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classes 501
values | description
stringclasses 28
values | license
dict | text
stringlengths 60
188k
| meta
dict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잡드런이를 ᄯᅩᄒᆞᆫ가히보리못ᄒᆞᆯ거시라ᄒᆞ야시니이런일는 ᄯᅩᄒᆞᆫ야시니이런일노ᇇ도ᄒᆞᆫ솔되리아니티못ᄒᆞᆯ거시니라 셰속이부모지일의동가의셔졔ᄉᆞᄒᆞ거든모든동셩
|
{
"page": 9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이ᄉᆞ졍의졍니를펼제업ᄉᆞ를녜ᄉᆞᄒᆞᆫ큰그른ᄉᆡ편을놉히괴여가공이라ᄒᆞ야미로차합문ᄒᆞ랴ᄒᆞᆯ때예르려 ᄯᅩ조상아래버렷다가속ᄂᆡ잡ᄉᆞ은후물
|
{
"page": 9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녀내기를집마라ᄒᆞ리만하임의숙녜되여시남든녜석의업ᄉᆞᆫ배니증거ᄒᆞᆯ되업ᄉᆞᆯ ᄲᅳᆫ아니라가공ᄎᆞᆯ히소무음이결연ᄒᆞ야촐히리아님을다른
|
{
"page": 9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미업ᄉᆞ디라밧낭히각ᄒᆞᆫ가치탕음혹셩션이나혹필기나혹셩치나ᄉᆞ이예쟁만ᄒᆞ야써졔슥ᄅᆞᆯ밧드러도으미가ᄒᆞ니종가의힘이ᄂᆞ호일
|
{
"page": 9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모든 집 ᄉᆞ졍을 펴ᄂᆞᆫ디라 ᄉᆞ졍과 녜문을 혜아려 보건대 거의 가공의셔 나은 거시니 시쇽을 ᄯᅩᆯ으디 말고 이를ᄃᆞ시 ᄒᆡᆼᄒᆞ미 가ᄒᆞ니라 이제 셰속이 샨치호미 곡
|
{
"page": 10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진ᄒᆞ니라졔물의다도라도 ᄯᅩᄒᆞᆫ짐채ᅟᅢᆨᄒᆞ야졍ᄒᆞ미업스니가웃여러힘이욱여ᄒᆞᆫ집도진실노가히ᄒᆞᆫ업ᄉᆞᆯ거시아니어른ᄒᆞ물며 가난ᄒᆞᆫ집힘이넉
|
{
"page": 10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ᅟᆢ리봇ᄒᆞ니도우히려기리혀미ᄎᆞ려ᄎᆞ니이가티아니ᄒᆞ니비록지극ᄒᆞᆫ졍셩으로과도히풍비ᄒᆞ여도만일ᄃᆡᅟᆢ로족초라ᄒᆞ면그형셰지낭키어렵거든
|
{
"page": 10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ᄒᆞ물며졍셩은극진ᄃᆡ못훌나만시시졀마ᄂ ᄯᅩ오미더욱을되아니ᄒᆞᆯ지낭티못ᄒᆞ믄 ᄯᅩᄒᆞᆫᄒᆞᆯ가지라우리나라히녜쁘터이제 ᄶᅵ소졔를ᄒᆡᆼᄒᆞ야조종
|
{
"page": 10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의법이되야시니어거시녜어린졍승황희엿ᄌퟅᆸ기로말미암아시니법을셰워후셰예드리운 ᄯᅳᆺ이진실노이러물쎄니라나라도녓녜으히려여지니른거
|
{
"page": 10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든ᄒᆞ물며ᄉᆞᆫ집가비록졔ᄉᆞ의도 ᄯᅩᄒᆞᆯ가히시목의사친흐ᇝ돌으거를힘므디 말소집의이시며업ᄉᆞ물밧게ᄒᆞ미가ᄒᆞ니라 힘을미련혀룽비ᄒᆞ매
|
{
"page": 10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이시면혹졍셩은고졀리못ᄒᆞ야조티아니키의니ᄒᆞᆫ기를면되못ᄒᆞᆯ거심집이혹가난ᄒᆞ야쟁만키어려우면그쟁만키어려우물녓며ᄒᆞ야구챠ᄒᆞᆫᄃᆡ범
|
{
"page": 10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ᄒᆞ물면되뭇ᄒᆞ리니조촐되아닌것휴행되아니믄귀신의녜시오구챠홈피모져ᄒᆞ믄셰상의이실적 ᄯᅳᆺ이라무른찬름이비록중비ᄒᆞ나신녕이그
|
{
"page": 10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즐겨흠행ᄒᆞ랴촐하리건액흠좃기를힘써찬룸을짐잭ᄒᆞ야령ᄒᆞᆫ오직졍셩을극진히ᄒᆞ야졍홀조키로법도를삼으며올키만릇리못ᄒᆞ
|
{
"page": 10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니라 공ᄌᆡ졸오새죄조식이태위되며ᄂ태우의녜로저되졔ᄉᆞᄒᆞ라혹여계시니 아비션ᄇᆡ오ᄌᆞ식이태위되여시면장ᄉᆞ노션ᄇᆡ장소로훌졔ᄉᆞ논태우
|
{
"page": 10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의졔소로ᄒᆞ라호엿ᄂᆞ니라ᄌᆞ손둥의만일나라은혜ᄅᆞᆯ닙어원이되거나감서되엿거나ᄒᆞ야사랑을밧들소임소로가되일이잇거든반드시이령ᄒᆞᆫ품수
|
{
"page": 11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ᄅᆞᆯ ᄯᅩᆯ으리말잠건러ᄒᆞ야룽비히ᄒᆞ되임의다로라은후ᄂᆞᆫ다시녜렬홈가ᄒᆞᆸ니라 격몽의결의졔물버린그림과국을ᄉᆞᆯ려보니지졔모졔예도
|
{
"page": 11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탕과실과각세가지오시졔의ᄂᆞᆫ으셕을로초되가난ᄒᆞ야능히쟁만되못ᄒᆞ면 ᄯᅩᄒᆞᆫ삼셕을초라ᄒᆞ야시니놀곡션셩은롯우니동방의대현이
|
{
"page": 11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라그션셰리잡ᄉᆞᆸ논도니를위ᄒᆞ매졍셩이엇리여드며엷길이리니롯이이시리오녯군조ᄂᆞᆫ어려으며쉬음을혜아려보라 위길내능히ᄒᆡᆼ훌바를
|
{
"page": 11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셩각리아니러어븐니닐은바집의이시며업ᄉᆞ매맛기ᄒᆞᆯ라ᄒᆞ미니반ᄃᆞ시삼셕울써좀젓라니ᄅᆞ리말소이래를의지ᄒᆞ야시ᄒᆡᆼᄒᆞ미가ᄒᆞᆫ니라
|
{
"page": 11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령ᄉᆞ날고비지졔ᄒᆞᆫ실즉ᄌᆞᄂᆞᆫ혹고리나비니나졔ᄒᆞ야계시니가ᄀᆢ지일의ᄒᆞᆫ위만뫼와내여졔ᄉᆞᄒᆞ미랑젼후의세번냉가든집ᄌᆞ속을만일령ᄌᆞ의홈지
|
{
"page": 11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졔ᄒᆞ시ᄆᆞᆯᄒᆡᆼᄒᆞ랴ᄒᆞ면ᄒᆞᆫ번졔ᄒᆞᆯ제맛당이네위ᄅᆞᆯ뫼실거시오ᄒᆞᆫᄒᆡ예맛당이열여섯위졔를ᄒᆡᆼ훌거시니집이비록은족ᄒᆞ에도으히려지낭ᄒᆞ
|
{
"page": 11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야보젼귀어려우려든혹이너ᄀᆢ니못ᄒᆞᆫ집가이거시보젼귀어령운도리오시속이ᄒᆞᆫ졔상의졔ᄉᆞᄒᆞᄃᆡ니만뫼와ᄌᆡᆼ과젼면의다도라가ᄀᆢ호리만히이시니시쇽
|
{
"page": 11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의ᄒᆞᆫ상의다졔ᄒᆞᄂᆞᆫ녜를좃고져ᄒᆞ면네위븨징과젼면을버린밧지상이쟁촛남은되업ᄉᆞ리니엇지써무른찬룸을버리호이 ᄯᅩᄒᆞᆫ시횡키어령울형
|
{
"page": 11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셰라명ᄉᆞ의녜와시속의규식을다좃기어령우니반드시득ᄉᆞ의가ᄀᆢ졔ᄒᆞ신녜로시ᄒᆡᆼᄒᆞ미가ᄒᆞ니라분모졔ᄉᆞ의노상들히오직후나히라형셰맛당이
|
{
"page": 11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ᄒᆞᆷ거졔ᄉᆞᄒᆞ려니와뫼라ᄌᆡᆼ과잔과술려밧지무른찬룸은초니말으미가ᄒᆞ니라가뎨를ᄉᆞᆯ려보니분보졔ᄉᆞ논라만상월의ᄃᆡᆨ일ᄒᆞ야ᄒᆡᆼ후여계시
|
{
"page": 12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니흔ᄒᆡ예ᄒᆞᆫ번졔ᄉᆞ훌 ᄯᅩ롯이러니이졔시속은네명일에나분모졔를ᄒᆡᆼᄒᆞ니눌곡션셩이ᄒᆞ시되시목을조차후ᄒᆞ물좃논거서방해롭리아니
|
{
"page": 12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ᄒᆞ나분모졔ᄉᆞ소시의ᄒᆡᆼᄒᆞ미가보졔ᄉᆞ와러브더등쇄쇄ᄂᆞᆫᄂᆞ초나말이라ᄒᆞ미업ᄉᆞ미가되아니ᄒᆞᄂᆞᆫ안심되아닌리라맛당히한식과축셕두명일에
|
{
"page": 12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셩찬을초며축문니러으며토신의졔ᄒᆞᆫ기를가례예분모졔ᄉᆞ후논거든과ᄒᆞᆷ거리를의지ᄒᆞ야훌졍도와단오두명일은약간참물을초와다만ᄒᆞᆯ번잔드리
|
{
"page": 12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ᄅ축문말소ᄯᅩ드신의졔아니케ᄒᆞ라ᄒᆞ여시니눌곡ᄒᆞ신녜문이이가히녜일을혜아릴이제를통ᄒᆞᆯ라니를거시나이 ᄯᅩᄒᆞᆫ시당키어려운형셰라라다만
|
{
"page": 12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한식과축셕에찬물을탕삼셕실과삼셕과부른졔물이라조초와ᄒᆡᆼᄒᆞ야누룩곡네문조치ᄒᆞᆯ졍도와란으ᄂᆞᆫ약간찬물을초와가묵의
|
{
"page": 12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참녜를ᄒᆡᆼᄒᆞ비가ᄒᆞ니라시졔ᄂᆞᆫᄒᆞ거동을ᄉᆞᆯ려보니춘분다이월하지와오월추분다달월동지를십일월로쓰다ᄒᆞ여시니일노써보면 ᄉᆞ서버금ᄃᆞᆯ에라
|
{
"page": 12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시졔ᄉᆞᄒᆞ란ᄯᅳ지를ᄃᆡ음ᄉᆞ이ᄉᆞ태위일를소시를ᄯᅩᆯ와가며시졔ᄒᆞ리일리아니ᄒᆞ야혹다만봄과달을두 ᄯᅢ예ᄒᆡᆼᄒᆞ리이시며혹일즉ᄒᆞᆫᄃᆡ예혼번을
|
{
"page": 12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졔ᄒᆞ라가이도 ᄯᅩᄒᆞᆫ이제ᄂᆞ례ᄒᆞ리이시니이도집의힘이빅리못ᄒᆞ기의기나리안미라집이가난ᄒᆞ야힘이빗리ᄆᆞᆺᄒᆞ면비록졍셩과ᄒᆞᆫ되이
|
{
"page": 12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셜ᄯᅩᄒᆞᆫ녜문을의지ᄒᆞ야ᄒᆡᆼᄒᆞ기어렵ᄒᆞᄒᆡ예ᄒᆞᆯ번졔ᄒᆞ기를으히려례ᄒᆞ기다만나은리라즉ᄌᆡᄒᆞᆫᄒᆡ예분모졔ᄉᆞᄒᆞᆯ번식ᄒᆞ시런네물의지
|
{
"page": 12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잠녜의졍도와동지초훌와보롯애참ᄒᆞᄃᆡᄉᆞ랑의뵙기와앗날쓰설고ᄉᆡ계ᄒᆞ야잘이튿날일니러나단셰ᄒᆞᆯ좌우
|
{
"page": 13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ᄅᆞᆯ졍졔히ᄒᆞᆯ후ᄉᆞ랑분열ᄉᆞ향상알피보사 ᄯᅱᄂᆞᆫ지쳑을ᄒᆞᆯ자기죄니불소실노ᄇᆡᆯ니라람아논조보위마라참물을버리으되포욱과실과
|
{
"page": 13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ᄅᆞᆯ되ᄂᆞᆫ대로ᄎᆞᆯ힐리니주인브터노리셩복ᄒᆞᆯᄉᆞ랑분의드러가위예나아가셔즉인이손ᄊퟄ를을나가독을여러브드신고위신죽ᄅᆞᆯ밧드와독압픠
|
{
"page": 13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븨실주부ᄂᆞᆫ손씰무드신비위신루ᄅᆞᆯ밧드와고위동련의뫼실ᄆᆞᄎᆞᆫ후즉뷔불져노려으나런즉인이행상압ᄒᆡ나아가행퓌을저ᄇᆡ훌잠간
|
{
"page": 13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불너셔거든집ᄉᆞᄒᆞ나히즉주를밧들주인의올흔련에나아갈집ᄉᆞᄒᆞ나히주인의왼련의나아가주인이 ᄯᅮᆯ어든두집셔라ᄯᅮᆯ주인이주주
|
{
"page": 13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를바라잔의친후주주ᄅᆞᆯ두른줄잔다ᄃᆡᄅᆞᆯ가져밧드러왼련을잔을잡아술을무사우희거후를잔과ᄃᆡ를집을맛딘후집ᄉᆞᄂᆞ물러니
|
{
"page": 13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머셔라 굽프려업러엿나가니러나물어ᄌᆡᄇᆡᄒᆞ야강신훌신녕이ᄂᆞ리심이라셕런위예노려와모든윙ᅀᅨ셧런사ᄅᆞᆷ다럽브러라
|
{
"page": 13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ᄌᆡᄇᆡᄒᆞ야참신훔신영지뵈으비라주인이올나가즉주ᄅᆞᆯ잡고가ᄀᆢ위압ᄃᆡ잔에술을불져가ᄀᆢ븬잔을위압ᄑᆡ노국왓노니라
|
{
"page": 13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치우불임의ᄆᆞ차든행성압ᄃᆡ셜겨ᄇᆡ훌노려위예와무른위예션사ᄅᆞᆷ를과더부어라ᄌᆡᄇᆡᄒᆞ야ᄉᆞ신ᄒᆞ르신영지하직ᄒᆞ비랑물너나노니라
|
{
"page": 14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졍도로욱두으리실라이셕젹ᄒᆞᄅᆞ탕ᄒᆞᆫ셕젼푸서졔륵동지조와실과어렵거든ᄒᆞᆯ으리ᄒᆞᆯ가지풋죽젹ᄒᆞᆯ로졔주
|
{
"page": 14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초흐른조나실과나압거시나ᄒᆞ구룻논자불졔즉보름날독만여오볼항픠을뵈으나쳔헌의시속졀일은졍월십
|
{
"page": 14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우일과삼월삼일과오월오일다녹월십오일과칠월칠일과팔월십일과구월구일과납령을니른비니시절음식을드려잡습기를
|
{
"page": 14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삭참ᄒᆞᄂᆞᆫ녜문과거동ᄅ치ᄒᆞᄂᆞᆫ니라 졍월십오일악며삼월삼일화젼 오월오일시졀음식이 어본이날은산속의
|
{
"page": 14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졔ᄉᆞᄒᆞ니가모의ᄉᆞ
눅월십오일 숙란칠월칠일 밀젼병 달월십일시졀음식이업이날은산소의
|
{
"page": 14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졔ᄉᆞᄒᆞ니가브에 놀새벽의드러가보듯녜를호라
구월구일 국화젼 납령 시졀음식이어븐니초흔를왈뉘ᄒᆞ라 새거시나거른쳔헌호되
|
{
"page": 14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우곡의가히ᄆᆡ를지엇즉흘거시면반찬두어가지말조와촌흘날참녜거도은치훔만일물소기 나실과쳐엿거시나공로튼뫼뭇지을거소새배드러
|
{
"page": 14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가뵈을 ᄯᅢ독만여으본란헌으로분행훌제ᄇᆡᄒᆞᄂᆞ니라물의새거실쳔신붓ᄒᆞ젼은불져맛부미가티아니ᄒᆞ닌ᄒᆞᆷᄂᆞᆷ의 ᄯᅡ희가셔ᄂᆞᆫ그러아닐거시니라
|
{
"page": 14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고ᄉᆞ의 일이시이면 ᄒᆞ물촌ᄒᆞ롯날찻녜거동ᄅ치ᄒᆞᆯ리니라일은대쇼과거나벼슬을ᄒᆞ거나음거나그런일이니라
|
{
"page": 14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물의신주를음겨뫼시거나둘뫼셧던ᄃᆡ뫼시거나혹뫼와다른루울음논일들이면졔출초홈찻녜거동은치훌만일ᄉᆞ랑안희셔그릇를과차니
|
{
"page": 15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시졔의 시졔ᄂᆞᆫ춘분날과동지날애ᄒᆞ노니사흘젼지ᄒᆞ야ᄉᆞ랑의고흘소랑의고티아닌젼 부ᄃᆡ난훌젼지하야ᄌᆡ계훌
|
{
"page": 15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돌상아니ᄒᆞ며놈의병뭇리아니ᄒᆞ며내나ᄂᆞᆫ것먹디아니ᄒᆞ며술마시매어드럽기의니른리아니며술읫흉훌러더운일을라참예되압ᄒᆞ미니
|
{
"page": 15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만일기르ᄒᆡ셔흉코너러운거ᄉᆞᆯ만나거든눈을가리와피ᄒᆞ야부리아니미가ᄒᆞ니라 ᄉᆞ랑의고ᄒᆞᆫ후노이날브터부옥ᄒᆞᆯ웃르나니불죄
|
{
"page": 15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계를닐위여 풍누드리아니ᄒᆞ며나르니아니ᄒᆞ소말못을족히ᄒᆞ야졔ᄉᆞᄒᆞ랴ᄒᆞ노어버리을셩각ᄒᆞ야그계시런ᄃᆡ와구우음다말ᄉᆞᆷ소리를셩각ᄒᆞ
|
{
"page": 15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며그도히넉이시던바와그를기시던바를셩각ᄒᆞ물니른비니라 주인이부는소나희를거ᄂᆞ디ᄉᆞ밧기셔ᄌᆡ계훌주부눌부른며느리 ᄯᅩᆯ을드릴
|
{
"page": 15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안희셔ᄌᆡ계ᄒᆞᄂᆞ니앗날주인이무른소나희와밋집ᄉᆞᄒᆞ리줄거노릴졍침을물 ᄲᅳ뎌쓸며교위와상탁을 씻고 쓰서조촐ᄒᆞ기를힘쓸장놉흔위를집
|
{
"page": 15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셔북젼보람아래ᄇᆡ셜ᄒᆞ야남으로행ᄒᆞ야고위ᄂᆞᆫ셔뎐이오비위ᄂᆞᆫ동련되끼ᄒᆞᄃᆡ각교위와상탁을버려ᄃᆡ바라각ᅟᆢ위를ᄇᆡ셜ᄒᆞ야서른다치압케
|
{
"page": 15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훌행상을집가은대버릴구우희행합과행느를누고행상압다각 ᅟᆢ위마다무사졸술느고즉부도무른며ᄂᆞ리와 ᄯᅩᆯ을거느니 졔지를ᄊퟄᆺ가셜가마솟
|
{
"page": 15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촐조히씨서졔찬을장만ᄒᆞᄃᆡᄒᆞᄃᆡᄆᆡ위예실과삼셕조흔졉시슉ᄎᆡ훌엽시혜ᄒᆞᆫ렵시침ᄎᆡᄒᆞᆫ그릇지뎡ᄒᆞᆫ그릇초ᄎᆡᄒᆞᆫ렵시ᄀᆡᄒᆞᆫ사발ᄆᆡ훈주발탕삼
|
{
"page": 16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ᄉᆡᆨ젹삼로이니졍ᄒᆞ소조키출힘써졔ᄉᆞ아닌젼의사ᄅᆞᆷ으로믄져먹으며과다개나버러지나쥐나러어이게말거시니라 이튼날도러울이예니러다 주인브터
|
{
"page": 16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ᄂᆞ니조흔웃니불다졔ᄒᆞᆯ로에나아가손씰실과와초와숙ᄎᆡ와지령다젓다침ᄎᆡ와잔과시졉다초쳐ᄒᆞᆫ줄술버릴술병을동련의베풀ᄉᆞ랑의나
|
{
"page": 16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아가느터셔기를임의령후매주인이행픠울 ᄶᅮᆯ어고ᄒᆞ야만초매독을밧드러집ᄉᆞᄒᆞᆯ니ᄅᆞᆯ맛려밧둘주인이압셜주부ᄂᆞᆫᄃᆡ희 ᄯᅩᆯ울부른ᄌᆞ례노초례
|
{
"page": 16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로ᄯᅩᆯ와졔ᄉᆞ로의달라셔련섬탁ᄌᆞ우희놋ᄌᆞ와른즉인이독을여오볼고위신록를밧드러내여위예외실줍ᅮ는ᄉᆞᆫ씨로을나무르신비위신주를밧드러
|
{
"page": 16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뫼시기를치ᄒᆞ야임의모ᄎᆞ며라노려셕런ᄃᆡ와셔위예잇ᄂᆞ니를라러브러ᄌᆡᄇᆡᄒᆞ야참신ᄒᆞ라즉인이을나가행픠울ᄌᆡᄇᆡ훌잠간물너셔거든집ᄉᆞᄒᆞ
|
{
"page": 16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나히술병을여러슥건으로병브리를씃고스룰을죽주의부엇거른집ᄉᆞᄂᆞᆫ동계우희잔반을가칠주인의외련의가셜ᄒᆞ집ᄉᆞ를주를가질즉인의을흔
|
{
"page": 16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련의가셧거든즉인잇줄집ᄉᆡ ᄯᅳᆫ흐ᇇ주러잔반을드리거든주인이밧주루가진집셔 ᄯᅳᆫ흔쭐어술을잔의치거든주인이밧드러왼손으로ᄃᆡ를잡을흔
|
{
"page": 16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손을잡을잡아부사우희거후를잔들써집ᄉᆞᄅᆞ맛릴주붓ᄒᆞ야업ᄃᆡ엿다가니러나저ᄇᆡᄒᆞ야강신ᄒᆞ를노려와셧런위예셔난니라이에집ᄉᆡ린찬ᄒᆞᆯᄉᆡ주
|
{
"page": 16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인이을나가른주부로 ᄯᅩᆯ와가셔집ᄉᆞ세희ᄒᆞ나ᄒᆞᆫ반의어욱을밧들ᄒᆞ나흔반의현멸을밧들ᄒᆞ나ᄒᆞᆫ반의뫼징을밧드러올나와증조위압ᄑᆡ셔거든를
|
{
"page": 16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인은욱다어와징을밧드러자본본즉부노변과편솨뫼를밧드러잡ᄉᆞ와든부로신위예나를치훌부른ᄌᆡ례들은탕을드러각위예잡ᄉᆞ와다ᄆᆞ차든주인브터
|
{
"page": 17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ᄂᆞ리라노려가셧런위예셔라이에즉인어초헌훌ᄌᆡᄇᆡᄒᆞᆯ노려와셧런위예들셔거든집셔라른구른ᄉᆞ술라젹을거어앗잔은이젼익런ᄃᆡ두라이에주ᄇᆡ아
|
{
"page": 17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헌녜를ᄒᆡᆼᄒᆞᄃᆡ부른며ᄂᆞ리왓돌이집ᄉᆞ누릇ᄒᆞ야젹을밧드러잡ᄉᆞ와초헌적치ᄒᆞᄃᆡ다만부사의술건ᄒᆞᆯ리아니코득문아니닑을거시라드리기를
|
{
"page": 17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불술라젹을거러앗거를치훌잔을젼의잇런로의두라이에종헌훌녜촐ᄒᆡᆼᄒᆞ되형례둥어룬이나혹문아들이나혹친ᄒᆞᄉᆞᆫ이나훌무른ᄌᆞ례
|
{
"page": 17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젹잡ᄉᆞᆸ기를아헌적티ᄒᆞ라이에욱신ᄒᆞᄃᆡᄇᆡ를젼ᄒᆞ으미라주인이을나주를잡고부르신위술의가치을볼라즉ᄒᆞ거든행상압
|
{
"page": 174,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동남편의셜주부노을나가뫼가을대술자셔라 히를주른둘려를졍히ᄒᆞᆫ후행상압셔남현의셔 ᅟᆢ라북을행ᄒᆞ야ᄌᆡᄇᆡ훌노려와셧런ᄃᆡ들셔
|
{
"page": 175,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다축이합문ᄒᆞᄃᆡ식경은ᄒᆞ거든축이세번기ᄎᆞᆷᄒᆞ노소ᄅᆡ문을여러든축문니러러니라죽인브터노리라셕런위예둘가셔 ᅟᆢ주인다즉뷔슥
|
{
"page": 176,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ᄂᆡᆼ을밧드러위와비위압ᄑᆡᄂᆞᆫ화드릴ᄌᆡ은무른으라술고져를무르라슥ᄂᆡᆼ의 ᄰᅩ조여도ᄌᆞ례부녀들노부위예조치호라
|
{
"page": 177,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업러엿라가니러나동련으로을나셜셔라히로행ᄒᆞ엿거든축이셔련서우희셔ᅟᆢ동을행ᄒᆞ야니셩을니셩은공앵ᄒᆞᄂᆞ예라일물ᄒᆞ미니례읠니셩ᄒᆞ면시니러나노니라
|
{
"page": 17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고훌노려와셧런ᄃᆡ도른셔ᅟᆢ부른위예잇느니를노어브러다ᄉᆡᄇᆡ훌주인은ᄇᆡ티아니훌ᄂᆞ려와셧런위예둘셔거든집셔을나무드신위예나아가믜구로두에를
|
{
"page": 17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럽는노텨으라이에소신훌셔즉인브터노리죄ᄇᆡ흐라이에주인과즉뷔을나각신주를밧드와독의넛소와밧드러ᄉᆞ랑을도라갓기를뵈셔으런거동티ᄒᆞ라
|
{
"page": 18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이에졔한을거러상해쓰ᄂᆞᄌᆞᆯ쇠람제뇌난씻가셔여롬초라물읫절ᄒᆞ미남ᄌᆞ노셔ᄇᆡ훌부인은ᄉᆡᄇᆡ하노니라졔슬을결녜벗의끼ᄂᆞᆫ
|
{
"page": 18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훌겨네라친ᄒᆞᄉᆞᆫ다ᄌᆞ례드로가느러안좌술과음식을슥책ᄒᆞ야파ᄒᆞ라지졔의지졔ᄂᆞᆫᄌᆡ계훗ᄒᆞ기를이
|
{
"page": 18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틀을ᄒᆞ겨계닐위기를훌눌ᄒᆞ야그졔ᄒᆞ을바ᄒᆞ위를ᄇᆡ셜ᄒᆞ되그른슬베를졔찬을쟁만ᄒᆞᄃᆡ시졔적거동을티ᄒᆞ라그이튿날일니더나
|
{
"page": 18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말니장쳔이쳥화ᄒᆞ미여쟁부의셩ᄒᆡᆼ이만드시이와갓흐되로다 주로가어ᄂᆝᆞ면곅곡이중를ᄒᆞᆯ가남녀출쳔재로곙를니남ᄌᆞ논녀럼활달ᄒᆞ며어지ᄅᆢ쳥화 글미져한다각훈라 ᄯᅡ훈ᄒᆞᆫ갓쳥명을순숙훌 ᄯᅡ름이로다칠숙이경리임서우연이식즁ᄎᆞ회
|
{
"page": 188,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어란눈섭로라광음이야츈헐거롱학겨을겅 ᄯᅬ업시로다ᄋᆞ나인ᄉᆞᄂᆞᆫ일행이라거녕ᄎᆞᆫ시룸을회로녹면록기일앵이라우만니놉른해놀인산질살되설주륭눙궐궁즁님로말민간을누졔글되미셩핵란결발귀졍이되로록박심ᄒᆞᆫ ᅟퟅ죙ᄉᆞ귀
|
{
"page": 189,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간위죄ᄒᆞ다져ᄀᆢ행랑의허울젹무심이가져왓러니한닐로결뱃지무른니부그럽도다 이후후셧가민ᄒᆞ여나쥭을후라죽시본주의낄젼눌고줄니지말지
|
{
"page": 190,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족상
조생의셔벗기신쵝이니일후혹군질간북죄익셔조졍ᄎᆡ결허슈이눌니제말지어라
|
{
"page": 191,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ᄒᆞ행윤서친가ᄎᆡᆨ리니일조업거든죽시결ᄉᆡ라ᄇᆡᆨ십눌냉 ᄒ젱이섭ᄉᆞ
|
{
"page": 192,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아지 ᄯᅡᆸ다츈광레야복빗첨도라주니라주니맥물이번화시라각무른할헐른심회 ᄯᅩ하ퟋ저넙다 경규련식회륭막죌
|
{
"page": 193,
"year": null
}
|
훈부록 권2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2:24:37.619254",
"original_source": {
"author": "국립한글박물관",
"source": "https://archives.hangeul.go.kr/collection/bibliography9342"
},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3%89%EC%9D%B8%3A%ED%9B%88%EB%B6%80%EB%A1%9D+%EA%B6%8C2.djvu&oldid=329002"
}
|
쳥산막니일고쥬ᄒᆞ니쥬외탈묵보두냐 살은쳐멸결려이물은갈멸누믜ᄂᆞᆫ
|
{
"page": 194,
"year": null
}
|
훈민정음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09:54.550817",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D%9B%88%EB%AF%BC%EC%A0%95%EC%9D%8C&oldid=328751"
}
|
## 訓民正音
## 訓民正音解例
### 制字解
天地之道,一隂陽五行而已。坤復之間為太極,而動静之後為隂陽。凡有生類在天地之間者,捨隂陽而何之。故人之聲音,皆有隂陽之理,頋人不察耳。今正音之作,初非智營而力索,但因其聲音而極其理而已。理旣不二,則何得不與天地鬼神同其用也。
천지의 도는 오직 음양오행뿐이다. 곤(坤)과 복(復) 사이가 태극이 되고, 움직이고 멈춘 뒤에 음양이 된다. 무릇 어떤 살아가는 무리든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들이 음양을 버리고 어디로 갈 것인가? 그러므로 사람의 소리에도 다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사람이 살피지 않을 뿐이다. 이제 훈민정음을 만든 것도, 처음부터 슬기로써 마련하고 힘으로써 찾아낸 것이 아니라, 다만 그 소리를 바탕으로 그 이치를 다할 따름이다.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니거늘, 어찌 능히 하늘과 땅과 귀신과 더불어 그 씀을 함께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스물 여덟 글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牙音ᄀ,象舌根閉喉之形。舌音ᄂ,象舌附上腭之形。脣音ᄆ,象口形。齒音ᄉ,象齒形。喉音ᄋ,象喉形。ᄏ比ᄀ,聲出稍厲,故加畫。ᄂ而ᄃ,ᄃ而ᄐ,ᄆ而ᄇ,ᄇ而ᄑ,ᄉ而ᄌ,ᄌ而ᄎ,ᄋ而ᅙ,ᅙ而ᄒ,其因聲加畫之義皆同,而唯ᅌ為異。半舌音ᄅ,半齒音ᅀ,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無加劃之義焉。
초성은 무릇 열 일곱자이다. 아음 ᄀ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 ᄂ은 혀가 위턱(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순음 ᄆ은 입모양을 본뜨고, 치음 ᄉ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후음 ᄋ은 목구멍 모양을 본떴다. ᄏ은 ᄀ에 비해 소리가 세게 나는 까닭으로 획을 더하였다. ᄂ에서 ᄃ, ᄃ에서 ᄐ, ᄆ에서 ᄇ, ᄇ에서 ᄑ, ᄉ에서 ᄌ, ᄌ에서 ᄎ, ᄋ에서 ᅙ, ᅙ에서 ᄒ으로도, 그 소리를 바탕으로 획을 더한 뜻은 모두 같으나, 오직 ᅌ만은 달리 했다. 반혓소리 ᄅ, 반잇소리 ᅀ도 또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떴으나 그 모양새를 달리해서, 획을 더한 뜻은 없다.
夫人之有聲本於五行。故合諸四時而不悖,叶之五音而不𢨾。喉邃而潤,水也。聲虗而通,如水之虗明而流通也。於時為冬,於音為羽。牙錯而長,木也。聲似喉而實, 如木之生於水而有形也。於時為春,於音為角。舌銳而動,火也。聲轉而颺,如火之轉展而揚揚也。於時為夏,於音為徵。齒剛而斷,金也。聲屑而滯,如金之屑𤨏而鍛成也。於時為秋,於音為商。脣方而合,𡈽也。聲含而廣,如𡈽之含蓄萬物而廣大也。於時為季夏,於音為宮。然水乃生物之源,火乃成物之用,故五行之中,水火為大。喉乃出聲之門,舌乃辨聲之管,故五音之中,喉舌為主也。喉居後而牙次之,北東之位也。舌齒又次之,南西之位也。脣居末,𡈽無㝎位而寄旺四季之義也。是則初聲之中,自有隂陽五行方位之數也。
대저 사람이 소리를 가짐은 오행에 근본을 두고 있으므로, 네 계절과 어울려 보아도 어그러지지 않고, 오음에 맞추어도 어긋나지 않는다. 목구멍은 깊고 젖어 있으니, 물이다. 소리는 비어 있고 통하니, 물이 투명하고 흘러 통하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겨울이 되고, 소리로는 우(羽)가 된다. 어금니는 어긋나고 기니, 나무다. 소리는 목구멍과 비슷하나 차 있으니, 나무가 물에서 나서 형체가 있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봄이 되고, 소리로는 각(角)이 된다. 혀는 날카롭고 움직이니, 불이다. 소리가 구르고 날리니, 불이 구르고 퍼져 휘날리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여름이 되고, 소리로는 치(徴)가 된다. 이는 단단하고 물건을 끊으니, 쇠이다. 소리가 부스러지고 걸리니, 쇠가 부스러져 가루가 되고 단련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가을이 되고, 소리로는 상(商)이 된다. 입술은 펼쳐져 있고 합해지니, 흙이다. 소리가 머금고 넓으니, 땅이 만물을 품어 넓고 큰 것과 같다. 계절로는 늦여름이 되고, 소리로는 궁(宮)이 된다. 그러나 물은 만물을 낳는 근원이요, 불은 만물을 이루어내는 작용을 하므로, 오행 중에서는 물과 불이 으뜸이 된다. 목구멍은 소리가 나오는 문이요, 혀는 소리를 변별해내는 기관이므로, 오음 중에 목구멍소리와 혓소리가 주가 된다. 목구멍은 뒤에 있고 어금니는 그 다음이니, 북쪽과 동쪽의 방위다. 혀와 이는 그 앞에 있으니, 남쪽과 서쪽의 방위다. 입술은 끝에 있으니, 흙이 일정한 자리가 없어 네 계절에 기대어 왕성함을 뜻한다. 이는 곧 초성 가운데 스스로 음양・오행・방위의 수(數)가 있음이다.
又以聲音清濁而言之。ᄀᄃᄇᄌᄉᅙ,為全清。ᄏᄐᄑᄎᄒ,為次清。ᄁᄄᄈᄍᄊᅘ,為全濁。ᅌᄂᄆᄋᄅᅀ,為不清不濁。ᄂᄆᄋ,其聲㝡不厲,故次序雖在於後,而象形制字則為之始。ᄉᄌ雖皆為全清,而ᄉ比ᄌ,聲不厲,故亦為制字之始。唯牙之ᅌ,雖舌根閉喉聲氣出鼻,而其聲與ᄋ相似,故韻書疑與喩多相混用,今亦取象於喉,而不為牙音制字之始。盖喉屬水而牙屬木,ᅌ雖在牙而與ᄋ相似,猶木之萌芽生於水而柔軟,尙多水氣也。ᄀ木之成質,ᄏ木之盛長,ᄁ木之老壯,故至此乃皆取象於牙也。全清並書則為全濁,以其全清之聲凝則為全濁也。唯喉音次清為全濁者,盖以ᅙ聲深不為之凝,ᄒ比ᅙ聲淺,故凝而為全濁也。ᄋ連書脣音之下,則為脣軽音者,以軽音脣乍合而喉聲多也。
또 소리의 청탁으로써 말하자면, ᄀ, ᄃ, ᄇ, ᄌ, ᄉ, ᅙ은 전청이 되고, ᄏ, ᄐ, ᄑ, ᄎ, ᄒ은 차청이 되고, ᄁ, ᄄ, ᄈ, ᄍ, ᄊ, ᅘ은 전탁이 되고, ᅌ, ᄂ, ᄆ, ᄋ, ᄅ, ᅀ은 불청불탁이 된다. ᄂ, ᄆ, ᄋ은 그 소리가 가장 거세지 않으므로, 순서가 비록 뒤에 있으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듦에는 처음으로 두었다. ᄉ과 ᄌ은 비록 모두 전청이지만, ᄉ은 ᄌ에 비해서 소리가 세지 않으므로, 또한 글자를 만듦에 처음으로 두었다. 다만 어금닛소리의 ᅌ은 비록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고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오나, 그 소리가 ᄋ과 비슷하므로, 운서(韻書)도 의(疑)모(母)와 유(喩)모(母)와 자주 서로 혼용하며, 여기서도 또한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을 취하되, 아음을 만드는 처음으로 두지 않았다. 생각건대 목구멍은 물에 속하고 어금니는 나무에 속하므로, ᅌ이 비록 아음에 있지만 ᄋ과 비슷한 것은, 마치 나무의 싹이 물에서 나와서 부드럽고 여려서, 아직 물기가 많은 것과 같다. ᄀ은 나무가 바탕을 이룬 것이요, ᄏ은 나무가 무성히 자란 것이며, ᄁ은 나무가 나이가 들어 장년이 된 것이므로, 이에 이르기까지 모두 어금니의 모양을 취했다. 전청을 나란히 쓰면 전탁이 되는 것은, 그 전청의 소리가 엉기면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후음만은 차청이 전탁이 되는 것은, 아마 ᅙ의 소리가 깊어서 엉기지 않고, ᄒ은 ᅙ에 비해 소리가 얕아서, 엉기어 전탁이 되는 것일 테다. ᄋ을 순음 아래에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로써 입술이 잠깐 합쳐지고 후음이 많기 때문이다.
中聲凡十一字。ᆞ舌縮而聲深,天開於子也。形之圓,象乎天也。ᅳ舌小縮而聲不深不淺,地闢於丑也。形之平,象乎地也。ᅵ舌不縮而聲淺,人生於寅也。形之立,象乎人也。此下八聲,一闔一闢。ᅩ與ᆞ同而口蹙,其形則ᆞ與ᅳ合而成,取天地初交之義也。ᅡ與ᆞ同而口張,其形則ᅵ與ᆞ合而成,取天地之用彂於事物待人而成也。ᅮ與ᅳ同而口蹙,其形則ᅳ與ᆞ合而成,亦取天地初交之義也。ᅥ與ᅳ同而口張,其形則ᆞ與ᅵ合而成,亦取天地之用彂於事物待人而成也。ᅭ與ᅩ同而起於ᅵ。ᅣ與ᅡ同而起於ᅵ。ᅲ與ᅮ同而起於ᅵ。ᅧ與ᅥ同而起於ᅵ。
중성은 무릇 열한 글자이다. ᆞ는 혀가 오그라져 소리가 깊으니, 하늘이 자시(子時)에 열린 것이다. 모양이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다. ᅳ는 혀가 조금 오그라져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땅이 축시(丑時)에 열린 것이다. 모양이 평평한 것은 땅을 본뜬 것이다. ᅵ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아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인시(寅時)에 생긴 것이다. 모양이 서 있음은 사람을 본뜬 것이다. 이 아래의 여덟 소리는 하나는 닫힘이며 하나는 열림이다. ᅩ는 ᆞ와 같으나 입이 오므려지고, 그 모양은 ᆞ가 ᅳ와 합해서 이룸이며,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사귄다는 뜻을 취하였다. ᅡ는 ᆞ와 같으나 입이 벌어지고, 그 모양은 ᅵ가 ᆞ와 합해서 이룸이며, 천지의 작용이 사물에서 발해 사람을 기다려서 이루어짐을 취하였다. ᅮ는 ᅳ와 같으나 입이 오므려지고, 그 모양이 ᅳ가 ᆞ와 합해서 이룸이며, 역시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사귄다는 뜻을 취하였다. ᅥ는 ᅳ와 같으나 입이 벌어지고, 그 모양은 ᆞ가 ᅵ가 합해서 이룸이며, 역시 천지의 작용이 사물에서 발해 사람을 기다려서 이루어짐을 취하였다. ᅭ는 ᅩ와 같으나 ᅵ에서 일어나고, ᅣ는 ᅡ와 같으나 ᅵ에서 일어나고, ᅲ는 ᅮ와 같으나 ᅵ에서 일어나고, ᅧ는 ᅥ와 같으나 ᅵ에서 일어난다.
ᅩᅡᅮᅥ始於天地,為初出也。ᅭᅣᅲᅧ起於ᅵ而兼乎人,為𠕅出也。ᅩᅡᅮᅥ之一其圓者,取其初生之義也。ᅭᅣᅲᅧ之二其圓者,取其𠕅生之義也。ᅩᅡᅭᅣ之圓居上與外者,以其出於天而為陽也。ᅮᅥᅲᅧ之圓居下與內者,以其出於地而為隂也。ᆞ之貫於八聲者,猶陽之統隂而周流萬物也。ᅭᅣᅲᅧ之皆兼乎人者,以人為萬物之靈而能參兩儀也。取象於天地人而三才之道備矣。然三才為萬物之先,而天又為三才之始,猶ᆞᅳᅵ三字為八聲之首,而ᆞ又為三字之冠也。
ᅩ, ᅡ, ᅮ, ᅥ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하니, 처음 나온 것이 된다. ᅭ, ᅣ, ᅲ, ᅧ는 ᅵ에서 일어나서 사람을 겸하니, 두 번째 나온 것이 된다. ᅩ, ᅡ, ᅮ, ᅥ의 둥근 점이 하나인 것은, 처음에 생긴 뜻을 취한 것이며, ᅭ, ᅣ, ᅲ, ᅧ의 둥근 점이 둘인 것은, 두 번째로 생긴 뜻을 취함이다. ᅩ, ᅡ, ᅭ, ᅣ의 둥근 점이 위와 밖에 있는 것은, 그것이 하늘에서 나와서 양이 되기 때문이며, ᅮ, ᅥ, ᅲ, ᅧ의 둥근 점이 아래와 안에 있는 것은, 그것이 땅에서 나와서 음이 되기 때문이다. ᆞ가 여덟 소리에 일관됨은, 마치 양이 음을 거느려서 만물에 두루 흐름과 같다. ᅭ, ᅣ, ᅲ, ᅧ가 모두 사람을 겸한 것은, 사람이 만물의 영장으로 능히 음양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하늘, 땅, 사람을 본뜬 것을 취하여 삼재(三才)의 도리가 갖추어졌다. 그러나 삼재는 만물의 앞섬이 되고, 하늘은 또한 삼재의 근원이니, 마치 ᆞ, ᅳ, ᅵ 세 글자가 여덟 글자의 우두머리가 되고, ᆞ 또한 세 글자의 으뜸이 되는 것과 같다.
ᅩ初生於天,天一生水之位也。ᅡ次之,天三生木之位也。ᅮ初生於地,地二生火之位也。ᅥ次之,地四生金之位也。ᅭ𠕅生於天,天七成火之數也。ᅣ次之,天九成金之數也。ᅲ𠕅生於地,地六成水之數也。ᅧ次之,地八成木之數也。水火未離乎氣,隂陽交合之初,故闔。木金隂陽之㝎質,故闢。ᆞ天五生𡈽之位也。ᅳ地十成𡈽之數也。ᅵ獨無位數者,盖以人則無極之真,二五之精,妙合而凝,固未可以㝎位成數論也。是則中聲之中,亦自有隂陽五行方位之數也。
ᅩ는 처음으로 하늘에서 생겨나니, 천(天)1이고 물을 낳는 자리다. ᅡ는 그 다음이니, 천3이고 나무를 낳는 자리다. ᅮ는 처음으로 땅에서 생겨나니, 지(地)2이고 불을 낳는 자리다. ᅥ는 그 다음이니, 지4이고 쇠를 낳는 자리다. ᅭ는 두 번째로 하늘에서 생겨나니, 천7이고 불을 이루어내는 수이다. ᅣ는 그 다음이니, 천9이고 쇠를 이루어내는 수이다. ᅲ는 두 번째로 땅에서 생겨나니, 지6이고 물을 이루어내는 수이다. ᅧ는 그 다음이니, 지8이고 나무를 이루어내는 수이다. 물과 불은 아직 기(氣)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음양이 사귀어 어우르는 시초이므로, (입이) 닫힌다. 나무와 쇠는 음양이 고정된 바탕이므로, 열린다. ᆞ는 천5이고 흙을 낳는 자리이다. ᅳ는 지10이고 흙을 이루어내는 수이다. ᅵ만 홀로 자리와 수가 없는 것은, 아마 사람은 무극(無極)의 진리와 음양오행의 정수(精髄)가 묘하게 합하고 엉기어서, 본디 자리를 정하고 수를 이루어냄으로써 논할 수 없음일 것이다. 이는 곧 중성 가운데에도 또한 스스로 음양・오행・방위의 수가 있음이다.
以初聲對中聲而言之。隂陽,天道也。剛柔,地道也。中聲者,一深一淺一闔一闢,是則隂陽分而五行之氣具焉, 天之用也。初聲者,或虗或實或颺或滯或重若軽,是則剛柔著而五行之質成焉,地之功也。中聲以深淺闔闢唱之於前,初聲以五音清濁和之於後,而為初亦為終。亦可見萬物初生於地,復歸於地也。
초성으로써 중성에 대해 말하자면, 음과 양은 하늘의 도리이고, 단단함과 부드러움은 땅의 도리이다. 중성이란, 하나가 깊으면 하나는 얕고, 하나가 닫히면 하나가 열리니, 이는 곧 음양이 나뉘고 오행의 기운이 갖추어짐이니, 하늘의 작용이다. 초성이란, 어떤 것은 비어 있고, 어떤 것은 차 있으며, 어떤 것은 날리고, 어떤 것은 걸리며, 어떤 것은 무겁거나 가벼우니, 이는 곧 단단함과 부드러움이 나타나서 오행의 바탕을 이룸이니, 땅의 공로이다. 중성이 깊고 얕음과 오므려지고 펴짐으로써 앞에서 부르면, 초성이 오음과 청탁으로써 뒤에서 화답하여, 초성이 되고 또 종성이 된다. 또한 만물이 처음 땅에서 나서 다시 땅으로 돌아감을 볼 수 있다.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亦有動静互根隂陽交變之義焉。動者,天也。静者,地也。兼互動静者,人也。盖五行在天則神之運也,在地則質之成也,在人則仁禮信義智神之運也,肝心脾肺腎,質之成也。初聲有彂動之義,天之事也。終聲有止㝎之義,地之事也。中聲承初之生,接終之成,人之事也。盖字韻之要,在於中聲,初終合而成音。亦猶天地生成萬物,而其財成輔相則必頼乎人也。終聲之,復用初聲者,以其動而陽者乾也,静而隂者亦乾也,乾實分隂陽而無不君宰也。一元之氣,周流不窮,四時之運,循環無端,故貞而復元,冬而復春。初聲之復為終,終聲之復為初,亦此義也。
초성・중성・종성이 합하여 이룬 글자로써 말하자면, 또한 움직임과 멈추어 있음이 서로 근본이 되고 음과 양이 서로 바뀌는 뜻이 있는 것이다. 움직이는 것은 하늘이요, 멈추어 있는 것은 땅이요, 움직임과 멈추어 있음을 겸한 것은 사람이다. 생각건대 오행이 하늘에 있어서는 신의 운행이요, 땅에 있어서는 바탕의 이룸이요, 사람에 있어서는 인・예・신・의・지는 신의 운행이요, 간장・심장・비장・폐장・신장은 바탕의 이룸이다. 초성은 발하여 움직이는 뜻이 있으니, 하늘의 일이다. 종성은 그치고 정해지는 뜻이 있으니, 땅의 일이다. 중성은 초성이 생기는 것을 이어받아, 종성이 이루어주는 것을 이어주니, 사람의 일이다. 생각건대 자운의 핵심은 중성에 있어, 초성과 종성을 합하여 소리를 이룬다. 또한 마치 천지가 만물을 이루어도, 그것을 재성보상(財成輔相)하려면 사람에 힘입어야 하는 것과 같다. 종성이 초성을 다시 쓰는 것은, 움직여서 양인 것도 건(乾)이요, 멈추어서 음인 것도 또한 건이니, 건은 사실 음양이 나뉘어 다스리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한 원(元)의 기운이 두르 흘러서 다함이 없고, 네 계절의 운행이 순환하여 끝이 없는 까닭으로, 정(貞)이 가서 다시 원이 오고, 겨울이 가서 다시 봄이 오는 것이다. 초성이 다시 종성이 됨도,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또한 이런 뜻이다.
旴。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其神矣㦲。是殆天啓
聖心而假手焉者乎。訣曰
아아! 정음이 만들어져서 천지만물의 이치가 모두 갖추어졌으니, 그 신령함이여! 이는 분명 하늘이
성인(聖人)의 마음을 열어 재주를 빌려주신 것이로다. 요결(要訣)로 말하자면:
### 初聲解
正音初聲,卽韻書之字母也。聲音由此而生,故曰母。如牙音君字初聲是ᄀ,ᄀ與ᅟᅮᆫ而為군。快字初聲是ᄏ,ᄏ與ᅫ而為쾌〮。虯字初聲是ᄁ,ᄁ與ᅲ而為뀨。業字初聲是ᅌ,ᅌ與ᅟᅥᆸ而為ᅌᅥᆸ之類。舌之斗呑𫟛那,脣之彆漂步彌,齒之卽侵慈戌邪,喉之挹虗洪欲,半舌半齒之閭穰,皆倣此。訣曰
정음의 초성은 곧 운서의 자모이다. 소리는 이로 말미암아 나는 것이므로 어머니라고 이른다. 어금닛소리인 君 자의 초성은 ᄀ이고 ᄀ과 ᅟᅮᆫ을 어울러 군이라 하고, 快 자의 초성은 ᄏ이고 ᄏ과 ᅫ를 어울러 쾌〮라 하고, 虯 자의 초성은 ᄁ이고 ᄁ과 ᅲ를 어울러 뀨라 하고, 業 자의 초성은 ᅌ이고 ᅌ과 ᅟᅥᆸ을 어울러 ᅌᅥᆸ이라 하는 따위와 같다. 혓소리인 斗呑𫟛那, 입술소리인 彆漂步彌, 잇소리인 卽侵慈戌邪, 목구멍소리인 挹虗洪欲, 반설음과 반치음인 閭穰, 다 이를 본뜬 것이다. 결요를 말하자면
### 中聲解
中聲者,居字韻之中,合初終而成音。如呑字中聲是ᆞ,ᆞ居ᄐᄂ之間而為ᄐᆞᆫ。卽字中聲是ᅳ,ᅳ居ᄌᄀ之間而為즉。侵字中聲是ᅵ,ᅵ居ᄎᄆ之間而為침之類。洪𫟛君業欲穰戌彆,皆倣此。
二字合用者,ᅩ與ᅡ同出於ᆞ,故合而為ᅪ。ᅭ與ᅣ又同出於ᅵ,故合而為ᆄ。ᅮ與ᅥ同出於ᅳ,故合而為ᅯ。ᅲ與ᅧ又同出於ᅵ,故合而為ᆑ。以其同出而為類,故相合而不悖也。一字中聲之與ᅵ相合者十,ᆡᅴᅬᅢᅱᅦᆈᅤᆔᅨ是也。二字中聲之與ᅵ相合者四,ᅫᅰᆅᆒ是也。ᅵ於深淺闔闢之聲,並能相隨者,以其舌展聲淺而便於開口也。亦可見人之參贊開物而無所不通也。訣曰
중성이란 것은 자운의 중간에 자리잡아 초성과 종성을 모으며 소리를 이루게 한다. 呑 자의 중성은 ᆞ이고 ᆞ는 ᄐ과 ᄂ 사이에 있어 ᄐᆞᆫ이 되고, 卽 자의 중성은 ᅳ이고 ᅳ는 ᄌ과 ᄀ 사이에 있어 즉이 되고, 侵 자의 중성은 ᅵ이고 ᅵ는 ᄎ과 ᄆ 사이에 있어 침이 되는 따위와 같다. 洪𫟛君業欲穰戌彆(ᅩᅡᅮᅥᅭᅣᅲᅧ), 다 이를 본뜬 것이다.
두 글자를 모아 쓰는 것으로 ᅩ와 ᅡ는 모두 ᆞ에서 나왔으므로 모아서 ᅪ가 되고, ᅭ와 ᅣ는 또한 모두 ᅵ에서 나왔으므로 모아서 ᆄ가 되고, ᅮ와 ᅥ는 모두 ᅳ에서 나왔으므로 모아서 ᅯ가 되고, ᅲ와 ᅧ는 또한 모두 ᅵ에서 나왔으므로 모아서 ᆑ가 된다. 이들은 같은 데서 나온 것을 모아서 되는 것이니 따라서 조화에 어긋나지 아니한다. 한 자로 된 중성이 ᅵ와 어울리는 것은 열이니 ᆡᅴᅬᅢᅱᅦᆈᅤᆔᅨ이다. 두 자로 된 중성이 ᅵ와 어울리는 것은 넷으로 ᅫᅰᆅᆒ이다. ᅵ가 깊고 얕고, 열리고 닫힌 소리에 두루 서로 따를 수 있는 것은 그것이 혀가 펴지고 소리가 얕아 입을 벌리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이 만물을 여는 데에 참여하여 통하지 않는 것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결요를 말하자면
### 終聲解
終聲者,承初中而成字韻。如卽字終聲是ᄀ,ᄀ居즈終而為즉。洪字終聲是ᅌ,ᅌ居ᅘᅩ終而為ᅘᅩᇰ之類。舌脣齒喉皆同。
聲有緩急之殊,故平上去其終聲不類入聲之促急。不清不濁之字,其聲不厲,故用於終則宜於平上去。全清次清全濁之字,其聲為厲,故用於終則宜於入。所以ᅌᄂᄆᄋᄅᅀ六字為平上去聲之終,而餘皆為入聲之終也。然ᄀᅌᄃᄂᄇᄆᄉᄅ八字可足用也。如ᄇᆡᆺ곶為梨花,여ᇫ의갗為狐皮,而ᄉ字可以通用。故只用ᄉ字。且ᄋ聲淡而虗,不必用於終,而中聲可得成音也。ᄃ如볃為彆,ᄂ如군為君,ᄇ如ᅌᅥᆸ為業,ᄆ如땀為𫟛,ᄉ如諺語옷〮為衣,ᄅ如諺語실〯為絲之類。五音之緩急,亦各自為對如牙之ᅌ與ᄀ為對,而ᅌ促呼則變為ᄀ而急,ᄀ舒出則變為ᅌ而緩。舌之ᄂᄃ,脣之ᄆᄇ,齒之ᅀᄉ,喉之ᄋᅙ,其緩急相對,亦猶是也。且半舌之ᄅ,當用於諺,而不可用於文。如入聲之彆字,終聲當用ᄃ,而俗習讀為ᄅ,盖ᄃ變而為軽也。若用ᄅ為彆之終,則其聲舒緩,不為入也。訣曰
종성이란 것은 초성과 중성을 이어 자운을 이룬다. 卽 자의 종성은 ᄀ이고 ᄀ은 즈의 끝에 있어 즉이 되고, 洪 자의 종성은 ᅌ이고 ᅌ은 ᅘᅩ의 끝에 있어 ᅘᅩᇰ이 되는 따위와 같다. 설음, 순음, 치음, 후음도 모두 같다.
소리는 느리고 빠름의 구분이 있으니 평성·상성·거성의 종성은 입성의 빠름에 들지 않는다. 불청불탁 글자는 그 소리가 세지 않으니 종성에 쓰이면 곧 평·상·거에 맞고, 전청·차청·전탁 글자는 그 소리가 세니 종성에 쓰이면 입성에 맞는다. 그러므로 ᅌᄂᄆᄋᄅᅀ 여섯 자는 평·상·거성의 종성이 되고 나머지는 모두 입성의 종성이 된다. 그런데 ᄀᅌᄃᄂᄇᄆᄉᄅ 여덟 자로 충분히 쓸 수 있다. 배꽃(梨花)을 이르는 ᄇᆡᆺ곶, 여우 가죽(狐皮)을 이르는 여ᇫ의갗과 같이 ᄉ 자로도 통용할 수 있으니 ᄉ 자로만 쓴다. 또 ᄋ 소리는 맑고 비어 종성에 반드시 쓰지 않고 중성만으로 소리를 이룰 수 있다. ᄃ은 彆인 볃과 같고, ᄇ은 業인 ᅌᅥᆸ과 같고, ᄆ은 𫟛인 땀과 같고, ᄉ은 옷(衣)의 우리말 옷〮과 같고, ᄅ은 실(絲)의 우리말 실〯과 같은 따위이다. 오음의 느리고 빠름 또 각자의 짝이 되니 아음 ᅌ과 ᄀ이 짝이 되어 ᅌ을 빠르게 내면 변하여 ᄀ이 되어 빠르고, ᄀ을 느리게 내면 ᅌ이 되어 느리다. 설음 ᄂᄃ, 순음 ᄆᄇ, 치음 ᅀᄉ, 후음 ᄋᅙ, 그 느리고 빠름이 상대됨 또한 이와 같다. 또 반설음 ᄅ은 마땅히 우리말에만 쓰여야지 한문에는 쓰일 수 없다. 입성 彆 자의 종성은 마땅히 ᄃ으로 쓰여야 하며 세속에서 익히고 읽는 것은 ᄅ인데 아마도 ᄃ이 가벼이 변했을 것이다. 만약 ᄅ을 彆의 종성으로 쓰면 그 소리가 느려지니 입성이 되지 않는다. 결요를 말하자면
### 合字解
初中終三聲,合而成字。初聲或在中聲之上,或在中聲之左。如君字ᄀ在ᅮ上,業字ᅌ在ᅥ左之類。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ᆞᅳᅩᅭᅮᅲ是也。縱者在初聲之右 ᅵᅡᅣᅥᅧ是也。如呑字ᆞ在ᄐ下,卽字ᅳ在ᄌ下,侵字ᅵ在ᄎ右之類。
終聲在初中之下。如君字ᄂ在구下,業字ᄇ在ᅌᅥ下之類。
初聲二字三字合用並書,如諺語ᄯᅡ〮為地,ᄧᅡᆨ為雙,ᄢᅳᆷ〮為隙之類。各自並書,如諺語혀〮為舌而ᅘᅧ〮為引,괴여〮為我愛人而괴ᅇᅧ〮為人愛我,소다〮為䨱物而쏘다〮為射之之類。
中聲二字三字合用,如諺語과〮為琴柱,홰〮為炬之類。終聲二字三字合用,如諺語ᄒᆞᆰ為𡈽,낛〮為釣,ᄃᆞᇌᄣᅢ〮為酉時之類。其合用並書,自左而右,初中終三聲皆同。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者,如孔子ᅵ魯ᄉ사〯ᄅᆞᆷ之類。
諺語平上去入,如활為弓而其聲平,돌〯為石而其聲上,갈〮為刀而其聲去,붇〮為筆而其聲入之類。凡字之左,加一㸃為去聲,二㸃為上聲,無㸃為平聲,而文之入聲,與去聲相似。諺之入聲無㝎,或似平聲,如긷為柱,녑為脅。或似上聲如낟〯為穀。깁〯為繒。或似去聲,如몯〮為釘,입〮為口之類。其加㸃則與平上去同。平聲安而和,春也,萬物舒泰。上聲和而擧,夏也,萬物漸盛。去聲擧而壯,秋也,萬物成熟。入聲促而塞,冬也,萬物閉蔵。
初聲之ᅙ與ᄋ相似,於諺可以通用也。半舌有軽重二音。然韻書字母唯一,且國語雖不分軽重,皆得成音。若欲備用,則依脣軽例,ᄋ連書ᄅ下,為半舌軽音,舌乍附上腭。ᆞᅳ起ᅵ聲,於國語無用。兒童之言,𨘢野之語,或有之,當合二字而用,如ᄀᆝᄀᆜ之類,其先縱後橫,與他不同。訣曰
초성, 중성, 종성 셋은 어울려 글자를 이룬다. 초성은 중성의 위에 있기도 하고, 중성의 왼쪽에 있기도 한다. 君(군)의 ᄀ이 ᅮ의 위에 있고, 業(ᅌᅥᆸ)의 ᅌ이 ᅥ의 왼쪽에 있는 따위와 같다.
중성은 둥근 것과 가로로 된 것은 초성의 아래에 있으니 ᆞᅳᅩᅭᅮᅲ가 그것이고, 세로로 된 것은 초성의 오른쪽에 있으니 ᅵᅡᅣᅥᅧ가 그것이다. 呑(ᄐᆞᆫ)의 ᆞ가 ᄐ의 아래에 있고, 卽(즉)의 ᅳ가 ᄌ의 아래에 있고, 侵(침)의 ᅵ가 ᄎ의 오른쪽에 있는 따위와 같다.
종성은 초·중성의 아래에 있다. 君(군)의 ᄂ이 ‘구’의 아래에 있고, 業(ᅌᅥᆸ)의 ᄇ이 ‘ᅌᅥ’의 아래에 있는 따위와 같다.
초성 두 자나 석 자를 어울러 씀은 우리말에서 땅(地)을 이르는 ᄯᅡ〮, 짝(雙)을 이르는 ᄧᅡᆨ, 틈(隙)을 이르는 ᄢᅳᆷ〮 따위와 같다. 각자를 나란히 씀은 우리말에서 혀〮는 혀(舌)가 되는데 ᅘᅧ〮는 끄는(引) 것이 되고, 괴여〮는 내가 남을 사랑하는 것인데 괴ᅇᅧ〮는 남이 다를 사랑하는 것이 되고, 소다〮는 물건을 쏟는 것인데 쏘다〮는 무엇을 쏘는 것이 되는 따위와 같다.
중성 두 자나 석 자를 어우름은 우리말에서 괘(琴柱)를 이르는 과〮, 횃불(炬)을 이르는 홰〮 따위와 같다. 종성 두 자나 석 자를 어우름은 우리말에서 흙(土)을 이르는 ᄒᆞᆰ, 낚시(釣)를 이르는 낛〮, 유시(酉時)를 이르는 ᄃᆞᇌᄣᅢ〮 따위와 같다. 이 합용병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며 초·중·종성 모두 마찬가지이다. 한문과 우리말을 섞어 쓴다면, 글자의 음에 따라 중성이나 종성을 덧댈 일이 있으니 孔子ᅵ魯ᄉ사〯ᄅᆞᆷ(공자가 노나라 사람)이라 하는 따위와 같다.
우리말의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은 활(弓)은 그 소리가 평성이요, 돌〯(石)은 그 소리가 상성이요, 갈〮(刀)은 그 소리가 거성이요, 붇〮(筆)은 그 소리가 입성인 따위와 같다. 모든 글자의 왼쪽에 점 하나를 더하면 거성, 점 둘을 더하면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며, 한문의 입성은 거성과 서로 비슷하다. 우리말의 입성은 정해진 것이 없어 긷(柱)이나 녑(脅)과 같은 평성처럼 되기도 하고, 낟〯(穀)이나 깁〯(繒)과 같은 상성처럼 되기도 하고, 몯〮(釘)이나 입〮(口)과 같은 거성처럼 되기도 하니 점을 찍는 것은 평성·상성·거성과 같다. 평성은 편안하고 순하니 봄으로 만물이 천천히 피어나고, 상성은 순하고 일어나니 여름으로 만물이 점점 성하고, 거성은 일어나고 굳세니 가을로 만물이 성숙하고, 입성은 빠르고 막히니 겨울로 만물이 감추고 숨음이라.
초성의 ᅙ과 ᄋ은 서로 비슷해 우리말에서는 통용할 수 있다. 반설음에는 가볍고 무거운 두 소리가 있다. 운서의 자모에는 하나이며, 또 국어에서 비록 경중을 가리지 않으나 모두 소리를 이룰 수 있다. 만일 갖추어 쓰고자 한다면, 순경음의 예에 따라 ᄋ을 ᄅ의 아래에 이어 써 반설경음을 나타내며 이는 혀가 윗잇몸에 잠깐 닿는다. ᆞᅳ가 ᅵ 소리에서 나는 것은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데 아이의 말, 변두리 말에는 있기도 하니 마땅히 두 글자를 합하여 나타내어 ᄀᆝ, ᄀᆜ 따위와 같이 하는데, 그 세로를 먼저, 가로를 나중에 하는 것은 다른 것과 같지 아니하다. 결요를 말하자면
### 用字例
### (정인지의 서. 원문에선 따로 제목이 없음)
:有天地自然之聲,則必有天地自然之文。所以古人因聲制字,以通萬物之情,以載三才之道,而後世不能易也。然四方風𡈽區別,聲氣亦隨而異焉。蓋外國之語,有其聲而無其字。假中國文字以通其用,是猶枘鑿之鉏鋙也,豈能達而無礙乎。要皆各隨所處而安,不可强之使同也。吾東方禮樂文章,侔擬華夏。但方言俚語,不與之同。學書者患其旨趣之難曉,治獄者病其曲折之難通。昔新羅薛聡,始作吏讀,官府民間,至今行之。然皆假字而用,或澁或窒,非但鄙陋無稽而已,至於言語之間,則不能達其萬一焉,癸亥冬。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略揭例義以示之,名曰訓民正音。象形而字倣古篆,因聲而音叶七調。三極之義。二氣之妙。莫不該括。以二十八字而轉換無窮,簡而要,精而通。故智者不終朝而㑹,愚者可浹旬而學。以是解書,可以知其義。以是聽訟,可以得其情。字韻則清濁之能辨,樂歌則律呂之克諧。無所用而不備,無所往而不達。雖風聲鶴戾,雞鳴狗吠,皆可得而書矣,遂命詳加解釋,以喩諸人。於是,與集賢殿應敎崔,副校理朴,申,修撰成,敦寧府注簿姜,行集賢殿副修撰李,李等,謹作諸解及例,以敍其梗槩。庶使觀者不師而自悟。若其淵源精義之妙,則非等之所能彂揮也。恭惟我殿下,天縱之聖,制度施為超越百王。正音之作,無所祖述,而成於自然。豈以其至理之無所不在,而非人為之私也。夫東方有國,不為不久,而開物成務之大智,蓋有待於今日也欤。正統十一年九月上澣。資憲大夫禮曺判書集賢殿大提學知春秋館事 世子右賓客臣鄭麟趾拜手稽首謹書
訓民正音
|
{
"page": 0,
"year": null
}
|
훈민정음언해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09:55.633981",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D%9B%88%EB%AF%BC%EC%A0%95%EC%9D%8C%EC%96%B8%ED%95%B4&oldid=201467"
}
|
世솅〮宗조ᇰ御ᅌᅥᆼ〮製졩〮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
: 製졩〮ᄂᆞᆫ〮글〮지ᅀᅳᆯ〮씨〮니〮御ᅌᅥᆼ〮製졩〮ᄂᆞᆫ〮님〯금〮지〯ᅀᅳ샨〮그〮리라〮訓훈〮은〮ᄀᆞᄅᆞ칠〮씨〮오〮民민ᄋᆞᆫ〮百ᄇᆡᆨ〮姓셔ᇰ〮이〮오〮音ᅙᅳᆷ은〮소리〮니〮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은〮百ᄇᆡᆨ〮姓셔ᇰ〮ᄀᆞᄅᆞ치〮시논〮正져ᇰ〮ᄒᆞᆫ소리〮라〮
國귁〮之징語ᅌᅥᆼ〯音ᅙᅳᆷ이〮
: 國귁〮ᄋᆞᆫ〮나라〮히라〮之징ᄂᆞᆫ〮입〮겨〮지라〮語ᅌᅥᆼ〯는말〯ᄊᆞ미라〮
: 나랏〮말〯ᄊᆞ미〮
異잉〮乎ᅘᅩᆼ中듀ᇰ國귁〮ᄒᆞ〮야〮
: 異잉〮ᄂᆞᆫ〮다ᄅᆞᆯ씨라乎ᅘᅩᆼᄂᆞᆫ〮아〯모〮그ᅌᅦᄒᆞ〮논겨〮체ᄡᅳ〮는字ᄍᆞᆼ〮ᅵ라〮中듀ᇰ國귁〮ᄋᆞᆫ〮皇ᅘᅪᇰ帝뎽〮겨〯신나라〮히니〮우〮리〮나랏〮常쌰ᇰ談땀애〮江가ᇰ南남이〮라〮ᄒᆞ〮ᄂᆞ〮니라〮
: 中듀ᇰ國귁〮에〮달아〮
與영〯文문字ᄍᆞᆼ〮로〮不부ᇙ〮相샤ᇰ流류ᇢ通토ᇰᄒᆞᆯᄊᆡ〮
: 與영〯는〮이〮와〮뎌〮와〮ᄒᆞ〮ᄂᆞᆫ겨〮체ᄡᅳ〮ᄂᆞᆫ字ᄍᆞᆼ〮ᅵ라〮文문은〮글〮와〮리라〮不부ᇙ〮은〮아니〮ᄒᆞ〮논ᄠᅳ〮디라〮相샤ᇰᄋᆞᆫ〮서르ᄒᆞ〮논ᄠᅳ〮디라〮流류ᇢ通토ᇰᄋᆞᆫ〮흘러〮ᄉᆞᄆᆞᄎᆞᆯ〮씨〮라〮
: 文문字ᄍᆞᆼ〮와〮로〮서르ᄉᆞᄆᆞᆺ디〮아니〮ᄒᆞᆯᄊᆡ〮
故공〮로〮愚ᅌᅮᆼ民민이〮有ᅌᅮᇢ〯所송〯欲욕〮言ᅌᅥᆫᄒᆞ〮야도〮
: 故공〮ᄂᆞᆫ〮젼ᄎᆡ〮라〮愚ᅌᅮᆼ는〮어릴〮씨〮라〮有ᅌᅮᇢ〯는이실씨〮라〮所송〯ᄂᆞᆫ〮배〮라〮欲욕〮ᄋᆞᆫ〮ᄒᆞ고〮져〮ᄒᆞᆯ씨〮라〮言ᅌᅥᆫ은〮니를씨〮라〮
: 이〮런젼ᄎᆞ〮로〮어린〮百ᄇᆡᆨ姓셔ᇰ〮이〮니르고〮져〮호ᇙ〮배〮이셔〮도〮
而ᅀᅵᆼ終쥬ᇰ不부ᇙ〮得득〮伸신其끵情쪄ᇰ者쟝〯ᅵ多당矣ᅌᅴᆼ〯라〮
: 而ᅀᅵᆼᄂᆞᆫ〮입〮겨〮지라〮終쥬ᇰ은ᄆᆞᄎᆞ〮미라〮得득〮은〮시를〮씨〮라〮伸신ᄋᆞᆫ〮펼씨〮라〮其끵ᄂᆞᆫ〮제〯라〮情쪄ᇰ은〮ᄠᅳ〮디라〮者쟝〯ᄂᆞᆫ〮노〮미라〮多당ᄂᆞᆫ〮할씨〮라〮矣ᅌᅴᆼ〯ᄂᆞᆫ〮말〯ᄆᆞᆺᄂᆞᆫ입〮겨〮지라〮
: ᄆᆞᄎᆞᆷ〮내〯제ᄠᅳ〮들〮시러〮펴디〮몯〯ᄒᆞᇙ노〮미〮하니〮라〮
予영ᅵ爲윙〮此ᄎᆞᆼ〯憫민〯然ᅀᅧᆫᄒᆞ〮야〮
: 予영는〮내〮ᄒᆞ〮ᅀᆞᆸ시〮논ᄠᅳ〮디〮시니〮라〮此ᄎᆞᆼ〯ᄂᆞᆫ〮이〮라〮憫민〯然ᅀᅧᆫ은〮어〯엿비〮너기〮실씨〮라〮
: 내〮이〮ᄅᆞᆯ〮爲윙〮ᄒᆞ〮야〮어〯엿비〮너겨〮
新신制졩〮二ᅀᅵᆼ〮十씹〮八바ᇙ〮字ᄍᆞᆼ〮ᄒᆞ〮노니〮
: 新신ᄋᆞᆫ〮새〮라〮制졩〮ᄂᆞᆫ〮ᄆᆡᇰᄀᆞ〮ᄅᆞ〮실씨〮라〮二ᅀᅵᆼ〮十씹〮八바ᇙ〮ᄋᆞᆫ〮스〮믈〮여들〮비라〮
: 새〮로〮스〮믈〮여듧〮字ᄍᆞᆼ〮ᄅᆞᆯ〮ᄆᆡᇰᄀᆞ〮노니〮
欲욕〮使ᄉᆞᆼ〯人ᅀᅵᆫ人ᅀᅵᆫᄋᆞ〮로〮易잉〮習씹〮ᄒᆞ〮야〮便뼌於ᅙᅥᆼ日ᅀᅵᇙ〮用요ᇰ〮耳ᅀᅵᆼ〯니라〮
: 使ᄉᆞᆼ〯ᄂᆞᆫ〮ᄒᆡ〯ᅇᅧ〮ᄒᆞ〮논마〮리라〮人ᅀᅵᆫᄋᆞᆫ〮사〯ᄅᆞ〮미라〮易잉〮ᄂᆞᆫ〮쉬〯ᄫᅳᆯ씨〮라〮習씹〮ᄋᆞᆫ〮니길〮씨〮라〮便뼌은〮便뼌安ᅙᅡᆫᄒᆞᆯ씨〮라〮於ᅙᅥᆼ는〮아〯모〮그ᅌᅦᄒᆞ〮논겨〮체ᄡᅳ〮는字ᄍᆞᆼ〮ᅵ라〮日ᅀᅵᇙ〮ᄋᆞᆫ〮나〮리라〮用요ᇰ〮ᄋᆞᆫ〮ᄡᅳᆯ〮씨〮라〮耳ᅀᅵᆼ〯ᄂᆞᆫ〮ᄯᆞᄅᆞ미〮라〮ᄒᆞ〮논ᄠᅳ〮디라〮
: 사〯ᄅᆞᆷ마〯다〮ᄒᆡ〯ᅇᅧ〮수〯ᄫᅵ〮니겨〮날〮로〮ᄡᅮ〮메〮便뼌安ᅙᅡᆫ킈〮ᄒᆞ고〮져〮ᄒᆞᇙᄯᆞᄅᆞ미〮니라〮
ᄀᄂᆞᆫ〮牙ᅌᅡᆼ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君군ᄃ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並뼈ᇰ〮書셩ᄒᆞ면〮如ᅀᅧᆼ虯뀨ᇢᄫ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牙ᅌᅡᆼᄂᆞᆫ〮어〯미라〮如ᅀᅧᆼ는〮ᄀᆞ〮ᄐᆞᆯ씨〮라〮初총發버ᇙ〮聲셔ᇰ은〮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라〮並뼈ᇰ〮書셩는〮ᄀᆞᆯᄫᅡ〮쓸〮씨〮라〮
: ᄀᄂᆞᆫ〮엄〯쏘리〮니〮君군ᄃ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ᄀᆞᆯᄫᅡ〮쓰〮면〮虯뀨ᇢᄫ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ᄏᄂᆞᆫ〮牙ᅌᅡᆼ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快쾡〮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니〮라〮
: ᄏᄂᆞᆫ〮엄〯쏘리〮니〮快쾡〮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ᅌᄂᆞᆫ〮牙ᅌᅡᆼ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業ᅌᅥᆸ〮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니〮라〮
: ᅌᄂᆞᆫ〮엄〯쏘리〮니〮業ᅌᅥᆸ〮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ᄃᄂᆞᆫ〮舌쎠ᇙ〮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斗두ᇢᄫ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並버ᇙ〮書셩ᄒᆞ면〮如ᅀᅧᆼ覃땀ᄇ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舌쎠ᇙ〮은〮혜〮라〮
: ᄃᄂᆞᆫ〮혀〮쏘리〮니〮斗두ᇢᄫ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ᄀᆞᆯᄫᅡ〮쓰〮면〮覃땀ᄇ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ᄐᄂᆞᆫ〮舌쎠ᇙ〮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呑ᄐᆞᆫᄃ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ᄐᄂᆞᆫ〮혀〮쏘리〮니〮呑ᄐᆞᆫᄃ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ᄂᄂᆞᆫ〮舌쎠ᇙ〮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那낭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ᄂᄂᆞᆫ〮혀〮쏘리〮니〮那낭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ᄇᄂᆞᆫ〮脣쓘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彆벼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並버ᇙ〮書셩ᄒᆞ면〮如ᅀᅧᆼ歩뽕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脣쓘은〮입시우〮리라〮
: ᄇᄂᆞᆫ〮입시울〮쏘리〮니〮彆벼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ᄀᆞᆯ〮ᄫᅡ〮쓰〮면〮歩뽕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ᄑᄂᆞᆫ〮脣쓘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漂표ᇢᄫ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ᄑᄂᆞᆫ〮입시울〮쏘리〮니〮漂표ᇢᄫ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ᄆᄂᆞᆫ〮脣쓘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彌밍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ᄆᄂᆞᆫ〮입시울〮쏘리〮니〮彌밍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ᄌᄂᆞᆫ〮齒칭〯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卽즉〮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並버ᇙ〮書셩ᄒᆞ면〮如ᅀᅧᆼ慈ᄍᆞᆼ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齒ᄂᆞᆫ〮니〮라〮
: ᄌᄂᆞᆫ〮니〮쏘리〮니〮卽즉〮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ᄀᆞᆯ〮ᄫᅡ〮쓰〮면〮慈ᄍᆞᆼ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ᄎᄂᆞᆫ〮齒칭〯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侵침ᄇ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ᄎᄂᆞᆫ〮니〮쏘리〮니〮侵침ᄇ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ᄉᄂᆞᆫ〮齒칭〯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戌슈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並버ᇙ〮書셩ᄒᆞ면〮如ᅀᅧᆼ邪썅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ᄉᄂᆞᆫ〮니〮쏘리〮니〮戌슈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ᄀᆞᆯ〮ᄫᅡ〮쓰〮면〮邪썅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ᅙᄂᆞᆫ〮喉ᅘᅮᇢ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挹ᅙᅳᆸ〮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喉ᅘᅮᇢ는〮모기〮라〮
: ᅙᄂᆞᆫ〮목소리〮니〮挹ᅙᅳᆸ〮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ᄒᄂᆞᆫ〮喉ᅘᅮᇢ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虛헝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並버ᇙ〮書셩ᄒᆞ면〮如ᅀᅧᆼ洪ᅘᅩᇰᄀ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ᄒᄂᆞᆫ〮목소리〮니〮虛헝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ᄀᆞᆯ〮ᄫᅡ〮쓰〮면〮洪ᅘᅩᇰᄀ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ᄋᄂᆞᆫ〮喉ᅘᅮᇢ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欲욕〮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ᄋᄂᆞᆫ〮목소리〮니〮欲욕〮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ᄅᄂᆞᆫ〮半반〮舌쎠ᇙ〮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閭령ᅙ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ᄅᄂᆞᆫ〮半반〮혀〮쏘리〮니〮閭령ᅙ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ᅀᄂᆞᆫ〮半반〮齒칭〯音ᅙᅳᆷ이〮니〮如ᅀᅧᆼ穰ᅀᅣᇰᄀ字ᄍᆞᆼ〮初총發버ᇙ〮聲셔ᇰᄒᆞ니〮라〮
: ᅀᄂᆞᆫ〮半반〮니〮쏘리〮니〮穰ᅀᅣᇰᄀ字ᄍᆞᆼ〮처〮ᅀᅥᆷ펴〮아〮나〮ᄂᆞᆫ소리〮ᄀᆞ〮ᄐᆞ〮니라〮
ᆞᄂᆞᆫ〮如ᅀᅧᆼ呑ᄐᆞᆫᄃ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中듀ᇰ은〮가온〮ᄃᆡ〮라〮
: ᆞᄂᆞᆫ〮呑ᄐᆞᆫᄃ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ᅳᄂᆞᆫ〮卽즉〮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ᅳᄂᆞᆫ〮卽즉〮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ᅵᄂᆞᆫ〮侵침ᄇ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ᅵᄂᆞᆫ〮侵침ᄇ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ᅩᄂᆞᆫ〮洪ᅘᅩᇰᄀ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ᅩᄂᆞᆫ〮洪ᅘᅩᇰᄀ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ᅡᄂᆞᆫ〮覃땀ᄇ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ᅡᄂᆞᆫ〮覃땀ᄇ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ᅮᄂᆞᆫ〮君군ᄃ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ᅮᄂᆞᆫ〮君군ᄃ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ᅥᄂᆞᆫ〮業ᅌᅥᆸ〮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ᅥᄂᆞᆫ〮業ᅌᅥᆸ〮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ᅭᄂᆞᆫ〮欲욕〮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ᅭᄂᆞᆫ〮欲욕〮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ᅣᄂᆞᆫ〮穰ᅀᅣᇰᄀ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ᅣᄂᆞᆫ〮穰ᅀᅣᇰᄀ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ᅲᄂᆞᆫ〮戌슈ᇙ〮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ᅲᄂᆞᆫ〮戌슈ᇙ〮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ᅧᄂᆞᆫ〮彆벼ᇙ〮字ᄍᆞᆼ〮中듀ᇰ聲셔ᇰᄒᆞ니〮라〮
: ᅧᄂᆞᆫ〮彆벼ᇙ〮字ᄍᆞᆼ〮가온〮ᄃᆡᆺ〮소리〮ᄀᆞ〮ᄐᆞ〮니라〮
終쥬ᇰ聲셔ᇰ은〮復뿌ᇢ〮用요ᇰ〮初총聲셔ᇰᄒᆞ〮ᄂᆞ〮니라〮
: 復뿌ᇢ〮는〮다시〮ᄒᆞ〮논ᄠᅳ〮디라〮
: 乃냉〯終쥬ᇰᄀᅠ소리〮ᄂᆞᆫ〮다시〮처〮소리〮ᄅᆞᆯ〮ᄡᅳ〮ᄂᆞ〮니라〮
ᄋᄅᆞᆯ連련書셩脣쓘音ᅙᅳᆷ之징下ᅘᅡᆼ〯ᄒᆞ면則즉〮爲ᅌᅱᆼ脣쓘輕켜ᇰ音ᅙᅳᆷᄒᆞ〮ᄂᆞ〮니라〮
: 連련은〮니ᅀᅳᆯ〮씨〮라〮下ᅘᅡᆼ〮ᄂᆞᆫ〮아래〮라〮則즉〮은〮아〯ᄆᆞ〮리ᄒᆞ면〮ᄒᆞ〮ᄂᆞᆫ겨〮체〮ᄡᅳ〮ᄂᆞᆫ字ᄍᆞᆼ〮ᅵ라爲ᅌᅱᆼᄂᆞᆫ〮ᄃᆞ욀씨〮라〮輕켜ᇰ은〮가ᄇᆡ〮야ᄫᆞᆯ〮씨〮라〮
: ᄋᄅᆞᆯ〮입시울〮쏘리〮아래〮니ᅀᅥ〮쓰〮면〮입시울〮가ᄇᆡ〮야ᄫᆞᆫ〮소리〮ᄃᆞ외ᄂᆞ니〮라〮
初총聲셔ᇰ을〮合ᅘᅡᆸ〮用요ᇰ〮호ᇙ〮디면〮則즉〮並버ᇙ〮書셩ᄒᆞ라〮終쥬ᇰ聲셔ᇰ도〮同또ᇰᄒᆞ니〮라〮
: 合ᅘᅡᆸ〮ᄋᆞᆫ〮어울〮씨〮라〮同또ᇰᄋᆞᆫ〮ᄒᆞᆫ가지〮라〮ᄒᆞ〮논ᄠᅳ〮디라〮
: 처〮소리〮ᄅᆞᆯ〮어울〮워〮ᄡᅮᇙ〮디〮면〮ᄀᆞᆯᄫᅡ〮쓰〮라〮乃냉〯終쥬ᇰᄀ소리〮도〮ᄒᆞᆫ가지〮라〮
ᆞᅳᅩᅮᅭᅲ라〮附뿡〮書셩初총聲셔ᇰ之징下ᅘᅡᆼ〯ᄒᆞ고〮
: 附뿡〮는〮브틀〮씨〮라〮
: ᆞ와〮ᅩ와〮ᅮ와〮ᅭ와〮ᅲ와〮라〮처〮소리〮아래〮브텨〮쓰〮고〮
ᅵᅡᅥᅣᅧ라〮附뿡〮書셩於ᅙᅥᆼ右ᅌᅮᇢ〯ᄒᆞ라〮.
: 右ᅌᅮᇢ〯는〮올〮ᄒᆞᆫ녀기〮라〮
: ᅵ와〮ᅡ와〮ᅥ와〮ᅣ와〮ᅧ와〮라〮와〮ᄒᆞᆫ녀긔〮브텨〮쓰〮라〮
凡뻠字ᄍᆞᆼ〮ᅵ必비ᇙ〮合ᅘᅡᆸ〮而ᅀᅵᆼ成쎠ᇰ音ᅙᅳᆷᄒᆞ〮ᄂᆞ니〮
: 凡뻠은〮믈읫ᄒᆞ〮논ᄠᅳ〮디라〮必비ᇙ〮ᄋᆞᆫ〮모로〮매〮ᄒᆞ〮논ᄠᅳ〮디라〮成쎠ᇰ은〮일〯씨〮라〮
: 믈읫字ᄍᆞᆼ〮ᅵ모로〮매〮어우〮러ᅀᅡ〮소리〮이〯ᄂᆞ니〮
左장〯加강一ᅙᅵᇙ〮點뎜〯ᄒᆞ면〮則즉〮去컹〮聲셔ᇰ이〮오〮
: 左장〯ᄂᆞᆫ〮왼〯녀기〮라〮加강ᄂᆞᆫ〮더을씨〮라〮一ᅙᅵᇙ〮ᄋᆞᆫ〮ᆞᆫᄒᆞ나히〮라〮去컹聲셔ᇰ은〮ᄆᆞᆺ〮노ᄑᆞᆫ〮소리〮라〮
: 왼〯녀긔〮ᄒᆞᆫ點뎜〯을〮더으면〮ᄆᆞᆺ〮노ᄑᆞᆫ〮소리〮오〮
二ᅀᅵᆼ〮則즉〮上쌰ᇰ〯聲셔ᇰ이〮오〮
: 二ᅀᅵᆼ〮ᄂᆞᆫ〮둘〯히라〮上쌰ᇰ〯聲셔ᇰ은〮처〮ᅀᅥ미〮ᄂᆞᆺ갑〯고乃냉〯終쥬ᇰ이〮노ᄑᆞᆫ〮소리〮라〮
: 點뎜〯이〮둘〯히면〮上쌰ᇰ〯聲셔ᇰ이〮오〮
無뭉則즉〮平버ᇙ聲셔ᇰ이〮오〮
: 無뭉는〮업〯슬씨〮라〮平버ᇙ聲셔ᇰ은〮ᄆᆞᆺ〮ᄂᆞᆺ가ᄫᆞᆫ〮소리〮라〮
: 點뎜〯이〮업〯스면〮平펴ᇰ聲셔ᇰ이〮오〮
入ᅀᅵᆸ〮聲셔ᇰ은〮加강點뎜〯이〮同또ᇰ而ᅀᅵᆼ促쵹〮急그〮ᄒᆞ니라
: 入ᅀᅵᆸ〮聲셔ᇰ은〮ᄲᆞᆯ리〮긋ᄃᆞᆮᄂᆞᆫ소리〮라〮促쵹〮急그〮은〮ᄲᆞᄅᆞᆯ씨〮라〮
: 入ᅀᅵᆸ〮聲셔ᇰ은〮點뎜〯더우〮믄〮ᄒᆞᆫ가지〮로ᄃᆡ〮ᄲᆞᄅᆞ니〮라〮
漢한〮音ᅙᅳᆷ齒칭〯聲셔ᇰ은〮有ᅌᅮᇢ〯齒칭〯頭뚜ᇢ正져ᇰ〮齒칭〯之징别벼ᇙ〮ᄒᆞ니〮
: 漢한〮音ᅙᅳᆷ은〮中듀ᇰ國귁〮소리〮라〮頭뚜ᇢ는〮머리〮라〮别벼ᇙ〮은〮ᄀᆞᆯᄒᆡᆯ〮씨〮라〮
: 中듀ᇰ國귁〮소리〮예〮니〮쏘리〮ᄂᆞᆫ〮齒칭〯頭뚜ᇢ와〮正져ᇰ〮齒칭〯왜〮ᄀᆞᆯᄒᆡ〮요미〮잇ᄂᆞ니〮
ᅎᅠᅔᅠᅏᅠᄼᅠᄽᅠ字ᄍᆞᆼ〮ᄂᆞᆫ〮用요ᇰ〮於ᅙᅥᆼ齒칭〯頭뚜ᇢᄒᆞ고〮
: 이〮소리〮ᄂᆞᆫ〮우〮리〮나라〮소리〮예셔〮열ᄫᅳ〮니〮혓〮그〮티〮웃니〮머리〮예〮다ᄔᆞ니〮라〮
: ᅎᅠᅔᅠᅏᅠᄼᅠᄽᅠ字ᄍᆞᆼ〮ᄂᆞᆫ〮齒칭〯頭뚜ᇢᄉ소리〮예〮ᄡᅳ〮고〮
ᅐᅠᅕᅠᅑᅠᄾᅠᄿᅠ字ᄍᆞᆼ〮ᄂᆞᆫ〮用요ᇰ〮於ᅙᅥᆼ正져ᇰ〮齒칭〯ᄒᆞ〮ᄂᆞ니〮
: 이〮소리〮ᄂᆞᆫ〮우〮리〮나라〮소리〮예셔〮두터ᄫᅳ니〮혓〮그〮티〮아랫〮니〮므유메〮다ᄔᆞ니〮라〮
: ᅐᅠᅕᅠᅑᅠᄾᅠᄿᅠ字ᄍᆞᆼ〮ᄂᆞᆫ正져ᇰ〮齒칭〯ᄉ소리〮예〮ᄡᅳ〮ᄂᆞ니〮
牙ᅌᅡᆼ舌쎠ᇙ〮脣쓘喉ᅘᅮᇢ之징字ᄍᆞᆼ〮ᄂᆞᆫ〮通토ᇰ用요ᇰ〮於ᅙᅥᆼ漢한〮音ᅙᅳᆷᄒᆞ〮ᄂᆞ〮니라〮
: 엄〯과〮혀〮와〮입시울〮와〮목소리〮옛〮字ᄍᆞᆼ〮ᄂᆞᆫ〮中듀ᇰ國귁〮소리〮예〮通토ᇰ히〮ᄡᅳ〮ᄂᆞ〮니라〮
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
|
{
"page": 0,
"year": null
}
|
단심가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09:56.398121",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B%8B%A8%EC%8B%AC%EA%B0%80&oldid=183708"
}
|
한문 옛 한글
此身死了死了(차신사료사료)
一百番更死了(일백번갱사료)
白骨爲塵土(백골위진토)
魂魄有也無(혼백유야무)
向主一片丹心(향주일편단심)
寧有改理也歟(영유개리야여)
이몸이주거주거
일백번고쳐주거
白骨이塵土되여
넉시라도잇고업고
님향한一片丹心이야
가쉴줄이이시랴
|
{
"page": 0,
"year": null
}
|
가시리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09:58.048204",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A%B0%80%EC%8B%9C%EB%A6%AC&oldid=222226"
}
|
가시리 가시리잇고가시겠습니까 나ᄂᆞᆫ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위 증즐가
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위 증즐가
잡ᄉᆞ와 두어리마 ᄂᆞᄂᆞᆫ
선ᄒᆞ면양주동은 "선뜻하면", "선선하면"으로, 김형규는 "서운하면"으로, 박병채는 "시틋하면", "귀찮아 마음이 거칠어지면"으로 풀이하였다.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셜온서러운 님 보내ᄋᆞᆸ노니 나ᄂᆞᆫ
가시ᄂᆞᆫ ᄃᆞᆺ 도셔 오셔셔 나ᄂᆞᆫ
:위 증즐가
|
{
"page": 0,
"year": null
}
|
서경별곡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09:58.862281",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84%9C%EA%B2%BD%EB%B3%84%EA%B3%A1&oldid=269574"
}
|
西京(서경)평양이 아즐가 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ᄃᆡ닦은 데, 닦은 곳 아즐가 닷곤 ᄃᆡ 쇼셩경 고ᄋᆈ마른사랑하지마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ᄒᆡ므론여의기보다는 아즐가 여ᄒᆡ므론 질삼 뵈길쌈하던 베 ᄇᆞ리시고버리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ᄃᆡ사랑하시면 아즐가 괴시란ᄃᆡ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ᄯᆞᆫ 아즐가 긴힛ᄯᆞᆫ 그치리잇가끊어지겠습니까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ᄒᆡ천 년를 아즐가 즈믄 ᄒᆡ를 외오곰 녀신ᄃᆞᆯ외따로 살아간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信(신)잇ᄃᆞᆫ 아즐가 信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大同江(대동강) 아즐가 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내여 아즐가 ᄇᆡ 내여 노ᄒᆞᆫ다놓느냐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너의 처, 너의 아내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음란한지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녈 ᄇᆡ예 아즐가 녈 ᄇᆡ예 연즌다얹었느냐, 태웠느냐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大同江(대동강) 아즐가 大同江 거넌편 고즐여꽃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ᄇᆡ 타들면배를 타면 아즐가 ᄇᆡ 타들면 것고리이다꺾으리이다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page": 0,
"year": null
}
|
회고가 (길재)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09:59.605673",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D%9A%8C%EA%B3%A0%EA%B0%80+%28%EA%B8%B8%EC%9E%AC%29&oldid=126183"
}
|
오백년도읍지를필마로도라 드니
산천은依舊ᄒᆞ되인걸은간듸업다
어즈버태평연월이ᄭᅳᆷ이런가ᄒᆞ노라
|
{
"page": 0,
"year": null
}
|
춘망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10:00.445898",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B6%98%EB%A7%9D&oldid=126241"
}
|
나라히 파망ᄒᆞ니 뫼콰 ᄀᆞᄅᆞᄲᅮᆫ 잇고
잣 아ᇇ 보ᄆᆡ 플와 나모ᄲᅮᆫ 기펫도다
시절을 감탄(感嘆)호니 고지 누ᇇ므ᄅᆞᆯ 셔리게코
여희여슈믈 슬후니 새 ᄆᆞᅀᆞᄆᆞᆯ 놀래노다
봉화(烽火)ᅵ 석 ᄃᆞᄅᆞᆯ 니ᅀᅥ시니
지ᄇᆡᆺ 음서(音書)ᄂᆞᆫ 만금(萬金)이 ᄉᆞ도다
셴 머리ᄅᆞᆯ 글구니 ᄯᅩ 뎌르니
다 빈혀를 이긔디 묟ᄒᆞᆯ ᄃᆞᆺᄒᆞ도다
|
{
"page": 0,
"year": null
}
|
진달래꽃 (시집)/진달래꽃
| null |
{
"accessed_at": "2024-07-04 23:10:01.223108",
"original_source": null,
"wiki_source_link": "https://ko.wikisource.org/w/index.php?title=%EC%A7%84%EB%8B%AC%EB%9E%98%EA%BD%83+%28%EC%8B%9C%EC%A7%91%29%2F%EC%A7%84%EB%8B%AC%EB%9E%98%EA%BD%83&oldid=231015"
}
|
진달내ᄭᅩᆺ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ᄯᅢ에는
말업시 고히 보내드리우리다
寧邊에藥山
진달내ᄭᅩᆺ
아름ᄯᅡ다 가실길에 ᄲᅮ리우리다
가시는거름거름
노힌그ᄭᅩᆺ츨
삽분히즈려밟고 가시옵소서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ᄯᅢ에는
죽어도아니 눈물흘니우리다
|
{
"page": 0,
"year": null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