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classes 501
values | description
stringclasses 28
values | license
dict | text
stringlengths 60
188k
| meta
dict |
---|---|---|---|---|
ᄇᆡ비쟝전
|
위선적인 말단관리 배비장이 기생 애랑의 계교에 빠져 망신을 당하는 내용이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44.90521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925587&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B0%EB%B9%84%EC%9E%A5%EC%A0%84+%28%EC%8B%A0%EA%B5%AC%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7"
}
|
ᄌᆡ는 ᄉᆞ도의은덕(恩德)이오
ᄇᆡ비장 ᄋᆡ랑이하 ᄋᆡ랑ᄃᆡ소친쳑(親戚)이며 졔쥬셩내셩외(濟州城內城外) 지구동료간(知舊同僚間)에 치하(致賀)가 비ᄲᅡᆯ치듯ᄒᆞ며 일변ᄃᆡ연(大宴)을배셜(設)ᄒᆞ고 셩은(聖恩)을감츅(感祝)ᄒᆞᆫ후 슈일(數日)지ᄂᆡ여
ᄇᆡ비장 목ᄉᆞ도게 연명ᄒᆞ고 무슈칭ᄉᆞ(無數稱謝)ᄒᆞ니
(목) 그ᄯᆡ 잠시 속은일을 부ᄃᆡ 치의(致意)치말고 ᄋᆡ랑다리고 신군(新郡)에 도임(到任)ᄒᆞ야 치민션졍(治民善政)ᄒᆞ야 부ᄃᆡ 셩은(聖恩)을보답(報答)ᄒᆞ소
배비쟝ᄉᆞ례ᄒᆞ고 도임길ᄯᅥ나것다
신연긔구도 챤란ᄒᆞ려니와 젼후좌우에 구경군이 구름모히듯ᄒᆞ야 칭찬이랑ᄌᆞᄒᆞ며 혹 ᄇᆡ현감을 가라쳐 「져ᄉᆞᄅᆞᆷ이 엇그젹에 피나무궤쇽에셔 고ᄉᆡᆼᄒᆞ던ᄇᆡ비쟝이더니 엇지 져러케되엿나 ᄎᆞᆷ 희한ᄒᆞᆫ일이로구」 혹ᄃᆡ답ᄒᆞ되 「이번에ᄇᆡ비쟝이 졍의현감도임키는 젼혀 목ᄉᆞ도의쥬션이지 한번몹시쇽은후에 져와갓치 영(榮)
|
{
"page": 113,
"year": 1916
}
|
ᄇᆡ비쟝전
|
위선적인 말단관리 배비장이 기생 애랑의 계교에 빠져 망신을 당하는 내용이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44.90521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925587&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B0%EB%B9%84%EC%9E%A5%EC%A0%84+%28%EC%8B%A0%EA%B5%AC%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7"
}
|
귀(貴)ᄒᆞ면 쇽지아늘ᄉᆞᄅᆞᆷ이 뉘잇스리」 ᄯᅩ ᄋᆡ랑의칭찬이분분ᄒᆞ것다
만일ᄇᆡ비쟝이 아무일업시 벼슬을ᄒᆞ엿스면 보는ᄉᆞᄅᆞᆷ들이라도 그다지 칭송이 업셧스련마는 망신을 극도(極度)에달(達)토록ᄒᆞ고 ᄯᅩ일조(一朝)에 귀히된ᄭᆞ닭으로 이와 갓치 야단인모양일너라
ᄇᆡ현감 졍의(旌義)에 도임ᄒᆞᆫ후 치민션졍(治民善改)ᄒᆞ야 거리거리 송덕비(頌德碑)를셰우고 시화년풍(時和年豊)ᄒᆞ며 산무도젹(山無盜賊)ᄒᆞ고 야불폐문(夜不閉門)ᄒᆞ니 표폄(褒貶)에 상등(上等)이오 졍치(政治)에거갑(居甲)이라 ᄎᆞ々승등(陛等)ᄒᆞ야 내즉(內職)으로 등부승지(同副丞旨) 리조참판(吏曹參判)ᄭᆞ지 부귀(富貴)를누리고 ᄋᆡ랑이 ᄯᅩ 아달형졔(兄弟)를 나아 본부인쇼ᄉᆡᆼᄉᆞᆷ(本夫人所生三)ᄌᆞ일녀(一女)와 년치(年齒)ᄯᅡ러 등과(登科)ᄒᆞ야 일홈을죽ᄇᆡᆨ(竹帛)에드리고 공(功)을 청ᄉᆞ(靑史) 표(表)ᄒᆞ며 묵ᄉᆞ김경(牧使金卿)의집과 ᄃᆡ々통가지의(代代通家之義)를ᄆᆡᆺ져 알셰(一世)에명예(名譽)가 ᄌᆞ々ᄒᆞ더라
|
{
"page": 114,
"year": 1916
}
|
ᄇᆡ비쟝전
|
위선적인 말단관리 배비장이 기생 애랑의 계교에 빠져 망신을 당하는 내용이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44.90521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중앙도서관",
"source":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viewKey=14925587&viewType=AH1"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0%B0%EB%B9%84%EC%9E%A5%EC%A0%84+%28%EC%8B%A0%EA%B5%AC%EC%84%9C%EB%A6%BC%2C+1916%29.djvu&oldid=328887"
}
|
발행겸총발매소신구서림(發行兼總發賣所新舊書林)
증상연예(增像演藝) 옥중가인(獄中佳人)
전일책(全一冊) 가정(價定) 사습전(四拾錢)
우서(右書)의 내용(內容)은 일반(一般)히 지실(知悉)ᄒᆞᄂᆞᆫ바어니와 가이(可以) 열(烈)ᄒᆞ며 가이(可以) 정(貞)ᄒᆞ며 가이(可以) 숙(淑)ᄒᆞ야 오인(吾人)의 심정(心情)을 흥기(興起)케ᄒᆞᆷ이 차서(此書)에 과(過)ᄒᆞᆯ자(者)-무(無)ᄒᆞᆫ지라 연이본서(然而本書)의 진본(眞本)은 세(世)에 절무(絶無)ᄒᆞ야 구견(求見)ᄒᆞ기 난(難)ᄒᆞᆷ으로 독자(讀者)의 유□(遺□)ᄒᆞ던바-라 행(幸)히 고서저장(古書貯藏)ᄒᆞᆫ 문학가(文學家)에셔 차진본일책(此眞本一冊)을 멱득(覔得)ᄒᆞ야 각종춘향전(各種春香傳)의 불비(不備)을 보충(補充)ᄒᆞᆫ 차서(此書)라 기내용(其內容)을 약술(略述)ᄒᆞ면 하기(下記)와 여(如)ᄒᆞᆷ
벽담(碧潭)에 추월(秋月)갓고 녹파(綠波)에 부용(芙蓉)갓흔츈향과 낙양과객풍류호사(洛陽過客風流豪士)리도령이셔로맛나 인연ᄆᆡᆺ던 화상(畵像)이며 화란춘성(花爛春城)ᄒᆞ고 만화방랑(萬和方暢)ᄒᆞᆫᄃᆡ 월로□(月姥□)되든방ᄌᆞ와 재공교자(在公敎子)ᄒᆞ든 리부사의 화상(畵像)이며 다락다한(多樂多恨)ᄒᆞ고 능소능읍(能笑能泣)ᄒᆞ든 츈향모가 위규위□(爲圭爲□)ᄒᆞ고 경고동감(冂苦同甘)ᄒᆞ든 향단이를 ᄃᆡᄒᆞ여 츈향이가 리도령맛나놀든 일을문난 형상(形像)이며 구관사도□임(舊官使道□任)되고 신관사도신연(新官使道新延)ᄒᆞᆯ제 가진ᄎᆔᄐᆡ권마셩에 젼ᄇᆡ나렬긔구잇는 변사도(卞使道)의 화상(畵像)이며 신관사도도임초(新官使道到任初)에 기생(妓生)뎔고ᄒᆞ느라고 모든기ᄉᆡᆼ등ᄃᆡᄒᆞ든 화상(畵像)이며 옥(獄)에갓친춘향(春香)이 가장님불녀 문복ᄒᆞᄂᆞᆫ 화상(畵像)이며 죽장망혜(竹杖芒鞋)로나려오ᄂᆞᆫ 리어사가 농부(農夫)ᄒᆞ고 문답(問答)ᄒᆞᄂᆞᆫ 화상(畵像)이며 본관사도(本官使道)ᄉᆡᆼ일잔ᄎᆡ에 근읍수령(近邑守令)안졋다가 리어사가 금관조복(金冠朝服)에 모든 역졸(驛卒) 거나리고 어ᄉᆞ츌도ᄒᆞᄂᆞᆫ쇼ᄅᆡ □패도산(□沛逃散)ᄒᆞ든 진상(眞像)이며 춘향(春香)이 어사낭군(御史郎君)맛ᄂᆞᆫ후에 등장(等狀)들든 모든과부 와부즁ᄉᆡᆼ남즁ᄉᆡᆼ녀라 어사사위죠흘시고 신이나셔 엉덩츔츄ᄂᆞᆫ 츈향모의 화상(畵像)을 삽화연의(揷畵演義)로 편성(編成)ᄒᆞ야 충분(充分)케ᄒᆞᆫ자(者)-니 문장기타정렬효행급충비(文章其他貞烈孝行及忠婢)를 효(效)코져ᄒᆞᄂᆞᆫ 인사(人士)ᄂᆞᆫ 가(可)히 독득(讀得)ᄒᆞᆯ자(者)이옵ᄂᆞ니다
|
{
"page": 115,
"year": 1916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普通學校 學徒用 國語讀本卷二
第一課 童子一
보아라 뎌 童子ᄂᆞᆫ ᄆᆞᆯ을 ᄭᅳ을고 가면서 글을 닑ᄂᆞᆫ도다.
뎌 童子의 일홈은 福童이오 나흔 겨우 十二歲니라.
福童은 讀書ᄒᆞ기ᄅᆞᆯ 됴화ᄒᆞ나 家勢가 苟且ᄒᆞ야 學校에 ᄃᆞ니지 못ᄒᆞᄂᆞ니라.
|
{
"page": 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뎌 兒孩ᄂᆞᆫ 海日 나무ᄅᆞᆯ 팔아다가 父親의 生計ᄅᆞᆯ 도읍기 爲ᄒᆞ야 終日 汨沒ᄒᆞ고 別로히 讀書ᄒᆞᆯ 겨를이 업ᄂᆞᆫ 故로 ᄆᆞᆯ을 ᄭᅳ을고 ᄃᆞ니면셔 글을 닑ᄂᆞ니라.
|
{
"page": 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마다 福童의게 讀書ᄒᆞᄂᆞᆫ 法을 ᄀᆞᄅᆞ쳐 주더라.
福童의 가진 書冊도 모다 順明이가 준 것이더라.
洞里 사ᄅᆞᆷ들이 이 두 童子ᄅᆞᆯ ᄆᆡ오 ᄉᆞ랑ᄒᆞ고 恭敬ᄒᆞ더라.
第三課 四時
一年에ᄂᆞᆫ 春夏秋冬의 四時가 잇ᄂᆞ니
|
{
"page": 1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라.
봄은 ᄯᅡᆺᄯᅡᆺᄒᆞ야 草木이 萌牙ᄅᆞᆯ 生ᄒᆞᄂᆞ니라.
ᄭᅩᆺ은 웃고 새ᄂᆞᆫ 노래ᄒᆞ니 一年中에 ᄀᆞ장 즐거운 時節이니라.
여름은 甚히 더웁고 草木이 靑靑히 茂盛ᄒᆞᄂᆞ니라.
樹陰에셔 ᄆᆡ암이 소ᄅᆡᄅᆞᆯ 듯ᄂᆞᆫ 것도 ᄯᅩ
|
{
"page": 1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ᄒᆞᆫ 즐거오니라.
가을은 선을 ᄒᆞ야 五穀이 成熟ᄒᆞ고 百果가 結實ᄒᆞ니 農夫가 ᄀᆞ장 奔走ᄒᆞᆫ 時節이니라.
겨을은 甚히 추어셔 눈이 오ᄂᆞᆫ지라 山이나 들에 눈이 가득히 싸엿슬 ᄯᆡᄂᆞᆫ 보기에 ᄆᆡ오 爽快ᄒᆞ니라.
第四課 鷄
|
{
"page": 1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이곳에 ᄃᆞᆰ이 잇도다.
ᄒᆞᆫ 머리ᄂᆞᆫ 수컷이오 두 머리ᄂᆞᆫ 암컷이니라.
수컷은 몸이 크고 ᄭᅩ리가 길고 머리 우헤 아ᄅᆞᆷ다온
|
{
"page": 1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花冠을 엿도다.
수컷은 새벽마다 울어셔 밤이 ᄇᆞᆰ음을 告ᄒᆞ고 암컷은 알을 낫터라.
ᄃᆞᆰ은 穀屬과 나물과 버러지ᄅᆞᆯ 먹더라. 이 兒孩ᄂᆞᆫ ᄃᆞᆰ을 ᄉᆞ랑ᄒᆞ야 날마다 모이ᄅᆞᆯ 주더라.
ᄃᆞᆰ은 이 兒孩ᄅᆞᆯ 보면 곳 모도혀 와셔 반가온 소ᄅᆡᄅᆞᆯ ᄒᆞ며 머리ᄅᆞᆯ 들고 兒孩ᄅᆞᆯ
|
{
"page": 1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치어다 보더라.
第五課 年와 馬
順明의 집에 소와 ᄆᆞᆯ을 먹이ᄂᆞᆫ지라.
順明은 날마다 소와 ᄆᆞᆯ을 보고 그 形狀이 ᄆᆡ오 다ᄅᆞᆫ 것을 알엇더라.
소의 몸은 크고 ᄆᆞᆯ의 몸은 적더라.
ᄆᆞᆯ의 ᄃᆞ리ᄂᆞᆫ 길고 소의 ᄃᆞ리ᄂᆞᆫ ᄶᅡᆯ으더라.
|
{
"page": 1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소ᄂᆞᆫ ᄲᅮᆯ이 잇고 ᄆᆞᆯ은 갈기가 잇더라.
소의 ᄭᅩ리ᄂᆞᆫ ᄭᅳᆺ헤만 긴 털이 잇고 ᄆᆞᆯ의 ᄭᅩ리ᄂᆞᆫ 다 긴 털이더라.
ᄆᆞᆯ의 굽은 통으로 ᄉᆡᆼ기고 소의 굽은 두 조각이더라.
ᄆᆞᆯ은 사ᄅᆞᆷ을 태오며 짐을 싨고 소ᄂᆞᆫ 수레ᄅᆞᆯ ᄭᅳ을며 田畓을 가니 두 가지가 모다
要緊ᄒᆞᆫ 動物이니라.
|
{
"page": 1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第六課 懶者 一
이곳에 두 길이 잇스니 ᄒᆞᆫ 길은 學校에 가ᄂᆞᆫ 길이오 ᄒᆞᆫ 길은 들에 가ᄂᆞᆫ 길이니라.
(張) 나ᄂᆞᆫ 學校에 가기 실흐니 이리 오너라 들에 가자 草茵
|
{
"page": 1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에 누어셔 ᄭᅩᆺ이나 ᄯᅡ면셔 놀자.
(李) 너ᄂᆞᆫ 엇지ᄒᆞ야 學校ᄅᆞᆯ 됴화 ᄒᆞ지 아니 ᄒᆞᄂᆞ뇨 母日 새 것을 ᄇᆡ호ᄂᆞᆫ 것이 ᄀᆞ장 즐겁지 아니ᄒᆞ뇨.
(張) 算術 國語 日語 漢文 ᄀᆞᆺᄒᆞᆫ 것을 ᄇᆡ혼덜 무엇에 쓰리오 나ᄂᆞᆫ 홀로 들에 가셔 滋味잇게 놀겟다 ᄒᆞ더라.
이처럼 ᄒᆞ고 張은 原野로 가고 李ᄂᆞᆫ 學
|
{
"page": 1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校로 가니라.
第七課 懶者 二
二十年 즈음 지ᄂᆞᆫ 後에 두 兒孩ᄂᆞᆫ ᄒᆞᆷᄭᅴ 壯大ᄒᆞᆫ 사ᄅᆞᆷ이 되얏더라.
어ᄂᆞ 酷毒히 치운 冬日에 襤褸ᄒᆞᆫ 衣服을 닙은 男子 一人이 大家 門前에 섯스니 곳 貧寒ᄒᆞᆫ 者ᅵ라. 아참브터 ᄒᆞᆫ 술 밥도 엇어 먹지 못 ᄒᆞ얏스니 積善ᄒᆞ라 ᄒᆞ
|
{
"page": 1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며 懇切히 밥을 빌더라.
고흔 衣服을 닙은 主人이 나오더니 大驚ᄒᆞ야 그 乞人을 ᄇᆞ라 보고 잇더라.
乞人은 븟그러워 ᄒᆞᄂᆞᆫ 貌樣으로 머리ᄅᆞᆯ 수구리고 잇더라.
너희들은 이 두 사ᄅᆞᆷ을 누구인 줄로 ᄉᆡᆼ각ᄒᆞᄂᆞ뇨.
第八課 家
|
{
"page": 2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새ᄂᆞᆫ 복음자리ᄅᆞᆯ 얽어 깃드리고 즘ᄉᆡᆼ은 窟에 處ᄒᆞ며.
사ᄅᆞᆷ은 집을 지어서 風雨寒暑ᄅᆞᆯ 避ᄒᆞᄂᆞ니라.
我國과 日本과 靑國의 家屋은 多數히 나모로 造成ᄒᆞ고 盖瓦나 或 藥草로 집웅을 니으며 흙으로 壁을 바르ᄂᆞ니라. 집웅은 비와 이슬을 막으며 壁은 바람
|
{
"page": 2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을 막음이라.
그러ᄒᆞ나 四面을 모다 壁으로 막으면 엇더 ᄒᆞ겟ᄂᆞ뇨.
房 안이 캄캄ᄒᆞ야 아모 것도 分辨ᄒᆞ기 極難ᄒᆞ고 ᄯᅩ 衛生에 ᄆᆡ오 맛당치 못ᄒᆞᆫ지라.
그런 故로 門을 내고 窓을 열어 日光을 引導ᄒᆞ야 드리ᄂᆞ니라.
|
{
"page": 2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第九課 園圃
園圃에 各色草木을 심으ᄂᆞᆫ 것은 實로 즐거온 일이니라.
四時로 ᄭᅩᆺ을 보며 根曄과 果實을 먹기도 ᄒᆞ고 ᄯᅩ 草木을 培養ᄒᆞ야 그 生長ᄒᆞᆷ을 보ᄂᆞᆫ 것도 ᄀᆞ장 樂事ᅵ니라.
爲先 봄이 되야 ᄯᅡᆺᄯᅡᆺᄒᆞᆫ 바ᄅᆞᆷ이 불면 草木은 모다 새싹이 生ᄒᆞ고 새싹은 漸漸
|
{
"page": 2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닙사귀가 되며 줄기도 되여 ᄯᅩ다시 가지ᄅᆞᆯ 이루ᄂᆞ니라. 가지 ᄭᅳᆺ헤ᄂᆞᆫ ᄭᅩᆺ봉오리가 ᄆᆡ치고 ᄭᅩᆺ봉오리가 퓌여셔 고혼 ᄭᅩᆺ이 되ᄂᆞ니라.
ᄭᅩᆺ이 마르면 微妙ᄒᆞᆫ 果實은 임의 ᄭᅩᆺ을 ᄃᆡ신ᄒᆞᄂᆞ니라.
아참마다 일즉 닐어 나셔 밤
|
{
"page": 2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사이에 發育ᄒᆞᆫ 草木을 보면 極히 爽快ᄒᆞᆫ 일이니라.
第十課 我家一
우리 집에ᄂᆞᆫ 아우 二人과 妹第 一人이 잇스니 父母ᄭᆞ지 家族이 六人이로다.
家族 外에ᄂᆞᆫ 婢僕도 업고 다만 소 ᄒᆞᆫ 匹과 ᄃᆞᆰ 세 머리가 잇
|
{
"page": 2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스니 ᄃᆞᆰ은 ᄯᅢᄯᅢ로 알을 낫터라.
父親은 아참마다 일즉 닐어나셔 園圃ᄅᆞᆯ 도라 보ᄂᆞᆫ 것으로 즐거온 일을 삼으시더라.
母親은 그 사이에 朝飯을 지으시고 妹第ᄂᆞᆫ 房 안을 쓰ᄂᆞᆫ ᄃᆡ 나ᄂᆞᆫ 소의게 풀을 주고 ᄃᆞᆰ의게 모이ᄅᆞᆯ 주ᄂᆞᆫ도다.
父母와 妹第ᄂᆞᆫ 들에 나아가신 後에 나
|
{
"page": 2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ᄂᆞᆫ 學校에 가고 두 아우ᄂᆞᆫ 집에서 놀더라.
第十一課 我家 二
리웃집에 醫師가 잇ᄂᆞᆫᄃᆡ 父親과 極히 親切ᄒᆞ게 相從ᄒᆞ야 父親ᄭᅴ셔 가시기도 ᄒᆞ고 醫師가 오기도 ᄒᆞ야 種種 밤들도록 談話ᄒᆞᆯ ᄯᆡ도 잇더라. 그러ᄒᆞ나 우리 집에ᄂᆞᆫ ᄒᆞᆫ 사ᄅᆞᆷ도 病든 者ᅵ 업ᄂᆞᆫ 故
|
{
"page": 2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로 病을 보기 爲ᄒᆞ야 醫師가 옴은 아니더라.
父母ᄂᆞᆫ 母日 우리들과 ᄒᆞᆷᄭᅴ 食事ᄒᆞ시기로 ᄀᆞ장 樂事ᄅᆞᆯ 삼으시ᄂᆞ니라.
父親이 恒常 ᄀᆞᆯᄋᆞ샤대 우리집이 비록 艱難ᄒᆞ나 勤實히 일을 ᄒᆞ면 衣食에 窘塞치 아니ᄒᆞᆯ 것이오 ᄯᅩᄒᆞᆫ 집에 ᄒᆞᆫ 사ᄅᆞᆷ도 病 잇ᄂᆞᆫ 者ᅵ 업스니 第一幸福이라
|
{
"page": 2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ᄒᆞ시더라.
第十二課 馬
소금섬을 실은 ᄆᆞᆯ을 사ᄅᆞᆷ이 몰고 내ᄅᆞᆯ 건너가ᄂᆞᆫ도다.
ᄆᆞᆯ이 밋그러져서 水中에 너머지니 그 소금이 다 물에 풀어졋더라.
|
{
"page": 2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짐이 瞥眼間에 輕ᄒᆞ여짐에 ᄆᆞᆯ이 甚히 됴화ᄒᆞ더라.
잇흔날에 그 사ᄅᆞᆷ이 ᄆᆞᆯ의게 藥草ᄅᆞᆯ 싨고 내ᄅᆞᆯ 건너가더라.
ᄆᆞᆯ은 어제 일을 ᄉᆡᆼ각ᄒᆞ고. 짐즛 물 속에 너머지더라.
사ᄅᆞᆷ이 ᄯᅡ리기ᄅᆞᆯ 過度히 ᄒᆞ니 ᄆᆞᆯ이 艱幸히 집으로 도라갈 새 짐이 무거워 ᄆᆡ
|
{
"page": 3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오 고ᄉᆡᆼᄒᆞ더라.
第十三課 葉書와 封函
이것은 葉書의 그림이니 葉書ᄂᆞᆫ 一張 갑시 다만 金貨 一錢 五厘니라.
葉書의 ᄒᆞᆫ편에ᄂᆞᆫ 受信人의 居住와 姓名을 쓰고 ᄒᆞᆫ편에ᄂᆞᆫ 事實을 써셔 郵遞筩에 너흐면 我國과 日本에ᄂᆞᆫ 어ᄂᆞ 곳에던지 信息을 通ᄒᆞᄂᆞ니라.
|
{
"page": 3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그러ᄒᆞ나 葉事ᄂᆞᆫ 죠희가 狹小ᄒᆞ야 만히 쓰지 못ᄒᆞ고 ᄯᅩ다른 사ᄅᆞᆷ도 보ᄂᆞᆫ 故로 秘密ᄒᆞᆫ 말은 쓰지 못ᄒᆞᄂᆞ니라.
다른 사ᄅᆞᆷ이 보지 못ᄒᆞ게 ᄒᆞ고 ᄯᅩ 만히 쓰고져 ᄒᆞ면 封函을 쓰ᄂᆞᆫ 것이 됴흐니라.
이것은 封函의 그림이니 封函에ᄂᆞᆫ 金
|
{
"page": 3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貨 三錢 자리 郵票ᄅᆞᆯ 부치ᄂᆞ니라.
이 그림 우의 左便에 부친 것이 곳 郵票니라.
日本國 外에ᄂᆞᆫ 四錢 자리 葉書ᄅᆞᆯ 쓰고 封函에ᄂᆞᆫ 十錢 자리 郵票ᄅᆞᆯ 부치ᄂᆞ니 다만 四錢으로 世界의 어ᄂᆞ 곳에던지 奇別을 通ᄒᆞᆷ이 엇
|
{
"page": 3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니라.
第十五課 晝夜
太陽은 每日 東에셔 나셔 西으로 들어 가ᄂᆞ니라.
太陽이 나ᄂᆞᆫ ᄯᆡᄅᆞᆯ 아참이라 ᄒᆞ고 太陽이 들어갈 ᄯᆡᄅᆞᆯ 져녁이라 ᄒᆞᄂᆞ니라.
太陽이 잇슬 동안을 낫이라 ᄒᆞ고 太陽이 업슬 동안을 밤이라 ᄒᆞᄂᆞ니라.
|
{
"page": 3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太陽이 中天에 도라온 ᄯᅢᄅᆞᆯ 正午라 ᄒᆞᄂᆞ니라.
正午 以前을 午前이라 ᄒᆞ고 正午 以後ᄅᆞᆯ 午後라 ᄒᆞᄂᆞ니라.
午前과 午後가 各 열두 時間인 故로 晝夜ᄅᆞᆯ 合ᄒᆞ야 二十四 時間이 되ᄂᆞ니라.
우리들은 午前에 學校에 갓다가 午後에 집으로 도라 오ᄂᆞ니라.
|
{
"page": 3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第十六課 汽車
汽車가 멀니 들 가온ᄃᆡ로 通ᄒᆞ야 가거ᄂᆞᆯ 동산 우에셔 汽車ᄅᆞᆯ 구경ᄒᆞᄂᆞᆫ 兒孩 둘이 잇스니 ᄒᆞᆫ 兒孩ᄂᆞᆫ 兄이오 ᄒᆞᆫ 兒孩ᄂᆞᆫ 아우더라.
(第) 兄님 보시오 汽車가 烟氣ᄅᆞᆯ 내면셔 ᄲᆞᆯ니 가니 汽車ᄂᆞᆫ 大段히 긴 車이오.
|
{
"page": 3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兄) 여긔셔 보면 ᄒᆞᆫ 수레 ᄀᆞᆺᄒᆞ나 뎌것은 여러 수레ᄅᆞᆯ 連ᄒᆞᆫ 것이니라.
第一 압헤셔 烟氣ᄅᆞᆯ 내며 가ᄂᆞᆫ 것을 機關車라 ᄒᆞᄂᆞ니라.
사ᄅᆞᆷ이 탄 것을 客車라 ᄒᆞᄂᆞ니 客車ᄂᆞᆫ ᄒᆞᆫ 個ᄲᅮᆫ이 아니오 여러 個가 잇ᄂᆞ니라.
機關車와 客車 사이에 검은 車가
|
{
"page": 4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세 個 잇ᄂᆞᆫ ᄃᆡ 이것은 貨車라 ᄒᆞᄂᆞ니 짐을 싨ᄂᆞᆫ 車니라.
機關車 ᄒᆞᆫ 個가 모든 車ᄅᆞᆯ ᄭᅳ을고 가ᄂᆞ니라.
(第) 兄님 機關車ᄂᆞᆫ 엇지 그처럼 힘이 만흐오.
(兄) 그 ᄭᆞᄃᆞᆰ은 너의게 말ᄒᆞ야도 잘 아지 못ᄒᆞ리니 每日 學校에 가기ᄅᆞᆯ
|
{
"page": 4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分이 잇스니 車票의 갑은 一等이 第一 비싸고 三等이 ᄀᆞ장 歇ᄒᆞ며 車票의 빗이 一等은 흰 빗이오 二等은 푸른 빗이오 三等은 붉은 빗이니라.
汽車가 停車場에 오ᄂᆞᆫ 것과 ᄯᅩ 停車場에셔 ᄯᅥ나ᄂᆞᆫ 時間은 一定ᄒᆞᆷ이 잇ᄂᆞ니라.
미리 와셔 汽車ᄅᆞᆯ 기ᄃᆞ리ᄂᆞᆫ 사ᄅᆞᆷ을 爲
|
{
"page": 4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ᄒᆞ야 待合室이 잇스며 ᄯᅩ 停車場 여러 곳에 됴희ᄅᆞᆯ 붓치고 賃金과 時間을 告示ᄒᆞ니라.
그러ᄒᆞ나 文字ᄅᆞᆯ 아지 못ᄒᆞᄂᆞᆫ 者ᄂᆞᆫ 알아보지 못ᄒᆞᄂᆞ니 눈으로 文字ᄅᆞᆯ 보지 못ᄒᆞ고 ᄯᅩ 남의게 뭇지 아니ᄒᆞ면 알지 못ᄒᆞᄂᆞ니라.
第十八課 慾心이 만흔 犬
|
{
"page": 4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ᄒᆞᆫ 머리 개가 잇ᄂᆞᆫᄃᆡ 고기ᄅᆞᆯ 물고 ᄃᆞ리ᄅᆞᆯ 건너갈 ᄉᆡ ᄃᆞ리 아ᄅᆡ에도 ᄯᅩᄒᆞᆫ 고기ᄅᆞᆯ 먹ᄂᆞᆫ 개가 잇ᄂᆞᆫ 것을 보앗더라.
이 개ᄂᆞᆫ 甚히 慾心이 만흔 개라 그 고기ᄭᆞ지 ᄲᆡ앗고져 ᄒᆞ야 짓더라. 지즐 ᄯᆡ에
|
{
"page": 4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입이 열녀셔 물엇던 고기가 곳 물 가온ᄃᆡ ᄲᅡ진지라 이ᄯᆡ 아ᄅᆡ에 잇던 개가 물엇던 고기도 ᄒᆞᆷᄭᅴ 업셔졋더라. 甚히 慾心이 만흔 者ᄂᆞᆫ 도로혀 損害되ᄂᆞᆫ 일이 만흐니라.
第十九課 太陽力
太陽이 나면 四方에 빗최여셔 萬物이 ᄇᆞᆰ게 보이고 太陽이 隱蔽ᄒᆞ면 天地가
|
{
"page": 4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暗黑ᄒᆞ야 아모것도 못 보ᄂᆞ니 낫이 暘明ᄒᆞᆷ은 太陽이 빗최ᄂᆞᆫ 緣故오 밤이 暗黑ᄒᆞᆷ은 太陽이 隱蔽ᄒᆞᆫ 緣故ᅵ니라.
太陽이 此世界에 光輝ᄅᆞᆯ 주ᄂᆞ니 太陽이 업스면 全世界가 暗黑ᄒᆞ야 晝夜의 分別이 업슬지니라.
太陽이 빗최ᄂᆞᆫ 곳은 ᄯᅡᆺᄯᅡᆺᄒᆞ고 太陽이 빗최지 못ᄒᆞᄂᆞᆫ 곳은 치우니 낫은 ᄯᅡᆺᄯᅡᆺ
|
{
"page": 4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ᄒᆞ고 밤이 치운 것은 日光이 빗최고 빗최지 못ᄒᆞᄂᆞᆫ 緣故ᅵ니라.
太陽은 此世界에 熱氣ᄅᆞᆯ 주ᄂᆞ니 太陽이 없스면 世界ᄂᆞᆫ 恒常 치워셔 山海와 原野가 다 一體로 氷雪이 되야셔 草木이나 蟲類나 漁類나 우리 人類가 다 凍死ᄅᆞᆯ 免치 못ᄒᆞᆯ지니라.
初春에 次第로 ᄉᆡ싹이 漸漸 生長ᄒᆞᆷ은
|
{
"page": 4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太陽의 溫氣ᄅᆞᆯ 밧ᄂᆞᆫ ᄭᆞᄃᆞᆰ이오. 겨을에 草木의 닙사귀가 凋落ᄒᆞᆷ은 太陽의 熱氣가 弱ᄒᆞ야 치운 ᄭᆞᄃᆞᆰ이니라.
第二十課 山上眺望
우리들은 오날 처음 이 山에 올나 왓도다. 山上에셔 멀니 바라보면 河川과 村落과 森林이다 一齊히 보이ᄂᆞᆫ도다. ᄀᆞ장 갓가히 보이ᄂᆞᆫ 곳은 우리가 每日 노
|
{
"page": 4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屋이로다. 已熟ᄒᆞᆫ 누른 벼와 未熟ᄒᆞᆫ 푸른 벼ᄂᆞᆫ 道傍에 茂盛ᄒᆞᆫ 풀과 相交ᄒᆞ야 布帳을 편 것과 恰似ᄒᆞ고 人馬等의 往來ᄒᆞᄂᆞᆫ 것은 ᄀᆡ암이가 움쟉이ᄂᆞᆫ 貌樣과 ᄀᆞᆺ도다.
村前에 흐ᄅᆞᄂᆞᆫ 내ᄂᆞᆫ 上村下村을 둘너셔 岸底로 隱流ᄒᆞ다가 다시 森林中으로브터 流出ᄒᆞ야 구븨구븨 흘너셔 終
|
{
"page": 5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末에ᄂᆞᆫ 海中으로 流入ᄒᆞᄂᆞᆫ도다. 海面은 迢遠ᄒᆞ야 물결도 보이지 안코 波濤聲도 들니지 안ᄂᆞᆫ도다. 다만 水鳥와 ᄀᆞᆺ치 적고 흰 것이 海上에 ᄯᅳᆫ 것은 漁船의 布帆이로다.
後面을 본즉 山과 山이 重疊ᄒᆞ고. ᄯᅩ 右便을 본즉 廣闊ᄒᆞᆫ 平野로다. 平野의 越邊에 멀니 구름 貌樣으로 보이ᄂᆞᆫ 것도
|
{
"page": 5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ᄯᅩᄒᆞᆫ 山이로다.
第二十一課 水
우리ᄂᆞᆫ 물의 一點이라 비가 되야 하ᄂᆞᆯ로브터 와셔 木葉上에 걸녓도다.
바ᄅᆞᆷ에 불녀 巖上에 ᄯᅥ러져셔 他點水와 合ᄒᆞ야 谷底로 ᄂᆞ려가다가 이윽고 嶮峻ᄒᆞᆫ 岸上으로 流出ᄒᆞ야 一潟直下ᄒᆞᆯᄉᆡ 岸邊에 數多ᄒᆞᆫ 觀光者가 잇셔셔
|
{
"page": 5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우리 나려옴을 보고 아ᄅᆞᆷ다온 瀑布라 ᄒᆞᄂᆞᆫ도다.
岸下에셔 數回ᄅᆞᆯ 轉廻ᄒᆞ야 ᄂᆞ려온 故로 甚히 眩恍ᄒᆞ도다 少頃에 눈을 여러 보니 임의 넓은 原野로 나왓도다 左右에 아ᄅᆞᆷ다온 ᄭᅩᆺ도 보이고 새 짓거리ᄂᆞᆫ 소ᄅᆡ도 들니도다.
數日後에 이 廣闊ᄒᆞᆫ 바다에 와셔 蒼波와 서로 合ᄒᆞ얏도다
|
{
"page": 5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途中에셔 머리 우흐로 자로 人馬와 車輛等의 騷擾ᄒᆞᆫ 소ᄅᆡ가 들니더니 追後에 드른즉 橋梁이라 ᄒᆞᄂᆞᆫ도다.
第二十二課 米와 麥
쌀과 보리ᄂᆞᆫ 우리의 ᄀᆞ장 要用되ᄂᆞᆫ 食物이라.
米稔 되ᄂᆞᆫ 풀은 벼라 名稱ᄒᆞ나 麥稔 되ᄂᆞᆫ 풀은 ᄒᆞᆫ갓 보리라 ᄒᆞᆯ ᄲᅮᆫ이오 別로히
|
{
"page": 5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名稱은 업ᄂᆞ니라. 벼ᄂᆞᆫ 春夏溫暖ᄒᆞᆫ 時에 ᄉᆡ싹이 나고 보리ᄂᆞᆫ 秋冬稍寒ᄒᆞᆫ 時에 ᄉᆡ싹이 나ᄂᆞ니라. 벼ᄂᆞᆫ 가을 不寒ᄒᆞᆯ ᄯᆡ에 닉고 보리ᄂᆞᆫ 여름 不熱ᄒᆞᆯ ᄯᆡ에 닉ᄂᆞ니라. 벼ᄂᆞᆫ 水田에 生長ᄒᆞᄂᆞ니 물이 업스면 枯乾ᄒᆞ며 보리ᄂᆞᆫ 乾田에 生長ᄒᆞᄂᆞ니 물이 잇스면 朽敗ᄒᆞᄂᆞᆫ 故로 보리ᄅᆞᆯ 베인 後에 물을 引入ᄒᆞ야 벼ᄅᆞᆯ 심
|
{
"page": 5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으고 벼ᄅᆞᆯ 베인 後에 물을 ᄆᆞᆯ녀셔 보리ᄅᆞᆯ 심으ᄂᆞ니라.
稻藁ᄂᆞᆫ 靭强ᄒᆞ고 麥稈은 脆弱ᄒᆞ며 쌀은 甘味가 잇고 보리ᄂᆞᆫ 甘味가 적어셔 서로 ᄀᆞᆺ지 아니ᄒᆞᆷ이 만흐니라.
第二十三課 母心
ᄒᆡᄂᆞᆫ 임의 지고 ᄃᆞᆯ은 아직 나지 아니ᄒᆞᆫ지라 져녁 바ᄅᆞᆷ은 차셔 몸에 侵砭ᄒᆞ고
|
{
"page": 5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四方은 寂寞ᄒᆞ도다.
貞童과 壽童은 낫에 나아가셔 아직 도라오지 아니ᄒᆞ니 母親은 깁히 憂慮ᄒᆞ샤 門을 倚立ᄒᆞ야 ᄉᆡᆼ각호ᄃᆡ 我子等이 失路ᄒᆞ엿ᄂᆞᆫ지 어ᄃᆡᄅᆞᆯ 傷ᄒᆞ
|
{
"page": 5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엿ᄂᆞᆫ지 내에 ᄲᅡ지지나 아니ᄒᆞ얏ᄂᆞᆫ지 惡ᄒᆞᆫ 同侔와 싸오고 울지나 아니 ᄒᆞᄂᆞᆫ지 飢寒에 고ᄉᆡᆼ이나 아니 ᄒᆞᄂᆞᆫ지 여러 가지로 근심ᄒᆞ며 기ᄃᆞ리ᄂᆞᆫ도다.
두 兒孩ᄂᆞᆫ 母親이 如斯히 心慮ᄒᆞᄂᆞᆫ 쥴은 모로고 놀기에 着心ᄒᆞ더니 日暮ᄒᆞ야 어두온 後에야 慌慌히 도라왓도다.
母親은 心慮ᄒᆞ다가 두 兒孩가 無事히
|
{
"page": 5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도라옴을 깃부게 ᄉᆡᆼ각ᄒᆞ고 兩腕으로 두 兒孩ᄅᆞᆯ 안엇도다. 父母의게 憂慮ᄅᆞᆯ ᄭᅵ치ᄂᆞᆫ 者ᄂᆞᆫ 不孝莫大ᄒᆞᆷ이로다. 孔子ᅵ ᄀᆞᆯᄋᆞ사대 父母ᅵ 계시거던 멀니 놀지 말며 노라도 반ᄃᆞ시 方向이 잇다 ᄒᆞ시니라.
第二十四課 我鄕
우리 고을에ᄂᆞᆫ 戶數 一千五百이 잇스
|
{
"page": 6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敎師 六人이 잇스니 우리들을 子弟와 ᄀᆞᆺ치 親切히 ᄀᆞᄅᆞ치ᄂᆞᆫ도다. 우리들은 아참에 일직이 니러나셔 學校에 가ᄂᆞᆫ 것으로 第一 樂事ᄅᆞᆯ 삼ᄂᆞᆫ도다.
ᄯᅩ 巡査도 極히 勤實ᄒᆞᆫ 사ᄅᆞᆷ이라 恒常 邑內ᄅᆞᆯ 巡行ᄒᆞ야 盜賊과 火災가 업도록 注意ᄒᆞᄂᆞᆫ 故로 今番 巡査가 우리 고을에 온 後로브터 火災와 賊患의 所聞
|
{
"page": 6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은 듯지 못ᄒᆞ얏도다.
第二十五課 獵夫와 원숭이
어ᄂᆞ 날에 ᄒᆞᆫ 獵夫가 山에 을나 세 머리 원숭이ᄅᆞᆯ 보앗도다. ᄒᆞᆫ 머리ᄂᆞᆫ 어이 원숭이오 두 머리ᄂᆞᆫ 삿기 원숭이러라.
獵夫가 卽時 銃을 노흐려 ᄒᆞᆫ즉 어이 원숭이가 自己의 危急ᄒᆞᆷ을 不顧ᄒᆞ고 삿기 원숭이ᄅᆞᆯ 逃避케 ᄒᆞᄂᆞᆫ 사이에 彈丸
|
{
"page": 6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이 亂下ᄒᆞ야 被殺ᄒᆞᆫ바ᅵ 되얏더라.
獵夫가 잡은 원숭이ᄅᆞᆯ 가져다가 家中에 달아두엇더니 그 밤에 원숭이가 門前에 와셔 門을 긁으면셔 슯흔 소ᄅᆡ로
|
{
"page": 6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2:51.549080",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2.djvu&oldid=328885"
}
|
우ᄂᆞᆫ지라 門을 열고 본즉 낫에 보던 두 머리 삿기 원숭이러라.
獵夫가 삿기 원숭이ᄅᆞᆯ 銃으로 견우면셔 소ᄅᆡ지르나 逃亡치 아니ᄒᆞ고 어이 원숭이의 屍體ᄅᆞᆯ 向ᄒᆞ야 그것을 出給ᄒᆞ야지라 ᄒᆞᄂᆞᆫ 것 ᄀᆞᆺᄒᆞᆫ지라.
獵夫도 可矜히 녁여 그 屍體ᄅᆞᆯ 投與ᄒᆞᆫ즉 삿기원숭이가 그것을 背負ᄒᆞ고 울
|
{
"page": 6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야ᄲᅮ리ᄂᆞᆫ地中으로延入ᄒᆞ고싹은地上으로吐出ᄒᆞᄂᆞ니ᄉᆡ싹은二枚의닙사귀ᅵ라。그中으로브터別로히ᄉᆡ싹이生ᄒᆞ야次第로成長ᄒᆞ야줄기가되고가지ᄂᆞᆫ줄기로브터分ᄒᆞ야다시小枝ᄅᆞᆯ生ᄒᆞᄂᆞ니여름이되면닙사귀가茂盛ᄒᆞᆫ나무가되ᄂᆞ니라。
줄기ᄂᆞᆫ地上에셔成長ᄒᆞ고ᄲᅮ리ᄂᆞᆫ地
|
{
"page": 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下에셔四方으로蔓延ᄒᆞ야물을吸取ᄒᆞ야幹枝와닙사귀ᄅᆞᆯ養ᄒᆞᄂᆞ니五六年後에본즉큰나무가되야아ᄅᆞᆷ다온ᄭᅩᆺ이퓌여열ᄆᆡᄅᆞᆯᄆᆡᆺᄂᆞᆫ도다。
이러케一一히작은씨로브터ᄒᆞᆫ株의나무가되야열ᄆᆡᄅᆞᆯ만히ᄆᆡᆺᄂᆞᆫᄃᆡ니ᄅᆞ러次第로生長ᄒᆞᆷ을보면實로滋味잇ᄂᆞᆫ者ᅵ니라。
|
{
"page": 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ᄲᅮ리라ᄒᆞ고ᄭᅩᆺᄲᅮ리도ᄯᅩᄒᆞᆫ花瓣과ᄀᆞᆺ치五片이잇ᄂᆞ니라。ᄭᅩᆺᄲᅮ리ᄂᆞᆫ花蕾ᄅᆞᆯ包ᄒᆞ야風雨ᄅᆞᆯ막기爲ᄒᆞᄂᆞᆫ者ᅵ니ᄭᅩᆺ퓐後ᄂᆞᆫᄭᅩᆺᄲᅮ리가잇ᄂᆞᆫ故로더욱아ᄅᆞᆷ답게보이ᄂᆞ니라。
|
{
"page": 1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이것이업ᄂᆞᆫ것은稀少ᄒᆞ니라。
第三課 汽車發着
汽笛소ᄅᆡ가나면셔汽車가東으로브터오ᄂᆞᆫ도다。처음에ᄂᆞᆫ적게보이더니갓가히온즉크게보이ᄂᆞᆫ도다。
汽車가停車場에來着ᄒᆞ면數多ᄒᆞᆫ사ᄅᆞᆷ이各各手袋等을가지고下來ᄒᆞᄂᆞᆫ도다。貸車內에셔ᄂᆞᆫ巨大ᄒᆞᆫ物件을無
|
{
"page": 1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니ᄒᆞ시ᄂᆞᆫ故로무ᄉᆞᆷᄭᆞᄃᆞᆰ인지아지못ᄒᆞ야오날先生宅에가셔들은즉感崇가잇다ᄒᆞ시오니過度치아니ᄒᆞ오前日曜日效外에暢次로가셧슬ᄯᆡ에冒雨ᄒᆞ야感崇가되얏ᄉᆞᆸᄂᆞ잇가。
先生ᄭᅴ드른즉近日은感氣가甚히流行ᄒᆞᄂᆞᆫ時期라ᄒᆞ시니調攝ᄒᆞ야
|
{
"page": 1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겟ᄉᆞᆸᄂᆞ이다。
이러케慰問ᄒᆞ시니ᄆᆡ오感謝ᄒᆞ오며此外에別症은업스니念慮마시ᄋᆞᆸ소셔。
第六課 海底
海面은거울과ᄀᆞᆺ치平ᄒᆞ나海底에ᄂᆞᆫ山과ᄀᆞᆺ치놉흔곳도잇고골과ᄀᆞᆺ치깁흔곳도잇스며平野ᄀᆞᆺ치平坦ᄒᆞᆫ곳
|
{
"page": 1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裁縫ᄒᆞ야進獻ᄒᆞ얏도다。
數日後에 大王이다시侍臣을부ᄅᆞ샤ᄀᆞᆯᄋᆞ샤ᄃᆡ卿이奉呈ᄒᆞᆫ寢褥은極히輕暖ᄒᆞ야坐臥가자못便安ᄒᆞ나그러나이것을ᄭᅡᆫ즉漸漸怠惰ᄒᆞ야아참에늣게니러나며져녁에일즉이자니이러케便安ᄒᆞᆷ을取ᄒᆞ면國民의疾苦ᄅᆞᆯ不察ᄒᆞ리로다朕은國民의父ᅵ라父
|
{
"page": 2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ᄒᆞ셧ᄂᆞ니라。
第九課 空氣
입과코ᄅᆞᆯ막고呼吸을긋치면難堪ᄒᆞ야苦痛ᄒᆞ다가다시입과코ᄅᆞᆯ열면무ᄉᆞᆷ긔운이一時에體內로드러셔苦痛이忽地에긋치ᄂᆞ니라。
코와입으로브터連續히出入ᄒᆞᄂᆞᆫ것을空氣라ᄒᆞᄂᆞ니라。
|
{
"page": 2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空氣ᄂᆞᆫ形體도업고빗도업고눈에보이지도안코ᄯᅩ손으로잡을수도업스나空氣ᄂᆞᆫ此世界에充滿ᄒᆞ니라。
扇子로부치면微風이ᄯᅥᆯ치ᄂᆞ니이것은空氣가搖動ᄒᆞᄂᆞᆫ것이오。
큰나무ᄅᆞᆯ折倒ᄒᆞ며집웅을날니ᄂᆞᆫ바람도ᄯᅩᄒᆞᆫ空氣의搖動이니라。
第十課 鳥類
|
{
"page": 2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마귀ᄂᆞᆫ검기가먹과ᄀᆞᆺ도다羽毛가ᄀᆞ장美麗ᄒᆞᆫ者ᄂᆞᆫ孔雀과鴛鴦等이오ᄀᆞ장高尙ᄒᆞᆫ者ᄂᆞᆫ鶴이니라。졔비와ᄆᆡᄂᆞᆫ羽翼이커셔날기ᄅᆞᆯᄀᆞ장速ᄒᆞ게ᄒᆞ고ᄃᆞᆰ과家鴨
|
{
"page": 3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等은羽翼이적어셔能히멀니날지못ᄒᆞᄂᆞ니라。엇던새ᄂᆞᆫ山에살고엇던새ᄂᆞᆫ물에살고。ᄎᆞᆷ새와가마귀와비닭이ᄀᆞᆺᄒᆞᆫ것은人家에갓가히살며山鳥와啄木鳥類ᄂᆞᆫ山林中에셔棲息ᄒᆞᄂᆞ니라。
졔비ᄂᆞᆫ春來ᄒᆞ야秋去ᄒᆞ고기럭이ᄂᆞᆫ秋來ᄒᆞ야春去ᄒᆞᄂᆞ니라。
|
{
"page": 3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소리ᄀᆡ와ᄆᆡᄂᆞᆫ銳嘴와鉤爪가잇셔鳥類ᄅᆞᆯ捕食ᄒᆞᄂᆞᆫ故로鳥類ᄂᆞᆫ소리ᄀᆡ와ᄆᆡᄅᆞᆯ보면恐懼ᄒᆞ야隱避ᄒᆞᄂᆞ니라。
梟鴟ᄂᆞᆫ낫에ᄂᆞᆫ樹林中에셔조을다가밤이되면他鳥類의졺을乘ᄒᆞ야捕食ᄒᆞᄂᆞ니라。
體小聲大ᄒᆞ야아ᄅᆞᆷ다온者ᄂᆞᆫ黃鳥ᅵ라。山中에셔啼聲을듯고尋覔ᄒᆞᆫ즉一
|
{
"page": 3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握도못되ᄂᆞᆫ小鳥가谷中을響振ᄒᆞ야울고잇슴을보앗도다。
第十一課 時計
福童은時計의치ᄂᆞᆫ數ᄅᆞᆯ혜여셔時間의計數法을아ᄂᆞᆫ도다。時計가칠ᄯᆡ에父親이몃時나되얏ᄂᆞ냐무른즉。福童이그치ᄂᆞᆫ數ᄅᆞᆯ因ᄒᆞ야恒常對答을잘ᄒᆞ더라。
|
{
"page": 3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長針이우헤直向ᄒᆞᆯᄯᆡ에鍾치ᄂᆞᆫ것을알고。ᄯᅩ長針이이時字로브터뎌時字에가ᄂᆞᆫ동안을五分이라ᄒᆞ며一回ᄅᆞᆯ도ᄂᆞᆫ동안은六十分이되며六十分이ᄒᆞᆫ時間되ᄂᆞᆫ줄도알더라。
|
{
"page": 3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福童의兄은時計의치ᄂᆞᆫ數ᄅᆞᆯ혜지안코다만時計만보고몃時몃分된줄을아ᄂᆞᆫ도다。福童은이것을奇異히ᄉᆡᆼ각ᄒᆞ고兄의게무른즉兄은如左히말ᄒᆞ야들니더라。
時計에ᄂᆞᆫ長針과短針이잇ᄂᆞᆫᄃᆡ長針이一回ᄅᆞᆯ도ᄂᆞᆫ사이에短針은겨우이時字로브터뎌時字ᄭᆞ지도ᄂᆞᆫ
|
{
"page": 3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ᄒᆞ야다的中치못ᄒᆞ니主人은이兒孩들을다보ᄂᆡ고다시新聞에募集을廣告ᄒᆞ얏더니二三日後에ᄯᅩ十名에達ᄒᆞᆫ지라其中에前日에왓던兒孩도잇도다。主人이前과ᄀᆞᆺ치공을달고몬져그兒孩로식히니棒子ᄅᆞᆯ가지고잘見樣ᄒᆞ야치니폭ᄒᆞ고소사오르거ᄂᆞᆯᄯᅩ다시치니곳的中ᄒᆞᆫ지라。
|
{
"page": 4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主人은拍手ᄒᆞ며「엇지ᄒᆞ야이러케鍊熟ᄒᆞ냐」ᄒᆞᆫᄃᆡ。
兒孩가「前日맛치지못ᄒᆞᆫᄭᆞᄃᆞᆰ에잘工夫ᄒᆞ면맛치겟다ᄉᆡᆼ각ᄒᆞ고歸家後에家庭나무에공을달고屢次私習ᄒᆞ얏노라」對答ᄒᆞ니。
主人은크게感服ᄒᆞ야「무ᄉᆞᆷ일이던지그러케誠心으로ᄒᆞ면아니되ᄂᆞᆫ일이
|
{
"page": 4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업ᄂᆞ니라」ᄒᆞ고이兒孩ᄅᆞᆯ雇入ᄒᆞ얏더니그兒孩가漸次發身ᄒᆞ야果然큰商賈가되니라。
第十四課 順序
如何ᄒᆞᆫ物件이던지順序로되ᄂᆞᆫ者ᅵ니라。
우리들의먹ᄂᆞᆫ밥은엇지ᄒᆞ야되얏ᄂᆞᆫ지ᄉᆡᆼ각ᄒᆞ야볼지어다。
|
{
"page": 4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벼ᄅᆞᆯ落種ᄒᆞᆫ後移秧ᄒᆞ야雜草ᄅᆞᆯ除ᄒᆞ며風災와蟲災ᄅᆞᆯ念慮ᄒᆞ다가成熟ᄒᆞᆫ後收穫ᄒᆞ며租로玄米ᄅᆞᆯ作ᄒᆞ고玄米로白米ᄅᆞᆯ도舂精ᄒᆞ야炊飮ᄒᆞᄂᆞ니그次序가엇더ᄒᆞ뇨。
ᄯᅩ뎝시에담긴生鮮은낙시로잡으며그믈로도잡앗도다。
이것을맛잇게ᄒᆞᆯ소금과甘漿도製造
|
{
"page": 4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夏夕에空中으로날나ᄃᆞᆫ이ᄂᆞᆫ蝙蝠을보면누구던지다새라고ᄉᆡᆼ각ᄒᆞ리로다。
蝙蝠은새도아니고頭形이쥐와近似ᄒᆞᆫ즘ᄉᆡᆼ이라。蝙蝠의ᄂᆞᆯᄀᆡᄅᆞᆯ仔細히보면手指와ᄀᆞᆺᄒᆞᆫ五個가잇
|
{
"page": 5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스니拇指ᄂᆞᆫ작으나四指ᄂᆞᆫ甚長ᄒᆞ며그사이에인도고ᄀᆞᆺᄒᆞᆫ膜이잇셔셔空中을自由로飛行ᄒᆞᄂᆞᆫ도다。
近年我國에流行ᄒᆞᄂᆞᆫ洋傘을蝙蝠傘이라ᄒᆞᆷ은그ᄲᅧ와ᄀᆞᆺ치細小ᄒᆞᆫ살이잇셔셔蝙蝠의ᄂᆞᆯᄀᆡ와ᄀᆞᆺᄒᆞᆫᄭᆞᄃᆞᆰ이니라蝙蝠은낫에ᄂᆞᆫ樹木과屋瓦사이에潛伏ᄒᆞ고日沒ᄒᆞᆯ즈음에飛行ᄒᆞ야모긔
|
{
"page": 5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와其他蟲類ᄅᆞᆯ捕食ᄒᆞᄂᆞ니라。
第十六課 蓮花
蓮花ᄂᆞᆫ아ᄅᆞᆷ답게퓐지라。
蓮葉이他上一面에덥혀셔물이거의보이지안ᄂᆞᆫ도다。靑靑ᄒᆞ고넓은닙사귀우헤큰ᄭᅩᆺ이퓐것은甚히美麗ᄒᆞ도다。
볼지어다蓮花ᄂᆞᆫ흰것과淡紅이잇ᄂᆞ
|
{
"page": 5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지으면물결은곳그것을埋沒ᄒᆞ야다시平坦케ᄒᆞᄂᆞᆫ도다。
海濱에ᄂᆞᆫ白沙도잇고小石도잇고자ᄀᆡ도잇도다。
자ᄀᆡ와小石에ᄂᆞᆫ靑赤黑白이잇고그形狀이ᄯᅩᄒᆞᆫ여러種類ᅵ니라。물결은晝夜分別이업시이것을恒常洗滌ᄒᆞᄂᆞᆫ故로ᄆᆞᆰ고아ᄅᆞᆷ다온지라。물결은舊
|
{
"page": 5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滓ᄅᆞᆯ滌去ᄒᆞ고淸水ᄅᆞᆯ駛來ᄒᆞᄂᆞᆫ故로恒常ᄉᆡ로온것을보ᄂᆞᆫ도다。
第十八課 蚌鷸之爭
어ᄂᆞᄯᅡᆺᄯᅡᆺᄒᆞᆫ날에죠ᄀᆡ가海濱向陽ᄒᆞᆫ곳에나와잇ᄂᆞᆫ지라。황새가飛來ᄒᆞ야長嘴로죠ᄀᆡᄅᆞᆯ쪼으니죠ᄀᆡ가堅殼을固閉ᄒᆞᆫ지라황새ᄂᆞᆫ長嘴ᄅᆞᆯ拔出ᄒᆞ랴호ᄃᆡ죠ᄀᆡᄂᆞᆫ限死ᄒᆞ고더욱固殼을堅
|
{
"page": 5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閉ᄒᆞ얏도다。
황새가決斷코너ᄅᆞᆯ먹지안켓스니노흐라고말ᄒᆞ고져호ᄃᆡ口嘴ᄅᆞᆯ閉鎖ᄒᆞ야ᄒᆞᆯ수업ᄂᆞᆫ지라죠ᄀᆡᄂᆞᆫ固殼을열면먹혀죽을가畏懼ᄒᆞ야죠곰
|
{
"page": 59,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도開放치아니ᄒᆞᄂᆞᆫ도다。이러ᄒᆞᆯ즈음에漁父가와셔魚籠에너허가지고가니라。
이럼으로兩人이相爭에他人이利益을엇ᄂᆞᆫ것을蚌鷸의닷톰이라ᄒᆞᄂᆞ니라。
第十九課 職業
穀類와菜蔬ᄅᆞᆯ지음은農夫의職業이
|
{
"page": 6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汽車밋헤셔瞥眼間큰소ᄅᆡ가들니더니汽車ᄂᆞᆫ方今긴鐵橋ᄅᆞᆯ건너ᄂᆞᆫ도다。다리아ᄅᆡᄂᆞᆫ깁흔河川이잇셔물이만히흐르고물이업ᄂᆞᆫ沙原에ᄂᆞᆫ漂白物을曝晒ᄒᆞ
|
{
"page": 6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沉暗中으로走入ᄒᆞᄂᆞᆫ도다우희ᄅᆞᆯ본즉車內에燈火ᄅᆞᆯ다랏고사ᄅᆞᆷ들은兩便의窓을緊閉ᄒᆞᆫ지라。壽童은아모것도볼수업슴ᄋᆡ무ᄉᆞᆷ일이잇ᄂᆞᆫ가ᄉᆡᆼ각ᄒᆞ더니汽車ᄂᆞᆫ다시光明ᄒᆞᆫ곳으로나옴ᄋᆡ右便에廣濶ᄒᆞᆫ바다가보이도다。至今通去ᄒᆞᆫ沉暗ᄒᆞᆫ곳은山을鑿通ᄒᆞᆫ隧道ᅵ러라。
|
{
"page": 6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護ᄒᆞ더라。
삿기ᄂᆞᆫ次第로生長ᄒᆞ야自由로步行ᄒᆞᄂᆞᆫᄃᆡ至ᄒᆞᆷᄋᆡ牝鷄ᄂᆞᆫ이것들을다리고庭園에셔穀類와蟲類ᄅᆞᆯ주어먹ᄂᆞᆫ도다。그집압헤넓은川渠가잇ᄂᆞᆫ지라ᄒᆞᆫ머리
|
{
"page": 71,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삿기ᄂᆞᆫ물을보고깃버ᄒᆞ야곳나라물로드러가니牝鷄ᄂᆞᆫ놀나울고부ᄅᆞᄃᆡ물에헤염ᄒᆞᆷ이危殆ᄒᆞ니速히出來ᄒᆞ라ᄒᆞ니라。其他삿기ᄂᆞᆫ무ᄉᆞᆷ일이잇ᄂᆞᆫ가ᄒᆞ고본즉ᄒᆞᆫ머리동모가水中에드러가셔快樂ᄒᆞ게헤염ᄒᆞᄂᆞᆫ지라서로닷토와다水中으로나라드러가니牝鷄ᄂᆞᆫ더욱놀나川邊에셔머리ᄅᆞᆯ느리
|
{
"page": 72,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고水中에陷落ᄒᆞᆷ도헤아리지안코氣力을다ᄒᆞ야叫呼ᄒᆞ나그러나삿기들은顧見치도아니ᄒᆞ고다만즐겁게헤염ᄒᆞ며무ᄉᆞᆷ일로어미ᄂᆞᆫ즐겁게노ᄂᆞᆫ것을挽留ᄒᆞᄂᆞ뇨ᄒᆞ고異常히ᄉᆡᆼ각ᄒᆞ더라。
牝鷄ᄂᆞᆫ나의삿기로ᄉᆡᆼ각ᄒᆞ고至今ᄭᆞ지養育ᄒᆞ얏스나삿기ᄂᆞᆫ우리가ᄃᆞᆰ의
|
{
"page": 73,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삿기가아니오家鴨의삿기라ᄒᆞ더라。ᄃᆞᆰ은工巧히알을ᄯᅡᆺᄯᅡᆺᄒᆞ게孵化ᄒᆞᄂᆞᆫ지라그러나ᄃᆞᆰ은自己가나흔알과다ᄅᆞᆫ새가나흔알을分別치못ᄒᆞᄂᆞᆫ故로사ᄅᆞᆷ이家鴨의알을孵化케ᄒᆞ랴면ᄃᆞᆰ의게안기ᄂᆞ니라。
第二十三課 鯨
世界에고래처럼큰動物이업ᄂᆞ니그
|
{
"page": 74,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졋을먹여삿기ᄅᆞᆯ養育ᄒᆞᄂᆞᆫ故로至今은獸類라稱ᄒᆞᄂᆞ니大抵魚類에ᄂᆞᆫ乳房이업ᄂᆞᆫᄭᆞᄃᆞᆰ이니라。
고래의머리ᄂᆞᆫ甚히크나눈은極히작으니라。입도ᄯᅩᄒᆞᆫ크나口中에馬尾ᄀᆞᆺᄒᆞᆫ鬚髥이잇셔셔큰魚類ᄂᆞᆫ삼키지못ᄒᆞᄂᆞᆫ故로鰯鯡와ᄀᆞᆺ치작은魚類ᄅᆞᆯ食物로ᄒᆞ야數千尾ᄅᆞᆯᄒᆞᆫ번에삼키ᄂᆞ니
|
{
"page": 7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라。
고래ᄂᆞᆫ水中에잇스나水中에셔ᄂᆞᆫ呼吸ᄒᆞᄂᆞᆫ일이업고頭上에鼻孔이잇ᄂᆞ니머리ᄅᆞᆯ水面에들고呼吸ᄒᆞᄂᆞ니라。汽船을搭乘ᄒᆞ고넓은바다에航行ᄒᆞ면噴水와ᄀᆞᆺ치海水가飛揚ᄒᆞᄂᆞᆫ일이잇스니그것은고래가呼吸ᄒᆞᄂᆞᆫ것이니라。
|
{
"page": 77,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02.094588",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3"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3.djvu&oldid=328899"
}
|
漁父ᄂᆞᆫ이噴水ᄒᆞᆷ을보고고래잇ᄂᆞᆫ곳을알고銃砲로擊捕ᄒᆞᄂᆞ니라。
고래의脂肪은기ᄅᆞᆷ을製造ᄒᆞ고고기ᄂᆞᆫ食物을만ᄃᆞᆯ고ᄲᅧ와鬚髥은器具와裝飾品에쓰ᄂᆞ니。조곰도버리ᄂᆞᆫ것이업ᄂᆞᆫ故로最大ᄒᆞᆫ고래一頭에價値가四五千圓에니ᄅᆞᄂᆞ니라。一頭의고래ᄅᆞᆯ捕得ᄒᆞ면海邊의一邑이同時에富
|
{
"page": 78,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11.690386",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4"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5.djvu&oldid=328903"
}
|
俗語에三寒四溫이라稱ᄒᆞᆷ은酷寒이三日을連續ᄒᆞᆫ즉四日間은寒氣가稍減ᄒᆞᆫ다ᄒᆞᆷ이라。四溫에相當ᄒᆞᄂᆞᆫ날은深冬이라도견ᄃᆡ기됴흐니라。
第六課 紙鳶과ᄑᆡᆼ이
올너라연아연아 활신활신올너라
공즁에나라가ᄂᆞᆫ 뎌소리ᄀᆡ보담도
올너라연아연아 좀더좀더놉직이」
도러라ᄑᆡᆼ이ᄑᆡᆼ이 얼는얼는도러라
바ᄅᆞᆷ에ᄑᆡᆼ々도ᄂᆞᆫ 바ᄅᆞᆷ갑이보담도
|
{
"page": 2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11.690386",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4"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5.djvu&oldid=328903"
}
|
을파ᄂᆞᆫ者ᄂᆞᆫ罰주리라ᄒᆞ셧ᄂᆞᆫ지라。應善은良明과誼가不愜ᄒᆞᆫ故로良明이한눈을팔면先生의게告ᄒᆞ랴고每日良明의動靜을注意ᄒᆞ야ᄉᆞᆲ히더라。
一日은良明이無心히한눈을판지라。應善이보고곳先生에게告ᄒᆞ다。
應善의ᄉᆡᆼ각에ᄂᆞᆫ先生이ᄇᆞᆫᄃᆞ시良明을罰주고自己ᄅᆞᆯ稱讚ᄒᆞ리라ᄒᆞ얏더라。
然이나先生이應善을對ᄒᆞ야ᄀᆞᆯᄋᆞᄃᆡ너ᄂᆞᆫ엇지ᄒᆞ야그것을보앗ᄂᆞ뇨。그ᄯᆡ에네눈은冊을
|
{
"page": 26,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11.690386",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4"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5.djvu&oldid=328903"
}
|
헤걸어셔얼골빗이검어졋ᄉᆞ오니보시고우스실줄노아ᄋᆞᆸᄂᆞ이다。
年 月 日 子俊明 上平書
第十一課 同答書
俊明回見
보ᄂᆡᆫ바寫眞은반갑게보앗스며天然ᄒᆞᆫ擧動이눈압헤보이ᄂᆞᆫ듯ᄒᆞ나다만말업ᄂᆞᆫ것이恨이로다볏헤걸어셔아라보지못ᄒᆞ도록몸이튼튼ᄒᆞᆷ은깃부며叔母主에게ᄂᆞᆫ卽時보ᄂᆡ여드렷더니大端히반가와ᄒᆞ실ᄲᅮᆫ아니라너의
|
{
"page": 30,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11.690386",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4"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5.djvu&oldid=328903"
}
|
에從事ᄒᆞᄂᆞᆫᄃᆡ. 그伐採ᄒᆞᆫ材木은筏을編造ᄒᆞ야鴨綠江으로流下ᄒᆞ야安東縣에都聚ᄒᆞᄂᆞ니라.
第十九課 時計
時計가뎅々친다
어셔어셔니러나셰 밤이발셔ᄉᆡ엿네
衣服을갈어닙게 아ᄎᆞᆷ밥이되엿네
時計가뎅々친다
洗手ᄒᆞ고밥먹은후 遲滯말고學校에
冊싸셔엽헤ᄭᅵ게 남보다몬져가셰
|
{
"page": 55,
"year": 1909
}
|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
|
1909년 출판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이다. 현대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국어학습을 위한 서적으로 권2, 권3, 권5, 권6이 전한다. 뒷권으로 갈수록 한자가 늘어난다. 일본이 식민지배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의 업무에 간섭하던 시기에 발행된 도서로 인쇄 또한 대일본도서주식회사에서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해당 도서를 수정한 후 《보통학교 학도용 조선어독본》으로 활용하였다.
|
{
"accessed_at": "2024-07-04 22:13:11.690386",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04"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B%B3%B4%ED%86%B5%ED%95%99%EA%B5%90%ED%95%99%EB%8F%84%EC%9A%A9+%EA%B5%AD%EC%96%B4%EB%8F%85%EB%B3%B8+%EA%B6%8C5.djvu&oldid=328903"
}
|
時計가뎅々친다
工夫ᄒᆞ셰工夫ᄒᆞ셰 晝夜로부즈런케
닑고쓰고외일졔 다른ᄆᆞᄋᆞᆷ두지말게
時計가뎅々친다
活潑ᄒᆞ게놀며가셰 下學時間되엿네
집으로얼는가셔 快樂케노라보셰
第二十課 麻
「麻中之蓬은不扶而自直이라」하얏ᄂᆞ니麻莖의正直ᄒᆞᆷ은可知ᄒᆞᆯ지로다. 麻莖은中虗ᄒᆞ고細長ᄒᆞ야甚脆弱ᄒᆞ나그러나包莖ᄒᆞᆫ外皮
|
{
"page": 56,
"year": 1909
}
|
산곤륜전
|
[[색인:산곤륜전 상.djvu|상]] [[색인:산곤륜전 하권.djvu|하]]
|
{
"accessed_at": "2024-07-04 22:13:27.783331",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284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C%82%B0%EA%B3%A4%EB%A5%9C%EC%A0%84+%ED%95%98%EA%B6%8C.djvu&oldid=328904"
}
|
산곤륜젼권지 하
각셜 ᄃᆡ명국 〻운이 불ᄒᆡᆼ하야 간신수무진이자작지얼노나라의 득죄하야 수발니을 졍ᄇᆡ가셔 졔
의 죄을 ᄉᆡᆼ각지 아니하고 도리여 나라를 원망하며 그 곳 사람을 모당하야 난을 일우어 졔자 층으로 초왕이라
하고 긔병하되 ᄃᆡ원수난졔가되고 부원수의 니돌명이라하고 박시덕으로 션봉을 봉하고 최좌수로 후
군장을 봉하고 홍일쳔으로 중군장을 삼고 촉군ᄐᆡ수신졍으로 운량관을 정하고 ᄯᅩ한 촉ᄯᅡ의 긔병
하야 일동 졍병 오ᄇᆡᆨ만을 조발하고 보졸이 팔ᄇᆡᆨ만명이요 수셩장이 오ᄇᆡᆨ만이라 젼장 긔계을 ᄐᆡ산가치
실ᄭᅩ 갑자 삼월 십육일노상마출ᄒᆡᆼ할□긔치 창검은 일월을 히룡하고 뇌고함셩은 쳔지 진동하
야 불일ᄂᆡ로 황셩지경을 범하야 긔주자사황운을 버히고 하동 ᄯᅡ의 득달하야 ᄐᆡ수니□화를 ᄉᆡᆼ금
하고 쳥주 ᄯᅡ흘 범하난지라 잇ᄃᆡ 자사ᄇᆡᆨᄐᆡ학 일변 나라의 장계하난지라 차셜 황졔화계의 ᄃᆡ경하시다
가 ᄯᅳᆺ밧 쳥주 자사□장계을 올니거□ᄀᆡ탁하시니 하엿스되 파촉ᄑᆡ화 도로 졍ᄇᆡ간수 무진이 졔의 죄을 무드
랴고 난을 일우어 황셩지경을 물□덧하□□복원황셩은 긔병하시□ 급히 막으옵소져하엿거날
|
{
"page": 3,
"year": 1911
}
|
산곤륜전
|
[[색인:산곤륜전 상.djvu|상]] [[색인:산곤륜전 하권.djvu|하]]
|
{
"accessed_at": "2024-07-04 22:13:27.783331",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284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C%82%B0%EA%B3%A4%EB%A5%9C%EC%A0%84+%ED%95%98%EA%B6%8C.djvu&oldid=328904"
}
|
상이 ᄃᆡ경하사 졔신을 도라보시며 칼노셔 안을치시며 왈 무진이란 놈이 엇지 이려할 주를 알이요 쳔도 무심
하야 이려하미니 경등은 뉘 능히 ᄃᆡ젹할ᄉᆡ 잇난요 하신ᄃᆡ 병부시랑 신운초 출반주 왈 신이 비록 저
조 업사오나 도젹수무진을 자바 폐하의 근심을 덜고져 하나이다 하니 상이 ᄃᆡ히하사 각도각읍의 조셔하야
긔군하실셔 신운초로 도원수를 졍하시고 은쳔광 녹저부 심치우르 부원수를 봉하시고 옹주자사 쳔일
쳔으로 션봉을 삼고 병부시량 유홍덕으로 중군장을 봉하시고 ᄃᆡ사마ᄃᆡ장 곽자박으로 후군장을 삼
고 ᄃᆡ도독 최홍경으로 운량관을 봉하시고 쳥주자사 박ᄃᆡ화로 본군수형□을 삼고 수군졸 팔ᄇᆡᆨ만
병과 ᄃᆡ군 육ᄇᆡᆨ만과 보졸 이삼ᄇᆡᆨ만이요 육군이 칠ᄇᆡᆨ만이라 황졔 원수의 손을 자부시고 가로사되 경
은 심을 다하야 도젹을 급히 파하고 수이 도라오라하신ᄃᆡ 원수 복지사례ᄒᆞ고 불일ᄂᆡ로 ᄒᆡᆼ군할ᄉᆡ 고각
함셩은 강산이 진동하고 긔치 창검은 일광을 가리고 틈〻한 긔상과 당〻한 위염은 이로 측양치 못할너라
ᄒᆡᆼ진북을 노피 울니며 방포일셩의 발ᄒᆡᆼ하야 십오일 만의 쳥주 ᄯᅡ의 이르어 쳔마산하의 진을 치고 원수
장ᄃᆡ예 올나 좌를 정하야 팔문금사진으로 좌우을 □□하고 익□□□풍운□□ 불너 □녀난 군사 오쳔명
|
{
"page": 4,
"year": 1911
}
|
산곤륜전
|
[[색인:산곤륜전 상.djvu|상]] [[색인:산곤륜전 하권.djvu|하]]
|
{
"accessed_at": "2024-07-04 22:13:27.783331",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284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C%82%B0%EA%B3%A4%EB%A5%9C%EC%A0%84+%ED%95%98%EA%B6%8C.djvu&oldid=328904"
}
|
을 거나리고 파산하의 웅거하야 젹진 양도을 ᄭᅳᆫ으라 ᄒᆞ니 풍운우 즉시 쳥영하고 파산으로 가니
라 유진한 지 삼 일 만의 격셔를 젼한ᄃᆡ 잇ᄃᆡ 무진이 의기샹〻하며 사면의 파수를 보이고 일등 미ᄉᆡᆨ
으로 히롱하더니 문듯 격셔오난지라 무진이 급히 ᄯᅥ여보□하엿스되 ᄃᆡ역부도수무진아 쳔도를 모
르고 국가의 난을 이루니 쳔지가 두렵지 아니한야 너를 자부랴고 황상이 나를 보ᄂᆡ시니 목숨을 앗긔
거던 ᄲᅡᆯ니 항복하라 하엿거날 무진이 ᄃᆡ로하야 부원수 돌명을 불너 일시간의 명진을 파하라 한ᄃᆡ
돌명이 장창ᄃᆡ검을 들고 진문의 나셔 크계 외여 왈 너히 등은 병을 보젼하랴거던 항복하고 그러치 아
니하거던 ᄂᆡ의 칼을 바드라 하거늴 잇ᄃᆡ 명진도 원수장ᄃᆡ예 노피 안자 군중의 호령 왈 반젹 무진의 목
을 한 칼의 비여 올니라 호통소ᄅᆡ 추상갓고 군중 이ᄭᅳᆯ난 덧 하더라 션봉장 일쳔이 ᄇᆡᆨ운갑을
입고 황금투고을 쓰고 쳥용도를 두루며 오초마상의 노피 안자 전문 밧계 나와 봉의 눈을 부르ᄯᅳ
고 뇌셩가치 호령 왈 쳔지가 완연하고 일월이 명낭하거던 역젹수무진아 네 엇지 살긔를 바ᄅᆡᆯ손야
밧비나와 목을 늘히여 ᄂᆡ의 날ᄂᆡᆫ 칼을 바드라 너놈을 자바 우리황상의 근심을 풀니라 하니
|
{
"page": 5,
"year": 1911
}
|
산곤륜전
|
[[색인:산곤륜전 상.djvu|상]] [[색인:산곤륜전 하권.djvu|하]]
|
{
"accessed_at": "2024-07-04 22:13:27.783331",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284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C%82%B0%EA%B3%A4%EB%A5%9C%EC%A0%84+%ED%95%98%EA%B6%8C.djvu&oldid=328904"
}
|
돌명이 분긔를 이긔지 못하야 비호가치 달여드러 싸호더니 십여 합이 못 되야 문듯 일쳔의 쳥용도
빗나며 돌명의 머리 마하의 ᄯᅥ러지난지라 일쳔이 칼 ᄭᅳᆺᄒᆡ ᄭᅱ여들고 사면충돌하여 왈 반젹을 오늘날
씨도 업시 자불거시니 너히드리 어셔 나와 차ᄅᆡ로 목을 늘히라 하난 소ᄅᆡ 산쳔이 진동하니 젹진 후군장 최좌수
란 놈은 초ᄑᆡ왕을 등ᄑᆡ하난지라 부원수 죽검을 보고 분긔 복발하야 좌수의 장창을 들고 우수의
보검을 두루며 진문의 나셔 외여 왈 우리 부원수난 불ᄒᆡᆼ이에계 죽엇거니와 너난 ᄂᆡ계 죽을 거시니 일쳔
아 날을 당할 ᄯᅥᆺ 하거던 자웅을 결단하고 겁이 나거던 ᄲᅡᆯ니 항복하라 하니 일쳔이 ᄃᆡ로하야 진문 밧
계 나셔보니 신장이 구쳑이요 머리난 용의 머리요 눈은 ᄇᆡᆸᄉᆡ눈이라 일쳔이 크계 호령 왈 슬푸다 반젹 좌
수야 너의 등은 역젹 무진을 부동하야 오늘날 ᄂᆡ의 칼에 죽으니 너의 혼ᄇᆡᆨ이라도 갈ᄭᅩ지 잇난야 가련하
다 ᄯᅩ한 지하의도 염나ᄃᆡ왕이 계신지라 하며 급히 취하야 수십여 합의 불결승불너니 젹장 좌수의 창이 빗
나며 일쳔의 목이 마하의 궁그난지라 좌수 충돌하며 명진군 실□ 일검으로 쳐참하니 명진도원수 신운초
장ᄃᆡ예셔 보다가 분긔ᄐᆡᆼ쳔하야 갑주를 가초고 진문 밧계 나□□□져 왈 역젹 좌수야 무도한 무진을 셤겨 시
|
{
"page": 6,
"year": 1911
}
|
산곤륜전
|
[[색인:산곤륜전 상.djvu|상]] [[색인:산곤륜전 하권.djvu|하]]
|
{
"accessed_at": "2024-07-04 22:13:27.783331",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2840"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C%82%B0%EA%B3%A4%EB%A5%9C%EC%A0%84+%ED%95%98%EA%B6%8C.djvu&oldid=328904"
}
|
졀을 요란케하니 너히놈들을 엇지 씨나 남긔리요 하며 크계 호령하니 좌수 ᄃᆡ소하여 왈 네가 말은 잘한다마난 죽
을 ᄯᆡ 보와라 하고 달여드러 십여 합의 좌수의 칼이 번덧하며 원수의 머리을 치니 원수의 목이 마하의 둥그
난지라 좌수 머리을 칼ᄭᅳᆺᄒᆡ ᄭᅱ여들고 본진으로 드러가난지라 명진 중군장 유홍덕이 원수의 죽검을 보고 급
히 말을 달여 ᄶᅩ차가 좌수의 투고을 치니 좌수 한 손으로 드러오난 창을 바드며 어우러저 싸오난 거동은 범이 밥을
도투난 격이요 용이 여의주를 히롱하난 덧하더니 문득 날이 져무러 승부를 결단치 못하고 각〻 본진으로
도라와 홍덕이 군중의 호령 왈 너히드리 잠을 자지말고 젹진 드러오물 직혀라 한ᄃᆡ 잇ᄃᆡ 군중이 웅장하고
화광이 충쳔하더라 이ᄂᆜᆯ 밤의 수무진이 종사관 최종덕을 불너 왈 오날밤의 명진형셰를 탐지하야
불노자부라하니 종덕이 자최업시 화약을 수운하고 오경초의 와 명진을 탐지하더니 중군장 유홍덕이 장
ᄃᆡ예셔 인젹 이스물 알고 칼을 두루며 호통일셩의 젹장 종덕을 자바 장ᄃᆡ 앞헤 ᄭᅮᆯ니고 호령 왈 요
쥐ᄉᆡᆨᄭᅴ 갓한 놈아 네 엇지 역젹 무진을 위하야나무진의 와 진셰를 탐지하난요 하며 급히 목을 올니라 추
상가치 호통하니 종덕이 하릴업셔 졔칼의 졔 죽난지라 수문장 홍승부를 나입하야 왈 네 문을 직혀 인젹
|
{
"page": 7,
"year": 1911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