이백|url=http://history.boisestate.edu/westciv/empire/15.shtml|date=20070503114611}} "서구 문명사"(''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E.L. 스킵 녹스, [[Boise State University]]. 확인일자 2007-3-20.</ref><ref>헤이우드, 1971년. pp.592-596.</ref>
==== 전제정 시대 ====
이 위기는 284년 유능했던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일단락지었다. 또한 기존 아우구스투스가 사용해오던 '제1 시민'이라는 뜻을 가진 [[프린켑스]] 대신 라틴어로 주인을 뜻하는 '[[도미누스]]'라는 호칭을 사용하며 [[원수정|원수정 체제(Principatus)]]의 종말을 알리게 되었고, [[전제정|전제정(Dominatus)]]을 수립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Diocletian|제목=Diocletian {{!}} Biography, Empire, Definition, Persecution, & Reign {{!}} Britannica|언어=en|확인날짜=2022-11-16}}</ref> 286년에 제국을 동부와 서부로 나누어 자신의 친구인 [[막시미아누스]]를 서방의 [[아우구스투스 (칭호)|정제(Augustus)]]로 임명하였고, 자신들의 사위를 각각 [[카이사르 (칭호)|부제(Caesar)]]로 임명하여 제국을 지배하는 [[사두 체제|사두 체제(Tetrarchia)]]를 도입했다.<ref>[http://www.roman-emperors.org/dioclet.htm 디오클레티아누스 ( 284-305 AD)], 랄프 W. 메시센 (Ralph W. Mathisen).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1997-3-17. 확인일자 2007-3-20.</ref> 305년 두 정제가 공동 퇴위한 이후 여러 공동 황제는 50년 이상 서로 대립하며 권력 투쟁을 벌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worldhistory.org/Diocletian/|제목=Diocletian|성=Wasson|이름=Donald L.|언어=en|확인날짜=2022-11-16}}</ref> 330년 5월 11일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비잔티온]]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명명(현 이스탄불)하고 로마 제국의 새 수도로 삼았다.<ref>[http://www.roman-emperors.org/conniei.htm 콘스탄티누스 1세 (306 - 337 AD)], 한스 A. 폴샌더(Hans A. Pohlsander).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2004-1-8. 확인일자 2007-3-20.</ref> 제국은 [[테오도시우스 1세]] 사후인 395년에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으로 영구히 갈라졌다.<ref>[http://www.roman-emperors.org/honorius.htm 호노리우스 (395-423 AD)], 랄프 W. 메시센.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1999-6-2. 확인일자 2007-3-21.</ref>
4세기가 넘도록 서부 지역은 끊임없이 이민족의 침략에 시달리면서 점차 쇠퇴 일로로 치달았다.<ref>다이커, 2001년. p.155.</ref> 4세기에 [[훈족]]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서고트족]]이 밀려나 제국 국경 안쪽에 피난처를 구하게 되었다.<ref>[http://www.ucalgary.ca/applied_history/tutor/firsteuro/invas.html 서유럽에 대한 게르만족의 침입] {{웨이백|url=http://www.ucalgary.ca/applied_history/tutor/firsteuro/invas.html |date=20070523103249 }} 켈거리 대학(The University of Calgary). 기록일자 1996년 8월. 확인일자 2007-3-22.</ref> 410년 즈음에는 [[알라릭 1세|알라리크 1세]]가 이끄는 [[서고트족]]은 로마 시를 약탈했다.<ref>Lapham, Lewis (1997). ''The End of the World.'' New York: Thomas Dunne Books. {{ISBN|0-312-25264-1}}. pages 47-50.</ref> 또한 [[가이세리크]]가 이끄는 반달족이 로마 속주인 갈리아, 히스파니아, 북아프리카를 침략하고 455년에 로마를 약탈했다.<ref>다이커, 2001년. p.157.</ref> 455년 이후에는 게르만 출신 장군 [[리키메르]]에 의해 황제가 지속적으로 폐위되는 상황이 일어났고, 476년 9월 4일 게르만 장군 [[오도아케르]]는 서로마의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시켰다.<ref>[http://www.roman-emperors.org/auggiero.htm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475-476 AD)--두 가지 견해], 랄프 W. 메시센(Ralph W. Mathisen)과 케오프레이 S. 너샌(Geoffrey S. Nathan).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1997-8-26. 확인일자 2007-3-22.</ref>(단 참고로 일부 학자는 480년까지 [[달마티아]]에서 버티고 있던 동로마 황제 [[레오 1세 (동로마 제국)|레오 1세]]의 조카 사위 [[율리우스 네포스]]나 또는486년까지 갈리아 북부를 지배했던 로마 장군 [[시아그리우스]]의 [[수아송 왕국]]을 마지막으로 보기도 한다.) 1200여 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로마의 서부 지역 지배는 막을 내렸다.<ref>더랜트, 1944년. p.670.</ref>
[[파일:Marius Carthage.jpg|섬네일|upright|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던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로마의 군사 제도에 극적인 개혁을 시행하였다.]]
[[파일:Venice – The Tetrarchs 03.jpg|섬네일|테트라키아]]
동로마 제국도 마찬가지 위기를 겪었지만 서쪽보다는 나은 처지였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잠시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를 수복했으나 유스티니아누스가 죽고 몇 년이 채 안 되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미쳤던 동로마의 세력 범위는 줄어들었다.<ref>다이커, 2001년. p.347.</ref>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치명적인 전염병과 전쟁 등으로 동로마 제국은 또한 [[이슬람]]의 발흥에 위협받았으며, 이슬람 세력은 [[시리아]]와 [[이집트]]의 영토를 곧 정복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까지 직접 위협하게 되었다.<ref name="Hooker'sByzantinepage">[http://www.wsu.edu/~dee/MA/BYZ.HTM 비잔티움 제국T] {{웨이백|url=http://www.wsu.edu/~dee/MA/BYZ.HTM |date=20070626214253 }}, 리차드 후커. 워싱턴 주립대학. 기록일자 1999-6-6. 확인일자 2007-4-8.</ref><ref>Bray, R.S.: ''[http://books.google.com/books?id=djPWGnvBm08C&pg=PA26&dq=plague+of+justinian+decline&sig=ACfU3U3Y9OfbqWzKvC17ZwtT5opXY8RjeQ#PPP5,M1 역병의 군대들]'', 제임스 클라크 컴퍼니, 2004, page 26</ref> 그러나 동로마 제국은 8세기경 이슬람의 확대를 막아냈으며, 9세기 초에는 정복당한 땅의 반환을 다시 요구했다.<ref name="autogenerated2" /><ref>다이커, 2001년. p.349.</ref> 한편 이슬람의 발흥 시기 [[헤라클리우스]] 황제가 공용어를 기존의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바꾸도록 명하였다. 또한 아우구스투스 황제 때 부터 사용해오던 '존엄한 자' 라는 뜻을 가진 '[[아우구스투스 (칭호)|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 대신 그리스어로 제왕을 뜻하는 '[[바실레우스]]'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기원후 1000년에 동로마 제국은 전성기를 이루었다.[[마케도니아 왕조]]가 들어선 이후 [[바실리우스 2세|바실리오스 2세]]는 불가리아와 아르메니아를 재정복했으며, 문화와 교역이 번영했다.<ref>[http://www.roman-emperors.org/basilii.htm 바실리우스 2세 (CE 976-1025)] 캐서린 홈즈.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2003-4-1. 확인일자 2007-3-22.</ref> 그러나 이 정복 이후 제국은 1071년 [[셀주크 튀르크]]와의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패하면서 [[로마노스 4세]]가 포로로 잡혔고, 팽창에 제동이 걸렸다. 이 사건은 결국 제국의 쇠퇴로 이어진다. 수백년간 내분과 [[터키]]의 침략으로 [[알렉시우스 1세|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1095년 서방에 도움을 요청할 수밖에 없었다.<ref name="Hooker'sByzantinepage" /> 서유럽에서는 로마 가톨릭의 교황인 [[우르바노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를 소집하여 [[십자군]]을 조직하여 동로마 제국에 파견한다. 수십년이 흘러 파견된 [[제4차 십자군]] 당시 이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면서 제국내의 물품을 약탈하고 동로마 제국은 잠시동안 분열되어 몇몇 후계 국가들([[니케아 제국]], [[라틴제국]], [[트레비존드 제국]], [[에피로스 공국]])이 들어서다가 결국 [[니케아 제국]]이 최종 승자가 되어 동로마 제국의 왕위를 계승하였다.<ref>Gibbon, Edward.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http://olldownload.libertyfund.org/Texts/Gibbon0105/DeclineAndFall/Vol11/PDFs/0214-11_Pt02_Chap61.pdf 61장] {{웨이백|url=http://olldownload.libertyfund.org/Texts/Gibbon0105/DeclineAndFall/Vol11/PDFs/0214-11_Pt02_Chap61.pdf |date=20080307071332 }}. 확인일자 2007-4-11.</ref> 제국 군대가 수도를 수복한 뒤 제국은 [[에게해]] 해안에 국한된 그리스 국가로 전락하고 만다. 이후 즉위한 황제들은 아무도 제국을 부흥시키지 못하고 결국 동로마 제국은 1453년 5월 29일 [[오스만투르크]]의 [[메메드 2세]]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당하면서 멸망하였다.<ref>[http://www.theottomans.org/english/family/mehmet2.asp 메메드 2세], 코르쿠트 오젠 (Korkut Ozgen). Theottomans.org. 확인일자 2007-4-3.</ref>
== 사회 ==
수도 [[로마]]는 당대 최대의 도시로 [[인구]]는 백만 명에 이르렀으며(이는 19세기에 당대 세계 최대의 도시였던 [[런던]]의 인구와 맞먹는다) 최대 추정치는 140만, 최소 추정치는 45만 명이다.<ref>다이커, 2001년. p.149.</ref><ref>[http://www.highbeam.com/doc/1G1-20586744.html 고대 로마의 인구의 "요약"] {{웨이백|url=http://www.highbeam.com/doc/1G1-20586744.html |date=20110501052229 }}, 글렌 R. 스토레이. 하이빔 리서치. 기록일자 1997-12-1. 확인일자 2007-4-22.</ref><ref>[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econdary/journals/CP/29/2/Population_of_Rome*.html#note6 로마의 인구], 휘트니 J. 오에이트(Whitney J. Oates). 원래 "고전 철학"으로 출간됨.
Vol. 29, No. 2 (April 1934), pp101-116. 확인일자 2007-4-22.</ref> 로마의 공공 장소는 발걸음 소리와 마차 바퀴가 덜걱거리는 소리([[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낮에는 도성에 마차가 드나들지 못하도록 금한 바 있다)로 시끄러웠다. 역사가의 추정에 따르면 고대 로마의 인구 20% 정도가 도심지에 살았으며(로마가 지배하는 이탈리아 전체로는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5–40%이다<ref>N.Morley, ''Metropolis and Hinterland'' (Cambridge, 1996) 174-83</ref>), 1만 명 이상이 군사 정착촌에 거주하여 전근대 기준으로 매우 높은 도시화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도심지에는 [[포룸]]과 신전과 비슷한 양식의 더 작은 건물들이 있었다.
=== 계급 ===
로마 사회는 대단히 위계적이며 계급을 의식하는 사회였다.<ref>{{웹 인용 |url=http://www.vroma.org/~bmcmanus/socialclass.html |제목=사회 계급과 공적 과시(SOCIAL CLASS AND PUBLIC DISPLAY) |확인날짜=2009-05-25 |archive-date=2006-09-27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0927152234/http://www.vroma.org/~bmcmanus/socialclass.html |url-status= }}</ref> 최하층은 [[노예]](servi), 그 위로는 [[피해방인]](해방노예, liberti), 그리고 위에는 자유 시민(cives)이 있었다. 자유 시민은 또 일정한 계층으로 분류되었다. 로마 역사 초기 계층은 로마 창건을 이끈 100명의 가부장 출신의 [[귀족]]과 나머지 [[평민]]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나중에 [[로마 공화정|공화정]] 시대에 이 구분의 중요성은 떨어지게 되는데, 일부 평민 가문이 부유해져 정계에 진출했으며, 귀족 계급이 몰락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귀족이건 평민이건 누구나 자신의 가족에서 [[집정관]]에 오르면 신귀족(nobilis, 新貴族)으로 인정받았다.<ref name="129~130">M.하이켈하임, pp.129~130.</ref> 가령 [[가이우스 마리우스]]나 [[키케로]]는<ref>{{웹 인용 |url=http://dic.academic.ru/dic.nsf/enwiki/524130 |제목= 새로운 사람(Novus Homo)|확인날짜=2009-05-25}}</ref> 이런 유형의 신인(新人, novus homo)으로 이들의 후손은 귀족이 되었다.<ref name="129~130"/> 그러나 혈통 귀족인 경우 지속적으로 상당한 명성을 유지했으며, 여러 종교 관직에 임명될 수 있는 자격자는 공화정 말기까지 귀족 출신으로 제한되었다.
계층 구분은 원래 군역 할당에 기반을 두었는데, [[감찰관]]이 정기적으로 재산에 따라 각 시민을 특정 계층으로 분류했다. 가장 부유한 집단은 원로원 계급으로, 정계와 군사를 장악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에퀴테스|기사 계급]](equites)으로 원래 이들은 군마(軍馬)를 부담할 수 있는 집단을 일컬었으며, 나중에는 유력한 상인 계급을 형성하게 된다. 하위 계급은 원래 군사 장비 구입 수준에 따라 정해졌으며, 최하로는 군에 입대시킬 아들외에는 재산이 전혀 없는 [[무산자]](proletarii, 무산자를 뜻하는 [[프롤레타리아]]가 바로 이 말에 뿌리를 두고 있음)가 있었다. 마리우스의 군제 개혁 이전에 이들은 군대에 들어갈 수 없었으며, 부나 사회의 인식 면에서 피해방인보다 약간 높은 집단으로 정도로 기록되기도 했다.
공화정 시대에 투표권의 비중은 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시민들은 선거 지역구격인 "트리부스(tribus)"에 등록되어 있었다. 부유한 계층의 트리부스는 재산 수준이 낮은 트리부스보다 인원 수가 적었으며, 무산자 계층 전체에는 트리부스가 겨우 하나밖에 할당되지 않았다. 투표는 계급 순서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전체 트리부스의 과반에 이르면 투표가 종결되었으므로, 가난한 계급은 아예 투표를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ref>김진경, pp.262~267.</ref>
로마는 일부 동맹국에는 [[라틴 시민권|라티움인의 권리]]를 보장했는데, 이 권리는 완전한 로마 시민권과 외국인(peregrini)의 중간 수준의 신분을 의미했으며 [[로마법]]이 이 지위를 성문적으로 보장했고, 이들 나라의 최고 정무관들은 완전한 [[로마 시민권]]을 얻었다.<ref>허승일, 1997, p.70.</ref> 라틴인의 권리에는 여러 층위가 있는데, 주된 구분은 "투표권이 있는 시민권"(cum suffragio, 로마의 트리부스에 등록되어 트리부스 민회에 참여할 수 있었다)와 "투표권이 없는 시민권"(sine suffragio, 로마 정치에 참여할 수 없다)으로 나눌 수 있다.<ref>허승일, 1997, p.71.</ref> 일부 로마의 이탈리아 동맹국은 기원전 91~88년의 [[동맹국 전쟁]] 이후 완전한 로마 시민권을 얻었다.<ref>허승일, 1997, p.72.</ref> 기원후 212년 [[카라칼라]]의 칙령으로 제국내의 모든 자유 시민에게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ref>셰이드, p.37.</ref> 여성은 남성 배우자와 어느 정도 동등한 기본권이 있었으나,<ref>R.더들리, p.24.</ref> 완전한 시민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투표를 하거나 정치에 참여할 수 없었다.
=== 가족 ===
로마 사회의 기본 단위는 가족(가구)였다.<ref name="Duiker346">다이커, 2001년. p.146.</ref> 가족의 개념에는 '''가부장'''(pater familias)과 아내, 자녀, 다른 친척이 포함되었다. 상류층에서는 노예와 하인도 가족의 일부를 이루었다.<ref name="Duiker346"/> 가부장은 다른 가족 구성원에 대해 절대권(patria potestas, 가부장권)을 행사했다. 가부장은 결혼(보통 돈 때문에)과 이혼을 결정할 수 있었고, 자식을 노예로 팔 수 있었으며, 자손들의 재산을 자신의 것으로 주장할 수 있었고, 심지어 생사 여탈권까지 있었다(그러나 기원전 1세기 이후에는 이 생사여탈권이 금지된다).<ref name="Cassonpageset1">카슨, 1998년. pp.10-11.</ref>
가부장권은 성인 아들과 그 가족에 대해서도 행사할 수 있었는데, 아버지가 살아있는 한 그 아들은 가부장으로 인정받지도, 자신의 재산도 가질 수 없었다<ref name="Cassonpageset1"/><ref>[http://fathom.lib.uchicago.edu/1/777777121908/ 고대 로마의 가족 가치] , 리차드 세일러, 시카고 대학 도서관 디지털 모음집: 통찰 문서국. 기록일자 2001. 확인일자 2007-4-14.</ref> 로마 역사 초기에 딸은 결혼하면 남편의 가부장 수권(手權, manus)으로 넘어간다. 그러나 공화정 말기에 이르면 이런 관습은 낡은 것이 되어, 여성이 친정을 자신의 진정한 가족으로 계속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ref>애드킨스, 1998년. p.339.</ref> 하지만 로마인들은 남성 계통을 기준으로 혈통을 인정했으므로, 모든 자녀는 남편의 가족에 속했다.<ref>애드킨스, 1998년. p.340.</ref>
서로 혈연관계가 있는 여러 가족의 집단을 [[씨족]](gens)라고 했다.<ref>R.더들리, p.23.</ref> 가족은 혈통이나 양자 입적으로 구성되었으나 정치적ㆍ경제적 연대이기도 했다. 특히 공화정 시대에 일부 유력 가문(gentes maiores)은 정계를 지배했다.
고대 로마에서 [[결혼]]은 특히 상류층 사이에서는 낭만적인 결합이기보다는 경제적·정치적 결합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가부장은 보통 딸이 12살에서 14살 사이 나이일 때 사위를 구했다. 신랑은 대개 신부보다 나이가 많았다. 상류층에서는 여자가 어린 나이에 결혼한 데 반해, 하류층 여성은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결혼했다고 한다.
=== 교육 ===
{{참고|고대 로마의 교육}}
공화정 초기 로마에는 공립 학교가 없었다. 따라서 소년들은 [[부모]]나 노예 교사(paedagogi, [[고대 그리스|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이다)에게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ref name="Lecture 13">[http://www.historyguide.org/ancient/lecture13b.html 강의 13: 로마제국의 사회사 요약], 스티븐 크레이스. 기록일자 2006-10-11. 확인일자 2007-4-2.</ref><ref name="Adk211">애드킨스, 1998년. p.211.</ref><ref name="Werner31">Werner, 1978. page 31.</ref> 이 시대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은 젊은이에게 농업, 전쟁, 로마의 전통, 공무를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ref name="autogenerated2" /> 어린 소년은 아버지와 함께 종교ㆍ정치 활동을 하면서 사회 생활을 다양하게 익혔다.<ref name="autogenerated2" /> 귀족 자제는 16세 나이에 유력 정치인 밑에서 정치를 배웠으며, 17세부터 군대에서도 활동했다(이런 관습은 [[로마 제정|제정]] 시대에도 일부 귀족 가문 사이에서 계속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2" /> 기원전 3세기에 [[헬레니즘]] 나라를 정복하면서 그리스 문화가 유입되어 교육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지만 그리스의 교육 방식과는 여전히 달랐다고 한다.<ref name="autogenerated2" /><ref>다이커, 2001년. p.143.</ref> 부모가 여력이 있으면 7살 나이의 소년과 일부 소녀들을 집 밖의 사립 학교(ludus)로 보냈다. 이들이 11살이 될 때까지 교사(litterator 또는 magister ludi)가 기본적인 읽기, 쓰기, 셈법, 때론 그리스어까지 가르쳤다.<ref name="autogenerated2" /><ref name="Werner31"/><ref name="TexEd">[http://www.txclassics.org/exceteducation.htm 로마의 교육] {{웨이백|url=http://www.txclassics.org/exceteducation.htm |date=20071225125840 }}. 라틴어 ExCET 준비. 텍사스 고전 연합, 지니 린제이(Ginny Lindzey) 씀, 1998년 9월. 확인일자 2007-3-27.</ref> 12살부터 학생은 중등 학교에 가서 교사(grammaticus)에게서 [[고대 그리스어|그리스어]]와 [[라틴 문학|로마 문학]]을 배웠다.<ref name="autogenerated2" /><ref name="autogenerated2" /> 16세 나이가 되면 몇몇 학생은 [[수사학]] 학교에 갔다(이곳 교사(rhetor)는 대개 그리스인 출신이었다).<ref name="autogenerated2" /><ref name="autogenerated2" /> 이 정도의 교육 수준은 법조인을 지망하는 학생들이 준비했으며, 이들은 로마의 법을 암기해야 했다.<ref name="autogenerated2" /> 학생들은 종교 축제나 장날 외에는 매일 학교에 갔으며, 여름 방학도 있었다.
=== 정치 ===
{{참고|원로원|로마의 민회|호민관|쿠르수스 호노룸}}
원래 로마는 각 부족에서 서로 돌아가며 선출한 [[로마 왕정|왕]]이 다스리는 나라였다.<ref>Matyszak, 2003. pages 16-42.</ref> 왕권의 정확한 속성은 확실하지 않다. 초기 로마 국가의 통일과 권력과 권위의 살아있는 상징은 왕이었다.<ref>M.하이켈하임, p.68.</ref> 다만 군사 분야에서는 왕은 절대적인 명령권(imperium)을 행사했다.<ref name="k256">김진경, p.256.</ref> 또 국가 종교의 수장이기도 하였다.<ref name="k256"/> [[원로원]]은 왕을 위한 자문 기구였으며, [[쿠리아회]]는 임금이 입안한 법을 정하고 비준할 수 있는 민회였다.<ref>김진경, p.257.</ref>
[[파일:Cicero Denounces Catiline in the Roman Senate by Cesare Maccari - 3.jpg|섬네일|300px|앉아 있는 [[로마 원로원]] 의원들을 향해 [[카틸리나]]를 비판하는 [[키케로]]. 19세기 프레스코화.]]
[[로마 공화정|공화정]]기의 신분 투쟁으로 로마는 로마 특유의 민주정과 과두정이 혼합되었다. '{{llang|en|republic}}'의 어원이 된 '{{llang|la|res publica}}'는 '공공의 일'을 뜻하는 말이었다.<ref>M.하이켈하임, p.103.</ref> [[로마법]]은 전통적으로 민회에서만 표결로 투표할 수 있었다.([[트리부스회]]) 마찬가지로 공직 출마자도 인민이 선출했다. 그러나 로마 원로원은 자문 기능을 하는 과두적인 정치 기구였다. 공화정에서 원로원에는 강력한 권위(auctoritas)가 있었으나 기능상 자문 기구이므로 입법권은 없었다. 그러나 원로원 의원들은 매우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었으므로, 원로원의 집단적인 의지에 맞서기는 힘들었다.<ref name="h110">M.하이켈하임, p.110.</ref> 원로원 의원은 [[감찰관]]이 명문 귀족 중에서 임명했는데, 감찰관은 "부도덕한" 행실을 한 의원을 면직할 수도 있었다. 가령 [[뇌물]]을 받는다거나 혹은 [[소 카토]]가 감찰관이던 시절에 공공 장소에서 자신의 아내와 포옹하는 행위가 바로 그런 경우에 속한다. 나중에 [[독재관]] [[술라]]의 개혁으로 [[재무관]]은 자동적으로 원로원 의원이 되었다.
로마 공화정에는 엄격한 관료제가 없었으며, 세금도 징세 청부를 통해 거두었다. 재무관, [[조영관]], 혹은 [[장관]](praefectus) 등 정무관은 본인 돈으로 공무를 처리했다. 시민 개인에게 너무 많은 권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정무관은 1년 임기로 선출되었으며, 동료 정무관과 권력을 분할하도록 하였다. 가령 평상시에는 최고 권력은 집정관 두 사람이 함께 보유했다. 비상시에는 임시 [[독재관]]을 임명할 수 있었다. 공화정 시대에 행정 체제는 필요할 때마다 수차례 개정되었다. 결국 로마가 크게 팽창하면서 공화정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로마 제정|제정]] 성립으로 이어진다.
제정 초기는 정부는 공화정의 형태를 가장하였다. 로마 황제는 그저 ''제1시민''(priceps)일 뿐이었으며, 원로원은 과거 민회가 보유하던 입법권과 모든 법적 권한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황제의 권력은 점차 전제 권력으로 발전했으며, 원로원은 황제가 임명하는 자문 기구로 전락하였다. 로마 제국은 공화정 시대의 행정 체제를 물려받지 않았는데, 공화정에는 원로원 외에 영속적인 행정 기구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최고위 행정가와 원로원 의원, 자신의 친구, 전문 법률가 등을 모아 조언을 구하였으며, 원로원 의원, 기사, 피해방인, 심지어 노예까지 각계 각층의 사람들을 공무원으로 기용하여 곡물, 수도, 치안, 법, 재정 등 일종의 행정 조직을 구성하였다.<ref>M.하이켈하임, p.557~559.</ref>
=== 법 ===
{{본문|로마법}}
고대 로마의 법리와 사법은 [[12표법]](기원전 449년)에서 시작하여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로마법대전]]으로 이어진다. [[로마법]]은 [[동로마 제국]] 시대에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으로 존속했으며, [[서유럽]] 법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넓은 의미로 볼 때 로마법은 17세기 말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적용되었다.
고대 로마법의 주된 구분은 유스티니아누스와 테오도시우스 법전에 수록된대로 '''시민법'''(Ius Civile), '''만민법'''(Ius Gentium), '''자연법'''(Ius Naturale)이다. 시민법은 로마 시민에게 적용되는 주요 보통법이다.<ref>애드킨스, 1998년. p.46.</ref> [[법무관|도시 법무관]](Praetor Urbanus)은 시민들의 송사에 대해 재판권을 가지고 있었다. 만민법은 외국인들이나 외국인과 로마 시민 사이에 적용되는 주요 보통법이다.<ref name="Duiker346"/> [[법무관|외국 법무관]](Praetor Peregrinus)은 외국인과 로마 시민 사이의 송사에 재판권을 가지고 있었다. 자연법(Ius Naturale)은 일반적인 의미의 [[자연법]]을 포함하며, 외국인과 로마 시민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법이다.
=== 군사 ===
{{본문|고대 로마의 군사}}
{{참고|로마 군단}}
초기 로마의 군대는 추첨에 의한 [[징병제]]이었다. 그러던 것이 국가 로마의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지원제로 바뀌었고([[마리우스]]의 군제 개혁 이후), 마침 고도성장기의 로마에서 증가하고 있었던 실업자의 구제책으로 환영받았다. 로마가 제정으로 바뀌면서 초대황제 [[아우구스투스]]는 내전으로 엄청나게 커져 있던 군대의 규모를 줄이고, 그때그때 필요할 때마다 편성하던 방식을 바꿔 [[상비군]] 제도로 개편했다. 이 제정 로마의 상비군은 국경 바깥의 이민족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대부분 국경 부근에 배치되었다.
== 문화 ==
[[파일:Seven Hills of Rome.svg|섬네일|200px|로마의 일곱 언덕]]
일곱 언덕이 자리잡은 [[로마]] 시는 고대 로마의 중심지였다. 이 도시에는 [[콜로세움]], [[트라야누스 포룸]], [[판테온]] 등 아치를 활용한 장대한 건물이 많았다. 분수에서는 수백 마일 길이의 [[수도관]]을 타고 운반되어 온 신선한 식수가 솟았으며, [[극장]], [[체육관]], 그리고 [[도서관]]과 가게, [[시장]], [[상하수도]]를 갖춘 [[로마식 목욕탕]]도 있었다. 고대 로마의 지배 영역 널리 전원 별장(villa)와 같은 가옥 구조를 볼 수 있었다. 수도 로마 시에는 [[팔라티누스 언덕]]의 궁궐이 있었으며, 하층 평민이나 중류 기사 계급은 도심지의 아파트(insulae)에 살았다. 이런 곳은 상류층 지주들이 임대료 수입을 얻기 위해 지은 곳이기도 했는데, [[콜레기움]](collegium)이나 [[선술집]](taberna)이 생활의 중심이었다. 이 곳에 사는 사람들은 무료 곡물 배급을 받으며, 검투사 경기를 즐겼으며, 상류 귀족의 [[피호 제도|피호민]]으로 필요할 때 도와주고 지켜주는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 언어 ===
{{본문|라틴어|라틴어의 역사}}
로마인의 모국어는 [[라틴어]]로, 이 언어는 [[이탈리아어파]]에 속하며 문법상 낱말 배열이 상당히 자유롭고, [[어간]]에 붙는 [[접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ref>[http://www.utexas.edu/cola/centers/lrc/eieol/latol-0-X.html 라틴어 온라인: 시리즈 입문] {{웨이백|url=http://www.utexas.edu/cola/centers/lrc/eieol/latol-0-X.html |date=20150429221355 }} 윈프레드 P. 레만과 조나단 슬로쿰(Winfred P. Lehmann and Jonathan Slocum). 언어 연구소. 오스틴의 텍사스 대학. 기록일자 2007-2-15. 확인일자 2007-4-1.</ref> 라틴어 문자는 [[그리스 문자]]에 기반을 둔 [[에트루리아 문자]]에서 나왔다.<ref>[http://www.du.edu/~etuttle/classics/latalph.htm 라틴 알파벳] {{웨이백|url=http://www.du.edu/~etuttle/classics/latalph.htm |date=20070403040205 }}, J. B. 캘버트. 덴버 대학. 기록일자 1999-8-8. 확인일자 2007-4-1.</ref> 현존하는 [[라틴 문학]]은 대부분 기원전 1세기부터 쓰인 매우 정제된 문어인 [[고전 라틴어]]로 되어 있으나, 실제 [[구어]]는 [[민중 라틴어]]로 고전 라틴어와는 [[문법]]과 [[어휘]]가 다르며 심지어는 발음까지 상당한 차이가 있다.<ref>[http://classics.lss.wisc.edu/courses/Classical_Latin_Supplement.pdf 고전 라틴어 추가] {{웨이백|url=http://classics.lss.wisc.edu/courses/Classical_Latin_Supplement.pdf |date=20070810033726 }}. page 2. 확인일자 2007-4-2.</ref>
라틴어는 로마 제국의 주요 언어였지만, 로마인이 공부한 대부분의 문학이 그리스어로 되어 있었으므로 교양있는 상류층은 [[고대 그리스어|그리스어]]도 구사했다. 또 제국의 동부 지역에서는 후대 [[동로마 제국]] 시대까지 그리스어가 라틴어 대신 제1언어였으며,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죽은 뒤 그리스어는 동로마 제국 정부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ref>애드킨스, 1998년. p.203.</ref> 로마 제국이 확장되면서 라틴어도 전 유럽으로 퍼졌으며, 세월이 흐르면서 민중 라틴어가 여러 지역에서 방언으로 갈라져, 수많은 [[로망스어]]로 발전하였다.
=== 종교 ===
{{참고|로마 신화|고대 로마의 종교|로마 신전}}
초기 로마 종교는 최소한 신에 대해서는 글로 쓰여진 이야기가 없으며<ref>Matyszak, 2003. page 24.</ref>, 기본적으로 하나의 신념 체계라기보다는 숭배의례이며 의식(儀式)에 가까웠다.<ref>허승일, 2000, p.324.</ref> 그리고 종교의 목적은 의식을 통해 신을 불러내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며 보답을 약속하는 일종의 거래였다.<ref>허승일, 2000, p.325.</ref> 그리스 신화와 달리 로마의 신은 인격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ref>허승일, 2000, p.329.</ref>, 문, 경계, 꽃, 곡물 등에 서린 정령(numen)을 숭배하였다.<ref>허승일, 2000, p.330.</ref> 로마 사람들은 모든 사람이나 장소, 사물에 신성한 혼(genius)이 있다고 믿었다. [[로마 공화정|공화정]] 시대에 로마 종교는 사제직을 갖춘 엄격한 체제를 갖추게 되었으며, 사제들은 원로원 의원 출신이었다. [[국가 사제단]](Collegium Pontificum)은 종교 제문을 보관하고 종교 의식을 감독하였으며, 가장 높은 성직자는 [[최고 제사장]](pontifex maximus)으로 국가 종교의 수장이었다.<ref>R.더들리, p.27.</ref> 사제(flamen)는 여러 신의 의식을 치렀으며, 복점관(augur)은 점을 쳤다. [[렉스 사크로룸]](rex sacrorum)은 왕이 축출된 뒤 왕 대신 종교 권한을 얻었다.<ref name="h110"/>
[[고대 그리스|그리스]] 문화를 점점 접하게 되면서 옛 로마의 신은 점차 그리스의 신과 동일시되었다<ref>윌리스, 2000년. p.168.</ref> 그리하여 [[유피테르]]는 [[제우스]]와, [[마르스]]는 [[아레스]]와, [[넵투누스]]는 [[포세이돈]]과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 또 로마의 신은 각자 동일시된 그리스 신의 신화와 속성도 이어받게 되었다. [[로마 제정|제정]] 시대에 로마 사람들은 정복당한 민족들의 신화도 흡수하여, 외국신을 모시는 신전 옆에 전통적인 이탈리아 신전이 있는 경우도 생겼다.<ref>윌리스, 2000년. p.166.</ref> 최초의 기독교 박해는 기원후 64년 네로 시대에 로마 대화재의 주범으로 그리스도 교도를 수색하면서 잔인한 고문과 태형을 가한 것이었다.<ref>{{서적 인용 |성= 카르코피노|이름= 제롬 |제목= 고대 로마의 일상생활 |날짜=2003-08-04 |출판사=우물이 있는 집 |출판위치=서울 |id= 89-89824-18-4 03920 |쪽= 264}}</ref>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기독교 박해는 극에 달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 기독교는 로마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 기원후 391년 [[테오도시우스 1세]]의 칙령으로 제국 내에서 기독교 외의 모든 종교 숭배가 금지되었다.<ref>[http://www.roman-emperors.org/theo1.htm 테오도시우스 1세 (379-395 AD)], 데이비드 우즈.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1999-2-2. 확인일자 2007-4-4.</ref>
=== 예술 ===
{{참고|로마의 예술|라틴 문학|로마 조각}}
로마의 [[회화]]는 그리스의 영향이 보이며, 남아있는 작품은 대개 시골 별장의 천장과 벽을 꾸미는 [[프레스코화]]이며, [[라틴 문학]] 이야기를 다룬 나무나 [[상아]] 등에 그린 그림도 있다.<ref name=Addypaint>애드킨스, 1998년. pp.350-352.</ref><ref name=MetstuffonRpaint>[http://www.metmuseum.org/toah/hd/ropt/hd_ropt.htm 로마 회화], 예술사 연표. 메트로폴리탄 예술 박물관, 그리스 로마 예술부. 기록일자 2004-10. 확인일자 2007-4-22.</ref> [[폼페이]]에서 로마의 그림 몇 점이 출토되었는데, 이를 통해 예술사가들은 로마의 회화사를 네 시기로 구분한다. 로마 회화의 첫 번째 양식은 [[기원전 2세기]] 초에서 [[기원전 1세기]] 초중반까지 유행했다. 이 양식은 주로 [[대리석]]이나 쌓은 돌을 모방한 것으로,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을 묘사한 것도 있다. 두 번째 양식은 기원전 1세기 초로, 건축물이나 풍경을 3차원으로 사실적으로 묘사하려 하였다. 세 번째 양식은 [[아우구스투스]] 시대([[기원전 27년]] ~ 기원후 [[14년]])에 있었으며, 이전의 사실주의를 거부하고 단순한 장식을 선호했다. 작은 건물 모습, 풍경, 추상적인 디자인을 단색 배경 가운데에 놓았다. 네 번째 양식은 기원후 [[1세기]]에 시작했는데, 신화의 장면을 묘사하며, 건축물 모습이나 추상적인 문양도 남아 있다.<ref name=Addypaint/><ref name=MetstuffonRpaint/>
젊고 고전적인 비례를 쓰던 시기에 흉상 조각은 나중에 [[사실주의]]와 [[이상주의]]의 혼합으로 발전했다. 안토니누스 황조와 [[세베루스 황조]] 시대에 더욱 화려해진 머리와 수염이 유행하였다. 부조 조각도 발전했는데, 보통 로마의 승리를 묘사하고 있다.
[[라틴 문학]]은 그 기원부터 그리스 작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현존하는 몇몇 초기 작품을 보면 초기 로마의 군사적 승리를 묘사한 [[서사시]]의 내용을 담고 있다. 공화정기 로마가 팽창하면서 저자들은 [[시 (문학)|시]], [[희극]], [[역사]], [[비극]]도 쓰게 되었다.
[[폼페이]]와 [[헤라클라네움]]에서 찾은 [[낙서]], [[유곽]], [[회화]], [[조각]]을 보면 로마 사람들은 대단히 성에 개방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ref>그랜트, 2005년. pp.130-134.</ref>
==== 음악 ====
로마의 음악은 주로 그리스의 음악에서 나왔으며, 로마인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ref name=iClassics>[http://www.iclassics.com/periodArticle?contentId=3003 연대기: 고대와 중세: 고대 로마] {{웨이백|url=http://www.iclassics.com/periodArticle?contentId=3003 |date=20200122083351 }}. iClassics. "서양 음악사, 제 5판"에서 발췌, 도날드 제이 그로우트와 클라우드 V. 펠리스카(Donald Jay Grout and Claude V. Palisca), 노턴 앤 컴퍼니.: 1960. 확인일자 2007-4-22.</ref> 추수나 베짜기, 결혼식이나 장례식, 사랑이나 풍자 등 일상 생활과 관련된 여러 가지 노래가 있었으며, 부유한 가정에서는 저녁 식사 때 음악이 연주되곤 하였다.<ref name="ep18">Wade-Matthews, 2004, p.18.</ref>
[[파일:Cornicen on Trajan's column.JPG|섬네일|200px|right|[[코르누]]를 연주하는 로마군 장교(cornicen). [[트라야누스 기둥]].]]
로마 군대에서는 투바(tuba, 긴 [[트럼펫]])나 코르누(cornu, [[프렌치 호른]]과 비슷하다)같은 악기를 써서 여러 가지 명령을 전달했으며, 부키나(bucina, [[호른]]이나 [[트럼펫]]으로 추정)나 리투스(lituus)<ref>긴 J모양의 악기로 추정. 에트루리아에서 유래되었으며 [[트럼펫]]과 [[알펜호른]]의 전신. Wade-Matthews, 2004, p.162.</ref>는 의전 행사에 쓰였다.<ref>애드킨스, 1998년. p.89.</ref> 투바와 코르누를 비롯하여 물 오르간은 원형 경기장에서 검투 막간에 쓰여 전차 경주와 검투의 흥분을 고조하였으며, 극장에서도 물 오르간과 티비아이(tibiae, 로마식 [[아울로스]]에 해당하는 더블 파이프)이 쓰였다.<ref name="ep19">Wade-Matthews, 2004, p.19.</ref><ref>애드킨스, 1998년. p.349-350.</ref> 무언극도 로마의 인기있는 오락이었으며, 합창, 기악, 무용과 함께 정기적으로 협연하였다.<ref name="ep19"/>
제사나 축제 음악 등 종교 의식에도 대부분 음악을 이용하였는데, 희생 의식에는 도살되는 동물의 울부짖음을 숨기기 위하여 티비아이를, 주신(酒神) [[바쿠스]] 제의에는 [[심벌즈]]와 [[탬버린]]을 썼으며, 여러 의식에서 방울을 쓰거나 성가를 불렀다.<ref name="ep19"/><ref>애드킨스, 1998년. p.300.</ref>
고대 저술가들은 유명한 대연주가, 큰 합창단, 오케스트라 및 웅대한 음악 축제와 경연 대회에 대하여 기록하였다.<ref name="g43"/> 로마의 직업 음악가들은 협회를 만들어 공적인 행사와 사적인 연회에 연주자를 보냈으며, 인기있는 연주자에게 엄청난 연주비가 지불되는 것도 드물지 않았다.<ref name="ep19"/> 여러 황제들이 음악을 지원하고 육성하였는데, 심지어 네로는 음악가로서 명성을 얻고자 하였으며 경연 대회에 직접 참가하기도 하였다.<ref name="g43"/> 어떤 음악사가는 음악이 거의 모든 공공 행사에 쓰였다고 생각하기도 한다.<ref name="autogenerated3">[http://www.iclassics.com/periodArticle?contentId=3003 연대기: 고대와 중세: 고대 로마] {{웨이백|url=http://www.iclassics.com/periodArticle?contentId=3003 |date=20200122083351 }}. iClassics. "서양 음악사, 제 5판"에서 발췌, 도날드 제이 그로우트와 클라우드 V. 펠리스카(Donald Jay Grout and Claude V. Palisca), 노턴 앤 컴퍼니.: 1960.</ref> 또 음악은 오락 및 교육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키케로]]나 [[퀸틸리아누스]]와 같은 저술가들은 교양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음악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진술하였다.<ref name="g43">D.J. 그라우트 외, 2007, p.43.</ref> 그러나 기원후 3~4세기에 걸쳐 제국이 경제적으로 쇠퇴하자 이전의 큰 규모의 음악 활동은 중단되었다.<ref name="g43"/>
현재 고대 로마의 음악에 대해 그리 알려진 것은 그리 많지 않다.<ref name="g42">D.J. 그라우트 외, 2007, p.42.</ref> 여러 그림, 일부 악기, 수천 건의 문헌이 남아있지만, 로마 시대의 라틴어 악보는 남아있지 않다.<ref name="g42"/> 음악사가들은 로마의 음악가가 음악 연주나 이론에 중요한 기여를 했는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ref name=iClassics/>
=== 오락 활동 ===
로마의 젊은이는 뛰기, [[레슬링]], [[권투]], 경주 등 여러 가지 놀이와 체육을 즐겼다.<ref name=Cassononsports>카슨, 1998년. pp.98-108.</ref> 시골에서 부유층은 [[낚시]]와 [[사냥]]도 즐겼다.<ref name=SPQRonline>[http://library.thinkquest.org/26602/entertainment.htm#leisure 일상 생활:오락] {{웨이백|url=http://library.thinkquest.org/26602/entertainment.htm |date=20070430025620 }}. SPQR 온라인. 기록 1998. 확인일자 2007-4-22.</ref> 로마에는 [[핸드볼]]과 비슷한 구기 종목도 있었다.<ref name=Cassononsports/> [[주사위]] 놀이, [[보드 게임]], [[도박]]도 매우 인기 있는 오락거리였다.<ref name=Cassononsports/> 여성들은 이런 활동에 참가하지 않았다. 부자들은 저녁 잔치에서 음악, 춤, 시 낭송과 같은 오락을 즐겼다.<ref name=Adkinsonparties>애드킨스, 1998년. p.350.</ref> 평민들은 클럽이나 모임에서 비슷한 잔치를 열기도 했는데, 보통 오락을 즐기는 저녁 식사란 후원을 받아 선술집에서 여는 모임을 뜻했다.<ref name=Adkinsonparties/>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장난감을 가지고 혹은 목마 넘기를 하며 놀았다.<ref name=SPQRonline/><ref name=Adkinsonparties/>
[[파일:Retiarius stabs secutor (color).jpg|right|섬네일|창투사 레티아리우스가 결투 상대인 검투사 세쿠토르에게 삼지창을 겨누고 있다.]]
검투는 인기있는 오락이었다. [[검투사]]는 죽거나 혹은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갖가지 무기를 들고 ‘첫 피’를 볼 때까지 싸웠다. [[클라우디우스]] 시대에 검투의 인기는 절정에 이르렀는데, 황제의 손짓으로 경기의 결과를 마무리지었다. 영화에 나오는 모습과 달리, 여러 전문가들은 검투사를 죽이라는 손 동작은 ‘엄지손가락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그 손짓이 어떤 것인지는 아무도 확실히 모르지만, 어떤 전문가는 승자 쪽으로 주먹을 들어올렸다가 엄지 손가락을 위로 올려서 패자의 죽음을 명령했으며, 엄지 손가락을 들지 않고 주먹을 들어올리면 살려주라는 뜻이었다고 보고 있다.<ref>[http://penelope.uchicago.edu/~grout/encyclopaedia_romana/gladiators/polliceverso.html 검투사와 엄지 손가락]. 로마나 백과사전. 시카고 대학. 확인일자 2007-4-24.</ref> 동물을 보여주는 것도 인기 있었는데, 외국의 동물을 데려다 사람들에게 보여주거나, [[투수사]]와 싸움을 시키기도 하였다. 죄수나 검투사를 무장하거나 맨몸으로 경기장에 놓고 동물을 풀기도 하였다.
[[키르쿠스 막시무스|대경기장]](circus maximus)도 로마에서 인기있는 장소였는데, 주로 경마나 전차 경주를 벌이는 곳이며, 경기장에 물을 채워 가상 해전을 벌일 수도 있었다. 이곳에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 행사가 많았다.<ref>[http://penelope.uchicago.edu/~grout/encyclopaedia_romana/circusmaximus/circusmaximus.html 대경기장]. 로마나 백과사전, 시카고 대학. 확인일자 2007-4-19.</ref> 이 경기장은 385,000명을 수용할 수 있었으므로, 로마 시에 사는 사람들 모두가 이곳에 왔을 것이다. 대경기장의 경주로 한가운데에는 각각 일곱 개의 커다란 달걀과 일곱 개의 돌고래가 있는 신전이 둘 있었는데, 선수가 한 바퀴 돌때마다 일곱 중 하나씩 없애서 횟수를 표시했다.<ref>{{서적 인용 |성= 카르코피노|이름= 제롬 |제목= 고대 로마의 일상생활 |날짜=2003-08-04 |출판사=우물이 있는 집 |출판위치=서울 |id= 89-89824-18-4 03920 |쪽= 370}}</ref> 스포츠 말고도 대경기장은 시장과 도박판이기도 했다. 황제 등 정부 고위인사도 대경기장 경기를 관람했는데, 경기장에 참석하지 않는 일은 무례한 일로 여겨졌다. 고위 인사, 기사, 그 밖에 경기와 관련된 사람들은 가장 높은 곳의 예약석에 앉았다. 황제가 특정 팀을 좋아하는 것도 부적절한 일로 여겨졌다. 대경기장은 기원전 600년에 생겼으며, 천년이 넘도록 이어지다 기원후 549년에 마지막 경마 경기가 치러진 후 문을 닫았다.
== 기술 ==
{{참고|로마의 도로}}
고대 로마는 인상적인 기술적 업적을 남겼으나 그 성과는 [[중세 시대]]에 잊혀지고 말았다. 로마의 여러 실용적인 기술 혁신은 이전의 [[그리스]]의 것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로마의 공학 기술은 군사 관련 기술과 더불어 로마의 우수한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분야이며, [[로마의 도로|도로]], [[교량]], [[수도관]], [[목욕탕]], [[극장]], [[경기장]]을 건설하는데 기여했다. [[콜로세움]], [[퐁 뒤 가르]], [[판테온]] 등 여러 유적이 아직도 로마의 공학과 문화의 증거로 남아있다.
로마는 [[건축]]으로 유명하였다. 로마 건축은 [[고대 그리스|그리스]] 건축과 더불어 고전 건축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로마 건축은 그리스와 여러 가지 차이가 있는데, 로마는 그리스의 엄밀하고 정격적인 설계와 비례를 차용했다. 그러나 새로운 기둥과 주두의 배열 방식([[오더]])인 [[복합식]](composite order)과 [[토스카나식]](Tuscan order) 그리고 [[에트루리아]]의 [[아치]]에서 배워온 [[돔 (건축)|돔]]<ref>M.하이켈하임, p.46.</ref> 외에는 [[로마 공화정|공화정]] 말기까지 별다른 건축적 성과가 없었다.
기원전 1세기경 로마에서 [[콘크리트]]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콘크리트는 기원전 3세기 후반에 발명되었다. 이것은 [[화산회]]로 만든 강력한 [[시멘트]]로, [[대리석]]을 밀어내고 로마의 주요 건축 자재가 되었으며, 여러 건축 방식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다. 또 기원전 1세기에 [[비트루비우스]]가 아마도 역사상 최초의 완벽한 건축 저작인 [[건축론]]을 썼다. 기원전 1세기 말에 로마는 기원전 40년경 [[시리아]](혹은 [[이집트]])에서 발명된 [[취관]](glassblowing)<ref>M.하이켈하임, p.591.</ref>를 이용하게 되었다. [[모자이크]]는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가 그리스 원정 당시 견본을 가져오면서 전래되었다.
[[파일:RomaViaAppiaAntica03.JPG|섬네일|left|[[아피아 가도]](Via Appia). 수도 [[로마]]에서 [[이탈리아]] 남부까지 연결된 도로로 오늘날에도 멀쩡하다.]]
콘크리트 덕분에 튼튼한 포장도로인 [[로마 도로]]를 깔 수 있게 되었는데, 상당수 로마 도로는 로마가 멸망한지 천 년 뒤에도 계속 쓰였다. 광대하고 효율적인 제국 전역의 도로망은 로마의 패권과 영향력을 크게 증대시켰다. 로마 도로는 전체적으로 5만 마일에 달하였고, 변방의 도로는 군사공병 기술자가 축조하였는데 오늘까지도 건재하다.<ref name="ja68">{{서적 인용 |저자= 정재영 |제목= 건축기술의 역사 |날짜= 2007-08-10|출판사= 한남대학교 출판부 <글누리> |출판위치= 대전 |ISBN=978-89-7066-246-6 93540 |쪽=68}}</ref> 비트루비우스 저서 12권 1장에 있는 공법을 보면, 맨 아래 기초로 큰 돌층과 부스러기층을 번갈아 깔고, 그 위에 모래층을 펴고, 맨 위에는 다각형 큰 돌의 상부를 갈아서 평평하게 만들어 덮는 것이라고 한다.<ref name="ja68"/> 원래 로마 도로는 [[로마 군단]]이 신속하게 이동하기 건설한 도로였다.<ref name="dud51">R.더들리, p.51.</ref> 그러나 이 대로는 로마가 경제적으로 번영하는 데에도 일익을 담당했으며,<ref name="dud51"/> 교역의 중심지인 로마의 위상을 굳혀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이 나왔다. 로마 정부는 역참 제도를 운영하여, 도로 일정한 간격마다 여행자들이 쉴 곳을 제공했으며 필요한 지역에 다리를 건설하여 24시간에 800km를 이동할 수 있는 [[파발]] 체제를 마련했다.
[[파일:Pont du gard.jpg|섬네일|[[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프랑스]]의 [[퐁 뒤 가르]]. 기원전 19년에 건설되었다.]]
로마는 수많은 [[수도관]]을 건설하여 도시와 산업 지역, 농경지에 물을 공급했다. [[로마]] 시에는 총 길이가 350km에 달하는 11개의 수도관이 있었다.<ref name=frontinus>프론티누스</ref> 수도관은 대부분 지하에 매설되어 있었으며, 아치 수도교는 매우 적었다. 때로는 50m 높이 차가 있는 수도관이 연결되기도 했는데, 이 경우 [[사이펀]]으로 물을 끌어올렸다. 로마인은 [[위생]] 분야에서도 큰 발전을 이루었는데, 특히 위생과 사교 목적의 공공 목욕탕(termae)을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로마의 여러 가옥에는 [[수세식 변기]]와 [[상수도]]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도시에 대하수도(''cloaca maxima'')가 있어 늪지를 배수하고 [[테베레강|티베리스강]]으로 폐수를 처리했다. 어떤 역사가들은 상하수도의 [[납]]으로 된 수도관 때문에 [[납 중독]]이 퍼져 [[출산율]]이 저하되고 로마 사회가 쇠퇴하면서 로마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고 추론하기도 했다. 그러나 납 함유량은 그렇게 많지 않았는데, 수도관은 폐쇄되지 않아 계속 물이 흘러 각 가정과 공공 시설의 배수구로 빠져나갔으며, 수도 꼭지는 많이 쓰이지 않았다.<ref>''Roman Aqueducts and Water Supply'' by A.T. Hodge (1992)</ref>
=== 복지 ===
고대 로마에서는 결식하거나 결식할 위험이 있는 식량[[빈곤|빈곤층]]들에게 [[음식|식량]]배급권을 지급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946778|제목=엽기 세계사|성=이성주|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추수밭|확인날짜=2018-03-27}}</ref>
== 대중 문화 ==
* [[HBO]]의 TV 드라마, "[[로마 (드라마)|Rome]]" 시즌1의 DVD 세트 [https://web.archive.org/web/20070929044113/http://www.whv.co.kr/new/new_view.asp?idx=741&nf=c&order=r&pgSize=8] [[에미상]] 다수 수상.
* [[콜린 매컬로]](Colleen McCullough), "[[로마의 일인자]]"(The First Man in Rome).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그 밖에도 다수의 로마 관련 역사소설을 썼다.
*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 이야기]]》. 전 15권. [[일본]]과 [[한국]]의 베스트셀러. 고대 로마의 역사를 그려낸 평설이다.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 |저자= 김진경 외 |제목= 서양고대사강의 |날짜= 1996-09-16|출판사= 한울 |출판위치= 서울 |ISBN=89-460-2372-4 94920}}
* {{서적 인용 |저자= D.J. 그라우트 외|제목= 그라우트의 서양 음악사 제7판 (상) |연도= 2007 |출판사= 이앤비플러스 |위치= 서울 |id= 978-89-959901-0-0 }}
* {{서적 인용 |성= R. 더들리|이름= 도널드 |제목= 로마문명사 |날짜= 1997-12-01|출판사= 현대지성사 |출판위치= 서울 |ISBN=89-8347-008-9}}
* {{서적 인용 |성= Wade-Matthews|이름= Max |제목= 세계의 악기 백과 사전 |날짜= 2004-10-25 |출판사= 교학사 |출판위치= 서울 |id= 89-09-09735-3}}
* {{서적 인용 |저자= 존 셰이드, 로제르 아눈 |제목= 로마인의 삶 |날짜= 1997-09-15|출판사= (주)시공사 |출판위치= 서울 |ISBN=89-7259-532-2 03920}}
* {{서적 인용 |성= M.하이켈하임|이름= 프리츠, 세드릭 A. 요, 앨런 M. 워드 |제목=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날짜= 1999-03-10|출판사= 현대지성사 |출판위치= 서울 |ISBN=89-8347-011-9}}
* {{서적 인용 |저자= 허승일 외 |제목= 로마공화정 |날짜= 1997-05-25|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위치= 서울 |ISBN=89-7096-159-3}}
* {{서적 인용 |저자= 허승일 외 |제목= 로마 제정사 연구 |날짜= 2000-10-25|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출판위치= 서울 |ISBN=89-521-0241-X}}
* {{서적 인용
|저자 = 레슬리 애드킨스, 로이 애드킨스
|연도 = 1998
|제목 =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출판사 = Oxford University Press
|위치 = Oxford
|id = 0-19-512332-8
}}
* {{서적 인용
|이름 = 리오넬
|성 = 카슨
|연도 = 1998
|제목 = Everyday Life in Ancient Rome
|출판사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위치 = Baltimore
|id = 0-8018-5992-1
}}
* {{서적 인용
|저자 = 윌리엄 다이커, 잭슨 스필보겔
|연도 = 2001
|제목 = World History
|판 = Third edition
|출판사 = Wadsworth
|isbn = 0-534-57168-9
}}
* {{서적 인용
|이름 = 윌
|성 = 더랜트
|연도 = 1944
|제목 = The 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II: Caesar and Christ
|출판사 = Simon and Schuster, Inc.
}}
* {{서적 인용
|이름 = 마이클
|성 = 그랜트
|연도 = 2005
|제목 = Cities of Vesuvius: Pompeii and Herculaneum
|출판사 = Phoenix Press
|위치 = London
|id = 1-89880-045-6
}}
* {{서적 인용
|이름 = 리차드
|성 = 헤이우드
|연도 = 1971
|제목 = The Ancient World
|출판사 = David McKay Company, Inc.
}}
* {{서적 인용
|이름 = Philip
|성 = Matyszak
|연도 = 2003
|제목 = Chronicle of the Roman Republic
|출판사 = Thames & Hudson, Ltd.
|위치 = London
|id = 0-500-05121-6
}}
* {{서적 인용
|이름 = 로버트
|성 = 오코넬
|연도 = 1989
|제목 = Of Arms and Men: A History of War, Weapons, and Aggression
|출판사 = Oxford University Press
|위치 = Oxford
|id = 0-19-505359-1
}}
* {{서적 인용
|이름= Chris
|성 = Scarre
|연도 = 1995
|발행월 = September
|제목 = The Penguin Historical Atlas of Ancient Rome
|출판사 = Penguin Books
|id = 0-14-051329-9
}}
* {{서적 인용
|이름 = H. H.
|성 = 스컬라드
|저자링크 = Howard Hayes Scullard
|연도 = 1982
|제목 = From the Gracchi to Nero
|판 = (5th edition)
|출판사 = Routledge
|id = 0-415-02527-3
}}
* {{서적 인용
|이름 = 로이
|성 = 윌리스
|연도 = 2000
|제목 = World Mythology: The Illustrated Guide
|출판사 = Ken Fin Books
|위치 = Collingwood, Victoria
|id = 1-86458-089-5
}}
== 관련 문헌 ==
* [[율리우스 카이사르]] : [[갈리아 전기]], [[내란기]]
* [[리비우스]]: [[로마 건국사]]
* [[살루스티우스]]: [[카틸리나 전기]], [[유구르타 전기]]
* [[타키투스]]: [[연대기 (타키투스)|연대기]], [[역사 (타키투스)|역사]]
* [[수에토니우스]]: [[황제전]]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위키배움터|포털:교양/그리스로마사}}
* [[로마 왕정]]
* [[로마 공화정]]
* [[로마 제정]]
* [[로마 집정관 목록]]
* [[로마 황제 목록]]
* [[로마 문화]]
* [[로마]]
* [[검투사]]
== 각주 ==
{{각주}}
{{전거 통제}}
[[분류:고대 로마| ]]
[[분류:고대사]]
[[분류:문명]]
[[분류:유럽의 옛 나라]]
[[분류:5세기에 멸망한 나라]]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3-7-13}}
{{진화}}
[[파일:Charles Darwin, Journal of Researches... Wellcome L0026712.jpg|thumb]]
'''진화생물학'''(進化生物學)은 문자 그대로 [[지구]] 상의 [[생물]]의 [[진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현대 [[생물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분과중의 하나이다. 진화란 생물의 다양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뜻하며, 그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 진화생물학의 핵심이다. [[진화학]]이란 생명의 역사에 관한 학문으로, 그 시작은 [[찰스 다윈]]의 [[진화론]]으로 볼 수 있다. 현재는 진화가 관찰되는 사실이라는 것이 밝혀진 상태이며, 진화의 속도와 방향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f>{{웹 인용 |url=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20/n6914/full/nature01231.html|제목=HAR1 mediates systemic regulation of symbiotic organ development|출판사=Nature|확인날짜=2015-05-09}} "Nature 420, 426-429 (28 November 2002) | doi:10.1038/nature01231; Received 22 July 2002; Accepted 21 October 2002; Published online 6 November 2002"</ref>
진화는 생물의 [[역사]]만을 다루므로 [[생명의 기원]]은 [[화학진화]]라는 다른 분야에서 다루고 있다. 진화생물학은 화학진화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종종 오해를 낳지만, 화학진화는 [[생화학]]의 분야로서 진화생물학과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 생물 진화의 설명 ==
진화(evolution)는 포괄적으로는 [[생명]]의 변화를 말한다. 과거와 현재의 생명체가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고 왜 달라졌는가를 설명하는 분야가 진화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진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내용을 먼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 진화는 발전이 아닌 다양성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 생물이 진화했다(evolve)는 것은, 생물이 이전보다 나아졌다(Progress)는 뜻이 아니다. (생물이 지금까지 자손을 남겼다 + 과거의 조상과는 달라졌다.)라고 봐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기능의 추가는 물론 삭제도 일어나며, 복잡해지는 과정도 있으나 간단해지는 과정도 존재한다. 진화를 진보와 혼동하는 것은 가장 대표적인 오해이다. 또 다른 대표적인 오해는 진화했다, 라는 표현이 대표적이다. 생물은 진화를 선택하지 않는다. 같은 종의 다양한 유전자 군에서 자연이 특정 환경에 더 많은 후손을 남기는 유전자를 선택함이 진화로 나타난것이다. 다시 말해 자연이 주체이고 종은 객체이다. 자연이 선택하는 것이지, 각 개체, 혹은 종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어떤 종이 어떻게 진화했다는 말은 잘못된 표현이다. 영어로는 몰라도 한국어로는 진화를 당했다고 해야 그나마 정확한 의미에 가깝다.
# [[종 (생물학)|종]] 개념을 명확히 한다 : 우리가 말하는 분류학의 종(species) 개념은, 상식적으로 우리가 생물을 나누는 기준과는 다른 개념이며, 이 개념 또한 상당히 불분명하다는 것을 기억해 두어야 한다. 과거 종을 나누는 기준은 외부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유전자를 기반으로 분류하고 있다. [[사자]]와 [[호랑이]]는 명백히 다른 종이나 서로 간에 (생식능력이 없는) 새끼를 낳을 수 있고, [[세인트버나드]]와 [[치와와 (개)|치와와]]는 같은 종이지만 크기의 차이로 인해 자연상태에서는 서로 간에 새끼를 낳을 수 없다.
# [[자연선택]] : 자연선택은 특정 자연환경이 적합한 개체 혹은 집단을 선택한다는 개념이다. 적합성(Fitness)이 가장 높은 개체나 집단을 자연이 선택하며, 적합성은 주로 생존율과 번식율의 함수로 표현된다.
# [[시간]] : 진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이며, 이 '시간' 개념은 인간이 이해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단위가 대부분이다. 5만 년은 일반적으로 진화 또는 지질변이에서 '대단히 빠른' 시간단위가 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이란 종이 겪는 5만 년과 한 사람의 뱃속에서 살아가는 [[대장균]]에게 [[숙주]]의 일생은 진화라는 관점에서 거의 동일한 기간이 될 수 있다.
# 개체군 : 진화는 개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닌, 종 집단 수준에서 세대를 이어가며 일어나는 현상이다. 개체는 사라질 수 있으나, [[유전자]]의 변이는 집단 속에 남게 된다.
# 인류와 [[대장균]]은 같은 수준의 진화적 산물이다 : 대장균보다 발전한 것이 인류가 아니며, 다른 생명보다 우월한 생명이란 개념은 의미가 없다. 계통도에서 상위와 하위는 존재하지 않으며, 분류상 복잡하고 간단한 것은 있으나 복잡한 것이 단순한 것보다 나은 것도 아니고 그 반대도 아니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의문점들이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 간단한 원시생명체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진 복잡한 세포생명체가 형성되는 과정
* [[미생물|단세포 생물]]에서 [[다세포 생물]]이 생겨나는 과정
그러나 현대에는 유전적 정보증가, 즉 다양성의 증가와 [[군체]] 형성 등으로 이미 해결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생물의 진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 다양한 유전적 변이가 유전자 집단 내에 축적된다.
* 환경의 변화로 인한 압력이 가해지는 과정에서, 유전적 변이에 의한 집단 내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 긴 시간동안의 선택 결과, 유전자 집단 내의 유전적 변이가 원래 집단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뚜렷하게 달라진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시간 단위 안에서 이루어지지는 않으며, 급격한 외부 요인은 진화를 가속한다는 것이 화석을 통해 알려져 있다. ([[캄브리아기의 대폭발|캄브리아기 생물 대폭발]] (cambrian explosion), [[페름기]] 및 [[백악기]] 대멸종 등)
== 진화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 설명 ==
===자연 선택===
{{본문|자연선택}}
다양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유전자 집단에서는 특정한 환경 아래에서 유리한 유전자와 그렇지 않은 유전자가 있을 수 있다. 만일 '유리한 유전자'가 그 유전자를 가진 개체의 생존 및 번식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다음 세대의 유전자 집단에는 '유리한 유전자'의 수가 더 많아질 것이다. 이때 '유리한 유전자'가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때 '유리한 유전자'란, 단순히 자손을 많이 남기는 데 유리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결정된다. 비록 개체에는 해를 끼치는 유전자일지라도 자손을 남기는 데 유리하다면 그것은 자연 선택에 유리한 유전자이다.
이 개념은 멘델의 우열 개념과 함께 자주 오용되어 왔으므로 이해할 때 주의해야 한다. 또한 [[라마르크주의|라마르크스]]가 주장한 것으로 유명한 용불용설과 획득형질 유전설과는 다른 계념이다. 자연 선택은 무작위적 선택이 강조되지만 그것과 다르게 용불용설은 무언가를 하고 싶은 의지대로 진화해 간다는 생각이므로 다른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그렇다고 용불용설을 완전히 틀렸다고 보는 것은 잘못되었을 수 있다.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A%A9%EB%B6%88%EC%9A%A9%EC%84%A4-%EC%99%84%EC%A0%84%ED%9E%88-%ED%8B%80%EB%A6%B0-%EA%B1%B4-%EC%95%84%EB%8B%88%EB%8B%A4/]
===돌연변이===
{{본문|돌연변이}}
유전자는 바뀔 수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방사선, 화학물질, 단순한 복사과정의 실수 등에 의해 유전자가 바뀔 수 있으며, 이러한 유전적 변이는 외부의 압력 - 선택압 - 이 가해지지 않는 한 유전자 집단 안에 계속 축적된다. 돌연변이는 해로울 수 있으며, 생명체는 이러한 돌연변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내 복구장치 및 발생 과정에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고는 있으나, 확률적인 문제로 돌연변이는 계속 축적된다.
===종의 분화===
돌연변이로 축적되는 유전자 집단 내의 유전적 다양성은 자연선택의 도움으로 세대가 지날수록 앞 세대와는 다르게 바뀐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 집단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서로 섞이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한 유전자 집단과 다른 유전자 집단 안의 유전적 변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서로 다른 선택압이 가해진 두 유전자집단은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 다시 유전적으로 섞일 수 없게 되며, 이렇게 된 경우를 '종의 분화'라고 표현한다.
== 현대 진화 이론 ==
{{본문|현대 진화 이론}}여러 생물학 분야에서 연구·종합한 현대 진화 이론은 대략 다음과 같다.
# 모든 진화 현상은 [[유전학|유전]] 기제와 자연 현상의 관찰을 통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진화는 점진적인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진화는 소규모의 유전자 [[돌연변이|변이]]의 발생과 [[자연선택]]이 지속된 결과다. [[종 (생물학)|생물 종]] 사이 불연속성은 진화가 도약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 아니라 지속적인 [[종분화]]와 [[멸종]] 등에 의한 것이다.
# 진화가 일어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연선택]]이다. 어느 집단의 [[발현형질]]이 환경에 적합하다면 그와 관련된 유전자가 계속하여 유전될 것이다.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가 제시한 [[유전자 부동]] 역시 진화의 원인이 된다. ([[중립 진화 이론]]을 참조할 것)
# 생물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자 다양성]]은 자연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탕이 된다.
# [[고생물학]]의 연구 결과 [[생물 진화의 역사]]에서 진화의 속도가 변화하며, 속도가 빠른 시기와 느린 시기가 번갈아 가며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시기의 시간대에서의 진화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점진성 역시도 같은 속도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단속평형이론]]을 참조할 것)
== 같이 보기 ==
* [[비교해부학]]
* [[진화 연산]]
* [[양적유전학]]
* [[품종개량]]
* [[분류학]]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진화2}}
{{생물학 분야}}
{{전거 통제}}
[[분류:진화생물학|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공직자 정보
| 이름 = 조지프 매카시
| 원래 이름 = Joseph McCarthy
| 그림 = Joseph McCarthy adjusted.jpg
| 그림설명 =
| 직책 = [[위스콘신주]]의 [[미국 상원|연방 상원의원]]
| 임기 = 1947년 1월 3일 ~ 1957년 5월 2일
| 전임 = [[로버트 M 폴레트 주니어]]
| 후임 = [[윌리엄 프록스마이어]]
| 출생일 = {{출생일|1908|11|14}}
| 출생지 = [[미국]] [[위스콘신주]] 그랜드슈트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57|5|2|1908|11|14}}
| 사망지 = [[미국]] [[메릴랜드주]] [[베세즈다 (메릴랜드주)|베세즈다]]
| 정당 = [[민주당 (미국)|민주당]](1936~1944)<br/>[[공화당 (미국)|공화당]](1944~1957)
| 배우자 = 진 커
| 자녀 = 1
| 학력 = 마케트 대학교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로마 가톨릭]]
| 서명 = Joe Mccarthy Signature.svg
| 복무 =
| 근무 = [[미국 해병대]]
| 복무기간 = 1942년 ~ 1945년
| 소속 =
| 계급 = 중령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조지프 레이먼드 매카시'''(Joseph Raymond McCarthy, [[1908년]] [[11월 14일]] ~ [[1957년]] [[5월 2일]])는 [[미국]]의 [[공화당 (미국)|공화당]] 정치인으로 [[위스콘신주]] [[미국 상원|상원]]을 지냈다.
상원 의원 재직 동안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정부를 포함한 미국 사회의 모든 분야에 침투해 있다는 주장으로 파장을 일으켰다. 반공 정서가 극에 달한 시대, 소위 [[적색 공포]]기이던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이어진 그의 근거없는 공산주의자 지목([[매카시즘]])으로 불필요한 조사들이 이어졌고 실제로 교수, 언론인, 군인, 정치인 등이 공직에서 추방당하기도 했다. 이러한 광풍은 이후 신뢰를 잃고 각계의 비판을 받다가 1954년 말 그에 대한 비판 결의가 채택되면서 막을 내렸다.
== 어린 시절 ==
[[파일:JosephMcCarthyMilitary.jpg|섬네일|왼쪽|[[미국 해병대]] 복무 시절의 매카시]]
[[위스콘신주]] 그랜드슈트에서 농부 티머시 토머스 매카시와 브리짓 티어니에게 태어났다. 매카시 가족은 아일랜드계로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회|로마 가톨릭]] 집안이었다. 7명의 자녀 중 하나인 조지프는 [[애플턴 (위스콘신주)|애플턴]]과 마나와 외부에 있는 농장들에서 자라왔고 한 방의 언더힐 시골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14세의 나이에 8학년을 완료하고 독립하여 자신 소유의 양계장을 운영하고 캐시-웨이 식료품점을 관리하였다. 1929년 20세의 나이로 그는 학교로 돌아가기로 결정하여 마나와의 리틀 울프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고교과정을 마무리했다. [[1930년]] 마케트 대학교에 입학하여 5년 후에 [[법학]] 학위와 함께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중에 그는 식품점 종업원 등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비를 벌었다.
변호사가 된 매카시는 처음에 워파카, 그러고나서 쇼워노 지역에서 일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강한 찬양자인 그는 [[대공황]]이 있던 동안 1930년대에 루스벨트가 개발한 프로그램 [[뉴딜]]의 구호 프로그램들을 지지하였다. 매카시는 3번이나 루스벨트를 위하여 투표하였다. 3년 후에 매카시는 순회 판사로 선출되었다. 30세의 나이에 그는 위스콘신주 역사상 최연소 순회 판사였고 융통성이 있어 많은 현지 변호사들은 그와 일하기를 좋아하였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매카시는 나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해병대]]에 입대하였다. 그는 [[중위]]로 임명되어 첩보 기관에 할당되었으며 그의 직업은 공군 조종사들로부터 태평양 지역에서 적군들에 관한 자료를 모으는 것이었다. 그는 임무에 대한 자신의 헌신으로 [[수훈 비행 십자장]]과 [[에어 메달]]이 수여되었다. 그는 후에 정치 운동들에서 자신의 공적을 이용하려고 하여 전쟁 중에 선박 낙하로 다리 부상을 입었다고 주장하였다.
[[1944년]] 7월 매카시는 위스콘신주로 돌아와 현직이던 상원의원 [[알렉산더 와일리]]를 상대로 [[공화당 (미국)|공화당]] 후보 예비 선거에 뛰어들었으나 참패하였다.
== 상원으로 선출 ==
[[파일:AAmarshallSenator Mcarthy.jpg|섬네일|오른쪽|매카시 상원]]
[[1946년]] 매카시는 다시 공화당 상원 후보 선거에 도전하여 또다른 공화당 현직 상원의원 [[로버트 M. 라폴레트 주니어]]를 상대로 승리했고, 보수주의적 공화당 위원회에 의하여 지원되어 후보 지명을 받았다. 선거 운동 중에 민주당 후보 [[하워드 J. 맥머리]]를 상대로 매카시는 맥머리를 공산주의적 성향이 있다며 공격했고, 당시 [[미국 의회]]의 상하원 모두 공화당이 압승하는 가운데 그 역시 71개의 군들 중에 70개를 이기며 상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38세의 나이에 매카시는 상원의 최연소 의원이었고, 경솔한 행동으로 비판을 받는 일도 있었다. 그는 공화당 내에 많은 적들을 만들었으나 측근 집단도 이루었다.
== 반공주의 운동 ==
재선이 다가올 때 매카시는 자신을 추천할 지지기반이 없는 것을 알았고 위스콘신주에 의해 탈세와 윤리 위반으로 조사받을 위기에까지 처했다. [[1950년]] 1월 만찬회에서 매카시와 동료들은 대중의 호의를 끌기 위해 강력한 반공주의 운동을 택할 것을 결심하였다.
2월 9일 매카시는 [[웨스트버지니아주]] [[휠링 (웨스트버지니아주)|휠링]]에서 자신의 유명한 연설을 하였다. "여러분, [[미국 국무부|국무부]]는 공산주의자로 가득 차 있습니다. 공산당의 당원으로서 국무부에서 일하고 정책을 만든 자들 205명의 이름이 제 손에 들려 있습니다." '휠링 연설'을 위한 본문의 대부분은 강경 보수주의 성향의 '워싱턴 타임스-헤럴드'에서 온 한 신문 기자에 의하여 준비되었다. 사실 명단의 근거로 들어진 국무장관의 조사는 [[로버트 번즈]]가 쓴 편지인데 편지에는 공산당원이나 명단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지 않았다.
당시 국공내전의 공산당 승리와 소련의 원자폭탄 시험 등으로 미국에는 공산주의의 확산에 대한 경계심이 만연해 있었으므로 매카시의 시간적 조절은 효과적이었다. 또한 3주 전 재판에서 전 국무부 관계자 [[앨저 히스]]가 루스벨트 행정부에서 지낸 동안 스파이 활동을 했다고 판결된 상황이었다.
== 매카시즘 ==
[[파일:Truman's reply to McCarthy.gif|섬네일|왼쪽|[[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매카시에게 보낸 답장]]
그의 주장으로 인해 사회의 파장은 엄청났으나, 대부분은 쉽게 반박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민주당원들은 매카시의 비난들을 멈추는 데 일찍이 협의를 이루어, [[밀러드 타이딩스]] 상원의원은 매카시의 비난에 대한 조사를 앞장서 오류를 찾아냈다. 그러나 매카시는 능숙하게 청문회를 개인적 심판장으로 사용하였고, 조사 도중에 난관에 처한 매카시는 [[필립 C. 제섭]]을 소련 스파이를 지낸 좌익 지식인 [[오언 래티모어]]와 공산주의자에 대해 우호적인 모습을 보인다며 기소하였다.
1951년에도 이러한 기소는 이어졌고 그동안 매카시의 언어는 점점 무모해졌다.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극동에서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을 불복종으로 해임한 이후 그해 6월 매카시는 트루먼을 "술고래"라고 비하했다. 더욱 나가서 매카시는 국방부 장관 [[조지 마셜]]이 다양한 음모에 연루되었다고 주장하였고, 마셜은 곧 장관직으로부터 사임하였다. 그의 비판은 국무장관에 대해서도 이루어졌다.
[[1953년]] 공화당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가 재임하고 여러 강경 공화당원들이 의회를 차지하면서 매카시는 정부 운영 상원 위원회와 수사 위원회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때 매카시는 젊은 변호사 [[로이 콘]]과 가까이 하며 그의 지식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달만에 매카시는 아이젠하워 행정부도 공격하며 대립하기 시작했다.
== 육군에 대한 공격 ==
[[파일:McCarthy Cohn.jpg|섬네일|오른쪽|육군-매카시 청문회에서 [[로이 콘]]과 함께]]
1953년 가을에 매카시는 [[뉴저지주]] 포트먼머스에 있는 육군 통신단 센터이 공산당 스파이와 연관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1954년 4월부터 6월까지 상원의 "육군-매카시 청문회"가 열렸고, 아이젠하워의 요청으로 이는 [[텔레비전]] 방송으로 공개되었다. 시청률은 미국 텔레비전들의 3분의 2에 이르렀다. 매카시는 증인들에게 공격적인 발언을 하면서 청문회를 진행하였고 이를 계기로 매카시에 대한 대중의 여론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육군의 참모 대리 [[조지프 웰치]]에게 인신공격을 한 것이 큰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비난 결의 ==
[[1954년]] [[6월 11일]] [[버몬트주]]의 공화당원 [[랠프 플랜더스]] 상원의원은 매카시에 대한 비난 결의안을 제기하였다. 민주당 소속 의원대표 [[린든 B. 존슨]]은 공화당 온건파와 함께 특별 위원회를 구성하여 의원들과 육군 장성들에 대한 모욕 혐의를 조사하였고, 결국 비난 결의안은 채택되어 매카시즘은 막을 내린다.
== 말년 ==
매카시는 순식간에 대중의 관심을 잃었고, 의원직을 유지할 수는 있었으나 동료들과 아이젠하워 행정부에게 완전히 버림받은 상황에서 마지막 세월을 보냈다. 절망으로 가득찬 그는 매일 아침 늦게 일어나 하루종일 텔레비전 연속극을 보며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내었고 사람들과도 잘 만나지 않았다. 1957년 매카시 부부는 한명의 아이를 입양하였으나 그 외에는 거의 관심이 없었다. 그는 술에 빠져 지내던 것으로 추정되며 1957년 5월 9일 48세의 나이에 급성 간염으로 사망하였다.
== 평가 ==
매카시 시대에 적극 동조한 유명인으로는 유명한 반공주의자들인 [[로널드 레이건]], [[엘리아 카잔]], [[월트 디즈니]]를 꼽을 수 있으며, 반대로 피해자로는 영화인 [[찰리 채플린]], 극작가 [[아서 밀러]], [[레너드 번스타인]], [[시인]] 및 극작가인 [[베르톨트 브레히트]] 등을 들 수 있다.
그의 이름은 [[매카시즘]]이라는 단어에서 극단적 반공주의를 비판적으로 이르는 대명사가 되었다. 한편 일부 학자나 강경 보수주의 진영에서는 그에 대한 재평가를 주장하기도 한다. 역사학자 존 얼 헤인즈(J. E. Haynes)는 그가 지적한 159명의 대상 중 9명이 실제 소련 스파이였음을 지적하였는데, 이외에 상당수가 실제로 보안상 위험한 인물이었을 수는 있으나 대다수는 보안적으로도 문제시될 부분이 전혀 없는 인물이었다고 결론지었다.<ref>{{웹 인용|url=http://www.johnearlhaynes.org/page62.html|title=Senator Joseph McCarthy's Lists and Venona|last=Haynes|first=John Earl|year=2006|access-date=August 31, 2006}}</ref>
== 같이 보기 ==
* [[매카시즘]]
* [[반공주의]]
== 역대 선거 결과 ==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194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1946년 선거]]||[[미국 상원|상원의원 (위스콘신 제1부)]]||80대||[[공화당 (미국)|공화당]]||{{막대|적|6|1|2|8}} 61.28%||620,430표||1위||[[파일:Seal_of_the_United_States_Senate.svg|25px|위스콘신주 상원의원 당선]]
|-
|[[195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1952년 선거]]||[[미국 상원|상원의원 (위스콘신 제1부)]]||83대||[[공화당 (미국)|공화당]]||{{막대|적|5|4|2|3}} 54.23%||870,444표||1위||[[파일:Seal_of_the_United_States_Senate.svg|25px|위스콘신주 상원의원 당선]]
|}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s://web.archive.org/web/20090613004329/http://navercast.naver.com/worldcelebrity/history/568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조지프 매카시]
* {{Find a Grave|691|date=1957년 5월 2일|accessdate=2013년 4월 27일}}
== 각주 ==
{{각주}}
{{전임후임
|전임자 = [[로버트 M. 라폴레트 주니어]]
|후임자 = [[윌리엄 프록스마이어]]
|대수 = 80·81·82·83·84·85
|직책 = [[위스콘신주]] 제1부 [[미국 상원|연방 상원의원]]
|임기 = 1947년 1월 3일 ~ 1957년 5월 2일
}}
{{전거 통제}}
{{기본정렬:매카시, 조지프}}
[[분류:1908년 출생]]
[[분류:1957년 사망]]
[[분류:공화당 (미국)의 정치인]]
[[분류:위스콘신주의 정치인]]
[[분류:위스콘신주의 연방 상원의원]]
[[분류:매카시즘]]
[[분류:미국의 반공주의자]]
[[분류: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분류:미국의 음모론자]]
[[분류:미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
[[분류:위스콘신주의 공화당 당원]]
[[분류:위스콘신주의 민주당 당원]]
[[분류:반프리메이슨]]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이름 =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원어이름 = Дмитрий Менделеев
|그림 = DIMendeleevCab.jpg
|그림 크기 =
|그림 설명 =
|태어난 날 = {{출생일|1834|2|8}}
|태어난 곳 = [[러시아 제국]] [[토볼스크현]]
|죽은 날 = {{사망일과 나이|1907|1|20|1834|2|8}}
|죽은 곳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거주지 =
|시민권 =
|국적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인종 =
|분야 = [[화학]], [[물리학]]
|소속 =
|출신 대학 =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상트페테르부르크 황립대학교]]
|학위 논문 =
|지도교수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지도학생 =
|주요 업적 = [[주기율표]] 최초 제안
|영향 =
|영향줌 =
|수상 =
|종교 =
|배우자 =
|자녀 =
|서명 = Mendelejew signature.jpg
|참고사항 =
}}
[[파일:medeleeff_by_repin.jpg|섬네일|234px|[[일리야 레핀]]이 그린 멘델레예프의 초상화]]
'''드미트리 이바노비치 멘델레예프'''({{llang|ru|Дмитрий Иванович Менделеев}} {{소리|Ru-Dmitri Mendeleev.ogg|듣기}}, <small>문자 개혁 이전:</small> {{lang|ru|Дмитрій Ивановичъ Менделѣевъ}}, {{문화어|드미뜨리 이바노비치 멘델레예브}}, [[1834년]] [[2월 8일]] - [[1907년]] [[1월 20일]])는 러시아의 화학자이다. [[주기율표]]를 천번째로 작성한 이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 생애 ==
[[파일:Dmitry Mendeleev plaque, Dnipro.jpg|200px|섬네일|왼쪽]]
멘델레예프는 시베리아 서쪽에 있는 [[토볼스크현]] Verkhnie Aremzyani에서 11, 13, 혹은 17명의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그 수는 출처마다 다르며, 정확한 수는 아무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가 태어난 해에 선생님이었던 그의 아버지 이반 파블로비치 멘델레예프(Ivan Pavlovich Mendeleev)가 시력을 상실하여 그의 어머니 마리아 드미트리브나(Maria Dmitrievna Mendeleeva)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게 된다. 그녀는 그녀 가족의 유리공장을 다시 세워 살림을 꾸려나간다. 1847년 아버지가 사망하고 유리공장이 화재로 파괴되는 등 일련의 시련을 겪는다.
멘델레예프가 15세이던 1849년 그의 어머니는 멘델레예프에게 고등교육을 시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남은 두 자녀(멘델레예프와 리자)를 데리고 [[시베리아]]에서 [[모스크바]]로 건너가 정착했다. 멘델레예프는 모스크바에 있는 대학에 지원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곧 그의 어머니는 그를 데리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향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죽은 남편 친구의 도움을 받아 [[Main Pedagogical Institute]]에 들어가게 된다. 그가 이 기관에 들어간지 10주가 안되어 그의 어머니가 사망하고, 2년 후 그는 [[결핵]] 진단과 함께 단지 수개월 정도 밖에 살 수 없을 거라는 말을 듣게 되었다.
1869년 3월 6일, 러시아화학회에서 그는 주기율표에 관한 자신의 논문을 처음으로 공식 발표했다. 그는 [[화학 원소|원소]]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나열하여 발견되지 않은 원소의 성질까지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실제로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원소들]]의 성질과 실제 원소의 성질이 맞아떨어진 사례가 존재한다. [[로타르 마이어]]도 비슷한 시기 유사한 주기율표를 생각해 내었으나 발견되지 않은 원소의 성질을 예측할 생각은 하지 못했다.
주기율표 101번째 원소는 그의 이름을 따 [[멘델레븀]]이라 불린다.
멘델레예프는 1906년 [[노벨 화학상]] 수상 후보에 올랐지만 그 상은 프랑스의 [[무아상]]이 수상했고 멘델레예프는 끝내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한 채 1907년 생을 마감했다. 왜냐하면 노벨상을 수상하려던 해에 사망했기 때문이다.
== 같이 보기 ==
*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원소들]]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언어링크|en}} [http://www.chem.msu.su/eng/misc/mendeleev/welcome.html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 {{언어링크|en}} [http://www.abcgallery.com/R/repin/repin12.html 멘델레예프의 초상화] (러시아의 가장 잘 알려진 화가 [[일리야 레핀]]의 [[1885년]]작)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040307090822/http://dewey.library.upenn.edu/sceti/smith/imagedetail.cfm?PictureID=301&position=1&keywords=mendeleev&subcoll= 멘델레예프의 사진] -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에드거 파스 스미스 소장품(Edgar Fahs Smith Collection)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040803141736/http://webserver.lemoyne.edu/faculty/giunta/EA/MENDELEEVann.HTML 원래의 주기율표] - 설명과 함께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040514015858/http://www.chemheritage.org/EducationalServices/chemach/ppt/lm01.html 멘델예프의 첫 주기율표 초안] - 1869년 2월 17일
:멘델레예프는 1889년 연 1회 열리는 페러데이 강연의 강사로 초청받았다. 그는 강연을 통해 새로 얻은 통찰을 펼쳤다.
* {{언어링크|en}} [https://web.archive.org/web/20021018185517/http://webserver.lemoyne.edu/faculty/giunta/EA/MENDELann.HTML 페러데이 강연] - 1889년 7월 4일 - 설명과 함께
{{주기율표 둘러보기}}
{{전거 통제}}
{{기본정렬:멘델레예프, 드미트리}}
[[분류:1834년 출생]]
[[분류:1907년 사망]]
[[분류:러시아의 화학자]]
[[분류:러시아의 발명가]]
[[분류:러시아의 백과사전 편집자]]
[[분류:무기화학자]]
[[분류:희토류 과학자]]
[[분류:이신론자]]
[[분류:코플리 메달 수상자]]
[[분류:토볼스크 출신]]
[[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문]]
[[분류: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회원]]
[[분류: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분류:화학 원소를 발견한 사람]]
[[분류:러시아의 기독교를 이탈한 사람]]
[[분류:19세기 러시아 사람]]
[[분류:19세기 화학자]]
[[분류:20세기 화학자]]
[[분류:주기율표]]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다른 뜻 넘어옴|카이사르}}
{{귀족 정보
| 이름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원래 이름 = {{lang|la|Gaius Julius Caesar}}
| 그림 = Retrato de Julio César (26724093101).jpg
| 그림설명 =
| 목록 = [[로마 공화국]]의 [[독재관]]
| 내각 =
| 재임 = [[기원전 49년]] [[10월]] ~ [[기원전 44년]] [[3월 15일]]
| 보좌관 칭호 = [[기병정무관]]
| 보좌관 = {{접이식 목록|제목=목록|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아우구스투스|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 투르니우스]]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
| 전임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 후임 = [[아우구스투스|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 투르니우스]]
| 작위2 = [[로마 공화국]]의 [[집정관]]
| 재임2 = [[기원전 44년]] [[1월 1일]] ~ [[기원전 44년]] [[3월 15일]]
| 공동재임자2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전임2 = [[가이우스 카니니우스 레빌루스]]<br>&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
| 후임2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br>&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공동재임자3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재임3 = [[기원전 46년]] [[1월 1일]] ~ [[기원전 45년]] [[9월]]
| 전임3 = [[퀸투스 푸피우스 칼레누스]]<br>& [[푸블리우스 바티니우스]]
| 후임3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br> & [[가이우스 트레보니우스]]
| 공동재임자4 =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이사우리쿠스 (기원전 48년 집정관)|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이사우리쿠스]]
| 재임4 = [[기원전 48년]] [[1월 1일]] ~ [[기원전 47년]] [[1월 1일]]
| 전임4 =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마이오르]]<br>&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크루스]]
| 후임4 = [[퀸투스 푸피우스 칼레누스]]<br>& [[푸블리우스 바티니우스]]
| 공동재임자5 =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
| 재임5 = [[기원전 59년]] [[1월 1일]] ~ [[기원전 58년]] [[1월 1일]]
| 전임5 =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켈레르]]<br>& [[루키우스 아프리카누스 (기원전 60년 집정관)|루키우스 아프리카누스]]
| 후임5 =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우스 (기원전 58년 집정관)|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우스]]<br>& [[아울루스 가비니우스]]
| 출생일 = [[기원전 100년]] [[7월 12일]]
| 출생지 = [[로마]]
| 사망일 = [[기원전 44년]] [[3월 15일]]
| 사망지 = [[로마]]
| 거주지 =
| 본명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BR>Gaius Julius Caesar
| 신호 = 디부스 율리우스<BR>Divus Julius
| 본관 =
| 학력 =
| 경력 =
| 정당 = [[포풀라레스]]
| 소속 =
| 부모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전집정관)|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br>[[아우렐리아 코타]]
| 형제 =
| 배우자 = [[코르넬리아 (카이사르의 아내)|코르넬리아]] (기원전 84년 결혼, 기원전 69년 사별)<br>[[폼페이아 (카이사르의 아내)|폼페이아]] (기원전 67년 결혼, 기원전 61년 이혼)<br>[[칼푸르니아 (카이사르의 아내)|칼푸르니아]] (기원전 59년 결혼, 기원전 44년 사별)
| 자녀 = [[줄리아 카이사리스 필라]]<br>[[프톨레마이오스 15세 필로파토르 필로메토르 카이사르{{!}}]] (사생아)<br>[[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 (입양)
| 종교 = [[로마 신화|로마 다신교]]
| 별명 =
| 서명 =
| 서훈 =
| 웹사이트 =
| 신장 =
| 체중 =
| 혈액형 =
| 충성 = [[로마 공화국]]
| 복무 = [[로마군]]
| 복무기간 =
| 소속군대 =
| 계급 =
| 지휘 =
| 근무 =
| 참전 = [[갈리아 전쟁]]<bR>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브리타니아 침공]]<bR>
[[카이사르의 내전]]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llang|la|Gaius Julius Caesar}}: [[기원전 100년]] [[7월 12일]] ~ [[기원전 44년]] [[3월 15일]]) 또는 '''줄리어스 시저'''는 [[로마 공화국]]의 [[정치인]], [[장군]], [[작가]]이다. 그는 [[로마 공화국]]이 [[로마 제국]]으로 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치적으로 카이사르는 [[포풀라레스|민중파]]의 노선에 섰다. 기원전 60년대 말에서 50년대에 이르기까지 그는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와 소위 [[제1차 삼두 정치]]라는 초법적 정치 연대를 이루어 수년간 로마 정계를 장악하였다. 이들 파벌은 자신들끼리 권력을 분점하고자 하여, [[원로원]] 내에서 [[소 카토|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 등 [[벌족파]]의 반대를 받았으며,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가 이에 가세하기도 하였다. 카이사르는 [[갈리아]]를 [[갈리아 전쟁|정복]](기원전 58년 ~ 52년)하여 로마 제국의 영토를 [[북해]]까지 넓혔으며, 기원전 55년에는 로마인 처음으로 [[브리타니아]] 침공을 감행하였다. 이러한 공훈 덕분에 카이사르는 강력한 세력가로 입지를 굳혀 폼페이우스를 위협하게 되었으며, [[카라이 전투]]에서 크라수스가 전사하면서 삼두정의 두 정치가 사이에 긴장이 높아졌다. 이렇듯 로마 정계가 재편되면서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는 서로 대치하게 되었으며, 폼페이우스는 원로원의 대의를 내세웠다. 카이사르는 자신의 군단으로 하여금 [[루비콘강]]을 건너게 하는 결단을 내려 기원전 49년에 [[카이사르의 내전|내전]]이 일어났으며, [[파르살루스 전투]], [[탑수스 전투]] 등에서 승리한 카이사르는 로마 세계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자로 등극하였다.
정권을 장악한 뒤 그는 로마의 사회와 정치에 광범위한 개혁을 실시하였다. 그는 공화정의 귀족 정치를 고도로 중앙집권화하였으며, 급기야 자신을 [[종신독재관]]으로 선언하였다. 기원전 44년 [[3월 15일]]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가 이끄는 일군의 원로원 의원들이 공화정을 복고하고자 음모를 꾸며 카이사르를 암살하였다. 그러나 또 다시 내전이 일어났으며, 결국 카이사르의 양자인 [[아우구스투스|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가 영속적인 전제정을 성립하였다. 카이사르가 죽은 지 기원전 42년에, 원로원은 카이사르를 공식적으로 [[로마의 신]]으로 축성하였다. 따라서 그의 사후 그의 공식명칭은 신격 카이사르가 되었다(Divus Caesar). 또한 그 이후부터 로마 황제가 죽었을 경우 후임자가 그를 신격화시키는 것이 관례화되었다.
카이사르의 삶은 본인이 쓴 전쟁 기록([[갈리아 전기]], [[내란기]])을 통해 상당 부분 알려져 있으며, 정적임과 동시에 오랜 친구였던 [[키케로]]와의 서신과 그의 연설, [[살루스티우스]]의 기록, [[카툴루스]]의 시 등 당대의 다른 사료도 남아 있다. 또 [[아피아노스]], [[수에토니우스]], [[플루타르코스]], [[카시우스 디오]], [[스트라본]] 등 여러 후대 역사가들의 기록도 그의 삶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 생애 ==
=== 유년기 ===
==== 죽은 여자에게서 태어났다는 설 ====
카이사르는 [[귀족]]인 [[율리우스]] [[씨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율리우스 씨족은 [[베누스]] 여신의 아들이라는 전설상의 [[트로이아]] 왕자 [[아이네아스]]의 아들 [[율루스]]의 후손을 자칭하는 집안이었다.<ref>James Anthony Froude, ''Life of Caesar'', Project Gutenberg e-text, 2021, 67쪽, [http://www.mirrorservice.org/sites/ftp.ibiblio.org/pub/docs/books/gutenberg/etext05/8cesr10.txt] {{웨이백|url=http://www.mirrorservice.org/sites/ftp.ibiblio.org/pub/docs/books/gutenberg/etext05/8cesr10.txt|date=20071209113843}} 참고: [[수에토니우스]], ''[[황제 열전]]'': ''율리우스''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6 6]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6|날짜=2012-05-30}};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사]]''(''Roman History'')[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1 2.41];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아스]]''</ref> 그의 [[코그노멘]](cognomen,가문 이름) "카이사르(Caesar)"도 대대로 물려받은 이름인데, 그 어원에 대해서는 크게 4가지 설이 있다. [[대 플리니우스]]는 카이사르의 조상 가운데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난 사람이 있어서 ‘자궁에서 잘라온(ab utero caeso)’이란 뜻으로 카이사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주장했다.<ref>[[대 플리니우스]], ''자연사''(박물지)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Plin.+Nat.+7.7 7.7].</ref> [[황제 역사]](Historia Augusta)에는 다른 설명이 나오는데, 카이사르의 굵은 머리카락({{lang|la|''caesaries''}})이나 밝은 회색 눈({{lang|la|''oculis caesiis''}}) 때문이라거나 혹은 그의 선조가 2차 포에니 전쟁에서의 전투 중 코끼리(무어말 ''caesai'')를 죽였기 때문이라고 한다.<ref>''[[황제 역사]]'': ''아일리우스(Aelius)'' 로마에서는 별칭이 성으로 정착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보를 의미하는 브루투스이다.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Historia_Augusta/Aelius*.html#2 2].</ref> 카이사르는 코끼리를 새긴 동전을 주조하였는데, 그가 자신의 이름에 대한 해석 가운데 코끼리와 관련된 해석을 좋아했다는 점을 암시한다.<ref>{{웹 인용 |url=http://members.aol.com/dkaplan888/jcae.htm |제목=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동전 |확인날짜=2000년 10월 17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01017124944/http://members.aol.com/dkaplan888/jcae.htm |보존날짜=2000년 10월 17일 |url-status=live }}</ref> 한편 카이사르 자신이 제왕 절개 수술로 태어났다는 오해가 있는데, 이는 적어도 서기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ref>''[[수다]]'' [http://www.stoa.org/sol-bin/search.pl?db=REAL&search_method=QUERY&login=guest&enlogin=guest&user_list=LIST&page_num=1&field=adlerhw_gr&searchstr=kappa%2C1199 kappa 1199] {{웨이백|url=http://www.stoa.org/sol-bin/search.pl?db=REAL&search_method=QUERY&login=guest&enlogin=guest&user_list=LIST&page_num=1&field=adlerhw_gr&searchstr=kappa%2C1199 |date=20130817044725 }}).</ref> 율리우스 카이사르 이전에도 '카이사르'라는 이름을 지닌 사람이 있었으며, 카이사르의 시대에 제왕 절개 수술은 오직 죽은 여자에게만 실시하였는데, 카이사르의 어머니인 [[아우렐리아 코타|아우렐리아]]는 그를 낳고도 장수하였다.
==== 민중파 로마 정계 가문 ====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문은 유서깊은 계보를 지녔으나, 정치적으로 별다른 영향력이 없었으며, 가문에서 배출한 [[집정관]] 수도 세 명에 불과하였다. 카이사르의 아버지인 동명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시아 총독)|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도 공화정에서 두 번째로 높은 [[법무관]]직까지 올랐으며, [[아시아 속주]] 총독을 지냈는데, 아마도 매형이었던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영향력 덕분이었을 것이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날짜=2012-05-30 }};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 1], '마리우스'(''Mar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Marius*.html#6 6]; [[대 플리니우스]], [[박물지]](Naturalis Historia)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Plin.+Nat.+7.54 7.54]; ''Inscriptiones Italiae'', 13.3.51–52</ref> 어머니 [[아우렐리아 코타]]는 여러 집정관을 배출한 영향력있는 가문 출신이었다. 또 카이사르의 가정 교사는 [[갈리아]] 출신의 웅변가이자 문법가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그니포]]였다.<ref>수에토니우스, ''Lives of Eminent Grammarians'' [[s:Lives of Eminent Grammarians#7|7]]</ref> 카이사르는 누이가 둘 있었는데 모두 이름이 [[율리아 카이사리스|율리아]]였다. 카이사르의 유년기에 대해서는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수에토니우스]]나 [[플루타르코스]]의 카이사르 전기에 보면, 내용이 10대 때부터 시작하며, 두 책의 시작부는 모두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ref name="plutsuet1">[[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 1];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날짜=2012-05-30 }}</ref>
카이사르의 유년기는 혼란한 시절이었다. 기원전 91년에서 88년 사이에 로마와 이탈리아 동맹국들이 [[로마 시민권]] 문제를 놓고 [[동맹국 전쟁]]을 벌였으며, 그러는 사이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는 로마의 동부 속주를 위협하였다. 로마 정계는 [[벌족파]](optimates)와 [[포풀라레스|민중파]](populares)로 갈라져 있었는데, 엄밀히 말해 두 파벌은 각자 공통적인 대의가 없어서 [[정당]]이나 정파와는 다르다. 벌족파는 [[원로원]]의 전통적이고 헌정상의 경로를 통해 정치적 목적을 추구하는 정치가들이었으며, 민중파는 전통적인 과정 대신 유권자에게 직접 호소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정치가들이었다. 카이사르의 숙부인 마리우스는 민중파 정치인이었으며, 그의 부하였던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벌족파였는데, 카이사르의 유년기 때 두 정치가의 대립으로 내전이 일어났다.
==== 술라의 원정과 민중파 마리우스 정권 ====
마리우스와 술라 모두 동맹국 전쟁에서 두각을 드러내었다. 두 사람 모두 미트리다테스 정벌 전쟁에 지휘권을 원하였으나, 당초 술라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나,, 호민관 [[푸블리우스 술피키우스 루푸스]]가 선거구 개혁과 미트라다테스 지휘권을 마리우스에게 넘기는 법안을 통과시켜버렸다.. 이후 폭동이 일어났고 로마에서 탈출한 술라는 로마로 진군하여 자신의 지휘권을 주장하며 술피키우스를 처형하고 마리우스파를 축출하였으나,, 술라가 원정을 떠난 사이에 마리우스가 임시로 모은 군대를 이끌고 돌아왔다.. 그와 그의 정치적 동맹자인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킨나]]는 도시를 장악하고,, 술라를 공적(公適)으로 선언하였으며, 마리우스 군대는 술라 지지자들을 잔혹하게 복수하였다. 기원전 86년 초에 마리우스가 세상을 떠났으나,, 킨나를 중심으로 한 그의 지지자들이 계속 정권을 잡았다..<ref>[[아피아노스]], '내전'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Appian/Civil_Wars/1*.html#34 1.34–75]; [[플루타르코스]], '마리우스'(''Marius'')[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Marius*.html#32 32–46], '술라'(''Sulla'')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Sulla*.html#6 6–10];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A*.html#15 2.15–20]; [[에우트로피우스]](Eutropius) [http://www.forumromanum.org/literature/eutropius/trans5.html 5]; [[플로루스]](Florus), ''Epitome of Roman History'' [[s:Epitome of Roman History/Book 2#6|2.6]], [[s:Epitome of Roman History/Book 2#9|2.9]]</ref>
==== 고위직 사제로 오름 ====
기원전 85년 어느날 아침에 카이사르의 아버지가 신발을 신는 중에 별다른 이유도 없이 갑자기 죽자<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날짜=2012-05-30 }}; 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Plin.+Nat.+7.54 7.54]</ref> 카이사르는 16살의 나이에 가장이 되었다. 이듬해 그는 [[유피테르]]의 고위 사제인 [[플라멘 디알리스]](Flamen Dialis)로 지명되었는데, 전임자인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메룰라|메룰라]]가 마리우스의 숙청 당시 죽었기 때문이었다.<ref>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A*.html#22 2.22]; Florus, ''Epitome of Roman History'' [[s:Epitome of Roman History/Book 2#9|2.9]]</ref> 이 사제직에 오르는 사람은 귀족일 뿐 아니라 귀족과 결혼한 사람이어야 하기 때문에, 그는 [[기사 출신]] 가문의 평민 여자인 코수티아(Cossutia)와 어릴 때 맺은 약혼을 파기하고, 당시 민중파의 영수였던 킨나의 딸 [[소 코르넬리아 킨나|코르넬리아]]와 결혼하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 |날짜=2012-05-30 }};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 1];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1 2.41]</ref>
==== 사면된 마리우스의 처조카 신분 ====
이때 미트라다테스와 협정을 맺었던 술라가 돌아와 마리우스 지지자들에 대항한 내전을 종결하였다. 이탈리아 전역에서 작전을 수행한 뒤 그는 기원전 82년 11월 1일에 [[콜리나 대문의 전투]]로 로마를 장악하였다. 그는 스스로를 [[독재관]]에 임명하였는데, 전통적으로 6개월 동안 단 한 번 재직하는 독재관직과 달리 술라의 독재관직에는 임기 제한이 없었다. 마리우스의 상은 모두 파괴되었으며, 마리우스의 시신은 무덤에서 파내어 부관참시되어 티베리스 강에 던져졌다. 당시 킨나는 항명을 일으킨 자신의 병사들에게 이미 살해된 상황이었다.<ref>[[아피아노스]], ‘내전’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Appian/Civil_Wars/1*.html#76 1.76–102]; Plutarch, ''Sulla''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Sulla*.html#24 24–33];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A*.html#23 2.23–28]; Eutropius, ''Abridgement of Roman History'' [http://www.forumromanum.org/literature/eutropius/trans5.html 5]; Florus, ''Epitome of Roman History'' [[s:Epitome of Roman History/Book 2#9|2.9]]</ref> 술라의 [[처벌자 명단 공개]]로 그의 정적 수 백명이 죽거나 추방되었다. 마리우스의 처조카이자 킨나의 사위였던 카이사르 역시 명단에 올랐다. 그는 자신의 유산과 사제직, 아내의 지참금 덕분에 처형을 면하였으나, 아내 코르넬리아와 이혼하기를 거부하여 잠적하는 수밖에 없었다. 술라파가 있던 모계쪽 집안과 [[베스타 여사제]]의 관여 덕분에 그에 대한 위협은 취소되었다. 술라는 망설이며 결국 사면에 승낙하였는데, 카이사르 속에 수많은 마리우스가 있음을 보았노라고 말한 바 있다.
=== 청년 시절 ===
도주했던 카이사르는 로마로 돌아오는 대신 군 입대를 택하여, [[아시아 속주]]에서는 [[마르쿠스 미누키우스 테르무스]] 휘하에서, [[킬리키아]]에서는 [[세르빌리우스 이사우리쿠스]] 밑에서 복무하였다. 역설적으로 카이사르가 군 경력을 쌓을 수 있었던 연유는 사제직을 잃은 덕분이었는데, 플라멘 디알리스 사제는 말을 만지거나 자신의 침대가 아닌 곳에서 사흘 밤을 자거나 로마 바깥에서 하룻밤을 자거나 군대를 보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ref>William Smith,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econdary/SMIGRA*/Flamen.html Flamen]''</ref> 그는 [[미틸리니]] 공성전에서 공을 세워 [[시민관]]을 수여받았다. [[비튀니아]] 임금 [[니코메데스 4세]]의 함대를 확보하는 임무를 맡던 중 카이사르는 궁정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어 왕과 동성애 염문이 돌았으며, 이후에도 이 소문은 계속 그를 따라다녔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 2–3]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날짜=2012-05-30}};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2 2–3];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43*.html#20 43.20]</ref>
기원전 80년, 독재관에 오른 지 2년 만에 [[술라]]는 사임하고, 다시 집정관제를 복원하였으며, 집정관에 재직한 뒤 정계에서 은퇴하여 사인(私人)으로 물러났다.<ref>아피아노스, ‘내전’[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Appian/Civil_Wars/1*.html#103 1.103]</ref> 나중에 카이사르는 술라가 독재관직을 포기한 일을 두고 "술라는 정치의 가나다도 모른다"고 비웃었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77 77]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77 |날짜=2012-05-30 }}.</ref> 2년 뒤인 기원전 78년에 술라는 세상을 떠났으며, 국장이 열렸다.<ref>Plutarch, ''Sulla''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Sulla*.html#36 36–38]</ref> 술라의 사망 소식을 들은 카이사르는 로마에 돌아와도 안전하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유산을 몰수당한 터라 재산이 없던 카이사르는 로마 시에서 하층민들이 사는 [[수부라]]에 평범한 집을 얻었다.<ref name="suet46">[[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6 46]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6 |날짜=2012-05-30 }}</ref> 그가 로마로 돌아올 때 반술라파인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기원전 78년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가 반란을 시도하였으나, 레피두스의 지도력을 신뢰하지 않은 카이사르는 이에 가담하지 않았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3 3]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3 |날짜=2012-05-30 }}; 아피아노스, ‘내전’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Appian/Civil_Wars/1*.html#107 1.107]</ref> 대신에 그는 변호사로 나섰다. 그는 빼어난 웅변에다 인상적인 제스처와 높은 목소리를 갖추었으며, 금품 강요와 부패로 악명 높던 전직 총독들을 가차없이 고발하여 유명해졌다. [[키케로]]도 그를 칭찬하며 "이제 나와보라, 어느 웅변가가 그대를 능가하겠는가?"라고 말한 바 있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55 55]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55 |날짜=2012-05-30 }}</ref> [[수사학]]을 완성하기 위해 기원전 75년에 그는 [[로도스섬]]으로 유학하여 일전에 키케로를 가르친 바 있는 [[아폴로니우스 몰론]] 밑에서 공부하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 4]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 |날짜=2012-05-30 }}. Plutarch (''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3 3–4]) reports the same events but follows a different chronology.</ref>
[[에게해]]를 지나던 중,<ref>Again, according to Suetonius's chronology (''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 4]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 |날짜=2012-05-30 }}). Plutarch (''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8 1.8–2]) says this happened earlier, on his return from Nicomedes's court. Velleius Paterculus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1.3 2:41.3–42] says merely that it happened when he was a young man.</ref> 카이사르는 [[킬리키아]] [[해적]]에 잡혀, [[도데카니사 제도]]의 [[파르마코스 섬|파르마쿠사 섬]]에 갇히게 되었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1–2</ref> 잡혀있는 동안 카이사르는 거만한 태도로 일관하였다. 카이사르는 포로로 잡혀있을 때 해적들을 십자가형에 처하겠다고 공언하였는데,<ref>Freeman, 40</ref> 해적들은 이 말을 농담으로 받아들였다. 해적들이 그의 몸값을 은 20 [[탈란톤]]으로 잡자, 카이사르는 50 탈란톤을 요구하라고 고집하였다.<ref>Thorne, James, ''Julius Caesar: Conqueror and Dictator'', The Rosen Publishing Group , 2003년, 15쪽.</ref><ref>Freeman, 39</ref> 몸값이 지불되자 카이사르는 배를 모아 해적들을 추적해 잡았으며, 이들을 [[페르가몬]]에 투옥시켰다. 아시아 총독 마르쿠스 융크투스는 카이사르의 요구대로 이들을 처형하길 거부하고 해적들을 노예로 팔고 싶어하였다.<ref>Freeman, 39–40</ref> 그러나 카이사르는 해안으로 돌아가 자신의 권리에 따라 이들을 십자가형에 처하였다. 그런 다음 로도스로 갔으나, 곧 아시아에서 군사 작전에 불려갔으며, 폰토스의 침략을 막고자 [[보조군]]을 모병하였다.
로마로 돌아오는 중에 그는 [[쿠르수스 호노룸]]의 첫 단계인 군사 참모(military tribune)로 선출되었다. 이 시기에 [[스파르타쿠스 전쟁]]이 일어났는데(기원전 73~71년), 카이사르가 이때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기록되지 않았으나 이에 관여했다. 기원전 69년에 그는 [[재무관]]에 선출되었으며,<ref>Freeman, 51</ref> 그 해에 마리우스의 미망인이었던 고모 율리아의 장례식 연설을 하였는데, 장례 중에 (술라 집권 이후로 볼 수 없었던) 마리우스의 상을 전시하였다. 그의 아내 코르넬리아도 같은 해에 세상을 떠났다.<ref>Freeman, 52</ref> 기원전 69년 봄 혹은 초여름에 장례가 끝나고 카이사르는 [[히스파니아]]의 안티스티우스 베투스 휘하에서 재무관직을 수행하였다.<ref>Goldsworthy, 100</ref> 이곳에서 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상을 보고는 알렉산드로스가 세계를 제패할 때와 같은 나이에 자신은 이룬 것도 없다는데 불만을 느끼며 깨달음을 얻었다. 그는 재무관직 조기 해임을 요청하여 승인받고 로마 정계로 돌아왔다. 기원전 67년에 돌아와서,<ref>Goldsworthy, 101</ref> 그는 술라의 손녀인 [[폼페이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내)|폼페이아]]와 결혼하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5 5–8]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5 |날짜=2012-05-30 }};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5 5];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3 2.43]</ref> 그는 [[조영관]]으로 선출되어 마리우스의 승전 기념비를 복구하였는데, 이는 술라파가 아직 정권을 잡고 있는 상황에서 물의를 빚었다. 그는 또 술라의 재산 몰수로 이익을 봤던 사람들을 기소하였으며, 공공 사업과 경기에 막대한 돈을 빌려 써서 동료 조영관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보다 명성을 얻었다. 그리고 카이사르는 두 차례 반란 모의에 연루된 혐의를 받기도 하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9 9–1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9 |날짜=2012-05-30 }};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5.6 5.6–6];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7*.html#8 37.8],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7*.html#10 10]</ref>
=== 정계에서 두각을 드러내다 ===
[[파일:0092 - Wien - Kunsthistorisches Museum - Gaius Julius Caesar.jpg|섬네일|오른쪽|[[빈]]의 [[예술사 박물관]]에 있는 카이사르 흉상.]]
기원전 63년은 카이사르에게 파란 많은 해였다. 그는 호민관 [[티투스 라비에누스]]를 설득하여 벌족파 원로원 의원 [[가이우스 라비리우스]]에게 37년 전에 [[원로원 비상 결의]]로 호민관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 사투르니누스]]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하고 자신을 이 사건을 심리할 두 재판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임명하게 하였다. [[키케로]]와 [[퀸투스 호르텐시우스 호르탈루스|퀸투스 호르텐시우스]]가 라비리우스의 변호를 맡았으나, 그는 [[대역죄]](perduellio)로 유죄를 선고받았다. 그는 인민에게 청원할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였으나 법무관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켈레르]]가 야니쿨룸 언덕에 군기를 내려 민회를 산회시켰다. 라비에누스는 다음 회기에 기소를 재청할 수 있었으나, 카이사르의 지시로 재청하지 않아 이 문제는 중지될 수 있었다.<ref>[[Cicero]],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Cic.+Rab.+Perd.+1 For Gaius Rabirius]'';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7*.html#26 26–28]</ref> 카이사르의 목적은 라비리우스 개인이 아니라, 집정관들이 민회에 대한 상소권도 무시한 채 이른바 국가의 적들을 처형할 때 휘둘러온 [[원로원 비상 결의]]의 정당성을 공격하려는 것이었다.<ref name="h410">프리츠 M. 하이켈하임, 410쪽, 1999.</ref> 덕분에 그는 원로원을 장악하고 있던 주류 세력들이 카이사르와 같은 민중파 정적들에 대하여 궁극적인 방호책으로 삼았던 비상 결의에 반대 여론을 집중시킬 수 있었다.<ref name="h410"/> 라비에누스는 이후 십 년간 카이사르의 중요한 친구가 되었다.
술라가 임명했던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피우스]]가 그 해에 죽자 카이사르는 로마 국가 종교의 수장인 [[폰티펙스 막시무스|대신관직]] 선거에 출마하였다. 그에게는 강력한 벌족파 경쟁 후보 두 사람이 있었는데, 집정관을 지낸 [[퀸투스 루타티우스 카툴루스]]와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 이사우리쿠스]]였다. 후보들은 서로에게 뇌물 수수 혐의로 고발하였다. 선거일 아침에 카이사르는 어머니에게 자신이 돌아올 때면 대신관에 당선되어 있거나 아니면 아무것도 없을 것이라고 말하였는데, 선거 운동으로 막대한 빚을 져서 추방되리라고 예상했기 때문이었다. 경쟁 후보들은 뛰어난 경험과 지위를 가졌지만 카이사르가 무난히 당선되었는데, 아마도 두 경쟁 후보가 서로 표를 잠식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ref>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3 2.43];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7 7];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3 13]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3 |날짜=2012-05-30 }}</ref> 대신관은 [[신성로]](Via Sacra)에 관저가 있었다.<ref name="suet46" />
그 해 집정관이었던 키케로는 공화국을 장악하려는 [[카틸리나]]의 음모를 알렸으며, 카툴루스 등은 카이사르가 이 음모와 연관이 있다고 고발하였다.<ref>[[Sallust]], ''Catiline W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allust/Bellum_Catilinae*.html#49 49]</ref> 다음 해 [[법무관]]으로 선출되었던 카이사르는 이 음모 연루 문제 처리를 놓고 벌어진 원로원 회의에 참석하였다. 회의 중에 카이사르는 쪽지를 받았다. 그러자 카이사르의 정적인 [[소 카토|마르쿠스 포르키우스 카토]]는 카이사르가 음모자들과 서신을 주고받았다며 그 쪽지를 크게 읽도록 요구하였다. 카이사르는 카토에게 쪽지를 넘겨주었는데, 당황스럽게도 그 쪽지는 카토의 의붓누이인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세르빌리아]]에게서 온 연애 편지였다. 반역 음모자를 사형에 처하자는 의견에 대해 카이사르는 설득력 있게 반박하면서 종신 징역에 처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카토의 연설로 결국 음모자들은 처형되었다.<ref>Cicero, ''Against Catiline''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Cic.+Catil.+4.7 4.7–9]; Sallust, ''Catiline W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allust/Bellum_Catilinae*.html#50 50–55];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7.5 7.5–8.3], ''Cicero''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icero*.html#20 20–21], ''Cato the Younge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to_Minor*.html#22 22–24];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4 14]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4 |날짜=2012-05-30 }}</ref> 다음 해 이 반란 음모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카이사르는 다시 공범 혐의로 고발되었다. 그러나 키케로는 카이사르가 이 음모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스스로 보고한 적이 있다고 증언하여 문제가 풀렸으며, 고발자 가운데 한 사람과 또 위원회 위원 한 사람이 구금되었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7 17]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7 |날짜=2012-05-30 }}</ref>
기원전 62년에 [[법무관]]이었던 카이사르는 당시 [[호민관]]이었던 메텔루스 켈레르가 논쟁적인 입법 제안에 지지하였으며, 두 사람은 매우 완고하여 원로원에서 이들을 직무 정지에 처하였다. 카이사르는 계속 법무관직을 수행하고자 하였는데, 폭력에 호소하는 수밖에 없었다. 카이사르가 자신을 지지하는 대중 시위를 진정시키자 원로원은 그를 복직시키기로 하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6 16]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6 |날짜=2012-05-30 }}</ref>
그 해에 [[보나 데아]](Bona Dea, "선한 여신") 제사가 카이사르의 관저에서 열렸다. 이 제사에는 남성이 출입할 수 없었으나, [[푸블리우스 클라우디우스(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라는 젊은 귀족 청년이 여자로 변장하고 몰래 입회하려고 하였는데, 이는 카이사르의 아내인 [[폼페이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내)|폼페이아]]를 유혹할 목적이 분명하였다. 그는 잡혀서 신성 모독죄로 기소되었다. 재판에서 카이사르는 로마의 유력 가문인 클라우디우스 가문을 거스르지 않고자 클로디우스에게 불리한 증거를 제출하지 않았으며, 클로디우스는 막대한 뇌물과 협박으로 석방되었다. 그러나 카이사르는 "내 아내는 어떤 의심도 받아서는 안 된다"면서 폼페이아와 이혼하였다.<ref>Cicero, ''Letters to Atticus'' [[s:Letters to Atticus/1.12|1.12]], [[s:Letters to Atticus/1.13|1.13]], [[s:Letters to Atticus/1.14|1.14]];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9 9–10];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7*.html#45 37.45]</ref>
법무관직을 수행한 뒤 카이사르는 [[히스파니아 울테리오르]](이베리아 바깥) 속주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아직도 상당한 빚을 지고 있던 터라 로마를 떠나기 전에 빚쟁이들을 설득해야 하였다. 그는 로마의 갑부인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의 도움을 받았다.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폼페이우스]]에 반대하는 자신을 지지하는 대가로 크라수스는 카이사르의 빚 일부를 지불하고, 나머지 빚에는 보증을 서 주었다. 그렇게 하고도 카이사르의 법무관 임기가 끝나 일반 시민 지위가 되면 빚 때무에 기소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는 임기가 끝나기도 전에 속주로 떠났다. 히스파니아에서 그는 [[칼라이키]]족과 [[루시타니]]족을 정복하여 그의 군대에게서 [[임페라토르]](최고 군사령관)로 환호받았으며, 채무 관련 법을 개혁하고, 매우 존경을 받으며 총독직을 마쳤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1 11–12];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8 18.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8 |날짜=2012-05-30 }}</ref>
'임페라토르'로 경례를 받으면서 카이사르는 [[개선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공화정 최고위직인 [[집정관|집정관직]]에 출마하길 원하였다. 만일 그가 개선식을 열려면, 행사 전까지 군인 신분으로서 도시 바깥에서 대기해야 하는데, 선거에 입후보하려면 사령관직에서 이임하고 일반 시민 신분으로 로마에 들어와야 했다. 결국 그는 개선식과 선거 출마를 동시에 할 수 없었다. 그는 원로원에 부재중 출마 허가를 요청하였으나, 카토가 이를 막았다. 두가지 사이에서 카이사르는 집정관직을 선택하였다.<ref>Plutarch, ''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3 13];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8.2 18.2]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8.2 |날짜=2012-05-30 }}</ref>
== 첫 집정관 재직과 삼두 정치 ==
{{본문|제1차 삼두 정치}}
집정관 선거에 카이사르,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몇 년 전에 카이사르와 함께 조영관직을 맡은 바 있다), [[루키우스 루케이우스]] 세 후보가 출마하였다. 선거는 깨끗하지 못했다. 카이사르는 키케로에게 지지를 청하였으며 부유한 루케이우스와 제휴하였으나, 체제의 주류 세력은 보수파인 비불루스를 밀어주었으며, 청렴하기로 유명했던 카토조차도 그를 지지하여 뇌물을 썼다고 한다. 카이사르와 비불루스는 기원전 59년에 임직하는 집정관으로 당선되었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3 13–14]; Sueton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9 19]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9 |날짜=2012-05-30 }}</ref>
카이사르는 이미 [[크라수스]]에게 정치적인 빚을 지고 있긴 하였으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폼페이우스]]에게도 손을 내밀었는데, 그는 자신의 퇴역병에게 준 동방의 정착지와 농지를 원로원에서 비준받기 위해 싸우고 있었으나 성과를 얻지 못한 상황이었다. 폼페이우스와 크라수스는 기원전 70년에 함께 집정관직을 역임한 이래 적대 관계였으며, 카이사르는 만약 자신이 한쪽과 손을 잡으면 다른 한쪽의 지지를 잃으리란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두 사람을 화해하고자 하였다. 카이사르, 폼페이우스, 크라수스 세 사람은 충분한 자금과 더불어 공공 사업을 장악할 정치적 영향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들의 비공식적 정치 제휴를 [[제1차 삼두 정치]]라고 하는데, 카이사르의 딸인 [[율리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딸)|율리아]]와 폼페이우스가 결혼하면서 공고해졌다.<ref>Cicero, ''Letters to Atticus'' [[s:Letters to Atticus/2.1|2.1]], [[s:Letters to Atticus/2.3|2.3]], [[s:Letters to Atticus/2.17|2.17]];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4 2.44];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3 13–14],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47 47], ''Crass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rassus*.html#14 14];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9.2 19.2]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9.2 |날짜=2012-05-30 }};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7*.html#54 37.54–58]</ref> 카이사르는 재혼하였는데, 이번 배우자는 다음 해 집정관으로 당선된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카이소니누스]]의 딸인 [[칼푸르니아 피소니스|칼푸르니아]]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1 21]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1 |날짜=2012-05-30 }}</ref>
집정관에 취임하자 카이사르는 현대의 신문격인 악타 디우르나(Acta Diurna)를 광장에 붙였다. 악타 디우르나로 원로원과 민회의 의사록이 그대로 민중에 공개됨으로써 민중파인 카이사르의 입지는 더욱 강해졌다. 또한 공직자가 1만 세스테르티우스 이상의 선물을 받지 못하게 하는 율리우스 레페르토리(공직자 윤리에 관한 율리우스 판례법)을 제정하여 공직 생활의 정화를 도모하였다. 카이사르는 빈민에게 공유지를 재분배하는 농지법(lex iulia de agraria)을 제안하였는데, [[그라쿠스 형제]]가 제출하려했던 농지법과 거의 같은 것이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유지 임차권은 상속할 수 있으나 20년동안 남에게 양도할 수 없다.
# 국유지 임차 신청자격은 폼페이우스와 5년 종군한 자와 3명의 자녀를 둔 무산자로 정한다.
# 250헥타르 이상 부정 임차지를 환수하는 비용은 폼페이우스가 미트라다테스 전쟁 후 국고에 납입한 2억 세스테르티우스로 한다.
# 부정 임차지 반환에 따른 보상금 액수는 재무관이 결정한다.
# 임차 농지 재분배는 20명의 상설위원으로 구성하고 법안 제출자는 그 위원회에 참여하지 않는다.
카이사르는 그라쿠스 형제와는 달리 기존체제에서 개혁을 실시하려 했기 때문에 보수파를 회유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보수파의 강한 반대를 받았다. 그러나 카이사르는 삼두의 강력한 힘을 이용했다. 삼두의 일파인 폼페이우스는 필요할 경우 무력도 불사하며 지지했으며, 크라수스도 마찬가지로 지지하여 삼두 정치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폼페이우스가 불러들인 그의 병사들이 도시에 운집하였으며, 삼두정의 반대자들을 위협하였다. 비불루스는 불길한 전조(前兆)가 있었다고 선언하여 법을 무효화하려 시도하였으나, 카이사르의 무장 지지자들이 그를 [[포룸]]에서 쫓아내 버렸다. 비불루스의 [[릭토르]](lictor)들이 들고 다니는 [[속간]]은 부러졌으며, 그와 함께 있던 호민관 두 사람이 다쳤고 비불루스 자신도 똥 한 바가지를 뒤집어썼다. 신변에 위험을 느낀 그는 집으로 물러나 그 해 내내 틀어박혀 지내다가 이따금 나쁜 전조를 선언하였다. 이렇듯 카이사르의 입법을 방해하려는 시도는 별 소용이 없었다. 로마의 풍자가들은 이때부터 그 해를 "율리우스와 카이사르가 집정관이었던 해"라고 불렀다.<ref>Cicero, ''Letters to Atticus'' [[s:Letters to Atticus/2.15|2.15]], [[s:Letters to Atticus/2.16|2.16]], [[s:Letters to Atticus/2.17|2.17]], [[s:Letters to Atticus/2.18|2.18]], [[s:Letters to Atticus/2.19|2.19]], [[s:Letters to Atticus/2.20|2.20]], [[s:Letters to Atticus/2.21|2.21]];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4.4 44.4];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4 14],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47 47–48], ''Cato the Younge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to_Minor*.html#32 32–33];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8*.html#1 38.1–8]</ref>
카이사르와 비불루스가 처음 선출되었을 때, 귀족들은 카이사르가 집정관 임기를 마친 다음 해에 맡을 전임 집정관 자리로 속주 총독직 대신 이탈리아의 목초지와 숲을 맡겨서 장래에 그의 권력에 제약을 두고자 하였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9.2 19.2]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19.2 |날짜=2012-05-30 }}</ref> 그러나 피소와 폼페이우스의 도움으로 나중에 이 조치는 취소되고 삼두 정치가 입법시킨 '바티니우스 법'에 따라 카이사르는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이탈리아 북부)와 [[일리리쿰]](발칸 반도 서부)의 총독으로 임명하였으며, 나중에는 [[갈리아 트란살피나]] 속주도 맡겼고 그에게 4개 군단을 주었다. 집정관 임기를 마치고 그가 맡을 전임 집정관 임기는 단 1년이 아니라 5년으로 정해졌으며, 이 기간 동안 그는 법정 기소가 면제되었다.<ref>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4.4 2:44.4];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14.10 14.10], ''Crass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rassus*.html#14.3 14.3],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48 48], ''Cato the Younge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to_Minor*.html#33.3 33.3];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2 22]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2 |날짜=2012-05-30 }};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8*.html#8.5 38:8.5]</ref> 카이사르는 푸블리카누스의 속주세 예납제도를 폐지하여 속주세의 공정성을 실현하였다. 또한 폼페이우스가 정복한로마세계의 동방을 재편성하는 법안을 가결시키고 게르만족의 수령 아리오비스투스와 이집트의 왕 프톨레마이오스 12세를 '로마인의 친구이자 동맹자'(socius e amicus populi romani)로 임명했다. 당시 프톨레마이오스 12세는 이집트에서 쫓겨난 상태였으므로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의 부하인 가비니우스를 파견하여 그를 왕위에 복귀시켰다. 카이사르는 이에 대한 보상으로 3천 탈렌트를 받았으나 크라수스에게 진 빚을 갚기 위해 이 돈의 절반을 써야했다. 집정관 임기가 끝나자 카이사르는 변칙적으로 정한 직무 때문에 기소되는 것을 가까스로 피하고 서둘러 임지로 떠났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3 23]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3 |날짜=2012-05-30 }}</ref>
== 갈리아 정복 ==
{{본문|갈리아 전쟁}}
[[파일:Map Gallia Tribes Towns.png|섬네일|300px|왼쪽|갈리아]]
카이사르는 여전히 많은 빚을 지고 있었는데, 속주 총독은 착취<ref>See Cicero's speeches [[s:Against Verres|against Verres]] for an example of a former provincial governor successfully prosecuted for illegally enriching himself at his province's expense.</ref> 나 위험한 군사 원정으로 돈을 벌 수 있었다. 카이사르는 휘하에 4개 군단이 있었으며, 임지 중 두 곳 [[일리리쿰]]과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는 북방의 미정복지와 접경하고 있는데, 이곳의 독자적인 갈리아인들은 불안정한 상태로 알려져 있었다. 로마의 동맹인 갈리아의 [[하이두이족]](Haedui)은 전에 하이두이의 땅을 정복하고 정착한 [[아리오비스투스]]가 이끄는 게르마니아의 [[수에비족]](Suebi) 분견대의 도움을 받은 다른 갈리아 부족에게 패하였으며, [[헬베티족]]이 이주를 위해 대규모로 이동하면서 로마인들이 우려하던 상황이었다. 카이사르는 새로이 두 군단을 조직하고, 프로빈키아 통과를 요청한 헬베티족의 요구를 거절했다. 헬베티족은 하이두이족의 승인을 얻고 그들의 영토를 통과하려 했으나 다툼이 벌어졌고 이에 하이두이족은 헬베티족을 적대하며 동맹국인 로마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때 하이두이족의 족장 둠노릭스는 헬베티족과 연락을 취하다 카이사르에게 발각되었다. 카이사르는 그의 형이자 하이두이족의 족장 디비키아쿠스가 동생을 대신해 용서를 바라자 둠노릭스를 용서했다. 카이사르는 손 강에서 헬베티족을 기습공격했고 큰 손실을 입은 헬베티족은 디비코라는 강화사절을 보냈으나 그는 카이사르가 요구한 인질제공을 거부하여 회담은 결렬되었다.<ref>이 전투에서 손실을 입은 헬베티족은 킴브리 전쟁 당시 루키우스 카시우스의 로마군을 궤멸시킨 티구리니족이었다.</ref> 이후 카이사르와 헬베티족은 비브락테 전투에서 맞붙었다. 헬베티족은 밀집대형으로 진격하였지만 로마군이 투창공격을 퍼붓자 방패에 창이 박혀 방패를 버리고 싸워 크게 손실을 입었다. 보이족과 툴링기족이 곧 로마군을 공격했으나 제1열을 헬베티족과 싸우게 하고 제2열은 보이족과 툴링기족과 대적하게 했다. 이렇게 한바탕 치열한 전투에 이루어지고 결국 카이사르가 헬배티족을 격파했다. 카이사르는 헬베티족에게 헬베티아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고 이것이 이루어지자 승자의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다.
갈리아인들의 요청에 따라 게르만족과 대적하게 되자 수에비족의 수령 아리오비스투스와 협상을 시도했다. 그때 로마군에서 게르만인에 대한 공포가 퍼졌으나 카이사르는 몸소 연설로 로마군의 전투 의지를 되찾게 했다. 카이사르는 제10군단을 이끌고 아리오비스투스와 브장송에서 직접 만나 회담을 했고 그 협상은 게르만인들의 도발행위로 인해 결렬되었다. 이후 카이사르는 사절을 보냈으나 그들이 아리오비스투스에게 사로잡히자 그와 전투를 벌였다. 아리오비스투스는 전투에서 질것이라는 게르만 여인의 점에 따라 전투를 바라지 않았다. 카이사르는 적군포로를 심문하여 이 사실을 알아내었고 게르만인들의 전투의욕이 적음을 이용하기로 했다. 카이사르는 게르만족을 더 과감하게 공격했고 아리오비스투스는 어쩔수없이 로마군과의 회전을 준비했다. 게르만족은 배후에 아녀자가 탄 마차를 포진시켰다. 전투는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로마군 우익은 적군의 공격을 버텨냈으나 좌익은 적군의 수적우세에 밀리고 있었다. 카이사르가 아끼는 부하이자 크라수스의 아들인 [[푸블리우스 크라수스]]는 전투에 동원되지 않는 제3열 군사를 이끌고 좌익을 지원했다. 힘을 얻은 로마군의 공격에 게르만족은 다수가 죽고 아리오비스투스는 게르마니아으로 달아났다. 게르만인들의 배후에 강이 있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게르만족이 죽거나 아리오비스투스를 비롯한 소수의 요인들만이 전장을 탈출할 수 있었다. 아리오비스투스의 두 아내와 한 딸은 죽고 다른 딸들은 사로잡혔다. 이 해의 모든 전투를 끝내고 겨울에는 세콰니족 영토로 군대를 물렸는데 이는 즉 카이사르가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바깥 영토에 관심을 둔 것이 일시적이지 않다는 뜻이었다.<ref>Cicero, ''Letters to Atticus'' [[s:Letters to Atticus/1.19|1.19]];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Gallico|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1|Book 1]]; 아피아노스, ‘갈리아 전쟁’ [http://www.livius.org/ap-ark/appian/appian_gallic_1.html Epit. 3] {{웨이백|url=http://www.livius.org/ap-ark/appian/appian_gallic_1.html|date=20151118202222}};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8*.html#31 38.31–50]</ref>
겨울 동안 갈리아 키살피나에서 신규로 2개 군단을 또 편성하여, 임기 2년째에 카이사르는 처음보다 배가된 군사력을 갖추었다. 이런 자의적인 군 편성은 적법성이 의심스러웠는데, 키살피나 갈리아인은 로마 시민이 아니었기 대문이었다. 작년 카이사르의 군사 활동에 대응하여 갈리아 북동부의 [[벨가이]] 부족들이 무장을 시작하였다. 카이사르는 이를 공격적인 행동으로 받아들였으며, 이와중에 레미족은 반군들을 배신하고 카이사르와 동맹을 맺었다. 수에시오네스족장 갈바를 중심으로 통합된 벨가이 동맹군 29만명은 레미족의 영토에 주둔하고 있던 카이사르와 레미족을 향해 귀갑대형을 이루고 진격해왔다. 로마군 진영 근처에 비브락스(Bibrax)라는 이름의 레미족 도시가 있어 벨가이군은 이 도시를 습격했으나 점령하지 못했다. 하지만 비브락스의 상황이 위급해지자 카이사르는 누미디아인과 크레타인으로 구성된 궁수들과 발레아레스 투석병을 비브락스에 구원병으로 보냈다. 벨가이군은 이들의 구원에 힘을 얻은 레미족의 거센 반격에 공성을 중단하고 로마군 진지를 공격했다. 로마군 진영은 강을 끼고 두편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벨가이인의 공격을 받는 쪽은 카이사르가 직접 지휘했고 강 건너편의 지휘는 사비누스가 맡았다. 벨가이군은 강을 건너 사비누스를 공격하려 했지만 카이사르는 진지 안에 있던 다리를 건너 강 건너편에서 접근해오는 적과 싸웠다. 로마군은 물속에서 움직임이 둔해진 벨가이군을 무찔렀다. 벨가이인들은 패전소식과 식량부족에 통합된 벨가이 병력을 각 부족으로 돌려보내기로 했다. 각 부족으로의 귀환은 소란스러운 것이 패주에 가까워 벨가이인들은 카이사르가 보낸 기병대의 공격을 받고 다시 크게 전사자를 내었다.
카이사르는 적군 연합부대를 크게 격파하자 차차 각 부족을 하나씩 정복하였다. 우선 수에시오네스족을 격퇴하고 벨로바키족과 암바니아족과 강화를 맺었다. 벨로바키족은 부족내의 반로마파가 모두 브리타니아에 도망쳐 버렸다고 주장했다. 로마군은 이어 벨가이에서 가장 강한 전사들을 가진 네르비족과 싸우게 되었다. 그들은 매복해 있었으며 로마군의 군량수송부대에 첩자를 두었다. 카이사르가 그들의 영토에 도착하자 기습공격을 하여 로마군의 허를 찔렀다. 로마 기병대는 이미 격파되었고 카이사르도 한번에 여러 조치를 취해야 했지만 로마군은 카이사르의 명령이 떨어지기도 전에 빠르게 전투를 시작했다. 로마군의 제9군단과 제10군단은 좌익에 포진해 있다가 아트레바테스족을 쳐부수었고 제11군단과 제8군단은 우익에서 비로만두이족을 격파했지만 로마군 중앙의 제12군단과 제7군단은 좌우익이 빠져나가 노출된 곳에서 보두오그나투스가 이끄는 네르비족의 공격을 받았다. 카이사르는 중앙의 병사들 간의 대열이 좁아 전투에 방해가 됨을 알아차리고 대열을 넓힐 것을 명령했다. 방진을 짤것을 지시했고 로마군은 측면과 배후에서 공격해오는 적을 막아낼 수 있었다. 라비에누스가 제10군단을 보내 이들을 지원하러 오자 네르비족은 열세에 빠지기 시작했다. 결국 로마군의 승리로 끝난 이 전투로 네르비족의 전투력은 궤멸되었고 카이사르는 이들에게 볼모제공을 요구하지 않았다. 이어 아투아투키족의 수도인 아투아투카를 공격했고 로마군의 공성기에 놀란 아투아투키족은 항복했다. 카이사르는 그들에게 무기를 버릴 것을 요구했고 아투아투카의 전체 무기 중 삼분의 일 가량만 버려졌다. 아투아투키족은 남은 무기를 들고 로마군을 기습했으나 4000명의 전사자를 내고 패하였다. 카이사르는 5만명이나 되는 아투아투카 주민들을 모두 노예로 팔아넘겼다. 카이사르의 공적에 로마 원로원은 지금까지 유례가 없던 15일 감사제를 올렸다. 그러는 사이 크라수스의 아들 푸블리우스가 지휘하는 1개 군단이 [[아르모리카 반도]](Armorica)의 부족들을 정복하는 작전을 개시하였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2|Book 2]]; 아피아노스, ‘갈리아 전쟁’ [http://www.livius.org/ap-ark/appian/appian_gallic_1.html Epit. 4] {{웨이백|url=http://www.livius.org/ap-ark/appian/appian_gallic_1.html |date=20151118202222 }};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9*.html#1 39.1–5]</ref>
기원전 56년 봄에 삼두 정치 인사들은 갈리아 키살피나의 [[루카 (도시)|루카]]에서 회합을 열어 만났다. 로마는 혼란에 빠져 있었으며,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클로디우스]]의 민중 선동으로 크라수스와 폼페이우스의 사이가 나빠진 상황이었다. 회의에서 삼두 정치를 갱신하고, 카이사르의 전임 집정관(총독) 임기를 5년 더 늘렸다. 크라수스와 폼페이우스는 다시 집정관에 오르기로 하고 이후에는 카이사르처럼 장기 전임 집정관직을 맡기로 하여, 임기를 5년으로 크라수스는 시리아를, 폼페이우스는 히스파니아 속주를 맡는 것으로 정하였다.<ref>Cicero, ''Letters to his brother Quintus''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lookup=Cic.+Q.+fr.+2.3 2.3];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4 24]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4 |날짜=2012-05-30 }};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21 21], ''Crass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rassus*.html#14 14–15],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51 51]</ref> 아르모리카 정복은 카이사르의 부하 [[데키무스 브루투스]]가 [[베네티족 (갈리아)|베네티족]]을 해전에서 무찔르면서 완수하였으며, 젊은 푸블리우스 크라수스는 갈리아 남서부의 [[아퀴타니족]]을 정복하였다. 기원전 56년에 군사 작전을 종결하면서, 해안 저지의 [[모리니족]](Morini)과 [[메나피이족]](Menapii)만 저항하였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3|Book 3]];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9*.html#40 39.40–46]</ref>
기원전 55년 카이사르는 게르마니아의 최강의 부족 수에비족에게 밀려 갈리아를 침략한 게르마니아의 [[우시페테스족]](Usipetes)과 [[텡크테리족]](Tencteri) 문제를 교섭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카이사르는 이들에게 우비족(카이사르와 동맹을 맺은 게르만 부족)의 영토를 제공할 것이니 갈리아를 떠나라고 요구했다. 두 게르만 부족은 그 제안을 고려할 것이니 사흘간의 여유를 줄것을 간청했고, 카이사르는 이것이 게르만인의 기병대가 아직 갈리아에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려는 수작이라고 생각했다. 카이사르는 물을 보급해야 한다면서 군대를 조금만 전진시키겠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대로 카이사르는 로마군 기병대를 전진시켜 그들에게 게르만인들의 정확한 의도를 알아오게 했다. 게르만 기병의 급습을 받아 기병을 74기나 잃었다. 게다가 이 희생자 중에 피소라는 이름의 카이사르의 갈리아인 친구가 있었다. 교섭이 깨졌다고 판단한 카이사르는 게르만인들을 공격했고, 병력이 43만명이나 되는 두 부족은 전의를 잃고 대부분이 죽거나 일부가 게르마니아로 달아났다. 카이사르는 이들을 추격하여 라인강에 가교를 건설하고, 게르마니아 영토에 진입하여 무력 시위를 하였으며 돌아올 때 다리를 해체하였다.
이 전투가 로마에 전해지자 카토는 카이사르가 강화교섭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게르만인을 기습한 것은 부당한 처사이고 따라서 카이사르를 게르만족에게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해 늦여름에 모리니족과 메나피이족을 정복하면서 [[브리타니아]] 섬(오늘날의 브리튼)에 건너가서 기원전 57년에 벨로바키의 반로마파가 브리타니아에 달아났으며 지난 해에 브리타니아 사람들이 베네티족을 도왔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 섬에 대해 잘 몰랐으며, 켄트에 상륙 거점을 얻어 어렵게 브리타니아인을 격파하였으나 기병대가 도착하지 못하여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지 못했다. 또한 배가 파손되어 이를 복구해야 했기 때문에 더 나아갈 수 없어서 겨울에 갈리아로 돌아갔다. 다만 브리타니아인들을 다시 격파하고 강화를 맺은 다음, 인질을 요구하여 이들을 갈리아로 보내겠다고 하여 브리타니아를 떠나는 명분을 명확히 했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4|Book 4]]; 아피아노스, ‘갈리아 전쟁’ [http://www.livius.org/ap-ark/appian/appian_gallic_1.html Epit. 4] {{웨이백|url=http://www.livius.org/ap-ark/appian/appian_gallic_1.html |date=20151118202222 }};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9*.html#47 47–53] 카이사르군을 공격한 게르만 기병은 본대가 아니고 선발대였다. 따라서</ref>
이듬해 그는 더욱 준비하고 더 많은 군대를 이끌고 브리타니아에 돌아왔으며 더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내륙으로 진격하였으며, [[트리노반테스족]](Trinovantes)의 [[만두브라키우스]] 왕과 동맹을 맺고, 그의 적이자 브리타니아 연합군 총사령관인 [[카시벨라우누스]]와 전투를 벌였다. 카시벨라우누스는 부족간의 전투에서 명성을 얻은 자로 카이사르의 로마군이 생각보다 강한 것을 알자 게릴라전을 벌였다. 카이사르는 통상적인 것과 다르게 기병을 먼저 보내지 않고 보병과 같이 진격시키게 하여 브리타니아인의 기습공격을 막아내고 곧 반격해 그들을 격파했다. 카이사르가 카시벨라우누스의 본거지를 공격하자 카시벨라우누스는 게릴라전을 벌였으나 로마군을 격퇴하지 못했다. 결국 브리타니아인들은 본거지에서 로마군에게 패하였고 카시벨라우누스는 카이사르에게 항복했다.
그러나 갈리아에서 [[에부로네스족]](Eburones)의 [[암비오릭스]]가 이끄는 반란이 퍼져 작황이 나빠지자 카이사르는 겨울 동안 군사 작전에 나서야 했으며, 전쟁은 이듬해까지 이어졌다.<ref>반란을 일으키기 전에 암비오릭스는 반로마파 성향의 트레베리족장 인두티오마루스와 만났다.</ref> 당시 로마군의 군량이 부족해져 카이사르는 군대를 분할하여 갈리아의 여러 지방으로 분산시켰다. 그 중 군단장 사비누스와 코타가 이끄는 9천명의 로마군은 에부로네스족의 땅에 배치되었다.<ref>사비누스와 코타는 같은 군단장이었으나 출신계급이 사비누스가 높다는 이유로 코타가 총지휘권을 양보했다.</ref> 에부로네스족장 암비오릭스는 로마군을 공격했으나 실패하자 사비누스와 코타에게 로마군을 공격한 것은 본의가 아니었고 지금 갈리아 각지에서 크게 반란이 일어났으며 자신들이 로마군을 호위할테니 진영지를 떠나고 카이사르와 합류할 것을 제안했다. 그전까지 로마에 우호적이던 암비오릭스의 속임수에 두 군단장은 속고 말았다. 사비누스는 진영지를 떠날 것을 주장했고 코타는 진영지를 지키며 버티는 것이 낫다고 했으나, 결국 사비누스의 뜻대로 진영지를 떠나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의 진영으로 향했다. 행군 도중에 그들은 기습을 받아 전멸하고 극소수만이 살아남아 라비에누스의 진영지에 도착했다.
암비오릭스의 선동으로 네르비족과 아투아투카족은 퀸투스 키케로의 진영을 공격했고 그 수가 6만면에 달했다. 당시 병이 든 키케로는 적의 십분의 일 밖에 미치지 못하는 병력으로 분전했고 키케로의 구원요청을 받은 카이사르는 7천명의 군대를 급조하여 키케로의 진영지에 도착한 뒤, 적군을 유인하여 격파했다.<ref>키케로는 여러차례 카이사르에게 보낸 노예들이 적군에 잡히자 갈리아인의 노예를 통해 벨가이인이 잘 모르는 그리스어로 구원요청을 카이사르에게 보냈다.</ref> 많은 수의 갈리아인이 죽었으나 로마군의 손실은 없었다. 카이사르가 키케로의 병사들 중에 다치지 않은 자가 전체의 10분의 1 정도였다. 한편 라비에누스는 트레베리족의 인두티오마루스를 격파하고 죽이는데 성공했다.<ref>당시 트레베리족은 족장 인두티오마루스와 그 조카인 킨게토릭스가 서로 대립하여 권력이 양분된 상태였지만 인두티오마루스가 더 강했다. 그런데 카이사르는 트레베리족을 평정하고 반로마파인 인두티오마루스의 세력을 줄였고 킨게토릭스를 지원했다. 이에 인두티오마루스는 카이사르에게 더 큰 원한을 갖게되었다.</ref> 카이사르는 게르마니아로 다시 진격하고 암비오릭스의 기반을 무너뜨리고, 암비오릭스를 무찌르면서 카이사르는 이제 갈리아를 평정하였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반란음모를 꾸민 카르누테스(Carnutes) 족장 아코를 사형시켰다.<ref>Cicero, ''Letters to friends'' [[s:Letters to friends/7.6|7.6]], [[s:Letters to friends/7.7|7.7]], [[s:Letters to friends/7.8|7.8]], [[s:Letters to friends/7.10|7.10]], [[s:Letters to friends/7.17|7.17]]; ''Letters to his brother Quintus'' [[s:Letters to his brother Quintus/2.13|2.13]], [[s:Letters to his brother Quintus/2.15|2.15]], [[s:Letters to his brother Quintus/3.1|3.1]]; ''Letters to Atticus'' [[s:Letters to Atticus/4.15|4.15]], [[s:Letters to Atticus/4.17|4.17]], [[s:Letters to Atticus/4.18|4.18]]; 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5|Book 5–6]];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40*.html#1 40.1–11]</ref>
카이사르가 브리타니아에 있을 때, 폼페이우스의 아내인 딸 율리아가 아이를 낳다가 죽었다. 카이사르는 조카의 딸인 [[소 옥타비아|옥타비아]]를 남편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2세|가이우스 마르켈루스]]와 이혼시키고 폼페이우스와 결혼시켜 그의 지지를 확보하려 하였으나, 폼페이우스는 거절하였다. 기원전 53년 크라수스는 [[파르티아]]를 침공하다 [[카라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로마는 폭력 사태로 치닫고 있었다. 폼페이우스는 비상 수단으로 1인 집정관에 임명되었으며, 카이사르의 정적인 [[퀸투스 메텔루스 스키피오]]의 딸 [[코르넬리아 메텔라|코르넬리아]]와 결혼하고, 장인 메텔루스 스키피오를 동료 집정관으로 삼아 일단 질서를 회복하였다. 이로써 삼두 정치는 결렬되었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6]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6|날짜=2012-05-30}};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23.5 23.5],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53 53–55], ''Crass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rassus*.html#16 16–33];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 '로마 역사'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Velleius_Paterculus/2B*.html#46 46–47]</ref>
[[파일:Siege-alesia-vercingetorix-jules-cesar.jpg|섬네일|300px|왼쪽|카이사르에게 항복하는 베르킨게토릭스]]
기원전 52년, 족장을 잃은 카르누테스족은 본거지인 케나붐에서 로마 민간인을 학살했는데 이것이 도화선이 되어 갈리아 중부 [[아르베르니족]](Arverni)의 [[베르킨게토릭스]]가 일으킨 반란이 또 한번 크게 번졌다. 베르킨게토릭스는 갈리아 부족들을 통합하고자 하였으며, 초토화 작전으로 로마군을 무너뜨리려 하였다. 북이탈리아의 카이사르가 중부 갈리아에 있는 그의 군단과 합류하였고, 비투리게스족의 수도인 아바리쿰이 카이사르에게 점령되었지만 반로마군의 총사령관 베르킨게토릭스의 입지는 전혀 좁혀지지 않았다. 카이사르는 아르베르니족의 수도인 게르고비아로 향했고 이즈음에 로마의 동맹부족이었던 하이두이족이 베르킨게토릭스에게 돌아섰다. 카이사르는 아르베르니족의 근거지인 게르고비아를 공격했으나 별 소득이 없었고 게르고비아를 한 차례 습격하고 철수하려 했다. 그러나 습격한 뒤 퇴각하는 과정에서 선발대에게 명령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고 베르킨게토릭스는 이들을 공격하여 700명을 전사시켰다. 그중 로마군 백인대장은 46명이나 죽었다. 게르고비아 공략이 실패하자 카이사르는 퇴각했고 베르킨게토릭스는 추격하여 한 차례 회전이 벌어졌다. 갈리아 기병이 세 갈래로 나뉘어 공격했으나 카이사르는 방진을 이루어 이들을 모조리 격파했다.
전투에서 패한 베르킨게토릭스는 만두비족의 도시 알레시아로 들어갔다. 카이사르는 이를 알고 즉시 알레시아를 포위하였다. 베르킨게토릭스는 갈리아 전역에 지원군을 요구하였고 이에 26만에 달하는 대군이 편성되었다. 이들은 알레시아를 포위한 카이사르의 군대를 다시 포위하였다. 알레시아의 농성군은 7만명으로, 갈리아전력은 총 33만이었다. 반면 카이사르의 로마군은 12개 군단 5만명이었다.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이중포위전 [[알레시아 전투]]가 기원전 52년 9월 20일에 시작되었다. 카이사르가 공들여 준비한 공성 작전으로 양쪽의 갈리아군은 완전히 차단되어 농성하는 갈리아인들은 지원군이 도착한 줄도 몰랐다. 전투는 기병전으로 시작되었고, 카이사르의 게르만 기병의 활약에 갈리아 기병은 퇴각했다. 기병전에서 패한 후, 갈리아인들은 공성기를 이용하여 로마군 진지를 공격했으나 재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한 로마군에게 패배하였다. 베르킨게토릭스의 사촌 베르카시벨라우누스가 이끄는 6만명의 갈리아 정예병이 다 완성되지 않은 로마군의 북쪽 포위망을 공격해왔지만 카이사르는 라비에누스를 보내 이들을 막게하면서 포위망 여기저기에 지원군을 보냈다. 북부에서 적이 강하게 공격해오자 카이사르는 신속하게 북부 전선에 도착했다. 카이사르와 베르카시벨라우누스는 치열하게 싸웠고 카이사르는 기병대를 갈리아군 배후로 보내 그들을 격파하였다. 베르카시벨라우누스는 생포되었고 부관은 전사하였다. 6만명의 정예병은 궤멸되었고 나머지 갈리아인들도 각자의 부족으로 패주하였다. 이를 안 베르킨게토릭스는 마침내 로마에 항복하였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7|Book 7]]; Cassius Dio,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40*.html#33 40.33–42]</ref> 이듬해에 산발적인 교전이 일어났으나,<ref>[[Aulus Hirtius]],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8|Book 8]]</ref> 이로써 갈리아는 사실상 정복되었다.
[[전임 법무관]] 지위의 [[티투스 라비에누스]]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 전쟁 동안 가장 고참인 [[레가투스|군단장]]이었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1#21|1.21]]</ref> 그 밖에 두각을 드러낸 카이사르의 다른 부관으로는 친척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7#65|7.65]]</ref> 크라수스의 아들인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2#34|2.34]]</ref>와 형제인 마르쿠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6#6|6.6]]</ref> 키케로의 동생인 [[퀸투스 툴리우스 키케로]],<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6#32|6.32f]].</ref>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데키무스 브루투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3#11|3.11]]</ref> [[마르쿠스 안토니우스]]<ref>Julius Caesar,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s: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Book 7#81|7.81f]].</ref> 가 있었다.
플루타르코스는 [[갈리아 전쟁]] 기간 동안 로마군이 3백만 명의 적과 싸웠으며, 그 가운데 1백만은 죽고, 나머지는 노예가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300개 부족이 복속되었으며, 800개 도시가 파괴되었다.<ref>[http://etext.library.adelaide.edu.au/p/plutarch/lives/chapter48.html Lives of the Noble Grecians and Romans] {{웨이백|url=http://etext.library.adelaide.edu.au/p/plutarch/lives/chapter48.html |date=20080222124832 }}, Plutarch (chapter48)이는 대단히 과장된 기록이다.</ref> [[아바리쿰]](부르주) 시의 전체 주민 총 40,000명이 살육당하였다.<ref>[http://www.gutenberg.org/files/10657/10657.txt "De Bello Gallico" & Other Commentaries of Caius Julius Caesar], Chapter 28, Translated by [[Thomas de Quincey]]</ref>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헬베티인]] 368,000명이 고향을 떠났으며, 이 가운데 92,000명이 무기를 소지하고 있었는데, 군 작전 이후 총 110,000명만이 돌아왔다고 보고하였다.<ref>[http://www.gutenberg.org/files/10657/10657.txt "De Bello Gallico" & Other Commentaries of Caius Julius Caesar], Chapter 29, Translated by [[Thomas de Quincey]]</ref> 그러나 일단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카이사르의 보고는 선전의 목적을 띄고 있었으며, 고대 문헌에서는 보통 숫자를 과장해서 쓰기 때문에 적 전투원의 총 수효는 특히 너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푸르거-군티(Furger-Gunti)는 헬베티 군대의 병사 수가 60,000명이 넘는 것은 기록된 전술을 고려했을 때 전혀 있을 법하지 않다고 보았으며, 실제 수효는 총 이주민 수가 160,000명에 전투원 수는 40,000명 정도로 추산하였다.<ref>Furger-Gunti, 102.</ref> 델브뤽(Delbrück)은 전체 주민 수가 100,000 이하일 것이며, 그 가운데 전투원은 16,000명에 불과할 것으로 보았는데, 이렇게 보면 켈트인 군대의 병력은 당시 30,000명 정도였던 로마군의 절반 수준이 된다.<ref>H. Delbrück ''Geschichte der Kriegskunst im Rahmen der politischen Geschichte'', Vol. 1, 1900, pp. 428 and 459f.</ref>
갈리아 전쟁은 서유럽에 로마문화를 전파하는데 막강한 영향을 주었다. 갈리아 전쟁 이후, 갈리아는 빠르게 속주화되었고 로마의 문명을 받아들였다. 전쟁이 끝나고 카이사르는 정복한 전 지역을 "갈리아 코마타(Gallia comata)"라는 하나의 속주로 두었다. 결국 갈리아 일대는 카이사르의 세력기반이 되어 그가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게 일조했다.<ref>갈리아 코마타 속주는 훗날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아퀴타니아, 벨기움으로 나뉘었다.</ref>
== 내전 ==
{{본문|카이사르의 내전}}
[[파일:Gaius Julius Caesar.jpg|섬네일|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조각상.]]
기원전 50년, [[폼페이우스]]가 주도하는 원로원에서는 카이사르에게 전임 [[집정관]] 임기가 만료되었으므로 군대를 해산하고 로마로 귀환하도록 명령하였다.<ref name=Sue28>[[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8 28]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28 |날짜=2012-05-30 }}</ref> 또 원로원은 카이사르가 두 번째로 출마하려는 집정관 선거에 부재중 입후보를 금지하였다.<ref name=Sue28/> 카이사르는 집정관의 면책권이 없거나 군사력이 없는 상태로 로마에 들어간다면 기소되고 정계에서 밀려나리라고 생각하였다. 기원전 49년 1월 7일, 집정관 [[가이우스 마르켈루스]]는 원로원 최종권고를 발동시켰고, 그 전권을 위임받은 폼페이우스는 카이사르를 불복종과 대역죄 혐의로 고발하였다. 기원전 49년 1월 12일, 카이사르는 단 [[게미나 제13군단|1개 군단]]만 이끌고 [[루비콘강]](이탈리아의 북방 경계선)을 넘어 [[카이사르의 내전|내전]]의 도화선에 불을 당겼다. 카이사르가 직접 저술한 「내전기」에서는 루비콘 도하가 단순히 '아리미눔 도착'으로만 적혀있으며, 이때 카이사르가 무슨 말을 했는지 적혀있지 않았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제1권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7</ref> 플루타르코스는 카이사르가 루비콘강을 건너면서 [[아테나이]]의 극작가 [[메난드로스]]의 작품에 나오는 구절인 "주사위를 던져라!(ἀνερρίφθω κύβος)"를 그리스어로 인용하였다고 썼다.<ref name=Plu65>[[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60 60.2]</ref> 수에토니우스는 이 문장을 라틴어로 "'''''[[주사위는 던져졌다]]'''''('''''alea iacta est''''')"라고 썼다.<ref name=Sue32>[[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32 32]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32 |날짜=2012-05-30 }}</ref>
기원전 49년 1월 12일 카이사르는 휘하의 10개 대대 45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루비콘강을 건넌 후, 제일 먼저 아리미눔에 입성하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는 5개 대대를 떼어줘 아펜니노 산맥을 넘어 아레티움을 공격하고 쿠리오에게는 3개 대대를 주어 아드리아 해를 따라 피사우룸, 파눔, 안코나를 공격하게 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11-12</ref>
1월 12일 쿠리오는 피사우룸, 1월 13일 파눔, 1월 14일에는 안코나까지 함락시키고 1월 15일 안토니우스도 아레티움에 입성했다. 이에 원로원에서는 현직 법무관 로시우스와 카이사르의 친척 동생 루키우스 카이사르가 원로원 최종 권고를 전했고 원로원은 카이사르의 후임자로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를 임명해 2개 군단이 주둔한 카푸아로 떠났다. 카이사르는 로시우스와 루키우스 카이사르를 통해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가 양자 회담을 벌이고 동시에 군단 해산을 제안하는 내용의 서한을 폼페이우스에게 보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8-10</ref>
그리고 1월 17일 폼페이우스는 수도 로마를 버린 채 200명에 달하는 상당 수의 원로원 의원들과 각종 개인 재산과 장인 메텔루스 스키피오, 카토 등과 함께 노예, 하인들을 데리고 남하했으나 국고에 들어 있는 재산은 채 옮기지 못하고 도주했다. 이 때문에 국고 재산은 고스란히 남았고 1월 20일 쿠리오는 아구비움에 입성해 플라마니아 가도의 요충지를 얻게 되었다. 카이사르는 이때 폼페이우스의 답장을 받았으나 그가 제안한 양자 회담을 묵살시키고 자신에게만 군단해산을 요구한다는 이유로 폼페이우스의 제안을 거절했다. 게다가 그는 폼페이우스가 히스파니아로 떠나는 시기를 밝히지 않는 것은 그가 계속 본국에 군사력을 가지고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ref>이후로도 카이사르는 계속 폼페이우스에게 양자회담을 제안한다.</ref>
한편 폼페이우스 진영에서는 아프리카 속주 총독을 지낸 푸블리우스 아티우스 바루스와 폼페이우스 휘하에서 백인대장을 지내고 오리엔트 원정에도 참전한 루키우스 푸피우스가 아욱시뭄에서 군사를 이끌었으나 주민들의 호응에 실패하고 카이사르는 아욱시뭄 근처 킹쿨룸에서 보급을 해 2월 3일 아욱시뭄에 입성했다.<ref>킹쿨룸은 카이사르를 배신한 라비에누스의 고향이다.</ref>
2월 5일 카이사르는 피르뭄에 입성하고 제12군단도 참여했으며 아스쿨라네움으로 행군했다. 이에 기원전 57년의 집정관인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스핀테르가 10개 대대를 이끌고 지키고 있었으나 카이사르가 오자 도망쳐버려 2월 15일 아스쿨라네움도 쉽게 함락되었다.<ref>카이사르는 이날 코르피니움에 도착했다.</ref>
그러자 폼페이우스가 급파한 비불리우스 루푸스가 13개 대대가 되는 병력을 모아 코르피니움에 주둔했고 곧이어 아헤노바르부스가 20개 대대를 이끌고 행군해 3.3개 군단에 달하는 33개 대대가 모일 예정이었다. 이에 루푸스는 폼페이우스가 있는 루케리아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폼페이우스는 오히려 더 남쪽인 카노사로 남하하는 문제를 고려하고 있었다<ref>폼페이우스는 이때 아헤노바르부스가 지원을 요청하자 이를 묵살하고 자신에게 합류하라고 명령했다.</ref>
그러는 사이 카이사르는 코르피니움 근처의 술모나 주민들의 호응도 얻고 남프랑스 속주에서 갈리아인으로 구성된 22개 대대도 합류해 결국 병사들을 버리고 도망치려던 아헤노바르부스는 붙잡혔다가 카이사르의 배려로 석방되고 2월 21일 카이사르는 코르피니움에도 입성했다. 카이사르의 행동에 대해 키케로는 "아군을 버리는 폼페이우스와 적을 용서하는 카이사르는 얼마나 다른가" 라며 카이사르에게도 편지를 보내 카이사르의 관용을 칭찬했다. 카이사르는 답변했다.
“나를 잘 이해해주는 당신이 하는 말이니까, 내 행동에선 어떤 의미의 잔인성도 찾아볼 수 없다는 당신의 말은 믿어야 할거요. 그렇게 행동한것 자체로 나는 이미 만족하고 있지만 당신까지 그리 찬성해주니 만족을 넘어 기쁘기 한량없소.내가 석방한 사람들이 다시 나한테 칼을 들이댄다해도, 나는 그런 일로 마음을 어지럽히고 싶지는 않소. 내가 무엇보다도 나 자신에게 요구하는 것은 내 생각에 충실하게 사는거요. 따라서 남들도 자기 생각에 충실하게 사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오.”
그리고 브룬디시움으로 도망치는 폼페이우스를 추격했다.<ref>아헤노바르부스는 카토의 친구이자 급진적인 옵티마테스로 기원전 55년 집정관 선거에서 자신이 당선된다면 카이사르를 갈리아 총독에서 해임하겠다고 약속했으나 낙선했다. 이듬해에 콘술에 당선되었으나 카이사르를 해임시키지는 못했다.</ref>
결국 폼페이우스는 일행을 이끌고 2월 25일 항구 도시인 브린디시움에 도착했다. 카이사르가 브룬디시움에 도착했을 때, 폼페이우스에게 양자 회담을 통한 강화를 제안했지만 폼페이우스는 지금까지 자신을 따라온 이들을 배신하는 짓을 벌일 수 없다며 강화를 거부했다. 6개 군단 60개 대대로 불어난 카이사르 군단이 오는 가운데 잦은 탈영으로 50개 대대로 줄어든 폼페이우스는 3월 17일 카이사르의 저지선을 뚫고 그리스로 본국을 포기하고 철수했다. 이로써 카이사르는 이탈리아를 무혈제패했지만 폼페이우스를 놓쳐 내전은 장기화되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25-29,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35 35.2]</ref>
폼페이우스가 군대를 철수시키려고 해안의 모든 배를 이미 쓸어가버린 터라 카이사르는 해군력이 없었고, 폼페이우스의 7개 군단이 주둔한 이베리아 반도는 평정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히스파니아로 진로를 돌리기로 하였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를 로마의 장관으로 남겨놓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호민관으로 이탈리아 나머지 지역을 맡겨놓고, 카이사르는 파비우스의 3개 군단과 합류하여 히스피니아로 진격했다. 카이사르군은 적의 진채를 공격하였다. 카이사르군은 적의 유인책에 빠져 위기에 빠졌으나 특유의 용맹을 발휘하여 위급에서 벗어났다. 카이사르군은 200명 가량의 적을 전사시켰으나 진채를 빼앗지 못하고 그들도 80명의 카이사르군을 전사시켰다. 갑자기 카이사르의 6개 군단은 세그레 강의 홍수로 고립되었고 군량보급도 차단되었다. 이런 상태로 한달을 버틴 카이사르는 운하를 파서 물길을 바꾸어 고립에서 벗어났고 아프라니우스와 페트레이우스가 이끄는 9만명의 폼페이우스군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식량부족에 빠트리게 했다. 폼페이우스군의 군량이 부족해지자 현지병력의 탈영이 심해졌고 아프라니우스는 식량을 구하기 위해 남쪽으로 도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폼페이우스군의 도주는 카이사르에게 계속 저지되었으며 그들의 사기는 저하되었다. 폼페이우스군의 일개병사들은 카이사르에게 항복을 바랬고 아프라니우스의 아들마저 카이사르군과의 화해를 바라고 있었다. 그러자 페트레이우스는 화해를 거부하며 병사들의 전의를 다시 일깨웠고, 폼페이우스군 진영에 들어온 카이사르의 병사들을 죽이라고 명했다. 그러나 그들은 결국 식량부족으로 카이사르에게 항복하였다. 카이사르는 아프라니우스 휘하 병사들의 군대해산을 명하고 모두 석방시켰다. 또 다른 히스파니아의 사령관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싸워보지도 않고 카이사르에게 항복했다. 히스파니아 전쟁이 끝나고 카이사르는 법무관 레피두스를 시켜 독재관에 취임했다. 독재관에 취임한 그는 술라가 반역자로 규정하여 살생부에 올라 망명생활을 하는 자들에 대한 추방형을 폐지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제1권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30-87</ref>
카이사르가 히스파니아에서 전쟁을 치르고 있을 때, [[데키무스 브루투스]]가 이끄는 카이사르 함대가 아헤노바르부스가 이끄는 폼페이우스 - 마실리아 연합함대를 격파하였고 폼페이우스의 편을 든 마실리아는 결국 카이사르군에 항복하였다. 한편, 아티우스 바루스는 아욱시뭄에서 아프리카로 도망쳐 스스로 총독을 자칭한 다음, 정식 총독으로 임명된 퀸투스 아일리우스 투베로가 아프리카에 상륙하지 못하게 막았다. 심지어 투베로의 병든 아들도 아프리카 땅에 상륙하지 못하게 했다. 카이사르의 부장 [[쿠리오]]가 이끄는 4개 군단은 시칠리아 점령을 완수한 뒤 아프리카에서 아티우스 바루스가 지휘하는 군대를 공격했다. 바루스군은 패했고 쿠리오는 카이사르군의 병사들로부터 '임페라토르'라고 불리었다. 쿠리오의 군대에 아프리카인들이 퍼트린 역병이 퍼지고 탈영병도 몇 있었지만 쿠리오는 연설로 병사들을 단결시키고 코르넬리우스 진지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누미디아왕 유바를 우습게 본 쿠리오는 유바가 렙티스 사람들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회군하였고, 유바왕의 부하 사부라가 소수의 군대를 지휘한다는 거짓 정보에 속아 바그라다스 강 전투에서 4개 군단과 함께 포위당하고 말았다. 쿠리오는 도주를 권하는 장교의 제안을 거부하고 이렇게 외쳤다. "카이사르의 군대를 잃고 카이사르에게 돌아갈 수 없소" 이 말을 외치고 적진에 뛰어들어 전사했다. 보병들도 모조리 몰살당했다. 바루스는 유바에게 포로로 잡힌 병사들을 살려주기를 요구했으나 유바는 몇명을 제외하고 이들을 모조리 죽였다. 가이우스 안토니우스와 돌라벨라는 카이사르의 명령으로 아드리아 해의 제해권을 장악하려 갈리아 군단을 이끌고 폼페이우스군과 맞섰으나 노련한 폼페이우스의 해군장수 리보에게 패하고 이탈리아로 도망쳤다. 이후 카이사르는 스스로 집정관 선거를 열어 두 번째로 집정관에 올랐으며(동료 집정관은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바티아]]였다), 그런 다음 11일 뒤 독재관직에서 사임하였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제2권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ref>
기원전 48년 1월 4일에 그리스에 있는 폼페이우스를 상대하고자 동방으로 향했는데, 배가 부족했기 때문에 카이사르가 직접 이끄는 제1진과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이끄는 제2진으로 나누어 아드리아 해를 건너기로 했다. 제1진은 먼저 출발하여 폼페이우스 해군의 방해를 피하고 대부분의 병력이 그리스에 상륙했다. 그리고 그들은 1월 5일에 오리쿰을, 1월 7일에 아폴로니아를 점령했다. 폼페이우스 해군 총사령관 [[마르쿠스 칼푸르니우스 비불루스]]는 카이사르군 제1진의 무사통과에 격분하여 해안경비체제를 강화했다. 심지어 총사령관인 비불루스가 배 위에서 자는 등 임전태세를 편 까닭에 카이사르군 제2진은 출항도 하지 못했다.<ref>비불루스는 카이사르와 안찰관, 법무관, 집정관을 모두 같이 취임해서 카이사르에게 늘 당해왔기 때문에 카이사르를 매우 싫어했다.</ref> 이때 카이사르는 압수스 강에서 폼페이우스의 지상군과 대치했으나 수적으로 매우 불리했기 때문에 전투를 치르지 않았다. 동시에 자신의 진영에 머무르던 비불리우스 루푸스를 폼페이우스에게 보내 강화를 제안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수뇌진과의 타협이 실패하자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의 병사들과 타협해 볼 생각으로 휘하 장수인 푸블리우스 바티니우스를 보냈다.<ref>바티니우스는 카이사르가 집정관일때(기원전 59년), 그의 이익을 유도하는 법안을 제안한 경력이 있고, 카이사르가 그리스 원정을 한 이듬해인 기원전 47년에는 집정관에 취임했다.</ref> 바티니우스의 제안에 폼페이우스군 병사들은 이에 반응하였으나 곧이어 폼페이우스 진영에서 나온 [[티투스 라비에누스]]가 바티니우스를 비난하자 병사들은 화가 나 창을 회담장에 던졌다. 이에 몇명의 카이사르의 장수들이 부상을 입었다. 라비에누스는 선언했다.
"카이사르의 목을 가져오기 전에는 강화란 없다."
카이사르는 비불루스와 만나 회담을 벌이려 했으나 카이사르를 매우 싫어하는 비불루스는 카이사르를 만나기를 거절하고 리보가 카이사르와 회담을 벌였다. 카이사르는 리보와의 회담으로 강화성사에 기대를 걸었으나 이것도 실패했다. 비불루스는 무리하게 해상에서 생활하다 건강이 나빠져 병사했다. 그가 병사한 후로는 폼페이우스 해군의 감시도 느슨해져서 안토니우스의 제2진도 브룬디시움을 습격한 리보의 군대를 격파하고 이탈리아를 떠나 3월 26일에 에피루스 북부의 항구 닌페움에 상륙하여 리수스를 점령한 뒤 4월 3일에 제1진과 합류했다. 카이사르는 도미티우스 칼비누스에게 2개 군단과 500기를 주고 마케도니아로 보냈고, 카시우스 롱기누스에게 1개 군단과 200기를 주어 테살리아로, 사비누스에게도 5개 대대와 약간의 기병을 주어 아이톨리아로 보냈다. 그런다음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의 본진인 디라키움과 페트라를 포위했다. 군사의 수가 적음에도 폼페이우스의 진영보다 보루의 수가 많고 더 긴 포위망을 구축했다. 이렇게 몇 달간 대치한 뒤에 폼페이우스군은 말먹이가 부족해지자 카이사르의 포위망을 공격하였다. 당시 카이사르는 디라키움으로 떠나 카이사르의 진영에는 총사령관이 없는 상태였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제3권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50-51 내전기에서 카이사르가 디라키움을 떠난 부분이 유실되었다. 따라서 카이사르가 디라키움에 간 경위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ref> 원래 카이사르가 직접 포위망 북부를, 안토니우스가 남쪽 포위망을 맡았는데 사령관이 없는 북부전선을 루키우스 술라의 조카이지만 카이사르파인 푸블리우스 술라가 지휘했다. 총 여섯군데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나 폼페이우스군은 카이사르군의 뛰어난 분전으로 단 하나의 포위망도 함락시키지 못했다. 특히 카이사르의 백인대장 스카이바는 200명으로 폼페이우스군 25000명의 공격을 4시간이나 버텨냈으며 스카이바 자신의 방패에는 화살구멍이 120개나 뚫려있었다. 결국 푸블리우스 술라의 구원을 받아 폼페이우스군을 격퇴했으나 술라는 그들을 추격하지 않았다. 병사들은 술라가 좋은 기회를 놓쳤다고 비난했으나 술라는 총사령관이 없는 이상 그가 지시하지 않은 것을 행할 수 없다고 말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51-53</ref>
카이사르 진영에 로우킬루스와 에구스라는 갈리아 트란살피나의 알로브로게스족 귀족 출신 기병 장교가 있었는데, 그들은 휘하 기병들의 급료와 전리품을 강탈하여 부하들의 원망을 샀다. 결국 기병들이 카이사르에게 이들의 부정을 고발하자 카이사르는 형제를 불러 그들을 나무랐다. 전투가 끝나고 벌을 받을 것 같자 이 형제는 폼페이우스에게로 달아났다. 카이사르군의 첫 탈영병이었다. 기원전 48년 7월 10일 폼페이우스는 이들로부터 카이사르군의 정보를 듣고 방어설비가 약한 카이사르의 포위망 남쪽을 공격했다. 폼페이우스는 이곳에서 포위망을 함락시키며 카이사르군 장교인 마르켈리누스가 이끄는 제9군단을 격파하였다.<ref>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마르켈리누스는 기원전 56년도 집정관으로 내전이 벌어지자 카이사르편에서 싸웠다. 디라키움 전투 당시 병에 걸렸다.</ref> 제9군단의 제1대대에서는 백인대장 6명 중 5명이 죽을 정도로 위기에 빠졌고, 안토니우스가 이끄는 12개 대대의 구원을 받아 간신히 궤멸을 면했다. 이에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 진영을 공격함으로써 반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카이사르군이 폼페이우스군이 만든 측벽을 방벽으로 착각하여 그것을 공격하였고 이로 인해 폼페이우스가 구원병력을 데려올 수 있게 시간을 제공하게 되었다. 결국 폼페이우스의 증강된 병력에 두려움과 공황상태에 빠진 카이사르군은 1천명의 사상자를 내며 달아났다. 전투 후, 라비에누스는 카이사르군 포로를 조롱하고 모조리 죽였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59-71</ref>
[[디라키움 공방전]]에서 폼페이우스가 승리하자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의 본거지인 디라키움 일대에서는 승산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를 그리스 동부에 위치한 [[테살리아]]로 유인하면서 7월 24일 도미티우스와 합류했다. 그리고 테살리아의 도시인 곤피스와 메트로폴리스를 점령하자 라리사를 제외한 모든 도시가 카이사르를 지지하였다. 카이사르는 메텔루스 스키피오에게 다시 강화를 제안했지만, 스키피오는 망설이다가 파보니우스의 혹독한 비난을 받고 제안을 거절했다. 폼페이우스는 테살리아에서 스키피오와 합류했다. 폼페이우스의 진영은 승리에 도취되어 전투에 관한 논의보다는 승리 후에 얻을 보상이나 직위, 카이사르파에 대한 처벌 등에 대하여 논쟁을 벌였다. 아헤노바르부스와 렌툴루스 스핀테르와 메텔루스 스키피오는 카이사르가 취임하고 있던 최고 제사장에 자신이 더 적임자라고 논쟁을 벌였다. 렌툴루스는 자신이 가장 고령임을, 스키피오는 자신이 폼페이우스의 장인임을, 아헤노바르부스는 수도에서의 명망을 들며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했다. 아티우스 루푸스는 아프라니우스가 히스파니아에서 카이사르와 싸울때 휘하 병사들을 배신했다고 주장했다. 라비에누스는 결전을 망설이는 폼페이우스에게 결전을 치를 것을 주장했다.
"저들이 갈리아와 게르마니아를 정복했던 군대였다고는 생각하지 마십시오. 그때 살아남은 자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정예병사가 수많은 전투를 치르면서 목숨을 잃었습니다. 또한 이탈리아에서 가을을 보내는 동안 많은 자들이 건강을 잃어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본토에 남겨졌습니다. 게다가 적군이 보유한 최고의 병사들은 디라키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모두 전사했습니다."
양군은 파르살루스 평원에서 만났고 이때 카이사르군은 군단병이 22000명, 기병이 1000기였던 반면에 폼페이우스군은 군단병이 47000명, 기병이 7000기였다. 카이사르는 고지대에 있던 폼페이우스를 평원으로 이끌고 결전 준비를 했다. 이때 카이사르는 병사들에게 연설했다.
“잠시 행군을 멈추어라. 그리고 그대들이 매일같이 바라던 적과의 전투를 생각하라! 우리 모두가 오랫동안 기다려 온 때가 찾아왔다. 그대들의 마음은 이미 전장에 있지 않은가?”
폼페이우스는 압도적인 기병력으로 카이사르군을 포위섬멸하는 작전을 구상했다.
"나의 작전에 귀를 기울이면 더욱 확고한 신념을 품고 전투에 임하게 될 것이오. 본인은 아군기병에게 양쪽 군대의 간격이 좁아지면 카이사르군의 우익으로 돌아 노출된 측면을 공격하고 후방의 제 3열을 포위하여 카이사르 군대를 혼란에 빠뜨리라고 명령하였소. 그렇게 되면 적은 우리군이 무기를 투척하기도 전에 패주하고 말것이오. 이 작전이 맞아 떨어진다면 우리 군은 군단의 피해도 없고 사상자도 거의 없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소. 우리의 기병이 우세하므로 어렵지 않게 승리할 것이오."
라비에누스는 폼페이우스의 전술을 침이 마르도록 칭찬한 뒤, 전투에서 진다면 진영지로 돌아오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다른 장수들에게도 이 약속을 할 것을 요구했다. 폼페이우스를 비롯한 장수들은 이에 따랐다. 폼페이우스의 속셈을 간파한 카이사르는 고참 군단병 2000명으로 제4열 별동대를 편성하여 카이사르군 우익 뒷편에 포진시켰다. 그리고 그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오직 그대들에게 전투의 승패가 달려있다."
전투가 벌어지기 전에 카이사르의 제10군단 수석 백인대장 크라스티누스는 비장한 연설을 하였다.
"나의 부대에 있던 병사들이여, 나를 따르라. 그대들이 총사령관 앞에서 약속한 성실함과 용맹함을 보여라. 이것이 우리의 마지막 전투가 될것이다. 이 전투가 끝나면 우리들의 총사령관은 지위를 되찾을 것이고, 우리는 자유를 되찾아 고향으로 돌아갈수 있을것이다."
그런 다음 카이사르를 보며 이렇게 말하였다.
"장군이시여, 나는 오늘 전장에서 쓰러지든 살아남든 장군의 치하를 받게 될 것입니다."
그의 말대로 크라스티누스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91</ref>
[[파일:Battle of Pharsalus, 48 BC.png|섬네일|300px|왼쪽|파르살루스 전투]]
기원전 48년 8월 9일 [[파르살루스 전투]]는 카이사르의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폼페이우스는 자신의 군단병을 전진시키지 않음으로써 카이사르군이 두배의 거리를 달려오게 하여 그들의 체력을 떨어트리고 전열을 흩어놓으려 하였다. 폼페이우스의 부장 트라아리우스가 제안한 작전이었다. 이는 폼페이우스군이 움직이지 않으면 카이사르군은 무기를 들고 갑절의 거리를 달려가야하고, 따라서 폼페이우스군 앞에 도달하였을 때 지쳐서 대열이 흩뜨려질테니깐 그때 맞아 싸우는 편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카이사르군의 갈리아 전쟁 7년의 오랜 전투 경험이 그들이 폼페이우스의 작전에 넘어가지 않게 해주었다. 그들은 중간지점에서 잠시 진격을 멈춰 호흡과 전열을 가다듬고 다시 돌격하였다. 그러나 수적으로 우세한 폼페이우스 군단병은 이 돌격을 그럭저럭 버텨냈다. 곧 폼페이우스는 기병에게 출동명령을 내렸고 수적에서 열세인 카이사르 기병은 못 당해내는 것처럼 후퇴했다. 폼페이우스 기병이 카이사르군 배후로 돌아가는 순간 카이사르는 제4열 창병 부대를 출격시켰다. 카이사르의 창병 부대는 정면에서 폼페이우스 기병대를 막아섰고 후퇴했던 카이사르 기병도 적군 기병의 배후를 포위했다. 폼페이우스 기병은 곧 격파되었고 이것을 안 폼페이우스는 전투를 단념하고 전장을 떠났다. 그러나 폼페이우스의 군단병은 이때까지 카이사르군의 공격을 버티고 있었으나 새 병력을 교체 투입하는 카이사르의 전술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달아났다. 패잔병들은 진영이 있는 언덕으로 달아났으나 카이사르는 즉시 이 언덕을 포위하였다. 폼페이우스 패잔병들은 곧 항복했으며 카이사르는 관용을 베풀어 이들의 귀가를 선선하게 허락했다. 폼페이우스군의 전사자는 6000명에서 15000명, 포로는 총 24000명에 달했으나 카이사르군의 손실은 고작 200명에 불과했다. 다만 카이사르군 백인대장은 30명이나 전사하였다. 이것으로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의 최종 결전, 파르살루스 전투는 카이사르의 압승으로 끝났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90-99,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42 42–45]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의 전사자가 카이사르의 「내전기」에는 15000명, 플루타르크 영웅전에는 6000명으로 적혀있다.</ref>
파르살루스 전투가 끝나고 카이사르는 적군 사령부에 도달했다. 카이사르는 루키우스 렌툴루스를 비롯한 정적들의 탐욕과 사치에 경악하여 이렇게 외쳤다. "모두 그들이 자초한 일이다." 그런 다음 바로 폼페이우스를 추격했다. 한편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뗏목에 불을 붙인 역청과 황을 실어 여러차례 카이사르군에게 보내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파르살루스 전투 소식에 크게 사기가 올라간 카이사르군을 공격하자 이에 격분한 카이사르 고참병은 카시우스의 배를 나포하고 그들을 내쫓았다. 카시우스 휘하 폼페이우스군은 그때까지 파르살루스 전투 결과가 카이사르군이 퍼트린 거짓소식인줄 알았다고 한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101</ref>
로마에서 카이사르는 [[독재관]]으로 임명되었으며<ref name=Plu37>[[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37 37.2]</ref> 부사령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기병 대장]]으로 임명되었다.<ref name=Plu37/><ref name="Dictator">Martin Jehne, ''Der Staat des Dicators Caesar'', Köln/Wien 1987, p. 15-38.</ref>
카이사르는 [[알렉산드리아]]로 도주한 폼페이우스를 추격하였으며, 이곳에서 폼페이우스는 당시 [[프톨레마이오스 13세]] 임금을 조종하는 궁중관료들의 명령을 받은 전직 로마군 장교에게 살해당하였다.<ref name=PluPom77>Plutarch,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77 77–79]</ref> 이때 카이사르는 당시 알렉산드레이아에서 프톨레마이오스와 그의 누이이자 부인이며 공동 국왕인 [[클레오파트라 7세]] 사이의 권력 투쟁에 개입하게 되었다. 아마 프톨레마이오스가 폼페이우스를 죽이는 데 관여한 탓에 카이사르는 클레오파트라 편에 선 것 같은데, 프톨레마이오스의 내시 [[포티누스]]가 선물로 카이사르에게 폼페이우스의 머리를 바치자 카이사르는 이를 보고 울었다고 한다.<ref>Plutarch, ''Pompey''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Pompey*.html#80 80.5]</ref> 카이사르는 알렉산드리아군과 전투를 벌였고 그때 그는 그의 배에 불을 붙였는데 그 불이 번져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불타버렸다. 그 와중에 폼페이우스 암살 주모자이자 이집트의 실권자인 포티누스는 카이사르에게 잡혀 처형되었다.<ref>카이사르의 내전기 [http://www.thelatinlibrary.com/caesar/bc1.shtml Julius Caesar, "Commentarii de Bello Civili"] 102-112 포티누스의 처형으로 카이사르의 내전 서술은 끝난다.</ref> 그의 부하이자 군권을 장악한 아킬라스도 공주 아르시노에에게 지휘권을 빼앗기고 처형되었다. 알렉산드리아 시내에서 카이사르와 아르시노에의 부하 가니메데스는 치열한 시가전을 벌였고 그때 프톨레마이오스 왕은 아르시노에군과 합류하였다. 전장은 시내를 벗어나 나일 강의 삼각주(델타)로 옮겨졌다. 카이사르는 기원전 47년에 [[나일 강 전투 (기원전 47년)|나일 강 전투]]에서 프톨레마이오스 군대를 무찌르고, 클레오파트라를 이집트의 지배자로 삼았다.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는 그 해 봄에 나일 강에서 개선 행진을 열어 알렉산드레이아의 내전에서 승리한 데 축하하였다. 파라오의 배는 400척의 다른 배를 대동하였으며, 카이사르에게 이집트 파라오의 화려한 생활을 보여주었다.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는 결혼하지 않았는데, 로마법에서는 오로지 로마 시민 사이의 결혼만 인정했기 때문이다. 카이사르는 마지막으로 결혼할 때까지 무려 14년동안 클레오파트라와 관계를 이어나갔으며(로마인의 시각에서 이는 간통이 아니었다) [[카이사리온]]의 아버지도 카이사르였던 것 같다. 클레오파트라는 한 차례 이상 로마를 방문하였는데, 로마 바깥의 [[테베레강]]을 건너면 있는 카이사르의 별장에서 지냈다.
기원전 48년 말, 카이사르는 독재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임기는 1년이었다.<ref name="Dictator"/> 기원전 47년 초 몇 달간 이집트에서 지낸 카이사르는 [[중동]] 지역으로 가서 [[젤라 전투 (기원전 405년)|젤라 전투]]에서 [[폰토스]] 왕 [[파르나케스 2세]]를 절멸시켰는데, 너무나 빨리 승리를 거두어 그는 과거 폼페이우스가 이런 형편없는 적들과 오랫동안 싸워 거둔 승리를 조롱하였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그는 원로원에 보낸 서한에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veni vidi vici''''')라고 적었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35 35.2]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35 |날짜=2012-05-30 }}</ref>
그 다음으로 카이사르는 아프리카에 남아있는 폼페이우스의 원로원파 잔당을 처리하고자 떠났다. 당시 아프리카에는 폼페이우스의 장인 메텔루스 스키피오와 카이사르의 숙적 [[소 카토]], 아프라니우스, 라비에누스 등의 폼페이우스 잔당이 쿠리오를 격파한 누미디아왕 유바와 연합하여 카이사르와의 전투를 준비하고 있었다. 카이사르는 아프리카 북동부에 상륙하여 루스피나 전투에서 라비에누스와 싸웠다. 이때 카이사르는 라비에누스가 지휘하는 누미디아군의 맹공에 큰 위기에 처했다. 이 공격에 카이사르 기병은 반격하지 못하고 적의 포위를 막으려 버티고 있었다. 카이사르 보병과 라비에누스군이 곧 맞붙었고 누미디아군은 투척무기를 던졌고 카이사르 쪽에서도 필룸을 던져 응수했다. 카이사르군이 전투에서 불리해지며 원형진을 이루었다. 이때 라비에누스는 카이사르군을 향해 '어린 새내기' 군대라고 놀렸다. 이 조롱에 격분한 카이사르 제10군단의 한 백인대장이 투구를 벗어 던지며 라비에누스에게 자신을 알아볼 수 있게 한 다음 카이사르의 정예인 제10군단의 힘을 보여주겠다면서 그에게 창을 던졌다. 라비에누스는 말에 창이 맞자 굴러 떨어졌으며 누미디아군의 엄호를 받으며 퇴각했다. 그러나 전투가 불리하게 흘러가자 몇몇 카이사르군은 두려움에 달아났고 카이사르는 한 기병을 붙잡으며 외쳤다. "적들은 저기에 있단 말이다!" 결국 카이사르는 최대한 길게 진형을 늘어트리며 적을 공격했고 라비에누스의 누미디아군을 흩어놓았다. 페트레이우스가 1500명의 누미디아 기병으로 카이사르를 공격했으나 격퇴되었다.
루스피나 전투에서 힘들게 승리한 카이사르는 마우레타니아와 연합하여 유바가 없는 누미디아 본국을 공격하게 했다. 마우레타니아에는 시티우스라는 로마인이 있었는데 카이사르는 그를 회유했다. 카이사르는 탑수스를 공격하였고 스키피오가 이끄는 폼페이우스군은 군대를 양분하여 카이사르를 봉쇄했다.(탑수스는 바다에 면한 곶 끝에 위치하면서도 육지쪽에는 석호가 펼쳐져 있는데 2킬로미터의 가늘고 긴 육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카이사르의 탈출을 막으려면 군대를 양분해야 했다.) 기원전 46년에 카이사르는 [[탑수스 전투|탑수스]]에서 메텔루스 스키피오와 소 카토의 군대를 상대하였는데 스키피오군은 중앙에 보병, 좌우익에 기병, 극좌우익에는 코끼리를 배치하였다. 카이사르는 중앙에 기병을 배치했고, 좌우익에는 보병, 극좌우익에는 제5군단 병사를 배치하였다. 전투가 시작되자 코끼리들은 제5군단 병사들의 투창에 전선에서 이탈했고 카이사르 기병은 적군 보병을 뚫고 적군 좌우익의 배후를 포위하였다. 전방에는 카이사르 보병이 배후에는 카이사르 기병이 폼페이우스군을 포위하였고 신속히 그들은 궤멸되었다. 이후 유바왕은 도주했고 자마에서 쫓겨나자 동행한 페트레이우스와 동반자살했다. 총사령관 메텔루스 스키피오는 배를 타고 도망치다가 사로잡히는 것을 면하기 위해 자살했다. 아프라니우스와 파우스투스 술라는 카이사르군에게 잡혀 죽었고 라비에누스와 아티우스 바루스는 그와중에 달아나는데 성공했다. 우티카에 있던 카토는 자결하여 카이사르에 대한 저항이자 자유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표출했다. 이에 키케로는 「카토」를 저술하여 카토의 행위를 찬양하였고 카이사르는 「안티 카토」를 저술하여 이를 반박했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52 52–54]</ref> 탑수스 전투에서 이긴 뒤 사르디니아와 코르시카를 시찰하고 본국으로 돌아온 카이사르는 크게 개선식을 치르고 10년 임기의 독재관으로 임명되었다.<ref>Martin Jehne, ''Der Staat des Dicators Caesar'', Köln/Wien 1987, p. 15-38. Technically, Caesar was not appointed Dictator with a term of ten years but he was appointed annual dictator for the next ten years in advance.</ref>
그렇지만 폼페이우스의 아들인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와 [[섹스투스 폼페이우스]]가 히스파니아로 도주하였는데, 카이사르의 옛 부관이자 갈리아 전쟁에서 부사령관을 지낸 [[티투스 라비에누스]]도 이들과 함께 있었다. 일레르다 전투 이후, 카이사르에게 평정된 히스파니아는 카이사르파 총독 카시우스의 실정으로 폼페이우스파로 돌아섰다. 카이사르는 이들을 격파하고자 파비우스와 페디우스를 파견하였으나 이기지 못했다. 이후 히스파니아에 직접 다시 출정한 카이사르는 기원전 45년 3월에 [[문다 전투]]에서 마지막 저항 세력을 격파하였다. 기병대를 지휘하던 라비에누스가 카이사르군을 유인하기 위해 기병을 이끌고 뒤로간 것을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가 기병대가 붕괴된 것으로 잘못 보아 군대를 퇴각시킨 것이 패인이었다. 라비에누스는 전사했고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는 도주하다가 카이사르군에 잡혀 죽었다. 폼페이우스의 둘째아들인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만이 히스파니아에서 도주하는데 성공했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56 56]</ref> 이런 가운데 카이사르는 세 번째와 네 번째로 기원전 46년의 집정관([[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가 동료 집정관)과 기원전 45년 집정관(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가 동료 집정관, 그해말 파비우스가 병사하여 이후 보궐집정관은 가이우스 카니니우스 레빌루스)에 선출되었다.
=== 내전 이후 ===
카이사르는 아직 [[히스파니아]]에서 싸우고 있었으나, 원로원은 그가 부재중인 가운데 영예를 내리게 되었다. 카이사르는 적들을 처벌하지 않고 거의 모두 용서해 주었으며, 그에 대한 대중의 반대도 거의 없었다.
카이사르가 문다에서 승전한 데 기념하며 로마 건국 기념일인 4월 21일에는 대규모 경기와 축하 행사가 열렸다. 플루타르코스는 내전에서 무찌른 적들이 외국인이 아닌 동료 로마인들이었기 때문에 수많은 로마인들이 카이사르 승리 이후 열린 개선식이 빈약했음을 알았다고 썼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56 56.7–56.8]</ref> 이어 그는 기원전 46년 임기 6개월이었던 [[독재관]] 임기 규정을 변경, 10년 임기의 독재관으로 취임하였다. 이후 카이사르는 2년 동안 각종 개혁을 실시하였다.
[[파일:RSC 0022 - transparent background.png|섬네일|카이사르는 [[로마 주화|주화]]에 처음으로 자신의 흉상을 새겼다.]]
유언장 작성- 기원전 45년 9월에 카이사르는 이탈리아로 돌아오면서 미리 유언장을 썼는데, 자신의 조카손자인 [[아우구스투스|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에게 자신의 이름을 비롯하여 모든 것을 상속한다고 썼다. 이어 [[데키무스 브루투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유언의 공동 집행자로 지명했다. 카이사르는 또 자신이 죽기 전에 옥타비아누스가 죽는다면, [[데키무스 브루투스]]가 다음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적었다.
복지 정책- 카이사르는 국가에서 곡물의 일정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카이사르는 곡물 수매에 [[국가 보조금]]을 대도록 엄하게 제도화하였으며, 곡물 수령자의 수를 고정하여 줄였는데 모든 수령자는 특별 명부에 기록되었다.<ref>Mackay, Christopher S.,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4쪽.</ref> 47년에서 44년까지 카이사르는 그의 전역병 약 15,000명에게 토지를 분배하는 계획을 세웠다.<ref>Campbell, J. B., ''The Roman Army, 31 BC–AD 337'', Routledge, 1994, 10쪽.</ref>
달력 개정- 카이사르는 [[폰티펙스 막시무스|대신관]]으로서 달력을 정비하는 일도 했다. 구 [[로마력]]을 철저히 검사한 그의 업적은 매우 오랜 세월동안 영향력을 이어갔다. 기원전 46년, 카이사르는 1년을 365일로 정하고, 4년마다 윤년을 두었다.<ref name=Sue40>[[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0 40]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40 |날짜=2012-05-30 }}</ref> ([[율리우스력]]은 1582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수정하여 오늘날의 [[그레고리오력]]이 되었다) 역법 개정으로 로마인에게 어떤 한 해가(아마 현대 역법으로 기원전 46년에 해당할 것이다)이 445일로 길어졌다.<ref name=Sue40/> [[7월]]의 여러 유럽어 명칭(가령 영어의 'July' 등)은 그를 기념하여 율리우스에서 기원한 것이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76 76] {{웹아카이브|url=https://archive.today/20120530163202/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76 |날짜=2012-05-30 }}</ref>
수도 재개발- 카이사르는 「카이사르의 포룸」을 건설하였다. 포룸 로마눔의 내부에는 로마 최초의 국립도서관과 바실리카 율리아가 지어졌다. 카이사르는 사이프타 율리아, 마르켈루스 극장(훗날, 아우구스투스가 일찍 죽은 조카를 기리기 위해 극장의 이름에 조카의 이름을 붙였다.)도 건설하려 했다. 카이사르는 도심을 확장하기 위해 세르비우스 성벽을 파괴하기도 했다. 카이사르가 완공하지 못한 건축물은 옥타비아누스가 완성했다. 카이사르 이후, 로마황제들은 그를 따라 포룸을 건설 및 발전시켰다.
교사와 의사에게 시민권 지급- 카이사르는 로마의 교육과 의료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와 의사에게 시민권을 제공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카르타고와 코린토스 재건- 카이사르는 로마세계의 도시개발을 꾀하여 카르타고와 코린토스를 비롯한 도시들을 재건 및 건설하였다. 이후, 제정시대에 카르타고는 크게 발전하여 아프리카 속주의 주도가 되었다.
금융 개혁- 카이사르는 금융 개혁도 실시하였다. 이자율의 제한을 연리 12% 이하로 정하였고 물가가 폭등한 내전 이전으로 담보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원로원 체제 약화- 카이사르는 원로원의 권한을 크게 약화시키는 개혁도 진행시켰다. 갈리아를 비롯한 속주의 유력자들에게 원로원의석을 제공하여 원로원의 정원을 900명으로 늘였다. 이는 키케로나 마르쿠스 브루투스 같이 속주민과의 융합을 싫어하는 보수파들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그리고 그가 일관적으로 반대의사를 표명해왔던 [[원로원 최종권고]]를 완전히 폐지해 버려, 원로원의 강권을 박탈했다.
사법 개혁- 카이사르는 사법 개혁도 실시하였다. 앞서 말한 원로원 최종권고를 폐지하여 재판도 받지 않고 로마 시민이 처형당하는 것을 금지한 '셈프로니우스 법'을 부활시켰다. 배심원의 자격조건을 40만 세스테르티우스 이상의 재산을 가진 사람으로 규정하여 배심원 구성비율을 둘러싼 다툼을 종식시켰다. 카이사르는 재판이 나온 뒤의 항소를 민회가 아닌 종신 독재관인 카이사르 자신에게 제기하도록 바꾸었다. 그리고 정치범에 대한 최고형을 사형이 아닌 추방형으로 규정했다.
교통 규제- 카이사르는 혼잡한 로마의 교통을 규제했다. 낮에 수레가 다닐 수 없게 함으로써 교통의 혼잡함을 없애려 하였다. 그러나 수레가 밤에만 다닐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 법률로 인해 로마 시민들은 밤에 소음을 들으며 잠을 자야했다.
갈리아 키살피나 주민에게 시민권 지급- 카이사르는 북이탈리아의 주민들에게 로마 시민권을 제공했다. 이것은 갈리아전쟁 당시 카이사르에게 후방지원을 아끼지 않은 것에 대한 보상이었다. 동시에 카이사르가 생각한 본국의 경계는 북이탈리아를 포함한 것임을 보여준다.
치안 대책- 카이사르는 기존에는 없었던 치안대를 만들어 치안대책을 강구했다. 카이사르 이전에 치안대가 없던 까닭에 로마에 정치폭력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카이사르는 치안대를 만들어 이를 방지하였다.
그 밖의 개혁-그 밖에 늪지를 개척하는 사업과 오스티아 항만 개조, 해방노예 등용을 추진했다.
[[파일:Vincenzo Camuccini - La morte di Cesare.jpg|섬네일|300px|카이사르의 암살]]
{{참고|en:Render unto Caesar}}
종신 독재관 취임- 기원전 44년 2월 15일 그는 원로원과 민회로부터 종신 독재관에 임명되었고, 성대한 취임식을 거행하였다. 이로써 공화정은 붕괴하고 제정이 사실상 시작되었다.
== 암살 ==
기원전 44년 [[3월 15일]](Idus Martias)에 카이사르는 원로원 회의에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다. 전날 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푸블리우스 세르빌리우스 카스카]]라는 어느 '해방자'로부터 모종의 음모에 대해 어렴풋이 전해 들었으며, 최악의 상황을 우려하여 포룸 계단에서 약간 떨어져서 카이사르 앞으로 갔다. 그러나 카이사르가 [[마르스 광장]]에 있는 [[폼페이우스 극장]]을 지날 때 원로원 의원 무리가 그를 가로막더니 동쪽 주랑 현관에 붙은 방으로 그를 이끌었다.<ref>[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Gazetteer/Places/Europe/Italy/Lazio/Roma/Rome/_Texts/PLATOP*/Theatrum_Pompei.html Theatrum Pompei], Oxford University Press.</ref>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카이사르가 원로원에 다다랐을 때, 원로원 의원인 [[루키우스 틸리우스 킴베르]]가 추방당한 자신의 형제를 귀환시켜달라며 청원을 하였다고 한다.<ref>[http://classics.mit.edu/Plutarch/m_brutus.html Plutarch - Life of Brutus]</ref> 다른 음모자들이 킴베르를 지지하면서 카이사르를 둘러쌌다. 플루타르코스와 [[수에토니우스]] 모두 카이사르가 킴베르의 청을 거절하였다고 했는데, 킴베르는 그의 어깨를 잡더니 카이사르의 [[튜닉|투니카]]를 잡아당겼다. 그러나 카이사르가 킴베르에게 "이건 무례한 짓이야!(Ista quidem vis est)"라고 소리쳤다.<ref name = "suetonius">{{웹 인용 |url=http://www.fordham.edu/halsall/ancient/suetonius-julius.html |제목=Suetonius, ''Life of the Caesars, Julius'' trans. J C Rolfe |확인날짜=2009-10-05 |archive-date=2011-02-0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201204752/http://www.fordham.edu/halsall/ancient/suetonius-julius.html |url-status= }}</ref> 이때 카스카가 단검을 빼내 들어 단번에 독재관의 목을 내리찔렀다. 카이사르는 재빨리 뒤돌아보며 팔로 카스카를 잡았다. [[플루타르코스]]는 카이사르가 라틴어로 "카스카, 이 천한 자야, 무슨 짓이냐?"라고 말했다고 썼다.<ref>Plutarch, ''Life of Caesar'', ch. 66: "{{lang|grc|ὁ μεν πληγείς, Ῥωμαιστί· 'Μιαρώτατε Κάσκα, τί ποιεῖς;}}'"</ref> 겁을 먹은 카스카는 그리스어로 "동지들, 도와주시오!"(ἀδελφέ, βοήθει)라고 외쳤다. 순식간에 브루투스를 비롯한 모든 암살자들이 칼을 들어 독재관을 공격하였다. 카이사르는 도망치려 하였으나, 피 때문에 분별을 잃고 발을 헛디뎌 넘어졌으며 주랑 현관 아랫 계단에 무방비로 쓰러지자, 암살자들은 그를 계속 찔러댔다. [[에우트로피우스]]에 따르면, 카이사르를 암살하는 데 60명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이 가담하였다고 한다. 카이사르는 23번 칼에 찔렸다.<ref>Woolf Greg (2006), ''Et Tu Brute? – The Murder of Caesar and Political Assassination'', 199 pages – {{ISBN|1-86197-741-7}}</ref>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나중에 의사가 부검하기를, 그의 가슴에 두 번째로 찔린 상처 그 하나가 치명적인 일격이었다고 한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c. 82.</ref>
독재관이 마지막으로 한 말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는 학자들과 역사가들의 논쟁거리이다. 수에토니우스는 다른 사람들은 카이사르의 마지막 말이 그리스어로 "녀석, 너도냐?"(καὶ σύ, τέκνον)였다고 말했노라고 썼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L/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82.2 82.2]</ref> 그러나 수에토니우스 자신은 카이사르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고 썼다.<ref name = "suetonius" /> 플루타르코스도 카이사르가 아무 말도 하지 않았으며, 그가 암살자 사이에서 브루투스를 보자 자신의 [[토가]]를 끌어올려 머리 위로 뒤집어썼다고 한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66.9 66.9] 플루타르코스는 카이사르가 암살자 중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가장 친분이 있는 것처럼 묘사했으나 실제로 카이사르 정권 하에서 브루투스는 기원전 46년에 키살피나 속주 총독을, 기원전 44년에 법무관을 지낸게 고작이었다. 심지어 카이사르가 파르티아 원정을 떠날 예정이었던 기원전 44~42년 동안 브루투스는 어떠한 관직에도 임명되지 않았다. 즉, 카이사르파의 콘술급 인사도 아니었던 셈이다. 카이사르의 가장 큰 총애를 받은 암살자는 데키무스 브루투스였는데 14년 동안이나 그 휘하에서 싸운 심복이자 기원전 42년에는 집정관으로 내정되어 있었다. 카이사르의 유언장에도 그가 제2상속인으로 되어있다.</ref> 영어권 지역에서 가장 잘 알려진 그의 마지막 말은 [[라틴어]]로 "[[브루투스, 너마저?]]"(Et tu, Brute?)인데,<ref>Jon R. Stone, The Routledge Dictionary of Latin Quotations, London: Routledge, 2005, 250쪽, {{ISBN|0-415-96909-3}}.</ref><ref>James Morwood, The Pocket Oxford Latin Dictionary (Latin-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England, 1994, {{ISBN|0-19-860283-9}}.</ref> 이 말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 (희곡)|줄리어스 시저]]"에서 나오는 대사에서 나온 말로, 실제로는 라틴어와 영어가 혼용된 문장 "Et tu, Brute? Then fall, Caesar."의 앞부분 구절이다. 이 말은 역사적 사실로서 근거가 없으며, 셰익스피어가 대사에 라틴어를 쓴 것은 당시 카이사르가 수에토니우스가 기록한 것처럼 그리스어가 아닌, 라틴어를 썼다는 주장과도 무관하며, 단지 이 희곡을 쓴 당시 이미 대중적인 구절이었기 때문이다.<ref>It appears, for example, in [[Richard Eedes]]'s Latin play ''Caesar Interfectus'' of 1582 and ''The True Tragedie of Richarde Duke of Yorke &tc'' of 1595, Shakespeare's source work for other plays. ''The Works of William Shakespeare'', Alexander Dyce, (인용자: Edmond Malone ), 1866, London: Chapman and Hall, ~648쪽.</ref>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카이사르가 죽은 뒤에 브루투스는 동료 의원들에게 무언가 말할 듯이 앞으로 걸어 나왔으나, 그들이 건물에서 도망쳤다고 한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67 67]</ref> 브루투스와 그의 패거리는 [[카피톨리누스 언덕]]으로 나아가 사랑하는 도시를 향해 "로마 사람들이여, 우리는 다시 자유로워졌다!"고 외쳤다. 그러나 연회장에서 도망쳐나온 의원들이 이미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소리쳐 말해서 로마 시민들은 각자 자기 집에 문을 걸어잠그고 틀어박혀 그들에게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 A wax statue of Caesar was erected in the forum displaying the 23 stab wounds. A crowd who had amassed there started a fire, which badly damaged the forum and neighbouring buildings. In the ensuing chaos Mark Antony, Octavian (later Augustus Caesar), and others fought a series of five civil wars, which would end in the formation of the Roman Empire. -->
=== 암살 이후 ===
반란자들은 절대권력자의 죽음에 기쁨을 터뜨렸다. 하지만, 카이사르의 죽음이 결국 로마 공화정의 종말로 이어지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하였다.<ref>Florus, ''Epitome''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Florus/Epitome/2I*.html#XVII 2.7.1]</ref> 갈리아 정복 전부터 카이사르를 열렬히 지지했던 로마의 중류층과 하류층 사람들, 특히 카이사르와 함께 많은 전쟁을 치른 고참병들은 소수의 잘난 귀족 무리가 자신들의 우상을 죽인 데 분노하였다. 카이사르와 떨어져 있었던 안토니우스는 로마 민중의 슬픔을 이용하여 이들의 분노를 [[벌족파]]들에게 쏟아버리겠다고 위협하였는데, 아마도 자신이 로마의 지배권을 장악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로서는 놀랍고도 분하게도, 카이사르는 조카의 아들인 [[아우구스투스|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를 이미 자신의 유일한 후계자로 정해두었으며, '카이사르'라는 막대한 권위를 지닌 이름을 물려주었다. 그리고 유증을 통해 그에게 유산의 2/3을 지급하였다. 하지만, 유서에는 [[포로로마노]]의 시민들에게 자신의 재산에서 한명당 300[[세스테르티우스]]를 지급하라는 내용도 있었기 때문에 유산의 2/3은 그리 많지 않은 돈이였다.(300 세스테르티우스는 매우 큰 액수는 아니었으나, 로마 노동자들의 평균 석달치 급료에 해당하는 돈으로 상당히 좋은 선물이었다)<ref>[[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L/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83.2 83.2]</ref>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는 위대한 카이사르의 아들이 되었으며, 그리하여 로마 대중 상당수의 충성도 얻게 되었다.
며칠 뒤 [[로마 포룸]]에서 카이사르의 장례식이 열렸는데, 안토니우스는 1600여 년 뒤 셰익스피어가 쓴 것처럼("친구들이여, 로마인들이여, 동포여, 들어보시오...") 연설을 하지는 않았으나, 로마의 일반 민중들에게 호소력 있게 카이사르의 죽음 이후 여론을 반영한 극적인 찬사를 바쳤다. 게다가 장례 연설 중에 카이사르의 유언장에 따라 티베리스 강변에 있는 그의 개인 정원은 로마 시민에게 바치며, 모든 로마 시민 등록자에게 300 [[세스테르티우스]]씩 선물하기로 발표가 났다. 안토니우스의 장례 연설과 더불어 카이사르의 유증이 알려지면서 대중 사이에서 카이사르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으며, 죽음에 대한 애도와 암살자에 대한 분노도 높아졌다. 장례식장에서 들끓어오른 군중은 카이사르의 유해를 놓은 장례용 장작에 마른 가지와 가구, 심지어 옷가지까지 던졌으며, 이로 말미암아 불길이 걷잡을 수 없이 번져 포룸이 심각하게 피해를 입었다. 그러자 군중은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의 집을 공격하였는데, 이들은 간신히 피해 쫓겨났으며 결국 [[해방자들의 내전]]의 도화선에 불을 붙이게 된다.<ref>{{웹 인용 |url=http://ancienthistory.about.com/library/bl/bl_text_suetcaesar.htm |제목=Suetonius, Life of Caesar, Chapters LXXXIII, LXXXIV, LXXXV |확인날짜=2009-10-05 |archive-date=2004-08-31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40831083303/http://ancienthistory.about.com/library/bl/bl_text_suetcaesar.htm |url-status= }}</ref> 그러나 안토니우스는 다가올 내전의 궁극적인 결과를 예견하지 못하였는데, 특히 카이사르의 후계자에 대해서는 더더욱 그러하였다. 카이사르가 죽을 당시 겨우 19세의 나이였던 옥타비아누스는 상당한 정치 감각을 입증하였으며, 안토니우스가 새로운 내전의 첫 단계에서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데키무스 브루투스]]와 상대하는 동안, 옥타비아누스는 당초 빈약했던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그리스에 막대한 군대를 거느리고 있던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와 싸우기 위하여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전쟁 자금과 병사가 필요하였으며, 카이사르의 이름이 지닌 명분과 정당성도 있어야 했다. 기원전 43년 11월 27일 티티우스 법(lex Titia)이 통과되어<ref>''Caesar's Legacy: Civil War and the Emergence of the Roman Empire', Osgood, Josia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60쪽.</ref>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그리고 카이사르에 충성하던 기병 지휘관 [[레피두스]] 세 사람의 [[제2차 삼두 정치]]가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ref>Suetonius, ''Augustus''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L/Roman/Texts/Suetonius/12Caesars/Augustus*.html#13.1 13.1]; Florus, ''Epitome''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Florus/Epitome/2I*.html#XVI 2.6]</ref> 삼두 정치는 기원전 42년에 공식적으로 카이사르를 '율리우스 신'(Divus Iulius)으로 [[신격화]]하였으며, 그에 따라 옥타비아누스는 '신의 아들'(Divi filius)이 되었다.<ref>Warrior, Valerie M., '' Roman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110쪽, {{ISBN|0-521-82511-3}}</ref> 카이사르가 자신의 관대함 때문에 암살당한 것을 아는 제2차 삼두 정치의 세력자들은 [[술라]] 이후에 쓰인 적이 없는 숙청의 공포를 다시 일으켰다.<ref>Florus, ''Epitome''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Florus/Epitome/2I*.html#XVI 2.6.3]</ref> 이들은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에 대항하여 두 번째 내전에서 45개 군단을 유지할 자금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많은 반대자들을 합법적으로 살해하였다.<ref>Zoch, Paul A., ''Ancient Rome: An Introductory Histo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17–218쪽, {{ISBN|0-8061-3287-6}}.</ref>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는 [[필리피 전투|필리피]]에서 공화정파를 격퇴하였다.<ref>Florus, ''Epitome''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Florus/Epitome/2I*.html#XXXIIII 2.7.11–14]; 아피아노스, '내전'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ivil_Wars/5*.html 5.3]</ref>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정부였던 클레오파트라와 결혼하였는데, 로마를 지배할 발판으로 이집트의 어마어마한 부를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연합군에 맞서 세 번째 내전을 벌인다. 이 마지막 내전에서 [[악티움 해전]]을 기점으로 옥타비아누스가 승세를 잡게 되고, 결국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라는 신적인 이름을 달고 로마 제국의 첫 황제가 되었다.<ref>Florus, ''Epitome''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Florus/Epitome/2I*.html#XXXIIII 2.34.66]</ref>
당초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파르티아]]와 [[캅카스]], [[스키타이]]를 침공하고, 동유럽을 가로질러 [[게르마니아]]에 다시 진출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카이사르가 암살되면서 이러한 계획은 좌절되었다.<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58 58.6]</ref> 그의 후계자들은 파르티아와 게르마니아를 정복하고자 하였으나, 영속적인 성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 사후 ===
카이사르에게는 무덤이 없다. 그의 유해는 포로 로마노에서 화장되었는데, 불길이 꺼져갈 무렵 내린 세찬 비에 유해를 태운재가 씻겨갔기 때문이다.<ref>송동훈, 《송동훈의 그랜드투어》 (김영사, 2007) 229페이지</ref>
== 건강 ==
플루타르코스의 기록에 근거하여,<ref>[[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Caesar'') 17, 45, 60; see also [[수에토니우스]], '율리우스'(''Julius'') 45.</ref> 간혹 카이사르가 [[뇌전증]]을 앓았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오늘날 학계에서는 이 문제를 놓고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으며, 또 특히 기원전 80년대에 술라가 처벌자 명단을 공개하던 당시 그가 [[말라리아]]에 걸린 것은 이보다는 더욱 확실하다.<ref>Ronald T. Ridley, "The Dictator's Mistake: Caesar's Escape from Sulla," ''Historia'' 49 (2000), pp. 225–226, citing doubters of epilepsy: F. Kanngiesser, "Notes on the Pathology of the Julian Dynasty," ''Glasgow Medical Journal'' 77 (1912) 428–432; T. Cawthorne, "Julius Caesar and the Falling Sickness,” ''Proceedings of Royal Society of Medicine'' 51 (1957) 27–30, who prefers [[Ménière's disease]]; and O. Temkin, ''The Falling Sickness: A History of Epilepsy from the Greeks to the Beginnings of Modern Neurology'' (Baltimore 1971), p 162.</ref>
카이사르는 부분적으로 발작 증세를 보였던 것 같은 기록이 네 가지가 있다. 또 그는 아마도 어린 시절에 [[소발작]](absence seizure)을 증세가 있었던 것 같다. 이렇듯 그의 발작에 대한 가장 최초의 기록은 카이사르 사후에 태어난 사람인 [[수에토니우스]]의 글이다. 그가 뇌전증 환자였다는 주장에 대해 일부 의학 역사가들은 그의 병이 뇌전증성 발작을 유발하는 [[저혈당증]]이라는 반론을 제기하기도 한다.<ref name="Hughes2004Caesar">Hughes J, ''Dictator Perpetuus: Julius Caesar—did he have seizures? If so, what was the etiology?'', Epilepsy Behav, 5th volume, 5th issue, 756–64쪽, 2004, pmid 5380131, doi10.1016/j.yebeh.2004.05.006</ref><ref name="Gomez1995">Gomez J, Kotler J, Long J, ''Was Julius Caesar's epilepsy due to a brain tumor?'', The Journal of the Florida Medical Association, 82th volume, 3th issue, 199–201쪽, 1995, pmid 7738524</ref><ref name="epilepsiemuseumCaesar">[http://www.epilepsiemuseum.de/alt/caesaren.html Gaius Julius Caesar], H. Schneble, 2003-01-01, German Epilepsy Museum.</ref>
== 저서 ==
[[파일:Julii Caesaris quae exstant.tif|섬네일|C. Iulii Caesaris quae extant, 1678]]
카이사르는 생전에 로마에서 훌륭한 웅변가이자 산문 작가로 인정받았으며, 키케로도 카이사르의 수사와 문체를 높이 평가하였다.<ref>Cicero, ''Brutus'', 252.</ref> 그는 카이사르의 대표작인 갈리아 전쟁기가 "알몸과 같고 순수하며 의복과 같은 미사여구를 죄다 벗어 던져버렸을 때 생겨나는 매력으로 충만해있다"며 이어 "카이사르는 역사를 쓰려는 자들에게 사료를 제공할 작정으로 썼을지 모르나, 그 은혜를 입는 자들은 군더더기를 덧붙여 화려하게 장식한 역사를 쓰는 바보들뿐이고, 사려 깊고 현명한 이들에게는 역사를 쓸 의욕마저 꺽어버리는 결과를 낳았다." 라고 평가했다. 그의 유명한 작품 가운데는 [[마리우스]]의 아내인 아주머니 [[율리아 (마리우스의 부인)|율리아]]의 장례 연설과, 키케로의 [[소 카토]] 회고에 대응하여 카토를 비난한 글인 [[안티카토네스]](反카토)가 있다. 불행히도 그의 글과 연설문 상당수는 유실되었다.가장 큰 원인은 그의 사후에 그가 신격화 됨에 따라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갈리아 전기]]와 [[내란기]]등 몇몇 문서들을 제외한 그와 관련된 글과 연설문들의 전량 회수 및 폐기를 명령했기 때문이다.
그가 쓴 회고록으로는 [[갈리아 전기]]와 [[내란기]]가 있는데, 전자는 [[갈리아 전쟁]] 당시 갈리아와 브리타니아에서 벌인 군사 작전을 기록하였으며, 후자에서는 이집트에서 폼페이우스가 죽은 직후에 일어난 내전을 다루었다. 또 각각 알렉산드레이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에서 수행한 전투에 대해 쓴 [[알렉산드리아 전기]](De Bello Alexandrino), [[아프리카 전기]](De Bello Africo), [[히스파니아 전기]](De Bello Hispaniensi) 이 세 저작도 역사적으로 카이사르의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저자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러한 저서의 줄거리는 당시 전쟁 중이나 직후에 "전선에서 급송한 공문서"로서, 1년 단위로 써서 출간되었다. 카이사르의 저서는 문체면에서 분명하게 단순하고 직설적이나, 사실은 대단히 복잡하고 그의 정치적 주장을 선전하는 방향으로 미묘하게 편향되어 있고 특히 로마나, 이탈리아, 속주의 평범한 소귀족 독자를 대상으로 삼고 있다.
== 가계 ==
* 할아버지 : [[루키우스 카이사르]]
* 아버지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Sr)|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 어머니 : 아우렐리아
* 첫 번째 아내 : 코수티아(파혼)
* 두 번째 아내 : 코르넬리아 킨나, [[킨나]]의 딸,
** 딸 : [[율리아]], [[대 폼페이우스]]의 후처로 시집보냄
** 양자 :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
* [[클레오파트라 7세]]
** 아들 : [[카이사리온|프톨레마이오스 16세 카이사리온]]
* 큰누나 : 율리아 카이사리아, 루키우스 피나리우스와 결혼, 퀸투스 페디우스와 재혼
* 작은누나: [[율리아 카이사리아]]<ref>율리아의 외손자가 [[옥타비아누스]]이다.</ref>
* 매부 : 아티우스
** 조카딸 : 아티아
** 조카사위 : 옥타비우스
** 조카사이 : 필리푸스, 아티아의 두번째 남편
* 고모부 : [[가이우스 마리우스]]
== 연표 ==
* 기원전 100년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7월 12일 로마의 서민지역인 수부라 지구에서 탄생.
* 기원전 85년 - 아버지 사망. 집정관 킨나의 딸 코르넬리아와 결혼.
* 기원전 82년 - 술라의 이혼 명령을 거부하고 소아시아로 도피. 미누키우스 총독의 군대에 지원하여 참모가 됨.(~81년)
* 기원전 80년 - 미누키우스의 레스보스섬 공략전에 참가.
* 기원전 78년 - 술라 사망. 로마로 귀국.
* 기원전 77년 - 변호사 개업을 하고 당시 권력자들을 고소하지만 실패.
* 기원전 76년 - 고소 실패로 로도스섬으로 도피 유학을 가던중 해적의 습격으로 포로가 되 몸값을 주고 석방후 해적 소탕.
* 기원전 73년 - 로마로 귀국해 제사장 및 대대장이 됨.
* 기원전 70년 - 회계감사관에 취임(~69년). 먼 에스파냐에 부임. 귀국후 원로원 의원이 되다.
* 기원전 68년 - 고모의 장례식에서 대담한 추도연설을 행함. 아내 코르넬리아 사망.
* 기원전 65년 - 안찰관에 취임. 자비로 아피아 가도를 보수하고 화려한 검투시합을 개최.
* 기원전 63년 - 최고 제사장에 취임. '카틸리나 역모사건'에 대해 키케로, 소 카토와 논전.
* 기원전 62년 - 법무관에 취임. 후처 폼페이아에 얽힌 귀족 클라우디우스의 스캔들 때문에 아내와 이혼.
* 기원전 61년 - 먼 히스파니아 총독으로 부임해 현지인인 발부스를 등용. 대서양 연안을 평정.
* 기원전 60년 - 카이사르, 귀국하여 이듬해 집정관에 출마. 폼페이우스·크라수스와 손잡고 삼두정치 결성.
* 기원전 59년 - 집정관에 취임. 농지법과 공직자에 대한 율리우스 법을 가결.
* 기원전 58년 - 갈리아 전쟁 1년째. 카이사르, 갈리아 총독에 부임. 헬베티족과 아리오비스투스 격파.
* 기원전 57년 - 갈리아 전쟁 2년째. 갈리아 북동부 경계선에 진출하여 벨가이 반란군을 격파하고 각 지방을 평정.
* 기원전 56년 - 갈리아 전쟁 3년째. 카이사르·크라수스·폼페이우스의 루카 회담. 갈리아 각 지방을 평정.
* 기원전 55년 - 갈리아 전쟁 4년째. 게르만족을 공격하여 대승. 제1차 브리타니아 원정. 어머니 아우렐리아 사망.
* 기원전 54년 - 갈리아 전쟁 5년째. 제2차 브리타니아 원정. 암비오릭스의 반란. 카이사르, 반란군을 격파. 딸 율리아 사망.
* 기원전 53년 - 갈리아 전쟁 6년째. 갈리아 북동부의 모든 부족을 평정.
* 기원전 52년 - 갈리아 전쟁 7년째. 갈리아 대반란이 일어남. 카이사르, 게르고비아를 공격하러 가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철수.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베르킨게토릭스를 격파. '갈리아 전쟁기' 전7권 간행
* 기원전 51년 - 알레시아 공방전의 전후 처리로 모든 부족을 복종시키고 평정 '갈리아의 로마화'에 착수.
* 기원전 50년 - 북이탈리아 속주로 귀환.
* 기원전 49년 - 원로원, 카이사르에게 '원로원 최종 권고'를 결의. 1월 12일 라벤나를 떠난 카이사르, 1개 군단을 이끌고 루비콘강을 도하("주사위는 던져졌다!"). 내전의 시작. 일레르다 전투 승리. 이듬해인 기원전 48년도 집정관에 선출.
* 기원전 48년 - 카이사르, 그리스에 상륙. 파르살루스 전투. 폼페이우스를 상대로 완벽한 승리. 카이사르, 알렉산드리아에 상륙. 이집트인들과 벌인 알렉산드리아 전쟁에서 승리.
* 기원전 47년 - 『내전기』 전3권 완성. 소아시아에 상륙, 카파도키아 지방의 젤라에서 파르나케스를 격파("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 기원전 46년 - 탑수스 전투에서 스키피오군을 대파. 로마에 귀환. 네 차례의 개선식을 거행. 내전이 사실상 종결. 각종 개혁 실시. 율리우스력(태양력) 채택. 국립 조폐소를 창설.
* 기원전 45년 - 히스파니아 속주에서 반카이사르파가 봉기하자 히스파니아로 떠나 문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를 격파.
* 기원전 44년 - 2월 원로원과 민회, 카이사르를 종신 독재관에 임명. 3월 15일 카이사르, 원로원 회의장인 폼페이우스 회랑에서 브루투스 일당에게 암살.
== 같이 보기 ==
* [[카이사르 암호]]
== 각주 ==
{{각주|2}}
== 참고 자료 ==
; 1차 출처
;; 카이사르 본인의 작품
{{참고 자료 시작}}
* [http://www.forumromanum.org/literature/caesarx.html Forum Romanum Index to Caesar's works online] (라틴어 원문과 영어 번역)
* [http://www.freewebs.com/omniamundamundis/cae.htm omnia munda mundis] 갈리아 전기 하이퍼텍스트
{{참고 자료 끝}}
;; 고대 역사서
{{참고 자료 시작}}
*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ivil_Wars/2*.html , Book 13] (영어 번역)
*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Cassius_Dio/37*.html Cassius Dio, Books 37–44] (영어 번역)
* [http://classics.mit.edu/Plutarch/antony.html Plutarch on Antony] (영어 번역, Dryden판)
*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Caesar*.html Plutarch: The Life of Julius Caesar] (영어 번역)
*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Plutarch/Lives/Antony*.html Plutarch: The Life of Mark Antony] (영어 번역)
* [http://penelope.uchicago.edu/Thayer/L/Roman/Texts/Suetonius/12Caesars/Julius*.html Suetonius: The Life of Julius Caesar]. (라틴어 원문과 영어, cross-linked: the English translation by J. C. Rolfe)
* [http://www.fordham.edu/halsall/ancient/suetonius-julius.html Suetonius: The Life of Julius Caesar] {{웨이백|url=http://www.fordham.edu/halsall/ancient/suetonius-julius.html |date=20110201204752 }} (J. C. Rolfe 영어 번역, 수정판)
{{참고 자료 끝}}
; 2차 출처
{{참고 자료 시작}}
* {{서적 인용 |제목=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성= M.하이켈하임|이름= 프리츠|날짜= 10 |연도= 1999 |출판사= 현대지성사 |쪽= 140|ISBN=89-8347-011-9 |공저자= 세드릭 A. 요, 앨런 M. 워드 |발행월= 3|출판위치= 서울 }}
* {{서적 인용 |제목=Julius Caesar: The People's Dictator|연도=2006|출판사=Edinburgh University Press|id=0-748-61936-4|저자=Canfora, Luciano}}
* {{서적 인용 |제목=Julius Caesar |연도=2008 |출판사=Simon and Schuster |isbn=0-743-28953-6|저자=Freeman, Philip }}
* {{서적 인용 |제목=Caesar: Life of a Colossus|연도=2006|출판사=Yale University Press|id=0-300-12048-6|저자=Goldsworthy, Adrian}}
* {{서적 인용 |제목=Rubicon: The Last Years Of The Roman Republic|연도=2003|출판사=Anchor Books|id=1-4000-7897-0|저자=Holland, Tom}}
* {{서적 인용 |제목=Caesar Against Rome: The Great Roman Civil War|연도=2000|출판사=Praeger|id=0-275-96620-8|저자=Jiménez, Ramon L.}}
* {{서적 인용 |제목=Cleopatra and Rome|연도=2005|출판사=Harvard University Press|id=0-674-01905-9|저자=Kleiner, Diana E. E.}}
* {{서적 인용 |제목=Caesar: A Biography|연도=1996|출판사=Fontana Press|isbn=0-006-86349-3|저자=Meier, Christian}}
* {{서적 인용 |제목=Divus Julius|연도=1971|출판사=Oxford University Press|id=978-0198142874|저자=Weinstock, Stefan}}
{{참고 자료 끝}}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위키인용집-줄}}
* [http://navercast.naver.com/peoplehistory/foreign/1444 네이버캐스트 - 율리우스 카이사르]
{{전임후임
|전임자= [[술라]]
|후임자= (로마 제정 성립)<br>[[아우구스투스]](프린캡스)
|직책= [[로마]] 공화정의 독재관
|임기= [[기원전 44년]]
}}
{{전임후임
|후임자= [[아우구스투스]]
|직책= [[로마 제국]]의 사실상 초대 황제
|임기= [[기원전 44년]]
}}
{{로마황제}}
{{플루타르코스}}
{{전거 통제}}
{{기본정렬:카이사르, 율리우스}}
[[분류:율리우스 카이사르| ]]
[[분류:기원전 100년 출생]]
[[분류:기원전 44년 사망]]
[[분류:로마 공화국의 집정관]]
[[분류:로마 공화국의 원로원 의원]]
[[분류:고대 로마의 독재관]]
[[분류:로마 공화국의 장군]]
[[분류:고대 로마의 작가]]
[[분류:고대 로마의 역사가]]
[[분류:육군 군인]]
[[분류:해군 군인]]
[[분류:회고록 작가]]
[[분류:로마의 인물신]]
[[분류:로마 출신]]
[[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
[[분류:친위 쿠데타를 한 지도자]]
[[분류:암살된 국가원수]]
[[분류:암살된 군인]]
[[분류:살해된 작가]]
[[분류:자상으로 죽은 사람]]
[[분류:기원전 1세기 통치자]]
[[분류:기원전 1세기 작가]]
[[분류:아홉 위인]]
[[분류:클레오파트라]]
[[분류: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분류:기원전 1세기 역사가]]
[[분류:로마 공화국의 법무관]]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여러 문제|
{{출처 필요|날짜=2013-6-12}}
{{정리 필요|날짜=2021-03-05}}
}}
[[파일:Jerôme Cardan.jpg|섬네일|지롤라모 카르다노(Girolamo Cardano), 1501~1576]]
'''지롤라모 카르다노'''({{llang|it|Girolamo Cardano}}, [[1501년]] [[9월 24일]] ~ [[1576년]] [[9월 21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죽었다. [[수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본업은 [[의사]]였다. [[점성술]]사, [[도박]]사, [[철학자]]이기도 했다.
== 출생과 유년기 ==
[[파일:Cardano - De propria vita, 1821 - 698063 F.jpg|섬네일|''De propria vita''(자서전), 1821]]
아버지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친구였고, 수학적 재능이 있던 변호사의 사생아로 태어난다. 카르다노의 자서전에는 어머니가 그를 사산시키려 했다고 쓰여 있다. 그의 어머니는 그 외에 3명의 자식을 전염병으로 잃고, 그를 낳은 직후 [[밀라노]]에서 [[파비아]]로 이주했다. [[1520년]] [[파비아 대학]]에 들어가 의학을 공부하고, 후에 [[파도바]]로 학교를 옮겨 약학을 공부한다. 그는 성격이 특이하고 배타적이어서 친구가 거의 없었고, 졸업 후 직업을 찾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당시 그는 의학을 전공해 의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결혼 후 그는 수학교사가 돼 수학과 물리학을 연구하기도 하고, 시골에서 의사생활을 하기도 했다. 1544년에는 [[밀라노 대학]]의 기하학 교수가 됐다.
카르다노는 재판관을 치료해 줌으로써 명망있는 의사가 되고, 돈을 많이 벌게 된다. 또한, 그의 소견은 재판장에서 신뢰를 얻는다. 그는 발진 티프스(typhoid fever)를 처음 발견한 의사이기도 하다.
=== 수학적 업적 ===
* 일반적인 3차방정식의 해법 발표: [[스키피오 델 페로]](Scipione del Ferro)는 2차 항이 없는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발견하였고, [[니콜로 폰타나 타르탈리아]](Niccolo Fontana Tartaglia)는 1차 항이 없는 삼차방정식과 일반적인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발견했으나, 이후에 카르다노가 델 페로와 타르탈리아의 업적을 자신의 업적으로 인정하는 글을 실어 해법과 같이 책으로 발표한다.<[[아르스 마그나]]>(Ars Magna)<ref>(Ars Magna)https://archive.org/details/arsmagnaorruleso0000card</ref><ref>{{웹 인용 |url=http://www.filosofia.unimi.it/cardano/testi/operaomnia/vol_4_s_4.pdf |제목=보관된 사본 |확인날짜=2016-07-03 |archive-date=2008-06-2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80626092254/http://www.filosofia.unimi.it/cardano/testi/operaomnia/vol_4_s_4.pdf |url-status=dead }}</ref> 타르탈리아는 카르다노에게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알려주었으나 카르다노가 다음해 논문으로 발표한다. 타르탈리아는 그에게 삼차방정식의 해법을 건 수학경기를 신청한다. 서로에게 문제를 내서 못푸는 사람이 지는 경기였는데, 카르다노의 제자 [[로도비코 페라리]](Lodovico Ferrari)가 카르다노를 돕는다. 페라리는 3차 방정식의 해법을 이용해 4차 방정식의 해법까지 구했었고, 그것을 알지 못하는 타르탈리아는 경기에서 지게 된다.
* 허수 개념의 도입: 3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다루던 도중 음수의 제곱근의 필요성을 느끼고 허수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 확률론의 발전에 기여: 도박을 좋아하여 확률에 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확률에 관한 최초의 저서인 ‘주사위 놀이에 대하여’라는 책을 남겼다. 그가 즐겼던 주사위 도박에서 발견한 것이다.
* 16세기에 <math>2 \times 2</math>행렬식을 정의하였다.
=== 역학 분야의 업적 ===
‘천체를 제외하고는 영속적인 운동은 없다’는 주장으로 명성을 날렸다.
=== 의사로서의 명성 ===
천식 치료, 탈장 수술법 개발, 발진티푸스에 대한 최초의 임상 기록을 남겼다.
== 말년 ==
카르다노가 살던 시대에는 수학경기가 있었는데 주어진 문제를 가장 빨리 푸는 사람에게 상금이 주어졌다고 한다. 카르다노는 상금을 혼자서 많이 갖기도 했다. 1570년에는 종교재판을 받고 몇달간 수감되기도 했다. 점성술을 퍼뜨린 죄였다. 카르다노는 점성술사이기도 해서 자신이 1576년 9월 21일에 죽는다고 하였고, 자신이 옳다고 증명하기 위해 그는 그날 로마에서 [[자살]]을 하였다. 또 카르다노는 영예를 누리며 생을 마감했다. 그러나 카르다노의 말년 또한 행복하진 못했다. 아내를 잃고 사랑하는 아들이 처형을 당하는 상황을 견뎌야 했다. 그는 말년에 이런 말을 남겼다. "아들의 파멸을 지켜보며 나는 결국 노름을 끊었다. 그래서 인간은 어떤 학문보다 위대하다!"
== 같이 보기 ==
* [[앤서니 그래프턴]]
* [[외위스테인 오레]]
* [[E. M. 포스터]]
== 각주 ==
{{각주}}
{{위키공용분류}}
{{전거 통제}}
{{기본정렬:카르다노, 지롤라모}}
{{토막글|수학자}}
[[분류:1501년 출생]]
[[분류:1576년 사망]]
[[분류:이탈리아의 수학자]]
[[분류:이탈리아의 의사]]
[[분류:이탈리아의 점성술사]]
[[분류:이탈리아의 발명가]]
[[분류:롬바르디아주 출신]]
[[분류:파도바 대학교 동문]]
[[분류:파비아 대학교 동문]]
[[분류:16세기 이탈리아 사람]]
[[분류:16세기 수학자]]
[[분류:파비아 출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대통령 정보
| 이름 = 장쩌민
| 원어명 = {{lang|zh|江泽民}}
|그림 = Jiang Zemin 2002.jpg
|그림설명 = 장쩌민 국가주석(江泽民 國家主席)
|크기 = 330px
| 설명 =
| 국가 = 중국공산당
| 대수 = 5
| 명칭 = 중앙위원회 총서기
| 취임일 = 1989년 6월 24일
| 퇴임일 = 2002년 11월 15일
| 부통령 =
| 부통령명칭 =
| 전임 = 자오쯔양
| 후임 = 후진타오
| 출생일 = {{출생일|1926|8|17}}
| 출생지 = [[중화민국]] [[장쑤성]] [[양저우시|양저우]]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22|11|30|1926|8|17}}<ref name="사망1">{{뉴스 인용 | 뉴스 = 매일신문 | url =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113017394222442 | 제목 = [속보] 中 장쩌민 전 국가주석 96세 일기로 사망 | 저자 = 김지수 | 날짜 = 2022-11-30 | 언어 = ko | 확인날짜 = 2022-11-30}}</ref>
| 사망지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ref name="사망1" />
| 정당 = [[중국공산당]]
| 종교 = [[무종교]]([[무신론]])
| 학력 = [[상하이교통대학]] 전기기계학과 학사
| 배우자 = 양예핑
| 자녀 = 장몐헝<br />장몐캉
| 국가2 = [[중화인민공화국]]
| 대수2 = 5
| 명칭2 =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국가주석]]
| 부통령명칭2 = 부주석
| 부통령2 = [[룽이런]]<br />[[후진타오]]
| 총리2 = [[리펑]]<br />[[주룽지]]
| 취임일2 = 1993년 3월 27일
| 퇴임일2 = 2003년 3월 15일
| 전임2 = 양상곤
| 전임대수2 =
| 후임2 = 호금도
| 후임대수2 =
| 국가3 = [[중화인민공화국]]
| 대수3 = 6
| 명칭3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취임일3 = 1989년 11월 9일
| 퇴임일3 = 2004년 9월 19일
| 부통령3 =
| 부통령명칭3 =
| 전임3 = 덩샤오핑
| 후임3 = 후진타오
| 서명 =
}}
'''장쩌민'''({{Zh|s=江泽民|t=江澤民|p=Jiāng Zémín|hanja=강택민}}, [[1926년]] [[8월 17일]]~[[2022년]] [[11월 30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겸 [[중국공산당]] 주석(1993년~2003년)이다. 1993년 3월 국가 주석에 선출됨으로써 당과 정부의 전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 어린 시절과 경력 ==
당시 [[중화민국]] [[장쑤성]] [[양저우 시|양저우]]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동생 중 하나가 그 당시 불법이었던 공산당에 입당하여 투쟁에서 사망한 후, 어린 장쩌민을, 자식이 없던 그 동생의 집에 양자로 보냈다. 장쩌민은 1943년 [[상하이 자오퉁 대학]]에 입학하였으며 1946년 [[중국공산당]]에 입당하여 지하 활동을 계속하였고, 이듬해 상하이 자오퉁 대학에서 전기공학과를 전공하여 졸업하였다.
1949년 중국공산당이 중국 대륙에 권력을 차지한 후, 장쩌민은 [[상하이]]에서 몇몇의 직위들을 취하였는 데 중국공산당 위원회의 서기장, 식품 공장, 비누 공장, 기계 공장의 공장장을 지냈다.
1955년 그는 [[모스크바]]에 있는 [[스탈린]] 자동차 공장에 연수생으로 보내졌다. 이듬해 귀국 후, 1966년까지 [[창춘]], [[우한]], 상하이 등지를 옮겨가며 공장관리자 및 공업연구소 책임자로 일하였다.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곧 당과 공직에서 추방되어 10년 동안 피신생활을 하다가, 1976년 국무원 제1기계공업부 책임자로 복귀하였다. 1980년 국가 수출입관리위원회 부주임·외국투자관리위원회 부주임을 거쳐 전국 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이 되었다.
1983년 국무원 전자공업부장(장관)에 오르고, 1984년 국무원 전자공업 진흥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1985년 [[상하이시|상하이]] 시장이 되고, 1987년 상하이시의 당 서기장직도 겸직, 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중국의 핵심인물로 떠올랐다.
== 초기 리더십 ==
장쩌민은 당 안에서 공평하게 상당히 작은 권력 기반과 함께 1989년 국가의 최고 직업으로 올라가 매우 적은 사실상 권력을 가졌다. 그의 가장 신뢰할 수 있던 동맹자들은 권력을 가진 연상의 당원들 - [[천윈]]과 [[리셴녠]]이었다. 그는 [[등소평]]에게 더욱 안정적인 후계자가 자리에 놓일 수 있었을 때까지 단순하게 과도기 인물로 믿어졌다. [[양상곤]]과 그의 동생 양바이빙 같이 다른 현저한 당과 군사 인물들은 [[쿠데타]]를 계획한 것으로 믿어졌다. 장쩌민은 첫 몇년에 자신의 리더십으로 지원자로서 덩샤오핑을 이용하였다. [[신보수주의]] 관점으로 믿어졌던 강택민은 "중산계급 자유주의"에 대항하는 경고를 하였다. 하지만 등소평의 믿음은 중국에 [[공산주의]] 통치의 합법성을 지키는 데 단 하나의 해결은 지속적으로 현대화와 경제 개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규정하였고, 따라서 자신을 장쩌민과 역경에 놓았다.
[[1989년 톈안먼 사건]]이 일어난 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첫 회의에서 장쩌민은 이전의 시기를 "경제에 완고하고 정치에 연약한" 것으로서 비판하였고, 증가하는 정치적 사상 작업을 옹호하였다. 앤마리 브래디는 "장쩌민은 이념적 작업과 그 중요성을 위한 후각과 함께 장기적 정치 핵심이었다. 이 회의는 중국에서 선전과 정치적 사상 작업에서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특정지었다."고 썼다. 곧 후에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는 "선전에 관련된 작업 단위로 들어가는 권력을 포함하고 민주화 운동의 지자자로 지내온 자들의 계급을 정화하는" 더욱 많은 방책들과 권력이 주어졌다.
덩샤오핑은 1992년 강택민의 리더십에 관한 비판적이 되었다. 등소평의 남부 순방 중에 그는 개혁의 속도는 충분히 빠르지 않았고 "중앙적 리더십"이 가장 많은 책임을 가졌다고 미묘하게 제안하였다. 장쩌민은 더욱 신중해졌고 덩샤오핑의 개혁들 뒤에 완전히 집결하였다. 1993년 강택민은 중국의 중앙적으로 계획된 사회주의 경제를 본질적으로 정부 규제의 자본주의 [[시장경제]]로 옮기는 데 새로운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만들어냈다. 동시에 강택민은 등소평의 자신감을 되찾은 후, 상하이에서 온 많은 자신의 지지자들을 높은 정부 직위들로 승진시켰다. 그 일은 덩샤오핑의 "중국의 형질과 함께 한 사회주의"의 실현을 받아들이는 데 큰 단계였다. 그는 혁명적 당의 연장자들로 구성된 자문 기관 구식의 [[중국공산당 중앙고문위원회]]를 폐지하였다. 그는 1989년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의 의장이 되었고 1993년 3월 주석으로 자신의 선거에 의하여 이어졌다.
== 최고 지도자 ==
1990년대 초반에 톈안먼 사건 이후의 경제 개혁들은 안정화되었고 국가는 철저한 성장 궤적에 있었다. 동시에 중국은 무수한 경제와 사회 문제들을 향하였다. 1997년 덩샤오핑의 [[국장 (장례)|국장]]에서 장쩌민은 연장자 정치인의 찬사를 전했다. 장쩌민은 정치적 부패와 전국의 안정화를 위하여 재빠르게 자라나는 지방적 경제와 함께 중국 만연을 물러받았다. "어떤 지역들은 다른 지역들 전에 부유해질 것이다"라는 덩샤오핑의 정책은 해안 지방과 내부의 성들 사이에 개방 부의 격차로 이끌었다. 새로운 경제적 성장과 중공업의 다수에서 규제 완화는 많은 국유 기업들의 폐업으로 이끌어 "톄판완" (鐵飯碗)을 깼다.
결과로서 실업률이 급등하여 어떤 도시 지역들에서 40 퍼센트 만큼 높이 올라갔다. [[증권시장]]들은 크게 변동하였다. 도시 지역들로 시골 이동의 비율은 어느 곳에 새로웠고 약간은 여태까지 증가한 도시-시골 부의 격차를 해결하는 데 이루어졌다. 공식적 보고들은 10 퍼센트에 부패한 공무원에 의해 움직여지고 학대를 당한 중국의 국내총생산의 퍼센티지에 풍채를 놓았다. 문관과 군사 공무원들로부터 발행된 불법 채권의 혼란스러운 환경은 해외에서 끝난 부패한 부유의 거의에 결과를 가져왔다. 조직 범죄의 재출현과 범죄율에서 급증은 도시들을 괴롭히기 시작하였다. 환경의 멸망에 부주의한 자세는 지식인들에 의한 목소리를 높인 심화를 우려하였다.
경제에서 장쩌민의 가장 큰 목표는 안정성이었고, 그는 높이 중앙화된 권력과 함께 안정된 정부가 전제 조건이 될 것을 믿어 진행 중인 문제들을 악화시킨 지배의 많은 측면들에서 정치적 개혁을 연기하는 데 선택하였다. 장쩌민은 [[경제특구]]와 해안 지방들을 개발하는 데 지속적으로 자금을 쏟아부었다. 1996년에 시작에서 장쩌민은 자신 아래 "리더십의 핵심" 흥행에서 목표가 된 국가 통제의 [[대중매체]]에서 개혁의 일련을 시작하였고 동시에 자신의 어떤 정치적 상대들을 압도하였다. 대중매체에서 성격 향상들은 덩샤오핑 시대 동안 크게 눈살을 찌푸렸으며 1970년대 후반에 [[마오쩌둥]] 시대 이래 보여지지 않았다.
[[인민일보]]와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의 오후 7시 [[신문연파]]는 2006년 [[후진타오]]의 대중매체 행정부 변화들이 있을 때까지 남아있던 사실로 각각 장쩌민에 관련된 이벤트들을 정면의 페이지 혹은 중요한 소식으로 가졌다. 장쩌민은 서방 대중매체에서 격의 없어 보였고, 2000년 [[베이다이허구]]에서 [[CBS (미국의 방송사)|CBS]]의 마이크 월리스와 전례없는 인터뷰를 하였다. 그는 [[카메라]]의 앞에서 가끔 외국어를 썼으며 항상 유창하지는 않았다. 2000년 [[홍콩]]의 기자와 만남에서 [[홍콩의 행정장관|홍콩 행정장관]]으로서 두번째 기간을 추구하는 데 [[둥젠화]]를 지지하는 중앙 정부의 명백한 "제국 명령"을 여긴 장쩌민은 [[영어]]로 "too simple, sometimes naive" (너무 단순하고, 때때로 순진하다)로서 홍콩의 저널리스트들을 꾸짖었다. 그이벤트는 그날 [[밤]] 홍콩의 텔레비전에 보여졌다.
=== 파룬궁에 대한 단속 ===
1999년 7월 장쩌민은 [[파룬궁]]에 대한 단속하는 데 법외부서 610 판공실을 설립하였다. 쿡 앤드 레미시는 이것은 장쩌민이 인기있는 새로운 종교 운동이 "[[중국공산당]]과 국가 기구를 조용히 침투하고 있었다"는 것을 걱정하고 있었다고 진술한다. 7월 20일 보안군은 자신들이 지도자들로서 식별한 수천명의 파룬궁 결성자들을 체포하였다. 이어진 박해는 파룬궁 결성자들의 대규모 임의 투옥과 강압적인 재교육은 물론 선전의 전국적인 캠페인을 특징으로 어쩌다 사망에 결과를 가져왔다.
=== 외교 정책 ===
1997년 장쩌민은 [[미국]]으로 획기적인 국가 방문에 가 [[티베트 독립운동]]에서 [[중국 민주화 운동]]의 지지자들까지 항의에서 다양한 관중을 끌어들였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연설 (그중에 일부는 영어로)을 하였으나 민주화와 자유에 의문들을 탈출할 수 없었다. [[빌 클린턴]] 대통령과 공식 정상 회담에서 불일치 영역들을 거의 무시한 동안 장쩌민과 클린턴이 공통점을 찾으면서 어조가 이완되었다. 클린턴은 1998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려고 했고 중화인민공화국과 미국은 적이 아닌 세계에서 파트너였다는 것을 단언하였다. 1999년 미군이 이끈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베오그라드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공습 사건]]이 일어났을 때 장쩌민은 본국에서 가혹한 입장을 취한 것 같았으나 실제로 확실한 행동 없이 항의의 상징적인 몸짓을 한 것 뿐이었다. 장쩌민의 외교 정책은 가장 대부분 수동적이고 비대립적을 위해서였다. [[장 크레티앵]] 전 [[캐나다]] 총리와 개인적 친구였던 장쩌민은 해외에서 중국의 경제적 지위를 강화하여 [[무역]]이 미국의 경제 영역으로 크게 국한 국가들과 따뜻한 관계를 설립하는 데 시도하였다. 이것에 불구하고 장쩌민의 재직 동안 중미 간에 최소한 3개의 심각한 발적들이 있었는 데 제3차 타이완 해협 위기(1996년), 나토의 세르비아 공습과 [[하이난섬 사건]](2001년 4월)이었다.
=== 경제 개발 ===
장쩌민은 경제에서 전문화하지 않았고 1997년 국가의 경제 관리의 대부분을 총리가 된 [[주룽지]]에게 넘기고 [[아시아 금융 위기]]를 통하여 직무에 남아있었다. 그들의 합동 리더십 아래 중국 본토는 해마다 8 퍼센트 국내총생산 성장의 평균을 유지하여 주요 세계 경제에서 1인당 [[경제성장]]의 최고 속도를 달성하였고, 놀라운 속도로 전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이 일은 시장경제로 전환 과정을 지속하면서 대부분 달성되었다. 중국에 강한 당의 통치는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는 데 중화인민공화국의 성공적인 입찰과 [[200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는 데 [[베이징시|베이징]]이 이긴 입찰에 의하여 접합되었다.
=== 삼개대표사상 ===
자신이 지도자들의 젊은 세대에게 양도하기 전에 장쩌민은 2002년 제16차 중국공산당 대회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주의]]와 [[덩샤오핑주의]]와 더불어 당의 헌법으로 들어가 [[삼개대표사상]]에 관한 자신의 이론을 썼다. 비판들은 이것이 장쩌민의 [[개인숭배]]에 추가된 또다른 표본인 뿐이었다고 믿었고, 다른이들은 이론의 실용적인 적용을 중국공산당의 미래 지도에서 안내하는 관념으로 보았다. 국제 대중매체에 의하여 모든 직위에서 물러날 것으로 크게 추측된 그의 라이벌 [[리루이환]]의 2002년 사임은 장쩌민을 재고하도록 분석가들을 유도하였다. 삼개대표사상의 이론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원칙들로 자신의 전망을 확장시켜 이전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의 곁으로 자신을 승진시키는 장쩌민의 노력으로 많은 정치 분석가들에 의하여 믿어졌다.
== 퇴임 이후 ==
2002년 [[후진타오]]에게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직을 넘긴 뒤에도 국가주석직과 군사위원회 주석직을 보유하고 있었다. 2003년 3월 국가주석직을 후진타오에게 넘긴 뒤 1년 정도 군권을 장악하고 있다가 2004년 정계에서 물러났다. 2020년 장쩌민 주석 일가의 추정 재산은 400조원이다.
현지 시간 2022년 11월 30일 낮 12시 13분 [[상하이]]에서 백혈병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ref name="사망1" />
== 각주 ==
{{각주}}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두피디아|101013000722141}}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지도자
|전임자= [[덩샤오핑]]
|후임자= [[후진타오]]
|임기= 1989년 11월 9일~2002년 11월 15일
|대수= 4
}}
{{전임후임
|전임자= [[자오쯔양]]
|후임자= [[후진타오]]
|임기= 1989년 6월 24일~2002년 11월 15일
|직책= 중국공산당 총서기
}}
{{전임후임
|전임자= [[양상쿤]]
|후임자= [[후진타오]]
|직책 =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임기= 1993년 3월 27일~2003년 3월 15일
|대수=5
}}
{{전임후임
|전임자=[[덩샤오핑]]
|후임자=[[후진타오]]
|대수=
|직책=[[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임기=1990년 3월 19일~2005년 3월 8일
}}
{{전임후임
|전임자=[[덩샤오핑]]
|후임자=[[후진타오]]
|대수=
|직책=[[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임기=1989년 11월 9일~2004년 9월 19일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총서기}}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제15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제13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중국공산당의 지도자}}
{{전거 통제}}
[[분류:1926년 출생]]
[[분류:2022년 사망]]
[[분류:중화민국 대륙 시기 사람]]
[[분류:중국공산당의 정치인]]
[[분류: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분류:중화인민공화국 주석]]
[[분류:중국의 공산주의자]]
[[분류:장쑤성 출신]]
[[분류:상하이 자오퉁 대학 동문]]
[[분류:상하이방]]
[[분류:1989년 톈안먼 사건 관련자]]
[[분류:중국의 전기공학자]]
[[분류:상하이 시장]]
[[분류:공산주의자의 종교 박해]]
[[분류:백혈병으로 죽은 사람]]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12}}
{{기년법|1912}}
'''191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 연호 ==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원년
* [[일본]](日本) [[메이지]]({{lang|ja|明治}}) 45년 / [[다이쇼 시대|다이쇼]]({{lang|ja|大正}}) 원년
* [[응우옌 왕조]](阮朝) [[주이떤 (연호)|주이떤]](維新) 6년
== 기년 ==
* [[응우옌 왕조]](阮朝) [[주이떤 황제|유신제]](維新帝) 6년
== 사건 ==
* [[1월 1일]]
** [[한국 표준시]]가 동경 135도 기준으로 변경되면서 시간이 30분 앞당겨졌다.
** [[중화민국]] 건국 선포, [[쑨원]]이 초대 임시대총통으로 취임하였다.
* [[1월 20일]] - [[조선은행]] 신축 건물의 낙성식이 거행되었다.
* [[2월 1일]] - 《[[평양일일신보]]》가 창간되었다.
* [[2월 12일]] -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푸이 퇴위. [[청나라]] 멸망.
* [[3월 27일]] - [[오자키 유키오]] [[도쿄]]시장, [[워싱턴 D.C.]]에 벚나무 3천 그루를 선물하였다.
* [[3월 31일]] - [[최재형 (독립운동가)|최재형]], [[정재관]] 등의 독립운동가가 [[권업회]] 지부를 [[니콜라옙스크]], [[하바롭스크]] 등에 설치하였다.
* [[4월 10일]] - [[러시아 제국]]이 [[헤이룽]] 지방에 거주하던 한국인 2,068호(4,988명)의 귀화를 공식 인정하였다.
* '''[[4월 15일]] - [[RMS 타이타닉]] 침몰로 1,500여 명이 사망 또는 실종됐다.'''
* [[4월 30일]] - 《{{Ill|권업신문|en|Kwonop Sinmun}}》 (주필 [[신채호]])가 창간되었다.
* [[5월 31일]] - [[조선총독부]]가 전 관리에게 [[무관]] 제복 착용을 지시하였다.
* [[6월 15일]] - [[부산]]-[[장춘]] 간 직통열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
* [[7월 4일]] - [[신규식]], [[박은식]] 등이 [[상하이]]에서 독립운동단체 [[동제사]]를 조직하였다.
* [[7월 30일]] - [[메이지 시대]]가 끝나다.
* [[8월 13일]] -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토지조사사업]]이 시작되었다.
* [[9월 1일]] - 예수장로회 조선총회가 [[평양]]에서 창립되었다.
* [[9월 3일]] - [[경성부]] 마포에 [[경성감옥]]이 설립되었으며, 기존의 경성감옥은 [[서대문감옥]]으로 개명하였다.
* [[9월 28일]] - [[105인 사건|신민회 사건]] 피의자 105인에 모두 유죄 판결이 내려졌으며, 이들의 1심 선고 형량의 합산은 630년에 달했다.
* [[10월 8일]] - [[제1차 발칸전쟁]] : [[세르비아]], [[불가리아]], [[몬테네그로]]가 [[튀르키예]]에 선전포고하다.최근에
* [[11월]] - [[이상룡]]이 [[서간도]]에서 [[경학사]] 소속의 [[부민단]]을 조직하였다.
* [[11월 5일]] -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미국)|공화당]]이 [[시어도어 루스벨트|루스벨트]]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태프트]]로 분열되며 [[민주당 (미국)|민주당]]의 [[우드로 윌슨]]에게 정권을 넘겨주었다.
* [[11월 28일]] - [[알바니아]]가 [[오스만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 [[12월]]
** [[임병찬]]이 전라도에서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였다.
** [[조선총독부]]가 [[한글]]에 대한 [[가타카나]] 요음 표기법을 제정하였다.
* [[12월 6일]] - 경성 [[을지로]]의 황금정선 [[서울 전차|전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 문화 ==
* [[3월 14일]] - [[창덕궁]] 박물관이 준공되었다.
* [[3월 24일]] - [[호남선]]의 [[강경]] ~ [[군산]] 노선이 개통되었다.
* [[4월 10일]] - [[RMS 타이타닉]]이 취역하였다.
* [[10월 2일]] - [[호남선]]의 [[익산역|이리]] ~ [[김제역|김제]] 노선이 개통되었다.
== 탄생 ==
{{분류 참고|1912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영국의 이중 간첩 [[킴 필비]]. (~[[1988년]])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아동 문학가 [[이원수 (작가)|이원수]]. (~[[1981년]])
* [[1월 13일]] - 미국의 배우 [[폴 버치]]. (~[[1969년]])
* [[1월 15일]] - 프랑스의 정치인 [[미셸 드브레]]. (~[[1996년]])
* [[1월 28일]] - 미국의 추상 표현주의 화가 [[잭슨 폴록]]. (~[[1956년]])
=== 2월 ===
* [[2월 6일]] - 독일의 지지자였던 아돌프 히틀러의 부인 [[에바 브라운]]. (~[[1945년]])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시인, 영문학자 [[윤영춘]]. (~[[1978년]])
=== 3월 ===
* [[3월 7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갑수 (법조인)|김갑수]]. (~[[1995년]])
* [[3월 8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임춘추]]. (~[[1988년]])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잠수함 함장 [[요아힘 셰프케]]. (~[[1941년]])
* [[3월 13일]] - 아이티의 작가 [[펠릭스 모리소 레와]]. (~[[1998년]])
* [[3월 27일]] - 영국의 총리 [[제임스 캘러헌]]. (~[[2005년]])
=== 4월 ===
* [[4월 1일]] - 일본의 소설가 [[요시다 겐이치]]. (~[[1977년]])
* [[4월 5일]] - 중화민국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위안자류]].
* [[4월 6일]] - 대한민국의 승려 [[성철]]. (~[[1993년]])
* [[4월 8일]] - 노르웨이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소냐 헤니]]. (~[[1969년]])
* [[4월 1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 (~[[1994년]])
* [[4월 22일]] - 일본의 영화감독 [[신도 가네토]]. (~[[2012년]])
* [[4월 27일]] - 일본제국의 병사 [[아즈마 시로]]. (~[[2006년]])
=== 5월 ===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종교인 [[최태민]]. (~[[1994년]])
* [[5월 25일]] - 대한제국의 황족 [[덕혜옹주]]. (~[[1989년]])
* [[5월 26일]] - 헝가리의 정치인 [[카다르 야노시]]. (~[[1989년]])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민주당 [[한현우]]. (~[[2007년]])
=== 6월 ===
* [[6월 23일]] - 미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 (~[[1954년]])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시인 [[백석]]. (~[[1996년]])
* [[7월 11일]] - 루마니아의 지휘자 [[세르주 첼리비다케]]. (~[[1996년]])
* [[7월 31일]] - 미국의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 (~[[2006년]])
=== 8월 ===
* [[8월 4일]] - 스웨덴의 외교관 [[라울 발렌베리]]. (~[[1947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재곤 (1912년)|김재곤]]. (~[[1994년]])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안춘생]]. (~[[2011년]])
* [[8월 23일]] - 미국의 배우 [[진 켈리]]. (~[[1996년]])
* [[8월 25일]] - 독일의 공산주의 혁명가, 지도자 [[에리히 호네커]]. (~[[1994년]])
* [[8월 26일]] - 영국의 슈퍼센티네리언 [[존 티니스우드]]. (~[[2024년]])
=== 9월 ===
* [[9월 2일]] - 대한민국의 시인 [[노천명]]. (~[[1957년]])
* [[9월 5일]] - 미국의 작곡가 [[존 케이지]]. (~[[1992년]])
* [[9월 14일]] - 미국의 작곡가 [[존 케이지]]. (~[[1992년]])
* [[9월 29일]]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2007년]])
=== 10월 ===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준호 (1912년)|박준호]]. (~[[1997년]])
* [[10월 17일]] - 로마 가톨릭의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1978년]])
* [[10월 18일]] - 이탈리아의 추기경 [[아우렐리오 사바타니]]. (~[[2003년]])
* [[10월 21일]] - 영국의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 (~[[1997년]])
=== 11월 ===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조두남]]. (~[[1984년]])
** 파라과이의 정치인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2006년]])
* [[11월 15일]] - 대한제국의 황족 [[이우]]. (~[[1945년]])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중돈]]. (~[[1985년]])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마라톤 선수 [[남승룡]]. (~[[2001년]])
=== 12월 ===
* [[12월 1일]] - 미국의 건축가, 뉴욕 세계 무역 센터의 설계자 [[미노루 야마사키]]. (~[[1986년]])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최정희]]. (~[[1990년]])
* [[12월 10일]] - 헝가리의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게오르그 숄티]].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시인 [[윤영춘]]. (~[[1978년]])
* [[12월 14일]] - 예비역 영국 해군 상사 출신의 소믈리에 노동업자 [[앨프리드 레논|앨프레드 레논]]. (~[[1976년]])
== 사망 ==
[[파일:Wilbur Wright.jpg|섬네일|120px|윌버 라이트]]
[[파일:Frederic Passy.jpg|섬네일|120px|프레데리크 파시]]
[[파일:Poincare.jpg|섬네일|120px|앙리 푸앵카레]]
[[파일:Jules massenet.jpg|섬네일|120px|쥘 마스네]]
{{분류 참고|1912년 사망}}
* [[5월 30일]] - 미국의 비행기 발명가 [[라이트 형제|윌버 라이트]]. ([[1867년]]~)
* [[6월 12일]] - 프랑스의 정치가 [[프레데리크 파시]]. ([[1822년]]~)
* [[7월 17일]] -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 ([[1854년]]~)
* [[7월 30일]] - 일본의 제122대 천황 [[메이지 천황]]. ([[1852년]]~)
* [[8월 13일]] - 프랑스의 오페라 작곡가 [[쥘 마스네]]. ([[1842년]]~)
== 노벨상 ==
* [[노벨 물리학상|물리학상]] - [[닐스 구스타프 달렌|닐스 구스타프 달렌(스웨덴)]]
* [[노벨 화학상|화학상]] - 빅토르 그리냐르(프랑스), 폴 사바티에(프랑스)
* [[노벨 생리학·의학상|생리학·의학상]] - 알렉시스 카렐(프랑스)
* [[노벨 평화상|평화상]] -엘리후 루트(미국)
* [[노벨 문학상|문학상]] -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독일)
== 달력 ==
{{연간달력|1912}}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3!!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임인]] || 대 || [[2월 18일]] || [[갑자]]
|-
| [[음력 2월|2월]] || [[계묘]] || 소 || [[3월 19일]] || [[갑오]]
|-
| [[음력 3월|3월]] || [[갑진]] || 대 || [[4월 17일]] || [[계해]]
|-
| [[음력 4월|4월]] || [[을사]] || 소 || [[5월 17일]] || [[계사 (간지)|계사]]
|-
| [[음력 5월|5월]] || [[병오]] || 소 || [[6월 15일]] || [[임술]]
|-
| [[음력 6월|6월]] || [[정미]] || 대 || [[7월 14일]] || [[신묘]]
|-
| [[음력 7월|7월]] || [[무신 (간지)|무신]] || 소 || [[8월 13일]] || [[신유]]
|-
| [[음력 8월|8월]] || [[기유]] || 소 || [[9월 11일]] || [[경인]]
|-
| [[음력 9월|9월]] || [[경술]] || 대 || [[10월 10일]] || [[기미]]
|-
| [[음력 10월|10월]] || [[신해]] || 대 || [[11월 9일]] || [[기축]]
|-
| [[음력 11월|11월]] || [[임자]] || 소 || [[12월 9일]] || [[기미]]
|-
| [[음력 12월|12월]] || [[계축]] || 대 || [[1913년]] [[1월 7일]] || [[무자]]
|}
[[분류:1912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23}}
{{기년법|1923}}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5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12년
* [[일본]](日本) [[다이쇼 시대|다이쇼]]({{lang|ja|大正}}) 12년
* [[응우옌 왕조]](阮朝) [[카이딘 (연호)|카이딘]](啓定) 8년
== 기년 ==
* [[응우옌 왕조]](阮朝) [[카이딘 황제|계정제]](啓定帝) 8년
== 사건 ==
* [[1월]] - [[신채호]], <[[조선혁명선언]]> 작성
* [[1월 1일]] - [[남대문역]]을 [[경성역]]으로 개명되었다.
* [[1월 3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분 수습을 위해 상하이에서 [[국민대표회의]] 개최.
* [[1월 5일]] - 임시정부 신임 국무총리로 [[노백린]] 취임
* [[1월 12일]] - [[김상옥 (1890년)|김상옥]]이 [[종로경찰서 폭탄투척 사건|종로경찰서]]에 폭탄 투척
* [[1월 22일]] - 김상옥, 일본 경찰과 접전을 벌이며 저항 끝에 자결.
* [[3월]] - [[천도교소년회]], 소년잡지 <[[어린이 (잡지)|어린이]]> 창간
* [[3월 8일]] - [[삼랑진]]에서 열차가 전복해 60여명의 사상자 발생.
* [[3월 15일]] - [[의열단]] 소속 [[김시현]], [[유석현]] 등이 폭탄을 반입하다 서울에서 체포되었다.
* [[3월 16일]] - [[방정환]], [[윤극영]] 등이 일본 도쿄에서 [[색동회]] 조직
* 4월 - 연희 전문학교 및 세브란스 의학 전문학교 재인가.
* [[4월 19일]] - 최초의 극영화 <[[월하의 맹세]]> 개봉
* [[4월 16일]] - [[이동휘]]가 [[연해주]]에서 일본 경찰과 교전
* [[4월 18일]] - [[미국]], [[뉴욕]]에서 [[양키 스타디움]]이 개장되다.
* [[4월 25일]]
** [[임시의정원]], 임시정부 [[이승만]] 대통령 탄핵안 제출
** [[강상호]] 등이 경남 진주에서 [[형평사]]를 설립
* [[5월]] - [[김규식]], [[이범석]] 등이 만주 연길현에서 [[고려혁명군]] 조직
* [[5월 1일]] - 조선노동자연맹회 주최 [[노동절]] 기념 시위행진이 경찰 당국에 의해 불발
* [[5월 5일]] - 조선총독부, 감옥의 명칭을 '형무소'로 고침
* [[5월 15일]] - 평양 시내 전차 시운전 실시
* [[6월 2일]] - [[김규식]], [[지청천]], [[여운형]] 등이 임시정부를 이탈해 상하이에서 고려공화국을 선포.
* [[6월 11일]] - 경성무선전신국 설치
* [[6월 19일]] - 미국-영국 채무협정 체결. 미국에 대한 영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채무를 46억 달러로 확정하다.
* [[7월 3일]] - 무장 독립단원 150여명이 [[무산]] 농사동삼장주재소 습격, 일본 경찰 4명 사살.
* [[7월 28일]] - [[경성도서관]] 신축 건물이 낙성개관하였다.
* [[8월]] - 조선 전역에 큰 폭우 발생 ([[1923년 대폭우]])
* [[8월 2일]] - [[미국 대통령]] "워런 하딩" 사망 및 "캘빈 쿨리지" 부통령 취임
* [[8월 25일]] - 경성전기, 안국동 선 전차 운전 개시.
* [[9월 1일]] - [[간토 대지진]]: [[지진]]이 [[도쿄]]와 [[요코하마시|요코하마]] 일대를 강타하여 14만여 명이 사망함. 지진 직후의 혼란 속에서 [[한국인|조선인]] 학살 사건, [[가메이도 사건]]도 발생함.
* [[9월 2일]] - 일본 정부가 민심동요 방지를 위해 한국인 폭동 유언비어를 살포.
* [[9월 3일]] - 일본 도쿄에서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 등이 천황 암살기도 혐의로 검거
* [[10월]] - [[김소월]]의 <산유화>가 <[[개벽 (잡지)|개벽]]>에 발표.
* [[10월 11일]] - 전라남도 순천의 소작인이 소작료 불남 결의.
* [[10월 12일]] - [[일제강점기]]: [[마산시]] ~ [[오사카시|오사카]] 간 정기항로 개설.
* [[10월 29일]] - [[튀르키예]] 공화국 성립.
* [[11월 7일]] - [[형평 운동|전국형평사대표자대회]]가 [[대전]]에서 개최.
* [[11월 8일]] - [[아돌프 히틀러|히틀러]], [[뮌헨]] 반란 실패. (~[[11월 9일]])
== 문화 ==
* [[9월 7일]] - [[국제형사경찰기구]]가 설립되었다.
* [[9월 8일]] - [[로건 국제공항]] 개항.
* [[10월 16일]] -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월트 디즈니]]와 그의 형 [[로이 O. 디즈니]]에 의해 설립되었다.
* [[11월 30일]]
** [[평안북도]]청을 [[의주]]에서 [[신의주]]로 이전
** [[대동강인도교]] 준공
* [[12월 1일]] - [[진주선]] [[마산]] ~ [[진주]] 구간이 개통되었다.
== 탄생 ==
{{분류 참고|1923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이탈리아의 배우 [[발렌티나 코르테세]]. (~[[2019년]])
** 미국의 재주 연주자, 작곡가 [[밀트 잭슨]]. (~[[1999년]])
* [[1월 8일]] - 미국의 영화배우 [[래리 스토치]]. (~[[2022년]])
* [[1월 9일]] - 대한민국의 마라톤 선수 [[서윤복]].
* [[1월 15일]] - 중화민국의 총통, [[리덩후이]]. (~[[2020년]])
* [[1월 17일]] - 미국의 중국학자 [[데이비드 니비슨]]. (~[[2014년]])
* [[1월 19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체피로 푸리아시]]. (~[[1974년]])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장도영]]. (~[[2012년]])
** 대한민국의 극작자 [[한운사]]. (~[[2009년]])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안상민. (~[[2015년]])
=== 2월 ===
* [[2월 2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레드 쇼인딘스트]]. (~[[2018년]])
* [[2월 13일]] - 미국의 군인 [[척 예거]]. (~[[2020년]])
* [[2월 15일]] - 소련과 러시아의 활동가, 인권 운동가 [[옐레나 본네르]]. (~[[2011년]])
* [[2월 17일]] - 북한의 정치인 [[황장엽]] (~[[2010년]])
* [[2월 18일]] - 한국의 전 군인 [[백인엽]] (~[[2013년]])
=== 3월 ===
* [[3월 3일]] - 미국의 음악인 [[독 왓슨]]. (~[[2012년]])
* [[3월 10일]] - 미국의 대학 교수 [[조지 린드벡]]. (~[[2018년]])
* [[3월 12일]] - 미국의 사회운동가, 여성운동가 [[클라라 프레이저]]. (~[[1998년]])
* [[3월 14일]] - 미국의 사진 작가 [[다이안 아버스]]. (~[[1971년]])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영두 (1923년)|최영두]]. (~[[1970년]])
* [[3월 22일]] - 프랑스의 마임 배우 [[마르셀 마르소]]. (~[[2007년]])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기업인 [[박원석 (1923년)|박원석]]. (~[[2015년]])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재승]]. (~[[2015년]])
* [[4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민도]]. (~[[2023년]])
* [[4월 5일]] - 독일 출신의 지식인, 정치활동가 [[에르네스트 만델]]. (~[[1995년]])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진규 (배우)|김진규]]. (~[[1998년]])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 [[길재호]]. (~[[1985년]])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교육 출신 정치인 [[김임식]]. (~[[2010년]])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홍우준]]. (~[[2018년]])
* [[4월 25일]] - 미국의 블루스 기타리스트 [[알버트 킹]]. (~[[1992년]])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양훈 (희극인)|양훈]]. (~[[1998년]])
* [[4월 29일]] - 미국의 영화감독 [[어빈 커슈너]]. (~[[2010년]])
=== 5월 ===
* [[5월 10일]]
** 구 소련의 정치인 [[헤이다르 알리예프]]. (~[[2003년]])
** 독일의 법학자 [[아르투어 카우프만]] . (~[[2001년]])
* [[5월 11일]] - 미국의 수학자 [[에우제니오 칼라비]]. (~[[2023년]])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박창암]]. (~[[2003년]])
* [[5월 16일]] - 미국의 경제학자 [[머턴 밀러]]. (~[[2000년]])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류찬우]]. (~[[1999년]])
* [[5월 24일]] - 일본의 영화감독 [[스즈키 세이준]]. (~[[2017년]])
* [[5월 27일]] - 독일 태생 미국의 외교관, 정치인 [[헨리 키신저]]. (~[[2023년]])
* [[5월 28일]]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리게티 죄르지]]. (~[[2006년]])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김영욱 (1923년)|김영욱]]. (~[[2005년]])
* [[5월 31일]] - 모나코의 군주 [[레니에 3세]]. (~[[2005년]])
=== 6월 ===
* [[6월 2일]] - 미국의 수학자, 경제학자 [[로이드 섀플리]]. (~[[2016년]])
* [[6월 4일]] - 일본의 황족 [[다카히토 친왕비 유리코]]. (~[[2024년]])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김계원]]. (~[[2016년]])
=== 7월 ===
* [[7월 2일]] - 폴란드의 시인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2012년]])
* [[7월 4일]] -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권옥연]].
* [[7월 6일]]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전진 (1923년)|전진]]. (~[[2012년]])
** 프랑스의 성매매 포주 [[마담 클로드]]. (~[[2015년]])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교수 [[권이혁]]. (~[[2020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갑 (희극인)|김희갑]]. (~[[1993년]])
* [[7월 19일]] - 일본의 가수 [[미나미 하루오]]. (~[[2001년]])
* [[7월 21일]] - 미국의 화학자 [[루돌프 마커스]].
* [[7월 22일]] - 미국의 정치인 [[밥 돌]]. (~[[2021년]])
* [[7월 28일]] - 일본의 정치인 [[와타나베 미치오]]. (~[[1995년]])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기독교 페미니스트 겸 노동운동가 [[이우정 (1923년)|이우정]]. (~[[2002년]])
* [[8월 2일]] - 이스라엘의 정치인 [[시몬 페레스]]. (~[[2016년]])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건설기술인 [[김동한 (건설기술인)|김동한]]. (~[[2010년]])
=== 9월 ===
* [[9월 2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종환 (1923년)|김종환]]. (~[[2022년]])
** 프랑스의 수학자, 필즈 메달 수상자 [[르네 톰]]. (~[[2002년]])
* [[9월 8일]] - 러시아의 시인 [[라술 감자토프]]. (~[[2003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군인 [[이철희]]. (~[[2014년]])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득명]]. (~[[2009년]])
* [[9월 16일]] - 싱가포르의 정치인 [[리콴유]]. (~[[2015년]])
* [[9월 18일]] - 루마니아 왕국 [[미하이 1세]]의 왕비 [[루마니아의 안]]. (~[[2016년]])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태수 (1923년)|정태수]]. (~[[2018년]])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승복 (1923년)|이승복]]. (~[[2017년]])
** 미국의 수학자 [[라울 보트]]. (~[[2005년]])
** 중화민국의 정치인 [[리위안추]]. (~[[2017년]])
=== 10월 ===
* [[10월 4일]] - 미국의 영화배우 [[찰턴 헤스턴]]. (~[[2008년]])
* [[10월 5일]] - 영국의 배우, 댄서 [[글리니스 존스]]. (~[[2024년]])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문봉]]. (~[[1988년]])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시인, 전 정치인 [[정한모]]. (~[[1991년]])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신학자 [[이근삼 (신학자)|이근삼]]. (~[[2007년]])
=== 11월 ===
* [[11월 20일]]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작가 [[네이딘 고디머]]. (~[[2014년]])
* [[11월 28일]] - 미국의 배우, 가수 [[글로리아 그레이엄]]. (~[[1981년]])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조남철 (바둑 기사)|조남철]]. (~[[2006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재순 (정치인)|김재순]]. (~[[2016년]])
=== 12월 ===
* [[12월 2일]]
** 그리스의 소프라노 성악가 [[마리아 칼라스]]. (~[[1977년]])
** 소비에트 연방 및 러시아의 경제학자이자 정치가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야코블레프]]. (~[[2005년]])
* [[12월 12일]] - 미국의 방송인 [[밥 바커]]. (~[[2023년]])
* [[12월 15일]] - 영국 태생 미국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 (~[[2020년]])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김상홍]]. (~[[2010년]])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화학자, 대학교수 장세현. (~[[2024년]])
* [[12월 26일]] - 독일 태생의 이스라엘계 미국인 피아니스트 [[필리프 솔레르스]]. (~[[2023년]])
== 사망 ==
[[파일:Sarah Bernhardt, par Nadar, 1864.jpg|섬네일|120px|사라 베르나르]]
[[파일:Warren G Harding-Harris & Ewing.jpg|섬네일|120px|워런 G. 하딩]]
{{분류 참고|1923년 사망}}
* [[1월 3일]] - 체코 작가 [[야로슬라프 하셰크]]. ([[1883년]]~)
* [[1월 22일]] - 한국 독립운동가 [[김상옥 (1890년)|김상옥]]. ([[1890년]]~)
* [[3월 26일]] - [[사라 베르나르]], 프랑스 연극 배우. ([[1844년]]~)
* [[4월 20일]] - 미국의 발명가 [[쉴러 휠러]] ([[1860년]]~)
* [[8월 2일]] - 미국의 제 29대 대통령 [[워런 G. 하딩]]. ([[1865년]]~)
* [[8월 19일]] -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 ([[1848년]]~)
* [[12월 6일]] - 독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자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 ([[1842년]]~)
== 노벨상 ==
* '''문학상''': [[윌리엄 예이츠]].
* '''물리학상''':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
== 달력 ==
{{연간달력|1923}}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갑인]] || 소 || [[2월 16일]] || [[경신]]
|-
| [[음력 2월|2월]] || [[을묘]] || 대 || [[3월 17일]] || [[기축]]
|-
| [[음력 3월|3월]] || [[병진 (간지)|병진]] || 대 || [[4월 16일]] || [[기미]]
|-
| [[음력 4월|4월]] || [[정사 (간지)|정사]] || 소 || [[5월 16일]] || [[기축]]
|-
| [[음력 5월|5월]] || [[무오]] || 대 || [[6월 14일]] || [[무오]]
|-
| [[음력 6월|6월]] || [[기미]] || 소 || [[7월 14일]] || [[무자]]
|-
| [[음력 7월|7월]] || [[경신]] || 대 || [[8월 12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8월|8월]] || [[신유]] || 소 || [[9월 11일]] || [[정해]]
|-
| [[음력 9월|9월]] || [[임술]] || 대 || [[10월 10일]] || [[병진 (간지)|병진]]
|-
| [[음력 10월|10월]] || [[계해]] || 소 || [[11월 9일]] || [[병술]]
|-
| [[음력 11월|11월]] || [[갑자]] || 소 || [[12월 8일]] || [[을묘]]
|-
| [[음력 12월|12월]] || [[을축]] || 대 || [[1924년]] [[1월 6일]] || [[갑신]]
|}
[[분류:1923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아르테미스 계획|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달 탐사 계획}}
{{신 정보
|분류 = 그리스
|이름 = 아르테미스<br />{{lang|el|Ἄρτεμις}}
|그림2 = Diane de Versailles - Musée du Louvre AGER Ma 589.jpg
|그림크기 =
|그림툴팁 =
|그림설명2 = 〈[[베르사유의 디아나]]〉<br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 [[레오카레스]](기원전 4세기)의 조각의 [[로마 미술|로마 시대]] 복제품<br />([[루브르 박물관]])
|그림 = EfesMuseumArtemis.jpg
|그림크기2 =
|그림툴팁2 =
|그림설명 = [[에페소스]] [[아르테미스 신전]]의 아르테미스 상
|유형 = '''사냥 · 동물 · 숲 · 처녀성 · 달 · 풍요의 여신'''
|그룹 = 여신<br />[[올림포스 12신]](도데카테온)
|거주처 =
|상징 = <div>{{개행 금지 시작}}<!----
---->활{{·w}} <!----
---->화살{{·w}} <!----
---->수사슴{{·w}} <!----
---->사냥개{{·w}} <!----
---->달
{{개행 금지 끝}}</div>
|배우자 =
|부모 = [[제우스]]와 [[레토]]
|형제자매 = [[아폴론]]
|자녀 =
|탈것 =
|로마신화 = [[디아나]]
}}
'''아르테미스'''({{llang|grc|Ἄρτεμις}}, Artemi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달]]과 사냥·야생동물·처녀성의 [[여신]]이다. [[로마 신화]]에 나오는 '''[[디아나|다이애나]]'''({{llang|la|Diana}})와 동일시된다. [[제우스]]와 [[레토]]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자 [[아폴론]]의 누나이다(아르테미스가 먼저 태어난 후 레토를 도와 두 번째 쌍둥이인 아폴로를 낳는다). [[올림포스의 12신]]의 두 번째 세대에 속한다. [[곰]]과 [[사슴과|사슴]], 활과 화살, 초승달이 대표적 상징물이다.
몸종들과 함께 숲 속에서 [[사냥]]을 하며 돌아다니는 야생적인 처녀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달]]이 비칠 때 그 모습이 나타나는데 그때는 산짐승과 초목이 춤을 춘다고 한다. 아폴론과 마찬가지로 [[활]]을 무기로 들고다니며 그녀의 화살은 순식간에 목숨을 앗아가므로 희생물에게 아무런 고통도 주지 않는다고 한다. 성격이 매우 잔인하고 복수심이 강해서 그녀의 진노에 의해 희생된 사람이 허다하다.
== 신화 ==
=== 탄생 ===
[[헤라]]는 [[레토]]가 임신한 쌍둥이들이 아버지인 [[제우스]] 다음가는 권력을 누리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자 큰 뱀 [[피톤]]에게 레토를 끊임없이 쫓아다니면서 햇빛이 닿는 곳 어디에서도 그의 해산을 어떻게든 막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출산이 임박하자 레토는 곤경에 처했다. 헤라의 저주를 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어느 곳도 레토를 받아주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레토는 해산할 장소를 찾아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다가 마침내 오르티기아 섬에 당도하였다. 레토가 발을 디디자마자 [[포세이돈]]이 섬 위로 파도를 솟구치게 하여 햇빛을 막아주었다. 헤라의 출산 금지령에 어긋나지 않자 레토는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을 수 있었다.
=== 유년기 ===
아르테미스는 3살이 되자 아버지 제우스에게 선물을 달라고 졸랐는데, 그 선물은 다름 아닌 영원한 처녀성이었다. 그녀는 제우스에게 평생 자신이 처녀로 남을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밖에도 아르테미스는 [[크레타]] 섬에서 9살 된 시녀들을 골랐으며, 또 키클롭스를 찾아가 활과 화살을 받았다. 아르테미스는 성능을 시험해보고자 화살을 쏘아보았는데, 첫 번째 화살과 두 번째 화살은 나무에 맞았고, 세 번째 화살은 짐승에 맞았으며, 네 번째 화살은 부정한 자들의 도시에 떨어졌다고 한다.
=== 니오베 ===
행복한 삶을 살았지만 겸손함이 없었던 [[테베 (실리시아)|테베]]의 왕비 [[니오베]]는 "[[레토]]는 훌륭한 자식을 2명밖에 낳지 못했지만, 자신은 훌륭한 자식을 14명이나 낳았다."고 뽐내고 다녔다. 이에 진노한 [[레토]]는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에게 [[니오베]]에게 벌을 내리라고 말했다.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은 각각 그녀의 딸 7명과 아들 7명을 모두 활로 쏘아 죽였는데, 아폴론이 7 아들을 죽이고, 아르테미스가 남은 딸을 죽였는데, 슬픔을 이기지 못한 남편 [[암피온]]은 [[자살]]하였고, [[니오베]]는 계속 한 곳에서 흐느끼다 바위로 변해버렸다.
=== 칼리스토 ===
[[파일:Tizian 015 (2).jpg|섬네일|270px|오른쪽|아르테미스와 칼리스토]]
아르테미스를 섬기는 [[칼리스토 (신화)|칼리스토]]에게 눈독을 들인 제우스는 그녀를 유혹하기 위해 아르테미스로 변신하여 그녀와 동침하였다. 얼마 후 칼리스토는 임신하여 배가 볼록해졌고, 이를 눈치챈 아르테미스는 처녀성을 지키겠다는 자신과의 서약을 지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쫓아 내었다. 그 이후, 헤라가 그 사실을 알게되자, [[곰]]으로 모습을 바꾸는 벌을 내렸다. 곰이 된 칼리스토는 아르카스라는 아들을 낳은 후 숲에서 홀로 지냈는데, 어느 날 장성한 아들과 마주치게 되었다. 한눈에 아들을 알아본 그녀가 아들한테 다가갔지만, 어머니를 몰라본 아들은 겁에 잔뜩 질려 화살을 쏘아 죽이려고 하였다. 이를 본 제우스는 동정심을 느껴 아들을 곰으로 변하게 한 다음 어머니와 아들을 함께 [[우주]]로 올려보내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로 만들어주었다.
=== 악타이온 ===
[[악타이온]]이라는 이름의 사냥꾼이 친구들과 숲 속에서 한창 사냥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우연히 근처의 동굴 속 연못에서 아르테미스가 목욕을 하고 있는 모습을 목격하게 되었고, 이에 분노한 아르테미스는 자신의 몸을 본 악타이온에게 물을 뿌려 [[사슴]]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러자 악타이온이 데리고 온 사냥개들이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사냥감인 줄 착각하고 달려들었다. 계속 사냥개들을 피해 달아나다 지친 악타이온은 결국 사냥개들에게 붙잡혀 찢겨 죽고 말았다.
=== 오리온 ===
[[파일:Houdon-diana4.jpg|섬네일|140px|다이아나 청동상, 진-안토인 후든 (1741-1828)]]
아르테미스는 자기 못지않은 뛰어난 사냥꾼인 포세이돈의 아들 오리온과 함께 사냥하러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했다. 이를 보던 아폴론은 아르테미스가 오리온에게 반하여 처녀로 살겠다는 맹세를 저버릴지 모른다고 우려하였다. 그러던 중 멀리서 오리온이 머리만 내민 채 수영하는 것을 보고, 아르테미스에게 저 멀리 파도에 떠다니는 저것을 한번 쏘아 맞추어보라고 말했다. 그것이 오리온인지 몰랐던 아르테미스는 활을 겨누어 오리온을 쏘아 죽여버렸다. 뒤늦게 사실을 깨달은 아르테미스는 아폴론의 아들이자 후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게 되는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오리온을 살려달라고 애원했으나, 제우스가 이를 가로막았다. 그래서 아르테미스는 [[오리온]]의 시신을 [[우주]]로 올려보내 [[오리온자리]]로 만들어주었다.
=== 신약성서의 사도행전 ===
고대 [[에베소]] 주민들은 아르테미스를 [[유방]]이 가득한 [[여신]]으로 묘사할 정도로 풍요의 신으로 숭배했다. 데메드리오라는 은장이가 아르테미스 신앙을 이용하여 아르테미스 [[사원|신전]]모형을 만들어 팔았는데, "사람이 만든 것은 신이 아니다"라는 사도 [[사도 파울로스|바울]]의 [[설교]]를 들은 주민들은 더 이상 신전모형을 사지 않았다. 데메드리오는 직공들과 은장이들을 선동하여 바울의 제자들을 끌고 극장안에 들어갔으며, 격분하여 이성을 잃은 이들은 모임을 2시간이나 계속하였다. 바울은 이들을 진정시키려 했으나, 제자들과 [[소아시아]]의 고관들이 말려서 [[극장]]안에 들어가지는 못했다. [[지방 관청|시청]] 서기관은 은장이들에게 "여러분의 모임이 [[소요죄]]로 처벌될 수 있으므로,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면 [[법원]]과 [[로마 제국|로마제국]]의 [[총독]]들에게 [[고소]]하십시오.아데미 여신을 모독한 것도 아니고, 신전 물건을 [[절도]]한 것도 아닌데 이 사람들을 끌고온 것은 경솔한 행동입니다."라고 설득해서 해산시켰다.([[사도 행전|사도행전]] 19장 23절에서 41절,새번역을 인용함) 한글성서의 새번역성서와 개역개정판 성서에서는 아데미라고 음역했다.
== 같이 보기 ==
* [[아폴론]]
* [[그리스 신화]]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두피디아|101013000701899}}
* {{언어링크|en}} [http://www.theoi.com/Olympios/Artemis.html Theoi Project, Artemis, information on Artemis from original Greek and Roman sources, images from classical art].
* {{언어링크|en}} [http://www.crystalrivers.com/prayers/artemis.html Hymn To Artemis - The Virgin Goddess of the Hunt]
* {{언어링크|en}} [http://www.perseus.tufts.edu/cgi-bin/ptext?doc=Perseus:text:1999.04.0063&query=label%3D%23290&word=Amarysia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eds. G. E. Marindin, William Smith, LLD, William Wayte)]
{{그리스 신들}}
<!-- 야생동물 -->
{{전거 통제}}
[[분류:아르테미스| ]]
[[분류:그리스의 여신]]
[[분류:풍요의 신]]
[[분류:동물의 여신]]
[[분류:사냥의 여신]]
[[분류:달의 여신]]
[[분류:올림포스 12신]]
[[분류:제우스의 자식]]
[[분류:기독교의 악마]]
[[분류:처녀신]]
[[분류:그리스 신화의 처녀신]]
[[분류:신성한 쌍둥이]]
[[분류:고양이의 여신]]
[[분류:개의 여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3-5-24}}
{{다른 뜻}}
[[파일:Ares Canope Villa Adriana b.jpg|섬네일|하드리아누스의 빌라에 있는 그리스 원본을 모방한 로마 조각상의 주조물이다. 전통적으로 아레스로 식별되었다.]]
'''아레스'''({{llang|el|'''Άρης'''}}, {{llang|en|Are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전쟁의 남신이다. [[로마 신화]]의 [[마르스]]와 동일시된다. [[제우스]]와 [[헤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며 [[헤파이스토스]]와는 형제지간이다. [[올림포스의 12신]]의 두 번째 세대 <제우스의 차남>에 속한다. 창, 칼, 방패, 놋쇠 갑옷, 전차, 독수리가 대표적 상징물이다.
같은 전쟁신이자 이복누나인 [[아테나]]가 전략과 방어를 중시하는 것과는 반대로 전쟁의 광란과 학살, 파괴적인 측면을 상징하였는데, 호전적인 성격과 사나운 성미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신들로부터 미움을 받았다. 전투가 벌어지는 곳마다 네 마리의 군마가 끄는 전차를 타며 나타나 무시무시한 소리를 질러 적군을 두려움에 떨게 하였다.
아레스는 본래 [[트라키아]] 지방에서 숭배되었던 남신으로 전해지며, 그리스의 일부 북부 지역에서만 숭배되었다. [[스파르타]]에서는 중요한 주신으로 숭배되어 초기에는 전쟁 포로를 아레스에게 제물로 바치기도 하였으며, [[라코니아]]의 [[게론트라이]]에서 열린 그의 축제 기간에는 여자들이 신성한 숲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이와 반면에 [[테게아]]의 여자들은 그를 기나이코토이나스(Gynaikothoinas)라 칭하여 제물을 바치고 찬양하였다. 아테네에서는 아레오파고스 기슭에 아레스에게 봉헌된 신전이 있었다.
= 특징 및 애정 =
모든 신들은 그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부모인 제우스와 헤라, 이복 동생 영웅 헤라클레스(친누이 헤베의 남편) 역시 그를 싫어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의 애인이었던 아프로디테와 불화의 여신인 에리스, 그의 숙부이자 지하 세계의 왕 하데스는 그를 좋아했다고 한다.
== 신화 ==
=== 아프로디테 ===
[[파일:Venus and Mars.jpg|섬네일|오른쪽|250px|비너스와 마르스, [[보티첼리]]]]
호전적인 성격임에도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아레스는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사랑을 받았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 함께 그녀의 남편인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를 피해 자주 밀회를 즐겼다. 한번은 사랑을 나누던 중 헤파이스토스가 미리 설치한 그물에 걸려 다른 신들로부터 망신을 당하였는데, 이런 일이 있은 후에도 계속 교제를 하였다. 서로에 대한 관리도 철저하였는데, 아프로디테가 [[아도니스]]에게 반하자 아레스는 멧돼지로 변하여 그를 받아 죽이고, 아프로디테는 [[에오스]]가 아레스를 사랑하는 것을 알게 되자 그녀가 사랑하게 되는 인간은 모두 죽는 저주를 내린다.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공포를 뜻하는 [[포보스 (신화)|포보스]]와 두려움을 뜻하는 [[데이모스 (신화)|데이모스]], [[에로스]], [[하르모니아]]를 낳았다. 에로스는 아프로디테와 에로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후에 추가된 것이라고도 한다.
=== 전쟁의 동행 ===
아레스는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낳은 쌍둥이 형제인 포보스와 데이모스를 전쟁터로 데리고 다니며 살육을 할 때마다 적군에게 공포심을 심어주었다. 불화의 신 [[에리스 (신화)|에리스]]와 그의 자식들, 전쟁의 신 에니오, 죽음의 신들 케레스도 이들과 함께 전쟁터를 돌아다녔다.
=== 아레스의 언덕 ===
아레스는 [[고대 아테네|아테네]]의 왕 [[케크로프스]]의 딸 [[아글라우로스]] 사이에서 낳은 딸 [[알키페]]를 [[포세이돈]]의 아들 할리로티오스가 겁탈하자 그를 때려 죽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포세이돈이 아레스를 고소하여 이해당사자들을 제외한 올림포스 신들로 구성된 재판이 열리게 되었고, 논의 결과 증거 불충분을 이유로 아레스에게 무죄가 선포되었다. 그 뒤 이 재판을 기념하기 위해 재판이 열린 언덕을 아레스의 언덕이라는 뜻의 [[아레이오스 파고스]]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종교와 살인에 관한 범죄를 심판하기 위한 법정을 아레이오스 파고스에서 열었다. 오늘날에도 그리스의 최고 법원을 아레이오스 파고스라고 부른다.<ref>{{서적 인용|url=|제목=그리스 신화의 이해|저자=이진성|이름=|날짜=2010-08-31|판=개정|출판사=아카넷|위치=서울|쪽=218|isbn=9788957331880|확인날짜=}}</ref>
=== 일리아스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동료 신들과 심지어 부모조차도 아레스를 좋아하지 않았다 전하며 그를 미치광이, 악의 화신, 파괴자, 피투성이의 살인마로 묘사한다. 서사시에서 수록된 트로이 전쟁에서 신들은 이해관계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투에 개입하였는데, 아레스는 정의와 명분, 특별히 정해진 진영이 없이 잔인한 전투를 즐기며 많은 살육을 하고자 하였다. 그러던 중 트로이의 편에 서게 된 아레스에게 그리스군이 고전하자, 그리스의 편에 서있던 아테나는 역시 같은 편인 헤라의 명령으로 [[트로이의 디오메데스|디오메데스]]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어 그가 창으로 아레스의 복부에 상처를 입히도록 한다. 제우스는 아레스가 부상을 당한 채 큰 소리로 울며 돌아오자 이렇게 호통을 친다. "이 변절자야, 나는 올림포스의 신 중 네가 가장 밉다. 너는 전쟁과 싸움 밖에는 모르는구나." 더구나 아테나 역시 이복남동생인 아레스에게 이렇게 말했다. "넌 포악하고 사나워서 가까이 하기 어렵구나. 그 형님이신 헤파이스토스가 모든 면에서 차라리 낫다."
== 같이 보기 ==
* [[그리스 신들의 가계도]]
* [[안토니노스 리베랄리스]]
* [[비블리오테케]]
* [[티모시 간츠]]
* [[헤시오도스]]
* [[호메로스]]
*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
* [[논노스]]
* [[파우사니아스 (지리학자)]]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줄|Ares (god)}}
{{그리스 신들}}
{{전거 통제}}
<!--격분, 증오, 유혈-->
[[분류:아레스| ]]
[[분류:그리스의 남신]]
[[분류:전쟁의 남신]]
[[분류:감정의 신]]
[[분류:불화의 신]]
[[분류:올림포스 12신]]
[[분류:화성의 신]]
[[분류:제우스의 자식]]
[[분류:헤라의 자식]]
[[분류:아프로디테의 배우자]]
[[분류:행성의 남신]]
[[분류:개의 남신]]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관직
|국가 = 대한민국
|명칭 = 서울특별시장
|원어명 =
|문장 =
|문장크기 =
|문장설명 =
|현직그림 = Seoul mayor Oh-Se Hoon.jpg
|현직그림크기 = 185px
|현직 = [[오세훈]]
|취임일 = 2021년 4월 8일
|호칭 =
|관저 =
|지명자 =
|지명자직책 =
|임명자 =
|임명자직책 =
|임기 = 4년
|초대 = [[김형민 (1909년)|김형민]]
|성립 = 1946년 9월 28일
|마지막 =
|폐지 =
|부관 =
|부관직책 =
|법정계승자 =
|법정계승자작위 =
|봉급 =
|웹사이트 = https://mayor.seoul.go.kr/app/index.do
}}
'''서울특별시장'''(首都特別市長)은 [[서울특별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다.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은 차관급 대우만 받지만, 서울특별시장은 유일하게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다만 윤치영 전 시장은 특별히 총리급 대우를 받기도 하였다. 또한 서울특별시장은 정부 지휘 없이 독자적 예산 편성과 일부 세금 조달 등 행정 명령 독자 행사 권한이 있다. 현재 서울특별시장은 [[오세훈]]이다.
== 역대 시장 ==
=== 경기도 경성부윤 ===
{| class="wikitable"
|-
!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rowspan=6 | 관선
| 초대<ref group="주">공식명칭은 "경성부윤"이다.</ref>
| [[김창영 (1890년)|김창영]](金昌永)
| 1945년 8월 15일~1945년 9월 11일
|
|-
| 2대
| 제임스 S. 킬러프 <br/> (James S. Killough)
|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
[[미군정]] 최고사령관 [[존 하지]]에 의해 임명, 현역 미국 육군 소령
|-
| 대리
| [[김창영 (1890년)|김창영]](金昌永)
| 1945년 9월 12일~1945년 10월 24일
|
|-
| 3대
| [[이범승]](李範昇)
| 1945년 10월 25일~1946년 5월 9일
|
|-
| 대리
| [[김성환 (1910년)|김성환]](金聖煥)
| 1946년 5월 9일~1946년 6월 27일
| 총무부장으로 임시 대리
|-
| 4대
| [[김형민 (1909년)|김형민]](金炯敏)
| 1946년 5월 10일~1946년 9월 27일
| * 한성시장(漢城市長)이라는 명칭도 같이 사용하였다.
|}
=== 서울특별자유시장 ===
{| class="wikitable"
|-
!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rowspan=3 | 관선
| 초대<ref group="주">서울시가 경기도에서 독립한 이후</ref>
| [[김형민 (1909년)|김형민]](金炯敏)
| 1946년 9월 28일<ref>[http://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2/06/005000000200206132310995.html 역대 서울시장의 면면과 화제]{{깨진 링크|url=http://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2/06/005000000200206132310995.html }} 《한겨레》 2002년 6월 13일</ref><ref>[http://www.history.go.kr/openUrl.jsp?ID=dh_002_1946_06_21_0060 자료대한민국사 (국사편찬위원회)]{{깨진 링크|url=http://www.history.go.kr/openUrl.jsp?ID=dh_002_1946_06_21_0060 }} 에 의하면 1946년 7월 29일이다.</ref>~1948년 12월 14일
|
* 전재민 수용계획 수립추진
* 남산동 일본인 여관 13동을 수용소로 활용
* 요정, 사찰, 빈집 등을 개방하여 전재민 수용
|-
| 2대
| [[윤보선]](尹潽善)
| 1948년 12월 15일~1949년 6월 5일
|
* 문맹퇴치를 위하여 9개 초등학교 신설, 동회에 국문보급반 편성 운영
* 관혼상제의 허례허식 타파를 위해 신생활운동 전개
* 식량배급 행정을 본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유령인구와 매점매석 단속
|-
| 3대
| [[이기붕]](李起鵬)
| 1949년 6월 6일~1949년 8월 14일
|
* [[한국전쟁]]으로 부산에 서울특별시 부산행정청을 설치하여 피난온 서울시민 구호업무
* 3,000명의 걸인을 수용하기 위해 9개의 무료숙박소 설치 운영
* 1949년 8월 처음으로 운수업자를 지정, 105대의 버스운영(요금 80원)
|}
=== 서울특별시장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 style="text-align:right"|구분: {{범례2|#CC3333|[[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주의 정당]]|border=1px solid #000}} {{범례2|#0066CC|[[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민주당계 정당]]|border=1px solid #000}} {{범례2|#808080|[[무소속]]|border=1px solid #000}}
|-
! width="27px" | 선출 방식
!
! width="55px" | 대수
! width="90px" | 이름
! width="235px" | 임기
! width="95px" | 정당
! 비고
|-
| rowspan=11 | 관선
|
| 4대
| [[이기붕]](李起鵬)
| 1949년 8월 15일~1951년 5월 7일
|
|
* [[6.25 전쟁]]으로 피란하는 서울시민 구호 업무를 위하여 [[부산]]에 서울특별시 부산행정청 설치
* 3,000명의 걸인을 수용하고자 9개의 무료숙박소 설치 운영
* 1949년 8월 처음으로 운수업자를 지정, 105대의 버스운영(요금 80원)
|-
|
| -
| [[전예용]](全禮鎔)
| 1951년 5월 8일~1951년 6월 26일
|
|
* 권한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
|
| 5대
| [[김태선]](金泰善)
| 1951년 6월 27일~1952년 7월 23일
|
|
|-
|
| -
| [[이익흥]](李益興)
| 1952년 7월 24일~1952년 8월 28일
|
|
* 권한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
|
| 6대
| [[김태선]](金泰善)
| 1952년 8월 29일~1956년 7월 5일
|
|
|-
|
| 7대
| 고재봉(高在鳳)
| 1956년 7월 6일~1957년 12월 13일
|
|
* 시립병원 등 6개 병원과 보건소의 시설 개선
* 식수난 해결을 위해 공동정호 100개소 신설
* 상수도 7만t 증산계획을 국고보조로 시행
|-
|
| 8대
| [[허정]](許政)
| 1957년 12월 14일~1959년 6월 11일
|
|
* 우회도로 정비 및 보도의 대대적인 포장 실시
* 주택난 해소를 위해 120만평의 미아리지구 택지조성 방안 마련
* 시립종합병원과 보건소 개방, 방역 위생사업소 운영, 마장동 도축장 완공
|-
|
| 9대
| [[임흥순]](任興淳)
| 1959년 6월 12일~1960년 5월 2일
|
|
* 청계천 암거공사와 용산구∼성동구∼동대문구∼성북구 ∼의정부간 순환도로 추진
* [[1960년 AFC 아시안컵|1960년 아시아 축구대회]] 대비 효창운동장에 축구장 개설
* 4개 보건소 청사 신축 및 공중변소 공동우물, 공중목욕탕 증설
|-
|
| 10대
| [[장기영 (1903년)|장기영]](張基永)
| 1960년 5월 3일~1960년 6월 30일
|
|
* 중부병원을 일반병원으로 활용하고, 부속 결핵요양소 신설
* 23개동의 오물수거 지역확장 및 50개소의 공동우물 설치
* 노동회관을 보건복지부로부터 인수운영
|-
|
| -
| 정종철(鄭鍾哲)
| 1960년 7월 1일~1960년 10월 8일
|
|
* 직무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
|
| -
| 김주흥(金柱興)
| 1960년 10월 8일~1960년 12월 29일
|
|
* 직무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
| 민선
| style="background:#0066CC"|
| 11대
| [[김상돈]](金相敦)
| 1960년 12월 30일~1961년 5월 19일
|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민주당]]
|
*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
* 건전재정을 도모하고, 부정에 일벌백계를 실시함으로써 공직기강확립
* 도심지 교통량 분산, 각종 공장과 창고의 교외이전 정책 추진
* [[5·16 군사 정변]]으로 [[장면]] 내각 퇴진과 함께 사직
|-
| rowspan=19 | 관선
|
| 12대
| [[윤태일 (1918년)|윤태일]](尹泰日)
| 1961년 5월 20일~1963년 12월 16일
|
|
* 현역 군인 신분의 서울특별시장
* 1962년 2월 서울특별시행정에관한특별조치법이 제정됨에 따라 중앙관장사무가 대폭이양되고, 행정기구의 대폭적인 개편실시
* 인구 500만을 기준으로 한 도시계획사업추진
* 교외지역 발전에 중점을 두고 상하수도 완비 등 사회기반시설 확충
|-
|
| 13대
| [[윤치영]](尹致暎)
| 1963년 12월 17일~1966년 3월 30일
|
|
* 구로, 숭인, 은평, 뚝섬 등 4개지구 4천만평에 대한 도시계획 수립
* 제2한강교(양화대교) 준공 (1965년 1월 25일), 제3한강교(한남대교) 착공
* 서울시 최초의 장기계획인 시정10개년 계획 수립
|-
|
| 14대
| [[김현옥]](金玄玉)
| 1966년 3월 31일~1970년 4월 15일
|
|
* 세종로, 명동 등 지하도 개설, 자동차 전용 입체고가도로 건설 및 주요 간선도로 확장 포장
* 세운상가, 파고다 아케이드, 낙원상가 등 도심재개발 사업 추진
* 한강개발사업, 남산1 2호 터널 개통, 400여동의 시민아파트 건설
* 영동1 2지구, 화양 망우지구, 시흥 신림지구 등 대규모 구획정리사업 추진
|-
|
| 15대
| [[양택식]](梁鐸植)
| 1970년 4월 16일~1974년 9월 1일
|
|
* 20년간의 도시기본계획 수립, 계획구역내 6개 지역지구에 대한 건축제한 방침을 정하는 장기계획 수립
* 영동지구 구획정리사업 등 기본계획 확정
* 무허가 건물 정리 10개년 계획 및 인구 분산계획 수립
* 지하철 1호선 건설
|-
|
| 16대
| [[구자춘]](具滋春)
| 1974년 9월 2일~1978년 12월 21일
|
|
* 도시새마을 운동의 약진과 함께 서민주택 건설, 서민생활 보호 등 서민생활 보호를 위한 시책 추진
* 도시건설의 내실화를 위해 도시기간시설 설치
* 각종 생활환경시설의 확충 및 불량지구 재개발 등 추진
|-
|
| 17대
| [[정상천]](鄭相千)
| 1978년 12월 22일~1980년 9월 1일
|
|
* 도시의 기능 시설을 배치하여 능률을 제고하고 가로 구조물을 정비
* 청소행정의 혁신, 도시가스시설 확충 및 의료보험의 확대 등 서민생활안정 종합대책 추진
* 영세민 취업을 위한 직업알선센터 운영, 에너지 10%절약운동으로 제2의 석유파동 대처
|-
|
| 18대
| [[박영수 (1928년)|박영수]](朴英秀)
| 1980년 9월 2일~1982년 4월 27일
|
|
* 올림픽유치단장으로 바덴바덴 IOC총회에 참석하여 [[1988년 하계 올림픽|88서울 올림픽]] 유치
* 「시민헌수운동」을 통해 1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푸른서울가꾸기 사업의 추진
|-
|
| 19대
| 김성배(金聖培)
| 1982년 4월 28일~1983년 10월 14일
|
|
*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교대역 (서울)|교대]]간, [[을지로입구역|을지로입구]]∼[[성수역|성수]]간 개통
* 종합운동장 야구장 완공 및 주경기장 건설 추진
|-
|
| 20대
| [[염보현]](廉普鉉)
| 1983년 10월 15일~1987년 12월 29일
|
|
* 지하철 2, 3, 4호선 완공, 한강종합개발 추진, 가락동 농수산물시장 개장, 목동신시가지 건설
* [[1986년 아시안 게임|아시아경기대회]] 개최, [[1988년 하계 올림픽|서울올림픽대회]] 준비
* [[경희궁]], [[보라매]], [[종묘공원]], 석촌호수 공원계획 수립 추진
|-
|
| 21대
| [[김용래 (1934년)|김용래]](金庸來)
| 1987년 12월 30일~1988년 12월 4일
|
|
* [[1988년 하계 올림픽|제24회 서울올림픽]], [[1988년 하계 패럴림픽|제8회 하계 패럴림픽]] 성공적 개최
* 상수도 공급, 청소, 주택공급, 복지시설 확충 등 서민생활보호대책 추진
* 푸른 서울가꾸기 2차 5개년 계획 수립 추진
|-
|
| 22대
| [[고건]](高建)
| 1988년 12월 5일~1990년 12월 26일
|
|
* 시정방침을 시민을 위한 ‘생활행정’시민과 함께하는 ‘참여행정’, 깨끗한 ‘공개 행정’으로 정하고 시정추진
* 제2기 지하철 건설 추진 및 내부순환 및 북부간선도로 등 도시고속도로 착공
* 빗물펌프장 확충 및 정비, 제방축조 등 항구적인 수방대책 수립 추진
|-
|
| 23대
| [[박세직]](朴世直)
| 1990년 12월 27일~1991년 2월 18일
|
|
|-
|
| 24대
| [[이해원 (1930년)|이해원]](李海元)
| 1991년 2월 19일~1992년 6월 25일
|
|
* 도시지하도로 건설을 포함한 중장기 교통대책 마련 추진
* 식수원인 한강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한강관리청’신설 추진
* 처음으로 쓰레기 소각 처리 방식 도입
|-
|
| 25대
| [[이상배 (1939년)|이상배]](李相培)
|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5일
|
|
* 주거환경 개선과 문화활동에 대한 지원에 역점을 두고 추진
* [[경희궁]], [[몽촌토성]] 등 역사적 유적지 복원사업 추진
* 불량주택 재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해 주민동의율을 90%에서 67%로 하향조정
|-
|
| 26대
| 김상철(金尙哲)
| 1993년 2월 26일~1993년 3월 4일
|
| 역대 최단재임 시장
|-
|
| -
| [[우명규]](禹命奎)
| 1993년 3월 5일~1993년 3월 7일
|
|
* 직무대행
* 서울특별시 부시장
|-
|
| 27대
| [[이원종 (1942년)|이원종]](李元鐘)
| 1993년 3월 8일~1994년 10월 21일
|
|
* 각종 규제제도, 법령, 운영방법 등을 재검토하여 시민위주의 쇄신방안 마련
* 제2기 지하철, 도시고속도로 건설 역점 추진 및 3기 지하철 건설계획 확정
* 서울정도 600년 사업 추진
|-
|
| 28대
| [[우명규]](禹命奎)
| 1994년 10월 22일~1994년 11월 2일
|
|
|-
|
| 29대
| [[최병렬 (정치인)|최병렬]](崔秉烈)
| 1994년 11월 3일~1995년 6월 30일
|
|
* 각종 시설물의 안전확보와 부실공사 대칙 적극 추진
*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교통특별대책 수립 추진
|-
| rowspan=13 | 민선
| style="background:#0066CC"|
| 30대
| [[조순]](趙淳)
| 1995년 7월 1일~1997년 9월 9일
| [[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민주당]](1995)<br>[[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통합민주당]](1995~1996)<br>[[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민주당]](1996~1997)
|
* 시정을 시민중심으로 전환하고 시정운영 3개년 계획과 부문별 중장기 계획 수립 추진
* [[당산철교]] 재시공 등 각종 도시시설물의 안전점검과 보수 추진
* 환경기본조례제정, 환경헌장 제정. 서울의제 21 등 환경정책 적극 추진
* 전국 최초로 사회복지조사 실시하여 시민복지 5개년 계획 수립
|-
| style="background:#808080"|
| 권한대행
| 강덕기(姜德基)
| 1997년 9월 10일~1998년 6월 30일
| [[무소속]]
|
* 직무대행
* 조순 시장이 대통령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하여, 남은 임기 동안을 대행(행정1부시장)
|-
| style="background:#0066CC"|
| 31대
| [[고건]](高建)
| 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 [[새정치국민회의]](1998~1999)<br>[[새천년민주당]] (2000~2002)
|
* 투명행정 구현을 위한 반부패 시책 추진 (민원처리온라인공개시스템, 청렴계약옴부즈만, 전자수의계약 등)
* 생명의나무 천만그루 심기, 월드컵공원, 천연가스버스 도입 등 녹색서울 가꾸기
* 2기 지하철을 임기 내 완성
* [[2002년 FIFA 월드컵|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
|-
| style="background:#CC3333"|
| 32대
| [[이명박]](李明博)
|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 rowspan=3 | [[새누리당|한나라당]]
|
* 뉴타운 사업 기반마련
* [[청계천]] 하천 복원, [[서울숲]] 조성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대중교통체계 전면 개편]]
* [[서울광장]] 등 설치
|-
| style="background:#CC3333"|
| 33대
| rowspan=2 | [[오세훈]](吳世勳)
| rowspan=2 | 2006년 7월 1일~2011년 8월 26일
| rowspan=2 |
* [[서울의 창의시정|창의시정]]([[다산 콜 센터]], [[천만상상 오아시스]] 등) 추진
* [[광화문 광장]] 조성, [[세운상가#철거 계획|세운초록띠공원]] 조성 등을 통한 도심 재창조
* [[서울 지하철 9호선|지하철 9호선]] 개통
* 장기전세주택 [[시프트 (정책)|시프트]], [[여행 프로젝트]] 등 서울형 복지 추진
* [[북서울 꿈의숲]] 조성 등 친환경 서울 구현 및 [[디자인 서울]] 추진
* 전면 무상급식에 반대하여 2011년 8월 24일, 자신의 거취를 걸고 [[무상급식 지원범위에 관한 서울특별시 주민투표|주민투표]]를 실시하였으나 투표율이 25.7%<ref group="주">주민투표는 33.3%이상의 투표율을 기록해야만 효력이 발생한다.</ref>에 불과해 이틀 뒤 사퇴
|-
| style="background:#CC3333"|
| 34대
|-
| style="background:#808080"|
| 권한대행
| [[권영규]](權寧奎)
| 2011년 8월 27일~2011년 10월 26일
| [[무소속]]
|
* 직무대행
* 오세훈 서울시장이 사퇴하여, 남은 임기 동안을 대행(행정1부시장)
|-
| style="background:#808080"|
| 35대
| rowspan=3 | [[박원순]](朴元淳)
| rowspan=3 | 2011년 10월 27일~2020년 7월 9일
| rowspan="3" | 무소속(2011)<br /> [[민주당 (2011년 대한민국)|민주통합당]](2011~2013)<br /> [[민주당 (2011년 대한민국)|민주당]](2013~2014)
[[더불어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br /> [[더불어민주당]] (2015~2020)
| rowspan=3 |
* [[서울시립대학교]] 등록금 50% 삭감(일명 반값 등록금)
* [[맥쿼리 코리아]]로부터 [[서울 지하철 9호선]] 운임 결정권 회수, 민자투자금의 최소운영수입보장제 폐지
* 심야버스(일명 올빼미버스) 운행 개시
* 도심 양봉, 도시 텃밭 운영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개통
*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설립<ref>[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8/2017020801829.html#csidxef6db4f4c9d796783894469f45b72da 서울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걸립 추진, 2019년 개관]</ref>
* 역대 최장재임 시장 (8년 8개월)
* 비서 성추행 사건 이후 자살
|-
| style="background:#0066CC"|
| 36대
|-
| style="background:#0066CC"|
| 37대
|-
| style="background:#808080"|
| 권한대행
| [[서정협]](徐正協)
| 2020년 7월 10일~2021년 4월 7일
| [[무소속]]
|
* 권한대행<ref name="yonhapnews_2020-07-10_seo-jeong-hyeop" />
* [[박원순]] 서울시장의 사망에 따른 권한대행(사인: 자살, 자세한 내용은 [[박원순#여비서에 대한 성추행|다음]] 참고)
(행정1부시장)
|-
| style="background:#CC3333"|
| 38대
| rowspan=2 | [[오세훈]](吳世勳)
| rowspan=2 | 2021년 4월 8일~
| rowspan=2 | [[국민의힘]]
| rowspan=2 |
* 제33·34대 서울특별시장
|-
| style="background:#CC3333"|
| 39대
|}
== 참고 자료 ==
* 제2대 [[윤보선]] 시장과 제32대 [[이명박]] 시장은 후에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을 역임했다.
* 제8대 [[허정]] 시장과 제22, 31대 [[고건]] 시장은 후에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를 역임했다.
== 역대 선거 ==
{{참고|서울특별시장 선거|설명=역대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대해서는}}
== 같이 보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서울특별시청]]
* [[한성부판윤|한성판윤]]
* [[경성부윤 (일제 강점기)|경성부윤]]
* [[서울특별시 부시장]]
== 각주 ==
; 내용주
{{각주|group="주"}}
; 참조주
{{각주 | refs =
<!--서정협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 -->
<ref name="yonhapnews_2020-07-10_seo-jeong-hyeop">{{뉴스 인용 | 저자 = | 위치 = 서울 | 뉴스 = 연합뉴스 | 기타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736474 네이버 뉴스][https://archive.today/20200907132506/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736474 (보존)] | 제목 = 서울시 9개월간 서정협 행정1부시장 대행체제 | url = https://www.yna.co.kr/view/AKR20200709177800004 | 날짜 = 2020-07-10 | 확인날짜 = 2020-09-07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210116071622/https://www.yna.co.kr/view/AKR20200709177800004 | 보존날짜 = 2021-01-16 | url-status = }}</ref>
<!--2022-06-0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7개 광역단체장 결과 -->
}}
* {{서울시공개자료}}
== 외부 링크 ==
* [https://www.seoul.go.kr/seoul/mayor.do 역대서울시장]
{{서울특별시청}}
{{서울특별시장}}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
{{대한민국의 장관급 고위공무원}}
[[분류:서울특별시장| ]]
[[분류:1949년 설치]]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Stemania4 Alpha4.png|섬네일|right|[[오픈 소스]] 뮤직 비디오 게임 《[[스텝매니아]]》]]
'''리듬 게임'''이란 [[음악]]에 맞춰서 손, 혹은 몸을 사용해 조작하는 [[게임]]을 총칭하는 말이다. '''리듬 액션 게임'''이라고도 한다. [[1996년]]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사의 [[파라파 더 래퍼]]를 시작으로 다양한 리듬 게임이 출시되었는데, 특히 [[1998년]] [[코나미]]사에서 아케이드 게임장용으로 출시한 [[비트매니아]]를 시작으로 리듬 게임 열풍이 불기 시작해 다양한 리듬 게임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 정의와 게임 디자인 ==
리듬 게임 혹은 리듬 액션 게임<ref>(2007-06-30). [http://uk.playstation.com/games-media/news/articles/detail/item75867/Rhythm-action-games-on-PlayStation/ "Rhythm action games on PlayStation"] {{웨이백|url=http://uk.playstation.com/games-media/news/articles/detail/item75867/Rhythm-action-games-on-PlayStation/ |date=20090201124928 }}. [[PlayStation.com]]. Retrieved 2009-04-03.</ref><ref>Alexander, Leigh (2008-03-02). [http://www.gamasutra.com/php-bin/news_index.php?story=18037 "EA Announces DS Rhythm Action Exclusive Zubo"], [[GamaSutra]]. Retrieved 2009-04-03.</ref>은 플레이어의 리듬 감각을 사용하는 액션 게임을 총칭한다. 이 게임은 정확한 타이밍에 지정된 조작을 행하는 것을 요구하며, 화면에는 보통 행해야 하는 조작의 종류와 행한 조작의 정확성을 표시한다.
리듬 게임의 인기는 기타, 드럼이나 마라카스와 같은 악기를 모방한 컨트롤러와 댄스 게임에 사용하기 위한 댄스 매트 등의 시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컨트롤 패드와 같은 기존의 입력 장치 또한 쓰이고 있다.
== 대표작 ==
=== [[비마니]] 시리즈 ===
{{본문|비마니}}
* [[비트매니아]] (beatmania)
** [[비트매니아 III]] (beatmaniaIII)
* [[비트매니아 IIDX]] (beatmaniaIIDX)
* [[댄스 댄스 레볼루션]] (Dance Dance Revolution)
* [[팝픈뮤직]] (Pop'n Music)
* [[기타프릭스]] (GuitarFreaks) / [[드럼매니아]] (DrumMania)
* [[키보드매니아]] (KeyboardMania)
* [[파라파라파라다이스]] (Para Para Paradise)
* [[댄스매니악스]] (DanceManiaX)
* [[유비트]] (jubeat)
* [[리플렉 비트]] (REFLEC BEAT)
* [[사운드 볼텍스]] (SOUND VOLTEX)
=== 아케이드 ===
* [[아스트로레인저]] (Astro Ranger) ([[굿맨 엔터테인먼트]])
* [[이지투디제이]] (Ez2Dj) ([[어뮤즈월드]])
* [[이지투댄서]] (Ez2Dancer) ([[어뮤즈월드]])
* [[세이빈 사운드 스타]] (Sabin Sound Star) ([[3S 엔터테인먼트]])
* [[펌프 잇 업]] (Pump It Up) ([[안다미로]])
* [[파라파 더 래퍼]] (Parappa The Rapper) ([[나나온샤]])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프로젝트 디바 아케이드]] (Project DIVA Arcade) - ([[세가]])
* [[비브리본]] (Vib Ribbon) ([[나나온샤]])
* [[스페이스 채널 5]] (Space Channel 5) ([[세가]])
* [[삼바 데 아미고]] (Samba de Amigo) ([[세가]])
*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Para Para Paradise) ([[코나미]])
* [[키보드 매니아]] (Keyboard Mania) ([[코나미]])
* [[댄스 댄스 레볼루션]] (Dance Dance Revolution) ([[코나미]])
* [[드럼 매니아]] (Drum Mania) ([[코나미]])
* [[기타 프릭스]] (Guitar Freaks) ([[코나미]])
* [[팝픈뮤직]] (Pop'n Music) ([[코나미]])
* [[태고의 달인]] (太鼓の達人) ([[남코]])
* [[기타히어로]] (Guitar Hero) ([[하르모닉스]])
* [[록큰 트레드]] (Rock'n Tread) ([[자레코]])
* [[록큰 피버]] (Rock'n Fever) ([[IGS]])
* [[네오드럼]] (NeoDrumX) ([[오미크론]])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DJMAX Technika) ([[펜타비전]])
* [[비트크래프트 사이클론]] (Beatcraft Cyclone) ([[누리조이]])
* 프라이데이 나이트 펑킨 (뉴그라운드)
=== 온라인 게임 ===
* [[캔뮤직]] (Canmusic), [[보스홀]] (Voshall), [[패션보스]]
* [[오투잼]] (O2Jam)-온라인 서비스 종료
* [[디제이맥스 온라인]] (DJMAX Online)-서비스 종료
* [[디제이맥스 트릴로지]] (DJMAX Trilogy)
* [[알투비트]] (R2Beat)
* [[슈퍼 댄서 온라인]] (Super Dancer Online)
* [[오디션 (비디오 게임)|오디션]] (Audition)
* [[온에어 온라인]] (On air Online)-서비스 종료
* [[버스트 어 피버]] (Burst A Fever)
* [[팝스테이지]] (PopStage)-서비스 종료
* [[아스트로레인저]] (AstroRanger)-서비스 종료
* [[그루브파티]] (GrooveParty)
* [[이지투온]] (EZ2ON)-과거 서비스 종료되었다가 현재 서비스 재개 2013년 12월 30일 부로 서비스 다시 종료
* [[클럽데이]] (club day)
* [[무브 업]] (move up)
* [[러브비트]] (love beat)
* [[누리엔]] (Nurien)
* [[밴드마스터]] (BandMaster)
* [[크레이지 레인]] (Krazy rain)
* [[osu!]]
=== 가정/휴대용 게임기와 휴대전화용 ===
* [[파타폰1,2,3]] (Patapon)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전용
* [[디제이맥스 포터블 시리즈]] (DJMAX Portable)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전용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튠]] ( DJMAX TECHNIKA TUNE)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전용
* [[오쓰! 싸워라! 응원단]] (押忍!闘え!応援団) - [[닌텐도 DS]] 시리즈 전용
* [[불타올라라! 열혈 리듬혼 오쓰! 싸워라! 응원단 2]] - [[닌텐도 DS]] 시리즈 전용
* [[도와줘! 리듬 히어로]] (Elite Beat Agents) - [[닌텐도 DS]] 시리즈 전용
* 리듬에 맡겨라 ([[무료게임타운]]) - 피처 폰 전용
* [[리듬천국 골드]] / [[리듬 세상]] (Rhythm Tengoku Gold / Rhythm Heaven) - [[닌텐도 DS]] 시리즈 전용
* [[리듬천국]] (Rhythm Tengoku) - [[게임보이 어드밴스]] 전용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프로젝트 디바]] (Project DIVA) -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플레이스테이션 3]]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프로젝트 미라이]] (Project Mirai) - [[닌텐도 3DS]] 전용
* [[리듬스타]] (Rhythm Star) - 피처 폰 전용
* [[리듬스타 2]] (Rhythm Star 2) - 피처 폰 전용
* [[아이뮤지션]] (iMusician) - 피처 폰 전용
* [[아이뮤지션2 - 슈퍼스타]] (iMusician 2 - SuperStar) - 피처 폰 전용
* [[리듬체카]] (Rhythem Checka) - 피처 폰 전용
* [[뮤직팩토리]] (Music Factory) - 피처 폰 전용
* [[뮤직레볼루션]] (Music Revolution) - 피처 폰 전용
* [[리얼비트]] (Realbeat) - 피처 폰 전용
* [[오스 스트림]] (Osu! Stream) - [[iOS]] 전용
* [[오스 드로이드]] (Osu! Droid)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전용
* [[뮤직스타]] (Music Star) - 피처 폰 전용, PC 연동, PC 노트툴과 연동
* [[탭소닉]] (Tap Sonic)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탭소닉스타]] (Tap Sonic Star)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탭소닉 링스타]] (Tap Sonic RingStar)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오투잼 아날로그]] (O2Jam Analog)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전용
* [[오투잼 U]] (O2Jam Ultimate)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디제이맥스 레이]] (DJMAX RAY)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디제이맥스 테크니카 큐]] (DJMAX Technika Q)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Cytus]]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Cytus II]]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Tone Sphere]]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Deemo]]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Arcaea]]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Lanota]]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Dynamix]]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VOEZ]]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오버래피드]] (OverRapid) -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iOS]] 전용
=== 싱글 ===
* [[BMS]] (Be-Music Script)
** PMS
* VOS (Virtual Orchestra Studio)
* [[osu!]]
* [[스텝매니아]] (Stepmania)
* 비트 (Beats)
== 참조 ==
<references/>
{{CVG 장르}}
[[분류:음악 게임| ]]
[[분류:비디오 게임 장르]]
[[분류:일본의 발명품]]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승려 정보
| 이름 = 한용운
| 원어이름 = 龍雲
| 그림 = 1937 한용운.jpg
| 그림크기 = 180px
| 그림설명 = 1937년 당시의 한용운
| 출생일 = {{출생일|1879|8|29}}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결성군|결성현]] 현내면 박철리 잠방골
| 입적일 = {{사망일과 나이|1944|6|29|1879|8|29}}
| 입적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동대문구]] [[성북동 (서울)|성북정]] [[심우장]]
| 거주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동대문구]] [[성북동 (서울)|성북정]] [[심우장]]
| 국적 = 대한민국
| 입적원인 = 중풍
| 법명 = 용운(龍雲)
| 속명 = 한정옥(韓貞玉)
| 칭호 = [[아명]] '''한유천'''(韓裕天)·'''한봉완'''(韓奉玩)<br/> [[호 (이름)|호]] 만해(萬海·卍海)
| 직업 = [[승려]], [[시인]], [[한국의 독립 운동|독립운동가]]
| 본관 = [[청주 한씨|청주]]
| 경력 = [[신간회]] 중앙위원장
| 종파 = 조계종
| 배우자 = 유숙원(재혼), 전정숙(이혼)
| 자녀 = 한보국(아들), 한영숙(딸)
| 부모 = 한응준(부), 방숙영(모)
| 친척 = 한윤경(형)
| 웹사이트 = [http://www.manhae.or.kr/ 만해 기념관]
| 묘소 = [[망우 역사 문화공원]]
}}
'''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음력 7월 12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 호는 만해(萬海)이다. [[불교]]를 통한 언론, 교육 활동을 하였다.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대안점으로 [[불교사회개혁론]]을 주장했다.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이며 광복 1년을 앞둔 [[1944년]] [[6월 29일]]에 [[중풍]]병사(입적)하였다.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을 추가보완하였고<ref name=":0">{{웹 인용 |url=http://www.hongsung.net/tt/board/ttboard.cgi?act=read&db=city_people&page=1&idx=3 |제목=한용운:홍성넷 |확인날짜=2013-05-22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14035146/http://www.hongsung.net/tt/board/ttboard.cgi?act=read&db=city_people&page=1&idx=3 |보존날짜=2013-12-14 |url-status=dead }}</ref> 옥중에서 '조선 독립의 서'(朝鮮獨立之書)를 지어 독립과 자유를 주장하였다.
[[1910년]] 일본이 주장하는 한일불교동맹을 반대철폐하고 이회영, 박은식, 김동삼 등의 독립지사(志士)들을 만나 독립운동을 협의하였다. [[1918년]] 11월부터는 불교 최초의 잡지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1626 유심]》을 발행하였고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독립선언을 하여 체포당한 뒤 3년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하다 풀려났다. [[1920년대]]에는 [[대처승]] 운동을 주도하여 중에게도 결혼할 권리를 달라고 호소하기도 하였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 (시집)|님의 침묵]]》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 언론활동에 참여하였다. [[1927년]] 2월부터는 [[신간회]]에 참여하여 중앙집행위원과 이듬해 신간회 경성지부장을 지냈다.
[[1918년]] 《유심》에 시를 발표하였고, [[1926년]]〈[[님의 침묵]]〉등의 시를 발표하였다. 님의 침묵에서는 기존의 시와, 시조의 형식을 깬 산문시 형태로 시를 썼다. 소설가로도 활동하여 [[1930년대]]부터는 장편소설《흑풍》(黑風),《후회》,《박명》(薄命), 단편소설《죽음》등을 비롯한 몇편의 장편, 단편 소설들을 발표하였다. [[1931년]] [[김법린]] 등과 청년승려비밀결사체인 만당(卍黨)을 조직하고 당수가 되었으나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를 적발하는 과정에서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로 체포되었다가 풀려났다. 저서로는 시집 《[[님의 침묵 (시집)|님의 침묵]]》을 비롯하여 《조선불교유신론》,《불교대전》,《십현담주해》,《불교와 고려제왕》 등이 있다.
[[친일]]로 변절한 [[최남선]]에 관하여서는 1937년 자신에게 [[최남선]]을 언급한 [[김홍규 (1876년)|김홍규]]에게는 "아직도 최남선이 살아 있소?"라고 하는가 하면, [[최남선]]이 탑골공원에서 인사를 하자, 처음에는 알은체도 하지 않다가 최남선이 자신을 못 알아보겠냐면서 계속 이름을 말하자 "내가 아는 육당은 이미 죽었소."라면서 차갑게 대했다.
== 생애 ==
==== 유년기 ====
조선전기 [[한명회]] 동생으로 전구서승(典廏署丞)을 지낸 서원군 [[한명진 (1426년)|한명진(韓命溍)]]의 이양공파 20대손이다. 한응준의 차남으로 태어났고, 그의 형은 한윤경(1860년~1929년)이다. 자필이력서와 승적부의 출생지는 충청남도 홍주군 주북면 옥동(玉洞)이다. 3.1운동 후 재판 때 고향을 홍성의 '남문리'라고 답변하였다. 현재 출생지로 알려진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491번지는 그의 아들인 한보국의 제적등본에 따른 기록이다.
부친 한응준(韓應俊 ?~1895)은 양반 사대부 가문 출신으로 고종 22년(1885년) 종4품 선략장군 행충무위부사용자의 교지를 받았고, 또다른 차정첩(差定捷)에 의하면, 종5품<ref name=":0" />충훈부 도사(都事)의 관직을 수행하였다. 고종 31년(1894년) 갑오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전령(傳令)을 받고 호연초토사 이승우(홍주목사)의 참모관으로 활약하여 홍주성에서 동학군을 물리치는데 일조를 하였다. 홍양기사에 의하면 반년동안 풍찬노숙의 괴로움을 겪다가 1985년 3월 15일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한윤경의 제적등본기록).
유년시대에 관해서는 본인의 술회도 없고 측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름은 '''유천(維天)'''으로 불리었고 본적명은 정옥(貞玉)이다. 6세부터 한학을 배웠으며 9세에 문리를 통달하여 신도이라 칭송이 자자하였다.
==== 소년 시절 ====
16살 되던 해인 1894년부터 홍성읍내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다고 전한다. 그 해에 음력1월부터 12월까지 갑오농민운동이 일어났고, 7월 25일에 청일전쟁이 발발하였다. 그의 부친 한응준은 홍주성에서 관군의 참모관으로 활약하며 동학농민군 방어에 성공하였으나 이듬해 병고로 사망하였다. 회고록에 의하면 18세인 1896년 처음으로 고향을 떠나 서울로 향하였다가 설악산 오세암에 입산하여 불교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의 아들 한보국의 제적등본에 의하면, 부친의 3년상을 치른 후에 20살이 되던 해인 [[1892년|1898년]] 2월 10일 전정숙과 결혼하였다. 1904년 12월 21일 전정숙에게서 아들 한보국(1904년~1977년)을 얻었으나 그는 이미 강원도 백담사에서 출가를 하였다. 후일 한보국이 부친인 그를 보러 왔을 때 그는 외면하였다고 한다.
==== 방랑 생활 ====
[[파일:만해 한용운.jpg|섬네일|오른쪽|200px|청년기의 만해]]
건양 1년인 [[1896년]]에 그는 [[설악산]] [[오세암]]에 들어갔다. 후일 그는 '나는 왜 중이 되었나'라는 그 자신의 술회에 간략하에 언급하기를 세상에 대한 관심과 생활의 방편으로 집을 떠나 오세암에 입산하여 처음에는 머슴으로 일하다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고 한다. 출가의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당시 고향 [[홍성군]] 홍주에서도 [[동학 농민 운동|동학농민운동]]과 의병운동이 전개된 것으로 미루어 역사적 격변기의 상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오세암에 머무르면서 그는 불교의 기초지식을 섭렵하면서 선(禪)을 닦았다. [[불교]]에 입문한 뒤로는 주로 교학적 관심(敎學的關心)을 가지고 [[대장경]]을 열람하였다.
=== 대한제국(1897년~1910년) 활동 ===
==== 출가와 문학 ====
[[파일:Manhae Museum.jpg|섬네일|왼쪽|[[백담사]] 경내의 만해기념관]]
1905년 1월 26일 강원도 [[백담사]]에 가서 [[김연곡|김연곡(金蓮谷)]]을 은사로 하여 정식으로 출가, 김연곡에게 득도한 다음 [[전영제|전영제(全泳濟)]]에게 계(戒)를 받아 승려가 되었고, 만화(萬化)에게서 법을 받았다. 계명은 '''봉완(奉玩)'''이며 '''법호는 용운(龍雲)이며, 후에 필명 및 아호는 만해(萬海·卍海)'''라 하였다. 이후 수년 간 불교활동에 전념했다. 이즈음에 불교 관련 서적뿐만 아니라 [[량치차오]]의〈음빙실문집 飮氷室文集〉등을 접하면서 근대사상을 다양하게 수용하였다. [[1905년]] 11월 17일 덕수궁 중명전에서 [[을사조약|을사늑약]](제2차 한일협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는 등 명목상 보호국이나 사실상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이 때를 전후해서 [영환지략(瀛環志略)-서계여 저술], [음빙실문집(飮氷室文集)-양계초 저술] 등을 읽고 세계동향을 알기 위해 세계여행을 계획하고 백담사에서 하산하여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으로 건너갔으나 밀정으로 인하여 구사일생으로 귀국하였으나, 각처에서 의병 활동으로 어지럽게 되자 함경남도 안변 석왕사를 찾아가 암자에서 참선생활을 하였다.(삼천리 제6호 회고록)
"「영환지략瀛環地略」이라는 책을 통하여 비로소 조선 이외에도 너른 천지 잇는 것을 인식하고 행장을 수습하여 원산을 거처서 서백리아에 이르러 몃 해를 덧업는 방낭생활을 하다가 다시 귀국하여 安邊釋王寺에 파뭇겨 叅憚 生活을 하엿다. 그러다가, 동양문명의 집산은 동경에서 되니 東京으로 갈 차로 이듬해 봄에 처음으로 서울에 발을 드려노앗다."<삼천리 제5권 제9호 처음 서울 오든 때-회고록>
[[1908년]] 명진학교(현 동국대학교) 보조과(일어과와 측량과) 수학 후 4월에 일본의 시모노세기, 교토, 동경, 닛고 등지를 주유하며 신문물을 시찰하였고, 동경 조동종대학(현 고마자와駒澤大學)의 아사다교수와 교유하여 불교와 서양철학을 수강하였다. 이 때에 유학 중이던 최린(崔麟), 고원훈, 채기두 등과 교류하였고 9월 귀국하였다. 10월 20일 일본의<ref name=":1" />조선 전국 사찰 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서울 원흥사(元興寺)에서 원종종무원(圓宗宗務院)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12월 10일 서울에 경성명진측량강습소를 개설 소장에 취임하였다. 1909년 초에는 조선불교의 유신을 주장하는 논저《[[조선불교유신론]]》을 저술하기 시작하였다(1913년 회동서관 간행). [[1910년]] 한문으로 된 불경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 즉 불교의 대중화작업에 주력하였다.
==== 승려들의 결혼 자유화 주장 ====
[[1909년]] 초부터 그는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을 집필하였고, 1910년 12월 8일 백담사에서 탈고하였다. 동시에 그는 [[백담사]]에서 거의 독학하다시피하며 대장경을 암송하고 한문과 인도어로 된 불교 경전들을 한글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였다. 한편 1910년부터 그는 승려의 결혼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만해는 1910년 3월 승려의 결혼을 공식적으로 허락해 달라는 문건인 [중추원 헌의서]를 청원서 형식으로 [[대한제국 중추원]]에 제출하였고, 경술국치(한일합방) 이후 9월에는 [[조선총독부]] [[한국통감부|통감부]]에 [승려취처에 관한 건백서]를 테라우치 통감에게 제출하였다. [[승려]]에게 결혼을 금지하라고 [[부처님]]이 가르친 것은 아니라는 것이 그의 견해였다.
{{인용문2|부처님께서는 중생들이 미혹을 떠나 깨달음을 얻고 악을 고쳐 선을 행하도록 바라셨으나, 중생의 끈기가 각기 달라서 부득불 천하에서 정을 제거하고 욕망을 끊어 버린 사실들을 모두 연설하였던 것이니, 각기 좋아하는 것을 좇아 인도하시고자 희망하셨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계율에 있는 금혼은 본디 방편의 하나에 불과한 것일뿐, 불교의 궁극의 경지와는 거리가 먼 것이니 이를 제거한들 어찌 손상됨이 있겠습니까.<ref name="ReferenceA">김광식, 《한용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109쪽</ref>|건백서 중에서}}
대중의 결혼생활, 가장이라는 짐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중생들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승려의 결혼을 허가해 달라는 그의 주장은 그대로 묵살당한다.
한일합방 직후 총독부가 조선인을 차별대우하고 일본인을 우대하자 그는 불만을 드러냈다. 만해의 상좌였던 [[춘성 (1891년)|춘성스님]]에 의하면 만해는 평소 조선총독부의 조선인 차별 정책에 대해 "왜놈의 머슴살이 같으니라구!"라며 불만을 토로하였다 한다.
=== 일제강점기 활동 ===
==== 불교 사회 혁신 운동 ====
[[1910년]] 8월 29일에 [[한일 합방 조약]]이 체결된 이후로, 원종의 이회광이 일본과 맺은 한일불교동맹조약인 [조동종맹약]을 분쇄하기 위해 12월 광주 증심사로 내려갔다. 1911년 1월 석전 박한영, 진진웅, 김종래, 장금봉 등과 순천 송광사, 동래 범어사에서 승려궐기대회를 개최하여 일본의 조동종(曹洞宗)과 한국불교의 통합을 꾀한 이회광 등의 친일적인 불교행위를 규탄, 저지하였다. 송광사에 임제종 종무소를 설치하였고 [조선임제종 종무원] 관장에 취임하였다. 11월 서울에서 임제종 중앙포교당(조선선종포교당) 건립을 착수하였다. 그 해 6월 3일 일제가 한국불교를 억압하고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제정·공포한 법령인 [사찰령]이 공포되었고, 한국불교교단은 삼십본산연합사무소에 귀속되었다. 일제의 사찰령에 맞서 한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으로 1912년 4월 10일 중앙포교당이 준공되자 5월 26일 한용운, 백용성, 이화능 등 중앙포교당을 개설하였다. 6월 21일에 경서부 관청에 소환된 이후 이회광의 원종은 [조선불교선교양종]으로, 임제종은 [조선선종중앙포교당]으로 개칭되었다.
1912년 9월 10일부터 10월 8일까지 만주 동북삼성(東北三省)을 방문하여 독립군의 훈련장을 순방하면서 그들에게 독립정신과 민족혼을 심어주는 일에 전력하던 중에 통화현 굴라재에서 일진회 첩자로 오해를 받아 목에 총을 맞고 마취없이 '''총알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후 귀국하여 동래부 범어사로 내려갔다. 1913년 2~3월에 조선불교월보 13호, 14호에 조선불교유신론 9장 ‘승려의 단결’편을 간행전 기고했다. 필명을 '''만해생(萬海生)으로 문헌상 처음으로 만해'''라는 아호를 사용하였다. 5월 25일에 [조선불교유신론]을 회동서관에서 출판하였다.
1914년 4월 서울에 유학 온 불교 '고등강숙' 학생들이 불교를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인 '''조선불교강구회(朝鮮佛敎講究會)''' 총재에 취임하였다.
경전을 대중화하기 위해 [불교대전]을 편찬할 계획으로 양산 통도사에 보관된 고려대장경을 열람하였고, 4월 30일 범어사에서《불교대전 (佛敎大典)》을 간행하였다. [[대승불교]]의 [[반야사상]](般若思想)에 입각하여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계의 각성과 현실참여를 주장하였다.
8월에 조선불교회 회장에 취임하였다. 불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불교유신을 직접 수행하고자, 30본산 주지들을 배제하고, 승려와 신도를 융합한 통일기관을 창립하였다. 그러자 30본산 주지들의 반발로 '''[불교동맹회]'''로 개칭하여(매일신보8.22. 동소문밖 청수동 근처 청암사에 모여 협의), 서울 낙원동에 본부를 두겠다고 경성북부경찰서에 9월10일경 신고했으나, 30본산 주지의 권한을 벗어났다며 등록 거부 당하였다, “'''고등강숙'''”의 학생들이 만해를 따르자, 이회광은 공문을 보내 상경을 막으려다 결국 학교를 폐쇄시켰다.
[[1915년]] 6월 20일 [[청나라]] 승려 내림(來琳)의 증보본에 의거하여 [[정선강]]의 《[[채근담]]》 국한문 혼용체 주해본을 저술하였다. 10월에 조선선종 중앙포교당 포교사에 취임하여 계몽활동, 근대화 필용성,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1915년 개교한 중앙학림 학생들이 만해를 따랐다. 불교강구회, 각황사 등에서 강연하였다.
==== 불교포교 대중화와 선교진흥론 ====
[[파일:Korean poet-Han Yong-un-02.jpg|섬네일|오른쪽|200px|한용운의 동상]]
[[1914년]]에는 [[불교]] 포교의 보편화 대중화를 선언하고 조선불교청년동맹(朝鮮佛敎靑年同盟)을 결성하였다. 조선불교청년동맹의 강령을 손수 지었는데 이를 보면, 첫째로 정교분리(政敎分離), 둘째로는 여러 불교 종단의 통일 또는 연합, 셋째 불교와 사찰의 사회적 진출의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중불교의 확산을 위하여 그 출발점을 청년 운동으로 삼아야 한다는 그의 실천행이었다. 그는 불교 포교가 보편화되려면 일단 청년들에게 침투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천주교]]와 [[개신교]]의 선교 활동, [[동학]]의 포교 확산, [[사이비 종교]] 등의 확산에 긴장한 그는 불교 역시 대중에게 침투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불교가 중생의 곁에 가장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으로 청소년과 청년층을 공략하는 것을 들었다. 그는 불교의 보편화 운동의 실천을 위하여 '승려에서 대중에로', '산간에서 길가로' 등을 내걸었다.
또한 불교 포교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교단, 종단간의 갈등을 줄이고 협력하자는 주장을 펼쳤다. 이는 선교진흥론(禪敎振興論)으로 발표되었다. 그에 의하면 불교의 진흥을 위한 필수불가결의 요건은 수행 이상을 확립하는 일이라 하였다. 이에 한용운은 지금까지 조선의 불교는 [[오교구산]]과 [[선교양종]]이니 해서, 마치 교의(敎義)와 종지(宗旨)가 다른 것처럼 잘못 인식되어 왔다. 선과 교의 본질은 하나이다. 왜냐하면, 선이란 불교의 마음이며, 교란 불교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양자는 서로 배치되는 개념이 아니며, 양자의 이론적 합일과 연대의 실천이 불교 진흥, 포교 확산의 관건이라고 주장하였다. 동시에 한용운은 선원(禪院)이나 강원(講院)의 지도 이념이나 이론, 실수(實修) 등에 있어 외전(外典)도 첨가해야 한다, 그리고 속된 것을 전적으로 배격하지 말 것을 호소하였다. 그는 [[선교일치]]를 주장해온 조선 불교의 일승정신(一乘精神)이 새로운 시대의 좌표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해외포교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서 [[미국]], [[중국]] 등지에 해외법당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조선보다 먼저 불교를 받아들인 곳이고 미국인들은 대다수가 [[개신교]]나 [[천주교]] 신자처럼 인식하던 당대의 승려들과 불자들은 그의 해외 포교 주장을 실현 불가능한 이상으로 취급했다.
==== 불교 경전의 한글화 ====
만해는 [[1910년]]부터 [[대장경]]과 [[화엄경]] 등을 비롯한 불교 경전의 내용을 [[한글]]로 번역하여 소개하였다. [[1930년대]] 이후에도 그는 불교 경전의 한글화를 주장했다. 경전의 내용이 [[한문]]이나 [[산스크리트어]]로서 일반 중생이 읽기에는 너무 힘들다, 어렵다는 것이 그의 견해였다. 그가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부분은 대장경의 한글 번역이다. 현대포교의 요체는 문서에 의한 홍포였다.
그는 아무리 좋은 말씀도 이해를 하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라 주장하였다. 불교 경전의 대부분이 한문으로 되어 있어서 일반인이나 [[문맹률]]이 높던 당시에는 일반적으로 읽고 이해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방대한 대장경을 쉽게 옮기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불교의 교리와 활동, 고승 등에 대한 내용을 한글로 표현했으며 《불교대전》에는 대장경 등의 내용을 한글로 해석하였는데 이는 바로 그와 같은 시도의 결정이다. 대장경의 요지를 발췌하여 대의를 옮겨 적은 불교대전은 20세기 한국 불교이론서와 《불교성전》들의 효시가 되었다. 그밖에도 그는 불교학 진흥과 포교의 활성화를 위하여서는 각종 금석문(金石文)이나 사장된 자료들이 일반에 소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잡지 발행 ====
[[1918년]] 9월 1일 제자 [[춘성 (1891년)|춘성]] 등과 함께 월간 불교잡지《유심 (惟心)》을 창간하여 12월까지 3권을 발행하고 중단되었으나, 이 잡지를 통해 불교 논설만이 아니라 계몽적 성격을 띤 글을 발표했고, 또 신체시를 탈피한 신시〈심 (心)〉을 발표하여 문학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그는 당시 조선불교의 침체와 낙후성과 은둔주의를 대담하고 통렬하게 분석과 비판을 한 저서 조선불교유신론을 발표하여 사상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월간 유심지에서 그는 시 '심 (心)'과 수필 [[고학생]], [[남모르는 아이들]]을 발표하는 등 불교의 보편화와 친숙화를 꾀한다. 불교의 홍보, 포교와 함께 계몽, 자각, 자유정신, 민족정신을 고취하는 논설들을 다수 실은 월간지 유심은 뒷날 그가 관계한《불교》잡지와 함께 가장 괄목할만한 문화사업의 하나가 되었다.
==== 3.1 만세 운동과 투옥 ====
[[파일:March 1st movement.jpg|섬네일|왼쪽|140px|서울 [[탑골 공원]]에 위치한 3·1 운동 서판]]
[[파일:동아일보 3.1운동 관련자들 사진.jpg|섬네일|210px|오른쪽|[[1920년]] [[7월 2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기사. 3.1 운동에 참가한 민족대표 48인 공판에 관한 기사, 다섯째 줄 왼쪽에서 네 번째가 한용운]]
{{참고|3·1 운동|민족대표 33인|민족대표 49인}}
[[1918년]] 12월에 발표한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감동하여 [[1919년]] 1월부터는 전국적인 만세 운동 준비에 참여하고, [[백용성]] 등과 함께 [[불교]] 지도자들을 소집하여 [[손병희]] 등 [[천도교]] 지도자들과 [[이상재]] 등 일부 [[기독교]] 지도자들과 회합하였다. 그는 독립선언문의 내용을 둘러싸고 [[최남선]]과 의견충돌을 하였다. 내용이 좀더 과감하고 현실적이어야 하겠다고 생각하였으나, 최남선 등은 만해의 주장이 급진적이고 과격하다며 반대했고 결국 만해가 제시한 조건들 중 마지막의 행동강령인 공약 제3조 '최후의 일인까지 쾌히 우리의 의사를 발표하자' 만이 수용, 독립선언서에 수록되었다.
[[1919년]] [[3·1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고,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으며 일설에는 [[용성 선사]]의 도장도 그가 찍었다 한다. [[경성]] [[탑골공원]]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과 만세 운동에 가담했다가 [[조선총독부]] 경찰에 체포되었다. 민족대표자들은 평화 시위를 기획하였는데 시위는 격화되었고, 민족대표자들은 자수를 결심한다. [[이종일]]의 회고에 의하면 "수감중 만해는 일제의 고문 및 위협에 벌벌 떠는 나약한 민족대표들에게 인분을 퍼부었다."고 한다.<ref name=":1">김광식, 《만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315쪽</ref>
그는 만세운동을 진행하던 중 탑골공원에서 총독부 [[경찰청|경무국]] 순사들에 의해 체포되었다. 이어 피신한 다른 민족대표자들이 자수함으로써 바로 [[서대문형무소]]로 넘겨지고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받고 복역하였다.
==== 수감과 석방 ====
한편 체포된 만해는 [[동대문 시장]]에 투옥되어 복역하며 재판을 받았다. 이때 옥중에서 변호사는 물론 사식과 보석을 거부할 것을 결의하고 수감생활을 한다. 그리고 옥중에서 '[[조선독립의 서]]'를 집필하다가 발각되어 결국 원본을 형사에게 제출했다. 그러나 만해는 한편으로 '조선독립의 서'를 일본인 [[서울지방법원]] [[검사]]에게 제출하기 이전에 일부를 휴지에 작은 글씨로 옮겨 적었다. 그리고 그것을 접어 형무소 밖으로 나가는 의복의 갈피에 집어넣었다. 이렇게 외부로 나온 그 선언서는 상해까지 전달되었다.<ref>김광식, 《만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332쪽</ref> 인간의 권리와 자유와 평등에 대한 길을 가로막는 어떠한 형태의 무력, 군사력, 압제 정치는 결국 스스로의 덫에 걸려 스스로 패망하게 되리라는 내용이었다. 옥중에서 작성한 '조선독립의 서'는 종이를 노끈처럼 말아 유일하게 그의 옥바라지를 하던 [[춘성 (1891년)|춘성 스님]]을 통해 [[상하이]]로 보내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 (대한민국 임시정부)|독립신문]] [[1919년]] [[11월 4일]]의 기사 부록에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대요'라는 제목으로 발표, 보도되었다.
1921년 12월 22일 3.1독립운동 민족대표자 최린, 함태영, 오세창, 권동진, 이종일 등과 함께 가출옥되자 많은 면회객이 찾아왔다. 그런데 그가 인사를 하는 것을 보고 면회객들은 이상하게 여겼다. 이에 만해는 자신을 마중하러 나온 인사들에게 "너희들은 이런 출옥의 인사를 할 줄은 알고, 인사를 받을 줄은 몰랐더냐?" 하고 대성질타하였다.<ref>김광식, 《만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322쪽</ref>
출옥 후에는 언론에 칼럼을 발표하는 동시에 1922년부터 [[1923년]]까지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물산장려운동]] 등의 민족운동에도 참여했다. 이 기간 중 그는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조만식]], [[안재홍]], [[이광수 (1892년)|이광수]], [[방응모]] 등을 만나 인맥을 쌓기도 했다. 글 못지않게 연설가로서도 남다른 능력을 지니고 있던 그는 1922년 5월 전조선학생대회 주최로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강연회가 개최되자 3인의 종교 지도자의 한 사람이자 연사의 1인으로 초빙되었다. 대회가 열린 날 두 번째 연사로 나선 만해가 강연하자 청중이 열광하여 결국 다음 사람이 강연을 포기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1922년 9월 잡지《[[개벽 (잡지)|개벽]]》에 옥중시 '무궁화 심으라'를 발표하였다.
==== 사회 단체 활동과 님의 침묵 ====
{{참고|신간회|님의 침묵}}
[[1922년]] 출옥 후에도 일본경찰의 감시 아래에서 강연 등 여러 방법으로 조국독립의 열변을 토하였다. [[1920년대]]에 부인이 있는 대처승이 속인들에게 사이비 중이라고 모욕을 당하는 것을 보고 [[대처승]] 운동을 주도하여 중에게도 결혼할 자격을 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1924년]]부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논설위원을 겸하며 계몽, 사회 참여를 촉구,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칼럼을 송고하였다.
[[1923년]] 1월 [[동아일보]]에 논설 '조선 급(及) 조선인의 번민(煩悶)'을 발표한다. [[1924년]] 1월 6일 조선불교청년회 초대 총재에 취임하며 청년조직을 항일운동에 걸맞게 바뀌었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다. 5월15일 <십현담주해>를 법보회에서 발행, 5월 20일 <님의 침묵>을 회동서관에서 발행하였다.
{{인용문|<poem>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님은 갔습니다
푸른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나 있는 작은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ref>{{서적 인용 |편집자= 강승원 |제목=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날짜= 2009-01-05 |판= 초판 |출판사= 한국교육방송공사 |쪽= 8 |인용문=푸른 산빛의 희망적 이미지가 단풍나무 숲의 상실의 이미지를 대비하여 만남→이별의 의미를 형상화하고 있다.}}</ref>
황금(黃金)의꽃가티 굿고빗나든 옛 맹서(盟誓)는 차듸찬띠끌이되야서 한숨의 (미풍)微風에 나러갓슴니다
날카로은 첫 키스의 추억(追憶)은 나의 운명(運命)의 지침(指針)을 돌너노코 뒷거름처서 사러젓슴니다
나는 향긔로은 님의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은 님의얼골에 눈멀었슴니다
사랑도 사람의일이라 맛날때에 미리 떠날것을 염녀하고경계하지 아니한것은아니지만
리별은 뜻밧긔일이되고 놀난가슴은 새로은 슬븜에 터짐니다
그러나 리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源泉)을만들고 마는것은 스스로 사랑을깨치는것인줄
아는까닭에 것잡을수업는 슬븜의 힘을 옴겨서 새 희망(希望)의 정수박이에 드러부엇슴니다
우리는 맛날때에 떠날것을염녀하는 것과가티 떠날때에 다시맛날것을 믿슴니다
아아 님은갓지마는 나는 님을보내지 아니하얏슴니다<ref>{{서적 인용|편집자= 강승원 |제목=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날짜= 2009-01-05 |판= 초판 |출판사= 한국교육방송공사 |쪽= 8 |인용문=우리는 맛날때에~: 회자정리(會者定離)와 거자필반(去者必反)의 정신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ref>
제곡조를못이기는 사랑의노래는 님의沈默을 휩싸고돔니다</poem>}}
[[님의 침묵]]에서 그는 한글 표준어를 쓰지 않고 충청도 방언과 토속어가 세련되지 않은 표현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향토적 정감의 방언 및 토속어 애용과 서민적인 시어의 활용은 님의 침묵에 민중정신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925년]]부터 [[백담사]]에서 집필하여 [[1926년]] [[경성부|경성]] 안동서관에서 발행한《[[님의 침묵]]》은 당시 [[자유주의]]적, 남녀간의 연애를 위주로 하던 한국문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민족의 현실과 이상,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주체적 자세에 대해 노래했으며, 더욱이 그것을 풍부한 시적 이미지로 아름답게 형상화해 수준 높은 민족문학의 경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는 조선의 독립, 혹은 자연을 '님'으로 표현하여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부처]]로도 해석되고 이별한 연인으로도 해석되는 화법을 구사하여 총독부 학무국의 검열 탄압을 피하였다.
==== 신간회 창설에 참여 ====
{{참고|신간회}}
[[1927년]] 1월 19일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이인]], [[김병로]], [[허헌]], [[조병옥]], [[허정숙]] 등과 함께 종교, 사회단체를 망라한 사회단체 [[신간회]]의 결성에 [[불교]]계 대표자의 한사람 겸 [[경성부]] 서부 지역 대표자의 한 사람으로 적극 참여하여 중앙집행위원의 한 사람이 되었다. 신간회 조직을 결성하는 주도적으로 참여한 그는 [[1928년]] 다시 [[신간회]] 중앙집행위원의 한사람에 선출되고 신간회 경성지회 회장(京城支會會長)에 피선되어 허정숙 등과 신간회 경성지회에서 활동하였다.
1927년 12월 [[조선불교청년회]](朝鮮佛敎靑年會)의 체제를 개편하여 [[조선불교청년동맹]](朝鮮佛敎靑年同盟)으로 개칭,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을 강화하였다.
한편 1929년 3월 6일 그의 속가 형 한윤경이 사망하였다(70세). 그는 150섬 이상을 수확하던 [[홍성군]]의 대지주였다.<ref>"독립운동가 만해 선사 속가 후손들 날품팔이 생활", 경향신문 1986년 6월 2일자 10면, 사회면</ref> 한윤경의 아들이자 조카인 한창국은 일찍 죽고 한창국의 후손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한다.
[[1929년]] [[광주항일학생운동]]이 일어났을 때는 학생 시위를 보고 그것을 민족적·민중적 운동으로 확산시키고자 민중대회를 계획했으나, 조선총독부 밀정에게 발각, 총독부 경무국에 의해 무산되었다.
1930년 5월 김법린, 김상호, 이용조, 최범술 등이 조직한 '''청년승려비밀결사 만당(卍黨)'''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1931년 6월 [불교]지를 인수, 불교사 사장으로 취임하여 많은 논설을 발표하였다. 이후 많은 논문과 논설을 발표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독립사상 고취에 힘썼다. 특히, 고루한 전통에 안주하는 불교를 통렬히 비판하였으며, 승려의 자질 향상, 불자에게 생계를 의존하지 않기, 기강확립, 생활불교 등을 제창하였다.
또한 주량 조절만 가능하다면 승려들도 음주를 하게 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1930년]] 잡지《불교(佛敎)》의 필진이 되었다. [[1931년]] 6월 잡지 《불교》를 인수하여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전까지는 권상로(權相老)가 맡아오던 이 잡지를 인수하여 불교의 홍포에 온 정력을 기울였다. 같은 해 [[김법린]]·[[최범술]]·[[김상호]] 등이 조직한 청년법려비밀결사인 만당(卍黨)의 당수로 추대되었다. [[1931년]] 6월부터 2년 남짓 동안은 친일로 전향한 권상로에게 인수한 《불교》를 발간하는 일에 전념한다. 그러나 경영난으로 [[1933년]] 9월 결국 권상로에게 재인계하고 만다.
==== 반일 강연 활동 ====
그는 조선 불교가 일본 불교에 예속되지 않고 독립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한편 한 강연에서 그는 [[조선총독부]]나 일본 불교에 아첨하는 일부 승려들을 질타하기로 했다.
그간 "세상에서 제일 더러운 것이 무엇인지 아느냐"고 묻자 아무도 그 물음에 대답하는 사람이 없었다. 그리하여 그는 "세상에서 제일 더러운 것은 똥이올시다. 똥! 그런데 그 똥보다 더 더러운 것이 있습니다. 무엇이겠습니까?"라고 하자 역시 아무도 대답을 하지 못했다. 가난한 불자들의 시신을 염습해본 적이 있는 한 사람은 시체라고 하였다. "내 경험으로는 똥보다 더 더러운 것이 송장 썩는 것이올시다. 똥 옆에서는 식음을 할 수 있어도 송장 썩는 옆에서는 차마 음식이 입에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라는 것이다.
그의 말을 듣고 일부는 좌석을 이탈하려 하였으나 좌중에 압도당해 움직일 수 없었다. 이어 만해는 "시체보다 더 더러운 것이 있으니 그것이 무엇일까?"하고 물었다. 아무도 답을 하지 않자 한용운은 굳은 표정으로 강연대를 주먹으로 내리치며 "그건! 바로 여기 앉아 있는 31본산 주지 네놈들이다!"라고 일갈하고는 즉시 단상에서 내려와 퇴장해버렸다. 반일 혹은 일본 불교에의 흡수를 반대하는 그를 두고 불령선인이라는 지적이 계속되었고 그는 결국 [[조선총독부]] 형사들의 감시하에 놓이게 된다.
한편 총독부로부터 생계비와 연구비를 지원받는 조건으로 전향한 육당 [[최남선]]이 탑골공원 근처에서 마주쳤을 때 "오랜만이오. 만해."라고 먼저 인사하자 그는 "당신이 누구요?"며 냉정하게 답하였다. 최남선이 "나는 육당이오. 나를 몰라보겠소?"라고 하자 만해는 "뭐, 육당? 그 사람은 내가 장례 지낸 지 오랜 고인이오."라고 말하고는 사라졌다.
=== 생애 후반 ===
==== 소설 집필 활동 ====
[[1931년]] 53세의 나이에 재혼에 뜻이 있어 동지들의 소개로 13살 연하의 유숙원(1892년~1965년)과 재혼하였다. 유숙원은 결혼하기 전까지 [[단성사]] 옆에 위치했던 진성당병원의 간호사로 일하였다. [[1933년]]에 金漁 김벽산(金碧山)스님이 집터를 기증하자, 조선일보사장 방응모, 박광 등 몇 분의 성금으로 절반의 비용을 지원받아 [[심우장]]을 짓기 시작하였다. 이때 총독부돌집을 마주보기 싫다고 북향으로 짓도록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다음 해에 딸 영숙(1934년 9월 1일)이 태어났으며, 1935년에 완공되자 입주하여 심우장에서 여생을 보내며 작품활동을 지속하였다.
[[1935년]] 장편소설 《흑풍》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다.《흑풍》에서는 검열을 피하기 위해 배경을 [[청나라]]를 무대로 하고, 억압에 대한 투쟁정신을 묘사하여 [[조선총독부]]에 대한 저항성을 은근히 보여주고 여성해방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삽입하여 반봉건 정신 및 여성도 인격체라는 견해를 설파하였다. [[1936년]] 단재 [[신채호]]의 시신이 비밀리에 입국한 것을 접하고 [[방응모]]와 함께 신채호의 묘비건립과 정약용 서세100년기념회 개최에 참여했다. [[1936년]] 《조선중앙일보》에 장편 《후회 後悔》를 연재하였다. 이러한 소설을 쓴 까닭은 원고료로 생활에 보탬을 얻기 위한 까닭도 있지만 그보다도 소설을 통하여 민족운동을 전개하려는 의도가 더 큰 것으로 이해된다. 1937년 불교관계 항일단체인 만당사건(卍黨事件)의 배후자로 검거, [[서대문형무소]]에 재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37년]] 4월 13일 서간도 독립운동단체의 지도자였던 [[김동삼]]이 경성감옥에서 사망하였다. 아무도 그의 시신을 거두거나 수습하려 하지 않았는데 한용운이 홀로 찾아가 통곡하며 시신을 수습하여 심우장에서 장례를 치루었다.
==== 태평양 전쟁 전후 ====
{{참고|심우장|태평양 전쟁|학도병}}
석방 후 [[불교]] 혁신과 작품활동을 계속하였고 [[1938년]]에는 장편 《박명(薄命)》을 발표하였다. [[1938년]]부터는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에 반대하여 학도병 거부 운동을 벌였다. 작품으로는 여러 장편 외에 [[장편소설]]인 《박명(薄命)》이 있고, 저서로는 시집《[[님의 침묵 (시집)|님의 침묵]]》을 비롯하여《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불교대전》,《불교와 고려제왕(高麗諸王)》등이 있다.
그는〈[[님의 침묵]]〉 외에도《신인 문학》과《삼천리》에 시 '꿈과 근심', '실제 (實際)',《조광》에 수필 '최후의 5분간', [[조선일보]]에 장편소설 흑풍, 박명, [[조선중앙일보]]에 소설 [[후회]]와 중편소설 [[죽음]] 등을 발표하였다.
[[중일전쟁]] 이후로도 그는 계속 [[징용]]이나 [[보국대]] 또는 일본군을 찬양하는 글을 쓰지 않으며 강연도 하지 않았다. 또한 강연 협조 등도 거부하였다. 또한 [[1937년]]부터 강요된 [[신사 참배]]와 [[일장기]] 게양을 거부하고, [[조선총독부]]의 [[일본]]식 [[호적]]에 이름조차 올리지 않았다.
만년에는 [[경성부]] 성북동의 [[심우장]]을 친히 지어 거처했는데, 심우장은 후일 서울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었다. [[1939년]] [[경상남도]] [[사천군]] [[다솔사]](多率寺)로 내려가 회갑을 맞으면서 몇몇 동지들과 함께 자축연을 가졌다. 다솔사는 당시 민족독립운동을 주도하던 본거지였다.{{출처|날짜=2019-08-25}}
==== 사망 ====
{{참고|태평양 전쟁|학도병|창씨개명}}
[[1940년]] 5월부터는 [[창씨개명]] 반대운동을 하였고 [[1943년]]에는 조선인 학병출정 반대운동을 전개했다. 말년에는 [[방응모]], [[정인보]], [[안재홍]], [[홍명희]],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만공]] 등과 교류하며 그들이 보내주는 생활비로 어렵게 생활하였다. 일제의 극심한 탄압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비타협적인 독립사상을 견지하다가, 성북동 집인 [[심우장]]에서 냉방으로 생활하였다.
[[중풍]]으로 거동이 불편한 만해의 생계는 그의 친구인 [[안재홍]], [[방응모]],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조만식]], [[최남선]], [[이광수]], [[윤치호]] 등이 십시일반으로 부담해주었다. 말년에 중풍으로 고생하였지만 1944년 6월 28일 조선총독부의 특별 훈련으로 공습경보가 발령되었을 때 혼수상태에 빠졌다. 이후 계속 혼수상태로 있다가 1944년 [[6월 29일]] 심우장에서 승랍 49세, 세수 66세로 입적하였다.
그가 사망하였던 1944년은 [[일본 제국]]이 패망하기 1년 전이자 광복을 1년 앞두고 있던 때라 그토록 염원하던 조국의 독립은 끝내 생전에 보지 못하였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지 1년 후인 1945년 8월 15일에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일본 제국이 패망하게 되면서 대한민국이 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다.
== 사후 ==
[[파일:Korean poet-Han Yong-un-01.jpg|섬네일|250px|만해의 흉상]]
* 사망한지 1년 후인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하면서 조선은 광복을 맞이하였다. 그러나 한용운 본인은 1년 전에 고인이 되었기 때문에 그토록 염원하였던 광복의 모습은 보지 못하였다.
* 동지들에 의하여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미아리 사설 화장장에서 다비된 뒤 [[망우 역사 문화공원|망우리 공동묘지]]에 유골이 안치되었다. 후일 그 옆에는 부인 유숙원 여사의 묘소가 오른편에 매장되었다.
* 그는 문학을 전문으로 하지는 않았지만 님에 대한 그리움과 곧은 지조를 표현한 작품들을 통해 해방후에도 인기를 끌게 되었다. 그후 문인, 저항 시인, 대처승, 출가 승려로만 인식되다가 [[1960년대]]부터는 그의 독립운동 역사가 학자들에 의해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 [[1967년]] 그가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던 [[탑골공원]]에는 후에 승려 운허에 의해 《용운당 만해 대선사비》(龍雲堂 萬海 大禪師碑)가 세워졌다.
* 고향인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남산공원에 동상이 세워졌고 홍성읍내 장터에도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 [[1973년]] 신구문화사에서 《만해 전집》6권이 간행되었다.
* 그의 결성면 성곡리 박철동 잠방굴마을 생가지는 [[1989년]] [[12월 24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75호로 지정되었다.
* [[1990년]]에 생가가 복원되고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1991년]]에는 만해의 업적을 기리는 만해학회가 설립되었다.
* 그밖에 만해기념관, 만해사상선양회 등이 세워졌다.
* [[강원도]] [[인제군]] [[북면 (인제군)|북면]] 용대리에는 [[만해문학박물관]]이 건립되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26287 네팔 민주화·문학의 뿌리는 불교?]</ref>
* 후에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만해 생가지에는 생가복원에 이어 사당을 건립하고 안내판을 설치하였다.
== 작품성 ==
시와 작품에 있어 퇴폐적인 서정성을 배격하였으며 조선의 독립 또는 자연을 [[부처님]]에 빗대어 불교적인 '님'으로 형상화했으며, 고도의 은유법을 구사하여 [[조선총독부]]나 일제 정치에 저항하는 민족정신과 불교에 의한 중생제도(衆生濟度)를 노래하여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검열을 교묘하게 피하였다. 여기에서의 님은 보는 관점에 따라 조선의 독립, 자연, 부처님 혹은 이별한 연인 등으로도 해석이 가능한 어법을 구사하였다.
그는 대표작 [[님의 침묵]]을 비롯한 시집, 작품집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님'은 연인·조국·부처 등 다의적인 의미를 지니며 그에 따라 '님의 침묵'이라는 표현은 당시의 민족적 상황을 은유적으로 상징하였다. 또한 세속적인 정감의 진솔성이 불러일으키는 인간적 설득력과 함께 세속적인 사랑을 표출하면서도 세속사의 진부함에 떨어지지 않으며 목소리 높여 민중정신을 강조하지도 않는다는 작품평도 있다.
그는 당시 상황을 시적 주체인 '나'가 님과 이별하여 님이 부재하고 침묵하는 시대로 규정하면서도, 님은 이 자리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나'는 진정으로 님의 존재를 깨닫게 된다는 변증법적인 진리 또는 부처에 대한 믿음, 이별한 연인에 대한 애정을 확신, 재다짐하는 것을 드러내고, 새로이 '나'는 이 자리에는 계시지 않는 님 또는 돌아올 님과 다시 합일될 수 있다는 뜻을 노래한다. 또한 내가 님과 새로이 만나기 위해서 나는 님이 존재하지 않지만 님에 대한 의리와 절개를 지키고 님에 대한 철저한 복종이 요구되는데, 그 절개와 의리, 복종을 통해서 비로소 '님'에 대한 신의도 지키면서 한편으로 '나'는 자유로워진다는 '복종과 자유의 변증법'을 노래한 것은 역사의 필연성의 인식을 통해 진정한 자유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출한다. 그는 식민지하에 있는 조국의 운명과 독립의 필연성 또는 오지 아니한 극락세계와 다시 만나게 되는 그 날, 그리고 그 날을 위한 실천, 변함없는 믿음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진리를 작품들을 통해 형상화, 승화시켰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그의 시는 오언절구나 칠언절구, 3.4조 등 당시 [[조선]]의 시조, 시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산문시]]의 전형이 되었다. 은유와 역설의 자유로운 구사를 보여주며, 정형적인 틀을 완전히 벗어난 산문적 개방 속에서도 내재율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근대 자유시의 완성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저서 ==
[[파일:Daejeon National Cemetery, Futuristic Patriotism Hall 09.jpg|섬네일|250px|2019년 6월 [[이달의 독립운동가]]에 선정된 포스트.]]
* 《불교대전 (佛敎大典)》(1913년)
* 《[[조선불교유신론]] (朝鮮佛敎維新論)》(1913년)
* 시집 《[[심]]》
* 시집 《[[님의 침묵]]》
* 《유마힐소설경강의 維摩詰所說經講義》([[1933년]])
* 《십현담주해 (十玄談註解)》
* 《불교와 고려제왕 (高麗諸王)》
* 《조선독립의 서 (朝鮮獨立之書)》
=== 번역서 ===
* 《정선강 채근담》
=== 소설 ===
* 《흑풍》([[1935년]])
* 《후회》([[1936년]])
* 《박명 (薄命)》([[1938년]])
* 《죽음》
=== 시 ===
* 시 '꿈과 근심'
* '실제 (實際)'
* '나룻배와 행인'
* 님의 침묵
* 수의 비밀
* 사랑하는 까닭
=== 수필 ===
* 《최후의 5분간》
== 사상과 신념 ==
그는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불경의 사상을 인용하여 이를 현대적 자유사상에 연관시켜 생각하였다. 그는 이것이 만인의 평등사상을 설파하였다.
=== 불교 사회혁신주의와 보편화 ===
만해의 불교 사상은 흔히 불교사회혁신주의로 요약된다. 그는 조선의 민중이 역사 이래로 지배자들로부터 억압과 수탈을 당해왔음을 인식하고 [[불교]]가 민중을 구제하거나, 아니면 현실에서 민중들을 위로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주장하였다. 저서인 《조선불교유신론》에서 그는 불교혁신론을 주장, 산사로 들어가 고결한 이상만을 추구하는 점을 비판하고, 한국불교의 침체와 낙후성을 통렬하게 비판하고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는 [[불교]]사상이 자유주의, 평등주의, 구세주의, 진보적 입장에 서야 함을 역설했다.
{{인용문2|불교는 크고 원만한 가르침이어서 무슨 일이나 금함이 없는 것입니다. 다만 근기가 천박한 중생들을 고려한 까닭에 임시방편으로 설정한 것뿐이건만, 후의 사람들이 이를 몰라, 금언인 양 잘못 만들어서 넋을 잃은 나머지 다시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 실정입니다.<ref>김광식, 《한용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106쪽</ref>|헌의서 중에서}}
그는 어떠한 진리와 진실을 대중에게 강요하지 않는 [[불교]]가 미래의 인류문명에 가장 적합한 교리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조선]]에서는 고결한 이상만을 추구하거나 산에 들어가 낙후성을 면하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그는 사원운영의 혁신을 주장하는 내용에서 불교의 대중화·민중화라는 기본사상이 도출되어 나온다. 그는 불교의 민중화를 위해 불교 교리와 제도, [[불교]] 재산을 일부 고위층 승려들, 간부 승려들이나 종단이 독식하지 말고 민중화, 사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년불교를 제창하고 젊은이들의 불교 포교 및 불교 부흥을 위해 노력했고 《불교대전》 등 불교경전의 한글 번역작업에 착수했으며, [[금강경]], [[화엄경]] 등 불교 서적의 한글 번역과 불교 서적의 해석서, 해석 칼럼과 논문 등을 발표하였다. 한편으로 《불교교육 불교한문독본》, 《정선강의 채근담 (精選講義菜根譚)》의 편찬에 참여하고 불교잡지인 《유심》, 《불교》 등의 잡지 간행에 힘쓰며 불교학교와 강연회를 주최하는 등 불교의 대중화, 보편화를 위해 노력했다.
=== 대처승 운동 ===
또한 그는 생활불교가 되려면 독신이 아니라 생산적인 부부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승려는 결혼하면 안된다는 것이 편견이라 주장하고, 승려의 취처(聚妻)를 허락할 것 등을 주장했다. 대중의 결혼생활, 가장이라는 짐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어떻게 대중의 입장을 이해하겠느냐는 것이다.
{{인용문2|부처님께서는 중생들이 미혹을 떠나 깨달음을 얻고 악을 고쳐 선을 행하도록 바라셨으나, 중생의 근기가 각기 달라서 부득불 천하에서 정을 제거하고 욕망을 끊어 버린 사실들을 모두 연설하였던 것이니, 각기 좋아하는 것을 좇아 인도하시고자 희망하셨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계율에 있는 금혼은 본디 방편의 하나에 불과한 것일뿐, 불교의 궁극의 경지와는 거리가 먼 것이니 이를 제거한들 어찌 손상됨이 있겠습니까.<ref name="ReferenceA"/>|건백서 중에서}}
그는 승려의 결혼이 [[불교]] 교리에 어긋나지 않음을 주장하였고, [[원효]] 등 대처승의 사례를 소개하기도 했다. 결혼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그는 윤리적·생물학적 여러 논거를 제시하였다.
한편 그의 대처승 허용 운동, 승려의 결혼 허가 주장에 대해 [[불교]]계에서는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해방 직후에도 [[조계종]]단에서는 만해가 승려의 결혼 자유화를 주장하고, 그 자신도 그것을 실천하였기에 더욱 거북스러운 존재였다. 다만 일부 불교개혁을 추구하였던 운동권 승려의 그룹에서, 불교청년운동을 하는 재가불교청년단체에서 만해를 찾았을 뿐이다.<ref>김광식, 《만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24쪽</ref>
=== 불교 사회 혁신 주의와 도시화 ===
사원운영에 있어서 그는 염불당(念佛堂)의 폐지와 도시에 사찰 건립을 할 것을 주장하였다. 근본교리에 비추어볼 때 우주에 편재(遍在)한 법신불(法身佛)이 신앙의 대상이 되는 것이지, 결코 특정한 신앙대상이 따로 없는 것이라 보았다.
그는 특히 법당은 산사라는 개념에 반대하였다. 사찰은 사람이 사는 곳에 있어야 하는 것이라는 점이 한용운의 지적이었다. 기존의 염불당 등과 교리에 얽매이는 허례적인 의식들을 타파하고 산중에 있는 절이 도시로 나올 것, 도시로 나와서 여러 국민들과 직접 만나고 직접 면담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승려들도 노동을 할 것을 주장했다. 최소한 사찰 주변에 땅을 마련하여 자기가 먹을 쌀과 곡식은 스스로 만들며 불자들의 시주에만 의존하는 그릇된 사상을 버리라고 촉구했다. 그는 승려들도 사취(詐取)와 동냥질을 그만두고 스스로 생산활동에 참여할 것을 호소했다.
불교사상의 측면에서 중관론(中觀論)에 기초해 소승적인 소극주의나 현세부정적인 불교를 비판하고 중생의 삶에 참여하고 뛰어들라고 촉구했다. 한용운은 곧 중생의 삶과 일상에서 정토를 구하고, 정토로 인도하자고 역설하였다.
==== 불교조직 혁신론 ====
[[일제강점기]] 후반 [[조선총독부]]의 조선사찰령 발표에 반대하였다. 총독부는 사찰들이 무분별하게 운영된다는 것을 핑계로 조선사찰령의 발표 이후 거의 모든 사원의 운영권이 총독부의 직속 관리하에 들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통일종단의 조직, 규약, 재정확보 등을 일원화시켜 [[조선총독부]]의 관리 감독과 간섭 의도를 무너뜨려야 한다고 보았다. 그에 의하면 현행의 본말사제도(本末寺制度)를 그냥 두되 중앙에 통제기구를 신설하자는 것이었다.
김법린(金法麟) 등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불교파가 세운 불교총무원에서는 이를 그대로 수용하였다. 비록, 당시 승려들의 개혁 의지가 뒷받침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반대와 비방에 시달리렸지만 이는 불교행정조직의 좌표를 제시한 것이었다.
=== 조선불교 독립 운동 ===
그는 조선 불교가 일본 불교에 편입되는 것을 반대하고 저항하였다. [[1910년]]말 원종(圓宗) 종무원 [[이회광]]이 불교확장이란 미명하에 일본에 가서 조선의 원종이 일본 조동종과 완전히 연합, 동맹할 것 등을 협약하고 오자, [[1911년]] 한용운은 석전 [[박한영]], [[백용성]] 등과 [[이회광]] 규탄 및 승려궐기대회를 개최해 이회광을 종문난적(宗門亂賊)으로 규정하면서 원종에 대응되는 임제종(臨濟宗)을 창립한 것은 그의 대표적인 불교자주화운동이다.
그의 불교자주화운동은 [[1931년]] 결성된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의 이면단체였던 만당활동 등으로 이어졌다. 그는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의 긴급한 사명으로서 정교분립(政敎分立)과 불교통일의 촉진, [[불교]]의 사회적 진출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 그는 정교분립을 주장하기도 했는데, 이는 종교를 정부 혹은 체제의 하수인으로 삼으려는 [[조선총독부]] 학무국 정책에 반대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 연보 ==
* [[1879년]]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출생
* [[1905년]] [[강원도]] [[인제군]] 백담사에서 수계
* [[1906년]] [[명진학교]] 입학
* [[1908년]] [[명진학교]] 졸업
* [[1908년]] 조동종대학림에서 연구
* 28세에 [[설악산]] [[백담사]]에서 불문에 귀의
* 1911년 박한영 등과 친일불교에 맞서 승려대회 개최
* 1918년 청년계몽운동지 유심지를 창간,주재
* [[1919년]] [[3월 1일]] (→ [[3·1 운동]]) 불교 대표로 독립 운동에 참가
*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간 감옥살이
* [[1924년]] 불교청년회 회장, 총재
* [[1926년]] 시집 '''[[님의 침묵]]''' 출판
* 1927년 신간회 중앙위원회 위원
* 1928년 경성지부장
* 1929년 [[광주학생운동]] 민중대회 개최
* 조선불교동맹 지도자
* 1931년 만당 당수
* 1931년 월간 [[불교]]지를 인수, 2년간 간행
* [[1944년]] [[서울]]에서 중풍으로 사망
== 세계(世系) ==
시조부터 본인까지의 세계는 다음과 같다.
1세 란(蘭) → 2세 영(頴) → 3세 상휴(尙休) → 4세 혁(奕) → 5세 희유(希愈) → 6세 광윤(光胤) → 7세 [[한강 (고려)|강]](康) → 8세 [[한사기|사기]](謝奇) → 9세 악(渥) → 10세 공의(公義) → 11세 [[한수 (고려)|수]](脩) → 12세 상질(尙質) → 13세 기(起) → 14세 [[한명진 (1426년)|명진]](明溍) → (미확인) → 27세 종옥(宗玉) → 28세 익량(益良) → 29세 재혁(載爀) → 30세 광후(光厚) → 31세 영우(永祐) → 32세 응준(應俊) → 33세 용운(龍雲)
== 가족 관계 ==
자녀는 첫 번째 아내 전정숙 사이에서 얻은 아들 한보국과 두 번째 아내 유숙원 사이에서 얻은 딸 한영숙이 있다. [[한보국]]은 고향인 [[홍성]]에서 [[사회주의]] 운동을 하다가 [[6.25 전쟁|한국 전쟁]] 때 월북하였다.<ref>외아들 한보국은~: 《민족21》 [http://www.minjog21.com/news/read.php?idxno=382 만해와 외아들 한보국] {{웨이백|url=http://www.minjog21.com/news/read.php?idxno=382 |date=20071026042058 }} (2004년 1월호)</ref>14세에 조혼 풍습에 따라 결혼한 전정숙과는 이혼하고 후에 승려 생활 도중인 [[1931년]] 53세에 21세 연하의 유숙원과 결혼하여 [[대처승]]이 되었다. 월북한 한보국은 슬하에 2남 5녀를 두었으나 아들 1명은 어릴 때 요절하였다. 한보국의 다른 부인은 [[1960년대]] 무렵 인천에 거주하던 것으로 알려졌다.
* 아버지 : 한응준(韓應俊, [[1856년]] ~ [[1905년]])
* 어머니 : 방숙영(方淑英, [[1859년]] ~ [[1912년]])
** 형 : 한윤경(韓允慶, [[1876년]] ~ [[1929년]])
* 배우자 : 전정숙(全貞淑, [[1877년]] ~ [[1950년]])
** 장남 : 한보국(韓報國, [[1904년]] ~ [[1977년]])
** 며느리 : 강창옥(姜昌玉, [[1917년]] ~ ?)
*** 손녀 : 한명숙(韓明淑, [[1936년]] ~ )
*** 손녀 : 한명계(韓明界, [[1939년]] ~ )
*** 손자 : 한명진(韓明進, [[1942년]] ~ )
*** 손녀 : 한명자(韓明子, [[1943년]] ~ )
*** 손녀 : 한명세(韓明世, [[1947년]] ~ )
*** 손녀 : 한명심(韓明心)
* 배우자 : 유숙원(兪淑元[[1898년]] ~ [[1965년]])
** 장녀 : 한영숙(韓英淑, [[1934년]] ~ )
== 평가와 비판 ==
{미완성 문단}
민족독립, 불교유신, 자유문학의 3대 사상가로서 절의의 행적을 남겼다. 강렬한 현실비판 등 현세에서의 실천을 강조한 그의 혁명사상을 가졌다는 평가가 있다. 그가 불교이념에 의한 자유, 평등의 국가사회가 이루어지기를 소망하였다는 평가도 있다. 한편 자유민주주의, 비폭력 무저항주의, 민족자결주의 등에 입각한 소극적, 관념적인 차원에 머물렀다는 시각도 있다.만해 한용운은 대단한 독립운동가다. 스님이면서 독립운동에도 힘썼다. 또 독립 운동을 할 때 같이 했던 동지들이 창씨개명 등 일본이 억지로 권유한 것을 하기라도 하면 차갑게 외면했다.
== 기타 ==
* 승려의 결혼 허용 주장은 [[1920년]]대 [[1930년]]대 화제가 되어 사회적 이슈거리와 논란이 되었다.
* 친하던 벗 또는 호형호제하던 사이로는 [[이시영]](李始榮), [[백용성]], [[최남선]], [[최린]], [[김동삼]](金東三), [[방응모]], [[신채호]],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안재홍]],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정인보]](鄭寅普), [[김규식]], 박광(朴珖), [[홍명희]], [[만공]] 송월면(宋月面), [[이광수]], [[김일엽 (승려)|김일엽]], 최범술(崔凡述) 등이 있었다.
* 그의 제자 중에는 [[춘성 (1891년)|춘성]]도 있었다. [[춘성 (1891년)|춘성]] 역시 [[일제강점기]]의 대표적 반일 인사이자 해방 후에도 승려로 활동하였다.
* 그의 아들 [[한보국]]은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자이자 해방 후에는 [[남조선로동당|남로당]] 당원으로 활동하다가 월북하였다. 1980년대까지 그에게는 아들이 한 사람 있었다는 것 이외에는 아들과 본부인 전정숙의 존재는 세간에 알려지지 않았다.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Col-begin}}
{{Col-3}}
* [[님의 침묵]]
* [[3·1 운동]]
* [[민족대표 33인]]
* [[민족대표 49인]]
* [[동학 농민 운동]]
* [[만해 기념관]]
* [[신민회]]
* [[만해한용운심우장]]
* [[이종욱]]
* [[만공]]
* [[춘성 (1891년)|춘성]]
* [[이종욱]]
* [[김법린]]
* [[최남선]]
* [[백용성]]
* [[박한영]]
* [[전봉준]]
* [[서인주]]
{{Col-3}}
* [[대처승]]
* [[조선불교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유심]]
* [[신간회]]
* [[심우장]]
* [[안재홍]]
* [[조만식]]
* [[방응모]]
* [[김구]]
*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 [[김일엽 (승려)|김일엽]]
*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 [[윤치호]]
* [[정인보]]
* [[홍명희]]
* [[이광수 (1892년)|이광수]]
* [[윤치소]]
{{Col-3}}
* [[원효]]
* [[김좌진]]
* [[김두한]]
* [[조선일보]]
* [[동아일보]]
* [[백담사]]
* [[김규식]]
* [[신간회]]
* [[박헌영]]
* [[전두환]]
* [[한보국]]
* [[독립유공자로 대한민국장을 수여받은 사람]]
{{Col-end}}
== 만해 한용운을 연기한 배우들 ==
* [[이문환]] - [[1986년]], 《[[님의 침묵 (1986년 드라마)|님의 침묵]]》 (KBS 드라마)
* [[유형관]] - [[2002년]], 《[[야인시대]]》 (SBS 드라마)
== 각주 ==
<references />
== 참고 문헌 ==
* 김광식, 《한용운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 윤재근, 《님의 침묵 연구》 (민족문학사, 1985)
* 김재홍, 《한용운문학연구 1》 (일지사, 1982)
* 송욱, 《님의 침묵:전편해설》 (과학사, 1973)
* 박노준·인권환, 《한용운 연구》 (통문관, 1960)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분류=불교}}
== 외부 링크 ==
{{위키문헌|글쓴이:만해|한용운}}
{{위키문헌|님의 침묵}}
{{위키인용집}}
* [http://www.manhae.or.kr/ 만해기념관 홈페이지]
* [http://wwww.peace21.org/today_column_board/18492 만해 한용운과 아들 한보국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 부자, 애국애족만은 부전자전]{{깨진 링크|url=http://wwww.peace21.org/today_column_board/18492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6&cp_code=cp0525&index_id=cp05250499&content_id=cp052504990001 승려결혼을 주장한 한용운]
* [https://web.archive.org/web/20131214035146/http://www.hongsung.net/tt/board/ttboard.cgi?act=read&db=city_people&page=1&idx=3 한용운:홍성넷]
*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8/08/01/200808010500005/200808010500005_2.html 민족대표 33인 한용운과 박희도:“독립의 영(榮), 변절의 욕(辱), 모두 산 자들의 짐인 것을…”]
{{불교 둘러보기}}
{{민족대표 33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91년-이 달의 문화 인물}}
{{1994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2019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한국의 승려}}
{{전거 통제}}
[[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분류:1879년 출생]]
[[분류:1944년 사망]]
[[분류:홍성군 출신]]
[[분류:20세기 시인]]
[[분류:불교 철학자]]
[[분류:민족대표 33인]]
[[분류:신간회의 인물]]
[[분류:한국독립당의 당원]]
[[분류:조선의 사회 운동가]]
[[분류:대한제국의 승려]]
[[분류:대한제국의 작가]]
[[분류:일제강점기의 승려]]
[[분류:일제강점기의 출판인]]
[[분류:일제강점기의 시인]]
[[분류:일제강점기의 불교학자]]
[[분류:일제강점기의 언론인]]
[[분류:일제강점기의 소설가]]
[[분류:청주 한씨]]
[[분류:20세기 한국 사람]]
[[분류:병사한 사람]]
[[분류:고문 피해자]] |
{{위키낱말사전|중식}}
'''중식'''은 여러 뜻이 있다.
* [[점심|중식]](中食): 점심 식사
* [[중국 요리|중식]](中食): 중국 요리
** [[한국식 중국 요리]]
== 가공 인물 ==
*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의 등장인물
* [[기쁜 우리 젊은 날 (드라마)|기쁜 우리 젊은 날]]의 등장인물
* [[변산 (영화)|변산]]의 등장인물
* [[꼭두의 계절]]의 등장인물
* [[아내의 애인을 만나다]]의 등장인물
* [[계동 아씨]]의 등장인물
== 같이 보기 ==
* {{in title|중식}}
{{동음이의}}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kg||KG|조사=는}}
{{Infobox unit
| name = 킬로그램
| image = Poids fonte 1 kg 01.jpg
| standard = [[SI 기본 단위]]
| quantity = [[질량]]
| symbol = kg
| units1 = [[상형]]
| inunits1 = ≈ {{val|2.205}} [[파운드 (질량)|파운드]]<ref group="참고">The avoirdupois pound is part of both [[United States customary units|United States customary system of units]] and the [[Imperial units|Imperial system of units]]. It is defined as exactly {{val|0.45359237|ul=kilograms}}.</ref>
| units2 = 영국 중력 단위
| inunits2= ≈ {{val|0.0685}} [[슬러그]]
}}
[[파일:CGKilogram.jpg|섬네일|300px|킬로그램 국제 원기의 컴퓨터 생성 이미지.]]
'''킬로그램'''({{문화어|키로그람}}, {{llang|en|kilogram}}<ref group="참고">“''kilogram''”이라는 철자는 [[국제 도량형국]] 및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 영국 국립도량형국(National Measurement Office), 캐나다 국립연구소(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도량형연구소(National Measurement Institute)에서 채택한 현대식 표기법이다.</ref>)은 [[SI 단위계]]에서 사용하는 [[질량]]의 기본 단위로 기호는 '''kg'''이다.
국제 단위계의 기본단위 가운데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만이 역사적인 이유로 그 명칭이 [[SI 접두어|접두어]]를 포함하고 있다. 질량 단위의 십진 배수 및 분수에 대한 명칭 및 기호는 단위 명칭 “그램”에 접두어 명칭을 붙이고 단위기호 “g”에 접두어 기호를 붙여서 사용한다.
:<math>1 \mathrm{kg} \ =\ 10^3 \mathrm g</math>
:
== 국제 표준원기에 의한 정의 ==
킬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국제 킬로그램 원기]]로 정의되는 단위이다. [[백금]]-[[이리듐]]으로 만들어진 [[국제 킬로그램 원기]]는 1889년 제1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지정한 상태 하에 국제도량형국(BIPM)에 보관되어 있는데 당시 국제도량형총회는 국제원기를 인가하고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인용문|
이제부터는 이 원기를 질량의 단위로 삼는다.
킬로그램은 질량의 단위이며 국제킬로그램원기의 질량과 같으며, 그 기호는 “kg”으로 한다.
}}
질량의 크기를 결정하는 표준물체로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지정된 킬로그램원기(백금 90%, 이리듐 10%)가 사용되며, 이 원기의 질량을 1kg으로 정하여 질량을 비교하는 질량의 표준단위로 사용한다.
== 새로운 표준 정의에 관한 논의 ==
[[파일:Standard kilogram, 2.jpg|섬네일|[[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 보관 중인 [[백금]](90%)과 [[이리듐]](10%) 합금으로 이루어진 1kg 원기(原器)의 모습]]
[[파일:Watt balance, large view.jpg|섬네일|[[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와트 저울]]
[[파일:Silicon sphere for Avogadro project.jpg|섬네일|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1kg짜리 [[실리콘]] 구]]
종전 킬로그램의 정의는 [[1901년]] 3차 [[국제도량형총회]](CGPM)가 정한 "kg은 질량의 기본 단위이며 그 질량은 국제 킬로그램원기의 질량과 같다"는 정의에 따른다. 이에 따라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근교의 [[세브르]] [[국제도량형국]](BIPM) 금고에는 가로·세로 각 3.9cm 크기의 1kg [[원기]] 원통이 보관되어 있다. 종전에는 7개의 [[SI 기본 단위]] 가운데 [[시간]](s)·[[길이]](m)·[[전류]](A)·[[온도]](K)·[[몰 (단위)|몰]](mol)·[[광도]](cd) 등 6개 단위는 모두 물리적 원리를 바탕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반하여, [[질량]](kg)만이 유일하게 인공적으로 만든 원기를 표준으로 삼고 있었다.
하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원기를 표준으로 삼을 경우 인공 원기의 물리적 특성이 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1kg의 기준이 바뀌면 질량과 관련된 물리량의 정의도 덩달아 바뀌게 된다. 실제로 국제도량형국(BIPM)은 2007년 "kg 원기의 질량이 50㎍([[마이크로그램]]) 줄었다."고 밝힌 적이 있다.<ref name="kg 재정의"/><ref name="kg 표준정의 전쟁"/> 과학자들이 kg의 정의를 재정립하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었다.
인공적으로 만든 인공 원기를 대체하여 kg 표준을 재정립하기 위해 국가간에도 '1kg 표준 정의'를 두고 치열한 대립이 발생하였다.<ref name="kg 표준정의 전쟁"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방식으로 kg의 정의를 재정립하려는 국제적인 움직임이 있었다. 첫째, 1kg짜리 [[실리콘]] 구를 만든 뒤 그 안에 있는 원자 수를 세어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는 일명 '[[아보가드로 프로젝트]](Avogadro project)' 방식과 둘째, [[플랑크 상수]]를 사용하여 전기력을 중력으로 환산하는 소위 '[[와트 저울]](Watt balance)' 방식으로 kg을 재정의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ref name="kg 재정의">[https://news.joins.com/article/4971182 질량의 단위 ‘㎏’ 기준 물체 퇴출된다]</ref><ref name="kg 표준정의 전쟁">[http://news.donga.com/3/all/20101105/32367094/1 美-獨 ‘1kg 표준정의’ 전쟁]</ref> 한국은 미국, 프랑스 등이 연구하고 있는 '[[와트 저울]]' 방식을 지지하였다.<ref>[http://www.etnews.co.kr/201102100043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인터뷰]</ref>
== 킬로그램의 새로운 정의 ==
[[2011년]] [[10월 21일]], [[프랑스]] 파리 근교에서 열린 제24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는 120년 이상 킬로그램의 정의로 사용된 '국제 킬로그램 원기(原器)'를 폐지하고, 새로운 정의를 도입한다는 방침을 정했다.<ref>{{뉴스 인용|제목='킬로그램' 정의 물체 폐지 결정|url=http://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44&newsid=20111022134710323&p=yonhap|출판사=연합뉴스|저자=이충원|날짜=2011-10-22|확인날짜=2011-10-22}}</ref> 2018년 11월 16일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ref name="한겨레">[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870623.html?fbclid=IwAR1retk8aAw3VAY47N1tyGyr3jnWFFNigCCXkI5A4HSmZ-b4stg6yl2XvOk ‘불변의 단위’ 시대 열린다…질량 등 4개 단위 재정의], 한겨레, 2018년 11월 16일</ref> 아래와 같이 재정의 되었다.<ref name="Vox">[https://www.vox.com/science-and-health/2018/11/14/18072368/kilogram-kibble-redefine-weight-science The world just redefined the kilogram], Vox, 2018 Nov 16</ref> 새로운 정의는 [[세계 측정의 날]]인 2019년 5월 20일부터 발효되었다.<ref name="한겨레" />
{{인용문|킬로그램은 kg을 그 기호로 하며 질량에 관한 SI 단위이다. [[플랑크 상수]] {{mvar|h}}를 kg⋅m<sup>2</sup>⋅s<sup>−1</sup>와 동등한 J⋅s 단위로 표기할 때 {{val|6.62607015|e=-34}}의 고정값을 취하도록 정의되며, 여기서 미터와 초는 {{mvar|c}}<ref>진공에서의 광속을 299,792,458 m/s로 정의함에 따라 미터의 길이가 정해짐</ref>와 {{math|Δ''ν''<sub>Cs</sub>}}<ref>세슘원자의 기저상태의 초미세구조 천이 주파수를 9,192,631,770 Hz로 정의함에 따라 초의 길이가 정해짐</ref>에 의하여 정의된다.<ref>The kilogram, symbol kg, is the SI unit of mass. It is defined by taking the fixed numerical value of the Planck constant {{mvar|h}} to be {{val|6.62607015|e=-34}} when expressed in the unit J⋅s, which is equal to kg⋅m<sup>2</sup>⋅s<sup>−1</sup>, where the metre and the second are defined in terms of {{mvar|c}} and {{math|Δ''ν''<sub>Cs</sub>}}</ref>}}
새 정의는 [[질량-에너지 등가]]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물질적인 표준 원기 없이 '''kg'''의 정의가 가능하다.<ref name="Vox" />
이러한 단위로 정의하면, kg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된다.
:kg = {{math|{{sfrac|({{val|299792458}}){{sup|2}}|({{val|6.62607015|e=-34}})({{val|9192631770}})}}{{sfrac|{{gaps|''h''|Δ''ν''<sub>Cs</sub>}}|''c''{{sup|2}}}}}} = {{math|{{sfrac|{{val|917097121160018}}|{{val|62154105072590475}}}}{{val||e=42}}{{sfrac|{{gaps|''h''|Δ''ν''<sub>Cs</sub>}}|''c''{{sup|2}}}}}} ≈ {{math|({{val|1.475521399735270|e=40}}){{sfrac|{{gaps|''h''|Δ''ν''<sub>Cs</sub>}}|''c''{{sup|2}}}}}} .
이러한 정의는 일반적으로 종전의 정의와 일관성이 있어서, 새로운 1 킬로그램의 질량은 1 리터 물의 질량의 30 [[ppm]]의 범위 이내에 있다.<ref>물의 밀도는 3.984 °C에서 0.999972 g/cm³이다. See {{서적 인용|last=Franks|first=Felix |title=The Physics and Physical Chemistry of Water|url=https://books.google.com/books?id=5f_xBwAAQBAJ&pg=PA376|year=2012|publisher=Springer |isbn=978-1-4684-8334-5}}</ref>
== SI 배수 ==
[[SI 접두어]]는 두 개 이상이 연속해서 붙여질 수 없기 때문에, 접두어 사용시에는 이미 접두어가 붙은 단어인 ‘킬로그램’ 대신 ‘그램’이 사용된다.<ref>{{언어링크|en}} NIST: ''SI prefixes'' ([http://physics.nist.gov/cuu/Units/prefixes.html link to Web site]).<sub> </sub></ref> 예를 들어, 킬로그램의 백만분의 일은 1 µkg (마이크로킬로그램)이 아닌 1 mg (밀리그램)이다.
[[파일:Odważniki 2, ubt.jpeg|섬네일|두 개의 100그램(0.1킬로그램) 원기.]]
<div style="float:center; margin-left: 1em;">
{{SI 배수
|단위=그램
|기호=g
|참고=<small>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접두어는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음.</small>
|p= | n= | µ= | m= | k= | M= | G= | T=
|xM = 메가그램([[톤]]){{#tag:ref|“메가그램” 단위는 도량형 표기의 일관성이 엄격하게 지켜져야 하는 일부 기술적인 문서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 대신, “[[톤]]”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group="참고"}}{{#tag:ref|영어권에서는 “metric ton”도 사용됨|group="참고"}}
|xT = 테라그램(메가톤(Mt)){{#tag:ref|공식적인 표기인 “테라그램”(Tg) 대신 메가톤(Mt)이 폭발물의 폭발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흔히 사용된다.|group="참고"}}
|xmc = 마이크로그램(mcg){{#tag:ref|마이크로그램의 기호로 표시된 그리스어 소문자 “[[µ]]”<ref group="참고">이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고 있는 “[[µ]]” 기호는 유니코드 특수문자 [[µ]] 기호 (µ)이며, [[μ]] 기호(μ)가 아니다.</ref>(mu)는 아스키 코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자이다. 이 때문에 때때로 로마자 소문자인 “[[u]]”로 표기되기도 하나 이것은 올바른 표기는 아니다.|group="참고"}}{{#tag:ref|마이크로그램은 종종 약칭인 “mcg”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표기는 의약품이나 식품의 성분 표시 등에서 흔하다. 이것은 마이크로그램의 접두어인 “[[µ]]”이 일반적으로 혼동되기 쉬운 문자이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한 보편적인 조치이다.<ref group="참고">마이크로그램을 SI 기호인 “µg” 대신에 “mcg”로 표기하는 것은 미국 병원평가기관 제이코(JCAHO)가 [http://www.aapmr.org/hpl/pracguide/jcahosymbols.htm 사용 금지 약어, 머리글자 및 기호 목록]에서 공식적으로 의사들에게 요구한 내용이다. 그 이유는 수기(手記)로 쓰여진 “µg”기호는 “mg”과 혼동되기 쉽고, 결국 이는 1000배의 약물 과다 투여라는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http://www.ismp.org/ 약물안전관리협회(ISMP)]에서도 채택되었다.</ref>|group="참고"}}
}}
</div>
== 같이 보기 ==
* [[그램]](g)
* [[톤]](t)
== 각주 ==
=== 주해 ===
<references group="참고" />
=== 출처 ===
<references/>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www.kriss.re.kr/2010/standard/pop02_02.html 질량의 단위 (킬로그램) - 한국표준과학연구원]{{깨진 링크|url=http://www.kriss.re.kr/2010/standard/pop02_02.html }}
{{SI 단위}}
{{전거 통제}}
[[분류:SI 기본 단위]]
[[분류:질량의 단위]]
[[분류:1000]] |
'''뉴턴'''(newton)은 다음 뜻으로 쓰인다.
== 인명 ==
* [[아이작 뉴턴]]({{lang|en|Isaac Newton}}, 1643 ~ 1727)은 영국의 과학자이다.
* [[앨프리드 뉴턴]]({{lang|en|Alfred Newton}}, 1829 ~ 1907)은 영국의 동물학자이다.
* [[호러스 뉴턴 알렌]]: 미국의 조선 주재 외교관, 선교사
* [[탠디 뉴턴]]: 잉글랜드의 배우
* [[제임스 뉴턴 하워드]]: 미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
* [[웨인 뉴턴]]: 미국의 가수 및 배우
* [[휴이 뉴턴]]: 아프리카계 미국인 해방 운동자, 혁명가이며 흑표당의 창시자
* [[미카 뉴턴]]: 우크라이나의 가수
* [[존 뉴턴]]: 영국의 성공회 신부이자, 찬송가 작가
* [[베키 뉴턴]]: 미국의 배우
* [[쥬스 뉴턴]]: 미국의 가수
* [[길버트 뉴턴 루이스]]: 미국의 물리화학자
* [[찰스 토머스 뉴턴]]: 영국의 고고학자
* [[뉴턴 토머스 시걸]]: 미국의 영화 촬영 기사
* [[캐스린 뉴턴]]: 미국의 배우
== 지명 ==
* [[뉴턴 (매사추세츠주)]]: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도시
* {{link-en|뉴턴 (싱가포르)|Newton, Singapore}}
* [[뉴턴 (아이오와주)]]
* [[뉴턴군]]
== 단위 ==
* [[뉴턴 (단위)|뉴턴]]은 힘의 [[SI 단위]]이다.
* [[뉴턴 미터]]: 돌림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SI 단위
== 컴퓨터 과학, 전자제품 ==
* [[애플 뉴턴|뉴턴]]은 애플 사의 PDA이다.
* [[뉴턴 OS]]
== 서적 ==
* [[뉴턴 (잡지)|뉴턴]]은 주식회사 뉴턴코리아(현 아이뉴턴)의 잡지이다.
== 같이 보기 ==
* {{in title|뉴턴}}
{{동음이의|지명|인명}}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 이름 = 아이작 뉴턴
| 원어이름 = Isaac Newton
| 본명 =
| 그림 = Portrait of Sir Isaac Newton, 1689 (brightened).jpg
| 그림 크기 = 220px
| 그림 설명 = 1689년에 그려진 뉴턴의 초상화
| 태어난 날 = [[율리우스력]] {{출생일|1642|12|25}}
| 태어난 곳 = [[영국]] [[링컨셔주]] 울즈소프
| 죽은 날 = [[율리우스력]] 1726년/1727년 3월 20일 (83-84세)
| 죽은 곳 = 영국 [[런던]] [[켄싱턴]]
| 국적 = [[영국]]
| 분야 = [[수학]], [[물리학]], [[천문학]], [[연금술]], [[자연철학]], [[기독교 신학]], [[경제학]]
| 소속 =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과
| 출신 대학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지도교수 = 아이작 배로({{llang|en|Isaac Barrow}})<br /> 벤저민 풀린({{llang|en|Benjamin Pulleyn}})
| 지도학생 = [[로저 코츠]]<br /> 윌리엄 휘스턴({{llang|en|William Whiston}})
| 주요 업적 = [[뉴턴 역학]]<br /> [[뉴턴 운동 법칙]]<br /> [[만유인력의 법칙]]<br /> [[기하광학]]<br /> [[뉴턴의 방법]]<br /> [[퓌죄 급수]]<br /> [[뉴턴 유체]]<br /> 뉴턴-코츠 공식<br /> [[뉴턴의 냉각 법칙]]
| 수상 = [[왕립학회]] 회원
| 종교 = [[성공회]] 또는 [[청교도]]
| 참고사항 =
| 서명 = Isaac Newton signature.svg
}}
{{고전역학}}
{{천체동역학|과학자}}
'''아이작 뉴턴'''({{llang|en|Isaac Newton}}, [[율리우스력]] [[1642년]] [[12월 25일]]~[[1726년]]/[[1727년]] [[3월 20일]], [[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1727년]] [[3월 31일]])은 [[잉글랜드]]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다.
1687년 발간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는 [[고전역학]]과 [[만유인력]] 기본 바탕을 제시하며, [[과학사]]에서 영향력 있는 저서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이 저서에서 뉴턴은 다음 3세기 동안 우주의 과학적 관점에서 절대적이었던 [[만유인력]]과 3가지 [[뉴턴 운동 법칙]]을 저술했다. 뉴턴은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과 그의 중력 이론 사이 지속성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지구와 천체 위 물체의 운동을 증명함으로써 [[태양중심설]]에 관한 마지막 의문점을 제거하고 [[과학 혁명]]을 앞당겼다.
뉴턴은 또한 첫 번째 실용적 [[반사 망원경]]을 제작했고, [[프리즘]]이 흰 빛을 가시 광선으로 분해하는 [[스펙트럼]]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빛]]에 관한 이론도 발달시켰다. 또한, 그는 실험으로 [[뉴턴의 냉각 법칙]]을 발명하고 [[음속]]을 연구했으며, [[뉴턴 유체]] 개념을 고안하였다.
수학적 업적으로 뉴턴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와 함께 [[미적분학]]에 이바지했다. 또한, 그는 일반화한 [[이항정리]]를 증명하고, 소위 [[뉴턴의 방법]]이라 불리는 미분 가능한 연속 함수 {{mvar|''f''}}에 관해 방정식 <math> f(x) = 0 </math>에서 [[미분계수]]와 [[접선]]을 반복해서 구하여 근에 근사하게끔 하는 방법을 발견하고, [[거듭제곱 급수]] 연구에 이바지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갈릴레이]]가 자연현상이 수학적으로 잘 표현된다는 점을 보여주었고, 뉴턴은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제목으로 그가 만든 역학을 출판하였다. 사실상 물리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로 모든 물리학 이론에서 수학적 모델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17세기에 [[과학적 방법]]이 등장하고 과학이 시작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17세기 말경 뉴턴은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속도가 아니라 가속을 일정한 비율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뉴턴은 1687년 물체의 운동에 관한 3가지 법칙을 《[[프린키피아]]》에서 증명했다.
뉴턴은 2005년 [[영국]] [[왕립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아이작 뉴턴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중에서 과학사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인류에게 더 큰 공로를 한 사람이 누구인가"를 묻는 설문 조사에서 2가지 항목 모두에서 우세를 보임으로써, 여전히 [[과학자]]들에게 영향력이 있음이 입증했다.
뉴턴은 전통적인 [[기독교]] 성직자는 아니었지만, 신앙심 또한 깊었다. 그는 그를 오늘날까지 기억되도록 만든 [[자연과학]]보다도 [[성서]] 해석이나 [[오컬트]]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았다고 한다.<ref>최순욱.[http://www.etnews.com/news/special/2226473_1525.html 1727년 3월 20일]. 전자신문. 2010년 3월 18일.</ref> 그 결과, [[마이클 H. 하트]](Michael H. Hart)가 저술한 "The 100"에서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 기록되었다.<ref>첫 번째는 [[무하마드]]이고, 세 번째는 [[예수]]이다.</ref> 그는 [[삼위일체설]]을 부정하였고 유일신인 창조주를 믿었다.
== 생애 ==
=== 어린 시절 ===
아이작 뉴턴의 어린 시절은 매우 불행하였다. 아이작 뉴턴은 [[율리우스력]] [[1642년]] [[12월 25일]] [[성탄절]]에([[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 [[잉글랜드]] [[동부]] [[링컨셔주]] 울즈소프에서 농부인 아이작 뉴턴 시니어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이미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였다. [[조산|조산아]]였던 그는 몸집이 매우 작았다. 뉴턴이 3살이었을 때, 그의 어머니 한나 스미스가 재혼하면서 그는 외가에 맡겨지게 되었다. 뉴턴은 [[성공회]] 사제인 그의 양아버지<ref name="christiantoday.co.kr">{{웹 인용|url=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26666|제목=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뉴턴의 학문과 신앙|성=크리스천투데이|날짜=2019-11-13|확인날짜=2020-03-04}}</ref>에게 적대감을 보였는데, 이런 사실은 뉴턴이 쓴 "19살까지의 죄 목록"에도 적혀 있다. 뉴턴의 어머니는 아이를 3명 더 낳았으나 8년 후, 양아버지가 죽자 돌아왔다.
=== 대학 시절 ===
[[1661년]] [[6월]] 뉴턴은 선생님의 제안으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였다.
그 시절 [[대학]]의 가르침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는데, 뉴턴은 이를 [[르네 데카르트]]와 같은
현대 [[철학자]]의 철학으로 바꾸고, [[천문학]] 역시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천문학자]]의 이론으로 대신하였다.
[[1665년]] 그는 [[이항정리]]를 일반화하였다.
1665년 영국에서는 [[흑사병]]이 대대적으로 유행하게 되어, 이 기간 동안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폐교하였다. 이 시기 뉴턴은 2년 동안 고향에 내려가 있었다. 그의 위대한 업적의 대부분은 이 시기, 즉 1665~[[1666년]]에 싹튼 것으로, 유명한 사과의 일화도 이 무렵의 일이다. 2년간의 한적한 시골살이는 [[과학]]과 철학에 대한 사색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으며, 이 시기에 [[수학]], [[광학]], [[천문학]], [[물리학]]의 중요한 발견들을 해냈다.
그래서 뉴턴 스스로도 2년간의 휴학 기간에 대해 "발견에 있어서 전성기를 이루었다"고 평가하였다.
[[166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다시 문을 열자, 뉴턴은 다시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돌아와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이듬해에는 [[반사 망원경]]을 만들었다.
이 공로로 뉴턴은 [[1672년]] [[왕립학회]] 회원으로 뽑혔다. 이보다 앞선 [[1669년]]에는 뉴턴의 지도 [[교수]]였던 [[아이작 배로]] 교수의 뒤를 이어서,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된 후, [[미적분학]]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때 뉴턴이 했던 기여들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와의 우선권 문제로 오랫동안 논쟁이 계속되기도 하였다. 그는 새 망원경을 만들어 왕립 학회에 제출함으로써 능력을 인정받기 시작했다. 왕립 학회는 그것에 감명받아 1672년에 뉴턴을 회원으로 선출하였다. 1672년에 획기적인 발견을 했다. 캄캄한 방 안에서 가느다란 빛줄기가 [[프리즘]]을 통과하면 빨간색부터 보라색에 이르는 무지개 색과 똑같았다. 이렇게 갈라진 전체색의 빛을 렌즈에 통과시키면 다시 백색광으로 변했다. 뉴턴은 색은 빛의 기본 요소이며, 백색광은 스펙트럼상의 모든 색이 합쳐진 결과라고 결론 내렸다. 또, 스펙트럼상의 모든 색의 빛은 각각 굴절 정도가 다르며 고유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1675년]] 박막의 간섭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여기서도 그의 "[[빛의 입자설]]"과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발표한 "[[빛의 파동설]]"의 엇갈린 주장으로,
두 사람 사이에는 한동안 논쟁이 계속되었다.(단, 오히려 라이프니츠와 뉴턴이 서로의 수학적인 업적들을 인정하고 존경했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어서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아직도 확실하지 않다.) 번외로, 뉴턴은 실험한답시고 자신의 눈을 찔렀었다 (몇달 앓긴 했으나 나아졌다).
[[파일:Newton's tree, Botanic Gardens, Cambridge.JPG|섬네일|케임브리지 대학교 [[식물원]]에 있는 "뉴턴의 [[사과]]나무"]]
[[만유인력]]의 구상은 오래 전부터 싹이 터 있었으나, [[요하네스 케플러]]의 [[행성]] 운동에 관한 3가지 법칙,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지상 물체의 운동 연구,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의 진동론 등을 종합·통일하기 위하여, 이론적 연구에 많은 시간을 들였다. 물체 [[운동 (물리학)|운동]] 및 만유인력의 기초 법칙을 2대 지주로 하는 이론 역학을 세운 것은 그의 저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였으므로, 착상 이래 20년 후의 일이었다.(사람들은 흔히, 사과나무에서 사과가 떨어진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생각해낸 뉴턴의 모습을 떠올린다. 이는 후에 뉴턴 본인이 자신과 친분이 두터웠던 과학자 [[윌리엄 스터클리]]에게 말년에 진술한 일화이다. 이는 나중에 스터클리의 ‘아이작 뉴턴경의 삶에 대한 회고록(Memoirs of Sir Isaac Newton’s life)‘에 실려 세상에 공개되었다)<ref>{{웹 인용|url=https://www.history.com/news/did-an-apple-really-fall-on-isaac-newtons-head |제목=Did an apple really fall on Isaac Newton’s head?|저자=ELIZABETH NIX|날짜=SEP 1, 2018}}</ref><ref>{{서적 인용|저자=William Stukeley|제목=Memoirs of Sir Isaac Newton's life|ISBN=1523211156|페이지=20쪽}}</ref>
뉴턴은 [[1684년]] [[핼리 혜성]]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와 행성 운동에 대해서 토론할 정도로 천문학에도 식견이 있었다.
1717년, 뉴턴은 [[에테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했다. 밀봉된 두 유리 용기에 온도계를 넣었더니. 진공 속에 넣은 온도계가 다른 온도계만큼 빠른 속도로 온도가 올라갔다. 뉴턴은 이것을 공기보다 더 적게 존재하는 미묘한 에테르를 통해 열이 전달되기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
=== 정치 활동 ===
뉴턴은 국회의원([[1689년]])과 왕립 조폐국의 국장([[1696년]]) 등의 사회 활동, [[연금술|연금술사]]로서의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앙숙 관계였던 [[로버트 훅]]이 죽은 뒤, 뉴턴은 [[런던 왕립 학회|런던 왕립학회]]의 의장(1703년)에 취임하였다. 뉴턴은 [[앤 여왕]]에 의해 [[1705년]]에 [[최하위 훈작사]] 작위를 받기도 했다.
=== 신앙생활 ===
뉴턴은 [[성공회]]신자였지만 그의 생활은 [[청교도]]적이었다. 그는 [[삼위일체]]를 부정했다. 그래서 그를 [[소시니안주의]]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는 3-5세기에 기독교가 초기시대의 신앙에서 벗어 났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인했으나 그리스도가 재림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성경의 연대기를 연구하였다.<ref>{{웹 인용|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9209599|제목=과학보다 최후 심판일에 관심 쏟은 과학혁명 아버지|성=중앙SUNDAY|이름=|날짜=|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20년 3월 4일}}</ref>
{{인용문2|태양과 행성들 그리고 혜성들의 아름다운 체계는 이지적이고 능력 있는 분의 계획과 주관 아래에서만이 가능하다. 이 분은 세계의 영혼으로서가 아니라 만물의 주인으로 모든 것을 다스린다. 그리고 그러한 사실 때문에 그분은 주 하나님으로 불린다. 하나님은 영원히 존속하며 어디든지 존재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26666|제목=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뉴턴의 학문과 신앙|성=조|이름=덕영|날짜=2019.11.13|웹사이트=|출판사=크리스천투데이|확인날짜=2021년 8월 6일}}</ref>}}
=== 사망 ===
뉴턴은 [[1727년]] [[3월 31일]] 84세의 나이로 잠자던 중 편안하게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흔히 시인 [[알렉산더 포프]]가 쓴 것으로 알려진,
{{인용문2|자연과 자연의 법칙이 밤의 어둠 속에 감춰져 있었다. 신(神)께서 말씀하시길 뉴턴이여 있으라 하시니 어둠이 모든 빛이 되었다.}}
가 뉴턴의 묘비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ref>{{뉴스 인용|성1=중앙일보 |제목=과학보다 최후 심판일에 관심 쏟은 과학혁명 아버지 |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9209599#home |날짜=2012-09-01 |확인날짜=2022-01-19 |출판사=중앙 Sunday}}</ref> 이는 웨스터민스터 묘비문에 쓰이지 않았고, 실제로 쓰인 뉴턴의 묘비문은 다음과 같다.<ref name=westminster_newton>{{웹 인용 |성1=Westminster Abbey |제목=Sir Isaac Newton Scientist, Mathematician and Astronomer |url=https://www.westminster-abbey.org/ko/abbey-commemorations/commemorations/sir-isaac-newton |웹사이트=westminster-abbey.org |확인날짜=2022-01-19 |archive-date=2022-08-09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809191135/https://www.westminster-abbey.org/ko/abbey-commemorations/commemorations/sir-isaac-newton |url-status= }}</ref>
{{인용문|H. S. E. ISAACUS NEWTON Eques Auratus, / Qui, animi vi prope divina, / Planetarum Motus, Figuras, / Cometarum semitas, Oceanique Aestus. Sua Mathesi facem praeferente / Primus demonstravit: / Radiorum Lucis dissimilitudines, / Colorumque inde nascentium proprietates, / Quas nemo antea vel suspicatus erat, pervestigavit. / Naturae, Antiquitatis, S. Scripturae, / Sedulus, sagax, fidus Interpres / Dei O. M. Majestatem Philosophia asseruit, / Evangelij Simplicitatem Moribus expressit. / Sibi gratulentur Mortales, / Tale tantumque exstitisse / HUMANI GENERIS DECUS. / NAT. XXV DEC. A.D. MDCXLII. OBIIT. XX. MAR. MDCCXXVI}}
이를 직역하면, 다음과 같은 뜻이 된다.
{{인용문| 이곳에 아이작 뉴턴 경이 묻혀있나니, 신성에 필적하는 지성의 힘으로, 행성의 운행과 형상, 혜성의 경로, 대양의 조석을 자신의 수학으로 불 밝혀서 처음으로 설명하였다. 여러 광선의 차이점과 여기서 생겨나는 여러 색상의, 이전에는 어느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던 성질을 탐구하였다. 자연과 고대와 성서의 면밀하고 예리하며 충실한 통역자인 그는, 지극히 선하시고 위대하신 신의 위엄을 철학으로 확립하고,복음의 간결함을 그의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인간들이여 이토록 위대한 인류의 영광이 있었음을 기뻐하여라. 1642년 12월 25일 출생. 1726년 3월 20일 사망.<ref>이 날짜는 율리우스력에 따른 날짜로 통상의 율리우스력에 의하면 1727년 3월 20일이다. 그런데 1752년 이전 영국에서는 새해의 시작을 성모수태고지일(Lady Day)인 3월25일로 보았기 때문에 1726년 3월 20일로 표기하고 있다.</ref>}}
== 업적 ==
=== 미적분학에 기여 ===
적분은 고대에 무한대(無限大), 무한소(無限小), 극한(極限)을 생각하여 원의 넓이 구의 부피 등을 계산하는 [[구분 구적법]]으로 알려져 있었다. 대표적으로 카르타고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저작이 있다. 14세기 인도 수학자의 저작에는 삼각함수의 [[테일러 급수]]가 완전한 형태로 등장하며, 함수의 미분이 등장한다.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는 무한소를 다루며 함수를 미분하여 극대와 극소를 구하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미분과 적분을 한데 묶어주는 핵심적 정리인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는 뉴턴이 활동하기 이전에 증명되지 않은 채 알려져 있었고, 아일랜드 수학자 [[제임스 그레고리]](James Gregory, 1638–1675)가 처음 증명을 출판하였다.<ref name=geometriae>{{서적 인용| last=Gregory | first=James | title=Geometriae Pars Universalis | url=https://archive.org/details/gregory_universalis | publisher= Patavii: typis heredum Pauli Frambotti | year=1668 | location=[[Museo Galileo]] }}</ref> 영국 수학자이자 뉴턴이 다니던 케임브리지 수학과 교수인 [[아이작 베로]](Isaac Barrow, 1630–1677)도 증명을 출판하였다.<ref>
See, e.g., Marlow Anderson, Victor J. Katz, Robin J. Wilson, ''Sherlock Holmes in Babylon and Other Tales of Mathematical History'',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4, [https://books.google.com/books?id=BKRE5AjRM3AC&pg=PA114 p. 114].
</ref><ref name=BarrowGeometricLectures>{{서적 인용| last1=Child | first1= James Mark | last2=Barrow | first2=Isaac| title= The Geometrical Lectures of Isaac Barrow | year=1916 | url=https://archive.org/details/geometricallectu00barruoft| publisher= Chicago: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ref>
뉴턴은 미적분학을 더욱 발전시키고(라이프니츠와 겹치는 부분이 많고, 이는 수학사에서 심심찮게 있는 일이다.), 함수의 근을 구할 때 미분을 해서 접선을 반복해서 그어 근에 수렴하게 하는 방법인 [[뉴턴법]] (뉴턴-랩슨법)을 만들었다.
=== 뉴턴 물체의 운동에 관한 3법칙 ===
[[뉴턴의 운동법칙]]은 물리학에서 물체의 운동에 관한 역학적 기본 법칙이다. 일반적으로 고전 역학의 기초인 뉴턴의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이르는데, 제1법칙은 관성의 법칙, 제2법칙은 가속도의 법칙, 제3법칙은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다.<ref>(우리말샘) 뉴턴의 운동법칙</ref>
# 어떤 물체(질량)에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되지 않으면 그 물체는 원래의 운동상태를 지속한다. 이것을 "[[관성의 법칙]]" 라고 한다.
# 물체에 힘을 작용하면 그 물체에 가속도가 붙게 되는데, 그 가속도의 크기는 "가속도의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고, 그 물체의 질량에 반비례한다.
# 어떤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는 그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인 "반작용"이 작용한다([[작용 반작용의 법칙]]).
=== 중력의 발견 ===
뉴턴의 과학적 발견은 정밀하며 중력의 힘을 수학적 물리량으로 발견한 것이다. 그의 시대에 그는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밝힌것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중력의 역제곱 법칙은 두 물체 사이의 중력 인력은 힘을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으로 나눈 값에 따라 다르다. 사과가 떨어지게 하는 그 힘이 달을 계속 그 접선 방향으로부터 지구를 향해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분명하다. 갈릴레오의 책을 읽고 자신의 실험을 수행하면서 뉴턴은 지표면에서의 중력의 힘이 사과를 지면으로 끌어당기는 힘이라는 것을 알았다. 초기에 그의 책 1권에서, 뉴턴은 중력의 개념을 공식화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어떻게 달을 이용하여 중력을 연구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만약 이 힘이 매우 작다면 달을 직선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데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너무 세다면 달의 경로를 너무 많이 휘게 하여 달이 자신의 궤도로부터 지구로 끌려오게 될 것이다. 결국 그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했다. 왜냐하면 중력은 물체가 무겁든, 가볍든 크든, 작든 모든 낙하 하는 물체를 똑같이 가속시키기 때문이다. 뉴턴은 수학적으로 증명된 전제들을 가지고 천체현상으로부터 물체를 태양이나 몇몇 행성으로 향하게 하는 중력을 유도해 낸다. 뉴턴은 프린키피아 3권에서 자연 철학의 두 개의 주류의 통합을 달성했다.
<ref>{{서적 인용|저자=조엘 레비|번역자=정기영 외|제목=뉴턴의 비밀노트|날짜=2012-4-25|출판사=씨실과 날실|출판위치=서울
|ISBN=978-89-93456-72-1|페이지=50쪽, 53쪽, 102
}}</ref>
=== 광학 ===
[[파일:Dispersive Prism Illustration.jpg|섬네일|upright=1.15|왼쪽|백색광을 분리시키는 프리즘]]
[[파일:NewtonsTelescopeReplica.jpg|섬네일|1672년에 만든 뉴턴의 두번째 반사망원경<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id=KAWwzHlDVksC&dq=history+of+the+telescope|title=The History of the Telescope|page=74|isbn=978-0-486-43265-6|last=King|first= Henry C|date=2003}}</ref>]]
뉴턴은 프리즘을 연구했었는데, 프리즘으로 하는 초기 실험에서 뉴턴은 다른 색들은 꺾이거나 다른 각도로 굴절된다는 "굴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프리즘과 벽 사이에 바늘 구멍이 있는 다른 카드를 놓고 완전 적색 또는 청색의 광선이 분리되어 두 번째 프리즘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프리즘은 각 색깔의 광선을 다시 굴절시켜 다른 색을 생성하지 않는다. 그는 청색 빛이 적색 빛보다 더 굴절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실험은 프리즘이 색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뉴턴은 "빛은 다른 굴절성의 광선들의 집합이다"라고 정리했다. 뉴턴은 새로운 빛과 색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그는 두개 더 독창적인 실험들을 고안해냈다. 첫번째는 프리즘에 의해 생성되는 스펙트럼의 경로에 렌즈를 놓는 것이다. 렌즈를 이용해 다른 색 광선들을 합성시키면 원래의 흰색 빛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톱니바퀴를 렌즈와 벽 사이에 놓고, 그 톱니가 렌즈로부터 나오는 다른 색 빛의 광선들이 초점에 도달하기 전에 방해하도록 했다. 결과는 벽에 있는 점은 흰 빛이 차단되면서 통과되는 다른 색 광선들에 따라서 변하였다.
<ref>{{서적 인용|저자=조엘 레비|번역자=정기영 외|제목=뉴턴의 비밀노트|날짜=2012-4-25|출판사=씨실과 날실|출판위치=서울
|ISBN=978-89-93456-72-1|페이지=60
}}</ref>
== 뉴턴에 대한 일화들 ==
* 독실한 [[청교도]] 신자인 뉴턴은 어느 제자가 [[하나님|하느님]]이 없다고 주장하자, "하느님에 대해서 불경하게 말하지 말게. 나는 하느님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네."라면서 [[무신론]]을 주장하지 못하게 했다는 일화가 있다.
* 그는 [[성경]]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성도(Saint)들이 부활하여 하늘에 살면서 눈에 보이지 않게 [[그리스도]]와 함께 다스릴 것이라는 [[종말론]]적인 믿음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심판 날 후에도 사람들은 계속 땅에서 살 것이며, 단지 1000년 동안이 아니라 영원히 그러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역사가 스티븐 스노벨렌의 말에 따르면, 그는 그리스도의 임재가 여러 세기 후에 먼 미래에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는데 그 이유가 주위에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사상들이 뿌리 깊이 퍼져있는 것을 몹시 비관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큰 환난이 오기 전에 복음 전파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 뉴턴은 [[연금술]]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연구 기록물이 노트 3권 가량이나 되었다고 한다.
* 뉴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추천으로 [[국회의원]]을 역임했는데, 성격이 조용해서 국회의원 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다. 그가 1년간의 국회의원 생활을 하면서 유일하게 한 말이 수위에게 한 "문 좀 닫아주시오!"였다고 한다.
* 뉴턴은 《[[광학]]》 제4권에서 [[물리학]] 전체를 포괄하고 자신이 선택한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통일 이론을 소개하려고 했으나, 그가 책상에 촛불을 켜둔 채 외출했다가 그가 기르던 개인 다이아몬드가 초를 물어서 던져버리는 바람에 아직 공개하지 않은 그의 연구들이 모두 잿더미로 변해버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 뉴턴은 조폐 공사의 사장에도 임명되었는데, 그는 화폐 위조범을 잡아 처형하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 뉴턴은 젊은 시절에 약혼한 여성이 있었으나, 그가 연구와 일에 매우 몰두하였기 때문에 결혼까지 이어가지는 못하였고, 평생동안 독신으로 살았다고 한다.
* 그는 [[시 (문학)|시(詩)]]를 "일종의 천재적인 쓸모가 없는 소리"({{lang|en|a kind of ingenious nonsense}})로 여겼다.<ref>{{서적 인용
|저자=울프 다니엘손
|번역자=이미옥
|제목=시인을 위한 물리학
|날짜=2006-11-15
|출판사=에코리브르
|출판위치=서울
|ISBN=89-90048-78-8
|페이지=60쪽
}}</ref>
* 뉴턴은 손으로 발명품을 만들어 내는 공작에 재능이 있었는데(참고로, 어린 시절에도 뉴턴의 공작 솜씨가 아주 뛰어나서, 초등학생이었던 시절에 학교가 끝난 후, 자신이 직접 만든 물레방아를 돌리고 있었는데, 뉴턴의 솜씨를 샘낸 한 아이가 돌을 던져서, 물레방아를 부숴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화가 난 뉴턴이 그 아이를 흠씬 팼다는 일화도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학생일 시절에 휴대할 수 있는 초롱불을 만들어 냈다고 한다. 덕분에 새벽마다 의무적으로 [[감사성찬례]](성공회 미사)에 참석하러 가던 학생들이 편하게 대학교 내 성공회 교회에 갈 수 있었다고 한다.
* 뉴턴은 [[남해 회사]] 주식 사건으로 인해서 2만 파운드를 잃은 적이 있었는데, 이 때 "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사람의 광기는 도저히 측정할 수가 없다.("I can calculate the movement of the stars, but not the madness of men")"라고 말하였다는 일화도 있다.
* 뉴턴이 어떤 학자와 식사 약속을 잡았다. 그러나 풀리지 않던 문제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해봐도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자, 바람 좀 쐬기 위해서 밖으로 나갔다. 그 학자는 약속을 깜빡 잊은 뉴턴 때문에 혼자 식사를 하고, 결국 뉴턴을 만나지 못한 상태로 집으로 갔다. 문제를 푼 후 뉴턴은 집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빈 그릇을 보고, "아! 내가 식사를 이미 한 걸 깜빡했군."이라고 말했다는 황당무계한 일화가 있다.
* 연구하는 도중에 배가 고파진 뉴턴은 하인에게 계란을 가져오라고 했다. 하인이 계란을 가져왔지만, 풀고 있는 문제에 너무 집중을 하는 바람에 끓는 냄비에 계란이 아니라 시계를 넣었다는 일화도 있다.
== 뉴턴의 명언들 ==
* "나는 내가 세상에 어떻게 비춰질지 모른다. 하지만 나 자신에게 나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은 채 내 앞에 놓여 있는 진리의 바닷가에서 놀며, 때때로 보통보다 매끈한 조약돌이나 더 예쁜 조개를 찾고 있는 어린애에 지나지 않는 것 같다."
* "내가 다른 사람보다 더 멀리 앞을 내다볼 수 있다면, 그것은 거인의 어깨를 딛고 서있기 때문입니다."(이 명언은 [[로버트 훅]]에게 보낸 편지에 들어 있었는데, 로버트 훅은 자신의 등이 굽고 키가 작은 것에 대한 조롱인 것으로 인식함)
* "인류 역사상 뉴턴이 살았던 시대까지의 [[수학]]을 놓고 볼 때, 그가 이룩한 업적이 반 이상이다."([[독일]]의 [[수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말한 뉴턴에 대한 명언이다. 흔히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학]]을 누가 먼저 발견했는가를 놓고 사이가 나빴다고 생각하는데, 미적분 논쟁 초기에 두 사람은 오히려 상대방의 수학적인 업적들에 대해서 서로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 나는 천체의 움직임을 계산할 수 있지만, 사람들의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 천재는 인내이다.
*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열심히 생각한다면,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평가 ==
* 뉴턴은 "지금까지 태어난 가장 위대하고 유례없는 천재였다" - [[데이비드 흄]]
* 뉴턴은 "과학사에서 대적할 자가 없는 거인"이다. - [[스티븐 호킹]]<ref name="christiantoday.co.kr"/>
* 뉴턴은 "마지막 마법사이자, 바빌로니아인이였으며, 수메르인이였다." - [[존 메이너드 케인즈]]<ref>{{웹 인용|url=http://www-history.mcs.st-and.ac.uk/Extras/Keynes_Newton.html |title=Newton: the Man |first=John Maynard |last=Keynes |publisher=University of St Andrews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access-date=11 September 2012}}</ref>
== 주요 저서 ==
* [[1669년]] 무한 급수에 의한 해석에 관하여({{llang|la|De analysi per aequationes numero terminorum infinitas}})(출판일은 1711년이다.)
* [[1671년]] 유율법({{llang|en|Method of Fluxions}})
* [[1684년]] 물체의 궤도 운동에 관하여({{llang|la|De motu corporum in gyrum}})
* [[1687년]]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llang|la|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 뉴턴이 천문학자 [[에드먼드 핼리]]의 출판 비용 지원으로 [[1687년]] [[7월 5일]]에 출판하였다. 유명한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할 뿐만이 아니라, [[뉴턴 운동 법칙]]을 통해서 [[고전역학]]을 완성한 근대 과학의 명저로 꼽힌다.
* [[1704년]] 광학({{llang|en|Opticks}})
* [[1707년]] 보편 수학({{llang|la|Arithmetica Universalis}})
* [[1728년]] 고대 왕국의 연대기({{llang|en|The Chronology of Ancient Kingdoms}})
* [[1733년]] [[다니엘]]의 예언과 [[요한의 묵시록]]에 관한 평론({{llang|en|Observations upon the Prophecies of Daniel, and the Apocalypse of St. John}})
* [[1754년]] 주목할 만한 [[성서]]의 두 변질에 대한 역사학적 해석({{llang|en|An Historical Account of Two Notable Corruptions of Scripture}})
== 같이 보기 ==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 [[만유인력의 법칙]]
* [[미적분학]]
* [[이항정리]]
* [[절대 공간과 시간]]
== 각주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references/>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Isaac Newton}}
{{위키인용집|en:Isaac Newton|아이작 뉴턴{{언어링크|en}}}}
* [http://www.newtonproject.ox.ac.uk The Newton Project] - 옥스포드대학교
* {{네이버캐스트|385|저자=장석봉}}
* {{MacTutor|id=Newton|date=2000-01}}
* {{수학계보|id=74313}}
* {{구텐베르크 저자|id=Newton,+Isaac,+Sir | name=Isaac Newton}}
* {{인터넷 아카이브 저자|sname=Isaac Newton}}
* {{리브리복스 저자|id=2836}}
{{계몽주의}}
{{왕립학회 학회장}}
{{과학자의 이름을 딴 단위}}
{{위대한 브리튼인}}
{{전거 통제}}
{{기본정렬:뉴턴, 아이작}}
[[분류:아이작 뉴턴| ]]
[[분류:1642년 출생]]
[[분류:1727년 사망]]
[[분류:잉글랜드의 수학자]]
[[분류:잉글랜드의 천문학자]]
[[분류:잉글랜드의 물리학자]]
[[분류:잉글랜드의 철학자]]
[[분류:잉글랜드의 작가]]
[[분류:잉글랜드의 발명가]]
[[분류:잉글랜드의 개신교 신학자]]
[[분류:잉글랜드의 성공회교도]]
[[분류:영국의 기사]]
[[분류:영국의 의전관]]
[[분류:영국의 연금술사]]
[[분류:이론물리학자]]
[[분류:실험물리학자]]
[[분류:과학철학자]]
[[분류:자연철학자]]
[[분류:기하학자]]
[[분류:탄도학자]]
[[분류:광학자]]
[[분류:18세기 종말론자]]
[[분류:무신론 비판자]]
[[분류:아리우스파 기독교인]]
[[분류:헤르메스주의자]]
[[분류:링컨셔주 출신]]
[[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동문]]
[[분류:왕립학회 학회장]]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17세기 잉글랜드 사람]]
[[분류:18세기 잉글랜드 사람]]
[[분류:17세기 수학자]]
[[분류:18세기 수학자]]
[[분류:17세기 천문학자]]
[[분류:18세기 천문학자]]
[[분류:17세기 철학자]]
[[분류:18세기 철학자]]
[[분류:코페르니쿠스 혁명]]
[[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교수]]
[[분류:왕립학회 석학회원]]
[[분류:유체역학자]]
[[분류:유니테리언]]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사람|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다른 뜻 넘어옴|유클리드}}
{{수학자 정보
|이름 = 에우클레이데스
|원어이름 = Εὐκλείδης
|그림 = Scuola di atene 23.jpg
|그림 크기 =
|그림 설명 =
|태어난 날 = [[기원전 4세기]] 중반
|태어난 곳 =
|죽은 날 = [[기원전 3세기]] 중반
|죽은 곳 =
|거주지 =
|시민권 =
|국적 =
|인종 =
|분야 =
|소속 =
|출신 대학 =
|학위 논문 =
|지도교수 =
|지도학생 =
|주요 업적 =
|영향 =
|영향줌 =
|수상 =
|종교 =
|배우자 =
|자녀 =
|서명 =
|참고사항 =
}}
'''에우클레이데스'''({{llang|grc|Εὐκλείδης}}, [[기원전 300년]]경) 또는 영어식 이름으로 '''유클리드'''({{llang|en|Euclid}}, {{IPA2|ˈjuːklɪd}} 또는 {{lang|en|Euclid of Alexandria}})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소설가이다. [[고대 이집트]]의 수학자였을 가능성도 있지만, 에우클레이데스가 어느 나라의 수학자인지 확실하게 밝혀진 사실은 없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의 재위 기간([[기원전 323년]]~[[기원전 283년]])동안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의 부탁으로 최초의 [[대학]]이자 [[도서관]], [[박물관]]이라고 불리는 [[알렉산드리아]] 대학에서 활동하였고, 당시 알려진 [[정수론]] 및 [[기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을 집대한 업적을 가장 높게 평가받고 있다. 참고로, 알렉산드리아 대학은 현재 흔적도 없이 사라졌고 정확한 위치 등은 알려지지않았다.
== 생애 ==
[[파일:Euclidis quae supersunt omnia.tif|섬네일|에우클레이데스, [[1703년]].]]
에우클레이데스의 이름은 {{llang|grc|εὖ|에우}}(잘, 좋게)+{{llang|grc|κλέος|클레오스}}(알려짐, 평판)의 [[합성어]]이며, "평판이 좋음, 유명함"이라는 뜻이다. 에우클레이데스의 삶에 관해서 알려진 것은 많지 않고, 그에 관한 소량의 언급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그에 관한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언급마저도 그가 살았던 세기 후에야 프로클로스({{llang|grc|Πρόκλος}})와 알렉산드리아의 [[파포스]]({{llang|grc|Πάππος}})에 의해서 쓰여진 것이다. 프로클로스는 [[5세기]]에 쓰여진 그의 저서 《주석이 달린 원론》을 통해서 에우클레이데스에 관해 간단히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에우클레이데스와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사이의 기하학의 왕도에 대한 일화는 후세의 창작인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다른 [[고대 그리스]] [[수학자]]인 [[메나이크모스]]와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사이의 일화와 유사하기 때문이다.<ref name="Boyer">{{서적 인용|first=Carl B.|last=Boyer|title=A History of Mathematics|판=2판|publisher=John Wiley & Sons, Inc.|날짜=1991|isbn=0-471-54397-7|언어=en}}</ref>{{rp|96}}
== 주요 업적 ==
===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
[[파일:Euclid Dodecahedron 1.svg|섬네일|에우클레이데스의 정십이면체 작도.]]
{{본문|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의 가장 유명한 저서는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llang|grc|Στοιχεῖα|스토이케이아}})이다. [[기하학]] 원본이라고도 불린다.(원본은 [[그리스어]]로 문자라는 뜻이다.) 에우클레이데스 자신의 독창적인 내용들은 별로 없지만, 그 형태가 단순하고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때 당시까지 밝혀진 기하학과 [[정수론]]의 내용들을 다뤘는데, 10개밖에는 되지 않는 공리들에서 465개나 되는 명제들을 유도해냈다. 내용들 중 많은 부분들이 그 이전의 [[수학자]]들에게도 이미 널리 알려졌던 것이었다. 하지만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이 [[수학사]]의 고전이 된 이유는 일정한 [[공리]]에서부터 결과를 이끌어내는 논리적인 전개였다. 공리 체계에 바탕을 둔 [[근대]] [[수학]]은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에 근원을 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은 수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술의 하나로, 출판된 뒤부터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까지 수학, 특히 기하학을 가르치는데 중요한 [[교과서]]로 쓰였다.<ref>{{서적 인용|last=Ball|first=W.W. Rouse|authorlink=W.W. Rouse Ball|title =A Short Account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origyear=1908|url=|edition=4판|날짜=1960|publisher=Dover Publications
|isbn=0486206300|pages=50–62|언어=en}}</ref>{{rp|50–62}}<ref name="Boyer"/>{{rp|100–119}}<ref>Macardle, et al. (2008). ''Scientists: Extraordinary People Who Altered the Course of History.'' New York: Metro Books</ref>{{rp|12}} [[유클리드 기하학]]이라고 불리는 기하학의 정리들이 작은 공리로부터 출발해서 연역된다. 에우클레이데스의 기하학은 수백 년동안 순수한 기하학 그 자체로 여겨졌으나,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지금은 [[유클리드 기하학]]이라고 불린다.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에 나오는 2개의 [[정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은 지금도 [[유클리드 호제법]]이라고 불리며, [[소수 (수론)|소수]]의 무한성에 대한 정리 역시 오늘날에도 [[유클리드의 정리]]로 불린다. 또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에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의 독창적 증명이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 현존하는 기타 저서 ===
《원론》 말고도 현존하는 에우클레이데스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주어진 값》({{llang|grc|Δεδομένα|데도메나}})은 기하학에 대한 책이다.
* 《현상》({{llang|grc|Φαινόμενα|파이노메나}})은 [[구면 기하학]]을 다룬다.
* 《광학》({{llang|grc|Ὀπτικά|옵티카}})은 [[광학]]을 다루는 그리스 최고(最古)의 문헌이다.
* 《도형의 분할에 대하여》({{llang|grc|Περί διαιρέσεων βιβλίον|페리 다이이레세온 비블리온}})는 주어진 도형을 주어진 비로 분할하는 문제를 다룬다. [[아랍어]] 번역으로 부분만이 현존한다.
* 《거울 광학》({{llang|grc|Κατοπτρικά|카톱트리카}})은 [[거울]]을 사용한 기하학 문제를 다루며, 아마 후대의 작품으로 추측된다.
=== 손실된 저서 ===
이 밖에도, 문헌에는 에우클레이데스가 집필했다고 수록되어 있는 여러 책들이 전해 오지만, 이들은 짧은 인용을 제외하고는 현존하지 않는다.
* 《원뿔 곡선》({{llang|grc|Κωνικά|코니카}})은 [[원뿔 곡선]]을 다룬다. 후에 [[페르게의 아폴로니오스]]가 이 내용을 확장하였다.
* 《포리스마》({{llang|grc|Πορίσματα|포리스마타}}). ‘포리스마’({{llang|grc|πόρισμα}})는 어떤 기하학적 작도가 가능할 조건을 제시하는 수학적 정리이다.
* 《착오의 서(書)》({{llang|grc|Ψευδάρια|프세우다리아}}). 논리적 오류를 다룬다.
* 《곡면 궤적》({{llang|grc|Τόπων τῶν πρὸς ἐπιφανείᾳ|토폰 톤 프로스 에피파네이아}}). [[이차 곡면]]에 대한 것으로 추측된다.
* 아랍 문헌에서는 에우클레이데스가 집필했다고 하는 여러 [[역학 (물리학)|역학]]에 대한 책들이 등장한다.
== 일화 ==
위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와의 대화뿐만 아니라, 다른 유명한 일화도 전해지고 있다. 어느 날, 에우클레이데스의 강연 도중에 한 제자가 "[[교수]]님, [[수학]]은 너무 지루합니다. 도대체 그걸 배워서 어디다가 써먹을 수 있죠?"라고 묻자, 에우클레이데스는 하인을 불러서 "여봐라, 배운 것으로 반드시 이득을 얻으려고만 하는 저 친구에게는 동전 세 닢만 주고 강의실 밖으로 쫓아내라."라고 말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이 일화를 볼 때, 에우클레이데스는 배우는 그 자체를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성격이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
* [[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 각주 ==
{{각주}}
*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영역)THE FIRST SIX BOOKSOF THEELEMENTS OF EUCLID,ANDPROPOSITIONS I.-XXI. OF BOOK XI.,AND ANAPPENDIX ON THE CYLINDER, SPHERE,CONE, ETC.,WITHCOPIOUS ANNOTATIONS AND NUMEROUS EXERCISES.BYJ O H N C A S E Y, LL. D., F. R. S.,1885)http://www.gutenberg.org/files/21076/21076-pdf.pdf?session_id=9bfd9ef535a37ac859a6028f101fa4451e3226cc
== 외부 링크 ==
* {{MacTutor|id=Euclid|title=Euclid of Alexandria|date=1999-01}}
{{고대 그리스}}
{{전거 통제}}
[[분류:에우클레이데스| ]]
[[분류:기원전 4세기 출생]]
[[분류:기원전 3세기 사망]]
[[분류: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분류:고대 이집트의 수학자]]
[[분류:기하학자]]
[[분류:알렉산드리아 출신]]
[[분류:그리스계 이집트인]]
[[분류:기원전 4세기 그리스 사람]]
[[분류:기원전 4세기 이집트 사람]]
[[분류:기원전 3세기 그리스 사람]]
[[분류:기원전 3세기 이집트 사람]]
[[분류:수론학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칭기즈 칸 (동음이의)}}
{{왕족 정보
|이름 = 칭기즈 칸
|원래 이름 = {{lang|mn|{{만몽 유니코드|ᠴᠢᠩᠭᠢᠰ<br />ᠬᠠᠨ}}}}
|그림 = YuanEmperorAlbumGenghisPortrait.jpg
|작위 = [[몽골의 역대 칸|제1대 몽골 대칸]]
|재위 = 1206년 봄 ~ 1227년 8월 18일
|대관식 = 1206년 봄 [[오논강]]가 [[쿠릴타이]]
|즉위식 =
|전임자 = (신설)
|후임자 = [[툴루이 칸]](감국)<br />[[우구데이 칸|우구데이 카안]]
|작위2 = [[카묵 몽골]]의 [[몽골의 역대 칸|칸]]
|재위2 = 1189년 ~ 1206년
|전임자2 = [[호툴라 칸|쿠툴라 칸]]
|후임자2 = 본인
|작위3 = [[보르지긴]] 키야트의 수장
|재위3 = 1171년 ~ 1189년
|전임자3 = [[예수게이|예수게이 바투르]]
|후임자3 = 본인(칸)
|국적 = [[카묵 몽골]] → [[몽골 제국]]
|휘 = 보르지긴 테무친
|별호 =
|연호 =
|묘호 = 태조(太祖)
|존호 =
|시호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運聖武皇帝)
|능호 =
|칸호 = 칭기즈 칸({{llang|mn|{{만몽 유니코드|ᠴᠢᠩᠭᠢᠰ<br />ᠬᠠᠭᠠᠨ}}}}, {{한자|成吉思汗|성길사한}})
|출생일 = 1162년 11월 12일
|출생지 = [[카묵 몽골|몽골 울루스]]<nowiki> 오논강</nowiki>
|사망일 = 1227년 8월 25일<ref name="칭기스_죽음">라츠네프스키에 따르면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칭기스 칸이 1227년 8월에 죽었다는 것이다. 칭기스 칸의 정확한 사망일에 대해서 남겨진 사료들의 기록은 모두 다르다.” Paul Ratchnevsky, 1991, p. 142; 르네 그루세는 《[[원사]]》의 기록에 따라 칭기스 칸이 1227년 8월 25일에 죽었다고 적었다. 르네 그루세, 1998, p. 361; 스기야마 마사아키는 칭기스 칸이 8월 17일에 죽었다고 적었다. 스기야마 마사아키, 1994, p. 52; 라시드 앗 딘은 칭기스 칸이 회력 624년 라마단, 즉 서력 1227년 8월에 죽었다고 적었다. 라시드 앗 딘, 2004, p.386.</ref>
|사망지 =
|매장지 =
|능묘 =
|가문 = [[보르지긴]]
|아버지 = [[예수게이]]
|어머니 = [[호엘룬]]
|배우자 = [[보르테 카툰|부르테 카툰]]<br />[[쿨란 카툰]]<br />[[예수이 카툰]]<br />[[기국공주|쿤주 카툰]]<br />[[예수겐 카툰]]<br />이수칸 카툰<br />군주 카툰<br />아비카 카툰<br />그르베스 카툰<br />차가 카툰<br />모게 카툰
|자녀 =
|친인척 =
|종교 = [[텡그리교]]
}}
'''칭기즈 칸'''({{llang|xng|{{MongolUnicode|ᠴᠢᠩᠭᠢᠰ<br>ᠬᠠᠭᠠᠨ|Činggis Qan}}}}, {{llang|mn|Чингис хаан}}, {{한자|成吉思汗|성길사한}}, {{문화어|칭기스 한}}, {{llang|en|Genghis Khan}}, [[1162년]] [[11월 12일]] ~ [[1227년]] [[8월 25일]]<ref name="칭기스_죽음"/>)은 [[몽골 제국]]의 건국자이자 초대 [[카안]]이다. 중국식 별칭은 칭기스 황제,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聖運武皇帝)이다. 본명은 '''보르지긴 테무친'''({{llang|mn|{{만몽 유니코드|ᠪᠣᠷᠵᠢᠭᠢᠨ<br>ᠲᠡᠮᠦᠵᠢᠨ}}}}, {{한자|孛兒只斤鐵木眞|패아지근철목진}})으로,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합한 군사·정치 지도자로서 [[몽골리아|몽골 초원]]의 부족들을 정복하고 [[몽골 제국]]을 성립시켜 몽골과 중국 지역을 비롯해 [[한반도]]에서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정복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청나라 때는 특목진(特穆津)으로 지칭되다가 청나라 멸망 후 테무진으로 복구되었다.
1189년 카마그 몽골의 칸으로 즉위했고, 1206년 전 몽골 제국의 칸으로 즉위했다. 존호인 칭기즈는 1206년 전 몽골의 칸으로 즉위하면서 몽골 제부족장들이 올린 존호이다. [[중화민국]] 건국 이전의 [[중국]]에서는 그를 성길사 황제라 칭했다.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고, 능력주의에 기반한 강한 군대를 이끌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자이자 성공적인 군사 지도자 및 인류 최대의 정복군주로 평가된다. 반면에 침략당했던 동유럽권과 서아시아에서는 학살자이자 약탈자<ref>{{웹 인용|title=The World's Richest Terror Army |url=https://www.bbc.co.uk/programmes/p02rhxgr |publisher=BBC |author=Peter Taylor |authorlink1=Peter Taylor (journalist) |date=May 27, 2015 |quote=[[斩首]]和大规模屠杀是[[伊斯兰国|IS]]的标志——整个[[村庄]]被[[屠杀]],[[妇女]]沦为[[奴隶]]。但是屠殺不是[[随机]]的。正如前[[英国]][[情报]]官员Alastair Crooke指出的那样,这是冷酷和计算的:"事实上,在某些方面,他们模仿了成吉思汗和蒙古的[[军事]]征服方式。你在你的敌人中故意制造一种绝对的[[恐惧]],当你第一次来到一个[[村庄]]时,你杀死了所有人,[[狗]],[[猫]],一切。把它夷爲平地。" |accessdate=2019-01-04 |archive-date=2018-11-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1116182528/https://www.bbc.co.uk/programmes/p02rhxgr |url-status=live }}</ref>, 문명의 파괴자라는 상반된 평가도 같이 존재한다. [[몽골]]에서는 신 또는 국가 창건 영웅으로 칭송된다. 중국사에는 [[원나라|원]](元) 태조(太祖)로 기록된다. 오늘날 그의 이름은 [[칭기즈 칸 국제공항]]으로 남아 있다.
== 생애 ==
=== 초기의 투쟁 과정 ===
[[파일:onon.jpg|섬네일|200px|[[오논강]], 테무진이 태어난 곳이다.]]
==== 탄생 ====
훗날 칭기즈 칸으로 불리는 테무친은 1160년경 [[오논강]] 인근 델리운 볼락이라 불리는 지역에서 키야트([[걸안]], 乞顏) 부족<ref>같은 몽골계 민족인 거란과는 다른 몽골의 부족이다.</ref>인 아버지 [[예수게이]]와 어머니 [[호엘룬]]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때 [[예수게이]]는 소치겔이라는 여성에게서 이복 형 [[벡테르]]와 [[벨구테이]]가 있었고, [[메르키트]]족에게 시집가는 호엘룬을 약탈하여 결혼, 테무친이 태어났다. 친동생으로 [[주치 카사르]], 일찍 요절한 카치운, 동방에 영지를 받은 [[테무게 옷치킨]] 등이 태어났다.얍
칭기즈칸의 출생년도는 1162년에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으나 역사서마다 달라서 1155년, 1163년, 1167년에 태어났다는 설도 있다. 현재 몽골에서 기념하는 칭기즈 칸의 탄신일은 [[1162년]] [[11월 14일]]이다.<ref name="칭기즈칸 생년">르네 그루세, 1998, p. 295의 각주 33.</ref> 칭기즈 칸이 태어날 당시 아버지 [[예수게이]]가 테무진 우게가 이끄는 [[타타르족]]과의 전투를 승리했는데. 예수게이는 이 테무진 우게의 이름을 따서 태어난 아이에게 테무친이라는 이름을 붙여준다. 전설에 따르면 그가 태어날 때 손에 고대 동방 사람들에게 생명을 상징하는 피 한 움큼을 쥐고 있는 등 여러 가지 상서로운 징표들이 나타났다. 예수게이는 이를 길한 징조로 생각하여 패배한 타타르 군주, 테무진 우게의 이름을 따서 자식에게 테무진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ref>라시드 앗 딘, 2003, pp. 125-126.</ref> 칭기즈 칸의 이름에 대한 또 다른 해석으로는 ‘테무진’이 ‘대장장이’라는 뜻임을 근거로 당시 사대부 사회에서 쇠가 중요했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ref>김호동, 2010, p. 90.</ref>
아버지 [[예수게이]]는 [[옹기라트]]부 출신 [[호엘룬]] 외에도 먼저 부인 [[소치겔]]과 그 사이에서 아들 [[벡테르]], [[벨구테이]]가 있었다. 집안이 한미했던 [[소치겔]]은 [[예수게이]]의 본 부인임에도 [[호엘룬]]에게 정실 부인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칭기스 칸의 부족인 몽골 부는 [[위구르 제국]]의 해체 후 [[바이칼호|바이칼 호수]] 방면에서 남하해 몽골고원의 북동부에 퍼져 살았다. 칭기스 칸의 생애를 그린 몽고의 전설적인 역사서 [[몽골 비사]]에 의하면, 그의 원조는 하늘의 명령을 받고 바이칼 호수에 강림한 [[보르테 치노]](孛兒帖赤那, 몽골비사에는 脫卜赤顏, '푸른 늑대'라는 뜻)와 그의 아내 될 코아이 마라루("푸르고 흰 사슴"의 뜻)라고 한다. 보르테 치노의 11대손 [[도부 메르겐]]은 [[알란 구아]]와 두 아들을 두었지만 일찍 죽어 그의 아내 [[알란 구아]]는 하늘에서 내려온 신의 빛을 받아 남편이 없이 3명의 아들을 낳았다. 칭기즈 칸의 가계인 [[보르 지긴]]의 선조가 되는 [[보돈차르 몽학]]은 알란 구아가 낳은 아들 중 막내이다.
[[보돈차르]]의 자손은 번창하여 다양한 씨족이 나와 [[우리양카이]] 가문, [[자라이르]] 부족 등을 형성했다. 보돈차르의 7대손 [[카불 칸]]이 처음 [[몽골]]족의 지파를 통일하고 대 칸의 칭호를 획득했다. [[카불 칸]]의 후계자는 그의 6촌인 [[암바가이 칸]]이었다. 뒤에 카불 칸의 후손들은 키야트 가문, 암바가이 칸의 자손은 타이치우드 가문으 분화되었다. 칭기즈칸의 아버지 [[예수게이]]는 [[카불 칸]]의 손자 3대 [[쿠툴라 칸]]의 조카였다.
==== 유년기의 불행 ====
그러나 그의 유년시대는 결코 행복한 것이 아니었다. 그가 9세 때 몽골 왕족 [[보르지긴족]]의 후예인 아버지 예수게이가 그의 부족과 오랜 불화관계에 있던 [[타타르족]]에 의해 독살되었다. 예수게이는 아들 테무친의 배우자를 정하러 [[옹기라트]]부족의 족장을 만나 그의 딸 [[보르테]]를 테무진의 약혼자로 정하고 오던 길에 [[타타르족]]의 막사에서 며칠 보내게 되었다. 그러나 몽골 부족이 강해지는 것을 두려워한 [[타타르족]]은 예수게이를 손님으로 받아들였다가 독살하였다.
테무진의 종조부 [[쿠툴라 칸]]의 사후 [[보돈차르]]씨족에서는 통솔력을 갖춘 인물이 나타나지 못했고, 몽골은 예수게이의 가문인 키야트 씨족과, 암바가이 칸의 직계인 타이치우드 씨족, 그밖에 몇몇 부족으로 분열되었다.
예수게이가 죽자 부족 사람들은 예수게이와 경쟁자 관계였던 타이치우트 일가의 사주를 받아, 예수게이의 미망인 [[호엘룬]]과 그 자녀들이 지도력을 발휘하기에는 너무 약하다고 생각하고 기회를 이용하여 이들을 추방했다. 암바가이 칸의 살아 있던 두 부인 역시 호엘룬과 자녀들에게 비호의적이었다. 노파 1명 만이 이들을 불쌍히 여겼으나 무시되었다. 이로 인해 테무진의 영세한 가문은 유목민의 일상[[음식]]인 [[양고기]]와 [[우유]]는 전혀 먹지 못하고 풀뿌리와 생선으로 연명하는 극심한 가난을 경험했다.
==== 타이치우드 가문과의 갈등 ====
테무진과 그의 형제는 사냥 노획물을 약탈하는 이복 형 [[벡테르]]와 갈등하다가 벡테르를 활로 쏴서 살해했으며 분노와 원한으로 인해 벡테르의 시체의 목을 기어이 베었다. 벡테르는 죽으면서 자신의 가계를 잇길 청하여 [[벡테르]]의 친동생이자 테무진의 다른 이복 형 [[벨구테이]]는 평생 테무진의 부하가 되는 조건으로 살려두었다.
타이치우드 가만의 [[타루구타이 키릴토쿠]]는 이복 형을 죽였다는 것을 빌미로 테무진을 감금하였다. 테무진은 나중에 [[스루도스]] 부족의 [[소르칸 시라]] 등의 도움을 얻어 탈출에 성공한다.
[[몽골비사]]에 따르면 이때 우연한 기회로 테무진의 친구가 된 네 명, 아루라트씨족의 [[보오르추]], 테무진의 집안 가신이었던 우리양카이 집안의 제드메, 테무진을 도와준 [[소르칸 시라]]의 아들 [[치라운]], [[친베]] 등 4명은 그의 최측근이 되며, 이 중 보오르추, 치라운은 [[무칼리]] 등과 함께 칭기즈칸의 [[사준사구]](四駿四狗) 중 사준이었고, 칭기즈 칸의 동지이자 유력 공신들 중의 하나가 된다. 사준은 전쟁에서 칭기스 칸의 옆에서 잠시도 떠나지 않고 호위하는 역할을한다.
이후의 행적은 사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몽골 황금사(알탄톱치)와 몽골원류에 의하면 그는 솔롱고(고려)에 가서 수년 간 체류했다 하고, [[남송]] 출신으로 몽골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조공(趙珙)의 책 『몽달비록 (蒙韃備錄)』에 의하면 [[금나라]]로 끌려가 10년 간 노예생활을 했다고 한다.
=== 토그릴 완 칸과의 협상 ===
그는 아버지 [[예수게이]]와 안다(의형제)를 맺었던, 예수게이에게 정치적 도움을 받은 적 있는 [[케레이트]]부의 한 부족장인 [[토그릴 완 칸]]을 찾아간다. 테무진과 그의 가족은 비록 보르지긴족들의 배척을 받긴 했지만 왕족 출신이라는 이유로 상당한 대접을 받은 것 같다. 무엇보다도 그는 아버지 예수게이가 죽기 전에 정혼해준 아내 [[보르테]]를 되찾아올 수 있었다. 그러나 몽골 북방에 사는 [[메르키트족]]은 예수게이가 그들에게 빼앗은 여자인 호엘룬을 아내로 삼았기 때문에 테무진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메르키트족은 테무진의 아내인 보르테를 납치했다. 테무진은 아버지 예수게이와 의형제를 맺었던 케레이트족의 왕인 [[토그릴 완 칸]]에게 사정을 말하여 보르테를 다시 찾아올 수 있었다. 당시 [[토그릴 완 칸]]은 몽골 지역 안에서 가장 강대한 통치자였다. 테무진은 결혼기념물로 받은 잘의 모피를 토그릴에게 선물했고 답례로 [[토그릴 완 칸]]은 테무진의 흩어진 부족민들을 모아주겠다고 약속했다.
그 후 [[토그릴 완 칸]]은 [[테무진]]에게 2만 명의 병력을 제공하고 테무진의 어릴 적 친구인 [[쟈무카]]도 설득시켜 병력을 제공하게 함으로써 그 약속을 지켰다. 테무진 일가의 궁핍과 이웃 부족의 왕이 제공한 대규모 병력은 상반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사실 여부가 의심스러우나, 〈몽골 비사〉, (원조비사)에 나오는 이야기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1182년]]에 이렇게 모은 옛 키야트 부족의 부족장으로 선출되었다 한다.
그런데 [[자무카]]의 일족 중 한 사람인 다이차르가 테무진의 영지에 있던 말을 몰래 약탈하려다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 이 일을 계기로 테무진과 자무카는 서서히 멀어져갔다.
=== 권력자로 부상 ===
==== 메르키트족 정복 ====
강력한 동맹세력의 후원을 받은 테무진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메르키트족]]을 패배시켰다. 또한 장래에 자신을 반역할 기미가 있는 부족은 초토화시키는 전략을 세웠다. 이 전략에 따라 그는 메르키트족에 이어 주르킨족의 [[귀족]]들도 패배시켰다. 왜냐하면 주르킨족의 귀족들은 테무진의 동맹세력이었으나, 테무진이 [[타타르족]] 공격에 나선 틈을 이용하여 그의 [[재산]]을 약탈하는 배반을 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그 부족의 [[귀족]]들을 사회적 영향력을 이용하여 [[반란]]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여 모두 처형했고, [[평민]]들은 병졸과 [[노예]]로 삼았다. 그는 배후에 적을 남겨놓는 경우가 절대 없었다. 수년 뒤 중국을 침공하기에 앞서 먼저 등 뒤에서 자신을 찌를 [[유목민]] 통치자가 없는지 확인했다.
[[메르키트족]]을 정복한 뒤, 자무카는 타이치우드 가문과 동맹하고 키야트가문을 규합한 테무진과 바루주토의 평원에서 교전하였다. [[1190년]]의 열세 날개 전투라고 불리는 이 싸움에서 누가 승리했는지는 문헌마다 결론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키야트가문과 동맹을 맺고 테무진의 아군이던 한 씨족의 포로가 자무카에게 사로잡힌 뒤, 사람을 삶아 죽이는 [[팽형]]으로 처형되었다고 한다. 테무진의 동맹인 어느 씨족 포로를 [[자무카]]가 삶아서 죽인 것은 기록들마다 일치하고 있으며, 이때는 테무진이 패배 한 것으로 보인다. [[자무카]]는 이 공개적 팽형으로 인망을 잃고, 몽골의 부족들은 테무진에게 귀부하는 일이 늘어났다.
==== 부족의 지도자들과의 관계 ====
메르키트족을 패배시킨 이래 테무진은 스텝(기마인들이 살던 지역) 지역의 최고 실력자가 되려는 목표를 세웠다. 부족의 지도자들은 테무진의 주위에 몰려들기 시작했고, 12세기말에 이르자 그들 지도자 가운데 일부는 테무진을 몽골족의 칸(왕)으로 옹립하자고 제의했다. 또한 그 지도자들은 [[전쟁]]과 수렵에서 테무진에게 충성을 바칠 것을 맹세했다.
그러나 그들이 내놓은 조건을 보면 테무진에게 자신들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믿음직스러운 장수가 되어달라는 것이었지, 그들을 지배하는 군왕(君王)이 되어달라는 것은 아니었다. 그 뒤 실제로 일부 부족의 지도자는 그를 배신했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테무진은 세력이 미약한 족장에 불과했다. 당시 중국 북부를 통치하고 있던 금(金)나라의 황제는 테무진을 중요하지 않은 인물로 여기고 있었다.
==== 자르하족 정벌 ====
1190년 테무진의 영도하에 키야트부족의 세력은 강해졌다. 자르하부족의 수령이기도 했던 [[자무카]]는 불만을 품었다. 자무하의 동생 차르파는 테무진의 부하들을 습격하여 죽였다. 테무진 휘하 13개 부락 3만여 명이 차르파에게 살해되었다. 테무친은 즉시 13익(13개 부락)으로 군사를 편성해 자무카와 교전하였다.
1201년 [[타타르]]족 잔존세력과 [[메르키트]]족, 그리고 테무친의 친척인 타이치우드 부족이 연합하여 [[자무카]]를 칸으로 추대, 고아 칸(古兒汗)이라 칭했다. 1202년 테무친은 타타르 족과 교전, 타타르족 수령 자린부카를 죽이고, 나머지 잔존 타타르인 백여명을 모조리 죽였다.
==== 타타르족 정복 ====
유목민들 사이에 분열을 조장하여 변방의 평화를 유지했던 금은 가끔씩 변방정책을 바꾸어 그들의 동맹세력인 타타르족을 공격했다. 토그릴과 함께 테무진은 그 기회를 이용하여 타타르족의 배후를 공격했다. 세력이 점점 강성해지자 그는 강대한 [[타타르족]]과 최후의 결전을 벌인 것이다. 전투에서 타타르족을 패배시킨 뒤 수레바퀴보다 키가 큰 자들은 곧 어른은 모두 죽이고, 단지 아이들만 살려두었는데 이들은 나중에 커서 자신들의 신분을 잊고 [[몽골]]의 충실한 추종자가 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금나라 황제는 토그릴에게 왕(王)이라는 칭호를 내렸고 테무진에게는 그보다 낮은 칭호를 내렸다. 실제로 그 후 몇 년 동안 금은 테무진의 존재를 전혀 위협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테무진은 스텝 지역에서 자신의 세력을 구축해나가는 일에 몰두했기 때문에 중국에게 그리 큰 위협이 되지 않았다.
==== 숙청작업 ====
테무진은 조직적으로 모든 정적들을 제거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친구이며 오랜 동료였던 자무카가 조직한 여러 세력의 연합은 그에게 패배를 거듭하여 그 존재가 없어졌고, 타타르족은 몰살당했다. 한편 케레이트족의 왕 토그릴과의 동맹관계도 마침내 붕괴되었고 테무진은 그마저도 최고권력을 잡는 데 장애가 된다고 판단하여 제거하려 했다. 토그릴은 자무카의 설득과 아들의 야망과 질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테무진에게 대항하여 싸울 수밖에 없었다. 테무진은 토그릴을 패배시킨 뒤 케레이트족을 모두 병졸과 노예로 삼았다. 테무진은 저항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옛 정적·[[귀족]] 들은 하나도 살려두지 않을 속셈이었다. 그 이유는 첫째, 이들의 군대를 빼앗아 자신의 군대로 삼고, 둘째, 몽골 지역의 분열을 가져온 소속 부족 안에서의 충성심을 분쇄하고, 셋째, 모든 유목민 부족을 통일하여 테무진의 가문에만 충성을 바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 나이만족 정복 ====
[[파일:Dschingis Khan 01.jpg|230px|섬네일|1206년 봄, [[오논강]]변에서 열린 [[쿠릴타이]]에서 칸으로 추대된 테무진<br/>(페르시아계 사서 [[집사]]에 삽화)]]
1199년 칭기즈 칸은 [[케레이트]]부와 연합, 고원 서쪽 [[알타이산맥]] 방면에 있던 [[나이만]]부를 공략했다. 서부지역의 나이만부 통치자는 보르지긴족의 강력한 세력에 두려움을 느끼고 자무카와 합동으로 연합세력을 형성했으나, 완전히 패배했고 나이만 왕국은 없어졌다. 한편 변덕이 심한 자무카는 마지막 순간에 나이만족 왕을 배신했다. 이같은 전쟁은 1200년대 초반에 벌어졌고 테무진은 스텝 지역의 패자(覇者)가 되었다.
1200년 초 테무진은 동부에 케레이트의 지원군을 호출, 친척이자 천적인 타이치우드 가문과 자이라트씨의 [[자무카]] 연합군을 깨고, 이어 [[대흥안령]] 방면의 [[타타르 족]]을 [[후룬베이얼]] 일대에서 격파했다. 1201년 몽골의 동방 지파는 반 케레이트, 반 테무진 세력과 동맹을 맺고, 테무진의 천적 [[자무카]]를 맹주로 추대하고, 고아 칸이라 하였다. 그러나 테무진은 동맹에 참가한 [[옹기라트]]부에 속하는 아내 [[보르테]]의 친가에서 동맹 결성 소식을 비밀리에 접하고 반대로 공세, 동맹을 깨고 동방 지파를 복속시켰다.
==== 케레이트와의 갈등과 대칸 즉위 ====
1202년 서쪽 나이만, 북 메르키트부족 연맹이 북서쪽에 있던 [[오이라트]]와 동방 동맹의 잔당과 맺고, 케레이트 공격했지만, 테무진과 옹 칸은 고전 끝에 이를 물리 치고 고원 중앙부의 패권을 차지했다.
그뒤 [[옹 칸]]과 테무진 간의 결혼동맹을 체결하려 했으나 옹 칸의 장남 일카 셍굼의 반대로 무산됐다. 같은 해 [[자무카]]의 술수로 옹 칸의 장남 [[일카 센군]]과 테무진을 이간질을 하여, [[1203년]]에 옹 칸은 셍굼의 진영에 망명 해 온 자무카의 모략으로 갑자기 테무진의 지역을 습격했다. 테무진은 오논강에서 북쪽으로 벗어나 바루쥬나 호수에서 군대를 재정비 했다. 그해 가을, [[오논강]]을 거슬러 고원에 되돌아온 테무진은 병력을 결집하여 계략을 써서, 케레이트의 본영의 위치를 찾아 옹 칸의 본대를 급습해 대승했다. 이 패전으로 고원의 케레이트 부는 괴멸되고, 고원의 중앙부는 테무진의 손에 떨어졌다.
1205년 테무진은 고원에 남은 마지막 큰 세력인 서[[나이만]]부와 북[[메르키트]]부족을 격파하고, 동지에서 적이 된 [[자무카]]를 마침내 잡아 처형했다. 자무카는 부하들의 배신으로 테무진에게 넘겨졌으나, 그는 배신한 자무카의 부하들을 처형하고 자무카는 피를 보지 않게 처형했다 한다.
1206년 테무진은 쿠릴타이를 소집했고, 그해 [[2월]] [[오논강]]변에서 열린 [[쿠릴타이|족장대회의]]에서 테무진은 칭기즈 칸('전 세계의 군주라는 뜻')으로 추대되었다. 칭기스 라는 단어에 대해 일설에는 원래 몽골어가 아닌튀르크어에서 온 외래어였다는 설이 있다. 1206년 모든 스텝 지역을 통치하는 황제로 추대되었을 때 그는 수천 명에 달하는 피복속 부족의 사람들과 그 지역을 자신의 친·인척, 동료들에게 나누어 관리하게 했다. 그리하여 기존 부족·가문의 조직된 형태를 바꾸어 [[봉건제도]]와 유사한 조직을 만들어냈다.
=== 몽골족의 통일 ===
==== 칭기즈칸의 지도력 ====
1206년은 몽골 및 세계의 역사에 전환점이 되는 해였다. 몽골족은 스텝 지역 밖으로 출정할 준비가 되어 있었고, 몽골 자체도 새로운 조직으로 재정비되었다. 칭기즈 칸의 탁월한 지도력으로 인해 통일된 몽골족이 존재하게 되었고, 몽골족은 많은 변천과정(봉건적 분열, 부족간의 세력다툼 재연, 영토병합)을 거쳐 오늘날까지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동시대의 [[페르시아]]인 [[알 가즈자니]]는 칭기즈 칸에 대한 목격담을 이렇게 진술하였다. 키가 크고, 몸에 힘이 넘치고, 단단하고, 얼굴에 난 성긴 수염은 모두 하얗게 셌고, 눈은 고양이 같고, 넘치는 에너지와 분별력, 천재성과 이해력을 갖추었고, 경외감을 불러일으키고, 학살에 능하고, 의롭고, 단호하고, 적을 쉽게 무너뜨리고, 용맹스럽고, 살벌하고, 잔인하며, 마법과 기만에 능하다 한다. 칭기즈 칸은 마법을 구사하지는 않았으나, [[알 가즈자니]]는 칭기즈 칸 군대의 활동을 마법으로 묘사했다.
1207년 아들 [[주치]]를 보내 삼림 부족을 정벌, 복속시켰다. [[1210년]]에는 그의 손자와 동명이인이자 사준사구의 한사람인 [[쿠빌라이]]를 보내 [[투르크]]계 유목민 [[카를루크]]족을 정벌, 카를루크족의 부족장 아라사란 칸(阿兒思蘭汗)이 부락을 이끌고 투항해왔다.
=== 몽골군의 특징 ===
==== 믿을 수 있는 군인들 ====
몽골족의 야망은 스텝 지역 밖으로까지 세력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었다. 칭기즈 칸은 세계정복의 원대한 야망을 실현시킬 준비가 되어 있었다. 새로운 몽골국은 무엇보다도 [[전쟁]]을 치르기 위한 조직으로 정비되었다. 칭기즈 칸의 군대는 10진법 체제로 나뉘어 엄격한 기강을 유지했고, 보급품과 군비를 갖추었다. 부장(部將)들은 칭기즈 칸의 아들이거나 그에게 절대충성을 바치는 선발된 사람들이었다.
==== 유연한 무기사용 ====
칭기즈 칸은 군사적으로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 있어서 급속하게 변하는 외부환경에 잘 적응했다. 처음에 그의 군대는 [[사료]]가 필요 없는 튼튼한 [[초식동물]]인 몽골 [[조랑말]]을 타는 [[기병]]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군대로 다른 유목민들은 패배시킬 수 있었지만 도시들을 함락시킬 수는 없었다.
그러나 곧 몽골족들은 규모가 큰 성읍도 [[투석기]]·[[쇠뇌]]·[[사다리]]와 끓는 기름 등을 사용하여 함락시킬 수 있었고, 흐르는 강물을 다른 데로 돌려놓아 홍수가 일어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정착문화를 가진 국가와 접촉하게 되면서 칭기즈 칸은 서서히 공격·파괴·약탈보다 더 멋진 권력의 향유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유능한 참모들 ===
칭기즈 칸에 대항했던 마지막 몽골 부족인 나이만의 한 신하는 그에게 문화의 유용함을 일깨워 주었고, 몽골어를 문자로 정착시키는 일을 도와주었다. 〈몽골 비사〉에 따르면 1222년말 [[아무다리야강]](고대명은 옥수스)과 [[시르다리야강]](고대명은 작사르테스) 지역에서 [[호라즘 제국|호라즘 샤 왕조]]와 전쟁을 벌였을 때, 칭기즈 칸은 이슬람 출신의 측근으로부터 성읍의 의미와 중요성을 배우게 되었다.
한때 금나라의 신하였던 또 다른 측근인 [[야율초재]]는 농민과 장인들이 생산해내는 물품은 과세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일러주었다. 칭기즈 칸은 당초 중국 북부의 비옥한 전답들을 말의 목초지로 만들 생각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몽골을 세계 최강대국으로 부상시킬 위대한 정복은 아직 수행되지 않은 단계였고 그 주목표로 중국이 떠올랐다.
=== 정복 사업 ===
==== 서하 정복과 위구르 복속 ====
1209년에 [[서하]](西夏)에서 칭기즈 칸에게 복속, 몽골의 종주권을 인정하기로 하고 강화조약을 체결하였다. 이어 그 해에는 [[톈산산맥|톈산]] [[위구르 왕국]]를 복속시키고, 경제 감각이 뛰어난 위구르인의 협력을 얻는 데 성공한다.
1209년 칭기즈 칸에게 조공을 바치기로 했으나, 서하에서는 다시 반발하였다. 칭기즈 칸은 중국 북서쪽 변방지역의 국가인 [[서하]]와 싸움을 벌여 승리를 거두었고, 1211년 중국 북부에 자리잡고 있던 금을 향해 진격했다. 1214년 금으로부터 막대한 금액의 보상금을 받고 철수했다가 1215년 전쟁을 재개하여 [[연경]]을 함락시켰다. 그 뒤 중국 북부의 완전한 장악은 부장인 [[무칼리]]에게 맡겨졌다.
==== 금나라 공략 ====
1213년 군사를 이끌고 금나라를 공략, [[만리장성]] 이남의 금나라의 영토를 정복, 병합했다. 1214년 칭기즈 칸은 [[금나라]]와 화약을 맺고 일단 군사를 후퇴시켰지만, 화약의 직후에 금나라가 몽골의 공세를 두려워해서 [[황하 강]]의 남쪽으로 옛 [[북송]]의 도읍인 [[개봉]]으로 수도를 옮기자 칭기즈 칸은 이를 배신 행위로 규정하고 다시 금을 공격했다.
1215년 몽골군은 금나라의 기존 수도 연경(현재의 베이징)을 포위, 함락시켰다. 후에 후계자 우구데이 칸의 시대에 중국의 행정에 활약하게 되는 [[야율초재]]는 이때 칭기즈 칸에 나타나고 그의 측근이 되었다. 연경을 함락시킨 칭기즈 칸은 장군 무칼리를 연경에 잔류시키고 그 후의 화북의 경영과 금나라와의 전쟁 준비 계획으르 맡겼으며, 그는 고원으로 되돌아갔다.
==== 서요 정복 ====
[[나이만]] 부족 연합의 부족장의 아들 [[쿠츨루크]]는 나이만족 멸망 후 망명, [[서요]]로 가서 [[야율직로고]]의 보호를 받고, 그의 사위가 되었다. 그러나 쿠츨루크는 야율직로고를 배신, 왕위를 찬탈했다. 서요의 혼란을 접한 칭기즈 칸은 [[쿠츨루크]] 토벌을 선언, 추격하였으나 몽골군의 주력은 서하에 대한 계속적인 10년 간의 원정으로 피폐해졌고, 첫 서요 원정은 실패하였다. 칭기즈 칸은 장군 [[제베]]에게 2만 군을 주고 선봉대로 보냈으며 [[쿠츨루크]]를 맡도록 했다.
[[쿠츨루크]]는 [[불교]]로 개종하고 현지의 [[무슬림]]을 억압하고 있었으므로, 몽골이 보낸 밀정이 이를 칭기즈 칸에게 보고하였다. 곧 몽골 밀정이 내란을 선동하자 바로 서요 왕국은 분열되고 지에베는 바로 군사를 이끌고 가 적국을 크게 격파했다. 쿠츨루크는 카슈가르 서쪽으로 도주하였으나 이윽고 몽골에게 붙들려 처형되고, 서요의 영지는 몽골에 병합되었다. 이 원정의 성공으로 1218년까지 [[몽골 제국]]의 영역은 북쪽으로는 발하슈 호까지 확대되고, 남쪽으로 페르시아 만, 서쪽으로 [[카스피해]]와 [[호라즘 샤]] 왕조를 접하게 되었다.
==== 호라즘 정복 ====
칭기즈 칸은 중국에서 더 나아가 [[호라즘]] 샤의 정벌에 나섰다. 그 전쟁은 칭기즈 칸의 보호하에 있던 450명의 [[이슬람]] 대상단을 몰살시킨 오트라르 시(市)의 지사(知事) 이날축 때문에 촉발되었는데, 호라즘 제국의 샤(황제)는 이에 대한 보상을 거부했다. 호라즘 샤와의 전쟁은 조만간 벌어지게 되어 있었지만 이제 더 이상 그 전쟁을 연기할 수 없게 된 것이었다.
[[호라즘]] 정벌에는 그의 아들 [[오고타이]]와 [[차가타이]] 등이 동행 출전하였다.
==== 철저한 섬멸전 ====
이 전쟁에서 몽골족은 끔찍한 야만적 행동을 자행하여 이그만족이라는 악명을 얻게 되었다. 몽골족은 가는 곳마다 도시를 불태웠고, 주민들은 몰살되거나 동족이라도 자신들보다 높은 신분이라면 모두 몰살시키는 몽골군의 앞잡이 노릇을 하도록 강요되었다. 칭기즈 칸이 호라즘 샤를 상대로 무자비한 복수전을 펼쳐나가는 동안 전답과 화원은 황폐화되었고 관개시설은 파괴되었다. 이 광경을 본 칭기즈 칸은 1223년 철수했고 1226~1227년 서하를 상대로 마지막 전역(戰役)에 나설 때까지 전쟁을 벌이지 않았다. 그는 1227년 8월 18일에 죽었다.
=== 칭기즈 칸의 정복활동 ===
[[파일:Genghis_Khan_empire-ko.svg|섬네일|371x371픽셀|칭기즈 칸의 정복지역 및 정복 활동]]
무자비하고 잔인한 정복자의 모습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칭기즈 칸은 [[몽골]]에서 영웅이자 국부로 추앙받는다. [[칸 (칭호)|칸]]이 되기 이전에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몽골 연맹을 통합하여, 흩어져 있던 부족들에게 동질감을 형성하였다. 세계에서 가장 큰 제국을 건설한 칭기즈 칸은 역설적으로 가장 넓은 지역에 전쟁의 처참함을 가져온 후에 가장 분쟁이 적은 평화의 시기를 가져왔다고 평가되고 있다.
[[서하]]와 [[금나라|금]]을 정복하고 [[중앙아시아]]의 [[호라즘 제국]]을 포함한 수많은 정복을 통하여 무수히 많은 나라를 합병하였다. 칭기즈 칸은 몽골 제국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역사에 지워지지 않는 기록을 남겼다. 몇 세기 동안 [[유라시아]] 대륙의 넓은 영토를 통치했던 몽골 제국은 몽골 제국에 의한 평화시대를 이루고, [[인구학]]과 [[지정학]]적으로 큰 변화를 일으켰다. [[몽골 제국]]의 영토는 현대의 [[몽골]], [[중국]],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몰도바]],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일부, [[터키]]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다.<ref>지금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주민들의 Y염색체는 그 곳의 원주민 유전자보다는 몽골 족 유전자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는데, 결과에 의하면 이들 유전자들은 8~13세기에 존속했던 어느 몽골족 계통의 남성을 조상으로 하는 유전자들이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ref> 몽골군은 1260년 봄, [[훌라구 칸]]의 부관인 [[키트부카]]의 지휘 하에 [[시리아]]의 [[다마스커스]]를 출발하여 오늘날 [[팔레스타인]]의 [[가자 지구]]까지 진출했다.<ref>아민 말루프,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340p</ref>
==== 서하 정복 ====
===== 서하정복에서의 전술 =====
몽골을 통일한 그는 정착문명 민족에 대한 몽골인 최초의 공격을 시작했다. [[서하]]는 [[탕구트]] 유목민들이 감숙, 알라샨, [[오르도스]]에 세운 나라로, 탕구트인들은 [[티베트]] 종족에 속했으며 종교는 [[라마교]]([[티베트 불교]])였고 [[중국]]의 영향으로 [[문화]]가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되어 있었으며 한자에서 파생된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 평원에서 [[전쟁]]하는 것에 능했던 [[몽골인]]들은 서하군과의 [[유격전]]에서는 연전 연승을 거두어 여러 차례(1205~1207년 그리고 1209년) 서하를 약탈하고 황폐화시켰다. 몽골의 총공격이 감행된 3차 침략 때 서하군은 [[전차]] 부대와 [[창|장창]] 부대를 앞세워 한순간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기동력의 부족으로 몽골군의 산개 작전에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했고, 결국 총사령관 외명령공이 [[포로]]로 잡혀 처형당하며 사실상 궤멸 상태에 빠졌다.
===== 서하의 항복 =====
몽골군은 수도인 영하를 포위했으나 공성전의 경험이 없던 몽골군은 이를 함락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황하]]의 물줄기를 바꾸어 영하를 공격하려는 시도도 하였으나 [[댐]] 건설의 경험이 없던 그들에게는 댐 건설은 너무 어려운 일이었고, 오히려 사고로 수십명이 익사하는 피해를 보기도 했다(몽골군은 수영을 할 줄 몰랐기에 특히 피해가 심했다). 한편 양종 이안전은 농성 기간 동안 금에 구원요청을 하기도 했으나 거절당했고, 물자 부족에도 시달렸다. 결국 1207년 양종 이안전은 몽골에의 복속을 약속하고 자신의 딸을 보내 칭기즈 칸과 혼인시켰다. 이후 서하는 몽골의 명령을 받아 [[금나라]]와 오랜 전쟁을 치렀는데 이는 양국의 국력을 쇠퇴하게 하였다.
===== 최후의 전쟁 =====
1211년 이준욱이 [[반란]]을 일으켰고, 양종은 퇴위하였으며 그 해 사망했다. 양종 역시 전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군주로, 이러한 일이 몇년 안에 잇따라 발생하자 이전의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금과의 전쟁으로 국력은 급속히 쇠퇴해갔다. 게다가 1219년과 1226년에는 연달아 칭기즈칸의 서정(西征) 참가를 거부하여 칭기즈 칸의 분노를 샀다.
칭기스 칸이 호라즘 원정에 앞서 서하에 사신을 보내 출정.
이는 만약 칭기스 칸에게 충분한 병력이 없다면 그는 최고 권력을 행사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ref>르네 그루세, 1998, p. 360.</ref> 서하인들은 당시 중앙아시아의 최강국이었던 호라즘과의 전쟁에서 몽골군이 패배할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에 나온 반응이다. 그러나 호라즘이 몽골의 침입에 무력하게 무너지면서 이러한 서하의 결정은 치명적인 실수임이 드러났다. [[1224년]], 칭기스 칸은 서하의 반란에 대한 소식을 듣고 서둘러 페샤와르를 떠나 [[몽골고원]]으로 귀환했다.<ref>라시드 앗 딘, 2003, p.374.</ref> [[1225년]] 봄에 그는 몽골고원에 도착했고, 여름에는 내정을 다지고,<ref>라시드 앗 딘, 2003, p.381.</ref> 가을에는 카라 툰의 행궁에서 묵었다.<ref>유원수 역, 《몽골비사》, 264절.</ref>칭기즈 칸이 이란에 있는 동안 서하는 몽골에 반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이란]]에서 돌아온 칭기즈 칸은 이를 알고 [[서하]]에 대한 징벌 원정을 결의했다. 1년의 휴식과 군대의 재편성 후, 칭기즈 칸은 다시 군사를 일으켰다. 1226년 초 몽골군은 서하를 침공하면서 서하의 변경을 공략했다.
===== 잔혹한 보복 =====
겨울에 얼어붙은 황하를 넘어 수도 싱칭(현재의 [[인촨시|인촨]]) 이남 지역을 포위했다. 서하 군대는 황하 기슭에서 몽골군을 요격했지만, 서하군은 30만 이상이었음에도 패배, 궤멸당했다.
칭기즈 칸은 대대적인 민족 [[학살]]을 명령하고 죽었는데, 이는 서하의 호라즘전 참가 거부가 칭기즈 칸을 노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며, 2차 침략에 대한 저항이 끈질겼기 때문에 칭기즈 칸의 섬태멸진 방식의 정복 전쟁에 원인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중국 국영 [[중국중앙방송|CCTV]] 보도에 의하면, 몽골군은 서하 사람을 매우 철저하게 살육했기 때문에 현재까지 서하인 유전자를 가진 서하인 후손을 발견하기 어렵다고 한다.<ref>中国人种迁徙解密:DNA检测下已无纯种汉族人 --[[중국중앙방송]], 2007年02月14日 <br /> http://discovery.cctv.com/20070214/100813.shtml {{웨이백|url=http://discovery.cctv.com/20070214/100813.shtml |date=20080305015430 }}</ref> 다만 이들 가운데 살아남은 서하인은 [[원나라]]가 세워졌을 때 지배계급인 [[색목인]]으로 편성되었다.
==== 비판 ====
정복지 나라의 국민이 이처럼 멸족당한 예는 세계 역사상 찾아보기 힘든 일로, 이는 칭기즈칸과 몽골 제국이 얼마나 잔학한 정복자였는지 알 수 있는 사례이며 학자들에 의해 비판받는 부분이기도 하다.
==== 금 정복 ====
===== 금과의 관계 =====
칭기즈 칸이 젊은 시절 케레이트와 함께 금의 마달갈(장종, 1189-1208)의 신하로서 타타르와 싸운 적이 있었다. 그는 장종의 신하였으며, 장종은 용병의 대가를 지불하였고, 중국식 칭호를 내려주었다. 그의 종증조부 [[안바가이 칸]]이 [[금나라]]로 끌려가 목마에 못박혀 처참하게 죽은 것을 그는 한시도 잊지 않았다. 마달갈이 죽자 그의 후계자 영제(위소왕)은 칭기즈 칸이 군신의 예를 갖추고 조공을 늘릴 것을 요구하였으나, 그의 사람됨을 알고 있던 칭기즈 칸은 무능한 통치자인 영제의 명령을 거부하고 정복의 기회로 이용하였다.
1210년 칭기즈 칸은 [[금나라]]에 조공관계를 중단한다고 통고하였다. 1211년 2월 칭기즈 칸은 군사를 이끌고 [[금나라]] 국경을 침입, 야고령 회전(野狐嶺會戰)에서 40만 명의 금나라 군을 격파했다. 1212년과 1213년에는 금나라의 하북을 상륙, 침공하여 격파하고 하동북로와 산둥 일대의 각 주와 현을 침공, 파괴하였다.
===== 웅구트 사람들의 협조 =====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었던 투르크계 웅구트인들이 몽골에서 [[만리장성]]으로 가는 산서성 북부의 길을 금을 위해 방어하고 있었다. 1211년 웅구트의 알라쿠쉬 티긴은 금의 정복을 위해 칭기즈 칸에게 이 길을 열어주었다. 그는 북경의 옛 주인이었으나 금에 의해 쫓겨난 [[거란]]인들과 연합하여 금나라를 공격하였다. 특히 거란인 출신 장수 석말명안은 몽골군을 도와 금 황제의 목마장을 습격해 수십만 마리의 군마를 탈취하여 몽골군의 기병력을 대폭 증강하는데 기여했다. 1212년에는 거란의 옛 영토인 만주 서남부의 요하에서 [[야율유가]]가 반란을 일으켰다. 거란인들은 몽골계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퉁구스계 언어를 사용하는 금의 여진족보다는 몽골과 더 친밀한 유대를 가지고 있었다. 야율유가는 몽골의 도움으로 요양을 빼앗고 요나라를 세웠으며 1220년 죽을 때까지 몽골의 가장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몽골과 함께 하였다. 이로써 금나라 서북의 웅구트와 동북의 거란은 몽골과 연합하게 되었다.
=== 금나라 정복시작 ===
칭기즈 칸의 금나라 정복은 1211년에 시작되어 그가 죽을 때까지 지속되었으며, 그의 후계자 시대인 1234년에 이르러서야 완성될 수 있었다. 몽골인들은 중국의 오래된 전투방법인 공성전을 다루는 데 어려움이 있었고, 그들이 공포를 조성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던 [[학살]]의 방법은 인구가 많은 중국인들에게 큰 인상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여진]]은 정주한 지 100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목민의 용맹함을 여전히 지니고 있었다. 1213년에는 [[쉬안화현|선화]]를 정복하고 산서 중부를 돌파하여 [[타이위안시|태원]]과 [[린펀|평양]]을 빼앗았다. 이 후 남으로 기수를 돌려 하북과 산둥 평원을 가로질러 하간과 제남을 함락시켰다. 칭기즈 칸이 북경을 봉쇄작전으로 공격하려고 했을 때, 금 조정에는 궁정분란이 일어나 [[금 위소왕|폐제]]가 [[호사호]]에게 암살을 당하였고, 호사호는 폐제의 조카인 오도보([[금 선종|선종]])을 제위에 앉혔다. 당시 북경을 공격하고 있었으나 잇따른 실패에다 물자 부족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던 칭기즈 칸은 오도보의 화의를 받아들이고,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받고 철수하였다.
==== 북경 함락 ====
이후 오도보는 바로 [[개봉]]으로 천도하였고, 칭기즈 칸은 그것을 반격의 준비로 생각하고 다시 북경을 쳐서 마침내 성공적으로 함락해 불사르고 주민들을 학살하였다. 초원의 거주자들은 아무런 과도기적 단계도 없이 도시문명을 가진 고대국가를 소유하게 되자 어찌할 바를 모르고, 더 나은 방법을 알지 못했던 그들은 난감함에 의하여 방화와 살육을 하게 되었다. 개인적인 약탈은 몽골군의 규범인 야삭에서 금하는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북경에 들어가서 한달 동안이나 약탈을 계속 하였다. 이것은 [[10세기]]의 [[거란]]이나 12세기의 [[여진]] 사람들이 기존 중국인에 대한 살육을 최소화하고, 그들의 재산을 파괴하지 않음으로써 이전 왕조를 계승하여 차지한 것과 비교해 볼 때 퇴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금나라 정복의 마무리 ====
금은 개봉 천도 이후 섬서성의 일부와 하남성 지역 정도로 축소되었다. 몽골이 중앙아시아에서 전쟁을 하고 있어 여력이 없을 때, 금은 다시 북경을 제외한 여러 성을 수복하였다. 칭기즈 칸의 신하 무칼리는 중국의 작전을 일임받고 지속적인 전투를 계속하였으나 이제 전투는 중국식 공성전으로 완전히 변해 버려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칭기즈 칸은 금나라 정복을 이루지 못하고 죽었으며 그의 아들인 [[우구데이]]와 [[톨루이]]에 의하여 1234년에야 정복을 마무리 할 수 있었다.
==== 호라즘 정복 ====
===== 1차 충돌 =====
금나라 정복 기간 중 칭기즈 칸은 중앙아시아에서 강성한 세력을 자랑하던 [[호라즘 제국]]과 맞닥뜨리게 되었다. 몽골과 호라즘의 1차 충돌은 1218년에 있었는데, 칭기즈칸은 아들 [[차가타이]], [[오고타이]] 등을 대동하고 [[호라즘]] 원정에 나섰다. 1218년 당시 호라즘은 [[알라 웃딘 무함마드]] 샤(황제)의 통치 하에 쇠퇴하고 있던 [[아바스 왕조]]를 몰아내고 [[서요]]를 속국으로 삼으며 중앙아시아를 지배하고 있었다. 당시 몽골에서는 명맥만 유지하던 메르키트족이 반란을 일으켰고 이를 진압한 몽골군은 남은 메르키트 병사들을 서요 국경지대까지 쫓아가 전멸시켰다. 이 때 칭기즈 칸은 수만의 군대를 이끌고 서요를 방문한 무함마드 샤의 군대와 마주치게 되었고, 이를 우습게 본 샤가 몽골군에 선전 포고를 함으로써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몽골군은 호라즘군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았으나 치밀한 전략과 기마술로 호라즘군 절반을 죽이고 샤의 본진을 습격해 왕실 물품을 소수 탈취했다.
[[호라즘]] 정벌 당시 투항한 이슬람 상인 야라와치와 그의 아들 마수우드베이 부자가 투항했다. 이들은 후일 그의 아들 오고타이의 측근이 된다. 몽골군이 퇴각하면서, 마수우드베이는 호라즘의 총독으로 임명하여 주재시켰다.
===== 외교 결렬 =====
이후 칭기즈 칸은 나이만전 당시 도망쳤던 나이만 족장 타양 칸의 아들 [[쿠츨루크]]가 서요의 국왕이 되어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장수 제베를 시켜 서요를 공격해 쿠츨루크를 죽이고 서요를 점령함으로써 [[호라즘]]과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 그러나 [[금나라]]와의 전쟁 중에 호라즘과 같은 강국과 [[전쟁]]을 치를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한 칭기즈 칸은 이후 호라즘과 통상을 맺기 위해 사신을 보냈으나, 샤는 [[편지]]에 쓰여진 '그대를 사랑하는 내 아들처럼 대할 것'이라는, 자신을 비하하는 글귀에 분노했다. 그는 통상에 응하였으나 통상을 위해 방문한 450명의 상단을 오트라르 성의 성주 이날축을 시켜 붙잡아 처형했고, 항의하러 온 사신단마저 처형했다.(일각에는 칭기즈 칸의 [[전쟁]]을 위한 계략이 숨어있었다고도 한다). 이는 사실상 선전 포고나 다름이 없었으니 칭기즈 칸은 이에 선전 포고를 하고, 1219년 20만의 병력으로 호라즘 침공을 개시했다.
===== 내분전략 =====
침공 전 칭기즈 칸은 호라즘 제국 내의 불화와 반목을 이용하는 계락을 펼쳤다. 호라즘은 알라 웃딘의 통치기간 동안 넓은 지역을 정복했으나 내정을 안정시킬 기간이 없어 나라 안 [[민중]]과 [[귀족]], [[왕족]]들 간의 파벌 갈등이 심했다. 칭기즈 칸은 호라즘 내의 여러 장수나 귀족들이 [[몽골]]과 내통하고 있는 것처럼 한 편지를 샤에게 들어가도록 했고, 몇몇 귀족이나 왕족에게 복속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불안해진 샤는 수도를 [[사마르칸트]]로 옮기고, 몽골군의 몇 배가 넘던 대군을 이리저리 갈라 배치하는 실책을 저지르게 되었다. 이는 몽골군의 호라즘 정복을 쉽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 아바스 왕조의 정보제공 =====
[[아바스 왕조]]에서는 호라즘을 [[중앙아시아]]에서 몰아내기 위해 몽골군에게 호라즘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도 했다.
===== 호라즘 함락 =====
호라즘을 침공한 몽골군은 오트라르 성을 함락하고 샤의 명에 따라 몽골 대상단을 처형한 성주 이날축의 눈과 귀에 끓는 은물을 부어 처형했다. 이후 몽골군은 호라즘의 전 수도 [[부하라]]를 공격해 항복을 받아내고, 샤 [[알라 웃딘 무함마드|알라 웃딘]]이 숨어있던 [[사마르칸트]]까지 포위해 5일만에 함락했다. 샤 [[알라 웃딘 무함마드|알라 웃딘]]은 함락 전 성에서 빠져나와 달아났고, 칭기즈 칸은 도망친 샤를 잡기 위해 제베와 수부데이 두 장수에게 [[샤]] [[알라 웃딘 무함마드]]를 추격할 것을 명했다. 이에 쫓긴 [[알라 웃딘 무함마드|알라 웃딘]]은 나라 안을 이리저리 떠돌아야 했고, 그가 도중 머문 성이나 마을은 몽골군에게 철저히 짓밟혔으며, [[알라 웃딘 무함마드]]의 어머니인 황태후가 살던 마잔다란마저 함락당하고 황태후는 몽골군에게 농락당해야 했다.
결국 숨을 곳을 찾지 못한 [[샤]]는 [[카스피해]]의 작은 [[섬]]으로 피신했다가 지병으로 숨을 거두었다. 이후 샤의 아들 [[잘랄 웃딘]]이 몽골군에 항전했으나 그가 지키던 [[우르겐치]] 성은 끝내 몽골군에 의해 함락되면서 아내와 아들을 포함한 일가족을 잃었고, 군대를 모아 파르완에서 시기 쿠투쿠가 이끄는 몽골군을 전멸시키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으나, 패배 소식을 접한 칭기즈 칸이 직접 토벌에 나서자 끝내 당해내지 못하고 패배한 뒤 [[인더스강]]을 건너 도망쳤다가 1년 뒤 [[쿠르드]] 산지에서 그곳 주민에게 살해당했다.
===== 호라즘 정복의 의미 =====
한편 호라즘 정벌을 떠나기 전 칭기즈 칸은 [[서하]]에 참전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고, 이는 이후 몽골이 서하를 재침략하여 멸망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호라즘 정벌은 몽골군이 [[중앙아시아]]를 넘어 [[아랍]], [[카프카스]], [[러시아]]까지 침략하는 계기가 되었다. 호라즘 정벌전 때 호라즘을 몰아내기 위해 몽골군을 이용하려던 [[아바스 왕조]]는 이후 그 몽골군에 의해 멸망했고 [[바그다드]]의 [[칼리프]] 역시 살해당했으며,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를 제외한 모든 [[이슬람]]권이 몽골군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무함마드 샤가 [[몽골]]의 대상단을 살해한 것에 대해 많은 [[이슬람]] 역사가들은 이슬람 세계를 [[전쟁]]으로 몰아넣은 직접적인 요인으로 비판하고 있다. 실제로 무함마드 샤는 뛰어난 통치술로 단기간에 넓은 땅을 차지했으나, 어리석게도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에게 자신에게 칼리프 자리를 넘길 것을 요구해 이슬람 형제의 반감을 샀고, 안정되지 않은 국내 사정을 무시하고 몽골을 도발하여 화를 자초하는 무모한 모습을 보여 후세에 시대착오적인 어리석은 군주로 평가되고 있다.
=== 서하 재원정과 최후 ===
중앙아시아 원정에서 돌아온 징기즈 칸은 영지를 분할하여 [[주치]]는 남서 시베리아에서 남쪽 러시아 땅 및 미래에 정복 할 수 있는 모든 토지를, 차남 [[차가타이]]에는 중앙 아시아와 서요의 옛 땅을, [[우구데이]]에게는 서쪽 몽골 및 위구르, 나이만, 타타르, 중가리아의 지배권을 주었다. 칭기즈 칸은 3명의 동생 [[주치 카사르]], [[카치운]], [[테무게 옷치긴]] 등에게 [[내몽골]] 동부 지역의 영토, [[여진족]]의 영역 근처이자 구 [[거란족]]과 이민족이 차지했던 지역을 나눠서 분봉해 주었다. 이들은 동방 3왕가라 부른다. 이들 울루스는 소 울루스로서 독자적인 국가를 형성하지 못하고, 제후국 형식으로 남게 되었다.
칭기즈 칸에게 종주권을 약속한 [[서하]]의 황제는 [[호라즘]] 원정에 원군 보내는 것을 거절했고, 이를 괘씸히 여긴 칭기즈 칸은 다시 서하 공격을 선언한다.
1226년 [[가을]], 칭기스 칸은 서하에 대한 재원정을 개시했다. 칭기스 칸은 사고로 말에서 낙마한 뒤에 [[열병]]을 겪었고, 이에 아들들은 원정을 만류했다. 하지만 칭기스 칸은 원정을 강행했다. 칭기스 칸은 우선 서하에 사신을 파견해 서정에 동반하지 않고 그 자신을 모욕한 것을 책망하며 항복을 제의했으나, 서하는 이를 거부했다.<ref>유원수 역, 《몽골비사》, 265절.</ref> 칭기스 칸은 서하의 도시 대부분을 점령했고, 1226년 여름에는 서하 군대를 격파했다.<ref>유원수 역, 《몽골비사》, 266절.</ref><ref>라시드 앗 딘, 2003, p.382 - 83.</ref> 이후 몽골군은 서하의 수도 흥경을 포위했다. 그때 칭기스 칸은 남하하여 육반산 남쪽에서 야영했다. 라시드 앗 딘은 이 남하의 목적은 칭기스 칸이 남송이었다고 적었다.<ref>라시드 앗 딘, 2003, p.384 - 85.</ref> 육반산 남쪽에 머무르던 칭기즈 칸은 서하에 사람을 보냈고, 서하에서는 곧 항복을 약속했다.
그때 서하는 칭기스 칸에게 사신을 보내 한 달 뒤 주민들을 이끌고 도시 밖으로 나와 항복하겠다고 제의했고, 칭기스 칸은 이를 허락했다.<ref>라시드 앗 딘, 2003, p.385 - 86.</ref> 하지만 그해 8월 초 칭기즈 칸은 갑자기 중태에 빠졌다가 깨어났다. 죽음을 앞둔 칭기스 칸은
{{인용문2|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 적이 알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절대로 곡을 하거나 애도하지 말라. [[탕구트]]의 군주와 백성들이 기간에 맞추어 밖으로 나오면 그들을 모두 없애 버려라!<ref>라시드 앗 딘, 2003, p.386.</ref>}}
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1227년]] [[8월 18일]]<ref>스기야마 마사아키, 1994, p. 52.</ref> 또는 [[8월 25일]]<ref name="칭기스_죽음_서하_멸망">르네 그루세, 1998, p. 361..</ref>, 칭기스 칸이 죽은지 얼마 되지 않아 서하의 수도 흥경은 함락되고 그 주민들은 학살당했다.<ref name="칭기스_죽음_서하_멸망"/>
그의 사망 일자는 사서마다 설이 다른데 원사에는 [[8월 25일]], [[라시드 앗딘]]의 [[집사]]에는 [[1227년]] [[8월]]이라 한다. 한편 알탄 톱치 몽골 [[황금사]]에 의하면 칭기즈 칸은 [[7월 12일]]에 사망했다 한다. 그는 죽음이 임박해서 부하들에게 서하 황제를 잡아 죽이라 명했고, 또 막내아들 툴루이를 불러들여 서하를 완전히 멸망시킬 계획을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 사후 ===
칭기즈 칸의 아들과 손자들 중에는 칭기즈 칸이 혐오했던 버릇인 [[알코올 중독]]에 시달렸다. [[오고타이]], [[툴루이]] 등은 칭기즈 칸의 생존 시에도 술을 즐겨 마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칭기즈 칸 자신은 한때, 남자가 때때로 술에 취하지 않을 것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진중에서 전사한 칭기즈 칸은 [[몽골고원]]으로 옮겨져, [[부르트칼둔]], [[원사]] 등에서는 [[기련곡]]에 장사되었다 한다. 기련곡은 [[대원 제국]] 말기까지 역대 몽골의 대칸이 기련곡에 매장되었다.
[[원사]] 등의 기술에서 칭기즈 칸과 역대 칸들의 묘지가 있는 지역에 합쳐져 영위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그 위치는 비밀이 되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 견문록]]에 의하면 친기스 칸의 시신을 운반한 사람은 비밀 유지를 위해 모두 살해되었다고 한다. 또한 매장 된 후에는 몽골은 그 증거를 없애기 위해 일천 마리의 말을 몰고 일대의 땅을 완전히 밟아 다졌다고 한다.
몽골비사에는 다른 설도 있는데, 어떤 이는 부르칸 칼둔 산에 묻었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알타이 산]]의 북쪽, [[켄테이 칸]] 산의 남쪽에 있는 예케 우텍에 묻었다고도 한다 하였다.
1990년 냉전 종식 이후 각국의 조사단은 칭기즈 칸의 매장지를 물색하고, 다양한 지역을 비정하였다. 그러나 몽골에서는 땅을 파는 것을 싫어하였으며, 칭기즈 칸의 무덤이 외국인에 발굴되는 것에 불만을 가진 이들이 있다 한다. 2004년 [[일본]]의 조사단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250km 이격한 [[케를렌강]]의 한 초원 지대에 있는 칭기즈 칸의 오르드 흔적을 찾은 것으로 추정한다. 일각에서는 이 땅이 13세기 경 칭기즈 칸의 묘로 사용되었다는견해가 있다. [[시카고 대학]]의 존 우즈 교수는 2001년 [[헨티 산맥]]의 구릉지대에서 높이 약 2.7~3.6m의 벽돌벽이 일시적으로 약 3.2km에 걸쳐서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원조비사]]에 있는 쿠레루구로 추정하고, 칭기즈 칸을 비롯한 몽골 황족, 원나라 황제의 능묘일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한다.
또한 2009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다롄시]]에 거주하는 칭기즈 칸의 후예가 되는 80세 여성이 칭기즈 칸의 능묘가 현재, [[쓰촨성]] 간츠 [[티베트족 자치구]]에 있는 것은 후예 가문에 전해지는 비밀이라고 발표, 현지 조사에서 비슷한 동굴이 확인되어 중국 정부에서 조사를 시작하였다.
== 역사적 배경 ==
[[파일:Chinggis Khan hillside portrait.JPG|섬네일|칭기즈칸 언덕의 초상화.몽골]]
=== 유목민과 정착민의 관계 ===
야담(野談)으로 가득 차 있는 〈[[원조비사]] 元朝秘史〉(1240년경)를 제외하고는 몽골 쪽의 자료가 아닌 사료들이 칭기즈 칸이 살았던 시대와 비슷한 시대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유사 이래 유목민과 정착민은 늘 접촉관계를 유지했다. 이 두 사회는 정반대되는 생활양식을 유지했기 때문에 늘 적대적인 관계에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호의존적인 처지에 있었다.
=== 유목민의 정복활동 ===
북방의 유목민들은 남부지역의 일부 주요산품과 그 지역의 사치품들을 필요로 했다. 유목민들이 이같은 물품을 얻는 방법은 무역·대상(隊商)·무력약탈의 3가지가 있었다. 중국의 정착민들은 유목민들이 사는 스텝 지역의 생산품들을 절실히 필요로 하지는 않았지만, 유목족들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여러 방법을 동원하여 유목민들의 내침을 막아내야만 했다.
=== 유목민의 단합과 분열 ===
스텝 지역 유목민들의 단합과 분열은 중국 왕조의 흥망성쇠에 따라 결정되었다. 유목민들은 세력이 강성할 때 결단력 있는 지도자를 옹립하여 다른 유목민 부족들을 복속시켰다. 그 후 중국의 왕조가 쇠망의 길을 걷고 있으면 그들의 세력을 스텝 지역 밖으로까지 확장시켰다. 그러나 유목민들이 이같이 세력을 확장하여 남방정착민들의 문화를 수용하게 되면 결국에는 비극적 결말을 맞았다.
=== 흥망성쇠의 반복 ===
유목민들은 원래 기동성이 뛰어나 후방에서 별도의 물자보급을 받을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세력확장 이후에는 이 전통적인 우월성을 상실해 끝내는 그들이 복속시킨 중국인들에 의해 동화되고 말았다. 그 후 중국에는 다시 강력한 제국이 일어나고 유목민들은 족장들끼리 끊임없이 싸움을 벌여 분열되었다. 이렇게 하여 그들의 흥망성쇠는 계속 반복되었다. 반론 - 원의 붕괴는 강력한 전염성 질환에 의한 유라시아의 붕괴가 직접 원인이다. 이로 인한 국제무역이 축소되어 통치자금의 부족을 초래하고 몽골족은 중안아시아의 초원으로 회귀하게 된 것이 원의 소멸이다.
=== 칭기즈칸의 현실이해 ===
몽골 정복의 역사는 이같은 형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데, 이러한 정치적 갈등과 긴장을 배경으로 하여 칭기즈 칸의 생애가 검토되어야 한다. 그는 자신 부족들 내부에 재통일의 기운이 무르익었고 또 그당시 중국과 기타 정착문화를 가진 나라들이 쇠퇴의 길을 걷고 있음을 인식했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정복자의 길로 나선 것이었다.
=== 칭기즈 칸의 통치법 ===
칭기즈 칸은 주변 국을 확장해나가면서 자신에게 협력할 경우 자치권을 인정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혜택을 부여했다. 그러나 반항하게 되면 그 지역 전체를 풀 한 포기 남김없이 모조리 멸족시켰는데 전멸시킨 사람들의 해골을 모아서 탑을 쌓았다. [[바그다드]]와 [[이스파한]] 등의 지역에는 거의 100,000개가량 되는 해골들로 탑을 쌓기도 했다. 특히 샤리 골골라의 경우 정복활동 도중 칭기스 칸의 손자인 모토칸(또는 무투겐)이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으므로 칭기즈 칸의 분노를 사서 풀 한 포기 남김없이 모두 죽일 뿐만 아니라 모든 건물을 없애버려 전대미문의 폐허로 만들면서 멸망시켰다.
==== 칭기즈 칸의 지도자로서의 특징 ====
칭기즈 칸이 활발한 정복활동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다.
* 철저한 능력위주의 [[군]] 인사행정 : [[계급]]이 미천한 자라도 능력이 있다면 귀히 쓰지만, 능력이 없는 자라면 계급을 강등했음.
* 이민족이라 해도 받아들이는 개방적인 인재흡수
* [[승마]]능력과 기동성이 뛰어난 군대
* 상인들을 통한 정확한 정보수집
* 다른 종교([[기독교]], [[이슬람]])에 대한 존중
* 정복하고자 하는 나라가 다종교사회인 경우, 특정[[종교]]를 지지하여 내분을 조성
* [[학자]]인 [[야율초재]]와 같이 일함으로써 학식을 이용함.
== 기년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ffffff;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칭기즈 칸||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
|[[서력]]||[[1206년]]||[[1207년]]||[[1208년]]||[[1209년]]||[[1210년]]||[[1211년]]||[[1212년]]||[[1213년]]||[[1214년]]||[[1215년]]
|-
|[[육십간지]]<br />(六十干支)||[[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 (간지)|기사]](己巳)||[[경오]](庚午)||[[신미 (간지)|신미]](辛未)||[[임신 (간지)|임신]](壬申)||[[계유]](癸酉)||[[갑술]](甲戌)||[[을해]](乙亥)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칭기즈 칸||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
|[[서력]]||[[1216년]]||[[1217년]]||[[1218년]]||[[1219년]]||[[1220년]]||[[1221년]]||[[1222년]]||[[1223년]]||[[1224년]]||[[1225년]]
|-
|[[육십간지]]<br />(六十干支)||[[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 (간지)|무인]](戊寅)||[[기묘]](己卯)||[[경진]](庚辰)||[[신사 (간지)|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갑신]](甲申)||[[을유]](乙酉)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칭기즈 칸||21년||22년
|-
|[[서력]]||[[1226년]]||[[1227년]]
|-
|[[육십간지]]<br />(六十干支)||[[병술]](丙戌)||[[정해]](丁亥)
|}
== 가족 관계 ==
{{col-begin}}
{{col-2}}
=== 제 1알아타 관리 ===
* 황후 : [[보르테|광헌익성황후 홍길랄씨]](光獻翼聖皇后 弘吉剌氏)
* 장남 : [[주치 (몽골)|주치]](朮赤)
* 차남 : [[차가타이 칸|차가타이]](察合台)
* 3남 : 태종 [[우구데이 칸|우구데이]](太宗 窩闊台) : 몽골 제국의 2대 대칸
* 4남 : 예종 [[툴루이]](睿宗 拖雷) : 몽골 제국의 임시 대칸
* 장녀 : 창국대장공주 [[코첸 베키]](昌國大長公主 火臣 別吉) : 창충무왕 패독(昌忠武王 孛禿)에게 하가(下嫁)
* 차녀 : 연안공주 [[체체 이켄]](延安公主 撦撦亦堅) : 토랍이길(土拉而吉)에게 하가(下嫁)
* 3녀 : 조국대장공주 [[알카이 베키]](趙國大長公主 阿剌海 別吉) : 불안석반(不顔昔班), 북평왕 진국(北平王 鎭國), 조무의왕 패요합(趙武毅王 孛要合)에게 하가(下嫁)
* 4녀 : 운국공주 [[투멜룬]](鄆國公主 禿滿倫) : 적굴(赤窟)에게 하가(下嫁)
* 5녀 : [[알랄툰 베키|아아답로흑 공주]](阿兒答魯黑 公主) : 태출(泰出)에게 하가(下嫁)
* 황후 : 홀로륜 황후(忽魯倫 皇后)
* 황후 : 활리걸담 황후(闊里桀擔 皇后)
* 황후 : 탈홀사 황후(脫忽思 皇后)
* 황후 : 첩목륜 황후(帖木倫 皇后)
* 황후 : 역련진팔랄 황후(亦憐眞八剌 皇后)
* 황후 : 불안홀독 황후(不顔忽禿 皇后)
* 황비 : 홀승해 비자(忽勝海 妃子)
* 황비 : 야간 비자(耶干 妃子)
* 황비 : 야축 비자(耶逐 妃子)
=== 제 2알아타 관리 ===
* 황후 : [[쿨란 카툰|홀란 황후 올와사씨]](忽蘭 皇后 兀洼思氏)
* 6남 : 활렬견 태자(闊列堅 太子)
* 황후 : 고야별속 황후(古兒別速 皇后)
* 황후 : 역걸렬진 황후(亦乞列眞 皇后)
* 황후 : 탈홀사 황후(脫忽思 皇后)
* 황비 : 야진 비자(也眞 妃子)
* 황비 : 야리홀독 비자(也里忽禿 妃子)
* 황비 : 찰진 비자(察眞 妃子)
* 황비 : 합랄진 비자(哈剌眞 妃子)
* 황비 : 내만녀 비자(乃蠻女 妃子)
* 8남 : 출아철 황자(朮兒徹 皇子) : 요절(夭折)
{{col-2}}
=== 제 3알아타 관리 ===
* 황후 : [[예수이 카툰|야수 황후 탑탑아씨]](也遂 皇后 塔塔兒氏)
* 황후 : 홀로합랄 황후(忽魯哈剌 皇后)
* 황후 : 아실륜 황후(阿失侖 皇后)
* 황후 : 독아합랄 황후(禿兒哈剌 皇后)
* 황후 : 찰합 황후 이씨(察合 皇后 李氏)
* 황후 : 아석미실 황후(阿昔迷失 皇后)
* 황후 : 완자홀도 황후(完者忽都 皇后)
* 황비 : 혼도로알 비자(渾都魯歹 妃子)
* 황비 : 홀로회 비자(忽魯灰 妃子)
* 황비 : 날백 비자(剌伯 妃子)
=== 제 4알아타 관리 ===
* 황후 : [[예수겐 카툰|야속간 황후 탑탑아씨]](也速干 皇后 塔塔兒氏)
* 7남 : 찰올아 황자(察兀兒 皇子) : 요절(夭折)
* 황후 : 홀답한 황후(忽答罕 皇后)
* 황후 : 합답안 황후 속륵손도씨(合答安 皇后 速勒遜都氏)
* 황후 : 알자홀사 황후(斡者忽思 皇后)
* 황후 : 연리 황후(燕里 皇后)
* 황후 : 독해 황후(禿該 皇后)
* 황비 : 완자 비자(完者 妃子)
* 황비 : 금련 비자(金蓮 妃子)
* 황비 : 완자태 비자(完者台 妃子)
* 황비 : 노륜 비자(奴倫 妃子)
* 황비 : 묘진 비자(卯眞 妃子)
* 황비 : 쇄랑합 비자(鎖郞哈 妃子)
* 황후 : 모개 황후(謨蓋 皇后)
* 황비 : 숙량합 비자(肅良合 妃子) : 고려인(高麗人)
* 황후 : 아복합 황후(阿卜哈 皇后)
* 황비 : 팔불별걸 비자(八不別乞 妃子)
* 황후 : [[기국공주|공주 황후 완안씨]](公主 皇后 完顔氏)
* 황비 : 탑탑아녀(塔塔兒女)
* 5남 : 올로적 황자(兀魯赤 皇子)
** 손자 : 쏭주
* 황비 : 미상(未詳)
* 9남 : 올로찰 황자(兀魯察 皇子) : 생모미상(生母未詳), 요절(夭折)
* 6녀 : 고창공주 야립 가돈(高昌公主 也立 可敦) : 생모미상(生母未詳), 파이술 아아특 적근(巴而術 阿兒忒 的斤)에게 하가(下嫁)
* 7녀 : 포역색극 공주(布亦塞克 公主) : 생모미상(生母未詳), 공주(公主)의 외모가 추해 부마(駙馬)가 그녀를 좋아하지 않자, 칭기즈 칸(成吉思汗)은 크게 노하여 부마를 죽였다.
{{col-end}}
=== 족보 ===
{{족보-소형5
|style= line-height: 110%;
|border=1
|boxstyle=padding-top: 0; padding-bottom: 0;
|boxstyle_1=background-color: #fcc;
|boxstyle_2=background-color: #fb9;
|boxstyle_3=background-color: #ffc;
|boxstyle_4=background-color: #bfc;
|boxstyle_5=background-color: #9fe;
|1= '''1. 보르지긴 테무친<br>칭기즈 카간'''
|2= 2. [[예수게이|보르지긴 예수게이<br>바가투르]]
|3= 3. [[호엘룬|올코노드 호엘룬]]
|4= 4. [[바르탄 바가투르|보르지긴 바르탄<br>바가투르]]
|5= 5. 바가르 수니굴
|6=
|7=
|8= 8. [[카불 칸|보르지긴 카불<br>카불 칸]]
|9= 9. 카라루크 (옹기라트 부)
|10=
|11=
|12=
|13=
|14=
|15=
|16= 16. [[툼비나이 세트센]]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 같이 보기 ==
* [[몽골 제국]]
* [[안바카이 칸]]
* [[야삭]]
* [[대지독폐]](大遲獨閉) → [[소속연개]](小速連開): 칭기즈 칸의 전쟁 및 통치철학
== 참고 문헌 ==
* (1994). 《몽골비사》. 유원수 역주. 서울: 혜안. {{ISBN|89-85905-03-1}} 03910.
* 김호동. (2010).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파주: 돌베개. {{ISBN|978-89-7199-331-6}}.
* 라시드 앗 딘. (2003). 《칭기스 칸 기》 (김호동, 역주). 서울: 사계절. {{ISBN|89-7196-984-9}}.
* [[르네 그루세]]. (1998).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서울: 사계절. (원서출판: 1939) {{ISBN|978-89-7196-506-1}}.
* 스기야마 마사아키. (1999). 《몽골 세계제국》 (임대희, 김장구, 양영우, 옮김). 서울: 신서원. (원서출판: 1996). {{ISBN|89-7940-525-1}}.
* Paul Ratchnevsky. (1991). ''Genghis Khan: His Life and Legacy''. Blackwell Publishing. {{ISBN|0-631-16785-4}}.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Genghis Khan}}
* {{브리태니커|b21k0376b}}
* {{두피디아|101013000861709}}
* {{네이버캐스트|1824}}
{{전임후임
|전임자= 아버지 [[예수게이|예수게이 바투르]]
|후임자= 4남 [[툴루이 칸]]
|대수=
|직책=[[보르지긴]] 키야트 수장
|임기= 1189 ~ 1206년
}}
{{전임후임
|전임자= 칭기즈 칸 (키야트가문 수장, 제국 성립)<br/>[[자무카]] (북부 몽골 동맹)
|후임자=4남 [[툴루이 칸]] 툴루이<br />(임시)
|대수=1
|직책=[[몽골 제국]] 칸
|임기= 1206 ~ 1227년
}}
{{몽골 제국}}
{{원나라의 역대 군주}}
{{몽골 제국의 파편화}}
{{전거 통제}}
[[분류:칭기즈 칸| ]]
[[분류:1162년 출생]]
[[분류:1227년 사망]]
[[분류:몽골 제국의 대칸]]
[[분류:카묵 몽골의 칸]]
[[분류:원나라의 추존황제]]
[[분류:보르지긴]]
[[분류:몽골의 정복전쟁 관련자]]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영웅]]
[[분류:대량 살인자]]
[[분류:전사한 사람]]
[[분류:사고사한 사람]]
[[분류:사조삼부곡 등장인물]]
[[분류:헹티주 출신]]
[[분류:창업군주]]
[[분류:몽골의 텡그리교 군주]]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 이름 = 스타니스와프 울람
| 원어이름 = Stanisław Ulam
| 그림 = Stanislaw Ulam.tif
| 그림 크기 = 200px
| 그림 설명 = 울람(1945년경)
| 출생일 = {{출생일|1909|4|13}}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르비우|렘베르크]]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84|5|13|1909|4|13}}
| 사망지 =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 (뉴멕시코주)|산타]]
| 분야 = [[수학]]
| 국적 = [[폴란드]], [[미국]]
| 출신 대학 = [[르비우 공과대학교]]
| 지도교수 =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 주요 업적 = [[가측 기수]]<br>[[맨해튼 계획]]<br>[[몬테카를로 방법]]<br>[[보르수크-울람 정리]]<br>[[콜라츠 추측]]<br>[[텔러-울람 설계]]<br>[[행운의 수]]
| 소속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br>[[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br>[[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br>[[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
'''스타니스와프 마르친 울람'''({{llang|pl|Stanisław Marcin Ulam}}, [[1909년]] [[4월 13일]]~[[1984년]] [[5월 13일]])은 [[폴란드]]와 [[미국]]의 [[수학자]]이다. [[수소폭탄]]의 개발자로 유명하다.
== 생애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지배를 받고 있던 도시 렘베르크(Lemberg, 현재의 [[우크라이나]] [[르비우]])에서 태어났다. 그의 수학 선생은 [[르부프 학파]]의 유명한 폴란드 수학자 [[스테판 바나흐]]였다.
[[1938년]] 미국에 [[하버드 대학교]] 주니어 장학생으로 왔다가 장학금을 계속 받지 못하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위스콘신 대학교]]의 강사진에 들어갔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폴란드에서 도피해 온 동생 [[아담 울람|울람]]도 부양하였다. 그때 그의 친구이자 학자인 [[존 폰 노이만]]이 뉴멕시코에서 추진되는 비밀 계획에 그를 초청했다. 울람이 궁금히 여겨 도서관에서 뉴멕시코에 관한 책을 대출하고 보니 그동안 위스콘신 대학에서 사라졌던 이들의 이름이 책을 먼저 빌려갔던 이들의 목록에 다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울람은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게 되었다.
울람은 그 후에도 수소폭탄 개발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에드워드 텔러]]가 제시했던 수소폭탄의 모형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더 나은 방법을 개발했다.
말년에는 핵 펄스 추진(nuclear pulse propulsion)을 발명했다. 그는 이를 그의 발명 중 가장 자랑스러운 것이라고 밝혔다.
== 참고 문헌 ==
* {{저널 인용|제목=Learning from Ulam: measurable cardinals · ergodicity · biomathematics|이름=Jan|성=Mycielski|저자링크=얀 미치엘스키|url=http://library.lanl.gov/cgi-bin/getfile?15-09.pdf|저널=Los Alamos Science|날짜=1987|권=15|쪽=107–113|언어=en|확인날짜=2016-09-10|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09230353/http://library.lanl.gov/cgi-bin/getfile?15-09.pdf|보존날짜=2014-09-09|url-status=dead}}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MacTutor|id=Ulam|date=1998-06}}
* {{MathGenealogy|id=12682}}
{{전거 통제}}
{{기본정렬:울람, 스타니스와프}}
{{토막글|수학자}}
[[분류:1909년 출생]]
[[분류:1984년 사망]]
[[분류:20세기 폴란드 사람]]
[[분류:20세기 미국 사람]]
[[분류:20세기 수학자]]
[[분류:폴란드의 수학자]]
[[분류:폴란드의 불가지론자]]
[[분류:미국의 수학자]]
[[분류:미국의 불가지론자]]
[[분류:폴란드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분류: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분류:맨해튼 계획 관련자]]
[[분류:사령관십자 폴란드 재건국 훈장 수훈자]]
[[분류:르비우 출신]]
[[분류: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출신]]
[[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
[[분류:플로리다 대학교 교수]]
[[분류:하버드 대학교 교수]]
[[분류:유대계 폴란드인]]
[[분류:유대계 미국인]]
[[분류:폴란드계 미국인]]
[[분류:미국으로 귀화한 사람]]
[[분류:미국에 거주한 폴란드인]]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75}}
{{기년법|1975}}
{{요즘 화제 년월|1975}}
'''197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2월 12일]] - 대한민국, [[유신 헌법]]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다.
* [[4월 8일]]
** [[긴급조치]] 7호가 발동되다.
** [[대한민국]] [[대법원]]에서 [[인민혁명당 사건|인혁당 재건위 사건]]에 연루된 [[서도원]] 등 8명에게 사형선고를 확정하다.
* [[4월 9일]] - [[인민혁명당 사건|인혁당 재건위 사건]]에 연루된 [[서도원]] 등 8명에게 사형이 선고된지 불과 18시간만에 사형이 집행되다.
* [[4월 30일]] - [[월맹군]]이 [[사이공]]을 함락시켜 [[남베트남]] 패망. [[베트남 전쟁]]이 끝남.
* [[5월 13일]] - [[긴급조치]] 9호가 발동되어 [[1979년]] 12월 8일 해제될 때까지 약 4년 6개월 동안 지속되다.
* [[5월 20일]] - [[4.19 혁명]]으로 해체되었던 [[학도 호국단]]이 다시 설치되다.
* [[6월 25일]] - [[모잠비크]] 독립
* [[7월 5일]] - [[카보베르데]] 독립
* [[7월 6일]] - [[코모로]] 독립
* [[7월 16일]] - [[방위세]]가 신설되다.
* [[7월 12일]] - [[상투메프린시페]] 독립
* [[8월 6일]]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한민국의 유엔가입안 부결.
* [[8월 8일]] - 대한민국, 싱가포르와 수교.
* [[9월 16일]] - [[모잠비크]], [[상투메 프린시페]], [[카보베르데]], 유엔 가입.
* [[9월 16일]] - [[파푸아뉴기니]] 독립
* [[10월 8일]]
** 외딴집 주민 17명 살해한 연쇄 살인범 [[김대두]] 경찰에 체포.
** [[신민당 (1967년)|신민당]] [[김옥선]] 의원, 국회서 `관제 안보 궐기대회' 발언해 큰 파문(13일 의원직 자진 사퇴).
* [[10월 9일]] - 소비에트 연방 [[핵물리학|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 소련인으로는 최초로 [[노벨 평화상]] 수상.
* [[10월 10일]] - [[파푸아뉴기니]], 유엔 가입.
* [[11월 11일]] - [[앙골라]], 포르투갈로부터 독립.
* [[11월 12일]] - [[코모로]], 유엔 가입.
* [[11월 25일]] - [[수리남]] 독립
* [[11월 27일]] - [[스페인의 후안 카를로스 1세|후안 카를로스 1세]],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
* [[12월 4일]] - [[수리남]], 유엔 가입.
== 문화 ==
* [[1월 30일]] - [[자니스 사무소]]가 설립되었다.
* [[3월 10일]] - [[산요 신칸센]] [[오카야마역]]에서 [[하카타역]] 구간 개통.
* [[5월 10일]] - [[소니]] [[비디오카세트 레코더]]가 발매되었다.
* [[6월 19일]] -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가 공연활동 정화대책을 명분으로 국내가요 222곡, 외국곡 261곡이 방송금지 및 음반판매금지로 분류하였다.
* [[5월 17일]] - [[엘튼 존]]의 앨범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 빌보드 차트 사상 처음으로 핫샷 데뷔.
* [[9월 1일]] - 대한민국, [[여의도]] [[국회의사당]]이 준공
* [[9월 2일]] - 대한민국, 전국 중앙 [[학도 호국단]] 창설.
* [[9월 15일]] -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계]] 재일한국인 7백 명, 추석성묘차 모국 첫 방문.
* [[9월 22일]] - [[대한민국]], 민방위대 창설.
* [[10월 14일]] - [[대한민국 정부]], '[[부처님 오신 날]]'과 '[[어린이날 (대한민국)|어린이날]]' 공휴일로 제정.
* [[10월 31일]] - [[퀸 (밴드)|퀸]], [[Bohemian Rhapsody|보헤미안 랩소디]]가 싱글로 발표되다.
* [[11월 10일]] - [[동양방송]] FM, [[FM대행진]] 첫방송.
* [[11월 30일]] - 구룡역, [[훙함역]]이 개통되었다.
* [[12월 5일]] - [[영동선]] 고한 ~ 백산 ~ 철암 ~ 북평간 23.7km 전철이 완공되다.
== 탄생 ==
{{분류 참고|1975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상현 (성우)|김상현]].
** 일본의 만화가 [[오다 에이이치로]].
* [[1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성화]].
** 대한민국의 코치, 전 야구 선수 [[손민한]].
* [[1월 3일]]
** 프랑스의 전자 음악가 [[토마 방갈테르]] ([[다프트 펑크]]).
** 일본의 시나리오, 작사, 작곡가 [[마에다 준]].
* [[1월 4일]] -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셰인 카윈]].
* [[1월 5일]]
** 미국의 배우 [[브래들리 쿠퍼]].
** 대한민국의 성우 [[홍진욱]].
* [[1월 6일]] - 일본의 성우 [[유카나]].
* [[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건]].
* [[1월 8일]] - 일본의 배우, 성우 [[치바 레이코]].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영수 (1975년)|김영수]].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수 (축구인)|김정수]].
** 중국계 미국인 가수 [[코코 리]]. (~[[2023년]])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안진희]].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최윤경]].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김민수 (격투기 선수)|김민수]].
** 일본의 성우 [[나가시로 소노스케]].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팝페라가수 이지.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민아 (성우)|김민아]].
* [[1월 27일]]
** 일본의 작가 [[아마미야 카린]].
** 대한민국의 공무원 이주희.
* [[1월 28일]] - 일본의 성우 [[카미야 히로시]].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광수 (성우)|이광수]].
** 미국의 배우, 모델 [[켈리 팩카드]].
* [[1월 30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주니뉴 페르남부카누]].
** 대한민국의 배우 [[오만석 (1974년)|오만석]].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신진식]].
** 대한민국의 배우 [[오수범]].
** 미국의 래퍼 [[빅 보이 (래퍼)|빅 보이]].
* [[2월 2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 아나운서 [[지승현 (방송인)|지승현]].
* [[2월 4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내털리 임브룰리아]].
* [[2월 5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지오바니 판 브롱크호르스트]].
* [[2월 6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방신봉]].
** 일본의 가수 [[카와세 토모코]].
** 대한민국의 전 무에타이 선수, 범죄자 [[황주연 (범죄인)|황주연]].
* [[2월 7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드로잉 아티스트 [[김정기 (1975년)|김정기]]. (~[[2022년]])
** 프랑스의 유튜버 [[레미 가이야르]].
* [[2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성민.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수근 (희극인)|이수근]].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경민.
* [[2월 12일]] - 파키스탄의 사업가 [[샤자다 다우드]]. (~[[2023년]])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기자 [[박성태 (기자)|박성태]].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겸 트렌스젠더 [[하리수]].
** 일본의 배우 [[키치세 미치코]].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상기]].
** 영국의 축구 선수 [[게리 네빌]].
** 대한민국 만화가, 디자이너 [[권윤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이지호 (1975년)|이지호]].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희석 (배우)|윤희석]].
** 일본의 성우 [[키야스 코헤이]].
* [[2월 22일]] - 미국의 배우 [[드루 배리모어]].
* [[2월 23일]] - 일본의 성우 [[나가타 료코]].
* [[2월 25일]] - 일본의 성우 [[치바 치에미]].
* [[2월 26일]] - 미국의 영화배우 [[드루 고더드]].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용신]].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자명]].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진 (1975년)|김혜진]].
** 일본의 성우 [[하야미즈 리사]].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진철.
=== 3월 ===
* [[3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선균]]. (~[[2023년]])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나경 (만화가)|김나경]].
* [[3월 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영찬 (성우)|김영찬]].
**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 [[김용필]].
* [[3월 5일]]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사카구치 겐지 (축구 선수)|사카구치 겐지]].
** 프랑스의 음악 프로듀서 [[스페이스 카우보이 (음악가)|스페이스 카우보이]].
* [[3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라미란]].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현수 (1975년)|김현수]].
* [[3월 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백승철 (축구인)|백승철]].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로이 마카이]].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고은]].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경헌]].
* [[3월 15일]]
** 미국의 배우 [[에바 롱고리아]].
** 미국의 유명 혼성그룹 블랙 아이드 피스의 멤버 [[윌 아이 엠]].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국]].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박성철 (축구인)|박성철]].
** 영국의 배우 [[시에나 길로리]].
* [[3월 17일]] - 캐나다의 프로레슬링 선수 [[앤드루 마틴]].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설가 [[루시드폴]].
** 미국의 배우 [[찰스 파넬 (배우)|찰스 파넬]].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숙정]].
** 대만의 가수 겸 배우 [[비비언 수]].
* [[3월 20일]] - 일본의 성우 [[아사카와 유]].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선우선]].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상훈 (1975년)|이상훈]].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희진 (가수)|김희진]].
** 프랑스의 배우 [[프레데리크 벨]].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형동]].
* [[3월 27일]] - 미국의 가수 [[퍼기]] ([[블랙 아이드 피스]]).
* [[3월 28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이반 엘게라]].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 이승희.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배정민]].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지영산]].
* [[4월 2일]]
** 대한민국의 군인 [[이상훈 (1933년)|이상훈]].
** 미국의 배우 [[페드로 파스칼]].
** 미국의 배우 [[애덤 로드리게스]].
** 미국의 성우, 가수 [[디디 매그노]].
* [[4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손인호 (야구인)|손인호]].
** 일본의 야구 선수 [[다카하시 요시노부]].
** 일본의 야구 선수 [[우에하라 고지]].
* [[4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민호 (1975년)|강민호]].
* [[4월 7일]] - 스웨덴의 가수 [[카린 드레이예르 안데르손]].
* [[4월 9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데이비드 고든 그린]].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로비 파울러]].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 해설가 [[전준호 (1975년)|전준호]].
** 대한민국의 배우 [[명세빈]].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고혜성]].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지철]].
* [[4월 14일]]
** 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 [[안데르송 시우바]].
** 미국의 가수, 프로레슬링 선수 [[에이미 듀마]].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민 (1975년)|정민]].
* [[4월 16일]] - 일본의 성우 [[오오하라 메구미]].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구본근.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재헌 (성우)|정재헌]].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박]].
* [[4월 19일]] - 네덜란드의 필드 하키 선수 [[브람 로만스]].
* [[4월 21일]] - 도미니카공화국의 야구 선수 [[아킬리노 로페스]].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미용전문가 정지현.
* [[4월 27일]]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크리스 카펜터]].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민중]].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캐스터 [[신기성]].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하태권]].
** 대한민국의 기자, 사회운동가 [[전예현]].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유영실]].
** 카메룬의 축구 선수 [[마르크비비앵 푀]]. (~[[2003년]])
* [[5월 2일]] - 영국의 축구 선수 [[데이비드 베컴]].
* [[5월 3일]]
** 크로아티아의 피아니스트 [[막심 므라비차]].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대니 (1975년)|대니]].
* [[5월 4일]]
** 대한민국의 예능 프로듀서 [[김태호 (연출가)|김태호]].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장훈 (1975년)|장훈]].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희진 (가수)|김희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심정수]].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윤재국]].
* [[5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태란]].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아나운서, 방송인 [[정지영 (방송인)|정지영]].
* [[5월 8일]]
** 스페인의 가수 [[엔리케 이글레시아스]].
** 잉글랜드의 배우 [[조디 메이]].
* [[5월 11일]] - 미국의 배우 [[코비 벨]].
* [[5월 12일]]
** 일본의 성우 [[야마구치 마유미]].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최명훈]].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여민정 (성우)|여민정]].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아 (1975년)|김영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함윤호]].
** 뉴질랜드의 축구 선수 [[대니 헤이]].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필중]].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지나]].
* [[5월 18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잭 존슨 (음악가)|잭 존슨]].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진우 (배우)|전진우]].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우희진]].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도형 (야구인)|이도형]].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인성 (야구인)|조인성]].
** 대한민국의 법조인,출신 정치인 [[주진우 (1975년)|주진우]].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훈 (1975년)|김태훈]].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광용]].
** 미국의 랩 가수, 배우 [[안드레 3000]].
** 영국의 요리사 [[제이미 올리버]].
* [[5월 29일]] - 잉글랜드의 가수, 배우, 작가 [[멜러니 브라운]].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하록.
=== 6월 ===
* [[6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종태 (1975년)|김종태]].
* [[6월 4일]]
** 미국의 배우 [[앤젤리나 졸리]].
** 일본의 작곡가 [[이시카와 다카유키]].
* [[6월 5일]] - 대한민국의 방송 기자 [[강동원 (기자)|강동원]].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심정민]].
* [[6월 8일]]
** 인도의 배우 [[실파 셰티]].
** 일본의 만화가 [[사키사카 이오]].
* [[6월 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은미]].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아나운서, 방송인 [[한석준]].
** 대한민국의 배우 [[최지우]].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 아이스하키 선수 박성민.
* [[6월 13일]] - 캐나다의 작곡가, 작사가 [[대니얼 잉그럼]].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린]].
* [[6월 17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후안 카를로스 발레론]].
* [[6월 18일]] - 미국의 경찰관 [[카일 딩켈러 살인 사건|카일 딩켈러]]. (~[[1998년]])
* [[6월 19일]]
** 영국의 배우 [[휴 댄시]].
** 우즈베키스탄의 체조 선수 [[옥사나 추소비티나]].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오준호 (정치인)|오준호]].
** 일본의 가수, 배우 [[사카이 가즈요시]].
* [[6월 22일]] - 일본의 소설가 [[히라노 게이치로]].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성연 (배우)|박성연]].
* [[6월 27일]] - 미국의 배우 [[토비 매과이어]].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수진 (배우)|김수진]]. (~[[2013년]])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치과의사 겸 희극인 [[김영삼 (1975년)|김영삼]].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윤성현 (바둑 기사)|윤성현]].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미진 (희극인)|김미진]].
* [[7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김민진.
* [[7월 3일]] - 미국의 배우 [[라이언 맥파틀린]].
* [[7월 5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에르난 크레스포]].
* [[7월 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숙]].
** 미국의 힙합 가수 [[50 센트]].
* [[7월 7일]]
** 독일의 배우 [[니나 호스]].
** 대한민국의 가수 [[올라이즈 밴드]].
** 대한민국의 배우 [[정민성 (배우)|정민성]].
* [[7월 8일]] - 인도네시아의 가수 [[아마라 (가수)|아마라]].
* [[7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유진 (1975년)|이유진]].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 축구 지도자 [[이창원 (축구인)|이창원]].
* [[7월 11일]]
** 미국의 래퍼 [[릴 킴]].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루벤 바라하]].
* [[7월 14일]]
** 미국의 래퍼 [[타부]]. ([[블랙 아이드 피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한재림]].
* [[7월 17일]]
** 영국의 가수 [[M.I.A.]].
** 벨기에의 배우 [[세실 드 프랑스]].
** 스페인의 배우 [[엘레나 아나야]].
** 호주의 수학자 [[테런스 타오]].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데프니]]. (~[[2021년]])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한희경]].
* [[7월 19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카스텔라치]].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희극인 [[정경숙]].
** 미국의 배우 [[주디 그리어]].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프로듀서 [[황성제]].
* [[7월 22일]] - 대한민국의 만화편집자 [[박종현 (편집자)|박종현]].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성현아]].
** 미국의 배우, 가수 [[크리스찬 케이즈]].
* [[7월 24일]] - 미국의 전 프로레슬링 선수 [[토리 윌슨]].
* [[7월 26일]] - 영국의 정치인 [[리즈 트러스]].
* [[7월 27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앨릭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농구 해설위원 [[현주엽]].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기수 (희극인)|김기수]].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이지 (배우)|권이지]].
** 한국계 일본인 격투가 [[추성훈]].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창호]].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병만]].
** 미국의 야구 선수 [[세스 그레이싱어]].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카피라이터, 정치인 [[김진아 (카피라이터)|김진아]].
* [[8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치인 [[리아 (대한민국의 가수)|리아]].
* [[8월 3일]]
** 일본의 성우 [[하즈키 에리노]].
** 일본의 배우 [[이토 히데아키]].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미스코리아 [[최윤영 (1995년 미스코리아)|최윤영]].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민희 (만화가)|김민희]].
* [[8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태우 (정치인)|김태우]].
* [[8월 7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배우 [[샤를리즈 테론]].
* [[8월 9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하미경]].
* [[8월 11일]] - 일본의 성우, 가수 [[타니야마 키쇼]].
* [[8월 12일]] - 미국의 배우 [[케이시 애플렉]].
* [[8월 15일]]
** 일본의 축구 선수 [[가와구치 요시카쓰]].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조진호 (야구인)|조진호]].
** 대한민국의 전 양궁 선수 [[박경모]].
* [[8월 16일]]
** 뉴질랜드의 영화 감독 [[타이카 와이티티]].
** 대한민국의 배우 [[최원 (1975년)|최원]].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축구 해설자 [[서형욱]].
* [[8월 24일]]
** 영국의 배우 [[제임스 다시]].
** 브라질의 배우 [[호드리구 산토루]].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상우 (1975년)|김상우]].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주아 (아나운서)|박주아]].
** 일본의 성우 [[고토 유코]].
** 캐나다의 방송인 [[제이드 레이먼드]].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이강현 (영화 감독)|이강현]]. (~[[2023년]])
* [[8월 30일]] - 튀니지의 전 축구 선수 [[라디 자이디]].
=== 9월 ===
* [[9월 2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우석 (1975년)|김우석]].
* [[9월 3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예린 (1975년)|김예린]].
* [[9월 6일]] - 일본의 유도 선수 [[다니 료코]].
* [[9월 9일]] - 캐나다의 가수 [[마이클 부블레]].
* [[9월 10일]]
** 헝가리의 축구 심판 [[커셔이 빅토르]].
** 미국의 배우 [[카일 본하이머]].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정아]].
** 일본의 성우 [[콘노 히로미]].
* [[9월 14일]] - 한국계 미국인 바이올리니스트 [[유진 박]].
* [[9월 15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유도 선수 출신 올림픽 지도자 [[셴둥메이]].
* [[9월 18일]]
** 미국의 배우 [[제이슨 수데이키스]].
** 대한민국의 기자 [[박주경]].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인호진]] ([[스윗 소로우]]).
* [[9월 20일]]
** 미국의 배우 [[문 블러드굿]].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아나운서 [[조엘 거트너]].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김동문]].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한우경]].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학균]].
* [[9월 30일]] - 프랑스의 배우 [[마리옹 코티야르]].
=== 10월 ===
* [[10월 1일]]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브랜던 나이트 (야구인)|브랜던 나이트]].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재현 (1975년)|김재현]].
* [[10월 3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영화 촬영 기사 [[그레그 프레이저]].
** 캐나다의 야구 선수 [[마이크 존슨 (야구 선수)|마이클 존슨]].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준성 (배우)|김준성]].
** 대한민국의 기자, 기업인 [[최호림]].
* [[10월 5일]]
** 영국의 배우 [[케이트 윈즐릿]].
** 미국의 성우 [[모니카 라이얼]].
* [[10월 6일]] - 덴마크의 축구 선수 [[마르틴 예르겐센]].
* [[10월 9일]]
** 미국의 가수 [[숀 레논]].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마크 비두카]].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강민규 (야구인)|강민규]].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지도자 [[이상헌 (1975년)|이상헌]].
** 미국의 배우 [[루이 오자와 장젠]].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을용]].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무용가, 뮤지컬 배우 [[최인형]].
* [[10월 15일]]
** 일본의 만화가 [[히가시무라 아키코]].
** 중국의 쇼트트랙 선수 [[리자준]].
** 우크라이나의 정치인 [[데니스 시미할]].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양건 (바둑 기사)|양건]].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영화 감독 [[양익준]].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혜경 (1975년)|정혜경]].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진.
* [[10월 22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미첼 살가도]].
** 대한민국의 소설가 [[전민희]].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채종국]].
* [[10월 25일]] - 영국의 소설가 [[제이디 스미스]].
* [[10월 26일]]
** 일본의 성우 [[코니시 히로코]].
**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 [[오태양]].
* [[10월 27일]]
** 일본의 아이돌 [[마키 다이스케]].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리스트 이종현.
* [[10월 29일]] - 멕시코의 야구 선수 [[카림 가르시아]].
=== 11월 ===
* [[11월 2일]] - 일본의 성우 [[와카바야시 나오미]].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경태 (1975년)|김경태]].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우영 (방송인)|정우영]].
** 대한민국의 전직 씨름 선수 [[황규연]].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호세 마누엘 핀토]].
** 일본의 배우 [[사카구치 겐지]].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허진영.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소현 (1975년)|김소현]].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다리오 시미치]].
** 미국의 수영 선수 [[제이슨 리잭]].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현중.
* [[11월 15일]] - 캐나다의 배우, 영화 감독 [[조엘 고든]].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영 (1975년)|이재영]].
** 일본의 배우 [[우치다 유키]].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손하]].
** 대한민국의 가수 [[마야 (가수)|마야]].
* [[11월 18일]]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데이비드 오르티스]].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양재희 (희극인)|양재희]].
** 일본의 작곡가 [[사토 나오유키]].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윤정 (성우)|정윤정]].
** 이탈리아의 배우 [[아시아 아르젠토]].
** 방글라데시의 가수, 배우 [[방대한]].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김종원 (유도 선수)|김종원]].
* [[11월 22일]]
** 일본의 성우 [[미나가와 준코]].
** 일본의 가수 [[Aiko (가수)|Aiko]].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성희.
* [[11월 26일]]
** 미국의 DJ, 음악 프로듀서 [[DJ 칼리드]].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신영숙]].
** 대한민국의 가수 [[박부심]].
* [[11월 30일]] - 이란의 축구 선수, 축구 코치 [[메흐르다드 미나반드]]. (~[[2021년]])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문태종]].
** 아랍에미리트의 기업인 [[칼둔 알무바라크]].
* [[12월 3일]] - 미국의 성우 [[힐러리 헤이그]].
* [[12월 5일]] - 미국의 배우 [[폴라 패튼]].
* [[12월 6일]]
** 이탈리아의 기업인 [[안드레아 아녤리]].
** 일본의 성우 [[오하라 사야카]].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작가 [[장강명]].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최기환]].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의정 (배우)|이의정]].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JK 김동욱]].
* [[12월 12일]] - 일본의 성우 [[쿠와시마 호코]].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최원정]].
** 일본의 성우 [[이케자와 하루나]].
** 대한민국의 영화평론가 [[강유정 (평론가)|강유정]].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싸비]].
** 대한민국의 작곡가 [[정훈 (작곡가)|정훈]].
* [[12월 17일]]
** 미국의 배우, 모델, 가수 [[밀라 요보비치]].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닉 딘스모어]].
* [[12월 18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시아 (가수)|시아]].
** 캐나다의 프로레슬링 선수 [[트리시 스트레터스]].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자, 앵커 [[김범주 (기자)|김범주]].
* [[12월 21일]] - 벨기에의 정치인 [[샤를 미셸]].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요숙]].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자 [[정윤섭]].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표명일]]. (~[[2022년]])
** 대한민국의 연구원 [[권성훈]].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성용]].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준호 (희극인)|김준호]].
** 일본의 야구 선수 [[오카지마 히데키]].
* [[12월 28일]]
** 일본의 성우 [[무라이 카즈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경완]].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희극인 [[라윤경]].
* [[12월 30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스콧 치퍼필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경현]].
** 미국의 골프 선수 [[타이거 우즈]].
=== 미상 ===
*대한민국의 작곡가, DJ [[래피 (가수)|래피]].
*대한민국의 배우 [[신현숙 (배우)|신현숙]].
*대한민국의 배우 [[김경민 (배우)|김경민]].
== 사망 ==
{{분류 참고|1975년 사망}}
* [[1월 28일]] - 체코슬로바키아의 제7대 대통령 [[안토닌 노보트니]]. ([[1904년]]~)
* [[2월 3일]] - 이집트의 가수, 영화배우 [[움 쿨숨]]. ([[1904년]]~)
* [[2월 25일]] - 미국의 이슬람 지도자 [[일라이저 무하마드]]. ([[1897년]]~)
* [[3월 8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조지 스티븐스]]. ([[1904년]]~)
* [[3월 25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제3대 국왕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1906년]]~)
* [[4월 5일]] - 중화민국의 총통 [[장제스]]. ([[1887년]]~)
* [[6월 3일]] - 일본의 제61~63대 내각총리대신 [[사토 에이사쿠]]. ([[1901년]]~)
* [[7월 6일]] - 나치 독일의 군인 [[오토 스코르체니]]. ([[1908년]]~)
* [[8월 9일]] - 소련의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906년]]~)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정치인 [[장준하]]. ([[1918년]]~)
* [[8월 27일]] - 에티오피아의 마지막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1892년]]~)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허장강]]. ([[1925년]]~)
* [[10월 3일]] - 프랑스의 정치인 [[기 몰레]]. ([[1905년]]~)
* [[11월 2일]] - 이탈리아의 시인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1922년]]~)
* [[11월 20일]] - 스페인의 총통 [[프란시스코 프랑코]]. ([[1892년]]~)
* [[12월 4일]] - 미국의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 ([[1906년]]~)
== 노벨상 ==
* '''경제학상''':[[레오니드 칸토로비치]], [[찰링 코프만스]]
* '''문학상''':[[에우제니오 몬탈레]]
* '''물리학상''':[[오게 닐스 보어]], [[벤 로위 모텔손|벤 모텔손]], [[제임스 레인워터]]
* '''생리학 및 의학상'''[[레나토 둘베코]], [[하워드 마틴 테민]], [[데이비드 볼티모어]]
* '''평화상''':[[안드레이 사하로프]]
* '''화학상''':[[존 콘포스|콘포스]], [[블라디미르 프렐로그|프렐로그]]
== 달력 ==
{{연간달력|1975}}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2월 11일]] || [[무자]]
|-
| [[음력 2월|2월]] || [[기묘]] || 대 || [[3월 13일]] || [[무오]]
|-
| [[음력 3월|3월]] || [[경진]] || 소 || [[4월 12일]] || [[무자]]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대 || [[5월 11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5월|5월]] || [[임오]] || 소 || [[6월 10일]] || [[정해]]
|-
| [[음력 6월|6월]] || [[계미]] || 소 || [[7월 9일]] || [[병진 (간지)|병진]]
|-
| [[음력 7월|7월]] || [[갑신]] || 대 || [[8월 7일]] || [[을유]]
|-
| [[음력 8월|8월]] || [[을유]] || 소 || [[9월 6일]] || [[을묘]]
|-
| [[음력 9월|9월]] || [[병술]] || 소 || [[10월 5일]] || [[갑신]]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대 || [[11월 3일]] || [[계축]]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소 || [[12월 3일]] || [[계미]]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976년]] [[1월 1일]] || [[임자]]
|}
== 각주 ==
{{각주}}
{{전거 통제}}
[[분류:1975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55}}
{{기년법|1955}}
{{C21YearInTopic|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7일]] - 미 해군이 건조한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인 [[SSN-571 노틸러스 호|노틸러스 호]]가 항해를 시작하다.
* [[1월 18일]] - 중국 인민해방군, [[일강산도]] 점령.
* [[1월 24일]] - [[저우언라이]], 타이완은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의 일부이고 [[타이완 문제]]에 대하여 유엔 등 외국이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선언.
* [[1월 29일]] - 미국 의회, 타이완방위결의안 통과; 대통령에게 무력사용권한 부여.
* [[1월 29일]] - [[대한민국]] [[단성사 앞 저격사건]]이 일어나다.
* [[1월 31일]] - 중국 국무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의 연구를 위해 중국을 원조하는 소련의 제안에 관한 결의> 채택.
* [[2월 27일]] - 독일 연방하원의회는 사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독일연방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가입을 위한 파리조약 의결.
* [[3월 1일]] - 육군 본부, 대구서 서울로 이전.
* [[3월 2일]] - [[부산역 열차 화재]] 사고 발생.
* [[3월 21일]] - 중공전국대표회의 개최 (∼31일); <제1차 5개년계획 초안에 대한 결의>, <高崗-饒漱石의 반당동맹에 대한 결의>, <당중앙,지방에 감찰위원회 설치에 대한 결의> 채택.
* [[4월 1일]] - 독일 국적 항공사인 [[루프트한자]]가 최초로 운항개시.
* [[4월 4일]] - 중공 7기 5중전회 개최; 임표, 등소평 정치국위원에 보선 4. 29 소련 원자로를 중국, 폴란드, 체코, 동독에 제공하는 협정 서명.
* [[4월 18일]] - [[아시아·아프리카회의]](AA회의, 반둥회의)가 [[반둥]]에서 개막.
* [[4월 24일]] - [[아시아·아프리카회의]](AA회의, 반둥회의)에서 세계평화 및 협력에 관한 10개항 선언문을 채택.
* [[4월 29일]] - 소련 원자로를 [[중화인민공화국|중국]], [[폴란드]], [[체코]], [[동독]]에 제공하는 협정 서명.
* [[5월 9일]] - 서독,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서독 재무장 시작.
* [[5월 11일]] - [[시운마루호 침몰 사고]] 발생.
* [[5월 14일]] - [[바르샤바 조약]] 체결(소련 및 동유럽 국가들).
* [[5월 25일]] - 소련군, 旅順해군기지 철수완료, 중국에 반환.
* [[6월 1일]] - 유럽연합, 메시나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 6개국 외상회담. 유럽통합 재활성화 결의. 프랑스의 정치인 [[르네 메이어]]를 공동관리청장으로 임명.
* [[7월 5일]] - 중국 제1기 전인대 제2차회의 (∼30일); <1차 5개년계획초안>등 채택.
* [[7월 9일]]
** [[유럽연합|EU]] 유럽통합 재활성화를 위한 스파크 위원회 업무 개시.
** [[러셀성명]]', 6개국 원수에게 전달되다. 핵무기전쟁에 의한 인류파멸의 위기를 경고한 성명이다.
* [[7월 17일]] - [[미국]], 최초의 [[디즈니랜드]] 개장.
* [[7월 31일]] - 마오쩌뚱, 중공성,시,구위원회서기회의에서 <농업협동화의 문제에 대하여>보고, 전국적인 농업협동화운동을 호소.
* [[8월 1일]] - 제1차 중-미회담개시 (제네바).
* [[8월 13일]] - [[서울적십자병원]], [[대한민국]] 최초의 [[성전환 수술]] 시행.
* [[8월 18일]] - [[대한민국]], 당분간 [[일본]]과 경제 관계 단절.
* [[8월 25일]] - 중국 국무원, <농촌식량통일매부 통일판매잠행판법>, <도시식량공급잠행판법> 공포.
* [[8월 26일]] - [[대한민국]], [[국제통화기금]](IMF)과 [[국제개발은행]](IBRD)에 가입하다.
* [[9월 1일]] - [[우한장강대교]] 공사가 시작했다.
* [[9월 8일]] - [[콘라트 아데나워]] [[독일|서독]] 총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후 최초로 소련 방문.
* [[9월 9일]] - [[소비에트 연방]]과 [[독일]], [[모스크바]]에서 정상회담 개최, 9월 13일에 양국 국교 수립 선언.
* [[9월 10일]] - [[프랑스]]와 [[모로코]] 자치협정 조인.
* [[9월 13일]] - [[서독]]-[[소련]] 국교수립.
* [[9월 18일]] - 대한민국,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민주당]] 창당.
* [[9월 19일]] - [[아르헨티나]] 독재자 [[후안 페론]] 대통령, 군부 쿠데타로 실각.
* [[10월 4일]] - 중국공산당 7기 6중전회(확대)개최 (∼11일); <농업협동화의 문제에 관한 결의> 채택; <8차당대회의 명부및 선거방법에 대한 규정> 채택.
* [[10월 5일]] - 미국, [[인공위성]] 제작 발표.
* [[10월 9일]] - [[제2차 세계 대전]] 때 생포돼 소련에 억류됐던 마지막 독일군 포로 전원 석방.
* [[10월 11일]] - [[라오스]] 정전협정 성립.
* [[10월 12일]] - [[서독]] [[독일 연방방위군|연방방위군]](Bundeswehr) 발족. ([[독일의 재무장]])
* 10월 12일 - [[한국인 입양아|한국인 입양]]: [[해리 홀트]]와 [[버다 홀트]] 부부가 한국인 [[전쟁 고아]] 8명을 입양하고 4명을 미국의 다른 부모에게 입양을 주선하다.
* [[10월 13일]] - [[장 모네]], '유럽합중국을 위한 행동위원회 창설'.
* [[10월 19일]] - 중국-북조선, 무역협정 체결.
* [[10월 23일]] - [[자르]] 국민투표로 유럽 자치구 거부. 서독으로 귀속 결정. 프랑스는 서독과 완충지대로 삼을 계획이었다.
* [[10월 26일]] - [[베트남 공화국]] 건국.
* [[11월 1일]] - [[베트남 전쟁]] 발발.
* [[11월 14일]] - 미-일, 원자력협정 조인.
* [[11월 15일]] - 일본 [[자유민주당 (일본)|자유민주당]] 창당
* [[11월 21일]] - 유럽안전보장협력회의 34개회원국이 파리헌장에 서명. 그 헌장에는 대결과 분열의 시대는 유럽에서 종말을 고했다 라고 적혀있다.
* [[11월 22일]] - [[중동조약기구]](METO) 결성 발표. 1958년 이라크 혁명으로 이라크 탈퇴후 [[중앙 조약 기구|중앙아시아조약기구]](CENTO)로 개칭.
* [[11월 26일]] - 소련, 100만톤 TNT급의 [[수소폭탄]] 실험.
* [[11월 26일]] - [[영국]], [[키프로스]]에 비상사태 선언.
* [[11월 27일]] - 소련, [[서베를린]] 자유시화 제안.
* [[12월 8일]] - [[마오쩌둥]] 편, <중국농촌의 사회주의 고조> 출판.
* [[12월 8일]] - [[유럽 회의]]와 [[각료이사회의]]가 유럽의 상징으로 파란색 바탕에 12개의 노란별이 수놓인 기를 채택.
* [[12월 14일]] - [[네팔]], [[라오스]], [[루마니아]], [[리비아]], [[불가리아]], [[스리랑카]], [[아일랜드]], [[알바니아]], [[스페인]], [[오스트리아]], [[요르단]], [[이탈리아]], [[캄보디아]], [[핀란드]], [[포르투갈]], [[헝가리]] [[유엔]] 가입.
== 탄생 ==
{{분류 참고|1955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시사평론가 [[남충희]].
* [[1월 4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한철균]].
* [[1월 6일]] - 영국의 배우 [[로언 앳킨슨]].
* [[1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두섭]].
** 대한민국의 변호사, 시사평론가 [[전원책]].
* [[1월 9일]] - 미국의 배우 [[J. K. 시먼스]].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승훈 (1955년)|이승훈]].
* [[1월 13일]] - 일본의 만화가 [[이가라시 미키오]].
* [[1월 14일]] - 프랑스의 전직 축구 선수 [[도미니크 로슈토]].
* [[1월 15일]] - 일본의 성우 [[타나카 마유미 (성우)|타나카 마유미]].
* [[1월 17일]] - 헝가리의 생화학자 [[커리코 커털린]].
* [[1월 18일]] - 미국의 배우 [[케빈 코스트너]].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성병숙]].
** 대한민국의 배우 [[성인자]].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예창근]].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손혜원]].
** 대한민국의 가수 [[태민 (1955년)|태민]].
* [[1월 24일]] - 미국의 물리학자 [[앨런 소칼]].
* [[1월 25일]] - 프랑스의 영화감독 [[올리비에 아사야스]].
* [[1월 26일]]
** 스웨덴의 배우 [[비에른 안드레센]].
** 미국의 음악가 [[에디 반 헤일런]]. (~[[2020년]])
** 대한민국의 스포츠인 [[이기흥]].
* [[1월 28일]] - 프랑스의 정치가 [[니콜라 사르코지]].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장석주 (시인)|장석주]].
=== 2월 ===
* [[2월 1일]] - 홍콩의 영화 배우 [[성규안]]. (~[[2009년]])
* [[2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길정우]].
* [[2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수일]].
* [[2월 7일]] - 미국의 배우 [[미겔 페러]]. (~[[2017년]])
* [[2월 8일]] - 미국의 소설가 [[존 그리샴]].
* [[2월 10일]] - 우크라이나의 영화배우 [[옥사나 슈베츠]]. (~[[2022년]])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서울특별시장 [[박원순]]. (~[[2020년]])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겸 대학 교수이며 프리 랜서 방송인 [[이상로 (1955년)|이상로]].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선희 (야구인)|이선희]].
** 일본의 축구 선수 [[다구치 미쓰히사]]. (~[[2019년]])
* [[2월 17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노벨문학상 소설가 [[모옌]].
* [[2월 21일]] - 미국의 배우 [[켈시 그래머]].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경찰관, 범죄자 [[우범곤]]. (~[[1982년]])
** 미국의 애플 CEO [[스티브 잡스]]. (~[[2011년]])
** 프랑스의 자동차 경주 선수 [[알랭 프로스트]].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경환 (1955년)|최경환]].
** 대한민국의 공학교수 출신 정치인 [[채수찬]].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규창 (1955년)|김규창]].
** 미국의 영화배우, 희극인 [[길버트 갓프리드]]. (~[[2022년]])
=== 3월 ===
* [[3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진]].
* [[3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창수 (1955년)|김창수]].
* [[3월 9일]] - 이탈리아의 배우 [[오르넬라 무티]].
* [[3월 11일]] - 독일의 가수 [[니나 하겐]].
* [[3월 13일]] - 미국의 배우 [[글렌 헤들리]]. (~[[2017년]])
* [[3월 14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다니엘 베르토니]].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성효]].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찰리 박]]
* [[3월 17일]] - 미국의 배우 [[게리 시니스]].
* [[3월 19일]] - 미국의 배우 [[브루스 윌리스]].
* [[3월 20일]]- 일본의 가수 [[타케우치 마리야]].
* [[3월 21일]]
** 브라질의 제 38대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필리프 트루시에]].
* [[3월 22일]]
** 라트비아의 대통령 [[발디스 자틀레르스]].
**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 [[조명래]].
* [[3월 23일]] - 미국의 농구 선수 [[모지스 멀론]]. (~[[2015년]])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예수정]].
** 캐나다의 가수 [[존 맥더멋 (가수)|존 맥더멋]].
* [[3월 29일]] - 아일랜드의 배우 [[브렌던 글리슨]].
* [[3월 30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랜디 반워머]].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안대희]].
=== 4월 ===
* [[4월 5일]]
** 러시아의 기업인 [[레오니트 페둔]].
** 일본의 만화가 [[토리야마 아키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홍문종 (정치인)|홍문종]].
** 대한민국의 성우 [[이민정 (성우)|이민정]].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제38대 외교부 장관 [[강경화]].
* [[4월 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바위]].
** 조지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알렉산드르 치바제]].
** 대한민국의 기초단체장 [[최명희 (1955년)|최명희]].
* [[4월 13일]]
** 러시아의 정치인 [[이리나 하카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사페트 수시치]].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원균 (배우)|신원균]].
* [[4월 20일]] - 스웨덴의 유전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스반테 페보]].
* [[4월 21일]] - 뉴질랜드의 제7대 마오리 국왕 [[투헤이티아 파키]]. (~[[2024년]])
* [[4월 23일]]
** 페루의 사격 선수 [[후안 히아]].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주디 데이비스]].
* [[4월 24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리커창]]. (~[[2023년]])
* [[4월 25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아메리코 가예고]].
* [[4월 27일]] - 미국의 기업가 [[에릭 슈밋]].
* [[4월 28일]] - 팔레스타인의 정치인, 외교관 [[사에브 에레카트]]. (~[[2020년]])
* [[4월 29일]] - 미국의 영화배우 [[레슬리 조던]]. (~[[2022년]])
=== 5월 ===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혜숙]].
* [[5월 6일]] - 미국의 감독 겸 작가 [[샘 사이먼]]. (~[[2015년]])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박성화]].
* [[5월 9일]] - 스웨덴의 메조소프라노 가수 [[안네 소피 폰 오터]].
* [[5월 10일]] - 존 레넌의 암살자 [[마크 채프먼]].
* [[5월 11일]] - 미국의 영화배우, 안무가, 무용가 [[아돌포 퀴노네스]]. (~[[2020년]])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류석춘]].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경찰관 [[조현오]].
* [[5월 17일]] -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빌 팩스턴]]. (~[[2017년]])
* [[5월 18일]]
** 영국의 기업인 [[파하드 모시리]].
** 홍콩의 배우 [[주윤발]].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우남]].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민경진]].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서말구]]. (~[[2015년]])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종수 (가수)|김종수]].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성근]].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연출가 [[주철환]].
** 일본의 야구 선수 [[하나마스 고지]].
** 미국의 전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존 힝클리 주니어]].
* [[5월 31일]] - 미국의 배우 [[캄덴 토이]]. (~[[2023년]])
=== 6월 ===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용운 (야구 선수)|김용운]]. (~[[2005년]])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한수경 (성우)|한수경]].
** 대한민국의 법과학자 [[정희선 (법과학자)|정희선]].
* [[6월 8일]] - 잉글랜드의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리]].
* [[6월 11일]] - 소련의 육상 선수 [[유리 세디흐]]. (~[[2021년]])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현대 서양화가 [[서경덕 (화가)|서경덕]].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신흥철]].
* [[6월 21일]]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행정가 [[미셸 플라티니]].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양자]].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순례]].
** 프랑스의 영화배우 [[이자벨 아자니]].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광은]].
** 미국의 바리톤 가수 [[토머스 햄프슨 (성악가)|토머스 햄프슨]].
** 대한민국의 가수 [[하춘화]].
=== 7월 ===
* [[7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리커창]]. (~[[2023년]])
* [[7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홍요섭]].
* [[7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서정환]].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김순자 (1955년)|김순자]].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기 (배우)|김영기]].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양귀자]].
* [[7월 19일]] - 일본의 영화감독 [[구로사와 기요시]].
* [[7월 21일]]
** 헝가리의 영화감독 [[터르 벨러]].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 [[7월 22일]] - 미국의 배우 [[윌럼 더포]].
* [[7월 26일]] - 파키스탄 정치인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조은덕]].
* [[8월 7일]] - 대한민국의 통계학자 [[허명회 (통계학자)|허명회]].
* [[8월 13일]] - 영국의 영화 감독 [[폴 그린그래스]].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교사, 공무원 출신 정치인 [[이철우 (1955년)|이철우]].
** 대한민국의 경찰 출신 정치인 [[가세로]].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동철 (1955년)|김동철]].
** 미국의 기업인 [[리처드 힐튼]].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성선녀]].
** 일본의 성우 [[시오야 코조]].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신성호]].
* [[8월 2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박영순 (탁구 선수)|박영순]]. (~[[1987년]])
* [[8월 24일]] - 미국의 정치인 [[마이크 허커비]].
* [[8월 27일]] - 네덜란드의 재즈 가수 [[로라 피지]].
=== 9월 ===
* [[9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순.
* [[9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기주봉]].
** 대한민국의 배우 [[이기열]].
* [[9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화섭]].
* [[9월 6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기업인 [[김기춘 (1955년)|김기춘]]. (~[[2021년]])
* [[9월 7일]] - 러시아의 수학자 [[예핌 젤마노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홍미영]].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정치인 [[김영주 (1955년)|김영주]].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김경민 (1955년)|김경민]].
* [[9월 25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행정가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 이탈리아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주케로 포나치아리]].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시인 겸 정치가 [[도종환]].
** 대한민국의 가수 [[이치현]].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희도]].
* [[10월 3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호세 다니엘 발렌시아]].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용희 (야구인)|김용희]].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호르헤 발다노]].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유지훤]].
* [[10월 7일]] - 미국의 첼리스트 [[요요 마]].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신치용]].
* [[10월 14일]] - 미국의 배우 [[알린 소킨]]. (~[[2023년]])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동시 통역사 [[최정화 (1955년)|최정화]].
* [[10월 20일]] - 미국의 작곡가 [[토머스 뉴먼]].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준규]].
** 미국의 기업인 [[빌 게이츠]].
=== 11월 ===
* [[11월 4일]]
** 핀란드의 총리 [[마티 반하넨]].
** 루마니아의 대통령 [[트라이안 버세스쿠]].
* [[11월 5일]] - 미국의 방송인, 사업가 [[크리스 제너]].
* [[11월 8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기젤라 오에리]].
* [[11월 10일]] - 독일의 영화 감독 [[롤란트 에머리히]].
* [[11월 11일]] - 부탄의 군주 [[지미 싱게 왕축]].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진수희]].
** 대한민국의 전 대학교수 김현호.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김호철 (배구인)|김호철]].
** 미국의 영화 배우 [[우피 골드버그]].
* [[11월 14일]] - 영국의 기업인 [[니나 브레이스웰스미스]].
* [[11월 16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엑토르 쿠페르]].
** 일본의 배우 [[쿠니무라 준]].
* [[11월 23일]] - 이탈리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유명숙]].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어청수]].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은숙]].
* [[11월 30일]] - 미국의 영화배우 [[케빈 콘로이]]. (~[[2022년]])
=== 12월 ===
* [[12월 3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알베르토 타란티니]].
* [[12월 5일]]
** 일본의 가수 [[가와나카 미유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이정옥 (사회학자)|이정옥]].
* [[12월 12일]]
** 이탈리아의 근대5종 선수 [[다니엘레 마살라]].
** 오스트레일리아의 각본가, 배우, 안무가 [[데이비드 앳킨스]].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행정가 겸 대학 교수 [[한현택]].
** 대한민국의 생명공학자 [[정혁 (생명공학자)|정혁]]. (~[[2012년]])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길용우]].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규화]].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영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김영희]]
* [[12월 24일]] - 미국의 영화배우 [[클래런스 길리어드]]. (~[[2022년]])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오세희 (1955년)|오세희]].
* [[12월 28일]] - 중국의 반체제 인사, 인권 운동가 [[류샤오보]]. (~[[2017년]])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해숙]].
=== 미상 ===
* 대한민국의 법조인 [[신귀섭]]. (~[[2024년]])
* 대한민국의 의원 [[김영희 (1955년)|김영희]].
* 대한민국의 시인 [[김혜순]].
== 사망 ==
{{분류 참고|1955년 사망}}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김성수 (언론인)|김성수]]. (1891년~)
* [[3월 3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배헌]]. (1896년~)
* [[3월 9일]] - 미국의 흑인 북극 탐험가 [[매슈 헨슨]]. (1866년~)
* [[3월 11일]] - 영국의 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 (1881년~)
* [[4월 18일]] - 독일의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879년~)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문재철]]. (1883년~)
* [[8월 12일]] - 독일의 소설가 [[토마스 만]]. (1875년~)
* [[8월 16일]] - 대한제국의 황족 [[의친왕]]. (1877년~)
* [[9월 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농업인 [[김보현 (1871년)|김보현]]. (1871년~)
* [[9월 30일]] - 미국의 배우 [[제임스 딘]]. (1931년~)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병홍]]. (1891년~)
* [[10월 25일]] - 종이학 접기로 유명한 일본의 소녀 [[사사키 사다코]]. (1943년~)
* [[11월 4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사이 영]]. (1867년~)
* [[12월 5일]] - 일본의 군인·조선 총독 [[미나미 지로]]. (1874년~)
* [[12월 6일]] - 미국의 야구 선수 [[호너스 와그너]]. (1874년~)
== 노벨상 ==
* '''문학상''':
* '''물리학상''': [[윌리스 유진 램]], [[폴리카프 쿠시]]
* '''생리학 및 의학상''':
* '''화학상''':
== 달력 ==
{{연간달력|1955}}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1월 24일]] || [[을유]]
|-
| [[음력 2월|2월]] || [[기묘]] || 소 || [[2월 23일]] || [[을묘]]
|-
| [[음력 3월|3월]] || [[경진]] || 소 || [[3월 24일]] || [[갑신]]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3월 || || 대 || [[4월 22일]] || [[계축]]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소 || [[5월 22일]] || [[계미]]
|-
| [[음력 5월|5월]] || [[임오]] || 소 || [[6월 20일]] || [[임자]]
|-
| [[음력 6월|6월]] || [[계미]] || 대 || [[7월 19일]] || [[신사 (간지)|신사]]
|-
| [[음력 7월|7월]] || [[갑신]] || 소 || [[8월 18일]] || [[신해]]
|-
| [[음력 8월|8월]] || [[을유]] || 대 || [[9월 16일]] || [[경진]]
|-
| [[음력 9월|9월]] || [[병술]] || 소 || [[10월 16일]] || [[경술]]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대 || [[11월 14일]] || [[기묘]]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대 || [[12월 14일]] || [[기유]]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956년]] [[1월 13일]] || [[기묘]]
|}
{{위키공용분류}}
{{전거 통제}}
[[분류:1955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5}}
{{기년법|1995}}
{{요즘 화제 년월|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일]]
** [[스웨덴]], [[오스트리아]], [[핀란드]]가 [[유럽 연합]](EU)에 가입하다.
** [[세계무역기구]](WTO)가 발족하였다.
* [[1월 6일]] - [[보진카 계획]]이 발견되다.
* [[1월 8일]] - [[대한민국]]에서 [[개인정보보호법]](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다.
* [[1월 17일]] - 일본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6,434명 사망, 43,792명 부상, 3명 행방 불명) 발생.
* [[3월 20일]] - [[옴진리교]]가 [[일본]] [[도쿄]] 지하철에 사린 가스를 살포하다.([[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 12명이 사망하였고, 5000여 명이 중독되었다.
* [[3월 30일]] - [[김종필]],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다.
* [[4월 13일]] - 대한민국과 이집트가 대사급으로 격상된 외교관계를 맺고 정식으로 수교하다.
* [[4월 17일]] - [[청일 전쟁]] 종전 100주년.
* [[4월 19일]] -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 [[오클라호마시티 폭탄 테러|폭탄 테러]]가 발생하다. 168명이 사망하였고, 680명 이상의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
* [[4월 28일]] -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로 101명이 사망하다.
* [[1995년 5월|5월]] -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산서성)|산서성]]에서 [[장평 대전]] 당시 생매장된 유해들이 대거 발굴되다.
* [[5월 11일]] - [[핵확산 방지조약]]이 무기한으로 연장되다.
* [[5월 27일]] - 대법원이 [[지존파 사건|지존파]] 일당 6명에 대한 사형을 최종 확정하다.
* [[5월 30일]] - [[황해]](서해)의 해상에서 [[대한민국]] 어선 우성호가 [[인천항]]에 귀항 중, [[조선인민군 해군]]의 함정의 총격을 받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되었다.
* [[6월 27일]] -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선출하는 [[대한민국 제1회 지방선거|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실시되다.
* [[6월 29일]]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인해 502명의 사망자와 937명의 부상자가 발생하다.
* [[7월 17일]] - 미국 우주비행사 거주 및 작업공간인 Spektr이 우주정거장의 로봇 팔에 의해 모듈의 위치가 변경되다.
* [[7월 18일]] - [[대한민국 검찰청|대한민국 검찰]]이 지난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5·18 관련자들에 대해 [[공소권 없음]] 결정을 내렸다.
* [[7월 23일]] - 씨프린스호가 [[태풍 페이 (1995년)|제3호 태풍 페이]]에 휩쓸려 좌초되어 [[씨프린스호 사고|총 99000톤의 기름이 유출]]되었다.
* [[7월 24일]] - [[대한민국]], [[태풍 재니스]] 상륙. 28일까지 지속되다.
* [[8월 4일]] - 대한민국, 정보화촉진기본법을 공포하다.
* [[8월 5일]] - [[미국]]과 [[베트남]]이 재수교하다.
* [[8월 15일]] - [[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 옛 [[조선 총독부]] 첨탑을 제거함으로 청사를 철거하기 시작하였다.
* [[8월 21일]] - [[경기도]] [[용인시|용인군]] [[경기여자기술학교 화재|경기여자기술학원]] 기숙사 방화로 37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당하다.
* [[8월 24일]] - [[윈도우 95]]가 출시되었다.
* [[9월 5일]] -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창당하다.
* [[9월 8일]] -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사자들, 제네바 평화 협상에서 보스니아 평화 원칙에 합의하다.
* [[9월 19일]] - [[워싱턴 포스트]]와 [[뉴욕 타임즈]]가 《[[유나바머]] 선언》을 싣다.
* [[10월 2일]] - 미국 [[미식축구]] 선수 [[O. J. 심슨]] 무죄 평결 석방되다.
* [[10월 6일]] - [[네이처]] 지에 페가수스자리 51번 별을 도는 [[행성]] 발견에 대한 기사가 실리다.
* [[10월 8일]] - [[을미사변]] 100주년.
* [[10월 24일]] -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두 명의 무장 공비가 발견되어 교전 끝에 한 명을 사살하고 한 명을 생포하다.
* [[10월 27일]] - [[노태우]] 전 대통령, 연희동 자택에서 비자금 사건과 관련한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다.
* [[10월 28일]] - [[대구시민운동장]]에서 열렸던 《젊음의 삐삐 012 콘서트》 현장에서 1만여 명의 관객이 한꺼번에 입장하려다 8명이 부상을 입었다.
* [[11월 2일]] - [[지존파 사건|지존파]] 일당과 온보현 등 흉악범 19명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다.
* [[11월 4일]] - [[텔아비브]]에서 [[이스라엘]] 수상 이츠하크 라빈이 암살당하다.
* [[11월 6일]] - [[조선 중종]] 때 정온의 시신, 파주군에서 미라로 발견되다.
* [[11월 12일]]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크로아티아 전쟁]] 종전.
* [[11월 16일]] - [[노태우]] 전 대통령, 재임 당시 5,00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하고 기업체들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 수감되다. 헌정 사상 전직 대통령이 구속된 것은 광복 이후 처음이다.
* [[12월 3일]] - [[전두환]] 전 대통령, [[12·12 군사 반란|12·12 사태]]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유혈 진압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 수감되다.
* [[12월 6일]] - [[민주자유당]]이 [[신한국당]]으로 출범하다.
* [[12월 12일]] - [[대동여지도]] 목판본이 발견되다.
* [[12월 14일]] - [[보스니아 전쟁]]이 종전되다.
* [[12월 20일]] - [[아메리칸 항공 965편 추락 사고]] 발생.
== 문화 ==
* [[1월 1일]] -
** 대한민국에서 [[행정 구역]] 체계의 개편이 이루어져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편되고 전국단위의 도농통합으로 [[창원시]] 등 도농복합시들이 출범하다.
** [[키리바시]]가 표준 시간대를 [[UTC-11:00]]와 [[UTC-10:00]]에서 [[UTC+13:00]]과 [[UTC+14:00]]로 24시간 앞당기면서 1994년 12월 31일을 없앴다.
* [[1월 8일]] - [[NHK]]의 드라마 [[8대 장군 요시무네]] 방송 개시(~12월 10일)
* [[1월 9일]] - [[SBS TV]] [[모래시계 (드라마)|모래시계]] 방송 시작.
* [[2월 1일]] - [[부산불교방송]] 개국.
* [[2월 15일]] - [[대한민국]], [[러시아]], [[일본]]을 연결하는 국제 해저 광케이블이 개통되다.
* [[3월 1일]] -
** 대한민국의 [[매일방송|매일경제TV MBN]], [[중앙방송 (대한민국 민영방송사)|중앙방송]], [[YTN]], [[QTV (텔레비전 채널)|Q채널]](現 [[JTBC2]]), [[GMTV (텔레비전 채널)|KM]], [[KTV 국민방송]], [[가톨릭평화방송]], [[BTN불교TV]], [[Mnet]], [[KMTV]], [[OCN (텔레비전 채널)|DCN]](現 [[OCN (텔레비전 채널)|OCN]]), [[캐치온|캐치원]](現 [[캐치온]])등의 [[케이블 텔레비전|케이블 TV]] 방송국들이 개국하였다.
** [[광주불교방송]] 개국.
** [[서울특별시|서울시]] [[구로구]]의 남동부와 경기도 [[광명시]]의 일부 지역이 합쳐져 [[금천구]]로 분리독립했다.
** 특별시·광역시·도 행정구역 경계가 조정되고 특별시·광역시의 일부 자치구들이 분구되다.
* [[3월 2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마르샤|마르샤]]가 출시되었다(시판은 같은 달 [[3월 3일|3일]]).
* [[3월 16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아반떼|아반떼]]가 출시되었다.(시판은 같은 달 [[3월 17일|17일]])
* [[3월 29일]] - SBS 강릉지국 개소.
* [[4월 3일]] - [[KBS 제2FM]] [[볼륨을 높여요]] 첫방송.
* [[4월 5일]] - 일본에서 [[웨딩피치]]를 방영하였다.
* [[4월 8일]] - 일본에서 [[몬타나존스]]의 방송이 종영되었다.
* [[4월 10일]]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현 [[서원구]]) [[사직동]]에서 [[청주예술의전당]]이 준공 및 개관했다.
* [[4월 15일]] - [[삼성 라이온즈]]의 [[이승엽]]이 [[잠실 야구장]]에서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선발 출전하다.
* [[4월 28일]]
** [[쌍용자동차]]에서 [[쌍용 이스타나|이스타나]]가 출시되었다.(시판은 [[7월]])
**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운전면허학과시험을 20문제에서 40문제가 바뀐다고 했고, 운전면허학과시험을 2배로 늘려서 40문제(1종: 80점 이상, 2종: 70점 이상)로 변경되었다.
* [[5월 2일]] - 운전면허학과시험이 20문제에서 40문제(1종: 80점 이상, 2종: 70점 이상)로 바뀌었다.
* [[5월 10일]] - [[김해시]] 등 시군 통합되어 도농복합시들이 출범하다.
* [[5월 14일]] - 대한민국에서 [[SBS]]의 1차 지역 민방 네트워크 가맹국인 [[부산방송]](PSB), [[광주방송]](kbc), [[대전방송]](TJB) 개국하였다.
* [[5월 30일]] - [[윈도우 NT 3.51]]이 출시되다.
* [[5월 31일]] - [[이슬람력]] 설날.
* [[6월 20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크레도스|크레도스]]가 시판되었다.
* [[8월 5일]] - 대한민국 최초의 [[통신위성]] '''[[무궁화 1호]]''', 미국 케이프커내버럴 기지에서 발사 성공하다.
* [[8월 11일]] - 대한민국 광복 50주년 맞아 이듬해인 1996년 3월 1일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발표하다.
* [[8월 15일]] - [[대한민국]], 옛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공사를 시작하다.
* [[8월 18일]] - [[대한민국]] [[문화방송]], 위성방송사업단이 발족하다.
* [[8월 24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95]]를 출시하다.
* [[8월 25일]]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서울 잠실올림픽주경기장에서 36만쌍 축복결혼식을 함.
* [[8월 29일]] - [[대한민국]], [[중앙고속도로]], 칠곡-안동, 제천-원주, 홍천-춘천간 2차로 개통함.
* [[9월 4일]] - [[KBS 1TV]], [[KBS 2TV]], [[MBC TV]], [[SBS TV]], 4개 채널을 평일 방송시간을 오후 17시 30분에서 밤 0시까지 오후 17시로 변경이 되었고, 평일 오후 방송시간을 오후 17시부터 새벽 1시로 변경되었다.
* [[9월 6일]] -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유격수]] [[칼 립켄 주니어]]가 2,131번째 경기에 출장하면서 [[루 게릭]]이 가지고 있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연속 경기 출장 기록을 깨다.
* [[9월 20일]] - 제1회 [[광주비엔날레]] 개막. (~ 11월 20일)
* [[9월 22일]] - [[중앙일보]] [[가로쓰기]] 발행 시작.
* [[10월 4일]] - 애니메이션 [[신세기 에반게리온]] 시리즈 방영을 개시하다. (~[[1996년]] [[3월 27일]])
* [[10월 17일]] - [[SBS]] 프로덕션 홍진경의 글자놀이/숫자놀이가 출시되다.
* [[11월 7일]] - [[V-리그 (배구)|V-리그]]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창단
* [[11월 9일]] - [[마카오 국제공항]] 개항.
* [[11월 11일]]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창립.
* [[11월 13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프레지오|프레지오]]가 시판되었다.
* [[11월 15일]] - [[수도권 전철 5호선]] 강동구간 [[왕십리역|왕십리]]~[[상일동역|상일동]] 구간이 개통되었다.
* [[11월 22일]] - [[대한민국]], 199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11월 22일]] - [[영화]] [[토이 스토리]]가 개봉되다.
* [[12월 1일]] - [[대한민국]] [[투니버스]], [[바둑TV]], KCTS(現[[CTS기독교TV]]), A&C코오롱(現 [[K-STAR]]) 등 4개의 [[케이블 텔레비전|케이블 TV]] 채널이 개국되었다.
* [[12월 10일]] - 국내 최초의 다채널 사업자였던 [[온미디어]]가 설립되다.
* [[12월 15일]] -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K리그]] 제9구단으로 창단하다.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CBS 음악FM]] 개국. (주파수 93.9 MHz, 7㎾)
* [[12월 18일]] -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 나들목]] ~ [[석수 나들목]] (5.39 km) 구간 개통
* [[12월 20일]] - [[KBS 제3라디오]]인 사랑의 소리방송을 KBS 라디오채널을 개국하다.
* [[12월 23일]] - [[현대모비스|현대정공(현대모비스의 전신)]]에서 [[현대 싼타모|싼타모]]가 시판되었다.
* [[12월 28일]] -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 나들목]] ~ [[삼막 나들목]] (1.22 km) 구간 개통
* [[12월 31일]] - [[수인선]] 협궤열차가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운행중지 되었다. 이후 복선전철 완전 개통시까지 16~24년 동안 운행이 중단되었다.
* 날짜미상
** [[USL 프리미어 디벨로프먼트 리그]]의 첫 시즌이 시작되었다.
** [[미국]] 전역에 [[유연 휘발유]] 사용이 금지되었다.
== 탄생 ==
{{분류 참고|1995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이란의 축구 선수 [[사르다르 아즈문]].
** 스위스의 축구 선수 [[플로리야나 이스마일리]].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윤영서]].
* [[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설현]] ([[AOA (음악 그룹)|AOA]]).
** 대한민국의 가수 [[지수 (가수)|지수]] ([[블랙핑크]]).
* [[1월 4일]]
** 미국의 배우 [[매디 해슨]].
** 대한민국의 래퍼 [[비바 (가수)|비바]].
* [[1월 6일]] - 미국의 발레단 [[미켈라 드프린스]]. (~[[2024년]])
* [[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진석]].
** 대한민국의 유튜버 [[잼미님]]. (~[[2022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홍서영]].
* [[1월 8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미스틱 (프로게이머)|미스틱]].
** 미국의 가수, 배우 [[라이언 데스티니]].
* [[1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승리]].
** 미국의 배우 [[니컬라 펠츠]].
** 멕시코의 축구 선수 [[카를라 파올라 니에토]].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뜨뜨뜨뜨]].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또니]].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고은 (배구 선수)|이고은]].
* [[1월 10일]]
** 일본의 가수 [[켄타 (가수)|켄타]] ([[JBJ]]).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박규연]].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종석 (축구 선수)|김종석]].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 [[손솔]].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알레시오 로마뇰리]].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어스]] ([[온앤오프]]).
** 대한민국의 유튜버 [[태경]].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영 (가수)|태영]] ([[블랙식스]]).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리라 (프로게이머)|리라]].
** 대한민국의 기계체조 선수 [[허선미]].
* [[1월 16일]]
** 일본의 축구 선수 [[미나미노 타쿠미]].
** 대한민국의 모델 [[심소영 (1995년)|심소영]].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이혜인 (펜싱 선수)|이혜인]].
* [[1월 17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도미니크 얀선]].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상현]].
** 중화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왕치린]].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소희 (가수)|김소희]] ([[네이처 (음악 그룹)|네이처]]).
** 우루콰이의 축구 선수 [[호세 마리아 히메네스]].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캘럼 체임버스]].
** 미국의 힙합 가수 [[조이 배드애스]].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이수웅]].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아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지훈 (1995년)|박지훈]].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신혜진 (가수)|진이]].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와이엇 ([[온앤오프]]).
** 대한민국의 가수 조용근 ([[D1CE]]).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이화겸]].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이주호 (수영 선수)|이주호]].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강신혁]].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골퍼 박지연.
** 인도의 필드하키 선수 [[만디프 싱 (필드하키 선수)|만디프 싱]].
* [[1월 26일]]
** 중국의 가수 [[선의 (가수)|선의]] ([[우주소녀]]).
** 러시아의 레슬링 선수 [[세르게이 세묘노프 (레슬링 선수)|세르게이 세묘노프]].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정서연.
* [[1월 28일]] - 일본의 아이돌 [[니시무라 호노카]].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카린 (프로게이머)|카린]].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원혁재]].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나현 (바둑 기사)|나현]].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명진 (1995년)|김명진]].
** 일본의 성우 [[쿠보타 미유]].
=== 2월 ===
* [[2월 1일]] - 독일의 배우 [[파울라 베어]].
* [[2월 2일]]
** 폴란드의 축구 선수 [[카롤 리네티]].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다영 (치어리더)|이다영]].
* [[2월 3일]] - 일본의 배우 [[츠치야 타오]].
* [[2월 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용익]].
** 일본의 축구 선수 [[다무라 쇼타]].
* [[2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엘라 (프로게이머)|엘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아드난 야누자이]].
** 조지아의 유도 선수 [[구람 투시슈빌리]].
** 태국의 배드민턴 선수 [[랏차녹 인타논]].
* [[2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종업]] ([[B.A.P]]).
** 대한민국의 쌍둥이 가수 [[진 (1995년)|진]], [[빈 (1995년)|빈]] ([[MVP (음악 그룹)|MVP]]).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김수현 (역도 선수)|김수현]].
* [[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윤형]] ([[iKON]]).
** 독일의 축구 선수 [[요주아 키미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승민 (1995년)|이승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게임캐스터 [[최시은]].
* [[2월 9일]]
** 미국의 가수 [[쟈니 (가수)|쟈니]] ([[NCT]]).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고유민]]. (~[[2020년]])
* [[2월 10일]]
** 일본의 배우 [[카와구치 하루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나뷔 케이타]].
** 대한민국의 배우 [[지하윤]].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민욱 (배구 선수)|이민욱]].
* [[2월 11일]]
** 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 [[밀란 슈크리니아르]].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릭 카르스도르프]].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진재승]].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건욱]].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민시]].
** 미국의 래퍼 [[메건 더 스탤리언]].
** 독일의 축구 선수 [[자라 데브리츠]].
** 대한민국의 배우 [[장서연]].
* [[2월 16일]] - 일본의 배우 [[마츠오카 마유]].
* [[2월 17일]]
** 미국의 테니스 선수 [[매디슨 키스]].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수연.
* [[2월 18일]]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루나르 알렉스 루나르손|루나르 루나르손]].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나탄 아케]].
** 미국의 테니스 선수 [[서맨사 크로퍼드]].
* [[2월 19일]] - 세르비아의 농구 선수 [[니콜라 요키치]].
* [[2월 20일]]
** 튀르키예의 태권도 선수 [[나피아 쿠시]].
** 대한민국의 드럼연주가 [[석정인]].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태환 (1995년)|이태환]] ([[서프라이즈 (그룹)|서프라이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성 (1995년)|김민성]].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건희 (1995년생 축구 선수)|김건희]].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유.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도코 (가수)|도코]] ([[시적화자]]).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서은]].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혜영 (축구 선수)|김혜영]].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리키 (가수)|리키]] ([[틴탑]]).
** 대한민국의 배우 [[이연 (배우)|이연]].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 체코의 축구 선수 [[토마시 소우체크]].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방효린]].
** 대한민국의 가수 [[유회승]] ([[엔플라잉]]).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크라운 (프로게이머)|크라운]].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한다혜 (배구 선수)|한다혜]].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진 (1995년)|이유진]].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준용 (가수)|이준용]] ([[느와르 (음악 그룹)|느와르]]).
* [[3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영 (1995년)|김주영]].
* [[3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지윤 (가수)|홍지윤]].
* [[3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호.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진석 (프로게이머)|박진석]].
* [[3월 5일]] - 일본의 배우 [[시손 준]].
* [[3월 6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민하람]]. ([[파이브돌스]])
** 일본의 가수 [[아이묭]].
* [[3월 7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임팩트 (프로게이머)|임팩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선빈 (축구 선수)|김선빈]].
** 일본의 가수, 배우 [[키쿠치 후마]].
** 미국의 배우 [[헤일리 루 리처드슨]].
** 이탈리아의 사격 선수 [[가브리엘레 로세티 (사격 선수)|가브리엘레 로세티]].
* [[3월 8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뮤지컬 배우 [[박도화]].
* [[3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세라프]].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앙헬 코레아]].
** 필리핀의 배우, 가수 [[벨 바리아]].
* [[3월 10일]]
** 일본의 배우 [[사쿠마 유이]].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정지석]].
** 대한민국의 국악인 [[이아진 (국악인)|이아진]].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공윤희]].
** 대한민국의 래퍼 [[해쉬스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동휘 (바둑 기사)|이동휘]].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현무]].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젤라 데이]].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상우 (1995년)|김상우]].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준영 (1995년)|이준영]].
** 일본의 성우 [[토요타 모에]].
** 대한민국의 가수 [[마독스]].
** 대한민국의 가수 [[체리콕 (가수)|체리콕]].
** 일본의 가수 [[아리야스 모모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경록 (축구 선수)|최경록]].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길대호]].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손진욱]].
** 대한민국의 가수 [[쟈쟈]].
* [[3월 19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엑토르 베예린]].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양유진 (1995년)|양유진]].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Kei]] ([[러블리즈]]).
** 캐나다의 배우 [[서맨사 와인스틴]]. (~[[2023년]])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서은교]].
* [[3월 23일]] -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오잔 투판]].
* [[3월 24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엔조 지단]].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헬퍼 (프로게이머)|헬퍼]].
** 미국의 레슬링 선수 [[카일 스나이더 (레슬링 선수)|카일 스나이더]].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레체리니]].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연 (가수)|임연]].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드럼연주가 [[노윤영]].
* [[3월 27일]] - 미국의 쇼트트랙 선수 [[존헨리 크루거]].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우 (1995년)|최정우]].
** 미국의 배우 마크 무소.
* [[3월 30일]] - 잉글랜드의 배우 [[시몬 애슐리]].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오스틴.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동녕 (프로게이머)|이동녕]] ([[FXOpen]]).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로건 폴]].
* [[4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재연.
* [[4월 3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아드리앵 라비오]].
* [[4월 4일]] - 체코의 테니스 선수 [[바르보라 슈테프코바]].
* [[4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기도훈]].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강은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하림 (1995년)|김하림]].
* [[4월 6일]]
** 일본의 가수, 배우 [[모리모토 류타로]] ([[Hey! Say! JUMP]]).
** 대한민국의 래퍼 [[윤훼이]].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임태정]].
* [[4월 8일]] - 일본의 성우, 배우 [[시라이시 하루카]].
* [[4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다미]].
** 대한민국의 가수 [[보라미유]].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광호.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도현 (1995년)|이도현]].
** 벨기에의 모델 [[유미 랑베르]].
** 대한민국의 래퍼 [[장문복]].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최성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픽서 (프로게이머)|픽서]].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희.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이민지.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남주 (가수)|김남주]] ([[에이핑크]]).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승식]] ([[빅톤 (음악 그룹)|빅톤]]).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휘인]] ([[마마무]]).
** 영국의 배우 [[피비 디네버]].
** 대한민국의 배우 [[안효섭]].
* [[4월 18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디보크 오리기]].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이승윤 (양궁 선수)|이승윤]].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조혜주]].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전하린]].
** 일본의 배우 [[류신 (배우)|류신]].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현호.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말숙]].
* [[4월 22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호난]].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예주]].
** 미국의 모델 [[지지 하디드]].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쌍둥이 가수 [[영민]], [[광민]] ([[보이프렌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보이프렌드]]).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전현재.
* [[4월 26일]] - 필리핀의 배우 [[다니엘 파디야]].
* [[4월 27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테니스 선수 [[닉 키리오스]].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윤정 (1995년)|신윤정]].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심우준]]. ([[KT 위즈]])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사진가 [[멜러니 마르티네스]].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서연정.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수인.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미 (1995년)|미미]] ([[오마이걸]]).
* [[5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육성재]] ([[비투비]]).
** 대한민국의 가수 [[테종]].
** 중화인민공화국 태생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이은혜 (탁구 선수)|이은혜]].
* [[5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주은]]. (~[[2022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하연 (1995년)|김하연]].
** 미국의 야구 선수 [[오스틴 메도스]].
** 프랑스의 자동차경주 선수 [[아드리앵 푸르모]].
* [[5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허찬]] ([[빅톤]]).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안예인]].
* [[5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왕재민]].
** 대한민국의 가수 [[영은]].
* [[5월 6일]] - 대한민국의 힙합 아티스트 [[원슈타인]].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하영민]]. ([[넥센 히어로즈]])
* [[5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화 (가수)|정화]] ([[EXID]]).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준]].
** 대한민국의 배우 [[한지안 (1995년)|한지안]].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황지호]].
** 일본의 축구 선수 [[다무라 료스케]].
* [[5월 9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채유정]].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추화정]].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종운]] ([[블랙식스]]).
* [[5월 12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엘커 판 호르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다솔]].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한아]].
** 홍콩의 펜싱 선수 [[주가몽]].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발레무용가 최예림.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키]] ([[블랙식스]]).
** 대한민국의 배우 [[백승도 (배우)|백승도]].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명준 (배우)|이명준]].
* [[5월 18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탈리스 리마 지 콘세이상 페냐]]. (~[[2019년]])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시우 (1995년)|시우]] ([[더스틴 (음악 그룹)|더스틴]]).
** 대한민국의 가수 [[해인 (가수)|해인]] ([[라붐 (음악 그룹)|라붐]]).
** 미국 태생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로니 도슨]].
** 대한민국의 배우 [[강태주]].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진석 (야구 선수)|이진석]]. ([[SK 와이번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서지연 (축구 선수)|서지연]].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바둑캐스터 이유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베리타스 (프로게이머)|베리타스]].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상균]] ([[탑독]], [[JBJ]]).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감강찬]].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민 (1995년)|한민]].
** 일본의 수영 선수 [[이가라시 지히로]].
* [[5월 25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호세 루이스 가야]].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예림 (1995년)|이예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백승현 (야구 선수)|백승현]].
** 대한민국의 배우 [[정건주]].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아청]].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연 (음악가)|이연]].
* [[5월 29일]]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니콜라 페페]].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인플루언서 이소연.
* [[5월 31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안자이 고키]].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박재하]].
** 일본의 아이돌 [[마에다 아미]].
* [[6월 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하승우]].
* [[6월 3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진성민.
* [[6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빛새온]].
* [[6월 5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작곡가, 배우, 유튜버 [[트로이 시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찬호 (1995년)|박찬호]].
* [[6월 6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오현민]].
* [[6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은 (가수)|주은]] ([[다이아 (음악 그룹)|다이아]]).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임프]].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래퍼 [[JR (가수)|JR]] ([[뉴이스트]]).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페를랑 멘디]].
* [[6월 9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김희재 (가수)|김희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민유경]].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인터넷 방송인 [[덱스 (유튜버)|덱스]].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모델 [[이의수]]. (~[[2017년]])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배병옥]].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앵커 김예은.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찬이]] ([[더 맨 블랙]]).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래퍼 [[버피 (래퍼)|버피]] ([[매드타운]]).
** 케냐의 육상 선수 [[이매뉴얼 코리르]].
** 대한민국의 유튜버 [[문복희]].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다영]].
** 대한민국의 래퍼 [[희현]] ([[다이아 (음악 그룹)|다이아]]).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우정 (농구 선수)|이우정]].
** 일본의 배우 [[아카오 히카루]].
* [[6월 17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클레망 랑글레]].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호 (가수)|호]].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마리오 에르모소]].
** 일본의 아이돌, 배우 [[마츠무라 호쿠토]].
** 대한민국의 가수 [[최향 (가수)|최향]].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아론]] ([[W24]]).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희운]]. ([[KT 위즈]])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데이드림 (프로게이머)|데이드림]].
** 대한민국의 유튜브 [[슈기]].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원 (1995년)|이지원]].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최양비]].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예지 (배구 선수)|김예지]].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 [[BOYCOLD]].
** 일본의 배우, 모델 [[바바 후미카]].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규 (배우)|김동규]].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아영.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한지아.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선 (가수|SUN]] ([[BXK]]).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재이]].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주후]].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이현 (야구 선수)|조이현]].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시우 (골프 선수)|김시우]].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안영준 (농구 선수)|안영준]].
** 일본의 야구 선수 [[세키네 다이키]].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자종 드나예]].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리 (배우)|최리]].
** 대한민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에스더 (프로게이머)|에스더]].
** 일본의 야구 선수 [[오타케 고타로]].
* [[6월 30일]] - 일본의 성우 [[카스가 노조미]].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용]] ([[NCT (음악 그룹)|NCT]]).
* [[7월 2일]] - 일본의 아이돌 가수 [[카나자와 토모코]].
* [[7월 3일]]
** 대한민국의 래퍼 [[먼치맨]].
** 대한민국의 힙합 래퍼 겸 프로듀서 [[제레미 퀘스트]].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마이크 메냥]].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노바 (1995년)|노바]].
* [[7월 4일]]
** 미국의 래퍼, 가수 [[포스트 말론]].
** 대한민국의 래퍼 [[릴러말즈]].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레인오버]].
* [[7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혁 (1995년)|혁]] ([[빅스 (음악 그룹)|빅스]]).
** 인도의 배드민턴 선수 [[푸사를라 벵카타 신두]].
* [[7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진 (가수)|백진]].
* [[7월 7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고진영 (골프 선수)|고진영]].
* [[7월 9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티티]].
* [[7월 10일]]
** 일본의 가수 [[신가키 유토]].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아다 헤게르베르그]].
** 대한민국의 가수, 성악가 [[고우림 (성악가)|고우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후 (가수)|후]].
* [[7월 11일]]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채원후 (야구 선수)|채원후]].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윗 (프로게이머)|스윗]].
**대한민국의 바이올린연주진 [[이지은 (바이올린 연주자)|이지은]].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은새]].
** 영국의 축구 선수 [[루크 쇼]].
** 프랑스의 유도 선수 [[아망딘 뷔샤르]].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문빛]].
** 미국의 야구 선수 [[코디 벨린저]].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효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인혁]]. (~[[2022년]])
** 독일의 축구 선수 [[세르주 그나브리]].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백아 (가수)|백아]].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세진.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성범]].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한솔 (배우)|박한솔]].
** 일본의 성우 [[야마시타 나나미]].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이하정.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호 (가수)|백호]] ([[뉴이스트]]).
** 대한민국의 래퍼 [[김심야]].
* [[7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현수]].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화사]] ([[마마무]]).
** 일본의 성우 [[스즈키 아이나]].
** 대한민국의 가수 [[109 (가수)|109]].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원 (남자 가수)|다원]] ([[SF9]]).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민 (1995년)|김태민]].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현 (배우)|최재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우 (1995년)|김민우]].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양인모]].
* [[7월 28일]] - 영국의 가수 [[브래들리 심슨]] ([[더 뱀프스]]).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리스트 [[케이브라운]].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래퍼 [[민우 (1995년)|민우]] ([[보이프렌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보이프렌드]]).
** 대한민국의 가수 [[Y (가수)|Y]]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경호 (야구인)|김경호]].
** 대한민국의 테너 [[진원 (테너)]] ([[리베란테 (크로스오버 그룹)|리베란테]]).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체이서 (프로게이머)|체이서]].
** 일본의 야구 선수 [[후타키 고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문환]].
** 대한민국의 근대5종 경기 선수 [[전웅태]].
* [[8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후 (가수)|진후]] ([[업텐션]]).
** 일본의 성우 [[쿠보타 리사]].
* [[8월 3일]] - 우크라이나의 복싱 선수 [[올렉산드르 히주냐크]].
* [[8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동헌 (가수)|동헌]].
** 미국의 가수, 아나운서 [[세은 미카엘]].
* [[8월 5일]]
** 덴마크의 축구 선수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루나 (프로게이머)|장경호]].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스테파노 센시]].
** 일본의 성우 [[나가나와 마리아]].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최솔규]].
* [[8월 7일]] - 대한민국의 래퍼 [[김승민 (래퍼)|김승민]].
* [[8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에스쿱스]]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8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황민현]] ([[뉴이스트]], [[워너원]])
** 미국의 배우 [[저스티스 스미스]].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지성 (1995년)|김지성]].
** 러시아의 유도 선수 [[니야스 일리야소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민규 (축구 선수)|박민규]].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래퍼 [[타쿠와]].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허광희]].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주 (가수)|영주]].
** 중화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리양 (배드민턴 선수)|리양]].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헤니.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윤수 (가수)|김윤수]] ([[W24]]).
** 대한민국의 모델 [[진정선]].
** 일본의 가수 [[오구라 유이]].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민유라]].
** 미국의 래퍼 [[치프 키프]].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오장원 (프로게이머)|오장원]].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허훈 (농구 선수)|허훈]].
** 대한민국의 가수 [[해빈 (가수)|해빈]] ([[구구단 (음악 그룹)|구구단]]).
** 대한민국의 가수 [[루빈 (가수)|루빈]].
* [[8월 17일]]
** 미국의 스케이트 선수 [[그레이시 골드]].
** 일본의 배우 겸 가수 [[나가오 시즈네]].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리제 (가수)|리제]].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사카모토 쇼이치로]]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보나 (1995년)|보나]]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가수 [[희진 (1995년)|희진]].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영 선수 [[쉬자위]].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이주미]].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박서진 (1995년)|박서진]].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홍덕 (프로게이머)|홍덕]].
* [[8월 22일]]
** 영국의 가수 [[두아 리파]].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김아랑]].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동휘]]. ([[넥센 히어로즈]])
** 중국의 가수 [[시카 (가수)|시카]] ([[피나틱스]]).
** 미국의 배우 [[줄리엣 고글리아]].
** 대한민국의 방송인 [[미미미누]].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상현 (1995년)|박상현]].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홍진기 (배우)|홍진기]].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영준]] ([[HIGH4]]).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옹성우]] ([[워너원]]).
** 대한민국의 가수 [[도운 (가수)|도운]].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박광열]]. ([[NC 다이노스]]).
** 대한민국의 유튜버 꾸몽(팀샐러드).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빛나]].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디 (가수)|루디]].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하 (1995년)|김민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중열]]. ([[롯데 자이언츠]])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무니르 엘 하다디]].
* [[9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연습생, 마약사범 [[한서희]].
** 대한민국의 가수 [[김영조 (1995년)|김영조]].
* [[9월 3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니클라스 쥘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지호 (축구 선수)|이지호]].
* [[9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민제]].
* [[9월 5일]] - 미국의 배우 [[캐럴라인 선샤인]].
* [[9월 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지섭]]. ([[LG 트윈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민 (1995년)|김정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마이티베어]].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크레코]]
* [[9월 7일]]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준혁 (프로게이머)|김준혁]].
** 일본의 성우 [[무라카미 나츠미]].
* [[9월 8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율리안 바이글]].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류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래퍼 [[디애나 (가수)|디애나]].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장우진]].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이재선 (1995년)|이재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수민 (1995년)|이수민]].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스노보드 선수 [[이상호 (스노보드 선수)|이상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장성재 (축구 선수)|장성재]].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신지현]].
** 대한민국의 배우 [[송지혁 (배우)|송지혁]].
** 미국의 배우, 성우 [[라이언 포터]].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훈.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지영]] ([[볼빨간사춘기]]).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심재영]].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프로핏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프로핏]].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재림 (야구 선수)|이재림]].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남지현 (배우)|남지현]].
** 대한민국의 가수 [[유아 (가수)|유아]] ([[오마이걸]]).
** 일본의 배우, 아이돌 [[야마구치 마호]].
* [[9월 18일]]
** 미국의 가수 [[메건 리 (가수)|메건 리]].
** 일본의 배우 [[스기노 요스케]].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연]] ([[트와이스]]).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진미]].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황현조]].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앤제이]] ([[씨리얼 (음악 그룹)|씨리얼]]).
** 일본의 성우 [[후카가와 세리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라진]].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권은비]] ([[아이즈원]]),
** 대한민국의 현직 아나운서 [[정채운]].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권지민 (프로게이머)|권지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보라 (배우)|김보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정한재]].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박재연]].
** 가나의 축구 선수 [[조셉 아이두]].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임보라 (배우)|임보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병욱]].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조환지]].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시연 (1995년)|시연]] ([[드림캐쳐 (음악 그룹)|드림캐쳐]]).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리은]].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예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범수 (1995년)|김범수]].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한 (가수)|정한]]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채은]].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케이시 (가수)|케이시]].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령우]].
** 대한민국의 배우, 미스코리아 [[김예린 (미스코리아)|김예린]].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진]].
** 영국의 축구 선수 [[로이드 존스]].
* [[10월 8일]] - 일본의 아이돌, 방과후 프린세스의 멤버, 그라비아 모델 [[나가사와 마리나]].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준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김준호]].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승희]] ([[CLC (음악 그룹)|CLC]]).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성우 [[오오츠카 사에]].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진윤성]].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재우 (1995년)|박재우]], [[박성우 (1995년)|박성우]].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연제형]].
** 일본의 배우 [[오기노 카린]].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민 (가수)|지민]] ([[방탄소년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진섭 (1995년)|박진섭]].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안세현]].
** 대한민국의 배우 [[신윤주 (배우)|신윤주]].
** 대한민국의 범죄자 [[조주빈]].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백규정]].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민호]].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박상영]].
** 일본의 그라비아 아이돌 [[아마키 쥰]].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대한민국의 가수 [[미소 (가수)|미소]] ([[글램]]).
** 대한민국의 배우 [[김채은]].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빈센스]].
** 일본의 수영 선수 [[오하시 유이]].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강하운]].
** 대한민국의 범죄자 [[문형욱]].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니후]].
* [[10월 21일]]
** 미국의 래퍼, 가수 [[도자 캣]].
** 중국의 배우 [[쑨자위]].
** 일본의 가수 [[쿠로키 호노카]].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튜버 [[류민희]].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진섭 (1995년)|박진섭]].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연극배우 [[윤민형]].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지원 (배우)|송지원]].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직 크레이지레이싱 프로게이머 [[이재인 (프로게이머)|이재인]].
* [[10월 26일]]
** 일본의 가수 [[유타 (가수)|유타]] ([[NCT (음악 그룹)|NCT]]).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사석찬]].
** 대한민국의 가수 [[유타 (가수)|나카모토 유타]]. ([[NCT]])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한리나]].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한비]].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예슬]].
** 일본의 가수 [[마츠다 미코]] ([[허니팝콘]]).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인희]].
** 일본 태생 캐나다의 유도 선수 [[크리스타 데구치]].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브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미믹 (프로게이머)|미믹]].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이슬기 (여자 축구인)|이슬기]].
** 일본의 배우 [[마츠다 루카]].
** 일본의 성우 [[와카이 유우키]].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지애 (1995년)|김지애]].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보이샘.
* [[11월 2일]] - 일본의 성우 [[아키나 (성우)|아키나]].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렌 (가수)|렌]] ([[뉴이스트]]).
** 미국의 모델 [[켄들 제너]].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소이]].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도현 (배우)|신도현]].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엑시]]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모델 [[도연 (모델)|도연]].
* [[11월 7일]] - 일본의 성우 [[요시오카 마유]].
* [[11월 8일]] - 일본의 모델, 배우 [[모모츠키 나시코]].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혜인 (배우)|이혜인]].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쿤 (가수)|쿤]] ([[업텐션]]).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퓨리 (프로게이머)|퓨리]].
* [[11월 12일]]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투신 (프로게이머)|투신]].
**프랑스의 축구 선수 [[토마 르마르]].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근대5종 선수 이지훈.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예]].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창조 (가수)|창조]] ([[틴탑]]).
** 대한민국의 가수 [[MK (가수)|MK]] ([[온앤오프]]).
** 대한민국의 가수 [[린지 (1995년)|린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창훈 (1995년)|이창훈]].
** 대한민국의 가수 [[민균]].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연.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남기웅 (프로게이머)|남기웅]].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탱크 (프로게이머)|탱크]].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헤어디자이너 백주희.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일반인 [[박재석 (1995년)|박재석]].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고민성]].
** 헝가리의 쇼트트랙 선수 [[류 사오린 샨도르]].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혁]] ([[KT 위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준원]] ([[LG 트윈스]]).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모델 [[한슬]].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김나영 (1995년)|김나영]] ([[구구단 (음악 그룹)|구구단]]).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모델 서연.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예나]].
** 대한민국의 가수 [[윤용빈]].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세온]].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근대 5종 선수 [[김세희 (근대5종 선수)|김세희]].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재민.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규현]] ([[삼성 라이온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세웅 (1995년)|박세웅]] ([[롯데 자이언츠]]).
** 일본의 성우 [[코야마 모모요]].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민지.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이주형 (배우)|이주형]].
** 일본의 성우 [[미나세 이노리]].
* [[12월 3일]] - 일본의 가수 [[이리야마 안나]].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도형 (배우)|권도형]].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서준]].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럿 (프로게이머)|파일럿]].
** 대한민국의 가수 [[조하]].
* [[12월 5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앙토니 마르시알]].
**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케이틀린 오즈먼드]].
** 스페인 태생 잉글랜드의 배우 [[태즈 스카일러]].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리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민호 (1995년)|윤민호]].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성민 (1995년)|최성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소원 (1995년)|김소원]].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병권 (프로게이머)|이병권]].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페닉스 (프로게이머)|페닉스]].
** 대한민국의 래퍼 [[릴체리]].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산티 미나]].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이디 (가수)|아이디]].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던 아이브]].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현 (가수)|나현]]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12월 10일]] - 코소보의 유도 선수 [[디스트리아 크라스니치]].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원 (가수)|신원]]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 [[12월 12일]]
** 미국의 야구 선수 [[DJ 피터스]].
** 대한민국의 가수 [[박지현 (가수)|박지현]].
* [[12월 13일]]
** 영국의 배우 [[에마 코린]].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노도희]].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허찬 (가수)|허찬]] ([[빅톤 (음악 그룹)|빅톤]]).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알바로 오드리오솔라]].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연준석]].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스노보드 선수 [[정해림]].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박지은 (레이싱 모델)|박지은]].
** 대한민국의 가수 [[임나영]] ([[프리스틴]], [[아이오아이]])
** 대한민국의 국악인 [[서의철]].
** 일본의 레슬링 선수 [[후미타 겐이치로]].
** 체코의 테니스 선수 [[바르보라 크레이치코바]].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신규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선호]].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래퍼 [[T.K (가수)|T.K.]].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승헌 (1995년)|이승헌]].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BOBBY (래퍼)|BOBBY]] ([[iKON]]).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칸 (프로게이머)|칸]].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위즈덤 (프로게이머)|위즈덤]].
** 대한민국의 음악가 [[EDEN (음악가)|EDEN]].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재정 (가수)|박재정]].
** 대한민국의 가수 [[임영민]] ([[AB6IX]], [[MXM (음악 그룹)|MXM]]).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도이현]] ([[마이네임 (음악 그룹)|마이네임]]).
** 대한민국의 배우 [[오현중]].
* [[12월 27일]] - 미국의 배우 [[티모시 샬라메]].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잠뜰]] ([[CH.DIA]]).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퓨어 (프로게이머)|퓨어]].
** 대한민국의 기계체조 선수 [[김한솔 (체조 선수)|김한솔]].
** 일본의 아이돌 [[이코마 리나]] ([[노기자카46]]).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뷔]] ([[방탄소년단]]).
** 미국의 가수 [[조슈아 (가수)|조슈아]]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지안 (축구 선수)|김지안]].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박소정.
** 영국의 배우 [[나디아 파크스]].
=== 미상 ===
* 대한민국의 가수 [[예원 (가수)|예원]].
* 대한민국의 가수 [[하얀]].
*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수성구의원 [[김경민 (1995년)|김경민]].
* 대한민국의 하키 선수 [[조혜진 (하키 선수)|조혜진]].
== 사망 ==
[[파일:Premier Wilson gaf persconferentie na bespreking in Den Haag , Wilson (kop), Bestanddeelnr 920-1165 (cropped).jpg|섬네일|159x159픽셀|해럴드 윌슨]]
[[파일:Alec Douglas-Home (c1963).jpg|섬네일|120px|앨릭 더글러스흄]]
[[파일:Flickr - Israel Defense Forces - Life of Lt. Gen. Yitzhak Rabin, 7th IDF Chief of Staff in photos (11).jpg|섬네일|171x171픽셀|이츠하크 라빈]]
{{분류 참고|1995년 사망}}
=== 1월 ===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송성일]]. (1969년~)
=== 2월 ===
* [[2월 4일]] - 미국의 작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1921년~)
* [[2월 2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오진우]]. (1917년~)
=== 3월 ===
* [[3월 7일]] - 대한민국의 안과 의사, 타자기 연구가 [[공병우]]. (1907년~)
* [[3월 14일]] - 미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앨프리드 파울러]]. (1911년~)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길옥윤]]. (1927년~)
* [[3월 31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셀레나]]. (1971년~)
=== 4월 ===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김소희 (국악인)|김소희]]. (1917년~)
* [[4월 25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진저 로저스]]. (1911년~)
* [[4월 28일]] -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고 희생자 101명
=== 5월 ===
* [[5월 8일]] - 중화민국의 가수 [[덩리쥔]]. (1953년~)
* [[5월 24일]] - 영국의 정치가, 총리 [[해럴드 윌슨]]. (1916년~)
=== 6월 ===
* [[6월 14일]] - 미국의 소설가 [[로저 젤라즈니]]. (1937년~)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동리]]. (1913년~)
* [[6월 29일]] -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희생자 502명
=== 7월 ===
* [[7월 4일]] - 미국의 화가 [[밥 로스]]. (1942년~)
* [[7월 5일]] - 일본의 정치가, 총리 대신 [[후쿠다 다케오]]. (1905년~)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교육자 겸 사회사업가 [[박찬주 (교육인)|박찬주]]. (1914년~)
* [[7월 16일]] - 영국의 문인 [[스티븐 스펜더]]. (1909년~)
* [[7월 20일]] - 독일의 지식인, 정치활동가 [[에르네스트 만델]]. (1923년~)
=== 8월 ===
* [[8월 3일]] - 영국, 미국의 배우, 영화감독 [[이다 루피노]]. (1918년~)
* [[8월 11일]] - 미국의 수학자 [[알론조 처치]]. (1903년~)
* [[8월 13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미키 맨틀]]. (1931년~)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박현채]]. (1934년~)
* [[8월 28일]] - 독일의 작가 [[미하엘 엔데]]. (1929년~)
* [[8월 29일]] - 프랑스의 작곡가 [[피에르 막스 뒤부아]]. (1930년~)
=== 9월 ===
* [[9월 15일]] - 일본의 정치가 [[와타나베 미치오]]. (1923년~)
=== 10월 ===
* [[10월 9일]] - 영국의 정치가 [[앨릭 더글러스흄]]. (1903년~)
=== 11월 ===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범죄자 [[최명복]]. (1957년~)
* [[11월 3일]] - 대한민국 독일의 작곡가 [[윤이상]]. (1917년~)
* [[11월 4일]] - 이스라엘의 제17,25대 총리 [[이츠하크 라빈]]. (1922년~)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성재 (가수)|김성재]]. (1972년~)
* [[11월 23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루이 말]]. (1932년~)
=== 12월 ===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장기려]]. (1911년~)
** 프랑스의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 (1906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로버트 E. 루카스 2세
* '''문학상''': 시머스 히니
* '''물리학상''': 프레더릭 라이네스,마틴 L. 펄
* '''생리학 및 의학상''': 에드워드 루이스,에릭 위샤우스,크리스티안네 뉘슬라인 폴하르트
* '''평화상''': 요세프 로트블라트
* '''화학상''': 파울 크뤼천,F. 셔우드 폴런드,마리오 몰리나
== 달력 ==
{{연간달력|1995}}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소 || [[1월 31일]] || [[임술]]
|-
| [[음력 2월|2월]] || [[기묘]] || 대 || [[3월 1일]] || [[신묘]]
|-
| [[음력 3월|3월]] || [[경진]] || 대 || [[3월 31일]] || [[신유]]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소 || [[4월 30일]] || [[신묘]]
|-
| [[음력 5월|5월]] || [[임오]] || 대 || [[5월 29일]] || [[경신]]
|-
| [[음력 6월|6월]] || [[계미]] || 대 || [[6월 28일]] || [[경인]]
|-
| [[음력 7월|7월]] || [[갑신]] || 소 || [[7월 28일]] || [[경신]]
|-
| [[음력 8월|8월]] || [[을유]] || 대 || [[8월 26일]] || [[기축]]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8월 || || 소 || [[9월 25일]] || [[기미]]
|-
| [[음력 9월|9월]] || [[병술]] || 대 || [[10월 24일]] || [[무자]]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소 || [[11월 23일]] || [[무오]]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소 || [[12월 22일]] || [[정해]]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996년]] [[1월 20일]] || [[병진 (간지)|병진]]
|}
{{전거 통제}}
[[분류:1995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87}}
{{기년법|1987}}
{{요즘 화제 년월|1987}}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4일]] - 서울대생 [[박종철]]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 도중 사망]]했다.
* [[3월 7일]] - [[중화민국]] [[례위향]]에서 [[1987년 례위 학살|베트남 보트피플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 [[3월 22일]] -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이 발생했다.
* [[4월 13일]] - [[전두환]] 대통령이 현행 헌법에 따라 후임 대통령을 선출한다는 특별성명([[4·13 호헌 조치]])을 발표하였다.
* [[4월 24일]] - [[김용남 (1950년)|용팔이]]일당이 [[통일민주당 창당 방해사건]]을 일으켰다.
* [[5월 3일]] - 일본의 우익단체 적보대({{lang|ja|赤報隊}}),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에 있는 [[아사히 신문]] 한신 지국에 난입하여 기자와 직원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다.
* [[5월 17일]] - 미해군 프리깃함 [[:en:USS Stark (FFG-31)|스타크호]] 피격 사건이 발생하였다.
* [[6월 9일]] -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이한열]] 열사가 두개골이 손상되면서 쓰러졌다.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 사건).
* [[6월 10일]] - 대한민국 서울에서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 [[6월 12일]] -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이 [[브란덴부르크 문]]에서 [[이 장벽을 허무시오]] (Tear down this wall!) 연설을 하다.
* [[6월 29일]] - [[노태우]] 당시 여당 당대표가 [[6.29 선언]] 발표를 하다(대한민국의 민주화).
* [[7월 5일]] - 최루탄을 맞았던 [[이한열]] 열사가 끝내 숨을 거두었다.
* [[7월 11일]] - [[세계 인구의 날|세계 인구가 50억 명을 돌파하였다.]]
* [[7월 15일]] - [[대한민국]]에 [[태풍 셀마 (1987년)|태풍 셀마]]가 상륙하다.
* [[7월 15일]] - [[중화민국]] 정부에서 [[메이리다오 사건]]을 바탕으로 [[타이완 성 계엄령]]해제 이후[[복수정당제]]를 도입하다.
* [[8월 1일]] - [[메카]]에서 이란과 사우디 순례자간 충돌로 402명이 사망하다.
* [[8월 5일]] - 노태우, [[민주정의당]] 총재에 취임하다.
* [[8월 11일]] - [[앨런 그린스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의장이 되다.
* [[8월 19일]] - [[대한민국]], 전국 95개 대학교 학생들, [[충남대학교]]에서 전국대학생대표자회의(전대협) 결성하다.
* [[8월 28일]] - [[필리핀]]에서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가 발생해 55명이 사망하다.
* [[8월 29일]] - 오대양 용인 공장서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박순자 사장 등 32명이 집단 자살한 변사체로 발견]]되다.
* [[8월 31일]] - [[대한민국]],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8인 정치회담이 이루어져 직선제 개헌안 협상을 타결하다.
* [[9월 7일]] - 구 [[동독]] [[사회주의통일당]] 서기장 [[에리히 호네커]]가 동·서독 분단 이후 처음으로 [[서독]]을 방문하다.
* [[9월 13일]] - [[브라질]] [[고이아니아]]에서 [[방사능]] 유출 사고가 일어나 최소 249명이 방사능에 피폭되고 4명이 사망했다. [[방사능]] 유출 물질은 [[세슘-137]]였다.
* [[9월 20일]] - 제9차 세계언론인대회 [[서울특별시]]에서 개막(~25일).
* [[9월 29일]] -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와 [[김대중]] 고문, 대통령 선거 후보 단일화 회담 결렬되다.
* [[10월 5일]] -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로벤섬]]에서 24년을 복역한 고반 므베키가 석방되었다. 그는 소수 백인 남아공 정권에 저항했다는 죄목으로 복역했다.
* [[10월 12일]] - [[대한민국 국회]]가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가결시키다.
* [[10월 27일]] - 헌법 개정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 [[10월 29일]] - [[대한민국 헌법]] 제10호(제9 차 개정 헌법)가 공포되었다.(1988년 2월 25일부터 시행)
* [[11월 6일]] - [[일본]]의 [[다케시타 노보루]] 총리 선출되어 내각이 성립되다.
* [[11월 29일]]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으로 탑승객 115명 전원 사망하다.
* [[12월 16일]]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노태우]]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문화 ==
* 대한민국 [[국민학교]](현 [[초등학교]]) 교과목 중 기존의 1~2학년 우리들은 1학년,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이 통합되었다.
* [[대한민국 연극제]]가 [[서울연극제]]로 개칭, 개편되었다.
* [[1월 10일]] - MBC TV 주말드라마 [[사랑과 야망 (1987년 드라마)|사랑과 야망]] 방송 시작.
* [[2월 28일]] - TV아사히 [[슈퍼전대 시리즈]]의 11번째 시리즈 [[광전대 마스크맨]] 방송 시작
* [[3월 1일]] - [[미국]] [[뉴욕]]의 살로몬 스미스 월드 트레이드 센터(제7세계 무역 센터)가 완공되어, 개장하였다. 이리하여, [[세계 무역 센터 (1973년~2001년)|세계 무역 센터]]의 전 건물이 [[영업]]을 하게 되었다.
* [[3월 2일]] - 87 봄개편에 따라 [[KBS 1TV]]의 채널에서 [[가정저널]] 및 [[KBS 2TV]]의 채널은 [[생방송 전국은 지금]]까지 방영을 했다.
* [[3월 5일]] - [[기아자동차|기아산업(현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프라이드|프라이드]]가 출시되었다.
* [[4월 1일]] - [[일본]]국철([[일본국유철도]])이 [[JR]]로 민영화와 동시에 지역 로컬 단위로 분사화.
* [[4월 8일]] - [[윤이상]]의 《균형을 위하여》가 초연.
* [[4월 19일]] - [[심슨 가족]]의 파일럿 에피소드가 미국에서 첫 방영되었다.
* [[4월 20일]] - 맥용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가 출시되었다.
* [[5월 1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중앙청역을 [[경복궁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 [[5월 16일]] -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과 [[롯데 자이언츠]] [[최동원]]의 명경기가 있었다. 2011년에 이 경기를 각색한 영화 [[퍼펙트 게임 (2011년 영화)|퍼펙트 게임]]이 개봉되었다.
* 7월 - [[대한민국]], 무연 휘발유 공급.
** 대한민국 문교부, [[5차 교육과정]]에 개정.
** [[동차형 새마을호]] 운행개시
* [[8월 15일]] -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천원군]]에서 [[독립기념관 (대한민국)|독립기념관]]이 개관되었다.
* [[8월 18일]] - [[대한민국]] [[영상물등급위원회|공연윤리위원회]], 〈[[동백아가씨]]〉,〈[[고래사냥]]〉 등 금지가요 186곡 해금.
* [[8월 26일]] - [[대한민국]] [[제일제당]](현 [[CJ헬스케어]]), [[B형 간염|B형 만성간염]] 치료제 국내 최초로 개발.
* [[9월 5일]] - 대한민국 방송심의위원회, 방송 금지 가요 500곡 해제.
* [[9월 9일]] - 배우 [[강수연]], 《[[씨받이 (영화)|씨받이]]》로 [[베네치아 영화제|44회 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9월 24일]] - [[체외수정]]으로 임신된 다섯 쌍둥이, 서울대병원서 출생했다.
* [[9월 28일]] - [[세이칸 터널]]이 첫시험 운전 열차가 달렷다.
* [[9월 29일]] - 대한민국 국내전화 1천만회선 돌파.
* [[10월 5일]] - [[기아자동차|기아산업(현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콩코드|콩코드]]가 출시되었다.
* [[10월 13일]] - [[코스타리카]]의 오스카르 산체스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됨.
* [[10월 17일]] - KBS 1,2TV / MBC TV가 토요일 낮방송을 개시하고 이날을 기해 주말 종일방송체제에 들어감.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서남부 지역의 [[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목포MBC]] TV방송 개국.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북부 지역의 [[문화방송]] [[MBC충북 충주방송국|충주MBC]] TV 연주소 개국.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서부 지역의 [[문화방송]] [[MBC경남 진주방송|진주MBC]] 텔레비전 방송국 개국.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여수MBC]] TV 연주소 개국, 지역 TV-Local 방송을 시작.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안동MBC]] TV 연주소 개국.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의 [[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포항MBC]] TV 연주소 개국.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강원도 (남)|강원도]] 영서 남부 지역의 [[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원주MBC]] TV 연주소 개국.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강원도 (남)|강원도]] 영동 남부 지역의 [[문화방송]]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삼척MBC]] TV 연주소 개국.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와 [[충청북도]] [[청주시]]를 연결하는 [[중부고속도로]]가 약 3년간의 공사를 끝에 개통되었다.
* [[12월 9일]] - [[윈도우 2.0]]이 출시되었다.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MBC 표준FM]] 개국. (주파수 95.9MHz, 10㎾)
* [[12월 17일]] - [[록맨]]게임이 출시되었다.
* [[12월 22일]] - 대한민국에서 1988학년도 [[학력고사]] 실시.
* [[12월 27일]] - MBC TV 주말드라마 [[사랑과 야망 (1987년 드라마)|사랑과 야망]] 종영.
== 탄생 ==
{{분류 참고|1987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임종혁 (희극인)|임종혁]].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 (1987년)|최상]].
** 대한민국의 배우 [[한소영]].
** 대한민국의 배우 [[김무영 (1987년)|김무영]].
** 대한민국의 가수 [[김준수 (가수)|김준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헌도]].
**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 (배우)|최정]].
* [[1월 2일]] - 대한민국의 발레 무용수 [[최선아 (발레 무용수)|최선아]].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모상기]].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옥빈]].
* [[1월 4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대니 심슨]].
** 멕시코의 축구 선수 [[모니카 오캄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준하]] ([[강원 FC]]).
**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선수 [[조민호 (아이스하키 선수)|조민호]]. (~[[2022년]])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명제 (야구 선수)|김명제]].
** 대한민국의 가수 [[더 씨야|송민경]] ([[더 씨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영화배우 [[류지훈]].
* [[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민수 (1987년)|신민수]].
* [[1월 7일]] - 대한민국의 모델 [[송해나]]
* [[1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재원 (배우)|정재원]].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현 (축구 선수)|이종현]].
** 태국의 왕족 [[시리완나와리 나리랏]].
** 일본의 성우 [[고토 사오리]].
** 잉글랜드의 배우 [[프레디 스트로마]].
* [[1월 9일]]
** 일본의 배우 [[이노우에 마오]].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레이바]].
* [[1월 10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모하메드 알살라위]].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김영광 (배우)|김영광]].
** 잉글랜드이 축구 선수 [[제이미 바디]].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선데이|선데이]]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심재현 (가수)|심재현]].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살바토레 시리구]].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정경호 (1987년)|정경호]].
** 대한민국의 성악가 [[김현수 (성악가)|김현수]].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이승기]].
** 미국의 아이스하키 선수 [[잭 존슨 (아이스하키 선수)|잭 존슨]].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준하]] ([[강원 FC]]).
** 일본의 배우 [[하시모토 아츠시]].
** 대한민국의 가수 [[김보아]] ([[스피카 (음악 그룹)|스피카]]).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강려원]].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한동훈 (프로게이머)|한동훈]].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심영성]] ([[제주 유나이티드]]).
** 대한민국의 배우 [[곽시양]].
** 미국의 배우, 모델 [[켈리 켈리]].
** 미국의 배우 [[마이클 시터]].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주호]].
** 대한민국의 래퍼 [[매슬로]].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조민혁 (테니스 선수)|조민혁]].
** 대한민국의 그룹 아이리스의 전 멤버 [[이은미 (1987년)|이은미]]. (~[[2011년]])
** 타이완의 야구 선수 [[양다이강]].
* [[1월 18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요한 주루]].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윤세인]].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 [[김성기 (프로게이머)|김성기]].
**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인 [[에이전트 H]].
** 대한민국의 배우 [[임성재]].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문현아]].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MC [[이현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명찬]].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선지효]]. (~ [[2015년]])
** 일본의 성우 [[카네코 유키 (성우)|카네코 유키]].
* [[1월 20일]] - 미국의 배우 [[에번 피터스]].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배지현]].
* [[1월 23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압둘라 알마유프]].
** 불가리아의 가수, 배우 [[안드레아 (불가리아의 가수)|안드레아]].
* [[1월 24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 [[와타리 와타루]].
* [[1월 25일]]
** 러시아의 테니스 선수 [[마리아 키릴렌코]].
** 프랑스의 배우 [[하프시아 헤르지]].
* [[1월 26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세바스티안 조빈코]].
* [[1월 27일]] -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선신]].
** 대한민국의 가수 [[마이진 (1986년)|마이진]].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슬 (1987년)|이슬]].
** 대한민국의 기타연주가 이인규.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소현 (배우)|권소현]].
** 미국의 야구 선수 [[호세 아브레유]].
* [[1월 30일]] -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아르다 투란]].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유은]].
** 대한민국의 가수 [[황인선]].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이지혜.
** 알제리의 축구 선수 [[압델무멘 자부]].
=== 2월 ===
* [[2월 1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주세페 로시]].
**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론다 라우시]].
** 일본의 성우 [[이자와 시오리]].
* [[2월 2일]]
** 중국의 가수 겸 배우 [[빅토리아 (가수)|빅토리아]] ([[F(x)]]).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제라르드 피케]].
* [[2월 3일]] - 대한민국의 화가 김선웅.
* [[2월 4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윤하.
* [[2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양동원]]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변형태]].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정민경 (1987년)|정민경]].
* [[2월 6일]]
** 일본의 배우 [[이치하라 하야토]].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리사 달크비스트]].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카인 (프로게이머)|카인]].
* [[2월 7일]]
** 일본의 방송인 [[아키바 리에]].
** 스웨덴의 축구 선수 [[구스타브 스벤손]].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지영 (1987년 2월)|박지영]].
* [[2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철순]] ([[전북 현대 모터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구본범]].
** 이탈리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롤리나 코스트너]].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해준]].
* [[2월 9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이센스]] ([[슈프림 팀]]).
** 미국의 배우 [[마이클 B. 조던]].
** 일본의 그라비아 아이돌 출신의 배우 [[토다 레이]].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시원 (가수)|시원]] ([[슈퍼주니어]]).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전예희]].
** 중국의 피아니스트 [[유자 왕]].
** 대한민국의 수학강사 [[현우진]].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재춘 (프로게이머)|김재춘]].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황리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호세 카예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안토넬리]].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보름]].
** 일본의 성우 [[타노 아사미]].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최슬기 (레이싱 모델)|최슬기]].
* [[2월 14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에딘손 카바니]].
** 일본의 성우 [[타카모리 나츠미]].
* [[2월 15일]] - 일본의 성우 [[아사쿠라 아즈미]].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스무살 (가수)|스무살]].
** 일본의 배우 [[카시이 유우]].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보람]] ([[씨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천세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황선일]].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스케이트 선수 [[성시백 (쇼트트랙 선수)|성시백]].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아영]].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허이재]].
* [[2월 20일]]
** 미국의 배우 [[마일스 텔러]].
** 대한민국의 배우 [[김수아 (1987년)|김수아]].
* [[2월 21일]]
** 캐나다의 배우 [[엘리엇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전상욱 (프로게이머)|전상욱]].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이슬기 (씨름 선수)|이슬기]].
** 대한민국의 배우 [[한효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세르히오 로메로]].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자 겸 아나운서 [[오현주 (기자)|오현주]].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김규종]] ([[SS501]]).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박형민]].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수영 (희극인)|김수영]].
** 일본의 배우 [[히라마키 진]].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강영준]].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테데스키]].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정 (야구 선수)|최정]] ([[SSG 랜더스]]).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황가히]].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안토니오 칸드레바]].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지민 (레이싱 모델)|김지민]].
=== 3월 ===
* [[3월 1일]]
** 미국의 가수 [[케샤]].
** 대한민국의 가수 [[김그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동길 (야구 선수)|김동길]].
** 캐나다의 프로레슬링 선수 [[카일 오라일리]].
* [[3월 3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정현 (1987년)|이정현]].
* [[3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원에스더]].
** 대한민국의 가수 [[이시현 (가수)|이시현]].
* [[3월 5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윤채영]].
* [[3월 6일]]
** 가나의 축구 선수 [[케빈프린스 보아텡]].
** 잉글랜드의 배우 [[해나 테일러고든]].
* [[3월 7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벤 아르파]].
** 대한민국의 작가 [[정진호 (작가)|정진호]].
* [[3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창호 (야구 선수)|이창호]].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현 (1987년)|김성현]].
* [[3월 10일]]
** 중국의 배우 [[유시시]].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현 (배우)|김주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민병헌]].
** 대한민국의 피트니스 모델 [[레이 양]].
* [[3월 11일]]
** 미국의 래퍼 [[오케이션]].
** 일본의 라이트노벨 작가 [[나가츠키 탓페이]].
**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현 (가수)|김태현]].
* [[3월 12일]] - 일본의 가수 [[토사카 히로오미]].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이코 ([[JJCC]]).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호승 (바둑 기사)|이호승]].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안드레아스 베크]].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서반석]].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김승현 (공무원)|김승현]].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지유]].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용석]].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신보라]].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정찬성]].
** 미국의 아이스하키 선수 [[보비 라이언]].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이세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신광훈]] ([[강원 FC]]).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마우로 사라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창호]].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가브리엘 메르카도]].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이주연 (1987년)|주연]].
** 미국의 전 프로레슬러 [[AJ 리]].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세미나]].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조 (축구 선수)|조]].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이가나 (골프 선수)|이가나]].
**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KBS]] [[강병수 (기자)]]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경호.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성유미]].
** 인도의 배우 [[캉가나 라나우트]].
** 대한민국의 가수 [[강남 (가수)|강남]].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정환 (1987년)|김정환]].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정민 (배우)|박정민]].
** 대한민국의 래퍼 [[넉살]].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하미리스]].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나희경]].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
** 대한민국의 배우 [[강기둥]].
**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오다 노부나리 (피겨스케이팅 선수)|오다 노부나리]].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이나 (1987년)|윤이나]].
** 대한민국의 배우 [[한지우 (배우)|한지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범모 (야구인)|정범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재완 (축구 선수)|박재완]]. (~[[2016년]])
** 일본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YUI (가수)|YUI]].
**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 [[마이클 스위프트]].
** 노르웨이의 가수 [[투지 (가수)|투지]].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신영록 (1987년)|신영록]].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버스터 포지]].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임동혁 (프로게이머)|임동혁]].
** 러시아의 가수, 배우, 모델 [[폴리나 가가리나]].
** 베네수엘라의 펜싱 선수 [[프란시스코 리마르도]].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가은.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이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윤석 (야구인)|최윤석]].
** 대한민국의 가수 [[정혜린 (가수)|정혜린]].
** 미국의 포로노 배우 [[캐그니 린 카터]]. (~[[2024년]])
* [[3월 29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디미트리 파예트]].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권영준 (펜싱 선수)|권영준]].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업인 [[데이비드 용]]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균상]].
** 대한민국의 모델 [[김원중]].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지연]].
=== 4월 ===
* [[4월 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민영 (축구 선수)|박민영]].
* [[4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박정민 (가수)|박정민]] ([[SS501]]).
** 대한민국의 성우 [[김도영 (성우)|김도영]].
** 대한민국의 배우 [[하준]].
** 미국의 야구 선수 [[제이 브루스]].
* [[4월 4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이주형 (수영 선수)|이주형]].
** 독일의 축구 선수 [[사미 케디라]].
* [[4월 5일]]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여호수아 (육상 선수)|여호수아]].
* [[4월 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나승현 (야구인)|나승현]].
* [[4월 7일]] - 푸에르토리코의 배우 [[이스마엘 크루스 코르도바]].
* [[4월 8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로이스톤 드렌테]].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혜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의도]].
* [[4월 9일]]
** 미국의 가수 및 배우 [[제시 매카트니]].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블레즈 마튀디]].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소희]].
** 미국의 가수 및 배우 [[제시 매카트니]].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블레즈 마튀디]].
** 대한민국의 교사 [[손효미]].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박재혁 (프로게이머)|박재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준혁 (축구 선수)|박준혁]]([[전남 드래곤즈]]).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재성]].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민서희]].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정 (아나운서)|김정]].
* [[4월 12일]] - 미국의 가수 [[브랜든 유리]].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대성 (가수)|최대성]].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은진 (배우)|하은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정수 (1987년)|이정수]].
* [[4월 15일]]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가수 [[Iyaz]].
* [[4월 16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런 레넌]].
** 체코의 축구 선수 [[마르틴 페닌]].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구새봄]].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정아 (가수)|이정아]].
** 모로코의 축구 선수 [[메디 베나티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리광혁]]
** 일본의 만화가 [[사노 나미]]. (~[[2023년]])
* [[4월 18일]]
** 영국의 모델, 배우 [[로지 헌팅턴화이틀리]].
** 오스트레일리아의 싱어송라이터 [[서맨사 제이드]].
* [[4월 19일]]
** 러시아의 테니스 선수 [[마리아 샤라포바]].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 하트]].
**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후퍼]].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채윤]].
** 대한민국의 배우 [[천우희]].
** 뉴질랜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헤이든 패든]].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지영 (희극인)|김지영]].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박미라 (핸드볼 선수)|박미라]].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광수 (가수)|광수]] ([[초신성 (음악 그룹)|초신성]]).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존 오비 미켈]].
** 대한민국의 희극인 [[정은선]].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다비드 루이스]].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지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준영]].
** 독일의 축구 선수 [[제르다어 타스치]].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얀 페르통언]].
** 대한민국의 배우 [[이주영 (1987년)|이주영]].
* [[4월 25일]] - 한국계 미국인 가수 [[박재범]].
* [[4월 26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코케 (1987년)|코케]].
**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 [[바호디르 파르다예프]].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페이 (가수)|페이]] ([[Miss A]]).
** 일본의 배우 [[스즈키 안]].
** 잉글랜드의 배우 [[윌리엄 모즐리]].
**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 지도자 [[최승민 (e스포츠인)|최승민]].
* [[4월 28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조란 토시치]].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승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영민]].
** 인도의 배우, 모델 [[서맨사 아키네니]].
** 덴마크의 배우, 모델 [[스테파니 코르넬리우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브래들리 존슨]].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금해나]].
** 대한민국의 청각장애인 작가 [[노선영 (작가)|노선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기주]].
** 독일의 축구 선수 [[올자이 샤한]]
** 대한민국의 성우 [[황창영]].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마치.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지현 (아나운서)|이지현]].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유튜버 [[이시강]].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레오나르도 보누치]].
* [[5월 2일]]
** 이스라엘의 축구 선수 [[토메르 헤메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정호]].
* [[5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헌 (배우)|김정헌]].
* [[5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상훈 (1987년)|이상훈]].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세스크 파브레가스]].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샘]] ([[나인뮤지스]]).
** 대한민국의 배우 [[전보미]].
** 러시아의 레슬링 선수 [[예카테리나 부키나]].
** 대한민국의 배우 [[박로사]].
* [[5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문근영]].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장윤희 (미스코리아)|장윤희]].
** 벨기에의 축구 선수 [[드리스 메르턴스]].
* [[5월 7일]] - 일본의 아나운서 [[콘노 아사미]].
* [[5월 8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민수아]].
** 일본의 축구 선수 [[오카다 유세이]].
* [[5월 9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유림 (성우)|김유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상호 (1987년)|이상호]]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케뱅 가메이로]].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서효원]].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슬옹]] ([[2AM]]).
** 대한민국의 성우 [[최현수 (성우)|최현수]].
** 일본의 축구 선수 [[마키노 도모아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기태 (1987년)|김기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민 (1987년)|김성민]].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세진 (희극인)|이세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정락]].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장혜진 (양궁 선수)|장혜진]].
** 미국의 배우, 싱어송라이터 [[캔디스 아콜라]].
* [[5월 14일]]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아리 프레이르 스쿨라손]].
* [[5월 15일]]
** 영국의 테니스 선수 [[앤디 머레이]].
** 대한민국의 인라인스케이트 선수 [[궉채이]].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보미 (1987년)|김보미]].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린다 셈브란트]].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한채이]].
* [[5월 17일]] - 인도의 배우 [[차르미 카우르]].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수진 (바둑 기사)|김수진]].
**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 [[김상우 (1987년)|김상우]].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조 브룩스]].
* [[5월 19일]] - 잉글랜드의 배우 [[린지 코커]].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오세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하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기원 (축구 선수)|윤기원]]. (~[[2011년]])
** 대한민국의 배우 [[현서]].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슬아 (배우)|이슬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민 (1987년)|이종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민 (1985년)|김성민]].
* [[5월 22일]]
** 세르비아의 테니스 선수 [[노바크 조코비치]].
** 칠레의 축구 선수 [[아르투로 비달]].
** 일본의 성우, 가수 [[에구치 타쿠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형선]].
* [[5월 23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배우 [[브레이 와이엇]]. (~[[2023년]])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정훈 (1987년)|김정훈]].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혁민]].
** 벨기에의 배우 [[데보라 프랑수아]].
* [[5월 25일]] - 미국의 가수, 음악 프로듀서 [[차 차 말론]].
* [[5월 26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올자이 샤한]].
** 대한민국의 성우 [[황창영]].
* [[5월 27일]] - 체코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마르티나 사블리코바]].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지혜 (트로트 가수)|지혜]].
** 일본의 성우 [[후치가미 마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경인]].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시은 (1987년)|김시은]].
** 대한민국의 배우 [[임세미]].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상도 (사격 선수)|김상도]].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소요]].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뮤지컬 배우 이슬기.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차우찬]] ([[LG 트윈스]]).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야나기나기]].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양윤진]].
* [[6월 2일]] - 스웨덴의 가수 [[다린 잔야르]].
* [[6월 3일]]
** 일본의 배우 [[나가사와 마사미]].
** 대한민국의 배우 [[한지은 (배우)|한지은]].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이한 (가수)|정이한]].
* [[6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선민 (가수)|선민]].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의지]] ([[NC 다이노스]]).
* [[6월 6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카시우 하무스]].
* [[6월 7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다니엘스 (영화 감독)|다니엘 샤이너트]].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리포터 박세희.
* [[6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세현]].
* [[6월 10일]]
** 한국계 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클라라주미강]].
** 대한민국의 가수, 유튜버 [[J.Fla]].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진희.
** 독일의 축구 선수 [[곤살로 카스트로]].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 [[이승훈 (프로게이머)|이승훈]].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덕환]].
** 호주의 배우, 모델 [[애비 리 커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지우 (축구 선수)|지우]].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연극배우 [[박현수 (1987년)|박현수]].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모 (가수)|성모]] ([[초신성 (음악 그룹)|초신성]]).
** 미국의 야구 선수 [[조쉬 린드블럼]].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최한빛]].
** 미국의 가수 [[다이애나 디가모]].
* [[6월 17일]]
** 일본의 전(前) 가수, 방송인 [[쯔지 노조미]].
** 미국의 힙합 가수 [[켄드릭 라마]].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사훈]].
** 터키의 영화 배우 [[에즈기 아사롤루]].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영 (1987년 6월)|김주영]].
** 일본의 성우 [[타무라 무츠미]].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하현정]].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수지 (배구 선수)|김수지]].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려욱]] ([[슈퍼주니어]]).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시연]].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오연서]].
** 대한민국의 배우 [[이민호 (1987년)|이민호]].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민재 (농구 선수)|이민재]].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예슬]].
** 잉글랜드의 배우 [[에드워드 홀크로프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민 (1987년)|김동민]].
** 프랑스의 농구 선수 [[난도 드 콜로]].
* [[6월 24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리오넬 메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종진 (1987년)|박종진]].
** 일본의 축구 선수 [[모리타 신지]].
** 일본의 가수 [[LiSA]].
** 잉글랜드의 다이빙 선수 [[니컬러스 로빈슨 베이커]].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배장호]].
** 네덜란드의 음악 그룹 [[W&W]]의 멤버 [[빌럼 판 하너헴 (1987년)|빌럼 판 하너헴]].
** 일본의 가수 [[후지가야 다이스케]] ([[Kis-My-Ft2]]).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고인규]].
** 일본의 만화가 [[나모리]].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이동훈 (피겨스케이팅 선수)|이동훈]].
* [[6월 26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사미르 나스리]].
** 대한민국의 배우 [[정하윤]].
** 그리스의 축구 선수 [[파나요티스 코네]].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은혜]].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김지선 (컬링 선수)|김지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수진 (축구 선수)|최수진]].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재섭 (정치인)|김재섭]].
* [[6월 29일]]
** 일본의 배우 [[사이토 야스카]].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김성민 (유도 선수)|김성민]].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서보배]].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재현]].
** 대한민국의 배우 [[연제욱]].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정혜림 (육상 선수)|정혜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일권 (희극인)|김일권]].
* [[7월 2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에스테반 그라네로]].
** 일본의 배우 [[야마노우치 메이비]].
* [[7월 3일]]
** 독일의 자동차 경주 선수 [[제바스티안 페텔]].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장윤석 (희극인)|장윤석]].
* [[7월 4일]] - 대한민국의 조정 선수 [[신은철 (조정 선수)|신은철]].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지창욱]].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현]].
* [[7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우진 (1987년)|조우진]].
* [[7월 8일]] - 러시아의 모델 [[블라다 로슬랴코바]].
* [[7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해우]].
** 대한민국의 배우, 희극인 [[민채은]].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성수 (축구 선수)|황성수]].
** 러시아의 축구 선수 [[안나 코즈니코바]].
* [[7월 11일]]
** 일본의 가수, 배우 [[카토 시게아키]]([[NEWS (음악 그룹)|NEWS]]).
** 대한민국의 전 배우 [[박지영 (1987년)|박지영]].
** 일본의 가수, 배우, 소설가 [[카토 시게아키]].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직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조현준 (프로게이머)|조현준]].
** 대한민국의 작곡가 이현진.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지혁]] ([[초신성 (음악 그룹)|초신성]]).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백정현]].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경은 (농구 선수)|이경은]].
* [[7월 14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애덤 존슨 (축구 선수)|애덤 존슨]].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박해나]].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주영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수일]].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 벨기에의 축구 선수 [[무사 뎀벨레]].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선.
** 일본의 카누 선수 [[하네다 다쿠야]].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훈 (야구 선수)|정훈]].
* [[7월 19일]]
** 미국의 격투기 선수 [[존 존스]].
** 한국계 미국인 모델,가수 [[김 디에나]].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경아]].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지휘자 [[진솔 (지휘자)|진솔]].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당구 선수 [[차유람]].
** 독일의 축구 감독 [[율리안 나겔스만]].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이스 구스타부]].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서태훈]].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우왁굳]].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오성 (축구 선수)|권오성]].
* [[7월 25일]]
** 이스라엘의 축구 선수 [[에란 자하비]].
** 대한민국의 배우 [[한수아 (1987년)|한수아]].
** 중국의 가수 [[Alan (가수)|Alan]].
* [[7월 27일]]
** 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 [[마레크 함시크]].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고아리 (가수)|고아리]].
* [[7월 28일]]
** 대한민국 야구 선수 [[황재균]]([[Kt 위즈|KT 위즈]]).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혜지 (아나운서)|김혜지]].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박소영]].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페드로 로드리게스 레데스마]].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원주 (가수)|김원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현 (1987년 7월 29일)|김진현]].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뮤지컬 배우 [[박시환 (가수)|박시환]].
** 일본의 유튜버 [[SEIKIN]].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연극배우 이슬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원종현]].
** 미국의 축구 선수 [[마이클 브래들리 (축구 선수)|마이클 브래들리]].
=== 8월 ===
* [[8월 1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캐런 카니]].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이아고 아스파스]].
* [[8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형준 (1987년)|김형준]]([[SS501]]).
** 대한민국의 가수 [[혜진이]].
* [[8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선민 (가수)|선민]].
* [[8월 5일]] - 러시아의 레슬링 선수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
* [[8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연주]].
* [[8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세현 (야구인)|김세현]].
* [[8월 8일]]
** 중국의 배우 [[장위치]].
** 스코틀랜드의 배우 [[케이티 렁]].
* [[8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준석 (가수)|하준석]].
* [[8월 10일]]
** 일본의 성우 [[아카사키 치나츠]].
** 대한민국의 작곡가, 가수 [[단디 (작곡가)|단디]].
* [[8월 11일]] - 일본의 성우, 가수 [[아오이 쇼타]].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송진형]].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연경]].
** 대한민국의 배우 [[한지완]].
* [[8월 16일]] - 일본의 성우 [[키타무라 에리]].
* [[8월 18일]]
** 방글라데시의 배우 [[바비 (배우)|바비]].
**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임지현.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무용가 김선영.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 [[박정욱 (프로게이머)|박정욱]].
* [[8월 20일]] - 피지의 축구 선수 [[로이 크리슈나]].
* [[8월 21일]]
** 미국의 배우, 래퍼 [[김기범 (1987년)|기범]]([[슈퍼주니어]]).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 [[김태훈 (프로게이머)|김태훈]].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연.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 [[원종서]].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영구 (바둑 기사)|이영구]].
** 영국 웨일스의 배우 [[알렉산드라 로치]].
* [[8월 24일]]
** 벨기에의 방송인 [[줄리안 퀸타르트]].
** 일본의 양궁 선수 [[하야카와 렌]].
* [[8월 25일]]
** 미국의 배우 [[블레이크 라이블리]].
** 중국의 배우 [[유역비]].
** 대한민국의 방송인 [[윤지오]].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은가은]].
** 대한민국의 배우 [[이범훈]].
** 대한민국의 안무가, 댄서 [[허니제이]].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천민희]].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주희 (1987년)|박주희]].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시원 (배우)|이시원]].
** 독일의 정치인 [[이예원 (정치인)|이예원]].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차오루]] ([[피에스타]]).
** 미국의 배우 [[조해나 브래디]].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박시현 (레이싱 모델)|박시현]].
** 대한민국의 가수 [[성유빈 (가수)|성유빈]].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소라 (배구 선수)|이소라]]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 미국의 야구 선수 [[션 오설리반]].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지 (가수)|이지]].
* [[9월 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군]].
**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스콧 모이어]].
* [[9월 3일]]
** 일본의 성우 [[카야노 아이]].
** 대한민국의 기업인 [[강성진 (기업인)|강성진]].
* [[9월 4일]] - 대한민국의 쌍둥이 가수 [[량현량하]].
* [[9월 5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한상길]].
** 대한민국의 배우 [[김윤배 (배우)|김윤배]].
** 미국의 야구 선수 [[스콧 반스]].
* [[9월 7일]]
** 미국의 배우 [[에번 레이철 우드]].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정은 (1987년생 농구 선수)|김정은]].
* [[9월 8일]]
** 미국의 래퍼 [[위즈 칼리파]].
** 대한민국의 희극인 [[오주은 (희극인)|오주은]].
** 미국의 배우 [[레이 피셔]].
* [[9월 9일]]
** 대한민국의 격투기 선수 [[강경호 (격투기 선수)|강경호]].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일우]].
** 카메룬의 축구 선수 [[알렉상드르 송]].
** 이집트의 축구 선수 [[아흐메드 엘모하마디]].
** 미국의 소년 [[니컬러스 그린]]. (~[[1994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HAM (음악 그룹)|효니]] ([[HAM (음악 그룹)|HAM]]).
* [[9월 11일]] - 일본의 유도 선수 [[마쓰모토 가오리]].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래퍼 [[빈지노]].
* [[9월 13일]]
** 캐나다의 가수 [[G.NA]].
** 일본의 성우 [[카야노 아이]].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염윤아]].
* [[9월 14일]] - 캄보디아의 가수 [[아옥 소쿤깐냐]].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다희 (레이싱 모델)|이다희]].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수환 (1987년)|정수환]].
**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카일 래퍼티]].
* [[9월 17일]] - 일본의 성우 [[타츠미 유이코]].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유민규]].
* [[9월 19일]]
** 미국의 배우 [[대니엘 패너베이커]].
** 대한민국의 가수, 모델 [[정재경]].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가인]] ([[브라운 아이드 걸스]]).
** 러시아의 레슬링 선수 [[빌랼 마호프]].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람 (가수)|람]].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다니엘 가르시아 로드리게스]].
** 일본의 댄서 [[ELLY]].
** 미국의 배우 [[라이언 거즈먼]].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모델, 디자이너 [[강승현]].
** 잉글랜드의 배우 [[톰 펠튼]].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비올라 (가수)|비올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유다연]].
* [[9월 2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박성철 (축구 선수)|박성철]].
** 대한민국의 가수 지훈.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김해나 (가수)|김해나]].
* [[9월 26일]]
** 이란의 보디빌더 [[하디 추판]].
**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장근석]].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영 (1987년)|김주영]].
* [[9월 28일]]
** 미국의 배우, 가수 [[힐러리 더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카를루스 아드리아누 지 소우사 크루스]]. ([[FC 서울]])
** 미국의 야구 선수 [[제리 샌즈]].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수민]].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원]].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현정 (희극인)|이현정]].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주원 (아나운서)|이주원]].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루다.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새롬]].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지혜]].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류세라]] ([[나인뮤지스]]).
** 대한민국의 가수 [[요아리]].
* [[10월 4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쇼크로스]].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소연 (1987년)|소연]].
** 대한민국의 가수 [[황인주]].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은채]].
** 대한민국의 배우 [[최유라 (1987년)|최유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보람 (축구 선수)|황보람]].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음악프로듀서 [[정한솔]].
* [[10월 8일]]
** 일본의 성우 [[히라노 아야]].
** 일본의 배우 [[나카무라 유이치 (배우)|나카무라 유이치]].
** 이탈리아의 쇼트트랙 선수 [[니콜라스 빈]].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진아 ([[쉬즈]]).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배병우 (프로게이머)|배병우]].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이선영.
** 대한민국의 가수 [[모카 (가수)|모카]].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준 (1987년)|권준]].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아 (1987년)|김진아]].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코타.
** 대한민국의 가수 [[차수빈]].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은영.
** 에스토니아의 랠리 선수 [[오트 태나크]].
* [[10월 16일]]
** 미국의 가수 [[스테파니 (대한민국의 가수)|스테파니]]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승호]] ([[엠블랙]]).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혜연]].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천보영]].
** 필리핀의 배우, 가수, 모델 [[베아 알론소]].
* [[10월 18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잭 에프론]].
* [[10월 19일]] - 일본의 배우 [[키무라 후미노]].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록키스|썬]] ([[록키스]]).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성진 (1987년)|김성진]].
* [[10월 21일]]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축구 선수 [[아넬레 응콩카]]. (~[[2020년]])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소영 (방송인)|김소영]].
** 대한민국의 배우 [[박하선]].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서인국]].
** 대한민국의 성우 [[이새벽]].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백가영]].
** 대한민국의 팝페라 가수 [[박정훈 (가수)|박정훈]].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화가 이수빈.
* [[10월 25일]]
** 일본의 배우 [[와타나베 시호]].
** 미국의 모델, 방송인 [[크리스 존슨 (모델)|크리스 존슨]].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여행, 유튜버 [[빠니보틀]].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남경민 (배우)|남경민]].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최나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영글]].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정은 (1987년생 농구 선수)|김정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혜성 (1987년)|김혜성]].
** 스웨덴의 싱어송라이터 [[토베 로]].
** 일본의 가수 [[오가와 마코토]].
* [[10월 30일]]
** 일본의 성우 [[우치야마 유미]].
** 프랑스의 배우, 모델 [[파비앙 코르비노]].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미 (성우)|장미]].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야마이코 나바로]].
** 대한민국의 성우 [[민아 (성우)|민아]].
=== 11월 ===
* [[11월 1일]]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시환]].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명운 (축구 선수)|김명운]].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하태균]] ([[강릉시청 축구단|강릉시청]]).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현철 (야구 선수)|신현철]].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정주희]].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미소]].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코트니 바넷]].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T.O.P]] ([[빅뱅 (음악 그룹)|빅뱅]]).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한규종]].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건일]] ([[초신성 (음악 그룹)|초신성]]).
** 대한민국의 배우 [[경수진]].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방송연예인 [[성은채]].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현우. ([[딕펑스]])
** 대한민국의 가수 [[지오]]. ([[엠블랙]])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테니스 선수 [[아나 이바노비치]].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신소연]].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수정 (1987년)|이수정]].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광은]].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홍성현]].
** 미국의 괌 출신 배우, 댄서, 치어리더 [[브리트니 벨]].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최희진.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지안]].
** 일본의 가수, 배우 [[테고시 유야]] ([[NEWS (음악 그룹)|NEWS]]).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봅슬레이 선수 [[김동현 (봅슬레이 선수)|김동현]].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 (바이올리니스트)|김수연]].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아나운서 [[박지영 (아나운서)|박지영]].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진보라]].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이진주 (음악가)|이진주]].
* [[11월 18일]]
** 미국의 배우 [[제이크 에이블]].
** 대한민국의 배우 [[윤박]].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은별]].
** 대한민국의 성우 [[이다슬]].
** 일본의 성우, 가수 [[하라다 히토미]].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원 (1987년)|김혜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백청훈]] ([[LG 트윈스]]).
** 미국의 배우 [[서맨사 푸터먼]].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윤준상]].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재신]].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하윤 (아나운서)|이하윤]].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손재범]].
* [[11월 22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마루안 펠라이니]].
** 대한민국의 배우 [[안용준]].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마재윤]].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변천사]].
** 중화권의 의료인 [[옌리멍]].
* [[11월 24일]] - 노르웨이의 배우 [[레나테 레인스베]].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 국악인, 전 아나운서 [[윤태진 (방송인)|윤태진]].
** 대한민국의 필드하키 선수 [[안효주]].
**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 [[오딜 아흐메도프]].
* [[11월 27일]] - 멕시코의 태권도 선수 [[마리아 에스피노사]].
* [[11월 28일]] - 영국의 배우 [[캐런 길런]].
* [[11월 29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잔드로 바그너]].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민정 (1987년)|김민정]].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카누 선수 [[신진아]].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수진 (1987년)|박수진]] ([[HAM (음악 그룹)|HAM]]).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최광근]].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손선영]].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병선 (희극인)|김병선]].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유진]].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석 (배우)|이정석]].
** 대한민국의 만화가 세리.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방송인 [[고정아]].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찬수 (프로게이머)|박찬수]], [[박명수 (프로게이머)|박명수]].
** 미국의 가수 [[에런 카터]]. (~[[2022년]])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마술사 최현준.
** 미국의 야구 선수 [[카일 드래벡]].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어경준]].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곤살로 이과인]].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원 (1987년)|김예원]].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 [[신상우 (아이스하키 선수)|신상우]].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경아]].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형우]].
* [[12월 16일]] - 일본의 성우 [[카네모토 히사코]].
* [[12월 18일]]
** 일본의 가수 [[아야카 (가수)|아야카]].
** 일본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안도 미키]].
** 일본의 배우 [[후루카와 유우키]].
** 대한민국의 시인 [[한용덕 (시인)|한용덕]].
* [[12월 19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카림 벤제마]].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달 (배우)|이달]].
** 일본의 성우 [[사와시로 치하루]].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피아노연주가 강지혜.
** 대한민국의 배우 [[심영은]].
* [[12월 22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에데르지투 안토니우 마세두 로페스]].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지현.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도상우]].
** 대한민국의 희극인 [[윤미숙]].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명기 (1987년)|이명기]].
** 대한민국의 가수 [[우이경]].
* [[12월 27일]]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니나 부르거]].
* [[12월 28일]] - 잉글랜드의 배우 [[해나 토인턴]].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홍준.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쌍둥이 배우 [[한기원]], [[한기웅 (1987년)|한기웅]].
** 대한민국의 배우 [[전성우]].
=== 미상 ===
* 오스트레일리아의 싱어송라이터 [[재스민 레이]].
* 잉글랜드의 배우 [[리안 스틸]].
* 대한민국의 성악가 [[조민웅]]. (~[[2024년]])
* 대한민국의 가수 [[라엘 (가수)|라엘]].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방송인 박소은.
* 대한민국의 변호사 [[박수형]].
== 사망 ==
[[파일:Andy Warhol by Jack Mitchell.jpg|섬네일|120px|앤디 워홀]]
[[파일:Danny Kaye 2.jpg|섬네일|120px|대니 케이]]
{{분류 참고|1987년 사망}}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 열사 [[박종철]]. ([[1964년]]~)
* [[1월 22일]] - 미국의 정치인 [[R. 버드 드와이어]] ([[1939년]]~)
* [[2월 22일]] - 미국의 미술가 [[앤디 워홀]]. ([[1928년]]~)
* [[2월 27일]] - 일본의 영화 감독 [[카메이 후미오]]. ([[1908년]]~)
* [[3월 3일]] - 미국의 배우 [[대니 케이]]. ([[1911년]]~)
* [[4월 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기동 (희극인)|이기동]]. ([[1935년]]~)
* [[4월 15일]] - 일본의 배우 [[하츠네 레이코]]. ([[1908년]]~)
* [[6월 13일]] - 미국의 배우 [[제럴딘 페이지]]. ([[1924년]]~)
* [[6월 22일]] - 미국의 배우, 댄서 [[프레드 아스테어]]. ([[1899년]]~)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 열사 [[이한열]]. ([[1966년]]~)
* [[8월 7일]] - 일본의 정치인·총리 대신 [[기시 노부스케]]. ([[1896년]]~)
* [[8월 17일]] - 나치 독일의 정치인 [[루돌프 헤스]]. ([[1894년]]~)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노동자 이석규. ([[1966년]]~)
* [[8월 26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존 휴스턴]]. ([[1906년]]~)
* [[8월 29일]] - 미국의 영화배우 [[리 마빈]]. ([[1924년]]~)
* [[9월 4일]] - 영국의 영화 감독 [[리처드 마퀀드]]. ([[1937년]]~)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재하]]. ([[1962년]]~)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병철]]. ([[1910년]]~)
* [[11월 25일]] - 미국의 정치인 [[해럴드 워싱턴]]. ([[1922년]]~)
* [[12월 1일]] - 미국의 극작가 [[제임스 볼드윈]]. ([[1924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로버트 솔로]]
* '''문학상''': [[조지프 브로드스키]]
* '''물리학상''':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J. 게오르그 베드노르츠]], [[칼 알렉산더 뮐러]]
* '''생리학 및 의학상''': [[도네가와 스스무]]
* '''평화상''': [[오스카르 아리아스|오스카 아리아스 산체스]]
* '''화학상''': [[도널드 크램]], [[장마리 렌]], [[찰스 페더슨]]
== 달력 ==
{{연간달력|1987}}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임인]] || 대 || [[1월 29일]] || [[무인 (간지)|무인]]
|-
| [[음력 2월|2월]] || [[계묘]] || 소 || [[2월 28일]] || [[무신 (간지)|무신]]
|-
| [[음력 3월|3월]] || [[갑진]] || 대 || [[3월 29일]] || [[정축]]
|-
| [[음력 4월|4월]] || [[을사]] || 대 || [[4월 28일]] || [[정미]]
|-
| [[음력 5월|5월]] || [[병오]] || 소 || [[5월 28일]] || [[정축]]
|-
| [[음력 6월|6월]] || [[정미]] || 대 || [[6월 26일]] || [[병오]]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6월 || || 소 || [[7월 26일]] || [[병자]]
|-
| [[음력 7월|7월]] || [[무신 (간지)|무신]] || 대 || [[8월 24일]] || [[을사]]
|-
| [[음력 8월|8월]] || [[기유]] || 대 || [[9월 23일]] || [[을해]]
|-
| [[음력 9월|9월]] || [[경술]] || 소 || [[10월 23일]] || [[을사]]
|-
| [[음력 10월|10월]] || [[신해]] || 대 || [[11월 21일]] || [[갑술]]
|-
| [[음력 11월|11월]] || [[임자]] || 소 || [[12월 21일]] || [[갑진]]
|-
| [[음력 12월|12월]] || [[계축]] || 대 || [[1988년]] [[1월 19일]] || [[계유]]
|}
{{전거 통제}}
[[분류:1987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80}}
{{기년법|1980}}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 사건 ==
* [[1월 23일]] - [[카터 독트린]] 선언
* [[2월 4일]] - [[아볼하산 바니사드르]]의 이란 대통령 임기 시작
* [[2월 16일]] -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에서 [[일식]] 관찰절도
* [[3월 24일]] - [[엘살바도르]] 대주교 [[오스카르 아르눌포 로메로]] 암살됨
* [[4월 18일]] - [[짐바브웨]] 독립
* [[4월 21일]]
** [[사북 사건]] 시작
** [[경부선]] [[부산 덕포동 화물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
* [[5월 17일]] -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세력, 집권 시나리오(K-공작계획)에 따라 내각에 비상계엄 전국확대 강요, 비상계엄령이 전국으로 확대됨에 따라 모든대학이 휴교령이 내려졌다.
* [[5월 18일]] -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전남대 공수부대와 첫 충돌 가톨릭센터 전남대 집결 데모 경찰과 대치 최루탄 발사하며 해산
* [[5월 20일]] - 5·18 광주 민주화운동; 신군부의 강압적인 계엄 확대 조치에 대한 반발로 [[신현확]] 국무총리를 비롯한 내각 총사퇴
* [[5월 24일]]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사형이 집행됨
* [[5월 27일]] - [[광주 민주화운동]]이 전두환 신군부 세력에 의해 완전히 진압됨.
* [[5월 30일]]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약칭 "국보위") 설치
* [[7월 30일]]
** 대한민국, 7·30 교육 개혁 조치를 발표하고 과외금지조치를 시행하였다.
** [[바누아투]] 독립
* [[8월 1일]] - 대한민국,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신원기록 일제정리와 연좌제 폐지 결정 발표
* [[8월 4일]] - [[삼청계획]] 발표.
* [[8월 13일]] - [[대한민국]], [[김영삼]] [[신민당 (1967년)|신민당]] 총재, 정계은퇴 발표
* [[8월 14일]] -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김대중 등 재야인사 24명의 내란음모혐의에 대한 첫 재판 열림.
* [[8월 16일]] - [[최규하]] 대통령, 대규모 학생 소요와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10대 대통령에서 하야.
* [[8월 19일]]
** [[대한민국]], 국보위, 사학 쇄신책 발표.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 항공 163편 화재 사고|사우디아라비아항공 163편 사고]]가 발생, 탑승객 301명 전원이 사망하다.
* [[8월 21일]] - [[대한민국 국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전두환]]을 국가원수로 추대키로 결의
* [[8월 22일]] - [[대한민국]], 신군부 실권자 [[전두환]], 대장으로 전역
* [[8월 25일]] - [[짐바브웨]], [[유엔]] 가입
* [[8월 27일]] - [[전두환]] 대통령이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제11대 대통령 선거]]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의 간접선거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8월 28일]] - [[대한민국]], 계엄사, 5월 17일 내렸던 전국 대학 휴교령을 107일만에 해제
* [[8월 31일]] - [[폴란드]] [[자유노조]] `연대'(Solidarity), [[레흐 바웬사]] 주도로 설립
* [[9월 1일]] - [[전두환]] 대통령이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 [[9월 2일]] - [[전두환]] 대통령, [[남덕우]](南悳祐) 총리를 중심으로 한 새 내각 구성
* [[9월 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휴전선]] 11개 지역에서 대남비방방송 재개
* [[9월 16일]]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유엔 가입
* [[9월 17일]] -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계엄사 보통군법회의, 야당지도자 [[김대중]]에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내란음모 혐의]]로 사형선고.
* [[9월 22일]] -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하여 [[이라크·이란 전쟁]]이 시작되었다. 국경지대 유전 장악을 둘러싼 전쟁이었다.
* [[9월 29일]] -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헌법개정안(제8차개헌안) 공고
* [[10월 10일]]
** [[조선로동당 제6차당대회]]
** [[1980년 엘아스남 지진]]
* [[10월 17일]] - [[충북선]] 복선화로 인해 [[미호역]], [[정하역]], [[정봉역 (청주)|정봉역]] 폐역. [[청주역]]~[[서청주역]]구간은 [[서청주선]]이라는 지선으로 남음
* [[10월 14일]] - [[유엔]] 특별총회, [[아프가니스탄]] 주둔 [[붉은군대|소련군]] 철수결의안 가결
* [[10월 27일]]
** [[대한민국]] 제8 차 개정 헌법(이른바 제5 공화국 헌법)이 공포되었다.
** [[10·27 법난]]
* [[11월 6일]] - [[조치훈]], 일본 바둑 명인위 획득
* [[11월 14일]] - 정부, [[1980년 언론 통폐합|언론통폐합]] 조치 발표.
* [[11월 19일]] - [[대한항공 015편 착륙 사고]]
* [[11월 30일]] - 정부의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신문, 방송, 통신사들이 통폐합되었다. [[동양방송]](TBC) 및 [[동아방송]](DBS)등 폐국.
* [[12월 8일]] - 미국 뉴욕시에서 [[마크 채프먼]]이 [[존 레논]]을 암살하였다.
== 문화 ==
* [[1월 30일]] - [[부산대교]]이 개통되었다.
* 2월 - [[63빌딩]]이 착공되었다.
* [[2월 14일]] - [[1980년 동계 올림픽]]이 {{국기나라|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개막하였다.
* [[2월 23일]] - [[1980년 동계 올림픽]]이 폐막하였다.
* [[4월 14일]] - [[동양방송]] 여의도 본사 개관.
* [[7월 1일]] - 이용태박사, [[삼보 컴퓨터]] 설립.
* [[7월 7일]] - [[미스 유니버스]] [[서울]] 대회 개최.
* [[7월 19일]] - [[1980년 하계 올림픽]]이 {{국기나라|소련}} [[모스크바]]에서 개막하였다.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한 항의표시로 대거 보이콧하였다.
* [[8월 2일]] - 컬러TV 대한민국 내 시판 개시.
* [[8월 3일]] - [[1980년 하계 올림픽]]이 폐막하였다.
* [[8월 11일]] - [[조오련]]이 [[대한해협]]을 수영으로 건너는 데 성공하다.
* [[9월 4일]] -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전국의 호화묘지 모두 정리키로 결정 발표.
* [[9월 5일]] - 대한민국 문교부, 대학교육시안으로 졸업정원제 채택.
* [[9월 11일]] - 대한민국,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 창립.
* [[9월 16일]] - [[LG전자|금성사]](현 LG전자), 대한민국 최초로 [[태국]]과 TV생산기술 수출계약 체결.
* [[9월 19일]] - 대한민국과 프랑스, 어업협정 체결.
* [[9월 23일]] - 노량진 육교가 준공되다.([[2015년]]에 철거됨)
* [[10월 8일]] - [[번영로 (부산)|번영로]] 도시고속도로가 문현램프~구서분기점 15.7 km 개통하다.
* [[10월 12일]] - 대한민국 [[제주도]]의 하멜 기념비 제막.
* [[10월 15일]] - [[경주시]] ~ [[포항시]]를 연결하는 국도의 4차선 확장 공사가 완료되다.
* [[10월 3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신설동]]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구간을 개통하다.
* [[11월 9일]] - [[한국방송공사]]의 [[KBS TV]](현 [[KBS 1TV]])에서 [[전국노래자랑]]이 방송을 시작하다.
* [[11월 12일]] - [[이홍우]]가 작가한 《[[나대로 선생]]》이 [[동아일보]]에 연재 시작하다.
* [[11월 24일]] - [[KBS 2TV]] 시험방송을 개시를 하다.
* [[11월 30일]] - [[동양방송]](TBC), [[동아방송]](DBS)이 폐국되어 [[한국방송공사|KBS]]에 흡수되다.
* [[12월 1일]] - [[KBS 1TV|KBS TV]]에서 컬러방송을 실시하였다. 지상파 다채널방송 [[KBS 2TV]]가 개국하였으며, KBS TV의 채널명을 [[KBS 1TV]]로 변경되었다. [[KBS 제2FM]]이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를 했다.
* [[12월 19일]] - [[연합뉴스|연합통신]] 창립.
* [[12월 22일]] - [[KBS 2TV]]와 [[MBC TV]]가 컬러 방송을 개시.
== 탄생 ==
{{분류 참고|1980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다현 (배우)|김다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재훈 (1980년)|정재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광재 (축구 선수)|이광재]].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상욱 (1980년)|김상욱]].
* [[1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선옥.
* [[1월 3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리포터 [[윤형빈]].
** 대한민국의 성우 [[이동훈 (성우)|이동훈]].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커트 바일]].
* [[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육중완]].
** 미국의 배우, 성우 [[그레그 사이프스]].
* [[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정선]].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황현준 (1980년)|황현준]].
** 독일의 축구 선수 [[제바스티안 다이슬러]].
* [[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시은 (1980년)|박시은]].
* [[1월 7일]] - 대한민국의 코스어 [[체샤]].
* [[1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정수 (축구인)|이정수]].
** 잉글랜드의 배우, 가수 [[샘 라일리]].
* [[1월 9일]]
** 대한민국의 발레무용가 [[윤혜진]].
** 대한민국의 축구 심판 [[홍은아]].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영민 (1980년)|김영민]] ([[태사자 (음악 그룹)|태사자]]).
** 대한민국의 가수 [[박상훈 (1980년)|박상훈]].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지혜]] ([[샵 (음악 그룹)|샵]]).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진원.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원흠]] ([[노라조]]).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 기업인 [[김대기 (1980년)|김대기]].
** 일본의 배우 [[타마키 히로시]].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서진 (성우)|박서진]].
* [[1월 16일]]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앨버트 푸홀스]].
** 말리의 축구 선수 [[세이두 케이타]].
** 미국의 작곡가, 작사가, 배우 [[린마누엘 미란다]].
* [[1월 17일]] - 미국의 배우 [[조이 데이셔넬]].
* [[1월 18일]] - 미국의 배우, 음악가, 작가 [[제이슨 시걸]].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소라]].
** 영국의 레이싱 드라이버 [[젠슨 버튼]].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목진석]].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주세혁]].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정훈 (1980년)|김정훈]] ([[UN (음악 그룹)|UN]]).
* [[1월 21일]]
** 일본의 가수, 성우 [[미즈키 나나]].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이경원 (배드민턴 선수)|이경원]].
** 일본의 배우, 댄서 [[쿠로키 케이지]].
* [[1월 22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너선 우드게이트]].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민기.
* [[1월 24일]] - 쿠바의 유도 선수 [[요르다니스 아렌시비아]].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장자연]]. (~[[2009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차비 에르난데스]].
** 미국의 전 프로레슬링 선수 [[미셸 매쿨]].
* [[1월 26일]] - 일본의 성우 [[코바야시 사나에]].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동준 (1980년)|이동준]].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리 (배우)|이유리]].
** 대한민국의 배우 [[장소연 (배우)|장소연]].
** 일본의 축구 선수 [[엔도 야스히토]].
** 일본의 성우 [[키무라 마도카]].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댄서, 배우 [[닉 카터]].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용욱.
* [[1월 30일]] - 미국의 가수, 배우 [[리나 홀]].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심이영]].
=== 2월 ===
* [[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전인혁]].
** 대한민국의 가수 준.
* [[2월 3일]]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및 뮤지컬 배우 [[문혜원]].
* [[2월 4일]]
** 일본의 만화가 [[야부키 켄타로]].
** 대한민국의 배우 [[유정석]].
* [[2월 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희선]].
* [[2월 6일]]
** 일본의 성우 [[노토 마미코]].
** 일본의 작곡가 겸 음악 프로듀서 [[나카타 야스타카]].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줄라이 (가수)|줄라이]].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곽방방]].
* [[2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이정현 (1980년)|이정현]].
** 대한민국의 희극인 겸 MC [[김인석]].
* [[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은]].
** 대한민국의 성우 [[김상백]].
* [[2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쇼트트랙 선수 [[김동성]].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재우 (1980년)|이재우]].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에녹 (배우)|에녹]].
* [[2월 11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마크 브레시아노]].
* [[2월 12일]] - 미국의 배우 [[크리스티나 리치]].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우 (배우)|이상우]].
** 독일의 축구 선수 [[제바스티안 켈]].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일엽 (야구 선수)|김일엽]].
** 대한민국의 가수 [[리피트 (가수)|리피트]].
** 대한민국의 방송인, 아나운서 [[오상진]].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윤정]].
** 대한민국의 가수, 재즈 [[최현아]].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플로리스트 [[문정원 (플로리스트)|문정원]].
** 일본의 성우 [[엔도 아야]].
** 대한민국의 배우 [[홍은희]].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안무가 [[배윤정]].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민.
* [[2월 20일]]
** 일본의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 (성우)|나카무라 유이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웅 (1980년)|김진웅]].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진엘론머스크]]. (~[[2020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현곤]].
** 부탄의 국왕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성훈]] ([[젝스키스]]).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당구 선수 [[김경률 (당구 선수)|김경률]]. (~[[2015년]])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후니훈]].
** 대한민국 뮤지컬배우 겸 가수 [[리사 (대한민국의 가수)|리사]].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현욱 (바둑 기사)|이현욱]].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민수]]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
** 대한민국의 성우 [[사문영]].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바다 (가수)|바다]] ([[S.E.S.]]).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희웅 (배우)|장희웅]].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이화선]].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김건우 (육상 선수)|김건우]].
** 대한민국의 래퍼 [[비지 (가수)|비지]].
=== 3월 ===
* [[3월 1일]]
** 미국의 기업인 [[마크 테토]].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헌]].
** 대한민국의 가수 [[연규성]].
* [[3월 2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리벨 윌슨]].
* [[3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전우성 ([[노을 (음악 그룹)|노을]]).
** 미국의 배우 [[캐서린 워터스턴]].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다빈 (1980년)|정다빈]]. (~[[2007년]])
** 대한민국의 성우 [[김보영 (성우)|김보영]].
** 대한민국의 가수 [[주성원 (가수)|주성원]].
* [[3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찬형 (배우)|김찬형]].
** 대한민국의 배우 [[최종윤 (배우)|최종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하호정]].
* [[3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모세 (가수)|모세]].
** 대한민국의 배우 [[정강희]].
* [[3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은정]].
* [[3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권오준 (야구인)|권오준]].
** 미국의 배우 [[매슈 그레이 구블러]].
** 일본의 성우 [[오키츠 카즈유키]].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음악가 [[노래하는하니]].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리스트 이동훈.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남길]].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류재현 (가수)|류재현]]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
** 일본의 배우 [[아오키 무네타카]].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하나 (가수)|김하나]] ([[클레오]]).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래퍼 [[최자]] ([[CB 매스]], [[다이나믹 듀오]]).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송준근]].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경일]].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옥주현]] ([[핑클]]).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이진 (1980년)|이진]] ([[핑클]]).
** 대한민국의 배우 [[신현탁]].
** 캐나다의 가수 [[데릭 위블리]].
* [[3월 22일]] - 캐나다의 배우 [[캔디스 매클루어]].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신민정 (기상 캐스터)|신민정]].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기업가 [[김기웅 (1980년)|김기웅]]
* [[3월 26일]]
** 미국의 가수 [[손호영]] ([[god (음악 그룹)|god]]).
** 대한민국의 가수 [[Tori (가수)|Tori]].
* [[3월 27일]]
** 일본의 배우 [[아베 카오루]].
** 프랑스의 배우 [[니콜라 뒤보셸]].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승우]].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희]].
** 대한민국의 방송인 [[전제향]].
* [[3월 31일]] - 일본의 가수, 성우, 배우 [[사카모토 마아야]].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지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고동진]].
** 일본의 배우 [[다케우치 유코]]. (~[[2020년]])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랜디 오턴]].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하명지]].
* [[4월 2일]] - 멕시코의 전 축구 선수 [[카를로스 살시도]].
* [[4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공효진]].
* [[4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이재원 (가수)|이재원]] ([[H.O.T.]], [[JtL]]).
* [[4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한미리]].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영 (1980년)|김상현]].
** 일본의 영화 배우 [[다케자이 데루노스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영 (1980년)|김태영]].
** 일본의 배우 [[타마야마 테츠지]].
** 대한민국의 배우 [[승재]].
** 대한민국의 가수 [[진엑스]].
* [[4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요원]].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욱 (1980년)|김정욱]].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잉리 옐름세트]].
** 대한민국의 앵커 [[황남희]].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장경희 (희극인)|장경희]].
** 대한민국의 배우 [[이태규 (배우)|이태규]].
* [[4월 11일]]
** 일본의 축구 선수 [[다마다 게이지]].
** 미국의 야구 선수 [[마크 테세이라]].
* [[4월 12일]]
** 캐나다의 음악가 [[에릭 몽그레인]].
** 아일랜드의 가수 [[브라이언 맥패든]].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직 배우 [[고호경]].
** 미국의 성우 [[콜린 클링컨비어드]].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임정호 (1980년)|임정호]].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이나영 (방송인)|이나영]].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모]].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동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사율]].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선영 (1980년)|김선영]].
** 미국의 배우 [[니컬러스 다고스토]].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블레스 (가수)|노블레스]].
* [[4월 19일]]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히라마쓰 고헤이]].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광섭]].
* [[4월 21일]] - 일본의 성우 [[시모노 히로]].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민석]].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니콜라스 듀셰즈]].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토니 로모]].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민하 (성우)|이민하]].
* [[4월 25일]]
** 일본의 성우 [[모리나가 리카]].
** 일본의 야구 선수 [[다다노 가즈히토]].
* [[4월 26일]]
** 미국의 배우 [[채닝 테이텀]].
** 미국의 배우 [[조대나 브루스터]].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환]].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김정윤]].
** 일본의 배우 [[에구치 노리코]].
** 대한민국의 배우 [[차청화]].
** 대한민국의 배우 [[이창훈 (1980년)|이창훈]].
* [[4월 29일]] - 아일랜드의 가수 [[키안 이건]].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조은새]].
=== 5월 ===
* [[5월 1일]]
** 일본의 배우 [[이치카와 요스케]].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안영길 (바둑 기사)|안영길]].
* [[5월 2일]]
** 일본의 성우 [[사토 리나]].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김상기 (배구 선수)|김상기]].
* [[5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미주]].
** 대한민국의 법조 출신 정치인 [[정준호 (1980년)|정준호]].
* [[5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승효]].
** 이스라엘의 축구 선수 [[요시 베나윤]].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이정운 (1980년)|이정운]].
* [[5월 6일]]
** 미국의 가수 [[태빈]] ([[원타임 (음악 그룹)|원타임]]).
** 대한민국의 배우 [[송유하]].
** 중화민국의 야구 선수 [[장즈자]]. (~[[2024년]])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김남순]].
** 일본의 성우 [[나라 토오루]].
* [[5월 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석만]].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진배]].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지영 (배구 선수)|이지영]].
* [[5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현재 (배우)|조현재]].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무생]].
** 대한민국의 배우 [[조달환]].
** 러시아 출신 우즈베키스탄의 자전거 경기 선수 [[올가 자벨린스카야]].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정민 (1980년 5월)|이정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서우]].
** 영국의 정치인 [[리시 수낵]].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연석]] ([[클릭비]]).
** 대한민국의 가수 [[이재경 (1980년)|이재경]] ([[넬 (음악 그룹)|넬]]).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임준혁]]. (~[[2022년]])
** 체코의 축구 선수 [[즈데네크 그리게라]].
** 일본의 가수 [[하시모토 미유키]].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서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백승훈 (야구 선수)|백승훈]].
** 일본의 성우 [[사토 아케미 (성우)|사토 아케미]].
* [[5월 17일]] - 네덜란드의 격투가 [[알리스타이르 오버레임]].
* [[5월 18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디에고 페레스]].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준 (1980년)|김영준]].
** 일본의 축구 선수 [[사가 잇페이]].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 [[주영호]].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경호 (1980년)|정경호]].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차기주]].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다카바야시 유키]].
* [[5월 23일]]
** 그리스의 축구 선수 [[테오파니스 게카스]].
** 일본의 야구 선수 [[구보 유야 (야구 선수)|구보 유야]].
* [[5월 24일]] - 홍콩의 배우 [[장백지]].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성균 (배우)|김성균]].
** 대한민국의 배우 [[재희]].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미희]].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코치 노재현.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강일구 (희극인)|강일구]].
* [[5월 29일]]
** 일본의 성우 [[다카하시 미카코]].
** 대한민국계 미국인 야구 선수 [[백차승]].
** 대한민국의 배우 [[유병희 (배우)|유병희]].
* [[5월 30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스티븐 제라드]].
=== 6월 ===
* [[6월 2일]] - 미국의 전 축구 선수 [[애비 웜백]].
* [[6월 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상훈 (야구인)|한상훈]].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도 선수 [[안금애]].
* [[6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사봉]].
* [[6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김성민.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연예기획자 [[신현욱]].
* [[6월 9일]]
** 일본의 가수 [[사에구사 유카]].
** 일본의 성우 [[우에다 카나]].
** 대한민국의 배우 [[허동원]].
** 이란의 배우 [[나비드 아카반]].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광재 (축구 선수)|이광재]].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예원]].
** 대한민국의 가수 [[군조]].
** 대한민국의 배우 [[최동균 (배우)|최동균]].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유상무]].
** 대한민국의 희극인 [[심진화]].
** 대한민국의 배우 [[박효준 (배우)|박효준]].
** 우크라이나의 정치인, 내무부 장관 [[데니스 모나스티르스키]]. (~[[2023년]])
* [[6월 13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플로랑 말루다]].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염기정]].
* [[6월 17일]] - 미국의 테니스 선수 [[비너스 윌리엄스]].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종욱 (야구인)|이종욱]].
* [[6월 19일]] - 캐나다의 배우 [[로런 리 스미스]].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함재석]].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조현민 (희극인)|조현민]].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재정 (배우)|박재정]].
** 대한민국의 배우 [[박혜상 (1980년)|박혜상]]. (~[[2010년]])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 기자, 아나운서 [[전종환]].
** 미국의 배우, 음악가 [[제이슨 슈워츠먼]].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노우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성훈 (1980년)|정성훈]].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동균]].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승준]].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구성환]].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고지용]].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손승모]].
* [[7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대광]].
* [[7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반민정]].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전태풍]].
* [[7월 4일]]
** 일본의 성우 [[아라이 사토미]].
** 대한민국의 가수 [[진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최현주 (1980년)|최현주]].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경호]].
** 대한민국의 성우 [[안영아]].
** 미국의 작곡가, 기타리스트 [[제이슨 웨이드]].
* [[7월 6일]]
** 프랑스의 배우 [[에바 그린]].
** 미국의 배우이자 희극인, 작가, 감독 [[케빈 하트]].
* [[7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주은]].
** 대한민국의 배우 [[최영준 (배우)|최영준]].
** 중국계 미국인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 [[미셸 콴]].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배우 [[송형수]].
* [[7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빈 (가수)|루빈]].
**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로비 킨]].
* [[7월 10일]]
** 미국의 가수, 배우 [[제시카 심슨]].
** 미국의 배우 [[제임스 롤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택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수훈]].
** 미국의 배우, 가수 [[토머스 이언 니컬러스]].
* [[7월 12일]]
** 미국의 배우 [[크리스틴 코널리]].
** 대한민국의 무용가 [[김동규 (무용가)|김동규]].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한혜성]].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봉중근]].
** 핀란드의 배우, 기업인 [[야스페르 패쾨넨]].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장수원]].
** 미국의 포르노 배우, 모델 [[제시 제인]]. (~[[2024년]])
* [[7월 17일]] - 미국의 전 아이스하키 선수 [[라이언 밀러 (아이스하키 선수)|라이언 밀러]].
* [[7월 18일]]
** 일본의 가수, 배우 [[히로스에 료코]].
** 미국의 배우 [[크리스틴 벨]].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정철규]].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구]].
** 브라질의 모델 [[지젤 번천]].
* [[7월 22일]]
** 대한민국의 래퍼 [[타블로]] ([[에픽하이]]).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디르크 카윗]].
* [[7월 23일]]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이병헌 (영화 감독)|이병헌]].
**미국의 가수 [[미셸 윌리엄스 (가수)|미셸 윌리엄스]].
**일본의 만화가 [[엔도 타츠야]].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트랜스젠더, 방송인, 배우, 가수 [[이시연 (1980년)|이시연]].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차두리]].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동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진영 (1980년)|이진영]].
** 뉴질랜드의 정치인, 제40대 총리 [[저신다 아던]].
** 대한민국의 래퍼 [[지이]].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아사히 다이스케]].
* [[7월 27일]]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펠릭스 디아스 (야구 선수)|펠릭스 디아스]].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기세형]].
** 일본의 작곡가 [[카토 타츠야]].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성연 (성우)|김성연]].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꽃지]].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박태경 (육상 선수)|박태경]].
* [[7월 31일]] - 일본의 가수 [[아이우치 리나]].
=== 8월 ===
* [[8월 1일]] - 인도네시아의 배우, 가수 [[샤리니]].
* [[8월 3일]] - 캐나다의 배우 [[해나 시몬]].
* [[8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규한 (배우)|이규한]].
** 대한민국의 가수 [[정재원 (1980년)|정재원]] ([[넬 (밴드)|넬]]).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더 네임]].
* [[8월 5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웨인 브리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전 축구 선수 [[제이슨 쿨리나]].
* [[8월 6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로만 바이덴펠러]].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윤채]].
* [[8월 7일]] - 일본의 전직 축구 선수 [[마키 세이이치로]].
* [[8월 8일]] - 네덜란드의 야구 선수 [[디호마르 마크웰]].
* [[8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승범]].
* [[8월 12일]]
** 미국의 배우 [[도미니크 스웨인]].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홍인규]].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영욱 (1980년)|이영욱]].
** 대한민국의 배우 [[조성희 (1980년)|조성희]].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희극인, 방송인 [[백보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광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경철]].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석 (배우)|최민석]].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황보 (1980년)|황보]].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버네사 칼턴]].
* [[8월 17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다니엘 귀사]].
* [[8월 18일]]
** 러시아의 종합격투기 선수 [[세르게이 하리토노프]].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에스테반 캄비아소]].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지수 (1980년)|유지수]].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최민호 (유도 선수)|최민호]].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래퍼 [[전진 (가수)|전진]] ([[신화 (음악 그룹)|신화]]).
** 대한민국의 배우 [[손태영]].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현병수]].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나라]].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정보명]].
* [[8월 26일]] - 미국의 배우 [[매콜리 컬킨]].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최은희 (희극인)|최은희]].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인교진]].
** 대한민국의 가수 [[성훈 (가수)|성훈]].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배우 [[김연주 (배우)|김연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윤 (1980년)|김동윤]].
** 대한민국의 방송인 [[김태진 (방송인)|김태진]].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김태진 (방송인)|김태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세은 (배우)|이세은]].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재화 (배우)|김재화]].
** 잉글랜드의 배우 [[라라 펄버]].
* [[9월 2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장덕수 (배우)|장덕수]].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선영 (아나운서)|김선영]].
* [[9월 3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정경미 (희극인)|정경미]].
** 한국계 미국의 소설가 [[제니 한]].
* [[9월 4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임요환]].
** 대한민국의 의사 [[허양임]].
* [[9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기고]].
** 대한민국의 가수 [[반디 (가수)|반디]].
** 태국의 정치인 [[피타 림짜른랏]].
* [[9월 6일]]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조지프 요보]].
** 대한민국의 성우 [[정유미 (성우)|정유미]].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질리언 홀]].
* [[9월 7일]]
** 터키의 축구 선수 [[엠레 벨뢰졸루]].
** 이란의 축구 선수 [[자바드 네쿠남]].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가브리엘 밀리토]].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방송인 [[이종미]].
* [[9월 8일]] - 일본의 성우 [[카도와키 마이]].
* [[9월 9일]] - 미국의 배우 [[미셸 윌리엄스 (배우)|미셸 윌리엄스]].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작가 [[러브풀|이동훈]]. (~[[2007년]])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배우 [[박광재]].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모델 [[최나래 (1980년)|최나래]].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유세윤]].
** 중국의 농구 선수 [[야오밍]].
** 대한민국의 배우 [[한다감]].
** 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 [[김장환 (정치인)|김장환]].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기석]].
** 일본의 작곡가 [[사와노 히로유키]].
** 미국의 야구 선수 [[숀 버로스]]. (~[[2024년]])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채영]].
** 일본의 야구 선수 [[마쓰자카 다이스케]].
** 대한민국의 희극인 [[려명하]].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방송인 [[강현종]].
* [[9월 15일]]
**타이완의 가수 [[채의림]].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상화 (1980년)|이상화]].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허영란]].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희 (배우)|한희]].
* [[9월 18일]] - 잉글랜드의 배우 [[아딜 아크타르]].
* [[9월 20일]] - 미국의 배우 [[라이언 도노후]].
* [[9월 21일]]
** 인도의 배우 [[카리나 카푸르]].
** 대한민국의 군인 [[윤장호]].
* [[9월 22일]] - 스웨덴의 골프 선수 [[미카엘라 파름리드]].
* [[9월 24일]] - 노르웨이의 전 축구 선수 [[욘 아르네 리세]].
* [[9월 25일]]
** 미국의 래퍼 [[T.I.]].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환 (방송인)|김환]].
** 대한민국의 성우 [[조규준]].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준다이]].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태성]].
* [[9월 30일]]
** 스위스의 테니스 선수 [[마르티나 힝기스]].
** 일본의 성우, 배우 [[오가사와라 아리사]].
** 미국의 패션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
=== 10월 ===
* [[10월 1일]] - 일본의 배우 [[오타니 료헤이]].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채.
* [[10월 3일]] -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 크리스 리.
* [[10월 4일]]
** 체코의 축구 선수 [[토마시 로시츠키]].
** 일본의 성우 [[타카기 모토키]].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신봉선]].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지훈.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리.
* [[10월 11일]] - 일본의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유민]] ([[NRG (음악 그룹)|NRG]]).
* [[10월 13일]] - 미국의 가수 [[아샨티 (가수)|아샨티]].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트 선수 [[이규현 (피겨스케이팅 선수)|이규현]].
** 대한민국의 가수 [[문성훈]].
** 일본의 야구 선수 [[와타나베 나오토]].
** 헝가리의 유도 선수 [[운그바리 미클로시]].
** [[이혜민 (1980년)|이혜민]].
* [[10월 16일]] - 미국의 농구 선수 [[수 버드]].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김경수.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황현희]].
** 대한민국의 희극인 [[류정남]].
** 미국의 가수 [[조시 그라친]].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시헌 (야구인)|손시헌]].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호세 바티스타]].
* [[10월 20일]] - 미국의 배구 선수 [[라이언 오언스]].
* [[10월 21일]] - 미국의 방송인, 사교계 명사 [[킴 카다시안]].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지연수]].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명준 (성우)|김명준]].
* [[10월 24일]] - 일본의 전 배우, 모델 [[이토 아이코]].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나]].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강명구 (1980년)|강명구]].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장석현 (연예인)|장석현]] ([[샵 (음악 그룹)|샵]]).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변성철]].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켈빈 히메네스]].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진영 (아나운서)|유진영]].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찬우 (아나운서) |정찬우]].
**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 [[앨런 스미스 (1980년)|앨런 스미스]].
** 미국의 영화 감독 [[웨스 볼]].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지도자 [[박재현 (축구인)|박재현]].
** 미국의 배우 [[벤 포스터 (배우)|벤 포스터]].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미연 (희극인)|김미연]].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최홍만]].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출신 정치인 [[박보경 (1980년 10월)|박보경]].
=== 11월 ===
* [[11월 1일]] - 필리핀의 가수 니나.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호산]].
**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연 (1980년)|김소연]].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화배우 [[김지혜 (1980년)|김지혜]].
** 대한민국의 모델 [[송경아 (모델)|송경아]].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우준 (배우)|최우준]].
**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이안 (가수)|이안]].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이랑]].
** 독일의 축구 선수 [[크리스토프 메첼더]].
** 대한민국의 배우 [[정근 (배우)|정근]].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모델 겸 방송인, 싱어송라이터 [[장윤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손정은 (아나운서)|손정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인구 (야구인)|이인구]].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곽주섭]].
**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최지호]].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안영미 (성우)|안영미]].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정훈 (1980년)|이정훈]] ([[넬 (밴드)|넬]]).
* [[11월 12일]]
** 캐나다의 배우 [[라이언 고슬링]].
** 대한민국의 성우 [[류승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상현 (1980년)|김상현]].
* [[11월 13일]]
** 중국의 영화배우 송가.
** 프랑스의 유도 선수 [[뱅자맹 다르블레]].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윤택 (가수)|임윤택]] ([[울랄라 세션]]). (~[[2013년]])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준현 (희극인)|김준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대훈]].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진 (1980년)|김진]].
* [[11월 18일]]
** 일본의 가수, 배우 [[오카다 준이치]] ([[V6 (음악 그룹)|V6]]).
** 일본의 성우 [[치하라 미노리]].
** 대한민국의 작곡가 [[한상원]].
** 미국의 야구 선수 [[C. J. 윌슨]].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훈 (배우)|최재훈]].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소냐 (가수)|소냐]].
* [[11월 20일]] - 일본의 배우 [[코이케 에이코]].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장소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 레이싱 모델 [[오윤아]].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백대운]].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주앙 소아리스 다 모타 네투]].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겸 대학 교수 [[최지은 (경제학자)|최지은]].
* [[11월 23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조너선 파펠본]].
* [[11월 24일]]
** 미국의 전 프로레슬링 선수 [[베스 피닉스]].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소이 (1980년)|김소이]].
** 대한민국의 음악가 [[박주원 (음악가)|박주원]].
* [[11월 25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축구 선수 [[에런 모코에나]].
** 미국의 야구 선수 [[닉 스위셔]].
** 대한민국의 가수 [[각오빠]].
* [[11월 26일]]
** 일본의 가수 [[오노 사토시]] ([[아라시 (음악 그룹)|아라시]]).
** 대만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니키 리 (가수)|니키 리]].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대종]].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천정명]].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작가 [[조예현]].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커피 교육자, 기업인 [[한승재]].
* [[12월 2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마르코 엥엘하트]].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샬로트 롤린]].
* [[12월 3일]]
** 미국의 배우 [[애나 클럼스키]].
** 미국의 배우, 안무가 [[제나 디완]].
** 일본의 배우, 모델 [[단 미츠]].
* [[12월 6일]]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문용민 (야구 선수)|문용민]].
**일본의 아이돌 [[야스다 케이]].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인 (가수)|정인]].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서엘]].
** 대한민국의 배우 [[차현우]].
** 일본의 배우 [[타카하시 잇세이]].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미]].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방송인 [[서현진 (방송인)|서현진]].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이광호.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곽범.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성제]].
** 대한민국의 배우 [[백봉기]].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직 축구 선수 [[김종훈 (축구 선수)|김종훈]].
** 미국의 자동차 경주 선수 [[라이언 헌터레이]].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래퍼 [[빌스택스]].
** 미국의 가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래퍼 [[버벌진트]].
** 미국의 배우 [[제이크 질런홀]].
* [[12월 20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애슐리 콜]].
** 대한민국의 성우 [[최지훈 (성우)|최지훈]].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마르틴 데미첼리스]].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정희 (1980년)|윤정희]].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은주]]. (~[[2005년]])
** 대한민국의 요리사, 유튜버 [[정창욱]].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백수장]].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종완 (음악가)|김종완]] ([[넬 (밴드)|넬]]).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가희]].
** 일본의 배우 [[하시모토 레이카]].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정석]].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아뤼나 댕단]].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서원석]].
* [[12월 28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무라타 슈이치]].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영완 (배우)|최영완]].
** 독일의 유도 선수 [[이본 뵈니슈]].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모델 [[한윤희]].
=== 미상 ===
* 대한민국의 변호사, 사회학자 [[임재성]].
* 대한민국의 연구원 겸 발명가 [[정우덕]].
* 대한민국의 가수 [[연지연]].
* 미국의 작곡가, 영화 프로듀서 [[니컬러스 브리틀]].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김현지 (바이올리니스트)|김현지]].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주완 (1980년)|김주완]].
== 사망 ==
{{분류 참고|1980년 사망}}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곽상훈]]. (~[[1896년]])
* [[2월 20일]] - 미국의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딸 [[앨리스 루스벨트 롱워스]]. (~[[1884년]])
* [[3월 1일]] - 영국의 전 축구 선수 [[딕시 딘]]. (~[[1907년]])
* [[3월 6일]] - 대한민국의 군인 [[박흥주]]. (~[[1939년]])
* [[3월 31일]] - 미국의 육상 선수 [[제시 오언스]]. (~[[1913년]])
* [[4월 15일]] - 프랑스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 (~[[1905년]])
* [[4월 21일]] - 러시아의 생물학자, 생화학자 [[알렉산드르 오파린]]. (~[[1894년]])
* [[4월 25일]]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마리오 바바]]. (~[[1914년]])
* [[4월 29일]] - 영국의 영화감독 [[앨프리드 히치콕]]. (~[[1899년]])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재규]]. (~[[1924년]])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민주운동가 [[김의기]]. (~[[1959년]])
* [[6월 12일]] - 일본의 정치인, 총리 대신 [[오히라 마사요시]]. (~[[1910년]])
* [[7월 27일]] - 이란의 국왕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1919년]])
* [[9월 15일]] - 러시아의 과학자 [[미하일 라브렌티예프]]. (~[[1900년]])
* [[9월 16일]] - 스위스의 교육학자 [[장 피아제]]. (~[[1896년]])
* [[9월 25일]] - 영국의 대중음악가 [[존 보냄]]. (전 [[레드 제플린]]의 드러머) (~[[1948년]])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군인 [[송요찬]]. (~[[1918년]])
* [[10월 31일]] - 체코의 소설가 [[얀 베리흐]]. (~[[1905년]])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이흥렬]]. (~[[1909년]])
* [[12월 8일]] - 영국의 가수 [[존 레논]]. ([[비틀즈]]의 멤버) (~[[1940년]])
* [[12월 16일]] - 미국의 기업인 [[커널 샌더스]]. (~[[1890년]])
* [[12월 18일]] - 소련의 정치인 [[알렉세이 코시긴]]. (~[[1904년]])
* [[12월 24일]] - 독일의 군인 [[카를 되니츠]]. (~[[1891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 '''로런스 클라인
* '''문학상 : '''[[체스와프 미워시]]
* '''물리학상 : '''[[제임스 왓슨 크로닌]], [[발 록스던 피치]]
* '''생리의학상 : '''바루 베나세라프, 장 도세, 조지 데이비스 스넬
* '''평화상 :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 '''화학상 : '''폴 버그, 월터 길버트, [[프레더릭 생어]]
== 달력 ==
{{연간달력|1980}}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2월 16일]] || [[기미]]
|-
| [[음력 2월|2월]] || [[기묘]] || 소 || [[3월 17일]] || [[기축]]
|-
| [[음력 3월|3월]] || [[경진]] || 소 || [[4월 15일]] || [[무오]]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대 || [[5월 14일]] || [[정해]]
|-
| [[음력 5월|5월]] || [[임오]] || 소 || [[6월 13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6월|6월]] || [[계미]] || 대 || [[7월 12일]] || [[병술]]
|-
| [[음력 7월|7월]] || [[갑신]] || 소 || [[8월 11일]] || [[병진 (간지)|병진]]
|-
| [[음력 8월|8월]] || [[을유]] || 대 || [[9월 9일]] || [[을유]]
|-
| [[음력 9월|9월]] || [[병술]] || 대 || [[10월 9일]] || [[을묘]]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소 || [[11월 8일]] || [[을유]]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대 || [[12월 7일]] || [[갑인]]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981년]] [[1월 6일]] || [[갑신]]
|}
{{위키공용분류}}
{{전거 통제}}
[[분류:1980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64}}
{{기년법|1964}}
'''196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 사건 ==
* [[4월 26일]] - [[탄자니아]], [[유엔]] 가입.
* [[5월 21일]] - [[대한민국]], [[무장 공수단 군인들의 법원 난입 사건]] 발생.
* [[6월 3일]] - 한일국교 협상에 반대하는 [[6·3 항쟁]] 발발하여 서울시 일원에 비상계엄령이 선포되었다.
* [[7월 6일]] - [[말라위]]가 [[영국]]으로부터 독립.
* [[8월 2일]] - [[통킹 만 사건]]: [[북베트남]]의 어뢰정이 [[미국]] 구축함을 공격하다.
* [[8월 4일]] - [[한국의 베트남 파병|한국군의 월남 파병안]] 국회 통과.
* [[8월 24일]] -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중앙정보부]], [[통일혁명당 지하 간첩단 사건]] 수사 발표.
* [[9월 21일]] - [[몰타]] 독립.
* [[9월 22일]] - 대한민국 군사원조단 140명 최초로 [[베트남]] 도착.
* [[10월 16일]] - [[중화인민공화국]], 최초의 [[핵실험]] 실시.
* [[10월 24일]] - [[잠비아]] 독립.
* [[11월 19일]] - 프랑스의 시사주간지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첫 발간.
* [[12월 1일]] - [[말라위]], [[몰타]], [[잠비아]], [[유엔]] 가입.
== 문화 ==
* [[5월 9일]] - [[동양방송]] 라디오 개국.
* [[8월 17일]] - [[대한민국]], [[한국기자협회]] 창립.
* [[8월 19일]] - [[대한민국]], [[국제의원연맹]](IPU) 가입.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주간지 〈[[주간한국]]〉 창간.
* [[10월 1일]] - [[일본]]의 고속철도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 [[10월 10일]] ~ [[10월 24일]] - [[1964년 하계 올림픽|제18회 도쿄 올림픽]] 개최.
* [[11월 28일]] - [[매리너 4호]], [[화성]]으로 발사됨.
* [[12월 7일]] - [[동양방송]] 텔레비전 개국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실시.
* [[국제 형사 경찰 기구]]에 대한민국 가입.
== 탄생 ==
{{분류 참고|1964년 출생}}
=== 1월 ===
* [[1월 3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승문]].
* [[1월 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서원섭]].
* [[1월 6일]] - 미국의 레슬링 선수 [[재클린]].
* [[1월 7일]]
** 미국의 배우 [[니컬러스 케이지]].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박수영 (1964년)|박수영]].
* [[1월 12일]]
** 미국의 기업인 [[제프 베저스]].
** 대한민국의 성우 [[손선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성민 (가수)|홍성민]]. ([[2007년]]~)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충선]].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소진 (소설가)|김소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기정]].
** 미국 최초의 흑인 퍼스트 레이디 [[미셸 오바마]].
* [[1월 20일]]
** 미국의 언론인 [[파리드 자카리아]].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김준현 (축구인)|김준현]].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광석]]. (~[[1996년]])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기자 [[최효찬]].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준 (1964년)|이병준]].
**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 [[백현만]].
** 미국의 배우 [[브리짓 폰다]].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김태원 (야구인)|김태원]].
** 대한민국의 배우 [[박해미]].
* [[1월 31일]]
**일본의 정치인 [[마쓰이 이치로]].
**미국의 록 밴드, 기타리스트 [[제프 한네만]].
**일본의 배우 [[마야 미키]].
=== 2월 ===
* [[2월 3일]] - 일본의 만화가 [[타가메 겐고로]].
* [[2월 5일]] - 미국의 배우 [[로라 리니]].
* [[2월 6일]] - 러시아의 영화감독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 [[2월 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명연 (1964년)|김명연]].
* [[2월 9일]] - 스페인의 축구 감독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상헌]].
* [[2월 11일]]
** 미국의 정치가 [[세라 페일린]].
** 영국의 격투기 선수 [[켄 섐록]].
* [[2월 13일]] - 일본의 희극인 [[데가와 테츠로]].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원희룡]].
** 대한민국의 언론인 [[방문신]].
* [[2월 16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베베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진우 (야구인)|송진우]].
* [[2월 18일]] - 미국의 배우 [[맷 딜런]].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이수정 (심리학자)|이수정]].
* [[2월 20일]]
** 미국의 배우 [[윌리 가슨]]. (~[[2021년]])
** 대한민국의 학원인 [[삽자루]].
* [[2월 21일]] - 영국의 배우 [[에이드리언 실러]]. (~[[2024년]])
* [[2월 24일]]
** 이스라엘의 역사학 교수 [[유발 하라리]].
** 일본의 성우 [[나가사코 다카시]].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강기웅]].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영문 (1965년)|김영문]].
** 대한민국의 가수 [[민지 (가수)|민지]].
** 몰타의 축구 선수 [[카르멜 부수틸]].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길]].
=== 3월 ===
* [[3월 1일]] - 스페인의 축구 심판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
* [[3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백운규]].
* [[3월 3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켈리 라이카트]].
** 멕시코의 영화 배우 [[로라 해링]].
* [[3월 4일]] - 미국의 기업인 [[조너선 크래프트]].
* [[3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동기 (야구 선수)|김동기]].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이자]].
** 스페인의 축구 감독 [[호세 보르달라스]].
* [[3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태년 (1965년)|김태년]].
* [[3월 9일]]
** 프랑스의 배우 [[쥘리에트 비노슈]].
** 독일의 축구 심판 [[헤르베르트 판델]].
* [[3월 10일]]
**영국의 왕족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희진 (1964년)|이희진]].
**대한민국의 저널리스트 [[유용원]].
**대한민국의 정치인 [[송석준]].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경룡]].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신영철 (배구인)|신영철]].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고돈식]].
* [[3월 17일]] -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 [[리 딕슨]].
* [[3월 18일]]
** 일본의 성우 [[가나이 미카]].
** 일본의 작곡가 [[칸노 요코]].
* [[3월 19일]] - 일본의 작곡가 [[칸노 요코]].
* [[3월 21일]]
** 독일의 의사 [[그레고르 웨닝]]. (~[[2024년]])
** 이라크의 전 축구 선수 [[아메드 라디]].
** 일본의 소설가 [[에쿠니 가오리]].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교수 [[문단열]].
** 미국의 배우 [[호프 데이비스]].
* [[3월 2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레니 크래비츠]].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서승만]].
** 미국의 배우 [[아이언 지어링]].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민주열사 [[박종철]]. (~[[1987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이광종]]. (~[[2016년]])
* [[4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화가 [[강리나]].
* [[4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얼]]. (~[[2022년]])
* [[4월 7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러셀 크로]].
* [[4월 8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비즈 마키]]. (~[[2021년]])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신의진]].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철우 (1964년)|박철우]].
* [[4월 13일]] - 캐나다의 배우 [[캐럴라인 레아]].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허준호]].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통일부 장관 [[홍용표]].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김명순 (핸드볼 선수)|김명순]].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해설가 [[이용철 (야구인)|이용철]].
* [[4월 20일]]
** 영국의 배우 [[앤디 서키스]].
** 미국의 배우 [[크리스핀 글러버]].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도환]].
* [[4월 23일]] - 이란의 외무장관 [[호세인 아미르압돌라히안]]. (~[[2024년]])
* [[4월 24일]] - 미국의 배우 [[자이먼 운수]].
* [[4월 26일]] - 미국의 국방부 장관 [[마크 에스퍼]].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성동일]].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외과전문의 및 의학박사 [[김영우 (의사)|김영우]].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조계현]].
** 대한민국의 희극인, 리포터, 가수 [[김종하 (희극인)|김종하]].
* [[5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상민 (가수)|박상민]].
** 독일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질비아 나이트]].
* [[5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유승]].
** 대한민국의 배우 [[김승환 (배우)|김승환]].
* [[5월 5일]] - 일본의 성우 [[타카야마 미나미]].
* [[5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고은희]].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연철]].
* [[5월 8일]] - 러시아의 핸드볼 선수 [[바실리 쿠디노프]].
* [[5월 9일]]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싱어송라이터 [[한동준]].
**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박길라]]. (~[[1986년]])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최재형 (1964년)|최재형]].
** 프랑스의 배우 [[에마뉘엘 드보스]].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작곡가, 기타리스트 [[김도균 (음악가)|김도균]].
**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팀 블레이크 넬슨]].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송현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민 (1964년)|김종민]].
* [[5월 13일]]
** 미국의 희극인, 방송인 [[스티븐 콜베어]].
** 미국의 보디빌더 선수 [[로니 콜먼]].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용철]].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정명희 (농구인)|정명희]].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현권]].
* [[5월 18일]] - 일본의 성우, 배우 [[나리타 켄 (성우)|나리타 켄]].
* [[5월 20일]] - 일본의 정치인 [[겐바 고이치로]].
* [[5월 25일]] - 북아일랜드의 배우 [[레이 스티븐슨]]. (~[[2023년]])
* [[5월 2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레니 크래비츠]].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민석 (정치인)|김민석]].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황선숙]].
* [[5월 31일]] - 일본의 정치인 [[에다노 유키오]].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방송인 [[김자영 (방송인)|김자영]].
** 미국의 기업인 [[마크 타페닝]].
* [[6월 3일]] -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 베이시스트 [[카메다 세이지]].
* [[6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아미 (배우)|정아미]].
* [[6월 9일]]
** 미국의 기타리스트, 작곡가 [[닐 자자]].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윤갑근]].
** 일본의 배우 [[야쿠시마루 히로코]].
* [[6월 15일]]
** 덴마크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미카엘 라우드루프]].
** 미국의 배우 [[코트니 콕스]].
** 대한민국의 가수 [[류계영]].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혜훈]].
* [[6월 18일]] - [[사담 후세인]]의 장남 [[우다이 후세인]]. (~[[2003년]])
* [[6월 19일]]
** 영국의 총리 [[보리스 존슨]].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현 (1964년 6월)|박정현]].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세진]].
* [[6월 21일]] - 미국의 배우 [[데이비드 모리시]].
* [[6월 22일]]
** 일본의 배우 [[아베 히로시]].
** 미국의 소설가 [[댄 브라운]].
** 대한민국의 배우 [[배종옥]].
* [[6월 24일]] - 영국의 사업가 [[해미시 하딩]]. (~[[2023년]])
* [[6월 26일]]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톰미 매키넨]].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준규 (배우)|박준규]].
=== 7월 ===
* [[7월 1일]] - 일본의 성우 [[사토 치에]].
* [[7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선희 (성우)|이선희]].
* [[7월 3일]]
** 프랑스 태생의 미국 배우 [[야들리 스미스]].
** 미국의 영화 감독 [[페이턴 리드]].
** 일본의 성우 [[사쿠라이 토시하루]].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훈 (정치인)|김종훈]].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김지운 (영화 감독)|김지운]].
** 미국의 작곡가, 음악가 [[존 오트먼]].
* [[7월 7일]] - 일본의 배우 [[츠츠미 신이치]].
* [[7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정치인 [[전광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코트니 러브]].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잔루카 비알리]]. (~[[2023년]])
** 일본의 배우, 가수 [[카와이 카즈미]]. (~[[1997년]])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태원 (1964년)|서태원]].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성주 (정치인)|정석주]].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권미희.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승범]].
** 일본의 영화 감독 [[아오야마 신지]].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 감독 [[김종석 (1964년)|김종석]].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기자 [[황상무]].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정치인 [[백무현]]. (~[[2016년]])
** 미국의 농구 선수 [[테리사 에드워즈]].
* [[7월 20일]]
** 사운드가든, 오디오슬레이브 리드보컬 [[크리스 코넬]].
** 대한민국의 한의사 [[이광연 (한의사)|이광연]].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세바스티아노 로시]].
* [[7월 22일]] - 미국의 배우 [[데이비드 스페이드]].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초의원 [[박용운 (1964년)|박용운]].
* [[7월 24일]]
** 일본의 소설가 [[요시모토 바나나]].
** 미국의 야구 선수 [[배리 본즈]].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의원 [[김영진 (1964년)|김영진]].
** 미국의 배우 [[샌드라 불럭]].
* [[7월 28일]] - 일본의 성우 [[마도노 미츠아키]].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최호섭 (가수)|최호섭]].
* [[7월 30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위르겐 클린스만]].
** 영국의 헤리포터 작가 제이 케이 롤링.
* [[7월 31일]] - 네덜란드의 팝 가수 [[C. C. 캐치]].
=== 8월 ===
* [[8월 2일]] - 미국의 배우 [[메리루이즈 파커]].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백지연]].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윤영찬]].
* [[8월 8일]]
** 이탈리아의 정치인 [[주세페 콘테]].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각본가 [[요코타니 마사히로]].
** 오스트리이의 작가 [[클라우스 에브너]].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상열.
* [[8월 11일]] - 대한민국 태생의 미국 만화가 겸 기업가 [[짐 리]](한국 이름 이용철).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경응 (배우)|김경응]].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양영자]].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수현 (1964년)|박수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학재 (정치인)|이학재]].
** 대한민국의 기업인 [[변창흠]].
** 대한민국의 배우 [[한성식]].
* [[8월 15일]]
** 미국의 기업인 [[멀린다 게이츠]].
** 대한민국의 배우 [[정흥채]].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경희.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작가 [[최완규 (작가)|최완규]].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학재 (정치인)|이학재]].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준현]].
** 대한민국의 관료 출신 정치인 [[조인철 (1964년)|조인철]].
* [[8월 20일]]
** 미국의 전 프로레슬링 선수 [[토리 (여자 프로레슬링 선수)|토리]].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주세페 잔니니]].
* [[8월 22일]] - 일본의 정치인 [[모리 마사코 (정치인)|모리 마사코]].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정치인 [[권인숙]].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미연]].
=== 9월 ===
* [[9월 2일]] - 캐나다의 배우 [[키아누 리브스]].
* [[9월 4일]] - 독일의 베이스 가수 [[르네 파페]].
* [[9월 6일]] - 미국의 배우 [[로지 페레스]].
* [[9월 7일]]
** 스위스의 격투기 선수 [[앤디 훅]].
** 일본의 디스크자키, 음악 프로듀서 [[토와 테이]].
* [[9월 10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기업인 [[마윈]].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윤준]].
* [[9월 13일]] - 핀란드의 배우 [[카리 히에탈라흐티]].
* [[9월 15일]]
** 슬로바키아의 정치인 [[로베르트 피초]].
** 대한민국의 교육자 김태진.
* [[9월 16일]]
** 미국의 배우 [[몰리 섀넌]].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영석 (1964년)|서영석]].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광진 (1964년)|김광진]].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오연호]].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수현 (1964년)|박수현]].
** 페루의 사격선수 [[프란시스코 보사]].
* [[9월 20일]]
** 홍콩의 배우 [[장만옥]].
** 대한민국의 가수 [[조정현 (가수)|조정현]].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미화]].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룡]].
** 대한민국의 배우 [[최종환 (배우)|최종환]].
* [[9월 25일]] - 일본의 성우 [[이노우에 기쿠코]].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남경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원희 (1964년)|조원희]].
** 대한민국의 경찰 출신 정치인 [[임호선]].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호근 (배우)|정호근]].
* [[9월 30일]] - 이탈리아의 배우 [[모니카 벨루치]].
=== 10월 ===
* [[10월 3일]]
** 영국의 배우 [[클라이브 오언]].
** 아랍에미리트의 전 축구 선수 [[아드난 알 탈리아니]].
* [[10월 5일]] - 일본의 성우 [[후지와라 케이지]].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정화 (1964년)|조정화]].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샘 브라운 (가수)|샘 브라운]].
* [[10월 8일]] - 잉글랜드의 배우 [[이언 하트 (배우)|이언 하트]].
* [[10월 9일]] - 멕시코의 영화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진영 (1964년)|김진영]].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김진태 (1964년)|김진태]].
** 일본의 성우 [[오노사카 마사야]].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하윤경.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유나]].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태경 (배우)|박태경]]. (~[[2016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진욱 (1964년)|정진욱]].
** 미국의 정치인 [[카멀라 해리스]].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전재용]].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인숙.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미향]].
** 미국의 배우, 성우 [[데이비드 소볼로프]].
* [[10월 25일]] - 미국의 성우 [[케빈 마이클 리처드슨]].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심판 [[오석환]].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종 (배우)|김태종]].
* [[10월 29일]] - 잉글랜드의 모델 [[야스민 르 봉]].
* [[10월 31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마르코 판 바스턴]].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그림책작가 [[안영란]].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석규]].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현 (1964년 11월)|박정현]].
** 일본의 성우 [[미즈타니 유코]]. (~[[2016년]])
** 대한민국의 치과의사, 변호사, 정치인 [[전현희]].
* [[11월 5일]]
** 네덜란드의 배우 [[팜커 얀선]].
** 가나의 축구 선수 [[아베디 펠레]].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우석 (배우)|이우석]].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작가 [[한석원]].
* [[11월 10일]]
**대한민국의 의사, 수필가 [[박경철]].
**중국의 범죄자 [[가오청융]]. (~[[2019년]])
**대한민국의 전직 교수, 시사평론가 [[곽동수]].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영교]].
** 미국의 배우 [[캘리스타 플록하트]].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차명화]].
** 대한민국의 기자, 언론인 [[김성준 (기자)|김성준]].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대연]].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정학]].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임달식]].
** 프랑스의 배우 겸 영화 감독 [[발레리아 브루니 테데스키]].
** 캐나다의 재즈 피아노 연주자, 가수 [[다이애나 크롤]].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성 (배우)|최재성]].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경애]].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이철희 (1964년)|이철희]].
** 대한민국의 산악인 [[김홍빈 (산악인)|김홍빈]]. (~[[2021년]])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범호]].
** 대한민국의 가수 [[주병선]].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작가 [[박시백]].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왕진]].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이며 은퇴 정치가 [[황장수]].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재원 (1964년)|김재원]].
* [[11월 27일]]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병규 (정치인)|박병규]].
** 대한민국의 성우 [[장호비]].
* [[11월 29일]]
** 미국의 배우 [[돈 치들]].
** 미국의 가수, 작곡가 [[밀젠코 마티예비치]].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노유정]].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희정]].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살바토레 스킬라치]]. (~[[2024년]])
* [[12월 4일]] - 미국의 배우 [[머리사 토메이]].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박주봉]].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수영 (1964년)|김수영]].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재호 (1964년)|김재호]].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정훈]].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이형근 (역도 선수)|이형근]]. (~[[2022년]])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여태구]].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천문학자 [[이태형 (천문학자)|이태형]].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운성]].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경호 (1964년)|김경호]].
* [[12월 13일]]
** 일본의 음악가, 기타리스트 [[히데]].
** 독일의 축구 선수 [[디터 아일츠]].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상번 (가수)|이상번]].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이선희]].
* [[12월 18일]]
** 미국의 배우, 프로레슬링 선수 [[스티브 오스틴]].
** 부룬디의 정치인 [[피에르 은쿠룬지자]]. (~[[2020년]])
* [[12월 20일]] - 미국의 격투기 선수 [[마크 콜먼]].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내상]].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최해명]].
** 터키의 기업인 [[이을드름 데미뢰렌]].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오성 (배우)|권오성]].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다훈]].
=== 미상 ===
* 대한민국의 공무원 [[서철모 (1964년)|서철모]].
* 대한민국의 광학자 [[이병호]]. (~[[2022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정우 (바둑 기사)|김정우]].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도읍]].
* 대한민국의 의사, 가수 [[이선규 (의사, 가수)|이선규]].
* 대한민국의 기자 [[김주완 (1964년)|김주완]].
== 사망 ==
[[파일:MacArthur Manila.jpg|섬네일|120px|더글라스 맥아더]]
[[파일:Jnehru.jpg|섬네일|120px|자와할랄 네루]]
[[파일:Ian-Fleming-bronze-bust-by-sculptor-Anthony-Smith.jpg|섬네일|120px|이언 플레밍]]
[[파일:President Hoover portrait.jpg|섬네일|120px|허버트 후버]]
{{분류 참고|1964년 사망}}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김병로]]. (1887년~)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법린]]. (1899년~)
* [[4월 5일]] - 미국의 군인, 정치가가 [[더글러스 맥아더]]. (1880년~)
* [[4월 23일]] - 헝가리의 경제학자 [[칼 폴라니]]. (1886년~)
* [[5월 17일]] - 핀란드 및 구 소련의 정치인 [[오토 빌레 쿠시넨]]. (1881년~)
* [[5월 27일]] - 인도의 독립 운동가 겸 정치인 [[자와할랄 네루]]. (1889년~)
* [[6월 3일]] - 핀란드의 작가 [[프란스 에밀 실란패]]. (1888년~)
* [[8월 12일]] - 영국의 작가, 소설가 [[이언 플레밍]]. (1908년~)
* [[10월 20일]] - 미국의 제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 (1874년~)
* [[11월 12일]] - 스웨덴의 총리 [[리카르드 산들레르]]. (1884년~)
== 노벨상 ==
* '''문학상''': [[장 폴 사르트르]](수상거부)
* '''물리학상''': [[찰스 H. 타운스]], [[니콜라이 바소프|니콜라이 G. 바소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알렉산드로 M. 프로호로프]]
* '''생리학 및 의학상''': [[콘래드 블로흐]], [[페오도르 리넨]]
* '''평화상''': [[마틴 루터 킹 2세]]
* '''화학상''': [[도러시 호지킨|도로시 M.C. 호지킨]]
== 달력 ==
{{연간달력|1964}}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병인]] || 대 || [[2월 13일]] || [[임진]]
|-
| [[음력 2월|2월]] || [[정묘]] || 소 || [[3월 14일]] || [[임술]]
|-
| [[음력 3월|3월]] || [[무진]] || 대 || [[4월 12일]] || [[신묘]]
|-
| [[음력 4월|4월]] || [[기사 (간지)|기사]] || 소 || [[5월 12일]] || [[신유]]
|-
| [[음력 5월|5월]] || [[경오]] || 소 || [[6월 10일]] || [[경인]]
|-
| [[음력 6월|6월]] || [[신미 (간지)|신미]] || 대 || [[7월 9일]] || [[기미]]
|-
| [[음력 7월|7월]] || [[임신 (간지)|임신]] || 소 || [[8월 8일]] || [[기축]]
|-
| [[음력 8월|8월]] || [[계유]] || 대 || [[9월 6일]] || [[무오]]
|-
| [[음력 9월|9월]] || [[갑술]] || 소 || [[10월 6일]] || [[무자]]
|-
| [[음력 10월|10월]] || [[을해]] || 대 || [[11월 4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11월|11월]] || [[병자]] || 대 || [[12월 4일]] || [[정해]]
|-
| [[음력 12월|12월]] || [[정축]] || 대 || [[1965년]] [[1월 3일]] || [[정사 (간지)|정사]]
|}
{{전거 통제}}
[[분류:1964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0-10-6}}
{{좌표|37.939722|27.340833|name=에페소스|type:city|display=title|format=dms}}
[[파일:Ephesus Celsus Library Façade.jpg|섬네일|300px|에페소 도서관]]
'''에페소스'''({{llang|la|Ephesus}}, {{llang|el|Έφεσος}}, {{llang|tr|Efes}}, [[공동번역성서]]에서는 에페소, 한글 개역판에서는 에베소로 표기)는 서부 [[소아시아]]의 [[에게해]] 연안 (현재의 [[튀르키예]] [[셀추크]]) 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 의해 기원전 9세기에 건립된 식민도시다.
에페소스는 주변 도시 혹은 국가, [[스파르타]], [[페르시아 제국|페르시아]], [[페르가몬]], [[고대 로마사|로마]] 등의 흥망성쇠에 따라 식민지화 되는 역사로 얼룩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식민지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에페소스는 상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기원전 6세기에 건조된 웅대한 [[아르테미스 신전]]과 [[로마 제국]] 시대에 건조된 소아시아에서 가장 큰 로마식 [[건축물]]인 [[도미티아누스]] 신전 (기원후 1세기)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아르테미스는 [[기독교]]가 들어오기 전까지 에페소스인들에게 풍요와 생명의 여신으로 숭배받던 대상이어서, [[루가]]에 따르면 사도 바울로가 선교를 할 때 은으로 만든 신전모형을 팔던 상인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사도 바울로가 [[우상]]을 숭배하지 말자고 [[설교]]하여, 사람들이 신전모형을 더 이상 사지 않았기 때문이다.
에페소스는 기독교 초기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도시이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바울로]]가 전도와 사목을 한 [[교회]]중 하나가 에페소 교회였다. 또한 [[요한묵시록]]에 등장하는 [[소아시아 일곱 교회]] 중 하나가 에페소 교회일 정도로 1세기 [[기독교]] 역사에서 비중있는 곳이기도 하다. [[영국 성공회]]의 [[존 폭스]] 신부가 쓴 《[[폭스의 순교사|순교자]]》에 따르면 사도 성 바울로의 제자인 [[디모테오]]가 [[주교]]로 사목한 교회가 에페소 교회라고 한다.
== 같이 보기 ==
* [[네아에페소스]]
== 외부 링크 ==
* [https://web.archive.org/web/20130831204501/http://www.muze.gov.tr/ephesus-archaeological 공식 홈페이지]
{{고대 그리스}}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
{{튀르키예의 세계유산}}
{{전거 통제}}
[[분류:에페소스| ]]
[[분류:고대 그리스의 도시]]
[[분류:성도]]
[[분류:신약의 도시]]
[[분류:튀르키예의 유적]]
[[분류:튀르키예의 옛 취락]]
[[분류:튀르키예의 세계유산]]
[[분류:이즈미르주의 지리]]
[[분류:이즈미르주의 건축물]]
[[분류:이즈미르주의 관광지]]
[[분류:이즈미르주의 역사]]
[[분류:아테네인의 식민지]]
[[분류:이오니아]]
[[분류:아시아 속주]]
[[분류:기원전 10세기 설립]]
[[분류:튀르키예의 고대 그리스 유적]]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Georg-simon-ohm2.jpg|섬네일|200px|게오르크 지몬 옴]]
'''게오르크 지몬 옴'''({{llang|de|Georg Simon Ohm}}, 1789년 3월 16일 ~ 1854년 7월 6일)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옴의 법칙]]을 발견하여 [[전자기학]], 특히 [[회로 이론]]에 공헌하였다. 평생 교편을 잡았으며, 제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를 가르쳤다.
== 생애 ==
[[독일]] [[에를랑겐]]에서 대장장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자물쇠를 만들어왔기 때문에 옴 역시 어릴 때부터 아버지인 요한 볼프강 옴으로부터 대장장이 기술을 배웠다. 옴 역시 가업을 이어 자물쇠 제조공이 되었어야 했으나, 아버지인 요한 볼프강은 그를 학교에 보내 교육을 받게 하였다. 만 16세인 1805년부터 [[에를랑겐 대학교]]에서 수학, 물리, 철학을 전공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경제적인 문제로 1년 후에 학업을 쉬고 스위스의 고트슈타트 사립학교에서 수학교사로 취직하였다. 돈을 번 뒤에는 22세에 에를랑겐 대학교로 돌아와 1811년 빛과 색에 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얻었다. 이후 3학기 동안 모교에서 수학강사로 일했다.
1813년에는 [[밤베르크]]의 직업학교(Realschule)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817년부턴 [[쾰른]]의 예수회 김나지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가르쳤고, 1826년에는 베를린의 사관학교(Kriegsschule)에서 교관을 지냈다. 이 즈음 옴의 법칙을 담은 책을 발간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회로의 양극 사이의 어느 구간이든 그 구간의 [[기전력]]은 전류와 저항의 곱이라는 법칙을 제안하였고 이것이 받아들여져 옴의 법칙이 되었다.
1833년 [[뉘른베르크]]의 왕립 폴리테크닉 대학의 교수가 되었으며 1839년부터는 학장을 지냈다. 1849년엔 [[뮌헨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실험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1854년 7월 6일, 옴은 뮌헨에서 65세를 일기로 사망하여 지금까지도 뮌헨 구시가지 남부 공동묘지(Südfriedhof)에 묻혀있다.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Die galvanische Kette : mathematisch bearbeitet'' (''The Galvanic Circuit Investigated Mathematically'')
:Berlin : Riemann, 1827. - 245 S. : graph. Darst. [https://web.archive.org/web/20060619102047/http://www.mb.fh-nuernberg.de/bib/textarchiv/Ohm.Die_galvanische_Kette.pdf (PDF, 4.7 MB)]
{{과학자의 이름을 딴 단위}}
{{전거 통제}}
{{기본정렬:옴, 게오르크}}
[[분류:1789년 출생]]
[[분류:1854년 사망]]
[[분류:독일의 물리학자]]
[[분류:코플리 메달 수상자]]
[[분류:독일의 개신교도]]
[[분류:에를랑겐 출신]]
[[분류: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Infobox scientist
| name = 피에르 드 페르마
| 원어이름 = {{llang|fr|Pierre de Fermat}}
| image = Pierre de Fermat.jpg
| birth_date = {{출생일|1601|?|?|}}
| birth_place = 프랑스 왕국 [[타른에가론주]] 보몽드로마뉴({{llang|fr|Beaumont-de-Lomagne}})
| death_date = {{사망일|1665|1|12}}
| death_place = 프랑스 왕국 [[타른주]] 카스트르({{llang|fr|Castres}})
| nationality = 프랑스
| field = [[수학]], [[법학]]
| known_for = [[페르마 소정리]]<br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br /> [[페르마 두 제곱수 정리]]<br /> [[페르마 다각수 정리]]<br /> [[페르마 수]]<br /> [[페르마의 원리]]
}}
'''피에르 드 페르마'''({{llang|fr|Pierre de Fermat}}, {{IPA-fr|pjɛːʁ də fɛʁma}}, [[1607년|1601년]]<ref name=":0">{{웹 인용 |url=https://maa.org/press/periodicals/convergence/when-was-pierre-de-fermat-born |제목=When Was Pierre de Fermat Born? |저자=Friedrich Katscher |웹사이트=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확인날짜=2023-12-19 }}{{깨진 링크|url=https://maa.org/press/periodicals/convergence/when-was-pierre-de-fermat-born }}</ref> ~ [[1665년]] [[1월 12일]])는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이다. 페르마는 [[미적분학]]에서 이용되는 여러 방법을 창안하는 등 많은 연구 성과를 남겼다. 또 현대 [[정수론]]의 창시자로 알려졌고, 좌표기하학을 확립하는데 크게 이바지했으며, 데카르트 좌표를 도입하였다. 그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라는 정리를 증명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math>3</math>보다 큰 정수 <math>n</math>에 대하여 식 <math>x^n+y^n=z^n</math>을 만족하는 <math>0</math>이 아닌 정수해 <math>x, y, z</math>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페르마가 증명했다는 증거가 없어서, 수학자들은 그가 증명했다는 소문에 대하여 의문을 갖기도 한다.
== 생애 ==
[[1607년|1601년]] [[프랑스]] [[타른에가론주]] 보몽 드 로마뉴({{llang|fr|Beaumont-de-Lomagne}})에서 [[어쩔]]의 부영사이며, 피혁상을 하던 도미니크 페르마({{llang|fr|Dominique Fermat}})와 법의학자 가문의 딸이었던 클레르 드 롱({{llang|fr|Claire de Long}}) 사이에서 태어났다. 페르마의 가족은 2남 2녀를 두었다. 그의 어린 시절은 아무런 굴곡도 없는 평범한 시절이었다고 한다.
페르마는 [[1623년]] 오를레앙 대학교에 입학해서, [[1626년]] [[법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페르마는 [[프랑스어]]뿐만 아니라, [[라틴어]]·[[그리스어]]·[[이탈리아어]]·[[스페인어]]·[[오크어]]에 능통하였다. 이후 [[보르도]]로 이사하였고, 여기에서 [[페르게의 아폴로니오스|아폴로니오스]]의 [[논문]]을 접한 뒤, 취미로 [[수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아무리 뛰어난 증명을 해도, "[[언론]]의 각광을 받으니까 피곤하다"라는 이유로 절대 증명을 발표하지 않는 성격으로도 유명하다.
사실, 페르마의 친한 친구들의 증언에 따르면, 허세가 심한 성격이어서, 언론의 주목을 받기 위해 그랬다고 한다. 실제 페르마가 증명했다고 알려진 정리들 중, 페르마가 직관으로 발견하였지만, 증명하지 못한 정리들도 있다고 한다.
그는 책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책의 여백에다가 적어놓는 습관이 있었다고 한다.
[[1630년]] [[툴루즈]] 지방의 청원위원으로 취임했으며, 그 해에 외사촌 누이인 루이제 드 롱과 결혼해서 3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다. 그리고 [[귀족]] 지위의 표시로, 성에 "드"({{llang|fr|de}})를 추가하였다.
그는 생애의 34년을 국가를 위해서 봉사하다가, [[1665년]] [[1월 12일]] [[타른주]] 카스트로({{llang|fr|Castres}})에서 한 사건을 처리한 이틀 뒤에 5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주요 업적 ==
페르마의 [[수학]]에 대한 기여는 지인들과의 서신 교환(서로 내기 문제를 주고 받았던), [[디오판토스]]의 [[산술]]을 읽으면서 써넣은 짧은 글 등으로 한정된다. 그럼에도 그는 [[르네 데카르트]]와 함께 [[17세기]] 전반기의 두 주요 [[수학자]]로 불리고 있다. 데카르트의 발견과 독립적으로 페르마도 [[해석기하학]]의 방법을 발견했다고 한다. 또한 [[확률론]]을 확립시킨 [[블레즈 파스칼]]과 서신 교환을 통해서 이 분야에도 기여했다고 한다.
페르마의 이름이 붙은 개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페르마의 원리]]'''([[광학]]): 빛이 지나는 경로는 두 점을 잇는 경로 중, 지나는 시간을 가장 짧게 하는 경로를 택한다.
* '''[[페르마 소정리]]'''([[정수론]]): <math>p</math>가 소수일 때, {1, ..., p-1}의 원소인 모든 <math>a</math>에 대해 <math>a^{p-1} \equiv 1 \pmod p\qquad(a\ne0)</math>를 만족한다. [[독일]]의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에 의해 증명됐다.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math>n</math>이 <math>3</math>보다 큰 정수일 때, 방정식 <math>x^n+y^n=z^n</math>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math>x, y, z</math>는 존재하지 않는다. 357년 동안이나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가 [[1994년]] [[앤드루 와일스]]에 의해서 증명됐다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이름=사이먼|성=싱|기타=박병철 옮김|제목=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출판사=영림카디널|날짜=1998|isbn=89-85055-97-6|언어=en}}
* {{서적 인용|last=Singh|first=Simon|제목=Fermat's Last Theorem|publisher=Fourth Estate Ltd|날짜=1997|isbn=1-84115-791-0|언어=en}}
* {{서적 인용|성=Mahoney|이름=Michael Sean|title=The mathematical career of Pierre de Fermat, 1601–1665|publisher=Princeton University Press|날짜=1994|isbn=0-691-03666-7|언어=en}}
== 같이 보기 ==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앤드루 와일스]]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Pierre de Fermat}}
{{위키인용집}}
* {{맥튜터|id=Fermat|title=Pierre de Fermat|date=1996-12}}
{{전거 통제}}
{{기본정렬:페르마, 피에르 드}}
[[분류:1601년 출생]]
[[분류:1665년 사망]]
[[분류:프랑스의 수학자]]
[[분류:프랑스의 변호사]]
[[분류: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타른에가론주 출신]]
[[분류:옥시타니아인]]
[[분류:17세기 프랑스 사람]]
[[분류:17세기 수학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노름}}
[[선형대수학]] 및 [[함수해석학]]에서 '''노름 공간'''(norm空間, {{llang|en|normed space}})은 원소들에 일종의 ‘길이’ 또는 ‘크기’가 부여된 [[벡터 공간]]이다. 이러한 크기는 '''노름'''({{llang|en|norm|놈}})이라고 하며, [[삼각 부등식]]을 따라 [[거리 함수]]를 정의한다.
노름 공간의 정의에서, [[하우스도르프 공간|하우스도르프 조건]]을 생략하면 '''반노름 공간'''(半norm空間, {{llang|en|seminormed space}})의 개념을 얻는다. 즉, 노름이 0인 벡터는 영벡터 밖에 없지만, '''반노름'''(半norm, {{llang|en|seminorm}})이 0인 벡터는 영벡터가 아닐 수 있다.
삼각 부등식을 아래 부등식으로 변형하면 양의 실수 K에 대한 준노름이 된다.
<math>\|x + y\| \le K(\|x\| + \|y\|)</math>
== 정의 ==
<math>\mathbb K\in\{\mathbb R,\mathbb C\}</math>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 통상적 정의 ===
<math>\mathbb K</math>-[[벡터 공간]] <math>V</math> 위의 '''반노름'''은 다음 두 조건들을 만족하는 [[함수]]
:<math>\lVert\cdot\rVert\colon V\to[0,\infty)</math>
:<math>\lVert\cdot\rVert\colon v\mapsto\Vert v\Vert</math>
이다.<ref name="Rudin"/>{{rp|25, §1.33}}
* (양의 동차성) 임의의 <math>a\in K</math> 및 <math>v\in V</math>에 대하여, <math>\Vert av\Vert=|a|\Vert v\Vert</math>
* ([[삼각 부등식]]) 임의의 <math>u,v\in V</math>에 대하여, <math>\Vert u+v\Vert\le\Vert u\Vert+\Vert v\Vert</math>
반노름이 주어진 <Math>\mathbb K</math>-[[벡터 공간]] <math>(V,\lVert\cdot\rVert)</math>을 '''<math>\mathbb K</math>-반노름 공간'''이라고 한다.
<math>V</math> 위의 '''노름'''은 다음 조건을 추가로 만족하는 반노름 <math>\lVert\cdot\rVert</math>이다.<ref name="Rudin"/>{{rp|3–4, §1.2}}
* (양의 정부호성) 모든 <math>v\in V</math>에 대하여, <math>\Vert v\Vert=0</math>임은 <math>v=0</math>임과 [[동치]]이다.
노름이 주어진 <Math>\mathbb K</math>-[[벡터 공간]] <math>(V,\lVert\cdot\rVert)</math>을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이라고 한다.<ref name="Rudin">{{서적 인용 | last=Rudin | first=Walter | authorlink=월터 루딘 | 제목=Functional analysis | publisher=McGraw-Hill | isbn=978-0-07-054236-5 | 날짜=1991 | zbl=0867.46001 | 총서=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판=2판 |언어=en}}</ref>{{rp|3–4, §1.2}}
=== 민코프스키 범함수를 통한 정의 ===
<math>\mathbb K</math>-[[벡터 공간]] <math>V</math>의 [[부분 집합]] <math>S\subseteq V</math>의 '''민코프스키 범함수'''({{llang|en|Minkowski functional}})는 다음과 같다.
:<math>\mu_S\colon V\to[0,\infty]</math>
:<math>\mu_S(v)=\inf\{t\in\mathbb R^+\colon v\in tS\}</math>
<math>\mathbb K</math>-[[벡터 공간]] <math>V</math> 위의 '''반노름'''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math>\lVert\cdot\rVert\colon V\to[0,\infty]</math>
:<math>\lVert\cdot\rVert\colon v\mapsto\Vert v\Vert</math>
이다.
* 어떤 [[균형 집합|균형]] [[볼록 집합|볼록]] [[흡수 집합]]의 민코프스키 범함수이다.
(흡수성에 따라 반노름의 값은 항상 유한하다.) 이 정의는 반노름의 통상적 정의와 [[동치]]이다.
== 연산 ==
=== 직합 ===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들의 (유한 또는 무한) 족 <Math>(V_i)_{i\in I}</math>과 실수 <math>1\le p<\infty</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직합]]
:<math>V=\bigoplus_iV_i</math>
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부여할 수 있다.
:<math>\|(v_i)_{i\in I}\|_p=\sqrt[p]{\|v_i\|_{V_i}^p}</math>
그렇다면, <math>(V,\lVert\cdot\rVert_p)</math> 역시 노름 공간을 이룬다.
=== 부분 공간과 몫 ===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V</math>의 <Math>\mathbb K</math>-부분 벡터 공간 <math>W\subseteq V</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math>W</math>에 <math>V</math>의 노름을 제한한 것을 부여하면, <math>W</math> 역시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을 이룬다.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V</math>의 [[닫힌집합|닫힌]] <Math>\mathbb K</math>-부분 벡터 공간 <math>W\subseteq V</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몫공간 <math>V/W</math>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부여할 수 있다.
:<math>\|v+W\|_{V/W}=\inf_{w\in W}\|v+w\|_V</math>
그렇다면 <math>V/W</math> 역시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을 이룬다.
=== 연속 쌍대 공간 ===
{{본문|연속 쌍대 공간}}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V,\|\|)</math>의 [[연속 쌍대 공간]] <Math>V'</math> 위에는 '''[[쌍대 노름]]'''
:<math>\|f\|_{V'}=\sup_{v\in V\setminus\{0\}}\frac{|f(v)|}{\|v\|_V}</math>
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ath>V'</math> 역시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을 이룬다.
=== 하우스도르프화 ===
임의의 <math>\mathbb K</math>-반노름 공간 <Math>(V,\|\|)</math>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Math>\mathbb K</math>-부분 벡터 공간을 정의하자.
:<math>N=\{v\in V\colon \|v\|=0\}</math>
그렇다면, 몫공간 <Math>V/N</math> 위에는 반노름이 잘 정의되며, 이 경우 반노름은 노름이 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르베그 공간]]의 정의에 등장한다.
=== 완비화 ===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V,\|\|)</math>의 ([[거리 공간]]으로서의) [[완비 거리 공간|완비화]] <Math>\bar V</math>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정의하자.
:<math>\|\bar v\|_{\bar V}=\lim_{i\to\infty}\|v_i\|_V\qquad(\bar v\in V)</math>
여기서 <math>(v_i)_{i\in\mathbb N}</math>는 <math>\bar v</math>로 수렴하는 [[코시 열]]이다. 이를 부여하면 <math>\bar V</math>는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이 경우, 자연스러운 [[단사 함수|단사]] <math>\mathbb K</math>-[[선형 변환|선형]] [[등거리 변환]]
:<math>V\hookrightarrow\bar V</math>
가 존재하여, <math>V</math>를 <math>\bar V</math>의 부분 공간으로 여길 수 있다. 만약 <math>V</math>가 이미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이라면, 위 함수는 [[전단사 함수]]이다.
== 성질 ==
<math>\mathbb K</math>-반노름 공간 <math>V</math> 위에는 다음과 같은 유사 거리 함수를 부여하여 [[유사 거리 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math>d(u,v)=\|u-v\|=\|v-u\|\qquad(u,v\in V)</math>
만약 <math>V</math>가 노름 공간이라면, 이는 [[거리 공간]]을 이룬다. [[유사 거리 공간]] 구조에 의하여, <math>\mathbb K</math>-반노름 공간은 항상 <math>\mathbb K</math>-[[위상 벡터 공간]]을 이룬다.
두 <math>\mathbb K</math>-반노름 공간 사이의 <math>\mathbb K</math>-[[선형 변환]]의 경우, [[유계 작용소]]인 것과 [[연속 함수]]인 것이 서로 [[동치]]이다.
=== 함의 관계 ===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 style="text-align: center"
|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 ⇐ || <math>\mathbb K</math>-[[내적 공간]]
|-
| ⇑ || || ⇑
|-
|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 || ⇐ || <math>\mathbb K</math>-[[힐베르트 공간]]
|}
즉, <math>\mathbb K</math>-노름 공간 <math>(V,\|\|)</math>가 주어졌을 때,
* 만약 <math>(u,v)\mapsto(\|u+v\|-\|u-v\|)/2</math>가 <math>\mathbb K</math>-[[쌍선형 형식]]을 이루면, <math>(V,\|\|)</math>는 <Math>\mathbb K</math>-[[내적 공간]]을 이룬다.
* 만약 [[완비 거리 공간]]이라면, <math>(V,\|\|)</math>는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 만약 <math>(V,\|\|)</math>가 <Math>\mathbb K</math>-[[내적 공간]]이자 <Math>\mathbb K</math>-[[바나흐 공간]]이라면, <math>(V,\|\|)</math>를 <Math>\mathbb K</math>-[[힐베르트 공간]]이라고 한다.
=== 노름화 가능 공간 ===
<math>\mathbb K</math>-[[위상 벡터 공간]] <math>V</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math>V</math>를 '''반노름화 가능 공간'''({{llang|en|seminormable space}})이라고 한다.<ref name="RudinFunctionalAnalysis">{{서적 인용
|성1=Rudin
|이름1=Walter
|저자링크1=월터 루딘
|제목=Functional analysis
|언어=en
|판=2
|총서=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출판사=McGraw-Hill
|위치=New York, NY
|날짜=1991
|isbn=
|mr=1157815
|zbl=0867.46001
}}</ref>{{rp|30, Theorem 1.39}}
* <math>V</math>의 위상은 낱개의 반노름으로 유도된다.
* [[국소 볼록 공간]]이자 [[국소 유계 공간]]이다. 즉, <math>0\in V</math>가 [[볼록 집합|볼록]] [[유계 집합|유계]] [[근방]]을 갖는다.
<math>\mathbb K</math>-[[위상 벡터 공간]] <math>V</math>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math>V</math>를 '''노름화 가능 공간'''이라고 한다.<ref name="RudinFunctionalAnalysis" />{{rp|30, Theorem 1.39}}
* <math>V</math>의 위상은 낱개의 노름으로 유도된다.
* 반노름화 가능 공간이며,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 예 ==
모든 벡터 공간에서 '''자명 반노름'''({{llang|en|trivial seminorm}}) <math>\Vert v\Vert=0</math>은 반노름을 이루지만, 이는 (<math>V</math>가 0차원이 아니라면) 노름을 이루지 못한다.
=== 체 ===
체 <math>\mathbb K\in\{\mathbb R,\mathbb C\}</math>는 스스로에 대한 1차원 벡터 공간을 이룬다. 이 경우 [[절댓값]] <math>\Vert a\Vert=|a|</math>은 노름을 이룬다.
===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노름 ===
{{본문|Lp 공간}}
[[파일:Vector norms.svg|프레임|오른쪽|서로 다른 노름 공간에서 정의된 [[단위원]].]]
임의의 <math>1\le p\le\infty</math>에 대하여,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 R^n</math>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 <math>\lVert\cdot\rVert_p</math>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L<sup>''p''</sup> 노름'''이라고 한다.
:<math>\Vert\mathbf{x}\Vert_p = \left( \sum_{i=1}^n |x_i|^p \right)^{1/p}</math>
여기서 <math>p=2</math>인 경우는 표준적인 [[유클리드 노름]]
:<math>\Vert\mathbf{x}\Vert_2 = \sqrt{\sum_{i=1}^n |x_i|^2 }</math>
이다. 만약 <math>p=\infty</math>일 경우는 '''상한 노름'''({{llang|en|supremum norm}})
:<math>\Vert\mathbf{x}\Vert_\infty = \lim_{p\to\infty}\left( \sum_{i=1}^n |x_i|^p \right)^{1/p}=\max\{ |x_1|, |x_2|, \dots, |x_n| \}</math>
이 된다. <math>p=1</math>인 경우는 '''[[맨해튼 거리|맨해튼 노름]]'''
:<math>\Vert\mathbf{x}\Vert_1 = \sum_{i=1}^n |x_i|</math>
이 된다.
<math>\ell^p</math> 노름 말고도 유클리드 공간 위에 수많은 노름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h>\mathbb R^4</math> 위에는 다음과 같은 노름이 존재한다.
:<math>\Vert x\Vert= 2|x_1| + \sqrt{3|x_2|^2 + \max(|x_3|,2|x_4|)^2}</math>
그러나 유클리드 공간 위의 모든 노름은 같은 위상을 유도한다.
== 같이 보기 ==
* [[바나흐 공간]]
* [[핀슬러 다양체]]
* [[내적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공간#수학]]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eom|title=Norm}}
* {{eom|title=Normed space}}
* {{eom|title=Seminorm}}
* {{eom|title=Pre-norm}}
* {{매스월드|id=Norm|title=Norm}}
* {{매스월드|id=NormedSpace|title=Normed space}}
* {{매스월드|id=Seminorm|title=Seminorm}}
* {{nlab|id=norm|title=Norm}}
* {{웹 인용|url=https://proofwiki.org/wiki/Definition:Norm_(Vector_Space)|제목=Definition: norm (vector space)|웹사이트=ProofWiki|언어=en|확인날짜=2017-01-26|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119025853/http://www.proofwiki.org/wiki/Definition:Norm_(Vector_Space)|보존날짜=2013-01-19|url-status=dead}}
* {{웹 인용|url=http://mathoverflow.net/questions/256623/is-a-normed-space-which-is-homeomorphic-to-a-banach-space-complete|제목=Is a normed space which is homeomorphic to a Banach space complete?|출판사=Math Overflow|언어=en}}
[[분류:노름 공간| ]] |
'''4.15 총선'''은 다음을 가리킨다.
* [[2004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2020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음이의}}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761}}
{{기년법|1761}}
'''176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
* [[청나라|청]](淸) [[건륭 (청)|건륭]](乾隆) 26년
* [[일본]](日本) [[호레키]]({{lang|ja|宝暦}}) 11년
* [[후 레 왕조]](後黎朝) [[까인흥]](景興) 22년
== 기년 ==
* [[류큐왕국|류큐]](琉球) [[쇼보쿠왕]]({{lang|ja|尚穆王}}) 10년
* [[청나라|청]](淸) [[건륭제|고종 건륭제]](高宗 乾隆帝) 26년
* [[조선]](朝鮮) [[영조]](英祖) 37년
* [[후 레 왕조]](後黎朝) [[레 현종 (27대)|현종]](顯宗) 22년
== 사건 ==
* [[6월 6일]] - [[금성 일면통과]]가 일어남.
* 〈[[작은 별]]〉의 원곡 〈아! 말씀드릴게요, 어머니〉가 프랑스에서 출판.
== 탄생 ==
<!--이 단락을 편집할 때는 다음을 꼭 지켜주세요.
* 모든 인물은 위키백과에 등재된 인물이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어야 합니다.
* 국가 이름에 내부 링크( [[ ]] )를 만들지 마세요. {{국기나라}}틀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 [[8월 6일]] - 미국의 예술가 [[앤디 워홀]].
년월일 문서의 편집지침은 [[백:위키프로젝트 년월일]]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2월 16일]] - 프랑스의 장군 [[샤를 피슈그뤼]]. (~[[1804년]])
* [[11월 20일]] - 제253대 로마의 교황 [[교황 비오 8세]]. (~[[1830년]])
== 사망 ==
* [[4월 7일]] - [[영국]]의 [[수학자]] [[토머스 베이즈]].
* [[일본]] [[에도 막부]]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
[[분류:1761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69}}
{{기년법|1969}}
'''196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3월 2일]] - [[중소 국경 분쟁]] - 우수리강의 진보도(珍寶島, 다만스키도)에서 두 나라 무력 충돌.
* [[3월 17일]] - [[골다 메이어]]가 [[이스라엘]]의 총리에 취임.
* [[3월 28일]] - [[교황 바오로 6세]]가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김수환]](스테파노) [[대주교]]를 [[추기경]]으로 임명하다.
* [[4월 28일]] - [[바티칸]]에서 [[김수환]](스테파노) 추기경의 추기경 서임식이 거행되다.
* [[4월 28일]] - [[드 골]]이 [[프랑스]] [[대통령]]직에서 물러나다.
* [[6월 28일]] - [[스톤월 항쟁]] 발생.
* [[7월 20일]] -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여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을 걸은 최초의 인간이 되다.'''
* [[7월 25일]] - [[닉슨 독트린]] 발표.
* [[9월 1일]] - 리비아, [[무아마르 알카다피]] 대위, [[리비아 1969년 쿠데타|군사 쿠데타]]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공화국 수립.
* [[9월 7일]] - [[브라질]], 정식 국호를 브라질에서 브라질연방공화국으로 개칭.
* [[9월 12일]] - [[베트남 전쟁]]: 미군,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명령으로 북베트남 폭격 재개.
* [[9월 14일]]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삼선 개헌|3선개헌안]]과 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시킴.
* [[10월 11일]] - 소비에트 연방, 우주선 [[소유스 6호]] 발사.
* [[10월 14일]] - 미국 [[항공모함|원자력 항공모함]] [[CVN-65 엔터프라이즈]]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하여, 25명이 사망하고 85명이 부상당함.
* [[10월 15일]] - [[베트남 전쟁]]: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미국]]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반전 시위]]를 벌이다.
* [[10월 17일]] - 대한민국에서 [[삼선 개헌]]안에 대한 [[대한민국의 국민투표|국민투표]]가 시행되다.
* [[12월 11일]] -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이 발생하다.
== 문화 ==
* [[3월 1일]] - [[대한항공]] 창립.
* [[3월 2일]] - [[콩코드 (비행기)|콩코드]]의 첫 비행이 성공.
* [[3월 19일]] - [[코나미]] 창립.
* [[4월 7일]] - [[인터넷]]의 상징적인 생일: [[RFC]] 1 발표.
* [[4월 30일]] - [[KBS-TV]](현 [[KBS 1TV|KBS1]])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마지막으로 방영을 했다.
* [[5월 1일]]
** [[KBS-TV]](현 [[KBS 1TV|KBS1]])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를 했고, 아침시간에 교육방송을 시작을 하였다.
** [[KBS TV]](현 ([[KBS 1TV|KBS1]])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에 따른 [[동양방송]](현 [[KBS 2TV|KBS2]])만 [[동양방송]]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과 편성 및 확대를 하였다.
* [[5월 29일]] - [[천주교 안동교구]]가 설립되었다.
* [[6월 3일]] - [[엘튼 존]], 앨범 'Empty Sky' 로 솔로 데뷔.
* [[6월 10일]] - [[경부선]] [[동대구역]] [[부산역]] 동시역사 준공 영업개시.
* [[7월 25일]] - [[광주역|광주역사]] 준공 이전.
* [[8월 8일]] - [[MBC TV]] 개국 및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실시.
* [[8월 15일]] - 미국 [[뉴욕주]]에서 3일간의 최대의 [[록 음악|록]] 축제 [[우드스탁 페스티벌]]이 열리다. 'The Woodstock music and art fair 1969'.
* [[9월 19일]] - 21세의 [[한대수 (가수)|한대수]], 남산 드라마센터에서 자작곡 위주의 공연. 이 공연을 계기로 비로소 한국 [[대중음악]]에 팝송 번안곡이 아닌 진정한 '[[싱어송라이터|자작곡 시대]]'가 열림.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스포츠 전문 일간지 [[일간스포츠]] 창간.
* [[10월 1일]] - [[영국]]과 [[프랑스]] 공동개발 여객기 [[콩코드 (비행기)|콩코드]], 세계 최초로 초음속 비행 성공.
* [[10월 2일]] - [[서해방송]] 개국.
* [[10월 5일]] - 일본의 [[후지 TV]]에서 애니메이션 [[사자에상]]을 시작함.
* [[10월 7일]] - 대한민국 최초의 다목적댐인 [[남강댐|진주 남강댐]] 준공.
* [[10월 29일]] -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이 [[대한민국]]에서 개봉
* 11월 - [[도라에몽]]을 만화가 [[후지코 F. 후지오]]가 연재하기 시작함.
* [[11월 10일]] - 미국의 어린이 교육 [[TV 프로그램|프로그램]] [[세서미 스트리트]] 방송 시작.
* [[12월 25일]] - [[한남대교|제3한강교]] 개통.
* [[12월 29일]] - [[울산고속도로]] 개통.
== 탄생 ==
{{분류 참고|1969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지대한]].
* [[1월 2일]] - 미국의 모델 [[크리스티 털링턴]].
* [[1월 3일]] - 독일의 자동차 경주 선수 [[미하엘 슈마허]].
* [[1월 5일]]
** 미국의 음악가 [[마릴린 맨슨]].
** 미국의 배우 [[셰이 위검]].
* [[1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재곤]].
** 대한민국의 배우 [[정민경 (1969년)|정민경]].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기자 [[이용마]]. (~[[2019년]])
* [[1월 11일]]
** 일본의 성우 [[히카미 쿄코]].
** 미국의 배우 [[카일 리처즈]].
* [[1월 12일]] -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
* [[1월 14일]]
** 미국의 음악가 [[데이브 그롤]].
** 미국의 배우 [[제이슨 베이트먼]].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 [[한민수 (1969년)|한민수]].
**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서경희]].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유선]].
** 네덜란드의 음악 프로듀서 [[티에스토]].
* [[1월 18일]]
** 미국의 프로레슬러, 배우 [[데이브 바티스타]].
** 대한민국의 성우 [[송준석 (성우)|송준석]].
** 미국의 음악가 [[짐 오루크]].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유정 (국회의원)|김유정]].
** 대한민국의 성우 [[김경수 (성우)|김경수]].
* [[1월 19일]] - 몬테네그로의 전 축구 선수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앵커, 기자 [[편상욱]].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김일순]].
** 대한민국의 배우 [[유호정]].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영 (1969년)|박지영]].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코치 [[박정태]].
* [[1월 29일]] - 일본의 가수 [[하이도]].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가 [[나향욱]].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2월 2일]] -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발레리 카르핀]].
* [[2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칸희]].
** 미국의 정치인, 변호사, 군인 [[보 바이든]]. (~[[2015년]])
* [[2월 5일]] - 일본의 성우 [[키우치 히데노부]].
* [[2월 6일]]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겸 배우 [[후쿠야마 마사하루]].
** 스위스의 축구 심판 [[마시모 부사카]].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김희라 (1969년)|김희라]].
** 미국의 배우 [[제니퍼 애니스턴]].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홍명보]].
** 미국의 영화감독 [[대런 애러노프스키]].
* [[2월 14일]] - 브라질계 일본의 가수, 배우 [[마르시아 (1969년)|마르시아]].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권선국]].
* [[2월 20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2022년]])
** 일본의 배우 [[와타나베 아즈사]].
** 대한민국의 배우, 재일동포 3세 배우 [[김인우]].
** 미국의 영화제작자 [[제이슨 블럼]].
* [[2월 21일]] - 한국계 독일의 안과 의사 [[스벤 리]].
* [[2월 22일]]
** 덴마크의 전 축구 선수 [[브리안 라우드루프]].
** 벨기에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마르크 빌모츠]].
** 미국의 배우 [[토머스 제인]].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이 (1969년)|김소이]].
** 대한민국의 음악가 [[신윤철]].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최승돈]].
** 대한민국의 방송인, 배우 [[김승우]].
** 대한민국의 성우 [[배주영]].
* [[2월 26일]]
** 일본의 게임 음악 작곡가 [[사키모토 히토시]].
** 중국의 반체제 인사, 인권 운동가 [[왕단 (반체제자)|왕단]].
** 대한민국의 성우 [[박조호]].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장혁]].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자명]].
=== 3월 ===
* [[3월 1일]] - 스페인의 배우 [[하비에르 바르뎀]].
* [[3월 3일]] - 일본의 펜싱 선수 출신 지도자 [[아베 긴야 (펜싱 선수)|아베 긴야]].
* [[3월 5일]] - 일본의 성우 [[나츠키 리오]].
* [[3월 6일]] - 대한민국의 드러머 [[채제민]].
* [[3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애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박상철 (가수)|박상철]].
** 대한민국의 가수, 기업인, 변호사 [[조현문]].
* [[3월 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옥 (1969년)|박정옥]]. (~[[2020년]])
** 대한민국의 언론인 [[최진순]].
** 대만의 배우 임지현.
* [[3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공윤성]].
** 미국의 앵커, 사회자, 변호사 [[킴벌리 길포일]].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안계범]].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승화 (가수)|박승화]].
** 미국의 배우 [[테런스 하워드]].
* [[3월 12일]]
** 영국의 가수 [[그레이엄 콕슨]].
** 일본의 성우 [[오카무라 아케미]].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상범 (성우)|이상범]].
* [[3월 15일]] - 핀란드의 가수 [[티모 코티펠토]].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민호 (1969년)|김민호]].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전유나]].
** 이란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알리 다에이]].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성우 [[강경아]].
* [[3월 27일]] - 미국의 가수 [[머라이어 캐리]].
* [[3월 28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브렛 래트너]].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가수 [[곽영준]].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겸 정치인 [[고영일]].
** 미국의 성우 [[에이프릴 스튜어트]].
* [[4월 3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벤 멘덜슨]].
* [[4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동민.
* [[4월 6일]]
** 미국의 배우 [[폴 러드]].
** 대한민국의 배우 [[김원해]].
* [[4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호빈]].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이상윤 (축구인)|이상윤]].
** 대한민국의 배우 [[공형진]].
** 대한민국의 작곡가, 작사가 [[유영진]].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진형 (축구인)|김진형]].
* [[4월 11일]] - 일본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모리타카 치사토]].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보디빌더 [[김준호 (보디빌더)|김준호]].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기자 [[고희경 (방송인)|고희경]].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하세베 유타카]].
** 미국의 영화감독 [[제임스 그레이]].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범죄자 [[정남규 (범죄인)|정남규]]. (~[[2009년]])
* [[4월 18일]] - 일본의 구황족 [[구로다 사야코]].
* [[4월 19일]]
** 미국의 배우, 연출가 [[섀넌 리]].
** 미국의 언어학자 [[앤드루 카니]].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차명석]].
**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대만]]. (~[[2022년]])
** 대한민국의 성우 [[이원준 (성우)|이원준]].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형욱]].
** 잉글랜드의 배우 [[토비 스티븐스]].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의학자 [[이국종]].
* [[4월 23일]] - 소련의 체조 선수 [[옐레나 슈슈노바]]. (~[[2018년]])
* [[4월 25일]] - 미국의 배우 [[러네이 젤위거]].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성우 [[류다무현]].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정훈 (유도 선수)|정훈]].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승수 (1969년)|김승수]].
=== 5월 ===
* [[5월 1일]] - 미국의 영화감독 [[웨스 앤더슨]].
* [[5월 2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호근]].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최철원]].
**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이라부 히데키]]. (~[[2011년]])
* [[5월 6일]] - 대한민국의 범죄자 [[김해선]].
* [[5월 8일]] - 일본의 스모 선수 [[아케보노 다로]]. (~[[2024년]])
* [[5월 9일]] - 미국의 영화감독 [[조 카나한]].
* [[5월 10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데니스 베르흐캄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홍성]].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원석 (법조인)|이원석]].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케이트 블란쳇]].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윤제균]].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현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장원진]].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완선]].
* [[5월 17일]] - 일본의 대중음악가 [[이가라시 미쓰루]] ([[Every Little Thing]]).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민우 (가수)|김민우]].
** 미국의 가수 [[마티카]].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마키하라 노리유키]].
* [[5월 19일]] - 덴마크의 영화감독 [[토마스 빈터베르]].
* [[5월 21일]] - 일본의 성우 [[쿠라타 마사요]].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기태 (1969년)|김기태]].
** 대한민국의 배우 [[손종범]].
**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황정민 (1969년)|황정민]].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연경 (배우)|이연경]].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서 (배우)|김진서]].
** 대한민국의 탐험가 [[강동석 (탐험가)|강동석]].
** 미국의 영화배우 [[앤 헤이치]]. (~[[2022년]])
** 대한민국의 수필가 [[문현진]].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 해설가 [[양준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신태용]].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의원 이장우.
* [[5월 30일]] - 일본의 영화감독 [[가와세 나오미]].
=== 6월 ===
* [[6월 3일]] - 일본의 펜싱 선수 [[나가노 요시히데]].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영 (1969년)|이영]].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페르난도 레돈도]].
* [[6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준영]].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교수 [[김진만 (배우)|김진만]].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나카오 고타로]].
* [[6월 10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지나 프린스바이스우드]].
* [[6월 11일]] - 미국의 배우 [[피터 딘클리지]].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웅선]].
** 덴마크의 음악가 [[쇠렌 라스테드]].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현철 (가수)|김현철]].
** 미국의 성우 [[카일 에이베어]].
** 독일의 테니스 선수 [[슈테피 그라프]].
* [[6월 15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올리버 칸]].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장원진]].
** 미국의 래퍼, 배우 [[아이스 큐브]].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박재용 (야구인)|박재용]].
** 미국의 래퍼 [[MC 렌]].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임수혁]]. (~[[2010년]])
* [[6월 19일]] - 미국의 언론인, 사회자, 작가 [[라라 스펜서]].
* [[6월 20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파울루 벤투]].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변우영]].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산악인 [[박무택]]. (~[[2004년]])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추귀정]].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유진 (야구 선수)|김유진]].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혼다 야스토]].
* [[6월 26일]] - 영국의 밴드 [[콜린 그린우드]].
* [[6월 28일]] - 스위스의 전 축구 선수 [[스테판 샤퓌자]].
* [[6월 29일]] - 일본의 변호사, 정치인 [[하시모토 도루]].
=== 7월 ===
* [[7월 1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히야마 신지로]].
* [[7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조영호 (성우)|조영호]].
** 미국의 영화 제작자 [[제이슨 블럼]].
* [[7월 4일]] - 일본의 프로 레슬링 선수 [[사쿠라바 가즈시]].
* [[7월 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경추]].
* [[7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조규만]].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성진 (1969년)|박성진]].
* [[7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이아로]].
* [[7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 아나운서 [[임성민 (1969년)|임성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승원 (정치인)|김승원]].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양준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정현 (1969년 7월)|박정현]].
* [[7월 13일]]
** 한국 계 미국인 배우, [[켄 정]].
** 대한민국의 산악인 [[김창호 (산악인)|김창호]].
* [[7월 14일]]
** 미국의 포르노 전문배우 [[빌리 헤링턴]]. (~[[2018년]])
** 대한민국의 범죄자 [[정성현 (범죄인)|정성현]].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앵커, 기자 [[박유한]].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준배 (1969년)|김준배]].
** 대한민국의 성우 [[시영준]].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최영주 (아나운서)|최영주]].
** 프랑스계 대한민국의 방송인 겸 대학 교수 [[이다 도시]].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제이슨 클라크]].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용현]].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박준형 (가수)|박준형]] ([[god (음악 그룹)|god]]).
* [[7월 2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데니 해리거]].
* [[7월 22일]]
** 그리스의 가수 [[데스피나 반디]].
** 대한민국의 공무원 [[국승인]].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안지환]].
** 미국의 영화배우, 가수, 디자이너 [[제니퍼 로페즈]].
** 대한민국의 변호사 겸 소설가 [[도태우]].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성은 (아나운서)|김성은]].
* [[7월 27일]] - 미국의 프로 레슬링 선수 [[트리플 H]].
* [[7월 28일]]
** 미국의 사업가 [[데이나 화이트]].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이종격투기 선수 [[마이크 베르나르도]]. (~[[2012년]])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양우]].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안토니오 콘테]].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명철 (가수)|김명철]].
* [[8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투수) [[구대성]].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최정원]].
** 대한민국의 배우 [[윤미향 (배우)|윤미향]].
* [[8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및 가수 [[남주희]].
** 일본의 성우 [[무로조노 타케히로]].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우영 (1969년)|김우영]].
* [[8월 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엘리엇 스미스]]. (~[[2003년]])
* [[8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진원]].
* [[8월 8일]]
** 대한민국의 전 레슬링 선수 [[송성일]]. (~[[1995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용]].
** 중국의 가수 겸 배우 [[왕페이 (가수)|왕페이]].
* [[8월 9일]]
** 영국 웨일스의 축구 선수 [[게리 스피드]]. (~[[2011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지도자 [[김태진 (1969년)|김태진]].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창진 (아나운서)|이창진]].
** 이라크의 전직 축구 선수, 축구 지도자 [[라디 셰나이실]].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 바둑 기사 [[정현산]]. (~[[2000년]])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겸 정치인 [[김용민 (1969년)|김용민]].
* [[8월 13일]] - 스웨덴의 배우 [[엘린 클링아]].
* [[8월 14일]] - 덴마크의 전 축구 선수 [[스티 퇴프팅]].
* [[8월 15일]] - 일본의 성우 [[타카츠카 마사야]].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성모]].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엄정화]].
* [[8월 18일]] - 미국의 배우 [[에드워드 노턴]].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현아 (정치인)|김현아]].
** 미국의 힙합 가수 [[네이트 독]]. (~[[2011년]])
** 대한민국의 가수 [[양준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진우 (1969년)|정진우]].
** 미국의 야구 선수 [[타이론 우즈]].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목사이며 신학교수 [[신원균 (신학자)|신원균]].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광현 (영화 감독)|박광현]].
* [[8월 28일]]
** 미국의 가수, 배우, 희극인 [[잭 블랙]]. ([[터네이셔스 D|티네이셔스 디]])
** 대한민국의 재즈 가수 [[나윤선]].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배구 감독 [[하종화]].
** 미국의 기업인 [[셰릴 샌드버그]].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창훈]]. (~[[2017년]])
* [[8월 31일]] - 볼리비아의 전 축구 선수 [[루이스 크리스탈도]].
=== 9월 ===
* [[9월 2일]] - 한국계 미국인 뮤지컬 배우 겸 영화배우 [[최할리]].
* [[9월 3일]] - 미국의 영화 각본가, 영화 감독 [[노아 바움백]].
* [[9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태욱 (가수)|김태욱]].
** 대한민국의 기자 [[박찬형]].
** 대한민국의 성우 [[최향윤]].
** 브라질의 축구 감독 [[레오나르두 아라우주]].
** 미국의 기타리스트 [[위질 자파]].
** 일본의 성우 [[코우다 마리코]].
* [[9월 7일]]
** 러시아의 영화감독 [[키릴 세레브렌니코프]].
** 대한민국의 성우 [[김호성]]. (~[[2021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영덕]].
** 미국의 야구 선수 [[브렌트 쿡슨]].
* [[9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구대성]].
** 웨일스의 축구 선수 [[게리 스피드]].
**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에우세비오 디 프란체스코]].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진아 (배우)|이진아]].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구준엽]].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현정.
* [[9월 13일]] - 미국의 배우, 감독 [[타일러 페리]].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봉준호]].
** 대한민국의 배우 [[유승목]].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음악가 [[강현민]].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장항준]].
* [[9월 18일]]
** 프랑스의 축구 심판 [[스테판 라누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후삼]].
* [[9월 19일]]
** 일본의 성우, 내레이터 [[오다 유세이]].
** 대한민국의 음악가 [[박태희 (음악가)|박태희]].
** 대한민국의 건축가 [[유현준 (건축가)|유현준]].
** 대한민국의 성우 [[김민성 (성우)|김민성]].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병욱 (성우)|이병욱]]. (~[[2021년]])
** 대한민국의 배우 [[하민 (배우)|하민]].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감독 조인호.
* [[9월 22일]] - 튀르키예의 정치인 [[얄츤 아크도안]].
* [[9월 25일]] - 영국의 배우 [[캐서린 지타존스]].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건영 (1969년)|윤건영]].
** 대한민국의 의원 [[이상훈 (1969년)|이상훈]].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선 (배우)|김혜선]].
* [[9월 29일]] -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이비차 바스티치]].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별아]].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가득염]].
* [[10월 3일]] - 미국의 가수 [[그웬 스테파니]].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현정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김미애 (1969년)|김미애]].
** 말레이시아의 15대 국왕 [[무하맛 5세]].
* [[10월 8일]]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시모지 이사무]].
* [[10월 9일]]
** 영국의 영화감독 [[스티브 매퀸 (영화 감독)|스티브 매퀸]].
** 영국의 음악가 [[PJ 하비]].
** 대한민국의 개그맨 [[이태식]].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서정민 (1969년)|서정민]].
* [[10월 11일]] - 네덜란드의 왕자 [[콘스탄테인 데르 네덜란덴]].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박광수 (만화가)|박광수]].
* [[10월 14일]]
**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빅토르 오놉코]].
** 대한민국의 만화가 [[이우일]].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윤종신]].
** 대한민국의 배우 [[박동빈]].
** 대한민국의 배우 [[박은영 (배우)|박은영]].
** 포르투갈의 전 축구 선수 [[비토르 바이아]].
* [[10월 16일]]
**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 [[로이 하그로브]]. (~[[2018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황인정]].
* [[10월 19일]] - 미국의 애니메이터 [[트레이 파커]].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태한 (야구인)|김태한]].
** 미국의 영화 감독 [[스파이크 존즈]].
** 대한민국의 배우 [[이승신]].
* [[10월 23일]]
** 중국의 천문학자 [[장다칭]].
** 대한민국의 성우 [[변영희]].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원신연]].
* [[10월 24일]] - 일본의 소설가 [[요시다 스나오]]. (~[[2004년]])
* [[10월 25일]]
** 미국의 성우 [[니카 퍼터먼]].
** [[왕태윤]].
* [[10월 26일]] -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 [[사리나 비흐만]].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진시몬]].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건축 평론가, 기자 [[구본준 (기자)|구본준]]. (~[[2014년]])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학원인 [[조진만 (학원인)|조진만]]. (~[[2001년]])
** 콜롬비아의 축구 심판 [[오스카르 루이스]].
** 대한민국의 희극인 겸 MC [[이병진 (희극인)|이병진]].
* [[11월 3일]]
** 이탈리아의 음악가, DJ [[로버트 마일즈]]. (~[[2017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판사 [[이수진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수진]].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전병관]].
** 대한민국의 모델 [[이소라]].
** 미국의 랩 가수 [[숀 콤스]] (퍼프 대디).
** 미국의 배우 [[매슈 매코너헤이]].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원]].
** 미국의 배우 [[서맨사 스미스 (배우)|서맨사 스미스]].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김한민]].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방송인 [[주영훈 (작곡가)|주영훈]].
* [[11월 7일]] - 미국의 기업인, AMD의 CEO [[리사 수]].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준호]].
* [[11월 10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옌스 레만]].
** 미국의 배우 [[엘런 폼페오]].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희극인 [[홍록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정현 (축구인)|조정현]]. (~[[2022년]])
* [[11월 13일]]
** 일본의 성우 [[아사노 마유미 (성우)|아사노 마유미]].
** 스코들랜드의 배우 [[제라드 버틀러]].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홍근 (정치인)|박홍근]].
** 일본의 성우 [[오키아유 료타로]].
* [[11월 20일]] - 독일의 축구 심판 [[볼프강 슈타르크]].
* [[11월 2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켄 그리피 주니어]].
* [[11월 23일]] - 에콰도르의 축구 심판 [[비론 모레노]].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범수]].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박순찬]].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영리]].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준상]].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주 (가수)|현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영복 (야구인)|이영복]].
** 미국의 야구 선수 [[마리아노 리베라]].
* [[11월 30일]] - 미국의 배우 [[에이미 라이언]].
=== 12월 ===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상호 (배우)|윤상호]].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강용석]].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평론가 겸 번역가 [[표정훈]].
** 미국의 가수 [[제이Z]].
* [[12월 5일]] - 영국의 영화감독 [[린 램지]].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희라]].
* [[12월 9일]]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빅상트 리자라쥐]].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김태용 (1969년)|김태용]].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마이크 피어리]].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진수.
* [[12월 13일]] - 일본의 성우 [[이시카와 히데오]].
* [[12월 14일]]
** 이탈리아의 베이스바리톤 가수 [[일데브란도 다르칸젤로]].
** 대한민국의 성우 [[엄태국]].
** 대한민국의 음악가, 기타 연주자 [[이현석 (음악인)|이현석]].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재원 (배우)|최재원]].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영선 (성우)|김영선]].
**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척 리델]].
* [[12월 18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 [[12월 19일]] - 영국의 방송인 [[리처드 해먼드]].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정훈 (배우)|안정훈]].
** 일본의 성우 [[요코야마 치사]].
** 스위스의 소설가 [[알랭 드 보통]].
* [[12월 21일]]
** 프랑스, 미국의 배우, 현 영화 감독, 싱어송라이터 [[줄리 델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원래]].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완태]].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변호사 [[이정희 (1969년)|이정희]].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리 (배우)|김혜리]].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창명]].
** 미국의 전 프로레슬링 선수 [[차이나 (프로레슬링 선수)|차이나]].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김정연 (가수)|김정연]].
** 핀란드 SW 개발자 [[리누스 토르발스]].
** 대한민국의 배우, 희극인 [[공기탁]].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소라 (가수)|이소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희선 (성우)|김희선]].
* [[12월 30일]]
** 에스토니아의 대통령 [[케르스티 칼률라이드]].
**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업인 [[알리 알 파라지]].
** 잉글랜드의 가수 [[제이 케이]].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남성진]].
=== 미상 ===
*대한민국의 배우 [[단강호]].
*대한민국의 가수 [[김정은 (1969년)|김정은]].
== 사망 ==
[[파일:Dwight D. Eisenhower, official photo portrait, May 29, 1959.jpg|섬네일|120px|드와이트 D.아이젠하워]]
[[파일:Sharon Tate Valley of the Dolls 1967.jpg|섬네일|120px|샤론 테이트]]
[[파일:Ho Chi Minh 1946.jpg|섬네일|120px|호찌민]]
[[파일:Arthur friedenreich.jpg|섬네일|120px|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분류 참고|1969년 사망}}
* [[1월 11일]] - 독일의 사회학자 [[레오폴트 폰 비제]]. (1876년~)
* [[3월 24일]] - 콩고민주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조제프 카사부부]]. (1917년~)
* [[3월 28일]] - 미국의 제34대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1890년~)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시인 [[신동엽 (시인)|신동엽]]. (1930년~)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용환 (1900년)|김용환]]. (1900년~)
* [[5월 24일]] - 미국의 배우 [[폴 버치]]. (1912년~)
* [[6월 8일]] - 미국의 영화배우 [[로버트 테일러 (배우)|로버트 테일러]]. (1911년~)
* [[6월 22일]] - 미국의 가수, 배우 [[주디 갈런드]]. (1922년~)
* [[6월 29일]] - 콩고민주공화국의 정치가 [[모이즈 촘베]]. (1919년~)
* [[7월 2일]] - 일본의 영화감독 [[나루세 미키오]]. (1905년~)
* [[8월 9일]] - 미국의 영화배우 [[샤론 테이트]]. (1943년~)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동성 (1890년)|김동성]]. (1890년~)
* [[9월 2일]] - 베트남의 제1대 국가주석 [[호찌민]]. (1890년~)
* [[9월 6일]]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아르투르 프리덴라이히]]. (1892년~)
* [[9월 30일]] - 영국의 심리학자 [[프레더릭 바틀릿|프레더릭 바틀렛]]. (1886년~)
* [[12월 2일]] - 소련의 군인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1881년~)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구인회 (기업인)|구인회]]. (1907년~)
== 노벨상 ==
* '''경제학상''':[[랑나르 프리슈]], [[얀 틴베르헨]]
* '''문학상''':[[사뮈엘 베케트|새뮤얼 베케트]]
* '''물리학상''':[[머리 겔만]]
* '''생리학 및 의학상''': [[막스 델브뤽]], [[앨프리드 허시]], [[살바도르 루리아]]
* '''평화상''': [[국제노동기구]]
* '''화학상''':[[디릭 바턴]], [[오드 하셀]]
== 달력 ==
{{연간달력|1969}}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병인]] || 소 || [[2월 17일]] || [[계해]]
|-
| [[음력 2월|2월]] || [[정묘]] || 대 || [[3월 18일]] || [[임진]]
|-
| [[음력 3월|3월]] || [[무진]] || 소 || [[4월 17일]] || [[임술]]
|-
| [[음력 4월|4월]] || [[기사 (간지)|기사]] || 대 || [[5월 16일]] || [[신묘]]
|-
| [[음력 5월|5월]] || [[경오]] || 소 || [[6월 15일]] || [[신유]]
|-
| [[음력 6월|6월]] || [[신미 (간지)|신미]] || 대 || [[7월 14일]] || [[경인]]
|-
| [[음력 7월|7월]] || [[임신 (간지)|임신]] || 대 || [[8월 13일]] || [[경신]]
|-
| [[음력 8월|8월]] || [[계유]] || 소 || [[9월 12일]] || [[경인]]
|-
| [[음력 9월|9월]] || [[갑술]] || 대 || [[10월 11일]] || [[기미]]
|-
| [[음력 10월|10월]] || [[을해]] || 소 || [[11월 10일]] || [[기축]]
|-
| [[음력 11월|11월]] || [[병자]] || 대 || [[12월 9일]] || [[무오]]
|-
| [[음력 12월|12월]] || [[정축]] || 소 || [[1970년]] [[1월 8일]] || [[무자]]
|}
{{전거 통제}}
[[분류:1969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70}}
{{기년법|1970}}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3월 15일]] - [[핵 확산 금지 조약]] 인준.
* [[3월 20일]] - [[프랑코포니]] 설립
* [[3월 31일]] - [[요도 호 사건]] 발생
* [[4월 8일]] - [[와우아파트 붕괴 참사]] 발생
* [[4월 11일]] ~ [[4월 17일]] - [[아폴로 13호]]
* [[4월 24일]]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 [[5월 4일]] - [[켄트 주립대학교 발포 사건]]
* [[5월 31일]] - [[페루]] 북부에서 [[1970년 페루 지진]]이 발생했다.
* [[6월 4일]] - [[통가]] 독립
* [[6월 20일]] - [[경부선]] [[통근열차]] 2명 추락.
* [[8월 15일]] - [[대한민국 병무청]] 발족.
* [[9월 4일]] - 태풍 빌리 호 [[대한민국]] 강타. 인명피해 53명, 재산피해 60억 2,500만원
* [[9월 6일]] - 팔레스타인 인민 해방 전선, 유럽 상공에서 뉴욕행 민간 여객기 4대를 납치
* [[9월 29일]] -
** [[오적 필화 사건]] 발생. [[대한민국 문화공보부]]가 [[김지하]]의 `오적'(五賊) 게재를 빌미로 월간지 `[[사상계]]'(思想界) 등록을 취소시켰다.
** [[대한민국]], [[신민당 (1967년)|신민당]], 전당대회에서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출
* [[10월 10일]] - [[피지]] 독립
* [[10월 13일]] - 핀란드, [[유럽 연합]] 가입
* [[10월 13일]] - [[피지]], [[유엔]] 가입
* [[10월 14일]] - [[모산 수학여행 참사]] 발생
* [[10월 15일]] - [[안와르 사다트]]가 이집트의 대통령으로 취임하다.
* [[10월 17일]] - [[원주 삼광터널 열차 충돌 사고]]가 발생
* [[11월 2일]] - [[조선로동당 제5차당대회]]
* [[11월 6일]] - [[이탈리아]]와 [[중화인민공화국|중국]], 국교 수립
* [[11월 12일]] - [[방글라데시]]에 [[1970년 볼라 사이클론|사이클론 볼라(Bhola)]] 상륙, 최소 300,000명 이상 사망.
* [[11월 13일]] - [[전태일]] 열사, [[서울]] [[평화시장 (서울)|동대문 평화시장]] 앞에서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는 시위하며 분신희생
* [[12월 15일]] - 대한민국 남해안에서 [[남영호 침몰 사고]] 발발로 326명이 사망함.
* 칠레 최초의 사회주의 정권이 인민연합의 [[살바도르 아옌데]]후보의 대통령 당선으로 수립.
== 문화 ==
* [[3월 8일]] - [[동물의 왕국]] 첫 방영.
* [[3월 14일]] ~ [[9월 13일]] [[1970년 세계 박람회|일본 세계 박람회]].
* [[4월 10일]] - 영국의 록 그룹 [[비틀즈]], 마지막 앨범 <[[Let It Be (음반)|Let It Be]]> 발표 후 해체.
* [[4월 13일]] - [[KBS TV]](현 [[KBS 1TV|KBS1]])의 채널에서 [[뉴스파노라마 (KBS-TV)|뉴스파노라마]]를 방영을 하다.
* [[4월 22일]] - 제1회 [[지구의 날]].
* [[5월 31일]] - [[1970년 FIFA 월드컵]] 개막
* [[7월 7일]] - [[경부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7월 21일]] - 이집트에서 [[아스완 댐]]이 완공되었다.
* [[8월 15일]] - 서울 [[남산1호터널]] 개통.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민기 (1951년)|김민기]]가 〈'''[[아침 이슬]]'''〉을 발표하다.
* [[10월 5일]] - [[대한민국]], MBC의 메인 뉴스〈[[MBC 뉴스데스크]]〉첫 방영.
* [[11월 30일]] - 대한민국 100[[대한민국 원|원]]주화가 처음으로 발행되다. (이후 [[1983년]] 1월에 디자인 변경됨)
* 영국의 록 그룹 [[퀸 (밴드)|퀸]], 런던에서 결성.
== 탄생 ==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전 아나운서 [[장은영]].
** 북한의 가수 [[리경숙]].
* [[1월 3일]] - 대한민국의 방송 작가 [[박계옥]].
* [[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해진]].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강성우 (야구인)|강성우]].
* [[1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오승록]].
* [[1월 9일]]
** 대한민국의 음악인, 기업인 [[양현석]].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김성호 (영화 감독)|김성호]].
**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라라 파비앙]].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정재형]].
* [[1월 13일]] - 이탈리아의 사이클 선수 [[마르코 판타니]]. (~[[2004년]])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주창]].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셰인 맥마흔]].
* [[1월 17일]] - 미국의 영화 감독 [[겐디 타르타코브스키]].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양석정]].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장준환 (영화 감독)|장준환]].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원상]].
* [[1월 21일]]
** 크로아티아의 전 축구 선수 [[알렌 복시치]].
** 튀르키예의 레슬링 선수 [[마흐무트 데미르]].
* [[1월 22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판즈이]].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은 (1970년)|이정은]].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소연 (노동운동가)|김소연]].
** 대한민국의 의원 [[김동근 (1970년)|김동근]].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명호 (배우)|이명호]].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김태우 (1970년)|김태우]].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기자, 앵커 [[박장범]].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호 (배우)|임호]].
* [[1월 29일]]
** 미국의 배우 [[헤더 그레이엄]].
** 미국의 정치인 [[폴 라이언]].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정남 (성우)|정남]].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최현주 (1970년)|최현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일권 (배우)|김일권]].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의사 박지현.
* [[2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성광]].
** 미국의 영화 감독 [[앤서니 루소]].
* [[2월 4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배우, 대학 교수 [[박정숙 (1970년)|박정숙]].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버턴 FC 스트라이커 [[케빈 캠벨]].
* [[2월 7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 [[윤희숙]].
* [[2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선영 (성우)|박선영]].
** 미국의 전 농구 선수 [[알론조 모닝]].
* [[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준선]].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연 (배우)|이재연]].
** 대한민국의 작가 [[김동성 (작가)|김동성]].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장우 (성우)|이장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정준 (야구인)|김정준]].
* [[2월 12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브리얀 로이]].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학도 (희극인)|김학도]].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안경현]].
** 대한민국의 배우 [[박희순]].
* [[2월 14일]] - 영국의 배우 [[사이먼 페그]].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이승열]].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세창]].
* [[2월 18일]] - 일본의 성우 [[이와오 준코]].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우정신]].
** 일본의 성우 [[카사하라 히로코]].
** 미국의 정치인 [[에드 게이니]].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사업가 [[손지창]].
** 대한민국의 배우 [[김수현 (1970년)|김수현]].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황현정]].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항나]].
* [[2월 23일]] - 캐나다의 배우 [[마리조제 크로즈]].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백재현 (희극인)|백재현]].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윤성혜 (성우)|윤성혜]].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승지.
* [[2월 28일]] - 미국의 소설가 [[대니얼 핸들러]].
=== 3월 ===
* [[3월 1일]]
** 일본의 배우 [[나카야마 미호]].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정민태]].
* [[3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철호]].
* [[3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서윤선]].
** 대한민국의 기자 [[박정훈 (기자)|박정훈]].
* [[3월 5일]] - 미국의 음악가 [[존 프루시안테]].
* [[3월 6일]]
** 미국의 기타리스트 [[크리스 브로더릭]].
** 대한민국의 성우 [[이영란 (성우)|이영란]].
* [[3월 7일]] - 영국의 배우 [[레이철 바이스]].
* [[3월 8일]] - 일본의 성우 [[카사하라 루미]].
* [[3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제문]].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상훈 (1970년)|이상훈]].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상은 (가수)|이상은]].
* [[3월 13일]] - 미국의 영화 감독 [[팀 스토리]].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홍정욱]].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정민 (1970년)|김정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수영 (1970년)|박수영]].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레오니트 파세치니크]].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규석 (성우)|이규석]].
* [[3월 17일]] - 루마니아의 전 축구 선수 [[플로린 러두치오이우]].
* [[3월 18일]] - 미국의 래퍼, 배우 [[퀸 라티파]].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미혜 (1970년)|김미혜]].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아벨라르도 페르난데스]].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사가 [[최선원]].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하라]].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용순 (성우)|이용순]].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모아시르 로드리게스 산투스]]. (~[[2024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황영조]].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해설가 겸 스피드스케이팅 국제심판 [[제갈성렬]].
** 미국의 배우 [[라라 플린 보일]].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현경 (1970년)|오현경]].
* [[3월 26일]] - 영국의 영화감독 [[마틴 맥도나]].
* [[3월 27일]] - 미국의 가수, 프로듀서 [[머라이어 캐리]].
* [[3월 28일]]
** 일본의 배우 [[미즈노 마키]].
** 루마니아의 펜싱 선수 [[라우라 바데아]].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영 (정치인)|허영]].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오유경 (아나운서)|오유경]].
=== 4월 ===
* [[4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지수.
* [[4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영남 (가수)|김영남]].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가수 [[아스트로 비츠]].
* [[4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원빈]].
* [[4월 10일]] - 미국의 래퍼 [[큐팁]].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길영아]].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가수 [[이동우]].
* [[4월 13일]]
** 일본의 만화가 [[토우메 케이]].
** 헝가리의 기계체조 선수 [[촐라니 실베스테르]].
* [[4월 14일]] - 일본의 가수 [[쿠도 시즈카]].
* [[4월 15일]] - 캐나다의 미스코리아 [[강주은 (미스코리아)|강주은]].
* [[4월 16일]] - 잉글랜드의 가수 [[개브리엘 (가수)|개브리엘]].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김경욱 (양궁 선수)|김경욱]].
** 대한민국의 배우 [[송영규]].
** 대한민국의 범죄자 [[유영철]].
* [[4월 19일]]
** 멕시코의 라틴 팝 가수 [[루이스 미겔]].
** 대한민국의 성우 [[이상헌 (성우)|이상헌]].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당인 황세영.
* [[4월 21일]] - 아일랜드이 가수, 배우 [[글렌 핸사드]].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선우철]].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지수 (1970년)|김지수]].
* [[4월 25일]]
** 일본의 성우 [[카와카미 토모코]]. (~[[2011년]])
** 미국의 배우 [[제이슨 리]].
* [[4월 26일]] - 미국의 대통령 영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 [[4월 28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형준 (1970년)|김형준]].
** 대한민국의 대학교수 [[박영식]].
** 미국의 배우 [[우마 서먼]].
** 미국의 전 테니스 선수 [[앤드리 애거시]].
** 대한민국의 성우 [[정소영 (성우)|정소영]].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음정희]].
** 일본의 범죄자 [[미야노 히로시]].
=== 5월 ===
* [[5월 2일]] - 일본의 작곡가 [[사토 나오키]].
* [[5월 3일]] - 미국의 배우 [[보비 캐너베일]].
* [[5월 4일]] - 캐나다의 배우 [[윌 아넷]].
* [[5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호진 (배우)|김호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웅 (정치인)|김웅]].
** 일본의 게임개발자 [[이노 겐지]]. (~[[2013년]])
* [[5월 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용호 (1970년)|이용호]].
** 대한민국의 희극인 [[심현섭]].
* [[5월 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황봉알]].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수로 (배우)|김수로]].
* [[5월 8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루이스 엔리케 마르티네스 가르시아|루이스 엔리케]].
* [[5월 9일]] - 대한민국의 연출가 [[서혜진 (연출가)|서혜진]].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상엽 (야구인)|김상엽]].
** 대한민국의 방송인, 모델 [[이기상 (모델)|이기상]].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병지]].
** 미국의 배우 [[서맨사 매시스]].
* [[5월 15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프랑크 더 부르]].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로날트 더 부르]].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성우 [[노계현]].
** 일본의 배우 [[사카이 마키]].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연제]].
** 미국의 작가, 희극인, 배우 [[티나 페이]].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최경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변소정]].
** 캐나다의 배우 [[제이슨 그레이스탠퍼드]].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학철 (충청북도의원)|김학철]].
* [[5월 22일]]
** 영국의 모델 [[나오미 캠벨]].
** 대한민국의 배우 [[백현주 (1970년)|백현주]].
* [[5월 23일]] - 미국의 음악가 [[맷 플린 (음악가)|맷 플린]]. ([[마룬 5]])
* [[5월 24일]]
** 미국의 가수 [[토미 페이지]]. (~[[2017년]])
** 중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자장커]].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김택수 (탁구 선수)|김택수]].
** 대한민국의 기초의원 [[박환희 (1970년)|박환희]]. (~[[2023년]])
** 미국의 배우 [[옥타비아 스펜서]].
** 일본의 성우 [[유키노 사츠키]].
* [[5월 26일]]
** 영국의 영화감독 [[알렉스 가랜드]].
** 대한민국의 성우 [[남경표]].
* [[5월 27일]]
** 영국의 배우 [[조지프 파인스]].
** 영국의 정치인 [[팀 패런]].
* [[5월 29일]]
**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축구 선수 [[로베르토 디 마테오]].
** 대한민국의 희극인, 가수 [[조혜련]].
* [[5월 31일]]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파올로 소렌티노]].
=== 6월 ===
* [[6월 1일]] - 인도의 배우 [[R. 마다반]].
* [[6월 2일]] - 홍콩의 배우, 가수 [[모원웨이]].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해설자 [[한준희]].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수 (1970년)|김동수]].
** 덴마크의 음악가 [[클라우스 노렌]].
* [[6월 6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알베르트 페레르]].
* [[6월 7일]]
** 대한민국의 모델 출신 배우 [[차승원]].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카푸]].
* [[6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장 (성우)|김장]].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성균 (배우)|신성균]].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MC 겸 희극인 [[강호동]].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기자, 앵커 [[이주한]].
* [[6월 13일]] - 미국의 가수 [[리버스 쿼모]].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나운]].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민희 (배우)|조민희]].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주유랑]].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문정]]. (~[[1994년]])
* [[6월 26일]]
** 미국의 영화 감독 [[폴 토머스 앤더슨]].
** 미국의 배우 [[닉 오퍼먼]].
** 소련의 전 리듬체조 선수 [[마리나 로바치]].
** 일본의 만화가 [[코노미 타케시]].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최무배]].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무술감독 [[서범식]].
* [[6월 30일]] - 이란의 배우 [[페이만 모아디]].
=== 7월 ===
* [[7월 3일]] - 일본의 성우 [[나가시마 유코]].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현욱 (야구인)|김현욱]].
* [[7월 8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벡 (음악가)|벡]].
* [[7월 9일]] - 일본의 만화가 [[쓰다 마사미]].
* [[7월 10일]] - 영국의 배우 [[존 심]].
* [[7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철민]].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헌]].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주경]].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장미화 (희극인)|장미화]].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조경택]].
** 대한민국의 배우 [[고용화]].
* [[7월 16일]] - 태국의 영화감독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현성]].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김도훈 (1970년)|김도훈]].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창우 (1970년)|이창우]].
** 일본의 성우 [[노무라 켄지]].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상호]].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이민석.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광영 (배우)|김광영]].
* [[7월 27일]]
** 네덜란드의 필드 하키 선수 [[스테판 페인]].
** 덴마크의 배우 [[니콜라이 코스테르발다우]].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관기]].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신학자 [[이상은 (신학자)|이상은]].
** 영국의 영화감독 [[크리스토퍼 놀런]].
=== 8월 ===
* [[8월 1일]]
** 영국의 축구 선수 [[데이비드 제임스 (축구 선수)|데이비드 제임스]]
** 대한민국의 음악감독 [[방준석]]. (~[[2022년]])
* [[8월 2일]] - 미국의 영화감독 [[케빈 스미스]].
* [[8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병수 (1970년)|김병수]].
** 일본의 게임 개발자 [[사쿠라이 마사히로]].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추성건]].
** 대한민국의 무술감독 [[최태환 (1970년)|최태환]].
* [[8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안용욱]].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아키타 유타카]].
** 미국의 영화감독 [[M. 나이트 샤말란]].
* [[8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은숙]].
* [[8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기범 (축구인)|이기범]].
* [[8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혜진 (1970년)|전혜진]].
** 미국의 배우 [[토머스 레넌]].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차훈]].
** 영국의 가수 [[앤디 벨]].
* [[8월 12일]] - 싱가포르의 축구 선수 [[알렉산다르 주리치]].
* [[8월 13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앨런 시어러]].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가, 전 야구 선수 [[마해영]].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 코치 [[이종범]].
** 미국의 배우 [[앤서니 앤더슨]].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최태원 (야구인)|최태원]].
** 미국의 래퍼 [[팻 조]].
* [[8월 20일]] - 비즈킷의 보컬리스트 [[프레드 더스트]].
* [[8월 2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감독 [[크레이그 카운셀]].
** 캐나다의 배우 [[캐시 웨슬럭]].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성재 (배우)|이성재]].
** 미국의 배우 [[리버 피닉스]]. (~[[1993년]])
* [[8월 24일]] - 터키의 전 축구 선수 [[투가이 케리몰루]].
* [[8월 25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축구 선수 [[하오하이둥]].
** 독일의 모델 겸 배우 [[클라우디아 시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민호 (1970년)|이민호]].
* [[8월 26일]] - 미국의 배우, 희극인 [[멀리사 매카시]].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박명수]].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현철 (희극인)|김현철]].
** 대한민국의 성우 [[정우석]].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윤경 (가수)|박윤경]].
** 대한민국의 성우 [[김수진 (성우)|김수진]].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련]]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형준 (배우)|박형준]].
** 미국의 가수 겸 배우 [[데비 깁슨]].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정민]].
* [[9월 2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심판 [[칼릴 알 감디]].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미정 (경기도의원)|김미정]]. (~[[2023년]])
** 대한민국의 전 사이클 선수 [[김진영 (자전거 경기 선수)|김진영]].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터틀맨]] ([[거북이 (음악 그룹)|거북이]]). (~[[2008년]])
** 영국의 축구 선수 [[개러스 사우스게이트]].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선영 (1970년생 배우)|박선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충식 (1970년)|박충식]].
**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 [[이건 (소방공무원)|이건]].
* [[9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수]].
** 홍콩의 요트 선수 [[리라이산]].
** 마케도니아의 축구 선수 [[사샤 일리치 (1970년)|사샤 일리치]].
* [[9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백승철 (배우)|백승철]].
* [[9월 8일]] - 일본의 성우 [[쿠마이 모토코]].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헌 (배우)|이정헌]].
** 일본의 배우 [[이종호 (배우)|이종호]].
* [[9월 11일]] - 미국의 배우 [[터라지 P. 헨슨]].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민규동]].
** 대한민국의 성우 [[홍승표 (성우)|홍승표]].
** 대한민국의 기자 [[김윤덕 (신문인)|김윤덕]].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통역사 [[김선일 (통역사)|김선일]]. (~[[2004년]])
** 일본의 성우 [[마츠오카 유키]].
** 일본의 성우 [[이마이 유카]].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인 (인천광역시의원)|김종인]].
**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 [[유리 니키포로프]].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국희]].
* [[9월 19일]]
** 홍콩의 배우 [[종려시]].
** 일본의 성우 [[이마이 유카]].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나현희]].
* [[9월 21일]] - 미국의 외교관 [[서맨사 파워]].
* [[9월 22일]]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에마뉘엘 프티]].
** 잉글랜드의 배우 [[루퍼트 펜리존스]].
** 대한민국의 배우 [[여재구]]. (~[[2007년]])
* [[9월 25일]] - 일본의 배우 [[시미즈 미사]].
* [[9월 26일]] - 미국의 배우 [[셰리 문 좀비]].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사진작가 [[김수강]].
* [[9월 29일]]
** 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 [[타지리 요시히로]].
** 덴마크의 영화감독 [[니콜라스 빈딩 레픈]]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감우성]].
* [[10월 2일]] - 스페인의 배우 [[마리벨 베르두]].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김구라]].
** 미국의 야구 선수 [[제이 데이비스]].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홍원빈]].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부진]].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이재규]].
* [[10월 8일]]
**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캐릭터디자이너, 디렉터 [[노무라 테츠야]].
** 미국의 배우 [[맷 데이먼]].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영화감독 박재현.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역사 강사 [[설민석]].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이봉주]].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원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혁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신태용]].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창석]].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박재현 (농구인)|박재현]]. (~[[2004년]])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철 (1970년)|김종철]].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성훈 (정치인)|강성훈]].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민규 (가수)|이민규]].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조성환 (1970년)|조성환]].
** 독일의 축구 선수 [[메흐메트 숄]].
* [[10월 18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마이크 미첼 (영화 감독)|마이크 미첼]].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상민 (배우)|박상민]].
** 대한민국의 가수 [[양혜승 (가수)|양혜승]].
* [[10월 27일]]
** 중화민국의 가수 [[소혜륜]].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박수홍]].
* [[10월 29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에드윈 판 데르 사르]].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코치 [[필립 코퀴]].
* [[10월 31일]]
** 미국의 성우 [[놀런 노스]].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연 (가수)|이지연]].
=== 11월 ===
* [[11월 1일]] - 미국의 농구 선수 [[에릭 스폴스트러]].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나현 (영화 감독)|나현]].
* [[11월 5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미야모토 신야]].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소영 (강원도의원)|허소영]].
** 미국의 배우 [[에단 호크]].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조예신]].
** 영국의 언론인 [[존 캔틀리]]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김태영 (1970년)|김태영]].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한상권]].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최진영 (배우)|최진영]]. (~[[2010년]])
** 일본의 가수, 기타리스트 [[죠시마 시게루]].
* [[11월 18일]]
** 미국의 저널리스트, 변호사 [[메긴 켈리]].
** 일본의 성우 [[니시무라 치나미]].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소영 (성우)|이소영]].
** 대한민국의 성우 [[이영아 (성우)|이영아]].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범죄자 [[우위안춘|오원춘]].
** 대한민국의 성우 [[김정은 (성우)|김정은]].
** 아랍에미리트의 정치인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흐얀]].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재영]].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가수 [[김경식 (희극인)|김경식]].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예령 (정치인)|김예령]].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축구 지도자 [[김병수 (축구인)|김병수]].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양정화 (성우)|양정화]].
** 대한민국의 소설가, 시인 [[한강 (작가)|한강]].
* [[11월 28일]]
** 프랑스의 정치인 [[에두아르 필리프]].
** 대한민국의 가수 [[곽창선]].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승룡]].
** 대한민국의 배우 [[이주화]].
* [[11월 30일]] - 캐나다의 배우 [[샌드라 오]].
=== 12월 ===
* [[12월 1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조너선 콜턴]].
** 미국의 희극인, 배우 [[세라 실버먼]].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성국 (배우)|최성국]].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정 (1970년)|김희정]].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미선]]. (~[[2019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두경]].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서진 (1970년)|박서진]].
** 대한민국의 가수 유진.
* [[12월 10일]]
** 일본의 애니메이션 성우 겸 가수 [[사토 히로미]].
** 대한민국의 만화가 [[천계영]].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뮤지컬 배우 [[권재환 (배우)|권재환]].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이수희 (정치인)|이수희]].
* [[12월 12일]] - 미국의 배우 [[제니퍼 코널리]].
* [[12월 13일]] - 베트남의 정치인 [[보반트엉]].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노상래]].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복인]].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서정원]].
* [[12월 19일]] - 일본의 작가 [[타니가와 나가루]].
* [[12월 20일]]
** 미국의 영화감독 [[토드 필립스]].
** 대한민국의 정치인 [[민병덕 (1970년)|민병덕]].
* [[12월 21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다니시게 모토노부]].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문직업인 [[진승희]].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학선]].
** 미국의 성우 [[키스 실버스틴]].
* [[12월 25일]]
** 일본의 성우 [[사토 유코]].
** 나이지리아의 전직 육상 선수 [[치오마 아준와]].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선우 (1970년)|박선우]].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국기]].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엔리코 키에사]].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윤정.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구혜령]].
** 대한민국의 배우 [[정석용 (배우)|정석용]].
=== 미상 ===
*대한민국의 배우 [[최덕문]].
*대한민국의 배우 [[홍승모]].
*대한민국의 변호사 [[최유정 (법조인)|최유정]].
*대한민국의 방송 기자 [[현제훈]]. (~[[2024년]])
*대한민국의 가수 [[태윤 (가수)|태윤]].
== 사망 ==
[[파일:Presiden Sukarno.jpg|섬네일|120px|수카르노]]
[[파일:De Gaulle-OWI.jpg|섬네일|120px|샤를 드 골]]
<!-- (← 출생년도)를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
* [[1월 30일]]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군인 [[프리츠 바이에를라인]]. (~[[1899년]])
* [[2월 2일]] -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 (~[[1872년]])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 [[김활란]]. (~[[1899년]])
[[2월 22일]] - 미국의 화가 마크 로스코 (1903년)
* [[2월 22일]] - 미국의 만화영화 제작자 [[에드워드 셀저]]. (~ [[1893년]])
* [[3월 31일]] - 소련의 군인 [[세묜 티모셴코]]. (~[[1895년]])
* [[5월 1일]] -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의민태자]]. (~[[1897년]])
* [[6월 11일]] - 러시아의 혁명가, 총리였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알렉산드르 표도로비치 케렌스키]]. (~[[1881년]])
* [[7월 13일]] - 중화민국의 군벌 [[성스차이]]. (~[[1895년]])
* [[7월 21일]] -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 (~[[1901년]])
* [[7월 29일]] - 영국의 지휘자 [[존 바비롤리]]. (~~[[1899년]])
* [[9월 18일]] - 미국의 록 뮤지션 [[지미 헨드릭스]]. (← [[1942년]])
* [[9월 25일]] - 독일의 소설가 [[에리히 레마르크]]. (← [[1898년]])
* [[9월 28일]] - 이집트의 제2대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 (← [[1918년]])
* [[10월 2일]] - 독일의 배우, [[그레테 바이저]]. (→ [[1903년]])
* [[10월 19일]] - 멕시코의 제44대 대통령 [[라사로 카르데나스]]. (← [[1895년]])
* [[11월 9일]] - 프랑스의 제18대 대통령 [[샤를 드골]]. (← [[1890년]])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전태일]]. (← [[1948년]])
* [[11월 19일]] - 소련의 군인[[안드레이 예료멘코]]. (← [[1892년]])
* [[11월 23일]] - 노르웨이의 작가 [[알프 프뢰위센]]. (← [[1914년]])
* [[11월 25일]] - 일본의 작가 [[미시마 유키오]]. (← [[1925년]])
== 노벨상 ==
* '''경제학상''':[[폴 새뮤얼슨]]
* '''문학상''':[[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물리학상''':[[한네스 알벤]], [[루이 네엘]]
* '''생리학 및 의학상''':줄리어스 액설로드,버나드 카츠, [[울프 폰 오일러]]
* '''평화상''':[[노먼 볼로그]]
* '''화학상''':루이스 를루아르
== 달력 ==
{{연간달력|1970}}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2월 6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2월|2월]] || [[기묘]] || 소 || [[3월 8일]] || [[정해]]
|-
| [[음력 3월|3월]] || [[경진]] || 소 || [[4월 6일]] || [[병진 (간지)|병진]]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대 || [[5월 5일]] || [[을유]]
|-
| [[음력 5월|5월]] || [[임오]] || 대 || [[6월 4일]] || [[을묘]]
|-
| [[음력 6월|6월]] || [[계미]] || 소 || [[7월 4일]] || [[을유]]
|-
| [[음력 7월|7월]] || [[갑신]] || 대 || [[8월 2일]] || [[갑인]]
|-
| [[음력 8월|8월]] || [[을유]] || 소 || [[9월 1일]] || [[갑신]]
|-
| [[음력 9월|9월]] || [[병술]] || 대 || [[9월 30일]] || [[계축]]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대 || [[10월 30일]] || [[계미]]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소 || [[11월 29일]] || [[계축]]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2월 28일]] || [[임오]]
|}
{{전거 통제}}
[[분류:1970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392}}
{{기년법|1392}}
== 연호 ==
* [[명나라|명]](明) [[홍무]](洪武) 25년
* [[일본]](日本) [[남조 (일본)|남조]](南朝) [[겐추]]({{lang|ja|元中}}) 9년 / [[메이토쿠]]({{lang|ja|明徳}}) 3년
* [[일본]](日本) [[북조 (일본)|북조]](北朝) [[메이토쿠]]({{lang|ja|明徳}}) 3년
* [[쩐 왕조]](陳朝) [[꽝타이]](光泰) 5년
== 기년 ==
* [[명나라|명]](明) [[홍무제|태조 홍무제]](太祖 洪武帝) 25년
* [[고려]](高麗) [[고려 공양왕|공양왕]](恭讓王) 4년
* [[조선]](朝鮮) [[태조 (조선)|태조]](太祖) 원년(건국)
* [[쩐 왕조]](陳朝) [[쩐 순종|순종]](順宗) 5년
== 사건 ==
* [[4월 26일]]([[음력 4월 4일]]) - 정몽주가 이방원의 심복 조영규에게 선죽교에서 죽임을 당함.
* [[8월 2일]]([[음력 7월 17일]]) - [[태조 (조선)|태조]](太祖)가 [[개성특급시|송경]](松京) 수창궁(壽昌宮)에서 [[공양왕]]으로부터 선위(禪位) 받는 형식으로 왕위에 오름으로써 [[조선왕조]]가 개국하였다.<ref>[[#태조실록 1413|태조실록 (1413)]]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107017_001 1권, 태조 1년 7월 17일 병신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s:태조강헌대왕실록/1년|조선왕조실록/태조실록/1년]]〉7월 17일, 태조가 수창궁(壽昌宮)에서 즉위하였다.</ref>
* [[음력 10월 19일]] - 일본 [[쓰쿠시 국|축주]] 태수(筑州太守) 장충가(藏忠佳)가 승려 장주(藏主)·종순(宗順) 등을 보내어 사로잡혀 갔던 조선의 인민들을 돌려보내고 또 수호(修好)하기를 청하였다.<ref>[[#태조실록 1413|태조실록 (1413)]]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110019_002 2권, 태조 1년 10월 19일 정묘 2번째기사 ]</ref>
* [[12월 1일]]([[음력 11월 17일]]) - 인재의 천거 등 시무책을 정함.
* [[음력 11월 29일]] - 예문관 학사(藝文館學士) [[한상질]](韓尙質)을 명나라 [[남경]]에 보내, 조선(朝鮮)과 화령(和寧) 중에서 국호(國號)를 고치기를 청하게 하였다.<ref>[[#태조실록 1413|태조실록 (1413)]]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111029_001 2권, 태조 1년 11월 29일 병오 1번째기사]</ref>
* [[음력 11월]] - 조선이 승려 각추(覺鎚)를 [[무로마치 막부]]에 보내, 왜구의 금압(禁壓)과 피로인(被虜人)의 귀환을 요구함과 동시에 수호(修好)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답사(答使)를 보내 피로인 100명을 송환하면서 조선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ref>[[#하우봉 2010|하우봉 2010]] 155쪽. "태조 이성계는 즉위한 직후 室町幕府에 승려 覺鎚를 보내 왜구의 금압과 피로인의 쇄환을 요구함과 동시에 修好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막부의 3대장군 足利義滿은 答使를 보내 피로인 100명을 송환하면서 조선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ref><ref>[[#손승철, 박찬기 2008|손승철, 박찬기 2008]] 115쪽. "1392.11 승려 각추 왜구금압요청 『善隣國宝紀』"</ref><ref>《선린국보기([[:ja:善隣国宝記|善隣国宝記]])》</ref>
== 탄생 ==
<!--이 단락을 편집할 때는 다음을 꼭 지켜주세요.
* 모든 인물은 위키백과에 등재된 인물이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어야 합니다.
* 국가 이름에 내부 링크( [[ ]] )를 만들지 마세요. {{국기나라}}틀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 [[8월 6일]] - 미국의 예술가 [[앤디 워홀]].
년월일 문서의 편집지침은 [[백:위키프로젝트 년월일]]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빈 문단}}
== 사망 ==
* [[4월 26일]]([[음력 4월 4일]]) - 고려의 문신이자 유학자 [[정몽주]].
* [[9월 10일]]([[음력 8월 23일]]) - 고려의 문신이자 유학자 [[이숭인]].
* [[12월 10일]]([[음력 11월 26일]]) - [[배극렴]].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위키인용 |ref="태조실록 1413"| reference ={{서적 인용 | 저자=춘추관 관원들 | 날짜=1413 | 제목=[[태조실록]] | ref={{sfnRef|태조실록 1413}} }} }}
*{{위키인용 |ref="손승철, 박찬기 2008"| reference ={{저널 인용 | 저자1=손승철 | 저자2=박찬기 | 제목=외교적 관점에서 본 조선통신사, 그 기록의 허와 실 | 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752677 | 저널=한국문학과예술 | 출판사=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 권=제2집 | 호= | doi= | 날짜=2008-09 | ref={{sfnRef|손승철, 박찬기 2008}}}} }}
*{{위키인용 | ref="하우봉 2010" | reference ={{저널 인용 | 저자=하우봉 | 제목=조선 전기 부산과 대마도의 관계 | 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1403902 | 저널=역사와경계 | 출판사=부산경남사학회 | 권=제74집 | 호= | doi= | 날짜=2010 | ref={{sfnRef|하우봉 2010}}}} }}
[[분류:1392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60}}
{{기년법|1960}}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 사건 ==
* [[아프리카의 해]].
* [[2월 11일]] - [[니키타 흐루쇼프|흐루쇼프]], [[자와할랄 네루|네루]] 수상 회담; 군축과 개발촉진에 합의.
* [[2월 23일]] - 미 해군 소속의 돈 윌시와 스위스의 탐험가이자 발명가 [[자크 피카르]]([[:en:Jacques Piccard|Jacques Piccard]])가 잠수정 트리에스테가2호를 타고 [[마리아나 해구]] {{convert|10,916|m|abbr=on}} 깊이까지 잠수하다.
* [[2월 28일]] - [[2·28 대구 학생의거]] 발발.
* [[3월 2일]] -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발생.
* [[3월 8일]] - 대전에서 [[3·8 민주의거]] 발발.
* [[3월 15일]] - [[3·15 부정선거]]가 발생하였다.([[4·19 혁명]]의 도화선이된 사건)
* [[4월 19일]] - [[4·19 혁명]]으로 [[부통령]]은 [[대한민국]]에서 폐지되었다.
* [[4월 21일]] - [[브라질]]의 수도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브라질리아]]로 이전됨.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대통령|제1·2·3대 대통령]] [[이승만]]이 하야하였다.
* [[5월 21일]] - 대한민국, 내각책임제 개헌안 공고. ([[대한민국의 헌법]] 참조)
* [[5월 29일]] - [[이승만]] 전 대통령이 [[미국]]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 [[6월 15일]] -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헌법안 가결.
* [[6월 25일]] - [[6.25 전쟁]] 10주년.
* [[8월 5일]] - [[부르키나파소]] 독립.
* [[8월 7일]] - [[피델 카스트로]], [[쿠바]] 내 미국 자산 몰수 선언.
* [[8월 8일]] -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출범.
* [[8월 11일]] - [[차드]]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 [[8월 12일]] - [[윤보선]] 대한민국의 제 4대 [[대통령]]으로 취임. 국무총리에 [[장면]] 선출.
* [[8월 12일]] - 첫 [[통신 위성]]인 [[에코 위성|에코 1호]]가 발사되다.
* [[8월 1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 남북연방제 제의.
* [[8월 17일]] - [[가봉]]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다.
* [[8월 19일]] - [[대한민국]], [[장면]]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총리에 피선.
* [[8월 23일]] -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초대 총리 [[장면]](張勉) 내각 출범.
* [[9월 6일]] - [[일본]] 친선사절단 내한.
* [[9월 14일]] -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베네수엘라]] 등 5개 산유국, 바그다드 회의서 [[석유수출국기구]](OPEC) 결성.
* [[9월 20일]] - [[가봉]], [[니제르]], [[마다가스카르]], [[베냉]], [[차드]], [[부르키나파소]], [[소말리아]],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키프로스]], [[코트디부아르]], [[키프로스]], [[토고]], [[유엔]] 가입.
* [[9월 22일]] - [[말리]], 독립하다.
* [[9월 24일]] - 세계 최초 [[원자력]] [[항공모함]]인 미국의 [[CVN-65 엔터프라이즈]], [[버지니아주]] [[뉴포트 (버지니아주)|뉴포트항]]에서 진수.
* [[9월 26일]] - 미국에서 [[존 F. 케네디]]와 [[리처드 닉슨]]이 처음으로 대통령 후보 텔레비전 토론을 벌이다.
* [[9월 28일]] - [[말리]], [[세네갈]], [[유엔]] 가입.
* [[10월 1일]]
** [[나이지리아]]가 독립하다.
** [[키프로스]]가 독립하다.
* [[10월 7일]] - [[나이지리아]], [[유엔]] 가입.
* [[10월 12일]] - [[아사누마 이네지로|도쿄 찌리기 사건]]으로 발생되었다.
* [[11월 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함흥시]]가 [[함경남도]]에서 분리되어 "함흥직할시"로 신설되다. 이후 이듬해 [[흥남시]]가 [[함흥시]]로 흡수.
* [[11월 7일]] - 미국 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 당선.
* [[11월 28일]] - [[모리타니]]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 [[12월 30일]] - [[윤보선]] [[대한민국]] 대통령이 대통령의 관저 이름을 경무대에서 [[청와대]]로 개명하였다.
== 문화 ==
* [[4월 18일]] - [[서강대학교]] 개교.
* [[8월 25일]] ~ [[9월 11일]] - [[1960년 하계 올림픽|제17회 로마 올림픽]] 개최.
* [[10월 12일]] -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재 [[효창 운동장]] 개장.
* [[9월 10일]] -
** '맨발의 왕자'로 불린 에티오피아 마라토너 [[비킬라 아베베]], [[1960년 하계 올림픽|제17회 로마 올림픽]] 마라톤서 2시간 15분 16초의 세계신기록으로 우승.
** 일본 [[NHK 종합 텔레비전]], 컬러 텔레비전 방송 개시.
== 탄생 ==
{{분류 참고|1960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양방언]].
** 미국의 기업인 [[마이클 린턴]].
* [[1월 2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오대석]].
** 일본의 만화가 [[우라사와 나오키]].
* [[1월 3일]] - 대한민국의 문학 겸 정치인 [[정도상]].
* [[1월 8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주호영]].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승호 (야구인)|양승호]].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금융인 [[나재철]].
* [[1월 12일]] - 타지키스탄 출신 축구 선수 [[신의손]].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장혜리]].
* [[1월 18일]] - 영국의 배우 [[마크 라일런스]].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수 [[박형준 (1960년)|박형준]].
** 이탈리아의축구 선수, 지도자 [[마우로 타소티]].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황근]].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박영선 (정치인)|박영선]].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금식]].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예진]].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성엽]].
** 일본의 성우 [[나라하시 미키]].
** 대한민국의 배우 [[차화연]].
* [[1월 26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로드 워리어 애니멀]]. (~[[2020년]])
* [[1월 27일]] - 탄자니아의 정치인, 대통형 [[사미아 술루후 하산]].
* [[1월 29일]] - 미국의 다이빙 선수 [[그레그 루가니스]].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미경 (배우)|이미경]]. (~[[2004년]])
* [[2월 3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요아힘 뢰프]].
* [[2월 7일]]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정태인]]. (~[[2022년]])
** 일본의 성우, 연극배우 [[마츠모토 야스노리]].
** 미국의 배우 [[제임스 스페이더]].
* [[2월 8일]] - 포르투갈의 연극 배우, 영화배우 [[누노 메로]].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용환]]. (~[[2015년]])
** 대한민국의 가수 김정은.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광렬]].
* [[2월 13일]] - 이탈리아의 축구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승로]].
* [[2월 19일]] - 영국의 왕족 [[요크 공작 앤드루]].
* [[2월 20일]]
** 일본의 메카닉 디자이너, 에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카와모리 쇼지]].
** 미국의 영화배우, 성우, 각본가, 안무가, 영화 감독, 작가, 무대 연출가 [[웬디 리]].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교육자 [[김광민 (음악가)|김광민]].
* [[2월 23일]] - 일본의 천황 [[나루히토]].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임은정 (성우)|임은정]].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이병태 (교수)|이병태]].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로프 란스베르헌]]. (~[[2022년]])
* [[2월 26일]] - 독일의 배우, 각본가 [[루트거 피스토어]].
* [[2월 27일]] - 영국과 미국의 경제학자 [[제임스 A. 로빈슨]].
* [[2월 28일]] - 캐나다의 배우, 모델 [[도로시 스트래튼]].
* [[2월 29일]]
**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대학 교수 출신 외교관 [[마이클 솅 티 고]].
** 미국의 작가 [[토니 로빈스|앤서니 로빈스]].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지도자 [[김학범]].
** 대한민국의 지방의회 [[임재구]]. (~[[2020년]])
* [[3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영옥]].
* [[3월 6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이영훈]]. (~[[2008년]])
** 대한민국의 음악가 [[조동익]].
* [[3월 7일]] - 미국의 테니스 선수 [[이반 렌들]].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문학.예술인 [[장창호]].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시인 [[기형도]]. (~[[1989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노태강]].
** 영국의 베이시스트 [[애덤 클레이턴]].
** 아르헨티나의 축구 감독 [[호르헤 삼파올리]].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대표이사 [[송병준 (방송인)|송병준]].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희극인 [[이재포]].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재현 (기업인)|이재현]].
* [[3월 20일]] - 라투니아의 수영 선수 [[로베르타스 줄파]]. (~[[2024년]])
* [[3월 21일]] - 브라질의 자동차 경주 선수 [[아이르통 세나]]. (~[[1994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황병일]].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성수 (가수)|최성수]].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정철 (배구인)|이정철]].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성우 [[권영호 (성우)|권영호]].
* [[3월 29일]] - 일본의 성우 [[츠루 히로미]].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고미숙]].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관철]].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왕태언]].
** 일본의 성우 [[쿠지라]].
* [[4월 2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이한영]]. (~[[1997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미숙]].
* [[4월 3일]] - 중국의 소설가 [[위화 (소설가)|위화]].
* [[4월 4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휴고 위빙]].
* [[4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규철]].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진 (1960년)|김진]].
* [[4월 8일]]
** 미국의 소프라노 [[가수]] [[데버러 보이트]].
** 미국의 배우 [[존 슈나이더]].
* [[4월 9일]] - 스페인의 영화 감독 [[이자벨 코셰트]].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종찬 (가수)|김종찬]].
**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초지방자치단체장 [[함명준]].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태영 (1960년)|정태영]].
* [[4월 13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루디 푈러]].
* [[4월 16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라파엘 베니테스]].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피에르 리트바르스키]].
* [[4월 20일]] - 쿠바의 정치인 [[미겔 디아스카넬]].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철호 (1960년)|박철호]].
* [[4월 23일]] - 미국의 배우 [[밸러리 버티넬리]].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윤소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미경]].
** 일본의 성우 [[키쿠치 마사미]].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 [[유승희]].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사업가 [[방미]].
* [[4월 28일]]
** 일본의 정치인 [[쓰지모토 기요미]].
** 미국의 성우 [[스티븐 블룸]].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발테르 젱가]].
*[[4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성동]].
=== 5월 ===
* [[5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용수 (야구인)|김용수]].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백성현 (정치인)|백성현]].
** 영국의 영화감독 [[스티븐 돌드리]].
** 영국의 육상 선수 [[마이크 맥팔레인]]. (~[[2023년]])
* [[5월 3일]] - 대한민국의 예술 경영인 [[김주호 (경영인)|김주호]]. (~[[2013년]])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선호 (성우)|이선호]].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호연]].
** 일본의 정치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 [[5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울특별시 중구의원 [[김영선 (1960년 5월)|김영선]]. (~[[2015년]])
* [[5월 7일]] - 소련의 육상 선수 [[알렉산드르 시도렌코]]. (~[[2022년]])
* [[5월 8일]]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프란코 바레시]].
** 카자흐스탄의 사격 선수 [[세르게이 벨랴예프 (사격 선수)|세르게이 벨랴예프]]. (~[[2020년]])
* [[5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민영삼]].
** 미국의 야구 선수 [[토니 그윈]]. (~[[2014년]])
* [[5월 10일]]
** 아일랜드의 락 밴드 U2의 보컬리스트 [[보노]].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작가 [[공병호]].
** 대한민국의 배우 [[권기선]].
* [[5월 12일]]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니이하라 미노루]].
* [[5월 15일]] - 일본의 음악가 [[이노우에 슌지]].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정치인. 제15·16·17·18·21대 국회의원 [[김영선 (1960년)|김영선]].
* [[5월 20일]] - 미국의 배우 [[토니 골드윈]].
* [[5월 21일]] - 미국의 연쇄 살인범 [[제프리 다머]]. (~[[1994년]])
* [[5월 22일]] - 일본의 영화 감독 [[안노 히데아키]].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선주]].
* [[5월 24일]] - 영국의 배우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지도자 [[오연교]]. (~[[2000년]])
**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월러스 로니]]. (~[[2020년]])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대중 음악가 [[정원영]].
** 소련의 수영 선수 [[알렉산드르 시도렌코]]. (~[[2022년]]).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주영]].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형곤]]. (~[[2006년]])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기자 [[김세용 (1960년)|김세용]].
* [[6월 3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농구코치 [[김현준 (농구인)|김현준]]. (~[[1999년]])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동철 (야구 선수)|김동철]]. (~[[1983년]])
* [[6월 6일]] - 미국의 기타연주가, 작곡가, 싱어송라이터 [[스티브 바이|스티브바이]].
* [[6월 7일]] - 일본의 만화가 [[아라키 히로히코]].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상운]].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동균]]. (~[[2024년]])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기업인 [[김영남 (레슬링 선수)|김영남]].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김영희 (1960년)|김영희]].
* [[6월 17일]] - 미국의 배우 [[토머스 헤이든 처치]].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정호 (1960년)|김정호]].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학원인 [[오성식]].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구논회]]. (~[[2006년]])
* [[6월 22일]] - 미국의 소비자 운동가 겸 환경 운동가 [[에린 브로코비치]].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김보한]]. (~[[2021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진규 (기업인)|박진규]].
** 일본의 성우 [[이시이 코지]].
* [[7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정봉주]].
* [[7월 4일]] - 대한민국의 셰프 [[여경래]].
* [[7월 5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성석제]].
* [[7월 7일]]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김진숙 (노동조합인)|김진숙]].
* [[7월 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 야구 감독, 현 야구 코치 [[한대화]].
* [[7월 11일]] - 이란의 영화감독 [[자파르 파나히]].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손갑도]].
* [[7월 14일]] - 베냉의 싱어송라이터 [[앙젤리크 키조]].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철형]].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태욱 (아나운서)|김태욱]]. (~[[2021년]])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유창선]].
** 대한민국의 공무원 [[박영준 (1960년)|박영준]].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민석 (성우)|김민석]].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혜경 (성우)|김혜경]].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 [[염태영]].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검사, 정치인 [[주광덕]].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추경호]].
* [[7월 30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리처드 링클레이터]].
** 필리핀의 영화감독 [[브릴란테 멘도사]].
** 미국의 군인 [[게리 고든]]. (~[[1993년]])
=== 8월 ===
* [[8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광길]].
** 스페인의 정치인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 야구 감독 [[김진욱 (1960년)|김진욱]].
* [[8월 6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모리와키 히로시]].
** 대한민국의 가수 [[진성 (가수)|진성]].
* [[8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병수 (가수)|임병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리룡남]].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화 (배우)|김진화]].
** 스페인의 배우 [[안토니오 반데라스]].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근희]].
** 일본의 만화가 [[카미키타 후타고]].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상철 (1960년)|이상철]].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옥숙]].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사라 브라이트만]].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관석]].
** 미국의 배우 [[숀 펜]].
* [[8월 23일]] - 일본의 정치인 [[마부치 스미오]].
* [[8월 24일]]
** 일본의 영화 감독 [[미이케 다카시]].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칼 립켄 주니어]].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병태]].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은우 (희극인)|김은우]].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곽정숙]]. (~[[2016년]])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교흥]].
* [[8월 31일]] - 레바논의 정치인 [[하산 나스랄라]].
=== 9월 ===
* [[9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진석 (정치인)|정진석]].
* [[9월 6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황인수]].
** 대한민국의 배우 [[차기환]].
* [[9월 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동진 (1960년)|이동진]].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천호진]].
** 대한민국의 배우, 영화 제작자 [[휴 그랜트]].
* [[9월 10일]] - 영국의 배우 [[콜린 퍼스]].
* [[9월 11일]]
** 멕시코의 테너 가수 [[라몬 바르가스]].
** 일본의 배우, 가수, 성우 [[스즈카제 마요]].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영찬 (바둑 기사)|박영찬]].
* [[9월 14일]]
** 미국의 배우 [[멀리사 리오]].
** 독일의 영화 감독 [[크리스티안 페촐트 (영화 감독)|크리스티안 페촐트]].
* [[9월 16일]] - 일본의 성우 [[소노베 케이이치]].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공기업인 [[김태호 (1960년)|김태호]].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선교]].
** 이집트의 산업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추경호]].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방송인 [[이경규]].
** 캐나다의 배우 [[데이비드 제임스 엘리엇]].
** 미국의 배우 [[메리 마라]]. (~[[2022년]])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경민 (성우)|김경민]].
* [[9월 25일]]
** 일본의 만화가 [[다다 가오루]]. (~[[1999년]])
** 우크라이나의 전 축구 선수, 정치인 [[이고리 벨라노프]].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경 (1960년)|김민경]]. (~[[2021년]])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경인선 (배우)|경인선]].
* [[10월 5일]]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카레카]].
* [[10월 6일]] - 미국의 기업인 [[엘리스 쇼트]].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대한법률구조공단 [[조상희]].
** 미국의 기업인 [[리드 헤이스팅스]].
* [[10월 9일]] - 일본의 문예평론가 [[후쿠다 가즈야]]. (~[[2024년]])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진관]].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병옥 (배우)|김병옥]].
* [[10월 12일]] - 일본의 배우 [[사나다 히로유키]].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세준 (배우)|박세준]].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 [[임성한]].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7대 국회의원 [[김영대 (1960년)|김영대]].
** 미국의 논픽션 작가 겸 금융 저널리스트 [[마이클 루이스]].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원중]].
* [[10월 18일]]
** 벨기에의 영화 배우 [[장클로드 반담]].
** 미국의 촬영 감독 [[존 슈워츠먼]].
* [[10월 21일]] -일본의 작곡가 [[센주 아키라]].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현 (1960년)|이재현]].
** 미국의 컴퓨터 공학자 [[랜디 포시]]. (~[[2008년]])
** 일본의 전직 자위대원, 정치인 [[사토 마사히사]].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연출자 [[김병욱 (연출가)|김병욱]].
* [[10월 28일]] - 일본의 애니메이션 연출가, 각본가, 감독 [[후쿠다 미츠오]].
* [[10월 29일]] - 카자흐스탄의 기업가 [[블라디미르 킴]].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맹상훈]].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디에고 마라도나]]. (~[[2020년]])
* [[10월 31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아르노 데플레생]].
** 이란의 전 황태자 [[레자 팔라비]].
=== 11월 ===
* [[11월 1일]]
** 미국의 기업인 [[팀 쿡]].
** 멕시코 태생 미국의 야구 선수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2024년]])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산악인 [[엄홍길]].
** 미국의 레슬링 선수 [[브루스 바움가트너]].
** 이란의 군인 [[모하마드 레자 자헤디]]. (~[[2024년]])
* [[11월 5일]] - 영국의 배우 [[틸다 스윈튼]]. (~[[2024년]])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석원 (축구인)|김석원]].
* [[11월 8일]] - 스웨덴의 배우 [[미카엘 뉘크비스트]]
* [[11월 9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안드레아스 브레메]]. (~[[2024년]])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강우석]].
** 잉글랜드의 소설가 [[닐 게이먼]].
** 일본의 가수, 배우 [[카와시마 나오미]]. (~[[2015년]])
* [[11월 11일]] - 미국의 영화배우 [[스탠리 투치]].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일재]]. (~[[2019년]])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재용 (성우)|이재용]].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MC 겸 가수 [[이승운]] (~[[2009년]])
* [[11월 17일]] - 미국의 배우, 가수 [[루폴]].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휘향]].
** 일본의 성우 [[나카 히로시]].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최일구]].
* [[11월 22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레오스 카락스]].
** 홍콩의 영화배우, 방송인 [[쩡웨이취안]]. (~[[2020년]])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세범]].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제 5대 국가안보실장 [[김성한 (1960년)|김성한]].
** 미국의 정치인, 변호사 [[존 F. 케네디 주니어]]. (~[[1999년]])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신일]].
** 대한민국의 의사 출신 정치인 [[서명옥]].
* [[11월 27일]] - 우크라이나의 정치인 [[율리야 티모셴코]].
* [[11월 30일]]
** 영국의 전 축구 선수 [[게리 리네커]].
**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의 배우 [[히암 아바스]].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배기완]].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선숙]].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최민희 (정치인)|최민희]].
** 대한민국의 기업인 [[최태원 (기업인)|최태원]].
** 미국의 배우 [[줄리앤 무어]].
* [[12월 7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압둘라티프 케시시]].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고경철]].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판사, 정치인 [[주호영]].
** 영국의 배우, 영화 감독 [[케네스 브래나]].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시각예술가 [[홍성석]].
** 대한민국의 성우 [[강희선]].
** 대한민국의 배우 [[이경영]].
* [[12월 14일]]
** 이란의 제8대 대통령 [[에브라힘 라이시]]. (~[[2024년]])
** 영국의 전직 축구 선수 [[크리스 워들]].
* [[12월 17일]] - 일본의 성우 [[TARAKO]]. (~[[2024년]])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제20대 대통령 [[윤석열]].
** 일본의 경제학자, 경제평론가 [[우에쿠사 가즈히데]].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김기덕 (1960년)|김기덕]]. (~ [[2020년]])
**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 [[송재호 (정치인)|송재호]].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상윤 (야구인)|이상윤]].
* [[12월 22일]]
** 일본의 기업인 [[히라이 카즈오]].
** 미국의 화가 [[장미셸 바스키아]]. (~[[1988년]])
* [[12월 23일]]
** 일본의 추리 소설가 [[아야쓰지 유키토]].
**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터 [[이노마타 무츠미]].
* [[12월 26일]] - 뉴질랜드의 배우 [[테뮤라 모리슨]].*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형일 (배우)|김형일]].
** 미국의 자동차 경주, 배우, 영화 제작자 [[채드 맥퀸]]. (~[[2024년]])
=== 미상 ===
* 대한민국의 시인 [[김선태 (1960년)|김선태]].
* 레바논 태생의 미국 경영학자, 통계학자, 수필가, 위기분석전문가 [[나심 니컬러스 탈레브]].
* 미국의 배우 [[올리버 플랫]].
* 일본의 가수 [[니이하라 미노루]].
== 사망 ==
{{분류 참고|1960년 사망}}
* [[1월 6일]] - 프랑스의 작가 [[알베르 카뮈]]. ([[1913년]]~)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조병옥]]. ([[1894년]]~)
* [[2월 29일]] - 미국의 FBI 요원 [[멜빈 퍼비스]]. ([[1903년]]~)
* [[4월 4일]] - 나치 친위대 SS소령 [[알프레트 나우요크스]]. ([[1911년]]~)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이무영 (소설가)|이무영]]. ([[1908년]]~)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기붕]]. ([[1896년]]~)
* [[7월 16일]] - 독일의 군인 [[알베르트 케셀링]]. ([[1885년]]~)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세형]]. ([[1899년]]~)
* [[9월 15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엑토르 카스트로]]. ([[1904년]]~)
* [[10월 12일]] - 일본의 정치인 [[아사누마 이네지로]]. ([[1898년]]~)
* [[11월 16일]] - 미국의 배우 [[클라크 게이블]]. ([[1901년]]~)
* [[12월 7일]] - 루마니아의 피아노 연주자 [[클라라 하스킬]]. ([[1895년]]~)
== 노벨상 ==
* '''문학상''': [[생존 페르스|생 종 페르스]]
* '''물리학상''': [[도널드 글레이저]]
* '''생리학 및 의학상''':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맥팔레인 버넷]], [[피터 메더워|피터 B. 메더워]]
* '''평화상''': [[앨버트 루툴리]]
* '''화학상''': [[윌러드 리비|월라드 리비]]
== 특징 ==
[[마라도나교]]의 교리상 1960년이 원년에 해당된다.
== 달력 ==
{{연간달력|1960}}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1월 28일]] || [[을묘]]
|-
| [[음력 2월|2월]] || [[기묘]] || 소 || [[2월 27일]] || [[을유]]
|-
| [[음력 3월|3월]] || [[경진]] || 대 || [[3월 27일]] || [[갑인]]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소 || [[4월 26일]] || [[갑신]]
|-
| [[음력 5월|5월]] || [[임오]] || 대 || [[5월 25일]] || [[계축]]
|-
| [[음력 6월|6월]] || [[계미]] || 대 || [[6월 24일]] || [[계미]]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6월 || || 소 || [[7월 24일]] || [[계축]]
|-
| [[음력 7월|7월]] || [[갑신]] || 대 || [[8월 22일]] || [[임오]]
|-
| [[음력 8월|8월]] || [[을유]] || 소 || [[9월 21일]] || [[임자]]
|-
| [[음력 9월|9월]] || [[병술]] || 대 || [[10월 20일]] || [[신사 (간지)|신사]]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소 || [[11월 19일]] || [[신해]]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대 || [[12월 18일]] || [[경진]]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소 || [[1961년]] [[1월 17일]] || [[경술]]
|}
{{전거 통제}}
[[분류:1960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02}}
{{기년법|1902}}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제국]](大韓帝國) [[광무 (연호)|광무]](光武) 6년
* [[청나라|청]](淸) [[광서]](光緖) 28년
* [[일본]](日本) [[메이지]]({{lang|ja|明治}}) 35년
* [[응우옌 왕조]](阮朝) [[타인타이 (연호)|타인타이]](成泰) 14년
== 기년 ==
* [[대한제국]](大韓帝國) [[대한제국 고종|고종]](高宗) 39년
* [[청나라|청]](淸) [[광서제|덕종 광서제]](德宗 光緖帝) 28년
* [[응우옌 왕조]](阮朝) [[타인타이 황제|성태제]](成泰帝) 14년
== 사건 ==
* [[1월 30일]] - [[영일동맹]]이 런던에서 체결되다.
* [[2월 1일]] - [[청나라]], [[만주족]]과 [[한족]]간 결혼금지령 해제.
* [[4월 20일]] - [[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가 [[염화 라듐]]을 정제해 내다.
* [[10월 16일]] - [[프랑스]], [[지문]]을 범죄자 식별법으로 이용하기 시작하다.
* [[11월 17일]] - 의학교장 [[지석영]], [[황성신문]]에 ‘양매창론’(楊梅瘡論)을 발표
* 서울과 인천 사이에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가 개설되었다.
== 문화 ==
* [[3월 6일]] - [[스페인]] [[축구]] 클럽 [[레알 마드리드 CF]] 창단.
* [[4월 26일]] - [[영국]] 축구 클럽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현재의 명칭으로 재창단.
== 탄생 ==
{{분류 참고|1902년 출생}}
=== 1월 ===
* [[1월 8일]] - 구 소련의 정치인 [[게오르기 말렌코프]]. (~[[1988년]])
* [[1월 19일]] - 러시아 태생의 역사학자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1976년]])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직자 [[노기남]]. (~[[1984년]])
* [[1월 29일]] - 마카오 정치가 겸 외교관 [[루주즈]]. (~[[2008년]])
* [[1월 31일]] - 스웨덴의 정치인 [[알바 뮈르달]]. (~[[1986년]])
=== 2월 ===
* [[2월 1일]] - 미국의 시인 [[랭스턴 휴스]]. (~[[1992년]])
* [[2월 4일]] - 미국의 비행기 조종사 [[찰스 린드버그]]. (~[[1974년]])
* [[2월 10일]] - 미국의 물리학자로 [[월터 브래튼]]. (~[[1987년]])
* [[2월 27일]] - 미국의 소설가 [[존 스타인벡]]. (~[[1968년]])
=== 3월 ===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박열 (영화)|박열]]. (~[[1974년]])
* [[3월 13일]] - 이집트의 싱어송라이터 [[무함마드 압델 와하브]]. (~[[1991년]])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나도향]]. (~[[1926년]])
=== 4월 ===
* [[4월 23일]] - 아이슬란드의 소설가 [[하들도르 락스네스]]. (~[[1998년]])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관술]]. (~[[1950년]])
* [[4월 30일]]
**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지계순 (독립운동가)|지계순]]. (~[[1920년]])
** 미국의 농업경제학자,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시어도어 슐츠]]. (~[[1998년]])
=== 5월 ===
* [[5월 24일]] - 일본의 추리 소설 작가, [[요코미조 세이시]]. (~[[1981년]])
=== 6월 ===
* [[6월 4일]] - 대한민국의 서예가 [[손재형]]. (~[[1981년]])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군인 [[장석진 (군인)|장석진]]. (~[[1990년]])
* [[6월 16일]] - 미국의 세포유전학자 [[바버라 매클린톡]]. (~[[1992년]])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시인 [[정지용]]. (~[[1950년]])
* [[6월 28일]] - 프랑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피에르 브뤼네]]. (~[[1991년]])
=== 7월 ===
* [[7월 1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윌리엄 와일러]]. (~[[1981년]])
* [[7월 15일]] - 벨기에의 정치인 [[장 레이]]. (~[[1983년]])
* [[7월 21일]] - 한국의 소설가 [[채만식]]. (~[[1950년]])
=== 8월 ===
* [[8월 8일]] - 영국의 물리학자 [[폴 디랙]]. (~[[1984년]])
* [[8월 10일]] - 미국의 배우 [[노마 시어러]]. (~[[1983년]])
* [[8월 22일]] - 독일의 영화감독 [[레니 리펜슈탈]]. (~[[2003년]])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고한승]]. (~[[1949년]])
=== 9월 ===
* [[9월 2일]] - 독일의 군인 [[알베르트 보어만]]. (~[[1989년]])
* [[9월 5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고이허]]. (~[[1937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류기수]]. (~[[1986년]])
* [[9월 7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소월]]. (~[[1934년]])
* [[9월 24일]] - 이란의 최고지도자, 혁명가 [[루홀라 호메이니]]. (~[[1989년]])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가 [[김상용 (시인)|김상용]]. (~[[1951년]])
=== 10월 ===
* [[10월 5일]] - 미국의 사업가 [[레이 크로크]]. (~[[1984년]])
* [[10월 13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스즈키 시게요시]]. (~[[1971년]])
=== 11월 ===
* [[11월 17일]] - 헝가리계 미국인 물리학자, 수학자 [[유진 위그너]]. (~[[1995년]])
* [[11월 20일]] - 독일의 법학자 [[볼프강 쿵켈]]. (~[[1981년]])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주요섭]]. (~[[1972년]])
* [[11월 30일]] - 일제강점기 조선의 언론인 [[이능선 (1902년)|이능선]]. (~[[1963년]])
=== 12월 ===
* [[12월 3일]] - 일본의 무술가 [[이노우에 노리아키]]. (~[[1994년]])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음악인 [[현제명]]. (~[[1960년]])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독립 운동가 [[유관순]]. (~[[1920년]])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안토니오 베스푸시오 리베르티]]. (~[[1978년]])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장내주]]. (~[[1928년]])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개신교 목회자 [[한경직]]. (~[[2000년]])
=== 미상 ===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영화배우 [[나운규]]. (~[[1937년]])
== 사망 ==
[[파일:Emile Zola 1902.jpg|섬네일|120px|에밀 졸라]]
{{분류 참고|1902년 사망}}
* [[3월 7일]] - 미국의 야구 선수 [[퍼드 갤빈]]. (1856년~)
* [[3월 25일]] - 중화민국와 일본의 기독교인 [[아사다 하루]]. (1882년~)
* [[4월 6일]] - 러시아의 작가 [[글레프 우스펜스키]]. (1843년~)
* [[9월 29일]] - 프랑스의 소설가 [[에밀 졸라]]. (1840년~)
* [[12월 4일]] - 미국의 언론인 [[찰스 다우]]. (1851년~)
== 노벨상 ==
* [[노벨 화학상|화학상]] - [[에밀 피셔]] ([[독일]]).
* [[노벨 생리학·의학상|생리학·의학상]] - [[로널드 로스]] ([[영국]]).
* [[노벨 물리학상|물리학상]] - [[피터르 제이만]], [[헨드릭 안톤 로런츠]] ([[네덜란드]]).
* [[노벨 문학상|문학상]] - [[테오도어 몸젠]] ([[독일]]).
* [[노벨 평화상|평화상]] - [[엘리 뒤코묑]], [[샤를 알베르 고바]] ([[스위스]]) 공동수상.
== 달력 ==
{{연간달력|1902}}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임인]] || 대 || [[2월 8일]] || [[임술]]
|-
| [[음력 2월|2월]] || [[계묘]] || 소 || [[3월 10일]] || [[임진]]
|-
| [[음력 3월|3월]] || [[갑진]] || 대 || [[4월 8일]] || [[신유]]
|-
| [[음력 4월|4월]] || [[을사]] || 소 || [[5월 8일]] || [[신묘]]
|-
| [[음력 5월|5월]] || [[병오]] || 소 || [[6월 6일]] || [[경신]]
|-
| [[음력 6월|6월]] || [[정미]] || 대 || [[7월 5일]] || [[기축]]
|-
| [[음력 7월|7월]] || [[무신 (간지)|무신]] || 소 || [[8월 4일]] || [[기미]]
|-
| [[음력 8월|8월]] || [[기유]] || 대 || [[9월 2일]] || [[무자]]
|-
| [[음력 9월|9월]] || [[경술]] || 소 || [[10월 2일]] || [[무오]]
|-
| [[음력 10월|10월]] || [[신해]] || 대 || [[10월 31일]] || [[정해]]
|-
| [[음력 11월|11월]] || [[임자]] || 대 || [[11월 30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12월|12월]] || [[계축]] || 대 || [[12월 30일]] || [[정해]]
|}
[[분류:1902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53}}
{{기년법|1953}}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9일]] - 다대포 앞바다에서 여객선 [[창경호 침몰 사고]]가 발생하다.
* [[2월 4일]] - [[제주도]] 근해상에서 [[다이호마루 사건|제1다이호마루 사건]]이 발생, 선박이 나포되었고 어민 1명이 사망하였다.
* [[4월 21일]] - 새 국무총리에 백두진이 임명되었다.
* [[4월 25일]] -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박사, [[DNA]]의 이중나선 구조에 관한 논문을 네이처誌에 발표하다.
* [[5월 25일]] - 세계 최초 초음속 전투기 [[노스아메리칸 F-100 슈퍼세이버]]탄생
* [[5월 29일]] - 에드문드 힐러리 卿과 쉐르파 [[텐징 노르가이]],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오르다.
* [[6월 2일]] -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2세]],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국왕으로 즉위하는 [[대관식]] 거행.
* '''[[7월 27일]] - [[한국 전쟁]] 휴전.'''
* [[8월 3일]] - 유엔 중립국 감시위원회, [[판문점]]에 군사정전위원회 본부 설치.
* [[8월 6일]] - 월북시인 [[임화]](林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미국 스파이'로 몰려 처형.
* [[8월 7일]] - [[평양방송]], [[박헌영]] 등 [[남로당]] 계인사 12명 숙청사실 발표.
* [[8월 8일]] - [[변영태]] 외무장관과 존 포레스트 덜레스 [[미국 국무부|미 국무장관]], [[청와대]]서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 [[8월 15일]] - [[한국전쟁]]으로 [[부산]]으로 옮겼던 [[대한민국 정부]]가 [[서울]]로 돌아옴.
* [[8월 20일]] - [[소련]], [[수소폭탄]] 첫 실험 성공.
* [[9월 2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공군 [[노금석]] 대위, MIG-15를 몰고 대한민국으로 귀순.
* [[9월 24일]] - 할리우드에서 첫 시네마스코프 영화 《[[성의 (영화)|성의]]》 상영.
* [[10월 1일]] - [[한미상호방위조약]], [[미국]] [[워싱턴 D.C.]]서 조인.
* [[10월 3일]] - [[대한민국 정부]], 신형법 공포 시행.
* [[10월 6일]] - 제3차 한일회담 개막.(10일 결렬)
* [[10월 11일]] - [[라몬 막사이사이]] 후보, 필리핀 대통령에 당선.
* [[10월 14일]] - [[키비아 학살]], [[아리엘 샤론]]이 지휘하는 [[이스라엘]] 군이 [[요르단강 서안 지구]]를 공격, 5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 10월 14일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대통령에 선출되다.
* [[10월 15일]] - 영국 [[핵실험]]이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에뮤 필드에서 실시되다.
*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원|원화]]에서 [[대한민국 환|환화]]으로 화폐 단위를 바꾸다.
* [[미국]] [[시카고 대학]]에서 [[밀러 실험]] 실시.
* [[스웨덴]] [[알름훌트]]에 [[이케아]]의 첫 번째 매장이 열리다.
== 문화 ==
* [[2월 1일]] - 일본 [[NHK 종합 텔레비전|NHK 도쿄 텔레비전]]이 본방송을 시작하다.
* [[8월 1일]] - [[CJ제일제당]], 부산 전포동에서 설립.
* [[8월 5일]] - [[판문점]]에서 남북 포로 교환 시작.
* [[8월 28일]] - 일본 최초 민영 방송국인 [[닛폰 TV 방송망]] 개국과 동시에 세이코 사 제공으로 일본 최초의 TV 광고가 방영되었다.
* [[10월 11일]] - [[대한민국]] 최초의 자체 제작 [[항공기]]인 [[부활호]]가 만들어졌다.
== 탄생 ==
{{분류 참고|1953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미국의 정치인, 뉴멕시코주지사 [[게리 존슨]].
** 미국의 배우 [[일레인 카오]].
** 미국의 배우, 가수, 작곡가 겸 작사가, 음악가 [[티토 라리바]].
* [[1월 3일]] - 레바논의 모델 [[주르지나 리즈크]].
* [[1월 5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동광]].
** 대한민국의 제빵사 [[김영모]].
* [[1월 6일]]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만프레트 칼츠]].
** 오스트레일리아의 음악가, 기타리스트 [[맬컴 영]]. (~[[2017년]])
* [[1월 8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브루스 수터]]. (~[[2022년]])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허정무]].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동훈 (배우)|신동훈]].
* [[1월 17일]] - 일본의 탁구 선수 [[야마이즈미 카즈코]]. (~[[2024년]])
* [[1월 21일]] - 미국의 기업가 [[폴 앨런]]. (~[[2018년]])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양정모]].
** 대한민국의 지휘자, 피아니스트 [[정명훈]].
** 미국의 영화감독 [[짐 자무시]].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춘진]].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문재인]].
** 대한민국의 성우 [[장정진]]. (~[[2004년]])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정수 (1953년)|김정수]]. (~[[2014년]])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영덕 (정치인)|김영덕]].
** 대한민국의 양궁인 [[김기희 (양궁인)|김기희]].
* [[1월 29일]]
** 중화민국의 가수 [[등려군]]. (~[[1995년]])
** 대한민국의 과학자, 수의사 [[황우석]].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서봉수]].
** 대한민국의 기초의원 [[한병수]]. (~[[2023년]])
* [[2월 2일]]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마이크 패닝]]. (~[[2022년]])
* [[2월 6일]] - 대한민국의 식품공학자, 교육인 [[이원종 (식품공학자)|이원종]].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홍범]].
* [[2월 11일]] - 미국의 정치가 [[젭 부시]].
* [[2월 14일]] -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한스 크랑클]].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진아]].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김두식]].
* [[2월 19일]]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 [[2월 21일]] - 미국의 배우 [[윌리엄 피터슨|윌리엄 루이스 피터슨]].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계영]]. (~[[2023년]])
* [[2월 23일]] - 홍콩의 싱어송라이터 겸 영화배우 [[중전타오]].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철 (배우)|김영철]].
* [[2월 2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마이클 볼튼]].
=== 3월 ===
* [[3월 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구자열]].
* [[3월 3일]]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지쿠]].
* [[3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조혜정 (배구인)|조혜정]].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현발]]. (~[[2023년]])
* [[3월 16일]]
** 프랑스의 배우 [[이자벨 위페르]].
** 미국의 프로그래머 [[리처드 스톨만]].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의원 [[김동근 (1953년)|김동근]].
* [[3월 21일]] - 쿠바의 권투 선수 [[에밀리오 코레아 (1953년)|에밀리오 코레아]]. (~[[2024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종태]].
* [[3월 24일]] - 미국의 영화배우 [[루이 앤더슨]]. (~[[2022년]])
* [[3월 26일]] - 미국의 공무원 [[일레인 차오]].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주옥순]].
=== 4월 ===
* [[4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계형철]].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남유진 (1953년)|남유진]].
* [[4월 8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안철식]]. (~[[2009년]])
* [[4월 9일]]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금융인 [[이동걸 (1953년)|이동걸]].
* [[4월 11일]]
** 영국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
** 대한민국의 승려 [[법륜 (승려)|법륜]].
* [[4월 13일]] - 일본의 정치인 [[스즈키 슌이치 (1953년)|스즈키 슌이치]].
* [[4월 14일]] - 홍콩의 영화 감독 [[쩡즈웨이]].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기업 출신 정치인 [[이준원 (1953년)|이준원]]. (~[[2004년]])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바둑 출신 정치인 [[조훈현]].
** 대한민국의 배우 [[신신애]].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황규봉]]. (~[[2016년]])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수희]].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종렬 (바둑 기사)|박종렬]]. (~[[2020년]])
=== 5월 ===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교수 [[최광식]].
* [[5월 6일]] - 영국의 정치가 [[토니 블레어]].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진각]].
* [[5월 16일]] - 아일랜드의 배우 [[피어스 브로스넌]].
* [[5월 17일]]
** 일본의 배우 [[시마다 요코]]. (~[[2022년]])
** 카자흐스탄의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 [[5월 19일]] - 미국의 영화감독 [[앨버트 피언]]. (~[[2022년]])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성수 (1953년)|김성수]].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차범근]].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일우 (1953년)|김일우]]. (~[[2004년]])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다니엘 파사레야]].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곽정희]].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봉환 (뮤지컬 배우) |김봉환]].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다니엘 파사레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가에타노 시레아]]. (~[[1989년]])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문성근]].
* [[5월 29일]] - 미국의 작곡가 [[대니 엘프먼]].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도경 (배우)|이도경]].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한수경 (성우)|한수경]].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국회의원 [[강기갑]].
* [[6월 15일]]
** 중국의 최고지도자, 공산당 총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 [[시진핑]].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전순옥]].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엄기백]].
* [[6월 21일]] - 파키스탄의 정치인 [[베나지르 부토]].
* [[6월 22일]] - 미국의 음악가 [[신디 로퍼]].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창현 (정치인)|신창현]].
** 일본의 애니메이션 미술감독 [[야마모토 니조]]. (~[[2023년]])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인숙]].
=== 7월 ===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낙정]]. (~[[2023년]])
* [[7월 12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마유미 아키노부]].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이덕희 (테니스 선수)|이덕희]].
* [[7월 14일]] - 일본의 정치인, 외무대신 [[오카다 가쓰야]].
* [[7월 19일]]
** 일본의 정치인 [[나카가와 쇼이치]]. (~[[2009년]])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레네 오우세만]]. (~[[2018년]])
** 대한민국의 군인 [[최윤희 (군인)|최윤희]].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종교인, 행정가 [[이영무]].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정동영]].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재진]]. (~[[2020년]])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방송기관단체인 [[유연채]].
** 미국의 블루스 음악가 [[로버트 크레이]].
* [[8월 4일]]
** 대한민국의 승려 [[이광영]]. (~[[2021년]])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전 야구 감독 [[나시다 마사타카]].
* [[8월 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엄영수]].
** 미국의 군인, 28대 국방부 장관 [[로이드 오스틴]].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전 장관 [[권지관]].
* [[8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연운경]].
* [[8월 11일]] - 미국의 프로레슬러 [[헐크 호건]].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철수]].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경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용민]].
**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난니 모레티]].
* [[8월 26일]] - 탄자니아의 정치인 [[에드워드 로와사]]. (~[[2024년]])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이우금]].
=== 9월 ===
* [[9월 3일]] - 말리의 전기공학자 [[아마둔 투레]].
* [[9월 4일]] - 터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파티흐 테림]].
* [[9월 6일]] - 미국의 배우 [[패티 야스타케]]. (~[[2024년]])
* [[9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홍률]].
** 러시아의 기업인 [[알리셰르 우스마노프]].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지휘자 [[임헌정]].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정치인 [[김한길]].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하성]].
** 인도의 언어학자 [[프로발 다슈굽토]].
* [[9월 22일]] - 프랑스의 정치인 [[세골렌 루아얄]].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조대현 (언론인)|조대현]].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김기표 (1953년)|김기표]].
** 대한민국의 가수 [[조덕환]]. (~[[2016년]])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문영미]].
=== 10월 ===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미연]].
* [[10월 11일]] - 미국의 배우 [[데이비드 모스]].
* [[10월 15일]] - 미국의 가수 [[티토 잭슨]]. (~[[2024년]])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시인 [[박남철 (시인)|박남철]].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덕흠]].
* [[10월 24일]] - 독일의 축구 선수 [[크리스토프 다움]]. (~[[2024년]])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박영규 (배우)|박영규]].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창재]].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지방의원 [[한병수]]. (~[[2023년]])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지휘자 최선용.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은철]].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규식 (정치인)|최규식]].
* [[11월 18일]] - 영국의 만화가 [[앨런 무어]].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홍준표]].
* [[11월 22일]] - 이탈리아의 군인 [[클라우디오 그라치아노]]. (~[[2024년]])
* [[11월 28일]] - 일본의 가수 [[오오누키 타에코]].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김무관]].
=== 12월 ===
* [[12월 1일]] - 미국의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건축 출신 정치인 [[김영종 (1953년)|김영종]].
* [[12월 8일]] - 미국의 배우 [[킴 베이싱어]].
* [[12월 9일]]
** 미국의 배우 [[존 말코비치]].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오치아이 히로미쓰]].
* [[12월 13일]]
** 미국의 경제학자 [[벤 버냉키]].
** 대한민국의 기업가 [[우종범]].
** 대한민국의 경영학자 [[예종석 (1953년)|예종석]].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옥희]]. (~[[1993년]])
* [[12월 17일]] - 미국의 배우 [[빌 풀먼]].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허정무]].
* [[12월 26일]]
**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 [[레오넬 페르난데스]].
** 에스토니아의 대통령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 [[김승환 (1954년)|김승환]].
* [[12월 28일]] - 영국, 프랑스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리샤르 클레데르망]].
* [[12월 29일]] - 독일의 전 펜싱 선수 [[토마스 바흐]].
* [[12월 31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제인 배들러]].
=== 미상 ===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홍정선]]. (~[[2022년]])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김왕식]]. (~[[2024년]])
== 사망 ==
{{분류 참고|1953년 사망}}
* [[2월 24일]] - 2차 세계대전 독일의 군인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875년~)
* [[3월 5일]]
**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인 [[이오시프 스탈린]]. (1878년~)
** 러시아의 작곡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1891년~)
* [[3월 14일]] -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치인 [[클레멘트 고트발트]]. (1896년~)
* [[4월 4일]] - 루마니아의 왕 [[카롤 2세]]. (1893년~)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 [[이시영 (1868년)|이시영]]. (1869년~)
* [[4월 29일]] - 폴란드와 프랑스의 화가 [[모이즈 키슬링]]. (1891년~)
* [[5월 21일]] - 독일의 수학자·철학자 [[에른스트 체르멜로]]. (1871년~)
* [[9월 7일]] - 일본의 군인 [[아베 노부유키]]. (1875년~)
* [[9월 28일]] -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 (1889년~)
== 노벨상 ==
* '''문학상''':
* '''물리학상''': [[프리츠 제르니커]]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 달력 ==
{{연간달력|1953}}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갑인]] || 소 || [[2월 14일]] || [[병신]]
|-
| [[음력 2월|2월]] || [[을묘]] || 대 || [[3월 15일]] || [[을축]]
|-
| [[음력 3월|3월]] || [[병진 (간지)|병진]] || 소 || [[4월 14일]] || [[을미]]
|-
| [[음력 4월|4월]] || [[정사 (간지)|정사]] || 소 || [[5월 13일]] || [[갑자]]
|-
| [[음력 5월|5월]] || [[무오]] || 대 || [[6월 11일]] || [[계사 (간지)|계사]]
|-
| [[음력 6월|6월]] || [[기미]] || 대 || [[7월 11일]] || [[계해]]
|-
| [[음력 7월|7월]] || [[경신]] || 소 || [[8월 10일]] || [[계사 (간지)|계사]]
|-
| [[음력 8월|8월]] || [[신유]] || 대 || [[9월 8일]] || [[임술]]
|-
| [[음력 9월|9월]] || [[임술]] || 대 || [[10월 8일]] || [[임진]]
|-
| [[음력 10월|10월]] || [[계해]] || 소 || [[11월 7일]] || [[임술]]
|-
| [[음력 11월|11월]] || [[갑자]] || 대 || [[12월 6일]] || [[신묘]]
|-
| [[음력 12월|12월]] || [[을축]] || 대 || [[1954년]] [[1월 5일]] || [[신유]]
|}
{{전거 통제}}
[[분류:1953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4}}
{{기년법|1994}}{{요즘 화제 년월|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7일]] - [[개인정보보호법]](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다.
* [[동학농민운동]] 100주년.
* [[2월 18일]] - [[사이비 종교]] 문제를 폭로해 오던 [[탁명환]] 국제종교문제연구소장이 당시 대성교회의 운전수이자 신학생이었던 임홍천에게 살해되다.
* [[3월 3일]] - 경기도 용인군 외사면 근삼리 야산에 공군 제15전투비행단 소속 [[UH-60 블랙 호크]] [[헬리콥터]]가 추락해 [[조근해]] 공군 참모총장을 포함한 탑승자 6명 전원이 사망하다.
* [[3월 10일]] - [[서울특별시]] [[종로5가]] [[광케이블|지하통신구]] 화재 사고가 일어나다.
* [[3월 23일]] - 러시아항공의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가 발생, 75명이 사망했다.
* [[4월 5일]] - 미국의 록그룹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이 자택서 숨진 채 발견됐다.
* [[4월 26일]] - [[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가 발생해 승객 264명이 사망했다.
* [[4월 27일]] - [[넬슨 만델라]]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아파르트헤이트]] 완전 폐지를 선언하였다.
* [[4월 3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여만철과 그 가족 5명이 [[대한민국]]으로 귀순하다.
* [[5월 10일]] - [[넬슨 만델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에 취임하다.
* 6월 ~ 8월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에 건국 이래 최초로 전국 최고 기온 38.4도의 [[폭염]]이 기승을 부렸다.
* [[6월 23일]] - [[철도]][[파업]], [[서울 지하철]]과 [[부산 도시철도|부산 지하철]] 연대파업에 들어갔다.
* [[6월 30일]] - {{국기나라|일본|1870}} [[무라야마 도미이치]] 내각이 출범하다.
* [[7월 2일]]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안드레스 에스코바르]]가 [[자책골]]을 넣었다는 이유로 괴한의 총격으로 살해되다.
* [[7월 8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 주석이 [[심근경색]]으로 사망하다.
* [[7월 16일]] -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목성]]과 충돌하다.
* [[7월 27일]] - [[갑오개혁]] 100주년.
* [[8월 1일]] - [[청일 전쟁]] 발발 100주년.
* [[8월 1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제주도]] [[제주국제공항]]에서 [[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대한항공]](KAL) 활주로 이탈사고가 발생하다.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김영삼 정부]]가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제시하였다.
* [[8월 25일]] - [[박홍 (신부)|박홍]] [[서강대학교]] 총장, [[여의도]]클럽 토론회서 주사파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키다.
* [[9월 10일]] - 국가권력 감시와 시민권리 증진을 위한 시민단체인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현 [[참여연대]]) 발족
* [[9월 21일]] - [[지존파 사건|연쇄살인 사건]]을 일으켰던 지존파가 경찰에 체포되다.
* [[9월 23일]] - [[북핵문제]]: 제38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연차총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핵안전협정 전면이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다.
* [[10월 1일]] - [[팔라우]] 독립.
* [[10월 2일]] - [[일본]] [[일본 자위대|자위대]] 병력 470명이 [[르완다]]에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처음으로 해외에 파견.
* [[10월 6일]] -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의 범인 오태환과 [[이득화 유괴 살인 사건]]의 범인 문승도 등 흉악범 15명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다.
* [[10월 21일]]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성수대교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
* [[10월 24일]] - [[대한민국]]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충주호 유람선 화재 사고]]가 일어나다.
* [[11월 13일]] - [[스웨덴]], 국민투표로 [[유럽 연합]] 가입을 결정하다.
* [[11월 16일]] - [[해양법에 관한 유엔 협약]]이 발효되다.
* [[11월 20일]] - [[남산]] 외인아파트가 폭파 후 해체되다.
* [[11월 29일]] - [[서울 1000년 타임캡슐]]이 매설되었다.
* [[12월 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에서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나다.
* [[12월 15일]] - {{국기나라|팔라우}}, {{국기나라|유엔}} 가입.
* [[12월 16일]] - [[대한민국]] 국회 본회의 [[WTO]] 비준동의안이 찬성 1백 52, 반대 58, 기권 1의 표결로 가결되다.
== 문화 ==
* [[1월]] - 음성다중 영상동요가 출시되다.
* [[1월 7일]] - [[빨간 망토 차차]]의 방영 시작.
* [[1월 8일]] - [[서울의 달]] 방영 시작.
* [[1월 19일]]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에서 [[도로교통공단]] 서부운전면허시험장이 개장하였다.
* [[1월 26일]] - [[MBC TV]]의 채널에 방영을 한 [[MBC 뉴스데스크]]에서는 공보처를 위성방송 및 케이블TV를 허용을 하고 [[KBS 1TV]]의 채널에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를 시켜서 수신료징수개도개선을 하려고 하다.
* [[2월 1일]] - [[한국GM|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대우 아카디아|아카디아]]를 시판하다.
* [[2월 6일]] - {{국기나라|미국}}의 [[팝 록]] 밴드인 [[마룬 5]]가 결성되었고 [[카라스 플라워스]]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다.
* [[2월 12일]]~[[2월 27일]] - {{국기나라|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1994년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2월 17일]] - 나사 연구원 앤 하치가 [[갈릴레오 (우주선)|갈릴레오 호]]의 사진을 분석하던 중 [[다크틸]]을 발견하다.
* [[2월 28일]] - 미국에서 [[:en:Brady Handgun Violence Prevention Act|브래디 권총폭력 방지법]]이 시행되었다.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서울도시철도공사]](이후 서울교통공사로 통합)가 창립되다.
* [[3월 20일]] - 어린이 뽀뽀뽀 동요노래방이 출시되다.
* [[3월 29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아벨라|아벨라]]를 시판하다.
* [[4월 1일]]
** [[과천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 구간이 완전개통하여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하기 시작하였다.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엑센트|엑센트]]를 시판하였다.
* [[4월 2일]] - [[일본]]에서 [[몬타나존스]]를 방영을 하다.
* [[4월 15일]] - [[어린이 만화 동요 노래방]]의 출시되다.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케이블 텔레비전|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설립.
* [[5월 1일]] - [[하승무]] [[부산국제포럼]] 편집주간, [[한겨레문학]]에서 [[박재삼]] 시인 외 2인의 추천으로 문단에 등단하다.
* [[5월 6일]] -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채널 터널]]이 완공되다.
* [[5월 20일]]
** [[잡지]] [[영챔프]]가 창간되다.
** [[한국GM|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대우 씨에로|씨에로]]를 출시하다.(시판은 [[5월 23일|같은 달 23일]])
* [[6월 6일]] - [[MBC TV|MBC]] 미니시리즈 [[사랑을 그대 품안에]]의 방송이 시작되다.
* [[6월 9일]] - [[KBS 1TV|KBS1]]의 채널에서 방영한 [[KBS 뉴스 9]]에서는 KBS 1TV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사라진다는 뉴스를 보도했고 가을 개편에 따라 수신료 징수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 [[6월 17일]] ~ [[7월 17일]] {{국기나라|미국}}에서 [[1994년 FIFA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 [[6월 24일]] - [[영화]] [[라이온 킹]]이 개봉되다.
* [[7월 7일]]
** [[서해안고속도로]]의 [[능해 나들목]]에서 [[안산 분기점]] 구간이 개통됐다.
** [[제2경인고속도로]] [[서창 분기점]] ~ [[광명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 [[7월 9일]] - 삼각지 고가차도가 철거되었다.
* [[7월 11일]] - [[KBS 1TV]]의 채널에서 오전 5시 30분부터 6시 27분까지 광고 14개를 때려갔다.
* [[7월 17일]] - [[1994년 FIFA 월드컵|제15회 월드컵 대회]]가 브라질의 통산 4번째 우승으로 폐막하다.
* [[7월 23일]] - [[KBS 1TV]]의 채널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를 하겠다고 폐지 결정을 했고, 수신료징수제도가 10월 1일부터 바뀐다고 [[KBS 1TV]]의 채널인 [[KBS 뉴스 9]] 및 [[MBC TV]]의 채널은 [[MBC 뉴스데스크]]에서 방영을 했다.
* [[7월 25일]] - 드라마 [[영웅일기 (드라마)|영웅일기]]의 방송이 시작되다.
* [[8월 29일]] - [[삼성전자]] 256메가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다.
* [[9월 1일]] - [[분당선]] [[수서역|수서]] ~ [[오리역|오리]] 구간이 개통되었다.
* [[9월 4일]]
** [[태권도]]가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시드니 올림픽]]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간사이 국제공항]]이 개항하였다.
* [[9월 14일]] - {{국기나라|프랑스}}에서 영화 [[레옹]]이 개봉되었다.
* [[9월 21일]] - [[윈도우 NT 3.5]]가 출시되다.
* [[9월 30일]] - [[KBS 2TV]]와 [[KBS 제2라디오]]는 2개 채널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존치했고, [[KBS 1TV]]와 [[KBS 제1라디오]] 및 [[KBS 제1FM]] 등 3개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마지막으로 종영을 했다.
* [[10월 1일]]
** [[한국방송공사]]에서 [[KBS 1TV]] 및 [[KBS 제1라디오]], [[KBS 제1FM]]의 3개 채널에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하고, TV수신료를 [[한국전력공사]]로 위탁해 징수를 하기 시작하였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KBS 2TV]]와 [[KBS 제2라디오]]의 2개 채널이 남게 되었고,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을 확대를 하였다.
** [[MBC TV]]와 [[SBS TV]]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과 편성을 하게 되었다.
** [[일본]] [[효고현]] [[이타미시]]에 [[아쿠아플러스]] 설립.
* [[10월 2일]]~[[10월 16일]] - {{국기나라|일본|1870}} [[히로시마]]에서 [[1994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다.
* [[10월 5일]] - 45세 권투 선수 [[조지 포먼]]이 [[마이클 무어]]를 누르고 최고령 헤비급 챔피언이 되었다.
* [[10월 8일]] - [[대한민국]]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소설)|토지]]》 완간.
* [[10월 9일]] - [[황영조]] 선수가 [[1994년 아시안 게임|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마라톤]]에서 우승하였다.
* [[10월 10일]] - [[KBS 1TV]]에서 《[[KBS 뉴스라인 W|뉴스라인]]》 첫방송.
* [[10월 1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단군릉|단군릉]] 복원공사 완료.
* [[10월 18일]] - [[KBS 1TV]]에서 [[긴급구조 119]]를 처음 방영했다.
* [[10월 23일]] -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 [[LG트윈스]]가 [[태평양 돌핀스]]를 꺾고 4연승(4전 전승)을 기록하며 통산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 [[11월 22일]] - [[세가 새턴]] 출시.
* [[11월 23일]] - [[대한민국]], 199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하다.
* [[11월 29일]] - [[서울1000년 타임캡슐]]을 매설하다.
* [[12월 3일]] -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에서 [[플레이스테이션]] 출시.
* [[12월 9일]] - 아케이드 게임 [[철권 (비디오 게임)|철권]]이 출시되다.
* [[12월 24일]] - [[부산광역시]] [[동서고가로]] [[낙동대교]] ~ 문현램프 전구간 개통.
* [[12월 26일]] - 온라인 게임 개발 회사 [[넥슨]] 설립.
* [[12월 31일]] - [[대한뉴스]]가 49년만에 2,040회를 끝으로 방영 종료.
* 날짜 미상
** 파리-다카르 랠리가 파리에서 개최되다.
** 대한민국이 [[집적 회로|IC 칩]] 방식의 공중 전화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공중전화 사용자의 감소와 비싼 단가로 인해 [[KT]](당시 한국통신)는 [[2002년]]에는 IC 일반 카드, [[2003년]]에는 IC 광고 카드가 단종되고 기존의 [[자석|마그네틱]] 방식의 공중 전화 카드만을 발행하게 된다.
== 탄생 ==
{{분류 참고|1994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황휘]].
* [[1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민 (1994년)|정민]] ([[BF (음악 그룹)|BF]]).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남현종]].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융]].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항 (야구 선수)|최항]].
* [[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예슬 (배우)|최예슬]].
** 대한민국의 래퍼 [[퀸 와사비]].
** 덴마크의 배드민턴 선수 [[빅토르 악셀센]].
* [[1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설이랑]].
* [[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원명]].
** 대한민국의 가수 [[JAY B]] ([[GOT7]]).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프레이 (프로게이머)|프레이]].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데니스 수아레스]].
* [[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선빈]].
* [[1월 9일]] -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 [[이크롬 알리바예프]].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은.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카바디 선수 [[우희준]].
** 대한민국의 가수 [[서아]].
* [[1월 12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엠레 잔]].
* [[1월 13일]]
** 일본의 가수, 영화배우 [[나카야마 유마]].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이병렬 (프로게이머)|이병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지혁]].
** 대한민국의 가수 [[신재혁 (가수)|신재혁]].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래퍼 [[카이 (1994년)|카이]] ([[EXO]], [[EXO-K]]).
** 대한민국의 가수 [[해디]].
** 대한민국의 가수 [[윤현상]].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형원]] ([[몬스타엑스]]).
** 시리아의 축구 선수 [[오마르 크르빈]].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릭 다이어]].
**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천멍]].
** 대한민국의 배우 [[이효나]].
* [[1월 17일]]
** 영국, 미국의 배우 [[루시 보인턴]].
** 일본의 성우 [[우에다 레이나]].
** 대한민국의 가수 [[지성 (가수)|지성]].
** 대한민국의 배우 [[주해은]].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강지영]] ([[카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공민지]] ([[2NE1]]).
** 대한민국의 배우 [[안승균]].
* [[1월 19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마티아스 긴터]].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래퍼 [[키썸]].
** 대한민국의 배우 [[정수환 (1994년)|정수환]].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피아종]].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창민 (축구 선수)|이창민]].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승윤]] ([[위너 (음악 그룹)|위너]]).
** 대한민국의 가수 [[림킴|김예림]] ([[투개월]]).
** 대한민국의 가수 [[장희원]].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김경애 (컬링 선수)|김경애]].
* [[1월 22일]] - 일본의 코스플레이어 성우 및 가수 [[에나코]].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곽민정]].
** 대한민국의 래퍼 [[쿠기]].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영재 (1994년)|영재]].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마세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동훈 (야구 선수)|신동훈]].
* [[1월 26일]]
** 영국의 배우 [[조셉 퀸]].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스테프 캐틀리]].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백지원 (기상캐스터)|백지원]].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준 (1994년)|김민준]].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영은 (1993년)|이영은]].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변현제]].
* [[1월 29일]]
** 일본의 성우 [[사쿠라 아야네]].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김소희 (태권도 선수)|김소희]].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담.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홍준기 (1994년)|홍준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대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형준]].
** 이더리움의 작가 [[비탈릭 부테린]].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신지수 (미스코리아)|신지수]].
** 미국의 농구 선수 [[자밀 워니]].
=== 2월 ===
* [[2월 1일]]
** 영국의 가수 [[해리 스타일스]] ([[원 디렉션]]).
** 미국의 배우 [[줄리아 가너]].
** 일본의 배우 [[요시자와 료]].
** 일본의 가수 [[후지에 레이나]].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하늘 (프로게이머)|하늘]].
* [[2월 2일]] - 대한민국의 버츄얼 유튜버 [[레쏘]].
* [[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효진 (가수)|김효진]].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현 게임 해설가 [[오승주]].
* [[2월 4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피글렛 (프로게이머)|피글렛]].
* [[2월 5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종현 (농구 선수)|이종현]].
** 일본의 배우, 성우 [[코미야 아리사]].
** 일본의 가수, 배우 [[나카지마 사키 (가수)|나카지마 사키]].
* [[2월 6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민쩌미]].
* [[2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진환 (가수)|김진환]] ([[iKON]]).
* [[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주나]].
** 홍콩의 펜싱 선수 [[콩만와이]].
**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하칸 찰하노을루]].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도글라스 코치뉴]].
* [[2월 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우 (1994년)|김성우]].
** 유튜브 채널 티키틱의 가수 겸 감독 [[이신혁]].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손나은]] ([[에이핑크]]).
** 대한민국의 가수 [[슬기]] ([[레드벨벳 (음악 그룹)|레드벨벳]]).
** 대한민국의 가수 [[지영훈 (가수)|지영훈]].
** 파라과이의 축구 선수 [[미겔 알미론]].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지수 (1994년)|서지수]] ([[러블리즈]]).
** 일본의 축구 선수 [[스즈키 무사시]].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영 선수 [[왕순 (수영 선수)|왕순]].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달수빈]] ([[달샤벳]]).
** 일본의 가수 [[이치카와 미오리]].
** 대한민국의 배우 [[홍수주 (배우)|홍수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준 (1994년생 야구 선수)|김민준]].
* [[2월 13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멤피스 데파이]].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김재용 (배우)|김재용]].
** 대한민국의 장애인 태권도 선수 [[주정훈]].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최재웅 (1994년)|최재웅]].
* [[2월 14일]]
** 영국의 가수 [[베키 힐]].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정훈 (1994년)|김정훈]].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윤현지]].
** 대한민국의 래퍼 [[카이 (1994년)|카이]] ([[EXO]], [[EXO-K]]).
** 대한민국의 가수 [[해디]].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세연]].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화 (배우)|이종화]].
** 대한민국의 래퍼 [[조타 (가수)|조타]] ([[매드타운]]).
* [[2월 16일]]
** 미국의 가수 [[에이바 맥스]].
** 대한민국의 가수 [[성주 (가수)|성주]] ([[유니크 (음악 그룹)|유니크]]).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 [[2월 17일]]
** 일본의 가수 [[스즈키 시호리]].
** 대한민국의 배우 [[신재휘]].
** 대한민국의 바리톤 성악가 [[길병민]].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래퍼 [[제이홉]] ([[방탄소년단]]).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채경]].
** 일본의 성우 [[후리하타 아이]].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하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운호]].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웬디 (가수)|웬디]] ([[레드벨벳 (음악 그룹)|레드벨벳]]).
** 대한민국의 가수 [[청슬]].
** 그리스의 축구 선수 [[하랄람포스 마브리아스]].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주연]].
** 대한민국의 배우 [[남주혁]].
** 대한민국의 가수 [[케인 (가수)|케인]].
** 일본의 성우 [[코우노 마리카]].
** 대한민국의 배우 [[한은서]].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레이철 레어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정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훈성]].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준영 (1994년)|준]] ([[LC9]]).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정문 (가수)|이정문]].
** 미국의 배우 [[다코타 패닝]].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어진별]].
** 미국의 테니스 선수 [[제시카 페굴라]].
** 스코틀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프레이저]].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하주석]].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식케이]].
**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아흐메트 일마즈 찰리크]]. (~[[2022년]])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윤 (가수)|김윤]] ([[더스틴 (음악 그룹)|더스틴]]).
** 대한민국의 가수 [[최상엽 (가수)|최상엽]] ([[루시 (음악 그룹)|루시]]).
** 일본의 성우 [[타카하시 리에]].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마타 (프로게이머)|마타]].
** 대한민국의 배우 [[남중규]].
** 대한민국의 스키 선수 [[서지원 (스키 선수)|서지원]].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수 (배우)|윤수]].
** 대한민국의 가수 [[지수 (1994년)|지수]] ([[타히티 (음악 그룹)|타히티]]).
** 영국의 가수 [[제이크버그]].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유현주 (골프 선수)|유현주]].
**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오은철]].
** 대한민국의 가수 [[남궁진영]].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보람]]. (~[[2024년]])
** 일본의 배우 [[아카소 에이지]].
** 캐나다의 가수 [[저스틴 비버]].
* [[3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은수]].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안창림]].
** 대한민국의 배우 [[최효은]].
* [[3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민아 (1994년)|정민아]].
** 일본의 배우 겸 아이돌 가수 [[카와시마 우미카]].
** 대한민국의 배우 [[김우석 (1994년)|김우석]].
** 대한민국의 배우 [[이다윗]].
** 대한민국의 가수 [[수민 (1994년)|수민]]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보배]].
** 대한민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나름TV]].
* [[3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MJ (가수)|MJ]] ([[아스트로 (음악 그룹)|아스트로]]).
** 대한민국의 배우 [[김다영 (배우)|김다영]].
* [[3월 7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던 픽퍼드]].
* [[3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금 (가수)|소금]].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진주]].
** 일본의 가수 [[나가오 마리야]].
** 일본의 배우 [[오쿠야마 카즈사]].
** 캐나다의 바둑 기사 [[라이언 리 (바둑 기사)|라이언 리]].
* [[3월 12일]] - 미국의 가수 [[크리스티나 그리미]].
* [[3월 13일]] - 일본의 가수, 배우 [[나카지마 켄토]].
* [[3월 14일]] - 미국의 배우 [[앤설 엘고트]].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개미]].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김서영 (수영 선수)|김서영]].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마르셀 자비처]].
* [[3월 18일]]
** 그리스의 축구 선수 [[스테파노스 카피노]].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옥영]].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전 래퍼 [[하이탑 (가수)|하이탑]].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전율]].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하.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성운]] ([[핫샷]], [[워너원]]).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준 (1994년 3월)|김민준]].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조성호]] ([[진에어 그린윙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지훈 (축구 선수)|이지훈]].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레 (가수)|이레]] ([[마스크 (음악 그룹)|마스크]]).
** 대한민국의 모델 겸 디자이너 [[손수아 (모델)|손수아]] (수지 손).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조은정 (방송인)|조은정]].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안바울]].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안지현 (축구 선수)|안지현]].
* [[3월 26일]] - 일본의 가수 [[와타나베 마유]] ([[AKB48]] 팀B).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양지원 (트로트 가수)|양지원]].
* [[3월 28일]] - 중국의 래퍼 [[잭슨 (가수)|잭슨]] ([[GOT7]]).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설리 (1994년)|설리]] ([[f(x)]]). (~[[2019년]])
** 대한민국의 래퍼 [[원 (래퍼)|원]].
** 대한민국의 가라테 선수 [[박희준 (가라테 선수)|박희준]].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다희]].
** 일본의 가수 [[시마자키 하루카]].
** 대한민국의 배우 [[공현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현우 (야구인)|조현우]].
* [[3월 31일]] - 일본의 성우, 가수 [[니시오 유카]].
=== 4월 ===
* [[4월 1일]]
** 영국의 가수 [[엘라 에어]].
** 조지아의 레슬링 선수 [[게노 페트리아슈빌리]].
* [[4월 2일]]
** 일본의 가수 [[미야자키 유카]].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최수빈 (배구 선수)|최수빈]].
* [[4월 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승현 (축구 선수)|정승현]].
* [[4월 4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최준용 (농구 선수)|최준용]].
** 일본의 가수 [[스가야 리사코]] ([[Berryz코보]]).
** 대한민국의 가수 [[휴이 (가수)|휴이]].
* [[4월 5일]]
** 미국의 배우 [[나디아 알렉산더]].
** 일본의 축구 선수 [[무로야 세이]].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강이슬 (농구 선수)|강이슬]].
* [[4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리 (가수)|성리]] ([[레인즈 (음악 그룹)|레인즈]]).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조지훈 (야구 선수)|조지훈]].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금민]].
** 일본의 유도 선수 [[다시로 미쿠]].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안드리스 노퍼르트]].
* [[4월 8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나경복]].
* [[4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대경]].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지원 (축구 선수)|한지원]].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밈미 라르손]].
** 대한민국의 기업인 [[황희정]].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상민]].
* [[4월 11일]]
** 일본의 가수 [[오가사와라 마유]].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루카스 오캄포스]].
* [[4월 12일]]
** 아일랜드의 배우 [[시어셔 로넌|시얼샤 로넌]].
** 대한민국의 가수 [[세훈]] ([[EXO]], [[EXO-K]]).
** 대한민국의 가수 [[도이 (가수)|도이]] ([[파나틱스]]).
** 일본의 가수 [[스즈키 아이리]] ([[℃-ute]], [[Buono!]]).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지원 (아나운서)|박지원]].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에피.
* [[4월 14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멜라니 로이폴츠]].
** 대한민국의 작곡가, 기타연주가 [[김리다]].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연 (배우)|박보연]].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지현.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더 데이지]].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석]]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남민우 (배우)|남민우]].
** 미국의 배우 [[모이세스 아리아스]].
** 미국의 가수 [[아미네]].
** 대한민국의 배우 [[정태리]].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루카스 로메로]].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한아름 (1994년)|한아름]] ([[티아라 (음악 그룹)|티아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레이 (1994년)|레이]].([[씨클라운]])
** 대한민국의 가수 [[송래퍼]].
** 일본의 가수 [[야나기 유리나]].
** 영국의 가수 [[프레야 라이딩스]].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영택 (아나운서)|이영택]].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훈(1994년)|지훈]] ([[네버마인드 (음악 그룹)|네버마인드]]).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강준 (1994년)|강준]].([[씨클라운]])
** 대한민국의 가수 [[김한주 (가수)|김한주]] ([[실리카겔 (음악 그룹)|실리카겔]]).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루드비그 아우구스틴손]].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재율 (희극인)|이재율]].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서현숙 (치어리더)|서현숙]].
** 대한민국의 가수 [[효진]] ([[온앤오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유민]].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강 (배우)|송강]].
** 대한민국의 가수 [[민수현]].
** 대한민국의 유튜버 각별 ([[CH.DIA]]).
* [[4월 24일]]
** 일본의 배우 [[미야자와 히오]].
** 미국의 배우, 가수 [[조단피셔]].
** 일본의 배우 [[모리시타 쇼고]].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슬찬]] ([[타겟 (음악 그룹)|타겟]]).
** 대한민국의 가수 [[환 (1994년)|환]] ([[엔쿠스]]).
** 영국의 가수 [[샘 펜더]].
** 미국의 가수 [[매기 로저스]].
** 미국의 가수 [[애쉬 (가수)|애쉬]].
** 일본의 가수 [[야마자키 히로나]].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민 (1994년)|김성민]].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주희.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원필]] ([[DAY6]]).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재희 (축구 선수)|정재희]].
* [[4월 29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다니엘레 루가니]].
** 대한민국의 가수 [[미아 (가수)|미아]].
** 대한민국의 가수 [[하람 (가수)|하람]].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베르]]
** 대한민국의 가수 [[오지현]] ([[1415 (음악 그룹)|1415]]).
** 대한민국의 가수 [[최웅희]] ([[실리카겔 (음악 그룹)|실리카겔]]).
** 대한민국의 배우 [[채서진]].
** 외국의 배우 [[티미 디터스]].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해나.
* [[5월 2일]]
** 대한민국의 래퍼 [[수퍼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유영 (야구 선수)|김유영]].
** 대한민국의 배우 [[박수련]]. (~[[2023년]])
* [[5월 3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민정 (1994년)|김민정]].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민수 (1994년)|박민수]].
** 대한민국의 조명 디자이너 [[이사벨라 리]].
* [[5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연 (1994년)|소연]] ([[라붐 (음악 그룹)|라붐]]).
** 일본의 배우 [[이토 사이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준석 (야구 선수)|송준석]].
** 대한민국의 가수 [[전소현 (가수)|전소현]].
** 중화인민공화국의 육상 선수 [[주야밍]].
* [[5월 5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하비에르 망키요]].
* [[5월 6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유석현 (영화 감독)|유석현]].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마테오 코바치치]].
** 대한민국의 가수 [[수안 (가수)|수안]].
** 대한민국의 가수 [[김푸름]].
* [[5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스.
* [[5월 8일]] - 독일의 유도 선수 [[미리암 부트케라이트]].
* [[5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여회현]].
* [[5월 10일]]
** 일본의 아이돌 [[다키야마 아카네]].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남태현]]. ([[사우스클럽]])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콜드 (가수)|콜드]].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혜원 (배우)|조혜원]].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준.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지희 (레이싱 모델)|김지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명준 (1994년)|김명준]].
** 일본의 야구 선수 [[다무라 다쓰히로]].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모델, 가수 [[박홍 (1994년)|박홍]] ([[ATO6|에이투식스]]).
** 대한민국의 가수 [[오월 (가수)|오월]].
* [[5월 15일]] - 루마니아의 축구 선수 [[스텔리아노 필립]].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윤지 (아나운서)|이윤지]].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정유인]].
** 일본의 가수 [[사쿠라이 레이카]].
** 미국의 배우 [[마일스 하이저]].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에이체스]].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정미선 (배구 선수)|정미선]].
** 브라질의 배구 선수 [[가브리엘라 귀마레스]].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재익]].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정화 (축구 선수)|이정화]].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라라]].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지우 (야구 선수)|이지우]].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트로이 (음악 그룹)#구성원|칸토]] ([[트로이 (음악 그룹)|트로이]]).
** 이라크의 축구 선수 [[두르감 이스마일]].
** 대한민국의 스켈레톤 선수 [[윤성빈]].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태웅 (가수)|태웅]] ([[스누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예림]].
** 일본의 수영 선수 [[세토 다이야]].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백동준]] ([[삼성 갤럭시]]).
** 일본의 배우 [[니시노 나나세]].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공명 (배우)|공명]] ([[서프라이즈 (그룹)|서프라이즈]]).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김준호 (펜싱 선수)|김준호]].
** 일본의 배우, 가수 ,성우 [[이소베 카린]].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한지선 (배우)|한지선]].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에므리크 라포르트]].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주앙 칸셀루]].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리듬체조 선수 [[손연재]].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조성진 (피아니스트)|조성진]].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존 스톤스]].
** 대한민국의 방송인 [[주민정]].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준원 (성우)|박준원]].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전훈영]].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배우 [[김정진 (미스코리아)|김정진]].
** 프랑스의 가수 [[마데온]].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심은경]].
** 대한민국의 래퍼 [[창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장슬기 (축구 선수)|장슬기]].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래퍼 [[이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현 (야구 선수)|정현]].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 [[6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준 (1994년)|준]] ([[에이스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에이스]]).
* [[6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다은 (1994년)|정다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종수 (1994년)|김종수]].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우슈 선수 [[이하성]].
** 대한민국의 가수 [[아미 (가수)|아미]] ([[워너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민규 (바둑 기사)|박민규]].
* [[6월 6일]] - 일본의 가수, 아이돌 [[후쿠다 미라이]]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유정]]. (~[[2021년]])
* [[6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혜리]] ([[걸스데이]]).
** 대한민국의 가수 [[진예]] ([[라붐 (음악 그룹)|라붐]], [[유니티 (음악 그룹)|유니티]]).
** 대한민국의 가수 정윤지.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유석]].
* [[6월 11일]] - 스페인의 배우 [[이바나 바케로]].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고예림]].
* [[6월 13일]]
** 일본의 가수 [[야가미 쿠미]].
** 대한민국의 배우 [[강서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지수 (축구 선수)|박지수]].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진연지]].
** 일본의 배우 [[이누카이 아츠히로]].
** 인도의 양궁 선수 [[디피카 쿠마리]].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일 (1994년)|태일]] ([[NCT (음악 그룹)|NCT]]).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이소희 (배드민턴 선수)|이소희]].
** 일본의 펜싱 선수 [[야마다 마사루]].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선태]].
* [[6월 15일]]
** 일본의 배우 [[히다카 리나]].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유혜인]].
** 대한민국의 가수 [[여린 (1994년)|여린]].
** 베네수엘라의 테니스 선수, 모델 [[미셸 베르톨리니]].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정동원.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신영]].
** 대한민국의 배우 [[이승일 (배우)|이승일]].
** 벨라루스의 레슬링 선수 [[이리나 쿠라치키나]].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채이]].
** 미국의 래퍼 [[테이크오프 (래퍼)|테이크오프]]. (~[[2022년]])
** 스페인의 육상 선수 [[알바로 마르틴]].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사랑]].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태오]] ([[서프라이즈 (그룹)|서프라이즈]]).
** 대한민국의 래퍼 [[머쉬베놈]].
** 중화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다이쯔잉]].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승택]].
** 일본의 가수 [[오카이 지사토]] ([[°C-ute]]).
* [[6월 22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사격 선수 [[궈원쥔]].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정호연]].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갱맘]].
** 태국의 가수 [[민트 (태국의 가수)|민트]].
* [[6월 24일]] - 일본의 성우 [[엔도 유리카]].
* [[6월 25일]] - 일본의 성우 [[아사쿠라 모모]].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샵건]].
** 캐나다의 유도 선수 [[카트린 보슈맹피나르]].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배우 [[이서영 (1994년)|이서영]] ([[헬로비너스]]).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찬호.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동호 (가수)|동호]].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레안드로 파레데스]].
** 에스토니아의 가수 [[엘리나 보른]].
** 미국의 배우 [[커밀라 멘데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이영]].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성환 (가수)|최성환]].
** 대한민국의 배우 [[송세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창훈]].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인성]] ([[크나큰]]).
** 에스토니아의 가수 [[위리 포츠만]].
** 일본의 패션모델 겸 배우 [[오카모토 안리]].
** 일본의 배우 [[마이 키류]].
* [[7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달로]].
** 캐나다의 야구 선수 [[브록 다익손]].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작곡가 [[최준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인태 (야구 선수)|김인태]].
* [[7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상흔]].
** 대한민국의 가수 [[문수진 (가수)|문수진]].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이해인 (가수)|이해인]].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가수 [[최성용 (1994년)|최성용]] ([[더 맨 블랙]]).
* [[7월 5일]]
** 일본의 야구선수 [[오타니 쇼헤이]].
** 대한민국의 가수 [[창선 (1994년)|창선]] ([[전설 (음악 그룹)|전설]]).
** 대한민국의 배우 [[유하 (배우)|유하]].
** 대한민국의 배우 [[전종서]].
** 독일의 축구 선수 [[로빈 고젠스]].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임보라 (아나운서)|임보라]].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조수연.
* [[7월 7일]] - 대한민국의 래퍼 [[제네 더 질라]].
* [[7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구원찬]].
* [[7월 9일]] -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 [[루카 조르제비치]].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수빈]].
* [[7월 11일]] - 일본의 배우 [[나나세 아야카]].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기수 [[차훈]] ([[엔플라잉]]).
** 일본의 가수 [[모모타 카나코]].
**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델 [[다니엘 스눅스]].
* [[7월 13일]]
** 일본의 아나운서 [[쿠지 아키코]].
** 일본의 아이돌 [[카미에다 에미카]].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현 (1994년)|김동현]].
** 미국의 야구 선수 [[루커스 지올리토]].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재현 (가수)|김재현]] ([[엔플라잉]]).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형배 (1994년)|윤형배]].
** 홍콩의 모델 [[애비 초이]]. (~[[2023년]])
* [[7월 16일]]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진유 (농구 선수)|김진유]].
**일본의 성우 [[아카네야 히미카]].
**일본의 배우 [[시미즈 쿠루미]].
* [[7월 17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빅토르 린델뢰프]].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뱅자맹 멘디]].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우성]].
* [[7월 18일]]
** 미국의 가수 [[BC (가수)|BC]] ([[원팀]]).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미 (배우)|이유미]].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김종호 (양궁 선수)|김종호]].
** 브라질의 싱어송라이터 겸 기타리스트 [[라우라 히조투]].
* [[7월 19일]] - 일본의 가수 [[고모리 미카]].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경목]].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은원재]].
* [[7월 22일]]
** 중국의 가수 [[이문한 (가수)|이문한]] ([[유니크 (음악 그룹)|유니크]]).
** 일본의 성우 겸 가수 [[사에키 이오리]].
** 대한민국의 스켈레톤 선수 [[김지수 (스켈레톤 선수)|김지수]].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준.
* [[7월 24일]]
** 중국의 쇼트트랙 선수 [[우다징]].
** 일본의 배우 [[호시조라 모아]].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헤어디자이너 [[헤어디자이너 도아]].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명성]].
** 대한민국의 배우 [[지예은]].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스키 선수 [[강성일 (스키 선수)|강성일]].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효정]] ([[오마이걸]]).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한두현]].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하준.
** 대한민국의 유튜버 [[주키니 (유튜버)|주키니]].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손주형]].
** 대한민국의 가수 [[자넷 서]].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정혜빈]].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니 (가수)|로니]] ([[XEED]]).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류원정 (가수)|류원정]].
=== 8월 ===
* [[8월 1일]] - 일본의 가수 [[와다 아야카]] ([[스마이레지]] 리더).
* [[8월 2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에밀 크라프트]].
* [[8월 3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코랑탱 톨리소]].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이메르송 팔미에리]].
* [[8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소정]].
** 일본의 배우 [[후쿠다 마유코]].
* [[8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작곡가 [[이휘민|휘민]]. ([[그루비룸]])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권지람]].
* [[8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리 (가수)|태리]].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원선필]].
* [[8월 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장예진.
* [[8월 8일]]
** 미국의 가수 [[라우브]].
** 대한민국의 가수 [[조민재|민재]] ([[스펙트럼 (음악 그룹)|스펙트럼]]).
** 미국의 배우 [[매들린 페치]].
** 일본의 야구 선수 [[다나카 가즈키]].
* [[8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재윤]] ([[SF9]]).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전인지]].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베르나르두 실바]].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더블비|장명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승준 (축구 선수)|김승준]].
* [[8월 15일]]
** 일본의 수영 선수 [[하기노 고스케]].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김태훈 (태권도 선수)|김태훈]].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영일 (프로게이머)|김영일]].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니엘 (가수)|니엘]] ([[틴탑]]).
** 일본의 배우 [[타카다 리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민 (1994년)|김동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지수 (1994년)|김지수]].
* [[8월 17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피비 브리저스]].
** 미국의 배우 [[타이사 파미가]].
** 대한민국의 가수 [[용훈]] ([[원위]]).
** 일본의 배우 겸 성우 [[하타나카 타스쿠]].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티에무에 바카요코]].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최이샘]].
** 대한민국의 가수 [[최나영]].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형석]] ([[다섯장]]).
** 일본의 야구 선수 [[스즈키 세이야]].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도경 (프로게이머)|김도경]].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심재윤]].
** 대한민국의 모델 [[박정욱]].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이가은 (1994년)|이가은]] ([[애프터스쿨]]).
* [[8월 21일]]
** 미국의 배우 [[재클린 에머슨]].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규 (1994년)|김동규]].
* [[8월 22일]]
** 일본의 배우, 모델 [[하마 쇼고]].
** 쿠바의 레슬링 선수 [[루이스 오르타 (레슬링 선수)|루이스 오르타]].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전하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호영 (야구 선수)|손호영]].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원이삭]].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호 (1994년)|이정호]].
** 일본의 가수 [[미아키 리호]] ([[노기자카46]], [[NMB48]]).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강지석 (수영 선수)|강지석]].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연경 (가수)|연경]] ([[더 씨야]]).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예지]] ([[피에스타]]).
** 대한민국의 가수 [[송단아]] ([[뉴에프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권투 선수 [[방철미]].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가빈 (성우)|가빈]].
* [[8월 28일]] - 튀니지의 테니스 선수 [[온스 자베르]].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박정현.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디엘 (가수)|디엘]] ([[블랑세븐]]).
** 대한민국의 배우 [[권소현]].
** 대한민국의 가수 [[허영지]] ([[카라 (음악 그룹)|카라]]).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베이시스트 최현수.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손스타 (프로게이머)|손스타]].
=== 9월 ===
* [[9월 1일]]
** 미국의 가수 [[비앙카 라이언]].
** 대한민국의 가수 슬기.
* [[9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희천.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민 (1994년)|수민]]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9월 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상우]].
** 대한민국의 모델 [[신나리 (모델)|신나리]].
* [[9월 5일]]
** 이탈리아의 수영 선수 [[그레고리오 팔트리니에리]].
**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 [[김조은]].
* [[9월 6일]] - 일본의 성우 [[이자와 미카코]].
* [[9월 7일]] - 일본의 배우 [[야마자키 겐토]].
* [[9월 8일]]
** 일본의 축구 선수 [[마에카와 다이야]].
** 일본의 성우 [[와키 아즈미]].
** 대한민국의 가수 [[전민주]].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악어]].
** 일본의 성우 [[타카하시 카린]].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준석 (바둑 기사)|김준석]].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홍빈]].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원희]].
** 대한민국의 래퍼 [[RM (래퍼)|RM]] ([[방탄소년단]]).
** 우크라이나의 테니스 선수 [[엘리나 스비톨리나]].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니콜라스 오르시니]].
* [[9월 13일]] - 일본의 성우 [[오오하시 아야카]].
* [[9월 14일]]
** 인도의 육상 선수 [[아비나슈 사블레]].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파하드 알무왈라드]].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주혁]].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유리 (축구 선수)|최유리]].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나인우]].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전태양]] ([[진에어 그린윙스]]).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전성은]].
* [[9월 20일]] - 필리핀의 축구 선수 [[다이스케 카우만다이 사토]].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델리만쥬.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홍유경]] ([[에이핑크]]).
** 대한민국의 가수 [[진영 (1994년)|진영]] ([[GOT7]]).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모하메드 칸노]].
** 대한민국의 가수 [[블라세]].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미주]] ([[러블리즈]]).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예리 미나]].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세완]].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민도희]]. ([[타이니지]])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김들]].
** 미국의 배우 [[잔센 파네티어]]. (~[[2023년]])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욱 (가수)|현욱]] ([[인투잇]]).
** 이탈리아의 육상 선수 [[마르셀 자콥스]].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찬 (1994년)|김영찬]].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엄세웅]] ([[더 맨 블랙]]).
** 일본의 배우 [[타테이시 하루카]].
** 대한민국의 스케이팅 선수 [[김태윤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김태윤]].
* [[9월 29일]] - 미국의 가수 [[할시 (가수)|할시]].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경록]].
**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매클로플린]].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고현 (가수)|고현]] ([[텐엑스]]) ([[원포유]]).
** 이집트의 축구 선수 [[마흐무드 하산]].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황규석]].
* [[10월 3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케파 아리사발라가]].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류현상]].
**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리밋]].
** 일본의 가수 [[이와타테 사호]].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정일훈 (가수)|정일훈]] ([[비투비]]).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수이]].
** 대한민국의 배우 [[박주현 (1994년)|박주현]].
** 대한민국의 가수 [[김희진 (1994년)|김희진]].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진현 (뮤지컬 배우)|김진현]].
** 일본의 성우 [[타나카 타카코]].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주헌|이주헌]] ([[몬스타엑스]]).
** 중국의 가수 [[앤디 (1994년)|앤디]] ([[세븐어클락]]).
** 일본의 성우 [[타나카 치에미]].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지원]].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요요미]].
** 일본의 가수 [[루이 (1994년)|루이]].
** 대한민국의 배우 [[이우제 (배우)|이우제]].
** 스위스의 가수 [[루카 헤니]].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훈 (1994년)|박지훈]].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아시사트 오쇼알라]].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수지 (1994년)|수지]] ([[미쓰에이]]).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신혜]].
** 대한민국의 가수 [[지올 팍]].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주은 (성우)|이주은]].
** 대한민국의 가수 [[복은]] ([[시그널 (음악 그룹)|시그널]]).
** 대한민국의 가수 [[블루 (가수)|블루]].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현진.
** 일본의 농구 선수 [[와타나베 유타 (농구 선수)|와타나베 유타]].
* [[10월 14일]]
** 일본의 전 댄서, 모델 [[후지이 슈카]].
** 일본의 배우 [[타카야나기 토모요]].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튠]].
** 일본의 성우 [[오오모리 니치카]].
* [[10월 16일]] - 일본의 성우 [[키토 아카리]].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스팍 (가수)|스팍]] ([[블랑세븐]]).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소영 (배구 선수)|이소영]].
** 멕시코의 양궁 선수 [[알레한드라 발렌시아]].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이현 (배우)|박이현]].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마블제이]].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현영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김현영]].
** 일본의 배우 [[스가 켄타]].
** 일본의 배우 [[이오야마 미사토]].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주아.
** 대한민국의 가수 [[고호정]]. ([[핫샷 (음악 그룹)|핫샷]])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강민지]].
* [[10월 23일]]
** 미국의 배우 [[마거릿 퀄리]].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아리 (가수)|아리]].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크리스탈 (가수)|크리스탈]]([[f(x)]]).
** 일본의 축구 선수 [[우에다 나오미치]].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동주|장동주]].
** 일본의 성우 [[니시모토 리미]].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현 (가수)|김동현]].
** 대한민국의 가수 [[윤준원]] ([[더 맨 블랙]]).
** 미국의 축구 선수 [[조던 모리스]].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나킴]].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퀴르트 주마]].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황영웅]].
** 대한민국의 가수 [[에이미리 (가수)|에이미리]].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요트 선수 [[조원우 (요트 선수)|조원우]].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하은 (가수)|김하은]].
** 일본의 성우 [[하루노 안즈]].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아영 (배우)|김아영]].
** 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 [[마리오 산체스]].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늘.
* [[11월 2일]] - 일본의 성우 [[스와 나나카]].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예림 (성우)|김예림]].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보혜]].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민건]].
** 중국의 가수 [[루징]] ([[GNZ48]]).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프로즌 (프로게이머)|프로즌]].
* [[11월 7일]]
** 일본의 가수 [[이이쿠보 하루나]].
**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무라카미 가나코]].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다데]].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일레인 (가수)|일레인]].
* [[11월 10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아사노 다쿠마]].
** 미국의 배우 [[조이 도이치]].
** 캐나다의 육상 선수 [[앤드리 디 그라스]].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한다라]] ([[베스티]], [[EXID]]).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인.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I'll|아일]].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재훈.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표.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화니]] ([[더스틴 (음악 그룹)|더스틴]]).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허준 (1994년)|허준]].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소우릎]].
** 대한민국의 가수 [[최나리]].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현진 (아나운서)|김현진]].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조정 선수 [[김예지 (조정 선수)|김예지]].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비버.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수찬 (가수)|김수찬]].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고릴라 (프로게이머)|고릴라]].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이재]].
** 대한민국의 배우 [[박소정 (1994년)|박소정]].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화수목]] ([[타이니지]]).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솔 (1994년)|한솔]] ([[뉴키드]]).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사울 니게스]].
** 대한민국의 체조 선수 [[박민수 (체조 선수)|박민수]].
** 대한민국의 가수 [[무성 (가수)|무성]].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재현 (배우)|고재현]].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김현.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데이커 몽고메리]].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전예지]].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박혜수]].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선아 (1994년)|김선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배재준]].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도욱]].
** 대한민국의 가수 [[소수빈]].
** 대한민국의 가수 [[주드 (가수)|주드]] ([[빅스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빅스타]]).
** 일본의 가수 [[무토 토무]].
** 대한민국의 래퍼 [[카키]].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예린]].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현 (배우)|박지현]].
** 대한민국의 가수 [[이형석 (가수)|이형석]] ([[더 맨 블랙]]).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윤현선 (뮤지컬 배우)|윤현선]].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문희원]].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체조선수 [[박지연]].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윤예지]].
** 대한민국의 배우 [[이소영 (배우)|이소영]].
** 대한민국의 가수 [[영잔디스]].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석환]].
* [[12월 2일]] - 일본의 배우 [[시미즈 후미카 (배우)|시미즈 후미카]].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봅슬레이 선수 [[김민성 (봅슬레이 선수)|김민성]].
** 일본의 성우 [[세리자와 유우]].
** 일본의 가수 [[쿄모토 타이가]].
** 크로아티아의 유도 선수 [[바르바라 마티치]].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 [[토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세인]].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한결.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신승찬]].
** 그리스의 농구 선수 [[야니스 아데토쿤보]].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진 (1994년)|이유진]].
** 미국의 배우 [[서맨사 보스커리노]].
* [[12월 7일]] - 일본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하뉴 유즈루]].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니 (1994년)|주니]] ([[레이디스 코드]]).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라힘 스털링]].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나이트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나이트]].
** 일본의 가수, 배우 [[오오타 아이카]] ([[HKT48]]).
** 일본의 가수 [[야마우치 스즈란]] ([[SKE48]]).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스트리머 [[우정잉]].
** 대한민국의 희극인 [[남희정 (희극인)|남희정]].
** 태국의 탁구 선수 [[수타시니 사웨타붓]].
** 스페인의 유도 선수 [[프란시스코 가리고스]].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승환]] ([[로미오 (음악 그룹)|로미오]]).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러스트보이]].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택]] ([[MVP (음악 그룹)|MVP]]).
** 미국의 배우 [[게이브리얼 배소]].
** 일본의 가수 [[시게토메 마나미]].
** 일본의 배우 [[히로세 아리스]].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규정 (가수)|박규정]].
** 미국의 대학생 [[오토 웜비어]]. (~[[2017년]])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궁준식]].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살랑]].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하느르]].
* [[12월 16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엘리엇 리]].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니콜라 무루]].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호세 로드리게스 마르티네스]].
** 대한민국의 배우 [[윤준호 (1994년)|윤준호]].
** 캐나다의 쇼트트랙 선수 [[킴 부탱]].
* [[12월 17일]]
** 미국의 배우 [[냇 울프]].
** 대한민국의 가수 [[최시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요한 (1994년)|박요한]].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정훈 (배우)|윤정훈]].
** 대한민국의 가수 [[민재 (1994년)|민재]]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은교.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강하나 (레이싱 모델)|강하나]].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원준 (1994년)|최원준]].
** 가나의 축구 선수 [[대니얼 아마티]].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최예은]].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한여름.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이한빛 (레슬링 선수)|이한빛]].
** 대한민국의 유튜버 유성 (팀샐러드).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승우 (가수)|한승우]] ([[빅톤 (음악 그룹)|빅톤]], [[X1 (음악 그룹)|엑스원]]).
** 대한민국의 가수 [[이션]] ([[온앤오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한결 (1994년)|박한결]].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도아 (치어리더)|김도아]].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규 (1994년)|김민규]].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설아]]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백지원 (1994년)|백지원]].
** 대한민국의 가수 [[P.K]] ([[MVP (음악 그룹)|MVP]]).
** 이란의 레슬링 선수 [[하산 야즈다니]].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주희.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모델 [[유리 (모델)|유리]].
** 대한민국의 이종격투기 선수 [[송가연]].
** 일본의 예능인 [[마에다 유카]] (스마이레지).
** 멕시코의 야구 선수 [[로베르토 라모스]].
** 영국의 수영 선수 [[애덤 피티]].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영주]].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현호 (배우)|안현호]].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체조 선수 [[허선미]].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이종원 (1994년)|이종원]].
=== 미상 ===
* 대한민국의 가수 [[황선아 (가수)|황선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장예진]].
* 대한민국의 가수 [[은유 (가수)|은유]].
* 대한민국의 유튜버 [[양예원]].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콜드 (가수)|콜드]].
* 대한민국의 가수 [[다무]].
* 대한민국의 모델 겸 배우 [[김현지 (1994년)|김현지]].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혜진 (1994년)|조혜진]].
== 사망 ==
[[파일:Richard M. Nixon, ca. 1935 - 1982 - NARA - 530679.jpg|섬네일|141x141픽셀|리처드 닉슨]]
[[파일:Mrs Kennedy in the Diplomatic Reception Room cropped.jpg|섬네일|148x148픽셀|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파일:Kim Il Sung Portrait-3.jpg|섬네일|120px|김일성]]
[[파일:Linus Pauling 1962.jpg|섬네일|169x169픽셀|라이너스 폴링]]
{{분류 참고|1994년 사망}}
=== 1월 ===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정일권]]. (1917년~)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목사, 사회운동가 [[문익환]]. (1918년~)
=== 2월 ===
* [[2월 7일]] - 폴란드의 작곡가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1913년~)
* [[2월 11일]] - 오스트리아의 과학 철학자 [[파울 파이어아벤트]]. (1924년~)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신흥종교 연구가 [[탁명환]]. (1937년~)
=== 3월 ===
* [[3월 6일]] - 그리스의 배우 [[멜리나 메르쿠리]]. (1920년~)
=== 4월 ===
* [[4월 5일]] - 미국의 록그룹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 (1967년~)
* [[4월 13일]] - 일본의 무술가 [[이노우에 노리아키]]. (1902년~)
* [[4월 16일]] - 미국의 작가 [[랠프 엘리슨]]. (1914년~)
* [[4월 22일]] - 미국의 제37대 대통령 [[리처드 닉슨]]. (1913년~)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교육자 [[김호길]]. (1933년~)
=== 5월 ===
* [[5월 1일]] - 브라질의 자동차 경주 선수 [[아이르통 세나]]. (1960년~)
* [[5월 19일]] - 미국의 존 F. 케네디의 부인 [[재클린 케네디 오나시스]]. (1929년~)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문정]]. (1970년~)
* [[5월 29일]] - 독일민주공화국의 지도자 [[에리히 호네커]]. (1912년~)
=== 6월 ===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화가 [[박영선 (화가)|박영선]]. (1910년~)
=== 7월 ===
* [[7월 2일]]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안드레스 에스코바르]]. (1967년~)
* [[7월 8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석 [[김일성]]. (1912년~)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석광렬]]. (1968년~)
* [[8월 19일]] - 미국의 물리화학자 [[라이너스 폴링]]. (1901년~)
=== 9월 ===
* [[9월 7일]] - 영국의 영화감독 [[테런스 영]]. (1915년~)
* [[9월 11일]] - 미국의 배우 [[제시카 탠디]]. (1909년~)
=== 10월 ===
* [[10월 20일]]
** 미국의 배우 [[버트 랭커스터]]. (1913년~)
** 러시아의 영화감독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1920년~)
* [[10월 24일]] - 푸에르토리코의 배우 [[라울 훌리아]]. (1940년~)
=== 11월 ===
* [[11월 12일]] - 미국의 육상 선수 [[윌마 루돌프]]. (1940년~)
* [[11월 15일]] - 구 소련의 정치인 [[블라디미르 이바시코]]. (1932년~)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신동우 (만화가)|신동우]]. (1936년~)
* [[11월 28일]] - 미국의 반전운동 지도자, 기업인 [[제리 루빈]]. (1938년~)
=== 12월 ===
* [[12월 20일]] - 미국의 정치인 [[딘 러스크]]. (1909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존 C. 하사니, 존 F. 내시, 라인하르트 젤텐.
* '''문학상''': [[오에 겐자부로]].
* '''물리학상''': 버트럼 N. 브록하우스, 클리퍼드 G. 셜.
* '''생리학 및 의학상''': 앨프레드 G. 길먼, 마틴 로드벨.
* '''평화상''': [[야세르 아라파트]], [[시몬 페레스]], [[이츠하크 라빈]].
* '''화학상''': 조지 A. 올라.
== 달력 ==
{{연간달력|1994}}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병인]] || 대 || [[2월 10일]] ||[[정묘]]
|-
| [[음력 2월|2월]] || [[정묘]] || 대 || [[3월 12일]] || [[정유 (간지)|정유]]
|-
| [[음력 3월|3월]] || [[무진]] || 대 || [[4월 11일]] || [[정묘]]
|-
| [[음력 4월|4월]] || [[기사 (간지)|기사]] || 소 || [[5월 11일]] || [[정유 (간지)|정유]]
|-
| [[음력 5월|5월]] || [[경오]] || 대 || [[6월 9일]] || [[병인]]
|-
| [[음력 6월|6월]] || [[신미 (간지)|신미]] || 소 || [[7월 9일]] || [[병신]]
|-
| [[음력 7월|7월]] || [[임신 (간지)|임신]] || 대 || [[8월 7일]] || [[을축]]
|-
| [[음력 8월|8월]] || [[계유]] || 소 || [[9월 6일]] || [[을미]]
|-
| [[음력 9월|9월]] || [[갑술]] || 소 || [[10월 5일]] || [[갑자]]
|-
| [[음력 10월|10월]] || [[을해]] || 대 || [[11월 3일]] || [[계사 (간지)|계사]]
|-
| [[음력 11월|11월]] || [[병자]] || 소 || [[12월 3일]] || [[계해]]
|-
| [[음력 12월|12월]] || [[정축]] || 대 || [[1995년]] [[1월 1일]] || [[임진]]
|}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전거 통제}}
[[분류:1994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3}}
{{기년법|1993}}
{{요즘 화제 년월|1993년}}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일]] -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 독립하다.
* [[1월 7일]] -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우암상가아파트에서 가스폭발과 화재로 건물이 붕괴해 27명이 사망하고 48명이 다쳤다.
* [[1월 19일]] - [[슬로바키아]]와 [[체코]], [[유엔]]에 가입하다.
* [[1월 20일]] - [[빌 클린턴]], [[미국]] 제42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다.
* [[2월 25일]] - [[김영삼]],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다.
* [[2월 26일]] - [[세계 무역 센터 (1973년~2001년)|세계 무역 센터]]에서 [[1993년 세계 무역 센터 폭탄 테러|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 [[3월 19일]] - [[리인모]]가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송환됐다.
* [[3월 28일]] - [[부산]], [[구포역 열차 전복 사고]]로 인해 사망자 78명, 부상자 193명을 기록하였다.
* [[4월 8일]] - [[마케도니아 공화국]], [[유엔]]에 가입하다.
* [[4월 27일]] -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
* [[5월 21일]] - [[인도네시아]] 법원, [[동티모르]] 독립투사 [[샤나나 구스망]] 유죄 인정해 [[종신형]] 선고했으나 그 후 20년으로 감형되다.
* [[5월 28일]] - [[모나코]]와 [[에리트레아]], [[유엔]]에 가입하다.
* [[6월 14일]] - [[서울특별시]]에서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 발생.
* [[7월 26일]] -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아시아나항공 보잉737 여객기]]가 [[목포공항]] 착륙 직전 [[해남군]] 야산에 추락하여 68명이 사망하다.
* [[7월 28일]] - [[안도라]], [[유엔]]에 가입하다.
* [[8월 5일]] - [[박은식]], [[신규식]], [[노백린]], [[김인전]], [[안태국]] 등 애국선열 5위의 유해, [[상해]]에서 운구.
* [[8월 9일]] - [[대한민국]], [[태풍 로빈]]이 상륙하다.
* [[8월 28일]] - [[갈릴레오 (우주선)|갈릴레오 호]]가 소행성 [[243 이다|이다]]를 [[접근 통과]]하다.
* [[9월 7일]] -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국회]], [[대한민국 정부|행정부]], [[법원]],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1급 이상 고위공직자와 국영기업체 상근 임원 등 1,166명의 재산을 일괄 공개하는 공직자 재산 공개를 단행하다.
* [[9월 13일]]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의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과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가 오슬로 평화 협정에 서명하다.
* [[9월 14일]]
** 대한민국 [[김영삼]] 대통령과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하다.
**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북미자유무역협정]]에 서명하다.
* [[9월 23일]] - [[대한민국]] [[김영삼]] 대통령, 새 대법원장에 [[윤관 (법조인)|윤관]] 대법관 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지명하다.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우리별 2호]] 위성,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우주기지서 발사를 성공하다.
* [[10월 3일]]
** [[모가디슈 전투 (1993년)|모가디슈 전투]]: 소말리아 [[모가디슈]]에서 미국 특수부대원([[레인저]], [[델타 포스]]로 구성된 특임대)와 모하메다 파라 아이디드 군벌 간에 전투가 벌어졌고 이 전투로 미군 19명 사망, 76명 부상, 블랙호크 헬기 두 대가 격추당하여 추락하고, 소말리아인 사상자는 천여 명(추정)에 이르렀다.
** [[러시아]] [[보리스 옐친]] 대통령, 반옐친 유혈시위와 관련 [[모스크바]] 일부에 비상사태를 선포하다.
* [[10월 4일]] - [[러시아 연방군]]이 러시아 최고의회 의사당에서 농성 중이던 보수파 세력을 무력 진압, 승리하였다. 러시아 보수세력은 교전 끝에 무기를 버리고 투항하다.
* [[10월 9일]] - [[내일신문]] 창간.
* [[10월 10일]]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로 29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다.
* [[10월 15일]] - [[청와대]]는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총독 관저로 쓰였던 구본관을 철거하다.
* [[12월 15일]] -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타결되다.
== 문화 ==
* [[3월 1일]] - [[삼성그룹]]의 심볼마크로 타원형과 색상, '''SAMSUNG'''이라는 작용되었다.
* [[4월 1일]] - 그룹 [[듀스 (음악 그룹)]]가 데뷔하였다.
* [[4월 1일]] - [[대한민국]]의 일간지, [[동아일보]]과 [[매일경제신문]] 석간에서 조간화 변경
* [[4월 2일]] - [[기동전사 V 건담]]의 방영이 시작되었다.
* [[4월 10일]]- [[삼성 라이온즈]]의 [[양준혁]]님이 대구구장에서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경기에 3번타자 [[1루수]]로서 처음 출장하였다.
* [[4월 21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연장구간 [[상계역|상계]]~[[당고개역|당고개]] 구간이 개통되었다.
* [[4월 22일]] - [[중국국가항천국]]이 설립되었다.
* [[5월 1일]] - [[사건25시]]를 방송을 개시되었다.
* [[5월 14일]] - [[현대자동차]]에서 쏘나타2를 탄생하다.
* [[7월 9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스포티지|스포티지]]를 출시하다.
* [[7월 27일]] - [[윈도우 NT 3.1]]이 출시되다.
* [[8월 7일]]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대전]]에서 [[1993년 세계 박람회|대전엑스포]]가 개막하다.
* [[8월 12일]] - [[대한민국]],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긴급 재정명령'으로 [[금융 실명제]]를 실시하다.
* [[8월 12일]] - [[쌍용자동차]]에서 [[쌍용 무쏘|무쏘]]를 출시하다.
* [[8월 16일]] - [[퍼듀 대학]]의 학생이던 랜 머독에 의해 [[데비안]] [[리눅스]]가 발표되다.
* [[8월 20일]] - [[대한민국]], [[대학수학능력시험|199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8월 26일]] - [[일본]] [[레인보우 브리지 (도쿄)|레인보우 브리지]]가 개통되었다.
* [[10월 7일]] - [[미국]] 소설가 [[토니 모리슨]],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하다.
*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구간 [[양재역|양재]]~[[수서역|수서]] 구간이 개통되었다.
* [[11월 7일]] - [[1993년 세계 박람회|대전엑스포]]가 폐막하다.
* [[11월 16일]] - [[대한민국]], 1994학년도 제2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12월 23일]] - [[대한민국]] [[부여군]]에서 [[백제금동대향로]]가 발굴되었다.
* [[12월 31일]] - [[대한민국]], [[천연두]]를 예방접종에서 제외하다.
== 탄생 ==
{{분류 참고|1993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캐나다의 가수, 배우 [[아린 도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방송인, 교수 [[이녕 (유튜버)|이녕]].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정미미]].
** 대한민국의 래퍼 [[DPR 라이브]].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장현수 (1993년)|장현수]].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은 (1993년)|김예은]].
** 네덜란드의 육성 선수 [[시판 하산]].
* [[1월 2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욘나 안데르손]].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민희]]. ([[스텔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승혁 (1993년)|한승혁]].
** 대한민국의 유튜버 [[하늘 (유튜버)|하늘]].
* [[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윤서]].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캡틴잭]].
* [[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경혜 (배우)|박경혜]].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강지훈 (바둑 기사)|강지훈]].
* [[1월 6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미림.
* [[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현희]].
** 슬로베니아의 축구 선수 [[얀 오블라크]].
* [[1월 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한보선]].
** 대한민국의 가수 [[용석 (가수)|용석]].
* [[1월 9일]] - 미국의 배우 [[애슐리 아고타]].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혜지]].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래퍼 [[제이클레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찬동]].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세은]].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정환 (바둑 기사)|박정환]].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마이클 킨]].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디오 (1993년)|디오]] ([[EXO]], [[EXO-K]]).
** 영국의 가수 [[제인 말리크]] ([[원 디렉션]]).
** 일본의 가수 [[미츠이 아이카]] ([[모닝구무스메]]).
** 대한민국의 작곡가 [[김승수 (작곡가)|김승수]].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현도훈]].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최아라 (모델)|최아라]].
* [[1월 15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탕웨이싱]].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도 선수 [[리파빈]].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진 (가수)|성진]] ([[DAY6]]).
** 대한민국의 배우 [[노종현]].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인]].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지수 (1993년생 희극인)|이지수]]. (~[[2023년]])
* [[1월 17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보르하 이글레시아스]].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승리]].
** 대한민국의 성우 [[권다예]].
* [[1월 19일]]
** 미국의 배우, 가수 [[빅토리아 저스티스]].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채주화]].([[헬로비너스]])
** 일본의 성우 [[쿠노 미사키]].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주앙 마리우]].
** 대한민국의 래퍼 [[김혜림 (1993년)|김혜림]].
* [[1월 20일]]
** 홍콩의 펜싱 선수 [[처이호인]].
** 대한민국의 가수 키미.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세영 (골프 선수)|김세영]].
** 한국계 미국인 가수 [[이수정 (미국의 가수)|이수정]].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윤경]].
* [[1월 23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오시마 료타]].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윤지수]].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희주]].
**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G1nger]].
** 필리핀의 가수, 배우 [[카일리 파디야]].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진아 (가수)|김진아]].
** 일본의 성우 [[후지타 아카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도영 (1993년)|김도영]].
* [[1월 27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야야 사노고]].
** 대한민국의 가수 [[강고은]].
* [[1월 28일]]
** 영국의 배우 [[윌 폴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태양 (1993년)|이태양]].
** 대한민국의 전 배우 [[강두리]]. (~[[2015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전은하]].
* [[1월 29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프랜 커비]].
** 조지아의 축구 선수 [[발레리 카자이슈빌리]].
** 일본의 가수 겸 패션모델 [[캬리 파뮤파뮤]].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훈.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구본찬]].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심창민]].
** 대한민국의 작가 [[김초엽]].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나경 (치어리더)|이나경]].
* [[2월 2일]] - 대한민국의 래퍼 [[피오]] ([[블락비]]).
* [[2월 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주한 (야구 선수)|김주한]].
* [[2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누리]].
** 대한민국의 가수 [[김은비 (가수)|김은비]].
* [[2월 5일]]
** 대한민국의 웹툰작가 겸 스트리머 [[와나나]] ([[정해완]]).
** 대한민국의 래퍼 [[애쉬비]].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가수 [[강민수 (뮤지컬 배우)|강민수]].
* [[2월 6일]]
** 대한민국의 빙상 선수 [[김보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민우 (야구 선수)|박민우]].
** 대한민국의 크로스오버 가수 [[박현수 (1993년)|박현수]].
* [[2월 7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디에고 락살트]].
* [[2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윤구 (축구 선수)|강윤구]].
** 미국의 야구 선수 [[제임스 네일]].
* [[2월 9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권민정]].
** 일본의 축구 선수 [[엔도 와타루]].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민우 (1993년)|이민우]].
** 대한민국의 가수 [[현진 (작곡가)|현진]].
**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 [[김민석 (레슬링 선수)|김민석]].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창현 (축구 선수)|김창현]].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모델 이지혜.
** 대한민국의 전직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양대인]].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대열]]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회르뒤르 마그누손]].
** 대한민국의 배우 [[김신비]].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은미]].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구자욱]].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현진 (축구 선수)|김현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하파에우 아우칸타라]].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군인이자 항공 승무원 [[유지혜 (1993년)|유지혜]].
** 일본의 배우 [[아리무라 카스미]].
** 이탈리아의 펜싱 선수 [[안드레아 산타렐리]].
* [[2월 14일]] - 일본의 유튜버 [[하지메샤쵸]].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래퍼 [[라비 (가수)|라비]] ([[빅스 (음악 그룹)|빅스]]).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승아]].
** 일본의 가수, 배우, 모델 [[유키카]].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시우바 보르헤스]].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미진 (레이싱 모델)|김미진]].
** 대한민국의 가수 [[유라 (1993년)|유라]].
** 독일의 배우 [[필리프 비그라츠]].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도이]].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펀치 (가수)|펀치]].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민석 (피겨 스케이팅 선수)|김민석]].
** 미국의 배우 및 가수 [[빅토리아 저스티스]].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마우로 이카르디]].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자라 차드라칠]].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조윤경 (치어리더)|조윤경]].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각소각]].
** 일본의 아이돌 [[하시모토 나나미]].
**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지바노프]].
* [[2월 21일]] - 일본의 배우, 가수 [[스다 마사키]].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미정.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알렉산더 겜린]].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가람]].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우혁 (1993년)|이우혁]].
** 미국의 야구 선수 [[호세 로하스 (야구 선수)|호세 로하스]].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우성.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교수 [[박현주]].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보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헤세 로드리게스]].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공승연]].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알퐁스 아레올라]].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래퍼 [[씨잼]].
** 대한민국의 성우 [[김민주 (성우)|김민주]].
** 대한민국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루퍼 (프로게이머)|루퍼]].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원호 (가수)|원호]].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후안 베르나트]].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킹기훈]].
* [[3월 2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상도 (가수)|상도]].
** 대한민국의 가수, 유튜버 [[유정호 (유튜버)|유정호]].
* [[3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가온누리]]. ([[남녀공학]])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서지연 (펜싱 선수)|서지연]].
** 독일의 축구 선수 [[안토니오 뤼디거]].
* [[3월 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하은 (아나운서)|김하은]].
* [[3월 5일]]
** 일본의 야구 선수 [[고토 슌타]].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해리 매과이어]].
** 미국의 배구 선수 [[캣 벨]].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신다운]].
** 미국의 야구 선수 [[카일 슈워버]].
* [[3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숨]].
* [[3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연주가 [[강예리]].
* [[3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여운.
** 일본의 농구 선수 [[마치다 루이]].
* [[3월 9일]]
** 대한민국의 래퍼 [[슈가 (래퍼)|슈가]] ([[방탄소년단]]).
** 대한민국의 국악인 [[고영열]].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스테파노 스투라로]].
** 일본의 축구 선수 [[이토 준야 (1993년)|이토 준야]].
** 그리스의 축구 선수 [[조지 볼독]]. (~[[2024년]])
* [[3월 10일]] - 미국의 래퍼 [[프니엘]] ([[비투비]]).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아연]].
** 미국의 농구 선수 [[앤서니 데이비스 (농구 선수)|앤서니 데이비스]].
** 영국의 배우 [[조디 코머]].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조송화]].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정시영]].
* [[3월 13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타이론 밍스]].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원주.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유경 (가수)|유경]].
** 영국, 인도의 배우 [[알리아 바트]].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폴 포그바]].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효은]].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차민규]].
** 일본의 성우 [[타카다 유우키]].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존 (가수)|오존]].
** 대한민국의 가수 서영주.
* [[3월 18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이와부치 마나]].
** 루마니아의 축구 선수 [[콘스탄틴 니카]].
* [[3월 19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테사 뷜라르트]].
** 모로코의 축구 선수 [[하킴 지야시]].
** 대한민국의 힙합 프로듀서 [[코스믹보이]].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왈테르 다니엘 베니테스]].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도마]]. (~[[2021년]])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혜연]].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이지영.
** 영국의 태권도 선수 [[제이드 존스]].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진희 (1993년)|김진희]].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현우 (1993년)|이현우]].
** 대한민국의 배우 [[한다희 (배우)|한다희]].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동희 (농구 선수)|김동희]].
* [[3월 25일]] - 일본의 아이돌 [[미야다테 료타]].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진아 (아나운서)|박진아]].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박정아 (배구 선수)|박정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성진 (1993년)|강성진]].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현동 (야구 선수)|이현동]].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백지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앙 비에이라]].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래퍼 [[앤덥]].
* [[3월 29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토르간 아자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민 (1993년)|김동민]].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지수 (배우)|지수]].
** 대한민국의 래퍼 [[송민호]] ([[비오엠]], [[위너 (음악 그룹)|위너]]).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차가을]].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노영학]].
** 대한민국의 배우 [[김가란]].
** 일본의 가수 [[오카모토 게이토]] ([[Hey! Say! JUMP]]).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변시원]].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장윤철]].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수현 (치어리더)|김수현]].
** 대한민국의 미술가 [[류성실]].
** 일본의 가수 [[시바타 아야]] ([[SKE48]]).
* [[4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재하]].
** 일본의 성우 [[세토 아사미]].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문규현 (축구인)|문규현]].
* [[4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동우석]].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이수날]].
* [[4월 5일]]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라우라 파이어징거]].
** 대한민국의 래퍼 후디니.
* [[4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나 ([[브레이브걸스]]).
** 대한민국의 가수 [[EB (가수)|EB]].
* [[4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현상 (1993년)|윤현상]].
* [[4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경훈 (배우)|최경훈]].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민정]].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안지은]].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설 (1993년생 배우)|이설]].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버블링]].
** 미국의 배우, 작가, 감독 [[해나 마크스]].
* [[4월 14일]]
** 일본의 배우 [[아키야마 유즈키]].
** 덴마크의 모델 [[요세피네 스크리베르]].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로제스]].
* [[4월 15일]]
** 미국의 가수, 배우 [[소피아 카슨]].
** 대한민국의 가수 [[레아 (1993년)|레아]].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민수 (1993년)|민수]].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기영]].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이소연 (쇼트트랙 선수)|이소연]].
**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미라이 나가스]].
** 미국의 래퍼 [[찬스 더 래퍼]].
** 일본의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츠쿠다니 노리오]].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래퍼 [[캐스퍼 (대한민국의 래퍼)|캐스퍼]].
** 대한민국 가수 [[다일 (가수)|다일]] [[어위크]].
** 대한민국의 가수 [[최전설]].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선우 (1993년 4월 19일)|김선우]].
** 대한민국의 가수, 비디오 자키 [[가빈 (1993년)|가빈]].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도준.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래퍼 [[키미 (래퍼)|키미]].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쌍둥이 배우 [[류효영]], [[류화영]].
** 스웨덴의 축구 선수 [[필리프 헬란데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선우 (1993년 4월 22일)|김선우]].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승호 (배우)|강승호]].
** 일본의 가수 [[치카노 리나]] ([[AKB48]], [[JKT48]]).
* [[4월 24일]]
** 웨일스의 축구 선수 [[벤 데이비스 (1993년생 축구 선수)|벤 데이비스]].
** 대한민국의 가수 [[사뮈]].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해머던지기 선수 [[강나루]].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라파엘 바란]].
* [[4월 26일]] - 일본의 배우 [[타케우치 료마]].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여민지]].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스트리머 [[견자희]].
** 대한민국의 가수 [[정진환]].
** 캐나다의 역도 선수 [[모드 샤롱]].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뉴스캐스터 [[정다인]].
** 대한민국의 배우 [[문용석]].
* [[4월 30일]]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아르드노르 잉그비 트라우스타손|아르드노르 트라우스타손]].
** 대한민국의 가수 [[신보라 (배우)|신보라]].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상일 (가수)|상일]] ([[스누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욱 (야구 선수)|김성욱]].
* [[5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재율]].
** 중국의 전 래퍼 [[황쯔타오]]. ([[EXO]])
** 대한민국의 희극인 [[한송희 (1993년)|한송희]].
* [[5월 3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인플루언서 [[송대익]].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현 (축구 선수)|김현]].
** 대한민국의 전 씨름 선수 가수 [[김도현 (가수)|김도현]].
* [[5월 4일]]
** 키르기스스탄의 레슬링 선수 [[아이술루 티니베코바]].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진용.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시우]].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빠른별]].
** 대한민국의 배우 [[서지원 (1993년)|서지원]].
* [[5월 6일]]
** 영국의 배우 [[나오미 스콧]].
** 대한민국의 배우 [[김다솜 (배우)|김다솜]].
* [[5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소희]].
* [[5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Ruask]].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변현우 (프로게이머)|변현우]].
* [[5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동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선호]].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문성곤]].
** 일본의 가수, 배우 [[야마다 료스케]] ([[Hey! Say! JUMP]]).
** 대한민국의 가수 [[치우 (배우)|치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고병욱 (1993년)|고병욱]].
* [[5월 10일]]
** 일본의 배우 [[시다 미라이]].
** 대한민국의 배우 [[김원희 (1993년)|김원희]].
* [[5월 11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엘린 루벤손]].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주연 (1993년생 배우)|김주연]].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다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민 (1993년)|김성민]].
* [[5월 13일]]
** 미국의 배우 [[데비 라이언]].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방민아]] ([[걸스데이]]).
** 벨기에의 축구 선수 [[로멜루 루카쿠]].
* [[5월 14일]] - 미국의 배우, 가수 [[미란다 코스그로브]].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양승호 (1993년)|양승호]].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이유]].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김의영 (가수)|김의영]].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세이.
** 일본의 가수 [[이와모토 히카루]].
* [[5월 18일]]
** 일본의 배우 [[이리에 진기]].
** 오스트레일리아의 탐험가 [[제시카 왓슨]].
** 대한민국의 가수 킴 ([[러버소울]]).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김선영 (컬링 선수)|김선영]].
** 대한민국의 가수 [[야삐]].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종협]].
** 일본의 배우 [[가미키 류노스케|카미키 류노스케]].
* [[5월 20일]] - 미국의 스케이트 선수 [[캐럴라인 장]].
* [[5월 21일]]
** 미국의 가수 [[아론 (1993년)|아론]] ([[뉴이스트]]).
** 대한민국의 가수 [[유지애]] ([[러블리즈]]).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보물섬 (유튜버)|김동현]].
** 대한민국의 가수 [[초이 (가수)|초이]].
* [[5월 22일]]
** 러시아 태생 바레인의 레슬링 선수 [[아흐메트 타주디노프]].
** 러시아의 양궁 선수 [[옐레나 오시포바 (양궁 선수)|옐레나 오시포바]].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정환 (1993년)|이정환]].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쇼핑호스트 지영.
* [[5월 25일]] - 일본의 성우 [[호리에 슌]].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김명선 (미스코리아)|김명선]].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이승민 (1993년)|이승민]].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래퍼 [[케리건 메이]].
** 대한민국의 희극인 [[오지환 (희극인)|오지환]].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연제민]].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황아름]].
* [[5월 30일]]
** 일본의 배우 [[후쿠시 소타]].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정훈 (1993년)|김정훈]].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지연.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현 (1993년)|김정현]].
* [[6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겸 (야구 선수)|한겸]].
* [[6월 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준형 (야구 선수)|이준형]].
** 대한민국의 가수 [[욘코]].
* [[6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성현 (1993년)|김성현]].
** 일본의 성우 [[시모지 시노]].
* [[6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리태희]].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마리아 토리스도티르]].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라우라 줄리아니]].
* [[6월 6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기현 (프로게이머)|김기현]] ([[삼성전자 칸]]).
** 스웨덴의 모델 [[프리다 구스타프손]].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황정혜]].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안드리네 헤게르베르그]].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지연 (가수)|지연]].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엠페러 (프로게이머)|엠페러]].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강민지]].
* [[6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성 (가수)|현성]] ([[보이프렌드 (음악 그룹)|보이프렌드]]).
** 대한민국의 가수 [[니브 (가수)|니브]].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수안 (축구 선수)|김수안]].
** 대한민국의 크리켓 선수 이진아.
* [[6월 11일]]
** 일본의 성우 [[오오츠보 유카]].
** 대한민국의 모델, 미술가 [[송우주 (미스코리아)|송우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우혁 (1993년)|최우혁]].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래퍼 [[다혜]] ([[베스티]]).
* [[6월 13일]]
** 카자흐스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데니스 텐]]. (~[[2018년]])
** 가나의 축구 선수 [[토머스 파티]].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남궁원.
* [[6월 15일]]
** 일본의 전 가수 [[아리하라 간나]] ([[°C-ute]]).
** 대한민국의 래퍼 [[비와이]].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검]].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출신 필라테스 강사 [[장세희 (치어리더)|장세희]].
* [[6월 18일]] - 일본의 가수 [[나카쓰카 도모미]].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서예일]].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차정아]].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헬리오스 (프로게이머)|헬리오스]].
** 보스니아의 축구 선수 [[세아드 콜라시나츠]].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인호 (가수)|인호]] ([[인투잇]]).
* [[6월 22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로리스 카리우스]].
** 러시아의 전 리듬체조 선수 [[다리야 드미트리예바 (체조 선수)|다리야 드미트리예바]].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서준 (1993년)|김서준]].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지수]].
** 오스트레일리아의 허들 선수, 모델 [[미셸 제너커]].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랑.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현희]].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승휘]].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성현 (축구 선수)|김성현]].
* [[6월 26일]]
** 미국의 가수 [[아리아나 그란데]].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아만다 삼페드로]].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박승연]].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러비]].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태리 (배우)|이태리]].
** 대한민국의 가수 [[정대현]] ([[B.A.P]]).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인섹]].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수한 (1993년)|정수한]].
** 일본의 가수 [[키쿠치 아야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우 (1993년)|김성우]].
=== 7월 ===
* [[7월 1일]] - 일본의 가수, 배우 [[카미야마 토모히로]].
* [[7월 2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 김정연.
* [[7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이 킴]].
** 대한민국의 전 육상 선수 [[조재원]].
* [[7월 4일]] - 대한민국의 모델 임지수.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공다임]].
** 가봉의 축구 선수 [[요안 오비앙]].
* [[7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창규 (가수)|창규]] ([[UNVS]]).
** 일본의 성우 [[파이루즈 아이]].
** 일본의 성우 [[키타가와 리나]].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도정은]].
* [[7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빈센트 선라이즈]].
* [[7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승열]].
** 대한민국의 배우 [[한소은]].
* [[7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율]].
** 대한민국의 가수 [[단칸방로맨스]].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길나온]].
** 영국의 가수 [[페리 에드워즈]].
* [[7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정훈 (프로게이머)|이정훈]].
** 대한민국의 배우 [[은해성]].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인성 (가수)|인성]] ([[SF9]]).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문창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서덕원 (야구 선수)|서덕원]].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원선재]].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유 (가수)|우유]].
** 일본의 배우, 패션 모델 [[논 (1993년)|논]].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승화]].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루벤 가르시아 산토스]].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플로렌시아 본세군도]].
** 일본의 아이돌 [[야마모토 사야카 (1993년)|야마모토 사야카]].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수연]].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태선]].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렌소 사라비아]].
** 일본의 성우 [[마츠다 리사에]].
** 우크라이나의 전 리듬체조 선수 [[안나 리자트디노바]].
* [[7월 17일]]
** 일본의 가수 [[아비루 리호]].
** 일본의 성우 [[마츠다 사츠미]].
** 대한민국의 가수 [[박다영 (가수)|박다영]].
** 대한민국의 가수 [[임준혁 (가수)|임준혁]].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민]] ([[샤이니]]).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나빌 페키르]].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골퍼 정혜윤.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뤼카 디뉴]].
** 뉴질랜드의 농구 선수 [[스티븐 애덤스 (농구 선수)|스티븐 애덤스]].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최혜린]].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박민지.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배우 [[진욱]].
** 대한민국의 성우 [[박준형 (성우)|박준형]].
* [[7월 22일]]
** 이란의 레슬링 선수 [[나비드 아프카리]]. (~[[2020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정훈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재영 (1993년)|김재영]].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수연 (1993년)|김수연]].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아요세 페레스]].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경재 (축구 선수)|김경재]].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이신형 (프로게이머)|이신형]] ([[STX SouL]]).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나 (가수)|안나]].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박세영 (쇼트트랙 선수)|박세영]].
** 미국의 가수 겸 배우 [[테일러 맘슨]] ([[더 프리티 렉클리스]]).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규영]].
* [[7월 28일]]
** 영국의 가수 [[셰어 로이드]].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해리 케인]].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래퍼 [[김효은 (래퍼)|김효은]].
* [[7월 30일]]
** 일본의 배우 [[미야자키 미호]].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안드레 고메스]].
* [[7월 31일]] - 미국의 농구 선수 [[밥 웨그너]].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유진 (바둑 기사)|이유진]].
** 중화민국의 탁구 선수 [[천쓰위 (탁구 선수)|천쓰위]].
* [[8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종민.
* [[8월 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성규]].
** 일본의 가수 [[쿠마이 유리나]].
** 독일의 모델 [[니클라스 클라분데]].
* [[8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연진.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허웅 (농구 선수)|허웅]].
** 일본의 배우 [[오고 스즈카]].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스베리르 잉기 잉가손]].
* [[8월 6일]]
** 일본의 가수 [[이시하라 카오리]].
** 미국의 모델, 배우 [[샬럿 매키니]].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예지 (1993년)|예지]].
* [[8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뮤지컬 배우 [[수연 (1993년)|수연]].
** 대한민국의 배우 [[한상조 (배우)|한상조]].
* [[8월 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라희.
* [[8월 9일]]
** 대한민국의 래퍼 [[준Q]] ([[마이네임 (음악 그룹)|마이네임]]).
** 일본의 축구 선수 [[요코야마 쇼헤이]].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신혜정]].
** 일본의 가수, 배우 [[나카지마 유토]] ([[Hey! Say! JUMP]]).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우석]].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민호 (1993년 8월)|이민호]].
** 대한민국의 배우 [[하영]].
** 일본의 야구 선수 [[야마사키 고타로]].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나 (대한민국의 가수)|루나]] ([[f(x)]]).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세웅 (1993년)|박세웅]].
** 쿠바의 태권도 선수 [[라파엘 알바]].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보미]] ([[에이핑크]]).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이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대한]].
** 일본의 축구 선수 [[요코야마 구미]].
** 미국의 아이스하키 선수 [[조니 고드로]]. (~[[2024년]])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공찬]] ([[B1A4]]).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보물섬 (유튜버)|강민석]].
** 대한민국의 배우 [[최연청]].
** 대한민국의 가수 [[이솔로몬]].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비탄테]].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백율희]].
** 일본의 축구 선수 [[나카다 아유]].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앨릭스 옥슬레이드체임벌린]].
* [[8월 16일]]
** 일본의 축구 선수 [[하시모토 겐토]].
** 미국의 배우 [[캐머런 모너핸]].
** 일본의 배우 [[미카미 유아]].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이광현 (펜싱 선수)|이광현]].
** 중화인민공화국의 육상 선수 [[왕자난 (육상 선수)|왕자난]].
** 대한민국의 배우 [[유승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채광훈]].
** 인도네시아의 배우, 가수, 모델 [[친타 라우라]].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은지]] ([[에이핑크]]).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유동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연초아]].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주희 (치어리더)|이주희]].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승재 (아나운서)|이승재]].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혜린]] ([[EXID]]).
* [[8월 24일]]
** 멕시코의 방송인 [[크리스티안 부르고스]].
** 독일의 바이애슬론 선수 [[라우라 달마이어]].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연지은]].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아프리카TV, 유튜버 [[박소은 (인터넷 방송인)|박소은]]. (~[[2020년]])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재수]].
** 대한민국의 가수 [[후이]].
** 일본의 성우, 가수 [[아마미야 소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해리 케인]].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비니.
** 영국의 가수 [[리엄 페인]].
** 대한민국의 가수 [[유민 (1993년)|유민]].
** 미국의 배우 [[루커스 크루이크섕크]].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리 (가수)|오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수행]].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안수진 (기상캐스터)|안수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파코 알카세르]].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백시연.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시윤]].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메건 니콜]].
** 일본의 야구 선수 [[이마나가 쇼타]].
* [[9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민욱 (1993년)|이민욱]].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김도연 (육상 선수)|김도연]].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성종]] ([[인피니트]]).
** 대한민국의 가수 [[주니엘]].
** 대한민국의 가수 [[이소정 (가수)|이소정]] ([[레이디스 코드]]).
** 일본의 배우 [[고이케 리나]].
* [[9월 4일]]
** 미국의 래퍼 [[마크 투안]] ([[GOT7]]).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야니크 페레이라 카라스코]].
* [[9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소안]].
** 미국의 배우 [[게이지 골라이틀리]].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페이스 (프로게이머)|스페이스]].
** 대한민국의 가수 [[염유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김혜성 (탁구 선수)|김혜성]].
* [[9월 6일]]
** 이란의 축구 선수 [[사만 고도스]].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송세라]].
* [[9월 7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고형우]].
* [[9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종국]] ([[남녀공학 (음악 그룹)|남녀공학]]).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마그달레나 에릭손]].
* [[9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소영 (가수)|소영]].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최엘비]].
* [[9월 10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서맨사 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용우 (축구 선수)|박용우]].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다정]].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승환 (1993년)|이승환]].
* [[9월 12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켈시 발레리니]].
* [[9월 13일]] - 아일랜드의 가수 [[나일 호런]].
* [[9월 14일]] - 대한민국계 미국의 모델 [[스테파니 리]].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손승연]].
** 대한민국의 전 인터넷 방송인, 도박사범 [[신태일 (인터넷 방송인)|신태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로운 (가수)|이로운]].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태민]].
* [[9월 17일]]
** 일본의 배우 [[히로세 사토코]].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한태희 (바둑 기사)|한태희]].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Paiiek]].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의담]].
* [[9월 19일]]
** 일본의 가수 [[와타나베 미유키]].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안드레아 페레이라 세후도]].
* [[9월 20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율리안 드락슬러]].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권민아]].([[AOA]])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성현 (골프 선수)|박성현]].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안테 레비치]].
** 대한민국의 가수 [[정다경]].
** 대한민국의 가수 [[신세하 (가수)|신세하]].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탑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황윤호 (야구인)|황윤호]].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박정우 (씨름 선수)|박정우]].
* [[9월 23일]]
** 미국의 레슬링 선수 [[세라 힐더브랜트]].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서하.
* [[9월 24일]] - 일본의 배우 [[스즈무라 아이리]].
* [[9월 25일]]
** 스페인의 가수 [[로살리아 (가수)|로살리아]].
** 일본의 성우 [[타카츠키 카나코]].
** 일본의 배우 [[칸노 리오]].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박이안]].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도건]].
* [[9월 27일]] - 푸에르토리코의 테니스 선수 [[모니카 푸이그]].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도은비]].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빈 (가수)|홍빈]] ([[빅스 (음악 그룹)|빅스]]).
* [[9월 30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트레버 리]].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종우]].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니콜라스 로페스]].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미스 (프로게이머)|미스]].
** 벨기에의 축구 선수 [[미키 바추아이]].
** 조지아의 역도 선수 [[라샤 탈라하제]].
* [[10월 3일]]
** 미국의 배우 [[타라 린 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종민 (1993년)|김종민]].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 [[박연미]].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천지 (가수)|천지]] ([[틴탑]]).
** 대한민국의 가수 [[오혁]] ([[혁오]]).
** 대한민국의 가수 [[쏠 (가수)|쏠]].
** 대한민국의 가수 [[오왠]].
* [[10월 6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히카르두 페레이라]].
** 일본의 배우 [[모토키 세이야]].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예원.
* [[10월 8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리자 판 데르 모스트]].
** 헝가리의 모델 [[펄빈 버르버러]].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김지은 (1993년)|김지은]].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유진.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강준]] ([[서프라이즈 (그룹)|서프라이즈]]).
* [[10월 13일]]
**일본의 성우 [[이시카와 카이토]].
**미국의 모델 [[티파니 트럼프]].
** 대한민국의 수학자 [[김대원]].
** 대한민국의 배우 [[노재원 (배우)|노재원]].
* [[10월 14일]]
** 대한민국 피트니스 모델 [[최설화]].
** 일본의 유도 선수 [[나가세 다카노리]].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태현]] ([[JBJ]], [[핫샷 (음악 그룹)|핫샷]]).
** 대한민국의 배우 [[백수민]].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김유진 (프로게이머)|김유진]] ([[웅진 스타즈]]).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지은.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규 (1993년)|김민규]].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임두성]].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머독 (인터넷 방송인)|머독]].
** 대한민국의 배우, 기업인 [[최선정 (배우)|최선정]].
* [[10월 23일]]
** 일본의 성우, 가수 [[우에무라 유토]].
** 일본의 성우, 가수 [[코바야시 아이카]].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파비뉴]].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홍.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오킹]].
** 대한민국의 배우 [[조지안 (1993년)|조지안]].
** 미국의 골프 선수 [[잰더 샤우플리]].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키드밀리]].
* [[10월 27일]]
** 일본의 기상캐스터 [[히야마 사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훈 (1993년)|김성훈]].
** 대한민국의 가수 [[John OFA Rhee]].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래퍼 [[옐로펌피]].
** 미국의 배우 [[인디아 아이슬리]].
* [[10월 31일]]
** 영국의 배우 [[러티샤 라이트]].
** 대한민국의 가수 [[이다능]].
=== 11월 ===
* [[11월 1일]]
** 브라질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파블루 비타르]].
** 대한민국의 가수 태호.
* [[11월 2일]]
** 일본의 성우 [[오노 유코]].
** 일본의 가수, 무용가 [[치카다 리키마루]].
** 대한민국의 배우 [[안동구]].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혁 (1993년)|민혁]] ([[몬스타엑스]]).
** 대한민국의 안무가 [[가비 (안무가)|가비]].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김진솔 (미스코리아)|김진솔]].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혜원]].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명재 (축구 선수)|이명재]].
* [[11월 5일]]
** 일본의 배우 [[타와다 히데야]].
** 대한민국의 모델 [[비비안 (모델)|비비안]].
* [[11월 6일]] - 미국의 배우, 영화배우 [[야스민 알 부스타미]].
* [[11월 7일]] - 중화민국의 양궁 선수 [[탄야팅]].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류재문]].
** 대한민국의 가수 지안.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허미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도희]].
** 일본의 가수 [[레오루]].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보인]] ([[나린 (음악 그룹)|나린)]].
** 일본의 성우, 가수 [[타도코로 아즈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기태 (축구 선수)|김기태]].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장희령]].
* [[11월 12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잭 렉스]].
* [[11월 13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줄리아 마이클스]].
* [[11월 14일]]
** 일본의 배우 [[노무라 슈헤이]].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사뮈엘 움티티]].
* [[11월 15일]]
** 일본의 모델 [[이리에 사아야]].
** 벨라루스의 전 리듬체조 선수 [[멜리치나 스타뉴타]].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파울로 디발라]].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민형 (아나운서)|김민형]].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넬송 세메두]].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인크레더블 (래퍼)|인크레더블]].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라이언 에드워즈]].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소희]].
** 일본의 가수 [[오쿠나가 마코토]].
* [[11월 19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켈리 제이만]].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수소 (축구 선수)|수소]].
** 대한민국의 가수 [[한윤성]].
* [[11월 20일]] - 일본의 가수 [[사토 스미레]] ([[AKB48]]).
* [[11월 21일]]
**대한민국의 래퍼 [[마이크로닷 (래퍼)|마이크로닷]].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벵기 (프로게이머)|벵기]].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창기]].
**일본의 배우 [[와타나베 다이스케 (배우)|와타나베 다이스케]].
* [[11월 22일]]
** 프랑스의 배우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 대한민국의 가수 [[기현]] ([[몬스타엑스]]).
** 일본의 배우, 패션 모델 [[나리타 료]].
** 일본의 성우 [[타자와 마스미]].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병헌]].
** 대한민국의 배우 [[강윤제]].
** 대한민국의 래퍼 [[영빈]] ([[SF9]]).
** 대한민국의 배우 [[양병열]].
** 대한민국의 유튜버 [[테스터훈]].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현진.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수 (배우)|이지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우진 (1993년)|조우진]].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광훈 (축구 선수)|이광훈]].
** 일본의 가수 [[오노 에레나]].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피아노 연주가 [[이미래 (피아노 연주자)|이미래]].
* [[11월 28일]]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예프리 라미레즈]].
* [[11월 29일]]
** 일본의 배우 [[키타하라 사야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명신 (야구 선수)|김명신]].
** 대한민국의 가수 [[죠지 (가수)|죠지]].
* [[11월 30일]]
** 영국의 배우 [[미아 고스]].
** 일본의 가수, 배우 [[치넨 유리]] ([[Hey! Say! JUMP]]).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주협]].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이주명]].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연견]].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지혁]].
** 일본의 배우 [[이시다 하루카]].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해수 (가수)|해수]]. (~[[2023년]])
** 대한민국의 가수 [[이현경 (가수)|이현경]].
* [[12월 5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루시아노 비에토]].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로스 바클리]].
* [[12월 8일]] - 미국의 배우 [[애나소피아 롭]].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이령.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서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준희 (1993년)|이준희]].
** 미국의 가수 [[케이티 김]].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수현.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인도우]].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고닥]].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정효근]].
** 캐나다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사샤 호스틴]].
* [[12월 15일]]
** 일본의 배우, 모델 [[아라키 유코]].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레이싱 모델 [[송단비]].
* [[12월 16일]]
** 일본의 가수 [[나카무라 마리코]].
** 일본의 배우 [[코지마 후지코]].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송지원 (아나운서)|송지원]].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베아트리스 자네라투 주앙]].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신은총]].
** 일본의 배우 [[리리아]].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Young K]] ([[DAY6]]).
** 이라크의 축구 선수 [[알리 아드난 카딤]].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모멘트 (프로게이머)|모멘트]].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혁진]] ([[백퍼센트 (음악 그룹)|백퍼센트]]).
** 대한민국의 가수 [[전건호]].
** 일본의 가수 [[키노시타 유키코]].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안드레아 벨로티]].
* [[12월 21일]]
**일본의 성우 [[루팅 (성우)|루팅]].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주현 (1993년)|김주현]].
* [[12월 22일]] - 미국의 가수 [[메건 트레이너]].
* [[12월 24일]]
** 일본의 축구 선수 [[구보 유야 (축구 선수)|구보 유야]].
** 일본의 배우, 가수 [[니시우치 마리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배다빈]].
** 대한민국의 배우 [[새봄 (배우)|새봄]].
** 대한민국의 카누 선수 [[조광희 (카누 선수)|조광희]].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키스 에이프]].
** 일본의 배우 [[다케이 에미|타케이 에미]].
** 프랑스의 유도 선수 [[마들렌 말롱가]].
* [[12월 26일]] - 중국의 배우 [[호일천]].
* [[12월 27일]]
** 영국의 배우 [[올리비아 쿡]].
** 일본의 가수 [[우치다 마유미]] ([[AKB48]] 팀 K).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문진희]].
* [[12월 30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루카스 레더]].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소주연]].
** 미국의 카레이서 선수 [[라이언 블레이니]],
=== 미상 ===
*대한민국의 가수 [[이형은]].
*대한민국의 가수 [[NYOU]].
*대한민국의 가수 [[멜로 (가수)|멜로]].
*대한민국의 배우 [[하다인]].
*대한민국의 가수 [[찰리빈웍스]].
*대한민국의 가수 [[갓튼]].
== 사망 ==
[[파일:Audrey Hepburn 1956.jpg|섬네일|120px|오드리 헵번]]
[[파일:Bobby Moore en 1966.jpg|섬네일|159x159픽셀|보비 무어]]
[[파일:Kakuei Tanaka 19720707.jpg|섬네일|154x154픽셀|다나카 가쿠에이]]
{{분류 참고|1993년 사망}}
* [[1월 20일]] - 영국의 영화배우, 자선가 [[오드리 헵번]]. (1929년~)
* [[1월 27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앙드레 더 자이언트]]. (1946년~)
* [[2월 5일]] -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조지프 L. 맹키위츠]]. (1909년~)
* [[2월 24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보비 무어]]. (1941년~)
* [[2월 27일]] - 미국의 배우 [[릴리언 기시]]. (1893년~)
* [[3월 17일]] - 미국의 배우 [[헬렌 헤이스]]. (1900년~)
* [[6월 23일]] - 독일의 천문학자 [[빌헬름 글리제]]. (1915년~)
* [[7월 31일]] - 벨기에의 국왕 [[보두앵 (벨기에)|보두앵]]. (1930년~)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보컬리스트 [[김재기]]. (1968년~)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변영훈]]. (1962년~)
* [[10월 3일]] - 미국의 군인 [[게리 고든]]. (1960년~)
* [[10월 31일]]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 (1920년~)
** 미국의 배우 [[리버 피닉스]]. (1970년~)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승려, 조계종 종정 [[성철]]. (1912년~)
* [[11월 8일]] - 러시아의 수학자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 (1906년~)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미술술사학자 [[김원룡]]. (1922년~)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광균]]. (1914년~)
* [[12월 2일]] - 콜롬비아의 범죄자 [[파블로 에스코바르]]. (1949년~)
* [[12월 16일]] - 일본의 정치인 [[다나카 가쿠에이]]. (1918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로버트 포겔|로버트 W. 포글]], [[더글러스 노스|더글러스 C. 노스]]
* '''문학상''': [[토니 모리슨]]'''물리학상''': [[러셀 앨런 헐스|러셀 A. 헐스]],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조지프 H. 테일러 주니어]]
* '''생리학 및 의학상''': [[리처드 J. 로버츠|리처드 J. 로버트]], [[필립 A. 샤프]]
* '''평화상''':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F.W. 데클레르크]]
* '''화학상''': [[캐리 멀리스|케리 B. 뮤리스]], [[마이클 스미스]]
== 달력 ==
{{연간달력|1993}}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갑인]] || 소 || [[1월 23일]] || [[갑진]]
|-
| [[음력 2월|2월]] || [[을묘]] || 대 || [[2월 21일]] || [[계유]]
|-
| [[음력 3월|3월]] || [[병진 (간지)|병진]] || 대 || [[3월 23일]] || [[계묘]]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3월 || || 소 || [[4월 22일]] || [[계유]]
|-
| [[음력 4월|4월]] || [[정사 (간지)|정사]] || 대 || [[5월 21일]] || [[임인]]
|-
| [[음력 5월|5월]] || [[무오]] || 소 || [[6월 20일]] || [[임신 (간지)|임신]]
|-
| [[음력 6월|6월]] || [[기미]] || 대 || [[7월 19일]] || [[신축]]
|-
| [[음력 7월|7월]] || [[경신]] || 소 || [[8월 18일]] || [[신미 (간지)|신미]]
|-
| [[음력 8월|8월]] || [[신유]] || 소 || [[9월 16일]] || [[경자]]
|-
| [[음력 9월|9월]] || [[임술]] || 대 || [[10월 15일]] || [[기사 (간지)|기사]]
|-
| [[음력 10월|10월]] || [[계해]] || 소 || [[11월 14일]] || [[기해]]
|-
| [[음력 11월|11월]] || [[갑자]] || 대 || [[12월 13일]] || [[무진]]
|-
| [[음력 12월|12월]] || [[을축]] || 소 || [[1994년]] [[1월 12일]] || [[무술 (간지)|무술]]
|}
{{전거 통제}}
[[분류:1993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30}}
{{기년법|1930}}
{{요즘 화제 년월|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12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19년
* [[일본]](日本) [[쇼와 시대|쇼와]]({{lang|ja|昭和}}) 5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연호)|바오다이]](保大) 5년
== 기년 ==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황제|보대제]](保大帝) 5년
== 사건 ==
* [[1월]] - 경성 [[충무로]]1가에 [[미쓰코시 경성지점]] 개업
* [[1월 10일]] - 부산 조선방직회사 노동자 2천여명이 대우개선을 요구하며 총파업
* [[1월 16일]] - [[윤백남]]의 <대도전>이 <[[동아일보]]>에 연재 개시
* [[1월 17일]] - 서울 시내 전 학생이 만세운동으로 인한 검거에 항거, 일제히 동맹휴학에 들어갔다.
* [[1월 24일]] - [[김좌진]] 장군이 북만주 산시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 [[2월 17일]] - 대구 조선은행 폭탄사건의 [[장진홍]]이 사형 선고를 받음
* [[2월 18일]] - 미국 [[로웰 천문대]]의 [[클라이드 톰보]], [[명왕성]] 발견
* [[3월 1일]]
** [[이동녕]], [[김구]] 등이 [[한국독립당]]을 창립
** [[경성방송국]]이 종래의 한국어, 일본어 혼영방송을 중단하고 한국어 방송을 오후 9시~11시로 단축
* [[3월 12일]] - 인도, 영국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소금 사티아그라하]] 감행.
* [[3월 30일]] - 독일, [[하인리히 브뤼닝]], 수상에 임명. 1차 [[대통령 내각]] 출범
* [[3월 31일]] - 경성 [[단성사]]에서 [[최승희]] 창작무용발표회 공연
* [[4월]]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이름을 카프 (KARF)로 약칭하기로 결정
* [[4월 8일]] - [[근우회]] 전국대회 개최 금지령으로 불발
* [[4월 16일]] - <[[동아일보]]>가 미국 <[[네이션]]>지 편집장 기고문을 게재하였다는 이유로 제3차 무기정간을 당함 (~9월 1일)
* [[4월 23일]] - [[홍난파]] 작곡집 <조선동요 백곡집> 간행
* [[5월]] - [[한용운]], 항일비밀결사단체 '만당' 조직
* [[6월 9일]] - 경성복심원에서 [[여운형]]에게 [[치안유지법]] 위반 명목으로 징역 3년 선고
* [[7월]] - 조선 전국에 폭우로 사망 766명, 실종 933명, 가옥유실 13,000호 등의 큰 피해 발생 ([[1930년 대폭우]])
* [[7월 13일]] - 우루과이 첫 [[1930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개최
* [[7월 19일]] - 중국 다롄 법원에서 [[신채호]]에게 징역 10년 선고
* [[7월 21일]] - [[함경남도]] [[단천군]]민 수천 명이 삼림조합에 반대하며 군청과 경찰서를 습격
* [[7월 26일]] - 만주 지린성에서 [[한국독립당]] 조직 (중앙위원장 [[홍진]], 군사위원장 [[지청천]])
* [[8월 4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원 개편, 국무령에 [[김구]] 취임
* 8월 5일 - 닐 암스트롱 탄생
* [[8월 7일]] - 평양고무 노동자 1,800여명이 임금인하 조치에 항의하여 동맹파업
* [[9월]] - [[규장각]] 도서 15만 권이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
* [[9월 1일]] - [[이기영]]이 단편 <홍수>를 <[[조선일보]]>에 발표
* [[9월 2일]] - [[김동인]]이 역사소설 <젊은 그들>을 <[[동아일보]]>에 발표
* [[9월 12일]] - [[부전강]] 수력발전소 저수지 완공
* [[9월 14일]] - 독일, 제5대 의회선거.
* [[10월 1일]] - [[개성]]과 [[함흥]]이 [[부 (행정 구역)|부]]로 승격되어 개성부, 함흥부가 됨.
* [[10월 5일]] - 영국의 비행선 R101호 추락참사.
* [[10월 14일]] - [[함흥공립상업학교]] 학생들이 격문을 살포하며 만세시위를 벌임
* [[10월 18일]] - 광주지법에서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항일운동]]에 관련된 독서회 [[김상환]] 외 25명에게 각각 징역 4-3년 선고
* [[10월 22일]] - [[경성]]-[[강릉]] 간 시험비행 실시
* [[10월 27일]] - [[대만일치시기|일본 제국령]] [[타이완|타이완섬]]에서 [[우셔 사건]]이 발생
* [[10월 29일]] - [[심훈]]이 <동방의 애인>을 <[[조선일보]]>에 연재
* [[11월 2일]] -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에티오피아]]의 황제가 됨
* [[11월 9일]] - [[신간회]] 중앙집행위원회 소집, [[김병로]] 위원장 선출
* [[11월 12일]] - 런던에서 제1회 [[영국-인도 원탁회의]]
* [[11월 14일]]
** 중국 [[낙양 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설치.
** 일본 [[하마구치 오사치]] 수상, 동경역에서 우익청년에 피격 부상.
* [[12월 1일]]
**독일 브뤼닝 내각 비상조치령 발표, [[디플레이션]] 경제 정책 채택.
**지방제도 개정, 읍면제 및 [[도 (행정 구역)|도]]제 공포
* [[12월 13일]] - [[조선어연구회]]가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을 결의
* [[12월 20일]] - [[여수]]-[[시모노세키]] 간 정기연락선 취항
* [[12월 31일]] - 지린성고등법원에서 공산당 혐의로 체포된 재만교포 71명 중, 40여명에게는 사형 등 실형을 선고
== 문화 ==
* [[1월 23일]] - [[평양]] [[숭실전문학교]], [[숭실중학교]] 외 9개교가 만세 시위로 휴교.
* [[7월 7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후버 댐]] 공사가 시작되었다.
* [[7월 13일]] - 제 1회 [[FIFA 월드컵]]이 [[우루과이]]에서 열리다. ([[7월 30일]]까지)
* [[11월 15일]] - 일제에 의해 조선에 "조선미곡창고주식회사" (현 [[CJ대한통운]]) 설립.
* [[11월 28일]] - [[당인리발전소]] 완공.
* [[12월 25일]] - 남선철도가 [[여수]] - [[광주]] 간 운행 개시
== 탄생 ==
{{분류 참고|1930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교수, 사회운동가, 언론인 [[리영희]]. (~[[2010년]])
** 일본의 정치인 [[호리우치 미쓰오]]. (~[[2016년]])
** 중화민국의 배우 [[랑슝]]. (~[[2002년]])
** 시리아의 시인, 수필가 [[아도니스]].
** 수단의 정치인, 4대 대통령 [[가파르 니메이리]]. (~[[2009년]])
** 미국의 영화감독 [[프레더릭 와이즈먼]].
* [[1월 3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이병문]]. (~[[2019년]])
** 미국의 영화배우 [[로버트 로자]]. (~[[2015년]])
** 미국의 영화배우 [[에디 이건 (배우)|에디 이건]]. (~[[1995년]])
* [[1월 4일]] - 영국의 배우, 무대 연출가 [[아인 커스버트슨]]. (~[[2009년]])
* [[1월 7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겸 정치인 [[오극렬]]. (~[[2023년]])
** 오스트리아의 피겨 선수 [[수시 기에비슈]].
* [[1월 8일]] - 미국의 배우, 댄서 [[메이 윈]].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길창덕]]. (~[[2010년]])
** 미국의 기업인 [[로이 E. 디즈니]]. (~[[2009년]])
** 미국의 배우 [[일레인 드브리]].
* [[1월 12일]] -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 [[팀 호턴]]. (~[[1974년]])
* [[1월 13일]] - 미국의 배우 [[프랜시스 스턴헤이건]]. (~[[2023년]])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심봉섭 (정치인)|심봉섭]]. (~[[2000년]])
** 프랑스의 배우 [[미쉘린 루치오니]]. (~[[1992년]])
* [[1월 17일]] - 미국의 연주가 [[딕 콘티노]]. (~[[2017년]])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의학자, 안철수의 부친 [[안영모]]. (~[[2022년]])
** 미국의 배우 [[티피 헤드런]].
* [[1월 20일]]
** 미국의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
** 체코의 소설가 [[에곤 본디]]. (~[[2007년]])
* [[1월 22일]] - 중화민국의 대선승 [[즈강]]. (~[[2009년]])
* [[1월 23일]] - 세인트루시아의 시인 [[데릭 월컷]]. (~[[2017년]])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평론가 [[천상병]]. (~[[1993년]])
** 일본의 성악가, 기업인 [[오가 노리오]]. (~[[2011년]])
* [[1월 30일]] - 미국의 배우 [[진 해크먼]].
=== 2월 ===
* [[2월 1일]]
** 방글라데시의 정치인 [[샤하부딘 아흐메드]]. (~[[2022년]])
** 방글라데시의 군인 겸 고위정치인 [[후세인 무함마드 에르샤드]]. (~[[2019년]])
* [[2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노식 (1930년)|박노식]]. (~[[1995년]])
* [[2월 6일]] - 일본의 물리학자 [[곤도 준]]. (~[[2022년]])
* [[2월 8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외교관, 정치인 [[박노영]]. (~[[2012년]])
* [[2월 10일]]
** 이탈리아의 배우 [[루이사 리벨리]].
** 미국의 배우 [[로버트 와그너]].
* [[2월 11일]] - 영국의 패션디자이너 [[메리 퀀트]]. (~[[2023년]])
* [[2월 13일]]
** 영국 태생 미국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이즈리얼 커즈너]].
** 미국의 배우, 각본가 [[프랭크 벅스튼]]. (~[[2018년]])
* [[2월 14일]] - 요르단의 군인 [[아사드 간마]]. (~[[2006년]])
* [[2월 16일]]
** 미국의 배우, 영화각본가 [[리코우 브로닝]]. (~[[2023년]])
** 영국의 배우 [[존 케어니]].
* [[2월 17일]] - 잉글랜드의 작가 [[루스 렌델]]. (~[[2015년]])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노갑]]
* [[2월 19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존 프랭컨하이머]]. (~[[2002년]])
* [[2월 20일]] - 멕시코의 배우 [[로베르토 코보]]. (~[[2002년]])
* [[2월 2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강능수]]. (~[[2015년]])
* [[2월 22일]] - 미국의 가수 [[마니 닉슨]]. (~[[2016년]])
* [[2월 23일]] - 일본의 수학자 [[시무라 고로]]. (~[[2019년]])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공인]].
** 미국의 모델, 배우 [[바버라 로렌스]]. (~[[2013년]])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언론 출신 정치가 [[문태갑]].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철학자 [[박이문]]. (~[[2017년]])
** 미국의 배우, 영상 편집자 [[로버트 프란시스]]. (~[[1955년]])
** 미국의 배우, 각본가 [[돈 데블린]]. (~[[2000년]])
* [[2월 27일]] - 미국의 배우 [[조앤 우드워드]].
* [[2월 28일]]
** 대한민국 정치인 [[노신영]]. (~[[2019년]])
** 미국의 물리학자 [[리언 쿠퍼]].
=== 3월 ===
* [[3월 1일]] - 프랑스의 작곡가 [[피에르 막스 뒤부아]]. (~[[1995년]])
* [[3월 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겸 정치가 [[김두남 (1930년)|김두남]] (~[[2009년]])
** 미국의 배우 [[존 컬럼]].
* [[3월 3일]] - 루마니아의 정치인 [[이온 일리에스쿠]].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리경구]].
* [[3월 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전희정]]. (~[[2020년]])
* [[3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준하]]. (~[[2017년]])
** 프랑스 출신의 미국 지휘자 [[로린 마젤]]. (~[[2014년]])
** 미국의 배우 [[앤 프랜시스]]. (~[[2011년]])
* [[3월 7일]]
** 미국의 화학자, 생물학자 [[스탠리 밀러]]. (~[[2007년]])
** 대한민국의 의사 [[노관택]]. (~[[2023년]])
* [[3월 9일]] - 핀란드의 배우 [[타이나 엘그]].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방대룡]]. (~[[1983년]])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상태 (1930년)|김상태]].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두섭]]. (~[[2024년]])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국회의원 [[양창식]]. (~[[2018년]])
** 그리스의 축구 선수 [[코스타스 네스토리디스]]. (~[[2023년]])
** 러시아의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조레스 알표로프]]. (~[[2019년]])
** 미국의 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마르틴 카르플루스]].
* [[3월 17일]] - 영국의 음악가 [[앨런 윌리엄스]]. (~[[2016년]])
* [[3월 18일]] - 이집트의 무용가 [[마흐무드 레다]]. (~[[2020년]])
* [[3월 19일]] - 미국의 연주가, 작곡가 [[오넷 콜먼]]. (~[[2015년]])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시철]]. (~[[2023년]])
** 미국의 음악가 [[오티스 스팬]]. (~[[1970년]])
* [[3월 22일]]
** 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 교회 사제 [[스테파노 곱비]]. (~[[2011년]])
** 미국의 전도사 [[팻 로버트슨]]. (~[[2023년]])
* [[3월 23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렌 화이트]]. (~[[1994년]])
* [[3월 24일]]
** 미국의 영화배우 [[스티브 매퀸 (배우)|스티브 매퀸]]. (~[[1980년]])
** 미국의 천문학자 [[오언 깅거리치]]. (~[[2023년]])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인 [[다비드 다코]]. (~[[2003년]])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변정수]]. (~[[2017년]])
** 미국의 법조인 [[샌드라 데이 오코너]]. (~[[2023년]])
* [[3월 28일]] - 일본의 수학자 [[요네다 노부오]]. (~[[1996년]])
* [[3월 30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가수 [[롤프 해리스]]. (~[[2023년]])
=== 4월 ===
* [[4월 1일]] - 미국의 영화배우 [[그레이스 리 휘트니]]. (~[[2015년]])
* [[4월 3일]] - 독일의 연방수상 [[헬무트 콜]]. (~[[2017년]])
* [[4월 6일]] - 미국의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 [[앙드레 프레빈]]. (~[[2019년]])
* [[4월 7일]] - 프랑스의 기업인 [[이브로셰]]. (~[[2009년]])
* [[4월 9일]] - 이탈리아의 정치가, 제2대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 [[레나토 루지에로]].
* [[4월 10일]] - 프랑스의 피아니스트 [[클로드 볼링]]. (~[[2020년]])
* [[4월 14일]] - 미국의 배우, 작가 [[브래드퍼드 딜먼]]. (~[[2018년]])
* [[4월 18일]] - 뉴질랜드의 배우 [[클라이브 레빌]].
* [[4월 19일]] - 미국의 영화배우 [[로즈 리즌]]. (~[[2014년]])
* [[4월 21일]] - 이탈리아의 배우 [[실바나 만가노]]. (~[[1989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조용수 (1930년)|조용수]]. (~[[1961년]])
** 미국의 영화 감독 [[리처드 도너]]. (~[[2021년]])
** 캐나다의 사상사학자 [[제임스 K. 맥코니카]]. (~[[2023년]])
** 브라질의 정치인 [[조제 사르네이]].
* [[4월 25일]] - 미국의 영화배우 [[폴 마저스키]]. (~[[2014년]])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의료인 [[김익동]]. (~[[2022년]])
* [[4월 28일]]
** 미국의 정치인,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
** 미국의 배우 [[캐럴린 존스]]. (~[[1983년]])
* [[4월 29일]] - 프랑스의 배우 [[장 로슈포르]]. (~[[2017년]])
=== 5월 ===
* [[5월 4일]]
** 대한민국의 교육공무원 [[김영식 (1930년)|김영식]]. (~[[2022년]])
** 대한제국의 황족 [[이해경 (1930년)|이해경]].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재석]].
* [[5월 8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춘석]]. (~[[2010년]])
* [[5월 11일]] - 네덜란드의 컴퓨터 과학자 [[에츠허르 데이크스트라]]. (~[[2002년]])
* [[5월 12일]] - 미국의 다이빙 선수 [[팻 매코믹]]. (~[[2023년]])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백일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경호 (축구인)|박경호]]. (~[[2021년]])
* [[5월 22일]] - 미국의 정치인 [[하비 밀크]]. (~[[1978년]])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박종규 (1930년)|박종규]]. (~[[1985년]])
** 미국의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 (~[[2022년]])
* [[5월 31일]] - 미국의 영화 배우,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 6월 ===
* [[6월 12일]]
** 미국의 배우 겸 희극인 [[짐 네이버스]]. (~[[2017년]])
** 대한민국의 전 대학 교수 [[김성수 (주교)|김성수]].
* [[6월 13일]] - 프랑스의 고고학자, 역사가 [[폴 벤]]. (~[[2022년]])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함태호]]. (~[[2016년]])
** 다게스탄 공화국의 제1대 대통령 [[마고메달리 마고메도프]]. (~[[2022년]])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 [[오자복]]. (~[[2017년]])
* [[6월 19일]] - 미국의 배우 [[제나 롤런즈]].
* [[6월 24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클로드 샤브롤]]. (~[[2010년]])
* [[6월 27일]] - 폴란드의 배우, 영화 감독 [[리샤르트 론체프스키]]. (~[[2020년]])
=== 7월 ===
* [[7월 2일]] -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아마드 자말]]. (~[[2023년]])
* [[7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배우 [[구펑]].
* [[7월 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강관주]].
* [[7월 7일]] - 일본의 정치인 [[고바야시 다다오]].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김익진. (~[[2008년]])
* [[7월 15일]]
** 프랑스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 (~[[2004년]])
** 미국의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 [[스티븐 스메일]].
* [[7월 16일]]
** 미국의 가수 [[조니 제임스]]. (~[[2022년]])
** 과테말라의 정치인 [[로베르토 카르피오 니코예]]. (~[[2022년]])
* [[7월 20일]]
** 대한민국 비전향 장기수 김은환.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백영훈]]. (~[[2023년]])
** 독일의 축구 선수 [[하인츠 쿠브슈]]. (~[[1993년]])
* [[7월 21일]] - 일본의 정치인 [[다니가와 가즈오]]. (~[[2018년]])
* [[7월 24일]] - 이탈리아의 언론인 겸 테니스 선수 [[잔니 클레리치]]. (~[[2022년]])
=== 8월 ===
* [[8월 5일]] -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 (~[[2012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김윤호 (군인)|김윤호]]. (~[[2013년]])
* [[8월 12일]] - 미국의 기업인 [[조지 소로스]].
* [[8월 16일]] - 멕시코의 가수, 배우 [[플로르 실베스트레]]. (~[[2020년]])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시인 [[신동엽 (시인)|신동엽]]. (~[[1969년]])
** 유대계 미국인 교수 [[리비우 리브레스쿠]]. (~[[2007년]])
* [[8월 21일]] - [[영국 왕녀 마거릿]].
* [[8월 25일]] - 스코틀랜드의 영화배우 [[숀 코너리]]. (~[[2020년]])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도금봉]]. (~[[2009년]])
* [[8월 28일]] - 미국의 영화배우 [[벤 가자라]]. (~[[2012년]])
* [[8월 30일]] - 미국의 투자가 [[워렌 버핏]].
=== 9월 ===
* [[9월 5일]] - 일본의 축구 선수 [[나가누마 겐]]. (~[[2008년]])
* [[9월 6일]] - 일본의 소설가 [[니시무라 교타로]]. (~[[2022년]])
* [[9월 8일]] - 베트남의 군인, 정치가 [[응우옌까오끼]]. (~[[2011년]])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군인 [[최기덕]].
** 일본의 화학자 [[스즈키 아키라 (화학자)|스즈키 아키라]].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수 [[이해원 (1930년)|이해원]] (~[[2014년]])
* [[9월 19일]]
** 독일의 법학자 [[에른스트볼프강 뵈켄푀르데]]. (~[[2019년]])
** 미국의 저널리즘, 시민 운동가 [[베티 레인]]. (~[[2012년]])
* [[9월 23일]]
** 미국의 솔 가수 [[레이 찰스]]. (~[[2004년]])
** 덴마크의 배우 [[하나 랄프]].
* [[9월 25일]] - 이탈리아의 패션 디자이너 겸 기업인 [[니노 세루티]]. (~[[2022년]])
* [[9월 26일]] - 일본의 배우 [[코바야시 아키지]]. (~[[1996년]])
=== 10월 ===
* [[10월 1일]]
** 아일랜드의 배우 [[리처드 해리스]]. (~[[2002년]])
** 프랑스의 배우 [[필리프 누아레]]. (~[[2006년]])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동근 (1930년)|김동근]].
* [[10월 7일]]
** 아르헨티나의 영화배우 [[엔리케 핀티]]. (~[[2022년]])
** 미국의 영화배우 [[오스틴 스토커]]. (~[[2022년]])
* [[10월 10일]] - 영국 극작가 [[해럴드 핀터]]. (~[[2008년]])
* [[10월 14일]] - 콩고민주공화국의 정치인 [[모부투 세세 세코]]. (~[[1997년]])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이기문 (언어학자)|이기문]]. (~[[2020년]])
* [[10월 24일]]
** 미국의 음악가 [[빅 바퍼]]. (~[[1959년]])
** 노르웨이의 사회학자 [[요한 갈퉁]]. (~[[2024년]])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애심]]. (~[[2017년]])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문명자]]. (~[[2008년]])
* [[10월 29일]] - 프랑스의 조각자 [[니키 드 생팔]]. (~[[2002년]])
* [[10월 31일]] -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시험 비행사 [[마이클 콜린스 (우주비행사)|마이클 콜린스]]. (~[[2021년]])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조재봉]]. (~[[2012년]])
** 대한민국의 체육인 [[안광열]]. (~[[2024년]])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수필가 겸 국어학자 [[미승우]]. (~[[1988년]])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보성]]. (~[[2021년]])
** 대한민국 육군 군인 [[이유회]]. (~[[1957년]])
* [[11월 6일]] - 미국의 법조인 [[데릭 벨]]. (~[[2011년]])
* [[11월 11일]] - 미국의 기타리스트 [[행크 갈런드]]. (~[[2004년]])
* [[11월 14일]] - 캐나다의 배우 [[모니크 메르퀴르]]. (~[[2020년]])
* [[11월 16일]] - 나이지리아의 작가 [[치누아 아체베]]. (~[[2013년]])
* [[11월 2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최영림 (정치인)|최영림]].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종곤]]. (~[[2022년]])
* [[11월 22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 [[리이닝]]. (~[[2023년]])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군인 [[강승우]]. (~[[1952년]])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춘호]]. (~[[2021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최태복]]. (~[[2024년]])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목사 [[김선도]]. (~[[2022년]])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방현]]. (~[[2022년]])
** 프랑스의 영화감독 [[장뤽 고다르]]. (~[[2022년]])
* [[12월 5일]] - 미국의 지리학자 [[이 푸 투안]]. (~[[2022년]])
* [[12월 9일]] - 과테말라의 군인, 정치가 [[오스카르 움베르토 메히아 빅토레스]]. (~[[2016년]])
* [[12월 11일]] - 프랑스의 배우 [[장루이 트랭티냥]]. (~[[2022년]])
* [[12월 15일]] - 아일랜드의 작가, 소설가 [[에드나 오브라이언]]. (~[[2024년]])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정재호 (1930년)|정재호]].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 [[안찬희]]. (~[[2019년]])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공직자 [[안응모]]. (~[[2024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2023년]])
=== 미상 ===
* 대한민국의 시인 [[범대순]]. (~[[2014년]])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석주 (법조인)|김석주]].
* 대한민국의 승려 [[명성 (승려)|명성]].
* 대한민국의 연출가 [[강유정 (배우)|강유정]].
== 사망 ==
[[파일:William Howard Taft, Bain bw photo portrait, 1908.jpg|섬네일|120px|윌리엄 H. 태프트]]
[[파일:Nansen.jpg|섬네일|120px|프리드쇼프 난센]]
{{분류 참고|1930년 사망}}
* [[1월 24일]] - 한국 독립운동가 [[김좌진]]. ([[1889년]]~)
* [[3월 8일]] - 미국 27대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1857년]]~)
* [[3월 28일]] - 일본의 기독교 사상가 [[우치무라 간조]]. ([[1861년]]~)
* [[5월 9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교육자·사업가 [[이승훈 (1864년)|이승훈]](李昇薰) ([[1864년]]~)
* [[5월 13일]] - 노르웨이의 탐험가, 과학자, 외교관, [[프리티오프 난센]]. ([[1861년]]~)
* [[음력 6월 5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장진홍]]. ([[1895년]]~)
* [[11월 2일]] - 독일 지질학자 [[알프레트 베게너]]. ([[1880년]]~)
== 노벨상 ==
* '''문학상''':[[싱클레어 루이스]]
* '''물리학상''': [[찬드라세카 벵카타 라만]]
* '''생리학 및 의학상''':[[카를 란트슈타이너]]
* '''평화상''':[[나탄 셰데르블롬]]
* '''화학상''':[[한스 피셔]]
== 달력 ==
{{연간달력|1930}}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소 || [[1월 30일]] || [[경진]]
|-
| [[음력 2월|2월]] || [[기묘]] || 대 || [[2월 28일]] || [[기유]]
|-
| [[음력 3월|3월]] || [[경진]] || 대 || [[3월 30일]] || [[기묘]]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소 || [[4월 29일]] || [[기유]]
|-
| [[음력 5월|5월]] || [[임오]] || 소 || [[5월 28일]] || [[무인 (간지)|무인]]
|-
| [[음력 6월|6월]] || [[계미]] || 대 || [[6월 26일]] || [[정미]]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6월 || || 소 || [[7월 26일]] || [[정축]]
|-
| [[음력 7월|7월]] || [[갑신]] || 소 || [[8월 24일]] || [[병오]]
|-
| [[음력 8월|8월]] || [[을유]] || 대 || [[9월 22일]] || [[을해]]
|-
| [[음력 9월|9월]] || [[병술]] || 소 || [[10월 22일]] || [[을사]]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대 || [[11월 20일]] || [[갑술]]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대 || [[12월 20일]] || [[갑진]]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소 || [[1931년]] [[1월 19일]] || [[갑술]]
|}
[[분류:1930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33}}
{{기년법|1933}}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15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22년
* [[만주국]](滿州國) [[대동 (만주국)|대동]](大同) 2년
* [[일본]](日本) [[쇼와 시대|쇼와]]({{lang|ja|昭和}}) 8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연호)|바오다이]](保大) 8년
== 기년 ==
* [[만주국]](滿洲國) [[푸이|강덕제]](康德帝) 2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황제|보대제]](保大帝) 8년
== 사건 ==
* [[1월 10일]] - 조선-일본 전화통화규칙 공포
* [[1월 11일]] - 일본 고베에서 독립운동가 [[조용하]] 검거
* [[1월 12일]] - [[평양]] [[평천리]]에서 고구려시대 대운하 유적 발굴
* [[1월 13일]] - [[평안북도]] [[중강진]]에서 혹한으로 영하 44도 기록
* [[1월 30일]] - [[아돌프 히틀러|히틀러]], [[독일]] 수상에 취임.
* [[2월 20일]] - 조선총독부, [[면화]]증산계획 발표
* [[2월 27일]] -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3월 2일]] - [[영화]] 《[[킹콩 (1933년 영화)|킹콩]]》 개봉.
* [[3월 4일]] - 미국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취임.
* [[3월 5일]] - [[바이마르 공화국]]의 마지막 총선거.
* [[3월 7일]]
** [[낙동강교]] 준공
**경성 주식시장이 경제공황으로 휴장
* [[3월 8일]] - 대구의학전문학교 창립
* [[3월 11일]] - [[조선혁명당]]의 한중연합군, [[싱징현성]]의 일본만주 연합군을 공격해 점령
* [[3월 17일]] - 중국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백정기]], [[이강훈]], [[이원훈]]이 주중일본공사 아라요시를 암살하려다 검거
* [[3월 22일]] - 나치 독일의 [[하인리히 히믈러]], [[다하우 강제수용소]] 설립.
* [[3월 24일]] - [[독일]]에서 [[수권법]]이 가결.
* [[3월 27일]] - [[일본]]이 [[국제 연맹]] 탈퇴.
* [[4월 1일]] - [[동아일보]], [[조선중앙일보]], [[조선일보]]가 [[한글맞춤법통일안]]에 따른 철자법으로 발행 개시
* [[4월 26일]] - [[독일]]에서 [[게슈타포]] 결성.
* [[5월 10일]]
** [[독일 노동전선]] 창립. 나치당이 조직한 단일 노동조합.
** 조선 제1회 도의회의원 총선거 실시
* [[5월 31일]] - [[탕구 협정]]의 체결에 의해서 [[만주사변]]이 종결.
* [[6월]] - <과학조선> 창간
* [[6월 9일]] - 영변농업학교 3학년생 46명이 학생본위 교육, 교내경찰 불허 등을 요구하며 동맹 휴학
* [[6월 14일]] - 경성부가 방공 연습을 위해 3일간 [[등화관제]] 실시
* [[6월 18일]] - [[조선총독부]]가 압록강, 두만강 연안에 독립군의 출입을 감시하기 위해 국경감시단 설치
* [[7월 7일]] - [[소록도 나환자촌]] 조성
* [[7월 14일]] - [[독일]]에서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을 제외한 정당 법으로 금지.
* [[7월 15일]] - [[경성]]-[[도쿄]] 간 직통전화 개설
* [[7월 22일]] - [[윌리 포스트]]가 최초로 세계 일주 비행에 성공
* [[8월]] - [[이효석]], [[정지용]] 등 9명이 [[구인회]] 결성
* [[8월 2일]] - 평남중등학교장회의에서 약혼, 결혼자의 입학 불허 결정
* [[8월 9일]] - 조선고적,명승,보물,천연기념물보존령 공포
* [[8월 17일]] - [[일본]], [[조선금융조합연합회령]] 공포.
* [[8월 25일]]
**조선사방사업령 공포
**<[[만선일보]]> 창간
* [[9월 1일]] - [[한국독립군]], [[왕칭]]과 [[닝안]] 일대의 삼림부대와 연합, [[둥닝현]]의 일본군 공격
* [[9월 19일]] - 조선축구협회 창립. (초대회장 박승빈)
* [[9월 27일]] - [[이광수]]가 장편 <[[유정]]>을 <[[조선일보]]>에 연재
* [[10월 14일]] - [[독일]]이 [[국제 연맹]]을 탈퇴하다.
* [[10월 29일]] - [[한글 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여 발표
* [[11월 1일]] - 경성 [[서대문]]에 최초의 양재학원인 김영애양재봉연구회 설립
* [[11월 4일]] -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회 기념식에서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 [[11월 15일]] - 중국 [[뤄양]] 군관학교에 한인특별반 설치 (책임자 [[지청천]])
* [[11월 16일]] - [[미국]]과 [[소련]]이 외교관계를 수립.
* [[12월 27일]]
** 신의주지법에서 조선 단일공산당사건의 [[조봉암]]에 징역 7년 선고
** [[여운형]]이 [[조선중앙일보]] 사장으로 추대됨.
== 문화 ==
* [[4월 1일]] - [[부산]]-[[봉천]] 간 특급열차 운행 개시
* [[4월 26일]] - [[한국방송공사]]에서 [[KBS 제2라디오]]를 개국.
* [[7월 1일]] - [[리버풀 존 레논 공항]] 개항.
* [[8월 6일]] - [[수인선]] 철도 완공.
* [[11월 25일]] - 충남의 공주 [[금강철교]] 준공.
* [[12월 6일]] - 강원 춘천 소양교 준공.
* [[12월 26일]] - [[닛산 자동차]] 창립.
== 탄생 ==
{{분류 참고|1933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영국의 극작가 [[조 오튼]]. (~[[1967년]])
* [[1월 2일]] - 일본의 소설가 [[모리무라 세이이치]]. (~[[2023년]])
* [[1월 6일]] - 대한민국의 시인 [[이형기]]. (~[[2005년]])
* [[1월 8일]] - 스페인의 소설가, 저널리스트 [[후안 마르세]]. (~[[2020년]])
* [[1월 11일]] - 일본의 배우 [[오카다 마리코]].
* [[1월 16일]] - 미국의 소설가 [[수전 손택]]. (~[[2004년]])
* [[1월 18일]]
**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공학기술자 [[레이 돌비]]. (~[[2013년]])
** 영국의 영화 감독 [[존 부어먼]].
* [[1월 19일]] - 일본의 탁구 선수 [[쓰노다 케이스케]]. (~[[2024년]])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용만 (가수)|김용만]].
* [[1월 23일]] - 미국의 배우, 댄서, 가수 [[치타 리베라]]. (~[[2024년]])
* [[1월 24일]] - 이탈리아의 음악가 [[니코 피덴코]]. (~[[2022년]])
* [[1월 25일]] - 필리핀의 제11대 대통령 [[코라손 아키노]]. (~[[2009년]])
=== 2월 ===
* [[2월 2일]] - 미얀마의 군인, 정치가 [[딴 슈웨]].
* [[2월 4일]] - 일본의 작곡가 [[이치야나기 토시]]. (~[[2022년]])
* [[2월 5일]] - 세르비아의 축구인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2003년]])
* [[2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곽정현]]. (~[[2024년]])
* [[2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류갑종]]. (~[[2014년]])
* [[2월 12일]] - 그리스의 영화감독 [[콘스탄티노스 가브라스]].
* [[2월 13일]] - 미국의 배우 [[킴 노백]].
* [[2월 16일]] - 일본의 영화감독 [[요시다 요시시게]]. (~[[2022년]])
* [[2월 18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보비 롭슨]]. (~[[2009년]])
** 일본의 예술가 [[오노 요코]].
* [[2월 20일]] - 미국의 수필가 [[프레더릭 크루스]]. (~[[2024년]])
* [[2월 21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니나 시몬]]. (~[[2003년]])
=== 3월 ===
* [[3월 4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서정화 (1933년)|서정화]]. (~[[2024년]])
* [[3월 5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김복동 (1933년)|김복동]]. (~[[2000년]])
** 대한민국의 법조인 [[민병수]]. (~[[2023년]])
* [[3월 10일]] - 미국의 교육학자 [[엘리엇 아이스너]]. (~[[2014년]])
* [[3월 11일]] - 브라질의 배우 [[레아 가르시아]]. (~[[2023년]])
* [[3월 14일]]
** 영국의 배우 [[마이클 케인]].
** 미국의 가수 [[퀸시 존스]].
* [[3월 15일]]
** 미국의 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2020년]])
** 독일의 목사 [[파울 슈나이스]]. (~[[2022년]])
* [[3월 19일]] - 미국의 소설가 [[필립 로스]]. (~[[2018년]])
* [[3월 22일]] - 이란의 정치인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2021년]])
* [[3월 30일]] - 홍콩의 배우, 영화 제작자 [[동표]]. (~[[2006년]])
=== 4월 ===
* [[4월 1일]] - 알제리 태생의 프랑스 물리학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클로드 코엔타누지]].
* [[4월 2일]] - 헝가리의 수필가, 소설가 [[콘라드 죄르지]]. (~[[2019년]])
* [[4월 6일]] - 일본의 성우 [[무라마츠 야스오]]. (~[[2024년]])
* [[4월 9일]] - 프랑스의 배우 [[장폴 벨몽도]]. (~[[2021년]])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시인 [[박재삼]]. (~[[1997년]])
* [[4월 12일]] - 스페인의 성악가 [[몽세라 카바예]]. (~[[2018년]])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오세응]]. (~[[2019년]])
* [[4월 19일]] - 미국의 배우 [[제인 맨스필드]]. (~[[1967년]])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김양수 (1933년)|김양수]]. (~[[2024년]])
* [[4월 26일]]
** 미국의 배우 [[캐럴 버넷]].
** 미국의 물리학자 [[아노 앨런 펜지어스]]. (~[[2024년]])
* [[4월 29일]] - 미국의 음악가 [[윌리 넬슨]].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상원 (법조인)|김상원]]. (~[[2024년]])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오광협]]. (~[[2023년]])
* [[5월 3일]]
** 미국의 R&B, 소울 싱어송라이터, 댄서 [[제임스 브라운]]. (~[[2006년]])
** 미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 (~[[2021년]])
* [[5월 5일]] - 스리랑카의 총리 [[라트나시리 위크레마나야케]]. (~[[2016년]])
* [[5월 6일]] - 미국의 산업디자이너 [[제임스 T. 볼드윈]] (~[[2018년]])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금융 출신 정치인 [[류돈우]]. (~[[2021년]])
* [[5월 23일]] - 영국의 배우 [[조앤 콜린스]].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창희 (1933년)|이창희]]. (~[[1991년]])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수일]].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기업인 [[이종대 (1933년)|이종대]]. (~[[2018년]])
* [[5월 29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작가 [[톄류]]. (~[[2024년]])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범렬]]. (~[[1996년]])
=== 6월 ===
* [[6월 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영탁]]. (~[[2020년]])
* [[6월 8일]] - 미국의 희극인, 배우 [[조앤 리버스]]. (~[[2014년]])
* [[6월 9일]] - 미국의 정치인 [[돈 영]]. (~[[2022년]])
* [[6월 11일]] - 미국의 배우 [[진 와일더]]. (~[[2016년]])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언론인 [[이도형 (1933년)|이도형]]. (~[[2020년]])
** 미국의 영화배우 [[대니 아이엘로]]. (~[[2019년]])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박준병 (1933년)|박준병]]. (~[[2016년]])
* [[6월 22일]] - 미국의 정치인 [[다이앤 파인스타인]]. (~[[2023년]])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군인 [[이상훈 (1933년)|이상훈]]. (~[[2023년]])
** 이탈리아의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2014년]])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금융인 [[이경식 (1933년)|이경식]]. (~[[2021년]])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범준 (1933년)|이범준]]. (~[[2011년]])
* [[6월 30일]] - 이탈리아의 배우, 가수 [[레아 마사리]].
=== 7월 ===
* [[7월 7일]] - 뉴질랜드의 육상 선수 [[머리 홀버그]]. (~[[2022년]])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헌법학자 [[김철수 (헌법학자)|김철수]]. (~[[202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승재]]. (~[[2007년]])
** 미국의 정치인, 게리의 첫 흑인 시장 [[리처드 G. 해처]]. (~[[2019년]])
* [[7월 11일]] - 독일의 영화배우 [[에른스트 야코비]]. (~[[2022년]])
* [[7월 12일]] - 미국의 영화배우 [[맥스 줄리엔]]. (~[[2022년]])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외교관 [[홍숙자]].
** 미국의 과학자 [[존 홉필드]].
* [[7월 20일]] - 미국의 소설가 [[코맥 매카시]]. (~[[2023년]])
* [[7월 24일]]
** 미국의 영화배우 [[존 애니스톤]]. (~[[2022년]])
**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프레더릭 브룩스]]. (~[[2022년]])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시인 [[고은]].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가네다 마사이치]]. (~[[2019년]])
** 이탈리아의 출신 윤리 정치 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 (~[[2023년]])
* [[8월 6일]]
** 태국의 정치인 [[수찐다 끄라쁘라윤]].
** 독일의 축구 선수 [[울리히 비징거]]. (~[[2011년]])
* [[8월 9일]] - 일본의 배우 [[쿠로야나기 테츠코]].
* [[8월 10일]] - 미국의 육상 선수 [[윌리엄 니더]]. (~[[2022년]])
* [[8월 17일]] - 미국의 육상 선수 [[톰 코트니 (육상 선수)|톰 코트니]]. (~[[2023년]])
* [[8월 18일]]
** 프랑스의 영화감독 [[로만 폴란스키]].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쥐스트 퐁텐]].
* [[8월 20일]] - 미국의 배우 [[테드 도널드슨]]. (~[[2023년]])
* [[8월 23일]] - 미국의 화학자 [[로버트 컬]]. (~[[2022년]])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방영웅]]. (~[[2022년]])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명순]].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윤일영]]. (~[[2022년]])
* [[9월 2일]] - 베냉의 전 군인, 대통령 [[마티외 케레쿠]]. (~[[2015년]])
* [[9월 6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이규태]]. (~[[2006년]])
** 대한민국이 정치인 [[고귀남]]. (~[[2022년]])
* [[9월 7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유상옥]].
* [[9월 18일]] - 미국의 배우 [[로버트 블레이크 (배우)|로버트 블레이크]]. (~[[2023년]])
* [[9월 19일]] - 영국의 배우 [[데이비드 매컬럼]]. (~[[2023년]])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덕주]]. (~[[2023년]])
=== 10월 ===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사학자 [[강인숙]].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김호길]]. (~[[1994년]])
* [[10월 21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프란시스코 헨토]]. (~[[2022년]])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강만길]]. (~[[2023년]])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코리아나 화장품]] 대표이사 회장 [[유상옥]].
* [[10월 28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가힌샤]]. (~[[1983년]])
=== 11월 ===
* [[11월 3일]] - 영국의 영화음악 작곡가, 지휘자 [[존 배리]]. (~[[2011년]])
* [[11월 4일]] - 미국의 공학자 [[찰스 K. 가오]]. (~[[2018년]])
* [[11월 8일]] - 일본의 배우 [[와카오 아야코]].
* [[11월 14일]] - 일본의 생화학자 [[엔도 아키라]]. (~[[2024년]])
* [[11월 19일]] - 미국의 앵커 [[래리 킹]]. (~[[2021년]])
* [[11월 23일]] - 폴란드의 작곡가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2020년]])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춘섭]]. (~[[2022년]])
** 미국의 배우 [[캐서린 그랜트]]. (~[[2024년]])
* [[11월 28일]] - 프랑스의 군인 [[미셸 로크주프레]]. (~[[2024년]])
* [[11월 29일]] -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존 메이올]]. (~[[2024년]])
=== 12월 ===
* [[12월 1일]] - 일본의 만화가 [[후지코 F.후지오]]. (~[[1996년]])
* [[12월 3일]] - 영국의 배우 [[니콜라스 코스터]]. (~[[2023년]])
* [[12월 8일]] - 멕시코의 배우 [[아나 오펠리아 무르기아]]. (~[[2023년]])
* [[12월 9일]] - 브라질의 영화배우 [[밀톤 곤칼베스]]. (~[[2022년]])
* [[12월 15일]] - 미국의 배우 [[팀 콘웨이]]. (~[[2019년]])
* [[12월 18일]] - 미국의 화학자 [[앨런 J. 바드]]. (~[[2024년]])
* [[12월 22일]] - 미국의 배우 [[엘리자베스 허버드]]. (~[[2023년]])
* [[12월 23일]] - 일본의 125대 천황 [[아키히토]].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작가 [[이어령]]. (~[[2022년]])
* [[12월 31일]] - 미국의 배우 [[에드워드 벙커]]. (~ [[2005년]])
== 사망 ==
[[파일:Calvin_Coolidge_cph.3g10777_(cropped).jpg|섬네일|120px|캘빈 쿨리지]]
{{분류 참고|1933년 사망}}
* [[1월 5일]] - 미국의 제30대 대통령 [[캘빈 쿨리지]]. ([[1872년]] ~)
* [[5월 6일]] - 중국출신의 무도인 [[리칭윈]]. ([[1677년]] ~)
* [[8월 7일]] - 한국 출신의 비행사 [[박경원 (비행사)|박경원]]. ([[1897년]] ~)
== 노벨상 ==
* '''문학상''':
* '''물리학상''': [[에르빈 슈뢰딩거]], [[폴 디랙]]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 달력 ==
{{연간달력|1933}}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갑인]] || 소 || [[1월 26일]] || [[임진]]
|-
| [[음력 2월|2월]] || [[을묘]] || 대 || [[2월 24일]] || [[신유]]
|-
| [[음력 3월|3월]] || [[병진 (간지)|병진]] || 대 || [[3월 26일]] || [[신묘]]
|-
| [[음력 4월|4월]] || [[정사 (간지)|정사]] || 소 || [[4월 25일]] || [[신유]]
|-
| [[음력 5월|5월]] || [[무오]] || 대 || [[5월 24일]] || [[경인]]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5월 || || 대 || [[6월 23일]] || [[경신]]
|-
| [[음력 6월|6월]] || [[기미]] || 소 || [[7월 23일]] || [[경인]]
|-
| [[음력 7월|7월]] || [[경신]] || 대 || [[8월 21일]] || [[기미]]
|-
| [[음력 8월|8월]] || [[신유]] || 소 || [[9월 20일]] || [[기축]]
|-
| [[음력 9월|9월]] || [[임술]] || 대 || [[10월 19일]] || [[무오]]
|-
| [[음력 10월|10월]] || [[계해]] || 소 || [[11월 18일]] || [[무자]]
|-
| [[음력 11월|11월]] || [[갑자]] || 소 || [[12월 17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12월|12월]] || [[을축]] || 대 || [[1934년]] [[1월 15일]] || [[병술]]
|}
{{전거 통제}}
[[분류:1933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0}}
{{기년법|1990}}
{{요즘 화제 년월|1990년}}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22일]] - [[노태우]] 대통령은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는 [[3당합당]] 성명을 발표하였다.
* [[1월 29일]] - 폴란드 인민 공화국의 집권 정당이던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이 해체되었다
* [[2월 9일]] - [[민주자유당]]을 창당하다.
* [[3월 21일]] - [[나미비아]]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다.
* [[4월 12일]] - KBS 사태가 일어나면서 약 한 달간 방송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 5월 18일)
* [[4월 23일]] - 나미비아, [[유엔]]에 가입하다.
* [[4월 24일]] - [[미국]] [[허블 우주 망원경]]을 발사하다.
* [[5월 22일]] - [[예멘의 통일]], [[북예멘]]과 [[남예멘]]이 하나의 [[예멘]]으로 [[예멘의 통일|통일]]되다.
* [[6월 23일]] - [[몰도바]]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다.
* [[7월 1일]] - 지난 [[1988년]] 10월 호송버스 탈주범에서 유일하게 붙잡히지 않았던 범인 김길호가 1년 9개월만에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서 마지막으로 검거됐다.
* [[7월 18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슨 만델라]] 출소.
* [[7월 27일]] - [[벨라루스]]가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다.
* [[8월 2일]] - [[걸프 전쟁]]: 이라크, [[쿠웨이트 침공]].
* [[8월 13일]] - 소련 [[고르바초프]] 대통령, 스탈린 치하 희생자 전원을 복권시키는 포고령을 발표하다.
* [[8월 16일]] - [[걸프 전쟁]]: [[미국 해군]], 및 이라크가 점령한 [[쿠웨이트]] 일대 해상 전면 봉쇄하다.
* [[8월 22일]] - [[대한민국]]과 [[니카라과]]가 수교하다.
* [[9월 9일]] ~ [[9월 12일]] - [[1990년 한강 대홍수|한강대홍수]]로 인명피해 163명, 재산피해 5,203억원, 이재민 18만 7,200명이 발생하다.
* [[9월 10일]] - [[이란]]과 [[이라크]],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단절됐던 양국 국교 재개 합의.
* [[9월 14일]] - 쿠웨이트 침공 이라크군, 쿠웨이트 주재 [[프랑스]], [[벨기에]], [[캐나다]] 대사관에 난입하다.
* [[9월 18일]] - [[리히텐슈타인]], [[유엔]]에 가입하다.
* [[9월 30일]] - 대한민국과 [[소련]] 수교, 85년 만에 국교를 정상화하다.
* [[10월 2일]]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에서 [[1990년 광저우 바이윈 공항 충돌 사고|여객기 3대가 충돌하여]] 128명이 사망하다.
* [[10월 3일]] - [[독일의 재통일]], 분단 41년 만에 [[서독]]과 [[동독]]이 하나의 [[독일]]로 통일되다.
** [[대한민국]]과 [[베냉]]이 수교하다.
* [[10월 5일]] - [[윤석양 이병 양심선언 사건]].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노태우]] 대통령,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하다.
== 문화 ==
* [[2월 15일]] - [[아시아자동차공업]]에서 [[아시아 록스타|록스타]] 출시.
* [[2월 20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스쿠프|스쿠프]] 출시.
* [[3월 2일]] - [[KBS 1TV]]의 채널에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갖다 평일 블록광고를 폐지를 했고, 주말과 공휴일에 스포츠프로그램과 실황중계프로그램 및 영화프로그램까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편성을 하다.
* [[3월 15일]] - [[LG그룹|럭키금성그룹]]이 프로 야구팀 [[MBC 청룡]]을 인수하여 [[LG 트윈스]]가 창단되었다.
* [[3월 31일]] - 프로 야구팀 [[쌍방울 레이더스]]가 창단되었다.
* [[4월 15일]] - [[Cpbc FM]] 라디오 방송 개국.
* [[5월 1일]] - [[BBS FM]] 라디오 방송 개국.
* [[5월 20일]] - [[양각도국제호텔]]이 완공되었다.
* [[5월 22일]] - [[윈도우 3.0]]이 출시되다.
* [[6월 8일]] ~ [[7월 8일]] - [[1990년 FIFA 월드컵|1990 이탈리아 월드컵]]이 개최되다.
* [[6월 11일]] - [[TBS FM]] 라디오 방송 개국.
* [[6월 26일]] -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광역시)|남구]] [[용호동]]에 [[도로교통공단]] 부산남부운전면허시험장 개장을 하다.
* [[9월 21일]] - [[고려대학교]] [[이호왕]] 박사 팀과 [[녹십자|녹십자사]]가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의 [[백신|예방 백신]]을 개발하다.
* [[9월 22일]] ~ [[10월 7일]]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에서 [[1990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하였다.
* [[9월 25일]] -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제 1회 서울평화상을 수상하다.
* [[9월 26일]] - [[한국GM|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대우 에스페로|에스페로]] 출시.
* [[10월 15일]] -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냉전]] 종식을 위해 노력한 점이 인정되어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결정.
* [[10월 24일]] - [[LG 트윈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4연승으로 꺾고 [[1990년 한국시리즈]]에서 창단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 [[10월 25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엘란트라|엘란트라]] 출시.
* [[11월 1일]] - [[신승훈]]이 1집 《[[미소 속에 비친 그대]]》로 데뷔하다.
* [[11월 10일]] - 대한민국 최초의 [[축구 전용 경기장|축구 전용구장]]인 [[포항스틸야드|포항 축구 전용구장]]을 개장하다.
* [[11월 14일]] - 대한민국 민영 방송 [[SBS]] 설립.
* [[11월 21일]] - [[닌텐도]]에서 [[가정용 게임기]] [[슈퍼 패미컴]]을 발매하다.
* [[12월 1일]] -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채널 터널]]이 연결되다.
* [[12월 18일]] - 대한민국에서 1991학년도 [[학력고사]] 실시.
* [[12월 27일]] - [[EBS 1TV|EBS TV]], [[EBS FM]] 개국.
== 탄생 ==
{{분류 참고|1990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안소미]].
** 대한민국의 희극인 [[신규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은하영]].
** 영국의 영화 프로듀서 [[톰 애컬리]].
* [[1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태화]].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아라지오]].
* [[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유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현 (1990년 1월)|김정현]].
* [[1월 4일]]
** 대한민국의 사회기관단체인 [[김동근 (1990년)|김동근]].
** 독일의 축구 선수 [[토니 크로스]].
* [[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윤정 (1990년)|신윤정]].
** 대한민국의 가수 [[양요섭]]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 [[하이라이트 (음악 그룹)|하이라이트]]).
* [[1월 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윤미 (1990년 1월)|박윤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설빈]].
* [[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성진]].
* [[1월 8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감스트]].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로빈 올센]].
** 카보베르데의 축구 선수 [[리안 멘드스]].
* [[1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남지현 (1990년)|남지현]].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이제동]] ([[이블 지니어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세혁]].
** 대한민국의 가수 [[양지은]].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호 (1990년)|김민호]].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이현진.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현지 (배우)|유현지]].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서설희]].
* [[1월 14일]]
** 헝가리의 펜싱 선수 [[실라지 아론]].
** 대한민국의 가수 한결.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린아.
** 대한민국의 가수 [[백지웅]].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성우]].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신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루.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장서화]].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악동광행 ([[남녀공학 (음악 그룹)|남녀공학]]).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오아희]].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허니슬립]].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포니 (유튜버)|포니]].
** 대한민국의 트라이애슬론 선수 [[김지연 (트라이애슬론 선수)|김지연]].
** 대한민국의 가수 [[천승찬]].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신종훈 (축구 선수)|신종훈]].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석 (1990년생 배우)|김민석]].
** 일본의 수영 선수 [[이리에 료스케]].
** 브라질의 모델 [[최송이]].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준호]] ([[2PM]]).
** 대한민국의 가수 [[여은]] ([[멜로디데이]]).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코치 [[정제승]].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영 (1990년)|김민영]].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나와프 알아베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찬헌]].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재인 (1990년)|김재인]].
* [[1월 28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칼요한 욘손]].
** 대한민국의 배우 [[이홍내]].
* [[1월 29일]]
** 폴란드의 축구 선수 [[그제고시 크리호비아크]].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잉리 모에 볼]].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솜]].
* [[1월 31일]]
** 일본의 가수 [[야부 코타]] ([[Hey! Say! JUMP]]).
** 대한민국의 성우, 유튜버 [[김보민 (성우)|김보민]].
=== 2월 ===
* [[2월 1일]]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로라 말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주현우]].
* [[2월 2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홍종현 (배우)|홍종현]].
** 대한민국의 래퍼 [[정하나]] ([[시크릿 (음악 그룹)|시크릿]]).
** 대한민국의 성우 [[이다은]].
* [[2월 3일]]
** 일본의 성우 [[코하라 리코]]
** 자메이카계 미국 가수 션 킹스턴.
* [[2월 4일]]
** 일본의 성우 [[토마츠 하루카]].
** 대한민국의 배우 [[한여울]].
* [[2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지수 (가수)|김지수]].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영화배우 [[샬비 딘]]. (~[[2022년]])
** 대한민국의 배우 [[강희제 (배우)|강희제]].
** 대한민국의 이종격투기 선수 [[서진수 (이종격투기 선수)|서진수]].
* [[2월 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채은성]].
** 대한민국의 모델 [[심채원]].
** 대한민국의 가수 [[하리 (가수)|하리]].
* [[2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승찬]].
* [[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백진희]].
** 대한민국의 가수 [[크로스진#구성원|세영]] ([[크로스진]]).
** 대한민국의 성우 [[박성영]].
* [[2월 9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신상호 (프로게이머)|신상호]].
** 러시아의 축구 선수 [[표도르 스몰로프]].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수영 (1990년)|수영]] ([[소녀시대]]).
** 대한민국의 가수 [[후디 (가수)|후디]].
** 대한민국의 가수 [[장보윤]].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아라]].
** 대한민국의 가수 [[황찬성|찬성]] ([[2PM]]).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여의주 (프로게이머)|여의주]]. (~[[2011년]])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진우 (야구인)|박진우]].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연주 (배우)|정연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상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석영]].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지수 (프로게이머)|박지수]].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마마두 사코]].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세레나 (성우)|이세레나]].
* [[2월 15일]]
** 일본의 유도 선수 [[에비누마 마사시]].
** 대한민국의 가수 [[의진 (남자 가수)|의진]].
* [[2월 1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위켄드]].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허정협]].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소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신혜]].
** 대한민국의 전(前) 프로게이머 [[김명운]].
** 대한민국의 성악가 [[최성봉]]. (~[[2023년]])
** 네덜란드의 프로 야구 선수 [[디디 흐레호리위스]].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엘리야]].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사업가 이송이.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치로 임모빌레]].
** 기니의 축구 선수 [[압둘 카마라]].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하늘]].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신유나 (레이싱 모델)|신유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수강]].
** 대한민국의 사업가 이송이.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치로 임모빌레]].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홍석]].
** 대한민국의 배우 [[노상보]].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해민]] ([[삼성 라이온즈]]).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지현 (뮤지컬 배우)|김지현]].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류은희]].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손민수]].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송주아]].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영권]].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승석]].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단비 (1990년)|김단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마르타 토레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박강현]].
* [[2월 28일]]
** 영국의 배우 [[조지나 레오니다스]].
** 독일의 축구 선수 [[제바스티안 루디]].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최호선]].
** 대한민국의 가수 강지혜.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트라이애슬론 선수 [[허민호]].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송종호 (사격 선수)|송종호]].
** 잉글랜드의 배우 [[해리 이든]].
* [[3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이홍기]] ([[F.T 아일랜드]]).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한별]].
* [[3월 3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지영 (바둑 기사)|박지영]].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장은영 (레이싱 모델)|장은영]].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프란 메리다]].
** 미국의 배우 [[앤드리아 보언]].
* [[3월 5일]]
** 독일의 펜싱 선수 [[알렉산드라 부이도소]].
** 잉글랜드의 전 축구 선수 [[대니 드링크워터]].
* [[3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초아]] ([[AOA (음악 그룹)|AOA]]).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베넷]].
* [[3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종훈]] ([[F.T 아일랜드]]).
* [[3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A.Y]].
** 미국의 가수 [[크리스티니아 드바지]].
* [[3월 9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데일리 블린트]].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이종격투기 선수 김세영.
* [[3월 11일]]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라이언 루아]].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오지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재원 (축구 선수)|최재원]].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남규 (1990년)|이남규]].
** 일본의 배우 [[쿠로키 하루]].
** 대한민국의 가수 [[살찐 고양이]].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박다솜]].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민지.
* [[3월 17일]] - 일본의 가수, 배우 [[타마모리 유타]] ([[Kis-My-Ft2]]).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영양사 김민지.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이유진 (농구 선수)|이유진]].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민재]].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전 축구 선수 [[구자명 (가수)|구자명]].
* [[3월 20일]]
** 프랑스의 배우 [[스테이시 마르탱]].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현 (1990년)|이승현]] ([[엠파이어 (음악 그룹)|엠파이어]]).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우 (축구 선수)|김민우]].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송주희 (배우)|송주희]].
** 프랑스의 농구 선수 [[앙드루 알비시]].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강선.
* [[3월 3일|3월 2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상수 (1990년)|김상수]] ([[삼성 라이온즈]]).
** 대한민국의 유튜버 [[꾹TV]] (본명:김종국)
** [[요크 공녀 유제니]]
* [[3월 24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오쓰 유키]].
** 뉴질랜드의 배우 [[케이샤 캐슬 휴스]]
** 미국의 천문학자 [[오언 깅거리치]]. (~[[2023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송송이.
** 대한민국의 자전거 경기 선수 [[나아름]].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한빈.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동호 (1990년)|강동호]].
** 대한민국의 가수 [[시우민]] ([[EXO]],EXO-M).
** 대한민국의 전(前) 밴드 [[오원빈]].
** 대한민국의 배우 [[오하늬]].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우식]].
** 일본의 배우, 가수 [[타카키 유야]] ([[Hey! Say! JUMP]]).
** 일본의 배우 [[야기라 유야]].
** 대한민국의 가수 [[레터 플로우]].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세팍파크로 선수 이민주.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래퍼 [[도끼 (가수)|도끼]].
** 대한민국의 가수 [[박필규]].
** 미국의 배우 [[로라 해리어]].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마로네]].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염보성]].
** 미국의 배우 [[조시 블레이록]].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기광]]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 [[하이라이트 (음악 그룹)|하이라이트]]).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성민 (야구 선수)|이성민]].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전 래퍼 [[방용국]].
** 대한민국의 배우 [[박연수 (1990년)|박연수]].
** 일본의 배우 [[야마자키 쇼헤이]].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동림 (가수)|동림]] ([[DMTN]]).
* [[4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서재형 (배우)|서재형]].
** 대한민국의 가수 [[엘린]] ([[크레용팝]]).
** 미국의 배우 [[레이철 브로즈너핸]].
** 러시아의 리듬 체조 선수 [[예브게니야 카나예바]].
* [[4월 3일]]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로브레 칼리니치]].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사리 판 페이넨달]].
** 일본의 축구 선수 [[기시다 쇼헤이]].
* [[4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제나]].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한나 (치어리더)|김한나]].
** 카자흐스탄 태생 아제르바이잔의 축구 선수 [[디미트리 나자로프]].
* [[4월 5일]]
** 일본의 배우 [[미우라 하루마]]. (~[[2020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현 (1990년 4월)|김정현]].
** 베트남의 펜싱 선수 [[응우옌띠엔녓]].
* [[4월 6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서예지]].
** 대한민국의 희극인 [[심문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건우 (1990년)|김건우]].
** 미국의 배우 [[카일 스완]].
* [[4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나혜진]].
** 대한민국의 가수 [[한해]] ([[팬텀 (음악 그룹)|팬텀]]).
* [[4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종현]] ([[샤이니]]). (~[[2017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영주 (바둑 기사)|이영주]].
* [[4월 9일]] - 미국의 배우 [[크리스틴 스튜어트]].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노행하]].
** 영국의 배우 [[알렉스 페티퍼]].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모델 [[고소현 (모델)|고소현]].
** 일본의 전직 축구 선수 [[오쓰카 쇼헤이]].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연우 (배우)|박연우]].
** 일본의 축구 선수 [[사카이 히로키]].
** 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정치인 [[용혜인]].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윤혜]] ([[레인보우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레인보우]]).
** 이탈리아의 쇼트트랙 선수 [[아리안나 폰타나]].
* [[4월 15일]] - 영국의 배우, 모델 [[엠마 왓슨]].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정호]].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우진 (배우)|차우진]].
** 중화민국의 양궁 선수 [[레이첸잉]].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한 (배우)|김지한]].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후지와라 고타로]].
* [[4월 18일]]
** 미국의 배우 [[브릿 로버트슨]].
** 폴란드의 축구 선수 [[보이치에흐 슈쳉스니|보이치에흐 슈치에스니]]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곽희성]].
** 이탈리아의 수영 선수 [[루카 도토]].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수향]].
** 대한민국의 가수 [[힘찬]] ([[B.A.P]]).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국영]].
* [[4월 20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수 [[루한]].
** 프랑스의 유도 선수 [[오드리 최메오]].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지안]].
* [[4월 22일]] - 미국의 래퍼 [[머신 건 켈리 (래퍼)|머신 건 켈리]].
* [[4월 23일]]
** 영국의 배우 [[데브 파텔]].
** 대한민국의 배우 [[태미]].
** 덴마크의 축구 선수 [[마티아스 예르겐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소피아 야콥손]].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크리스티아나 지렐리]].
** 대한민국의 작곡가 [[새봄 (작곡가)|새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명주 (축구 선수)|이명주]].
** 대한민국의 성악가 [[장주훈]].
* [[4월 25일]]
** 독일의 테니스 선수 [[얀레나르트 슈트루프]].
** 대한민국의 가수, 전 치어리더 원희.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배우 [[김유미 (2012년 미스코리아)|김유미]].
* [[4월 27일]] - 칠레의 사격 선수 [[프란시스카 크로베토]].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민지]].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이 (가수)|루이]].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강지혜.
* [[5월 2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윤찬희]].
** 미국의 농구 선수 [[폴 조지]].
** 미국의 배우 [[케이 파나베이커]].
** 일본의 성우 [[아이하라 코토미]].
* [[5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소예]].
* [[5월 4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필라.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지은 (가수)|송지은]] ([[시크릿 (음악 그룹)|시크릿]]).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유아라 (레이싱 모델)|유아라]].
** 미국의 배우 [[해나 지터]].
* [[5월 6일]]
** 일본의 축구 선수 [[구도 마사토]]. (~[[2022년]])
** 멕시코의 펜싱 선수 [[다니엘 고메스 (펜싱 선수)|다니엘 고메스]].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빛가람]] ([[제주 유나이티드]]).
* [[5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정우 (1990년)|김정우]].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헤니페르 에르모소]].
* [[5월 10일]]
** 일본의 가수 [[카타야마 하루카]].
** 미국의 야구 선수 [[살바도르 페레스]].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헤니페르 에르모소]].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우태운]] ([[남녀공학 (음악 그룹)|남녀공학]], [[스피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스피드]]).
* [[5월 12일]]
** 미국의 유튜버, 인터넷 방송인 [[Etika]]. (~[[2019년]])
** 대한민국의 가수 [[이서현 (1990년)|이서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멜라니.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장영석]].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종현 (가수)|이종현]] ([[씨엔블루]]).
** 뉴질랜드의 모델 [[스텔라 맥스웰]].
* [[5월 16일]]
** 영국의 배우 [[토머스 생스터]].
** 대한민국의 가수 [[김보경 (가수)|김보경]].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영진 (프로게이머)|김영진]] .
** 대한민국의 배우 [[고나연]].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허가윤]] ([[포미닛]]).
** 일본의 축구 선수 [[오사코 유야]].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훈 (1990년)|김태훈]].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선재]].
** 영국의 배우 [[조시 오코너]].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새벽]].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최인정]].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기범 (배우)|장기범]].
* [[5월 24일]] - 일본의 배우 [[마츠시타 유야]].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치타 (가수)|치타]].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연다빈]].
** 대한민국의 가수 [[키츠요지]].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링 선수 [[보 댈러스]].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예하]].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손석희 (프로게이머)|손석희]] (마이인새니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희성 (축구 선수)|이희성]].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안.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카일 워커]].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자전거 경기 선수 [[장경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지훈 (축구 선수)|조지훈]].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셰리다 스피처]].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아]] ([[소녀시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박승혁]].
=== 6월 ===
* [[6월 1일]] - 일본의 성우 [[무라카와 리에]].
* [[6월 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황민경]].
** 영국의 배우 [[잭 로던]].
* [[6월 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도연 (아나운서)|김도연]].
* [[6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해성]].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인환]].
** 대한민국의 가수 [[김한일 (가수)|김한일]]. (~[[2018년]])
* [[6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주영]].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송현덕]].
** 오키나와 일본계 미국인 유튜브 희극인 [[라이언 히가]].
* [[6월 7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래퍼 [[이기 아젤리아]].
* [[6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조승수 (야구 선수)|조승수]].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수진 (1990년)|강수진]].
** 대한민국의 배우 [[고경표]].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곽정욱]].
* [[6월 13일]]
** 영국의 배우 [[에런 테일러존슨]].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박소라 (희극인)|박소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나연 (1990년)|이나연]].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하 (가수)|김동하]].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혜진 (1990년)|조혜진]].
* [[6월 17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던 헨더슨|조던 헨더슨.]]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영.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범수 (1990년)|김범수]].
** 일본의 배우 [[마쓰바라 나쓰미]].
** 대한민국의 전 기상캐스터 [[전소영]].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서아란]].
** 대한민국의 가수 [[케이플라워]].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모델 [[유승옥]].
** 대한민국의 배우 [[고성희]].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에스테파니아 바니니]].
** 일본의 배우 [[스즈키 가쓰미]].
** 크로아티아의 원반던지기 선수 [[산드라 엘카세비치]].
* [[6월 22일]]
** 일본의 가수 [[이노오 케이]] ([[Hey! Say! JUMP]]).
** 대한민국의 가수 [[호림 (가수)|호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서보민 (축구 선수)|서보민]].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지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고원준]].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성영훈 (야구 선수)|성영훈]].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화리 (레이싱 모델)|이화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혜리 (축구 선수)|김혜리]].
* [[6월 26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야흐야 알셰흐리]].
** 대한민국의 배우 [[나무 (배우)|나무]].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아린 (레이싱 모델)|이아린]].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댑.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 [[손승원]].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조인영 (레이싱 모델)|조인영]].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엔 (가수)|엔]] ([[빅스 (음악 그룹)|빅스]]).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성현 (1990년)|김성현]].
** 일본의 가수 [[사토 나츠키]].
* [[7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치홍]] ([[KIA 타이거즈]]).
**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미국 배우 [[마고 로비]].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김지수.
** 대한민국의 가수 [[박태진 (가수)|박태진]].
** 카타르의 축구 선수 [[루카스 멘데스]].
* [[7월 4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윤중]].
** 대한민국의 가수 [[장한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소자]].
* [[7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경리 (가수)|박경리]] ([[나인뮤지스]]).
* [[7월 6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김진아.
* [[7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가수 [[한지성]] (~[[2019년]]).
* [[7월 8일]]
**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전희연]].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시윤]].
* [[7월 9일]]
** 알제리 출신 카타르의 축구 선수 [[부알렘 쿠키]].
** 일본의 배우 [[이케마츠 소스케]].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윤구]] ([[넥센 히어로즈]]).
** 대한민국의 배우 [[성준]].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시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리호]].
* [[7월 11일]] - 일본의 배우 [[오치아이 모토키]].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지훈]].
** 대한민국의 가수 [[허민진]], [[허민선]] ([[크레용팝]], [[딸기우유 (음악 그룹)|딸기우유]]).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선영 (배구 선수)|김선영]].
** 대한민국의 배우 [[손민지]].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베베 (축구 선수)|베베]].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리리코]].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장동혁 (뮤지컬 배우)|장동혁]].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장예원 (아나운서)|장예원]] ([[SBS]]).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엄지아]].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신재욱]].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림 ([[라꼼마]]).
** 대한민국의 국악인 [[이윤아 (1990년)|이윤아]].
* [[7월 17일]] - 미국의 쇼트트랙 선수 [[J. R. 셀스키]].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지숙]] ([[레인보우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레인보우]]).
** 프랑스의 방송인 [[로빈 데이아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봉진 (축구 선수)|김봉진]].
** 대한민국의 가수 [[전상근]].
* [[7월 19일]] - 일본의 가수 [[타카다 시오리]].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해나 (아나운서)|김해나]].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소리 (1990년)|소리]].
** 대한민국의 모델 [[이윤지 (모델)|이윤지]].
* [[7월 22일]] - 일본의 배우 [[니시다 노조미]].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철윤]].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동엽 (1990년)|김동엽]].
** 대한민국의 배우 [[이봄]].
**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지셀]].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향 (1990년)|이향]].
** 가나의 축구 선수 [[와카소 무바라크]].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발레리아 콜만]].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신미림]].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마일로.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김초롱 (레이싱 모델)|김초롱]].
** 대한민국의 배우 [[윤진이]].
** 대한민국의 래퍼 [[키디비]].
* [[7월 28일]] - 미국의 래퍼 겸 프로듀서 [[솔자 보이]].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세경]].
** 대한민국의 성우 [[김지율 (성우)|김지율]].
** 칠레의 축구 선수 [[프란시스카 라라]].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엄지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재원 (야구 선수)|최재원]].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성민]] ([[LG 트윈스]]).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이귀주]].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정 (배우)|김희정]].
** 영국의 배우 [[잭 오코널]].
* [[8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김추리]].
* [[8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강민경]] ([[다비치]]).
** 대한민국의 유튜버 [[딕헌터]].
* [[8월 4일]]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마야 요슈차크]].
** 대한민국의 성우 [[최윤정 (성우)|최윤정]].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류원우]].
* [[8월 6일]]
** 일본의 가수 [[니카이도 타카시]] ([[Kis-My-Ft2]]).
** 미국의 살인 피해자 [[존베네 램지]]. (~[[1996년]])
** 대한민국의 기자 [[홍진아 (기자)|홍진아]].
* [[8월 8일]] - 체코의 축구 선수 [[블라디미르 다리다]].
* [[8월 9일]]
** 스웨덴의 배우 [[빌 스카르스고르드]].
** 대한민국의 배우 [[강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이성경]].
** 대한민국의 가수 [[혜미]] ([[피에스타]]).
** 미국의 배우 [[루커스 틸]].
* [[8월 12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마리오 발로텔리]].
* [[8월 13일]]
** 일본의 배우 [[미야자와 사에]].
** 대한민국의 성악가 [[문지훈 (성악가)|문지훈]].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이상수 (탁구 선수)|이상수]].
* [[8월 15일]]
** 미국의 배우 [[제니퍼 로렌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경민 (1990년)|김경민]].
* [[8월 16일]]
** 일본의 성우 [[우치야마 코우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리명준 (축구 선수)|리명준]].
* [[8월 17일]]
** 미국의 배우 [[레이철 허드우드]].
** 대한민국의 가수 [[신미래]].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남유식]].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제이슨 스틸]].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글루.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아프리카BJ [[양띵]].
** 미국의 희극인, 싱어송라이터, 배우, 영화 감독 [[보 버넘]].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강훈 (1990년 바둑 기사)|강훈]].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박민지 (씨름 선수)|박민지]].
** 독일의 봅슬레이 선수 [[마리아마 야망카]].
* [[8월 24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엘리자베스 데비키]].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최운정]].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허경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만디 판 덴 베르흐]].
* [[8월 27일]]
** 미국의 육상 선수 [[토리 보이]]. (~[[2023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창용 (축구 선수)|이창용]].
* [[8월 28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보얀 크르키치]] ([[FC 바르셀로나]]).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한소울]].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예슬]].
** 대한민국의 가수 [[케빈 오]].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진영화 (프로게이머)|진영화]].
** 대한민국의 봅슬레이 선수 [[석영진]].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녹]].
=== 9월 ===
* [[9월 1일]]
** 스위스의 싱어송라이터 [[멜라니 르네]].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상아]].
** 대한민국의 유튜버 [[킴성태]].
* [[9월 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연예림]].
* [[9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주우]].
* [[9월 4일]] - 대한민국의 래퍼 [[맥대디]].
* [[9월 5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연아]].
** 일본의 가수 [[키쿠치 아미]].
** 대한민국의 배우 [[정의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고무열]].
* [[9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민우]] ([[제국의 아이들]]).
** 오스트레일리아의 래퍼 [[롬 (가수)|롬]] ([[씨클라운]]).
* [[9월 7일]]
** 대한민국의 프리랜서, 진행자 및 방송인 [[재재]].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정다혜.
* [[9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건우 (1990년)|박건우]].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한정우 (뮤지컬 배우)|한정우]].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윤정 (아나운서)|이윤정]].
* [[9월 12일]]
** 캄보디아의 당구 선수 [[스롱 피아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민규 (야구 선수)|박민규]].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준헌]].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고은빛]].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신영 (아나운서)|박신영]].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이민아.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재윤 (야구 선수)|김재윤]].
** 대한민국의 가수 [[세리 (가수)|세리]] ([[달샤벳]]).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홍철 (축구 선수)|홍철]].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민기 (성우)|박민기]].
* [[9월 19일]]
** 일본의 배우, 가수 [[후쿠다 사키]].
** 러시아의 축구 선수 [[마리우 피게이라 페르난지스]].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키어런 트리피어]].
** 대한민국의 이종격투기 선수 [[김대현 (격투기 선수)|김대현]].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혜인]].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지희.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박지혜 (종합격투기 선수)|박지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윤호 (축구 선수)|김윤호]].
** 대한민국의 약사, 유튜버 [[고퇴경]].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피비 라이언]].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일 (1990년)|태일]] ([[블락비]]).
** 대한민국의 배우 [[김다예]].
* [[9월 25일]]
** 일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아사다 마오]].
** 캐나다의 배우 [[해나 그로스]].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재즈피아니스트 강혜인.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스키 선수 [[서정화 (스키 선수)|서정화]].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성민 (1990년)|김성민]].
** 중국의 배우 [[리친 (배우)|리친]].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에디전]].
* [[9월 29일]]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사라 비외르크 귄나르스도티르]].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승규 (축구 선수)|김승규]].
** 대한민국의 성우 [[서다혜]].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리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철 (축구 선수)|김동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호 (1990년 10월)|김민호]].
* [[10월 2일]] - 맨섬의 가수 [[서맨사 바크스]].
* [[10월 3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아나마리아 츠르노고르체비치]].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재학]] ([[NC 다이노스]]).
* [[10월 5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스가사와 유이카]].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한선화]]. ([[시크릿 (음악 그룹)|시크릿]])
** 일본의 축구 선수 [[야마구치 호타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도형 (축구 선수)|김도형]].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천둥 (1990년)|천둥]].
** 대한민국 야구 선수 [[정수빈]].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진솔]].
** 대한민국의 래퍼 [[바람 (가수)|바람]] ([[빅스타]]).
** 일본의 가수 [[나카타 치사토]].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종민]].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연수]].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홍예슬]].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 (가수)|JOO]].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얼라이브 펑크]].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주현]] ([[LG 트윈스]]).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박환희]].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주우영]].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포미닛#전지윤|전지윤]] ([[포미닛]]).
**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영 (1990년)|김소영]].
** 일본의 배우 [[미즈하라 키코]].
* [[10월 16일]] - 일본의 가수 [[사토 아미나]].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구본아]].
** 일본의 축구 선수 [[구마가이 사키]].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구현 (프로게이머)|김구현]] ([[프라임 (E스포츠)|프라임]]).
** 대한민국의 배우 [[김대근 (배우)|김대근]].
** 가나의 축구 선수 [[대니얼 오파레이]].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주원 (축구 선수)|박주원]].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준 (배우)|이재준]].
** 대한민국의 배우 [[허은정]].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용태 (1990년)|김용태]].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효진 (축구 선수)|김효진]].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세웅]].
** 대한민국의 가수 김일도 ([[이천원]]).
** 대한민국의 가수 [[카더가든]].
* [[10월 24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일카이 귄도안]].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윤.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백지원 (모델)|백지원]].
* [[10월 27일]]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요한 베르그 그뷔드뮌손]].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제이슨 휠러]].
* [[10월 28일]]
** 튀니지의 축구 선수 [[유세프 므사크니]].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서준 (사격 선수)|김서준]].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성우 [[최결]].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모델 [[주선영]].
* [[10월 31일]]
** 대만의 배우, 가수, 모델 [[쉬광한]].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에밀리아노 살라]]. (~[[2019년]])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진예슬]].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동건 (농구 선수)|이동건]].
* [[11월 3일]] - 프랑스의 배우, 가수 [[미스 밍]].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반지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학주 (야구 선수)|이학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상민 (야구 선수)|이상민]].
** 대한민국의 배우 [[홍수민 (1990년)|홍수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승엽 (축구 선수)|한승엽]].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클랑 (가수)|클랑]].
* [[11월 6일]]
** 일본의 가수 [[오오야 마사나]].
** 중국의 배우 [[크리스 (가수)|크리스]].
** 독일의 축구 선수 [[안드레 쉬를레]].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 [[최현미 (권투 선수)|최현미]].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다비드 데 헤아]].
* [[11월 8일]] - 미국의 가수 [[SZA (가수)|SZA]].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석지연]].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임지우]].
* [[11월 10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니시 유키]].
** 대한민국의 가수 [[레오 (가수)|레오]] ([[빅스 (음악 그룹)|빅스]]).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한가빈]].
** 대한민국의 배우 [[유희제]].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조르지뇨 베이날둠]].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손수호]].
** 도미니카공화국의 야구 선수 [[마르셀 오즈나]].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동은 (야구인)|김동은]].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민지.
* [[11월 15일]]
** 일본의 배우 [[혼고 카나타]].
** 일본의 가수 [[야자와 에리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주 (1990년)|김성주]].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기타연주가 [[정예원]].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배정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겸 방송인 [[주현정 (희극인)|주현정]].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나영 (피겨 스케이팅 선수)|김나영]].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성악가 [[조민규]].
* [[11월 20일]]
** 벨기에 태생의 중국계 여자 배드민턴 선수 [[리안 탄]].
** 대한민국의 가수 박종구.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미.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동우]] ([[인피니트]]).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비]].
** 대한민국의 가수 [[서은광]] ([[비투비]]).
** 튀르키예의 레슬링 선수 [[타하 아크귈]].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에디 킴]].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최수연]].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 가수 [[예진 (1990년)|한예진]].
* [[11월 25일]]
** 프랑스의 배우 [[아누슈카 들롱]].
** 이집트의 플뢰레 펜싱 선수 [[알라엘딘 아부엘카셈]].
* [[11월 26일]]
** 영국의 가수 [[리타 오라]].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정훈 (1990년)|김정훈]].
** 대한민국의 교사 [[최혜정 (1990년)|최혜정]]. (~[[2014년]])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임선주]].
** 미국의 가수 [[블랙베어]].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수현 (1990년)|김수현]].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이민혁 (가수)|이민혁]] ([[비투비]]).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김은정 (컬링 선수)|김은정]].
** 대한민국의 배우 [[정재광]].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연수]].
** 그리스의 육상 선수 [[엘레프테리오스 페트루니아스]].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희.
* [[12월 2일]]
** 일본의 가수 [[야오토메 히카루]] ([[Hey! Say! JUMP]]).
** 대한민국의 가수 [[윤딴딴]].
* [[12월 3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크리스티앙 벤테케]].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초임]].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수빈]].
** 대한민국의 배우 [[신서현]].
* [[12월 6일]] - 러시아의 축구 선수 [[데니스 체리셰프]].
* [[12월 7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레나터 얀선]].
** 쿠바의 야구 선수 [[야시엘 푸이그]].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혜연]].
** 일본의 성우 [[토다 메구미]].
* [[12월 9일]]
** 독일의 가수 [[라피 (가수)|라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김민식.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수범 (프로게이머)|박수범]].
** 일본의 가수 [[마츠이 사키코]].
** 대한민국의 희극인 [[조진세]].
** 대한민국의 배우 [[장하람]].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홍구 (1990년)|이홍구]].
** 중국의 래퍼 [[조이쉔]] ([[유니크 (음악 그룹)|유니크]]).
** 대한민국의 가수 [[효린]] ([[씨스타]]).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승리 (가수)|승리]] ([[빅뱅 (음악 그룹)|빅뱅]]).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사진작가 [[하동수]].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비범]] ([[블락비]]).
** 대한민국의 가수 [[충완]].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작가, 기업인 조빛나.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연.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인욱]] ([[삼성 라이온즈]]).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안신애]].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신세하 (레이싱 모델)|신세하]].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김성일 (쇼트트랙 선수)|김성일]].
* [[12월 20일]]
** 일본의 성우 [[타카하시 미나미 (성우)|타카하시 미나미]].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조조 (가수)|조조]].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원주 (가수)|원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원준.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장유진 (바이올리니스트)|장유진]].
** 일본의 성우 [[안자이 치카]].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재효]] ([[블락비]]).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강이슬.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디노.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도현 (1990년)|김도현]].
** 러시아의 프로 축구 선수 [[데니스 체리셰프]].
** 웨일스의 축구 선수 [[에런 램지]].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민호 (희극인)|김민호]].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상은]].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성 (배우)|이재성]].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마르코스 알론소 멘도사]].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송다미]].
** 대한민국의 가수 [[알렌기범]] ([[유키스]]).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권희동]].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서예림]].
* [[12월 31일]] -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패트릭 챈]].
=== 미상 ===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진 (배우)|김태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보현 (아나운서)|이보현]].
* 대한민국의 기자 이선화.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이승훈.
* 대한민국의 범죄인 [[조선 (범죄인)|조선]].
*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배우 [[홍준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원태연 (축구 선수)|원태연]].
* 대한민국의 가수 [[폴카이트]].
* 대한민국의 미술인 [[박윤지]].
== 사망 ==
{{분류 참고|1990년 사망}}
[[파일:Pertini ritratto.jpg|섬네일|120px|산드로 페르티니]]
[[파일:Garbo in Inspiration.jpg|섬네일|160x160픽셀|그레타 가르보]]
[[파일:Leonard Bernstein by Jack Mitchell.jpg|섬네일|153x153픽셀|레너드 번스타인]]
* [[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덕]]. ([[1961년]]~)
* [[2월 23일]] - 이탈리아의 정치가 [[산드로 페르티니]]. ([[1896년]]~)
* [[3월 20일]] - 소련의 축구 선수 [[레프 야신]]. ([[1929년]]~)
* [[4월 15일]] - 스웨덴의 영화 배우 [[그레타 가르보]]. ([[1905년]]~)
* [[4월 17일]] - 미국의 인권 운동가 [[랠프 애버내시]]. ([[1926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몽우]]. ([[1945년]]~)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시인 [[모윤숙]]. ([[1910년]]~)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불문학자 [[김현 (문학평론가)|김현]]. ([[1942년]]~)
* [[7월 17일]] -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돌레짤]]. ([[1922년]]~)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윤보선]]. ([[1897년]]~)
* [[8월 15일]] - 러시아의 한국계 대중음악가 [[빅토르 초이]]. ([[1962년]]~)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현 (1955년)|장현]]. ([[1956년]]~)
* [[10월 3일]] - 미국의 군인 [[커티스 르메이]]. ([[1906년]]~)
* [[10월 14일]] - 미국의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 ([[1918년]]~)
* [[10월 23일]] -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 ([[1918년]]~)
* [[10월 27일]] - 프랑스의 영화감독 [[자크 데미]]. ([[1931년]]~)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현식]]. ([[1958년]]~)
* [[11월 23일]] - 영국의 작가 [[로알드 달]]. ([[1916년]]~)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조영래]]. ([[1947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해리 마코위츠]], [[머턴 밀러]], 윌리엄 샤프
* '''문학상''': [[옥타비오 파스]]
* '''물리학상''': 제롬 I. 프리드먼, 헨리 W. 켄들, 리처드 E. 타일러
* '''생리학 및 의학상''': 조지프 E. 머리, E. 도널 토머스
* '''평화상''': [[미하일 고르바초프]]
* '''화학상''':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 달력 ==
{{연간달력|1990}}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소 || [[1월 27일]] || [[임진]]
|-
| [[음력 2월|2월]] || [[기묘]] || 대 || [[2월 25일]] || [[신유]]
|-
| [[음력 3월|3월]] || [[경진]] || 소 || [[3월 27일]] || [[신묘]]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소 || [[4월 25일]] || [[경신]]
|-
| [[음력 5월|5월]] || [[임오]] || 대 || [[5월 24일]] || [[기축]]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5월 || || 소 || [[6월 23일]] || [[기미]]
|-
| [[음력 6월|6월]] || [[계미]] || 소 || [[7월 22일]] || [[무자]]
|-
| [[음력 7월|7월]] || [[갑신]] || 대 || [[8월 20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8월|8월]] || [[을유]] || 대 || [[9월 19일]] || [[정해]]
|-
| [[음력 9월|9월]] || [[병술]] || 소 || [[10월 19일]] || [[정사 (간지)|정사]]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대 || [[11월 17일]] || [[병술]]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대 || [[12월 17일]] || [[병진 (간지)|병진]]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991년]] [[1월 16일]] || [[병술]]
|}
{{전거 통제}}
[[분류:1990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s, {{ISBN|0-201-63361-2}})은 [[소프트웨어]] 설계에 있어 공통된 문제들에 대한 표준적인 해법과 작명법을 제안한 [[책]]이다. 이 분야의 사인방(Gang of Four, 줄여 GoF)으로 불리는 [[에리히 감마]](Erich Gamma), [[리처드 헬름]](Richard Helm), [[랄프 존슨]](Ralph Johnson), [[존 블리시데스]](John Vlissides)가 같이 썼고, 한국어 판은 김정아의 번역으로 [[피어슨 에듀케이션 코리아]]를 통해 출판되었다.
책의 첫 번째 반절은 다양한 [[디자인 패턴]]의 정의에 할애하고 있고, 나머지 반절은 실제적으로 유용한 디자인 패턴들을 나열하고 있다. 책의 예제들은 객체지향적인 언어인 [[C++]]과 [[스몰토크]]로 제시되고 있다. 다음은 책에서 언급되고 있는 패턴의 리스트이다.
==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s) ==
* [[추상 팩토리 패턴]]: 동일한 주제의 다른 팩토리를 묶어 준다.
* [[빌더 패턴]]: 생성(construction)과 표기(representation)를 분리해 복잡한 객체를 생성한다.
* [[팩토리 메서드 패턴]]: 생성할 객체의 클래스를 국한하지 않고 객체를 생성한다.
* [[프로토타입 패턴]]: 기존 객체를 복제함으로써 객체를 생성한다.
* [[싱글턴 패턴]]: 한 클래스에 한 객체만 존재하도록 제한한다.
==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s) ==
* [[어댑터 패턴]]: 인터페이스가 호환되지 않는 클래스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타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기존 인터페이스에 덧씌운다.
* [[브리지 패턴]]: 추상화와 구현을 분리해 둘을 각각 따로 발전시킬 수 있다.
* [[컴포지트 패턴|합성 패턴]]: 0개, 1개 혹은 그 이상의 객체를 묶어 하나의 객체로 이용할 수 있다.
* [[데코레이터 패턴]]: 기존 객체의 매서드에 새로운 행동을 추가하거나 오버라이드 할 수 있다.
* [[파사드 패턴]]: 많은 분량의 코드에 접근할 수 있는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플라이웨이트 패턴]]: 다수의 유사한 객체를 생성·조작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프록시 패턴]]: 접근 조절, 비용 절감, 복잡도 감소를 위해 접근이 힘든 객체에 대한 대역을 제공한다.
== 행동 패턴(Behavioral Patterns) ==
* [[책임연쇄 패턴(Chain of responsibility)]]: 책임들이 연결되어 있어 내가 책임을 못 질 것 같으면 다음 책임자에게 자동으로 넘어가는 구조
* [[커맨드 패턴]](Command Pattern: 위의 명령어를 각각 구현하는 것보다는 위 그림처럼 하나의 추상 클래스에 메서드를 하나 만들고 각 명령이 들어오면 그에 맞는 서브 클래스가 선택되어 실행하는 것
* [[해석자 패턴]] (Interpreter Pattern): 문법 규칙을 클래스화한 구조를 갖는SQL 언어나 통신 프로토콜 같은 것을 개발할 때 사용
* [[반복자 패턴]] (Iterator Pattern): 반복이 필요한 자료구조를 모두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메서드를 이용해 자료구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옵저버 패턴]]: 어떤 클래스에 변화가 일어났을 때, 이를 감지하여 다른 클래스에 통보해주는 것
* [[전략 패턴]] (Strategy Pattern): 알고리즘 군을 정의하고 각각 하나의 클래스로 캡슐화한 다음, 필요할 때 서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템플릿 메서드 패턴]] (Template method pattern): §상위 클래스에서는 추상적으로 표현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클래스에서 결정되는 디자인 패턴
* [[방문자 패턴]] (visitor Pattern): 각 클래스의 데이터 구조로부터 처리 기능을 분리하여 별도의 visitor 클래스로 만들어놓고 해당 클래스의 메서드가 각 클래스를 돌아다니며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 중재자 패턴 (Mediator Pattern): 클래스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캡슐화하여 한 클래스에 위임해서 처리 하는 디자인 패턴
* 상태 패턴 (State Pattern): 동일한 동작을 객체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처리해야 할 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 기념품 패턴 (Memento Pattern): Ctrl + z 와 같은 undo 기능 개발할 때 유용한 디자인패턴. 클래스 설계 관점에서 객체의 정보를 저장
== 같이 보기 ==
*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소프트웨어)}}
{{토막글|책|컴퓨터 과학}}
[[분류:미국의 책]]
[[분류:소프트웨어 공학 책]]
[[분류: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분류:1994년 책]]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25}}
{{기년법|1925}}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7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14년
* [[일본]](日本) [[다이쇼 시대|다이쇼]]({{lang|ja|大正}}) 14년
* [[응우옌 왕조]](阮朝) [[카이딘 (연호)|카이딘]](啓定) 10년
== 기년 ==
* [[응우옌 왕조]](阮朝) [[카이딘 황제|계정제]](啓定帝) 10년
== 사건 ==
* [[1월]]
** 만주에서 [[통의부]]를 기반으로 [[정의부]] 조직
** [[김동인]]의 <감자>, [[진영택]]의 <화수분>이 <[[조선문단]]>에 발표
* [[1월 13일]] - [[임시의정원]], 헌법개정, 내정 정돈, 외교 실효화 등 새로운 방침 천명
* [[1월 28일]] - 서울에서 [[무산자동지회]] 발족
* [[2월 21일]] - <[[조선일보]]>가 색채윤전기를 설치
* [[2월 14일]] - [[김창제]] 등이 [[시사구락부]] 조직
* [[3월]] - [[황신덕]], [[박순천]] 등이 도쿄에서 [[삼월회]] 조직
* [[3월 10일]] - [[그리스]]의 [[축구]] 클럽 [[올림피아코스 FC]] 창단.
* [[3월 15일]] - 북만주 [[닝안 현]]에서 [[신민부]] 조직
* [[3월 22일]] - [[황해남도]] [[해주]]에서 민중예술 고취와 부르주아 예술지상주의 박멸을 목적으로 민예회 조직
* [[3월 23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승만]] 면직안 의결, [[박은식]]을 임시 대통령으로 선출
* [[3월 28일]] - [[윤백남]]프로덕션 작품 <[[심청전]]>이 조선극장에서 상영 개시
* [[3월 26일]] - [[북풍회]]와 [[화용회]], 합동을 결의
* [[3월 30일]]
** 임시정부가 임시헌법개정안을 결의해 대통령제에서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로 전환, 헌법 적용범위를 국민 전체에서 광복운동자로 한정
** 일제의 고위 밀정 김달하, [[중화민국]] [[베이징]]에서 다물단원들에 의해 사살됨
* [[4월 3일]] - 서울에 [[중앙도서관]] 개관
* [[4월 17일]] - [[조봉암]], [[김찬]] 등이 서울 아서원에서 [[조선공산당]] 창당
* [[4월 18일]] - [[박헌영]] 등이 [[고려공산청년회]] 조직
* [[5월 12일]] - [[치안유지법]] 우리나라에 확대 시행
* [[5월 15일]] - [[백남훈]], [[안재홍]] 등이 역사연구를 목적으로 [[조선사정연구회]] 조직
* [[5월 25일]] - [[러시아]]의 [[축구]] 클럽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창단.
* [[6월 6일]] - [[조선총독부]]가 [[조선사편수회]] 설치
* [[6월 11일]] - 일본과 중국 간 [[미쓰야 협정]] 체결
* [[6월 17일]] - 제1회 전국중등학교야구연맹전 개최
* [[6월 18일]] - [[아돌프 히틀러]], <[[나의 투쟁]]> 출간
* [[6월 26일]] - [[찰리 채플린]]의 《[[황금광시대]]》 개봉
* [[7월 1일]] - [[조선인변호사회]]가 한국인과 일본인의 차별 대우 철폐 결의
* [[7월 4일]] - [[사천교]]와 [[수운교]] 합병
* [[7월 5일]] - [[조선농구협회]] 창립
* [[7월 21일]] - [[미국]] [[테네시주]]에서 [[진화론]] 교육문제로 [[원숭이 재판]]이라고 불리는 재판이 열림.
* [[7월 31일]] - [[을축년 대홍수]]로 697명이 사망 및 행방불명되고 10만 호의 주택피해가 발생
* [[8월 1일]] - <[[개벽 (잡지)|개벽]]> 8월호 출간과 동시에 발행정지
* [[8월 29일]] - [[한용운]], 《[[님의 침묵]]》탈고
* [[9월]]
** [[나도향]], <물레방아>를 <[[조선문단]]>에 발표
** [[홍난파]], <[[음악계]]> 창간
* [[9월 24일]] - 임시정부 신임 [[국무령]]에 [[이상룡]] 취임
* [[9월 29일]] - [[김준연]], [[김현철]], [[유광열]] 등이 [[조선농민사]] 창립
* [[10월 1일]] - 간이국세조사 실시, 조선 총인구 1,952만 2,945명으로 집계<ref>박도. <일제강점기> (2011). 눈빛. p.216</ref>
* [[10월 13일]] -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 참배를 거부
* [[10월 15일]]
** [[서울역|서울역사]] 준공, 운수영업 개시
** 서울에 [[조선신궁]] 기공, [[경성운동장]] 개장
* [[11월 9일]] - [[친위대 (나치)|나치 친위대]] 결성.
* [[11월 16일]] - 서울-[[봉천]] 간 전화선 개통
* [[11월 22일]] - 부산인쇄소 직공 200여명이 임금과 대우 문제로 파업
* [[11월 26일]] - 전남 나주에서 [[동양척식]] 소작인 1만여명이 일본 경찰과 충돌
* [[12월]]
** 도쿄 한인유학생이 조선미술회 조직.
** [[박영희]], [[김기진]] 등이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KARF) 결성
* [[12월 6일]] - [[서울특별시청사|경성부청사]] 상량식 거행
* [[12월 16일]] - [[이영구]]가 [[이완용]] 암살을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침
* [[12월 31일]] - 대한제국 화폐령 정지
== 탄생 ==
{{분류 참고|1925년 출생}}
=== 1월 ===
* [[1월 9일]] - 미국의 배우 [[리 밴클리프]]. (~[[1989년]])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김유복]]. (~[[2008년]])
** 일본의 작가 [[미시마 유키오]]. (~[[1970년]])
* [[1월 18일]] -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 (~[[1995년]])
* [[1월 2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리용무]]. (~[[2022년]])
* [[1월 26일]] - 미국의 배우 [[폴 뉴먼]]. (~[[2008년]])
* [[1월 30일]] - 노르웨이계 미국인 과학자 [[더글러스 엥겔바트]]. (~[[2013년]])
=== 2월 ===
* [[2월 8일]] - 미국의 배우 [[잭 레먼]]. (~[[2001년]])
* [[2월 17일]] - 미국의 배우 [[핼 홀브룩]]. (~[[2021년]])
* [[2월 20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로버트 올트먼]]. (~[[2006년]])
* [[2월 21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샘 페킨파]]. (~[[1984년]])
=== 3월 ===
* [[3월 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맹기]]. (~[[2004년]])
* [[3월 12일]] - 일본의 물리학자 [[에사키 레오나]].
* [[3월 16일]] - 멕시코의 화학자, 경구피임약 발명가 [[루이스 미라몬테스]]. (~[[2004년]])
* [[3월 21일]] - 영국의 연출가 [[피터 브룩]]. (~[[2022년]])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목회자 [[김준곤]]. (~[[2009년]])
=== 4월 ===
* [[4월 3일]] - 영국의 정치인 [[토니 벤]]. (~[[2014년]])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시인 [[이병훈 (시인)|이병훈]]. (~[[2009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구자경]]. (~[[2019년]])
=== 5월 ===
* [[5월 1일]]-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가 [[양순직]]. (~[[2008년]])
* [[5월 4일]] - 헝가리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부잔스키 예뇌]]. (~[[2015년]])
* [[5월 5일]] - 러시아의 작곡가 [[블라디미르 표도로비치 바빌로프|블라디미르 바빌로프]]. (~[[1973년]])
* [[5월 9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허장강]]. (~[[1975년]])
* [[5월 12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요기 베라]]. (~[[2015년]])
* [[5월 16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니우통 산투스]]. (~[[2013년]])
* [[5월 19일]] - 캄보디아의 독재자 [[폴 포트]]. (~[[1998년]])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홍경선 (1925년)|홍경선]].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휘동]]. (~[[2012년]])
=== 6월 ===
* [[6월 5일]] - 미국의 배우 [[빌 헤이스]]. (~[[2024년]])
* [[6월 8일]] - 미국의 대통령 조지 H. W. 부시의 부인 [[바버라 부시]]. (~[[2018년]])
* [[6월 11일]] - 미국의 작가 [[윌리엄 스타이런]]. (~[[2006년]])
* [[6월 14일]] - 일본의 바둑 기사 [[후지사와 히데유키]]. (~[[2009년]])
* [[6월 25일]] - 미국의 영화배우 [[버지니아 패튼]]. (~[[2022년]])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춘사]].
* [[6월 29일]] - 이탈리아의 제11대 대통령, 정치인 [[조르조 나폴리타노]]. (~[[2023년]])
=== 7월 ===
* [[7월 2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유현목]]. (~[[2009년]])
* [[7월 10일]] - 말레이시아의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맛]].
* [[7월 20일]] - 프랑스의 경제학자, 정치인 [[자크 들로르]]. (~[[2023년]])
* [[7월 28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후안 알베르토 스치아피노]]. (~[[2002년]])
* [[7월 31일]] - 미국의 군인 [[샘 S. 워커]]. (~[[2015년]])
=== 8월 ===
* [[8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경인]]. (~[[2001년]])
** 프랑스의 사회학자 [[알랭 투렌]]. (~[[2023년]])
* [[8월 7일]] - 인도의 생물학자 [[M. S. 스와미나탄]]. (~[[2023년]])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정순]]. (~[[2014년]])
* [[8월 21일]] - 아르헨티나의 군인, 정치인 [[호르헤 비델라]]. (~[[2013년]])
* [[8월 22일]] - 잉글랜드의 배우 [[오너 블랙먼]]. (~[[2020년]])
* [[8월 28일]] - 미국의 배우, 가수 [[도널드 오코너]]. (~[[2003년]])
=== 9월 ===
* [[9월 2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백성희 (배우)|백성희]]. (~[[2016년]])
* [[9월 9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학자 [[김영관 (1925년)|김영관]]. (~[[2021년]])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양극필]]. (~[[2004년]])
* [[9월 16일]] - 미국의 음악인 [[B.B. 킹]]. (~[[2015년]])
* [[9월 17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해설·평론가 [[스기시타 시게루]]. (~[[2023년]])
=== 10월 ===
* [[10월 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양형섭]]. (~[[2022년]])
* [[10월 3일]] - 미국의 작가, 평론가, 영화배우 [[고어 비달]]. (~[[2012년]])
* [[10월 6일]] - 미국의 군인 [[히로시 미야무라]]. (~[[2022년]])
* [[10월 9일]] -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에밀리오 에두아르도 마세라]]. (~[[2010년]])
* [[10월 11일]] - 미국의 작가 [[엘모어 레너드]]. (~[[2013년]])
* [[10월 13일]] - 영국의 총리 [[마거릿 대처]]. (~[[2013년]])
* [[10월 16일]] - 영국의 배우 [[앤절라 랜즈베리]]. (~[[2022년]])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겸 미술가 [[신상옥]]. (~[[2006년]])
** 알바니아의 정치인 [[라미즈 알리아]]. (~[[2011년]])
* [[10월 29일]] - 영국의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 [[클라우스 로스]].
=== 11월 ===
* [[11월 10일]] - 영국의 배우 [[리처드 버턴]]. (~[[1984년]])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정범모 (1925년)|정범모]]. (~[[2022년]])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칼레 스벤손]]. (~[[2000년]])
* [[11월 17일]] - 미국의 배우 [[록 허드슨]]. (~[[1985년]])
* [[11월 19일]] -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 (~[[2017년]])
* [[11월 20일]] - 미국의 정치인, 변호사 [[로버트 F. 케네디]]. (~[[1968년]])
* [[11월 28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보지크 요제프]]. (~[[1978년]])
* [[11월 29일]] - 박정희 대한민국 전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 (~[[1974년]])
=== 12월 ===
* [[12월 6일]] - 일본의 왕족 [[히가시쿠니 시게코]]. (~[[1961년]])
* [[12월 8일]] - 이탈리아의 정치인 [[아르날도 포를라니]]. (~[[2023년]])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 [[김옥균 (주교)|김옥균]]. (~[[2010년]])
* [[12월 20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베니토 로렌치]]. (~[[2007년]])
* [[12월 27일]] - 프랑스의 배우 [[미셸 피콜리]]. (~[[2020년]])
=== 미상 ===
* 대한민국의 사회복지사 [[김임순]].
== 사망 ==
{{분류 참고|1925년 사망}}
* [[3월 4일]] - 독일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모리츠 모슈코프스키]]. ([[1854년]]~)
* [[3월 12일]] - 중화민국의 혁명가 [[쑨원]]. ([[1866년]]~)
* [[7월 26일]] - 독일의 수학자 [[고틀로프 프레게]]. ([[1848년]]~)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학자, 독립운동가 [[박은식]]. ([[1859년]]~)
== 노벨상 ==
* '''문학상''':
* '''물리학상''':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 달력 ==
{{연간달력|1925}}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1월 24일]] || [[무신 (간지)|무신]]
|-
| [[음력 2월|2월]] || [[기묘]] || 소 || [[2월 23일]] || [[무인 (간지)|무인]]
|-
| [[음력 3월|3월]] || [[경진]] || 대 || [[3월 24일]] || [[정미]]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대 || [[4월 23일]] || [[정축]]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4월 || || 소 || [[5월 23일]] || [[정미]]
|-
| [[음력 5월|5월]] || [[임오]] || 대 || [[6월 21일]] || [[병자]]
|-
| [[음력 6월|6월]] || [[계미]] || 소 || [[7월 21일]] || [[병오]]
|-
| [[음력 7월|7월]] || [[갑신]] || 대 || [[8월 19일]] || [[을해]]
|-
| [[음력 8월|8월]] || [[을유]] || 대 || [[9월 18일]] || [[을사]]
|-
| [[음력 9월|9월]] || [[병술]] || 소 || [[10월 18일]] || [[을해]]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대 || [[11월 16일]] || [[갑진]]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소 || [[12월 16일]] || [[갑술]]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대 || [[1926년]] [[1월 14일]] || [[계묘]]
|}
== 각주 ==
{{각주}}
[[분류:1925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작가 정보
|이름 = <!--위키데이터 값 불러오기-->값찾기
|원어이름 =
|그림 = 값찾기
|그림크기 =
|설명 =
|출생명 =
|출생일 = 값찾기
|출생지 = 값찾기
|사망일 = 값찾기
|사망지 = 값찾기
|필명 =
|별칭 =
|직업 = 값찾기
|언어 =값찾기
|국적 = 값찾기
|학력 = 값찾기
|활동 기간 =
|등단시기 =
|등단작 =
|장르 =
|주제 =
|사조 = 값찾기
|주요 작품 = 값찾기
|수상 = 값찾기
|스승 = 값찾기
|제가 = 값찾기
|배우자 = 값찾기
|부모 = 값찾기
|형제 = 값찾기
|동거인 = 값찾기
|자녀 = 값찾기
|친척 =값찾기
|영향 받은 인물 = 값찾기
|영향 준 인물 =
|서명 = 값찾기
|웹사이트 =
|묘소 = 값찾기
|묘비 = 값찾기
}}
'''아메드 살만 루슈디 경'''({{Llang|en|Sir Ahmed Salman Rushdie|샐만 루슈디}}, {{IPA-en|sælˈmɑːn ˈrʊʃdi|UK}}, [[1947년]] [[6월 19일]] ~ )은 [[인도]]에서 태어난 [[영국]]의 [[소설가]] · [[수필가]]이다. 그는 봄베이(현재의 [[뭄바이]])에서 태어나 자라났으며, 14살에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킹스 칼리지 (케임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역사]] 전공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다. [[부커상]]을 세차례 수상한 《[[한밤의 아이들]]》과 1988년에 발표되어 격렬한 비판을 받은 《[[악마의 시]]》로 유명하다. 그의 서사 스타일은 [[신화]]와 환상과 현실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마술적 사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기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작품 활동 ==
그의 작품 활동은 환상적인 이야기이자 [[과학 소설]]의 면모도 일부 보이는 《{{lang|en|Grimus}}》로 시작한다. 이 작품은 발표 당시 독서 대중과 비평가들에게서는 외면을 받았다. 그러나 다음 소설인 《[[한밤의 아이들]]》은 그에게 문학적인 명예와 부를 가져다주었고, 현재까지 그의 최고의 작품으로 일컬어진다. 이 작품은 그 후로 지금까지도 [[인도]] 및 [[탈식민지]] 현실의 글쓰기 형태를 규정하는 중요한 작품이 되었다. 이 작품으로 그는 광고 카피라이터 일을 그만두고 전업 작가의 길로 들어섰으며, 소설은 이후 1993년에 부커 중의 부커상({{llang|en|Booker of Bookers}})을 수상했다. 또한 2008년에는 최고의 부커상({{llang|en|The Best of the Booker}})을 수상했다. [[한밤의 아이들]]의 큰 성공 이후, 루슈디는 《[[수치]]》({{llang|en|Shame}})라는 소설을 집필했다. 이 두 작품은 [[마술적 사실주의]]의 스타일을 차용하여, 이민자로서의 관점으로 쓰여진 것이다.
루슈디는 《[[아라비안 나이트]]》,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등의 동양 고전 문학뿐만 아니라 현대 문학으로부터도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한밤의 아이들》은 [[귄터 그라스]]의 《[[양철 북]]》과 같은 소설들에서 주제를 빌려 왔으며, 루슈디 자신도 그러한 소설에 영감을 얻어 글쓰기를 시작했다고 말한 바 있다. 《[[악마의 시]]》는 명백히 [[미하일 불가코프]]의 고전 러시아 소설인 《[[거장과 마르가리타]]》과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Marriage of Heaven and Hell〉에 영향을 받았다고 작가 본인도 작품을 통해서 밝히고 있다.
《한밤의 아이들》과 《[[수치]]》({{llang|en|Shame}})의 주제는 각각 [[인도]]와 [[파키스탄]]이다. 그의 후기작에서, 루슈디는 《[[무어의 마지막 한숨]]》({{llang|en|The Moor's Last Sigh}})라는 작품을 가지고 스페인으로 작품의 무대를 확장했고, 인도와 [[이베리아반도]]간의 상업/문화적인 연결을 탐구했으며, 《[[그녀 발아래 땅]]》({{llang|en|The Ground Beneath Her Feet}})에서는 인도 사회와 미국 [[록앤롤]]의 상호 영향과 국경을 넘나드는 사랑에 대해 다루었다. 《[[한밤의 아이들]]은 루슈디의 작품으로 최고의 것이라는 찬사를 얻었다. 그러나 1989년 이후의 작품들은 《악마의 시》와 비슷한 관점에서 비판과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루슈디는 그의 작품들로 인해 부커상, 유럽 연합 문학상 등 수많은 다른 상들을 수상했다. 또한 그는 왕립문학협회와 {{lang|fr|Commandeur des Arts et des Lettres}}의 회원이기도 하다.
== 《악마의 시》 논쟁 ==
1988년 《[[악마의 시]]》의 출판은 예언자 [[무함마드]]에 대한 불경스러운 묘사로 [[원리주의]] [[이슬람]] 세계로부터 많은 비난을 불러 일으켰다. 1989년 2월 14일 이슬람 [[시아파]] [[루홀라 호메이니]]가 그의 책을 "이슬람에 불손한" 것으로 규정하며 루슈디의 처형을 명령하는 격문인 [[파트와]](fatwa)를 내걸었다. 더 나아가 호메이니는 그를 [[이슬람]]을 떠나길 시도하는 배교자로 선고하고 [[코란]]에 의해 죽음으로 처벌 받아 마땅하다고 비난했다. 이는 루슈디가 소설에서 [[이슬람교]]를 희화화하고 [[무함마드]]의 부인들을 창녀로 묘사한데서 기인한 것이었다. 호메이니는 모든 ‘독실한 무슬림’들에게 공개적으로 루슈디 뿐 아니라 책을 출판한 이도 처형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고 나서 [[2월 24일]] 호메이니는 루슈디의 목에 300만 달러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루슈디는 그로부터 약 10년 가까이 [[영국]]의 보호 아래 숨어 살았다.
이 기간 동안, [[인도]]와 [[파키스탄]], [[이집트]]에서의 폭동으로 인해 여러 명이 죽었다. 1990년 루슈디는 수필집인 《{{lang|en|In Good Faith}}》를 내어 그에게 향한 비난을 진정시키고, 이슬람에 대한 존경을 표시하며 사과하고자 했다. 그러나 발의한 본인 이외에는 철회할 수 없는 파트와의 특성상, 이때는 이미 [[파트와]]를 내건 [[루홀라 호메이니|호메이니]]가 사망하였기 때문에 [[이란]] 성직자들은 기존의 선고를 철회하지 못했다.
1989년에 [[호메이니]]가 사망한 이후, [[이란]] 정부는 공개적으로 루슈디에 대한 사형 선고를 "집행하지 않을 것"임을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이는 [[이란]]과 [[영국]] 간의 관계 정상화라는 더 큰 명분으로 동의가 가능했다. 그 후 루슈디는 숨어 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몇몇 [[이슬람 원리주의]] 그룹들은 그에 대한 응징 의지를 거두지 않고 있다. 그 예로 1999년 이란의 한 단체는 루슈디의 머리에 280만 달러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악마의 시》는 인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금서로 지정되었고, 영국의 몇몇 아시아인 거주지에서는 거리에서 불태워지기도 했다. 1991년에는 이를 [[일본어]]로 번역한 [[이가라시 히토시]] 교수가 살해당하는 일도 발생했다. 그리고 1993년에는 [[노르웨이]] 쪽 [[출판사]] 사장도 공격을 받아 부상당했다. 2022년에는 루슈디가 미국 [[뉴욕주]]의 한 교육센터에서 강연하던 도중 한 레바논계 미국인 남성에게서 칼에 찔려 중상을 입었다.
== 작품 목록 ==
=== 픽션 ===
* 《{{lang|en|Grimus}}》
* 《[[한밤의 아이들]]》({{llang|en|Midnight’s Children}})
* 《[[수치]]》({{llang|en|Shame}})(1983)
* 《[[악마의 시]]》({{llang|en|The Satanic Verses}})
* 《{{lang|en|Haroun and the Sea of Stories}}》
* 《{{lang|en|East, West}}》
* 《{{lang|en|The Moor's Last Sigh}}》
* 《{{lang|en|The Ground Beneath Her Feet}}》
* 《[[분노]]》({{llang|en|Fury}})
* 《[[광대 살리마르]]》({{llang|en|Shalimar the Clown}})
* 《{{lang|en|Enchantress of Florence}}》
=== 논픽션 ===
* 《{{lang|en|The Jaguar Smile}}》
* 《{{lang|en|Imaginary Homelands}}》
* 《{{lang|en|The Wizard of Oz}}》
=== 시나리오 ===
* 《{{lang|en|Midnight's Children}}》
=== 문집 ===
* 《{{lang|en|The Vintage Book of Indian Writing}}》 — 세 번째 부인인 엘리자베스 웨스트와 공동 편집.
== 서훈 ==
* 2007년 [[기사작위]]({{lang|en|Knight Bachelor}}) 서임<ref>{{저널 인용 |성= |이름= |날짜=2007-06-16 |제목=Supplement No. 1: Birthday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번역제목= |url=https://www.thegazette.co.uk/London/issue/58358/supplement/1 |언어=en |저널=The Gazette |위치=런던 |출판사= |호=58358 |쪽=B1 }}</ref>
== 같이 보기 ==
* [[루홀라 호메이니]]
* [[악마의 시]]
* [[표현의 자유]]
* [[사상의 자유]]
* [[이슬람 근본주의]]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Salman Rushdie}}
{{포털|문학}}
* [http://www.subir.com/rushdie.html 작품 요약 및 인터뷰].
* [http://www.levity.com/corduroy/rushdie.htm 관련 링크 종합].
* http://www.kyobobook.co.kr/booklog/myBooklog.laf?memid=sukjoo7&booklogCatId=1&booklogId=452268{{깨진 링크|url=http://www.kyobobook.co.kr/booklog/myBooklog.laf?memid=sukjoo7&booklogCatId=1&booklogId=452268 }}
{{맨부커상 수상자}}
{{전거 통제}}
{{기본정렬:루슈디, 살만}}
[[분류:1947년 출생]]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이슬람교 관련 논란]]
[[분류:영국의 소설가]]
[[분류:영국의 작가]]
[[분류:영국의 수필가]]
[[분류:영국의 기사]]
[[분류:맨부커상 수상자]]
[[분류:인도계 잉글랜드인]]
[[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
[[분류:에모리 대학교 교수]]
[[분류:영국의 무신론자]]
[[분류:테러 피해자]]
[[분류:미국에 거주한 영국인]]
[[분류:영국의 회고록 작가]]
[[분류:인도의 텔레비전 각본가]]
[[분류:잉글랜드의 여성주의자]]
[[분류:인도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분류:인도에서 잉글랜드로 이민간 사람]]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벨라루스 표}}
'''벨라루스 공화국'''({{llang|be|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레스푸블리카 벨라루스}}, {{llang|ru|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레스푸블리카 벨라루시}}), 약칭 '''벨라루스'''({{llang|be|Белару́сь|벨라루스}}, {{llang|ru|Белору́ссия|벨로루시야}}, {{문화어|벨라루씨}})는 [[동유럽]]에 있는 [[내륙국]]이다. 수도는 [[민스크]]이며, 민족 구성은 [[동슬라브족]]에 속하는 [[벨라루스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도 있다. 이 나라는 [[러시아]]와 매우 유사한 나라이며, 또한 [[친러]] 성향이 가장 강한 국가이며, [[러시아어]]도 사용한다.
== 개요 ==
동쪽으로는 [[러시아]], 서쪽으로는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남쪽으로는 [[우크라이나]], 북쪽으로는 [[라트비아]]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수도는 [[민스크]]이다. 공용어는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이다. 1922년부터 1991년까지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벨라루스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1922년 [[소련]]에 편입됐다. 1990년 주권을 선언하고 1991년 독립을 선언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와 함께 [[독립국가연합]] 창설을 주도했다.
빙하 작용을 받은 평원국으로 기후는 대서양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화하다. 주민은 벨라루스인이 78%, 러시아인이 13%, 폴란드인 4%, 우크라이나인 3% 등이다. 산업이 특히 발달했으며 기계공업이 전체 공업생산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트랙터, 농기계, 공작기계, 전기·무선기기 및 전자계산기 등이 유명하다. 반면에 석유, 가스, 화학 공업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1992년 가격 자유화 조치를 단행했다.<ref>《[[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세계의 여러 나라/독립국가연합·동유럽/우크라이나·벨라루스·몰도바#벨라루스 공화국|벨라루스 공화국]]〉</ref> 벨라루스 사람들은 흰 옷을 즐겨입는 풍습이 있으며 전통 무늬가 새겨진 옷은 전통 의상이다. 또한, 가옥도 흰 색으로 칠하는 문화도 있다. 이 나라에서는 흰색은 상징색이나 사실상 마찬가지인 것이다.
== 국호 ==
벨라루스라는 국호는 '''하얀루스'''({{llang|be|''Белая Русь''|벨라야 루스}})라는 표현에서 왔다. [[러시아 제국]] 시절에는 [[러시아어]]로 '''벨로루시야'''(Белоруссия, Belorussia)라고 불렀다. 또, 대한민국에서는 이로 인해 한때 '''백러시아'''라고도 불렀다. 하지만, 실제 벨라루스는 White Ruthenia를 의미한다. [[1991년]] [[9월 19일]] 당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최고회의는 러시아어 국호를 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 (Respublika Belarus'), 줄여서 Беларусь (Belarus')로 표기하며 다른 언어로 표기할 때에도 이 발음을 따르도록 한다는 내용의 법을 고시하였다.<ref>{{웹 인용|url=http://pravo.kulichki.com/zak/year1991/doc47159.htm |제목=벨라루스 공화국 법 - 벨라루스 공화국의 명칭에 관하여 |확인날짜=2008-12-15 |날짜=1991-09-19 |출판사=프라보 - 벨라루스 공화국 법 |언어=러시아어 }}</ref> 이에 따라 [[영어]] 국호도 Belorussia에서 Belarus로 바뀌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1년]] [[12월 10일]] 정부·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이 국호를 '''벨로루시'''로 표기하기로 결정하였으나 벨라루스 정부의 요청에 따라 [[2008년]] [[12월 11일]] 제82차 회의에서 표기를 '''벨라루스'''로 수정하였다.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절에는 현 벨라루스 지역을 가리키는 말로 '하얀 러시아'라는 뜻으로 '''백러시아'''라는 명칭을 쓰기도 했다. 벨라루스를 이를 때 '하얀 러시아'라고 직역되는 명칭을 흔히 사용하는 경우로는 [[독일어]]의 '''바이스루슬란트'''(Weißrussland), [[네덜란드어]]의 '''빗뤼슬란트'''(Wit-Rusland), [[그리스어]]의 '''레프코로시아'''(Λευκορωσία) 등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때 '''백로씨야'''로 불렸으나 이후 '''벨라루씨'''로 표기가 정해졌다.
== 지리 ==
벨라루스는 국토의 거의 대부분이 평야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접국인 [[우크라이나]]와 다르게 바다가 없는 [[내륙국]]이며, 폴란드와는 [[비아워비에자 삼림]]을 공동으로 보호하고 있으며, 이 삼림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세계 자연 유산]]으로도 지정되었다. [[드네프르강]]이 국토 일부에서 조금 흐르고 있다.
== 역사 ==
{{본문|벨라루스의 역사}}
{{본문|러시아화}}
6세기부터 [[동슬라브족]]이 벨라루스 땅에 들어온 후 9세기 경에 형성된 [[키예프 루스]]의 구성 국가 중 하나인 [[폴라츠크 공국]]이 오늘날 벨라루스 지역에 존재하였으며, 1240년 [[몽골]]의 침략 뒤 벨라루스 땅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가 되었다. 그 후 폴란드 분할 때인 18세기 때 벨라루스 땅은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 때, 독일이 벨라루스 땅을 차지하게 된 후인 [[1918년]] [[3월 25일]]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하지만 실질적 국가의 모습을 갖추지 못한 채 [[1919년]] [[1월 5일]] [[붉은 군대]]가 [[민스크]]에 들어오면서 해체되었다. 벨라루스는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나치 독일]]은 소련을 침략하면서 벨라루스 땅은 독일군의 점령하에 들어가고 벨라루스 중앙 라다라는 나치 독일의 [[괴뢰 정부]]가 세워졌다. [[벨라루스인]]들의 게릴라식 저항은 많은 성과를 올렸지만 벨라루스 인구의 4분의 1이 희생되는 등 피해가 막심했다. 독일의 패전 후 벨라루스는 다시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파일:Alexander Lukashenko in April 2021.jpg|섬네일|벨라루스의 현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소련이 해체되면서 벨라루스는 [[1990년]] [[7월 27일]] 독립을 선언하였다. 91년 12월 벨라루스는 [[독립국가연합]]의 회원국이 되었고 초대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대통령의 권한을 강화시키고 97년부터 [[러시아]]와 국가 연합을 결성하기로 하였다. 2001년에 루카셴카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2004년]]에 루카셴코 대통령은 3선에 성공했다. [[2007년]]에 러시아와 에너지 분쟁이 있었다. [[2008년]] [[9월 28일]]에 벨라루스는 총선을 시작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4&sid2=233&oid=003&aid=0002301303 벨로루시 총선 시작…자유 선거 실시 여부 관심]</ref> 하지만 총선에서 여당의 승리로 끝이 났다.<ref>{{웹 인용 |url=http://kr.ibtimes.com/article/news/20080929/4130591.htm# |제목=벨로루시 총선 여당 압승 야당 참패로 끝나 |확인날짜=2008-09-29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25081704/http://kr.ibtimes.com/article/news/20080929/4130591.htm# |보존날짜=2013-05-25 |url-status=dead }}</ref> [[2010년]] [[8월 3일]]에 루카셴코 대통령은 [[독립국가연합]] 정상들 앞에서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를 독립국으로 인정하겠다는 말을 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589223 "벨라루스, 압하지야.남오세티야 독립국 인정"]</ref> [[2010년]] [[12월 19일]]에 있었던 선거에서 루카셴코가 4선에 성공했다. 하지만 야당 지도자와 벨라루스 국민 수만명은 항의 시위를 하다 경찰에 체포되었고,<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829541 루카센코 벨라루스 대통령 4선 성공]</ref> 미국과 EU는 벨라루스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2218262 미국-EU, 벨라루스에 초강수]</ref> [[2011년]] [[1월 21일]] 벨라루스에서는 루카셴코의 4번째 임기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지만, EU는 취임식을 보이콧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9&aid=0002156765 벨로루시 대통령 4번째 취임식…서방 보이콧]</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878771 벨라루스 대통령 취임식 '썰렁']</ref> 그리고 미국은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 조치를 준비하기 시작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3665861 미국,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조치 준비]</ref> [[2012년]] [[9월 23일]]에 하원의원을 뽑는 총선이 실시되었지만, 야당이 전면보이콧하면서 반쪽짜리 선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2&aid=0000425316 벨라루스, 총선 실시]</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4729930 벨라루스, 총선 실시…야당 전면 보이콧]</ref> 그리고 선거에서 여당후보자들이 전부 당선되면서 야당후보는 한명도 당선되지 못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47&aid=0002009375 야당 당선자 '0명'... 수상한 벨라루스 총선]</ref> 하지만 러시아는 벨라루스의 총선을 지지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839700 러, 서방이 비판한 벨라루스 총선 결과 지지]</ref> EU는 벨라루스에 대한 제재를 [[2013년]] [[10월]] 말까지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96&aid=0000205928 EU, 대 벨라루스 제재 1년 연장 결정]</ref> [[2020년]] [[8월]]에 치뤄진 [[2020년 벨라루스 대통령 선거|대선]]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현 대통령이 연속으로 성공하였다. [[2020년]] [[9월 23일]]경 여섯번째 임기 취임식을 진행했다. 2030년까지 러시아에 재편입된다.
== 사고 ==
[[1986년]] [[4월 26일]] 인접국인 [[우크라이나]]의 [[프리피야티]]에 소재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폭발사고]]가 발생하였는데 당시 바람의 방향으로 인하여 낙진의 거의 대부분이 벨라루스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벨라루스 전 국토의 4분의 1이 방사능 오염지역이 되었으며 수 많은 벨라루스 국민들이 [[피폭]]당했다.
2011년 4월 11일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2011년 민스크 지하철 폭탄 테러]]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15명이 사망했고, 204명이 부상당했다.
== 문화 ==
벨라루스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의 영향을 받았으며 전통 의상으로 햐안 바탕에 빨간색이 합쳐진 옷을 즐겨입는 문화가 있다. 그래서, 벨라루스 사람들은 가옥을 흰색으로 칠하기도 한다. 특히 전통 무늬가 들어간 옷은 벨라루스의 전통적인 의상이다. 이 밖에도 러시아의 지배 영향을 받아서 국민이 러시아인과 유사하기도 하다.
=== 언어 ===
공용어는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이다. [[1995년]]의 국민투표에 의해 [[러시아어]]가 정식으로 공용에서 추가되었다. 민스크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주민이 러시아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주민도 있다. 2009년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60%가 벨라루스어가 모국어였지만, 주민의 거의 대부분(70%)는 집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했다<ref>(http://demoscope.ru/weekly/2010/0433/panorm01.php#26 Белорусский язык назвали родным 60 % жителей республики) [[데모스코프 위클리]]</ref>. 일부는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등 소수 민족어도 사용한다.
=== 종교 ===
{{bar box
|title=종교 구성 (벨라루스)
|titlebar=#ddd
|float=right
|bars=
{{백분율 막대|[[동방 정교회]] |purple|48.3}}
{{백분율 막대|[[무종교]] |gray|41.1}}
{{백분율 막대|[[천주교회]]|blue|7.1}}
{{백분율 막대|[[이슬람교]] |green|0.2}}
{{백분율 막대|기타|red|3.3}}
}}
종교는 [[벨라루스 정교회]]가 거의 대부분이다. 하지만 구 소련의 영향으로 무종교인도 많다. 문화와 일상생활, 명절 등은 정교회의 기준을 따르며, 무종교인 국민도 대부분 정교회 관습을 따른다. 그 외 [[벨라루스 자치 정교회]], [[천주교]], [[개신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을 믿고 있다(1997년 추계).
[[파일:Bo-map.png|right|200px|벨라루스 지도]]
== 정치 ==
벨라루스 공화국은 [[대통령제]] 공화국이며, 임기는 5년 중임제이고 재선이 가능하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민주주의 지수]] 조사에 따르면 독재국가로 분류된다. 1991년 당시에 [[스타니슬라프 슈시케비치]]가 [[벨라루스 SSR]]의 [[벨라루스의 대통령|최고 지도자]]로 선출된 바 있으나, 3년 만에 지도자직에서 물러났다. 1994년 7월 20일부터 [[벨라루스의 대통령|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현재까지 집권중이다.
독립한 1990년대부터 선거 등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검열 등 여러 자유권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 행정 구역 ==
{{본문|벨라루스의 주}}
벨라루스의 행정구역은 6개주와 1특별시로 구성된다
=== 대외 관계 ===
{{본문|벨라루스의 대외 관계}}
벨라루스는 독립 직후인 1992년부터 [[러시아]]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 중이며 루카셴코 대통령은 벨라루스를 러시아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통합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ref>[https://www.reuters.com/article/us-belarus-election/russia-turns-on-belarus-over-odious-detention-of-alleged-mercenaries-idUSKCN24V179 Russia turns on Belarus over odious detention of alleged mercenaries - Reuters]</ref>
[[유럽 평의회]]는 1996년부터 부정선거에 대한 반대의 의미로 벨라루스의 회원국 자격을 정지시켰고, 벨라루스는 현재 유럽 국가들 중 유일한 비회원국으로 있다.
== 국적 ==
벨라루스는 [[이중 국적]]을 인정하는 국가이며, 벨라루스 국적자가 타 국적을 보유 할 경우 이중국적이 된다. 벨라루스 국적 획득 자격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출처|날짜=2018-03-15}}
== 군사 ==
벨라루스 [[헌법]]에 따르면, [[징병제]]를 실시한다. [[육군]]은 [[기갑]] 위주로 편성되어있다. [[공군]]은 [[육군]]보다 전투력이 더 뛰어나다고 한다.
== 인구 ==
{{본문|벨라루스의 인구}}
주민은 [[벨라루스인]]이 81.2%, [[러시아인]]이 11.4%, 그 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이 7.4%, [[유대인]]과 기타가 0.3%이다(1999년).
== 교통 ==
{{참고|벨라루스의 철도}}
벨라루스는 [[서유럽]]과 [[러시아]]를 잇는 철도역이 있으며, 민스크 시는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버스]], [[택시]], [[민스크 국제공항|공항]] 등이 정비되어 있다.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위키공용과 분류|Belarus}}
{{위키여행|en:Belarus|벨라루스{{언어링크|en}}}}
* {{언어링크|ru|en}} [http://president.gov.by/ 벨라루스 대통령 공식 사이트]
* {{언어링크|ru|en}} [http://www.mfa.gov.by/ 벨라루스 외무부]
* {{언어링크|ru|ko}}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0459/http://www.belarus.or.kr/ 주 대한민국 벨라루스 대사관]
* [https://web.archive.org/web/20081222210540/http://blr.mofat.go.kr/kor/eu/blr/main/index.jsp 주 벨라루스 대한민국 대사관]
* [http://www.shoestring.co.kr/destinations/europe/bel-text.htm 벨라루스]{{깨진 링크|url=http://www.shoestring.co.kr/destinations/europe/bel-text.htm }}
* [https://web.archive.org/web/20050418225815/http://www.skas.co.kr/belarus.htm 벨라루스 정보]
{{벨라루스}}
{{유럽}}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특별여행경보제도 흑색 경보 발령 지역}}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특별여행경보제도 적색 경보 발령 지역}}
{{독립국가연합}}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EURASEC}}
{{CSTO}}
{{상하이 협력 기구}}
{{전거 통제}}
[[분류:벨라루스| ]]
[[분류:내륙국]]
[[분류:유엔 회원국]]
[[분류:러시아어권]]
[[분류:폴란드어권]]
[[분류:벨라루스어권]]
[[분류:슬라브어권]]
[[분류:독립국가연합 회원국]]
[[분류:상하이 협력 기구 회원국]]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다른 뜻 넘어옴|그랜드 피아노|영화|그랜드 피아노 (영화)}}
{{악기 정보
| 이름 = 피아노(piano)
| 별칭 =
| 그림 = Steinway & Sons concert grand piano, model D-274, manufactured at Steinway's factory in Hamburg, Germany.png
| 그림설명 = 스타인웨이 그랜드 피아노
| 배경 =
| 분류 = 건반 악기
| 호른보스텔_작스 =
| 호른보스텔_작스_설명 =
| 발명가 =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 발전 =
| 음역 =
| 관련 = * [[건반 악기]]
| 음악가 = * [[피아노 연주자]]
| 장인 =
| 더 보기 =
}}
'''피아노'''({{llang|en|piano}})는 대표적인 건반악기로서<ref>{{웹 인용|url=http://www.thefreedictionary.com/pianoforte|title=Definition of "pianoforte"|last=|first=|date=|website=|publisher=|access-date=January 26, 2017}}</ref> '''피아노포르테'''({{llang|en|pianoforte}})의 준말이다. 총 88개의 건반으로 구성되어<ref name="pollens">Pollens (1995, 238)</ref> 나무로 된 작은 망치가 강철 프레임에 고정된 [[피아노줄]]을 건반으로 소리를 낸다. 18세기 초 [[이탈리아]]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Christofori, B.)가 고안하여 [[독일]]에서 완성하였다…
== 역사 ==
오늘날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일반적인 유건타현(有鍵打絃)악기이다. 피아노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쳄발로]]와 [[클라비코드]]가 가장 많이 보급된 건반악기였으나, [[1709년]]에 이탈리아 사람인 쳄발로 제작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lang|en|Bartolommeo Cristofori}} 1655-1731)가 [[쳄발로]]의 몸통(胴)을 써서 ‘포르테피아노’라고 이름붙인 악기를 만들었다. 이것이 피아노의 효과적인 최초의 고안이어서, 그가 피아노의 발명자로 되어 있다. [[쳄발로]]나 [[클라비코드]]는 음이 작아 실내 연주용 외는 쓰이지 않던 것이었으나 이 발명은 현을 펠트로 된 해머로 쳐서 음을 내고, 댐퍼를 붙인 것으로 거의 오늘날의 피아노와 다름이 없는 것이었다. 이로써 음은 힘차고 크게 되어 넓은 스테이지의 연주나 그 밖의 악기와 조화를 이루는 합주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간 [[독일]]이나 [[프랑스]]에서도 제조기술의 연구가 종종 있었고 18세기의 중엽(바흐나 헨델이 일생을 마칠 무렵)부터 각국에서 본격적으로 피아노를 제작하게 되었다. 그 뒤 많은 개량이 가해졌고 특히 [[현]]이 굵어졌으며 액션(손가락의 누른 키가 현을 칠 때까지의 장치)이나 댐퍼 등의 정교한 것 등이 나오게 되어 현재의 피아노에 이르기까지 진보하였고, 피아노의 원래 이름은 피아노포르테였다.
== 피아노의 형태 ==
[[파일:Steinway & Sons upright piano, model K-132, manufactured at Steinway's factory in Hamburg, Germany.png|섬네일|300px|업라이트 피아노]]
피아노에는 그랜드형({{lang|en|Grand piano}})과 업라이트형({{lang|en|Upright piano}})의 두 가지 형태가 있고, 각각 소형에서 대형까지 여러 가지 크기가 있다. 그랜드형이 피아노 본래의 형태이며 이 형태는 [[쳄발로]]의 형태에서 생긴 것으로 음량도 크다. 피아노는 철골틀에 현을 매었고 그 틀의 뒷면에 울림판이 있어 해머로 친 현의 진동을 울림판으로 확대한다. 현은 피아노선이라고 하는 특수한 강철선으로서 낮은음부의 현은 그 선의 둘레를 구리선(銅線)으로 감아 낮은 음현일수록 굵고 높은 음현일수록 가늘다. 페달은 보통 3개가 있고 악기를 향해서 오른쪽은 보통 댐퍼 페달이라 하여 밟으면 전체 댐퍼가 일시에 현에서 떨어져서 두드린 음은 긴 여운을 가지게 된다. 왼쪽 페달은 그랜드와 업라이트와는 조금 구조가 다르나 음량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쓰인다. 피아노의 키의 수효는 52, 64, 76, 88 등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것은 88건이며 그 음역은 A0에서 C8까지로 7옥타브 이상이나 된다.
피아노는 건반으로 누르면서 치는 악기이다.
== 피아노 연주 ==
{{독자 연구 문단|날짜=2021-08-13}}
피아노의 가격은 700만원부터 3억원까지 천차만별이라고 한다.{{듣기
|파일이름=Frederic Chopin - Opus 25 - Twelve Grand Etudes - c minor.ogg
|제목=19세기 피아노 연주
|설명=[[쇼팽]]의 [[에튀드]] Op.25,No.12, 1851년 제작된 에라드피아노로 연주.
}}{{듣기
|파일이름=Frederic Chopin - etude no. 12 in c minor, op. 25.ogg
|제목=현대 피아노 연주
|설명=현대 피아노로 같은 곡 연주
}}
피아노 주법은 [[19세기]]에 극도로 발달하여 황금시대를 맞이하였다. [[베토벤]] 이후 [[카를 마리아 폰 베버|베버]], [[슈베르트]], [[멘델스존]] 등을 거쳐서 [[쇼팽]], [[로베르트 슈만|슈만]], [[프란츠 리스트|리스트]], [[브람스]] 등의 대작곡가가 피아노 음악의 알차고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베토벤의 음악은 웅장한 느낌을 주는 편이다.쇼팽이나 [[프란츠 리스트|리스트]]의 음악은 피아노의 특징적인 아름다움을 완전히 살리고 있으며 또 양 손가락의 운동이나 페달의 효과를 극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 [[재즈 피아노]]
* [[오르간]]
* [[타악기]]
* [[하프시코드]]
== 각주 ==
{{각주}}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악기}}
{{전거 통제}}
[[분류:피아노| ]]
[[분류:건반악기]]
[[분류:현울림악기]]
[[분류:이탈리아의 발명품]]
[[분류:리듬 섹션]]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프로그래밍 언어 정보
|이름=C
|로고=The C Programming Language logo.svg
| logo size = 140px
|패러다임=[[명령형 프로그래밍]] ([[절차적 프로그래밍]]), [[구조적 프로그래밍]]
|연도=[[1972년]]
|설계자=[[데니스 리치]]
|개발자=[[데니스 리치]], [[벨 연구소]]
|형 체계=
|구현체=K&R, [[GNU 컴파일러 모음|GCC]], [[클랭]], [[인텔 C++ 컴파일러|인텔 C]], [[비주얼 C++|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C++]], [[:en:Pelles C|펠리스 C]], [[:en:watcom C/C++|와콤 C]]
|파일 확장자=.c,.h
|방언=[[:en:Cyclone (programming language)|사이클론]], [[:en:Unified Parallel C|언티프 펠럴 C]], [[:en:Split-C|스플릿-C]], [[:en:Cilk|시크]], [[:en:C*|C*]]
|영향을 받은 언어 = [[B (프로그래밍 언어)|B]] ([[BCPL]], [[CPL (프로그래밍 언어)|CPL]]), [[:en:ALGOL 68|알콜 68]], [[어셈블리어]], [[PL/I]], [[포트란]]
|영향을 준 언어 = [[:en:AMPL|AMPL]], [[AWK]], [[C 셸]], [[C++]], [[:en:C--|C--]], [[C 샤프|C#]], [[오브젝티브-C]], [[:en:BitC|비트C]], [[D (프로그래밍 언어)|D]], [[Go (프로그래밍 언어)|Go]],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자바]], [[자바스크립트]], [[줄리아 (프로그래밍 언어)|줄리아]], [[:en:Limbo (programming language)|림보]], [[:en:LPC (programming language)|LPC]], [[펄]], [[PHP]], [[:en:Pike (programming language)|피킷]], [[프로세싱 (프로그래밍 언어)|프로세싱]], [[파이썬]], [[러스트 (프로그래밍 언어)|러스트]], [[:en:Seed7|세드7]], [[V (프로그래밍 언어)|V]], [[발라 (프로그래밍 언어)|발라]], [[베릴로그]],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언어)|스위프트]]
|라이선스 =
|최근 버전 = [[C17 (C 버전)|C17]]
|최근 버전 출시일 = {{시작 날짜와 나이|2018|6}}
| latest preview version = [[C2x]] ([http://www.open-std.org/jtc1/sc22/wg14/www/docs/n2731.pdf N2731])
| latest preview date = {{시작 날짜와 나이|2021|10|18}}<ref name="dReNK">{{웹 인용|url=https://en.cppreference.com/w/c/language/history |title=History of C |last=Fruderica |date=13 December 2020 |work=The cppreference.com |access-date=24 October 2020 |archive-date=October 24, 2020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1024212333/https://en.cppreference.com/w/c/language/history |url-status=live }}</ref>
}}
'''C'''는 [[1972년]] [[켄 톰슨]]과 [[데니스 리치]]가 벨 연구소에서 일할 당시 새로 개발된 [[유닉스]]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켄 톰슨은 BCPL언어를 필요에 맞추어 개조해서 "B"언어(언어를 개발한 벨 연구소의 B를 따서)라 명명했고, [[데니스 리치]]가 이것을 개선하여 C 언어가 탄생했다. 유닉스 시스템의 바탕 프로그램은 모두 C로 작성되었고, 수많은 운영 체제의 [[커널 (컴퓨팅)|커널]] 또한 C로 만들어졌다. 오늘날 많이 쓰이는 [[C++]]는 C에서 파생된 객체 지향형 언어이다.
이는 오늘날의 널리 쓰이는 거의 모든 [[운영 체제]] [[커널 (컴퓨팅)|커널]]이 C를 이용해 구현된 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C는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에 매우 적합하지만,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도 많이 쓰이기도 한다.
== 예제 ==
이 예제는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예제이다.<syntaxhighlight lang="c">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예제이다.
#include <stdio.h> //stdio.h 라는 헤더를 가져온다
int main() { //메인메소드의 시작지점으로 , 메인메소드의 시작이라는걸 알려준다.
printf("Hello World!"); //printf 구문과 Hello World! 로 Hello World를 출력한다.
return 0; //숫자 0을 리턴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리턴0 안하면 스택에 메모리 쌓여서 조심해야한다.
} //메인 메소드의 끝을 알린다.
</syntaxhighlight>
== 역사 ==
* [[1963년]] - [[ALGOL 60]]에서 [[CPL (프로그래밍 언어)|CPL]]이 파생
* [[1969년]] - [[BCPL]] 개발
* [[1970년]] - [[B (프로그래밍 언어)|B 언어]] 개발
* [[1972년]] - [[벨 연구소]] (Bell Laboratories) 에 있는 Dennis Ritchie가 B의 후속으로 C 개발
* [[1983년]] - [[미국 국가 표준 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에서 [[짐 브로디]](Jim Brodie) 주축으로 [[X3J11 위원회]] 소집
* [[1983년]] [[12월 14일]] - ANSI X3.159-1989 라는 공식명칭으로 C 언어 표준 지정
* [[1999년]] - [[C99]] 표준안이 ISO/IEC 9899:1999라는 명칭으로 출간됨
* [[2000년 5월]] - ANSI의 표준으로 C99가 채택됨
* [[2011년]] - [[12월 8일]] [[C11]] 표준안이 ISO/IEC 9899:2011라는 명칭으로 출간됨
* [[2018년]] - [[C17]] 표준안이 ISO/IEC 9899:2018이라는 명칭으로 출간됨<ref>{{웹 인용|url=https://en.cppreference.com/w/c/language/history|제목=History of C - cppreference.com|확인날짜=2021-07-12}}</ref>
=== 초기 개발 ===
[[파일:Ken Thompson and Dennis Ritchie.jpg|섬네일|C 언어의 개발자인 켄 톰슨과 데니스 리치.]]
C 언어의 초기 개발은 1969년부터 1973년까지 4년에 걸쳐 [[AT&T 벨 연구소]]에서 이루어졌으며,<ref name="dottcl">{{웹 인용 |url=http://cm.bell-labs.com/cm/cs/who/dmr/chist.html |title=The Development of the C Language |quote=The scheme of type composition adopted by C owes considerable debt to Algol 68, although it did not, perhaps, emerge in a form that Algol's adherents would approve of. |last=Ritchie |first=Dennis M. |authorlink=데니스 리치 |date=1993-01 |accessdate=2008-01-01 |archive-date=2013-06-22 |archive-url=https://www.webcitation.org/6HZA6qfVb?url=http://cm.bell-labs.com/cm/cs/who/dmr/chist.html |url-status=dead }}</ref> [[데니스 리치]]의 말에 따르면, 가장 창의적인 작업이 이루어진 기간은 1972년이었다. 언어의 이름이 'C'인 이유는 그 특징이 'B' 언어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이며, [[켄 톰슨]]에 의하면, B 언어는 BCPL 언어의 기본만 남긴 버전이다.
리치와 톰슨에 의해 초기에 [[PDP-7]]의 어셈블리 언어로 구현되었던 [[유닉스]] 운영체제의 개발과 C 언어의 기원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결국 그들은 유닉스 운영체제를 [[PDP-11]]로 포팅하기로 결정하였다. PDP-11의 기능의 일부, 특히 [[바이트]] 접근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B 언어의 부족함이 C 언어의 초기 버전의 개발을 이끌었다.
유닉스의 초기 PDP-11 버전은 어셈블리로 개발되었다. 1973년에 <code>struct</code> 자료형의 추가로, C 언어는 유닉스의 대부분을 C로 쓸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해 졌다. 유닉스는 어셈블리가 아닌 언어로 구현된 최초의 운영체제 커널 중의 하나였다.(더 빠른 사례는 [[PL/I]]로 쓰인 [[Multics]] 시스템, [[ALGOL]]로 쓰인 Burroughs B5000을 위한 MCP(Master Control Program)가 있다.) 1977년 경, 리치와 스티븐 C. 존슨이 유닉스 운영체제의 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 언어를 추가적으로 변경하였다. 존슨의 [[Portable C Compiler]]는 새로운 플랫폼에서의 C의 구현의 기초가 되었다.<ref name="unixport">{{저널 인용 |last1=Johnson |first1=S. C. |authorlink1=존슨 스테판 |last2=Ritchie |first2=D. M. |authorlink2=데니스 리치 |title=Portability of C Programs and the UNIX System |journal=Bell System Tech. J. |year=1978 |volume=57 |issue=6 |pages=2021–2048 |url=http://cm.bell-labs.com/cm/cs/who/dmr/portpap.pdf |accessdate=2012-12-1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203071356/http://cm.bell-labs.com/cm/cs/who/dmr/portpap.pdf |보존날짜=2015-02-03 |url-status=dead }}</ref>
=== K&R C ===
[[파일:The C Programming Language, First Edition Cover (2).svg|섬네일|240x240px|''The C Programming Language''의 표지]]
[[1978년]]에 [[브라이언 커니핸]]과 [[데니스 리치]]가 ''The C Programming Language''라는 책의 초판을 출간했다. 커니핸과 리치의 앞 글자만 따서 C 프로그래머들에게는 "K&R"로 불리는 이 책은, 비공식적이지만 오랫동안 C의 규격과 같은 역할을 했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 서술하는 C의 판이 "K&R C"란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이 책의 2판에서는 후의 [[ANSI C]] 표준을 다루게 되었다.
K&R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이 등장한다.
* 표준 입출력 라이브러리
* <code>long int</code> 자료형
* <code>unsigned int</code> 자료형
* <code>=-</code>와 같은 형태의 복합 대입 연산자를 <code>-=</code> 형태로 변경
** <code>i=-10</code>라는 코드가 원래 의도한 <code>i =- 10</code> (i의 값을 10 차감)이 아닌, <code>i = -10</code> (i의 값을 -10으로 설정)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중의성을 없애기 위해서 형태를 변경했다.
=== C99 ===
{{본문|C99}}
C 언어 표준이 상대적으로 정적으로 남아 있었던 동안, [[C++]]는 표준화를 위하여 계속 진화하고 있었다. 1995년에 1990년의 C 표준에 대한 규약 수정안 1이 출판되었는데, 이는 약간의 세부 사항을 교정하고 국제적 문자 세트에 대한 보다 확장된 지원을 위한 것이었다. C 표준은 1990년대 후반에 더 개정되어, 1999년 ISO/IEC 9899:1999가 출간되었고, 여기서 명시한 규범을 흔히 [[C99]]라 부른다. 이는 기술적 교정에 의하여 현재까지 3번의 수정이 있었다. 국제 C 표준은 실무 그룹 ISO/IEC JTC1/SC22/WG14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 C11 ===
{{본문|C11 (C 버전)}}
2011년 ISO/IEC 9899:2011이 출간되었고, 간단하게 [[C11 (C 버전)|C11]]라고 부른다. [[C11 (C 버전)|C11]]이 나오기 전까지의 개발 버전을 [[C1X]]라고 부른다. 최종 개발 버전은 2011년도 4월 N1570이었다.
=== C17 ===
{{본문|C17}}
2018년 ISO/IEC 9899:2018이 출간되었으며, 간단하게 [[C17]]이라고 부른다.
== 문법 ==
{{본문|C 언어 문법}}
C는 C 표준에 의해 규정되는 [[형식 문법]]을 갖고 있다. [[포트란 77]]과 같은 언어와 달리, C 소스코드는 free-form 언어로써 형식 코드에 공백을 마음대로 넣을 수 있다.
=== 연산자 ===
{{본문|C와 C++ 연산자}}
=== 변수형 ===
{{본문|C 언어 변수|char|int (C 프로그래밍 언어)|struct}}
=== 포인터 ===
선언문에서 가리키고자 하는 변수의 자료형을 맞추어 변수명 앞이나 자료형 뒤나 그 중간에 *(별표)를 붙이면(char* a; == int * pa; == double *exm;) 포인터 변수가 된다.
이렇게 선언된 포인터 변수가 실행문에서는, 일반 자료형 변수를 선언문에서 int a;라고 선언하여 변수 a가 정수형이라고 선언하고, 실행문에서는 int를 안 쓰고 변수명 a만으로 사용하듯이, *을 빼고 변수명만 사용하여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이 없어 혼동할 수 있으니 선언문에서와 실행문에서의 사용을 구분해야 한다.
중요한 조건은 자료형을 동일형으로 유지해야 한다. 포인터의 사용목적은 어느 변수를 그 변수명으로 가리키지 않고 그 주소값으로 가르켜서 그 변수의 값(자료값)을 간접참조(역참조)하는 것이므로 정수형 4 바이트 변수를 가르켰는데 같은 변수명이라도 문자형이나 실수형 변수에 연결되어 간접참조하여 값을 읽어오면 기억공간(memory)의 크기가 다르므로 문자형의 1 바이트 이후의 3 바이트를 더 읽거나, 실수형 8 바이트 내의 4 바이트만을 읽어오므로 크기(바이트 수)가 다를 뿐만 아니라 기록되어 있는 내용(값)이 다르므로 자료형이 가리켜지는 변수와 포인터 변수가 같아야 한다.
일반 변수의 주소(주소값)을 알아보려면 변수명에 &를 붙이면 된다(&a). 이것은 포인터가 가진(가르킨, 포인터의 자료값인) 주소이므로 int a;로 정수형 변수를 선언했으면 같은 자료형 정수형으로 int *pa;로 a를 가리키는 포인터 pa를 선언하면 실행문에서는 pa == &a이다.
실행문에서 *은 일반 연산자로는 곱셈을 하고, 참조 연산자로는 해당 주소의 값(자료값)을 간접참조(역참조)하므로 *&a == *pa이다. 결국 a == *&a == *pa이다. (값이 같다는 의미로 == 를 사용)
교체(swap)함수에서 대표적으로 간접참조(call by reference)하는 경우처럼 *pa = xx로 포인터에 참조 연산자를 붙여 값을 참조한다는 표시를 하고 일반 변수의 값을 할당할 때와 같이 대입 연산자 =를 이용하여 간접참조로 가르킨 변수의 값을 xx로 변경한다.
위의 설명을 간략히 하면 아래와 같다.
포인터 - 주소값(간접참조하기 위한 변수의 주소)을 저장하는 변수
포인터 선언 - 선언문에서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와 같은 자료형 명시하고 별을 변수명 앞에 붙여 표시
포인터 사용 - 실행문 내에서는 별표 없이 변수명 만 사용(일반 변수들을 선언문에서 자료형 지정하고 실행문에서 변수명 만 사용과 동일)
주소 - 공간의 첫주소(첫주소값)를 말하며 문자형 자료는 1 바잍이니 그 자체, 정수형 자료를 갖는 변수의 주소는 4 바잍의 첫주소가 전체 4 바잍의 공간을 의미, 이중 실수형 자료를 갖는 변수의 주소는 8 바잍의 첫주소가 전체 8 바잍의 공간을 의미, 표시
직접참조: 변수에 접근하여 자료값을 읽거나(복사하거나) 변경
간접참조: 변수의 주소를 통해 자료값을 복사하거나 변경
int exp_a;
int * exp_a_p; (int* exp_a_p;, int *exp_a_p;)
exp_a = 12;
exp_a_p == &exp_a;
<nowiki>*</nowiki>exp_a_p == *&exp_a == exp_a == 12;
변수 주소 - 주소 연산한(주소 연산자&를 붙인) 변수명, &exp_a
1. 자료값(내용물) - 변수에 대입된 자료
2. 연산 결과 - (자료가 담긴) 해당 변수의 (기억공간의) 주소
3. 연산 목적 - 주소를 통해 해당 자료형의 공간 표시
포인터 exp_a_p - 간접참조하기 위한 변수의 주소를 저장한 변수
1. 자료값(내용물) - 가리키는(지시, 지적하는, pointing) 해당 자료형 자료의 시작 주소, 첫주소
2. 목적 - 가리킨(지시한, 지적한, pointing) 주소를 통해 기억공간(대상, 목적물)을 간접참조하여 자료를 복사하거나 변경
3. 조건 - 간접참조가 목적이므로 지적한 변수와 자료형이 일치 필요
가르킴, 지시, 지적, pointing = 주소, 주소값 저장(보유)
가리키는 것, 지적 대상은 목적에 따라 자료, 자료값이기도 하고 공간이기도 함
1. 지적된 해당 자료형의 변수에 저장된 자료값을 참조(복사)하려면 실행문 우변에 위치(r value)하여 참조 연산자 별을 붙여 지적하는 주소에(를 통해) 접근하여 자료값을 간접참조(복사)
2. 지적된 해당 자료형의 변수의 공간에 접근하여 자료를 참조(변경, 재할당?)하려면 실행문 좌변에 위치(l value)하여 참조 연산자 별을 붙여 지적하는 주소인(주소를 통해) 공간에 접근하여 자료값을 간접참조(변경)
대상에 접근하여 참조(사용)하기 위해 참조 연산자 별 표시
역할 구분
int * pa = &a; 선언시 선언문에 변수 a의 주소를 포인터 변수 pa에 저장
포인터 변수 pa가 a의 주소 &a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pa == &a
<nowiki>*</nowiki>pa는 a의 주소 &a를 통해 간접참조한 a의 자료값이므로 *pa == *&a == a
&pa는 포인터 변수 pa 자체의 주소, 다중 포인터에서 사용 scanf에서 입력받아 변수 a에 직접 저장할 수 없어 그 주소 &a를 통해 넣음
scanf에서 입력받아 변수 a에 직접 저장할 수 없어 그 주소 &a를 통해 넣음
배열명 - 배열의 첫주소인 상수(첫주소값이므로 포인터 변수, 주의: 배열이 아니라 배열명)
{{본문|1=포인터}}
=== 분기문 ===
{{본문|분기문}}
== 메모리 관리 ==
OS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CPU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메모리를 할당하고 이를 메모리에 올려 실행한다.
* OS: 주로 [[저장장치]]에서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올려 실행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필요한 메모리는 거의 RAM에 할당하고 실행한다.
* CPU를 사용한 장치: OS가 없이 개발자가 설정한 메모리 배치에 따라 코드를 ROM/FLASH에 생산할 때 쓰고, 전원 공급시 실행한다.
C 언어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메모리 입장에서 다음과 같은 할당 영역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 정적 변수: static을 이용하여 정적 변수임을 명시하고, 단 한 번만 초기화되며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 생성되어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 동적 변수: [[힙]](HEAP)영역을 이용하여 할당 함수를 호출하여 변수 영역을 할당 받아 사용하고, 해제 함수에 의해 반납한다.
* 자동변수: 함수나 블록({ } 이용) 안에서 선언하는 지역변수를 사용하면 [[스택]](STACK) 영역에서 자동 할당을 받는다.
CPU를 사용하여 개발하여 장치에 넣어 코드를 실행할 때, 힙 영역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필요 없다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필요도 없고 힙관리 프로그램 코드(함수를 개발툴에서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도 필요하지 않는다. 만약 [[malloc]] 등의 함수를 사용하면, 힙 영역을 사용하겠다는 의미 이기 때문에 힙 영역을 개발자가 선언하여 관리 해야 한다. 이 때 힙관리 프로그램 코드는 자동으로 링크 된다. 물론 저 사양의 CPU 경우, 이 함수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는 컴파일러도 있을 수 있다.
=== 변수와 메모리 맵 ===
C 언어 작성된 코드는 컴파일 과정과 링크 과정을 거치면 실행 파일이 만들어진다. 변수는 여러 가지 특성이 있다.
* 초기치를 갖는 변수
* 초기치가 없는 변수
* 상수 데이터
<syntaxhighlight lang="c">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include <conio.h>
int count = 4;
char name[50] = "홍길동";
char tel[256];
int getTel(char *pstr)
{
static char buff[1024];
gets(buff);
strcpy(pstr, buff);
return strlen(pstr);
}
int main(int argc, char **argv)
{
char *paddr;
printf("이름= %s\n", name);
getTel(tel);
printf("전화 = %s\n", tel);
paddr = (char*) malloc(1024);
if (!paddr)
return -1;
{ // 블록 시작
int scount;
char *piaddr = paddr;
for (scount = 1024;scount > count;scount--,piaddr++) {
*piaddr = getch(); // getch 함수는 표준함수는 아니다.
putchar(*piaddr);
if (*piaddr == '\r')
break;
}
*piaddr = 0;
printf("주소 = %s\n", paddr);
} // 블록 끝
free(paddr);
return 0;
}
</syntaxhighlight>
이 프로그램 예에서 변수 별로 분리하면 다음과 같은 특성의 변수로 나눌 수 있다.
{| class="wikitable"
|-
! 초기치 변수
| int count = 4; <br />
char name[50] = "홍길동"<ref name="MemMapConst" group="note" />;
|-
! 초기치 없는 변수
| char tel[256]; <br />
static char buff[1024];
|-
! 상수
| "이름 = %s\n" <br />
"전화 = %s\n" <br />
"주소 = %s\n" <br />
|-
! 스택<br /> (또는 레지스터<ref name="MemMapR" group="note" />)
| char *paddr;<br />
char *pstr;<br />
int scount;<br />
char *piaddr;<br />
|-
! 힙 (heap)
| paddr(malloc()에서 할당된 공간)
|}
Notes:
{{각주| group="note"|refs=
<ref name="MemMapConst" group="note">상수값 "홍길동"은 main() 함수가 시작되기 전, 초기과정에서 <code>char name[]</code>에 복사 된다. 여러개의 초기치 변수가 있을 경우 블록으로 복사 된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복사하는 기계어 코드가 존재하지 않고, 초기설정과정에서 한번에 복사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컴파일러와 링커는 초기치 값만 모아서 처리 한다. 블록 내 지역변수에서 사용하는 초기치 과정은 다르다. 지역변수에서 초기치를 설정하면 그 위치에 초기치 설정하는 기계어 코드가 삽입된다.
</ref>
<ref name="MemMapR" group="note">레지스터는 메모리가 아니다. 따라서 레지스터는 메모리 맵에 없는 내용이다. 지역변수를 스택영역에 잡을 것인가 CPU의 레지스터에 잡을 것인가는 프로그램의 복잡도와 최적화에 따라 달라진다. 함수의 기능이 간단하고 변수의 숫자가 적을 경우 레지스터로 자동 배치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ref>
}}
각 특성별로 나누어 그룹을 지어 메모리에 배치 하는데, 이것을 링커가 한다. 이렇게 그룹은 나누는 것을 세그먼트(SEGMENT) 또는 섹션(SECT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위의 그룹은 가장 기본적인 내용만을 표시 한 것이다. CPU와 컴파일 마다 다르다. 어떤 컴파일러는 더욱 세밀히 하기도 한다. 그리고 각 세그먼트 이름도 다르다.
Visual Studio의 맵 이름 예
{| class="wikitable"
|-
! 변수형태 !! SEGMENT
|-
| 초기치 변수 || DATA
|-
| 초기치 없는 변수 || BSS
|-
| 프로그램 코드 || TEXT
|-
| 상수 || CONST
|-
| 힙 || HEAP
|-
| 스택 || STACK
|}
컴파일마다 각 세그먼트 이름과 구조가 다르지만, 예를 들어 중요한 세그먼트만 표시하였다. TEXT와 CONST는 ROM/FLASH에 배치해도 되는 변하지 않는 세그먼트이므로 같은 부류이고, CPU를 설계하고 코드를 직접 쓰는 경우 ROM/FLASH을 이용한다.
거의 모든 툴에서 이 맵을 파일로 만들어 준다. 물론 옵션으로 설정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지만 구조를 얻을 수 있다. 함수와 변수의 위치와 이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 크기 등의 데이터를 알 수 있다. 실제 CPU를 다루는 C 언어에서 이런 정보는 중요하다. 내가 사용하는 MCU의 메모리는 얼마나 사용하는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라이브러리]] ==
C 언어 함수는 표준함수가 있고, 개발 툴에서 제공하는 함수가 있다. 여러 가지 부류가 있고 특성 별로 나누어 lib 파일로 코드를 제공하고 헤더파일로 선언을 알 수 있다.
=== C 표준 라이브러리 ===
{{본문|C 표준 라이브러리}}
C 표준 라이브러리는 함수 형태와 기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개발툴별 같다는 특징이 있다.
=== [[C 표준 라이브러리|ISO C 라이브러리 헤더]] ===
{| class="wikitable"
! 파일명 !! 출처 !! 설명
|-
| <code>[[assert.h|<assert.h>]]</code> || || [[assertion (프로그래밍 언어)|assert]] 매크로, 논리오류 및 [[디버깅]] 시 오류 형 등 지원한다.
|-
| <code>[[complex.h|<complex.h>]]</code> || C99 || [[복소수]] 처리용 세트.
|-
| <code>[[ctype.h|<ctype.h>]]</code> || || 초기의 대-소 문자 변환 함수 제공<!--
Contains functions used to classify characters by their types or to convert between upper and lower case in a way that is independent of the used [[character set]] (typically [[ASCII]] or one of its extensions, although implementations utilizing [[EBCDIC]] are also known). -->
|-
| <code>[[errno.h|<errno.h>]]</code> || || 함수에서 발생하는 오류 형태 변환등의 오류처리.<!--For testing error codes reported by library functions.-->
|-
| <code>[[fenv.h|<fenv.h>]]</code> || C99 || [[부동소수점]] 환경 제어. <!--For controlling [[floating-point]] environment.-->
|-
| <code>[[float.h|<float.h>]]</code> || || [[부동소수점]] 특성 정의. 두 숫자 사이의 최소 차이(<code>_EPSILON</code>), 숫자의 최대 자리수(<code>_DIG</code>), 숫자의 범위의 표현(<code>_MIN</code>, <code>_MAX</code>).<!--
Contains defined constants specifying the implementation-specific properties of the [[floating-point]] library, such as the minimum difference between two different floating-point numbers (-->
|-
| <code>[[inttypes.h|<inttypes.h>]]</code> || C99 || 정수형 변수의 정확한 변환. <!-- For precise conversion between integer types.-->
|-
| <code>[[iso646.h|<iso646.h>]]</code> || NA1 || [[ISO 646]] 문자열 처리. <!--For programming in [[ISO 646]] variant character sets.-->
|-
| <code>[[limits.h|<limits.h>]]</code> || || 정수형의 특성 정의, 정수 숫자 범위(<code>_MIN</code>, <code>_MAX</code>).<!--
Contains defined constants specifying the implementation-specific properties of the integer types, such as the range of numbers which can be represented (-->
|-
| <code>[[locale.h|<locale.h>]]</code> || || <code>[[로케일]](</code> 관련 상수. 국제어 처리를 위한 적용. <!--
For -->
|-
| <code>[[math.h|<math.h>]]</code> || || 수학 함수.<!--
For computing common mathematical functions.-->
|-
| <code>[[setjmp.h|<setjmp.h>]]</code> || || <code>setjmp</code> 와 <code>longjmp</code> 매크로 선언.<!--
Declares the macros -->
|-
| <code>[[signal.h|<signal.h>]]</code> || || 다양한 예외 처리 제어.<!-- For controlling various exceptional conditions.-->
|-
| <code>[[stdarg.h|<stdarg.h>]]</code> || || 아규먼트 변수 처리. va_start, va_arg, va_end 함수 등.<!--
For accessing a varying number of arguments passed to functions.-->
|-
| <code>[[stdbool.h|<stdbool.h>]]</code> || C99 || 논리 변수.<!-- For a boolean data type.-->
|-
| <code>[[stdint.h|<stdint.h>]]</code> || C99 || 정수형 변수의 각종 정의/선언.<!-- For defining various integer types.-->
|-
| <code>[[stddef.h|<stddef.h>]]</code> || || 유용한 형과 매크로 정의/선언. <!-- For defining several useful types and macros.-->
|-
| <code>[[stdio.h|<stdio.h>]]</code> || || C 언어의 입출력 제공. <code>[[printf]]</code> 등이 포함되어 있다. <!--
Provides the core input and output capabilities of the C language. This file includes the venerable -->
|-
| <code>[[stdlib.h|<stdlib.h>]]</code> || || <!--
For performing a variety of operations, including conversion,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pseudo-random numbers]], memory allocation, process control, environment, signalling, searching, and sorting.-->
|-
| <code>[[string.h|<string.h>]]</code> || || 문자열 조작. <!--For manipulating several kinds of strings.-->
|-
| <code>[[tgmath.h|<tgmath.h>]]</code> || C99 || 수학 함수에서 일반 형 변환 관련.<!--For type-generic mathematical functions.-->
|-
| <code>[[time.h|<time.h>]]</code> || || 시간과 날짜 변환 함수.<!--For converting between various time and date formats.-->
|-
| <code>[[wchar.h|<wchar.h>]]</code> || NA1 || 국제어 등의 처리를 위한 [[확장 문자]](문자열 처리.<!--
For manipulating wide streams and several kinds of strings using wide characters - key to supporting a range of languages.-->
|-
| <code>[[wctype.h|<wctype.h>]]</code> || NA1 || [[확장 문자]] 처리.<!-- For classifying wide characters.-->
|}
== 개발 도구 ==
=== [[GCC]] ===
{{참고|GNU 컴파일러 모음}}
<!--
* [[리처드 스톨만|Richard M. Stallman]]: ''[http://gcc.gnu.org/onlinedocs/gcc-2.95.3/gcc.html Using and Porting the GNU Compiler Collection]'',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ISBN|0-595-10035-X}}
* Richard M. Stallman: ''[http://gcc.gnu.org/onlinedocs/gcc-3.3.1/gcc/ Using Gcc: The Gnu Compiler Collection Reference]'', Free Software Foundation, {{ISBN|1-882114-39-6}}
* [[Brian J. Gough]]: ''[http://www.network-theory.co.uk/gcc/intro/ An Introduction to GCC]'', Network Theory Ltd., {{ISBN|0-9541617-9-3}}
-->
[[유닉스 계열]](리눅스)의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C/C++ 언어 개발 도구이다. 리눅스의 OS을 제 컴파일하거나, 각종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한다. 또한 X-Windows의 개발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개발 시 임베디드 OS 포팅에서, 리눅스 커널이나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하는 OS 커널 자체를 개발하는 도구로 사용한다. 리눅스 커널 기반 임베디드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역시 [[gcc]]을 많이 사용한다.
==== [[make (소프트웨어)|make]] ====
{{본문|make (소프트웨어)}}
여러 파일들끼리의 의존성과 각 파일에 필요한 명령을 정의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컴파일할 수 있으며 최종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과정을 서술할 수 있는 표준적인 문법을 가지고 있고, 구조로 기술된 파일(주로 Makefile이라는 파일명)을 [make]가 해석하여 프로그램 빌드를 수행하게 된다.
==== Cygwin ====
{{본문|시그윈}}
[[gcc]]을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윈도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재 포팅한 것이다.
==== MinGW ====
Cygwin에서 분화 된 gcc 기반 개발 라이브러리이다.
=== [[이클립스]] ===
{{참고|이클립스}}
이클립스는 다양한 언어와 다양한 [[OS]]에서 실행되는 [[IDE]]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상황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 Eclipse IDE for C/C++ Developers ====
C/C++언어를 제공하는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리눅스의 경우 기존의 [[gcc]]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 설정만 하면 된다.
; [http://www.mingw.org/ MinGW] {{웨이백|url=http://www.mingw.org/ |date=20060828091046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윈도우]]에서 [[gcc]]와 연결하여 C/C++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다. MinGW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므로 다른 언어로도 이클립스와 연결하여 개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 ===
<!-- {{url|http://www.microsoft.com/visualstudio/en-us}}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 판매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환경에서 작동하는 개발도구이다. 현재는 C 뿐만 아니라 [[C++]], [[C 샤프|C#]]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있지만 초기의 마이크로소프트 개발 도구는 C 언어로부터 출발하였다. 비주얼 스튜디오로는 [[윈도우 API]]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 [[명령 줄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실행되는 Windows Console Application, 윈도우 서비스,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등의 형태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고, 최근 버전에서는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도 지원한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와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같다.
==== [[C 표준 라이브러리]] ====
표준 C에서 정의하는 라이브러리 함수를 거의 대부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Windows SDK ====
윈도우 운영체제의 API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툴킷이다.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 가능한 윈도우 운영체제의 기능은 Windows SDK를 통해 제공된다. 초기에는 C가 기본 언어였으나, 최근에는 C#, C++ 등의 언어 툴킷도 제공한다. 예전에는 Win32 SDK라고 불리었다.
==== [[마이크로소프트 파운데이션 클래스 라이브러리|MFC]] ====
{{본문|마이크로소프트 파운데이션 클래스 라이브러리}}
윈도우 개발에 필요한 Windows API를 클래스로 래핑한 C++ 라이브러리이다.
==== [[DirectX]] ====
윈도우에서 주로 게임 등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툴킷이다. 고속의 화면 제어, 음성지원, 3D 등을 지원한다.
CODEBLOKES
그럭저럭한 툴
== 디버깅 ==
보통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디버깅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두가지이다.
# IDE를 통해 소스 수준에서 디버깅 한다. 일명 'BREAK POINT'를 설정하면 그 위치에서 멈추고 해당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파악 대상이 변수의 값으로 표시 화면에 해당 변수의 형과 맞게 변수의 값을 표시 한다. 또한 줄단위로 실행하기, 함수로 들어가기와 나오기 등 IDE에 따라 구성이 다양하다.
# 내부 변수나 기타 상황을 printf 형태의 함수를 UART, 네트워크, USB 등과 연결하여 출력함으로써 프로그램 상황을 표시 할 수 있다. 보통 IDE처럼 다양한 구성이 불가능 할 때 많이 사용한다.
## 리눅스 커널의 경우 printfk 함수로 출력하면 정해진 출력 메시지 파일태로 표시할 수 있다.
## [[MCU]]와 같은 전자장치의 개발에서 개인용 컴퓨터처럼 성능이 좋은 IDE을 만들기 쉽지 않다. 따라서 저 성능의 IDE을 사용하거나 UART등으로 상황을 출력해서 디버깅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성이 간단해서 개발 소스에 printf 형의 메시지 출력을 추가하면 된다. 개발자가 직접 해야하는 것이 번거롭다.
=== [[GDB]] ===
{{본문|GNU 디버거}}
[[GCC]]을 기반으로 하는 [[디버깅]] 도구이다. 따라서 [[유닉스]] 계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실행된다.
====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
GCC 옵션을 디버깅이 되도록 설정하면 디버깅 테이블을 만든다. gdb 실행 중에 이것을 사용한다. GDB을 실행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break, 변수, 함수 등의 디버깅을 할 수 있다.
==== 원격 디버깅 ====
GCC에서 [[gdb]]는 서버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gdb-server]]을 설치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디버깅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베디드 개발 시 리눅스 커널을 포팅하고, 해당 리눅스 시스템에 gdb-server를 설치하면 다른 환경에서 이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디버깅 할 수 있다. 임베디드의 많은 경우 자신의 시스템에서는 디버깅이 만만치 않다. 따라서 원격으로 gdb의 실행 결과를 전송 할 수 있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이클립스와 같은 IDE와 연동할 수 있다. 보통 리눅스 기반의 임베디드 개발 환경은 이클립스 C++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과 결합할 수 있다.
==== 커널 디버깅 ====
원격 디버깅 모드는 리눅스 커널에 사용되는 소스 수준의 디버거인 KGDB에서도 사용된다. KGDB를 사용하면 커널 개발자는 일반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커널을 디버깅할 수 있다.
=== IDE 디버깅 ===
[[비주얼 스튜디오]]나 [[이클립스]] 등의 도구 들은 기본적으로 디버깅 방법을 제시한다. 이클립스 디버깅은 [[GDB]]와 연동해서 구성할 수 있다.
== 같이 보기 ==
{{위키공용분류}}
* [[B (프로그래밍 언어)]]
* [[C99]]
* [[C11]]
* [[C 언어의 문법]]
** [[C 언어 변수]]
** [[C 언어 포인터]]
* [[C++]]
* [[오브젝티브-C]]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언어링크|en}} Ritchie, Dennis M. [http://plan9.bell-labs.com/who/dmr/chist.html The Development of the C Language]{{웨이백|url=http://plan9.bell-labs.com/who/dmr/chist.html |date=20141018001346 }}. History of Programming Languages-II. Second History of Programming Languages conference, Cambridge, Massachusetts, April, 1993. {{ISBN|0-201-89502-1}}.
* [[리처드 스톨만|Richard M. Stallman]]: ''[http://gcc.gnu.org/onlinedocs/gcc-2.95.3/gcc.html Using and Porting the GNU Compiler Collection]'',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ISBN|0-595-10035-X}}
* Richard M. Stallman: ''[http://gcc.gnu.org/onlinedocs/gcc-3.3.1/gcc/ Using Gcc: The Gnu Compiler Collection Reference]'', Free Software Foundation, {{ISBN|1-882114-39-6}}
* [[Brian J. Gough]]: ''[https://archive.today/20121205072412/http://www.network-theory.co.uk/gcc/intro/ An Introduction to GCC]'', Network Theory Ltd., {{ISBN|0-9541617-9-3}}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
{{전거 통제}}
[[분류:C 프로그래밍 언어| ]]
[[분류: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ISO 표준]]
[[분류:미국의 발명품]]
[[분류:1972년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C 프로그래밍 언어 계열]]
[[분류: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정적 타입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ISO 표준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사람}}
{{총리 정보
| 이름 = 김종필
| 국가 = 대한민국
| 그림 = Kim Jong-pil.png
| 설명 = 1999년 무렵의 김종필
| 명칭 = 국무총리
| 대통령 = [[박정희]]
| 대수 = 11·31
| 전임 = 백두진
| 전임대수 = 10
| 후임 = 최규하
| 후임대수 = 12
| 취임일 = 1971년 6월 4일
| 퇴임일 = 1975년 12월 18일
| 명칭2 = 국무총리
| 대통령2 = [[김대중]]
| 대수2 = 31
| 전임2 = 고건
| 전임대수2 = 30
| 후임2 = 박태준 (1927년){{!}}박태준
| 후임대수2 = 32
| 취임일2 = 1998년 3월 3일
| 퇴임일2 = 2000년 1월 12일
| 출생일 = {{출생일|1926|1|7}}
| 출생지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2018|6|23|1926|1|7}}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학교병원]]
| 매장지 = [[충청남도]] [[부여군]] 종중묘역
| 국적 = 대한민국
| 정당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 종교 = [[개신교]]([[감리회]])
| 별명 = 호는 운정(雲庭), JP
| 부모 = 김상배(부), 이정훈(모)
| 배우자 = [[박영옥 (1929년)|박영옥]]
| 자녀 = 1남 1녀
| 친척 = 7남 중 6남, 형 [[김종익 (1918년)|김종익]]
| 학력 = [[공주교육대학교]] 졸업 <br/>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8기 졸업 <br/> [[미국 육군 보병학교]] 졸업 <br/>[[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졸업
| 웹사이트 = [http://www.jamin.or.kr/ 공식 홈페이지]
| 군사그림 =
| 군사그림설명 =
| 복무 = [[대한민국 국군]]
| 복무기간 = 1949년 5월~1963년 1월
| 소속 = [[대한민국 육군]]<br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
| 계급 = [[준장]]
| 근무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br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
| 지휘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참모부 기획과 과장]] <br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정보처 처장]]<br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국 행정처 처장]]<br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 부장]]
| 참전 = [[한국 전쟁]]
}}
'''김종필'''(金鍾泌, [[1926년]] [[1월 7일]]~[[2018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1·31대 [[국무총리]]로 재임하였다.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해 초대 중앙정보부장으로 임명되는 것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9선 의원을 지내면서 [[김영삼]], [[김대중]]과 함께 '''[[삼김]]'''이라 불리며 [[대한민국]]의 정치를 이끌었다.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이며 충청남도 부여 출생이다.
그는 [[박정희]]가 [[5.16 군사 쿠데타]]를 일으킬 당시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령]]으로 쿠테타에 참여했다. 1951년 2월 [[박상희]]의 장녀 [[박영옥 (1929년)|박영옥]]과 결혼했으며 1963년 육군 준장으로 진급 후 예편했다. 9선 국회의원으로 최다선 국회의원 출신이며, 1971년 박정희 정권기 제11대, 김대중정부기 31대 DJP 연정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총재와 [[신민주공화당]] 총재를 거쳐 [[자유민주연합]] 총재를 지낸 그의 주요 거주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신당동 (서울)|청구동]]이었다.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육군사관학교]]를 8기로 졸업하고 1961년 [[5.16 군사 정변]]의 중심 인물로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를 창설해 초대 부장에 취임해 활약했지만, 공화당의 내분으로 정계를 은퇴했다. 1971년 공화당 부총재직을 맡고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됐으며, 같은 해 6월 [[국무총리]]에 취임함으로써 정계에 복귀후 5년6개월간 최장수 총리를 지내며,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연구단지]], 민속촌등을 기획했다. 1979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공화당]] 총재를 맡았으나,1981년 [[신군부]]의 압력으로 정계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7년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며 정계에 복귀하였다. 1990년 [[3당합당]]에 참여하여 [[민주자유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하지만 1995년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고 초대 총재가 되었다. 2004년에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에서 낙마하고 정계를 은퇴했다.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과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당시 제2인자였으며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과 함께 [[박정희]]의 후계자 또는 잠재적 대안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1971년 6월 4일부터 1975년 12월 18일까지 대한민국의 제11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를, 1998년 3월 3일부터 2000년 1월 12일까지 제31대 DJP 연정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2018년 6월 23일에 [[숙환]]으로 인해 향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친형 [[김종익 (1918년)|김종익]]은 7~9대 3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생애 ==
=== 생애 초기 ===
==== 출생과 가계 ====
김종필은 1926년 1월 7일에 [[충청남도]] [[부여군|부여]]에서 7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김해김씨 안경공파(金海金氏 安敬公派) 16세손이다. 12대조 [[김예직]](金禮直)은 [[광해군]]의 외숙부로 삼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7대조 김기서가 진천현감을 역임했으며 그의 할아버지 김현택이 충청도 청양에서 충청도 부여에 이사와 천 석을 일궈내 쌀 2000섬 지기의 갑부였고 철종 때 선릉참봉을 지냈다. 3대 독자였던 아버지 김상배는 토지측량사를 지냈다. 토지등록 분규 등을 잘 해결해 신망을 얻은 후 규암면장과 부여면장으로 지역사회의 유지였으며, 어머니 이정훈은 [[전주 이씨]]로 아버지보다 12살 연하였다.
아버지는 항일 독립운동가들을 집안에 숨겨주고 돌봐줬다. [[의열단]] 단원인 [[유석현]] 등은 1921년 일본 경찰에 쫓기다가 김상배의 집에 피신하기도 했다.<ref>[<nowiki>"</nowiki>순국선열에 대한 묵념은 하면서 생존유공자엔 무관심<nowiki>"</nowiki>] 동아일보 1980년 3월 8일자 3면</ref>
[[파일:Kim Jong-rak 1961.jpg|섬네일|오른쪽|160px|셋째 형 김종락, 그 역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였다.]]
그의 부모는 모두 아들만 7명을 두었다. 위로 4명의 형과 아래로 2명의 동생이 있는데 큰형 종호는 40대의 나이에 공무원 시험을 거쳐 [[서울특별시|서울]] [[종로구청]] 주사로 근무했고, 1970년에서 1980년까지 중앙곡물협회 회장직을 맡았다. 둘째 형 [[김종익 (1918년)|김종익]]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6·7·8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을 지냈다. 막내동생 종식은 중학생 무렵 [[한국 전쟁]] 중에 실종됐다. 그 뒤 김종필은 실종된 막내동생을 오랫동안 찾았으나 찾지 못했고, 그의 측근인 보좌관 김석야는 2000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총리께서 수십년 동안 막내동생을 찾으려고 갖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끝내 아무런 단서를 찾지 못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 유년 시절 ====
부여보통학교 6학년 때 기쿠치 간(菊池 寬)의 연애소설 <두 번째 키스>를 읽다가 하루종일 두들겨 맞았고, [[공주중학교]]에 진학했을 때는 동맹 휴학을 주도했다가 공주경찰서 사상계에까지 넘겨졌는데 면장이던 아버지가 손이 발이 되도록 빌어 겨우 빠져나올 수 있었다.
공주중학교 재학 당시 급장과 검도부장이었다. 검도는 4학년 때 입단을 했고, 승마와 그림도 즐기는 낭만의 소년이었다.
==== 청년기 ====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나, [[주오대학교]] 예과 독법학과에 입학했지만, 일본인 선배가 "조센징은 왜 (태평양)전쟁에 참가하지 않나?"라는 말을 듣고 일본인 선배에게 주먹을 휘두른 다음에 자퇴를 하고 귀국한 뒤 [[대전사범학교]]에 1945년 3월에 졸업하였다. 교생 실습을 하다가 일본인 교감과 말다툼을 벌인 끝에, 또다시 일본인 교감을 때려눕히고 맙니다. 이때문에 결국 김종필은 산간벽지 학교로 발령이 났고, 결국 2개월만에 사퇴를 했고,
광복 이후 1946년 [[경성사범학교]] 사회교육과에 입학하였다.
당시 좌익단체였던 충남교육연맹 위원장이었던 둘째형 [[김종익 (1918년)|김종익]]을 잡으러 [[서북청년단]]이 그의 집을 습격했다. 그리고 서북청년단은 김종필의 아버지를 마구 두들겨팼고, 결국 김종필 아버지는 뇌졸중으로 사망하게 되었으며, 재산과 집 역시 빼앗기게 된다.
==== 군인 생활 ====
===== 군 복무 초기 =====
1948년 [[서울대학교|서울대]] 사범대학 3학년이었던 김종필은 부친이 작고한 후 집안이 어려워지자 경제적으로 곤궁한 처지에 몰린 김종필은 내 힘으로 앞길을 열어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집에서 독립하고 서울에서 택시 기사를 했다. 하지만 갑자기 교통사고를 내버려 정신을 차려야겠다고 모병소에 원서를 내고 군에 입대하여 [[충청남도]] [[온양시|온양]]에 주둔하는 육군 제13연대에 배속된다.<ref>{{뉴스 인용 |저자= |제목=<정치인과시민대토론회>11. 김종필 자유민주연합 총재 - 질의.답변 요지(1) |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454614&ctg=10 |뉴스= |출판사=중앙일보 |위치= |날짜=1997-05-15 |확인날짜=2015-08-15 }}{{깨진 링크|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454614&ctg=10 }}</ref>
{{참고|5·16 군사 정변#쿠데타의 원인}}
그러나 1주일 만에 구타와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여 탈영하였다. 이후 탈영병의 신분으로 서울대 동기의 집에서 숨어 지내면서 전전하던 중 극장에 영화관람을 갔다가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육사]] 교도대와 만나게 되어 기간병으로 재입대하였다가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육사]] 제8기생으로 입학해 1949년 5월에 소위로 임관했다. 소위 임관과 동시에 육군 정보국에 배치되었다. 그 뒤 주로 참모직을 역임하고 1949년 12월 당시 육군본부 정보국에 중위로 있었다.<ref>제2공화국과 장면 (이용원 지음 | 범우사 | 1999) pp259</ref> 이후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육군 정보국 전투정보과 북한반장에 임명, 갑작스런 남침으로 무너지는 전선을 시찰하고 전세를 정확히 보고했으며, 1계급 특별승진해 육군 대위가 됐다.
[[파일:Captin Kim Jong-pil.jpg|섬네일|[[한국 전쟁]] 무렵]]
[[한국 전쟁]] 후반에는 6사단 19연대로 배속되어 수색중대장 등으로 북한군과 교전하였다. 1951년 1월에 [[박상희]]의 딸 [[박영옥]]과 결혼하였고 그해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위로 지내면서 제1차 도미 유학 장교단 150인 중 한 사람에 선발돼 조지아 포트베닝의 [[미국 육군보병학교]]에 입교하여 수료하였다.
1952년 다시 정보국 전투정보과 북한반 반장이 되었다. 김종필은 정보 계통에 근무하면서 야전부대에서 근무한 장교들과는 달리 시간과 활동에서 상대적으로 제약을 덜 받았기 때문에 동기생들과 언제든지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었다.<ref>임영태, 《대한민국史: 1945-2008》 (들녘, 2008) 300페이지</ref> 이후 육본 정보국 정보과장으로 보직되었다.
==== 항명 파동과 강제 예편 ====
[[파일:Kim Jong-pil 1961.jpg|섬네일|오른쪽|160px|[[5·16 군사 정변]] 전후의 김종필]]
그는 군에서 주로 정보관계 업무에 종사하다가 소령을 거쳐 1958년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기획과장으로 부임했다. 기획과장 재직 중 중령으로 진급했는데, 다른 기수보다 소령에서 중령으로 진급하는 것이 8년 정도 늦었던 그의 동기들은 군 운영체계에 불만을 품게 됐다. 어쨌건 그는 육군 [[중령]]으로 진급한지 몇달 지나면서 육군본부 정보참모부 기획과 과장에서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참모부 정보처]] 처장이 되고, 이후 1960년 육군본부 정보국 행정처 처장에 임명되었다.
1960년 8월 24일 김종필과 석정선은 성당에 미사 중이던 [[장면]]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를 찾아가 서면으로 정군을 요구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서면은 전달되지 않았고, 이는 후에 그가 항명파동에 연루되는 계기가 됐다. [[장면]] 내각은 숙군을 단행하려 했고, 이때 그가 석정선과 함께 모든 책임을 지고 예편하는 것으로 파동을 마무리지었다. 예편 이후 별다른 직업이 없던 그는 정계 입문을 결심한다.
1961년 4월 19일 4.19 의거 1주년 기념 시위를 거사일로 정하고 [[박정희]]와 함께 군사 정변을 기도했지만 [[장면]]정권의 [[시국정화단]]에서 학생 시위대를 매수하여 4월 19일 당일은 조용했고 거사는 실패로 돌아갔다. 그해 5월 다시 거사일을 정한다.
==== 5·16 군사 쿠테타 ====
===== 5·16 전후 =====
[[파일:5.16 Coup Park Chung-hee.jpg|섬네일|250px|오른쪽|5·16 군사정변 직후 군인들]]
{{본문|5·16 군사 정변|국가재건최고회의}}
1960년에 일어난 항명 파동으로 육군 중령에서 예편했다. 갑자기 일자리를 잃게 된 김종필은 한때 《[[사상계]]》를 찾아가 이력서를 넣었으나 면접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예비역 중령 신분으로 꾸준히 [[박정희]] 등과 교류했고, 1961년 [[5·16 군사 정변]]을 준비한다. 5·16 군사 정변에 참여했고 5·16 군사 정변이 성공하자 다시 현역으로 복귀, 육군 중령이 됐다. 이어 육군 대령으로 진급했고, 육군 준장으로 진급했다. 한편 [[박정희]]가 5·16을 거사했다는 비난을 받게 되자, 그는 "내가 [[박정희]] 장군을 모시고 5·16을 기획했다."라고 했다.
[[파일:Kim Jong-pil, 1961.06.05.jpg|섬네일|160px|왼쪽|6월 5일 5·16 거사 목적을 발표한 언론과의 인터뷰]]
이후 [[군사혁명위원회]](국가재건최고회의)가 구성되면서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중앙정보부]]가 신설, 그는 제1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중앙정보부장]]에 임명된다. 6월 5일 오후 그는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5.16 군사 정변은 낡은 구세대의 정치 진출을 차단하기 위한 거사<ref name="goo0605"><nowiki>"</nowiki>기성 정객들 정치 참여 망상 : 낡은 세대 진출 막으려 했다.<nowiki>"</nowiki>, 경향신문 1961년 6월 6일자 1면</ref>라고 발표한다.
{{인용문2|아직도 일부 몰지각한 반 혁명세력과 반성하지 못한 기성 정객들 가운데 혁명정부의 뒤에서 유언비어를 조작, 날조하여 또 다시 정치참여의 꿈을 가지고 있다.…(이하 중략)…중앙정보부장이라는 직책으로 젊은 장교들이 이번 5·16 군사 혁명을 일으킨 동기와 목적 등을 정확하게 밝힘으로써 이들 기성정치인들의 공상을 깨워주고 잡다하게 떠도는 데마 등을 일소하려 한다.<ref name="goo0605"/>}}
군사 정변 직후 그는 장인 [[박상희]]의 경력과 관련하여 사상 공세에 시달렸고, [[황태성]]이 남하한 후에는 [[한일회담]] 직전까지 야당인사들로부터 수시로 의혹을 받게 된다.
===== 중앙정보부 창설 =====
{{참고|대한민국 중앙정보부}}
[[5.16 군사 정변]]이 성공한 직후 그는 즉시 시국정화단 등을 개편하여 정보조직인 중앙정보부를 창설한다. 초대 중정부장이었던 김종필은 중정청사 터를 조선 20대 왕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어씨의 릉을 모신 의릉 사적지 주변으로 정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220670 (19) 의릉 옛 중앙정보부 강당] 국민일보 2005.10.04</ref> 이후 [[의릉]] 입구에 세워진 중앙정보부 건물은 속칭 안가 로 불렸다.
1961년 5월 20일부터 1963년 1월까지 초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중앙정보부]]장이었고, 1961년 7월에는 잡지 《[[사상계]]》의 동인이었던 [[함석헌]]이 ‘5·16을 어떻게 볼까’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하자 사상계사 사장인 [[장준하]]를 불러 취조했다.
===== [[장준하]] 취조 과정 =====
1961년 7월호의 [[함석헌]]의 5·16 군사정변 비판 칼럼을 문제삼아 [[장준하]]를 소환했다. 사상계 7월호가 나가고 4, 5일 뒤, 퇴근시간이 되어갈 무렵 사상계사에 군인 둘이 나타났다. 그들은 혁명군에서 나왔다면서 다음날 아침 7시까지 사장과 편집 책임자를 모시러 오겠으니 그 시각까지 나와 있어 달라는 용건을 전했다.<ref name="박경수300">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3) 300페이지</ref> 다음날 장준하는 편집 책임자인 취재부장 고성훈과 함께 지정한 시각인 아침 7시에 회사로 나갔다. 검정 지프차 하나가 먼저 와 기다리고 있고 다른 군인 2명이 기다리고 있었다. 지프차는 장준하와 고성훈을 싣고 가 남산 밑 회현동 어딘가에 있는 허름한 2층 집의 한 방에다 내려놓았다.<ref name="박경수300"/>
20분뒤 김종필<ref name="박경수301">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3) 301페이지</ref> 이 나타났고 김종필은 사상계 7월호에 실린 함석헌의 5·16 군사정변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칼럼을 문제삼았다.
{{인용문|
* 김종필 : 정신분열자 같은 영감쟁이의 이 따위 글을 도대체 무슨 저의로 여기에 실었소? 성스러운 혁명 과업 수행에서 당신은 우리 군사혁명을 모독하자는 거요? 이걸 싣게 된 경위와 목적을 말하시오.<ref name="박경수302">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3) 302페이지</ref><br /><br />
* 장준하 : 이 글은 내가 직접 함 선생께 부탁해서 내손으로 받아다 내가 읽어 보고 실은 것이오.<ref name="박경수302"/>}}
장준하는 말을 계속했다.
{{인용문|
* 장준하 : 여러분은 이 글을 좋지 않게 보는 모양이오만 내 나름으로는 이 글이야말로 군사혁명을 일으킨 여러분을 위하고 혁명 과업을 수행하는 데<ref name="박경수302"/> 있어 가장 시의에 맞는 충언이라고 확신해 실은 것이외다. 좋은 약은 입에 쓴 법으로, 당장은 다소 거슬리는 데가 있을지 모르지만 내 확신이 틀리지 않는 한 여러분을 위하고 나라의 장래를 위하는 충정이 들어 있는 글인 것만은 틀림없소. 지금 우리나라의 모든 언론 기관이 혁명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잘한다는 말 이외의 다른 말들은 일체 하고 있지 않소.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아무래도 나라의 향방이 옳은 길로 걸어가는 것 같지가 않고, 또한 뜻있는 여러 사람들이 말로는 못하지만 생각은 나와 같기 때문에 충고로 이 글을 실은 겁니다. 나와 함 선생 외에는 이런 시기에 이런 충고를 할 사람이 없소.<ref name="박경수303">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3) 303페이지</ref> }}
장준하의 말에 김종필은 앞으로 밀어놓았던 책을 급히 집어다 빨간 줄 투성이가 된 문제의 글과 권두언을 펴 여기저기 한 줄씩 읽어주며 장준하에게 들이댔다.<ref name="박경수303"/> 그는 이것은 무슨 소리이며 이것도 충고냐는 식으로 윽박질러 물었고, 이에 장준하는 항의했다.<ref name="박경수303"/>
{{인용문|
* 장준하 : 왜 남의 글을 그런 대목만 부분적으로 떼어서 문제 삼으십니까? 전체를 가지고 말 하시오.<br /><br />
* 김종필 : 어디 잡지를 읽는 사람들이 앞뒤를 다 읽고 맞추어 해석해요? 대부분이 이런 자극적인 부분의 문구들에 의해 현혹되기 마련 아니오?<ref name="박경수303"/>}}
그러나 김종필은 그가 [[장도영]]과 같은 고향이라는 점을 문제삼았다.<ref name="박경수304">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3) 304페이지</ref> 그러나 장준하는 [[장도영]]과의 관련을 부인했다.
{{인용문|
* 장준하 : 장도영과 나는 같은 평북 출신이긴 하지만 그 사람은 용천 출신이고 나는 삭주가 고향이외다. 일본군에 잠깐 같이 있었기 때문에 서로 알고는 있지만 그 사람과 무관할 뿐 아니라 그 사람의 지난 행적을 그다지 좋게 보는 것도 아닙니다. 그런 사람과 나를 연관시키는 것은 나를 모독하는 것입니다.<ref name="박경수304"/>}}
장준하의 대답에 김종필은 흥미를 느껴 계속 꼬치꼬치 캐물었고, 장준하는 숨길 것이 없고 해서 자신이 평소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장도영에 대한 추억을 진술했다. 장준하에 의하면 '장준하와 장도영은 중국 서주에서 같이 있었다. 그 곳에서 한인 탈영 사건이 자주 일어나자 학도병들에 대한 감시와 핍박이 심했다. 그때 장도영은 일본도를 빼들고 탈주하는 자는 자기가 먼저 처단하겠다고 설치다가 장준하와 충돌했다. 그리고 탈출이 어려운 쓰카다 부대로 같이 옮겨가서 둘은 장준하가 벌인 '잔반 거부 운동'으로 반목한다.<ref name="박경수304"/>' 성이 같고 고향이 이웃해 있다고 해서 서로 호흡이 맞는 것도 아니었다.<ref name="박경수304"/> 같은 서북인 출신이라 하지만 장준하로서는 장도영의 이름을 들어 그 당으로 모니 참을 수가 없었다.<ref name="박경수305">박경수,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3) 305페이지</ref>
김종필이 장준하와 장도영의 사이를 의심할 만한 이유는 또 하나 있었다. 이 무렵에 사상계사에서 사상문고 100권 출간 기념 리셉션을 창경궁(昌慶宮)의 수정궁(水晶宮)에서 열었던 것이었다.<ref name="박경수305"/> 당시 사상계의 국제적인 명성 때문에 그날이 7월 4일 미국 독립 기념일인데도 미국 대사가 직접 참석하고 내외 귀빈이 수도 없이 모였는데 쿠데타 군부에서도 장도영 최고회의 의장 이하 그 일파가 모두 왕림했다. 그때 박정희와 김종필 쪽에서는 아무도 오지 않았다<ref name="박경수305"/> 그리고 7월 5일 장도영 일파는 모두 체포됐다.
===== 공화당 사전조직 구성 =====
1962년 1월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의 사전 창당조직 연구팀과 사전 조직인 동양화학 주식회사의 창립을 주도하였다.<ref name="leejae">이재오, 《한국 학생운동사》 (파라북스, 2011) 282페이지</ref> 5.16이 일어난 지 3개월 만인 1961년 8월에 김종필은 민정인수 구상의 하나로 공화당을 사전조직하기 시작했던 것이다.<ref name="leejae"/> 이러한 공화당 사전조직은 [[박정희]]의 재가를 얻은 김종필의 새 정당 창당구상 연구팀으로, 책임자는 예비역 [[육군]][[중장]] 최영두고, 윤천계(고려대), 김성희(서울대), 강상운(중앙대) 교수와 이종극, 김운태, 윤태림, 정범모, [[박종화]], 유호선, [[김정렴]], 김학열, [[최규하]], 이필석, 홍승면 등으로 구성되었다.<ref name="leejae"/>
이들은 1962년 1월 이 연구실의 이름을 '동양화학 주식회사'로 위장하고 종로 2가 뒷골목 제일전당포 2~3층에 사무실을 차렸다.<ref name="leejae"/> 이어 김종필은 [[재건당]]을 조직하여, 민정에 군출신 인사들이 참여하기 위한 정식 정당 창당작업을 지속적으로 준비해 나갔다.
==== 예편과 정계 입문 ====
[[파일:Kim Jong-pil and D. MacAthur.jpg|섬네일|오른쪽|150px|1962년 10월 31일 [[더글러스 맥아더]]를 방문한 김종필]]
{{참고|재건당|민주공화당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장으로 재직 중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1962년 10월부터 11월까지 [[미국]]을 방문하고 귀국했다. [[미국]] 방문 길에 그는 [[더글러스 맥아더]] [[미국]] 육군 원수를 방문하기도 했다.<ref name="bre01"><nowiki>"</nowiki>통한 전까지 죽을 수 없다, 인사태는 한국전 실패로<nowiki>"</nowiki>, 동아일보 1962년 11월 1일자, 1면</ref>
[[더글러스 맥아더]]와의 면담에서 맥아더는 김종필에게 "한국이 하루빨리 통일이 되기를 바란다. 나는 한국이 통일될 때까지 죽을 수 없다.<ref name="bre01"/>"는 의사를 피력한다. 또 맥아더는 김종필에게 "[[한국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하여 만주 폭격을 주장"했으며 "[[한국 전쟁]]의 휴전에 있어서 [[미국]]은 잘못을 저질렀으며, 한국에서의 북진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의 [[인도네시아 사태]]가 발전된 것"이라고 답하였다.<ref name="bre01"/> 또한 [[더글러스 맥아더|맥아더]]는 김종필에게 "[[이승만]] [[박사]]에 대한 감정을 완화하여 그를 고국 땅에 귀국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ref name="bre01"/>
1963년 1월에는 육군 준장에서 예편했고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에서 사퇴했다. 이어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의 사전조직인 [[재건당]]을 창당했고, 직접 [[윤일선]], [[임영신]], [[여운홍]], [[임병직]], [[윤치영]], [[정구영 (1894년)|정구영]] 등을 찾아다니며 설득, 신당 창당에 적극 도움을 줄 것을 요청하였다.
평소 [[장면]] 내각을 미워하던 [[윤치영]], [[여운홍]] 등은 그의 도움 요청을 적극 수용하였다. 같은 해 2월에는 [[정구영]], [[윤치영]] 등과 함께 민주공화당 창당 조직에 참여했다.
=== 정치 활동 ===
1971년~1975년, 1998년~2000년에 걸쳐 두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6대 국회]] 때부터 의정활동을 해 총 9번 임기를 채웠다. 이것은 김영삼, [[박준규 (1925년)|박준규]]와 함께 최다선 국회의원 기록이다.
==== 3공 시절 ====
===== 제3공화국 초기 =====
1961년 5·16 군사 정변 당시 박정희의 핵심 브레인으로 일명 혁명공약을 기초했으며, 5월 20일에는 중앙정보부를 조직하여 부장으로 취임하였다. 1962년 박정희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있을 때부터 [[한일협정]]의 실질적인 교섭을 담당했다. 1963년 1월 민주공화당을 창당하기 위해 육군준장으로 예편(군번 13517)했고, 재건당이라는 가칭 조직을 창당했다가, 2월부터 [[정구영 (1894년)|정구영]] 등과 함께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회를 이끌었다. 이후 민주공화당을 창당하자 야당 인사들은 구정치인 정정법으로 묶어놓고 자신들만의 사전조직을 비밀리에 결성했다며 비난했다.
한편 꾸준히 육사 5기생, 6기생들의 견제를 받던 그는 그해 2월 25일, [[민주공화당]] 창당 준비위원장을 사퇴하고 순회대사의 자격으로 동남아시아와 구라파(유럽) 여러 곳을 역방하고저 출국했다가 귀국하여 국회의원에 입후보하였다. 1963년 11월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됐고, 1963년 12월 민주공화당 당의장에 선출됐다. 1964년 8월에는 [[하버드대학교]] 정치경제학과를 수료하였다.
1965년 6월, 당시 [[일본]] 외무상인 [[오히라 마사요시]]와의 비밀 접촉으로 '김종필·오히라 메모'에 합의해 협정 체결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으나 이 과정에서 식민지배에 대한 사과, 약탈 문화재 반환, 재일동포 지위, 동해어업권, 강제 동원 피해자 보상, 원폭피해자 문제 등 주요 현안은 모조리 무시한 채 경제적 보상과 차관을 대가로 모든 문제의 종결을 선언해버려 이 후 한일 관계에 계속되는 문제점과 야당 인사들의 반발을 초래했다.
===== 김-오히라 메모 =====
{{본문|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
1961년 11월 22일 박정희는 일본을 방문하여 [[이케다 하야토]] 총리를 만나 "맨주먹으로 황폐한 조국을 이끌어 보겠다는 의욕만은 왕성하다"며 협조를 요청했다. 박정희의 협조 요청에 따라 [[일본]] 외무장관 [[오히라 마사요시]] 등이 한국에 입국했다. 1962년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 김종필은 [[오히라 마사요시]]를 만나 협상의 내용을 합의하였다. 이 협상 내용은 "김-오히라 메모"로 불린다. 후일 김종필은 "내가 이완용이 소리를 들어도 그 길밖에는 없다고 생각했다. 조금 적은 액수이더라도 빨리 공장을 세우고 기술을 배웠기 때문에 우리 경제성장이 빠르지 않았느냐. 후회하지 않는다"고 회고했다.<ref>[https://archive.today/20120711183156/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438178 막후선 김종필·오히라, 결단은 박정희·이케다], [[중앙일보]], 박소영 기자, 2005.01.18</ref>
[[파일:Kim Jong-pil 1999.png|섬네일|150px|김종필]]
[[파일:Masayoshi Ohira at Andrews AFB 1 Jan 1980 walking cropped 2.jpg|섬네일|150px|오히라 마사요시]]
{{인용문|'''김종필의 메모'''
#청구권은 3억 달러(무상 공여 포함)로 하되 6년 분할 지불한다.
#장기 저리 차관도 3억 달러로 한다.
#한국의 대일 무역 청산 계정 4천6백만 달러는 청구권 3억 달러에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라의 메모'''
#청구권은 3억 달러까지 양보하되 지불기한은 12년으로 한다.
#무역 계정 4천6백만 달러는 청구권 3억 달러에 포함한다.
#차관은 청구권과 별도로 추진한다.
'''합의 사항'''
#무상공여로 3억 달러를 10년에 나누어 제공하되 그 기한을 단축할 수 있다. 내용은 용역과 물품 한일 청산계정에서 대일 부채로 남은 4천5백73만 달러는 3억 달러 중에서 상쇄한다.
#대외 협력 기금 차관으로 2억 달러를 10년에 나누어 제공하되, 그 기간은 단축할 수 있다. 7년 거치 20년 분할 상환, 연리 3푼 5리(정부 차관)
#수출입은행 조건 차관으로 1억 달러 이상을 제공한다. 조건은 케이스에 따라 달리한다. 이것은 국교정상화 이전이라도 실시할 수 있다.(민간 차관) | 《6.3 학생운동사》중에서<ref>6.3동지회, 6.3 학생운동사, 역사비평사, 2008, {{ISBN|4-559-00170-7}}, 67-68쪽</ref>}}
김종필과 오히라의 회동 이후에도 1962년 케네디와 요시다의 회담, 1963년 11월 존슨과 박정희의 회담 등을 통하여 한일간의 외교관계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었다. 회담 타결이 막바지에 이른 1964년 미국은 러스크 국무장관과 극동문제담당차관 등이 한국에 방문하여 일본과 한국의 조속한 수교를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ref name="홍인숙">홍인숙, 한일회담에 대한 미·일의 구도와 대응, 역사비평, 1995년 봄호, ISBN AAB1995030</ref>
1964년 1월부터 한국에서는 한일협상을 반대하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3월에는 5·16 이후 없었던 학생 시위가 시작되었다. 굴욕적인 한일회담을 반대한다는 학생 시위는 6월 3일 절정을 이루어 [[6·3 한일협정 반대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박정희 정권은 비상 계엄을 선포하여 반대의 목소리를 탄압하고 회담을 지속하여 1965년 2월에는 기본조약이, 4월에는 어업협정이 가조인되었다.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이 정식으로 조인되었으며, 8월 14일 대한민국에서는 [[민주공화당 (대한민국)|여당]] 단독으로 국회가 열려 한일기본조약을 비준하였다.<ref>오명호, 한국 현대정치사의 이해, 오름, 1999, {{ISBN|89-7778-094-2}}, 285-286쪽</ref> 1965년 12월 18일 상오10시반 한국의 중앙청 제1회의실에서 두 나라의 국교정상화를 최종적으로 매듭짓는 기본조약 및 협정에 의한 비준서를 교환했다.
==== 3선 개헌 전후 ====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내에는 그를 지지하는 파벌이 나타났고 이들은 1971년 차기 대선에서 [[박정희]]가 물러나고 그가 후임이 되기를 바라기도 했다. 3선개헌을 고려하던 박정희는 1968년 5월 '국민복지회 사건'을 이용하여 김종필 지지세력을 공화당에서 제명하였다.<ref>[네이버 지식백과] 국민복지회사건 [國民福祉會事件]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한국사사전편찬회)...후계자 선정문제를 둘러싼 공화당내 파벌투쟁. 1968년 5월 24일 공화당 국회의원 김용태(金龍泰)가 71년에 물러나게 되어 있는 박대통령의 후계자로 김종필 의장을 옹립하려다 공화당으로부터 제명된 사건이다. 당기위원회는 그의 제명 이유를 김종필 의장의 당권장악을 위해 <국민복지연구회>라는 명목으로 9백여 명의 전(前)사무국 요원을 규합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ref> 자신의 오른팔이었던 김용태 의원이 중정으로 끌려가 고문을 당하는등에 수모를 겪었다.<ref>정창현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p180</ref> 이일로 인해 김종필은 같은해 5월 30일에 정계에서 은퇴하였다.<ref>[네이버 지식백과] 국민복지연구회사건 [國民福祉硏究會事件] (두산백과).....복지회사건이 표면화되자 5월 25일의 공화당 의원총회(議員總會)에서 국회의원 김용태가 제명되었으며, 김종필 자신은 5월 30일 공화당을 탈당하고 모든 공직을 떠나 정계에서 은퇴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김종필은 6월 5일 당의장직에서 물러났으며 6월 7일에는 의원직을 상실하였다.</ref>
국민복지회는 송상남이 주도하여 1968년 3월에 만든 단체였다. 이 단체 소속 의원들과 당원들이 제명처분을 받은 이유는 이들이 3선개헌을 반대하며 1971년 대선에 김종필을 공화당 후보로 추대하려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송상남, 김용태등 회원들은 국민복지회가 '농촌 근대화운동'을 위한 조직이었다고 항변했다. 물론 이들의 주장은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f>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12.19 p141~145</ref> 아울러 중앙정보부의 조사과정에서 발견된 '시국판단서'는 송상남이 개인적으로 작성한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나, 이 문건이 제명처리에 주요근거가 되고 말았다.
정계은퇴후 부인의 신병치료차 방일하였다가 1970년 4월에 귀국하였는데, 이때부터 [[삼선 개헌|삼선개헌]] 지지로 돌어서면서 정계에 복귀했다. 1970년 12월 민주공화당 총재 수석상임고문, 1971년 3월 민주공화당 부총재를 지냈다.
==== 유신 시대 ====
===== 국무총리 재직 시절 =====
1972년 5월엔 PTP 명예 총재에 선출되기도 했다. 1973년 6월에는 [[서독]]을 순방하고 귀국했다.
1974년 일요화가회 명예회장, 1974년 5월 5·16민족상 이사장, 대한올림픽위원회 명예위원장 등을 지냈다. 유신정권의 국무총리를 지내는 등 실권을 유지했다. 1976년 한일의원연맹 한국측 회장에 취임했고, 1977년 한일친선협회 중앙회장에 선출됐다.<ref name="daum1">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03g1942a</ref>
1973년 1월 [[해리 트루먼]]의 추도식에 참석차 비행기편으로 [[미국]] 워싱턴을 방문하고 귀국하였다. 그해 5월 28일 다시 출국 [[스페인]]의 [[마드리드]]에 도착하여 [[심흥선]](沈興善) 주스페인 대사를 만난 뒤 [[알프레도 산체스]] 공보, 관광부 장관, [[루이스 카레로 블랑코]] [[스페인]] 부총통을 면담하고<ref><nowiki>"</nowiki>[사진] 김종필, 알프레도 산체스 벨라, 루이스 카레로 블랑코, 심흥선<nowiki>"</nowiki> 매일경제 1973.05.30 1면 정치</ref> 6월 5일에는 [[프랑스]]를 방문<ref><nowiki>"</nowiki>김총리 내일 빠리로<nowiki>"</nowiki> 동아일보 1973.06.04, 1면 정치 기사</ref><ref><nowiki>"</nowiki>김종필,피엘·메스메르<nowiki>"</nowiki> 매일경제 1973.06.06 1면 정치</ref> 하고 귀국했다.
===== 박정희와의 갈등, 외교 특사 활동 =====
[[파일:김종필circa1975.png|섬네일|국무총리 시절의 김종필]]
그러나 정권의 2인자로 끊임없이 박정희와 갈등했고, 1975년 12월 18일 [[국무총리]]직에서 전격 경질된다.
박정희는 그 대신 그의 둘째 형 [[김종익 (1918년)|종익]]을 대신 충남 부여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내보냈다. 이후 [[김종익 (1918년)|김종익]]은 7, 8, 9대 의원을 지내게 됐다. 김종필이 [[박정희]]와의 갈등 때문에 파란을 겪고 있을 당시 정권측에서 부여지역 민심을 달래기 위해 동생 대신 억지로 부여지역구에 출마시킨 것이었다.
1977년 2월부터 3월까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중남미를 순방한다. 그해 2월 10일부터 14일까지 [[중화민국]]을 방문하여 [[장징궈]], [[옌자진]]과 면담한 뒤 [[일본]]을 방문하여 후쿠다 수상, 오히라 자민당 간사장 등을 면담한 뒤 [[모로코]] 등을 방문했다. 그해 3월에는 [[브라질]] 등을 방문한 뒤 4월 11일 귀국하였다.
1979년 3월 제10대 [[국회의원]]에 재선하였다. 그해 6월에는 유럽 특사로 파견되어 [[독일]]과 [[프랑스]] 등을 순방하고 귀국했다.
===== 유신 붕괴 직후 =====
1979년 10월 박정희가 사망한 후 1979년 11월 12일 민주공화당 당무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총재로 선출되고,<ref>{{뉴스 인용 |제목 = 共和總裁에 金鍾泌씨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111200329201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11-12&officeId=00032&pageNo=1&printNo=10498&publishType=00020 |뉴스 = |출판사 = 경향신문 |쪽 = 1 |날짜 = 1979-11-12 |확인날짜 = 2009-05-05 }}{{깨진 링크|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111200329201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11-12&officeId=00032&pageNo=1&printNo=10498&publishType=00020 }}</ref><ref>{{뉴스 인용
|제목=金鍾泌 前共和總裁등 9명 議員辭退書 수리
|출판사=[[동아일보]]
|날짜=1980-07-03
|url=http://gonews.kinds.or.kr/BEFORE_90_IMG/1980/07/03/19800703DAM01.pdf
|확인날짜=2008-03-29
}}{{깨진 링크|url=http://gonews.kinds.or.kr/BEFORE_90_IMG/1980/07/03/19800703DAM01.pdf }}</ref> 1979년 11월에는 5·16 민족상 재단 총재가 됐다.
{{참고|12·12 군사 반란#부정적 평가}}
박정희 사후 공화당계 정당의 유력자로 부상하면서 재야 운동가들은 그에게 민주적인 선거 절차에 의한 정권 교체에 협조하라는 편지를 보냈다. 김종필은 민주공화당 총재로서, [[김영삼]], [[김대중]] 등과 함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 부각했다.
1980년 5월 18일 새벽 [[5·17 쿠데타|5·17 비상계엄 확대조치]]와 함께 [[보안사]]에 체포돼 감금당했다. 5월 18일 아침 [[최규하 정부|최규하 정권]]은 관제보도를 통해 김종필 등 10여 명을 유신 시대의 부정축재자로 발표했다. 이런 조치와 감금을 당하는 와중에 수경사령관 [[노태우]] 소장은 김종필이 감금된 지하감옥을 방문하고, 존댓말을 쓰며 깍듯이 예우했다. 김종필은 자신의 고사와 이승만, 박정희 시절의 2인자들의 몰락과 비참한 최후를 설명하며 절대 1인자 (당시 1인자란 전두환을 지칭)에게 밉보이지 말 것, 전두환이 서운하게 하더라도 절대 서운한 표현을 해서는 안되며 서운함을 드러냈을 경우 아랫사람과 주변의 이간질하는 세력이 나타나 관계를 악화시킨다는 것 등 2인자로서의 처세술을 노태우에게 일러주었다.
{{참고|한국과학기술원#등록금}}
1980년 9월 그는 신군부에 의해 재산을 헌납하도록 강요받고, 정계에서 은퇴한다는 각서를 썼다.
그가 정계에서 은퇴하면서 구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유정회계 인사들은 [[한국국민당]]을 창당해 활동했다. 그러나 정치금지가 해제되면서 김종필이 정계에 복귀하자 구 공화당, 유정회 인사들은 그를 총재로 받들고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였다. [[신군부]]에 의해 정계를 강제 은퇴당한 그는 이후 운정재단을 운영하면서 사회사업에 종사하였다.
==== 정치 금지와 복귀 ====
1980년 [[5·17 쿠데타|5·17 사태]] 이후 정치활동이 정지당한 채 1987년까지 야인생활을 하며 지냈다.<ref name="daum1"/> 1987년 정계에 복귀해 10월에는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고 총재에 추대됐으며 [[신민주공화당]]의 출범 직후 구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과 유정회의 후신인 [[한국국민당 (1981년)|국민당]]을 흡수했다. 87년 8월 신민주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다.
이어 그는 1980년 무렵 [[전두환]] 정권에 의해 해직된 공무원과 공직자들의 복직을 공약의 하나로 내세우기도 했다.<ref><nowiki>"</nowiki>김종필 위원장 회견, 80년 해직 공무원 전원 복직 약속<nowiki>"</nowiki> 동아일보 1987.10.21 1면, 정치</ref> 12월의 대통령 선거 결과 4위로 낙선했다. 그러나 [[노태우]] 정부의 5공 청산과 권위주의 철폐 등에 비호감을 느낀 군사 정권 출신 인사들의 지지에 힘입어 이듬해인 1988년 4월에는 13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 공동 여당 창립 ===
==== 삼당 합당과 탈퇴 ====
[[민주정의당]]의 노태우로부터 [[3당합당]]의 제의가 오자 고려 끝에 [[노태우]]의 제안을 수용했다. 1990년 초 3당합당을 통해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노태우의 민주정의당과 통합하고, [[민주자유당]] 출범에 참여해 다시 집권여당의 정치인이 되고, 1990년 2월 민주자유당 최고위원에 선출됐다. 1992년 3월 민주자유당 대표위원, 김영삼 정부 초기에 다시 집권 민주자유당의 대표가 됐으나, 내각제를 추진하려는 그의 견해와 대통령중심제를 고수하려는 김영삼 간의 정치적 견해 차이로 갈등하게 됐다. 한편 차기 대선유력주자로 거론됐으나 노태우는 [[박철언]]을 선택하려 했고, 이후 김영삼 계열이 집단 탈당조짐을 보이자 노태우는 [[김영삼]]을 후계자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대선 예비주자로서의 기회를 얻지도 못했다.
{{참고|국가재건최고회의}}
1992년 8월에 [[민자당]] 대표최고위원에 재선임되었다. 그는 [[내각 책임제]] 개헌을 주장했는데 김영삼과 13대 대권을 놓고 경쟁하게 됐다. 1993년 2월에 김영삼이 대통령에 당선, [[문민정부]] 출범 이후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다가 신군부, 하나회 등 전두환 계열의 군부 숙청 이후 당내 군부세력을 제거하려던 김영삼과의 불화 끝에 민주계는 그의 퇴진을 이끌어낸다. 1995년 2월 9일 그는 [[민주자유당|민자당]] 총재직 사퇴와 동시에 탈당하고 [[자유민주연합]]이라는 독자정당을 다시 창당했다. 이후 일부 영남권 인사들을 포섭하고 [[박정희]], [[전두환]] 정권 출신 인사들과 지지층의 표심을 공략했으나 실패했다.
==== DJP연합과 국민의 정부 출범 ====
{{본문|DJP연합|국민의 정부}}
1995년 3월에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의 총재에 추대되었고 1996년 4월 제15대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념적 차이가 있는 [[김대중]]과 손을 잡아 [[DJP연합]]으로 [[김대중]]을 대통령으로 당선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1997년 11월에는 [[자유민주연합]] 명예총재로 정계일선에서 물러났다.
그가 [[김대중]]과 손을 잡자 [[보수주의]] 세력에서는 그의 [[DJP연합|연합]]을 놓고 비난을 퍼부었다. 이후 [[국민의 정부]]의 첫 국무총리 서리로 5개월간 지낸 후 총리로 임명되었다. 그는 [[DJP연합]] 정권의 한 축으로서 총리를 포함한 일부 각료의 인사권 등을 행사하였고 '국민연금' 등의 주요 정책에서도 그 권한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내각제 개헌, 대북 관계 등을 놓고 김대중과 갈등했고, 2001년 결국 [[DJP연합]]은 붕괴된다. 그가 총리직에서 사퇴한 뒤 [[박태준 (1927년)|박태준]]이 후임자가 되었다.
200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6대 총선]]에서 그가 이끄는 [[자유민주연합|자민련]]은 17석을 얻는 데 그쳐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다. 2001년 9월 국회에서 [[임동원]] 통일부 장관 해임안을 가결한 것을 계기로 [[김대중 정부]]와 결별을 선언했다. 이후 김종필은 소수야당의 총재로 남게 됐다. 1999년 2월 10일부터 11일까지 [[인도]]를 방문했다. 김종필은 한국이 파트너 국가로 참가한 인도 엔지니어링 무역 박람회《IETF'99》의 개막식에 참석하고 돌아왔다. 1999년 6월 12일 제1회 자랑스런 미술인상(미술인 지원에 공로)을 받았고, 1998년 7월 한국미술협회 '대한민국 50년을 만든 50대 인물'에 선정됐으며 1998년 5월의 홍콩 아시아위크지 앙케이트 조사에 아시아 유력인사 50인 35위에 선정됐다. 1999년 미국 마르퀴즈 후즈 후사의 1999년판 후즈 후 인 더 월드에 등재됐다.
=== 제16대 대통령 선거 ===
DJP연합이 파기되고 김대중 정부와 결별을 선언한 김종필은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월 15일, [[내각제]]를 핵심공약으로 내세운 뒤 출마를 선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종필 총재 대선출마 선언 |url=https://news.joins.com/article/4210050 |출판사=중앙일보 |저자1=최상연 |저자2=김정하 |날짜=2002-01-16 |확인날짜=2020-08-30 }}</ref> 그러나 충청권 지역 이외에 지지세를 많이 잃어버린 탓에 지지율이 오르지 않자 독자출마를 포기했다. 2002년 대선 기간동안 김종필은 [[한나라당]]의 대선후보 [[이회창]]과 [[새천년민주당]] 대선후보 [[노무현]] 중 어느 인물도 지지하지 않고 중립을 유지했으며, 특히 두 후보 모두 '삼김정치' 청산을 내세우며 대선판에 등장한 건 삼김의 정치세가 2000년대에 들어 악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2005년 정계은퇴 이후 [[동아일보]]와 인터뷰에서 2000년 이회창에게 20석 이하의 자민련도 교섭단체 지위를 가질 수 있게 해주겠다는 약속을 받았으나 나중에는 그런 말을 한 적도 없다는 거짓말을 했고, 이 때문에 그를 믿을 수 없다는 이유로 지지하지 않았다고 답했다.<ref>{{뉴스 인용 |제목=JP"나는 김대중에게 속았다" |url=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050719/8211228/1 |출판사=동아일보 |저자1=최현정 |날짜=2005-07-19 |확인날짜=2022-05-27 }}</ref>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자민련의 정치세는 더욱 악화되었으며 김종필은 소수 야당 총재로 남아 정치활동을 지속하였다.
===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와 정계은퇴 ===
2004년 [[민주당 (대한민국, 2000년)|새천년민주당]], [[한나라당]]이 대통령 노무현 탄핵소추안을 발의하자 그는 처음에는 탄핵에 반대하였으나, 이후 의원들의 자유의사로 돌리며 사실상 중립을 선언했다. 김종필은 탄핵안 표결에 불참하였다.<ref>자민련 계열 의원 중 일부는 당론과 달리 노무현 탄핵에 반대했으며, 실제로 김종호 의원은 본회의에서 탄핵안에 반대투표하였다.</ref>
그러나 자민련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탄핵 역풍]]을 이겨내지 못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민련은 지역구에서 4석을 획득하는 데에 그치면서 교섭단체도 구성하지 못했고, 비례대표에서는 후보 15명(1번 김종필, 2번 [[성완종]], 3번 [[조희욱]], 4번 김종택, 5번 유운영, 6번 이희자, 7번 신은숙, 8번 김용준, 9번 이병우, 10번 김영일, 11번 문도연, 12번 박배철, 13번 오영자, 14번 김용희, 15번 권경애)<ref>{{서적 인용|저자=중앙선거관리위원회|제목=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총람|연도=2004|id=|출판위치=과천|쪽=537~550|장=제3장 후보자 및 당선인 상황 - 제1절 후보자 명부 - 2. 비례대표 후보자 명부|장url=}}</ref>이 출마했지만 지역구 5석, 비례대표 최종 득표율 2.8%를 기록하면서 0.2% 차이로 김종필을 포함한 비례대표 국회의원 전원이 낙선하였다. 10선에 실패한 김종필은 총재직을 사퇴하고 정계 은퇴 선언을 하여, 43년만에 정치계에서 퇴장했다. 김종필이 은퇴하면서, 삼김은 모두 정계에서 은퇴하게 되었으며 삼김시대도 막을 내렸다.
이후 충청권 지역 정당으로 [[국민중심당]], [[자유선진당]] 등이 만들어졌지만 자신은 이에 가담하지 않았으며, 2007년 대선에서도 [[한나라당]] 후보인 [[이명박]]을 지지했다. 2008년 3월 26일, 김종필은 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서울 강남에서 회동을 갖고 한나라당 공천 결과가 편파적으로 진행됐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명박을 강력히 성토했다.<ref>{{웹 인용 |url=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81774 |제목='김영삼-김종필' 회동, '이명박에 배신당했다' 맹성토 |확인날짜=2009년 12월 1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123073057/http://polinews.co.kr/viewnews.html?PageKey=0101&num=81774 |보존날짜=2011년 11월 23일 |url-status=dead }}</ref> 2000년대 이후 한성디지털대학교의 명예 석좌교수에 위촉되기도 했다.
2008년 12월 15일 무렵 갑자기 뇌졸중으로 쓰러져 입원,<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3/12/2009031200851.html?related_all 김종필, 병세 호전돼 퇴원] 뉴시스 2009.3.12</ref> 이후 초인적인 재활운동을 통해 2010년 무렵 거의 정상을 회복했다.<ref>[http://news.donga.com/BestClick/3/all/20131211/59468847/1 김종필 전 국무총리 “無恒産 無恒心”] 동아일보 2013.12.11</ref>
== 사망 ==
{{참고|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계를 은퇴 한 뒤 2008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치료와 재활을 반복해오던 김종필은 2018년 5월 무렵부터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할 정도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2018년 6월 23일에 서울 신당동 자택에서 호흡곤란 증세를 일으켜 순천향대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결국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회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향년 92세였으며, 사인은 노환으로 알려졌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되었고 장례는 5일 가족장으로 간소하게 치러졌다. 6월 27일 영결식 및 발인식이 거행되었고, 그의 유해는 충청남도 부여군의 종중묘역에 안장되었다.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김현택(金顯澤, 1846년~1936년, [[철종]] [[선릉]][[참봉]] 역임)
* 할머니: [[밀양 박씨]](密城 朴氏, 1845년~1917년)
* 아버지: 김상배(金相培, 1887년~1962년)
* 어머니: 이정훈(李貞薰, 1899년~1978년)
** 형님: 김종호(金鍾浩, 1917년~1998년, [[서울특별시|서울]] [[종로구청]] 주사, 중앙곡물협회 회장 역임)
** 형수: 김복례(金福禮, 1918년~2001년)
*** 조카: 김성태(金星泰)
**** 전 질부: 김순란(金順蘭, 1940년~, [[이화여자대학교|이대]] 졸업 후 1980년대 무렵 [[미국]]으로 건너가 상점 운영, 슬하 1남 1녀)
*** 조카: 김춘태(金春泰, 1939년~)
**** 조카사위: 조병창(趙炳昌, 1931년~, 예비역 육군 소령 역임, 슬하 3남)
*** 조카: 김춘자(金春子, 1942년~)
*** 조카: 김인태(金仁泰, 금진상공 대표)
*** 조카: 김익태(金益泰, 남양 콘테이너 사장)
*** 조카: 김지태(金知泰, 중소기업 이사로 재직)
*** 조카: 김승자(金承子, 1957년~,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대]] 졸업)
*** 조카사위: 박홍식(朴洪植, 1953년~, 전기통신연구소 연구 실장)
** 형님: [[김종익 (1918년)|김종익]](金鍾翊, 1918년 6월 27일~2000년 12월 20일, 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의원)
** 형수: 이의렴(?~?)
*** 조카: 김황태(金皇泰, [[삼성전자]] 차장)
*** 조카: 김일태(金一泰, 프로방스대 문학 박사 학위 취득 후 [[동덕여자대학교|동덕여대]] 교수 역임)
** 형님: 김종락(金鍾珞, 1920년 5월 16일~2013년 8월 22일, [[대한야구협회]] 상임고문 역임)
** 형수: 나카도가와 사나에(1921년~)
*** 조카: 김숙자(金淑子, 1945년~)
**** 조카사위: 신인수(申仁洙, 1942년~)
*** 조카: 김정태(金政泰, 1949년~)
*** 조카: 김민태(金珉泰, 1950년~)
*** 조카: 김휘태(金輝泰, 1952년~)
*** 조카: 김이태(金利泰, 1956년~)
*** 조카: 김의태(金義泰, 1962년~)
** 형님: 김종소(金鍾韶, 1925년~2001년)
** 형수: 박춘규(朴春圭, 1931년~)
*** 조카: 김한태(金漢泰, 1955년~, [[연세대학교|연세대]] 졸업 후 건설회사 전무 역임)
*** 조카: 김형준(金亨準, 1961년~,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CSU]] 졸업)
*** 조카 : 김우준(金宇準, 1963년~)
*** 조카 : 김범준(金範準, 1965년~, [[연세대학교|연세대]] 졸업 후 [[행정고시]]에 합격 후 공무원 재직)
** 동생 : 김종관(金鍾寬, 1930년~2010년)
** 제수 : 신홍자(申弘子, 1942년~, 교사였으나 [[전두환 정부|전두환 집권]] 후 강제 퇴직)
*** 조카 : 김진태(金眞泰, 1968년~)
*** 조카 : 김혜진(金惠珍, 1974년~)
* 배우자 : [[박영옥 (1929년)|박영옥]](朴榮玉, 1929년 10월 30일~2015년 2월 21일 , [[박정희]] 대통령의 조카)
** 딸 : [[김예리 (1951년)|김예리]](金禮利, 1951년 12월 27일~)
** 아들 : 김진(金進, 1961년 9월 3일 ~ 2023년 12월 4일, 리디아와 결혼한 후 환경무역업 경영, 슬하 2남 1녀)
** 며느리 : 리디아(1962년 ~ , [[미국]] 국적 [[과테말라]] 출신)
* 장인 : [[박상희]](朴相熙, [[박정희]] 대통령의 셋째형, 1905년 9월 10일~1946년 10월 6일)
* 장모 : 조귀분(趙貴紛, 1908년 12월 16일~1992년 11월 14일)
== 경력 ==
* 1949 [[육군사관학교]] 제8기 임관
* 1952.8~1953.5 6사단 19연대 수색중대장
* 1961.5~1963.1.6 초대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장]]
* 1963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창당위원장
* 1963.12~1967.6 제6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충남 부여군 제5선거구)
* 1967.1~1968.6 제7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충남 부여군 제5선거구)
* 1971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부총재
* 1971.7~1972.10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전국구 1번)
* 1971.6~1975.12 제11대 국무총리 (박정희 정부)
* 1973.2~1978.12 제9대 국회의원 (통일주체국민회의)
* 1976 한일의원연맹 회장
* 1979.3~1980.8 제10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충남 부여군ㆍ서천군ㆍ보령군)
* 1979.11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총재
* 1987.10~1990.1 [[신민주공화당]] 총재
* 1987.12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제13대 대통령 선거]] [[신민주공화당]] 대통령 후보
* 1988.5~1992.5 제13대 국회의원 (신민주공화당 / 충남 부여군)
* 1992.5~1996.5 제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 충남 부여군)
* 1990.1 [[민주자유당]] 최고위원
* 1995.3~1997.11 [[자유민주연합]] 총재
* 1996.5~2000.5 제15대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 충남 부여군)
* 1998.3~2000.1 제31대 국무총리 (국민의 정부)
* 2000.5~2004.5 제16대 국회의원 (자유민주연합 / 전국구 1번)
* 2001.10~2004.4 [[자유민주연합]] 총재
* 2007.12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제17대 대통령 선거]]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 후보 선대위원회 명예고문
== 상훈 ==
* 1954년 9월 동성 훈장(미국).
* 1955년 1월 은성 충무무공 훈장
* 1961년 10월 대수보정 훈장(중화민국)
* 1963년 1월 일등 보국 훈장 통일장
* 1966년 10월 공로 대훈장(파라과이)
* 1966년 7월 로훈장(이탈리아)
* 1966년 10월 보국 일등 훈장(베트남)
* 1971년 12월 청조 근정 훈장
* 1971년 6월 수교훈장 광화장
* 1973년 6월 훈일등욱일대훈장(일본)
* 1974년 11월 수교훈장 광화대장
* 1975년 10월 아프리카 가봉 대훈장
* 1975년 10월 적십자대장 태극장
* 1975년 10월 칠레 대훈장
* 1977년 10월 아르헨티나 대십자훈장
* 1977년 10월 중화민국 대수보훈장
* 1978년 2월 대훈장(아르헨티나)
* 1998년 10월 압둘아지르왕 훈장(사우디아라비아)
* 1999년 6월 한국미술협회 제1회 자랑스런 미술인상(미술인 지원에 공로)
* 2000년 1월 17일~1월 25일 서울경제신문 주최 명사미술전 출품-휘호(백상기념관)
* 2018년 6월 국민훈장 무궁화장(추서)
== 학력 ==
* 1940년 [[부여초등학교|부여공립보통학교]] 졸업
* 1944년 [[공주고등보통학교]] 졸업
* 1944년 [[주오 대학교]] 예비과정 중퇴
* 1945년 [[공주교육대학교]] 졸업
* 1948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수료
* 1949년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8기 졸업
* 1952년 [[미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6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8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3기
=== 명예 박사 학위 ===
* 1963년 [[페얼레이 디킨슨 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 1964년 [[롱아일랜드 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 1966년 [[중앙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 1966년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명예 문학박사
* 1974년 [[홍익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 1992년 [[유타대학교]] 명예 정치학 박사
* 1995년 [[오리건 주립 대학교|OSU]] 명예 이학박사
* 1998년 [[동의대학교]] 명예 경제학 박사
* 1998년 [[명지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 1998년 [[공주대학교]] 명예 교육학 박사
* 1998년 [[규슈 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 2002년 [[광주대학교]] 명예 행정학 박사
* 2007년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명예 정치학 박사
== 평가 ==
=== 긍정적 평가 ===
김종필은 [[삼김]] 중 하나인 대한민국의 2인자로써 막대한 정치적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5.16군사정변]]의 시스템을 설계하여 헌정을 붕괴시킨 사건이지만 안정적으로 관리하였고 훗날 [[국가정보원]]이 되는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를 설립하여 공안정보기관에 기여를 했으며 [[대한민국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제1차 경제개발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주었다.
=== 부정적 평가 ===
군사 정권 출신이며 [[5.16 군사 정변]]의 주동자의 한 사람이라는 점과 [[박정희]] 정권에 부역하였다는 점은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반대로 보수 진영에서는 그가 1998년 [[DJP연합]]으로 정권교체에 기여한 점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 밖에 [[김영삼]], [[김대중]]과 함께 삼김으로 불리며 충청권의 맹주로 자임하며 지역갈등, 지역정치를 조장했다는 점에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일부 존재하고 있다.
== 일화 ==
아들 김진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유타 대학교]]에 유학을 하던 중 그곳에서 만난 과테말라 여성 리디아와 결혼했다. 당시 그의 반응에 대한 측근의 진술로는 "김 총리가 미처 말리고 어쩌고 할 틈도 없이 김진씨가 이미 모든 것을 결정한 다음이라 김 총리도 속수무책으로 인정하는 수밖에 없었다."라고 하였다.
박정희 대통령 집권 초기 중앙정보부를 창설하고 군사 정권을 이끌던 김종필은, 호텔의 성격이 외래 관광객과 주한 유엔군 휴가장병 유치시설로 규정된 만큼 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자신이 주도해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워커힐]]’이라는 이름으로 호텔을 지었다.<ref>{{뉴스 인용|url=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23/2020102302446.html|제목=김종필이 워커힐호텔 짓자고 박정희 설득했던 이유|날짜=2020-10-25|출판사=땅집고}}</ref>
[[세종문화회관]] 건축 당시 설계도에도 없던 [[파이프 오르간]] 설치를 김종필 총리가 지시한다.<ref name="서울경제파이프오르간">{{뉴스 인용|url=https://www.sedaily.com/NewsVIew/1OELTI73OX|제목=
[서은영의 독무대]불혹에 이른 세종문화회관 파이프 오르간|날짜=2017년4월11일|출판사=서울경제}}</ref> 당시에는 이 오르간이 동양 최대의 오르간이었다.<ref name="서울경제파이프오르간"/>
== 저서 ==
* 《JP칼럼》
* 《JP화첩》
* 《새 역사의 고동》
* 《김종필 증언록》
* 《남아있는 그대들에게》
== 기타 ==
* 1992년 12월 한국소설가협회 명예회원
* 1993년 6월 한국 펜클럽 평생회원
=== 좌우명 ===
* 일일신 우일신(日日新 又日新)
* 상선여수(上善如水)
== TV 프로그램 ==
* 1998년 [[KBS 2TV|KBS2]] 《[[TV는 사랑을 싣고]]》
== 대중 매체 ==
=== TV 드라마 ===
* [[문화방송|MBC]] 1989년 《[[제2공화국 (드라마)|제2공화국]]》 [[이정길 (1944년)|이정길]]
* [[문화방송|MBC]] 1993년 《[[제3공화국 (드라마)|제3공화국]]》 [[이정길 (1944년)|이정길]]
* [[SBS]] 1995년 《[[코리아게이트]]》 [[이정길 (1944년)|이정길]]
* [[문화방송|MBC]] 1995년 《[[제4공화국 (드라마)|제4공화국]]》 [[한인수]]
* [[SBS]] 1998년 《[[삼김시대 (드라마)|삼김시대]]》 [[정동환]]
* [[SBS]] 2003년 《[[야인시대]]》 [[한창호]]
* [[문화방송|MBC]] 2004년 《[[영웅시대 (2004년 드라마)|영웅시대]]》 [[정재곤]]
* [[문화방송|MBC]] 2005년 《[[제5공화국 (드라마)|제5공화국]]》 [[이정길 (1944년)|이정길]]
== 관련 서적 ==
* 김종필, 《JP 칼럼》 (프로젝트409, 1997)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60년대편 2》 (인물과사상사,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7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70년대편 2》 (인물과사상사, 2006)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90년대편 1》 (인물과사상사, 2006)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6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부여군 (1963년 선거구)|충남 부여군]] | 민주공화당 | 45,999표| 68.15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부여군|초선]] }}
{{선거기록/KR/개인|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부여군 (1963년 선거구)|충남 부여군]] | 민주공화당 | 58,156표| 91.06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부여군|재선]] }}
{{선거기록/KR/개인|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8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8대 비례대표 민주공화당|전국구]] | 민주공화당 | 6,254,921표| 48.8 | 전국구 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전국구|3선]] }}
{{선거기록/KR/개인|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통일주체국민회의 | 유신정우회 | | | 지명 | 당선 |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4선]] }}
{{선거기록/KR/개인|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0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부여군·서천군·보령군|충남 부여군·서천군·보령군]] | 민주공화당 | 42,946표| 66.63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부여군·서천군·보령군|5선]] }}
{{선거기록/KR/개인| 1987년|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대선]] | 13대 |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 [[대한민국]] | 신민주공화당 | 1,823,067표| 8.06 | 4위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선거 결과|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3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부여군 (1988년 선거구)|충남 부여군]] | 신민주공화당 | 53,967표| 81.88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부여군|6선]] }}
{{선거기록/KR/개인|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4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부여군 (1988년 선거구)|충남 부여군]] | 민주자유당 | 42,358표| 72.53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부여군|7선]] }}
{{선거기록/KR/개인|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5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부여군 (1988년 선거구)|충남 부여군]] | 자유민주연합 | 35,292표| 66.35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부여군|8선]] }}
{{선거기록/KR/개인|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6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6대 비례대표 자유민주연합|비례대표]] | 자유민주연합 | 1,859,331표| 9.8 | 비례대표 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9선]] }}
{{선거기록/KR/개인|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비례대표 | 자유민주연합 | 569,083표| 2.82 | 비례대표 1번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낙선]] | }}
{{선거기록 끝}}
== 같이 보기 ==
* [[일본공산당]]
* [[적화통일]]
*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제5공화국]]
* [[제6공화국]]
* [[박정희]]
* [[김대중]]
* [[김영삼]]
* [[전두환]]
* [[노태우]]
* [[노무현]]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김재규]]
* [[차지철]]
* [[이후락]]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 [[부여군 (1988년 선거구)]]
* [[부여군의 국회의원]]
* [[서천군의 국회의원]]
* [[보령군의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헌정회|2103|김종필}}
* [https://web.archive.org/web/20080425105749/http://www.jamin.or.kr/ 김종필 홈페이지]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해산)
|대수 = 1
|직책 = [[재건당]] 대표
|임기 = 1963년 1월 10일~1963년 2월 2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김용순 (1926년)|김용순]]
|대수 = 1
|직책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장
|임기 = 1961년 5월 20일~1963년 1월 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윤치영]]
|후임자 = [[정구영 (1894년)|정구영]] (의장서리)
|대수 = 3
|직책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의장
|임기 = 1963년 12월 2일~1964년 6월 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정구영 (1894년)|정구영]]
|후임자 = [[윤치영]]
|대수 = 5
|직책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의장
|임기 = 1965년 12월 27일~1968년 5월 30일
}}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장경순 (1922년)|장경순]]
|대수 =
|직책 = 초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부총재
|임기 = 1971년 3월 26일~1979년 11월 12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백두진]]
|후임자 = (서리)[[최규하]]
|대수 = 11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임기 = 1971년 6월 4일~1975년 12월 18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박준규 (1925년)|박준규]]
|후임자 = [[김택수 (1923년)|김택수]]
|대수 =
|직책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의장대행
|임기 = 1979년 11월 14일~1980년 3월 2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박준규 (1925년)|박준규]] (총재권한대행)
|후임자 = [[정래혁]] (총재권한대행)
|대수 = 4
|직책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총재
|임기 = 1979년 11월 14일~1980년 3월 2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해산)
|직책 = [[신민주공화당]] 총재
|임기 = 1987년 10월 30일~1990년 2월 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김영삼]]
|후임자 = [[이춘구]]
|대수 = 2
|직책 = [[민주자유당]] 대표위원
|임기 = 1992년 8월 28일~1995년 1월 20일
}}
{{전임후임
|전임자 =
|후임자 = [[박태준 (1927년)|박태준]]
|대수 = 1·2
|직책 = [[자유민주연합]] 총재
|임기 = 1995년 3월 30일~1997년 11월 21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고건]]
|후임자 = 김종필
|대수 =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서리]]
|임기 = 1998년 3월 3일~1998년 8월 17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서리)김종필
|후임자 = [[박태준 (1927년)|박태준]]
|대수 = 31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임기 = 1998년 8월 18일~2000년 1월 12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박태준 (1927년)|박태준]]
|후임자 = (권한대행)[[이인제]]
|대수 = 4
|직책 = [[자유민주연합]] 총재
|임기 = 2001년 10월 9일~2004년 4월 16일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전국구}}
{{제8대 비례대표 민주공화당}}
{{제9대 간선대표 제1기 유신정우회}}
{{제9대 간선대표 제2기 유신정우회}}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충청남도}}
{{제16대 비례대표 자유민주연합}}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전거 통제}}
[[분류:1926년 출생]]
[[분류:2018년 사망]]
[[분류:부여군 출신]]
[[분류:김해 김씨]]
[[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분류:대한민국 육군 준장]]
[[분류:5·16 군사정변 관련자]]
[[분류: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장]]
[[분류: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분류:불교에서 개신교로 개종한 사람]]
[[분류:보스정치인]]
[[분류:민주자유당의 정치인]]
[[분류:자유민주연합의 정치인]]
[[분류:신민주공화당]]
[[분류: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후보]]
[[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
[[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
[[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
[[분류:대한민국 제5공화국]]
[[분류:박정희 정부]]
[[분류:노태우 정부]]
[[분류:김영삼 정부]]
[[분류:김대중 정부]]
[[분류:대한민국의 화가]]
[[분류:대한민국의 서예가]]
[[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
[[분류:대한민국의 자서전 작가]]
[[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분류:부여초등학교 동문]]
[[분류:공주고등학교 동문]]
[[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
[[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
[[분류: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
[[분류:충남고등학교 동문]]
[[분류:주오 대학 동문]]
[[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
[[분류:공주교육대학교 동문]]
[[분류:국방대학교 동문]]
[[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
[[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
[[분류:충청남도의 국회의원]]
[[분류:대한민국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분류:충청남도 출신 정치인]]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26}}
{{기년법|1926}}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8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15년
* [[일본]](日本) [[다이쇼 시대|다이쇼]]({{lang|ja|大正}}) 15년 / [[쇼와 시대|쇼와]]({{lang|ja|昭和}}) 원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연호)|바오다이]](保大) 원년
== 기년 ==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황제|보대제]](保大帝) 원년
== 사건 ==
* [[1월]] - 프로문학 경향지 <문예운동> 발간
* [[1월 2일]] - [[일본]] [[미에현]]에서 한인 교포 학살, 1,000여명 한인이 일본인들과 충돌
* [[1월 3일]] - [[임송흡]], [[현애라]] 등이 [[프로여성동맹]] 창립
* [[1월 6일]] -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내 [[조선총독부청사]]로 이전
* [[2월 14일]] - 서울에서 [[경성전기]] 폭리 반대운동 시위 발생
* [[2월 18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이상룡]] 사퇴
* [[2월 26일]] - [[일본]] [[도쿄]] 대심원에서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특별공판이 진행
* [[2월 27일]] - <조선도량형령> 공포로 [[미터법]] 전용 도입
* [[3월 7일]] - <[[동아일보]]>가 모스크바 국제농민조합이 보낸 삼일절 기념축전을 지면에 게재하여 무기 정간, 주필 [[송진우]], 발행인 [[김철중]] 검거
* [[3월 15일]] - 조선청년회연합회가 기관지 <아성> 창간
* [[3월 21일]] - [[이시이 고나미]]가 [[경성공회당]]에서 무용 공연
* [[3월 25일]] - [[경성도서관]]이 [[서울특별시|경성부]]로 매각되었다.
* 4월 - [[엠엘파 (공산주의운동)|엠엘파]] 결성.
* [[4월 1일]]
**조선총독부, [[산미증식계획]] 변경 실시
**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법문학부로 개설
** [[종로도서관|경성부립도서관 종로분관]] 개관
* [[4월 5일]] - [[양기탁]] 등이 [[만주]]에서 [[고려혁명당]] 조직
* [[4월 14일]] - [[화용회]], [[북풍회]], [[무산자동맹회]], [[조선노동당]]이 [[정우회]]로 통합
* [[4월 22일]] - [[조선]] 전국의 은행이 [[모라토리엄]]으로 일제 휴업
* [[4월 26일]]
** [[순종]] 황제, [[창덕궁]]에서 승하
** [[미국-프랑스 채무협정]] 체결. 미국에 대한 프랑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채무를 40억 달러로 확정하다.
* [[4월 27일]] - [[영친왕]] 이은이 순종 황제의 왕위 계승
* [[5월 3일]] - 임시정부 국무령에 [[안창호]]가 선출되었으나 자진사퇴
* [[5월 20일]] - [[한용운]], <[[님의 침묵]]> 간행
* [[6월]] - [[양주동]] <조선의 맥박>,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발표
* [[6월 10일]] - 순종 국장, [[6·10 만세운동]]
* [[6월 19일]] - 6·10 만세운동 혐의로 [[중앙고보]] 교사 [[조철호]]와 학생 70여명이 형무소에 수감
* [[6월 20일]] -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 개관
* [[6월 29일]] - [[여운형]] 등이 중국 광둥에서 [[한인혁명군]] 조직
* [[7월]] - [[전주고등보통학교]]생 [[맹휴]]가 일본인 교장을 축출, 54명 퇴학 처분
* [[7월 3일]] - 조선총독부 학무국, 시내 사립학교장 소환하여 6·10 만세운동 연루 학생 처벌 명령
* [[7월 5일]] - [[영화|활동사진]] 필름검열규칙 공포
* [[7월 7일]] - 임시정부 국무령에 [[홍진]] 선출
* [[7월 8일]] - [[경성여자미술학교]] 설립
* [[8월 1일]] - <[[개벽 (잡지)|개벽]]> 72호가 안녕질서문란 혐의로 정간
* [[8월 4일]] - 극작가 [[김우진 (1897년)|김우진]]과 성악가 [[윤심덕]]이 [[현해탄]]에 투신 자살
* [[8월 26일]] - [[이탈리아]] [[축구]] 클럽 [[ACF 피오렌티나]] 창단.
* 9월 - [[일본]]에서 [[조선노동동흥회]] 결성
* [[9월 8일]] - 독일, [[국제연맹]]에 가입.
* [[9월 13일]] - [[경성지방법원]], 제1,2차 공산당사건 공판
* [[9월 19일]] - 임시정부 의정원 의장에 [[송병조]], 부의장에 [[최석순]] 선출
* [[10월]] - [[민립극단]]을 중심으로 [[조선극우회]] 조직
* [[10월 1일]] - [[나운규]] 감독,각본,주연의 <[[아리랑 (1926년 영화)|아리랑]]>이 [[단성사]]에서 상영
* [[10월 10일]] - 임시정부 국무원에 [[이탁]], [[김동삼]], [[오동진]], [[이유필]], [[윤세용]], [[현천묵]], [[윤병용]], [[김좌진]] 등을 임명
* [[10월 12일]] - 임시정부 국무원에 [[조성환]] 임명
* [[10월 25일]] - [[서울]]-[[오사카]] 무전국 간 전보 취급 개시
* [[11월 4일]] - [[조선어연구회]]가 [[훈민정음]] 반포 480년을 기념해 [[가갸날]] 제정
* [[11월 9일]] - 훈민정음반포기념회가 기념일 명칭을 '정음날', 한국어 명칭을 '우리글'로 결정
* [[11월 15일]] - [[이상협]], <[[중외일보]]> 창간
* [[12월 6일]] - [[안광천]], [[김준연]] 등이 [[조선공산당]]을 재조직 (일명 ML당)
* [[12월 10일]] - [[유일한]], [[유한양행]] 설립
* [[12월 14일]] - 임시정부 국무령에 [[김구]] 취임
* [[12월 17일]] -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부의장에 [[김창숙]] 임명
* [[12월 25일]] - [[일본]] [[쇼와 시대]] 개막
* [[12월 28일]] - [[의열단]] 소속 [[나석주]] 열사가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 투척, 일경과 교전하다 자결
== 탄생 ==
{{분류 참고|1926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인석 (1926년)|서인석]]. (~[[2017년]])
* [[1월 3일]] - 영국의 음반 프로듀서 [[조지 마틴]]. (~[[2016년]])
* [[1월 6일]] - 일본의 소설가 [[김윤규]]. (~[[1980년]])
* [[1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필]]. (~[[2018년]])
* [[1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업가 [[최종건 (1926년)|최종건]]. (~[[1973년]])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 [[황인성 (1926년)|황인성]]. (~[[2010년]])
* [[1월 12일]] - 미국의 컨트리 음악 가수, 작곡가, 기타리스트 [[레이 프라이스]]. (~[[2013년]])
* [[1월 15일]]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 [[라피크 니쇼노프]]. (~[[2023년]])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래혁]]. (~[[2022년]])
* [[1월 20일]] - 미국의 배우 [[퍼트리샤 닐]]. (~[[2010년]])
* [[1월 25일]] - 미국의 영화배우 [[테드 화이트]]. (~[[2022년]])
* [[1월 29일]] - 파키스탄의 물리학자 [[압두스 살람]]. (~[[1996년]])
=== 2월 ===
* [[2월 2일]] - 프랑스의 정치인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2020년]])
* [[2월 8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인 [[토니 스트리트]]. (~[[2022년]])
* [[2월 9일]] - 대한민국의 관료 [[이한빈 (1926년)|이한빈]]. (~[[2004년]])
* [[2월 10일]] -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대니 블란치플라워]]. (~[[1993년]])
* [[2월 16일]]
** 안네의 일기의 저자 안네 프랑크의 언니 [[마르고트 프랑크]] (~[[1945년]])
** 영국의 영화 감독 [[존 슐레진저]]. (~[[2003년]])
* [[2월 17일]]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프리드리히 체르하]]. (~[[2023년]])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윤창]]. (~[[1989년]])
* [[2월 20일]] - 스페인의 극작가 [[알폰소 사스트레]].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류승번]]. (~[[2023년]])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무용가 [[김진걸]]. (~[[2007년]])
* [[2월 27일]] - 스웨덴의 배우 [[잉리드 툴린]]. (~[[2004년]])
=== 3월 ===
* [[3월 3일]] - 스위스의 가수 [[리스 아시아]]. (~[[2018년]])
* [[3월 6일]]
** 미국의 경제학자, 관료 [[앨런 그린스펀]].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이영덕 (1926년)|이영덕]]. (~[[2010년]])
* [[3월 11일]] - 미국의 인권운동가 [[랠프 애버내시]]. (~[[1990년]])
* [[3월 18일]] - 미국의 배우 [[피터 그레이브스]]. (~[[2010년]])
* [[3월 30일]]
** 미국의 배우 [[피터 마셜]]. (~[[2024년]])
** 이케아(IKEA)의 창립자인 스웨덴의 기업인 [[잉그바르 캄프라드]]. (~[[2018년]])
=== 4월 ===
* [[4월 2일]]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리두균]]. (~[[2012년]])
* [[4월 6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행정가, 정치인 [[홍성철]]. (~[[2004년]])
* [[4월 8일]]
** 독일의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 (~[[2024년]])
** 미국의 희극인, 영화배우 [[셔키 그린]]. (~[[2023년]])
* [[4월 9일]] - 미국의 기업가 [[휴 헤프너]]. (~[[2017년]])
* [[4월 1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명례현]].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인권 운동가)|김복동]]. (~[[2019년]])
* [[4월 21일]] - 영국의 여왕 [[엘리자베스 2세]]. (~[[2022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 [[김복동 (1926년)|김복동]]. (~[[2019년]])
* [[4월 26일]] - 영국의 한국문학 교수 [[윌리엄 스킬렌드]]. (~[[2010년]])
* [[4월 28일]] - 미국의 작가 [[하퍼 리]]. (~[[2016년]])
=== 5월 ===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홍덕영]]. (~[[2005년]])
* [[5월 6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손인호 (가수)|손인호]]. (~[[2016년]])
* [[5월 8일]]
** 영국의 동물학자, 방송인 [[데이비드 애튼버러]].
** 미국의 영화배우, 희극인 [[돈 리클스]]. (~[[2017년]])
* [[5월 15일]]
** 영국의 극작가 [[피터 섀퍼]]. (~[[2016년]])
** 독일의 극작가 [[리하르트 하이]]. (~[[2004년]])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우희창]]. (~[[1997년]])
* [[5월 26일]] - 미국의 재즈 음악가 [[마일스 데이비스]]. (~[[1991년]])
* [[5월 29일]] - 세네갈의 대통령 [[압둘라예 와데]].
* [[5월 31일]] - 미국의 수학자 [[존 조지 케메니]]. (~[[1992년]])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극작가 [[박현숙 (극작가)|박현숙]]. (~[[2020년]])
** 미국의 배우 [[마릴린 먼로]]. (~[[1962년]])
* [[6월 5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외교관 [[김성룡 (1926년)|김성룡]]. (~[[2002년]])
* [[6월 6일]] - 독일의 지휘자 [[클라우스 텐슈테트]]. (~[[1998년]])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승병일]]. (~[[2022년]])
* [[6월 15일]] - 일본의 아이누 문화 연구가 [[가야노 시게루]]. (~[[2006년]])
* [[6월 16일]] - 과테말라의 정치인, 군인, 대통령 [[에프라인 리오스 몬트]]. (~[[2018년]])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관료 [[이규호 (1926년)|이규호]]. (~[[2002년]])
* [[6월 20일]] - 미국의 군인 [[오디 머피]]. (~[[1971년]])
* [[6월 25일]] - 오스트리아의 시인 [[잉게보르크 바흐만]]. (~[[1973년]])
* [[6월 30일]] - 미국의 생화학자 [[폴 버그]]. (~[[2023년]])
=== 7월 ===
* [[7월 1일]]
** 독일의 작곡가 [[한스 베르너 헨체]]. (~[[2012년]])
** 아르헨티나의 지휘자 [[아틸리오 스탐포네]]. (~[[202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철 (1926년)|김철]]. (~[[1994년]])
* [[7월 4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2014년]])
* [[7월 10일]] - 미국의 배우 [[칼턴 카펜터]]. (~[[2022년]])
* [[7월 12일]] - 말레이시아 총리의 부인 [[시티 하스마]].
* [[7월 15일]] - 아르헨티나의 군인 출신 정치인 [[레오폴도 갈티에리]]. (~[[2003년]])
* [[7월 16일]]
** 미국의 생물학자 [[어윈 로즈]]. (~[[2015년]])
** 이스라엘의 기업가, 정치인 [[스테프 베르트하이머]].
* [[7월 19일]] - 미국의 배우, 댄서, 분장사 [[헬렌 갤러거]]. (~[[2024년]])
* [[7월 21일]] - 캐나다의 영화감독 [[노먼 주이슨]].
=== 8월 ===
* [[8월 3일]] - 미국의 가수 [[토니 베넷]]. (~[[2023년]])
* [[8월 8일]]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노재현]]. (~[[2019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용휴]]. (~[[2022년]])
* [[8월 11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오카다 요시오]]. (~[[2002년]])
* [[8월 13일]]
** 쿠바의 혁명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 (~[[2016년]])
** 영국의 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에런 클루그]]. (~[[2018년]])
* [[8월 14일]] - 미국의 유머 작가 [[르네 고시니]]. (~[[1977년]])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시인 [[박인환 (시인)|박인환]]. (~[[1956년]])
** 그리스의 제6대 대통령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2016년]])
* [[8월 17일]] - 중국의 정치가, 전 국가 주석 [[장쩌민]]. (~[[2022년]])
=== 9월 ===
* [[9월 2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가 [[이건영 (1926년)|이건영]]. (~[[2023년]])
* [[9월 3일]] - 그리스의 영화배우, 가수 [[이레네 파파스]]. (~[[2022년]])
* [[9월 4일]]
** 오스트리아의 신학자 [[이반 일리치]]. (~[[200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일영 (1926년)|정일영]]. (~[[2015년]])
* [[9월 6일]]
** 일본의 소설가 [[호시 신이치]]. (~[[1997년]])
** 네덜란드의 여왕 베아트릭스 부군 [[네덜란드 여왕 부군 클라우스]]. (~[[2002년]])
** 소련의 군인 [[베라 푸티나]]. (~[[2023년]])
* [[9월 8일]] - 대한민국의 관료 [[이동원 (1926년)|이동원]]. (~[[2006년]])
* [[9월 14일]] - 프랑스의 작가 [[미셸 뷔토르]]. (~[[2016년]])
* [[9월 15일]]
** 프랑스의 수학자 [[장피에르 세르]].
** 일본의 영화감독 [[이마무라 쇼헤이]]. (~[[2006년]])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우근]]. (~[[2022년]])
* [[9월 19일]] - 일본의 물리학자 [[고시바 마사토시]]. (~[[2020년]])
* [[9월 21일]] - 미국의 물리학자 [[도널드 글레이저]]. (~[[2013년]])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국문학자 [[서정범]]. (~[[2009년]])
** 미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 [[존 콜트레인]]. (~[[1967년]])
** 미국의 연극 영화배우 [[헨리 실바]]. (~[[2022년]])
* [[9월 26일]]
** 일본의 물리학자 [[고시바 마사토시]]. (~[[2020년]])
** 미국의 가수, 배우 [[줄리 런던]]. (~[[2000년]])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의사 [[백낙환]]. (~[[2018년]])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강윤국]]. (~[[2009년]])
=== 10월 ===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인 [[정병주]]. (~[[1989년]])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일몽]].
* [[10월 11일]] - 베트남의 승려 [[틱낫한]]. (~[[2022년]])
* [[10월 12일]] - 아르헨티나의 건축가 [[시저 펠리]]. (~[[2019년]])
* [[10월 15일]]
**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1984년]])
** 대한민국의 군인 [[윤성민]]. (~[[2017년]])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신상옥]].
** 미국의 가수 [[척 베리]]. (~[[2017년]])
* [[10월 26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베른하르트 클로트]]. (~[[1996년]])
=== 11월 ===
* [[11월 3일]] - 리투아니아의 대통령 [[발다스 아담쿠스]].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구봉서]]. (~[[2016년]])
** 대한민국의 시인 [[김종길]]. (~[[2017년]])
** 영국의 작가 [[존 버거]]. (~[[2017년]])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군인 [[황영시]]. (~[[2022년]])
* [[11월 18일]] - 일본의 정치인 [[무토 가분]]. (~[[2009년]])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최은희 (배우)|최은희]]. (~[[2018년]])
* [[11월 24일]]
** 중국 태생 미국의 물리학자 [[리정다오]]. (~[[2024년]])
** 이탈리아의 화가 [[비토리오 미엘레]]. (~[[1999년]])
* [[11월 25일]] - 미국의 극작가 [[머레이 시스게일]]. (~[[2020년]])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외교관 [[채명신]]. (~[[2013년]])
* [[11월 30일]] - 미국의 내분비학자 [[앤드루 섈리]]. (~[[2024년]])
=== 12월 ===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박경리]]. (~[[2008년]])
* [[12월 8일]] - 미국의 군인 [[랄프 퍼켓]]. (~[[2024년]])
* [[12월 13일]]
** 자메이카의 육상 선수 [[조지 로든]]. (~[[2024년]])
** 미국의 야구 선수 [[칼 어스킨]]. (~[[2024년]])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배삼룡]]. (~[[2010년]])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상길 (1926년)|김상길]]. (~[[2018년]])
== 사망 ==
[[파일:Bessie Coleman, First African American Pilot - GPN-2004-00027.jpg|섬네일|120px|베시 콜먼]]
[[파일:Antoni gaudi.jpg|섬네일|120px|안토니 가우디]]
[[파일:Claude Monet 1899 Nadar crop.jpg|섬네일|120px|클로드 모네]]
{{분류 참고|1926년 사망}}
* [[1월 28일]] - 일본의 정치가, 총리 대신 [[가토 다카아키]]. (1860년~)
* [[2월 12일]] - 대한제국의 정치가, 관료 [[이완용]]. (1858년~)
* [[4월 25일]] -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대한제국 순종|순종]]. (1874년~)
* [[4월 30일]] - 미국의 비행사 [[베시 콜먼]]. (1892년~)
* [[5월 3일]] - 스웨덴의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 (1851년~)
* [[5월 28일]] - 영국의 의사 [[제임스 캔틀리]] (1851년~)
* [[6월 5일]]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 (1894년~)
* [[6월 10일]] - 스페인의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 (1852년~)
* [[7월 23일]] - 독립운동가 박열의 배우자 [[가네코 후미코]] (1903년~)
* [[8월 4일]] - 극작가 [[김우진 (1897년)|김우진]]과 성악가 [[윤심덕]] (1897년~)
* [[8월 26일]] - 한국의 문학가 [[나도향]]. (1902년~)
* [[12월 5일]] - 프랑스의 화가 [[클로드 모네]]. (1840년~)
* [[12월 25일]] - 일본의 123대 천황 [[다이쇼 천황|다이쇼]]. (1879년~)
* [[12월 28일]] - 한국 독립운동가 [[나석주]]. (1892년~)
*
== 노벨상 ==
* '''문학상''':
* '''물리학상''': [[장 바티스트 페랭]]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 '''화학상''':
== 달력 ==
{{연간달력|1926}}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경인]] || 소 || [[2월 13일]] || [[계유]]
|-
| [[음력 2월|2월]] || [[신묘]] || 소 || [[3월 14일]] || [[임인]]
|-
| [[음력 3월|3월]] || [[임진]] || 대 || [[4월 12일]] || [[신미 (간지)|신미]]
|-
| [[음력 4월|4월]] || [[계사 (간지)|계사]] || 소 || [[5월 12일]] || [[신축]]
|-
| [[음력 5월|5월]] || [[갑오]] || 대 || [[6월 10일]] || [[경오]]
|-
| [[음력 6월|6월]] || [[을미]] || 소 || [[7월 10일]] || [[경자]]
|-
| [[음력 7월|7월]] || [[병신]] || 대 || [[8월 8일]] || [[기사 (간지)|기사]]
|-
| [[음력 8월|8월]] || [[정유 (간지)|정유]] || 대 || [[9월 7일]] || [[기해]]
|-
| [[음력 9월|9월]] || [[무술 (간지)|무술]] || 소 || [[10월 7일]] || [[기사 (간지)|기사]]
|-
| [[음력 10월|10월]] || [[기해]] || 대 || [[11월 5일]] || [[무술 (간지)|무술]]
|-
| [[음력 11월|11월]] || [[경자]] || 대 || [[12월 5일]] || [[무진]]
|-
| [[음력 12월|12월]] || [[신축]] || 소 || [[1927년]] [[1월 4일]] || [[무술 (간지)|무술]]
|}
{{전거 통제}}
[[분류:1926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63}}
{{기년법|1963}}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일]] - [[경상남도]] [[부산시]]와 [[동래군]] 구포읍, 사상면, 북면, 기장면 송정리를 관할로 [[부산직할시]]가 설치되었다.
* [[2월 10일]] - [[규슈]] 북부 5개시(고쿠라 시,모지 시,도바타 시,야하타 시,와카마쓰 시)통합.이로 인해 [[기타큐슈시]]가 발족된다.
* [[4월 1일]] - [[기타큐슈시]]가 [[정령지정도시]]로 지정되다.
* [[5월 14일]] - [[쿠웨이트]], [[유엔]] 가입.
* [[6월 21일]] - [[교황 바오로 6세]], 262대 교황 임기 시작.
* [[6월 26일]] -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이 [[서독]] [[서베를린]]에서 "[[나는 베를린 사람입니다]]"(Ich bin ein Berliner)라는 연설을 하다.
* [[8월 5일]] -[[김활란]] 이화여대 총장, [[막사이사이상]] 수상.
* [[8월 28일]] - 워싱턴 대행진에서, [[마틴 루서 킹 2세|마틴 루터 킹]]이 [[I Have a Dream|"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연설을 하다.
* [[8월 30일]] -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예편해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에 입당.
* [[9월 16일]] - [[말라야 연방]], [[사라왁 주|사라왁]], [[북보르네오]], [[싱가포르]]가 뭉쳐 말레이시아를 만들다.
* [[9월 30일]] - [[이준 (1859년)|이준]](李儁)의 유해, 56년 만에 [[네덜란드]]서 귀환해 [[서울특별시|서울]] [[수유동|수유리]]에 안장.
* [[10월 14일]] - 대한민국과 [[캐나다]]가 국교를 수립하다.
* [[10월 15일]] - 대한민국, [[1963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후보가 [[윤보선]] 후보를 누르고 당선.
* [[11월 22일]] - [[미국]]에서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이 일어나다.
* [[12월 11일]] - [[대한민국]]과 [[성좌 (가톨릭)|성좌]]가 국교를 수립하다.
* [[12월 12일]] - [[케냐]], [[영국]]으로부터 독립.
* [[12월 16일]] - [[케냐]], [[유엔]] 가입
* [[12월 17일]] - [[대한민국 제3공화국]] 출범
== 문화 ==
* [[1월 1일]]
** 일본 최초의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우주소년 아톰]] 첫 방영.
** [[KBS TV]](현 [[KBS 1TV|KBS1]])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하다. 수신료와 시청료까지 추가되었다.
* [[3월 22일]] - [[비틀즈]]의 첫 정규 음반인 《[[Please Please Me]]》가 [[영국]]에서 발매되고, 앨범 차트 7위에 오름.
* [[3월 28일]] - [[앨프레드 히치콕]]의 [[새 (영화)|새]] 개봉.
* [[4월 25일]] - [[동아방송]] 개국.
* [[8월 20일]] - [[대한민국]], 서울 [[교외선]] 개통.
* [[8월 30일]] -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워싱턴 D.C.]] 및 [[모스크바]] 사이에 핫라인 개통.
* [[9월 1일]] - [[대한민국 철도청]] 발족.
* [[9월 10일]] - 미국 흑인학생들, [[버밍햄]] 등의 [[백인학교]]에 최초로 입학.
* [[9월 15일]] - [[대한민국]]에서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치킨라면)이 출시되다.
* [[9월 21일]] - 제5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서울에서 열림(∼29).
* [[10월 3일]] - [[전라북도]] [[정읍시]]에 [[동학 혁명 기념탑]] 준공.
* [[10월 7일]] - 천주교 [[수원교구]] 설립.
* [[10월 10일]] - 대한민국, [[서울가정법원]] 개원.
* [[10월 20일]] - [[철인 28호]] 첫 방영.
* [[11월 23일]] - [[영국]], 최장수 드라마이자 최초의 SF드라마인 [[닥터후]] 방영 시작.
== 탄생 ==
{{분류 참고|1963년 출생}}
=== 1월 ===
* [[1월 2일]]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데이비드 콘]]
* [[1월 3일]]
** 대한민국의 기자 [[배재성 (기자)|배재성]].
** 대한민국의 부산광역시의원 [[김영희 (1963년)|김영희]].
* [[1월 4일]] - 독일의 가수 [[틸 린데만]].
* [[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순실]].
** 미국의 정치인 [[랜드 폴]].
* [[1월 9일]]
** 대한민국의 검사, 변호사, 대학교수 [[김오수]].
** 일본의 성우 [[이가라시 레이]].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전 야구 감독 [[선동열]].
** 대한민국의 정치인 [[어기구]].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태흠]].
** 대한민국의 성우 [[김옥경 (성우)|김옥경]].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신경숙]].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서경배]].
** 미국의 영화 감독 [[스티븐 소더버그]].
** 대한민국의 범죄자 [[이춘재]].
* [[1월 16일]]
** 영국과 미국의 경제학자 [[사이먼 존슨 (경제학자)|사이먼 존슨]].
** 일본의 성우 [[히노 유리카]].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태호]].
* [[1월 19일]] - 일본의 배우 [[마츠시게 유타카]].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성우 [[황윤걸]].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승수]].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홍일]].
* [[1월 24일]] - 일본의 영화감독 [[이와이 슌지]].
* [[1월 25일]] - 이탈리아의 테너 가수 [[마르첼로 조르다니]]. (~[[2019년]])
* [[1월 26일]] - 포르투갈의 축구 감독 [[조제 모리뉴]].
* [[1월 28일]] - 일본의 성우 [[이와쓰보 리에]].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공지영]].
** 대한민국의 살인자, 강간범죄자 [[이춘재]].
=== 2월 ===
* [[2월 8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양재호]].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병선]].
* [[2월 11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호세 마리 바케로]].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세준]].
**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 기초단체장 [[심덕섭 (정치인)|심덕섭]].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프리랜서 아나운서, 방송인 [[김병찬 (방송인)|김병찬]].
** 대한민국의 가수 [[희승연]].
** 이란의 배우 [[로야 노나할리]].
* [[2월 17일]] - 미국의 농구 선수 [[마이클 조던]].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상훈 (1963년)|김상훈]].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안데르스 프리스크]].
* [[2월 19일]] - 영국의 음악가 [[씰 (가수)|씰]].
* [[2월 20일]] - 영국의 음악가 [[이언 브라운]].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이상직]].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홍성국]].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고진화]]. (~[[2024년]])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애심]].
=== 3월 ===
* [[3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학기]].
** 대한민국의 배우 [[류용진]].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진성 (배우)|박진성]].
** 대한민국의 배우 [[김명국 (배우)|김명국]].
** 대한민국의 교육강사 출신 정치인 [[김학동]].
* [[3월 5일]] - 미국의 목회자 [[조엘 오스틴]].
* [[3월 9일]] - 캐나다의 영화 감독, 각본가, 편집자 [[장마르크 발레]]. (~[[2021년]])
* [[3월 10일]]
**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릭 루빈]].
** 중국의 체조 선수 [[리닝]].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지도자 [[김성수 (1963년)|김성수]].
* [[3월 16일]] -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아오누마 에이지]].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최선용]].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음악프로듀서 [[김창환 (음악가)|김창환]].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21대 국회의원 [[정태호 (1963년)|정태호]].
* [[3월 21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로날트 쿠만]].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용 (배우)|이재용]].
** 대한민국의 정치인, 변호사 [[송영길 (정치인)|송영길]].
* [[3월 23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미첼 (축구인)|미첼]].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애란 (가수)|이애란]].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제16대 통계청장 [[황수경 (1963년)|황수경]].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호중]].
** 미국의 영화 감독 [[쿠엔틴 타란티노]].
* [[3월 28일]] - 일본의 성우 [[혼다 지에코]]. (~[[2013년]])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이흥구]].
=== 4월 ===
* [[4월 2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전세영]].
* [[4월 4일]] - 아일랜드의 배우 겸 방송인 [[그레이엄 노턴]].
* [[4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상국 (야구인)|김상국]].
** 대한민국의 방송인 [[손범수]].
* [[4월 6일]] - 압하지야의 정치인 [[아슬란 브자니야]].
* [[4월 8일]] - 미국의 배우 [[딘 노리스]].
* [[4월 9일]] - 미국의 패션 디자이너 [[마크 제이컵스]].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박주현 (1963년)|박주현]].
* [[4월 12일]]
** 대한민국의 군인 [[김승겸 (1963년)|김승겸]].
** 대한민국의 정치인 [[성일종]].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명중.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송영길 (정치인)|송영길]].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석구]].
* [[4월 17일]] - 미국의 배우 [[조엘 머레이]].
* [[4월 18일]]
** 미국의 텔레비전 진행자, 희극인 [[코난 오브라이언]].
** 미국의 드러머 [[마이크 맨지니]].
* [[4월 24일]] - 바누아투의 정치인 [[샬롯 살와이]].
* [[4월 25일]] - 스코틀랜드의 전 축구 선수 [[데이비드 모이스]].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남 (배우)|이종남]].
** 중국의 배우 [[이연걸]].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철학자 [[진중권]].
**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 [[박범계]].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류중일]].
* [[4월 30일]] - 영국의 영화 감독 [[제임스 마시 (영화 감독)|제임스 마시]].
=== 5월 ===
* [[5월 2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레이 트레일러]].
* [[5월 4일]] - 대한민국의 방송 기자 [[손지애]].
* [[5월 5일]] - 일본의 야구 선수 [[구도 기미야스]].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방세환]].
* [[5월 8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미셸 공드리]].
** 팔레스타인의 정치인 [[이스마일 하니예]]. (~[[2024년]])
* [[5월 9일]] - 영국의 배우 [[게리 대니얼스]].
* [[5월 11일]]
** 스웨덴의 소프라노 가수 [[니나 슈템메]].
** 일본의 희극인 [[하마다 마사토시]].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국방인 [[서욱]].
** 필리핀의 영화배우 [[셰리 힐]]. (~[[2022년]])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시민 사회 운동가, 정치인, 공무원 [[이장섭]].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송언석]].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영희 (농구인)|김영희]]. (~[[2023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정호]].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경선]]. (~[[2015년]])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야구 코치 [[백인호]].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농구 감독 [[전창진]].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중일]].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정치인 [[김의겸]].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장필순]].
* [[5월 25일]]
** 캐나다, 영국, 미국의 배우, 희극인 [[마이크 마이어스]].
** 대한민국의 배우 [[맹봉학]].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득구]].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정치인 [[신성범]].
* [[6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경진호]] (~[[1991년]])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최광지]].
** 대한민국의 전 씨름 선수 [[고경철 (씨름 선수)|고경철]].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해진 (1963년)|조해진]].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한기범]].
** 프랑스의 테너 가수 [[로베르토 알라냐]].
* [[6월 8일]] - 일본의 축구 심판 [[가미카와 도루]].
* [[6월 9일]]
** 미국의 각본가, 영화 감독 [[데이비드 켑]].
** 미국의 배우 [[조니 뎁]].
* [[6월 11일]] - 미국의 영화 제작자 [[그레그 호프먼]]. (~[[2005년]])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박진도]].
** 나이지리아의 목사, 전도사 [[T. B. 조슈아]]. (~[[2021년]])
* [[6월 13일]] - 미국의 소설가 [[오드리 니페네거]].
* [[6월 15일]] - 미국의 배우 [[헬렌 헌트]].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민경욱]].
**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 [[신준섭]].
** 미국의 배우 [[그레그 키니어]].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일우 (1963년)|김일우]].
* [[6월 21일]] - 일본의 만화작가, 명탐정 코난의 작가인 [[아오야마 고쇼]].
* [[6월 22일]] - 미국의 종합 격투기 선수 [[랜디 커투어]].
* [[6월 23일]] - 중국의 소설가 [[류츠신]].
* [[6월 25일]] - 영국의 가수 [[조지 마이클]] ([[Wham!]]). (~[[2016년]])
* [[6월 29일]] - 독일의 바이올린 연주자 [[안네 소피 무터]].
=== 7월 ===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호균]].
** 미국의 배우 [[이디 팰코]].
** 대한민국의 배우 [[이종래]].
* [[7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유미 (배우)|하유미]].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고영인]].
* [[7월 13일]]
** 스페인의 가수 [[알라스카 (가수)|알라스카]].
** 일본의 작가, 게임 디자이너 [[미즈노 료]].
* [[7월 15일]]
** 북마케도니아의 가수, 배우 [[이고르 잠바조프]].
** 덴마크의 가수, 배우 [[브리기테 닐센]].
* [[7월 16일]] - 미국의 배우 [[피비 케이츠]].
* [[7월 17일]] - 프랑스의 스키점프 선수 [[마티 뉘캐넨]]. (~[[2019년]])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언론 출신 정치인 [[황상무]].
* [[7월 22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 [[7월 24일]]
** 일본의 가수, 작곡가 [[카와이 나오코]].
** 대한민국의 배우 김용헌.
* [[7월 25일]] - 일본의 성우 [[우가키 히데나리]].
* [[7월 27일]] - 홍콩의 배우 [[견자단]].
* [[7월 30일]]
** 미국의 배우 [[리사 쿠드로]].
** 안도라의 정치인 [[안토니 마르티]]. (~[[2023년]])
* [[7월 31일]] - 일본의 만화가 [[이토 준지]].
=== 8월 ===
* [[8월 1일]]
** 미국의 래퍼 [[쿨리오]]. (~[[2022년]])
** 멕시코의 배우 [[데미안 비치르]].
* [[8월 3일]] - 미국의 가수 [[제임스 헷필드]] ([[메탈리카]]).
* [[8월 4일]]
** 미국의 변호사, 정치인 [[키스 엘리슨]].
** 대한민국의 정치인 [[조해진 (1963년)|조해진]].
* [[8월 5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봉원]].
** 잉글랜드의 배우 [[마크 스트롱]].
* [[8월 6일]]
** 미국의 해커 [[케빈 미트닉]]. (~[[2023년]])
** 일본의 성우, 배우 [[단 토모유키]].
* [[8월 7일]] - 일본의 배우 겸 성우 [[히라타 히로아키]].
* [[8월 8일]]
** 일본의 성우 [[후카미 리카]].
** 일본의 성우 [[시노하라 에미]]. (~[[2024년]])
* [[8월 9일]] - 미국의 가수 [[휘트니 휴스턴]].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민석]].
** 인도의 배우 [[스리데비]]. (~[[2018년]])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장훈]].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종오]].
** 프랑스의 배우 [[에마뉘엘 베아르]].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혜리]].
** 멕시코의 영화 감독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명환 (배우)|정명환]].
* [[8월 21일]]
** 모로코의 국왕 [[무함마드 6세]].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전 야구 선수 [[김성현 (1963년)|김성현]].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감독 [[나이절 피어슨]].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 출신 정치 평론가 [[김대호 (1963년)|김대호]].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작곡가 [[토리 에이머스]].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찬욱]].
* [[8월 24일]] -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코지마 히데오]].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상우]].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기영 (배우)|이기영]].
** 대한민국의 법조 출신 정치인 [[김남근]].
** 중국의 가수 [[류환]].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이정훈 (1963년)|이정훈]].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행정 출신 정치인 [[강태웅]].
* [[8월 31일]] - 일본의 정치인 [[하기우다 고이치]].
=== 9월 ===
* [[9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성민]].
* [[9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한정]].
* [[9월 7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에리크 디 메코]].
** 미국의 래퍼 [[Eazy-E]]. (~[[1995년]])
* [[9월 8일]] -일본의 희극인 [[마쓰모토 히토시]].
* [[9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병호]].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
* [[9월 10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랜디 존슨]].
** 일본의 성우 [[우란 사키코]].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심판 [[권종철]].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경순]].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씨름 해설 위원 [[이만기 (씨름 선수)|이만기]].
** 미국의 가수 [[리처드 막스]].
** 룩셈부르크의 정치인 [[뤼크 프리덴]].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경찰 출신 정치인 [[서범수]].
* [[9월 19일]]
** 영국의 축구 선수 [[데이비드 시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훈 (배우)|이정훈]].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언론 출신 정치인 [[강승규]].
* [[9월 21일]]
** 소코틀랜드의 배우 [[앵거스 맥페이든]].
** 일본의 전 작곡가 [[사무라고우치 마모루]].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란영]].
=== 10월 ===
* [[10월 1일]] - 미국의 포커 선수 [[다빈 문]]. (~[[2020년]])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송기헌]].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윤 (1963년)|김윤]].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 [[이상휘]].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장하준]].
** 대한민국의 대법관 [[노정희]].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수정 (가수)|임수정]].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선동 (1963년)|김선동]].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보로 (축구인)|보로]].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유택 (농구인)|김유택]].
** 홍콩의 가수, 영화배우 [[매염방]]. (~[[2003년]])
* [[10월 11일]] - 에콰도르의 정치인 [[페르난도 비야비센시오]]. (~[[2023년]])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창기]].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라이몬트 아우만]].
** 일본의 애니메이터 [[곤 사토시]]. (~[[2010년]])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시인, 장로교 목사, 역사신학자 [[하승무]].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미경 (배우)|김미경]].
* [[10월 17일]] - 아르헨티아의 축구 선수 [[세르히오 고이코체아]].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수의학자 [[라정찬]].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두일]].
* [[10월 23일]] - 나이지리아의 대학 교수 [[오쿠이 엔위저]]. (~[[2019년]])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아 (배우)|김진아]]. (~[[2014년]])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옥주리]].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크레이그 셰익스피어]]. (~[[2024년]])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이영진 (1963년)|이영진]].
** 일본의 성우 [[가네마루 준이치]].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허성무]].
* [[10월 31일]]
** 브라질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둥가]].
** 미국의 배우 [[더멋 멀로니]].
** 미국의 배우 [[롭 슈나이더]].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기타리스트 [[조니 마]].
=== 11월 ===
* [[11월 1일]]
** 독일의 배우 [[카차 리만]].
** 영국의 전 프로 축구 선수 [[마크 휴스]].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탐험가 [[박영석]]. (~[[2011년]])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산에]].
** 영국의 축구 선수 [[이언 라이트]].
* [[11월 4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심판 [[오라시오 엘리손도]].
** 대한민국의 모델 [[윤정]].
* [[11월 5일]] -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 [[장피에르 파팽]].
* [[11월 7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존 반스]].
** 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세르게이 코즐로프]].
* [[11월 8일]] - 아프리카계 미국인 야구 선수 [[드와이트 스미스]]. (~[[2022년]])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성래 (바둑 기사)|김성래]].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자슈취안]].
* [[11월 10일]] - 영국의 배우 [[휴 보너빌]].
* [[11월 11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빌리 건]].
* [[11월 12일]] - 일본의 영화배우 [[테라지마 스스무]].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해식]].
* [[11월 14일]] - 일본의 대식가 [[스가와라 하츠요]]. (~[[2023년]])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성]].
** 일본의 축구 선수 [[사노 도루]].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헌태]].
* [[11월 18일]] - 덴마크의 전직 축구 선수 [[페테르 슈마이켈]].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재천 (정치인)|최재천]].
* [[11월 20일]] - 미국의 배우 [[밍나 원]].
* [[11월 23일]] - 독일의 배우 [[안드레아스 슈미트 (배우)|안드레아스 슈미트]]. (~[[2017년]])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심덕섭 (육상 선수)|심덕섭]].
* [[11월 27일]] - 러시아의 배우, 영화 감독 [[블라디미르 마시코프]].
=== 12월 ===
* [[12월 3일]] - 일본의 메카닉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카토키 하지메]].
* [[12월 4일]] - 중화인민공화국 태생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자오즈민]].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과학자, 대학 교수 [[이정모 (1963년)|이정모]].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나경원]].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은수미]].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황기순]].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명]].
* [[12월 9일]]
** 러시아의 정치인 [[세르게이 다르킨]].
** 일본의 황실 [[마사코 황후]].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박미희]].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만희 (정치인)|이만희]].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이화영]].
* [[12월 12일]]
** 스페인의 유도 선수, 정치인 [[미리암 블라스코]].
** 일본의 성우 [[시무라 토모유키]].
** 일본의 성우 [[오리카사 아이]].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정수라]].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신혜]].
* [[12월 16일]] - 미국의 영화감독 [[제임스 맨골드]].
* [[12월 18일]]
** 미국의 배우 [[브래드 피트]].
** 일본의 배우, 성우 [[코야마 리키야]].
** 대한민국의 작사가 [[이승호 (작사가)|이승호]].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우범기]].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대학강사 [[김기우]].
* [[12월 22일]]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주세페 베르고미]].
** 스위스의 정치인 [[카린 켈러-수터]].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평호]].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조금산]]. (~[[2017년]])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 심판 [[임채섭 (야구인)|임채섭]].
* [[12월 27일]] - 아르헨티나의 영화감독 [[가스파 노에]].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배드민턴 국가대표선수 [[김문수 (배드민턴 선수)|김문수]].
** 스웨덴의 정치인 [[울프 크리스테르손]].
* [[12월 30일]] - 미국의 정치인 [[마이크 폼페이오]].
=== 미상 ===
* 대한민국의 배우 [[김화란]]. (~[[2015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우범기]].
* 영국의 배우 [[제이슨 아이작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부여군의원 [[김종수 (1963년)|김종수]].
== 사망 ==
[[파일:Édith Piaf 914-6440.jpg|섬네일|120px|에디트 피아프]]
[[파일:President NGO-DINH-DIEM of the Republic of Viet-Nam.jpg|섬네일|120px|응오딘지엠]]
[[파일:Aldous Huxley psychical researcher.png|섬네일|120px|올더스 헉슬리]]
[[파일:John F. Kennedy, White House photo portrait, looking up.jpg|섬네일|120px|존 F. 케네디]]
{{분류 참고|1963년 사망}}
* [[3월 14일]] - 한국의 소설가 [[염상섭]]. (1897년~)
* [[4월 14일]] - 독일의 단거리 육상선수 [[아르투어 요나트]]. (1909년~)
* [[5월 6일]]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강소천]]. (1915년~)
* [[6월 3일]]
** [[교황 요한 23세]]. (1881년~)
** 대한민국의 시인 [[오상순]]. (1894년~)
* [[6월 11일]] - 베트남의 승려 [[틱꽝득]]. (1897년~)
* [[7월 14일]] - 일본의 불교학자 [[우이 하쿠주]]. (1882년~)
* [[8월 31일]] - 프랑스의 미술가 [[조르주 브라크]]. (1882년~)
* [[10월 11일]] - 프랑스의 가수 [[에디트 피아프]]. (1915년~)
* [[10월 17일]] - 프랑스의 수학자 [[자크 아다마르]]. (1865년~)
* [[11월 2일]] - 남베트남의 대통령 [[응오딘지엠]]. (1901년~)
* [[11월 12일]] - 미국의 군인 [[존 하지]]. (1893년~)
* [[11월 22일]]
** 영국의 소설가 [[클라이브 스테이플스 루이스]]. (1898년~)
** 영국의 작가 [[올더스 헉슬리]]. (1894년~)
** 미국의 제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 (1917년~)
* [[11월 24일]] -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범 [[리 하비 오스월드]]. (1939년~)
* [[12월 12일]] - 일본의 영화감독 [[오즈 야스지로]]. (1903년~)
== 노벨상 ==
* '''문학상''': [[요르기오스 세페리스]]
* '''물리학상''': [[요하네스 옌젠]], [[마리아 괴퍼트메이어|마리아 괴페르트 메이어]], [[유진 폴 위그너]]
* '''생리학 및 의학상''': [[존 에클스]], [[앨런 로이드 호지킨]], [[앤드루 헉슬리]]
* '''평화상''': [[국제적십자위원회]], [[적십자사]]
* '''화학상''': [[줄리오 나타]], [[카를 치글러]]
== 달력 ==
{{연간달력|1963}}
=== 음양력 대조 일람 ===
1963년은 계묘(癸卯)년이며, 각각의 음력 월은 아래 도표를 참조 한다.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갑인]] || 대 || [[1월 25일]] || [[무진]]
|-
| [[음력 2월|2월]] || [[을묘]] || 소 || [[2월 24일]] || [[무술 (간지)|무술]]
|-
| [[음력 3월|3월]] || [[병진 (간지)|병진]] || 대 || [[3월 25일]] || [[정묘]]
|-
| [[음력 4월|4월]] || [[정사 (간지)|정사]] || 소 || [[4월 24일]] || [[정유 (간지)|정유]]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4월 || || 소 || [[5월 23일]] || [[병인]]
|-
| [[음력 5월|5월]] || [[무오]] || 대 || [[6월 21일]] || [[을미]]
|-
| [[음력 6월|6월]] || [[기미]] || 소 || [[7월 21일]] || [[을축]]
|-
| [[음력 7월|7월]] || [[경신]] || 대 || [[8월 19일]] || [[갑오]]
|-
| [[음력 8월|8월]] || [[신유]] || 소 || [[9월 18일]] || [[갑자]]
|-
| [[음력 9월|9월]] || [[임술]] || 대 || [[10월 17일]] || [[계사 (간지)|계사]]
|-
| [[음력 10월|10월]] || [[계해]] || 대 || [[11월 16일]] || [[계해]]
|-
| [[음력 11월|11월]] || [[갑자]] || 대 || [[12월 16일]] || [[계사 (간지)|계사]]
|-
| [[음력 12월|12월]] || [[을축]] || 소 || [[1964년]] [[1월 15일]] || [[계해]]
|}
{{전거 통제}}
[[분류:1963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50}}
{{기년법|1950}}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1월 12일]] - [[미국]]의 국무장관 애치슨, [[애치슨라인]] 발표.
* [[2월 14일]] -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체결.
* [[3월 3일]] - [[난아오 전투]] 발생
* [[3월 10일]] - [[대한민국]] 국회에서 유상매입 유상분배 원칙의 농지개혁법안이 통과되었다.
* [[4월 21일]] - [[신성모]]가 국무총리 서리에 취임하였다.
* [[5월 6일]] - [[프랑스]]의 [[로베르 쉬망]]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계획을 수립.
* [[6월 10일]] - [[토요타 자동차]] 생산인원 감축 저지를 위한 토요타 자동차 노동조합 총파업.
* '''[[6월 2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법 남침으로 [[6.25 전쟁]] 발발.'''
* [[6월 28일]] -
** [[6.25 전쟁]]: [[조선인민군]]이 [[서울]]을 점령.
** [[한강 다리 폭파 사건]] 약 500-800명 사망
* [[7월 20일]] - [[6.25 전쟁]]: [[대한민국]] 정부, [[대구]]에 임시수도를 둠.
* [[8월 3일]] - [[6.25 전쟁]]: [[다부동 전투]] 발생.
* [[8월 9일]] - [[난펑 전투]] 발생
* [[8월 18일]] - [[6.25 전쟁]]: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를 [[대구광역시|대구]]에서 [[부산광역시|부산]]으로 옮기다.
* [[8월 28일]] - [[대한민국]] [[한국은행]], 1차 화폐개혁(조선은행권 원:한국은행권 원 1:1) 단행.
* [[9월 6일]] - [[대한민국의 군사|대한민국 국군]], [[여군]] 창설.
* [[9월 15일]] - [[6.25 전쟁]]: 06시를 기해 [[인천광역시|인천]] [[월미도]]로 [[인천 상륙작전]]을 개시하다.
* [[9월 16일]] - [[6.25 전쟁]]: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 낙동강 전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에 총반격 시작.
* [[9월 28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의 군사|국군]]과 [[유엔군]], 서울 탈환. 이날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군에 [[38선]] 이북 진격명령.
** 인도네시아 유엔 가입.
* [[10월 1일]] - [[6.25 전쟁]]: 대한민국 국군 3 사단 26연대, [[강원도 (남)|강원도]] [[양양군]]서 [[한국전쟁]] 발발후 최초로 [[38선]] 넘어 북진.
* [[10월 4일]] - [[주한 미군방송]](AFKN) 라디오, 서울서 첫 전파 발사.
* [[10월 7일]]
** [[테레사 수녀]], 사랑의 선교회 설립.
** [[유엔 총회]], 유엔군의 38선 이북 진격과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 설치 결의.
* [[10월 9일]] - [[6.25 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기관과 단체 등을 [[평양]]에서 철수하면서 임시 수도를 [[강계]]로 정함.
* [[10월 11일]] - [[중국 인민해방군]], 티베트 침공.
* [[10월 12일]] - [[6.25 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의 [[평양]]철수.
* [[10월 19일]] - [[6.25 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평양]]을 점령.
* [[10월 25일]] - 한국전쟁: 중국 참전
* [[10월 29일]] - [[스웨덴의 구스타프 6세|구스타프 6세]],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
* [[11월 17일]] – 텐진 갸초, 15세의 나이로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됨.
* [[11월 6일]] - [[한국전쟁]]: [[더글라스 맥아더|맥아더]], 중국 월경(越境) 성명.
* [[11월 24일]] - "인권 및 기본 자유권 협정"이 유럽 평의회에서 채택.
* [[11월 26일]] - 유엔한국통일부흥위원회(UNCURK) 일행 12명, 서울 도착.
* [[12월 4일]] - [[한국전쟁]]: [[대한민국 국군]]이 맨 마지막으로 [[평양]]을 철수하다.
* [[12월 10일]] - [[노벨상]]: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수상식이 열렸고, 화학상 2명, 문학상 1명, 평화상 1명, 물리학상 1명, 생리학ㆍ의학상 3명, 총 8명이 수상했다.
* [[12월 14일]] - [[한국전쟁]]: [[흥남]] 철수작전 개시.(~ 24일까지)
== 문화 ==
* [[5월 9일]] - [[칠성사이다]] 출시.
* [[6월 24일]] - {{국기나라|브라질}}에서 [[1950년 FIFA 월드컵]] 개막. (~ [[7월 16일]]까지 개최함.)
* [[8월 3일]] - [[프랑스]]의 [[축구]] 클럽 [[올랭피크 리옹]] 창단.
* [[12월 29일]] - [[경찰병원]] 개원.
== 탄생 ==
{{분류 참고|1950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기업인 [[허경영]].
* [[1월 2일]] - 미국의 클라리넷 연주가 [[데이비드 시프린]].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시인 [[정호승]].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정치인 [[정상용]].
* [[1월 6일]] - 미국의 배우 [[일레인 브롬카]].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뮤지컬배우 [[이승규 (가수)|이승규]].
* [[1월 23일]] - 미국의 텔레비전 및 영화 배우, 프로듀서 겸 작곡가 [[리처드 딘 앤더슨]].
* [[1월 24일]] - 프랑스의 배우 [[다니엘 오퇴유]].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대학 총장, 교육인 [[정영선 (1950년)|정영선]].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초자치단체장 [[정현복]]. (~[[2023년]])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종원]].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정호 (성우)|김정호]].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성우 [[조동희 (성우)|조동희]].
=== 2월 ===
* [[2월 3일]]
** 대한민국의 화가 [[임옥상]].
** 미국의 배우 [[모건 페어차일드]].
* [[2월 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명희 (1949년)|이명희]].
* [[2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귀옥]].
* [[2월 7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마우로 벨루지]]. (~[[2021년]])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애경]].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성우 [[주희 (성우)|주희]].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효춘]].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김주현 (1950년)|김주현]].
* [[2월 18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존 휴스 (영화 감독)|존 휴스]].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교수 [[조용진 (교수)|조용진]].
** 벨기에의 배우 [[요한 레이선]]. (~[[2023년]])
* [[2월 20일]] - 일본의 희극인 [[시무라 켄]]. (~[[2020년]])
* [[2월 22일]]
** 영국의 배우 [[줄리 월터스]].
** 프랑스의 배우 [[미우 미우 (배우)|미우 미우]].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겸 배우 [[이종구 (성우)|이종구]].
** 미국의 영화배우, 각본가 [[메리 팻 글리슨]]. (~[[2020년]])
* [[2월 25일]]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2010년]])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진원 (1950년)|김진원]].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재훈]]. (~[[2007년]])
* [[3월 2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이만기 (1950년)|이만기]].
* [[3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하 (배우)|이영하]].
* [[3월 6일]] - 일본의 성우 [[스즈오키 히로타카]]. (~[[2006년]])
* [[3월 11일]] - 미국의 보컬리스트이자 지휘자 [[바비 맥퍼린]].
* [[3월 12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하비에르 클레멘테]].
* [[3월 13일]] - 미국의 배우 [[윌리엄 H. 메이시]].
* [[3월 17일]] - 미국의 배우 [[패티 애스터]]. (~[[2024년]])
* [[3월 20일]] - 미국의 배우 [[윌리엄 허트]]. (~[[2022년]])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용필]].
** 대한민국의 사회사업가, 유진 벨 재단 회장 [[스티브 린턴]].
* [[3월 24일]] - 홍콩 출신의 영화 배우 [[조사리 (배우)|조사리]].
* [[3월 26일]] - 미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 [[앨런 실베스트리]].
* [[3월 30일]] - 스코틀랜드의 영화배우 [[로비 콜트레인]]. (~[[2022년]])
* [[3월 31일]] - 일본의 배우, 싱어송라이터 [[타치 히로시]].
=== 4월 ===
* [[4월 2일]] - 중국의 영화감독 [[장이머우]].
* [[4월 4일]] - 미국의 배우 [[크리스틴 라티]].
* [[4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승철 (배우)|이승철]].
* [[4월 11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메사로시 페렌츠]]. (~[[2023년]])
* [[4월 13일]] - 미국의 배우 [[론 펄먼]].
* [[4월 18일]] -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그리고리 소콜로프]].
* [[4월 20일]]
** 러시아의 군인, 정치인 [[알렉산드르 레베디]]. (~[[2002년]])
** 포르투갈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움베르투 코엘류]].
* [[4월 21일]] - 일본의 기업인 [[기미시마 다쓰미]].
* [[4월 28일]] - 미국의 TV 진행자, 희극인 작가 [[제이 레노]].
* [[4월 29일]] - 일본의 작가, 번역가 [[요네하라 마리]]. (~[[2006년]])
=== 5월 ===
* [[5월 3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조 존스턴]].
** 대한민국의 성우 [[김창주]].
** 웨일스의 싱어송라이터 [[메리 홉킨]].
* [[5월 8일]] - 이란의 배우 [[파리마 파르자미]]. (~[[2023년]])
* [[5월 10일]] - 폴란드의 현 축구 감독 [[안제이 샤르마흐]].
* [[5월 12일]] - 아일랜드의 배우 [[게이브리얼 번]].
* [[5월 13일]]
** 미국의 가수 [[스티비 원더]].
** 대한민국의 성우 [[엄주환]]. (~[[2005년]])
* [[5월 15일]] - 미국의 배우 [[니컬러스 해먼드]].
* [[5월 16일]] - 독일의 물리학자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 [[5월 20일]] - 중국의 반체제 인사, 인권 운동가 [[웨이징성]].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병조 (희극인)|김병조]].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 [[김성환 (1950년)|김성환]].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직 복싱 선수 [[홍수환]].
* [[5월 28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카말라 (프로레슬링 선수)|카말라]]. (~[[2020년]])
=== 6월 ===
* [[6월 2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이완구]].
** 대한민국의 국악인, 무용가 [[임이조]]. (~[[2013년]])
* [[6월 3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록 베이스 연주가 [[수지 쿼트로]].
* [[6월 6일]] - 벨기에의 영화감독 [[샹탈 아케르만]].
* [[6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백호]].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현 (1950년)|김동현]].
* [[6월 18일]] - 동독의 허들 선수 [[안넬리 에르하르트]]. (~[[2024년]])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기연호]].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평론가 [[이동순]].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희숙]].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유병호 (바둑 기사)|유병호]].
=== 7월 ===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동채]].
* [[7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태기]]. (~[[2013년]])
**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빅토르 야누코비치]].
* [[7월 13일]] - 러시아의 정치인 [[빅토르 체르케소프]]. (~[[2022년]])
* [[7월 15일]] - 미국의 작가이자, 칼럼니스트, 허핑턴 포스트의 설립자 [[애리애나 허핑턴]].
* [[7월 18일]]- 영국의 기업인 [[리처드 브랜슨]].
* [[7월 21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우발도 피욜]].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인성 (성우)|이인성]].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임성훈 (방송인)|임성훈]].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수정]].
=== 8월 ===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희중 (바둑 기사)|김희중]].
** 독일의 알파인 스키 선수 [[로지 미터마이어]]. (~[[2023년]])
* [[8월 6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대중음악가 [[이연실]].
* [[8월 11일]] - 미국의 프로그래머, 해커 [[스티브 워즈니악]].
* [[8월 14일]] - 아일랜드의 기업인 [[더멋 데즈먼드]].
* [[8월 15일]] - 영국의 지휘자 [[프린세스 로열 앤]].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나기수]].
* [[8월 19일]] - 파키스탄의 정치인 [[무하마드 미안 숨로]].
* [[8월 21일]] - 스위스의 가수 [[파트리크 쥐베]]. (~[[2021년]])
* [[8월 29일]] - 일본의 가수 [[야시로 아키]]. (~[[2023년]])
=== 9월 ===
* [[9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배기선]].
* [[9월 7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기업인 [[이현 (1950년)|이현]].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우상전]].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손정아]].
* [[9월 17일]] - 인도의 총리 [[나렌드라 모디]].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김형자]].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정선 (가수)|이정선]].
** 대한민국의 조종사 [[박용철 (항공 조종사)|박용철]]. ([[1997년]]~)
* [[9월 21일]] - 미국의 배우 [[빌 머리]].
* [[9월 23일]] - 미국의 목회자 [[팀 켈러]]. (~[[2023년]])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윤상원 (1950년)|윤상원]]. (~[[1980년]])
=== 10월 ===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홍승옥]].
* [[10월 9일]] - 미국의 사회운동가 겸 교사 [[조디 윌리엄스]].
* [[10월 12일]]
** 중화민국의 총통 [[천수이볜]].
** 미국의 사업가, 인텔의 전 CEO [[폴 오텔리니]]. (~[[2017년]])
* [[10월 13일]] - 일본의 배우 [[이소베 츠토무]].
* [[10월 16일]]
**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 야구 지도자 [[오시마 야스노리]]. (~[[2021년]])
** 영국령 홍콩의 배우 [[서소강]]. (~[[2024년]])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종식 (1950년)|김종식]].
* [[10월 21일]]
** 미국의 물리학자 겸 우주비행사 [[로널드 맥네어]]. (~[[1986년]])
** 홍콩 출신의 영화 배우 [[태보 (배우)|태보]].
* [[10월 22일]] - 미국의 영화 배우 [[배리 영펠로우]]. (~[[2022년]])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대경]].
* [[10월 31일]]
** 일본의 역사학자 [[미즈노 나오키]].
** 이라크 출신의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 (~[[2016년]])
=== 11월 ===
* [[11월 1일]] - 미국의 응용물리학자 [[로버트 B. 로플린]].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변신호]].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국회의장 [[정세균]].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석구 (배우)|이석구]].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동남]].
* [[11월 16일]] -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엑토르 발레이]].
* [[11월 17일]] - 독일의 수영 선수 [[롤란트 마테스]]. (~[[2019년]])
* [[11월 23일]] - 미국의 정치인 [[척 슈머]].
* [[11월 26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디터 부르덴스키]]. (~[[2024년]])
* [[11월 28일]] - 미국의 배우 [[에드 해리스]].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박현진 (작곡가)|박현진]].
* [[12월 8일]] - 태국의 영화배우 [[소라풍 찻리]]. (~[[2022년]])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성우 [[나수란]]. (~[[2012년]])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이태복]]. (~[[2021년]])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방송인 [[윤흥식]]. (~[[2022년]])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감독 [[송일수]].
**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기업인 [[이윤재 (1950년)|이윤재]].
* [[12월 23일]] -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비센테 델 보스케]].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이운]].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장명부]]. (~[[2005년]])
=== 미상 ===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방송인 [[윤흥식]]. (~[[2022년]])
* 대한민국의 군인 [[유종철]]. (~[[2024년]])
* 대한민국의 사회기관단체인 [[한상렬 (1950년)|한상렬]].
== 사망 ==
[[파일:George Orwell press photo.jpg|섬네일|120px|조지 오웰]]
[[파일:Gustaf V färgfoto.jpg|섬네일|120px|구스타프 5세]]
{{분류 참고|1950년 사망}}
* [[1월 21일]]- 영국의 소설가 [[조지 오웰]]. (~[[1903년]])
* [[4월 8일]] - 러시아의 무용수 [[바슬라프 니진스키]]. (~[[1890년]])
* [[6월 11일]] - 한국의 소설가 [[채만식]]. (~[[1902년]])
* [[7월 3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이관술]]. (~[[1902년]])
* [[7월 22일]] - 캐나다의 총리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1874년]])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군인(초대 육군참모총장) [[채병덕]]. (~[[1916년]])
* [[9월]] - [[김병조 (1877년)|김병조]], 한국의 독립운동가. (~[[1877년]])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영랑]]. (~[[1903년]])
* [[10월 15일]] - 한국의 독립운동가 [[조만식]]. (~[[1883년]])
* [[10월 25일]] - 한국의 소설가 [[이광수 (1892년)|이광수]]. (~[[1892년]])
* [[10월 29일]] -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프 5세]]. (~[[1858년]])
* [[11월 3일]] - 조선 총독을 지낸 일본의 군인, 정치인 [[고이소 구니아키]]. (~[[1880년]])
* [[11월 25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마오안잉]]. (~[[1922년]])
* [[12월 10일]] -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김규식(1881년)|김규식]]. (~[[1881년]])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기업가 [[박승직]]. (~[[1864년]])
* [[박승선]]([[1875년]]~[[1950년]](?) - [[이승만]]의 본처이자 전부인
== 노벨상 ==
* '''문학상''': [[버트런드 러셀]].
* '''물리학상''': [[세실 프랭크 파월]]
* '''생리학 및 의학상''': [[에드워드 캘빈 켄들]],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필립 쇼월터 헨치]]
* '''평화상''': [[랠프 번치]]
* '''화학상''': [[오토 딜스]], [[쿠르트 알더]]
== 달력 ==
{{연간달력|1950}}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무인 (간지)|무인]] || 대 || [[2월 17일]] || [[계미]]
|-
| [[음력 2월|2월]] || [[기묘]] || 소 || [[3월 19일]] || [[계축]]
|-
| [[음력 3월|3월]] || [[경진]] || 대 || [[4월 17일]] || [[임오]]
|-
| [[음력 4월|4월]] || [[신사 (간지)|신사]] || 대 || [[5월 17일]] || [[임자]]
|-
| [[음력 5월|5월]] || [[임오]] || 소 || [[6월 16일]] || [[임오]]
|-
| [[음력 6월|6월]] || [[계미]] || 대 || [[7월 15일]] || [[신해]]
|-
| [[음력 7월|7월]] || [[갑신]] || 소 || [[8월 14일]] || [[신사 (간지)|신사]]
|-
| [[음력 8월|8월]] || [[을유]] || 소 || [[9월 12일]] || [[경술]]
|-
| [[음력 9월|9월]] || [[병술]] || 대 || [[10월 11일]] || [[기묘]]
|-
| [[음력 10월|10월]] || [[정해]] || 소 || [[11월 10일]] || [[기유]]
|-
| [[음력 11월|11월]] || [[무자]] || 대 || [[12월 9일]] || [[무인 (간지)|무인]]
|-
| [[음력 12월|12월]] || [[기축]] || 소 || [[1951년]] [[1월 8일]] || [[무신 (간지)|무신]]
|}
[[분류:1950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8}}
{{기년법|1998}}
{{요즘 화제 년월|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UN]]이 지정한 [[바다]]의 해기도 하다.
== 사건 ==
* [[1월 2일]] - [[대한민국]] 정부, [[제일은행]]과 [[서울은행]]을 2월중에 공개매각하기로 결정.
* [[1월 10일]] - [[대한민국]] 최초의 사이버 가수 [[류시아]]가 탄생되었다.
* [[1월 12일]]
**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조치.
** [[카일 딩켈러 살인 사건]] 발생.
* [[1월 14일]] - 나산그룹, 최종 부도처리.
* [[1월 19일]] - 재계 순위 31위, 극동건설 화의 신청.
* [[1월 23일]] - 일본, 한일 어업협정 일방적 파기 선언.
* [[2월 2일]] - [[경향신문]], [[한화그룹]]에서 분리.
* [[2월 20일]] - MBC 특별취재팀, 충주댐 암반 균열 보도.
* [[2월 25일]]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 임기가 종료됨.
**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김대중]] 임기가 시작됨.
* [[2월 26일]] - 정부, 대동과 동남, 동화, 강원, 평화, [[충북은행]]에 경영개선 조치를 조흥과 경기, 외환, 한일, 충청, [[상업은행]]에 경영개선 권고 명령과 함께, 한솔종합금융과 대구종합금융에는 인가취소를 결정.
* [[3월 2일]] - 미국 [[NASA]]가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 (위성)|유로파]]에서 [[물]]을 발견했다고 발표하다.
* [[3월 3일]] - 국내 최대 책 도매업체 보문당 부도.
* [[3월 10일]] -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대통령, 7번째 연임.
* [[3월 13일]] - 사상 최대 2300여명 대사면, 복권 단행.
* [[3월 17일]] -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주룽지]]를 국무원 총리로 선출.
* [[3월 18일]] - 대농그룹, 미도파백화점 부도.
* [[3월 24일]] - 그룹 [[신화]] 데뷔
* [[4월 7일]] - 92년 총선 당시 김영삼 前 대통령의 대선 자금 3,176억원의 내역이 공개되다.
* [[4월 8일]] - 뉴코아그룹의 화의신청을 법원이 기각하다.
* [[4월 21일]] - [[독일]]의 테러단체 [[독일 적군파]]가 자진 해산하다.
* [[5월 21일]] -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 대통령이 32년 만에 퇴진하고, 후임에 하비비 대통령 선출.
* [[5월 28일]] - [[파키스탄]]의 핵실험.
* [[5월 30일]]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정진석 (추기경)|정진석]](니콜라오) 주교를 제13대 [[천주교 서울대교구|서울대교구장]]에 임명하였다.
** [[파키스탄]]의 핵실험.
* [[6월 3일]] - [[에세데 대참사|독일 열차 ICE 사고 참사]].
* [[6월 4일]] - [[대한민국 제2회 지방선거]] 실시.
* [[8월 4일]] - [[현대그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금강산 유람선 관광사업을 위한 합영회사 설립 계약 체결.
* [[8월 5일]] - [[대한항공 8702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일어남.
* [[8월 7일]] - [[탄자니아]] 수도 [[다르에스살람]]과 [[케냐]] 수도 [[나이로비]]의 미국 대사관서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대규모 폭탄 테러]] 발생.
* [[8월 15일]] -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 당면한 국난극복과 민족 재도약을 위한 “제2건국” 제창.
* [[8월 17일]] -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모니카 르윈스키]]와 섹스 스캔들 관련해 대국민 사과성명 발표.
* [[8월 18일]] - [[대한민국]], [[자유민주연합]] [[김종필]](金鍾泌) 총재, 국무총리에 취임.
* [[8월 29일]] - [[대한민국]], [[새정치국민회의]]와 [[국민신당 (대한민국)|국민신당]] 합당 공식 선언.
* [[8월 3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포동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 [[대한민국]] [[한나라당]], [[이회창]] 명예총재를 새 총재로 선출.
* [[9월 2일]] - [[스위스 항공 111편 추락 사고|스위스 항공 여객기]]가 대서양에 추락, 승객 등 229명 사망.
* [[9월 11일]] - [[부천 LPG 충전소 폭발 사고]] 발생.
* [[9월 25일]] - 대한민국과 일본, [[한일어업협정]] 개정 교섭 타결.
* [[9월 27일]] - [[독일]] 총선서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 후보가 이끄는 [[독일 사회민주당]]이<br /> [[헬무트 콜]] 총리의 [[독일 기독민주연합|기독민주연합]](CDU)/[[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기독사회연합]](CSU) 연합을 누르고 승리.
* [[10월 1일]] - 미국 뉴욕에서 제3차 북미미사일회담 열림.
* [[10월 6일]] - [[익산 충전소 가스 폭발 사고]] 발생.
* [[10월 7일]] -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 일본 방문(∼10일).
* [[10월 17일]]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서 아시아 여자 보디빌딩 선수권 대회 개최.
* [[10월 19일]] - [[기아자동차]] 제 3차 국제 경쟁입찰에서 현대자동차에 낙찰.
* [[11월 14일]] - 정보통신운동단체 [[진보네트워크센터]] 정식 출범.
* [[11월 15일]] - [[강원도]] [[원주]] [[중앙선]] 창교신호장에서 화물열차 8량이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11월 24일]] - [[이슬라마바드]]에서 중국,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4국이 국경통과운송협정 조인.
* [[11월 25일]] - 중국 [[장쩌민]] 국가주석, 중국 국가주석으로는 처음으로 일본을 공식 방문.
* [[11월 26일]] - 대도 조세형 16년 만에 석방.
* [[12월 4일]] -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순천시]]에서 열렸던 《소년소녀가장돕기 콘서트》 현장에서 여학생 관객이 몰리면서 2명 실신, 10여 명 부상.
* [[12월 18일]] - 대한민국 해군이 거제도 남쪽 해상에서 북한 반잠수정 격침.
* [[12월 31일]] - [[제일은행]], 미국 뉴 브리지 GE 캐피탈 컨소시엄에 매각.
== 문화 ==
* [[1월]] - 대한민국의 교육부, [[7차 교육과정]] 실시.
* [[1월 5일]] - IMF 불황으로 인해 지상파 채널인 [[KBS 1TV]], [[KBS 2TV]], [[MBC TV]], [[SBS TV]]의 채널은 각각 오전방송시간을 오전 6시부터 오전 11시까지 방송시간으로 정했고, 오후 방송시간을 17시부터 새벽 1시로 정했다.
* [[1월 7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카니발|카니발]]이 시판되었다.
* [[2월 1일]] - [[SBS TV]]가 평일 심야방송을 폐지를 하고 평일 저녁 시간을 17시부터 밤 0시까지 7시간 방송종료를 하다.
* [[2월 2일]]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대에서 [[Kbc My FM]] 개국.
* [[2월 7일]] - [[일본]] [[나가노]]에서 [[1998년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2월 11일]] - [[긴급구조 119]]가 [[KBS 1TV]]에서 마지막 방송을 했고, 개편에 따라서 [[KBS 2TV]]로 채널변경을 하다.
* [[2월 14일]] - 이연경의 신나는 율동동요가 출시되다.
* [[2월 16일]]
** [[KBS 1TV]]의 채널이 오후방송 시간을 17시 ~ 새벽 1시에서 17시 ~ 밤 0시로 1시간 단축하였고, 평일 오후방송의 심야방송을 폐지하다.
** [[KBS 2TV]]의 채널과 [[MBC TV]]의 채널은 오후방송 시간을 오후 17시 ~ 새벽 1시까지 시간이 확대되었다.
* [[2월 17일]]
** [[르노삼성자동차|삼성자동차(르노삼성자동차의 전신)]]에서 [[르노삼성 SM5|SM5]]가 출시되었다.(시판은 [[3월 5일]])
** [[긴급구조 119]]를 [[KBS 1TV]]에서 [[KBS 2TV]]로 채널로 변경을 했다.
* [[2월 18일]] - [[KBS 2TV]]에서 [[공개수배 사건 25시]]를 방송을 하다.
* [[2월 22일]] - [[일본]] [[나가노]]에서 [[1998 동계 올림픽]]이 폐막되었다.
* [[2월 28일]] - 정부조직개편 재정경제원 폐지, [[재정경제부]] 출범.
* [[3월 2일]]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충청남도]] 일원(현 [[세종특별자치시]] 포함)에서 [[TJB POWER FM]] 개국.
* [[3월 16일]] - [[SBS]] 프로덕션 김국진 우희진의 신나는 영어놀이 EQ/IQ가 출시되다.
* [[3월 17일]] - [[현대자동차]]에서 EF쏘나타를 출시하다.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최장수 아이돌 그룹 [[신화 (음악 그룹)]]가 데뷔했다.
* [[3월 27일]] - [[한국GM|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GM대우 마티즈|마티즈]]가 출시되었다.(시판은 [[4월 1일]])
* [[4월 6일]] - [[SBS TV]]의 채널이 오후방송시간을 17시부터 0시 30분까지 정했고, 심야방송시간을 신설을 했다.
* [[5월 2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 (대구)|중앙로]] ~ [[안심역|안심]] 구간이 개통되면서 완전 개통되었다.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걸그룹 [[핑클]]이 데뷔하였다.
* [[6월 1일]] - [[유럽 중앙 은행]] 출범.
* [[6월 9일]] - [[긴급구조 119]]를 [[KBS 2TV]]에서 화요일 마지막 방송을 하고 수요일로 변경을 했다.
* [[6월 10일]] ~ [[7월 12일]] - [[프랑스]]에서 제 16회 [[1998년 FIFA 월드컵|프랑스 월드컵]] 대회 개최.
* [[6월 17일]] - [[KBS 2TV]]에서 [[긴급구조 119]]를 수요일로 변경을 하고 방송을 하다.
* [[6월 25일]] - [[윈도우 98]]이 출시되었다.
* [[6월 27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개항.
* [[7월 6일]] - [[홍콩 국제공항]] 개항.
* [[7월 7일]] - 서태지컴백 정규5집(솔로)발표
* [[7월 12일]] - 제 16회 [[1998년 FIFA 월드컵]] 대회 결승전에서 프랑스가 브라질을 3:0으로 이겨서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고, 다섯 번째 우승을 노리던 브라질은 프랑스에 0:3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 [[7월 21일]] - [[차범근]]님 전 축구 국가대표 감독이 프로축구 승부조작설을 제기하였다.
* [[7월 28일]] - [[SBS]]프로덕션 영재 유아율동 팡파레 재롱놀이가 출시되다.
* [[9월 11일]] ~ [[11월 10일]]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개막.
* [[9월 18일]] - [[인터넷]]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할당하는 [[비영리 단체]]인 [[ICANN]]이 설립되다.
* [[9월 26일]] - 제1회 방콕국제영화제에서 [[장선우]] 감독 《[[꽃잎 (영화)|꽃잎]]》 최고상 수상.
* [[9월 27일]] - [[구글]]이 공식적으로 창립되다.
* [[10월 7일]] - [[KBS 2TV]]의 채널에서 [[긴급구조 119]]를 수요일에 마지막방송을 하고 일요일로 변경을 하다.
* [[10월 12일]] - [[KBS 1TV]]의 채널이 오후방송시간을 17시부터 새벽 1시까지 다시 심야방송시간을 재개하였다.
* [[10월 18일]] - [[KBS 2TV]]의 채널에서 [[긴급구조 119]]를 일요일에 오후 17시 55분에 방송이 되었다.
* [[10월 24일]] - [[딥 스페이스 1호]]가 발사되었다.
* [[11월 11일]] - 중국에서 [[텐센트]]가 설립되었다.
* [[11월 18일]] - [[대한민국]],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11월 18일]] - 금강산 관광시작(금강호 출항).
* [[11월 30일]] - [[WBS FM]] 라디오 방송 개국.
* [[12월 6일|12월 6~]]20일 - [[태국]] [[방콕]]에서 [[1998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었다.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CBS 표준FM]] 개국. (주파수 98.1MHz, 10㎾)
== 탄생 ==
{{분류 참고|1998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라라 로빈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상민 (1998년)|이상민]].
** 잠비아의 전 축구 선수 [[에녹 음웨푸]].
* [[1월 2일]]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티모티 포쉬멘사]].
* [[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Ranunculus]].
** 중화인민공화국의 체조 선수 [[쩌우징위안]].
* [[1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윤석준]].
* [[1월 5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카를레스 알레냐]].
* [[1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승우 (1998년)|이승우]].
** 이란의 레슬링 선수 [[모함마드 하디 사라비]].
* [[1월 7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수현 ([[CH.DIA]])
* [[1월 8일]]
** 대한민국의 역도 출신 가수 [[이병찬 (가수)|이병찬]].
** 이란의 레슬링 선수 [[아민 미르자자데]].
* [[1월 9일]] - 일본의 아이돌 [[야베 마사키]].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류시아]].
* [[1월 12일]]
** 미국의 배우 [[네이선 갬블]].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후안 포이트]].
* [[1월 13일]] - 미국의 육상 선수 [[크리스토퍼 닐슨]].
* [[1월 14일]]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준범]].
**일본의 배우, 모델 [[모리타카 아이]].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주연 (1998년)|주연]]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 보이즈]]).
** 대한민국의 가수 [[HYNN]].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승관 (가수)|승관]]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상정]].
* [[1월 18일]]
**대한민국의 배우 [[신예은]].
**브라질의 축구 선수 [[에데르 밀리탕]].
* [[1월 19일]] - 베트남계 대한민국의 가수 [[한빈 (템페스트)|한빈]].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희.
* [[1월 21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쓰모리 유키]].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안 (프로게이머)|이안]].
* [[1월 23일]]
** 일본의 래퍼 [[유토 (1998년)|유토]]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 미국의 래퍼 [[XXX텐타시온]]. (~[[2018년]])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신영]].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규성]].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찬우 (가수)|정찬우]] ([[iKON]]).
** 대한민국의 가수 [[문빈]] ([[아스트로 (음악 그룹)|아스트로]]). (~[[2023년]])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우성 (뮤지컬 배우)|김우성]].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키노 (가수)|키노]]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레베카]].
** 대한민국의 배우 [[마현지]].
* [[1월 28일]] - 미국의 배우 [[애리얼 윈터]].
* [[1월 29일]] - 일본의 가수 [[무카이치 미온]].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주성 (야구 선수)|김주성]].
** 대한민국의 배우 [[박나예]].
** 대한민국의 가수 [[이시온 (가수)|이시온]].
** 브라질의 양궁 선수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다우메이다]].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우석 (가수)|우석]]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정우 (1998년)|박정우]].
* [[2월 2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히포 (프로게이머)|히포]].
** 일본의 아이돌 [[가토 시호]].
* [[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설]].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피넛]].
* [[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준섭 (가수)|신준섭]] ([[마이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훈 (1998년)|김성훈]]. (~[[2019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맹성웅]].
** 일본의 성우 [[스즈시로 사유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성민 (1998년)|이성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동훈 (바둑 기사)|이동훈]].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김재원 (1998년생 펜싱 선수)|김재원]].
* [[2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현주 (가수)|이현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유나 (1998년)|김유나]]. (~[[202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손혜은]].
* [[2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재우 (축구 선수)|김재우]].
** 대한민국의 가수 [[유용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승재 (축구 선수)|이승재]].
* [[2월 7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김가은 (배드민턴 선수)|김가은]].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미카엘 폴로룬쇼]].
* [[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노태엽]].
** 일본의 성우 [[하나이 미하루]].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서 (배우)|이서]].
* [[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버터]].
* [[2월 10일]] - 일본의 성우 [[네모토 루카]].
* [[2월 11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가수 [[칼리드 (가수)|칼리드]].
** 미국의 모델, 배우 [[로렌 차이]].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범수.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하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혜린.
* [[2월 15일]] - 미국의 배우 [[재커리 고든]].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영주]].
** 대한민국의 다이빙 선수 [[김수지 (다이빙 선수)|김수지]].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안혜진]].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리치 (프로게이머)|리치]].
** 대한민국의 가수 [[오현우]].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성윤]].
* [[2월 18일]] - 미국의 래퍼 [[버논 (가수)|버논]]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우 (가수)|정우]] ([[NCT (음악 그룹)|NCT]]).
** 미국의 가수 [[샘 김]].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XEN. ([[오메가엑스]])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전 농구 선수 최세영.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송지훈]].
** 캐나다의 가수 [[케빈 (1998년)|케빈]] ([[더 보이즈 (음악 그룹)|더 보이즈]]).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한나]].
** 대한민국의 가수 다예 ([[베리굿]]).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브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상헌 (1998년)|이상헌]].
** 중국의 가수 [[우씽]].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간애]].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진.
=== 3월 ===
* [[3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배드민턴 선수 [[천위페이]].
* [[3월 2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쏘대장]].
* [[3월 3일]]
** 대한민국의 체조 선수 [[신재환]].
** 미국의 농구 선수 [[제이슨 테이텀]].
** 대한민국의 배우 [[신슬기]].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준 (배우)|이상준]].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상현 (축구 선수)|조상현]].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쏠]].
* [[3월 5일]]
** 터키의 축구 선수 [[메리흐 데미랄]].
** 대한민국의 래퍼 [[BX (가수)|BX]] ([[CIX (음악 그룹)|CIX]]).
* [[3월 7일]] - 대한민국으 축구 선수 [[이준서 (축구 선수)|이준서]].
* [[3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설희 (가수)|설희]].
* [[3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진 (가수)|수진]] ([[(여자)아이들]]).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치국]].
* [[3월 11일]]
** 중화민국의 배우 [[비비안]].
** 일본의 가수 [[우노 산타]].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서민우 (축구 선수)|서민우]].
* [[3월 13일]]
** 헝가리의 쇼트트랙 선수 [[류 사오앙]].
** 미국의 래퍼 [[잭 할로]].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구쯔하오]].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카웃 (프로게이머)|스카웃]].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다영 (바둑 기사)|김다영]].
** 대한민국의 배우 [[함성민]].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테디 (프로게이머)|테디]].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레이 (프로게이머)|레이]].
** 대한민국의 가수 [[이세연 (가수)|이세연]].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배동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나균안]].
** 일본의 육상 선수 [[기타구치 하루카]].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지민경]].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한송희.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환 (배우)|김주환]].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함성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수 (1998년 3월)|김민수]].
** 대한민국의 배우 [[채효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재영 (축구 선수)|최재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식 (1998년)|김민식]].
** 그리스의 육상 선수 [[밀티아디스 텐도글루]].
* [[3월 19일]] - 일본의 가수 [[미야와키 사쿠라]] ([[HKT48]] 팀K4, [[AKB48]] 팀A, [[IZ*ONE]], [[LE SSERAFIM]]).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지원 (1998년 3월 가수)|박지원]] ([[Fromis 9|프로미스나인]]).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이수지 (가수)|이수지]].
** 대한민국의 배우 [[오소현]].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지훈 (1998년)|이지훈]].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현 (야구 선수)|김태현]].
** 대한민국의 다이빙 선수 [[우하람]].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희.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남태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채림]].
* [[3월 24일]] - 일본의 아이돌 [[츠바키 우라라]].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유인수 (배우)|유인수]].
** 미국의 배우 [[라이언 심프킨스]].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래 (가수)|미래]] ([[체리블렛]]).
** 대한민국의 가수 [[엘라 (가수)|엘라]].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정윤성 (테니스 선수)|정윤성]].
** 대한민국의 발로란트 프로게이머 [[먼치킨 (프로게이머)|먼치킨]].
* [[3월 29일]] - 미국의 배우 [[알렉스 뉴이스테터]].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성한]].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임성재 (골프 선수)|임성재]].
** 대한민국의 배우 [[지혜원]].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조수연.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준혁 (1998년)|이준혁]].
** 대한민국의 가수 [[설하수]].
* [[4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혜원]].
** 일본의 배우 [[홋타 마유]].
* [[4월 3일]]
**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의 딸 [[패리스 잭슨]].
** 대한민국의 가수 [[성화 (가수)|성화]]. ([[에이티즈]])
* [[4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지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장결희]].
** 대한민국의 배우 [[배인혁 (배우)|배인혁]].
* [[4월 5일]] - 일본의 배우 [[나카무라 카이토]].
* [[4월 6일]]
** 미국의 배우 [[페이턴 리스트 (1998년)|페이턴 리스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안찬기]].
* [[4월 8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헤낭 로지]].
* [[4월 9일]]
** 미국의 배우 [[엘 패닝]].
** 대한민국의 래퍼 [[365LIT]].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무진 (프로게이머)|무진]].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범 (야구 선수)|이정범]].
* [[4월 11일]] - 중국의 아이돌 [[죠우스위]].
* [[4월 12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이토 준야 (1998년)|이토 준야]].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TAG (가수)|TAG]]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대한민국의 래퍼 [[언오피셜보이]].
** 홍콩의 탁구 선수 [[쑤후이인]].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재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오석주 (야구 선수)|오석주]].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욱 (1998년)|김태욱]].
** 중화인민공화국 태생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최효주]].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하효림]].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인]].
** 대한민국의 배우 [[장하경]].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성 (1998년)|김민성]].
* [[4월 19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영 선수 [[장위페이 (수영 선수)|장위페이]].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드비타]].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고성민 (가수)|고성민]].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모아.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나유준]].
* [[4월 24일]] - 미국의 배우 [[라이언 뉴먼 (배우)|라이언 뉴먼]].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뉴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보이즈]]).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고민지]].
** 일본의 배우, 모델 [[신조 유메]].
** 대한민국의 전직 군인 [[공군 부사관 성추행 피해 사망 사건|이예람]]. (~[[2021년]])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유빈]] ([[마이틴]]).
** 대한민국의 가수 [[원대 (가수)|원대]] ([[DKZ]]).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CAMO.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블랭크 (프로게이머)|블랭크]].
=== 5월 ===
* [[5월 2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최주영.
* [[5월 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하승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준호]].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현영.
** 벨라루스의 테니스 선수 [[아리나 사발렌카]].
* [[5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환희 (1998년)|환희]] ([[업텐션]]).
** 대한민국의 가수 [[시현 (가수)|시현]].
* [[5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희석 (가수)|김희석]].
** 대한민국의 가수 수빈.
* [[5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세라.
** 대한민국의 체조 선수 [[이나경 (체조 선수)|이나경]].
* [[5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문지원.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태민 (축구 선수)|이태민]].
* [[5월 10일]]
** 일본의 가수 후지와라 아즈사 ([[STU48]]).
** 대한민국의 배우 [[이재욱 (1998년)|이재욱]].
* [[5월 11일]] -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선수 [[이주형 (아이스하키 선수)|이주형]].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시아 (배우)|신시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템트]].
** 대한민국의 가수 [[해영]].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루카 지단]].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지원 (농구 선수)|박지원]].
* [[5월 14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런 램스데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이레]].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래퍼 FDR.
* [[5월 17일]] - 일본의 전 아이돌 [[토모나가 미오]].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성환 (야구 선수)|박성환]].
**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폴리나 에드먼즈]].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태민 (1998년)|이태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유 ([[에버글로우]]).
* [[5월 20일]]
** 브라질의 유도 선수 [[베아트리스 소자]].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심자몬]].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최지은 (1998년)|최지은]].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Juwon]].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정택]].
** 중국의 배우 [[쑹쭈얼]].
* [[5월 24일]] - 영국의 배우 [[데이지 에드거존스]].
* [[5월 25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하비 푸아도]].
* [[5월 26일]] - 영국의 가수 [[샤넌 (가수)|샤넌]].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은서]] ([[우주소녀]]).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현]] ([[트와이스]]).
** 일본의 가수 [[사야시 리호]] ([[모닝구 무스메]]).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임세령 (배우)|임세령]].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유림]].
* [[5월 30일]] - 대한민국의 래퍼 [[적색밴드]].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서현]].
=== 6월 ===
* [[6월 1일]] - 러시아의 리듬체조 선수 [[알렉산드라 솔다토바]].
* [[6월 2일]]
** 대한민국의 국악인, 배우 [[정소리]].
** 대한민국의 가수 캠퍼.
* [[6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비 (1998년)|신비]] ([[여자친구 (음악 그룹)|여자친구]], [[VIVIZ]]).
** 대한민국의 가수 [[태하 (1998년)|태하]] ([[모모랜드]]).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강민승]].
* [[6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예인]] ([[러블리즈]]).
** 미국의 모델 [[럭키 블루 스미스]].
* [[6월 5일]]
** 러시아의 전 피겨스케이팅 선수 [[율리야 리프니츠카야]].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파비안 벤코]].
* [[6월 6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펀치 (프로게이머)|펀치]].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배수용]].
* [[6월 8일]] - 대한민국의 트라이애슬론 선수 [[최숙현]]. (~[[2020년]])
* [[6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용용]].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광재 (축구 선수)|이광재]].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오유진 (바둑 기사)|오유진]].
** 대한민국의 성소수자 군인 [[변희수]]. (~[[2021년]])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건호 (바둑 기사)|박건호]].
** 일본의 배우 [[나카가와 타이시]].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지수]].
** 대한민국의 스포츠 지도자 [[정민 (프로게이머)|정민]].
* [[6월 16일]] - 일본의 축구 선수 [[도안 리쓰]].
* [[6월 18일]] - 슬로바키아의 소프라노 [[파트리치아 야네치코바]]. (~[[2023년]])
* [[6월 19일]]
** 일본의 패션 모델, 배우 [[히로세 스즈]].
** 이스라엘의 유도 선수 [[라즈 헤르슈코]].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하.
* [[6월 21일]] - 일본의 성우 [[코노 히요리]].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김재원 (인터넷 방송인)|김재원]].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진영 (1998년)|김진영]].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지훈 (가수)|신지훈]].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할로우 (프로게이머)|할로우]].
* [[6월 24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카이 롤스]].
* [[6월 25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영 선수 [[카일 차머스]].
** 대한민국의 가수 [[챠닐]].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윤솜]].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건희 (가수)|건희]] ([[원어스]]).
* [[6월 28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페드루 곤살베스]].
* [[6월 29일]] - 일본의 걸그룹 세키 유미코.
* [[6월 30일]]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야]].
**대한민국의 자전거경기 선수 [[송민지 (자전거 경기 선수)|송민지]].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톰 데이비스 (축구 선수)|톰 데이비스]].
**일본의 배우 [[아오이 와카나]].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은우 (1998년)|은우]] ([[프리스틴]], [[희나피아]]).
* [[7월 2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성유진.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이원준 (야구 선수)|이원준]].
* [[7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한 (가수)|김동한]] ([[JBJ]]).
* [[7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찬희 (1998년)|이찬희]].
* [[7월 6일]]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박조은.
** 프랑스의 유도 선수 [[사라레오니 시지크]].
* [[7월 8일]]
** 미국의 배우, 가수 [[마야 호크]].
** 미국의 배우 [[제이든 스미스]].
* [[7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치어리더, 방송인 하윤.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영유]].
** 이란의 태권도 선수 [[키미아 알리자데]].
* [[7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준형.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곽경문]].
* [[7월 13일]]
** 우즈베키스탄의 유도 선수 [[디요라 켈디요로바]].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박지연.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허수미]].
* [[7월 15일]]
** 중국의 가수 [[성소 (가수)|성소]]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배우 [[신현승]].
** 대한민국의 가수 [[고정우]].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수윤 (야구 선수)|김수윤]].
** 필리핀의 권투 선수 [[카를로스 팔람]].
** 일본의 가수, 배우, 모델 [[마쓰노 리나]]. (~[[2017년]])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카이 (프로게이머)|스카이]].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지인]].
* [[7월 19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바르셀루스 다마세누]].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현서.
** 대한민국의 가수 엘리 ([[위키미키]]).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크로스 컨트리 선수 [[김마그너스]].
** 대한민국의 배우 [[조윤수]].
* [[7월 22일]] - 우루콰이의 축구 선수 [[페데리코 발베르데]].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인균]].
* [[7월 24일]]
** 마카오와 홍콩의 기독교 목사 [[양군배]].
** 마카오와 홍콩의 목회자 [[렁관푸이]].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도브 (프로게이머)|도브]].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플로리스 (프로게이머)|플로리스]].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민수 (축구 선수)|박민수]].
* [[7월 28일]]
** 미국의 골프 선수 [[넬리 코다]].
** 프랑스의 농구 선수 [[프랑크 닐리키나]].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손주아]].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효은.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윤 (가수)|나윤]] ([[모모랜드]]).
** 대한민국의 가수 [[지우 (1998년)|지우]].
** 미국의 육상 선수 [[퀸시 홀]].
=== 8월 ===
* [[8월 1일]]
** 이란의 태권도 선수 [[나히드 키아니]].
** 태국의 태권도 선수 [[테윈 한쁘랍]].
* [[8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한 (배우)|이지한]]. (~[[2022년]])
** 대한민국의 전 가수 [[경하]].
* [[8월 5일]]
** 일본의 가수 [[스즈키 카논]] ([[모닝구무스메]]).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병휘 (야구 선수)|이병휘]].
* [[8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소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고우석 (1998년)|고우석]].
* [[8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윤토벤]].
* [[8월 8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조승아]].
** 캐나다의 싱어송라이터 [[숀 멘데스]].
* [[8월 9일]]
** 대한민국의 안무가, 댄서 [[리정 (안무가)|리정]].
** 우크라이나 태생 아제르바이잔의 유도 선수 [[잴림 코초예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예은]] ([[CLC (음악 그룹)|CLC]]).
** 대한민국의 가수 호영 ([[베리베리]]).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루비 (프로게이머)|루비]] (로그 워리어스).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솔아]].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신민아 (가수)|신민아]].
** 그리스의 테니스 선수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윤설]].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연제]].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고누리]].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수빈 (배우)|정수빈]].
** 대한민국의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최영훈 (프로게이머)|최영훈]].
** 일본의 야구 선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진석]].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엄지 (가수)|엄지]] ([[여자친구 (음악 그룹)|여자친구]], [[VIVIZ]]).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찬혁 (야구 선수)|이찬혁]].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나윤정]].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잠비노]].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영.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로키 (프로게이머)|로키]].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소연]] ([[(여자)아이들]]).
** 대한민국의 가수 [[환웅 (가수)|환웅]] ([[원어스]]).
** 대한민국의 가수 [[김승주 (가수)|김승주]].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래.
* [[8월 28일]]
** 일본의 농구 선수 [[아카호 히마와리]].
** 일본의 배우 [[후쿠하라 하루카]].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 치어리더 김민지.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前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신동훈.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수 (야구 선수)|김진수]].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성우 (야구 선수)|박성우]].
* [[9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예빈]].
* [[9월 4일]] - 일본의 가수 [[나가하마 네루]]. ([[사쿠라자카46]])
* [[9월 6일]] - 대한민국의 앵커 [[허우령]].
* [[9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세현 (배우)|박세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민규 (축구 선수)|강민규]].
** 몰도바의 축구 선수 [[이온 니콜라에스쿠]].
* [[9월 8일]] - 대한민국의 래퍼 [[토스트보이]].
* [[9월 9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최민정]].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골퍼 박민지.
* [[9월 1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한광성]].
** 일본의 양궁 선수 [[야마우치 아즈사]].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권동진 (야구 선수)|권동진]].
** 요르단의 태권도 선수 [[살리흐 알샤라바티]].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현상]].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강산 (축구 선수)|김강산]].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찬 ([[베리베리]]).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현 (1998년)|김동현]] ([[AB6IX]], [[MXM (음악 그룹)|MXM]]).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성현 (골프 선수)|김성현]].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아쳐 (프로게이머)|아쳐]].
* [[9월 18일]]
** 일본의 바둑 기사 [[후지사와 리나]].
** 미국의 축구 선수 [[크리스천 풀리식]].
* [[9월 19일]]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케빈 단소]].
* [[9월 20일]] - 일본의 성우 [[사시데 마리아]].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야구코치 유승훈.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현 (1998년 1월)|김동현]].
* [[9월 23일]] - 일본의 아이돌 테라다 란제.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음악 기타리스트 [[추재호]].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크.
* [[9월 26일]] - 일본의 아이돌 [[와카타베 하루카]].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비비 (대한민국의 가수)|비비]].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감성소년]].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송규상]].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소연.
* [[9월 3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현 (1998년)|김성현]].
** 일본의 배우 [[이마이즈미 유이]].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지우.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캐스터 김민범.
* [[10월 3일]] - 독일의 육상 선수 [[예미시 오군레예]].
* [[10월 4일]] - 세네갈의 축구 선수 [[무사 와귀에]].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세인]].
* [[10월 6일]] - 미국의 배우 [[매트 코넷]].
* [[10월 7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트렌트 알렉산더아널드]].
* [[10월 8일]] - 폴란드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피오트르 발루키비치]].
* [[10월 9일]]
** 일본의 가수 [[키타가와 료하]].
** 일본의 배우 [[츠네마츠 유리]].
** 미국의 배우 [[이저벨라 아마라]].
** 잠비아의 축구 선수 [[팻슨 다카]].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양세원]].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촬영감독 [[임규영]].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승민]]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10월 14일]]
**일본의 래퍼 [[챤미나]].
**대한민국의 배우 [[장인아]].
**덴마크의 축구 선수 [[빅토르 넬손]].
**미국의 육상 선수 [[케네스 베드나렉]].
* [[10월 15일]]
** 중국의 가수 [[미기]]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다인 (배구 선수)|김다인]].
** 일본의 펜싱 선수 [[나가노 유다이 (펜싱 선수)|나가노 유다이]].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보성]].
** 대한민국의 가수 [[정새벽]].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유리.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하나.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예빈 (1998년)|예빈]] ([[희나피아]]).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양딩신]].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신애]].
** 중국의 바둑 기사 [[리친청]].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수정.
* [[10월 22일]]
** 일본의 아이돌 [[시모무라 미키]].
** 루마니아의 축구 선수 [[이아니스 하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해리 수타]].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금채림]].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알파몽]].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리노 (가수)|리노]] ([[Stray Kids|스트레이키즈]]).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프라우드 (프로게이머)|프라우드]].
** 미국의 배우 [[서맨사 이슬러]].
* [[10월 27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다요 우파메카노]].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인지 (가수)|정인지]].
* [[10월 29일]] - 캐나다의 레이싱 드라이버 선수 [[랜스 스트롤]].
* [[10월 30일]] - 일본의 아이돌 [[타무라 메이미]].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박장혁]].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인터넷 방송인 [[쵸단]]. ([[QWER]])
* [[11월 2일]] - 중국의 가수 [[엘키]] ([[CLC (음악 그룹)|CLC]]).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미아 (프로게이머)|미아]].
** 대한민국의 래퍼 [[허성현]].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람 Xion Lan]].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랩 록 음악가 겸 기타리스트이자 피아니스트 [[조현 (1998년)|조현]].
** 대한민국의 가수 [[큐 (가수)|큐]]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보이즈]]).
** 일본의 가수 [[오가타 리사]] ([[츠바키팩토리]]).
** 일본의 AV 배우 [[오구라 유나]].
** 일본의 축구 선수 [[도미야스 다케히로]].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현서 (가수)|박현서]].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박지훈 (1998년)|박지훈]].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홍중]] ([[에이티즈]]).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투보]].
* [[11월 9일]] - 중국의 배우 [[자오루쓰]].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래퍼 [[MC그리]].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한엄지]].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재무]].
** 대한민국의 배우 [[강이석]].
* [[11월 12일]]
** 일본의 배우 [[타이라 유우나]].
** 일본의 가수 [[타니구치 메구]].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나예.
** 노르웨이의 역도 선수 [[솔프리드 코안다]].
* [[11월 14일]] - 일본의 아이돌 코이케 미나미.
* [[11월 15일]] - 일본의 골프 선수 [[시부노 히나코]].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쇼핑호스트 이혜진.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김세연 (미스코리아)|김세연]].
** 대한민국의 배우 [[정라엘]].
** 대한민국의 배우 [[송서린]].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나현]].
** 일본의 펜싱 선수 [[에무라 미사키]].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윤.
* [[11월 22일]] - 일본의 성우 [[오카사키 미호]].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지선]] ([[Fromis 9]]).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유리 (1998년)|최유리]].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진모]].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동우 (배우)|신동우]].
** 대한민국의 가수 [[유지 (1998년)|유지]].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박인수 (프로게이머)|박인수]].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민수 (가수)|박민수]].
* [[11월 28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업살]].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메딕 (프로게이머)|메딕]].
** 이탈리아의 유도 선수 [[알리체 벨란디]].
* [[11월 29일]] - 일본의 스노보드, 스케이드보드 선수 [[히라노 아유무]].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모세]].
=== 12월 ===
* [[12월 1일]]
** 중국의 아이돌 가수 [[셰레이레이]].
** 일본의 가수 [[미야모토 카린]].
* [[12월 2일]]
** 미국의 레퍼, 싱어송라이터 [[주스 월드]]. (~[[2019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강민 (1998년)|김강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손주영]].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화인]].
* [[12월 4일]] - 몬테네그로의 축구 선수 [[마르코 투치]].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설영우]].
** 대한민국의 래퍼 [[스카이민혁]].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코난 그레이]].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지수 (농구 선수)|박지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주현 (축구 선수)|이주현]].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한국무용가 이현영.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서밋 (프로게이머)|서밋]].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최홍라]].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아영.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JJ (가수)|JJ]] ([[더스틴 (음악 그룹)|더스틴]]).
** 일본의 브레이크 댄서 [[유아사 아미]].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수아 (배우)|한수아]].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동열]] ([[업텐션]]).
** 대한민국의 가수 세형 ([[베리굿]]).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니]] ([[지피 베이직]]).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모델 [[김지웅 (1998년)|김지웅]].
** 대한민국의 래퍼 [[타임피버]].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문건영]].
* [[12월 16일]] - 중국의 가수 [[결경]] ([[프리스틴]], [[아이오아이]]).
* [[12월 17일]]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마르틴 외데고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재홍 (야구 선수)|이재홍]].
* [[12월 18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캘빈 스텡스]].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정진희]].
* [[12월 20일]]
** 필리핀의 가수 [[크리샤 츄]].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킬리안 음바페]].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허회경]].
** 대한민국의 배우 [[하서윤]].
**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수 [[렉시 리우]].
* [[12월 22일]]
** 미국의 래퍼 [[라토]].
** 미국의 배우 [[G. 해널리우스]].
** 노르웨이의 테니스 선수 [[카스페르 루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레슬링 선수 [[리세웅]].
* [[12월 23일]] - 일본의 아이돌, 모델, 여배우, 성우 [[사토 히나타]].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리헨즈]].
** 일본의 배우 [[츠나 케이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예슬 (축구 선수)|최예슬]].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알렉시스 마크 알리스테르]].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니.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종찬 (배우)|박종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정우 (축구 선수)|한정우]].
* [[12월 27일]]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조시 마자]].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드럼연주가 김건국.
** 일본의 AV배우, 모델, 유튜버 [[가노 유라]].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박재혁 (프로게이머)|박재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도담 (축구 선수)|김도담]].
* [[12월 30일]] - 일본의 가수 [[우에무라 아카리]].
* [[12월 31일]]
** 미국의 배우, 모델 [[헌터 셰이퍼]].
** 대한민국의 가수 [[에크루]].
=== 미상 ===
*대한민국의 가수 [[최아임]].
*대한민국의 가수 [[이서준 (가수)|이서준]].
*대한민국의 가수 [[몽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최성혁]].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정준 (바둑 기사)|이정준]].
== 사망 ==
[[파일:Tammy Wynette.JPG|섬네일|120px|태미 와이넷]]
[[파일:PolPot.jpg|섬네일|120px|폴 포트]]
[[파일:Frank Sinatra by Gottlieb c1947- 2.jpg|섬네일|120px|프랭크 시나트라]]
{{분류 참고|1998년 사망}}
* [[1월 7일]] - 미국의 수학자 [[리처드 해밍]]. ([[1915년]]~)
* [[1월 12일]] - 미국의 경찰관 [[카일 딩켈러 살인 사건|카일 딩켈러]]. ([[1975년]]~)
* [[2월 8일]] - 아이슬란드의 소설가 [[하들도르 락스네스]]. ([[1902년]]~)
* [[2월 10일]] - 프랑스의 정치가, 언론인 [[모리스 슈만]]. ([[1911년]]~)
* [[2월 24일]] - 미국의 사회운동가, 여성운동가 [[클라라 프레이저]]. ([[1923년]]~)
* [[2월 27일]] - 미국의 생물학자 [[조지 H. 히칭스]]. ([[1905년]]~)
* [[4월 6일]] - 미국의 가수 [[태미 와이넷]]. ([[1942년]]~)
* [[4월 15일]] - 캄보디아의 독재자 [[폴 포트]]. ([[1925년]]~)
* [[4월 23일]] -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암살범 [[제임스 얼 레이]]. ([[1928년]]~)
* [[4월 27일]] - 프랑스의 소설가 [[도미니크 오리]]. ([[1907년]]~)
* [[5월 2일]] - 일본의 음악가 [[히데]]. ([[1964년]]~)
* [[5월 14일]] - 미국의 가수, 배우 [[프랭크 시나트라]]. ([[1915년]]~)
* [[6월 10일]] - 일본의 작곡가 [[요시다 다다시]]. ([[1921년]]~)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김진규 (배우)|김진규]]. ([[1923년]]~)
* [[7월 21일]] - 미국의 배우 [[로버트 영 (배우)|로버트 영]]. ([[1907년]]~)
* [[8월 3일]] - 러시아의 작곡가 [[알프레트 시닛케]]. ([[1934년]]~)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손창호]]. ([[1952년]]~)
* [[8월 6일]] - 프랑스의 수학자 [[앙드레 베유]]. ([[1906년]]~)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최종현]]. ([[1929년]]~)
* [[8월 29일]] - 미국의 정치인, 로스앤젤레스의 첫 흑인 시장 [[톰 브래들리]]. ([[1917년]]~)
* [[9월 6일]] - 일본의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 ([[1910년]]~)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시인 [[박두진]]. ([[1916년]]~)
* [[11월 7일]] - 영국의 산악인 [[헌트 남작 존 헌트]]. ([[1910년]]~)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용환 (만화가)|김용환]]. ([[1912년]]~)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변호사, 사회운동가 [[이태영]]. ([[1914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아마르티아 센]]
* '''문학상''': [[조제 사라마구]]
* '''물리학상''': [[로버트 러플린]], 호르스트 슈퇴르머, 대니얼 추이
* '''생리학 및 의학상''': 페리드 뮤라드, [[루이스 이그나로]], 로버트 퍼치고트
* '''평화상''': [[데이비드 트림블]], [[존 흄]]
* '''화학상''': 존 포플, 월터 콘
== 70회 [[아카데미상]] 수상 ==
* '''작품상''': [[타이타닉 (1997년 영화)|타이타닉]]
* '''감독상''': [[제임스 카메론]]([[타이타닉 (1997년 영화)|타이타닉]])
* '''남우주연상''': [[잭 니콜슨]]([[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 '''여우주연상''': 헬렌 헌트([[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 '''남우조연상''': [[로빈 윌리엄스]]([[굿 윌 헌팅]])
* '''여우조연상''': [[킴 베이싱어]](LA 컨피덴셜)
== 달력 ==
{{연간달력|1998}}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 />간지
|-
| [[음력 1월|1월]] || [[갑인]] || 대 || [[1월 28일]] ||[[을해]]
|-
| [[음력 2월|2월]] || [[을묘]] || 소 || [[2월 27일]] || [[을사]]
|-
| [[음력 3월|3월]] || [[병진 (간지)|병진]] || 소 || [[3월 28일]] || [[갑술]]
|-
| [[음력 4월|4월]] || [[정사 (간지)|정사]] || 대 || [[4월 26일]] || [[계묘]]
|-
| [[음력 5월|5월]] || [[무오]] || 소 || [[5월 26일]] || [[계유]]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5월 || || 소 || [[6월 24일]] || [[임인]]
|-
| [[음력 6월|6월]] || [[기미]] || 대 || [[7월 23일]] || [[신미 (간지)|신미]]
|-
| [[음력 7월|7월]] || [[경신]] || 대 || [[8월 22일]] || [[신축]]
|-
| [[음력 8월|8월]] || [[신유]] || 소 || [[9월 21일]] || [[신미 (간지)|신미]]
|-
| [[음력 9월|9월]] || [[임술]] || 대 || [[10월 20일]] || [[경자]]
|-
| [[음력 10월|10월]] || [[계해]] || 대 || [[11월 19일]] || [[경오]]
|-
| [[음력 11월|11월]] || [[갑자]] || 대 || [[12월 19일]] || [[경자]]
|-
| [[음력 12월|12월]] || [[을축]] || 소 || [[1999년]] [[1월 18일]] || [[경오]]
|}
{{전거 통제}}
[[분류:1998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46}}
{{기년법|1946}}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임정]](大韓臨政)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28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35년
* [[일본]](日本) [[쇼와 시대|쇼와]]({{lang|ja|昭和}}) 21년
== 사건 ==
* [[1월 2일]] - [[공산당]], [[모스크바]] 삼상(三相)회의 결정에 대해 찬성을 결의.
* [[1월 15일]] - [[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
* [[1월 16일]] - [[서울]] [[덕수궁]]에서 1차 미소(美蘇)공동위원회 개최.
* 2월 - 북조선 임시위원회 결성.
* [[2월 3일]] - [[통화 사건]].
* [[2월 11일]] - [[아관파천]] 50주년.
* [[3월 2일]] - [[호치민]]이 [[북베트남]]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다.
* [[5월 9일]]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이탈리아 왕국 국왕 퇴위.
* [[5월 15일]] - 미군정청 공보부가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을 발표.
* [[6월 2일]] - [[이탈리아]]가 [[1946년 이탈리아 국가형태 국민투표|국민투표]]를 거쳐 군주제에서 공화제로 체제를 바꾸다.
* [[6월 3일]] - [[정읍 발언]]
* [[6월 9일]] - [[라마 9세]]가 태국의 국왕으로 취임.
* [[6월 18일]] - 이탈리아 공화국 선포.
* 6월 - [[존 F. 케네디]]가 하원의원에 당선되다.
* [[7월 4일]] - 필리핀 독립.
* [[7월 5일]] - 여성 수영복 [[비키니]]가 출시되다.
* [[8월 22일]] - 유럽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 [[팔레스타인]]으로 이주 시작
* [[9월 17일]] - [[한국]] [[군정기]]: 수도경찰청 발족(청장 [[장택상]])
* [[9월 20일]] - 제1회 [[칸 영화제]]가 개막했다.
* [[9월 24일]] - [[군정기]]: 남한 철도종업원들 총파업. [[9월 총파업]]의 시작.
* [[9월 30일]] - [[제2차 세계 대전]] 전범 처벌을 위한 [[뉘른베르크 재판|뉘른베르크 전범(戰犯)재판]]에서 12명의 나치 지도자에게 사형 선고
* [[10월 1일]] - [[미군정]] 지역에서 [[대구 10·1 사건]] 발생.
* [[10월 1일]] - [[제2차 세계 대전]]: 전범 처벌을 위한 [[뉘른베르크 재판]] 종료
* [[10월 6일]] - [[경향신문]] 창간
* [[10월 13일]] - [[군정기]]: 청년 민족운동 단체인 조선 민족청년단(약칭:족청), [[이범석 (1900년)|이범석]]을 단장으로 결성
* [[10월 15일]] - 나치 공군 총사령관 [[헤르만 괴링]],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전범으로 사형선고를 받고 수감중에 자살하다.
* [[10월 16일]] - [[뉘른베르크 재판|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소]], 나치 핵심전범 9명 교수형 집행
* [[11월 19일]] - [[스웨덴]], [[아이슬란드]], [[아프가니스탄]] 유엔 가입
* [[12월 16일]] - [[태국]] 유엔 가입
* [[12월 19일]]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발발
== 문화 ==
* [[3월 25일]] - [[런던]] [[히스로 공항]] 개항.
* [[5월 7일]] - [[소니그룹]] 창립.
* [[5월 15일]] - [[부산대학교]] 개교.
* [[5월 28일]] - [[국도극장]] 개관
== 탄생 ==
{{분류 참고|1946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호베르투 히벨리누]].
* [[1월 2일]] - 일본의 배우 [[이부키 고로]].
* [[1월 5일]] - 미국의 배우 [[다이앤 키턴]].
* [[1월 6일]]
** 영국의 뮤지션 [[시드 배릿]]. (~[[2006년]])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베른트 횔첸바인]].
** 홍콩의 배우 [[정페이페이]]. (~[[2024년]])
* [[1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상건]]. (~[[2023년]])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손용상]]. (~[[2024년]])
* [[1월 17일]] - 북마케도니아의 배우 [[메토 조바노브스키]]. (~[[2023년]])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승명]]. (~[[2024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중연 (축구인)|조중연]].
* [[1월 19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돌리 파튼]].
* [[1월 20일]]
** 일본의 정치인 [[미조구치 젠비]]. (~[[2024년]])
** 미국의 영화감독 [[데이비드 린치]].
* [[1월 2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군인 [[장성택]]. (~[[2013년]])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염동연]].
* [[1월 30일]] - 미국의 소아마비 생존자, 변호사 [[폴 알렉산더]]. (~[[2024년]])
=== 2월 ===
* [[2월 4일]] - 이탈리아의 배우 [[이바노 마레스코티]]. (~[[2023년]])
* [[2월 5일]] - 영국의 배우 [[샬럿 램플링]].
* [[2월 7일]] - 미국의 기업인 [[톰 힉스]].
* [[2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안상수 (창원 출신 정치인)|안상수]].
* [[2월 13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아르투르 조르즈]]. (~[[2024년]])
* [[2월 14일]] - 미국의 무용가 [[그레고리 하인스]]. (~[[2003년]])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은아 (1946년)|고은아]].
* [[2월 21일]] - 영국의 배우 [[알란 릭맨]]. (~[[2020년]])
* [[2월 24일]] - 러시아의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최길선]].
* [[2월 26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콜린 벨 (1946년생 축구인)|콜린 벨]]. (~[[2021년]])
=== 3월 ===
* [[3월 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용덕 (1946년)|김용덕]].
* [[3월 8일]] - 대한민국의 기초의원 [[박병호 (1946년)|박병호]].
* [[3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복희]].
** 독일의 축구 선수 [[베른트 횔첸바인]]. (~[[2024년]])
* [[3월 12일]]
** 미국의 배우 겸 가수 [[라이자 미넬리]].
** 미국의 성우 [[프랭크 웰커]].
** 일본의 정치인 [[고사카 겐지]]. (~[[2016년]])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구택]].
* [[3월 28일]] - 미국의 배우 [[다이앤 위스트]].
* [[3월 29일]] - 미국의 영화배우 [[폴 허만]]. (~[[2022년]])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공예가 김현희.
=== 4월 ===
* [[4월 3일]]
** 폴란드의 정치가 [[한나 수호츠카]].
** 잉글랜드의 배우 [[니컬러스 존스]].
* [[4월 4일]] - 대한민국의 성우 [[한상혁 (성우)|한상혁]].
* [[4월 5일]] - 불가리아의 레슬링 선수 [[게오르기 머르코프]]
* [[4월 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전 외교통상부 장관 [[유명환]].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인식 (1947년)|김인식]].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봉근 (바둑 기사)|이봉근]]. (~[[2019년]])
** 독일의 생물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게오르게스 J. F. 쾰러]]. (~[[1995년]])
* [[4월 19일]] - 영국의 배우 [[팀 커리]].
* [[4월 21일]] - 프랑스의 영화감독 [[클레르 드니]].
* [[4월 22일]] - 미국의 영화감독 [[존 워터스]].
* [[4월 23일]] - 우크라이나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아나톨리 비쇼베츠]].
* [[4월 25일]] - 러시아의 정치가 [[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 [[4월 27일]] - 영국의 음악가, 작곡가 [[고든 해스켈]]. (~[[2020년]])
* [[4월 30일]] - 스웨덴의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태훈 (성우)|김태훈]].
** 홍콩의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오우삼]].
* [[5월 2일]] - 영국의 배우 [[데이비드 수셰이]].
* [[5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용건]].
* [[5월 9일]] - 미국의 배우 [[캔디스 버건]].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피아노 연주자 [[백건우]].
* [[5월 14일]] - 미국의 노동경제학자 [[클로디아 골딘]].
* [[5월 18일]] - 미국의 전 야구 선수 [[레지 잭슨]].
* [[5월 19일]]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앙드레 더 자이언트]]. (~[[1993년]])
** 이탈리아의 배우, 영화 감독 [[미켈레 플라치도]].
* [[5월 20일]]
** 미국의 가수 겸 배우 [[셰어 (가수)|셰어]].
** 대한민국의 성우 [[이근욱]].
* [[5월 22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조지 베스트]]. (~[[2005년]])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가 [[안상수 (인천 출신 정치인)|안상수]].
* [[5월 30일]]
** 세르비아의 전 축구 선수 [[드라간 자이치]].
** 타이의 정치가 [[수파차이 파닛차팍]].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목사, 사회 운동가 [[인명진]].
* [[6월 2일]]
** 스웨덴의 영화감독 [[라세 할스트룀]].
** 대한민국의 가수 [[송대관]].
** 일본의 성우 [[니시무라 토모미치]].
** 영국의 연쇄 살인범 [[피터 서트클리프]]. (~[[2020년]])
* [[6월 4일]] -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녀[[프엉타오]].
* [[6월 5일]] - 이탈리아의 배우 [[스테파니아 산드렐리]].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정섭]].
* [[6월 14일]] - 미국의 제45대 대통령, 전 부동산업자 [[도널드 트럼프]].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성우 [[기영도]].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요하네스 본프레러]].
* [[6월 18일]] -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파비오 카펠로]].
* [[6월 25일]] - 영국의 음악가 [[이언 맥도널드]]. (~[[2022년]])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영석 (1946년)|정영석]]. (~[[2024년]])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재명 (성우)|이재명]].
=== 7월 ===
* [[7월 3일]] - 홍콩의 무술가 겸 보디빌더 [[볼로 영]].
* [[7월 6일]]
** 미국의 제43대 대통령 [[조지 W. 부시]].
** 미국의 영화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미화 (가수)|장미화]].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문희 (배우)|문희]].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세한]].
* [[7월 21일]] - 에스토니아의 육상선수 [[유리 타르마크]]. (~[[2022년]])
* [[7월 22일]]
** 미국의 배우 [[대니 글러버]].
** 미국의 영화각본가, 감독 [[폴 슈레이더]].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최종수 (1946년)|최종수]]. (~[[2022년]])
* [[7월 27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기업인, 사회기관단체인, 화가 [[이긍희]].
** 크로아티아의 배우 [[라데 셰르베지야]].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흥기]]. (~[[2009년]])
** 대한민국의 가수 [[이승재 (가수)|이승재]].
=== 8월 ===
* [[8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허현호]].
* [[8월 6일]] - 오스트리아의 배우 [[페터 지모니셰크]]. (~[[2023년]])
* [[8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맹형규]].
** 일본의 은행가 [[쓰치야 다카시]].
* [[8월 13일]] - 미국의 금융인 [[재닛 옐런]].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노주현]].
** 미국의 제42대 대통령 [[빌 클린턴]].
* [[8월 30일]]
** 미국의 배우, 모델 [[페기 립턴]]. (~[[2019년]])
** 미국의 생물학자 [[마이클 그룬스타인]]. (~[[2024년]])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2009년]])
** 영국의 가수 [[배리 깁]].
** 미국의 배우 [[수잔 백클리니]]. (~[[2024년]])
* [[9월 2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일 (성우)|박일]]. (~[[2019년]])
* [[9월 5일]]
** 미국의 영화 감독 [[데니스 듀건]].
** 중화민국의 배우 [[범홍헌]].
** 영국의 가수 [[프레디 머큐리]]. (~[[1991년]])
* [[9월 10일]] - 미국의 육상 선수 [[짐 하인스]]. (~[[2023년]])
* [[9월 15일]]
** 미국의 영화 감독 [[올리버 스톤]].
** 미국의 배우 [[토미 리 존스]].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목사 [[하용조]].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유승필]].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남진 (가수)|남진]].
=== 10월 ===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배한성]].
* [[10월 4일]]
** 미국의 배우 [[수전 서랜던]].
** 대한민국의 만화가 [[이원복 (만화가)|이원복]].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성우 [[박영남]].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영화 감독 [[김정철 (영화 감독)|김정철]].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이회택]].
* [[10월 12일]] -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크리스 니컬]]. (~[[2024년]])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권순]].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남주 (시인)|김남주]].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손태인]]. (~[[2002년]])
** 대한민국의 기독교 철학자 겸 신학자 [[김영환 (교수)|김영환]].
* [[10월 20일]] - 오스트리아의 소설가 [[엘프리데 옐리네크]].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박준영 (1946년)|박준영]].
** 스페인의 축구 선수 [[그레고리오 베니토]]. (~[[2020년]])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최경원 (법조인)|최경원]].
* [[10월 25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야마모토 고지 (1946년)|야마모토 고지]].
* [[10월 27일]] - 캐나다의 영화 감독 [[아이번 라이트먼]]. (~[[2022년]])
* [[10월 28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빔 얀선]]. (~[[2022년]])
* [[10월 30일]]
** 일본의 성우 [[호키 가쓰히사]].
** 미국의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 (~[[2012년]])
=== 11월 ===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철학자 [[김성진 (철학자)|김성진]].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윤정모]].
** 대한민국의 동화작가 [[정채봉]]. (~[[2001년]])
* [[11월 4일]] - 미국의 영부인 [[로라 부시]].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병길]].
* [[11월 6일]] - 미국의 배우 [[샐리 필드]].
* [[11월 7일]] - 미국의 영화배우 [[존 아일워드]]. (~[[2022년]])
* [[11월 8일]] - 네덜란드의 전 축구 선수, 전 축구 감독 [[거스 히딩크]].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팝 칼럼니스트, 방송인 [[김광한]]. (~[[2015년]])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작가 [[한수산]].
* [[11월 14일]] - 미국의 배우 [[서신 리틀페더]]. (~[[2022년]])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성우 [[전국근]].
* [[11월 20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더 [[듀안 올맨]]. (~[[1971년]])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방송인 [[이계진]].
=== 12월 ===
* [[12월 2일]] - 영국의 디자이너 [[데이비드 매콜리]].
* [[12월 4일]] - 헝가리의 배우 [[벌라조비치 러요시]]. (~[[2023년]])
* [[12월 5일]] - 에스파냐의 테너 가수 [[호세 카레라스]].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남능미]].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구자홍]]. (~[[2022년]])
* [[12월 14일]]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가수 겸 배우 [[제인 버킨]]. (~[[2023년]])
** 동독의 전 창던지기 선수 [[루트 푸흐스]]. (~[[2023년]])
* [[12월 18일]]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 운동가 [[스티브 비코]].
** 미국의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 [[12월 24일]] - 중국의 전산학자 [[앤드루 야오]].
* [[12월 25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지미 버핏]]. (~[[2023년]])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용식]]. (~[[2013년]])
* [[12월 27일]] -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조 키니어]]. (~[[2024년]])
* [[12월 28일]] - 미국의 정치인 [[팀 존슨 (사우스다코타주의 정치인)|팀 존슨]]. (~[[2024년]])
* [[12월 29일]] - 영국의 가수 [[메리앤 페이스풀]].
* [[12월 30일]]
** 미국의 가수 [[패티 스미스]].
**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베르티 포크츠]].
=== 미상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조은 (사회학자)|조은]].
*대한민국의 의원 [[김영희 (1946년)|김영희]].
== 사망 ==
{{분류 참고|1946년 사망}}
* [[2월 2일]] - 체코의 소설가 [[에두아르트 바스]]. ([[1888년]]~)
* [[3월 23일]]
** 미국의 물리화학자 [[길버트 뉴턴 루이스]]. ([[1875년]]~)
** 스페인의 총리, 사회운동가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 ([[1869년]]~)
* [[4월 21일]] -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1883년]]~)
* [[6월 3일]] - 러시아의 혁명가 [[미하일 칼리닌]]. ([[1875년]]~)
* [[6월 10일]] - 미국의 권투 선수 [[잭 존슨 (권투 선수)|잭 존슨]]. ([[1878년]]~)
* [[10월 15일]] - 나치 독일의 군인, 정치인 [[헤르만 괴링]]. ([[1893년]]~)
* [[10월 16일]] - 나치 독일의 정치인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1893년]]~)
* [[10월 23일]] - 미국의 동물학자 [[어니스트 톰프슨 시턴]]. ([[1860년]]~)
* [[11월 22일]] - 독일의 법학자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 ([[1889년]]~)
* [[12월 19일]] - 프랑스의 물리학자 [[폴 랑주뱅]]. ([[1872년]]~)
== 노벨상 ==
* '''문학상''': [[헤르만 헤세]]
* '''물리학상''': [[퍼시 윌리엄스 브리지먼]]
* '''생리학 및 의학상''': [[허먼 조지프 멀러]]
* '''평화상''': [[에밀리 그린 볼치]], [[존 모트]] 공동수상
* '''화학상''': [[존 하워드 노스럽]],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공동수상
== 달력 ==
{{연간달력|1946}}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경인]] || 대 || [[2월 2일]] || [[정미]]
|-
| [[음력 2월|2월]] || [[신묘]] || 소 || [[3월 4일]] || [[정축]]
|-
| [[음력 3월|3월]] || [[임진]] || 소 || [[4월 2일]] || [[병오]]
|-
| [[음력 4월|4월]] || [[계사 (간지)|계사]] || 대 || [[5월 1일]] || [[을해]]
|-
| [[음력 5월|5월]] || [[갑오]] || 소 || [[5월 31일]] || [[을사]]
|-
| [[음력 6월|6월]] || [[을미]] || 소 || [[6월 29일]] || [[갑술]]
|-
| [[음력 7월|7월]] || [[병신]] || 대 || [[7월 28일]] || [[계묘]]
|-
| [[음력 8월|8월]] || [[정유 (간지)|정유]] || 소 || [[8월 27일]] || [[계유]]
|-
| [[음력 9월|9월]] || [[무술 (간지)|무술]] || 대 || [[9월 25일]] || [[임인]]
|-
| [[음력 10월|10월]] || [[기해]] || 대 || [[10월 25일]] || [[임신 (간지)|임신]]
|-
| [[음력 11월|11월]] || [[경자]] || 소 || [[11월 24일]] || [[임인]]
|-
| [[음력 12월|12월]] || [[신축]] || 대 || [[12월 23일]] || [[신미 (간지)|신미]]
|}
{{전거 통제}}
[[분류:1946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7}}
{{기년법|1997}}
{{요즘 화제 년월|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사건 ==
* [[2월 12일]] - [[황장엽]] [[조선노동당]] 국제담당 서기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했다.
* [[2월 21일]] - [[한국프로농구|대한민국 프로 농구]]가 출범하다.
* [[2월 25일]] - [[김정일]]의 전처인 [[성혜림]]의 조카이자 방송[[PD]]인 [[이한영]]이 피습당하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 [[3월 6일]] - 좌초된 [[LST 문산]]이 장사동 해안가에서 발견됨
* [[4월 1일]] - [[빌뉴스#문화|우주피스 공화국]]의 건국일. [[빌뉴스#문화|우주피스 공화국]]은 1년에 단 하루만 열리는 나라다.
* [[4월 17일]] - 대한민국 대법원이 [[전두환]] 전 대통령에게는 무기징역과 2,205억 원의 추징금을,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는 징역 17년과 추징금 2,628억 원을 선고하다.
* [[4월 22일]] -
** [[진로그룹]] 부도.
** 투팍 아마루 반군에 의한 [[페루]] [[리마]] 주재 [[일본]] 대사관 점거사건이 종료되다.
* [[5월 1일]] - [[1997년 영국 총선|영국에서 총선이 실시]]되어 다음날 [[토니 블레어]]가 총리에 취임하다.
* [[5월 15일]] - [[채널 터널]]이 전체 복구되다.
* [[5월 17일]] - [[자이르]]의 반군이 수도 킨샤샤에 입성. [[자이르]] 정부군의 무조건 항복 요구.
* [[5월 18일]] - [[자이르]] 반군이 국정 전반을 장악.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개칭.
* [[6월 2일]] - [[한신공영그룹]] 부도.
* [[7월 1일]] - [[홍콩]]이 [[영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으로 반환되다.
* [[7월 4일]] - 패스파인더 화성 탐사선이 [[화성]]에 착륙하여 1997년 [[9월 27일]]까지 [[지구]]로 사진과 정보를 전송하다.
* [[7월 15일]] -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되다.
* [[8월 6일]] - [[대한항공 801편]]이 [[괌]]에서 추락하여 228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을 입었다.
* [[8월 15일]] - [[대한민국]], [[김영삼]] 대통령, 광복절 기념사서 한반도 평화정착 위한 4대 원칙 발표.
* [[8월 19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수로 착공.
** [[유엔]] 통계국, 세계인구 57억 5천 100만 명이라고 발표.
* [[8월 31일]] - [[다이애나 스펜서]] 당시 전 영국 왕세자비가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에서 연인으로 추정되는 도디 알파에드와 교통사고로 사망.
* [[9월 3일]] -
** [[원자력 발전소]] 월성 2호기 준공.
** [[베트남 항공 815편 추락 사고|베트남 항공]] 여객기 [[프놈펜]] 인근 추락, 한국인 21명 포함 65명 사망.
* [[9월 12일]] -
** [[박나리 유괴 살해 사건|박초롱초롱빛나리(박나리)양 유괴사건]]의 피해자인 박나리양, 13일 만에 숨진 채 발견. 용의자는 20대 여성으로 몸값을 노리고 여아를 살해했다고 자백.
**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스티븐 보스워스]]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총장을 주한 미국 대사로 임명.
* [[9월 13일]] -
** [[이인제]] 경기지사, [[신한국당]] 탈당 대통령선거 출마 공식 선언.
** [[테레사 수녀]]가 향년 86세로 사망.
* [[9월 19일]] - [[대한민국 법무부]], 양계혈통주의를 골자로 한 국적법 개정안 마련.
* [[10월 1일]] - [[한국통신]], 정부출자기관으로 전환.
* [[10월 3일]] -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시설물 사찰과 관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전면적 협조 촉구 결의안 채택.
* [[10월 8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중앙방송]], [[김정일]]의 당총비서직 공식추대 발표.
* [[10월 12일]] - [[대한제국]] 수립 100주년.
* [[10월 15일]] -
** 쌍방울 그룹 화의 신청.
**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토성]]을 향해 발사되다.
* [[11월 7일]] - [[김영삼]] 대통령이 [[신한국당]] 탈당을 하고 [[무소속]] 전향하여 대한민국 무여당 체제 돌입.
* [[11월 10일]] - 미국, 월드컴과 MCI 통신사가 370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합병을 선언하다. 미국 역사에서 최대 규모 합병이었다.
* [[11월 17일]] - [[이집트]] [[룩소르]]에서 관광객 62명이 [[이슬람교]] [[근본주의]]자들에게 살해되다. 존 덴버는 조종하다 비행기 추락해 사망하였다.
* [[11월 21일]] - [[대한민국]]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다([[IMF 외환위기]]), [[신한국당]]이 [[한나라당]]으로 개명하였다.
* [[11월 26일]] - 재미 [[한국인]]들, '모국에 [[미국 달러|달러]] 보내기 운동' 시작.
* [[12월 3일]] - [[국제 통화 기금|IMF]] 자금지원 협상이 [[정부종합청사]]에서 5시간의 마라톤 회의 끝에 타결.
* [[12월 4일]] - [[서울]] [[보라매병원 사건]]이 일어났다.
* [[12월 8일]] - [[대우그룹]], [[쌍용자동차]] 지분 53.5%와 경영권 인수 합의.
* [[12월 10일]] - [[카자흐스탄]]이 수도를 [[알마티]]에서 [[아스타나]]로 옮겼다.
* [[12월 16일]] -
** [[환율]] 제한폭이 철폐되다. [[한화그룹]], [[한화에너지]]와 한화에너지 플라자 매각 결정.
** 일본에서 [[포켓몬스터]] 38화인 전뇌전사 폴리곤을 시청하던 600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발작을 일으켜 [[1998년]] [[4월 15일]]까지 119일 동안 방영되지 않는 [[포켓몬 쇼크|사건]]이 일어나다.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이 당선되었다.
* [[12월 22일]]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특별사면복권으로 석방되다.
* [[12월 30일]] - [[대한민국]]에서 흉악범 23명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다.
== 문화 ==
* [[2월 3일]] - [[아리랑국제방송]] 국내방송 개국.
* [[2월 18일]] - [[한국GM|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대우 누비라|누비라]]와 [[대우 레간자|레간자]]를 출시하다.
* [[3월 2일]] - [[초등학교]] 교과목에 3~6학년 [[영어]]과목이 신설되었다.
* [[3월 3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스타렉스|스타렉스]]를 출시하다.
* [[3월 27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엔터프라이즈|엔터프라이즈]]를 출시하다.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젝스키스]]가 데뷔하였다.
* [[4월 25일]] - [[청주불교방송]] 5번째 개국.
* [[4월 28일]] - [[청주국제공항]] 개항.
* [[5월 11일]] - [[IBM]] 사의 컴퓨터 [[딥 블루]]가 처음으로 [[체스]] 세계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를 이기다.
* [[5월 13일]] - [[KBS 1TV]]에서 [[긴급구조 119]]를 화요일에 마지막 방송을 하고 5월 봄개편에 따라 수요일로 변경을 했다.
* [[5월 14일]] - [[스타얼라이언스]] 설립.
* [[5월 19일]] - [[KBS 1TV]], [[KBS 2TV]], [[MBC TV]], [[SBS TV]] 평일 오후 방송시간을 17시에서 16시로 변경을 하다. 평일 오후 방송시간을 16시부터 새벽 1시까지 방송을 정했다.
* [[6월 4일]] - [[긴급구조 119]]가 [[KBS 1TV]]의 채널에서 화요일에 수요일로 변경이 되었고, 수요일 저녁 19시 35분에 방영을 하다.
* [[6월 26일]] - [[KBS 영상사업단]] 파파파 유치원 하나둘셋이 출시되다.
* [[7월 30일]] - [[MBC TV]]에서 [[웨딩피치|요술천사피치]]를 재방영을 하다.
* [[8월 28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아토스|아토스]]를 출시하다.
* [[8월 29일]] - [[KBS 영상사업단]] 최할리의 MUSIC ENGLISH가 출시되다.
* [[9월 1일]]
** [[울산방송|UBC]] 울산방송 텔레비전이 개국하였다.
** [[EBS TV]]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재개시 및 재실시를 하기 시작하였다.
* [[9월 3일]] - [[MBC 프로덕션]] 경석이와 뽀미의 열린유치원가 출시되다.
* [[9월 9일]] - [[KNN 파워FM]] 개국.
* [[9월 27일]] - [[JTV]] 전주방송 텔레비전이 개국하였다.
* [[9월 28일]] - 대한민국, [[1998년 FIFA 월드컵|1998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예선전에서 일본을 꺾어 월드컵 본선 4회 연속 진출 성공.
* [[10월 1일]]
** [[대한민국]], 개인휴대통신(PCS) 상용서비스 개시.
**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록.
* [[10월 6일]] - [[제주도]]에서 제 42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개막식.
* [[10월 7일]] - [[MBC TV]]에서 [[웨딩피치|요술천사피치]]를 재종영을 하다.
* [[10월 11일]]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일원, [[경기도]]일부지역에서 iTV [[경인방송|인천방송]] 텔레비전 개국.
* [[10월 14일]] - [[쌍용자동차]]에서 [[쌍용 체어맨|체어맨]]을 출시하다.
* [[10월 18일]] - [[CJB]] 청주방송 텔레비전이 개국하였다.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태사자 (음악 그룹)|태사자]]가 데뷔하였다.
* [[10월 28일]] - [[소방차 (음악 그룹)|소방차]]가 직접 제작한 그룹 [[NRG (음악 그룹)|NRG]]가 데뷔하였다.
* [[11월 19일]] - [[대한민국]], 19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아이돌 그룹 [[S.E.S.]]가 데뷔하였다.
*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진천역|진천]] ~ [[중앙로역 (대구)|중앙로]] 구간 개통.
* [[12월 1일]]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 일원에서 [[TBC Dream FM]] 개국.
* [[12월 2일]]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일원에서 [[경기방송]] KFM 개국.
* [[12월 20일]] - [[대한민국]] [[TBN 한국교통방송]] 개국.
* [[12월 20일]]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원에서 [[광주교통방송|TBN 광주교통방송]] 개국.
* [[12월 23일]]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부산교통방송|TBN 부산교통방송]] 개국.
== 탄생 ==
{{분류 참고|1997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청용]].
* [[1월 2일]]
** 베트남의 태권도 선수 [[쯔엉티낌뚜옌]].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카를로스 솔레르]].
** 파키스탄의 육상 선수 [[아르샤드 나딤]].
* [[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혁 (가수)|김동혁]] ([[IKON]]).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인 (1997년)|제인]] ([[모모랜드]]).
** 대한민국의 유튜버 [[양팡]].
* [[1월 4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앙헬리뇨]].
* [[1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윤.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헤수스 바예호]].
* [[1월 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지훈 (축구 선수)|강지훈]].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옥진욱]].
* [[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새롬]] ([[Fromis 9]]).
** 대한민국의 가수 유현 ([[드림캐쳐 (음악 그룹)|드림캐쳐]]).
** 대한민국의 가수 지니 ([[굿데이 (음악 그룹)|굿데이]]).
** 대한민국의 배우 [[유현주 (배우)|유현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원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강국]].
** 대한민국의 전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노바 (1997년)|노바]].
* [[1월 8일]] - 슬로베니아의 유도 선수 [[안드레야 레슈키]].
* [[1월 9일]]
** 중국의 가수 겸 코스플레이어 [[Liyuu]].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이사 디오프]].
** 일본의 배우 [[니시하타 다이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준기 (축구 선수)|이준기]].
* [[1월 10일]] - 일본의 배우 [[콘노 아유리]].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승현 (프로게이머)|이승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구본혁 (야구 선수)|구본혁]].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아이리스 (팀샐러드).
* [[1월 13일]]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루이스 디아스]].
**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 [[코너 맥데이비드]].
* [[1월 14일]]
** 노르웨이의 가수 [[페더 엘리아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변상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로라 ([[네이처 (음악 그룹)|네이처]]).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예근]].
** 대한민국의 쇼핑호스트 [[장가희]].
* [[1월 16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파우 토레스]].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수영 선수 [[김가을 (수영 선수)|김가을]].
** 미국의 유튜버 [[제이크 폴]].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이호정 (배우)|이호정]].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임종훈 (탁구 선수)|임종훈]].
** 미국의 성우, 배우 [[제러미 셰이다]].
** 튀르기예의 축구 선수 [[유수프 야즈즈]].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준영 (1997년)|준]] ([[유키스]], [[유앤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경민 (1997년)|김경민]].
** 중화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판전둥]].
* [[1월 23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주희.
** 이집트의 축구 선수 [[라마단 소비]].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현 (1997년)|이종현]].
* [[1월 25일]] - 영국의 유도 선수 [[첼시 자일스]].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폰 (프로게이머)|폰]].
* [[1월 27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이타쿠라 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상현 (야구 선수)|안상현]].
* [[1월 28일]] -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 프로게이머 [[하예나]].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렘 (프로게이머)|렘]].
** 일본의 배우 [[히라노 쇼]].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심석희]].
** 대한민국의 가수 [[새봄 (가수)|새봄]] ([[네이처 (음악 그룹)|네이처]]).
* [[1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연]] ([[(여자)아이들]]).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효]] ([[트와이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동준 (1997년)|이동준]].
* [[2월 2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이혜지.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도희 (치어리더)|김도희]].
** 대한민국의 성악가 [[김성현 (성악가)|김성현]].
* [[2월 3일]]
** 대한민국의 모델 [[이다현 (1997년생 모델)|이다현]].
** 스위스의 사격 선수 [[니나 크리스텐]].
* [[2월 5일]] - 대한민국의 작가 김시연.
* [[2월 6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지브릴 소우]].
** 대한민국의 MC [[강민규 (MC)|강민규]].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서윤지]].
** 대한민국의 가수 [[루다]] ([[우주소녀]]).
* [[2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시우]].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니콜로 바렐라]].
** 중국의 바둑 기사 [[한이저우]].
* [[2월 8일]]
** 미국의 배우 [[캐스린 뉴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유현]].
* [[2월 10일]]
** 미국의 배우 [[클로이 그레이스 머레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대원 (1997년)|김대원]].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JESE]].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제 (가수)|로제]] ([[블랙핑크]]).
** 대한민국의 가수 [[장대현]] ([[위아이]]).
** 대한민국의 래퍼 [[쿤디판다]].
** 일본의 모델, 배우, 가수 [[시다 유미]].
** 폴란드의 육상 선수 [[후베르트 후르카치]].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은수]] ([[마이틴]]).
** 일본의 성우 [[키노 히나]].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안혜지 (농구 선수)|안혜지]].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김블루]].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가현 (아나운서)|김가현]].
**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의 첫째 아들 [[마이클 조셉 잭슨 주니어]].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재현 (1997년)|재현]] ([[NCT (음악 그룹)|NCT]]).
** 스위스의 축구 선수 [[브릴 엠볼로]].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송혜령]].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카사 (프로게이머)|카사]].
* [[2월 15일]] - 미국의 농구 선수 [[데릭 존스 주니어]].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임은진]].
** 일본의 축구 선수 [[나카야마 유타]].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서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구창모 (야구 선수)|구창모]].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하 (1997년)|김민하]].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가에타노 카스트로빌리]].
** 튀르기예의 축구 선수 [[제키 첼리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영근 (1997년)|김영근]].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도겸 (가수)|도겸]]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2월 19일]]
** 벨기에의 유도 선수 [[마티아스 카스]].
** 대한민국의 가수 채희.
* [[2월 20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성주]].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범진]].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래퍼 [[언에듀케이티드 키드]].
* [[2월 23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베냐민 헨릭스]].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장현우 (프로게이머)|장현우]].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규 (1997년)|김진규]].
** 멕시코의 축구 선수 [[세사르 몬테스]].
* [[2월 25일]]
** 미국의 배우 [[이저벨 퍼먼]].
** 벨라루스의 리듬체조 선수 [[카차리나 할키나]].
** 대한민국의 배우 [[천영민]].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승우 (가수)|유승우]].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마우콩]].
* [[2월 27일]]
** 중국의 배우 [[선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승원 (축구 선수)|정승원]].
** 일본의 배우 겸 가수 미즈키 ([[STARRY PLANET☆]]최연장자및서브리더).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양 (가수)|태양]] ([[SF9]]).
** 대한민국의 배우 [[홍서희]].
** 중화인민공화국의 양궁 선수 [[우자신]].
** 미국의 사격 선수 [[버지니아 트래셔]].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정호 (배구 선수)|김정호]].
** 이스라엘의 체조 선수 [[아르템 돌고피아트]].
* [[3월 2일]] - 미국의 가수 [[베키 G]].
* [[3월 3일]]
** 미국의 가수 [[카밀라 카베요]] ([[피프스 하모니]]).
** 대한민국의 래퍼 [[이장준]] ([[골든차일드 (음악 그룹)|골든차일드]]).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다비드 네리스]].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경 (모델)|김진경]].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모델 겸 가수 [[권현빈]] ([[JBJ]]).
* [[3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주 (1997년 3월)|유주]] ([[체리블렛]]).
* [[3월 6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주제 조아킹 지 카르발류]].
* [[3월 7일]]
** 대한민국의 래퍼 다미 ([[드림캐쳐 (음악 그룹)|드림캐쳐]]).
** 대한민국의 성우 [[유영 (성우)|유영]].
** 일본의 배우 [[야하기 호노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영찬]].
* [[3월 8일]]
** 일본의 가수 [[마츠이 쥬리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대현 (1997년)|김대현]].
* [[3월 9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구스타부 쿠스토지우]].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래퍼 [[육지담]].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루키 (프로게이머)|루키]].
** 일본의 야구 선수 [[모모세 히로키]].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양윤진]].
* [[3월 13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후벵 네베스]].
* [[3월 14일]] - 미국의 체조 선수 [[시몬 바일스]].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이호정 (피겨스케이팅 선수)|이호정]].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손화연]].
** 미국의 가수, 방송인 [[티아 (1997년)|티아]] ([[쇼콜라 (음악 그룹)|쇼콜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승원 (배우)|정승원]].
* [[3월 16일]] - 잉글랜드이 축구 선수 [[도미닉 캘버트루인]].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백승호 (축구 선수)|백승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찬희]].
** 미국의 수영 선수 [[케이티 러데키]].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래퍼 [[Fisherman]].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도 선수 [[허우즈후이]].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곽동연]].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민아]].
** 대한민국의 배우 [[박상원 (1997년)|박상원]].
* [[3월 21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배드민턴 선수 [[허빙자오]].
** 대한민국의 가수 [[정광현 (가수)|정광현]] ([[퍼플레인]]).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선|김송선]] ([[트라이비|TRI.BE]]).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원준 (1997년)|최원준]].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강유림]].
* [[3월 24일]]
** 일본의 가수 [[미나 (일본의 가수)|미나]] ([[트와이스]]).
** 이탈리아의 양궁 선수 [[루칠라 보아리]].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카인 (가수)|카인]] ([[아르곤 (음악 그룹)|아르곤]]).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피카부 (프로게이머)|피카부]].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민정 (사격 선수)|김민정]].
** 일본의 축구 선수 [[미요시 고지]].
** 독일의 유도 선수 [[에두아르트 트리펠]].
* [[3월 27일]] - 태국의 가수 [[리사 (태국의 가수)|리사]] ([[블랙핑크]]).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이선규 (작곡가)|이선규]].
** 대한민국의 가수 루시.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차은우]] ([[아스트로 (음악 그룹)|아스트로]]).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구준회]] ([[iKON]]).
=== 4월 ===
* [[4월 1일]]
** 영국의 배우 [[에이사 버터필드]].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베릴 (프로게이머)|베릴]].
* [[4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혜.
* [[4월 3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이미소.
** 브라질의 축구 선수 [[가브리에우 제주스]].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캐치 (1997년생 프로게이머)|캐치]].
* [[4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공지호]] ([[오마이걸]]).
* [[4월 5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육상 선수 [[니나 케네디]].
* [[4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규]] ([[세븐틴]]).
* [[4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즈마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명훈 (바둑 기사)|김명훈]].
* [[4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진 (가수)|우진]] ([[스트레이 키즈]]).
** 일본의 배우 [[이치노세 하야테]].
* [[4월 9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수민 (아나운서)|김수민]].
** 대한민국의 가수 [[미노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주헌 (축구 선수)|김주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레슬링 선수 [[김선향 (레슬링 선수)|김선향]].
* [[4월 1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최재영 (바둑 기사)|최재영]].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최우재 (야구 선수)|최우재]].
* [[4월 12일]]
** 베트남의 축구 선수 [[응우옌꽝하이 (1997년)|응우옌꽝하이]].
** 프랑스의 펜싱 선수 [[로맹 카논]].
* [[4월 13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카일 워커피터스]].
* [[4월 15일]]
** 영국의 배우 [[메이지 윌리엄스]].
** 대한민국의 가수 [[김국헌]] ([[마이틴]]).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윤예빈]].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찬석]].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예원.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도니 판 더 베이크]].
** 대한민국의 배우 [[홍사빈]].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임혜진.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수연]] ([[위키미키]]).
** 독일의 테니스 선수 [[알렉산더 츠베레프]].
** 중국의 가수, 무용가 [[류위신 (가수)|류위신]].
* [[4월 21일]]
** 일본의 가수 [[타카기 사유키]] ([[Juice=Juice]]).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승리]].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준형 (농구 선수)|김준형]].
** 대한민국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스티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스티치]].
* [[4월 22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질 로르트]].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해진]].
** 대한민국의 유튜버 마플 (팀샐러드).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리듬체조 선수 [[천송이]].
** 태국의 배우 [[티라돈 수파펀핀요]].
** 대한민국 태생 뉴질랜드의 골프 선수 [[리디아 고]].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지훈 (1997년)|서지훈]].
** 대한민국의 유튜버 [[쯔양]].
**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문희 (가수)|문희]].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구만 (가수)|구만]].
* [[4월 27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쉬 오노마]].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성영]].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예진 (농구 선수)|김예진]].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모델, 유튜버 [[Free지아]].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래]].
* [[5월 2일]]
** 태국의 가수 [[뱀뱀]] ([[GOT7]]).
** 대한민국의 가수 [[태우]].
* [[5월 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윤아.
* [[5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우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함영준 (축구 선수)|함영준]].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상원 (야구 선수)|강상원]].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정연우 (바둑 기사)|정연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주영 (1997년)|김주영]].
* [[5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주엽 (배우)|김주엽]].
** 대한민국의 가수 서정은.
* [[5월 7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유리 틸레만스]].
* [[5월 8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문상옥]].
** 대한민국의 가수 [[다올]].
* [[5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지카이트]].
** 대한민국의 모델 [[배윤영]].
* [[5월 10일]]
** 터키의 축구 선수 [[에네스 위날]].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히샤를리송]].
* [[5월 11일]]
** 미국의 배우 [[라나 콘도어]].
** 미국의 래퍼 [[코이 르레이]].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앤드뉴]].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프렝키 더 용]].
** 일본의 배우, 성우 [[야마구치 메구미]].
** 이스라엘의 배우, 모델 [[오데야 러시]].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성현 (1997년)|김성현]].
** 대한민국의 배우 [[박정연]].
* [[5월 14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후벵 디아스]].
* [[5월 15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우스만 뎀벨레]].
** 독일의 태권도 선수 [[로레나 브란들]].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태욱]].
* [[5월 17일]] - 조지아의 레슬링 선수 [[기비 마차라슈빌리]].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뉴클리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승지 (야구인)|한승지]].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프로듀서 [[웨이체드]].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우성]].
* [[5월 22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셜러이 롤런드]].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언서]].
**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황소윤]].
** 일본의 성우 [[타나베 루이]].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조 고메즈]].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브 (1997년)|이브]] ([[이달의 소녀]]).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찬열]].
** 대한민국의 가수 [[신광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와디드]].
* [[5월 26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서하]].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비주 (배우)|김비주]].
** 대한민국의 가수 [[다원 (여자 가수)|다원]]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시크릿 (프로게이머)|시크릿]].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래퍼 [[펀치넬로]].
** 대한민국의 성우 [[김다빈 (성우)|김다빈]].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윤정 (배구 선수)|이윤정]].
* [[5월 30일]]
** 캐나다의 가수 제이콥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보이즈]]).
** 대한민국의 가수 [[은하 (가수)|은하]] ([[여자친구 (음악 그룹)|여자친구]], [[VIVIZ|비비지]]).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세운]].
** 대한민국의 가수 [[우진영]].
=== 6월 ===
* [[6월 1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니콜라스 데 라 크루스]].
* [[6월 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수현 (1997년)|김수현]].
** 대한민국의 가수 김우주.
* [[6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세휘]].
** 중화인민공화국의 쇼트트랙 선수 [[런쯔웨이]].
* [[6월 4일]] - 대한민국의 래퍼 도화.
* [[6월 5일]]
** 우루콰이의 축구 선수 [[로드리고 벤탕쿠르]].
** 스코틀랜드의 축구 선수 [[키어런 티어니]].
* [[6월 6일]] - 일본의 배드민턴 선수 [[야마구치 아카네]].
* [[6월 7일]]
** 우즈베키스탄의 유도 선수 [[다블라트 보보노프]].
** 대한민국의 가수 아만다.
* [[6월 8일]] - 라트비아의 테니스 선수 [[옐레나 오스타펜코]].
* [[6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연 (야구 선수)|김태연]].
** 홍콩의 펜싱 선수 [[정가롱]].
** 일본의 바둑 기사 [[이치리키 료]].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현 (1997년)|김동현]].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우나이 시몬]].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한나.
** 아제르바이잔의 리듬체조 선수 [[마리나 두룬다]].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솔 (가수)|진솔]] ([[이달의 소녀]]).
** 미국의 래퍼, 가수, 작곡가 [[070 셰이크]].
* [[6월 14일]]
** 인도의 배우 [[샤르바리 와그]].
**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후지이 카제]].
* [[6월 1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거연]].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소드 (프로게이머)|소드]].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재넌]].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성 (1997년)|김진성]].
** 일본의 양궁 선수 [[가와타 유키]].
** 미국의 모델, 배우 [[카밀라 모로네]].
** 뉴질랜드의 배우 [[KJ 아파]].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장케뱅 오귀스탱]].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정보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은재 (배우)|이은재]].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블루우즈]].
** 대한민국의 전직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김승태 (프로게이머)|김승태]].
** 모로코의 축구 선수 [[아민 하리트]].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라파 미르]].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윤선 (1997년)|최윤선]]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대한민국의 가수 [[이지호 (가수)|이지호]].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이승민 (골프 선수)|이승민]].
* [[6월 21일]] - 미국의 가수 [[리베카 블랙]].
* [[6월 22일]] - 미국의 가수 [[다이너 제인]].
* [[6월 23일]] - 대한민국의 크레이지싱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문호준]].
* [[6월 2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범경]].
** 중화인민공화국의 복싱 선수 [[창위안 (권투 선수)|창위안]].
* [[6월 25일]]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로드리고 벤탕쿠르]].
** 태국의 가수, 무용가, 배우 [[정나이신]].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예린]] ([[15&]]).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제이컵 엘로디]].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세진 (1997년)|박세진]].
** 대한민국의 배우 [[서범준]].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이하림]].
* [[6월 28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박재현.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박주효]].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홍성찬]].
** 일본의 패션, 모델, 배우 [[이토 켄타로 (배우)|이토 켄타로]].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윤성 (축구 선수)|강윤성]].
* [[7월 2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 [[박설아]].
* [[7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지원.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시우 (여자 배우)|이시우]].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미 (가수)|제이미]] ([[15&]]).
** 대한민국의 가수 [[체리 (가수)|체리]] ([[굿데이 (음악 그룹)|굿데이]]).
** 대한민국의 가수 [[타니]]. (~[[2018년]])
* [[7월 7일]] - 일본의 가수 [[이쿠타 에리나]] ([[모닝구무스메]]).
* [[7월 8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윤슬.
** 중국의 가수, 배우 [[송신란]].
** 대한민국의 국악인, 가수 [[박유민]].
* [[7월 9일]] - 대한민국의 작가 박지영.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제호]].
* [[7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찬호.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성연]].
** 파키스탄의 노벨평화상 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송진규]].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선우 (야구인)|박선우]].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예빈]] ([[다이아 (음악 그룹)|다이아]]).
* [[7월 14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기범 (바둑기사)|김기범]].
** 터키의 축구 선수 [[젱기즈 윈데르]].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남윤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준 (축구 선수)|이준]].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성호 (야구 선수)|홍성호]].
** 일본의 배우 [[모리모토 신타로]].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미키 (프로게이머)|미키]].
** 오스트리아의 유도 선수 [[미하엘라 폴레레스]].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오.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 연주자 [[권진아]].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강소휘]].
** 일본의 축구 선수 [[이시바시 타쿠마]].
** 미국의 육상 선수 [[노아 라일스]].
** 미국의 육상 선수 [[그랜트 홀러웨이]].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알파인 스키 선수 [[강영서 (스키 선수)|강영서]].
* [[7월 20일]] - 중국의 배우 [[장커잉]].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체온.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진영 (1997년)|이진영]].
* [[7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황가람]].
* [[7월 2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지훈 (야구 선수)|최지훈]].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함은지]].
* [[7월 24일]]
** 미국의 배우 [[케일리 스페이니]].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정주희.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도 (가수)|이도]].
* [[7월 27일]]
** 일본의 배우 [[타케다 레나]].
** 아제르바이잔의 유도 선수 [[히다얘트 헤이대로프]].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조성주 (프로게이머)|조성주]].
** 일본의 야구 선수 [[사카모토 유야]].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경 (가수)|민경]] ([[희나피아]]).
* [[7월 30일]] - 미국의 가수, 음악 프로듀서 [[피니어스 오코넬]].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전은혜 (펜싱 선수)|전은혜]].
** 대한민국의 가수 고한승.
* [[8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크리스 레오네]].
** 중국의 바둑 기사 [[커제]].
* [[8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배우, 가수 [[허우밍하오]].
* [[8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심혜원]].
** 헝가리의 육상 선수 [[헐라스 벤체]].
** 우크라이나의 육상 선수 [[미하일로 코한]].
* [[8월 5일]]
** 중국의 배우 [[쉬자오]].
** 중국의 래퍼 [[이보 (가수)|이보]] ([[유니크 (음악 그룹)|유니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준영 (1997년)|박준영]].
* [[8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키세스 (가수)|키세스]].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마르퀴스 튀람]].
* [[8월 7일]]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장혜지]].
** 대한민국의 가수 [[종한]].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이우석 (양궁 선수)|이우석]].
** 대한민국의 가수 [[안유미]].
* [[8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훈 (1997년)|영훈]]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보이즈]]).
** 대한민국의 배우 [[천희주]].
** 태국의 태권도 선수 [[파니팍 웡파타나낏]].
* [[8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예지.
** 일본의 유도 선수 [[아베 히후미]].
* [[8월 10일]]
** 일본의 가수, 배우 [[타카츠키 사라]].
** 미국의 방송인, 사교계 명사, 사업가 [[카일리 제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문수 (1997년)|김문수]].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가연.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수한]].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여진구]].
** 대한민국의 가수 이제이 ([[앨리스 (음악 그룹)|앨리스]]).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건희]].
* [[8월 17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강지연.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슬]] ([[이달의 소녀]]).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조세핀 랭퍼드]].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헤나투 산시스]].
** 대한민국의 전 배우 [[배나연]].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솔빈]] ([[라붐 (음악 그룹)|라붐]]).
** 대한민국의 배우 [[홍승희]].
** 폴란드의 축구 선수 [[바르트워미에이 드롱고프스키]].
** 러시아의 전 리듬체조 선수 [[마리야 티토바]].
** 독일의 수영 선수 [[플로리안 벨브로크]].
* [[8월 20일]] - 일본의 리듬체조 선수 [[미나가와 가호]].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치인 (축구 선수)|정치인]].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채빈 (배우)|채빈]].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 미국의 모델, 가수 [[셀린 패러치]].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원 (1997년)|김예원]].
* [[8월 24일]]
** 노르웨이의 전자 음악가 [[앨런 워커 (음악 프로듀서)|앨런 워커]].
** 대한민국의 가수 [[한혜리]].
** 일본의 배우, 모델 [[야나기 미키]].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허만흥]].
** 대한민국의 유튜버 [[변승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지수 (배우)|최지수]].
* [[8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단아 (배우)|김단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진현]].
* [[8월 27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파케타]].
** 대한민국의 방송인 [[서예진]].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황선도]].
* [[8월 29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인슬리 메이틀랜드나일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건웅]].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영롱]].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은진 (1997년)|안은진]].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국 (가수)|정국]] ([[방탄소년단]]).
* [[9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주.
* [[9월 3일]]
** 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 [[기무라 하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류지수 (축구 선수)|류지수]].
* [[9월 4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서승재]].
** 대한민국의 가수 박지은 ([[퍼플키스]]).
** 헝가리의 펜싱 선수 [[시클로시 게르게이]].
* [[9월 5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최홍철]].
* [[9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영웅]].
* [[9월 7일]]
** 잉글랜드의 배우 [[딘찰스 채프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기연 (야구 선수)|김기연]].
** 스웨덴의 축구 선수 [[구스타브 베르게렌]].
* [[9월 8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권주리 (바둑 기사)|권주리]].
* [[9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빈 (1997년)|유빈]] ([[오마이걸]]).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지현 (가수)|류지현]].
** 중화인민공화국의 배우 [[임휘민]].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공룡.
* [[9월 12일]]
** 미국의 배우 [[시드니 스위니]].
** 일본의 성우 [[타케우치 슌스케]].
** 일본의 성우 [[나카시마 유키 (성우)|나카시마 유키]].
* [[9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재 (가수)|현재]] ([[더보이즈 (음악 그룹)|더 보이즈]]).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가호 (가수)|가호]]
** 대한민국의 래퍼 [[폴블랑코|폴 블랑코]].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온라인콘텐츠창작자 장수빈.
* [[9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채원 (1997년)|김채원]] ([[에이프릴 (음악 그룹)|에이프릴]]).
* [[9월 17일]] - 중국의 배우, 모델 [[관샤오퉁]].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조범준.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채빈.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몰로]].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한빈]].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이경 (1997년)|김이경]].
** 대한민국의 배우 [[안정훈 (1997년)|안정훈]].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길찬호]].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결.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재준 (1997)|이재준]].
** 대한민국의 래퍼 [[도한세]] ([[빅톤 (음악 그룹)|빅톤]]).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원 (1997년)|박지원]].
**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곡가 [[아도라]].
** 대한민국의 가수 마루 ([[씨클라운]]).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한나.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석민 (1997년)|박석민]].
* [[9월 28일]] - 중화민국의 유도 선수 [[양융웨이]].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하영]] ([[fromis_9]]).
** 대한민국의 가수 [[홍은기]] ([[레인즈 (음악 그룹)|레인즈]]).
** 일본의 성우 [[하나모리 유미리]].
* [[9월 30일]]
** 네덜란드의 레이싱 드라이버 [[막스 페르스타펀]].
** 러시아의 전 리듬체조 선수 [[야나 쿠드럅체바]].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류지호]].
** 대한민국의 배우 [[이다현 (배우)|이다현]].
** 잉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제이드 버드]].
* [[10월 2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태미 에이브러햄]].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방찬]] ([[스트레이 키즈]]).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안지현 (치어리더)|안지현]].
** 일본의 가수 [[쥬리 (가수)|쥬리]] ([[로켓펀치]]).
** 중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진보양]].
** 일본의 가수 [[타카하시 쥬리]].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주 (1997년 10월)|유주]] ([[여자친구 (음악 그룹)|여자친구]]).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달라.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파크모 (팀샐러드).
** 덴마크의 축구 선수 [[카스페르 돌베르]].
* [[10월 7일]] - 미국의 배우 [[니콜 메인스]].
* [[10월 8일]]
** 미국의 배우 [[벨라 손]].
** 일본의 배우 [[타마시로 티나]].
** 일본의 축구 선수 [[구니모토 다카히로]].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벤 화이트]].
** 영국의 육상 선수 [[조시 커]].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주세빈]].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석진 (야구 선수)|임석진]].
* [[10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
* [[10월 12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니콜라 밀렌코비치]].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임예슬]].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권오민]].
** 대한민국의 가수 [[시월십사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문서율]].
** 일본의 가수 [[야마키 리사]].
** 일본의 아이돌 [[시로마 미루]].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전웅]] ([[AB6IX]]).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송범근]].
* [[10월 16일]]
** 일본의 테니스 선수 [[오사카 나오미]].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라스칼 (프로게이머)|라스칼]].
** 모나코의 포뮬러원 레이싱 드라이버 [[샤를 르클레르]].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예원.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젤리 (프로게이머)|젤리]].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레이즈 (프로게이머)|레이즈]].
** 알제리의 펜싱 선수 [[레아 무투사미]].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국악인 [[송소희]].
** 잉글랜드 출신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아데몰라 루크먼]].
** 러시아의 테니스 선수 [[안드레이 루블료프 (테니스 선수)|안드레이 루블료프]].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재현 (가수)|임재현]].
** 그레나다의 육상 선수 [[앤더슨 피터스]].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동윤 (야구 선수)|정동윤]].
* [[10월 23일]] - 태국의 가수 [[민니 (가수)|민니]] ([[(여자)아이들]]).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박소연 (피겨 스케이팅 선수)|박소연]].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레이 (1997년)|레이]].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사나이 [[양동하]].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페데리코 키에사]].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인디 가수 [[정우 (인디)|정우]].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박소연 (1997년)|박소연]].
* [[10월 27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호드리구 바사니 다 크루스]].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산 (배우)|강산]].
** 중국의 가수 [[윈윈]] ([[NCT (음악 그룹)|NCT]], [[WayV]]).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수 (1997년)|김민수]].
* [[10월 30일]] - 일본의 배우 [[진구지 유타]].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나.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마커스 래시퍼드]].
** 홍콩의 수영 선수 [[시본 호히]].
=== 11월 ===
* [[11월 1일]]
** 미국의 배우 [[앨릭스 울프]].
** 대한민국의 가수 [[단 (가수)|정승보]] ([[킹덤 (음악 그룹)|킹덤]]).
** 댜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영하 (야구 선수)|이영하]].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 이진희.
* [[11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슬레이.
** 일본의 가수, 배우, 패션 모델 [[키타무라 타쿠미]].
** 미국의 배우 겸 모델 [[다이애나 실버스]].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현아.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경원 (가수)|경원]] ([[희나피아]], [[프리스틴]]).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지혜.
** 영국의 배우 [[히어로 파인스 티핀]].
* [[11월 7일]]
** 중국의 가수 [[디에잇]]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대한민국의 모델, 방송인, 카레이서 [[정유나]]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채원 (가수)|김채원]] ([[에이프릴 (음악 그룹)|에이프릴]]).
** 대한민국의 배우 [[류원 (배우)|류원]].
** 일본의 야구 선수 [[오니시 히로키]].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킴아연]].
* [[11월 10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대니얼 제임스]].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페데리코 디마르코]].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주효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효상.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병찬]] ([[빅톤 (음악 그룹)|빅톤]]).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소채원]].
** 독일의 축구 선수 [[레아 쉴러]].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래퍼 [[스몰퍼]].
* [[11월 14일]]
** 일본의 성우 [[키도 이부키]].
** 모로코의 축구 선수 [[누사이르 마즈라위]].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크리스토페르 은쿤쿠]].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진 (1997년)|김성진]].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고승환 (육상 선수)|고승환]].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홍주연]].
* [[11월 15일]] -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빅토르 치한코우]].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겸]] ([[GOT7]]).
* [[11월 18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민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원두재]].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로베르트 산체스]].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류수정]] ([[러블리즈]]).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올인 (프로게이머)|올인]].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규진]] ([[업텐션]]).
* [[11월 22일]] - 일본의 성우 [[마에시마 아미]].
* [[11월 23일]]
** 일본의 아이돌 [[타케우치 아카리]].
** 중국의 바둑 기사 [[위즈잉]].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지우 (배우)|지우]].
* [[11월 26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에런 완비사카]].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방송인 [[김율희]] ([[라붐 (음악 그룹)|라붐]]).
** 일본의 아이돌 [[마츠시마 소우]].
** 대한민국의 영재 주인공 [[송유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정민 (1997년)|김정민]].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비 (가수)|수비]].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조.
* [[11월 30일]] - 일본의 아이돌 [[야마모토 안나]].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채연]] ([[다이아 (음악 그룹)|다이아]], [[아이오아이]])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반 (가수)|오반]].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권순우]].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루 (가수)|루]] ([[네이처 (음악 그룹)|네이처]]).
** 대한민국의 뉴에이지 작곡가 [[Plum (작곡가)|Plum]].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서재민 (1997년)|서재민]].
** 필리핀의 배우 [[루루 마드리드]].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현 (1997년)|이정현]].
* [[12월 6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그레고어 코벨]].
* [[12월 7일]] - 일본의 펜싱 선수 [[시키네 다카히로]].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
* [[12월 9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하비 반스]].
* [[12월 10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판인]].
* [[12월 11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윤성환 (프로게이머)|윤성환]].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꿀꿀선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권광민]].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밀크웨이]].
* [[12월 14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오제키 도모히사]].
* [[12월 15일]]
** 미국의 배우 [[모드 애퍼타우]].
** 대한민국의 배우 [[송지우]].
** 대한민국의 유튜버 라더 ([[CH.WIDE]]).
* [[12월 16일]] - 스웨덴의 가수 [[자라 라르손]].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배강희]].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웅.
* [[12월 19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피카요 토모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황성빈]].
** 일본의 펜싱 선수 [[가노 고키]].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인 (1997년)|제인]] ([[모모랜드]]).
** 브라질의 유도 선수 [[다니에우 카르그닝 (유도 선수)|다니에우 카르그닝]].
* [[12월 21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조시아 그레이]].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성재헌]].
** 대한민국의 DJ 겸 프로듀서 [[아빈]].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유나]].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루카 요비치]].
** 일본의 성우 [[하라다 사야카]].
** 대한민국의 가수 [[베코엘]].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스피츠.
** 체코의 양궁 선수 [[마리에 호라치코바]].
** 인도의 육상 선수 [[니라지 초프라]].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후니 (프로게이머)|후니]].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다영]].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규리]] ([[fromis 9]]).
** 일본의 가수 [[이나바 마나카]].
** 태국의 배우, 가수 [[와치라윗 치와아리]].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정.
* [[12월 2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찬형]].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나연.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강유찬]].
=== 미상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지 (1997년)|김예지]].
*대힌민국의 래퍼 [[다민이]].
*대한민국의 가수 [[다올]].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현지 (1997년)|김현지]].
*대한민국의 가수 에이블.
== 사망 ==
[[파일:Melvin Calvin.jpg|섬네일|120px|멜빈 캘빈]]
[[파일:Clyde W. Tombaugh.jpeg|섬네일|120px|클라이드 톰보]]
[[파일:DengXiaoping.jpg|섬네일|120px|덩샤오핑]]
[[파일:Annex - Stewart, James (Call Northside 777) 01.jpg|섬네일|120px|제임스 스튜어트]]
[[파일:Diana, Princess of Wales.jpg|섬네일|120px|웨일스 공비 다이애나]]
[[파일:Mother Teresa.jpg|섬네일|120px|테레사 수녀]]
[[파일:Mobutu.jpg|섬네일|120px|모부투 세세 세코]]
[[파일:John Denver 1973.jpg|섬네일|120px|존 덴버]]
{{분류 참고|1997년 사망}}
* [[1월 8일]] - 미국의 화학자 [[멜빈 캘빈]] ([[1911년]]~)
* [[1월 17일]] -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 ([[1906년]]~)
* [[2월 3일]] - 체코의 작가 [[보후밀 흐라발]]. ([[1914년]]~)
* [[2월 19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지도자 [[덩샤오핑]]. ([[1904년]]~)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이한영]]. ([[1960년]]~)
* [[3월 14일]] - 미국의 영화 감독 [[프레드 진네만]]. ([[1907년]]~)
* [[5월 24일]] - 일본의 기업인 [[사쿠라다 사토시]]. ([[1937년]]~)
* [[5월 29일]] - 미국의 가수 [[제프 버클리]]. ([[1966년]]~)
* [[6월 2일]] - 미국의 경제학자 [[마틴 브론펜브레너]]. ([[1914년]]~)
* [[6월 2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이즈라엘 카마카비보올레]]. ([[1959년]]~)
* [[7월 2일]] - 미국의 영화 배우 [[제임스 스튜어트]]. ([[1908년]]~)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김인득]]. ([[1916년]]~)
* [[7월 26일]] - 일본의 수학자 [[고다이라 구니히코]]. ([[1915년]]~)
* [[8월 1일]]
**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1915년]]~)
** 일본의 연쇄살인범 [[나가야마 노리오]]. ([[1949년]]~)
* [[8월 4일]] - 프랑스의 슈퍼센티네리언 [[잔 칼망]]. ([[1875년]]~)
* [[8월 6일]]
** 대한민국의 조종사 [[박용철 (항공 조종사)|박용철]]. ([[1950년]]~)
** 대한민국의 조종사 [[송경호 (조종사)|송경호]]. ([[1956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기하]]. ([[1941년]]~)
** 대한민국의 기자 [[홍성현 (기자)|홍성현]]. ([[1945년]]~)
** 대한민국의 성우 [[장세준]]. ([[1957년]]~)
** 대한민국의 성우 [[정경애]]. ([[1957년]]~)
* [[8월 31일]] - 영국의 왕세자빈 [[웨일스 공비 다이애나]]. ([[1961년]]~)
* [[9월 5일]]
** 마케도니아계 인도의 수녀 [[테레사 수녀]]. ([[1910년]]~)
** 헝가리의 지휘자 [[게오르그 솔티|게오르그 숄티]]. ([[1912년]]~)
* [[9월 7일]] - 콩고 민주 공화국의 군인 겸 정치인 [[모부투 세세 세코]]. ([[1930년]]~)
* [[10월 12일]] - 미국의 가수 [[존 덴버]]. ([[1943년]]~)
* [[11월 24일]] -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의 부인 [[공덕귀]]. ([[1910년]]~)
* [[11월 29일]] - 미국의 정치인·디트로이트의 첫 흑인 시장 [[콜먼 영]]. ([[1918년]]~)
* [[12월 16일]] - 미국의 아티스트, 자선가, 잉크화가 [[릴리언 디즈니]]. ([[1899년]]~)
* [[12월 24일]] - 일본의 배우 [[미후네 토시로]]. ([[1920년]]~)
* [[12월 30일]]
** 일본의 소설가 [[호시 신이치]]. ([[1926년]]~)
** 대한민국의 범죄자 김용제. ([[1970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로버트 머턴, 마이런 숄즈
* '''문학상''': [[다리오 포]]
* '''물리학상''': [[스티븐 추]], 클로드 코엔-타누지, [[윌리엄 다니엘 필립스]]
* '''생리학 및 의학상''': 스탠리 프루지너
* '''평화상''': [[조디 윌리엄스]], [[지뢰 금지 국제 운동]]
* '''화학상''': 폴 보이어, 존 E. 워커, 옌스 스코우
== 69회 [[아카데미상]] 수상 ==
* '''작품상''': 잉글리쉬 페이션트
* '''감독상''': 앤소니 밍겔라(잉글리쉬 페이션트)
* '''남우주연상''': 제프리 러시(샤인)
* '''여우주연상''': 프랜시스 맥도먼드(파고)
* '''남우조연상''': 쿠바 구딩 주니어(제리 맥과이어)
* '''여우조연상''': 쥴리엣 비노쉬(잉글리쉬 페이션트)
== 달력 ==
{{연간달력|1997}}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임인]] || 소 || [[2월 8일]]<ref>합삭이 한국시간으로 1997년 2월 8일 0시 6분이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2월 7일]]이 음력 1월 1일이 되고 중국에서 1996년 음력 12월은 작은달, 1997년 음력 1월은 큰달이다.</ref> || [[신사 (간지)|신사]]
|-
| [[음력 2월|2월]] || [[계묘]] || 소 || [[3월 9일]] || [[경술]]
|-
| [[음력 3월|3월]] || [[갑진]] || 대 || [[4월 7일]] || [[기묘]]
|-
| [[음력 4월|4월]] || [[을사]] || 소 || [[5월 7일]] || [[기유]]
|-
| [[음력 5월|5월]] || [[병오]] || 대 || [[6월 5일]] || [[무인 (간지)|무인]]
|-
| [[음력 6월|6월]] || [[정미]] || 소 || [[7월 5일]] || [[무신 (간지)|무신]]
|-
| [[음력 7월|7월]] || [[무신 (간지)|무신]] || 대 || [[8월 3일]] || [[정축]]
|-
| [[음력 8월|8월]] || [[기유]] || 대 || [[9월 2일]] || [[정미]]
|-
| [[음력 9월|9월]] || [[경술]] || 소 || [[10월 2일]] || [[정축]]
|-
| [[음력 10월|10월]] || [[신해]] || 대 || [[10월 31일]] || [[병오]]
|-
| [[음력 11월|11월]] || [[임자]] || 대 || [[11월 30일]] || [[병자]]
|-
| [[음력 12월|12월]] || [[계축]] || 소 || [[12월 30일]] || [[병오]]
|}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전거 통제}}
[[분류:1997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41}}
{{기년법|1941}}
[[파일:USSArizona PearlHarbor 2.jpg|섬네일]]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대한민국 (연호)|대한민국]](大韓民國) 23년
* [[중화민국]](中華民國) [[민국기원|민국]](民國) 30년
* [[만주국]](滿州國) [[강덕]](康德) 8년
* [[일본]](日本) [[쇼와 시대|쇼와]]({{lang|ja|昭和}}) 16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연호)|바오다이]](保大) 16년
== 기년 ==
* [[만주국]](滿洲國) [[푸이|강덕제]](康德帝) 10년
* [[응우옌 왕조]](阮朝) [[바오다이 황제|보대제]](保大帝) 16년
== 사건 ==
* [[1월 1일]] - 중국 [[시안]]의 한국청년공작대가 [[대한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
* [[1월 20일]] -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셋째 임기 시작
* [[1월 25일]] - 조선총독부가 사상통제 목적으로 조선음악가협회 조직
* [[2월 12일]] - 일제가 조선사상범예방구금령 공포
* [[2월 22일]] - 조선미술가협회 조직
* [[3월 2일]] -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가 [[추축국]]에 합류한 이후, 첫 번째 독일군 부대가 불가리아로 진주하다.
* [[3월 8일]] - 일제, 농업노무자 임금 전면 통제
* [[3월 11일]] - [[제2차 세계 대전]]: [[미국]]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무기대여법]]에 서명.
* [[3월 15일]] - 조선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및 근로동원 실시되었다.
* [[3월 25일]] - 일제,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 [[3월 31일]] - 일제, 국민학교규정 공포로 조선어 학습 폐지
* [[4월 1일]] - [[평원선]] 개통, 일제가 생활필수물자통제령 공포시행
* [[4월 5일]] - 조선만화인협회 결성
* [[4월 20일]] -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미주 각 한인단체 대표가 한족연합위원회 조직
* [[4월 23일]] - 조선불교 총본산으로 태고사 ([[조계사]]) 결정
* [[5월 10일]]
** 조선 전역에서 도의원선거 실시
** [[루돌프 헤스]]가 독단으로 영국으로 건너가 평화를 제안하는 체포되었고 그는 이후 종전 때까지 [[영국]]의 감옥에 갇히게 되다.
* [[5월 20일]] - [[한국독립당]] 제1차 전당대회 개최
* [[5월 21일]] - 일제가 무역통제령 공포
* [[6월 22일]] - 나치 독일이 소련에게 선전포고, 작전명 [[바르바로사 작전|바르바로사]]를 실행해 소련으로 치고 들어간다.
* [[6월 23일]] - [[리투아니아 행동전선]](Lithuanian Activist Front)이 [[소비에트 연방]]로부터 [[리투아니아의 1941년 독립|독립을 선포하다]]. 그러나 이 독립은 몇 주 후 독일군이 점령하면서 짧은 시간만 지속되었다.
* [[6월 30일]] - 한반도 남부 일대 호우로 [[경부선]], [[호남선]] 마비
* [[7월 1일]] - 한글 [[전보]] 폐지
* [[7월 2일]] - 조선영화협회 창립
* [[7월 20일]] - 조선[[잡곡]]배급통제규칙 공포
* [[8월]] - [[보천보 사건|보천교 사건]] 관련자 6명 사형 선고
* [[8월 14일]] - [[제2차 세계 대전]]: [[윈스턴 처칠]]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뉴펀들랜드]]의 [[알겐티아]] 근처의 안전한 은둔처의 군함에 타서 비밀 회의 후, [[대서양 헌장]]을 내다.
* [[8월 26일]] - 일제, 외국인의 조선 입국 제한
* [[9월 3일]] -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아우슈비츠 수용소]]서 [[유대인]] [[독가스]] 학살 시작
* [[9월 8일]] - [[제2차 세계 대전]]: [[독일]]이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레닌그라드]]에 대해 '''[[레닌그라드 공방전|포위공격]]'''을 시작하다. 이 포위는 900여일간 계속되었다.
* [[9월 14일]]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나치 독일군]], 소련 [[레닌그라드]] 교외로 진격([[레닌그라드 공방전]])
* [[9월 16일]] -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부]], 중등이상의 학교 남녀학생들에게 학교총결대 결성 지시
* [[9월 21일]] - 일제, 국민개로운동을 조선 전역에 일제히 실시
* [[9월 28일]] - [[만주국]] 조선 국경의 [[수풍댐]]이 영업 발전을 개시되었다.
* [[10월 2일]] -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독일군]], 모스크바 총공격 개시([[모스크바 공방전]])
* [[10월 16일]] - 일제, 전화통화 도수 및 통화시간 제한
* [[10월 18일]] - [[도조 히데키]]가 일본의 총리에 취임.
* [[11월]]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에 구미외교위원회 설치
* [[11월 15일]] - 조선언론보국회 조직
* [[11월 25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 중국군사위원회가 제시한 [[한국광복군]] 행동준승 승인, 중국의 원조를 받는 대신 작전지휘권은 중국군이 장악토록 함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강령]] 발표, 정치이념과 독립전쟁 준비를 천명
* [[11월 26일]] - [[제2차 세계 대전]]: [[미국]] [[국무장관]], 일본에 대륙침략에서 손을 떼도록 최후통첩을 내림.
* [[11월 26일]] - [[제2차 세계 대전]]: [[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 휘하의 일본 해군 연합함대가 [[진주만 공격]]을 위해 일본에서 출발.
* '''[[12월 7일]] -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 [[12월 8일]]
** [[제2차 세계 대전]]: [[미국]]과 [[영국]]이 일본 제국에 선전포고
** 조선 내 미국 및 외국인 신부와 교구장 67명, 일본 경찰에 검거
* [[12월 10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 선전포고.
* [[12월 23일]] - 조선연극협회 결성
* [[12월 25일]] - [[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 영국령 [[홍콩]] 점령
* [[이란]]의 [[샤]] [[레자 팔레비]]가 퇴위하고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가 왕위를 계승하다.
== 문화 ==
== 탄생 ==
{{분류 참고|1941년 출생}}
=== 1월 ===
* [[1월 5일]]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 [[1월 9일]] - 미국의 가수, 인권 운동가 [[존 바에즈]].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이중근 (1941년)|이중근]].
* [[1월 14일]]
** 미국의 배우 [[페이 더너웨이]].
** 에스파냐의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
* [[1월 15일]] - 중화민국의 정치인 [[스밍더]]. (~[[2024년]])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교수, 과학자 [[성용길]].
* [[1월 21일]] - 미국의 문학 평론가, 페미니스트, 시사 평론가 [[일레인 쇼월터]].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영주 (기업인)|박영주]]. (~[[2023년]])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강문철]]. (~[[1997년]])
** 미국의 정치가 [[딕 체니]].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신낙균]].
** 대한민국의 건축가 [[이수형 (건축가)|이수형]]. (~[[2022년]])
* [[2월 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정종득]]. (~[[2024년]])
* [[2월 4일]] - 대한민국의 시인 [[김지하]]. (~[[2022년]])
* [[2월 6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손길승]].
* [[2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부자]].
** 대한민국의 행정학자 [[안병만]]. (~[[2022년]])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 [[이재환 (야구인)|이재환]]. (~[[2022년]])
** 잉글랜드의 영화 감독 [[마이클 앱티드]]. (~[[2021년]])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종교인 [[유병언]]. (~[[2014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현기영]].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정희 (1941년)|박정희]].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귀식]].
* [[2월 16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방위원장 [[김정일]]. (~[[2011년]])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출신 정치인 [[홍성우 (1941년)|홍성우]]. (~[[2021년]])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찬진 (1941년)|김찬진]].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현]].
* [[3월 3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안동수 (법조인)|안동수]].
** 대한민국의 성우 이두화. (~ [[2021년]].)
* [[3월 6일]] - 독일의 클라리넷 연주자 [[페터 브뢰츠만]]. (~[[2023년]])
* [[3월 9일]] - 대한민국 정치인 [[김덕규]]. (~[[2020년]])
* [[3월 14일]] - 독일의 영화 감독 [[볼프강 페테르젠]]. (~[[2022년]])
* [[3월 16일]]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2018년]])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바둑기사 [[권경언]]. (~[[2022년]])
* [[3월 22일]] - 스위스의 배우 [[브루노 간츠]].
* [[3월 26일]] -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리처드 도킨스]].
* [[3월 28일]] - 독일의 배우 [[롤프 차허]]. (~[[2018년]])
=== 4월 ===
* [[4월 7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심대평]].
* [[4월 8일]] - 잉글랜드의 패션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 (~[[2022년]])
* [[4월 12일]] - 영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보비 무어]]. (~[[1993년]])
* [[4월 14일]]
** 미국의 배우 [[줄리 크리스티]].
** 미국의 야구 선수, 야구 감독 [[피트 로즈]]. (~[[2024년]])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조류학자 [[윤무부]].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광길 (정치인)|이광길]].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애니메이션감독 [[김청기]].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병윤]]. (~[[2022년]])
* [[4월 20일]] - 미국의 배우 [[라이언 오닐]]. (~[[2023년]])
* [[4월 25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21년]])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 [[신기하]]. (~[[1997년]])
** 튀르키예의 반체제자, 평화 운동가 [[펫훌라흐 귈렌]]. (~[[2024년]])
* [[4월 28일]]
** 스웨덴, 미국의 가수, 배우 [[앤 마그릿]].
** 미국의 노벨화학상, 화학자 [[칼 배리 샤플리스]].
=== 5월 ===
* [[5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호재 (배우)|이호재]].
* [[5월 6일]]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 선수 [[이비차 오심]] (~[[2022년]])
* [[5월 11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및 영화배우 [[에릭 버든]].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성겸]].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임채청]].
* [[5월 18일]] - 미국의 영화배우 [[다이안 맥베인]]. (~[[2022년]])
* [[5월 19일]] -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 겸 영화 감독 [[노라 에프런]]. (~[[2012년]])
* [[5월 24일]] - 미국의 가수, 기타리스트 [[밥 딜런]].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금식]].
=== 6월 ===
* [[6월 2일]] - 잉글랜드의 드럼 연주자, 롤링 스톤스의 멤버 [[찰리 와츠]]. (~[[2021년]])
* [[6월 5일]]
** 아르헨티나의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 미국의 기업인 [[로버트 크래프트]].
* [[6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의종]]. (~[[2023년]])
* [[6월 8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추기경 [[조지 펠]]. (~[[2023년]])
* [[6월 12일]]- 미국의 재즈 키보디스트 [[칙 코리아]]. (~[[2021년]])
* [[6월 21일]] - 미국의 영화배우, 성우 [[조 플래허티]]. (~[[2024년]])
* [[6월 27일]]
** 일본계 미국 정치인 [[마이크 혼다]].
** 폴란드의 영화감독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1996년]])
* [[6월 29일]] - 일본의 배우, 가수 [[바이쇼 치에코]].
=== 7월 ===
* [[7월 4일]]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스기야마 류이치]].
* [[7월 6일]] - 영국의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털]].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윤준환]]. (~[[2024년]])
* [[7월 15일]]
** 중국의 정치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우방궈]].
** 대한민국의 언론인 [[최청림]]. (~[[2016년]])
* [[7월 17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지도자 [[다카기 모리미치]]. (~[[2020년]])
* [[7월 19일]] - 미국의 가수 겸 뮤지컬 배우 [[비키 카]].
* [[7월 20일]] - 독일의 배우, 의상 디자이너 [[쿠르트 라프]]. (~[[1988년]])
* [[7월 23일]]
** 프랑스의 생물물리학자 [[피에르 아고스티니]].
** 이탈리아의 12대 대통령 [[세르조 마타렐라]].
* [[7월 24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우방궈]]. (~[[2024년]])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음향 연출가 [[김벌래]]. (~[[2018년]])
* [[7월 29일]] - 잉글랜드의 영화배우 [[데이비드 워너]]. (~[[2022년]])
* [[7월 30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폴 앵카]].
=== 8월 ===
* [[8월 3일]] - 나미비아의 정치인 [[하게 게인고브]]. (~[[2024년]])
* [[8월 8일]] - 미국의 영화배우 [[얼 보엔]]. (~[[2023년]])
* [[8월 10일]] - 프랑스의 연쇄 살인자 [[마르셀 바르보]].
* [[8월 14일]] - 미국의 가수 [[데이비드 크로스비]]. (~[[2023년]])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구창림]]. (~[[2017년]])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수일 (1941년)|김수일]].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이정문]].
* [[8월 20일]] - 세르비아의 정치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2006년]])
* [[8월 21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재키 데샤논]].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사상가, 대학 교수 [[신영복]]. (~[[2016년]])
** 영국의 기업인 [[필 가트사이드]]. (~[[2016년]])
* [[8월 30일]] - 대한제국의 황손 [[이석 (1941년)|이석]].
=== 9월 ===
* [[9월 8일]] - 미국의 정치인, 사회주의자 [[버니 샌더스]].
* [[9월 9일]] - 컴퓨터 과학자 [[데니스 리치]]. (~[[2011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삼남]].
** 미국의 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 (~[[2002년]])
* [[9월 13일]]- 일본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
* [[9월 15일]] - 헝가리의 전 축구 선수 [[얼베르트 플로리안]]. (~[[2011년]])
* [[9월 18일]] - 영국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보비 탬블링]].
* [[9월 19일]] - 이탈리아의 정치인 [[로베르토 마로니]]. (~[[2022년]])
* [[9월 27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이노우에 요시오]]. (~[[2019년]])
=== 10월 ===
* [[10월 3일]] - 미국의 가수 [[처비 체커]].
* [[10월 8일]] - 미국의 정치인, 목사 [[제시 잭슨]].
* [[10월 10일]] - 미국의 배우 [[피터 코요테]].
* [[10월 13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폴 사이먼]] ([[사이먼 & 가펑클]]).
* [[10월 18일]] - 미국의 베이시스트 [[빌리 콕스]].
* [[10월 25일]]
** 일본의 언론인 [[구로다 가쓰히로]].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자]].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미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성근 (야구인)|김성근]].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준호]].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진해]]. (~[[2005년]])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야구 감독 [[박영길 (야구인)|박영길]].
** 대한민국의 정치인 [[권영길]].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아트 가펑클]].
**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소설가 [[토미노 요시유키]].
* [[11월 10일]] - 라트비아의 영화배우 [[밀톤 곤칼베스]]. (~[[2022년]])
* [[11월 12일]]- 대한민국의 만화가 [[박수동]].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삼 (1941년)|김삼]]. (~[[2021년]])
* [[11월 19일]] - 불가리아의 육상 선수 [[이반카 흐리스토바]]. (~[[2022년]])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주철 (언론인)|김주철]]. (~[[2024년]])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나문희]].
=== 12월 ===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금융 출신 정치인 [[박태영 (정치인)|박태영]]. (~[[2004년]])
** 대한민국의 배우 [[한태일]].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행정 출신 정치인 [[박진규 (정치인)|박진규]].
* [[12월 8일]] - 영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제프 허스트]].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덕호]].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 [[이명박]].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국제사회지도자 [[송상현 (1941년)|송상현]].
* [[12월 24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이두용]]. (~[[2024년]])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컴퓨터 과학자 김광식. (~[[1988년]])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태현실]].
* [[12월 31일]] - 영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알렉스 퍼거슨]].
=== 미상 ===
* 대한민국의 배우 엄동환. (~[[2019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철 (1941년)|김정철]].
== 사망 ==
[[파일:Revolutionary Joyce Better Contrast.jpg|섬네일|120px|제임스 조이스]]
[[파일:George Charles Beresford - Virginia Woolf in 1902.jpg|섬네일|120px|버지니아 울프]]
[[파일:Rabindranath Tagore in 1909.jpg|섬네일|120px|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분류 참고|1941년 사망}}
* [[1월 13일]] - 아일랜드의 문학가 [[제임스 조이스]]. ([[1882년]]~)
* [[3월 17일]]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잠수함 함장 [[요아힘 셰프케]]. ([[1912년]]~)
* [[3월 28일]] - 잉글랜드의 문학가 [[버지니아 울프]]. ([[1882년]]~)
* [[6월 2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루 게릭]]. ([[1903년]]~)
* [[6월 4일]] - 독일 제2제국의 3대 황제 [[빌헬름 2세]]. ([[1859년]]~)
* [[7월 26일]] -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르베그]]. ([[1875년]]~)
* [[8월 7일]] - 인도의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1861년]]~)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음악가 [[홍난파]]. ([[1898년]]~)
* [[9월 1일]] - 체코의 소설가 [[이르지 오르텐]]. ([[1919년]]~)
* [[9월 9일]] - 독일의 정치인, 기업인 [[카를 프리드리히 폰 지멘스]]. ([[1872년]]~)
* [[9월 20일]] - 우크라이나의 군인 [[미하일 키르포노스]]. ([[1892년]]~)
* [[11월 6일]] - 프랑스의 소설가 [[모리스 르블랑]]. ([[1864년]]~)
* [[11월 22일]] - 독일의 심리학자 [[쿠르트 코프카]]. ([[1886년]]~)
* [[11월 29일]] - 러시아의 시인 [[알리 쇼겐추코프]]. ([[1900년]]~)
== 달력 ==
{{연간달력|1941}}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경인]] || 대 || [[1월 27일]] || [[을해]]
|-
| [[음력 2월|2월]] || [[신묘]] || 대 || [[2월 26일]] || [[을사]]
|-
| [[음력 3월|3월]] || [[임진]] || 소 || [[3월 28일]] || [[을해]]
|-
| [[음력 4월|4월]] || [[계사 (간지)|계사]] || 대 || [[4월 26일]] || [[갑진]]
|-
| [[음력 5월|5월]] || [[갑오]] || 대 || [[5월 26일]] || [[갑술]]
|-
| [[음력 6월|6월]] || [[을미]] || 소 || [[6월 25일]] || [[갑진]]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6월 || || 대 || [[7월 24일]] || [[계유]]
|-
| [[음력 7월|7월]] || [[병신]] || 소 || [[8월 23일]] || [[계묘]]
|-
| [[음력 8월|8월]] || [[정유 (간지)|정유]] || 소 || [[9월 21일]] || [[임신 (간지)|임신]]
|-
| [[음력 9월|9월]] || [[무술 (간지)|무술]] || 대 || [[10월 20일]] || [[신축]]
|-
| [[음력 10월|10월]] || [[기해]] || 소 || [[11월 19일]] || [[신미 (간지)|신미]]
|-
| [[음력 11월|11월]] || [[경자]] || 대 || [[12월 18일]] || [[경자]]
|-
| [[음력 12월|12월]] || [[신축]] || 소 || [[1942년]] [[1월 17일]] || [[경오]]
|}
{{위키공용분류}}
{{전거 통제}}
[[분류:1941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6}}
{{기년법|1996}}
{{요즘 화제 년월|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 사건 ==
* [[1월 8일]] - [[1996년 에어아프리카 충돌 사고]]가 발생되었다.
* [[1월 28일]]
** [[서울지방검찰청]], 전 프로권투 동양챔피언 포함된 무허가 슬롯머신 업소 소유주 10명 구속.
** 노르웨이 유조선 토리노호, 탱크 파손으로 경상남도 통영 앞바다에 기름 유출.
* [[2월 11일]] - [[아관파천]] 100주년.
* [[2월 14일]] -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창정 3호 참사]]가 발생하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6명 사망, 57명 부상.
* [[2월 29일]] - 페루의 포셋 항공(Faucett Airlines) [[포셋 항공 251편 충돌 사고|251편]]이 [[안데스산맥]]에 충돌, 123 명의 승객과 승무원이 사망하다.
* [[3월 23일]] - [[리덩후이]]가 대만 최초의 중화 민국 총통 직접 선거로 당선되었다.
* [[4월 11일]] - [[대한민국 15대 총선]]이 실시되다.
* [[5월 29일]]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임기 종료.
* [[6월 4일]] - 첫 번째 [[아리안 5]]가 발사 37초만에 [[컴퓨터]] 오류로 인해 폭발함.
* [[5월 30일]]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 임기 시작.
* [[7월 5일]] - 최초의 복제 포유류인 양 [[돌리]]가 태어나다.
* [[7월 17일]] - [[트랜스월드 항공 800편 추락 사고]]로 탑승객 230명 전원 사망.
* [[8월 13일]] - [[한총련]]이 [[연세대학교]]를 점거하여 시위를 벌이다.
* [[8월 23일]] - [[대한민국]]과 [[엘살바도르]], 비자면제협정 체결.
* [[8월 24일]] - [[윈도우 NT 4.0]] 영어판이 최초로 출시되다.
* [[8월 26일]] - 서울지방법원이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대통령에게 반란·내란수괴죄 등으로 사형과 무기징역을 선고하다.
* [[8월 28일]] - [[웨일스 공 찰스|영국 왕세자 찰스]]와 [[웨일스 공작 부인 다이애나]] 이혼.
* [[9월 1일]] - [[일본 해상자위대]] 소속 군함 2척,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처음으로 [[부산광역시|부산]]에 입항.
* [[9월 10일]] - [[유엔 총회]]에서 모든 형태의 핵실험 금지를 목표로 한 [[포괄적 핵 실험 금지 조약]](CTBT)안 가결.
* [[9월 11일]] - 서울 평화상 문화재단 , 제3회 서울평화상 수상자로 [[국경없는 의사회]]를 선정.
* [[9월 18일]] - [[강원도]]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일어나다(소탕작전은 [[11월 7일]]까지 계속).
* [[9월 21일]] - [[국제원자력기구]](IAEA), 연례총회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IAEA의 전면 핵사찰 수용 촉구 결의문 채택.
* [[9월 24일]] - [[미국 연방 수사국]](FBI), 한국계 미 해군정보장교 [[로버트 김]] 기밀유출혐의로 체포.
* [[10월 1일]]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최덕근 영사, 괴한에 피습 사망.
* [[10월 2일]] - [[페루항공 603편 추락 사고]] 발생.
* [[10월 4일]]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가 사전심의제를 규정한 영화법 조항에 대해 헌법이 금지한 검열에 해당하여 위헌이라고 결정하였다.
* [[10월 23일]] - 대한민국, 백범 [[김구]] 선생을 암살한 용의자 [[안두희]]를 [[박기서]]가 살해한 사건이 발생하다.
* [[11월 16일]] - 단란주점 여주인 김경숙(당시 43세)을 납치한 후 경기도 화성에 위치해있는 화염전 창고에 생매장한 혐의로 두목인 최정수(당시 21세)와 정진영, 박지원 등 막가파 일당 9명 전원이 검거되었다.
* [[11월 5일]] - 미국 대선이 치러져 [[빌 클린턴]]이 재선하다.
* [[11월 12일]] - [[차르키다드리 상공 공중 충돌]]로 탑승객 349명 전원 사망.
* [[11월 18일]] - [[채널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다.
* [[11월 29일]] - 대한민국 남성그룹 [[터보]]가 2집발매후 급작스런 인기를 이용한 기획사의 횡포로 잠적한 사건이 발생해 검찰이 나서서 연예기획사 횡포를 조사하는 사건이 일어나다.
* 12월 - 노동법 개정으로 인한 반발로 노개투 파업 발생. 병원 노조들과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노동조합(이하 서울지하철노동조합), [[현대자동차]] 노조 등 양대노총 연대파업 발생으로 전체 산업이 마비되는 사건이 발생하다.
* [[12월 12일]] - [[아가동산 사건]]에 관련된 해당 조직의 간부들이 구속되었다.
* [[12월 16일]] - 대구 [[우방랜드]]에서 [[대구문화방송]] 별이 빛나는 밤에 공개방송을 보러 갔던 여고생 2명이 압사 사고로 사망했다.
== 문화 ==
* [[1월 8일]] - [[명탐정 코난]]의 방영이 시작되다.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통신위성 [[무궁화 2호]]가 미국 케이프커네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되다.
* [[1월 30일]] - [[수도권 전철 3호선]] 연장 구간([[지축역|지축]] ~ [[대화역|대화]], [[일산선]])이 개통되었다.
* [[1월 31일]] - [[서태지와 아이들]]이 해체를 선언하다.
* [[2월 6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쏘나타3를 출시하다.
* [[2월 16일]] - [[철권 3]]가 발매되었다.
* [[2월 27일]] -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이 발매되었다.
* [[2월 2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양천구청역]] ~ [[신정네거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3월 1일]]
** [[용인시]], [[양산시]], [[파주시]] 등이 신설되다.
** [[일제강점기]] 1941년부터 사용되었던 [[국민학교]]의 명칭이 [[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 [[3월 2일]] - 안도현의 『연어』 출간되다.
* [[3월 4일]]
** [[KBS 1TV]], [[KBS 2TV]], [[MBC TV]], [[SBS TV]] 오전 방송시간을 '06시부터 10시까지'에서 '06시부터 12시까지'로 2시간 연장/변경되었다.
** [[MBC TV]]에서 [[몬타나존스]]를 방영을 하다.
* [[3월 16일]] - 창원극동방송이 개국하였다.(주파수 FM 98.1MHz) (호출부호 및 출력 : HLDD 3KW)
* [[3월 2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강서구간([[방화역|방화]] ~ [[까치산역|까치산]], [[마곡역]] 제외)이 개통되었다.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정네거리역]] ~ [[까치산역]] 개통되었다.
* [[3월 27일]] - 일본에서 [[웨딩피치]]를 종영을 하다.
* [[3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마천지선([[강동역|강동]] ~ [[마천역|마천]]) 구간이 개통되었다.
* [[4월 6일]] - [[메이저 리그 사커]]의 첫 시즌이 시작되었다.
* [[4월 6일]] - [[하계올림픽]] 100주년.
* [[4월 7일]] - 대한민국 최초의 메이저리거 [[박찬호]]가 미국 프로 야구 [[시카고 커브스]]와의 경기에서 4이닝 무실점으로 한국인 최초의 [[메이저 리그]] 승리 투수가 되다.
* [[4월 26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티뷰론|티뷰론]]을 출시하다.
* [[5월 4일]] - [[경기도]] [[고양시]] [[일산 호수공원]] 개장.
* [[5월 6일]] -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다이너스티|다이너스티]]를 출시하다.
* [[5월 31일]] -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지가 {{국기나라|대한민국}}과 {{국기나라|일본}}이 공동개최지로 선정되다.
* [[6월 2일]] - [[광주가톨릭평화방송]] FM 라디오 방송 개국.
* [[7월 1일]] - [[KBS 1TV|KBS위성 1TV]]와 [[KBS N 라이프|KBS위성 2TV]] 개국.
* [[7월 19일]]~[[8월 4일]] - {{국기나라|미국}} [[애틀랜타]]에서 [[1996년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 [[7월 21일]] - [[애틀랜타 올림픽]]의 남자 축구 조별 리그 D조 1전에서 U-23일본 대표가 U-23브라질 대표를 격파되었다.
* [[8월 4일]] - [[1996년 하계 올림픽|애틀랜타 올림픽]] 폐막. 대한민국 종합 10위 기록.
* [[8월 8일]] - [[MBC TV]]에서 [[웨딩피치|요술천사 피치]]를 방영을 하다.
* [[8월 12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영등포구간([[까치산역|까치산]]~[[여의도역|여의도]])이 개통되었다.
* [[9월 2일]] - 대한민국의 [[방송대학TV]] 개국.
* [[9월 7일]] - {{국기나라|대한민국}}의 아이돌그룹 [[H.O.T.]]가 데뷔를 했다.
* [[9월 9일]] - [[대구가톨릭평화방송]] FM 라디오 방송 개국.
* [[9월 13일]] -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PIFF)가 개막되다.
* [[10월 10일]] - [[MBC TV]]에서 [[웨딩피치|요술천사 피치]]를 종영을 하다.
* [[10월 11일]]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장암]] ~ [[건대입구역|건대입구]] 구간이 개통되었다.
* [[10월 17일]] - [[SBS]] 프로덕션 김지호의 춤추는 동요나라가 출시되다.
* [[11월 8일]] - [[MBC TV]]에서 [[엄기영]] 앵커, [[MBC 뉴스데스크]] 마지막 방송. (첫번째)
* [[11월 11일]] - [[대구불교방송]] 4번째 개국.
* [[11월 13일]] - [[대한민국]], 199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실시하다.
* [[11월 14일]] - [[SBS 파워FM]] 개국.
* [[11월 16일]] - [[한국GM|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에서 [[대우 라노스|라노스]]를 출시하다.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남자프로농구를 운영하게 될 [[한국농구연맹|KBL 한국농구연맹]]이 설립되다.
* [[11월 23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잠실]] ~ [[모란역|모란]] 구간이 개통되었다.
** [[분당선]] [[복정역]]이 환승역으로 개통되었다.
* [[12월 14일]] - [[마리오 카트 64]]가 출시되다.
* [[12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도심구간([[여의도역|여의도]] ~ [[왕십리역|왕십리]])이 개통됨에 따라 완전 개통되었다.
* [[12월 31일]]
** [[당산철교]] 철거가 시작되다.
** [[디아블로 (비디오 게임)|디아블로]]가 출시되었다.
== 탄생 ==
{{분류 참고|1996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중국의 가수 [[쿤 (1996년)|쿤]] ([[NCT (음악 그룹)|NCT]]).
** 일본의 배우 [[미즈이시 아토무]].
* [[1월 2일]]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올티]].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재열 (1996년)|김재열]].
* [[1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설인아]].
** 대한민국의 가수 [[지헤라]].
** 영국의 배우 [[플로렌스 퓨]].
* [[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연호 (1996년)|조연호]].
** 이탈리아의 테니스 선수 [[자스민 파올리니]].
* [[1월 5일]]
** 프랑스의 유도 선수 [[뤼카 므케이제]].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안나린]].
* [[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낯선아이|우지윤]] ([[볼빨간사춘기]]).
** 대한민국의 래퍼 [[KING SOUTH G]].
* [[1월 7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판윈뤄]]. (~[[2020년]])
** 대한민국의 배우 [[박소은 (배우)|박소은]].
* [[1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수영 (1996년)|김수영]].
* [[1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김규리 (1996년)|김규리]].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결]].
** 대한민국의 가수 [[장한나 (가수)|장한나]].
** 대한민국의 배우 [[김창호 (배우)|김창호]].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해윤]] ([[체리블렛]]).
** 일본의 배우 [[하시모토 아이]].
* [[1월 11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리로이 자네]].
* [[1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혜빈]] ([[모모랜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민재 (1996년)|신민재]].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정예린 (유도 선수)|정예린]].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이혜경 (유도 선수)|이혜경]].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준 (1996년)|김민준]].
** 일본의 배우 [[하시모토 아이 (1996년)|하시모토 아이]].
* [[1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공유림]].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현영 (배우)|주현영]].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채영 (바둑 기사)|김채영]].
** 미국의 배우, 가수 [[도브 캐머런]].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니 (1996년)|제니]] ([[블랙핑크]]).
** 대한민국의 만화가 [[박지 (만화가)|박지]].
* [[1월 17일]]
** 핀란드의 지휘자, 첼리스트 [[클라우스 메켈레]].
** 대한민국의 가수 다즈비.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화수]].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이보 그르비치]].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정우 (1996년생 배우)|박정우]].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양혜지 (배우)|양혜지]].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박다솔]].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마르코 아센시오]].
** 대한민국의 래퍼 [[던말릭]].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캔디 (프로게이머)|캔디]].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민재 (1996년)|신민재]].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 가수 [[이태빈]] ([[마이틴]]).
** 일본의 성우 [[타나카 미나미]].
** 일본의 아이돌 [[사사키 쿠미]].
* [[1월 23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아우루 아우바루 다 크루스 주니오르]].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루빈 로프터스치크]].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주안]].
** 대한민국의 배우 [[민채은 (배우)|민채은]].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승희]] ([[오마이걸]]).
** 대한민국의 배우 [[정혜린]].
** 스페인의 말리계 축구 선수 [[아다마 트라오레 디아라]].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아이엠 (가수)|아이엠]] ([[몬스타엑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희찬]].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진휘]].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유나]].
* [[1월 28일]] - 일본의 레슬링 선수 [[히구치 레이]].
* [[1월 2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정수 (야구 선수)|박정수]].
* [[1월 30일]] - 파나마의 축구 선수 [[아리엘 후라도]].
* [[1월 31일]] - 미국의 배우 [[조엘 코트니]].
=== 2월 ===
* [[2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도영]] ([[NCT (음악 그룹)|NCT]]).
** 대한민국의 가수 [[기련]].
* [[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명한 아이]].
** 아일랜드의 배우 [[폴 메스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해리 윙크스]].
* [[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승민. ([[해시태그 (음악 그룹)|해시태그]])
* [[2월 4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문종호]].
* [[2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건우 (배우)|박건우]].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스티나 블락스테니우스]].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시거]].
* [[2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비디오.
* [[2월 7일]]
** 일본의 배우 [[하기와라 마이]].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내현]].
** 일본의 성우, 배우 [[이나미 안주]].
** 대한민국의 암벽등반 선수 [[천종원]].
* [[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예린]].
* [[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청하 (가수)|청하]].
** 미국의 배우 [[지미 베넷]].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황대인]].
** 이라크의 축구 선수 [[후맘 타리크]].
* [[2월 11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조나탕 타]].
**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루카스 토레이라]].
* [[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아영.
** 대한민국의 안무가, 댄서 [[Noze]].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노이.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홍경]].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에르난데스]].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최나연.
* [[2월 15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네마냐 라도니치]].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국찬]].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열음]].
** 일본의 배우 [[코마츠 나나]].
* [[2월 17일]] - 미국의 배우 [[사샤 피에터스]].
* [[2월 18일]] - 일본의 성우 [[카와이다 나츠미]].
* [[2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석원]].
* [[2월 20일]]
** 일본의 가수 [[이토 마리카]].
** 대한민국의 배우 [[연수진]].
* [[2월 21일]]
** 영국의 배우 [[소피 터너 (배우)|소피 터너]].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조시윤]].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이화섭]].
* [[2월 23일]]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조지현]].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홈존]].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플라이 (프로게이머)|플라이]].
* [[2월 26일]] - 일본의 유도 선수 [[애런 울프]].
* [[2월 27일]]
** 태국의 가수 [[텐 (가수)|텐]] ([[NCT (음악 그룹)|NCT]]).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박소현 (뮤지컬 배우)|박소현]].
** 대한민국의 가수 [[준 (가수)|준]].
** 대한민국의 기타 연주가 [[거누]].
** 대한민국의 배우 [[신수현 (배우)|신수현]].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이경아]].
** 노르웨이의 육상 선수 [[카르스텐 바르홀름]].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정지민.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별은]].
* [[3월 2일]]
** 중국의 가수 [[용국]].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김영대 (배우)|김영대]].
* [[3월 3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유나 (1996년)|김유나]].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알다나 코메티]].
* [[3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홀랜드 (가수)|홀랜드]].
** 파라과이의 축구 선수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 [[3월 5일]] - 미국의 모델 [[테일러 힐]].
* [[3월 6일]]
** 독일의 축구 선수 [[티모 베르너]].
** 일본의 성우 [[혼도 카에데]].
** 대한민국의 가수 [[신지민 (가수)|신지민]].
* [[3월 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신재은.
* [[3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릴파]].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정은 (1996년)|조정은]].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변준형]].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트위치 스트리머, 유튜버 [[빛베리]].
** 대한민국의 가수 [[송민준]].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래퍼 [[진진 (가수)|진진]] ([[아스트로 (음악 그룹)|아스트로]]).
** 대한민국의 기자 [[김민준 (기자)|김민준]].
** 대한민국의 모델 [[신현지]].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차도현]].
* [[3월 17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브렌던 갤러웨이]].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빈.
** 대한민국의 가수 [[이엘 (가수)|이엘]]. ([[스피넬 (음악 그룹)|스피넬]])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성 (1996년)|윤성]].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임성균]].
** 대한민국의 래퍼 [[쿨키드]].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한지현 (배우)|한지현]].
** 대한민국의 가수, 축구 선수 [[전종혁]].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채영.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진안 (농구 선수)|진안]].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차희 (가수)|차희]].
** 대한민국의 가수 [[케이 헌터]].
** 대한민국의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피오 (프로게이머)|피오]].
* [[3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람.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정용 (야구 선수)|이정용]].
* [[3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여원 (가수)|여원]]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 대한민국의 가수 [[박성준 (야구 선수)|박성준]].
* [[3월 28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뱅자맹 파바르]].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지현 (정당인)|박지현]].
* [[3월 30일]] - 일본의 가수 미치.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성현]].
=== 4월 ===
* [[4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해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임은수 (축구 선수)|임은수]].
* [[4월 2일]]
**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김지영]].
** 대한민국의 가수 [[우디 고차일드]].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은혜 (아나운서)|정은혜]].
** 카메룬의 축구 선수 [[안드레 오나나]].
* [[4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석진]] ([[엔쿠스]]).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파비안 루이스]].
** 중화민국의 체조 선수 [[리즈카이]].
** 독일의 배우 [[밀레나 차른트케]].
* [[4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승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병찬 (축구 선수)|최병찬]].
* [[4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준형 (축구 선수)|김준형]].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김민지.
* [[4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주니 (1996년)|주니]].
** 미국의 육상 선수 [[셸비 매큐언]].
* [[4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효준 (야구 선수)|박효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남경호]].
* [[4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민.
* [[4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민서]].
** 대한민국의 가수 [[서동성]].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조바니 로 셀소]].
* [[4월 10일]]
**일본의 성우 [[쿠로사와 토모요]].
**덴마크의 축구 선수 [[안드레아스 크리스텐센]].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혜성 (축구 선수)|김혜성]].
** 대한민국의 가수 소영.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델레 알리]].
* [[4월 12일]]
** 폴란드의 축구 선수 [[얀 베드나레크]].
** 대한민국의 모델 [[이다현 (1996년생 모델)|이다현]].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리스트 박준성.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현]] ([[베리굿]]).
** 미국의 배우 [[애비게일 브레슬린]].
* [[4월 15일]]
** 일본의 유도 선수 [[나가야마 류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전지연.
* [[4월 16일]]
** 중국의 배우 [[린윈]].
** 영국, 아르헨티나의 배우 [[안야 테일러조이]].
** 일본의 배우 [[이케다 엘라이자]].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민준 (축구 선수)|조민준]].
* [[4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만수 (야구 선수)|김만수]].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덴젤 둠프리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전상현 (야구 선수)|전상현]].
* [[4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경민 (1996년)|최경민]].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윤정]].
** 러시아의 유도 선수 [[타메를란 바샤예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나연.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병규 (배우)|조병규]].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우상혁]].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세빈]] ([[스누퍼]], [[오메가엑스|OMEGA X]]).
* [[4월 25일]] - 일본의 성우 [[마에다 카오리]].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탱글다희]].
** 중화인민공화국의 바둑 기사 [[퉁멍청]].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예지]].
* [[4월 29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캐서린 랭퍼드]].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진혁]].
* [[4월 30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오요안나]].
=== 5월 ===
* [[5월 1일]] - 라오스의 유도 선수 [[숙팍사이 시띠사네]].
* [[5월 2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율리안 브란트]].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이지민 (1996년)|이지민]].
** 태국의 가수 [[츠쁘랑 아리꾼]].
** 대한민국의 배우 [[엄지윤]].
* [[5월 3일]]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앨릭스 이워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현중 (축구 선수)|김현중]].
* [[5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세준 (1996년)|임세준]].
* [[5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보성.
* [[5월 6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은종섭]].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재인]].
* [[5월 7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페이커 (프로게이머)|페이커]].
* [[5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우제연]].
* [[5월 9일]]
** 미국의 배우 [[노아 센티네오]].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강민수 (프로게이머)|강민수]].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박진철]].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루카스 마르티네스 콰르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세웅 (1996년)|박세웅]].
** 일본의 가수 [[무카이다 마나츠]].
* [[5월 11일]] - 일본의 배우 [[미야타케 미오]].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보미. ([[걸크러쉬]])
* [[5월 14일]]
** 네덜란드의 전자 음악가 [[마틴 게릭스]].
** 대한민국의 래퍼 [[미란이]].
** 일본의 배우 [[나이토 슈이치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성우 (축구 선수)|박성우]].
* [[5월 15일]] - 잉글랜드의 가수 [[버디 (가수)|버디]].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시원.
* [[5월 17일]]
** 미국의 배우 [[라이언 오초아]].
** 독일의 유도 선수 [[아나마리아 바그너]].
** 대한민국의 가수 정승환.
* [[5월 18일]]
** 미국의 배우 [[바이올렛 빈]].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뱅 (프로게이머)|뱅]].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고결]] ([[업텐션]]).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정현 (테니스 선수)|정현]].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오장욱]].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이상헌 (배우)|이상헌]].
** 일본의 배구 선수 [[코가 사리나]].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쥬피]].
* [[5월 23일]]
**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찰라르 쇠윈쥐]].
** 대한민국의 유튜버 [[히밥]].
* [[5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리엡]].
* [[5월 26일]] - 슬로바키아의 축구 선수 [[루카시 하라슬린]].
* [[5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재환 (가수)|김재환]].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이정은 (1996년)|이정은]].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위프트 (프로게이머)|스위프트]].
** 중국의 쇼트트랙 선수 [[임효준]].
** 중화인민공화국의 쇼트트랙 선수 [[린샤오쥔]].
* [[5월 30일]] - 러시아의 축구 선수 [[알렉산드르 골로빈]].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장승보]].
** 일본의 배우 [[타카다 카호]].
** 미국의 가수 [[노르마니]].
** 대한민국의 가수 로아.
=== 6월 ===
* [[6월 1일]] - 영국의 배우 [[톰 홀랜드 (배우)|톰 홀랜드]].
* [[6월 2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육상 선수 [[매슈 데니]].
* [[6월 3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루카스 클로스테르만]].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전현우 (농구 선수)|전현우]].
* [[6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배우 [[유나결]].
** 불가리아의 배우 [[마리아 바칼로바]].
* [[6월 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용준 (축구 선수)|김용준]].
* [[6월 7일]]
** 일본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사유리 (가수)|사유리]]. (~[[2024년]])
** 대한민국의 가수 서호.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이진혁 (가수)|이진혁]] ([[업텐션]]).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강채영]].
** 대한민국의 가수 [[재민 (남자 가수)|재민]].
* [[6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퍼 [[아우릴고트]].
* [[6월 10일]] - 중국의 가수 [[준 (1996년)|준]]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수 (1996년)|김민수]].
** 일본의 배우 [[제시 (배우)|제시]].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JIN]] ([[러블리즈]]).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다빈손 산체스]].
** 미국의 가수 [[애나 마거릿]].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전 태권도 선수 [[강설 (1996년)|강설]].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코디 스밋맥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킹슬레 코망]].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나.
* [[6월 15일]]
** 노르웨이의 싱어송라이터 [[오로라 (가수)|오로라]].
** 대한민국의 가수 [[호시]]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김뜻돌]].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강다은.
** 일본의 배우 [[사토 칸타]].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성은]].
** 대한민국의 가수 [[옐로 (가수)|옐로]].
* [[6월 18일]]
** 일본의 배우 [[미요시 아야카]].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문석종]].
* [[6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임도화]] ([[AOA (음악 그룹)|AOA]]).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주현 (1996년)|박주현]].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준영 (농구 선수)|박준영]].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공상정]].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로드리 에르난데스]].
* [[6월 24일]]
** 영국의 배우 [[해리스 디킨슨]].
** 대한민국의 가수 [[정진우 (1996년)|정진우]].
** 일본의 축구 선수 [[사카모토 마사키]].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하이딘]].
** 대한민국의 배우 [[김우석 (배우)|김우석]].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영 (1996년)|이지영]].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방수진]] ([[와썹]]).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손지해]].
** 미국의 가수 [[로렌 하우레기]].
* [[6월 28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조엘 카스트루 페레이라]].
** 크로아티아의 테니스 선수 [[도나 베키치]].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이지현.
* [[6월 30일]]
** 일본의 야구 선수 [[오카모토 가즈마]].
** 미국 출신 필리핀의 축구 선수 [[서리나 볼든]].
=== 7월 ===
* [[7월 1일]]
**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최미선 (양궁 선수)|최미선]].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피릿 (프로게이머)|스피릿]].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승민 (1996년)|최승민]].
* [[7월 2일]] - 대한민국의 모델 [[강우수]].
* [[7월 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수영.
* [[7월 4일]] - 대한민국의 래퍼 [[주호 (가수)|주호]] ([[SF9]]).
* [[7월 5일]] - 대한민국의 래퍼 [[Jvcki Wai|재키와이]].
* [[7월 6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보성.
* [[7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채경]] ([[에이프릴]]).
** 일본의 야구 선수 [[오지마 가즈야]].
* [[7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은.
* [[7월 9일]] - 미국의 배우 [[멕 딜레이시]].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아름]].
** 대한민국의 배우 [[문가영]].
* [[7월 11일]]
** 캐나다의 가수 [[알레시아 카라]].
** 자메이카 태생 미국의 배우 [[제이컵 로메로]].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해리]].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세오 (가수)|세오]].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비비아너 미데마]].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서지혜 (1996년)|서지혜]].
** 대한민국의 래퍼 [[원우 (가수)|원우]]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대한민국의 가수 [[한겸 (연예인)|한겸]].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영한]].
* [[7월 18일]] - 일본의 성우 [[나츠카와 시이나]].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오하영 (가수)|오하영]] ([[에이핑크]]).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황윤진]].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세영 (배우)|오세영]].
** 나아지리아의 축구 선수 [[조 아리보]].
* [[7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코발트 그린]].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지현 (축구 선수)|김지현]].
* [[7월 23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대니엘 브래드버리]].
** 일본의 체조 선수 [[다니가와 와타루]].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이수빈 (1996년)|이수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시원 (야구 선수)|이시원]].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윤재이]].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헤어디자이너 가빈.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이인성 (배우)|이인성]].
* [[7월 29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백중훈]].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예진.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엘리엇비]].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연우 (배우)|연우]] ([[모모랜드]]).
** 프랑스의 배우 [[루 루아레콜리네]].
* [[8월 2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강유정 (유도 선수)|강유정]].
* [[8월 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로만]].
** 일본의 성우, 아이돌 [[모로하시 사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용혁]].
* [[8월 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우석 (축구 선수)|김우석]].
**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하 (1996년)|김정하]].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래퍼 [[WOODZ]] ([[유니크 (음악 그룹)|유니크]], [[X1 (음악 그룹)|X1]]).
* [[8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진예주]].
* [[8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운]] ([[SF9]]).
** 대한민국의 가수 [[와인 (가수)|와인]].
* [[8월 8일]] - 일본의 아이돌 [[마츠오카 나츠미]].
* [[8월 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원덕현]].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은지.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곽지현]].
* [[8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유진]] ([[CLC (음악 그룹)|CLC]]).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나상호]].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아르투르 멜루]].
** 콩고민주공화국의 축구 선수 [[사뮈엘 무투사미]].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 김지혜.
* [[8월 14일]] - 미국의 배우 [[브리애나 힐더브랜드]].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원상]].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큐브 (프로게이머)|김창성]].
** 일본의 성우 [[사이토 슈카]].
** 대한민국의 유튜버 [[POWER MOVIE]].
* [[8월 17일]]
** 필리핀의 배우 [[엘라 크루즈]].
** 일본의 성우 [[이토 아야사]].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여린.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예린]] ([[여자친구 (음악 그룹)|여자친구]]).
** 수단 출신 카타르의 축구 선수 [[알모에즈 알리]].
** 우크라이나의 군인 [[비탈리 스카쿤]]. (~[[2022년]])
** 벨기에의 배우 겸 가수 [[라우라 테소로]].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마일로.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승환 (가수)|정승환]].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소민]] ([[카드 (음악 그룹)|카드]]).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주니오르 피르포]].
* [[8월 23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이데구치 요스케]].
* [[8월 24일]]
** 대한민국의 래퍼 [[비토 (가수)|비토]] ([[업텐션]]).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현진 (1996년)|김현진]].
* [[8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메딕 진|배유진]] ([[걸카인드]]).
** 대한민국의 가수 [[탄 (가수)|최석원]] ([[싸이퍼 (음악 그룹)|싸이퍼]]).
** 대한민국의 배우 [[백서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장윤호]] ([[K리그]], [[전북 현대 모터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홍예지 (축구 선수)|홍예지]] ([[WK리그]],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성민 (1996년)|박성민]].
** 일본의 아이돌 [[시부야 나기사]].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린 (프로게이머)|린]].
* [[8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형.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세정]] ([[구구단 (음악 그룹)|구구단]]).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겸 뮤지컬배우 [[황우림]].
* [[8월 30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안현국]].
** 말리의 축구 선수 [[이브 비수마]].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로이.
=== 9월 ===
* [[9월 1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젠데이아]].
* [[9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성하]].
** 대한민국의 가수 [[한여름 (가수)|한여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채린]].
* [[9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조이 (가수)|조이]] ([[레드벨벳 (음악 그룹)|레드벨벳]]).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신희범 (프로게이머)|신희범]].
* [[9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정채율]]. (~[[2023년]])
* [[9월 5일]]
** 노르웨이의 가수 [[시그리드 (가수)|시그리드]].
** 대한민국의 가수 [[루리 (가수)|루리]].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오뀨]].
* [[9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세진 (배우)|박세진]].
* [[9월 7일]]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 [[김초희 (컬링 선수)|김초희]].
* [[9월 8일]] - 대한민국의 모델 이다은.
* [[9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희.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울프 (프로게이머)|울프]].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솔.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찬혁 (가수)|이찬혁]] ([[악동뮤지션]]).
** 대한민국의 래퍼 [[조광일 (래퍼)|조광일]].
** 우간다의 육상 선수 [[조슈아 체프테게이]].
* [[9월 13일]] - 미국의 배우 [[릴리 라인하트]].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소율]] ([[다이아 (음악 그룹)|다이아]]).
** 대한민국의 가수 [[수빈 (가수)|수빈]] ([[우주소녀]]).
** 대한민국의 배우 [[홍비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강지유]].
* [[9월 16일]] - 일본의 배우 [[요코하마 류세이]].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영재 (1996년)|최영재]] ([[GOT7]]).
** 영국의 배우 [[엘라 퍼넬]].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인 (배우)|김지인]].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래퍼 [[오르내림]].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환.
** 대한민국의 국악인 [[조수황]]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인범]].
** 싱가포르의 육상 선수 [[샨티 페레이라]].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조재환 (프로게이머)|조재환]].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기자 [[이연제]]. (~[[2023년]])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하이]].
** 대한민국의 가수 [[김예지 (1996년)|김예지]].
** 대한민국의 배우 [[한도우]].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박정현 (농구 선수)|박정현]].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박지원 (쇼트트랙 선수)|박지원]].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밤하늘.
* [[9월 25일]] - 미국의 래퍼, 싱어송라이터 [[아르마니 화이트]].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채민]].
* [[9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방태연]].
* [[9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승규]].
* [[9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음악 프로듀서, DJ ([[코아 화이트]]).
** 독일과 오스트리아 태생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크리스 영 (뮤지컬 배우)|크리스 영]].
* [[9월 30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니코 엘베디]].
**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오상욱]].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배틀그라운드 프로게이머 [[이노닉스]].
** 대한민국의 댄서, 가수, 래퍼, 안무가 [[정혜윤 (가수)|정혜윤]].
* [[10월 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레오]].
* [[10월 3일]]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켈레치 이헤아나초]].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주안]] ([[TAN]]) ([[위인더존]]).
** 대한민국의 가수 [[전지우]] ([[카드 (음악 그룹)|카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엄상백]].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미라]].
** 영국의 배우 [[엘라 벌린스카]].
** 미국의 배우 [[라이언 리 (배우)|라이언 리]].
* [[10월 5일]] - 일본의 축구 선수 [[고이즈미 요시오]].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혜경]].
** 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 지도자 [[김선웅 (e스포츠인)|김선웅]].
* [[10월 7일]]
** 영국의 가수 [[루이스 카팔디]].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유미라]].
** 대한민국의 가수 [[앤씨아]].
** 대한민국의 바둑기사 [[최정 (바둑 기사)|최정]].
** 대한민국의 근대5종 선수 [[김선우 (근대5종 선수)|김선우]].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다니 세바요스]].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헤즈]]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10월 9일]] - 미국의 모델 [[벨라 하디드]].
* [[10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류진욱]].
** 일본의 야구 선수 [[기시다 유키노리]].
* [[10월 11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리넛 베이렌스테인]].
* [[10월 12일]] - 일본의 가수, 성우 [[이토 미쿠]].
* [[10월 13일]] - 홍콩의 시민운동가 [[조슈아 웡]].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강우정]].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래퍼 [[젤로 (가수)|젤로]].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재영 (배구 선수)|이재영]], [[이다영 (1996년)|이다영]].
* [[10월 16일]]
**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김수지.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은 (1996년)|김예은]].
** 대한민국의 배우 [[송영아]].
** 아제르바이잔의 리듬체조 선수 [[라라 유시포바]].
** 중화인민공화국의 테니스 선수 [[장즈전]].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직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유영혁]].
* [[10월 19일]] - 미국의 배우 [[챈스 퍼도모]].
* [[10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박윤솔]] ([[NIK (음악 그룹)|NIK]]).
** 대한민국의 배우 [[서예슬]].
*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래퍼 [[B.I]] ([[IKON]]).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우린]].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익수 (프로게이머)|익수]].
** 카타르의 축구 선수 [[아심 마디보]].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최현웅]].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혁규 (프로게이머)|김혁규]].
** 중국의 가수 [[류셰닝]].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수경 (1996년)|이수경]].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정용]].
** 일본의 아이돌 [[카도와키 카나코]].
* [[10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옌안 (가수)|옌안]].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신]] ([[업텐션]], [[X1 (음악 그룹)|X1]]).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조중혁]].
** 독일의 축구 선수 [[나딤 아미리]].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 및 뮤지컬 배우 [[이준우 (뮤지컬 배우)|이준우]].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지수 (1996년)|김지수]].
** 노르웨이의 싱어송라이터 [[아스트리드 S]].
* [[10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성 (1996년)|김지성]].
** 대한민국의 승마 선수, 범죄자 [[정유라 (승마 선수)|정유라]].
** 일본의 아이돌 [[후쿠무라 미즈키]].
** 일본의 가수, 배우 [[사토 쇼리]].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클루어드]].
=== 11월 ===
* [[1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재 (1996년)|김민재]].
** 대한민국의 가수 [[정연 (가수)|정연]] ([[트와이스]]).
** 대한민국의 가수 [[이찬원]].
** 대한민국의 배우 [[정우진 (1996년)|정우진]].
** 미국의 래퍼 [[릴 피프]]. (~[[2017년]])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티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스티치]].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상연]].
** 대한민국의 가수 [[메아리 (가수)|메아리]].
* [[11월 5일]] - 일본의 가수 [[스즈키 코노미]].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장승연]] ([[CLC (음악 그룹)|CLC]]).
** 대한민국의 가수 [[선율 (가수)|선율]] ([[업텐션]]).
* [[11월 7일]]
** 뉴질랜드의 가수 [[로드 (가수)|로드]].
** 일본의 아이돌 [[오카베 린]].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배우 [[최희진 (배우)|최희진]].
** 미국의 배구 선수 [[야스민 베다르트가니]].
* [[11월 9일]] - 일본의 가수 [[모모 (가수)|모모]] ([[트와이스]]).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윤]].
* [[11월 11일]]
** 미국의 배우 [[타이 셰리던]].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켄트]].
* [[11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황택의]].
* [[11월 13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레슬링 선수 [[팡첸위]].
** 대한민국의 가수 아몽.
* [[11월 14일]]
** 중국의 배우 [[장뤄난]].
** 미국의 배우 [[메이슨 구딩]].
* [[11월 1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재 (축구 선수)|김민재]].
** 일본의 축구 선수 [[시미즈 리사 (축구 선수)|시미즈 리사]].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작곡가 듀이.
* [[11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유민]].
* [[11월 18일]]
** 태국의 가수 [[SORN]] ([[CLC (음악 그룹)|CLC]]).
** 대한민국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이동원 (피겨스케이팅 선수)|이동원]].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서리 (가수)|서리]].
* [[11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승민 (1996년)|이승민]].
** 미국의 배구 선수 [[셰리단 앳킨슨]].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첼로]].
** 대한민국의 범죄자 [[김태현 (범죄인)|김태현]].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희 ([[러스티 (음악 그룹)|러스티]]).
** 대한민국의 전 가수 [[장소진]] ([[구구단 (음악 그룹)|구구단]]).
* [[11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지 (가수)|우지]] ([[세븐틴 (음악 그룹)|세븐틴]]).
** 미국의 모델 [[헤일리 볼드윈]].
* [[11월 23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윤기 (성우)|김윤기]].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제임스 매디슨 (축구 선수)|제임스 매디슨]].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은서우]].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 [[루카 유리치치]].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윤찬 (1996년)|윤찬]].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마르크 로카]].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배우 [[권한솔]].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한승주 (바둑 기사)|한승주]].
** 대한민국의 가수 [[솜혜빈]].
** 일본의 배우 [[나카오 마사키]].
** 홍콩의 탁구 선수 [[두카이친]].
* [[11월 29일]]
** 가나의 축구 선수 [[로런스 아티지기]].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곤살루 게드스]].
**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진서 (피겨스케이팅 선수)|김진서]].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희주.
=== 12월 ===
* [[12월 1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세령]].
* [[12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아이 (가수)|차윤지]].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아현]].
** 대한민국의 배우 [[변서윤]].
** 홍콩의 학생운동가 [[아그네스 차우]].
* [[12월 4일]]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디오구 조타]].
** 러시아의 리듬체조 선수 [[다리야 스밧콥스카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영남 (1996년)|김영남]].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영근 (가수)|김영근]].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이다빈]].
** 미국의 육상 선수 [[개브리엘 토머스]].
* [[12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린 (가수)|다린]].
** 스코틀랜드의 축구 선수 [[스콧 맥토미니]].
* [[12월 9일]]
** 미국의 가수 [[알렉사 (가수)|알렉사]].
** 홍콩의 가수 [[비비 (홍콩의 가수)|비비]] ([[이달의 소녀]]).
** 미국의 배우 [[리아 루이스]].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강다니엘]] ([[워너원]]).
* [[12월 11일]]
** 미국의 배우, 가수 [[헤일리 스타인펠드]].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공희용]].
* [[12월 12일]]
** 미국의 배우 [[루커스 헤지스]].
** 일본의 배우 [[미야마 카렌]].
* [[12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교수]].
* [[12월 14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리로이 자네]].
* [[12월 15일]] -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올렉산드르 진첸코]].
* [[12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우태 (배우)|이우태]].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윌프레드 은디디]],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세르히오 레길론]].
* [[12월 17일]] -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오 (가수)|유오]].
* [[12월 19일]]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프랑크 케시에]].
* [[12월 20일]] - 일본의 모델 [[카타세 미즈키]]. (~[[2023년]])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도희 (1996년)|김도희]] ([[소나무 (음악 그룹)|소나무]]).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벤 칠웰]].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천진 ([[마이틴]]).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래퍼 [[우원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창준 (축구 선수)|박창준]].
* [[12월 24일]] - 일본의 배우, 가수 [[모모노기 카나]].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디타 (가수)|디타]]([[시크릿넘버]]).
* [[12월 26일]]
** 일본의 배우 [[마츠이 아이리]].
** 일본의 배우, 모델 [[야마야 카스미]].
** 대한민국의 배우 [[권지우]].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기용 (프로게이머)|김기용]].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우현]].
* [[12월 28일]]
**러시아의 가수, 모델 [[안젤리나 다닐로바]].
**프랑스의 축구 선수 [[탕기 은돔벨레]].
**일본의 가수 [[후지타 나나]].
* [[12월 29일]] - 일본의 가수 [[사나 (일본의 가수)|사나]] ([[트와이스]]).
* [[12월 30일]]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도인비]].
**중국의 배우, 가수 [[쟝쩐위]].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수.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운타라]].
** 일본의 아이돌 [[오오타 리오나]].
=== 미상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김남해]].
* 대한민국의 배우 [[염아란]].
* 대한민국의 가수 [[서경덕 (가수)|서경덕]].
* 대한민국의 작곡가, 가수 [[제휘]].
* 대한민국의 작곡가, DJ, 음악 프로듀서 [[노마드 (작곡가)|노마드]].
* 미국의 수영 선수 [[시몬 매뉴얼]].
* 대한민국의 가수 정재승.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김성현 (1996년)|김성현]].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정진욱 (농구 선수)|정진욱]].
== 사망 ==
[[파일:Reagan Mitterrand 1984 (cropped).jpg|섬네일|120px|프랑수아 미테랑]]
[[파일:Portrait of Edmund Muskie, looking up.jpg|섬네일|120px|에드먼드 머스키]]
[[파일:Ella Fitzgerald (1940).jpg|섬네일|120px|엘라 피츠제럴드]]
[[파일:Spiro Agnew.jpg|섬네일|120px|스피로 애그뉴]]
[[파일:Bokassa portrait.jpg|섬네일|120px|장베델 보카사]]
[[파일:Carl Sagan Planetary Society.JPG|섬네일|120px|칼 세이건]]
{{분류 참고|1996년 사망}}
* [[1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지원]]. ([[1976년]]~)
* [[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광석]]. ([[1964년]]~)
* [[1월 7일]] - 일제 강점기 시인 겸 소설가 [[백석]]. ([[1912년]]~)
* [[1월 8일]] - 프랑스의 제21대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1916년]]~)
* [[2월 2일]] - 미국의 배우 [[진 켈리]]. ([[1912년]]~)
* [[3월 3일]] - 프랑스의 작가, 영화 감독 [[마르그리트 뒤라스]]. ([[1914년]]~)
* [[3월 13일]] - 폴란드의 영화 감독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1941년]]~)
* [[3월 15일]] - 일본의 내각총리 [[요시다 시게루]]의 딸, [[아소 다로]]의 어머니 [[아소 가즈코]]. (~[[1915년]])
* [[3월 17일]] - 프랑스의 영화감독 [[르네 클레망]]. ([[1913년]]~)
* [[3월 26일]] - 미국의 정치인 [[에드먼드 머스키]]. ([[1914년]]~)
* [[4월 3일]] - 미국의 정치인, 클리블랜드의 첫 흑인 시장 [[칼 스토크스]]. ([[1927년]]~)
* [[6월 14일]] - 미국의 재즈 가수 [[엘라 피츠제럴드]]. ([[1917년]]~)
* [[6월 25일]] - 대한민국의 승려 [[서경보 (승려)|서경보]]. ([[1914년]]~)
* [[9월 13일]] - 미국의 랩퍼 [[투팍 샤커]]. ([[1971년]]~)
* [[9월 17일]] - 미국의 정치인 [[스피로 애그뉴]]. ([[1918년]]~)
* [[9월 20일]] - 헝가리의 수학자 [[에르되시 팔]]. ([[1913년]]~)
* [[9월 23일]] - 일본의 만화가 [[후지코 F. 후지오]]. ([[1933년]]~)
* [[9월 28일]] -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인 [[모하마드 나지불라]]. ([[1947년]]~)
* [[10월 4일]]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실비오 피올라]]. ([[1913년]]~)
* [[10월 11일]] - 핀란드의 수학자, 필즈상 수상자 [[라르스 알포르스]]. ([[1907년]]~)
* [[10월 23일]] - 대한민국의 군인 [[안두희]]. ([[1917년]]~)
* [[11월 2일]] -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독재자 [[장베델 보카사]]. ([[1921년]]~)
* [[12월 13일]] - 이탈리아의 아랍학자 [[프란체스코 가브리엘리]]. ([[1904년]]~)
* [[12월 19일]] - 이탈리아의 배우 [[마르첼로 마스트로이안니]]. ([[1924년]]~)
* [[12월 20일]] -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 ([[1934년]]~)
* [[12월 25일]] - 미국의 살인 피해자 [[존베네 램지]]. ([[1990년]]~)
== 노벨상 ==
* '''경제학상''': 제임스 A. 멀리스, [[윌리엄 비크리]]
* '''문학상''':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물리학상''': 데이비드 M. 리, 더글러스 D. 오셔로프, 로버트 D. 리처드슨
* '''생리학 및 의학상''': 피터 C. 도어티, 롤프 M. 칭커나겔
* '''평화상''':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주제 라모스 오르타]]
* '''화학상''': 로버트 F. 컬, 해럴드 W. 크로토, 리처드 E. 스몰리
== 달력 ==
{{연간달력|1996}}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경인]] || 소 || [[2월 19일]] ||[[병술]]
|-
| [[음력 2월|2월]] || [[신묘]] || 대 || [[3월 19일]] || [[을묘]]
|-
| [[음력 3월|3월]] || [[임진]] || 소 || [[4월 18일]] || [[을유]]
|-
| [[음력 4월|4월]] || [[계사 (간지)|계사]] || 대 || [[5월 17일]] || [[갑인]]
|-
| [[음력 5월|5월]] || [[갑오]] || 대 || [[6월 16일]] || [[갑신]]
|-
| [[음력 6월|6월]] || [[을미]] || 소 || [[7월 16일]] || [[갑인]]
|-
| [[음력 7월|7월]] || [[병신]] || 대 || [[8월 14일]] || [[계미]]
|-
| [[음력 8월|8월]] || [[정유 (간지)|정유]] || 소 || [[9월 13일]] || [[계축]]
|-
| [[음력 9월|9월]] || [[무술 (간지)|무술]] || 대 || [[10월 12일]] || [[임오]]
|-
| [[음력 10월|10월]] || [[기해]] || 대 || [[11월 11일]] || [[임자]]
|-
| [[음력 11월|11월]] || [[경자]] || 소 || [[12월 11일]] || [[임오]]
|-
| [[음력 12월|12월]] || [[신축]] || 대 || [[1997년]] [[1월 9일]] || [[신해]]
|}
== 각주 ==
{{각주}}
{{전거 통제}}
[[분류:1996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992}}
{{기년법|1992}}
{{요즘 화제 년월|1992년}}
[[파일:Evstafiev-bosnia-cello.jpg|섬네일|[[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다.
== 사건 ==
* [[1월 1일]] 대한민국, 자본시장 개방. 외국인의 주식 매수가 허용되다. (실제 매수는 개장일인 1월 3일부터 가능)
* [[1월 8일]] -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정부의 사죄와 법적 배상을 촉구하는 [[수요집회]]가 시작되다.
* [[1월 10일]] - [[통일국민당]]을 창당하다.
* [[1월 21일]] -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입시 문제지 도난 사건이 발생되어, 후기 대학 입시시험 날짜를 [[2월 10일]]로 연기했다.
* [[2월 1일]]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군]]이 일산 [[신도시]] 개발로 [[고양시]]로 승격되었다. 군 지역의 전부가 하나의 시로 승격된 최초의 사례다.
* [[2월 7일]] -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체결되다.
* [[2월 13일]] - [[몽골]]이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
* [[2월 17일]]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렸던 [[뉴 키즈 온 더 블록]] 내한 공연 도중 여고생 1명이 [[압사사고|압사]]했다.
* [[3월 2일]] - [[카자흐스탄]], [[몰도바]], [[키르기스스탄]], [[산마리노]],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유엔]]에 가입하다.
* [[3월 24일]]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 [[4월 7일]] - [[보스니아 내전]]이 발발하다.
* [[4월 27일]]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붕괴되다.
* 4월 28일 - 나지불라 정부군과 내전이 끝난지 얼마 되지 않아 무자헤딘은 분열되어 2차내전이 발발한다.
* [[4월 29일]] -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4·29 LA 폭동]]이 일어나다.
* [[5월 22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가 [[유엔]]에 가입하다.
* [[6월 14일]] - [[리우 회의]]가 종료됨으로써 [[기후변화협약]]에 체결하다.
* [[6월 21일]] -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다.
* [[7월 31일]]
** [[조지아]], [[유엔]]에 가입하다.
** [[대한민국]] [[서울]]에서 [[행주대교|신행주대교 붕괴 사건]]이 일어나다.
** [[타이항공 311편 추락 사고]] 발생.
* [[8월 24일]] -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다.([[중화민국]]과 단교)
* 9월 - [[대한민국]]에서 [[마광수]]교수가 '즐거운 사라'라는 소설에 대해 외설이라는 이유로 구속되다.
* [[9월 6일]]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여성]] 대표, [[위안부]] 문제 공동대처 결의하다.
* [[9월 23일]] -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8월 24일]] 단교 후 대사관에서 완전히 철수하다.
* [[9월 28일]]
** 대한민국 [[노태우]] 대통령, 중국 방문해 양상쿤(楊尙昆) 주석과 사상 첫 한중정상회담
** [[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 추락 사고]] 발생.
* [[10월 4일]]
** [[강원도]] [[원주]] [[여호와의 증인]] [[원주 왕국회관 화재|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고]] 발생.
** [[엘알 이스라엘 항공 1862편 추락 사고]] 발생.
* [[10월 9일]] - [[노태우]] 대통령은 [[현승종]]을 총리직에 앉히는 등 중립내각 개편을 단행하였다.
* [[10월 12일]]
** [[미국]], [[캐나다]]를 연결하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체결.
**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잠수함]] 장보고급 잠수함의 2번함인 SS062 이천(1200t급) 진수.
** [[벨기에]]의 보두앵 1세 국왕이 대한민국을 방문하다.
* [[10월 15일]] - [[러시아]]에서 [[안드레이 치카틸로]]의 [[연쇄 살인]] 52건에 대해 유죄가 확정되다.
* [[10월 28일]] - 대한민국 서울에서 [[다미선교회 시한부종말론 사건|다미선교회]]가 시한부종말론을 내세웠으나 그것은 정확히 불발했다.
* [[11월 3일]] -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다.
* [[11월 24일]] - [[중국남방항공 3943편 추락 사고]]로 탑승객 141명 전원 사망.
* [[12월 18일]] - [[199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의 [[김영삼]]이 당선되다.
* [[12월 22일]] -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공식 수교를 재개하다.
* [[12월 29일]] -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의 주범 윤용필 등 흉악범 9명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다.
== 문화 ==
* [[1월]]
** [[대한민국]] [[메로나]] 출시
** [[일본]]의 록 밴드 [[엑스 재팬|엑스]], 엑스 재팬으로 그룹명 개명.
* [[2월 8일]] ~ [[2월 23일]] -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1992년 동계 올림픽]] 개최.
* [[3월]] -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N.EX.T]]데뷔.
* [[3월 25일]] ~ [[4월 1일]] -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1992년 동계 패럴림픽]] 개최.
* [[4월 6일]] - [[윈도우 3.1x|윈도우 3.1]]이 출시.
* [[4월 11일]]- 가수 [[서태지와 아이들]] 데뷔.
* [[4월 13일]] - [[임진왜란]] 발발 400주년.
* [[4월 28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포텐샤|포텐샤]] 출시.
* [[5월 1일]] - [[아시아자동차공업]]에서 [[기아 타우너|타우너]] 출시.
* [[5월 10일]] - [[일본]]의 음악 그룹 [[Mr.Children]] 데뷔.
*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신도림역]] ~ [[양천구청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7월 25일]] ~ [[8월 9일]] -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1992년 하계 올림픽]]이 개최.
* [[8월 9일]] - [[황영조]]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
* [[8월 11일]] -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 발사.
* [[8월 25일]] - 합동결혼식 기네스 기록 3만쌍 2000쌍 결혼이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진행됨
* [[9월 22일]] - [[기아자동차]]에서 [[기아 세피아|세피아]] 출시.
* 10월
** [[대한민국]]의 교육부, [[6차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을 개정.
**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철이와 미애 데뷔.
* [[10월 1일]] - [[안양시]] 만안출장소와 동안출장소가 각각 [[만안구]]와 [[동안구]]로 승격.
* [[10월 4일]] - [[정지영 (영화 감독)|정지영]] 감독의 《하얀 전쟁》이 일본의 제 5회 도쿄국제영화제서 최우수 작품ㆍ감독상 수상.
* [[11월 13일]] - [[김완선#1986%E2%80%931992%EB%85%84|당대 탑스타 김완선의 은퇴 선언]].
* [[12월 3일]] - 세마그룹 소프트웨어 설계자 닐 팹워스(Neil Papworth)에 의해 세계 최초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서비스]](SMS)가 탄생.
* [[12월 22일]] - 대한민국에서 1993학년도 [[학력고사]] 실시.
* 1992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롯데자이언츠 우승.
== 탄생 ==
{{분류 참고|1992년 출생}}
=== 1월 ===
* [[1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운 (배우)|이상운]].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잭 윌셔]].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주형 (바둑 기사)|이주형]].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이해른]]. (~[[2024년]])
* [[1월 2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빅토르 클라에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병의]].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와치 (프로게이머)|와치]].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파울로 가사니가]].
* [[1월 3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박소현 (1992년)|박소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금교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호은]].
* [[1월 4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호진 (프로게이머)|호진]].
** 대한민국의 여행작가 [[박성호 (여행작가)|박성호]].
** 미국의 축구 선수 [[크리스 브라이언트]].
* [[1월 5일]] - 영국의 모델 [[수키 워터하우스]].
* [[1월 6일]] - 코스타라카의 축구 선수 [[조나탄 모야]].
* [[1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경순.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이찬성]].
* [[1월 8일]]
** 대한민국의 래퍼 [[아이언 (래퍼)|아이언]].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코케]].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수진 (1992년)|김수진]].
** 프랑스의 배우 달리 벤살라
* [[1월 9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최현미 (기상 캐스터)|최현미]].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민국 (야구 선수)|강민국]].
** 대한민국의 희극인 [[홍현호]].
** 오스트레일리아의 방송인 [[블레어 윌리엄스]].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시메 브르살코]].
** 가나의 축구 선수 [[크리스천 아추]].
** 대한민국의 배우 [[김건우 (배우)|김건우]].
* [[1월 1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이승훈 (가수)|이승훈]] ([[위너 (음악 그룹)|위너]]).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다니 카르바할]].
** 대한민국의 가수 [[정동환 (가수)|정동환]].
* [[1월 12일]] - 핀란드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 [[이보 니스카넨]].
* [[1월 13일]]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산티아고 아리아스]].
** 대한민국의 배우 [[이상진 (배우)|이상진]].
** 대한민국의 가수 [[민호]] ([[샤이니]]).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형규 (배우)|동하]].
** 대한민국의 배우 [[윤다영]].
** 대한민국의 가수 [[서진 (가수)|서진]].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경민 (프로게이머)|이경민]].
** 노르웨이의 축구 선수 [[조슈아 킹]].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요옐 펠트만]].
* [[1월 16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윤승현 (희극인)|윤승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은지 (희극인)|이은지]].
**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맷 도허티]].
* [[1월 17일]]
** 대한민국의 발레 무용수 [[김희선 (발레 무용수)|김희선]]. (~[[2022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페드루 엔리케 올리베이라]].
** 일본의 야구 선수 [[요시다 에리]].
* [[1월 1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조은지 (아나운서)|조은지]].
** 대한민국의 방송인, 아나운서 [[허송연]].
* [[1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태훈 (1992년생 야구 선수)|김태훈]].
** 미국의 배우 [[로건 러먼]].
* [[1월 20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정영식 (탁구 선수)|정영식]].
** 튀르키예의 축구 선수 [[괴크한 퇴레]].
* [[1월 21일]]
** 대한민국의 성우 [[우성은]].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송유라]].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정유민 (치어리더)|정유민]].
** 카메룬의 축구 선수 [[뱅상 아부바카르]].
* [[1월 23일]]
** 아일랜드의 배우 [[잭 레이너]].
** 대한민국의 가수 [[박지연 (1992년 1월)|박지연]] ([[글램 (음악 그룹)|글램]]).
** 일본의 성우,가수 [[치스가 하루카]].
** 대한민국의 자전거 경기 선수 [[이혜진 (자전거 경기 선수)|이혜진]].
** 가봉계 스웨덴의 축구 선수 [[세르주주니오르 마르틴손 은갈리]].
* [[1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우,모델 [[박선임]].
** 중국의 아이돌 [[펑신둬]].
* [[1월 2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오효주]].
** 크로아티아-독일 축구 선수 [[이바나 루델리치]].
** 대한민국의 가수 마린.
* [[1월 26일]]
**미국의 프로레슬러 [[사샤 뱅크스]].
**독일의 축구 선수 [[마르빈 플라텐하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리명순]].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형석.
* [[1월 28일]] - 튀니지의 축구 선수 [[우사마 하다디]].
* [[1월 29일]]
**브라질의 축구 선수 [[펠리피뉴]].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황희두]].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유예빈]].
* [[1월 31일]]
** 중국의 배우 [[저우둥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권경원]].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부나 사르]].
** 덴마크의 가수 [[크리스토퍼 (가수)|크리스토퍼]].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동현 (1992년)|김동현]].
=== 2월 ===
* [[2월 1일]]
** 일본의 배우 [[이치미치 마오]].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배상희]].
* [[2월 2일]]
** 대만의 야구 선수 [[궈쥔린]].
** 대한민국의 유튜버 [[곽튜브]].
** 대한민국의 전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박인재]].
* [[2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표예진]].
** 일본의 축구 선수 [[대니얼 슈밋 (축구 선수)|대니얼 슈밋]].
* [[2월 4일]]
** 대한민국의 모델 [[황현주 (모델)|황현주]].
** 미국의 모델 [[해나 스토킹]].
* [[2월 5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네이마르]].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이대훈]].
** 이라크의 축구 선수 [[아흐메드 이브라힘 칼라프]].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안 (1992년)|김지안]].
** 중국의 리듬체조 선수 [[덩썬웨]].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스테판 더 프레이]].
* [[2월 6일]]
**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정유라 (핸드볼 선수)|정유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웅 (1992년)|김진웅]].
* [[2월 7일]]
** 일본의 가수 [[야지마 마이미]] ([[℃-ute]]).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세르지 로베르토]].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로코도코]].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임성욱]].
** 프랑스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제인 (가수)|제인]].
* [[2월 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도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평국]].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칼 젱킨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시훈]].
* [[2월 9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배우, 방송인 [[임하늘]].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아영 (치어리더)|이아영]].
* [[2월 10일]]
** 일본의 가수 [[나카가와 하루카]] ([[JKT48]]).
** 대한민국의 희극인 [[조충현 (희극인)|조충현]].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김동준 (가수)|김동준]] ([[제국의 아이들]]).
** 미국의 배우 [[테일러 로트너]].
** 일본의 배우 [[키시이 유키노]].
* [[2월 13일]]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진용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케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임창우]].
* [[2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강다빈]].
** 대한민국의 배우 [[이주영 (1992년)|이주영]].
** 대한민국의 가수 [[유정 (1992년)|유정]] ([[라붐 (음악 그룹)|라붐]]).
** 덴마크의 축구 선수 [[크리스티안 에릭센]].
** 영국의 배우 [[프레디 하이모어]].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래환]] ([[빅스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빅스타]]).
* [[2월 16일]] - 대힌민국의 배우 [[이규성 (배우)|이규성]].
* [[2월 17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모타즈 하우사위]].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라일락 (프로게이머)|라일락]].
* [[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이예훈]].
** 중국의 배우 [[야오왕]].
* [[2월 19일]] - 일본의 가수 [[쿠와바라 미즈키]] ([[SKE48]]).
* [[2월 2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상원 (1992년)|김상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오태선]].
** 대한민국의 성우 [[이은조]].
* [[2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양다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필 존스]].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박하 (레이싱 모델)|박하]].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딕슨 마차도]].
**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우디 (가수)|우디]].
* [[2월 23일]]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카제미루]].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서마라 위빙]].
** 그리스의 축구 선수 [[키리아코스 파파도풀로스]].
** 호주의 배우 [[서마라 위빙]].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호 (축구 선수)|이종호]].
** 그리스의 축구 선수 [[니콜라오스 카렐리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오윤석 (야구 선수)|오윤석]].
** 아프리카의 유튜브 [[임다]].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김민석 (탁구 선수)|김민석]].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민호 (1992년)|박민호]].
* [[2월 26일]]
** 대한민국의 래퍼 [[필독 (래퍼)|필독]] ([[빅스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빅스타]], [[유앤비]]).
** 일본의 배우 [[시노자키 아이]].
** 일본의 만화가 [[아쿠타미 게게]].
* [[2월 2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종현 (1992년)|김종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혁 (1992년 2월)|김민혁]].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존조 셸비]].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칼럼 윌슨]].
* [[2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건지 ([[가비엔제이]]).
** 멕시코의 축구 선수 [[나옐리 랑헬]].
** 대한민국의 래퍼 [[나플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방송인 [[추혁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문미라]].
* [[2월 29일]]
** 대한민국의 사업가, 인터넷 방송인 [[사나고]].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사피르 슬리티 타이데르]].
** 대한민국의 가수, 유튜버 [[홍정오]].
** 미국의 배우 [[제시 어셔]].
=== 3월 ===
* [[3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소혜 (1992년)|김소혜]].
** 세네갈의 축구 선수 [[에두아르 멘디]].
* [[3월 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태훈 (1992년생 야구 선수)|김태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영 (축구 선수)|김진영]].
* [[3월 3일]]
** 중국의 배우 [[저우둥위]].
** 일본의 배우 [[우사 미하루]].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페르난두 루카스 마르칭스]].
** 일본의 야구 선수 [[하라구치 후미히토]].
** 오스트레일리아의 배우 [[조디 루커스]].
* [[3월 4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베른트 레노]] ([[바이어 04 레버쿠젠]]).
** 대한민국의 가수 [[오태하]] ([[스피드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스피드]]).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곽민선]].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에리크 라멜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한유리]].
* [[3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메리애플]].
* [[3월 6일]]
** 일본의 가수 [[츠구나가 모모코]] ([[Berryz코보]]).
** 대한민국의 성우 [[곽규미]].
** 대한민국의 배우 [[오아연]].
** 일본의 가수 [[츠구나가 모모코]].
* [[3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임현식 (가수)|임현식]] ([[비투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일록]].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손세범]].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진유리]].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정유현.
* [[3월 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우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계현]].
* [[3월 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종필 (1992년)|김종필]].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안진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오백]].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호주]].
** 대한민국의 가수 [[최정훈]].
* [[3월 11일]]
** 일본의 성우 [[토야마 나오 (성우)|토야마 나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오준혁]].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김규희]].
* [[3월 12일]] - 대한민국의 온라인콘텐츠창작가 [[쿙이]]
* [[3월 13일]]
** 대한민국의 가수 [[엘 (가수)|엘]] ([[인피니트]]).
** 영국의 배우 [[카야 스코델라리오]].
** 잉글랜드의 배우 [[조지 매카이]].
** 미국의 래퍼 [[카마이야]].
* [[3월 14일]] - 대한민국의 골퍼 [[이예슬]].
* [[3월 15일]] - 대한민국의 래퍼 [[짱유]].
* [[3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미수]]. (~[[2022년]])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최경선 (육상 선수)|최경선]].
* [[3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대원 (가수)|대원]] ([[매드타운]], [[유앤비]]).
** 영국의 배우 [[존 보예가]].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신해리 (모델)|신해리]]. (~[[2024년]])
** 일본의 가수 [[테라다 타쿠야]] ([[크로스진]]).
** 튀니지의 축구 선수 [[페르자니 사시]].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최성환 (씨름 선수)|최성환]].
* [[3월 2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산들]] ([[B1A4]]).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정우연 (뮤지컬 배우)|정우연]].
* [[3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허영주]] ([[더 씨야]], [[리얼걸프로젝트]]).
** 일본의 배우 [[미즈사와 에레나]].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조르디 아마트]].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정준 (1992년)|박정준]].
* [[3월 23일]]
** 대한민국의 현직 아나운서 [[김빅토리아노]].
** 미국의 농구 선수 [[카이리 어빙]].
* [[3월 24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문정원 (배구 선수)|문정원]].
* [[3월 25일]]
** 일본의 가수 [[Machico]].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성곤]].
* [[3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선주 (축구 선수)|박선주]].
** 대한민국의 전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최용주]].
* [[3월 27일]]
** 일본의 배우 [[유키 아오이]].
** 대한민국의 가수 [[도하 (1992년)|도하]].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박승희 (쇼트트랙 선수)|박승희]].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조우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재혁]].
* [[3월 3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주보영]].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단보.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최승호 (축구 선수)|최승호]].
=== 4월 ===
* [[4월 1일]]
** 캐나다의 테니스 선수 [[개브리엘라 더브라우스키]].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황진영.
* [[4월 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태호 (1992년)|김태호]].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홍아란]].
** 대한민국의 가수 [[유리사]].
* [[4월 3일]]
** 일본의 가수 [[오오바 미나]] ([[SKE48]]).
** 일본의 가수 [[야마다 나나]] ([[NMB48]]).
** 일본의 배우 [[사노 가쿠]].
* [[4월 4일]]
** 미국의 배우 [[알렉사 니컬러스]].
** 대한민국의 가수 이윤지.
* [[4월 5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지나 (레이싱 모델)|김지나]].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현수 (1992년)|김현수]].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김나연 (미스코리아)|김나연]].
* [[4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허찬미]].
** 대한민국의 가수 [[켄 (가수)|켄]] ([[빅스 (음악 그룹)|빅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구자룡]].
** 일본의 방송인 [[오오기 히토시]].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유진 (1992년)|이유진]].
* [[4월 7일]] - 미국의 가수 [[알렉시스 조던]].
* [[4월 8일]] - 오스트 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매슈 라이언]].
* [[4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권]] ([[블락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양기훈]].
* [[4월 10일]]
** 영국의 배우 [[데이지 리들리]].
** 세네갈의 축구 선수 [[사디오 마네]].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이산하]].
* [[4월 11일]]
** 대한민국의 배우, MC [[서민지|김민지]].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손별이]].
* [[4월 12일]]
** 이라크의 축구 선수 [[레빈 술라카]].
** 폴랑드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저널리스트, 배우 [[아가타 트셰부호프스카]].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염강륜]].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신소향]].
* [[4월 14일]]
** 대한민국의 래퍼 [[제임스 안]].
** 대한민국의 가수 [[보은 (가수)|보은]].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한지은 (미스코리아)|한지은]].
* [[4월 15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이철우]].
** 대한민국의 래퍼 [[윤비]].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방태수]].
** 이탈리아의 펜싱 선수 [[알리체 볼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욘 구이데티]].
* [[4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공성하]].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정 (1992년)|김희정]].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지훈 (야구 선수)|김지훈]].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진영 (1992년 4월)|김진영]].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승현 (농구 선수)|이승현]].
** 대한민국의 가수 [[요한 (가수)|요한]]. (~[[2020년]])
** 일본의 배우 [[키시다 타츠야]].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프리랜서 아나운서 [[박서현]].
** 독일의 축구 선수 [[슈코드란 무스타피]].
** 대한민국의 가수 [[진호 (1992년)|진호]].
** 대한민국의 방송인 [[윤아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주천 (가수)|이주천]].
* [[4월 18일]]
** 독일의 축구 선수 [[제니페르 머로잔]].
** 미국의 배우,가수 [[클로이 베넷]].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원창연]].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혜림 (바둑 기사)|김혜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은]].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안테이]].
* [[4월 20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곽동한]].
** 대한민국의 배우, 미스코리아 [[임사랑 (미스코리아)|임사랑]].
* [[4월 21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이스코]].
** 미국의 야구 선수 [[작 피더슨]].
* [[4월 22일]]
**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곽하윤]].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이아름 (태권도 선수)|이아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영주 (축구 선수)|이영주]].
* [[4월 23일]]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성대 (프로게이머)|김성대]].
** 대한민국의 배우 [[조서후]].
* [[4월 2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민규 (1992년 4월)|이민규]].
** 브라질의 유도 선수 [[하파엘라 시우바]].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주하 (배구 선수)|김주하]].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루카 리초]].
* [[4월 25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이주현 (1992년)|이주현]].
* [[4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키라라.
* [[4월 27일]] - 대한민국의 유튜버 코너.
* [[4월 28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김지향]].
** 일본의 성우 [[타나카 아이미]].
** 일본의 축구 선수 [[오모리 고타로]].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해인.
* [[4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송희채]].
* [[4월 30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마르크안드레 테어 슈테겐]].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호령]].
=== 5월 ===
* [[5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니 (1992년생 가수)|하니]] ([[EXID]]).
** 대한민국의 래퍼 [[G2 (래퍼)|G2]].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원균 (축구 선수)|김원균]].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새미 아메오비]].
** 대한민국의 가수 [[박현호]].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김원진 (유도 선수)|김원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민우 (배우)|최민우]].
* [[5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선미]].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선재 (아나운서)|김선재]].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이효민.
* [[5월 3일]]
** 대한민국의 힙합 가수 [[크러쉬 (음악가)|크러쉬]].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하재상]].
** 일본의 배구 선수 [[호리카와 마리]].
** 미국의 가수 [[벤지 (가수)|벤지]] ([[B.I.G]]).
* [[5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우 (가수)|이우]] ([[매드타운]]).
* [[5월 5일]] - 미국의 모델 [[해나 퍼거슨]].
* [[5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현 (가수)|백현]] ([[EXO]], EXO-K).
** 일본의 배우 [[쿠와에 사키나]]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쁘띠허브]].
** 일본의 축구 선수 [[우사미 다카시]].
** 대한민국의 전 배우 [[김지선 (배우)|김지선]].
* [[5월 7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임지영.
* [[5월 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가은 (아나운서)|이가은]].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함연지]].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원영]].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강태욱 (축구 선수)|강태욱]].
** 미국의 모델, 배우 [[올리비아 컬포]].
* [[5월 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구대영]].
* [[5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주열]].
* [[5월 11일]]
** 벨기에의 축구 선수 [[티보 쿠르투아]].
** 일본의 성우 [[아사이 아야카]].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파블로 사라비아]].
** 대한민국의 가수 황지현.
* [[5월 12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손준호 (축구 선수)|손준호]].
** 독일의 축구 선수 [[에리크 두름]].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로한]].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창윤 (희극인)|이창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민우]].
* [[5월 14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조수애]].
* [[5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대엽]] ([[KT 롤스터]]).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창식]] ([[한화 이글스]]).
* [[5월 16일]] - 대한민국의 전 배우 [[이슬하]].
* [[5월 17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윤찬희 (1992년)|윤찬희]].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홍나실]].
* [[5월 1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성호 (1992년)|박성호]].
** 대한민국의 가수 혜진 (힌트).
* [[5월 19일]]
** 영국의 가수 [[샘 스미스]].
** 미국의 전자 음악가 [[마시멜로 (음악가)|마시멜로]].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김서연 (기자)|김서연]].
** 잉글랜드의 배우 [[엘리너 톰린슨]].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미켈레 캄포레세]].
* [[5월 20일]]
** 체코의 축구 선수 [[바츨라프 카들레츠]].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헤로니모 룰리]].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예은]].
** 일본의 성우 [[야마시타 세이이치로]].
* [[5월 22일]] - 일본의 가수 [[토쿠나가 치나미]] ([[Berryz코보]]).
* [[5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연지해]].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서경수.
* [[5월 24일]]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박지아.
* [[5월 25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야세르 알샤흐라니]].
** 아이슬란드의 축구 선수 [[욘 다디 뵈드바르손]].
* [[5월 27일]] - 콜롬비아의 축구 선수 [[헤이손 무리요]].
* [[5월 28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시바사키 가쿠]].
** 잉글래드의 축구 선수 [[톰 캐롤]].
* [[5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한그루]].
* [[5월 30일]]
** 스페인의 가수 [[만디 산토스]].
** 홍콩의 수영 선수 [[아우호이선]].
* [[5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기태]].
=== 6월 ===
* [[6월 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나래]].
* [[6월 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심은우]].
* [[6월 3일]]
** 대한민국의 가수 [[혜이니]].
** 독일의 축구 선수 [[마리오 괴체]].
* [[6월 4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윤상호 (축구 선수)|윤상호]].
** 영국의 배우 [[브룩 빈센트]].
* [[6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문형.
* [[6월 6일]]
** 대한민국의 래퍼 [[현아]].
** 일본의 전(前) 가수 [[무라카미 메구미]] ([[℃-ute]]).
** 러시아의 모델 [[사샤 루스]].
* [[6월 7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현석 (1992년)|이현석]].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최은지 (배구 선수)|최은지]].
* [[6월 8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채선아 (배구 선수)|채선아]].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김종훈 (모델)|김종훈]].
* [[6월 9일]] - 대한민국의 모델 [[김미소 (1992년)|김미소]].
* [[6월 10일]]
** 미국의 모델, 배우 [[케이트 업튼]].
** 웨일스의 축구 선수 [[리 루카스]].
* [[6월 11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강현우 (프로게이머)|강현우]].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다비데 차파코스타]].
* [[6월 12일]]
** 대한민국의 성우 [[김현욱 (성우)|김현욱]].
** 브라질의 축구 선수 [[필리피 코치뉴]].
** 대한민국의 가수 [[디아 (가수)|디아]].
* [[6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진수 (축구 선수)|김진수]].
** 대한민국의 가수 [[신예찬 (가수)|신예찬]].
** 대한민국의 성우 [[김채린]].
* [[6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신아 (1992년)|박신아]].
** 대한민국의 래퍼 [[노스페이스갓]].
* [[6월 15일]] - 이집트의 축구 선수 [[모하메드 살라]].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태희 (1992년)|이태희]].
** 대한민국의 힙합 [[투탁]].
* [[6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서아]].
** 중화인민공화국의 펜싱 선수 [[쑨이원]].
* [[6월 18일]] - 대한민국의 가수 [[셔누]] ([[몬스타엑스]]).
* [[6월 19일]] - 도미니카공화국의 야구 선수 [[오스카르 타베라스]]. (~[[2014년]])
* [[6월 20일]] -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 [[김우진 (양궁 선수)|김우진]].
* [[6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재호]].
** 대한민국의 가수 [[제이셉]].
** 대한민국의 래퍼 [[리비도 (래퍼)|리비도]].
** 일본의 패션 모델, 배우 [[오카모토 아즈사]].
* [[6월 22일]] - 대한민국의 희극인 [[이가은 (희극인)|이가은]].
* [[6월 23일]] - 세네갈의 축구 선수 [[남팔리스 멘디]].
* [[6월 24일]]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데이비드 알라바]].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박준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세진]].
** 대한민국의 작곡가 신슬기.
* [[6월 25일]]
** 중국 공산당의 주석인 시진핑의 딸 [[시밍쩌]].
** 벨기에의 축구 선수 [[쿤 카스테일스]].
** 미국의 배구 선수 [[켈시 로빈슨]].
* [[6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준표]].
** 대한민국의 배우 [[최윤라]].
** 코스타리카의 축구 선수 [[조엘 캠벨]].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제넷 매커디]].
** 일본의 배우 [[호리이 아라타]].
** 프랑스의 농구 선수 [[뤼디 고베르]].
* [[6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안소희]]. ([[원더걸스]])
** 일본의 여배우, 패션 모델 [[혼다 츠바사]].
**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인교돈]].
* [[6월 28일]]
** 스웨덴의 축구 선수 [[오스카르 힐리에마르크]].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정우재 (축구 선수)|정우재]].
* [[6월 29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배소빈]].
** 일본의 가수 [[야카타 미키]] ([[SKE48]]).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나하나]].
=== 7월 ===
* [[7월 1일]] - 대한민국의 작가 겸 아나운서, 앵커 [[한지이]].
* [[7월 2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할래]].
* [[7월 3일]] - 일본의 가수 [[스도우 마아사]] ([[Berryz코보]]).
* [[7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종찬 (배우)|박종찬]].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강혜인]].
* [[7월 5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이영호 (1992년)|이영호]] ([[KT 롤스터]]).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알베르토 모레노]].
** 대한민국의 가수 [[밀리그램 (가수)|밀리그램]].
* [[7월 6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소유미]].
** 대한민국의 가수 [[베이비 소울]] ([[러블리즈]]).
**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석 (1992년생 배우)|김민석]].
** 대한민국의 가수 [[연태]].
* [[7월 7일]]
** 대한민국의 래퍼 [[크로스진#구성원|상민]] ([[크로스진]]).
** 독일의 모델,배우 [[토니 가른]].
**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양태빈]].
* [[7월 8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박경]] ([[블락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손흥민]].
** 코스타리카의 축구 선수 [[프란시스코 칼보]].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스코어 (프로게이머)|스코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문경찬]].
** 미국의 가수 [[스카이 페레이라]].
** 미국의 성우 [[잰더 모버스]].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이엄지]].
* [[7월 9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김소영 (배드민턴 선수)|김소영]].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승현 (1992년)|김승현]].
**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 [[레바 (만화가)|레바]].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안지현 (배우)|안지현]].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노재욱 (배구 선수)|노재욱]].
* [[7월 11일]]
** 이집트의 축구 선수 [[무함마드 엘네니]].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주성욱]].
* [[7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동윤]].
** 대한민국의 배우 [[우도환]].
** 대한민국의 가수 [[전현재]].
** 일본의 배우 [[이시바시 안나]].
** 잉글랜드의 배우 [[제시카 바든]].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이승민 (1992년)|이승민]].
* [[7월 14일]]
** 일본의 축구 선수 [[무토 요시노리]].
** 독일의 축구 선수 [[요나스 호프만]].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윤영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현호 (야구 선수)|이현호]].
* [[7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차인하]]. (~[[2019년]])
** 일본의 가수, 모델 [[쿠스미 코하루]].
** 일본의 축구 선수 [[무토 요시노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유강남]].
** 대한민국의 방송인,가수 [[최정문]].
**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 [[포터 로빈슨]].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설하윤]].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하탄 바헤브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송윤준]].
** 일본의 야구 선수 [[야마다 데쓰토]].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태영 (1992년)|김태영]].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백다혜.
** 일본의 가수 [[우메모토 마도카]].
** 일본의 성우 [[하시모토 치나미]].
* [[7월 18일]]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신새롬]].
** 대한민국의 가수 [[Dbo (래퍼)|Dbo]].
** 이란의 축구 선수 [[메흐디 타레미]].
* [[7월 19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김진아 (치어리더)|김진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한석종]].
* [[7월 20일]]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노진규]]. (~[[2016년]])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보물섬 (유튜버)|이현석]].
**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사몰SAMOL (유튜버)|사몰SAMOL]].
* [[7월 21일]] - 대한민국의 치어리더 [[차영현]].
* [[7월 22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셀레나 고메즈]].
** 대한민국의 가수 [[김중연]] ([[에이식스피]]).
** 일본의 가수 [[니토 모에노]].
** 대한민국의 성우 [[이주승 (성우)|이주승]].
* [[7월 23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대니 잉스]].
** 대한민국의 트로트가수 [[한상아]].
** 대한민국의 가수 [[웬]].
* [[7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윤은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민수 (1992년)|김민수]].
* [[7월 25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주형 (축구 선수)|이주형]].
** 일본의 가수 [[나카마타 시오리]].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보람 (1992년)|이보람]].
* [[7월 27일]]
** 일본의 축구 선수 [[호시 유지]].
** 일본의 축구 선수 [[시바타 하나에]].
** 캐나다의 래퍼, 가수, 음반 제작자 [[토리 레인즈]].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전 가수, 디자이너 [[조가은 (1992년)|조가은]].
* [[7월 29일]]
** 프랑스의 축구 선수 [[지브릴 시디베|지브릴 시디베.]]
** 대한민국의 방송인 [[홍영기 (방송인)|홍영기]].
* [[7월 30일]]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조구함]].
** 독일의 축구 선수 [[케빈 폴란트]].
* [[7월 31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박수아]] ([[애프터스쿨]]).
** 쿠바의 야구 선수 [[호세 페르난데스 (1992년)|호세 페르난데스]].
=== 8월 ===
* [[8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작곡가 [[Clovd]].
* [[8월 2일]]
** 영국의 가수 [[찰리 XCX]].
** 미국의 모델 [[칼리 클로스]].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프로게이머 [[김원형 (프로게이머)|김원형]].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성갑]].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동민]].
* [[8월 3일]]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압둘라 오타이프]].
** 대한민국의 배우 [[백서이]].
* [[8월 4일]]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고병재]].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우찬]].
** 대한민국의 요리 유튜버 [[수빙수tv]].
* [[8월 5일]]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태오 (뮤지컬배우)|태오]] ([[THE T-BIRDS|티버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종성 (축구 선수)|이종성]].
* [[8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별사랑]].
** 대한민국의 배우 [[한건유]].
** 일본의 성우 [[오오니시 사오리]].
** 일본의 유도 선수 [[쓰노다 나쓰미]].
* [[8월 7일]]
** 대한민국의 배우 [[장기용 (1992년)|장기용]].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재유]].
** 대한민국의 래퍼 [[모재]].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표승주]].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한지원 (1992년)|한지원]].
* [[8월 8일]]
** 일본의 성우 [[아이다 리카코]].
** 스위스의 축구 선수 [[요시프 드르미치]].
* [[8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류호정]].
* [[8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고아성]].
** 일본의 배우 [[오자와 아리]].
** 대한민국의 배우 [[방은정]].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유제호]].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재성 (1992년)|이재성]].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주현상]].
** 일본의 배우 [[카도와키 무기]].
* [[8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곽지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경학]].
** 대한민국의 가수 [[정아로]].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종민 (1992년)|김종민]].
* [[8월 12일]]
** 영국의 모델, 배우 [[카라 델레바인]].
** 대한민국의 가수 [[권광진]] ([[엔플라잉]]).
* [[8월 13일]]
**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호종 (프로게이머)|이호종]] ([[CJ 엔투스]]).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남소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고선영]].
** 브라질의 축구 선수 [[루카스 모우라]].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플레임 (프로게이머)|플레임]].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이고르 클레베르 가르시아 시우바]].
* [[8월 14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정윤종]] ([[SK텔레콤 T1]]).
* [[8월 15일]] - 대한민국의 일러스트레이터 [[퍼엉]].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영 (가수)|이영]] ([[애프터스쿨]]).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민혁 (1992년 8월)|김민혁]].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스테파니 판 데르 흐라흐트]].
* [[8월 17일]] - 영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배우 [[페이지 (레슬러)|페이지]].
* [[8월 18일]]
** 일본의 배우 [[나루미 리코]].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준호 (프로게이머)|김준호]] ([[CJ 엔투스]]).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경민 (1992년)|김경민]].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달시아]].
* [[8월 20일]]
** 미국의 가수, 배우 [[데미 로바토]].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윙드]].
** 일본의 가수 [[시라이시 마이]].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윤형국]].
* [[8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송승현]] ([[F.T 아일랜드]]).
* [[8월 22일]] - 대한민국의 가수 [[김종길 (가수)|김종길]] ([[W24]]).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유튜브 여행크리에이터 ([[해피새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양현 (야구 선수)|양현]].
** 대한민국의 가수 [[채보훈]].
* [[8월 24일]]
** 일본의 배우 [[아사카 코다이]].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제메르송]].
* [[8월 25일]]
** 일본의 가수 [[나츠야키 미야비]] ([[Berryz코보]]).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보르하 바스톤]].
** 스위스의 축구 선수 [[리카르도 로드리게스 (축구 선수)|리카르도 로드리게스]].
** 독일의 루지 선수 [[아일린 프리슈]].
* [[8월 26일]]
** 일본의 가수, 배우 [[시게오카 다이키]].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황승빈]].
* [[8월 27일]]
** 독일의 가수 [[킴 페트라스]].
** 일본의 가수 [[마츠무라 사유리]].
** 일본의 가수 [[고리키 아야메]].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의조]].
** 인도의 육상 선수 [[안누 라니]].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배우 [[우도임]].
* [[8월 30일]]
** 미국의 가수, 배우 [[데미 로바토]].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배다솜]].
* [[8월 31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일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니콜라스 탈리아피코]].
=== 9월 ===
* [[9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우혜림]] ([[원더걸스]]).
** 대한민국의 가수 [[윤지환]].
* [[9월 2일]]
**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진민섭]].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엘라 툰]].
* [[9월 3일]] - 일본의 배우 [[소메타니 쇼타]].
* [[9월 4일]]
** 대한민국의 배우 [[박은빈]].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예지 (사격 선수)|김예지]].
** 프랑스의 축구 선수 [[레뱅 퀴르자와]].
* [[9월 5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차선우]] ([[B1A4]]).
** 대한민국의 래퍼 [[EK (래퍼)|EK]].
** 대한민국의 모델 [[최소라]].
** 대한민국의 배우 [[남태우 (1992년)|남태우]].
* [[9월 6일]]
** 대한민국의 배우 [[금새록]].
** 대한민국의 배우 [[강다현]].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소크라테스 브리토]].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민 (1992년)|김동민]].
**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이재우 (배드민턴 선수)|이재우]].
* [[9월 7일]]
** 일본의 배우 [[모리타 스즈카]].
**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 [[마르틴 힌테레거]].
* [[9월 8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정우용]].
** 중국의 가수 [[황팅팅]].
** 대한민국의 피트니스 모델, 배우 [[서리나]].
* [[9월 9일]] - 카자흐스탄의 유도 선수 [[옐도스 스메토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은호 (가수)|은호]] ([[UNVS]]).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선수 [[무하메드 베시치]].
** 대한민국의 전직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형독]].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성우 [[송하림]].
* [[9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니쥬.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버니 이비니 이세이]].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래퍼 [[지코]] ([[블락비]]).
* [[9월 15일]]
** 아르헨티나의 가수 [[EaJ]] ([[DAY6]]).
**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모하메드 알브레이크]]
* [[9월 16일]]
** 미국의 가수, 배우 [[닉 조너스]] ([[조너스 브라더스]]).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성한 (1992년 9월)|김성한]].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엑스페션]].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문선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인규 (1992년)|이인규]].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신창무]].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하경 (배우)|김하경]].
** 미국의 래퍼 [[엠버 (가수)|엠버]] ([[f(x)]]).
** 대한민국의 가수 [[김용빈 (가수)|김용빈]].
* [[9월 19일]] - 멕시코의 축구 선수 [[디에고 안토니오 레예스]].
* [[9월 20일]]
** 대한민국의 전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이중대]].
** 대한민국의 전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이중선]].
* [[9월 2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첸]] ([[EXO]], [[EXO-M]]).
** 이란의 축구 선수 [[알리레자 베이란반드]].
** 일본의 성우 [[우치다 유마]].
* [[9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직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이은택]].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다혜]].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어윤수]] ([[SK텔레콤 T1]]).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현진 (야구 선수)|최현진]].
** 미국의 테니스 선수 [[잭 속]].
* [[9월 25일]]
** 스페인의 가수 [[로살리아 (가수)|로살리아]].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장미]]
**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노준규]] ([[웅진 스타즈]]).
** 대한민국 가수, 래퍼 [[주노플로]].
* [[9월 26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아라]] ([[헬로비너스]]).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혜 (1992년)|김지혜]].
** 대한민국의 성악가 [[이한범 (성악가)|이한범]].
** 대한민국의 장교 [[한윤정 (군인)|한윤정]].
** 대한민국의 배우 [[박서연 (1992년)|박서연]].
* [[9월 27일]]
** 스위스의 축구 선수 [[그라니트 자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박광룡]].
** 대한민국의 배우 [[이풍운]].
** 아일랜드의 가수 [[라이언 오쇼네시]].
* [[9월 28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루이스 알베르토 로메로]].
* [[9월 29일]]
** 독일의 축구 선수 [[레오니 마이어]].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홍건희]].
* [[9월 30일]]
** 미국의 배우 [[에즈라 밀러]].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이지현 (1992년)|이지현]].
=== 10월 ===
* [[10월 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수현 (1992년)|수현]] ([[스누퍼]]).
** 대한민국의 전 쇼핑호스트, 기상캐스터 [[정민경 (1992년)|정민경]].
* [[10월 2일]]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샤니서 판 더 산던]].
** 대한민국의 스타그래프트, 프로게이머 [[김상준 (프로게이머)|김상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서진용]].
** 브라질의 축구 선수 [[알리송 베케르]].
* [[10월 3일]] - 프랑스, 알제리의 배우 [[리나 쿠드리]].
* [[10월 4일]] - 대한민국의 거문도연주가 [[박다울]].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지수 (아나운서)|이지수]].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매드라이프]].
* [[10월 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서수현]].
* [[10월 7일]]
** 대한민국의 래퍼 [[페노메코]].
** 미국의 야구 선수 [[무키 베츠]].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김아영.
* [[10월 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박용지]].
** 대한민국에 활동하고 있는 튀르키예의 방송인 [[이렘 츠라이]].
* [[10월 10일]]
** 조지아의 축구 선수 [[자노 아나니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진기]].
** 대한민국의 가수 [[임도혁]].
** 일본의 만화가 [[후지모토 타츠키]].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라이언 프레더릭스]].
* [[10월 11일]] - 미국의 래퍼 [[카디 비]].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배우 [[류경수 (배우)|류경수]].
** 미국의 배우 [[조시 허처슨]].
** 대한민국의 가수 [[썸머케익]].
* [[10월 13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대중 (축구 선수)|김대중]].
** 대한민국의 배우 [[문수빈]].
** 미국의 성우 [[에런 디스뮤크]].
** 일본의 배우 [[타카야마 유코]].
* [[10월 14일]]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심성영]].
** 나이지리아의 축구 선수 [[아흐메드 무사]].
** 일본의 배우 [[스즈키 노부유키 (배우)|스즈키 노부유키]].
* [[10월 15일]] -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정경두 (프로게이머)|정경두]].
* [[10월 16일]]
** 일본의 배우 [[아다치 리카]].
** 미국의 야구 선수 [[브라이스 하퍼]].
* [[10월 17일]]
** 아일랜드의 배우 [[배리 키오건]].
** 일본의 배우 [[사쿠라바 나나미]].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안주희]].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 [[배혜지]].
* [[10월 19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원 (1992년)|김지원]].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이봄소리]].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이지현 (뮤지컬 배우)|이지현]].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하윤경]].
** 미국의 골프 선수 [[대니엘 강]].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마티아 데 실리오]].
** 대한민국의 래퍼 [[BM (래퍼)|BM]].
* [[10월 21일]] - 중국의 배우 [[덩룬]].
* [[10월 22일]]
**스페인의 축구 선수 [[루벤 파르도]].
**미국의 래퍼 [[21 새비지]].
* [[10월 23일]]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알바로 모라타]].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도현 (1992년생 야구 선수)|김도현]].
* [[10월 24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명찬 (야구 선수)|김명찬]].
* [[10월 25일]] - 프랑스의 유도 선수 [[클라리스 아그베녜누]].
* [[10월 26일]]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박준용]].
* [[10월 2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정호원]] ([[W24]]).
** 대한민국의 가수 [[성유진 (가수)|성유진]] ([[더 씨야]]).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앰비션]].
** 대한민국의 배우 [[최시훈 (1992년생 배우)|최시훈]].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스테판 엘 샤라위]].
** 일본의 배우, 성우, 가수 [[이케다 준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김지수 (배구 선수)|김지수]].
** 일본의 배우 [[카토오노 타이코우]].
** 독일의 배우 [[옐라 하제]].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탁구 선수 [[전지희]].
* [[10월 29일]]
** 대한민국의 가수 [[이바다]].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사공엽]].
** 프랑스의 농구 선수 [[에반 푸르니에]].
** 대한민국의 모델 [[이혜진 (1992년)|이혜진]].
* [[10월 30일]]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마파 (프로게이머)|마파]].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조예찬]].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김다영 (아나운서)|김다영]].
**대한민국의 배우 [[백수희]].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이승협]] ([[엔플라잉]]).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서이라]].
=== 11월 ===
* [[11월 1일]] -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필리프 코스티치]].
* [[11월 2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문지현 (아나운서)|문지현]].
* [[11월 3일]] - 헝가리의 축구 선수 [[빌리 오르반]].
* [[11월 4일]]
** 대한민국의 래퍼 [[캡 (가수)|캡]] ([[틴탑]]).
** 대한민국의 가수 [[고나영]].
* [[11월 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다인 (1992년)|이다인]].
** 일본의 가수 [[와타나베 쇼타]] ([[Snow Man]]).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마르코 베라티]].
* [[11월 6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유라]] ([[걸스데이]]).
** 대한민국의 배우 [[유수빈]].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슬기 (축구 선수)|김슬기]].
* [[11월 7일]] - 대한민국의 가수 손민지.
* [[11월 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다비 (1997년)|다비]].
* [[11월 9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박경근]].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한혜은]].
* [[11월 10일]]
** 대한민국의 가수 [[딘 (가수)|딘]].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윌프리드 자하]].
* [[11월 11일]]
** 대한민국의 가수 [[최민환]] ([[F.T 아일랜드]]).
** 네덜란드의 가수 [[이리스 크루스]].
* [[11월 12일]] - 일본의 전 배우 [[우에하라 아이]].
* [[11월 13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구본화]].
* [[11월 14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태영 (배우)|김태영]].
* [[11월 15일]]
** 일본의 가수, 배우 [[미네기시 미나미]] ([[AKB48]]).
** 덴마크의 축구 선수 [[페르닐레 하르데르 (축구 선수)|페르닐레 하르데르]].
** 미국의 야구 선수 [[트레버 스토리]].
* [[11월 16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한이석]].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 [[11월 18일]]
** 중국의 배우, 가수 [[루팅 (가수)|루팅]].
** 미국의 배우 [[네이선 크레스]].
* [[11월 19일]]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제임스 타코우스키]].
* [[11월 20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임찬규]] ([[LG트윈스]]).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마티아 페린]].
** 일본의 축구 선수 [[히라마쓰 슈]].
* [[11월 21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혜지 (배우)|김혜지]].
** 일본의 가수 [[사시하라 리노]].
* [[11월 22일]]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다무라 유]].
* [[11월 23일]]
** 미국의 가수 [[마일리 사이러스]].
** 대한민국의 가수 [[박성연 (1992년)|박성연]].
** 대한민국의 가수 [[은비 (1992년)|은비]]. ([[레이디스 코드]]). (~[[2014년]])
**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 [[이지훈 (1992년)|이지훈]].
* [[11월 24일]] - 홍콩의 탁구 선수 [[리하오칭]].
* [[11월 25일]]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연예진]].
** 대한민국의 래퍼 [[쿼시]].
* [[11월 26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혜성]].
* [[11월 27일]] - 대한민국의 래퍼, 배우 [[찬열]] ([[EXO]], [[EXO-K]]).
* [[11월 28일]]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주시은]].
** 대한민국의 배우 [[박지수 (1992년)|박지수]].
* [[11월 29일]] - 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김철민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김철민]].
* [[11월 30일]]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출신 배우 [[이정빈 (미스코리아)|이정빈]].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선수 [[안성일 (1992년)|안성일]].
=== 12월 ===
* [[12월 1일]] - 네델란드의 축구 선수 [[마르코 판 힝컬]].
* [[12월 2일]] - 일본의 가수 [[타나베 미쿠]].
* [[12월 3일]]
**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이민규 (배구 선수)|이민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최현정 (야구 선수)|최현정]].
** 이스라엘의 축구 선수 [[엘리 다사]].
* [[12월 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진 (가수)|진]] ([[방탄소년단]]).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박승욱 (야구 선수)|박승욱]].
* [[12월 5일]] - 대한민국의 가수 하엘.
* [[12월 6일]]
** 대한민국의 기계 체조 선수 [[양학선]].
** 대한민국의 배우 [[이시후]].
* [[12월 7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우상호 (축구 선수)|우상호]].
**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신슬기.
* [[12월 8일]]
** 일본의 가수 [[요코야마 유이 (가수)|요코야마 유이]].
** 대한민국의 희극인 [[유재필]].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한두열]].
* [[12월 9일]] - 대한민국의 가수 미래.
* [[12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예은 (1992년)|김예은]].
* [[12월 11일]] - 일본의 축구 선수 [[쇼지 겐]].
* [[12월 12일]] - 대한민국의 가수 [[안다은]].
* [[12월 14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윤조 (가수)|윤조]] ([[헬로비너스]], [[유니티 (음악 그룹)|유니티]]).
** 일본의 축구 선수 [[미야이치 료]].
**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그래프트 [[양희수]].
** 일본의 배우 [[코지마 미나미]].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예나 (배우)|이예나]].
** 러시아의 저널리스트 [[다리야 두기나]]. (~[[2022년]])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제시 린가드]].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현석 (1992년)|이현석]].
** 대한민국의 가수 [[루시 (1992년)|루시]].
* [[12월 16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톰 로기치]].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리커 마르턴스]].
** 일본의 배우 [[시마다 하루카]].
** 대한민국의 래퍼 [[키도 (가수)|키도]].
* [[12월 17일]]
** 대한민국의 가수 [[금조 (가수)|금조]] ([[나인뮤지스]]).
**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팝페라 가수 [[송은혜 (뮤지컬 배우)|송은혜]].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강동연]].
** 대한민국의 전직 하스스톤 프로게이머 [[공혁준]].
** 미국의 육상 선수 [[라이언 크라우저]].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이다혜 (축구 선수)|이다혜]].
** 스페인의 축구 선수 [[이케르 무니아인]].
* [[12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세영 (배우)|이세영]].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스타그래프트 [[박대호]].
* [[12월 21일]]
** 대한민국의 래퍼 [[서출구]].
** 대한민국의 유튜버 [[진렬이]].
* [[12월 22일]]
** 대한민국의 래퍼 [[문별]] ([[마마무]]).
** 대한민국의 배우 [[조혜정 (배우)|조혜정]].
** 대한민국의 희극인 [[김민희 (희극인)|김민희]].
* [[12월 2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양세종]].
** 대한민국의 배우 [[김희찬]].
** 독일의 축구 선수 [[제프리 슐루프]].
** 미국의 가수 [[YNL]].
* [[12월 24일]]
** 일본의 성우 [[노구치 유리]].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 [[세르주 오리에]].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김성현 (프로게이머)|김성현]]([[STX SouL]]).
* [[12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성수 (축구 선수)|김성수]].
** 영국의 가수 [[제이드 설웰]].
* [[12월 27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조던 몽고메리]].
** 벨라루스의 레슬링 선수 [[바네사 칼라진스카야]].
* [[12월 28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동진 (1992년)|김동진]].
** 네델란드의 전 쇼트트랙 선수 [[라라 판 라위번]].
** 대한민국의 유튜버 [[랄랄]].
** 대한민국의 가수, 비디오 자키 [[신아 (1992년)|신아]].
** 대한민국의 래퍼 [[신스 (래퍼)|신스]].
* [[12월 29일]]
** 일본의 배우 [[스즈키 가쓰히로 (배우)|스즈키 가쓰히로]].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창재 (야구인)|이창재]].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미슬라브 오르시치]].
* [[12월 30일]]
** 대한민국의 가수 [[유나 (1992년)|유나]]([[AOA (음악 그룹)|AOA]])
** 네덜란드의 축구 선수 [[데시레이 판 륀테런]].
* [[12월 31일]] -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 김지혜.
=== 미상 ===
* 대한민국의 작가 [[이민경 (작가)|이민경]].
* 대한민국의 가수 [[이병현]].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임수현.
== 사망 ==
[[파일:Willie Dixon.jpg|섬네일|120px|윌리 딕슨]]
[[파일:Menachem Begin 2.jpg|섬네일|120px|메나헴 베긴]]
[[파일:Benny Hill.JPG|섬네일|120px|베니 힐]]
[[파일:Bundesarchiv B 145 Bild-F057884-0009, Willy Brandt.jpg|섬네일|120px|빌리 브란트]]
{{분류 참고|1992년 사망}}
=== 1월 ===
* [[1월 5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규연 (성우)|이규연]]. ([[1944년]]~)
* [[1월 8일]] - 스코틀랜드의 영화배우 [[앤서니 도슨]]. ([[1916년]]~)
* [[1월 27일]] - 대한민국의 종교인 이상훈. ([[1924년]] ~)
* [[1월 29일]] - 미국의 음악가 [[윌리 딕슨]]. ([[1915년]]~)
=== 2월 ===
* [[2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안종열]]. ([[1931년]]~)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민병권]]. ([[1918년]]~)
=== 3월 ===
* [[3월 9일]] - 이스라엘의 총리 [[메나헴 베긴]]. ([[1913년]]~)
* [[3월 19일]] -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이승만]]의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1900년]]~)
* [[3월 23일]] -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899년]]~)
=== 4월 ===
* [[4월 3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소설가 [[이병주 (소설가)|이병주]]. ([[1921년]]~)
* [[4월 6일]] - 미국의 기업인 [[샘 월턴]]. ([[1918년]]~)
* [[4월 8일]] - 이탈리아의 생물학자 [[다니엘 보베]]. ([[1907년]]~)
* [[4월 19일]] - 영국의 배우 [[베니 힐]]. ([[1924년]]~)
* [[4월 21일]] - 핀란드의 소설가 [[배이뇌 린나]]. ([[1920년]]~)
* [[4월 23일]] - 인도의 영화 감독 [[사티야지트 레이]]. ([[1921년]]~)
* [[4월 25일]] - 일본의 가수 [[오자키 유타카]]. ([[1965년]]~)
* [[4월 27일]] - 프랑스의 작곡가 [[올리비에 메시앙]]. ([[1908년]]~)
=== 5월 ===
* [[5월 13일]] - 대한민국의 반도체 물리학자 [[강대원]]. ([[1931년]]~)
* [[5월 19일]] - 대한민국의 한의사 [[김일훈 (한의사)|김일훈]]. ([[1909년]]~)
* [[5월 21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나카타니 노부오]]. ([[1920년]]~)
=== 6월 ===
* [[6월 11일]] - 콜롬비아의 가수 [[라파엘 오로스코 마에스트레]]. ([[1954년]]~)
* [[6월 3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배기면]]. ([[1949년]]~)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오수미]]. ([[1950년]]~)
=== 7월 ===
* [[7월 16일]] - 대한민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김정연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김정연]]. ([[1910년]]~)
=== 8월 ===
* [[8월 3일]]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왕훙원]]. ([[1935년]]~)
* [[8월 4일]] - 일본의 작가, 언론인 [[마쓰모토 세이초]]. ([[1909년]]~)
* [[8월 5일]] - 뉴질랜드의 정치인, 총리 [[로버트 멀둔]]. ([[1921년]]~)
* [[8월 12일]] - 미국의 작곡가 [[존 케이지]]. ([[1912년]]~)
=== 9월 ===
* [[9월 2일]] - 미국의 세포 유전학자 [[바버라 매클린톡]]. ([[1902년]]~)
* [[9월 1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범식 (정치인)|신범식]]. ([[1923년]]~)
* [[9월 23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백난아]]. ([[1925년]]~)
=== 10월 ===
* [[10월 8일]] - 독일의 정치인, 총리 [[빌리 브란트]]. ([[1913년]]~)
=== 11월 ===
* [[11월 7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수영 선수 [[로버트 네이]]. ([[1956년]]~)
* [[11월 25일]] - 가나의 제2대 대통령 [[조지프 아서 안크라]]. ([[1915년]]~)
=== 12월 ===
* [[12월 25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방례원]]. ([[1918년]]~)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신봉조]]. ([[1900년]]~)
== 노벨상 ==
* '''경제학상''':개리 베커
* '''문학상''': [[데릭 월컷]]
* '''물리학상''': [[조르주 샤르파크]]
* '''생리학 및 의학상''': 에드먼드 H. 피셔,에드윈 G. 크렙스
* '''평화상''': [[리고베르타 멘추]]
* '''화학상''': 루도프 A. 마커스
== 달력 ==
{{연간달력|1992}}
===음양력 대조 일람===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임인]] || 소 || [[2월 4일]] || [[경술]]
|-
| [[음력 2월|2월]] || [[계묘]] || 대 || [[3월 4일]] || [[기묘]]
|-
| [[음력 3월|3월]] || [[갑진]] || 대 || [[4월 3일]] || [[기유]]
|-
| [[음력 4월|4월]] || [[을사]] || 소 || [[5월 3일]] || [[기묘]]
|-
| [[음력 5월|5월]] || [[병오]] || 소 || [[6월 1일]] || [[무신 (간지)|무신]]
|-
| [[음력 6월|6월]] || [[정미]] || 대 || [[6월 30일]] || [[정축]]
|-
| [[음력 7월|7월]] || [[무신 (간지)|무신]] || 소 || [[7월 30일]] || [[정미]]
|-
| [[음력 8월|8월]] || [[기유]] || 소 || [[8월 28일]] || [[병자]]
|-
| [[음력 9월|9월]] || [[경술]] || 대 || [[9월 26일]] || [[을사]]
|-
| [[음력 10월|10월]] || [[신해]] || 소 || [[10월 26일]] || [[을해]]
|-
| [[음력 11월|11월]] || [[임자]] || 대 || [[11월 24일]] || [[갑진]]
|-
| [[음력 12월|12월]] || [[계축]] || 대 || [[12월 24일]] || [[갑술]]
|}
{{전거 통제}}
[[분류:1992년|*]]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연도표기원후|1862}}
{{기년법|1862}}
'''186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 연호 ==
* [[태평천국]](太平天國) 12년
* [[청나라|청]](淸) [[동치 (연호)|동치]](同治) 원년
* [[일본]](日本) [[분큐]]({{lang|ja|文久}}) 2년
* [[응우옌 왕조]](阮朝) [[뜨득 (연호)|뜨득]](嗣德) 15년
== 기년 ==
* [[태평천국]](太平天國) [[홍수전|천왕 홍수전]](天王 洪秀全) 12년
* [[류큐왕국|류큐]](琉球) [[쇼타이왕]]({{lang|ja|尚泰王}}) 15년
* [[청나라|청]](淸) [[동치제|목종 동치제]](穆宗 同治帝) 원년
* [[조선]](朝鮮) [[조선 철종|철종]](哲宗) 13년
* [[응우옌 왕조]](阮朝) [[뜨득 황제|사덕제]](嗣德帝) 15년
== 사건 ==
*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사덕제]]가 프랑스에 항복하였다. 이에 따라 사이공 조약이 체결되었고, 베트남과 프랑스 간의 전쟁이 종결되었다.
* [[3월 14일]](음력 2월 14일) - [[류계춘]] 등의 주도로 진주에서 민란([[진주민란]])이 일어났다.
* [[3월 8일]] - [[미국 남북전쟁]]: [[남부연맹]]의 철갑선 [[메리맥 호]]가 햄프턴 정박지의 북군 해군함대 기습. 북군 해군 프리깃 3척 침몰, 250명 사살.
* [[3월 9일]] - [[미국 남북전쟁]]: 북군 해군도 철갑선 [[모니터 호]]를 동원하여 메리멕 호와 격전. 그러나 승부는 나지 않았음. 이 전투 후 세계는 목조 군함 대신 철갑선 건조에 나서게 됨
* [[3월 11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남군의 스톤월 잭슨, 북군의 압력으로 세넌도오 계곡의 전초기지인 윈체스터에서 철수하여 45마일 남쪽의 마운트 잭슨으로 이동. 당시 병력은 보병 3,600명, 포병 600명
* [[3월 12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 뱅크스 휘하의 쉴즈 사단이 윈체스터 점령. 뱅크스는 잭슨 장군과 남군이 완전히 철수하였다고 오판.
* [[3월 23일]](음력 2월 23일)
** [[진주민란]]의 주동자 [[류계춘]] 등이 효수되었다.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스톤월 잭슨]]이 지휘하는 남군이 다시 북상하여 [[윈체스트]] 남쪽의 컨스타운을 공격. 그러나 압도적 병력 차이로 공격 실패. 그러나 북군은 잭슨의 공격에 놀라 맥클랜란에 보내려던 증원군 일부를 쉐넌도어 계곡으로 보내고, 맥도웰 장군의 군단은 워싱턴에 잔류시키는 결과를 초래. 잭슨은 전투에서 패하고 전략적 승리를 쟁취.
* [[4월 1일]] - [[미국 남북전쟁]]: 북군 [[포토맥군]] 사령관 매클랙란이 [[알렉산드리아]]를 출발. 목표는 리치먼드. 소위 "[[반도 전역]](Peninsula Campaign)". 매클렌란의 작전 지역이 [[요크 강]]과 [[제임스 강]] 사이의 반도였기 때문. [[포트 먼로]]에 상륙 후 요크타운을 향해 진격, 이들 북군을 상대한 남군은 총사령관 [[조지프 존스턴]]이 지휘하였으며, 북군과 가장 먼저 대치한 것은 매그루더 사단이었다.
* [[4월 17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뱅크스, 계곡 남쪽으로 잭슨을 추적하기 시작하여 해리슨버그까지 진출.
* [[5월 3일]] - [[미국 남북전쟁]]: [한달에 걸친 맥클렉란의 공격준비를 알고 있는 존스턴은 기만 포격 후 전군 철수
* [[5월 5일]] - [[미국 남북전쟁]]: 요크타운 북방 8마일 지점, 윌리암스버그에서 남북군 전투. 북군 패배
* [[5월 8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리치먼드로 이동하는 것처럼 기만한 잭슨이 맥도웰군단을 격파
* [[5월 20일]] -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이 [[홈스테드 법]]에 서명 법이 발표되다.
* [[5월 24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잭슨, 뱅크스의 후위 부대 기습. 뱅크스는 잭슨의 의도를 직감적으로 파악하고 덫을 빠져나와 후퇴하던 중. 잭슨은 이 전투로 프랭크 로얄 점령.
* [[5월 27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휘하의 포터 장군이 지휘하는 1사단을 하노버 코트 하우스 공격. 이 전투에서 북군이 승리.
* [[5월 30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잭슨군, 하퍼스페리 근처까지 진격. 그러나 이 순간 잭슨은 후퇴를 시작. 목표는 포트 리퍼블릭(Port Republic)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남군의 존스턴 사령관, 세븐 파이즌의 북군 4군단 공격 개시. 북군 4군단은 섬너가 지휘 중. 혼전 중 남군 사령관 존스턴이 중상을 입음
* [[6월 1일]] - [[미국 남북전쟁]]: 남부연맹의 [[제프 데이비스]] 대통령, 중상을 입은 존스턴의 후임으로 [[로버트 리]] 장군을 남군 최고 사령관에 임명.
* [[6월 8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의 프레몬트군이 크로스키스(Corss Keys)의 남군 이월 사단 공격
* [[6월 9일]] - [[미국 남북전쟁]]: [쉐넌도어계곡 전역] 북군 쉴즈 사단, 포트 리퍼블릭의 잭슨군 공격 개시. 북군 패배로 후퇴. 잭슨은 전투 후 리치먼드로 급행. 리치먼드 상황 악화.
* [[6월 12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남군 기병여단장 젭 스튜어트가 이끄는 남군 기병대가 북군의 후방으로 침투. (~6월 14일)
* [[6월 25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북군3군단(군단장 하인첼만) 소속 후커 사단이 남북군 중간지대의 남군을 공격하여 숲 지역 점령
* [[6월 26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남군, 북군에 대해 반격 개시. 남군은 치카호미니 강을 도하, 미케닉스빌로 진격. 제일 먼저 전투를 개시한 부대는 남군의 [[앰브로스 파월 힐]]
* [[6월 27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게인스 밀 전투|게인즈 밀]]에서 남북군 전투. 북군 패배. 북군 철수 시작.
* [[6월 29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남군의 매그루더 장군, 새비지에서 북군의 섬너와 교전. 남군 패배.
* [[6월 30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북군의 맥클렉란, [[화이트오크스스웜프 강]] 남쪽에 도착. 글렌데일에서 남북군 교전. 북군의 최종 집결지는 제임스강
* [[7월 1일]] - [[미국 남북전쟁]]: [반도전역] 제임스강의 [[멜번 힐 전투|멜번 힐]]에서 최후 교전. 남군은 격퇴당했고, 북군은 다음 날 제임스 강변의 버클리로 철수.
* 8월 - 2차 불런전투.
* [[9월 22일]] -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 '[[노예해방 예비선언]]’ 발표.
* [[10월 5일]]
** [[미국 남북전쟁]]: [[에이브러햄 링컨]], [[연방군|북군]] 사령관 [[조지 B. 맥클렐란]]을 두 번째로 해임하다.
** 인디언 전쟁: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300명 이상의 [[수우 족]]이 백인 정착자들을 상대로 [[강간]]과 [[살인]]을 저지른 것으로 결론지어져 교수형을 선고받았다.
* [[11월 9일]] - [[미국 남북전쟁]]: [[미국|북군]]의 [[앰브로스 번사이드]](Ambrose Burnside)가 해임된 [[조지 맥클랠란]]을 대신하여 [[포토맥군]] 사령관으로 취임하다.
== 탄생 ==
<!--이 단락을 편집할 때는 다음을 꼭 지켜주세요.
* 모든 인물은 위키백과에 등재된 인물이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어야 합니다.
* 국가 이름에 내부 링크( [[ ]] )를 만들지 마세요. {{국기나라}}틀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 [[8월 6일]] - 미국의 예술가 [[앤디 워홀]].
년월일 문서의 편집지침은 [[백:위키프로젝트 년월일]]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1월 23일]] -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 (~[[1943년]])
* [[4월 14일]] - 러시아의 정치인 [[표트르 스톨리핀]]. (~[[1911년]])
* [[6월 16일]] -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대학교 숭실대학교의 설립자, 초대 학장 [[윌리엄 M. 베어드]]. (~[[1931년]])
* [[7월 14일]] - 오스트리아의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1918년]])
* [[7월 16일]] - 미국의 저널리스트, 여성운동가, 민주지도자 [[아이다 벨 웰스]]. (~[[1931년]])
* [[8월 22일]] - 프랑스의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 (~[[1918년]])
* [[9월 11일]] - 미국의 소설가 [[오 헨리]]. (~[[1910년]])
* [[12월 12일]] - 타이타닉호 생존자, 영국의 사업가 [[J. 브루스 이스메이]]. (~[[1937년]])
=== 미상 ===
*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 (1862년)|안태훈]](~[[1905년]])
* 리비아의 저항운동가 [[오마르 무크타르]]. (~[[1931년]])
== 사망 ==
* [[1월 18일]] - 미국의 10대 대통령 [[존 타일러]]. ([[1790년]]~)
* [[1월 21일]] - 체코의 소설가 [[보제나 넴초바]]. ([[1820년]]~)
* [[7월 24일]] - 미국의 8대 대통령 [[마틴 밴 뷰런]]. ([[1782년]]~)
== 달력 ==
{{연간달력|1862}}
=== 음양력 대조 일람 ===
{| class="wikitable"
|-
! 음력월 !! 월건 !! 대소 !! 음력 1일의<br />양력 월일 !! 음력 1일<br/>간지
|-
| [[음력 1월|1월]] || [[임인]] || 대 || [[1월 30일]] || [[갑신]]
|-
| [[음력 2월|2월]] || [[계묘]] || 소 || [[3월 1일]] || [[갑인]]
|-
| [[음력 3월|3월]] || [[갑진]] || 대 || [[3월 30일]] || [[계미]]
|-
| [[음력 4월|4월]] || [[을사]] || 소 || [[4월 29일]] || [[계축]]
|-
| [[음력 5월|5월]] || [[병오]] || 대 || [[5월 28일]] || [[임오]]
|-
| [[음력 6월|6월]] || [[정미]] || 대 || [[6월 27일]] || [[임자]]
|-
| [[음력 7월|7월]] || [[무신 (간지)|무신]] || 소 || [[7월 27일]] || [[임오]]
|-
| [[음력 8월|8월]] || [[기유]] || 대 || [[8월 25일]] || [[신해]]
|- style="background:#ddddff;"
| [[윤달|윤]]8월 || || 소 || [[9월 24일]] || [[신사 (간지)|신사]]
|-
| [[음력 9월|9월]] || [[경술]] || 대 || [[10월 23일]] || [[경술]]
|-
| [[음력 10월|10월]] || [[신해]] || 소 || [[11월 22일]] || [[경진]]
|-
| [[음력 11월|11월]] || [[임자]] || 소 || [[12월 21일]] || [[기유]]
|-
| [[음력 12월|12월]] || [[계축]] || 대 || [[1863년]] [[1월 19일]] || [[무인 (간지)|무인]]
|}
[[분류:1862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이름 = 루이 파스퇴르
|그림 = Louis Pasteur.jpg
|그림 크기 =
|그림 설명 =
|태어난 날 = 1822년 12월 27일
|태어난 곳 = [[부르고뉴프랑슈콩테]] [[쥐라주 (프랑스)|쥐라주]] [[돌 (프랑스)|돌]]
|죽은 날 = 1895년 9월 28일
|죽은 곳 = |거주지 =
|국적 = 프랑스
|분야 = [[화학]], [[미생물학]], [[생화학]], [[세균학]]
|소속 =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릴 노르 대학교]],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출신 대학 =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지도교수 =
|지도학생 = [[샤를 프리델]]
|주요 업적 = [[백신]] 발명, [[저온 살균법]]
|수상 =
|종교 = [[천주교]]
|참고사항
|서명 = Louis Pasteur Signature.svg
}}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1822년]] [[12월 27일]]~[[1895년]] [[9월 28일]])는 [[프랑스]]의 [[생화학|생화학자]]이며 [[로베르트 코흐]]와 함께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질병과 [[미생물]]의 연관관계를 밝혀내었고, [[분자]]의 [[광학 이성질체]]를 발견했으며, [[저온 살균법]], [[광견병]], 닭 콜레라의 [[백신]]을 발명했다.
== 생애 ==
=== 학문 ===
파스퇴르는 1822년 12월 27일, 가죽 가공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ref>이종호, 《천재를 이긴 천재들》 글항아리, 2007, p.328, {{ISBN|978-89-546-0435-2}}</ref> 어린 시절에는 미술에 소질을 보였지만 1843년에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해 1846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화학]]을 전공했지만 처음은 재능을 보이지 못하고 지도한 교수의 한 명은 그를 "평범하다"라고 평가했다.
=== 주석산의 성격 해명 ===
초기 화학자 시절의 업적으로는 [[주석산]]의 성질을 해명(1849년)한 것이 있다. 천연물, 특히 [[포도주]]의 침전물로부터 취할 수 있는 이 화합물의 용액은 통과하는 빛의 [[편광]]면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인공적으로 합성된 주석산은 화학반응이나 [[분자식]]은 같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
파스퇴르는 주석산의 미세한 결정을 조사하고서 결정에는 비대칭인 2 종류가 있어, 각각이 서로의 거울상이란 사실을 알아냈다. 끈질기게 분류 작업을 한 결과 2 종류의 주석산을 얻을 수 있었다. 한 종류의 용액은 편광면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데 반해, 한편은 반시계회전으로 회전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2 종류를 반반씩 혼합한 것은 편광에 대해서 어떤 효과도 미치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파스퇴르는 주석산의 분자는 비대칭인 형태를 하고 있고 왼손용 장갑과 오른손용 장갑과 같이 서로 거울상 관계에 있는 2종류의 형태가 있는 것이라고 올바르게 추론했다. 처음으로 [[키랄]] 분자를 실증한 것도 큰 실적이었지만, 이후 파스퇴르는 한층 더 유명한 실적을 완수하는 생물학·의학의 분야로 나아가고 있었다.
===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교수 ===
파스퇴르는 [[결정학]]에 관한 박사 논문에 힘입어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화학의 교수의 지위를 얻었다. 1854년엔 [[릴]]의 새로운 이과 대학의 학장으로 지명되고 1857년에는 고등사범학교의 사무국장 겸 이학부장이 되었다.
=== 자연발생설 비판 ===
1861년의 저작 《[[자연발생설 비판]]》에서 [[발효]]가 미생물의 증식 때문이란 사실을 보였고, 동시에 영양분을 포함한 고깃국물에서 [[미생물]]이 증식하는 것은 [[자연발생]]에 의한 것이라는 종래의 설을 뒤집어 보였다. 먼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를 통해 바깥 공기를 접촉할 수 있는 용기에 새로 끓인 고깃국물을 놔 두거나, 필터는 없지만 'S'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플라스크를 사용해 티끌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공기를 접촉하게 하면, 고깃국물에서는 아무것도 자라지 못했다. 따라서, 고깃국물에 발생하는 미생물은 외부로부터 들어온 티끌에 붙은 포자 등 미생물에 의한 것이며, 고깃국물중에서 자연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하여 파스퇴르는 [[자연발생설]]을 비판했다.
루이 파스퇴르가 세균설을 처음 주장한 것은 아니다. 세균설은 벌써 지롤라모 프라카스토로, 프리드리히 헨레 등에 의해서 주장되고 있었다. 파스퇴르가 한 것은 세균설(생물 속생설)의 올바름을 실험으로 명백하게 보여줘서, 유럽 사람에게 납득시킨 것이다.
=== 살균법 ===
파스퇴르의 연구는 발효 음료를 오염하는 미생물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로부터 파스퇴르는 [[우유]] 등의 액체를 가열해 그중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모두 죽이는 방법을 발명했다. 파스퇴르와 클로드 베르나르는 1862년 4월 20일에 최초의 실험을 실시했다. 이 방법은 곧바로 가열살균법 (파스퇴라이제이션)으로써 알려지게 되었다.
음료 오염으로부터 미생물이 동물이나 인간에게 감염된다는 결론을 내린 파스퇴르는 미생물이 인체에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스코틀랜드의 외과의사 죠제프 리스터가 외과 수술 소독법을 개발하는 데에 이르렀다.
=== 누에병 치료 ===
1865년 파스퇴르는 양잠업의 구제에 착수했다. 그 무렵 미립자병으로 불리는 병에 의해 많은 [[누에]]가 죽고 있었다. 이 도중인 1867년에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왼쪽 반신불수가 되었지만 수년에 걸치는 조사의 결과 병의 원인은 누에의 알에 세균의 감염인 것을 증명해 치잠사육소로부터 이 세균을 구제하는 것으로 미립자병을 막을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 혐기성균 발견 ===
파스퇴르는 [[혐기성균]], 즉 공기 없이 증식 하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1895년 미생물학으로 최고의 영예인 레이웬훅크메달(Leeuwenhoek medal)을 수상했다.
=== 별세 ===
1895년, 1868년부터 일련의 발작에 의한 합병증이 원인이 되어, 파리 근교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는 프랑스 정부의 주도로 국장으로 치러졌다.<ref name="장석봉">{{웹 인용|url=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5&contents_id=390|제목=루이 파스퇴르|저자=장석봉|날짜=2009-05-05|확인날짜=2014-07-07}}</ref> [[노트르담 대성당]]에 매장되었지만, 곧 유해는 [[파스퇴르 연구소]]의 지하 성당으로 이장되었다.
== 입장과 오해 ==
일부 [[유사과학|사이비과학]]을 주장하는 집단 ([[창조과학]] 등) 에서는 파스퇴르가 진화 혹은 화학진화를 반대했다는 주장을 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 파스퇴르가 부정한 것은 [[자연발생설]]이다. 이는 현재와 같은 환경이지만 새로운 생명체의 형성이 계속될 수 있다는 주장으로서, 현재와 같지 않은 환경에서의 원시 생명체 형성을 연구하는 [[화학진화]]와는 전혀 다른 것에 해당한다. 이는 생물이 변이와 선택을 통해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현상([[진화]])과도 큰 관련이 없다. 오히려 자연 발생설의 부정은 생명의 변이와 선택에 의한 다양성을 지지한 것이며, 이것을 통해 파스퇴르는 사실상 진화를 지지했음이 알려진 상황이며, 파스퇴르는 무작위적인 발생을 부정한 적이 단 한번도 없다.<ref>{{웹 인용|url=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186/1759-2208-2-1|TITLE=Toward a general theory of evolution: Extending Darwinian theory to inanimate matter}}</ref><ref>{{웹 인용|url=https://www.differencebetween.com/difference-between-abiogenesis-and-spontaneous-generation/|제목=화학진화와 자연발생설의 차이}}</ref>
== 같이 보기 ==
* [[광견병]]
* [[자연발생설]]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브리태니커|b23p0821a}}
* {{두피디아|101013000865529}}
* {{네이버캐스트|390}}
{{위대한 프랑스인}}
{{전거 통제}}
{{기본정렬:파스퇴르, 루이}}
[[분류:1822년 출생]]
[[분류:1895년 사망]]
[[분류:프랑스의 생화학자]]
[[분류:프랑스의 미생물학자]]
[[분류: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동문]]
[[분류: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분류: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코플리 메달 수상자]]
[[분류: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
[[분류:프랑스의 생물학자]]
[[분류: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분류:프랑스의 인도주의자]]
[[분류:입체화학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퀴리 부인|영화|퀴리 부인 (영화)}}
{{다른 뜻|마리 퀴리 (영화)||영화}}
{{과학자 정보
| 이름 = 마리 퀴리 {{노벨상 딱지}}
| 원어이름 = Marie Curie
| 그림 = Marie Curie c. 1920s.jpg
| 그림 크기 = 250px
| 그림 설명 = 마리 퀴리 (1920년)
| 출생일 = {{출생일|1867|11|7}}
| 출생지 = [[폴란드]] [[바르샤바]] (당시 [[프리비슬린스키 크라이|러시아령]])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34|7|4|1867|11|7}}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 거주지 =
| 국적 = [[폴란드]], [[프랑스]] (결혼 후)
| 분야 = [[물리학]], [[화학]]
| 소속 = [[파리 대학교]]
| 출신 대학 = [[파리 대학교]]
| 지도교수 = 가브리엘 리프만
| 배우자 = [[피에르 퀴리]]
| 사위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자녀 = [[이렌 졸리오퀴리]], [[이브 퀴리]]
| 지도학생 =
| 주요 업적 = [[방사능]]
| 수상 = [[노벨 물리학상]] (1903)<br />[[노벨 화학상]] (1911)
| 종교 = [[로마 가톨릭]] 신자였으나 모친의 사망 후 [[불가지론|불가지론자]] 로 전향.
| 참고 사항 =
| 서명 = Marie Curie Signature.png
}}
'''마리 스크워도프스카 퀴리'''({{llang|fr|Marie Skłodowska-Curie}}, {{문화어|마리 큐리}}, [[1867년]] [[11월 7일]] ~ [[1934년]] [[7월 4일]])는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과학자이다. 본명은 '''마리아 살로메아 스크워도프스카'''({{llang|pl|Maria Salomea Skłodowska}})이다.
[[방사능]] 분야의 선구자로, [[노벨상]] 수상자다.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동시에 받은 유일한 인물이며,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라이너스 폴링]]하고 더불어 노벨상 2관왕에 등극한 인물로 유명하다. 프랑스의 위대한 위인들을 모시는 국립묘지 팡테옹에 안장되었다.
== 생애 ==
[[파일:Sklodowski Family Wladyslaw and his daughters Maria Bronislawa Helena.jpg|섬네일|왼쪽부터 마리아,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브로니스와바, 헬레나]]
=== 성장 과정 ===
==== 어린 시절 ====
마리 퀴리는 [[1867년]] [[11월 7일]], [[바르샤바]]에서 가난한 교육자의 1남 4녀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어머니 브로니스와바는 [[중학교]] 교사,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스크워프도프스키(Władysław Skłodowski)는 바르샤바 교육청 장학사였다. 형제로는 오빠 유제프(Józef, [[1863년]]생)와 조피아(Zofia, [[1862년]]생)<ref>애칭: 조시아</ref>, 브로니스와바(Bronisława, [[1865년]]생)<ref>애칭: 브로니아</ref>, 헬레나(Helena, [[1866년]]생)<ref>애칭: 헬라</ref> 언니 셋이 있었다. 10세 때 [[폐결핵]]을 앓던 어머니와 사별하였고, [[장학사]]로 일하던 아버지가 [[실직]]하기도 했으며, 큰 언니 조피아가 장티푸스로 요절하기도 하여 혼란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 힘들었던 청소년시절 ===
당시 폴란드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폴란드]]의 [[전통]]인 폴란드어, [[역사]]를 공부하는 것조차 억압받았다. 둘째 딸인 이브 퀴리가 쓴 전기가 1990년대 중학교 국어교과서에서 인용되었는데, 전기에 따르면 마리퀴리는 여학교에서 폴란드어와 역사를 공부하다가 [[장학사]]가 오면 실과 수업을 받는 것처럼 숨겨야 했다. 러시아 장학사들은 폴란드 학생들이 [[러시아어]] [[주님의 기도|주기도문]]을 외우도록 함으로써 많은 폴란드 사람들이 가톨릭 신자라는 사실을 [[민족말살정책|민족말살]]에 악용했다. 심지어는 "너희를 다스리는 분은 누구냐?"라고 물어서 식민지배에 순응하도록 했으니 마리 퀴리의 청소년 시절은 억압이었다.
=== 유학 생활 ===
과학소설가인 [[한낙원]]이 1991년에 발표한 계몽사 그림위인전기 16권 《퀴리 부인》(계몽사)에 따르면, 여학교를 졸업한 마리는 남학생만 뽑는 [[바르샤바 대학교]]와는 달리, [[성 차별]]이 없는 [[프랑스]]에서 공부하고 싶어했으나 학비가 없었기 때문에, 3년간 시골의 부유한 농가의 [[가정교사]]로 직접 고용되어 [[사용자]]의 딸과 아들을 가르쳤으며, 나중에는 러시아의 식민지배를 받는 폴란드 민족문제를 고민하던 사용자의 허락을 받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야학을 운영했다. 17세 무렵부터 [[가정교사]] 등을 할 때, [[폴란드]]와 [[독일]]에서는 여자가 대학교에 들어갈 수 없었기 때문에 프랑스 파리로 유학 갈 결심을 하였다.
다행히 아버지가 소년감화원 사감으로 취직하여 경제적 여유가 생기자, 마리는 둘째 언니 브로니스와바와 형부 카지미에시 드우스키(Kazimierz Dłuski) 부부가 [[의사]]로 일하고 있던 [[프랑스]] 파리에서 언니 부부의 돌봄을 받으며 유학하였다.
브로니스와바와 마리가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폴란드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려는 [[계몽주의]]자였다면, 형부 카지미에시는 [[자본]]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없이는 민중 해방이 없다는 냉철한 현실 이해를 주장한 [[사회주의자]]였다.<ref>내셔널 지오그래픽 세계위인전 (전15권) 푸름이닷컴</ref>
[[1891년]] [[파리 (프랑스)|파리]]의 [[소르본 대학교]]에 입학하여 J. H. 푸앵카레, G. 리프만 등의 강의를 들었다.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며 가장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하여 물리학과 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낙원(1991)에 의하면, 학사학위취득 시험 성적은 수학은 1등, 물리학은 2등이었다고 한다. 마리 퀴리가 학문을 매우 꾸준하게 했음을 알 수 있는 성적이다.
=== [[라듐]]의 발견 ===
[[소르본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 학위를 취득한 후 [[1895년]] [[과학자]] [[피에르 퀴리]]와 [[결혼]]<ref>퀴리라는 [[성]](姓)은 결혼 후, 남편의 성을 딴 것이다.</ref>하였고 피에르 퀴리와의 사이에 두 딸<ref>그녀의 두 딸 [[이렌 졸리오퀴리|이렌]]과 [[이브 퀴리|이브]]는 어른이 된 후 각각 [[과학자]]와 [[음악가]]가 되었다.</ref>을 두었다. 피에르 퀴리는 자신의 실험실에서 연구를 도왔던 마리가 뛰어난 과학자의 자질을 지니고 있음을 알고 마리의 학업을 적극 지원해온 지지자였다. 의학전문신문인 더 메디컬 신문과 한낙원(1991)에 의하면 당시 퀴리는 여성이자 유학생인 그를 차별하는 학교의 부당함때문에 자기장을 공부하려는 실험실이 없었는데, 이를 안 물리학자가 소개한 사람이 피에르 퀴리였다고 한다. 피에르는 자신과 같이 실험실을 쓰도록 하였다고 한다.<ref name=":0">{{웹 인용|url=https://www.themedical.kr/news/articleView.html?idxno=1094|제목=[칼럼] 방사선 계속 뿜어 나와…납으로 봉인한 마리 퀴리의 관|날짜=2023-09-30|언어=ko|확인날짜=2023-10-07}}</ref> 한낙원(1991)에 의하면 피에르는 수수한 차림이고, 똑똑한 마리 퀴리를 학자, 학문 동지로서 존중하는 마음이 이성으로서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라서, 양가 부모님의 허락을 받아 결혼을 하였으며 [[자전거]]를 타고 신혼여행을 갔으며([[신혼여행]]길 사진과 이두호 화백이 그린 그림이 한낙원 작가가 쓴 《퀴리 부인》에 실려있음.), 두 딸 이브와 이렌을 낳는 행복을 온 식구가 맛보았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는 [[1898년]] 우라늄 광석인 [[피치블렌드]]( pitchblende, 역청우라늄석 )에서 염화바륨에 소량 섞여있는 형태로 염화라듐을 처음 분리∙발견하였고 [[1902년]] 8톤의 폐우라늄 광석을 처리하여 0.1g의 순수한 염화라듐을 얻었다. [[1910년]]에는 마리 퀴리가 염화라듐을 전기분해시켜 금속 라듐을 얻었다.
마리 퀴리가 살던 시대에는 [[방사능]]의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방사능 물질 라듐은 미용은 물론 [[정신장애]] 치료에까지 효과가 있다는 위험한 선전이 아무런 근거없이 주장되어서 방사능에 노출된 사람들이 죽어갔다. 어느 화장품에 라듐이 들어간다고 쓰여져 있기만 했다면 모두 팔리고 있던 제품이었다.
=== 교수 생활 ===
[[1906년]] 남편 피에르 퀴리가 출근길에 [[음주 운전]]하는 마차에 치이는 사고로 사망하자 마리 퀴리는 피에르 퀴리가 근무하던 [[소르본 대학교]]에서 1906년 [[11월 5일]]부터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마리 퀴리는 미리 강의 내용을 확인하는 준비를 하여 남편이 가르친 내용을 이어서 강의하는 꼼꼼함을 보여주었다.<ref>한낙원(1991년)지음, [[이두호]] 그림, 계[[계몽사|몽사]] 위인전기 16권 《퀴리부인》,/[[계몽사]]</ref> 이 일로 [[소르본 대학교]]에서 강의를 한 최초의 여성 교수가 되었다. 당시 [[프랑스]] 정부에서는 [[연금]]을 제공하겠다고 했으나 거부했다.
=== 핵물질(방사능) 피폭에 따른 사망 ===
퀴리 부부가 오랫동안 방사성 물질을 연구하면서 핵물질에 노출된 것은 너무나도 분명한 사실이다. 두 사람 모두 보호장구도 착용하지 않고 [[라듐]]을 취급하는 바람에 엄청난 열과 방사선에 노출되었으며<ref name=":0" />, 라돈 가스를 들이마셨다. 그들의 손은 언제나 불에 댄 것처럼 쭈글쭈글해지면서 손에 [[지문]]까지 모두 닳아 없어져 버렸을 정도였으며, 그의 남편 피에르 역시 이런저런 병을 앓아 건강한 편은 아니었다(병을 앓기 전에 짐마차에 치어 사망했음). 마리 자신의 건강은 라듐에 더해 전쟁 중에는 [[X-선]]에 추가적으로 노출되었으니 말할 것도 없었을 것이다.
불과 56세가 되던 1923년에 마리의 건강은 눈에 띄게 악화되었다. 고질적인 근육통, 이명, 난청, 백내장, 손가락 마비, 빈혈, 피로감, 호흡기 질환에 시달리면서 마리의 병색은 이미 완연해질 대로 완연해졌다.
라듐의 위험성이 제기된 것은, 영화관에서 영화 상영작 포스터에 페인트칠(페인트 안에 라듐 성분이 들어가 있음)을 하던 여성 노동자들이 죽어가면서였다. 마리 퀴리도 건강이 나빠질 대로 나빠져 모든 연구 활동을 중단하고 [[1934년]] 5월 [[스위스]]에 있는 상셀모즈 [[요양소|요양보호소]]에 입소하게 되었는데, 같은 해 [[7월 4일]] 너무 과도한 [[방사선]]에 피폭되어 [[골수암]],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이 겹쳐 몸이 이미 쇠약해질 대로 쇠약해져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는 상태였다. 향년 67세의 나이로 고인이 되어 파리 외곽에 있는 남편 묘 옆에 나란히 묻혔다. [[라듐]]을 발견했던 순간의 감동을 기록한 마리 퀴리의 논문을 기록한 연구노트는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 지하에 차폐되어 보관중이며, 100여년이 지난 지금도 방사선을 방출하고 있어서 함부로 손으로 만질 수도 없는 상태다.
마리 퀴리의 노트는 120(킬로베크렐)kBq(= 3.2 microCu(마이크로 큐리)) 수준의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동일본 대지진 직후에 후쿠시마 해역에서 잡힌 생선에서 검출된 방사선량의 5,000배가 넘는 수치다.
=== 향후 ===
[[1903년]] 남편 [[피에르 퀴리]]하고 함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등극한 데 이어 8년 후 단독으로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등극하여 최초로 노벨상 2관왕에 등극한 그는 사후 61년 만인 [[1995년 4월]]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공로를 인정받아 여성 최초로 팡테옹에 안장되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 [[팡테옹]]은 그동안 프랑스 정부가 인정하는 위대한 업적을 남긴 국가적 위인들에 한해서만 안장되는 곳이다.
그 해 마리하고 남편 피에르의 유해를 파리의 팡테옹으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뜻밖의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그의 유해에서 상당량의 [[방사선]]이 방출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를 발견한 프랑스 당국은 퀴리 부인의 유해를 [[납]]으로 특수 제작된 방사선 차단 관으로 옮기고 나서 매장하기로 하였다.
== 업적 ==
[[파일:Pierre and Marie Curie.jpg|섬네일|225px|[[피에르 퀴리]]와 마리 퀴리, 파리의 연구실에서, 1907년 이전]]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이며, 물리학상과 화학상을 동시에 받은 유일한 인물이다. 노벨상을 2회 수상한 기록은 [[라이너스 폴링]]하고 함께 인물로서는 최다 기록이다.<ref>단체로서 적십자 국제위원회가 3회 수상하였다.</ref>
결혼 직후 [[1896년]] 마리는 박사학위 논문주제를 찾고 있었는데, 당시 [[앙리 베크렐|베크렐]]이 발견한 우라늄염에서 일어나는 베크렐선 현상에 대해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자연계에 베크렐선 현상을 보이는 물질이 우라늄 외에도 더 존재할 것이라고 믿고, 그 물질들을 찾아 연구하기로 한다. 마리는 '[[우라니나이트|피치블렌드]](역청우라늄광)'라는 광물이 순수한 우라늄보다 강한 방사능을 배출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이러한 광물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관해 피치블렌드의 성분을 분리하는 실험을 시작했다.
이후 퀴리 부부는 아예 공동으로 연구하기로 하고, 지루하고 긴 실험을 반복하며 피치블렌드의 성분을 분리하여 1898년 마침내 베크렐이 연구했던 우라늄보다 감광작용이 4배나 강한 새로운 물질을 찾아내게 된다. 그리고 이 미지의 물질이 두 가지 원소의 혼합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그중 하나를 분리해내는 데 성공하였다. 새로운 원소는 우라늄염보다 400배 정도 감광작용이 강했다.
퀴리 부부는 새로운 원소의 이름을 마리의 조국 폴란드를 기리는 의미에서 ‘[[폴로늄]]’이라고 명명했다. 마리는 우라늄이나 폴로늄처럼 자연계에서 감광작용과 전리작용 및 형광작용을 나타내는 물질들에 대해 처음으로 방사능(또는 방사성물질)이라고 불렀고, 이들 물질에서 나오는 빛을 [[방사선]]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또 다른 새로운 원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감광작용 능력이 우라늄보다 무려 250만 배나 강한 원소를 발견하고, 강력한 빛을 ‘방사’한다는 뜻으로 원소의 이름을 ‘[[라듐]]’이라고 지었다.
퀴리 부부가 라듐의 성질을 자세히 조사한 결과, 그 방사능은 어떤 화학작용에도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라듐의 양에 비례해 방출되는 방사선이 강해지고, 감광작용과 전리작용도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방사선 방출과정에서 상당한 열이 나온다는 점도 알아냈다.
이러한 사실은 과학계가 그때까지 알고 있던 화학반응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마리는 이러한 현상이 물질의 기본적인 구성단위인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라, 그보다 더 작은 단위인 원자 수준에서 연구해야 하는 현상임을 밝혀냄으로써 과학 연구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1903년]] [[라듐]] 연구로 마리 퀴리와 남편 [[피에르 퀴리]]가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고, [[1907년]]에는 라듐 원자량의 정밀한 측정에 성공하였다. [[1910년]]에는 금속 라듐을 분리하여, [[1911년]]에는 라듐 및 [[폴로늄]]의 발견과 라듐의 성질 및 그 화합물 연구로 마리 퀴리 단독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그 공적을 기려 [[방사능]] 단위에 [[퀴리]]라는 이름이, [[화학 원소]] [[퀴륨]]에 이름이 사용되었다. 마리 퀴리의 딸 부부인 [[이렌 졸리오퀴리]]와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도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이다.
프랑스의 보수성, '''가십'''([[신문]], [[잡지]] 등에서 개인의 사생활에 대하여 소문이나 험담 따위를 흥미 위주로 다룬 기사. 단평, 촌평으로 순화)을 좋아하는 언론의 공세<ref>'남편의 애제자 폴 랑주뱅과 연애관계이다'라는 기사가 났음.</ref>, 폴란드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여성이라는 성차별적 문제로 결국 화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등극하지는 못했다.
== 수상 ==
* [[노벨 물리학상]] (1903, 남편 피에르 퀴리와 앙리 베크렐 공동수상)
* [[데비 메달]] (1903, 피에르 퀴리 공동수상)
* [[마테우치 메달]] (1904, 피에르 퀴리 공동수상)
* [[액토니언 상]] (1907)
* [[엘리엇 크레슨 메달]](1909)
* [[노벨 화학상]] (1911)
== 같이 보기 ==
* [[피에르 퀴리]]
* [[이렌 졸리오퀴리]]
*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이브 퀴리]]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Marie Curie}}
* [http://navercast.naver.com/worldcelebrity/history/335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마리 퀴리]
* {{언어링크|en}} [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laureates/1903/marie-curie-bio.html Marie Curie – Biography] 노벨재단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마리 퀴리 전기.
* [http://www.nobel.se/physics/laureates/1903/index.html 1903년 노벨상 수상자] {{웨이백|url=http://www.nobel.se/physics/laureates/1903/index.html |date=20040902032334 }}
* [http://www.nytimes.com/learning/general/onthisday/bday/1107.html Obituary, New York Times, 5 July 1934 ''Mme. Curie Is Dead; Martyr to Science'']
* [https://web.archive.org/web/20140819011717/http://himetop.wikidot.com/marie-curie Some places and memories related to Marie Curie]
* [http://www-personal.umich.edu/~jbourj/money1.htm Marie Curie on the 500 French Franc and 20000 old Polish zloty banknotes.] {{웨이백|url=http://www-personal.umich.edu/~jbourj/money1.htm |date=20111213071452 }}
*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https://web.archive.org/web/20081206023035/http://www.aip.org/history/curie/index.html 마리 퀴리]의 삶에 관하여. [http://photos.aip.org/ AIP에서 마리 퀴리의 사진을 찾을 수 있음]
* {{IMDb 제목|0956189|Marie Curie}} - 마리 퀴리에 관한 전기 애니메이션, world and American history - Animated Hero Classics distributed by Nest Learning.
* {{IMDb 제목|0281993|Marie Curie - More than Meets the Eye}} - Live Action portrayal of Marie Curie on DVD from the Inventors Series produced by Devine Entertainment.
* {{IMDb 제목|0075534|Marie Curie}} - [[BBC]]가 만든 텔레비전 시리즈 중의 한편 - 마리 퀴리 전기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1903년 노벨상 수상자}}
{{1911년 노벨상 수상자}}
{{과학자의 이름을 딴 단위}}
{{위대한 프랑스인}}
{{전거 통제}}
{{기본정렬:퀴리, 마리}}
[[분류:마리 퀴리| ]]
[[분류:1867년 출생]]
[[분류:1934년 사망]]
[[분류:퀴리가]]
[[분류:노벨 화학상 수상자]]
[[분류: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분류: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분류:폴란드의 노벨상 수상자]]
[[분류:여자 노벨상 수상자]]
[[분류:프랑스의 화학자]]
[[분류:프랑스의 물리학자]]
[[분류:프랑스의 여자 과학자]]
[[분류:프랑스의 불가지론자]]
[[분류:폴란드의 화학자]]
[[분류:폴란드의 물리학자]]
[[분류:폴란드의 여자 과학자]]
[[분류:폴란드의 불가지론자]]
[[분류:폴란드계 프랑스인]]
[[분류:실험물리학자]]
[[분류:파리 대학교 동문]]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화학 원소를 발견한 사람]]
[[분류:핵화학자]]
[[분류:원자력 사고의 피폭자]]
[[분류:바르샤바 출신]]
[[분류:폴란드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분류: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분류:로마 가톨릭교회를 이탈한 사람]]
[[분류:프랑스로 귀화한 사람]]
[[분류:19세기 물리학자]]
[[분류:20세기 물리학자]]
[[분류:19세기 화학자]]
[[분류:20세기 화학자]]
[[분류:폴란드의 무신론자]]
[[분류:여자 화학자]]
[[분류:여자 물리학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과학자 정보
|이름 = 피에르 퀴리 <br> Pierre Curie{{노벨상 딱지}}
|그림 = Pierre Curie by Dujardin c1906.jpg
|그림 크기 = 230px
|그림 설명 = 피에르 퀴리
|태어난 날 = {{출생일|1859|5|15}}
|태어난 곳 =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죽은 날 = {{사망일과 나이|1906|4|19|1859|5|15}}
|죽은 곳 =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
|거주지 =
|국적 = [[프랑스]]
|분야 = [[물리학]]
|소속 =
|출신 대학 = 소르본 대학교
|지도교수 = [[가브리엘 리프만]]
|지도학생 = [[폴 랑주뱅]]
|배우자 = [[마리 퀴리]]
|자녀 = [[이렌 졸리오퀴리]](장녀), [[이브 퀴리]](차녀)
|주요 업적 = [[방사선]]
|수상 = [[노벨 물리학상]] (1903)
|종교 =
|참고사항 =
|서명 = Signature de Pierre Curie.png
}}
'''피에르 퀴리'''({{llang|fr|Pierre Curie}}, [[1859년]] [[5월 15일]] ~ [[1906년]] [[4월 19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로, [[결정학]], [[자기]], [[압전효과]], [[방사선]] 분야의 선구자이다. 독학으로 공부하였다.
[[마리 퀴리]]와 결혼, 두 명의 딸을 두었다.
[[1903년]] 부인 마리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지만, [[1906년]] 직장인 [[파리 대학|소르본대학교]]에 가던 중 마차에 치이는 교통사고로 숨을 거두었다. 그의 나이는 47세였다.
== 수상 ==
* [[노벨 물리학상]] (1903)
* Davy Medal (1903)
* Matteucci Medal (1904)
== 같이 보기 ==
* [[퀴리 온도]]
== 외부 링크 ==
{{위키공용|Pierre Curie}}
* [http://nobelprize.org/nobel_prizes/physics/articles/curie/index.html NOBELPRIZE.ORG: History of Pierre and Marie]
* [http://www.nobel.se/physics/laureates/1903/index.html 1903년 노벨상 수상자] {{웨이백|url=http://www.nobel.se/physics/laureates/1903/index.html |date=20040902032334 }}
* [http://www.nobel.se/physics/laureates/1903/pierre-curie-bio.html 노벨재단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전기] {{웨이백|url=http://www.nobel.se/physics/laureates/1903/pierre-curie-bio.html |date=20040902034306 }}
* [http://www.aip.org/history/curie/pierre.htm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의 전기] {{웨이백|url=http://www.aip.org/history/curie/pierre.htm |date=20150216035509 }}
* [https://web.archive.org/web/20060828135517/http://alsos.wlu.edu/qsearch.aspx?browse=people%2FCurie%2C+Pierre Annotated bibliography for Pierre Curie from the Alsos Digital Library for Nuclear Issues]
* {{언어링크|fr}} [https://web.archive.org/web/20071020225619/http://www.academie-sciences.fr/membres/in_memoriam/Curie/Curie_publi.htm 피에르 퀴리의 논문 French Academy of Sciences papers]
* [http://query.nytimes.com/gst/abstract.html?res=9402E4DC1438EF32A25753C2A9629C946797D6CF ''Prof. Curie killed in a Paris street'': 뉴욕 타임즈의 사망에 관한 기사]
* {{수학계보|id=129287}}
* {{FAG|1614}}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1903년 노벨상 수상자}}
{{과학자의 이름을 딴 단위}}
{{전거 통제}}
{{기본정렬:퀴리, 피에르}}
[[분류:1859년 출생]]
[[분류:1906년 사망]]
[[분류:교통 사고로 죽은 사람]]
[[분류:퀴리가]]
[[분류:프랑스의 물리학자]]
[[분류:프랑스의 화학자]]
[[분류: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분류: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
[[분류:파리 대학교 동문]]
[[분류:화학 원소를 발견한 사람]]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파리 출신]]
[[분류:19세기 물리학자]]
[[분류:20세기 물리학자]]
[[분류:19세기 화학자]]
[[분류:20세기 화학자]]
[[분류:방사능]]
[[분류:프랑스의 무신론자]]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운영 체제 정보
| 이름 = 유닉스
| 로고 = UNIX logo.svg
| 스크린샷 = Simh-pdp11-unix-sysiii.png
| 설명 = [[PDP-11]] 에뮬레이터에서 실행 중인 [[유닉스 시스템 III]]
| 개발자 = [[켄 톰슨]], [[데니스 리치]], [[브라이언 커니핸]], [[더글러스 매클로이]], [[조 오산나]], [[벨 연구소]]
| 계열 = 유닉스
| 상태 =
| 소스형태 = [[사유 소프트웨어]]
| 최초버전출시일 =
| 최신버전 =
| 최신버전출시일 =
| 미리보기버전 =
| 미리보기버전출시일 =
| 마케팅대상 =
| 언어 = [[영어]]
| 프로그램언어 = [[C (프로그래밍 언어)|C]], [[어셈블리어]]
| 업데이트방식 =
| 패키지관리자 =
| 지원되는플랫폼 =
| 커널형태 = [[모놀리식 커널]]
| UI = [[명령 줄 인터페이스]]
| 라이선스 = 다양함
| 웹사이트 = [https://opengroup.org/unix 공식 홈페이지]
}}
[[파일:Unix history-simple.svg|thumb|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구조도]]
'''유닉스'''({{llang|en|Unix}}, 등록상표명 '''UNIX''')는 교육 및 연구 기관에서 즐겨 사용되는 범용 [[다중 사용자]] 방식의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시분할처리 시스템]]용 [[운영 체제]]이다.<ref>UNIX,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1970년대 초반 [[벨 연구소]] 직원인 [[켄 톰슨]], [[데니스 리치]] 등이 소형 컴퓨터용으로 처음 개발하였다. 오늘날의 유닉스 시스템은 여러 회사들과 비영리 단체들이 이 커널로 활용하여 다양한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있다.
유닉스는 처음부터 다양한 시스템 사이에서 서로 이식할 수 있고, [[멀티 태스킹]]과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유닉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개념을 가지고 있다.
* 일반 텍스트 파일, [[명령행 인터프리터]], 계층적인 [[파일 시스템]], 장치 및 특정한 형식의 프로세스 간 통신을 파일로 취급 등.
* 소프트웨어 공학 측면에서, 유닉스는 [[C (프로그래밍 언어)|C]]의 사용과 유닉스 철학이라는 부분이 특징이다.
유닉스(UNIX) 상표권은 [[오픈 그룹]]이 갖고 있으며, 유닉스 소스 코드에 대한 저작권은 [[노벨 (기업)|노벨]]이 소유하고 있다.
SCO 그룹은 SCOsource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유닉스 시스템 V]] Release 4 (및 자체 릴리즈인 UNIX 시스템 V, Release 5)에 기반한 코드로 된 운영 체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기업 및 개인들에게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닷컴 버블]]로 유닉스 사업자들에게도 합병의 바람이 불게 되었다. 1980년대에 태어난 많은 상업 유닉스 업체들 중에서 [[휴렛 패커드]]의 [[HP-UX]], [[IBM]]의 [[IBM AIX]], [[NeXT]]의 [[NEXTSTEP]] (나중에 [[오픈스텝]]이 되었다가 이제 맥 [[OS X]]가 됨) 및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솔라리스 (운영 체제)|솔라리스 운영 체제]]들만이 아직도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 데이터 제너럴(Data General), 산타 쿠르즈 오퍼레이션 (현재는 Tarantella) 등은 다른 업체에 합병되거나 사업을 접었다. 또한, [[리눅스]]와 오픈 소스 [[BSD]]의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기존의 상업 유닉스 시장이 침식되어 갔으며, 개인컴퓨터 시장에서 현존하는 유닉스 운영체제는 애플의 macOS가 유일하다.<ref>{{웹 인용|url=https://www.opengroup.org/openbrand/register/|제목=The Register of UNIX® Certified Products|확인날짜=2021-03-13}}</ref>
== 역사 ==
{{본문|유닉스의 역사}}
유닉스의 기원은 1960년대 중순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벨 연구소]], [[제네럴 일렉트릭]]이 [[GE-645]]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위해 [[시분할]] 운영 체제의 하나인 [[멀틱스]]를 개발하고 있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ref>{{서적 인용
|title=Principles of operating systems: design & applications
|last=Stuart |first=Brian L.
|year=2009
|publisher=Thompson Learning
|location=Boston, Massachusetts
|isbn=978-1-4188-3769-3
|page=23
}}</ref>
== 같이 보기 ==
* [[macOS]]
* [[플랜 9 (운영 체제)|플랜 9]]
* [[유닉스 계열]]
== 각주 ==
{{각주}}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언어링크|en}} [https://opengroup.org/unix The UNIX Standard] - [[오픈 그룹]]
* {{GitHub |dspinellis/unix-history-repo |Unix History Repository — a git repository representing a reconstructed version of the Unix history}}
* {{dmoz|Computers/Software/Operating_Systems/Unix/}}
{{유닉스 명령어}}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전거 통제}}
[[분류:유닉스| ]]
[[분류:운영체제 계열]]
[[분류:1969년 소프트웨어]]
[[분류:시분할 운영체제]]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모차르트}}
{{음악가 정보
| 이름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br> Wolfgang Amadeus Mozart
| 그림 = Wolfgang-amadeus-mozart 1.jpg
| 설명 =
| 본명 =
| 출생일 = {{출생일|1756|1|27}}
| 출생지 = 잘츠부르크 대주교령 [[잘츠부르크]]
| 국적 = [[오스트리아]]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791|12|5|1756|1|27}}
| 사망지 = [[합스부르크 제국]] [[빈]]
| 가족 =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br />어머니 [[안나 마리아 모차르트]]<br />누나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br />장남 [[카를 토마스 모차르트]]<br />차남 [[프란츠 크사퍼 볼프강 모차르트]]
| 배우자 = [[콘스탄체 모차르트]]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별명 = 음악의 신동
| 직업 = [[작곡가]]
| 활동시기 = [[1761년]]~[[1791년]]
| 장르 = [[서양 고전 음악]]
| 악기 = [[피아노]], [[하프시코드]], [[바이올린]] 등
| 서명 = Wolfgang Amadeus Mozart Signature.svg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llang|de|Wolfgang Amadeus Mozart}}, [[1756년]] [[1월 27일]]~[[1791년]] [[12월 5일]])는 [[오스트리아]]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다. [[고전파]] 작곡가로 분류되며, 많은 작품을 쓴 영향력 있는 작곡가였다.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빠른 창작 속도로 인해 당시 서양 고전 음악의 거의 모든 장르에 걸쳐 800곡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이들 작품 중 다수는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오페라, 합창 레퍼토리에서 최고봉으로 평가받는다. 모차르트는 [[서양 음악사]]에서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널리 여겨지며, 그의 음악은 "선율의 아름다움, 형식의 우아함, 화음과 텍스처의 풍부함"으로 찬사를 받는다. 오늘날 모차르트는 “음악의 신동”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널리 존경받고 있다.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난 모차르트는 어린 시절부터 비범한 재능을 보였다. 다섯 살에 이미 [[건반악기]]와 [[바이올린]] 연주에 능숙했고, 작곡을 시작했으며, 유럽 왕족들 앞에서 공연을 펼쳤다. 그의 아버지는 그를 데리고 유럽 전역을 순회하며 세 차례 이탈리아 여행을 다녔다. 17세에 잘츠부르크 궁정 음악가로 일했으나 더 나은 자리를 찾아 여러 도시를 여행하기 시작했다. [[파리 (프랑스)|파리]], [[만하임]], [[뮌헨]], 잘츠부르크 등에서 직장을 탐색하며 모차르트는 다섯 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 비올라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신포니아 콘체르탄테|신포니아 콘체르탄테]], [[플루트, 하프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모차르트)|플루트와 하프 협주곡]], 성가와 [[미사곡]], [[모테트]] 《[[환호하라, 기뻐하라]]》, 오페라 《[[이도메네오]]》 등의 작품을 작곡했다.
1781년 비엔나를 방문한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에서의 직위를 해고당했다. 그는 [[비엔나]]에 머물며 명성을 얻었으나 재정적으로는 원하는 만큼 안정적이지 못했다. 비엔나에서의 초기에는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유괴]]》, 대미사 다단조, '하이든' 사중주와 여러 교향곡을 작곡했다. 비엔나에서 지내며 모차르트는 12개 이상의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했는데 이는 그의 가장 위대한 업적 중 일부로 평가된다. 그의 생애 마지막 몇 년 동안 모차르트는 [[교향곡 41번 (모차르트)|교향곡 41번]]을 포함한 마지막 세 개의 교향곡, [[세레나데]]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클라리넷 협주곡 (모차르트)|클라리넷 협주곡]],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니]]》, 《[[코지 판 투테]]》, 《[[마술피리]]》, 그리고 《[[레퀴엠]]》과 같은 대표작들을 작곡했다. 《레퀴엠》은 그가 35세로 사망할 당시 미완성 상태였다. 그의 죽음에 관한 정황은 불확실하며 많은 이야기를 낳았다.
== 생애 ==
=== 모차르트의 유년기 ===
[[파일:Wolfgang-amadeus-mozart_2.jpg|섬네일|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의뢰로 그려진 1763년의 초상|왼쪽]]
1756년 1월 27일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와 어머니 [[안나 마리아 모차르트]]의 자식으로 태어났다.<ref>{{서적 인용|title=Austria|last1=Arnold|first1=Rosemarie|last2=Taylor|first2=Robert|year=2009|publisher=Baedeker|isbn=978-3-8297-6613-5|oclc=416424772|last3=Eisenschmid|first3=Rainer}}</ref> 형제로는 7남매가 있었는데, 그중 5명은 어린 나이에 죽고 누나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 일명 '나넬'만이 남아있었다. 출생 직후 [[로마 가톨릭 교회|가톨릭]] 성당에서 [[세례명]]은 '''요하네스 크리소스토무스 볼프강구스 테오필루스 모차르트'''({{llang|la|Johannes Chrysostomus Wolfgangus Theophilus Mozart}})였다. 흔히 알려진 중간 성명인 '''아마데우스'''({{llang|de|Amadeus}})는 세례명 중간 성명의 그리스어 어원 테오필루스({{lang|la|Theophilus}})를 라틴어로 바꾼 것이다. 아버지인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아우크스부르크]] 태생으로<ref>{{harvnb|Solomon|1995|p=21}}</ref> 잘츠부르크 궁정 관현악단의 [[카펠마이스터]]였는데, 볼프강의 누나인 나넬이 7살일 때 건반악기를 가르쳤다. 전한 바에 따르면, 볼프강은 세 살 때부터 누나를 보고 스스로 건반을 다루고 연주하는 법을 터득했다고 한다.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어린 아들의 재주를 알아보았고, 볼프강에게 직접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가르쳤다. 작곡되어 《나넬의 음악책''<sub>Nannerl Notenbuch</sub>''》로 출판되었다. 여기에 쓴 레오폴트의 기록에 따르면, 어린 볼프강은 네 살 때 여러 곡을 배웠으며 다섯 살 때 이미 작곡을 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이 기록을 그대로 믿지는 않지만, K. 1a, b, c가 몇 주 이내에 작곡되었다는 사실에는 대부분 동의한다.<ref>{{IMSLP|work=Andante in C major, K.1a (Mozart, Wolfgang Amadeus)|cname=Andante in C major, K. 1a|work2=Allegro in C major, K.1b (Mozart, Wolfgang Amadeus)|cname2=Allegro in C major, K. 1b|work3=Allegro in F major, K.1c (Mozart, Wolfgang Amadeus)|cname3=Allegro in F major, K.1c}}</ref> 사람들은 어린 모차르트의 작곡을 믿지 못했기 때문에 집에서 그를 시험하기도 하였지만, 모차르트는 그 사람들에게 뛰어난 작곡 실력과 재능을 보였다.
==== 연주 여행 ====
아버지 레오폴트의 교육열은 대단하였는데, 특히 6세 때 [[뮌헨]]으로 데려가면서 유럽 각지로 연주 여행을 보내 여러 작곡가와 교류하고 배우게 하였다. 1763-1766까지 독일 여러 도시는 물론 [[파리 (프랑스)|파리]], [[런던]] 등을 돌며 많은 작곡가와 교류한 서유럽 일주는 모차르트에게 부담과 동시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1764년에서 1765년 사이 영국 런던에서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에게 작곡 등 배우면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후 모차르트는 수차례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음악을 공부하였는데, [[조반니 바티스타 마르티니]]에게서 음악이론을 배운 것을 비롯해 다양한 교향곡과 오페라를 접하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어머니 [[안나 마리아 모차르트]]와 함께 한 여행에서 만하임, 파리 등을 다니며 여러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다.
==== 잘츠부르크의 궁정음악가 ====
[[파일:Louis_Carrogis_dit_Carmontelle_-_Portrait_de_Wolfgang_Amadeus_Mozart_(Salzbourg,_1756-Vienne,_1791)_jouant_à_Paris_avec_son_père_Jean..._-_Google_Art_Project.jpg|섬네일|연주 여행중의 모차르트 가족. 왼쪽부터 레오폴트, 나넬, 볼프강. 1763년경.<ref>{{harvnb|Solomon|1995|p=44}}</ref>|왼쪽]]
어릴 때부터 여러 대도시와 궁정에서 연주를 보인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에 머물며 궁정음악가로 활동하였었으나 그의 자유분방한 성격은 궁정과 여러 갈등을 일으켰고, 결국 대주교와의 불화를 계기로 1781년 [[빈]]으로 떠나 이후 죽을 때까지 이곳에 머무른다. 그 곳에서 콘스탄체라는 여인과 사랑에 빠진 모차르트는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782년 결혼을 성사시켰다. 1부 문헌에 따르면 모차르트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생활하던 1784년에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도 만났다. 그는 어려운 집안사정에도 자신을 찾아온 베토벤을 반갑게 맞이하였는데, 이 때 베토벤의 나이는 불과 14세였다. 모차르트는 베토벤이 자신의 곡을 즉흥적으로 또 다른 작품으로 훌륭히 소화하자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교육비를 일절 거절하고 베토벤을 가르치는데 전념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베토벤은 어머니의 사망 소식을 듣자 모차르트에게 작별인사를 하고 빈을 갑작스럽게 떠났다. 만난 지 불과 한 달만의 일로 이것이 두 거장의 마지막 만남이었다. ([[베토벤]]이 다시 오스트리아 빈에 찾아온 것은 [[1792년]]의 일로 그 때는 모차르트가 죽은지 1년이 지난 후였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전거는 [[오토 얀]]이 저술한 모차르트의 [[전기 (문학)|전기]]가 유일하므로, 오늘날에는 베토벤과 모차르트가 만났다는 일화에 대한 신뢰성은 잘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는 "초안을 하지 않는 천재"'라고 미화되어 있지만, 사실 자필 악보에는 완성·미완성 곡을 포함하여 초안 및 수정의 흔적이 꽤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종종 스케치와 초안을 만들었지만, 베토벤과는 달리, 그의 아내가 그의 죽음 후에 그것들을 없애려고 했기 때문에 대부분 보존되지 않았다.
=== 죽음 ===
[[파일:Mozart Portrait Croce.jpg|섬네일|모차르트의 초상화. Johann Nepomuk della Croce의 1780년 경 작품]]
모차르트의 죽음과 그 원인에 대해서는 수많은 전설을 비롯하여 학설이 많다. 낭만적인 주장으로는 모차르트의 건강이 점점 약해지면서 그의 모습과 작품들 역시 다가오는 죽음과 함께 쇠퇴하였다는 것이 있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모차르트의 마지막 해가 그에게 성공적이었으며, 그의 죽음이 가족들에게 충격이었다는 점을 들어 그의 죽음이 갑작스러웠다고 주장한다. 그의 죽음의 원인 또한 추측이 무성하다. 기록에는 그가 "무수히 난 좁쌀만한 발열"("hitziges Frieselfieber")로 죽었다고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에 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되지 못하고 있다. 사인에 대한 학설 중에는 [[선모충병]], 중독, [[류머티스열]], 덜 익힌 돼지고기에 의한 식중독 등이 있다. 환자의 피를 뽑았던 당시의 의술도 모차르트의 죽음을 앞당기는 데에 이바지했다고 본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791년]] [[12월 5일]] 오전 0시 55분경에 죽었다. 아내 콘스탄체는 모차르트가 완성하지 못한 작품 [[레퀴엠 (모차르트)|레퀴엠]]의 완성을 여러 제자에게 맡겼으나 끝내 완성하지 못하다가 결국 [[프란츠 크사버 쥐스마이어]]가 완성했다. 모차르트가 가난과 무관심 속에서 죽었다는 이야기가 흔하나, 그에게는 나름 만족할 만한 수입이 있었다는 주장도 설득력 있다. 예컨대 모차르트는 체코 [[프라하]]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꾸준한 작곡 의뢰를 받기도 했다. 그가 말년에 전성기 때만큼의 명성을 누리지는 못했던 근거로 돈을 꿔 달라고 쓴 편지가 들리기도 하지만 또 통설에 의하면 이는 단순히 수입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모차르트의 방탕함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실례로 모차르트가 입은 옷은 보석들로 치장된 화려한 의상이었으며 도박으로 돈을 낭비하기도 했다고 한다. 모차르트는 죽은 후 빈 외곽의 성, 마르크스 묘지에 묻혔다. New Groove에 따르면 그가 여러 사람과 함께 묻힌 것은 사실이나 이는 가난에 따른 것이 아니라 당시 빈의 [[중산층]]의 일반적 장례 풍습대로였다. 묘비가 나무였던 것 또한 당시 오스트리아 [[빈]] [[중산층]]의 흔한 장례 풍습에 따른 것이었다고 하는데, 실제로 당시 빈에서는 화려한 장례가 엄격히 금지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장례식 날 비가 오고, 천둥이 쳤다고 하나 위 출처에 따르면 사실은 구름 한 점 없는 쾌청한 날이었다고 한다. 현재 모차르트의 무덤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은 성 마르크스 묘지가 더 많은 묘지를 수용하기 위해 이장을 거듭하였기 때문이다. 아내 콘스탄체 모차르트는 남편이 죽은 후 추모 음악회, 미발표 작품의 출판 등으로 경제적으로 성공하였다. 1809년 그녀는 [[덴마크]] 출신의 외교관이던 게오르크 니콜라우스 폰 니센(Georg Nikolaus von Nissen)과 [[재혼]]했다. 그들은 덴마크로 이주했다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로 돌아와 여생을 마감했다. 콘스탄체와 새 남편은 모두 모차르트에 대한 [[전기 (문학)|전기]]를 남겼다.
== 음악 ==
{{참고|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여러 장르의 많은 [[음악]] [[작품]]을 남겼다. 그의 많은 작품 가운데 특히 [[오페라]], [[피아노 협주곡]], [[교향곡]], 그리고 [[현악 사중주]]와 [[현악 오중주]] 작품들이 유명하다. 모차르트는 또 피아노 솔로와, 여러 형태의 [[실내악]], [[미사곡]] 및 여러 종교 음악, 무곡들, [[디베르티멘토]] 등도 작곡했다.
=== 모차르트가 받은 영향 ===
모차르트의 유년기는 궁정 바이올리니스트인 아버지 레오폴트의 교육으로 [[클라비어]]에 숙달하여 유럽 각지를 일찍부터 순회연주하였다. 당시 유럽의 각지에서는 여러 가지 새로운 양식적 시도가 있었으므로 모차르트의 여행은 그러한 새로운 예술적 동향에 직접 접할 기회를 부여받고 그의 창작능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이처럼 그가 일찍부터 부친의 천재교육과 유럽의 연주여행에서 직접 체험하고 또한 받은 중요한 영향을 살펴보면 대강 아래와 같다.
* [[잘츠부르크]] 음악 - 어린 모차르트가 출생지에서 받은 영향은 그의 예술적 소질을 형성하였다. 잘츠부르크의 음악은 결코 깊이가 있다고는 할 수 없으나 우아함이 감도는 경쾌감이 특징으로서, 이 지방의 작곡가 에이베를린이나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 [[미하엘 하이든]]의 음악에 기조를 이룩하기도 했다.
* [[파리시|파리]]의 음악 - 1763년에서 1764년, 파리에서 알게 된 [[요제프 슈베르트]], 에카르트(Eccard), 르그랑(Legrand)의 영향을 받아 당시 파리를 휩쓸던 우아하고 경쾌한 [[클라브생 음악]]에서 감명을 받았다.
*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 1764-5년의 영국 체재 중, 대 바흐의 막내아들 크리스티안의 교향곡에서 배운 바가 많았다. 이시기 쳄발로 소나타로 곡을 편곡한 쳄발로 협주곡 3곡을 작곡하였다.
* [[이탈리아]] 음악 - [[1770년]]의 이탈리아 여행 중, 마르티니 신부로부터 직접 지도를 받아 엄격한 [[대위법]] 음악에 대한 흥미를 더하였다.
* [[고전파 음악#초기의 고전파|전(前)고전파]]의 작곡가들 - 1773년 여름의 빈 여행에서 [[하이든]], [[바겐자일]], 몬 등의 견고한 구성미의 음악에 결정적인 자극을 받아 독일 음악을 재인식하였다.
* [[갤런트 양식]] - 미하엘 하이든의 우아한 작풍에 감명을 받고 모차르트의 선천적인 음악적 기질과도 어울려 우아한 표현이 개화하였다. 미하엘곡의 작품 중에는 쾨헬목록에 잘못 포함되어있는 곡도 있다.
* [[요제프 하이든]] - 모차르트가 1781년 빈에 정착한 뒤부터 직접적인 교류에 의하여 한층 그 유대가 강해졌으며 그는 1782-1785년에 걸쳐 작곡한 6곡의 현악 4중주곡 <하이든 4중주곡>을 하이든에게 바쳐 감사를 표하였다.
=== 후세에 준 영향 ===
그는 감정과 감각이 극도로 예민하여 당시의 각종 음악 양식을 부드러운 태도로 흡수, 여기에 개성의 심오한 특성을 반영하여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를 표현함으로써 후세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의 교향곡은 그 개성적인 창작이 베토벤에게 이어졌고, 가극은 [[카를 마리아 폰 베버|베버]]에 의하여 계승되었다. [[조아키노 로시니]]는 모차르트가 "천재성만큼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지식만큼 천재성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음악가"라고 말했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은 그의 제자 [[페르디난드 리스]]에게 자신이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4번 (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24번]]의 1악장의 주제만큼 대단한 선율을 생각해낼 수 없다고 말했다. 베토벤이 모차르트에게 보내는 경의로 쓴 작품이 있는데, [[마술 피리]]의 주제에 의한,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두 개의 곡과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위해 쓴 카덴자 등이 그것이다. 모차르트는 베토벤을 만나고 나서 그를 칭찬한 적이 있었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모차르트를 위해 《모차르티아나》를 썼으며, [[구스타프 말러]]는 모차르트의 이름을 부르다 죽었다. [[막스 레거]]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인 《모차르트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1번 (모차르트)|피아노 소나타 11번]]에 의한 것이다.
=== 쾨헬 번호 ===
모차르트의 작품을 정리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처음으로 성공한 것은 1862년 [[루트비히 폰 쾨헬]]에 의해서였다. 쾨헬은 [[쾨헬 번호]]에 따라 모차르트의 작품들을 정리했다.
=== 악기 ===
[[하프시코드]]를 위한 작품들을 주로 작곡하던 모차르트는 [[레겐스부르크]]의 건축가 프란츠 야콥 스페스가 제작한 피아노를 접하게 된다.<ref name=":0">"[https://www.gutenberg.org/files/5307/5307-h/5307-h.htm The Letters of Wolfgang Amadeus Mozart. (1769–1791), by Wolfgang Amadeus Mozart]". ''www.gutenberg.org''. Retrieved 5 February 2021.</ref> 이후에도 모차르트는 [[아우크스부르크]]를 방문했을 때 슈타인 피아노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고 편지에 이를 남긴다.<ref name=":0" /> 1777년 10월 22일, 모차르트는 슈타인이 제공 한 악기로 그의 [[세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7번 (모차르트)|세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K.242)을 초연한다. 이 때 아우크스부르크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 데믈러가 제1연주자로, 모차르트가 제2연주자로 초연했다.<ref>Latcham, Michael (1997). "[[doi:10.1093/earlyj/XXV.3.383|Mozart and the pianos of Gabriel Anton Walter]]". ''[[:en:Early_Music_(journal)|Early Music]]''. '''XXV''' (3): 383–400. doi:10.1093/earlyj/XXV.3.383.</ref><ref>Layer, Adolf; Ullrich, Hermann (2001). [https://dx.doi.org/10.1093/gmo/9781561592630.article.07542 ''<nowiki>Demmler [Demler, Dümmler], Johann Michael</nowiki>''.]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gmo/9781561592630.article.07542.</ref> 1783년 비엔나에서 살 때에는 월터의 악기를 구입한다.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증언에 의하면 이 피아노는 모차르트의 집에서 극장이나 다른 사람의 집으로 12번 이상 옮겨졌다고 한다.<ref>Bauer, Wilhelm (1963). ''[https://www.cengage.com/music/book_content/049557273X_wrightSimms/assets/ITOW/7273X_47_ITOW_Mozart.pdf Mozart: Briefe und Aufzeichnungen]'' (PDF).</ref>
== 일화 ==
=== 전설 ===
모차르트는 전설을 많이 가지고 있는 작곡가이다. 예를 들어 모차르트가 남긴 레퀴엠이 스스로를 위한 것이라는 것인데, 많은 작가들이 이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글을 썼지만, 진실을 밝히기 위한 학자들의 연구에는 방해가 되는 것이다. 유명한 것은 모차르트가 [[안토니오 살리에리]]와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 살리에리가 모차르트에게 독을 먹여 죽였다는 이야기인데, 이것은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연극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오페라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피터 섀퍼]]의 연극 《[[아마데우스]]》의 주제로 다뤄졌다. 《[[아마데우스 (영화)|아마데우스]]》는 영화로 만들어져 여덟 개의 [[미국 아카데미상|아카데미상]]을 받았다. 많은 사람들이 섀퍼의 연극에서 모차르트가 천박하고 촌스럽게 그려졌다 하여 이를 거짓 과장이라 비난하였다. 다른 전설은 모차르트의 음악적 천재성에 대한 것으로, 또한 영화《아마데우스》에서 그려진 것처럼 모차르트가 영감을 받아 머릿속에서 음악을 완성한 다음 한 번도 고치지 않고 써내려갔다는 것인데, 실제로는 한번에 거침없이 작곡하는 것이 아닌 신중하고 노력하는 작곡가였으며, 그의 음악적 지식과 기법은 오랜 시간 동안 이전 시대의 음악을 연구함으로써 나온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반면, 음악학(로버트 뉴먼)은 모차르트를 표절죄를 지은 무능력한 사람으로 간주한다. 이는 모차르트가 직접 악보를 쓴 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원래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간주된 많은 작품이 이후 다른 작곡가의 작품으로 간주되었으므로, 이는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간주되는 모든 작품이 사기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 프리메이슨 ===
모차르트는 [[프리메이슨]]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1784년]]에 [[12월 14일]]에 프리메이슨 '자선' 지회에 가입하였고, 후에는 장인, [[마스터 메이슨]]까지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75&contents_id=57644
|제목=모차르트는 왜 열렬한 프리메이슨이 되었나
|날짜=2014-06-17
|웹사이트=네이버캐스트
|확인날짜=2014-06-24}}</ref> 다만, 당시에는 [[프리메이슨]]에 가입한다는 것이 가입자 자신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과시의 의미가 컸으므로, 친목 단체인 프리메이슨의 특성상 그리 문제될 일은 아니었다.
== 작곡가 모차르트를 주제 또는 소재로 한 작품 ==
* 뮤지컬 [[모짜르트 (뮤지컬)|모짜르트]]
* 영화 [[아마데우스 (영화)|아마데우스]]
* 연극 [[아마데우스]]
== 참고 문헌 ==
* 제러미 시프먼, 《모차르트, 그 삶과 음악》(임선근 역, 포노, 2010). ISBN 978-89-93818-05-5{{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제목=서양 음악의 역사}}
== 외부 링크 ==
* {{브리태니커|b07m3874b}}
* {{두피디아|101013000899429}}
* {{네이버캐스트|19}}
* [http://www.classicalmusicdb.com/composers/view/7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작품 목록] Classical Music DB
* [http://www.scores4free.com/mozart/mozart.html Mozart Scores] + audio & MIDI
* [http://nma.redhost24-001.com/DME/nma/nmapub_srch.php?l=2 Mozarteum] {{웨이백|url=http://nma.redhost24-001.com/DME/nma/nmapub_srch.php?l=2 |date=20170615113955 }}
* [http://www.classiccat.net/mozart_wa/index.htm Classic Cat - Mozart mp3] {{웨이백|url=http://www.classiccat.net/mozart_wa/index.htm |date=20100611213700 }}
* [http://www.rtve.es/alacarta/videos/los-conciertos-de-la-2/conciertos-2-concierto-rtve-16/2519309/ 진혼곡(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스페인어 TV 심포니 오케스트라.
== 각주 ==
<references/>
{{위키공용|Wolfgang Amadeus Mozart}}
{{위대한 독일인}}
{{고전주의 음악}}
{{전거 통제}}
{{기본정렬:모차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분류: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분류:1756년 출생]]
[[분류:1791년 사망]]
[[분류:오스트리아의 작곡가]]
[[분류:오스트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분류:오스트리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분류:오스트리아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분류:오스트리아의 오르간 연주자]]
[[분류:오스트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분류:오스트리아의 어린이 음악가]]
[[분류:오스트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독일의 작곡가]]
[[분류:독일의 클래식 작곡가]]
[[분류:독일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분류:독일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분류:독일의 오르간 연주자]]
[[분류:독일의 어린이 음악가]]
[[분류:독일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피아노 작곡가]]
[[분류:국가 작곡가]]
[[분류:고전주의 작곡가]]
[[분류:잘츠부르크 출신]]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18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분류:18세기 클래식 작곡가]]
[[분류:모차르트가]]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좋은 글}}
[[파일:444226main exoplanet20100414-a-full.jpg|250px|섬네일|[[HR 8799]]을 도는 행성 셋을 [[헤일 망원경]]이 찍은 사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벡터 소용돌이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해서 가렸다.]]
[[파일:Brown dwarf 2M J044144 and planet.jpg|섬네일|250px|right|[[2MASS J044144]]은 [[갈색 왜성]]으로 목성 질량 5~10배의 동반 천체를 거느리고 있다. 동반 천체가 [[준갈색왜성]]인지 [[행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파일:The Star AB Pictoris and its Companion - Phot-14d-05-normal.jpg|섬네일|250px|right|[[화가자리 AB]]와 동반천체(좌하단). 동반천체는 갈색 왜성이거나 무거운 행성일 것이다. 2003년 3월 16일 VLT로 촬영. 항성 위에 1.4초각 크기의 [[오컬팅 마스크]]를 위치시켰다.]]
'''태양계외 행성'''(太陽系外行星), '''외계 행성'''(外界行星) 또는 '''계외 행성'''(系外行星)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다. 지금까지 3800여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으며(2018년 6월 23일 기준: 행성계 2840개에서 행성 3796개. 이 중 다중행성계는 632개) 모두 [[우리 은하]] 내에 있다.<ref name="Encyclopedia">{{웹 인용|url=http://exoplanet.eu/catalog.php|제목=Interactive Extra-solar Planets Catalog|저자=Jean Schneider|이름=|날짜=2012|웹사이트=The Extrasolar Planets Encyclopedia|출판사=|확인날짜=|확인날짜=2018-06-23}}</ref> 우리 은하에만 수십억 개의 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ref name=harps2011>[http://arxiv.org/abs/1109.2497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XIV. Occurrence, mass distribution and orbital properties of super-Earths and Neptune-mass planets], M. Mayor, M. Marmier, C. Lovis, S. Udry, D. Ségransan, F. Pepe, W. Benz, J.-L. Bertaux, F. Bouchy, X. Dumusque, G. Lo Curto, C. Mordasini, D. Queloz, N. C. Santos. 2011년 9월 작성.</ref><ref name="Space-20120111">{{웹 인용 |저자=Mike Wall |제목=160 Billion Alien Planets May Exist in Our Milky WayGalaxy |url=http://www.space.com/14200-160-billion-alien-planets-milky-galaxy.html |날짜=2012-01-11 |출판사=Space.com |확인날짜=2012-12-01 }}</ref><ref name="Nature-20120111">{{저널 인용 |저자=Cassan, A |제목=One or more bound planets per Milky Way star from microlensing observations |url=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81/n7380/full/nature10684.html |doi=10.1038/nature10684 |날짜=2012-01-11 |저널=Nature |volume=481 |쪽=167–169 |확인날짜=2012-12-01 |bibcode = 2012Natur.481..167C |이름2=Kubas |성2=D. |이름3=Beaulieu |성3=J.-P. |이름4=Dominik |성4=M. |이름5=Horne |성5=K. |이름6=Greenhill |성6=J. |이름7=Wambsganss |성7=J. |이름8=Menzies |성8=J. |이름9=Williams |성9=A. |issue=7380 |pmid=22237108|arxiv = 1202.0903 }}</ref> 대부분 항성을 돌고 있으나 일부는 홀로 우주 공간을 움직이는 [[떠돌이 행성]]이기도 하다.<ref>[http://arxiv.org/abs/1201.2687 Nomads of the Galaxy], Louis E. Strigari, Matteo Barnabe, Philip J. Marshall, Roger D. Blandford의 연구에 따르면 태양질량 0.08~1배 사이 주계열성 1개당 태양질량 10<sup>−6</sup>배(화성 질량 정도)보다 큰 천체 700개가 존재한다고 한다. 이 경우 우리 은하 내 행성 수는 수십억 개는 된다.</ref>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것은 [[프록시마 b]]이다.
수 세기에 걸쳐 많은 [[철학자]]와 [[과학자]]들은 외계 행성이 있으리라고 추측해 왔으나 이들이 얼마나 흔하게 있는지 또는 우리 [[태양계]]와 외계 행성계가 얼마나 비슷한지 알 방법이 없었다. 19세기부터 외계 행성을 찾았다는 발표가 여러 번 있었으나 천문학자들의 검증 결과 이 모든 주장들은 기각되었다. [[1992년]] [[펄사]] [[PSR B1257+12]] 주위를 도는 암석 행성들의 존재가 최초로 검증, 발표되었다. [[주계열성]]을 도는 행성 중 최초로 확인된 행성은 [[페가수스자리 51]]을 4일에 한 바퀴 도는 가스 행성 [[페가수스자리 51 b]]이다. 관측 기술의 향상 덕분에 이후 외계 행성의 발견 속도는 상승했다. 몇몇 외계 행성은 [[망원경]]으로 직접 사진을 찍었으나 대다수는 [[시선 속도]]와 같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발견되었다.<ref name="Encyclopedia"/>
확인된 외계 행성 대부분은 [[목성]] 또는 [[해왕성]] 정도 덩치의 [[가스 행성]]으로 추측되나 [[가스 행성]]이 외계 행성들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단지 무거운 행성들은 쉽게 눈에 띄기 때문이며 [[선택 편향]]의 결과이다.<ref>http://arxiv.org/ftp/astro-ph/papers/0603/0603200.pdf</ref> 상대적으로 가벼운 지구질량 수 배 정도의 외계 행성들도 많이 발견되었으며 통계적 연구결과 이들 암석형 외계 행성의 수는 가스 행성보다 많은 것으로 보인다.<ref name="keplerteam">{{저널 인용 |제목=Characteristics of Kepler Planetary Candidates Based on the First Data Set: The Majority are Found to be Neptune-Size and Smaller |날짜=2010-07-23 |저자=William J. Borucki |저자링크=et al. |arxiv=1012.0707v2 }}</ref> 최근 지구와 비슷하거나 작은 질량의 행성들도 발견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질량 외의 여러 속성이 지구와 비슷한 것도 있다.<ref name="NASA-20111220">{{웹 인용 |이름=Johnson |성=Michele |제목=NASA Discovers First Earth-size Planets Beyond Our Solar System |url=http://www.nasa.gov/mission_pages/kepler/news/kepler-20-system.html |출판사=[[NASA]] |날짜=2011-12-20 |확인날짜=2012-12-01 |archive-date=2020-05-16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00516230313/https://www.nasa.gov/mission_pages/kepler/news/kepler-20-system.html |url-status= }}</ref><ref name="Nature-20111220">{{저널 인용 |이름=Hand |성=Eric |제목=Kepler discovers first Earth-sized exoplanets |doi=10.1038/nature.2011.9688 |날짜=2011-12-20|저널=Nature}}</ref><ref name="NYT-20111220">{{뉴스 인용 |이름=Overbye |성=Dennis |제목=Two Earth-Size Planets Are Discovered|url=http://www.nytimes.com/2011/12/21/science/space/nasas-kepler-spacecraft-discovers-2-earth-size-planets.html|날짜=2011-12-20|뉴스=New York Times |확인날짜=2011-12-21 }}</ref> [[갈색 왜성]]을 도는 외계 행성들도 있으며 어떤 항성에도 속박되지 않고 우주를 떠도는 행성도 있다. 그러나 이런 특수한 상황에서 천체들에 '행성' 명칭이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행성은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를 돌고 있어 표면에 액체 [[물]](또는 생명체)이 존재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런 행성들의 발견으로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관심은 증폭되고 있다.<ref>
{{웹 인용
|제목 = Terrestrial Planet Finder science goals: Detecting signs of life
|웹사이트 = Terrestrial Planet Finder
|출판사 = Jet Propulsion Laboratory
|url = http://planetquest.jpl.nasa.gov/TPF/tpf_signsOfLife.cfm
|확인날짜 = 2006-07-21
|확인날짜 = 2006-07-21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208051041/http://planetquest.jpl.nasa.gov/TPF/tpf_signsOfLife.cfm
|보존날짜 = 2008-02-08
|url-status = dead
}}</ref> 외계 행성이 생명체를 품기에 적합한지의 폭넓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을 [[행성 거주 가능성]] 연구라고 하며 이는 외계 행성 탐사에 포함된다.
== 발견 역사 ==
=== 초창기 발견 주장 ===
16세기 [[이탈리아]]의 [[신학자]]인 [[조르다노 부르노]]([[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을 옹호했음)는 [[항성|붙박이별]]들은 [[태양]]과 비슷하며 그 주위는 [[태양계|우리 태양계]]처럼 [[행성]]들이 돌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1600년]] [[종교 재판|종교 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말뚝에 묶여 [[화형]]에 처해졌다. 그러나 그의 천문학적 관점이 유죄판결의 주된 이유는 아니었다.<ref>Sheila Rabin, [http://plato.stanford.edu/entries/copernicus/ "Nicolaus Copernicu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5-11-19)</ref>
[[18세기]]에 [[영국]]의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턴]]은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 부르노와 비슷한 주장을 적어 놓았다. 태양계 행성들과의 비교를 통해 [[뉴턴]]은 이렇게 기록했다. “...그리고 만약 붙박이별들이 각각 태양처럼 계(系)의 중심이라면 이들은 모두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며 ‘절대자’의 다스림 아래 있을 것이다.”<ref>
{{서적 인용
|성1 = Newton
|이름1 = Isaac
|성2 = I. Bernard
|이름2 = Cohen
|성3 = Anne
|이름3 = Whitman
|제목 = The Principia: A New Translation and Guide
|출판사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날짜 = 1999
|쪽 = 940
|isbn = 0-520-20217-1}}
</ref>
[[파일:Extrasolar planet NASA2.jpg|섬네일|300px|우리 [[태양계]]를 [[게자리 55]] 계와 비교한 그림.]]
=== 철회된 발견 주장 ===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는 주장은 [[19세기]]부터 있었다. 대표적으로 [[쌍성]] [[뱀주인자리 70]]에 행성이 있다는 주장을 꼽을 수 있다. [[1855년]]에 [[영국 동인도 회사]]의 [[마드라스 천문대]]에 근무하던 제이콥은 [[쌍성]] 궤도의 불규칙함이 행성 존재로부터 나오는 결과라고 주장했다.<ref>{{저널 인용 |성=Jacob |이름=W.S. |authorlink= |날짜=1855 |제목=On Certain Anomalies presented by the Binary Star 70 Ophiuchi |저널=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volume=15 |쪽=228}}</ref> [[1890년대]]에는 [[시카고 대학교]] 및 [[미국 해군]] 천문대 소속인 [[토머스 시]]는 [[뱀주인자리 70]]의 공전궤도의 변칙성은 [[항성]]을 36년 주기로 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천체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ref>{{저널 인용 |성=See |이름=Thomas Jefferson Jackson |authorlink=Thomas Jefferson Jackson See |날짜=1896 |제목=Researches on the Orbit of F.70 Ophiuchi, and on a Periodic Perturbation in the Motion of the System Arising from the Action of an Unseen Body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 |volume=16 |쪽=17 |doi=10.1086/102368}}</ref> 그러나 [[포레스트 레이 몰턴]]은 세 개 천체로 이루어진 계는 매우 불안정하다는, 토머스 시의 주장을 공격하는 논문을 발표했다.<ref>{{저널 인용 |url=http://www.shpltd.co.uk/jha.pdf |저널=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제목=A Career of controversy: the anomaly OF T. J. J. See |성=Sherrill |이름=Thomas J. |날짜=1999 |volume=30 |확인날짜=2007-08-27|형식=PDF}}</ref>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걸쳐 [[스와스모어 대학교]]의 [[페터 반 데 캄프]]는 [[바너드 별]] 주위에 행성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여러 차례에 걸쳐 내놓았다.<ref>{{저널 인용|url=http://adsabs.harvard.edu/abs/1969AJ.....74..757V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 |제목=Alternate dynamical analysis of Barnard's star |성=van de Kamp |이름=Peter |authorlink=Peter van de Kamp |날짜=1969-07 |volume=74 |쪽=757–759 |확인날짜=2007-08-27 |doi=10.1086/110852}}</ref> 현재 [[천문학자]]들은 초기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는 주장 모두를 관측자들의 착오로 간주하고 있다.<ref name="boss_book">{{서적 인용
|성 = Boss
|이름 = Alan
|제목 = The Crowded Universe: The Search for Living Planets
|출판사 = Basic Books
|날짜 = 2009
|쪽 = 31–32
|isbn = 978-0-465-00936-7}}</ref>
[[1991년]]에 앤드루 린, 베일스, 셰머는 [[펄사 타이밍 기법]]을 사용하여 [[PSR 1829-10]] 주위를 도는 [[펄사 행성]]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ref name="LyneBailes">{{저널 인용| 저자1=Bailes, M.| 저자2=Lyne, A.G.| 저자3=Shemar, S.L. | 제목=A planet orbiting the neutron star PSR1829-10 | 저널=Nature |날짜=1991 | volume=352 | issue=| 쪽=311 – 313 | url=http://www.nature.com/cgi-taf/DynaPage.taf?file=/nature/journal/v352/n6333/abs/352311a0.html | doi=10.1038/352311a0}}</ref> 이 주장은 학계의 지대한 관심을 받았는데, [[펄사]]의 주기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지구 [[공전]]궤도의 [[이심률]]을 반영하지 않아 생긴 착오로 판명되었으며 린 및 동료들은 곧장 자신들의 주장을 철회했다.<ref name="LyneRetraction">{{저널 인용 | 저자1=Lyne, A.G. | 저자2=Bailes, M. | 제목=No planet orbiting PS R1829-10 | 저널=Nature |날짜=1992 | volume=355 | issue=6357 | 쪽=213 |
url=http://www.nature.com/cgi-taf/DynaPage.taf?file=/nature/journal/v355/n6357/abs/355213b0.html | doi=10.1038/355213b0}}</ref>
=== 검증된 발견 사실 ===
[[파일:Planets everywhere (artist’s impression).jpg|섬네일|우리 은하 내 별들 주위에 얼마나 행성들이 흔하게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상화.<ref>{{뉴스 인용|제목=Planet Population is Plentiful|url=http://www.eso.org/public/news/eso1204/|확인날짜=2012-01-13|뉴스=ESO Press Release|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113070422/http://www.eso.org/public/news/eso1204/|보존날짜=2012-01-13|url-status=dead}}</ref>]]
[[1988년]]에 [[캐나다]]의 [[천문학|천문학자]]인 [[브루스 캠벨]]과 G. A. H. 워커, 스티븐슨 양은 항성 [[세페우스자리 감마]] 주위를 도는 행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발견은 추가 검증을 통해 그 존재가 논문으로 출판된 최초 사례였다.<ref name="Campbell">{{저널 인용
| last1 = Campbell | first1 = B.
| last2 = Walker | first2 = G. A. H.
| last3 = Yang | first3 = S.
| title = A search for substellar companions to solar-type stars
| doi = 10.1086/166608
| journal = The Astrophysical Journal
| volume = 331
| pages = 902
| year = 1988
| pmid =
| pmc =
}}</ref> 캠벨 일행은 행성을 발견했다는 사실을 조심스럽게 발표했으나 이들의 시선속도 관측자료는 감마별을 행성 한 개가 돌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었다. 다만 캠벨의 관측 자료 일부는 당시 관측장비 성능의 한계점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이후 수 년 동안 이 발견 및 다른 비슷한 관측들에 대하여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행성이 분명한 천체 몇몇도 [[갈색 왜성]]([[항성]]과 [[행성]] 중간 정도 질량을 지닌 천체)으로 여겨졌다. [[1990년]] [[세페우스자리]] 감마를 도는 행성이 존재함을 입증하는 추가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나<ref name="">
{{저널 인용
|author1=A.T. Lawton
|author2=P. Wright
|year=1989
|제목=A planetary system for Gamma Cephei?
|journal=Journal of the British Interplanetary Society
|volume=42|pages=335–336
|bibcode=1989JBIS...42..335L
}}</ref> [[1992년]] 추가로 발표된 논문은 다시금 심각한 논란을 불러왔다.<ref name="Walker">
{{저널 인용
|author=G.A.H. Walker
|year=1992
|제목=Gamma Cephei – Rotation or planetary companion?
|journal=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volume=396|issue=2|pages=L91–L94
|doi=10.1086/186524
|bibcode=1992ApJ...396L..91W
|last2=Bohlender
|first2=David A.
|last3=Walker
|first3=Andrew R.
|last4=Irwin
|first4=Alan W.
|last5=Yang
|first5=Stephenson L. S.
|last6=Larson
|first6=Ana
}}</ref> 결국 [[2003년]] 개선된 관측 장비의 성능 및 기술에 힘입어 세페우스자리 감마를 도는 행성의 존재는 검증되었다.<ref>
{{저널 인용
|author=A.P. Hatzes
|제목=A Planetary Companion to Gamma Cephei A
|journal=Astrophysical Journal
|year=2003
|volume=599|issue=2|pages=1383–1394
|doi =10.1086/379281
|bibcode=2003ApJ...599.1383H
|arxiv = astro-ph/0305110
|last2=Cochran
|first2=William D.
|last3=Endl
|first3=Michael
|last4=McArthur
|first4=Barbara
|last5=Paulson
|first5=Diane B.
|last6=Walker
|first6=Gordon A. H.
|last7=Campbell
|first7=Bruce
|last8=Yang
|first8=Stephenson
}}</ref>
[[1992년]] [[4월 21일]]에<ref>{{뉴스 인용 | url=http://tech.mit.edu/V114/N22/psr.22w.html | 제목=Scientists Uncover Evidence of New Planets Orbiting Star | newspaper=Los Angeles Times | first=Robert | last=Holtz | date=1992-04-22 | format=republished in ''The Tech (newspaper)'' | 확인날짜=2012-12-07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517225034/http://tech.mit.edu/V114/N22/psr.22w.html | 보존날짜=2013-05-17 | url-status=dead }}</ref> 전파천문학자인 [[알렉산데르 볼시찬]]과 [[데일 프레일]]은 [[펄사]] [[PSR B1257+12|PSR 1257+12]]을 도는 행성 두 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ref name="Wolszczan">{{저널 인용
| last1 = Wolszczan | first1 = A. |bibcode=1992Natur.355..145W
| last2 = Frail | first2 = D. A.
| doi = 10.1038/355145a0
| title = A planetary system around the millisecond pulsar PSR1257 + 12
| journal = Nature
| volume = 355
| issue = 6356
| pages = 145
| year = 1992
| pmid =
| pmc =
}}</ref> 이 발견은 추가연구를 통해 검증되었고, 외계 행성의 존재가 입증된 최초의 발견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들의 탄생 과정에 대해 두 가지 학설이 있다. 첫째, [[초신성]] 폭발로 펄사가 태어났으며 폭발 잔해로부터 제2의 행성 생성 과정이 진행되었다는 학설과 둘째, 폭발로 [[가스 행성]]의 가스층이 쓸려나간 뒤 남은 암석핵이 어찌하여 살아남아 지금의 궤도를 돌고 있다는 학설이다.
[[1995년]] [[10월 6일]]에 [[제네바 대학교]]의 [[미셸 마요르]], [[디디에 쿠엘로]]는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 [[페가수스자리 51]]을 도는 외계 행성 하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ref name="Mayor">
{{저널 인용
|author1=M. Mayor
|author2=D. Queloz
|year=1995
|제목=A Jupiter-mass companion to a solar-type star
|url=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378/n6555/abs/378355a0.html
|journal=Nature
|volume=378
|issue=6555|pages=355–359
|doi=10.1038/378355a0
|bibcode = 1995Natur.378..355M }}</ref> [[프랑스]] 프로방스 주 천문대에서 관측된 이 발견은 행성 탐사 역사에 새로운 전환기를 마련했다. 기술적 진보(고해상도 분광기의 기여가 대부분임)로 이후 외계 행성들의 발견 속도는 크게 빨라졌다. 천문학자들은 외계 행성이 어머니 별을 중력적으로 흔드는 효과를 관찰하여 간접적으로 행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부 항성들이 거느린 행성들은 우리 시선과 항성 사이를 지나가면서 별의 밝기를 감소시키며, 이러한 방법으로 발견된 행성도 많다.
초창기 발견된 외계 행성들은 어머니 별 바로 옆을 도는 매우 무거운 행성들이 대부분이었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뜨거운 목성]]의 존재에 놀랐는데 그 이유는 기존의 행성 탄생 이론은 우리 태양계의 [[목성]], [[토성]]처럼 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무거운 천체가 태어난다고 설명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국 비슷한 뜨거운 목성들이 계속 발견되었으며 지금 이런 뜨거운 목성들은 외계 행성 중 적은 수가 아님이 확실해졌다. [[1999년]]에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은 두 개 이상의 행성을 거느린 항성에 그 이름을 최초로 올렸다.<ref name="Lissauer_multiple99">
{{저널 인용
|author=Jack J. Lissauer
|year=1999
|제목=Three Planets for Upsilon Andromedae
|url=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398/n6729/full/398659a0.html
|journal=Nature
|volume=398|issue=659|doi=10.1038/19409
|bibcode = 1999Natur.398..659L
|page=659 }}</ref> 다른 다행성계가 이후 계속 발견되었다.
[[2012년]] [[12월 1일]] 기준으로 외계행성 백과사전에 등재된 [[태양계]] 이외 행성의 수는 853개이다. 이 중 일부는 [[1980년대]] 후반 그 존재에 대한 논란이 일었던 행성들도 있다.<ref name="Encyclopaedia">{{웹 인용|last1=Schneider |first1=Jean |date=2011-09-10|title=Interactive Extra-solar Planets Catalog |url=http://exoplanet.eu/catalog.php |work=The Extrasolar Planets Encyclopedia |accessdate=2012-07-13}}</ref> 이들 외계 행성은 672개의 [[항성계]] 구성원이며 항성계 중 126개는 다중행성계이다. [[케플러-16]]은 쌍성계를 도는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ref name = "circumbinary">{{저널 인용|author= Laurence R. Doyle |제목 = Kepler-16: A Transiting Circumbinary Planet |journal=Science|pages= 1602–6 |volume= 333 |date= 2011-09-16|bibcode = 2011Sci...333.1602D |doi = 10.1126/science.1210923 |pmid=21921192 |issue=6049|last2= Carter|first2= J. A.|last3= Fabrycky|first3= D. C.|last4= Slawson|first4= R. W.|last5= Howell|first5= S. B.|last6= Winn|first6= J. N.|last7= Orosz|first7= J. A.|last8= Pr Sa|first8= A.|last9= Welsh|first9= W. F.|arxiv = 1109.3432 }}</ref>
[[2012년]] [[2월]]에 실시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계획]](현재 작동 중지)에서는 우주선에 부착된 망원경으로부터 발사 후 16주간 우주를 관측하여 2,321개의 외계행성 후보를 발견했다(이들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이들은 1,790개 항성계의 구성원이다.<ref name=batalha>{{저널 인용 |last=Batalha |first=Natalie |date=2012-02-27|arxiv=1202.5852|제목=Planetary Candidates observed by Kepler III:Analysis of the first 16 Months of Data |author2=Rowe |author3=Bryson |author4=Burke |author5=Caldwell |author6=Christiansen |author7=Thompson}}</ref>
[[2012년]] [[10월 17일]]에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계인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를 도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Bb]]의 발견이 공표되었다. 이 행성의 질량은 지구와 비슷하나 생물권 내에 있지 않아 액체 물이 표면에 존재할 수 없다.<ref>{{웹 인용 |url=http://earthsky.org/space/whoa-earthlike-planet-in-alpha-centauri-system |제목=Whoa! Earth-size planet in Alpha Centauri system |확인날짜=2012-12-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1103042621/http://earthsky.org/space/whoa-earthlike-planet-in-alpha-centauri-system |보존날짜=2012-11-03 |url-status=dead }}</ref>
== 발견 방법 ==
어머니 항성에 비하면 행성들은 너무 어둡다. [[가시광선]] 파장에서 이들이 내는 빛은 항성의 백만 분의 일 이하이다. 이렇게 흐릿한 빛을 잡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어머니 별에서 나오는 빛이 이를 가려버린다. 따라서 어머니 별의 강한 빛을 가리지만 행성에서 나오는 빛은 남겨놓아야 하는데, 이는 현재 기술적으로 큰 도전거리이다.<ref name="Perryman_book11">
{{서적 인용
|성 = Perryman
|이름 = Michael
|제목 = The Exoplanet Handbook
|출판사 = Cambridge University Press
|날짜 = 2011
|쪽 = 149
|isbn = 978-0-521-76559-6}}
</ref>
앞에서 설명한 이유 때문에, 현재 기술 수준에서 [[망원경]]을 이용하여 외계 행성의 상을 찍는 것은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상을 찍을 수 있는 경우라도, 행성의 질량이 크고([[목성]]보다 훨씬 더 커야 함), 어머니 항성에서 제법 떨어져 있으며, [[적외선]] 영역에서 많은 빛을 낼 정도로 [[내부열]]을 갖고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대부분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발견했다.
[[파일:Planet reflex 200.gif|섬네일|right|200px|도플러 효과의 원리. 외계 행성과 어머니 항성이 [[질량 중심]]을 돌고 있다. 외계 행성은 항성을 돌면서 항성을 좌우로 흔든다.]]
[[파일:Planetary transit.svg|200px|right|섬네일|통과법의 원리. 행성은 어머니 항성을 가리면서 일정량 빛을 차단한다.]]
* '''위치천문학''': [[위치천문학]]은 하늘에서 항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항성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다룬다. 만약 항성이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면 행성이 항성에 미치는 중력으로 인해 항성의 위치는 변하게 되며, 이 변하는 위치는 행성과의 [[질량 중심]]을 기준으로 작은 원 또는 타원 궤도를 그리게 된다.(우측 그림)
* '''도플러 효과''': '''시선속도법'''<ref name=donga /> 이라고도 부른다. [[시선 속도]]를 통해 항성이 지구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선 속도는 [[분광선]]을 통해 알아낸 것이며, 분광선은 [[도플러 효과]]를 통해 알아낸 것이다. 지금까지 외계 행성을 발견하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된 방법이다.
* '''펄사 타이밍''': [[펄사]]([[초신성]]이 폭발하고 남은, 막대한 밀도를 지닌 작은 천체)는 자전하면서 극도로 규칙적인 [[전파]]를 뿜는다. 이 전파의 발산 주기에 약간의 변화가 있을 경우 이는 펄사가 흔들리고 있다는 뜻이 되며 주위에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 '''횡단법'''<ref name=donga>[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08/21/20090821200000023463/200908212000000234630102000000.html{{깨진 링크|url=http://news.dongascience.com/HTML/News/2009/08/21/20090821200000023463/200908212000000234630102000000.html }} <nowiki>[창의연구단공동기획]ET가 사는 곳을 찾아라</nowiki>], 동아사이언스, 한정호, 2009-08-21 입력, 2009-08-28 확인.</ref>: '''통과법''', '''트랜싯법'''이라고도 한다. 만약 어떤 행성이 우리 지구 관측자의 눈과 항성 사이를 [[통과 (천문학)|지나갈]] 경우 항성 표면에 검은 원반이 지나가는 것처럼 보일 것이며, 항성의 밝기는 원반이 항성을 가리는만큼 어두워질 것이다. 여기서 감소된 밝기를 통해 행성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된다.
* '''미세중력렌즈 효과''': 중력 렌즈법에 의하면 어떤 별의 [[중력장]]을 렌즈처럼 이용할 경우 배경별의 빛을 증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앞쪽에 있는 항성에 행성이 있을 경우 뒷쪽 별에서 오는 빛의 광도곡선에 불규칙성이 발생하게 된다.
* '''별주위 원반''': 많은 별 주위에 [[우주 먼지]]가 둘려 있으며 이들은 항성의 빛을 흡수하여 [[적외선]] 형태로 재발산한다. 적외선 발산이 관측된 항성 주위에는 [[별주위 원반]]이 있으며, 별주위 원반이 있는 항성계에는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도 크다.
* '''식쌍성법''': 한 쪽 별이 다른 별을 가리는 [[쌍성계]]에서 밝기의 미묘한 변화를 통해 행성이 항성의 앞으로 왔다가 뒤로 사라진다는 증거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쌍성계에 존재하는 행성을 찾는 데 있어 가장 믿을 만한 수단이다.
* '''공전 위상법''': [[달]]이나 [[금성]]은 태양을 돌면서 원반 모양이 차거나 이지러지는 등 상에 변화가 생긴다. 외계 행성 역시 항성을 공전하면서 차거나 이지러진다. 궤도경사각에 따라 위상에 차이가 생긴다. 위상을 연구함으로써 과학자들은 행성 대기 내 입자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 '''편광계류법''': 별빛은 대기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편광 현상을 일으키며 이는 편광계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행성을 발견할 수 있다.
몇몇을 빼고 거의 대부분의 외계 행성은 지상에서 관측하여 찾아낸 것이다. 그러나 지구 [[대기]]의 떨림에 영향받지 않는 관측 기구를 우주로 쏘아 보내는 계획들이 진행되고 있다. [[COROT]]은 2006년 12월 발사되었으며 현재 우주 공간에서 외계 행성 탐사 임무를 맡고 있는 유일한 우주 탐사 계획이다. [[허블 우주 망원경]]도 여러 개의 행성을 찾아냈다. 앞으로 실행 예정에 있는 외계 행성 탐사 계획으로 [[케플러 계획]], [[뉴 월드 계획]], [[다윈 (ESA)|다윈]], [[우주 간섭계 계획]], [[PEGASE]] 등이 있다.
== 일반적 특성 ==
=== 항성의 특징 ===
{{본문|외계 행성 주인별}}
알려진 대부분의 외계 행성들은 우리 [[태양]]과 비슷한 별([[분광형]]으로는 [[F형 주계열성|F]], [[G형 주계열성|G]], [[K형 주계열성]])을 돌고 있다. 이처럼 태양과 비슷한 별들 주위에서 행성들이 많이 발견된 이유는, 행성 탐사 계획들이 이런 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통계적 분석에 따르면 질량이 작은 별들([[적색 왜성]]이 대표적이다)은 행성을 가질 확률이 작거나, 거느리고 있더라도 질량이 작기 때문에 발견하기 힘든 것으로 밝혀졌다.<ref name="bonfils05">{{저널 인용 | 저자1=Bonfils, X. | 저자2=Forveille, T. | 저자3=Delfosse, X. |저자표시=et al. | 제목=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VI: A Neptune-mass planet around the nearby M dwarf Gl 581 | 저널=Astronomy & Astrophysics |날짜=2005 | volume=443 | issue= | 쪽=L15 – L18 |doi=10.1051/0004-6361:200500193}}</ref> 최근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관측 결과에 따르면 태양보다 훨씬 더 뜨거운 분광형 O 항성은 [[광증발효과]]를 발생시켜 행성이 생겨나는 것을 막는다고 한다.<ref>{{웹 인용 |저자=Linda Vu |날짜=2006-10-03 |확인날짜=2007-09-01 |제목=Planets Prefer Safe Neighborhoods |url=http://www.spitzer.caltech.edu/Media/happenings/20061003/ |archive-date=2010-06-07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00607191610/http://www.spitzer.caltech.edu/Media/happenings/20061003/ |url-status=dead }}</ref>
항성들은 대부분 [[수소]]나 [[헬륨]] 같은 가벼운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적은 양이기는 하나 [[철]]과 같이 무거운 원소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무거운 원소이 얼만큼 있느냐를 [[중원소 함량]]으로 표시한다. 중원소 함량이 큰 별들은 행성을 거느릴 확률이 높으며, 이들은 중원소 함량이 작은 별들보다 행성들의 [[질량]]이 보다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 관측된 특성 ===
발견된 외계 행성 후보 대부분은 간접적 방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기 때문에 특정한 물리적 수치 및 궤도요소만을 알 수 있다. 발견 방법 중 가장 많이 쓰인 것은 [[도플러 분광법]]인데, 이 방법을 쓸 경우 [[공전 주기]], 궤도 평균 거리, 궤도 [[이심률]], 각거리, [[근일점]], 반진폭 등을 알 수 있다. 다만 [[궤도경사각]]이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천체의 최소 질량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경사각이 실제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행성으로 알고 있었던 천체가 실제는 [[갈색 왜성]]이나 [[적색 왜성]] 등 훨씬 더 무거운 천체로 밝혀진 경우도 있다. 다만 흔치 않게 행성의 궤도경사각이 밤하늘에 대해 거의 수직(90도에 가까움)일 경우 행성은 별 앞을 지나가며 이 경우 행성의 실제 질량과 반지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행성 여러 개가 있는 [[계 (물리학)|계]](系)의 경우 위치천문학적 관측과 동역학적 연구를 통해 한 행성의 질량 오차값을 줄여나갈 수 있다.
항성 앞을 행성이 지나갈 때 분광기를 이용하여 관측, 행성 대기의 조성물을 분석할 수 있다.<ref name="charbonneautransitreview">{{저널 인용 | 성1=D. | 이름1=Charbonneau | 성2=T. | 이름2=Brown | 성3=A. | 이름3=Burrows | 성4=G. | 이름4=Laughlin | 제목=When Extrasolar Planets Transit Their Parent Stars | 저널=Protostars and Planets V | 출판사=University of Arizona Press | 날짜=2006 | url=http://fr.arxiv.org/abs/astro-ph/0603376 | access-date=2009-07-18 | archive-date=2019-07-22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722141403/http://fr.arxiv.org/abs/astro-ph/0603376 | url-status= }}</ref> 2차 통과(행성이 항성 뒤로 돌아갈 때 일어남)를 통해 행성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를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관측으로 항성에 매우 가깝게 붙어 있는 행성의 표면 온도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 선택적 효과 ===
[[파일:Extrasolar Planets 2004-08-31.png|섬네일|250px|이 그림은 2004년 8월 31일까지 발견된 모든 외계 행성들을 표시하고 있다. 발견 방법에 따라 시선 속도법(파랑), 트랜싯법(빨강), 미시중력렌즈법(노랑)으로 다르게 표시했다. 이 그림에는 지상 관측 및 우주 관측시 민감도(발견 가능한 천체 질량 하한선)도 함께 표시되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대부분은 [[목성]] 또는 그 이상으로 매우 무거운 질량을 지녔다. [[2008년]] [[8월]] 기준으로 지구 질량 10배 미만 행성의 숫자는 12개에 불과하다.<ref name="Encyclopedia"/> 적지 않은 행성들은 목성보다도 훨씬 무겁다. 그러나 이는 편향적인 결과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개발된 발견 방법으로는 작고 가벼운 행성보다는 무겁고 덩치 큰 행성들을 발견하기가 훨씬 쉽다. 이처럼 쏠린 결과는 통계적 분석을 어렵게 만드나 실제 지구처럼 가벼운 행성들은 무거운 가스 행성들보다 흔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관측 기술이 아직 정교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지구질량 수 배 수준 행성들이 여럿 발견되었음을 고려하면, 작은 행성들은 매우 흔하게 우주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칠레 소재 [[라 실라 천문대]] HARPS [[스펙트럼]] 사진기 2008년 자료에 따르면 항성 14개 중 하나 꼴로 가스 행성이 있으며, 다시 가스 행성이 있는 별 셋 중 하나 꼴로 지구질량 30배 이하의 암석 행성을 거느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ref>BBC News online: ''Trio of 'super-Earths' discovered'', 2008-06-16, 16:07 GMT. [http://news.bbc.co.uk/2/hi/science/nature/7457307.stm ]. 2008-06-17 확인.</ref>
많은 외계 행성들은 어머니 항성을 우리 태양계 [[수성]]보다 훨씬 더 가까운 곳에서 돌고 있다. 이 사실은 관측적인 선택편향으로 해석 가능하다. 시선속도법은 작은 궤도를 도는 행성들을 보다 잘 찾아낸다. 천문학자들은 처음에는 이런 “[[뜨거운 목성]]”의 존재에 충격을 받았으나 현 시점에서 대부분의 외계 행성들은(혹은 적어도 대부분의 무거운 외계 가스 행성들은) 항성에서 보다 멀리 떨어져 있음이 확실하다. 그 중 일부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 가능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내를 도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외계 행성계에는 [[목성]]이나 [[토성]]과 비슷한 덩치의 가스 행성이 적어도 한 개 또는 두 개씩은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공전 [[이심률]]은 행성이 어머니 항성을 얼마나 찌그러진 궤도를 그리면서 도는지를 보여준다. 발견된 행성들 대부분의 궤도는 크게 찌그러져 있다. 이는 관측적 선택편향이 '''아닌''', 외계 행성들이 보여주는 보편적 모습이다. 그 이유로 궤도 이심률은 행성 발견 감지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타원 궤도가 흔하다는 사실은 과학자들에게 있어 중대한 수수께끼인데, 현재 행성 탄생 이론에 따르면 행성의 궤도는 원에 가깝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 중 하나로 T 왜성([[메테인|메탄]]이 포함된 [[갈색 왜성]])과 같은 작은 동반 천체가 행성계에 숨겨져 있어 행성의 궤도를 뒤틀리게 만든다는 주장이 있다.<ref name="Eberley CoS">{{웹 인용 | 제목=Scientists Snap Images of First Brown Dwarf in Planetary System (News Release) | 웹사이트=Eberley CoS website | 날짜=2006-09-18 | url=http://www.science.psu.edu/alert/Luhman9-2006-2.htm |확인날짜=2008-01-23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208151937/http://www.science.psu.edu/alert/Luhman9-2006-2.htm | 보존날짜=2007-02-08 | url-status=dead }}</ref> 이는 우리 태양계가 흔치 않은 사례일 것임을 암시해 주는데, 그 이유는 [[수성]]을 뺀 모든 행성들이 원에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기 때문이다.
=== 외계 행성들은 흔하다 ===
[[2015년]]까지 1800개가 넘는 외계 행성들이 발견되었으며 꾸준히 계속 발견되고 있다. 카네기 과학 재단의 앨런 보스 박사는 [[우리 은하]] 안에만 수천억 개의 암석 행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는 이들 중 많은 곳에 간단한 형태의 생명체가 존재하며 수천 개의 [[문명]]이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태양과 비슷한 항성 주위에는 평균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하나씩은 있다고 추측했다.
최근 [[에든버러 대학교]] 천문학 연구팀은 외계 지적문명의 수가 최소 361개, 최대 37,964개에 이른다는 연구 발표를 내놓았다.<ref>{{웹 인용|url=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205601012&spage=7|제목=英연구팀 “외계 문명, 최대 3만 7964개”|출판사=나우뉴스|날짜=2009-02-05|확인날짜=2009-08-13|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30085517/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205601012&spage=7|보존날짜=2015-09-30|url-status=dead}}</ref><ref>{{웹 인용|url=http://news.bbc.co.uk/1/hi/sci/tech/7891132.stm |제목=Science & Environment | Galaxy has 'billions of Earths' |출판사=BBC News |날짜=2009-02-15 |확인날짜=2009-04-23}}</ref>
=== 수치 측정 축소 가능성 ===
외계 행성이 한 개만 있는 행성계의 시선 속도 곡선은 대부분 [[궤도이심률]]이 0.1 이상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모의 실험 결과 행성이 2개 있을 경우 궤도가 원형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항성 주위 1개만 있다고 보고된, 이심률이 비교적 작은 행성들 중 약 15퍼센트가 숨겨진 형제 행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ref>{{저널 인용|성=Rodigas |이름=Timothy |저자link= |arxiv=0907.0020 |제목=Which Radial Velocity Exoplanets Have Undetected Outer Companions? |날짜=2009 |판=v1 |확인날짜=2009-07-07 }}</ref>
=== 밝혀지지 않은 의문점 ===
외계 행성의 여러 속성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의문점들 - 구체적인 행성 조성물이나 [[외계 위성|위성]]이 있는지의 여부 등 - 이 남아 있다. 최근 여러 외계 행성 대기를 조사한 결과 [[물]]이 없었다는 점은 우리가 외계 행성들의 속성에 대해 아직 모르는 것이 많음을 시사해 주었다. 또다른 의문점으로 외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있다. 여러 개의 행성들은 어머니 항성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내를 공전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지구보다는 목성과 비슷한 가스 덩어리이다. 만약 이들 주위에 거대한 위성들이 있다면 이 위성 표면은 생명체가 살기에 적당한 환경일 것이다. 그러나 별과 별 사이 거리를 뛰어넘어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의 존재(혹은 [[문명]]의 존재)를 감지하는 것은, 비록 외계 생명이 흔한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기술적으로 매우 힘든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 정의 ==
{{참고|행성의 정의}}
[[국제천문연맹]](IAU)이 제정한 행성의 정의에 따르면, 행성은 일단 항성 주위를 돌아야 한다.<ref>{{웹 인용 | 제목=Working Group on Extrasolar Planets: Definition of a "Planet" | 웹사이트=IAU position statement | 날짜=2003-02-28 | url=http://www.dtm.ciw.edu/boss/definition.html | 확인날짜=2012-07-04 | 보존url=https://www.webcitation.org/68uUrFa98?url=http://www.dtm.ciw.edu/boss/definition.html | 보존날짜=2012-07-04 | url-status=dead }}</ref> 그러나 현 IAU의 행성에 대한 정의는 우리 태양계 내에만 적용될 뿐 외계 행성들까지 고려한 것은 아니다.<ref>{{웹 인용| 날짜=2006| 제목=Why Planets Will Never Be Defined| url=http://www.space.com/aol/061121_exoplanet_definition.html|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830201451/http://www.space.com/aol/061121_exoplanet_definition.html| 보존날짜=2008-08-30| 확인날짜=2010-04-08| url-status=live}}</ref> '실효성 있는' 외계 행성에 대한 정의는 [[2001년]] 제정되었고 [[2003년]] 마지막으로 개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인용문2|
# 중수소 열핵 융합 작용이 일어나는 수준보다 낮은 실제 질량(현재로서는 태양과 비슷한 중원소 함량을 지닌 천체의 경우 목성질량 13배 수준)을 지니며, 항성 또는 항성의 잔해 주위를 돌아야 한다(어떻게 형성되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외계 행성으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최소 질량/크기의 기준은 우리 태양계 천체들의 기준과 동일하다.
# 중수소 열핵 융합 작용 기준선 이상으로 무거운 준항성(準恒星) 천체들은 '갈색 왜성'이며, 이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또는 어디에 자리잡고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 중수소 열핵 융합 작용 기준선 이하 질량을 지닌, 젊은 성단 내 자유로이 떠다니는 천체들은 행성이 아니며 대신 '준갈색왜성'(또는 더욱 적합한 다른 이름이 있다면 그것으로 한다)으로 부른다.
}}
자유롭게 떠돌아다니는 행성급 천체들(별을 돌지 않으며, [[떠돌이 행성]] 또는 성간 행성으로 불릴 때도 있음)의 존재가 보고되어 있다. 이런 천체들은 외계 행성의 범주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본 문서에서 다루지 않을 것이다. 이들 중 일부는 항성 주위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측되나(즉 '외계 행성'으로 부를 수 있었으나), 이후 어떤 이유 때문에 항성의 [[중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을 것이다.
== 명명법 ==
[[파일:Artist's concept shows four of the five planets that orbit 55 Cancri, a star much like our own.jpg|left|섬네일|250px|[[게자리 55 f]]의 상상화. 2009년 7월 시점에서 [[게자리 55]]는 [[태양]] 다음으로 많은 자식 행성을 거느린 것으로 확인된 천체이다.]]
외계 행성의 명명법은 [[쌍성계]]의 항성 구성원들 이름을 붙이는 것과 다르지 않다. 다만 차이점이라면 항성의 경우 [[대문자]]를 붙이지만 행성은 [[소문자]]를 붙인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보통 처음으로 행성이 발견될 경우 그 행성의 어머니 항성 이름 바로 뒤에 소문자 'b'를 붙인다(예: [[페가수스자리 51 b]]). 어머니 항성이 A이기 때문에 'a'는 쓰지 않는다. 같은 행성계 내에서 첫 번째 행성이 발견된 뒤 추가로 형제 행성들이 발견될 경우, b 다음의 c, d, e... 순서대로 이름을 얻는다. 동시에 두 개의 행성이 함께 발견될 때도 있는데, 이 경우 항성에 가까운 쪽이 빠른 기호를 받는다. 행성들은 반드시 항성으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발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항성으로부터의 순서대로 늘어놓을 경우 뒤죽박죽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글리제 876]] 행성계의 경우 [[글리제 876 d]]는 이전에 발견되었던 [[글리제 876 b]], [[글리제 876 c|c]]보다 항성에 가깝기 때문에 거리 순서로 정렬하면 d, c, b가 된다. 2009년 6월 기준으로 가장 뒤쪽 기호를 받은 행성은 [[게자리 55 f]]로, [[게자리 55]]의 다섯 번째 행성이다.
때로는 [[쌍성계]] 구성원들 중 어디에 속해 있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어머니 항성 기호와 함께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백조자리 16]]은 A와 B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B 주위에서 첫 번째 행성이 발견되었고, 이 행성은 A가 아닌 B 옆에 있기 때문에 '백조자리 Bb'라는 이름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Bb]]도 같은 방식으로 이름을 받은 것이다.
다만 위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1995년]] [[페가수스자리 51 b]]가 발견되기 전 펄사 타이밍법을 이용 [[펄사]] 주위를 도는 행성 두 개([[PSR B1257+12 B]], [[PSR B1257+12 C]])가 발견되어 있었다. 당시 외계 행성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두 행성은 "B" 와 "C"로 불렸다(이는 현재 외계 행성들이 알파벳 순서대로 이름을 받는 것과 같다). 그러나 소문자 대신 당시에는 대문자를 사용했는데 이는 항성급 천체들을 부르는 방법이었다. 이후 발견된 세 번째 행성은 [[PSR B1257+12 A]]라는 이름을 얻었고, 이는 단순히 셋째 행성이 나머지 둘보다 항성에 가까웠기 때문이었다.<ref>{{웹 인용|url=http://www.users.muohio.edu/weaksjt/|제목=Extrasolar Planets|work=|publisher=|date=|확인날짜=2009년 12월 6일|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1215034844/http://www.users.muohio.edu/weaksjt/|보존날짜=2009년 12월 15일|url-status=dead}}</ref> [[과학 소설]] 등 일부 명명법은 항성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순서에 따라 [[로마 숫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이는 태양계 외행성의 위성들을 표기하는 옛날 방법(예를 들면 [[칼리스토 (위성)|칼리스토]]를 '목성 IV'로 쓰는 것)에 따른 것인데,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아니다. 이를 우리 태양계의 경우에 대입하면, 외계 문명이 우리 태양 주위 행성을 찾으려 할 경우 [[목성]]과 [[토성]]을 가장 먼저 발견할 것이고 그 이름은 각각 '태양 I'과 '태양 II'가 될 것이다. 이후 관측 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태양에 가까운 작은 행성 네 개를 다 발견하면 목성과 토성의 이름은 최종적으로 '태양 V'와 '태양 VI'가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외계 행성 명명법에 따르면 목성과 토성은 처음 발견되었을 때 '태양 b'와 '태양 c'라는 이름을 받을 것이며, 이후 나머지 행성들이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이름이 고쳐질 일은 없다.
만약 어떤 행성이 쌍성계 내에 있더라도 어머니 항성 둘이 붙어 있지 않고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라면, 어머니 항성 대문자 기호가 행성 소문자 앞에 붙는다. 그 행성이 주성(主星)을 돌고 있으며 짝별은 주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혹은 행성이 발견된 뒤 짝별의 존재가 확인될 경우, 어머니 항성의 대문자 기호는 생략된다. 예를 들어 [[목동자리 타우 b]]는 목동자리 타우 항성계의 주성 A 주위를 돌고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이름은 목동자리 타우 Ab가 되어야 하나, 목동자리 타우의 짝별은 행성 존재가 확인된 뒤 발견되었으며 주성으로부터도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대문자를 생략하여 간단히 표기하는 것이다. 다만 [[백조자리 16 Bb]]나 [[사자자리 83 Bb]]처럼 행성이 주성이 아닌 짝별 주위를 돌 경우 항상 짝별 대문자를 앞에 붙여줘야 한다. 몇몇 행성들은 태양계 행성들처럼 별도의 애칭을 얻은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오시리스'로 불리는 [[HD 209458 b]], '벨레로폰'으로 불리는 [[페가수스자리 51 b]], '므두셀라'로 불리는 [[PSR B1620-26 b]]이다. [[국제천문연맹]]은 현재 외계 행성 이름을 붙이는 공식적 지침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이다.<ref>[http://www.iau.org/PLANETS_AROUND_OTHER_STARS.247.0.html Planets Around Other Stars] {{웨이백|url=http://www.iau.org/PLANETS_AROUND_OTHER_STARS.247.0.html |date=20060928091032 }}.</ref>
== 주요 외계 행성 ==
=== 의미있는 발견 사례 ===
외계 행성 발견사에 있어 첫 번째 중대한 사건은 1992년에 있었다. [[알렉산더 볼시찬|볼시찬]]과 프레일은 [[네이처]]에 기고한 저널에서, [[PSR B1257+12]] 주위를 행성이 공전하고 있다고 밝혔다.<ref name="Wolszczan" /> 이들 행성은 존재가 최초로 확인된 외계 행성들이었으며, [[펄사]] 주위를 돌고 있다는 점에서 아직까지도 매우 특이한 사례로 꼽히고 있다.
그러나 [[주계열성|평범한 항성]] 주위를 도는 사례 중 최초는 [[페가수스자리 51 b]]였다. 이 행성은 메이어와 퀠로즈가 1995년 [[10월 6일]]자 네이처 지에 발견 사실을 기고했다.<ref name="Mayor" /> 천문학자들은 당시 이 행성이 '[[뜨거운 목성]]'이라는 사실에 당혹해 했지만, 이후 비슷한 사례가 추가로 계속 발견되면서, 어머니 항성 바로 옆을 붙어 도는 사례는 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1996년]] - [[큰곰자리 47 b]]: 목성급 질량으로, 긴 공전 주기를 갖는 최초의 발견 사례. 항성에서 2.11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이심율은 0.049이다. 동반 행성도 발견되었는데, 3.39 천문단위 거리에 이심율은 0.220 ± 0.028, 공전주기는 2190 ± 460일이다.
;[[1998년]] - [[글리제 876 b]]: 적색 왜성([[글리제 876]]) 주위에서 최초로 발견된 행성. 항성과의 거리는 태양-수성 간격보다 좁다. 이후 항성에 보다 가까이 붙어 있는 행성들이 추가로 발견된다.<ref>{{저널 인용 | 성=Wilford | 이름=John Noble | 제목=New Planet Detected Around a Star 15 Light Years Away | 저널=The New York Times |날짜=1998-06-26 | volume= | issue= | pages= |url=http://astro.berkeley.edu/~gmarcy/nytimes_26jun98.html | format= }}</ref>
;[[1999년]]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행성계: 한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이 두 개 이상 발견된 최초의 사례. 행성들은 모두 목성급 질량을 갖고 있으며 총 3개가 발견되었다. 이름은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b, c, d로 각각 1996년, 1999년 발견되었다. 질량은 각각 목성의 0.687, 1.97, 3.93배이며, 항성과 떨어진 거리는 0.0595, 0.830, 2.54 천문단위이다.<ref>{{저널 인용| 저자1=Blake Edgar |저자2=Megan Watzke |저자3=Carol Rasmussen | 제목=Multiple planets discovered around Upsilon Andromedae | 저널= Extrasolar planets |날짜=1999 | issue= | volume=415, 617, 303 | 쪽=338 – 6747, 495 – 7463, 497 – 8611 |url=http://cfa-www.harvard.edu/afoe/upsAnd_pr.html}}</ref>
;[[1999년]] - [[HD 209458 b]]: [[시선 속도|시선속도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이후 항성 앞을 [[통과 (천문학)|통과]]하는 최초의 외계 행성이 되었다.<ref name="Henry">{{저널 인용 | 저자=Henry | 저자표시=et al. | 제목=A Transiting "51 Peg-like" Planet |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 날짜=2000 | volume=529 | issue=1 | 쪽=L41 – L44 | 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12458 | doi=10.1086/312458 }}{{깨진 링크|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12458 }}</ref>
;[[2001년]] - [[HD 209458 b]]: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 대기의 존재를 입증했다. 과학자들은 이 행성의 대기에 [[나트륨]]이 있음을 알아냈다(그러나 생각보다 그 양은 적었다). 대기 상층부의 구름이 하층 대기를 가리고 있음을 밝혀냈다.<ref>{{저널 인용 | 저자=Charbonneau | 저자표시=et al. | 제목=Detection of an Extrasolar Planet Atmosphere |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 날짜=2002 | volume=568 | issue=1 | 쪽=377 – 384 | 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38770 | doi=10.1086/338770 }}{{깨진 링크|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38770 }}</ref> 2008년 구름의 [[반사율]]를 측정했다.
;2001년 - [[용자리 요타 b]]: [[거성]]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 항성 [[용자리 요타]]는 오렌지색 거성이다. 요타 b의 발견으로, 거성으로 진화할 때까지 행성이 살아남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거성들은 활동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마치 행성이 있는 것처럼 착각을 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요타 b의 질량이 충분히 컸기 때문에 존재를 알아낼 수 있었다. 궤도는 [[이심률]]이 매우 크며, 공전궤도 [[긴반지름]]은 1.275 천문단위이다.<ref>{{저널 인용 | 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41629 | 저자=Frink | 저자표시=et al. | 제목=Discovery of a Substellar Companion to the K2 III Giant Iota Draconis |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 issue=1 | volume=576 | 날짜=2002 | 쪽=478 – 484 | doi=10.1086/341629 }}{{깨진 링크|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341629 }}</ref> 2008년 용자리 요타는 [[황소자리 엡실론]]과 함께 [[히아데스 성단]]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파일:Artist's impression of pulsar planet B1620-26c.jpg|섬네일|right|250px|천체 예술가가 펄사 행성 [[PSR B1620-26 b]]을 상상하여 그린 것. 2003년 발견되었고 지구에서 125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가장 나이가 많다.]]
;[[2003년]] - [[PSR B1620-26 b]]: 7월 10일 [[허블 우주 망원경]]의 관측 자료를 통해 펄사 주위에 알려진 행성들 중 가장 나이 많은 존재가 공전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이 행성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5,6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구상 성단 [[M4 (천체)|메시에 4]] 내에 자리잡고 있다. 이 행성은 쌍성을 공전하는 유일한 존재로, 가운데 쌍성 중 하나는 [[백색 왜성]], 다른 하나는 [[펄사]]이다. 질량은 목성의 두 배 정도이며 나이는 약 130억 살 정도로 추정된다.<ref>{{저널 인용| 저자1=Sigurdsson, S.| 저자2=Richer, H.B.| 저자3=Hansen, B.M.| 저자4=Stairs I.H.| 저자5=Thorsett, S.E. | 제목=A Young White Dwarf Companion to Pulsar B1620-26: Evidence for Early Planet Formation | 저널= Science |날짜=2003 | volume=301 | issue=5630 | 쪽=193 – 196 | doi=10.1126/science.1086326 | pmid=12855802}}</ref>
;[[2004년]] - [[제단자리 뮤 c]]: [[유럽 남방 천문대]]에서 [[HARPS]] [[스펙트럼 사진기]]를 이용하여 발견했다. 질량은 지구의 14배 정도로 [[천왕성]]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뜨거운 [[해왕성]]' 또는 '[[슈퍼지구]]'라는 별칭도 붙었다.<ref name="ESO">{{웹 인용 | 제목=Fourteen Times the Earth - ESO HARPS Instrument Discovers Smallest Ever Extra-Solar Planet | 웹사이트=ESO website | url=http://www.eso.org/outreach/press-rel/pr-2004/pr-22-04_pf.html | 확인날짜=2006년 5월 7일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1025150625/http://www.eso.org/outreach/press-rel/pr-2004/pr-22-04_pf.html | 보존날짜=2006년 10월 25일 | url-status=dead }}</ref>
;2004년 - [[2M1207 b]]: [[갈색 왜성]] 주위를 도는 것으로 확인된 최초의 행성. [[적외선]] 영역을 통해 직접 행성의 상을 얻을 수 있었다(이는 행성을 직접 촬영한 최초의 사례이다). 질량 최솟값은 목성의 5배 정도에, 갈색 왜성에서 약 55 천문단위 떨어진 거리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행성은 매우 뜨거운데(1250 켈빈), 주로 중력 수축 때문이다. 갈색 왜성의 질량은 목성의 25배 정도에 불과하다.<ref name="Chauvin">{{저널 인용| 저자=Konacki, M.| 제목=Astronomers Confirm the First Image of a Planet Outside of Our Solar System| 저널=ESO| 날짜=2005| volume=| issue=| pages=| url=http://www.eso.org/public/outreach/press-rel/pr-2005/pr-12-05.html| 확인날짜=2009년 12월 6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806073459/http://www.eso.org/public/outreach/press-rel/pr-2005/pr-12-05.html| 보존날짜=2009년 8월 6일| url-status=dead}}</ref> 2005년 후반기 갈색 왜성과 행성 사이 거리는 41 천문단위에 행성질량은 목성의 3.3배로 수정되었는데, 이는 갈색 왜성과 지구 사이 거리가 예상보다 가까웠기 때문이다. 2006년 갈색 왜성 주위에 [[원시행성계 원반]]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갈색 왜성 주변에서도 행성이 생겨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ref>{{저널 인용 |성=Mohanty |이름=Subhanjoy |성2=R. Jayawardhana, N. Huelamo, E. Mamajek |저널=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제목=The Planetary Mass Companion 2MASS1207-3932 B: Temperature, Mass and Evidence for an Edge-On Disk |날짜=2006 |volume= |issue= |pages= |url=http://www.abstractsonline.com/viewer/viewAbstract.asp?CKey=%7B78F3A334-676D-4934-9CDA-BE1BB2FFF667%7D&MKey=%7B233E8D64-F679-482F-A562-2F5589F2C771%7D&AKey=%7BAAF9AABA-B0FF-4235-8AEC-74F22FC76386%7D&SKey=%7B6688C2CD-F16F-4160-87CA-19158B707AE3%7D |확인날짜=2008년 11월 2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19222506/http://www.abstractsonline.com/viewer/viewAbstract.asp?CKey=%7B78F3A334-676D-4934-9CDA-BE1BB2FFF667%7D&MKey=%7B233E8D64-F679-482F-A562-2F5589F2C771%7D&AKey=%7BAAF9AABA-B0FF-4235-8AEC-74F22FC76386%7D&SKey=%7B6688C2CD-F16F-4160-87CA-19158B707AE3%7D |보존날짜=2008년 12월 19일 |url-status=dead }}</ref>
;[[2005년]] - [[글리제 876 d]]: 6월 글리제 876의 세 번째 행성 존재 사실이 공표되었다. 질량은 지구의 7.5배로, 현재 이 행성은 [[주계열성]]을 도는 모든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 두 번째로 가볍다. 암석 행성일 가능성이 크다.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0.021 천문단위, 공전 주기는 1.94일이다.<ref>{{저널 인용 | 저자=Rivera | 저자표시=et al. | 제목=A 7.5 Me Planet Orbiting the Nearby Star GJ 876 |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 날짜=2005 | volume=634 | issue=1 | 쪽=625 – 640 | 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491669 | doi=10.1086/491669 }}{{깨진 링크|url=http://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491669 }}</ref>
;2005년 - [[HD 149026 b]]: 7월 어떤 외계 행성보다도 큰 중심핵을 지니고 있는 천체가 발견되었다. 해당 천체 [[HD 149026 b]]는 항성 [[HD 149026]]을 돌고 있으며 핵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70배 수준(2008년 기준 자료에 의하면 80 ~ 110배이다)으로, 행성 전체 질량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ref>{{저널 인용| 저자1=Sato, B.| 저자2=Fischer, D.| 저자3=Henry, G.| 저자4=Laughlin, G.| 저자5=Butler, R.| 저자6=Marcy, G.| 저자7=Vogt, S.| 저자8=Bodenheimer, P.| 저자9=Ida, S.| 저자10=Toyota, E.| 저자11=Wolf, A.| 저자12=Valenti, J.| 저자13=Boyd, L.| 저자14=Johnson, J.| 저자15=Wright, J.| 저자16=Ammons, M.| 저자17=Robinson, S.| 저자18=Strader, J.| 저자19=McCarthy, C.| 저자20=Tah, K.| 저자21=Minniti, D. | 제목=The N2K Consortium II: A Transiting Hot Saturn around HD 149026 with a Large Dense Core |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 |날짜=2005 | volume=633 | issue= | 쪽=465 – 473 | doi=10.1086/449306}}</ref>
[[파일:Artist's Concept of Exoplanet OGLE-2005-BLG-390L b.jpg|섬네일|right|250px|[[OGLE-2005-BLG-390Lb]]의 상상도. 표면 온도는 섭씨 영하 220도에 달한다. 지구에서 2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중력 렌즈법을 이용하여 발견했다.]]
;[[2006년]] - [[OGLE-2005-BLG-390Lb]]: 1월 25일 OGLE-2005-BLG-390Lb의 발견 사실이 공표되었다. 이 행성은 직전까지 발견된 행성들 중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동시에 표면 온도가 가장 낮은 천체였다. 지구에서 약 21,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우리 [[은하핵|은하 중심]] 방향에 자리잡고 있다. [[중력 렌즈법]]을 이용하여 발견했으며 질량은 지구의 5.5배 수준으로 지금까지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들 중 질량이 가장 작다. 이 행성 이전 발견되었던 질량 작은 행성들은 전부 어머니 항성 바로 옆에 붙어 있었지만, OGLE-2005-BLG-390Lb는 항성에서 2.6 천문단위 떨어진 곳을 돌고 있다.<ref name="Beaulieulensplanet">{{저널 인용| 저자1=J.P. Beaulieu| 저자2=D.P. Bennett| 저자3=P. Fouque| 저자4=A. Williams| 저자5=M. Dominik| 저자6=U.G. Jorgensen| 저자7=D. Kubas| 저자8=A. Cassan| 저자9=C. Coutures| 저자10=J. Greenhill| 저자11=K. Hill| 저자12=J. Menzies| 저자13=P.D. Sackett| 저자14=M. Albrow| 저자15=S. Brillant| 저자16=J.A.R. Caldwell| 저자17=J.J. Calitz| 저자18=K.H. Cook| 저자19=E. Corrales| 저자20=M. Desort| 저자21=S. Dieters| 저자22=D. Dominis| 저자23=J. Donatowicz| 저자24=M. Hoffman| 저자25=S. Kane| 저자26=J.B. Marquette| 저자27=R. Martin| 저자28=P. Meintjes| 저자29=K. Pollard| 저자30=K. Sahu| 저자31=C. Vinter| 저자32=J. Wambsganss| 저자33=K. Woller| 저자34=K. Horne| 저자35=I. Steele| 저자36=D. Bramich| 저자37=M. Burgdorf| 저자38=C. Snodgrass| 저자39=M. Bode| 저자40=A. Udalski| 저자41=M. Szymanski| 저자42=M. Kubiak| 저자43=T. Wieckowski| 저자44=G. Pietrzynski| 저자45=I. Soszynski| 저자46=O. Szewczyk| 저자47=L. Wyrzykowski| 저자48=B. Paczynski | 제목=Discovery of a Cool Planet of 5.5 Earth Masses Through Gravitational Microlensing | 저널=Nature |날짜=2006 | volume=439 | issue= | 쪽=437 – 440 | url=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39/n7075/full/nature04441.html | doi=10.1038/nature04441}}</ref><ref name="onenews">{{웹 인용| 제목=Kiwis help discover new planet | 날짜=2006-01-26 | 웹사이트=One News | url=http://tvnz.co.nz/view/page/411419/653815}}</ref>
;2006년 - [[HD 69830]]: [[해왕성]]급 질량 행성 세 개를 거느리고 있는 행성계. 이 행성계는 행성이 3개 있는 것들 중 목성급이 한 개도 없는 유일한 사례이다. 5월 18일 로비스가 발견 사실을 공표했다(3개를 동시에 발견했음). 세 행성 모두 1 천문단위 이내를 공전하고 있다. 구성원 [[HD 69830 b|b]], [[HD 69830 c|c]], [[HD 69830 d|d]]의 질량은 각각 지구의 10, 12, 18배이다. 가장 바깥쪽 행성 d는 [[소행성대]]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생물권]] 내에 자리잡고 있다.<ref>{{웹 인용 | 제목=Trio of Neptunes and their belt | 저널=ESO 2006 | issue= | 날짜=2006-05-18 | url=http://www.eso.org/public/outreach/press-rel/pr-2006/pr-18-06.html | 확인날짜=2008-11-06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301205452/http://www.eso.org/public/outreach/press-rel/pr-2006/pr-18-06.html | 보존날짜=2008-03-01 | url-status=dead }}</ref>
;[[2007년]] - [[HD 209458 b]], [[HD 189733 b]]: 2007년 2월 21일 [[미국 항공우주국]]과 [[네이처]]지는 HD 209458 b와 HD 189733 b 두 행성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들은 [[스펙트럼]] 관측을 통해 직접 그 존재를 밝혀낸 최초의 사례이다.<ref>[http://www.spitzer.caltech.edu/Media/releases/ssc2007-04/release.shtml NASA's Spitzer First To Crack Open Light of Faraway Worlds] {{웨이백|url=http://www.spitzer.caltech.edu/Media/releases/ssc2007-04/release.shtml |date=20070715071155 }} ''Spitzer.caltech.edu''</ref><ref>[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45/n7130/abs/nature05636.html A spectrum of an extrasolar planet] ''Nature.com'' 2007-02-01 Nature 445, 892-895 (22 February 2007); doi:10.1038/nature05636</ref> 행성 대기 스펙트럼을 통해 과학자들은 지성체의 존재 여부까지는 모르더라도, 해당 천체에 생명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간접적으로 추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어 왔다. 나사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제레미 리차드슨 박사 연구진은 여기에 대한 연구 결과를 2월 22일 네이처지에 기고했다. 이들은 HD 209458 b의 스펙트럼을 7.5 ~ 13.2 마이크로미터 영역에서 측정했다. 그 결과 여러가지로 실망스러운 답이 나왔다. 10마이크로미터 영역에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피크(이는 대기에 [[수증기]]가 있다는 뜻이다)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9.65 마이크로미터에 예상치 못했던 피크가 관측되었는데, 과학자들은 이를 대기에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구름]]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주장했다. 이들과는 별개로 제트 추진 연구소의 마크 스웨인 연구진은 리차드슨 연구진의 자료를 분석한 뒤, 자신들의 연구 결과도 그리 다르지 않게 나왔다고 발표했다. 스웨인 연구진은 천체물리학 저널에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나사 스피처 과학 센터의 칼 그릴마이르 연구진은 HD 189733 b를 연구했으며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 저널에 게재되었다. 7월 11일 이들의 연구 결과는 네이처에도 실렸는데, 주요 내용은 HD 189733 b의 대기 스펙트럼에서 [[물]]의 존재가 처음으로 증명되었다는 것이다.<ref>[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70711_water_planet.html 'Clear Signs of Water' on Distant Planet] {{웨이백|url=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70711_water_planet.html |date=20080830210054 }}: Space.com</ref>
;2007년 - [[글리제 581 c]]: 2007년 4월 24일 스페이스닷컴에 발표된 바에 따르면, 이 행성은 표면에 액체 형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생명체가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했다.<ref name="Cfa">{{웹 인용| 제목=Major Discovery: New Planet Could Harbor Water and Life | 날짜=2007-04-24 | 저자=Ker Than | url=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70424_hab_exoplanet.html}}</ref> 액체 물의 가능성을 언급한 이유는, 특별한 증거가 발견되어서가 아니라 단순히 이 행성의 거리가 항성으로부터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물이 있을만한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 행성을 계속 연구한 결과 글리제 581 c는 [[금성]]과 같은 엄청난 [[온실 효과]] 상태에 놓여 있으며 따라서 표면의 물은 열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ref name="sel07">{{저널 인용 | url=http://arxiv.org/abs/0710.5294 | 저자=Selsis |저자표시=et al. | 제목=Habitable planets around the star Gl 581? | 저널=Astronomy and Astrophysics | volume=476 |날짜=2007 | 쪽=preprint | doi=10.1051/0004-6361:20078091}}</ref><ref name="blo07">von Bloh et al. (2007) {{웹 인용|url= http://www.aanda.org/index.php?option=article&access=bibcode&bibcode=2007A%2526A...476.1365VPDF
|제목=The Habitability of Super-Earths in Gliese 581 |출판사=''Astronomy & Astrophysics'' '''476''':1365-1371}}</ref> 오히려 c보다 항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글리제 581 d]]가 생명체가 살기에 더 좋은 환경으로 밝혀졌다. SETI 연구소의 수석 천문학자 세스 쇼스탁은 "글리제 581이 생명체를 품기에 적합한 후보로 생각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명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확보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글리제 581 c와 d는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HARP]] 관측기구를 통해 계산했다.
;2007년 - [[글리제 436 b]] : 2004년 8월에 발견되었으며, 질량은 [[해왕성]] 수준인데 이는 당시 발견된 외계 행성들은 주로 [[목성 질량]]급의 거대한 천체들이 많았음에 비교할 때 특이한 사례였다. 2007년 5월 이 행성이 어머니 항성 앞을 [[통과 (천문학)|통과]]하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서 밝혀진 행성의 질량은 지구의 22배 수준으로 통과 현상을 보이는 외계 행성들 중 가장 질량이 작은 사례였다. 행성의 밀도를 통해 글리제 436 b의 속은 '뜨거운 얼음'의 거대한 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예측하게 되었다. 항성에서 가까워서 매우 뜨거운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행성의 자체 중력 때문에 물은 증발하지 않고 압축되어 밀도 높은 상태로 존재할 것으로 보인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sciam.com/article.cfm?alias=hot-ice-may-cover-recentl&chanId=sa003&modsrc=reuters |제목=Hot "ice" may cover recently discovered planet |성=Fox |이름=Maggie |저널=Science News |날짜=2007-05-16 }}{{깨진 링크|url=http://www.sciam.com/article.cfm?alias=hot-ice-may-cover-recentl&chanId=sa003&modsrc=reuters }}</ref>
;2007년 - [[XO-3b]] : 어머니 항성 XO-3 앞을 통과하는 것이 관측되었는데, 여기서 나온 XO-3b의 질량은 목성의 13.24배로 [[갈색 왜성]]과 행성의 질량 경계선이라고 여겨지는 13배에 걸쳐 있었다. 이는 당시 발견되었던 외계 행성들 중 가장 무거운 값이었고, 통과 현상을 보이는 행성들 중에서도 당연히 가장 큰 값이었다. 행성의 반지름은 목성의 1.92배 정도일 것이며 이는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에서도 가장 큰 값이다. 1 [[공전주기]]는 3.19일에 불과하다. 공전궤도 이심률은 이처럼 항성에 가까이 붙어 도는 행성 치고는 비정상적으로 높다(0.22).<ref>{{저널 인용 |url=http://fr.arxiv.org/abs/0712.4283 |저자=Krull |저자표시=et al. |제목=XO-3b: A Massive Planet in an Eccentric Orbit Transiting an F5V Star |arxiv=0712.4283 |날짜=2007-05-30 |확인날짜=2009-01-2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010164507/http://fr.arxiv.org/abs/0712.4283 |보존날짜=2008-10-10 |url-status=dead }}</ref>
;2007년 - [[TrES-4]] : 발견 당시 가장 큰 반지름(목성의 1.7배)과 가장 낮은 밀도(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0.84배로, 여기서 나온 밀도는 목성 밀도의 7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행성이다. 항성에서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으나, 크게 부풀어 오른 이유가 단순히 항성에서 많은 열을 받기 때문만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70806_largest_exoplanet.html |제목=Largest Known Exoplanet Discovered |뉴스=SPACE.com |날짜=2007-08-06}}</ref>
;[[2008년]] - [[OGLE-2006-BLG-109Lb]], [[OGLE-2006-BLG-109Lc]]: 2008년 2월 14일 발견되었으며, 현 시점까지 우리 태양계의 [[목성]], [[토성]]과 흡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둘은 우리의 목성, 토성과 흡사한 질량비를 갖고 있으며,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도 비슷하다. 가스 행성이 이 정도 위치에 있는 것은, 보다 가까운 곳에 있을 법한 지구형 행성에 생명체가 안정적으로 진화할 시간을 마련해 준다는 의미가 있다. 그 이유는 이처럼 질량 큰 가스 행성은 [[소행성]] 등을 중력으로 끌어당겨 제거해 주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처럼 적당히 멀리 떨어져 있는 가스 행성을 '선량한 목성'으로 부르기도 한다.(반대로 항성에 가까이 붙어 돌고 있는 행성들을 '사악한 목성'으로 부른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80214-planets-found.html |제목=Solar System Like Ours Found |뉴스=SPACE.com |날짜=2008-02-14}}</ref>
[[파일:Planet HD 189733b.jpg|섬네일|오른쪽|[[HD 189733 b]]의 상상화.]]
;2008년 - [[HD 189733 b]]: 3월 20일 네이처 지에 외계 행성 중 최초로 대기에 유기 분자가 발견되었다는 내용이 실렸다. 이 행성의 대기에서 [[물]]이 검출된 적은 있으나, 이 추가적인 발견을 통해 물뿐 아니라 [[메테인]]도 가스 행성 대기에 존재함을 입증했다. b의 환경은 생명체가 살기에는 너무 가혹하지만, 위 발견은 외계 행성에도 유기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ace.com/scienceastronomy/080319-extrasolar-methane.html |제목=Key Organic Molecule Detected at Extrasolar Planet |뉴스=SPACE.com |날짜=2008-03-20}}</ref>
;2008년 - [[HD 40307]]: 6월 16일 마이클 메이어는 분광형 K의 [[K형 주계열성|오렌지색 주계열성]] HD 40307을 도는 [[슈퍼지구]] 3개를 한번에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의 질량은 [[지구질량]]의 4 ~ 9배였으며, 공전 주기는 4 ~ 20일 사이였다. 이 발견은 [[가스 행성]] 없이 암석 행성만으로 이루어진 외계 태양계도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칠레]] [[라 실라 천문대]]에 있는 [[HARPS]] 분광사진기를 통해 발견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bbc.co.uk/1/hi/sci/tech/7457307.stm|제목=Trio of 'super-Earths' discovered |저자=Mayor |저자표시=et al. |날짜=2008-06-16|뉴스=BBC news}}</ref> 이 세 행성은 HARPS 분광사진기를 통해 발견한 45개 외계 행성 후보 중 2008년 5월 28일 발견된 7개 내에 포함된 것들이었다. 이 발견으로 외계 [[슈퍼지구]]의 숫자는 크게 늘었다. 여기에 터잡아, 천문학자들은 이런 질량 작은 행성들의 수는 목성과 같은 가스 행성의 세 배 규모로 존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ref name="tech.uk.msn.com">{{뉴스 인용|url=http://tech.uk.msn.com/news/article.aspx?cp-documentid=8402161|제목=Rock planets outnumber gas giants|저자=Dr. Sara Seager|날짜=2008-05-28|뉴스=msn|확인날짜=2009-01-2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19051828/http://tech.uk.msn.com/news/article.aspx?cp-documentid=8402161|보존날짜=2008-12-19|url-status=dead}}</ref>
;2008년 - [[포말하우트 b]]: 11월 13일 미국 항공우주국과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천문대는 잘 알려져 있는 A 분광형의 주계열성 [[포말하우트]] 주위에 있는 [[먼지 원반]]을 관측한 결과 외계 행성 한 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그 모습을 광학 망원경을 통해 직접 사진으로 담은 최초의 사례이다.<ref>{{뉴스 인용|url=http://afp.google.com/article/ALeqM5iA-PPiKC8oJh3qqkV2ZsF09HmmCA|제목=From afar, the first optical photos of an exoplanet|출판사=AFP|날짜=2008-11-13|확인날짜=2016-11-06|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220130945/http://afp.google.com/article/ALeqM5iA-PPiKC8oJh3qqkV2ZsF09HmmCA|보존날짜=2008-12-20|url-status=dead}}</ref> 포말하우트 b의 질량은 목성의 3배 정도일 것으로 예측된다.<ref>{{웹 인용| 제목=Hubble Directly Observes a Planet Orbiting Another Star | url=http://www.nasa.gov/mission_pages/hubble/science/fomalhaut.html}}</ref><ref name=first3direct>{{웹 인용 | 저자=John Timmer | 제목=Three planets directly observed orbiting distant star | url=http://arstechnica.com/news.ars/post/20081113-two-reports-detail-imaging-of-extrasolar-planets.html | 확인날짜=2009-01-25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109141600/http://arstechnica.com/news.ars/post/20081113-two-reports-detail-imaging-of-extrasolar-planets.html | 보존날짜=2009-01-09 | url-status=dead }}</ref>
;2008년 - [[HR 8799]]: 역시 같은 11월 13일, HR 8799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세 개가 한꺼번에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들 역시 사진을 찍어 발견했으며, 여러 개의 행성을 동시에 사진에 담은 것으로는 최초였다. 캐나다 허즈버그 천체물리학재단 소속 크리스찬 매로이스 연구진이 하와이 소재 제미니 망원경과 켁 망원경을 통해 발견했다. 2007년 10월 17일 이들은 항성 근처에서 제미니 망원경을 이용하여 행성 두 개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후 2007년 10월 25일 및 2008년 여름 이들은 먼저 발견된 행성 두 개의 존재를 검증했으며, 켁 망원경의 화상을 통해 추가로 항성에 보다 가까이 붙어 있는 세 번째 행성의 존재도 확인했다. 2004년 켁 망원경으로 얻은 자료를 통해 사진에 나타난 천체 셋은 행성이 맞음을 검증했다. 이들의 질량 및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각각 10 [[목성질량|M<sub>J</sub>]] - 24 [[천문단위|AU]], 10 M<sub>J</sub> - 38 AU, 7 M<sub>J</sub> - 68 AU이었다.<ref name=first3direct/><ref>[http://news.bbc.co.uk/1/hi/sci/tech/7725584.stm BBC News - Exoplanets finally come into view]</ref><ref>http://www.news.yahoo.com/s/ap/sci_new_planets{{깨진 링크|url=http://www.news.yahoo.com/s/ap/sci_new_planets }} 4 Alien planets photographed</ref>
;2008년 - [[처녀자리 HW b]], [[처녀자리 HW c]]: 11월 24일에 쌍성 주위를 도는 두 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광학적외선천문연구부 이재우, 김승리 박사와 충북대학교 김천휘 교수 등 국내외 학자 7명으로 이루어진 연구팀이 두 별로 이뤄진 쌍성(서로의 중력에 묶여 회전하는 두 개의 별) 주위에서 공전하고 있는 2개의 외계행성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5일 발표했다. 이 두 개의 행성은 9.1년과 15.8년의 주기로 쌍성계의 질량중심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행성들의 질량은 각각 목성의 8.5배와 19.2배이고, 표면온도는 각각 영하 3도와 영하 43도로 추정된다.
;[[2009년]] - [[글리제 581 e]]: 4월 21일 [[유럽 우주국]]은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도는 네 번째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의 최소 질량은 [[지구질량|지구]]의 1.94배에 불과했으며 항성에서는 수성~태양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거리인 0.03 천문단위 거리만큼 떨어져 있었다. 질량과 어머니 항성과의 거리로 볼 때 이 행성의 표면은 건조하게 말라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생명체]]가 존재할 환경은 아닐 것으로 추측된다.<ref name="HARPS">{{저널 인용| 저자1 = M. Mayor| 저자2 = X. Bonfils| 저자3 = T. Forveille| 저자4 = X. Delfosse| 저자5 = S. Udry| 저자6 = J.L. Bertaux| 저자7 = H. Beust| 저자8 = F. Bouchy| 저자9 = C. Lovis| 저자10 = F. Pepe| 저자11 = C. Perrier| 저자12 = D. Queloz| 저자13 = N. C. Santos| 날짜 = 2009| url = http://obswww.unige.ch/~udry/Gl581_preprint.pdf| 저널 = Astronomy & Astrophysics| 제목 =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 XVIII. An Earth-mass planet in the GJ 581 planetary system| 확인날짜 = 2009-04-23| archive-date = 2009-05-21| archive-url = https://web.archive.org/web/20090521052641/http://obswww.unige.ch/~udry/Gl581_preprint.pdf| url-status = dead}} [[PDF]] 파일로, 열람하려면 [[어도비 리더]]가 필요함.</ref> 하지만 이 행성의 존재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이 우주에 흔할 것이라는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ref name=popnews1/>.
;[[2013년]] - [[케플러 70 b]]: [[B형 준왜성]]인 케플러 70의 주위를 0.006AU 떨어져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다. 지나칠 정도로 가까운 거리 때문에 행성은 극단적으로 작열하며, 표면온도가 7178K에 육박한다.
;[[2017년]] - [[NGTS-1b]]:NGT-1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4561만km 떨어진 상태로 모항성을 공전하고 있으며, 모항성의 질량이 행성의 50% 정도로, [[목성형행성]]이 자신의 절반 정도 되는 작은 [[항성]]을 공전하는 것은 이번 발견 사례가 처음이다.
=== 최초 발견 사례 ===
{| class="wikitable" border="1" style="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efefef;"| 주제
! style="background:#efefef;"| 행성
! style="background:#efefef;"| 항성
! style="background:#efefef;"| 발견년도
! style="background:#efefef;"| 주석
|-
| 최초로 발견된 행성
| [[PSR B1257+12 B|PSR B1257+12 B]]<br />[[PSR B1257+12 C|PSR B1257+12 C]]
| [[PSR B1257+12]]
| 1992
| 최초로 발견된 펄사 행성이자 [[슈퍼지구]]
* 1988년 이미 [[세페우스자리 감마]]를 도는 행성이 발견되었다.
* 1989년 [[HD 114762 b]]가 이미 발견되었으나 1996년 전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
!colspan=5|발견 방법별 최초 사례
|-
| 펄사 타이밍으로 발견된 최초 행성
| [[PSR B1257+12 B|PSR B1257+12 B]]<br />[[PSR B1257+12 C|PSR B1257+12 C]]
| [[PSR B1257+12]]
| 1992
| 최초로 발견된 행성이자 최초의 슈퍼지구
|-
| [[시선속도법]]으로 발견된 최초 행성
| [[페가수스자리 51 b]]
| [[페가수스자리 51]]
| 1995
|
|-
| 횡단방법을 이용하여 발견된 최초 행성
| [[OGLE-TR-56 b]]
| [[OGLE-TR-56]]
| 2002
|
* 2002년 이전 [[HD 209458 b]]가 이미 발견된 바 있으나, 공식적으로 검증된 것은 OGLE-TR-56 b보다 늦었다.
|-
| 미시중력렌즈법을 이용하여 발견된 최초 행성
| [[OGLE-2003-BLG-235/MOA-2003-BLG-53|OGLE-2003-BLG-235L b]]
| [[OGLE-2003-BLG-235/MOA-2003-BLG-53|OGLE-2003-BLG-235L/MOA-2003-BLG-53L]]
| 2004
|
|-
| 사진을 찍어 발견된 최초 행성(적외선)
| [[2M1207 b]]
| [[2M1207]]
| 2004
| [[갈색 왜성]]을 도는 것으로는 최초로 확인된 행성
|-
| '평범한 별' 주위를 도는 것으로 최초로 사진이 촬영된 행성(적외선)
|
| [[1RXS J160929.1-210524]]
| 2008
| 태양과 비슷한 항성 주위를 도는 것으로 밝혀진 최초의 항성<ref>[http://news.bbc.co.uk/2/hi/science/nature/7617031.stm Exoplanet 'circles normal star'], BBC News Online, 208-09-15</ref>
|-
| 사진을 찍어 발견된 최초 행성(가시광선)
| [[포말하우트 b]]
| [[포말하우트]]
| 2008
| [[A형 주계열성]]을 도는 것으로 밝혀진 최초 행성
|-
! colspan=5 | 계(系) 형태별 최초 발견 사례
|-
| 단독성계(單獨星系)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PSR B1257+12 B|PSR B1257+12 B]]<br />[[PSR B1257+12 C|PSR B1257+12 C]]
| [[PSR B1257+12]]
| 1992
| 최초로 발견된 외계 행성
* 1989년 [[HD 114762 b]]가 발견된 바 있으나 1996년이 되어서야 정식으로 인정받았음.
|-
| 최초로 발견된 '자유롭게 떠다니는' 행성
| colspan="2"| [[오리온자리 S J053810.1-023626]]<br />(오리온자리 S 70)
| 2004
| [[목성질량]]의 3배. 아직 검증되지 않았음.
* 일명 이러한 [[떠돌이 행성]]들은 아직 행성으로 인정되고 있지 않다.
|-
| 다중성계(多重星系)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게자리 55 b]]
| [[게자리 55]]
| 1996
| 게자리 55는 [[짝별]]로 [[적색 왜성]]을 먼 거리에 두고 있다.
* [[세페우스자리 감마]]도 [[쌍성계]]이다(1988년 행성 존재가 예측되었음).
* [[세페우스자리 감마 Ab]]는 주성과 반성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항성계에서 발견된 최초의 행성이다.
|-
| 쌍성주위 궤도상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PSR B1620-26 b]]
| [[PSR B1620-26]]
| 1993
| 이 행성의 어머니 항성들은 [[펄사]]와 [[백색 왜성]]이다.
|-
| 행성이 두 개 이상 발견된 첫 사례
| [[PSR B1257+12 A|PSR B1257+12 A]]<br />[[PSR B1257+12 B|PSR B1257+12 B]]<br />[[PSR B1257+12 C|PSR B1257+12 C]]
| [[PSR B1257+12]]
| 1992
| [[펄사 행성]] 여러 개로 이루어진 [[행성계]].
|-
| [[성단]]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PSR B1620-26 b]]
| [[PSR B1620-26]]
| 1993
| [[M4 (천체)|M4]]에 자리잡고 있음
|-
! colspan=5 | 항성 종류별 첫 번째 발견 사례
|-
| 최초 [[펄사 행성]]
| [[PSR B1257+12 B|PSR B1257+12 B]]<br />[[PSR B1257+12 C|PSR B1257+12 C]]
| [[PSR B1257+12]]
| 1992
|
|-
| [[주계열성]]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 사례
| [[페가수스자리 51 b]]
| [[페가수스자리 51]]
| 1995
| 처음 발견된 [[뜨거운 목성]]
|-
| ABO(백색~청색의 뜨거운 항성)별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포말하우트 b]]
| [[포말하우트]]
| 2008
| 가시광선 영역으로 영상을 잡아낸 최초 행성
|-
| [[적색 왜성]]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글리제 876 b]]
| [[글리제 876]]
| 1998
|
|-
| [[거성]]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용자리 요타 b]]
| [[용자리 요타]]
| 2002
|
* 1997년 [[알데바란 b]]를 발견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나, 아직 검증되지는 않았다.
|-
| [[백색 왜성]]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PSR B1620-26 b]]
| [[PSR B1620-26]]
| 1993
|
* 2007년 [[GD 66 b]]가 발견되었으나, 아직 검증되지는 않았다.
|-
| [[갈색 왜성]] 주위에서 발견된 최초 행성
| [[2M1207 b]]
| [[2M1207]]
| 2004
| 최초로 영상을 통해 발견한 외계 행성([[적외선]] 영역).
|-
| 최초로 발견된 [[떠돌이 행성]]
| colspan="2"| [[오리온자리 S J053810.1-023626]]<br />(오리온자리 S 70)
| 2004
| 질량은 [[목성질량|목성]]의 약 3배로 추정되나, 검증되지 않았다.
* 떠돌이 행성은 아직 학계에서 행성으로 인정받고 있지 않다.
|-
!colspan=5| 행성 종류별 최초 사례
|-
| 최초로 발견된 [[뜨거운 목성]]
| [[페가수스자리 51 b]]
| [[페가수스자리 51]]
| 1995
| 주계열성을 도는 것으로는 처음 발견된 행성
|-
| 최초로 발견된, 주계열성을 도는 [[지구형 행성]]
| [[제단자리 뮤 c]]
| [[제단자리 뮤]]
| 2004
| 행성 4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최초로 발견된, 주계열성을 도는 [[슈퍼지구]]
| [[글리제 876 d]]
| [[글리제 876]]
| 2005
| 적색 왜성을 돌고 있다.
|-
| 최초로 발견된, 주계열성을 도는 얼음 행성
| [[OGLE-2005-BLG-390Lb]]
| [[OGLE-2005-BLG-390L]]
| 2006
| 적색 왜성을 돌고 있다.
|-
!colspan=5| 기타 최초 사례
|-
| 최초로 발견된 통과 행성
| [[HD 209458 b]]
| [[HD 209458]]
| 1999
|
* 횡단방법을 써서 발견한 행성으로는 [[OGLE-TR-56 b]]가 처음이다.
|-
| 직접 사진을 찍어 발견한, 다중 행성계
| [[HR 8799 b]]<br />[[HR 8799 c]]<br />[[HR 8799 d]]
| [[HR 8799]]
| 2008
|
|}
== 외계 생명체의 발견 가능성 ==
외계 행성에 대한 연구가 심화될수록, 어떤 조건의 행성에서 [[외계 생명체]]들이 존재할지에 대한 의문도 커져 왔다. 관측 기술이 정교해지면서 가스행성 뿐 아니라 보다 작은 질량의 행성들을 탐지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보통의 별 주위를 도는 행성들 중 [[지구]]의 수 배 질량 정도의 행성까지 찾아내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존재하는 행성이 있을 것이라는 논리를 가능하게 해 준다.
2007년 발견된 [[글리제 581 d]]의 경우 항성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 바다가 존재할 수 없을것으로 생각했으나, 2009년 프랑스 [[그르노블 천문대]]의 과학자들에 의해 생물권 범위 내에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새롭게 밝혀졌다<ref name=popnews1>{{뉴스 인용|url=http://news.nate.com/view/20090422n06603|제목=바다에 잠긴 워터월드 행성, 지구 닮은 최경량 행성 ‘발견’|출판사=팝뉴스|저자=이영재 기자|날짜=2009-04-22|확인날짜=2009-10-2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1100223/http://news.nate.com/view/20090422n06603|보존날짜=2016-04-11|url-status=dead}}</ref>.
== 같이 보기 ==
* [[외계 행성이 확인된 항성 목록]]
*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 목록]]
* [[외계행성의 겉모습]]
* [[타원궤도 가스행성]]
* [[외계 위성]]
* [[외계 행성의 고리 (폭풍)|외계 행성의 고리]]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줄}}
* {{언어링크|en}} [http://exoplanet.eu/ The Extrasolar Planets Encyclopaedia] 외계 행성 백과사전. 지금까지 발견된 모든 외계 행성들이 실려 있다. [[파리 천문대]] 제공.
{{외계 행성}}
{{전거 통제}}
[[분류:외계 행성|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바흐}}
{{다른 뜻 넘어옴|바하}}
{{음악가 정보
| 이름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원어이름 = Johann Sebastian Bach
| 그림 = Bach.jpg
| 설명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초상화
| 본명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br/> (Johann Sebastian Bach)
| 출생일 = {{출생일|1685|3|31}}
| 출생지 = [[작센 아이제나흐 공국]] [[아이제나흐]]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750|7|28|1685|3|31}}
| 사망지 = [[작센 선제후국]] [[라이프치히]]
| 가족 =
| 종교 = [[개신교]]([[루터교회]])
| 장르 = [[서양 고전 음악]]
| 직업 = [[오르간|오르간 연주자]] <br /> [[작곡가]] <br> 쳄발리스트
| 악기 = [[오르간]]
| 활동시기 = 1703년 ~ 1750년(바로크시대)| 레이블 =
| 소속사 =
| 소속팀 =
| 관련활동 =
| 웹사이트 =
| 서명 = Johann Sebastian Bach signature.svg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llang|de|Johann Sebastian Bach}}, [[1685년]] [[3월 31일]]([[그레고리력]]) ~ [[1750년]] [[7월 28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 [[하프시코드|쳄발로]] 연주자이며, [[개신교회]]의 교회 음악가이다.
교회 성기사와 오케스트라, 듀오 악기를 위한 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음악을 창작했고, 그의 작품은 [[바로크 음악|바로크 시대]]의 종말과 궁극적인 성숙을 동시에 가져왔다.<ref name="grout1">{{서적 인용|성=그로우트(Grout) |이름=도날드 덕(Donald Duck) |제목=서양음악사(A History of Western Music) |출판사=[[W. W. Norton & Company]] |연도= |쪽=435 |isbn=0-393-95136-7}}</ref> 그는 [[바로크 음악|바로크 시대]]의 최후에 위치하는 대가로서, 일반적인 작품은 독일음악의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위에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양식을 채택하고 그것들을 융합하여 독자적 개성적인 음악을 창조하였다. 종교적 작품은 기존 구교 음악과 차별화하여 새로운 음악을 통해 [[개신교회]] [[예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바흐 가문|바흐의 집안]]은 200년에 걸쳐서 50명 이상의 음악가를 배출한 일대 음악가계였다. 바흐 집안의 음악가들은 대대로 개신교회인 [[루터교회]]의 경건한 신자들이었고, 교회음악가로도 활동하였다. 또한 그들의 일에 강한 장인(匠人)적인 긍지를 품고 있었다. 이 '신앙'과 '장인기질(匠人氣質)'은 요한 제바스티안에게도 계승되어서, 마치 2개의 정선율(定旋律)과 같이 그의 일생을 관통하게 된다. 제바스티안 이전에도 17세기 초엽 이래 많은 유명한 작곡가를 배출했고, 일족의 중심지이었던 중부독일의 [[튀링겐]] 지방에서는 '바흐'가 '거리의 악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였을 정도였다. 그중에서도 제바스티안의 큰할아버지 [[하인리히 바흐]](1615-1692), 그 아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42-1703)와 [[요한 미하엘 바흐]](1648-94)는 음악사(史)에도 이름을 남긴 뛰어난 작곡가들이었다.
바흐는 사후 [[고전주의 음악사]]의 흐름에 밀려 완전히 잊혔으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Ü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을 1802년에 발표함으로써 전 유럽적 바흐 광풍을 몰고 오게 하였으며, 사후 바흐에 대한 재평가에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온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다.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큼 아주 훌륭한 곡을 많이 작곡하였다.
[[파일:Johann Nikolaus Forkel.jpg|섬네일|오른쪽|바흐를 최초로 재발굴하고 최초의 연구서를 펴낸 독일의 음악사학자 요한 포르켈(1749-1818)]]
== 일생 ==
=== 유년 시절(1685–1703) ===
[[파일:Johann Ambrosius Bach.jpg|섬네일|요한 암브로지우스 바흐, 바흐의 아버지]]
[[1685년]] 거리의 악사(바이올린 주자) [[요한 암브로지우스]](1645~1695)의 막내아들로서 튀링겐 지방의 아이제나흐에서 태어나, 그 곳의 성(聖) 게오르크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에게서 바이올린을, 사촌 큰아버지한테서 오르간을 배우고, 한편으로는 교회 부속학교에도 다니면서 성가대원으로서도 활약하였다. 9세에 양친을 잃은 바흐는 큰형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71-1721)와 함께 살게 되어 오르돌프 시로 옮겨가 형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작곡 기초를 배웠다. 그러다 형이 부양할 가족이 늘어나 생활이 어려워지자, 15세 때 북부독일의 뤼네부르크의 고등학교에 장학생으로 들어가, 유명한 오르가니스트 겸 작곡가인 [[게오르크 뵘]](Georg Bhm, 1661~1733)과 [[얀 아담스 라인켄]](Jan Adams Reinken, 1623-1722)을 알게 되어 큰 영향을 받았다.
=== 아른슈타트 시대(1703-1707) ===
18세로 학교를 졸업한 바흐는 곧 자활할 필요에 쫓겨, 1703년 4월부터 한때 [[바이마르 궁정]]의 악단에서 바이올린 주자로 일하고, 그해 8월에는 아른슈타트의 교회에 오르가니스트로 채용되었다. 이 시대에는 북독일의 뤼베크를 찾아가 대작곡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1637-1707)의 작품과 오르간 연주에 커다란 감명을 받았으며, 그 영향은 이 시기의 화려한 오르간곡에 명확한 자취를 남기고 있다. 아른슈타트 시대는 오르간의 연주와 작곡에서 바흐가 크게 성장한 계기가 되었다.
=== 바이마르 시대(1708-1717) ===
다음으로 바흐를 맞이한 것은 [[바이마르 궁정]]이었다. 한때는 한낱 악사로서 취직하였던 추억의 고장으로, 이제 젊은 대가가 된 그는 궁정 예배당의 오르가니스트로서 돌아온 것이다. 1708년 7월 23세 때의 일이다. 이 바이마르 시대(1708-1717)는 바흐의 '오르간곡의 시대'라고도 불리며, 현존하는 오르간곡의 태반이 여기서 작곡되었으며, 비할 데 없을 만큼 훌륭한 오르간 연주자로서 그의 이름은 독일에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1714년에는 궁정악단의 콘서트마스터에 임명되어, 매달 1곡씩 뛰어난 [[교회 칸타타]]를 작곡하였다. 바이마르 궁정에서는 당시의 가장 새로운 음악이었던 [[비발디]] 등의 [[협주곡]]이 즐겨 연주되었는데, 바흐는 그것들을 열심히 연구하여 이탈리아 협주곡의 형식과 기법(技法)이 바흐의 그 후의 작품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 쾨텐 시대(1717–1723) ===
1717년 8월, 바흐는 쾨텐 궁정에 악장으로서 취임하였다. 궁정악장은 당시의 독일에서 음악가가 바랄 수 있는 최고의 사회적 지위이며, 음악을 사랑한 젊은 영주도 바흐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이례적(異例的)인 후대를 베풀었다. 쾨텐은 종교적으로 루터파(Lutheran) 지역이 아니라 개혁교회(Reformed Church) 즉 [[깔뱅주의]] 지역이어서 예배에서 뜻이 명확하게 전달되는 간소한 성악을 중시하고 번잡한 음악을 금지하였으므로 쾨텐 궁정에서 바흐의 중요한 직무는 영주나 귀족들을 위하여 세속적인 합주곡이라든가 실내악을 작곡하는 일이었다. 이리하여 6곡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BWV1046-1051),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BWV1001-1006), 《[[무반주 첼로 모음곡]]》(BWV1007-1012)을 비롯하여 그의 세속적 기악곡의 대다수가 이 시대에 작곡되었다. 정신적으로도 물질적으로도 풍성한 생활을 반영하는 것처럼 그것들은 밝고 즐거운 표현으로 넘쳐 있었다.
바흐는 쾨텐의 좋은 환경 속에서 한때 영구거주를 결심하기도 했으나 1723년에 [[라이프치히]]의 칸토르 직으로 옮겨야 했다. 주요한 이유로 제기되는 것은 레오폴트 공이 프러시아 군을 위해 점점 더 많은 재정적 기여를 해야 했기 때문에 궁정 악단을 위한 재정적 여력 부족과 악단 규모의 축소가 불가피했다는 것 그리고 대공의 결혼 후에 대공비가 음악에 대해서 무관심하여 대공이 이전처럼 바흐와 악단을 충분히 후원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 등이다. 레오폴트 대공은 바흐와 시종 좋은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대공이 친히 바흐의 아기를 위해 대부가 되기도 했다. 라이프치히로 직장을 옮긴 이후에도 관계는 우호적으로 유지되어 대공이 짧은 일생을 마칠 때까지 바흐는 쾨텐 궁정을 위한 작곡가직을 겸하였다. 1729년 바흐는 전해에 죽은 대공의 시신을 방부처리한 뒤에 열린 장례식에서 장송음악을 지휘하기 위해 쾨텐을 방문하였다. 이때 연주된 Koethner Trauermusik "Klagt, Kinder, klagt es aller Welt"은 후일 마태수난곡으로 확대되었다.
뮐하우젠 시대인 1707년, 바흐는 먼 육촌 누나 [[마리아 바르바라]]와 결혼하여 두 사람 사이에 7명의 자녀가 태어났는데, 쾨텐 시대인 1720년에 이 부인이 병사했다. 다음해인 1721년, 그는 16세 손아래인 소프라노 가수 [[안나 막달레나]]와 재혼하고, 13명의 아이를 얻었다. 합계 20명의 자녀 가운데서 약 반수는 어렸을 때에 사망하였는데, 나머지 아이들은 모두 선천적으로 뛰어난 음악적 재질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장남인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1710-1784), 차남인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막내아들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요한 크리스티안]](1735-1782)은 음악사(史)에 이름을 남기는 뛰어난 작곡가로 성장하였다. 쾨텐 시대에는 이들 아이들이나 또는 바흐의 명성을 흠모하여 모여든 제자들을 위하여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BWV846-869), 《[[인벤션]]》(BWV772-801)을 비롯한 수많은 클라비어곡도 작곡하였다.
=== 라이프치히 시대(1723–1750) ===
독일 [[바로크 음악|바로크]]의 중요한 작곡가 [[요한 쿠나우]](Johann Kuhnau 1660-1722)의 후임으로 [[성 토마스 합창단|토마스]] 교회의 칸토르(합창장)에 선임된 바흐는 1750년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의 27년간, 이 곳에 머무르며 교회음악의 최고 책임자로서, 또 사실상의 라이프치히 음악감독으로서 정력적인 활동을 계속하였다. 이 시대의 창작중심은 《[[마태 수난곡 (바흐)|마태 수난곡]]》(BWV244), 《[[나단조 미사]]》(BWV232),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BWV248), 약 160곡의 교회 칸타타 등의 교회성악곡이지만,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그 대부분은 라이프치히 시대의 최초의 수년간에 작곡된 것이라 한다. 자기의 이상을 끝까지 관철코자 했던 바흐는, 시의 당국자나 교회의 책임자들과 자주 충돌하였으며, 교회음악의 일에 점점 열의를 잃어간 것같이 생각된다. 1724년 이후, 교회음악의 창작은 급격히 수요가 줄고, 그 대신에 세속 칸타타나 세속적 기악곡이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또한 1736년경부터는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전에 작곡한 것을 고치기도 하고 몇 편의 작품을 곡집 형태로 정리하기도 하였으며, 혹은 그것들을 적극적으로 출판하기도 하였다. 클라비어를 위한 《[[파르티타]]》(BWV825-830), 《[[이탈리아 협주곡]]》(BWV971), 《[[골드베르크 변주곡]]》(BWV988) 등이 그 예이다. 1747년 5월, 바흐는 포츠담의 궁정으로 [[프리드리히 대왕]]을 방문하고, 왕이 제출한 주제를 바탕으로 즉흥연주의 묘기를 보였다. 이것이 동기가 되어 작곡한 것이 대왕에게 헌정한 《[[음악적 헌정]]》(BWV1079)이다. 그리고 1748년부터 다음해에 걸쳐 최후의 대작 《[[푸가 기법]]》(BWV 1080)의 작곡이 진행되었으나, 1749년 5월 [[뇌일혈]]로 졸도하여 시력이 크게 나빠졌다. 이후 [[존 테일러 (안과 의사)|존 테일러]]라는 돌팔이 안과 의사에게 백내장 수술을 두 번 받게 되었고 증세가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푸가 기법]]》의 완성을 보지 못한채, 1750년 7월 28일, 잘못된 수술로 인한 치료 실패의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 바로크 음악과 바흐 ==
[[바로크 음악]]에 있어서 바흐는 [[대위법]] 기술의 정수를 다한 사람이나, 그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당시에 이미 궁정문화에 침투했던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양식을 스스로 받아들여 [[칸타타]]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도 했다. 거기에는 그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배운 여러 나라의 온갖 요소가 모두 투입되어 그만이 지닐 수 있는 최고로 천재적이게 융화되어 일치미를 이루고 있다. [[콘티누오]](통주저음)만으로 반주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악기로 반주되는 독창이나 중창에 의한 이탈리아식 다 카포 아리아, 오페라적인 [[아리오소]]와 [[레치타티보]], 가장 초기의 가브리엘 형태에서 바흐 시대의 프랑스식 서곡에 이르기까지의 관현악 [[신포니아]], [[협주곡]], 트럼펫의 팡파르, 풍요한 장식성을 지니고 성악성부에 얽혀드는 기악의 [[오블리가토]] 성부, 복합창형식, 때로는 성악에까지 적용되는 프랑스의 리드미컬한 춤곡, 이러한 것이 독일의 오랜 전통인 [[코랄]]과 결부되고 있다. 대체로 바흐만큼 코랄을 훌륭하게 활용하고 또 코랄을 창작의 중심으로 삼기에 정당함을 느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여러 나라 양식의 혼합은 기악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프로베르거의 전통, 쿠프랭의 프랑스 모음곡형식, 쿠나우에 의하여 전해진 이탈리아의 소나타 다 카메라양식,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건반 텍스처(鍵盤書法), [[푸가]]에 있어서도 클라비어 푸가는 이탈리아 협주양식의 영향을 나타내나 오르간 푸가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협주곡 분야에서는 끊임없이 [[비발디]]가 모범으로 숭앙되며, 가장 이탈리아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바흐의 작품은 매우 많은 여러 가지 양식을 포함하고, 또한 작곡한 분야도 넓으며 바흐 개인으로서도 시대에 따라 기술적, 내용적으로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인양식을 간단히 종합하기란 곤란하다고 하겠다.
=== 바흐의 유산 ===
바흐는 생전에도 동시대의 음악가였던 비발디나 텔레만과 같이 국제적 지명도를 가진 음악가는 아니었다. 사후에는 당시 음악가들이 대부분 그랬듯이 작곡가로서는 완전히 잊혀진다. 바흐 생애 후반부에 이미 고전파 음악의 전조가 시작되었고 바흐 음악은 낡은 것으로 취급되었다. 바흐는 비발디나 헨델과 같이 음악가의 프리랜서화를 선도하는 인물도 아니었고 끝까지 교회 음악가로 남았다.<ref>F. M. SCHERER, The Evolution of Free-Lance Music Composition, 1650–1900,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5: 307–319, 2001</ref> 고전파 시대에 바흐는 고전파의 문을 연 아들들의 아버지로서 오히려 유명하였다. 유명인 중에는 모차르트가 바흐의 악보를 찾아서 탐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모차르트 음악에 가끔 훌륭한 푸가가 보이는 것이 바흐의 영향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베토벤 또한 바흐를 연구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그 영향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이 바흐를 극찬하는 말을 남겼다고하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아닌 아들 바흐에 대한 찬사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이다.
[[파일:포르켈 - 바흐의 생애와 예술, 작품.jpg|섬네일|독일의 음악사학자 요한 포르켈의 저서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Ü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1802). 이 작품은 사후 완전히 잊혔던 바흐를 최초로 발굴한 연구서로 바흐 사후 재평가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그러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사후 완전히 잊혔던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Ü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1802)를 발표함으로써 바흐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을 제공하였다. 근대 [[인문학]]으로서의 [[음악사학]]의 발전은 낭만주의 시대에 이전 시대의 음악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이들의 작품을 출판, 연주하기 시작하면서 바흐는 그 핵심 레파토리로 떠오른다.<ref>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바로크 음악은 말한다"</ref> 바흐 생존 시기나 고전파 시대의 지명도와는 달리 낭만주의 시대에 바흐는 이전 시기 어떠한 음악가보다 높이 평가되기 시작하여 멘델스존 이후 음악가들 중 바흐를 연구하지 않은 작곡가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바흐에 대한 관심은 바흐가 많이 참고하고 편곡을 했던 다른 음악가들, 특히 비발디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켜서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바로크 음악의 부활을 이끌기도 하였다. 오늘 날에도 바흐는-그의 음악이 바로크 음악을 대표한다고 말할 수도 없고, 바로크 시대 가장 유명한 음악가도 아니었지만-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위대한 음악가로 추앙받고 있다.
== 바흐의 가족 ==
서양 음악의 아버지라고 일컫는 바흐의 가문에서는 약 200년 동안에 걸쳐 저명한 음악가가 많이 나왔다.
<gallery>
파일:Bach Carl Philipp Emanuel 1.jpg|<div style="text-align: center;">[[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1714–88)
파일:Johann Christoph Friedrich Bach.jpg|<div style="text-align: center;">[[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바흐]] (1732–95)
파일:Johann Christian Bach.jpeg|<div style="text-align: center;">[[요한 크리스티안 바흐]]<br />(1735–82)
</gallery>
== 주요 작품 목록 ==
{{참고|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
바흐의 종교음악은 [[개신교회]] 예배를 위해 작곡하였음.
* 《[[미사곡]]》(예배곡)<ref>[예배곡]이 정확한 번역임. 흔히 미사곡으로 번역되었으나, 일본의 번역이 굳어진 것으로 바흐가 직접 작성한 작품명에는 루터교회(개신교회) 미사(예배)를 위한 곡이라고 명시되어 있음. 18세기 독일에서는 미사가 개신교에서 예배 의미로 사용되었음.</ref>
* 《[[마태 수난곡 (바흐)|마태 수난곡]]》
* 《[[요한 수난곡 (바흐)|요한 수난곡]]》
* 《[[나단조 미사]]》
*
* 《[[무반주 첼로 모음곡]]》
*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
* 《[[BWV992]]》<ref>[[1704년]] 바흐의 형 요한 야콥 바흐가 [[스웨덴]] 왕 [[스웨덴의 칼 12세|칼 12세]]의 초빙으로 스웨덴에 가게 됐을 때 이를 걱정하며 만든 곡.</ref>
* 《[[토카타와 푸가]]》
* 《[[전주곡과 푸가]]》
* 《[[바이올린 협주곡 (바흐)|바이올린 협주곡]]》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음악수첩|막달레나를 위한 클라비어곡집]]》
* 《[[골드베르크 변주곡]]》
*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 《[[푸가 기법]]》
* 《[[프랑스 모음곡]]》
* 《음악의 헌정 (BWV 1079)》
== 각주 ==
<references/>
== 참고 자료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외부 링크 ==
{{위키공용|Johann Sebastian Bach}}
* [http://greatjsbach.net Great Bach] {{웨이백|url=http://greatjsbach.net/ |date=20080207020146 }}
* {{언어링크|en}} [https://en.wikipedia.org/wiki/Gallery_of_works_by_Johann_Sebastian_Bach 바흐 곡 모음집]
* 헬무트 릴링 [https://web.archive.org/web/20130603195202/http://oregonbachfestival.com/digitalbach/matthew/ 마태오 수난곡] 바흐 작품 번호 244
{{기본정렬: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포털|예술}}
{{바로크 음악}}
{{위대한 독일인}}
{{전거 통제}}
[[분류: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분류:1685년 출생]]
[[분류:1750년 사망]]
[[분류:독일의 작곡가]]
[[분류:독일의 클래식 작곡가]]
[[분류:독일의 오르간 연주자]]
[[분류:독일의 클래식 오르간 연주자]]
[[분류:독일의 루터교도]]
[[분류:바로크 시대 작곡가]]
[[분류:첼로 작곡가]]
[[분류:하프시코드 작곡가]]
[[분류:파이프 오르간 작곡가]]
[[분류:바이올린 작곡가]]
[[분류:류트 작곡가]]
[[분류:아이제나흐 출신]]
[[분류:성공회 성인]]
[[분류:바흐가]]
[[분류:18세기 독일 사람]]
[[분류:18세기 클래식 작곡가]]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국방'''(國防) 또는 '''안전보장'''(安全保障), '''안보'''(安保)는 국가가 국민과 국제적으로 인정된 자국의 영역(영토, 영해, 영공)을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위협으로부터 사전에 예방하고 지키며, 경우에 따라서 이들의 보존과 안정을 위하여 국가가 지닌 모든 권력과 수단을 동원하는 행위 및 제도를 일컫는다. 대한민국은 국방등 현안을 다루기 위한 법률로서 [[국가보안법]] 등을 가지고 있다. 미국이나 영국, 러시아,중국 등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와 유사한 법적 시스템을 채택 또는 보유하고 있다.
== 개요 ==
국제분쟁이 발생한 경우, 무력행사로까지 심화되기 전에 평화적 해결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제분쟁에서 무력이 행사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고 있으므로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화적 해결방법의 모색뿐만 아니라 분쟁과정에서 무력이 행사되는 것을 금지함과 동시에 실제로 행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압할 수 있는 체제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어떤 국가의 안전이 다른 국가의 무력에 의해서 위협받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안전보장(Security)이라고 하는데, 과거에는 국가간 세력균형에 의한 개별적 안전보장 체제를 취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집단적 안전보장체제로 이행하게 되었다.
안전보장체제가 확립되기 위해서는 국제분쟁의 해결을 무력에 의존하는 행위와 침략을 위한 무력행사를 위법화하는 것과 그러한 위법행위가 현실적으로 발동되는 것을 실체적으로 방지하고 진압하는 2가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안전보장에 있어서 군비제한은 전쟁기획의 감소와 방지 및 중요한 과제이다. 전쟁관념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추소(追遡)해 보면 전쟁을 정전(正戰)과 부정전(不正戰)으로 구별하는 정전론(theory of bellum justum)이 오랫동안 사고를 지배해 왔다. 근세에 들어와 정전론의 현실적 적용과정에서 '극복할 수 없는 무지'의 이론이 대두되었고, 그 결과 무차별 전쟁관이 주장되어 소위 전쟁행위의 형식적 합법성 부여에 대한 국제입법화가 논의되기 시작했다. 제1차 대전 후 설립된 국제연맹은 전쟁의 위법화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국제법절차에 의한 직접전쟁에 국한되었고 효과적인 방지·제재 조치는 준비되지 않았다. 전쟁위법화를 최초로 실체화한 것은 1928년 체결된 '전쟁포기에 관한 조약' 이른바 켈로그브리앙 조약이라고도 불리는 부전조약이었다. 이 조약은 3조로 구성되어 있다.<ref>{{글로벌2|제목=안전보장|주소=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A0%95%EC%B9%98/%EA%B5%AD_%EC%A0%9C_%EC%A0%95_%EC%B9%98/%ED%98%84%EB%8C%80%EC%9D%98_%EA%B5%AD%EC%A0%9C%EC%A0%95%EC%B9%98/%EC%A7%91%EB%8B%A8%EC%95%88%EC%A0%84%EB%B3%B4%EC%9E%A5}}</ref>
== 같이 보기 ==
* [[전쟁]]
* [[무기]]
* [[국가 안전 보장]]
* [[국방부]]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https://web.archive.org/web/20071127132533/http://www.add.re.kr/ 한국 국방과학연구소]
* [https://web.archive.org/web/20040409212254/http://www.usip.org/library/rcenters_states.html 미국 국제 관계 연구소 명단]
* [https://web.archive.org/web/20040407225722/http://www.cato.org/defense-studies/index.html 카토 (Cato) 국방연구소]
* [http://www.globalsecurity.org 국제 안전보장에 관한 연구기관(''Global security'')]
* [http://www.janes.com/defence/ 제인 연감] {{웨이백|url=http://www.janes.com/defence/ |date=20050808005253 }}
{{전거 통제}}
[[분류:국방|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알찬 글}}
{{학문 정보
|학문명 = 유전학
|그림 = DNA Overview2.png
|그림크기 =
|그림설명 =[[DNA]]의 모식도
|다른 이름 =
|연구 분야 =[[생물]]의 [[유전]]과 [[유전자 다양성]]
|학문 분야 =[[생물학]]
|주요 개념 =
|파생 분야 =
|창시자 =
|창시 시기 =
|관련 직업 =
}}
'''유전학'''(遺傳學, {{llang|en|genetics}})은 [[생물]]의 [[유전]]과 [[유전자 다양성]] 등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 Genetics and the Organism: Introduction]".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 section.60.</ref><ref name=Hartl_and_Jones>Hartl D, Jones E (2005)</ref><ref>{{웹 인용|url=https://www.dictionary.com/browse/genetics|title=the definition of genetics|website=www.dictionary.com|language=en|access-date=2018-10-25}}</ref> [[선사 시대]]부터 인간은 생물의 [[발현형질|특징]]이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유전]]되는 것을 이용한 [[품종 개량]]을 해왔다. 그러나 최초로 [[자연과학|과학]]적인 [[과학적 방법|방법]]으로 유전을 연구한 것은 [[그레고어 멘델]]이 [[멘델의 유전법칙|유전 법칙]]을 발견한 19세기 중반부터이다. 그는 오늘날 [[유전자]]라 부르는 물질을 유전 대립쌍이라 불렀다.<ref>Weiling, F (1991). "Historical study: Johann Gregor Mendel 1822–1884.". America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40 (1): 1–25; discussion 26. doi:10.1002/ajmg.1320400103. PMID 1887835.</ref>
현대 유전학의 핵심 개념은 유전자이다. 유전자는 전체 [[게놈]] 서열 가운데 [[DNA]]의 일정 구간을 이루는 [[염기서열]]의 배열이다.<ref>Group of the Sequence Ontology consortium, coordinated by K. Eilbeck, cited in H. Pearson. (2006). Genetics: what is a gene? Nature, 441,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41/n7092/full/441398a.html 398-401].</ref> DNA는 [[뉴클레오타이드]]들이 이중 나선의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DNA 복제]]를 통하여 [[유전형질]]을 다음 [[세대]]로 전달한다. 또한 [[세포]]에서 DNA의 역할은 단백질을 형성하여 생물이 생장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NA에서 [[전사 (생물학)|전사]]된 [[전령 RNA]]의 [[코돈]]은 각각 하나의 [[아미노산]]과 대응하며, 이렇게 전사된 [[RNA]]에 의해 결합된 [[아미노산]]에 의해 [[단백질]]이 형성된다. 단백질은 [[효소]], [[근육]], [[세포질]] 등 생물을 이루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ref name="pano">《생명의 파노라마》(말론 호아글랜드, 버트 도드슨, 황현숙 역, 사이언스북스, 2001 {{ISBN|89-8371-050-0}}).</ref>
개괄하면, 현대의 유전학은 생물의 발생과 생장, 그리고 진화에서 차지하는 [[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하고 [[DNA]]의 재조합 실험을 통해 [[게놈|유전체]]와 생물 정보를 탐구하는 폭넓은 영역의 [[과학]]이다. 매우 넓은 연구분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유전학은 [[집단유전학]], [[유전체학]], [[진화유전학]] 등의 하위 학문으로 세분화되어 있다.<ref>DAVID HYDE, 김세재, 김욱, 남궁용 역, 대학생을 위한 유전학, 라이프사이언스, 2010, {{ISBN|89-6154-047-5}}</ref> 또한 유전학의 지식은 여러 학문에 파급되어 [[의학]]<ref>NUSSBAUM, 김현주 역, 의학유전학, E PUBLIC, 2008, {{ISBN|89-6224-105-6}}</ref>, [[농업]]<ref>심재욱 외, 농업유전학, 향문사, 2007, {{ISBN|89-7187-122-9}}</ref> 등에서 유전학은 필수적인 기반 지식이 되었다. 유전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유전공학]]은 유전자의 조작을 통한 [[약|약품]]의 개발과 [[품종개량]]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f>남상욱, 권헉빈, 유전공학의 이해, 라이프사이언스, 2008, {{ISBN|89-6154-009-2}}</ref>
== 역사 ==
{{본문|유전학의 역사}}
[[파일:Sexlinked inheritance white.jpg|섬네일|왼쪽|220px|[[토머스 헌트 모건]]의 [[초파리]] 연구<br />모건은 돌연변이된 초파리의 유전을 연구하면서 [[유전자 재조합]]을 발견하였다.]]
19세기 중반 발표된 [[그레고어 멘델|멘델]]의 [[멘델의 유전법칙|유전 법칙]]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당시 사람들의 유전에 대한 개념은 부모 양쪽의 특징이 자식에게 섞여 나타난다는 [[혼합 유전]]이었다. 예를 들면 붉은 꽃과 흰 꽃의 자식은 분홍 꽃이 된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 흰 꽃과 붉은 꽃 사이에 [[수정 (생물학)|수정]]된 자식 세대가 분홍 꽃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자식 세대가 흰 꽃 또는 붉은 꽃만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혼합 유전 이론은 답을 줄 수 없었다. 멘델은 우성 인자와 열성 인자의 조합이라는 설명을 통해 자식 세대가 한 가지 색으로만 나타나는 이유를 밝혔고 이를 실험으로 증명하였다.<ref>존 그리번, 최주연 역, 과학의 역사 2, 에코 리브르, 2005, {{ISBN|89-90048-58-3}}, 153쪽</ref>
한편, [[장바티스트 라마르크|라마르크]]는 자신의 [[용불용설]]에 따른 [[진화]] 이론을 설명하면서 생물이 살아가는 동안 겪는 형질 변화가 유전되는 것으로 보았다. 유명한 일례로는 기린의 목이 길어진 원인에 대한 용불용설의 설명이 있다. 기린이 살아가는 동안 높은 가지에 있는 잎을 따먹기 위해 목을 뽑아 늘리기를 계속한 결과, [[기린]]의 자식은 더 긴 목을 가지고 태어나게 된다는 것이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89-7085-516-5}}, 2쪽</ref> 멘델의 유전 법칙이 발견되기 전까지 라마르크의 이론은 가장 적합한 진화 이론의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찰스 다윈|다윈]] 역시 진화가 일어나는 유전적 기제로 [[라마르크의 이론]] 이상의 것을 알 수는 없었으며 라마르크와 마찬가지로 종에 나타나는 새로운 특성은 개체가 살아있는 동안에 후천적으로 획득되는 것이라 생각했다.<ref>Darwin, Charles (1872). "[http://darwin-online.org.uk/content/frameset?viewtype=text&itemID=F391&pageseq=136 Effects of the increased Use and Disuse of Parts, as controlled by Natural Selection]". The Origin of Species. 6th edition, p. 108. John Murray. Retrieved 2007-12-28</ref>
=== 멘델과 고전 유전학 ===
{{참고|고전유전학}}
[[파일:Gregor Mendel Monk.jpg|오른쪽|섬네일|220px|[[멘델의 유전법칙]]을 발견한 [[그레고어 멘델]]]]
1905년 [[윌리엄 베이트슨|베이트슨]]은 멘델의 유전법칙을 재발견하면서 유전학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썼다.<ref>Bateson W. "[http://www.jic.ac.uk/corporate/about/bateson.htm Letter from William Bateson to Alan Sedgwick in 1905] {{웨이백|url=http://www.jic.ac.uk/corporate/about/bateson.htm |date=20071013020831 }}".</ref> 베이트슨은 1906년 [[런던]]에서 열린〈제3차 국제 식물 잡종 연구 컨퍼런스〉에서 자신이 재발견한 멘델의 유전법칙을 발표하였고 이와 관련한 학문에 유전학이란 이름을 붙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ref>Bateson, W (1907). "The Progress of Genetic Research". in Wilks, W. Report of the Third 190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netics: Hybridization (the cross-breeding of genera or species), the cross-breeding of varieties, and general plant breeding. London: Royal Horticultural Society.</ref>
멘델의 유전법칙이 재발견된 후 과학자들은 유전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세포]]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1910년 [[토머스 헌트 모건|모건]]은 눈이 흰 [[돌연변이]]가 발현한 [[초파리]]를 이용한 실험에서 생물의 유전 물질이 [[염색체]]에 있음을 증명하였다.<ref>Moore, JOHN A. (1983). "Thomas Hunt Morgan—The Geneticist".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23: 855. doi:10.1093/icb/23.4.855</ref><ref>고인석, 과학의 지형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ISBN|89-7300-738-6}}, 216-217쪽</ref> 1913년 [[앨프리드 스터티번트|스터티번트]]는 멘델의 유전법칙의 제3법칙인 독립의 법칙이 실제에서 들어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유전자 연관]]이라 하였다. 유전자 연관이란 하나의 [[유전형질]]이 발현되는 데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현상이다.<ref>Sturtevant AH (1913). "[http://www.esp.org/foundations/genetics/classical/holdings/s/ahs-13.pdf The linear arrangement of six sex-linked factors in Drosophila, as shown by their mode of associ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14: 43–59.</ref>
=== 분자유전학 ===
[[파일:Griffith experiment.svg|섬네일|220px|[[그리피스 실험]] ]]
{{참고|분자생물학}}
[[염색체]]는 [[DNA]]와 [[단백질]]이 엉켜 있는 구조다. 유전과 관련한 물질이 염색체에 있다는 것을 발견한 이후에도 과학자들은 정확히 염색체의 어떤 성분이 유전에 관여하는지 밝혀내지 못하고 있었다. 1928년 [[프레더릭 그리피스|그리피스]]는 [[그리피스 실험]]을 통해 [[박테리아]]의 [[형질전환]]을 발견하였다. 그의 실험은 유독한 [[폐렴쌍구균]](S형)에 열을 가하여 파괴하면 독성이 사라지지만, 무해한 폐렴쌍구균(R형)에 이미 열처리하여 독성이 사라진 S형 균을 넣자 모두 독성을 지니게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피스는 S형 균의 어떤 성분이 R형에 영향을 주어 형질전환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았으나 무엇이 그러한 변환을 일으키는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1944년 [[오즈월드 에이버리|에이버리]]는 그리피스의 실험을 훨씬 정교하게 통제하여 열처리한 S형 균을 [[탄수화물]], [[단백질]], [[DNA]]로 구분하여 R형 균에 투입하였고, 그 결과 DNA가 형질변환의 원인임을 밝혀내었다.<ref>위르겐 브라터, 안미라 역, 즐거운 생물학, 살림, 2009, {{ISBN|89-522-1086-7}}, 172-174쪽</ref> 1952년 [[앨프리드 허시|허시]]와 [[마사 체이스|체이스]]는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허시-체이스 실험]]을 통해 DNA가 유전물질임을 밝혔다.<ref>Hershey, AD; Chase (1952). "[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tool=pmcentrez&artid=2147348 Independent functions of viral protein and nucleic acid in growth of bacteriophage.]{{깨진 링크|url=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tool=pmcentrez&artid=2147348 }}". The Journal of general physiology 36 (1): 39–56. doi:10.1085/jgp.36.1.39. PMID 12981234.</ref>허시는 이 실험의 공로로 196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ref>[http://nobelprize.org/nobel_prizes/medicine/laureates/1969/index.html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69]</ref>
1953년 [[제임스 D. 왓슨|왓슨]]과 [[프랜시스 크릭|크릭]]은 [[X선 회절]]로 DNA의 구조를 밝혔다.<ref>Watson, J. D.; Crick (1953). "[http://www.nature.com/nature/dna50/watsoncrick.pdf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A Structure for Deoxyribose Nucleic Acid]". Nature 171: 737. doi:10.1038/171737a0.</ref> 이들이 밝힌 DNA의 구조는 두 개의 뉴클레오타이드 사슬이 이중 나선의 형태로 꼬여 있는 모습이었다.<ref>Watson, J. D.; Crick (1953). "[http://www.nature.com/nature/dna50/watsoncrick2.pdf Genetical Implications of the Structure of Deoxyribonucleic Acid]". Nature 171: 964. doi:10.1038/171964b0.</ref> DNA의 이러한 구조는 뉴클레오타이드의 서열이 유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과 DNA의 복제가 유전형질의 전달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왓슨과 크릭은 이 공로로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ref>[http://nobelprize.org/nobel_prizes/medicine/laureates/1962/index.html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62]</ref>
[[프레더릭 생어|생어]]는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덕에 생애에 두 번의 [[노벨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받았다. 생어는 1955년 [[인슐린]]의 [[아미노산]] 배열을 완벽하게 분석하였다. 이 공로로 195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생어는 그의 연구 기술을 발전시켜 DNA의 [[염기서열]]을 밝힐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고, 이로써 [[게놈]]의 염기서열을 밝힐 수 있었다. 생어는 이 공로로 1980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생어는 이 과정에서 DNA의 세 염기쌍이 [[코돈]]을 이루며 이 코돈이 [[전령 RNA]]를 [[전사 (생물학)|전사]]하고 이를 통해 [[아미노산]]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규명하였다.<ref>존 시몬스, 여을환 역, 사이언티스트 100, 세종서적, 1997, {{ISBN|89-85509-69-1}}, 349-352쪽</ref>
1983년 미국의 생화학자 [[캐리 멀리스|멀리스]]는 [[폴리메라아제 연쇄 반응]]을 개발하여 DNA의 염기서열의 확인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이 방법은 DNA의 특정 구간을 신속하게 복제하여 동일한 DNA의 양을 실험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증폭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DNA의 염기서열 확인이 쉽게 되자 곧바로 범죄 용의자의 DNA 인식과 같은 분야에 사용되게 되었다. 멀리스는 이 공로로 1993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ref>위르겐 브라터, 안미라 역, 즐거운 생물학, 살림, 2009, {{ISBN|89-522-1086-7}}, 219쪽</ref> 이러한 DNA 염기서열 확인 기술의 발달로 2003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료되어 [[인간]]의 전체 [[게놈]]지도가 완성되었다.<ref name="HGP">"[http://www.ornl.gov/sci/techresources/Human_Genome/home.shtml Human Genome Project Information] {{웨이백|url=http://www.ornl.gov/sci/techresources/Human_Genome/home.shtml |date=20080315062131 }}". Human Genome Project. Retrieved 15 March 2008.</ref>
== 고전 유전학의 주요 이론 ==
=== 멘델의 유전 법칙 ===
{{본문|멘델의 유전법칙}}
[[파일:Punnett square mendel flowers.svg|섬네일|220px|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르는 [[완두콩]]의 꽃 색. 붉은 색이 우성이다.]]
[[파일:Pedigree-chart-example.svg|섬네일|220px|사람의 가계도와 멘델의 유전법칙]]
멘델은 [[완두콩]]의 독립적인 [[유전자]]가 갖는 [[대립 형질]]이 우성과 열성으로 나뉘어 발현하는 [[멘델의 유전법칙|유전 법칙]]을 발견하였다. 오른쪽의 그림과 같이 열성인 흰색 꽃은 부모로부터 열성인자만을 유전하였을 때 발현하며, 두 부모가 우성인자와 열성인자를 보유하고 있는 잡종일 경우 우성과 열성의 발현 비율은 3:1이 된다. 멘델은 수 년간을 실험하여 이것이 실제 통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ref name="이행석">이행석, 분자생물학, 기전연구사, 2006, {{ISBN|89-336-0726-9}}, 29-32쪽</ref>
멘델이 완두콩의 교배 시험을 최초로 한 사람은 아니었다. 이미 200여년 전인 1790여년 무렵 영국의 농부 T. A. 나이트는 멘델과 동일한 실험을 하여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그는 그 결과를 제대로 기록하지 않았고 그 까닭도 밝히지 못했다. 멘델은 나이트의 실험에 [[과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유전의 법칙을 발견한 것이다.<ref name="조지">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89-425-1186-4}}, 168쪽</ref> 멘델의 유전법칙은 오른쪽 그림의 예에서 보이는 꽃의 색의 경우 실제 나타난 "표현형"과 이것이 나타나게 하는 "유전자형"을 구분함으로써 과학적인 유전학의 기초를 놓았다.<ref name="이행석"/>
멘델은 수 세대 동안 완두콩을 자가 수분하여 단일한 유전형질을 가진 순종(P 세대)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붉은 꽃의 순종과 흰 꽃의 순종을 교배하여 잡종 1세대(F1)를 얻었다. 잡종 1세대의 발현 형질을 조사한 멘델은 이를 바탕으로 다시 잡종 1세대를 교배하여 잡종 2세대(F2)와 3세대(F3)를 얻고 발현 형질을 기록하였다. F1은 모두 붉은 꽃이었다. 그러나 F2에서 붉은 꽃과 흰 꽃은 3:1의 비율을 보였고, F3에서는 열성 순종인 흰 꽃만이 다시 흰 꽃이 되었고 나머지는 붉은 꽃이었다. 그 결과 그는 다음의 세 법칙을 확인하였다.<ref>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89-425-1186-4}}, 170-171쪽</ref> 붉은 꽃의 유전인자를 B, 흰 꽃의 유전인자를 b라 하면,
* 우열의 법칙 - 두 순종을 교배하면 대립 형질 가운데 우성만이 발현한다. (Bb)
* 분리의 법칙 - F1을 자가 수분하면 우성과 열성이 3:1의 비율로 나타난다. 이를 유전인자의 비율로 나타내면 BB:Bb:bb = 1:2:1 이 된다.
* 독립의 법칙 - 멘델은 꽃의 색, 콩 껍질의 주름 등 유전인자 7가지를 선정하여 관찰하였고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위에서 예를 든 완두콩의 [[우성]]과 [[열성]]의 발현은 "멘델의 제1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멘델의 실험이 알려지자 과학자들은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여 DNA의 서열인 유전자가 이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ref name="조지"/> 멘델의 유전 법칙은 모든 생물에서 발견되며 사람의 가계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이한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가계도의 경우 우성 유전 또는 열성 유전을 판별할 수 있다. 인류유전학자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특정 지역에 모여사는 [[아만파]] 신도들과 같이 고립 생활을 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열성 유전을 연구한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89-7085-516-5}}, 184-185쪽</ref>
한편, 어떤 꽃은 흰색과 붉은 색을 교배할 경우 F1은 분홍색으로 F2는 붉은 색, 분홍색, 흰 색의 비율이 1:2:1로 나타나기도 한다. 어느 한 쪽도 완전한 우성을 보이지 못하는 이러한 경우를 불완전 우성이라 한다. 불완전 우성 역시 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른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89-7085-516-5}}, 187</ref>
=== 유전자 간의 상호 반응 ===
[[파일:Galton-height-regress.png |섬네일|220px| 인간의 키는 복잡한 유전자 간 상호 작용의 산물이다.[[프랜시스 골턴]]이 1889년 작성한 이 표에서 부모의 키와 상관없이 자식의 키가 일정 범위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멘델의 유전법칙]]에서 완두콩 꽃의 색과 열매의 색은 서로 독립적인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즉, 꽃의 색과 열매의 색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서 서로 별도의 우열 관계가 있다. 생물은 수천 개가 넘는 유전자가 있고, 이들 대부분은 이와 같은 "독립의 법칙"을 따른다. 그러나, 어떤 [[유전형질]]은 독립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이러한 예가 최초로 관찰된 것은 [[지치과]]의 [[:en:Omphalodes verna|옴파로데스 베르나]]{{언어링크|en}}의 꽃 색이다. 이 꽃의 색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셋인데 그중 열성인 [[흰색]]과 서로 대립하는 우성인 [[파랑]], [[마젠타]]의 인자가 조합하여 꽃의 색이 만들어진다. 마젠타 또는 파란 색의 인자가 흰색인자와 짝을 이룰 경우 꽃은 우성인자인 이 둘 중 하나의 색을 띄고 열성인 흰색 인자로만 짝지워질 때 흰색 꽃이 된다. 이와 같이 우성 인자가 다수인 경우 나타나는 발현형질을 [[상위성 (생물학)|상위성]]이라 한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ISBN|0-7167-3520-2}}.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 Gene interaction and modified dihybrid ratios]".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section.644.</ref>
오늘날 독립의 법칙을 따르는 대립형질만큼이나 많은 유전 형질이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사람의 키, 피부색과 같은 유전형질은 많은 유전자들이 상호 작용한 결과다. 이와 같은 현상을 [[양적 형질 위치]]라 한다.<ref>Mayeux, R (2005). "Mapping the new frontier: complex genetic disorder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5 (6): 1404–7. doi:10.1172/JCI25421. PMID 15931374.</ref>
== 현대 유전학의 주요 이론 ==
현대의 [[분자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학은 DNA부터 개체의 발생에 이르는 유전 기제를 설명하고 있다. 앞서 유전학의 역사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그리피스의 실험과 에이버리의 확인으로 [[생물]]의 [[유전]] 정보는 DNA에 있음이 밝혀졌다. 유전의 과정은 결국 [[DNA 복제]]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개체의 출현에 이르는 기제로서 설명된다.
=== DNA 복제 ===
{{본문|DNA 복제}}
{{참고|돌연변이}}
[[DNA]]는 [[뉴클레오타이드]]가 사슬처럼 연결된 중합체이다. 유전 정보의 전달은 이 DNA가 [[DNA 복제|복제]]됨으로써 일어난다. 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수소 결합에 의지하고 있어 분리와 결합에 비교적 적은 에너지가 투입된다. 특정 [[효소]]가 DNA 사슬의 분리를 담당하며, 이렇게 분리된 DNA 사슬은 각자 상대되는 DNA 사슬을 만드는 주형이 된다. 자유롭게 존재하는 네 종류의 [[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 삼인산]], 즉 dATP, dGTP, dCTP, dTTP 가 주형이 되는 DNA사슬에 다가가 상보적인 결합을 이루게 되면 새로운 이중나선이 형성된다.(그림 참조)<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89-7085-516-5}}, 209쪽</ref>
DNA의 복제는 매우 안정적인 반응이지만 완전하진 않다. DNA 복제에 이상이 생겨 이전의 DNA와 다른 DNA가 생성되는 것을 [[돌연변이]]라 한다. 자연발생적 변이는 100만 번의 DNA복제 중에서 한 번 정도로 일어나며, 방사선이나 약품을 처리하면 이보다 높은 빈도로 일어난다. 노랑초파리를 이용한 인위적인 돌연변이 실험의 결과 돌연변이의 약 70 %는 개체에게 해로운 방향으로 진행되며, 나머지 돌연변이는 중립적이거나 유리한 성향을 보인다.<ref>Sawyer SA, Parsch J, Zhang Z, Hartl DL (2007). "[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tool=pmcentrez&artid=1871816 Prevalence of positive selection among nearly neutral amino acid replacements in Drosophila]{{깨진 링크|url=http://www.pubmedcentral.nih.gov/articlerender.fcgi?tool=pmcentrez&artid=1871816 }}". Proc. Natl. Acad. Sci. U.S.A. 104 (16): 6504–10. doi:10.1073/pnas.0701572104. PMID 17409186.</ref>
=== 유전자와 생식 ===
{{본문|유전자|생식}}
{{참고|유전자 연관|유전자 재조합|유전자부동}}
생물이 부모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재생산되는 것을 [[생식]]이라 한다. 개체의 분열과 같은 [[무성생식]]에서는 [[DNA 복제]]만으로 유전 기제가 완성된다. 그러나 [[암컷|암]]·[[수컷|수]]가 구분되는 [[유성생식]]에서는 더 복잡한 기제를 거친다. 유성생식에서는 먼저 암·수의 부모 각자가 [[감수분열]]을 통해 [[난자]]와 [[정자]]를 만들고 이를 [[수정 (생물학)|수정]]하여 자식 세대가 발생하게 된다.<ref>레슬리 A.듀템플, 최원재 역, 펼쳐라 생명과학, 서해문집, 2003, {{ISBN|89-7483-185-6}}, 230-233쪽</ref>
감수 분열의 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난다. 이는 한 쌍의 유전자가 여러 구간에 걸쳐 서로 뒤섞이는 현상이다. 이를 통해 생물은 [[유전자 다양성]]을 확보한다.<ref>[[미국]] 정부의 [[미국 국립 생물학 정보 센터]]가 제공하는 [http://www.ncbi.nlm.nih.gov/About/primer/index.html 과학개론] 참조([[퍼블릭 도메인]])</ref> 또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한 [[유전형질]]에 여러 [[유전자]]가 관여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멘델의 유전법칙 중 독립의 법칙이 지켜지지 않는다. 이는 유전자 재조합 과정에서 교체된 유전자가 유전형질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유전자 연관]]이라 한다.
유전자의 대립형질의 발현은 순전히 통계적인 것으로, 실제 [[대립형질 발현빈도]]는 [[무작위 행보]]를 보인다. 이를 [[유전자부동]]이라 한다.<ref>[http://evolution.berkeley.edu/evosite/evo101/IIID1Samplingerror.shtml Sampling Error and Evolution] {{웨이백|url=http://evolution.berkeley.edu/evosite/evo101/IIID1Samplingerror.shtml |date=20100330184945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Retrieved 2009-11-01.</ref> 유전자부동은 [[자연선택]]과 함께 [[진화]]의 원인으로 작용한다.<ref>Futuyma, Douglas (1998). Evolutionary Biology. Sinauer Associates. p. 320. {{ISBN|0-87893-189-9}}</ref>
=== 유전자 발현 ===
{{본문|유전자 발현}}
유전자의 발현은 [[분자생물학]]적인 관점에서 볼때 [[유전자]]의 정보에 의해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유전자의 정보는 [[전령 RNA]]의 [[코돈]]에 의해 [[전사 (생물학)|전사]]된 후 [[운반 RNA]]의 안티코돈에 의해 번역되어 아미노산을 지정하며 [[리보솜]]에서 이를 연결하여 [[단백질]]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발생생물학]]에서 유전자의 발현은 [[배아]]의 [[발생 (생물학)|발생]] 결과 새로운 개체가 형성되는 것이며, 개체의 발생에는 [[유전형질]]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의 영향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생물]]에서 일어나는 유전자의 발현에는 [[오페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 기능에 관련된 유전자들이 나란히 염색체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오페론은 [[염색체]]에서 하나의 군집을 이루어 유전자 섬을 형성한다. 병원미생물학에서는 질병의 특징을 파악하고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병원성 세균의 유전자 섬을 연구하고 있다.<ref>서울대학교의과대학미생물학교실, 병원미생물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ISBN|89-521-0725-X}}, 27쪽</ref>
==== 코돈 ====
{{본문|코돈}}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단백질]]을 생산함으로써 형질이 [[유전자 발현|발현]]된다. 단백질은 20종의 [[아미노산]]이 복잡하게 얽힌 고분자이다. 유전자는 각각의 아미노산의 연결 순서를 지정함으로써 단백질의 생성을 관할한다.
{| class="wikitable"
|+ 유전자의 단백질 생성
|rowspan="5"|[[파일:Genetic code.svg|220px]]
| DNA의 유전자
|-
| [[전사 (생물학)|전사]]
|-
|[[전령 RNA]]의 [[코돈]]
|-
| [[번역 (생물학)|번역]]
|-
|지정된 순서대로 [[아미노산]]이 연결되어 [[단백질]]을 이룬다.
|}
DNA에서 단백질 형성까지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이행석, 분자생물학, 기전연구사, 2006, {{ISBN|89-336-0726-9}}, 제3장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에 이르기까지</ref>
* DNA의 일부 구간이 열려 [[전사 (생물학)|전사]]가 시작된다. 전사된 유전 정보는 [[코돈]]이라 하며 [[RNA]]의 일종인 [[전령 RNA]]를 이룬다.
* 전사된 코돈의 사슬인 전령 RNA는 효소에 의해 해당 코돈의 상보적 조합인 [[안티코돈]]을 갖고 있는 [[운반 RNA]]와 짝을 이룬다.
* 운반 RNA의 끝에는 해당 [[아미노산]]이 연결되어 있다.
* 아미노산을 단 운반 RNA와 함께 사슬을 이룬 전령 RNA는 [[리보솜]]으로 이동한다.
* 리보솜에서는 아미노산을 연결하고 전령 RNA와 운반 RNA를 내보낸다.
* 작업을 종결하라는 코돈이 들어올 때까지 리보솜은 계속하여 아미노산을 연결하고 이렇게 하여 단백질이 형성된다.
* 세포에는 많은 리보솜이 있어 전령 RNA는 여러 차례에 걸쳐 리보솜에 들어가 단백질 형성을 지시한다.
==== 환경의 영향 ====
[[파일:Niobe050905-Siamese Cat.jpeg|섬네일|220px|샴고양이에 나타난 온도 민감성 돌연변이]]
생물의 유전자에는 모든 유전 형질이 들어있어 자식 세대로 전달된다. 그러나, 실제 생물 개체의 [[발생 (생물학)|발생]]과 생장에서 나타나는 [[발현형질]]은 [[유전형질]]과 함께 [[자연환경|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일례로 오른쪽 사진에서 보이는 [[샴 고양이]]의 온도 민감성 돌연변이와 같은 것이 있다. 발생과정에서 높은 온도에 노출된 샴고양이의 배아는 털색 유전자에 변이를 일으켜 일반적인 샴 고양이의 흰색이 아닌 어두운 색 털이 만들어진다.<ref>Imes, DL; Geary; Grahn; Lyons (2006). "Albinism in the domestic cat (Felis catus) is associated with a tyrosinase (TYR) mutation.". Animal genetics 37 (2): 175–8. doi:10.1111/j.1365-2052.2005.01409.x. PMID 16573534.</ref>
성 유전자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는 [[포유류]]와는 달리 많은 [[파충류]]는 별도의 성 유전자가 없어 발생시의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대부분의 [[거북]]은 따뜻한 곳의 알은 암컷이 되고 응달의 알은 수컷이 된다. 반면 미국산 [[악어]]는 응달의 알이 암컷이 된다. 이와 같이 유전자가 생물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 환경이 생물체의 발생과 생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ref>이인식, 성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ISBN|89-374-2410-X}}, 114쪽</ref><ref>[[과학동아]], 2005년 1월호</ref>
=== 유전자 조절 ===
[[파일:Zinc finger DNA complex.png|섬네일|왼쪽|220px|[[전사인자]]가 DNA 나선구조를 열고 [[전사 (생물학)|전사]]를 준비하고 있다]]
생물의 [[게놈]]에는 수천 개의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유전자가 생물체의 발생과 생장에 작용하지는 않는다. 오직 [[전령 RNA]]를 통해 단백질을 형성할 수 있는 유전자만 이러한 생명 활동에 관여하며 나머지 유전자는 비활성인 채로 남아 있게 된다. 특정한 단백질을 생성하려면 DNA의 일부 구간만 활성화하여야 한다. 전사의 시작점과 끝점을 정하는 것은 [[전사인자]]와 같은 [[효소]]들이다. 전사인자는 [[부적 되먹임]]에 따라 작동한다. 즉, 전사인자에는 특정한 단백질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용기가 달려있는데, 특정 단백질의 농도가 낮아져 이 수용기에 감지되지 않으면 전사인자는 DNA를 열고 전사를 시작한다.<ref>Alberts et al. (2002),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mboc4.section.1269#1270 II.3. Control of Gene Expression – The Tryptophan Repressor Is a Simple Switch That Turns Genes On and Off in Bacteria]</ref>
유전자에는 구조부위와 조절부위가 있다. 구조부위는 생물체를 형성하는 단백질의 생산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있고, 조절부위에는 위에서 설명한 전사인자와 효소들과 같은 조절작용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생산을 위한 정보가 들어있다. 실제 생물의 단백질 생성 조절은 단백질이 생산되는 양 자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단백질의 생산을 지시하는 RNA의 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ref>정노팔 외, 생물과 인간 그리고 문화,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ISBN|89-7141-503-7}}, 186쪽</ref>
<br clear="all"/>
=== 유전자 변형 ===
==== 돌연변이 ====
{{본문|돌연변이}}
[[파일:Mutation inversion.jpg|섬네일|220px|돌연변이의 일종인 [[염색체 역위]] ]]
[[파일:Morgan crossover 2.jpg|섬네일|왼쪽|220px|염색체 교차]]
DNA의 복제는 매우 안정적인 반응이나 간혹 오류가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DNA 복제]]의 과정에서 일어난 오류로 인하여 [[유전형질]]이 변한 것을 [[돌연변이]]라 한다. [[DNA 중합효소]]에 의해 복제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은 약 100만 회 당 1번 꼴이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 Spontaneous mutations]".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 section.2706.</ref>
외부의 [[돌연변이원]]의 자극을 받으면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한다. 일상적인 [[자외선]]도 돌연변이원의 일종으로 과도한 자외선 노출은 DNA 구조를 붕괴시킬 수 있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 Induced mutations]".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 section.2727.</ref> 일례로 강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가 [[피부암]]을 일으키는 것을 들 수 있다.<ref>이병학 외, 환경공학개론, 동화기술, 2007, {{ISBN|89-425-1185-6}}, 305쪽</ref>
[[유성생식]]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재조합]] 가운데 [[염색체 교차]]의 과정에서도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 Chromosome Mutation I: Changes in Chromosome Structure: Introduction]".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 section.2844.</ref> 염색체 교차 과정중에 일부 염색체가 덧붙거나 잘려나가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연변이는 DNA의 일부가 누락되는 것과 같은 단순한 돌연변이에 비해 생물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자 중복]], [[유전자 결실]], [[염색체 역위]]와 같은 염색체 단위의 돌연변이들이 있다.
==== 자연선택과 진화 ====
{{본문|진화}}
[[파일:Eukaryote tree.svg|섬네일|간략히 표현한 진화 계통도]]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자 변화는 유전형질의 변화로 나타나며 자손에게 유전된다. [[자연환경]]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는 대부분 전체 [[게놈]]에서 극히 작은 부분만을 변화시킬 뿐이다. [[노랑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인위적인 돌연변이 실험에서 나타난 돌연변이의 70%는 개체에 해롭게 작용하였고 나머지 돌연변이는 중립적이거나 유리하였다.<ref>Sawyer, SA; Parsch; Zhang; Hartl (2007). "Prevalence of positive selection among nearly neutral amino acid replacements in Drosophil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4 (16): 6504–10. doi:10.1073/pnas.0701572104. PMID 17409186</ref>
[[집단유전학]]에서는 [[집단 (생물학)|집단]]에서 나타나는 [[대립형질 발현빈도]]가 [[세대]]가 지남에 따라 변화하여 일정 세대가 되면 하나의 형질만이 살아남는 [[고착]]현상을 보인다는 것을 관찰하였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section.3842 Variation and its modulation]".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ref> 집단유전학은 이러한 고착의 원인을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 압력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다양한 대립 형질 가운데 보다 환경에 적응하기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길 것이고 이것이 반복되면 결국 어느 시점에서는 집단 내에서 하나의 형질만이 남게 될 것이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 Selection]".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 .section.3886.</ref> 물론 이 외에도 [[유전자 부동]], [[유전자 이동]], [[인위적 선택]] 등이 생물 집단의 대립형질 빈도 변화에 영향을 준다.<ref>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iga.section.3906 Random events]".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ref>
자연선택이 일어나는 가운데 세대가 거듭되어 많은 시간이 흐르면 결국 환경에 가장 적합한 형질을 갖는 집단으로 변화하는 [[적응]]이 이루어진다.<ref>Orr H (2005). "The genetic theory of adaptation: a brief history". Nat. Rev. Genet. 6 (2): 119–27. doi:10.1038/nrg1523. PMID 15716908</ref> 처음에는 같은 [[종 (생물학)|생물종]]이었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환경에 격리되어 다른 방식으로 적응된다면 결국 다른 종으로 [[종분화|분화]]될 것이다. [[진화]]는 이와 같이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여 분화하는 현상이다.<ref>Gould, S.J. (2002). The Structure of Evolutionary Theory. Cambridge: Belknap Pres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0-674-00613-5}}.</ref>
최근에는 서로 다른 종들 사이의 유전형질 전달로 인해 유전자가 변화하는 [[수평적 유전자 이동]]역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ref>Jain R, Rivera MC, Lake JA (March 1999). "[http://www.pnas.org/cgi/pmidlookup?view=long&pmid=10097118 Horizontal gene transfer among genomes: the complexity hypothesis]". Proc. Natl. Acad. Sci. U.S.A. 96 (7): 3801–6. doi:10.1073/pnas.96.7.3801. PMID 10097118. PMC: 22375.</ref>
== 연구 방법과 기술 ==
=== 모델 생물 ===
{{본문|모델 생물}}
[[파일:Drosophila melanogaster - side (aka).jpg|섬네일|유전학 연구에 [[모델 생물]]로 흔히 쓰이는 [[노랑초파리]] ]]
[[파일:Ecoli colonies.png|섬네일|[[우뭇가사리]] 배지 위에 [[균주]]를 형성한 [[대장균]] ]]
유전학은 매우 다양한 생물을 다룬다.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은 자신의 실험 목적에 알맞은 [[모델 생물]]을 주로 활용한다.<ref>"[http://www.loci.wisc.edu/outreach/text/model.html The Use of Model Organisms in Instruction] {{웨이백|url=http://www.loci.wisc.edu/outreach/text/model.html |date=20080313023531 }}". University of Wisconsin: Wisconsin Outreach Research Modules. Retrieved 15 March 2008.</ref>
모델 생물은 과학계가 집중적인 연구를 위하여 선정한 [[종 (생물학)|종]]으로, 이러한 모델 생물을 선정한 이유는 이를 자세히 연구하면 다수의 종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생명의 기본 과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세포성 점균인 [[딕티오스텔리움 디스코이데움]] 등이 널리 사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딕티라는 애칭을 갖고 있는 이 점균에 대한 연구 결과는 [http://dictybase.org 딕티베이스]에 정리되어 있다.<ref>데이비드 슬론 윌슨, 김영희 역, 진화론의 유혹, 북스토리, 2009, {{ISBN|89-93480-16-8}}, 204쪽</ref> 이 외에도 [[노랑초파리]]는 20세기 초부터 모델 생물로 활용되었고 [[유전공학]]에서는 [[대장균]]이 모델 생물로 널리 활용된다.
=== 연구 기술 ===
실험실에서 직접 DNA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실험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인위적인 DNA의 제작, 표적 유전자의 부착, 제한효소를 사용한 DNA의 절단과 접합 및 복제와 같은 기술들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의학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DNA 조작 ====
현대 유전학에서는 실험을 위해 다양한 유전자 조작 기술을 개발하였다. DNA와 RNA는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최초의 인위적인 유전자 합성은 [[마샬 니렌버그]]와 [[하인리히 마타헤이]]가 1961년 [[코돈]]과 [[아미노산]]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들은 인위적인 코돈배열인 [[우라실]]연속체([[우라실|U]]-U-U-U-……)와 같은 인위적인 유전자를 리보솜에 집어 넣어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코돈과 아미노산의 관계를 증명하였다.<ref>Wahba AJ, Gardner RS, Basilio C, Miller RS, Speyer JF, Lengyel P (January 1963).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00638/?tool=pmcentrez Synthetic polynucleotides and the amino acid code. VIII]". Proc. Natl. Acad. Sci. U.S.A. 49: 116–22. PMID 13998282.</ref>
특정 유전자의 표적 형질을 추적하는 방법은 유전자의 발현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해파리와 말미잘에게서 얻은 형광 유전자가 대표적인 경우인데<ref>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 2005년 1월호, ISBN ABD2005010, 17쪽</ref> 이 유전자를 다른 생물의 유전자들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써 유전자가 발현되는 [[기관 (생물)|기관]]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형광유전자를 이용하여 수백종의 DNA를 하나의 칩 위에 올려놓은 [[DNA 칩]]은 암 진단에 유용하게 쓰인다.<ref>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대학교출판부, {{ISBN|89-7096-823-7}}, 1439쪽</ref>
==== 제한효소와 DNA 복제 ====
[[파일:CBP chemist reads a DNA profile.jpg|섬네일|왼쪽|220px|겔 전기 영동법을 이용한 DNA 분석]]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낼 수 있게 되면서 실험실에서 DNA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ref>Lodish et al. (2000), [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mcb.section.1582 Chapter 7: 7.1. DNA Cloning with Plasmid Vectors]</ref> [[겔 전기 영동법]]을 사용하면 잘라진 DNA의 조각들을 그 길이에 따라 구분하여 관찰할 수 있다. [[DNA 연결효소]]는 잘라진 DNA를 다시 [[DNA 재접합|접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렇게 접합된 DNA 조각은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에 심어져 대량으로 복제될 수도 있다. [[유전공학]]은 이러한 복제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자 조작]]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인슐린]]의 대량 복제를 위해 대장균을 이용한다.<ref>권오길, 꿈꾸는 달팽이, 지성사, 2004, {{ISBN|89-7889-100-4}}, 137쪽</ref>
==== 의학 ====
[[파일:Down Syndrome Karyotype.png|섬네일|다운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염색체의 모습. 21번 염색체가 세개 있다.]]
[[의학 유전학]]은 유전자와 인간의 질병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ref>"[http://www.ncbi.nlm.nih.gov/books/bv.fcgi?rid=gnd&ref=sidebar NCBI: Genes and Disease]". NIH: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Retrieved 15 March 2008.</ref> [[암]]과 같은 유전적 변형에 의한 질병의 연구가 대표적이다.<ref>"[http://www.nigms.nih.gov/Initiatives/PGRN/Background/FactSheet.htm Pharmacogenetics Fact Sheet] {{웨이백|url=http://www.nigms.nih.gov/Initiatives/PGRN/Background/FactSheet.htm |date=20101204143957 }}". NIH: National Institute of General Medical Sciences. Retrieved 15 March 2008.</ref>
[[혈우병]], [[다운 증후군]]과 같은 [[유전성 질환]]은 19세기에 이미 보고되었으나 질병의 원인이 [[염색체]] 이상에 있다는 것은 유전학이 발달한 20세기에 들어서야 밝혀졌다. 다운 증후군은 1862년 [[영국]]의 [[의사]] [[존 랭던 다운]]이 최초로 발견하여 1866년 학계에 보고하였으며<ref>Down, J.L.H. (1866). "[http://www.neonatology.org/classics/down.html Observations on an ethnic classification of idiots]". Clinical Lecture Reports, London Hospital 3: 259–262.</ref> 1956년 [[감수 분열]]과정에서 염색체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정상적인 경우와 다르게 [[인간 염색체 21번]]이 3개 존재하는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ref>임춘화 외, [http://www.kslm.org/english/down.php?Year=1999&pagee=456 21q22 부위의 중복을 보인 다운증후군 1예] {{웨이백|url=http://www.kslm.org/english/down.php?Year=1999&pagee=456 |date=20111110114401 }}, 대한임상병리학회지, 제19권 4호, 1999</ref> 이후 다양한 유전성 질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유전학의 성과와 연구 방법을 의학에 접목시킨 의학 유전학이 성립되게 되었다.
최근에는 [[유전자 중복]], [[유전자 결실]], [[염색체 역위]]와 같은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성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유전자 중복이 원인인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에 대한 연구를 예로 들 수 있다.<ref>김승민 외, [http://bbs.neuro.or.kr/space/journal/1999/9906011.pdf 한국인에서 Charcot-Marie-Tooth 1A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대한신경과학회지 17(6), ISSN 1225-7044.</ref> 샤르코 마리 투스 질환은 중요 신경 질환의 하나로 100,000명당 발병률은 36명이다.<ref>Krajewski KM, Lewis RA, Fuerst DR, et al. (2000). "[http://brain.oxfordjournals.org/cgi/content/full/123/7/1516#SEC4 Neurological dysfunction and axonal degeneration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Brain 123 ( Pt 7): 1516–27. doi:10.1093/brain/123.7.1516. PMID 10869062.</ref>
== 연구 분야 ==
오늘날의 유전학은 많은 하위 학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다양한 학문과 [[학제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연구 동향 ===
[[파일:Telomer-structure.gif|오른쪽|섬네일|220px|[[텔로미어]] 분자의 3차원 구조]]2000년 이후 각광을 받고 있는 연구 분야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관련한 [[게놈|유전체]] 연구와 [[후성유전학]]이다.<ref>[http://www.sciencetimes.co.kr/article.do?todo=view&atidx=38383 인간의 특별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웨이백|url=http://www.sciencetimes.co.kr/article.do?todo=view&atidx=38383 |date=20131203082634 }}, 사이언스타임즈, [[2010년]] [[3월 15일]]</ref> [[2003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의해 완성된 [[인간 유전체]] 지도는 [[사람]]의 모든 유전자 서열을 밝혀 내었다.<ref name="HGP"/> 또한, [[유전형질]]에 의한 [[발생 (생물학)|발생]] 과정이 끝난 이후에도 일어나는 [[게놈|유전체]]의 변동과 [[유전자 발현]]의 조절을 연구하는 [[후성유전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ref name="김용성">김용성, [http://www.bioin.or.kr/upload.do?cmd=download&seq=10344&bid=report 인체의 후성유전학 연구동향]{{깨진 링크|url=http://www.bioin.or.kr/upload.do?cmd=download&seq=10344&bid=report }}, 바이오인</ref> 후성유전학에서는 [[암]]의 발현과 같은 후생적 유전자에 의한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고 있다.<ref>이인수, [http://www.bioin.or.kr/board.do?cmd=view&bid=report&num=193233 암 후성유전체의 연구 동향], 바이오인</ref>
[[발생유전학]]을 비롯한 여러 하위 학문의 [[학제간 연구]]인 [[줄기 세포]]연구는 다양한 [[유전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0년에 발표된 [[예일 대학교]]의 연구 논문에서는 자궁 내막을 이용한 성체 줄기 세포로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ref>[http://www.newshankuk.com/news/news_view.asp?articleno=k2010050713351342999 자궁내막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뉴스 한국, 2010-5-7</ref>
[[노화]]에 대한 연구도 최근 유전학 연구의 주요 동향이다. 2009년 [[노벨상|노벨상위원회]]는 노화의 진행과 관련된 세포의 수명 시계인 [[텔로미어]]를 발견한 [[엘리자베스 블랙번]] 등에게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여하였다.<ref>[http://nobelprize.org/nobel_prizes/medicine/laureates/2009/index.html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09 - for the discovery of how chromosomes are protected by telomeres and the enzyme telomerase]</ref>
[[진화]]와 관련된 연구는 유전학과 조합되어 일어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를 진화유전학이라고 한다. 진화 현상 자체가 직접 관찰되었기에, 명백한 사실로 밝혀진 진화를, 각 유전체와 유전자에서 어떤 속도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21세기 들어 가장 활발히 연구되는 연구과제인 진화의 속도와 방향 연구가 있다.
{{col-begin}}
{{col-2}}
=== 주요 개념 및 관련 분야 ===
{{유전학}}
== 같이 보기 ==
* [[우생학]]
* [[발생학]]
* [[유전 질환]]
* [[유전적 다양성]]
* [[유전공학]]
* [[의학유전학]]
== 참고 문헌 ==
=== 외국어 문헌 ===
* Alberts B, Johnson A, Lewis J, Raff M, Roberts K, and Walter P (2002).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4th ed.). New York: Garland Science. {{ISBN|0-8153-3218-1}}.
* Griffiths, Anthony J. 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et al., eds (2000).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0-7167-3520-2}}.
* Hartl D, Jones E (2005). Genetics: Analysis of Genes and Genomes (6th ed.). Jones & Bartlett. {{ISBN|0-7637-1511-5}}.
* Lodish H, Berk A, Zipursky LS, Matsudaira P, Baltimore D, and Darnell J (2000). Molecular Cell Biology (4th ed.).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Books. {{ISBN|0-7167-3136-3}}.
* Witzany, Guenther, ed (2009). Natural Genetic Engineering and Natural Genome Editing. New York: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ISBN 978-57331-765-8
=== 한국어 문헌 ===
==== 생물학 일반 ====
* 조지 B 존슨, 전병학 역,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ISBN|89-425-1186-4}}
* 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89-7085-516-5}}
==== 유전학 ====
* SNUSTAD, SIMMONS, 김상구, 서동상, 서봉보 역, 유전학원론, 월드사이언스, 2008, {{ISBN|89-5881-114-5}}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학술잡지'''
** [http://www.nature.com/nature/ Nature 웹사이트]
** [http://www.sciencemag.org/ Science 웹사이트]
** [http://www.pnas.org/ PNAS 웹사이트]
** [https://web.archive.org/web/20081201085919/http://www.biosites.org/index.php/Genetic_Engineering 유전공학 관련 웹사이트]
* '''학회'''
** [http://www.kgenetics.or.kr/ 한국유전학회]
{{생물학 분야}}
{{생물학}}
{{분자생물학}}
{{전거 통제}}
[[분류:유전학|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음은 '''생물학 용어 목록'''이다.
{{가나다 찾기}}
== 가 ==
* [[가계도]] (Pedigree)
* [[가수분해]] (Hydrolysis)
* [[가지돌기]] (Dendrite)
* [[감각]] (Sensation)
* [[감염]] (Infection)
* [[강 (생물학)|강]] (Class)
* [[과 (생물학)|과]] (Family)
* [[카탈레이스|과산화수소분해효소]] (Catalase)
* [[개체군]] (Population)
* [[결합 조직]] (Connective tissue)
* [[겸상 적혈구 빈혈]] (sickle cell anemia)
* [[계 (생물학)|계]] (Kingdom)
* [[계통군]] (Clade)
* [[계통수]] (Phylogenetic tree)
* [[고균]] (Archeae)
* [[고유성]] (Endemism)
* [[곤충학]] (Entomology)
* [[광합성]] (Photosynthesis)
* [[광호흡]] (Photorespiration)
* [[구아닌]] (Guanine)
* [[군체]] (Colony)
* [[그람 염색]] (Gram stain)
* [[글라이신]] (Glycine)
* [[글루타민]] (Glutamine)
* [[글루탐산]] (Glutamate)
* [[기관계|기관]] (Organ)
* [[기생충]] (Parasite)
== 나 ==
* [[난자]] (Egg)
* [[내분비계통]] (Endocrine system)
* [[내장]] (Viscus)
* [[내포작용]] (Endocytosis)
* [[네프론]] (Nephron)
* [[노던 블랏]] (Northern Blot)
* [[뇌]] (Brain)
* [[뉴런]] (Neuron)
* [[뉴클레오타이드]] (Nucleotide)
* [[능동수송]] (Active transport)
== 다 ==
* [[다윈적 응도]] (Darwinian fitness)
* [[단백질]] (Protein)
* [[단백질의 구조]] (Structure of protein)
* [[단백질 접힘]] (Protein folding)
* [[단수분자]] (Monomer)
* [[단일 클론 항체]] (Monoclonal antibody)
* [[단핵구]] (Monocyte)
* [[쓸개|담낭]] (Gallbladder)
* [[당뇨병]] (Diabetes)
* [[대장균]] (''Escherichia coli'')
* [[데스모솜]] (Desmosome)
* [[트랜스포존|전이인자]] (Transposon}
* [[돌연변이]] (Mutation)
* [[동맥]] (Artery)
* [[동물]] (Animal)
* [[동물행동학]] (Ethology)
* [[에너지 흡수 반응]] (Endergonic reaction)
* [[DNA]] (Deoxyribonucleic acid)
* [[DNA 복제]] (DNA replication)
* [[DNA 수선]] (DNA repair)
* [[디네인]] (Dynein)
== 라 ==
* [[라이신]] (Lysine)
* [[랑게르한스섬]] (Langerhans cell)
* [[류신]] (Leucine)
* [[리보솜]] (Ribosome)
* [[리보솜 RNA]] (Ribosome RNA, rRNA)
* [[리소좀]] (Lysosome)
* [[림프절]] (Lymph node)
*
== 마 ==
* [[막 전위|막전위]] (Membrane potential)
* [[메티오닌]] (Methionine)
* [[먹이 사슬]] (Food chain)
* [[멘델의 유전법칙]] (Mendel`s inheritance)
* [[면역]] (Immunity)
* [[절멸|멸종]] (Extinction)
* [[무성생식]] (Ansexual reproduction)
* [[무체강 동물]] (Acoelomate)
* [[목 (생물학)|목]] (Order)
* [[문 (생물학)|문]] (Phylum)
* [[미생물학]] (Microbiology)
* [[미세아교세포]] (Microglia)
* [[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 [[물질대사]] (Metabolism)
== 바 ==
* [[바이러스]] (Virus)
* [[바이러스학]] (Virology)
* [[바이오리듬]] (Circadian rhythm)
* [[박테리오파지]] (Bacteriophage)
* [[반응기]] (Effector)
* [[발린]] (Valine)
* [[발생학]] (Embryology)
* [[발효]] (Fermentation)
* [[배반포]] (Blastcyst)
* [[배 (생물학)|배]] (Embryo)
* [[배젖]] (Endosperm)
* [[백신]] (Vaccine)
* [[백혈구]] (Leukocyte)
* [[번역]] (Translation)
* [[변성 (생화학)|변성]] (Denaturation)
* [[병리학]] (Pathology)
* [[베타 병풍 구조]] (Beta-sheet)
* [[벡터 (분자생물학)|벡터]] (Vector)
* [[보전생물학]] (Conservation biology)
* [[복제]] (Replication)
* [[부갑상샘호르몬]] (Parathyroid hormone)
* [[분만]] (Parturition)
*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 [[분화]] (Differenciation)
* [[불응기]] (Refractory period)
* [[비교생물학]] (Comparative biology)
* [[비만 세포]] (Mast cell)
* [[비장]] (Spleen)
* [[비타민]] (Vitamine)
* [[B세포|B 세포]] (B cell)
== 사 ==
* [[사람]] (Human)
* [[사이토신]] (Cytosine)
* [[사정 (생리학)|사정]] (Ejaculation)
* [[상피 조직|상피]] (Epithelium)
* [[생태계]] (Ecosystem)
* [[생화학]] (Biochemistry)
* [[생물 군계]] (Biome)
* [[생물 다양성]] (Biodiversity)
*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 [[생물리학]] (Biophysics)
* [[생물 수학]] (Biomathematics)
* [[생식 세포]] (Gamete)
* [[에너지대사|생체 에너지학]] (Bioenergetics)
* [[생체분자]] (Biomolecule)
* [[생물역학]] (Biomechanics)
* [[생물학]] (Biology)
* [[생태학적 피라미드]] (Ecological pyramid)
* [[생태학]] (Ecology)
* [[생태형]] (Ecotype)
* [[생체공학]] (Bioengineering)
* [[생합성]] (Biosynthesis)
* [[서던 블랏]] (Southern Blot)
* [[서식지]] (Habitat
* [[성 (생물학)|성]] (Sex)
* [[선모|섬모]] (Cilia)
* [[세균]] (Bacteria)
* [[세대]] (Generation)
* [[세린]] (Serine)
* [[세정관]] (Seminiferous tubule)
* [[세포]] (Cell)
* [[세포 내 공생설]] (Endosymbiotic theory)
* [[세포골격]] (Cyroskeleton)
* [[세포 주기]] (Cell cycle)
* [[세포생물학]] (Cell biology)
* [[세포자살]] (Apoptosis)
* [[세포막]] (Cell membrane)
* [[세포벽]] (Cell wall)
* [[세포질]] (Cytoplasm)
* [[세포핵]] (Nucleus)
* [[세포분열|세포 분열]] (Cell division)
*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 ER)
* [[속 (생물학)|속]] (Genus)
* [[수렴 진화]] (Convergent evolution)
* [[수용체]] (Receptor)
* [[수정 (생물학)|수정]] (Fertilization)
* [[수지상 세포]] (Dendritic cell)
* [[숙주]] (Host)
* [[순환계통|순환계]] (Circulatory system)
* [[습관화]] (Habituation)
* [[쓸개즙]] (Bile)
* [[연접|시냅스]] (Synapse)
* [[시스테인]] (Cystine)
* [[식물]] (Plant)
*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
== 아 ==
* [[아미노산]] (Amino acid)
* [[아데닌]] (Adenine)
* [[아데노신 삼인산]] (Adenosine triphosphate, ATP)
* [[아르기닌]] (Arginine)
* [[아민]] (Amine)
* [[아세틸-CoA]] (Acetyl CoA)
* [[아스파르트산]] (Asparatic acid)
* [[아이소류신]] (Isoleucine)
* [[RNA]] (Ribonucleic acid)
* [[알라닌]] (Alanine)
* [[양성 종양]] (Benign tumor)
* [[양서파충류학]] (Herpetology)
* [[어류학]] (Ichthylolgy)
* [[에스트로겐]] (Estrogen)
* [[원핵세포]] (Prokaryote)
* [[여과]] (Filteration)
* [[역 (생물학)|역]] (Domain)
* [[역류교환]] (Countercurrent exchange)
* [[역전사]] (Reverse transcription)
*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반응]] (Revers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 [[역학 (의학)|역학]] (Epidemiology)
* [[열성]] (Recessiveness)
* [[염색체]] (Chromosome)
* [[엽록소]] (Chlorophyll)
* [[엽록체]] (Chloroplast)
* [[염증]] (Inflammation)
* [[영양계 선택]] (Clonal selection)
* [[엑손]] (Exon)
* [[오페론]] (Operon)
* [[온혈동물|온열동물]] (Endotherm)
* [[외배엽]] (Ectoderm)
* [[요도]] (Uretha)
* [[요소 회로]] (Urea cycle)
* [[우성]] (Dominance)
* [[유성 생식]] (Sexual reproduction)
* [[운반 RNA]] (Transport RNA, tRNA)
* [[원추세포|원뿔세포]] (Cone cell)
* [[원심성 신경]] (Efferent)
* [[원형질막]] (Plasma membrane)
* [[웨스턴 블랏]] (Western Blot)
* [[유라실]] (Uracil)
* [[유전]] (Heredity)
* [[유전자]] (Gene)
* [[유전 부호]] (Genetic code)
* [[유전자 연관]] (Linkage of genes)
* [[유전자 부동|유전적 부동]] (Genetic drift)
* [[유전형]] (Genotype)
* [[유전자 이동|유전적 이동]] (Genetic variation)
* [[유전체]] (Genome)
* [[유전학]] (Genetics)
* [[유전형]] (Genetype)
* [[음낭]] (Scrotum)
* [[음순]] (Labium)
* [[이명법]] (Binomial nomenclature)
* [[이분법]] (Binary fission)
* [[이스턴 블랏]] (Eastern Blot)
* [[EPA]] (Eicosapentaenoic acid)
* [[인슐린]] (Insulin)
* [[인터페론]] (Interferon)
* [[인트론]] (Intron)
== 자 ==
* [[자가 면역]] (Autoimmunity)
* [[자연선택|자연선택설]] (Theory of natural selection)
* [[자웅동체]] (Hermaphrodite)
* [[자율신경계통|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 [[잡종]] (Hybrid)
* [[잡종 강세]] (Heterosis)
* [[저온생물학]] (Cryobiology)
* [[전기화학적 기울기]] (Electochemical gradient)
* [[전립샘|전립선]] (Prostate gland)
* [[전령 RNA]] (Messenger RNA, mRNA)
* [[전자수용체]] (Electron acceptor)
* [[전자전달계]] (Electron transport system)
* [[전자현미경]] (Electron microscope)
* [[적응]] (Fitness)
* [[적혈구]] (Red Blood Cell, RBC)
* [[전사 (생물학)|전사]] (transcription)
* [[정맥]] (Vein)
* [[락토스|젖당]] (Lactose)
* [[제한 효소]] (Restriction enzyme)
* [[조직]] (Tissue)
* [[조직학]] (Histology)
* [[종 (생물학)|종]] (Species)
* [[종속영양생물]] (Heterotroph)
* [[중성지방]] (Neural fat)
* [[중심원리]] (central dogma)
* [[중심소체]] (Centriole)
* [[중심체]] (Centrosome)
* [[중합분자]] (Polymer)
* [[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G단백질|G 단백질]] (G protein)
* [[지방 조직]] (Adipose tissue)
* [[균계|진균]] (Fungi)
* [[진핵세포]] (Eukaryote)
* [[진화]] (Evolution)
* [[진화생물학]] (Evolutionary biology)
* [[질]] (Vagina)
* [[질입구주름]] (Hymen)
* [[집단 면역]] (Herd Immunity)
== 차 ==
* [[착상]] (Implantation)
* [[착생식물]] (Epiphyte)
* [[체내 수정]] (Internal fertilization)
* [[체액]] (Fluid)
* [[체외 수정]] (External fertiization)
* [[축삭|축삭 돌기]] (Axon)
* [[이자 (해부학)|췌장]] (Pancreas)
{{빈 문단}}
== 카 ==
* [[카로티노이드]] (Carotenoid)
* [[암반응|캘빈 회로]] (Calvin cycle)
* [[케톤체]] (Ketone)
* [[콜레스테롤]] (Cholesterol)
* [[크로마토그래피]] (Chromatography)
* [[크리스타]] (Crista)
{{빈 문단}}
== 타 ==
* [[티로신|타이로신]] (Tyrosine)
* [[태아]] (Fetus)
* [[탄수화물]] (Carbohydrate)
* [[탄소 고정]] (Carbon fixation)
* [[탈락]] (Abscission)
* [[탈분극]] (Depolarization)
* [[탈수 반응]] (Dehydration reaction)
* [[탈질화]] (Denitrification)
* [[텔로미어]] (Telomere)
* [[트레오닌]] (Threonine)
* [[트립토판]] (Tryptophan)
* [[티민]] (Thymine)
* [[TCA 회로]] (TCA cycle, Citric acid cycle)
* [[T세포|T 세포]] (T cell)
== 파 ==
*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 [[펩타이드]] (Peptide)
* [[편도]] (Tonsil)
* [[편모]] (Flagellum)
* [[글루코스|포도당]] (Glucose)
* [[포도당분해과정|포도당 분해 과정]] (해당과정, Glycolysis)
* [[표현형]] (Phenotype)
* [[프라이머]] (Primer)
* [[프로테옴]] (proteome)
* [[프롤린]] (Proline)
* [[프리온]] (Prion)
*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 [[플라스미드]] (Plasmid)
== 하 ==
* [[항상성]] (homeostasis)
* [[항원]] (antigen)
* [[항체]] (antibody)
* [[해면체]] (Cavernous body)
* [[해양생물학]] (Marine biology)
* [[핵산]] (Nucleic acid)
* [[행동생태학]] (Behavioral ecology())
* [[헤모글로빈]] (Hemoglobin)
* [[혈소판]] (Platelet)
* [[혈압]] (Blood pressure)
* [[혈액]] (Blood)
* [[혈액내관문]] (Blood-Brain Barrier, BBB)
* [[혈액형]] (Blood type)
* [[혈액형 유전]] (Inheritance of blood group)
* [[형질 세포]] (Plasma cell)
* [[호르몬]] (Hormone)
* [[호중성 과립구|호중구]] (Neutroph)
* [[호흡]] (Respiration)
* [[화학 합성]] (Chemosynthesis)
* [[환경과학|환경생리학]] (Ecophysiology)
* [[환경생물학]] (Environmental biology)
* [[활동전위]] (Active potential)
* [[활성 자리|활성자리]] (Active site)
* [[회음]] (Perinaeum)
* [[효소]] (Enzyme)
* [[후성유전학]] (Epigenetics)
* [[흉강]] (Thoracic cage)
* [[흡광도]] (Absorption)
* [[흡수]] (Absorbtion)
* [[히스티딘]] (Histidine)
__NOTOC__
[[분류:생물학에 관한 목록| ]]
[[분류:생물학|*]]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자동차 정보
| 이름 = 현대 쏘나타
| 그림 = 0 Hyundai Sonata (DN8) fl 1.jpg
| 차종 = 중형차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별칭 = [[현대 스텔라]] (1세대)<br/>[[현대 마르샤]] (3세대)<br/>현대 쏘니카 ([[이탈리아]]) (3~5세대)<br/>현대 NF 위샹 ([[중화인민공화국|중국]]) (5세대)<br/>현대 쏘나타 위샹 ([[중화인민공화국|중국]]) (5세대)<br/>[[현대 링샹]] ([[중화인민공화국|중국]]) (5세대)<br/>현대 쏘나타 엠베라 ([[인도]]) (5세대)<br/>현대 i45 ([[뉴질랜드]],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6세대)
| 생산년도 = [[1985년]]~ 현재
| 조립 = {{국기|대한민국}} [[울산광역시]] ([[1985년]]~[[1996년]])<br/>{{국기|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시]] ([[1996년]]~현재)<br/>{{국기|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앨라배마주)|몽고메리]] ([[2005년]]~[[2022년]])<br/>{{국기|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2002년]]~현재)<br/>{{국기|인도}} [[첸나이]] ([[2001년]]~[[2014년]])
| 선행차량 = [[현대 스텔라]]
| 차체형식 = 4도어 [[세단]]
| 구동방식 = [[전륜구동]]
| 차대 = 모노코크
| 변속기 =
| 연료 = [[휘발유|가솔린]] ([[1985년]]~현재)<br/>[[경유|디젤]] ([[2006년]]~[[2017년]], [[2015년]]~[[2018년]])<br/>[[액화석유가스|LPG]] ([[1991년]]~현재)<br/>[[하이브리드]] ([[2011년]]~ 현재)<br/>[[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015년]]~ [[2019년]])
| 관련차량 = [[기아 K5]]<br/>[[현대 아반떼]]<br/>[[현대 스텔라]]<br/>[[현대 투싼]]<br/>[[현대 싼타페]]<br/>[[기아 오피러스]]<br/>[[현대 i40]]<br/>[[현대 마르샤]]<br/>[[현대 링샹]]<br/> [[제네시스 G70]]
| 설계자 =
}}
{{다른 뜻 넘어옴|쏘나타||소나타 (동음이의)}}
'''현대 쏘나타'''(Hyundai Sonata)는 [[대한민국]]의 [[현대자동차]]에서 [[1985년]]에 출시한 이후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전륜구동]] 중형차이다. 차명인 쏘나타는 고도의 연주 기술이 요구되는 4악장 형식의 악곡인 [[소나타]]에서 따온 것으로 혁신적인 성능, 기술, 가격을 지닌 종합 예술 승용차라는 의미이다. 자가용 외에도 [[경찰차]]나 [[택시]], [[렌터카]] 등의 영업용으로 운행되기도 하는 편이다. 본 항목에서의 판매 기간은 자가용 기준이다.
== 1세대(Y) ==
=== 쏘나타([[1985년]] [[11월]] ~ [[1987년]] [[12월]]) ===
<gallery>
Hyundai Sonata 1.8 5 Speed Y1 Quartz Gold (6).jpg|현대 소나타 Y 전측면
Hyundai Sonata 1.8 5 Speed Y1 Quartz Gold (18).jpg|현대 소나타 Y 후측면
</gallery>
{{참고|현대 스텔라#1세대(Y)}}
[[1985년]] [[11월 4일]]에 출시됐으며, 역대 쏘나타 중 유일한 [[후륜구동]]이다. 큰 인기를 모은 [[대우 로얄|대우 로얄 시리즈]]에 대항하기 위하여 기존의 [[현대 스텔라|스텔라]]에 [[미쓰비시 자동차공업|미쓰비시]]제 1.8ℓ 시리우스 가솔린 엔진과 2.0ℓ 시리우스 가솔린 엔진을 얹었다. 여기에 크루즈 컨트롤, 파워 시트, 헤드 램프 워셔, 크롬 범퍼, 전동 조절식 아웃 사이드 미러, 파워 스티어링 휠 등 고급 사양을 적용하여 판매한 것이 쏘나타의 시초다. VIP를 위한 고급 승용차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수요층에게 어필하려고 했으며, 인기 배우 [[강신성일|故 신성일]]이 첫 번째로 계약하여 화제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경제적인 중형차라는 이미지의 [[현대 스텔라|스텔라]]와의 큰 차별화가 없어 인기를 끌지 못했다. 이에 경쟁 회사인 [[한국GM|대우자동차]]로부터 이름 때문에 '소나 타는 차'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하여 [[1986년]] [[2월]]부터 신문 광고 등을 통하여 이미지 쇄신과 고급화를 위하여 소나타에서 쏘나타로 개명했다. [[1987년]] [[2월 2일]]에 투톤 외장 색상과 트립 컴퓨터 등을 달았으나, 별다른 효과를 못 봐 같은 해 [[12월]]에 단종됐다. [[1988년]] [[6월 1일]]에 [[전륜구동]] 방식의 수출 전략형으로 탈바꿈한 2세대 쏘나타가 출시되어 한동안 [[현대자동차]]는 1세대 쏘나타를 쏘나타의 계보에서 제외했다. 하지만 [[2003년]] [[3월]]에 쏘나타 250만 대 생산 돌파 시점부터 1세대로 포함하기 시작했다. 현재 [[대한민국]]에 정식으로 등록된 1세대 쏘나타는 극소수이며, [[현대자동차]]에서 소유하여 보존하고 있는 차량은 없다. [[2014년]]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강남구)|삼성동]] [[코엑스]] B2홀에 개최됐던 쏘나타 모터쇼와 [[2015년]] [[8월]]부터 [[9월]]까지 열린 전국 순회형 쏘나타 모터쇼,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현대모터스튜디오 서울에서 열린 쏘나타 헤리티지 전시회와 같이 차량의 전시가 필요한 경우엔 현대자동차가 [[전라북도]] [[전주시]]에 거주한 오너로부터 빌려서 복원한 다음 전시하고, 전시 이후 다시 반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
!쏘나타
|DLX(이후 고급형으로 변경 → 1.8ℓ로 변경)
|고급형/슈퍼형(이후 2.0ℓ로 통합)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시리우스 SOHC
!2.0ℓ 시리우스 SOHC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2"|4,57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2"|1,7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2"|1,381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2"|2,57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2"|1,4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2"|1,42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2"|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수동 5단<br/>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2"|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BM
|G4BT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2"|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795
|1,99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00/5,500
|110/5,5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5.0/3,500
|16.7/3,5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
|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
|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2세대(Y2) ==
=== 쏘나타([[1988년]] [[6월]] ~ [[1991년]] [[2월]]) ===
[[파일:HYUNDAI SONATA Y2 FRONT.png|섬네일|오른쪽|250px|현대 쏘나타 정측면]]
[[파일:HYUNDAI SONATA Y2 REAR.png|섬네일|오른쪽|250px|현대 쏘나타 후측면]]
[[1988년]] [[6월 1일]]에 출시되었다. [[현대 스텔라|스텔라]]와는 성격이 다른 [[전륜구동]] 방식의 수출 전략형 중형차로 개발되어 [[대한민국]]에서 이미 실패한 차종임에도 여러 최종 차명 후보 중에서 제일 부르기 쉽다는 [[미국]] 딜러들의 의견에 따라 결국 차명이 쏘나타로 결정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41200329214003&ed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04-12&officeId=00032&pageNo=14&printNo=13088&publishType=00020 現代 5월出庫 새中型車이름「소나타」有力] [[경향신문]], [[1988년]] [[4월 12일]]</ref> [[현대 그랜저#1세대(L)|1세대 그랜저(L)]]의 [[전륜구동]] 메커니즘을 플랫폼을 공용했고, 에어로 다이내믹 디자인이 적용되어 공기 저항 계수(Cd)가 0.32를 기록하는 등 [[현대 스텔라|스텔라]] 베이스의 1세대와 달리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2.0ℓ 시리우스 SOHC 가솔린 엔진은 최고 출력 120마력과 최고 시속 174.5km의 성능을 내었다. 8인치와 9인치 부스터 2개를 조합해 제동 성능을 높인 탠덤 부스터를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선보이기도 하였다. 서스펜션은 앞 맥퍼슨 스트럿, 뒤 3 링크를 사용해 [[북아메리카]] 시장에 맞게 세팅된 부드러운 승차감이 특징이었고, 파워&틸트 스티어링 휠과 크루즈 컨트롤 등 각종 편의 사양도 적용되었다. 출시 당시 가격은 1.8i 트림이 906만 원(5단 수동변속기 기준), 2.0i 트림이 1,206만 원(4단 자동변속기 기준)이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270020920401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5-27&officeId=00020&pageNo=4&printNo=20506&publishType=00020 새 중형차 쏘나타 내달1일부터市販(시판)] [[동아일보]], [[1988년]] [[5월 27일]]</ref> [[대우 로얄|대우 로얄 프린스]]와 [[기아 콩코드]] 등 경쟁 차종에 비해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여 [[1989년]]에는 [[대한민국]] 전 차종 연간 판매 3위를 기록하였다. [[1989년]] [[7월 24일]]에는 새 라디에이터 그릴 형상, 범퍼 몰딩과 사이드 몰딩의 색상 변경, 시트 벨트 착용 차임 벨, 키 홀 조명, 계기판 조명 조절 장치 등이 적용된 [[1990년]]형이 나왔다. [[1990년]] [[7월 12일]]에는 수출용에만 적용되던 2.4ℓ 시리우스 SOHC 가솔린 엔진과 LCD 계기판, 가죽 시트 등으로 고급스럽게 꾸민 최고급 트림인 2.4i가 나오기도 하였지만, [[대한민국]]에서의 판매 대수는 미미하였다. 수출용에는 V6 3.0ℓ 사이클론 가솔린 엔진도 있었다. [[현대자동차]]가 [[1989년]]에 현지 공장을 세워 [[캐나다]] [[퀘벡주]] [[브로몽]]에서도 생산되었으며,<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3000099206009&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88-11-30&officeId=00009&pageNo=6&printNo=7001&publishType=00020 현대차 캐나다에 조립공장 완공]{{깨진 링크|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13000099206009&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88-11-30&officeId=00009&pageNo=6&printNo=7001&publishType=00020 }} [[매일경제신문]], [[1988년]] [[11월 30일]]</ref>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승용차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에서 생산되는 승용차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북아메리카]] 자동차 시장의 과잉 공급으로 판매량이 저조하여 [[1993년]]을 기점으로 가동을 무기한 중단하였고, 결국 [[현대자동차]]의 [[캐나다]] 현지 법인인 [[현대자동차|현대]] 모터 [[캐나다]]가 청산되어 브로몽 현지공장은 폐쇄되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2.4ℓ 가솔린
|-
!쏘나타
|1.8i(이후 GLSi로 변경)
|2.0i(이후 GLSi로 변경)
|2.4 GLSi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시리우스 SOHC
!2.0ℓ 시리우스 SOHC
!2.4ℓ 시리우스 SOHC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3"|4,6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3"|1,7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1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3"|2,6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3"|1,4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3"|1,4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3"|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3"|수동 5단<br/>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3"|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CM
|G4CP
|G4CS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3"|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796
|1,997
|2,351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05/5,000
|120/5,000<br/>(이후 111/5,000으로 변경)
|123/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5.4/4,000
|16.2/4,000<br/>(이후 17.3/4,000으로 변경)
|19.9/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3"|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240(수동 5단)/<br/>1,260(자동 4단)
|1,250(수동 5단)/<br/>1,275(자동 4단)
|1,333(수동 5단)/<br/>1,348(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1.57(수동 5단)/<br/>9.41(자동 4단)
|12.14(수동 5단)/<br/>10.86(자동 4단)
|9.83(수동 5단)/<br/>9.82(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뉴 쏘나타([[1991년]] [[2월]] ~ [[1993년]] [[5월]]) ===
[[파일:20100831 hyundai sonata 00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뉴 쏘나타 정측면]]
[[파일:20100831 hyundai sonata 00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뉴 쏘나타 후측면]]
[[1991년]] [[2월 20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기존 쏘나타의 디자인에 둥근 요소가 가미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윤거를 앞은 25mm, 뒤는 20mm 더 넓혀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최소 회전 반경을 줄여 기동성을 높였고, 이 시점부터 [[현대자동차]] CI가 변경되어 새로운 엠블럼이 적용되었다. 중형 택시 시장의 확대에 발맞추어 뉴 쏘나타부터는 LPG 택시도 판매되었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3150009920701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1-03-15&officeId=00009&pageNo=7&printNo=7744&publishType=00020 중형택시 시장경쟁 후끈]{{깨진 링크|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31500099207011&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1-03-15&officeId=00009&pageNo=7&printNo=7744&publishType=00020 }} [[매일경제신문]], [[1991년]] [[3월 15일]]</ref> 같은 해 [[5월]]에는 최초로 월간 판매 1위를 기록하였고,<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61400099207008&edtNo=1&printCount=1&publishDate=1991-06-14&officeId=00009&pageNo=7&printNo=7824&publishType=00020 승용차판매 中型 1위 월간실적 쏘나타 最多] [[매일경제신문]], [[1991년]] [[6월 14일]]</ref> [[6월 24일]]에는 137마력 2.0ℓ 시리우스 DOHC 엔진을 얹어 [[대한민국]]산 중형차 최초로 DOHC 엔진의 시대를 열었으며, 최고속도 185km/h와 제로백(0→100km) 가속 10.6초의 성능을 보였다. 역대 쏘나타 중에서 ABS가 최초로 적용되었다. 이후 선보인 최고급 트림인 골드는 가죽 시트와 LCD 계기판, 7밴드 그래픽 이퀄라이저 2단 오디오(CD 플레이어는 옵션), 전동식 선루프가 적용되었다. 영업용은 5단 [[수동변속기]]만 있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1.8ℓ LPG<br/>(택시)
!2.0ℓ LPG<br/>(택시)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
!뉴 쏘나타
|1.8i 택시
|TX 2.0i 택시<br/>TLX 2.0i 모범 택시
|GLi
|GLSi<br/>DOHC(이후 골드로 대체)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시리우스 SOHC
!2.0ℓ 시리우스 SOHC
!2.0ℓ 시리우스 DOHC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3"|4,6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3"|1,7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1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3"|2,6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3"|1,4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3"|1,4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3"|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3"|수동 5단<br/>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3"|전륜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CM
|G4CP
|G4CP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3"|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796
|1,997
|1,99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05/5,000
|111/5,000
|137/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5.4/4,000
|17.3/4,000
|17.7/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3"|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240(수동 5단)/<br/>1,260(자동 4단)
|1,245(수동 5단)/<br/>1,275(자동 4단)
|1,299(수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1.57(수동 5단)/<br/>9.41(자동 4단)
|12.14(수동 5단)/<br/>10.86(자동 4단)
|11.41(수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3세대(Y3) ==
=== 쏘나타 II([[1993년]] [[5월]] ~ [[1996년]] [[2월]]) ===
[[파일:Hyundai SONATA(Y3) Front-side.JPG|섬네일|오른쪽|250px|현대 쏘나타 II 정측면]]
[[파일:Hyundai SONATA(Y3) Rear-side.JPG|섬네일|오른쪽|250px|현대 쏘나타 II 후측면]]
[[1993년]] [[5월 14일]]에 출시되었다. 뛰어난 디자인으로 큰 인기를 모아 3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60만 대 가까이 판매되었다. 출시 당시 파격적인 디자인이 큰 인기를 끌어 오래된 차종임에도 최고의 디자인으로 손에 꼽히는 차종이다. 역대 쏘나타 중에서 접이식 사이드 미러와 운전석 에어백(이후 조수석 에어백도 적용)이 최초로 적용되어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였다. 그 외에도 전자 제어 서스펜션과 전자식 EQ 내장 오디오(골드 트림은 CD 플레이어 기본) 등이 적용되었고, 오디오 도난 방지를 위하여 오디오에 비밀 번호 입력 기능이 있었다. 환경 보호 차원에서 신냉매 에어컨을 장착하는 한편 자원 재활용을 위한 리사이클링 시스템도 채용되었다. [[1995년]] [[8월 22일]]에는 출시 초기에 있다가 사라진 골든 팩 트림이 금장 엠블럼, 세련된 디자인의 15인치 알루미늄 휠, 205mm 광폭 타이어, ABS 등을 적용하여 새롭게 추가되었다. 영업용 LPG 택시는 3세대부터 [[자동변속기]]를 추가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1.8ℓ LPG<br/>(택시)
!2.0ℓ LPG<br/>(택시)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
!쏘나타 Ⅱ
|TX
|TX<br/>TXL<br/>모범
|GL<br/>GL DLX
|GLS<br/>골든 팩<br/>골드
|}
==== LCD 전자 계기판 ====
* [[S&T대우|대우정밀]]의 제품으로, 수출형에 옵션으로 제공되었으며 내수용에는 장착되지 않았다.
* 트립 컴퓨터가 적용되어 주행 가능 거리, 평균 연비, 실시간 연비 등을 볼 수 있다.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시리우스 SOHC
!1.8ℓ 시리우스 DOHC
!2.0ℓ 시리우스 SOHC
!2.0ℓ 시리우스 DOHC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4"|4,7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4"|1,7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4"|2,7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4"|1,51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4"|1,5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4"|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4"|수동 5단<br/>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4"|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CM
|G4CN
|G4CP
|G4CP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4"|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796
|1,836
|1,997
|1,99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10/5,500
|135/6,000
|115/5,000
|146/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6.5/4,500
|17.5/4,500
|18.1/4,500
|19.2/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4"|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236(수동 5단)/<br/>1,280(자동 4단)
|1,265(수동 5단)/<br/>1,305(자동 4단)
|1,246(수동 5단)/<br/>1,285(자동 4단)
|1,275(수동 5단)/<br/>1,310(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3.2(수동 5단)/<br/>11.4(자동 4단)
|12.8(수동 5단)/<br/>11.5(자동 4단)
|12.0(수동 5단)/<br/>10.9(자동 4단)
|12.6(수동 5단)/<br/>10.3(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III([[1996년]] [[2월]] ~ [[1998년]] [[7월]]) ===
[[파일:00 hyundai sonata 3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III 정측면]]
[[파일:00 hyundai sonata 3 3.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III 후측면]]
[[1996년]] [[2월 6일]]에 출시되었다. 쏘나타 2의 페이스 리프트 차종으로, 역대 쏘나타 중에서 TCS가 최초로 적용되었다. 쏘나타 3의 경우 출시되고 나서 한동안 헤드 램프 디자인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미쓰비시 자동차공업|미쓰비시]]에서 공급받는 4단 자동변속기(KM175-5)는 3세대 쏘나타까지 장착되었다. 쏘나타 3가 출시되어 판매 중이던 [[1996년]]에 쏘나타의 누적 판매량이 [[대한민국]]에서만 100만 대를 돌파하였고, 같은 해 [[8월]]에 개최된 [[모스크바 모터쇼]]에서는 최우수 자동차로 선정되기도 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068649 쏘나타Ⅲ, 모스크바 국제모터쇼서 최우수車 선정] [[연합뉴스]], [[1996년]] [[8월 27일]]</ref> [[현대자동차]]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금성리에 신설한 공장이 [[1996년]]에 완공되어 같은 해 [[11월 11일]]부터는 [[아산시|아산]]공장에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11100099111015&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6-11-11&officeId=00009&pageNo=11&printNo=9598&publishType=00010 현대자동차 아산 승용차 공장 이번주 가동] [[매일경제신문]], [[1996년]] [[11월 11일]]</ref> [[1997년]] [[4월 9일]]에는 투톤 외장 색상과 베이지 내장 색상, [[현대그룹]] 창립 5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 트림의 추가, 가로 방향의 라디에이터 그릴 등의 변화를 갖춘 [[1998년]]형이 출시되었다. 한때 S자 엠블럼을 갖고 있으면 명문대([[서울대학교]])에 갈 수 있고, Ⅲ자를 갖고 있으면 수능 점수 300점을 받을 수 있다는 루머 때문에 당시 수험생들이 몰래 쏘나타 3의 엠블럼을 떼는 오나타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엠블럼에서 S자와 Ⅲ자가 떨어진 쏘나타 3가 많았고, 이 때문에 [[현대자동차]]는 엠블럼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행하기도 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556037 <회전목마> 수능으로 손상된 현대차 엠블렘 교체] [[연합뉴스]], [[1999년]] [[11월 17일]]</ref> [[1998년]] [[3월]]에 단종되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1.8ℓ LPG<br/>(택시)
!2.0ℓ LPG<br/>(택시)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
!쏘나타 Ⅲ
|TX
|TX<br/>TX DLX<br/>TXL<br/>모범
|GL DLX<br/>DOHC<br/>스페셜 에디션
|GLS<br/>DOHC<br/>스페셜 에디션<br/>골드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시리우스 SOHC
!1.8ℓ 시리우스 DOHC
!2.0ℓ 시리우스 SOHC
!2.0ℓ 시리우스 DOHC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4"|4,7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4"|1,7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4"|2,7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4"|1,51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4"|1,5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4"|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4"|수동 5단<br/>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4"|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CM
|G4CN
|G4CP
|G4CP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4"|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796
|1,836
|1,997
|1,99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10/5,500<br/>(이후 103/5,500으로 변경)
|135/6,000<br/>(이후 128/6,000으로 변경)
|115/5,000<br/>(이후 109/5,000으로 변경)
|146/6,000<br/>(이후 139/6,000으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속도<br/>(km/h)
|colspan="3"|-
|191(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6.5/4,500<br/>(이후 15.1/4,500으로 변경)
|17.5/4,500<br/>(이후 16.3/4,500으로 변경)
|18.1/4,500<br/>(이후 17.0/4,500으로 변경)
|19.2/4,000<br/>(이후 18.1/4,500으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4"|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236(수동 5단)/<br/>1,280(자동 4단)
|1,265(수동 5단)/<br/>1,305(자동 4단)
|1,246(수동 5단)/<br/>1,285(자동 4단)
|1,275(수동 5단)/<br/>1,310(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3.2(수동 5단)/<br/>11.4(자동 4단)
|12.8(수동 5단)/<br/>11.5(자동 4단)
|12.0(수동 5단)/<br/>10.9(자동 4단)
|12.6(수동 5단)/<br/>10.3(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4세대(EF) ==
=== EF 쏘나타([[1998년]] [[3월]] ~ [[2001년]] [[1월]]) ===
[[파일:0 Hyundai Sonata (EF, 1998)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EF 쏘나타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EF, 1998)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EF 쏘나타 후측면]]
[[1998년]] [[3월 17일]]에 출시되었다. 서브 네임인 EF는 단지 프로젝트명이었으나, 마케팅 차원에서 Elegant Feeling(우아한 느낌)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기도 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33000209131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3-30&officeId=00020&pageNo=31&printNo=23835&publishType=00010 현대 새차'EF 쏘나타 2.5V6' 고급—외제—대형 부럽지않은'우리車'] [[동아일보]], [[1998년]] [[3월 30일]]</ref> 파격적인 유선형 디자인이 눈길을 끌었고, 뒷 번호판의 위치가 역대 쏘나타 중에서 처음으로 테일 게이트가 아닌 범퍼에 있었다. CD 체인저 카스테레오 외에 AV 시스템, 전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운전석 파워 시트, 시트 내장형 유아 안전 시트, 앞좌석 사이드 에어백, 진주색 외장 색상 등 최신 편의 사양이 적용되었다. 1.8ℓ 시리우스 Ⅱ 가솔린 엔진과 2.0ℓ 시리우스 Ⅱ 가솔린 엔진은 [[미쓰비시 자동차공업|미쓰비시]]제 그대로였으나, 엔진의 위치를 바꿔 무게 균형과 동력 성능을 개선시켰다. 이 외에 새로 장착된 V6 2.5ℓ 델타 가솔린 엔진은 [[현대자동차]]가 자체 개발하였다. 여기에 [[현대자동차]]만의 독자적인 트랜스미션인 HIVEC(Hyundai Intelligent Vehicle Electronic Control) 4단 자동변속기(1.8ℓ 시리우스 Ⅱ 가솔린 엔진과 2.0ℓ 시리우스 Ⅱ 가솔린 엔진은 F4A42-1, 델타 V6 2.5ℓDOHC 가솔린 엔진은 F4A42-2)도 적용되었는데,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칩도 함께 적용되었다. 프론트 서스펜션은 [[더블 위시본 식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출시 초기에는 [[IMF 구제금융 요청]]으로 인한 경제 여파 때문에 판매 대수가 많지 않았으나, 훗날 인기를 되찾아 베스트 셀링 카의 명성을 이어갔다. [[1999년]] [[7월 3일]]부터는 헤드라이트 배색이 백색 턴 시그널에서 호박색턴 시그널로 바뀌며<ref>그당시 아토스, 베르나, 티뷰론 터뷸런스, 그랜저XG 등 다수의 모델이 같은 형태로 페이스리프트 됐다.</ref> 기존 2.0 모델은 경우 라디에이터 그릴이 십자형을 1.8 모델이 가로 2줄, 세로 5줄의 격자형 라디에이터 그릴에서 쐐기형으로 바뀐 1.8 모델은 수직형 크롬도금 라디에이터 그릴을 [[2000년]]형 F/L 모델이 출시했으면, 그와 동시에 2.0 GOLD 트림에는 운전석/조수석 열선시트 옵션이 추가됐고, 기존 AV 시스템이 다이너스티 [[2000년]]형과 함께 5.8인치의 신형 AV 시스템으로 일선했다. 그리고 전기형부터 존재했던 2.5 V6 GOLD 수동 사양이 삭제됐다.<ref>그도 그럴만한 것이 원래는 출시 초기에 2.5 V6에도 수동이 있었지만, 같은 해 [[10월]]에 [[현대 그랜저|그랜저XG]]가 나오면서 판매간섭이 일어났고, [[1999년]] [[7월]]에 나온 [[2000년]]형 모델부터는 4단 HIVEC 자동변속기만 단일로 조합이 가능해졌다. 그 뒤에는 그랜저 XG도 [[2000년]]형 모델이 나오면서 V6 2.5 DOHC [[수동변속기]] 모델은 단종됐다.</ref> [[2000년]] [[9월 25일]]부터 [[연속 가변 변속기|CVT]]가 추가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18436 현대자동차, EF쏘나타 무단변속차 출시] [[머니투데이]], [[2000년]] [[9월 24일]]</ref> 이와 동시에 [[기아 옵티마|옵티마]]와 같은 대시보드를 적용한 [[2001년]]형이 선보였다.
=== 미디어 속의 EF쏘나타 ===
* MBC 드라마 [[진실 (2000년 드라마)|진실]]에서는 박승재([[손지창]] 분)이 은색 EF쏘나타를 타고 다녔던것으로 밝혀졌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택시)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V6 2.5ℓ 가솔린
|-
!EF 쏘나타
|DLX<br/>TXL<br/>모범
|DOHC<br/>DLX
|GV<br/>DLX(이후 GVS로 변경)<br/>GVS 월드컵<br/>골드<br/>골드 월드컵
|골드
|}
==== 월드컵 트림 ====
* [[현대자동차]]가 월드컵 공식 스폰서로 선정된 것을 기념하여 [[2000년]]에 기념 트림을 만들었다.
* 2.0ℓ GVS, 2.0ℓ 골드 트림에 월드컵 엠블럼과 새로운 디자인의 라디에이터 그릴, 가죽 시트 등이 적용되었다.
==== CVT(무단변속기) ====
* 기존 EF 쏘나타에 CVT(무단변속기)가 적용되었다.
* 당시 판매 중이던 [[기아 옵티마]]의 센터페시아, 전용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었다.
* 판매량이 적었고, 3개월 후에 부분변경을 거쳤기 때문에 보기 드물다.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시리우스 Ⅱ
!2.0ℓ 시리우스 Ⅱ
!2.5ℓ V6 델타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3"|4,71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3"|1,81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1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3"|2,7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3"|1,5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3"|1,52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3"|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수동 5단<br/>자동 4단
|수동 5단<br/>자동 4단<br/>CVT
|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3"|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JN
|G4JP
|G6BV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3"|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836
|1,997
|2,49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33/6,000
|147/6,000
|175/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속도<br/>(km/h)
|colspan="2"|-
|207(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7.2/4,500
|19.4/4,500
|23.4/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3"|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315(수동 5단)/<br/>1,330(자동 4단)
|1,325(수동 5단)/<br/>1,340(자동 4단)/<br/>1,395(CVT)
|1,3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3.7(수동 5단)/<br/>12.0(자동 4단)
|14.1(수동 5단)/<br/>12.3(자동 4단)/<br/>13.9(CVT)
|10.6(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뉴 EF 쏘나타([[2001년]] [[1월]] ~ [[2006년]] [[3월]]) ===
[[파일:0 Hyundai Sonata (EF, 2001)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뉴 EF 쏘나타 (전기형)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EF, 2001)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뉴 EF 쏘나타 (전기형) 후측면]]
[[2001년]] [[1월 9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전장을 35mm 늘렸고, 윈도 바깥 부분에 크롬 몰딩을 둘러 고급스러운 느낌이 가미되었다. 가솔린 모델 한정으로 운전석 에어백과 ABS가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되었다. 전동식 테일 게이트 및 연료 주입구 열림 장치가 적용되어 버튼의 위치가 운전석 시트 밑에서 도어 트림으로 옮겨졌다. 1.8ℓ 시리우스 Ⅱ 가솔린 엔진은 1.8ℓ 베타 가솔린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미쓰비시자동차공업]]제 기반의 2.0ℓ 시리우스 Ⅱ 가솔린 엔진도 4세대 쏘나타까지 장착되었다. 2.0ℓ 시리우스 LPG 엔진은 같은 해 [[6월 21일]]에 2.0ℓ 베타 LPG 엔진으로 대체되었다. [[2002년]] [[9월 2일]]에는 리어 스포일러와 새로운 형상의 알루미늄 휠 등이 적용된 [[2003년]]형이 출시되었다. 이 외에도 라디에이터 그릴이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바뀌고, 후드 엠블럼이 적용되어 고급화를 꾀하였다. 또한 조수석 에어백이 자가용에 한하여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같은 해 [[12월 23일]]에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베이징시]]의 베이징현대 공장에서 현지 생산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294235 현대車, 中서 쏘나타 첫 생산..대륙진출 박차] [[연합뉴스]], [[2002년]] [[12월 23일]]</ref> [[2003년]] [[3월 6일]]에는 쏘나타의 누적 생산량이 250만 대를 돌파<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0330180 현대 쏘나타 생산 250만대 돌파] [[연합뉴스]], [[2003년]] [[3월 6일]]</ref>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엘레강스 스페셜 트림이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엘레강스 스페셜 트림은 앞좌석 사이드 에어백이 기본 적용되었고, 내장 색상으로는 퀸즈 베이지가 적용되는 등 여성 고객을 타겟으로 하였다. [[2003년]] [[9월]]부터 내장을 고급화하고 편의성과 안전성을 개선한 [[2004년]]형이 출시됐다. 새 모델은 무광크롬 인사이드 도어핸들과 무광크롬 파킹브레이크 버튼 등을 적용한, 은은한 멋을 강조했으며 비닐 재닐의 기존 썬바이저를 직물 재질로 바꿔 내장을 차분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로 개선한게 특징을 또 특수코팅처리로 빗물이 잘 흘러 내리도록 개발된 발수 글래스와 운전석 파워시트, 전동식 아웃사이드를 확대 적용하는 등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고 현대측은 설명했다. 이와함께 제동력이 강화된 대형차용 전륜 브레이크 시스템과 트렁크 비상탈출레버 제동등 단선 경고장치등을 장착, 안정성을 강화했다. 또한 현대자동차가 [[일본]] 시장에 진출하고 나서 이 모델을 도입하여 판매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뒷 세대인 NF가 대신 판매되었다. 자가용은 [[2004년]] [[8월]]에 단종되었지만, 영업용은 꾸준히 이어져 [[2006년]] [[3월]]까지 생산되었다. 러시아에서는 [[2012년]]까지 생산되었다
<gallery>
파일:20110903 hyundai new ef sonata taxi 01.jpg|현대 뉴 EF 쏘나타 택시 (후기형) 정측면
파일:20110903 hyundai new ef sonata taxi 02.jpg|현대 뉴 EF 쏘나타 택시 (후기형) 후측면
파일:00 hyundai ef 001.jpg|현대 뉴 EF 쏘나타 (후기형) 정측면
파일:00 hyundai ef 002.jpg|현대 뉴 EF 쏘나타 (후기형)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1.8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V6 2.5ℓ 가솔린
|-
!뉴 EF 쏘나타
|GV
|GX<br/>GXL<br/>TXL<br/>VXL
|GX<br/>GXL<br/>TXL(개인형)<br/>VXL(모범형)
|DOHC<br/>DLX
|GV<br/>GVS<br/>GVS 월드컵<br/>엘레강스 스페셜<br/>골드<br/>골드 월드컵
|골드
|}
==== 월드컵 트림 ====
EF 쏘나타에 이어 뉴 EF 쏘나타에도 월드컵 트림이 추가되었으며, 월드컵 마크가 새겨진 알루미늄 휠과 블랙 가죽 시트 등이 적용되었다.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8ℓ 베타
!2.0ℓ 시리우스 Ⅱ
!2.5ℓ V6 델타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3"|4,7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3"|1,82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2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3"|2,7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3"|1,5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3"|1,5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3"|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수동 5단<br/>자동 4단
|수동 5단<br/>자동 4단<br/>CVT
|자동 4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3"|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GB
|G4JP
|G6BV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3"|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795
|1,997
|2,49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31/6,000
|133/6,000<br/>(이후 138/6,000, <br/>137/6,000으로 변경)
|170/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6.5/4,500<br/>(이후 16.7/4,500으로 변경)
|18.1/4,500<br/>(이후 18.4/4,500으로 변경)
|23.0/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3"|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16(수동 5단)/<br/>1,429(자동 4단)<br/>(이후 1,427(수동 5단)/<br/>1,445(자동 4단)으로 변경)
|1,325(수동 5단)/<br/>1,340(자동 4단)/<br/>1,402(CVT)<br/>(이후 1,445(수동 5단)/<br/>1,458(자동 4단)/<br/>1,470(CVT)으로 변경)
|1,350(자동 4단)<br/>(이후 1,487(자동 4단)으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4.0(수동 5단)/<br/>12.3(자동 4단)<br/>(이후 11.8(수동 5단)/<br/>10.0(자동 4단)으로 변경)
|14.1(수동 5단)/<br/>12.3(자동 4단)/<br/>13.9(CVT)<br/>(이후 11.1(수동 5단)/<br/>9.4(자동 4단)/<br/>10.1(CVT)으로 변경)
|10.6(자동 4단)<br/>(이후 8.5(자동 4단)으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5세대(NF) ==
=== 쏘나타([[2004년]] [[9월]] ~ [[2007년]] [[11월]]) ===
[[파일:0 Hyundai Sonata (NF) 1.jpg|섬네일|248x248픽셀|현대 NF 쏘나타 (전기형)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NF) 2.jpg|섬네일|249x249픽셀|현대 NF 쏘나타 (전기형) 후측면]]
[[2004년]] [[9월 1일]]에 출시되었다. 프로젝트명인 NF는 마케팅 차원에서 Neverending Fame/Faith(영원 불멸의 명성)이라는 의미 였으나,<ref>[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30911 'EF→NF→YF' 다음은 'LF'..쏘나타 네이밍의 비밀] [[뉴스토마토]], [[2013년]] [[12월 28일]]</ref> 서브 네임 없이 원래의 본 차명인 쏘나타로 출시되었다. 디자인 작업은 [[2002년]]부터 [[현대 아반떼#2세대(J2)|2세대 아반떼]]를 담당한 적이 있던 최종민 디자이너에 의해 이루어졌다.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혼다 어코드]]와의 본격적인 경쟁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품질과 성능 등 여러 면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당시 [[대한민국]]에 공식 수입된지 얼마 되지 않은 [[혼다 어코드#7세대|혼다 어코드(7세대 북아메리카 사양)]]와 테일 램프가 비슷하여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새롭게 장착된 2.0ℓ 세타 가솔린 엔진, 2.0ℓ 세타 LPI 엔진, 2.4ℓ 세타 가솔린 엔진은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것이다. 앞좌석 사이드 에어백을 비롯하여 역대 쏘나타 중에서 최초로 커튼 에어백과 [[차량 자세 제어 장치]]가 적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MP3를 직접 재생시킬 수 있는 오디오가 장착되었다. [[미국]]에 [[앨라배마주|앨라배마]] 공장이 준공됨에 따라 [[2005년]] [[5월]]부터 현지에서 생산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007966 현대차 美 앨라배마 공장 본격 가동] [[연합뉴스]], [[2005년]] [[5월 20일]]</ref> 같은 해 [[6월 1일]]에는 V6 3.3ℓ 람다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으나, [[대한민국]] 시장 특성상 판매 대수는 미미하였다. [[9월]]에는 [[일본]]에도 판매가 시작되었고, 광고 모델로는 [[배용준]]이 발탁되었다. 또한 [[일본]]에서 산업 디자인 진흥회로부터 수입 승용차 부문 굿 디자인상을 받았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133491 현대차 쏘나타, 일본서 굿디자인상 수상] [[연합뉴스]], [[2005년]] [[10월 27일]]</ref> [[2006년]] [[1월 5일]]에는 2.0ℓ D 디젤 엔진이 적용되어 역대 쏘나타 중에서 최초로 디젤 엔진의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마케팅 실패로 판매 대수는 신통치 않았다. 같은 해 [[8월 7일]]에 선보인 [[2007년]]형은 라디에이터 그릴의 형상이 가로 한 줄에서 두 줄로 바뀌고, 헤드 램프는 블랙 베젤에서 실버 베젤로 바뀌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8&aid=0000404830 현대차 '2007년형 쏘나타' 출시] [[이데일리]], [[2006년]] [[8월 6일]]</ref> [[2007년]] [[5월 10일]]에는 F24S 트림에만 적용되던 블랙 내장 색상, 레드 스티치 적용 가죽시트, 스마트 키, 17인치 알루미늄 휠 등 고객 선호 사양이 적용된 N20 블랙 프리미엄 트림이 추가되었다. 동시에 차량 내부의 컴퓨터가 차량의 속도와 스티어링 휠 조향 각도를 판단하여 급선회 시의 위험 발생을 방지해주는 주행 안전성 제어 시스템이 일부 트림에 옵션으로 적용되었다.
<gallery>
파일:00 hyundai sonata nf 1.jpg|현대 NF 쏘나타 (후기형) 정측면
파일:00 hyundai sonata nf 2.jpg|현대 NF 쏘나타 (후기형) 정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2.0ℓ 디젤
!2.0ℓ 가솔린
!2.4ℓ 가솔린
!V6 3.3ℓ 가솔린
|-
!쏘나타
|N20 기본형<br/>N20 고급형<br/>N20 최고급형
|N20 개인형(이후 N20 밸류, N20 디럭스로 나뉨)<br/>N20 모범형(이후 N20 럭셔리로 변경)
|N20 일반형<br/>N20 개인형<br/>N20 모범형
|N20 디럭스<br/>N20 럭셔리<br/>N20 엘레강스 스페셜
|N20 기본형<br/>N20 디럭스<br/>N20 럭셔리<br/>N20 엘레강스 스페셜<br/>N20 블랙 프리미엄<br/>N20 프리미어
|F24 럭셔리<br/>F24 엘레강스 스페셜<br/>F24 프리미어<br/>F24S 럭셔리<br/>F24S 프리미어
|V33 프리미어
|}
==== F24S ====
* 2.4ℓ 세타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F24 트림과 별도의 새로운 스포티 트림인 F24S 트림이 추가되었다.
* 블랙 색상의 내장과 가죽 시트의 레드 스티치가 특징이었다.
* F24 트림과 더불어 F24S 트림은 N20 트림에는 없는 듀얼 머플러가 적용되었다.
==== V33 ====
* [[북아메리카]] 시장에서 판매되던 사양에 달리던 V6 3.3ℓ 람다 가솔린 엔진 (6기통) 이 장착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016175 쏘나타 3.3 출시..대형차시장 공세] [[연합뉴스]], [[2005년]] [[5월 31일]]</ref>
* 라디에이터 그릴을 외장 색상과 동일하게 하여 기존 트림과 차별화하였다.
* 판매 대수가 적어 [[대한민국]]에서는 쏘나타 트랜스폼부터 라인업에서 제외되었다.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세타 MPI(N20)
!2.0ℓ D VGT
!2.4ℓ 세타 MPI
!3.3ℓ V6 람다 MP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4"|4,8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4"|1,8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4"|2,7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575(R15)<br/>1,565(R16, R17)
|1,565(R16)
|1,565(R16, R17)
|1,565(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560(R15)<br/>1,550(R16, R17)
|1,550(R16)
|1,550(R16, R17)
|1,550(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4"|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수동 5단<br/>자동 4단
|수동 6단<br/>자동 4단
|자동 4단<br/>(이후 자동 5단으로 변경)
|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4"|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KA
|D4EA
|G4KC
|G6DB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
|디젤
|colspan="2"|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998
|1,991
|2,359
|3,342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44/6,000
|143/4,000<br/>(이후 146/4,000으로 변경)
|166/5,800<br/>(이후 164/5,800으로 변경)
|233/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9.1/4,250<br/>(이후 19.2/4,250으로 변경)
|32.0/1,800~2,500<br/>(이후 32.0/2,000으로 변경)
|23.0/4,250<br/>(이후 22.7/4,250으로 변경)
|31.0/3,5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70
|62
|colspan="2"|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43(수동 5단)/<br/>1,450(자동 4단)<br/>(이후 1,460(수동 5단)/<br/>1,465(자동 4단)으로 변경)
|1,581(수동 6단)/<br/>1,601(자동 4단)
|1,496(자동 4단)<br/>(이후 1,515(자동 5단)으로 변경)
|1,612(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2.1(수동 5단)/<br/>10.7(자동 4단)<br/>(이후 12.3(수동 5단)/<br/>10.8(자동 4단)으로 변경)
|17.1(수동 6단)/<br/>13.4(자동 4단)
|10.9(자동 4단)<br/>(이후 11.1(자동 5단)으로 변경)
|9.2(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트랜스폼([[2007년]] [[11월]] ~ [[2013년]] [[11월]]) ===
[[파일:0 Hyundai Sonata (NF) transform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트랜스폼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NF) transform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트랜스폼 후측면]]
[[2007년]] [[11월 6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헤드 램프가 13mm 두꺼워졌고, 인테리어가 크게 개선돼 호평을 받아 [[미국]]의 자동차 전문지인 워즈 오토 월드가 뽑은 올해의 인테리어 베스트 리디자인 차종으로 선정되었다. [[2008년]] [[7월 1일]]부터 고객들이 선호하는 첨단 안전사양을 확대 적용한 주행안정성제어시스템과 차체자세제어장치, 측면 및 커튼 에어백 등 첨단 안전기술 옵션을 갖춘 `세이프티 팩'을 N20 트랜스폼 이상 모든 모델에 추가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2008년]] [[10월 1일]]부터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USB&i-Pod 단자, 사이드 리피터 내장 아웃사이드 미러, 버튼 시동 스마트 키 등이 적용된 [[2009년]]형이 선보였다. [[2008년]] [[12월]]에는 [[중국]]의 [[현대자동차]]인 [[베이징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링샹|현대 쏘나타 NFC]] 라는 모델을 출시하였다. [[2009년]] [[4월 1일]]에는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4단 [[자동변속기]], 블랙 내장 색상 및 가죽 시트, 버튼 시동 장치 및 스마트 키가 적용된 N20 스마트 블랙 팩 트림이 추가되었다. 자가용은 [[2009년]] [[9월]]에 단종되었으나, 영업용은 꾸준한 수요가 이어져 [[2013년]] [[11월]]까지 생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는 [[2008년]] [[12월]]에 현지 취향에 맞게 페이스 리프트를 거쳤으나,<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2444643 현대車, 중국형 NF쏘나타 '링샹' 중국 출시] [[뉴시스]], [[2008년]] [[12월 23일]]</ref> [[2011년]]에 단종되었다.
<gallery>
파일:20101019 hyundai sonata transform taxi 01.jpg|현대 쏘나타 트랜스폼 택시 정측면
파일:20101019 hyundai sonata transform taxi 02.jpg|현대 쏘나타 트랜스폼 택시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2.0ℓ 디젤
!2.0ℓ 가솔린
!2.4ℓ 가솔린
|-
!쏘나타 트랜스폼
|N20 디럭스<br/>N20 럭셔리
|N20 일반형<br/>N20 고급형<br/>N20 디럭스<br/>N20 럭셔리<br/>N20 프리미어
|N20 GTX<br/>N20 GTX 개인형 팩<br/>N20 VTX<br/>N20 LTX<br/>N20 STX
|N20 럭셔리<br/>N20 트랜스폼<br/>N20 엘레강스 스페셜
|N20 디럭스<br/>N20 럭셔리<br/>N20 트랜스폼<br/>N20 스마트 블랙 팩<br/>N20 엘레강스 스페셜<br/>N20 프리미어 블랙
|F24 엘레강스 스페셜<br/>F24S 프리미어 블랙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세타 Ⅱ MPI
!2.0ℓ D VGT
!2.4ℓ 세타 Ⅱ MP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3"|4,8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3"|1,8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3"|2,7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575(R15)<br/>1,565(R16, R17)
|1,565(R16)
|1,565(R16, 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560(R15)<br/>1,550(R16, R17)
|1,550(R16)
|1,550(R16, 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3"|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수동 5단<br/>자동 4단
|수동 6단<br/>자동 4단
|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3"|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KD
|D4EA
|G4KE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
|디젤
|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998
|1,991
|2,35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63/6,200
|151/3,800
|179/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20.1/4,500
|32.0/2,000
|23.5/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3"|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65(수동 5단)/<br/>1,470(자동 4단)
|1,581(수동 6단)/<br/>1,601(자동 4단)
|1,515(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2.8(수동 5단)/<br/>11.5(자동 4단)
|17.1(수동 6단)/<br/>13.4(자동 4단)
|11.5(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83(수동 5단)/<br/>204(자동 4단)
|152(수동 6단)/<br/>194(자동 4단)
|204(자동 5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6세대(YF) ==
=== 쏘나타([[2009년]] [[9월]] ~ [[2012년]] [[7월]]) ===
[[파일:0 Hyundai Sonata (YF)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YF 쏘나타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YF)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YF 쏘나타 후측면]]
[[파일:Jinhae Police patrol car.JPG|섬네일|right|대한민국의 현대 YF 쏘나타 경찰차.|249x249픽셀]]
[[2009년]] [[9월 17일]]에 출시되었다. [[2007년]]부터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미국]] 디자인 센터의 안드레 허드슨 선임 디자이너가 주도하였으며,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인 플루이딕 스컬프처가 적용되어 과감함과 스포티함이 느껴지는 디자인으로 완성되었다. 본넷까지 이어지는 크롬 벨트 라인 등 독특한 디자인 요소가 돋보였다. 3 피스 타입 파노라마 선루프, 가솔린 직접 분사 방식 엔진, 후석 에어 벤트, 풋 파킹 브레이크 등이 적용되었고, 자가용 모든 트림에는 차체 자세 제어 장치가 기본 적용되었다. [[2010년]] [[1월 18일]]에 2.4ℓ 세타 Ⅱ 가솔린 직분사 엔진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부터 자가용 모든 트림에 앞좌석 사이드 에어백과 커튼 에어백이 기본 적용되었다. 이어 [[6월 15일]]에는 NVH와 연비가 개선되고, 통풍 시트와 컴포트 헤드 레스트 등이 적용된 [[2011년]]형이 출시되었다. 또한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이 500만 대를 돌파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328155 쏘나타, 글로벌 누적판매 500만대 돌파] [[연합뉴스]], [[2010년]] [[6월 13일]]</ref> [[2011년]] [[5월]]에는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 여파로 인하여 [[토요타 자동차|토요타]]와 [[혼다 기연 공업|혼다]]의 생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미국]] 중형차 시장에서 월간 판매 1위를 차지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2549168 현대차 '쏘나타' 22년 만에 美서 '캠리·어코드' 제쳐] [[머니투데이]], [[2011년]] [[6월 2일]]</ref> 같은 해 [[7월 11일]]에는 2.0ℓ 세타 Ⅱ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이 추가되어 기존의 2.4ℓ 세타 Ⅱ 가솔린 직분사 엔진을 대체하였다. 이어 [[7월 13일]]에는 2.0ℓ 세타 Ⅱ LPI 엔진을 대체하는 2.0ℓ 누우 LPI 엔진, 글로브 박스 쿨링 기능, 사이드 미러 퍼들 램프, 자외선 차단 전면 유리, 천연 항균 시트, 크롬을 줄여 간결해진 라디에이터 그릴 및 부츠 타입의 변속기 레버 등이 적용된 [[2012년]]형이 출시되었다. [[미국]] [[앨라배마주]] 현지 공장에서 쏘나타의 누적 생산량이 100만 대를 돌파한 것도 이 시기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2583352 현대차 '쏘나타', 美 '100만대' 생산돌파] [[머니투데이]], [[2011년]] [[7월 31일]]</ref> 오랫동안 쭉 효자 차종으로 기록되었던 쏘나타이나, 6세대 쏘나타는 과한 크롬이 적용된 라디에이터 그릴에 호불호가 뚜렷히 나뉘었다. 더욱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는 [[기아 K5]]의 높은 판매량로 인하여 [[2011년]]에 [[대한민국]] 전 차종 연간 판매 4위로 하락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2303000 2012년 현대차 쏘나타 시대는 저물고…] [[동아일보]] [[2012년]] [[1월 3일]]</ref> [[2012년]] [[2월 6일]]에는 2.0ℓ 누우 가솔린 엔진이 기존의 2.0ℓ 세타 Ⅱ 가솔린 엔진을 대체함과 동시에 ISG 시스템이 적용된 블루 세이버 트림이 추가되었다.
<gallery>
파일:20110912 hyundai sonata taxi 1.jpg|현대 YF 쏘나타 택시 정측면
파일:20110912 hyundai sonata taxi 2.jpg|현대 YF 쏘나타 택시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2.0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터보
!2.4ℓ 가솔린
|-
!쏘나타
|Y20 럭셔리<br/>Y20 프리미어
|Y20 디럭스<br/>Y20 럭셔리<br/>Y20 프리미어<br/>Y20 탑
|Y20 DTX<br/>Y20 LTX<br/>Y20 PTX
|Y20 그랜드(이후 CVVL 그랜드로 변경)<br/>CVVL 블루 세이버<br/>Y20 프라임 고급형(이후 Y20 프라임으로 변경 → CVVL 프라임으로 변경)<br/>Y20 프라임 최고급형(이후 Y20 프라임 블랙으로 변경 → Y20 럭셔리로 대체 → CVVL 럭셔리로 변경)<br/>Y20 프리미어 고급형/최고급형(이후 Y20 프리미어로 통합 → Y20 월드컵 스페셜 에디션으로 변경 → Y20 프리미어로 변경 → CVVL 프리미어로 변경)<br/>Y20 프리미어 베이지<br/>Y20 탑 고급형/최고급형(이후 Y20 탑으로 통합 → CVVL 탑으로 변경)<br/>Y20 탑 와인 스페셜<br/>Y20 스포츠(이후 Y20 로얄로 대체 → CVVL 로얄로 변경)
|F20 터보 고급형/최고급형(이후 터보 고급형/최고급형으로 변경)
|F24 GDI 고급형/최고급형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세타 Ⅱ MPI
!2.0ℓ 누우 MPI
!2.0ℓ 세타 Ⅱ GDI 터보
!2.4ℓ 세타 Ⅱ GD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4"|4,82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4"|1,83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4"|2,79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2"|1,597(R16)<br/>1,591(R17)<br/>1,587(R18)
|colspan="2"|1,591(R17)<br/>1,587(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2"|1,597(R16)<br/>1,591(R17)<br/>1,587(R18)
|colspan="2"|1,591(R17)<br/>1,587(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4"|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수동 6단<br/>자동 6단
|colspan="2"|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4"|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KD
|G4ND
|G4KH
|G4KJ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4"|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998
|1,999
|1,998
|2,35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65/6,200
|172/6,700
|271/6,000
|201/6,3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20.2/4,600
|20.5/4.800
|37.2/1,750~4,500
|25.5/4,2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4"|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395(수동 6단)/<br/>1,410(자동 6단)<br/>(이후 1,400(수동 6단)/<br/>1,415(자동 6단)으로 변경)
|1,400(수동 6단)/<br/>1,415(자동 6단)/<br/>1,415(자동 6단 ISG 장착시)
|1,520(자동 6단)
|1,465(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3.6(수동 6단)/<br/>12.8(자동 6단)<br/>(이후 13.8(수동 6단)/<br/>13.0(자동 6단)으로 변경)
|14.7(수동 6단)/<br/>14.0(자동 6단)/<br/>14.8(자동 6단 ISG 장착시)
|12.8(자동 6단)
|13.0(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72(수동 6단)/<br/>182(자동 6단)<br/>(이후 170(수동 6단)/<br/>180(자동 6단)으로 변경)
|159(수동 6단)/<br/>167(자동 6단)/<br/>159(자동 6단 ISG 장착시)
|183(자동 6단)
|180(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더 브릴리언트([[2012년]] [[7월]] ~ [[2016년]] [[1월]]) ===
[[파일:0 Hyundai Sonata (YF) 7.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YF 쏘나타 더 브릴리언트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YF) 8.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YF 쏘나타 더 브릴리언트 후측면]]
[[2012년]] [[7월 5일]]에는 [[2013년]]형이 출시되며, 더 브릴리언트라는 서브 네임이 더해졌다. 페이스 리프트가 아닌 이어 모델이지만, 새로운 형상의 라디에이터 그릴과 LED 포지셔닝 램프가 적용되어 고급화를 꾀하였다. 이 외에도 급제동 경보 시스템, 오토 크루즈 컨트롤, 전방 주차 보조 시스템, 열선 스티어링 휠, 뒷좌석 센터 3점식 시트 벨트, [[현대자동차]]의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블루 링크 등이 적용되어 상품성을 높였다. [[2013년]] [[6월 9일]]에는 어트랙션 트림이 추가되고,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엔진에 가격을 낮춘 스마트 트림이 추가되는 등의 변화가 생긴 [[2014년]]형이 선보였다. 자가용은 [[2014년]] [[3월]]에 단종되었으나, 영업용은 [[2016년]] [[1월]]에 단종되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2.0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터보
|-
!쏘나타 더 브릴리언트
|LPI 스마트<br/>LPI 모던
|LPI 스타일<br/>LPI 스마트<br/>LPI 모던<br/>LPI 프리미엄<br/>LPI 프리미엄 스페셜
|LPI 스타일<br/>LPI 모던<br/>LPI 프리미엄
|CVVL 스타일<br/>CVVL 블루 세이버<br/>CVVL 스마트<br/>CVVL 어트랙션<br/>CVVL 모던<br/>CVVL 프리미엄
|터보 스마트<br/>터보 모던<br/>터보 프리미엄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MPI
!2.0ℓ 세타 Ⅱ GDI 터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2"|4,82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2"|1,83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2"|1,4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2"|2,79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597(R16)<br/>1,591(R17)<br/>1,587(R18)
|1,591(R17)<br/>1,587(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597(R16)<br/>1,591(R17)<br/>1,587(R18)
|1,591(R17)<br/>1,587(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2"|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수동 6단<br/>자동 6단
|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2"|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ND
|G4KH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2"|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999
|1,99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72/6,700
|271/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20.5/4.800
|37.2/1,750~4,5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2"|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00(수동 6단)/<br/>1,415(자동 6단)/<br/>1,415(자동 6단 ISG 장착시)
|1,520(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14.7(수동 6단)/<br/>14.0(자동 6단)/<br/>14.8(자동 6단 ISG 장착시)<br/>(이후 도심 10.9/고속 14.5/복합 12.3(수동 6단)/<br/>도심 10.2/고속 15.1/복합 11.9(자동 6단)/<br/>도심 10.5/고속 15.0/복합 12.1(자동 6단 ISG 장착시)로 변경)
|12.8(자동 6단)<br/>(이후 도심 8.8/고속 13.0/복합 10.3(자동 6단)으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59(수동 6단)/<br/>167(자동 6단)/<br/>159(자동 6단 ISG 장착시)<br/>(이후 142(수동 6단)/<br/>147(자동 6단)/<br/>144(자동 6단 ISG 장착시)로 변경)
|183(자동 6단)<br/>(이후 171(자동 6단)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하이브리드([[2011년]] [[5월]] ~ [[2014년]] [[12월]]) ===
[[파일:0 Hyundai Sonata Hybrid (YF)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전기형)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Hybrid (YF)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전기형) 후측면]]
[[2011년]] [[5월 2일]]에 출시되었다. [[2009년]] [[7월]]에 출시된 [[현대 아반떼#아반떼 LPi 하이브리드(2009년 7월~2013년 12월)|아반떼 LPi 하이브리드]]는 [[대한민국]]에서만 판매되는 LPG 하이브리드 차량이기에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대한민국]]산 최초의 가솔린 하이브리드 차량이며, 최초로 수출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다. [[2010년]] [[4월]]에 개최된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4월]]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에어 스커트 및 에어댐, 헥사고날 타입의 라디에이터 그릴, 세계 최초로 리플렉션 발광 기술이 적용된 LED 테일 램프 등을 적용되어 기존 쏘나타와 디자인이 차별화되었다. 전기차 모드 주행 시에 엔진 소리가 들리지 않아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비해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행자 안전성을 향상시켰다.<ref>[http://www.segye.com/Articles/NEWS/ECONOMY/Article.asp?aid=20110502002099&subctg1=&subctg2= 현대차, '쏘나타 하이브리드' 출시] [[세계일보]], [[2011년]] [[5월 2일]]</ref> [[대한민국]]에서 팔리는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2.0ℓ 누우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팔리는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2.4ℓ 세타 Ⅱ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현대 그랜저#5세대(HG)|5세대 그랜저 하이브리드(HG)]]와 [[기아 K7|기아 K7 하이브리드 700h]]에 장착된다. [[2012년]] [[2월 1일]]부터 가격을 낮추어 부담을 줄인 스마트 트림이 추가됨과 동시에 광고 모델로 [[원빈]], [[이적 (가수)|이적]], [[이정아]]가 선정되었다. [[2013년]] [[1월 30일]]에는 8인치 내비게이션(블루 링크)과 뒷좌석 센터 3점식 시트 벨트 적용, 40ℓ 늘어난 총 344ℓ의 트렁크 공간 확보, 아웃 사이드 미러 사이즈 확대, 레밍턴 레드 외장 색상 추가 등의 변화를 갖춘 [[2013년]]형이 선보였다. 같은 해 [[12월 4일]]에는 신규 LED 테일 램프, 퍼들 램프 내장 아웃사이드 미러, LED 독서등 및 룸 램프가 신규 적용된 [[2014년]]형이 선보였다.
<gallery>
파일:20140605 Hyundai Sonata Hybrid 1.jpg|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후기형) 정측면
파일:20140605 Hyundai Sonata Hybrid 2.jpg|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후기형) 후측면
파일:2013072911 Hyundai Sonata Hybrid.png|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후기형) 실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가솔린+전기
|-
!쏘나타 하이브리드
|스마트<br/>프리미어(이후 모던으로 변경)<br/>로얄(이후 프리미엄으로 변경)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MP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4,82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1,83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1,4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2,79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591(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591(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NE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전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50/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8.3/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고 출력<br/>(kw/rpm)
|30<br/>(이후 35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대 토크<br/>(nm/rpm)
|2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560(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21.0(자동 6단)<br/>(이후 도심 16.3/고속 17.5/복합 16.8(자동 6단)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11(자동 6단)<br/>(이후 100(자동 6단)로 변경)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7세대(LF) ==
=== 쏘나타([[2014년]] [[3월]] ~ [[2017년]] [[3월]]) ===
[[파일:0 Hyundai Sonata (LF) 4.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LF 쏘나타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LF) 5.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LF 쏘나타 후측면]]
[[2014년]] [[3월 24일]]에 출시되었다. 출시에 앞서 미디어 사전 설명회를 가졌고, 렌더링이 공개되었다. [[현대 제네시스#2세대(DH)|2세대 제네시스(DH)]]에 이어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인 플루이딕 스컬프처 2.0이 두 번째로 반영된 디자인은 한층 절제된 선과 조형을 지녔고,<ref>[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11&newsid=01699046606020040&DCD=A00301&OutLnkChk=Y 현대차, 신형 쏘나타 이미지 첫 공개] {{웨이백|url=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C11&newsid=01699046606020040&DCD=A00301&OutLnkChk=Y |date=20150924005256 }} [[이데일리]], [[2014년]] [[3월 4일]]</ref> 여기에 7세대를 거치는 동안 축척된 완성도와 자신감을 뜻하는 이너 포스로 명명된 디자인 미학을 더하였다. 당초 복합 연비가 12.6km/ℓ(2.0ℓ 누우 가솔린 엔진, 6단 자동변속기 기준)로 알려졌으나, 정부 인증 절차를 거쳐 12.1km/ℓ로 하향 조정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3051050 현대차, LF쏘나타 연비 정정 '12.6km/ℓ→12.1km/ℓ'] [[한국경제신문]], [[2014년]] [[3월 17일]]</ref> 실내 공간은 안전성, 직관성, 간결성 등 3대 원칙 기반의 인체 공학적 설계를 통해 운전자가 각종 기능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초고장력 강판 비율을 51%로, 차체 구조용 접착제를 119m로 확대하여 안전성과 차체 강성을 향상시켰다. 아울러 운전석 무릎 에어백과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가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차간 거리 자동 조절과 자동 정지 및 재출발 기능을 지원하는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과 차량 충돌 예상시 운전자에게 경보해 긴급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이 [[대한민국]]산 중형차 최초로 적용되었다. [[2015년]] [[2월 11일]]은 2.4ℓ 세타 Ⅱ 가솔린 직분사 엔진보다 최고 출력은 27%, 최대 토크는 43% 높은 2.0ℓ 세타 Ⅱ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이 추가되었다. 최대 토크 영역은 1350rpm으로 낮추었으며, 복합 연비는 이전보다 5% 향상된 10.8km/ℓ이다. 전용 라디에이터 그릴과 하단 매쉬 타입 범퍼, 리어 스포일러, 듀얼 머플러, D컷 스티어링 휠, 패들 쉬프트 등으로 차별화를 꾀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3255224 현대차, LF쏘나타 터보 판매…쏘나타 2.4 대비 성능↑] [[한국경제신문]], [[2015년]] [[2월 11일]]</ref> 같은 해 [[7월 2일]]에 선보인 [[2016년]]형은 1.6ℓ 감마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과 유로 6 기준을 충족시키는 1.7ℓ U Ⅱ 디젤 엔진이 더해지고, LED 주간 주행등 신규 적용, 서스펜션에 알루미늄 재질 적용, 패키지 옵션 최소화, 편의 사양 개선 등의 변화를 이뤘다. 또 2.4ℓ 세타 Ⅱ 가솔린 직분사 엔진은 사라졌고, 앞좌석 어드밴스드 에어백이 모든 트림에 신규 적용되었다. 같은 해 [[8월 23일]]에는 해외 판매용과 내수 판매용의 안전성에 차이가 있다는 편견을 삭제시키기위하여 [[미국]] 판매 사양([[앨라배마주|앨라배마]] 공장 생산분)과 [[대한민국]] 판매 사양([[아산시|아산]] 공장 생산분)의 정면 충돌 테스트가 이루어졌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2&aid=0000709730 국산 vs 미국산 쏘나타 정면충돌...10억 투입 실험] [[YTN]], [[2015년]] [[8월 23일]]</ref> [[2016년]] [[4월 20일]]에 선보인 [[2017년]]형은 영 패밀리 고객이 선호한 편의 사양이 적용된 케어 플러스 트림이 신설되었고, 1.6ℓ 감마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 장착 사양에는 튜닝 서스펜션과 듀얼 머플러 등으로 구성된 스포츠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같은 해 [[7월 1일]]에는 앞좌석 통풍 시트, 듀얼 풀 오토 에어컨, 오토 디포깅 시스템, 클러스터 이오나이저, 전면 자외선 차단 유리 등이 적용된 썸머 스페셜 트림이 선보였다. 썸머 스페셜 트림은 1.6ℓ 감마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7월]]부터 [[10월]]까지 4개월 동안만 판매되었다. [[11월 1일]]은 열선 스티어링 휠과 뒷좌석 열선 시트, 김 서림을 자동으로 제거해준 오토 디포깅 시스템 등이 적용된 윈터 스페셜 트림이 추가되었다. 택시는 [[2019년]] [[1월]]에 단종되었다.
IIHS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 협회) 평가 결과:Good
<gallery>
파일:0 Hyundai Sonata (LF) 2.jpg|현대 쏘나타 터보 (2.0ℓ)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LF) 3.jpg|현대 쏘나타 터보 (2.0ℓ)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1.7ℓ 디젤
!1.6ℓ 가솔린 터보
!2.0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터보
!2.4ℓ 가솔린
|-
!쏘나타
|LPI 스마트<br/>LPI 모던
|LPI 스마트<br/>LPI 모던<br/>LPI 프리미엄<br/>LPI 프리미엄 스페셜
|LPI 스타일<br/>LPI 모던<br/>LPI 프리미엄
|e-VGT 스타일<br/>e-VGT 케어 플러스<br/>e-VGT 스마트<br/>e-VGT 스마트 스페셜
|T-GDI 스타일<br/>T-GDI 썸머 스페셜<br/>T-GDI 윈터 스페셜<br/>T-GDI 스마트<br/>T-GDI 스마트 스페셜<br/>T-GDI 와일드 버건디(300대 한정)
|CVVL 스타일<br/>CVVL 스타일 스페셜<br/>CVVL 케어 플러스<br/>CVVL 스마트<br/>CVVL 스마트 스페셜<br/>CVVL 프리미엄<br/>CVVL 프리미엄 스페셜
|T-GDI 스마트<br/>T-GDI 익스클루시브
|GDI 스타일<br/>GDI 익스클루시브
|}
{{-}}
==== 와일드 버건디 트림 ====
[[2015년]] [[11월 4일]]에는 출시 30주년을 기념해 선보인 와일드 버건디 트림이 300대 한정 판매에 들어갔다. 와일드 버건디 트림은 1.6ℓ 감마 가솔린 직분사 터보 엔진을 달고, 30주년 엠블럼과 전용 18인치 알루미늄 휠, 도어 스커프에 각인된 일렬 번호 등으로 특별함을 더했다. 외장 색상은 아이스 화이트, 내장 색상은 버건디와 코퍼로 판매된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41&aid=0002489447 현대차, 쏘나타 탄생 30주년 기념 '와일드 버건디' 300대 한정 판매] [[일간스포츠]], [[2015년]] [[11월 1일]]</ref>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6ℓ 감마 GDI 터보
!1.7ℓ U Ⅱ VGT
!2.0ℓ 누우 MPI<br/>(16/17인치 휠)
!2.0ℓ 누우 MPI<br/>(18인치 휠)
!2.0ℓ 누우 LPI
!2.0ℓ 세타 Ⅱ GDI 터보
!2.4ℓ 세타 Ⅱ GD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7"|4,8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7"|1,8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75
|1,475<br/>1,485(렌터카, 택시)
|colspan="2"|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7"|2,8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2"|1,614(R16)<br/>1,602(R17)<br/>1,597(R18)
|1,614(R16)<br/>1,602(R17)
|1,597(R18)
|1,614(R16)<br/>1,602(R17)
|1,597(R18)
|1,614(R16)<br/>1,602(R17)<br/>1,597(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2"|1,621(R16)<br/>1,609(R17)<br/>1,604(R18)
|1,621(R16)<br/>1,609(R17)
|1,604(R18)
|1,621(R16)<br/>1,609(R17)
|1,604(R18)
|1,621(R16)<br/>1,609(R17)<br/>1,604(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7"|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듀얼 클러치 자동 7단
|colspan="2"|자동 6단
|수동 6단<br/>자동 6단
|colspan="2"|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7"|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FJ
|D4FD
|colspan="2"|G4ND
|L4NA
|G4KH
|G4KJ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
|디젤
|colspan="2"|가솔린
|LPG
|colspan="2"|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591
|1,685
|colspan="3"|1,999
|1,998
|2,35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80/5,500
|141/4,000
|colspan="2"|168/6,500
|153/6,200(수동 6단)/<br/>151/6,200(자동 6단)
|245/6,000
|193/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27.0/1,500~4,500
|34.7/1,750~2,500
|colspan="2"|20.5/4,800
|20.0/4,200(수동 6단)/<br/>19.8/4,200(자동 6단)
|36.0/1,350~4,000
|25.2/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4"|70
|72
|colspan="2"|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55(16인치 휠)/<br/>1,465(17인치 휠)/<br/>1,475(18인치 휠)/<br/>1,530(18인치 휠 와일드 버건디)
|1,510(16인치 휠)/<br/>1,520(17인치 휠)/<br/>1,530(18인치 휠)
|1,460<br/>(이후 1,470으로 변경)
|1,479<br/>(이후 1,470, <br/>1,479로 변경)
|1,450(수동 6단)/<br/>1,465(자동 6단)/<br/>1,465(자동 6단 ISG 장착시)
|1,570
|1,5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1.9/고속 15.9/복합 13.4(16인치 휠)/<br/>도심 11.6/고속 15.6/복합 13.1(17인치 휠)/<br/>도심 11.3/고속 14.9/복합 12.7(18인치 휠)/<br/>도심 10.8/고속 13.8/복합 12.0(18인치 휠 와일드 버건디)
|도심 15.5/고속 18.7/복합 16.8(16인치 휠)/<br/>도심 15.3/고속 18.3/복합 16.5(17인치 휠)/<br/>도심 14.8/고속 17.8/복합 16.0(18인치 휠)
|도심 10.5/고속 14.8/복합 12.1<br/>(이후 도심 11.0/고속 15.2/복합 12.6으로 변경)
|도심 10.0/고속 14.4/복합 11.6<br/>(이후 도심 10.7/고속 14.1/복합 12.0, <br/>도심 10.5/고속 14.5/복합 12.0으로 변경)
|도심 9.2/고속 11.5/복합 10.1(수동 6단)/<br/>도심 8.3/고속 11.7/복합 9.6(자동 6단)/<br/>도심 8.6/고속 11.6/복합 9.8(자동 6단 ISG 장착시)
|도심 9.3/고속 13.2/복합 10.8
|도심 10.0/고속 14.0/복합 11.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29(16인치 휠)/<br/>132(17인치 휠)/<br/>137(18인치 휠)/<br/>146(18인치 휠 와일드 버건디)
|115(16인치 휠)/<br/>117(17인치 휠)/<br/>121(18인치 휠)
|145<br/>(이후 138으로 변경)
|151<br/>(이후 145, <br/>146으로 변경)
|132(수동 6단)/<br/>140(자동 6단)/<br/>137(자동 6단 ISG 장착시)
|164
|152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하이브리드([[2014년]] [[12월]] ~ [[2017년]] [[5월]]) ===
[[파일:0 Hyundai Sonata Hybrid (LF)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Hybrid (LF)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쏘나타 하이브리드 후측면]]
[[2014년]] [[12월 16일]]에 출시되었다. 2.0ℓ 누우 가솔린 직분사 엔진에 38kw급 하드 타입 전기 모터가 결합되었고, 실용 영역 rpm대에서 출력과 토크가 개선되었다. 스포츠 주행 모드가 추가되었고, 동력 배분과 회생 제동 시스템의 효율 개선을 통해 복합 연비 18.2km/ℓ(16인치 타이어 기준)를 달성하였다. 변속기에 고전압 단독 구동형 전동식 오일 펌프가 적용되어 기존 기계식 오일 펌프 사용으로 발생된 기계적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플루이딕 스컬프처 2.0이 적용된 디자인에 새로운 형상의 헤드 램프와 입체감 넘치는 테일 램프, 휠 아치에 있는 에어 커튼과 지능형 공기 유입 제어 장치 등이 적용되어 기존 쏘나타와 차별화함과 동시에 공력 성능과 연비 효율을 높였다. 아울러 공기 저항 계수(Cd)는 0.24를 기록하여 공기 저항을 대폭 낮추었다. 배터리 위치를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 공간으로 옮겨 트렁크 공간을 넓혔다. [[2016년]] [[4월 20일]]에 선보인 [[2017년]]형은 HID 헤드 램프와 스마트 후측방 경보 시스템이 적용된 모던 스페셜 트림과 프리미엄 스페셜 트림이 신설되었고, 앞좌석 어드밴스드 에어백이 모든 트림에 신규 적용되었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가솔린+전기
|-
!쏘나타 하이브리드
|스마트<br/>모던<br/>모던 스페셜<br/>프리미엄<br/>프리미엄 스페셜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GDI<br/>(16인치 타이어)
!2.0ℓ 누우 GDI<br/>(17인치 타이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2"|4,8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2"|1,8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2"|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2"|2,8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614(R16)
|1,602(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621(R16)
|1,609(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2"|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2"|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colspan="2"|G4NG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2"|가솔린+전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2"|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colspan="2"|156/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colspan="2"|19.3/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고 출력<br/>(kw/rpm)
|colspan="2"|38(51ps)/1,770~2,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대 토크<br/>(nm/rpm)
|colspan="2"|205(20.9kg*m)/1,7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2"|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585
|1,59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7.7/고속 19.0/복합 18.2
|도심 17.2/고속 18.4/복합 17.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91
|94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2015년]] [[7월]] ~ [[2017년]] [[7월]]) ===
[[파일:20150404 Hyundai Sonata PHEV 1.jpg|섬네일|250px|현대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정측면]]
[[파일:20150404 Hyundai Sonata PHEV 2.jpg|섬네일|250px|현대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후측면]]
[[2015년]] [[7월 2일]]에 출시되었다.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전기차 기능을 더한 점이 특징이다. 가정용 전기 콘센트로 부족한 전기를 충전할 수 있고, 1회 충전을 통해 최대 44km의 거리를 전기로만 주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격으로 예약 및 즉시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통보하는 등 특화 서비스도 제공된다.
<gallery>
파일:Hyundai Sonata Plug-in Hybrid LF PHEV Police (2).jpg|현대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경찰차 정측면
파일:Hyundai Sonata Plug-in Hybrid LF PHEV Police (4).jpg|현대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경찰차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가솔린+전기
|-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프리미엄<br/>익스클루시브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GD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4,8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1,8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2,8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602(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609(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NG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전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2"|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56/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9.3/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고 출력<br/>(kw/rpm)
|50(68ps)/2,330~3,3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대 토크<br/>(nm/rpm)
|205(20.9kg*m)/0~2,3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725(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6.5/고속 18.2/복합 17.2(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kWh)
|도심 4.5/고속 4.7/복합 4.6(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29(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뉴 라이즈([[2017년]] [[3월]] ~ [[2023년]] [[7월]]) ===
[[파일:00 HYUNDAI SONATA 1.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LF 쏘나타 뉴 라이즈 정측면]]
[[파일:00 HYUNDAI SONATA 2.jpg|섬네일|250x250픽셀|현대 LF 쏘나타 뉴 라이즈 후측면]]
[[2017년]] [[3월 8일]]에 출시됐다. 출시에 앞서 렌더링이 공개됐고, 뉴 라이즈라는 서브 네임이 더해졌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2&aid=0000709730 LF쏘나타 페이스리프트 모델명 '뉴 라이즈'로 확정] [[매일경제신문]], [[2017년]] [[3월 1일]]</ref> 단조롭다는 기존 디자인에 대한 평가와 [[르노삼성 SM6]] 등 새로운 경쟁 차종의 출시에 따라 상품성 강화를 위하여 페이스 리프트를 단행했다. [[현대자동차]]의 패밀리 룩인 대형 캐스캐이딩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고, 공력 성능 향상을 위한 에어 커튼을 세로로 배치된 주간 주행등 옆에 달았다. 뒷 번호판의 위치가 테일 게이트에서 범퍼로 옮겨졌다. 주행 조향 보조 시스템, 부주의 운전 경보 시스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등을 하나로 묶은 현대 스마트 센스가 새로 적용됐다. 이 외에도 주행 중 후방 영상 디스플레이와 공기 청정 모드도 새로 적용되어 편의성을 높였다. 같은 해 [[12월 1일]]은 [[12월]]에만 한정 판매되는 커스텀 핏이 선보였는데, [[현대자동차]]의 대표 고객 참여형 소통 프로그램인 H-옴부즈맨을 통하여 오픈 이노베이션 방식으로 개발됐다. [[대한민국]]에서 고객이 직접 차량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해당 아이디어가 채택되어 실제로 판매되기까지의 과정으로는 첫 시도다.
[[2018년]] [[8월]]은 판매 부진과 각종 환경 규제로 인하여 1.7ℓ U Ⅱ 디젤 엔진이 단종됐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6&aid=0010607752 현대차, 그랜저·쏘나타 등 4개 차종 디젤모델 생산 중단] [[KBS]], [[2018년]] [[8월 9일]]</ref>
8세대 모델이 나온 후에는 택시로만 생산하다가, 수익성과 부품 수급 문제 등을 이유로 [[현대자동차]]가 [[2023년]] [[7월]]에 아산공장에서 단산시켰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939369?sid=101 현대차, '단종 쏘나타 택시'…대체 모델 개발 나선다] - 뉴시스</ref>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가 직접 생산하는 LPG 택시는 [[현대 그랜저#디 올 뉴 그랜저(2022년 11월~현재)|그랜저 GN7]] V6 3.5 DOHC LPG만 남았다.<ref>{{웹 인용 |url=https://www.hyundai.com/kr/ko/e/vehicles/sonata-taxi/intro |제목=SONATA Taxi > 모델소개 {{!}} 현대자동차 - 현대닷컴 {{!}} 대한민국 대표 자동차회사 hyundai.com |확인날짜=2023-06-22 |archive-date=2022-07-2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0722225534/https://www.hyundai.com/kr/ko/e/vehicles/sonata-taxi/intro |url-status= }}</ref> 또한 개인 및 법인택시 사업자들의 발주를 받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단산시키는 바람에 택시사업자들이 강하게 반발했고, 심지어 택시 대차 시기를 놓쳐서 휴업을 신청한 사업자가 발생할 정도로 후폭풍이 컸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89561?sid=102 30년차 택시운전사, 쏘나타가 없어서 ‘실직’하다] - 한겨레</ref>
<gallery>
파일:2017 hyundai sonata new rise turbo rear-side.jpg|현대 쏘나타 터보 (2.0ℓ) 정측면
파일:2017 hyundai sonata new rise turbo front-side.jpg|현대 쏘나타 터보 (2.0ℓ)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2.0ℓ LPG<br/>(택시)
!1.7ℓ 디젤
!1.6ℓ 가솔린 터보
!2.0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터보
|-
!쏘나타 뉴 라이즈
|스마트<br/>모던
|colspan="2"|스타일<br/>모던<br/>프리미엄
|스타일<br/>스마트<br/>모던<br/>프리미엄
|스타일<br/>마이 시티 에디션<br/>마이 트립 에디션<br/>스마트<br/>모던<br/>프리미엄
|스타일<br/>스마트<br/>모던<br/>프리미엄 스페셜
|스마트<br/>익스클루시브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6ℓ 감마 GDI 터보
!1.7ℓ U Ⅱ VGT
!2.0ℓ 누우 MPI
!2.0ℓ 누우 LPI
!2.0ℓ 세타 Ⅱ GDI 터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5"|4,8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5"|1,8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75<br/>1,485(렌터카, 택시)
|1,475<br/>1,485(렌터카, 택시)
|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5"|2,8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3"|1,614(R16)<br/>1,602(R17)<br/>1,597(R18)
|1,614(R16)<br/>1,602(R17)
|1,597(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3"|1,621(R16)<br/>1,609(R17)<br/>1,604(R18)
|1,621(R16)<br/>1,609(R17)
|1,604(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5"|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듀얼 클러치 자동 7단
|자동 6단
|수동 6단<br/>자동 6단
|자동 8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4"|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FJ
|D4FD
|G4ND
|L4NA
|G4KH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
|디젤
|가솔린
|LPG
|가솔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1,591
|1,685
|colspan="2"|1,999
|1,99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80/5,500
|141/4,000
|163/6,500
|153/6,200(수동 6단)/<br/>151/6,200(자동 6단)
|245/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27.0/1,500~4,500
|34.7/1,750~2,500
|20.0/4,800
|20.0/4,200(수동 6단)/<br/>19.8/4,200(자동 6단)
|36.0/1,350~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3"|70
|72
|colspan="1"|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65(16인치 휠)/<br/>1,475(17인치 휠)/<br/>1,495(18인치 휠)
|1,515(16인치 휠)/<br/>1,525(17인치 휠)/<br/>1,535(18인치 휠)
|1,450(16인치 휠)/<br/>1,460(17인치 휠)/<br/>1,470(18인치 휠)
|1,445(수동 6단)/<br/>1,465(자동 6단)
|1,565(18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1.5/고속 15.2/복합 13.0(16인치 휠)/<br/>도심 11.3/고속 15.0/복합 12.8(17인치 휠)/<br/>도심 11.0/고속 14.3/복합 12.3(18인치 휠)
|도심 15.0/고속 17.8/복합 16.1(16인치 휠)/<br/>도심 14.7/고속 17.7/복합 15.9(17인치 휠)/<br/>도심 14.5/고속 17.2/복합 15.6(18인치 휠)
|도심 10.7/고속 15.0/복합 12.3(16인치 휠)/<br/>도심 10.5/고속 14.6/복합 12.0(17인치 휠)/<br/>도심 10.2/고속 14.0/복합 11.6(18인치 휠)
|도심 8.7/고속 10.8/복합 9.5(수동 6단)/<br/>도심 8.3/고속 11.4/복합 9.5(자동 6단)
|도심 9.2/고속 13.1/복합 10.7(18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26(16인치 휠)/<br/>128(17인치 휠)/<br/>134(18인치 휠)
|116(16인치 휠)/<br/>118(17인치 휠)/<br/>120(18인치 휠)
|136(16인치 휠)/<br/>138(17인치 휠)/<br/>143(18인치 휠)
|136(수동 6단)/<br/>138(자동 6단)
|156(18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뉴 라이즈 하이브리드([[2017년]] [[5월]] ~ [[2019년]] [[5월]]) ===
[[파일:00 HYUNDAI LF HYBRID 1.jpg|대체글=현대 쏘나타(LF) 뉴라이즈 하이브리드 정측면|섬네일|244x244픽셀|현대 쏘나타 뉴 라이즈 하이브리드 정측면]]
[[파일:00 HYUNDAI LF HYBRID 2.jpg|섬네일|242x242픽셀|현대 쏘나타 뉴 라이즈 하이브리드 후측면]]
[[2017년]] [[5월 18일]]에 출시됐다. 기존과 비교하여 디자인 차별화 요소가 줄어들었으나, 블루 베젤 헤드 램프와 클리어 렌즈 타입 LED 테일 램프 등이 적용되어 친환경 이미지를 강조했다.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용량이 기존 1.62kWh에서 1.76kWh로 늘어나 연료 소비 없이 전기로만 운행이 가능한 전기차 모드의 효율이 개선됐고, 운전석만 부분적으로 냉난방을 실시한 운전석 개별 공조 시스템이 적용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였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가솔린+전기
|-
!쏘나타 뉴 라이즈 하이브리드
|스마트<br/>모던<br/>프리미엄<br/>프리미엄 스페셜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GDI<br/>(16인치 타이어)
!2.0ℓ 누우 GDI<br/>(17인치 타이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2"|4,8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2"|1,8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2"|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2"|2,8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614(R16)
|1,602(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621(R16)
|1,609(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2"|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2"|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colspan="2"|G4NG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2"|가솔린+전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2"|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colspan="2"|156/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colspan="2"|19.3/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고 출력<br/>(kw/rpm)
|colspan="2"|38(51ps)/1,770~2,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대 토크<br/>(nm/rpm)
|colspan="2"|205(20.9kg*m)/1,7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2"|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585
|1,59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7.7/고속 18.3/복합 18.0
|도심 17.0/고속 17.9/복합 17.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88
|91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뉴 라이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2017년]] [[7월]] ~ [[2019년]] [[4월]]) ===
[[파일:2019 Hyundai Sonata Plugin Hybrid (SIAM 2019).png|섬네일|249x249픽셀|현대 쏘나타 뉴 라이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정측면]]
고효율의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가 장착되어 1회 충전 시 전기 모드만으로 최대 45km를 주행할 수 있고, 하이브리드 모드 주행 약 940km를 포함하여 총 985km의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다. 여기에 고효율 영구 자석형 모터 시스템이 적용된다. 지능형 안전 기술인 현대 스마트 센스를 비롯하여 원터치 공기 청정 모드, 스마트폰 미러링크, 애플 카플레이 등이 적용되어 상품성을 높였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가솔린+전기
|-
!쏘나타 뉴 라이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프리미엄<br/>익스클루시브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GD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4,8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1,86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1,47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2,8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602(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609(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NG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가솔린+전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2"|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56/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19.3/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고 출력<br/>(kw/rpm)
|50(68ps)/2,330~3,3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대 토크<br/>(nm/rpm)
|205(20.9kg*m)/0~2,33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5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725(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6.7/고속 17.6/복합 17.1(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kWh)
|도심 4.8/고속 4.8/복합 4.8(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25(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8세대(DN8, DN8C<ref>[[중화인민공화국|중국]]형 및 [[대한민국]]용 택시</ref>) ==
===쏘나타([[2019년]] [[3월]] ~ [[2023년]] [[4월]])===
[[2019년]] [[3월 21일]]에 출시됐다. [[현대자동차]]의 새 디자인 철학인 센슈어스 스포트니스(감성적인 스포티함)가 최초로 도입되어 보다 날렵한 인상을 주며, 새로운 차체 플랫폼인 3세대 플랫폼이 최초 적용됐고, 스몰오버랩에서 빛겨치기까지 했다. 6세대 쏘나타부터 시작된 본넷까지 이어진 크롬 벨트 라인에 히든 라이팅 램프라고 불리는 주간 주행등이 더해져 평소에는 크롬 재질로 보이지만 점등 시엔 램프로 변환된다.도어 잠금 및 해제에서 시동 및 주행 기능까지 작동할 수 있는 스마트 폰 기반의 디지털 키가 적용됐고, 최대 4명까지 공유할 수 있다.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으로 설계되어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추구했고, 내장형 주행 영상 기록 장치인 빌트 인 캠이라고 불리는 블랙박스가 순정(옵션) 사양으로는 최초로 적용됐다. [[수동변속기]]는 삭제됐다. 이 외에도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보급형), 동승석 릴렉션 컴포트 시트,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 12.3인치 LCD 클러스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이 적용됐다. 9 에어백을 비롯하여 전방 충돌 방지 보조, 차로 이탈 방지 보조, 차로 유지 보조, 운전자 주의 경고, 하이빔 보조, 전방 차량 출발 알림 이첨단사양이 기본 적용됐다. [[9월 20일]]은 1.6ℓ 감마 Ⅱ 가솔린 직분사 싱글터보 엔진에 8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된 쏘나타 센슈어스가 출시됐다.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CVVD),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CVVL) 등의 신 기술이 적용됐다. 북미형은 세타3 2.5리터 DOHC 엔진도 있다. 기존 쏘나타가 택시 이미지가 강해서, 프리미엄 세단의 이미지를 추구하기 위해 [[택시]] 모델은 출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LPG 모델을 사서 개인택시로 운용하는 사례도 없지 않다. [[2020년]] [[11월 12일]]은 세타3 290마력 2.5리터 가솔린 싱글터보 엔진이 장착된 N라인이 출시됐으며, N라인 모델이 카트라이더 러쉬 플러스와 콜라보를 하기도 했다. [[2021년]]은 2.0리터 모델에도 센슈어스 디자인이 들어가기도 한다.
SUV 수요의 증가를 이유로 [[2022년]]부터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앨라배마주)|몽고메리]] 현지공장 생산을 중단하고, 아산공장에서 수입한 형태로 북미 시장에 계속 판매한다. 대신 [[현대 투싼|투싼]], [[현대 싼타페|싼타페]], [[제네시스 GV70|GV70]] [[전기자동차|EV]]를 [[몽고메리 (앨라배마주)|몽고메리]] 현지공장에서 생산해서 북미 시장에 공급하기로 했다.
<gallery>
파일:0 Hyundai Sonata (DN8) 3.jpg|현대 쏘나타 DN8 전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DN8) 4.jpg|현대 쏘나타 DN8 후측면
파일:Hyundai Sonata DN8 Black Mono-tone (2).jpg|현대 쏘나타 DN8 실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LPG
!2.0ℓ LPG<br/>(장애인용)
!2.0ℓ LPG<br/>(렌터카)
!1.6ℓ 가솔린 터보<br/>(센슈어스)
!2.0ℓ 가솔린
|2.0ℓ 가솔린 (센슈어스)
!더 올 뉴 쏘나타
|스마트<br/>모던<br/>프리미엄<br/>인스퍼레이션
|모던<br/>프리미엄<br/>인스퍼레이션
|스타일<br/>스마트
|스마트<br/>프리미엄<br/>프리미엄 패밀리<br/>프리미엄 밀레니얼<br/>인스퍼레이션
|스마트<br/>프리미엄<br/>프리미엄 패밀리<br/>프리미엄 밀레니얼<br/>인스퍼레이션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1.6ℓ 감마 Ⅱ 스마트스트림 G GDI 터보
!2.0ℓ 누우 스마트스트림 G MPI
!2.0ℓ 누우 스마트스트림 G LP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3"|4,9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3"|1,8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3"|1,4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3"|2,8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1"|1,623(R17)<br/>1,618(R18)
|colspan="2"|1,633(R16)<br/>1,623(R17)<br/>1,618(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1"|1,630(R17)<br/>1,625(R18)
|colspan="2"|1,640(R16)<br/>1,630(R17)<br/>1,625(R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3"|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1"|자동 8단(버튼식)
|colspan="2"|자동 6단(버튼식)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3"|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G4FP
|G4NM
|L4NB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2"|가솔린
|LPG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1"|1,598
|colspan="2"|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180/5,500
|160/6,500
|146/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27.0/1,500~4,500
|20.0/4,800
|19.5/4,2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2"|60
|6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20(17인치 휠)/<br/>1,460(18인치 휠)
|1,405(16인치 휠)/<br/>1,415(17인치 휠)/<br/>1,470(18인치 휠)
|1,410(16/17인치 휠)/<br/>1,475(18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12.3/고속 15.9/복합 13.7(17인치 휠)/<br/>도심 11.8/고속 15.2/복합 13.2(18인치 휠)
|도심 11.7/고속 15.1/복합 13.1(16인치 휠)/<br/>도심 11.9/고속 15.5/복합 13.3(17인치 휠)/<br/>도심 11.6/고속 15.0/복합 13.0(18인치 휠)
|도심 9.1/고속 12.1/복합 10.3(16/17인치 휠)/<br/>도심 8.7/고속 11.5/복합 9.8(18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126(17인치 휠)/<br/>127(18인치 휠)
|128(16인치 휠)/<br/>126(17인치 휠)/<br/>129(18인치 휠)
|122(16/17인치 휠)/<br/>133(18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쏘나타 DN8 하이브리드([[2019년]] [[7월]] ~ [[2023년]] [[4월]]) ===
[[2019년]] [[7월 22일]]에 출시되었다. 내연기관 사양과의 디자인 차별화를 없앴다. 새롭게 적용된 솔라 루프 시스템은 태양광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늘리고, 배터리 방전을 막아준다. 야외에서 하루 6시간 충전 시 연간 전체 1,300km가 넘는 거리를 더 주행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제어 로직을 통하여 기존 [[하이브리드 (동력)|하이브리드]] 차량 대비 30% 빠른 변속을 가능하게 하는 능동 변속 제어 기술이 적용되었다. 이는 [[하이브리드 (동력)|하이브리드]] 모터로 자동변속기를 초당 500회씩 초정밀 제어하는 기술로, 주행 성능은 물론 연비와 변속기 내구성을 동시에 높여준다.
전 세대와 달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출시하지 않는다. 이는 [[기아 K5]]도 마찬가지다.<gallery>
파일:00 HYUNDAI SONATA DN8 HYBRID 1.jpg|현대 쏘나타 DN8 하이브리드 정측면
파일:00 HYUNDAI SONATA DN8 HYBRID 2.jpg|현대 쏘나타 DN8 하이브리드 후측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0ℓ 가솔린+전기
|-
!올 뉴 쏘나타 하이브리드
|스마트<br/>프리미엄<br/>프리미엄 패밀리<br/>프리미엄 밀레니얼<br/>인스퍼레이션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2.0ℓ 누우 스마트스트림 G GDI<br/>(16인치 타이어)
!2.0ℓ 누우 스마트스트림 G GDI<br/>(17인치 타이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2"|4,9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2"|1,8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2"|1,4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2"|2,8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614(R16)
|1,602(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621(R16)
|1,609(R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승차 정원
|colspan="2"|5명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변속기
|colspan="2"|자동 6단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동 형식
|colspan="2"|전륜 구동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colspan="2"|G4NR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colspan="2"|가솔린+전기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2"|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colspan="2"|152/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colspan="2"|19.2/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고 출력<br/>(kw/rpm)
|colspan="2"|38(51ps)/1,770~2,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모터 최대 토크<br/>(nm/rpm)
|colspan="2"|205(20.9kg*m)/1,77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2"|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요소수 탱크 용량<br/>(ℓ)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공차 중량<br/>(kg)
|1,495
|1,50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비<br/>(km/ℓ)
|도심 20.0/고속 20.1/복합 20.1(16인치 휠)/<br/>도심 19.4/고속 20.1/복합 19.8(16인치 휠)
|도심 19.0/고속 19.1/복합 19.1(17인치 휠)/<br/>도심 18.4/고속 19.1/복합 18.8(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Co2 배출량<br/>(g/km)
|79(16인치 휠)/<br/>80(16인치 휠)
|83(17인치 휠)/<br/>85(17인치 휠)
|-style="text-align: center;"
|}
{{글 숨김 끝}}
=== 쏘나타 N 라인([[2020년]] [[11월]] ~ [[2023년]] [[4월]]) ===
[[2020년]] [[11월 12일]]에 출시되었으며, 290마력 세타3 2.5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과 습식 8단 DCT가 장착됐다. 쏘나타 N 라인은 쏘나타 하이브리드&센슈어스에 N 라인을 적용한 모델로 주행성능, 연비, 디자인을 모두 갖췄다. 전면부 디자인은 N 라인 전용 파라메트릭 쥬얼 패턴 그릴, 프론트 윙, N 라인 엠블럼이 적용되었다. 측면부는 N 라인 전용 19인치 알로이 휠, 차체를 낮아 보이게 해주는 사이드실이 적용되었으며, 후면부는 블랙 하이그로시 포인트 컬러의 범퍼 하단부, 듀얼 트윈팁 머플러가 적용되었다. 실내의 경우 다크 그레이와 레드 스티치 포인트를 통해 N 라인만의 스포티함을 강조했으며, 시트와 스티어링 휠에 N 로고를 각인했다. 또한, 1열 전용 버킷 시트를 장착하였다. 차로 이탈방지 보조, 차로 유지 보조, 하이빔 보조 등 지능형 안전 기술은 기본 적용되었다.<gallery>
파일:Hyundai Sonata N Line 2.5 T-GDi DN8 Hampton Gray Metallic (1).jpg|alt=|현대 쏘나타 N Line 전측면
파일:Hyundai Sonata N Line 2.5 T-GDi DN8 Hampton Gray Metallic (4).jpg|alt=|현대 쏘나타 N Line 후즉면
</gallery>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
!구분
!2.5ℓ 가솔린
|-
!쏘나타 N 라인
|프리미엄<br />익스클루시브<br />인스퍼레이션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colspan="2"|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 터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2"|4,9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2"|1,8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2"|1,4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2"|2,8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1,614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1,61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colspan="2"|Smartstream G2.5 T-GD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2"|2,49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colspan="2"|290 / 5,8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colspan="2"|43 / 1,650~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 탱크 용량<br/>(ℓ)
|colspan="2"|60
|}
{{글 숨김 끝}}
=== 쏘나타 센슈어스 2.0([[2019년]] [[9월]] ~ [[2023년]] [[4월]]) ===
[[파일:0 Hyundai Sonata (DN8) sensuous 1.jpg|섬네일|right|250px|현대 쏘나타 DN8 센슈어스 정측면]]
[[파일:0 Hyundai Sonata (DN8) sensuous 2.jpg|섬네일|right|250px|현대 쏘나타 DN8 센슈어스 후측면]]
[[2019년]] [[9월 20일]], 쏘나타 센슈어스 1.6 터보 모델 출시에 이어서 [[2021년]] [[4월 21일]], 쏘나타 센슈어스 [[2021년]]형 연식 변경 및 2.0 모델이 출시됐다. 쏘나타 센슈어스 1.6 터보 모델은 센슈어스 스포티니스를 가장 완벽하게 구현한 쿠페 스타일 스포츠 세단으로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며, 이러한 특징을 [[2021년]]형 쏘나타 센슈어스 2.0 모델에 확대 적용했다. 전면부는 파라메트릭 쥬얼 패턴이 적용된 그릴이 강렬한 인상을 주며, 하단 에어인테이크홀과 에어커튼을 통해 강인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또한, 전면 범퍼 사이드에 배치한 에어덕트를 통해 역동적인 디자인을 구현했다. 측면부와 후면부는 블랙 유광 아웃사이드 미러, 리어 디퓨저가 더해진 범퍼가 적용됐다. 가솔린 2.0모델 모던 트림의 경우 버튼시동&스마트키, 스마트키 원격 시동, 스마트 트렁크, 후방 모니터, 8인치 디스플레이 오디오 시스템 등이 기본 적용됐다.
==== 라인업 ====
{| class="wikitable bordered"
!구분
!2.0ℓ 가솔린
|-
!쏘나타 센슈어스
|모던
프리미엄 플러스
인스퍼레이션
|}
{{-}}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구분
!스마트스트림 GDI 2.0
!스마트스트림 GDI 1.6 터보
!스마트스트림 LPi 2.0
!스마트스트림 GDI 2.0 하이브리드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4"|4,9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4"|1,8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4"|2,8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1"|1,623(17″)</br>1,618(18″)
|1,623(17″)</br>1,618(18″)</br>1,610(19″)
|1,633(16″)</br>1,623(17″)</br>1,618(18″)
|1,633(16″)</br>1,623(17″)</br>1,618(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1"|1,630(17″)</br>1,625(18″)
|1,630(17″)</br>1,625(18″)</br>1,617(19″)
|1,640(16″)</br>1,630(17″)</br>1,625(18″)
|1,640(16″)</br>1,630(17″)</br>1,625(18″)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colspan="1"|Smartstream G2.0
|Smartstream G1.6T
|Smartstream L2.0
|Smartstream G2.0 GDi HEV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1"|1,999
|1,598
|1,999
|1,99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colspan="1"|160 / 6,500
|180 / 5,500
|146 / 6,000
|152 / 6,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m/rpm)
|colspan="1"|20.0 / 4,800
|27.0 / 1,500~4,500
|19.5 / 4,200
|19.2 / 5,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탱크용량<br/>(ℓ)
|colspan="1"|60
|60
|64 (80% 충전 기준)
|5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트렁크 용량<br/>(ℓ, VDA)
|colspan="1"|510
|510
|390
|510
|}
{{글 숨김 끝}}
=== 쏘나타 디 엣지 ([[2023년]] [[4월]] ~ 현재) ===
[[2023년]] [[3월 27일]]에 디자인이 공개되었고<ref>{{뉴스 인용|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0333|제목="단종된 거 아니었어?"…4년만에 날렵해져 돌아온 국민 아빠차|날짜=2023년 3월 27일|출판사=중앙일보}}</ref>, [[3월 30일]]에 열린 서울 모빌리티쇼의 프레스데이에서 모습을 드러냈다.<ref>{{뉴스 인용|url=https://biz.chosun.com/industry/car/2023/03/30/CNXGX5O2AZEMNM6GXPIRCUFF3Q/|제목=[서울모빌리티쇼] 현대차, 쏘나타 디 엣지 공개|날짜=2023년 3월 30일|출판사=조선일보}}</ref>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정체성 ‘센슈어스 스포티니스(Sensuous Sportiness)를 바탕으로 이전 모델보다 날렵한 이미지를 강조한 점이 특징이다.
전면부는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 에어 인테이크가 하나로 합쳐진 통합형 디자인에 심리스 호라이즌 램프(수평형)가 적용됐으며 후면부는 알파벳 H 형상의 테일램프가 적용됐다.
실내는 각각 12.3인치의 디지털 클러스터와 메인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이어진 곡선형 파노라믹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자동변속기]]는 7세대 그랜저 및 2세대 코나같이 컬럼식으로 변경됐으며, 스티어링 휠 뒤에 있다. 단, 렌터카용 기본형(비즈니스 1 트림)은 기존같이 플로어체인지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하며, 렌터카용 비즈니스 2 트림이 컬럼식 [[자동변속기]]를 이용한다.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가 전 트림에 기본 탑재되어 브레이크·조향장치·ADAS 등이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며, 디지털 키 2, 빌트인 캠 2 등이 선택사양으로 운영된다.
N라인은 기본 모델에 확대된 프론트 범퍼 그릴, 19인치 전용 휠, 리어 스포일러, 듀얼 트윈 팁 머플러 등을 더해 역동성을 강조했다.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1.6 터보, 가솔린 2.0, 가솔린 2.0 하이브리드, LPG 2.0 총 5개 엔진 라인업으로 운영되며 프리미엄과 익스클루시브, 인스퍼레이션 3개 트림으로 판매된다. N라인은 기존 2.5 터보와 함께 가솔린 1.6 터보, 가솔린 2.0이 추가되며 사실상 드레스업 옵션으로 변경됐다.<ref>{{뉴스 인용|url=https://biz.sbs.co.kr/article/20000114233|제목='이젠 오빠차' 신형 쏘나타 사전계약…얼마부터?|날짜=2023년 4월 20일|출판사=SBS}}</ref>
<gallery>
파일:0 Hyundai Sonata (DN8) fl 1.jpg|현대 쏘나타 디 엣지 전면
파일:0 Hyundai Sonata (DN8) fl 2.jpg|현대 쏘나타 디 엣지 후면
파일:Hyundai Sonata 2.5T N Line DN8 PE Ultimate Red Metallic (6).jpg|현대 쏘나타 디 엣지 N 라인 전면
파일:Hyundai Sonata 2.5T N Line DN8 PE Ultimate Red Metallic (8).jpg|현대 쏘나타 디 엣지 N 라인 후면
파일:Hyundai Sonata N Line DN8 PE Dark Gray N-Line Interior (2).jpg|현대 쏘나타 디 엣지 N 라인 실내
파일:Hyundai Sonata 2.5T N Line DN8 PE Ultimate Red Metallic (15).jpg|현대 쏘나타 디 엣지 N 라인 엔진룸
</gallery>
=== 쏘나타 디 엣지 택시 ([[2024년]] [[4월]] ~ 현재) ===
[[2023년]] [[7월]]에 아산공장에서 쏘나타 뉴 라이즈 택시가 단산된 직후 [[현대자동차]]는 당초에는 별도의 LPG 택시 전용 모델을 개발하겠다고 발표했으나, [[2023년]] 말에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베이징 현대자동차|베이징현대]]에서 쏘나타 택시를 생산해서 [[대한민국]]으로 역수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때문에 현대자동차 노조에서 단체협약을 위반했다고 반발해 논란이 일었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0968856?sid=103 현대차, 국내 생산 중단 쏘나타 택시, 中서 수입… 노조는 단협 위반 반발] - 머니S</ref> 이후 노조의 양보<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491372?sid=103 "중국산 쏘나타 택시, 수입하라"…현대자동차 노조 파격 양보, 왜?] - 뉴시스</ref>로 수입이 확정됐고, 환경부 인증을 마친 후 [[현대자동차]]는 [[베이징 현대자동차|베이징현대]]에서 택시를 생산하여 [[2024년]] [[4월 4일]]에 8세대 쏘나타 택시를 정식으로 출시했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54752?sid=103 현대차, 중국에서 만든 '쏘나타 LPG 택시' 출시] - 뉴스1</ref> 모델 서브 코드명은 DT23이며, 출고 때 지급하는 용품 박스에도 DT23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형 디 엣지의 차대(DN8C)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대한민국형 쏘나타와 달리 차량 전장 및 휠베이스가 조금 더 길며, 후면 테일램프 배치도 기존 대한민국용 디 엣지와 약간 다르다. LPG 봄베는 도넛형을 적용했으며, 패들 시프트도 기본으로 장착된다. 모빌리티 단일 사양만 나오며, 앞좌석 통풍 시트와 안전장치 패키지(전방 충돌방지 보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후측방 충돌 경고,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안전 하차 보조) 2가지만 옵션으로 설정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와 오토홀드가 기본으로 장착되고, 컬럼식 6단 [[자동변속기]]도 적용한다. 기존 누우 2.0리터 LPG 엔진을 이용하지만, 뉴 라이즈보다 5마력 디튠된 146마력으로 세팅했다.
[[2024년]] [[4월]] 4번째 주부터 본격적으로 차량 인도를 시작했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2329398?sid=102 현대자동차 전북본부, 신형 쏘나타 택시 1호차 전달] - 프레시안</ref><ref>[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7987 “LPG 쏘나타 도입으로 택시업계 부담 덜어”] - 경상일보</ref>
아산공장에서 단산된 후에도 택시 업계에서는 [[현대 그랜저|그랜저]]나 [[기아 K8|K8]] 등의 윗급 택시가 부담스럽고 [[아이오닉 5]]나 [[아이오닉 6]] 등의 [[전기자동차]]들은 급발진 및 충전 문제가 불거졌던 이유로 쏘나타 택시의 재출시를 요구해 왔다. 이 때문에 [[현대 그랜저|그랜저]]나 [[기아 K8|K8]]을 발주하지 않고 쏘나타 택시의 재출시를 계속 기다려 왔던 업자 및 법인들이 많아서,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생산이라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대기 수요가 발생했다.<ref>[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89719?sid=103 '1위' 그랜저 따라잡았다…"신차 대기 1년" 인기 폭발한 차] - 한국경제</ref>
==== 제원 ====
{{글 숨김}}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style="font-size: 8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분류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0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1.6 터보
!스마트스트림 LPG 2.0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2.5 터보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장<br/>(mm)
|colspan="4"|4,91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폭<br/>(mm)
|colspan="4"|1,8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전고<br/>(mm)
|colspan="4"|1,445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축거<br/>(mm)
|colspan="4"|2,84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전, mm)
|colspan="1"|1,623(17″)</br>1,618(18″))</br>1,610(19″)
|1,623(17″)</br>1,618(18″)</br>1,610(19″)
|1,633(16″)</br>1,623(17″)</br>1,618(18″)
|1,610(1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윤거<br/>(후, mm)
|colspan="1"|1,630(17″)</br>1,625(18″)</br>1,617(19″)
|1,630(17″)</br>1,625(18″)</br>1,617(19″)
|1,640(16″)</br>1,630(17″)</br>1,625(18″)
|1,617(19″)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엔진 형식
|colspan="1"|Smartstream G2.0
|Smartstream G1.6T-GDi
|Smartstream L2.0
|Smartstream G2.5 T-GDi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배기량<br/>(cc)
|colspan="1"|1,999
|1,598
|1,999
|2,497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고 출력<br/>(PS/rpm)
|colspan="1"|160 / 6,500
|180 / 5,500
|146 / 6,000
|290 / 5,8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최대 토크<br/>(kgf·m/rpm)
|colspan="1"|20.0 / 4,800
|27.0 / 1,500~4,500
|19.5 / 4,200
|43.0 / 1,650~4,00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연료탱크용량<br/>(ℓ)
|colspan="1"|60
|60
|64 (80% 충전 기준)
|60
|-style="text-align: center;"
!style="background-color: #cccccc;"|트렁크 용량<br/>(ℓ, VDA)
|colspan="1"|480
|480
|360
|480
|}
{{글 숨김 끝}}
== 역대 슬로건 ==
=== 2세대(Y2) ===
* 21세기 하이테크 세단 (쏘나타)
* 명차의 감동을 더해주는 쏘나타골드 (뉴 쏘나타)
=== 3세대(Y3) ===
* 중형 세단의 새 얼굴 (쏘나타 2)
* 중형 세단의 걸작 (쏘나타 2)
* 명품의 완성 (쏘나타 3)
* 한국차의 대명사 (쏘나타 3)
* 정상을 지켜온 이름 (쏘나타 3)
* 후회없는 선택 (쏘나타 3)
* 어디서나 제 값을 하는 차가 좋은 차입니다 (쏘나타 3)
* 전통을 만드는 차가 좋은 차입니다 (쏘나타 3)
=== 4세대(EF) ===
* 드림테크놀로지 (EF쏘나타)
* 꿈을 현실로! 드림테크놀로지 (EF 쏘나타)
* 차는 차가 말합니다 (뉴 EF 쏘나타)
* 우리에게는 쏘나타가 있습니다 (뉴 EF 쏘나타)
* 아름다운 동행 (뉴 EF 쏘나타)
* 역시 뉴 EF 쏘나타 (뉴 EF 쏘나타)
* 미국 JD파워 1위 (뉴 EF 쏘나타)
=== 5세대(NF) ===
* 명차의 새로운 경험 (쏘나타)
* 명차의 감동 (쏘나타)
* envy u (쏘나타)
* 변화를 넘어선 진화 (쏘나타 트랜스폼)
=== 6세대(YF) ===
* Art of technology (쏘나타)
* UNEXPECTED (쏘나타, 쏘나타 하이브리드)
* 자동차에 감성을 더하다 (쏘나타 더 브릴리언트)
* 두 개의 심장으로 앞서 가다 (쏘나타 하이브리드)
* 자동차는 진보한다 (쏘나타 하이브리드)
=== 7세대(LF) ===
* 본질로부터 (쏘나타)
* 시작, 일곱 가지 쏘나타 (쏘나타, 쏘나타 하이브리드, 쏘나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포스트 쏘나타의 시작. (쏘나타 뉴 라이즈)
=== 8세대(DN8) ===
* Hello (쏘나타)
* Keep Growing (쏘나타 센슈어스)
* 익숙함도 완전히 새롭게 (쏘나타 디 엣지)
== 미디어 속의 쏘나타 ==
주로 배역의 자가용 차량이나 경찰차, 택시로 자주 등장하며, 특히 3세대 이후로 출시되는 모델들은 드라마나 영화에서 자주 구르고 터지고 추격 장면을 역할로 자주 등장한다.
=== 영화 ===
* [[투캅스]]에서는 조형사([[안성기]] 분)와 강형사([[박중훈]] 분)의 차량으로 2세대 쏘나타(검은색 GLi)가 등장하였다.
* [[투캅스 3]]에서는 이형사([[김보성 (1966년)|김보성]] 분)와 최형사([[권민중]] 분)의 차량으로 2세대 쏘나타(흰색 GLi)가 등장하였다.
* [[돈을 갖고 튀어라 (1995년 영화)|돈을 갖고 튀어라]]에서는 장 하사([[명계남]] 분)의 차량으로 2세대 쏘나타(회색 GLi)가 등장하였다.
* [[돈을 갖고 튀어라 (1995년 영화)|돈을 갖고 튀어라]]에서는 뱁새([[김승우]] 분)의 차량으로 2세대 뉴 쏘나타(흑색 2.0ℓ LPG 모범택시)가 등장하였다.
* [[쉬리 (영화)|쉬리]]에서 유중원([[한석규]] 분)의 OP와 박무영([[최민식]] 분)의 특수8군단 일당과의 도심 총격전 도중 각각 방패막이로 Y2 쏘나타가 등장하는데, 총격으로 걸레짝이 된다.
* [[잔혹한 출근]]에서는 오동철([[김수로 (배우)|김수로]] 분)이 폐차장에서 구입하여 탄 차량으로 2세대 쏘나타(회색 GLSi)가 등장하였다.
* [[넘버 3]]에서는 태주([[한석규]] 분)가 탄 택시로 2세대 쏘나타 Ⅱ(회색 TXL 택시)가 등장하였다.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 최익현([[최민식]] 분)이 최형배([[하정우]] 분)을 배신하는 장면에서 2세대 쏘나타(검은색 GLi)가 등장하였다.
* [[무간도]]에서 한침 조직 내 잠입한 스파이를 찾아내 제거하러 가는 조직원들이 탄 차량 중 하나로 3세대 쏘나타 II가 엘란트라와 함께 등장한다.
* [[주유소 습격사건]]에서는 경찰 1([[이원종 (1966년)|이원종]] 분)과 경찰 2([[김응수 (배우)|김응수]] 분)가 주유를 받기 위해 타고 온 차량으로, 주유 후 외상으로 그냥 가다가 노마크([[이성재 (배우)|이성재]] 분)와 추격전 끝에 걸려서 62,000원의 기름값을 내는 장면에 등장한다. 해당 차량은 3세대 쏘나타 Ⅱ(경찰 도색 TXL)이다.
* [[찍히면 죽는다]]에서 은색 EF 쏘나타가 주인공들의 해당 차량은 1.8 옵션 기본형 차량이다.
* [[거룩한 계보]]에서 작중 후반부 조직 두목 김영희([[민지환]] 분)와 동치성([[정재영]] 분)을 쫓는 경찰차로 4세대 EF 쏘나타가 등장하는데, 구도색 차량과 신도색 차량이 섞여서 등장한다.
* [[공포택시]]에서 3세대 쏘나타 II, 쏘나타 III 택시가 등장한다. 극중 [[이서진]]은 쏘나타2 개인택시를 운전하고 [[김원범]]이 쏘나타3 택시가 나왔는데 둘 다 모두 [[귀신]]들이며 쏘나타도 귀신차량이다. 엔진은 인간의 신체내부이며 [[피]]가 연료인게 특징인 기괴한 B급 코믹 공포영화이다.
* [[범죄의 재구성]]에서 최창혁([[박신양]] 분) 일당이 한국은행 수원지점에서 범행 후 도주할 때 추격하는 경찰차들로 쏘나타 II가 등장하며 이후 휘발류와 제비가 탄 현금수송차량 주변을 지나가는 경찰차로 4세대 EF, 뉴 EF가 등장한다.
* [[부당거래]]에서 사망한 가짜 범인이 살린 쏘나타 III를 최철기 반장([[황정민]] 분)이 은밀히 폐차시킬 때 등장한다.
* [[공공의 적 2]]에서 강철중([[설경구]] 분)이 3세대 쏘나타 Ⅱ(은비색 GL)을 타는데, [[공공의 적 2]] 중반부에 부하 직원인 강석신([[박상욱 (배우)|박상욱]] 분)이 이 차량을 타고 가다 오토바이 폭주족이 테러를 가하여 지하차도로 추락하여 지하차도를 주행하던 덤프 트럭과의 충돌로 인하여 반파됨에 따라 그 자리에서 사망한다. 사고 이후에 강철중은 5세대 쏘나타(은색 F24S 프리미어)로 차랑을 바꾸었다. 아울러 [[공공의 적]]에서 조규환([[이성재 (배우)|이성재]] 분)의 차량에 받혀 합의를 보다가 후에 살해된 택시 기사의 차량으로 3세대 쏘나타 Ⅲ(은비색 TXL)가 등장한다. 여기에 교통 순경으로 좌천된 강철중([[설경구]] 분)이 신호 위반 단속을 할 때 걸린 차량은 4세대 뉴 EF 쏘나타(은색 DLX)였다. 여러 영화 중 쏘나타 시리즈가 많이 나온 영화로 알려져 있다. [[강철중: 공공의 적 1-1]]에서는 3세대 쏘나타 Ⅱ(녹색 GLS)와 3세대 쏘나타 Ⅲ(녹색 GLS) 역시 등장한다.
* [[스파이 (2013년 영화)|스파이]]에서는 김철수([[설경구]] 분)의 타고 나온 차량으로 6세대 쏘나타 (검은색 Y20 그랜드)이 등장한다.
* [[텔 미 썸딩]]에서 조형사([[한석규]] 분)의 차량으로 3세대 쏘나타 II(진녹색, GL DLX)가 등장한다.
* [[조폭 마누라 3]]에서는 [[국가정보원]] 요원인 한기철([[이범수]] 분)의 차량으로 3세대 쏘나타 Ⅲ(금색 GLS)가 등장하며, [[홍콩]]의 흑룡회 조폭들과 추격전에서 [[서기 (배우)|서기]]와 함께 타고 도망쳤던 차량이다. 그 뒤를 쫓다가 막다른 길로 간 택시는 도미([[조희봉]] 분)와 꽁치([[오지호 (배우)|오지호]] 분)가 훔친 차량으로, 4세대 EF 쏘나타(은색)이다.
* [[본 슈프리머시]] 초반부에 [[인도]]에서 벌어지는 추격전에서 주인공 [[제이슨 본]]([[맷 데이먼]] 분)을 암살하려는 스파이가 운전하는 차량으로 4세대 뉴 EF 쏘나타(은색)가 등장하였다.
* [[우주 전쟁 (2005년 영화)|우주 전쟁]] 초반부에 [[미국]] [[뉴욕시]]에 재앙이 일어날 때 4세대 뉴 EF 쏘나타(녹색 GLS)가 잠시 등장하였다.
* [[세이프 (2012년 영화)|세이프]]에서는 루크 라이트([[제이슨 스테이섬]] 분)가 타고 나온 차량이 4세대 뉴 EF 쏘나타(은색 GLS)이다.
*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에는 지하 주차장 씬에서 2세대 쏘나타(은색 GLi)와 3세대 쏘나타 Ⅱ(흰색 GLS)가 나란히 등장했다.
* [[디워]]에서는 [[로스앤젤레스]] 한복판에서 이무기의 습격을 받아 불타는 차량으로 3세대 쏘나타 Ⅱ(녹색 GLS)가 등장했다.
* [[일단 뛰어]]에서는 성환([[송승헌]] 분)이 우섭([[권상우]] 분) 앞에서 교각에 차를 충돌시키는 장면이 나오는데, 해당 차량은 4세대 EF쏘나타(진주색 GVS)이다.
* [[도가니 (영화)|도가니]]에서 주인공 차량으로 4세대 EF 쏘나타가 등장한다.
* [[공동경비구역 JSA]]에서는 미군 소속 소피 E. 장 소령([[이영애]] 분)을 태우고 부대로 들어가는 장면에서 차량이 등장하는데, 해당 차량은 3세대 쏘나타 Ⅲ(남색 골드)이다.
* [[태풍 (영화)|태풍]]에서는 [[국가정보원]] 요원인 강세종([[이정재]] 분)이 타고 나온 차량은 4세대 뉴 EF 쏘나타(은색 DLX)였다.
* [[감시자들]]에서 저축은행을 턴 강도들을 추격하는 경찰차들로 4세대 EF와 뉴 EF가 등장하는데 다른 용의자가 트럭으로 도로를 차단하는 바람에 경찰차들이 충돌하고 개박살이 난다.
* [[야수 (2006년 영화)|야수]]에서는 경찰 형사인 장도영([[권상우]] 분)이 타고 나온 차량은 3세대 쏘나타 Ⅱ(남색 GL)이고, 검찰 검사인 오진우([[유지태]] 분)가 타고 나온 차량으로 5세대 쏘나타(검은색 N20 디럭스)가 등장하였다.
* [[용의자 (2013년 영화)|용의자]]에서 지동철([[공유 (배우)|공유]] 분)의 도주로를 차단하는 경찰차들로 4세대 EF와 뉴 EF가 등장하는데, 그의 뛰어난 운전 실력으로 경찰들이 역시 개박살이 난다.
* [[택시운전사]] 후반부에 [[2003년]] 배경에서 택시 기사인 김만섭([[송강호]] 분)이 타고 나온 차량은 4세대 뉴 EF 쏘나타(은색 TXL 택시)이다.
* [[광복절 특사]]에서 교도소에서 탈옥한 유재필([[설경구]] 분)과 최무석([[차승원]] 분)이 탈취한 택시로 4세대 뉴 EF 쏘나타가 등장한다.
* [[바르게 살자]]에서 이승우 강원삼포경찰서장([[손병호]] 분)의 차로 5세대 NF 쏘나타 전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울트론이 뒤집히는 차량으로 뉴 EF쏘나타 4세대 후기형 모델이 나온다.
* [[범죄도시]]에서 금천서 강력반 형사들이 탔던 차량 및 범죄 현장에 등장한 경찰 순찰차로 5세대 전기형 모델이 등장하며, 장첸과 위성락이 탔던 택시로 5세대 트랜스폼 모델이 등장한다.
* [[극한직업]]에서 작중사고를 일으키는 차량으로 5세대 전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이후 이무배 아지트 앞에서 잠복할 때 3층 아줌마의 오인 신고로 출동한 경찰차로 5세대 NF가, 이무배 패거리를 미행하기 위해 김영호([[이동휘]] 분)가 탔던 차량으로 5세대 트랜스폼이 각각 등장한다.
* [[싱크홀 (영화)|싱크홀]]에서 싱크홀에 빠져 추락한 택시로 6세대 YF 쏘나타 전기형 모델이 나온다.
* [[방법: 재차의]]에서 차량 추격전에서 좀비들이 모는 택시들로 5세대 NF 쏘나타와 6세대 YF 쏘나타 7세대 LF 쏘나타들이 나온다.
* [[서울대작전]]에서 검정색 쏘나타 2세대 초창기형 모델이 등장한다. 중간에 전소된다.
=== 기타 ===
* [[무한도전]] 스피드 특집에서 눈앞에 일렬로 서있는 차 3대 중 맨뒤에 있는 흰색 쏘나타III가 가장 먼저 터져버린다. 악당이 [[박명수]]를 향해 [[폭스바겐 트랜스포터|버스]]에 빨리 타라고 소리쳤고 박명수가 차에 다시 탔지만 그 순간 가운데에 있는 흰색 EF 쏘나타가 두번째로 터져버린다. 그 후 악당은 멤버들에게 자기 말에 주목하라 외친 후 맨앞에 검정색 [[현대 마르샤|마르샤]]까지 전부 다 터트려버린다.
* [[MBC 뉴스데스크]]의 남자 앵커로 진행한 前 [[이인용 (방송인)|이인용]] 기자의 MBC 본사 출퇴근형 차량을 지원하여 탑승한 차량으로 2세대 쏘나타(검은색 GLi)가 등장하였다.
* [[토요미스테리극장]]에서 실화 이야기를 재연할때 단골로 나오는 현대 쏘나타2는 하나였다.
*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 4화의 사건사고 재현장면 중 하나에서 경찰차로 현대 쏘나타3가 등장한다.
* [[경찰청 사람들]]에서 사건이나 범죄이야기를 재연할때 단골로 나오는 차량으로는 2세대, 3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상황을 재연하거나 실험을 할때 3세대, 4세대, 5세대, 6세대 초기형 모델이 사용했다. 11회(2005년 9월 24일) 트렁크에 갇혔을 때 탈출법에서는 1997년 쏘나타 3, 29회(2006년 2월 18일) 불법 전조등의 위험성 편과 31회(2006년 3월 4일) 에어백의 위험성에서는 뉴 EF 쏘나타가 등장했으며 38회(2006년 4월 22일) 자동차 창문 끼임사고 편에서는 NF 쏘나타가 등장했다.
=== 만화 ===
* [[헬로 카봇]]에서는 카봇 아티의 차량으로 7세대 쏘나타가 등장한다.
* [[터닝메카드 W]]에서는 메카니멀 로봇인 피코의 차량으로 7세대 쏘나타(파란색)가 등장한다.
=== 드라마 ===
* [[MBC]] 드라마 [[진실 (2000년 드라마)|진실]]에서는 박승재([[손지창]] 분)의 차로 4세대 EF쏘나타(은색)가 등장했다.
*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7]]에서 윤윤제([[서인국]] 분)의 형인 윤태웅([[송종호 (배우)|송종호]] 분)의 차로 3세대 쏘나타 Ⅲ(녹색 GLS)가 등장한다. 시대 배경 상 S O N A T A Ⅲ 엠블럼에서 S자와 Ⅲ자가 실종된다.
*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94]]에서 성나정([[고아라]] 분)이 운전을 배우기 위해 탄 차로 4세대 EF쏘나타(흰색 GV)가 등장한다.
* [[MBC]]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에서는 신지([[신지]] 분)의 자가용으로 등장한다. 해당 차량은 3세대 쏘나타 Ⅱ(남색 GLS)이다.
* [[MBC]] [[드라마]] [[세친구]]에서는 박상면([[박상면]] 분)의 누나 박효정([[반효정]] 분)의 자가용으로 등장한다. 해당 차량은 3세대 쏘나타 Ⅱ(흰색 GLS)이다.
* [[KBS]] [[드라마]] [[웃어라 동해야]]에서 윤새와([[박정아 (1981년)|박정아]] 분)의 타고 있는 차로 6세대 YF쏘나타가 등장한다.
* [[MBC]] [[드라마]] [[모두 다 김치]]에서는 박현지([[차현정]] 분)의 타고 있는 차로 4세대 EF쏘나타가 등장한다.
* [[KBS]] [[드라마]] [[고양이는 있다]]에서 염치웅([[현우]] 분)의 타고 있는 차로 7세대 LF쏘나타가 등장한다.
* [[SBS]] [[드라마]] [[사랑만 할래]]에서 최동준([[길용우]] 분)의 타고 있는 차로 6세대 쏘나타 더 브릴리언트가 등장한다.
* [[SBS]] [[드라마]] [[수상한 장모]]에서 김은지([[한소현]] 분)의 타고 있는 차로 7세대 LF쏘나타가 등장한다.
* [[KBS]] [[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에서 강미리([[김소연 (1980년)|김소연]] 분)가 타고 있는 차로 8세대 쏘나타가 등장한다.
* [[KBS]] [[드라마]] [[비밀의 남자]]에서 구천수([[이정용]] 분)와 한유라([[이채영]] 분)의 타고 있는 차로 7세대 LF쏘나타가 등장한다.
* [[SBS]] [[드라마]] [[모범택시 (드라마)|모범택시 1]]에서 7세대 후기형 쏘나타 뉴 라이즈 경찰차가 11화에서 왕민호 수사관 살해 사건 때 등장했고, 14화에서 김도기([[이제훈]] 분)가 도주한 백성미([[차지연]] 분)를 추격 및 쫓아가려고 사건 현장에 출동했으나 중간에 뺏어 타고 나온 경찰차로 등장했으며 항구에서 백성미의 부하들을 제압할 때 드리프트(!!) 스킬로 부하들을 제압했고 심지어는 백성미의 부하들이 각목, 야구방망이 등의 무기들로 순찰차를 때려 부수었으나 어찌된일인지 순찰차는 단 하나도 파손되지 않았다.(...) 그 외에 6세대 경찰차로 등장하거나 7화에서 박양진이 고용한 자객 일당의 차량으로 5세대 전기형 모델이 검찰의 관용 차량으로 7세대와 8세대가 등장하여 그 중 7세대 전기형 모델은 강하나 검사([[이솜]] 분)가 9화에서 박양진 회장 일당들을 체포하러 갈때 탔으며, 8세대 11회에서 왕민호 수사관([[이유준]] 분)이 탔었으나 사후에는 강하는 검사가 해당 차량을 타고 다니는 걸로 등장한다.
*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9화 에서 6세대 YF 쏘나타가 경찰차로 잠깐 등장한다.
* [[MBC]] [[드라마]] [[검은 태양]]에서는 한지혁([[남궁민]] 분)의 자가용으로 등장한다. 해당 차량은 8세대 쏘나타 N라인이다.
* [[SBS]] [[드라마]]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에서 경찰차와 윤태구 경위([[김소진]] 분)의 차량으로 등장하는데, 해당 차량은 3세대 쏘나타 lll GLS 전기형과 GLS(녹색) 후기형이다.
* [[tvN]] [[드라마]] [[군검사 도베르만]]에서 도배만의 고모인 도수경([[강말금]] 분)의 차량으로 6세대 YF쏘나타이다.
* [[KBS]] [[드라마]] [[으라차차 내 인생]]에서 강성욱([[이시강]] 분)이 서재석([[설정환]] 분)을 뺑소니 친 차량으로 6세대 YF쏘나타 전기형이 나온다.
=== 게임 ===
* [[레이시티]]에서 뉴 EF 쏘나타, NF 쏘나타, YF 쏘나타가 등장한다.
* [[넥슨 코리아]]의 [[자동차 경주|자동차 경주 게임]]인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와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 신규카트바디로 등장한다.한정판 미션 카트바디 (쏘나타 N Line 레드)다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www.hyundai.com/kr/showroom.do?carCd1=RD020 현대자동차 대한민국 홈페이지 - 쏘나타] {{웨이백|url=http://www.hyundai.com/kr/showroom.do?carCd1=RD020 |date=20140714122851 }}
* [http://navercast.naver.com/design/ourdesign/1985 네이버캐스트 매일의 디자인 - 쏘나타, 1985]
* [http://www.bobaedream.co.kr/board/bulletin/view.php?code=bbstory&No=302&bm=1 보배드림 컬렉션 - 현대 쏘나타 1세대]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의 차종}}
{{전거 통제}}
[[분류:현대자동차의 차종|쏘나타]]
[[분류:세단|쏘나타]]
[[분류:스포츠 세단|쏘나타]]
[[분류:전륜구동|쏘나타]]
[[분류:후륜구동|쏘나타]]
[[분류:중형 승용차|쏘나타]]
[[분류:하이브리드 차량|쏘나타]]
[[분류:1980년대 자동차|쏘나타]]
[[분류:1990년대 자동차|쏘나타]]
[[분류:2000년대 자동차|쏘나타]]
[[분류:2010년대 자동차|쏘나타]]
[[분류:2020년대 자동차|쏘나타]]
[[분류:1985년 도입된 자동차|쏘나타]]
[[분류: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쏘나타]]
[[분류:택시 차량]]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한자 둘러보기}}
'''서예'''(書藝, {{llang|en|penmanship 또는 calligraphy}})란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한다.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되어 [[한자]]뿐만 아니라 해당 나라의 글씨체 ([[한글]], [[가나 (문자)|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서도 (예술)|서도]]'''(書道)라고도 한다.
== 개요 ==
[[표의문자]]인 [[한자]]를 [[문자]]와 [[글씨]]로 일단 구별한다면 문자는 [[언어]]의 부호로서 그 목적이 어느 사건을 기록하는 것이고, 서(書)는 그 문자의 표현에 있어서 미의식의 활동을 보기 위한 글씨로서 아름다운 면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서는 어디까지나 문자를 떠나 또는 붓을 떠나서 존재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 글씨를 쓰는 용구로서 붓의 성격은 변화하여도 아름답게 쓰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펜]]으로 쓴 글씨, 또는 [[등사]]·[[인쇄]]로 된 문자는 서예가 아니다. 어디까지나 사람의 손에 의해서 쓰여진 것이 아니면 안 된다.
=== 서예의 미의식 ===
[[서예가]]가 쓴 글씨가 타인에게는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의 자의적인 자태일지 모르나 그 서예가에게는 읽는 문자로서 미의식 표현의 서사인 것이다. 서의 조형적 요소로서 형태와 선질(線質) 따위는 별개의 것이 아니고 표현에 있어서 깊은 관련이 있다. 그 형태는 서체(書體) 또는 서풍(書風)에 의한 정도로서 제약을 받는 것이고, 서의 선질은 서예가의 주관을 어느 정도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다. 그런 뜻에서 서예는 선의 예술이다. 그래서 서의 선은 [[회화]]의 선과 같이 어느 물체의 형상을 표현하는 윤곽선이 아니고 비구상적인 선이다. 물론 사출(寫出)된 선에 의해서 문자의 자형(字形)이 표시되나 그것이 서선(書線)의 본질은 아니다. 서선은 부호로서 읽는 형(形)의 선이 아니고 내용 있는 선, 미의 선, 인간의 생명이 통하는 선이다. 이는 구상성을 떠난 선으로 붓의 압력과 속도로서 사출된 서예가를 상징하는 선이다. 즉 물체의 형태 또는 대상의 연관성을 그리는 선이 아니고, 인간성과 연관성이 깊은 선이다. 옛날부터 현재까지 서를 심화(心畵, 마음을 나타내는 그림)라고 한 것은 이 특질 있는 선질 표현의 기초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서의 형태미 이상으로 서의 본질을 형성하고 있다.
=== 서예의 근본정신 ===
서예의 심오한 뜻은 기법의 연습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기법과 병행해서 정신수련을 중요시한다. [[중국]]에서 서는 [[육예]](六藝), 즉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중의 일부분으로 인간의 선행 수련이다. 고상한 [[사군자]] 수업의 도(道)로서 많은 위인들이 생애를 바쳐서 서로 이어서 발전시켜 왔다. 서예는 실용적인 요구와 서예적 만족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참다운 인간의 영원성을 추구하는 도(道)로서 철학적으로 종교적으로 열렬히 요구되어 있다. 그래서 서예의 근본정신이 동양 일반의 예도(藝道)에 통하는 자연관을 기조로 한 것이다. 서의 표현 내용은 그 서의 소재·어구(語句) 시문(詩文)·문학적인 요소를 의미하고 있으나 독립된 시각성 예술로 향상되는 한, 서의 내용은 소재로서 문자보다 그 작품에 포함된 서미(書美)의 문제점이 생긴다. 즉 하나의 완성된 작품에는 전체를 구성하는 문자의 대소(크고 작음)·포치(布置, 넓게 늘어놓음), 먹의 윤갈(潤渴, 윤택하고 마름), [[낙관]](落款)의 위치 즉 장법(章法, 經營位置, 화면을 살리기 위한 배치법)이 중요하다.
그 작품에 구성된 문자의 형태미로서 동양문자는 회화문자에서 발달된 상형문자며 [[표의문자]]다. [[한글]]은 표음문자로서 한 자 한 구를 형태미로 응물상형(應物象形, 물체의 모양이나 특성을 잘 알아 표현하는 것) 결합체로 표현한다. 유럽인도 상형문자로서 인간 본질을 순화시키는 서예정신을 배울 수 있다.
== 역사 ==
=== 고려의 서예 ===
고려시대의 서예는 신라시대와같이 구양순(歐陽詢)의 이른바 구법(歐法)이 주류를 이루어 규각(圭角)이 있으면서 정제준경(整齊遵勁)한 서체이며 이러한 특색있는 서체가 비문, 사경에 사용하면서 한편 판각에서는 변화된 서체를 이루어 대장경(大藏經)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고려체(高麗體)를 이룬다. 말기의 사경에는 당사경체(唐寫經體)의 여운을 가진 예도 있고 후에 조선시대의 서체가 되는 원(元)의 조맹부체도 있다.<ref>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고려시대의 미술/고려의 회화·서예,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조선의 서체 ===
[[조선|조선시대]]의 서체(書體)는 [[안진경|안진경체]](顔眞卿體)의 고려와는 달리 [[왕희지]](王羲之)에서 출발하는 [[원나라]] 말기의 [[조맹부]]의 서체로서 시종하였는데 조맹부의 규각(圭角)이 없는 세련된 서체는 [[명나라]] 초기의 문인 학자들 사이에 유행하여 이른바, 한림원체(翰林院體)라 하여 판본(板本)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이것은 조선에도 자극을 주어 [[조선 세종|세종]] 때에 간행된 [[훈민정음]], [[삼강행실도]] 등의 서적은 명초의 서체와 사경(寫經)에서 느낄 수 있듯이 힘이 들어 있었는데, 초기의 서예를 대표하는 서예가는 [[안평대군]](安平大君)으로서 그의 서풍은 조법(趙法)을 잘 체득하여 그 연미(軟美)하고 넉넉한 품(品)이 당시에 따를 이가 없어 조정에서도 높이 평가하자 전국에 성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초기의 서체는 시대가 내려감에 따라 새로운 자극과 범본(範本)이 중국으로부터 끊어짐에 따라 그저 외형(外形)만 정비하고 균형미만을 찾는 무기력한 서체로 정형화(定型化)되어 갔다. [[조선 중종|중종]] 때에는 [[김구]](金絿)가 종왕(鍾王)의 서체를 배워 인수체(仁壽體)를 개창(開創)했고 [[명종 (조선)|명종]] 때의 [[양사언]](楊士彦)은 큰 글씨(大字)와 초서(草書)에 뛰어났다. [[선조 (조선)|선조]] 때의 [[한호]](韓濩)는 진체(晉體)의 대가로서 뛰어났고, 또 [[이광사]](李匡師) 같은 우수한 서예가도 있었으나 한결같이 이들의 서체는 그저 말쑥하고 미끈한 전형적인 조선서체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었다. 19세기에 가서 [[김정희]](金正喜)의 독창적인 서체가 등장하여 일대 혁신을 일으켰으나 그의 [[추사체]](秋史體)는 더 발전이나 계승을 보지 못하고 그 한 사람대(代)로서 끝났다. 한편 한글 서체로 [[궁체]](宮體)라는 서체가 있어서 의식적(儀式的)인 등서체(謄書體)와 장식적인 서간체(書翰體)로 구별되는데 이 서체도 사각상의 미 이상의 글씨로서의 골(骨)을 갖지 못한 역시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서체임을 면치 못했다.<ref>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조선시대의 미술/조선시대 서예/서체,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청나라의 서예 ===
[[청나라]](淸)에 들어서면서 진첩(晋帖)이나 당비(唐碑)의 연구가 성하게 되고, [[건륭 (청)|건륭]](乾隆)·[[가경]](嘉慶) 시대가 되자 교묘한 구조와 풍부한 정신을 가진 고전주의가 성립되었다. 이른바 첩합(帖學)의 개화로 유용(劉鏞)·양동서(梁同書)·왕문치(王文治)·성친왕(成親王) 등은 법첩을 본으로 삼은 첩학파(帖學派)의 사람들이다. 한편 금석학(金石學)의 연구가 진전되자 종래의 첩학과 같이 몇 번이나 번각(飜刻)을 거듭한 법첩보다도 진적(眞跡)에 가까운 비(碑)의 탁본(拓本)을 배워야 된다는 비학(碑學)이 생겼다. 등석여(鄧石如)·이병수(伊秉綏)·진홍수(陳鴻壽)·오양지(吳讓之)·조지겸(趙之謙) 등이 비학파에 속하는 사람으로 그들은 진한(秦漢)의 고비(古碑)를 연구하여 전서·예서(隸書)에 새로운 업적을 세웠다. 아울러 학서(學書)의 방법을 주장한 것이다. 첩학파는 행서(行書)·초서(草書), 비학파는 전서·예서·해서를 주제로 한 표현이 많다.<ref>한국미술/미술의 종류/서예/서예의 기초지식/첩학·비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구한말의 서예 ===
조선이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개칭한 후, 시기적으로 보아 청(淸)의 영향력이 컸을 뿐만 아니라 청나라와의 빈번한 교류로 중국에서 유행했던 고증학(考證學)이나 금석학(金石學)에서 유래된 서풍(書風)을 받아들여 이것을 주류로 삼았으며 한편 재래(在來)의 서(書)를 답습하는 경향도 보인다.<ref>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한국 근대미술/한국 근대서예/한말 서예의 전개,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청나라에서 유행하던 서풍(書風)을 좇으려는 경향은 옹동화와 오대징(吳大徵) 등의 내한(來韓)을 계기로 표면화되었으며 여기에 전기(前期)의 김정희(金正喜)를 중심으로 한 [[옹방강]](翁方綱), 성친왕(成親王), 철보(鐵保), 하소기(何紹基) 등의 서풍을 들 수 있으며, 한편 동기창(董其昌), 미불, 소식(蘇軾) 등의 송(宋). 명(明)의 서풍과 구양순(歐陽詢), 안진경(顔眞卿)을 배우는 경향도 보인다. 특히 안법(顔法)의 유행은 전대에 볼 수 없던 현상이며 이것은 모두 청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한말 서예의 한 경향이다.<ref>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한국 근대미술/한국 근대서예/청 영향하의 한말 서예,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재래 서풍을 답습하는 것은 한말 서예의 한 경향, 주로 지방을 중심으로 한 현상이다. 특히 사색당쟁(四色黨爭)의 여파는 서체에까지 영향을 미쳐 노론(老論)을 주축으로 하는 일부에서는 추사체와 청(淸)의 서풍에 관심을 두었고 소론(小論)측에서는 주로 신위(申緯)의 체를 숭상하여 신위가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로 송(宋)의 소식(蘇軾)과 통한다 하여 소체(蘇體)를 숭상하기까지 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후대에도 여세를 미쳤다.<ref>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한국 근대미술/한국 근대서예/재래 서풍의 답습,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 서예의 기초 용어 ==
* ‘[[서법 (쓰기)|서법]]’(書法)은 문자를 쓰는 데에 필요한 점화(點畵), 문자를 쓰는 방법, 붓을 쥐는 방법, 운필법(運筆法)을 말한다. 방법은 일정불변한 것은 아니고 학문의 발달, 서가(書家)의 성격에 따라 저마다 독특한 서법이 나타나고 있다.
* ‘[[법첩]]’(法帖)은 습자(習字)의 자습서로서 또한 감상용으로서 고인의 우품(優品)을 돌이나 나무에 파서 새기고, 이것을 인쇄하여 책으로 만든 것을 말한다. 한 사람의 글씨를 모은 것은 ‘단첩(單帖)’, 많은 사람의 글씨를 모은 것은 ‘집첩(集帖)’이라 한다.
* ‘[[임서]]’(臨書)는 자습서를 곁에 놓고 보면서 쓰는 것, 그리고 그렇게 쓴 글씨를 말한다. 임서에는 형림(形臨)과 의림(意臨)이 있다. 형림은 자형(字形)을 충실하게 보고서 쓰는 것이며, 의림은 그 글씨의 뜻(마음)을 파악해서 표현함에 중점을 둔 방법이다. 이 밖에 배림(背臨)이라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자습서를 잘 관찰하고서 충분히 그 뜻을 배우고 난 다음, 붓을 내릴 때에는 자습서를 보지 않고서 쓰는 것을 말한다.
* ‘[[임서|자운]]’(自運)은 임서에 대응되는데, 타인의 글씨를 참고로 하지 않고 자기의 힘으로 공부하고 연구하여 제작하는 것과 그 작품을 말한다. 전체를 잘 마무리하는 것을 ‘장법(章法)’이라 한다.
* ‘[[낙관]]’(落款)은 낙성관지(落成款識)를 줄인 말로, 서화의 일단에 서명·압인하고 완성이 뜻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전각]]’(篆刻)은 서화 등의 낙관에 쓰이는 도장에 전서(篆書)를 새기는 것을 말한다. 문자가 붉게 바탕이 희게 압인되는 것을 주문(朱文)이라 하고, 그 반대를 백문(白文)이라 한다. 주문으로 새기는 것을 양각(陽刻), 백문으로 새기는 것을 음각(陰刻)이라고도 한다. 또한 각자(刻字)를 전각가(篆刻家), 새긴 것을 인장(印章)이라 하고, 역대의 고인(古印), 각 가각인(家刻印)의 인영(印影)을 모은 것을 인보(印譜)·인집(印集)·인존(印存)이라 부르고 있다.
* ‘[[묵적 (서예)|묵적]]’(墨蹟)은 중국에서는 단순히 필적(筆蹟)을 말하는데,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임제(臨濟)를 주로 한 선종승려의 필적을 특히 묵적이라 부르고 있다. 그 내용은 중국 및 한국의 선승이 쓴 인가장(印可狀)·게송·법어(法語)·자호(字號)·진도어(進道語)·시(詩), 액자(額子)·서장(書狀) 등 전부를 말한다.
* ‘감정’(鑑定)은 미술품 등의 진위(眞僞)·양부(良否)를 감별판정(鑑別判定)하는 것을 말한다.
* ‘[[탁본]]’(拓本)은 금속·기와·돌·나무 등에 새겨진 그림이나 문자를 베껴내는 것으로서 그 방법에는 사물에 직접 종이를 대고서 물을 칠한 다음 밀착시켜 솜뭉치 먹칠을 해서 두들기는 습탁(濕拓)과 석화묵(石花墨)으로 종이 위에서 문질러 베끼는 건탁(乾拓)의 두 가지가 있다.
* ‘[[쌍구진묵]]’(雙鉤塡墨)은 필적 위에 얇은 종이를 얹어 놓고 문자의 윤곽을 사서(寫書)해서 그 속에 먹칠을 하는 방법이다.
* ‘[[우필]]’은 주인을 대신하여 서장(書狀)이나 각종 문서를 대필하는 직명을 말한다.
== 서체 ==
==== 고문 ====
고문(古文)은 전서가 성립된 이전의 서체로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자인 귀갑수골문(龜甲獸骨文)을 위시하여 은·주 고동기(古銅器)의 명문(銘文) 등을 총칭하여 부르고 있다. 허진(許塡)의 <설문해자(說文解字)> 서(序)의 설면에서는 공자의 벽중(壁中)에서 나온 문자를 가리키고 있다. 신(新)나라 왕망(王莽) 때에는 대전(大篆)까지도 고문이라 하였다.전서 篆書 고문의 자체와 서풍이 정리된 것으로서 전·소전의 2종이 있다. 대전은 주문이라고도 불리고 주의 사주가 만들었다고도 전해진다. 소전은 대전의 체세(體勢)를 길게, 점획(點劃)을 방정하게 하여 서사(書寫)를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진시황제의 문자통일 때에 승상 이사(李斯)가 창시하였다고 전해진다.
==== 예서 ====
소전을 직선적으로 간략화한 것으로서 하급관리인 도례(徒隷) 사이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예서(隸書)라 부르고 있다. 이것이 모체가 되어 해행초(楷行草)의 삼체(三體)가 전개된다.
==== 초서 ====
초서(草書)는 문자를 흘려서 쓴 서체이다. 서역(西域)에서 출토된 전한(前漢)의 목간(木簡)에 팔부의 파세와 리듬을 가진 속필의 문자(章草라고도 한다)가 있으며, 이로부터 지금의 초서로 진전되었다고 알려진다. 읽는 게 곤란하므로 일반화 되지 않았지만 변화가 풍부하기 때문에 예술작품에 많이 쓰이고 있다.
==== 행서 ====
행서(行書)는 행압서(行押書)라고도 하고 해서와 초서의 중간 서체이다. 한대의 목간에는 오랜 예가 있고 역시 예서의 속필로서 발생한 것이다. 행압서란 교환하는 문서란 의미인데 행서는 빨리 써지고 읽기 쉽다는 잇점이 있다.
==== 해서 ====
해서(楷書)는 예서에서 변이(變移)된 것으로서 필획(筆劃)에 생략이 없는 서체이다. 다른 서체보다 발생단계로서는 가장 뒤늦게 성립되었다. 실용이라기보다는 의식적인 정제(整齊)함을 요구해서 생긴 것이라 하겠다. 정서(正書) 진서(眞書)라고도 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쓰고 있어 활자체에도 활용되고 있다.
==== 비백 ====
비백(飛白)은 후한(後漢)의 채옹(蔡邕)이, 좌관(左官)이 솔로 글자를 쓰고 있는 것을 보고 고안했다고 한다. 따라서 본래 예서에서 필획속에 스치듯이 비치는 수법을 많이 내쓰는 기교를 특색으로 한다. 당시는 궁전의 액자에 사용되고 있었다. 예서체는 아니지만 당비(唐碑)나 공해(空海)의 글씨에 비백의 유례(遺例)가 있다.
== 기법 ==
==== 집필법 ====
집필법(執筆法)은 붓을 쥐는 방법을 말한다. 붓의 크기, 쓰는 문자의 대소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 단구법(單鉤法): 집게손가락 하나를 붓에 걸고서 쓰는 방법이다. 세자(細字)를 쓰는 데 알맞다.
* 쌍구법(雙鉤法): 집게손가락·가운데 손가락의 두 개를 건다. 대자(大字)·중자(中字)에 알맞다. 그 밖에 촬관법(撮管法)·족관법(鏃管法)·염관법(捻管法)·악관법(握管法) 등이 있는데 요컨대 저마다 쓰기 쉬운 집필법을 연구하면 된다.
==== 완법 ====
완법(腕法)은 문자를 쓸 때의 팔을 놓은 방법으로서 기호에 따라 또는 목적에 따라 몇몇 형이 있다.
* 침완법(沈腕法): 왼쪽 손바닥을 책상 위에 펴집고, 바른쪽 손목을 얹고서 쓰는 방법을 말한다. 세자에 알맞다.
* 제완법(提腕法): 오른쪽 팔꿈치를 책상에 가볍게 대고 쓰는 방법으로, 중간 글씨나 작은 글씨를 쓰기에 알맞다.
* 착완법(着腕法): 팔꿈치를 겨드랑에 붙이고 쓰는 방법이다. 중자·세자에 알맞다.
* 현완법(懸腕法): 팔을 들고 팔꿈치를 겨드랑에서 벌려서 쓰는 방법이다. 팔이 자유로워 대자·중자에 알맞다.
* 완법(腕法): 엄지손가락과 다른 네 손가락 끝으로 붓을 쥐고 팔꿈치를 전방으로 내펴고 붓을 수직으로 겨누고서 쓰는 방법이다. 회완집필법이라고도 하여 특수한 것이다.
==== 영자팔법 ====
문자를 쓸 때에 필요한 8종의 용필법(用筆法)으로서 그것이 영(永)자의 8개의 점획에 맞기 때문에 [[영자팔법]](永字八法)이라 부르고 있다. <서원청화(書苑靑華)>에 "팔법은 예자(隸字)로부터 생긴다……"하였으며, 오래전부터 그렇게 말해진 듯한데 당시대에 해서의 전형이 확립된 것에 곁들여 영자팔법을 습득하면 모든 문자에 응용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림과 같이 첫째 점을 측(側), 둘째의 횡획(橫劃)을 늑(勒), 셋째의 종획(縱劃)을 노(努), 그 날개를 적, 다섯째의 바른쪽 위로 긋는 선을 책(策), 왼쪽 밑으로 긋는 선을 약(掠), 일곱째의 바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선을 탁(啄), 바른쪽 밑으로 터는 선을 책이라 한다. 초학자를 상대로 하나 그다지 가치있는 기법은 아니다.
==== 간가결구법 ====
간가결구법(間架結構法)은 점획 사이의 띠는 방법(間架), 짜맞추는 방법(結構)을 생각해서 밸런스 있게 문자를 조형(造型)함을 말한다. 건축적인 아름다움을 갖는 해서를 주체로 한 조형이론이다.
==== 장봉·노봉 ====
장봉(藏鋒)이란 붓의 수(穗) 끝을 필획 속에서 감싸고 밖으로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서 직필(直筆)이라고도 한다. 이에 대하여 붓수 끝을 획의 외측에 대어 외면에 봉(鋒)이 드러나는 것을 노봉(露鋒) 또는 측필(側筆)이라 한다.
==== 부앙법 ====
부앙법(俯仰法)은 문자를 쓸 때 선의 방향에 거슬리지 않고 붓을 쥔 손이 위를 보게 하거나 밑을 보게 하거나 하여 심하게 움직여서 쓰는 방법이다. 즉 왼쪽으로 운필(運筆)할 경우에는 손바닥은 밑을 보게 되고 오른쪽으로 움직일 때에는 위를 보게 된다.
==== 역입평출 ====
역입평출(逆入平出)은 청시대의 포세신(包世臣)이 제창한 운필법의 일종으로서 글자를 쓸 경우 붓의 봉(鋒:끝)을 역으로 눌러서 운필해 나가는 방법이다. 기(氣)가 넘치는 글씨를 쓰자면 역입평출의 방법이어야 된다고 한다.
== 문방구 ==
{{본문|문방구}}
문방구(文房具)는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책을 읽을 때 사용하는 물건이다. 줄여서 문구라고도 한다. 좁은 의미로는 '[[문방사우]]'라고 해서, [[종이]], [[붓]], [[먹]], [[벼루]]를 가리키기도 하나, 넓은 의미로는 글자의 뜻 그대로 여러 가지 용구를 포함하여 말한다.
* [[붓]]: 붓에는 양, 이리, 족제비, 말, 고양이 들의 털이 쓰인다. 모질에 의하여 유모·강모·겸호가 있으며, 그 형태에 따라 장봉·중봉·단봉·작두필·면상필·유엽필의 이름이 있다. 또한 털을 풀로 굳히지 않는 풀어진 붓도 있다.
* [[먹]]: 송지를 태운 그을음을 아교 용액으로 다져서 굳힌 것이다. 흑색 외에 파랑·주홍빛 다색의 먹도 있다. 중국의 고묵은 명의 정군방제가 유명하다.
* [[벼루]](硯): 묵색을 발하는 좋은 벼루는 예부터 문인 사이에서 애완 진중되었다. 단계연·흡주연·조하록석이 최상품으로 알려져 있다.
* [[종이]](紙): 닥나무나 삼아의 수피를 원료로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는 반지·아선지가 사용되며 수옥지·안피지·서봉지·마지 등은 고급 서화용으로서 진중된다.
* [[표구]](表具): 작품의 형식이기도 하다. 종이·비단·세면등에 쓰인 서화는 보존하기 위하여 안감이 대어지고(얇고 질긴 종이를 밀착), 감상용으로 여러 가지 형식으로 만들어진다. 진표구·명조표구·대표구 따위의 형이 있으며, 서화의 내용·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장된다. 족자·두루마리·책·액자·병풍·횡피 등이 있다.
== 유명 서예가 ==
=== 한국 ===
[[파일:Han Ho-Jeungryu yeojang seochep.jpg|200px|섬네일|한호의 증류여장서첩]]
[[파일:Chusa-Gyesan musin.jpg|섬네일|추사 김정희의 계산무진. 추사체로 쓰여 있다.]]
* [[안평대군|안평대군 이용]](安平大君 李瑢, [[1418년]]~[[1453년]]): [[훈민정음]] 혜례본의 서체는 그의 작품이다.
* [[한호]](韓濩, [[1543년]]~[[1605년]]):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이다.
* [[헌경왕후|헌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1815년]]): [[조선]] 후기의 한글 서예가이다. [[한중록]](閑中錄 또는 恨中錄)을 썼다.
* [[김정희]](金正喜, [[1786년]]~[[1856년]]):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이다. 추사체를 만들었다.
* [[안중근]](安重根, [[1879년]]~[[1910년]]): [[독립]] 운동 중에도 200여개의 유묵을 남겨 그중 20개가 [[보물 569호]]로 지정됐다.
* [[이완용]](李完用, [[1856년]]~[[1926년]]): 유명 작품으로 [[독립문]] 현판이 있다.
* [[손재형|소전 손재형]](素筌 孫在馨, [[1903년]]~[[1981년]]): 한글서법을 전획 필법으로 전개시켜 놓은 점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 [[오제봉|청남 오제봉]](菁南 吳濟峰, [[1908년]]~[[1991년]]): [[해인사]]에 승문에 있었는데 그곳에서 글을 익힌 유명 서예인이다.
* [[김기승|원곡 김기승]](原谷 金基昇, [[1909년]]~[[2000년]]): 원곡체라는 독특한 서체를 창조하였고, 한국서예사를 저술하고, 원곡서예상을 제정하였다.
* [[유희강|검여 유희강]](劍如 柳熙綱, [[1911년]]~[[1976년]]): 육서에 모두 능통하였다.고혈압으로 오른손에 마비가 왔지만 집념으로 왼팔로 서예에 정진해 독특한 경지를 이뤘다.
* [[최중길|어천 최중길]](箊泉 崔重吉, [[1914년]]~[[1979년]]): 초서법에 있어서 탁월한 작가로 꼽힌다. 전각목각 또한 능하다.
* [[배길기|시암 배길기]](時菴 裵吉基, [[1917년]]~[[1999년]]): 전서, 그중에서도 소전에 매우 능한 작가다.
* [[이기우 (서예가)|철농 이기우]](鐵農 李基雨, [[1921년]]~[[1993년]]): 근대 최고의 전각가로 꼽힌다.역대 대통령들의 사인(도장)을 각인했다.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같이 보기 ==
* 서체
** [[한글 글꼴]]
** [[한자 글씨체]]
* 서예와 관련된 기술
** [[금석학]]
** [[탁본학]]
== 참고 자료 ==
* [http://www.art.go.kr/vli_dir/vli_pop_cot.jsp?cont_cnt=1 한국의 서예가]{{깨진 링크|url=http://www.art.go.kr/vli_dir/vli_pop_cot.jsp?cont_cnt=1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전거 통제}}
[[분류:서예| ]]
[[분류:동아시아의 문화]]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EU|조사=는}}
{{대해서|유럽 통합|유럽 연합|유럽 연합 회원국을 포함한 유럽 국가 내의 다양한 수준의 통합}}
{{유럽 연합 표}}
'''유럽 연합'''({{llang|en|European Union}}, {{llang|de|Europäische Union}}, {{llang|fr|Union européenne}}, '''EU''')은 주로 [[유럽]]에 위치한 27개의 회원국 간의 정치 및 경제 공동체이다.<ref>{{웹 인용|url=https://europa.eu/european-union/about-eu/eu-in-brief_en|title=The EU in brief |first=|last=|date=16 June 2016|website=European Union}}</ref> 유럽 연합의 인구수는 4억 5,000만 명으로, 영토는 4,475,757 km<sup>2</sup>이다. 유럽 연합은 회원국 전체에 적용되는 표준화된 법을 통해 [[유럽 단일 시장]]을 발전시키고 있다. 유럽 연합의 정책은 사람, 상품, 자본, 그리고 서비스가 국내 시장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ref name="Europa Internal Market">{{웹 인용|title=The EU Single Market: Fewer barriers, more opportunities |publisher=Europa web portal |author=European Commission |url=http://ec.europa.eu/internal_market/index_en.htm |accessdate=27 September 2007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1001122551/http://ec.europa.eu/internal_market/index_en.htm |archivedate= 1 October 2007 |df= }}<br />{{웹 인용|title=Activities of the European Union: Internal Market |publisher=Europa web portal |url=http://europa.eu/pol/singl/index_en.htm |accessdate=29 June 2007 }}</ref> 국내 문제와 정의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ref>{{웹 인용|title=Common commercial policy |url=http://europa.eu/scadplus/glossary/commercial_policy_en.htm |work=Europa Glossary |publisher=Europa web portal |accessdate=6 September 2008 |url-status=dead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90116092625/http://europa.eu/scadplus/glossary/commercial_policy_en.htm |archivedate=16 January 2009 }}</ref> [[공동농업정책|농업]],<ref>{{웹 인용|publisher=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title=Agriculture and Fisheries Council|url=http://www.consilium.europa.eu/policies/council-configurations/agriculture-and-fisheries|accessdate=3 June 2013|archive-date=2014-03-11|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11075105/http://www.consilium.europa.eu/policies/council-configurations/agriculture-and-fisheries|url-status=}}</ref> [[공동어업정책|어업]] 그리고 지역 개발에서 공동 정책을 채택한다.<ref>{{웹 인용|title=Regional Policy Inforegio |url=http://ec.europa.eu/regional_policy/index_en.cfm|publisher=Europa web portal |accessdate=3 June 2013}}</ref> 유럽 연합은 [[솅겐 지역]]의 [[출입국관리]]를 통합하여 집행한다.<ref name="Internal borders">{{웹 인용|title=Schengen area|publisher=Europa web portal|url=http://ec.europa.eu/home-affairs/policies/borders/borders_schengen_en.htm|accessdate=8 September 2010|archive-url=https://www.webcitation.org/617OENLLZ?url=http://ec.europa.eu/home-affairs/policies/borders/borders_schengen_en.htm|archive-date=22 August 2011|url-status=dead}}</ref> 1999년 [[유로존]]이 설립되어 2002년 발효되었으며, [[유로]]를 통화로 사용하는 20개의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럽 연합과 유럽 시민권은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발효되었을 때 설립되었다.{{sfn|Craig |De Burca|2011|page=15}} 유럽 연합의 기원은 1951년 [[파리 조약 (1951년)|파리 조약]]으로 창설된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와 1957년 [[로마 조약]]으로 창설된 [[유럽 경제 공동체]]이다. [[유럽의 공동체]]를 창립한 것으로 알려진 회원국은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독일]](서독) 6개국으로, 이들을 합쳐 '''이너 식스'''라고 부른다. 위원회와 그들의 계승자들은 새로운 회원국이 가입하면서 확장되었다. 유럽 연합의 헌법적 기초에 대한 마지막 주요 합의사항은 2009년 [[리스본 조약 (2007년)|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에서 체결되었다. 현재까지 유럽 연합에서 탈퇴한 국가는 [[영국]]으로, [[2020년]]에 [[브렉시트|탈퇴]]하였다.
전 세계 인구의 7.3%을 차지하는 유럽 연합의<ref>{{웹 인용|title=European Union reaches 500 Million through Combination of Accessions, Migration and Natural Growth|publisher=Vienna Institute of Demography|url=http://www.oeaw.ac.at/vid/datasheet/EU_reaches_500_Mill.shtml|accessdate=12 February 2016}}</ref>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은 19조 6,700억 달러로, 전세계 GDP의 24.6%를 차지한다.<ref>{{웹 인용|url=http://www.imf.org/external/pubs/ft/weo/2018/01/weodata/weorept.aspx?sy=2018&ey=2018&scsm=1&ssd=1&sort=country&ds=.&br=1&pr1.x=54&pr1.y=7&c=512%2C946%2C914%2C137%2C612%2C546%2C614%2C962%2C311%2C674%2C213%2C676%2C911%2C548%2C193%2C556%2C122%2C678%2C912%2C181%2C313%2C867%2C419%2C682%2C513%2C684%2C316%2C273%2C913%2C868%2C124%2C921%2C339%2C948%2C638%2C943%2C514%2C686%2C218%2C688%2C963%2C518%2C616%2C728%2C223%2C836%2C516%2C558%2C918%2C138%2C748%2C196%2C618%2C278%2C624%2C692%2C522%2C694%2C622%2C142%2C156%2C449%2C626%2C564%2C628%2C565%2C228%2C283%2C924%2C853%2C233%2C288%2C632%2C293%2C636%2C566%2C634%2C964%2C238%2C182%2C662%2C359%2C960%2C453%2C423%2C968%2C935%2C922%2C128%2C714%2C611%2C862%2C321%2C135%2C243%2C716%2C248%2C456%2C469%2C722%2C253%2C942%2C642%2C718%2C643%2C724%2C939%2C576%2C644%2C936%2C819%2C961%2C172%2C813%2C132%2C726%2C646%2C199%2C648%2C733%2C915%2C184%2C134%2C524%2C652%2C361%2C174%2C362%2C328%2C364%2C258%2C732%2C656%2C366%2C654%2C734%2C336%2C144%2C263%2C146%2C268%2C463%2C532%2C528%2C944%2C923%2C176%2C738%2C534%2C578%2C536%2C537%2C429%2C742%2C433%2C866%2C178%2C369%2C436%2C744%2C136%2C186%2C343%2C925%2C158%2C869%2C439%2C746%2C916%2C926%2C664%2C466%2C826%2C112%2C542%2C111%2C967%2C298%2C443%2C927%2C917%2C846%2C544%2C299%2C941%2C582%2C446%2C474%2C666%2C754%2C668%2C698%2C672&s=NGDPD&grp=0&a=|title=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last=|first=|date=7 June 2018|website=|publisher=[[국제 통화 기금]]|access-date=}}</ref> 또한 유럽 연합 회원국 모두는 [[인간 개발 지수]]에서 높은 수치를 보유하고 있다. 2012년 유럽 연합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title=EU collects Nobel Peace Prize in Oslo |date=10 December 2012 |newspaper=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url=https://www.bbc.co.uk/news/world-europe-20664167 |accessdate=3 June 2013}}</ref> 공동 외교 및 보안 정책을 통해 유럽 연합은 외국과의 무역 및 영토 방어의 역할을 발전시켰다. 유럽 연합은 세계 곳곳에 정치 사절단을 파견했으며, [[유엔]], [[세계 무역 기구]], [[G7]], [[G20]] 등에 대표단을 보내기도 한다.<ref name="The European Superpower">{{서적 인용|author=John McCormick|title=The European Superpower|isbn=978-1-4039-9846-0|year=2006}}</ref> 이러한 유럽 연합의 글로벌한 영향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강력한 힘을 가진 공동체가 되었다.
== 명칭 ==
[[유럽 연합의 언어]]는 가입국 각각의 공용어로 정해져 있어서 [[2013년]] [[7월 1일]] 이후에는 총 공용어 수가 24개나 된다. 따라서 유럽 연합 이사회의 정식 명칭도 공용어와 같은 수만큼 있다.
* {{llang|el|Ευρωπαϊκή Ένωση|에브로파이키 에노시}}
* {{llang|nl|Europese Unie|외로페서 위니}}
* {{llang|da|Den Europæiske Union|덴 에우로페이스케 우니온}}
* {{llang|de|Europäische Union|오이로페이셰 우니온}}
* {{llang|lv|Eiropas Savienība|에이로파스 사비에니바}}
* {{llang|ro|Uniunea Europeană|우니우네아 에우로페아너}}
* {{llang|lt|Europos Sąjunga|에우로포스 사융가}}
* {{llang|mt|Unjoni Ewropea|우니오니 에우로페아}}
* {{llang|bg|Европейски съюз|에브로페이스키 서유스}}
* {{llang|sv|Europeiska unionen|에우로페이스카 우니오넨}}
* {{llang|es|Unión Europea|우니온 에우로페아}}
* {{llang|sk|Európska únia|에우롭스카 우니아}}
* {{llang|sl|Evropska unija|에브롭스카 우니야}}
* {{llang|ga|An tAontas Eorpach|안 틴타스 오르파흐}}
* {{llang|et|Euroopa Liit|에우로파 리트}}
* {{llang|en|European Union|유러피언 유니언}}
* {{llang|it|Unione europea|우니오네 에우로페아}}
* {{llang|cs|Evropská unie|에브롭스카 우니에}}
* {{llang|hr|Europska unija|에우롭스카 우니야}}
* {{llang|pt|União Europeia|우니앙 이우로페이아}}
* {{llang|pl|Unia Europejska|우니아 에우로페이스카}}
* {{llang|fr|Union européenne|위니옹 외로페엔}}
* {{llang|fi|Euroopan unioni|에우로판 우니오니}}
* {{llang|hu|Európai Unió|에우로퍼이 우니오}}
== 역사 ==
{{본문|유럽 연합의 역사}}
[[파일:EC-EU-enlargement animation.gif|섬네일|왼쪽|250px|시간 순서에 따라 바뀌는 EU의 범위
{{범례|#0169c9|[[유럽 경제 공동체]]}}
{{범례|#003399|유럽 연합}}]]
유럽 연합의 기원은 1946년 9월 19일 [[영국]] 수상 [[윈스턴 처칠]]이 [[스위스]]의 [[취리히]]에서 한 유명한 유럽에 관한 연설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연설에서 [[윈스턴 처칠]]은 유럽에 [[유엔]]과 유사한 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1950년 5월 9일 [[장 모네]]가 구상한 [[석탄]] 및 [[철광석]] 채굴을 위한 [[프랑스]]-[[서독]] 간의 공동 사무소 설치에 관한 계획을 당시 프랑스의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있던 [[로베르 쉬망]]이 [[쉬망 선언]](Déclaration Schuman)을 통해 공식적으로 건의함으로써 최초로 유럽 공동체에 대한 생각이 중앙 유럽 국가 간에 토론되기 시작하였다 (이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5월 9일은 [[유럽의 날]]로 지정되어 있다). 1951년 4월 18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6개국은 [[석탄]] 및 [[철광석]] 채굴에 관한 조약을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 체결함으로써 유럽 내의 시장권을 거의 장악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기존 회원국인 [[서유럽]] 국가들보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중앙유럽]] 국가들이 가입하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저렴한 [[중앙유럽]]의 노동력이 [[서유럽]]으로 몰려오면서 서유럽 국가들은 실업난을 겪고 있으며, 중앙유럽 국가들은 자국의 우수한 인재들이 서유럽으로 빠져나가 국가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럽 연합은 경제 통합을 넘어 정치적 통합을 이루는 과정으로서, 2009년 12월 1일 발효된 [[리스본 조약 (2007년)|리스본 조약]]에 의해, 순번의장 제도가 폐지되고 상임의장인 [[유럽 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자리가 신설되어, 2009년 11월 19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특별정상회의에서 27개국 정상이 만장일치로 [[헤르만 반 롬푀이]] 총리를 초대 상임의장에 선출되어, 2009년 12월 1일부터 [[헤르만 반 롬푀이]]가 의장을 맡고 있다.<ref>[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europe/388966.html 첫 ‘유럽 대통령’ 판롬파위 벨기에 총리 : 유럽 : 국제 : 뉴스 : 한겨레<!--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www.segye.com/Articles/NEWS/INTERNATIONAL/Article.asp?aid=20091120003440&subctg1=&subctg2= 초대 ‘EU 대통령’ 관리자형 택했다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일보<!--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12037471 <nowiki>[`EU 초대 대통령`에 롬푸이] 小國(소국) 우파 대통령·強國(강국) 좌파 외교장관…유럽다운 절묘한 타협<!-- 봇이 따온 제목 --></nowiki>]</ref> 2012년에 [[독일]]과 [[프랑스]] 등 EU의 주요국들이 유럽연방의 직전 단계에 해당되는 새로운 EU 통합안의 골격을 내놓았다. 하지만 권고안이 되었고 EU 통합에 부정적인 영국은 처음부터 논의에서 빠졌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2368583 ‘하나의 유럽’ 밑그림 나왔다]</ref>
== 언어 ==
{{본문|유럽 연합의 언어}}
유럽 연합(EU)은 유럽 연합 회원국 내에서 사용되는 많은 언어와 방언 중에서 24개의 언어를 공식 언어 및 실무 언어로 정하고 있다. 이에 해당하는 언어는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덴마크어]], [[독일어]], [[라트비아어]], [[루마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몰타어]], [[불가리아어]], [[스웨덴어]], [[스페인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아일랜드어]], [[에스토니아어]], [[영어]], [[이탈리아어]], [[체코어]], [[크로아티아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헝가리어]]이다.
[[유럽 의회]]는 문서와 본회의 관련 자료등을 모든 언어로 번역한다. 일부 기관 내부 실무 언어와 같은 경우 소수 언어([[갈리시아어]], [[게일어]], [[바스크어]], [[웨일스어]], [[카탈루냐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언어는 공식 언어가 아니다. 유럽 연합(EU)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국어 비율을 계산하면 [[영어]]가 인구의 38%로 가장 많고 [[독일어]]가 12% [[프랑스어]]가 11%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 종교 ==
{{bar box
|title=종교 구성(유럽 연합)
|titlebar=#ddd
|float=right
|bars=
{{백분율 막대|[[로마 가톨릭]] |Red|48}}
{{백분율 막대|[[불가지론]] |Orange|16}}
{{백분율 막대|[[개신교]] |Yellow|12}}
{{백분율 막대|[[동방 정교회]] |Green|8}}
{{백분율 막대|[[무신론]] |Blue|7}}
{{백분율 막대|[[기독교]] |Navy|4}}
{{백분율 막대|[[이슬람교]] |Violet|2}}
}}
[[:en:Eurobarometer|유로 바로미터]](Eurobarometer)에 의해 실시된 2012년 유럽 연합의 종교성에 대한 새로운 여론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는 유럽 연합 시민의 72%를 차지하는 유럽 연합에서 가장 큰 종교이다. [[개신교]]는 12%를 차지하는 반면 [[천주교]]는 48%의 EU 시민을 차지, 유럽 연합에서 가장 큰 기독교 교파였다. 그리고 동방 정교회는 8%를 구성하고, 다른 기독교인들은 유럽 연합 인구의 4%를 차지한다. 비 신자로는 [[불가지론]] 16%, [[무신론자]] 7%, [[이슬람교]] 2%이다.<ref>http://ec.europa.eu/public_opinion/archives/ebs/ebs_393_en.pdf</ref>
== 회원국 ==
{{본문|유럽 연합 회원국}}
[[파일:Further European Union Enlargement.svg|350px|섬네일|{{범례|#3f48cc|회원국}}{{범례|#FF1493|탈퇴국: [[영국]]}}{{범례|DarkOrange|[[솅겐 조약]] 가입국: [[노르웨이]], [[스위스]], [[아이슬란드]] (EU 미가입)}}{{범례|#00BFFF|후보국: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튀르키예]]}}{{범례|#86fdf1|신청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우크라이나]]}}{{범례|#48cc3f|EUAA(유럽 연합과의 협력 협정) 체결국: [[조지아]], [[몰도바]]}}{{범례|#fff200|신청 잠재 후보국: [[코소보]]}}{{범례|#cccccc|미가입국}}]]
1957년 창립 회원국은 [[네덜란드]], [[서독]](현재의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이탈리아]], [[프랑스]] 총 여섯 국가이다. 이후 1973년에는 [[그린란드]]<ref>그린란드는 1985년에 공동체를 떠났다.</ref>를 제외한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이, 1981년에는 [[그리스]]가, 1986년에는 [[스페인]], [[포르투갈]]이 가입했다.
1990년에는 [[독일의 재통일|동서독 통일]]로 인해 옛 [[동독]]이 서독에 합병되면서 유럽 연합의 회원국이 되었다. 1995년에는 [[스웨덴]], [[오스트리아]], [[핀란드]]가, 2004년 5월 1일에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체코]], [[키프로스]]<ref>유럽 연합은 [[북키프로스]]를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정부가 관할하는 지역은 유럽 연합의 영역에서 제외된다.</ref>, [[폴란드]], [[헝가리]]가 가입했으며, 2007년 1월 1일에는 [[루마니아]], [[불가리아]]가 가입했다. 2013년에는 [[크로아티아]]가 28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2016년 6월 23일 [[영국]]이 탈퇴를 신청하였고, 2020년 1월 31일 [[브렉시트|탈퇴]]하면서 유럽 연합 역사상 처음으로 탈퇴국이 되었다.
또한 유럽은 아니지만 몇몇 유럽 연합 회원국의 속령도 유럽 연합의 일부이다.
* [[스페인]]의 [[카나리아 제도]], [[세우타]]와 [[멜리야]]([[북아프리카]])
* [[포르투갈]]의 [[아조레스 제도]]와 [[마데이라 제도]]([[북아프리카]])
* [[프랑스]]의 [[과들루프]]([[서인도 제도]] - [[소앤틸리스 제도]]), [[레위니옹]]([[동아프리카]]), [[마요트]]([[남아프리카]]), [[마르티니크]]([[서인도 제도]] - [[소앤틸리스 제도]]), [[프랑스령 기아나|기아나]]([[남아메리카]])
== 기구 ==
{{본문|유럽 연합의 기구}}
=== 유럽 연합 정상회의 ===
{{본문|유럽 연합 정상회의}}
유럽 연합 정상회의(European Council) 또는 유럽 이사회는 유럽 연합 [[유럽 연합의 회원국|회원국]]의 [[국가 원수]] 또는 정부 장관(각료)과 유럽 연합 정상회의 [[유럽 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상임의장]],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위원장]]으로 구성되고 [[마스트리흐트 조약]](Maastricht Treaty)에 규정이 있는 기관이다. 이사회 회의에는 EU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도 참석하며, [[유럽 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상임의장]]이 의사 진행을 한다.
입법 권한은 주어지지 않지만 유럽 연합 정상회의는 중요한 문제를 다루는 기관이며, 또한 여기서 이루어진 결정은 EU의 일반적인 정치 지침을 정하는 기본이 된다. 이사회는 반년 동안 적어도 2회 정도 회의를 가지며, 주 회의 장소는 [[브뤼셀]]의 [[:en:Justus Lipsius building|유스투스 립시우스 빌딩]]이다.
=== [[유럽 연합 이사회]] ===
{{본문|유럽 연합 이사회}}
유럽 연합 이사회(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또는 EU 각료 회의는 유럽 연합의 [[입법]]·[[정책]] 결정 기관이다. 이사회 회원국들의 각료 1명씩으로 구성된 집단체로서, 회원 각국의 국익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대변하는 정부간 기구이다. 그 구성은 다루는 주제(외무, 농무, 재무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 사무 이사회와 외무 이사회의 경우에는 보통 각국의 외무 장관으로 구성되고, 전문적 사항을 다룰 때에는 소관업무의 담당 장관들로 구성된다.
유럽 연합의 본부는 [[벨기에]]의 [[브뤼셀]]에 있다. 하지만 4월, 6월 및 11월에 개최되는 각료급 회담은 [[룩셈부르크]]의 수도인 [[룩셈부르크 (도시)|룩셈부르크시]]에서 열린다.
=== [[유럽 의회]] ===
{{본문|유럽 의회}}
유럽 의회(European Parliament)는 유럽 연합의 입법 기관이다. 27개 유럽 연합 회원국의 시민들에 의해 5년에 한 번씩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본부는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있다. 주요한 입법기능은 [[유럽 각료 이사회|각료 이사회]]가 주로 행사하지만, [[마스트리흐트 조약]] 이후로는 입법기능과 정치적 영향력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유럽 의회는 주도적으로 입법을 할 수는 없지만 많은 정책 영역에서 수정 요구나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특정 정책에 대해서 조언만 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유럽 의회는 또한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를 감독하며 집행 위원 임명 동의를 하며 불신임 투표를 통해 해임할 수 있다. 또한 유럽 연합의 예산 감독권을 가진다.
이전의 [[OSCE]]나 [[유럽 평의회]], [[서유럽 연합]] 등도 의회를 가지고 있었지만 모두 회원국의 의회에 의해 임명되었다. 하지만 유럽 의회는 [[1979년]] 이래 유일하게 시민들에 의해 직접 선출되고 있다.
==== 국가별 연합 의회 의원 수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회원국
|2007년 ([[니스 조약]])
|2009년 ([[니스 조약]])
|2014년 ([[리스본 조약 (2007년)|리스본 조약]])
|2015년 ([[현재]])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독일}}
| style="background: #eeefff;"| 99
| style="background: #eeefff;"| 99
| style="background: #eeefff;"| 96
| style="background: #eeefff;"| 96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프랑스}}
| style="background: #eeefff;"| 78
| style="background: #eeefff;"| 72
| style="background: #eeefff;"| 74
| style="background: #eeefff;"| 74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이탈리아}}
| style="background: #eeefff;"| 78
| style="background: #eeefff;"| 72
| style="background: #eeefff;"| 73
| style="background: #eeefff;"| 73
|-
| style="background: #ffffcc;"| <del>{{국기나라|영국}}</del>
| style="background: #eeefff;"| 78
| style="background: #eeefff;"| 72
| style="background: #eeefff;"| 73
| style="background: #eeefff;"| 73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스페인}}
| style="background: #eeefff;"| 54
| style="background: #eeefff;"| 50
| style="background: #eeefff;"| 54
| style="background: #eeefff;"| 54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폴란드}}
| style="background: #eeefff;"| 54
| style="background: #eeefff;"| 50
| style="background: #eeefff;"| 51
| style="background: #eeefff;"| 5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루마니아}}
| style="background: #eeefff;"| 35
| style="background: #eeefff;"| 33
| style="background: #eeefff;"| 33
| style="background: #eeefff;"| 32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네덜란드}}
| style="background: #eeefff;"| 27
| style="background: #eeefff;"| 25
| style="background: #eeefff;"| 26
| style="background: #eeefff;"| 26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벨기에}}
| style="background: #eeefff;"| 24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그리스}}
| style="background: #eeefff;"| 24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포르투갈}}
| style="background: #eeefff;"| 24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체코}}
| style="background: #eeefff;"| 24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헝가리}}
| style="background: #eeefff;"| 24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2
| style="background: #eeefff;"| 2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스웨덴}}
| style="background: #eeefff;"| 19
| style="background: #eeefff;"| 18
| style="background: #eeefff;"| 20
| style="background: #eeefff;"| 20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오스트리아}}
| style="background: #eeefff;"| 18
| style="background: #eeefff;"| 17
| style="background: #eeefff;"| 19
| style="background: #eeefff;"| 18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불가리아}}
| style="background: #eeefff;"| 18
| style="background: #eeefff;"| 17
| style="background: #eeefff;"| 18
| style="background: #eeefff;"| 17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덴마크}}
| style="background: #eeefff;"| 14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3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핀란드}}
| style="background: #eeefff;"| 14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3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슬로바키아}}
| style="background: #eeefff;"| 14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3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아일랜드}}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2
| style="background: #eeefff;"| 12
| style="background: #eeefff;"| 1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리투아니아}}
| style="background: #eeefff;"| 13
| style="background: #eeefff;"| 12
| style="background: #eeefff;"| 12
| style="background: #eeefff;"| 1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크로아티아}}
| style="background: #eeefff;"| -
| style="background: #eeefff;"| -
| style="background: #eeefff;"| -
| style="background: #eeefff;"| 11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라트비아}}
| style="background: #eeefff;"| 9
| style="background: #eeefff;"| 8
| style="background: #eeefff;"| 9
| style="background: #eeefff;"| 8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슬로베니아}}
| style="background: #eeefff;"| 7
| style="background: #eeefff;"| 7
| style="background: #eeefff;"| 8
| style="background: #eeefff;"| 8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룩셈부르크}}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에스토니아}}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키프로스}}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 style="background: #ffffcc;"| {{국기나라|몰타}}
| style="background: #eeefff;"| 5
| style="background: #eeefff;"| 5
| style="background: #eeefff;"| 6
| style="background: #eeefff;"| 6
|-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ffff00;"| EU-28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ccccee;"| 785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ccccee;"| 736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ccccee;"| 751
| align="center" style="background: #ccccee;"| 751
|}
=== 이외 기구 ===
* [[유럽 사법재판소]](CJEU,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 [[유럽 중앙은행]](ECB)
== 같이 보기 ==
* [[로마 조약]](이탈리아)
* [[마스트리히트 조약]](네덜란드)
* [[니스 조약]](프랑스)
* [[리스본 조약 (2007년)|리스본 조약]](포르투갈)
* [[유럽 평의회]]
* [[유럽 헌법 조약]]
* [[유럽 통합]]
* [[유엔]]
* [[NATO]]
* [[브렉시트]]
* [[그렉시트]]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 |저자=존 핀더, 시몬 어셔우드 공저/도정윤 역|제목=EU 매뉴얼 : 유럽연합이란 무엇인가|날짜=2010-12-20|출판사=한겨레출판|출판위치=|ISBN=978-89-8431-437-5}}
* {{서적 인용 |저자=강원택, 조홍식 공저|제목=하나의 유럽 : 유럽연합의 역사와 정책|날짜=2009-05-28|출판사=푸른길|출판위치=|ISBN=978-89-6291-111-4}}
* {{서적 인용 |저자=이안 버지 등저/정흥모 역|제목=신유럽 정치입문|날짜=2006-09-25|출판사=성균관대학교출판부(SKKUP)|출판위치=|ISBN=978-89-7986-693-3}}
== 외부 링크 ==
{{위키공용|European Union}}
* [http://europa.eu 유럽 연합 웹사이트]
* [http://eeas.europa.eu/delegations/south_korea/index_en.htm 주한 유럽연합 대표부 사이트]
* [http://www.europarl.europa.eu 유럽 연합 의회 웹사이트]
* [https://overseas.mofa.go.kr/be-ko/index.do 주벨기에 유럽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북대서양조약기구 대한민국 대표부]
{{유럽 연합 주제}}
{{둘러보기 상자 묶음
| 제목 = 유럽 연합과 관련된 항목
| 제목모양 = background:#003399; color:#ffcc00;
| 내용1 =
{{유럽 연합 회원국}}
{{지역 기구}}
{{노벨 평화상 수상자}}
{{2012년 노벨상 수상자}}
{{둘러보기 상자 묶음
| 제목 = 유럽 연합이 회원으로 가입한 국제 기구
| 제목모양 = background:#003399; color:#ffcc00;
| 내용1 =
{{G8 국가}}
{{G20}}
{{태평양 제도 포럼}}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
}}
{{전거 통제}}
[[분류:유럽 연합| ]]
[[분류:1993년 설립된 단체]]
[[분류:국가 연합]]
[[분류:G20 회원국]]
[[분류:G8 회원국]]
[[분류:유엔 총회 옵서버]]
[[분류:유럽의 국제 기구]]
[[분류:유럽의 정치 단체]]
[[분류:국제 정치 기구]]
[[분류:무역 블록]]
[[분류:노벨 평화상 수상 단체]]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출처 필요|날짜=2013-07-30}}
{{다국어 표기
| 한글 = 메이지
| 한자 = 明治
| 한국 한자음 = 명치
| 로마자 = Meiji
| 중국어 = 明治
| 간체자 =
| 번체자 =
| 한어병음 = míngzhì (밍지)
| 일본어 = 明治
| 가나 = めいじ (메이지)
| 베트남어 = Minh Trị (민찌)
}}
{{일본의 역사}}
'''메이지 시대'''({{llang|ja|明治時代|めいじじだい}})는 [[메이지 유신]] 이후의 [[메이지 천황]]의 통치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에 의해 메이지 정부가 수립된 후 [[1912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이 서거할 때까지 44년간으로, [[쇼와]] 다음으로 긴 연호이다. (메이지 천황의 즉위는 메이지 유신 1년 전인 [[1867년]] 2월이다.)
[[일본 제국]]의 전반기에 해당되는 시기이며, [[메이지 유신]]부터 [[신해 혁명]] 종결까지의 시기하고 일치한다. 메이지(明治)는 《[[역경]]》(易經) (說卦傳 4장)의 성인남면이청천하, 향명이치(聖人南面而聽天下, 嚮'''明'''而'''治''', 성인은 남쪽을 향해 천하의 의견을 듣고, 밝은 것을 향하여 다스린다.)에서 따온 글자이다.
== 정치 ==
메이지 년간의 정치 체제는 크게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뉜다. 전반기는 '''[[메이지 정부]]'''의 시기 ([[1868년]] ~ [[1890년]]), 후반기는 [[일본제국 헌법]] 시행 이후 ([[1890년]] ~ [[1912년]])이다. 메이지 정부는 일본 제국의 초기 정부이다.
== 대외 관계 ==
메이지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특징적인 요소는 '''[[불평등 조약]]의 철폐'''에 집념을 불태우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제국주의]] 외교의 시작은 [[메이지 유신]]의 [[일본제국]]의 성립이다. [[1868년]]부터 [[1911년]]까지 (즉 메이지 시대)은 [[도쿠가와 막부]]가 체결한 불평등 조약을 상속했다. 또한 불평등 조약이 전폐되었다. 1911년 [[중국]]에서 [[신해 혁명]]이 발발한 해이기도했지만, [[쑨원]]과 [[장제스]] 등 대륙시기 [[중화민국]]의 지도자들은 메이지 년간의 일본제국에 유학 하고 있었다.
불평등 조약의 철폐를 지향하는 정부의 활동은 [[1880년대]] "[[녹명관 외교]](로쿠메이칸 외교)"가 상징적이다. 또, 메이지 정부는 국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외국인 초빙사]]"을 초청하였고, 그들은 [[서양 문명]]의 보급에 의한 일본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 일본의 산업 혁명 ==
일본의 [[산업 혁명]]이 메이지 시대에 일어났다. "[[외국인 초빙사]]"의 초빙을 비롯해 서양식 산업이 대량 신속하게 수입되어 일본화되어 갔다.
산업 혁명 시대의 일본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일본 최초의 [[철도]] 개업 ([[1872년]]), [[토미오카 제사장]], [[국내 권업 박람회]] ([[1877년]]), 일본에서 [[전화]] 개통 ([[1900년]]), [[야하타 제철소]] ([[1901년]] 개관) 등이 대표적이다.
== 이 시대의 주요 사건 ==
[[파일:MIKASAPAINTING.jpg|섬네일|[[러일전쟁]] (1905년)]]
* 1년 (1868년) - [[에도 막부]] 붕괴.
* 2년 (1869년) - [[보신 전쟁]] 종료. [[판적봉환]].
* 4년 (1871년) - [[폐번치현]], [[청일수호조약]], [[단발령]]으로 일본식 [[상투]]인 [[촘마게]]가 폐지됨.
* 5년 (1872년) - [[그레고리력]]을 도입.
* 6년 (1873년) - [[징병제]] 실시. [[메이지 6년 정변]]([[사이고 다카모리]], [[이타가키 다이스케]]등이 하야)
* 9년 (1876년) - [[강화도 조약]], [[폐도령]]으로 무사계급이 [[칼 (도구)|칼]]을 차고 다니지 않게 됨.
* 10년 (1877년) - [[세이난 전쟁]]. (~ 1878년)
* 12년 (1879년) - [[오키나와현]]을 설치 ([[류큐 처분]])
* 22년 (1889년) - [[일본제국 헌법]] 공포.
* 27년 (1894년) - [[청일전쟁]] 발발. ( ~1895년)
* 28년 (1895년) - [[시모노세키 조약]].
* 37년 (1904년) - [[러일전쟁]] 발발. ( ~1905년)
* 42년 (1909년) - [[안중근 의사|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함.
* 43년 (1910년) - [[한일 병합 조약]]으로 [[대한제국]]을 병합함.
* 45년 (1912년) - [[메이지 천황]]의 서거로 45년 만에 막을 내림([[쇼와]] 다음으로 긴 연호로 기록됨).
== 이 시대의 주요 인물 ==
* [[가쓰 가이슈]]
* [[구로다 기요타카]]
* [[고무라 주타로]]
* [[기도 다카요시]]
* [[나쓰메 소세키]]
* [[나카에 조민]]
* [[노기 마레스케]]
* [[다카스기 신사쿠]]
* [[도고 헤이하치로]]
* [[마사오카 시키]]
* [[메이지 천황]]
* [[사이고 다카모리]]
* [[시부사와 에이이치]]
* [[쓰다 우메코]]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에토 신페이]]
* [[오쿠마 시게노부]]
* [[오쿠보 도시미치]]
* [[요사노 아키코]]
* [[이노우에 가오루]]
* [[이와쿠라 도모미]]
* [[이타가키 다이스케]]
* [[이토 히로부미]]
* [[김옥균]]
* [[이완용]]
* [[후쿠자와 유키치]]
== [[그레고리력]] 개력 전후 연대표 ==
* 메이지 5년까지는 구력({{lang|ja|旧暦}})이자 [[태음태양력]]인 [[덴포력]]({{lang|ja|天保暦}})을 사용하였으며, 메이지 6년 이후로 신력({{lang|ja|新暦}})이자 [[태양력]]인 [[그레고리력]]으로 역법을 변경하였다. 그러므로 메이지 5년까지의 연도와 달력이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는다.
<div class="mw-collapsible" style="clear: both; border: 1px solid #999; margin: 0.5em auto;">
<div style="background-color: #CCCCFF; font-size: 100%; border-left: 3em soli; 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개력
</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padding: 1em 0 0 0; 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ffffff;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메이지
|[[간지]]<br>(干支)
|구력<br>([[덴포력]])
|신력<br>([[그레고리력]])
|-
!4년
|[[신미 (간지)|신미]]<br>(辛未)
|[[음력 1월 1일]] ~ [[음력 12월 30일]]
|[[1871년]] [[2월 19일]] ~ [[1872년]] [[2월 8일]]
|-
!5년
|[[임신 (간지)|임신]]<br>(壬申)
|[[음력 1월 1일]] ~ [[음력 12월 2일]]
|[[1872년]] [[2월 9일]] ~ [[1872년]] [[12월 31일]]
|-
!6년
|[[계유]]<br>(癸酉)
|(그레고리력으로 개력)
|[[1873년]] [[1월 1일]] ~ [[1873년]] [[12월 31일]]
|}
</div></div>
== 연대 대조표 ==
<div class="mw-collapsible" style="clear: both; border: 1px solid #999; margin: 0.5em auto;">
<div style="background-color: #CCCCFF; font-size: 100%; border-left: 3em soli; 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연대 대조표
</div>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padding: 1em 0 0 0; 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color:#ffffff;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메이지
|[[서력기원|서기]]<br>(西紀)
|[[간지]]<br>(干支)
|[[조선]] 연호
|[[청나라]] 연호
|[[베트남]]<br>[[응우옌 왕조]] 연호
|-
!원년
|[[1868년]]
|[[무진]]<br>(戊辰)
| …
|[[동치 (연호)|동치]](同治) 7년
|[[뜨득 (연호)|뜨득]](嗣德) 21년
|-
!2년
|[[1869년]]
|[[기사 (간지)|기사]]<br>(己巳)
| …
|동치 8년
|뜨득 22년
|-
!3년
|[[1870년]]
|[[경오]]<br>(庚午)
| …
|동치 9년
|뜨득 23년
|-
!4년
|[[1871년]]
|[[신미 (간지)|신미]]<br>(辛未)
| …
|동치 10년
|뜨득 24년
|-
!5년
|[[1872년]]
|[[임신 (간지)|임신]]<br>(壬申)
| …
|동치 11년
|뜨득 25년
|-
!6년
|[[1873년]]
|[[계유]]<br>(癸酉)
| …
|동치 12년
|뜨득 26년
|-
!7년
|[[1874년]]
|[[갑술]]<br>(甲戌)
| …
|동치 13년
|뜨득 27년
|-
!8년
|[[1875년]]
|[[을해]]<br>(乙亥)
| …
|[[광서 (연호)|광서]](光緖) 원년
|뜨득 28년
|-
!9년
|[[1876년]]
|[[병자]]<br>(丙子)
|''[[개국 (조선)|개국]](開國) 485년''
|광서 2년
|뜨득 29년
|-
!10년
|[[1877년]]
|[[정축]]<br>(丁丑)
|''개국 486년''
|광서 3년
|뜨득 30년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메이지
|[[서력기원|서기]]<br>(西紀)
|[[간지]]<br>(干支)
|[[조선]] 연호
|[[청나라]] 연호
|[[베트남]]<br>[[응우옌 왕조]] 연호
|-
!11년
|[[1878년]]
|[[무인 (간지)|무인]]<br>(戊寅)
|''[[개국 (조선)|개국]](開國) 487년''
|[[광서 (연호)|광서]](光緖) 4년
|[[뜨득 (연호)|뜨득]](嗣德) 31년
|-
!12년
|[[1879년]]
|[[기묘]]<br>(己卯)
|''개국 488년''
|광서 5년
|뜨득 32년
|-
!13년
|[[1880년]]
|[[경진]]<br>(庚辰)
|''개국 489년''
|광서 6년
|뜨득 33년
|-
!14년
|[[1881년]]
|[[신사 (간지)|신사]]<br>(辛巳)
|''개국 490년''
|광서 7년
|뜨득 34년
|-
!15년
|[[1882년]]
|[[임오]]<br>(壬午)
|''개국 491년''
|광서 8년
|뜨득 35년
|-
!16년
|[[1883년]]
|[[계미]]<br>(癸未)
|''개국 492년''
|광서 9년
|뜨득 36년
|-
!17년
|[[1884년]]
|[[갑신]]<br>(甲申)
|''개국 493년''
|광서 10년
|[[끼엔푹 (연호)|끼엔푹]](建福) 원년
|-
!18년
|[[1885년]]
|[[을유]]<br>(乙酉)
|''개국 494년''
|광서 11년
|[[함응이 (연호)|함응이]](咸宜) 원년<br>[[동카인 (연호)|동카인]](同慶) 을유년
|-
!19년
|[[1886년]]
|[[병술]]<br>(丙戌)
|''개국 495년''
|광서 12년
|동카인 원년
|-
!20년
|[[1887년]]
|[[정해]]<br>(丁亥)
|''개국 496년''
|광서 13년
|동카인 2년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메이지
|[[서력기원|서기]]<br>(西紀)
|[[간지]]<br>(干支)
|[[조선]] 연호<br>[[대한제국]] 연호
|[[청나라]] 연호
|[[베트남]]<br>[[응우옌 왕조]] 연호
|-
!21년
|[[1888년]]
|[[무자]]<br>(戊子)
|''[[개국 (조선)|개국]](開國) 497년''
|[[광서 (연호)|광서]](光緖) 14년
|[[동카인 (연호)|동카인]](同慶) 3년
|-
!22년
|[[1889년]]
|[[기축]]<br>(己丑)
|''개국(開國) 498년''
|광서 15년
|<small>''동카인 4년''</small><br>[[타인타이 (연호)|타인타이]](成泰) 원년
|-
!23년
|[[1890년]]
|[[경인]]<br>(庚寅)
|''개국(開國) 499년''
|광서 16년
|타인타이 2년
|-
!24년
|[[1891년]]
|[[신묘]]<br>(辛卯)
|''개국(開國) 500년''
|광서 17년
|타인타이 3년
|-
!25년
|[[1892년]]
|[[임진]]<br>(壬辰)
|''개국 501년''
|광서 18년
|타인타이 4년
|-
!26년
|[[1893년]]
|[[계사 (간지)|계사]]<br>(癸巳)
|''개국 502년''
|광서 19년
|타인타이 5년
|-
!27년
|[[1894년]]
|[[갑오]]<br>(甲午)
|[[개국 (조선)|개국]](開國) 503년
|광서 20년
|타인타이 6년
|-
!28년
|[[1895년]]
|[[을미]]<br>(乙未)
|개국 504년
|광서 21년
|타인타이 7년
|-
!29년
|[[1896년]]
|[[병신]]<br>(丙申)
|[[건양]](建陽) 원년
|광서 22년
|타인타이 8년
|-
!30년
|[[1897년]]
|[[정유 (간지)|정유]]<br>(丁酉)
|<small>''건양 2년''</small><br>[[광무 (연호)|광무]](光武) 원년
|광서 23년
|타인타이 9년
|- style="background-color:#cccccc;font-weight:bold"
|메이지
|[[서력기원|서기]]<br>(西紀)
|[[간지]]<br>(干支)
|[[대한제국]] 연호
|[[청나라]] 연호
|[[베트남]]<br>[[응우옌 왕조]] 연호
|-
!31년
|[[1898년]]
|[[무술 (간지)|무술]]<br>(戊戌)
|[[광무 (연호)|광무]](光武) 2년
|[[광서 (연호)|광서]](光緖) 24년
|[[타인타이 (연호)|타인타이]](成泰) 10년
|-
!32년
|[[1899년]]
|[[기해]]<br>(己亥)
|광무 3년
|광서 25년
|타인타이 11년
|-
!33년
|[[1900년]]
|[[경자]]<br>(庚子)
|광무 4년
|광서 26년
|타인타이 12년
|-
!34년
|[[1901년]]
|[[신축]]<br>(辛丑)
|광무 5년
|광서 27년
|타인타이 13년
|-
!35년
|[[1902년]]
|[[임인]]<br>(壬寅)
|광무 6년
|광서 28년
|타인타이 14년
|-
!36년
|[[1903년]]
|[[계묘]]<br>(癸卯)
|광무 7년
|광서 29년
|타인타이 15년
|-
!37년
|[[1904년]]
|[[갑진]]<br>(甲辰)
|광무 8년
|광서 30년
|타인타이 16년
|-
!38년
|[[1905년]]
|[[을사]]<br>(乙巳)
|광무 9년
|광서 31년
|타인타이 17년
|-
!39년
|[[1906년]]
|[[병오]]<br>(丙午)
|광무 10년
|광서 32년
|타인타이 18년
|-
!40년
|[[1907년]]
|[[정미]]<br>(丁未)
|<small>''광무 11년''</small><br>[[융희]](隆熙) 원년
|광서 33년
|<small>''타인타이 19년''</small><br>[[주이떤 (연호)|주이떤]](維新) 원년
|- style="font-weight:bold;background-color:#CCCCCC;color:#000000"
|메이지
|[[서력기원|서기]]<br>(西紀)
|[[간지]]<br>(干支)
|[[대한제국]] 연호
|[[청나라]] 연호<br>[[민국기원|중화민국기원]]
|[[베트남]]<br>[[응우옌 왕조]] 연호
|-
!41년
|[[1908년]]
|[[무신 (간지)|무신]]<br>(戊申)
|[[융희]](隆熙) 2년
|[[광서 (연호)|광서]](光緖) 34년
|[[주이떤 (연호)|주이떤]](維新) 2년
|-
!42년
|[[1909년]]
|[[기유]]<br>(己酉)
|융희 3년
|[[선통]](宣統) 원년
|주이떤 3년
|-
!43년
|[[1910년]]
|[[경술]]<br>(庚戌)
|융희 4년
|선통 2년
|주이떤 4년
|-
!44년
|[[1911년]]
|[[신해]]<br>(辛亥)
| …
|선통 3년
|주이떤 5년
|-
!45년
|[[1912년]]
|[[임자]]<br>(壬子)
| …
|[[민국기원|민국]](民國) 원년
|주이떤 6년
|}
</div></div>
== 같이 보기 ==
* [[부국강병]]
* [[식산흥업]]
* [[폐불훼석]]
* [[문명개화]]
* [[서양 문명]]
* [[갑오개혁]]
<table border = 1 style="margin: auto;">
<tr>
<td width = 33% align = center>
전임:<br />''-''
</td><td width = 34% align = center>
[[일본 제국]]<br />'''메이지 시대'''<br />1868년 ~ 1912년
</td><td width = 33% align = center>
후임:<br />''[[다이쇼 시대]]''<br />1912년 ~ 1926년
</td></tr>
</table>
{{이전다음
|이전 = [[게이오]]
|다음 = [[다이쇼 시대|다이쇼]]
|대수 =
|내용 = [[일본]]의 [[일본의 연호|연호]]
|기간 = [[1868년]] ~ [[1912년]]
}}
{{일본의 연호}}
{{일본제국}}
{{타이완의 연호}}
{{일본의 문화시대사}}
{{전거 통제}}
[[분류:메이지 시대| ]]
[[분류:일본의 연호]]
[[분류:메이지 천황]]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넘어옴|야상곡}}
{{다른 뜻}}
[[파일:쇼팽 야상곡 Op.9 no.2 내림마장조.png|섬네일|쇼팽의 야상곡중 대표작인 [[녹턴, Op. 9 (쇼팽)|Op.9 no.2]]]]
'''녹턴'''({{llang|fr|Nocturne}},{{llang|la|Nocturnus}})<ref>{{웹 인용|url=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nocturne|title=Nocturne Definition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work=[[Merriam-Webster|Merriam-webster.com]]|확인날짜=2014-05-14|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824175257/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nocturne|보존날짜=2014-08-24|url-status=dead}}</ref> 또는 '''야상곡'''(夜想曲)은 하루 중 '[[밤 (시간)|밤]]'의 속성에 영감을 받아 작곡된 음악 장르를 가리킨다. 주로 피아노용이나, 가끔은 관현악용(멘델스존), 실내악용(보로딘), 가곡용(새뮤얼 바버, 본윌리엄스), 합창용(에드가르 바레즈) 등도 존재한다.
== 역사 ==
녹턴이라는 명칭은 18세기 때 저녁파티에 주로 연주한던 곡을 일컫는다. 가끔 [[모차르트]]의 quadraphonic Notturno in D, K.286에서 보듯이 이태리어 Notturno를 일컫기도 했다.
녹턴이 독자적인 음악장르로 활발히 작곡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이다. 이 시기에 여러 작곡가들이 주로 피아노 독주곡으로 녹턴을 작곡하였다. 특히 [[아일랜드]] 출신 작곡가인 [[존 필드 (작곡가)|존 필드]]가 최초로 녹턴집을 작곡하여 출판하였다. 존 필드는 주로 [[아르페지오]]와 [[칸타빌레]]식 멜로디, 그리고 기타와 유사한 스타일의 반주가 들어있는 곡들로 녹턴집을 구성하였다. 최초 야상곡 작곡가이기 때문에 '녹턴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다.<ref name=GroveOnline>{{GroveOnline|Nocturne (i)| Brown, Maurice J.E. and Hamilton, Kenneth L. |1 September|2012}}</ref>
녹턴의 선구자는 존 필드이지만, 가장 유명하고 널리 알려진 녹턴 작곡가는 《[[녹턴 (쇼팽)|21개의 녹턴]]》을 작성한 [[프레데리크 쇼팽]]이다. 이그나 레이바흐는 '다섯 번째 녹턴'이라는 19세기 때 제일 유명했던 야상곡을 작곡했지만, 지금은 거의 잊힌 작곡가다. 훗날 녹턴 작곡가 가운데 이름 알려진 작곡가들은 [[가브리엘 포레]],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에릭 사티]], [[프랑시스 풀랑크]], 피터 스쿨트롭 등이다. [[벨라 바르토크]]는 '밤의 악장'<ref>Maurice J. E. Brown,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 Sadie), London, MacMillan, 1980 (1995), Vol. 13, {{ISBN|0-333-23111-2}}
{{ISBN|978-0-333-23111-1}}pp. 258-59.</ref>이라는 피아노 야상곡에서 자연의 소리를 흉내 냈다. 예를 들자면, 새의 지저귀는 소리나 다른 숲 곤충 소리 외에도, 전체적으로 조용하고 고독한 느낌까지 드는 멜로디로 곡을 형성하였다. 미국 작곡가인 로웰 리버만은 11개 야상곡을 작곡하였다. 20세기 대표적인 야상곡을 더 꼽자면 마이클 글렌 윌리엄스, [[새뮤얼 바버]], 로버트 헬프스가 작곡한 녹턴이 있다. 그 외에도 [[펠릭스 멘델스존]]이 작곡한 관현악곡 《한여름 밤의 꿈》(1848), [[클로드 드뷔시]]의 관현악과 합창을 위한 녹턴과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가 작곡한 바이올린용 녹턴(Violin Concerto No.1, 1948)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녹턴은 피아노 독주용 외에도 다양하게 작곡되었다.
야상곡은 종종 평온하고, 표현력이 풍부하고 서정적이고, 간혹 우울하거나 음침한 느낌을 주로 주지만, 많은 야상곡을 보면 이 외에도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드뷔시의 두번째 관현악 야상곡과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Nocturne and Tarantella" (1915), 그리고 [[카이코스루 샤푸르지 소랍지]]의 "Symphonic Nocturne for Piano Alone" (1977-78)같은 예는 매우 활기차고 흥이 돋는 느낌을 준다.
녹턴이라는 단어는 후에 미술분야에서도 쓰였다. 제임스 아봇 맥닐 휘슬러는 자신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스타일의 그림을 "녹턴 페인팅 painting" 이라고 불렀다. 실제로 드뷔시 야상곡들은 휘슬러 그림에 영감을 받았다.<ref>"Nocturnes", in ''[http://www.oxfordmusiconline.com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ref>
== 대표적인 야상곡 작곡가들 ==
* [[샤를 발랑탱 알캉]]: 5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 [[조르주 비제]]: ''프리미엄 바장조 녹턴' Op. 2 와 라장조 야상곡
* [[프레데리크 쇼팽]]: 21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 [[칼 체르니]]: 17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 [[클로드 드뷔시]]: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용 야상곡 3개, 그리고 피아노용 야상곡 1개를 작곡함
* [[가브리엘 포레]]: 13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 [[:en: John Field| 존 필드]]: 야상곡의 ''선구자''
* [[미하일 글린카]]: 총 3곡의 야상곡: 내림마장조, 바장조, "후회"
* [[:en: Kevin Keller| 케빈 켈러]]: 총 10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 [[:en: Ignace Leybach| 이그나 레이바흐]]: 그의 다섯번째 야상곡 (나머지 야상곡들은 다 잘 알려지지 않음)
* [[:en: Lowell Liebermann| 로웰 리버만]]: 11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 [[프란츠 리스트]]: "En Reve",사랑의 꿈, 세 종류의 노투르노가 있다.
* [[펠릭스 멘델스존]]: [[한여름 밤의 꿈 (악곡)|한여름 밤의 꿈]] 음악
* [[프랑시스 풀랑크]]:8개의 피아노용 독주곡 (1929)
* [[에릭 사티]]: 5개의 피아노용 야상곡 (1919)
* [[클라라 슈만]] (클라라 비크): 바장조 야상곡 Op.6 No.2 (1819-1896)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총 4개의 야상곡을 작곡함. 그 중 한곡은 왼손용 야상곡.
* [[:en: Kaikhosru Shapurji Sorabji| 카이코스루 샤푸르지 소랍지]]: 30개가 넘는 피아노용 야상곡<ref>{{웹 인용 |author=Marc-André Roberge |url=http://www.mus.ulaval.ca/roberge/srs/04-categ.htm#nocturnes |title=Sorabji Resource Site: Titles of Works Grouped by Categories |publisher=Mus.ulaval.ca |date=2013-05-30 |accessdate=2013-06-3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022013828/http://www.mus.ulaval.ca/roberge/srs/04-categ.htm#nocturnes |보존날짜=2013-10-22 |url-status=dead }}</ref>
== 각주 ==
{{각주}}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arrison Slater|Wignall, Harrison James, "Mozart and the 'Duetto Notturno' Tradition", ''Mozart-Jahrbuch'', 1993.
* Harrison Slater|Wignall, Harrison James, "Duetto notturno",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ed. Sadie), London, MacMillan, 2000.
* [https://web.archive.org/web/20160313095728/http://cso.org/main.taf?p=5,5,4,30 Mozart's Notturno in D, K.286: Chicago Symphony Orchestra program notes]
* "Nocturne (music)." Encyclopedia Britannica. Encyclopedia Britannica, n.d. Web. 10 Apr. 2014. (이 글의 원본)
{{악곡의 형식}}
{{전거 통제}}
{{토막글|음악}}
[[분류:녹턴| ]]
[[분류:악곡의 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