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classes
501 values
description
stringclasses
28 values
license
dict
text
stringlengths
60
188k
meta
dict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ᄒᆞ야키쉬며키歇허ᇙ홀ᄯᅡ해니를리오니르샨믄득아로미비록부텨와ᄒᆞᆫ가지나多당 生ᄉᆡᆼ앳習씹氣킝ᅵ기프니ᄇᆞᄅᆞ미그처도믓겨리오히려ᄂᆞ솟고理링나타도念념이 ᄉᆞᆫᄌᆡ侵침勞로ᇢᄒᆞᄂᆞ다ᄒᆞ샴ᄀᆞᄐᆞ니라ᄯᅩ杲고ᇢ禪쎤師ᄉᆞᆼᅵ니ᄅᆞ샤ᄃᆡ往ᅌᅪᆼ往ᅌᅪᆼ애根ᄀᆞᆫ 機긩ᄂᆞᆯ난사ᄅᆞ미한히믈虛헝費핑아니ᄒᆞ야이이ᄅᆞᆯ알오곧쉬운ᄆᆞᅀᆞᄆᆞᆯ내야다시닷 디아니ᄒᆞ야나리오라며ᄃᆞ리기퍼아ᄅᆡᄀᆞ티ᄃᆞᆫ녀輪륜廻ᅘᅬᆼᄅᆞᆯ免면티몯ᄒᆞᄂᆞ니라ᄒᆞ 시니그러면엇뎨ᄒᆞᆫ번아로ᄆᆞ로곧後ᅘᅮᇢ에닷고ᄆᆞᆯᄡᅳ러ᄇᆞ리리오그럴ᄉᆡ안後ᅘᅮᇢ에長 땨ᇰ常쌰ᇰ모ᄃᆡᄉᆞᆯ펴妄마ᇰ念념이믄득니로매다좃디아니ᄒᆞ야덜오ᄯᅩ더라ᄒᆞ욤업수매 니르러ᅀᅡ비르서究구ᇢ竟겨ᇰᄒᆞ리니天텬下ᅘᅡᆼ善쎤知딩識식의안後ᅘᅮᇢ에쇼치논行ᅘᆡᇰ 이이라비록後ᅘᅮᇢᄉ修슈ᇢ行ᅘᆡᇰ이이시나ᄒᆞ마몬져妄마ᇰ念념이本본來ᄅᆡᆼ空코ᇰᄒᆞ며心
{ "page": 68,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심性셔ᇰ이本본來ᄅᆡᆼ조ᄒᆞᆫᄃᆞᆯ다아라惡ᅙᅡᆨ애그츠며그초ᄃᆡ그추미업고善쎤에닷ᄀᆞ며 닷고ᄃᆡ닷곰업스니이眞진實씨ᇙᄉ닷고미며眞진實씨ᇙᄉ그추미니그럴ᄉᆡ니ᄅᆞ샤ᄃᆡ 비록萬먼行ᅘᆡᇰᄋᆞᆯᄀᆞ초닷ᄀᆞ나오직念념업소므로宗조ᇰᄋᆞᆯ사ᄆᆞ라ᄒᆞ사니圭ᄀᆒᆼ峯포ᇰ이 몬저알오後ᅘᅮᇢ에닷논ᄠᅳ들뫼화ᄀᆞᆯᄒᆡ야니ᄅᆞ샤ᄃᆡ이性셔ᇰ이本본來ᄅᆡᆼ煩뻔惱노ᇢ업서 漏루ᇢ업슨智딩慧ᅘᆒᆼ性셔ᇰ이本본來ᄅᆡᆼ제ᄀᆞ자부텨와다ᄅᆞ디아니ᄒᆞᆫᄃᆞᆯ믄득아라이를 브터닷ᄂᆞ닌이일후미最죙上쌰ᇰ勝시ᇰ禪쎤이며ᄯᅩ일후미如ᅀᅧᆼ來ᄅᆡᆼ淸쳐ᇰ淨쪄ᇰ禪쎤이 니ᄒᆞ다가能느ᇰ히念념念념에닷가니기면自ᄍᆞᆼ然ᅀᅧᆫ漸쪔漸쪔百ᄇᆡᆨ千쳔三삼昧ᄆᆡᆼᄅᆞᆯ 어드리니達따ᇙ磨망門몬下ᅘᅡᆼ애올마서르傳ᄄᆑᆫᄒᆞᄂᆞᆫ거시이어禪쎤이니그러면믄득 알며漸쪔漸쪔닷논ᄠᅳ디술윗두ᄧᅡᆨᄀᆞᆮᄒᆞ야ᄒᆞ나히闕쿼ᇙᄒᆞ면몯ᄒᆞ리라或ᅘᅪᆨ者쟝ᅵ善
{ "page": 69,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쎤과惡ᅙᅡᆨ괏性셔ᇰ이空코ᇰᄒᆞᆫᄃᆞᆯ아디몯ᄒᆞ야구디안자動또ᇰ티아니ᄒᆞ야몸과ᄆᆞᅀᆞᆷ과ᄅᆞᆯ 긋눌러돌히플지즈룸ᄀᆞ티ᄒᆞ야ᄆᆞᅀᆞᆷ닷고ᄆᆞᆯ삼ᄂᆞ니이큰迷몡惑ᅘᅬᆨ이니그럴ᄉᆡ니ᄅᆞ 샤ᄃᆡ聲셔ᇰ聞문은心심心심에惑ᅘᅬᆨᄋᆞᆯ斷돤ᄒᆞᄂᆞ니能느ᇰ히斷돤ᄒᆞᄂᆞᆫᄆᆞᅀᆞ미이도ᄌᆞ기 라ᄒᆞ시니오직殺사ᇙ와盜또ᇢ와淫음과妄마ᇰ괘性셔ᇰ을조차닌ᄃᆞᆯ仔ᄌᆞᆼ細솅히보아니로 매곧니로미업스면當다ᇰᄒᆞᆫ고대곧괴외ᄒᆞ리니엇뎨구틔여다시그츠리오그럴ᄉᆡ니 ᄅᆞ샤ᄃᆡ念념이起킝호ᄆᆞᆯ저티아니코오직아로미더듸요ᄆᆞᆯ저ᄒᆞ라ᄒᆞ시며ᄯᅩ니ᄅᆞ샤 ᄃᆡ념이닐어든곧아로리니알면곧업스리라ᄒᆞ시니그럴ᄉᆡ안사ᄅᆞᄆᆡ分뿐上쌰ᇰ앤 비록客ᄏᆡᆨ塵띤煩뻔惱노ᇢᅵ이셔도다醍톙醐ᅘᅩᆼᅵᄃᆞ외ᄂᆞ니오직惑ᅘᅬᆨ이本본이업슨 ᄃᆞᆯᄉᆞᆯ피면虛헝空코ᇰ앳곳ᄀᆞᆮᄒᆞᆫ三삼界갱ᅵᄇᆞᄅᆞ매ᄂᆡ거돔ᄀᆞᆮᄒᆞ며幻ᅘᅪᆫ化황ᄀᆞᆮᄒᆞᆫ六륙
{ "page": 70,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塵띤이더운므레어름노곰ᄀᆞᆮᄒᆞ리니ᄒᆞ다가能느ᇰ히이ᄀᆞ티念념念념에닷가니겨ᄉᆞᆯ 표ᄆᆞᆯ닛디아니ᄒᆞ야定뗘ᇰ과慧ᅘᆒᆼ와ᄅᆞᆯ平뼈ᇰ等드ᇰ히디니면ᄃᆞᅀᆞ며믜우미自ᄍᆞᆼ然ᅀᅧᆫ히 열우며悲빙와智딩왜自ᄍᆞᆼ然ᅀᅧᆫ히더ᄇᆞᆯᄀᆞ며罪쬥業ᅌᅥᆸ이自ᄍᆞᆼ然ᅀᅧᆫ히그처덜며功고ᇰ 行ᅘᆡᇰ이自ᄍᆞᆼ然ᅀᅧᆫ히더나ᅀᅡ가煩뻔惱노ᇢ디ᄋᆞᆫᄢᅴ生ᄉᆡᇰ死ᄉᆞᆼᅵ곧그츠리니ᄒᆞ다가微밍 細솅ᄒᆞᆫ흘루미永ᅌᆑᇰ히긋고圓ᅌᅯᆫ覺각큰智딩ᅵᄆᆞᆯ가ᄒᆞ오ᅀᅡ이시면곧千쳔百ᄇᆡᆨ億ᅙᅳᆨ 化황身신ᄋᆞᆯ나토아十씹方바ᇰ國귁中듕에感감애가機긩ᄅᆞᆯ應ᅙᅳᇰᄒᆞ야ᄃᆞ리하ᄂᆞᆯ해나 타그리메萬먼水ᄉᆔᆼ에ᄂᆞᆫ홈ᄀᆞᆮᄒᆞ야應ᅙᅳᇰ用용이다옴업서有ᅌᅮᇢ緣ᄋᆑᆫᄒᆞᆫ衆쥬ᇰ生ᄉᆡᇰᄋᆞᆯ濟 졩度똥ᄒᆞ야快쾡樂락ᄒᆞ야시르미업스리니일후미大땡覺각世솅尊존이라 問後修門中엣定慧等持之義ᄅᆞᆯ實未明了
{ "page": 71,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드리라對됭答답호ᄃᆡᄒᆞ다가法번義ᅌᅴᆼᄅᆞᆯ펼딘댄理링예드롤千쳔門몬이定펴ᇰ慧ᅘᆒᆼ 아니니업고조ᅀᆞᄅᆞ왼고ᄃᆞᆯ取츙홀뎬오직自ᄍᆞᆼ性셔ᇰ上쌰ᇰ앳體톙와用요ᇰ괏두ᄠᅳ디니 알ᄑᆡ닐온空코ᇰ寂쪅과靈려ᇰ知딩왜이라定펴ᇰᄋᆞᆫ이體톙오慧ᅘᆒᆫᄂᆞᆫ이用요ᇰ이니體톙예 브든用요ᇰ일ᄉᆡ慧ᅘᆒᆼᅵ定뗘ᇰ에여희디아니ᄒᆞ고用요ᇰ애브튼體톙ᄅᄊᆡ定뗘ᇰ이慧ᅘᆒᆼ예 여희디아니ᄒᆞ니定뗘ᇰ이면慧ᅘᆒᆼᄅᄊᆡ寂쪅호ᄃᆡ샤ᇰ녜알오慧ᅘᆒᆼ면定뗘ᇰ일ᄊᆡ아로ᄃᆡ샤ᇰ 녜괴외ᄒᆞ니曺쪼ᇢ溪콍ᅵ니ᄅᆞ샤ᄃᆡ心심地띵어즈러움업수미自ᄍᆞᆼ性셔ᇰ定뗘ᇰ이오心 심地띵어륨업수미自ᄍᆞᆼ性셔ᇰ慧ᅘᆒᆼ라ᄒᆞ샴ᄀᆞᆮᄒᆞ니ᄒᆞ다가이ᄀᆞ토ᄆᆞᆯ이라寂쪅과知딩 와ᄅᆞᆯ運ᅌᅮᆫ을맛뎌遮쟝와照죠ᇢ왜둘업스면이頓돈門몬엣사ᄅᆞᄆᆡ定뗘ᇰ과慧ᄒᆒᆼ왈ᄒᆞᆫᄢᅴ 닷고미라ᄒᆞ다가닐오ᄃᆡ몬져寂쪅寂쪅ᄋᆞ로緣ᄋᆑᆫᄒᆞᄂᆞᆫ念념을다ᄉᆞ리고後ᅘᅮᇢ에惺셔ᇰ
{ "page": 77,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惺셔ᇰᄋᆞ로昏혼沈띰ᄋᆞᆯ다ᄉᆞ려先션後ᅘᅮᇢ로對됭ᄒᆞ야다ᄉᆞ려昏혼沈띰과散산亂롼괄 골오다ᄉᆞ려괴외호매드니ᄂᆞᆫ이漸쪔門몬사오나온根ᄀᆞᆫ機긩의行ᅘᆡᆼ호미라비록惺 셔ᇰ과寂쪅과ᄅᆞᆯ平뼈ᇰ等드ᇰ히디뇨ᄆᆞᆯ니ᄅᆞ나寂쪅靜쪄ᇰᄋᆞᆯ取츙ᄒᆞ야行ᅘᆡᇰ사모ᄆᆞᆯ免면티 몯ᄒᆞ면엇뎨일ᄆᆞᄎᆞᆫ사ᄅᆞᄆᆡ本본寂쪅本본知딩ᄅᆞᆯ여희디아니ᄒᆞ야運ᅌᅮᆫ을맛뎌ᄒᆞᆫᄢᅴ 닷ᄀᆞᆯ사ᄅᆞ미리오그럴ᄉᆡ曺쪼ᇢ溪콍ᅵ니ᄅᆞ샤ᄃᆡ제아라修슈ᇢ行ᅘᆡᇰ호ᄆᆞᆫ寂쪅靜쪄ᇰ에잇 디아니ᄒᆞ니ᄒᆞ다가靜쪄ᇰ이先션커나後ᅘᅮᇢ커나ᄒᆞ닌곧이迷몡ᄒᆞᆫ사ᄅᆞ미라ᄒᆞ시니그 러면通토ᇰ達따ᇙᄒᆞᆫ사ᄅᆞᄆᆡ分뿐上쌰ᇰ애定뗘ᇰ과慧ᅘᆒᆼ와平뼈ᇰ等드ᇰ히디니논ᄠᅳ든功고ᇰ用 요ᇰ애디디아니ᄒᆞ야本본來ᄅᆡᆼᄒᆞ욤업서다시奇끵特뜩ᄒᆞᆫ時씽節져ᇙ이업서비ᄎᆞᆯ보며 소릴드를ᄢᅴ오직이리코옷니브며밥머글ᄢᅴ오직이리코ᄆᆞᆯ보며오좀눌ᄢᅴ오직이리
{ "page": 78,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코사ᄅᆞᆷ對됭ᄒᆞ야말ᄒᆞᆯᄢᅴ오직이리코行ᅘᆡᇰ커나住듕커나坐쫭커나臥ᅌᅪᆼ커나말ᄉᆞᆷ커 나괴외커나깃브거나怒농커나一ᅙᅵᇙ切촁時씽中듕에一ᅙᅵᇙ一ᅙᅵᇙ히이ᄀᆞ티ᄒᆞ야뷘ᄇᆡ 믌결메여노ᄑᆞᆫᄃᆡᆯ조ᄎᆞ며ᄂᆞᆺ가온ᄃᆡᆯ조촘ᄀᆞᆮᄒᆞ며흐르ᄂᆞᆫ므리뫼ᄋᆞᆯ올마구븐ᄃᆡᆯ맛나며 고ᄃᆞᆫᄃᆡᆯ맛나매心심心심이아로미업서今금日ᅀᅵᇙ에騰뜨ᇰ騰뜨ᇰ히運ᅌᅮᆫ을맛디고明며ᇰ 日ᅀᅵᇙ에運ᅌᅮᆫ을맛뎌騰뜨ᇰ騰뜨ᇰ히ᄒᆞ야모ᄃᆞᆫ緣ᄋᆑᆫᄋᆞᆯ조차順쓘호ᄃᆡᄀᆞ룜업스며ᄀᆞ룜업 서善쎤과惡ᅙᅡᆨ과애斷돤티아니ᄒᆞ며닷디아니ᄒᆞ야고다거즛일업서보며드로미샤ᇰ 녜ᄅᆞ외면ᄒᆞᆫ塵띤도對됭ᄃᆞ외요미긋거니엇뎨ᄇᆞ룔功고ᇰ夫붕ᄅᆞᆯ잇비ᄒᆞ며ᄒᆞᆫ念념도 情쪄ᇰ이남업순디라緣ᄋᆑᆫ니졸히믈븓디아니커니와그러나障쟈ᇰ이둗거우며習씹氣 킝므거워觀관이바ᄃᆞ랍고ᄆᆞᅀᆞ미데ᄠᅥ無뭉明며ᇰ히믄크고般바ᇙ若ᅀᅣᆼᄉ히믄져글ᄉᆡ
{ "page": 79,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善쎤과惡ᅙᅡᆨ괏境겨ᇰ界갱예動또ᇰ과靜쪄ᇰ과ᄋᆡ서르밧곰니보ᄆᆞᆯ免면티몯ᄒᆞ야ᄆᆞᅀᆞᆷᄆᆞᆰ 디몯ᄒᆞ니緣ᄋᆑᆫ을니즈며ᄇᆞ룔功고ᇰ夫붕ᅵ업디아니ᄒᆞ리니닐온六륙根ᄀᆞᆫ이境겨ᇰ을 자바ᄆᆞᅀᆞ미緣ᄋᆑᆫ을좃디아니호ᄆᆞᆯ닐오ᄃᆡ定뗘ᇰ이오ᄆᆞᅀᆞᆷ과境겨ᇰ괘다空코ᇰᄒᆞ야비취 유미어륨업수믈닐오ᄃᆡ慧ᅘᆒᆼ라홈ᄀᆞᆮᄒᆞ니이비록隨ᄊᆔᆼ相샤ᇰ門몬定뗘ᇰ慧ᄒᆒᆼᅵ漸쪔門 몬엣사오나온根ᄀᆞᆫ機긩의行ᅘᆡᇰ호미나對됭治띵門몬中듀ᇰ엔업수미몯ᄒᆞ리니ᄒᆞ다 가妄마ᇰ念념이ᄀᆞ재盛쎠ᇰ커든몬저定뗘ᇰ門몬으로理링예마초흐로ᄆᆞᆯ자바ᄆᆞᅀᆞ미緣 ᄋᆑᆫ을좃디아니ᄒᆞ야本본來ᄅᆡᆼ괴외호미맛고ᄒᆞ다가昏혼沈띰이더욱하거든버거慧 ᅘᆒᆼ門몬으로法법ᄋᆞᆯᄀᆞᆯᄒᆡ야空코ᇰᄋᆞᆯ보아비취유미어림업서本본來ᄅᆡᆼᄉ아로매마자 定뗘ᇰ으로亂롼想샤ᇰ다ᄉᆞ리고慧ᅘᆒᆼ로無뭉記긩다ᄉᆞ려動또ᇰ과靜쪄ᇰ괘서르업서對됭
{ "page": 80,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아니ᄒᆞᄂᆞ니라ᄒᆞ고ᄀᆞᆯᄒᆡ야닐오ᄃᆡ이頓돈門몬엣사ᄅᆞᄆᆡ自ᄍᆞᆼ性셔ᇰᄋᆞᆯ여희디아니ᄒᆞᆫ 定뗘ᇰ慧ᄒᆒᆼ平뼈ᇰ等드ᇰ히디뇨미라ᄒᆞ고隨ᄊᆔᆼ相샤ᇰ門몬은닐오ᄃᆡ理링예마초흐로ᄆᆞᆯ자 바法법을ᄀᆞᆯᄒᆡ야空코ᇰᄋᆞᆯ보아昏혼沈띰과散산亂롼괄골오다ᄉᆞ려ᄒᆞ욤업소매드ᄂᆞ 니라ᄒᆞ고ᄀᆞᆯᄒᆡ야닐오ᄃᆡ이ᄂᆞᆫ이漸쪔門몬엣사오나온根ᄀᆞᆫ機긩의行ᅘᆡᇰ호미라ᄒᆞ니 이두門몬定뗘ᇰ慧ᅘᆒᆼ예나ᅀᅡ가疑ᅌᅴᆼ心심업디아니ᄒᆞ니ᄒᆞ다가ᄒᆞᆫ사ᄅᆞᄆᆡ行ᅘᆡᇰ이라닐 올딘댄ᄯᅩ몬저自ᄍᆞᆼ性셔ᇰ門몬ᄋᆞᆯ브터定뗘ᇰ과慧ᅘᆒᆼ와ᄅᆞᆯᄒᆞᆫᄢᅴ닷ᄀᆞᆫ後ᅘᅮᇢ에ᅀᅡ다시隨ᄊᆔᆼ 相샤ᇰ門몬엣對됭治띵功고ᇰᄋᆞᆯᄡᅳ리여ᄯᅩ몬저隨ᄊᆔᆼ相샤ᇰ門몬ᄋᆞᆯ브터昏혼沈띰과散산 亂롼과ᄅᆞᆯ골오다ᄉᆞ린後ᅘᅮᇢ에ᅀᅡ自ᄍᆞᆼ性셔ᇰ門몬에들리여ᄒᆞ다가몬저自ᄍᆞᆼ性셔ᇰ定뗘ᇰ 慧ᅘᆒᆼᄅᆞᆯ브툴딘댄寂쪅知딩ᄅᆞᆯ運ᅌᅮᆫ을맛뎌다시對됭治띵홀功고ᇰ이업거니엇뎨다시
{ "page": 89,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隨ᄊᆔᆼ相샤ᇰ門몬定뗘ᇰ慧ᅘᆒᆼᄅᆞᆯ取츙ᄒᆞ리오ᄆᆞᆯᄀᆞᆫ玉ᅌᅩᆨᄋᆞᆯᄀᆞ져셔文문彩ᄎᆡᆼᄅᆞᆯ사겨德득ᄋᆞᆯ ᄒᆞ야ᄇᆞ룜ᄀᆞᆮ도다ᄒᆞ다가몬저隨ᄊᆔᆼ相샤ᇰ門몬定뗘ᇰ慧ᅘᆒᆼ로對됭治띵ᄒᆞᆫ功고ᇰ이인後ᅘᅮᇢ 에ᅀᅡ自ᄍᆞᆼ性셔ᇰ門몬에나ᅀᅡ갈딘댄번드시漸쪔門몬中듀ᇰ엣사오나온機긩의안前쩐 엣漸쪔漸쪔닷고미니엇뎨닐오ᄃᆡ頓돈門몬엣사ᄅᆞᄆᆡ몬저알오後ᅘᅮᇢ에닷가功고ᇰ업 슨功고ᇰ을ᄡᅮ미라ᄒᆞ리오ᄒᆞ다가一ᅙᅵᇙ時씽예前쪈後ᅘᅮᇢ업술딘댄두門몬定뗘ᇰ慧ᅘᆒᆼᅵ 頓돈과漸쪔괘달오미잇ᄂᆞ니엇뎨一ᅙᅵᇙ時씽예ᄒᆞᆫᄢᅴ行ᅘᆡᇰᄒᆞ리오頓돈門몬엣사ᄅᆞᄆᆞᆫ 自ᄍᆞᆼ性셔ᇰ門몬을브터運ᅌᅮᆫ을맛딜ᄉᆡ功고ᇰᄋᆞᆯ닛고漸쪔門몬엣사오나온根ᄀᆞᆫ機긩ᄂᆞᆫ 隨ᄊᆔᆼ相샤ᇰ門몬에나ᅀᅡ가對됭治띵ᄒᆞᆯᄉᆡ功고ᇰᄋᆞᆯ잇비ᄒᆞ니두門몬ᄉ根ᄀᆞᆫ機긩ᅵ頓돈 과漸쪔괘ᄀᆞᆮ디아니ᄒᆞ며어딜며사오나오미번득거ᄂᆞᆯ엇뎨몬저알오後ᅘᅮᇢ에닷논門
{ "page": 90,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몬에두가질ᄀᆞᆯ와사기ᄂᆞᆫ다請쳐ᇰᄒᆞᆫᄃᆞᆫ通통히뫼화疑ᅌᅴᆼ情뗘ᇰ을긋게ᄒᆞ리對됭答답호 ᄃᆡ사교미번득거늘네疑ᅌᅴᆼ心심내야말ᄊᆞᄆᆞᆯ조차아로ᄆᆞᆯ내야더욱疑ᅌᅴᆼ惑ᅘᅪᆨᄋᆞᆯ내ᄂᆞ 니ᄠᅳ들得득ᄒᆞ고마ᄅᆞᆯ니ᄌᆞ면무로ᄆᆞᆯ잇비아니ᄒᆞ리라ᄒᆞ다가두門몬에나ᅀᅡ가行ᅘᆡᇰ ᄋᆞᆯ제여곰ᄀᆞᆯᄒᆡ욜딘댄自ᄍᆞᆼ性셔ᇰ定뗘ᇰ慧ᅘᆒᆼᄅᆞᆯ닷ᄂᆞ닌이頓돈門몬이니功고ᇰ업슨功고ᇰ ᄋᆞᆯᄡᅥᄀᆞᆯ와뮈워둘히괴외ᄒᆞ야自ᄍᆞᆼ性셔ᇰᄋᆞᆯ제닷가佛뿌ᇙ道또ᇢᄅᆞᆯ제일우미로隨ᄊᆔᆼ相샤ᇰ 門몬앳定뗘ᇰ慧ᅘᆒᆼᄂᆞᆫ이몯안前쪈엣漸쪔門몬엣사오나온根ᄀᆞᆫ機긩ᅵ니對됭治띵ᄉ 功고ᇰᄋᆞᆯᄡᅥ心심心심에惑ᅘᅬᆨᄋᆞᆯ그처寂쪅靜쪄ᇰᄋᆞᆯ取츙ᄒᆞ야行ᅘᆡᇰ사모미니이두門몬에 行ᅘᆡᇰᄒᆞ논頓돈과漸쪔괘제여곰달온디라섯구미몯ᄒᆞ리라그러나안後ᅘᅮᇢ에닷논門 몬中듀ᇰ에隨ᄊᆔᆼ相샤ᇰ門몬對됭治띵ᄅᆞᆯ𠔥겸ᄒᆞ야論론호ᄆᆞᆫ漸쪔機긩의行ᅘᆡᇰᄋᆞᆯ오로取
{ "page": 91,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츙ᄒᆞ논디아니라方바ᇰ便뼌을取츙ᄒᆞ야길흘비러브터잘ᄯᆞᄅᆞ미니엇뎨어뇨이頓돈 門몬에도ᄯᅩ根ᄀᆞᆫ機긩ᅵ勝시ᇰᄒᆞ니이시며ᄯᅩ根ᄀᆞᆫ機긩ᅵ劣ᄅᆑᇙᄒᆞ니잇ᄂᆞ니ᄒᆞᆫ例롕로 그行ᅘᆡᇰ李링ᄅᆞᆯᄀᆞᆯᄒᆡ요미몯ᄒᆞ리니 行ᅘᆡᇰ李링ᄂᆞᆫ길녈씨라 ᄒᆞ다가煩뻔惱노ᇢᅵ열 워몸과ᄆᆞᅀᆞᆷ괘가ᄇᆡ얍고便뼌安ᅙᅡᆫᄒᆞ야善쎤에善쎤여희오惡ᅙᅡᆨ애惡ᅙᅡᆨ여희여八바ᇙ 風보ᇰ이뮈디아니ᄒᆞ야 八바ᇙ風봉은ᄒᆞ나ᄒᆞᆫ利링益ᅙᅧᆨ이오둘흔衰ᄉᆔᆼ호미오세흔할 아미오네흔기류미오다ᄉᆞᄉᆞᆫ일ᄏᆞ로미오여스슨誹빙謗바ᇰ호미오닐구븐受쓔ᇢ苦콩 ᅵ오여들븐즐거우미니이여듧法법을世솅間간ᄉ사ᄅᆞ미ᄃᆞᆺ논배며믜논배라能느ᇰ 히사ᄅᆞᄆᆡᄆᆞᅀᆞᄆᆞᆯ부처뮈울ᄉᆡ일후미風보ᇰ이라 三삼受쓔ᇢᅵ괴외ᄒᆞ닌 受쓔ᇢᄂᆞᆫ바 ᄃᆞᆯ씨니六륙根ᄀᆞᆫᄉ識식이六륙塵띤ᄉ境거ᇰ을바도ᄆᆞᆯ니ᄅᆞ니三삼受쓔ᇢᄂᆞᆫᄒᆞ나ᄒᆞᆫ苦
{ "page": 92,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콩受쓔ᇢᅵ니六륙塵띤이ᄠᅳ데이긘境겨ᇰ애셜우미이실씨오둘흔樂락受쓔ᇢᅵ니六륙 塵띤이ᄠᅳ데順쓘ᄒᆞᆫ境겨ᇰ에즐겨ᄒᆞᆯ씨오세흔苦콩아니며樂락아닌受쓔ᇢᅵ니六륙塵 띤이어긔도아니ᄒᆞ며順쓘토아니ᄒᆞᆫ境겨ᇰ에苦콩도아니며樂락도아니ᄒᆞᆯ씨라 自 ᄍᆞᆼ性셔ᇰ定뗘ᇰ慧ᅘᆒᆼᄅᆞᆯ브터運ᅌᅮᆫ을맛뎌ᄒᆞᆫᄢᅴ닷가天텬然ᅀᅧᆫᄒᆞ야지ᅀᅮᆷ업서動또ᇰ과靜쪄ᇰ 괘샤ᇰ녜禪쎤定뗘ᇰ이라自ᄍᆞᆼ然ᅀᅧᆫᄒᆞᆫ理링ᅵ일어니엇뎨隨ᄊᆔᆼ相샤ᇰ門몬엣對됭治딩ᄒᆞ 논ᄠᅳ들브트리오病뼈ᇰ은藥약求꾸ᇢ티아니홈업슬ᄉᆡ비록몬저믄득아나煩뻔惱노ᇢᅵ 묻거우며習씹氣킝구드며므거워境겨ᇰᄋᆞᆯ對됭ᄒᆞ야念념念념에情쪄ᇰ이나고緣ᄋᆑᆫᄋᆞᆯ 맛나心심心심에對됭ᄃᆞ외야뎌昏혼과亂롼과ᄋᆡ브료ᄆᆞᆯ니버寂쪅知딩ᅵ샤ᇰ네그러 호ᄆᆞᆯ모ᄅᆞᄂᆞ닌곧隨ᄊᆔᆼ相샤ᇰ門몬定뗘ᇰ慧ᅘᆒᆼᄅᆞᆯ假강借쟝ᄒᆞ야對됭治띵ᄅᆞᆯ닛디아니ᄒᆞ
{ "page": 93,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야昏혼沈띰과散산亂롼과ᄅᆞᆯ골오다ᄉᆞ려ᄒᆞ욤업수매드루미곧맛다ᇰᄒᆞ니비록對됭 治띵功고ᇰ夫붕ᄅᆞᆯ假강借쟝ᄒᆞ야자ᇝ간習씹氣킝ᄅᆞᆯ다ᄉᆞ리나몬저心심性셔ᇰ이本본來 ᄅᆡᆼ조ᄒᆞ며煩뻔惱노ᇢᅵ本본來ᄅᆡᆼ空코ᇰᄒᆞᆫᄃᆞᆯ믄득알ᄉᆡ곧漸쩜門몬劣ᄅᆑᇙ機긩의더러운 닷고매디디아니ᄒᆞ니라엇뎨어뇨닷고미안前쪈에이시면비록功고ᇰᄡᅮ믈닛디아니 ᄒᆞ야念념念념에닷가도著땩ᄒᆞ며著땩호매疑ᅌᅴᆼ心심내야能느ᇰ히ᄀᆞ룜업게몯호미 ᄒᆞᆫ物무ᇙ이가ᄉᆞ매ᄀᆞ리여이숌ᄀᆞᆮᄒᆞ야便뼌安ᅙᅡᆫ티몯ᄒᆞᆫ相샤ᇰ이샤ᇰ녜알ᄑᆡ나탯거든나 리오라며ᄃᆞ리기퍼對됭治띵ᄒᆞᄂᆞᆫ功고ᇰ이니그면몸과ᄆᆞᅀᆞᆷ과客ᄏᆡᆨ塵띤괘마치가ᄇᆡ 얍고便뼌安ᅙᅡᆫᄒᆞᆫᄃᆞᆺᄒᆞ리니비록ᄯᅩ가ᄇᆡ얍고便뼌安ᅙᅡᆫᄒᆞ나疑ᅌᅴᆼ心심ᄉ불휘긋디몯 호미돌히플지즈룸ᄀᆞᆮᄒᆞ야ᄉᆞᆫᄌᆡ生ᄉᆡᇰ死ᄉᆞᆼᄉᄀᆞᅀᅢ自ᄍᆞᆼ在ᄍᆡᆼ티몯혼젼ᄎᆞ로닐오ᄃᆡ닷
{ "page": 94,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고미아롬前쪈에이쇼미眞진實씨ᇙᄉ닷고미아니라안사ᄅᆞ미分뿐上쌰ᇰ앤비록對됭 治띵ᄒᆞ논方바ᇰ便뼌이이시나念념念념에疑ᅌᅴᆼ心심이업서더러우매디디아니ᄒᆞ야 나리오라며ᄃᆞ리기푸메自ᄍᆞᆼ然ᅀᅧᆫ히天텬眞진妙묘ᇢ性셔ᇰ에마자寂쪅知딩ᄅᆞᆯ運ᅌᅮᆫ을 맛뎌念념念념에一ᅙᅵᇙ切촁境겨ᇰ을攀판緣ᄋᆑᆫ호매心심과心심괘永ᅌᆑᇰ히그처모ᄃᆞᆫ煩 뻔惱노ᇢᅵ自ᄍᆞᆼ性셔ᇰ을여희디아니ᄒᆞ야定뗘ᇰ慧ᅘᆒᆼᄅᆞᆯ平뼈ᇰ等드ᇰ히디녀無뭉上쌰ᇰ菩뽕 提똉ᄅᆞᆯ일워前쪈에根ᄀᆞᆫ機긩어디니와다사差창別뼈ᇙ업스면隨ᄊᆔᆼ相샤ᇰ門몬定뗘ᇰ慧 ᅘᆒᆼᅵ비록漸쪔機긩의行ᅘᆡᇰ호미나안사ᄅᆞᄆᆡ分뿐上쌰ᇰ에鐵텨ᇙ에뎌거ᄃᆞᆫ金금이아ᄂᆞ 다닐올디니ᄒᆞ다가이런ᄃᆞᆯ알면엇뎨二ᅀᅵᆼ門몬定뗘ᇰ慧ᅘᆒᆼ로先션後ᅘᅮᇢ次ᄎᆞᆼ第똉둘헤 보논疑ᅌᅴᆼ心심을두리오
{ "page": 95,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시孤ᅘᅩᆼ疑ᅌᅴᆼᄒᆞ야제믈루믈내디마롤디어다ᄒᆞ다가丈땨ᇰ夫붕ᄠᅳ다ᄀᆞ자無뭉上쌰ᇰ菩 뽕提똉ᄅᆞᆯ求꾸ᇢᄒᆞ린이ᄇᆞ리고어딀ᄡᅳ리오모ᄃᆡ文문字ᄍᆞᆼᄅᆞᆯ잡디말오바ᄅᆞ모로매ᄠᅳ 들아라一ᅙᅵᇙ히自ᄍᆞᆼ己긩예나ᅀᅡ가本본宗조ᇰ애마ᄌᆞ면스스ᇰ업슨智딩慧ᅘᆒᆼᅵ自 ᄍᆞᆼ然ᅀᅧᆫ히알ᄑᆡ나ᄐᆞ며天텬然ᅀᅧᆫᄒᆞᆫ理링ᅵᄇᆞᆯ가어듭디아니ᄒᆞ야慧ᅘᆒᆼ身신을일우ᄃᆡ ᄂᆞᄆᆞᆯ브터아디아니ᄒᆞ리니이微밍妙묘ᇢᄒᆞᆫᄠᅳ디비록이모ᄃᆞᆫ사ᄅᆞᄆᆡ分뿐上쌰ᇰ이나ᄒᆞ 다가녜般바ᇙ若ᅀᅣᆼ種죠ᇰ智딩ᄅᆞᆯ시믄大땡乘씨ᇰ根ᄀᆞᆫ器킝옛사ᄅᆞ미아닌댄能느ᇰ히一ᅙᅵᇙ 念념에正져ᇰᄒᆞᆫ信신ᄋᆞᆯ내디아니ᄒᆞ리니엇뎨ᄒᆞᆫ갓아니信신ᄒᆞᆯᄯᆞᄅᆞ미리오ᄯᅩ비와ᇰᄒᆞ 야도ᄅᆞ혀無뭉間간獄ᅌᅩᆨᄋᆞᆯ혀리ᄌᆞ조이시리니비록信신ᄒᆞ야받디아니ᄒᆞ나ᄒᆞᆫ번귀 예디내야暫짬時씽나結겨ᇙ緣ᄋᆑᆫᄒᆞ면그功고ᇰ德득이혜아리디몯ᄒᆞ리라唯ᄋᆔᆼ心심訣
{ "page": 104,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이ᄃᆞ외야眞진實씨ᇙᄉ닷골길흘모ᄅᆞ디아니케ᄒᆞ야뇨實씨ᇙ로눈먼거부비나모맛나 며ᄀᆞᄂᆞᆫ芥갱子ᄌᆞᆼᅵ바ᄂᆞ래마조미라그깃부ᄆᆞᆯ엇뎨내니ᄅᆞ료내이제ᄒᆞ다가믈루믈 내이니시혹게을우믈내야恒ᅘᅮᆼ常쌰ᇰ애後ᅘᅮᇢᄅᆞᆯᄇᆞ라다가아니한더데목수믈일흐면 모딘무레ᄠᅥ러디여한苦콩痛통ᄋᆞᆯ受쓔ᇢᄒᆞᆯᄢᅴ비록ᄒᆞᆫ句궁ᄉ佛뿌ᇙ法법을드러信신鮮 ᅘᅢᆼ受쓔ᇢ持띵ᄒᆞ야셜우믈免면코져ᄒᆞᆫᄃᆞᆯ엇뎨ᄂᆞ외이得득ᄒᆞ료어려운ᄃᆡ다ᄃᆞ로매미 처뉘으처도利링益ᅙᅧᆨᄒᆞᆫ고디업스리니願ᅌᅯᆫᄒᆞᆫᄃᆞᆫ모ᄃᆞᆫ道또ᇢ닷ᄀᆞᆯ사ᄅᆞ미放바ᇰ逸이ᇙᄒᆞᆫ ᄆᆞᅀᆞᄆᆞᆯ내디말며貪탐과淫음과애着땩디마라머리옛블救구ᇢᄐᆞᆺᄒᆞ야ᄉᆞᆯ표ᄆᆞᆯ닛디말 라無뭉常쌰ᇰ이ᄲᆞᆯ라모ᄆᆞᆫ아ᄎᆞᆷ이슬ᄀᆞᆮ고목수ᄆᆞᆫ나죗西솅ᄉ녁ᄒᆡᄀᆞᆮᄒᆞ니今금日ᅀᅵᇙ에 비록이시나明며ᇰ日ᅀᅵᇙ이ᄯᅩ미두미어려우니모ᄃᆡᄠᅳ데두며모ᄃᆡᄠᅳ데두라ᄯᅩ世솅間
{ "page": 106,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간앳ᄒᆞ욤잇ᄂᆞᆫ善쎤을依ᅙᅴᆼ憑삐ᇰᄒᆞ야도ᄯᅩ어루三삼途똥ᄉ受쓔ᇢ苦콩ᄅᆞ왼輪륜廻ᅘᅬᆼ ᄅᆞᆯ免면ᄒᆞ야天텬上쌰ᇰ人ᅀᅵᆫ間간애됴ᄒᆞᆫ果광報보ᇢᄅᆞᆯ어더快쾡樂락ᄋᆞᆯ受쓔ᇢᄒᆞ곤ᄒᆞᄆᆞᆯ 며이ᄆᆞᆺ上쌰ᇰ乘씨ᇰ엣甚씸히기픈法법門몬ᄋᆞᆯ暫짬時씽나信신ᄋᆞᆯ내야일운功고ᇰ德득 이ᅀᅡ가ᄌᆞᆯ뵤ᄆᆞ로죠고매도니르디몯ᄒᆞ리니經겨ᇰ에니ᄅᆞ샤ᄃᆡᄒᆞ다가사ᄅᆞ미三삼千 쳔大땡千쳔世솅界갱옛七치ᇙ寶보ᇢ로뎌世솅界갱옛衆쥬ᇰ生ᄉᆡᆼᄋᆡ게布봉施싱供고ᇰ養 야ᇰᄒᆞ야다充츄ᇰ滿만히ᄒᆞ고ᄯᅩ뎌世솅界갱옛一ᅙᅵᇙ切촁衆쥬ᇰ生ᄉᆡᆼᄋᆞᆯ敎교ᇢ化황ᄒᆞ야四 ᄉᆞᆼ果광ᄅᆞᆯ得득게ᄒᆞ면그功고ᇰ徳득이無뭉量랴ᇰ無뭉邊변컨마ᄅᆞᆫᄒᆞᆫ번밥머글ᄢᅵ나이法 법ᄋᆞᆯ正져ᇰ히ᄉᆞ라ᇰᄒᆞ야어돈功고ᇰ德득ᄀᆞᆮ디몯다ᄒᆞ샴ᄀᆞᆮᄒᆞ니이런ᄃᆞᆯ아로리라내이法 법門몬이ᄆᆞᆺ尊존ᄒᆞ며ᄆᆞᆺ貴귕ᄒᆞ야모ᄃᆞᆫ功고ᇰ德득에가ᄌᆞᆯ뵤ᄆᆞ로밋디몯ᄒᆞ리로다그
{ "page": 107,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럴ᄉᆡ經겨ᇰ에니ᄅᆞ샤ᄃᆡ一ᅙᅵᇙ念념正져ᇰ心심이이道또ᇢ場땨ᇰ이라恒ᅘᅳᇰ沙상七치ᇙ寶보ᇢ塔 탑ᄆᆡᇰᄀᆞ로매더으니寶보ᇢ塔탑ᄋᆞᆫᄆᆞᄎᆞ매ᄒᆞ야디여드트리ᄃᆞ와어니와一ᅙᅵᇙ念념正져ᇰ 心심이ᅀᅡ正져ᇰ覺각ᄋᆞᆯ일우ᄂᆞ니라ᄒᆞ시니願ᅌᅯᆫᄒᆞᆫᄃᆞᆫ모ᄃᆞᆫ道또ᇢ닷ᄀᆞᆯ사ᄅᆞ미이말ᄉᆞᄆᆞᆯ ᄎᆞ자맛보아모ᄃᆡᄠᅳ데둘디니라이모ᄆᆞᆯ今금生ᄉᆡᇰᄋᆞᆯ向햐ᇰᄒᆞ야濟졩度똥티몯ᄒᆞ면가 ᄉᆡ야어느生ᄉᆡᇰᄋᆞᆯ기드려이모ᄆᆞᆯ濟졩度똥ᄒᆞ리오이제ᄒᆞ다가닷디옷아니ᄒᆞ면萬먼 劫겁을어긔리니이제ᄒᆞ다가힘ᄡᅥ닷ᄀᆞ면어려ᄫᅵ닷골行ᅘᆡᇰ이漸쪔漸쪔어렵디아니 ᄒᆞ야功고ᇰ行ᅘᆡᇰ이제나ᅀᆞ리니슬프다이젯사ᄅᆞ미주으리니님그ᇝ飮ᅙᅳᆷ食씩을맛나도 머구ᄆᆞᆯ아디몯ᄒᆞ며病뼈ᇰᄒᆞ니醫ᅙᅴᆼ王ᅌᅪᇰᄋᆞᆯ맛나도藥약머곰아디몯ᄒᆞᄂᆞ니엇뎨ᄒᆞ려 묘엇뎨ᄒᆞ려뇨니ᄅᆞ디아니ᄒᆞᆯ사ᄅᆞᄆᆞᆫ나도엇뎨ᄒᆞ려뇨호미업스리로다ᄯᅩ世솅間간
{ "page": 108,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애ᄒᆞ욤잇ᄂᆞᆫ이ᄅᆞᆫ그얼구를이루보며그功고ᇰᄋᆞᆯ어루마촤보ᇙ디라사ᄅᆞ미ᄒᆞᆫ이ᄅᆞᆯ得득 고쉽디몯호ᄆᆞᆯ기리거니와우리이心심宗조ᇰᄋᆞᆫ야ᇰᄌᆞᄅᆞᆯ이루보미업스며얼구를어루 보미업서말ᄉᆞᇝ길히긋고ᄆᆞᅀᆞᆷ녈고디업슬ᄉᆡ天텬魔망外ᅌᅬᆼ道또ᇢᅵ할알門몬이업스 며釋셕梵뻠諸졍天텬도기료미밋디몯곤ᄒᆞᄆᆞᆯ며凡뻠夫붕ᄉ아롬녀튼무리그能느ᇰ 히ᄲᅥ즈기ᄒᆞ야려슬프다우므렛머구리바ᄅᆞᆯ너부믈엇뎨알며여ᇫ이師ᄉᆞᆼ子ᄌᆞᆼ우루믈 엇뎨能느ᇰ히ᄒᆞ료그럴ᄉᆡ알리로다末마ᇙ法법世솅中듀ᇰ에이法법門몬을듣고쉽디몯ᄒᆞᆫ ᄠᅳ들내야信신解ᅘᅢᆼ受쓔ᇢ持띵ᄒᆞᄂᆞ닌ᄒᆞ마無뭉量랴ᇰ劫겁中듀ᇰ에ᄒᆞᆫ聖셔ᇰ人ᅀᅵᆫ을셤기 ᅀᆞ와한善쎤根ᄀᆞᆫᄋᆞᆯ심거般바ᇙ若ᅀᅣᆼ正져ᇰᄒᆞᆫ因ᅙᅵᆫ을기피ᄆᆡᇰᄃᆞᆫᄆᆞᆺ上쌰ᇰ根ᄀᆞᆫ性셔ᇰ이니그 럴ᄉᆡ金금剛가ᇰ經겨ᇰ에니ᄅᆞ샤ᄃᆡ이章쟈ᇰ句궁에信신心심을내ᄂᆞ닌반ᄃᆞ기알라ᄒᆞ마
{ "page": 109, "year": null }
목우자수심결언해
고려시대 승려 지눌의 선이론서 《목우자수심결》을 승려 신미가 언해 한 것을 조선시대 간경도감에서 1467년에 간행하였다
{ "accessed_at": "2024-07-04 22:11:57.414466", "original_source": { "author":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source":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I40213_0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A%A9%EC%9A%B0%EC%9E%90%EC%88%98%EC%8B%AC%EA%B2%B0%EC%96%B8%ED%95%B4.djvu&oldid=328897" }
無뭉量랴ᇰ佛뿌ᇙ所송애한善쎤根ᄀᆞᆫ을시므니라ᄒᆞ시며ᄯᅩ니ᄅᆞ샤ᄃᆡ大땡乘씨ᇰ을發버ᇙ ᄒᆞᆫ사ᄅᆞᄆᆞᆯ爲윙ᄒᆞ야니ᄅᆞ며最죙上쌰ᇰ乘씨ᇰ을發버ᇙᄒᆞᆫ사ᄅᆞᄆᆞᆯ爲윙ᄒᆞ야닐오라ᄒᆞ시니 願ᅌᅯᆫᄒᆞᆫᄃᆞᇿ모ᄃᆞᆫ道또ᇢ求꾸ᇢᄒᆞᇙ사ᄅᆞ미怯컵ᄒᆞ야사오나온ᄆᆞᅀᆞᄆᆞᆯ내디말오모ᄃᆡ勇용猛 ᄆᆡᇰᄒᆞᆫᄆᆞᅀᆞᄆᆞᆯ發버ᇙᄒᆞ라녯劫겁엣善쎤ᄒᆞᆫ因ᅙᅵᆫ은아디몯ᄒᆞ나ᄒᆞ다가殊쓩勝시ᇰᄒᆞᆫ고ᄃᆞᆯ 信신티아니코사오나ᄫᅵᄃᆞ외요ᄆᆞᆯ맛드러어려ᄫᅵ너교ᄆᆞᆯ내야이제닷디아니ᄒᆞ면비 록아ᄅᆡᆺ善쎤根ᄀᆞᆫ이이셔도이제그츤젼ᄎᆞ로더욱어려우매이셔더욱멀리라이제ᄒᆞ 바보ᄇᆡ잇ᄂᆞᆫᄃᆡ니를란ᄃᆡ손뷔워도라오미몯ᄒᆞ리니ᄒᆞᆫ번사ᄅᆞᄆᆡ모ᄆᆞᆯ일흐면萬먼劫 겁에다시도라오미어려우리니請쳐ᇰᄒᆞᆫᄃᆞᆫ모로매삼갈디니라엇뎨智딩慧ᅘᆒᆼᄅᆞ왼사 ᄅᆞ미보ᄇᆡ잇ᄂᆞᆫᄃᆡᆯ알오도ᄅᆞ혀求꾸ᇢ티아니ᄒᆞ야艱간難난호ᄆᆞᆯ기리怨ᅙᅯᆫ歎탄ᄒᆞ리오
{ "page": 110,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武藝諸譜 :大棒製 長七尺重三斤八兩刃長二寸有中鋒一面起脊一 面有血漕磨精重四兩 :기ᄅᆡ 닐곱 자히오 므긔 서 斤근 여ᄃᆞᆲ 兩냥이오 ᄂᆞᆯ 기ᄅᆡ 두 치니 가온댄 ᄂᆞᆯ 이시니 ᄒᆞᆫ녁킈ᄂᆞᆫ ᄆᆞᄅᆞ 셔게 ᄒᆞ고 ᄒᆞᆫ녁킈ᄂᆞᆫ 골지게 ᄒᆞ여 ᄀᆞ라 精졍케 홀디니 므긔 넝 兩냥이라
{ "page": 5,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法中一打一刺而棒無刃以何爲刺今加一刃長則 棒頭無力不能壓他棒只可二寸形如鴨嘴打則利 於棒刺則利於刃矣 :法법 가온대 ᄒᆞᆫ 번 티고 ᄒᆞᆫ 번 디ᄅᆞ게 ᄒᆞ여시니 막대예 ᄂᆞᆯ히 업ᄉᆞ니 므서ᄉᆞ로ᄡᅥ 디ᄅᆞ리오 이제 ᄒᆞᆫ ᄂᆞᆯᄒᆞᆯ 더ᄋᆞ거니와 다믄 ᄂᆞᆯ히 길면 막댄 머리 힘 업서 잘뎌 막대ᄅᆞᆯ 지조로디 몯ᄒᆞᆯ 거시니 다만 可가히 두 치만 ᄒᆞ고 얼구리 올ᄒᆡ 부리 ᄀᆞᆺ게 홀디니 틸 제ᄂᆞᆫ 막대예 됴코 디ᄅᆞᆯ 제ᄂᆞᆫ ᄂᆞᆯ해 됴ᄒᆞ리라 :棍譜
{ "page": 6,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扁身中攔—上剃畢 ::棍곤 니기ᄂᆞᆫ 譜보 :두 사ᄅᆞᆷ이 棍곤을 자바 마조 셔셔 扁편身신中듕攔난勢셔ᄅᆞᆯ ᄒᆞ고 各각各각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셔 甲갑이 棍곤을 드러 乙을의 棍곤을 다이저 大대當당勢셔ᄅᆞᆯ ᄒᆞ고 乙을이 ᄯᅩ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이저 大대當당이 되고 甲갑이 ᄯᅩ 棍곤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이저 大대當당이 되고 乙을이 ᄯᅩ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이저 大대當당이 되고 인ᄒᆞ여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 "page": 23,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ᄇᆞ리텨 大대剪젼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둘러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텨【손으로 자븐ᄃᆡ라】 大대吊뎍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가ᄉᆞᆷᄞᅦ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며 棍곤으로ᄡᅥ 甲갑의 棍을 ᄠᅱ오텨 滴뎍水슈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을의 棍곤을 대
{ "page": 24,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잇고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甲갑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며 滴뎍水슈勢셔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ᄠᅱ오텨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ᄒᆞᆫ 발 나오혀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갑이 ᄯᅩ 大대當당으로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 "page": 25,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甲갑의 棍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여 滴뎍水슈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거ᄅᆞᆷ 나오혀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갑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乙을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대잇고 甲갑이 ᄯᅩ 大대當당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대잇고 곳 大대剪젼
{ "page": 26,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甲갑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야 滴뎍水슈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ᄒᆞᆫ 발 나오혀고 棍곤 니ᄅᆞ혀 乙을의 머리 우ᄒᆞᆯ 向향ᄒᆞ야 텨ᄃᆞᆫ 乙을이 ᄒᆞᆫ 발ᄅᆞᆯ 나오혀 仙션人인捧봉盤반勢셔ᄅᆞᆯ ᄒᆞ야 ᄡᅥ 밧고 ᄯᅩ 텨ᄃᆞᆫ 乙을이 ᄯᅩ 仙션人인捧봉盤반으로 밧고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왼녁크로 向향ᄒᆞ야 甲갑의
{ "page": 27,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발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야 滴뎍水슈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발 나오혀고 棍곤을 니ᄅᆞ혀 甲갑의 머리 우ᄒᆞᆯ 向향ᄒᆞ야 텨ᄃᆞᆫ 甲갑이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仙션人인捧봉盤반勢셔로ᄡᅥ 밧고 乙을이 ᄯᅩ 텨ᄃᆞᆫ 甲갑이 ᄯᅩ 仙션人인捧봉盤반으로 밧고셔 곳 大대剪젼으로ᄡᅥ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
{ "page": 28,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야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라 :甲갑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야 滴뎍水슈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ᆡ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발 나오혀고 棍곤을 니ᄅᆞ혀 앏흐로 向향ᄒᆞ야 ᄡᅥ 齊졔眉미殺살勢셔ᄂ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棍곤으로ᄡᅥ 아래 다히로 티거ᄃᆞᆫ 乙을이 곳 倒도頭두勢셔ᄂᆞᆯ ᄒᆞ야 ᄡᅥ 막고 인ᄒᆞ야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下하穿쳔勢셔ᄂᆞᆯ ᄒᆞ야 甲갑의 棍곤을
{ "page": 29,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들티고 겨레 大대吊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몸을 두로텨 뒤ᄒᆞ로 向향ᄒᆞ며 滴뎍水슈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ᄠᅱ우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고 棍곤을 니ᄅᆞ혀 앏ᄒᆞᆯ 向향ᄒᆞ야 齊졔眉미殺살이 되고 인ᄒᆞ야 棍곤으로ᄡᅥ 아래 다히로 티거든 甲갑이 곳 倒도頭두勢셔 되여 막고 인ᄒᆞ야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막고 下하穿쳔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들티고 겨레 大대滴뎍을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
{ "page": 30,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오혀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두 사ᄅᆞᆷ이 ᄒᆞᆷ긔 몸을 휜두ᄅᆞ티며 棍곤을 둘러 閃셤腰요剪젼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下하接졉勢셔ᄂᆞᆯ ᄒᆞ고셔 甲갑이 下하穿쳔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겨레 大대滴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가ᄉᆞᆷᄞᅦᄂ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두 사ᄅᆞᆷ이 ᄒᆞᆷᄭᅴ 몸을 휜두ᄅᆞ티며 棍곤을 둘러 下하接졉이 되고 乙을이 下하穿쳔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겨레 大대滴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내혀 그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 "page": 31,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두 사ᄅᆞᆷ이 몸을 ᄒᆞᆷᄭᅴ 휜두로티고 棍곤을 둘러 下하接졉이 되고 甲갑이 下하穿쳔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들티고 겨ᄅᆡ 大대滴뎍으로ᄡᅥ 甲갑의 棍곤을티고 ᄒᆞᆫ 바ᄅᆞᆯ 내혀며 가ᄉᆞᆷᄞᅦ ᄒᆞᆫ 번 디ᄅᆞ라 :乙을이 ᄒᆞᆫ 바ᄅᆞᆯ 믈러 直딕符부送송書셔勢셔ᄂᆞᆯ ᄒᆞ며셔 甲갑 棍곤을 잡고 몸을 누로티며 앏흐로 向향ᄒᆞ야 서ᄅᆞ 마ᄀᆞ며 므ᄅᆞ거든 乙을이 ᄠᅡ로며셔 텨ᄃᆞᆫ【ᄯᅩᄒᆞᆫ ᄠᅡ로며 ᄯᅩᄒᆞᆫ 티라】 믈러 세 거ᄅᆞᆷ의 니ᄅᆞ러 甲갑이 곧 몸을 로혀며 ᄒᆞᆫ 거ᄅᆞᆷ을 나아드러 走주馬마回회頭두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나아드러
{ "page": 32,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大대剪젼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ᄇᆞ리티고 겨ᄅᆡ 大대滴뎍으로ᄡᅥ 乙을의 棍곤을 티고 ᄒᆞᆫ 거ᄅᆞᆷ 나아드러 가ᄉᆞᆷᄞᅦᄅᆞᆯ ᄒᆞᆫ 번 디ᄅᆞ라 :甲갑이 ᄒᆞᆫ 발ᄅᆞᆯ 므ᄅᆞᄃᆞ라 扁편身신中듕攔난이 되고 두 사ᄅᆞᆷ이 ᄒᆞᆷᄭᅴ ᄒᆞᆫ 발식 나오혀 上샹剃뎨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 "page": 33,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ᄒᆞ고 藤등 거플로 얽고 가온대 두두록이 밧글 向향ᄒᆞ야 브러나게 ᄒᆞ고 안ᄒᆞᆯ 뷔게 ᄒᆞ야 藤등으로ᄡᅥ 우 아래 두 골ᄒᆡᄅᆞᆯ ᄒᆞ야 ᄡᅥ 손과 ᄑᆞᆯ 구ᄇᆡᄅᆞᆯ 容용납ᄒᆞ야 잡게 ᄒᆞ고 每ᄆᆡ兵병이 牌패 ᄒᆞ나콰ᄎᆞᆯ 환도 ᄒᆞ나ᄒᆞᆯ 자밧다가 환도ᄅᆞᆯ 손 구ᄇᆡ예 연ᄭᅩ ᄒᆞᆫ 손애 鏢표槍창을 자바 더디면 뎨 반ᄃᆞ시 應응ᄒᆞᆯ 거시니 ᄲᆞᆯ리 環환刀도ᄅᆞᆯ 자바셔 牌패ᄅᆞᆯ 조차 드리ᄃᆞᄅᆞᆯ디니라 :牌譜 初作起手勢以劒從頭上一揮旋作躍步勢仍以劒
{ "page": 36,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牌勢總圖 進起手躍步—低平金鷄畔頭—低平躍步—低平滾牌—低平仙人指路 맨 앞의 進자를 제외하고 활자가 뒤집혀 조판되었다 退—埋伏—埋伏滾牌—埋伏仙人指路—埋伏滾牌—埋伏躍步斜行 :藤등牌패 니기ᄂᆞᆫ 譜보 :처어믜 起긔手슈勢셔ᄅᆞᆯ ᄒᆞ고 칼로ᄡᅥ 머리 우ᄒᆞᆯ 조차 ᄒᆞᆫ 번 두ᄅᆞ고 겨ᄅᆡ 躍약步보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둘러 低뎨平평勢셔ᄅᆞᆯ ᄒᆞ고 닓더셔 金금鷄계畔반頭두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둘러 ᄒᆞᆫ 거ᄅᆞᆷ
{ "page": 41,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낫ᄃᆞ라 低뎨平평 되고 닓더셔 躍약步보 되고 ᄯᅩ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低뎨平평 되고 닓더셔 몸을 휜두ᄅᆞ텨 滾곤牌패勢셔ᄅᆞᆯ ᄒᆞ고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低뎨平평 되고 닓더셔 仙션人인指지路로勢셔ᄂᆞᆯ ᄒᆞ라 :ᄠᅴ여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믈러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몸 두ᄅᆞ텨 滾곤牌패 되고 ᄯᅩ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仙션人
{ "page": 42,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인指지路로 되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몸을 휜두ᄅᆞ텨 滾곤牌패 되고 ᄯᅩ 칼로ᄡᅥ 牌패ᄅᆞᆯ 스서 ᄒᆞᆫ 번 두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埋ᄆᆡ伏복 되고 닓더셔 躍약步보 되ᄂᆞ니라 :ᄒᆞᆫ 바ᄅᆞᆯ 드러 바ᄅᆞᆯ 둘러 칼ᄒᆞᆯ 두ᄅᆞ고 올ᄒᆞᆫ녁 겨ᄐᆞ로 ᄒᆞᆫ 거ᄅᆞᆷ을 옴겨 드ᄃᆡ여 斜샤行ᄒᆡᆼ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 "page": 43,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을 홀디니 열 層층 열ᄒᆞᆫ 層층이 더 妙묘ᄒᆞ니라 筅션ᄂᆞᆯ 므귀 半반斤근으로ᄡᅥ 우히 ᄯᅩ 올ᄒᆞ니라 브ᄐᆞᆫ 가지ᄅᆞᆯ 손 갓가온 두 層층 말고 밧긔 나믄 ᄃᆡᄂᆞᆫ 다 갓곤 미ᄂᆞᄅᆞᆯ ᄡᅥ 그 그ᄐᆡ 스이라 밋 뒤다히ᄅᆞᆯ 모로미 크고 므겁게 홀디니 손으로 가온대ᄅᆞᆯ 자바 모로미 압뒤히 서ᄅᆞ 맛게 호ᄃᆡ ᄎᆞᆯ하리 뒤히 므겁게 ᄒᆞ고 앏피 므겁게 말라 :筅譜 初作中平勢旋擧一足作閘下勢仍作架上勢一刺 又一刺卽進一步爲閘下以架上一刺又進一步爲
{ "page": 46,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筤낭筅션 니기ᄂᆞᆫ 譜보 :처엄의 中듕平평勢셔ᄅᆞᆯ ᄒᆞ고 겨레 ᄒᆞᆫ 바ᄅᆞᆯ 드러 閘압下하勢셔ᄅᆞᆯ ᄒᆞ고 인ᄒᆞ야 架가上샹勢셔ᄅᆞᆯ ᄒᆞ야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번 디ᄅᆞ고 즉시 ᄒᆞᆫ 거ᄅᆞᆷ을 낫드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拗뇨步보退퇴勢셔ᄅᆞᆯ ᄒᆞ고 閘
{ "page": 53,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拗뇨步보退퇴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라 :인ᄒᆞ야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鉤구開ᄀᆡ勢셔ᄅᆞᆯ ᄒᆞ고 왼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도로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鉤구開ᄀᆡ 되고 왼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 옴겨 드ᄃᆡ여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번 디ᄅᆞ라
{ "page": 54,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ᄯᅩ 拗뇨步보退퇴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拗뇨步보退퇴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閘압下하 되여 架가上샹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발 구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騎긔龍룡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 "page": 55,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服복勢셔ᄅᆞᆯ ᄒᆞ고 곧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 두 勢셔ᄅᆞᆯ ᄒᆞ고 즉시 밧측을 다혀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ᆺ고 ᄯᅩ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 ᄡᅥ 連년ᄒᆞ야 두 거ᄅᆞᆷ 낫ᄃᆞ라 곧 鐵텰牛우耕경地디勢셔ᄅᆞᆯ ᄒᆞ며 겨러 十십面면埋ᄆᆡ伏복勢셔ᄅᆞᆯ ᄒᆞ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고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셔라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ᄯᅩ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 두 勢셔로 連년ᄒᆞ여 두
{ "page": 69,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거ᄅᆞᆷ 낫ᄃᆞ라 곧 鐵텰牛우耕경地디ᄅᆞᆯ ᄒᆞ며셔 十십面면埋ᄆᆡ伏복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ᄯᅩ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을 ᄒᆞ며셔 인ᄒᆞ야 邊변攔난勢셔ᄅᆞᆯ ᄒᆞ고 急급히 몸을 두로티며 鎗창을 도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白ᄇᆡᆨ猿원拖타刀도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셔셔 騎긔龍룡勢셔ᄅᆞᆯ ᄒᆞ라 :滴뎍水슈指지南남針침으로ᄡᅥ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곧 鐵텰牛우耕경地디 되여 十십面면埋ᄆᆡ伏복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야 滴뎍水슈指지南
{ "page": 70,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推퇴山산塞ᄉᆡᆨ海ᄒᆡ勢셔ᄅᆞᆯ ᄒᆞ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鋪포地디錦금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琵비琶파勢셔ᄒ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鶉요子ᄌᆞ撲박鵪암鶉슌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靈녕猫묘捉착鼠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靑쳥龍룡獻헌爪조勢셔ᄒ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𩤔엄劒검勢셔ᄒ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闖틍鴻홍門문勢셔ᄒ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낫드러 夜야叉차探탐海ᄒᆡᄅᆞᆯ ᄒᆞ야 ᄆᆞᄎᆞ라
{ "page": 80,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처엄의 朝됴天텬勢셔ᄅᆞᆯ ᄒᆞ고 겨레 中듕平평勢셔ᄅᆞᆯ ᄒᆞ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進진步보勢셔ᄅᆞᆯ ᄒᆞ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進진步보 되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야 伏복虎호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騎긔龍룡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中듕平평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中듕平평으로ᄡᅥ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여 伏복虎
{ "page": 88,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호 되여 ᄒᆞᆫ 발 낫ᄃᆞ라 騎긔龍룡 되고 바ᄅᆞᆯ 連년ᄒᆞ여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拿나鎗창勢셔ᄅᆞᆯ 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架가鎗창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騎긔龍룡 되고 바ᄅᆞᆯ 連년ᄒᆞ여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拿나鎗창되고 ᄒᆞᆫ 발 낫ᄃᆞ라 架가鎗창 되고 인ᄒᆞ야 伏복虎호 되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中듕平평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라 :ᄒᆞᆫ 거ᄅᆞᆷ 믈러 伏복虎호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伏복虎호 되여 ᄒᆞᆫ 번 디ᄅᆞ고 인ᄒᆞ여
{ "page": 89,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伏복虎호 되여 :올ᄒᆞᆫ녁크로 向향ᄒᆞ야 ᄒᆞᆫ 거ᄅᆞᆷ을 옴겨 낫ᄃᆞ라 騎긔龍룡으로ᄡᅥ ᄆᆞᄎᆞ라
{ "page": 90,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자만 ᄒᆞ고 ᄌᆞᄅᆞᆺ 기ᄅᆡ ᄒᆞᆫ 자 다ᄉᆞᆺ 치라 대되 기ᄅᆡ 예자 다ᄉᆞᆺ 치오 므긔 두 斤근 여ᄃᆞᆲ 兩냥이니 이ᄂᆞᆫ 예 中듕國국을 犯범ᄒᆞ므로브텨 비로소 이시니 뎨일올ᄡᅥ ᄠᅱ며 뒤져겨 비치 번득번득 ᄒᆞ여 나아오면 내 兵병이 ᄇᆞᆯ셔 氣긔운을 아이ᄂᆞ니라 예 ᄒᆞᆫ 번 丈댱 나마 ᄠᅱ고 ᄂᆞᆯ 기ᄅᆡ 대 자히리 내 兵병 만나ᄂᆞᆫ 者쟈 몸미 만히 둘ᄒᆡ 그처 디ᄂᆞ니 이제 만일 혼자 ᄡᅳᆫ則즉 ᄭᅳ릴 거시 업ᄉᆞ니 오직 鳥됴銃츙手ᄉᆔ도 ᄌᆞ기 머러신 제ᄂᆞᆫ 銃츙통 노코 도ᄌᆞ기 니ᄅᆞ러 모ᄆᆡ 니ᄂᆞᆫ 則즉 이 칼ᄒᆞᆯ 可가히 兼겸ᄒᆞ여 ᄡᅳᆯ디니라
{ "page": 92,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劒검 니기ᄂᆞᆫ 譜보 :칼ᄒᆞᆯ 지고 正졍히 셔셔 왼손으로ᄡᅥ 칼ᄌᆞᆯᄅᆞᆯ 자바셔 겨레 見견賊적出츌劒검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칼로ᄡᅥ 머리 우ᄒᆞ로 ᄒᆞᆫ 번 둘러 持디劒검對ᄃᆡ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와 向향左좌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발 나오와 向향右우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두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발 나오혀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발 나오텨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 "page": 104,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왼녁 도라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 올ᄒᆞᆫ녁 도라 ᄒᆞᆫ 번 티라 :몸을 두로텨 初초退퇴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니ᄅᆞ라 :몸을 도로혀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ᄒᆞᆫ 번 티고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持디劒검進진坐좌勢셔ᄅᆞᆯ ᄒᆞ고 즉시 拭시劒검伺ᄉᆞ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도로 ᄒᆞᆫ 거ᄅᆞᆷ 므ᄅᆞᄃᆞ라 閃셤劒검退퇴坐좌勢셔ᄅᆞᆯ ᄒᆞ고 닓더 셔셔 다시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텨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 "page": 105,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ᄒᆞᆫ 발 낫ᄃᆞ라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卽즉시 ᄒᆞᆫ 발 낫ᄃᆞ라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ᄒᆞᆫ 번 티고 인ᄒᆞ야 揮휘劒검向향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일로ᄡᅥ 連년ᄒᆞ야 세 거ᄅᆞᆷ을 낫들고 곳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로ᄡᅥ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발 나오혀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혀 進진前젼殺살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ᄒᆞᆫ 번 디ᄅᆞ라 :몸을 두로텨 칼로 세 번 저어 믈러 인ᄒᆞ야 再ᄌᆡ退퇴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일로ᄡᅥ 므ᄅᆞᄃᆞ라 제자
{ "page": 106,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ᄒᆡ 니ᄅᆞ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와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ᄯᅩ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와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 ᄒᆞᆫ 번 티고 인ᄒᆞ야 몸을 두로텨 持디劒검進진坐좌勢셔ᄅᆞᆯ ᄒᆞ여셔 卽즉시 拭시劒검伺ᄉᆞ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나오티며 왼손으로ᄡᅥ 칼ᄒᆞᆯ 둘러 앏플 向향ᄒᆞ야 올ᄒᆞᆫ손으로 다시 잡아셔 인ᄒᆞ야 向향左좌防방賊적勢셔 되고 ᄒᆞᆫ 발 나와 텨 向향右우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텨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上상防방賊적勢셔 되여셔 인ᄒᆞ야 몸을 도로혀
{ "page": 107,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ᄒᆞᆫ 바ᄅᆞᆯ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ᄒᆞ야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왼녁크로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올ᄒᆞᆫ녀ᄏᆞ로 ᄒᆞᆫ 번 티라 :몸을 두로텨 三삼退퇴防방賊적勢셔ᄅᆞᆯ ᄒᆞ야 일로ᄡᅥ 므ᄅᆞᄃᆞ라 제자ᄒᆡ 니ᄅᆞ라 :몸을 도로혀 ᄒᆞᆫ 바ᄅᆞᆯ 낫ᄃᆞᄅᆞ며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ᄒᆞᆫ 번 티고 ᄯᅩ ᄒᆞᆫ 거ᄅᆞᆷ 낫ᄃᆞ라 向향前젼擊격賊적勢셔로ᄡᅥ ᄒᆞᆫ 번 티고 몸을 두로텨 持
{ "page": 108, "year": null }
무예제보언해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06.755467",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5"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AC%B4%EC%98%88%EC%A0%9C%EB%B3%B4%EC%96%B8%ED%95%B4.djvu&oldid=328925" }
:디劒검進진坐좌勢셔ᄅᆞᆯ ᄒᆞ여셔 卽즉시 拭시劒검伺ᄉᆞ賊적勢셔ᄅᆞᆯ ᄒᆞ고 몸을 도로혀 藏장劒검賈고勇용勢셔ᄅᆞᆯ ᄒᆞ고 ᄆᆞᄎᆞ라
{ "page": 109, "year": null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박ᄐᆡ보실긔 (朴泰輔實記) 화셜도션 슉종조ᄯᆡ(肅宗朝時)에 일위명환이잇스니 셩은박(朴)이요 명은ᄐᆡ보 (泰輔)요 별호난졍지(定齋)니 반남인(潘南人)이라 그 부친은 셔게공(西溪公) 셰당(世堂)이요 모부인은 남씨니 김셩현령(金城縣令)남일셩(南一星)에녀라 공의즁부 셰후(世后)공이 조졸무후함으로 공이츌게되ᄆᆡ 방년이오셰라 양모윤 씨난 노셔션ᄉᆡᆼ(勞西先生) 윤션거(尹宣擧)에녀라 공에위인이 활달ᄒᆞ야 셩품 이 공검강즉ᄒᆞ고 긔운이 영혜ᄒᆞ야 아시에도 지ᄒᆡᆼ이잇셔 일즉 친모남부인을 여희고 양모윤부인 셤기々를 남부인ᄭᅴ 나리미업시니 윤부인도 어린아희 이 갓타믈 긔특히여겨 품속에 ᄌᆡ이실ᄉᆡ 공이항샹 고의를입고 쟈거날 모부인이 무르신ᄃᆡ 공이ᄃᆡ왈 드르니 고어에 남녀유별(男女有別)이라 ᄒᆞ더이다한ᄃᆡ 부
{ "page": 1,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긔를ᄭᅥᆨ거 언어동지가 안상ᄒᆞ고 옹용ᄒᆞ야 다 법도잇셔 아시젹일을 변ᄒᆞ야 근신ᄒᆞ니 두어ᄒᆡ 못보왓던사ᄅᆞᆷ은놀나왈 예젹모양이 업다ᄒᆞ더라 십육셰ᅌᅦ 완 남부원군의 상국녀셰(女婿)되니 혼인날젼녁에 부인을경계ᄒᆞ야왈 부모를잘셤 기라ᄒᆞ고 ᄭᅮ러안ᄌᆞ 자들안이ᄒᆞ니 완남공이갈오ᄃᆡ 신랑이 어이안이ᄌᆞᄂᆞᆫ고 공 이ᄃᆡ왈 의복금침이 다 극치라 심히ᄉᆞ치ᄒᆞ야 션ᄇᆡ의 맛당치 안이ᄒᆞᆷ으로 편치 못ᄒᆞ야 못ᄌᆞ것ᄂᆞ이다 완남공이 격졀칭찬ᄒᆞᄉᆞ 즉시 금수를거두고 무명금침과 의복를 드리니 이에공이 취침ᄒᆞ더라 셕쳔동(石川洞)ᅌᅦ ᄉᆞ로셔당을지여 도ᄇᆡ ᄭᆞ지ᄒᆞᆫ후에 ᄂᆞ가보니 셕가래ᄒᆞᄂᆞ히 빗구러졋거날 공이갈오ᄃᆡ 빗구러진거슬 눈의엇지 ᄆᆡ양ᄃᆡᄒᆞ리요ᄒᆞ고 즉시다헐고치니 공의셩품이 바른것슬조화ᄒᆞ야 상시에ᄒᆞᄂᆞᆫ일이 이런일이만터라 문쟝를대ᄒᆞ면 스사로 스승이되야 말이사못 고 셋ᄎᆞ고깁허 금셕소ᄅᆡ 잇ᄂᆞᆫ듯ᄒᆞ더니 홀연상시에 지은사집를 ᄯᅡᄒᆡ던져이로 대 우리덜ᄒᆞᆯ일이 여긔만잇들 아니리라ᄒᆞ고 크게학문를힘써 셩현의글에 잠기 고 맛드려 입으로외오고 속으로푸러 왕이 긔묘ᄒᆞᆫ것읈기쳐 사ᄅᆞᆷ에 의사밧
{ "page": 3,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게ᄂᆞ니 견식과 의사ᄂᆞᆫ 셰상사ᄅᆞᆷ이 감히밋지 못ᄒᆞ더라 잇ᄃᆡ 호셔령 보뎡의놀 ᄉᆡ 그풍경이 셰상의 일홈이난지라 공이 시지여 갈오대 ᄀᆡ우희 풍연이 져근가을빗찰 ᄯᅴ워시니 쟈근잔에 희미히취ᄒᆞ야 놉흔누에 안졋더라 바ᄅᆞᆷ이 물가에ᄆᆡ나 산빗시 움자기고 조수가 빈물가에 물너가니 언덕그림ᄌᆡ 흐르더라 무슈한 구름돗ᄃᆡ난 ᄉᆞ귀여 나가고 드러오고 일쌍ᄀᆡᆫ셤은 ᄃᆡᄒᆞ야 잠기고 ᄯᅳ더라 바ᄅᆞᆷ벽ᄉᆞ이에 즁얼이ᄂᆞᆫ 참 ᄂᆡ버지니 엇지어더 잇그러 이노름을 한가지ᄒᆞᆯ고 ᄃᆡᄀᆡ 즁열이란ᄉᆞᄅᆞᆷ은 읍취헌 박은의 ᄌᆞ라 문쟝과 긔졀이 일국의유명ᄒᆞ고 녕 보뎡의 지은글이 더욱빗ᄂᆞ 현판ᄒᆞ엿는고로 공의 시즁의 벗시라 허ᄒᆞ시니 엇 지 우연ᄒᆞᆫ일이 안이리요 ᄇᆡᆨ셰에셔로늣겨 그러ᄒᆞᆫ가 맛참ᄂᆡ 셔로ᄒᆡᆼ한일이 방
{ "page": 4,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불ᄒᆞ니 시가영참이 되얏ᄂᆞ냐 공의본ᄃᆡ 잡은마음이잇스니 이글를보면 알니라 숙모조 을묘의 고잉ᄉᆡᆼ원을ᄒᆞ고 뎡ᄉᆞ년에 알셩쟝원(謁聖壯元)을ᄒᆞ니 공의시 년이 이십ᄉᆞ셰ᄙᅡ 문장과 학문이 임의노셩ᄒᆞ야 빗ᄂᆞᆫ얼홈이 크게 조야에들니 더라 셩균관뎐젹으로 례쪼좌랑의을무니 잇ᄃᆡ 상이 대왕대비뎐의 진년를ᄒᆞ 랴ᄒᆞ시거날 공이 마ᄋᆞᆸ소셔 극간ᄒᆞ오니 그ᄉᆞ의에 대강갈오대 이졔 궁중의 잔 치를베푸오ᄉᆞ 량뎐의츅슈를 ᄒᆞ오시니 뎐ᄒᆞ의 ᄋᆡ친지심과 효양지셩은 뉘안이 흠앙치 안이리잇가만은 그러ᄒᆞ오나 흉년이오니 진년물품을 갈약히 ᄒᆞ시압소 셔 덕괏듯이겸ᄒᆞ와 갸록ᄒᆞ오시되 그러ᄒᆞ오ᄂᆞ 봄과여름이 심히가무와 보리ᄂᆞᆫ 셩실치못ᄒᆞ옵고 ᄯᅩ 셔리가 일즉이와 만곡이 다 되지못ᄒᆞ여ᄉᆞ압고 츙셩 경상 지간의 젹디가편만ᄒᆞ여 ᄇᆡᆨ셩이 보젼치못ᄒᆞ야 이산이되ᄂᆞᆫ지라 일변 진휼ᄒᆞ고 일변 잔ᄎᆡᄒᆞᄂᆞᆫ일이 셩인의 ᄒᆞᄂᆞ를 두려워ᄒᆞ고 ᄇᆡᆨ셩을 근심ᄒᆞᄂᆞᆫᄯᅳᆺ이 안이요 ᄯᅩᄒᆞᆫ 진연이 풍년든ᄒᆡ와 다르오니 ᄌᆡ물를허비ᄒᆞ고 ᄇᆡᆨ셩의게 ᄒᆡ로옴이 젹지 안이ᄒᆞ오이다 공ᄌᆞ갈아ᄉᆞ대 ᄌᆡ물를존졀ᄒᆞ고 법도를삼가 ᄇᆡᆨ셩을평안케ᄒᆞᄋᆞᆷ
{ "page": 5,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이 졔후에 ᄒᆡᆼ졍이라ᄒᆞ오니 잔치가 풍셩ᄒᆞ고 음식이낭ᄌᆞᄒᆞ야 즐거움을엇ᄂᆞᆫ것 슬 효셩이라ᄒᆞ심과 다르오니이다 엇지 혼ᄌᆞ즐겨 시비를취ᄒᆞ야 ᄇᆡᆨ셩의머리알 ᄂᆞᆫ 원망을 들으리잇가 샹이 우용ᄒᆞᄉᆞ 진연이 ᄯᅳᆺ과례ᅀᅮᆫ의 마지못 함이니 위 의는 당잇덜치고 진연물품은감ᄒᆞ야 간략이ᄒᆞ리라 ᄒᆞ시더라 공이 이ᄒᆡ겨을 에 시관으로 글졔잘못ᄂᆡ엿다ᄒᆞ고 소인의게 모함ᄒᆞᆫᄇᆡ되야 션쳔의젹거ᄒᆞ니 젹 소에간지 반년에 경셔를 조셕으로외와 복중에가득ᄒᆞ니 이후로샹소에 됴리잇 스미이에셔 득녁ᄒᆞᆫᄇᆡ만터라 무오년여름에 풀녀와셔 계모졍부인 상사를만ᄂᆞ 탈상ᄒᆞ고 즉시 홍문관 수ᄎᆞᆫ를ᄒᆞ니 있ᄃᆡ공에년이 이십칠셰러라 ᄆᆡ양국가에일 이잇스면 모든학ᄉᆟ 감히 ᄋᆞᆸ셔들못ᄒᆞ고 공의게ᄉᆞ양ᄒᆞ니 공이붓슬 고입 의셔 ᄯᅥ러지면 글이되야 시비명ᄇᆡᆨᄒᆞ며 편론의 ᄆᆡ이지아니코 남의회방에움작 이지 안이ᄒᆞ니 모든학ᄉᆞ공경ᄒᆞ고 두려워ᄒᆞ더라 공이친졀히더부러 노는붕 우는 일대문학잇는명샤 두셰ᄊᆞᄅퟅᆷ이더라 경신년 환국ᄒᆞᆯ젹에 일편신ᄒᆞ를 다입 시ᄒᆞ시고 녰신하를 ᄑᆡ초ᄒᆞ시니분이입궐ᄒᆞᆯ졔 ᄒᆞᆫᄉᆞᄅᆞᆷ이 여헛볼ᄉᆡ 이윽고ᄒᆞᆫ
{ "page": 6,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ᄉᆞᄅᆞᆷ이 들어오ᄂᆡ 풍신지엄슉ᄒᆞ야 희미히취ᄒᆞᆫ듯ᄒᆞ니 이는 오셔 파오 ᄯᅩᄒᆞᆫᄉᆞᄅᆞᆷ이 들어오니 의용이소담ᄒᆞ며 안졍ᄒᆞ고 긔픔이조용ᄒᆞ여 눈셦긋 ᄒᆡ 산야ᄐᆡ가잇스니 이는 림창계ᅌᅭ ᄎᆈ후에ᄒᆞᆫ소년대간이 드러오니 얼골에 칠석 읈듸고 졍신이 ᄲᅡ르고 령ᄆᆡᄒᆞ며 긔상이초직ᄒᆞ고 ᄂᆞᆯᄂᆡ여 ᄆᆡᆼ호가단산에 나옴 갓고 쇼ᄅᆡ는 금셕을ᄭᅵ칠ᄯᅳᆺᄒᆞ니 ᄋᆡᆨ졍소속과 셔리ᄇᆡ 겁을내여 감히우러보지 ᄒᆞᆫ번뎡ᄒᆞ면 요ᄀᆡ업고 녯젹 직단ᄒᆞ던신ᄒᆞ를 ᄉᆞ모ᄒᆞ여 강ᄒᆞᆫ것슬ᄭᅵᆨ고 모진것슬 능히막으며 시졀에 휘ᄒᆞ는일과 권셰ᅌᅵᆺ는곳를 도라보지안이ᄒᆞ고 뎡석ᄒᆞ야 됴 뎡에셔 일를당ᄒᆞ면 말를다ᄒᆞ고 경셔를잇그러 의리을웅거ᄒᆞ야 ᄂᆞ라의셔 잘못 ᄒᆞ신일를 간ᄒᆞ고 혹 ᄲᅡ진일을쥬어 ᄆᆡ양탑젼에 뫼셧다가 글닑그실 임시ᄒᆞ야 ᄌᆞ로안석을 거살이니 셰상ᄉᆞᄅᆞᆷ이 놉히녁이되 ᄯᅩᄒᆞᆫ시졀에 용납지못ᄒᆞ야 파관 에 잇슰ᄃᆡ만터라 옥당으로셔 노친졍게로 걸군샹소(乞郡上疏)ᅙᆞ니 상이르시 되 ᄉᆞ졍은 비록간졀ᄒᆞᄂᆞ 이ᄯᆡ츙즉한 ᄉᆞᄅᆞᆷ이젹으니 경악지신은 외임을가ᄇᆡ야
{ "page": 7,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이 못ᄒᆞ리라ᄒᆞ시고 특별이 의ᄌᆞ식물를 ᄉᆞ송ᄒᆞ시니 공이 표를을녀 ᄉᆞ은ᄒᆞ다 이젹에 인경왕후 두환(痘患)의 승하ᄒᆞ오시니 상이 두역(痘疫)을 못지ᄂᆡ신연 고로 냥궁의 장을난화 오삭만의 인산을ᄒᆞ오시되 나라의 셔 빈젼의임곡을아니 ᄒᆞ오시ᄆퟅᅵ 됴신이 빈뎐의츌닙ᄒᆞ면 대조압희 가들못ᄒᆞ고 발인의 ᄇᆡᆨ관이 의뎡 초상을입ᄒᆞ오셔 곡을아니 ᄒᆞ오시고 이졔 발인을 당ᄒᆞ오시되 ᄒᆞᆫ번 임곡를 의론치 아니ᄒᆞ오시니 뎐하 죵ᄉᆞ를 도라보오셔 셩쳬를 보호 ᄒᆞ오시고 구 ᄒᆞᆫ례ᅀᅮᆫ을 도라보지아니 ᄒᆞ시는ᄯᅳᆺ슬아오나 그러오나 ᄯᆡ가삼월이되오면 변ᄒᆞ 는지라 대ᄀᆡ여역이 침을ᄒᆞ야도 이어알틀아니코 셕달이지ᄂᆞ면 그긔운이 업셔 지압거ᄂᆞᆯ 이제 셕달이지ᄂᆞ시되 오히려 구긔를두오시니 신읫듯은 과ᄒᆞ다ᄒᆞ노 이다 됴졍이란것슨 례범에근본이라 만민이우러 본밧ᄂᆞ니 이졔뎐ᄒᆡ 아니구 긔ᄒᆞ오실일를 구긔ᄒᆞ시고 폐치못ᄒᆞ오실례를 폐ᄒᆞ오시니 이는만민의 본바들 ᄇᆡ 아니로소이다 원컨 오실례를 ᄒᆡᆼᄒᆞ오시고 ᄯᅩ ᄇᆡᆨ관을명ᄒᆞᄉᆞ
{ "page": 8,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교외의 곡송하야 구긔를파ᄒᆞ시고 졍과례ᄙᅳᆯ펴옵소셔 상이우용ᄒᆞᄉᆞ 비답왈 이 번상ᄉᆞ에 구긔ᄒᆞ는일로써 초상붓터 발인의일으도록 종시 친히가 우들못ᄒᆞ니 슬푸고 슬움을 엇지다 이르리요 훗ᄂᆞᆯ졀일에나 혼젼의 셜름을 ᄲᅮᆷ으러ᄒᆞ노라 빈뎐의 임곡ᄒᆞ는일이 올으나 일이 젼과다름이잇셔 거ᄒᆡᆼᄒᆞ기 어려욼듯ᄒᆞ고 교외에 곡송은 픔쳐ᄒᆞ라ᄒᆞ시다 좃든안이시ᄂᆞ 시졀공론이 올히녁이더라 이젼 오시수 ᄉᆞ신ᄀᆞᆺ슰ᄃᆡ 우리ᄂᆞ라 신하강ᄒᆞᆫ말 젼ᄒᆞᆫ죄로 가도와 쥭게되니 공이ᄉᆞᆼ 소ᄒᆞ되 맛당이역관을 엄히형벌ᄒᆞ야 승복밧으미올커ᄂᆞᆯ 이졔 형벌이노루허 대 신지ᄂᆞᆫᄉᆞᄅᆞᆷ의게 몬져베푸면 ᄉᆞ톄엇더ᄒᆞ니잇고 글언말ᄉᆞᆷ을 알의엿ᄯᅥ니 일로 써 ᄂᆞ라의ᄯᅳᆺ슬 거살니고 신하의 ᄭᅮ지ᄅᆞᆷ을들으되 조곰도 뉘웃쳐 안이ᄒᆞ더라 이ᄒᆞ에 쳥셩부원군 김셕ᄌᆔ 공ᄌᆞ묘의 ᄇᆡ향ᄒᆞᆫᄉᆞᄅᆞᆷ을 ᄂᆡ치고 을니랴 의론ᄒᆞ니 졔대신의ᄯᅳᆺ이 합ᄒᆞ야 례가임의 일위넷더니 쳥셩부원군 ᄎᆞᄌᆞ로 리조판셔를ᄒᆞᆫ 후 모다론박이 이러ᄂᆞ거ᄂᆞᆯ 공이쥬왈 신이 쳥셩부원군ᄎᆞᄌᆞ와 제ᄃᆡ신의논을업 드려보오니 신당과 공ᄇᆡᆨ뇨와 순황등구인을 다 공ᄌᆞ묘쳥의 ᄂᆡ치라ᄒᆞ신 ᄒᆞ교
{ "page": 9,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잇ᄉᆞ오니 신은 쳐음은깃거ᄒᆞ옵고 ᄂᆞ종은 근심ᄒᆞᄂᆞ이다 깃거ᄒᆞ옴은 ᄂᆞ라에서 쳐음으로 학교를 ᄉᆡ로ᄒᆞ오시는 뎡ᄉᆞ를 깃거ᄒᆞ옵고 ᄂᆞ라쳐분이 쾌단ᄒᆞ오심을 깃거ᄒᆞ옵고 그러ᄒᆞ오ᄂᆞ 다시 근심ᄒᆞᆯ것슨 ᄯᅩᄒᆞᆫ ᄆᆞᆯᄉᆞᆷ이잇ᄉᆞ오니 ᄃᆡᄀᆡ 셩묘ᄇᆡ 향ᄒᆞ는법이 당ᄂᆞ라붓터 ᄂᆞ라마다 더ᄒᆞ오나 신물의 허물이잇고 ᄉᆞ쳬의구간ᄒᆞᆫ 일이만흐니 후셰ᅌᅦ 셩인군ᄌᆞᄂᆞ면 례를의론ᄒᆞ려니와 만일 셩현갓ᄒᆞᆫᄉᆞᄅᆞᆷ이 안 이면 망령되이 의론ᄒᆞ고 범남ᄒᆞᆫ 마ᄋᆞᆷ이 ᄂᆞ면 도로혀 녯ᄃᆡ로 두ᄂᆞ니만 못ᄒᆞ 여이다 ᄃᆡ명젹 송 념과 뎡민셩이 의론ᄒᆞ야 츌쳑ᄒᆞ되 그른 일이만코 장부경 이 망령되이 ᄒᆡᆼᄒᆞ야 방ᄌᆞᄒᆞ며 ᄭᅥ리는일이 업스니 본ᄃᆡ 곳칠것이업ᄂᆞ이다 이 젼사ᄅᆞᆷ은 잘못ᄒᆞᆫ일은 의론키쉽고 졔몸에 잘못 ᄒᆞᄂᆞᆫ쥴은 모르니 이ᄂᆞᆫ 텬하ᄉᆞ ᄅᆞᆷ의 변통이니이다 이제시졀의 셩인군ᄌᆞ를 엇지논ᄒᆡᆨ ᄒᆞ리잇가 초ᄒᆞᆫ식견 으로 력ᄃᆡ와 녯법을 가뱌이 곳치니 이ᄂᆞᆫ 깁히 ᄉᆡᆼ각지 못ᄒᆞᆷ이라 그러ᄂᆞ 신의 근심 ᄒᆞᄂᆞᆫ바ᄂᆞᆫ 이일의 잘못ᄒᆞ고 잘ᄒᆞᄂᆞᆫ 밧게 잇스니 복유 셩상은 츈취졍셩
{ "page": 10,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春秋鼎盛)ᄒᆞᄉᆞ 학문공부 츙실치못ᄒᆞ시고 혈긔의일를 다업시를 못ᄒᆞ시고 일머리만 ᄉᆡᆼ각ᄒᆞ고 ᄭᅳᆺ츨혹ᄉᆡᆼ각지 못ᄒᆞᄉᆞ 사쳬경즁를 밋쳐살피들 안이ᄒᆞ오시 고ᄒᆡᆼᄒᆞ시기를 ᄯᅩ과ᄒᆞ시고 급ᄒᆞ오시니 신의망령된 소견에ᄂᆞᆫ 이병통을 바라지 ᄋᆞ니ᄒᆞ옵시면 반다시 뎡사에 방ᄒᆡ로옵고 일에ᄒᆡ로옴이 만사올것시니 져근 심이 안니다 이졔 신ᄒᆞ들이 견식이업ᄉᆞ오니 뎐하를돕사와 겸손ᄒᆞᄂᆞᆫ덕를놉 지안니ᄒᆞ고 졸연이 뎐ᄒᆞ를도아 션유(先儒)를 ᄭᅳ러ᄂᆡ고 즁ᄒᆞᆫ법를 문히치니 뎐하 ᄯᅩᄒᆞᆫ 붓슬ᄭᅳ어ᄂᆡ오셔 죠금도 후려를 안니시니 거조소홀ᄒᆂ고 듯ᄂᆞ니 의심ᄒᆞ니 이폐를 미루어가면 비유ᄒᆞ건ᄃᆡ ᄒᆞᆫ일만 잘못ᄒᆞ실ᄲᅮᆫ안니 시은실로 두려워ᄒᆞᄂᆞ이다 일이실로 본말이잇고 완급이잇ᄉᆞ오니 이졔 ᄉᆞᄅᆞᆷ가르치ᄂᆞᆫ 도 리가 폐ᅙᆞ고 션ᄇᆡ풍습이 게을너 집에셔ᄂᆞᆫ 효셩스럽고 공경ᄒᆞᄂᆞᆫ ᄒᆡᆼ실이없고 공부ᄒᆞ기ᄂᆞᆫ 졍셩스러워도 바른학문이업셔 다만 글귓ᄃᆡ이기만 일ᄉᆞᆷ아 록를구 ᄒᆞ고 의론를 빗구루ᄒᆞ야 벗슬모도와 편론만숭상ᄒᆞ니 인ᄌᆡ가쇠파ᄒᆞ고 풍쇽이
{ "page": 11,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문허졋스니 뎐하 만일 학문을 부즈런이ᄒᆞ시고 례ᄙᅳᆯ일위여 이폐를 크게변 ᄒᆞ랴ᄒᆞ시면 큰 션ᄇᆡ를마ᄌᆞ 셩균관ᄎᆡᆨ임을 맛기시고 쥰슈ᄒᆞ셔ᄇᆡ를 가르쳐학문 과 법를밝히ᄂᆞᆫᄃᆡ 잇삽고 션ᄃᆡ에 아름다온뎡ᄉᆞ와 션유에 올흔말삼을 가히 드 러 쓰실것시니이다 시젼에갈오ᄃᆡ 졔ᄒᆞᆫ 말흔션ᄇᆡ여 문왕이써 평안ᄒᆞ다ᄒᆞ니 이런근본이며 이런급ᄒᆞᆫ일이언마ᄂᆞᆫ 이졔 이것살의론치아니ᄒᆞ고 다만종향ᄒᆞᄂᆞᆫ 례에 ᄌᆞ셔코ᄌᆞᄒᆞ오니 비록 낫치니졍ᄒᆞᆯ지라도 불과 ᄐᆡ평부문이요 유림에구 경ᄲᅮᆫ이라 이리ᄒᆞᆫ본으로 인심이졸연이 착지못ᄒᆞ오니 가졍ᄯᆡ에 크게이경ᄒᆞ엿 스나 됴뎡이분란ᄒᆞ고 민ᄉᆡᆼ이교혜ᄒᆞ야 황명화근이 일로써 가졍에 비로셧스니 효험업심이 분명ᄒᆞᆫ이다 ᄒᆞ물며 요사이ᄂᆞᆫ 사의도이긔여 긔강이서지 못ᄒᆞ고 졍령은상업셔 졀용를못ᄒᆞᄆᆡ ᄊᆞ힌곡식이업고 ᄇᆡᆨ셩은쥭어가되 은혜를ᄂᆞ리지안 니ᄒᆞ고 무셥고 놀ᄂᆞ온ᄌᆡ변은 달노ᄂᆞ며 날로나는ᄃᆡ 복원셩상은 엿법을 중히 역이오시고 ᄉᆡ명령를것ᄉᆞ와 근본과급ᄒᆞᆫ것슬 폐ᅌᅵ게ᄒᆞ소셔 니조판셔 리단하
{ "page": 12,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ᄂᆞᆫ 갑인년의 션왕의 ᄒᆡᆼ장을지어 드릴젹에 텬위진쳡ᄒᆞ시니 황겁실죠ᄒᆞ야 불 긴ᄒᆞᆫ말ᄉᆞᆷ를 ᄒᆡᆼ장에 더 쎠ᄉᆞ오니 쳐ᄉᆞ가 젼도ᄒᆞ고 ᄯᅳᆺ이미련ᄒᆞ야 지금 공의가 ᄭᅮ짓삽고 져즈음긔 가례후의 여양부원군 민유즁으로ᄒᆞ여곰 병조판셔를 인임 ᄒᆞ시니 이ᄂᆞᆫ 열조에 즁ᄒᆞᆫ법을 파ᄒᆞ오셔 외쳑에 간뎡ᄒᆞᄂᆞᆫ폐를 더압시니 ᄃᆞ신 삼ᄉᆡ 날로닷토옵ᄂᆞᆫᄃᆡ 니단ᄒᆞ ᄃᆡᄉᆞ헌으로셔 구ᄒᆞᆯ줄모로고 이에 상소ᄒᆞ여ᄒᆞᆫ 말를 ᄇᆡ판ᄒᆞ되 이벼살은 ᄂᆞ라법의업ᄂᆞᆫ것시ᄂᆞ 국구겸ᄒᆞ미 올타ᄒᆞ니이것슨 반다시 ᄉᆞᄅᆞᆷ의이목을덥고 상하에 아당ᄒᆞᄂᆞᆫᄯᅳᆺ이라 졍사와 언론이 이럿틋ᄒᆞ되 도로혀 ᄃᆡ총ᄌᆞ로 승탁ᄒᆞ오시고 금일ᄃᆡ간이 ᄒᆞᆫ말도못ᄒᆞ오니 뎐하의 이목지관 이되여 귀먹고 눈어둡기 이럿틋ᄒᆞ오니 엇지 ᄒᆞᆫ심치아니리잇고 상이 로ᄒᆞᄉᆞ 비망긔를 ᄂᆞ리오ᄉᆞ 파직불셔ᄒᆞ시니 졍원과 ᄉᆞᆷᄉᆡ 닷토아구ᄒᆞ고 노봉민상국은 민유즁의 형이로되 구ᄒᆞ더라 그러ᄒᆞᄂᆞ 이 상소후ᄂᆞᆫ 우흐로 상의를덧ᄂᆡ고 아 ᄅᆡ로ᄂᆞᆫ 모든ᄃᆡ신이 발노ᄒᆞ니 ᄉᆞᆷᄉᆞ망에 낙졈안이ᄒᆞ시미 무수ᄒᆞ더라 임슐년 의 독셔당에 ᄲᅡ이니 이ᄂᆞᆫ 당셰ᅌᅦ 극망이라 공과 됴지겸과 림영과 오도일과
{ "page": 13,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셔죵ᄐᆡ 니어로 ᄲᅡ아 ᄂᆞ라에서글지여드리라 명ᄒᆞ시ᄆᆡ 일제히 글을지여드리 니 상이 친찬ᄒᆞᄉᆞ 오찬을쥬시니 공등이 표를을녀 ᄉᆞ은ᄒᆞ오ᄋᆡ 일셰가 다영화 로이녁이더라 이ᄒᆡ겨을계 이쳔현감를 ᄒᆞ이시고 오년이되도록 부르지아니ᄒᆞ 시더라 공이 도임후 즉시상쇼ᄒᆞ여 읍폐ᅌᅪ민막를 번통ᄒᆞ야 낫치득쳥ᄒᆞ야 졍영과 문서를 조리잇게ᄒᆞ며 쥬야로부즈러니ᄒᆞ야 ᄒᆞᆫ번 폐딴도업시ᄒᆞ며 글닑 어션ᄇᆡ를 가라치니 이쳔ᄇᆡᆨ셩이 지금ᄭᆞ지 칭송ᄒᆞ더라 병인츈의 사장ᄒᆞ여갈고 다시옥당ᄒᆞ여 니죠좌랑 북평ᄉᆞ 젼라도어ᄉᆞ를지ᄂᆡ고 응교도든후 이ᄯᆡ됴졍에 셔 쟝능을 쳔장ᄒᆞ올 의론이낫ᄂᆞᆫ지라 공이 글을올녀갈오ᄃᆡ 지슐화복지셜이란 것슨무당에말과 갓한지라 이졔 잡슐에말로써 반ᄇᆡᆨ년지후 의관지장을 가바야 이 의론ᄒᆞ오니 가치안사와다한ᄃᆡ 수십인즁에 올타ᄒᆞᄂᆞᆫ니ᄂᆞᆫ 반이넘고 올치아 니타ᄒᆞᄂᆞᆫ이ᄂᆞᆫ 감히 분명ᄒᆞᆫᄆᆞᆯ를 못ᄒᆞ더니 공의말이 통쾌ᄒᆞᄂᆞ 샹이망상타ᄭᅮ종 ᄒᆞ오시더라 파쥬목ᄉᆞ를ᄒᆞ야가니 치민ᄒᆞ기를 니쳔과갓치ᄒᆞ되 더욱부즈러니ᄒᆞ 고 ᄇᆡᆨ셩을 사랑ᄒᆞ니 션치ᄒᆞᆷ이 일국의읏듬이라 일컷더라 파쥬관ᄉᆞ가 업거날
{ "page": 14,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월음을버혀ᄂᆡ여 풍낙헌을지으다 겨을의 쟝빙(藏氷)ᄒᆞᆯ젹에 공이갈오ᄃᆡ 어름 싸흘집을 몃간를 지으라ᄒᆞ고 ᄆᆡ간의 어름몃장식들이라 ᄒᆞ더니 ᄂᆞ죵의혀여보 니 과연올터라 ᄃᆡᄀᆡ 공의텬품이 이상ᄒᆞ야 ᄌᆡ조가놉고 ᄉᆞ물에밝가 ᄃᆡ소사에 어려우며 쉬운것업시 반다시 안연후에 긋치더라 필법도 모질고 단ᄒᆞ야 방 졍ᄒᆞ고 골육이상칭ᄒᆞ야 세상에유명ᄒᆞ고 슈법도긔묘ᄒᆞ고졍ᄒᆞ야 츄호도 그릇 ᄒᆞ미업서 그릇속에 곡식과 ᄂᆞ무우ᄒᆡ 실과수를 예싼ᄒᆞ면 그릇속에 곡식은 몃 ᄯᅩ 의약과 졈셔와 텬문도 모를것이업고 텬하 고을과 ᄂᆞ라디형 원근과 인 다쇼를 다녁양ᄒᆞ고 ᄃᆞ욱 쥬역공부잇셔 ᄆᆡ양 강연에드러가 깁흔ᄯᅳᆺ과 묘ᄒᆞᆫ니 치를 분명이ᄆᆞᆯᄉᆞᆷᄒᆞ면 모든ᄌᆡ상영사와 늘근션ᄇᆡ 아모말도 못ᄒᆞ더라 긔사츈에 국사가 크게변ᄒᆞ야 모든소인이 당권ᄒᆞ고 뉼곡과 우계 량션ᄉᆡᆼ을 츌향ᄒᆞ니 공 이 고을ᄐᆡ슈로잇셔 거ᄒᆡᆼᄒᆞ기 불편이녁여 방장ᄒᆞ니 ᄑᆡ쵸ᄒᆞ여 도라오다 공이 량션ᄉᆡᆼ을위ᄒᆞ야 츌향마압소셔 상쇼ᄒᆞ야 돈수츌혈(頓首出血)ᄒᆞ니 지금ᄭᆞ지칭
{ "page": 15,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숑숑ᄒᆞ더라 이ᄯᅢ에 인현왕ᅙᅮ를 장?폐ᄒᆞ시게되니 공이간ᄒᆞᄂᆞᆫ 샹쇼를지어 유ᄉᆡᆼ과 감찰들쥬다 어시에 공의 구씨(舅氏)남약쳔(南藥泉)이 영의졍으로셔 후궁을말함ᄒᆞ다가 상이ᄃᆡ로ᄒᆞᄉᆞ 강능으로 귀향모ᄂᆡ니 교외에ᄂᆞ가 송별ᄒᆞᆯᄉᆡ ᄂᆡ죵남학명더러 마상에셔이로ᄃᆡ ᄭᅮᆷ에 ᄉᆞᄅᆞᆷ에게 죠샹ᄒᆞ니 피눈물이져々 일신에흐르더니ᄭᆡᆫ후도 오히려늣기니 그어인증존고ᄒᆞ더라 공이 약처ᇇ긔 글지여 젼숑ᄒᆞ니 그시에 갈오ᄃᆡ 相見茫然立路岐 셔로보고 아득히 질가지에 셧시니 意凄情極各無辭 ᄯᅳᆺᄌᆞᆫ슬풀고 졍은극진ᄒᆞ야 각々말이 업더라 從來尤怨公何有 죵래우원을 공이 무엇시잇ᄂᆞᆫ고 但覺憂嗟我自思 다만슬푸게 ᄂᆡᄀᆞ스ᄉᆞ로 ᄉᆡᆼ각ᄒᆞ노라 鞭擧塵驚徒御急 ᄎᆡ즉을들고 틔글이놀라ᄆᆡ 하인이지촉ᄒᆞ고 風吹日暮道途悲 바람은불고날은저문대 도々히슬허ᄒᆞᄂᆞᆫ도다 今時暫慰東人望 이졔난 잠시 동편사ᄅᆞᆷ을 위로ᄒᆞ고
{ "page": 16,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어ᄂᆡ달에 집에도라와 ᄃᆡ궐로 드러갈긔약일고 남약쳔공이 화답ᄒᆞ니 그글에 갈와시되 셔풍에 말을 셔로난호난 길가지의 셰워시니 한수 ᄉᆡ글로 다시 ᄆᆞᆯ을지여더라 ᄇᆡᆨ발과 장안은 로ᄆᆡ한거슬 가츄왓고 밋친말과 큰글은 실로셩사러라 ᄒᆞ날이길ᄆᆡ 큰물은 의미히멀고 바다하널으ᄆᆡ 어룡은 부르지々고 수파람이 슬푸너라 뭇노니 자ᄂᆡ가 어느ᄯᆡ에 ᄂᆞᆯ을차즐고 영쥬봄날에 도로키여 도라오난 긔약일너라 이ᄯᆡ 사람이 공더러이로ᄃᆡ 고이타 공에글ᄯᅳᆺ이 쳐창ᄒᆞ여 상셔롭지 아니ᄒᆞᆫ고 공이왈 즉금경믈 긔록한것이 ᄒᆡ로을 가ᄒᆞ더라 슬프다 공에이시는 마지막지은 글이니 피화젼뉵일(柀禍前六日)이라 몽참과 시참이 젼정이로다 이ᄯᆡ에 비방
{ "page": 17,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긔를 빈쳥에ᄂᆞ리오ᄉᆞ 말삼이 엄졍ᄒᆞ시고 위엄이극히 지엄ᄒᆞ시ᄆᆡ ᄉᆞ긔가졈 급박ᄒᆞᄆᆡ 일국이황ᄒᆞ여 아모리ᄒᆞᆯ쥴을 모르거날 공이듯고 강ᄀᆡᄒᆞ야 눈물를 ᄒᆞᆯ녀왈즉금국모 쟝ᄎᆞᆺ위ᄐᆡ하얏거날 몸이파직즁에잇ᄂᆞᆫ지라 동관은간차아니 ᄒᆞ랴ᄒᆞ거날 드ᄃᆡ여 셔찰로 파직ᄒᆞᆫ 명ᄉᆞ들에게 쳥ᄒᆞ야 장ᄎᆞᆺ 샹소ᄒᆞ랴ᄒᆞᆯᄉᆡ ᄯᅩ ᄒᆞᆫ 오두인이 파관명ᄉᆞ로 상소ᄒᆞ랴 ᄒᆞᆫ다ᄒᆞ니 이에 평시셔로 뫼히게ᄒᆞ니이ᄯᆡ 에 니셰화ᄂᆞᆫ 강교로셔 긔약지아니ᄒᆞ야 드러오고파관ᄒᆞᆫ됴ᄉᆞ들은 소분듯고오 니 도합ᄒᆞ야 팔십여인이러다 ᄎᆈ셕졍과 니돈이 각 ᄉᆞᄆᆡ에 상소초를넛코 와 셔모든명ᄉᆞ의 샹소조어를 의론ᄒᆞᆫᄃᆡ 결단이업고 날이임의 져문지라 ᄒᆞᆫ사ᄅᆞᆷ이 갈오ᄃᆡ 금인은 발셔져무럿스니 명일밧치미 ᄒᆡ롭지안타ᄒᆞ거날 공이왈 아ᅵ런일 를ᄂᆞᆯ포ᄭᅳ러가랴 ᄒᆞᄂᆞ냐 ᄯᅩᄒᆞᆫᄉᆞ람이왈 짓고쓰리가업스니 엇지ᄒᆞᆯ고ᄒᆞᆫᄃᆡ 공이 분연왈 찰알리 ᄂᆡ가짓고 쓰리라ᄒᆞ고 언필에 지필를잡아 두 상소를ᄭᅳᆫᄂᆡ여 혹 곳치고 혹 더ᄒᆞ야 짓고쓸ᄉᆡ 필역이 표홀ᄒᆞ야 풍우오덧ᄒᆞ고 문ᄉᆞ지간에 쥰혁 ᄒᆞᆫ말삼이 만흐며 잠감 상소일편를 일워ᄂᆡ니 오두인이이에 벼ᄉᆞᆯ이놉흐ᄆᆡ 소
{ "page": 18,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두(疏頭)를 졍ᄒᆞ야 승졍원에 밧치니 ᄎᆞ시 긔ᄉᆞ월 이십오일 선시러라 상쇼 입계ᄒᆞᆫ후 오ᄅᆡ도록 비답이 아니ᄂᆞ리 시더니 황혼의 상이명ᄒᆞᄉᆞ 승지를 입시 ᄒᆞ라ᄒᆞ시고 닑으라 ᄒᆞ시니 승지니셔위 업드려닑어 갈오ᄃᆡ 져판셔신 오두인 젼참판신 니세화 젼ᄉᆞ직진 신우헌 젼승지신 김ᄌᆡ쳔 젼군슈신 ᄎᆈ셕졍 목ᄉᆞ신 니돈 젼승지신 셔문유 젼급졔신 조셩보 젼부ᄉᆞ신 셔죵ᄐᆡ 젼목ᄉᆞ신 리광하 젼목ᄉᆞ신 박ᄐᆡ보 젼목ᄉᆞ신 심ᄉᆞ홍 젼부ᄉᆞ신 리ᄒᆡᆼ하 젼부ᄉᆞ신 심쥰 신리지웅 신우명ᄌᆡ 신윤박 신 윤평 신권상하 젼뎡낭신 횽슈현 젼판관신 리종허 ᄖᅮᄉᆞ신 리의창 참의신 심슈량 젼현감신 박ᄐᆡ순 젼도ᄉᆞ신 김닌젼 찰방신 셔종헌 젼 쪅신 김두남 젼졍낭신 김홍복젼 졍낭신 김몽신 젼도ᄉᆞ신 유명홍 젼헌감신리 인긔 젼ᄉᆞ과신 리삼셕 젼관관신 홍만션 신 유경젼헌령신 안즁전현감신오두 셩 신리졍긔 신박뇽션 신김ᄀᆡ젼 쥬부신 김계정 젼벌졔씬 한덕량 젼박ᄉᆞ신리 진식 젼별감신리긔쥬 젼군수신 리쥰 젼현감신 윤이진 젼쳠졍신 유시번 젼군 수신 리인혁 젼헌령신 리인슉 젼봉ᄉᆞ신 리인회 젼현감신 졍졍양 신리셰환
{ "page": 19,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젼ᄉᆞ과신 감덕긔 젼봉ᄉᆞ신 리세유 신최방언 젼판관신 홍슈졍 젼봉ᄉᆞ신리하 셩 신리만형 참봉신 뎡유졍 신리덕명 신 남방 신박셰집 젼참봉신 리만형 젼 급졔씬 김계쎤 젼참봉신 민광익 ᄯᅥᆫ현감신 강셕범 신리만징 젼부ᄉᆞ신 됴다ᄅᆡ 젼감찰신 셔문숙 젼현감신 김하셕 신곽창직 젼도ᄉᆞ신 오ᄃᆡ수 ᄯᅧ현령신 리경 슈등은 셩화명공돈슈근법ᄇᆡ 샹언우 쥬상젼하 ᄒᆞᄋᆞᆸᄂᆞ니 복이 신등은 업드려 성각ᄒᆞ오니 인군의 비(妃)두신것슨 정묘를 ᄒᆞᆫ가지로 밧들고 만민를ᄒᆞᆫ가지로 님ᄒᆞᄉᆞ왕교에근본이오 왕화에 근본이라 녯젹 셩왕이 후비(后妃)를 쥬히역인 것슨 이런연괴라 우리모후(母后)도 곤위(坤位)에 님ᄒᆞ오신지 님의 구년이라 대왕대비 침히간ᄐᆡᆨᄒᆞ오셔 우리젼하를 맛기오시니 뎐히ᄯᆞᄒᆞᆫ ᄃᆡ왕ᄃᆡ비 삼년상 (大王大妃三年喪)을 ᄒᆞᆫ가지 닙ᄉᆞ오시고 외간의 실덕이 아니들니ᄋᆞᆸ고 신민에 우러르미 간졀ᄒᆞ옵더니 홀연이졔 빈쳥의ᄂᆞ리신 비망긔를보오니 신ᄌᆞ의 ᄎᆞ마 드를ᄇᆡ아니로소이다 왕인이 ᄒᆞᆫ번ᄂᆞᄆᆡ ᄉᆞ방이 다놀ᄂᆞᄂᆞᆫ지라 엇지 셩명지하에 은혜샹ᄒᆞ고 도로여 ᄒᆞ로오미 잇슐쥴 ᄯᅳᆺᄒᆞ야스리잇가 슬푸다 궁즁일은 외인
{ "page": 20,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이 알ᄇᆡ아니로되 비방즁의 니른바핑계ᄒᆞ야 ᄉᆞᄅᆞᆷ소긴단 말삼이 무삼일이온지 모로오나 셜ᄉᆞᄂᆡ뎐의셔 조고만허물이 계시오나 몽중ᄉᆞᄂᆞᆫ 힝ᄉᆞ의드러ᄂᆞᆫ온 헌 물이 아니시거던 거연이 집어ᄂᆞ야 표양ᄒᆞ며 조곰도 ᄌᆞ져ᄒᆞᄂᆞᆫ일이 업ᄉᆞ와 망 극ᄒᆞᆫ죄명을 써오시며 하믈며 원ᄌᆞ탄강ᄒᆞ오시니 종ᄉᆞ의 무강ᄒᆞ신복이라 심산 궁곡에 뉘아니 즐겨ᄒᆞ리 업삽거ᄂᆞᆯ ᄂᆡ뎐마음에 엇지깃거아니시리잇가 져지음 긔후궁을널니 ᄲᅡ라ᄒᆞ오시기ᄂᆞᆫ ᄂᆡ뎐의셔ᄒᆞ오심은 ᄉᆞ쇼념려을ᄒᆞ오셔 사졍을닛 ᄌᆞ오신ᄯᅳᆺ을 가히보올것시니이다 이졔ᅌᅯᆫᄌᆞ탄강ᄒᆞ오신후로 불평ᄒᆞᆫ마음을 품어 노흔ᄉᆞᄉᆡᆨ이 잇다하오시니 이ᄂᆞᆫ 밧게말삼이니이다 부인은 텬셩이라 투긔업ᄂᆞ 니 드문지라 임ᄉᆞ지셩이아니면 녜젹에 뉘 투긔아니 ᄒᆞ엿ᄉᆞ오리잇가 ᄯᅩ 녀항 간필부 일쳐일쳡둔니를 보아도 반다시 명분을직히여 가찰ᄒᆞᆫ것슬 업시ᄒᆞ야규 뮨의 부졍ᄒᆞᆫ것슬 막ᄉᆞᆸᄂᆞᆫ고로 녰사ᄅᆞᆷ이갈오되 귀아니먹고 눈아니어두오면 가 장소임을 못ᄒᆞᆫ다ᄒᆞ오니 진실로 그럿치못ᄒᆞ오면 혐의가압핍 ᄒᆞᆫᄃᆡ셔ᄂᆞ고 혼단 이 셔로결우난ᄃᆡ셔ᄂᆞ고 참간ᄒᆞ여 사랑ᄒᆞᆫ다 뮈워ᄒᆞᆫ다 그름을이간ᄒᆞ야 물졋닷
{ "page": 21,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시혹ᄒᆞ여고지드러 깁히살피지못ᄒᆞ오면 큰ᄒᆡᄂᆞ옵나니이다 뎐ᄒᆡ ᄆᆡ양ᄒᆞ오시 되 종ᄉᆞ를위ᄒᆞ야 깁히념려ᄒᆞ노라 ᄒᆞ오셔도 신등은그ᄯᅳᆺ을 모로압나이다 원ᄌᆞ 위호를 임의뎡ᄒᆞ오셔 젹쟝이되여계시온즉 즁궁아드님이 되여 계오신지라 엇 지즁궁를 보젼치못ᄒᆞ온후에야 원ᄌᆞᄭᅴ셔 편안 ᄒᆞ리잇가 타일원ᄌᆞ 라신후오 날 거조를늘으시면 엇지슬허 안니ᄒᆞ시리잇가 녯글에갈오ᄃᆡ 아달이 안해를 맛당이 안니역인ᄃᆡ 부뫼왈 남을잘셤긴다ᄒᆞ면 아달이 부에례를ᄒᆡᆼᄒᆞ야 쥭기 ᄭᆞ지 쇠를안ᄂᆞᆫ다ᄒᆞ엿ᄉᆞ오니 셜ᄉᆞ ᄂᆡ뎐으로 쳐ᄉᆡ 셩심의 맛당치 못ᄒᆞ오시ᄂᆞ 우리션후(先后)에 ᄉᆞ랑ᄒᆞ오시던 일를ᄉᆡᆼ각ᄒᆞ오시면 뎐하에 효성으로 엇지ᄎᆞ 마 폐ᄒᆞ실ᄯᅳᆺ을 두오시리잇가 쥬역에갈오ᄃᆡ 여러히밋브면 뉘웃부미업다 ᄒᆞ얏 삽고 ᄯᅩ 푸러갈오ᄃᆡ ᄭᅬ로여러흘조츠면 하ᄂᆞᆯ에마음을 ᄒᆞᆸᄒᆞ리라ᄒᆞ오니 이일이 잇스므로붓터 혹힘써간ᄒᆞ며 혹젼쳥으로 다토와 간ᄒᆞ와죄벌이 셔로이어 긋치 들안니ᄒᆞ온ᄃᆡ 조졍션ᄇᆡ 셔로이어 상소를ᄭᅮ미고 부유하쳔이라도 분주ᄒᆞ야 눈 물안이ᄂᆡ리업ᄉᆞ오니 이러틋ᄒᆞᆫ것슨진실로 텬디긔운이 그릇되오면 만물이ᄂᆞ지
{ "page": 22,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못ᄒᆞ고 부뫼불화ᄒᆞ면 여러아달이 편치못ᄒᆞᆫ연괴니이다 ᄉᆞᄅᆞᆷ의 마음잇ᄂᆞᆫ바에 하날ᄯᅳᆺ을알것이니 뎐하ᄂᆞᆫ셩품을 임의로ᄒᆡᆼᄒᆞ오시ᄂᆞ 뎐하ᄂᆞᆫ 거살니지못ᄒᆞᆯ것시 니 엇지ᄉᆡᆼ각지 못ᄒᆞ시ᄂᆞᆫ잇가 녯글에갈오ᄃᆡ 사ᄅᆞᆷ이 누가허눌이 업사리요마ᄂᆞᆫ 곳치ᄂᆞᆫ것이 귀ᄒᆞ다ᄒᆞ얏사오니 원컨ᄃᆡ 뎐하ᄂᆞᆫ 큰의를 ᄉᆡᆼ각ᄒᆞ오시고 모든하졍 을 살피오사 위엄을 거두시고 급히명령를 곳지오사 텬디와일월이 다시덕을합 ᄒᆞ옥을뵈여 써 동방ᄇᆡᆨ셩에 근심ᄒᆞ고 바라ᄂᆞᆫᄯᅳᆺ을 위로ᄒᆞ게되어면 불승ᄒᆡᆼ심이 로소이다 신등이 뎐하 됴뎡의잇서 뎐하에녹을먹삽고 량궁를우러 은혜ᅌᅵᆸ 사오미 망극ᄒᆞ옵더니 이졔죄가파관중에잇사와 뎡쳥에도 참례치 못ᄒᆞ얏ᄉᆞᆸ기 구 ᄒᆞ옵고 통박ᄒᆞ온하졍을펴와 감히ᄂᆞ라ᄋᆞᆸ해 아뢰오니 오직 뎐하ᄂᆞᆫ 살피ᄋᆞᆸ 소셔 신능은 셜워울며 알외ᄋᆞᆸᄂᆞ이다 닑기를앗치니 상왈 상소말이 엇더ᄒᆞᆫ고 승시대와 ꥤᅪᄒᆞᆫ말삼이잇ᄉᆞ오나 대의ᄂᆞᆫ졍쳥과 다르미업셔이다 상왈상핍이란문 ᄌᆞ 다시닑읍소 승지두어쥴닑으니 상이말삼을 ᄀᆞ다듬어갈오대 신서되야 감히 이런말을올녀 군부를 억유ᄒᆞᆯ가비망긔에말이 졀엄ᄒᆞ되 삼ᄉᆞᄇᆡᆨ관이 삼일졍청
{ "page": 23,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ᄒᆞᆫ일도 오히려무거ᄒᆞ거든 하물며감히 물졋닷시ᄒᆞᆫ단말를 글로써올녀바로ᄎᆞᆷ소 를밋고 모함ᄒᆞᆫ듸로돌녀보ᄂᆡ니 ᄯᅩᄒᆞᆫ흉ᄑᆡᄒᆞᆫ것이아니냐 비망긔를 살피들아니ᄒᆞ 고 부인를위ᄒᆞ야 닙셜코ᄌᆞᄒᆞ야 이에ᄂᆞᆯ널어 ᄎᆞᆷ조를밋고 ᄂᆡ뎐를폐ᄒᆞᆫ다고 일으 니소두오두인를 금야삼경ᄂᆡ로 당히 친국ᄒᆞᆯ것이요 니셰화등은 일벼극변원ᄎᆞᆫ ᄒᆞ라ᄒᆞ시니 승지알외되 팔십여인를 일시에 원ᄎᆞᆫ함이 졀녜잇삽ᄂᆞ니잇가 상왈 ᄇᆡᆨ인이라도 죄잇스면 줄것시니 졀례ᅌᅵᆺ고 업슴을이로리요 승지김ᄒᆡ일이 알외 되 역모와다르오니 엇지이러듯모아 셜국ᄒᆞ오시도록 ᄒᆞ오리잇가 상왈 모반역 젹보다 더ᄒᆞ다ᄒᆞ시고 ᄯᅩ 닐으시되 리셰화 유헌을 ᄂᆞᄅᆡᄒᆞ라 상왈 이상호ᄂᆞᆫ반 다시 갈으친놈이 잇슬것이니 민후혜뎨ᄙᅳᆯ 본부로ᄂᆞ국ᄒᆞ라ᄒᆞ시니 리셔우 김ᄒᆡ 일 량승지알외되 비가오기쉽삽고 아ᅣ긔음습ᄒᆞ오마ᅵ 뎐하옥톄손상(玉體損傷)ᄒᆞ 오실가ᄒᆞ오니 엇지쳔이 다ᄉᆞ리지아니 ᄒᆞ시ᄂᆞ니잇가 상왈 잡말마소 즉금천 국을아니ᄒᆞ면 금야로 큰병이ᄂᆞᆯ듯ᄒᆞ니 큰비가와도 친국은ᄒᆞ리라 대신과 삼ᄉᆞ 와 금부당상과 셰승지ᄑᆡ초ᄒᆞ야 급히 친국긔계ᄙᅳᆯ 삼경ᄂᆡ로 거ᄒᆡᆼᄒᆞ라 급히
{ "page": 24,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밧들어 거ᄒᆡᆼ치아니면ᄒᆡᆼ방승지죄쥬리라 상소쥬장ᄒᆞᆫ저 잇슬것시니 민지후와남 문과 소하를 원찬ᄒᆞ리라 두승지 명을밧드러 츄장ᄒᆞ야가더라 샹이이윽고 보 연을타시고 만안문으로 ᄂᆞ오셔 인뎡뎐의 어좌ᄒᆞ시고셔 승지을부르시며 셜 국ᄒᆞ라 ᄒᆞ시니 쵸경오졈일너라 텬위가 진노ᄒᆞ오시니 궐ᄂᆡ가ᄭᅳᆯ터라 궐문을다 닷고 반야창출에 각ᄉᆡ밋쳐 모도지못ᄒᆞ고 의장을 밋쳐베푸치못ᄒᆞ며 황겁ᄒᆞ야 다만 셤우ᄒᆡ 지의만ᄭᅡᆯ고 다만룡상 어탑ᄲᅮᆫ이러라 이날 친국 참례ᄒᆞᆫ니ᄂᆞᆫ 다만 영의뎡 권ᄃᆡ윤과 좌의뎡 목ᄂᆡ션과 우의뎡 김덕원과 판의감 민감과 지의금뉴 명현과 동의금 신후ᄌᆡ며 ᄯᅩ 권유와 ᄃᆡᄉᆞ헌 목창명과 대사간 뉴명현과 도승 지유명션과 좌승지 리유구와 우승지박지교와 좌부승지 김ᄒᆞ일과 우부승지리 셩우와 문ᄉᆞ낭쳥 검쥬와 김원셥과 심계량과 심발과 리현조와 쥬셔 림윤원과 가 쥬셔 니ᄌᆡ츈과 ᄉᆞ변쥬셔 심중량과 긔사관민지형과 박졍별과 형방노사 니 ᄒᆡᆼ도와 리후영과 문셔과 도사신쳐쟝과 리만긔러라 이ᄯᆡ 밤이된고로 밋쳐오 지못ᄒᆞᆫ이만커날 상이 진로ᄒᆞᄉᆞ 고셩하교왈 승지오 도ᄉᆞ더러 명령ᄒᆞ야죄인을
{ "page": 25,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ᄂᆞ래ᄒᆞ라ᄒᆞ시니 승지리셔우 젼명ᄒᆞ고 드러와알외되 친국ᄒᆞ실ᄯᆡ에 궁셩호위 를 엇지ᄒᆞ리잇가 샹왈 금호문과 단봉문을 유문ᄒᆞ라 ᄯᅩ 알외되 반야에급거ᄒᆞ 야 친국위의를 밋쳐ᄎᆞ리지 못ᄒᆞ엿ᄉᆞ오니 후일폐될가 져허ᄒᆞᄂᆞ이다 김쥬와 심계ᄙᅣᆼ이 입시을 쳥ᄒᆞ온ᄃᆡ 샹왈 옥당은무슨말을 알외ᄂᆞᆫ고 심계ᄙᅣᆼ이 알외되 오두인의 샹소를밋쳐보압지 못ᄒᆞ엿ᄉᆞ오나 친국ᄒᆞ오시미 셩덕에ᄒᆞ로을ᄯᅳᆺᄒᆞ여 이다 김쥬 알외되 쟝병범궐ᄒᆞᆫ 역젹이 아니어던 이러틋 급히 친국ᄒᆞ시리잇가 밤이깁고 졔신이 밋쳐오지 못ᄒᆞ엿ᄂᆞ이다 상왈 옥당은 귀먹엇ᄂᆞ냐 흉젹을 다 ᄉᆞ리ᄆᆡ 엇지 신하오기을 기다리요 두인이 ᄂᆡ 비망긔를 헛말이라ᄒᆞ니 진실 로그러ᄒᆞ면 ᄂᆞᄂᆞᆫ헛말ᄒᆞ던 니광한갓다ᄒᆞᄂᆞ냐 이놈들를 쥭이지못ᄒᆞ면 이분을 엇다풀고 ᄯᅩ 가라ᄉᆞᄃᆡ 도ᄉᆞᄂᆞᆫ 죄인을 ᄂᆞᄅᆡᄒᆞ얏ᄂᆞ냐 나장이모혓스며 형쟝ᄃᆡ 령ᄒᆞ얏ᄂᆞ냐 ᄉᆞ관은무르라 셰신이 어이아니오ᄂᆞᆫ고 승지 리셔우알외되 졔신의 집이 혹 셩밧긔도잇스며 혹 벽향에도 잇삽기 더ᄃᆡ오ᄂᆞ니다 상왈 표신을ᄂᆡ여 쥬여 셩물을 열ᄂᆞ ᄯᅩ 죄인이왓ᄂᆞ냐 ᄉᆞ관은무르라 상왈 문ᄉᆞ낭쳥으로 옥당을
{ "page": 26,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몬져ᄂᆞ라 죄인이 왓ᄂᆞᆫ가 승지ᄂᆞᆫ 무르라 ᄒᆞ시니 ᄎᆞ시 이경 일졈이러라 상왈 이경이 지ᄂᆞ되 죄인이어이 ᄋᆞ니오ᄂᆞᆫ고 승지ᄂᆞᆫ 어이아니 알외ᄂᆞᆫ고 녕부ᄉᆞ 민 뎡중을 ᄃᆡ신위에 두지못ᄒᆞ리니 위션삭탈관직ᄒᆞ라 셔우알외되 죄인의 집이 혹 머압고 반야창황즁 하인이 밋쳐오지못ᄒᆞ여 지쳬ᄒᆞᄂᆞ이다 상왈 몬져 ᄂᆞᄅᆡ ᄒᆞ고 ᄂᆞ종오ᄂᆞᆫ니ᄂᆞᆫ ᄂᆞ종ᄂᆞᄅᆡᄒᆞ라 ᄃᆡ신과 금부당샹이 누구ᄂᆞᆫ오고누구ᄂᆞᆫ 아니 왓ᄂᆞᆫ고 ᄉᆞ관은 ᄋᆞ라드리ᄅᆞ ᄯᅩ 가라ᄉᆞᄃᆡ 뎐좌ᄒᆞ연지 오ᄅᆡ되 오히려ᄃᆡ신과 금 금부당샹은 일변다츄고ᄒᆞ라 샹왈 ᄑᆡ나간지오ᄅᆡ되 졔승지어이 아니오ᄂᆞᆫ고 셔 우 알의되 심야에 취침 ᄒᆞ얏기로 ᄌᆞ연지쳬 ᄒᆞᄂᆞ이다 민암이 드러온ᄃᆡ 샹왈 판의금은 어이완이 드러오ᄂᆞᆫ고 나장과 형장을 쥰비ᄒᆞ얏나냐 십분ᄌᆡ촉 ᄒᆞ 소 민암이 ᄌᆡ촉ᄒᆞ고 드러온ᄃᆡ 상왈 판의금은 문낭과 ᄒᆞᆫ가지 상소보와 문목 을 젹어ᄂᆡ소 민암이 뭄너안ᄌᆞ 문낭과ᄒᆞᆫ가지로 샹소를보더라 상왈 이젼의 보니 친국시에 ᄯᅳᆯ에상노코 상우해문셔노코 문낭이 상압해셔쓰더라 의례ᄒᆞ여 ᄇᆡ셜
{ "page": 27,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ᄒᆞ라ᄒᆞ시니 이ᄯᆡ 삼경일졈일너라 상왈 삼경이되얏스되 졔신이어이 아니오ᄂᆞᆫ고 고 민ᄋᆞᆷ이알외되 ᄐᆡ후벼살ᄒᆞᄂᆞᆫ니ᄂퟅᆫ 아모리 급ᄒᆞ여도 거러다니지 말나ᄒᆞ얏ᄉᆞ 옵기 반야창졸에 하인이 모히지못ᄒᆞ여 지체되나이다 ᄯᅩ알외되 국쳥문목을 ᄃᆡ 신이 지여ᄂᆡ압ᄂᆞᆫ 법이오니 ᄃᆡ신오기를 기달니ᄂᆞᆫ것이 엇더ᄒᆞ올ᄂᆞᆫ지 이ᄯᆡ에 권 ᄃᆡ운이 들어온ᄃᆡ 상왈 시방ᄂᆞ라의 흉젹이잇셔던좌ᄒᆞ연지 ᄉᆞᆷ경이되얏스되경 이너모 더ᄃᆡ오니 분의도이러ᄒᆞᆫ가 녕의뎡 권ᄃᆡ운이 알외되 집이머러 더ᄃᆡ왓 사오니 황공ᄃᆡ죄ᄒᆞ노이다 상왈 ᄃᆡ죄ᄆᆞᆯ고 어셔 판의금과 ᄉᆞᆼ의ᄒᆞ야문목을지여 ᄂᆡ옵소 상왈 녕상은 상소보니 쇼어가엇더ᄒᆞᆫ고 권ᄃᆡ운이 알외되문ᄉᆞ를젼혀갈 희들 안니ᄒᆞ얏ᄉᆞ오니 무상ᄒᆞ오나 신을맛겨 다ᄉᆞ리미 족ᄒᆞ시거ᄂᆞᆯ 굿ᄒᆞ여 친국 ᄒᆞ시리잇가 상왈 오두인등이 ᄂᆡᄆᆞᆯ이 헛ᄆᆞᆯ이라ᄒᆞ니 ᄂᆞᄂᆞᆫ헛ᄆᆞᆯᄒᆞ던 니광한되얏 노라 이젼에 김홍욱이 잇더니 이ᄂᆞᆫ더심ᄒᆞ도다 엇지일각인들 텬디간에 살녀두리요 목ᄂᆡ션이드러와 알외되 신등을맛겨 쥬오시면 어련니 엄치ᄒᆞ올잇 가 권대운과 목ᄂᆡ션이 졔셩ᄒᆞ야알외되 야긔음습ᄒᆞ오니 ᄌᆞᄂᆡ로 환궁ᄒᆞ옵쇼셔
{ "page": 28,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상왈 잡말ᄉᆞ고 어셔거ᄒᆡᆼᄒᆞ옵소 상왈 문목을초잡아 뎡셔ᄒᆞ기더ᄃᆡᆯ것이니 바로 뎡셔ᄒᆞ라 권대운이 알외되 니현됴와 심발노 문낭을ᄂᆡ여지이다 상왈 친국시 에 발포ᄒᆞᆯ일이 잇셔도 가셔도ᄉᆞ를 만히내이고 문목을 ᄌᆞ셰이ᄂᆡ이라 오두인 등이 말ᄒᆞ되 ᄂᆡ말은 거즛말이라ᄒᆞ며 ᄎᆞᆷ소를듯고 이리ᄒᆞᆫ다ᄒᆞ니 이말은뉘게드 르며 상소는 뉘 ᄭᅬ임을드럿ᄂᆞᆫ고 일로문목ᄒᆞ라 도승지 유명션이 알외되 친국 졀목을 각ᄉᆞ에분부 ᄒᆞᄂᆞ이다 샹왈 의윤ᄒᆞ라 ᄂᆞ장이 어이젹은고 누구ᄂᆞᆫ드러 셔며 누구ᄂᆞᆫ집쟝할고 판의금은 ᄌᆡ촉ᄒᆞ여 만히셰우소 홰불이어이젹은고 만히 심으ᄅᆞ 상왈 서로압핍ᄒᆞᆫ다 셔로알소ᄒᆞᆫ다 ᄉᆞ랑ᄒᆞᆫ다 뮈워ᄒᆞᆫ다ᄒᆞ니 그런말은어 인말이며 물졋닷시 깁히들어 살피지못ᄒᆞᆫ단ᄆᆞᆯ은 어인말인고 일로문목ᄒᆞᄅᆞ 어 시에제신이 거의다 모되이고 ᄂᆞᄅᆞ호령이 심이엄급ᄒᆞ시니 대소졔신이 다 실 ᄉᆡᆨ 경황ᄒᆞ야 다리도ᄯᅥᆯ며 슘을쉬지못ᄒᆞ고 셔로얼골만보고 아모말도 못ᄒᆞ더라 상왈 오두인을 몬져불밝은ᄃᆡ로 잡아드리라ᄒᆞ시니 도ᄉᆞ명령을바다 급히가더 라 이ᄯᆡ에공이 모든명사로더부러 상소밧치고 비답을기다리되 져무도록 비답
{ "page": 29,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이 안이ᄂᆞ리시니 모든명ᄉᆡ 혹 집으로가고 혹 궐문밧긔잇스며 공과 오두인과 리셰화와 심수량과 김몽신과 리인엽과 됴슈ᄃᆡ와 김덕긔등이 ᄒᆞᆫ가지로 대명 할ᄉᆡ 리섀화왈 우리등이 비록파관ᄒᆞ야 벼살이업스나 팔십여인이ᄂᆞ되니 변시 됴졍이 되얏는지라 엇지샹소를 ᄒᆞᆫ번만ᄒᆞ리요 여러번ᄒᆞᆷ이 엇더ᄒᆞ뇨 오두인이 우셔갈오ᄃᆡ 밋쳐영감말과 갓지못ᄒᆞᆯ가ᄒᆞ노라 말이맛지못ᄒᆞ여 궐ᄂᆡ에 들ᄂᆡ난 소ᄅᆡ를듯고 졔명ᄉᆡ 셔로도라보아왈 이거죄필연 우리등의 죄를무르려 ᄒᆞ시ᄂᆞᆫ 도다 아이요국쳥명녕이 ᄂᆞ리시ᄆᆡ 혼야(昏夜)에 버려션홰불이 조요ᄒᆞ고 셔리 ᄇᆡ 황겁ᄒᆞ야들네ᄂᆞᆫ소래 텬디진동ᄒᆞ더라 제명ᄉᆞ 면 이실ᄉᆡᆨᄒᆞ야 인이 황 겁ᄒᆞ되 공이홀로 갈오대 일일이이에이름이 고이치안냐 의법ᄒᆞ니 놀나지말ᄂᆞ ᄒᆞ시며 언어동지 조용안심ᄒᆞᆷ이 평일과갓더라 ᄒᆡ창위오ᄐᆡ쥬ᄂᆞᆫ 오두인의 아달 이라 울며대인ᄭᅴ 엿ᄌᆞ와갈오대 ᄉᆞ톄불측ᄒᆞ오니 대인은드러가소셔 알외올말 삼을 엇지의론치 아니ᄒᆞ시나니잇가 ᄒᆞ더라 공이오공더러왈 이샹소짓기와 쓰 기를 실로ᄂᆡ가ᄒᆞ얏스니 죄를엇지 가히면ᄒᆞ리요 공이먼저들어갈것시니 상이
{ "page": 30,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반다시 짓고쓴니를 엄문ᄒᆞ실것이니 오공은 바른대로 알외소셔 오공왈 ᄂᆡ엇 지ᄎᆞ마그리ᄒᆞ리요 공이왈 바른ᄃᆡ로 아니ᄒᆞ면 이ᄂᆞᆫ임군을 소기ᄂᆞᆫ것시니 공은 허물치 말나대ᄀᆡ두번 임군을소기지 마르소셔ᄒᆞ더라 오두인이 바지를것고 다 리를 만지며위연탄왈 삼십년 나라은혜를닙어 후록를먹어 다리에살이 쪗더니 엇지오날 국쳥의 드러갈쥴을 ᄯᅳᆺᄒᆞ엿스리오 아경의 금오랑이 나쟝을거나리 고 ᄲᅡᆯ니와 오공을 나ᄅᆡᄒᆞ니 공이 오공에 옷ᄉᆞᄆᆡ를 붓잡고 이로대 상이 짓고 쓰니를 뭇ᄌᆞ오시거던 공은ᄂᆞᆯ로ᄒᆞ여곰 엿ᄌᆞ오라 오공왈 ᄂᆡ엇지 소두로 엇지 스ᄉᆞ로 당치아니ᄒᆞ리요 공이두세번 고ᄒᆞ여왈 오공이 만일바로 고치아니ᄒᆞ면 ᄂᆡ 스ᄉᆞ로직고ᄒᆞ리니 어려워ᄆᆞᆯ고 쇼기지말고 바로고ᄒᆞ여 슘기는일이 업게ᄒᆞ 라 ᄌᆡᄉᆞᆷ당부ᄒᆞ더라 임의 오두인이 드러간후 리셰화 유헌을 이여나ᄅᆡᄒᆞᆫ대 끙 이드대여 나ᄅᆡ할 복ᄉᆡᆨ을 곳치고 안ᄌᆞ 기다리더라 어시에 승지리셔우 봉명ᄒᆞ 고 죄인을ᄌᆡ촉ᄒᆞ야 잡아옴을 알왼ᄃᆡ 상왈 오두인을 몬져올이라 상왈 친국ᄉᆞ 쳬ᅌᅥᆺ더케 엄중ᄒᆞ관ᄃᆡ 죄인이 망건쓰고ᄯᅴ고 조용이거러오난고 ᄌᆡ촉ᄒᆞ여 큰
{ "page": 31,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칼쓰이고슈죡에 황쇄족쇄를 베풀나ᄒᆞ시더라 문낭심계량이 문옥을 닑더니 상 왈 듯게엄이무르라 나쟝은 엽흘ᄶᅵᆯ으며 무르라 ᄯᅩ 우상은 어이지금ᄭᆞ지 아니 오난고 김덕원이놀나 이러업드려알외되 소신이 오완지오래여이다 상왈 량ᄉᆞ 당관이 어이 안이오난고 리셔우알외되 ᄃᆡᄉᆞ흔녹창명이 셩외에잇삽기 밋쳐못 왓삽나이다 샹왈 죄인의 원졍을 문ᄌᆞ로말고 말노알외라 이ᄯᆡ 오공의녀이 년 로ᄒᆞ고 파리ᄒᆞ며 말이어를ᄒᆞ야 명ᄇᆡᆨ지 못ᄒᆞᆫ시라 상왈 미ᇩ쳐 형추ᄒᆞ기젼 감히 분명이알외지 못ᄒᆞᆯ가 상소슈쟝ᄒᆞ기난 누구며 지으니난 누구며 쓰니난 누가 ᄒᆞ엿난고 긔어지말고 완이 ᄉᆡᆼ각지말고 어셔 바른ᄃᆡ로 알외라 오두인이 원 졍을 올니니 심계ᄙᅣᆼ이 닑어왈외되 신오두인은 년이 뉵십뉵이라 국은을 입ᄉᆞ ᄒᆞ옵고 ᄎᆞ마 잡이 잇ᄉᆞᆸ기 산ᄌᆞ의 직분이안이옵기 파관졔신으로 더부러 샹 소를ᄒᆞ오말 창죨간에 글ᄯᅳᆺ이 다론말삼과 다르옵지 엇지 뎐하를 일호나의심 케 ᄒᆞ오리잇ᄀᆞ 샹알상핍이란 말삼은여염잔 부ᄉᆞ이에 상실ᄒᆞ게되면 그런일
{ "page": 32,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이 잇ᄉᆞ오ᄆᆡ 녀항간말삼을 알외여삽지 엇지 뉘 ᄭᅬ임을 드럿ᄉᆞ오리잇가 샹소 주장ᄒᆞ기난 엇지ᄒᆞᆫ사ᄅᆞᆷ만 쥬장ᄒᆞ오리잇ᄀᆞ만는 엄문지하에 감히 긔이오리잇 가 집필은박ᄐᆡ보압고 의론ᄒᆞ옵기는 뉘아니 ᄒᆞ엿사오리잇가 이밧긔 알욀말삼 이 업사이다 닑기를맛치니 상왈 오두인은 ᄂᆞ리오고 리셰화를 올니라ᄒᆞ신ᄃᆡ 승지감ᄒᆡ일이 표신ᄀᆞ지고 드러온ᄃᆡ ᄃᆡ사헌 목창명이 창황이들어와 알외되셩 명지셰ᅌᅦ 이런흉ᄒᆞᆫ놈들이 이런흉참ᄒᆞᆫ 상소를 ᄒᆞᆯ쥴를 엇지 ᄯᅳᆺᄒᆞ얏ᄉᆞ오리잇가 만통분 ᄒᆞ여이다 상왈 당관참국ᄒᆞ라 ᄒᆞ시더라 이ᄯᆡ 리셰ᅙᅪ를 올일셔 문목 을일고 원졍밧기를 법ᄃᆡ로ᄒᆞᄂᆞᆫ지라 리공은 확실ᄒᆞᆫ지라 졍젼의알외되 신은죄 잇ᄉᆞ온것슨 뎐하로ᄒᆞ야곰 반야에 친국ᄒᆞᄉᆞ 옥톄를 손상ᄒᆞ시게ᄒᆞ고 과거를ᄒᆞ 시게ᄒᆞ얏ᄉᆞ오니 더욱 신의죄로소이다 상왈 잡말ᄂᆞ 심계량이 원졍을닑어알 외니 ᄃᆡ강갈오ᄃᆡ 죄인 리셰ᅙᅪᄂᆞᆫ 년이뉵십이라 신이 ᄌᆡ조업ᄂᆞᆫ것이 텬은를 과 히닙사와 누차방ᄇᆡᆨ을 지ᄂᆡ압고 녕남으로도라와 병이들어 강촌에 잇ᄉᆞ옵더니 홀연 폐비거조를듯ᄉᆞᆸ고 놀ᄂᆞ와 급히들어오니 팔십여인이 긔약아냐 일졔히모
{ "page": 33,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도여 상소의론ᄒᆞ오되 신은실학뎨ᄙᅡ 문한을 잘못ᄒᆞ와 ᄆᆡ양문ᄌᆞ붓치되 쳬말아 옵고 깁흔ᄯᅳᆺ은 모르오며 폐비과거되ᄂᆞᆫ것만 아옵고 상소당연ᄒᆞᆫ건만 알앗나이 다 쇼신이 쥬장ᄒᆞ얏다ᄒᆞ와도 신이 진실로 ᄉᆞ양치아니ᄒᆞ리이다 이졔 사ᄅᆞᆷ이잇 셔 ᄋᆞ비가 어미를ᄂᆡᆺ치면 그ᄋᆞ달이되여 울며 간ᄒᆞ여야 올사오리잇가 아비ᄯᅳᆺ을 맛추와 어미를ᄂᆡᆺ쳐도 물그럼이보고 간치안니ᄒᆞᄂᆞᆫ것이 올으리잇가 슬푸다 뎐 하ᄂᆞᆫ 산민에아비시며 즁궁은 신민의어미시라 뎐하의신ᄉᆡ되여 ᄌᆞᆷ이 잇스면 이난 텬하에 용납지못ᄒᆞᆯ 죄인이니다 이밧긔알외올 ᄆᆞᆯᄉᆞᆷ이업셔이다 상왈리세 화ᄂᆞᆫ ᄂᆞ리오고 유헌을 올니라 유공은 로병이심ᄒᆞ야 귀먹고 말를잘못ᄒᆞᄂᆞᆫ지 라 몬져 병상을알왼ᄃᆡ 상왈 병들잇스면 참녜ᅙᆞ얏스랴 나쟝아 엄히 쥬장질ᄒᆞ 여물으라 문낭심게량이 원졍을닑어알외되죄인유헌은나히칠십ᄉᆞᆷ이라 셩밧긔 잇삽더니 상소ᄒᆞᆫ단 말을듯잡고 아달만보ᄂᆡ야 일홈만 써ᄉᆞ을ᄲᅮᆫ이옵지 샹소쇼 어ᄂᆞᆫ 실로모로나이다 상왈 친국은 다른옥ᄉᆞ와달나 법이엄ᄒᆞ니라 ᄂᆞ 임의 여 러사ᄅᆞᆷ의게 다집을드르니 집필은 박ᄐᆡ보라ᄒᆞ니 어ᄃᆡ잇나뇨 공이 여러ᄉᆞᄅᆞᆷ즁
{ "page": 34,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의셔 이러나며 큰칼를잇그러 스사로쓰고 망건과담ᄇᆡᄃᆡ를 종놈을쥬어 이로ᄃᆡ 갓다가ᄃᆡ부인게 드리라ᄒᆞ고 ᄯᅴ와붓ᄎᆡ를 사ᄆᆡ에느흐니 쳐ᄉᆡ안상ᄒᆞ고 신석이 죠곰도변치 아니ᄒᆞ며 거르ᄆᆡ 조용ᄒᆞ더라 리인엽과 됴ᄐᆡ슈와김몽신등 삼인이손 죠곰도변치 아니ᄒᆞ며 거르ᄆᆡ 조용ᄒᆞ더라 리인엽과됴ᄐᆡ슈와김몽신등 삼인이손 을잡아갈오대 당히 ᄒᆞᆫ가지로 드러갈것시라ᄒᆞᆫ대 공이왈 ᄌᆞᄂᆡ들이 ᄒᆞᆫ가지로 들어가ᄌᆞᄂᆞᆫ 의가무엇신고 짓고쓰기를 다 ᄂᆡ가ᄒᆞᆫᄇᆡ라ᄒᆞᆫ대 삼인이일시에 갈오 대 원졍을 쟝찻엇지 ᄒᆞ랴ᄒᆞ는고 원컨대 셔로의로이나 ᄒᆞ셰ᅙᆞᆫ대 공이왈 원졍 은 ᄂᆡ가스사로 ᄒᆞᆯ것시니 엇ᄌᆜ이론ᄒᆞ리요 찰라리 혼ᄌᆞ죽을지언정 엇지다른사 ᄅᆞᆷ과 ᄒᆞᆫ가지로ᄒᆞ리요 ᄂᆡ 마음이 임의뎡ᄒᆞ얏스니 ᄌᆞᄂᆡ들은 념려마소ᄒᆞᆫ대 리 돈이 ᄉᆞᄆᆡ를잡아갈오대 사원아 엇지 이릿틋경솔ᄒᆞᆫ고 공이 ᄉᆞ마ᅵ를ᄯᅥᆯ치고 이 러나며 우셔ᄀᆞᆯ오ᄃᆡ남ᄋᆡ이ᄯᆡ를당ᄒᆞ야 엇지 죽기를 두려워ᄒᆞ리요 우슙도다녕 공에맘이여 ᄂᆡ마음이 ᄒᆞᆫ번뎡ᄒᆞ얏스니 엇지죽기를 무서워ᄒᆞ리요ᄒᆞ고 드ᄃᆡ여 들어ᄀᆡ니 쟝하에 오공과 리공이 공의들어오ᄂᆞᆫ 거동을보고 ᄀᆞᆯ오ᄃᆡ 슬푸다 우 리등은 벼살이놉고 늙어죽게되얏스니 ᄒᆞᆫ번쥭어 국은을갑흠이 뉘웃부미 업거
{ "page": 35,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니와 ᄌᆞ네소년명망이잇고 집에량로친이계신ᄃᆡ 헛도이죽ᄂᆞᆫ것이 의리가 다갓지 못ᄒᆞ니 ᄌᆞ네ᄂᆞᆫ 이제원졍을ᄌᆞᆯᄒᆞ야 젼혀우리의게 미루고 살도리를 ᄉᆡᆼ각ᄒᆞ라그 럿치못ᄒᆞ면 죽기를 면치 못ᄒᆞᆯ것시니 원졍을 의론ᄒᆞᆷ이 엇더ᄒᆞ뇨 공이왈 녕공 은말삼마압소셔 ᄂᆡ원졍을 엇지 녕공의말삼을 기다리요 인신이 여긔이르러 죽을ᄯᅡ름이어날 엇지계교를ᄒᆞ리요 ᄂᆡ마음의 임의졍ᄒᆞ얏스니 엇지변ᄒᆞ리요공 의말삼과 긔운이더욱 강ᄀᆡᄒᆞ시고 정신이더욱 강렬ᄒᆞ시니 뉘안이 슬허ᄒᆞ며이 상이역이리요 이윽고 드러가니 문낭이뫼신 우에셔 고셩ᄒᆞ야 문목을닑어ᄀᆞᆯ오 ᄃᆡ 샹소중에일은바 가탁ᄒᆞ야 거즌말ᄭᅮ민다 ᄒᆞ얏스니 그ᄂᆞᆫ어인말이며 ᄯᅩ셜ᄉᆞ ᄂᆡ던과실이잇셔 ᄭᅮᆷ의긔록ᄒᆞᆫ것슨 불과실언이오 ᄒᆡᆼᄉᆞ에 드러ᄂᆞᆫ 일이안인듸 젹 발ᄒᆞ야 망극ᄒᆞᆫ죄명을 쓰인단말은 어인말이며 ᄉᆞᆼᄋᆞᆯᄉퟅᆼ핍은 어인말이며 ᄒᆞᆫ돔의 보단말은 ᄯᅩ어인말이며 비방긔하교 졍녕ᄒᆞ되 이리ᄭᅮ미기난 어인일고 뉘가 ᄉᆞ라치더냐 이럿틋흉ᄒᆞᆫ말를 어ᄃᆡ셔 들엇나냐 이러틋흉소를 눌과더부러 의론 ᄒᆞ며 뉘가쥬쟝ᄒᆞ야 군부를ᄇᆡ반ᄒᆞ고 죄ᄉᆞᆼ이드러난 ᄉᆞᄅᆞᆷ에게 닙졀코ᄌᆞᄒᆞ는다
{ "page": 36,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슘기지말고 바로ᄋᆞᆯ외라 닑기를다ᄒᆞ니 ᄉᆞᆼ이 나장으로ᄒᆞ야곰 엽흘질너 엄이무 르라ᄒᆞ시니 공이 옷깃슬념의오고 긔운을낫초고 소ᄅᆡ를조용이ᄒᆞ야 ᄋᆞᆯ외되 임 의 문목으로 뭇ᄌᆞ오시니 바로ᄋᆂᆯ외오리이다 상왈 네엇지 무상부도로 님군의 말를 허망타ᄒᆞ는다 공이ᄋᆞᆯ외되 신이엇지 무상함이 잇스리요 그러ᄒᆞ오나 신 은ᄉᆡᆼ각ᄒᆞ옵기를 내뎐ᄭᅴ압셔 비록 언어간 과실이계오시나 젹발ᄒᆞ오셔 큰죄에 보내심이 맛당치안인ᄀᆞ ᄒᆞ나이다 가령 녀항간 쳐쳡둔ᄉᆞᄅᆞᆷ이 ᄀᆞ장이 편벽되 여 졔가를ᄌᆞᆯ못ᄒᆞ면 가되괴란ᄒᆞᆫ일이 왕잇ᄉᆞᆸ나이다 이졔 뎐하 후궁의 총이 셩ᄒᆞ오니 혹그러ᄒᆞ온가 ᄒᆞ나이다 신이엇지 감히 님군의말ᄉᆞᆷ을 허망타ᄒᆞ올잇 가 문목대답 두어가지ᄋᆞᆯ외인대 상이 공의조곰도 두려워ᄒᆞ는거동이 업슴을보 시고 더욱대로ᄒᆞᄉᆞ ᄌᆈ인을 어좌갓가이ᄒᆞ사 고셩ᄒᆞ야하교왈 네엇지ᄀᆞᆷ히 이런 말를ᄒᆞ는다, 녜날더러 총쳡의 참소를혹ᄒᆞ게미더 무죄ᄒᆞᆫ내뎐을 폐ᄒᆞᆫ다 ᄒᆞ나냐 그러ᄒᆞ면 나는 무고ᄒᆞᆫ 니광한이되얏고ᄂᆞ ᄯᅩ 조고만놈이 당돌이 일작나를 거 ᄉᆞ려 곤칙ᄒᆞ던 네가아니냐 내 너를뮈워ᄒᆞ기를 깁히ᄒᆞ얏스되 특별이분를참아
{ "page": 37,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네 머리를 버히지아니ᄒᆞ얏더니 ᄯᅩ 오날모도와 간특ᄒᆞᆫ부인을위ᄒᆞ야 이러틋 방ᄌᆞᄒᆞ니 흉역이아니냐 공이알외되 군신붓ᄌᆞ는 의라가ᄒᆞᆫ가지라 뎐하-엇지 이런하교를 ᄒᆞ시나잇가 님군과 아비록 갓지아니ᄒᆞ오나 츙효ᄂᆞᆫ 다름이업ᄉᆞᆷ 나이다 아비가 만일 어미를ᄂᆡ치면 ᄌᆞ식이되여 장찻간ᄒᆞ리잇가 슌이듯ᄉᆞ오리 잇가 이졔 뎐하-젼의업든 과거를 ᄒᆡᆼᄒᆞᄉᆞ 곤위를 쟝찻기우리시니 신ᄌᆡ되여 당히 죽기를무릅써 간ᄒᆞ여 도루키시기를 기다리잇가 뎐하를ᄇᆡ발ᄒᆞ옵고 중 궁을 위ᄒᆞ리잇가 즁궁을위ᄒᆞᄂᆞᆫ바ᄂᆞᆫ 뎐하를위ᄒᆞ나ᄂᆞᆫᄇᆡ니이다 샹왈 이러ᄒᆞᆫ독물 를 바로버혀도 올치아니ᄒᆞ도다 원졍을 마루ᄌᆡ여 밧지안닐것이니 엄형ᄒᆞ라 ᄒᆞ신ᄃᆡ 우의뎡 김덕원이 알외되 원졍을아니바드시고 형츄를몬져ᄒᆞ오면 일후 폐가 ᄃᆡ단ᄒᆞᆯᄯᅳᆺᄒᆞ여이다 상왈 이럿틋ᄒᆞᆫ 흉물을 봉초를 엇지기다리오 어셔엄 형ᄒᆞ라 샹이 판의금을불너 하교와 ᄛᅵᆯ에임낙이잇고 법에 두로집흠이닛나니만 일 져ᄂᆞᆫ올코 나ᄂᆞᆫ무인년 리광한과갓ᄐᆞᆫ지라 죄인을위ᄒᆞ야 닙졀ᄒᆞ랴ᄒᆞᄂᆞ냐 ᄆᆡ 질잘ᄒᆞᄂᆞᆫ 나장고의쇠를 명ᄒᆞ야 사지를결박ᄒᆞ고 판의금은 몸소고찰ᄒᆞ야 ᄀᆡ
{ "page": 38,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엄형ᄒᆞ여 승복ᄒᆞ라고 엄칙ᄒᆞ시더라 이ᄯᆡ 텬위가진접ᄒᆞ시고 호령이더욱 엄ᄒᆞ 여 권장ᄒᆞᄂᆞᆫ소ᄅᆡ 향교동ᄭᆞ지 들니더라 골육이 다ᄭᅵ여져 뉴헐이림니ᄒᆞ되 공 의안ᄉᆡᆨ이 더욱 안연ᄒᆞ야 조곰도 통호지셩(痛呼之聲)이업거날 상이붓치로 셔 안을치며 ᄀᆞᆯ아ᄉᆞᄃᆡ 이럿타시형장을더ᄒᆞ되 통셩이업스니이갓흔녹물이 무슨일 을 못ᄒᆞ리요 엄히치라 ᄒᆞ신ᄃᆡ 공이알알되 뎐하-신더러군부를 ᄇᆡ반ᄒᆞ고 중 궁을위ᄒᆞᆫ다 ᄒᆞ오시고 인ᄒᆞ여죄를 ᄉᆞ무시니 신이비록 우ᄆᆡᄒᆞ오나 약간의리ᄂᆞᆫ 아옵나이다 뎐하를 ᄇᆡ반ᄒᆞ옵고 중궁을 위ᄒᆞ야 닙졀ᄒᆞ온들 엇지 졀이라ᄒᆞ오리 잇가 그러ᄒᆞ오나 중궁ᄭᅴ닙졀이뎐하ᄭᅦ닙졀이니다 상왈 네더욱독을ᄂᆡ도다 무 (誣上不道)상부도 공쵸를 어셔 바드라 공이대왈 뎐하-ᄆᆡ양 무샹(誣上)으로 써 신의죄를 ᄉᆞᆷ으시니 신은졀로 우ᄆᆡᄒᆞ와 무상일이 무샹이 되ᄂᆞᆫ줄 모로ᄋᆞᆸ나 이다 신의 샹소ᄂᆞᆫ 무샹이 아니되ᄂᆞᆫ쥴 뎐하엇지 모로시ᄂᆞᆫ잇가 쳥컨ᄃᆡ 문목으 로 쥬달ᄒᆞ리니 무샹이란 하교ᄂᆞᆫ듯고져 아니ᄒᆞ나이다 샹왈 승복을 아니ᄒᆞ거던 ᄆᆡ장슈을 혜알이지 말고잡담ᄒᆞ거던 닙을ᄶᅵ흐라 비망긔ᄯᅳᆺ이 졍녕ᄒᆞ거던 참소
{ "page": 39,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를 듯고 속인다 일너셔 ᄂᆞᆯ로 ᄒᆞ여곰 헛말ᄒᆞᆫᄃᆡ로 밀우니 네 가무샹부도가 아 니냐 어셔지만을두라 공이 ᄃᆡ왈 투긔지졔의 혐의가 쉬운고로 궁중사를 외인 이 ᄋᆞᆯᄇᆡ아니오나 혹 ᄉᆡᆼ각건ᄃᆡ 혹 이런 일이잇셔 뎐하-혹 ᄉᆞᆯ피지 못ᄒᆞ오신 가 ᄒᆞ나이다 샹왈 부인을위ᄒᆞ야 반다시 입졀 코ᄌᆞᄒᆞ야 죽ᄂᆞᆫ것이 무ᄉᆞᆷᄯᅳᆺ 인 고 후셰ᅌᅦ 누가너를 츙졀이잇다이르랴 공이ᄃᆡ왈 신이엇지 닙졀코ᄌᆞᄒᆞ야 샹 소를 ᄒᆞ엿스리잇가다만 금일거죄 ᄯᅥᆺ지아난거슬 보압고 신ᄌᆞ의마음이 통박 ᄒᆞᆷ을 이기지못ᄒᆞ와 사어를셔로베푸러 써뎐하-두루키시기를 바랄ᄯᅡ름이로소 이다 상왈 지만을 어이아니두ᄂᆞᆫ고 공이ᄃᆡ왈 신은 지만은무엇인지 모로압나 이다 신은 뎐하의 신하라 엇지뎐하를 속이미잇ᄉᆞ오리잇가 상왈 원ᄌᆞᄂᆞᆫ나라 근본이라 원ᄌᆞ를향ᄒᆞ야 편치못ᄒᆞᆫ마음이 잇게ᄒᆞ니 이ᄂᆞᆫ 죄인이라 네 엇지죄 인을위ᄒᆞ고 원ᄌᆞ를 위ᄒᆞ들아니ᄒᆞᄂᆞ냐 ᄒᆞᆫ갓무상이아니라 ᄃᆡ역부도로다 엄형 ᄒᆞ라ᄒᆞ신ᄃᆡ 승지리셔우고왈 쥰치ᄒᆞ엿삽나이다 상왈 아즉은 ᄂᆞ리라ᄒᆞ시다 상왈 이젼에 버힌ᄌᆈ인에 호치상이잇더니 ᄯᅩ 이번일이잇도다 셔로인심이 과연
{ "page": 40,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엇더ᄒᆞᆫ고 권ᄃᆡ운이 알외ᅩ디 졈례로 의론ᄒᆞ건ᄃᆡ 오두인 리셰ᅙᅪᄂᆞᆫ 당 이 다ᄉᆞ리시려니와 유헌은엇지 ᄒᆞ랴ᄒᆞ시ᄂᆞ잇가 샹왈무상ᄒᆞᆫ죄인을 다사 리랴ᄒᆞ니 법잡기를 엇지 이럿틋시 완이ᄒᆞᆯ고 ᄃᆡ신은 츄고못ᄒᆞᄂᆞ 금 부당상은 죵츄고ᄒᆞ라 오공을 다시올녀 형츄ᄒᆞᆫᄃᆡ 오공이 쇠ᄑᆡᄒᆞ기심 ᄒᆞᆫ지라 ᄂᆞ쟝이 ᄎᆞ마 ᄆᆡ오치지 못ᄒᆞ더라 상왈 뉘가솽소ᄒᆞ라 이르더녀 오공이 ᄃᆡ왈 팔십여인이 의론ᄒᆞ옵고 드른일은 업셔이다 상왈 팔십여 인즁에 엇지 한ᄉᆞᄅᆞᆷ도 쥬장ᄒᆞᆫ이가 업스리요 홍치상이 무상이라 버혓 더니 ᄯᅩ엇지감히 무상ᄒᆞ리요 오공이ᄃᆡ왈 엇지무상ᄒᆞ리잇가 신이노망ᄒᆞ 와 말을ᄯᅩ잘일으지 못ᄒᆞᄂᆞ이다 상왈감히 글의쓰고 이졔와셔 말를ᄯᅩ 잘일으 지못ᄒᆞᆫ다ᄒᆞ면 ᄯᅩ엇지 감히 쥬쟝인을 가리치지 안ᄂᆞᆫ고 오공이ᄃᆡ왈 다만 듯ᄌᆞ오니 뎡청에 참례치못ᄒᆞᅟᅧᆫ 맛당이 샹소ᄒᆞ리라 ᄒᆞᄂᆞᆫ말만 드럿ᄂᆞ이 다 상왈 소의를 니른놈이 누구뇨 오공이ᄃᆡ왈 언의곳에셔 ᄒᆞᆫ쥴를모로 ᄂᆞ이다 샹왈 하날이 가르치시더냐 ᄯᅡ히일으더냐 모른단말이 되지못ᄒᆞ
{ "page": 41,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니 엄히치라 ᄒᆞ신ᄃᆡ 오공이ᄃᆡ왈 윤심이 통ᄒᆞ더이다 상왈 무ᄉᆞᆷ말를통ᄒᆞ더냐 오공이ᄃᆡ왈 파관중에 잇ᄂᆞᆫᄉᆞᄅᆞᆷ도 맛당히 상소ᄒᆞ염슥 ᄒᆞ다ᄒᆞ더이다 상왈 허실간에 ᄒᆞᆫ번당々이 무르리니 윤심을ᄂᆞᄅᆡᄒᆞ라 이ᄯᆡ삼대신이 ᄂᆞ아와 업대려알외되 ᄉᆡ벽이 거의되엿ᄉᆞ오니 원컨대 환궁ᄒᆞ옵소셔 우의졍김덕원이 알외되 비록 이옥사보다 크고즁ᄒᆞᆫ것이 업사와도 근ᄅᆡ친국ᄒᆞ신일이 업삽더니 이졔밤이 진ᄒᆞ옵고 ᄉᆡ벽이 되엿ᄉᆞ오되 뎐좌ᄒᆞ여게시니 쳥컨ᄃᆡ 신등의 우려가 젹지아니 ᄒᆞ여이다 우상의말이 ᄀᆞᆷ히 이럿틋ᄒᆞᆯ가 엇지 이에셔 더즁ᄒᆞᆫ 옥ᄉᆡ잇스리오 ᄒᆞ신ᄃᆡ 덕원이 물너가 거날 권ᄃᆡ운 목ᄂᆡ션이 좌우로ᄂᆞ오고 졔숭지ᄂᆞ아와 알외되 우샹이비록 실언ᄒᆞ엿ᄉᆞ오ᄂᆞ 친국이 쳬즁ᄒᆞ오니 ᄉᆞᆷ공을 ᄎᆡ올것시니 쳥컨ᄃᆡ 도로부르ᄋᆞᆸ소셔 샹왈 번거로이 알외지말ᄂᆞ 이옥ᄉᆞ에셔 더즁ᄒᆞᆫ것이 어이잇스리요 ᄒᆞ시더라 이ᄯᆡ 오공의 형장을긋치고 윤심을 밋쳐잡아오지 못ᄒᆞ얏난치라 상왈 리세화를 다시올니라 ᄒᆞ시고 다시 형츄를 ᄒᆞ실ᄉᆡ 상왈
{ "page": 42,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쥬장ᄒᆞᆫ놈이 누구뇨 리공이 알외되 신이실로 쥬장ᄒᆞ얏ᄂᆞ이다 상왈 다른사ᄅᆞᆷ의게 미루고ᄌᆞ 아니ᄒᆞ야 스ᄉᆞ로 네가 쥬장ᄒᆞ얏다ᄒᆞ나냐 ᄂᆡ소어를 물으면 두인과너난 아지못ᄒᆞᆫ다ᄒᆞ고 혹 박태보난 쥴々귀々마다 어긔들 아니ᄒᆞ되 네ᄆᆞᆯ은 주쟝ᄒᆞ얏노라ᄒᆞ니 네말은 간ᄉᆞᄒᆞ도다 두인은일으기를 박태보의 집필이라ᄒᆞ니 상소짓기도 박ᄐᆡ보가 ᄒᆞ얏ᄂᆞ냐 리공이알외되 집필은 올ᄉᆞ오나 짓기난 팔십여인이 뉘가아니 ᄒᆞ얏ᄉᆞ오리잇가 두인이 반다시 다 알외얏ᄉᆞ오리이다 상왈 네엇지 그런상소를 참녜ᄒᆞ얏ᄂᆞ냐 리공이 알외되 소어를보ᄋᆞᆸ고 마음에조삽기 참녜ᄒᆞ얏ᄂᆞ이다 샹왈 흉참한문ᄌᆞ어날 무엇이조터냐 리공이ᄃᆡ왈 비망긔를보오니 ᄀᆡ연ᄒᆞ옵고 소어를보오니 조삽더이다 상활 비망긔의 무슨말이 ᄀᆡ연ᄒᆞ더냐 리공왈 졍신이 미란ᄒᆞ와 무슨말일넌지 모로올소이다 상왈 임의보왓다ᄒᆞ고 ᄯᅩ ᄀᆡ연ᄒᆞ다ᄒᆞ며 이졔와 긔록지 못ᄒᆞᆫ다ᄒᆞ니 네말은 간ᄉᆞᄒᆞ다ᄒᆞ시고 엄형ᄒᆞ라ᄒᆞ신ᄃᆡ 리공이대왈 녀항간 부々이 혹 이런일이잇ᄉᆞ오면
{ "page": 43,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억탁으로 알외얏삼나이다 상왈 님군의게말이 억탁이라ᄒᆞᄂᆞᆫ다 리공이ᄃᆡ왈 억탁으로 죄를쥬시면 ᄆퟅᄉᆞ무셕이오ᄂᆞ무ᄉᆞᆼ(誣上)으로 죄를쥬시면 텬만ᄋᆡᄆᆡ ᄒᆞ여이다ᄒᆞᆫ대 승지고왈 쥰ᄌᆡᄒᆞ얏ᄂᆞ이다 상왈 리셰화ᄂᆞᆫ ᄂᆡ리오고 박ᄐᆡ보를 올니라 다시 형츄ᄒᆞ실ᄉᆡ 상왈 여러ᄌᆈ인이 다 네가집필ᄒᆞᆫ줄로 원졍ᄒᆞ니 집필도 네가ᄒᆞ고 쥬장도 네가ᄒᆞ얏ᄂᆞ냐 ᄒᆞ시고 엄형ᄒᆞ라ᄒᆞ신ᄃᆡ 공이ᄃᆡ왈 쓰ᄋᆞᆸ기ᄂᆞᆫ 신이ᄒᆞ얏삽거니와 소어ᄂᆞᆫ 여러히불너ᄊ오ᄂᆞ 임의신이 쓰압기로 문ᄌᆞ간 취?를 ᄒ옵고 윤삭도하얏ᄉᆞᆸᄂᆞ이다 상왈네무ᄉᆞᆷ마음으로써 흉차ᄒᆞᆫ말를 ᄆᆡᆼ그럿난다 홍치상을 모지못 ᄒᆞ얏ᄂᆞᆫ다 공이 ᄃᆡ왈 슬프다 뎐하ᅵ엇지일직 홍치상의게 비ᄒᆞ시ᄂᆞᆫ잇가 치상은 죄잇ᄉᆞᆸ거니와 소신은 무슨죄잇ᄂᆞᆫ이잇가 신의 샹소ᄂᆞᆫ 일국이 ᄒᆞᆫ가지로 의론ᄒᆞᆫ일이라 신이나라ᄋᆞᆸᄒᆡ 츌입ᄒᆞ옩지 몃ᄒᆡ건ᄃᆡ 신의 ᄒᆡᆼ실이홍치상과 다른줄 모로시ᄂᆞᆫ이잇가 샹왈 너희놈들은 치상과 ᄒᆞᆫ취라 참소만 밋고 거죽말ᄒᆞᆫ다ᄒᆞ니 무샹이아니냐 군부를 ᄇᆡ반ᄒᆞ고 음특한부인을
{ "page": 44,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위ᄒᆞ야 독사(毒事)를 ᄒᆡᆼᄒᆞ니 ᄃᆡ역부도(大逆不道)가 아니냐 공이 조용이 앙ᄃᆡᄒᆞ여왈 뎐ᄒᆡ엇지 이럿탓 실언을 ᄒᆞ시ᄂᆞᆫ잇가 녯젹ᄉᆞᄅᆞᆷ이 갈오ᄃᆡ 부々ᄂᆞᆫ 인륜의 비로소미오ᄆᆡ 셩인은 인륜이 지극ᄒᆞ옵고 필부도 오히려 납폐ᄒᆞᆫ 례의를 즁히역이여 의로써 대졉ᄒᆞ옵거던 ᄒᆞ믈며 즁궁(中宮)은 엇더케 놉흐시며 엇더ᄒᆞ신 위의완대 그 조고마ᄒᆞᆫ 노염으로써 말ᄉᆞᆷ을 갈희들 안이ᄒᆞ시ᄂᆞᆫ잇가 상이 더욱대로ᄒᆞ샤 네가ᄂᆞᆯ를 더욱곤ᄎᆡᆨᄒᆞ고 공갈ᄒᆞ넌다 판의금은 공초를 어이아니 밧는고 낫々치 엄형ᄒᆞ라상왈 간특한놈이 죵시바로 고ᄒᆞ지아니ᄒᆞᄂᆞᆫ다 공이 대왈 소즁ᄉᆞ를 임의고ᄒᆞ얏ᄉᆞ오니 이제고ᄒᆞ할말ᄉᆞᆷ이 업ᄉᆞᆸ아이다 뎐하- 신의상소를 갓다가 마음을 풀으시고 골돌리 보오시면 바로고ᄒᆞᆫ줄을 알으시리이다 상왈네소어에 말를 다 ᄒᆞ얏스니 은휘(隱諱)ᄒᆞᆫ들 엇지어드리요 어셔지만두라ᄒᆞ신대 공이 대왈 이졔신으로ᄒᆞ야곰 지만을 바드려ᄒᆞ시ᄂᆞᆫ일은 무슨말ᄉᆞᆷ이오며 무슨일이니잇가 신은츄호도 무상(誣上)ᄒᆞ온일이 업삽이다 상
{ "page": 45, "year": 1916 }
박태보실긔
null
{ "accessed_at": "2024-07-04 22:12:16.420733",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823148&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95%ED%83%9C%EB%B3%B4%EC%8B%A4%EA%B8%94+%28%EB%8D%95%ED%9D%A5%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8" }
왈 이잇틋ᄒᆞᆫ 역젹을 바로버힌후에야 국강(國綱)을 세울것이니 엄형ᄒᆞ여 승복을 바드라ᄒᆞ신ᄃᆡ 공이ᄃᆡ왈 뎐ᄒᆡ 근ᄅᆡ주역을 감론ᄒᆞ시니 건곤(乾坤)에 의리를 모로시ᄂᆞᆫ니잇가 셜ᄉᆞ 즁궁으로 과실이 계시오ᄂᆞ 옛젹 명셩황후계압실 젹의 인ᄌᆞ히 ᄉᆞ랑ᄒᆞ오시니 그ᄯᆡ를 당ᄒᆞ와ᄂᆞᆫ 일즉과실이계오 시단 말ᄉᆞᆷ을 듯잡지 못ᄒᆞ엿삽더니 원ᄌᆞᄐᆞᆫ강 ᄒᆞ오신후로과실이 졈々들니오니 신의ᄯᅳᆺ은 참소가일로좃ᄎᆞ 드르심인가 ᄒᆞᄂᆞ이다 샹이 ᄃᆞ로ᄒᆞᄉᆞ 고셩ᄒᆞ교(高聲下敎)왈 이어인말이며 이어인말이뇨 이놈의 간특은 김홍욱의셔 더ᄒᆞ다 쟝찻 역률로 다ᄉᆞ일것시로되 몬져압슬 형벌을ᄒᆞ되 승복을ᄒᆞ게되면 극졍방형ᄒᆞ리라 지만을아니ᄒᆞ면 불문곡직ᄒᆞ고 엽흘지르며 입을찌흐라 압슬 형ᄎᆡ를 속々히 거ᄒᆡᆼᄒᆞ라 목ᄂᆡ션이알외되 압슬 형ᄎᆡᄂᆞᆫ 졸연이갓초기 어렵ᄉᆞ오니 황공ᄃᆡ죄 ᄒᆞᄂᆞ이다 공이ᄃᆡ왈 신은 임의 ᄒᆞᆫ번쥭기를 뎡ᄒᆞ엿ᄉᆞᆸ고 군신의 분의를 다 ᄒᆞ엿ᄉᆞ오니 진실로 앗갑지 아니ᄒᆞ오나 뎐하의거죄 이릿탓 과거를ᄒᆞ오시니 ᄉᆡᆼ각ᄒᆞ건ᄃᆡ
{ "page": 46, "year": 1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